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0FCC3BC28C0DAB7E1C6ED5FC1A6BFDC292E687770>

Similar documents
CONTENTS.HWP


INDUS-8.HWP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세계 비지니스 정보

[수도권대기환경청 소식] 1. 제10차 수도권 대기환경정책 연구회 년도 1/4분기 직장교육 26 제5절 환경용어 해설 교토메카니즘(Kyoto Mechanism) 라돈(Rn) 배출가스 재순환장치(EGR, Exhaust G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00-1표지

652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우루과이 내지-1

歯 조선일보.PDF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1

<692E E EB4EBB1E2BFC0BFB0C5C2B5BF5FB9FDB7C9BAAFC3B55FC0FCB8C12E687770>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96_RE11]LMOs(......).HWP

°æÁ¦Àü¸Á-µ¼º¸.PDF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입장

제 출 문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연구용역사업 공공갈등의 정치화 경로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박 성 완 II

<28C3D6C1BEC0CEBCE2BFEB29BCADBFEFBDC3B0F8B0F8C5F5C0DABBE7BEF7B0FCB8AEC7D5B8AEC8ADB9E6BEC82E687770>

À̶õ°³È²³»Áö.PDF

<C7D0B1B3C7F5BDC520BBE7B7CAB9DFB1BCB0FA20C8AEBBEAC0BB20C0A7C7D120B3D7C6AEBFF720B1B8C3E0B9E6BEC8BFACB1B D30362C20C0CEBCE2BABB292E687770>

kg242-1.ps


Á¦27Àå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E1-정답및풀이(1~24)ok

cls46-06(심우영).hwp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untitled

0429bodo.hwp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6±Ç¸ñÂ÷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 B3E220B3EBBCF7C0CE20B5EEC0C720BAB9C1F6BBE7BEF720BEC8B3BB28C3D6C1BE292E687770>

통신1310_01-도비라및목차1~9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통신1802_01-도비라및목차1~11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 C1D6BFE4C5EBB0E820B9D720C0DAB7E120C3D6C1BE2E687770>

<4D F736F F D20B4EBBFF BFB5BEF7BAB8B0EDBCAD2E646F63>

표1

untitled

재원은 크게 지역, 직장 가입자의 총 보험료와 국고지원을 합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까지는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1만1천원의 기적 이라는 상자를 열어 보면 이는 기적 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보험 보장성은 강화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노동자 민중

israel-내지-1-4

<C0CEC5CDB3DDC1DFB5B6BDC7C5C2C1B6BBE75FC0CEBCE2C5EBC7D5BABB5F E687770>

정치사적

목 차 Ⅰ. 조사개요 1 Ⅱ. 용어해설 13 Ⅲ. 조사결과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에 관한 거시통계 분석 결과 9 1 가. 과학기술인의 양성 현황 19 나. 과학기술인의 취업 현황 24 다. 과학기술인의 경제활동 현황 27 라. 과학기술인의 고용 현황 28

表紙(化学)

제 출 문 마포구청 귀중 본 보고서를 마포구청 관내 어린이집 실내공기질 측정 및 컨설팅 용역 에 대한 공기질 측정 및 컨설팅용역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본 보고서로 제출 합니다. 2013년 4월 케이웨더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 동 식

<5BC1F8C7E0C1DF2D32B1C75D2DBCF6C1A4BABB2E687770>

I 문학과 우리 사회 눈 은 다가오는 계절인 봄의 생명력과 연결되어 작품 전체의 분위 기를 주도하고 있다. 1. 문학과 인접 분야 바탕 학습 확인 문제 본문 009쪽 01 4 문학은 음악, 미술 등과 같이 예술의 한 갈래로, 다른 예술 갈래와 달리 언

2010회계연도 결산시정요구사항 조치결과 분석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C0E7C8B0BFEBBCF6C1FDBBF3BFA120B4EBC7D120B0FCB8AEBFE4B7C E687770>

인천 화교의 어제와 오늘 34 정착부흥기 35 정착부흥기: 1884년 ~ 1940년 이 장에서는 인천 차이나타운에 1884년 청국조계지가 설정된 후로 유입 된 인천 화교들의 생활사에 대한 이야기를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조사팀은 시기를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첫 번

src.hwp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폐기물관리 규제개선 방안연구 에 관한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연구기관 한국산업폐기물처리공제조합 연구책임자 연 구 원 연구보조원 이 남 웅 황 연 석 은 정 환 백 인 근 성 낙 근 오 형 조 부이사장 상근이사 기술팀장 법률팀장 기


<C6EDC1FD20B0F8C1F7C0AFB0FCB4DCC3BC20BBE7B1D420B0B3BCB120BFF6C5A9BCF32E687770>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8-1???188

*통신1604_01-도비라및목차1~12

Transcription:

2008년 경기도 대기오염 평가보고서 총괄책임자 연구책임자 연 구 자 대기연구부장 김 구 환 대기조사팀장 이 기 종 이용기 이수문 김태현 신종현 김인구 이성숙 김명숙 김낙기 신정은 고보경 강일권

2008년 경기도 대기오염 평가보고서 요약 대기환경의 변화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환경정책의 효과분석을 위해 도에서는 63개 지점에 대 기오염자동측정시스템을 설치하여 24시간 연속 측정하는 감시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측정된 오염자료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감시센터 DB로 저장되어 경기도 대기오염도의 장기적 인 추세분석과 환경정책시행에 따른 효과분석 및 장래의 대기오염도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함과 동시에 대기오염 평가보고서 등 대기오염 현황분석을 위한 환경통계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2008년 경기도의 대기환경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황산가스의 연평균 오염도는 0.006ppm으로 환경기준을 달성하였으며 전년도에 비하여 다소 감소한 농도를 보였다. 아황산가스는 수년 동안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최근에는 공단지역 등을 중심으로 높은 농도로 측정되고 있다. 연평균 환경기준 (0.02ppm)과 24시간평균 환경기준 (0.05ppm 99percentile) 및 1시간평균 환경 기준(0.15ppm 99.9percentile)은 도시대기 62개 모든 유효측정소에서 달성한 것 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지역대기 환경기준 가운데 연평균 환경기준(0.014ppm)은 1개소에서 24시간 환경기준(0.03ppm 99percentile)은 1개소, 1시간 단기 환경기준 (0.11ppm 99.9percentile)은 3개소에서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이산화질소의 연평균 오염도는 0.031ppm으로 전년도와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환경기준 0.03ppm을 초과한 측정소는 도시대기 62개 측정소 가운데 35개 소이며 1시간평균 환경기준 (0.10ppm 99.9percentile)은 29개소 24시간평균 환경 기준 (0.06ppm 99percentile)은 37개 지역에서 환경기준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지역대기환경기준은 연평균 환경기준(0.03ppm)을 초과한 측정소는 35개소이며 1시간 환경기준(0.10ppm 99.9percentile)은 31개소, 24시간 환경기준 (0.06ppm 99percentile)은 39개소에서 초과 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일산화탄소의 오염도는 매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8년도 연평균 오염도는 0.6ppm으로 전년도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였고, 모든 측정소 에서 장 단기 환경기준과 경기도 지역대기 환경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4) 오존의 연평균 오염도는 0.020ppm으로 전년도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였으며, 1시간평균 환경기준 0.10ppm(99.9percentile)을 초과한 곳은 도시대기 62개 측정소 중 36개소이며, 8시간 환경기준 0.6ppm(99percentile)을 초과한 곳은 도시대기 62개 측정소 중 60개소로 대부분의 측정지역이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존주의보 발령회수는 ʼ07년 16회(8일)에서 ʼ08년 13회(8 일)로 횟수는 감소하였으나 발령일수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5) 미세먼지의 연평균 농도는 60μg/m3로 전년보다 크게 감소하였으며 도시대기 62개 측정소 중 연평균 환경기준 50μg/m3을 초과한 곳은 54개소이며, 24시간 환경기준 100μg/m3(99percentile)은 모든 측정지점에서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지역대기 환경기준은 54개소가 연평균 환경기준(50μg/m3)을 초과하였으며 62개소가 24시간평균 환경 기준(100μg/m3 99percentile)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 났다.

