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F0B7D020C0B1B8AE20B0A1C4A1C0C720C0A7B0E82E687770>



Similar documents
(095-99)미디어포럼4(법을 알고).indd

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제2권 제1호 또 내용적으로 중대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개인은 흡사 어항 속의 금붕어 와 같은 신세로 전락할 운명에 처해있다. 현대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의 사적 영역이 얼마나 침해되고 있는지 는 양 비디오 사건 과 같은 연예인들의 사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본문01

081209기자회견.hwp

진보적 효과 라고 불렀다. 3) 그렇다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조-중-동 이라는 용어는 무엇을 의미하고 상징 하는가? 많은 이들이 이 세 신문을 보수신문 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른바 한-경 과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 조-중-동 이라는 호명이 무엇을 근거

내지4월최종

DBPIA-NURIMEDIA

삼교-1-4.hwp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31342D3034C0E5C7FDBFB52E687770>

중국 상장회사의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도비라

hwp


step 1-1

12È«±â¼±¿Ü339~370

Output file

SNS 명예훼손의 형사책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30362DC0CCB1D9BFEC E DBCF6C1A42E687770>

DBPIA-NURIMEDIA

<4F4BB4D9BDC32E687770>

歯박효종1-1.PDF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Ȳ¿ë¼®

74 현대정치연구 2015년 봄호(제8권 제1호) Ⅰ. 서론 2015년 1월 7일, 프랑스 파리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했다. 두 명의 남성이 풍자 잡지 주간 샤를리 의 본사에 침입하여 총기를 난사한 것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열두 명의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얼마 후에

04 형사판례연구 hwp

<BFACBCBCC0C7BBE7C7D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ÀÌÀç¿ë Ãâ·Â

< FC1A4BAB8B9FDC7D D325FC3D6C1BEBABB2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자료1 분기별 시청률 추이 (%) 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

凡 例 一. 이 글은 朝 鮮 日 報 에 成 均 館 大 中 文 學 科 全 廣 鎭 敎 授 가 連 載 한 생활한자에서 拔 萃 하였다. 逃 가지런할 도 走 달릴 주 도주( 逃 走 ) 피하여 달아남. 도망( 逃 亡 ). 필사의 도주/그 피의자는 도주의 우려가 없어 보석금을 내고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11¹Ú´ö±Ô

- 2 -

< D5BC6EDC1FD5D20C1A634C2F720BFA9BCBAC7F6BEC820C6F7B7B320C0DAB7E1C1FD2E687770>

DBPIA-NURIMEDIA

歯kjmh2004v13n1.PDF

장양수

11.8.HUHkoreanrock.hwp

<BCB1B9AEC8ADBFACB1B C1FD2D35B1B32E687770>

ÀÌÁÖÈñ.hwp

<C0C7B7CAC0C720BBE7C8B8C0FB20B1E2B4C9B0FA20BAAFC8AD5FC0CCC7F6BCDB2E687770>

정치컴 23호-최종.hwp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레이아웃 1

DBPIA-NURIMEDIA

05-28-여름-기고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4번.hwp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2 드라마가 그린 전통시장, 우리의 삶과 희로애락을 담아 주인공 삶의 공간됐던 한약방ㆍ짜장면 가게ㆍ야채가게의 현재 모습은? TV 드라마에는 종종 전통시장이 등장한다. 주인공의 삶의 터전이 되기도 하고 주요한 만남이 이뤄지는 장소로도 쓰인다. 전통시장을 오가는 사람들만

04 형사판례연구 hwp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274 한국문화 73

¿©±âÀÚ-À¥¿ë.PDF

<5B D B3E220C1A634B1C720C1A632C8A320B3EDB9AEC1F628C3D6C1BE292E687770>

입장

10¿ÀÁ¤ÁØ

1) 음운 체계상의 특징 음운이란 언어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즉 의미분화 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인데, 일반적으로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과 음장 (소리의 길이), 성조(소리의 높낮이) 등의 비분절음들이 있다. 금산방언에서는 중앙

DBPIA-NURIMEDIA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DBPIA-NURIMEDIA

<3031C8ABB5E6C7A52E687770>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2. 박주민.hwp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Transcription:

윤리는 대부분 윤리적 딜레마의 문제다 윤리적 딜레마는 각각 윤 리적으로 정당한 두 개 이상의 행위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경우에 발 생한다 언론 활동에서 부딪히는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델로 포터 박스, SAD 모델 등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 모델들이 윤리적 결 정을 보다 합리적으로 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지만, 어떤 윤리 이론을 적용해서 어떤 윤리적 가치를 선택해야 할 것인가의 딜레마를 해결해 주지는 않는다 이 논문은 윤리이론 중 가치 이론을 원용해서 언론 윤 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우선되는 가치가 있는가를 모색하기 위 한 것이다 가치이론에 따르면, 가치들은 위계질서가 있다 즉, 가치들 중에는 높은 가치와 낮은 가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계질서는 다 차원적이기 때문에 모든 윤리적 문제에서 절대적으로 우위를 차지하는 가치를 특정하기는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에서는 언론 활 동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다른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선되는 가 치를 제안할 수 있고, 이 가치가 모든 상황에서 항성 우선되는 것은 아니지만, 언론 윤리의 문제에서 우선 고려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 러한 가치를 도출하기 위해 이 논문은 언론을 활동의 맥락, 사회적 기 1) 이 글은 한국언론학회 2006 봄철정기학회 저널리즘 분과에서 발표한 윤리 규범 의 상충과 조정 - 가치윤리적 접근 을 보완한 것입니다 2) youkim21@kpforkr

