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日本語教育 ( 第 65 輯 ) 선교사들의인식과활용실태및그기능에대한평가도아울러조사할필요가있을것이다. 이와같은부분에대해서는후고를기약하기로하고, 본고에서는교사가개입하지않은상태에서로마자또는음성기호로표기된일본어가나의발음정보가학습자에게어떻게전달되고인식되는지에대해서학습자의입장

Similar documents
PowerPoint プレゼンテーション

I 154

Hyrauic cyiners T,TH,TM T IS 84 TH T TM 2 T()(3)-4()1-(1537)(L7)(1)()()()(M)(Z1) T: mm TH TM ( 3 TH: 4 TM:MI


32

Bchvvhv[vhvvhvvhchvvhvvhvvhvvhvvgvvgvv}vvvgvvhvvhvvvhvvhvvhvvvbbhvvhvvvgvvgvvhvvhvvhv}hv,.. Bchvvhv[vhvvhvvhvvhvvbbhvvhvvhvvvhvvhvvgvvgvv}vvgvvhvvvhvv

HANGUL Principles ( 한글소리발음원리 ) Lee, HoonJae 이훈재 ( 李焄宰 ) Division of Computer Information Engineering, Dongseo University, Busan, Korea hjle

중 국 6 대 패 션 시 장 조 사 보 고 서 < 2004 년 상 해 10 대 매 장 10대 패 션 제 품 의 브 랜 드 시 장 점 유 뮬 > 제 품 브 랜 드 시 장 점 유 율 제 품 브 랜 드 시 장 점유 율 C O N C H P LA Y B O Y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日本近代學硏究 第 輯. 2 1, 1 2 (Cook, 1991)., (, 1977, 1982, 1999)., (word-formation). ( 宮島達夫, 1986) (2010), 66% 70%... Brown(2007),. Gu & Johnson(1996). 1),.,

表紙(化学)

À½¾ÇÁöµµ¼�¥³-14~261S

°ø±â¾Ð±â±â

???짚?

???춍??숏

百 눼신 시 " 가.인도의 대표적 섬유,패션 제품 l) 카펫 면과 비단으로 만든 카펫은 수세기 동안 인기있는 수출 품옥이었다.무굴시대의 디 자인 감각으로 완성된 플러시 비단카펫은 오늘날까지 관광객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제품이다.인도산 수직 매듭 양탄자 두리(Dur ie

hwp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년춘계국제학술대회 일시 : 2013 년 4 월 20 일 ( 토 ) 12:30-20:00 장소 : 인하대학교문과대학 (5 호관 ) < 국제심포지엄주제 > 일본어교육의변화와비전 の とビジョン 주최 : 한국일어일문학회 주관 : 인하대학교일본언어문화전

か き く け こ カ キ ク ケ コ ka さ ki し ku す ke せ ko そ ka サ ki シ ku ス ke セ ko ソ sa た shi ち su つ se て so と sa タ shi チ su ツ se テ so ト ta な chi に tsu ぬ te ね to の t

untitled

(72) 발명자 김창욱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 (공세동) 박준석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 (공세동) - 2 -

Microsoft Word - Report_합본__도시광산.doc

???짚?

* 이논문은제 1 저자의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특수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임. ** 주저자 : 진주장재초등학교교사 *** 교신저자 : 진주교육대학교교수


<BBF5B1B9BEEEBBFDC8B F5FC1A637B1C75F5FC1A632C8A35F5FBFA9B8A72D2E706466>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08학술프로그램

歯ki 조준모.hwp

<30352DB5BFBEC6BDC3BEC C0B1BCD2C8F1292E687770>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A 001~A 036

<B1B9BEEEB1B3C0B0BFACB1B83334C1FD2034B1B C5BEC0E7C3D6C3D6C3D6C1BE2D31BFF932C0CFBCBCB9F8C2B0BCF6C1A42E687770>

교육학석사학위논문 프랑스인학습자를위한한국어 종성발음교육연구 2017 년 2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이다연

고주파의 이해

< B0D4BDC329204B5258BBF3C0E5C1BEB8F15F46494E414C2E786C7378>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00_20本文.indd

DV690-N_KOR_ indd

hapter_ i i 8 // // 8 8 J i 9K i? 9 i > A i A i 8 8 KW i i i W hapter_ a x y x y x y a /()/()=[W] b a b // // // x x L A r L A A L L A G // // // // /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CERIUM OXIDE Code CeO CeO 2-035A CeO 2-035B CeO REO % CeO 2 /REO % La 2 O 3 /REO %

시작하기 시작할 준비가 되었으면 다음 설명에 따라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1단계: 허락받기 클럽을 떠나는 회원에게 에 응해 줄 것인지 물어본다. 이 설문 조사는 클럽의 문제점을 보완해 향후 같은 이유로 이탈하는 회원들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응답 내용은 대외비로 처

2003report hwp

2 A A Cs A C C A A B A B 15 A C 30 A B A C B. 1m 1m A. 1 C.1m P k A B u k GPS GPS GPS GPS 4 2

<B9ABC1A62D31>

<B3DAB6F3C6C7C5B8C1F6BEC6BEC7BAB85FBFF8BEEEC7D1B1DB>

상품정보 No. 발행일 BTQ 년 3 월 29 일 변경안내 P NVS,NVSP,NVSA,NVSH 북미향 3 5 포트밸브 / NVS, NVSP, NVSA, NVSH 시리즈생산중지의안내 NVS 시리즈 NVSP 시리즈 NVSA3000 시리즈 NVSA400

OCW_C언어 기초

BOX



<BACFC7D1B3F3BEF7B5BFC7E22D3133B1C733C8A BFEB2E687770>

334 退 溪 學 과 儒 敎 文 化 第 55 號 角 說 에서는 뿔이 난 말과 고양이라는 기형의 동물을 소재로 하여 당대 정치 상 황을 비판하였고, 白 黑 難 에서는 선과 악을 상징하는 색깔인 白 과 黑 이 서로 벌이 는 문답을 통하여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전도된 현실세

o 등산ㆍ트레킹ㆍ레저스포츠ㆍ탐방 또는 휴양ㆍ치유 등의 활동을 위하여 산림에 조성하거나 사용하는 길

<BBE7C0CCB9F6C3D6C1BE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歯5)논단2.PDF

<34342DBABBB9AE2D32C2F7BCF6C1A4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3. 다음은카르노맵의표이다. 논리식을간략화한것은? < 나 > 4. 다음카르노맵을간략화시킨결과는? < >

포도.PDF

발간사 2001년이후우리나라에서는점역 교정사국가공인민간자격제도를운영하고있다. 이제도에따라국어, 영어, 수학 과학 컴퓨터및음악을등급별점역 교정사자격검정과목으로채택해왔지만, 일본어는검정과목으로포함되지않았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는우리나라시각장애인들이일본어등영어이외의외국어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정주제 연구보고서 해외동포 언론의 국내뉴스 보도 연구 책임 연구 한동섭(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공동 연구 김형일(극동대학교 언론홍보학과 교수) 연구 보조 최진호(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석사과정) 발행인 이성준 편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A C O N T E N T S A-132

