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국어의 변천 [최상위 국어 솔루션! 김대기 4% 국어] 고전문법 1
김대기 4% 국어 [13년 3월 학평 B형 16번] 다음은 훈민정음 에 대한 발표를 위해 학생들이 수집한 자료이다. 자료의 활용 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초성자]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기본자 가획자 이체자 어금닛소리 ㄱ ㅋ ㆁ 혓소리 ㄴ ㄷ, ㅌ ㄹ 입술소리 ㅁ ㅂ, ㅍ 잇소리 ㅅ ㅈ, ㅊ ㅿ 목구멍소리 ㅇ ㆆ, ㅎ [중성자]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 ㆍ, ㅡ, ㅣ [종성자] 종성에는 초성 글자를 다시 쓴다. 1 같은 위치에서 소리 나는 기본자와 가획자는 형태상의 유사성이 있음을 설명한다. 2 가획자는 기본자에 획을 더하는 방식으로 만들었다는 점을 설명한다. 3 이체자는 기획자에 한 번 더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는 점을 설명한다. 4 모음의 초출자와 재출자는 기본자의 결합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을 설명한다. 5 받침에 쓰는 자음을 추가로 만들지 않음으로써 문자 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음을 설명한다. 김대기 4% 문법 2
[05년 수능] <보기>를 이용하여 국어 문장 구조에 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발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ㄱ. 담징은 이마에 흐르는 땀을 씻었다. ㄴ. 그가 착한 사람임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ㄷ. 그 사람은 아는 것도 없이 잘난 척을 해. [13년 4월 학평 B형 16번] <보기>를 바탕으로 중세 국어의 음운 ㅸ, ㅿ, ㆍ 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 절하지 않은 것은? 3) ㄱ. > > 마을 > > 가을 ㄴ. (날씨가) 덥(다) + -어; 더 ㄷ. (색깔이) 곱(다) + -아; 고 > 고와 (고기를) 굽(다) + -어; 구 > 구워 1 ㄱ으로 보아, 중세 국어 과 의 ㅿ 은 음운 변화 양상이 같았음을 알 수 있군. 2 ㄱ으로 보아, ㆍ 는 현대 국어에서 첫째 음절과 둘째 음절에서 변화된 음운의 모습이 같았음을 알 수 있군. 3 ㄴ으로 보아, 덥다 의 ㅂ 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여 ㅸ 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군. 4 ㄷ으로 보아, ㅸ 에 결합되는 어미의 모음에 따라 현대 국어에서의 표기가 달라지는군. 5 ㄱ과 ㄷ으로 보아, ㅿ 과 ㅸ 은 현대 국어에 표기되지 않게 되었음을 알 수 있군. 3
김대기 4% 국어 [13년 6월 모평 B형 16번] <보기>의 ᄀ과 ᄂ에 속하는 사례를 바르게 제시한 것은? 4) 모음 는 중세 국어 이후 크게 두 단계의 변화를 겪었다. 제 1단계 변화에서는 ᄀ단어의 둘째 음절 이하에 놓인 모음 가 ㅡ 로 변하였다. 이 변화가 일어나고 난 뒤 제2 단계 변화에서는 ᄂ첫째 음절에 놓인 모음 가 ㅏ 로 변화하였다. 