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탁연구4)방송언어에대한시청자및제작자인식조사연구-최종.hwp



Similar documents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CC hwp

CC hwp

2003report hwp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7단원 1(252~269)교

<5BC0A7C5B9375D20BFACBFB9BFC0B6F4C7C1B7CEB1D7B7A528C3D6C1BEBAB8B0EDBCAD292E687770>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 2 -

hwp

13Åë°è¹é¼Ł

2002report hwp

hwp

¾ç¼ºÄÀ-2

CR hwp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untitled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09콘텐츠산업백서_1 2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¾Æµ¿ÇÐ´ë º»¹®.hwp

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플레이북 여기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YouTube 소개 2. YouTube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채널 만들기 3. 눈길을 끄는 동영상 만들기 4. 고객의 액션 유도하기 5. 비즈니스에 중요한 잠재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기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유료방송채널 시청률 3% 시대 새 판 짜는 종합편성채널 <채널별 시청률 2% 이상 프로그램 개수> 속풀이쇼 동치미 (4.51%) 나는 자연인이다 (3.30%) 아궁이 (3.21%) 고수의비법 황금알 (3.17%) 엄지의 제왕 (2.91%) 천기누설 (2.86%) 신세계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ad 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041~084 ¹®È�Çö»óÀбâ

ok.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iOS ÇÁ·Î±×·¡¹Ö 1205.PDF

³»Áö_10-6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37322DC0CEB1C7BAB8C8A3BCF6BBE7C1D8C4A2C0C7B0DFC7A5B8ED5B315D2E687770>

ad 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 89 -


152*220

°æÁ¦Àü¸Á-µ¼º¸.PDF

* pb61۲õðÀÚÀ̳ʸ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관람가, 12세 이상 관람가, 15세 이상 관람가, 청소년 관람불가, 제한상영가로 분류하 고 있고, 같은 조 제7항은 위 상영등급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건전한 가정생활과 아 동 및 청소년 보호에 관한 사항, 사회윤리의 존중에 관한 사항, 주제 및 내용의 폭력 성 선정

....pdf..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10월추천dvd

xviii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에 연계되기 때문이라는 응답 이 학생 61.7%, 학부모 73.2%로 가장 많았고,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는 학생의 경우 사교육 때문이라는 응답이 26.9%,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

È޴ϵåA4±â¼Û

SIGIL 완벽입문

PDF

성인지통계

hwp

01정책백서목차(1~18)


Print

(중등용1)1~27

hwp

방송언어 가이드라인

국내외 장애인 텔레비전 방송 현황 연구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피해자식별PDF용 0502

¿©±âÀÚ-À¥¿ë.PDF

»êÇÐ-150È£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CSG_keynote_KO copy.key

기본소득문답2


나하나로 5호

글청봉3기 PDF용

197

< 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연구노트


슬라이드 1

DocHdl2OnPREPRESStmpTarget

INDUS-8.HWP

CONTENTS.HWP


b77ùµåÆ÷Ä¿½º³»Áö/L265µš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Special Theme TV SNS 2015 Spring vol

Microsoft PowerPoint - chap01-C언어개요.pptx

한 TV 방송의 심층보도 프로그램은 2명의 여성 연예인이 유명배우 L모씨와 함께한 술자 리에서 촬영한 음담패설 등이 담긴 동영상을 이용해 L씨에게 거액을 요구한 사건을 다루었 다. 그런데 피의자 중 1명의 이름을 밝히면서, 또 다른 피의자는 모델 A양 이라는 자막과 함

CC hwp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º´¹«Ã»Ã¥-»ç³ªÀÌ·Î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Transcription:

이 보고서는 2014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정책 연구개발 사업의 연구결과로서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자의 견해이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공식 입장은 아닙니다.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연 구 진 연 구 수 행 기 관 : 고려대 산학협력단 책 임 연 구 원 : 김성태(고려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 공 동 연 구 원 : 최재찬((주) 이투온) 보 조 연 구 원 : 방은주 (고려대학교 강사) 용미란 (고려대학교 석사) 정윤경 (고려대학교 석사과정)

목차 v 목 차 요약문 xiii 제 1 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6 제 2 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7 제1절 방송언어에 대한 정의 및 특징 9 제2절 방송언어 사용 실태에 관한 논의 12 제3절 방송언어 평가에 관한 논의 14 1. 국내 방송언어 평가 지수 개발 및 사례 14 2. 해외 방송언어 평가 지수 개발 및 사례 19 3. 방송언어 평가 기준에 관한 논의 21 4.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인식에 관한 논의 22 제 3 장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25 제1절 방송언어 심의 규정 분석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27 1. 국내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방송통신심의위원회 27 2. 해외 방송언어 심의 규정: 영국 오프콤 31 제2절 방송언어 가이드라인 분석 33 1. 국내 방송사 제작 가이드라인: KBS, MBC, SBS 34 2. 해외 방송사 제작 가이드라인: BBC 36

vi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제 4 장 제4장 방송언어 심의 위반 및 모니터링 사례 분석 39 제1절 방송언어 심의 위반 사례 분석 41 제2절 방송언어 심의 규정 분석 47 제 5 장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인식조사 : 설문조사 55 제1절 개요 57 제2절 설문 구성 57 제3절 측정 척도 58 1. 방송 시청 행태 58 2. 장르별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59 3. 일상에서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61 4. 방송언어 심의에 관한 인식 63 5. 인구사회학적 변인 63 제4절 시청자 인식조사: 설문 분석 결과 65 1. 표본의 특성 65 2. 방송 시청 행태 67 3. 장르별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72 4. 일상에서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92 5. 방송 심의에 관한 인식 95 제5절 시청자 인식조사 소결 98 제 6 장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인식조사 : 설문조사 101 제1절 개요 103 1. 수단-목적 사슬 이론 103 2.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구현하는 래더링(Laddering) 104 제2절 래더링 분석을 위한 심층 인터뷰 대상자 선정 109 제3절 인터뷰 방법 및 질문 문항 111 제4절 래더링 유목의 구성과 조작적 정의 113 제5절 래더링 분석 결과 118

목차 vii 1. 방송언어를 활용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자들의 함축 매트릭스 118 2. 방송언어를 활용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자들의 가치단계도 127 제6절 제작자 인식조사 소결 133 제 7 장 빅데이터 <STAR> 솔루션을 활용한 방송언어 영향 분석 137 제1절 개요 139 제2절 방송언어 영향에 대한 소셜텍스트 분석 결과 143 1. 소셜텍스트 데이터 분석 개요 143 2. 방송 유행어 분석결과 143 3. 방송언어/자막 분석 결과 150 4. 심의 제재 및 모니터링 언어 분석결과 164 제3절 소셜텍스트 분석 소결 166 제 8 장 결론 및 함의 169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71 제2절 방송언어 가이드라인 방향과 정책적 제언 176 참고 문헌 178 부록 185 1. 설문조사 결과표 187 2. 심층인터뷰 결과표 381 3. 시청자 인식조사 설문지 402

viii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표 목차 <표 1-1> TV방송 드라마 저품격 언어 출현빈도 3 <표 2-1> 방송언어 조건 제안 연구 11 <표 2-2> 연도별 된 방송언어 유형 건수 21 <표 2-3> 방송언어 평가 지수 연구 51 <표 2-4> QI 평가항목과 척도문항 71 <표 2-5> SBS 수용자 만족 지수 항목 81 <표 2-6> 미국 수용자 평가 조사 현황 20 <표 2-7> 방송언어 수용자 의식 조사 23 <표 3-1>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72 <표 3-2>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 제3절의2 재난방송 30 <표 3-3> 영국 오프콤 방송언어 심의규정 32 <표 3-4> 맥락에 의한 정당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3 <표 3-5> 방송사별 방송제작 가이드라인 35 <표 4-1> 방송언어 관련 연도별, 방송사별 심의 사례건수 14 <표 4-2> 장르별 방송언어 관련 심의제재 건수 42 <표 4-3> 방송언어 관련 제재유형별 심의 건수 4 <표 4-4> 된 방송언어 유형 45 <표 4-5> 지상파와 유료방송의 된 방송언어 유형 46 <표 4-6> 매체별 모니터링 조사 현황 47 <표 4-7> 방송국별 모니터링 조사 현황 48 <표 4-8> 채널별 모니터링 조사 현황 48 <표 4-9> 장르별 모니터링 조사 현황 50 <표 4-10> 모니터링 항목별 모니터링 조사 현황 15 <표 4-11> 장르별 모니터링 결과 분석 15 <표 5-1> 시청자 인식조사 설문 구성 85 <표 5-2> 발화 언어 측정 항목 60 <표 5-3> 자막 측정 항목 16 <표 5-4> 장르별 방송언어 추출 목록 62 <표 5-5> 인구사회학적 변인 측정 항목 64 <표 5-6>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66 <표 5-7> 매체별 일평균 시청 시간 68 <표 5-8> 장르별 일평균 시청 시간 69

표 목차 ix <표 5-9> 방송 시청 기기 70 <표 5-10> 방송 시청 방식 27 <표 5-11>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 종합(표준성) 37 <표 5-12>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표준성): 뉴스 47 <표 5-13>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표준성): 시사 및 교양 57 <표 5-14>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표준성): 오락 67 <표 5-15>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표준성): 드라마 77 <표 5-16>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표준성): 라디오 87 <표 5-17>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적절성) 97 <표 5-18>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적절성): 뉴스 08 <표 5-19>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적절성): 시사 및 교양 18 <표 5-20>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적절성): 오락 28 <표 5-21>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적절성): 드라마 38 <표 5-22>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적절성): 라디오 48 <표 5-23> 장르별 자막에 대한 인식: 종합 84 <표 5-24> 장르별 자막에 대한 인식: 성별/연령 85 <표 5-25> 매체별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종합 86 <표 5-26> 매체별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성별/연령 87 <표 5-27> 심의 위반 사례 방송 부적합성 인식: 뉴스 8 <표 5-28> 심의 위반 사례 방송 부적합성 인식: 시사 및 교양 89 <표 5-29> 심의 위반 사례 방송 부적합성 인식: 오락 90 <표 5-30> 심의 위반 사례 방송 부적합성 인식: 드라마 91 <표 5-31> 심의 위반 사례 방송 부적합성 인식: 라디오 92 <표 5-32> 일상에서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종합 93 <표 5-33> 일상에서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성별/연령 94 <표 5-34>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 규제에 대한 의견 및 인식 96 <표 5-35> 매체별 장르별 방송언어 심의 규제에 대한 의견 79 <표 6-1> 가상으로 만든 와인 쿨러(wine cooler) 요약 내용 코드 106 <표 6-2> 인터뷰 대상자인 방송 제작자(기자, PD, MC, 작가) 프로파일 10 <표 6-3> 속성 단계 요약 내용 코드 14 <표 6-4> 결과 단계 요약 내용 코드 15 <표 6-5> 가치 단계 요약 내용 코드 16 <표 6-6> 요약 내용 코드 17 <표 6-7> 방송언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제작자 함축 매트릭스 120 <표 6-8> 분석 유목에 따른 전체 제작자의 상 하위연결 및 직 간접연결 121 <표 6-9> 속성 단계의 상 하위연결 및 직 간접연결 123

x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표 6-10> 결과 단계의 상 하위연결 및 직 간접연결 124 <표 6-11> 가치 단계의 상 하위연결 및 직 간접연결 126 <표 6-12> 연결 기준에 따른 항목별 연결 수 (A: attributes, C: consequences. V: values) 127 <표 6-13> 프로그램 제작에서 중요한 방송언어 속성-결과-가치 13 <표 7-1> 빅데이터 분석 대상인 소셜텍스트 유형과 내용(예) 141 <표 7-2> 유행어의 매체별 수집(텍스트) 건수 및 분석(방송언어) 건수 14 <표 7-3> 유행어의 연관어 분석결과 149 <표 7-4> 방송언어 수집 및 분석 건수 150 <표 7-5> 방송자막 수집 및 분석 건수 150 <표 7-6> 방송언어 연관어 분석 건수 151 <표 7-7> 방송자막 연관어 분석 건수 153 <표 7-8> 방송언어 연관 형용사 수집 건수 15 <표 7-9> 방송자막 연관 형용사 분석결과 156 <표 7-10> 방송언어 관련 원문 분석 결과 158 <표 7-11> 방송자막 관련 원문 분석 결과 161 <표 7-12> 심의 제재 및 모니터링 언어 장르별 분석 결과 164 <표 8-1> 설문조사, 래더링, 소셜텍스트 분석에 따른 주요 결과 및 정책적 함의 175

그림 목차 xi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진행절차 6 [그림 6-1] 래더링 방법 구현 107 [그림 6-2] 직접 연결, 간접 연결의 예 119 [그림 6-3] 코딩 방법 19 [그림 6-4] 기준 연결수 5이상 가치단계도 128 [그림 6-5] 기준 연결수 4이상 가치단계도 129 [그림 6-6] 기준 연결수 4이상 가치단계도 속성-결과 130 [그림 7-1] 대규모 소셜 데이터 처리 과정 140 [그림 7-2] 대용량 소셜텍스트 수집과 분석 과정(예) 141 [그림 7-3] 대용량 소셜텍스트(빅데이터) 분석 결과 예상 개념도(예) 142 [그림 7-4] 별에서 온 그대 건강관리 잘해 시간대별 분석 146 [그림 7-5] 상속자들 나 너 좋아하냐 시간대별 분석 146 [그림 7-6] 개그 콘서트 앙대요 시간대별 분석 146 [그림 7-7] 개그 콘서트 느낌 아니까 시간대별 분석 146 [그림 7-8] 아빠 어디가 좋은가봉가 147 [그림 7-9] 밀회 특급 칭찬 시간대별 분석 147 [그림 7-10] 코미디 빅리그 으리 시간대별 분석 148 [그림 7-11] 방송언어 연관어 이슈맵 152 [그림 7-12] 방송자막 연관어 이슈맵 154 [그림 7-13] 방송언어에 대한 이용자 반응(선호도) 조사 157 [그림 7-14] 방송자막에 대한 이용자 반응(선호도) 조사 157