SRC PLUS 제어기 MANUAL

<C3CA3520B0FAC7D0B1B3BBE7BFEB202E687770>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4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16 한국특수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SPRING 2016 KSSE CONFERENCE 특수교육일반 좌장 : 한경근(단국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중학교자유학기제를위한 음악과산업 수업설계 및지도방법에대한연구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염우정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15 간호학과 D ept. of N ursing

슬라이드 1

포크 ( ポーク ) 2, 파스타 ( パスタ ) 2 파이시트 ( パイシート ) 3, 애플구미 ( アップルグミ ) 2, 360 갈드 (360 ガルド ) 베어 ( ベア ), 만드라니스 ( マンドラニース ), 삐요삐요 ( ピヨピヨ ), 보아 ( ボア ), 콧물보아 ( ウリボア

1. 3S Korean 제품특징 1 한국어기초교육을위한학생별최적화 2 3 한국인 ( 남성 여성 ) 수준의학습가능 학생개인별 수준별맞춤관리실현 4 학교 집 Anytime, Anywhere 최적의학습환경구현 5 컨텐츠확장가능 ( 교재외신문, 논문, 발표문등활용 ) 2

= Fisher, I. (1930),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

<B5B6C7D0C7D0C0A7C1A620BFB5BEEEBFB5B9AEC7D0B0FA2032B4DCB0E820BFB5BEEEC7D0B0B3B7D020BED5BACEBCD3B9B028694D E687770>

한국사론43-10.hwp

강의계획서 과목 : JUN s TOEIC 700+( 도약 ) 2017년 3차강사 : 황준선 교재 : ETS 토익기본서 (RC&LC)+ 수업부교재 (JUN s TOEIC 700+) + 품사별추가문제 +Mini Test 수업목표 : LC & RC 필수기본전략수립및 GRAM

*LAC-1211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hwp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찾f ;셜 콩 복원정 1:11 71 본겨l펙 (고증몇관련문현자료집)

사진측량

Transcription: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 * 중 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를대상으로 < 要旨 > 우완재 ** 민광준 *** wan21th2@naver.com mingj@konkuk.ac.kr 国内で発行される初級日本語教材はイントロダクションにおいて 五十音図を提示し その仮名にローマ字あるいは音声記号で発音が表記されている場合が多い また 日本語の発音の特徴を説明するために例示される語にも同様の発音表記が見られる 本稿では このような初級教材に見られる仮名の発音表記が 学習者にどのように受け入れられ 正しい発音の習得にどのように影響を及ぼすかを明らかにするために ローマ字と音声記号による日本語仮名の発音表記の有効性を検討した 具体的には 仮名に付与されているローマ字と音声記号を単独で学習者に提示して発音してもらい その発音を日本語母語話者に聞かせて片仮名で書き取ってもらった その結果 日本語仮名のローマ字と音声記号による表記に対する学習者の認知度と発音の正答率が低く 入門期の日本語学習者にとって ローマ字と音声記号による仮名の発音表記は正しい日本語の発音習得にマイナスに影響する可能性の大きいことが認められた 主題語 로마자 (Romanization), 음성기호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일본어가나 (Japanese Kana), 발음표기 (Pronunciation transcription), 실효성 (Effectiveness) 1)2) 1. 서론 국내에서발행되는중 고등학생대상일본어교과서 ( 이하, 일본어교과서 ) 는도입부에서일본어가나의오십음도를제시하고각가나와예시단어에로마자또는음성기호를이용해서발음을표기하는경우가많다. 1) 로마자또는음성기호를이용한가나의발음표기는일본어를처음학습하는사람이일본어문자와발음을쉽게익힐수있도록하기위한교과서집필자의의도가반영된결과로판단된다. 그러나교과서집필자의의도가학습자에게정확히전달되어올바른발음습득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는지또는집필자의의도와는반대로부정적인영향을미치는지에대한본격적인검토는전혀이루어지지않았다. 교과서집필자의의도를정확하게파악하기위해서는교사용지도서나학생용자습서를분석할필요가있으며, 교과서의로마자또는음성기호표기를이용한가나의발음표기에대한일 * 이논문은우완재 (2013) 의내용을수정하고가필한것임. ** 시사일본어학원강사 *** 건국대학교사범대학일어교육과, 음성학 일본어교육 ( 교신저자 ) 1) 본고에서는중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의로마자또는음성기호표기를대상으로하였으나, 일반성인대상초급교재에도적용될수있을것으로사료됨.

32 日本語教育 ( 第 65 輯 ) 선교사들의인식과활용실태및그기능에대한평가도아울러조사할필요가있을것이다. 이와같은부분에대해서는후고를기약하기로하고, 본고에서는교사가개입하지않은상태에서로마자또는음성기호로표기된일본어가나의발음정보가학습자에게어떻게전달되고인식되는지에대해서학습자의입장에서검토하기로한다. 2. 선행연구 일본어교과서를음성교육의관점에서분석한연구로는성인 ( 일반인과대학생 ) 을위한교재를대상으로한도키 (1986), 가와노 (1999), 이범석 (2006, 2007) 과중 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를대상으로한민광준 임민혜 (1996), 민광준 (2003), 이범석 (2010), 장근수 (2013) 등을들수있다. 도키 (1986) 와가와노 (1999) 는일본에서발행된초급교재를분석하여교재에제시된음성교육항목의종류와그적절성및문제점등을지적하고있다. 이범석 (2006, 2007) 은국내에서발행된대학교재를중심으로음성항목의종류와문제점을지적하고그개선방향을제시하고있으며, 그외의선행연구에서는제 6차교육과정부터 2007년개정교육과정까지발행된중 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를대상으로음성항목의종류와설명및도입방법의적절성, 발음설명을위해제시된용례의적절성등에대해서보고하고있다. 그러나, 문자와발음의관계를나타내고있는오십음도와예제단어의로마자또는음성기호를이용한발음표기가일본어의올바른발음습득에실질적인도움이되고있는지에대해서학습자의입장에서검토한연구는눈에띄지않는다. 본고에서는일본어교과서에서일본어가나의발음표기에사용된로마자와음성기호를추출하여학습자에게제시하고발음하도록한다음, 그발음을일본어모어화자에게들려주고가타카나로표기하도록하여얻은결과를토대로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의발음표기의실효성에대해서논의하기로한다. 3. 일본어가나의발음표기실태 본장에서는현재중 고등학교에서사용되고있는일본어교과서 1) 에서일본어가나의발음표기에사용된로마자와음성기호를대상으로그실태를살펴보기로한다. 중학교일본어교과서는 5종, 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 ( 日本語 ) 는 6종으로총 11종인데, 이들교과서에채택된발음표기방법 ( 로마자또는음성기호 ) 은 < 표 1> 과같다. 1) 중학교는 2009 년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는 2007 년개정교육과정의교과서가사용되고있음.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 33 < 표 1> 중 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의가나발음표기실태 중학교교과서 (5종) 고등학교교과서 (6종) 로마자 음성기호 미표기 로마자 음성기호 미표기 5 4 1 1 11종의중 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중에서음성기호로가나를표기한 1종과무표기 1종을제외한 9종의교과서가로마자로일본어가나의발음을표기하고있다. 중학교교과서의경우는 5종모두표준식로마자표기가채택되었고, 고등학교교과서는로마자표기 4종교과서중에서 2종은표준식이채택되고, 나머지 2종은일부가나 ( シ, チ, ツ, フ등 ) 에대해서훈령식과표준식을병기하고있다. 2) 이들교과서에사용된로마자와음성기호를 < 표 2> 에제시한다. 3) < 표 2> 일본어가나의발음표기에사용된로마자와음성기호 ア단イ단ウ단エ단オ단 로마자음성기호로마자음성기호로마자음성기호로마자음성기호로마자음성기호 a a i i u ɯ e e o o ka ka ki ki ku kɯ ke ke ko ko sa sa si, shi ʃi su sɯ se se so so ta ta ti, chi ʧi tu, tsu tsɯ te te to to 청음 na na ni ɲi nu nɯ ne ne no no ha ha hi çi hu, fu ɸɯ he he ho ho ma ma mi mi mu mɯ me me mo mo ya ya yu jɯ yo yo ra ra ri ri ru rɯ re re ro ro wa wa o, wo o ga ga gi gi gu, ɡu gɯ ge ge go go 탁음 za za zi, ji ʒi, ʤi zu zɯ, ʣɯ ze ze, ʣe zo zo, ʣo da da zi, ji, di ʒi, ʤi zu, du zɯ, ʣɯ de de do do ba ba bi bi bu bɯ be be bo bo 반탁음 pa pa pi pi pu pɯ pe pe po po kya k j a kyu k j ɯ kyo k j o gya g j a gyu g j ɯ gyo g j o sya, sha ʃa syu, shu ʃɯ - syo, sho ʃo ja, zya ʒa, ʤa ju, zyu ʒɯ, ʤɯ jo, zyo ʒo, ʤo tya, cha ʧa tyu, chu ʧɯ tyo, cho ʧo 요음 dya dyu dyo nya ɲa nyu ɲɯ nyo ɲo hya ça hyu çɯ hyo ço bya b j a byu b j ɯ byo b j o pya p j a pyu p j ɯ pyo p j o mya m j a myu m j ɯ myo m j o rya r j a ryu r j ɯ ryo r j o 2) シ : si/shi, チ : ti/chi, ツ : tu/tsu, フ : hu/fu 3) < 표 3> 에제시된음성기호는교과서의표기를그대로제시한것임. 예를들면, 일본어발음을국제음성기호로정확하게표기하려면 ク [gɯ], ル [rɯ], シュ [ʃɯ], ジュ [ʒɯ]/[ʤɯ], チュ [ʧɯ] 등은각각 [ɡɯ], [ɾɯ], [ɕɯ], [ʑɯ]/[ʥɯ], [ʨɯ] 와같이표기하는것이옳음.

