Ⅰ 그간 주요 성과 1 경쟁력 있는 농업인 육성 젊고 역량 있는 미래세대 농업인 육성 선도농가 현장실습, 멘토링 교육 및 농업법인 인턴십 등 농산업 현장 중심의 농고농대 교육 추진 * 농고 농대 실습교육 전후 역량향상률(%) : ('13)16.8 ('14)18.0 ('



Similar documents
<B8F1C2F72C31C0E52E687770>

서비스 수출에 있어서도 일본의 해외진출이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 주요내용)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에서 日 銀 의 대 규모 금융완화를 통해 물가가 (전년대비) 상승했다고 분석하였으며, 일본의 소비세 인상 재연기(2017.4월

1. 제1장.hwp

목 차 Ⅰ. 2013년 성과 및 평가 1 Ⅱ. 2014년 정책 환경과 비전 3 Ⅲ. 201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6 1. 국민 문화체감 확대 6 2. 인문 전통의 재발견 문화기반 핵심 서비스산업 육성 문화가치의 확산 33 Ⅳ. 세부 추진 일정 및

kpnews_643.indd

<312E20B8D3B8AEB1DB2C20B8F1C2F72E687770>

Àü³²Àú³Î 382È£ Èæ

JDI_정책동향브리프_2015년_vol.1( ).hwp

전파계획과, 행정주사보, 신동희 < 2015 하반기 전파방송통신관리 전략워크숍 > o 지난 11월 19일부터 20일까지 우리 소에서는 전파방송통신관리 업무 수행에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전국의 지방전파 관리소장, 수석과장을 비롯하여 본소 관리자 전원이 참석하는 20

빅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읽는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김혜정 해운대 관광? 빅데이터에 물어봐! 전국 최초로 빅데이터 분석팀을 신설해 수준 높은 서비스 제공과 과학적 예측 행정을 구현하고 있는 해운대구의 참신한 도전기. 해운대를 찾아오는 국내외 수많은 관광객들에게 즐거운 추

2 농정 더불어민주당, 도시지역 의원 농해수위 배정 눈총 농촌지역구 의원 농해수위 꺼려 농업전문 역량 갖춘 보좌진 가뭄 전남북 정치지형 변화 농해수위까지 불똥 여소야대 국회, 야당 농민위해 적극 나서야 국회 농해수위가 눈총을 받고 있다. 총선 이후 정치지형이 변화되면서

02 뉴스종합 서산시, 전통시장 활성화 유공 대통령상 수상 평가를 받아 대통령상을 수상하게 됐다. 서산동부시장 상인회와 전국 최초의 시 장정비사업, 상인 민자유치를 통한 수산물 전문식당가 건립, 시내 중심권의 친환경 공영주차장 조성, 문화관광형 시장 선정 및 자체 태스

Àü³²Àú³Î 317È£

Acr tmp.pdf

순 서 Ⅰ. 2015년 경제운용 평가 1 Ⅱ. 향후 경제여건 3 Ⅲ. 2016년 경제정책 기본방향 9 Ⅳ. 2016년 경제정책 과제 정상 성장궤도 복귀를 위한 경제활력 강화 10 (1) 적극적 신축적 거시정책 (2) 내수 수출 회복 (3) 선제적 리스크 관리


장: 200 세외수입 관: 220 임시적세외수입 항: 223 기타수입 광역친환경농업단지사업 부가세 환급금 및 통장이자 79,440,130원 79, ,440 < 산림축산과 > 497, , ,244 산지전용지 대집행복구공사((주)하나식품)

올바른 먹거리 유통과 건강한 식문화 창조를 통해 함께하는 행복한 내일을 꿈꾸는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입니다 CONTENTS 마음에 그린 마켓, 함께하는 행복한 내일 지속가능경영 전반 CEO 인사말 하이라이트 06 공사 소개 10 위험과 기회 12 비전 및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2 농정 [ 기획 ] 광복 70년, 농업 70년 # 보릿고개 를 넘다 농업 없이 국가도 없다 <1945~1969년>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대전에 서 일본 제국이 패전국이 되면서 일제 강점기에 놓였던 한국이 해방을 맞았다. 해방은 됐지만 먹을 것은 없었고,

2 김준기 동부화재로 헤쳐모여 <동부그룹 회장> 캐피탈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동부화재 종합금융그룹으로 체제전환 속도 붙어 아들 남호씨 지분 14%등 21% 보유 지배력 탄탄 주식담보 해지가 관건 재계 몇 안 되는 1세대 오너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의 금융 계열사 중심의 그

周 縁 の 文 化 交 渉 学 シリーズ 3 陵 墓 からみた 東 アジア 諸 国 の 位 相 朝 鮮 王 陵 とその 周 縁 머리말 조선시대에 왕(비)이 사망하면 그 육신은 땅에 묻어 陵 을 조성하고, 삼년상이 지나면 그 혼을 국가 사당인 종묘에 모셔 놓았다. 양자는 모두 국가의

FTA 시대 우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소기업 인력지원 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종합 2014년 9월 2일 화요일 2 올해 정기국회 첫 본회의 개막 신임의원선서 사무총장 임명승인 오는 12월9일까지 100일간 회기 올해 정기국회 첫 본회의가 열린 1 일 7 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 선된 신임의원들이 의원선서를 박형준 국회 사무총장 임명 승인

저는 기업이 진정한 인재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아야 할 잣대를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첫째, 실용적 전문성 둘째, 문제 해결 능력 셋째, 공동 팀워크입니다. DECEMBER 2014 HRD 19

요 약


15 홍보담당관 (언론홍보담당) 김병호 ( 金 秉 鎬 ) 16 (행정담당) 박찬해 ( 朴 鑽 海 ) 예산담당관 17 (복지행정담당) 이혁재 ( 李 赫 在 ) 18 (보육담당) 주사 이영임 ( 李 泳 任 ) 기동근무해제. 19 (장애인담당) 박노혁 ( 朴 魯 爀 ) 기동

<32C2F720C0CCBBE7C8B820C8B8C0C7C0DAB7E128C0CFBACE292E687770>

코이카 연보

Act84_

第 1 節 組 織 11 第 1 章 檢 察 의 組 織 人 事 制 度 등 第 1 項 大 檢 察 廳 第 1 節 組 대검찰청은 대법원에 대응하여 수도인 서울에 위치 한다(검찰청법 제2조,제3조,대검찰청의 위치와 각급 검찰청의명칭및위치에관한규정 제2조). 대검찰청에 검찰총장,대

ƯÁý2-~27pš

제 31회 전국 고교생 문예백일장 산문 부문 심사평.hwp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11 제6장 안정된 사회를 위한 경찰활동 제1절 선진 집회 시위문화 조성 제2절 경찰의 각종 경비활동 제3절 테러 등 국가위기관리 역량 강화 제4절 국가안보 확립을 위한 경찰활동

레프트21

<C1DFBCD2B1E2BEF720C1A4C3A5B0FAC1A628C7D1B1DB C3D6C1BE20BBF6C0CE2E687770>

3농림부통합콕

(2016.4월 기계수주 동향) 내각부 6.9 발표 월 기계수주 통계에서 민간 설비 투자의 선행지표가 되는 선박, 전력을 제외한 민간수요 수주액(계절조정치)이 전월대비 11.0% 감소(2개월만에 감소)하여 7,963억엔을 기록 (일본경제연구센터 월

<312D33B9E8B1B9BFAD2DC6EDC1FD2E687770>

<C3D6C1BEBAB8B0EDBCAD5F F2E485750>

정치 2014년 9월 26일 금요일 2 朴 대통령, 캐나다 美 순방 국제사회 공감대 이끌어 유엔서 연설 위상 높여 한 加 세일즈외교 성과 박근혜 대통령이 6박7일 간의 캐나 다와 미국 순방을 성공리에 마무리하 고 26일 오전 귀국한다.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통해 미

순 서 Ⅰ. 2016년 상반기 경제운용 평가 1 Ⅱ. 향후 경제여건 3 Ⅲ.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 기본방향 8 Ⅳ.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 과제 9 1. 경제활력 제고와 민생안정 9 2. 구조개혁 가속화 리스크 관리 강화 37 Ⅴ. 경제전망 40 <


Ⅰ.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우리 경제에 활력을 주는 ICT 융합 프로젝트 1. 창조비타민 프로젝트란?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성공사례 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비타톤 창조비타민 현장 10 I. 창조비타민 : 우리 경제에 활력을 주는 ICT 융합

2014년 국제 정세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옷을 벗어던진 구 지정학의 귀환

2 전업농신문 종합 농진청장굛전국 농업기술원장 룏한자리에룑 병합 심사돼 통과됐 인증제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 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있 그동안 모호 에 차단할 수 있게 됐 있게 됐 아울러 지역농산물 및 직거래 활성 했 중앙 및 지자체는 직거래 사업장의 종 지원 사

2 농정 콩 농사 최악의 기후, 30년 경력 농민도 두 손 들었다 생산량 반토막 등외품 수두룩 괴산 불정 콩사업 비상 정부수매 1월 말까지 연장 지난해 가뭄과 늦가을 잦은 비로 콩 농 사에 비상이 걸렸다. 생산량은 반토막 나 고 상품성마저 떨어져 콩 주산지마다 등 외품




우리 마을로 오세요 세요 전남 신안군 태평염전 / 사진 김성욱(홍보실) 경남 창녕군 부곡면 / 한승호(홍보실) [Cover Story] 새해입니다. 토끼해, 신묘년이지요. 토끼는 사람처럼 호기심도 많고 꾀도 많다고 합니다. 항상 바쁘게 움직이며 주변 환경에도 잘 적응한

歯기관별주요정책과제평가결과(`01[1].하).hwp

untitled

2016년이렇게달라집니다_ 전체 최종 1223.indd

<C3D6C1BEC3E2B7C25FB3F3BCF6BBEAB0E1B0FA5F313432C2F72E687770>

2 뉴스종합 소상공인방송 2년 연속 공익채널에 뽑혔다 방통위, 사회복지 채널로 선정 300만 가시청 가구 추가 확보 소상공인방송이 2년 연속으로 공익채 널에 선정됐다. 소상공인방송은 소상공인 지원과 활성화를 목표로 지난 2009년 개 국한 소상공인 전문 방송이다. 소상

Contents I II Project Overview 상황분석 및 여건진단 II-1 문화재청 정책 및 사업 분석 II-2 II-3 문화재청 정책 커뮤니케이션 분석 문화재청 일반인식 분석 III 조직분석 및 사례 연구 III-1 문화재청 홍보 조직 및 예산 분석 III

<C804><CCB4>.pdf

순 서 1 경제 활성화 1. 확장적 거시정책 기조 유지 1.민간투자 활성화 유도 1 2.국고채 발행시기ㆍ물량 탄력적 조정 2 3.외화유동성 활용방안 3 2. 투자 소비여건 개선 4.외평기금을 통한 국내 설비투자용 외화대출 4 5.보건ㆍ의료,교육 등 핵심 서비스산업 경쟁

<30305F312E20B8F1C2F720312C325FBCF6C1A42E687770>

기사스크랩 (160317).hwp

4.도 조사결과 m 응답자(회수율):36/65명(55%)(첨부 2) -산업계 5/7명,학계 19/38명,연구기관 11/18명,시민단체 1/2명 m 도 결과 :81.11점으로 집계(100점 만점 기준) 5.설문문항별 응답 주요 내용(첨부 3) (1)WTO/DDA 관련 활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목차/contents 2

농정이슈 국내 언론 동향 2015년산 공공비축미 우선지급금 결정 [ 농식품부, 2015 년산 공공비축미 우선지급금 결정] 작년과 동일 수준인 52,000원 ( 벼 40kg, 1 등급)으로 결정 - 농가의 경영안정 및 자금 유동성 확보 위해 공공비축미 매입가격 확정(1

레이아웃 1

2 기회 달라 이통사에 직접 호소나선 이준우 <팬택 사장> 이준우<사진> 팬택 사장이 단상에 올라와 고개를 숙였다. 팬택의 1800여명 직원과 팬 택과 함께 걸어온 수많은 협력업체들을 살리 기 위해서다. 이 사장은 10일 오전 10시 서울 상암동 팬 택 본사에서 긴급

종합 소모적 논쟁 끝내고 이제 결론내자! <속보> 부천무형문화엑스포 개최와 부 천영상문화단지 내 무형문화재 공방거리 와 한 묶음으로 접근하느냐, 그렇지 않느 냐가 이번 부천시의회 제150회 임시회에 서 부천 발전이란 공동선을 이끄는 두바 퀴 수레인 시 집행부와 시의회간

? 지루하고 재미없는 청소년 통일교육을 01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국민제안 은상 1 재미로 소통하는.. 1 청소년 통일교육,,.,,. 이런 건 바꿔야! 그동안 청소년 통일안보 교육의 가장 큰 걸림돌은 재 미가 없고 청소년들의 눈높이와 정서에 맞는 다양한

요 약 문 1. 제목 : 개인정보 오남용 유출 2차 피해 최소화 방안 2. 연구의 배경 개인정보란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로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발표를 시작하기 전에 FTA는 현금이다 : 알면 이익, 모르면 손해 - FTA 활용 관세절감 사례 (D 사) 년 2천억 원 수입 시 FTA 활용으로 160억 원 관세 중 44억 원의 관세 절감 (절감율 : 27.5%), 한.미 FTA, 한.EU FTA, 한.

