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及韓國學國際學術會議

Similar documents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7단원 1(252~269)교

1수준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2016 년 1 학기국어학개론 형태론 (Morphology): 형태소와교체, 단어의구성요소 1. 형태론의개념과분야 1) 개념 : 단어의구조를연구하는분야 2) 분야 : (1) 단어형성법 ( 조어법 ) (2) 굴절법 ( 屈折法, inflection): 조사나어미가붙어문법적


<28C3D6C1BE29C7D1B1B9BEEEB9AEB9FDB7D028317E D E687770>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C7D1B1B9C7D0BFACB1B820C1A63532C1FD28BABBB9AE E687770>

슬라이드 1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슬라이드 1

자연언어처리

서만설명되는이형태 1 과거시제를나타내는 -았-/-었- 은음운론적조건에따른교체양상을보이는데, 하 - 와결합할때는 -였- 으로바뀌게된다. -았-~-었- -였- 2 명령형어미 (-아라/-어라) 는형태소 하- 와결합할때음운론적조건에따라 -아라 가연결되지않고 -여라 가연결되며,

08학술프로그램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어 휘 어 법 특 강 용언의활용용언이활용할때에어간이나어미의기본형태가달라지는경우를활용이라하며, 이러한용언을용언이라한다. 용언에는어간이바뀌는것, 어미가바뀌는것, 어간과어미모두바뀌는것등이있다. 1. 용언중에서어간이바뀌는것 (1) ㅅ 활용 a. 짓고, 짓지, 짓더라 cf. 벗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hwp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7탄

152*220

2015년9월도서관웹용

언어과학연구제 73 집 1. 문제의제기 지금까지국어학계에서는선어말어미 더 의기능과의미를밝히기위하여다각도로모색해왔다 최현배 에서는 도로생각때매김이란것은지난적에겪은 경험한 본 일을도로생각하여말할때에쓰이는때매김이니 이는곧말하는이가말하는그때점을대중을삼지아니하고 지난적에그일을겪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Hit The Sheep> -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선별 4탄 (고퀄해설)

<B1D9B4EBB9AEC8ADC0E7BAD0B0FA20C1A637C2F720C8B8C0C7B7CF28B0F8B0B3292E687770>

* pb61۲õðÀÚÀ̳ʸ

DBPIA-NURIMEDIA

제5장 형태소분석

국어1권표지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S U M M A C U M L A U D E J U N I O R 중학국어문법연습을소개합니다. 2 문법을벌써공부해야하는가? 국어의문법은변하지않고,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중학교시기에배우는문법개념들이고등학교시기에배우는개념들과이어지고, 이는수능

[7 주차강의 ] 문장의옷 ( 부정 ) < 학습목표 > 1. 부정문에관한올바른정의가무엇인지를이해한다. 2. 부정소의존재와유형에관해이해한다. 3. 부정극어의존재와유형에관해이해한다. 4. 부정문의종류에따른특성을이해한다. < 학습내용 > 1. 부정문과부정소 2. 부정소와부정

..1,2,3,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ITFGc03ÖÁ¾š

zb 8) 자음을 zb 9) zb 10) 다음 zb 11) zb 12) zb 13) zb 14) ( 2013 년 1 학기기말고사대비 4-2. 우리말의음운체계 (01)_ 비상 ( 김 )1 2 혀의높낮이 행복했던나 3 혀의최고점의위치 4 발음할때장애의유무 5 발음할때입술의

Vector Differential: 벡터 미분 Yonghee Lee October 17, 벡터미분의 표기 스칼라미분 벡터미분(Vector diffrential) 또는 행렬미분(Matrix differential)은 벡터와 행렬의 미분식에 대 한 표

C# Programming Guide - Types

한국어의형태소분석 최호철 ( 고려대 ) 1. 언어 언어 ( 言語 ) 는소리와뜻이결합된것이므로음성만있는것이라면그것은언어가아닌 허언 ( 虛言 ) 이나헛소리라할수있고뜻만있는것이라면그것역시언어가아닌묵언 ( 默 言 ) 이나생각또는마음이라할수있을것이다. 1) 소리만있다면? 허언

02-출판과-완성

요람 교육과정편람 사범대학.hwp

내지-교회에관한교리

750 1,500 35

독립성분 독립어 : 다른문장성분과상관없이홀로쓰이는말 감탄사체언 + 호격조사접속부사예 ) 아, 배고프다 ~ 철수야, 학교가자. 나는아빠다. 그리고너는엄마다.

2 張奭鎭 차 례 序論

hwp

#1. 문법공부를위한필수! 기본용어 음운체계 1. 모음 : 음절 ( 소리마디 ) 을이룰수있는독립적인소리 하늘 땅 사람 [ 天地人 ] 삼재로기본 3 글자를만들고, 가획하여다른글자를만듦 1 단모음 : 소리내는중에입술모양이나혀의위치가고정되어달라지지않는모음 혀의최고점의위치앞


[1 강 ] 2017 학년도사관학교 1 차시험문법기출분석 [ 관련개념정리하기 ] - 2 -

제 2 장발음의기초개념 - 9 -

종류 보통명사 고유명사 어떤속성을지닌대상들에두루쓰이는 이름 전기용품, 꼬마, 눈등 특정한하나의개체를다른개체와 구별하기위해쓰이는이름 수남이, 청계천, 세운상가 대명사, 즉선행명사구를다시받을때, 일반적인대명사와다른형태를취하는것을재귀칭이라부른다. 저, 저희, 당신, 자기 하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수능에문법더하기 3 다음중이중피동이사용된사례가아닌것은? 1 창문이커튼으로가려졌다. 4 < 보기 > 는외래어표기법의일부이다. 이를바탕으로제시된발음정보를탐구했을때,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 2 산너머에구름이보여졌다. 것은? 3 그녀의기억속에서잊혀졌다. 4 그사기꾼이경찰에게잡혀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Y Z X Y Z X () () 1. 3

041~084 ¹®È�Çö»óÀбâ

한국에서 듀이 교육철학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불교어계 한자어에 대하여

Ruby 프로그래밍 한글 로마자화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정답과해설 본문 02 부록 25 중등문법

~

정보 사회와 컴퓨터

피동 ( 被動 (1 피동과능동 - 피동 : 남의행동을입어서당하는동작을나타냄. 도둑이경찰에게잡히었다. - 능동 : 제힘으로행하는동작을나타냄. 경찰이도둑을잡았다. (2 피동문되기 1 파생적피동 (-이-, -히-, -리-, -기- - 타동사어근 + 접사 ( 능동문주어 부사어

<4D F736F F F696E74202D2035BBF3C6F2C7FC5FBCF8BCF6B9B0C1FA2E BC8A3C8AF20B8F0B5E55D>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20(2) 93 영어우향전위구문에대한소고 말뭉치자료를중심으로 김옥기 김종복 경희대학교 서론 영어에서흔히사용되는이른바전위구문 은아래 에서제시된좌향전위구문 과 와같은우향전위구문 으로구분될수있다 위예문에서알수있듯이두

(001~009)248사회문화(연)

형태소란뜻을가진최소의단위이다. 예를들어 먹었다 와 먹겠다 를비교해보면, -었- 을넣으면과거의의미가있고, -겠- 은미래혹은의지의의미를담고있다. 그러므로선어말어미는형태소로취급해야한다. 사랑스럽다, 적막하다, 번쩍거리다 와같이용언의어근중어간과일치하지않는 사랑-, 적막-, 번



국어영역 모의고사 기출 문법(어휘/어법)문제 모음 레전드스터디 닷컴 2 페이지 5. 다음은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이 7.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7) 해로 옳지 않은 것은?5)

통신218-진행

강의계획서 과목 : JUN s TOEIC 700+( 도약 ) 2017년 3차강사 : 황준선 교재 : ETS 토익기본서 (RC&LC)+ 수업부교재 (JUN s TOEIC 700+) + 품사별추가문제 +Mini Test 수업목표 : LC & RC 필수기본전략수립및 GRAM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DBPIA-NURIMEDIA

7.1 형태소 개념형태소 ( 形態素, morpheme) 는문법단위중에서의미를가진최소의단위 (minimal meaningful unit) 이다. 여기서의미는어휘적의미뿐만아니라문법적의미도포함된다. 사랑 을 ㅅ-ㅏ-ㄹ-ㅏ-ㅇ 응로쪼개면각각의요소들은아무런의미를가지지못하는것처럼

<BBF5B1B9BEEEBBFDC8B05F32352D315FBABBB9AE5FC3CAC6C731BCE25F6F6B5F E687770>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èÆ÷ºÏºÎ¼Ò½ÄÁö-2È£2¼öÁ¤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Ãßõ¿©Çà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9월%20v1[1]

10-2 삼각형의닮음조건 p270 AD BE C ABC DE ABC 중 2 비상 10, 11 단원도형의닮음 (& 활용 ) - 2 -

<BCF6B4C9BFA120C7CABFE4C7D120B8F0B5E720B9AEB9FD E687770>

- 2 -

국어혁명 박수미쌤 2 겹문장 : 두개이상의홑문장이합쳐져서이루어진문장 주어와서술어의관계가두번이상나타남 예 ) 나는학교에갔고, 동생은도서관에갔다. 예 ) 나는동생이건강하기를바란다. 2. 문장의종류 1 문장의종류 2 확장방식 < 이어진문장 > 뜻 : 홑문장이여러개이어진문장.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수식모드수식의표현법 수학식표현 조남운 조남운 수학식표현

