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동 瞳 ( 눈동자동 ) 瞳 ( 퉁 tóng) 瞳 ( 도ː, 히토미どう, ひとみ ) 동 憧 ( 동경할, 어리석을동 ) 憧 ( 충 chōng) 憧 ( 쇼우しょう ) 동 胴 ( 몸통동 ) 胴 ( 뚱 dòng) 胴 ( 도ː どう ) 동 働 ( 굼닐동 ) 働 ( 뚱 dòng)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152*220

jichi12_kr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日本近代學硏究 第 輯. 2 1, 1 2 (Cook, 1991)., (, 1977, 1982, 1999)., (word-formation). ( 宮島達夫, 1986) (2010), 66% 70%... Brown(2007),. Gu & Johnson(1996). 1),.,

(자료)2016학년도 수시모집 전형별 면접질문(의예과포함)(최종 ).hwp

나하나로 5호

<C0A7B7C9B0F82E687770>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12-남가영_조영호.hwp

일본-국문편최종.indd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재입국허가 및 재입국허가로 간주 를 받고 출국하는 분에게 시구정촌에 전출신고를 제출한 후 재입국허가를 받고 출국한 분은 탈퇴일시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POINT 1 - 전출신고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재입국허가기간 내에는 원칙적으로 탈퇴일시금을 청구할 수 없습니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산케이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00_20本文.indd

입장

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DBPIA-NURIMEDIA

슬라이드 1

본문01

害九九人生徒のための地理(韓国語版)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DBPIA-NURIMEDIA

신계내과학(1).indd

* pb61۲õðÀÚÀ̳ʸ

치밀한 시간 계산으로 한 치의 오차 없이 여행일정을 계획하지만, 상황이 항상 뜻대로 돌 아가지는 않는다. 인도에서는 철로가 끊겨 있기도 하고, 미국에서는 인디언의 공격을 받 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항상 침착하고 냉정한 태도를 유지하며, 때로는 일정에 차질이 생 겨도

는 우연히 안나를 알게 되고, 이후 두 사람은 서로 격렬한 사랑에 빠진다. 결국 안나가 브 론스키의 아이를 임신하게 되자, 브론스키는 안나가 카레닌과 이혼하고 자기와 함께 새로 운 생활을 하길 바라지만, 안나는 아들 때문에 망설인다. 한편, 카레닌은 브론스키를 사랑 한

노상추 일기

歯1.PDF

<31342D3034C0E5C7FDBFB52E687770>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6±Ç¸ñÂ÷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untitle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cls46-06(심우영).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일본어걸음마 3 단계 : 악센트 영어는특정음절을강하게발음하는강약악센트인데비해, 일본어는각음절이상대적으로높거나낮아지는고저악센트를갖는다. 악센트가높은데서낮게떨어지는부분을 핵 이라고한다. 2week 6 과 1 핵 이없는것 わた \\ し [wa ta shi] かば \\ ん [

PowerPoint プレゼンテーション

<4D F736F F D D325F924591DE88EA8E9E8BE090BF8B818F AD88D918CEA816A>

S. Y. Ryu et al 15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본 연구의 대상은 東 醫 壽 世 保 元 辛 丑 本 新 定 太 陰 人 病 應 用 要 藥 二 十 四 方 에 기재된 24개의 처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제마 의 저서인 北 韓 保 健 省 간행 東 武 遺 稿, 東 醫

<C5F0B0E82D313132C8A328C0DBBEF7BFEB292E687770>

- 2 -

한국사론43-10.hwp

<31312D3331BACFC1A4C0CFB1E22E687770>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 C7D1C0CF20B1B9C1A620BFF6C5A9BCF320C6EDC1FD20C3D6C1BE2E687770>

IKC43_06.hwp

<DDC1DFA3ECB9D9FE28BACFBBEAC0CCB9AE292DCDEEF6C3D0A428B0F8C4A1B1D4295FBCBCB7CE2E687770>

01김경회-1차수정.hwp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C1DF3320BCF6BEF7B0E8C8B9BCAD2E687770>

<303220C7D1C5C2B9AE2E687770>

2016 한국특수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SPRING 2016 KSSE CONFERENCE 특수교육일반 좌장 : 한경근(단국대학교)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か き く け こ カ キ ク ケ コ ka さ ki し ku す ke せ ko そ ka サ ki シ ku ス ke セ ko ソ sa た shi ち su つ se て so と sa タ shi チ su ツ se テ so ト ta な chi に tsu ぬ te ね to の t


DBPIA-NURIMEDIA

<C3CAC1A DC1DFB1B92E687770>

Transcription:

日本의 新常用漢字의 構成과 韓國의 敎育漢字 白同善 * paekds@kangwon.ac.kr <ABSTRACT> This study involved an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of those Chinese characters that are commonly used in Japan (=Joyo Kanji) and this was contrasted with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that are used for education in Korea (=Kyoyuk Hanja). Many Japanese people feel burdened by having to use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re seems to be general agreement about the necessity for their use. In the revision of Joyo Kanji, it is an unexpected result that the Joyo Kanji, which only contains Ondoku without Kundoku, comprises 38.4% of the whole, whereas only 3.3% of the Joyo Kanji contains only Kundoku without Ondoku. Of the work as a whole, 58.3% comprises both styles of reading methods. A comparison can be made between the various applicable features in the Joyo Kanji and Kyoyuk Hanja. All of the Ten Heavenly Stems and the Twelve Earthly Branches exist in the Korean Kyoyuk Hanja, which also has many classical Chinese particles that do not appear to be necessary. Korean students who learn Japanese tend to not only find Japanese itself easy to learn, but also Kanji, even though the latter can sometimes be hard to read. However, the actual ability of Korean students to understand Chinese characters has not reached the level of expectation; therefore, an understanding of those characters in common use is certainly demanded. In countries that culturally share the use of the same Chinese characters, effective communication would require establishing common characters for use across borders. I believe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et of Chinese characters for common use w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nations. Key words: Chinese characters in common use, Japanese, Korean, Joyo Kanji, Kyoyuk Hanja 12) 1. 머리말 日本語에서는 일상의 문자생활에서 漢字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단어의 중요한 의 미를 갖는 語基는 대부분 한자로 표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의 일본어 표기에서 는 한자뿐만 아니라, 히라가나, 가타카나, 로마자 등, 여러 가지 문자가 혼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한자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에서의 한자 정책은 몇 번의 변화 과정을 거친다. 1946년 11월 16일, 일상 사용하는 한자의 범위를 1850자로 제시한 当用漢字表 를 제정하여 戰後 한자교육의 지침으로 삼는 다. 그 후,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1981년 10월 1일에 常用漢字表 가 공표된다. 1945자로 된 常用漢字表 는 29년간 사용되다가, 2010년 11월 30일에 재편되어 공표되었다. 2010년의 새로운 常用漢字表 에는 지금까지의 상용한자표에서 잘 사용되지 않던 5자를 빼고, 새롭게 196자를 추가하여 총 2136자가 실려 있다1). 1981년의 常用漢字表 가, 1946년 * 江原大學校 日本學科 教授