요약문 xiii 요 약 문 제1장 서론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의 언어문화 형성에 방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 방송언어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공적 언어로서 일반 대중을 포함해 특히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그래서 공공 방송 은 국민의 바른 언어생활에 이바지하도록 규정되어.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는 종편을 포함한 다수의 채널에서 자주 편성되는 시사토 론 프로그램에서 적절하지 않은 언어사용에 대한 지적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 다. 이 가운데 방송언어의 건전성 훼손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포함한 전체 시청 자의 불건전한 언어문화로 이어질 우려가 제기된다. 오늘날 방송언어에는 인 격모독, 차별적 표현, 폭력적 표현, 선정적 표현, 비속어, 은어 통신어, 불필요 한 외국어 외래어 등이 무분별하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으로 보고되고 (국립국어원, 2013). 국민의 화합과 건전한 여론 형성을 위해서라도 방송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필요성은 매우 크며, 이를 통해 올바른 방송언어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중요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팀은 방송언어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방송 콘텐 츠에 포함된 언어나 자막에 대한 사람들의 일반적인 인식이 어떠한지, 그리고 추가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생산하는 제작자들은 어떻게 방송언어를 콘텐츠의 한 부분으로 생각하고 구성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많이 사용되어 왔던 설문조사와 함께 제작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래더링 기법의 차용, 그리고 방송언어

xiv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의 실질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소셜텍스트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포괄적 으로 적용하여 결과의 내 외적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는 방송언어에 대한 정의 및 특징을 종합하는 것부 터 시작할 수. 그렇게 정의된 방송언어의 사용 실태에 대한 기존의 논의 를 알아보았다. 그 후 추가적으로 방송언어 평가에 대한 논의를 알아보았다. 방송언어에 대한 정의는 이희승(1956)부터 시작되어 이주행(1995)이 순정성, 공식성, 공손성, 공정성, 세련성, 용이성으로 방송언어의 특징을 제시하게 되었다. 순정성이란 방송언어는 상스럽지 않고, 잡되지 않으며, 바른 말이어 야 한다는 것이고, 공식성이랑 방송언어가 격식과 품위가 있으며, 감정이 절제 된 언어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손성은 방송언어가 높임법에 맞는 말과 같이 예의 바르고, 상대의 체면을 손상하지 않는 말이어야 하고, 공정성이란 방송언 어가 어떠한 대상이라도 미화하거나 폄훼하지 않고, 이들을 공평하게 대하는 것을 말한다. 세련성이란 방송언어가 유사어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연결 어미 들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세련미를 보여야 한다는 것이고, 마지막으로 용이 성이란 방송언어가 수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어야 함을 말하는 것까지 방송언어의 특징이 정의되었다. 방송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논의는 방송언어가 국민의 언어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대해서 필수적이다. 지금까지는 방송언어는 발음, 표준어법, 자막 등에 있어서 방송 부적합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모든 장르 및 채널 별로 공통된 기준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오미영(2006)은 특히 연예 오락 프로그램의 방송언어가 탈 공손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강조하였으 며, 주창윤 최용준 김경환(2012)은 2011년 방송 심의 제재를 분류하여, 연예 오락 프로그램에서는 선정, 폭력, 가치규범성 등에서 방송 심의가 이루어졌다.

요약문 xv 이와 같이 장르별로 방송언어에 대하여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방송언어 평가에 대해서는 국내 방송언어 평가 지수와 해외 방송언어 평가 지수로 나누어 볼 수. 국내 방송언어 평가 지수는 방송통신위원회의 KI지 수, MBC의 QI지수, SBS의 ASI가 있으며, 해외 방송언어 평가 지수로는 TTA 의 프로그램 소구도/ 시청효과 지수, R. D. Percy & Company의 Vox Box, ABC, NBC, CBS의 ASI 등이. 제3장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대하여는 국내와 국외의 사례를 통해 조사할 수. 국내의 심의 규정 사례의 경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을 통해 볼 수 있으며 해외의 경우 영국의 오프콤 방송규정을 통해 알아볼 수.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의 KBS, MBC, SBS와 영국의 BBC를 통해 알아보았다. 우리나라에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에 근거하면,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중 방송언어와 관련된 조항들이. 우선 직접적으로 는 제51조(방송언어)와 제 52조(외국어 등)가 있으며, 제24조의 3(재난방송의 내용)과 제35조(성표현), 제51조(방송언어), 제52조(외국어 등)는 방송 표현 면에서 방송언어를 간접적으로 심의하는 조항이라고 할 수. 최근의 무분별한 방송언어의 사용 현실을 고려할 때, 현재의 언어 관련 방송심 의에 대한 규정 은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언어의 표준성 부분을 제외하고는 방송언어의 폭력성 과 선정성, 공정성(차별성) 등의 기준은 포 함되지 않고. 영국의 오프콤 방송 규정(Ofcom Broadcasting Code)에서 방송언어에 대한 심의 기준은 1장(18세 이하 보호)과 2장(유해와 불쾌감 유발)에서 찾아볼 수

xvi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Rule 1. 14와 1.16까지 에서는 언어를 3가지 기준으로 차등 분류하여, 사용하지 말아야할 언어에 대해서 언급하고. 또한 오프콤 방송 규정에서 중요한 부분은 맥락이다. 상황에 대한 융퉁성을 인정하고. 하지만 맥락에 의해 정당화될 때에도 수용자가 불쾌감을 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절 한 정보를 제공해야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현행 KBS, MBC, SBS는 방송제작에 있어 심의 준칙 또는 가이드라인을 마련 해 자율 규제를 실시하고. KBS의 경우 방송제작 가이드라인 에서 표현 과 윤리 측면에서 실무지침을 따로 두고. MBC는 방송제작 가이드라인 에 프로그램 일반 준칙에 언어, 표현 이. SBS의 취재 제작 가이드라인 에는 따로 방송언어에 대하여 명시하지 않고, 예능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에 따로 제시되어. 제4장 방송언어 심의 위반 및 모니터링 사례 분석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진행한 심의규제를 분석하 여 보았다. 5년 동안 방송언어 관련 심의 건수는 328건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수치는 전체 심의 위반 사례 5,226건 중에서 6.26%를 차지한다. 이를 지상 파와 케이블로 구분하면 지상파 방송사는 156건, 유료방송의 경우 171건으로 유료방송에서의 방송언어 심의가 많이 진행된 것으로 알 수. 장르 면에서 심의제재 건수를 장르별로 살펴보면 지상파방송과 유료방송 모두 오락 부문에서의 언어가 다른 장르에서의 방송언어 보다 두드러진 것으로 드러났다. 그 뒤로 지상파 채널의 경우 드라마, 영화, 보도교양프로그 램의 순으로 방송언어 관련 심의제재를 받았으며, 유료방송은 영화, 드라마, 보도교양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지상파와 유료방송 모두 주의와 권고가 가장 많았다. 지상파의 경우 주의가

요약문 xvii 64건으로 권고 60건보다는 많아, 주의에 의결된 경우가 많았지만, 유료방송 의 경우 주의가 63건, 권고가 69건으로 권고 제재를 받은 경우가 많았다. 그밖에 가장 강력한 제재수단인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중지 가 2건 있었다. 심의 제재 언어 유형에 대한 조사로 된 방송언어 유형을 살펴보면 비속어, 반말, 욕설, 고성, 성적인 언어, 외모비하, 막말, 인신공격, 외래어 남발 등의 다양한 사례를 볼 수 있는데, 그 중 비속어, 신조어, 유행어 은어 등 비표준어 가 전체 심의 사례 중에서 53.2%를 차지하고 있었고, 반말이 15.9%, 고성과 막말이 7.8%로 집계되었다. 지적된 언어유형을 많은 수부터 차례로 보면 지상파방송의 경우는 비표준어 (비속어, 신조어, 유행어, 은어), 고성, 막말, 반말, 자막으로 나타난 반면, 유료방송의 경우는 비표준어, 반말, 성적언어, 자막 순으로 나타났다. 제5장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인식조사: 설문조사 본 연구에서는 방송언어 전반과 심의 의결 사례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을 살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방송 수용자, 즉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본 조사의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에게 방송 시청 행태와 장르별, 매체별 방송언 어에 대한 인식, 일상에서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방송 심의에 관한 인식,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을 물었다. 장르별 차이를 명확히 하고자 텔레비전은 뉴스와 시사 및 교양, 오락, 드라마 등 네 개 장르로 구분했다. 라디오는 별도 로 장르 구분을 하지 않았다. 실사는 2014년 7월 21일(월)부터 7월 24일(목)까지 총 4일 동안 진행됐으며 조사 대상자는 온라인을 통해 설문에 응답했다. 이를 통해 총 611건의 응답을 수집하였으나 이중 불성실한 데이터 44건을 제외한 뒤 567건을 본 연구의

xviii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인식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시청 행태 - 방송 시청 시간: 텔레비전 시청 시간은 하루 평균 약 84분이었으며 매체와 장르별로 보면 지상파와 오락 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이 가장 길었다. 라디오의 하루 평균 청취 시간은 약 38분이었다. - 방송 시청 기기 및 방식: 시청자는 텔레비전을 시청할 때 주로 일반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다고 답했으나 20대의 경우 PC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라디오를 청취할 때 주로 사용하는 기기로는 일반 라디오 수신기가 꼽혔으나 10대와 20대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비율이 일반 라디오 수신기를 앞섰다. 장르별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 발화 언어에 대한 인식: 시청자는 방송언어 심의 및 모니터링 과정에서 주로 가 된 내용에 대해 어느 정도 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또 맥락에 따른 쓰임을 일컫는 적절성 부문이 맞춤법 등을 포함하는 표준성과 비교해 더 가 된다고 보았다. 특히 폭력 표현과 선정 표현, 외모 비하 등이 방송 에서 사용되는 것에 가 많다는 것에 매우 적극적으로 등의 했다. - 자막에 대한 인식: 시청자는 자막에서 내용 전달에 가 있거나 맞춤법 또는 문법적으로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가 된다고 보았으나 한자 나 영어, 로마자 사용에 대해서는 그다지 가 되지 고 판단했다. - 장르별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시청자는 발화 언어와 자막의 방송언어 쓰임 을 평가할 때 뉴스와 시사 및 교양에서는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제시한 반면 오락과 드라마에서는 이보다 관대한 기준을 적용했다. 예컨대 비속어를 오락 에서 사용했을 때보다 뉴스에서 사용했을 때 더 가 된다고 보았다. - 매체별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시청자는 지상파의 방송언어 사용은 상대적으

요약문 xix 로 준수한 반면 종합편성채널(종편)의 경우 방송언어 사용에 가 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다른 매체와 비교하여 종편의 방송언어 규제 를 더욱 강화해야 된다고 보았다. - 방송언어 심의 위반 사례의 방송 부적합성에 대한 인식: 시청자 인식 속에서 행정 제재인 권고와 법적 제재인 주의 이상에 대한 평가가 일관적이지 않고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시청자의 방송 부적합성에 대한 평가는 제재 수준 보다는 방송언어 심의 과정에서 가 된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상에서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 방송언어 심의 및 모니터링에서 가 된 단어를 중심으로 시청자의 인식을 물었다. 그 결과 해당 단어의 뜻을 알고 있는 시청자의 인지는 65%를 겨우 넘는 수준이었으며 전문어에 대한 인지는 33%에 그쳤다. - 시청자는 본인이 사용 경험이 낮은 단어를 상대적으로 방송에서 사용하기에 더 부적합하다고 보았다. 방송 부적합 언어라도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면 가 별로 고 생각한다는 매우 흥미로운 결과이다. 이는 올바른 방송언어가 올바른 언어 사용을 가져올 수 는 본 연구의 전제를 재확인시켜 준다. 방송언어 심의에 관한 인식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언어 심의 규제에 대한 의견 및 인식: 현재 방송언 어 심의에 대한 시청자의 평가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으나 시청자는 방송 언어 심의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데는 매우 동의했다. 이는 방송언어 심의 에 대한 시청자의 인지와 유관된 결과로 사료 된다. 시청자는 방송언어 심의 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실제 의결 사례를 접한 경험은 낮은 수준이었다.

