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페이즈망의특성을활용한패션윈도우디스플레이디자인개발 허승연 이연희 + + Fashion Window Display Design Development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Depaysement Seungyeun Heo Younhee Lee+ Ph.D.,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visual data from analysis of the Depaysement approaches with new viewpoints to inspire and develop new fashion window design ideas. The literature and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Depaysement were analyzed for theoretical review, and Depaysement expression approaches were identified by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me concepts using traditional Korean images, which could be applied to fashion window displays in Korea, were established, and K(Korean)-fashion design was created to develop fashion window display design. Then, the Depaysement fashion window display was executed using Adobe Illustrator and Photosho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Change of forms and materials could visualize the factors inducing curiosity, which can directly stimulate the consumption sentiment lying latent in the mind of observers by assigning new values to fashion goods displayed inside windows. Unconscious experience and remarkable stories, which are not possible to encounter in an everyday setting, can be visualized through the window display in heterogeneous combination of objects. The location change of an object could express the refreshing and shocking scene to give weird anxiety and mental contradiction to observers by fashion window display, which could break fixed idea of human beings. The change of object awareness could express contradiction and denial, which could liberate the unconsciousness lying latent inside observers through fashion window display. Change of spatial awareness could create the design which maximized the fashion images of goods displayed by helping the observers to change the space of their unconsciousness selectively at their will through the fashion window display with hidden, strange, ambiguous and variable image like a riddle. Key words: Depaysement( ), Fashion Window( ), Show Window( ), Surrealism( ), Visual Merchandising( ), Window Display( ) Corresponding author: Younhee Lee, e-mail: yiyhee@hanyang.ac.kr
.. 1.
2.
. 1.
데페이즈망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 개발 한 소재들을 사용하였다. 데페이즈망 패션윈도우 내부에 디스플레이 할 의 상은 당의 와 승무 장삼, 배자, 두루마기 등 한국 전통의상 실루엣의 디테일들을 응용하여 재킷, 블라 우스, 스커트, 뷔스티에, 케이프 등의 다양한 아이템 을 개발하였다. 이는 과거와 현재, 한국미와 서양미, 평면과 입체 사이에서 융합되어 존재하는 상태의 한 국적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유니크하게 표현하기 위 함이다. 2. 데페이즈망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 전개 1) 형태 및 재질의 변환 특성을 활용한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 데페이즈망의 특성 형태 및 재질의 변환 을 활용 한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로 디자인 1<그림 1>은 데 페이즈망의 대표 작가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레슬러 의 무덤 을 모티브로 하였으며, 형태 및 재질의 변환 의 표현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데페이즈망 기법 스케 일의 변화 를 활용하였다. 이 작품은 관찰자들에게 무의식적인 세계와 비현실적인 낯선 광경을 선사하 기 위해 노린재와 꽃과 같은 생물체 오브제들의 비 율을 과장된 크기로 확대시켜 구성하였다. 