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2010-06 II. 국내 동 식물검역 현황 및 피해사례 1. 식물검역 가. 식물검역 대상 검사 항목 및 검역 기술 현황 수입식물검역 대상은 주로 곡류, 목재류, 종묘류, 과실 및 채소류, 목재포 장재, 기타식물류, 휴대 및 우편식물 등이다. 식물검역 대상 주요 수입식물 및 병해충은 수입식물 200 여 종, 병원균 523 종, 해충 1,672 종, 잡초 30종 으로 매우 다양하고 검사 대상도 광범위하다. 예를 들어 고추종자가 수입될 경우, 16 종의 병원균에 대한 잠복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종자 수확, 보관, 이동과정 중에 혼합 가능성이 있는 유해잡초 종자 및 번식 우려가 있는 해 충은 분류군을 지정할 수 없을 정도이다. 따라서 식물검역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검역은 형태적 분류동정과 잠복병 원균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검사법, 혈청학적 검사법, 이화학적 분류동정 법, 습지, 한천배지 배양법, 선택배지 배양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옥수수, 소맥, 유채박, 콩, 참깨, 들깨 등과 같은 수입곡류는 용도별( 식용 사료용 유료용) 로 구분하고 있으며, 본선과 컨테이너 및 창고 등에서 검사가 이루어지고 선별체 등을 이용하여 육안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주요 검사 대 상은 해충이며, 갈색머리대장, 쌀도둑, 터키모진가슴머리대장 (Cryptolestes turcicus), 창고애버섯벌레(Typhaea stercorea ) 등이 주로 발생하여 소독처리 되고 있다. 목재류는 크게 원목과 각재 형태로 수입되고 있는데, 원목류는 나왕원목, 미송원목, 뉴질랜드송원목, 칠레송원목, 러시아송원목 등이 있다. 목재류에 는 각종 나무좀을 비롯한 딱정벌레, 벌목, 흰개미 등 60여 종 이상의 해충 이 발견되고 있으며, 이들 해충은 본선과 야적장에서 주로 MB훈증소독으 16
수출입 동 식물 검역기술 동향 로 방제하고 있다. 종자 묘목 구근류 등의 종묘류는 각종 병해충의 부착 또는 잠복 가능성이 높고 부착되는 병해충은 활물기생이 많아 국내에 정착 및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식물검역에서는 이들 종묘류에 대해 철저한 검역을 실시하고 있다. 초기의 종묘류 병해충 검사는 육안으로 변색이나 반점 혹 모자이크 등 외 부 병징을 관찰하여 합격여부를 결정하였으나, 1985년부터 매년 병해충에 관한 검역기술을 향상시켜 종자류의 배양기술을 익히고 분류동정 방법을 전수함으로써 잠복되어 있는 병원체에 대해서도 검출하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 이후에는 종묘산업이 국제화됨에 따라 다수의 종자류를 해외에 서 생산하여 국내 반입하고 있고 일부는 해외에 수출하고 있어, 국내용으로 반입되는 종자와 수출되는 종자를 따로 관리하고 있다. 종묘류의 검사방법은 입항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검사와 병해충혐의 시 료 및 무작위로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실 정밀검사로 나뉜다. 실험실 정밀검사는 종자류의 경우 종자전염성 진균병을 검사하기 위하여 습지배양법, 한천배지배양법 등으로 배양하여 종자표면에 자란 균사나 포자 등을 해부현미경하에서 관찰한 후 정확한 종을 분류하기 위해 광학현미경 을 사용하여 병원균을 판명한다. 종자전염하는 바이러스 및 세균병은 혈청 학적검사법(ELISA) 과 분자생물학적 검사법(PCR) 을 실시하여 발견하며 그 외 전자현미경 검사법, 지표식물검정법, 선택배지 검사법 등의 검사법을 사 용한다. 묘목류의 경우 진균병 증상은 병징 부위를 자른 후 습지배양법, 한천배지 배양법 등으로 배양 후 병징 표면의 균사나 포자 등을 관찰하여 병원균을 판정하고 바이러스 및 세균 등의 증상은 혈청학적검사법(ELISA), 또는 분 자생물학적 검사법(PCR) 에 의해 밝혀지며, 뿌리가 있는 묘목 및 구근류는 선충 분리 검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17