34 日本語教育 ( 第 65 輯 ) 4. 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분석 4.1 분석목적일본어교과서에서로마자또는음성기호로일본어가나의발음을표기할필요가있는지, 표기의필요성이인정된다면가장바람직한표기의종류와방법은무엇인지, 이들표기를일본어발음교육에활용하기위한방법은무엇인지등에대해서구체적으로논의하기위한기초단계로서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의발음표기의실효성에대해서검토하기로한다. 4.2 분석방법 4.2.1 로마자와음성기호선정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의발음표기의실효성을검토하기위해서 < 표 2> 에제시된로마자와음성기호중에서학습자에게올바른발음정보가이해되기어렵거나혼동을일으킬것으로예상되는표기 49종류 ( 표 3) 를선정하였다. 4) < 표 3> 분석대상로마자와음성기호의종류 (49 개 ) 분류일본어가나로마자음성기호 ア행 ウ {u} [ɯ] オ [o] ワ행ヲ {wo} カ행ク {ku}, [kɯ] ガ행グ {ɡu}, {gu} [gɯ] サ행 シ {si}, {shi} [ʃi] ス {su} [sɯ] ザ행ザ {za} [ʣa] タ행 チ {ti}, {chi} [ʧi] ツ {tu}, {tsu} [ʦɯ] ナ행ニ {ni} [ɲi] ハ행 ヒ {hi} [çi] フ {hu}, {fu} [ɸɯ] ヤ행ユ {ju} [jɯ] 요음 ( 拗音 ) キョ {kyo} [k j o] シュ {syu}, {shu} [ʃɯ] ジャ {ja}, {zya} [ʒa], [ʤa] チョ {tyo}, {cho} [ʧo] ニュ {nyu} [ɲɯ] ニョ {nyo} [ɲo] ヒュ {hyu} [çɯ] 4) 이하에서는로마자는 { } 에, 음성기호는 [ ] 에넣어서구별하기로함. 행의순서는임의로배열했음.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 35 4.2.2 피조사자피조사자는서울시내소재인문계고등학교재학생 24명 ( 남 7명, 여 17명 ) 과경기도소재인문계고등학교재학생 24명 ( 남 15명, 여 9명 ) 으로총 48명이다. 피조사자는전원영어학습경험이있고, 그중에서 38명은영어외에일본어학습경험 (1개월 2 년 ) 을, 5명은중국어학습경험 (1년 2 년 ) 을, 1명은프랑스어학습경험 (1년) 을갖고있었다. 또한, 중국어 (7년) 와프랑스어학습경험 (1년) 을가진학생도 1명있었으며, 3명은영어이외의외국어를학습한경험이없었다. 4.2.3 음성녹음 < 표 3> 에제시한로마자와음성기호를무작위로배열한다음마이크로소프트사의파워포인트 (Powerpoint) 를이용하여각표기를컴퓨터모니터에 4초간격으로 4초동안제시하고발음하게하였다. 5) 학습자의발음은노트북컴퓨터 (SAMSUNG SENS R470) 에마이크 (SONY ECM C10) 를연결하여녹음하였다. 녹음실시전에사전인터뷰와녹음예행연습을하였으며, 피조사자 1인당녹음시간은 15분 20 분이소요되었다. 녹음은 2012년 4월부터 2012년 6월까지조용한강의실에서실시되었다. 4.2.4 분석용데이터베이스작성피조사자의발음결과를효율적으로집계 분석하기위해서마이크로소프트사의엑셀 (EXCEL) 을이용하여데이터베이스를작성하였다 ( 그림 1). 엑셀파일에는학교명과피조사자식별번호, 발음인원수와그비율, 발음표기개수및비율등의정보가포함되어있으며, 학습자의발음을 22kHz, 16Bit, Mono 로변환한음성을엑셀파일에개체삽입하여, 필요에따라서음성을청취할수있도록하였다. < 그림 1> 엑셀파일의구조 ( 일부만제시, 셀안의 는학습자가발음을하지못했음을나타냄 ) 5) 피조사자는로마자와음성기호가일본어가나의발음을나타낸다는사실을인식하지못한상태에서발음하였음.