G20 제1차 정상회의 : 미국 워싱턴 D.C.( ) 참가국(기구) G20 회원국 : G7 한국 중국 인도 호주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러시아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의장국(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국 제 기 구 : UN I

많이 이용하는 라면,햄버그,과자,탄산음료등은 무서운 병을 유발하고 비만의 원인 식품 이다. 8,등겨에 흘려 보낸 영양을 되 찾을 수 있다. 도정과정에서 등겨에 흘려 보낸 영양 많은 쌀눈과 쌀껍질의 영양을 등겨를 물에 우러나게하여 장시간 물에 담가 두어 영양을 되 찾는다

<C3D6C0E7C3B528BAB8B5B5C0DAB7E1292D322E687770>

<C6EDC1FD2D B0FCB1A4B5BFC7E2BFA1B0FCC7D1BFACC2F7BAB8B0EDBCAD28BCF6C1A4292E687770>

‘12

<BFA9BCBAC0CEB1C7C1F8C8EFBFF82DC7CFB9DDB1E220C1A4C3A5C5E4B7D0C8B828C7A5C1F6BFCD20B3BBC1F620C7D5C4A7292E687770>

<C1A4C3A5BCBCB9CCB3AAC0DAB7E128C3D6C1BE295B315D2E687770>

02민주당.hwp

<28C1A C8A32920C0CFBABBC0C720B3F3BEF7A1A4B3F3C3CC20C8B0BCBAC8AD20B1B9B9CEBFEEB5BF2E687770>

1. 경제자유구역 1 경제자유구역의 탄생 배경 세계는 지금 세계의 경제는 무역의 자유화 및 운송 통신 과학기술의 발달로 질이나 양적 인 면에서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세계시장이 국경없는 거대한 단일시 장이 되어가고 있음. 주변환경 특히, 최근들어 중국경제는 세

MESSAGE OF YONAM 흐른다 새는 하늘로 날아가면서 그림자는 강물에 던진다 버리고서야 가벼워지는 건 새뿐만이 아니다 너는 발자국을 남기고 강으로 향한다 발자국이 끝난 자리에서 강물이 흐른다 가볍게 넘실대며 강물은 바다로 간다 새와 그림자 사이 너와 발자국 사이

BSC Discussion 1

[대구광역시] '대구' 가장 한국적인 국제회의 도시로 발돋움 40 [대구광역시] 춘절연휴 중화권 관광객 1,500명 대구방문 42 [울산광역시] 울산시, 산업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문회의 개최 43 [부산광역시] 국내 최초 국적크루즈선 '클럽하모니' 부산서 취항 44 [

2 2015년 6월 1일 월요일 종합 제21503호 경기도 게임산업 생태계 판도 바꾼다 GTX 송도~소사~잠실 경제성 가장높아 가장 높게 나왔다고 31일 밝혔다. 인천시가 GTX(수도권광역급행 높다 고 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송도~소사~ 인천시의 GTX 인천 구간

<28C0AFC1F8C1F5B1C720B1E8B9CCBFAC29C0AFC5EB20C8ADC0E5C7B05F B6C795F BFCFB0E1292E786C73>

범죄통계 DB 구축사업(Ⅹ).hwp

ˆ43ˆˆˆ.qxd

ÀÎ-±³Á¤¿ë.PDF

1

(......).hwp

레이아웃 1

< C1BEC7D5C0B0BCBAB0E8C8B C0FD292E687770>

울산(전체본).hwp

184

<C804><CCB4>.pdf

10월자율소식 완료-청.indd

<5BC6EDC1FD5DC0DABBECBFA120B4EBC7D120BBE7C8B8C0FB20C3A5C0D3B0FA20C7D8B0E1B9E6BEC8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내지합본)연구보고서-1217(최종본).hwp

Transcription:

목 차 중기 경영목표 (2016 ~ 2020) Ⅰ. 그간 주요성과 1 Ⅱ. 경영환경 분석 4 Ⅲ. 경영목표 체계 8 1. 미션 및 비전 8 2. 전략목표 및 전략과제 9 Ⅳ. 세부 추진 10 2015년 10월 1. 농업인의 경쟁력 강화 10 2. 농업의 생산성 증대 23 3. 도농상생 기반 강화 35 4. 글로벌 환경 대응능력 강화 47 5. 고객행복 경영체계 실현 54 Ⅴ. 성과 관리 61

Ⅰ 그간 주요 성과 1 경쟁력 있는 농업인 육성 젊고 역량 있는 미래세대 농업인 육성 선도농가 현장실습, 멘토링 교육 및 농업법인 인턴십 등 농산업 현장 중심의 농고농대 교육 추진 * 농고 농대 실습교육 전후 역량향상률(%) : ('13)16.8 ('14)18.0 ('15p)19.8 전문성 있는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 * 후계농업경영인 교육 만족도 : 90점 이상 지속 유지 전문 농업경영인 역량제고를 위한 현장 중심 교육 강화 실습교육 중심의 농업마이스터대학 운영으로 농업기술 영농능력 향상 * 농업마이스터 대학 교육전후 역량 향상률(%) : ('12)10.6 ('13)11.9 ('14)14.5 핵심 농정방향 현장수요를 반영한 공모교육 체계 개편 * 6차산업 ICT 융복합 등을 포함한 16개 교육 과정 신설 국외 농업선진국의 첨단 시설제어 활용을 위한 실습교육 지속 확대 * 농업선진국 전문가 초청 실습교육생(명) : ('13)181 ('14)209 농업인력 양성 기반 지속 개선 농업마이스터를 활용한 품목별 교육, 후계농 멘토링, 농고 농대생 진로탐색 및 취 창업 컨설팅 등 실시 현업적용성이 높은 현장실습교육 장기과정(40시간 이상)의 지속적인 확대 * 현장실습교육 교육시간(시간) : ('13)6,175 ('14)7,959 / 수료인원(명) : ('13)994 ('14)1,300 2 농식품 ICT융복합을 통한 농업의 생산성 증대 농식품 ICT 융복합 모델 발굴 및 확산 지자체 공모를 통해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ICT 표준화 모델 발굴 * 농식품 ICT 융복합 8개 과제(생산 4, 생산 유통 1, 가공 1, 유통 1, 유통 경영 1) 선정 권역별 설명회, 컨설팅, 홍보를 통한 ICT융합모델 확산 * ICT 융복합 모델 확산 보급 농가(개소) : ('12)36 ('13)80 ('14)128 ('15p)204 농식품 정보서비스 제공을 통한 정부 3.0 성과 창출 생산-유통-소비 원스톱 정보서비스 기반 옥답 웹 모바일 서비스 개편 식품안전에서 소비 식생활까지 농식품종합정보 통합서비스 강화 농림축산식품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159종) 및 공공데이터 분석 모델 개발(2종) 농식품 분야 정부3.0 기반 대국민 통합서비스 제공 성과 - 2014년 소비자의 선택(중앙일보 주최) 농식품 농어촌 서비스 부문 옥답 대상 수상 - 2014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 대상(미래창조과학부 주최) 우수상 수상 - 공공데이터 포털 및 농식품 소비정보망, 농식품부 정부3.0 평가 우수사례 선정 ICT를 활용한 농정의 효율화, 투명성 제고 노력 농업경영체 DB 분석을 통해 직불금 보조금 부당 수령 차단 지원 * 휴 폐경 농지, 동일농지 중복 신청 등 '14년 16,521ha/95억 원 부당수령 방지 * 농업경영체 DB 활용교육(15회, 991명), 통계(458건), 상담(53,000건, 응대율 95.9%) 제공 전자지도를 활용하여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 통합관리 및 일반농산어촌 개발, 농업기반정보 사업 등 DB 구축(1,165건) - 1 - - 2 -

3 농정소통 지원 및 농촌, 농식품에 대한 인식 제고 쌀 관세화, 한 중 FTA 등 농정홍보 및 공감대 형성 쌀 관세화, 한 중FTA, AI 구제역 등 농정 현안에 대한 선제적 이슈관리 홍보 및 6차산업화 등 브랜드과제에 대한 소통 활성화 * 언론홍보(방송 729회, 신문119회), 전문가포럼(10회), 지역 설명회(8회), 간담회(2회) 등 * 대국민 정책 홍보 이해 기여도(%) : ('13)71.8 ('14)72.1 Ⅱ 경영환경 분석 1 외부환경 기관 비전 미션 달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방향성을 설정하고자 정책(P) 경제(E) 사회(S) 기술(T) 관점에서 통해 외부 환경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 농식품 분야 홍보 성과 - 정책홍보 평가 5년 연속 우수기관 선정 지원 ( 14년 정부업무평가 홍보분야 1위) - 2014 한국PR대상 정부PR부문 최우수상 수상(한국PR협회) 농업 농촌 다원적 가치 확산 및 귀농귀촌 활성화 쉼터, 치유농업, 농업유산, 곤충산업 등 새로운 다원적 가치 발굴 및 확산을 통해 농업 농촌 인식제고 도시민 접근성 제고를 위해 귀농 귀촌종합센터 서울 이전 설치, 방문상담 등 상담실적 향상 * 방문상담수 / 1일평균상담수 : ('14상반기)390명/3.2명 ('14하반기)771 (97.7% )/6.3 정 책 환 경 기 6차 산업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이 핵심이슈로 부각 기 첨단화 규모화의 핵심 수단으로 농식품 ICT융합 확대 기 정부 3.0의 성과를 가속화 위 공공기관 기능 조정이 중요한 정책과제로 부각 위 임금피크제 연내 도입, 성과연봉제 강화 등 민감한 현안들에 대한 조기 이행 요구 기 귀농귀촌 등 웰빙에 대한 관심 증대 기 도시민의 농업농촌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증가 기 귀농 귀촌 인구의 꾸준한 증가 기 농식품 분야에도 스마트컨슈머 확대 등 소비자의 관심도 증가 기 농촌 생활여건 개선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농촌 재능기부에 대한 관심 확대 사 회 환 경 2030세대 대상 특별 교육프로그램 운영으로 청년층의 귀농귀촌 관심도 증가 * 대학교 귀농귀촌 창업교과 개설(4개 대학, 109명), 취 창업 맞춤형교육(3기 60명) 국가인증농산물 소비촉진 및 쌀 소비 홍보 확대 국민의 식품안전 요구 및 올바른 식생활 문화 정착을 위한 홍보 강화 * GAP 소비자 인지도(%) : ('13)42.8 ('14)57.4 * 바른 식생활 대국민 인식률(%) : 바른 식생활 캠페인 (전)68.3 (후)71.7 온 오프라인 쌀 소비홍보 확대로 홍보 접촉률 향상 및 소비 하락률 둔화 * 쌀 홍보 접촉률(%) : ('13)25 ('14)40, 쌀 소비량 감소율(%p) : ('13)3.7 ('14)3.1 경 제 환 경 위 농림업 생산성 및 국민총생산 대비 부가가치 비중 감소 위 농가수 및 농가인구는 지속 감소 위 도시민 대비 현저히 낮은 농업인 소득 위 농축산물 무역수지 적자폭의 꾸준한 증가 기 중국, 무슬림 등 FTA 주요 시장의 안전한 먹거리 및 할랄 식품 시장 규모 확대 기 신기술간 컨버전스, 전통산업과 신기술의 결합 등 기술의 융복합화 등이 가속화 기 농업인의 정보화활용지수의 지속 상승 위 농업인의 도시민 대비 낮은 정보활용 수준 기 술 환 경 - 3 - - 4 -

2 내부역량 3 SWOT 분석을 통한 중장기 전략 도출 구성원 설문 및 인력현황, 예산구조 등 내부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강점 및 약점 요인을 도출 평균 연령 38.7세의 젊은 조직 구조 5~6급 중심의 삼각형 구조로 승진 적체가 우려됨 내부 정부보조금 중심 사업 구조 현황 정보화 교육 홍보 등 기능별 비교적 고른 분포의 예산 구조 (인력, 예산) 국제통상 관련 기능의 인원대비 예산구조 취약 농식품부 19개 부서 42개 사업을 추진 노조원들의 기관경쟁력에 대한 높은 인식 노사 관계에 대한 경영진의 긍정적 인식 조직원에 승진과 보상에 대한 낮은 만족도 대한 교육훈련 여건에 대한 낮은 만족도 설문조사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낮은 만족도 승진 적체에 대한 낮은 만족도 직무 및 전환배치에 대한 의견 수렴 부족 내부 강점요인 풍부한 사업운영 경험 축적 농식품부와의 오랜 교류로 상호 신뢰 확보 정책고객과의 다양한 소통 채널 확보 정보화 교육 등 인프라 보유 구성원의 기관 경쟁력에 대한 높은 의지 경영진의 노사관계에 대한 긍정적 인식 6차 산업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이 핵심이슈로 부각 첨단화 규모화의 핵심 수단으로 농식품 ICT융합 확대 정부 3.0의 지속적 성과확산 귀농 귀촌 인구의 꾸준한 증가 농식품 분야에도 스마트컨슈머 확대 등 소비자의 관심도 증가 다양한 형태의 농촌 재능기부에 대한 관심 확대 신기술간 컨버전스, 전통산업과 신기술의 결합 등 기술의 융복합화 농업인의 정보화활용지수의 지속 상승 FTA 주요 시장의 안전한 먹거리 및 할랄 식품 시장 규모 확대 외부 기회요인 내부 약점요인 인원대비 많은 보조사업 수로 업무 부담 대다수 위탁업무 추진으로 자발적 사업기획에 한계 평가, 보상, 교육, 직무 전환 등 경영전반에 대한 낮은 만족도 일부 기능에 대한 사업예산 부족 공공기관 기능 조정이 중요한 정책과제로 부각 임금피크제 연내 도입, 성과연봉제 강화 등 민감한 현안들에 대한 조기 이행 요구 농업인의 도시민 대비 낮은 정보활용 수준 농림업 생산성 및 국민총생산 대비 부가가치 비 중 감소 농가수 및 농가인구는 지속 감소 도시민 대비 현저히 낮은 농업인 소득 농축산물 무역수지 적자폭의 꾸준한 증가 SWOT 분석을 통한 중장기 전략 도출 외부 위협요인 사업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ICT융합 촉진 지원 사업운영 경험 축적 농식품부와의 오랜 교류로 상호 신뢰 확보 SO 전략 기관 핵심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식품 6차 산업화 인식 확산 웰빙, 안전먹거리 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활용, 농식품 소비촉진 우리 원의 기능 조직 농식품부와 신뢰를 기반으로 농정의 성과를 지원 강점 정책고객과의 다양한 소통 채널 확보 정보화 교육 등 인프라 보유 기관 경쟁력 제고에 대한 직원의 높은 의지 노사 관계에 대한 경영진의 긍정적 인식 WO 전략 정보화의 전문성을 활용한 농식품 3.0 강화 핵심 농정과 연계되는 핵심 기능 사업 중심으로 기관 고유사업 발굴 확대 FTA 시대에 대응, 국제협력 개발 사업 발굴 국제 협력 지원 기관 전문성, 차별성 향상을 위한 국제통상 전문 지원체계 구축 새로운 농업인구 유입을 위한 도농소통 활성화 인원대비 많은 보조사업 수로 업무 부담 ST 전략 농업을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전문 농업인력 육성 미래 농업을 이끌어갈 농업인 지속 양성 귀농 귀촌 확산을 위한 홍보 교육 강화 약점 대다수 위탁업무 추진으로 자발적 사업기획에 한계 평가, 보상, 교육, 직무 전환 등 경영전반에 대한 낮은 만족도 일부 기능에 대한 사업예산 부족 WT 전략 농업인의 정보활용수준 개선을 위한 농식품 지식정보화 확산 민감한 노사현안 해결을 위한 노사간의 소통 협업 강화 성과평가의 공정성 제고를 통한 성과연봉제 확산 기반 마련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직원 중심의 HRD프로그램 강화 - 5 - - 6 -