목 차 제1장 대기오염과 오염물질 배출현황 제1절 대기오염 현황 3 1. 대기오염현황 3 2. 경기도 대기오염 자동측정소 현황 7 3. 측정소별 대기오염 측정항목 13 4.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최고농도 지역분포 16 제2절 경기도 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 17 1. 배출원 구분 17 1.1. 고정오염원 17 1.2. 이동오염원 19 2. 연료사용량 21 3. 연도별 오염물질 배출량 추이 23 4 분야별 오염물질 배출량 추이 24 제2장 대기오염도 현황 제1절 아황산가스(SO 2 ) 27 1. 연평균 오염도 28 2. 오염도 변화 31 3. 환경기준 달성실태 및 공간분포 33 제2절 이산화질소(NO 2 ) 36 1. 연평균 오염도 37 2. 오염도 변화 40 3. 환경기준 달성실태 및 공간분포 42 - i -

제3절 일산화탄소(CO) 45 1. 연평균 오염도 46 2. 오염도 변화 49 3. 환경기준 달성실태 및 공간분포 51 제4절 오존(O 3 ) 53 1. 연평균 오염도 54 2. 오염도 변화 55 3. 환경기준 달성실태 및 공간분포 57 제5절 미세먼지(PM10) 60 1. 연평균 오염도 61 2. 오염도 변화 66 3. 환경기준 달성실태 및 공간분포 68 제6절 산성우 70 1. 연평균 오염도 71 2. 월평균 오염도 73 제7절 대기 중 중금속 75 1. 기준 초과여부 76 2. 중금속 농도 현황 76 제8절 황사 83 1. 경기도 지역의 황사발생현황 85 2. 황사의 성분특성 86 제9절 악취(Odor) 90 1. 배출업체 및 악취민원 발생 현황 93 2. 악취측정소 현황 95 3. 악취측정소 운영결과 96 제3장 도로변 대기오염도 현황 - ii -

제1절 아황산가스(SO 2 ) 103 1. 연평균 오염도 103 2. 오염도 변화 104 제2절 이산화질소(NO 2 ) 105 1. 연평균 오염도 105 2. 오염도 변화 105 제3절 일산화탄소(CO) 107 1. 연평균 오염도 107 2. 오염도 변화 107 제4절 오존(O 3 ) 109 1. 연평균 오염도 109 2. 오염도 변화 109 제5절 미세먼지(PM10) 111 1. 연평균 오염도 111 2. 오염도 변화 111 - iii -

제4장 대기오염 이동측정차량 운영 제1절 운영 개요 115 1. 개 요 115 2. 운영 개요 116 제2절 운영 결과 117 1. 배경농도 117 2. 측정망 미설치 지역 122 3. 봄철 황사발생 예상기간 중 PM10비교 123 제5장 대기오염 예 경보제 운영 제1절 오존경보제 127 1. 개요 127 2. 실시지역 127 3. 시행방법 130 4. 오존주의보 발령형황 131 제2절 미세먼지 예보제 135 1. 개요 135 2. 대상지역 135 3. 예보제 운영 135 4. 예보 적중률 분석 137 제3절 미세먼지 경보제 142 1. 개요 142 2. 대상지역 142 3. 시행방법 142 4. 발령현황 144 - iv -

자 료 편 1. 연도별 대기오염도 변화추이(도시별 : 89~ 08) 147 2. 연도별 대기오염도 변화추이(측정소별 : 89~ 08) 153 3. 2008년 월별 대기오염도(도시별) 159 3.1 SO 2 161 3.2 NO 2 161 3.3 O 3 162 3.4 CO 162 3.5 PM10 163 4. 2008 월별 대기오염도(측정소별) 165 4.1 SO 2 167 4.2 NO 2 168 4.3 O 3 169 4.4 CO 170 4.5 PM10 171 5. 2008 월별 대기오염도 173 5.1 SO 2 175 5.2 NO 2 187 5.3 O 3 199 5.4 CO 211 5.5 PM10 223 6. 연도별 중금속 오염도 변화추이(측정소별 : 97~ 08) 237 7. 월별 중금속 오염도 238 8. 연도별 강우산도 변화 추이( 93~ 08) 239 9. 경기도 관리 년도별 월별 강우산도 240 10. 측정지점별 오염분포도 242 11. 측정지점별 환경기준 초과횟수 251 12. 측정지점별 국가 환경기준 달성현황(2008) 253 13. 2008년 도로변 월별 대기오염도 255 14. 대기오염 측정망 제원 262 - v -

표 차 례 표 1-1-1 대기환경기준 6 표 1-1-2 경기도 대기오염 측정망 설치현황 7 표 1-1-3 도내 측정소별 환경기준달성여부(국가기준) 8 표 1-1-4 도내 측정소별 환경기준달성여부(지역기준) 10 표 1-1-5 도내 도시대기 측정망 12 표 1-1-6 측정소별 측정항목 14 표 1-2-1 대기배출업소의 종별현황 18 표 1-2-2 배출업소 업종별 현황 18 표 1-2-3 경기도 자동차 등록 현황(대수) 20 표 1-2-4 연도별 연료사용량 변화 22 표 1-2-5 연도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추이 23 표 1-2-6 분야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4 표 2-1-1 전국 주요도시별 연평균 아황산가스(SO 2 ) 오염도 28 표 2-1-2 도내 도시별 아황산가스(SO 2 ) 오염도 30 표 2-1-3 도내 아황산가스 환경기준 초과내역(2008년) 34 표 2-2-1 주요 도시의 이산화질소(NO 2 ) 연평균농도 38 표 2-2-2 도내 도시별 이산화질소(NO 2 ) 오염도 39 표 2-2-3 도내 이산화질소 환경기준 초과내역(2008년) 43 표 2-3-1 전국 주요 도시별 연평균 일산화탄소(CO)오염도 47 표 2-3-2 시군별 일산화탄소(CO) 오염도 48 표 2-4-1 주요 도시의 오존 연평균농도 55 표 2-4-2 오존(O 3 ) 도내 환경기준 초과현황 58 표 2-5-1 전국 주요 도시별 연평균 미세먼지 오염도 62 표 2-5-2 미세먼지 연평균오염도 분포 63 표 2-5-3 시군별 연평균 현황 64 표 2-5-4 시군별 미세먼지 환경기준 초과내역(2008년) 65 표 2-5-5 미세먼지(PM10)의 24시간 환경기준 달성현황 66 표 2-6-1 전국 주요 도시별 연평균 강우 산성도 71 - vi -