xx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제6장 방송언어에 대한 제작자 인식조사: 래더링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만드는 제작자들의 방송 프로그램 내에 서 방송언어 활용에 대한 전반과 방송언어 심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송 제작에 참여하는 방송 기자, 방송 PD, 방송 작가, 방송 MC(패널, 아나운서, 사회자 등) 30명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실시하 였다. 연구 조사를 위해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기반으로 한 래더링 방법을 시도하였 다. 이 방법은 심층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각 유목을 만들고 유목을 속성-결 과-가치 단계에 맞게 구분한다. 이 과정에서 속성은 제작자들이 프로그램을 만들 때 방송언어 활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그 방송언어를 중요하게 생각 한다면 어떤 차원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결과는 제작자들 이 고려한 프로그램 내에서 중요한 방송 언어 차원이 주는 혜택에 관한 항목이 다. 가치는 그 혜택이 주는 궁극적인 목적인 가치를 말한다. 속성-결과-가치 단계에 맞는 유목을 정한 후, 응답자의 응답 흐름에 맞춰 속성-결과-가치 유목을 이어준다. 이 과정에서 몇 번 그러한 연결 관계가 나타나는지 수를 세워주고 그 연결의 의미를 밝힌다. 즉, 이 연결 관계를 통해 제작자 개인에게 나타나는 속성-결과-가치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밝히고 제 작자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내재된 가치를 밝힌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먼저, 이를 통해 밝혀진 속성, 결과, 가치 항목은 다음과 같다. - 총 16개 속성 가운데 일반적으로 방송 제작자들은 방송언어 활용에서 표준성 (84개), 맥락에 맞는 용어(68개), 정확한 용어(57개), 세련된 편집(43개), 상황에 맞는 조화로움(41개)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과 31개 가운데 기능적 결과 및 심리사회적 결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요약문 xxi 기능적 결과에서는 재미(61개), 정확하게 주제나 쟁점을 이해하는 정확한 쟁 점 파악(55개), 내용을 쉽게 이해하게 하는 이해(47개), 편안한 시청거리를 제공(35개), 출연자 개성(31개), 일상성(30개), 품격을 높임(30개), 주목 끌기 (30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혜택으로는 활력(39개), 경험 공유 (34개), 신뢰성(27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가치 유목의 12개에서는 성취감(69개), 만족감(68개), 전문성(68개), 책임감 (46개), 소속감(38개), 자기표현(30개) 등의 순으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인 속성 단계에서 추상적인 가치 단계로 연결을 가시적으로 보기 위해 가치단계도를 구현하는데, 응답자의 응답 내용에서 도출 할 수 있는 속성-결 과-가치 단계 연결 가운데 일정한 기준수 이상으로 나타난 연결만을 그려준 다. 모든 연결선을 그릴 경우, 연결 과정이 복잡하게 얽히고 해석이 모호해지 기 때문이다. 반면, 그 기준수를 너무 높게 잡게 되면 연결이 적게 나타나서 주도적인 연결 관계와 가치를 찾아내기 힘들다. 분석 도출을 도와주는 코더들 간의 합의에 따라 일정 기준 연결수를 4이상으로 정하고 가치단계도를 그려주었다. 기준 연결수 4이상 일 때 나타난 속성-결과- 가치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 가치 단계 유목에서 주도적으로 도출된 가치는 7개로 성취감, 만족감, 자기표 현, 소속감, 전문성, 책임감, 자아실현이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연결선을 보인 가치는 성취감이다. 이어 만족감, 전문성이 뒤를 잇고 있으며 자기표현, 책임감, 소속감, 자아실현 순으로 연결을 보인다. - 이 가치 가운데 가장 많은 연결수를 보이는 성취감, 만족감, 전문성에 연결된 속성, 결과 단계 연결을 보고자 한다. 첫 번째 성취감이다. 성취감 가치에 연결된 선은 맥락에 맞는 용어(속성), 표준성(속성)으로부터 직접 연결을 보인다. 성취감에 연결된 결과 단계로는 사회적 소통, 활력을 줌, 주목 끌기 등이. 사회적 소통 결과는 상황에 맞는 조화로움 속성에서 연결되어

xxii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성취감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두 번째는 만족감 가치이다. 맥락에 맞는 용어 (속성)는 재미(결과)와 활력을 줌(결과)을 거쳐 만족감(가치)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구어체 활용(속성)은 전달력(결과)을 거쳐 만족감(가치)으로 이어진 다. 이 외에도 표준성(속성)에서 이해도(결과)를 거쳐 만족감(가치)으로 연 결되기도 한다. 세 번째는 전문성의 가치이다. 속성-가치의 직접 연결은 표준성(속성)에서 전문성(가치), 정확한 용어(속성)에서 전문성(가치)으로 이어진다. 결과-가치 연결은 이해도(결과), 신뢰성(결과)에서 전문성(가치) 으로 이어진다. 결국, 제작자들은 프로그램 제작자의 전문성, 만족감, 성취감 등과 연결된 방송 제작자 개인의 가치를 발현하기 위해 방송 언어 활용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아울러 방송언어 활용과 관련한 방송언어 심의에 대해 여러 의견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 제작자들은 자신들의 개인적 가치를 드러내는 방송언어 활용을 위한 심의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측면을 강조하면서도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언어 활용이 변화하는 언어의 통시적 측면으로 인하여 심의를 하기 위한 사전 가이드라인을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응답을 하지 못했 다. 타당한 가이드라인 없이 심의를 시작한다면 심의를 위한 심의가 이루어 질 수 는데 동일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 심의가 필요하지만, 어떠한 기준과 어떠한 방식으로 시작 할 것인지, 장르나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떠한 기준으로 접근 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심의가 가능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 그램에서 제작자들의 궁극적 가치를 드러내기 위한 중요한 수단인 방송 언어 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제작자들에게 방송 언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 을 강조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래더링 방법 연구 결과에 따라 심의 이전에 가이드라인을 세우

요약문 xxiii 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방송언어 교육을 실시하는데 중점을 둔 사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심의보다도 프로그램에 적합하고 국어표현에 맞는 방송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몇 가지 방안을 마련하여 우회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 이를 위해, 방송언어에 대한 관심과 지적 호기심을 키우는 정책적 방안을 고심해야 한다. 방송언어에 대해 명확히 알 수 있게 편성 PD나 경력이 많은 제작자들에게 한정된 교육 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각 장르에 적합한 방송언어를 활용하도록 일선 제작자들의 교육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 아울러, 방송언어에 관심을 쏟을 수 있는 제작 환경이 되도록 채널/매체별 집중적인 교육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방송국 내 심의 체계가 잘 구축된 곳보다 제작 환경이 열악한 매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방송언어 활용에 대한 교육이 심의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채널/매체에 따른 방송언어의 제작 자 인식에 대한 고민 없이 가이드라인에 따라 동일한 잣대로 심의를 시작하 면 상대적으로 심의 체계가 열악한 채널/매체에 심의 권고나 시행과 같은 불이익을 적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궁극적으로 프로그램 제작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제작 환경 및 방송언어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한 후 교육해나가는 일이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제작자들에게 방송언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 이후 심의를 위한 사전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장 빅데이터 <STAR> 솔루션을 활용한 방송언어 영향 분석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STAR> 솔루션을 활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에서 사용 되거나 유행한 언어에 대한 사람들의 소셜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방송언어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크게 유행어 분석, 방송언어/자막 분석, 심의 제재

xxiv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및 모니터링 언어 분석 결과로 나누어진다. 7개의 유행어를 선정하여, 해당 방송 유행어의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가장 많이 이슈화가 된 언어는 느낌 아니까 였다. 총 7개의 유행어 가운데 뉴스 보도, 블로그, 인터넷, 커뮤니티, SNS 중 유행어가 가장 많이 언급된 매체가 다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시간대별 분석을 통하여, 유행어의 주기를 알아볼 수 있었는데, 대부분의 경우 방송 등장 직후 3개월 동안 사용량이 상승하다가 1년을 기준으로 점차 줄어드는 패턴을 보이고. 방송언어와 방송자막 자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방송언어와 방송자막 의 연관어를 분석해 본 결과 사람, 생각, 사람과 같이 일상생활 속 연관된 단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 공부, 교육 등과 같이 공부하는 젊은 연령대(중, 고, 대학생 그룹)에서 많이 언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송 언어의 영향력이 젊은 연령대에 많이 미치고 있음을 알 수. 마지막으로 심의 제재 및 모니터링 대상 방송언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고씽 이라는 언어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이러한 언어들이 다른 매체보다 블로그 텍스트에서 많이 발견되어, 실생활에 많이 활용되고 고 추론할 수 있었다. 제8장 결론 및 함의 본 연구에서는 소셜텍스트 분석과 설문 조사, 심층인터뷰 및 래더링을 활용해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와 제작자의 인식을 살폈다. 방법적으로 먼저 방송언어가 시청자들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사람들의 일상적인 기록 속에 존재하는 방송언어에 대한 소셜텍스트(뉴스보 도와 댓글, 블로그와 온라인 커뮤니티, 트위터의 내용 등)를 수집,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방송에서 출발한 유행어들의 사용정도와 방송이후 시

요약문 xxv 간대별 확산정도, 그리고 방송언어나 방송자막에서 가 된 구체적인 사례 에 대한 시청자들의 평가 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연령대를 고려한 전국의 시청자 중에서 대표성이 있는 확률표본을 대상으로 방송언어 전반과 심의 사례에 대한 시청자들의 일반적인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장르와 매체별로 시 되는 방송언어의 쓰임과 심의 위반 사례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을 확인 했다. 마지막으로 방송에 대한 기존의 연구접근이 수용자나 사례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에, 실제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전문가 그룹에서 어떤 생각으로 방송언 어를 포함시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인터뷰와 더불어 래더 링 기법을 사용해 이들의 사고를 도식화 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방송언어에 대한 방송 콘텐츠 제작자 그룹의 숨겨진 내면의 의중을 도출하고 자 하였다. 그 결과 시청자와 제작자 관점을 반영한 현실적인 방송언어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체감했다. 특히 가이드라인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매체별 장 르별 차이를 반영한 맞춤형 제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외 시청자 측면에서 보면 방송언어 심의나 가이드라인 등에 대한 인지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에 적절한 홍보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제작자 측면에서 는 방송국 내의 선행 방송언어 교육을 제도화할 필요가 매우 크다. 더불어 방송언어의 영향력이 커지는 다채널화 된 방송환경에서 시대 상황에 부합하는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방송언어 가이드라인 담당 기관의 업무 활성화가 요구 된다. 본 연구팀은 분석결과가 방송언어 심의를 위한 합리적이면서도 사회적 공감대 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광범위한 정책 수혜자, 다시 말해 시청자

xxvi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와 제작자 등의 의견을 청취할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대용량 소셜텍스트 분석이 필요하며 수용자들의 의견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한 정책 반영이라 는 선순환 구조를 유도할 필요가. 또 정책 추진에 있어 저해 요소가 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을 고민하고 다양한 관련 정책이 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정책 추진의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제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제1장 서론 3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의 언어문화 형성에 방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방송언어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공적 언어로서 일반 대중을 포함해 특히 청소년들의 언어생 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그래서 공공 방송은 국민의 바른 언어생활에 이바지하도록 규정되어.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는 종편을 포함한 다수의 채널에서 자주 편성되는 시사토론 프로그램에서 적절하지 않은 언어사용에 대한 지적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방송언어의 건전성 훼손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포함한 전체 시청자의 불건전한 언어문화로 이어질 우려가 제기된다. 오늘날 방송언어에는 인격모독, 차별적 표현, 폭력 적 표현, 선정적 표현, 비속어, 은어 통신어, 불필요한 외국어 외래어 등이 무분별하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으로 보고되고 (국립국어원, 2013). <표 1-1> TV방송 드라마 저품격 언어 출현빈도 비표준어 비문법 인격 모독 차별적 표현 폭력적 표현 불필요한 외국어 외래어 은어 통신어 비속어 선정적 표현 기타 합계 909 73 412 71 91 1,014 119 1,331 13 31 4,064 출처: 국립국어원(2013) 이런 시대적 맥락에서 방송언어와 관련해 정 관 학이 기존 정책의 개선 필요성을 공감하 고 있으며 정책 제안과 입안을 위한 기초 자료에 대한 수요 역시 확대되는 추세이다. 최근 예로, 2013년 12월 17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심재철 의원은 방송 에서 무분별한 언어 파괴를 막고, 바른 우리말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방송언어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방송언어 사용실태 모니터링을 강화하자는 내용을 담은 방송법 일부 개정 법률안을 제출한 바. 개정안(제89조 2항 신설)은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 사업자는 방송언어 향상과 표준말 보급을 위해 방송관계자 대상으로 방송언어 사용과