를받으면서나오는소리이다. < 기출문제 > 다음의 에들어갈내용으로적절한것은 년 월수능모평 조음방법 조음위치 입술소리잇몸소리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 장소리 목청소리 형 예사소리ㅂㄷㄱ 파열음 된소리ㅃㄸㄲ 거센소리ㅍㅌㅋ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ㅈ ㅉ ㅊ 마찰음 예사소리ㅅ

를받으면서나오는소리이다. < 기출문제 > 다음의 에들어갈내용으로적절한것은 년 월수능모평 조음방법 조음위치 입술소리잇몸소리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 장소리 목청소리 형 예사소리ㅂㄷㄱ 파열음 된소리ㅃㄸㄲ 거센소리ㅍㅌㅋ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ㅈ ㅉ ㅊ 마찰음 예사소리ㅅ

Microsoft Word - KSR2012A179.doc

Transcription:

이다 의不規則活用에對하여 任洪彬 1. 머리말 本發表는韓國의學校文法에서흔히敍述格助詞라고하는 이다 에대하여우선은그品詞가助詞가아니라形容詞이며그活用이다른形容詞나動詞에서보이는不規則活用에比較가되지않을만큼不規則한것이어서韓國語에대한正確한理解와運用및敎育을위해서는 이다 와關聯한活用을不規則活用으로設定하여徹底한敎育의對象으로삼아야할것이必要함을주장하고자한다. 이다 의性格把握에대해서는韓國語文法에서의出發이極히不幸한것이었다고밖에는말할수없다. 草創期에는이른바 이다 論爭이라하여그性格把握에있어서極甚한混線을빚었다. 한편으로는그것을指定詞 ( 잡음씨 ) 라고하는崔鉉培 (1930, 1937=1959) 의立場과다른한편으로는그것을體言의活用이라하는李熙昇 (1949, 1950) 이立場이맞서지금까지도公式的으로는그것을 敍述格助詞 로보는立場이學校文法에서採擇되고있는것이다. 그러나 이다 를指定詞라하여따로세울必要도없는것이며, 體言의活用이라는特異한範疇를設定할必要도없는것이다. 이다 는形容詞로보아큰題가없는것이다. 그活用의樣相이形容詞와대부분一致하는것이기때문이다. 過去에는그品詞問題가解決되지않았기때문에, 그特異한活用이미처주목을받지못하였다. 그러나 이다 의活用은이루말할수없이特異한것이다. 이를익히는일은한국어의다른양상을익히는일못지않게중요한일이다. 2. 不規則活用과非自動的交替 2.1. 도입 여기서는최현배 (1937=1959: 320-339, 501-511) 에제시된불규칙활용의성격과종류를 1985 년학교문법에반영된제시된불규칙활용의성격과종류를비교하여최근에불규칙활용의개념이어떻게잘못되었는가를밝히는것을목적으로한다. 최현배 (1937=1959: 320-339, 501-511) 에서불규칙활용 ( 벗어난끝바꿈 [ 變格活用 ] ) 은움직씨 ( 동사 ) 나그림씨 ( 형용사 ) 의 끝바꿈법 ( 활용법 ) 에벗어난끝바꿈을하는용언을말한다. 불규칙활용은용언의어간이변하는것과어미가변하는것그리고어간과어미가함께변하는것의 3 가지로설정되었다. 동사의불규칙활용이 11 종, 형용사의불규칙활용이 8 종이나, 종류가같은것을합치면총 12 종류의불규칙활용을설정한것이된다. 이에대하여 1985 년학교문법에서는총 9 종의불규칙활용이설정되었다. 불규칙활용의개념이무엇인가근본적으로달라졌음을의미한다. 그성격이어떻게달라진것인가를살피고그문제점을검토하기로한다. 2.2. 최현배 (1937) 과학교문법의불규칙활용 최현배 (1937=1959: 320-339, 501-511) 에서불규칙활용 ( 벗어난끝바꿈 [ 變格活用 ] ) 은움직씨 ( 동사 ) 나그림씨 ( 형용사 ) 의 끝바꿈법 ( 활용법 ) 에벗어난끝바꿈을하는용언을말한다. 불규칙활용은용언의어간이변하는것과어미가변하는것그리고어간과어미가함께변하는것의 3 가지로설정되었다. 이다 는 잡음씨 ( 지정사 ) 라하여동사, 형용사와다른제 3 의용언으로설정되었다. 동사의불규칙활용은다음과같이크게셋으로나뉜다. (1) 최현배 (1937=1959: 320-339) 에서동사의불규칙활용 가. 어간이원칙에벗어난것 A. 어간의끝소리가줄어지는것 ( ㄱ ) ㄹ 벗어난움직씨 ( ㄹ變格動詞 ) : 갈다 - 가니 韓國서울대名譽敎授

72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 ㄴ ) ㅅ 벗어난움직씨 ( ㅅ變格動詞 ) : 잇다 - 이으니 ( ㄷ ) 으 벗어난움직씨 ( 으變格動詞 ) : 따르다 - 따라 ( ㄹ ) 우 벗어난움직씨 ( 우變格動詞 ) : 푸다 - 퍼 B. 어간의끝소리가다른소리로바뀌는것 ( ㅁ ) ㄷ 벗어난움직씨 ( ㄷ變格動詞 ) : 듣다 - 들어 ( ㅂ ) ㅂ 벗어난움직씨 ( ㅂ變格動詞 ) : 굽다 - 구워나. 어미가원칙에벗어난것 ( ㅅ ) 여 벗어난움직씨 ( 여變格動詞 ) : 하다 - 하여 ( ㅇ ) 러 벗어난움직씨 ( 여變格動詞 ) : 이르다 - 이르러 ( ㅈ ) 거라 벗어난움직씨 ( 거라變格動詞 ) : 가다 - 가거라 ( ㅊ ) 너라 벗어난움직씨 ( 너라變格動詞 ) : 오다 - 오너라다. 어간과어미가함께원칙에벗어난것 ( ㅋ ) 르 벗어난움직씨 ( 르變格動詞 ) : 흐르다 - 흘러 형용사의불규칙활용은 (1) 과흡사하지만종류에도차이가있고, 수에서도차이가있다. (2) 최현배 (1937=1959: 501-511) 에서형용사의불규칙활용가. 어간이원칙에벗어난것 A. 어간의끝소리가줄어지는것 ( ㄱ ) ㄹ 벗어난그림씨 ( ㄹ變格形容詞 ) : 길다 - 기니 ( ㄴ ) ㅅ 벗어난그림씨 ( ㅅ變格形容詞 ) : 낫다 - 나으니 ( ㄷ ) ㅎ 벗어난그림씨 ( ㅎ變格形容詞 ) : 빨갛다 - 빨가니 ( ㄹ ) 으 벗어난그림씨 ( 우變格形容詞 ) : 아프다 - 아파 B. 어간의끝소리가다른소리로바뀌는것 ( ㅁ ) ㅂ 벗어난그림씨 ( ㅂ變格形容詞 ) : 덥다 - 더워나. 어미가원칙에벗어난것 ( ㅂ ) 여 벗어난그림씨 ( 여變格形容詞 ) : 착하다 - 착하여 ( ㅅ ) 러 벗어난그림씨 ( 여變格形容詞 ) : 푸르다 - 푸르러다. 어간과어미가함께원칙에벗어난것 ( ㅇ ) 르 벗어난그림씨 ( 르變格形容詞 ) : 이르다 - 일러 [ 早 ] 최현배 (1937=1959) 에서 (1), (2) 와같은불규칙활용을상정한것은매우간단한원리에의한것이다. 어간이변하는가, 어미가변하는가, 어간과어미가함께변하는가하는기준을적용한것이다. 그렇다면어간이나어미가변하지않는것이정격 ( 正格 ) 이된다. 어간이나어미가변하지않는것이규칙적인것이다. (1) 과 (2) 에서 원칙 이라고말하는것은음운법칙이아니라일반적인활용의모습을말하는것이다. 이를다음과같이제시하기로한다. 정격 을 규칙, 변격 을 불규칙 이란술어로바꾸기로한다. (3) 최현배 (1937=1959) 에서의규칙활용과불규칙활용. 최현배 (1937=1959) 에서의규칙활용은어간이나어미가변하지않는것이며, 불규칙활용은어간이나어미가변하는것이다. (3) 에포함되지않은것의하나는 먹는다 멍는다 와같은변화이다. 먹 의받침 ㄱ 이 ㄴ 과같은비음 ( 鼻音 ) 으로시작되는말앞에서 ㅇ 으로변하는현상과같은것이지적되지않았다. 이러한현상은비단용언의활용에서뿐아니라 학눈, 사각문 과같은예에서도나타나는것이기때문에음운교체의종류가나뉘게되었다. Hockett(1958) 의 자동적교체 (Automatic Alternation) 와 비자동적교체 (Non-automatic alternation) 가운데, 불규칙활용은비자동적교체를하는것으로파악되게되었다. 그결과 1985 년학교문법에서는불규칙활용이다음과같이상정되게되었다. (4) 학교문법의불규칙활용가. 어간의불규칙활용 ( ㄱ ) ㅅ 불규칙활용 : 짓다 - 지으니 ( ㄴ ) ㄷ 불규칙활용 : 듣다 - 들어 ( ㄷ ) ㅂ 불규칙활용 : 돕다 - 도와 ( ㄹ ) 르 불규칙활용 : 흐르다 - 흘러나. 어미의불규칙활용