윈도우 내 부 색상으로는 진열된 의상디자인의 부분 컬러와 조 화를 이룰 수 있도록 옐로우 오렌지 톤을 활용하였 다.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키기 위해 윈도우 내부에 진열된 상품의 색상 및 형태와 유사한 노린재 벌레 들을 갑작스럽게 등장시켰으며, 이는 기존의 미적 가 <그림 1> 디자인 1: 스케일의 변화 치 판단에서 벗어난 신선하고 유희적인 충격을 관찰 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작품의 소재와 제작방법으 로 대형 꽃 오브제를 인테리어 필름을 레이저 커팅 하고, 노린재는 스티로폼을 조각한 후에 우레탄으로 코팅하여, 공간감 있는 윈도우의 배경과 내벽 이미지 는 실사출력물로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형태 및 재 질의 변환 표현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디자인 1은 일 상적인 공간 내 거리와 시선에 따라 변화하는 윈도 우 내부 오브제들의 스케일 변화를 통해 관찰자들에 게 시지각적 혼돈을 야기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으 며, 이를 접하게 되는 대중들에게 정신적 충격과 함 께 진열된 상품에 대한 호감을 더욱 느낄 수 있도록 시도해 보았다.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 2<그림 2>는 형태 및 재질의 변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데페이즈망의 표현기법 재질의 변환 을 활용하였다. 윈도우 내부에 연출할 꽃 오브제로는 진열된 의상디자인에서 부자 재로 사용된 꽃과 이를 확대시켜 표현한 검정색상의 제작물들을 활용하였다. 확대된 꽃 오브제들은 원단 과 인테리어 필름으로 제작하였다. 진열 의상은 재킷 을 입힌 형태와 벗긴 형태로 각각 천장으로부터 매 달아 나란히 병치하였다. 또한 상품들 뒤쪽에 디자인 은 동일하나 예상치 못한 이질적 소재와 색상을 각 각 적용한 제품들을 연출함으로써, 윈도우 내부 분위 기는 대중들에게 상품에 대한 새로운 가치 관계를 창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윈도우에 디스플레이 된 대상이 본래 소유하고 있던 표면적 성질을 다른 이 미지로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컬러의 조명으 로 연출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대상에 대한 관찰자들 <그림 2> 디자인 2: 재질의 변환 <그림 3> 디자인 3: 이질적 오브제의 만남 - 61 - <그림 4> 디자인 4: 이종결합
데페이즈망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 개발 눈동자 동공 이미지들로 윈도우 내부를 구성하였다. 윈도우 내부 배경은 일상 도시 생활과는 이질적인 휴양지 해변 이미지로 연출되었으며, 바닥은 백사장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모래로 처리하였다. 또한 배 경의 풍경 이미지 위로 윈도우 내에서 거리감이 느 껴지도록 크고 작은 열기구들과 구름을 떠다니게 하 였다. 열기구의 공기주머니 부분은 모두 진열된 의상 에 사용된 눈동자 동공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특히 제일 앞쪽으로 가깝게 확대된 열기구의 바구니 부분 을 의상이 입혀진 바디로 대체해 진열하였는데, 이는 대상을 낯설게 전이하여 위치시킴으로써 관찰자들의 고정된 의식을 파괴시키고 보다 자유로운 정신적 세 계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 작품은 열기구의 공기주 머니 눈동자 이미지는 스티로폼을 조각한 후 우레탄 으로 코팅하여, 열기구 사이사이를 떠다니는 구름 오 브제는 실사 이미지를 접합시킨 폼보드를 레이저 커 팅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바닷가 풍경 이미지를 더욱 극적으로 윈도우 내에 나타내기 위해 배경과 바닥 사이를 비롯한 내벽 전체에 은경 아크릴을 설치 시 공함으로써, 윈도우 내부 연출물들이 모두 사방으로 반사되어 비춰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신비와 경이 가 가득한 분위기의 대상의 낯선 공간 배치 의 패션 윈도우 디스플레이는 도심 속에서 일탈을 꿈꾸는 대 중들에게 직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정밀하게 다가가고 있으며, 자유로운 사고의 순간을 즐길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또한 눈동자 동공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을 과장되게 확대시켜 연출한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는 심미적이거나 도덕적인 관습에서는 다소 벗어난 방 식으로 관찰자들에게 다가갈 것이다. 대상의 위치전 <그림 5> 디자인 5: 대상의 낯선 공간 배치 환 특성을 나타낸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는 고착화 된 인간의 관념을 깨뜨릴 수 있는 장면구성과 함께 신선하고 충격적인 장면을 제공함으로써, 예기치 못 한 상식 밖의 공간에 디스플레이 된 상품에 대해 관 찰자들이 더욱 더 많은 흥미와 관심을 갖고 시선을 집중시키도록 할 것이다. 디자인 6<그림 6>은 대상의 위치전환 특성을 표 현하기 위해 데페이즈망 기법 진열방식의 전환 을 활용하였고, 진열된 의상 제작에 사용된 것과 같은 종류의 체스피스 오브제들로 윈도우 내부를 구성하 였다. 윈도우 내부 색상으로는 체스피스 및 진열된 의상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브라운 계열의 컬러 톤을 활용하였다. 