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Similar documents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γ


<The natural sleep cycle of a healthy adult: Life Enhancement Magazine September 1999> (2) 수면단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연령 수면단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연령이다. 신생아

歯1.PDF

16_이주용_155~163.hwp

황지웅

歯kjmh2004v13n1.PDF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외측반규관기원의양성발작성두위안진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정운교 이원상 김문석 이주환 이세영 Direction Changing Positional Nystagmus from

012임수진

1주차


1..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Kju269.hwp

ePapyrus PDF Document

KISEP 흰쥐에서일측전정기관손상후전정안구반사의회복과내측전정신경핵에서 c-fos 단백질발현과의관계 * Abstract 황오성 이문영 김민선 박병림 이정헌 김종길 송영창 곽기용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of Vestibulo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대학중점연구소 심포지엄기초과학연구소

(01) hwp

005송영일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DBPIA-NURIMEDIA

노영남

( )Jkstro011.hwp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 IMF.. IMF % (79,895 ). IMF , , % (, 2012;, 2013) %, %, %

( )Kjhps043.hwp

09È«¼®¿µ 5~152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NCS : G * The Analy

Vol.259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5BBEF0BEEE33332D335D20312EB1E8B4EBC0CD2E687770>

Crt114( ).hwp

11¹ÚÇý·É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

Jkbcs016(92-97).hwp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1, Suppl. 1, June 2012 Symposium II pissn , eissn 진동에의한주관적시수직 - 수평의편위 단국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 - 두경부외과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2


DBPIA-NURIMEDIA

大学4年生の正社員内定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482-7 수직반고리관기능짝에대한회전검사 한규철 Analysis of Vertical Semicircular Canal Rotational Test in Healthy Adults Gyu Ch

< C6AFC1FD28C3E0B1B8292E687770>

03이경미(237~248)ok

DBPIA-NURIMEDIA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09-감마선(dh)

Can032.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hwp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아태연구(송석원) hwp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Lumbar spin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7-14 청신경종의크기에따른어지러움의양상및전정기능검사의특징 정원호 홍성화 조양선 김성민 장병찬 최재연 이승진 Characteristics of Vertigo Manifestations a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ksvs019(8-15).hwp

서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04조남훈

<B0E6C8F1B4EBB3BBB0FA20C0D3BBF3B0ADC1C E687770>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3136C1FD31C8A320C5EBC7D5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untitled

Figure 1.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basic and derived stimulus parameters Table 1. Stimulus-induced injury Mechanism Parameter Safety measure Cha



12È«±â¼±¿Ü339~370

Jkcs022(89-113).hwp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30322D3031BCD5B5BFC8A32DC6EDC1FD2E687770>

A 617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440 /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00약제부봄호c03逞풚

#Ȳ¿ë¼®

Transcription:

J Korean Balance Soc 2006;5(1):44-48 수면과 전정신경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김현아, 이형 Sleep and Vestibular Neuritis Hyun-Ah Kim, M.D., Hyung Lee, M.D. Department of Neurology, Brain Research Institute,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Korea Background and Objectives: While it is known that sleep have influence on emergence of rapid eye movements (REMs), namely saccades including fast component of nystagmus, whether spontaneous nystagmus due to vestibular imbalance presents during sleep is still unclear.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onic vestibular imbalance appeared as spontaneous nystagmus during the wakeful state could present during REM sleep. Materials and Method: Overnight polysomnography (PSG) was performed in 7 patients with spontaneous nystagmus due to vestibular neuritis (VN) and 7 control patients without dizziness or any nystagmus. The numbers of horizontal saccades were counted, during 3 minutes samples of the alert state before and after the PSG and the first and last REM sleep. Results: All patients with VN showed significantly more saccades (fast phases of spontaneous nystagmus) towards the side contralateral to their vestibular lesion in the awake state before and after the PSG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y contrast, during REM sleep the patients with VN showed no preponderance in saccade direction (p<0.05). Some brief nystagmoid jerks showed during REM sleep in both patients and controls equally and also had no preponderance in direction. Conclusion: The tonic vestibular imbalance at peripheral level observed during alert state does not appear at the brainstem level during REM sleep. It is suggested that a de-afferentation of the peripheral vestibular input to the REM sleep generating areas may explain an absence of nystagmus during REM sleep in patients with VN. Key Words : Vestibular imbalance, Nystagmus, REM sleep 서 론 동물에서 렘수면(REM sleep)의 발생은 주로 뇌교- 슬상체-후두엽(ponto-geniculo-occipital: PGO) 파형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뇌교-슬상체-후두엽 파형을 만들 교신저자 : 이 형 700-712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194 동산의료원 신경과 Tel: 053-250-7835, Fax: 053-250-7840 E-mail: hlee@dsmc.or.kr 어 내거나 전달하는 세포들이 직접적으로 정중곁 뇌교 그물체(paramedian pontine reticular formatioin) 내에 위 치하는 단속운동(saccade)의 방출 신경원(burst neuron) 을 흥분시키고, 이에 따라 수평 단속운동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1,2) 일반적으로 각성 상태 동안 일어나는 단속운동과 렘수면 동안의 빠른 안구 운동 (rapid eye movement: REM), 그리고 안진의 급속 성분 (속상)은 모두 단속운동으로, 동일한 뇌교 신경원의 방출(burst)에 의한 것이라 생각된다. 3-6) 흔한 말초전정 장애인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은 심한 회전성