단어에 따라 이러한 변화에 예외가 보이기도 하지만 대체로 이 두 단계의 변화를 겪어 는 모음 체계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ᄀ 1 마 > 마늘 2 사 > 사슴 3 나 > 하나 4 사 > 사람 5 아 > 아들 ᄂ > 흙 장 > 가장 오 > 오늘 리 > 다리 다 > 다섯 [13년 7월 학평 B형 16번] <보기>를 읽고 중세 국어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5) 海 東 六 龍 이 샤 일마다 天 福 이시니 ᄀ 古 聖 이 同 符 시니 ᄂ불휘 기픈 ᄃ남 ᄅ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 니 미 기픈 ᄆ므른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ᄇ바 래 가 니 <제1장> <제2장> * 불휘 : 불휘+ (주격 조사가 생략된 형태를 나타냄) 의 형태소로 분석함. * 남 : 남ㄱ+ 의 형태소로 분석함 [풀이] 海 東 (해동) 六 龍 (육룡)이 나[ 飛 ]셔서 일마다 天 福 (천복)이시니, 古 聖 (고성)과 同 符 (동부)하시니 <제1장>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움직이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많으니,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치므로 내[ 川 ]가 이루어져 바다에 가느니. <제2장> 1 ᄀ의 조사 이 는 古 聖 (고성) 이 비교나 기준으로 삼는 대상임을 나타내는군. 2 ᄂ에는 현대 국어의 가 에 해당하는 주격 조사의 형태가 드러나지 않는군. 3 ᄃ의 형태소 분석을 볼 때, 중세 국어 체언 중에는 조사와 결합할 때, ㄱ 이 덧붙는 체언이 있군. 4 ᄃ의 조사 과 ᄆ의 조사 은 은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자격을 나타내는군. 5 ᄅ과 ᄇ의 조사 애 는 모두 앞의 체언이 원인 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군. 김대기 4% 문법 4
[13년 9월 모평 B형 16번] <보기1>의 (가), (나)에 따른 표기의 사례를 <보기2>의 ᄀ~ᄅ에서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은? 6) <보 기 1> (가) ㅇ 입시울쏘리 아래 니 쓰면 입시울 가 야 소리 외 니라 [풀이] ㅇ을 순음 아래 이어 쓰면 순경음이 된다. (나) 첫소리 어울워 디면 쓰라 [풀이] 초성 글자를 합하여 사용할 때에는 나란히 써라. <보 기 2> 나랏 말 미 中 國 귁에 달아 文 문 字 와로 서르 디 아니 이런 젼 로 어린 百 姓 이 니르고져 배 이셔도 ᄀ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내 이 爲 윙 야 어엿비 너 겨 새로 스믈여듧 字 ᄂ 노니 사 마다 ᄃ수 니겨 날로 메 便 뼌 安 킈 고져 ᄅ 미니라 - 훈민정음 언해- (가) (나) (가) (나) 1 ᄀ ᄂ 2 ᄀ ᄃ 3 ᄂ ᄅ 4 ᄃ ᄂ 5 ᄃ ᄅ 5
김대기 4% 국어 [13년 10월 학평 B형 16번] <보기>의 ᄀ ~ ᄆ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특징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乃 내 終 즁ㄱ 소리 다시 첫소리 ᄀ 니라. ㅇ 입시울쏘리 아래 ᄂ니 쓰면 입시울가 야 소리 외 리라. ᄃ첫소리 ᄅ어울워 디면 ᄆ 쓰라 乃 내 終 즁 ㄱ 소리도 가지라. - 훈민정음 언해, 세조 5년 (1459) [현대어 풀이] 나중 소리(종성)는 첫소리(초성)를 쓴다. ㅇ을 입술소리 아래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아울러 쓰려면 나란히 써야 하니 나중 소리도 마찬가지이다. 1 ᄀ : 첫음절 초성에 서로 다른 자음이 함께 나타난다. 2 ᄂ : 두음 법칙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ᄃ : ㆍ 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ᄅ :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다. 5 ᄆ : 현대 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자음이 나타난다. 김대기 4% 문법 6