동향 리포트 2010-06 신선과실류는 귤과실파리, 지중해과실파리 등 금지해충의 기주가 되어 국 내로의 수입이 대부분 금지되고 있다. 다만 해당식물에 서식하는 병해충을 사멸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 여부에 대한 병해충 위험분석을 하 여 국내 식물에 피해를 끼칠 우려가 없다고 인정하는 과실류에 한해 수입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수입이 허용되는 금지과실은 남아공, 이 스라엘, 스페인, 칠레, 미국 플로리다, 호주산 등의 오렌지류, 필리핀산 망 고와 파파야, 태국산 망고, 칠레산 포도와 키위 등이 있고 신선과실류는 바 나나, 오렌지, 파인애플, 키위 등이 있으며 건조과실은 건대추, 건아몬드, 곶감 등 20 여 종이며 냉동과실은 복숭아, 포도, 밤, 사과, 월귤, 여지 등 50 여 종이 수입되고 있다. 과실류에서 발견되는 병해충으로는 캘리포니아붉은깍지벌레가 미국산 오 렌지에서 발견되어 MB 훈증 의무소독 조건을 부과하게 되었고, 탄저병 곰 팡이 Septoria citri가 발견되어 미국 측 전문가와 기술협의회를 통해 동 병 원체를 재배지에서 관리한다는 조건으로 수입되고 있다. 과실에서 발생하는 금지 또는 관리병해충에 대해서 육안검사 및 유전자검사법, 법으로 재배현지 및 수입항에서 실시하고 있다. 혈청학적 검사 신선채소류의 대부분은 냉장컨테이너로 수입되고 있고 최근 고사리, 고구 마줄기, 고추 등은 건조 상태로도 수입되고 있다. 채소류에서 발견되는 병 원체는 부패병이며 해충은 선충, 응애류, 진딧물, 응애, 깍지벌레, 나방유충 등이 발견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목은 백미, 사과, 배, 밤, 감귤, 단감, 파프리 카, 양배추, 토마토, 당근, 무 등이 있다. 대부분의 수출식물검역은 현장에 서 육안으로 병해충 부착여부를 확인하고, 휴대용 확대경 등으로 분류동정 을 실시하여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수출용 종자류의 경우 상대국 부기대 상 병원균 또는 선충에 대해서 유전자검사법, 혈청학적 검사법, 습지배양, 18
수출입 동 식물 검역기술 동향 한천배양, 변형베르만깔데기법으로 대상 병해충을 분류동정하고 있다. 나. 주요 외래 병해충 국내 피해사례 1900년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래 병해충은 총 64 종( 병 30 종, 해충 34 종) 으로 집계되고 있다. 대표적인 피해사례는 미국흰불나방, 솔 잎혹파리, 벼물바구미,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것이며 최근에는 꽃매미와 미 국선녀벌레, 감자걀쭉병 등의 돌발 외래해충이 확산되어 과수농가에 큰 피 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들 외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매년 막대한 비용 이 소모되고 있으며 산림손실 및 농산물의 수확량 감소에 의한 많은 경제 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외래 병해충이 새로운 국가와 새로운 지역에 유입되면 그 지역에는 외래 병해충에 대한 천적이 부족하고 방제약이 없어 병해충이 보다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기주 식물들은 새로운 병해충에 대한 저항능력이 없기 때문에 더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새로운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제 사회적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한번 유입된 병해충은 박멸이 어렵 기 때문에 그 피해는 매년 계속해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외래 병해충을 억제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식물검역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1958 년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생된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은 전국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180여 종에 달하는 활엽수를 가해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미 군수 물자나 미군 휴대품에 번데기나 애벌레가 묻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해충의 발생 후 식물방역법이 제정, 공포되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은 나무 조직 내 수분과 양분 의 이동통로를 막아 고사시키는 해충이다. 기주는 해송, 적송, 잣나무 등 침엽수이고 방제제재나 매개충의 천적이 없어 한번 감염되면 100% 고사한 19
