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관점에서 평가한 지하철 이동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ansfer Passage in Subway Station by Evaluating End Users' Viewpoints 김선영 * / Kim, Sun-young 서희영 ** / Seo, Hee-young 어우 *** / Eo, Sung-woo 황연숙 **** / Hwang, Yeon-sook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nsfer passage in subway st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20's and 30's ordinary end users' viewpoints for analyzing and suggesting improvements of facility condi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a checklist which based on the current studies. A contents of the checklist divided into four different design elements, distinguish, information, safety convenience. The field survey were assessed according to analyzing evaluation summaries and suggesting problems. Each subway station applies the color of the subway line among correlating signs for recognition. However, billboards and other extraneous information boards cause the signs to lose visual color continuity when passengers follow the appropriate colored signs to get to the appropriate platform or exit. This may lead to confusion. Because of this, it is suggested that each subway station improve the size and quantity of advertisements and information boards. And while doing so, it may improve the subway station s location by also applying the subway lines colors to architectural details and placing unique sculptures in the stations in order to stand out from others. Each subway line is run by a different company. Therefore, elements of space usage, material, color, light and signs implemented in each station are different in style and orthography. Because this aspect may also mislead and confuse passengers, each subway company should highlight characteristics of subway lines by incorporating basic design elements to increase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수도권을 포함한 대도시는 과밀 집중으로 인한 도 시공간구조 왜곡 등으로 환경, 주택, 교통 도시 분 야에 걸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증가와 교통체계 부적합으로 발생하는 교통 혼잡문제는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현 재 수도권을 포함한 대도시권에서 대중교통 이용자중 대 다수 이용자들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는 실이다. 서울시에서 2006년 실시한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여론 조사에서 지하철 이용관련 반적인 만족도는 90.2%로 매우 높으나 환승에서 노선간 환승 거리 만족도는 50.5%로 환승 이용자들이 제공되고 있는 환승 관련 서비스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설 당시 예측했던 이용자수다 훨씬 더 많은 시민이 이용함에 따라 은 물론이고 서비스차원에서도 노후 화된 환경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 회원,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석사과 ** 회원,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석사과 *** 회원,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박사과 **** 분과이사, 교신저자,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교수 따라서 본 연구는 환승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지 하철사 환승 이동공간 환경을 이용자 관점으로 그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도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2011년 3월에 20, 30대 사용자를 대상으 로 서울시를 운행하는 지하철 사 중 승객들 유동 인 구가 많은 대표적 환승사 3곳인 서울, 고속터미널, 선릉을 선하여 환승구간 시설과 관한 조사 를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승강장, 환승 통로 2곳으로 범 위를 한하여 조사하였다. 1) 조사를 하기 먼저 선행 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한 후 현장 방문을 위한 체 크리스트를 사용자 관점으로 수. 작하여 사진 촬영과 함께 조사 분석하고 평가 결과를 점수화하였 다. 이를 통하여 평가된 문항에 대해 문제와 그에 따른 1) 1, 4호선, 환승 구간인 서울과 3호선, 7호선, 9호선 환승 구 간인 고속터미널과 2호선, 분당선 환승 구간인 선릉을 중심으로 승객들 유동 인구가 많은 대표적 환승 사 3곳을 선