34 日本學報 第101輯(2014.11) 의 当用漢字表 의 한자를 수정, 보완한 것이기 때문에, 당용한자표에서 35년 후에 95자를 추가한 상용한자표가 되었고, 그로부터 29년 후에 191자를 더하여 2136자가 된 셈이다. 한자 사용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현대인의 입장과는 달리, 한자의 필요성은 점점 더 높 아져가고 있는 것이다. 本稿에서는, 한자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을 살펴보고, 일본의 새로운 상용한자의 구성과 한 국의 교육한자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비교대조하고자 한다. 2. 日本人의 漢字에 대한 認識 일본에서는 현재, 한자 없는 생활은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일본사회에 있어서 한자는 필 요불가결한 문자이다. 통상 한자문화권이라 칭하는 아시아에서 종주국을 제외하면, 일본에 있어서의 한자가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자가 실제로 그것을 사용하는 일본인에게 어떻게 인식되어 있는지 일본 文化 庁(2010)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도록 하자. 6,730명에게 복수응답을 하게 한 조사에서, 日本語の表記に欠くことのできない大切な文字である 라는 의견이 72.4%로 가장 높다. 이는 문 화청에서 똑같은 문항으로 조사한 2005년의 결과 70.9% 및 1999년의 결과 72.8%와 거의 비 슷하다2). 漢字의 重要性을 대부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漢字を見るとすぐに意味 がわかるので便利である 라는 便利性에의 의견이 60.1%(2005년 58.3%, 1999년 61.7%), ワープ ロなどがあっても 漢字学習はしっかりとやるべきである 라는 漢字學習의 必要性을 인정하는 의견 이 52.5%(2005년 56.6%, 1999년 52.0%)이다. 선택지 중에서 긍정적인 의견이 대부분 上位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반대의 의견은 1할을 넘지 않는다. 日本語の表記を難しくしている文字である 가 8.8%(2005년 9.2%, 1999년 12.2%), ワープロなどがあるので これからは漢字を書く必要は少なくな る 라는 의견이 7.9%(2005년 5.7%, 1999년 9.3%), 漢字を覚えるのは大変なので なるべく使わ ない方がよい 라는 의견이 3.3 %(2005년 3.5%, 1999년 3.7%)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일본인이 한자의 중요성을 인정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자신의 한자 사용에 대해서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漢字の使い方については余り自信が ない 라는 의견이 28.7%로 나타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4할이 넘었던 2005년(41.3%)과 1999년(42.4%)의 결과와 비교하면 13% 정도 감소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漢字の使い方にはかなり自信がある 라는 의견은 13.1%로 나타나, 2005년의 8.2%보다 5% 정 1) 이번에 새로 개정된 상용한자표의 정식명칭은 常用漢字表 이다. 본고에서 사용하는 新常用漢字 나 새로운 常用漢字 또는 새로운 常用漢字表 라는 표현은 이전의 상용한자와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적으로 사용하는 용 어이다. 2) 본고는 한자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상용한자의 구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필자가 앞서 공표한 직전 상용한자 에 대한 논술인 白同善(2002)의 내용과 비교 대조된다.

白同善 / 日本의 新常用漢字의 構成과 韓國의 敎育漢字 35 도 증가하고 있다. 1999년의 조사에서는 11.9%가 자신감을 피력했다. 조금은 한자에 자신감 을 갖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겠지만, 전체적인 수치로 보면 한자라는 것이 일본인에 게 있어서 역시 많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는 결과이다. 常用漢字表 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가, 즉 그 존재 자체에 대한 조사결과도 흥 미롭다. 6,730명에게 질문한 2010년의 조사에서 57.4%가 知っていた 로 답하고 있는 반면, 40.6%는 知らなかった 라고 답하고 있다. 4할이 넘는 일본인이 상용한자표가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한편, 2005년 당시에 사용되고 있던 常用漢字表 의 한자의 數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도록 하자. 2,179명에게 단수 응답하게 한 조사에서 特に不都合はないので今のままで良い 라는 의 견이 75.7%로 4분의 3을 점하고 있다(남성 74.0%, 여성 77.0%). 漢字の数をもっと減らした方が 良い 라는 의견은 9.1%(남성 9.6%, 여성 8.8%), 漢字の数をもっと増やした方が良い 라는 의견 은 8.6%(남성 10.8%, 여성 6.8%)로 어느 것이나 1할을 넘지 않는데, 평균적으로 굳이 비교하 자면 늘리자는 의견보다는 줄이자는 의견이 약간 상회하고 있다. 이와 같이 常用漢字表 의 숫자에 대한 반대의견이 특별히 없는데도 이로부터 5년 후인 2010년 새로운 常用漢字表 를 발표하게 된다. 일반인의 인식보다는 필요성을 중시한 결과 라고 볼 수 있다. 3. 添削된 常用漢字의 構成 새로운 상용한자에는 이전 상용한자에서 5자가 빠지고 196자가 추가되었다. 삭제된 5개의 한자는 勺(シャク) 錘(スイ つむ) 銑(セン) 脹(チョウ) 匁(もんめ) 이다. 괄호 안의 읽기는 당해 상용한자표에 제시된 것을 그대로 인용하도록 한다. 가타카나는 음독을 나타내고 히라 가나는 훈독을 나타낸다. 한편, 새롭게 추가된 196자는 다음과 같다. 새롭게 추가된 한자이기 때문에 어려운 한자가 대부분이다. 1 새롭게 추가된 상용한자 196자 挨 曖 宛 嵐 畏 萎 椅 彙 茨 咽 淫 唄 鬱 怨 媛 艶 旺 岡 臆 俺 苛 牙 瓦 楷 潰 諧 崖 蓋 骸 柿 顎 葛 釜 鎌 韓 玩 伎 亀 毀 畿 臼 嗅 巾 僅 錦 惧 串 窟 熊 詣 憬 稽 隙 桁 拳 鍵 舷 股 虎 錮 勾 梗 喉 乞 傲 駒 頃 痕 沙 挫 采 塞 埼 柵 刹 拶 斬 恣 摯 餌 鹿 叱 嫉 腫 呪 袖 羞 蹴 憧 拭 尻 芯 腎 須 裾 凄 醒 脊 戚 煎 羨 腺 詮 箋 膳 狙 遡 曾 爽 痩 踪 捉 遜 汰 唾 堆 戴 誰 旦 綻 緻 酎 貼 嘲 捗 椎 爪 鶴 諦 溺 填 妬 賭 藤 瞳 栃 頓 貪 丼 那 奈 梨 謎 鍋 匂 虹 捻 罵 剝 箸 氾 汎 阪 斑 眉 膝 肘 阜 訃 蔽 餅 璧 蔑 哺 蜂 貌 頬 睦 勃 昧 枕 蜜 冥 麺 冶 弥 闇 喩 湧 妖 瘍 沃 拉 辣 藍 璃 慄 侶 瞭 瑠 呂 賂 弄 籠 麓 脇