표 2-6-2 도내 연도별 강우 산성도 72 표 2-6-3 도내 월별 강우 산성도 73 표 2-7-1 연간 도시별 Pb농도 76 표 2-8-1 경기도지역의 연도별 황사발생현황 85 표 2-8-2 황사 비황사기간의 입자상물질 농도비율 87 표 2-8-3 황사 비황사기간의 중금속 농도 87 표 2-9-1 복합악취의 배출허용기준 및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의 설정범위 92 표 2-9-2 지정악취물질의 배출허용기준 및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의 설정범위 92 표 2-9-3 반월 시화산업단지 산업단지별 배출업소 현황 93 표 2-9-4 반월 시화산업단지 업종별 배출업소 현황 93 표 2-9-5 반월 시화산업단지 업종별 악취배출업체 현황 93 표 2-9-6 측정장비별 분석항목 95 표 2-9-7 측정장비별 측정원리 95 표 2-9-8 시화악취측정소 항목별 월평균 측정결과 96 표 2-9-9 반월악취측정소 항목별 월평균 측정결과 97 표 2-9-10 악취측정소 항목별 연평균 측정결과 99 표 4-2-1 도시별 연평균 배경농도 비교 119 표 4-2-2 08년도 측정망 미설치지역 오염도와 경기도평균 비교 122 표 4-2-3 안산지역의 연도별 황사발생 예상기간 중 PM10 비교 123 표 5-1-1 오존경보제 권역 구분 127 표 5-1-2 오존경보제 실시지역 확대 현황 128 표 5-1-3 오존경보 발령기준 및 조치사항 130 표 5-1-4 권역별 발령현황 132 표 5-1-5 월별 시간별 발령현황 132 표 5-1-6 2008년 오존주의보 발령현황 134 표 5-2-1 미세먼지 예 경보제 권역 구분 135 표 5-2-2 2007년 권역별 미세먼지 예보 적중률 138 표 5-2-3 2008년 권역별 미세먼지 예보 적중률 140 표 5-3-1 미세먼지 경보제 발령기준 142 표 5-3-2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현황 143 - vii -

그림 차례 그림 1-1-1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지역분포 16 그림 1-2-1 연도별 자동차 증가추이 20 그림 1-2-2 연도별 연료사용량 변화추이 21 그림 2-1-1 아황산가스(SO 2 )의 연도별 오염도 변화 29 그림 2-1-2 아황산가스(SO 2 )의 월별 오염도 변화 31 그림 2-1-3 아황산가스(SO 2 )의 주간 오염도 변화 32 그림 2-1-4 아황산가스(SO 2 )의 일간 오염도 변화 32 그림 2-1-5 경기도 아황산가스(SO 2 ) 농도 공간분포 35 그림 2-2-1 이산화질소(NO 2 )의 연도별 오염도 변화 37 그림 2-2-2 이산화질소(NO 2 )의 월별 오염도 변화 40 그림 2-2-3 이산화질소(NO 2 )의 요일별 오염도 변화 41 그림 2-2-4 이산화질소(NO 2 )의 시간별 오염도 변화 41 그림 2-2-5 경기도 이산화질소(NO 2 ) 농도 공간분포 44 그림 2-3-1 일산화탄소(CO)의 연도별 오염도 변화 46 그림 2-3-2 일산화탄소(CO)의 월별 오염도 변화 49 그림 2-3-3 일산화탄소(CO)의 주간 오염도 변화 50 그림 2-3-4 일산화탄소(CO)의 일간 오염도 변화 50 그림 2-3-5 경기도 일산화탄소(CO) 농도 공간분포 52 그림 2-4-1 오존(O 3 )의 연평균 변화 55 그림 2-4-2 오존(O 3 )의 월평균 변화 추이 55 그림 2-4-3 오존(O 3 )의 시간별 오염도 변화 56 그림 2-4-4 오존(O 3 )의 요일별 오염도 변화 56 그림 2-4-5 경기도 오존(O 3 ) 공간분포 59 그림 2-5-1 주요도시 미세먼지(PM10)의 연도별 오염도 경향 62 그림 2-5-2 도내 월별 미세먼지(PM10) 추이 66 그림 2-5-3 요일별 미세먼지(PM10) 오염도경향 67 그림 2-5-4 시간별 미세먼지(PM10) 오염도 경향 67 그림 2-5-5 경기도 미세먼지(PM10) 농도 공간분포 69 그림 2-6-1 전국 주요 도시별 연평균 강우 산성도 72 - viii -

그림 2-6-2 도내 연도별 강우 산성도 73 그림 2-6-3 2008년 월별 강우 산성도 74 그림 2-6-4 도내 월별 연평균 산성도 추이 74 그림 2-7-1 수원시 지역의 연도별 중금속 농도 비교 77 그림 2-7-2 안산시 지역의 연도별 중금속 농도 비교 77 그림 2-7-3 2008년 지역별 중금속 농도 비교 79 그림 2-7-4 2008년 월별 중금속 농도 비교 81 그림 2-7-5 Pb, Cu, Fe 항목과 TSP 및 PM10 상관관계 82 그림 2-8-1 연도별 중금속 농도 비교(Fe,Al,Ca,Mg,Pb) 86 그림 2-8-2 연도별 중금속 농도 비교(Cd,Cr,Mn,Ni,Cu) 86 그림 2-8-3 황사, 비황사기간중 지역별 TSP, PM10농도 비교 87 그림 2-8-4 황사기간 중 지역별 중금속 농도 비교 88 그림 2-8-5 비황사기간 중 지역별 중금속 농도 비교 88 그림 2-8-6 경기도지역 황사/비황사 농도비율 비교 89 그림 2-8-7 황사기간 및 비황사기간 중의 항목별 분포도 89 그림 2-9-1 시흥시 연도별 악취민원 발생현황 94 그림 2-9-2 안산시 연도별 악취민원 발생현황 94 그림 2-9-3 시화측정소 월별 악취동향 98 그림 2-9-4 반월측정소 월별 악취동향 98 그림 2-9-5 시화측정소 연도별 악취동향 99 그림 2-9-6 반월측정소 연도별 악취동향 99 그림 3-1-1 아황산가스(SO 2 )의 연도별 오염도 변화 103 그림 3-1-2 아황산가스(SO 2 )의 월별 오염도 변화 104 그림 3-2-1 이산화질소(NO 2 )의 연도별 오염도 변화 105 그림 3-2-2 이산화질소(NO 2 )의 월별 오염도 변화 106 그림 3-3-1 일산화탄소(CO)의 연도별 오염도 변화 107 그림 3-3-2 일산화탄소(CO)의 월별 오염도 변화 108 그림 3-4-1 오존(O 3 )의 연평균 변화 109 그림 3-4-2 오존(O 3 )의 월평균 변화 추이 110 그림 3-5-1 주요도시 미세먼지(PM10) 연도별 오염도 경향 111 그림 3-5-2 도내 월별 미세먼지(PM10) 추이 112 - ix -

