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imilar documents
GGWF Report는사회복지분야의주요현안에관하여정책의방향설정과실현에도움을주고자, 연구 조사를통한정책제안이나아이디어를제시하고자작성된자료입니다. 본보고서는경기복지재단의공식적인입장과다를수있습니다. 본보고서의내용과관련한의견이나문의사항이있으시면아래로연락주시기바랍니다. Tel

<33BFF9B0EDBFEBB5BFC7E22E687770>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ºñÁ¤±ÔħÇغ¸°í¼�.hwp

hwp

<C0CEB1C7C0A7C3D6C1BEBAB8B0EDBCAD28BCF6C1A4BABB 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2002report hwp

2003report hwp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ad hwp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 2 -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C1A4C3A5B8AEC6F7C6AE C8A3202D20BCF6C1A4322E687770>

목차 Ⅰ Ⅱ (2013)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예 ) 일정수준임금이하또는이상의근로자를기준으로저 ( 최저 ) 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또는고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등을산출하는경우

°æÁ¦Àü¸Á-µ¼º¸.PDF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CR hwp

더바이어102호 01~09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2003report250-9.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_1.hwp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5BC6EDC1FDBABB20345D E20B1B9B9CCBED6202D20BCADBFEFBDC320BFA9BCBAC0CFC0DAB8AE20C1BEC7D5B0E8C8B920BCF6B8B320BFACB1B82E687770>

<322EC6AFC1FD315F B3E220B3EBB5BFBDC3C0E5C6F2B0A1B9D B3E220C0FCB8C15FB5BFC7E2BAD0BCAEC6C02E687770>

- ii - - iii -

이슈분석 최근 고용추이와 2016년 고용전망 박진희*, 이시균** <요 약> 201년 1~6세 핵심 연령계층의 고용률은 여성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사정이 나아져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취업자 증가는 천 명 증가하여 전년에 비해 둔화되었다. 최근 취

hwp

200706ºÎµ¿»êÆ®·£µåc02ªš

<BFA9BCBAC0C720C1F7BEF7B4C9B7C220B0B3B9DFB0FA20C3EBBEF7C1F6BFF820C1A4C3A5B0FAC1A62E687770>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2006

00-10.hwp

untitled

< B3E220C0AFBFACB1D9B9ABC1A620C8B0BFEBC7F6C8B220C1FDB0E8B0E1B0FA20BAB8B5B5C0DAB7E12E687770>

CC hwp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Untitled-1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CONTENTS.HWP

INDUS-8.HWP


성인지통계


서울 노동시장구조와 동향

MRIO (25..,..).hwp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BCF6B5B5B1C720B1B3C5EBC3BCB0E8B0B3C6ED28B4EBC7A5292DB1E8BCF6C3B628C0CEBCE229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02report hwp

학력별로는대졸이상고학력취업여성의수요가상대적으로높게 나타났다 미취업여성이시간선택제로일할경우희망하는근로시간은 일평균 시간주 시간이며 시간선택제일자리로일하기를원하는기간은 기간의정함이없는상용형인경우가가장높게나타났다 시간선택제근로를희망하는이유로는 자녀보육 교육 개인시간활용 등의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hwp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년하반기지역별고용조사 시군별주요고용지표집계결과

세계 비지니스 정보

º»ÀÛ¾÷-1

전라북도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µ¿ºÎ°æ¿µÀÚ-6¿ùÈ£ 8È£š

2ÀåÀÛ¾÷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13Åë°è¹é¼Ł

T 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II. 기존선행연구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pol hwp

자료설명및유의사항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작성목적 국민의경제활동즉 국민의취업 실업등과같은특성을조사하여거시경제분석과인력자원의개발정책수립에필요한기초자료를제공 조사대상 전국표본조사구약 가구내에상주하는자로서 매월 일현재만 세이상인자 현역군인및공익근무요원 형이확정된교도소수감자

2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2002report hwp

<C1A4C3A55F D33385FC0C7B7E1B1E2BBE7C0CEB7C25FBFE4BEE0B9AE2E687770>

315 경기도정책선거를위한어젠다발굴 : 행 재정분야을중심으로 박완기 ( 경기도매니페스토추진협의회 ) Agenda 1. 지속가능한재정을위한자주재원확충 1. 필요성및배경

Transcription:

정책보고서 2010-15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연구책임자 : 손 기 영 (본원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 최 윤 선 (본원 연구위원) 정 형 옥 (본원 연구위원) 김 기 승 (부산대학교 교수) 김 을 식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손 정 선 (본원 위촉연구원) 연 구 기 간 : 2010. 4 ~ 11 2010

발 간 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여성발전기본법 과 여성발전기본조례 의 규정에 따라 여성정책 기본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2002년부터 경기 여성인적자원개 발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제1차(2002~2005), 제2차(2008~2010) 계획이 완료되었습니다. 따라서 2010년은 제3차 여성인적자원개발종합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해입니다. 이에 본원에서는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를 통해 경기도 의 지역적 특성과 대상별 여성들의 취업욕구를 반영하여 향후 5년간 시행될 경기도 여성인 적자원개발 정책의 기본구조와 정책추진과제(안)를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지역밀착형 계획의 수립을 위해서 지역노동시장의 특성과 수요를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 고자 하였으며, 경기도내 취업, 미취업여성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의 취업욕구를 분석,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취약계층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계획과 녹색성장, 유연근무제 등 현재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여성정책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계획이 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본 연구보고서가 발간되기까지 많은 분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먼저 바쁘신 중에도 연구의 단계마다 협조를 아끼지 않으신 경기도 가족여성정책과 및 담당 공무원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자문회의를 통해 본 연구의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신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민현주 박사, 서울여성가족재단의 조연숙 박사, 인천발전연구원의 홍미희 박사, 한국직업능 력개발원의 고혜원 박사, 고양여성인력개발센터 유혜림 관장, 경기도 가족여성정책과 진강 현 계장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지난 8개월 동안 실효성 있는 정책방안을 마련하고자 실무자 간담회와 정책 토론회 개최까지 본 연구를 총괄해 온 손기영 연구책임자를 비롯하여 공동연구진인 최윤선 연구위원, 정형옥 연구위원과 초빙연구원으로 참여해 주신 부산대학교 김기승 교수, 경기 개발연구원의 김을식 박사와 손정선 위촉연구원께 감사를 표합니다. 그리고 보고서 초고를

꼼꼼히 검토하고 좋은 지적과 귀중한 의견을 주신 외부 평가위원과 본원의 서해정 연구위원 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모쪼록 많은 분들의 뜻과 의지를 담아 마련된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가 향후 5년간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의 토대로 서 커다란 결실을 맺기를 기대합니다. 2010년 11월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Abstract A Study for the Third Quinquennal Plan of Gyeonggi province Wom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Son, Kiyoung Choi,Yoon Sun Jung, Hyung Ok Kim, Gi-Seung Kim, Eul-Sik Son, Jeong-Seon By focusing o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province's industries and strategy, and researching the needs of unemployed women as well as the development needs of employed women, this study proposes a unique and differentiated vision and goals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lan for the development of women human resources in the province. We first analyze the limitations of prior planning, the state of the province's policies for women's employment,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labor, and the workforce needs based on the province's industry base and strategies. Second, we analyze the demographics of employed, unemployed, and at-risk women populations, as well as development needs and attitudes toward employment. Third, based on above data, we establish the overall vision, goals, scope, policy tasks and detailed projects for the Third women's human resource planning for Gyeonggi province. Key words : wom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third quinquennal plan of Gyeonggi province, women's employment

연구요약

연구요약 제1장 서 론 1. 수립배경 및 의의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여성발전기본법 과 여성발전기본조례 의 규정에 따 라 여성정책 기본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있음. 경기도는 2002년부터 경기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제1차(2002~2005), 제2차(2008~2010) 계획이 완료되었음. 따라서 2010년은 제3차 여성인적자원개발종 합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해임. 본 연구는 기존의 1, 2차 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지역밀착형 계획의 수립을 위해 지역노동시장의 특성과 수요를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함. 또한 취약계층여성들을 대 상으로 한 계획과 녹색성장, 유연근무제 등 현재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여성정책 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계획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음. 2. 연구의 방법 문헌연구 및 각종 행정자료 분석: 문헌연구 및 행정자료 분석을 통해 여성인력개발 관련 계획현황을 살펴봄. 중앙정부의 여성인력개발계획, 경기도 1, 2차 여성인적자원 개발계획을 분석하였고, 현재 경기도 여성취업지원 정책의 내용을 분석함. 기존 통계자료 재분석: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지역별고용조사, 전국사업체기초 통계조사, 한국고용정보원의 산업별, 직업별 고용구조조사,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등의 재분석을 통해 경기도의 산업구조, 권역별 특화사업, 전략산업 및 전략산업 인력수요 를 도출함. - iii -

조사연구: 설문조사를 실시함. 설문조사는 2010년 6월 23일에서 2010년 7월 7일까지 전문조사기관인 (주)효산경영연구원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경기도 31개 시 군 구 미 취업여성과 취업여성 각각 500명을 대상으로 함. 전문가 자문: 2차에 걸쳐 진행됨. 1차 자문은 연구방향 및 연구내용, 그리고 설문조사 와 면접조사에 대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내부 관련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 해 진행되었고, 2차 자문에서는 외부전문가들을 초빙하여 연구전반의 내용, 목차에 대 한 자문 및 계획수립의 구체적 방향 및 내용을 논의함. 3. 연구의 내용 - iv -

제2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1.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현황 경기도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00년 47.4%에서 2005년 48.7%, 2007년 49.2% 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09년 47.8%로 다소 감소하였음. 전국과 비교해 볼 때 경기도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한편, 경기도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00년 77.5%에서 2005년 76.9%, 2007년 75.4%, 2009년 75.1%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로 나타났음. 그럼에도 경기도 여성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격차는 2009년 현재 27.3%p에 이를 정도로 여전히 높은 것 을 알 수 있음. 2009년 현재 경기도 취업자의 연령계층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40~49세 가 27.8%로 가장 높고, 다음은 30~39세가 23.4%, 20~29세가 2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반면, 남성은 30~39세가 29.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다음 으로는 40~49세가 28.7%, 50~59세가 18.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실업률을 살펴보면, 2009년 현재 경기도 여성의 실업률은 3.3%로 남성 실업률 4.2% 에 비해 낮게 나타남. 여성의 실업률이 남성보다 낮은 것은 많은 여성들이 비경제활 동인구로 분류되었기 때문임. 한편, 경기도 여성과 남성의 실업률은 전국 평균(여성 3.0%, 남성 4.1%)과 비교해 보면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경기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의 활동상태를 보면, 2009년의 경우 가사와 육아가 전체 의 45.5%로 나타나, 많은 여성들이 가사 또는 육아를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물 러 있음을 알 수 있음. - v -

2. 경기도 시 군별 경제활동 현황 경기도내 31개 시 군 중에서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수원시로 209.3 천명이며, 다음은 성남시(181.2천명), 부천시(181.0천명), 고양시(174.8천명) 순으로 나타났음. 여성 취업자가 가장 많은 지역도 수원시(202.6천명)이며, 다음은 성남시(177.7천명), 부천시(176.5천명), 고양시(168.8천명) 순으로 나타났음.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많은 지역이 대체로 취업자도 많은 것을 알 수 있음. 한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가평군(50.4%)이며, 그 다음으로는 여주군(49.0%), 부천시(47.6%), 파주시와 양평군(각각 47.4%) 순으로 높게 나타났음. 반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남양주시(37.6%)이며, 다음으로는 용인시(38.1%), 과천시(38.6%) 순으로 나타났음. 위 세 시 군은 여성의 경제활동참 가율이 40%에 미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음. 여성의 고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가평군(49.1%)이며, 다음은 여주군(48.5%), 부천 시(46.4%)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반면, 여성의 고용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남양주시 (36.6%)이며, 다음은 용인시(37.1%), 과천시(37.5%) 순으로 나타났음. 여성의 경제활 동참가율이 높은 지역은 대체로 고용률도 높고,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은 지역은 대체 로 고용률도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음. 경기도 31개 시 군 중에서 여성 비경제활동인구가 20만명을 넘는 지역은 4개 시 군으로 수원시(244.5천명), 성남시(236.4천명), 고양시(229.5천명), 용인시(210.7천 명)가 이에 해당함. 다음으로 여성 비경제활동인구가 10만명을 넘는 지역은 6개 시 군으로 부천시(198.9천명), 안산시(169.5천명), 안양시(160.7천명), 남양주시(133.3천 명), 의정부시(110.4천명), 화성시(104.5천명)가 이에 해당함. - vi -