36 日本語教育 ( 第 65 輯 ) 4.2.5 일본어모어화자의평가피조사자에게제시된총 2,352 개 (49개 48명 ) 의로마자또는음성기호중에서피조사자가발음에실패한 798개 (< 그림 1> 의 표 ) 를제외한 1,554개를무질서하게배열한다음일본어모어화자 ( 이하, 일본어화자 ) 4명 ( 도쿄 2명, 요코하마 1명, 치바 1명 ) 에게스피커를통해서 1회씩들려주고그발음을가타카나로받아적도록하였다. 일본어화자에게는청취할음성이일본어를발음한것이라는사실을사전에공지하였으며, 피조사자의발음이일본어로서애매하거나식별이곤란한경우에는받아적지않도록하였다. 일본어화자 1인당평균소요시간은약 6시간으로, 하루에 3시간씩 2일에걸쳐서하였으며사전연습을통해서평가방법의모호성을해소하도록하였다. 평가기간은 2012년 8월 20일부터 2012년 11월 21일까지이다. 5. 결과및고찰 5.1 로마자와음성기호에대한발음자수와정답률 로마자와음성기호를보고피조사자가발음한음성을일본어화자가듣고가타카나로표기한 결과를 < 표 4> 에제시한다. < 표 4> 일본어가나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학습자의발음경향 분류 가나 표기 발음자 ( 명 ) 정답률 (%) {u} 46 29.9 ウア행 [ɯ] 16 37.5 オ [o] 48 74.0 ワ행 ヲ {wo} 40 24.4 カ행 ク {ku} 44 73.9 [kɯ] 19 31.6 {gu} 44 9.7 ガ행 グ {ɡu} 46 17.4 [gɯ] 15 8.3 {si} 46 67.9 シ {shi} 41 62.8 サ행 [ʃi] 23 65.2 ス {su} 47 59.0 [sɯ] 17 23.5 ザ행 ザ {za} 45 18.3 [ʣa] 33 25.8 {ti} 45 10.6 チ {chi} 41 75.0 タ행 [ʧi] 19 26.3 {tu} 46 13.0 ツ {tsu} 34 18.4 [ʦɯ] 16 1.6 ナ행 ニ {ni} 44 61.4 [ɲi] 20 46.3 ヒハ행フヤ행ユキャ행キョシャ행シュジャ행ジャチャ행チョニュニャ행ニョヒャ행ヒュ {hi} 45 37.8 [çi] 11 2.3 {hu} 45 61.7 {fu} 44 18.2 [ɸɯ] 4 0 {yu} 43 63.4 [jɯ] 11 0 {kyo} 42 39.9 [k j o] 15 8.3 {syu} 38 37.5 {shu} 40 50.6 [ʃɯ] 15 13.3 {zya} 36 42.4 {ja} 48 25.0 [ʤa] 15 20.0 [ʒa] 10 27.5 {tyo} 41 9.8 {cho} 44 58.0 [ʧo] 20 18.8 {nyu} 37 55.4 [ɲɯ] 11 36.4 {nyo} 40 16.9 [ɲo] 21 4.8 {hyu} 38 30.3 [çɯ] 5 0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 37 < 표 4> 의 발음자 는로마자또는음성기호를보고발음한피조사자수를나타내며 6), 정답률 은피조사자에게제시된로마자또는음성기호가나타내는일본어가나와일본어화자가피조사자의발음을듣고받아적은가타카나가일치하는비율을나타낸다. 예를들면, ア행 의 ウ 의로마자표기 {u} 를보고발음한피조사자 ( 발음자 ) 는전체 48명중의 46명으로, 이들의발음을일본어화자 (4명) 가듣고가타카나로 ウ 라고표기한비율이 29.9% 임을나타낸다. 즉, 정답률은 46명이발음한 {u} 의 46개의음성을일본어화자 4명이청취한횟수 (46 4=184 회 ) 중에서 {u} 의발음이 ウ 로판정된횟수 (55회) 를비율로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46명의피조사자가로마자표기 {u} 를보고발음한결과가일본어가나 ウ 의발음과일치하는비율이 29.9% 로, 대부분의피조사자가로마자표기 {u} 를보고일본어가나 ウ 의올바른발음으로발음하지못하였음을알수있다. 단, 로마자또는음성기호표기와일본어화자의가타카나표기의일치여부를판단함에있어서 ア행 과 ワ행 의경우는모음의발음에대한표기를, 나머지행의경우는자음의발음에대한표기를기준으로하였으며, 따라서모음또는자음뒤에장음표기가부가된경우도정답으로인정하였다. 예를들면, 로마자표기 {u} 의발음이 ウ 로기입된경우는물론 ウー 로기입된경우도정답으로간주하였다. 그이유는한국인학습자가일본어가나를문자단위로발음할때 アー, イー, ウー, エー, オー 처럼길게발음하는경향이있기때문이다. 또한, チョ 를 チョウ, チョオ 와같이발음한것도정답으로간주하였다. 먼저, < 표 4> 에나타난일본어가나의발음표기에대한피조사자의발음자수와정답률간의상관관계를분석한결과를 < 그림 2> 에제시한다. 그림의왼쪽은로마자표기, 오른쪽은음성기호표기에대한발음자수와정답률을나타낸다. < 그림 2> 를보면발음자수와정답률의분포가표기의종류에따라서다르게나타나있음을알수있다. 특히, 발음자수의경우로마자표기는발음자수가비교적높고그분포가넓지않은데비해서음성기호표기는발음자수가낮고넓게분포되어있음을알수있다. 음성기호표기에서예외적으로발음자수가많은것으로나타난것은 ザ [dza] 와 オ [o] 이다. 한편, 발음자수에서는음성기호에비해서로마자표기의경우가많은것을알수있으나, 발음자수가많다고해서반드시정답률이높은것은아니라는것을알수있으며, 로마자표기 (r=.443) 와음성기호표기 (r=.479) 모두발음자수와정답률사이에중정도의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다음에, < 표 4> 에나타난경향을보다구체적으로검토하기로한다. 먼저발음자수에대해서살펴보면, 피조사자에게제시된총 49개의표기 ( 로마자 28개, 음성기호 21개 ) 에대한평균발음자수는 32명으로총 48명의 67% 이며, 로마자에대한평균발음자수는 43명 ( 약 90%), 음성기호에대한평균발음자수는 17명 ( 약 35%) 으로나타났다. 즉, 로마자또는음성기호에대한피조사 6) 로마자또는음성기호를보고그표기대상인가나를올바르게발음한경우와잘못발음한경우를모두포함하며, 본고에서는발음자수를로마자또는음성기호에대한피조사자전체의인지도를나타내는것으로해석함.