그림 4-2-1 아황산가스(SO 2 )의 연평균 변화 119 그림 4-2-2 미세먼지(PM10)의 연평균 변화 120 그림 4-2-3 오존(O 3 )의 연평균 변화 120 그림 4-2-4 이산화질소(NO 2 )의 연평균 변화 121 그림 4-2-5 일산화탄소(CO)의 연평균 변화 121 그림 5-1-1 오존경보제 시행지역 현황도 129 그림 5-1-2 경보발령체계 130 그림 5-1-3 오존주의보 연도별 발령일수 및 횟수 131 그림 5-1-4 오존주의보 월별 발령일수 및 횟수 131 그림 5-1-5 오존주의보 발령시간 및 지속시간 133 그림 5-2-1 미세먼지 예보시스템의 개요 136 그림 5-2-2 미세먼지 예 경보제 시행지역의 현황도 136 그림 5-2-3 예보모델운영 스케줄 137 그림 5-2-4 미세먼지 예보지수 137 그림 5-2-5 2007년 모델별 미세먼지 예보 적중률 138 그림 5-2-6 2008년 모델별 미세먼지 예보 적중률 139 그림 5-2-7 미세먼지 예보 월별 적중률 141 그림 5-2-8 미세먼지 예보 월별 적중률 145 - x -

부 록 1. 대기환경기준 265 2. 지역 대기환경기준 266 3. 각국 대기환경 기준 267 4. 통계처리 방법 268 5. 통합대기환경지수(CAI) 270 6. 대기환경기준 개정에 따른 대기환경지수 변경사항 272 - xi -

제1장 대기오염과 오염물질 배출현황 - 1 -

제1장 대기오염과 오염물질 배출현황 제1절 대기오염 현황 1. 대기오염현황 대기오염은 별다른 증상이 없어 자각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뒤늦게 인식하더라도 복구가 매우 어렵다. 통계청이 발표한 (2008년 15세 이상 인구 기준) 대기오염의 원 인에 의하면, 자동차 매연가스가 68.1%, 공사장, 생활주변의 먼지가 10.1%, 공장 매 연이 9.4%, 주택 건물의 난방에 의한 오염이 5.8%, 쓰레기 소각에 의한 오염이 4.2%, 기타가 2.4%를 차지하였다. 또한 석유, 석탄, 가스, 비닐이나 스티로폼을 태울 때 나는 유독 가스, 냉장고나 스프레이의 프레온 가스 등이 대기오염의 주범들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대기오염물질 중 폐암과 호흡기 질환 등 질병을 유발하는 미세먼지 농도는 주요 11개국 중 최악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작이나 행동장애 등 신경 장애를 일으키는 납의 경우도 사실상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예전에 비해 아토 피성 피부염으로 온몸이 울긋불긋 염증으로 뒤덮인 아이들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집중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대기오염 규제정책에도 불구 하고 대기환경의 수준은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한 의료비용의 증가와 노동력 상실 등과 같은 사회적 비용이 증대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수도권지역 주요 도시의 대기오염은 OECD 국가 중 최하위로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였고(2003.12) 대기 환경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고자 수도권 대부분지역을 대기환경관리 지역으로 지 정하여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PM 10 ),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황산화물(SOx) 를 대상으로 지역배출 총량관리제, 사업장배출 총량관리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저공해 자동차 보급 및 배출가스 저감장치부착 등 적극적인 대기오염방지정책을 시행하고 있 다. - 3 -

우리나라의 대기오염현상은 70년대 경제 개발과 80년대 이후 자동차의 보급 증가 로 급격하게 악화되다가 청정연료 보급과 삼원촉매장치 의무화( 87년이후), 무연휘발 유의 공급 등 적절한 환경정책의 시행으로 아황산가스 (SO 2 ), 일산화탄소(CO), 납 (Pb) 등, 1차 오염물질(Primary pollutants)은 지난 10년간 현저하게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이산화질소(NO 2 ), 미세먼지(PM 10 ), 오존(O 3 ) 등 2차 오염물질(Secondary Pollutants)은 경유차의 증가와 자동차 배출가스의 영향으로 계속 악화추세에 있다. 특히 경기도가 포함되어 있는 수도권의 대기오염도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며 뉴욕, 런 던, 파리, 도쿄 등 선진국의 주요도시에 비해 미세먼지는 1.8~3.5배 이산화질소는 1.2~1.7배이며 국내의 비수도권지역에 비해서도 이산화질소 미세먼지의 농도는 1.3~1.4배 높은 수준에 있다(환경부, 2005)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는 막대하여 연간 10조원에 이르며 수도권지역의 미 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자수는 연간 11,127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경기개발연구원, 2003), 대기오염으로 인해 1세 이하 영아 사망률이 9% 증가하고, 이중 호흡기질환 사망률은 2배 증가하며(이화여대, 2002), 미국 환경보호처(EPA)의 발표에 의하면 대 기오염으로 인한 조기사망자수는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수의 3배에 달한다고 발표하 고 있다. 또한 2003년 수도권 주민의 여론조사결과 절반이상(60.1%)이 대기오염이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서울거주 외국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서울이 살기 나쁜 이유로 교통체증(25.5%)과 환경오염(23.6%)을 꼽고 있으며, 환경오염 중에는 대기오 염(40.2%)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면적은 국토면적의 10.2%인 10,184km 2 에 불과하지만 인구는 2008년 12 월 기준으로 11,549천명을 넘어서 서울을 제치고 전국 최대의 지방자치 단체가 되었 고, 도내 대기오염 배출시설은 대기환경보전법상 대상이 되는 사업장만 07년 12월 기준 14,663개소이며, 동법에 대상이 되지는 않지만 매연이나 분진 등을 발생하는 소 규모 사업장을 포함하면 수만 개소에 이르고 있다. 또한 대기오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자동차 등록대수는 2007년 12월 기 준 3,792천대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배출원의 증가는 대기환경을 악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 되므로 적절한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쾌적한 수준의 대기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따라서 배출원 증가에 따른 대기환경의 변화를 상시 모니터링하기 위해 도에서는 63개 지점에 대기오염자동측정시스템을 설치하여 24시간 연속 측정하는 감시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측정된 오염자료는 전용회선을 통해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감시 - 4 -