3. 여성취업자 다수 산업 및 직업 분포 통계청 2009년 10월에 실시한 제2회 지역별고용조사를 바탕으로 전국 여성취업자가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는 상위 50개 산업(소분류) 및 직업의 분포를 분석함. 여성이 가장 많이 취업하고 있는 산업은 음식점업으로 1,068천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음. 두 번째로 여성취업자가 많은 직종은 작물 재배업으로 929천명의 여 성이 종사하고 있음. 다음으로 30만명 이상의 여성취업자가 종사하고 있는 산업은 종 합 소매업(381천명), 일반 교습 학원(369천명), 초등 교육기관(364천명), 입법 및 일 반 정부 행정(349천명),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315천명) 순으로 총 5개로 나타났음. 여성이 가장 많이 취업하고 있는 직업은 매장 판매 종사자로 1,084천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두 번째로 여성취업자가 많은 직업은 작물재배 종사자로 855 천명이 종사하고 있음. 세 번째로 여성취업자가 많은 직업은 주방장 및 조리사로 624 천명이 종사하고 있음. 4. 여성인력개발관련 계획현황 Dynamic Women Korea 2010(2006~2010)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 제3차 여성정책기본계획(2008~2012) 제4차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기본계획(2008~2012) 제1차 평생직업능력개발 기본계획(2007~2011)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계획 - vii -

5. 경기도 여성취업지원 정책 경기도를 가족여성정책과를 중심으로 여성인력개발관련 주요 추진체계인 여성능력개발 센터, 경기도여성비전센터(북부포함), 28개소의 여성회관과, 11개소의 새일센터 및 7 개소의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여성교육훈련 및 취업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실 시하고 있음. 제3장 경기도 산업구조 특성 및 노동력 수요현황 1. 경기도 산업구조 및 권역별 특성화 요소도출 경기도의 산업구조는 2008년 현재 서비스업과 제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비 스업은 전반적인 증가추세이고, 제조업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가 최근 하락 추세 를 보이고 있음. 경기도의 특화산업(입지계수 이용, 부가가치 기준)은 2008년 현재,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1.31), 부동산업 및 임대업(1.22), 기타서비스업(1.21), 건설업 (1.19), 제조업(1.17)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 경기도의 권역은 광역지방자치단체 관할 내 한정, 통근 비율, 인구 규모(50만명), 통 합가능 접경지역 존재 유무를 감안하면 10개의 지역노동시장정책권역으로 나눌 수 있 음. 구체적으로 수원권(수원, 오산, 화성), 성남권(성남, 용인, 광주), 안양권(안양, 과 천, 의왕, 군포), 평택권(평택, 안성), 부천권(부천, 광명), 안산권(안산, 시흥), 의정부 권(의정부, 양주, 동두천, 포천, 연천), 고양권(고양, 김포, 파주), 남양주권(남양주, 구리, 하남, 가평, 양평), 이천권(이천, 여주)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권역별 특화산업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권역별 특성에 기반한 여성인력개발계획의 전략적 내용을 구성 해야 함. - viii -

2. 경기도 전략산업 인력수요 현황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전략산업에서의 여성 인력변화추이를 살펴보았음. 2007년 당시 산업자원부는 경기도의 전략사업을 정보통신산업, 생명산업, 문화콘텐츠산업, 국 제물류업으로 발표하였음. 정보통신산업에 종사하는 경기도의 여성의 취업자 비중이 2007년 이후로 완만하게 줄 어들고 있는 추세지만, 타 시 도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음. 전략산업 인 정보통신산업에서의 여성 취업을 늘리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해 보임. 2000년대 들어 생명산업에 종사하는 경기도 여성 취업자 수와 비중이 급속하게 늘어 가는 추세이며, 타 시 도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러한 추세를 감안할 때 생명산업에 여성 취업자 수가 점점 더 늘어날 것이며, 그 비중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문화콘텐츠산업 역시 생명산업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경기도 여성 취업자 수 와 비중이 급속하게 늘어가는 추세이며, 타 시 도에 비해서 취업자 수와 비중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국제물류업이 경기도의 전략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여성 취업자 수는 국제물류업을 전 략산업으로 하고 있는 타 시 도에 비해 적었으며 그 비중도 높지 않음. 물류업이 남 성 중심이라는 산업의 특성 때문이라고 판단되며, 이 업종에서의 여성 취업자가 크게 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한국고용정보원(2010)의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2008-2018 을 이용해, 경기도의 여 성의 특성화 산업별 노동수요를 전망하였음. 경기도의 산업별 노동수요가 전국의 수 요와 같다고 전제하였고, 취업자 비중을 가중치로 사용하였음. 2008~2018년 기간 경기도 특성화 업종 여성 노동수요 연평균증가율은 정보통신산업 이 1.97%, 생명산업 0.79%, 문화콘텐츠산업 1.72%, 국제물류업 1.04%가 될 것으로 - ix -

전망됨. 연평균증가율이 가장 높은 산업은 정보통신산업이며, 그 다음으로 문화콘텐 츠산업, 국제물류업, 그리고 생명산업 순으로 예상됨. 경기도 전략산업 중 정보통신산 업, 문화콘텐츠산업, 국제물류업, 생명산업 순으로 여성 노동수요가 늘어날 것을 암시 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적절한 산업 및 인력수급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 됨. 제4장 조사결과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취업여성 500명, 미취업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음. 또한 취업취약여성으로서 국제결혼이민자, 미혼모, 북한이탈여성 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하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의 조사결과를 분석하였음. 조사결과 취업여성과 미취업여성이 가장 원하는 정책지원은 각각 경력개발을 위한 여성전문교육의 확대 와 일자리 확대 및 직업훈련지원 강화 인 것으로 나타났음. 경기도 결혼이민자, 미혼모, 북한이탈여성의 경우는 일자리 알선, 취업상담, 자녀양육 지원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경기도 취업, 미취업, 결혼이민자, 미혼모, 북한이탈여성의 인적자원개발과 취업지원 을 위해 의미가 있는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첫째, 취업여성의 경우 취업동기로는 금전적 동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자아실 현인 것으로 나타났음. 취업의 주요인으로는 인간관계가 31.6%로 가장 큰 영향을 미 쳤으며, 취업과정에서는 취업기회 및 정보의 부족, 기혼여성의 경우 가사 및 집안일 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음. 현재 직장에서의 애로점으로는 적은 수입, 일 가정 양립, 육아의 문제, 전문지식의 부족 등을 지적하고 있음. 경력만족은 평균 2.77점으로 보통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30.9%가 이직의향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나 이직과 경력개발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된다고 하겠음. 정책욕구로 는 경력개발을 위한 전문교육, 경력설계 및 이직상담지원 욕구가 가장 큰 것으로 분 석되어 이후 정책개발 및 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함. - x -

- 둘째, 미취업여성의 경력단절 사유로는 예측한 바와 같이 결혼, 임신, 출산과 가사 및 육아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음. 경력단절시기는 결혼 및 첫아이 출산전후와 자녀 초등학교 입학시기로 나타나 이 시기 경력단절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개발의 필 요성이 대두됨. 미취업 응답여성의 53.7%가 취 창업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희망직종 및 직업은 경영 회계 사무관련직, 사회복지 종교 교육 및 사회과학, 영 업 및 판매관련 순이었음. 희망 고용형태는 61.9%가 정규직을 15.3%가 시간제 일자 리를 원하고 있었으며, 특히 6세 이하의 유아를 둔 여성들의 경우 시간제 일자리를 원하는 비중이 높았음. 필요한 정책으로는 일자리 확대, 직업훈련 강화, 취업상담 지 원, 보육지원 등을 꼽았음. -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우 84.6%가 취업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취업지원 욕구로는 일자리 알선, 자녀양육지원, 한국어 교육 순이었음. 창업욕구도 높아 77.6% 가 창업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위해서는 일자리 알선을 중심으로 하는 취 업지원과 체계적인 창업지원이 우선되어야 할 것임. - 미혼모의 경우는 자녀 양육문제, 일 가정 양립, 열악한 근로환경이 취업의 주된 장 애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혼모 인적자원개발을 위해서는 자녀양육에 대한 지원을 통해 직업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 됨. - 북한이탈여성의 경우는 일자리알선 및 취업상담, 맞춤형 적합 일자리 창출, 북한이탈 주민에 대한 편견제고에 대한 필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적합한 정책설계 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xi -

제5장 계획의 기본구조 1. 정책추진체계 <그림 1> 정책추진체계 비전 경기여성경제활동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 실현 목표 대상 집단 특성 및 지역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개발 경력단절예방 및 고용유지 지원을 통한 정책효율성 제고 추진체계 역량강화 및 체계화 영역 대상특성별 여성능력개발 및 취업지원 강화 지역특성별 여성적합 일자리 창출 및 지원 여성인력활용 및 고용기회 확대 일 가정 양립지원을 통한 경력단절예방 추진기반 역량강화 및 지원인프라 체계화 정책과제 경력단절여성 중고령 여성 청년여성 취약계층여성 - 미혼모 - 북한이탈여성 - 여성결혼 이민자 취업여성 전략산업 분야 여성 진출 촉진 지역노동시장 권역별 여성 인력개발 특성화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 확대 녹색분야 일자리 발굴 및 지원 창업지원 활성화 유연근무제 확대 보육정책 지원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조성 여성 인력 개발정책 추진체계 정비 여성 인력 개발기관 인프라 확충 및 내실화 - xii -

2. 정책과제별 세부 추진과제 <그림 2> 정책과제별 세부 추진과제 핵심영역 정책과제 세부 추진과제 1. 대상특성별 여성능력개발 및 취업지원 강화 미취업 여성 1-1.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증대 1-2. 중고령 여성 일자리 창출 및 취업지원 1-3. 청년여성 역량강화 지원 1-5. 취약계층여성 자립지원: - 미혼모 - 북한이탈여성 - 여성결혼이민자 1-4. 취업여성 경력개발 및 경력단절 예방 1-1-1. 경력분야별 재교육 및 맞춤형 취업지원 실시 1-1-2. 교육훈련의 전문성 확보 1-1-3. 분야별 인턴제의 체계화 및 사후관리 1-1-4. 분야별 전공별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DB구축 1-2-1. 중고령 여성 적합직종발굴 및 맞춤형 교 육훈련프로그램 운영 1-2-2. 맞춤형 홍보 및 구직활동 지원 1-2-3. 중고령 여성 공동체 지원 1-3-1. 여성청소년 진로개발 지원 1-3-2.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유치지원 1-3-3. 여대생 멘토링 및 인턴십 사업 1-5-1. 한부모 가족 자립지원 사업 실시 1-5-2. 북한이탈여성 적합 직종 발굴 및 프로그 램 개발, 맞춤형 취업지원시스템 정비 1-5-3. 여성결혼이민자 취 창업 지원 체계화 1-4-1. 경력개발 지원프로그램 구축 1-4-2. 전문교육 프로그램 구축 및 운영 1-4-3. 동일직종 취업여성 네트워크 지원 2. 지역특성별 여 성적합 일자리 창 출 및 지원 3. 여성인력활용 및 고용기회 확대 2-1. 전략산업 분야 여성진출 촉진 2-2. 지역노동시장 권역별 여성인력개발 특성화 3-1.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 확대 2-1-1. 전략산업별 현장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및 취업지원 2-1-2 전략산업 관련 시책 사업의 성주류화 2-2-1. 권역별 여성인력개발 특성화 방안 마련 2-2-2. 권역별 여성인력개발기관 네트워크 활성화 2-2-3. 권역별 맞춤형 취업지원 활성화 3-1-1. 추진체계정비 및 간접지원 3-1-2. 여성친화 사회적 기업 발굴 및 지원 3-1-3. 여성교육훈련기관의 사회적 일자리사업 및 사회적 기업 활성화 3-1-4. 사회적 일자리, 사회적 기업에 대한 홍보 및 인식제고 (계속) - xiii -