동향 리포트 2010-06 다.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생한 이래 2007년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고 피해액은 연간 약 국화과의 200 억 원으로 추정된다. 1 년생 초본식물인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은 밭작물과 경합하여 생산량 저하 및 꽃가루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잡초이 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생태계교란 야생식물로 지정 관리하고 있으며, 경기 도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매년 방제사업을 실시하나 완전한 방제는 어려 울 것으로 생각된다. 감자의 구제역이라 불리는 외래병해인 감자걀쭉병(Potato spindle tuber viroid, PSTVd) 이 2008년 국내 감자에서 감염이 의심되어 현재까지 방제 진행 중에 있다. 금지병원균으로 지정되어 있는 감자걀쭉병은 바이러스보다 크기가 작은 바이로이드가 발병 원인이며 종자 및 접촉으로 감염된다. 감자 가 기형이 되고 수확량이 감소할 뿐 아니라 기주범위가 넓어 온실채소류, 토마토, 고추, 관상식물까지 감염되는 등 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화 학적 방제법이 없어 감염이 의심되는 감자를 전량 폐기하는 것이 최선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아 감자걀쭉병이 발생하는 중국 미국 뉴질랜드 등으로부터 감자의 수입을 제한할 수 있었으나, 국내에서 방제조치가 이루 어지지 않으면 수입을 제한할 수 없게 되어 국내 재배 시 발생되는 직접적 피해 이외에 가지과 작물의 수출입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간접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벼과식물을 가해하는 해충인 벼물바구미(Lissorhoptrus oryzophilus) 는 일본으로부터 국내에 입항하는 선박에 부착되어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그 피해가 1988년 6 개시 도 247ha 에서 발생되었다. 그 해 긴급방 제령을 발령하여 발생지역에 대한 방제작업 및 발생지역으로부터 타 지역 으로 볏짚 반출을 규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였지만 차량이나 화물에 부착 되어 장거리 이동이 가능하여 전국에서 피해를 주고 있다. 20
수출입 동 식물 검역기술 동향 참나무시들음병은 국내 미기록 식물성 곰팡이인 Raffaelea sp. 가 광릉긴 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에 의해 기주인 참나무류를 감염시켜 7월 하 순부터 빠르게 시들면서 빨갛게 말라 죽는 병이다. 이 병은 2004년 8월 하 순 경기도 성남시에서 처음 발견된 후 지금까지 서울 대전 등 10 개 시 도 의 61 개 시 군 구에서 발생되었다. 산림청에서는 방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긴급방제를 실시하였으며 예산은 약 13 억 원이 투입되었다. 오늘날에는 교통수단과 산업의 발달로 물자의 국제 교역량이 크게 늘어 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득 향상으로 해외 여행객 증가, 지구온난화 등의 기후변화로 인한 외래 병해충의 유입뿐만 아니라 국내 정착가능성이 높아 짐에 따라 병해충의 유입경로차단이라는 의미의 식물검역뿐만 아니라 유입 에 따른 방제기술 및 해당 병해충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2. 동물검역 가. 동물검역 대상 검사 항목 및 검역 기술 현황 동물검역은 가축전염병예방법에 의한 검역과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한 검 사를 수행하고 있다. 검역시스템 은 가축의 전염성질병이 유입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해 지정검역물의 수입금지 지역 고시 등의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고, 검사 는 축산물의 가공기준에 의한 규격을 준수했는지 등 축산물의 위생 적인 가공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수입축산식품의 검사체계는 서류검사, 관 능검사, 정밀검사, 무작위표본검사로 나눌 수 있고 수입축산식품에 대해 항 생물질, 농약, 호르몬 등 유해잔류물질 검사, 보존료, 발색제 등 식품첨가물 검사, 병원성대장균 O157, H7, 살모넬라균 등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수출입 동물 및 축산물의 전염병 검사 대상 및 검사법은 < 표 4> 와 같다. 21