김현아 외 의 어지럼증, 일측 방향으로의 자발 안진이 있으면서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나 징후는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정신경염 환자에서 각성 상태 동안에는 빠른 성분이 건측을 향하는 수평 회전성 안진이 관찰되나 비렘수면(non-REM sleep) 동안에는 빠른 안구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렘수면 동안의 빠른 안구 운동은 단 속운동으로 생각되므로 안진은 렘수면 동안에도 관찰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우리는 전정신경염 환자 에서 각성시 보이는 자발 안진이 렘수면 동안에도 관 찰될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자발안진이 관찰되는 7명의 전정신경염 환자와 안 진이 없는 7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야간 수면다원검 사를 시행하였다. 전정신경염의 진단은 1999년 Strupp 과 Brandt에 의해 제시된 기준을 기초로 하였다. 7) 대 조군은 수면 장애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현훈의 병력이 없고 각성 시 프렌젤 안 경(Frenzel glass)을 착용하여도 자발 안진이 관찰되지 않았다. 수면다원검사는 전정신경염의 증상 시작 당일 에서 이후 5일까지의 기간 동안 시행되었다(평균 49시 간, 11~122시간). 전기안구운동기(electro-oculography: EOG)는 전극을 양쪽 눈 옆과 안구 아래위에 붙여 실 시하였다. 전기안구운동기의 보정(calibration)은 수면 다원검사 시작 시 시행되었다. 우측과 좌측(전정신경 염에서는 동측과 반대측) 수평 단속운동은 수면 시작 전 각성상태와 야간 수면 후 각성상태, 그리고 야간 수면 중 첫번째와 마지막 렘수면 구간에서 각각 3분 동안의 기록으로 계산되었다. 수평 단속 운동은 3도 이상의 측방 운동이나 초당 50도 이상의 속도를 보이 는 안구 운동만을 포함하였다. 8) 단속운동이 방향의 우위를 보이면 안진으로 간주하였다. 각성 상태와 렘 수면에서 수평 단속운동과 안진의 방향적 우위를 찾 아내기 위해 우측/동측과 좌측/반대측 수평 단속운동 의 수를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전정신경염 환자는 대조군보다 나이가 많았으며 (전정신경염 62.29±5.68세, 대조군 44.29±19.31세), 두 그룹 간의 성별 분포는 비슷하였다. 우측 전정신경염 은 5명, 좌측 전정신경염은 2명이었다. 대조군은 폐쇄 성 무호흡을 진단 받은 환자들이었다. 모든 전정신경 염 환자들은 자발 안진을 보였고 이는 프렌젤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가장 잘 관찰되었다. 비디오 테이프로 환자와 대조군이 분석 중인 각성 상태와 렘수면 동안 좌우로 머리를 틀지 않고 바로 누워 있었다는 것을 Table 1. Saccades during wakefulness and REM sleep of patients with vestibular neuritis and control patients Number of saccades/s VN Control Initial Wakefulness 0.54 (0.21) 0.07 (0.03) 0.04 (0.02) 0.04 (0.02) 0.795 0.106 Last Wakefulness 0.66 (0.42) 0.11 (0.09) 0.013 0.03 (0.02) 0.03 (0.02) 0.743 0.116 Initial REM 0.34 (0.32) 0.35 (0.39) 0.749 0.07 (0.05) 0.07 (0.06) 0.948 0.040 0.029 Last REM 0.29 (0.26) 0.30 (0.22) 0.798 0.08 (0.02) 0.07 (0.01) 0.646 Contralateral and ipsilateral refers to the side of the vestibular lesion in patients with vestibular neuritis; right and left refers to control patients. VN: vestibular neuritis. Values are given as mean (SD) 0.017 0.012