핵심영역 정책과제 세부 추진과제 3. 여성인력활용 및 고용기회 확대 3-2. 녹색분야 일자리 발굴 및 지원 3-3. 창업지원 활성화 3-2-1. 경력단절여성 적합 녹색일자리 발굴 및 교육훈련프로그램 지원 3-2-2. 녹색성장분야 유망직종 여성진출 지원 3-2-3. 농촌지역 전문여성인력개발 지원 3-3-1. 여성교육훈련기관 종합적 창업지원 체계구축 및 역량강화 3-3-2. 소점포 창업부스 설치 및 경기도 프랜차이즈 개발 운영 3-3-3. 창업자금지원의 실효성 확보 3-3-4. 창업교육 및 훈련의 현장성 강화 3-3-5. 여성창업자 맞춤형 지원서비스 강화 4. 일 가정 양립 지원을 통한 경력 단절예방 4-1. 유연근무제 확대 4-2. 보육정책 지원 4-3 가족친화적 기업문화조성 4-1-1. 단시간 근로 활용 직종 및 업종 개발 4-1-2.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확산 4-1-3. 민간부문 유연근무제 확산 4-1-4. 유연근무제 확산을 위한 지원 인프라 구축 4-2-1. 수요자 맞춤형 보육서비스 제공 4-2-2. 차별없는 보육실현 4-2-3. 보육의 질적개선 4-2-4. 보육사각지대 해소 4-3-1. 가족친화기업 컨설팅 및 인증제 사업 확대 4-3-2. 경기도 가족친화 지원센터 설립 4-3-3. 기업내 가족친화제도의 활성화: 산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활용 지원 5. 추진기반 역량 강화 및 지원인프 라 체계화 5-1. 여성 인력개발정책 추진체계 정비 5-2. 여성 인력개발기관 인프라 확충 및 내실화 5-1-1. 여성인력개발협의회 기능 활성화 5-1-2. 도내 유관부처간 협력망 구축 5-2-1. 새로일하기센터 유치지원 5-2-2. 여성인력개발기관 실무자 역량강화 5-2-3. 인력개발기관 평가 및 컨설팅 체계 구축 - xiv -

제6장 영역별 주요 정책과제 추진과제 1-1-1. 경력분야별 재교육 및 맞춤형 취업지원 실시 1-1-2. 교육훈련의 전문성 확보 1-1-3. 분야별 인턴제의 체계화 및 사후관 리 1-1-4. 분야별 전공별 고학력 경력단절여 성 DB구축 1-2-1. 중고령 여성 적합직종발굴 및 맞춤 형 교육훈련프로그램 운영 1-2-2. 맞춤형 홍보 및 구직활동 지원 1-2-3. 중고령 여성 공동체 지원 1-3-1. 여성청소년 진로개발 지원 1-3-2.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유치지원 1-3-3. 여대생 멘토링 및 인턴십 사업 1-4-1. 여성결혼이민자 맞춤형 교육프로그 램 운영 및 취업연계 1-4-2. 미혼모가정 자립지원 1-4-3. 취 창업 지원을 통한 북한이탈여 성 경제적 자립 확대 세부 추진과제 경력분야별 맞춤형 취업지원 체계 구축 보건의료분야 재교육 실시 및 취업지원 시스템 구축 교육 및 상담분야 재교육 실시 및 취업지원 시스템 구축 미용분야 재교육 및 취업지원 시스템 구축 강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강사선발 및 관리시스템 개발 현장밀착형 교육을 위한 액션러닝의 도입 심화 및 응용교육의 활성화 분야별 인턴십 사업의 체계화 인턴제 참여 여성들에 대한 사후관리 분야별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DB 구축 DB구축을 위한 DB팀 구성 중고령 여성 적합직종 발굴 연구 중고령 여성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중고령 여성 취업지원 전문인력 양성 맞춤형 홍보활동 및 구직활동 지원 여성회관 및 복지관의 중고령 여성 취업정보제공 및 구직활동 지원기능 강화 중고령 여성을 위한 공동체 사업 업종 발굴 및 사회적 기업 모 델 개발 공동체 사업을 위한 인큐베이팅 지원 여성 청소년 대상 (비전통여성진출분야) 직업체험전 실시 초 중 고 진로지도 교사 대상 성인지적 진로교육 지도 방 법에 대한 교육 실시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유치 지원 멘토링 및 인턴십을 위한 사업단 구성 멘토링 사업 실시 인턴십 사업 실시 체계적 취업지원 시스템 구축 출신국적 별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취 창업 지원 공동체 사업의 활성화 및 예비 사회적 기업의 발굴, 육성 직업체험 및 맞춤형 취업교육과 직업연계 보육 우선 지원 직업훈련기관을 활용한 북한이탈여성 전용반 개설 및 이를 위 한 적합직종,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북한이탈여성 자활공동체 소액창업 지원 북한이탈여성 취창업 지원 전문 취업설계사 양성 (계속) - xv -

추진과제 1-5-1. 경력개발 지원프로그램 구축 1-5-2. 취업여성을 위한 전문교육 프로그 램 구축 및 운영 1-5-3. 동일직종 취업여성 네트워크 지원 2-1-1. 전략산업별 현장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및 취업지원 2-1-2. 전략산업 관련 시책 사업의 성주류화 2-2-1. 권역별 여성인력개발 특성화 방안 마련 2-2-2. 권역별 여성인력개발기관 네트워크 활성화 2-2-3. 권역별 맞춤형 취업지원 활성화 3-1-1. 추진체계정비 및 간접지원 3-1-2. 여성친화 사회적 기업 발굴 및 지원 3-1-3. 여성교육훈련기관의 사회적 일자리사업 및 사회적 기업 활성화 3-1-4. 사회적 일자리, 사회적 기업에 대한 홍보 및 인식제고 3-2-1. 경력단절여성 적합 녹색일자리 발굴 및 교육훈련프로그램 지원 3-2-2. 녹색성장분야 유망직종 여성진출 지원 세부 추진과제 취업여성 경력설계 및 이직상담지원 시스템 개발 경력상담 전문인력 확보 MCC(Moving Career Center) 설치 및 운영 종합적 경력개발 전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경기도 동종업계 지역여성 네트워크 구축 지원 경기도 전문여성 DB구축 및 정보제공 IMT기술 전문인력 양성 사업의 여성 참여 확대 지원 지식서비스 분야 여성인력 양성 및 취업지원 경기도 전략산업별 현장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및 취업지원 섬유산업 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 취업지원 선도산업 및 전략산업 관련 인력양성사업에 대한 성별영향평가 실시 도내 인력양성사업 결과보고서 작성시 성별분리통계 의무화 지역노동시장 권역별 여성인력개발 특성화 방안 연구 지역노동시장 권역별 특성화 전략 마련 권역별 여성인력개발기관 네트워크 구축 권역별 구인-구직 현황 정보제공 및 공유 권역별 구인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및 취업연계 경기도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조정체계 마련 관련 기관 네트워킹을 위한 사업 지원 경기도 시 군 여성정책 평가에 사회적 일자리 지원항목 포함 교육 및 보육분야 예비 사회적 기업 모델 제시 사업실시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시범운영 여성 사회적 기업 연구회 결성과 지원 여성교육훈련기관 사업공동체 운영지원 공무원 및 실무자 대상 이해증진 사업 지역의 분야별 관련 기업 대상 설명회 개최 경력단절여성 적합 녹색일자리 발굴 및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녹색분야 교육훈련프로그램 시범운영 및 확대 그린성장 및 하이테크 산업의 여성진출을 위한 심화교육프로그 램 개발 및 운영 관련 분야 재직여성의 녹색성장분야 전직지원 (계속) - xvi -

추진과제 3-2-3. 농촌지역 전문여성인력개발 지원 3-3-1. 여성교육훈련기관 종합적 창업지원 체계구축 및 역량강화 3-3-2. 소점포 창업부스 설치 및 경기도 프랜차이즈 개발 운영 3-3-3. 창업자금지원의 실효성 확보 3-3-4. 창업교육 및 훈련의 현장성 강화 3-3-5. 여성창업자 맞춤형 지원서비스 강화 4-1-1. 단시간 근로 활용 직종 및 업종 개발 4-1-2.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확산 4-1-3. 민간부문 유연근무제 확산 4-1-4. 유연근무제 확산을 위한 지원 인프라 구축 4-2-1. 수요자 맞춤형 보육서비스 제공 4-2-2. 차별없는 보육실현 4-2-3. 보육의 질적개선 4-3-1. 가족친화기업 컨설팅 및 인증제 사업 확대 4-3-2. 경기도 가족친화 지원센터 설립 4-3-3. 기업내 가족친화제도의 활성화: 산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활용 지원 세부 추진과제 친환경 농업관리사, 생태관광가이드, 생태치유사 등 녹색분야 여성전문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여성농업인 센터의 확대 및 직업교육훈련 기능 강화 기관별 원스톱 창업지원서비스 제공 창업지원매니저의 양성 및 배치 상설 또는 비상설 창업부스 설치 지원 프랜차이즈사업 개발 및 운영 여성창업준비자를 위한 마이크로크레딧 도입 자금지원 관련 특강의 주기적 개최 모의창업 과정 배치 창업준비자를 위한 인턴십 실시 맞춤형 경영지원 컨설팅 제공 유관업종 창업자간 네트워크 구축 경기도 중소제조업 분야 단시간 근로모델 개발 중소병원 간호직 및 단시간 모델 적용 가능 전문직종 발굴 경기도 공무원 대상 유연근무제 활성화 실천 방안 마련 및 실시 경기도 유관기관 유연근무제 도입 실천 방안 마련 및 실시 경기도 민간기업 유연근무제 확산 홍보활동 추진 경기도 유연근무제 도입희망 기업에 대한 컨설팅 지원 경기도 여성 단시간 근로자 지원센터 운영 유연근무제 도입을 위한 대체인력풀 운영방안 마련 24시간 시간연장형 보육시설 확대 직장보육시설 설립 운영지원 확대 가정보육교사제도 및 0세아 전용 보육시설 확대 무상보육 대상 확대 저소득층 아동(3~5세)의 민간 및 가정보육시설 이용 시 보육 료 차액지원 국 공립 보육시설 확충 경기도 보육시설 평가인증 확대 보육시설 친환경 마감재 및 교구 보급 경기도 가족친화기업 컨설팅 사업 확대 및 다각화 경기도 가족친화기업 인증제 사업 확대 경기도 가족친화 지원센터 운영모델 개발 경기도 가족친화 지원센터 설립 산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시행 실태조사 대체인력제의 운영실태 조사 및 활용방안 개발 복직지원시스템의 개발 및 보급 (계속) - xvii -

추진과제 세부 추진과제 5-1-1. 여성인력개발협의회 기능 활성화 여성인력개발협의회 당연직 위원 확대 5-1-2. 도내 유관부처간 협력망 구축 5-2-1. 새로일하기센터 유치지원 5-2-2. 여성인력개발기관 실무자 역량강화 5-2-3. 인력개발기관 평가 및 컨설팅 체계 구축 여성인력개발 정책 및 사업에 관한 부처간 협력 조정 기능 강화 도내 인력양성 및 취업지원 사업 결과보고 시 성별분리 의무화 지역노동권역별 유치 목표 설정 새일센터 유치 지원을 위한 사업실시 실무자 역량강화교육 실시 권역별 인력개발기관 실무자 워크숍 실시 여성인력개발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체계 및 컨설팅 매뉴얼 개발 여성인력개발기관 평가 및 컨설팅 실시 인력개발기관 실무자 포상제도 실시 - xviii -

목 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의의 3 2. 연구의 내용 5 3. 연구의 방법 및 수행절차 6 가. 연구방법 6 나. 연구수행절차 8 제2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1.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현황 11 가. 전국 및 경기도 경제활동 현황 11 나. 시 군별 경제활동 현황 18 다. 여성취업자 다수 산업 및 직업 분포 31 2. 여성인력개발 관련 계획 현황 37 가. Dynamic Women Korea 2010(2006~2010) 37 나.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 41 다. 제3차 여성정책기본계획(2008~2012) 44 라. 제4차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기본계획(2008~2012) 45 마. 제1차 평생직업능력개발 기본계획(2007~2011) 47 바.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계획 48 3. 경기도 여성취업지원 정책 52 가. 부처별 사업내용 52 나. 경기도 여성교육훈련기관 교육실적 59 4. 소 결 74 - i -

제3장 경기도 산업구조 특성 및 노동력 수요현황 1. 경기도 산업구조 및 권역별 특성화 요소도출 79 가. 경기도의 산업구조 79 나. 경기도 권역별 특화산업 83 2. 경기도 전략산업 인력수요현황 분석 99 가. 특성화 산업별 여성취업자 99 나. 경기도 특성화 산업 2008~2018년 노동수요 전망 109 다. 소 결 118 제4장 조사결과 1. 조사개요 123 가. 조사대상 선정 및 조사방법 123 나. 조사내용 124 2. 조사결과 126 가. 취업여성 126 나. 미취업여성 165 다. 취약계층여성 : 국제결혼이민자, 미혼모, 북한이탈주민 216 3. 소 결 241 제5장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2011~2015)의 기본 구조 1. 계획수립의 기본방향 245 2. 정책비전 및 목표 246 가. 정책비전 246 나. 정책목표 247 3. 부문별 과제영역과 정책과제 248 4. 세부 추진과제 254 - ii -