이다 의不規則活用에對하여 73 ( ㅁ ) 여 불규칙활용 : 하다 - 하여 ( 해 ) ( ㅂ ) 러 불규칙활용 : 이르다 - 이르러 ( ㅅ ) 거라 불규칙활용 : 가다 - 가거라 ( ㅇ ) 너라 불규칙활용 : 오다 - 오너라다. 어간과어미의불규칙활용 ( ㅈ ) ㅎ 불규칙활용 : 하얗다 - 하야니, 하얀, 하얘. (1), (2) 와 (4) 를비교하면우선눈에뜨이는것은다음과같은차이이다. (5) 1985 년학교문법에서달라진것가. ㄹ 불규칙활용을규칙적인것으로보아불규칙활용에서제외하였다. 나. 으 불규칙활용을규칙적인것으로보아불규칙활용에서제외하였다. 다. 르 불규칙활용은 (1 다ㅋ ) 과 (2 다ㅇ ) 에서어간과어미가함께변하는것이었으나, 이것이 (4 다ㅈ ) 에서는어간의불규칙으로바뀌었다. 라. ㅎ 불규칙활용이 (2 가 A ㄷ ) 에서는어간의끝소리가줄어지는것이었으나, (4 다ㅈ ) 에서는어간과어미의불규칙으로바뀌었다. 이러한처리가과연온당한것인가하는문제에대해서는절을달리하여살펴보기로한다. 2.3. ㄹ 불규칙활용의문제 (5 가, 나 ) 는 불규칙활용 에서 불규칙 의개념을잘못적용한결과로판단된다. 위에도언급한것과마찬가지로 1985 년학교문법은 불규칙활용 을비자동적교체의개념과동일시하였다. 그러나비자동적교체가바로불규칙활용이되고자동적교체가바로규칙활용이되는것은아니다. 자동적교체라도불규칙활용에속하는것이있는것이다. 규칙활용이라는것은일반적인활용과그성격이같은것을말한다. 그것은어간이그활용에서변하지않는것이며어미가일반적인어미를취하는것이다. 이를다음과같이보이기로한다. (6) 규칙활용의성격규칙활용이라는것은일반적인활용과그성격이같은것을말한다. 그것은어간이그활용에서변하지않는것이며어미가일반적인어미를취하는것이다. (5 가 ) 에의하여 ㄹ 불규칙활용은없어지고 ㄹ 탈락현상이되었으나, 이를 (6) 의관점에서보면다른활용에서는용언의어간의끝소리가떨어지지않는데, ㄹ 받침을가진용언에서는그러한일이일어나고있는것이다. 으 불규칙도마찬가지이다. 다른용언은어간말모음이탈락하지않는데, 아프다 와같이어간이 으 로끝나는용언만이 으 모음이탈락되는것이다. 다음예를보기로하자. (7) 가. [ 규칙활용의예 ] 갚다 [ 報 ] : 갚고, 갚아서, 갚자, 갚아라, 깊게, 갚거나, 갚았다 ; 갚는다, 갚으니, 갚으시오, 갚습니다, 갚으오, 갚으옵니다, 갚으소서, 갚은, 갚을, 갚음. 나. [ ㄹ 불규칙활용의예 ] 팔다 [ 賣 ] : 팔고, 팔아서, 팔자, 팔아라, 팔았다, 팔게, 팔거나 ; 판다, 파니, 파시오, 팝니다, 파오, 파옵니다, 파소서, 파는, 판, 팔, 팖 [ 팜 ]. (7 가 ) 는어간에받침을가진다른일반적인용언의활용예를보인것이며, (7 나 ) 는 ㄹ 불규칙활용을하는 팔다 의예를보인것이다. 갚 - 의어간말자음 ㅍ 은어느경우에나떨어지는일이없다. 따라서그것은규칙활용을하는것이된다. 그것이한국어활용의일반적인현상이다. 이에대해서 (7 나 ) 는불규칙활용을하는 팔다 의예를보인것이다. 팔고, 팔아서, 팔자, 팔아라, 팔았다, 팔게, 팔거나 에서와달리, 판다, 파니, 파시오, 팝니다, 파오, 파오니, 파옵니다, 파소서, 파는, 판, 팔, 팖 [ 팜 ] 에서는 ㄹ 이탈락한다. 조음소 으 를가지는어미 - ㄴ, - ㄹ, - ㅁ, - 니 의앞, 선어말어미 - 느 -, - 시 -. - 오 -, - ㅂ -(- ㅂ니다 / ㅂ니까 ) 의앞, 그리고어미 - 오, - 소서 등의앞에서 ㄹ 이탈락한다. 이를다음과같이보이기로한다. (8) ㄹ 탈락의조건가. 조음소 으 를가지는어미 - ㄴ, - ㄹ, - ㅁ, - 니 등의앞. 나. 조음소 으 를가지는선어말어미 - 시 -, - 오 -, - ㅂ -(- ㅂ니다 / ㅂ니까 ) 및 - 느 - 등의앞, 다. 조음소 으 를가지는어미 - 오, - 소서 등의앞. (8 가 - 다 ) 는전체적으로음운론적으로조건된교체를보이는것처럼보인다. 조음소 으 를가

74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진말앞에서어간의 ㄹ 이탈락하는모습을보이기때문이다. 그러나 (8 나 ) 의 - 느 - 는조음소 으 를필요로하는선어말어미가아니기때문에, ㄹ 탈락를전부음운론적으로조건된교체라고만볼수없다. ㄹ 탈락의조건이이루말할수없이복잡하다는것을알수있다. 교육적인이유에서라도이는불규칙활용에포함시켜각별한교육의대상으로삼아야할것이라고할수있다. ㄹ 탈락을규칙활용으로보는이유는 ㄹ 받침을가진모든용언이동일한양상을보인다는것이다. 그러나그것이사실이라고하더라도, 그것은 ㄹ 받침을가진용언들만을고려의대상으로삼는것이라는것이다. 어떤활용이규칙인가불규칙인가하는것은다른용언을고려를포함해야하는것이다. (6) 에서 규칙활용이라는것은일반적인활용과그성격이같은것 이라고한것은이를말한것이다. ㄹ 받침을가진모든용언이어떠한예외도없이동일한양상을보인다는것은 ㄹ 받침을가진용언들만을대상으로한현상이라는것이다. 그것이규칙이되는가불규칙이되는가는다른용언과의비교를통해서이다. 다른용언이같은양상을보이면규칙이되는것이고, 그렇지않으면불규칙이되는것이다. 일반적으로다른용언에서는어간의받침이, 조음소 으 를가지는어미 - ㄴ, - ㄹ, - ㅁ, - 나, - 니 의앞, 선어말어미 - 느 -, - 시 -, - 오 -, - ㅂ -(- ㅂ니다 / ㅂ니까 ) 의앞, 그리고어미 - 오, - 소서 등의앞에서탈락하지않는다. 그러나 ㄹ 을받침으로가진용언에서는탈락이일어난다. 그렇다면 ㄹ 탈락은규칙적인것인가? 그렇지않다. 그것은다른일반적인용언이보이는양상과다른것이다. 이러한사실만으로도그것은당연히불규칙용언에포함되었어야한다. 그러나 ㄹ 탈락이무조건적인것은아니다. ㄹ 받침을가진어간이라도 ㄷ 불규칙활용에서나타나는어간말 ㄹ 은탈락하지않는다는것이다. 다음을보기로하자. (9) ㄷ 불규칙활용의예가. 듣다 [ 聞 ] : 듣는다, 듣고, 듣지, 듣게, 듣는구나 ; 들어, 들으니, 들으나, 들으면, 들어도, 들었다, 들었구나, 들은, 들을, 들음. 나. 걷다 [ 步 ] : 걷는다, 걷고, 걷지, 걷게, 걷는구나, 걷겠다 ; 걸어, 걸으니, 걸으나, 걸으면, 걸어도, 걸었다, 걸었구나, 걸은, 걸을, 걸음. (10) ㄷ 불규칙활용을하는어간의 ㄹ 받침가. 어미 - ㄴ, - ㄹ, - ㅁ, - 나, - 니 등의앞 : 걸은, 걸을, 걸음, 걸으나, 걸으니. 나. 선어말어미 - 시 -, - 오 -, - ㅂ -(- ㅂ니다 / ㅂ니까 ) 및 - 느 - 등의앞 : 걸으십니다, 걸으시오, 거십니다 / 걸으십니다, * 걸으는다 /* 걸는다. 다. 어미 - 오, - 소서 등의앞 : 걸으오, 걸으소서. (9 가 ) 는 ㄷ 불규칙활용의예로 듣다 의활용을보인것이며, (9 나 ) 는 걷다 의활용을보인것이다. 어느예나자음어간앞에서는원래의받침이유지되고, 모음어미혹은조음소를요구하는어미앞에서는 ㄷ 이 ㄹ 로바뀐다. (10 가 - 다 ) 는 (8 가 - 다 ) 에보인 ㄹ 탈락의조건에다가, ㄷ 불규칙활용에의하여나타나는 ㄹ 어간을적용시켜본것이다. (10 가 - 다 ) 는모든활용형에서 ㄹ 이탈락하지않고있음을보인다. 단지하나의예외가있다면, (10 나 ) 의 * 걸으는다 /* 걸는다 와같은예이다. 이는 걷는다 와같은형식이쓰이는것이므로, * 걸 - 이라는활용형의상정이허용되지않는것이다. 이를다음과같이정리하기로한다. (11) ㄹ 탈락을불규칙활용에서제외하는것의부당성 ㄹ 탈락을불규칙활용에서제외하는것을온당한것이아니다. 모든용언의 ㄹ 받침이탈락한다고하더라도그것은동사일반이보이는특성과다른것이기때문이며, 용언의모든 ㄹ 받침이주어진조건에서무조건탈락하는것도아니기때문이다. 이제까지는최현배 (1937=1959) 의불규칙활용과 1985 년학교문법의불규칙활용에서나타나는문제들을검토하였다. 최현배 (1937) 에서불규칙활용이었던 ㄹ 불규칙, 으 불규칙이 1985 년에는규칙활용으로되었으나, 이는온당한처리라고할수없는것이다. 불규칙활용은다른용언의활용과의대비를통하여성립되는개념인것이다. 그러나자동적교체나비자동적교체는다른현상을고려에넣지않는것이다. ㄹ 불규칙을 1985 년학교문법에서는 ㄹ 탈락과같은것으로설정하였으나, 어간말에 ㄹ 을가진모든용언이동일한현상을보인다고하여그것이곧규칙활용이되는것은아니다. 다른용언이나다른환경에서도동일한현상이일어나는가를기준으로해야한다. 다른용언이나다른환경에서도동일한현상이일어나면규칙적인것이며, 그렇지않으면불규칙적인것이다.