4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관련된 교육을 실시하고, 방송사업자는 교육결과를 방송통신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하며, 방송사업자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방송언어 사용 실태를 모니터링 해 공개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들어섬에 따라 오늘날 방송 전 분야에서 는 새로운 들이 제기되고. 특히 국민 정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는 방송언어에 대한 새로운 이슈 발굴과 이에 대한 정책적 논의가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급하다. 이러한 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청자와 제작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인식조사가 제안될 수. 특히 최근 사회는 개인화된 모바일 미디어 시대다. 시청자들은 네트워크와 유기적인 소통을 통해 의미 있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을 형성하고, 이러한 사람들의 이야기 (Social text)는 특정이슈에 대한 여론을 주도하고, 때로는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곤 한다. 집단지성의 전제처럼 사람들의 의견은 하나의 사회적 이슈로 파급되고 결과적으로 정책에 반영되는 사례 또한 증가하고 (김성태, 2008). 전통적인 방송 환경에서 대부 분의 정책 결정 주체가 정부나 정당, 정치인 등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이제는 시청자들이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를 활용함으로써 정책 제안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방송과 관련된 정책 입안과 제안에서 실질적 이용자인 시청자의 솔직한 의견을 폭넓게 조사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그간 방송언어 사례 중심으로 저품격 언어 사용을 경계하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방송 포맷 형식이 다양화 되고 있는 만큼 사례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나 정책적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석방법을 활용한 연구 영역의 확대는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속에서 특히 접근 방법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그런 노력의 일환으로 보다 다양하고 포괄적인 분석방법의 적용을 시도했다. 먼저 방송언어가 시청자들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사람들의 일상적인 기록 속에 존재하는 방송 언어에 대한 소셜텍스트(뉴스보도와 댓글, 블로그와 온라인 커뮤니티, 트위터의 내용 등) 를 수집,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방송에서 출발한 유행어들의 사용정도와 방송이후 시간대별 확산정도, 그리고 방송언어나 방송자막에서 가 된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시청자들의 평가 등을 분석하였다. 이미 최근으로 올수록 소셜 데이터에 대한 이용과 분석은 자주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대표적인 방송조사전문기관인 닐슨은 트위터의 메시지를 활용한 방송 프로그램 평가 시스템을 구축, 활용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제1장 서론 5 달라진 미디어 환경과 시대적 흐름 속에서 다이내믹한 시청자의 반응을 실시간에 가깝게 모니터링 함으로써 서베이, 사례분석의 전통적 접근의 한계를 조금이라도 보완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연령대를 고려한 전국의 시청자 중에서 대표성이 있는 확률표본을 대상으로 방송언어의 영향력에 대한 생각,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언어나 자막에 대한 사람들의 일반적인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매체별, 장르별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방송심의에 대한 생각 등을 연령대를 고려해 전국에서 수집된 확률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방송 콘텐츠를 생산하는 제작자들은 어떻게 방송언어를 콘텐츠의 한 부분으로 생각하고 구성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알아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많이 사용되어 왔던 설문조사와 함께 제작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래더링 기법의 차용할 것이다. 제안된 가이드 라인이 실효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방송 콘텐츠 제작자들의 의견은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장기적 활용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심층인터뷰와 더불어 래더링 기법을 사용해 이들의 사고를 도식화 하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팀은 분석결과가 방송언어에 대한 합리적이면서도 사회적 공감대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바람직한 정책 방향 을 수립하기 위해 광범위한 정책 수혜자, 다시 말해 시청자와 제작자 등의 의견을 청취할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다차원적인 분석기법의 적용을 통해 매우 의미 있는 시도이며, 시청자와 제작자들의 솔직한 의견의 정책 반영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유도할 수 있는 기회 찾기이기도 한 것이다.

6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방송언어 심의에 대해 시청자들의 인식을 파악 하고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에서 방송언어를 활용하는 제작자들이 중요하게 추구하는 가치 를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소셜텍스트 분석을 통해 온라인상에 게재된 텍스트와 댓글을 분석하여 방송언어에 대한 활용 및 방송언어 심의에 대한 시각을 살펴보았다. 현재 방송언 어 심의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제작자들은 프로그램에서 방송언어를 활용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그 가치를 이어가기 위한 방송언어 심의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지에 대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목표에 따른 각 단계별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조사기획 및 설계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설계 2. 조사 및 자료 분석 1 문헌연구 2 조사추진 3 조사분석 ㆍ방송언어에 관한 기존 이론 고찰 ㆍ국내외 방송언어 심의 관련 문헌 기술 ㆍ설문조사 :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 ㆍ심층인터뷰 : 온ㆍ오프라인 심층인터뷰 실시 ㆍ소셜텍스트 : 메시지, 기사, 게시글, 댓글 등 ㆍ설문 분석 : 방송 프로그램에서 방송언어 활용에 대한 시청자 인식 ㆍ래더링 분석 : 방송 프로그램에서 방송언어에 사용 에 대한 제작자 인식 ㆍ소셜텍스트 분석 : 인터넷 상의 게시글에서 많이 언 급된 방송언어 도출 3. 결과도출 4 분석결과 도출 및 제안 ㆍ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 분석 ㆍ방송언어 전반과 심의(사례)에 대한 점 빛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여부 분석 ㆍ방송언어 (심의)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 이해 ㆍ방송언어 심의 기준 및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한 고찰 [그림 1-1] 연구진행절차

제1장 서론 7 제2 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제1절 방송언어에 대한 정의 및 특징 제2절 방송언어 사용 실태에 관한 논의 제3절 방송언어 평가에 관한 논의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9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제1절 방송언어에 대한 정의 및 특징 방송언어란 방송에서 사용되는 음성언어 및 자막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대본, 뉴스원고, 앵커멘트 등과 같이 방송을 통해 전달되는 모든 언어적 요소를 방송언어로 간주해 왔다. 예를 들어 김상준(2002)은 방송언어를 스크립트, 방송의 특성과 장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고 표현되는 기본적인 언어라고 정의 했으며 김수현(2005)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으로 방송에 출연하는 아나운서, 앵커, 기자, 리포터, 연예인 등과 방송 제작에 관여하는 연출자, 작가 등이 구사하는 언어라고 보았다. 또 방송언어는 기본적으로 공공언어로 정의된다(장수원 최현철 이오영 문숙영, 2010). 공공언어란 공공기관의 언어와 신문, 방 송, 인터넷 언어 전반을 포괄한다. 이에 따라 방송 전파라는 공공재를 활용해 대중에게 전달되는 방송언어 역시 공공적 성격을 지닌다고 본다. 실제로 국립국어원의 공공언어 지원단의 업무 내역 가운데에는 신문, 방송, 인터넷 언어의 공공성 향상에 관한 사항이. 이러한 맥락에서 장수원 최현철 이오영 문숙영(2010)은 방송언어에 대한 정의를 광의 와 협의로 이원화 할 필요가 고 제안했다. 광의의 방송언어는 방송을 통해 표출되는 모든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로 규정하여 어느 정도의 융통성을 허락하는 반면, 협의의 방 송언어 는 방송에서 방송인이 표출하는 음성언와 문자언어 로 규정함으로써 방송언어가 지닌 공공성을 준수할 것을 엄격히 요구하고. 여기에서 방송인은 직접적인 방송출연 자 뿐만이 아니라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자와 작가, 자막 작성자 등을 모두 포함한다. 방송언어는 일반적인 언어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그간 이희승(1956), 이응 백(1979), 박갑수(1985), 임태섭(1995), 이주행(1995), 김상준(1997), 민현식(1999) 등이 방송언어의 특성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해 왔다(나미수 황하성 정영희 김설아, 2011). 먼 저 이희승(1956), 이응백(1979), 박갑수(1985) 등의 초기 연구에서 방송언어는 표준어이 자 순화된 쉬운 말이라고 간략히 정의됐다. 이후 연구에서는 방송언어의 속성과 특성을

10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제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임태섭(1995)에서는 방송언어의 속성으로 순정성, 공식성, 공손성, 공정성, 세련성 등을 들고. 이주행(1995)에서는 방송언어의 특성으로 순정 성, 공식성, 공손성, 공정성, 세련성, 용이성으로 용이성이라는 하나의 특징을 추가하여 제시하고. 하지만 그 세부적인 부분에 집중해보면, 임태섭(1995)의 순정성과 이주행 (1995)의 순정성은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임태섭의 순정성은 말이 얼마나 바르고 고운가 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하는 반면, 이주행(1995)에서는 순정성이란 상스럽지 않고 잡되지 않으며 바른 성질을 뜻한다. 또한 임태섭(1995)에서는 세련성이란 언어나 표현의 선택이 적절하고 문법적으로 무리가 없어야 함을 뜻한다. 그런데 이주행(1995)에서는 세련성이란 방송언어는 세련미를 보이는 언어이어야 한다는 의미로 문법적인 부분보다 언어의 유려한 사용을 의미했다(이주행, 류춘열, 2004). 방송언어의 특성과 속성을 넘어 조건으로 제시한 연구들도 등장했다. 김상준(1997, 21-28쪽)은 방송언어의 특징을 표준어 사용, 쉽고 평이한 말 사용, 시청자 중심의 경어 사용, 품위 있는 언어 사용, 간결한 수식어 사용, 구어적 음운의 생략, 감탄사의 사용 회피, 조사와 용언의 제약, 수의 표현의 정확성, 논리적인 언어 표현이어야 함을 들고. 즉, 방송언어는 예술성이 있는 정서적 작품을 제외하고는 표준어를 사용해야하며, 방송은 청각을 통한 전달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쉬우면서도 전달이 잘 되는 말을 사용해 야하며, 시청자를 중심으로 하여 경어를 사용해야한다는 것이다. 또한 방송언어는 욕설이 나 은어를 쓰지 않아야 하며, 관형어와 부사어 등의 수식어는 간결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전달해야하는 만큼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한에서 음운이 나 음절을 생략할 수 는 것이다. 또한 특히 보도 프로그램에서는 뒤에 따라오는 말에 대한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감탄사의 사용을 제한해야한다는 조건을 제안했다. 민현식(1999)에서는 방송언어를 내용적인 조건과 형식적이 조건으로 구분하였는데, 내용적인 조건으로는 객관성, 정확성, 사실성, 지식성, 교양성, 건전성 등을 들었다. 그는 방송언어의 형식적인 조건으로 표준어이어야 하고, 자연스런 입말체이어야 하며, 간결하 고 쉽고 논리적인 언어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김상준(1997)에서 제시한 방송언어의 조건 중에서 지나친 수식어를 피하여야한다 는 것은 가능하면 쉬워야한다 는 내용에 포함되는 것이라는 단점이 있고, 모든 방송언어의 특성을 모든 장르의 방송언어를 포함할 수 는 단점이. 또한 감탄사의 사용을 피하여야한다 는 것은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언어에는 부적절하다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논리적인 언어 표현이어야 한다 는 것 또한 뉴스 보도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11 프로그램의 방송언어에 국한된 특징이어 전반적인 방송언어의 조건에는 부적합하다고 하였다. 또한, 수의 표현에 조심하여야한다 는 것은 방송언어의 특징이 아니라 일반적인 언어의 표현 및 전달에 관련되는 것이라 부적절하다고 하였다. 민현식(1999)에서 조건으 로 든 논리적인 언어이어야 한다 는 것도 뉴스 보도문에 국한된 것이기 때문에 방송언어의 일반적 특성으로 간주할 수 없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희승(1956), 박갑수(1985), 김상준 (1997), 민현식(1999) 등에서 방송언어의 특성으로 구두성을 들고 있는데, 이. 구두성은 방송언어 외에 일반 담화의 언어도 지니는 속성이므로 방송언어의 특성으로 간주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하였다(이주행, 류춘열 2004). <표 2-1> 방송언어 조건 제안 연구 연구 김상준(2012) 민현식(1999) 임태섭(1995) 이주행(2003) 이주행 류춘렬(2004) 방송언어 조건 표준어, 쉬워야, 경어 사용, 품위, 구어적, 감탄사 사용 피함, 논리적 언어 표현이어야 함. 내용적 특성(객관성, 정확성, 사실성, 지식성, 교양성, 건전성) 형식적 특성(표준어, 자연스러운 말, 간결하고 논리적인 말) 순정성, 공식성, 공손성, 공정성, 세련성 순정성, 공식성, 공손성, 공정성, 세련성, 용이성 내용면에서는 건전성, 쾌락성, 풍자성, 교시성을, 형식면에서는 순정성, 공식성, 세련성, 용이성을 제시 이주행, 류춘열(2004)는 이전까지의 방송언어 특성에 관한 논의를 종합하여 그 특성을 순정성, 공식성, 공손성, 공정성, 세련성, 용이성으로 정리하였다. 즉, 순정성이란 방송언 어는 상스럽지 않고, 잡되지 않으며, 바른 말이어야 한다는 것이고, 공식성이랑 방송언어 가 격식과 품위가 있으며, 감정이 절제된 언어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손성은 방송언어가 높임법에 맞는 말과 같이 예의 바르고, 상대의 체면을 손상하지 않는 말이어야 하고, 공정성이란 방송언어가 어떠한 대상이라도 미화하거나 폄훼하지 않고, 이들을 공평하게 대하는 것을 말한다. 세련성이란 방송언어가 유사어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연결 어미들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세련미를 보여야 한다는 것이고, 마지막으로 용이성이란 방송언어 가 수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어야 함을 말한다(이주행, 류춘열, 2004).

