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RTICLE J Korean Fract Soc 2018;31(2):61-70 ISSN 1225-1682 (Print) ㆍ ISSN 2287-9293 (Online) https://doi.org/10.12671/jkfs.2018.31.2.61 수부골절 양석원ㆍ김종필 단국대학교의과대학정형외과학교실 Hand Fractures Seokwon Yang, M.D., Jong-Pil Kim, M.D., Ph.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nkook University Medical College, Cheonan, Korea Correspondence to: Jong-Pil Kim, M.D., Ph.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201 Manghyang-ro, Dongnam-gu, Cheonan 31116, Korea Tel: +82-41-550-6579 Fax: +82-41-556-0551 E-mail: kimjp@dankook.ac.kr Financial support: None. Conflict of interests: None. Hand fractures are the second most common fracture in the upper extremities after the distal radius, and patients with these injuries may be experienced in hand surgery clinics.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treatment of hand fractures, complications can occur due to complex functions of the hand and small-sized injuries to the bone and soft tissues. This review focused on the principles of management of these fractures, including injury mechanism, evaluations and recent treatment options. Minimally invasive surgery in various types of hand fractures, including the phalanx and metacarpal bone, is preferred because early mobilization after surgery has been emphasized to reduce complications, such as stiffness. Key Words: Hand fractures, Finger phalanges, Metacarpal bones, Complications 서론 손은인체에서가장중요하지만가장취약한부분중의하나이다. 즉손의감각기능과섬세한운동으로스스로삶을유지및향상시킬수있을뿐만아니라다양한환경을조작할수있는기능은신체에서유일무이하지만많이사용하는만큼자주다치는부위이다. 지골및중수골의수부골절이 10,000 명중각각 12.5명및 8.4명 / 년으로상지골절중요골골절다음으로두번째로흔하다. 1) 하지만수부골절의치료시수부의복잡한기능과작은크기로치료가쉽지않고오히려치료합병증으로결과가더나빠질수있다. 따라서치료계획에있어손의기능을최대한유지하고합병증을최소화할수있는방법을선택하는것이중요하다. 본종설은중요한수부골절의치료원칙및최신지견에대하여다루고자한다. 발생기전및진단 (Injury mechanism and evaluation) 수부골절은일반적인정형외과적손상과마찬가지로젊은 남성과노인여성에서가장흔하게발생한다. 2-4) 수부골절의 발생기전은나이에따라다르게나타나는데어린이와젊은 성인에서는스포츠관련활동중에가장많이발생하게되며, 중년의노동자들에서는업무와관련된상해로발생한다. 노 인환자들은주로낙상이나교통사고에의한결과로타손상 부위와동반되어수부골절이나타나는것으로알려져있다. 수부골절중원위지골골절이가장흔하게일어나고젊은성 인남자의경우 5 번째중수지골경부골절이가장흔하다. 2,3,5) 수부골절진단시환자에대한문진이중요한데, 즉환자 의문진으로손상기전을파악하여정복방법을계획할수 Copyright 2018 The Korean Fracture Society. 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 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www.jkfs.or.kr 61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31, No. 2, pril 2018 있으며, 이차적인 손상을 찾거나 병적 골절을 진단할 수 있다. 하여 얻을 수 있는데 척측 수근중수관절의 골절, 탈구 등 다 예를 들어 작은 충격으로 인해 골절이 되었다면 골다공증 혹 른 사진에서 명확하지 않은 손상도 확인할 수 있다.6,7) 골절 은 내연골종을 의심해볼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우세 수, 환자 평가 항목으로 수상 부위, 전위, 각형성, 분쇄의 정도, 관절면 전신적 기능 상태, 직업, 취미, 회복 기대치 등에 주의를 기울 포함 여부, 관절의 탈구 여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병적 골 이는 것이 중요한데, 20대의 현역 운동선수와 70대의 퇴직자 절, 종양, 퇴행성이나 류마티스성 및 대사성 질환이 동반되었 에서 같은 형태의 골절이라도 치료는 완전히 다른 문제로 인 는지에 대한 평가도 골절 치료 후 예후 판정에 매우 중요하다. 식하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학적 검사는 찰과상과 열상, 타박상 및 부종의 범위, 기 저병변 등의 피부의 상태를 먼저 확인하고 신경혈관 검사는 치료 원칙과 수술 적응증 (Treatment principles and surgical indications) 수상 부위 원위부의 손가락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각형성이 나 회전변형 유무를 파악해야 하는데, 특히 회전변형은 손가 수부 골절의 치료 목적은 수부의 파악 동작을 회복하고 락이 평행하게 정렬된 상황에서는 감지하기 어려우나 주먹 을 쥘 수 있는 경우에는 무지를 제외한 손가락의 방향이 주 상골을 향하는 것을 보고 판단할 수 있으며, 완전히 주먹을 쥘 수가 없을 때는 수상 부위 인접한 손가락 말단의 수지속 질(digital pulp)의 끝과 손톱의 평면 정렬이나 굴곡 시 손가 락 끝이 주상골을 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알 수 있다(Fig. 1). 압통점을 찾고 손상 부위 인접 관절의 능동적 및 수동적 운동 범위를 측정하여 골절부위뿐만 아니라 신경, 혈관, 인대 및 건 등의 주변조직 손상을 확인하고 골절과 같이 주의를 기 울여 치료해야 한다. 방사선적 검사 시 중수골 골절은 대부분 수부의 후전면, 사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으로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손가락을 펼친 팬 측면(fan lateral) 방사선 사진으로 한 손의 모든 지골의 측면 사진을 얻을 수 있다(Fig. 2). 수부의 정 측 면 방사선 사진은 두상골과 주상골의 원위극이 겹쳐 보이게 62 Fig. 2. Fan lateral view of the right hand. Fig. 1. Examinations showing rotational deformity of the hand. () Examining the digital pulps and the planar alignment of the nails with respect to the ad ja cent digits. () ffected finger deviates from its normal rotational direction to the scaphoid. The arrows indicates the fingers affected by a rotational deformity.
