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11¹Ú´ö±Ô

(최종) 주안도서관 소식지_7호.indd

<BCF6BDC 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歯1.PDF


??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06_ÀÌÀçÈÆ¿Ü0926

歯M PDF

歯3이화진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B0ADC8ADC7D0C6C428C3D6C1BE292E687770>

<332EC0E5B3B2B0E6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Output file

8-13.hwp

IFEZ 03,04 국문

<30322D3031BCD5B5BFC8A32DC6EDC1FD2E687770>

강의지침서 작성 양식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 B1B9B8B3C1DFBED3B5B5BCADB0FC20BFACBAB C3D6C1BEBABB292E687770>

12È«±â¼±¿Ü339~370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세종대 요람

38이성식,안상락.hwp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흡연, 알고보면 질병! 울산금연지원센터 센터장 유 철 인 교수 금연으로 치료하세요. 울산금연지원센터는? 2015년 6월 보건복지부의 지원으로 시작된 울산금연지원센터는 울산 대학교병원과 울산금연운동협의회의 문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금연의 사각지대에 놓인 학교 밖 청소년,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C7C1B7A3C2F7C0CCC1EE20B4BABAF1C1EEB4CFBDBA20B7B1C4AA20BBE7B7CA5FBCADB9CEB1B35F28C3D6C1BE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cls46-06(심우영).hwp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untitle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30이지은.hwp

Microsoft Word - Westpac Korean Handouts.doc

data_ hwp

Output file

3월-기획특집1-4

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제2권 제1호 또 내용적으로 중대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개인은 흡사 어항 속의 금붕어 와 같은 신세로 전락할 운명에 처해있다. 현대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의 사적 영역이 얼마나 침해되고 있는지 는 양 비디오 사건 과 같은 연예인들의 사

별지 제10호 서식

15_3oracle

UPMLOPEKAUWE.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35C1D6B3E2BFEEBFB5BAB8B0EDBCAD2E687770>

DBPIA-NURIMEDIA

9+10¿ùÈ£-ÃÖÁ¾-pdf

한울타리36호_완성본

ePapyrus PDF Document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3135C8A3B3EDB9AE DBCF6C1A42E687770>

intro

주택시장 동향 1) 주택 매매 동향 2) 주택 전세 동향 3) 규모별 아파트 가격지수 동향 4) 권역별 아파트 매매 전세시장 동향 토지시장 동향 1) 지가변동률 2) 토지거래 동향 강남권 재건축아파트 시장동향 15 준공업지역 부동산시장 동향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표현의 자유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04-다시_고속철도61~80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30342D313428C3D1C8ADC0CF292E687770>

Transcription:

발간등록번호 11-1371029-000097-01 한국문학분야 주제 가이드 개발 및 구축 :근대문학분야를 중심으로 2014.12.

제 출 문 국립중앙도서관장 귀하 본 보고서를 한국문학분야 주제 가이드 개발 및 구축 : 근대문학분야를 중심으 로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연 구 기 관 : 책임연구자 : 공동연구원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홍현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사회과학연구소장)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강미희(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정대근(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보조연구원 : 김상미(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임정효(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초 록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문화되고 세분화된 이용자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주제별 전문서비스가 강화되어야 하며, 이는 주제별 정보원 개발의 촉구로 이어진다. 이런 의미에서 주제별 서지 구축 시스템의 개발은 주제전문 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한 출발로 볼 수 있으며, 나아가 실용화를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촉구된다. 주제별 서지 구축 시스템의 개발과 관련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은 최근의 인문학 열풍에 따른 문학 자료의 중요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문학 자료의 중요성은 수요와 공급구조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선순환 구조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문 학 자료의 양적 확보는 물론 이에 대한 분야별 체계화가 요구된다. 문학자료의 양적 확보와 분야별 체계화와 관련하여 근대문학정보센터 운영은 상징적인 인프라로 볼 수 있으며, 이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이 연구는 한국근대 문학 주제가이드를 개발하고자 한다.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자료개발과 서지데이 터의 체계화를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은 한국근대문학 서비스의 고도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대표기관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내용 이 연구는 문헌검토, 사례분석, 요구조사, 데이터구축 등의 4단계로 진행되었으 며, 국내외 기관의 사례조사와 이용자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 는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시 적극 반영하였다. 근대문학과 관련하여 117명의 저자에 대한 24,965건 건의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는 저자 1인당 평균 약 213건이며, 저자 이외에 문학일반 490건, 참고도서 60건, 관련 사이트 37건, 영화자료 45건, 학회지 33건, 학술대회자료 10건, 보 고서 164건 등 839건을 구축하여, 결과적으로 약 25,804건을 구축하였다. 117명에 대한 인물정보를 구축하였다. 본명, 가명, 호, 출신지역, 출생년, 사망 년, 작가소개, 작가 이미지, 주요작품, 주요작품 연도, 주요작품 소개, 개인연표 제목, 개인연표 연도, 개인연표소개 등의 정보를 구축하였다. - 4 -

3. 제언 한국근대문학과 관련하여 117명의 저자 이외의 나머지 저자에 대한 구축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117명의 저자에 대한 보완 작업이 필요하다. 시, 소설, 수필, 희곡, 평론 등의 장르 외에 육필원고, 서간, 연설, 기행 등의 희 귀자료와 아동문하에 대한 구축 작업이 필요하다. 자료명, 저자 등의 서지정보 이외의 내용적 요소, 감정적 요소와 같은 문학 자 료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근대문학의 범위를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해당저자의 저작은 생산시점과 관련 없이 포괄적으로 수집하여 구축하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주제가이드의 유용성에 대한 도서관의 홍보가 필요하며, 이용자교육 및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통해 주제가이드의 이용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 5 -

Developing and Constructing Subject Guides by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the Modern Literature 1.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 specialized service by subject should be strengthened to accept specialized and subdivided demand of users, and it leads to insisting the development of sources by subject. In this sense, the development of surge design system by subject means a departure for the acceleration of service specializing in subject.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detailed program for commercialization is pressed. With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surge design system by subject, National Library of Korea needs to focus on the importance of liter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latest humanity fever. The importance of literary materials will lead to structure of demand and supply. Therefore, not only quantitative securing of literary materials but also systematization by area are demanded to change into virtuous circulation. With reference to quantitative securing of literary materials and systematization by area, the management of Modern Literature Information Center is a symbolic infrastructure, and to develop it continuously, this study desires to develop Korean Modern Literature Theme Guide. Through the data development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the systematization of surge data, National Library of Korea can actualize acceleratio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ervice, and can play a role of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 6 -

2. The Study Contents This study was proceeded by 4 stages such as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requirement investigation, and data construction, and the study deducted implementation through case research and users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In addition, it was actively reflected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me Guide. In accordance with modern literature, 24,965 materials about 117 writers were built. There were averagely about 213 cases a writer, and the study built 839 cases such as 490 general literatures, 60 reference books, 37 related websites, 45 movie materials, 33 society papers, 10 symposium materials, and 164 reports except for writers, so as a result, about 25,804 cases were built. Personal information for 117 people was built. This study built information such as real name, false name, nickname, native place, date of birth and death, introduction and image of a writer, major works, date and introduction of major works, and title, date, and introduction of individual chronology. 3. A Proposal In accordance with Korean modern literature, a construction work is surely needed for the rest writers other than 117 writers, and also, a complementary work is needed for 117 writers. A construction work is needed for rare materials such as a handwritten manuscript, a letter, a speech, and a travel essay, and juvenile literature other than the genres such as a poem, a novel, an essay, a play, and a critique. It is necessary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literary materials such as the - 7 -

factor of contents and the emotional factor other than surge information such as data name and a writ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a method that builds by collecting the writings of pertinent writers wholly, irrespective of a productive time by applying the scope of modern literature flexibly. Public relations of the library are needed for usefulness of the theme guide, a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use of the theme guide through user education and various communication means. - 8 -

연 구 요 약 1. 연구개요 1.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한국사회의 인문학 열풍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문학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 고 있다. 기초중의 기초학문으로서 문학의 중요성은 이제 논의 수준을 넘어 구 체적인 실천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도서관에도 영향을 미쳐 다 양한 형태의 활동들이 전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크게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 근대문학관 출범 및 근대문학자료 특별전과 같은 규모 있는 활동에서부터 작게 는 조금마한 어린이도서관의 어린이 인문학 강좌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활동 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삶과 관련된 중추적 사회기반 시설로 정착된 도서 관의 이와 같은 노력은 당연한 것으로, 앞으로 더욱 정교하고 구체적인 수준으 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문학 자료에 대한 도서관의 관 심이 더욱 촉구되며, 특히 책임 있는 기관으로서의 국립중앙도서관의 역할은 더 욱 부각된다고 할 수 있다. 문학 자료의 관심은 당연히 수요의 증대로 이어질 것이며, 증대된 수요의 일부 는 당연히 도서관의 자료이용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관계구조 하에서 도서 관은 여러 가지 대응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데, 문학자체의 특성에 따른 서비 스, 문학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서비스, 기존 프로그램과의 차별화된 서비스 등 에 대한 구상도 그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즉 문학 자료에 대한 분화된 형태의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근대문학관 운영 및 근대문학자료 특별전 같은 분화된 주제에 대한 관심은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관심은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주제전문화 서비스로 구 체화 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주제전문화 서비스는 현시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한 서비스 라고 할 수 있다. 한국근대문학은 그동안 고대문학에 대한 문학적 가치와 최근

문학의 대중적 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 받지 못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근대문학은 특수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여러 가지로 특수한 조건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한국근대문학 서비스와 관련하여 예상되는 이용계층, 이용방법, 기 존시스템의 문제점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가 필요하며, 그중 하나 가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이 연구는 한국 근대문학 주제가이드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은 한국근대 문학관 운영에 필요한 자원의 체계화 및 국가대표 기관으로써의 전문성을 발휘 함과 동시에 한국근대문학 이용자의 정보이용에 한층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1장의 연구 목적에 이어 제2장에서는 이 연구의 핵심 키워드인 한국근대문학과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한국근대문학에 대해서는 실제 데이터 구축시 구축대상과 방법을 규정하는데 필요한 정의, 범위, 주요저자 등 을 살펴보았다. 주제가이드에 대해서는 개념을 통해 주요기능과 특성을 살펴보 았으며, 본 연구의 주제가이드 개발시 실제 적용 가능한 장단점을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주제가이드가 어떤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기관에 대해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이론 적 검토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던 주제가이드의 장점과 단점이 실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제가이드 개발에 참조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의 이용 활성화에 초점을 둔 이용자 요구조 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 중등학교 국어교사, 국문과 대학원생 등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주제가이드의 인지여부 및 이용경험에 대한 만족도,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요구도,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의 체계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해도 및 이용경험이 홍보의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 집단에 따른 자료 선호도의 차이, 유통경로와 검증유무 에 따른 자료 선호도의 차이, 특별한 소통방법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 등을 분석

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주제가이드 구축에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개발할 주제가이드의 구축방향을 다루었다. 방대한 분량 의 한국근대문학 가운데 어떤 자료를 수집대상에 포함할 것인지는 이 연구의 주 요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록범위를 규정하기 위한 논거를 개발하고 이 에 따라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대상을 선정하였다. 6장에서는 이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를 개발, 구축하였 다. 실제 데이터 입력을 위한 메타필드를 설계하고 각각의 필드에 수집된 데이터를 입력하였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117명의 저자에 대 한 원자료와 후속자료에 대해 약 2만 5천 건의 자료를 구축했다. 2) 연구방법 문헌검토, 사례분석, 요구조사, 실제구축 등 4가지 방법을 병행하였다. 즉 한국 근대문학과 주제가이드에 대한 문헌과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기본적인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 국내외 국가도서관 및 대학도서관을 분석하여 실제 운 영상의 장단점과 본 연구에 반영할 시사점을 도출했다. 또한 이용자 요구조사를 통해 기본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주제가이 드 개발에 반영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을 위한 방향을 도출하고, 그에 따라 실제 데이터를 구축하여, 결과적으로 한국근 대문학 주제가이드를 개발하였다. 1.3 연구결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한국근대문학과 관련하여 당시 활동한 문인이 몇 명인지조차 알 수 없을 만큼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정보는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개발된 본 연구의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는 기존의 검색환경에 불편함을 느꼈던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근대문학과 관련하여 종합 정보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반 이용자는 물론 전문적인 자료를 - 11 -