36 日本學報 第101輯(2014.11) 새로 추가된 196자의 구성을 보면 음만 있고 훈이 없는 한자가 95자로 가장 많다. 挨(ア イ) 椅(イ) 鬱(ウツ) 媛(エン) 臆(オク) 와 같이 1音読으로 되어 있는 것이 90字로 대부분이 며, 나머지 5字 怨(エン オン) 刹(サツ セツ) 曾(ソウ ゾ) 旦(タン ダン) 冥(メイ ミョウ) 는 音読이 두 가지이다. 한편, 음은 없고 훈만으로 되어 있는 것도 35字로 비교적 많은 편이다. 駒(こま) 鹿(し か か) 尻(しり) 裾(すそ) 誰(だれ) 등이 이에 속한다. 歌(カ うた うたう) 는 원래 있었으 나 이번에 唄(うた) 가 훈독만으로 새롭게 추가되었다. 음독과 훈독을 각각 갖고 있는 것은 66자이다. 이 중, 1音1訓3)으로 되어 있는 것은 56字로, 淫(イン みだら) 艶(エン つや) 瓦(ガ かわら) 亀(キ かめ) 股(コ また) 와 같은 예가 있 다. 그 밖의 10字는 音과 訓이 있고, 동시에 세 개 이상의 읽기가 있는 것으로 아래와 같다. さえ) 腫(シュはれるはらす) 拭(ショクふくぬぐう) 羨(センうらやむうらやまし い) 剥(ハクはがすはぐはがれるはげる) 眉(ヒミまゆ) 籠(ロウかごこもる) 牙(ガ ゲ きば) 潰(カイ つぶす つぶれる) 塞(サイ ソク ふさぐ ふさがる) 餌(ジ え 추가된 상용한자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지명에서 밖에 사용되지 않 는 한자가 많이 포함되었다는 것이다. 茨(茨城県) 岡(岡山県 静岡県 福岡県) 埼(埼玉 県) 栃(栃木県) 阪(大阪府) 阜(岐阜県) 가 그렇다. 奈 는 神奈川県 奈良県 에서 사용되 는 한자이며 鎌倉 에서 사용되는 鎌 도 새롭게 추가되었다. 畿 도 近畿地方 에서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4). 두 글자로 된 특정한 단어에서 쓰이는 한자가 각각 새로운 상용한자로 동시에 삽입된 것 도 대단히 특이한 현상이다. 예를 들면, 挨拶 의 挨 와 拶 는 양쪽 모두 새로운 상용한자 에 들어가 있다. 憧憬 의 憧 와 憬 도 양쪽이 다 실려 있는데, 憧 의 읽기는 ショウ あ こがれる 로 되어 있고, 예로 憧憬 가 실려 있기 때문에 이것은 しょうけい 로 읽는 것이 원 칙이라는 것이 된다. 단, 비고란에 憧憬 は ドウケイ とも 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 으로 자주 사용되는 ドウケイ 는 일종의 관용음으로 취급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같은 숙어에서 사용되는 두 글자가 동시에 실려 있는 다른 예로 曖昧 의 曖 와 昧, 嫉妬 의 嫉 와 妬, 蜂蜜 의 蜂 와 蜜, 瑠璃 의 瑠 와 璃, 刹那 의 刹 와 那, 旦那 의 旦 과 那 등이 있다. 那 는 刹那 와 旦那 양쪽의 예로 실려 있다. 한편, 자종에는 변화가 없으나 등록된 읽기에 변화가 있는 것도 있다. 畝(うね) 의 경우, ヒつかれるつからす 중에서 つからす 가 각각 제외되어 있다. 側(ソクがわ) 의 경우, ソクかわ 의 かわ 에서 がわ 로 읽기가 변경되고 비고란에 かわ 로도 읽을 수 있게 허용 せ うね 중에서 せ 가 제외되었고, 浦(うら) 는 ホ うら 중에서 ホ 가, 疲(ヒ つかれる 는 3) 여기에서 말하는 音 과 訓 은 音節이나 拍数가 아니라, 音読 과 訓読 의 뜻이다. 4) 韓国 의 韓 도 이번에 추가되었다.