12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제2절 방송언어 사용 실태에 관한 논의 방송언어는 공적 방송 전파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통해 전달되기에 영향력을 지닌다. 방송언어 표현은 전 국민의 언어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방송언어의 공공적 가치에 대한 논의를 이어왔다. 방송언어 심의 과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합의점이 나 현실적 실행에 있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표 2-2> 연도별 된 방송언어 유형 건수 *( )는비율(%) 방송언어유형 2008 2009 2010 2011 2012 합계 비속어 26(46.4) 50(40.7) 41 86 41 244 반말 13(23.2) 26(21.1) 23(16.4) 32(14.4) 10(8.9) 104(15.9) 욕설 10(17.9) 14(11.4) 12(8.6) 29(13.1) 34(30.4) 99(15.2) 자막 1(1.8) 2(1.6) 17(12.1) 16(7.2) 10(8.9) 46(7.0) 고성 0(0.0) 2(1.6) 18(12.9) 21(9.5) 1(0.9) 42(6.4) 성적언어 3(5.4) 5(4.1) 4(2.9) 16(7.2) 9(8.0) 37(5.7) 외모관련 1(1.8) 1(0.8) 16(11.4) 9(4.1) 1(0.9) 28(4.3) 차별적 언어 2(3.6) 6(4.9) 2(1.4) 1(1.4) 4(3.4) 15(2.8) 막말 0(0.0) 6(4.9) 3(2.1) 2(0.9) 0(0.0) 11(1.7) 외래어 0(0.0) 2(1.6) 2(1.6) 5(2.3) 1(0.9) 10(1.5) 인신공격 0(0.0) 6(4.9) 2(1.4) 1(0.5) 1(0.9) 10(1.5) 유행어 0(0.0) 2(1.6) 0(0.0) 2(0.9) 0(0.0) 4(0.6) 폭력적 언어 0(0.0) 1(0.8) 0(0.0) 2(0.9) 0(0.0) 3(0.5) 합계 56(100.0) 12(100.0) 140(100.0) 222(100.0) 112(100.0) 654(100.0) 출처: 박은희 심미선 김경희 2013. 65쪽. 표 4-5 연예오락 프로그램(최종보고서) 방송언어의 부적절함으로 프로그램의 제목을 변경한 2012년 9월 KBS의 드라마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차칸남자는 방송표현이냐, 작가의 작품세계에 대한 표출이냐에 대해 논의 의 여지를 남겼다. 한글단체들의 차칸남자 가 한국어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다른 나라에 전파 할 수 는 우려를 전달하고 시정을 요구했고 방송 프로그램 방영 중간에 착한남 자 로 변경했다. 이외에도 KBS 시트콤 닥치고 패밀리, MBC 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 의 빵꾸똥꾸 등의 사례에서 종종 방송언어 사용의 부적절함이 가 됐다. 특히 빵구똥꾸 와 같은 방송언어는 청소년들의 언어 모방을 우려하는데서 가 제기 됐다.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13 그간 방송언어 및 방송언어 심의는 발음, 표준어법, 자막 등에 있어서 방송 부적합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박건식, 2013). 오미영(2006)은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방송언 어가 탈공손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상대방의 품위를 손상하고 능력을 무시, 약을 올리는 탈 공손성 언어 표현이 라고 지적했다. 또한 실수를 타박하여 상대방에게 무안을 주는 불손성, 어이없는 웃음을 자아내는 무례함이나 오만함의 언어 표현도 적지 않음을 강조했다. 이기현(2001)은 쇼 연예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순정성(외국어 외래어와 영어 자모의 사용)에 심각한 언어 사용 가 있음 을 설명했다. 공식성은 시청자를 고려하지 않는 친근한 호칭 이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나타났는데, 연예인과 프로그램 제작자 간의 사적 대화가 여과 없이 방송되는 것과 관련이. 또한 쇼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하위 장르인 버라이어티쇼와 연예정보프로그램에서 외국어 외래어의 사용과 영어자모의사용은 많았다. 버라이어티쇼는 사람을 차별하는 부 적절한 호칭 이나 시청자를 고려하지 않는 친근한 호칭, 출연자간의 비난 및 품위 손상 에서 가 드러났다. 이 연구는 보조진행자, 리포터의 언어 사용 가 심각함을 지적 했다 1). 장수원 최현철 이오영 문숙(2010)은 예능 프로그램에서 막말과 반말, 개인 사생활 이야기 등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막말과 반말, 외국어와 외래어 남용, 자막 표현의 를 시청자들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연구자들은 예능 오락 프로그램 속 진행 자 언어 규범의 일탈을 어휘와 표현, 의미, 문법, 발음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 가이드라인 을 제시했다. 외국어와 외래어를 남용하지 말아야한다 (어휘와 표현), 수식어와 피수식 어 간의 호응관계에 유의, 조사와 단어를 정확히 사용 (문법), 표준 발음법의 규정대로 발음 (발음) 등으로 구분하였다. 주창윤 최용준 김경환(2012)은 2011년 방송 심의 제재를 분류하였다. 연예오락 프로그램에서는 선정, 폭력, 가치규범성 등에서 방송 심의가 이루 어졌다. 선정성에서는 선정적인 언어를 사용, 폭력성에서는 폭력적인 언어 사용, 가치/ 규범성에서는 욕설, 비속어, 반말, 괴성 등 바른 언어생활 저해 등이 방송언어와 관련된 심의 기준이다. 인권존중 차원은 방송언어 측정 문항으로 설명이 어려웠다. 대신, 토크쇼 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외모, 학벌, 지역, 인종 등에 대한 편견 조장과 관련한 심의가 방소 언어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고 설명한다. 위와 같은 방송언어에 관한 연구들은 방송언어의 화법이나 전달에 초점을 맞추고. 동시에 방송언어에 대한 평가 지수를 개발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1) SBS와 케이블은 주 진행자 언어 사용 사례가 각각 20.57%와 31.53%을 차지하였다.

14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제3절 방송언어 평가에 관한 논의 1. 국내 방송언어 평가 지수 개발 및 사례 방송언어에 관한 선행연구 가운데 주요한 축을 이루는 것이 바로 방송언어 평가에 관한 논의이다. 특히 평가 지수 개발과 관련해 다수의 선행 연구가 진행된 바. 방송언어에 대한 평가를 위해 연구자들은 방송언어 평가 지수를 개발하고 조사를 지속해왔다. 방송언 어 평가 지수는 방송언어 심의에 따른 객관성을 높이는데 필수불가결한 기준이 되고. 아래 <표 2-3>에서, 방송 프로그램 언어 건전성 평가 지수 연구(나미수 황하성 정영희 김 설아, 2011)는 연예오락 프로그램에서의 언어 건전성 평가(언어의 선정성, 언어의 표준성, 언어의 폭력성)를 도출하였다. 언어의 표준성 부분에는 불필요한 외국어 의 사례로 체 크, 핫한, 대시, 게스트, 파이팅 등의 용어 사용이 속한다. 언어의 폭력성 부문은 비속어 로 싸가지 없는 놈!, 부비부비 하다가, 찌질이, 정말 쫄았어요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국내 방송언어 품위 지수 관련 연구 범위 및 내용 설정은 사회 계층별 취향, 교양, 관습적 예절 및 규범, 사회 윤리적 판단 가치를 고수한다. 방송언어 품위 지수는 방송언어 심의와 같이 윤리적 규범을 기준으로 삼고, 표현 양식으로 구분하여 평가가능하다. 그러나 방송품위는 구체적인 법적 규제를 다루지 (주창윤 김경환 황성연 조용현, 2013). 주로 시청자 인식을 중심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품위를 측정하고, 방송의 품위를 도덕적 가치, 진실가치, 미학적 가치, 실천적 가치(수행규범)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미학적 가치는 아름다운 품질 평가로 설명가능하다 2). 텍스트 품질 평가는 텍스트 내용을 기준으로 한다. 텍스트 내용이 추구하는 가치 가운데 어떤 가치를 중점적으로 보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예컨대, 공정성을 강조하는 뉴스보다 객관성을 강조하는 뉴스 텍스트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연구(김세은, 2006), 뉴스 가치와 공정보도, 검증보 도를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연구(이준웅 김경모, 2008) 등이. 그러나 오락 프로 2) 방송 품질은 프로그램, 편성, 채널의 수준으로 논의한다. 프로그램의 제작가치는 1 기술적(technical) 우수성, 2 전문가주의로 구분한다. 프로그램의 텍스트는 1 내용과 목적의 명확성, 2 혁신성, 3 미학(예술성), 4 내용의 충실성으로 품질을 테스트한다. 프로그램의 수용자 수준은 1 수용의 적절성 2 교육성, 3 사회쟁점의 중계자역할로 구분한다. 편성은 1 다양성, 2 균형 있는 편성, 3 유연한 편성으로 구분된다. 채널은 1 공동체 가치추구, 2 비판의식, 3 사회통합, 4 진실성, 5 적극적인 논쟁개입, 6국가정체성 구현 등이 논의되고 (Blumler, 1991; Ishikawa & Muramatsu, 1996; Leggatt, 1993; Meijer, 2005; Mulgan, 1990; Nossiter, 1986; Rosengren, 1996; 주창윤 김경환 황성연 조용현, 2013, 12-19쪽 재인용)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15 그램에서 공정성이나 객관성과 같은 가치보다는 흥미성이나 감동성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표 2-3> 방송언어 평가 지수 연구 방송언어 연구 분석 기준 방송언어 조건(특성) 임태섭 강길호 이기 현 문철수 (2001) 이주행(2005) 김기태(2005) 나미수 황하성 정영 희 김설아 (2011) 김한샘(2011) 언어 표현 연예오락 프로그램 출연자 방송언어 언어 건전성 언어 내용 및 표현의 공공성 공신력, 방송인에 대한 호감, 무의식적 수용 등에 의해 시 청자들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음 자명한 사실 표준 발음법, 규범, 문법체계 등 70음절 이상의 장문으로 말하는가? 이중모음을 정확히 구분하여 말하지 못한다. 번역 어투 문장을 사용한다. 공식성, 공정성, 공손성 서은아(2011) 언어 표현 규범성, 적절성, 용이성 홍종선(2012) 신지영 정희창 (2012) 박은희 심미선 김경 희(2013) 김영임(2005) 드라마 언어 공공성 방송언어 품격 논란 연예오락 프로그램에서 언어의 선정성, 폭력성, 표준성, 가치규범성, 인권존중, 스테레오 타입의 강화 등 연예오락 프로그램에서 공정성 평가 (방송언어의 선정성, 폭력성 등) 인격 모독 표현. 욕설. 반말. 성( 性 )과 관련한 차별적 표현 사용 내용, 표현의 정확성, 품격성, 공정성, 용이성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시청자들 설문조사를 통해, 방송언 어 건전성 평가 지수를 구체적으로 16개 항목으로 하여 측정문항을 도출 저품격 언어 사용 실태 방송언어의 품격 자율 등급제 제안 부적절한 방송 표현이 사회적으로 허용 가능한가, 세대 간 방송언어를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비속어, 은어, 축약어, 욕설, 외국어남발, 품위를 저해 하는 표현들, 저속한 언어, 선정적인 언어, 폭력적인 언어 들이 사용되는 실태 조사 언어의 (다문화 사회,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사물에 이미지, 집단에 대한 이미지)강화를 제시.

16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방송언어 지수개발과 관련해 국내의 주요 평가항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 장르 분류를 교육문화예술, 뉴스, 다큐멘터리, 토론/대담, 드라마, 버라이어티쇼, 생활정 보, 스포츠, 시사보도, 애니메이션, 영화, 음악쇼, 인포테인먼트, 코미디, 퀴즈/게임쇼 등 15개 장르로 구분하여 조사하며 이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우수하다와 같은 질적 수준 (QI)과 이 프로그램은 만족스럽다와 같은 만족도(SI) 등으로 평가하고 (나미수 황하 성 정영희 김설아, 2011). 먼저 방송통신위원회의 KI 3) 는 만족도 지수 (SI: Satisfaction Index)와 품질 지 수 (QI: Quality Index)의 평균값으로, 전국 네트워크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사업자인 KBS(1TV,2TV), MBC, SBS 등 3개사 4개 채널에서 방송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연중 조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장르는 교육문화예술, 뉴스, 다큐멘터리, 대담/토 론, 드라마, 버라이어티쇼, 생활정보, 스포츠 중계, 시사보도, 애니메이션, 영화, 음악쇼, 인포테인먼트, 코미디, 퀴즈/게임쇼 등 16개로 분류된다. KI는 방송사 이미지 지수, 프로그램 평가 지수, 채널 성과 지수 로 구성되며, 여기에 시청률 자료를 분석해 얻은 방송 도달력을 병렬적으로 제시하고. 방송사 이미지 지수, 프로그램 평가 지수, 채널 성과 지수 는 시청자 설문조사를 통해, 방송 도달력 은 시청률 자료 분석을 통해 산출된다. KI 지수조사는 전국 13세 이상 남녀 12,000명을 5개 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로 1주일씩 돌아가면서 매주 약 2500명이 참여해서 연중 조사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개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지수와 품질 평가 지수를 주단위로 매일 측정하고 매주 1회 방송사 이미지를 조사한 후, 조사기관이 결과를 정리해서 방송통신위원회에 월간 보고서를 제출하고. 이 중에서 프로그램 평가 지수 결과만을 방송 평가에 반영한다. 프로그램 평가 지수는 11점 척도(0~10점)의 품질 평가척도 (QI: Quality Index)와 만족도 평가척도 (SI: Satisfaction Index)로 구성되어 있는데, 최종 평가점수 는 이 두 척도의 측정값을 합산, 평균하여 산출한다. 최종평가점수는 10점 만점(0~10가지 11점 척도) 원점수를 수용자 평가항목 비율로 환산하여 사용한다. 채널 차원에서는 방송 사 사회공헌도 평가와 방송사 이미지 평가를 조사한다. 사회공헌도 평가는 방송사의 사회 적 역할을 묻는 다섯 가지 문항, 즉 공적 책임을 다하고., 시청자 권익보호에 앞장선다., 민주적 여론형성에 기여한다., 국민문화 향상에 기여한다., 방송발전에 기여한다. 를 이용하여 5점 척도로 측정한다. 이미지 평가는 방송사 고유의 누적적 이미지 3) KI : http://www.kbs.co.kr/openkbs/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17 를 조사하는데 크게 감성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로 나누어 5점 척도로 측정한다. 감성 적 이미지 문항에는 재미, 산뜻하다, 생동감이, 호감이 간다, 친근하다 가 사용되고, 인지적 이미지 문항으로는 독립적이다, 공정하다, 신뢰할 수, 사회에 기여한다, 유익하다 등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MBC의 프로그램 품질 평가 지수인 QI(Quality Index)는 2002년 한국언론학 회와 공동으로 개발한 지표이다. QI 조사는 TNmS 시청률 조사 패널을 활용하는데, 이는 프로그램평가 결과를 시청률과 연결하여 이해하는 데 있어 조사결과의 신뢰도와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청률 조사 패널이 전국 시청자를 대표하는 대표성을 인정받은 표본이라 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다. 기존 QI는 뉴스와 시사, 리얼/다큐 및 생활정보, 드라마, 오락으 로 장르를 구분하고, 각 장르별로 2~3개의 척도를 통해 조사했으나, 2~3개의 척도로는 프로그램 품질에 대한정보량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대내외의 지적을 반영하여 2008년 2차 조사에서는 기존의 틀을 유지한 채 장르별 측정 척도를 4~5개로 늘려 조사를 실시하 였다. 구체적으로 새롭게 구성한 QI의 지표는 장르 공통 척도를 새롭게 개발하고, 장르별 목적에 따라 기존의 평가척도를 수정하는 방향으로 개선했다. <표 2-4> QI 평가항목과 척도문항 영역 뉴스(5) 시사교양(5) 생활교양(5) 드라마(4) 오락(4) 특집(5) 장르공통 장르문항 믿을 수 믿을 수 이 프로그램을 앞으로도 계속 보고 싶다 프로그램을 잘 만들었다. 흥미롭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다룬다. 공정하다 출처: 주창윤 김경환 황성연 조용현, 2013, 32쪽 실생활에 도움 된다. 극의 구성이 탄탄하다 기분전환에 도움이 되었다 재미 제작하는데 노력을 많이 했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다룬다. - - 흥미롭다. ASI(Audience Satisfaction Index)는 SBS의 특성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품질을 측정하 기 위해 개발된 척도이다. ASI는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학술적 차원의 접근보다는 제작진 이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차원으로 구성하고, 매우 세분화된 평가항목으로 구성하여