2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능의 맥락, 목표의 맥락으로 구분하고, 각 맥락에서 우선되어야 할 가 치로 각각 진실성, 공표, 자유 를 제안했다 언론 활동은 커뮤니케이 션 활동이다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기초적인 가치는 진실성 이다 진 실성은 진실 자체와는 다른 것으로, 상대방이 진실을 알기 원하는 태 도를 말한다 진실성 혹은 진실의 추구 는 정확성, 진정성, 투명성, 신 중성 등의 원칙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언론의 기능은 사회의 자기 관찰로, 언론은 인지된 사실을 독자와 시청자에게 알려야 한다 따라서 획득한 정보를 국익이나 기타 사회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이유 등으 로 억제해서는 안되며 공표 혹은 보도 해야 한다 언론의 목표는 독자 와 시청자가 자유롭고 스스로 주인이 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시민의 자유가 언론의 기본 목표이다 언론사가 옳다고 생 각하는 방향으로 시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특정한 정보를 선택해서 제 공하는 한국 신문들의 관행은 시민의 자유라는 언론 윤리의 우선 가치 에 위배되는 행위이다 진실성, 공표, 자유가 언론 윤리 문제에서 절대 적으로 우선되는 가치는 아닐 것이다 적어도 공표 라는 가치가 그렇 다 그러나 이러한 우선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가치가 개입 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방어할 수 있는 윤리적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3 2009년 1월31일 조선일보와 중앙일보가 10여명에 가까운 여성을 살해 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강호순의 얼굴 사진을 게재했다 동아일보, 국민일 보, 세계일보, 서울신문과 방송 3사는 조선과 중앙의 뒤를 따라 강호순의 얼굴을 공개했다 경향신문과 한겨레, 한국일보는 비공개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따라 흉악범죄자의 얼굴 공개와 인권 문제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있었다 얼굴 공개를 찬성하는 쪽은 국민의 알 권리 충족, 범죄 예방 및 범죄 규명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성낙인, 2009참조) 이에 비해 얼굴 공개를 반대하는 쪽은 형사피의자 인권도 보호되어야 하며, 얼굴 공개로 얻을 수 있는 공익이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김옥조, 2009) 국민의 알 권리 와 피의자의 인권 보호 를 주장하는 양 쪽의 주장 모두 설득력을 갖고 있 다 현장에서 언론은 이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MBC <PD수첩>의 황우석 신화의 난자 의혹 이 방영된 205년 11월 22일 전후로 국익이냐 진실이냐 에 대한 언론윤리 문제가 제기되었다 1) 이에 대해 적 어도 언론에서는 후자가 우선한다는 쪽에 무게가 실린 것처럼 보였다 그 러나 <PD수첩>이 황우석 교수의 배아줄기세포에 관한 논문이 조작되었다 는 내용의 방송을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취재 과정에서 문 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기 시작했다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PD 수첩> 제작진은 취재 과정에서 당시 미국에 있던 K연구원에게 검찰 수 사가 시작될 것이다 그걸 황교수님으로만 정리했으면 좋겠다 젊으신 분 들이 다치는 것을 원치 않는다 는 등의 발언을 했다 이 말에는 당시로는 확정되지 않은 사안( 검찰 수사가 시작될 것이다 )과 제작진의 권한에 속 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언급( 젊으신 분들이 다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이 포함되어 있다 MBC 한학수 PD가 12월 7일 MBC 임직원에게 보냈다는 이 1) 황우석 논문 조작 사건에 대한 아래의 내용은 <미디어오늘> 홈 페이지(www mediatodaycokr)에서 검색한 <미디어오늘> 기사를 바탕으로 구성했다

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메일 내용에 따르면 당시 K연구원은 3번씩이나 자신의 신원을 보호해 줄 수 있냐고 확인했다고 한다 <PD수첩> 제작진이 취재 협력을 얻기 위해 사실과 다르거나 부적절하게 한 말이 K연구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를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YTN이 12월 2일 <PD수첩> 제작진이 취재원을 협박 혹은 강압 했다 고 보도하자, <PD수첩> 제작진과 MBC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일부에서 는 PD저널리즘의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PD수첩>의 황교수에 대한 첫 보도 이후부터 이른바 네티즌 사이에서 MBC에 대한 비난이 많았고, <PD수첩>과 MBC의 <뉴스데스크> 광고가 취소되기에 이르렀다 MBC는 12월 4일 취재 윤리를 현저히 위반한 사실 에 대한 사과문을 발표했다 다 음날 MBC 시사교양국 PD 명의로 () 진실 추구라는 목적이 아무리 훌륭 하다 하더라도 취재원을 상대로 검찰 수사 를 언급한 것은 공영방송에 종 사하는 언론인으로 준수해야 할 취재윤리를 위반한 것이 분명합니다 이 에 대해 시사교양국 PD들은 국민의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자성하고 있습니다 () 시사교양국 PD들은 PD수첩 이 취재한 정보들이 알려지지 않은 채 사장되는 것은 언론의 사명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습 니다 언론의 제1차적 임무는 사실보도이고, 이를 통한 진실추구일 것입니 다 () 국민 여러분들께 머리 숙여 사과 () 는 내용의 입장이 발표되었 다 앞서 언급한 이메일에서 한학수 PD는 취재윤리를 위반한 사실을 인정 하고 이에 대해 책임을 지겠지만 취재과정상의 잘못이 진실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어떠한 논리로도 진실 보도라는 언론사의 기본 정신을 훼손할 수는 없습니다 라며 취재한 내용이 밝혀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MBC 는 이후 <PD수첩>의 방송 중단을 결정했고, 책임 PD와 담당 PD에게 징 계를 내렸다 그러나 이러한 분위기는 배아줄기세포 복제 논문이 실제로 조작되었다는 정황이 더해가고, 서울대가 자체 조사를 통해 그러한 결론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5 을 내리면서 급선회했다 12월 15일에 <PD수첩>은 애초 기획되었던 내용 을 포함한 특집 PD수첩은 왜 재검증을 요구했는가 를 방송했다 그러나 이 사건이 적법하며 정당한 취재 방식의 사용 과 국민의 알 권리 혹은 사 회적으로 중요한 사실의 보도 의 규범이 충돌했을 때 후자가 우선된다는 명백한 결론을 내린 것 같지는 않다 앞서 인용한 MBC 시사교양국 PD 일 동 명의의 입장이나 한학수 PD의 이메일에서 이 둘 사이에 명확한 우선 순위가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취재 방법은 잘못된 것이지만 (경위야 어떻 든 일단 취재된 이상) 그 내용은 밝혀야 한다는 식의 논리로 두 규범에 대한 우선순위 논의를 피하고 있다 언론인들에게 우리는 교과서적으로 언론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탐사해서 보도해야 한다 그러나 그 취 재 과정도 적법적이며 정당해야 한다 는 식의 충고를 해 줄 수도 있고, 그 충고가 전혀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원칙적 주장은 언 론 현장에서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불법적이거나 취재윤리 규범을 일탈 하는 방식이 현실적으로 결정적인 증거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되 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 다른 방법이 있다 하더라도 시 간적 제약이나 언론사의 작업 방식이 주는 제약으로 그렇지 않고는 취재 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2) 신문사 사주와 대기업 임원의 사적 대화를 도청한 녹취물인 이른바 X 파일 사건의 경우처럼, 도청한 내용, 즉 사생활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내용이 보도할 수 있는 거의 유일 한 증거가 되는 경우도 있다 언론윤리에서 윤리적 문제는 기본적으로 윤 리적 딜레마의 문제이다 윤리적 딜레마는 윤리적 규범의 충돌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그 규범들을 근거가 되는 이유, 즉 가치가 충돌하는 상황이라 고 볼 수 있다(Day, 2006) 윤리적 딜레마는 각각 정당한 것으로 인정받는 가치들 사이에서 한 가치를 실현하고 다른 가치를 손상해야 하는 상황을 2) 예를 들면 한 기자가 일년에 한 건만 보도해도 되는 경우, 한 달에 한 건을 보도해 야 하는 경우, 혹은 하루 에 한 건을 보도해야 하는 경우에 따라 다른 방법 에 대 한 정의는 달라질 수 있다