白同善 / 日本의 新常用漢字의 構成과 韓國의 敎育漢字 37 되어 있다. 4. 新常用漢字 전체의 구성과 敎育漢字 이제, 새롭게 추가된 한자를 포함하여 상용한자표 전체에 나타난 구성을 살펴보도록 하자. 일본어의 상용한자는 단순히 196자가 추가되었다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본어는 그 읽기가 매우 복잡다양하여 한국어의 그것과 많은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一字一音이 기본 인 한국어의 한자음과는 달리 일본어는 一字多音이 일반적인 특징을 이루고 있다. 그뿐만 아 니라, 한 단어 안에서도 음과 훈이 섞여 쓰이는 경우도 있고, 관용음, 일본국자(日本国字)5), 차자(当て字), 숙자훈 등이 있어 한자의 읽기가 매우 복잡하다. 이와 같이 일본어의 한자음은 복잡다양한데, 常用漢字表 는 음이나 훈을 적절히 제한하 고,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한자사용의 지침으로 삼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용한자표의 머리말에 この表は 法令 公用文書 新聞 雑誌 放送など 一般の社会生活において 現代 の国語を書き表す場合の漢字使用の目安を示すものである 라고 되어 있다. 따라서, 상용한자표에 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과 훈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음1훈이 이상적이겠 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음만 있고 훈이 없는 한자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일본 한자어의 음독은 모두가 1음절 혹 은 2음절로 읽힌다6). 먼저, 음독이 하나만 있는 것, 즉 1音0訓 중에서 1음절로 읽히는 음독을 하나만 갖고 있는 한자는 168개로 전체 상용한자의 7.9%이다. 이런 종류의 한자 읽기가 1자1음을 기본으로 하 는 한국어의 한자 읽기와 가장 흡사한 읽기이다. 얼마간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2 1음절의 음독이 하나만 있는 한자의 例 亜(ア) 以(イ) 医(イ) 威(イ) 為(イ) 胃(イ) 尉(イ) 椅(イ) 彙(イ) 意(イ) 維(イ) 緯(イ) 宇(ウ) 可(カ) 佳(カ) 苛(カ) 科(カ) 菓(カ) 貨(カ) 禍(カ) 寡(カ) 箇(カ) 課(カ) 賀(ガ) 雅(ガ) 餓(ガ) 伎(キ) 岐(キ) 希(キ) 汽(キ) 奇(キ) 季(キ) 紀(キ) 軌(キ) 規(キ) 揮(キ) 棋(キ) 棄(キ) 毀(キ) 畿(キ) 騎(キ) 宜(ギ) 義(ギ) 儀(ギ) 擬(ギ) 5) 일본국자(日本国字)란 원래 있던 별개의 한자를 會意 등의 한자구성법을 응용하여 일본에서 조합된 한자를 말 한다. 이것은 기존 한자에 없는 개념이나 사물을 한자로 표기할 때, 필요에 의해 일본에서 만들어 통용시킨 것 이다. 따라서 일본국자는 원칙적으로 훈독만이 있고 음독이 없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働(ドウ はたらく) 와 같이 음과 훈이 각각 있는 경우도 있고, 腺(セン) 과 같이 훈은 없고 음만 있는 등의 예외도 있다. 6) 한국어의 한자는 모두가 1音節로 읽히기 때문에 일본어에 2音節의 음독이 있다는 것도 한국어와 대조되는 항 목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音節 이란 한 박자분의 음성적 길이를 갖는 문자를 가리킨다. 일본어의 拍(はく) 와 같은 개념이다. 단, 拍 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한국어와 비교대조할 때에 한국어의 구조상 문자수를 기준으로 한 音節数 가 拍数 보다 有効하기 때문이다.

38 日本學報 第101輯(2014.11) 1音0訓 중에서 2음절로 읽히는 음독을 하나만 갖고 있는 한자는 573개로 전체의 26.8%이 다. 음독만 있는 한자 중에서는 가장 큰 비율을 점하고 있다. 얼마간의 예를 サ行 중에서 발췌하여 싣는다. 3 2음절의 음독이 하나만 있는 한자의 例 才(サイ) 采(サイ) 宰(サイ) 栽(サイ) 斎(サイ) 式(シキ) 軸(ジク) 嫉(シツ) 尺(シャク) 酬(シュウ) 帥(スイ) 睡(スイ) 枢(スウ) 随(ズイ) 寸(スン) 制(セイ) 征(セイ) 斉(セイ) 籍(セキ) 摂(セツ) 壮(ソウ) 僧(ソウ) 像(ゾウ) 俗(ゾク) 遜(ソン) 여기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이 있다. 일반적으로 부수 しんにょう しんにゅう 는 3획으로 계 산하는데, 遜(ソン) 은 새롭게 추가되면서 4획으로 계산되어 있고, 비고란에 허용자체로서 3 遜 획인 이 실려 있다. 지금까지의 상용한자에서 しんにょう しんにゅう 는 모두 3획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고 오히려 문제를 복잡하게 하고 있다. 신상용한자표에 를 포함한 遡(ソさかのぼる) 와 謎(なぞ) 도 遡 와 謎 가 원칙이고, 遡 와 謎 가 許 容 되어 있다. 나머지 두 개는 부수가 しょくへん 인 餌(ジえさえ) 와 餅(ヘイもち) 로 이들도 획수가 하나씩 늘어나서 과거로 돌아가 있다. 餌 와 餅 를 허용자체로 인정을 하 는 이러한 許容字体 가 5개 있는데 모두가 새롭게 추가된 한자이다. しんにょう しんにゅう 고는 있지만, 지극히 번잡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7). 다음은 훈독 없이 음독만 두 개가 있는 것, 즉 2音0訓이다. 4 의 a)는 1음절의 음독만 두 가지가 있는 것으로 14개가 전부이며, b)는 1음절과 2음절의 음독만 각각 한 개씩 있는 경우로 총 12개가 있다. 庫(コク) 児(ジニ) 如(ジョニョ) 素(ソス) 地(チジ) 茶(チャサ) 不(フブ) 武(ブム) 模(モボ) b) 遺(イユイ) 画(ガカク) 絵(カイエ) 漁(ギョリョウ) 工(コウク) 功(コウク) 衆(シュウシュ) 仁(ジンニ) 曾(ソウゾ) 想(ソウソ) 泌(ヒツヒ) 唯(ユイイ) 4 a) 依(イ エ) 気(キ ケ) 期(キ ゴ) 拠(キョ コ) 虚(キョ コ) 8) 7) 廷 建 延 등에서 사용되는 부수 えんにょう いんにょう 를 일반적인 しんにょう しんにゅう 와 마찬가지로 3 획으로 계산하는 것도 특이하다. 즉, 한국에서는 3획인 민책받침 廴 과 4획인 책받침 辶 이 일본에서는 기 본적으로 획수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8) 絵(エ) 와 같이 음독이냐 훈독이냐의 논란이 있을 수 있는 것도 있다. 여기에서는 상용한자표에 따라, 가타카 나로 표기된 것은 음독, 히라가나로 표기된 것은 훈독으로 간주한다. 또한, 각 한자에 대한 읽기의 나열 순서 는 常用漢字表 에 있는 그대로이다. 絵 의 경우, カイ 가 일반적인 읽기이고 エ 가 특별한 읽기라는 의미이 다.