제6장 영역별 주요 정책 과제 영역 1. 대상특성별 여성능력개발 및 취업지원 강화 259 1-1. 경기도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260 1-2. 경기도 중고령 여성 일자리 창출 및 취업지원 269 1-3. 청년 여성 275 1-4. 경기도 결혼이민자, 미혼모, 북한이탈주민 맞춤형 취업지원 활성화 285 1-5. 취업여성 경력개발 및 경력단절 예방 292 영역 2. 지역특성별 여성적합 일자리 창출 및 지원 299 2-1. 전략산업 분야 여성 진출 촉진 300 2-2. 지역노동시장 권역별 여성인력개발 특성화 311 영역 3. 여성인력 활용 및 고용기회 확대 321 3-1.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 확대 322 3-2. 녹색분야 일자리 발굴 및 지원 331 3-3. 창업지원의 활성화 339 영역 4. 일 가정 양립지원을 통한 경력단절 예방 353 4-1.유연근무제 확대 354 4-2. 보육 및 교육정책 지원 362 4-3.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조성 368 영역 5. 추진기반 역량강화 및 지원인프라 체계화 375 5-1. 여성인력개발정책 추진체계 정비 376 5-2. 여성인력개발기관 확충 및 내실화 382 참고문헌 393 부 록 부록 1. 취업여성 설문지 397 부록 2. 미취업여성 설문지 409 - iii -

표 목 차 <표 2-1> 경기도 성별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2000, 2005, 2007, 2009) 11 <표 2-2>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연령대별(전국) 12 <표 2-3> 경기도 연령계층별 성별 취업자(2009) 13 <표 2-4> 경기도 교육정도별 성별 취업자(2009) 13 <표 2-5> 경기도 산업별 성별 취업자(2009) 15 <표 2-6> 경기도 직업별 성별 취업자(2009) 16 <표 2-7> 경기도 종사상 지위별 성별 취업자(2009) 17 <표 2-8> 경기도 성별 실업자수 및 실업률(2000, 2005, 2007, 2009) 18 <표 2-9> 경기도 활동상태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2000, 2005, 2007, 2009) 18 <표 2-10> 경기도 시 군별 성별 경제활동인구 현황 20 <표 2-11> 경기도 시 군별 성별 연령별 취업자 22 <표 2-12> 경기도 시 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23 <표 2-13> 경기도 시 군별 여성 취업자의 직업 25 <표 2-14> 경기도 시 군별 여성 취업자의 종사산업 26 <표 2-15> 경기도 시 군별 여성 연령별 교육정도별 비경제활동인구 29 <표 2-16> 경기도 시 군별 성별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 30 <표 2-17> 여성취업자 종사산업(소분류) 상위 50위 32 <표 2-18> 여성취업자 종사직업(소분류) 상위 50위 35 <표 2-19> 중앙부처 여성인력개발종합계획 사업과제 추진현황(2010) 39 <표 2-20> 경기도 여성인력개발종합계획 시행계획 과제(2007~2010) 40 <표 2-21>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관련 경기도 시행계획(2010) 43 <표 2-22> 제3차 여성정책기본계획 여성인력활용 정책과제 45 <표 2-23> 평생직업능력개발 실천방안(여성: 노동시장으로 원활한 재진입) 47 <표 2-24> 여성: 노동시장으로 원활한 재진입 주관부처 48 <표 2-25> 경기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의 정책과제 49 - iv -

<표 2-26> 퍼플잡 확산 정책과제 50 <표 2-27> 경기도 여성취업지원정책(2010): 가족여성정책과 52 <표 2-28> 2009년 기업맞춤형 취업전문교육 운영 실적(2010.1.20.현재) 54 <표 2-29> 경기도 여성취업지원정책(2010): 여성능력개발센터 54 <표 2-30> 경기도 여성인력개발종합계획 사업과제내용(2010): 경기도여성비전센터 56 <표 2-31> 경기도 여성인력개발종합계획 사업과제내용(2010): 고용정책과 58 <표 2-32> 경기도 여성인력개발종합계획 사업과제내용(2010): 농업정책과 59 <표 2-33> 경기도내 시 군 여성회관 교육 운영 실적(2009.12.31 현재) 60 <표 2-34> 2009 직업상담사 운영실적(4/4분기) 62 <표 2-35> 경기도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직업훈련교육 실적(2009) 63 <표 2-36> 경기도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구인구직 및 취 창업 총괄(2009) 64 <표 2-37> 경기도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주부인턴제 실적(2009) 65 <표 2-38> 경기도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상담실적(2009) 66 <표 2-39> 경기도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집단상담 실적(2009) 66 <표 2-40> 2009 전업주부 재취업 지원사업 실적(2009.12.31 현재) 67 <표 2-41> 2009년 일 가정양립 등 복지지원 서비스 실적 69 <표 2-42> 여성근로자복지센터 직업능력훈련교육 운영실적(2009년 4/4분기) 72 <표 2-43> 여성근로자복지센터 구인 구직 등록 및 취 창업실적(2009년 4/4분기) 73 <표 2-44> 여성근로자복지센터 권익증진사업실적(2009년 4/4분기) 73 <표 3-1> 경기도의 특화산업(2008년) 83 <표 3-2> 수원권(수원, 오산, 화성)의 특화산업(2008년) 85 <표 3-3> 성남권(성남, 용인, 광주)의 특화산업(2008년) 86 <표 3-4> 의정부권(의정부, 양주, 동두천, 포천, 연천)의 특화산업(2008년) 88 <표 3-5> 안양권(안양, 과천, 의왕, 군포)의 특화산업(2008년) 89 <표 3-6> 부천권(부천, 광명)의 특화산업(2008년) 91 <표 3-7> 평택권(평택, 안성)의 특화산업(2008년) 92 <표 3-8> 안산권(안산, 시흥)의 특화산업(2008년) 94 <표 3-9> 고양권(고양, 김포, 파주)의 특화산업(2008년) 95 - v -

<표 3-10> 남양주권(남양주, 구리, 하남, 가평, 양평)의 특화산업(2008년) 97 <표 3-11> 이천권(이천, 여주)의 특화산업(2008년) 98 <표 3-12> 경기도 전략산업 및 표준산업분류 중분류 100 <표 3-13> 경기도 IT관련 지역산업 클러스터 102 <표 3-14> IT산업 성별 취업자 수 103 <표 3-15> 생명산업 성별 취업자 수 105 <표 3-16> 문화콘텐츠산업 성별 취업자 수 107 <표 3-17> 평택항 물동량 처리실적 추이 108 <표 3-18> 물류업 성별 취업자 수 109 <표 3-19> 성별 취업자 추이 및 전망 111 <표 3-20> 성별 고용률 추이 및 전망 111 <표 3-21> 한국 표준산업분류 중분류 취업자 전망 113 <표 3-22> 정보통신산업 경기도 여성 취업자 비중(2003~2007년) 114 <표 3-23> 생명산업 경기도 여성 취업자 비중(2003~2007년) 115 <표 3-24> 문화콘텐츠산업 경기도 여성 취업자 비중(2003~2007년) 115 <표 3-25> 국제물류업 경기도 여성 취업자 비중(2003~2007년) 116 <표 3-26> 경기도 특성화 산업 여성 노동수요 전망 117 <표 3-27> 경기도 권역별 특화산업 118 <표 4-1> 권역별 표본설계 124 <표 4-2> 설문 문항 내용 125 <표 4-3> 취업여성 일반적 특성 127 <표 4-4> 취업여성 연령별 고용형태 128 <표 4-5> 취업여성 취업동기 129 <표 4-6> 취업여성 구직기간 129 <표 4-7> 취업여성 취업경로 130 <표 4-8> 취업여성 취업요인 131 <표 4-9>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구직과정에서의 어려움 132 <표 4-10> 취업여성 주당 근무시간 133 - vi -

<표 4-11>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35시간 미만 근무 사유 134 <표 4-12> 단시간 근로여성 개인특성별 35시간 이상 일자리 희망여부 135 <표 4-13> 취업여성 첫직장 여부 136 <표 4-14> 취업횟수(몇번째 직장인지의 여부) 136 <표 4-15> 취업여성 이전 직장 고용형태 137 <표 4-16> 취업여성 이전 직장 직종 137 <표 4-17>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이전 직장을 그만둔 이유 139 <표 4-18> 취업여성 서류상 고용계약 여부 140 <표 4-19> 취업여성 서류상 고용계약 맺지 않은 이유 140 <표 4-20> 취업여성 계약기간 141 <표 4-21>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현 직장에서의 애로점 1순위 143 <표 4-22> 취업여성 고용형태별 현 직장에서의 애로점 1순위 144 <표 4-23>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현 직장에서의 애로점 2순위 145 <표 4-24> 취업여성 고용형태별 현 직장에서의 애로점 2순위 146 <표 4-25> 취업여성 현재 일 만족도 147 <표 4-26> 취업여성 직장과 가정간의 갈등 148 <표 4-27> 취업여성 만 6세 미만 자녀 양육자 149 <표 4-28> 취업여성 만6세미만 자녀 이용 보육시설 149 <표 4-29> 취업여성 보육시설 운영시간 만족도 150 <표 4-30> 취업여성 가사병행 어려움 150 <표 4-31>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가사 및 양육으로 인한 퇴직의사 151 <표 4-32> 취업여성 고용형태별 가사 및 양육으로 인한 퇴직의사 152 <표 4-33> 취업여성 경력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요인 153 <표 4-34> 취업여성 경력만족 154 <표 4-35>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직업교육훈련 의향 155 <표 4-36> 취업여성 받고 싶은 직업교육훈련 156 <표 4-37> 취업여성 직업교육훈련 경험 유무 156 <표 4-38> 취업여성 취업전후 교육기관 157 - vii -

<표 4-39> 취업여성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육의 도움 정도 157 <표 4-40> 취업여성 자격증 유무 158 <표 4-41> 취업여성 자격증 종류 158 <표 4-42> 자격증의 구직도움 정도 159 <표 4-43> 취업여성 고용형태별 이직의향 159 <표 4-44> 취업여성 이직 노력 160 <표 4-45> 취업여성 이직의향 없는 이유 161 <표 4-46>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일지속 여부 161 <표 4-47> 취업여성이 원하는 여성고용 관련 제도 162 <표 4-48>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원하는 지자체 기업정책 163 <표 4-49> 취업여성 고용형태별 원하는 지자체 기업정책 164 <표 4-50> 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원하는 지자체 가정정책 165 <표 4-51> 미취업여성 일반적 특성 166 <표 4-52> 미취업여성 취 창업 경험 167 <표 4-53> 미취업여성 처음 일을 시작한 연령 167 <표 4-54> 미취업여성 마지막 일을 그만둔 연령 168 <표 4-55> 미취업여성 주된 직장의 직종 169 <표 4-56> 미취업여성 주된 직장의 구체적인 직업 170 <표 4-57> 미취업여성 주된 직장의 고용형태 170 <표 4-58> 미취업여성 주된 직장의 임금수준 171 <표 4-59> 미취업여성 주된 직장을 그만둔 이유(다중응답) 172 <표 4-60> 미취업여성 주된 직장을 그만둔 주된 이유 172 <표 4-61> 미취업여성 주된 직장을 그만둔 시기 173 <표 4-62>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취 창업 의향 174 <표 4-63>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취 창업 목적(다중응답) 176 <표 4-64> 미취업여성 희망직종 177 <표 4-65> 미취업여성 희망직업 178 <표 4-66>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창업 이유 179 - viii -