원하는 이용자들에게도 주요한 정보제공 시스템으로 기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정보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관련 학계에 서도 주요 과제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정보는 파악되지 않 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근대문학의 상당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을 만큼의 정보를 구축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정보의 체계화에 진일보 한 점이다. 한국근대문학으로 수집한 동일한 콘 텐츠를 저자, 장르, 시기 등의 기준에 따라 배열을 체계화함으로써, 이용자의 관 심과 판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한 점이다. 셋째, 한국근대문학의 새로운 서비스 도구라는 점이다. 대체적으로 주제가이드 가 활성화되지 못한 상황에서, 특히 문학과 관련하여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는 국내 최초로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상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는 이 용자에게 기존에 경함하지 못했던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도구로 기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정보서비스 대표기관으로서 국립중앙도서관에 주어진 책무와 선도적 역할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본다. 2. 연구결과 2.1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용자 요구조사 일반이용자, 국문학과 석, 박사과정, 중등학교 국어교사 등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주제가이드에 대한 인지도와 사용경험이 매우 낮아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경험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전문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 를 통해 주제가이드의 전문성은 이용자에게 실제로 높게 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

으며, 나아가 접근성, 편의성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시대별 요구에서 원자료와 이에 대한 후속자료의 요 구가 모두 높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두 자료의 상대적 중요성 보다는 한국근대 문학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다. 넷째, 지역과 관련하여 국내, 장르와 관련하여서는 소설, 후속자료에 대해서는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반면 개인 블로그 자료 및 오픈 엑세 스 자료에 대한 요구는 매우 낮아 검증된 자료의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다양한 형태의 자료 중 여전히 인쇄본 형태를 원했으며, 전자자료 중에 서는 개인홈페이지, 블로그 자료 보다는 웹 DB, e-book, 전자저널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아 검증된 자료를 선호하는 이용자들의 특성을 재확인 할 수 있다. 여섯째, 구축방식과 관련하여 시대별 구축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서는 접근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나 시대별 구축과 웹 페이지상의 식별성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서비스의 홍보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사용하겠다는 의견이 높았데, 이를 통해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2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메타필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은 결과적으로 한국근대문학 작품에 대한 서지사 항을 입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료 유형에 따라 서지항목이 달라질 수 있다. 따 라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을 위해 수집한 자료는 일반도서, 연속간행 물, 학술기사, 사전 및 백과사전, 편람, 온라인사전, 정부간행물, 웹정보, 관련기 관 및 단체, 관련 사이트, 웹DB, 오픈 엑세스, 학위논문, 멀티미디어 자료, 원저 자 단편 저작물, 원저자 단행본, 원저자 관련 후속 자료 등이다. 이는 작업 편의상 저자가 직접 저술한 단편 저작(L1), 저자의 저작을 모은 단 행본으로 원저자가 저자로 나타난 저작물(L2), 한국근대문학 주제와 관련한 자

료(A1), 저자와 관련한 모든 저작 및 저작물(A2), 한국근대문학, 저자, 작품과 관련된 학술지 논문(B4), 한국근대문학, 저자, 작품과 관련된 학위논문(J1) 등으 로 구분하였다. 장르는 시, 소설, 수필, 희곡, 평론 등으로 유형화 하였다. 통합메타필드는 유형코드, 자료명, 저자, 발행기관, 발행년, 장르, 저자코드, 후 속저작연도, ISBN(ISSN), 자료소개, URL, 권호정보, 회의명, 장소, 주최, DB소 개, 국가구분코드, 첨부파일, 사이트유형, 국내외구분, 저작수록지명 등 22개다. 2.3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 1894~1945년 활동 저자 중 한국근대문학인명사전, 문학사, 작가연구 등 여러 가지 관련 자료와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의 현황에 기반하여 최종 117명을 구 축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117명의 저자가 생산한 모든 작품이 수록된 것 은 아니다. 동일저자의 작품일지라도 1945년 이후에도 생산된 작품은 이 연구 에서 규정한 근대문학의 범위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1945년 이후에 생산한 작품 중 구축대상자로 선정된 117명의 저자나 작품을 대상으로 생산된 작품은 생산한 저자의 원자료가 아니라, 대상저자의 후속자료로 구축되었다. 117명에 대한 인물정보원을 구축하였다. 가명, 본명, 호, 출신지역, 출생년, 사 망년, 작가소개, 작가이미지, 주요작품, 주요작품연도, 주요작품소개, 개인연표제 목, 개인연표연도, 개인연표소개 등 14개 필드를 입력하였다. 입력결과 117명에 대해서는 24,965건을 입력하였다. 따라서 저자 1인당 평균 건수는 약 213건이다. 이와 더불어 문학일반 490건, 참고도서 60건, 관련사이 트 37건, 영화자료 45건, 학회지 33건, 학술대회자료 10건, 보고서 164건 등 기타자료의 입력건수는 839건이다. 따라서 최종 입력 건수는 총 25,804건이다. 권위 있는 문학사, 저자연구, 작가의식 등에 대한 자료를 참조하여 1차 검수하 였으며, 2차는 작가별 연보를 토대로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동명이인 유진오의 경우 두 사람의 개인연보를 작성하여 그를 토대로 검수하였 다. 3차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RISS 등을 실제로 검색하여 재확인 하였다. - 14 -

3. 제언 문학사를 통해 한국근대문학 저자는 최소한 400여명을 상회할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117명만을 구축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한 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나머지 저자에 대한 구 축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117명의 저자에 대한 추가 작업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선영의 한국문학논저유형별총목록 과 이광수 문학사 전, 이광수 문학연구 서지 목록 등에 따르면 2001년까지 발표된 이광수 관 련 논문 수는 780여 편이다. 따라서 그 후 약 15년이 지난 현재까지는 훨씬 많 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 구축한 이광수의 원 자료와 후속자료는 약 600여 편이다. 따라서 117명 이외의 나머지 추가 저자의 구축작업은 물론 117명에 대한 보완작업도 반드시 지속될 필요가 있다. 한국근대문학은 시대적 특수성으로 인해 생산형태나 존재양상이 다양하다. 근대 문학에서 중요한 자료는 신문, 잡지 등 정기간행물과 단행본으로 대별할 수 있 다. 그런데 근대문학기에 발행된 신문은 주요 일간지외의 나머지는 접근하기 어 려운 현실이며, 잡지 역시 김근수의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 목차집 에 의하면 230여종에 이르지만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신문이나 잡지 등의 정 기간행물에 대한 구축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나아가 연설문, 육성파일, 기행 문, 일기, 서간, 육필원고 등의 희귀자료에 대한 구축작업도 보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귀중자료의 구축을 통해 기존 검색시스템에서는 입수할 수 없었던 자 료까지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이용자뿐만 아니라 전문가 집단의 요구까지 모두 수용할 의도로 구축된 주제가이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근대문학의 개념을 1945년 이전으로 규정하다 보니 근대문학 구축대상 저자로 선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저자의 1945년 이후 작품은 대상에 포함되지 않 아 경우에 따라서는 이용자의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962년에 김 광섭이 쓴 렌의 애가 의 시인, 모윤숙 이라는 작품은 모윤숙의 후속저작 에는 포함되지만 김광섭의 작품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국근대문학의 해당 시기를 규정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저자 개인의 작품과 관련해서는 탄력 성을 적용하여 후속작업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문학작품은 비문학작품과 다름에도 불구하고 자료명, 저자 등의 서지정보만으로 가이드를 구축하는 실정으로 지역, 소재, 인물 등의 내용적 요소, 감정적 요소 등을 추가하여 주제가이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한국근대문학에서 나타나는 결핵의 의미 등이다. 이광수, 나도향, 이태준, 이상 등의 동시대 작품 에서 나타나는 창작 모티프로서의 결핵, 계몽의 수사학으로서의 결핵의 은유성 등 특정 내용적 요소를 고려하여 자료를 배열할 경우 주제가이드로서의 전문성 을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는 것으로, 일반도서관의 역할로는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조직과 규모를 갖춘 국립중앙도서관의 역할로 부각된다고 할 수 있다. 이론적 검토, 선행연구, 이용자 요구조사 등을 통해 현재는 주제가이드에 대한 인식 및 이용률이 저조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검색시스템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주제가이드만의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용 동기 자체가 생성되지 않음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주제가이드의 유용성에 대한 도서 관의 홍보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용자교육 및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활용하여 주제가이드의 이용과 재이용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목 차 제1장 연구개요 Ⅰ. 연구배경 및 목적 1 1.1 연구배경 1 1.2 연구목적 2 2. 연구내용 및 방법 3 2.1 연구내용 3 2.2 연구방법 5 3. 연구결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6 제2장 이론적 배경 1. 한국근대문학의 이론적 고찰 7 1.1 한국근대문학의 정의 7 1.2 한국근대문학의 범위 8 1.3 한국근대문학의 주요 저자 11 1.4 한국근대문학의 시기 고찰 15 1.5 한국근대문학사 주요사건 연표 19 2. 주제가이드의 이론적 고찰 22 2.1 주제가이드의 개념 22 2.2 주제가이드에 대한 선행연구 25 2.3 현행 주제가이드의 개선방향 27 제3장 국내외 사례조사 1. 국내사례 29 2. 해외사례 32 3. 사례조사 시사점 40-17 -

제4장 이용자 요구조사 1. 요구조사 개요 44 1.1 조사배경 및 목적 44 1.2 조사내용 및 구성 44 1.3 조사대상 및 방법 45 1.4 연구문제 45 2. 기초 분석결과 48 2.1 인구통계학적 특성 48 2.2 주제가이드 서비스 인식 51 2.3 주제가이드 이용자 요구분석 53 2.4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형태 57 2.5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운영체계 61 2.6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이용의향 63 2.7 기타의견 63 3. 연구가설 검증 64 3.1 주제가이드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의향 64 3.2 주제가이드 제공자료의 이용자집단별 요구분석 66 3.3 선호자료형태의 유통경로 및 검증유무 분석 81 3.4 주제가이드 소통방법과 존재형태간 상관관계 85 3.5 주제가이드 이용자 만족도와 구축형태간 상관관계 85 4. 이용자 요구분석에 대한 시사점 86 4.1 주제가이드 서비스 인식부족 86 4.2 원자료 및 후속자료 확보의 중요성 87 4.3 이용자집단별 서비스 차별화 필요 87 4.4 인쇄자료 및 전자자료 서비스 접근점 다양화 88 4.5 주제가이드 시대별 구축의 필요성 89 4.6 자료유통경로 특성을 고려한 주제가이드 개발 89 4.7 접근성 및 전문성을 고려한 주제가이드 개발 90 4.8 주제가이드 서비스에 대한 홍보필요성 91

제5장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 방안 1.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대상 범위 92 1.1 원자료 및 후속자료 92 1.2 인쇄자료 및 전자자료 95 1.3 자료 생산시기 96 1.4 구축대상 저자 98 2.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배열체계 100 2.1 저자별 배열 101 2.2 장르별 배열 101 2.3 시기별 배열 101 3. 근대문학 주제가이드 평가요소 102 3.1 편의성 103 3.2 정확성 103 3.3 최신성 104 제6장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과 구축 1. 한국근대문학 자료유형 및 메타필드 105 1.1 한국근대문학 자료유형 105 1.2 한국근대문학 유형별 메타필드 107 2. 주제별 콘텐츠 구축 112 2.1 자료선정 원칙 112 2.2 구축방법 및 내용 113 2.3 검수방법 116 2.4 제반 논의 118 제7장 결론 및 제언 1. 요약과 결론 119 2. 제언 120-19 -