38 日本語教育 ( 第 65 輯 ) 자의인지도가전체적으로낮고, 특히로마자에비해서음성기호에대한인지도가매우낮음을 알수있으며, 특히음성기호 [ɸɯ]( フ ) 와 [çɯ]( ヒュ ) 에대한발음자수는각각 4 명과 5 명으로나타 났다. [ 로마자 ] [ 음성기호 ] 정답률 (%) 정답률 (%) 발음자 ( 명 ) 발음자 ( 명 ) < 그림 2> 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인지도 ( 발음자수 ) 와정답률분포 다음에정답률에대해서살펴보기로한다. 정답률은로마자또는음성기호에대한피조사자의발음결과와그에대한일본어화자의청취결과가일치하는비율을나타내지만, 단순하게정답률의고저를전체피조사자의로마자또는음성기호에대한발음정답률로해석하는것은곤란하다. 왜냐하면발음자수가많으면서정답률도높은경우와그반대의경우및발음자수와정답률이반대로나타나는경우등이있기때문이다. 예를들면, 로마자표기 {ku}( ク ) 의경우는발음자수 (44명) 도많고정답률 (73.9%) 도모두높은데비해서, 음성기호 [ʃi]( シ ) 의경우는발음자수 (23명) 는적은데정답률 (65.2%) 은비교적높게나타났다. 정답률에나타난경향을보면, 로마자표기 (28개) 의평균정답률은 39% 이고음성기호 (21개) 의평균정답률은약 23% 로나타나표기의종류에무관하게양자의평균정답률은 31% 로전체적으로매우낮음을알수있다. 로마자표기중에서는 {chi}( チ ) 가 75% 로최고치를, {gu}( グ ) 가 9.7% 로최저치를나타냈다. {gu}( グ ) 의경우는대부분의피조사자가이를유성파열음으로발음하지못하고무성파열음으로발음했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한편, 음성기호의경우는 [o] ( オ ) 가 74% 로최고치를 [ɸɯ]( フ ) 와 [çɯ]( ヒュ ) 가 0% 로최저치를나타냈는데, 무성양순마찰음을나타내는음성기호 [ɸ] 와무성치경경구개마찰음 ( 또는무성경구개마찰음 ) 을나타내는음성기호 [ç] 에대한인지도 ( 발음자수가각각 4명과 5명임 ) 가매우낮은것과관련이있을것으로판단된다. 5.2 일본어가나의종류별정답률과발음경향 5.2.1 ア행음 ワ행음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 39 ア행음 과 ワ 행음중에서 ウ 및 オ 와 ヲ 의로마자또는음성기호표기에대한피조사자의발음경향과정답률을 < 표 5> 에제시한다. 표안의가타카나는일본어화자가피조사자의발음을듣고표기한것으로, 맨위칸 ( 정답 ) 에피조사자의발음과일본어가나의발음이일치하는것을제시하고, 이후에는유형을제시하였다. 미기입 은일본어화자가피조사자의발음을청취했으나, 발음이애매하고식별이불가능하여가타카나로표기하지않은비율을나타낸다. 먼저, ウ 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을보면, 로마자표기에대한정답률 (29.9%) 이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 (37.5%) 보다낮게나타났고, 로마자표기와음성기호표기를음가가아니라문자의명칭 ( ユ, ダウリュ등 ) 으로발음한비율이각각 50.5% 와 9.4% 로나타났다. < 표 5> ウ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u} [ɯ] 정답 ウ, ウー 29.9% ウ, ウー 37.5% ユ, ユウ, ユー 50.5% ダウリュ, ダウリュー, ダブリュ, トォユ, エム 9.4% オ, ニュ, ヨ, ニ, イ, ウィ, オ, ウ, プ, リュ, ン 15.8% ム, ウン, ン, ア, アー, オ 32.8% 미기입 3.8% 미기입 20.3% 다음으로, ヲ 의로마자표기와 オ 의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은각각 24.4% 와 74.0% 로, 음성기호에대한정답률이로마자에비해서높게나타났다.( 표 6) < 표 6> ヲ 의로마자표기와 オ 의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wo} [o] 정답 オ, オー 24.4% オ, オー 74.0% ウ, ウー 50.0% ウ 12.0% ワ, ワー 8.1% オゥ, オウ 2.1% ウォ, オゥ, ワォ, ニュ, フー, ボー, ホー, モ 7.5% ウ, ゴ, ボ, ウン, ン, コ, フ, ア, オン, ク, ホ 8.3% 미기입 10.0% 미기입 3.6% 로마자표기의경우는 {w} 에영향을받아서 ウ 와 ウー (50.0%) 및 ワ, ワー, ウォ 등으로 발음하였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5.2.2 カ행음 ガ행음カ행음과ガ행음중에서 ク 와 グ 의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을 < 표 7> 에제시한다. 일본어는성대진동의유무에따라서유성파열음과무성파열음이음운적으로대립한다. 따라서 ク 와 グ 를음성기호로구별하기위해서자음을무성자음 [k] 와유성자음 [g] 로표기하는데, 이들표기에대한정답률은각각 31.6% 와 8.3% 로나타났으며, [kɯ] 에대한정답률이 [gɯ] 에비해서높게나타났다.