<표 4-67> 미취업여성 창업 원하는 업종(3개) 179 <표 4-68>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희망 고용형태 181 <표 4-69> 미취업여성 시간제 희망을 원하는 경우 희망 근무일수 및 시간 182 <표 4-70>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시간제 희망 이유 183 <표 4-71>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취 창업 조건 1순위 185 <표 4-72>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취 창업 조건 2순위 186 <표 4-73> 미취업여성 취 창업 희망 수입 187 <표 4-74> 미취업여성이 원하는(개인특성별) 취 창업 지원 1순위 188 <표 4-75> 미취업여성이 원하는(개인특성별) 취 창업 지원 2순위 189 <표 4-76> 미취업여성 본인 능력에 대한 인지도 190 <표 4-77> 미취업여성 직업교육경험 190 <표 4-78> 미취업여성 수강 직업교육프로그램(최대 3개까지 복수응답) 191 <표 4-79>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직업교육기관 193 <표 4-80> 미취업여성 직업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강사의 전문성) 195 <표 4-81> 미취업여성 직업교육프로그램 만족도(교육내용의 전문성) 195 <표 4-82> 미취업여성 직업교육프로그램 만족도(취업알선의 적극성) 196 <표 4-83> 미취업여성 직업교육프로그램 만족도(프로그램의 다양성) 196 <표 4-84> 미취업여성이 교육받은 과정이 자격증 관련 과정인지의 여부 197 <표 4-85> 미취업여성 교육훈련의 취 창업 도움 여부 198 <표 4-86> 미취업여성 교육훈련이 취 창업에 도움이 안된 이유 198 <표 4-87>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취 창업 교육 받지 않은 이유 1순위 200 <표 4-88>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취 창업 교육 받지 않은 이유 2순위 201 <표 4-89>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취미 목적 교육 여부 202 <표 4-90>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취 창업 교육 의향 203 <표 4-91> 미취업여성 희망 교육 204 <표 4-92> 미취업여성이 취 창업 교육을 통해 원하는 것 205 <표 4-93>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희망 교육기관 206 <표 4-94>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희망교육 형태 208 - ix -

<표 4-95> 미취업여성 취 창업 교육 선택요인 208 <표 4-96>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자격증 유무 209 <표 4-97> 미취업여성 보유 자격증 210 <표 4-98> 미취업여성 취업에 도움된 자격증 211 <표 4-99> 미취업여성이 원하는 기업측면에서의 지원정책 212 <표 4-100> 미취업여성이 원하는 일 측면에서의 정책 212 <표 4-101>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가정 정책 213 <표 4-102> 미취업여성 월평균 가구 수입 214 <표 4-103> 미취업여성 가구 월평균 지출 215 <표 4-104> 미취업여성 개인특성별 경제적 수준 만족도 215 <표 4-105> 경기도 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참여현황 217 <표 4-106> 경기도 결혼이민자 구직경로 218 <표 4-107> 경기도 결혼이민자 종사상 지위 219 <표 4-108> 경기도 결혼이민자 현재직종 220 <표 4-109> 경기도 결혼이민자 본국직종 221 <표 4-110> 경기도 결혼이민자 근로소득 222 <표 4-111> 경기도 결혼이민자 근로현장의 애로사항 223 <표 4-112> 경기도 결혼이민자 미취업 사유 224 <표 4-113> 경기도 결혼이민자 취업욕구 224 <표 4-114> 경기도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욕구 225 <표 4-115> 경기도 결혼이민자 교육훈련 희망분야 226 <표 4-116> 출신국적별 창업 희망 여부 227 <표 4-117> 출신국적별 희망 창업 분야 228 <표 4-118> 출신국적별 창업 훈련프로그램 참여 희망 여부 228 <표 4-119> 창업을 하는데 있어서 느끼는 어려움 229 <표 4-120> 미혼모 취업현황 231 <표 4-121> 미혼모 취업 시 어려운 점 232 <표 4-122> 미혼모 일을 하지 않은 이유 233 - x -

<표 4-123> 북한이탈주민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현재 경제활동상태 234 <표 4-124> 남한에 오면 하고 싶었던 일의 분야 235 <표 4-125> 하고 싶었던 일을 하기 위해 노력했거나 노력중인지 여부 236 <표 4-126> 남한에 오면 하고 싶었던 일을 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 이유 236 <표 4-127> 임금근로자의 종사상 지위 238 <표 4-128> 산업별 취업자 239 <표 4-129> 직종별 취업자 240 <표 4-130> 북한이탈주민의 정책지원욕구 241 <표 6-1> 경기도 성별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2000, 2005, 2007, 2009) 260 <표 6-2> 경기도 교육정도별 성별 취업자(2009) 261 <표 6-3> 경기도 연령계층별 성별 취업자(2009) 269 <표 6-4> 경기도 소재 대학(원) 졸업자의 일반 현황(2009.4.1 현재) 275 <표 6-5> 경기도소재 대학 졸업자의 성별 산업별 취업자 비율(2009) 277 <표 6-6> 경기도소재 대학 졸업자의 성별 산업별 취업자 비율(2009) 300 <표 6-7> 광역경제권 지역 선도산업 총괄 302 <표 6-8> 경기도 전략산업(안) 303 <표 6-9> 전략산업별 성별 취업자 수 304 <표 6-10> 광역경제권 지역 선도산업 총괄 305 <표 6-11> 선도산업 및 전략산업 관련 인력양성사업 현황 309 <표 6-12> 인구규모별 10개 지역노동정책 권역 311 <표 6-13> 경기도 권역별 여성 경제활동인구 312 <표 6-14> 권역별 특화산업 313 <표 6-15> 권역별 여성구직자 선호 직종 분포 318 <표 6-16> 사회적 일자리 사업 예산 및 참여인원 322 <표 6-17> 여성 적합형 사회서비스 일자리 사업 내용(2007년) 323 <표 6-18> 경기도 부서별 사회서비스 일자리사업 현황 324 <표 6-19> 경기도 권역별 여성 일자리 정보 제공기관 382 - xi -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내용 6 <그림 1-2> 연구수행 절차 8 <그림 2-1> Dynamic Women Korea 2010: 여성인력개발 종합계획 개요 38 <그림 2-2>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 기본방향 42 <그림 2-3>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기본방향 46 <그림 2-4> 경기여성 Jump Up Plan 의 비전, 목표, 정책과제 50 <그림 3-1> 전국대비 수도권 GRDP 비중 추이 79 <그림 3-2> 경기도 산업구조의 추이 80 <그림 3-3> 경기도 서비스업의 구조 추이 81 <그림 3-4> 경기도의 특화산업 (2008년) 82 <그림 3-5> 수원권(수원, 오산, 화성)의 특화산업(2008년) 84 <그림 3-6> 성남권(성남, 용인, 광주)의 특화산업(2008년) 86 <그림 3-7> 의정부권(의정부, 양주, 동두천, 포천, 연천)의 특화산업(2008년) 87 <그림 3-8> 안양권(안양, 과천, 의왕, 군포)의 특화산업(2008년) 89 <그림 3-9> 부천권(부천, 광명)의 특화산업(2008년) 90 <그림 3-10> 평택권(평택, 안성)의 특화산업(2008년) 92 <그림 3-11> 안산권(안산, 시흥)의 특화산업(2008년) 93 <그림 3-12> 고양권(고양, 김포, 파주)의 특화산업(2008년) 95 <그림 3-13> 남양주권(남양주, 구리, 하남, 가평, 양평)의 특화산업(2008년) 96 <그림 3-14> 이천권(이천, 여주)의 특화산업(2008년) 98 <그림 3-15> 경기도 바이오 센터 104 <그림 3-16> 경기도 특성화 산업 2008~2018년 노동수요 전망 110 <그림 4-1> 사업체 규모별 취업자 237 <그림 4-2>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238 - xii -

<그림 5-1> 정책추진체계 253 <그림 5-2> 정책과제별 세부 추진과제 254 <그림 6-1> 경기도 소재 대학(원) 졸업자의 성별 취업률(2009.4.1 현재) 276 <그림 6-2> 경기도 연도별 여성 취업현황 279 <그림 6-3> 권역별 구인업체-여성구직자 소재지 319 <그림 6-4> 단계적 창업지원 모형 343 - xiii -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의의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및 수행절차

제1장 서 론 3 1. 연구의 배경 및 의의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여성발전기본법 과 여성발전기본조례 의 규정에 따라 여성정책 기본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경기도는 2002년부터 경기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제1차(2002~2005), 제2차(2008~2010) 계획이 완료되었다. 따라서 2010년은 제3차 여성인적자원개발종합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해이다. 경기도에서는 2002년 지방자치단체로서는 최초로 경기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2002~2007) 을 수립하였으며, 이는 여성인적자원 개발에 대한 관심이 낮고 정책을 추진 하기 위한 외부환경도 열악한 시점에서 수립된 계획으로서 여성인력에 대한 지방정부의 정 책적 관심과 책임성을 이끌어내 체계화하고 제도화했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1차 종합계획에서는 지역경제발전을 선도하는 여성인적자원 양성, 능력개발을 통한 여성 의 경제적 자립 도모, 지역여성의 평생취업능력 제고 및 자아실현이라는 3가지의 목표를 설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5개 영역, 21개 정책과제에 52개 세부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1차 종합계획의 5개 영역은 정규교육과정에서의 여성인적자원개발, 경기 전략산업부문에 서의 여성인력양성, 여성취업자 및 취약계층 여성인적자원개발, 여성인적자원개발기관의 활 성화, 여성인적자원개발 및 인프라 구축으로 구성되었다. 1차 계획은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지역여성인력정책의 도입기반을 구축했다는 점, 아울 러 산발적으로 시행된 여성인력정책을 체계화하였다는 점, 경기지역 여성인력개발에 대한 인식을 제고했다는 점, 타깃집단별 여성인력개발 전략을 확산했다는 점, 그리고 계획 기간 내 여성인력관련 법적 제도적 개선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성과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와 성과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수립측면에서의 한계점이 지적되었다. 지적된 한계로는 첫째, 주요영역별로 다양한 의제를 총 망라한 결과 지역 여건을 감안하지 않은 이상적인 계획과 구체성이 떨어지는 계획이 다수 수립되었다는 점, 둘째, 정책추진가 능성보다는 여성인력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성격의 과제들이 많았다는 점, 셋째, 가족여성 정책과의 기능이나 업무수행 조직역량에 비해 과도하게 많은 과제를 소관하고 있어 계획추

4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진이 형식화되었다는 점 등이 있다. 제1차 경기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기간이 완료됨에 따라 정책의 연속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계획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2차 계획의 수립이 추진되었다. 제2차 경기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은 2006년 발표된 중앙정부차원의 여성인력개발 종합계획인 Dynamic Women Korea 2010 의 기조와 방향을 맞춤과 동시에 지역에서의 실행력을 높이고 지역실정에 맞는 특화된 형태의 인적자원개발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계획은 지역산업특성에 기반한 여성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분야 여성일자리 확대, 여성창업토탈지원, 여성창업관련 인프라 구축 및 재정비의 4개 영역의 정책과제를 제시하 며, 지역특성 및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실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범위 확장, 기업 교육훈련기관 관의 파트너십 체제 구축, 관련부서간 연계의 필요성 증대를 강조하 고 있다. 2차 계획은 지역특성 및 시장수요에 기반한 특성화된 지역여성인적자원개발계획의 필요 성을 강조하고 계획을 수립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만, 경기도 지역 노동시장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고 권역별 특성 및 노동시장의 수요를 도출하는 측면에서 한계가 지적 될 수 있다. 이에 3차 계획은 기존의 1, 2차 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밀착형 계획의 수립을 위해 지역노동시장의 특성과 수요를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취약계층여성들을 대 상으로 한 계획과 녹색성장, 유연근무제 등 현재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여성정책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계획이 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의 권역별 산업체의 특성과 경기도의 전략산업, 그리고 미취업여 성들의 취업욕구 및 취업여성의 경력개발욕구에 집중하여 경기도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독자적이며 차별적인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여성인적자원개발 계획 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추진할 하위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계획의 한계, 경기도 여성정책현황, 경기도 여성경제활동의 특성, 경기도 산 업구조 및 전략산업과 전략산업에 있어서의 노동수요를 분석한다. 둘째, 지역 취업여성, 미

제1장 서 론 5 취업여성, 취업취약계층 여성의 특성과 취업욕구, 직업능력개발 욕구, 선호직종에 대한 태 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구체적인 정책수립의 자료로써 활용한다. 셋째, 분석된 자료를 기 반으로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의 종합적인 비전, 목표, 영역, 정책과제, 세부추진과제를 수립한다. 2. 연구의 내용 전술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연구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경기도 1, 2차 계획의 성과와 한계, 경기도 여성정책의 현황 분석을 통해 3차 계획 에서 개편하고 보완해야 할 부분을 도출하였다. 둘째, 지역별 산업체 특성분석, 경기도 전략산업 도출 및 노동수요 전망, 지역별 여성들 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존의 통계자료를 재분석하였다. 셋째, 미취업여성들의 취업욕구, 적합 직종에 대한 태도분석, 취업여성의 실태 및 경력개 발욕구 분석을 위해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넷째, 더불어, 취약계층여성으로서 북한이탈여성, 미혼모, 국제결혼이민여성의 경제적 자 립을 위한 인력개발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원내 기존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다섯째, 또한 여성친화 녹색일자리 발굴, 유연근무제 확산, 여성인력개발 관련 인프라 분 석 및 보강 등 현재 여성인적자원개발 및 지원에 있어 관심의 중심에 있는 주제들을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을 위해 어떻게 정책화 할 것이지 분석하였다. 여섯째,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2011~2015 년)의 비전, 목표, 영역, 정책과제 및 세부추진과제를 수립하였다.