센터의 주전산기 DB로 저장되어 경기도 대기오염도의 장기적인 추세분석과 환경정책 시행에 따른 효과분석 및 미래의 대기오염도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함과 동시 에 대기오염 평가보고서 등 대기오염 현황분석을 위한 환경통계자료로 이용되고 있 다. 2008년 경기도의 대기환경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황산가스의 연평균 오염도는 0.006ppm으로 환경기준을 달성하였으며 전년 도에 비하여 다소 감소한 농도를 보였다. 아황산가스는 수년 동안 감소하는 추 세였으나 최근에는 공단지역 등을 중심으로 높은 농도로 측정되고 있다. 연평균 환경기준(0.02ppm)과 24시간평균 환경기준 (0.05ppm 99percentile) 및 1시간평 균 환경기준(0.15ppm 99.9percentile)은 도시대기 62개 모든 유효측정소에서 달 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지역대기 환경기준 가운데 연평균 환경기준 (0.014ppm)은 1개소에서 24시간 환경기준(0.03ppm 99percentile)은 1개소, 1시간 단기 환경기준(0.11ppm 99.9percentile)은 3개소에서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이산화질소의 연평균 오염도는 0.031ppm으로 전년도와 동일한 수준으로 나 타났다. 연평균 환경기준 0.03ppm을 초과한 측정소는 도시대기 62개 측정 소 가운데 35개소이며 1시간평균 환경기준 (0.10ppm 99.9percentile)은 29개소 24시간평균 환경기준 (0.06ppm 99percentile)은 37개 지역에서 환경기준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지역대기환경기준은 연평균 환경기준 (0.03ppm)을 초과한 측정소는 35개소이며 1시간 환경기준(0.10ppm 99.9percentile)은 31개소, 24시간 환경기준(0.06ppm 99percentile)은 39개소에서 초과 한 것으 로 나타났다. (3) 일산화탄소의 오염도는 매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8년 도 연평균 오염도는 0.6ppm으로 전년도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였고, 모든 측 정소에서 장 단기 환경기준과 경기도 지역대기 환경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4) 오존의 연평균 오염도는 0.020ppm으로 전년도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였으며, 1시간평균 환경기준 0.10ppm(99.9percentile)을 초과한 곳은 도시대기 62개 측정소 중 36개소이며, 8시간 환경기준 0.06ppm(99percentile)을 초과한 곳은 도시대기 62개 측정소 중 60개소로 대부분의 측정지역이 환경기준을 - 5 -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존주의보 발령회수는 07년 16회(8일)에서 08년 13회(8일)로 횟수는 감소하였으나 발령일수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5) 미세먼지의 연평균 농도는 60μg/m3로 전년보다 크게 감소하였으며 도시대기 62개 측정소 중 연평균 환경기준 50μg/m3을 초과한 곳은 54개소이며, 24시 간 환경기준 100μg/m3(99percentile)은 모든 측정지점에서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지역대기 환경기준은 54개소가 연평균 환경기준(50μg/ m3)을 초과하였으며, 62개소가 24시간평균 환경기준(100μg/m3 99percentile) 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환경기준 5개 항목 중 아황산가스와 일산화탄소는 대기환경기준과 경기도 지역 환경기준을 대부분 달성하고 있으며 연평균 농도는 환경기준의 30%이하 수준으로 아주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으며 연도별 농도변화가 거의 없어 향후 측정 항목을 점진적으로 줄여 나가는 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산화질소는 감소 추세 에서 다시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고농도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오존과 미세 먼지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어 환경기준달성을 위한 별도의 대책이 요 구되고 있다. <표1-1-1> 대기환경기준 항 목 아황산가스 (SO2) 일산화탄소 (CO) 이산화질소 (NO2) 미세먼지 (PM10) 오존(O3) 납 (Pb) 기 1시간 8시간 24시간 연평균 0.150ppm 0.050ppm 0.020ppm 이하 이하 이하 25ppm 9ppm 이하 이하 0.100ppm 0.060ppm 0.030ppm 이하 이하 이하 100μg/m3 50μg/m3 이하 이하 0.100ppm 이하 0.060ppm 이하 준 0.5μg/m3 이하 측 정 방 법 자외선형광법 (Pulse U.V. Fluorescence Method) 비분산적외선분석법 (Non-Dispersive Infrared Method) 화학발광법 (Chemiluminescent Method) 베타선흡수법 (β-ray Absorption Method) 자외선광도법 (U.V. Photometric Method) 원자흡광광도법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비 고 : 1. 1시간 평균치는 999천분위수( 千 分 位 數 )의 값이 그 기준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되고, 8시간 및 24시간 평균치는 99백분위수의 값이 그 기준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2.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10μm이하인 먼지를 말한다. - 6 -

2. 경기도 대기오염 자동측정소 현황 2008년 12월 현재 도내 27개 도시에 5종류 77개소(도시대기 63개, 도로변 4개, 산성 우 4개, 중금속 4개, 악취측정소 2개)의 측정망이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소 미설치 지역 및 대기오염으로 인한 민원 등을 대비한 이동측정차량 1대를 보유 운영 하고 있다. 중 장 기 계획으로는 도시대기, 도로변, 중금속 측정망 등 2010년까지 대기오염측정망 기본 계획(환경부, 2005) 및 경기도 대기측정소 확충계획에 의거 경기도 전역에 89개소(도 시대기 71, 도로변 7, 중금속 4, 산성우 4, 악취 2, 이동차 1)까지 측정소를 확대할 계 획이다. 대기오염 자동측정소 및 이동측정차량은 대기 중의 아황산가스등 5개 항목과 기상 자료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산성우측정소는 ph와 온도/전도도, 강우량 등 4항목, 중 금속 측정소는 Pb를 포함한 7개 항목을 측정하고 있으며, 이들 자료는 보건환경연구원 환경감시센타로 즉시 전송되어 자료의 검색과 확정과정을 거쳐 경기도와 환경부에서 대기환경월보로 발표하고 있다. 보건환경연구원 및 경기도에서는 전송된 자료를 바탕으로 오염실태 연구 및 대기보 전정책 수립의 기본 자료로 이용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예 경보제와 하절기에는 오존 경보제를 실시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표 1-1-2> 경기도 대기오염측정망 설치현황(2008.12현재) 측 정 망 측 정 항 목 측 정 목 적 측정주기 측 정 소 수 도시대기 측정망 도로변 측정망 산성우측정망 ph 중금속 측정망 악취측정망 SO 2, NOx, O 3, CO, 도시지역의 평균 대기질 농도를 파악하 PM 10, 풍향, 풍속, 여 환경 기준 달성 여부 판정 온도 SO 2, NOx, O 3, CO, 자동차 통행량과 유동 인구가 많은 도 PM 10, 풍향, 풍속, 로변 대기질을 파악 온도, Pb, Cd, Cr, Cu, Mn, Fe, Ni 악취 8개 항목, VOC등 7개항목 대기 중 오염물질에 의한 강수의 산성도 파악 도시지역 또는 공단 인근 지역에서의 중금속에 의한 오염 실태를 파악 공단지역의 악취 유발물질 및 VOCs에 대한 오염도 상시측정 24시간 연속 5분 간격 강우시 5일/월 24시간 연속 5분 간격 24시간 연속 5분 간격 (1시간 자료전송) 63 (27개 시) 4개소 (4개시) 4 (4개 시) 4 (4개 시) 2 (2개 시) - 7 -

