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2, February (2016), pp. 325-332 http://dx.doi.org/10.14257/ajmahs.2016.09 한국의 대학운영제도 변화를 위한 K-MOOC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택 1), 박세정 2), 김광용 3), 김종배 4) A Study of K-MOOC Utilization Plan for Korea's University Operating System Sung Taek Lee 1), Se-Jeong Park 2), GwangYong Gim 3), Jong-Bae Kim 4) 요 약 미래사회는 학위위주의 교육수요에서 실용적 능력위주의 교육수요로 변화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세상이 될 것이며, 고령화로 평생교육과 시니어산업 등의 중요성이 대두될 것 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은 재학생들의 교육에만 자원을 투입할 것이 아니라, 제2의 인생을 설계하는 노령층과 직무재교육이 필요한 직장인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오픈소스화된 교육콘텐츠를 무료 로 제공해야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위한 조력자로 최근에 MOOC가 대두되고 있다. MOOC는 미래의 대학운영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것이다. 기존의 교수중심의 정형화된 학습형태 를 통한 가르치는 조직의 기능을 가진 대학에서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학습공동체를 통한 맞춤형 학습을 하는 대학으로 변화할 것이다. 2017년부터 한국은 학령인구 감소라는 전 대학적 문제에 직면 하게 된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학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K-MOOC도입을 통하여 해소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핵심어 : K-MOOC, Flipped Learning, 대학운영, 오픈콘텐츠, 학습관리시스템 Abstract In the future educational needs will shift from focusing on a degree to on meritocracy. Furthermore, the quality of life will be the valuable matter and lifelong education and the industry for senior will be to the fore by aging. For this, university should offer not only resources enrolled students but also Open-sourced educational contents to various social classes like the office workers reeducating their job and older people planning Second Life. MOCC has emerged as a helper for handling this major issue lately. MOCC will change the paradigm of managing university of future. Educational system in university will Received(December 14, 2015), Review Result(December 29, 2015) Accepted(January 6, 2016), Published(February 29, 2016) 1 Dept. of ITPM,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369 Sangdo-Ro, Dongjak-gu, Seoul 06978, Korea email: totona22@ssu.ac.kr 2 Graduate School of Software, Soongsil University, 369 Sangdo-Ro, Dongjak-gu, Seoul 06978, Korea email: sejung90@naver.com 3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ongsil University, 369 Sangdo-Ro, Dongjak-gu, Seoul 06978, Korea 4 (Corresponding Author) Graduate School of Software, Soongsil Univ.369 Sangdo-Ro,Dongjak-gu, Seoul 06978, Korea email: kjb123@ssu.ac.kr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5 HSST 325
A Study of K-MOOC Utilization Plan for Korea's University Operating System be changed from the passive professor-centered teaching to the conative learner-centered teaching. From 2017, all the university in Korea will face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We would like to study of resolving operational problems that may be caused by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with the introduction of K-MOOC. Keywords : MOOC, K-MOOC, University Education, Open Contents, LMS 1. 서론 미래의 대학은 능동적인 학습자의 수요에 의해 새로운 모습의 학습공동체로 거듭나게 될 것이 며, 대학 울타리 안팎의 다양한 요소의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의 패러다임은 조직형 태, 학습주도자, 학습형태, 시공간 개념 등 여러 영역에서 변화될 것이며 특히, 학생 스스로가 대학 을 선택할 뿐만 아니라, 강의 콘텐츠 및 학습방식을 선택하고 학생만족도에 따라 유연한 학사구조 및 교과과정이 조정되는 학생중심의 시스템으로 패러다임은 변화할 것이다. 더불어 미래의 대학은 각 대학의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고등교육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60세 이상의 퇴직자, 직장에서 직무교육이 필요한 직장인, 취업준비생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교육서비스 대상이 될 것이다[1][2]. 최근 다양한 MOOC 플랫폼들이 등장하여 급속도로 성장했으며, 선진대학의 정규수업과 연계하 는 등 기존의 전통적 대학교육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주목받고 있는 Flipped Learning은 MOOC를 활용한 선행학습을 온라인상에서 실시한 후, 오프라인 공간인 강의실에서는 토론, 사례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이다[3][4]. 