6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말한다 언론윤리 입문서에는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도덕적 추론(moral reasoning)을 할 것인가에 대한 모델이 제시되어 있다 예컨대 랄프 포터 (Ralph Potter)가 제시한 모델( 포터 박스 )은 아래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김옥조 2004, 24이하; Christians et al, 1995참조) 1 사실관계의 정의, 2 포 함된 가치의 확인, 3 윤리 원칙 적용, 4 의무의 대상자 결정 루이스 데이(Louis Alvin Day)는 아래의 3단계로 이루어진 SAD(Situation, Analysis, Decision) 모델을 제안했다(Day, 2006) 1 상황의 정의: 사실관계, 관계되는 윤리 원칙과 가치의 확인, 윤리적 질문 제기 2 분석: 경쟁하는 윤리 원칙과 가치에 대한 저울질, 외적 요소 고려, 다양한 대상에 대한 의 무 검토, 적용할 수 있는 윤리 이론에 대한 논의 3 결정: 행위자의 결정, 결정을 도덕 이론으로 방어 이러한 모델들이 저널리즘 실무에서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체 계화하거나 자신이 내린 결정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성찰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저널리즘에서 중요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가치 중 어떤 것을 우선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미루고 있다 그렇다면 언론윤리 규범의 갈등 상황에서 그 규범의 근거가 되는 도덕적 가치들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는 없는 것일까? 진실성, 인간의 존엄 성, 자유, 약속의 이행, 피해의 최소화, 고결성 등과 같은 가치들은 그 자 체가 가치 있는 것이기에 그렇게 불리고 또 인정을 받는다 가치는 또한 매우 복합적인 현상으로 다른 가치들과의 관계에서 존재하며 모든 상황에 서 절대적으로 우선되어야 할 하나의 가치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바 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저널리즘에서 (상대적으로) 우선되어야 할 가치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 즉 언론윤리의 체계화를 위한 노력은 언론 현장에 서 편견, 특종에 대한 욕심, 사안에 대한 시각, 관행, 이해관계 등의 영향 으로 중요한 가치를 간과하거나 자기정당화를 통해 나중에는 후회하게 될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7 결정을 내릴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 글은 언론인 개인이 전문직 언론 인으로 활동하면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처했을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글은 먼저 가치윤리학 (Wertethik)적인 논의를 살펴보았다 가치윤리학은 현대 철학의 윤리 이론 중 하나로 후설(Edmund Hussel)의 현상학의 영향을 받아 윤리적 가치의 본 질과 성격에 대해 규명하려는 작업을 말한다(Anzenbacher 2002; 김용섭 1997; 조태훈, 1993) 3) 이 글에서 가치윤리학에서 관심을 갖는 문제들을 체 계적이고 자세하게 논의하기는 힘들다 이 글에서는 단지 1) 행위의 지향 점이 되는 가치가 윤리학의 중심 개념이며 2) 가치가 행동하고 판단하는 주체의 자의적인 결정의 산물이 아니라 성찰(reflection)과 논의를 통해 보 편성을 인정받을 수 있으며 3) 도덕적 가치에는 높고 낮음과 같은 단계질 서가 있다고 보며,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가치윤리적 접근 을 시도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글은 언론윤리에서 다른 가치보다 우선될 수 있는 가 치를 찾는 작업을 시도한다 여기서는 3개의 가치를 제시한다 언론활동의 내용인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규범인 진실성, 언론의 사회적 역할인 공개, 마지막으로 언론 활동의 지향점이 되는 사회구성원의 자유 가 그것이다 가치가 무엇인가를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헤센(J Hessen)에 따르면 가 치라는 개념은 엄밀한 의미에서 정의될 수 없다 가치는 본래 정의가 허 용되지 않는 <존재>, <실존> 등과 같이 최고의 개념에 속한다 그렇기 때 3) 가치윤리학의 대표적인 학자로는 막스 쉘러(Max Scheler: 1874-1928), 니콜라이 하르트만(Nicolai Hartmann: 1882-1950)을 들 수 있다