白同善 / 日本의 新常用漢字의 構成과 韓國의 敎育漢字 39 2音0訓 중에서 2음절로 읽히는 음독만 두 개씩 갖고 있는 한자는 51개로 전체 상용한자의 2.4%이다. 5 는 이에 속하는 タ行과 ハ行의 全数이다. 5 2音0訓 중에서 2음절의 음독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한자의 例 対(タイ ツイ) 台(ダイ タイ) 旦(タン ダン) 団(ダン ドン) 壇(ダン タン) 丁(チョ ウ テイ) 拍(ハク ヒョウ) 博(ハク パク) 鉢(ハチ ハツ) 発(ハツ ホツ) 罰(バツ バ チ) 判(ハン バン) 封(フウ ホウ) 兵(ヘイ ヒョウ) 坊(ボウ ボッ) 凡(ボン ハン) 3音0訓, 즉 음독만 세 종류가 있는 것은 두 개가 있다. 그 중, 質(シツ シチ チ) 는 1음 절 1개와 2음절 2개의 음독으로 구성되어 있고, 法(ホウ ハッ ホッ 은 2음절의 음독 셋으로 구성되어 있다. 4音 이상의 음독만으로 된 상용한자는 없다. 이상의 훈독이 없고 음독으로만 읽히는 모든 한자를 합하면 820개, 38.4%로 전체 상용한 자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음만 있는 한자를 제외한 61.6%가 음과 훈을 갖고 있거나 훈만 있는 한자이다. 음과 훈을 동시에 갖고 있는 58.3% 중에서는 음 하나에 훈 하나인 1音1訓이 679개, 전체의 31.8% 로 음독과 훈독이 있는 것 중에서 가장 많다. 훈만 있고 음이 없는 한자도 있다. 그러나 이는 그렇게 많지는 않다. 다음에 든 71자(전체 의 3.3%)가 훈만 있고 음이 없는 한자의 전부이다. 그러나, 직전 상용한자보다 두 배로 늘어 난 것은 주목할 만한 사항이다. 새로 추가된 한자 중에는 난해한 것이 많고 고유어식으로 사용되는 한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래에 제시한 한자 중에서 6a 는 기존에 있었던 상용한자표에서 약간 조정된 것이고9), 6b 는 신상용한자에 새로 추가된 한자이다. 대부분이 한 가지의 훈독만을 가지고 있는데, 의 다섯 글자만이 두 가지의 훈독만을 가지고 있다. 畝(うね) 는 직전에는 せうね 의 두 가지 훈독만이 있었으나, 이번에는 한 가지의 훈독만으로 변경되었고, 浦(うら) 는 ホうら 込(こむ こめる) 漬(つける つかる) 爪(つめ つま) 丼(どんぶり どん) 畑(はた はたけ) 가 있었으나, 사용하지 않는 음독 ホ 가 사라졌다. 세 가지 이상의 훈독만을 가진 글자는 없다. 6 訓만 있고 音이 없는 常用漢字 a) 扱(あつかう) 芋(いも) 畝(うね) 浦(うら) 虞(おそれ) 貝(かい) 垣(かき) 潟(かた) 且 (かつ) 株(かぶ) 刈(かる) 繰(くる) 込(こむ こめる) 崎(さき) 咲(さく) 皿(さら) 芝 (しば) 杉(すぎ) 瀬(せ) 滝(たき) 但(ただし) 棚(たな) 塚(つか) 漬(つける つか る) 坪(つぼ) 峠(とうげ) 箱(はこ) 畑(はた はたけ) 肌(はだ) 姫(ひめ) 堀(ほり) 又 9) 원래 훈만 있었던 匁(もんめ) 는 신상용한자에서 사라졌다.

40 日本學報 第101輯(2014.11) 椊 (また) 岬(みさき) 娘(むすめ) (わく) b) 宛(あてる) 嵐(あらし) 茨(いばら) 唄(うた) 岡(おか) 俺(おれ) 柿(かき) 釜(かま) 鎌(かま) 串(くし) 熊(くま) 桁(けた) 駒(こま) 頃(ころ) 埼(さい) 尻(しり) 裾(すそ) 誰(だれ) 爪(つめ つま) 鶴(つる) 栃(とち) 丼(どんぶり どん) 梨(なし) 謎(なぞ) 鍋(なべ) 匂(におう) 虹(にじ) 箸(はし) 膝(ひざ) 肘(ひじ) 頬(ほお) 枕(まくら) 弥 (や) 闇(やみ) 脇(わき) 상용한자표는 복잡한 한자의 읽기를 간략하게 조정한 결과물이지만, 음과 훈이 5, 6개가 넘는 경우도 많다. 심지어 上 (10개), 明 (11개), 下 (12개), 生 (12개)과 같은 4자는 10개 가 넘는 읽기를 보유하고 있는데, 신상용한자에서도 변화가 없다. 또한 상용한자표가 반드시 의무조항은 아니기 때문에 실제 문자생활에서는 기본적인 읽기 에서 벗어난 읽기도 많이 발견된다. 특히, 신문이나 출판사, 소설가 등은 독자적인 표기와 읽기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난해한 경우가 많다. 그렇기는 하지만, 상용한자표가 한자교육의 기본적인 지침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사실 이다. 예를 들면, 2008년 3월에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小学校学習指導要領 이 개정되었는데 이것의 別表인 学年別漢字配当表 에서 教育漢字 1006자를 배정하고 있다. 教育漢字는 모두 常用漢字表에서 선정된 것이다. 초등학교 학년별 분포를 보면 1学年 80字 2学年 160 字 3学年 200字 4学年 200字 5学年 185字 6学年 181字 와 같다. 일본에서는 초등학 교 교육에서 1006자의 한자를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 常用漢字表에는 本表 2136字 외에, 付表라는 것이 첨부되어 있다. 부표는 숙자훈(熟字訓)10) 과 같이 한자 단어 전체를 한 묶음으로 읽는 것이 주를 이룬다. 이것은 한자 두 글자 이상 으로 형성된 단어를 제시한 것이고, 따라서 한자 한 글자로 된 단어는 해당 사항이 없다. 총 116단어가 실려 있다. 부표에 실린 예를 다음에 얼마간 제시하도록 한다. 부표는 본표와 달리 읽기가 먼저 나와 있고 괄호 안에 한자가 들어 있지만, 여기에서는 한자를 먼저 제시한다. 부표에 있는 단어가 실제로 쓰일 때에는 주로 한자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7 常用漢字 付表의 例 蚊帳(かや) 為替(かわせ) 早乙女(さおとめ) 五月雨(さみだれ) 時雨(しぐれ) 師走(しわ す) 数寄屋 数奇屋(すきや) 草履(ぞうり) 山車(だし) 足袋(たび) 梅雨(つゆ) 凸凹(で こぼこ) 十重二十重(とえはたえ) 仲人(なこうど) 野良(のら) 二十 二十歳(はたち) 吹雪 (ふぶき) 猛者(もさ) 紅葉(もみじ) 木綿(もめん) 八百長(やおちょう) 浴衣(ゆかた) 寄席 (よせ) 若人(わこうど) 10) 숙자훈(熟字訓)이란 일본어 고유의 단어에 두 개 이상의 한자를 대입하여 그 전체로서 하나의 훈으로 읽는 것으 로 漢字 한 글자씩 떼어서 읽을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즉, 개개의 한자에 읽기가 각각 대응하지 않는 것이다.