40 日本語教育 ( 第 65 輯 ) < 표 7> ク 와 グ 의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kɯ] [gɯ] 정답 ク, クゥ, クー 31.6% グ 8.3% キュ, キュー, キュウ 35.5% キュ, キュウ 15.0% キョ, キュン, キ, クン 26.3% ク, クゥ, クウ, ギュ, ガ, リュウ, キョ, クン, ガン, ギョ, ゴ, ゴウ, ドゥ, リュウ, レ 68.3% 미기입 6.6% 미기입 16.7% 5.2.3 サ행음サ행음중에서 シ 의로마자및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을 < 표 8> 에제시한다. シ 의자음은무성치경경구개마찰음으로모음 /i/ 앞에서구개화한음으로, 음성기호로는구개화한음이면서원순성자질을갖지않는 [ɕ] 로표기하는것이일반적이나원순성자질을갖는 [ʃ] 로표기하기도한다. シ 의로마자표기 {si}, {shi} 와음성기호표기 [ʃi] 의정답률은각각 67.9%, 62.8%, 65.2% 로다른가나 ( 전체평균 32%) 에비해서비교적높게나타났다. < 표 8> シ 의로마자표기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si} {shi} [ʃi] 정답 シ, シー 67.9% シ, シー 62.8% シ, シー 65.2% スィ, スィー 9.2% スィ, スィー 12.8% スィ, スィー 5.4% チ, チィ, ヒ, ヒィ, ヒー, サ, チ, チー, ジ, ジー, シュ, リ, ジ, ジィ, ジィー, アイ, 14.2% 18.3% ジ, シゥ, シゥィー, フィヒ, チャ, ヒャ, ヒュウ, リイ, シッ, チ, ハイ, ピ 21.8% 미기입 8.7% 미기입 6.1% 미기입 7.6% 5.2.4 행음먼저, < 표 9> 는タ행음중에서 チ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발음경향과정답률을나타낸것이다. チ 의자음역시전설협모음 /i/ 앞에서구개화하는데, 로마자표기법의종류에따라서 {ti}( 훈령식 ) 와 {chi}( 표준식 ) 로표기되며, 음성기호로는 [ʧi] 로표기된다. 이들세종류의표기에대해서는로마자표기 {chi} 의정답률 (75%) 이가장높게나타났고, {ti} 와 [ʧi] 의정답률은각각 10.6% 와 26.3% 로낮게나타났다. {chi} 의경우는 {ch} 의음가를영어로유추한것으로판단되는발음 ( キ, キィ ) 이관찰되었으며, {ti} 의경우도영어의영향으로판단되는발음 ( ティ, ティー ) 의비율 (67.2%) 이높게나타났다. 한편 [ʧi] 의경우는 [ʧ] 에대한인지도가낮아서인지매우다양하게발음한것을알수있다. < 표 9> チ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ti} {chi} [ʧi] 정답 チ, チィ, チー 10.6% チ, チィ, チー, チィー 75.0% チ, チー, チィー 26.3% ティ, ティー 67.2% シ 6.7% シ, ティ, ティー 18.4% キ, キィー, タ, ジ, ビ, カ, キ, キィ, チェ, ツ, ジ, シュトゥシ, チュ, チュウ, ティシ, 13.3% 14.6% トゥイイ, シュイー, チャイ, キゥイチシ, チッシ, ティシュ, テュシ 36.9% 미기입 8.9% 미기입 3.7% 미기입 18.4%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 41 다음으로, < 표 10> 은 ツ 에대한발음경향과정답률을나타낸것이다. ツ 역시로마자표기법의종류에따라서 {tu}( 훈령식 ) 와 {tsu}( 표준식 ) 으로표기되고, 음성기호로는파찰음을나타내는 [ʦ] 에중설모음 [ɯ] 를붙여서표기한다. 이들세종류의표기에대한정답률은모두매우낮게나타났으며, 특히 [ʦɯ] 의정답률은 1.6% 로특히낮았다. {tu} 의경우는철자의모양대로 トゥ, トゥー 로발음한비율이 32.6% 로나타났고, {tsu} 와 [tsɯ] 는자음을나타내는데두개의문자가사용되었기때문에피조사자에게인지도가낮아매우다양하게발음하였음을알수있다. 이와같은경향은세종류의표기에대한미기입비율이 20% 이상으로나타난것에서도짐작할수있다. < 표 10> ツ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tu} {tsu} [ʦɯ] 정답 ツ, ツゥ, ツウ, ツー 13.0% ツ, ツゥ, ツー 18.4% ツゥ 1.6% トゥ, トゥー 32.6% チュ, チュウ 13.2% チュ, チュー, チュウ 12.5% テュ, トュ 10.3% ス, スウ, スー 13.2% ス, スー 9.4% キュ, キュウ, トウ, トウー, トゥース, トゥス, シュ, シュウチュン, シュ, シュウ, スン, チュ, チュウ, キョ, ズ, ドォ, 22.9% ティシュ, トゥ, ジュ, ジュウ, 25.8% チシュ, チシュー, チュース, 40.6% プ チシュ, チシュー ティス, ティッシュ, トゥース 미기입 21.2% 미기입 29.4% 미기입 35.9% 5.2.5 ナ행음ナ행음중에서 ニ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발음경향과정답률을 < 표 11> 에제시한다. 음성기호표기의정답률 (46.3%) 이로마자표기의정답률 (61.4%) 에비해서낮게나타났으며, 이는유성치경경구개비음을나타내는음성기호 [ɲ] 의인지도가낮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또한, 두종류의표기를 リ 로발음한비율이각각 22.2% 와 13.8% 로나타났으며, 영어의영향으로추측되는발음 ( ナイ, ナイン ), 피조사자의모어의영향으로추측되는발음 ( ディ ) 7) 등이관찰된다. < 표 11> ニ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ni} [ɲi] 정답 ニ, ニイ, ニー 61.4% ニ, ニー, ニィー 46.3% リ, リィ, リー 22.2% リ 13.8% ミ, ディ, イ, ナイ, ナイン 11.3% ジ, ディ, ナ, チィ, ニュ, ニュウ, イ, ジィ, チニ, ティー, ティニ, ビ, ラ 31.1% 미기입 5.1% 미기입 8.8% 7) 한국어의경상도방언을제외한많은방언에서, 어두에서협모음앞의비음 /n/, /m/ 의조음시에파열이선행되는경우 ( 전파열비자음, prestopped nasal consonant) 가있으며, 그영향으로한국인학습자에게서일본어의 にほんご 를 ディホンゴ 처럼발음하는경향이관찰됨.

42 日本語教育 ( 第 65 輯 ) 5.2.6 ハ행음일본어의ハ행음은후속모음의종류에따라서두종류또는세종류의변이음으로실현되는데, 그에따라서표기에사용되는로마자와음성기호의종류도다양하다. 먼저, ヒ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발음경향과정답률을살펴보기로한다. 두종류의표기에대한정답률은모두낮으며, 특히음성기호표기의정답률이 2.3% 로매우낮게나타났다. 이는무성경구개마찰음 ( 또는무성치경경구개마찰음 ) 을나타내는음성기호 [ç] 에대한인지도가낮기때문인것으로판단되는데, [ç] 를 [c] 로유추한결과로보이는발음 ( シ, シー ) 비율이 50% 에달한다. < 표 12> ヒ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hi} [çi] 정답 ヒ, ヒィ, ヒー, ヒィー 37.8% ヒ 2.3% シ, シイ, シー, シィー 19.4% シ, シー 50.0% ハーイ, ハイ 18.3% チ, チー 29.5% チ, ハ, キイ, ティ, ア, ジ, ファー, ヘイ 13.4% ジ, ジー, ジィー, スィ, ピ 13.7% 미기입 11.1% 미기입 4.5% 다음으로, フ 의경우는로마자표기 {hu} 의정답률 (61.7%) 만약간높게나타났을뿐, 같은로마자표기 {fu} 의정답률 (18.2%) 은매우낮고, 특히음성기호표기 [ɸɯ] 의정답률은 0% 로나타났다. [ɸɯ] 의정답률이 0% 인것은무성양순마찰음을나타내는음성기호 [ɸ] 에대한인지도가낮기때문으로판단된다. 한편, {fu} 의경우는자음기호를윗니와아랫입술을이용하는영어등의마찰음기호로인식하였으나, 결과적으로이를마찰음으로발음하지못하고위 아랫입술을이용하는파열음으로발음한것으로추정되는발음 ( プ, プウ등 ) 의비율이 21% 로나타났다. < 표 13> フ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hu} {fu} [ɸɯ] 정답 フ, フゥ, フウ, フー, フゥー 61.7% フ, フウ, フー, フゥ 18.2% 0% ヒュ, ヒュー, ヒュウ 6.1% プ, プウ, ピュ, ピュウ 21.0% ウン, ン 12.5% ホ, ホー, シュ, ク, キュ, キュウ, プ, ウ, ハ, ユ, ソ, 29.4% ス, スゥ, キュ, キュウ, ウ, ク, ヒュ, ヒュー, シュ, ジュ, 42.6% キュ, ニュ 36.7% ソォ, コ, チュ ソ, トゥ, ヒィ, ウ, ヒゥー 미기입 2.8% 미기입 18.2% 미기입 25.0% 5.2.7 ヤ행음ヤ행음중에서 ユ 의정답률은음성기호표기의경우는 0% 로, 로마자표기의경우는 63.4% 로나타났으며, 특히음성기호표기 [jɯ] 의경우는영어발음에대한사전지식의영향을받은것으로추측되는발음 ( ジュ, ジュー, ジュウ ) 의비율이 29.5% 로나타났다.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 43 < 표 14> ユ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yu} [jɯ] 정답 ユ, ユウ, ユー 63.4% 0% ヨ 12.8% ジュ, ジュー, ジュウ 29.5% ヤ, ヤー 4.7% キュ, キュー, キュウ 13.6% ウ, オ, ウィ, リュ, リュー, リュウ, イエウ, イエロ, チュ, ズ, ギュ, ギュウ, ジューン, ジュン, イジュ 15.0% イユー, ウーン, エウ, ク, ニュ, ヨウ, リューウ, チム, ツ, トゥ, ニジュウ 38.7% 미기입 4.1% 미기입 18.2% 5.2.8 요음 ( 拗音 ) 일본어요음은구개화한음으로, 로마자로는훈령식이냐표준식이냐에따라서두종류의표기가사용되고, 음성기호로는구개화를나타내는보조기호 ( j ) 를이용해서표기하거나독자적인기호를사용한다. 먼저, カ행요음중에서 キョ 의발음경향과정답률 ( 표 15) 을살펴보면, {kyo} 의경우는 46.4% 로나타났으나, [k j o] 의경우는 8.3% 로현저하게낮게나타났다. 이는구개화를나타내는보조기호 [ j ] 에대한인지도가낮기때문인것으로판단되며, 이보조기호를독립된기호로인식하여 [k j o] 를 1모라가아닌 2모라이상으로발음하는경향 ( クウチョ, クジョ, クチュ등 ) 이관찰되었다. < 표 15> キョ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kyo} [k j o] 정답 キョ, キョー, キョオ, キョウ 46.4% キョ 8.3% キュ, キュウ 29.2% コ 38.3% コ, ピョ, チュウ, チョ, チョウ, キュゴー, ク, クォク, クー, グ, グゥー, クウチョ, クジョ, クチュ, ク 14.3% ン, ティウ, ト, ヒョドゥ, ゴ, コジョ, ジョ 31.7% 미기입 10.1% 미기입 21.7% 다음에, シュ 는두종류의로마자 ( 훈령식과표준식 ) 와음성기호로표기되었는데, 음성기호의정답률 (13.3%) 에비해서로마자표기의정답률 (37.5% 와 50.6%) 이높게나타났다. 이는무성치경경구개음을나타내는음성기호 [ʃ] 에대한인지도가낮기때문인것으로추측되며, 로마자의경우는훈령식 (37.5%) 에비해서표준식표기의정답률 (50.6%) 이높게나타났다. < 표 16> シュ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syu} {shu} [ʃɯ] 정답シュ, シュー, シュウシュ, シュー, シュウ, シュ 37.5% 50.6% シュ, シュー, シュウ 13.3% ウーシォ, ショ, シゥ, シウ 16.5% ショ, ショー, シゥ 6.3% ス, スー, スゥ 23.3% ヒュ, ヒュー, シ, シー, チュ, ス, スー, ヒュ, ヒュー, ヒュコ, リュ, リュウ, シュン, ソ, チュウ, スユ, ス, スー, チョ, 25.6% ウ, ヒョ, キュ, ジュ, チョ, 31.8% ソオー, チム, シェー, ジュ 36.7% ジュツゥ, ピュ, ヒョウン, ジョ, ヒュ, ヒュン, ピョ 미기입 20.4% 미기입 11.3% 미기입 26.7%