8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문에 우리는 <가치>라는 개념의 내용을 단지 해명할 수밖에 없다 (Hessen 1956, 23; 김용섭 1997, 191에서 재인용) 라우트만(R Lautmann)은 문헌에 나 타난 언어 분석을 통해 가치에 대한 180개의 정의를 찾아 이를 바탕으로 가치를 좋은 대상의 기준 우리가 지향해야 할 대상의 선택을 위한 기 준 대상을 평가하는 규범적 기준 규범적으로 인정된 대상의 기준이라 고 정의했다(Lautmamm 1969; Grimm 2003에서 재인용) 여기서는 잠정적으 로 가치가 어떤 행위 혹은 대상을 좋은 것 혹은 지향해야 할 것으로 만 드는 것 이라고 정의한다 가치에는 윤리적 가치만 있는 것이 아니다 쉘러 는 가치를 괘적함, 생동적인 느낌, 정신적인 가치, 신성함 등으로 구분 하고, 윤리적 가치는 정신적 가치의 하나로 보았다(Scheler 1954) 정신적 가 치에는 윤리적 가치 외에도 법적 가치, 미학적 가치, 진실의 가치 (학문) 가 있다(Anzenbacher, 1992; 조태훈, 1993참조) 쉘러에 따르면 윤리적 가치 는 해야 한다/되어야 한다 (Sollen)는 것과 연결된다는 특징이 있다 내가 그것이 실현되어야 한다는 것을 느끼면(가치감정), 그것이 나에게 윤리적 가치이다 윤리적 문제에서도 윤리적 가치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예컨 대 인간의 행위와 관련되는 물건의 경제적 가치 또한 윤리적 문제의 전제 가 된다(Hartmann, 1962) 4)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 규범과 가치의 차이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규범(norm)은 행위의 규칙을 말한다 예를 들면 법적 규범은 법률로 규정 된 행위의 규칙으로 이를 일탈하면 국가적 기구(사법부)가 처벌을 한다 관습이나 습관도 규범의 한 형태이며, 이 규범의 일탈은 조롱, 비난, 거리 두기 등으로 제재(sanction)된다 윤리적 규범은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을 규정하는 규칙으로, 그에 대한 일탈은 법적 처벌, 사회적 멸시, 사회적 관 계의 중단 등 내 외적인 제재가 가해진다 5) 언론윤리 강령(code of conduct) 4) 가령 물건을 훔치는 것을 나쁘다고 규정하는 것은, 그 물건이 경제적 가치가 있다 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5) 윤리적 규범과 법적 규범의 관계에 대해서는 Anzenbacher 1992, 110이하 참조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9 의 내용은 언론윤리 규범의 명시적 표현이다 윤리적 가치(value)는 윤리적 규범의 근거가 되는 이유를 말한다 사람 을 죽이지 말라 는 윤리적 규범은 인간 생명 존중 이라는 가치에 근거하고 있고, 이것은 살인죄 에 대한 법률에 의해 법적 규범으로 존재하고 있다 가치와 규범의 관계는 단선적이 아니다 살인하지 말라 는 규범에는 사회 공동체의 유지, 사회적 노동력의 유지 등과 같은 가치와 동기가 함께 포 함되어 있다 인간 생명 존중 의 가치는 살인죄 외에도 의료 행위나 재난 방지에 관한 법 규정 등 다양한 규범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윤리적 가치 는 우리 행위의 옳고 그름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며, 우리 행위의 지향점 이며, 그 가치가 실현되었을 때 우리는 윤리적 만족감을 얻는다 가치의 성격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들이 있으며, 이들은 알기 쉽게 가치 객관주 의 - 가치 주관주의 가치 상대주의 - 가치 절대주의 등의 대립되는 견해 들로 구분할 수 있다 6) 이러한 용어들은 맥락에 따라 다르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오해되기 쉬운 것으로 여기서는 단순한 수준의 논의에 만족 하고자 한다 7) 가치 객관주의와 주관주의의 대립은 가치의 근원에 대한 다른 견해를 나타낸다 가치 객관주의는 가치가 주체와 무관하게 존재하 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가치 객관주의는 가치가 인간이 가치 있다 고 느끼는 것(가치경험)을 통해 비로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 안 에 마지막 근거가 있다는 것이다(박찬영, 2000) 이런 의미에서 가치는 인 6) 이 외에도 보편적 가치 - 특수 가치 목적적 가치 - 수단적 가치 내재적 가치 - 외재적 가치 의 구분도 가능하다 가치의 성격에 대한 구분에 관해서는 박찬영 2000; Moor 2004 참조 7) 맥키(John Mackie)는 객관적 가치와 도덕적 회의주의 혹은 도덕적 주관주의에 대 한 대립된 진술을 1차적 진술/견해와 2차적 진술/견해로 구분했다 일차적 견해는 우리의 일상에서 도덕적인 규범에 대한 태도를 말한다 이차적 견해는 도덕적 가 치의 지위와 본질에 관한 견해다 우리가 일상에서 어떤 행위에 대해 도덕적 판단 을 내리고,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도덕적 가치 를 인정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2차적 견해에서 도덕적 회의주의를 주장 할 수 있다(Mackie-진교훈 역 1989, 17이하)

10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간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발견된다 우리가 좋은 것을 욕구하는 것은 그것이 좋아 보이기 때문이요, 우리가 그것을 욕구하기 때문에 좋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 가치 객관주의의 고전적인 예다(박찬영, 2000) 가치 주관주의는 그 자체적으로 가치 있는 어떤 것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경험의 주체 내부에 가치의 마지막 근거가 존재한다는 견해다 어떤 것이 좋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그것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욕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얻으려고 노력하고 욕망하기 때문에 그것을 좋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는 스피노자의 말이 주관주의적 입장이다(박찬영, 2000) 가치 절대주의는 가치가 절대적 유효성을 갖고 있다고 보는 견해이며, 가 치 상대주의는 가치가 개인, 집단,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견해다 객 관주의적 가치관은 절대주의적 함축을 갖고, 주관주의는 대체로 상대주의 로 나아간다 그러나 가치 주관주의적 절대주의가 있을 수 있다(박찬영, 2000) 나는 칸트(I Kant)가 그런 경우라고 본다 8) 그 전까지의 철학이 우 리의 바깥에 있는 어떤 것(예컨대 플라톤의 이데아 )에서 우리 행위의 옳 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을 찾는 노력을 해온데 반해 칸트는 우리 자신을 돌아보는 작업을 했다 칸트는 인간이 선험적인(혹은 경험을 뛰어 넘는) 도덕률을 갖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과 무관한 보편적인 원칙( 너의 의지의 준칙이 항상 그리고 동시에 하나의 보편적인 입법이 될 수 있도록 행동하라 )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렇게 해서 찾아진 원칙은 절대적 인 것이다 나는 여기서 객관과 주관, 절대와 상대를 넘어 상호주관적인 보편적 가치 의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우리가 권력관계나 사적인 동 기로부터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에 동의할 수 있다 는 것이다 이것이 하버마스(J Habermas) 등이 제시한 담론윤리이다 만약 8) 박찬영은 칸트의 입장이 가치 주관주의보다는 객관주의에 가깝다고 보았다(박찬영 2000, 19)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11 그렇지 않고 윤리적 가치가 상대적이라면 윤리적 문제에 대한 대화는 의 미가 없다 대화를 통해 우리가 항상 그리고 모든 측면에서 동의를 이끌 어내는데 성공할 수는 없다 그러나 대화를 한다는 것은, 상호 동의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한 가능성이 있다고 전제하기 때문이다 가치는 다른 가치들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어떤 가치는 다른 가 치에 앞서 선호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가치의 서열에 대해서 논의할 수 있다 쉘러는 가치서열의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했다(Scheler, 1954; 김용 섭, 1997 참조) 첫째, 지속되는 가치, 무시간적인 가치일수록 높다 가령 쾌락이나 재화 보다는 정신적 가치가 높다 둘째, 가치보유자의 증감에 따라 가치성격의 변화가 없는 가치일수록 높다 한정된 물건의 경제적 가치는 그 물건을 나누어 갖는 사람이 많아 지면 가치가 줄어든다 셋째, 기초가 되는 가치가 그 기초에 의해 성립되는 가치보다 높다 넷째, 가치 실현의 만족도가 깊을수록 더 높은 가치이다 다섯째, 가치의 높음의 최종기준은 그 가치의 상대성의 정도에 달려있 다 즉, 담지자와 적게 상관적일수록 가치가 높다 하르트만은 쉘러에 대한 비판적 논의(Hartmann, 1962)에서 이 기준들이 너무 거친 것으로, 생동적인 가치( 생동적인 느낌 )보다 윤리적인 가치가 더 높다는 것 정도를 말해 줄 뿐이며, 동일한 가치 그룹(예를 들면 윤리 적 가치 ) 내에서 미세한 높낮이를 구분하는 데는 유용하지 못하다고 평가 했다 9) 하르트만은 가치들의 서열이 존재하는 것은 가치의 본질과 분리할