白同善 / 日本의 新常用漢字의 構成과 韓國의 敎育漢字 41 상용한자표가 개정되면서 부표에도 약간의 변화가 있다. 기존의 부표에 있던 용어 중에서 一言居士 五月晴れ お母さん お父さん 이 각각 居士 五月 母さん 父さん 으로 변경되 어 있고, あま 에 해당하는 한자는 海女 하나에서 海女 海士 두 개로 변경되었다. 이 상의 5자에 변경이 행해져 있는데, 이 중, 母さん 父さん 은 변경의 의미가 거의 없다고 생각된다. 접두사로서의 お 는 붙이기도 하고 안하기도 하는 등 자유롭기 때문이다. 兄さ ん 姉さん 과 맞추려고 했을 가능성은 있다. 한편, 이번에 새로 付表에 추가된 단어는 鍛 冶(かじ) 固唾(かたず) 尻尾(しっぽ) 老舗(しにせ) 真面目(まじめ) 弥生(やよい) 의 6단어이 다. 상용한자표에서 예외를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는 人名用漢字 이다. 인명용한자란 일본에 있어서 호적에 자식의 이름으로 기재할 수 있는 한자 중에서 상용한자에 포함되지 않은 것 을 말한다. 인명용한자는 일본의 法務省에 의해 戸籍法施行規則別表第二 漢字の表 로 지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人名用漢字 는 상용한자 외에 인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表外字 로 인정 된 한자를 말한다. 2010년 11월 30일, 상용한자의 개정에 따라 상용한자표에 추가된 196자를 빼고 상용한자표에서 삭제된 5자를 추가하여 861자로 구성되어 있다. 인명용한자는 字數는 제한하였지만 읽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일본어 難讀漢字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게다가 일본인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성씨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명용한 자의 예를 얼마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8 人名用漢字의 例 叶 嬉 惚 惣 杵 栞 栗 椿 楓 楊 橘 檎 櫛 毬 淋 溢 烏 燕 狼 珈 珀 琢 琵 瓜 甥 硯 碩 禾 秤 稀 稔 竿 笠 篠 粟 糊 絆 綺 綴 縞 繋 纏 翔 翠 耽 肴 芥 芹 芦 苔 참고로 한국에서도 명명에 사용할 수 있는 한자를 일본과 마찬가지로 인명용 한자(人名 用漢字) 로 제한하고 있다. 1990년에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와 이름에 빈번히 사용되는 한 자 931자를 합한 2731자로 제정하여 1991년부터 시행된 이후 현재까지 8차례의 개정 과정을 거쳐 현재는 총 5761자이다. 상용한자는 일본보다 336자가 적지만, 인명용으로 쓸 수 있는 한자는 한국이 일본보다 2배가 되는 셈이다. 5. 한국의 교육한자와의 비교 日本의 新常用漢字와 韓國의 新敎育漢字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일본의 상용한자는 2136 자이고 한국에는 1800자로 된 교육한자가 있다. 한국 교육한자의 정식 명칭은 한문교육용

42 日本學報 第101輯(2014.11) 기초한자 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통상 사용하는 교육한자 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일본에도 초등학교용 교육한자 1006자가 있기 때문에 혼란스럽기는 하지만, 한국의 기초한 자는 중고등학교 교육용으로 제정되어 있고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한자를 종합해 두었 다는 의미에서 일본어의 상용한자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한국의 교육한자는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로 1972년에 1800자를 제정하였다. 그 후, 언어환 경의 변화와 동북아 한자문화권의 형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일상생활에 많이 쓰이는 한 자로 대체한다는 취지에서 2000년 12월 30일에 개정하여 공표하였다. 28년 만에 일부를 조 정한 셈인데, 1800자라는 자수의 변화는 없다. 중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중학교 900자, 고등학교 900자)라는 배분에도 변함이 없다.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한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각국에서 독자적으로 실려 있는 한자도 상당수 존재한다. 공통한자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공통한자라고 하더라도 字體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원 래의 한자가 같다면 공통한자로 간주하기로 한다. 韓國은 正字와 略字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日本은 新字體와 舊字體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정자는 일본의 구자체와 대응하고, 한국의 약자는 일본의 신자체와 대응하게 된다11). 9 처럼 양언어에서 동일한 자 체뿐만 아니라, 10 처럼 字體가 다르더라도 공통한자로 보는 것이다. 먼저 자체가 동일하 다고 간주할 수 있는 것부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9 자체가 동일한 공통한자의 例 家 各 干 渇 甘 甲 江 改 客 更 去 建 犬 決 京 季 古 谷 困 骨 工 果 官 光 交 九 君 弓 均 極 根 今 及 基 吉 南 女 年 한편, 다음과 같은 한자는 공통한자이긴 하지만 일본과 한국에서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습득이 용이하지 않다. 간략화된 통일한자가 필요하게 되는 대목이다. 10 자체가 相異한 공통한자의 例 發 仮 假 覚 覺 挙 擧 軽 輕 鶏 鷄 観 觀 広 廣 發 宝 寶 變 圖 鉄 鐵 国 國 検 檢 欠 缺 県 縣 亀 龜 變 帰 歸 圖 그러면, 한국의 교육한자에만 있는 한자를 살펴보도록 하자. 직전의 일본 상용한자 1945자 와 1972년의 한국 교육한자를 비교했을 때는 한국의 교육한자에만 있는 한자가 195자였는 데, 신상용한자와 신교육한자를 비교하니 한국의 교육한자에만 있는 한자가 159자로 36자 줄었다. 일본의 신상용한자가 196자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11) 正字 를 공식적으로 정한 漢字 라고 보면 일본에 있어서는 신자체가 정자이다. 요컨대, 정자라는 개념이 양언 어에서 다르다.