수면과 전정신경염 Fig. 1. (A) Thirty second sample of the awake state before sleep onset of the polysomnography for one control patient and a patient with right vestibular neuritis (VN). The polysomnography of right vestibular neuritis patient showed significantly more saccades to the left side in the awake state, indicating spontaneous nystagmus. (B) Thirty seconds sample of the first REM period of the polysomnogram for one control patient and a patient with right vestibular neuritis. During REM sleep, the polysomnography of right vestibular neuritis patient did not show any nystagmus. Some brief duration (2~3 seconds long) of nystagmoid jerks equally found with in both patient and control during REM sleep (arrows). 확인하였다. 전정신경염 환자들은 각성 상태에 병변 방향의 반대쪽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은 단 속운동을 보였고 이는 자발 안진을 의미한다(P<0.05) (Table 1, Fig. 1-A). 그러나 렘수면 동안에는 어떤 환 자도 자발 안진이나 유의한 정도의 단속운동의 방향 적 우위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는 각성 상태나 렘수면 동안 단속운동의 방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정신경염과 대조군 모두에서 짧은 기간(2~3초 가 량)의 안진양의 격동(nystagmoid jerk)(fig. 1-B)이나 초 당 10도에서 20도 정도의 속도를 가진 느린 수평 안 구 운동이 렘수면 동안 나타났다. 비렘수면 동안에는 두 그룹 모두에서 단속운동이 관찰되지 않았다. 고 찰 내측 전정핵(medial vestibular nucleus)은 렘수면을 만들어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9,10) 우리 환자들에서 말초 수준에서의 긴장성 전정 불균 형이 내측 전정핵까지 성공적으로 전달되면, 안진이 나 유의한 정도의 단속운동의 방향적 우위가 렘수면 동안 관찰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전정신경염 환자 중 어떤 환자도 렘수면 동안 안진이나 단속운동의 방 향성의 우위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각성 상태 동안 말초 수준에서 일어나는 긴장성 전정 불균형이 렘수 면 동안 뇌간 수준에서는 활성화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비동기적 수면(desynchronized sleep) 동안의 빠른 안구 운동과 관련된 신경원성 방 전(neuronal discharge)은 전정신경염에서 안진을 만들 어내는 기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