12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수 없는 측면이라고 보았다 가치의 인식은 가치들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없다면 추상적인 것이 머물게 된다(Hartmann, 1961) 우리가 특정한 가치를 가치라고 느끼는 것은 그 가치가 다른 가치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인간의 가치인식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모든 가치의 서열을 동시 에 파악할 수다 단지 한 단면 속에 들어있는 가치들의 서열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가치의 서열은 단선적이 아니며 모든 가치들의 서열을 보여주는 조감도를 그리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Hartmann, 1961) 가치는 다 차원적이며 수직적 스칼라에 놓일 수 있는 가치들은 다른 가치들과 수평 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가 파악하는 가치의 서열은 한 차원/단면에서 의 높이만을 말해 줄 뿐이다 하르트만은 우리가 특정 가치를 선호하는 것을 통해 가치의 서열 관계를 알고 있지만, 이렇게 알고 있는 것이 모든 상황에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는 없다고 말한다 가치의 높이가 가치의 상대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낮은 가치라고 해서 상대적이거나 조건부의 성격을 갖은 것이 아니다 모든 가치는 그 자체로 절대적인 유효성을 가지며, 상대화될 수 없다(Hartmann, 1961) 가치 의 체계를 찾는 작업은 특정 가치를 일방적이거나 절대적으로 주장하는 것과는 다르다(Hartmann, 1961) 그렇기 때문에 가치의 높낮이에 대한 논의 의 목표가 최고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것이 될 수는 없다 가치 의 문제를 개인의 선호 문제로 버려둘 수는 없다 구체적 사례에서 그 사 례에 맞는 가치를 논하는 것도 부족하다 저널리즘의 현장에서 가치 있는 것으로 경험되는 가치들이 다양하게 얽혀있지만, 그 속에서는 동의할 수 있는 우선순위가 있다 모든 가치의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 힘들다면, 딜레마 상황에서 먼저 고려되어야할 가치를 다른 가치와 구분해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게 제시된 가치가 다른 가치에 비해 항상 절대 9) 하르트만은 쉘러가 제시한 기준 중에서 만족도의 깊이는 그나마 유용하다고 보고 있다(Hartmann, 1961, 280)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13 적인 우선권을 갖는 것은 아니다 언론윤리는 언론인의 직업윤리이다 10) 직업윤리는 특정한 사회적 활동 영역에 응용되는 윤리다 그러나 이 말은 언론윤리가 일반윤리의 보편적 가치와는 다른 가치를 가진 특수윤리 라는 말은 아니다 데이(Louis Alvin Day)는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도덕적 의무를 일반적(general) 차원과 미디 어 참여자에게만 적용되는 특수한(particularistic) 차원으로 구분했다(Day, 2006) 데이는 직업적 의무가 부분적으로는 일반적 의무에 근거를 두고 있 지만 때로는 서로 충돌하며 이것이 열띤 사회적 논쟁을 부른다고 보았다 (Day, 2005)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견해다 일반 윤리의 응용 윤리로서 언 론 윤리의 기초는 보편적 가치를 떠나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가령 범죄 규명에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취재원 보호를 이유로 기자가 증언거부 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현행법에 어긋난다면, 이 충돌은 법과 윤리 규범의 충돌이지 보편 윤리와 특수 윤리의 충돌이 아니다 어떤 규범이 기자 사회에서는 타당성을 인정받지만 충분한 설득 과정에도 불구하고 일 반 사회구성원에게는 타당성을 인정받지 못한다면, 그 규범은 폐기되어야 한다 11) 직업윤리로서 언론윤리는 보편윤리의 한 응용이다 응용은 보편윤리의 10) 미디어윤리에는 언론인의 직업윤리만 있는 것이 아니다 미디어윤리에는 미디어 기업, 미디어 제작자 등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의 윤 리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그 중에서 미디어 제작자, 특히 저널리스트의 윤리 문제 에 초점을 맞춘다 11) 사형 집행을 위해 사람을 죽이는 행위가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 사형 집행관들 사이에서만 통하고 사회에서는 사형집행관이 일반적으로 살인자로 간주 된다면, 사형집행관에게 직업을 바꾸든가 사형제도 폐지를 위해 노력할 것을 권장 해야 할 것이다