白同善 / 日本의 新常用漢字의 構成과 韓國의 敎育漢字 43 11 韓國의 敎育漢字에만 있는 한자 姦 牽 庚 卿 竟 癸 桂 繋 姑 哭 坤 愧 倶 懼 狗 苟 厥 禽 其 豈 乃 檀 畓 敦 蘭 掠 梁 諒 憐 聯 蓮 嶺 祿 屢 栗 李 莫 罔 茫 孟 蒙 卯 廟 戊 勿 憫 逢 朋 叛 碧 屛 卜 鳳 婢 聘 巳 斯 祀 朔 裳 嘗 恕 疏 蔬 蘇 粟 頌 誦 雖 戌 孰 晨 雁 殃 也 耶 楊 於 焉 輿 汝 余 予 亦 燕 嗚 烏 吾 臥 曰 遙 慾 于 尤 云 謂 酉 惟 愈 閏 邑 矣 已 而 夷 寅 壬 玆 墻 哉 蝶 坐 洲 之 只 智 辰 姪 此 讚 慙 蒼 昌 暢 賤 尖 妾 燭 聰 丑 托 歎 怠 殆 播 頗 篇 蔽 畢 旱 咸 巷 亥 奚 絃 亨 兮 慧 乎 胡 浩 毫 或 昏 忽 弘 鴻 禾 稀 여기에서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余(여) 와 予(여) 는 같은 형태의 한자가 일본 어에도 있다. 그러나 일본어에 있는 余(よ) 는 餘 의 신자체이고, 予(よ) 는 豫 의 신자체 이다. 한국의 교육한자에는 余(여) 와 餘(여), 予(여) 와 豫(예) 가 각각 다른 글자로 실 려 있다. 따라서 余(여) 와 予(여) 는 한일양언어에서 각각 다른 글자이다. 또한 慾 의 신 자체가 欲 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한국한자에는 慾 과 欲 의 2종이 있고 일본한자에 는 欲 만이 있기 때문에 慾 을 한국한자에만 있는 것으로 분류했다. 한국의 교육한자에만 있는 한자에서 몇 가지의 特徵을 찾아볼 수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이 10干12支이다. 10干 중에서 일본어에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甲 乙 丙 丁, 己 辛 의 여섯 자만 실려 있는데 비하여 한국의 교육한자에는 나머지 戊 庚 壬 癸 를 포함하여 10干 그 자체의 의미로 전부 실려 있다. 12支의 경우도 그렇다. 12支 중에서 일본어의 상용한자에는 子 午 未 申 의 네 자뿐 이다. 그것도 12지로 사용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기 때문에 선정된 것이다. 물론 한국어에서도 이들이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유독 한 국어에는 이들 네 자를 포함하여 丑, 寅, 卯 辰, 巳, 酉, 戌, 亥 까지 12지가 모두 실려 있 는 것이다. 특히 한국어에만 있는 이들 여덟 자는 12지의 의미를 내포하는 경우로만 사용된 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교육한자에는 어조사가 많다는 것도 특징으로 볼 수 있다. 耶, 於, 于, 矣, 哉, 兮, 乎 와 같은 어조사가 한국의 교육한자에만 존재한다. 1972년에 제정한 기초한자에도 어조사 가 똑같이 실려 있는데, 2000년에 개정하면서도 그대로 실려 있다. 다른 한자에 비해서 그만 큼의 가치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특히 개정되면서 제외된 憩, 濃, 矛, 膚, 酸, 弦, 喉 등의 한자와 비교하면 더욱 그렇다. 已 는 들어 있는데 森 이 빠진 것도 이상하다. 已 는 이왕, 이왕에, 이왕이면 등에 사 용되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얼마나 될까. 森 은 환경문제와 더불어 훨씬 유용 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상용한자에만 있는 한자를 살펴보도록 하자. 일본의 상용한자가 한국의 교육한자 보다 336자 더 많은 만큼, 일본의 상용한자에만 있는 한자가 훨씬 많다. 한국의 교육한자에

44 日本學報 第101輯(2014.11) 만 있는 한자가 159자이니 산술적으로 495자라는 셈이 된다. 12 日本의 常用漢字에만 있는 한자의 例 苛 嫁 稼 殻 墾 喝 葛 褐 紺 勘 堪 憾 岬 岡 箇 坑 据 裾 巾 鍵 掲 憩 繭 鎌 更 茎 梗 憧 鯨 届 稽 尻 股 拷 雇 錮 昆 控 菓 鍋 缶 串 棺 款 括 拐 絞 勾 臼 欧 殴 惧 溝 駒 購 堀 掘 窟 圏 机 潰 隙 筋 襟 扱 肌 伎 岐 汽 埼 崎 棋 碁 喫 匂 濃 尿 尼 匿 鍛 胆 曇 袋 戴 悼 賭 頓 胴 棟 働 憧 瞳 痘 謄 藤 裸 酪 辣 嵐 藍 拉 朗 戾 呂 侶 鈴 齢 虜 麓 滝 籠 賂 瀬 寮 瞭 療 塁 硫 瑠 慄 厘 痢 璃 粒 摩 魔 膜 灣蠻抹網枚昧魅罵麵蔑皿矛耗帽畝猫描蚊紋彌謎剝舶 撲 縛 畔 斑 頒 搬 勃 鉢 坊 肪 紡 俳 陪 賠 藩 閥 氾 帆 汎 璧 癖 併 柄 瓶 塀 餠僕俸棒縫阜訃釜剖膚敷盆雰噴棚沸泌扉浜伺砂卸唆赦飼 嗣 傘 酸 杉 森 挿 渋 爽 箱 璽 牲 婿 潟 扇 羨 腺 膳 繕 纖 醒 沼 咲 宵 巢 紹 疎 塑 遡 遜 率 碎 狩 詣 凹 餌 込 凸 畑 町 詔 朕 汁 捗 勅 坂 阪 陛 后 峠 椊 일본의 상용한자에만 있는 한자에서도 특징적인 면을 살펴볼 수 있다. 일본의 상용한자에 들어있는 일본국자는 당연히 일본한자에만 존재한다. 상용한자표에 실려 있는 음훈을 그대 로 인용하자면 込(こむ こめる) 働(ドウ はたらく) 峠(とうげ) 畑(はた はたけ) 枠(わく) 와 같은 예를 볼 수 있다. 天皇制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천황과 관련된 한자가 일본의 상용한자에만 존재하는 것 도 특징으로 볼 수 있다. 后(コウ) 璽(ジ) 詔(ショウ みことのり) 勅(チョク) 朕(チン) 陛(ヘ イ) 등이 그와 같은 예이다. 이들은 기존 상용한자부터 존재했던 것이다. 神社와 관련하여 詣(ケイ もうでる) 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추가된 상용한자에서 거론하였지만, 주로 지명에 사용되는 한자가 많이 포함되었다는 것 縣 도 특징이다. 그런데 한국한자에는 縣(= ) 은 있는데 아파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棟 은 없 다고 하는 것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주거형태 중에서 아파트형이 일본보다 훨씬 많 은 棟 이 한국에는 없고 일본에는 있는 것이다. 6. 맺음말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새로 개정된 상용한자의 구성에 대해 논했다. 일본인은 한자에 대한 부담감을 강하게 느끼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필요로 하는 문자라는 데에는 거의 이견이 없 다. 새롭게 추가된 196자는 어려운 한자가 대부분이지만, 지명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한자 라든지 특정한 단어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그 빈도가 감안되어 그 단어를 구성하는 한자가 모두 실린 경우도 있다. 신상용한자를 전체적으로 보면, 훈독 없이 음독만으로 되어 있는 한