대학의 수업방식의 변화뿐만 아니라, MOOC를 기반으로 미래의 대학은 한 대학 내의 교육 프로그램만을 제공하는 기관에서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인증받은 학생 개개인의 자격을 인정하는 기관으로 변모할 것이다. 2. MOOC의 개념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란 온라인을 통해서 누구나, 어디서나, 원하는 강의를 무 료로 들을 수 있는 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를 의미한다. MOOC는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듣기만 하 던 기존의 온라인 학습동영상과는 달리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 질의응답, 토론, 퀴즈, 과제제출 등 양방향 학습이 가능한 새로운 교육환경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수강인원의 제한 없 이 누구나 수강이 가능하여, 학습자는 배경지식이 다른 학습자간 지식 공유를 통해 대학의 울타리 를 넘어 새로운 학습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5]. MOOC는 원격교육에 뿌리를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디지털시대 이전의 교육방송과 전자학습에 서 유래되었으며, 미국에서부터 출발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교육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림 1]에서 보는 것처럼, 1990년대 교육에 컴퓨터뿐만 아니라, 인 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이 도입되면서 웹기반의 e-learning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후, 모바일 환경을 통한 m-learning, 유비쿼터스 환경을 통한 U-Learning으로 발전하였고, MOOC로 대변되고 있는 326 Copyright c 2016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2, February (2016) Smart-Learning 시대가 도래하였다[6]. [그림 1]을 살펴보면, 온라인학습의 발전방향에 있어서, 크게 3가지의 환경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첫째, 학습기기가 PC에서 스마트기기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네트워크 환경이 유선에서 무선으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참여방법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 온라인 학습의 발전 [Fig. 1]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MOOC의 많은 장점 중에 독특한 특성은 오픈콘텐츠(Open Contents)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오픈콘텐츠는 오픈소스 개념을 확장하여 만들어진 개념으로 문장, 영상, 음악 등의 창작물 을 공공이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상태를 말한다[7]. 창작물에 대해서 각종 라이선스 조건 에 따라 이용이나 재배포의 제한이 있을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오픈소스 정신을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사람이 MOOC의 영어강의콘텐츠를 수강한 후, 다른 한국사람들을 위하 여, 해당 콘텐츠의 내용을 번역하여 콘텐츠 게시판에 한국어 자막을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강의를 듣는 세계의 모든 사람들과 교류가 가능하다. 즉, 서로 강의에 대해서 토론하고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구성하여 참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MOOC의 콘텐츠들은 기존의 온 라인 학습동영상의 일방적인 전달방식을 벗어나 콘텐츠를 공개함으로써 사용자간의 교류확대를 모 색하고 있다.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5 HSST 327
A Study of K-MOOC Utilization Plan for Korea's University Operating System 3. K-MOOC 도입을 통한 변화의 필요성 한국에서는 2015년 10월 26일부터 한국형 MOOC인 K-MOOC가 공식적으로 강의를 시작했다. 교육부 총괄하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기관이 되어 서울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등 국내 10개 유수대학이 참여하여 총 27개 강좌가 등록되어 있으며, 참여한 각 대학의 대표 명품 강의들을 수 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K-MOOC는 내년까지 시범운영을 거쳐 더욱 많은 학습자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매년 강좌수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며, 2018년부터는 해외 대학의 우수 강좌도 번역하여 제공할 계획이다. 향후, K-MOOC는 한국의 대학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오 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고등교육법 제2조(학교의 종류)를 살펴보면, 한국 대학의 종류를 [표 1]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각각의 정의된 학교에 따라 운영제도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강의와 평가를 통한 학점취득 및 학 위취득은 모두 동일하다. 그 중에서 강의에 대한 방법은 각 학교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등교 육법 제2조의 5호를 제외한 학교들은 기존의 강의실중심의 집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5호 의 방송대학 통신대학 방송통신대학 및 사이버대학 등 원격대학이라 불리는 대학들은 온라인 콘텐 츠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을 통하여 학점취득 및 학위취득이 가능하다. 즉, K-MOOC가 출현하기 전에도 온라인 교육을 통한 학점취득 및 학위취득은 가능한 상황이었음을 의미한다. K-MOOC의 등장은 기존의 원격대학이 아닌, 나머지 강의실 중심의 집합교육 대상의 학교운영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표 1] 고등교육법 제2조(학교의 종류) [Table 1] Higher Education Act, Article 2(Types of Schools) 제2조(학교의 종류) 고등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학교를 둔다. 1. 대학 2. 산업대학 3. 교육대학 4. 전문대학 5. 방송대학 통신대학 방송통신대학 및 사이버대학(이하 "원격대학"이라 한다) 6. 기술대학 7. 각종학교 MOOC 기관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학, 박물관, 미술관 또는 기업체에서 제공한 강좌들이 준 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강좌를 골라 학습한 후 필요한 경우 수료에 대한 인증서를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취득한 인증서를 대학의 학점으로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 다. 하지만 2015년 10월 미국의 MIT는 물류관리석사과정(Master in Supply Chain Management)에 328 Copyright c 2016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2, February (2016) 한하여 MOOC 강의콘텐츠를 통한 학습수료를 학점으로 인정할 것임을 발표하였다[8]. 