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가치들이 다른 영역과는 다르게 선호되고 중시되며, 저널리즘 활동의 특 수성을 반영하는 특별한 규범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말은 언론 윤리가 독립된 직업윤리가 되기 위해서는 언론 활동의 특수성과 그에 따 르는 특별한 윤리적 문제와 특별한 규범의 필요성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Bolken, 2000) 아래에서는 그 특수성을 저널리즘 행 위, 저널리즘의 사회적 기능, 저널리즘의 목적으로 구분해서 각각의 특징 에 맞는 가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언론 활동의 기본 내용은 커뮤니케이션이다 커뮤니케이션은 언론인들 만의 전유물은 아니다 모든 사회구성원이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으며, 사회 자체가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지, 언론인의 직업 활동 자체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행위이다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조건은 진 실성이다 이것은 모든 커뮤니케이션이 결과적으로 진실이라는 것과는 다 른 말이다 거짓말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항상 거짓말을 하는 사람과의 대 화가 의미가 없듯이, 일단 진실을 말할 것이라는 가정이 있어야 커뮤니케 이션이 비로소 의미를 가진다 진실(truth)과 진실성(truthfulness)은 다른 개 념이다 하르트만은 그 차이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진실과 진실성은 같지 않다 둘 다 가치가 있는 것이지만 도덕적 가치 를 가지는 것은 후자뿐이다 진실은 생각한 것(혹은 그렇게 확신하는 것) 과 존재하는 현상이 객관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12) () 진실성은 이 에 비해 말한 것과 생각 (혹은 그렇게 확신하는 것)이 일치하는 것을 말한 다 이 일치를 만들어 내는 것은 사람의 권한 안에 속하며 그렇게 때문에 12) 하르트만은 여기서 진실성을 가진 사람이 한 말이 진실이 아닐 수 있으며 - 만 약 그가 잘 못 알고 있었다면 - 거짓말 한 사람의 말이 그 사람의 의지와 상관없 이 결과적으로는 진실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15 그에 대한 책임을 진다 (Hartmann, 1962) 그렇다고 해서 진실과 진실성이 무관한 것은 아니다 진실성은 진실을 추구하는 태도를 말하기 때문이다 그는 상대가 진실을 알게 되길 원한다 (Hartmann, 1962) 객관적인 진실의 가능성을 전재하지 않는다면, 진실성은 의미가 없어진다 미트(Dietmar Mieth)는 진실성이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규 범이라는 근거를 아래와 같이 들고 있다(Mieth, 1997) 첫째, 예외가 규칙에 대한 간접적 인정이다 거짓말을 용인하는 경우도 있고, 거짓말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대한 사회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러한 상황에서는 반드시 정당성의 의무가 주어진다 둘째, 상호 인정의 원칙이다 사회 공동체에서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행위를 상호 조정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상호 인정과 존중을 전제로 한다 이것은 함께 대화하는 대상이 되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 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기 자신에 대한 의무이다 칸트의 경우 거짓말은 다른 사람보 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손상이다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도구로 사용하지 말라 는 정언명령에 비추어 보면, 어떤 곤란한 경우를 피하기 위해 혹은 어떤 이익을 얻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인간 생존의 전략적 필요에 의해서다 우리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파악할 수 있는 이 세계에 대한 관계를 상실해서는 안 된다 왜냐 하면 이 세계에서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미트는 진실성의 내용은 무엇이 진실이다 는 방식의 긍정적 접근보다 는, 진실성 의무에 대한 죄(sins)를 통한 부정적 접근을 통해 분명해 진다 고 보았다 그는 진실성 의무에 대한 죄의 예로 기만(falsification), 은폐 (concealment), 확언, 강요, 과장을 들었다(Mieth, 1997) 기만은 올바른 것을 알면서도 그 사실과 다른 이야기를 하는 것, 즉 거짓말을 말한다 은폐는

16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정당한 알 권리가 있는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정보나 정보의 일 부분을 알려주지 않는 것을 말한다 확언은 어떤 사실(사실관계)이 실증적 으로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런 것처럼 주장하는 것을 말한다 강요는 사적 영역, 부끄러운 부분에 대한 보호를 무시하고 어떤 진술을 강요하는 것을 말한다 과장은 내용 자체가 사실에 부합하지 만, 서술 형태를 통해 실제와 다른 인상을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언론인에게는 진실성이 단지 내가 아 는 것을 그대로 전달했다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언론인은 최대한 의 노력을 통해 사실에 부합한다는 의미의 진실을 확인하고, 그렇게 확인 된 사실을 전해야 한다 물론 이것은 언론인들에게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 다 윌리암스(Bernard Williams)는 진실과 진실성의 기원에 대한 계보학적 접근에서 진실성이 단순하게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감춤이나 왜곡 없이) 말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고 보았다 공동체의 생활에 필요한 진실의 덕 목은 진정성과 정확성이다 즉, 자기가 아는 것을 꾸밈 없고 직접적이며 적절하게 표현하는 진정성(sincerity)과 함께 정확한 정보를 얻으려는 노력 이 포함된다(Williams, 1992) 필자는 진정성과 정확성 외에도 진실성의 한 덕목으로 신중성이 포함 되어야 한다고 본다 신중성은 우리가 진실을 추구하지만 진실에 도달하 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는 것이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는 사실에 대한 성찰이다 이러한 성찰에서 나온 또 하나의 덕목은 투명성이다 투명성은 내가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내용과 함께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를 전달하는 것이다 즉, 어떤 과정을 통해 누구로부터 그 정보 를 얻고, 어떻게 검증했는가를 함께 밝히는 것이다 취재 과정의 진실성과 보도의 진실성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언론인은 두 과정 모두에서 진실성 을 견지해야 하지만, 후자의 진실성은 훨씬 높은 가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17 으로 하는 비대칭적인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13) 진실성이 언론의 직업윤리에 중요한 가치라는 것을 부인하는 언론인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를 강조하고 실천하는 정도는 언론 문화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만약 언론윤리강령에서 그러한 가치의 차이가 나타난 다면 한국 언론에는 이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 독일 언론평의회(Presserat) 의 윤리강령의 제1조는 진실을 존중하고, 인간 존엄성을 지키며, 공중에 게 진실성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언론 최고의 계명이다 고 규정하여 진실성을 다른 어느 가치보다 강조하거나 인간의 존엄성 과 동일한 수준 으로 보고 있다 제2조는 그것이 글이든 사진이든 공표할 뉴스와 정보는 상황이 허락하는 최대의 엄밀성으로 사실여부가 검증되어야 한다 () 고 규정하여 정확성을 강조한다 미국전문직언론인협회(The Society of Professional Journalists)의 윤리 강령은 전문을 제외하고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그 첫 부분이 진실의 추구와 그 보도 이다 이에 비해 한국의 신문윤리강령은 권리적 측면인 언론자유 를 지킬 것을 다짐하는 내용이 제1조에서 강조된 반면, 진실 보도는 제4조 보도와 평론 ( 우리 언 론인은 사실의 전모를 정확하게, 객관적으로, 공정하게 보도할 것을 다짐 한다 우리는 또한 진실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바르게 평론할 것을 다짐하 며, 사회의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수용함으로써 건전한 여론 형성에 기여 할 것을 결의한다 )에서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 13) 언론인의 기만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Lee, 2005 참조