참고문헌 122 <부록 Ⅰ > 이용자 설문지 124 <부록 Ⅱ > 한국근대문학 연표 129 <부록 Ⅲ > 주요저자연보 142-20 -

표 목 차 <표 2-1> 한국근대문학사의 저자 수록 현황 12 <표 2-2> 한국근대문학사의 저자 수용 빈도 12 <표 2-3> 백철의 한국근대문학사 시기구분 16 <표 2-4> 조연현의 한국근대문학사 시기 구분 17 <표 2-5> 김윤식, 김현의 한국근대문학사 시기 구분 18 <표 2-6> 한국근대문학사 주요 사건 연표 19 <표 2-7> 패스파인더 구성요소 25 <표 2-8> 주제가이드 구축시 고려사항 28 <표 3-1> 하버드대 도서관 주제가이드 구성 메뉴 39 <표 3-2> 하버드대 도서관 주제가이드 디렉토리 39 <표 4-1> 설문지 내용 및 문항 구성 44 <표 4-2> 응답자 성별 분포 현황 48 <표 4-3> 응답자 연령 분포 현황 49 <표 4-4> 응답자 직업 분포 현황 49 <표 4-5> 응답자 학력 분포 현황 50 <표 4-6> 응답자 지역 분포 현황 50 <표 4-7> 도서관 주제가이드 서비스 이해도 51 <표 4-8> 도서관 주제가이드 서비스 이용경험 52 <표 4-9> 도서관 주제가이드 서비스 이용만족도 52 <표 4-10>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자료 중요도 54 <표 4-11> 한국근대문학의 장르별 중요도 인식 55 <표 4-12> 문학자료(원자료)의 후속자료 중요도 56 <표 4-13> 한국근대문학 인쇄형태별 이용자 선호도 57 <표 4-14> 한국근대문학 전자형태자료별 중요도 59 <표 4-15>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 선호도 60-21 -

<표 4-16>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가치 선호도 61 <표 4-17> 한국근대문학 정보서비스 채널 선호도 62 <표 4-18> 주제가이드 서비스 홍보 수단 62 <표 4-19>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이용 의사 63 <표 4-20> 주제가이드 이해와 이용의향의 관계 64 <표 4-21> 주제가이드 이용경험과 이용의향 65 <표 4-22> 주제가이드 이용의향과 홍보필요성 66 <표 4-23> 이용자계층의 근대문학자료별 선호도 67 <표 4-24> 이용자계층의 소속별 자료유형 중요도 분석 68 <표 4-25> 이용자 소속별 후속자료 중요도 분석 69 <표 4-26> 주제가이드 서비스인식과 자료형태 중요도 70 <표 4-27> 주제가이드 서비스인식과 장르 중요도 분석 71 <표 4-28> 주제가이드 서비스인식과 후속자료 중요도 72 <표 4-29> 주제가이드 이용의향과 자료형태별 중요도 73 <표 4-30> 주제가이드 이용의향에 따른 자료유형 중요도 73 <표 4-31> 주제가이드 이용의향에 따른 후속자료 중요도 74 <표 4-32> 주제가이드 이용자그룹의 생산지별 자료 중요도 75 <표 4-33> 주제가이드 서비스와 생산지별 자료 중요도 76 <표 4-34> 주제가이드 이용의향과 생산지별 중요도 76 <표 4-35> 이용자그룹간 자료형태 선호도 차이분석 77 <표 4-36> 이용자그룹별 서비스 구축형태 중요도 78 <표 4-37> 주제가이드 인식과 인쇄형태 자료별 중요성 79 <표 4-38> 주제가이드 인식과 서비스 구축형태 중요도 79 <표 4-39> 주제가이드 이용의사와 인쇄형태 중요도 80 <표 4-40> 주제가이드 이용의사와 서비스구축형태 중요도 81 <표 4-41> 자료형태별 선호도에 따른 요인분석 도출결과 82 <표 4-42> 자료 유통경로에 따른 차이분석 82 <표 4-43> 전자자료 유형별 자료검증 요인분석 결과 83 <표 4-44> 자료의 검증여부에 다른 차이분석 83-22 -

<표 4-45> 주제가이드 소통방법과 자료존재간 상관관계 84 <표 4-46> 주제가이드 이용자 만족도와 구축형태간 상관관계 85 <표 4-47> 주제가이드 이용자 만족도와 공급체계간 상관관계 86 <표 5-1> 한국근대문학 원저작 후속저작 형태구분 93 <표 5-2> 모윤숙의 원작에 대한 후속자료 현황 93 <표 5-3> 한국근대문학 관련 시대 상황 96 <표 5-4>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대상 저자 99 <표 5-5>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의 시기 구분 102 <표 5-6>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시 고려요소 102 <표 6-1>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자료 유형코드 105 <표 6-2>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자료 장르코드 106 <표 6-3>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자료 시기코드 106 <표 6-4> 자료유형별 메타필드 항목 구성 107 <표 6-5> 주제가이드 입력 절차와 순서 113 <표 6-6> 저자별 구축 건수 현황 115 <표 6-7> 유진오( 兪 鎭 午 ) 연표 117

그 림 목 차 [그림 3-1]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주제가이드 31 [그림 3-2] 서강대학교 도서관 주제가이드 33 [그림 3-3] 영국국립도서관 주제가이드 36 [그림 3-4] 프랑스국립도서관 주제가이드 37 [그림 3-5] 하버드대학교 도서관 주제가이드 40 [그림 3-6] 예일대학교 도서관 주제가이드 41 [그림 6-1] 데이터 입력 결과(이효석) 108 [그림 6-2] 한국근대문학 일반 검색 결과 109 [그림 6-3] 한국근대문학 일반 시( 詩 ) 검색 결과 109 [그림 6-4] 한국근대문학 관련 학술지 및 학술기사 검색 결과 110 [그림 6-5] 한국근대문학 관련 학위논문 검색 결과 110 [그림 6-6] 이효석의 단편작품 111 [그림 6-7] 이효석 관련 후속자료(학술기사) 111 [그림 6-8] 이효석 관련 후속저작(학위논문) 112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1.1 연구배경 최근 들어 한국사회에 인문학 열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전문가 집단의 연구 활 성화는 물론 일반 시민 대상의 강연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회변화를 수용하 면서 발전해온 도서관으로서는 이러한 현상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인 문학의 저변을 형성하고 있는 문학 자료의 서비스 기관으로서는 더욱더 이러한 변 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서관은 문학 자료의 재점검을 통해 필요한 부 분의 자료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문학 자료와 관련하여 근대문학은 고대문학의 문학적 가치나 현대문학의 대중적 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면이 있다. 따라서 한국사회의 시대적 상황 과 맞물려 특수한 형태로 존재하는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재조명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자료의 체계적 발굴, 구축,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도서관의 역 할로 부각되며, 이는 대단위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라는 점에서 국가도서 관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근대문학의 이용 활성화는 인문학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고부가가치의 지식 창출에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 근대문학 자료의 체계화가 필요하 며, 이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역할로 부각됨은 앞서 살펴보았다. 그런데 한국사회의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 의해 한국근대문학은 여러 곳에 산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존재 형태도 다양하다. 권위 있는 연구에서도 당시 활동했던 전체 저자, 주요 잡지, 신문 자료 등에 대한 정확한 현황을 밝히지 못할 정도로 한국근대문학은 특수한 존재 양식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문학 관련 연구자들 사이에서 자주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 한 결과에 대해 도서관 자료의 비구조화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발언도 나 오고 있다. 그러나 그 어떤 개인이나, 단체, 국가 기관보다 대규모의 자료를 소장하 - 1 -

고 있으며, 서비스에 책임 있는 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은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정 보의 체계화에 선도적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용자 개인이 입수하기 쉬 운 자료는 여전히 중복되어 검색되며, 개인이 입수하기 어려운 산재된 자료는 도서 관을 통해서도 입수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국립중앙도서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 한국근대문학 관련 자료의 총체적 점검과 구조화를 통해 질 높은 통합서 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국립중앙도서관은 주제별 서지구축시 스템 개발에 따른 도서관 정보서비스 확대의 필요성과 연계하여 한국근대문학 주 제가이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1.2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를 개발하는 것이다. 즉 한국근대문학 에 대한 주제 전문화를 통해 일반 이용자뿐만 아니라 전문가 수준의 이용자 요구 까지를 총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종합정보제공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구축 대상은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일반자료는 물론 당시에 활동했던 주요 저자의 개인 별 원자료와 이를 대상으로 하여 다른 저자가 생산한 관련 작품까지로 확대할 것 이다. 이를 통해 원자료에 관심을 둔 이용자뿐만 아니라 후속자료에 관심을 둔 이 용자까지 광범위한 계층을 수용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차원의 이용자를 서비스 대상으로 하는 만큼 한국근대문학 주제가 이드는 콘텐츠의 양적 측면에도 관심을 두지만 동일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운영 하기 위한 방법적 측면을 고려하여 배열을 체계화 할 것이다. 즉 저자, 장르, 시기 등 한국근대문학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 특성에 따라 콘텐츠를 재배열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의 접근 경로를 다양화 할 수 있으며, 접근 경로의 다양화는 사전 에 잘 알지 못하는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배열을 따라 브라우징 함으로써, 관련 정보를 우연히 획득할 수 있는 주제가이드의 장점을 더욱 강화시켜 줄 것이 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개발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는 대표기관으로써의 국립 중앙도서관의 전문성을 입증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가 될 것이며, 동시에 한국근대 문학에 대한 이용자요구를 충족시키는 주요 방법 중의 하나로 기능할 것이다. - 2 -

2. 연구내용 및 방법 2.1 연구내용 이 연구에서는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과 관련하여 한국근대문학과 주제 가이드에 대한 이론적 검토, 국내외 사례조사, 이용자 요구조사, 주제가이드 구축방 향, 주제가이드 개발 및 구축 등의 다섯 가지 방향에서 연구되었다. 이에 대해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검토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한국근대문학 과 주제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론적 검토는 한국근대문학과 주제가이드 에 대해 실제 데이터 구축시 필요한 부분에 제한하여 살펴보았다. 즉 한국근대문학 에 대해서는 구축대상을 규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의, 범위, 주요 저자 등을 살펴보 았다. 이를 통해 관련 학계에서조차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은 방대한 분량의 한국근 대문학에 대해 이 연구에서 구축 가능한 대상과 방법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주제 가이드에 대해서는 근본적 기능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이 연구에서 참조할 수 있는 특성을 발견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 은 과정을 통해 현행 주제가이드에 대한 장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하였으며, 한국근 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도출하였다. 2) 국내외 사례조사 앞서 살펴본 이론적 검토에 이어 실제 주제가이드가 어떤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 며,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여섯 개 기관에 대해 사례조 사를 실시하였다. 일차적으로 20여개 국내외 기관을 실시한 결과 장점과 단점의 형태가 유사한 타입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장점과 단점의 전형성을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는 여섯 개 기관을 선정하여 집중 분석하였다. - 3 -

3) 이용자 요구조사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는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이용 활 성화가 중요한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 할 필요가 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가 이용자 요구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 요구조사는 이 연구의 주요 과제 중의 하나로 다루었으 며, 대학생, 중등학교 국어교사, 국문학과 대학원생 등 어느 정도의 사전지식을 갖 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인지도, 선호도, 중요도 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제가이드에 대한 사전인지, 이용경험이 홍보의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 집단에 다른 자료 선호도의 차이, 유통경로와 검증유무에 따른 자료 선호도의 차 이, 특별한 소통방법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에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4) 주제가이드 구축방향 이론적 검토, 국내외 사례조사, 이용자 요구조사에 이어 궁극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할 주제가이드의 구축방향을 다루었다. 이 연구에서 구축할 주제가이드의 대상 은 한국근대문학으로 어떤 자료를 수집대상에 포함할 것인지는 이 연구의 주요 과 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록 범위를 규정하는데 필요한 논거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한국근대문학 원자료 및 다른 저자에 의해 생산된 후속자 료, 그리고 400여명이 넘는 해당시기의 저자 중 어떤 저자의 자료를 수록할 것인 지와 관련하여 저자 선정 기준을 다루었다. 또한 동일한 저자의 작품도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자료유형을 다루었으며, 이를 어떤 체계로 나타낼 것인 가와 관련하여 시기 구분의 기준을 살펴보았다. 5) 주제가이드 개발 및 구축 앞서 선정된 저자의 작품을 실제 입력하기 위해 각 자료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유형별 코드를 할당하였다. 또한 각 자료 유형에 해당하는 메타필드를 개발하였으며, 수록 범위에 해당하는 자료를 각각의 필드에 입력하였 다. 자료는 원자료와 후속자료를 구분하여 입력하였으며, 입력된 결과에 대해서는 - 4 -