김현아 외 준다. 정적 수면(quiet sleep), 동기화된 수면(synchronized sleep)이라고도 불리는 비렘수면에서는 빠른 안구 운 동이 관찰되지 않는다. 말초 혹은 중추의 병변에 의해 각성 상태 동안 보이던 자발 안진이 비렘수면 동안에 는 사라진다는 여러 보고들이 있다. 11-16) 우리 연구에 서도 전정신경염 환자에서 각성 시 보이던 안진이 비 렘수면 동안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고양이를 이용한 연구에서 일측 미로절제술(labyrinthectomy) 후 각성 상태 동안 관찰되던 자발 안진이 렘수면 동안에는 대부분 억제되거나 완전히 사라진다 는 보고들이 있으며, 11) 이는 우리 연구의 결과와 일치 한다. 그러나 중추 병변에 의해 안진이 관찰되는 환자 에서 렘수면 동안의 안구 운동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 들이 상반된 결과를 보여준다. 이전의 보고들은 중추 병변으로 인해 각성 상태 동안 보이던 안진이 렘수면 동안에는 사라진다고 하였다. 12,13) 반대로 다른 연구들 은 중추 병변으로 인해 각성 상태 동안 안진을 보이 는 환자들에서 렘수면 동안 짧은 기간의 안진양 격동 이 관찰된다고 하였다. 14,15) 그러나 이런 안진양 격동 은 건강한 환자에서도 기록되었으며 13) 우리는 또한 전정신경염 환자와 대조군 모두에서 안진양 격동이 방향적 우위성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이런 안진양 격동은 렘수면 동안 관찰되는 정 상 소견으로 생각된다. 이런 상반되는 결과들은 아마 1) 빠른 안구 운동의 억제에 대한 정의의 차이(즉, 안 진과 안진양 격동 모두의 소실 혹은 안진의 소실), 2) 안진의 방향과 양상에 대한 기술의 부족, 3) 안진의 원인이 되는 병변에 대한 기술의 부족 등에 의해 설 명될 수 있을 것이다. 렘수면 동안 안진이 소실되는 현상에 대한 신경 생리학적 근거는 명확치 않다. 렘수면 동안에는 운 동 무긴장(motor atonia)이 발생하는데 이는 운동 출 력(motor output)의 원심성(efferentation) 신호 억제 때 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비슷하게 렘수면 동안의 안진 소실은 단속운동 방출 신경원을 포함하는 렘수 면 발생 지역으로 향하는 말초성 전정 신호의 구심성 차단(de-afferentation)이 내측 전정핵으로 들어가는 말 초의 신호를 억제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내측 전정핵의 신경원은 렘수면 동안의 빠른 안구 운 동과 동기화되는 전위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9,10) 수 면 동안의 안구 운동에 전정 자극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거의 연구들에서 전정 안구 반사나 시운동성 안진이 렘수면 동안 유발되지 않는다는 비슷한 결과 를 보여주었다. 17,18) 이 또한 말초 전정 신호의 구심성 차단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연구의 제한점은 두 그룹의 수가 적고 두 그 룹 사이의 연령이 비슷하지 않으며 대조군이 렘수면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면 무호흡을 가진다는 것 이다. 차후 말초 또는 중추성 안진을 보이는 더 많은 수의 환자에 대한 연구가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는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Hobson JA, McCarley RW. The brain as a dream state generator: an activation-synthesis hypothesis of the dream process. Am J Psychiatry 1977;134:1335-48. 2) Hobson JA, Pace-Schott EF, Stickgold R. Dreaming and the brain: toward a cognitive neuroscience of conscious states. Behav Brain Sci 2000;23:793-842. 3) Hoshino K, Pampeiano O, Magherini PC, Mergner T. The oscillatory system responsible for the oculomotor activity during the bursts of REM. Arch Ital Biol 1976;114 :278-309. 4) Kamogawa H, Ohki Y, Shimazu H, Suzuki I, Yamashita M. Inhibitory input to pause neurons from pontine burst neuron area in the cat. Neurosci Lett 1996;203:163-6. 5) Bizzi E, Pompeiano O, Somogyi I. Vestibular nuclei activity of single neurons during natural sleep and wakefulness. Science 1964;145:414-5. 6) Bizzi E, Pompeiano O, Somogyi I. Spontaneous activity of single vestibular neurons of unrestrained cats during sleep and wakefulness. Arch Ital Biol 1964;102:308-30. 7) Strupp M, Brandt T. Vestibular neuritis. Adv Otorhinolaryngol 1999;55:111-36. 8) Neetens A, Van den Ende P. Eye movements during sleep. Bull Soc Belge Ophtalmol 1989;237:227-44. 9) Pompeiano O, Morrison AR. Vestibular influences during sleep. I. Abolition of the rapid eye movements of desynchronized sleep following vestibular lesions. Arch Ital Biol 1965;103:569-95. 10) Nelson JP, McCarley RW, Hobson JA. REM sleep burst neurons, PGO waves, and eye movement information. J Neurophysiol 1983;50:784-97. 11) Baldissera F, Broggi G, Mancia M. Nystagmus induced by unilateral labyrinthectomy affected by sleep-wakefulness

수면과 전정신경염 cycle. Nature 1967;215:62-3. 12) Tauber ES, Weitzman ED, Herman J, Pessah M. Absence of nystagmus during REM sleep in a patient with waking nystagmus and oscillopsia.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73;36:833-8. 13) Kawahara R, Hazama H, Fukuhara T, Matsushita T, Makino H. Nystagmus and REM density during sleep in patients with various brain lesions. Waking sleeping 1980;4:205-10. 14) Gordon CR, Oksenberg A. Spontaneous nystagmus across the sleep-wake cycle in vegetative state patient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3;86:132-7. 15) Appenzeller O, Fischer AP. Disturbances of rapid eye movements during sleep in patients with lesions of the nervous system.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68;25:29-35. 16) Eisensehr I, Noachtar S, Strupp M, Von Lindeiner H, Brandt T, Buttner U. Absence of nystagmus during REM sleep in patients with vestibular neuriti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1;71:386-9. 17) Flandrin JM, Courjon JH, Jeannerod M, Schmid R. Vestibulo-ocular responses during the states of sleep in the cat. Electroencephalogr and Cli Neurophysiol 1979;46: 521-30. 18) Gardner R, Weitzman ED. Examination for optokinetic nystagmus in sleep and waking. Arch Neurol 1967;16: 4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