이와 같은 현상은 향후 한국의 대학운영제도, 교과과정 설계 및 강의형태의 변화를 이끌어낼 것이다. 한국은 2017년을 기점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학령인구 감소와 맞물려, 대학의 정원 을 정부의 주도하에 감축하는 대학구조개혁평가가 2023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한국은 전체대학 에서 사립대학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크다. 사립대학의 등록금은 각 대학의 주요 수입원 이다. 하지만, 정원감축으로 세입예산이 줄어드는 대학들은 세출예산의 축소를 검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학의 재정적인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대학운영제도, 교과과정 설계 및 강의형태의 변 화를 위하여 K-MOOC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4. K-MOOC 도입으로 인한 변화 한국의 대학에서 K-MOOC를 도입하여 대학을 운영할 경우, 다음과 같은 변화들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한국의 대학관계자들에게 K-MOOC를 통한 학습을 학점으로 인정해 줄 것인가? 라는 질 문을 한다면, 대부분 아직까지 강의 및 학습의 질적 측면에서 인정하기 어렵다는 대답을 할 것이 다. 그 이유는 학습자의 학습과정에 대한 관찰 및 검증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사회 에서는 이미 수년전에 원격대학을 제도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대학들이 원하는 학습의 질적 측면이 보장될 수 있는 운영제도를 개발해야 한다. 예를 들면, 기존의 원격대학들이 실시하고 있는 온 오프라인 병행 강의가 적합한 예가 될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온 오프라인 병행 강의의 비중이 온라인 측에 치우쳐져 있었다면, 학습의 질적 측면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적어도 온 라인과 오프라인의 강의 비중을 50:50으로 설정하여 운영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온라인 강의를 통하여 사전학습을 실시하고, 오프라인 강의를 통하여 질의응답, 문제풀이, 토론 등 교수자 와 학습자간의 또는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참여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이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Flipped Learning 또는 Blended Learning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대학구조개혁으로 인한 정원감축으로 각 대학에서는 현재 개설강좌수 감축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대학의 교과과정을 설계함에 있어 [표 2]의 항목들은 MOOC로 수강하고 학점인정 을 해준다면, 개설강좌수 감축을 통하여 재정적으로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이다. [표 2] MOOC 콘텐츠로 대체가능한 영역별 특성 [Table 2] Characteristics of Replaceable Area by MOOC Contents 영역 교양필수 특 성 대다수의 신입생이 수강해야 하는 교양필수과목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5 HSST 329
A Study of K-MOOC Utilization Plan for Korea's University Operating System 교양선택 전공선택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아 많은 분반이 필요한 교양선택과목 각 대학별 대형학과의 전공과목 MOOC로 대체할 수 있는 학점은 각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학점인정이 가능해진다면 [표 2]와 같은 영역별 특성의 과목들이 주로 MOOC로 수강할 수 있는 과목이 될 것이다. 셋째, 한국사회는 2017년을 기점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대학의 존립을 걱정하는 대학들 이 늘어날 것이다. K-MOOC는 한국형 MOOC이지만, K-MOOC의 콘텐츠를 가지고 한국대학의 지 리적 영역을 넓히는 것이 위와 같은 걱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MOOC의 특성 중 오픈콘텐츠인 점을 감안하여,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등의 지역에 특화된 콘텐츠 를 제작함으로써 외국인유학생유치와 연계하여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언어학 지역문화학과 전공학문의 협업을 통하여, 교육공급이 필요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 로 하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다. 넷째, 한국의 대학들은 기존에 학교운영을 위하여 학사제도관리, 재무자원관리와 인적자원관리 가 큰 축이었다면, K-MOOC의 도입과 함께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 : Learning Management System) 영역이 추가될 것이다. K-MOOC에 적합한 학습관리, 콘텐츠개발, 평가관리 뿐만 아니라, 교원인사관리도 필요하게 될 것이다. 오프라인 강의에서 검증된 교원이 온라인 강의에서 반드시 이용자들의 수요가 발생한다는 법은 없다.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연구성과가 우수한 석학일지라 도 온라인 강의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대학에서 기존에 관리하던 자원일 지라도 추가적인 관리항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5. K-MOOC의 도입으로 인한 한계점 및 해결방안 현재의 K-MOOC는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을 통해 각 대학들에게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계속적으로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으로 참여를 유도할 수는 없을 것이다. K-MOOC가 한국사회에 어 느 정도 정착한다면, 정부는 더 이상 각 대학에 K-MOOC 콘텐츠제작을 위한 재정적인 지원을 하 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대학들은 K-MOOC를 위한 계속적인 콘텐츠를 제작할 것인가? 대부분의 대학이 등록금에 의존하는 사립대학으로 구성된 한국의 대학사회에서 콘텐츠 제작을 위 한 예산집행은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각 대학별로 계속적인 K-MOOC를 운영하기 위해서 는 콘텐츠제작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할 것이다. MOOC의 가장 일반적인 수익모델은 인증서발급이다. 강의 수강자의 과정이수여부를 증명해주는 인증서발급과정에서 수수료 징수하는 것이다. 