이다 의不規則活用에對하여 75 3. 이다 活用의不規則性 3.1. 이다 의품사와활용 이다 는최현배 (1937=1959) 문법에서는 잡음씨 ( 지정사 ) 로용언의하나이지만, 학교문법에서는 서술격조사 이다. 학교문법에서 이다 활용의특이성이주목되기는어렵다. 이다 를서술격조사라고하고그것이불규칙활용을한다고인정하자마자, 그것은 조사 가활용을한다는이상한문법체계를인정하지않을수없게되기때문이다. 이제까지학교문법에서 이다 의활용은전혀주목의대상이되지않았으며, 주목할수도없었다. 최현배 (1937=1959) 에서는 이다 의활용을동사나형용사의활용과분리하여그것이동사의활용과어떻게다르고또때로형용사와어떻게다른지에대하여언급하고있다. 이다 의활용에는불규칙활용이라는것이설정되지않고있다. 그러나 이다 는분명히용언이며, 그것도그활용이다른어떠한용언에서보는바와는다른매우특이한불규칙활용을하는형용사이다. 3.2. 이다 어간의이형태와연결어미 - 라 다음예를보기로하자. (12) 가. 그가진실한사람이라 / 사람이라서우리는그를믿었다. 나. 그가?? 집주인이어 / 집주인이어서우리는그를믿었다. 다. 그가밥을먹어 / 먹어서우리만따로점심을시켰다. (12 가 ) 의밑줄친 이라 와 이라서 는 이다 의어간 이 - 에어미 - 라 혹은 - 라서 가이어진것으로분석할수도있고, 어미 * 일 - 에어미 - 아 / 어 또는 - 아 / 어서 가이어진것으로분석할수도있다. 이를다음과같이보이기로한다. (13) 어미의불규칙성인가어간의불규칙성인가가. 이 -( 이다 의어간 )+- 라 / 러 ( 어미 )+ 서 ( 보조사 ) 이라서나. * 일 -( 이다 의어간 이 - 의이형태 )+- 아 / 어 ( 어미 )+ 서 ( 보조사 ) 일아서 이라서 (13 가 ) 는 이다 의어간을 이 - 로고정시키고 - 아 / 어 ( 서 ) 에해당하는어미가 - 라 / 러 ( 서 ) 로교체되는과정을상정한것이고, (13 나 ) 는 이다 의어미를일반적인어미 - 아 / 어 ( 서 ) 로고정시키고 이다 의어간을 * 일 - 로상정한것이다. (13 가 ) 와같이상정하면어미의불규칙성이발생하고, (13 나 ) 와같이상정하면어간의불규칙성이발생한다. 이다 의 아 / 어 ( 서 ) 에해당하는활용이 이라서 와같이되는것을 (13 가 ) 와같이어미의불규칙성으로이해하는것과 (13 나 ) 와같이어간의불규칙성으로이해하는것중어느것이더우위에서는가? 한국어문법에서는이를어미의불규칙성으로설명하는것이일반적이다. 그러나 (13 가 ) 보다는 (13 나 ) 의방법이부담이적다. (13 가 ) 에서는 - 아 / 어 ( 서 ) 에해당하는어미가 - 라 / 러 ( 서 ) 와같이특이하게변한다고해야한다. - 라 / 러 ( 서 ) 와 - 아 / 어 ( 서 ) 의기능이왜같은가에대해서는전혀대답할방법이없다. 그것은단지우연이라고밖에는설명할방법이없다. 그러나 (13 나 ) 의방법에의하면 - 라 / 러 ( 서 ) 가 ㄹ 을가진 - 아 / 어 ( 서 ) 이기때문에그들이같은형태소라는사실을해명하는데효과적이다. 다른하나의이점은다른활용형에서도 ㄹ 를앞에가진어미들이나타나는데그들의출현을설명하는데도 (13 나 ) 와같이어간의불규칙성으로접근하는것이효과적이라는것이다. (13 가 ) 에의하면, 형태가조금씩달라지는것각각을모두특이한것으로설명해야한다. 그러나 이다 어간의이형태의하나는 * 일 - 로설정하면일일이특이한형태를상정해야하는부담에서벗어나게된다. 이다 어간의이형태 * 일 - 을상정하는것이그만큼설명력이크다고할것이다. 이를다음과같이제시하기로한다. (14) 이다 어간의이형태 * 일 - - 라 / 러 ( 서 ) 와관련된 이다 어간의이형태를 * 일 - 로상정하여어간의불규칙성으로해석하는것이어미의불규칙성으로해석하는것보다설명력이크다. 여기서어간의불규칙성으로접근한다는것은지정형용사 이다 의어간이 이 - 와 * 일 - 로교체하는것으로보는것을의미한다. 다시다음예를보기로하자.

76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15) 가. 바보라도그런일은하지않을것이다. 나. 밥이라도좀먹지그래. 다. 바보이어도 ( 여도 ) 그런일은하지않을것이다. 라. 그가바보라도, ( 그는 ) 그런일은하지않을것이다. 마. 바보이었어도 ( 였어도 ), 그런일은하지않았을것이다. (15 가, 나 ) 의 ( 이 ) 라도 는한국어사전에서보조사로분류되어있다. 그러나그의미나기능이 (15 다 ) 의 이어도 ( 여도 ) 와크게다른것이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에는 (15 라 ) 와같은구성에서는 ( 이 ) 라도 가어미로되어있다. 그러나 (15 가 ) 는 (15 라 ) 에서내포절의주어와모문의주어가나타나지않은예에지나지않는다. 이어도 ( 여도 ) 는 (15 마 ) 의 - 이었어도 ( 였어도 ) 와같이과거형태로쓰일수있다. ( 이 ) 라도 와달리 이어도 는절대로보조사로보지않는이유의하나가되고있다. 다른하나의이유는숨어있는주어를상정해야한다는것이다. 이러한것이큰장애가되지않는다고할때, ( 이 ) 라도 는분명히어미관련형식이라할것이다. 그것을보조사로인식하는것은재구조화에의한것일뿐이다. ( 이 ) 라도 를왜보조사로보려고하는가? 가장큰이유는 이다 의어간을 * 일 - 과같이설정하는것이상당한부담이되기때문이다. 이다 의어간의하나를 * 일 - 로상정할때, 이라도 는 어간 * 일 - 에어미 - 아 / 어도 가연결된것에지나지않는다. 이를다음과같이보이기로한다. (16) 이라도 의분석가. 이 -( 이다 의어간 )+- 라 / 러 ( 어미 )+ 도 ( 보조사 ) 이라도나. * 일 -( 이다 의어간 이 - 의이형태 )+- 아 / 어 ( 어미 )+ 도 ( 보조사 ) 일아도 이라도 (16 가 ) 는어간을 이 - 로, 어미를 - 라 / 러도 와같이보는것이다. 이는 ( 이 ) 라도 에대하여어미의불규칙성으로접근하는것이다. 이에대하여 (16 나 ) 는 이다 의어간의이형태의하나를 * 일 - 과같이상정하는것이다. 이라도 를보조사로인식하는것은다시재구조화에의한것이다. 다시다음예를보기로하자. (17) 가. 뉘라그런말을하겠느냐? 나. 뉘라서겨울더러추웁다더냐? 다. 뉘시라그런말을하겠느냐? 라. 아버님이시라그런생각을하신다. 마. 동생이라그런생각을한다. 바. 그것이뉘라서겨울더러추웁다더냐? 사. 누구라고그런말을하겠느냐? (17 나 ) 의 라서 에대하여 표준국어대사전 은 ( 받침없는체언뒤에붙어 )( 예스러운표현으로 ) 특별히가리켜강조하며주어임을나타내는격조사. 감히, 능히 의뜻이포함된다. 고설명하고있다. (17 가 ) 는 라서 뿐만아니라 라 도같은기능을하는것임을보인다. (17 다 ) 는 라 앞에주체높임의선어말어미 - 시 - 가쓰일수도있음을보인다. 서술성이커지는느낌을받는다. (17 라 ) 는 - 시라 가 아버님 에대해서도쓰일수있음을보인것이다. 주어라고느낄수없을만큼서술성이커진다. (17 마 ) 는 동생 에대해서도쓰임을보인것이다. (17 나 ) 는 (17 바 ) 와같은구조에서내포절의주어 그것이 가나타나지않은것으로분석할수있다. (17 사 ) 의 라고 도거의유사한의미를표현할수있다고할수있다. 그러나 라고 를주격조사라고한일은없다. 라, 라서 는원래보조사가아니라어미형식이라할수있다. (18) 이라서 의분석가. 이 -( 이다 의어간 )+- 라 / 러 ( 어미 )+ 서 ( 보조사 ) 이라서나. * 일 -( 이다 의어간 이 - 의이형태 )+- 아 / 어 ( 어미 )+ 서 ( 보조사 ) 일아서 이라서 (18 가 ) 는 (16 가 ) 와마찬가지로어간을 이 - 로, 어미를 - 라 / 러서 와같이보는것이다. 이는 ( 이 ) 라서 를어미의불규칙성으로상정하는것이다. 이에대하여 (18 나 ) 는 이다 의어간이형태의하나를 * 일 - 과같이상정하는것이다. 특정한 이라서 를주격조사와같이인식하는것은이에재구조화를적용하는것이다. 그러나이는분석자의직관을적용하는것이지형태소의본래적인기능을중시하는것은아니다. 이라야 에대해서도보조사와연결어미의두가지를상정하나이에대해서도같은이야기를할