개선 방향을 제시 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지하철 사에서 사용자 중심 디자인 지하철사는 시간대로, 노선로, 혹은 그들 연령 과 로 사용자들 직업적 특과 지적 특이 각 각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와 경험 차이가 있는 사용자 능력과 상황에 적합한 공간을 고려해 공간을 구해야 한다. 사용자 중심디자인은 수단 사용자 과 수용 초 점을 맞춘 디자인으로 User Oriented Design, 혹은 User Centered Design이라고 불려진다. 2) 공간 요소 색채 조명 내용 색에 대한 지각은 조명, 주변 색, 질감, 반사 도 등과 같은 많은 요 인에 해 영향을 받는다. 3) 색채를 통하여 공간 이동 방향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중 심 디자인은 사용자와 관계를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형태와 습관 등이 고려되어 최적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치를 증대시킨다. 사용자 특을 중심으로 대상과 주변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고려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해석하고 활용하여 적합한 해결 방을 구현하여 공간에 어떻게 효율을 높일 수 있는가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단순 한 기능 면만을 살펴는 것이 아니라 인간 환경 심 리와 행태를 고찰하여 합리적인 설비에 필요한 요소를 분석해야 하는 중요한 과이다. 지하철 환승에서 사용자가 쉽게 공간을 인할 수 있 게 제공되는 요소들이 다양하게 있지만 그 중에서도 색 채, 조명, 마감재 구이 가장 중요하다(표1 참조). 이 러한 요소들은 물리적인 환경을 구하여 사용자들이 공 간을 쉽게 인할 수 있게 도와주며 확한 방향을 제 공하여 사용자들이 환승으로 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에게 공간인을 빠르고 쉽게 지원 해주는 것은 결국 사용자 능력을 향상시켜서 주변환경 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사 용자 중심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표 1] 공간 구요소 조명은 공간 형태와 크기를 결하는 중요한 요소로 이용자들은 조명 을 통하여 사물을 지각하고 심리적 을 느낀다. 조도 높고 낮음을 통하여 이용자들은 공간 중요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2) 진미자, 철도문화디자인 체 구현연구, 서울산업대 철도문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02 2006 3)오인욱, 이창윤, 실내환경 Sign System에 한 인지적 접근 변 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NO.28, 2001 마감 재 2.2. 환승 마감재는 다른 요소들 특을 바탕으로 공간 분위기 및 격을 형 한다. 질감 차이로 공간을 차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인지적인 측면에서 인간에게 오감을 달해 사용자 행태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1) 환승 환승은 서로 다른 노선이 만나 다른 노선 열차로 갈아타는 것이 가능한 을 뜻한다. 좁은 미로서 환 승은 광 철도 또는 도시 철도로 이루어진 두 가지 이상 노선이 만나 다른 노선으로 환승이 가능한 을 뜻하며, 넓은 미로는 일반 철도나 다른 궤도교통수단 을 모두 포함하여 뜻한다. 2) 환승 이동공간 구요소 지하철 이동공간 구요소를 살펴면 크게 승객관 련시설로 대합실, 승강장, 환승통로 등으로 구분할 수 있 다. 여기서 환승에 관한 이동공간은 승강장과 환승 통로 이렇게 두 곳으로 한지을 수 있다. 3)지하철 환승 운행현황 서울시 지하철은 9개 노선으로 서울메트로, 서울도시 철도, 메트로9 등 세 업체로 총 233개 사가 있다. 그 중 환승은 약 61개 사가 있다. 서울 메트로가 운영하는 120개 지하철 중에서 가장 많은 승객이 이용한 환승은 1,4호선 서울으로, 하루 평균 8만9천명이 이용했고, 다음으로 3, 7호선 고속터미 널 8만 명, 그 다음으로 선릉이 약 7만9천명이 이용 하고 있다. 4) 3. 연구결과 및 사례분석 3.1. 조사대상 위에서 제시한 서울메트로 2010년 지하철 이용현황 에 근거하여 가장 많은 승객이 이용한 환승 기준으로 서울, 고속터미널, 선릉을 조사 대상지로 선하였 다. 명 내부지도 특징 서울 고속터 미널 4) 서울메트로 2010 지하철 수송현황 [표 2] 지하철 내부현황 특징 지하철 1,4호선 환승이며, KTX와 일 반철도를 이용할 수 있고 주변업무시설이 많아 출퇴근 첨두시 혼잡함. 지하철 3,7,9호선 환승이며, 2009년 개통된 9호선으로 유입되는 승객으로 인 해 승차량이 더욱 늘어났고 서울고속버스 터미널(경부선)과 센트럴시티(호남선)을 이용할 수 있다.