4 전략과제의 도출 Ⅲ 경영목표 체계 SWOT분석을 통한 전략과 농정원의 기능 사업 구조 등을 고려하여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5대 전략목표 및 13대 전략과제를 설정 SWOT 분석을 통한 전략과제 도출 전략과제 설정 전략목표 설정 사업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ICT융합 촉진 지원 미래세대 농업인 육성 1 미션 및 비전 세종시 이전과 2대 기관장 취임 등 새로운 도약의 시대를 맞아, 기관의 사명 및 위상을 담고, 내 외부 관계자들이 요구하는 역량에 걸맞는 비전 및 미션을 재정립 ( 15.8) SO 전략 기관 핵심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식품 6차 산업화 인식 확산 웰빙, 안전먹거리 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활용, 농식품 소비촉진 우리 원의 기능 조직 농식품부와 신뢰를 기반으로 농정의 성과를 지원 전문 농업경영인 양성 농업인력 양성기반 강화 농업인의 경쟁력 강화 Vision 비전과 미션 창조농업, 행복농촌을 실현하는 미래가치 창출 전문기관 정보화의 전문성을 활용한 농식품 3.0 강화 핵심 농정과 연계되는 핵심 기능 사업 중심으로 기관 고유사업 발굴 확대 농식품 ICT 융복합 촉진 농식품 지식정보화 확산 농업의 생산성 증대 (창조농업, 행복농촌 실현) 지속가능한 농업 농촌 발전을 위해 기관의 고유기능인 정보화 교육 홍보 등을 융 복합하여 창조농업과 행복농촌 실현을 통한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WO 전략 ST 전략 FTA 시대에 대응, 국제협력 개발 사업 발굴 국제 협력 지원 기관 전문성, 차별성 향상을 위한 국제통상 전문 지원체계 구축 새로운 농업인구 유입을 위한 도농소통 활성화 농업을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전문 농업인력 육성 미래 농업을 이끌어갈 농업인 지속 양성 스마트 농정지원 농업농촌 가치공감대 확산 농업 미래성장 산업화 인식창출 우리 농식품 소비 확산 도농상생 기반 강화 (미래가치 창출 전문기관) 농업 농촌 분야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농업인의 소득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국민이 원하는 농업 농촌의 다양한 미래가치를 발굴 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Mission 농업 경영 혁신과 농촌 가치 확산으로 경쟁력 있는 농업, 행복한 농촌 실현에 기여 WT 전략 귀농 귀촌 확산을 위한 홍보 교육 강화 농업인의 정보활용수준 개선을 위한 농식품 지식정보화 확산 민감한 노사현안 해결을 위한 노사간의 소통 협업 강화 성과평가의 공정성 제고를 통한 성과연봉제 확산 기반 마련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직원 중심의 HRD프로그램 강화 농식품 글로벌 통상 정책 협력 지원 농식품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 전략경영 체계 선진화 책임경영 및 윤리경영 강화 글로벌환경 대응능력 강화 고객행복 경영체계 실현 농업 인적자원의 육성, 농식품 농촌 정보화의 촉진, 국제통상 정보 제공 등 고유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농업 경영혁신을 통해 궁극적으로 경쟁력 있는 농업 실현에 기여 농업인, 소비자, 정책고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농촌 가치를 확산하여, 궁극적으로 행복한 농촌 실현에 기여 - 7 - - 8 -

2 전략목표 및 전략과제 Ⅳ 세부 추진 농정원 비전 및 미션 달성을 위한 5대 전략 목표, 13대 전략과제가 일관성 있게 Cascading 되는 기관의 경영전략체계를 수립 전략 목표 1 농업인의 경쟁력 강화 전략목표 개요 비 전 2020 미 션 창조농업, 행복농촌을 실현하는 미래가치 창출 전문기관 농업 경영 혁신과 농촌 가치 확산으로 경쟁력 있는 농업, 행복한 농촌 실현에 기여 추진현황 o 신규 인력 유입을 위한 다양한 계층 대상 교육 및 인력육성 추진 o 농업 생산성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기존 농업인 대상 고품질 교육과정 운영 필요성 핵 심 가 치 혁신 ( IInnovation) 협업 (Cooperation) 소통 (Communication) 고 객 행 복 (Customer happiness) o 농가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농산업 인력 부족에 대응하여 발전 가능성이 높은 정예 신규 농업인력 육성이 시급 o 글로벌 수준의 고품질 농산물 생산기술과 생산성을 갖춘 농업경영인 육성을 위해 평생학습체계 구축과 맞춤형 교육 운영 필요 전략과제 실행과제 현황 전 략 목 표 농업인의 경쟁력 강화 농업의 생산성 증대 도농상생 기반 강화 글로벌환경 대응능력 강화 고객행복 경영체계 실현 o 미래세대 농업인 육성 - 귀농귀촌활성화 촉진 - 농고 농대생의 농산업분야 진출 촉진 - 후계농업인 육성 및 역량 강화 미래세대 농업인 육성 농식품 ICT 융복합 촉진 농업 농촌 가치 공감대 확산 농식품 글로벌 통상 정책 협력지원 전략경영체계 선진화 o 전문 농업경영인 양성 - 수요자 중심 실습교육 확대 - 품목별 전문농업인 역량 제고 전 략 과 제 전문 농업경영인 양성 농식품 지식정보화 확산 농업미래성장 산업화 인식창출 - 마이스터 지정 및 활용 강화 o 농업인력 양성 기반 강화 농업인력 양성기반 강화 스마트 농정지원 우리 농식품 소비 확산 농식품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 책임경영 및 윤리경영 강화 - 농업인력포털 이용활성화 - 농업교육 평가 환류체계 강화 - 농업 농촌 교육 정책 수립 및 소통 지원 - 9 - - 10 -

전략과제 1- 미래세대 농업인 육성 1. 세부 추진 나 농고 농대생의 농산업분야 진출 촉진 가 귀농 귀촌활성화 촉진 산업현장과 연계한 실용 중심의 교육 운영 지원 강화 - 필수과정 및 권장과정으로,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귀농 귀촌 희망자 준비단계에 따른 대상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 * 15년 현재 37개 기관 42개 과정으로 실행단계(기초, 중급, 심화)별 교육 제공 중 특수 직업군 대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농업농촌교육훈련사업과 연계한 6차산업 교육과정 기획 운영 * 제대군인, 퇴직예정경찰, 북한이탈주민 등 귀농 귀촌 활성화를 위한 상담 교육, 정책 지원 및 도시민 농촌 유치지원 사업 추진(귀농귀촌 종합센터 운영) 연차별 추진 * 신지식농업인, 농업마이스터, 현장교수 등 선도농업인 활용 농고 농대생과 농산업체(농업법인, 농식품기업 등)간 연계로 농 산업 분야 일자리 창출 - 농산업분야 창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농고 농대생 대상 창업교육 강화 * 농업인력포털(www.agriedu.net)을 활용하여 일자리 정보 제공 농업직업전문학교, 영농창업특별과정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정책 수립 등 지원 - 국내 외 직업교육과정 사례분석, 현장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등 실시 연차별 추진 o 귀농 귀촌 관련 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 교육, 홍보, 기획 프로그램 제작 및 소셜 미디어(유투브 등) 서비스 o 귀농귀촌 공모체계 개편 및 현장 수요를 반영한 기획과정 설계 - 귀농귀촌 준비단계를 반영하여 공모분야 재설정, 현장 맞춤형 기획과정 운영 o 잠재적 귀농귀촌 희망자 대상 교육 강화 - 2030세대 대상으로 대학교 농산업 창업교육 운영 및 지원 확대 - 기차로 떠나는 귀농귀촌 1박2일 등 가족단위 프로그램 운영 o 농대 영농창업특성화사업 및 농고 농업전문직업학교 운영학교 선정 및 운영 o 농고 농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표준교육과정 개발 보급 o 교사, 교수 대상 표준교육과정 전수 역량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운영 o 표준교육과정을 지도할 수 있는 표준학습지도(안) 개발 보급 o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와 연계하여 One-Stop 교육과정 운영 - 귀농귀촌 전 단계(관심, 탐색, 준비, 실행, 정착)를 아우를 수 있는 커리큘럼 편성 및 운영 o 농산업 현장수요에 적합한 핵심역량 발굴 정립 o 농산업 수요 맟춤형 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사례발굴 확산 o 귀농귀촌 희망자에서 귀농귀촌 실행자로 사업대상 확대 - 역귀농 최소화를 위해 연구 조사기능 및 사후관리 기능 강화 o 농업계 학교의 실습교육 효과성 점검 및 지속운영 체계 정비 o 농업계 학교의 농산업 현장 맞춤형 인력 육성 체계 정비 - 11 - - 12 -

다 후계농업인 육성 및 역량 강화 2. 성과목표 우수한 역량을 갖춘 젊고 창의적인 후계농업경영인 육성 - 후계농업경영인 선정을 위해 전문평가기관을 통한 객관적인 평가 ( 15년 1,800명) * 우수후계농업경영인 인증심사를 통한 사후 관리 활용 지자체 사업담당자 정책이해도 제고와 수요자 발굴을 위한 후계농업 경영인 사업 정책홍보 실시 * 홍보 대상 : 지자체 담당자, 신청희망자, 예비농업인, 10년차 미만 농업인 등 농산업 변화에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 * 의무(경영교육 3일), 선택(멘토링, 경영심화교육, 국외 연수) 등 연 2,500여명 연차별 추진 o 지자체 및 유관단체 사업 담당자와 연계를 통하여 영농정착 의지가 높은 예비 후계농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강화 o 예비 후계농업경영인이 필요로 하는 사업서 작성 등 선정 요건 충족을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o 권역별로 시행하고 있는 후계농업경영인 경영교육 과정에 예비 후계농을 위한 특강을 반영하여 교육기회 확대 o 권역별로 자율편성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하여 통일된 표준과정 개발 보급으로 영농창업 관심 농업인 참여 유도 o 농업농촌 공모, 귀농귀촌 공모, 농고 농대 활성화 사업 등 교육운영기관과 연계하여 후계농업경영인 제도의 상시 홍보 o 후계농업경영인의 성장경로 유형과 우수사례 분석결과를 반영, 안정적인 영농정착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o 후계농업경영인 선정자의 성장지원을 위한 단계별 정기 교육과정 편성 운영 귀농귀촌 활성화 촉진 농고 농대생 농산업분야 진출 촉진 후계농업인 육성 및 역량 강화 성과지표 귀농농가수 (가구) 농고농대교육생 역량향상률(%) 후계농업경영인 교육 만족도(점) 실적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11,144-12,258 13,484 14,832 16,315 17,947 18.02 18.9 19.85 20.84 21.88 22.97 24.12 4.6 4.6 4.6 5점 척도 중 4.6점 이상 유지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귀농농가수 농고/농대교육생 역량향상률 후계농업경영인 교육 만족도 12,258가구 19.85% 4.6점 (산식) 귀농농가수의 통계청 조사 결과 (목표치) 12,258가구(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귀농귀촌 활성화는 농정 국정과제로서 기관의 경영실적 평가 지표로 관리함 (산식) 농고농대생 역량향상률: 교육후역량 교육전역량 ( 교육전역량 ) * 농고농대 사업 참여 교육생 전원 대상으로 교육전후의 역량 변화 정도를 설문조사로 측정함 (목표치) 19.85%(기준치 105% 상향목표) (선정이유) 농고 농대 재학생 대상 교육의 직접적인 성과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성과지표로 선정함 (산식) 교육만족도 : 교육만족도 합계/교육생수 * 교육만족도 : 교육관련 항목별 5개 척도의 만족도 전화 설문조사 (목표치) 4.6점 * 100점 척도로 환산 시, 90점 수준으로 지속 유지 목표 (선정이유) 후계농업인 교육을 수료한 교육생의 만족도는 교육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핵심 성과지표임 - 13 - - 14 -