白同善 / 日本의 新常用漢字의 構成과 韓國의 敎育漢字 45 자가 전체의 38.4%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도 의외이다. 음이 없고 훈만 있는 한자도 새롭 게 많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しんにょう 등에서 본 통일성의 결여는 짚고 넘어가야할 문제 로 보인다. 한국의 교육한자와의 비교에서도 여러 가지 상대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는 일본어 자체뿐만 아니라, 읽기가 매우 복잡다양한 한자어조차도 안이하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현재 한국 학생들의 한자 실력은 충분 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상용한자 또는 교육한자를 중심으로 한 한자에 대한 이해는 반드 시 요구되는 항목이다. 같은 한자문화권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라도 한자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 해 한자문화권에서 사용하는 공통상용한자를 제정하는 정책도 결실을 맺어야 할 것이다. 최 근에 민간단체인 한중일 30인회 에서 한중일 공용한자 808자가 선정되기는 하였지만, 字體 를 통일해야만 진정한 공용한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한자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신자체와 한국의 정자, 중국의 간체자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 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전체의 틀을 유지하면서 간략화한 상용한자 수준의 통일한자가 선정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Reference) 白同善(2002) 日本語의 漢字 및 漢字語의 實態 어학연구 제9집, 강원대학교어학연구원. Baek, D.(2002) Ilboneoui hanja mit hanjaeoui siltae Eohakyeongu Je9jip, Kangwondaehakkyo eohakyeonguweon, pp.111 123. 이성순(2011) 일본어상용한자 2136, 동양북스. Lee, S.(2011) Ilboneosangyonghanja 2136, Dongyangbuks, pp.602 623. 황인영(2011) 일본어 한자의 달인이 되는 법, 사람in. Hwang, I.(2011) Ilboneo hanjaui dalini dwenun beob, Saramin, pp.263 273. 훈민정음 국어사전 (2004) 금성출판사. Hunminjeongum gugeosajeon (2004) Gumseongchulpansa. 常用漢字表 (2011) 全国官報販売協同組合. Joyokanjihyo (2011) Zenkokukanpohanbaikyodokumiai, pp.1 172. 鈴木順子 石田敏子(1995) 表記法, 荒竹出版. Suzuki, J. Ishida, T.(1995) Hyokiho, Aratakeshuppan, pp.31 69. 玉村文郎(1992) 漢字 日本語学を学ぶ人のために, 世界思想社. Tamamura, H.(1992) Kanji Nihongogakuo manabu hitono tameni, Sekaishisosha, pp.160 173. 日本語百科大事典 (1995) 大修館書店. Nihongohyakkadaijiten (1995) Taishukanshoten. 文化庁(1999) 平成10年度 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 大蔵省印刷局. Bunkacho(1999) Hesei10nendo kokugoni kansuru yoronchosa, Okurashoinsatsukyoku, pp.58 73. 文化庁(2005) 平成16年度 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 国立印刷局. Bunkacho(2005) Hesei16nendo kokugoni kansuru yoronchosa, Kokuritsuinsatsukyoku, pp.44 48. 文化庁(2010) 平成21年度 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 ぎょうせい. Bunkacho(2010) Hesei21nendo Kokugoni kansuru yoronchosa, Gyosei, pp.1 11. 文化庁(2011) 常用漢字表, ぎょうせい. Bunkacho(2011) Joyokanjihyo, Gyosei, pp.1 189. 前田富祺編(2011) 常用漢字最新ハンドブック, 明治書院. Maeda, T.(2011) Joyokanji saishinhandobukku, Mejishoin, pp.47 255.

46 日本學報 第101輯(2014.11) <要 旨>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새로 개정된 상용한자의 구성에 대해 논했다. 대다수의 일본인은 한자에 대해 부담감 을 갖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필요로 하는 문자라는 데에 거의 이견이 없다. 새롭게 추가된 196자는 어려 운 한자가 대부분이지만, 지명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한자가 다수 실린 점, 특정한 단어를 형성하는 두 한자 가 동시에 새로 실리게 된 점 등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신상용한자를 전체적으로 보면, 훈독 없이 음독만 으로 되어 있는 한자가 전체의 38.4%를 차지하고 있다는 의외의 결과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음이 없고 훈만 있는 한자도 새롭게 많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しんにょう 등에서 본 자체에 대한 통일성의 결여는 문제점으 로 남는다. 한국의 교육한자와의 비교에서도 여러 가지 상대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는 일 본어 자체뿐만 아니라, 읽기가 매우 복잡다양한 한자어조차도 안이하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질적 으로 현재 한국 학생들의 한자 실력은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상용한자 또는 교육한자를 중심으로 한 한자에 대한 이해는 반드시 요구되는 항목이다. 같은 한자문화권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라도 한자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자문화권에 서 사용하는 공통상용한자를 제정하는 정책도 결실을 맺어야 할 것이다. 같은 한자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신자체와 한국의 정자, 중국의 간체자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전체의 틀을 유지하면서 간략화한 통일한자가 반드시 성사되기를 기원한다. 주제어: 상용한자, 일본어, 한국어, 교육한자, 한자문화권 투 고 : 2014. 08. 31. 심 사 : 2014. 09. 20. 심사완료 : 2014.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