44 日本語教育 ( 第 65 輯 ) < 표 17> 은 ジャ 의발음경향과정답률을나타낸것이다. 네종류의표기모두정답률이 낮게나타났으며, {zya}, {ja}, [ʤa] 의경우는유성자음을무성자음으로발음하는경향 ( チャ, チャア, チャー ) 이두드러지게나타났다. < 표 17> ジャ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zya} {ja} [ʤa] [ʒa] 정답ジャ, ジャー, ジャア 42.4% ジャ, ジャー, ジャア 25.0% ジャ 20.0% ジャ, ジャア 27.5% チャ, チャア 32.6% チャ, チャー, チャア 44.3% チャ, チャア 20.0% ザ, ザー 12.5% ザ, ザァ 3.5% ザ, ザァ 14.1% ザ, サ 26.7% ガ, ラ 20.0% チャヤ, チャヤー, タ, タァ, ター, サ, シャ, ダウ, トウザ, サ, ヤ, オ, クザ, ジェア, シャ, ヤ, ゼイ, ジュイ, ゾ, ザーン, サン, ジャ 11.1% 10.3% キャ, ジィア, ジョア, チョ, トォ, ヤン, デザ, デュサ 18.3% グザ, ツァー, ホ 27.5% チョ, チョア, ラ, リャ 미기입 10.4% 미기입 6.3% 미기입 15.0% 미기입 12.5% < 표 18> 을보면 チョ 의경우는로마자표기 {cho} 의정답률 (62.5%) 이 {tyo}(9.8%) 와 [ʧo](18.8%) 에비해서높게나타났으며, 로마자표기의경우에는훈령식 ({tyo}) 에비해표준식 ({cho}) 의정답률이높게나타났다. 로마자와음성기호모두자음이두개의문자또는기호로표기되는경우에그에대한인지도와식별능력이떨어지는것으로판단되며, トゥヨ, ティッソ, ツシュオ, ティッソ 등과같이그원인을특정하기곤란한유형의발음이나타나는경향이강하다. < 표 18> チョ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tyo} {cho} [ʧo] 정답 チョ, チョウ 9.8% チョ, チョー, チォ, チョウ 62.5% チョ, チョオ, チョウ 18.8% キョ, キョー, キョウ 17.0% キョ, キョォ, キョウ 9.7% ソ 5.0% キュ, キュー 11.0% キュ, キュー 2.3% チュ 5.0% ト, トォ, トゥ, トゥー, チュ, チュ, ピョ, ト, トォ, トゥ, ショ, ト, トォ, ウ, シュ, ツォ, 30.5% 13.6% テュ, テュウトゥー, テュトゥース, キョ, キョウ 36.2% 미기입 31.7% 미기입 11.9% 미기입 35.0% 마지막으로, ヒュ 의경우도로마자표기의정답률은 30.3% 로낮게나타났으며, 음성기호표기 [çɯ] 의경우는 0% 로나타났다. [çɯ] 의자음기호 [ç] 를 [c] 로오인한것으로판단되는발음 ( シュ, シュウ ) 이관찰되는것으로보아, 음성기호표기에대한인지도가매우낮음을짐작할수있다. < 표 19> ヒュ 의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정답률과발음경향 표기 {hyu} [çɯ] 정답 ヒュ, ヒュー, ヒュウ 30.3% 0% シュ, シュウ 15.8% キュ, キュウ 35.0% ヒョ, ヒョー, ヒョオ 9.9% シュ, シュウ 20.0% キュ, キュウ, ショ, チュ, ハイウ, ハイユ, ハイヨウ, フユ, キョ, シゥ, チョ, ジュ, ヒーウ, ヒャ, 27.6% クン, チョ, ギョ, クム, ジョ 40.0% ピュー, ヒョウ 미기입 16.4% 미기입 5.0%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 45 이상으로살펴본일본어가나의로마자또는음성기호를이용한발음표기는피조사자에게그음가를정확하게전달하기곤란하며, 특히복합문자또는기호로표기된경우의인지도와정답률이낮고, 로마자에비해서음성기호에대한인지도와정답률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한편, 로마자표기의경우는대체로표준식의경우가훈령식에비해서피조사자의인지도가높으며, 그에따라서정답률도높게나타났다. 6. 입문기의일본어발음교육방법 지금까지의분석결과에따르면입문기의초급학습자들은일본어가나에부가되는로마자또는음성기호를이용한발음표기에대한인지도가매우낮으며, 그에따라서발음결과또한로마자또는음성기호표기와일치하지않는경우가많은것으로확인되었다. 본장에서는이러한분석결과를토대로일본어가나문자를개입시키지않고일본어의발음체계를교육하는방법에대해서소개하기로한다. 일본어교육기관또는일본어교육교실에서입문기의초급학습자를대상으로일본어발음을도입할때 오십음 ( 五十音 ) 을이용하는경우가많을것으로추측되며, 그구체적인방법은기관에따라서또는교사에따라서매우다양할것으로예상되는데, 이하에서는가시마 (1995) 의 오십음블랭크표 를이용한일본어학습초기의발음도입방법에대해서소개하기로한다. 가시마 (1995) 는 < 표 20> 에제시한것과같은 오십음블랭크표 를이용한발음도입방법을보고하고있는데, 오십음블랭크표 의장점으로가나문자를제시하지않기때문에학습자는문자가아니라발음에집중할수있다는점을들고있다. 또한, 학습초기에문자와발음을동시에익혀야한다는정신적부담을경감시킬수있다는점을강조하고있다. < 표 20> 오십음블랭크표 ( 청음 ) w r y m h n t s k ø 44 39 36 31 26 21 16 11 6 1 a 40 32 27 22 17 12 7 2 i 41 37 33 28 23 18 13 8 3 u 42 34 29 24 19 14 9 4 e 45 43 38 35 30 25 20 15 10 5 o 오십음블랭크표 를이용한발음도입방법은다음과같다. 8) 먼저, 발음도입에앞서학습 8) 이하에서소개하는발음도입방법은가시마 (1995) 에제시된내용의일부임. 보다구체적인내용은가시마 (1995) 를참조.