18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조사결과를 프로그램 제작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프로그램 유형별 평가차원 은 보도 장르의 경우, 객관성/공정성/신뢰성, 완성도, 기여도 의 하위 평가차원들로, 교양 드라마 예능 장르의 경우는 완성도, 창의성, 즐거움/재미, 기여도 의 하위 평가차원들로 구성되어. SBS는 ASI 지수를 통해 방송의 사회적 책임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확대하려는 프로그램품질관리체계 구축에 목적을 두고.SBS는 프로그램 품질평가를 보다 고도화하기 위해 2005년 프로그램 장르와 평가항목을 세분화하는 보정작업을 실시하였다. 이전에 보도/교양/예능/드라마 로 구분되었던 프로그램 장르를, 뉴스, 토론/대담, 심층보도, 다큐멘터리, 인포테인먼트, 생활정보, 버라이어티, 코미디, 드라마로 세분화하여, 각 장르별로 세분화된 평가항목을 개발하였다. 뿐만 아니라 예능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의 꼭지가 프로그램처럼 인식되 는 경향을 받아들여 프로그램을 꼭지별로 세분화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표 2-5> SBS 수용자 만족 지수 항목 장르 항목 측정문항 보도 교양 객관성 공정성 신뢰성 완성도 사회적 기여도 창의성 완성도 즐거움/재미 생활의 기여도 ㆍ공정한 보도(취재)가 이루어졌다. ㆍ정확한 증거와 사실을 다루었다. ㆍ(보도) 내용이 신뢰할 만하다. ㆍ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뉴스)를 제공하였다. ㆍ심층적인 전문성이 돋보였다. ㆍ알기 쉽게 전달되었다. ㆍ뉴스의 발굴과 특종이 뛰어났다. ㆍ실생활에 도움이 되었다. ㆍ시의 적절한 내용을 다루었다. ㆍ다양한 여론을 반영하였다. ㆍ소재와 주제가 독창적이었다. ㆍ형식이 창의적이었다. ㆍ다양한 여론을 반영하였다. ㆍ주제, 메시지가 좋았다. ㆍ심층적인 전문성이 돋보였다. ㆍ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ㆍ재미있었다. ㆍ기분전환에 도움이 되었다. ㆍ감동적이었다. ㆍ유익했다. ㆍ세상을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ㆍ시의 적절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19 장르 항목 측정문항 예능 드라마 창의성 완성도 즐거움/재미 문화적 기여도 창의성 완성도 즐거움/재미 문화적 기여도 출처: 주창윤 김경환 황성연 조용현, 2013, 33쪽 ㆍ소재가 독창적이었다. ㆍ형식이 창의적이었다. ㆍ모방, 표절의 요소가 있었다. ㆍ주제, 메시지가 좋았다. ㆍ전체적으로 짜임새가 있었다. ㆍ출연진의 연기와 언행이 적절했다. ㆍ편안한 마음으로 즐길 수 있었다 ㆍ재미있었다. ㆍ스트레스와 긴장해소에 도움이 되었다. ㆍ다양한 문화적 트렌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ㆍ실생활에 도움이 되었다. ㆍ선정적, 폭력적, 비윤리적 내용이 있었다. ㆍ소재와 주제가 독창적이었다. ㆍ형식이 창의적이었다. ㆍ모방 표절의 요소가 있었다. ㆍ연기자들의 연기가 좋았다. ㆍ전체적으로 짜임새가 있었다. ㆍ내용과 메시지가 좋았다. ㆍ재미있었다. ㆍ기분전환에 도움이 되었다. ㆍ감동적이었다. ㆍ다양한 삶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ㆍ정서적 풍요로움을 주었다. ㆍ선정적, 폭력적, 비윤리적 내용이 있었다. 2. 해외 방송언어 평가 지수 개발 및 사례 방송언어 평가를 위한 지수 개발은 영국과 미국 등 해외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먼저 영국의 방송 평가는 1980년대 BBC와 IBA의 방송 품질연구를 계기로 시작되었다. 영국의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 반응을 측정하는 세부적 프로그램 평가 지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사 수용자 연구 협회(Broadcasters Audience Research Board Ltd, BARB)와 연합 라디오 수용자 조사 기구(Radio Joint Audience Research Limited, RAJAR)가 주관하는 시청률/청취율 중심의 양적 평가가. 다음으로는 1940년대 개발 된 BBC의 반응지표(RI: Reaction Index)가. 이는 라디오 프로그램 만족도를 측정하 기 위해 마련됐다. 이후 BBC는 1982년 IBA와 공동으로 방송수용자 조사연구소(BARB:

20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Broadcaster's Audience Research Board)를 설립하여 방송수용자에 대한 질적 조사를 위해 감상 지수(AI; Appreciation Index)를 개발했다. 감상지수는 1994년 전면 개정되기 도 했다. 이를 통해 영국의 프로그램 품질평가 조사는 QI(Quality Index), GQ & PQ(General Quality & Proportion of High Quality)등으로 보완됐다. 다음으로 미국은 평가 기준으로 광고판매와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시청률을 활용하고. 미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개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반응을 측정하는 TVQ와 Vox Box 같은 조사를 실행했다. ABC, NBC, CBS 등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 평가를 실시하여 편성 자료에 참고하였다. 이후 공영방송인 PBS가 방송 평가 기준을 시청률이 아닌 프로그램 내용으로 삼으면서 질적 평가 기준인 텔레비전 시청자 평가(TTA, 1985년)를 도입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태도 및 반응 측정을 위해 6개 항목의 질적 평가 지수를 도입하였다(한국언론학회, 2003). TVQ는 전국 시청자를 대상으로 질적 평가방법으로 5점 척도에 의한 프로그램 평가기준을 제공한다. TVQ 점수 는 상업방송과 공영방송의 구분 없이 제시한 프로그램의 친숙도를 평가한다(한국언론학 회, 2003; 주창윤 김경환 황성연 조용현, 2013 재인용) <표 2-6> 미국 수용자 평가 조사 현황 평가 조사명 조사기관 측정 방법 및 내용 프로그램 소구도(appeal)/ 시청효과(impact) 지수 Vox Box ASI (Audience Studies Inc) Qualitative Television Rating System for Public Broadcasting 출처: 한국언론학회, 2003, 13쪽 TTA (Television Audience Assessment) R. D. Percy & Company ABC, NBC, CBS PBS 특정 프로그램의 소구력과 감동, 정보효과를 평가 질문: 감동을 받았다, 많은 것을 배웠다 평가: 전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 에 이르는 10점 척도 전국의 1,200명의 토론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와 평가를 5점 척도로 구성 방송 전 프로그램을 매우 좋다/그저 그렇다/지루하다/매우 지루하다 등의 항목을 평가하게 한 후 편성 자료로 활용 공공TV에 대한 시청자 만족도를 4점 척도로 조사 PBS 이미지를 표현하는 단어를 선택 : 교육적, 정보적, 격려적, 상상력이 풍부함, 진지함 등이 선택됨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21 3. 방송언어 평가 기준에 관한 논의 방송언어 평가 지수 개발과 관련해 그간의 논의를 정리해보면 크게 공정성과 건전성 평가로 나뉜다. 먼저 공정성 평가 부문에서 방송 심의 행위는 학문적 영역이나, 비평 영역, 방송 제작 윤리와 같은 차원과 다르다. 특히 방송언어의 공정성은 규제 기관 마다, 시공에 따라 다를 수. KBS 방송 제작 가이드라인은 시청자에게 균형성을 제시해야 하지만, 제작자들에게는 진실 추구라는 엄격한 윤리적 잣대를 세운다. 이에 대해, 한진만 최현철 홍성구(2012)는 의견의 균형 및 진실 추구 성격 측면을 강조하고 고 설명한다. 김민환 한진만 윤영철 원용진 임영호 손영준(2008)는 공정성을 사실성 불편부당성 균형 성으로 구분하였다. 공정성은 사실성, 균형성, 정확성, 진실성 등의 복합적인 가치를 포함 하고. 따라서 공정성을 이해하기 위해 내용적 차원을 고려한다. 그러나 내용적 공정 성(material fairness)보다는 형식적 공정성(formal fairness)에 치우쳐 공정성의 포괄 적 의미를 훼손 할 가능성이 (이창현, 2002). 영국의 BBC는 오프콤의 선정성 심의를 따르지만, 공정성 심의에 있어서는 자율성을 지닌다. 반면, 미국은 FCC가 아닌 당파적 언론 보도를 타파하고자 언론 스스로 규범화 했다(Hermen & McChesney, 1997). 다음으로 방송언어 건전성과 관련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박은희 심미선 황성연(2006; 2007; 2008)은 방송언어의 건전성으로 성 표현 및 폭력 묘사에서 방송언어 프로그램 평가 지표를 언급하였다. 심미선 박은희 김경희(2011)는 방송언어의 성 표현의 경우, 청소 년보호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여러 국가에서 음란물이나 폭력물은 보호 차원의 법규가 아닌 규제 차원에서 명시하고. 방송 텍스트 및 언어의 건전성은 사회적 분위기, 사회문화적 수준에 따라 규정을 적용해야 한다고 보고. 나미수 황하성 정영 희 김설아(2011)는 질적 방법을 통해 방송언어의 건전성 하위 평가 항목으로 폭력성, 선정 성, 표준성, 공손성을 꼽는다. 이 연구는 방송언어 평가의 건전성 평가 지수로 16개를 제시하여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구체적인 측정 문항은 인격모독 표현, 상대 위협 심리적 위축 유발 표현, 욕설 사용, 성적 수치심 유발 언어, 특정 신체 부위를 연상시키는 표현, 상대방을 성적으로 유혹하는 말, 비속어(속된 말) 사용, 비표준 어의 사용, 의미 없는 신조어(온라인 통신언어 포함) 사용, 불필요하게 언성을 높이는 정도,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 문법에 맞지 않는 표현, 반말 사용, 성과 관련된 차별적 표현, 극단적 또는 과장된 표현 등이 속한다. 방송언어 평가 기준 및 항목을 정리한 연구도 진행된 바. 이주행 류춘렬(2004)은