: 환경기준 달성, : 환경기준초과, 1시간 : 99.9percentile, 8시간 24시간 : 99 percentile - 8 -

: 환경기준 달성, : 환경기준초과, 1시간 : 99.9percentile, 8시간 24시간 : 99 percentile - 9 -

: 환경기준 달성, : 환경기준초과, 1시간 : 99.9percentile, 8시간 24시간 : 99 percentile - 10 -

: 환경기준 달성, : 환경기준초과, 1시간 : 99.9percentile, 8시간 24시간 : 99 percentile - 11 -

<표 1-1-5> 도내 도시대기 측정망 구 분 측정소명 설 치 위 치 설치년도 교체 비고 수원시 성남시 의정부 안양시 광명시 안산시 과천시 구리시 시흥시 우만동 팔달구 우만동 506 (우만1동사무소) 94.12 02.12 인계동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11번지(수원시청) 87.12 07.12 신풍동 수원시 장안구 신풍동123-6(선경도서관) 86.12 06 중금속 영통동 팔달구 영통동 977-3(영통2동사무소) 02.02 천천동 장안구 천천동 300(성균관대) 03.05 고색동 권선구 고색동 886-70(자동차등록사업소) 06.08 하대원동 성남시 중원구 공단로 200(하대원동사무소) 86.12 07.12 단대동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 129(단대동사무소) 93.07 03 산성우 정자1동 분당구 정자동147(정자1동사무소) 98.02 수내동 분당구 수내동 1 (분당구청) 03.05 복정동 수정구 복정동 515(상수도사업소) 05.01 의정부동 의정부시 의정부2동 551-2(도로관리사업소) 940.5 07.05 산성우 의정부1동 의정부동 225-1(의정부1동 사무소) 02.02 안양동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437-4(안양6동사무소) 93.07 03 산성우 호계동 안양시 동안구 호계2동 933-18(호계동사무소) 92.12 03 부림동 동안구 부림동 1590(안양시청) 98.02 안양2동 만안구 안양2동 842-2(안양2동사무소) 04.12 철산동 광명시 철산동 384(농협중앙회) 86.12 95.12 광명3동 광명동 136-8(광명3동사무소) 98.07 고잔동 안산시 고잔동 515(안산시청) 87.12 96.12 원시동 안산시 원시동 782-9(민주노총옥상) 90.12 00.5 중금속 본오동 본오동 796-4(본오2동사무소) 98.02 원곡동 원곡2동 936-5(원곡2동사무소) 99.12 부곡동 부곡동 671번지(부곡동 사무소) 01.02 대부동 대부북동 467 (대부출장소) 02.02 호수동 단원구 고잔동 781-2(양지중학교) 03.07 별양동 과천시 별양동 16(문원초등학교) 91.07 99.03 과천동 과천동 249 (환경사업소 분뇨처리동 2층) 00.03 교문동 구리시 교문동 3-2(실내체육관) 93.07 02.10 동구동 인창동 56-36(복지회관) 01.07 정왕동 시흥시 정왕동 1799-5(환경관리센터) 95.12 07 시화공단 정왕동 시화공단 2다 401(시화지원센타) 98.11 대야동 대야동 491-3(대야동 사무소) 02.02 평택시 비전동 평택시 합정동 832(비전동 846 (평택시청) 95.12 산성우 안중 평택시 안중읍 안중리 299-10(안중읍사무소) 08.02 내 동 부천시 오정구 내동 10-2(신흥동사무소) 86.12 06 부천시 심곡동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454-1(보건소) 95,12 04,02 상1동 원미구 상1동 396-2(상1동사무소) 98.02 원종동 오정구 원종동 44번지 (원종1동사무소) 00.12 의왕시 고천동 의왕시 고천동 272-2(고천동사무소) 95.12 05 중금속 부곡3동 의왕시 삼동 166-24(부곡동사무소) 02.08 고양시 행신동 덕양구 행신동 산59(행신배수지) 98.05 정발산동 일산구 일산동 1192(저동중학교) 02.11 군포시 당 동 군포1동 752-10(군포도서관) 97.06 산본동 금정동 844(여성회관) 02.02 남양주 금곡동 금곡동 185-10 (남양주시 1청사 보건소) 99.12 김량장동 김량장동 286 (용인시청) 99.08 용인시 수지 풍덕천동 701-1(풍덕천1동사무소) 05.10 기흥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355(기흥구청) 07.01 사우동 사우동 236-25 (김포3동사무소) 99.12 김포시 고촌면 고촌면 풍곡리 산83-2(상수도사업소) 01.01 통진읍 통진읍 마송리 111-27(면사무소) 01.01 오산시 오산동 오산동 811-37(여성회관) 02.02 하남시 신장동 신장동 520(하남시청) 02.02 화성시 남양동 남양동 1340(남양동사무소) 03.12 향남면 향남면 행정리 284-1(향남면사무소) 04.11 파주시 금촌동 금촌동 953-1(금촌2동사무소) 03.12 이천시 창전동 창전동 105-3(시민회관) 03.12 포천시 신읍동 포천시 신읍동 58-2 (포천시청) 04,12 양주시 광적면 광적면 가납리 848-2(광적면사무소) 05.10 동두천시 생연동 동두천시 생연동 807-10(생연2동사무소) 06.03 광주시 경안동 광주시 경안동 53-4(농협중앙회0.0) 06.11 안성시 봉산동 안성시 봉산동 31-3(안성시청) 08.02-12 -

3. 측정소별 대기오염 측정항목 대기오염 자동측정소가 설치되면 1~3개월간의 시험가동 기간을 거쳐 정상가동 여부를 판단하고 매일 측정된 자료는 보건환경연구원 환경감시센터에서 검색하여 1차 확정자료를 만들고 다시 환경부로 전송하여 2차 검색을 거친 후에 최종적인 자료로 확정된다. 각 측정소별 측정항목은 <표1-1-6>과 같으며 대체로 기준성 오염물질(Criteria Pollutant)인 아황산가스를 비롯한 가스상 오염물질 6항목 및 입자상 오염물질 1항목과 기상요소 4항목 등을 측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신종 대기오염물질인 VOCs, PM 2.5, 악취 등에 대처하기 위하여 측정항목을 증가시키는 추세에 있다. 2008년 12월 현재 총63개 측정소 가운데 평택시 안중측정소와 안성시 봉산동 측정소는 2008년 2월에 각각 설치되어 정상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대기오염사 고지역 및 측정소 미설치 지역에 대한 신속한 대기오염도 파악을 위해서 대기오염 이동측정차를 구입하여 2001년부터 측정하고 있으며 도내 모든 지역에 대한 대기 오염도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대기오염의 변화추세와 장 단기 대기오염 방지대책의 시행효과에 따른 효과 분석 및 장래 오염저감정책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13 -