동향 리포트 2010-06 < 표 4> 수출입 동물 및 축산물의 전염병 검사 대상 및 검사법 구분 검사대상 검사법 브루셀라병(Brucellosis) 로즈벵갈응집반응법 ( 대성미생물, 영국 VLA) 평판응집반응법 (VNRQS) 시험관응집반응법 (VNRQS) 시험관응집반응법 ( 영국 VLT) 보체결합반응법 ( 영국 VLT) 효소면역법 ( 스웨덴 Svanova) 정액응집반응검사법 ( 대성미생물, 영국 VLA) 결핵병(Tuberculosis) 튜버큐린피내반응법 (NVRQS) 요네병(Johne's Disease) 보체결합반응법 ( 미국 NVSL) 면역확산법 ( 미국 NVSL) 효소면역법 ( 호주 CSL) 효소면역법 (NVSL) 렙토스피라병(Letospirosis) 현미경응집반응법 (NVRQS) 소생식기캠필로박터감염증 (Bovine Genital Campylobacteriosis) 말전염성자궁염 (Contagious Equine Metritis) 카드응집반응법 ( 노르웨이 BIONOR) 비저(Glanders) 보체결합반응법 ( 미국 NVSL) 추백리(Pullorum Disease) 급속혈청응집반응법 ( 녹십자, 영국 VLA) 시험관응집반응법 ( 미국 NVSL) 미세응집반응법 ( 미국 NVSL) 세균성 전염병 닭마이코플라즈마병 (Avian Mycoplasmosis) 급속혈청응집반응법 (NVRQS, 미국 Intervet) 혈구응집억제반응법 (NVRQS) 혈구응집억제반응법 ( 미국 SPAFAS) 가금티푸스(Fowl Typhoid) 급속혈청응집반응법 ( 녹십자, 영국 VLA) 시험관응집반응법 ( 미국 Intervet) 미세응집반응법 ( 미국 NVSL) 가금콜레라(Fowl Cholera) 살모넬라균감염증(Salmonellosis) 부저병(Foulbrood Disease) 홀스트씨 우유검사 탄저(Anthrax) 아스코리검사법 (NVRQS) 말파라티푸스(Equine Paratyphoid) 평판응집반응법 ( 일본 치바현 혈청연구소 ) 시험관응집반응법 ( 일본 치바현 혈청연구소 ) 돼지 위축성비염 (Atrophic Rhinitis) 기타검사법 API 20E 검사법 Catalase 검사법 Oxidase 검사법 그람염색법 Ziehl-Neelsen s 염색법 운동성검사법 Cryobank 를 이용한 세균보존법 Vitek system 을 이용한 세균동정법 22
수출입 동 식물 검역기술 동향 구분 검사대상 검사법 불루텅병(Bluetongue) 면역확산법 ( 미국 NVSL) 효소면역법 ( 미국 VMRD Inc.) 소백혈병(Bovine Viral Leukosis) 면역확산법 ( 미국 NVSL) 효소면역법 ( 미국 IDEXX) 수포성구내염(Vesicular Stomatitis) 효소면역법 ( 미국 NVSL) 바이러스중화시험 ( 미국 NVSL) 보체결합반응법 메디- 비스나(Maedi-Visna) 면역확산법 ( 미국 NVSL) 말전염성빈혈 (Equine Infectious Anemia) 면역확산법 ( 미국 SYNBIOTICS) 말전염성동맥염 (Equine Infectious Arteritis) 바이러스중화시험 ( 미국 NVSL) 바이러스중화시험 ( 미국 NVSL) 돼지오제스키병(Aujeszky's Disease) 효소면역법 ( 미국 IDEXX) 감별진단용 효소면역법 ( 미국 SYNBIOTICS) 바이러스성 전염병 기생충성 전염병 진균성 전염병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Porcine Reproductive and Rrespiratory Syndrome) ( 미국 VNSL) 효소면역법 ( 미국 IDEXX) IPMA ( 캐나다 ADRI) 뉴캣슬병(Newcastle Disease) 혈구응집억제반응법 (NVRQS) (OIE manual) 닭전염성기관염 (Avian Infectious Bronchitis) 혈구응집억제반응법 (OIE manual) 닭전염성 F낭병 (Infectious Bursal Disease) 면역확산법 (VNRQS) 닭전염성후두기관염 면역확산법 (NVRQS) 효소면역법 ( 프랑스 SYNBIOTICS) (Infectious Laryngotrachitis) 바이러스중화시험 ( 미국 NVSL) 닭뇌척수염 (Avian Encephalomyelitis) 면역확산법 (NVRQS) 효소면역법 ( 프랑스 SYNBIOTICS) 조류인푸루엔자(Avian Infleuenza) 면역확산법 ( 미국 NVSL) ( 미국 NVSL) 마렉병(Marek Disease) 면역확산법 (OIE manual) 