22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방송언어의 평가 기준을 순정성, 공식성, 공손성, 공정성, 세련성, 용이성 으로 구 분하였다. 순정성은 상스러운 말(비어 속어 금기어 은어 유행어 등)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를 비롯해 발음과 문장 평가를 위한 바른 말을 평가 항목으로 규정하였다. 공식성은 비표준어, 부적절한 호칭, 주체대우법에 어긋난 표현, 청자 대우법에 어긋난 표현, 선정적이고 성적인 표현으로 규정하였다. 공손성은 재치관용, 겸양, 공감의 격률, 적극적 체면 고양, 소극적 체면 실현을 포함한다. 공정성은 정치적 불공정, 성차별, 지역차 별, 계층차별, 인종차별, 전문용어, 특정집단의 관점 옹호 표현 등으로 규정하였다. 세련 성은 동일 단어나 어미의 불필요한 반복 사용, 진부한 어구 사용, 동일한 문장의 반복 사용의 경우를 포함한다. 용이성은 이해하기 어려운 외국어 외계어 한자어 약어 전문어 사용과 70음절 이상의 장문 사용이나 구조가 복잡한 복문을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언급된 방송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방송위원회, 각 방송사 방송언어 평가 요인, 각 프로그램 장르별 방송언어 특성을 고려하여 12개(공정성, 객관성, 사실성, 건전성, 교양성, 쾌락성, 풍자성, 교시성, 순정성, 공식성, 세련성, 용이성)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구분은 다소 포괄적이 기준을 담아 제시한 면이 없지 않다. 4.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인식에 관한 논의 방송이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시청자의 인지, 태도, 행동 차원의 수많은 효과 연구 에서 입증되었다. 텔레비전의 효과를 보여주는 자극-반응이론에서, 반두라의(Bandura, 1977)의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이 제시된다. 텔레비전 폭력물의 효과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거브너(Gerbner, 1998)의 문화계발효과이론(The Cultivation Theory)은 텔레비전 방송의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텔레비전 초기 연구부터 최근의 연구 까지 살펴보면, 방송이 시청자에게 주는 영향력을 간과하기 어렵다. 텔레비전에서 사용되 는 방송언어 역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은 방송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표준어 라고 의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방송언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방송에서 사용된 언어를 습득하게 된다(임태섭 강길호 이기현 문철수, 2001).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방송언어 심의 위반 사례에 대한 시청자 태도 연구(박은희 심미선 김경희, 2013)에 따르면, 연예오락 프로그램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6가지는 연예오락 프로그램 방송언어에 대한 인식, 연예오락 프로그램을 통해 유행된 방송언어의 사용경험, 채널별 연예오락 프로그램 방송언어 심의규제에 대한 의견, 연예오락 프로그램 자막에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23 대한 의견, 채널별 방송언어관련 자율심의기준 준수여부에 대한 의견, 일상적으로 사용되 고 있는 B급 언어(방송언어에서 등장하는 비속어, 은어, 욕설, 저속한 표현, 품위를 저해 하는 용어, 외국어 남발 등 언어를 통칭)에 대한 의견으로 조사하였다. <표 2-7> 방송언어 수용자 의식 조사 논문 임태섭 강길호 이기현 문철수 (2001) 신상일(2002) 차인태(2002) 오미영(2006) 손병우(2009) 장수원 최현철 이오영 문숙영 (2010) 내용 방송언어의 공신력, 방송인에 대한 호감, 무의식적 수용 등으로 시청자 언어 생활에 영향. 사람들은 방송에 출연하는 유명인이 사용하는 언어를 모방하 고, 이에 대한 반복적 노출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무의식적 방송언어를 습득 하도록 함. 방송 수용자들에게 방송언어의 영향력 입증 방송 종사자들의 방송언어에 대한 의식 조사 및 언어 자질 향상 방안 제시 방송 표현이 전통적으로 예법을 갖춘 언어를 훼손함에 따라 언어의 공손성 이 위협받고 고 주장하면서 방송 프로그램의 생산, 소비를 담당하는 방송의 책임을 강조. 언어가 지닌 맥락의 의미를 계량화하는 것은, 언어 연구에서의 질적 분석의 필요성을 강조. 방송언어는 시청자의 호기심을 끌기 위해 자극적 방법을 반복적으로 주도해 나가는 비정상적인 모습을 보임.

제2장 방송언어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25 제3 장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제1절 방송언어 심의 규정 분석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제2절 방송언어 가이드라인 분석

제3장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27 제3장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제1절 방송언어 심의 규정 분석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1. 국내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우리나라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제안한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4) 에 근거하여 지상파 방송과 유료 방송을 심의하고. 유료 방송에는 케이블뿐만 아니라, 2011년 개국한 종합편성채널 또한 포함되며 지상파 방송에는 TV와 라디오 방송 전반이 해당 된다. 방송 심의는 프로그램 내용의 표현에 대한 간섭을 규제하기에,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은 윤리적 및 표현 행위로 구분할 수.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은 공정성, 객관성, 권리침해금 지, 윤리적 수준, 소재 및 표현(묘사), 어린이나 청소년 보호, 방송언어로 구성되어. 아래는 방송 심의에 관한 전체 규정 중 방송언어와 관련된 조항을 정리한 내용이다. 주요 조항에는 제51조(방송언어), 제52조(외국어 등)이 해당 된다. <표 3-1>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방송언어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맺고 있는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제51조(방송언어), 제52조(외국어)> 가.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8절 방송언어 제51조(방송언어), 1 방송은 바른말을 사용하여 국민의 바른 언어생활에 이바지하여야 한다. 2 방송언어는 원칙적으로 표준어를 사용하고, 고정 진행자는 방송 중 표준어를 사용하여야 한 다. 다만, 불가피하게 사투리를 사용하는 때에는 특정 지역 또는 인물을 희화화하거나 부정 적으로 묘사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4.1.9> 3 방송은 바른 언어생활을 해치는 억양, 어조 및 비속어, 은어, 유행어, 조어, 반말 등을 사용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프로그램의 특성이나 내용전개 또는 구성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개정 2014.1.9.> 나.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8절 방송언어 제52조(외국어) 방송은 외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국어순화 차원에서 신중하여야 한다. 4)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b%b0%a9%ec%86%a1%ec%8 B%AC%EC%9D%98%EC%97%90%20%EA%B4%80%ED%95%9C%20%EA%B7%9C%EC%A0%95

28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가.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2장 일반기준 제23조(범죄사건 보도 등) 1 방송은 피고인 또는 피의자에 대해 법원의 확정판결이 있기까지는 범인으로 단정하는 표현 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방송은 피고인 피의자 범죄혐의자에 관한 내용을 다룰 때에는 범죄행위가 과장되거나 정당 화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나.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 제4절 윤리적 수준 제26조(생명의 존중), 제27조(품위유지), 제30조(양성평등). 제4절 윤리적 수준 제26조(생명의 존중), 1 방송은 살인, 고문, 사형( 私 刑 ), 자살 등 인명을 경시하는 행위를 긍정적으로 다루어서는 아 니 된다. 2 방송은 불가피하게 인신매매, 유괴, 매매춘, 성폭력, 노인 및 어린이 학대 등 비인간적인 행 위를 묘사할 때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개정 2014.1.9> 제27조(품위유지) 2 방송은 저속한 표현 등으로 시청자에게 혐오감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 제30조(양성평등) 1 방송은 양성을 균형 있고 평등하게 묘사하여야 하며, 성차별적인 표현을 하여서는 아니 된 다. <개정 2014.1.9> 2 방송은 특정 성( 性 )을 부정적, 희화적으로 묘사하거나 왜곡하여서는 아니 된다. 3 방송은 성별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조장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4.1.9> 다.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5절 소재 및 표현기법 제35조(성 표현), 제36조(폭력묘사), 제37조 (충격 혐오감), 제38조(범죄 및 약물묘사), 제40조(성기, 성병 등의 표현), 제42조(의료행위 등)> 제5절 소재 및 표현기법 제35조(성 표현), 1 방송은 부도덕하거나 건전치 못한 남녀관계를 주된 내용으로 다루어서는 아니 되며, 내용전 개상 불가피한 경우에도 그 표현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2 방송은 성과 관련된 내용을 지나치게 선정적으로 묘사하여서는 아니 되며 성을 상품화하는 표현을 하여서도 아니 된다. 3 성과 관련한 다음의 각호의 내용을 방송하여서는 안 된다. 단 내용전개상 불가피한 경우에 는 극히 제한적으로 허용할 수 ; 폭력적인 행위 및 언어를 동반한 강간, 윤간, 성폭행 등의 묘사장면 제36조(폭력묘사) 1 방송은 과도한 폭력(언어 등 비물리적 폭력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다루어서는 아니 되 며, 내용전개상 불가피하게 폭력을 묘사할 때에도 그 표현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개정 2014.1.9> 4 방송은 폭력을 조장하거나 미화 정당화하는 내용을 포함하여서는 아니 된다. <신설 2014. 1.9> 제38조(범죄 및 약물묘사) 1 방송은 범죄에 관한 내용을 다룰 때에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폭력 살인 등이 직접

제3장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29 묘사된 자료화면을 이용할 수 없으며, 관련 범죄 내용을 지나치게 상세히 묘사하여서는 아 니 된다. <개정 2014.1.9.> 2 방송은 범죄의 수단과 흉기의 사용방법 또는 약물사용의 묘사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이 같은 방법이 모방되거나 동기가 유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방송은 마약류의 사용 및 이로 인한 환각상태 등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40조(성기, 성병 등의 표현) 방송은 성기, 성병, 피임 또는 성상담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룰 때에는 저속한 표현 등으로 혐오 감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 제42조(의료행위 등) 2 방송은 의료목적으로 다룰 때에도 환각제, 각성제, 마약 등의 사용은 그 표현에 신중을 기 하여야 한다. 3 방송은 편지, 엽서, 전화 등의 방법으로 의학 상담을 할 때에는 시청자가 증상에 대한 오해 를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방송은 의료행위나 약품 등과 관련한 사항을 다룰 때에는 시청자를 불안하게 하거나 과신하 게 하는 단정적인 표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5 방송은 식품 건강기능식품을 다룰 때에는 의약품과 혼동되지 않도록 그 효능 효과의 표현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특정인의 체험 사례를 다룰 때에는 일반 화시키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개정 2014.1.9.> 가.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2장 제2절의 제14조 객관성 및 제18조 보도형식의 표현, 제14조(객관성) 방송은 사실을 정확하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다루어야 하며, 불명확한 내용을 사실인 것으로 방 송하여 시청자를 혼동케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8조(보도형식의 표현) 방송은 극중 효과를 위하여 뉴스 공지사항 일기예보 등을 발표하는 형식을 사용할 때에는 보도 방송으로 오인되거나 실제상황으로 혼동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제2장 제3절의 권리침해금지 제21조(인권 보호) 3 방송은 정신적 신체적 차이 또는 학력 재력 등을 조롱의 대상으로 취급하여서는 아니 되며, 부정적이거나 열등한 대상으로 다루어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4.1.9> 제23조(범죄사건 보도 등) 1 방송은 피고인 또는 피의자에 대해 법원의 확정판결이 있기까지는 범인으로 단정하는 표현 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방송은 피고인 피의자 범죄혐의자에 관한 내용을 다룰 때에는 범죄행위가 과장되거나 정당 화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제2장 제4절의 윤리적 수준(윤리성, 생명의 존중, 품위유지, 사회통합, 양성평등, 문화의 다양성 존중, 신앙의 자유 존중), 제2장 제5절의 소재 및 표현기법(성 표현, 폭력묘사, 충격 혐오감, 범죄 및 약물 묘사, 성기, 성 병 등의 표현, 의료 행위 등), 제2장 제6절의 어린이, 청소년 보호(어린이 및 청소년의 정서함양, 수용수준, 출연)

30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또한 방송언어와 연관성을 맺고 있는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에서 공정성, 선정성, 폭력성, 객관성, 권리침해금지, 윤리적 수준, 소재 및 표현 기법, 어린이 및 청소년 보호와 같은 항목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방송언어 표현에 대해서 규정을 마련하였다. 예를 들어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의 제23조(범죄사건 보도 등), 제26조(생명의 존중), 제27조(품 위유지), 제30조(양성평등), 제35조(성 표현), 제36조(폭력묘사), 제38조(범죄 및 약물묘 사), 제40조(성기, 성병 등의 표현), 제42조(의료행위 등)은 폭력 및 성적 표현에 대한 방송언어를 제한하고 있으며, 또한 2장의 제14조(객관성), 제18조(보도형식의 표현), 제 21조(인권 보호), 제23조(범죄사건의 보도) 등의 조항에서도 방송언어에 대한 심의 기준 이 나타나. 위의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외, 2012년 12월 6일에 신설된 제24조의 3 (재난방송의 내용)도 방송언어 심의에 영향을 줄 수. 우리나라의 재난방 송은 특이하게 신속성에 기반을 두어, 관행적으로 피해자들의 급박한 상황을 피해자나 구조대원의 자극적인 인터뷰를 보도하는 보여주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 조항의 신설로 시청자들과 피해자, 그 가족에게 불안감을 심어줄 수 있는 자극적인 언어 사용에 대한 심의 기준이 마련되게 되었다(주창윤 김경환 황성연 조용현, 2013). <표 3-2>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 제3절의2 재난방송 제24조의 3 (재난방송의 내용) 제24조의 4 (피해자 등의 안정 및 인권 보호) 재난방송은 피해 현장, 복구상황, 피해자 또는 그 가족의 모습 등을 지나치게 선정적인 영상 음향 또는 언어 등으로 강조함으로써 시청자, 피해자 또는 그 가족 에게 불필요한 공포심 또는 불안감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신설 2012.12.6> 재난방송은 재난 등의 피해자 및 그 가족의 안정과 인권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하 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그러한 조치를 할 수 없거나 오직 공익 목적을 위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 촬영의 대상이 되는 피해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촬영 계획 사전 동의 2. 제1항에 따른 촬영 내용의 방송에 대한 피해자 및 그 가족의 의견 반영 3. 피해자의 가족이 피해자가 부상 사망 또는 실종되었음을 인지하는 때까지의 피해자 실명 비공개 4. 다음 각 목의 방송내용에 대한 수정 또는 삭제 가. 피해자 및 그 가족의 수치심이나 정신적 고통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내용 나. 피해자 및 그 가족의 신상 공개나 초상권 침해 등으로 인하여 그 사생활이 침해될 우려가 있는 내용 다. 그 밖에 피해자 또는 그 가족의 안정과 인권을 침해할 우려가 고 인정되 는 내용

제3장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31 이와 같은 방송 심의에 대한 규정 은 최근의 방송언어를 심의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아 보인다. 방송언어의 표준성 부분을 제외하고는 방송언어의 폭력성 과 선정성, 공정성(차별성) 등의 심의 기준을 거의 포함하지 못하고. 또한 연예오락 프로그램에 서 중요한 로 지적된 진행자와 출연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심의 기준도 갖추고 있지 못하다. 방송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에 담아 규제하는 일이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방송언어의 폭력성, 선정성 등 심각성을 고려할 때,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은 제작자들의 직접적인 제작 가이드라인이 될 수 는 점에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박은희 심미 선 김경희, 2013). 또한 규정이 지나치게 포괄적이어서, 방송언어의 모든 를 포함할 수가. 조항의 내용이 모호하고, 추상적이어서 실제 심의과정에서 심의담당자의 주관 적인 판단에 의존하게 될 가능성이 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장르별 언어 속성의 차이, 시청자 기대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같은 방송언어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가에도 논란의 여지가 (나미수 황하성 정영희 김설아, 2011). 2. 해외 방송언어 심의 규정: 영국 오프콤 영국의 오프콤 방송 규정(Ofcom Broadcasting Code)에서 방송언어에 대한심의 기준 은 1장(18세 이하 보호)과 2장(유해와 불쾌감 유발)에서 찾아볼 수 (박은희 심미선 김 경희, 2013). 오프콤 방송 규정의 1장(18세 이하 보호)와 2장(유해와 불쾌감 유발)에. 18세 이하 청소년에 대한 보호(1장)는 오프콤 규정의 핵심적인 원칙이다. 1장에 나오는 방송언어 관련 규정은 18세 이하 청소년 보호와 관련된 불쾌한 언어에 대해 다음 표와 같이 기술하고 (박은희 심미선 김경희, 2013).