수차례 검수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 과 관련하여 보완해야 할 실무차원의 문제점과 후속작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2.2 연구방법 문헌검토, 사례분석, 요구조사, 서지데이터 입력 등 4가지 방법을 병행하였다. 1) 문헌검토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는 먼저 한국문학이면서 시대적 특성이 존재하는 근대 문학이라는 차별점을 고려해야 하며, 주제가이드라는 도구의 특성을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문헌검토를 통해 기본적인 개념을 고찰하였다. 먼저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문헌검토는 주로 특수한 주제에 대해 연구자의 주장을 전개하는 논문보다는 학계 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권위 있는 문학사를 통해 전체 맥락과 사실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주제가이드에 대한 문헌검토는 주로 경험적 데이터 를 수록하고 있는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에서 논의된 주제가이드의 장점과 단 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참조하였다. 2) 사례분석 문헌검토에 이어 실제 주제가이드가 어떤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어떤 점을 참 조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외 국가도서관 및 대학 도서관의 주제가이드를 분석하였다. 각 기관의 문학 관련 주제가이드의 분석을 통 해 이용상의 장단점, 운영상의 특이점 등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시사점을 한국근 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시 적극 반영하였다. 3) 요구조사 이용자에게 제공을 목적으로 개발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는 당연히 이용자 의 요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문가 집단과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기 - 5 -

본사항(필요성, 사용경험, 사용의도),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해도(주제가이드 기능에 대한 이해도), 이용경험에 대한 만족도,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의 요구도(내용, 체계, 이용방법, 접근 경로 등), 기타(이용자 교육, 홍보수단 등의 요구사항)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집단에 따른 요구의 차 이점을 반영하였다. 4) 서지데이터 입력 이상의 세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 방향을 도출하 였으며, 이에 따라 자료 선정, 유형별 구분, 입력 필드 개발 등의 과정을 수행하였 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실제 서지 데이터를 입력하였다. 3. 연구결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한국근대문학은 당시 활동한 문인이 몇 명인지 알 수 없을 만큼 여전히 연구의 활성화가 기대되는 분야이다. 이처럼 안정화되지 않은 분야일수록 자료 요구의 가 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도서관에 대한 역할도 부각될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볼 때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는 이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탐 색 도구로 기능할 것으로 본다. 특히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는 원문으로의 충실한 링크 기능을 통해 동인지나 신문지상을 통해 발표된 한국근대문학의 원문 입수에 불편 을 느꼈던 이용자에게는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차별화된 서비스가 될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기준으로 배열된 콘텐츠를 브라우징 함으로써 그 동안의 중복검색에 대 한 불편함을 극복함과 동시에 기대하지 않았던 자료까지 우연히 발견하는 유용성 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이용가치의 증대를 통해 결과적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은 정보서비스 대 표기관으로서의 책무를 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상에 적합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본다. - 6 -

제2장 이론적 배경 1. 한국근대문학의 이론적 고찰 1.1 한국근대문학의 정의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이론적이고 학문적인 작업은 여전히 학계의 주요 과제라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한국근대문학의 정의를 본격적으로 논하는 것은 가능 하지 않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개념을 검토해야 하는 이유는 근대문학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본 연구에서 다룰 근대문학의 범위 와 성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한국근 대문학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고대 가요로부터 현재의 소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문학 작품들은 모두 특정한 시대적 국면과의 연관 속에서 특정 경향과 체계를 형성한다. 한국근대문학 도 근대와의 관련성에 의한 일정한 보편성, 경향, 체계가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러 한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기준이 무엇인가에 대한 규명 작업은 매우 중요한 작업 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근대문학의 형성 조건에 대해 견해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근대문학사 연구자들은 한국근대문학의 형성조건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이는 외재적인 서구적 개념으로서의 근대문학에 대한 인식(임화, 백철, 조연현)과 내재적 시각인 민족의식의 자각이라는 관점(김윤식, 김현, 조동일 등)에 서 접근하는 근대문학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신문학의 개념을 내용과 형식에서 서구적인 형태를 갖춘 문학으로 간주하고, 근대문학과 현대문학을 모두 신문학의 범주에 넣고 있다. 반면 후자는 문학의 주체인 민족을 중심에 두고 개념 을 규정하였다. 이는 서구 근대문학을 전범으로 여기는 기존 관점에 대한 일종의 문제제기도 포함하고 있다. 이 같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일반적 정의는 한국인이 한국 - 7 -

의 문자로 한국인의 정서와 사상을 표현한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문학의 창 작 주체는 한국인이며, 표현 수단은 한국어, 표현 내용은 한국인의 정서와 사상이 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조선인이 조선문으로 작성한 조선문학을 내세워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주를 규정하려고 했던 이광수의 주장과도 유사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 반적 정의에도 불구하고, 이 정의만으로 한국근대문학을 규정하는 것은 충분하지 못한 면이 있다. 왜냐하면 한글이 공식적인 표기 체계로 선포된 1894년 이후에도 여전히 한글과 한자 혹은 한글과 일본어 등의 이중 언어를 사용한 경우가 많기 때 문에 반드시 한글로 작성된 작품만을 한국근대문학으로 규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 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일제 말기 일본어로 표기된 문학 작품에 대해서도 한국 근 대문학의 대상으로 포괄하는 최근의 연구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 사회의 특수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언어 문제는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 며, 이러한 배경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한국근대문학의 개념을 한글이 공식 문자체 계로 선포된 1894년부터 해방기인 1945년까지 한국 민족이 한국어를 기본적인 표 현수단으로 하여 한국의 사상과 정서를 표현한 문학적 결과물로 규정한다. 1.2 한국근대문학의 범위 1) 시대적 범위 한국근대문학의 시대적 범위와 관련하여 근대의 기점에 대한 논의는 학계의 주 요 쟁점이 되고 있다. 근대 기점론은 한국근대문학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한 이념과 방법, 역사적 지향은 무엇인가를 묻는 근본적인 문제제기는 물론 보편사로서의 근대 일반의 문제와 관련되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근대문학에서 근대의 기점, 근대문학의 정체성을 본격적으로 언급한 사람은 임화이다. 그는 개설 신문학사 를 비롯한 일련의 문학사에서 한국의 근대문학은 여러 조건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는 서구문학의 이식의 역사로 보고 1894년 갑 오개혁을 출발점으로 규정했다. 이와 달리 김윤식과 김현은 한국문학사 에서 근대의 기점을 18세기 영 정조 시 대로 규정한다. 즉 영 정조 시대를 조선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극복하려는 맹아가 - 8 -

형성된 시기로 간주한 것이다. 이는 서구적 문화의 이식론에 대한 기존 문학사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다른 한편 조동일은 한국문학통사 에서 본격적인 근대문학의 출발은 1919년 3.1운동 직후이며, 조선후기부터 3.1운동까지 를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로 규정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근대문학의 기점에 대해서는 1908년 신체시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 년에게> 발표 이후로 보는 견해, 1917년 이광수의 소설 <무정> 발표 이후 보는 견해, 1919년 동인지 창조 간행 이후로 보는 견해, 1930년대 모더니즘 시와 이상의 문학이 등장한 이후로 보는 다양한 주장이 존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학사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을 한국근대문학의 출발로 보고 있다. 안확의 조선문학사 에서 1894년을 근대의 기점으로 본 이후 본격적으로 임화, 백철, 조연현의 문학사도 1984년 갑오개혁을 근대의 기점으로 규정하고 있다. 근대문학의 종점에 대해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일제 식민지로부터 해방된 1945년 8.15를 근대문학의 종점으로 보아야 한다는 일반적 견해를 참조하여, 본 연구는 근대문학의 시기를 갑오개혁이 발생했던 1894 년부터 해방기인 1945년까지로 규정하고자 한다. 1894년은 한글이 공식적인 표기 체계로 선포된 해라는 점에서도 상징성을 갖는다. 2) 장르적 범위 문학에서 장르란 문학의 종류, 양식을 이르는 말로 문학적인 기본형식은 문학적 인 의사소통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지속적인 유형이다. 한국근대문학의 장르에 대해 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임화는 시, 소설, 희곡, 평론으로 장르를 인식했는데, 시, 소설 중심의 서양 장르에 국한해 근대문학을 접근한 임화, 백철, 조연현 등의 장르 구분에 비해 김윤식, 김현은 전통적인 장르를 문학의 장르로 확대해 인식했다. 특히 김윤식, 김현은 근대문학의 기점을 자체 내의 모순을 언어로 표현하겠다는 언어 의식의 대두에서 찾아야 함을 전제하고 그 언어 의식은 유럽적 장르만을 문 학이라고 이해하는 편협한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개방성을 표명했다. 즉 현대 시, 현대 소설, 희곡, 평론 등 현대 문학의 장르만이 문학인 것은 아니며, 한국 내 에서 생활하고 사고하면서, 살고 있는 곳의 모순을 언어로 표현한 모든 종류의 글 은 한국문학의 내용을 이룬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기, 서간, 담론, 기행문 등을 한 - 9 -

국문학 속으로 흡수하지 않으면 한국문학의 맥락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조동일은 소설, 수필, 희곡, 비평을 비롯해 기존연구에서 다루지 않던 부분까지 문학적 양상과 가치를 설명했는데, 특히 대중문화로 제공된 문학으로 야사, 야담, 재담, 만담 등 각종 산문 갈래 등도 문학 장르에 포함할 것을 주장한다. 예를 들면 일제 강점기의 항일문학으로서 다른 무엇보다도 적극성을 보여준 민요는 민족의 지하방송과 같은 구실을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항일투사 및 민족사의 영웅을 소개 한 전기, 기사나 논설이 아니면서 다른 특이한 수법을 사용해 사실전달 이상의 표 현 효과를 얻은 언론문학, 이광수의 금광산 유기 부터 최남선, 노자영, 김억, 이 은상 등의 국내 기행문과 독립 운동가들이 남긴 해외기행문, 서간 등을 장르에 포 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화소설, 시나리오, 시가도 문학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아동문학으로 전래된 동요나, 동요시, 창작동화, 창 작동요 등에 대해서는 유보적 견해를 보이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장르의 확장 전개에 대해 비판도 있지만, 본 연구의 관심 대상인 주제가이드는 한국근대문학에 대해 정보를 필요로 하는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구축된다는 점에서 최대한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 다. 시, 소설, 수필, 희곡, 비평을 기본으로 하여 전기, 서간문, 기행문 등 망라적인 자료 구축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해 이 연구에서는 시, 소설, 수필, 희곡, 평론, 비평, 아동문학 의 범위 내에서 한국근대문학을 다루고자 한다. 3) 지역적 범위 한국사회는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해 근대문학인들의 활동 범위를 국내로 한정하기 어렵다.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에 한인이 진출했고, 상해에는 임시정부가 세워졌으며, 다수의 한인들이 만주, 연해주 등으로 이주한 점을 감안하 면, 지역에 상관없이 한국인이 발표한 문학적 성과는 한국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김홍규는 한국문학이란 한민족의 경험, 사고, 상상이 역사상의 각 단계마다의 생활 방식과 문화적 조건에 상응하는 표현 언어를 통하여 형상적으로 창조된 문학의 전 체로 규정한 바 있다. 따라서 반드시 한반도가 아닌 지역에서 생산되었더라도 그것 이 전문가들에 의해 한국문학으로 평가된다면 당연히 한국문학의 범주에 포함해야 - 10 -