<표 1-1-6> 측정소별 측정항목 측정소명 CO SO 2 O 3 NO NO 2 NO X PM 10 기상 비 고 우만동 인계동 일사량 신풍동 PM2.5 영통동 천천동 고색동 단대동 정자1동 복정동 수내동 하대원동 PM2.5 의정부동 의정부1동 일사량,PM2.5 안양동 호계동 안양2동 부림동 일사량 철산동 광명3동 고잔동 원시동 본오동 일사량 원곡동 일사량 부곡동 일사량 대부동 일사량,PM2.5 호수동 일사량,PM2.5 별양동 과천동 일사량 교문동 동구동 정왕동 시화공단 대야동 - 14 -

<표 1-1-6> 측정소별 측정항목(계속) 측정소명 CO SO 2 O 3 NO NO 2 NO X PM 10 기상 비 고 비전동 안중 내 동 PM2.5 심곡동 상1동 원종동 고천동 PM2.5 부곡3동 행신동 일산동 당 동 산본동 금곡동 일사량 김량장동 수지 기흥 사우동 일사량 고촌면 통진면 오산동 일사량 신장동 일사량 남양동 향남면 금촌동 창전동 신읍동 광적면 생연동 경안동 봉산동 - 15 -

4.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최고농도 지역분포 동두천 포천 파주 양주 김포 고양 의정부 남양주 구리 부천 하남 시흥 광명 과천 안양 의왕 성남 광주 안산 군포 수원 용인 이천 화성 오산 평택 범례 SO2 PM10 NO2 O3 CO 1. 내부 오각형은 환경기준치 2. 외부1 오각형은 환경기준치의 2배 3. 외부2 오각형은 환경기준치의 3배 <그림 1-1-1>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지역분포 - 16 -

제2절 경기도 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 1. 배출원 구분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은 배출 오염물질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크게 인위적 배출원(Anthropogenic Source)과 자연적 배출원(Natural Source)으로 나뉜다. 자연적 배출원은 생물 배출원(Biogenic Source)과 비생물 배출 원(non-Biogenic Source)으로 구분되나, 비생물 배출원은 발생기작이 충분히 규명되 지 못했고 인간의 개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규제대상으로 고려하지 않는 다. 인위적 배출원은 물리적 배출 형태에 따라 크게 고정배출원(Stationary Source) 과 이동배출원(Mobile Sourc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다시 점오염원(Point Source), 선오염원(Line Source), 면오염원(Area Source)으로 구분한다. 1.1. 고정오염원 고정오염원은 발전소 대형공장 소각시설 등과 같이 배출규모가 큰 점오염원과 주거, 상업, 산업 등과 같이 소규모 배출시설이 밀집하여 일정면적 당 배출량을 관리하는 면오염원으로 구분된다. <표 1-2-1>은 종별 대기배출업소의 현황을 나타낸 것으로 과거 고체연료 환산량을 기준으로 종을 구분하였으나 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사업장을 상대적으로 엄격하게 관리하려는 환경보전법상의 분류 취지에 부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2004년 1월 1일부터 종분류 방법을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기준으로 변경하였다. 도내 대기오염물질의 주요발생원인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소는 2007년 12월 현재 14,663개소로서 전년대비 약 1.6% 증가하였다. 종별 사업장의 증감현황을 보면 1종, 2종, 3종 사업장은 다소 감소한 반면 4종, 5종사업장은 전년에 비하여 약 0.7% 및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섬유, 피혁, 금속, 화학업종이 증가한 반면 제지, 식품, 비금속, 등은 전년에 비하여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배출업소의 분포는 기타업종을 제외하면 금속이 제일 많고 다음이 화학, 비금속, 섬유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화학업종은 전년대비 29.5%의 증가율을 보였다. - 17 -

<표 1-2-1> 대기배출업소의 종별현황 연도 계 1종 2종 3종 4종 5종 01 9,083 71 142 123 816 7,931 02 12,607 100 262 254 1,184 10,807 03 13,260 90 265 239 1,151 11,515 04 13,874 206 345 860 3,983 8,480 05 14,007 206 348 883 4,300 8,270 06 14,429 203 328 794 4,250 8,854 07 14,663 189 326 723 4278 9147 주) : 2008년도 경기환경백서 종별구분 1종사업장 : 연간 오염물질발생량이 연간 80톤 이상인 사업장 2종사업장 : 20톤 이상 80톤 미만 사업장 3종사업장 : 10톤 이상 20톤 미만 사업장 4종사업장 : 2톤 이상 10톤 미만 사업장 5종사업장 : 1종 내지 4종사업장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사업장 <표 1-2-2> 배출업소 업종별 현황 구분 총계 섬유 제지 피혁 금속 화학 식품 비금속 기타 01 9,083 642 81 127 1,256 854 356 912 4,855 02 12,607 775 108 180 2,495 1,770 510 1,172 5,597 03 13,260 833 113 203 2,149 1,854 534 2,163 5,411 04 13,874 965 145 184 2,357 1,740 534 1,623 6,326 05 14,007 749 153 168 2,160 1,941 521 1,167 7,148 06 14,429 667 149 164 1,738 1,207 581 1,075 8,848 07 14,663 728 147 175 2,402 1,564 527 761 8,359 주) : 2008년도 경기환경백서 - 18 -

1.2. 이동오염원 이동오염원은 자동차, 철도, 항공기, 선박, 농기계 등 움직이는 배출원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형태를 말한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가운데 이동오염원이 차지 하는 비율은 전체 오염물질의 70%이상 차지하고 있어 대기오염관리는 이동배출원의 관리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동차는 이동배출원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 며 배출위치는 당해 지역 도로망에 따라 좌우된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차종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데 트럭, 버스 등 경유 사용 차량에서는 매연(먼지) 및 질소산화물이, 휘발유 또는 가스를 사용하는 자동차에서는 탄화수소 및 질소산화물이 주로 발생한다. 특히 경유자동차는 차종비율은 30%에 불과하지만 전체 오염물질 배출비율은 70%에 이르고 있고 경유자동차 중에서 5%의 점유율을 갖고 있는 대형트 럭이나 버스의 오염물질 배출비율은 경유자동차의 60%에 육박하고 있어 대형차가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연료별, 주행모드에 따라서도 배출오염물질이 달라지는데 휘발유차량의 경우 CO, HC, NOx가 많이 발생되며 공회전시는 CO, 감속 시 HC, 정속시 NOx 농도가 높게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유 차량의 경우 주로 PM과 NOx가 발생되는데 공회전시에는 CO, HC가 고속주행시에는 NOx 및 PM 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 1-2-3>은 경기도에 등록되어 있는 차종과 용도별 자동차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내 자동차보유대수는 93년도에 약 104만대이던 것이 97년 IMF로 잠시 주춤하다 이후 계속 증가하여 03년 말에는 323만대로 10년전에 비해 3.1배 증가하였으며 07년 12월말 기준으로 3,792,395대가 등록되어 인구 약3.0인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승용차의 점유 비율 은 75.3%로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19 -