이다 의不規則活用에對하여 77 수있다. (19) 가. 청년이라야그일을할수있다. 나. 지원한사람이청년이라야그일을할수있다. (19 가 ) 의밑줄친부분은보조사라고하는것이나, (19 나 ) 의밑줄친부분과그기능에아무런차이가없는것이다. 이에대해서도 (18 가, 나 ) 와평행적인분석을제시할수있다. (20) 이라야 의분석가. 이 -( 이다 의어간 )+- 라 / 러 ( 어미 )+ 야 ( 보조사 ) 이라야나. * 일 -( 이다 의어간 이 - 의이형태 )+- 아 / 어 ( 어미 )+ 야 ( 보조사 ) 일아야 이라야다. * 일 -( 이다 의어간 이 - 의이형태 ) + - 아 / 어 ( 어미 ) + 야 ( 보조사 ) + 만 ( 보조사 ) 일아야만 이라야만 (19 가 ) 는 (16 가 ), (18 가 ) 와마찬가지로어간을 이 - 로, 어미를 - 라 / 러야 와같이보는것이다. 이는 ( 이 ) 라야 를어미의불규칙성으로상정하는것이다. 이에대하여 (19 나 ) 는 이다 의어간이형태의하나를 * 일 - 과같이상정하는것이다. 특정한 이라야 를보조사와같이인식하는것은이에재구조화를적용하는것이다. 그러나이는분석자의직관을적용하는것이지형태소의본래적인기능을중시하는것은아니다. (19 다 ) 는 * 일 - 을 이다 어간의이형태로가정하여 이라야만 의분석을보인것이다. 3.3. 이다 어간의이형태와종결어미 (21 가, 나 ) 는중세어적인예로의고체의어미들을가진예이지만, 현대에서도드물지만논년층에서실제로쓰이는예들이라할수있다. (21) 가. 사람이오늘우리집에오느니라. 나. 그가우리에게선물을주니라. 다. 그가너의얼굴을똑똑히기억하리라. (21 가 - 마 ) 의밑줄친부분에대한분석을다음과같이보이기로한다. (22) 가. - 느 ( 실현성의선어말어미 )-+- ㄴ ( 소여의동명사어미 )# 이 ( 지정형용사어간 )-+- 라 ( 종결어미 ) 나. - ㄴ ( 소여의동명사어미 )# 이 ( 지정형용사어간 )-+- 라 ( 종결어미 ) 다. - ㄹ ( 비소여의동명사어미 )# 이 ( 지정형용사어간 )-+- 라 ( 종결어미 ) (21 가, 나 ) 의밑줄친부분을 - 니라 를하나의어미로분석하는일도있고, - 니 - 와 - 라 를따로분석하기도하고, 심지어 - 느니라 전체를하나의어미로취급하는일도있다. 그러나그원초적인분석은 - 느니라, - 니라, - 리라 등을 (22 가 - 다 ) 와같이동명사어미뒤에 이다 가연결된구성으로분석하는것이다. (22 가, 나 ) 에서는 - ㄴ 을소여 ( 所與 ) 의동명사어미 ( 즉주어진상태를나타내는동명사어미 ) 로분석한것이특이하고, (22 다 ) 에서는 - ㄹ 을비소여 ( 非所與 ) 의동명사어미 ( 즉주어지지않은상태를나타내는동명사어미 ) 로분석한것이특이하다. 의미기능상으로 (22 가 ) 에서는 - ㄴ 앞에 - 느 - 가있으므로, 그것이동사의행동적속성이실현되고있음을나타내는것이므로, 뒤에오는 - ㄴ 는동사의행동적속성이실현되는것이그대로실현됨을나타내게된다. 통사적으로 - ㄴ 은동명사어미로명사화의기능을수행한다. 따라서 이라 의 이 - 에대한지정형용사분석은지지될수있다. - 라 는다른용언어간뒤에서는 - 다 로나타나는것이므로, 이다 의 이 - 뒤에서는불규칙하게 - 라 로나타난다는것이된다. 우선이를다음과같이제시하기로한다. (23) - 라 종결어미의불규칙성 ( 곧수정됨 ) 지정형용사 이 - 뒤에서종결어미 - 다 는 - 라 로나타나기도한다. 그러나위의 이라서, 이라도, 이라야 등에서지정형용사 이다 의어간이형태로 * 일 - 을상정하는것은상당한설득력을가진것이라고할수있다. 이것이 (22 가 - 다 ) 에대해서도설명력을가지는것은아닐까생각해볼수있다. 그교체를다음과같이상정해보기로하자.

78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24) 가. 이 -( 이다 의어간 )+- 다 이다나. * 일 -( 이다 어간의이형태 )+- 다 이라 (24가) 는 이다 의어간 이- 뒤에어미 -다 가올때 이다 가되는것을보인것이다. 현대적인활용의대표적인모습을보인다. 그러나 20세기초까지도 이다 와같은형식이나타나는것은 이다 와같은예가대부분이다. 그러나이예의 이다 (< [ŋ ida]) 는하게체의종결어미이다. 현대이전에는 (24나) 와같은 이라 형이지배적으로쓰이였다. 이다 의어간에 - 다 가올때에는 이다 가되는것이므로, 이다 를 이라 로만드는것은어간의이형태 * 일 - 이라고가정하는것은매우자연스럽다. 그러나음운규칙으로는 (24 나 ) 가지지되지않는다. ㄹ 받침을가진용언이 ㄷ 자음앞에서변하는양상이 (24 나 ) 와는다른것이기때문이다. 다음예를보기로하자. (25) 가. 바다에는파도가일도다 / 이도다. 나. 행렬이상당히길도다 / 기도다 (25 가 ) 는 일다 [ 起 ] 의어간 일 - 의 ㄹ 받침이 - 도다 앞에서유지될수도있고, 탈락할수도있음을보인것이다. 이는 (25 나 ) 에서도같다. 길다 [ 長 ] 의어간 길 - 의받침 ㄹ 이 - 도다 앞에서유지될수도있고, 탈락할수도있다. (24 나 ) 가보이는현상은 (25 가, 나 ) 와는분명히다르다. 그렇다면 (24 나 ) 를버려야할것인가? 그렇지않다. (24 나 ) 는분명히존재하는현상이다. 다른음운현상에서는 (24 나 ) 와같은현상이나타나지않으므로, (24 나 ) 는불규칙적인것으로된다고할수있다. 어간 이 - 가 * 일 - 로교체하는것이불규칙하고, 받침 ㄹ 이어미 - 다 를 - 라 로바꾼뒤에탈락하는것이불규칙하다. 어간과어미의교체가모두불규칙하다. 이제 (23) 은다음과같이수정될수있다. (26) 어간 일 - 과어미 - 라 의불규칙성지정형용사 이 - 뒤에서종결어미 - 다 가 - 라 로바뀌는것은, 이다 의어간을 * 일 - 로상정할것을요구한다. * 일 - 뒤에서어미 - 다 가 - 라 로바뀌는것은어간과어미의불규칙성이라할수있다. 이다 의어간 이 - 에어미 - 다 가연결되면, 이다 가되는것이므로, 이라 의생성을위해서는어간을 * 일 - 로상정하는것이효과적이다. * 일 - 의받침 ㄹ 이 - 다 의 ㄷ 에영향을주는것이란해석이가능하기때문이다. 그러나선행 ㄹ 이후행 ㄷ 을 ㄹ 로바꾸고동화주는스스로탈락하는것과같은변화는다른음운환경에서는찾아볼수없는것이다. 어휘적으로조건된불규칙성이라고밖에는말할수없다. 혹이를어미의불규칙성으로만보면불규칙성의양이줄어들것이라고할지모른다. 이다 의어간에 - 다 가연결되면, 한번은 이다 가되고, 또다른한번은 이라 가되는것과같이기술해야한다. 그러나이는완전히우연적인불규칙성을도입한다는점에서바람직하지않은것이라고할것이다. 이다 의내포절종결어미는현대에도어느경우에나 이라 로나타난다. 이는역사적으로 이라 가 이다 에선행하였음을말해준다. (27) 가. 철수가영희가동생이라고말하였다. 나. * 철수가영희가동생이다고말하였다. (28) 가. 철수가 영희가동생이다. 라고말하였다. 나. 철수가 영희가동생이다. 하고말하였다. (27 가 ) 는흔히간접인용구성이라하는것이며, (28 가, 나 ) 는직접인용구성이라하는것이다. (28 가, 나 ) 의직접인용속에주어진문장은 - 다 어미를가지고있으나, 그에해당하는 (27 가 ) 의간접인용문은 (27 가 ) 에서와같이어미 - 라 를가지고있다. (27 나 ) 는완전한비문이다. 근절보다는내포절속에언어의과거의모습이더많이남아있다는것이사실이라고할때, (27 가 ) 는 이다 종결형의예전모습을보여주는것이라고할수있다. 그리고그것은물론문증되고있는사실이다. 3.4. 이다 어간의이형태와 로, 러, 어 를가진어미 - 구나 와같이어미에 - 구 - 를가진감탄어미는 - 로구나 와같이 - 로 - 와함께