전략과제 1- 전문 농업경영인 양성 나 품목별 전문농업인 역량 제고 1. 세부 추진 가 수요자 중심 실습교육 확대 선도농업인의 전문기술 습득을 위한 현장실습교육 확대 - 맞춤형 현장실습교육에 대한 수요증가로 현장실습교육 인프라 강화 - 품목전문 ICT 기술교육을 위한 첨단기술 공동실습장 지정 및 운영 농정목표 및 농업 농촌 현장 교육수요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공모 운영 지원 - 6차 산업, ICT 등 핵심 농정목표를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에 반영 - 연도별 농업정책 반영, 다양한 현장 수요조사를 통한 기획 공모교육 과정 운영 해외선진기술 습득을 위한 해외농업전문가 초청교육 및 방문연수 운영 품목특화 교육과정(토마토대학) 운영 활성화 - 품목특성 및 주산지 지역의 환경여건 등을 고려한 품목특화 맞춤형 프로그램 설계 * 토마토 생산역량 기반의 토마토대학 교육훈련 교육과정(교과목, 표준교재 등) 개발 - 권역별 주산지 중심으로 토마토대학 개설 운영을 통해 선진국 수 준의 생산성 향상 도모 * 4개 권역별(중부, 강원, 전라, 경상), 60시간 교육과정 운영 농업법인 경영혁신 역량 강화 컨설팅 및 교육 운영 * 농업법인별 혁신 역량 진단 및 컨설팅을 통한 역량 향상( 15년 264개소) * 농업법인 종사자 대상 경영혁신 역량 강화 교육운영(연 300명 이상) 연차별 추진 - FTA시대에 경쟁력 있는 수출유망 품목 및 6차 산업 중심으로 현장애로 해결을 위한 국외 전문가 초청교육 - 초청교육 이후 해외 농업실습 전문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장기 방문 연수 운영 연차별 추진 이후 o 현장실습교육장 지정취소 및 갱신제 도입 등을 통한 운영 내실화 o 첨단기술 공동실습장을 활용한 첨단기술교육 시범 실시 o 현장실습교육장 신규 지정 등 인프라 확충 o 첨단기술 공동실습장 운영매뉴얼 개발 적용 등 운영 효율화 o 해외농업전문가 초청교육 품목 확대 등 고도화 o 첨단기술 공동실습장 신규 구축 실시( 18년~ 19년) o 품목전문대학 확대 운영( 15. 1개 품목 16. 4) o 법인유형별 맞춤형 교육 실시를 통한 농업법인 직무역량 강화 o 품목전문대학 지속 확대 및 교육 운영( 16. 4개 품목 17. 7) o 농업법인 대상 학습조직 지원 등 현장교육 지원 강화 o 품목전문대학 교육 운영 실시( 17. 7개 품목 18. 8) o 농업법인 CEO 대상 코칭교육 도입 등 법인 리더십 강화 o 품목전문대학 교육 운영성과평가 및 개편방안 도출 o 코칭 및 학습조직 확대 등을 통해 농업법인 역량 강화 지속 지원 - 15 - - 16 -

다 마이스터 지정 및 활용 강화 2. 성과목표 농업마이스터대학 학사운영 지원체계 구축 및 강화 - 현장수요와 여건을 반영한 체계적인 학사운영지원을 통해 농업마이스터대학 교육성과 향상 - 농정목표와 교육생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재설계 및 교과목 편성 전문농업경영인(농업마이스터) 선발체계 강화를 통한 위상 제고 - 강의시연 평가방식 신규 도입, 핵심농업기술을 보유하고 강의역량 및 전수의지가 검증된 전문농업경영인 심층 선발 교육대상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여 맞춤형 기술전수 교육 강화 - 후발농업인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실습 중심 기술전수 교육과 맞춤형 컨설팅 지원 - 농고생 대상 미래리더 양성 멘토링을 통한 도제식 실습교육 연차별 추진 o 농업마이스터대학 수요를 반영한 교과과정 재설계 및 5기 교육생 모집 o 제3회 농업마이스터 선발체계 개편을 통한 사업 내실화 o 농업마이스터대학 5기 운영 및 성과평가 실시 o 제3회 농업마이스터 단계별 평가 실시 및 지정 추진 o 농업마이스터대학 교과과정 재설계 및 6기 교육생 모집 o 농업마이스터의 도제식 실습교육 확대 등 활용 확산 수요자중심 실습교육 확대 품목별 전문농업인 역량제고 마이스터 지정 및 활용 강화 성과지표 현장실습성과 (점) 토마토대학 역량향상률(%) 경영혁신 역량 변화율(%) 농업마이스터 지정의 적정성 농업 마이스터대학 역량향상률(%) 실적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8.497 10.196 11.216 12.338 13.572 14.929 16.422-10 12 14 16 18 20 6.9 7.6 8.4 9.2 10.1 11.1 12.2 갖춘 농업마이스터를 선발하기 위해 평가방식 및 평가지표 개선의 적정성 검증 14.47 15.92 17.51 19.26 21.19 23.31 25.64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현장실습성과 11.216점 토마토대학 역량 향상률 경영혁신 역량 변화율 농업마이스터 지정의 적정성 12% 8.4% 비계량평가 장기교육 수료인원 (산식) 현장실습 교육성과 = 교육사업비 (목표치) 11.216점(기준치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현장실습 교육의 효율성을 보는 과정지표로서, 교육예산의 효율적인 활용을 보는 성과지표임, 향후 결과지표로 개선 예정 (산식) 역량향상률 = (목표치) 12%(매년 2%p 상향목표) (선정이유) 교육수료생의 교육전후 역량향상률은 해당업무를 대표하는 성과지표로서 선정하여 관리 컨설팅후혁신역량 컨설팅전혁신역량 (산식) 역량향상률 = 컨설팅전혁신역량 (목표치) 8.4%(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교육수료생의 교육전후 역량향상률은 해당업무를 대표하는 성과지표로서 선정하여 관리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전수의지를 갖춘 농업마이스터를 선발하기 위해 평가방식 및 평가지표 개선의 적정성 검증 o 농업마이스터대학 10년 운영성과분석을 통한 전면 개편 실시 o 제4회 농업마이스터 지정 추진 농업마이스터 대학 역량향상률 17.51% (산식) 역량향상률 = (목표치) 17.51%(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교육수료생의 교육전후 역량향상률은 해당업무를 대표하는 성과지표로서 선정하여 관리 - 17 - - 18 -

전략과제 1- 농업인력 양성 기반 강화 나 농업교육 평가 환류 체계 강화 1. 세부 추진 가 농업인력포털 이용활성화 농업인 교육이력관리 등 평생교육관리시스템 기능 강화 - 농업인력포털(통합농업교육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교육 및 정보 통합관리 - 개인정보보호, 교육이력관리 편성 강화를 위한 농업인력포털 기능 지속 개선 농업교육정보 통합서비스 제공 및 홍보 강화를 통해 이용 활성화 촉진 - 농업교육 공공기관 협업을 통한 교육과정안내 등 교육정보 통합 제공 - 농업인력포털 인지도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홍보 실시 학점은행 연계 온라인교육 개발 등 평생교육기반 확충 - 농업분야 원격기반의 학점은행제 도입 등 교육관리시스템 고도화 - 농업인 대상 온라인 평생교육 콘텐츠 개발 ( 선정) 교육유형별 교육과정(기관) 선정 시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 심사위원회를 운영하여 과정별 개선사항 도출 반영 - 대비 추진실적, 보조금 부정 집행 점검, 현장 애로사항 (운영 모니터링) 교육현장에서 교육운영 전반에 대한 추진실적, 애로 및 건의사항을 점검하여 전문가 모니터링 위원회 운영(분기별) (결과 성과평가) 과정 중심에서 결과 성과 중심의 평가로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농업교육 사업의 효과성 제고 (환류 단계) 단계별 환류체계 점검을 포함 농업교육 사업의 운영과 결과 성과를 종합 분석하여 참여 주체별로 피드백 - (농업인) 교육 전 후 역량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부족한 역량 개선 - (교육기관) 평가 결과, 우수사례 등을 참고하여 교육서비스 품질 개선 연차별 추진 연차별 추진 o 공공 농업교육기관 대상 농업인 이력관리 통합 추진 o 원격기반 학점은행제 준비 온라인과정 개발(10개 과정) o 지자체 대상 농업인 이력관리 통합 확대 o 원격기반 학점은행제 준비 온라인 교육과정 지속 개발(10개 과정) o 원격기반 학점은행제 시범운영(5개 과목) o 민간농업교육기관 대상 농업인 이력관리 통합 지속 확대 o 원격기반 학점은행제 운영(10개 과목) o 평가 전문성 강화를 위한 분야별 평가위원 풀 확대 구축 o 평가 환류 강화를 통한 평가 실효성 확충 o 농업인교육과정(기관) 인증 도입 검토 o 성과공유대회 등 농업교육 성과 발굴 및 공유체계 정착 o 농업인교육과정(기관) 인증 시범 도입 o 농업교육평가 표준(안) 개발 및 지자체, 자조금단체 등 시범 적용 o 농업인 이력관리 통합 정착을 통한 평생이력관리 구축 o 원격기반 학점은행제 과목 본격 운영(20개 과정)을 통한 평생학습 지원 o 농업인교육과정(기관) 인증 본격 확산 o 농업교육평가 표준(안) 본격 확산에 따른 농업교육 품질향상 촉진 - 19 - - 20 -

다 농업 농촌 교육 정책 수립 및 소통 지원 2. 성과목표 농업교육 네트워크 및 거버넌스 강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 운영 - 농업교육 공공기관 간 현안 및 업무 협력을 위한 농업 농촌교육협의회 운영 및 사무국 기능 수행 (연 3회) - 현장전문가 및 농업교육기관과 협력, 지속적인 포럼 및 워크숍 교육 운영 등을 통해 현장과의 교류 소통 활성화 (성과공유대회 개최) 중장기 농업인력 양성 정책기반 확보를 위한 정책연구 실시 농업 인력포털 이용활성화 농업교육 평가 환류 체계 강화 농업 농촌 교육 정책 수립 및 소통 지원 성과지표 농업인력포털 활용도(점) 외부모니터링 실적(회) 정책연구 지원 적정성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14.011 15.412 16.953 18.648 20.513 22.564 24.820-18 20 22 24 26 29 비계량 - 선진국 수준의 첨단기술교육 기반 조성을 위한 농산업교육 공동실습장 구축 관련 연구 추진 - NCS 기반의 인력 양성 및 직업교육과정 개편 등 현장 중심 정예농업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지원 - 매년 농업교육패널(2년차) 지속 운영을 통한 농업교육 효과성 분석 및 수요조사 실시 연차별 추진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농업인력포털 활용도 16.953점 (산식) (수료생수증가율) 0.3 +(수료율증가율) 0.3 +(교육과정입력건수증가율) 0.4 (목표치) 16.953점(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농업인력포털의 온라인 교육 수료생, 수료율 제고 노력 및 농업인 교육과정 관리 성과를 평가함 o 농업교육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협의회 정례화(연4회) o 농업교육패널 3년차 조사 및 분석결과 정책 활용 o 지자체 전문기관을 포함한 농업교육 네트워크 확대 o 민간 자격증과 연계한 농업교육 HRD 아카데미 과정 개발(품질 향상) o 농업교육패널 4년차 조사 및 분석결과 정책 활용 o 농업인적자원 양성 및 교육 컨퍼런스 개최(국내, 연 1회) o 민간 자격증 과정으로 농업교육 HRD 아카데미 시범 운영 o 농업교육패널 5년차 조사 및 분석결과 정책 활용 o 농업인적자원 양성 및 교육 발전 국제 컨퍼런스 개최(격년) o 농업교육 HRD 아카데미, 민간자격증 과정 본격 운영 확산 o 농업교육패널 성과분석 및 검토를 통한 2단계 확대 실시 외부 모니터링 실적 정책연구 지원 적정성 20회 비계량평가 (산식) 외부 모니터링 운영 결과보고 결재문서 건수 (목표치) 20회(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외부 전문가를 활용한 사업 단계별 모니터링 체계가 적정하게 운영된 실적을 결과지표로서 관리 (산식) 기관 내 비계량 평가 (PDCA의 적정성) (선정이유) 농업교육 사업 추진단계별(선정심사-운영-결과 성과 점검) 외부 전문가를 활용한 객관적인 모니터링 체계의 합리성 제고 성과를 관리함 - 21 - - 22 -

전략 목표 2 농업의 생산성 증대 전략목표 개요 추진현황 o 농식품 IT융합 표준모델 개발 및 확산을 통한 농업 경영체의 생산성 향 상과 경영효율화 추진 o 다양한 정보이용채널 활용하여 현장중심의 농식품 지식정보 콘텐츠의 보급 확산 및 서비스 개선으로 이용활성화 유도 필요성 o 농업경영효율성 향상 및 소득증대 기여할 수 있는 농식품 지식정보 및 IT융합모델 발굴 및 확산 필요 o 농업인의 정보화역량 제고를 위한 지식정보서비스의 지속적인 제공 및 콘텐츠 지속 확보 필요 o 농정원의 정보화 기능을 활용하여, 농식품부 중점 추진과제인 농정관리시 스템 개선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공공기관의 역할 수행 필요 전략과제 실행과제 현황 o 농식품 ICT융복합 촉진 - 농식품 ICT 융복합 모델 개발 전략과제 2- 농식품 ICT 융복합 촉진 1. 세부 추진 가 농식품 ICT 융복합 모델 개발 농식품 생산 경영 유통 소비 및 농촌에 ICT 융복합 기술적용으로 생산성 향상 및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성과모델 발굴 - 6차 산업, 지역개발사업, 수출, 유통 소비 등의 주요 정책사업과 연계를 강화하고, 현장수요 중심의 실증사업 추진 - 정책부서, 교수 등 분야별 전문가그룹을 활용한 과제 적정성 검토 정례화 * 농식품 ICT 모델 발굴 : 9개(공모 평가 현장점검 과제선정) 행복한 농촌만들기(창조마을) 모델 발굴 및 지원 - 농업 농촌 및 농식품 분야에 ICT를 접목한 창조마을을 조성하여 농업 경쟁력, 농가 소득 및 농촌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 * 창조마을 조성 : 3개소(ICT기반 창조마을 현장실증 시범사업) 연차별 추진 - 농식품 ICT 융복합 모델 확산 지원 o 농식품 지식정보화 확산 - 맞춤형 농식품 지식 정보 제공 및 확산 -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확대 - 농업경영체 정보화 지원 o 스마트 농정지원 - 농업경영체 DB분석 및 활용성 제고 - 농산어촌 지역정보 개발 및 공유 확대 - 스마트팜맵 구축 및 활용 지원 o 농업 농촌 주요 정책과 연계한 ICT 융복합 모델 발굴(축산 분야) o 농촌의 지역 특색을 고려한 창조마을 조성 확산(도시교류형 등) o 농업 농촌 주요 정책과 연계한 ICT 융복합 모델 발굴(노지과채 분야) o 빅데이터 기반 경영 의사결정 및 맞춤형 정보 활용체계 고도화 o 농업 농촌 주요 정책과 연계한 ICT 융복합 모델 발굴(유통 소비분야) o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 서비스 확대 및 예측 예방 지원 체계 구축 o 안전한 먹거리 제공을 위한 ICT기반 생산 유통 소비 종합관리망 구축 o 농촌지역발전을 위한 스마트 농촌(교육, 복지, 의료 등) 고도화 - 23 - - 24 -