6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그림 1-1>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및 수행절차 가. 연구방법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방 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 및 행정자료 분석을 통해 경기도 1, 2차 여성인적자원개발 계획 의 특성 및 한계, 경기도 여성정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지역과 고용관련 선행연구와 통계 자료 분석을 통하여 지역 권역별 산업체 특성분석, 경기도 전략산업 도출 및 노동수요 전망, 지역별 여성들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경기도 미취업, 취업여성들 의 취업욕구 및 직업능력개발욕구, 선호직종에 대한 태도, 정책적 지원욕구 등을 분석하였 고,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서 실시한 미혼모, 북한이탈주민, 결혼이민자 연구의 조사결과 를 바탕으로 이들의 경제활동 현황 및 취업욕구를 분석하여 계획수립 과정에 기초자료로 활 용하였다.

제1장 서 론 7 각각의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문헌연구 및 각종 행정자료 분석 문헌연구 및 행정자료 분석을 통해 여성인력개발 관련 계획현황을 살펴보았다. 중앙정부 의 여성인력개발계획, 경기도 1, 2차 여성인적자원개발계획을 분석하였고, 현재 경기도 여 성취업지원 정책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2) 기존 통계자료 재분석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지역별고용조사, 전국사업체기초통계조사, 한국고용정보원 의 산업별, 직업별 고용구조조사,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등의 재분석을 통해 경기도의 산업 구조, 권역별 특화사업, 전략산업 및 전략산업 인력수요를 도출하였다. 3) 조사연구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0년 6월 23일에서 2010년 7월 7일까 지 전문조사기관인 (주)효산경영연구원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경기도 31개 시 군 구 미취 업여성과 취업여성 각각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내용은 선행연구 검토결과와 관 련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취업여성의 경우는 경력, 고용형태, 근로조건, 일 가정 양립현황, 경력개발계획, 직업교육훈련 현황 및 정책 지원욕구, 미취업여성의 경우는 취 창업 욕구, 직업교육훈련 경험 및 욕구, 적합직종에 대한 태도, 정책적 지원욕구 등으로 구성되었다. 4) 전문가 자문 전문가 자문은 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 자문은 연구방향 및 연구내용, 그리고 설문조 사와 면접조사에 대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내부 관련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진 행되었고, 2차 자문에서는 외부전문가들을 초빙하여 연구전반의 내용, 목차에 대한 자문 및 계획수립의 구체적 방향 및 내용을 논의하였다.

8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나. 연구수행절차 이상에서 언급한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절차를 도식화 하면 아래 <그림 1-2>와 같다. <그림 1-2> 연구수행 절차 1단계 연구 설계 연구 방향 및 내용 구성 2단계 자료수집 및 분석 선행 연구 검토 각종 행정자료 수집 분석 기존 통계분석 3단계 조사분석: - 설문조사 실시 - 기존 설문조사 발췌 및 분석 설문조사 실시: 취업여성 및 미취업여성 대상 기존 설문조사 활용 발췌 및 분석: 국제결혼이민자, 미혼모, 북한이탈여성 대상 4단계 내 외부전문가 심층 자문회의 개최 연구설계 및 내용, 추진과제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 5단계 종합계획 수립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안) 수립

제 2 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1.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현황 2. 여성인력개발 관련 계획 현황 3. 경기도 여성취업지원 정책 4. 소 결

제2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11 1.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현황 가. 전국 및 경기도 경제활동 현황 1) 경제활동참가율 경기도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00년 47.4%에서 2005년 48.7%, 2007년 49.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09년 47.8%로 다소 감소하였다. 전국과 비교해 볼 때 경기도 여 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기도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00년 77.5%에서 2005년 76.9%, 2007년 75.4%, 2009년 75.1%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 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경기도 여성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격차는 2009년 현재 27.3%p 에 이를 정도로 여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연도 <표 2-1> 경기도 성별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2000, 2005, 2007, 2009) 경기도 전국 (단위 : 천명, %)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2000 1,643 2,581 47.4 77.5 9,101 13,034 48.8 74.4 2005 2,073 3,177 48.7 76.9 9,860 13,883 50.1 74.6 2007 2,241 3,345 49.2 75.4 10,092 14,124 50.2 74.0 2009 2,276 3,485 47.8 75.1 10,076 14,319 49.2 73.1 주 : 경제활동인구 = 만15세 이상의 생산가능한 인구 중 취업자 + 취업하기 위해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15세 이상 인구 100 구직기간 4주 기준 자료 :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 경제활동인구조사, 각년도. www.kosis.kr 향후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대한 전망을 보면, 2010년 51.8%, 2015년 52.4%, 2020년 53.0%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여성의 경제 활동참가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20대 및 4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12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는 못 미쳐 이른바 M자형 곡선 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정형옥 외, 2008). <표 2-2>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연령대별(전국) (단위 : %) 구분 1983 1993 1997 1998 2003 2010 2015 2020 여 자 42.8 47.1 49.8 47.1 48.9 51.8 52.4 53.0 15~19세 26.2 16.8 13.0 11.9 11.3 10.8 10.0 9.3 20~24세 54.1 64.5 66.4 61.1 61.5 70.3 71.3 72.2 25~29세 32.5 44.5 53.8 51.5 60.5 63.3 64.8 66.1 30~34세 44.5 47.4 51.1 47.5 49.8 54.7 58.1 61.3 35~39세 52.8 59.1 60.5 58.7 58.1 63.9 66.9 69.8 40~44세 60.8 62.2 67.2 63,6 64.0 68.6 72.1 75.5 45~49세 60.4 60.6 62.0 61.5 61.5 66.5 69.4 72.3 50~54세 55.5 57.6 58.5 55.3 55.5 61.0 61.4 61.8 55~59세 48.0 52.6 54.3 51.4 49.0 50.0 50.6 51.6 60~64세 35.5 42.4 46.6 44.7 42.7 48.7 49.5 50.2 65~69세 16.6 30.1 35.7 32.5 32.6 37.6 38.7 39.7 70~74세 7.3 17.5 22.4 19.1 21.9 24.0 24.9 25.7 75~79세 3.0 9.3 11.9 10.9 12.1 15.9 16.6 17.2 80세이상 0.6 2.7 4.9 2.9 5.6 6.6 7.4 8.1 자료 : 안주엽,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05-2020, 한국노동연구원, 2005. 2) 취업자 및 실업자 2009년 현재 경기도 취업자의 연령계층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40~49세가 27.8%로 가장 높고, 다음은 30~39세가 23.4%, 20~29세가 2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 타난다. 반면, 남성은 30~39세가 29.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40~49 세가 28.7%, 50~59세가 18.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제2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13 <표 2-3> 경기도 연령계층별 성별 취업자(2009) (단위 : 천명, %) 구분 경기도 전국 계 여성 남성 계 여성 남성 전체 5,539 (100.0) 2,200 (100.0) 3,339 (100.0) 23,506 (100.0) 9,772 (100.0) 13,734 (100.0) 15~19세 47 (0.8) 26 (1.2) 21 (0.6) 178 (0.8) 106 (1.1) 72 (0.5) 20~29세 976 (17.6) 500 (22.7) 476 (14.3) 3,779 (16.1) 1,978 (20.2) 1,801 (13.1) 30~39세 1,510 (27.3) 514 (23.4) 997 (29.9) 5,837 (24.8) 2,105 (21.5) 3,733 (27.2) 40~49세 1,569 (28.3) 612 (27.8) 957 (28.7) 6,524 (27.8) 2,658 (27.2) 3,866 (28.1) 50~59세 1,005 (18.1) 388 (17.6) 617 (18.5) 4,498 (19.1) 1,794 (18.4) 2,704 (19.7) 60세이상 431 (7.8) 160 (7.3) 271 (8.1) 2,690 (11.4) 1,132 (11.6) 1,558 (11.3) 자료 :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www.kosis.kr), 경제활동인구조사, 2009. 다음으로 2009년 현재 경기도 취업자의 교육정도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여성은 고졸이 43.5%로 가장 높게 나타나며, 다음으로 대졸 이상 35.8%, 중졸 10.7%, 초졸이하 10.1% 순 으로 나타난다. 반면, 남성은 대졸 이상이 44.7%로 취업자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며, 다 음은 고졸 42.7%, 중졸 7.4%, 초졸이하 5.1% 순으로 나타난다. <표 2-4> 경기도 교육정도별 성별 취업자(2009) (단위 : 천명, %) 구분 경기도 전국 계 여성 남성 계 여성 남성 전체 5,539 (100.0) 2,200 (100.0) 3,339 (100.0) 23,506 (100.0) 9,772 (100.0) 13,734 (100.0) 초졸이하 394 (7.1) 223 (10.1) 171 (5.1) 2,717 (11.6) 1,600 (16.4) 1,117 (8.1) 중졸 483 (8.7) 235 (10.7) 248 (7.4) 2,329 (9.9) 1,094 (11.2) 1,235 (9.0) 고졸 2,381 (43.0) 956 (43.5) 1,426 (42.7) 9,486 (40.4) 3,803 (38.9) 5,683 (41.4) 대졸이상 2,280 (41.2) 787 (35.8) 1,494 (44.7) 8,975 (38.2) 3,275 (33.5) 5,700 (41.5) 자료 :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www.kosis.kr), 경제활동인구조사, 2009.

14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경기도 취업자의 산업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2009년 현재 여성의 경우 사회 개인 공 공서비스 및 기타 산업에 종사하는 취업자가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다음으로 도 소매 음식숙박업 이 28.3%, 제조업 14.1% 순으로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 서비스업의 종사자 비율이 82.7%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남성의 경우도 사 회 개인 공공서비스 및 기타 산업에 종사하는 취업자가 28.7%로 가장 높게 나타나지만 그 비율은 여성에 비해 높지 않다. 다음으로 제조업 22.3%, 도소매 음식숙박업 이 18.7%로 나타난다.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전산업에 고르 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표 2-5> 참조). 다음으로 2009년 현재 경기도 취업자의 직업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가 22.6%로 가장 높게 나타나며, 다음은 사무종사자 19.5%, 단순노무 종사자 18.2%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남성의 경우도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가 20.8% 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다음은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17.5%, 사무종사 자 15.4% 순으로 나타난다. 산업별 분포와 마찬가지로 직업별 분포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표 2-6> 참조).

제2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15 <표 2-5> 경기도 산업별 성별 취업자(2009) (단위 : 천명, %) 구분 경기도 계 여성 남성 계 여성 남성 전국 전체 5,539 (100.0) 2,200 (100.0) 3,339 (100.0) 23,506 (100.0) 9,772 (100.0) 13,734 (100.0) 농림 어업 185 (3.3) 71 (3.2) 114 (3.4) 1,648 (7.0) 738 (7.6) 910 (6.6) 광공업 전체 1,062 (19.2) 311 (14.1) 751 (22.5) 3,859 (16.4) 1,162 (11.9) 2,697 (19.6) 제조업 1,057 (19.1) 311 (14.1) 745 (22.3) 3,836 (16.3) 1,160 (11.9) 2,676 (19.5) 전체 4,292 (77.5) 1,819 (82.7) 2,474 (74.1) 17,998 (76.6) 7,872 (80.6) 10,127 (73.7)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 건설업 384 (6.9) 39 (1.8) 345 (10.3) 1,720 (7.3) 163 (1.7) 1,557 (11.3) 도소매 음식숙박업 1,245 (22.5) 623 (28.3) 623 (18.7) 5,536 (23.6) 2,926 (29.9) 2,610 (19.0) 전기 운수 통신 금융 694 (12.5) 147 (6.7) 547 (16.4) 2,761 (11.7) 669 (6.8) 2,092 (15.2) 사업 개인 공공서비스 및 기타 1,969 (35.5) 1,010 (45.9) 958 (28.7) 7,981 (34.0) 4,114 (42.1) 3,868 (28.2) 자료 :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www.kosis.kr), 경제활동인구조사, 2009.