32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표 3-3> 영국 오프콤 방송언어 심의규정 Rule 1.14 Rule 1.15 Rule 1.16 Rule 2.3 매우 불쾌한 언어는 (텔레비전의 경우) 밤 9시의 경계선 이전 또는 (라디오의 경우) 청소년 이 청취할 가능성이 특히 높은 시간대에는 방송해서는 안 된다. 불쾌한 언어는 매우 이례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청소년과 어린이들을 위해 만든 프로그 램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불쾌한 언어는 맥락에 의해서 정당화된 경우가 아니라면, 가장 불쾌한 언어는 ( 텔레비전 의 경우) 밤 9시의 경계선 이전 또는 (라디오의 경우) 취할 가능성이 특히 높은 시간대에 는 방송해서는 안 된다. 어떤 일이 있어도 밤 9시의 경계선 이전에는 그러한 언어의 잦은 사용은 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기준을 적용하는 가운데, 방송사업자는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소재(material)는 맥락에 의해 정당화될 때만 사용되도록 보장해야 한다. 그러한 소재는 불쾌한 언어, 폭력, 성, 성적 폭력, 모욕, 괴로움, 인간의 존엄성, 차별적 대우 또는 언어(예 를 들어 나이, 장애, 젠더, 인종, 종교, 믿음, 성적 정향성)를 포함한다. 이 때 수용자가 불쾌감을 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를 제공해야만 한다. 주창윤 김경환 황성연 조용현 (2013) 재구성 이 규정은 불쾌한 언어를 매우 불쾌한 언어, 불쾌한 언어로 상대적인 기준으로 3그룹으 로 나뉘어져. 또한 언뜻 보면, Rule 1.14와 Rule 1.16은 반복한 것처럼 보이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Rule 1.14은 '매우 불쾌한 언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즉, 매우 불쾌한 언어 는 어떤 경우에도 청소년이 시청할 가능성이 높은 시간대에는 방송할 수 없음을 명확하게 밝히고. 반면, Rule 1.16에서는 불쾌한 언어 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불쾌한 언어의 경우는 맥락 에 의해서 정당화된 경우라면 청소년이 시청할 가능 성이 있는 시간대에도 사용할 수 있으나, 그러한 언어의 잦은 사용은 피해야 한다고 규정하 고. 또 Rule 1.15에서는 불쾌한 언어는 매우 이례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청소년과 어린이들을 위해 만든 프로그램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 Rule 1.16에 의거해 맥락에 의해서 정당화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 중 청소년과 어린이들을 위해 만든 프로그램에서는 어떤 맥락이든 불쾌한 언어가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박은희 심미선 김경희, 2013). 또한 2장의 규정에서는 방송사가 텔레비전과 라디오의 콘텐츠에 일반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적용해야한다고 언급되 어. 오프콤의 규정에서 방송언어의 수용기준은 상황적 맥락에 많이 좌우됨을 볼 수. Rule 1.16과 Rule 2.3에서 등장하는 맥락은 해당 언어가 무엇을, 어디서, 왜, 누가, 어떻게 로 구성된다. 즉, 무엇이 말해졌으며, 그것이 어떤 프로그램에서 언급되 었는지, 왜 그 언어가 사용되었는지, 누가 그 말을 했는지, 그 말을 듣는 주체는 누구인지, 마지막으로 그 언어의 어조와 의도가 무엇인지에 따라 언어의 수용가능성이 결정된다.

제3장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33 Rule 2.3에서 중요한 부분은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기준 이라는 부분과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소재는 맥락에 의해 정당화될 때만 사용 할 수 는 점이다. 그리고 맥락에 의해 정당화될 때에도 수용자가 불쾌감을 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를 제공해야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불쾌한 소재가 나오는 것을 미리 시청자에게 알려주어, 시청자가 그 프로그램을 볼 것인지 안 볼 것인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맥락에 의해서 모든 상황이 정당화되지 않고, 다음의 사항에 영향을 받는다(박은희 심미선 김경희, 2013). <표 3-4> 맥락에 의한 정당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주변 편집 자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시간 해당 프로그램이나 콘텐츠와 연계해 이용 가능한 기타 프로그램이나 콘텐츠 특정한 콘텐츠를 일반 프로그램 또는 특수한 성격의 프로그램이나 특별한 것을 묘사하는 프로그램에 포함시킴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유해나 불쾌감의 정도 잠재 시청자의 규모 및 시청자 구성 그리고 시청자의 기대 공지나 콘텐츠 정보를 통해 잠재시청자가 콘텐츠 성격에 주목하게 될 정도 무심코 콘텐츠를 보게 된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 박은희 심미선 김경희 (2013) 재구성 제2절 방송언어 가이드라인 분석 방송언어 심의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방송에서 사용되는 1 어휘, 2 어휘의 쓰임새, 3 수용자에게 야기하는 불쾌감의 정도, 이 세 가지를 기본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 번째, 어휘는 정적인 언어(성행위 암시, 성적 농담, 성을 희화화하는 표현), 폭력적인 언어(위협 말투, 욕, 상대 비하 말투, 멸시, 모독언어), 저속한 언어(단순 욕설, 은어나 비속어, 고성, 반말), 차별적인 언어(인격 모독, 인권 무시, 인권, 외모, 나이, 인종, 장애, 교육, 젠더, 종교, 성적 정향성 등과 관련한 차별적 표현), 표준 언어를 파괴하는 언어(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유행어 남발, 줄임말, 신조어, 외국어 남발)를 포함한다. 두 번째, 어휘의 쓰임새는 맥락(가 되는 언어의 사용이 과연 맥락상 으로 정당화되어지는지 여부), 사용빈도(의 방송언어를 얼마나 반복하느냐의 여부),

34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 어린이 청소년 보호(맥락에 따라 정당화되지 않을 경우, 청소년보호시간대 또는 청소년이 시청할 가능성이 있는 시간대에 방송 금지)를 포함한다. 세 번째는, 방송의 결과 수용자에 게 야기하는 불쾌감의 정도는 방송 표현의 부적절함으로 수용자에게 얼마나 불쾌감을 조장하느냐 여부에 달려. 영국 오프콤은 수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방송 언어 제한 여부를 판단하고 (장수원 최현철 이오영 문숙영, 2010). 1. 국내 방송사 제작 가이드라인: KBS, MBC, SBS KBS를 포함한 지상파 3사는 방송 제작에 있어 심의 준칙 또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자율 규제를 실시하고. KBS는 방송제작 가이드라인 (2010), MBC는 방송제작 가이 드라인 (2009), SBS는 취재, 제작 가이드라인 (2002)이 이에 해당한다. 먼저 KBS의 방송제작 가이드라인 은 KBS 방송의 규범, 방송제작 실무지침, 무분별 제작지침 및 기타 실무지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송제작 실무지침에 표현과 윤리 측면 의 실무지침을 따로 두고. 여기에 폭력과 범죄, 성 표현, 선정적인 소재 선택 및 표현과 관련된 언어 를 다루고. MBC는 2008년 PD수첩 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및 광우병 보도 사과 방송 이후 방송 제작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는 프로그램 일반 준칙, 시사 보도 프로그램 제작준칙, 세부준칙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일반 준칙에 언어, 표현. 2002년 발표된 SBS의 취재 제작 가이드라인 은 공인의 판단기 준, 취재원의 차이에 따른 기준, 보도내용의 차이에 따른 기준, 범죄보도의 기준, 익명처리 와 영상 표현, 명예훼손, 프라이버시, 초상권(음성권)침해로 구성되어. 하지만 방송 언어와 관련된 내용은 명시하지 않고 (나미수 황하성 정영희 김설아, 2011). 방송언 어와 자막 사용에 관해서는 예능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2010)에서 제시되었다. 다음 은 방송사별 방송 제작 가이드라인 가운데 방송언어와 관련된 규정을 정리한 내용이다. 현행 방송법은 프로그램 내용규제를 위해 프로그램 편성에 관한 규제 (방송법 제69조, 제71조~74조),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등급제 (방송법 제33조), 프로그램 질에 대한 평가 제 (방송법 제31조), 그리고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직 간접적인 심의 (방송법 제32조)등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고. 방송심의는 방송의 공익성 논리를 근거한다. 방송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심사 및 평가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방송사의 방송행위를 제한하거나 격려 하는 활동은 방송의 수용자인 국민 대중이 수준 높고 다양한 방송 내용을 향유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부나 공공기관, 수용자 단체, 방송인이나 방송인 단체가 각종

제3장 방송언어 심의 규정 및 가이드라인에 관한 분석 35 법규나 프로그램 기준, 윤리강령 등을 근거로 방송 내용을 심사하거나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김도연 외, 2001). <표 3-5> 방송사별 방송제작 가이드라인 방송사 KBS MBC SBS 내용 4) 언어 KBS의 언어는 정확하고, 아름다운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품위와 교양을 견지하고, 쉬운 우리말을 쓴다. 또한 어린이, 청소년 등의 바람직한 언어 사용의 모범이 되도록 한다. 1 시청자 중심의 경어를 쓴다. 2 표준어 사용과 보급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사투리, 비 속어 등은 드라마, 코미디 프로그램 등의 원활한 상황 전개를 위해 불가피한 경우 등에 한정한다. 3 출연자들의 사담이나 반말을 지양한다. 4 부도덕한 이야기, 성적인 비유, 사회의 통념을 깨는 말은 삼간다. 5 성( 性 ), 국적, 연령, 직업, 지역, 종교, 장애 유무 등과 관련한 차별적 언사를 해서는 안 된다. 6 무례한 언사를 해서는 안 되며, 출연자 간의 인신 공격적 표현이나 상대방에 대한 비하를 하지. 7 상업광고와 관련한 직 간접 홍보성 언어 사용을 금한다. 8 비속어, 은어, 인터넷 조어, 혐오어 등을 자막으로 표기하는 것을 자제한다. 15. 언어, 표현 (1) 방송언어는 원칙적으로 표준어를 사용하며, 알기 쉽게 표현한다. (2) 필요에 의해 사투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시 청취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하고 조롱이나 경멸의 수단으로 사용하지. (3) 시 청취자에게 공포나 불안 또는 불쾌감을 주는 언어나 동작으로 표현하지. (4) 뉴스 보도 형식을 빌린 극중의 표현은 사실과 혼동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다룬다. (5) 내용 구성상 또는 연출상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방송 내용에 특정한 개인, 단체, 상호, 상품 등의 명칭이 포함되어 간접적으로 선전하는 결과가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6) 어떤 프로그램도 시 청취자를 오도할 가능성이 있는 방법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10) 성 : 언어, 동작, 의상, 효과 등 시청자에게 지나치게 성적 욕구 유발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1. 소재의 선택 및 표현 SBS 예능프로그램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및 SBS자체 심의규정으로 시청자들에게 건강하고 행복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다음 소재 및 표현, 출연자 선택에 신중 을 기한다. : 배설물, 욕설 등 민망한 소재, 출연자들 간의 과도한 사적 이야기. 2. 방송의 언어 및 자막 SBS 예능프로그램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및 SBS 자체 방송언어 사용에 관한 심의 규정에 따라 표준말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다음의 사항을 준수 : 출연자간 지나친 인신 공격 표현, 타인 비하 발언 금함. 방송자막은 정보 제공 경우 제외하고 막말, 비속어, 은어, 인터넷 신조어, 혐오 언어 등을 자막으로 표기해 강조하는 표현 자제함. 출처: 한국방송공사(2010), 문화방송(2009), SBS(2010)를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