나 농식품 ICT 융복합 모델 확산 지원 경영체의 ICT 활용도 제고를 위한 도입 단계별 전문가 컨설팅 지원 * 전문기관 컨설팅지원(사전-설치-확인단계) 농가 ICT 적용 활용성 최적화 농업인들이 현장에서 체험하고 기술교육을 받을 수 있는 ICT 기반의 실습형 교육 농장 확대 운영 * ICT 융복합 교육농장(누계) : ( 14) 3개소 ( 15) 11 2. 성과목표 농식품 ICT 융복합 모델 개발 농식품 ICT 융복합 모델 확산 지원 성과지표 신규모델 발굴 성과(개) IT융합모델 확산 보급 성과(개소)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8 9 11 12 13 14 15 128 204 307 454 499 549 604 지자체 농업기술원 등과 연계한 권역별 ICT 거점지원센터 운영 * 지원센터(기술지원, 사후관리, 교육 등) : ( 14) 1개소 ( 15) 8 농가 데이터를 축적 활용하기 위한 정보수집체계 스마트 팜 2.0 구축 * ICT 도입 60개소(누적)에서 발생되는 정보(센싱, 생육, 경영)에 대한 수집 축적 분석 활용 기반 만련 ICT 융복합 모델 확산 사업 설명회 협의체 운영, 우수사례 홍보 * 권역별 주산지별 설명회(17회, 840여명), 현장 체험형 워크숍 개최(2회) * 분기별 산 관 학 연 협의체 운영 및 박람회 5회 참가 등 연차별 추진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신규 모델 발굴 성과 11개 (산식) 농식품 ICT 모델 및 창조마을 신규 발굴 개수 (목표치) 11개(ICT 모델 9개, 창조마을 2개, 20년까지 15개소 달성) (선정이유) 농식품 주요정책과 연계된 생산, 유통, 소비 및 농촌 분야 ICT 융복합 모델 발굴 실적은 해당 업무를 대표하는 지표로서 설정하여 관리함 o ICT 모델, 창조마을 성공사례 발굴 및 확산 o 데이터 기반 정보수집 확대 및 맞춤형 정보 제공 활성화 o 공공분야 스마트 팜 전문인력 육성 o 생육모델 기반 한국형 스마트 팜 모델 확산(시설원예) IT융합모델 확산 보급성과 307개소 (산식) IT융합모델 확산 보급 농가수 (목표치) 307개소( 17년 450개소 달성 이후 매년 10% 상향 목표) (선정이유) 농식품 ICT 융복합 확산은 실용화 산업화 유도를 뒷받침할 수 있는 대표 지표임 o 민간분야 ICT 융복합 산업생태계 조성 o 생육모델 기반 한국형 스마트 팜 모델 확산(과채류) o 농식품 관련 공공 민간 정보를 결합한 빅데이터 고도화 o 한국형 스마트 팜 표준모델의 해외 수출 지원 - 25 - - 26 -

전략과제 2- 농식품 지식정보화 확산 1. 세부 추진 가 맞춤형 농식품 지식 정보 제공 및 확산 통합 기반 대국민(농업인, 도시농업인) 맞춤형 농식품 지식서비스 확대 - 도시소비자 대상 신규 통합 서비스 발굴 구축 - 스마트 소비문화를 위한 소비 식생활 분야 맞춤정보서비스 확대 - 농업경영체 경영역량 강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융합 콘텐츠 서비스 - 농업인 출하지원을 위한 농산물 실시간 유통 데이터 제공 확대 식품산업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정보화 기반 구축 - 식품산업 맞춤 인력양성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제공 - 식품산업 일자리 통합 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축( 15.11월~) 서비스 품질 제고 및 고객 참여 확대를 통한 서비스 확산 - 대국민 대표 포털(웹, 모바일) 서비스 내 자체 제작 콘텐츠 제공 - 국내 외 전문가 및 소비자 참여를 통한 정보제공 활용 확산 나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확대 농림축산식품 공공데이터 개방 및 통합 확대 - 농림축산식품 공공데이터 포털(data.mafra.go.kr) 활용 확산 * 농림축산식품 공공데이터 통합 제공(16개 기관) : ('14년)159종 ('15)203 ('16)223 * 맞춤 분석 정보 서비스 발굴 제공(누적) : ( 14)3종 ( 15)4 ( 16)5 - 농림축산 생명자원 보호 및 활용을 위한 통합 DB 제공 * 생명자원 보유 기관(7개) 대상 통합 DB 확대 구축 : 1,369,000건 이상 * 생명자원 분야(6개)별 생명자원 통합DB 품질 정비 : 1,358,671건 이상 농림축산식품 공공데이터 민간 활용 촉진 - 공공데이터 활용 및 서비스 모델 발굴을 위한 활용 경진대회 추진 - 활용자 중심의 공공데이터 이용활성화 협의체 운영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확대 및 품질 개선 - 농수축산 경락 및 조사가격정보 개방 확대 및 품질 개선 - 농축수산물 경락 및 조사가격 표준 관리 체계 구축 연차별 추진 연차별 추진 o 과학적 농업 농식품 정책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형 서비스 강화 o 식품산업 맞춤일자리 서비스 제공 및 운영 o 다매체 기반 농식품 지식정보서비스 대국민 활용 확대 o 식품산업 맞춤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관 학계 연계 및 협업 확대 o 통합 농식품 맞춤 지식정보 원스톱 서비스 확대 o 식품산업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온오프라인 교육서비스 확대 o 농식품 3.0 및 공공데이터 활용 확산 o 기관 간 협업을 통한 공공데이터 민간 활용 모델 발굴 o 농식품 분야 가격 유통 분야 공공데이터 표준화 및 개방 확대 o 민간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 융합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o 과학적 농업 농식품 정책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형 서비스 강화 o 개방 공공데이터 기반 농업경영체 유형별 맞춤서비스 개발 o 생산-유통-소비지 등 농식품 라이프사이클 전반 맞춤형 정보서비스 구현 o 식품산업 맞춤일자리 서비스 고도화 및 일자리 창출 성과 발굴 o 빅데이터 기반 맞춤 농산업 지원정보서비스 체계 구축 - 27 - - 28 -

다 농업경영체 정보화 지원 이용자 중심의 농업경영장부 서비스 개선 및 보급 확대 - 농업경영장부 주요 메뉴(회계관리, 영농일지) 및 통계 기능을 강화하여 활용 편의성 개선 2. 성과목표 맞춤형 농식품 지식정보 제공 및 확산 성과지표 스마트농식품 지식정보활용도 (점)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21.789 26.772 31.533 35.517 40 45 50 - 모바일 기반 농업경영장부 기능 개선으로 신규 보급 및 현장 활용성 지속 제고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확대 정부3.0 개방 추진 실적(종) 159 203 223 245 270 297 327 * PC 및 스마트기기 운영환경 다변화(Android, ios)에 따른 서비스 호환성 지속 강화 농업경영장부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현장 고객지원 농업경영체 정보화지원 농업경영장부 이용자수(명) 12,469 13,000 13,500 14,500 15,950 17,545 19,300 - 농업경영장부 활용 현장 코칭교육 확대를 통한 전문 농업경영 기반 확산 - 내 외부 농업인 교육과정과 연계 농업경영장부 활용 경영관리 교육 추진 도매시장통합홈페이지 운영 및 민원 대응 체계 강화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 사이트 이용자 및 출하자의 실시간 상담 지원으로 현장 고객의 신속한 정보 접근성 제고 - 정기적인 자체 모니터링 강화로 농산물 실시간 유통가격 정보의 안정적 제공 스마트농식품 지식정보활용도 31.533점 (산식) (콘텐츠제작향상률 0.3)+(방문자 증가율 0.3)+(이용활성도증가율 0.4) (목표치) 31.533점(전년실적+직전 3개년 표준편차) (선정이유) 농업분야 정보격차 해소, 역량 강화, 소득 증대에 기여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대표 지표임 연차별 추진 o 농업경영장부 수요자 맞춤형 현장교육 확대 o 농업경영장부 이용자 DB 통합 및 이용자 맞춤 서비스 기반 구축 정부 3.0 개방 추진 실적 223종 (산식) 연도별 누적 공공 데이터 개방 실적 (목표치) 223종(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정부 3.0은 국정현안과제로서 공공기관이 국정성과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지표로 설정 o 경영컨설팅과 연계한 전문 농업경영장부 이용자 양성 지원체계 구축 o 농업경영장부 모바일 기능 고도화 o 농업경영장부의 입력정보를 활용한 1차 분석형 영농의사지원 서비스 구현 농업경영장부 이용자수 13,500명 (산식) 농업경영장부 DB자료로 측정 (목표치) 13,500명( 17년 이후 매년 10% 상승) (선정이유)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실제 이용자 수를 측정하는 대표지표임 o 농업경영장부 이용정보 수집 분석을 통한 농업경영정보 통합관리 체계 구현 - 29 - - 30 -

전략과제 2- 스마트 농정지원 나 농산어촌 지역정보 개발 및 공유 확대 1. 세부 추진 가 농업경영체 DB 분석 및 활용성 제고 주요내용 농림사업정보시스템의 최적의 서비스 및 활용 환경 제공 - 연도별 농림사업시행지침서와 정책변경에 따른 기능개선 및 사용자 요구 반영 연차적으로 농업경영체DB와 농림지원사업 DB간 연계 통합 확대 * 연차별 (누계) : ( 13) 5개 ( 14) 22 ( 15) 62 ( 16) 102 농업경영체 DB의 현행화 및 분석 활용을 통한 보조금 누수 차단 - 농업경영체 DB의 현행화, 분석 활용 및 적기 제공으로 비정상적인 관 행을 정상화 농업경영체 DB의 개방 활용하여 경영체별 특성에 맞춘 유형별 맞춤형농정 추진 및 행정효율성 제고 주요내용 농촌마을 현황정보 통합서비스 제공 및 대국민서비스 강화 - 농촌마을별 현황정보, 지역개발추진내역, 농촌체험, 지역축제, 인성학교, 농촌어메니티, 농촌포럼, 지역행사 등 통합정보 제공 - GIS 기반의 농산어촌지역개발 사업 정보 제공 * 사업유형별, 지역별, 연도별 지역개발사업 DB 구축 및 활용 지원 (연 1,000건 이상) 농산어촌지역개발 사업정보 개방 공유 활성화 - 지역개발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 농정원-산기평-진흥재단 등 3자간 정보 연계 및 공유체계 구축 실시간 농산어촌지역개발 사업 현황관리를 통한 사업의 투명성 확보 및 지역균형발전 기반 마련 연차별 추진 연차별 추진 o 모바일 서비스 제공 o 지역개발사업 정보연계 공유 확대 o 농림사업정보 통합관리 확대(102개) o 맞춤형농정시스템 확대 o 농산어촌지역개발 고도화 o 정책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o 농림사업정보 고도화 o 공간기반 맞춤형농정시스템 구축 o 지역 중심 농림사업정보시스템 구축 o 농업경영체DB 중심의 농림사업 빅데이터 구축 o 농림사업정보 이용 활성화 o 공간기반 맞춤형농정시스템 고도화 o 농산어촌지역개발 활용 촉진 o 농산어촌지역개발 예산모니티터링 시스템 구축 o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개발 o 네비게이션과 연계한 농촌테마콘텐츠 개발 - 31 - - 32 -