바베시아병(Babesiosis) 형광항체법 ( 미국 NVSL) 타이레리아병(Theileriosis) 혈액도말표본검사 혈액도말표본검사 아나플라즈마병(Anaplasmosis) 보체결합반응법 ( 미국 NVSL) 카드응집반응법 ( 미국 NVSL) 트리코모나스 감염증(Trichomoniasis) ( 미국 NVSL) 말파이로플라즈마병 보체결합반응법 ( 미국 NVSL) (Equine Piroplasmosis) 형광항체법 ( 미국 NVSL) 구역(Dourine) 보체결합반응법 ( 미국 NVSL) 형광항체법 ( 미국 NVSL) 기생성응애류(Parasitic Mites) 석고병(Stone Disease) 및 백묵병(Chalkbrood Disease) 동물검역 정밀검사는 주로 원인균의 직접 동정을 위한 분리검사, 특정 유 전자에서 유래하는 병원균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유전자 검사, 혈청의 항 23
동향 리포트 2010-06 원항체반응을 이용한 진단법으로 나눌 수 있다. 분리검사는 대상병원균별 병 발생 초기의 혈액 또는 감염조직을 이용하여 조직배양, 세균 및 곰팜이 배양 등을 통해 병원체를 분리 종정한다. 또한 분리된 병원체를 동물접종을 통해 항체형성, 임상증상 검사 및 정밀 검사(PCR, ELISA 등)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확진한다. 나. 주요 외래 가축전염병 국내 피해사례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래 가축전염병은 25 종으로 추정되며, 소전염성기관 염, 쇠가죽파리증, 돼지오제스키병의 유입경로와 시기가 파악이 되었다. 돼 지오제스키병은 1987 년 대만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판명되었고, 1987년 경남 양산군에서 최초 발생한 후 경남 양산 및 경기도 남양주 소재 농장에 서 9,588 두 살처분, 1988년에 390 두 살처분, 1989년에 1,210 두 살처분, 1990년에 충남 서산 소재 농장에서 189 두를 살처분하였다. 이후 발생지역 이 확산되어 농후 감염지역으로 경기도 용인, 여주, 이천, 남양주군 및 충 남 홍성군, 감염의심지역으로 경기도 전역, 충남 홍성 인접지역, 강원도 철 원군 등 확산 추세에 있어 향후 많은 피해가 추정된다. 구제역은 1934년 이후 66년 만인 2000 년에 경기 파주, 용인, 화성 등 6 개 지역에서 15건이 발생하여 약 3,006 억 원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혔으나, 국내 방역강화 실시로 2001 년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였다. 그러나 2000 년, 2002 년, 2010 년에 구제역이 다시 발생하였고, 2002년에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16 만 마리의 가축이 도살, 살처분되고 오염물건에 대한 보상과 소독약품 방역비 등 직접적인 피해액은 1,500 억 원으로 추정된다. 원인바이러스의 유전자염기서열 분석 결과, 2002년에 발생한 구제역 바이 러스는 2000년에 발생한 구제역의 것과 다른 형질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해외로부터 별도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주로 사람 및 차량에 의 해 전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24
수출입 동 식물 검역기술 동향 2008년 김제에서 최초 발생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의한 가금류의 매몰, 살처분, 방역비 등에 의한 농가의 피해규모는 300억 원이 넘는 것으 로 추정된다. 소전염성기관염은 소의 급성열성 호흡기병을 주 증상으로 하 는 전염병이며 바이러스의 주 감염 부위에 따라 안질환, 생식기병, 자궁내 막염, 유방염, 피부염 등이 생기고 송아지에는 폐사율이 높은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폐사율이 높은 소에서 1~3% 정도로 나타나나 국내에서 피해 상황은 나타나지 않았다. 쇠가죽파리증은 보통 소에 있는 외부기생충인데 피하에서 가죽을 뚫고 외부로 나와 소가죽의 상품가치를 크게 떨어뜨린다. 1984년도에 미국으로 부터 비육 송아지의 도입 시 국내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산 소 에서 쇠가죽파리의 유충이 집단적으로 발견된 바 있다. 감염의 추이가 폭발 적이지는 않지만 토착화된 것으로 보인다.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