할 것이다. 강경애의 예만 보더라도 한국근대문학의 지역적 범위는 한반도만으로 국한 할 수 없는 특수성이 존재한다. 강경애는 식민지 하층민의 목소리를 공식 기 록으로 끌어올린 대변자였으며, 항일 무장 투쟁에 참가한 사람들의 고통과 정당성 을 기록으로 증언하고, 그것을 조선에 전할 수 있었던 작가로 시대정신의 최대치를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총체적으로 반영하여, 근대소설사에서 최고의 리얼리즘 소설의 하나로 꼽히는 장편소설 인간 문제 를 발표했다. 이 모든 것은 강경애가 간도에서 거주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적 제한은 두지 않고 문학계에서 한국근대문학으로 평가된 작품은 모두 구축 대상의 범위로 볼 것이다. 1.3 한국근대문학의 주요 저자 한국근대문학의 저자에 대한 고찰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당시 활동했던 저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발견하기 쉽지 않다. 다만 여 러 문학사에 수용된 저자를 살펴봄으로써 대략적으로 추산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 서 이 연구는 한국근대문학의 저자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학계의 주요 문학사를 분석하였다. 즉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구축 대상자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데 참 조하기 위해 임화의 신문학사, 백철의 신문학사조사, 김윤식, 김현의 한국문 학사, 조연현의 한국현대문학사, 김재용외의 한국근대민족문학사,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5 등 여섯 개의 문학사를 검토하였다. 먼저 1939년 임화의 신문학사 는 조선일보에 연재된 기고문으로 1894년 이후 부터 1939년까지 활동한 김교익, 김동인, 나도향, 안국선, 염상섭, 유길준, 이광수, 이인직, 이중원, 이해조, 최남선 등 신문학 문인 195명을 수록하고 있다. 다음으로 현재까지 가장 방대한 규모로 정리된 1968년 백철의 신문학사조사 에는 396명 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문학사에 자주 등장하는 신채호, 박은식 등은 배제 되고 있다. 또한 1973년 김윤식, 김현이 쓴 한국문학사 에는 240명이 수록되어 있는데, 강경애, 나도향, 이효석 등이 누락되어 있으며, 290명이 수록된 1985년 조 연현의 한국현대문학사 에는 강경애, 박두진, 박은식, 신채호, 윤동주 등이 누락 되어 있다. 그 후 1993년 김재용 등에 의해 간행된 한국근대민족문학사 에는 - 11 -

181명이 언급되고 있는데, 김광섭, 김춘수, 이효석 등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2005년 발간된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5 에는 363명이 수록되었음에도 불구하 고 김춘수, 박두진, 박목월 등은 누락되어 있다. <표 2-1> 한국근대문학사의 저자 수록 현황 구분 저자 출판년 문학사명 수용인원 A 임화 1939 신문학사 195명 B 백철 1968 신문학사조사 396명 C 김윤식, 김현 1973 한국문학사 240명 D 조연현 1985 한국현대문학사 290명 E 김재용외 1993 한국근대민족문학사 181명 F 조동일 2005 한국문학통사5 363명 이상을 통해 문학사별로 비중 있게 다룬 저자도 약간씩 다르며, 다루고 있는 저 자의 숫자에서도 크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장 많은 저자를 거론하고 있는 백철의 신문학사조사 는 396명을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문학사에 서 여러 차례 언급된 박은식, 신채호, 주시경, 주요섭 등이 누락된 것으로 보아 한 국근대문학 저자는 최소 400명을 상회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료를 통해 볼 때 한국근대문학의 저자 선정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 라고 할 수 있다. 명확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논거를 문학사를 통해서도 발견하 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여러 문학사에서 다루어진 저자는 한국근대 문학과 관련하여 나름의 타당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 하에 앞서 살펴본 여 섯 개의 문학사에서 세 번 이상 수록된 저자를 도출하였다( <표 2-2> 참조). 그리 고 이와 같은 저자 수용 빈도와 국립중앙도서관의 소장 자료를 참조하여 최종적으 로 이 연구의 주제가이드 구축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근대 문학주제가이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공될 서비스로, 구축시 국립중앙도서관 소 장 자료에 대한 안내 및 원문 링크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 12 -

<표 2-2 > 한국근대문학사의 저자 수용 빈도 번호 이름 A B C D E F 번호 이름 A B C D E F 1 강경애 46 박목월 2 구 상 47 박세영 3 권 한 48 박승희 4 김광균 49 박아지 5 김광섭 50 박영준 6 김교익 51 박영희 7 김기림 52 박용철 8 김기진 53 박은식 9 김남천 54 박종화 10 김동리 55 박태원 11 김동명 56 박팔양 12 김동인 57 박화성 13 김동환 58 박인근 14 김말봉 59 백기만 15 김명순 60 백 석 16 김문집 61 백 철 17 김병호 62 번영로 18 김복진 63 서정주 19 김상용 64 손진태 20 김소월 65 송순일 21 김 억 66 소 영 22 김여제 67 신고송 23 김영랑 68 신남철 24 김영수 69 신석정 25 김영팔 70 신채호 26 김오성 71 심 훈 27 김원주 72 안국선 28 김유영 73 안 막 29 김유정 74 안수길 30 김정한 75 안함광 31 김진섭 76 안회남 32 김진수 77 양운한 33 김창술 78 양주동 34 김춘수 79 엄흥섭 35 김태준 80 염상섭 36 김형원 81 오상순 37 김 환 82 오장환 38 김환태 83 오천석 39 나도향 84 유길준 40 나혜석 85 유완희 41 남궁벽 86 유진오 42 노자영 87 유치진 43 모윤숙 88 유치환 44 박남수 89 윤곤간 45 박두진 90 윤규섭 - 13 -

번호 이름 A B C D E F 번호 이름 A B C D E F 91 윤기정 136 조벽암 92 윤동주 137 조연현 93 윤백남 138 조영출 94 이갑기 139 조용만 95 이광수 140 조 운 96 이기영 141 조윤제 97 이근영 142 조중곤 98 이동규 143 조지훈 99 이무영 144 주시경 100 이병기 145 주영섭 101 이북만 146 주요섭 102 이 상 147 주요한 103 이상춘 148 지봉문 104 이상협 149 지하련 105 이상화 150 채만식 106 이서향 151 최남선 107 이용악 152 최독견 108 이원조 153 최명익 109 이육사 154 최서해 110 이은상 155 최승만 111 이익상 156 최승일 112 이인직 157 최재서 113 이장희 158 최찬식 114 이적효 159 최태응 115 이종명 160 최현배 116 이중원 161 한설야 117 이태준 162 한용운 118 이하윤 163 한 효 119 이해조 164 함세덕 120 이헌구 165 함형수 121 이효석 166 현경준 122 이희승 167 현 덕 123 임노월 168 현진건 124 임영빈 169 홍명희 125 임옥인 170 홍사용 126 임정재 171 홍효민 127 임학수 172 황석우 128 임 화 173 황순원 129 장만영 130 장지연 131 전영택 132 정인보 133 정인섭 134 정지용 135 조명희 - 14 -

1.4 한국근대문학의 시기 고찰 문학에서 시대구분은 단지 편의를 위한 장치가 아니라 문학에 대한 하나의 관점 이며, 동시에 한 시기 문학 이념의 본질을 추출해내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문 학은 시대상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문학과 역사의 관계를 결코 무시할 수 없다. 그 러나 문학의 시대구분과 범주에 관한 문제는 공시적 성격과 통시적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에 연결 관계를 도출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따라서 이념적 기준, 사회 정치적 변화, 문학 본연의 변화 등에 따라 구분하기도 하는데, 이에 대한 대표적인 주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10년 단위의 분절법 갑오개혁을 기점으로 10년 단위로 문학사를 구분하는 작업은 주로 백철과 조연 현에 의해 시도되었다. 먼저 백철은 주로 사조 변화나 정치적 상황에 따라 5년 혹 은 10년 단위로 구분하였는데, 전자로는 서양의 개화사조 유입, 소년 창간과 민 족의식 계몽, 창조 창간과 근대문예사조, 신경향파 문학에 따른 구분이며, 후자는 갑오개혁,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해방 등에 의한 구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백철은 7단계의 시기로 문학사를 구분했는데 첫 번째 시기는 신문학 태동기(갑오개혁~1908년)로, 이시기의 신문학은 외국 작품의 번안 및 번역 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후 창작된 창가와 신소설은 내용과 형식의 모순으로 인해 중간기, 과도기적 형식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 시기는 제1기 신문학 운동기(1908 년~1919년)로, 1908년 소년 창간부터 1919년 3 1운동을 전후한 약 10년간이 며, 근대문학다운 신문학의 초창기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 시기는 제2기 근 대문예사조 등장(문예지와 순문학운동: 1919년~1920년대)기이며, 근대 문예사조를 받아들여 출발한 창조 시대에 들어 본격적인 근대문학이 등장했다는 것이다. 네 번째 시기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시대(조선신문학의 재출발기: 1925년~1935년)로, 1924~5년경의 신경향파 등장부터 1935년 카프의 해체 및 퇴각까지이며, 다섯 번 째 시기는 신문학 분해기(1936년~1940년)로, 1936년 중일전쟁으로 인한 한국근 대문학의 시련기로 보았다. 여섯 번째 시기는 신문학의 암흑기(1940년~1945년)로, 태평양전쟁 전후 문학계에 일제군국주의 시책이 강요된 결과 절망의 문학으로, 순 - 15 -

수한 문학주의 경향으로, 혹은 현실을 역이용하려는 등의 경향이 나타났던 암흑기 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일곱 번째 시기는 해방 뒤 문학운동(1945년 이후) 시기로, 해방을 맞아 문학자들도 새로운 문학 역사의 창조 사업에 착수하였으며, 로맨티시 즘이 대두된 시기라는 것이다. 이상 백철의 견해를 정리하면 <표 2-3>과 같다. <표 2-3> 백철의 한국근대문학사 시기 구분 1 2 3 4 5 6 7 갑오개혁~1908년 (신문학 태동기) 1908년~1919년 (제1기 신문학운동기) 1919년~1920년대 (제2기근대문예사조등장: 문예지와 순문학운동) 1925년~1935년 (프롤레타리아 문학시대: 조선신문학의 재출발기) 1936년~1940년 (신문학의 분해기) 1940년~1945년 (신문학의 암흑기) 1945년 이후 (해방 뒤 문학운동) 근대신문학은 외국작품을 번안, 번역 소개한 것으로 봄 그 후 창작된 창가와 신소설은 내용과 형식이 여러 가지로 모 순을 가지고 있어 중간기 과도기적 형식이라고 봄 1908년 소년 창간0~1919년 3.1운동 전후 약 10년간 이시기 신문학운동은 민족주의 고취와 계몽문학으로 신소설에 이어 좀 더 근대문학다운 신문학의 초창기로 봄 춘원 이광수 소설은 근대적인 신소설 범주의 문학이며, 육당 최남선은 신체시로 민족의식을 고취한 것으로 봄 1919년 창조 지 창간부터 1920년대까지로, 제1기 육당과 춘원 문학은 정치의식 계몽의 목적의식이 앞선 문학이었으나, 창조파의 문학은 민족사상을 계몽하고 설교하기 위해서가 아 니라 근대 문예사조에 의해 출발한 것으로, 창조 시대에 근 대적 문학이 본격화 되었다고 봄 1924, 5년경의 신경향파 문학의 등장부터 1935년 카프의 해 체 및 퇴각까지로 구분함 1936년 중일전쟁 시작으로 이 땅에 문화와 문학이 정상적인 발전을 꾀할 수 없게 된 시기로 봄 민족사상, 반일사상이 허용되지 않았고 문학도 침략 전쟁에 동참할 것을 강요하여 한국현대문학의 시련기로 봄 태평양전쟁 전후로 일본의 군국주의가 발악한 시대로 봄 문학계에 일제군국주의 시책이 강요되고, <조선문인협회>는 문학인의 허세로 혼란스러운 현상대두, 절망의 문학으로, 순수 한 문학주의 경향으로, 현실을 역이용하려는 경향이 나타나는 등 우리문학사의 암흑기라고 봄 해방을 맞아 문학자도 새문학사 창조사업에 착수하였으며, 현 상적으로 반일적인 작품이 유행했으나 본격적인 문학은 민족 주의적이고 로맨티시즘이 대두한 시기로 봄 미 소가 대립한 국제정세 악화와 함께 국내정세도 대립과 혼란 의 시대가 되고, 혼란과 대립이 문화 문학계에 반영되어 좌 익 측과 민족진영 측으로 나뉘었다고 봄 1945년 초에 시작된 대립은 1947년까지 2년 동안 이루어지 고 1948년에 최고조에 달했다고 봄 - 16 -