이다 의不規則活用에對하여 79 쓰이는일이있다. (29) 가. 이것이 ( ㄱ ) 책이구나 /( ㄴ ) 책이로구나나. 이것이 ( ㄱ ) 책이구먼 /( ㄴ ) 책이로구먼. 다. 이것이 ( ㄱ ) 책이군 /( ㄴ ) 책이로군. 라. 이것이 ( ㄱ ) 책이군요 /( ㄴ ) 책이로군요 (29 가 - 라 ) 는어미에 구 를가진 이다 의활용형을보인것이다. ( ㄱ ) 은어간 이 - 에 - 구나, - 구먼, - 군, - 군요 등이연결됨을보이는데대하여, ( ㄴ ) 은 이 - 에 - 로구나, -- 로구먼, - 로군, - 로군요 등과같이 로 를가진형식이연결됨을보여준다. - 구나, - 구먼, - 군, - 군요 등을일반적인감탄어미이라고한다면, - 로구나, -- 로구먼, - 로군, - 로군요 등은일반적인감탄어미라고할수없다. - 구나, - 구먼, - 군, - 군요 등이규칙적인것이므로, - 로구나, -- 로구먼, - 로군, - 로군요 등과같이 로 를가진어미는불규칙적인것이라고할수있을것이다. 그런데, 로 계어미는어간 이 - 뒤에만나타난다. 이다 의어간 이 - 뒤에만 로 가쓰인다는것은어간 이 - 와 로 의관계가 로 와그뒤에오는규칙적어미와의관계보다더밀접함을의미하는것이라고도할수있다. 이제 로 를어간의일부라고하여보자. 그렇경우, 이다 의어간 이 - 는 구 로시작되는감탄어미앞에서 이로 - 로교체될수있다고할수있다. 지정형용사 이다 에서어간 이 - 가 이로 - 와교체하는것과같은일이다른용언에서나타나는일은없으므로, 어간이 이 - 와 이로 - 로교체하는것은불규칙적인것이라할수있다. 우선이를다음과같이제시하기로하자. (30) 이다 의어미의교체와어간의교체가. 어간 이 - 에, 구 를가진감탄어미가연결될때 - 로구나 등과같이 로 를가지는어미가쓰일수있는것은불규칙한것이라할수있다. 나. 어간 이 - 에, 구 를가진감탄어미가연결될때어간 이 - 가 이로 - 와교체하는것은불규칙한것이라할수있다. (30 가 ) 는어미를불규칙한것으로보는것이며, (30 나 ) 는어간을불규칙한것으로보는것이다. 이문제에대하여일반적인태도를반영하고있는것은 (30 가 ) 이다. 어미를불규칙한것으로보아야하는가, 어간을불규칙한것으로보아야하는가? 이물음에대하여어간을불규칙한것으로보는것이기술의부담이더는적은것이라할수있다. 어미는가능한한, 일반적인것으로유지하는것이바람직하기때문이다. 여기서문제가되는것은 이다 의어간 이 - 가 이로 - 와교체한다는것을받아들이기어렵다는것이다. 연결어미 이라서, 이라도, 이라야 및종결어미 이라 등의분석에서추출되는어간 일 *- 을 이로 - 형에적용하면 이로 - 는 * 일 - 과 - 오 - 로분석된다. * 일 - 을어간으로하는 이로구나 의가능한분석을다음과같이제시해보자. (31) 가. * 일 -( 이 - 의이형태 )+- 오구나 ( 감탄어미 ) 나. * 일 -( 이 - 의이형태 )+- 오 -( 조음소?)+- 구나 ( 감탄어미 ) 다. * 이로 -( 이 - 의이형태?)+- 구나 ( 감탄어미 ) (31 가 ) 는 이다 어간의이형태를 일 - 로, 감탄어미를 - 오구나 로상정한것이다. 이는 - 구나 의이형태로 - 오구나 를상정하는것이다. 그러나 - 오구나 형이다른예에쓰이는일이없으므로, 선택하기어렵다. (31 나 ) 는 - 오 - 를조음소적인것으로분석하는것이다. 다음예를보기로하자. (32) 가. 네 아디 < 번역노걸대상 19b-20a> 나. 네독벼리 < 번역노걸대상 27a> (32 가, 나 ) 의어미 - 고나 는현대의 - 구나 에해당하는어미이다. (32 가 ) 의 의 는 - 오 - 를가지지않은형태이며, (32 나 ) 의 의 도 - 오 - 를가지지않은형태이다. 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오 / 우 - 가쓰였다면, *, * 나 와같은모양이되었을것이다. 그러나중세어자료에서이러한예는찾기어렵다. 구 계감탄어미와 - 오 / 우 - 는같이쓰이지않은것으로볼수도있다. 따라서감탄어미와같이나타나는 로 는아래의 (33 가, 나 ) 에나타나는 이로라 에대한유추일수도있고, (33 다, 라 ) 에나

80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타나는 이로다 에대한유추에서만들어진것일수도있다. 로 의 ㄹ 은어간의이형태인 * 일 - 의받침 ㄹ 에서온것이며, 오 는유추에의하여생겨난조음소적인요소로분석된다. 그러나다른예에서같은현상이나형태를찾기어렵다. 모두 이다 활용의불규칙성에포함되는것이라할것이다. (33) 가. 그는우리동네에서내로라하는사람이다. 나. * 일 -( 이 - 의이형태 )+- 오 -( 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라 ( 종결어미 ) 일오라 이로라다. 그는아주훌륭한사람이로다. 라. * 일 -( 이다 어간의이형태 )+- 도 -( 감탄선어말어미 )+- 다 ( 종결어미 ) 이로다 (33 가 ) 의밑줄친 - 로 - 는, (33 나 ) 에보인바와같이, 어간 이 - 의이형태 * 일 - 에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오 - 가오고그뒤에다시종결어미 - 라 가온것이다. * 일오라 가연철또는연음되어 이로라 가된것이다. - 로라 에도어느정도감탄의의미가있기때문에, 그것이 구 계감탄어미에도영향을미쳐 * 일 + 구나 가 이로구나 와같이된것으로추측해볼수있다. (33 다 ) 는 (33 라 ) 와같이감탄선어말어미 - 도 - 가 - 로 - 로바뀐것을보인다. 이다 어간의이형태 * 일 - 의받침 ㄹ 이 - 도 - 의두음을 ㄹ 로바꾸고스스로는탈락한것으로볼수있다. 이또한 ' 이다 ' 활용의불규칙성을이루는것이라할수있다. 이를다음과같이보이기로한다. (34) ' 이다 ' 의이형태와 ' ㄷ ㄹ ' 변화 이다 어간의이형태 * 일 - 의받침 ㄹ 은후행하는자음 ' ㄷ ' 을 ㄹ 로바꾸고스스로는탈락하는일이있다. 이또한 ' 이다 ' 활용의불규칙성이다. (34) 와같은변화는 - 더 - 에서도발견된다. (35) 가. 그가젊은이들의우상이더라. 나. 그가젊은이들의우상이러라. 다. * 일 -+- 더 -( 회상 [ 단절 ] 의양태선어말어미 )+- 다 ( 종결어미 ) 이러라 ' 이다 ' 뒤에서는 (34 가 ) 와같이회상 [ 단절 ] 의선어말어미 '- 더 -' 가 (34 나 ) 와같이 '- 러 -' 가되는일이있다. 중세에는왕성하게쓰이던형태였으나, 현대에는문어에간혹나타나는일이있다. 이에대해서도 ' 이다 ' 어간의이형태를 '* 일 -' 로가정하면 (35 다 ) 와같이볼수있다. (34) 에의하여 이다 어간의이형태 * 일 - 의받침 ㄹ 이 '- 더 -' 의 ' ㄷ ' 을 ㄹ 로바꾸고스스로는탈락한것으로본다. - 러니, - 런, - 런들 등에나타나는 - 러 - 에대해서도같은이야기를할수있다. - 로 - 가나타나는다른예를보기로하자. (36) 가. 나는왕이로소이다. 나. * 나는왕이소이다. 다. * 일 -( 이 - 의이형태 )+- 오 -( 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소 -(<- 사오 -<- -)+- 이 -+- 다라. 撫코쟈노소이다 < 孟子諺解 1:29a> (36 가 ) 의밑줄친부분은 (36 다 ) 와같이분석된다. 이로 - 는 이 - 의이형태 * 일 - 에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오 / 우 - 가연결된것이고, - 소 - 는화자겸양의형태와조음소가결합한 - -+ 의후대형인 - 사오 - 의축약형이다. - 소이다 의 - 이 - 는 하오 체의청자높임선어말어미이며, - 다 는종결어미이다. 그런데, - 소이다 앞에는 (36 라 ) 의 - 노 - 에보이는바와같이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오 / 우 - 가쓰일수있다. 따라서여기서는분명히 이로 - 가 * 일 - 어간에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오 / 우 - 가결합한것으로분석된다. 이를다음과같이제시하기로한다. (37) 이로소이다 에서 이 - 의이형태 * 일 - 이로소이다 의 로 는 이 - 의이형태 * 일 - 의받침 ㄹ 과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오 - 가결합한것이다.