다 스마트팜맵 구축 및 활용 지원 2. 성과목표 전국 단위 현장 중심의 스마트 팜 맵 확대 구축 및 갱신으로 과학적 정책지원기반 조성 * 항공 위성영상 활용, 3개도(경북, 경남, 제주) 및 3개 광역시(부산, 대구, 울산), 경 기도 접경지역 일대 우선 구축 농업경영체 DB분석 및 활용성 제고 농산어촌 지역정보 개발 및 공유 확대 성과지표 스마트농정 업무활용도(점) 지역개발사업 업무활용도(점)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22.34 27 29.49 32.44 35.68 39.25 43.18 43.16 47.48 52.23 57.45 63.20 69.52 76.47 * 기 구축된 스마트 팜 맵 정확도 검증(내 외부 검수) 및 갱신 농업경영체 DB 등 행정자료 연계 및 스마트 팜 맵 구축 확대로 정책 의사결정 지원 및 과학 농정 뒷받침 * 연계대상 행정자료 수집 및 가공 및 정책별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주제도 제작 * 농업경영체통합DB, 농식품 통계 등 각종 행정자료 연계 스마트 팜 맵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하게 이용 가능한 활용맵 구축 스마트 팜 맵을 직불금 현장점검 시 활용하여 선정 과학화 및 현장 점검 효율화 연차별 추진 스마트팜맵 구축 및 활용 지원 스마트팜맵 업무활용도(점)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7,491 8,240 9,064 9,970 10,967 12,064 13,270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스마트농정 업무활용도(점) 29.49점 (산식) (자료제공 증가율x0.4)+(연계기관수 증가율x0.3)+(접속건수 증가율x0.3) (목표치) 29.49점(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농림축산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업무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지표로 주요 항목별 가중치를 차등 적용하여 업무 활용성을 측정 o 스마트 팜 맵 구축지역 확대(강원, 경기, 전남 등) o 스마트 팜 맵 웹 서비스 기능개선 o 스마트 팜 맵 구축지역 갱신(전국) o 스마트 팜 맵 웹 서비스 고도화 o 스마트농정 농식품통계 종합DB 연계 및 활용맵 제작 o 스마트 팜 맵 활용체계 구축 및 활용 확대 o 스마트 팜 맵 구축지역 갱신(전국) o 스마트 팜 맵 웹 서비스 이용 활성화 o 스마트농정 농식품통계 종합DB 연계 활용 및 제작 o 스마트 팜 맵 활용체계 구축 및 활용 확대 o 스마트 팜 맵 구축지역 갱신(전국) o 스마트 팜 맵 웹 서비스 이용 활성화 o 스마트농정 농식품통계 종합DB 연계 활용 및 제작 o 스마트 팜 맵 활용체계 구축 및 활용 확대 지역개발사업 업무활용도(점) 스마트팜맵 업무활용도 52.23점 9,064점 (산식) (자료제공 증가율x0.4) + (연계기관수 증가율x0.3) + (접속수 증가율x0.3) (목표치) 52.23점(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 전체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실 업무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지표로 주요 항목별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여 업무 활용성 및 효율성 등을 측정 (산식) (자료제공량 0.4) + (연계기관수 0.3) + (접속건수 0.3) (목표치) 9,064점(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스마트 팜 맵은 현실과 일치하는 공간기반 디지털 농경지도로 스마트농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실 업무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지표로 주요 항목별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여 업무 활용성 및 효율성 등을 측정 - 33 - - 34 -

전략 목표 3 도농상생 기반강화 전략목표 개요 추진현황 o 농업농촌가치 및 농정홍보 사업의 형식 및 대상의 다양화 - 공중파 TV, 주요 일간지 등 농업 농촌정책 공감대 확산매체 활성화 o 우리 농식품의 가치 = 우리 농식품 소비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홍보 전개 필요성 o 농업 농촌의 다원적 가치 및 공익적 기능을 유지, 보존하는 데 필요한 일반 국민(도시민)들의 부담의지가 매년 줄어드는 추세 속에 농업 농촌에 대한 지지기반 확보 o 정책은 홍보를 통해 일반국민과 정책고객의 충분한 이해와 활발한 참여가 일어날 때 성공할 수 있음 o 농업, 농촌의 경쟁력 강화와 소득증대는 생산품의 건전한 소비가 수반 되어야 할 필요 전략과제 3- 농업 농촌 가치 공감대 확산 1. 세부 추진 가 국민참여형 가치 확산 주요내용 (농업 농촌 다원적 가치확산 캠페인) 새로운 가치에 대한 광고시안 온라인 공모전 및 확산 (미래 농업 농촌 가치 상상 공모전) 농업농촌 인터넷 영상 공모를 통해 미래 농업 농촌에 대한 인식 분석 (뉴미디어 활용 국민참여 홍보) SNS활용 온라인 프로모션 등 주요 농정 이슈 및 농업 농촌의 다원적 가치를 홍보 - 국내 대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여 소비자 접점 메시지 발송 전략과제 실행과제 현황 o 농업 농촌 가치공감대 확산 - 국민참여형 가치 확산 연차별 추진 - 현장체험형 가치 확산 - 농식품 통합홍보 기반 구축 o 농업 미래성장산업화 인식 창출 - 농정 국정과제에 대한 인식 제고 - 6차산업 정책 인지 및 지지도 제고 o 우리 농식품 소비 확산 - 쌀 중심 바른 식생활 확산 - 고품질 안전 농식품 소비 확대 - 소비자 대상 소비정책 소통 강화 o 새롭게 부각되는 다원적 가치 발굴 및 홍보 강화 - 건강치유, 생물자원공급, 다문화융합, 미래성장동력 등 o 범국민 가치확산 캠페인 전략 고도화 - 캠페인 아이디어 공모 등 기획단계부터 일반국민 참여 캠페인 추진 o 유관기관 공동캠페인 추진 확대 - 유관기관이 하나의 단일 컨셉, 슬로건, 메시지를 통해 공동 캠페인 전개 o 국민참여 가치확산 캠페인 정착 - 정례화된 공모전 추진 등으로 자발적 확산 운동 정착 - 35 - - 36 -

나 현장체험형 가치 확산 다 농식품 통합홍보 기반 구축 현장체험, 도농교류 활성화를 통해 오감으로 체험하는 가치확산 (농촌체험) 해피버스데이, 오피니언리더 팸투어 등으로 농업의 6차산 업화 등 변화하는 현장 체험으로 농업 농촌 이미지 제고 (도시농업활성화) 도시농업박람회, 도시농업체험교실 운영으로 농업의 긍정적 가치에 대한 도시민 체험 (농촌재능나눔) 재능나눔을 통한 도농교류로 농업 농촌 가치체험과 도농상생분위기 촉진 연차별 추진 홍보DB 이용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 운영 * 기 구축된 통합관리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PC 모바일 활성화(연 조회수 70만건 이상) 홍보DB 연계기관 협의회를 통한 통합 홍보 서비스 체계 강화 * 농경연 등 5개 기관 이상 협업을 통해 7만건 이상 DB 확보 농식품 홍보DB 이용활성화를 위한 프로모션 * 소셜 미디어 및 포털 사이트를 활용한 이벤트(회원수 1,800명 이상 모집) 농식품관련 유튜브 채널(MafraTV,스마트팜TV)의 통합 연계 및 확산 - 농식품부 미디어 채널(MafraTV)과 농정원 미디어 채널(스마트팜TV)의 채널 단일화를 통한 집중 홍보 연차별 추진 o 현장체험을 통한 도농교류효과 확대 - 수도권 중심에서 전국 단위로 소비자 체험활동 확대 o 지자체의 참여유도로 전국적 확산 촉진 - 추진주체를 농림유관기관에서 지자체 단위로 지역적 활성화 o 농업 농촌 홍보 UCI 시스템 확장 적용 - 홍보DB 확산성과 및 실적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o 빅데이터 실시간 공유 및 연계를 위한 클라우딩 서비스 - 홍보DB 즉시 공유 확장 연계를 위한 유무선 클라우딩 서비스 o 민간단체, 사회적 기업과 협업 강화 - 정부기관, 공공기관에서 민간으로의 활동영역 확산 o 농업 농촌 홍보 포털 및 매체 상시 연계 서비스 - 농업 농촌 홍보 랩(LAB)을 구축, 미디어 포털 서비스 추진 o 범국민운동으로 도농교류활동 승화 - 농어촌공동체 활성화와 연계된 도농상생 활동 전개 o 농식품 관련 컨텐츠의 허브 및 확산 거점화 - 홍보관련 컨텐츠를 집대성하여 활용과 확산의 거점화 달성 - 37 - - 38 -

2. 성과목표 성과지표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전략과제 3- 농업미래성장산업화 인식 창출 1. 세부 추진 국민참여형 가치확산 농업 농촌 가치인식지수(점) 72.2 78.6 81.8 85.0 88.0 90.0 91.0 가 농정 국정과제에 대한 인식 제고 현장체험형 가치확산 농식품 통합홍보 기반 구축 현장체험 홍보성과 농식품 통합홍보 DB이용 활성화 성과(점) - -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비계량 평가 - - - - 322.6 388.6 466.3 559.6 671.5 805.8 967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농업 농촌 가치인식점수(점) 81.8점 (산식) 접촉율 0.5 + (정책이해도+홍보활동만족도) 0.5 (목표치) 기준치+2 3개년 표준편차 (선정이유) 농업 농촌의 다원적 가치 확산을 위한 정책 홍보를 추진하고 일반국민대상 농업 농촌 공익적 가치에 대한 대국민 소통 성과를 평가 농식품부 5대 주요 과제 홍보 추진 5대 중점 홍보과제 첨단산업화 핵심개혁과제 o 농식품 R&D, 창조마을, 스마트팜 세부 과제 국정과제 o 종자 종축산업, 지속가능한 축산업, 산림부국실현, 정예인력 육성 등 6차산업화 o 농업의 6차산업화, 농촌관광 o 귀농 귀촌, 말산업 등 수출 할랄식품 o 농식품 수출, 할랄식품 육성 o 농기계 수출 상생 협력 o 농업과 기업의 상생협력 o 식품산업육성, 한식 외식, 식생활개선 농촌 복지 o 고령자 복지 증진(공동이용시설, 영농 가사도우미), 맞춤형 서비스(교통모 델, 행복버스, 농업 안전보건센터), 정주여건 개선 등 - 중점과제 홍보를 위한 협업체계 구축 * 농식품부 대변인실, 과제별 주관과, 10개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협업홍보 추진단 구성 운영 농정현안 및 긴급 이슈에 대한 대응 강화 - 쌀 관세율 검증, 한중 FTA, 구제역 AI 등 현안 이슈에 대한 선제적 대응 현장체험 홍보성과 비계량평가 (산식) 기관 내부 비계량 평가 (선정이유) 해피버스데이, 도시농업박람회 등 체험형 홍보를 운영성과 측정 - 농식품 관련 언론 및 여론 동향 파악 및 모니터링 연차별 추진 농식품 통합홍보 DB이용 활성화 성과 466.3(점) (산식) (PRDB이용률 + PRDB확산도) PRDB이용도 = (PRDB조회수 PRDB누적회원수)X0.5, PRDB확산도 = (PRDB누적확보수+PRDB다운로드수) (목표치) 466.3점(기준치 120% 상향목표) (선정이유) PRDB 이용자의 조회수 및 회원수는 해당 사업의 성과를 반영하는 결과지표로 최종 성과지표로 설정하여 관리함 o 가치 창출형 통합홍보 - 창의 혁신, 현장, 신뢰농정 실현에 기여 o 정책홍보 지지기반 공고화 - 농정홍보의 전문성 실현과 기관 신뢰성 구축 o 농업 농촌 농정 홍보의 중심기관화 - 유관기관간 협업체계 구축으로 유기적 농정홍보 시스템 운영 o 홍보 컨설팅 및 자문기능 강화 - 농식품 산하기관, 유관기관의 홍보사업에 대한 컨설팅 자문 기능 병행 - 39 - - 40 -

나 6차 산업 정책 인지 및 지지도 제고 2. 성과목표 6차산업화 현장 수요에 맞춘 온 오프라인 정보교류 활성화 - www.6차산업.com을 통한 온라인 전문자문단 운영 - 정책수요 고객을 위한 지원 사업 등 관련 콘텐츠 제공(연 95개 내외) 농정 국정과제 에 대한 국민인 식 제고 6차산업 정책인 지 및 지지도 제고 성과지표 농업농촌 정책공감지수 6차산업 인지도, 지지도 조사 결과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66.4 69.2 72.7 76.3 80.1 84.1 88.3 53.2 58.5 64.4 70.8 77.9 85.7 94.3 6차산업인 지속 발굴과 경영안정화를 위한 브랜드 홍보 지원 - 6차산업 예비인증사업자 브랜드 홍보 지원(스토리텔링, 마케팅 지원 등)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농업인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모바일 홍보 강화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 네이버 밴드 등 통한 대국민 공감 확산 및 농업인 간 6차산업 정보교류 앱 개방 - 6차산업 예비 인증 사업자 대상 통합 관리 운영 페이지 구축 (통계 관리 및 성과 홍보) 농업농촌 정책공감지수 72.7점 (산식) 농업농촌 정책에 대한 인지도 관련 9개 문항 5점 척도 설문 조사 (목표치) 72.7점(기준치 105% 상향목표) (선정이유) 농정 주요 현안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및 지지도를 종합적으로 조사하는 성과지표임 연차별 추진 o 6차산업 이해관계자 인지 제고를 위한 소통형 홍보 추진 - 직접적 6차산업 관계자 대상 정보전달 고도화 및 정보교류 활성화 o 6차산업 자문 컨설팅 서비스 일원화 - 6차산업 관련기관 간 자문 컨설팅 서비스(현장자문 병행) 일원화 6차 산업 인지도, 지지도 조사 결과 64.4점 (산식) 5점척도 설문조사를 통해 인지도 및 지지도에 대한 상승률을 평가함 (인지도 상승률 0.5 + 지지도 상승률 0.5) (목표) 64.4점(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매년 인지도 및 지지도를 높여 국정 농정과제에 대한 국민인식이 상승하는 정도를 측정함 o 6차산업 정보 공유 중심채널 역할 공고화 - 6차산업 관련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으로 유기적 홍보 추진 o 6차산업 정책 공감대 확산을 위한 적극적 미디어 홍보 추진 - 직접적 이해관계자를 포함한 대국민(신규진입자, 귀농귀촌 희망자) 대상 통합홍보(미디어 언론 중심)를 통한 정책 공감대 확산 - 41 - - 42 -