다음으로 조연현은 문학사를 정치 사회적 변천과 문학의 변천이 함께 이루어져 10년의 기간을 전후해서 변모되어 가는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갑오개혁, 일본강제 통합, 3 1 운동, 만주사변, 8 15 운동 등의 정치 사회 변화와 함께 문학도 창가 와 신소설, 신체시와 초기 이광수 소설, 문예사조 혼류시대, 순수문학 주류시대, 현 대문학 발전시대로 대응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논리로 1정치적 사회적 변천 과 정에 기초를 두는 방법, 2문학자체의 변천과정에 기초를 두는 방법, 3중요작품 및 중요작가에 기초를 두는 방법, 4문예사조에 기초를 두는 방법, 5각분과별(시 소설 희곡 평론 등) 분류 방법, 6종합적 방법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1과 2의 방법에 의해 구 분해 볼 때 우리 신문학은 대개 10년 기간을 전후해서 변모되어 가는 과정이 발견 된다고 보고, 다음의 다섯 단계로 시기를 구분하였다. 즉 제1기 1900년대 신문학 태동기 : 갑오개혁~일본강제병합(창가와 신소설시대), 제2기 1910년대 신문학 발 아기 : 일본강제병합~3 1운동(신체시와 초기 이광수 소설시대), 제3기 1920년대 신문학 발전기 : 3 1운동~만주사변(문예사조 혼류시대 근대문학 전개기), 제4기 1930년대 신문학 성숙기 : 만주사변~8 15 해방(순수문학 주류시대 현대적 성 격의 문학 대두), 제5기 1940년대 신문학 재출발기 : 8 15 해방 이후(현대문학 발전기) 등으로 구분한 것이다. 이와 같이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신문학 태동기, 발아기, 발전기, 성숙기, 재출발기 등의 시기로 구분하였다. 이상 조연현의 한국근 대문학사 시기 구분을 정리하며 <표 2-4>와 같다. <표 2-4> 조연현의 한국근대문학사 시기 구분 1 제1기 1900년대 신문학 태동기 갑오개혁~일본강제통합 (창가와 신소설시대) 2 제2기 1910년대 신문학 발아기 일본강제통합~3.1운동 (신체시와 초기 이광수 소설시대) 3 제3기 1920년대 신문학 발전기 3.1운동~만 일사변 (문예사조 혼류시대 근대문학 전개기) 4 제4기 1930년대 신문학 성숙기 만 일사변~8.15해방(순수문학 주류시대 현대적 성격의 문학대두) 5 제5기 1940년대 신문학 재출발기 8.15 해방 이후(현대문학 발전기) - 17 -

2) 정치 및 사회사적인 분절법 1970년대 이후 김윤식, 김현은 10년, 5년 단위의 연대별 구분을 지양하고, 외부 조건인 정치 상황과 사회 이념에 따른 근대의식 성장에 기준을 두어 17C 영 정조 시대나 19C말 개항을 기점으로 하는 정치 사회사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서 구화 과정으로서의 근대적 문학이라는 문학사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며, 문학적 가 치와 사회사적 변동 관계를 연결하려는 노력이라 볼 수 있다. 고전과 현대로 나누 는 이원론적 구분론과 문학계에 굳어졌던 외재적 발전론을 극복하고 우리 문학이 고전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 자생적 발전을 이루었다는 것을 규명하기 위해 영 정조 시대부터 1960년 4 19까지 문학사를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김윤식, 김현의 한 국근대문학사 구분에 대한 견해를 정리하면 <표 2-5>와 같다. <표 2-5> 김윤식, 김현의 한국근대문학사 시기 구분 1 2 3 4 근대의식의 성장: 1780년~1880년에 이르는 영 정조 시대 계몽주의와 민족주의의 시대: 1880년~1919년에 이르는 개항 에서 3.1운동에 이르는 시대 개인과 민족의 발견 1919년~1945년에 이르는 3.1 운동 이후부터 해방까지의 시대 민족의 재편성과 국가의 발견: 1945년~1960년에 이르는 해방 이후부터 4.19까지의 시대 근대적 언어 의식으로 새로운 장르가 개척되었다고 보고 이 시기는 당시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표현했다 는 측면에서 구분했음 일본과 서구라는 변수가 강력한 영향을 미쳐, 개화파 의 계몽주의와 척사파의 민족주의가 노출된 시대로 보고, 3.1운동을 계몽주의 최후 불꽃으로 여겨 김옥 균 황현의 일기, 단상 안국선의 정치소설, 이광수의 계 몽소설을 중심으로 봄 민족주의가 점차로 체계적으로 이론화된 시기로 봄 한국어에 대한 자각이 강해져 억압받는 민족의 일원 으로 그것을 표현할 장르를 형성한 시기로 봄 민족주의 세력에 의한 독립과 분단, 위기의식과 패배 의식으로 가득 찬 시기지만 4.19를 통해 이상주의를 확인할 수 있게 된 시대로 봄 이상을 통해 살펴보았듯이 문학사에 대한 구분은 학자에 따라 다양한 시각에서 구분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의 이용 편의성에 초점을 맞춰 10년 단위의 구분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 18 -

1.5 한국근대문학사 주요사건 연표 한국 근대문학에 대해 앞서 살펴본 정의, 범위, 주요 저자, 시대 구분 등의 검토 를 토대로 당시의 구체적인 문학관련 현상을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 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시대 구분을 기준으로 하여 1894년 갑오개혁부터 1945년 해방기까지 52년간의 문학 현상을 총체적으로 점 검하고자 한다. 즉 연도별로 주요 작품, 주요 저자, 관련된 정치, 문화 현상을 정 리하여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종합자료를 제시함과 아울러 사실적 데이터를 확보 하고자 한다. <표 2-6>은 상징적으로 근대문학사조의 주요 변화 과정을 간략히 요약한 것이다(관련자료 [부록 Ⅱ] 참조). <표 2-6 > 한국근대문학사 주요 사건 연표 연도 문학관련사항 1894 오상순, 조명희 출생 1895 유길준의 서유견문 간행(4.1) 일본 낭인 등에 의해 명성황후 시해됨(을미사변)(8.20), 단발령 시행(11.15) 이기영 출생 이중원, 동심가, 독립신문 에 발표, 서재필, 독립협회기관지 독립신문 창간(주3 1896 회,1898.7.1부터 일간, 1899.12.4 폐간)(4.7), 동경 유학생들, 최초잡지 친목회회보 창간(발행인 최상돈)(2.15) 친러파, 아관파천(2.11), 서재필, 독립협회(7.2), 주시경, 국문동식회 (1906년 해체) 1897 변영로, 염상섭 출생 황제즉위식, 대한제국으로 국호변경(10.12), 경인선 철도 기공 배재학당 협성회, 최초일간지 매일신문 창간 허가(1.26), 독립협회 이승만, 양홍묵 등 경성신 문 창간(주2회)(3.14), 경성신문, 대한황성신문 으로 개제(4.6), 광무협회, 대한신보 창 1898 간(일요일만 발행)(4.10), 이종일, 유영석 등 제국신문 창간(~1910.8.8), 장지연, 남궁억 등 대한황성신문 인수, 황성신문 으로 개제 발행(~1910.9.5) 독립협회, 종로에서 만민공동회 개최(2.9) 황국협회 홍중섭, 시사총보 창간(격일간 발행 (1.20), 한성월보 창간, 한성일보 창간, 1899 조선월보 제1호 발행, 독립신문 4년만에 폐간 서대문 청량리간 전체궤도 완공(5.4), 인천 노량진 간 철도 개통(최초의 철도)(9.18) 1900 현진건 출생 한강철교(7.5), 경인철교 완전개통(11.12), 최초로 경인간 시외 전화 개통(7월) 1901 박영희, 심훈, 최서해, 한설야 출생 신식 화폐 조례 공포(금본위제 채택)(2.12) 제주민란 발생 나도향, 채만식 출생, 협률사, 소춘대유희 공연(12.?), 국가 제정(에케르트 작곡)(8월), 출판 1902 법공포(허가주의 채택), 황성신문 에 국문선확장 발표, 황성신문 휴간 김가진, 지석영 등 국문학교 설립 김기진, 최명익 출생 1903 러시아, 용암포 간에 전선을 가설하고, 용암포의 조차를 요구(7.8), 안창호, 이대위 등 샌프란시 스코에서 친목회를 조직(9.23), 황성기독교 청년회(YMCA) 창립(10.8) 1904 이태준 출생 - 19 -

1905 1906 1907 1908 1909 1910 최남선 경부철도가, The Korea Daily News 와 대한매일신보 창간(7.16~1910, 사장, 영국인 베델, 총무, 양기탁), 신조신문, 매일신보 창간 한일의정서 조인(2.23), 용암포 개항(3.21), 이용구, 진보회 조직(8.16), 이용구, 송병준 등 유 진회와 진보회 통합, 일진회 조직(9월), 경부철도 완공(11.10), 러일전쟁 발발 소경과 앉은뱅이 문답, 거부오해 등의 소설 등장 한일협상조약(제2차 한일협약, 을사조약, 5조약) 조인(통감정치 실시, 외교권 박탈)(11.7) 장지 연, 황성신문 에 시일야방성대곡 발표(11.20), 손병희, 동학, 천도교로개칭(12.1), 호놀룰루에 서 한인시사 창간(월2회), 샌프란시스코에서 공립신보 창간(월2회) 유진오 출생 소설: 이인직의 신소설 혈의 누, 만세보 에 연재 시작(7.22~10.10), 귀의 성, 만세보 에 연재 시작(10.10~1907.5.31) 등의 소설 발표 신채호, 순한글 일간지 가정잡지 창간(휴간, 1908.1.5 복간)(6.26), 양재건, 조중응, 이인직, 이 해조 등 최초 소년잡지 소년한반도 창간(통권 6호로 종간)(11.1), 일진회 기관지 국민신보 창 간(1.6), 대한자강회, 기관지 대한자강회보 창간, 천도교에서 만세보 창간(6.16~1907.6.30), 천주교, 경향신문 )창간(10.19~1910) 윤효정, 장지연 등 대한자강회 조직(3.31) 강경애, 이효석 출생 소설: 이해조 자유종, 김병헌 서사건국지 (박문서관), 장지연 애국부인전 (광학서포), 박은식 서사건국지( 瑞 士 建 國 誌 ) (대한매일신보사), 이인직 혈( 血 )의 누( 淚 ) (김상만서포), 이 인직 귀( 鬼 )의 성( 聲 ) (광학서포) 등 소설 발표됨 1월 29일 대구에서 국채보상운동 발기, 대한매일신보, 국한문판 외에 순한글판 신문 발간 (5.23), 대한신문 창간(경영난에 빠진 만세보 를 인수, 이완용 내각의 기관지로 출발)(7.8), 신문지법(광무신문지법) 제정(7.14), 한일 십협약 조인(차관정치 시작)(7.24), 광문 신문법 제정 (7.24), 군대해산조치(8월 1일 해산식 거행)(7.24), 안창호, 이갑, 양기탁 등, 항일 비밀결사 신민 회 조직(9월), 공립협회 기관지 신한민보 창간 김유정, 임화, 김기림, 백철, 최재서 출생 소설: 안국선 금수회의록, 이인직 은세계, 치악산( 雉 岳 山 )(상편) (유일서관), 구연학 설중매( 雪 中 梅 ) (회동서관), 신채호 을지문덕( 乙 支 文 德 ) (광학서포), 안국선 금수회의록( 禽 獸 會 議 錄 (황성서적조합), 육정수 송뢰금( 松 籟 琴 ) (박문서관), 이채우 애국정신( 愛 國 精 神 ) (중앙서관), 이풍호 계명셩 (광학서관), 이해조 구마검( 駒 馬 劍 ) (대한서림), 빈상설( 鬢 上 雪 ) (광학서포), 철세계( 鐵 世 界 ) (회동서관), 홍도화( 紅 桃 花 )(상) (유일서관) 등의 소설 발표됨 시: 최남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를 소년 창간호에 발표(11.1) 평론: 신채호 近 今 국문소설 저자의 주의 ( 대한매일신보, 7.11), 최남선, 최초의 월간종합 지 소년 ) 창간(1911년 폐간)(11.1), 이인직, 박정동 등 연극장 원각사 개설(7.26), 최초의 신 극 이인직의 은세계 공연(11.11) 동양척식회사 설립(12.28) 박태원 출생 소설: 신채호 최도통전, 이광수 愛 か, 이해조 원앙도( 鴛 鴦 圖 ) (중앙서관), 최병헌 성산명 경( 聖 山 明 鏡 ) (황화서재), 현순 포와유람기( 布 蝸 遊 覽 記 ) (현공렴) 등의 소설 발표 평론: 신채호 소설가의 추세 ( 대한매일신보, 12.2), 천희당 시화 )( 대한매일신보, 11.9~12.4) 등의 평론 발표됨 신문관, 십전총서의 첫 권으로 걸리버 유람기 간행(2.12), 출판법 공포(출판물의 원고 검열 및 배일적 압수, 연말까지 5,767권)(2.23), 유길준, 대한문전 간행(3.18) 오세창, 대한민보 창간(6.2), 안중근, 하얼빈 역두에서 이토히로부미 암살(10.26) 안회남, 이상 출생 소설: 이광수 어린 희생, 무정, 이해조 자유종 간행(7.30), 김필수 경세종( 警 世 鐘 ) (광 학서포), 박영진 요지경( 瑤 池 鏡 ) (수문서관), 이해조 자유종( 自 由 鐘 ) (광학서포), 만월대( 滿 月 臺 ) (동양서원) 홍도화( 紅 桃 花 )(하) (유일서관) 등의 소설 발표됨 평론: 이광수 문학의 가치 (대한흥학보) 평론 발표 경무총감부, 잡지 소년 을 정간시킴(12.7 정간해제)(8.26), 최남선 등 조선광문회를 설립 계획, - 20 -