18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 (, 2003),, (Offenheit) (Öffentlichkeit) (Pöttker, 1999),,,,, (Pöttker, 1999),,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19,, ( ) 6 2-5 알 권리 는 언론인의 직업윤리의 핵심인 공개를 사회공동체 구성원의 입장에서 표현한 것이다 이 개념은 그러나 개인의 권리라는 함의를 가지 게 되는 한계가 있다 알 권리는 한편으로는 언론 자유에 대한 근거로 제 시되거나, 정보청구권과 같은 구체적 권리로 실현된다 그렇기 때문에 언 론에 대한 사회공동체의 기대, 언론의 사회적 기능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공개 가 윤리적 가치로는 더 유용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미디어가 입 수한 모든 정보를 제공할 수는 없다 수용자의 주목(attention)도 한계가 있 다 공개 의 원칙을 내재적으로 제약하는 한정된 지면 과 주목의 한계 를

20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극복하는 방법은 정보의 선별이다 나는 정보의 선별의 기준이 되는 중요 한 가치는 아래에서 논의할 자유 라고 생각한다 언론인들은 누구를 위해 일하는가? 미국의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 위원회 (CCJ: Committee of Concerned Journalists)가 미국의 언론인들에게 던 진 이 질문에 대해 대다수는 독자와 시청자라고 답했다고 한다(Kovach & Rosenstiel, 이종욱(역), 2003) 독자와 시청자를 위해 일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이것은 저널리즘의 목적과 관계가 있다 코바치(Bill Kovach)와 로젠스틸(Tom Rosenstiel)은 300여년 전에 보도기관 (a press)이라 는 개념이 처음으로 고안된 이래 저널리즘의 목적은 거의 변하지 않은 채 오늘에 이르고 있고, 뉴스를 전달하는 속도와 기법, 그리고 성격이 변했지 만 뉴스의 기능에서 나오는 저널리즘의 명확한 이론과 철학은 이미 존재 하고 있다 그것은 저널리즘의 첫째 목적은 시민에게 그들이 자유로워지 고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 말했 다(Kovach & Rosenstiel, 이종욱(역), 2003) 언론이 어떤 것을 뉴스라고 선택해서 보도하는가( 뉴스 가치 )를 결정하 는데 있어 기본적인 가치가 사회구성원의 자유 이다(Wunden, 1999) 자유의 개념은 역사적으로 변화되어 왔지만 한국에서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아직 일반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홍윤기, 2001) 홍윤기에 따르면 자유 는 문명화 과정 을 겪으며 외연을 넓혀왔다 제약이나 구속으로부터 자유 를 의미하는 소극적 자유(freedom from)에서 무엇으로의 자유 (freedom to), 무엇을 위한 자유 (freedom for)로 발전했고, 이제는 남의 자유와 더불어 하 는 자유(freedom with)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홍윤기, 2001) 자유의 개념에 대한 성찰은 프랑스 혁명의 모토인 자유, 평등, 박애가 사실은 연결되어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21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사회정의 와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사회정의라는 개념은 저널리즘 일상에서 사용하기는 너무 추상적이고 복 합적인 개념이다 이에 비해 독자와 시청자의 자유는 - 물론 역시 추상적 이며 복합적인 개념이지만 - 상대적으로 저널리즘 현장에서 지향점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언론인이 미리 어떤 판단을 내리고 이를 시청자와 독자에게 설득하는 보도는 시청자와 독자가 스스로 주인이 되는데 필요한 정보나 그들이 다른 사람과 함께 자유롭게 살아가는 조건 과 연관된 정보와는 거리가 있다 언론은 독자와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 는 다양한 가능성을 알려주며 그러한 선택이 개인과 사회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정치, 경제, 문화, 사회 권력에 대한 언론의 감시와 비판을 통해 언론은 사회구성원의 자유와 자 유를 누릴 수 있는 조건을 제약하는 요소를 공개해야 한다 이 글은 저널리즘 현장에서 봉착하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다른 가 치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가치가 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가치에는 서열적인 관계가 내포되어 있지만 그 관계는 단선적이 아니라 매우 복합적 인 구조이다 따라서 저널리즘 현장에서 성찰과 분석 없이 적용할 수 있는 가치서열 을 제시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가치는 주관적이며 상 대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논의가 불필요하다 거나 언론윤리 가치는 개별 사례에서 선후나 고하를 판단할 수밖에 없다 는 주장은 틀린 것이다 비록 모든 사례에 항상 적용할 수 있는 가치 체계를 설립할 수는 없지만, 원칙적 으로 어떤 가치가 우선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물론 이 논 의는 쉽지 않고, 그 결과에 대해 항상 동의를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14)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통해 언론인과 사회구성원이 저널리즘에 기대하는