선릉 지하철 2호선과 분당선 환승이며, 신 도시와 연계과 주변에 많은 업무시설 로 인해 혼잡함 2) 지하철 사 공간 분석 3.3. 조사결과 [표 4] 환승 승강장 시설평가 내용 3.2. 체크리스트 1) 체크리스트 평가 기준 은 시각적 측면에서 실내 디자인 요소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승객이 이를 인하는 과에 서 감각을 통해 목적에 맞는 신속한 이동을 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한다. 은 사 시설 내에서 승객이 필요한 를 어떤 방법으로 제공하며 해당 가 있어야 할 적절한 위치 에서 무슨 종류 가 제공되는 지를 평가한다. 은 에 대하여 마련된 제반 능과 위험 및 장 해를 예방하거나 또는 발생된 경우는 위험 또는 장애를 제거하는 등 능을 갖췄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은 공간에서 어떤 시설적 설비를 갖추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설비 시설 크기 및 원활한 운행 여부를 평가한다. 장소 이미지 표현방법 서 울 - 통문양 패턴과 적벽돌 사용으로 공간 체을 줌 - 바닥 패턴 및 바닥 라인으로 승강장 공간을 구분. - 4호선 승강장 스크린 도어에 1호선 최단거 리 환승 내표 부착 - 판 사인 표기가 달라 이용자 혼란을 초래함. - 비상 열차 지 버튼은 눈에 띄지 않는 구석 에 위치하고 사인물 크기가 작아 장소 인지에 어려움이 있음. - 에스컬레이터로 폭이 좁아 출입구 쪽에 혼잡 을 초래 함. - 승강장내 자판기 시설로 물품 구매 을 제공함. - 3호선 7호선 경우 벽면 독특한 패턴으로 사 인으로 쉽게 되나 9호선 경우 특색이 없어 이 다소 어려움. - 9호선은 환승임을 표현하는 노선 컬러 중복 사인이 없어 환승하는데 어려움. 분류 [표 3] 지하철 사 공간 구 요소 분석 평가표 평가기준 공간 마감재, 패턴, 색채 변화를 주어 공간 변화를 인 시키는가. 조도 배분과 조명 디자인으로 공간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가. 사인이나 심볼 마크가 눈에 잘 띄어 이동시 도움을 주는가. 벽면이 각 노선 컬러를 나타내는 사인으로 마감되어 있는가. 승 강 장 고 속 터 미 널 - 종합내도는 모든 호선이 눈에 잘 띄는 곳에 설치되어 있음. - Digital View는 3호선에만 설치되어 있었고 노선 판은 모든 노선에 설치되어 있지 않았 다. - 모든 호선이 유도 및 경고타일, 화재 및 비상 용 호출 버튼이 설치되어 있음. - 내요원 공간은 있었으나 배치되어 있지 않음. 종합 내도 시설이 사용자 눈에 잘 띄는가. 차 소요시간 를 적절한 위치에서 제공해 주는가. 지하철 노선 판이 위치가 알맞은가. 열차 내방송이 원활히 지원 되는가. 시설 내에 관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는가. 목적지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를 제 공하는가. 간접 조명으로 눈부심이 없고, 눈 피로를 줄여 주는가. 유도, 경고 타일 설치가 이동시 도움을 주는가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 설치가 이동시 도움을 주는가 위급한 상황 시 도움을 요청 할 수 있는 시설이 눈에 잘 띄는가. 내요원이 배치된 부스 크기 및 위치가 알맞은가. 에스컬레이터 시설 이용은 어떠한가. 엘리베이터 시설 이용은 어떠한가. 무빙워크 시설 이용은 어떠한가. 간 매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를 제공 하는가 선 릉 - 모든 호선이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가 잘 운행되어지고 있었으나 7호선 경우 도 운행 하고 곳이 있어 다소 불함이 있음. - 반적으로 방향을 제시하는 표지판은 혼잡한 이동 동선에도 쉽게 눈에 띌 수 있도록 천장에 설치되어있음. - 분당선 경우 2호선으로 갈아타는 방향은 제 공하지 않아 매우 불함. - 종합내도가 쉽게 눈이 띄는 곳에 설치되어 있음. - 2호선에는 약 3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 공함. - 열차 내방송이 지원됨. - 천에 설치된 내스크린으로 차 소요시간 및 열차방향을 내함. - 멀티미디어인 Digital View가 설치되어 있음. - 직접조명으로 인해 눈에 피로가 심함. - 2호선에는 비상용 호출 시스템이 있는 반면 분당선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음. - 2호선에는 각종 비상 대비 시 사용할 수 있는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음. 승객 대기시간 동 시각적 흥미를 유발 시키는 시설이 있는가.
- 2호선은 행동선이 단순하지만 분당선은 지 하 3층에 위치하여 동선이 매우 김. - 엘리베이터마다 운행층수가 달라 이용함에 상 당히 불함. - 스크린도어 광고로 인해 시각적 흥미 유발. - 환승 통로 이동통로가 길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고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이 동 공간에 문구가 크게 설치되어 있음. - 광고판 불빛이 일반 조명다 밝아 일시적 으로 시력을 감퇴시켜 매우 위험함. [표5]환승 환승통로 시설평가 내용 장소 이미지 표현방법 - 환승 노선 컬러 사인이 한 곳 밖에 부착 돼 있지 않아 연속 부족으로 방향인지에 어려움 을 초래함. - 2호선은 행동선이 단순하지만 분당선은 지 하 3층에 위치하여 동선이 매우 김. - 엘리베이터마다 운행층수가 달라 이용함에 상 당히 불함. - 스크린도어 광고로 인해 시각적 흥미 유발. 환 승 통 로 서 울 고 속 터 미 널 선 릉 - 환승 통로 구간에서도 열차 진입 상황을 알 수 있도록 내 스크린이 천장에 설치됨. - 바닥에 비상구 위치 및 방위 표시 기호로 방 향을 제시 함. - 소화기 및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음. - 디지털뷰 설치로 다양한 를 제공함. - 공중 화기 설치로 이용객 을 제 공함. - 기존 노선인 3호선, 7호선은 비교적 사인 체 계가 잘 잡혀있었으나, 신설노선인 9호선은 사인 체계가 미흡하여 하는데 어려움. 