1942 1943 1944 1945 고전정리ㆍ간행운동(12월 발족)(10.29), 주시경, 박문서관에서 국어문법 간행(4.14), 출판규 칙 발표(한인에 대하여 계출주의 채택)(5.?) 한일 합방 조약을 공포, 조선총독부 설치(8.29),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관제 공포(토지조사 사업 시작)(9.30), 회사령 공포 시행(12.29), 대한매일신보, 조선총독부에 강제 매수되어 매 일신보 11)로 발행 소설: 한설야 혈, 김남천 등불, 박태원 수호전, 강의영 연애보 (영창서관), 김 말봉 밀림 (영창서관), 김소엽 갈매기 (남창서관), 박종화 다정불심 (박문서관), 전야 (영창서관), 박태원 아름다운 봄 (영창서관), 여인성장( 女 人 盛 裝 ) (매일신보사), 방인근 젊은 안해 (남창서관), 새출발 (남창서관), 안회남 탁류를 헤치고 (영창서관), 윤백남 영원의 나그네 (영창서관), 이기영 생활의 윤리 (대동출판사), 봄 (박문서관), 한설야 탑 (매일신 보출판부) 등의 소설 발표됨 시: 김조규 편 재만( 在 滿 ) 조선시인집 (간도문예사) 시 발표됨 평론: 백철 옛것에서 새로움으로-전시하의 문예시평, 안함광 국민문학의 성격, 서정주 시와 이야기-주로 국민시가에 대하여 등의 평론 발표됨 희곡: 오영진 장막극 맹진사댁 경사, 함세덕 에밀레종, 유치진 북진대, 유치진 대추나 무 등의 희곡 발표됨 이효석 사망 친일문학89)지 국민문학, 일본어로만 발행 시작(?), 친일 문인들, 대동아문 학자대회 개최(11.40), 잡지 삼천리, 대동아 로 개제 친일지로 전향(5.?) 조선어학회 사건 발생(1943년 3월까지 33명 검거, 29명 구속)(10.1) 소설: 채만식 어머니, 이기영 광산촌, 김사량 바다의 노래, 김극배 희망 (한성도 서), 김동인 아기네 (한성도서), 김상덕 암야의 등불 (성문서관), 민병휘 인삼 (평문사), 박계주 애로역정( 愛 路 歷 程 ) (매일신보사), 박화성 백화( 白 花 ) (창문사), 안수길 북원 (간 도예문당), 이근영 고향 사람들 (영창서관), 이기영 동천홍( 東 天 紅 ) (조선출판사), 이태준 돌다리 (박문출판사), 왕자 호동 (남창서관), 이효석 황제 (박문서관), 채만식 배비장 (박문서관), 함대훈 북풍의 열정 (조선출판사), 현경준 마음의 금선 (흥문서관) 등의 소설 발 표됨 시: 김종한 설백집( 雪 白 集 ) (박문서관), 김종한 수유근지가( 垂 乳 根 之 歌 ) (인문사), 이강수 남창집( 南 窓 集 ) (자가본) 등의 시 발표됨 평론: 유진오 동양과 서양-동아문예부흥에 관한 단상, 신남철 동양정신의 특색, 안함광 국민문학의 문제 등의 평론 발표됨 현진건, 강경애 사망, 조선문인보국회결성(4.17), 윤동주, 사상범으로 체포(7.?) 징병제 공포(8월 시행)(3.1) 진단학회 해산(9.?), 일육군성, 한국학생의 징병유예를 폐지함(학병제 실시)(10.20) 소설: 계용묵 병풍에 그린 닭이 (조선출판사), 김동인 대수양( 大 首 陽 ) (남창서관), 김상덕 어머니의 승리 (경성동심원), 문세영 사선을 넘어서 (남창서관), 박종화 여명 (매일신보 사), 안회남 대지는 부른다 (조선출판사), 이기영 처녀지 (삼중당), 광산촌 (성문당), 이 무영 흙의 노예 (조선출판사), 정비석 청춘의 윤리 (매일신보), 정인택 청량리계 외 (조선 도서출판주식회사) 등의 소설 발표됨 시: 권환 윤리( 倫 理 ) (성문당서점), 차원홍 전원( 田 園 ) (한성도서) 등의 시 발표됨 평론: 김동인 결전하 문단인의 결의-총동원태세로, 이광수( 香 山 光 郞 ) 戰 爭 と 文 學 등의 평론 발표됨 이육사, 북경에서 옥사(1.?), 한용운 사망(6.29) 총동원법에 의하여 전면징용 실시(광산과 군수공장에 동원)(2.8) 노천명 창변( 窓 邊 ) (매일신보출판사) 시 발표 윤동주 일본에서 옥사(2.16) 히로히토, 항복 방송(8.15) - 21 -

2. 주제가이드의 이론적 고찰 2.1 주제가이드의 개념 주제가이드의 개념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 문헌정보학 용어사전 에는 주제안내서(topical guide)의 개념이 특정 주제에 대한 문헌 조사 과정에서 이용하는 여러 형태의 도서관 자료를 탐색전략 순서로 배열한 서지 안내서로 규정 되어 있으며, 주제안내판(class guide, subject guide, topic guide)은 특정주제에 관한 안내 장치로서, 주제나 분류기호를 기록한 안내판, 서가에 걸어두기도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또한 일본도서관정보학회의 문헌정보학 용어사전에 따르면 주제문 헌안내(subject bibliography)에 대해 어떤 특정한 주제에 관련된 문헌을 수록한 서지로, 전문서지, 특정주제서지, 혹은 주제목록으로 정의되어 있다. 주제가이드에 대한 개념은 1972년 Canfield가 서지, 색인, 초록, 청구번호 등을 기술한 인쇄물을 패스파인더라는 용어로 지칭하면서 등장하였다. 그 후 1973년 Stevens 등에 의해 주제가이드(subject guide)에 대한 개념이 구체적으로 언급되 었다. 즉 주제가이드란 도서관 정보의 지도와 같은 것으로, 특정 주제에 대해 이제 막 관심을 가지고 자료를 검색하고자 하는 도서관 이용자를 위한 정보의 위치 표 지(Information locator)라고 개념화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주제가이드는 다양한 명 칭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1990년대에 이르러 인터넷 기반의 주제가이드가 등 장하면서 연구가이드(research guides), 연구도구(research tools), 전자도서관 가 이드(electronic library guides or e-guides), 웨블리오그라피(webliographies), 주제포털(subject portals)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주제가이드에 대한 개념의 차이, 용어의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공통점은 특정주제 에 대해 잘 모르는 초보자를 위해 기본적인 자료를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안내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주제가이드의 장점은 수집된 정보원들이 주제전 문가에 의해 평가, 분류 및 기술되어지기 때문에 검색엔진에 비해 고품질의 정보자 원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정보자원 중에서 특정한 주제 분야의 필수적인 정보자원만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을 정보 과 잉으로부터 보호하고 연구 시작을 위한 출발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검색 전략이나 기법 등을 숙지해야 하는 검색 환경에 불편을 느끼는 이용 - 22 -

자에게 추천 제시된 정보에 직접 접근이 가능한 URL을 제공하여 이용의 편리를 도모하는 점 역시 주제가이드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텍스트만 제공되는 단조로움을 벗어나 동영상 및 웹페이지와 같이 다양한 매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며, 주제 분야에서 이용되는 인기자원에 대한 접근과 연관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하는 점은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용자의 참 고질의에 대해서만 응답하는 수동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연구 방법 및 주제 선정과 같은 연구 활동에 대한 교육과 효율적인 연구 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능동적인 정 보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주제가이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주제 가이드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현행 주제가이드의 문제 점을 분석하여 개선할 필요가 제기된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주제가이드는 특정주제에 대해 정보지도에 따라 포괄적 자료에서부터 구체적 전문정보까지를 선택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패스파인더에서 진화한 것으로도 볼 수 있는데, 주제가이드 개발 및 구축시 발생할 수 단점을 사전에 차단 할 수 있으며, 장점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패스파인더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패스파인더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다만 ALA Glossary에서는 Topical Guides라는 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pathfinder는 see also로 참조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주제가이드와 의미가 유사하게 사용되고 있 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국내에서도 패스파인더의 대응어로 도서관 주제안내서, 특정 주제안내서, 정보의 선택적 서지안내서, 정보소재 지시기호, 정보 길잡이 등으 로 혼용되고 있다. 기능적인 면을 강조한 용어로는 주제가이드, 연구가이드, 연구리 서치, 토픽가이드, 토픽 리서치가이드, 토픽 패스파인더, 주제 패스파인더 등 다양 하게 사용하고 있다. 패스파인더는 1960년대 이용교육을 위한 도구로서 이용자 질 문에 대한 답변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도서관 및 도서관 자료의 이용법을 교 육하고 해답을 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1970년대에는 교과목과 연계된 연구보조 수단으로 활용되었는데, 특정주제에 대한 기본 자료를 안내하며, 도서관 및 도서관 목록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 자료로 기능하였다. 나아가 교과과정에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에게 패스파인더가 지시하는 정보지도에 따라 기본 자료에서 부터 핵심자료에 이르기까지 필요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도구로 사 용되었다. 그 후 1980대에는 어떤 형태의 정보든 필요로 하는 사항을 최상의 정보 - 23 -