하지만 K-MOOC는 미국시장 만큼의 수수료 규모로 성장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그래 서 또 다른 비즈니스모델을 고민해야 한다. K-MOOC 콘텐츠는 오픈콘텐츠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 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한된 라이선스 정책에 따라 특성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유료콘텐츠공급도 병행해야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학습자들은 MOOC의 강의콘텐츠를 선택할 때, 교수자의 330 Copyright c 2016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2, February (2016) 명성이 MOOC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9]. 명성이 있는 교수자의 강의는 많은 학습자들이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명성을 가진 콘텐츠 내에 온라인 광고를 삽입하는 수익모델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명성이 있는 교수자들의 콘텐츠 제작 참여가 K-MOOC의 비즈니스 모델을 완성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K-MOOC를 이용하는 학 습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학습자들과 관련된 데 이터들은 어느 시점에 빅데이터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데이터마이닝을 통하 여 필요한 정보를 공급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6. 결론 및 시사점 한국의 K-MOOC는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이다. 어쩌면 아직 걸음마도 시작하지 못한 단계일 수도 있다. 그것은 앞으로 넘어야 할 단계가 굉장히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에서 초창 기 MOOC의 태동은 우수한 강의를 모든 사람과 공유한다는 비전으로 시작하였다. 하지만 한국은 다르다. K-MOOC는 대학교육 혁신 이라는 비전으로 시작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대학교육 의 패러다임에 변화는 당연할 수밖에 없는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정부나 대학이나 아직까지 대학 의 변화 방향에 대한 고찰은 미약한 것으로 보인다. K-MOOC를 활용하여 한국의 대학은 크게 세 가지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첫째, 학습형태의 변화이다. 기존의 일정한 공간에서 교수자중심의 정형화된 주입식 학습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결합된 학습공동체 중심의 맞춤형 협력학습으로 변 화해야한다. 둘째, 한국의 학령인구감소와 맞물린 대학의 재정여건 개선을 위한 교과과정 운영의 변화이다. MOOC를 활용할 수 있는 영역 및 과목을 선정하여 해당강의 이수여부를 가지고 학점으 로 인정하는 학사제도의 변화를 통하여 재정상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콘텐츠 운영방식의 변화이다. 단순히 학습자에게 제공하던 콘텐츠에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콘 텐츠를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이 설계되어야 하고, 해당 콘텐츠를 운영함으로 인하여 학교에 기여 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야 한다[10]. 향후, K-MOOC의 콘텐츠들이 대학의 학습을 위해 서만 제작되지는 않겠지만, 지금 당장은 대학의 강의를 제외한 콘텐츠의 수는 미약할 것으로 예측 된다. K-MOOC가 대한민국의 고등교육 시장에서 누구에게나 저렴한 비용으로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이제 시작하는 단계의 K-MOOC는 정부의 주도하에 안정화단계까지 성장 하면서 한국 대학운영의 패러다임변화를 주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정부와 대학은 한국 대학의 성장과 존속을 위한 제도적, 학문적, 재정적 변화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James J. Duderstadt, UNIVERSITY FOR THE 21st CENTUR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2] Youngsook Park, Jerome Glenn, Ted Gorden and Elizabeth Florescu, STATE OF THE FUTURE 2025,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5 HSST 331
A Study of K-MOOC Utilization Plan for Korea's University Operating System KYOBO BOOK CENTRE (2011) [3] Tae-eok Lee, Higher Education, Utiliztion Stategy of e-learning, MOOC, Flipped Learning for Education Innovation (2014), pp. 65-71. [4] Dan-Hee Yang, A Critical Review on the Inherent Problems of MOOC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5) Vol 6, No. 6., pp.293-299 [5] R. C. Barr, Bioelectricity-AQA, one of the first MOOC courses in Engineering, Proceedings of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2014), pp.1805-1808 [6] Hee-Jung Jung,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Impacts of Smart Learning Attributes on Intention to Use Smart Learning for English Learning (2013), Vol 21, No. 3. [7] Sung Taek Lee, Se-Jeong Park, GwangYong Gim, Jong-Bae Kim,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Education for University of K-MOOC, Convergence Research Letter, HSST, Vol.2, No.1, January (2016), pp.413-416 [8] MIT Technology Review, Take Free Online Classes, Get Course Credit at MIT, http://www.technologyreview.com/news/542201/take-free-online-classes-get-course-credit-at-mit/ [9] Nguyen Thi Bich Lien,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 In Vietnam. (2015.12) [10] Ye-sun Bae and Woo-chun Ju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A Study on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Massive Open Online Courses (2014), Vol. 18, No. 12. 332 Copyright c 2016 HS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