전략과제 3- 우리 농식품 소비 확산 나 고품질 안전 농식품 소비 확대 1. 세부 추진 가 쌀 중심 바른 식생활 확산 다양한 아침밥 레시피 개발을 통한 아침밥 먹기 캠페인 - 방송, 신문, 소비자 단체 협력 등 연 100회 이상 언론 노출 미래세대 대상(유아 초 중 고) 밥중심 식습관 교육 사업 - 유아를 위한 식습관 개선 뮤지컬 공연 관람 지원(연 10,000명 이상) - 애니메이션, 뮤지컬 등 어린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지속 개발 쌀 소비홍보 협의체 구성 운영 (7개 단체 이상) 연차별 추진 o 쌀로 만든 식품 및 음식의 친근성 강화를 위한 전방위 홍보 - 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전환 시킬 객관적 근거 언론홍보, - 쌀디저트 개발 확대 - 쌀소비 캠페인 진행, 쌀가공품 판매장 운영,쌀중심 식습관 교육 확대 o 쌀, 쌀가공품 소비자 접점 확대 - 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전환 시킬 객관적 근거 언론홍보 - 온.오프라인 유통업체를 통한 쌀가공식품 마케팅 강화 o 공공부분 쌀가공품 수요확대 추진 - 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전환 시킬 객관적 근거 언론홍보 - 학교급식, 군, 급식 등 쌀 가공품 급식 확대 운영 o 대상별 맞춤형 쌀 소비 홍보 시행(임산부, 유아, 어린이, 청소년, 젊은세대, 노령인구 등) o 민간이 참여하는 쌀소비홍보 국가인증농식품 소비촉진 지원 - 국가인증농식품 홍보 CF송출(연 200회), 언론홍보(연 12회 이상) - 온라인 쇼핑몰에 국가인증농식품 전용 판매관 운영(G마켓, 옥션) - 대형유통매장에 안테나샵 5개소 운영 * 이마트, 농협 하나로클럽, 홈플러스, 롯데마트, GS리테일 - 2040세대를 위한 온라인 모바일 홍보(SNS) 강화 GAP 유통 활성화 홍보 - 공중파, 케이블 방송 및 라디오를 통한 CF 송출 확대(연 20,000회) - 농식품 대량 구매자인 영양사 대상 'GAP 코리아 기획 및 운영 - GAP설명회 및 제품 전시 홍보관 운영(우수급식대전,관람객 1만명 예상) 인증농가 확산을 위한 위생 키트 제작 및 배포(연 25,000농가) 연차별 추진 o 국가인증농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구매의향제고를 위한 홍보 - 국가인증농산물 특판행사, 전시판매 및 언론홍보 o 국가인증농식품 생산 및 소비 확대를 위한 유통 채널 강화 - 국가인증농식품 직거래 매장 및 대형유통업체 참여 유통 강화 * 국가인증농식품 직거래매장, 공용홈쇼핑, 대형마트 채널 확대 o 국가인증농식품 소비 정착 유도 - 소비자, 대랑급식처 등 협력 국가인증농식품 소비 캠페인 강화 o 국가인증농식품 소비 정착 및 부정유통 단속 강화 - 소비자 협력 국가인증농식품 소비 캠페인 강화 - 소비자 단체 협력 국가인증농식품 부정유통 고발 센터 운영 - 43 - - 44 -

다 소비자 대상 소비정책 소통 강화 2. 성과목표 성과지표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소비자단체 소통 채널 상설화 - 주요 소비정책에 대한 소비정책포럼(11개 단체 실무자 참여/ 분기별 1회, 연간4회) 쌀 중심 바른 식생활 확산 가공용 쌀소비량 (톤) 53,499 55,000 56,500 58,000 60,000 62,500 65,000 - 주요 소비정책에 대한 농식품부 소비자단체 농업인단체장 현장 간담회 * 시장개방 및 식품안전, 농식품 관련 제도개선의견 수렴 등 고품질 안전 농 식품 소비 확대 국가인증농식품 소비자 인지도 (%) 61.7 67.2 73.9 81.3 89.4 98.3 주요 현안 과제 중심 소비자 교육 강화 (연20,000명 이상) * 주요 교육내용 : 제철 농식품 소비 확대, 국가인증농식품 소비확대, 실천하는 식 생활교육, GAP바로알기, 로컬푸드 소비 확대,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농식품 소비 식생활 교육 기반 마련 및 교육량 확대 농식품 소비자 교육 강사(농사랑알리미) 양성 확대(800명 목표) 소비자 대상 소비정책 소통 강화 소비자 정책교육 홍보 성과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비계량 * 강사 : 14년 118명 수료 15년 194명 수료 ( 17까지 800명 양성) - 찾아가는 농사랑알리미 교육 서비스 를 통한 소비자 교육 확대 - 농식품 소비자 교육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및 배포(30,000부) 연차별 추진 가공용 쌀소비량 56,500톤 (산식) 통계청의 사업용 쌀 소비량 (목표치) 56,500톤(정부 쌀가공산업 발전 에 따라 설정) (선정이유) 쌀에 대한 긍정적 인식홍보를 통해 쌀가공식품의 소비증가를 제고하고자 함 (산식) 5개 척도 설문 조사 o 소비자 정책 참여를 위한 교육 체계 마련 국가인증농식품 소비자 인지도 73.9% (목표) 73.9%(기준치 110% 상향목표) (선정이유) 고품질 안전 농식품인 인증농식품에 대한 소비자 o 소비 정책에 대한 대국민 참여 캠페인 홍보 강화 인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 o 농식품 소비정책 확산을 위한 지방 자치단체 및 소비자단체 참여 확대 - 지자체 협력 소비 정책 사업 확대 - 지방 소비자단체 협력 소비 정책 사업 확대 o 농식품 소비자 교육 민간 참여 확대 - 다양한 민간 기관과 농식품 소비자교육 협력 소비자 정책교육 홍보 성과 비계량 (산식) 기관 내부 비계량 평가에 따름 (선정이유) 소비정책 교육 경험자와 비경험자간의 주요 소비정책 인지도 비교 등 계량화된 지표를 포함하여, 정책소통 횟수, 참여자 수등 비계량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 - 45 - - 46 -

전략 목표 4 글로벌 환경 대응능력 강화 전략목표 개요 추진현황 o 해외 농업정보 수집 분석 - 농식품 해외정보 공유서비스 운영 중 (제공국가 100개국) o 해외 정책 공유 등 전문가 교류 촉진을 위한 국제회의 - OECD 기후스마트농업 워크숍, 컨퍼런스 등 o DDA/FTA 관련 공감대 형성을 위한 간담회, 포럼 등 개최 o 식량안보를 위한 아세안 식량안보정보 네트워크 등 개도국 협력 추진 필요성 o 농업통상 및 국제협력 정보에 기반한 통상 및 정책 영역 전문성 지원, 국제 협력을 통한 농식품의 글로벌 환경 대응능력 제고에 기여 o WTO의 개도국 지위 논의, TPP 등 우리나라 농업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사안에 대해 국제적인 대응 필요성 증대 o 원조 수원국에서 순수 원조 공여국으로 지위 전환되었으며, 농업분야의 공여규모도 지속 증가 전략과제 실행과제 현황 o 농식품 글로벌 통상정책 협력지원 - 국제정보 제공체계 개편 - 국제통상 정책 협력 분야 전문 지원체계 구축 o 농식품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 - 선진농업체계 도입을 위한 국제협력 - 개도국 식량안보 대응울 위한 ICT 국제 협력 전략과제 4- 농식품 글로벌 통상정책 협력지원 1. 세부 추진 가 국제정보 제공체계 개편 주요내용 농정원의 전문성을 담은 글로벌 EPIS' 발간(월 1회) - 기후스마트농업 등 선진농정, ICT융복합, 6차산업을 주제로 해외 정책동향, 국내외 언론동향, 연구동향을 조사 게재 - DDA, FTA, TPP 등 통상 협력 추진 관련 주요이슈 정보 제공 농식품 주요 이슈에 대한 국가별 농업정보 제공 - 농업통계, 수출입통계, 국가별 농업투자보고서, 시장조사 정보 등 정보분류체계 개선 및 정보수집 방식 다변화 *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해 국가정보, 국제기구, 협정별, 주제별로 4개 대분류로 재구 성, 국가별 일반지표, 무역현황, 농업개황 자료는 요구 형식에 맞게 구성 제공 - 유관기관 및 해외 주요 기관의 농업정보 자동 수집체계 구축 * 수집된 자료는 국가명, 핵심키워드 등을 태그로 제공하여 정보 이용가치 제고 - 해외주재관(82명)을 활용한 현지 정보 수집 협력 체계 구축 연차별 추진 o 농식품유관기관 국제농업정보협의회 정례화 및 해외 농업정보 공유체계 확립 o 글로벌 시대 농업 협상 역량 강화를 위한 정보의 수집 분석 o 관세청, 무역협회 등 타부처 유관기관과의 정보협력 확대 o 글로벌 시대 농업 협상 역량 강화를 위한 정보의 수집 분석 o 수집된 정보를 추출 정제하여 농식품 수출 관련 정보의 대국민 서비스 o 글로벌 시대 농업 협상 역량 강화를 위한 정보의 수집 분석 o 글로벌 시대 농업 협상 역량 강화를 위한 정보의 수집 분석 - 47 - - 48 -

나 국제통상 정책협력 분야 전문 지원체계 구축 통상 협상 환경에 맞는 정보 수집 및 지원 - TPP 및 RCEP, 신규 추진 FTA에 대한 자료수집 및 연혁 관리 2. 성과목표 국제정보 제공체계 개편 성과지표 해외 농식품 정보 공유 강화(점)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 *신규 100 100 - DDA 협상 현황 모니터링, 이슈 대응, 통상 분쟁 정보 수집 OECD 선진 농업정책 교류채널 역할 수행 - OECD 농업위원회 및 산하작업반 의제대응 및 심층연구를 위한 연구 네트워크 운영 - OECD 작업예산(PWB)의 연구주제에 맞는 국내 전문가를 발굴하고 의제 검토 및 국내 적용 방안 등 의견 수렴 수출시장 확대와 국민 안전 보호를 위해 SPS 관련 역량 강화 국제통상 정책협력 분야 전문 지원체계 구축 국제통상의 전문적 지원 노력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비계량 평가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 SPS 협의회 운영, 외국에 대한 질의 및 대응 관리 - SPS 협정의 법적 정의, 실제 적용 사례 등 전문적 정보 제공 (산식) (정보제공자확보목표달성율x0.3)+(정보량 달성율x0.3)+(조회수 달성율x0.4) (목표치) 100점 연차별 추진 해외 농식품 정보 공유 강화 100점 - 해당 지표는 달성율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매년 100% 달성을 목표로 함 o OECD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한 의제대응 체계 구축 o SPS 지원서비스 구축 및 협의회 구축 o 신FTA 추진전략에 따른 전문지원체계 구축 (선정이유) 정보제공자 확보, 정보제공량, 조회수 등 농식품 해외정보 구축과 관련한 성과를 업무량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매년 달성도를 관리함 o OECD 농업정책연구 국내 전파체계 구축 o 수출기업 위주 SPS 정보제공 체계 구축 o 신FTA 추진전략에 따른 전문지원체계 구축 o OECD 농업정책 국내 연구 네트워크 구축 o 품목별, 전문영역별 SPS 지원체계 구축 o 신FTA 추진전략에 따른 전문지원체계 구축 국제통상의 전문적 지원노력 비계량평가 (산식) 기관 내부 비계량 평가 (선정이유) WTO, FTA, OECD 등 국제 통상 및 정책 분야 관련 리서치/브리핑, 의제검토, 회의 대응 등 전문적 지원 노력을 평가 o OECD 농업정책 교류채널 확립 및 운영 o SPS 관련 현안 대응 o 신FTA 추진전략에 따른 전문지원체계 구축 - 49 - - 50 -

전략과제 4- 농식품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 나 개도국 식량안보 대응을 위한 ICT 국제협력 1. 세부 추진 가 선진농업체계 도입을 위한 국제협력 한-뉴질랜드 농수산협력 사업을 통한 선진국과의 협력 강화 - 16년부터 농정원에서 추진 예정인(16.3억) 한-뉴 협력사업 추진 - 뉴질랜드 교육청(ENZ) 등의 파트너 기관과 MOU 등 추진 뉴질랜드 현지 직무연수를 통한 선진 경험 및 시스템 습득 - 연간 농고 농대생 50명에게 훈련비자를 발급하여 현지 농축수산업 분야 교육(3개월) 및 직무연수(9개월)를 제공함으로 국내 경쟁력 제고 단기 어학연수 및 장기 학위과정 지원을 통해 미래세대 인재양성 - 매년 수의과학, 수산 양식, 산림 분야 대학원(석 박사)생 2명씩에게 장학금과 체재비 지원을 통해 한국 농림수산분야 발전을 선도할 학술 연구 인력의 양성 양국 전문가간의 교류 및 네트워크 강화로 농림수산분야 학술연구 촉진 - 질병위험분석, 수산과학 및 산림연구 분야 전문가를 뉴질랜드로 파견하거나 공동 워크샵을 개최하여 농림수산분야 학술연구 촉진 연차별 추진 이후 o 직무연수(50명) 단기어학연수(100명) 장기학위과정(6명) 1기 선발 및 운영 o 제1회 한-뉴 공동워크샵 개최(한국 주최) o 뉴측 담당 농업교육기관 협동조합 등과 MOU 협약추진 o 2기생 선발 및 운영(1기 운영시 문제점 반영하여 프로그램 정비) o 1기 우수사례 홍보 및 농축산 선진기술 전파 o 제2회 한-뉴 공동워크샵 개최(뉴질랜드 주최) o 한-뉴 FTA 협력사업 교육성과 점검 및 총괄평가 - 교육성과 높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연수기간 연수대상 등 운영 확대 농업 ICT 및 인적역량강화 국제개발협력사업(ODA) 신규 사업 적극 발굴 - KOICA-농식품부 부처협력사업 기회를 적극 활용하고, 농업관련 국제 기구, 국제개발은행 등 다양한 펀드 발굴 ICT를 활용한 개도국의 식량안보 대응력 강화 및 업무효율성 증대 - 캄보디아와 필리핀에 국가농업통계정보시스템(NAIS)과 통계정보 입력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 KOICA-농식품부 부처협력사업의 기회를 활용하여 저개발국 업무 효율성 증대 프로젝트 추진 (필리핀 등) 기존의 초청연수 내실화 및 신규연수 적극 발굴하여 개도국 인적역량 기반 강화 - AFSIS 협력사업 등 기 추진중인 초청연수 수행 시 액션플랜 등을 수립하게 함으로써 향후 사업 발굴과 연계 및 커리큘럼 내실화 연차별 추진 o 국가농식품정보시스템(NAIS) 구축 범위 확대 - 3개국( 15) 5개국( 16) / 인도네시아 베트남 NAIS 구축 o 국가농식품정보시스템 표준모델 성공사례화(인니 베트남 NAIS 구축에 적용) o 아세안 식량안보 및 ICT 인적역량개발을 위한 초청워크숍 연수 운영(계속) o NAIS 구축 범위 확대(6개국 / 미얀마 NAIS 구축) o 아세안+3 지역 식량안보를 위한 구축 기반 마련(AFSIS 2단계 협력) - 필리핀 베트남 NAIS 기능(유통 재고 가격 등) 강화 및 시스템 모바일화 o ICT ODA 범위 규모 확대(필리핀 쌀 재고관리시스템 구축) o 아세안 식량안보 및 ICT 인적역량개발을 위한 초청워크숍 연수 운영(계속) o NAIS 구축 범위 확산(동남아 남아시아로 구축 범위 확대) o 인도네시아 미얀마 NAIS 기능(유통 재고 가격 등) 강화 및 시스템 모바일화 o 아세안 식량안보 및 ICT 인적역량개발을 위한 초청워크숍 연수 운영(계속) o 글로벌식량안보정보센터(국제기구 EPIS 동남아 남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o 국가농식품정보시스템 2단계 협력 사업 완료 및 조기경보시스템화(3단계) - 라오스 캄보디아 NAIS 기능(유통 재고 가격 등) 강화 및 시스템 모바일화 o 아세안 식량안보 및 ICT 인적역량개발을 위한 초청워크숍 연수 운영(계속) - 51 - - 52 -