원으로 빠르게 안내할 수 있도록 보다 고도화된 기능으로 고안되었다. 1990년대 들어서는 기존의 패스파인더에 하이퍼링크를 적용하여 핸드북, 백과사전, 사전 등 과 같은 인쇄본 참고 자료 외에 웹사이트, 데이터베이스, 전자저널 등과 같은 온라 인 형태의 자료도 간략한 해설과 함께 제공하게 되었다. 이처럼 패스파인더는 문헌조사의 초기 단계에서 기본적인 상식만을 갖고서도 특 정 주제에 관하여 자료를 찾아낼 수 있도록 고안되어, 이용자의 노력과 시간을 절 약하는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 그러나 패스파인더는 완전하거나 철저한 참고 서지 가 아니라 도서관 이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소개해 주는 교 육용 도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주제 전문 사서나 경험이 풍부한 사서에게 활용되기보다는 특정 사항이나 주제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는 초보자를 위하여 그 주제와 관련되는 정보원을 체계적으로 소개하도록 작성된 것으로, 특히 소장 장서 를 중심으로 해당 주제에 대해 이용자를 안내하는 정보길잡이 역할을 한다. 패스파인더의 장점으로는 정보의 정확성, 주제의 특정성, 수록 범위의 완전성, 정 보탐색의 편리성 등을 들 수 있으며, 온라인 패스파인더는 인쇄본과 비교할 때 자 관의 목록뿐만 아니라 주제 관련 웹사이트, 웹사이트내의 다른 링크 등 다양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자료를 발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패스파인더는 특정 주제에 관련된 정보를 추적할 수 있도록 작성된 단계별 정보지시자로서의 역할이며, 주제서지나 접근 도구는 아 니라고 할 수 있다. 즉 특정 주제에 관한 기본적이고 개괄적인 이해에 필요한 자료 에서부터 특수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에 이르도록 안내됨으로서 이용자들은 필요한 정도에 따라 한 가지 혹은 각종 유형의 여러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안 내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인쇄물 형태의 패스파인더 형식에 포함된 사항은 주제, 청구기호, 위치정보, 범 위, 소개, 주제명 표목, 기초문헌, 백과사전, 편람, 서지, 색인지, 초록지, 학술지, 비평지, 최신 기술 리뷰지, 회의록, 보고서 등의 항목이다. 이상과 같은 사항 중 특 히 자료와 관련된 안내는 해당 주제를 포괄적으로 소개하는 일반 자료에서부터 점 차 전문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전문자료로 점진적 안내의 체계를 갖게 된다. 전 통적으로 각 주제에 포함되는 패스파인더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 24 -

<표 2-7> 패스파인더 구성요소 기본요소 주제명 및 범위 안내 주제 개관 및 관점 안내 주제명 표목의 안내 기초적 문헌 청구기호(위치정보) 편람, 백과사전, 용어사전 주제서지 색인 및 초록지 기능 주제 범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패스파인더 상단에 주제 명을 부여한 주제에 대한 간략한 범위를 설명하여 이용자 와 정보제공자간의 공통적인 인식 형성 패스파인더가 다루고 있는 주제 정의로, 이용자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1-2개의 구문으로 주제범위를 표현 주제에 대한 명확한 관점이나 용어에 대해 친숙해 질 수 있도록 기초 정보원을 안내함 기초정보원은 백과사전, 단행본의 일정부분, 학술지논문 등으로 이때 위치 정보도 기술함(학술지: 권,호,페이지) 관련문헌을 도서관에서 검색하도록 주제명 표목을 제공 자주 혹은 지속적으로 인용되는 고전 및 신간 자료 안내 관련주제의 이해와 주제에 포함되는 이론적 이해를 위해 저자명, 서명, 발행연도, 쪽수 등 간략한 서지정보 기술 주제와 관련된 자료의 청구기호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 가 직접 서가에서 찾도록 안내 기본적인 서지사항 외에 이용자의 빠른 탐색을 돕기 위 해 주제를 다루고 있는 쪽수를 기재, 중요한 수치나 도표 가 있을 경우는 수치나 도표까지 함께 기술 주제를 다룬 서지를 소개하는 부분으로 관련주제의 잡지 나 단행본의 서지를 제공하여 포괄적인 정보제공 단행본에 포함된 주요서지는 서명, 참고문헌의 수록범위, 쪽수 등의 위치를 기록하여 이용자접근이 쉽도록 안내 주제와 관련된 학술지 논문이나 단행본을 수록하고 있는 색인지나 초록지를 소개하는 부분으로 표제, 수록내용에 대한 간략한 소개 및 기입어 등을 기술 2.2 주제가이드에 대한 선행연구 주제가이드의 개념에 대한 대표적 연구인 Techangalova & Feigley(2008)의 연 구에 따르면 주제가이드란 학문분야별로 해당하는 도서관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로, 관심 있는 주제에 관한 정보를 찾는 도서관 이용자에게 정보 찾기 혹은 연구 시작을 위한 시발점으로 작용한 다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주제가이드는 주제가 이드(subject guide), 연구가이드(research guide), 연구툴(research tool), 패스파 인더(pathfinder), 전자도서관 가이드(digital library guide), 전자가이드(digital - 25 -

guide), 웨블리오그라피(webliograthy), 인터넷자원컬렉션(internet resource collection), 자원리스트(resource list), 주제포털(subject portal) 등의 다양한 용 어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용 실태에 대한 연구로는 대표적으로 Reed & Gibbons(2004)의 연구를 들 수 있는데, 이 연구에 따르면 듀크대학교의 77%의 학 생은 전혀 이용하지 않거나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로체스터대 학교의 주제가이드는 43개 중 5개만이 300회 이상 이용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 은 현상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정보이용 기술이 부족하여 주제가이드를 찾거나 혹 은 주제가이드에서 발견된 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로 보았다. 또한 학부생의 경우 학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해당 학문주제를 적절하 게 선택하지 못해 원하는 자료를 찾지 못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용자는 맞춤 화된 정보를 편리하게 찾고자 하며, 도서관에서 이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기대하지 만 도서관이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지 못할 경우 구글과 같이 편리한 검색엔진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용 부진현상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연구로는 Maureen & Kim(2008)을 들 수 있는데,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용이 저조한 이유는 시간을 절약 할 수 있으면서, 검색이 용이하고,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용자의 요구에 주제가이드가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데, 이러한 방안에 대해서는 대표적으로 Reeb & Gibbons(2004)를 재차 거론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이러한 주제가이드 이용 실패 경험을 통해 주제가이드 보다는 한 번의 키워드로 모든 자료를 획득하는 검색엔진 을 이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검색엔진을 추가하는 등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주제가이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미화(2010) 역시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와 같은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이를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현재 상당수의 대학도서관이 도서관 자원, 학 술데이터베이스, 전자저널 등의 자료를 주제별 혹은 학문별로 제공하는 주제가이드 를 제공하고 있지만 주제가이드에 포함된 내용이 학술DB나 전자저널로 한정되고, 학문주제에 따라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다학문적 주제인 경우에는 효과가 낮다는 것이다. 또한 학부생보다는 연구자 중심으로 서비스되기 때문에 주제가이드 구축시 요구되는 시간 투자에 비해 실제 이용률은 높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용률을 - 26 -

높이기 위해서는 하나의 게이트웨이에서 도서관 자원을 통합하여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American Library Association(2005)에 따르면 모든 분야에 대해 주제가이드를 구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다는 것이다. 2.3 현행 주제가이드의 개선방향 주제가이드 및 패스파인더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선행연구를 통해 주제가이드 구축시 반영할 필요가 있는 주제가이드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기술의 능력부족으로 주제가이드를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키 워드 검색시스템에 익숙한 이용자들은 단계별 브라우징을 통해 검색해야만 하는 주제가이드를 시간절약 및 효과적 수단으로 여기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주제 가이드의 검색 단계를 최소한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가능한 검색 마지막 단계 에서는 원문을 제공하거나 원문으로의 안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검색단계를 2~3단계로 축소하여 제공하는 것도 기본적으로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그 러한 단계를 거쳤는데도 불구하고 원문이 존재하지 않거나 원문 소장처로의 안내 가 불문명할 경우 이용자는 주제가이드의 검색단계를 비효율적인 작업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높으며, 주제가이드에 대한 평가도 높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주제가이드 구축시 검색단계의 최소화와 원문확보에 대한 측면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는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용률이 상당히 저조하다는 점이다. 이는 주제 가이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키워드 검색 에 익숙한 이용자들은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용 동기를 갖지 못한다. 즉 주제가이드 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검색 방법으로는 경험할 수 없었던 유용성에 대해 전혀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주제가이드에 대한 유용성을 이용자에게 인지시 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가이드에 대한 유용성을 인지해야만 이용 에 이르게 되며, 실제 이용에서 효과를 경험한 이용자는 재이용으로 이어질 가능성 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제가이드에 대한 도서관의 홍보작업 및 이용자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수록 범위의 포괄성, 자료의 최신성, 배열의 다양성 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수록 범위가 전자자료로 제한되거나 최근 자료의 - 27 -

업데이트가 지연되거나 내용의 체계적 배열이 이루어지 않은 점은 현행 주제가이 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자자료뿐만 아니라 웹사이트, 인쇄물 등 광범위 한 자료들을 소개하고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새로운 정보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학술자료 등의 최신성은 물론 비공식적으로 생산되는 개인자료 로의 링크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주제에 대한 최근의 학회, 세미나, 콜로키움 등의 자료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내용에 대한 다양한 기준별 배열을 통해 특정 기준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이용자의 이용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문학자료의 경우 저자별 배열뿐만 아니라 시기별 배열, 혹 은 사조별 배열을 통해 이용자의 요구에 따른 접근이 가능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주제에 대한 질문이나 탐색에 도움이 필요한 이용자에게 신속한 소통을 보 장할 수 있는 작성자, 책임자로서의 사서의 전문성이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특정 주제에 대해 언제든지 도움을 줄 수 있는 준비된 책임사서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가 많으며,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실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인정 보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이용자가 도움이 필요한 경우 실시간으로 전담사서와 소통할 수 있는 전담사서의 배치와 정보공개가 필요하다. 다섯째, 웹페이지상의 식별력이 떨어져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접근성 이 떨어질 경우 이용자는 불편을 느낄 뿐만 아니라 이용저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서관의 메인 화면에서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즉시 발견될 수 있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표 2-8> 주제가이드 구축시 고려사항 접근성이 최상인가? 포맷의 일관성을 유지하는가? 내용이 최신성을 유지하는가? 정보자원의 다양성이 보장되는가? 외부 정보자원으로의 링크가 가능한가? 최초의 단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가? 배열체계가 이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가? 이용자가 이해할 수 없는 도서관 전문용어는 피했는가? 키워드 검색을 제공하는가?(추가적으로 제공할 필요성 증가) - 28 -

제3장 국내외 사례조사 사례조사는 일차적으로 20여개의 국내외 국가도서관 및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장단점의 전형적 유형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점 과 단점의 특징을 설명하기 용이한 여섯 개 기관에 제한하여 집중 분석 하였다. 1. 국내사례 국내 대학도서관은 주제가이드, Research Guide, 학과별주제가이드, 주제별 리 소스가이드 등 다양한 명칭으로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인 특성은 학 문분야별로 주제가이드가 구축되어 있으며, 전담사서를 배치하지 않은 점, 문학은 국어국문학의 하위 항목으로 운영되는 점 등이다.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특성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공되는 콘텐츠의 양이 풍부하지 못한 점이다. 문학이라는 주제의 특성일 수도 있지만, 일부 대학에서는 문학에 대한 참고문헌이 단 한권 제시된 곳도 있었 다. 둘째는 제공되는 주제가이드의 구조가 복잡한 단계를 필요로 하는 이용상의 불 편함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여러 연구에서 지적된 주제가이드의 단점이기도 하다. 셋째는 화면 구조가 단순한 점이었다. 상당히 많은 콘텐츠를 확보하고 있는 경우도 대부분 텍스트 형태로 나열되어 있으며, 흑백계열의 컬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답답하고 정체된 느낌을 준다는 점이다. 보다 역동적이고 시각적 효과를 높 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넷째는 자료 갱신이 지속적 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점이다. 언제, 어떤 항목을 업그레이드 했는지에 대한 정보 는 내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는 데드링크(dead link)가 많은 점이다. 여러 단계로 나열됨에도 불구하고 원문이 제공되지 않은 주제가이드의 특성은 치 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데드링크율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공 통적 단점에도 불구하고 이화여자 대학교의 도서관은 상대적으로 주제가이드의 장 점을 보여주는 사례로 분석되었다. 특히 저자별 자료 배열과 관련 자료의 체계화는 본 연구의 주제가이드 구축시 참고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