16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표 2-6> 경기도 직업별 성별 취업자(2009) (단위 : 천명, %) 구분 경기도 계 여성 남성 계 여성 남성 전국 전체 5,539 (100.0) 2,200 (100.0) 3,339 (100.0) 23,506 (100.0) 9,772 (100.0) 13,734 (100.0) 관리자 95 (1.7) 5 (0.2) 89 (2.7) 546 (2.3) 47 (0.5) 499 (3.6)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193 (21.5) 497 (22.6) 696 (20.8) 4,426 (18.8) 1,969 (20.1) 2,457 (17.9) 사무 종사자 944 (17.0) 428 (19.5) 515 (15.4) 3,590 (15.3) 1,679 (17.2) 1,911 (13.9) 서비스 종사자 530 (9.6) 356 (16.2) 174 (5.2) 2,519 (10.7) 1,670 (17.1) 848 (6.2) 판매 종사자 702 (12.7) 330 (15.0) 372 (11.1) 2,989 (12.7) 1,519 (15.5) 1,470 (10.7)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168 (3.0) 57 (2.6) 112 (3.4) 1,524 (6.5) 639 (6.5) 885 (6.4)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504 (9.1) 60 (2.7) 444 (13.3) 2,184 (9.3) 319 (3.3) 1,866 (13.6)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649 (11.7) 67 (3.0) 583 (17.5) 2,575 (11.0) 301 (3.1) 2,274 (16.6) 단순노무 종사자 755 (13.6) 401 (18.2) 354 (10.6) 3,153 (13.4) 1,628 (16.7) 1,525 (11.1) 자료 :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www.kosis.kr), 경제활동인구조사, 2009.

제2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17 다음으로 종사상 지위별 분포를 보면, 2009년 현재 여성취업자의 경우 자영업주가 13.9%, 무급가족종사자가 10.0%, 임금근로자가 76.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남성 취업자의 경우 자영업주가 26.2%로 여성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 무급가 족종사자는 1.0%로 여성에 비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난다. 임금근로자의 고용지위를 살펴보 면, 여성의 경우 상용근로자의 비율은 36.6%에 불과한 반면, 임시근로자 31.7%, 일용근로 자 7.8%로 나타나 고용상태가 불안정한 여성근로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남성 의 경우 상용근로자가 52.1%로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임시근로자 14.7%, 일용근로자 6.0%로 현저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표 2-7> 경기도 종사상 지위별 성별 취업자(2009) 경기도 전국 (단위 : 천명, %) 계 여성 남성 계 여성 남성 전체 5,539 (100.0) 2,200 (100.0) 3,339 (100.0) 23,506 (100.0) 9,772 (100.0) 13,734 (100.0) 자영업주 1,180 (21.3) 305 (13.9) 875 (26.2) 5,711 (24.3) 1,652 (16.9) 4,059 (29.6) 무급 가족종사자 임금 근로 자 253 (4.6) 221 (10.0) 32 (1.0) 1,341 (5.7) 1,164 (11.9) 177 (1.3) 전체 4,106 (74.1) 1,675 (76.1) 2,432 (72.8) 16,454 (70.0) 6,955 (71.2) 9,498 (69.2) 상용 2,545 (45.9) 806 (36.6) 1,739 (52.1) 9,390 (39.9) 3,051 (31.2) 6,338 (46.1) 임시 1,189 (21.5) 697 (31.7) 492 (14.7) 5,101 (21.7) 2,991 (30.6) 2,111 (15.4) 일용 372 (6.7) 172 (7.8) 200 (6.0) 1,963 (8.4) 913 (9.3) 1,050 (7.6) 자료 :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www.kosis.kr), 경제활동인구조사, 2009. 다음으로 실업률을 살펴보면, 2009년 현재 경기도 여성의 실업률은 3.3%로 남성 실업률 4.2%에 비해 낮게 나타난다. 여성의 실업률이 남성보다 낮은 것은 많은 여성들이 비경제활 동인구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경기도 여성과 남성의 실업률은 전국 평균(여성 3.0%, 남성 4.1%)과 비교해 보면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18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표 2-8> 경기도 성별 실업자수 및 실업률(2000, 2005, 2007, 2009) (단위 : 천명, %) 경기도 전국 연도 실업자 실업률 실업자 실업률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2000 61 104 3.7 4.0 332 647 3.6 5.0 2005 81 124 3.9 3.9 334 553 3.4 4.0 2007 57 130 2.6 3.9 266 517 2.6 3.7 2009 75 147 3.3 4.2 304 584 3.0 4.1 자료 :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 경제활동인구조사, 각년도. www.kosis.kr 마지막으로 경기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의 활동상태를 보면, 2009년의 경우 가사와 육아 가 전체의 45.5%로 나타나, 많은 여성들이 가사 또는 육아를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에 머 물러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9> 경기도 활동상태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2000, 2005, 2007, 2009) (단위 : 천명) 연도 경기도 전국 계 육아 가사 통학 기타 계 육아 가사 통학 기타 2000 2,575 462 914 729 470 14,052 1,771 4,992 4,345 2,944 2005 3,134 416 1,113 791 814 14,557 1,502 5,223 3,835 3,997 2007 3,404 417 1,153 951 883 14,954 1,496 5,343 4,148 3,967 2009 3,639 458 1,198 1,014 969 15,698 1,599 5,552 4,292 4,255 자료 :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 경제활동인구조사, 각년도. www.kosis.kr 나. 시 군별 경제활동 현황 1) 통계청에서 2009년 10월에 실시한 제2회 지역별고용조사 원자료 및 2009 지역별고용 조사 보고서 를 바탕으로 경기도 31개 시 군의 경제활동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2) 1) 본 절은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동향분석 제24호(2009 경기도 시 군별 성별 경제활동 현황)와 동향분석 제25호(2009 경기도 시 군별 성별 경제활동 현황)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제2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19 1) 경제활동인구 경기도내 31개 시 군 중에서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수원시로 209.3천 명이며, 다음은 성남시(181.2천명), 부천시(181.0천명), 고양시(174.8천명) 순으로 나타났 다. 여성 취업자가 가장 많은 지역도 수원시(202.6천명)이며, 다음은 성남시(177.7천명), 부 천시(176.5천명), 고양시(168.8천명)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많은 지역이 대 체로 취업자도 많은 것을 알 수 있다(<표 2-10> 참조). 한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가 장 높은 지역은 가평군(50.4%)이며, 그 다음으로는 여주군(49.0%), 부천시(47.6%), 파주시 와 양평군(각각 47.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남양주시(37.6%)이며, 다음으로는 용인시(38.1%), 과천시(38.6%) 순으로 나타났다. 위 세 시 군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40%에 미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여성의 고용 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가평군(49.1%)이며, 다음은 여주군(48.5%), 부천시(46.4%) 등의 순 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고용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남양주시(36.6%)이며, 다음은 용인 시(37.1%), 과천시(37.5%)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은 지역은 대체로 고용률도 높고,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은 지역은 대체로 고용률도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경기도 31개 시 군 중에서 여성 비경제활동인구가 20만명을 넘는 지역은 4개 시 군으 로 수원시(244.5천명), 성남시(236.4천명), 고양시(229.5천명), 용인시(210.7천명)가 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여성 비경제활동인구가 10만명을 넘는 지역은 6개 시 군으로 부천시 (198.9천명), 안산시(169.5천명), 안양시(160.7천명), 남양주시(133.3천명), 의정부시(110.4 천명), 화성시(104.5천명)가 이에 해당한다. 2) 본 절에 제시된 통계표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목의 합계가 총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절에 서 사용된 자료는 추정치이므로 모든 항목에 있어 표본오차가 존재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2009 지역별고용조사 보고서 의 부록을 참고하기 바란다.

20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표 2-10> 경기도 시 군별 성별 경제활동인구 현황 구분 15세 이상 인구 경제 활동 인구 취업자 여성 비경제 활동 인구 경제 활동 참가율 고용률 15세 이상 인구 경제 활동 인구 취업자 남성 비경제 활동 인구 (단위 : 천명, %) 경제 활동 참가율 고용률 경기도 4,795 2,307 2,250 2,488 48.1 46.9 4,672 3,512 3,383 1,159 75.2 72.4 수원시 453.7 209.3 202.6 244.5 46.1 44.7 439.8 313.6 302.1 126.2 71.3 68.7 성남시 417.6 181.2 177.7 236.4 43.4 42.5 398.7 295.7 286.9 103.0 74.2 71.9 의정부시 187.3 76.8 76.0 110.4 41.0 40.6 175.7 123.9 121.3 51.8 70.5 69.0 안양시 270.2 109.5 105.1 160.7 40.5 38.9 256.2 183.6 178.4 72.6 71.7 69.7 부천시 379.9 181.0 176.5 198.9 47.6 46.4 364.9 261.5 253.1 103.4 71.7 69.4 광명시 135.3 57.6 56.2 77.8 42.5 41.6 128.0 94.3 91.2 33.7 73.7 71.2 평택시 169.4 78.0 76.6 91.4 46.0 45.2 167.9 125.3 120.7 42.5 74.7 71.9 동두천시 39.8 16.6 16.2 23.2 41.6 40.8 38.3 26.4 25.9 11.9 69.0 67.8 안산시 288.3 118.7 115.2 169.5 41.2 40.0 293.9 217.0 209.8 76.9 73.8 71.4 고양시 404.3 174.8 168.8 229.5 43.2 41.8 375.5 264.9 258.6 110.6 70.6 68.9 과천시 31.0 11.9 11.6 19.0 38.6 37.5 28.2 19.2 18.9 9.1 67.9 67.0 구리시 84.2 37.0 36.1 47.2 43.9 42.9 79.9 57.5 56.2 22.4 72.0 70.4 남양주시 213.8 80.5 78.3 133.3 37.6 36.6 206.8 152.2 147.9 54.6 73.6 71.5 오산시 62.5 25.0 24.6 37.5 40.0 39.3 63.8 48.3 47.2 15.5 75.7 74.0 시흥시 153.4 67.3 65.9 86.1 43.9 43.0 165.9 125.4 121.3 40.5 75.6 73.1 군포시 118.7 50.9 48.9 67.9 42.8 41.2 113.4 80.9 77.9 32.5 71.3 68.7 의왕시 58.3 24.5 23.9 33.9 42.0 41.0 57.0 39.6 38.6 17.4 69.5 67.6 하남시 61.6 27.1 26.2 34.5 44.1 42.5 62.1 44.1 42.1 18.0 71.0 67.8 용인시 340.4 129.8 126.2 210.7 38.1 37.1 324.9 229.0 220.6 95.8 70.5 67.9 파주시 130.1 61.7 60.2 68.4 47.4 46.3 129.5 96.3 93.7 33.3 74.3 72.4 이천시 82.5 38.6 38.0 44.0 46.7 46.0 81.2 60.9 58.7 20.3 75.0 72.2 안성시 72.3 32.8 31.8 39.5 45.3 44.0 72.7 54.4 53.0 18.3 74.8 72.9 김포시 91.6 40.6 39.4 51.0 44.3 43.0 90.4 67.1 65.3 23.3 74.3 72.2 화성시 183.5 79.0 77.6 104.5 43.1 42.3 193.0 154.3 151.9 38.8 79.9 78.7 광주시 97.1 41.7 41.2 55.3 43.0 42.4 99.7 74.6 72.3 25.1 74.9 72.6 양주시 73.6 33.3 32.5 40.3 45.3 44.1 73.7 56.0 54.3 17.7 76.0 73.7 포천시 64.5 28.8 28.7 35.7 44.7 44.5 65.5 47.5 47.0 18.0 72.6 71.7 여주군 46.8 22.9 22.7 23.9 49.0 48.5 46.0 35.0 34.8 10.9 76.2 75.6 연천군 19.1 8.7 8.5 10.4 45.5 44.7 17.7 12.3 12.1 5.4 69.4 68.5 가평군 24.7 12.4 12.1 12.3 50.4 49.1 23.8 17.9 17.5 5.9 75.2 73.8 양평군 39.2 18.6 18.1 20.6 47.4 46.1 37.7 27.3 26.8 10.3 72.6 71.1 자료 :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2009.