또한 이동 거리가 멀어 도 환승 게이트가 있어 번거로 움. - 모든 호선이 종합 내도 및 노선 판이 설치되어 있었고 기타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열 차는 제공되지 않음. - 에 관한 시설이나 기기는 모두 설치되어 있었으나 미끄럼 방지 타일은 시공되어 있지 않 음, - 요원 공간은 있었으나 배치되어 있지 않음. - 모든 호선이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가 잘 운행되어 지고 있음. - 무빙워크는 다소 거리가 떨어진 9호선에만 설 치되어 있음. - 바닥 마감패턴으로 환승통로로 동선을 유도 함. - 분당선 출구 비슷한 컬러로 인한 혼돈 유 발. - 분당선은 방향사인이 없어 공간 이동 방향 을 쉽게 인할 수 없었음. - 유도 블럭 컬러가 바닥재 컬러와 비슷하여 혼돈을 유발함. - 환승 통로에 환승 열차 소요시간을 스크린 으로 알려 열차 도착시간을 미리 알려줌.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철 노선 중 환승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사 중 이동인구가 가장 많은 3곳을 선 하여 일반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자 관점에서 이동공 간 시설 및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각 노선을 운행하는 회사마다 공간을 구하는 요 소들인 마감재, 패턴, 색채, 조명, 사인 등이 스타일과 표 기법이 달라 환승 이용객들이 이동함에 있어서 혼돈을 초래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노선을 운행하는 회사들 은 노선 특색은 살리되 기본적인 요소들 디자인은 통일함으로써 환승을 목적으로 하는 이용객을 비롯한 모 든 이용자들에게 과 인지을 높여 줄 수 있도록 계획할 필요이 있다. 둘째, 대부분 지하철 사 내 공간은 각 노선 색을 적용한 색채 사인을 설치하여 환승 공간 인지를 표 현 하였으나 벽면 대형 광고판과 많은 표지판 사 인들로 인해 연속이 떨어져 이용객들에게 시각적 혼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광고판 및 판 수량 및 크기 조절이 필요하고 그 지에 맞는 독창적인 건축물 및 조형물을 노선 색채 사인을 접목한 디자인 개선을 통해 공간에 체을 부여하는 것도 이용객들 환승 이동을 원활히 도울 수 있는 하나 예로 들을 수 있다. 셋째, 서울메트로 노선 승강장에는 SOS 비상 화와 소화기가 도로 설치되어 있어 위급한 상황 시 쉽게 사 용할 수 있도록 조명과 색상으로 명시을 높여 강조하 고 있었다. 대부분 은 기본적인 사인이 설치되어 있 었으나 동선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혼잡한 상황시 사인이 잘 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고, 다소 떨어져 있는 신설
노선과 연계와 사인체계는 미흡한 상황이다. 넷째, 모든 지하철 사에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설치가 잘 되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를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도 운행을 하거나 잘 운행이 되지 않 아 매우 불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엘리 베이터마다 운행 층수가 달라 이용함에 상당히 불하였 다. 그러므로 지하철사는 이동 동선 불함을 덜어 줄 수 있는 이러한 리시설 운행방침을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는 알림판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들이 환승을 이용할 때 다 리하게 짧은 동선으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참고 문헌 1. 오인욱, 이창윤, 실내환경 Sign System에 한 인 지적 접근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NO.28, 2001. 2. 황원경, 신경주,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지하철 환경 평가와 개선방,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4권 4호 통권 2002. 3. 이남규, 지하철과 쇼핑센터 연계공간 구적 특 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 13권 2호 통권 43호, 2004. 4. 철도, 고속철도, 지하철사 시설 실태조사 추진 계획, 건복지부, 2004. 5. 문지영, 최상헌, 공간인지 특을 고려한 지하철 사 미적지각 요소 표현 연구, 공간 대한 건축학회 논 문집, 통권253호 2009. 6. 임한빈, 한혜련, 지하철 연결통로와 도심오피스 빌딩 진입부 이공간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 12권 1호 통권 21호, 2010. 7. 문서현, 김구슬, 신경주, 도시철도 차량 실내 이용자 시설 평가와 개선방,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 19 권 5호 통권 82호, 2010. 8. 진미자, 철도문화디자인 체 구현연구, 서울산업 대 철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9. 김지은, 공간 구문과 이용자 움직임을 고려한 지하 복 합 상업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주거환 경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3.7. 10. 남진, 박혜경, 부산 지하철 환승 길찾기 환경 지 원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