[13년 수능 B형 16번] <보기>의 (가)를 바탕으로 (나)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8) (가) 15세기 국어의 음운과 표기의 특징 ᄀ 자음 ㅿ 과 ㅸ 이 존재하였다. ᄂ 초성에 오는 ㅳ 은 ㅂ 과 ㄷ 이, ㅄ 은 ㅂ 과 ㅅ 이 모두 발음되었다. ᄃ 종성에서 ㄷ 과 ㅅ 이 다르게 발음되었다. ᄅ 평성, 거성, 상성의 성조를 방점으로 구분하였다. ᄆ 연철 표기(이어적기)를 하였다. (나) 나 랏:말 미 中 國 귁 에달 아 文 문 字 와 로서르 디아 니 이런젼 로어 린 百 姓 셩 이니르 고 져 배이 셔 도 :내제 들시 러펴 디:몯 노 미하 니 라 내 이 爲 윙 야:어엿 비너 겨 새 로 스 믈여 듧 字 노 니:사 :마 다: :수 니 겨 날 로 메 便 뼌 安 킈 고 져 미니 라. 1 ᄀ을 보니, :수 에는 오늘날에는 없는 자음이 들어 있군. 2 ᄂ을 보니, 들 의 ㅳ 에서는 두 개의 자음이 발음되었군. 3 ᄃ을 보니, :어엿 비 에서 둘째 음절의 종성은 ㄷ 으로 발음되었군. 4 ᄅ을 보니, : 의 첫 음절과 둘째 음절은 성조가 달랐군. 5 ᄆ을 보니, 메 에는 연철 표기가 적용되었군. 7
김대기 4% 국어 [14년 3월 학평 B형 16번] <보기>에서 ᄀ ~ ᄅ에 들어갈 목적격 조사로 옳은 것은? 9) 15세기 국어의 모음 중 ㆍ, ㅏ, ㅗ 는 양성모음, ㅡ, ㅓ, ㅜ 는 음성모음, ㅣ 는 중성모음에 해 당한다. 당시에는 체언과 조사가 결합할 때 모음조화가 엄격하게 지켜졌는데, 모음조화란 양성모음 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이다. 15세기 국어에서 목적격 조사는, 을,, 를 이 있다. 이들 가운데 어떤 것이 선택되는가는 체언이 자음으로 끝나느냐 모음으로 끝나느냐와 함께 체언과의 모음조화에 따라서 결정되었다. 중세국어 현대국어 중세국어 현대국어 사 + ᄀ 사람 +을 누 + ᄃ 누구 + 를 천하 + ᄂ 천하 +를 + ᄅ 뜻 + 을 ᄀ ᄂ ᄂ ᄃ 1 를 을 2 을 를 3 을 를 4 을 를 5 을 를 [14년 4월 학평 B형 16번] <보기>의 ᄀ~ᄆ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千 世 (천세) 우희 미리 定 (정) 샨 漢 水 北 (한수북)에 累 仁 開 國 (누인개국) 샤 卜 年 (복년)이 ᄀ 업스시니 聖 神 (성신)이 니 샤도 敬 天 勤 民 (경천근민) 샤 더욱 ᄂ구드시리 다 ᄃ님금하 아 쇼셔 ᄅ 洛 水 (낙수)예 山 行 (산행) 가이셔 하나빌 ᄆ미드니 가 - 용비어천가 제125장 (세종 29년) [현대어 풀이] 천 세( 世 ) 전에 미리 정하신 한강 북쪽에, 여러 대를 물린 어진 임금이 나라를 여[ 開 ]시어 왕조가 끝이 없으시니 성신( 聖 神 )이 대를 이으시어도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부지런히 섬겨야 더욱 굳건할 것입니다. 임금이여, 아소서. 낙수( 落 水 )에 사냥을 가 있으면서 할아버지를 믿으시겠습니까? 1 ᄀ : 현대 국어에는 쓰이지 않는 자음과 모음이 사용되었다. 2 ᄂ : 선어말어미 -이- 는 듣는 이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다. 3 ᄃ : 조사 하 는 부르는 대상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4 ᄅ : 예 는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로 사용되었다. 5 ᄆ : 어간의 받침을 어간의 종성과 어미의 초성으로 겹쳐 표기하였다. 김대기 4% 문법 8