이다 의不規則活用에對하여 81 - 소이다 가 이다 의어간에연결될때에는반드시 로 를수반해야한다. (36 나 ) 는이조건을지키지못하여비문이된것이다. (38) 가. 이것이책이로세. 나. 이것이책일세. 다. * 일 -( 이 - 의이형태 )+- 오 -( 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쇠 / 세 (< 사오이 ) (38 가 ) 의밑줄친 이로세 는 (38 다 ) 와같이분석될수있다. - 쇠 는 - 소이 의축약형이고, - 세 는다시 쇠 의축약형이라할수있다. (38 가 ) 에서 이로 - 가 일 - 로축약된것이 (38 나 ) 의 - 일세 인이다. (39) 가. 이것이책이올소이다. 나. * 일 -+- 오 -( 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이로 [iro]- 이올 [ior]- (39 가 ) 의밑줄친부분에서는 올 이특이하다. 올 은 - 로 와관련되는형태임에틀림없다. 그러나, 그것이왜 올 과같은형태를하고있는가? 이에대해서는 (39 나 ) 와같은해석이가능하다. (39 나 ) 의 * 일 - 은위의 (14) 에보인바와같은 이다 어간의이형태이다. 그이형태 * 일 - 에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오 - 가연결된뒤에 ㄹ 받침이연철또는연음되어 이로 - 가된뒤에다시 로 [ro] 가음운도치 ( 音韻倒置, metathesis) 에의하여 올 [or] 이된것으로보는것이다. 다시다음예를보기로하자. (40) 가. 이것이책이올시다. 나. 이-+-올 ( 로)+-소이다?? 이올쇠다?? 이올세다 이올시다다. 이것이책이올습니다. 라. 이-+-올 ( 로)+-스-( -사오-<- -)( 화자겸양 )+-ㅂ-( 화자겸양 )+- ( 현재시제 )-+- -( 청자높임 )+-다 이올습니다 (40가) 의 이올시다 는 (40나) 와같이 이올소이다 에서 소이 가축약되어 -쇠 가되고그것이다시 -세 가되고그것이또다시 -시 로변한것이다. (40다) 와같은 이올습니다 에대하여 표준국어대사전 에서는 -올시다 의잘못으로기술하고있다. 그러나 -올시다 는 하십시오 ( 합쇼 ) 체가아니다. -올습니다 를잘못이라한다면, 이러한형식으로는 하십시오 ( 합쇼 ) 체의말을할수없다는것이된다. 그러나그렇다고보기어렵다. (40라) 에보인바와같이, 이로- 뒤에 의후대형인 사오 가변한 스 뒤에다시화자겸양의 ㅂ 이연결된것으로볼수있다. 다시다음예를보기로하자. (41) 가. 그것이수표이거든받아두어라. 나. 그것이수표이어든받아두어라. 다. 이 [iy]-+- 거든 이어든라. * 일 -+- 거든 ( 어미 ) 이어든 (41 가 ) 의 이거든 은 (41 나 ) 와같이 이어든 으로교체된다. - 거늘, - 거니, - 건마는, - 건만 등과같이앞에 거 를가지는어말어미들이동일한양상을보일수있다. (41 나 ) 의 - 어든 과같은형태를 ㄱ 탈락형으로부르기로한다. 중세어에서는 ㄱ 탈락형이일반적이었다. 현대에 (41 가 ) 가일반화된것은 이다 가점차규칙동사화하면서탈락형이세력을잃은것이라할수있다. 중세어에서는 과같이어간이 ㅣ 계이중모음으로끝나는경우에도 ㄱ 탈락이일어났다. 동일한현상이 이다 의어간뒤에서도일어났으므로, 이다 의어간을 /iy/ 로상정하여 ㄱ 탈락에접근하기도하였다 ( 이기문 1972a, 1972b). 그러나 이다 의 이 를 /iy/ 로보는것은 ㄱ 탈락만을위한임의적인처리의성격을가진다. 반면, 이다 의어간을 * 일 - 로가정하면, ᄀ 탈락은 ㄹ 이래에서 ㄱ 의탈락이라는일반적인현상의하나가된다. 위에서본바와같이 이다 의어간이형태의하나를 * 일- 로가정하는것은상당한지지를가지는것이다. 이를다음과같이제시하기로한다. (42) 이다 의어간이형태와 ㄱ 탈락 - 거늘, - 거니, - 거든, - 건마는, - 건만 등의어미는 이다 의어간 이 - 뒤에서

82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ㄱ 이탈락한다. 이는 이다 어간의이형태를 * 일 - 로가정하면일반적인현상으로설명할수있다. 이때 이다 의어간이 * 일 - 이되는것, 거 - 계의어미에서 ㄱ 이탈락하는것은불규칙적인것이다. 이밖에도 이다 에만연결되는특이한어미로는 - 관대 / 완대 와같은어미가있고, 이다 에대해서만특이한의미를가지는어미에 - 자 가있다. (43) 가. 너는무엇이관대 / 무엇이완대놀기만하느냐? 나. 그는시인이자교수이다. 다. 그는시인이면서교수이다. (44) 가. 까마귀날자새떨어진다. 나. * 셀로판지가투명하자깨끗하다. (43 가 ) 의 - 완대 는 * 일 - 어간뒤에서 - 관대 의 ㄱ 이탈락함을보인것이다. 이는 (42) 에속하는것이다. (43 나 ) 의 - 자 는주어가 시인 임과동시에 교수 가되는겹침의의미를나타내는어미이다. 그의미는 (43 다 ) 의 - 면서 와같다. - 자 가이와같은의미를가지는것은 이다 에만국한된다. (44 가 ) 는동사 날 - 에 - 자 가연결된것이지만, 그의미는겹침이아니라, 연발 ( 連發 ) 이라는것이다. 앞의사건이끝나고바로뒤의사건이일어나는것을뜻한다. (44 나 ) 는형용사에는 - 자 어미가쓰일수없음을보인다. 4. 결론 한국문법에서 이다 는그성격이상당히왜곡되어왔다고할수있다. 이다 를지정사로보는견해와동시에체언의활용으로보는견해가있어왔고, 최근의학교문법에서는이를서술격조사라는이름으로부르고있다. 이다 의활용이라는것은문법체계의왜곡을불러옴이없이는다루기어려운문제의성격을띤다. 불규칙활용의성격이왜곡되어온측면도있다. 불규칙활용을비자동적교체와동일시하는견해가일반적이다. 그러나불규칙활용은규칙활용에대해서성립하는것이다. 자동적교체는다른교체를고려에넣지않고도성립하는개념이다. ㄹ 불규칙활용이그대표적인예이다. 학교문법에서는 ㄹ 불규칙을 ㄹ 탈락으로세우고있으나문제는 ㄹ 탈락이규칙적인가불규칙적인가하는것이다. 다른활용에서받침이탈락하는것이규칙적인것이아니므로, ㄹ 탈락은불규칙활용으로보아야한다. 이다 의활용에서가장특이한것은다른용언의활용에서는모음으로시작하거나 ㄷ 으로시작하는어미형태가 ㄹ 으로시작하는어미형태로바뀌기도한다는것이다. - 아 / 어 ( 서 ), - 아 / 어야, - 아 / 어도 등과같은어미가 - 라서, - 라야, - 라도 와같이도변하는것은 이다 어간의이형태를 * 일 - 로가정하여가장효과적으로설명할수있다. 확실성의양태선어말어미 - 오 / 우 - 가 - 로 로나타나는것도마찬가지이다. - 다 어미가 - 라 로바뀌는것, - 도다 의 - 도 - 가 - 로 - 로도바뀌는것, - 더 - 선어말어미가 - 러 로바뀌는것은 * 일 - 의받침 ㄹ 이 ㄷ 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볼수있다. 그러나이것이다른어미에서도일어나는일인가? 그렇지않다. 이러한변화를불규칙으로다루어야하는이유이다. 이로구나 와같이 구 계어미앞에서는 로 가나타나기도하는특이성을가진다. 이는 이다 어간의이형태를 * 일 - 로가정하는것만으로부족하다. 조음소적인 오 를가정해야하는데, - 로라 와같은형태에대한유추가작용하는것으로추측된다. 이거든 과같이 - 거 - 를가진형태들이의고적인 이어든 과같은형태로바뀌게도되는것은 이다 의어간을 * 일 - 로가정하면효과적으로설명될수있다. 이다 의어간이형태를 * 일 - 로가정하는것, 어미형태가달라지는것, 그의미가특이하게되는것은 이다 활용의불규칙성으로이해되는것이다.