제2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21 2) 취업자 경기도 31개 시 군 여성취업자 중에서 청년층이라고 할 수 있는 15~29세의 비율이 가 장 높은 지역은 오산시(28.5%)이며, 다음은 수원시(28.3%), 안양시(28.0%), 성남시 (27.5%), 부천시(27.4%)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여성취업자 중에서 중장년층이라 고 할 수 있는 30~49세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과천시(59.5%)이며, 다음은 시흥시 (58.9%), 안산시(56.6%), 구리시(56.5%)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반면, 여성취업자 중에서 50세 이상 비율이 높은 지역은 연천군(51.8%), 양평군(51.4%), 가평군(45.5%)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대체로 시지역의 경우 여성취업자 중에서 청년층 및 중장년층의 비율이 상대적으 로 높은 반면, 군지역의 경우 여성취업자 중에서 50세 이상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2-11> 참조).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보면 <표 2-12>와 같다. 여성 임금근로자 중에서 상용근 로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의왕시(54.3%)이며, 다음은 과천시(53.7%), 광명시와 용 인시(각각 53.5%)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임시근로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은 안산 시(37.4%), 의정부시(34.5%), 양주시(31.3%), 안양시(30.0%)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다음 으로 일용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곳은 가평군(9.8%), 부천시(9.5%), 안산시(8.6%), 구리시 (8.3%)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한편, 여성 비임금근로자 중에서 고용주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용인시(8.5%)이며, 다 음은 군포시(5.6%), 의정부시와 과천시(5.5%)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자영자 비율 이 높은 곳은 가평군(18.4%), 연천군(14.9%), 파주시와 양평군(13.3%), 평택시(13.2%) 순으 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무급가족종사자의 비율이 높은 곳은 연천군(40.4%), 양평군 (39.0%), 여주군(30.3%)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여성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별로 볼 때 대체로 시지역의 경우 임금근로자의 비율이 상대적 으로 높은 반면, 군지역의 경우는 비임금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군지 역의 경우 여성취업자 중에서 무급가족종사자 비율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농촌 지역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종사상 지위별로 볼 때 여성취업자의 경우 남 성취업자에 비해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무급가족종사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22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상용근로자, 고용주, 자영자의 비율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여성취업자가 남성취업자 에 비해 고용안정성이 취약하다는 점을 암시한다. <표 2-11> 경기도 시 군별 성별 연령별 취업자 (단위 : %) 여성 남성 구분 계 15~29세 30~49세 50세이상 계 15~29세 30~49세 50세이상 55세이상 55세이상 경기도 100.0 23.1 51.1 25.7 14.3 100.0 14.2 57.9 27.9 16.1 수원시 100.0 28.3 52.7 19.0 9.4 100.0 16.6 61.4 22.0 11.1 성남시 100.0 27.5 49.4 23.1 13.7 100.0 14.5 56.6 28.8 16.3 의정부시 100.0 25.5 50.1 24.5 11.7 100.0 12.9 58.1 28.9 16.6 안양시 100.0 28.0 49.4 22.6 11.0 100.0 15.1 56.5 28.4 14.2 부천시 100.0 27.4 53.4 19.1 9.4 100.0 15.4 57.7 26.9 13.4 광명시 100.0 25.4 52.5 22.2 10.1 100.0 14.6 58.7 26.8 14.6 평택시 100.0 23.2 49.3 27.3 16.6 100.0 15.1 57.1 27.9 17.3 동두천시 100.0 23.5 49.4 27.2 15.4 100.0 12.7 56.8 30.5 17.8 안산시 100.0 26.3 56.6 17.1 8.2 100.0 15.7 62.5 21.8 11.1 고양시 100.0 22.5 55.5 22.0 11.0 100.0 9.1 64.0 26.9 13.9 과천시 100.0 19.0 59.5 21.6 10.3 100.0 11.1 62.4 27.0 12.2 구리시 100.0 23.3 56.5 20.2 9.1 100.0 11.7 60.0 28.3 14.8 남양주시 100.0 22.3 55.9 21.6 11.9 100.0 12.5 59.5 28.1 15.8 오산시 100.0 28.5 51.6 19.9 11.0 100.0 16.7 64.2 19.1 9.5 시흥시 100.0 22.3 58.9 18.8 9.9 100.0 15.7 64.0 20.4 10.6 군포시 100.0 24.3 56.4 19.0 9.0 100.0 14.9 59.6 25.4 13.1 의왕시 100.0 25.5 54.0 20.5 8.4 100.0 13.0 57.8 29.0 15.5 하남시 100.0 23.7 50.4 26.0 14.1 100.0 14.0 54.2 31.8 18.1 용인시 100.0 22.1 56.3 21.6 12.3 100.0 11.9 66.5 21.6 11.6 파주시 100.0 21.4 48.8 29.6 17.4 100.0 15.5 54.3 30.3 19.0 이천시 100.0 22.6 47.9 29.5 20.3 100.0 15.5 56.2 28.3 16.7 안성시 100.0 17.0 45.9 37.1 23.9 100.0 14.5 53.6 31.7 20.9 김포시 100.0 20.1 52.5 27.4 16.8 100.0 11.3 56.8 31.9 19.4 화성시 100.0 21.4 48.2 30.4 21.6 100.0 13.5 61.2 25.3 15.9 광주시 100.0 22.6 50.5 26.7 14.1 100.0 13.3 57.4 29.3 17.8 양주시 100.0 19.1 51.1 29.5 17.2 100.0 13.3 54.5 32.4 20.1 포천시 100.0 21.3 43.6 35.2 23.0 100.0 13.0 51.5 35.5 21.7 여주군 100.0 17.2 43.6 38.8 26.0 100.0 12.6 49.1 37.9 25.6 연천군 100.0 9.4 40.0 51.8 35.3 100.0 9.1 40.5 51.2 35.5 가평군 100.0 14.0 40.5 45.5 32.2 100.0 10.3 45.1 44.6 30.3 양평군 100.0 10.5 37.6 51.4 37.0 100.0 8.2 43.3 48.1 33.2 자료 :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2009.

제2장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및 여성인적자원개발 정책 현황 23 구분 계 상용 근로 자 <표 2-12> 경기도 시 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임시 근로 자 일용 근로 자 여성 고용 주 자영 자 무급 가족 종사 자 계 상용 근로 자 임시 근로 자 일용 근로 자 남성 고용 주 자영 자 (단위 : %) 경기도 100.0 42.6 25.9 6.7 4.3 9.9 10.6 100.0 55.0 11.8 5.5 10.6 16.4 0.6 수원시 100.0 49.3 27.3 8.1 4.8 6.0 4.5 100.0 64.9 9.8 5.4 7.5 12.4 0.0 성남시 100.0 43.2 29.2 8.0 3.5 9.0 7.1 100.0 56.2 13.5 7.3 9.8 12.9 0.3 의정부시 100.0 35.2 34.5 4.5 5.5 8.9 11.4 100.0 48.4 15.0 3.5 14.3 18.3 0.5 안양시 100.0 48.7 30.0 4.5 3.8 9.3 3.6 100.0 62.4 12.3 5.3 9.4 10.2 0.5 부천시 100.0 52.2 16.5 9.5 4.3 9.2 8.3 100.0 56.7 9.0 7.2 12.4 14.5 0.3 광명시 100.0 53.5 21.3 8.1 3.2 6.6 7.3 100.0 58.1 10.6 6.6 12.8 11.4 0.5 평택시 100.0 38.9 28.3 3.6 3.5 13.2 12.5 100.0 52.8 11.7 4.9 8.3 21.2 1.2 동두천시 100.0 40.0 27.2 5.2 5.3 12.1 10.2 100.0 47.4 17.5 9.6 9.5 15.1 0.9 안산시 100.0 32.7 37.4 8.6 3.5 7.6 10.3 100.0 52.3 15.1 8.3 11.2 12.3 0.8 고양시 100.0 40.1 25.0 5.2 4.1 12.4 13.2 100.0 53.9 10.6 4.3 13.5 17.4 0.4 과천시 100.0 53.7 18.3 2.8 5.5 10.0 9.7 100.0 64.9 8.5 2.2 12.0 12.1 0.4 구리시 100.0 49.7 19.9 8.3 5.0 8.5 8.7 100.0 52.7 10.0 4.6 14.8 16.3 1.5 남양주시 100.0 40.4 27.7 4.8 5.2 9.0 12.9 100.0 50.0 12.6 5.1 12.3 19.4 0.6 오산시 100.0 47.9 25.6 3.5 4.0 8.9 10.2 100.0 60.8 14.3 2.5 8.5 13.8 0.1 시흥시 100.0 44.3 18.6 6.9 4.2 13.0 12.9 100.0 58.4 7.9 5.7 12.4 14.9 0.7 군포시 100.0 50.2 26.3 8.0 5.6 5.6 4.4 100.0 65.6 9.2 5.0 10.2 9.2 0.7 의왕시 100.0 54.3 24.3 3.3 3.5 9.0 5.6 100.0 61.5 9.0 4.9 9.5 14.9 0.2 하남시 100.0 49.3 15.7 7.6 3.6 10.9 13.0 100.0 50.7 7.6 6.9 11.4 22.1 1.3 용인시 100.0 53.5 20.2 2.4 8.5 10.5 4.9 100.0 65.8 6.7 2.2 12.9 12.2 0.3 파주시 100.0 36.4 23.9 7.8 2.7 13.3 15.9 100.0 49.0 12.7 7.1 8.0 21.6 1.7 이천시 100.0 35.6 22.8 7.5 2.9 9.0 22.2 100.0 48.3 12.2 4.3 8.7 24.9 1.6 안성시 100.0 36.8 23.8 5.2 2.5 12.3 19.4 100.0 46.9 13.6 4.8 7.1 26.4 1.1 김포시 100.0 46.6 15.7 4.1 3.6 12.6 17.4 100.0 51.7 6.6 3.1 14.2 23.9 0.5 화성시 100.0 33.7 27.8 4.7 4.1 12.9 16.8 100.0 58.0 10.5 2.6 7.3 21.2 0.4 광주시 100.0 41.5 26.0 7.8 3.7 7.5 13.6 100.0 51.4 10.9 4.7 13.1 19.3 0.5 양주시 100.0 33.3 31.3 3.9 3.2 11.4 16.9 100.0 39.1 18.1 4.3 12.6 25.2 0.7 포천시 100.0 27.9 27.8 6.7 2.9 10.4 24.3 100.0 28.7 23.6 6.1 10.5 29.5 1.7 여주군 100.0 25.1 23.7 6.6 1.8 12.5 30.3 100.0 35.6 11.8 7.3 4.7 36.6 4.0 연천군 100.0 21.3 16.6 3.4 3.5 14.9 40.4 100.0 28.1 8.6 3.4 8.3 47.4 4.2 가평군 100.0 28.1 18.5 9.8 2.2 18.4 23.1 100.0 30.7 9.9 12.0 6.4 40.4 0.5 양평군 100.0 16.2 24.9 2.9 3.7 13.3 39.0 100.0 29.2 13.9 4.9 5.5 43.4 3.1 자료 :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2009. 무급 가족 종사 자

24 제3차 경기도 여성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경기도내 31개 시 군별로 여성취업자의 직업분포를 살펴보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비 율이 높은 지역은 과천시(39.4%), 고양시(31.4%), 군포시(30.6%)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사무종사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의왕시(24.5%), 광명시(23.9%), 과천시와 광주시(각각 23.7%)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서비스 종사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연천군(18.8%), 동두천 시(18.4%), 포천시(18.2%)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판매종사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구리시 (19.8%), 부천시(18.1%), 성남시(17.7%), 남양주시(17.6%)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농림어업 숙련종사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양평군(35.1%), 연천군(33.5%), 여주군(29.2%) 등의 순 으로 나타난다.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는 광명시(5.8%), 하남시(5.5%), 의정부시 (5.3%), 양주시(5.1%)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비율이 높은 지 역은 오산시(12.5%), 시흥시(9.7%), 이천시(9.3%), 군포시(7.5%), 평택시(7.3%) 등의 순으 로 나타난다. 단순노무종사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가평군(22.1%), 포천시(20.4%), 동두천 시(19.8%), 광주시(19.0%)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표 2-13> 참조). 한편, 업종별로 살펴보면 경기도내 31개 시 군 중에서 여성취업자의 도매 및 소매업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지역은 구리시(21.3%)이며, 제조업은 오산시(27.2%), 교육서 비스업은 과천시(22.0%), 숙박 및 음식점업은 가평군(17.8%),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은 동두천시(12.4%)로 나타난다. 농업, 임업 및 어업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양평군 (35.3%)로 나타난다(<표 2-1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