2. 성과목표 전략 목표 5 고객행복 경영체계 실현 미래세대 글로벌 경쟁력 강화 성과지표 장기연수과정 효과성 향상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비계량 평가 추진현황 전략목표 개요 개도국 식량안보 대응을 위한 ICT 국제협력 식량안보정보시 스템 확산 및 활 용도 93.285 95 97 98점 이상 o 농정원 지방이전( 15.9)의 완료 o 업무여건 변화, 기관장 경영철학을 반영한 기관 경영전략체계 확립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o 임금피크제, 정부 3.0 등 정부현안의 차질없는 추진 o 사회형평적 채용, 사회공헌 활동 등 준정부 기관의 사회적 책임 실현 중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필요성 장기연수과정 효과성 향상 비계량평가 (산식) 기관 내부 비계량 평가 (선정이유) 한뉴 FTA 농림수산협력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장기교육 참가자의 장기교육 이수율을 진단하여 장기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 효율성과 교육생의 전반적 만족도 및 노력도 측정 o 전략적인 경영체계 확립을 통해 기관의 비전 미션 달성을 적극 지원하여 농정국정과제 성과창출을 차질없이 지원할 필요 o 방만경영 정상화, 정부3.0 등 정부 현안을 적극 추진하여,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경영문화를 확립하고,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실현 필요 추진방향 식량안보정보 시스템 확산 및 활용도 97점 (산식) 시스템 신규 구축 건수 0.3 + 기 구축국가 시스템 활용도 조사 0.4 + 사용자 만족도 0.3 (목표) 97점( 17년 이후 98점 이상 획득을 목표로 추진) (선정이유) 식량안보정보시스템 신규구축 건수와 시스템의 지속적인 활용도 평가는 성과확산과 활용도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임 o 전략경영체계 선진화 - 기관 경영전략체계 수정 보완 확산 - 기관 전문성 제고를 위한 HRD 강화 - 성과 능력 중심의 공정한 보상체계 확립 - 합리적 임금피크제 설계 운영 o 책임경영 및 윤리 경영 강화 - 노사관계 선진화 - 이사회의 경영참여 확대 - 정부정책의 성실한 이행 - 청렴한 조직문화 조성 - 53 - - 54 -

전략과제 5- 전략 경영체계 선진화 1. 세부 추진 기관 경영전략체계 수정 보완 확산 매년 정책, 사회, 경제, 기술 환경 등 외부 환경 분석 및 직원 인식도 조사를 통한 전략체계 보완 요인 도출 전략체계 수정 보완에 따른 조직 인력 예산 등 재원 배분 수립 홈페이지, 내 외부 이해관계자 대상 홍보 및 내부 성과평가, 교육 등을 통한 내재화 추진 합리적 임금피크제 설계 운영 임금피크제 조기도입( 15.8) 완료에 따라, 임금피크제의 합리적인 운영을 위한 지속적 제도 개선 * 임금피크제 (피크시점 : 57세) 지급률 : (1년차)90%, (2년차)80, (3년차)70 임금피크제 대상자 발생 시기( 18년 하반기)를 고려하여, 임금피크 대상 적합 직무 지속 개발 명예퇴직제도 현실화 등 임금피크제 관련 노사현안 해결을 위한 노사교섭 추진 연차별 추진 기관 전문성 제고를 위한 HRD 강화 2대 기관장 취임 및 핵심가치 재수립에 따라, 핵심가치 기반의 직원 필요역량 재설계 * 핵심가치 : 협업, 혁신, 소통, 고객행복 직무 직급별 필요역량 분석 및 맞춤형 교육 추진 성과 능력 중심의 공정한 보상체계 확립 공공기관 합리화 대책을 적극 반영, 성과연봉제 대상 확대를 위한 노사합의 추진 * 15년 현재, 2직급 이상 간부직 대상으로 성과연봉제 시행 중 성과연봉제의 수용성, 공정성 제고를 위한 성과평가 제도 개선 전사 경영목표가 개인까지 연계되는 성과관리체계 운영 * 중기 경영목표, 기관 고유업무를 부서별 성과평가에 100% 반영 o (HRD 강화) 기관장 핵심 가치를 반영한 직원 역량평가 체계 개선 및 교육프로그램 개편 o (성과연봉제 강화) 성과연봉제 적용 대상자 확대를 위한 성과연봉제 강화 방안 수립 및 노사합의 추진 o (HRD 강화) 직무 직급별 필요역량 분석 및 교육체계 개선 연계 - 신입직원 현업 적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강화 o (성과연봉제 강화) 중간 관리자 이상 직원 대상 성과연봉제 도입 o (임금피크제) 임금피크제 적합 직무 개발 연구 o (기관 전략체계 수정 보완) 정부정책 등 외부환경 분석에 따른 기관 전략 체계 수정보완 추진 o (임금피크제) 명예퇴직제도 등 임금피크제 관련 현안 해결 (노사합의) o (HRD) 인적자원개발우수기관 인증 - 우수 HRD 인증기관 지정 및 대외 교육 우수사례 선정 등 o (임금피크제) 임금피크제 관련 신규채용 및 별도 직군 운영 o (성과연봉제 강화) 전 직원 대상 성과연봉제 도입 - 55 - - 56 -

2. 성과목표 기관 전략체계 수정 보완 기관 전문성 제고를 위한 HRD 강화 성과능력중심의 공정한 보상체계 확립 합리적 임금피크제 설계 운영 성과지표 기관 전략체계 수정 보완의 적정성 HRD 추진 성과 성과연봉제 강화 노력 임금피크제 운영의 적정성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84.9 2급 이상 운영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실시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실시 3직급으로 확대 도입 임금피크제 적합 직무 설계 확정 신규채용 1명 전직원 성과연봉제 도입 신규채용 1명 전략과제 5- 책임경영 및 윤리경영 강화 1. 세부 추진 노사관계 선진화 노사 파트너십 전략수립( 15.9)에 따라, 전략과제 및 세부 실행과제 제도화 추진 * 4대 전략과제, 10대 실행과제 수립 방만경영 요소 차단을 위한 노사공동대책위 지속 운영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기관 전략체계 수정 보완의 적정성 비계량 평가 (산식)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준용(PDCA기반 평가) - 외부 위원 중심의 자체 평가위원회를 운영 중 (선정이유)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농정원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상시 점검 및 실행 체계 구축 노력을 평가하기 위함 돈 안드는 복지 발굴 추진을 위한 노사 공동노력 세종시 이전( 15.9)에 따라, 노사가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 공헌프로그램 공동 발굴 추진 성과연봉제 확대를 위한 노사 공동 TF 구성을 통해 성과평가제도의 공정성, 연봉결정의 수용도 지속 제고 HRD 추진 성과 비계량 평가 (산식)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준용(PDCA기반 평가) (선정이유) 교육대상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관 특성, 직원의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역량 제고를 위한 지표로 관리함 이사회의 경영참여 확대 이사회 활성화 및 비상임이사 역할 강화로 자율 책임경영 구현 성과연봉제 강화 노력 3직급으로 확대 도입 (산식) 기획재정부 성과연봉제 점검표 결과에 따름 (선정이유) 공공기관 관련 정책 준수 및 성과중심의 조직문화 확립을 위한 핵심성과지표로써 관리함 * 경영제언, 자문을 활용한 주요 정책반영 등 적극적인 안건 발굴 및 소위원회 구성으로 운영 내실화 현장이사회 본부별 전담이사제 도입으로 전문성 활용 경영참여 강화 임금피크제 운영의 적정성 임금피크제 적합직무 설계 확정 (산식)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준용(PDCA기반 평가) (선정이유) 임금피크제는 현정부 노동개혁의 핵심 정책과제로 공공기관으로서 실현해야 할 당연목표로 추진하기 위해 지표로 설정하여 관리함 * 전담이사 상담 등 참여 실적(건) : ( 14)32 ( 15p)50 ( 16)70 이사회 참석률 제고를 위한 정례화 운영 사전심의 강화 3Call제 추진 * 안건 송부 : (기존) 7일 10일 전으로 개정 - 57 - - 58 -

정부정책의 성실한 이행 (채용) 장애인 제한경쟁, 적극적 가점 부여로 100% 달성, 반일제 근무 적합 직무 등 개발 (구매) 정부권장구매실적은 득점률 100% 목표로 추진하되, 중소기 업제품 등은 기관 여건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구매 확대 - 전통시장, 온누리 상품권,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실적도는 매년 구매 목표 100% 달성 - 중소기업제품 등 우선 구매는 기술개발 제품 등 실적 달성이 어려운 구매 위주로 집중 관리 2. 성과목표 노사관계 선진화 이사회의 경영 참여 확대 정부정책의 성실한 이행 청렴한 조직문화 조성 성과지표 노사관게 선진화 노력 노사관리의적정성, 이사회운영의 적정성 경영실적평가 정부권장정책 점수 기관 청렴도 향상 노력 실적 목표치 14 15(p) 16 17 18 19 20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가족친화 기관 인증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97% 90% 경영실적평가 정부 권장정책 득점률 100% 달성 기관자체 비계량 평가 공공기관 청렴도 우수기관 청렴한 조직문화 조성 반부패 청렴 인프라 구축 운영 - 알선청탁 신고시스템, 온라인 클린신고센터, 청렴 우편함 등 반부패 근 절을 위한 채널 운영 업무추진비, 자체감사 결과, 청렴 옴부즈만 제도 등 청렴 관련 기관 시책에 대해 적극적인 대국민 소통 연 5시간 이상 전 직원 집합 청렴 교육 및 사이버 교육 실시 및 전직원 청렴 서약 연차별 추진 3. 성과목표 정의 및 산출근거 성과지표 16년 목표치 산출근거 노사관계 선진화 노력 이사회 운영활성화 노력 비계량 평가 비계량 평가 (산식)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산식 준용(PDCA기반 평가) (선정이유) 노사관계 선진화는 경영실적평가의 주요항목으로서 지표로써 관리함 (산식)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산식 준용(PDCA기반 평가) (선정이유) 이사회 운영활성화 노력은 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지표로서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실현을 위해 지표로 설정하여 관리함 o 세종시 이전에 따른 지역기반 노사공동 사회공헌 수립 시행 o 본부별 전담이사제 활용 강화 o 가족친화인증 기관 재선정(기존 인증년도 : 13년도) 경영실적평가 정부권장정책 점수 득점율 100% (산식) 기획재정부 경영실적평가 결과에 따름 (목표치) 계약, 채용관련 실적 100% 달성 (선정이유) 경영실적평가의 주요 지표로써 관리함 o 공공기관 청렴도 우수기관 선정 o `농촌사회공헌인증 취득 등 주 고객인 농업인 및 농촌에 대한 봉사 강화 기관 청렴도 향상 노력 비계량 평가 (산식) 기관 자체 비계량 평가 산식 준용(PDCA기반 평가) (선정이유) 국민의 눈높이에 부합하고,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실현을 위한 지표로 설정하여 관리함 - 59 - - 60 -

Ⅴ. 성과 관리 수립(Plan)부터 업무수행(Do), 점검(Check), 환류(Act) 기반으로 조직 및 개인 성과를 관리하여 목표 달성도를 높임 구 분 내 용 수행자 시기 검토자 목표의 설정 (Plan) 성과목표 설정 및 달성 난이도에 대한 검토 당해연도 성과계약 체결 각 부서 1~2분기 성과관리위원회 본부장 처장 1~2분기 성과관리위원회 업무수행 (Do) 정기점검회의(주간) 확대간부회의(월간) 실장 매주 매월 임원 점검 (Check) 외부환경, 정책 변화에 따른 성과목표, 지표 변화관리 중간 점검 (중간 달성도 평가) 실장 3분기 성과관리위원회 실장 6월, 9월 성과관리위원회 평가 (Act) 성과 평가 부서 개인별 평가 등급 산정 익년도 성과연봉 산정 성과 관리부서 7월, 익년 2월 내 외부 평가위원 - 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