46 日本語教育 ( 第 65 輯 ) 자에게설명할것은일본어의최소발음단위는첫행의 a, i, u, e, o 와첫단의각음과의조합으로이루어지는데, < 표 20> 에서는 1부터 45까지네모칸안에표시된음이최소단위라고하는사실과이들네모칸이조합되어단어가되고문장이된다고하는사실이다. 다음에, 이와같은설명을한후에 1부터 5까지의모음의발음연습을시작한다. 이어서 6부터 44까지의발음으로이행해가는데, 45는발음 ( ん ) 이므로촉음, 장음등과함께나중에도입한다. 여기서도모음과마찬가지로조음상의특징에주의하면서발음을반복하여학습자에게들려준다. 그뒤에학습자는か행, さ행등행단위로발음해간다. 1부터 44까지모든분절음의도입이끝나면각음의발음연습과청취연습을실시한다. 발음연습은교사가표안의번호를가리키면학습자가발음하는방법으로하되, 학습자가어려워하는발음이있으면발음교정방법 ( 도키 1989 등 ) 에따라서학습자에게스트레스가되지않을정도로반복한다. 청취연습은이와반대로교사가발음하고학습자가그발음의번호를가리키거나말하게하는방법으로실시한다. 청음의도입이끝나면탁음, 요음등의순서로이행한다. 7. 결론및과제 이상으로중 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도입부의오십음도에제시된가나의발음표기 ( 로마자와음성기호 ) 에대해서, 고등학생일본어학습자를대상으로로마자와음성기호에대한인지도와발음경향을분석하였다. 그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오십음도의일본어가나에부가된로마자또는음성기호에대한학습자의인지도 ( 발음자수비율 ) 는평균 67% 로낮은것으로나타났다. 특히, 로마자 (90%) 에비해서음성기호 (35%) 에대한인지도가낮은것으로나타났다. 둘째, 로마자와음성기호가나타내는가나와피조사자가발음한결과가일치하는비율 ( 정답률 ) 은평균 31% 로매우낮은것으로나타났으며, 특히로마자 (39%) 에비해서음성기호 (23%) 에대한정답률이낮게나타났다. 셋째, 로마자와음성기호표기에대한인지도가높다고해서반드시정답률이높은것은아니며, 양자간에는중정도 ( 로마자 : r=.443, 음성기호 : r=.479) 의상관관계가인정된다. 넷째, 로마자와음성기호모두피조사자가많이접한것으로여겨지는경우에그에대한인지도와정답률이높은경향을보였다. 다섯째, 결론적으로교사의적절한지도가이루어지지않으면교과서도입부에제시되는오십음도의가나에대한발음표기는학습자의올바른일본어발음습득에부정적인영향을미칠가능성이큰것으로판단된다. 앞으로일본어교과서도입부에제시되는오십음도의기능과역할및발음표기의필요성등에대해서보다심도있는논의가필요하며, 이를위해서교과서집필자의의도를정확하게파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 47 악하는한편교사용지도서나학생용자습서를분석할필요가있다. 또한로마자또는음성기호표기를이용한가나의발음표기에대한일선교사들의인식과활용실태에대한분석과평가가아울러이루어져야할것이다. 아울러일본어학습초기에문자와발음의관계를효과적으로지도하기위한방법을서둘러모색할필요가있다. 참고문헌 가시마 ( 鹿島央 1995) 初級音声教育再考 日本語教育 86 号, pp.103 115. 가와노 ( 河野俊之 1999) 教科書 教材からみた, 戦後 50 年における日本語教育の変遷 : 日本語教科書のイントロダクションにおける音声項目の扱い方 総合文化研究所紀要 16, pp.17 25. 도키 ( 土岐哲 1986) 音声教育の面から見た教科書 日本語教育 59 号, pp.24 37. 도키 ( 土岐哲 1989) 音声の指導 講座日本語と日本語教育第 13 巻日本語教育教授法 ( 上 ) 明治書院, pp.111 138. 민광준 (2003) 제 7 차교육과정에따른중 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의음성항목분석 일본어학연구 제 8 집, pp.87 100. 민광준 임민혜 (1996) 음성교육의관점에서본고등학교일본어교과서의문제점 일본학보 제 37 집, pp.85 104. 우완재 (2013) 로마자와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의발음표기의유효성 건국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범석 (2006) 대학초급일본어교재의음성항목도입실태 일본어학연구 제 16 집, pp.143 156. (2007) 초급일본어교재에도입된음성항목의문제점과개선방안 : 분절음을중심으로 일본연구 제 32 호, pp.259 293. (2010) 제 7 차교육과정개정중학일본어교과서의음성항목분석 일본학연구 제 30 집, pp.351 373. 장근수 (2013) 고등학교일본어 1 교과서의문자와발음에관한고찰 : 예제어휘의적절성및평가내용을중심으로 일본어교육 제 64 집, pp.35 50. 논문접수일 : 2013 년 7 월 30 일 심사완료일 : 2013 년 8 월 25 일 게재확정일 : 2013 년 9 월 5 일 필자인적사항 논문제목 : 로마자및음성기호를이용한일본어가나발음표기의실효성영문제목 : Effectiveness of the Japanese Kana Pronunciation Transcription by Using IPA and Romanization in Elementary Japanese Textbooks 필자명 1: ( 국문 ) 우완재 ( 禹完在 ), ( 영문 ) Woo Wan Jae 소속 : 시사일본어학원강사전공분야 : 일본어교육 필자명 2: ( 국문 ) 민광준 ( 閔光準 ), ( 영문 ) Min Kwang joon 소속 : 건국대학교사범대학일어교육과교수전공분야 : 음성학, 일본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