이다 의不規則活用에對하여 83 主要參考文獻 김민수 (1994), 이다 처리의논쟁사, 주시경학보 13, 탑출판사, 3-13. 김의수 (2000), 이다 논의재검토, 솔미정광교수회갑기념논문집, 월인, 661-690. 김정대 (2005), 계사ㅣ 이 - 의기원형 * 일 - 을찾아서, 우리말글 35, 1-41. 김정아 (2001), 이 - 의문법적특성에대한통시적고찰, 국어학 37, 국어학회, 309-336. 김주원 (1994), 알타이제어의계사, 주시경학보 13, 탑출판사, 102-115. 김창섭 (1996), 국어의단어형상과단어구조연구, 태학사. 남기심 고영근 (1991),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남기심 (1986), 이다 구문의통사적분석, 한불연구 7. 연세대한불연구소. 남기심 (1996), 재록, 36-51. 남기심 (1996), 국어文法의탐구 I : 국어통사론의문제, 태학사. 남길임 (2004), 현대국어 이다 구문연구, 한국문화사. 박재연 (2005), 한국어계사문의한유형, 한국언어학회겨울학술발표대회발표요지. 배주채 (2000), 국문과. 있다 와 계시다 의품사에대한사전기술, 성심어문논집 22, 가톨릭대 배주채 (2001), 지정사활용의형태음운론, 국어학 37, 국어학회, 33-59. 서병국 (1967), 수관형사와 이다 의품사처리에대한이견, 국어국문학 34 35, 250-254. 서병국 (1971), 학교문법의문제점분석연구 (2), 국어교육연구 2:3, 경북대사대국어교육연구회. 서병국 (1977) 재록, 101-177. 서병국 (1977: 재판 ), 국어문법론고, 학문사. 서태룡 (1994), 최현배의품사분류, 주시경학보 14, 보고사, 3-14. 시정곤 (1993), 이다 의 - 이 가접사인몇가지이유, 주시경학보 11, 탑출판사, 143-149. 안명철 (1995), 이 의文法적성격재고찰, 국어학 25, 국어학회, 29-49. 양정석 (1995), 국어동사의의미분석과연결이론, 도서출판박이정. 양정석 (1996a), 이다 구문과재구조화, 한글 232, 한글학회, 99-122. 양정석 (1996b), 이다 구문의의미해석, 동방학지 91, 연세대동방학연구소, 99-134. 양정석 (2003), 이 - 주격조사설에대한반론, 형태론 5:1, 박이정, 99-110. 엄정호 (1989), 소위지정사구문의통사구조, 국어학 18, 국어학회, 337-366. 엄정호 (2000), - 이다 의 이 는조사인가, 형태론 2:2, 박이정, 333-343. 유동석 (1987=1999), 국어계사의형태교체에대하여, 문법 2, 태학사, 121-134. 이광정 (1994), 이다 연구의사적고찰, 주시경학보 13, 탑출판사, 45-62. 이기문 (1972a), 국어사개설, 민중서관. 이기문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이길록 (1969), 체언의용언적기능에대하여 : 이다 의형태론적분석, 국어교육 15, 24-44. 이숭녕 (1956), 고등국어문법, 을유문화사. 이승재 (1994), 이 - 의삭제와생략, 주시경학보 13, 14-28. 이현희 (1994), 계사 (-) 이 - 에대한통시적고찰, 주시경학보 13, 탑출판사, 88-101. 이희승 (1949), 초급국어문법, 박문출판사. 이희승 (1950), 국어학개설, 민중서관. 임홍빈 (1993), 뉘앙스풀이를겸한우리말사전, 아카데미하우스. 임홍빈 (1997), 국어굴절의원리적성격과재구조화, 관악어문연구 22, 93-163, 서울대학교국어국문학과.

84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임홍빈 (1998), 국어문법의심층 1, 2, 3, 태학사. 임홍빈 (1999a), 국어명사구와조사구의통사구조에대하여, 관악어문연구 24, 1-62, 서울대학교국어국문학과. 임홍빈 (2001), 국어품사분류의몇가지문제에대하여, 국어연구의이론과실제 : 이광호교수회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태학사, 705-761. 임홍빈 이홍식 (2002), 한국어의구문분석방법론, 한국문화사. 임홍빈 장소원 (1995), 국어문법론 1, 한국방송통신대학. 최현배 (1930), 조선어의품사분류론. [ 참고 ] 역대국어문법대계제 1 부제 17 책. 최현배 (1937=1959), 우리말본, 연희전문출판부. 최현배 (1956), 잡음씨의세움 : 이론적, 사실적및비교언어학적논증, 한글 120: 21-55. 황화상 (2005), 이다 의문법범주재검토, 형태론 7:1, 박이정, 135-153. Hockett, C.(1958), A Course in Modern Linguistics,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이다 의不規則活用에對하여 85 [ 초록 ] 本發表는韓國의學校文法에서흔히敍述格助詞라고하는 이다 에대하여우선은그品詞가助詞가아니라形容詞이며그活用이다른形容詞나動詞에서보이는不規則活用에比較가되지않을만큼不規則한것이어서韓國語에대한正確한敎育을위해서는 이다 와關聯한活用을不規則活用으로設定하여徹底한敎育의對象으로삼아야할것이必要한것임을主張하고자한다. 이다 의性格把握에대해서는韓國語文法에서의出發이極히不幸한것이었다고밖에는말할수없다. 草創期에는이른바 이다 論爭이라하여그性格把握에있어서極甚한混線을빚었다. 한편으로는그것을指定詞 ( 잡음씨 ) 라고하는崔鉉培 (1930, 1937) 의立場과다른한편으로는그것을體言의活用이라하는李熙昇 (1949, 1950) 이立場이맞서지금까지도公式的으로는그것을 敍述格助詞 로보는立場이學校文法에서採擇되고있는것이다. 그러나 이다 를指定詞라하여따로세울必要도없는것이며, 體言의活用이라는特異한範疇를設定할必要도없는것이다. 이다 는形容詞로보아아무런問題가없는것이다. 그活用의樣相이形容詞와完全히一致하는것이기때문이다. 過去에는그品詞問題가解決되지않았기때문에, 그特異한活用이미처주목을받지못하였다. 그러나 이다 의活用은이루말할수없이特異한것이다. 이다 가間接引用內包文의終結語尾로쓰일때는 이것을책이라고말하였다 의밑줄친形態와같이 - 라 로變한다. 理由 原因의語尾 - 아 / 어서 가連結될때에는 계절이여름이어서 / 이라서날씨가덥다 의밑줄친形態와같이 - 어 / 라 가함께쓰일수있다. 讓步나反意의연결어미 - 아 / 어도 가連結될때에도 이것이책이어도 / 책이라도 의밑줄친形態와같이 - 어 / 라 가함께쓰일수있다. 回想 ( 혹은斷絶 ) 의樣態先語末語尾 - 더 - 가 이 - 뒤에연결될때에는 그는나비더라 와같이도쓰이지만, 古風스럽게말할때에는 그는나비러라 와같이도쓰일수있다. 고이접어서나빌레 ( 러 ) 라 와같이 일 - 形이直接쓰이는일도있다. 確實性의선어말어미 - 오 - 와함께쓰일때는 내로라하는사람 의 - 로 - 와같이 - 오 - 가 - 로 - 가된다. 나는왕이로소이다 라고할때에도 - 로 - ( 기원은다소다른것으로여겨짐 ) 가나타난다. 감탄의 이도다 도 이로다 와같이나타나기도한다. 이다 는 ㄱ 으로시작된어미의 ㄱ 脫落과도密接한關聯을가진다. 이것은책이고저것은나무이다 라고할때에는 이것은책이요, 저것은나무이다 와같이 - 요 ( - 오 - 고 ) 가되기도한다. 根文의반말체終結語尾가 이것이책이야 와같이 - 야 가되는것도 이다 活用의매우特異한面이다. 이다 活用에나타나는이러한特異性의一端은韓國語에서 이다 의語源이 * 일다 였던데에서비롯하는것이라할수있다. * 일 + 아서 이라서, * 일아도 이라도, * 일오라 이로라 등과같이 이 - 가 로 形의語尾를가지는것은 이다 의語源이 * 일다 였던데에서비롯하는것으로보면매우效果的으로說明될수있다. 그러나 - 다 - 라 의變化나, - 더 - - 러 - 의變化, - 도다 - 로다 의變化에대해서도같은說明이可能한것은아니다. 이에대해서는韓國語의歷史에서語幹末音 ㄹ 아래에서後行形態의初聲 ㄷ 이脫落한것으로假定하기로한다. * 일다 의語幹 * 일 - 의받침 ㄹ 뒤에서 - 다 의 ㄷ 이脫落한뒤에 * 일 - 의 ㄹ 末音이다음音節의初聲으로連音, 連綴된것으로보기로한다. ㄹ 語幹用言은 ㄷ 으로始作하는語尾앞에서 ㄹ 이脫落하는것이一般的이나, 이다 의境遇는 일 - 의語幹末音이이미脫落한뒤이기때문에, 一般的인境遇와달리後行語尾 ㄷ 頭音에影響을미치게된것으로보는것이다. 이다 의連結語尾連結形 이고 의 ㄱ 脫落에대해서는 이다 의語源的形態가 * 일 - 이었다고假定하면, 중세韓國語의모든 ㄱ 脫落現象이하나의環境으로說明될수있게된다.

86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