윈도우 내벽 전체는 체스판을 확대 시킨 이미지로 표현하였으며, 이를 위해 MDF와 브 라운 톤의 무늬목을 활용하였다. 특히 윈도우 배경 면의 단조로운 분위기를 커버할 수 있도록 체스판을 형상화하는 구조물을 레이어드 하여 설치하였다. 또 한 디자인 6은 체스피스가 장식된 의상과 바디를 윈 도우 내벽에 옆으로 눕혀서 매달아 연출하였는데, 이 는 대중들에게 비논리적이고 비현실적인 상황을 윈 도우라는 공간 내에서 사실같이 낯설게 보여줌으로 써 진열된 의상제품이 확대된 체스피스로 연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심혈을 기울여야 할 부 분은 진열된 의상제품의 실루엣이 중력에 의해 변화 되지 않도록 의상의 일정 부분들을 천장으로부터 세 밀하게 고정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상식 밖의 진열방법으로 패션상품을 연출한 패션윈도우 디스플 레이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인식해 왔던 친숙한 디스플레이 방식이나 제품과 공간의 인과적 <그림 6> 디자인 6: 진열방식의 전환 <그림 7> 디자인 7: 대상의 중첩 - 63 - <그림 8> 디자인 8: 역설적 이미지
데페이즈망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 개발 <그림 9> 디자인 9: 가변적 경계인지, 내부 공간의 재구성 및 재질변환 <그림 10> 디자인 10 (변화과정) : 내부 공간의 재구성 및 재질변환 형 니트 오브제들은 윈도우 내부에 진열된 의상과 중첩시켰다. 이렇게 윈도우 내부 공간과 제품 및 오 브제들의 경계를 중첩시켜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가 변적 경계인지 와 내부 공간의 재구성 및 재질변환 표현기법은 관찰자들에게 모호하고 흥미로운 장면을 제공할 수 있는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기 에 적절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패션윈도 우 디스플레이 디자인에서 공간인지의 전환 표현기 법들은 관찰자 개개인의 자연스러운 무의식속의 선 택적 공간인지를 유도하도록 나타낼 수 있었으며, 소 비자들에게 진열된 상품을 신비롭고 환상적인 분위 기의 패션이미지로 인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었다. 디자인 10<그림 10>은 공간인지의 전환 을 나타내 기 위해 표현기법 내부 공간의 재구성 및 재질변환 을 활용하였다. 이 윈도우에 구성된 연출 오브제로는 본 연구의 디자인 컨셉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조화 (造花)가 내부에 삽입된 투명한 플라스틱 니트볼을 활용하였다. 윈도우 배경면의 소재로는 재활용된 PET병을 활용하였는데, 이 PET병들과 배경 벽면 사 이에 PET병들이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동시에 영상 이미지가 나타나는 LED 디지털 디바이스를 설치하였 다. 이 디지털 디바이스 장치는 윈도우 내부의 벽면 을 유희적으로 움직이게 할 뿐만 아니라, 입력된 프 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진열될 패션 아이템들의 영상 을 보여준다. 이때 영상으로 투영되는 패션 상품은 상하좌우로 회전하면서 상품의 디테일이 다각도로 연 출되며, 투영되는 상품의 외부 배경 면의 빛나는 폴 리크롬 컬러들은 환상적인 분위기를 나타낸다. 또한 윈도우 외부 측면과 정면에 3D 맵핑 빔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윈도우 내부에 연출되어 있는 투명한 플라 스틱 구형 니트 볼들의 색상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킴 과 동시에, 오브제들의 이미지가 가상으로 아른거리 도록 움직이는 효과를 보여주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신비롭고 재미있게 변화하는 디지털 착시 이미지를 적용시킨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으로 공간인 지의 전환 특성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데페이즈망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가 기존의 아날로그적 사고와 관습적 상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초현실적 경험을 제 공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내부 공간의 재구성 및 재질변환 표현기법을 통해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눈으로 느끼지 못하는 무의식속의 공간 을 실제로 존재하는 듯한 공간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첨단 디지털 디바이스가 장착된 광학적 마술 이미지 의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을 전개할 수 있었 다. 따라서 패션윈도우라는 공간이 단지 상품만 진열 하는 기능으로 활용되는 장소가 아니라 다양한 유희 적 이벤트나 고차원적인 캠페인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었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데페이즈망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 개발을 위해 데페이즈망을 패션윈도우 디스 플레이와 상관성이 있는 예술문화 분야 데페이즈망 관련 선행연구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형태 및 - 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