<표 1-2-3> 경기도 자동차 등록 현황(대수) 구분 계 차 종 별 용 도 별 승용차 승합차 화물차 특수차 관용 자가용 영업용 승용차 비율(%) 95 1,551,194 1,123,308 120,691 301,945 5,250 6,274 1,486,359 58,561 72.4 97 2,021,914 1,506,328 150,494 359,492 5,600 7,135 1,940,900 73,879 74.5 99 2,245,744 1,605,090 222,139 413,329 5,195 7,076 2,146,611 92,057 71.5 01 2,735,798 1,921,202 290,043 518,595 5,958 7,515 2,606,865 121,418 70.2 02 3,040,041 2,167,786 299,122 566,332 6,801 7,877 2,895,430 136,734 71.3 03 3,232,963 2,333,457 293,559 589,809 7,138 8,296 3,079,863 144,804 72.2 04 3,358,474 2,450,105 285,684 614,978 7,527 8,580 3,201,743 148,151 73.0 05 3,505,759 2,598,505 270,071 629,684 7,499 9,311 3,345,515 150,933 74.1 06 3,651,142 2,733,941 267,631 641,858 7,712 9,807 3,484,237 157,098 74.8 07 3,792,395 2,854,940 270,541 658,047 8,507 10,352 3,609,459 172,584 75.3 주) : 2008년도 경기환경백서 (단위 : 만대)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그림 1-2-1> 연도별 자동차 증가추이(대수) - 20 -

2. 연료사용량 대기 중 오염물질의 배출량은 연료사용량과 무관하지 않다.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대부분은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다. 연료는 크게 액체, 기체, 고체 연료로 대별할 수 있으며 밀도가 높을수록 오염물질 발생량도 많아진다. 오염물질의 발생이 적은 연료를 저공해 또는 청정연료라고 하는데 최근 정부가 보급을 적극 추진 하고 있는 CNG나 LPG 등이 여기에 속하며 차세대 연료로 각광 받고 있는 수소는 오염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는 무공해 연료이다.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은 고체연료의 사용량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가스연료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연료사용 변화 추세이다. 경기도의 경우 산업 및 인구증가에 따라 유류 및 가스사용량이 전국평균치 보다 크게 증가하고 있다. 도내의 석유류 사용량은 01년 13,628천kl에서 03년 14,343천 kl로 5.2% 증가하였다가 04년 경기침체로 다소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06년에 14,430천kl로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벙커 C유와 중유의 소비량은 점점 감소하는 반면 LPG의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수도권의 대기오염 악화로 청정연료인 CNG 혹은 LPG 등 가스연료로 연료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 다. 16,000 천 kl 12,000 01 02 03 04 05 06 <그림 1-2-2> 연도별 연료사용량 변화추이 - 21 -

<표 1-2-4> 연도별 연료사용량 변화 (단위: 천kl) 구분연도 계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벙커C유 LPG 기타 01 13,628 2,227 1,666 3,802 57 4,206-1,667 02 14,319 2,326 1,651 4,240 78 3,723 1,718 580 03 14,343 2,306 1,626 4,580 59 3,560 1,657 550 04 13,784 2,274 1,262 5,068 45 2,934 1,609 589 05 13,792 2,327 1,163 4,773 57 3,227 1,661 581 06 14,430 2,428 915 4,988 46 2,920 2,537 593 주) : 2007 경기도 통계연보 - 22 -

3. 연도별 오염물질 배출량 추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은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직접 실측하는 방법 과 연료별 배출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연간 석유소 비실적과 석탄 소비실적을 토대로 EPA에서 발표한 배출계수 및 국내에서 개발한 자 동차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추정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 량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먼지 및 아황산가스는 증가하다가, 96년도를 기점으로 저공 해 유황연료의 공급확대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이고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및 탄화수 소는 자동차의 증가로 매년 조금씩 상승하는 추세이다. 2005년도 경기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연간 518,214톤으로 04년부터 2년 연속 처음으로 배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출총량으로 6.0%가 감소해 9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배출량이 가장 많은 오염물질은 질소산화물로 전체배 출량의 37.6%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이 VOCs, 일산화탄소 순으로 배출량이 많았 다. <표 1-2-5> 연도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추이 (단위 : 톤) 구분 계 먼지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VOC 99 431,853 22,394 70,382 188,482 150,595 (5%) (16%) (44%) (35%) - 00 485,679 11,269 45,398 142,194 168,344 118,474 (2%) (9%) (29%) (35%) (25%) 01 510,564 10,090 47,637 144,353 178,972 129,512 (2%) (9%) (28%) (35%) (26%) 02 543,694 19,967 46,883 151,553 186,066 139,225 (3.7%) (8.6%) (27.9%) (34.2%) (25.6%) 03 562,072 21,212 47,566 153,649 197,645 142,000 (3.8%) (8.5%) (27.3%) (35.2%) (25.2%) 04 551,354 10,287 31,387 147,336 201,078 161,266 (1.9%) (5.7%) (26.7%) (36.5%) (29.2%) 05 518,214 10,187 32,487 138,116 194,8754 142,558 (2.0%) (6.2%) (26.7%) (37.6%) (27.5%) 주) : 2008 경기환경백서 * 00년 이후 대기오염물질 배출통계는 기존 배출량 분류체계 및 산정방식을 합리적으로 변경 - 23 -

4. 분야별 오염물질 배출량 추이 경기도에서 배출되는 전체 대기오염물질의 분야별 비중은 자동차를 주 발생원으로 하는 도로이동오염원이 45.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이 유기용제 사용 19.3% 비도로 이동오염원 9.3% 순으로 나타났다. 오염물질별로는 이산화질소 배출량이 가장 많으며 다음이 VOCs, 일산화탄소 순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관리는 이동오염 원의 질소산화물 관리에 비중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표 1-2-6> 분야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2005) (단위 : 톤) 오염 물질 계 에너지 산업연소 비산업연소 제조업 생산공정 에너지수 송및저장 유기용제 도로이동 오염원 비도로이 동오염원 폐기물 처리 소계 518,214 100% 43,538 8.4% 39,076 7.6% 26,014 5.0% 8,268 1.6% 6,544 1.3% 100,122 19.3% 234,155 45.2% 48,363 9.3% 12,034 2.3% 먼지 10,178 647 1,105 1,312 211 - - 5,444 1,365 94 아황산가스 32,487 8,102 9,301 8,821 1,454 - - 1,163 3,186 460 일산화탄소 138,116 4,793 9,624 2,396 52 - - 111,784 8,858 609 질소산화물 194,875 29,262 18,365 13,166 2,234 - - 96,394 31,438 4,106 휘발성유기 화합물 142,558 744 681 409 4,317 6,544 100,122 19,370 3,516 6,855 주) : 2008 경기환경백서 -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