[14년 6월 모평 B형 16번] <보기 1>을 참고하여 <보기 2>의 ᄀ과 ᄂ에 알맞은 것을 고른 것은? 11) <보 기 1> 현대 국어의 관형격 조사는 의 만 있지만,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는, 의, ㅅ, ㅣ 가 있었다. 이 중, 의 ㅅ 은 결합하는 명사의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명 사 관형격 의미 특징 끝 음절 모음 조사 사람이나 동물 양성 모음 + 사람이나 동물 음성 모음 + 의 사람이면서 높임의 대상 양성 모음 / 음성 모음 + ㅅ 사람도 아니고 동물도 아님 양성 모음 / 음성 모음 + ㅅ (예) + : 미 거스디 아니 거든 (남의 뜻 거스르지 아니하거든) 거붑 + 의 : 거부븨 터리 고 (거북의 털과 같고) 大 王 + ㅅ : 大 王 ㅅ 말 올커신마 (대왕의 말씀이야 옳으시지만) 나모 + ㅅ : 나못 여름 먹 니 (나무의 열매를 먹으니) <보 기 2> 父 母 ㅣ 아 + ᄀ 마 드르샤 (부모가 아들의 말을 들으시어) 다 술위 + ᄂ 글워 닐굴 디니라 (다섯 수레의 글을 읽어야 할 것이다. ᄀ ᄂ 1 ㅅ 2 ㅅ 3 의 ㅅ 4 ㅅ 의 5 의 9
김대기 4% 국어 [14년 7월 학평 B형 16번] <보기>를 읽고 중세 국어의 의문문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2) 의문문에는 청자에게 가부( 可 否 )를 묻는 판정 의문문과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하는 설명 의문문이 있다. 중세 국어의 경우, 판정 의문문에는 -가, -녀 등의 어미가 쓰이고, 설명 의문문에는 -고, -뇨 등의 어미가 쓰인다. 주어가 2인칭인 경우에는 -ㄴ다 의 특수한 의문형 어미가 쓰인다. ㄱ. 이 리 너희 죵가 (이 딸이 너희들의 종이냐?) ㄴ. 이제 엇더한고 (이제 어떠하냐?) ㄷ. 네 모 던다 (너는 모르느냐?) ㄹ. 네 엇뎨 안다 (너는 어떻게 아느냐?) 1 ㄱ 의 이 대신 엇던 이 쓰이면, 죵가 를 죵고 로 바꿔야겠군. 2 ㄴ 의 엇더 대신 평안 이 쓰이면, 고 를 가 로 바꿔야겠군. 3 ㄴ 과 ㄹ 은 청자에게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이군. 4 ㄷ 의 너 대신 3인칭인 그 가 쓰이면, 모 던다 를 모 던고 로 바꿔야겠군. 5 ㄷ 과 ㄹ 을 보니, 주어가 2인칭인 경우의 의문형 어미는 판정 의문문과 설명 의문문에 따른 구분이 없군. [14년 9월 모평 B형 16번] <보기>의 중세 국어 자료에 나타나는 특징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은? 13) 중세 국어 : 뒤헤는 모딘 도 알 어드 길헤 업던 번게를 하 히 기시니 [현대어 역] 뒤에는 모진 도적 앞에는 어두운 길에 없던 번개를 하늘이 밝히시니 중세 국어 : 뒤헤는 모딘 즁 알 는 기픈 모새 열 어르믈 하 히 구티시니 [현대어 역] 뒤에는 모진 짐승 앞에는 깊은 못에 엷은 얼음을 하늘이 굳히시니 1 모진 이 현대 국어의 모진 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군. 2 업던 이 현대 국어의 없던 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이어적기를 하였군. 3 하 히 를 보니 현대 국어에 쓰이지 않는 모음 ㆍ 가 쓰였군. 4 모새 가 현대 국어의 못에 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모음조화가 지켜졌군. 5 열 을 보니 현대 국어에 쓰이지 않는 자음 ㅸ 이 쓰였군. 김대기 4% 문법 10
정 답 표 1) 3 2) 3 3) 2 4) 2 5) 5 6) 5 7) 2 8) 3 9) 1 10) 5 11) 1 12) 4 13)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