22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것이 무엇이며 함께 동의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언론윤리의 체계화가 저널리즘 실무에서 해야 하는 도덕적 추론이나 윤리적 성찰을 대신해 주는 것은 아니다 언론윤리 문제에 대한 질문을 넣 으면 답이 나오는 자동기계는 만들 수 없다 현장에서 윤리 문제를 인지하 고, 그에 대해 성찰하며 도덕적 추론을 통해 결정을 내리는 일은 어디까지 나 언론인 자신들의 몫이다 그러나 윤리에 대한 체계화 작업은 저널리즘의 관행으로 윤리적 문제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관행, 편견, 이해관계, 부주의 등으로 잘못된 판단을 내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진실성 공개의 원칙 독자와 시청자의 자유 를 다른 가치 보다 우선되어야 할 가치로 보았다 이 논의를 통해 얻은 것이 무엇일까? 몇 가지 예를 들면 이렇다 우리는 진실성 보다는 언론의 자유를 강조하는 한국의 신문윤리강령이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개의 원 칙이 우선한다면, 우리는 기자들에게 황우석 교수의 논문 조작과 같은 사실 을 공개하기 위해서 취재 과정의 윤리를 위반할 수밖에 없다면 앞으로도 그렇게 하라고 권고할 수 있다 또한 이른바 X파일 에 담긴 내용을 공개하 고 법적인 책임을 지는 기자에게 박수를 보낼 수 있다 저널리즘에서 시민 의 자유가 우선되는 가치라면, 언론의 자유는 그 가치의 실현에 유용할 경 우에만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14) 벨시와 채드위크는 윤리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단순한 작업이 아니며, 동의를 얻기도 힘들지만 중요한 것은 논의를 계속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고 말했다 (Belsey & Chadwick, 1992)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23 김영욱(2003) 사회부의 정체성과 철학 - 생활세계의 복원을 위한 사회보도, 최 창섭(편), 사회부의 정체성, 삼성언론재단, pp41-78 김옥조(2004) 미디어윤리, 개정증보판,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옥조(2009) 한가지 정답은 없지만, 관훈저널 2009년 봄호 김용섭(1997) 니콜라이 하르트만의 가치론, 철학회지 제21집, pp189-226 박찬영(2000) 가치의 기원과 본성에 대한 예비적 고찰, 공주교대논총, 제 37집 1호, pp15-33 성낙인(2009) 범죄피의자의 초상권(사행활보호)과 언론보도의 자유(알 권리), 한국언론재단 주최 언론의 범죄피의자 얼굴 공개롸 인권에 관한 라운 드 테이블, (2009년 2월 9일, 한국언론재단), 발제문 조태훈(1993) 가치 윤리학 서설, 호서문화연구 제11집 (1993 12), pp147-183 홍윤기(2001) 자유, 우리사상연구소(편), 우리말 철학사전, 지식산업사, pp299-337 Anzenbacher, A(2002) Einführung in die Ethik, Patmos Belsey, A & Chadwick, R(1992) Privacy, Publicity and Politics, Belsey, A & Chadwick, R (ed), Ethical Dilemmas in Journalism and the Media, Loutledge Bohlken, E(2003) Medienethik als Verantwortungsethik Zwischen Macherm verantwortung und Nutzerkompetenz Debatin, Bernhard & Funiok, Rüdiger (ed) Kommunikations und Medienethik, UVK, pp35-49 Christians, C G & Fackler, M & Rotzoll, K B(1995) Media Ethiks Cases and Moral Reasoning, 4th Ed, Longman Day, L A(2006) Ethics in Media Communication Cases and Controversies, 5th Ed, Thomson Wadsworth Grimm, P(2003) Semiotik als empirischer Werte-Seismograf für die Medienethik Debatin, B & Funiok, R (ed) Kommunikations und Medienethik, UVK, pp219-231 Hartmann, N(1962) Ethik, 4 Ed, Walter de Gruyter

2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Kovach, B & Rosenstiel, T(2001) The Elements of Journalism What Newspeople Should Know and the Public Should Expect, Crown (이종욱 역(2003) 저널 리즘의 기본요소 - 기자가 알아야 할 것과 독자가 기대하는 것, 한국언 론재단) Lautmann, R(1969) Wert und Norm für die Soziologie, Westdeutscher Verlag Lee, S T(2005) The Ethics of Journalistic Deception, Wilkins, L & Coleman, R (ed) The Moral Media How Journalists Reason About Ethic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92-113 Mackie, J L(1977) Ethics: Inventing Right and Wrong, Penguin Books (JL 맥키 지음, 진교훈 역(1989) 윤리학 옳고 그름의 탐구, 서광사) Mieth, D(1997) The Basic Norm of Truthfulness, Clifford, C & Traber, M (ed) Communication Ethics and Universal Values, Thousand Oaks, pp87-104 Moore, A D(2004) Values, Objectivity, and Relationalism, The Journal of Value Inquiry 38, pp75-90 Pöttker, H(1999) Öffentlichkeit als gesellschaftlicher Auftrag Zum Verhältnis von Berufsethos und universaler Moral im Journalismus, Funiok, R et al (ed) Medienethik - die Frage der Verantwortung,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pp215-232 Scheler, M(1954) Der Formalismus in der Ethik und die materiale Wertethik, 4 Ed, Francke Williams, B(2002) Truth and Truthfulness: An Essay in Gene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Wunden, W(1999) Freiheitliche Medienmoral Konzept einer systematischen Medienethik, Funiok, R et al (ed) Medienethik - die Frage der Verantwortung,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pp35-55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25 Ethical problems constitute mostly ethical dilemmas Ethical dilemmas occur when conflicts arise between two or more indispensable and defensible moral obligations In many ethical problems in journalism there is no predetermined correct answer Models for solving ethical problems, such as the Potter Box or the SAD formula, are useful by making a systematic approach However they cannot eliminate the problem of correct weighing of competing values This paper asks whether there is a hieratical order of values in journalism Following theories of values there is something like a rank of values Some values can be regarded as higher than other values But it doesn t mean that in conflicts of values a specific value can have an absolute dominant position But we can argue that some values could be preferred than others This paper suggests three values which can be preferred in reasoning of ethical problems in journalism: truthfulness, disclosure, and freedom With regard to the action of journalism, ie communication, the essential value is the truthfulness Truthfulness is the basic condition of communication itself Truthfulness is the attitude and endeavors of speaker that listener might learn the truth Truthfulness can be accomplished by means of sincerity, accuracy, and carefulness In the aspect of the function of journalism the primary value of journalism is disclosure The basic function of journalism, as a subsystem of the

26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2009년 제4권 제1호 society, is the observation of the society The journalism system should let the members of the society know what it has watched In principle it should not suppress any information obtained Worry about national interest, consideration that some information could harm the social integration etc should not be the first concern of the journalists In respect of purpose of journalism the freedom of the citizens is the basic value, as B Kovach and T Rosenstiel conclude in their book The Elements of Journalism : The primary purpose of journalism is to provide citizens with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be free and self-governing The practice of many Korean newspapers, providing with certain information which helps to persuade readers to follow viewpoints of the newspapers conforms by no means to this value The three values cannot be applied in all cases of ethical problems as the absolutely prevailing values But in cases in which the weighing of values is very difficult they can be useful by making a deliberated ethical judgment and after it has been made-defending it Kew words : Ethical Value, Truthfulness, Disclosure, Free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