Hand Fractures Seokwon Yang and Jong-Pil Kim 강직이나 변형 등 합병증을 피하는 것이다. 강직을 예방하기 관절외 골절(Extra-articular fractures) 위해서는 조기 손가락 관절운동을 시작하여 힘줄의 유착과 관절 구축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변형이 발생되지 않 1. 횡 골절(transverse fractures) 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골절 정복이 이루어져야 하고 임상적으로 골절의 안정성이 확보될 때까지 충분한 고정이 지골과 중수골의 횡 골절은 일반적으로 비관혈적 정복술 필요하다. 하지만 강직은 조기 관절운동에 의해 예방될 수 있 과 K-wire를 이용한 경피적 고정술 또는 관혈적 정복술과 지만 치유 전의 과도한 운동으로 부정유합 또는 불유합이 발 금속판과 나사못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이용할 수 있다(Fig. 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명백히 상충되는 두 목적을 적절하게 조 3).11) 손가락에서는 신전 건이 지골의 배측 표면과 가깝게 지 절하는 것이 골절 치료의 기본 원칙 중 하나임을 명심해야 할 나가기 때문에 핀 고정이나 관혈적 정복술 시 손상 받기 쉽 것이다. 다. 특히 신전 건은 이동 범위가 작고 신전 건의 길이가 짧아 부목이나 석고 고정을 이용한 골절 치료는 골절 정복 후 지거나 늘어난 경우 건의 장력과 궁극적으로는 관절 운동 범 에 임상적으로 안정성을 가질 때 가능한데, 임상적 안정성은 위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시 신전 건 일반적으로 골절부위 인접 관절을 50% 관절 운동 범위까지 손상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 비관혈적 정복술 및 경피적 능동적으로 운동시켰을 때 골절의 전위나 이로 인한 골절 부 고정술이 신전 건에 지장을 주는 정도는 적지만 골절 부위 안 8) 위의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로 정의한다. 부목이나 석 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정 기간 부목고정이 필요하며, 관 고 고정 등으로 임상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면 수술적으 절운동의 시작 시점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 반면에 금속판과 로 치료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부 골절에 대한 수술적 적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은 수술 직후 안정성을 확보하여 조기 응증은 (1) 골절 형태가 분쇄 또는 나선형 골절, (2) 회전변 능동 운동 재활이 가능하지만 잠재적으로 힘줄 유착을 더 일 형, 과도한 각형성 또는 단축이 동반된 골절, (3) 다발성 골절, 으킬 수 있는 점이 불리한 점으로 작용한다. 이런 양상의 골 (4) 전위를 동반한 관절내 골절이다. 또한 개방성 골절로 골수 절에서는 K-강선을 이용한 골수강내 고정술을 시행하면 조 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술과 변연절제술이 필요한 경우도 기에 관절운동을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전 건의 손상을 9,10)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어 최근 들어 흔 수술적 치료의 적응이 된다. 히 사용되고 있다(Fig. 4).12,13) 한편 del Piñal 등14)은 2.5-4.0 mm 유관 무두 압박 나사(cannulated headless compression Fig. 3. Radiographs showing a transverse fracture in the proximal phalanx treated with plate and screw fixation. () Posterolateral view. () Lateral view. Fig. 4. Radiographs showing multiple fractures in a hand treated with intramedullary pinning of the metacarpal bones and plate and screw fixation of the proximal phalanx. () Preoperative radiograph. () Postoperative radiograph. 63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31, No. 2, pril 2018 screw)를 이용하여 골절 원위부 관절을 통하여 근위 방향으 못을 사용하는 경우 Zelken 등16)과 Nicklin 등17)의 사체 생체 로 골수강내 고정하는 방법을 보고하기도 하였다. 역학 연구 결과에 근거하면 2개의 지연 나사못으로도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사선 형태가 짧거나 골절 부위 2. 나선형과 사선형 골절(spiral and oblique fractures) 전위된 나선형 및 사선형 골절은 일반적으로 불안정하고 에 분쇄를 동반한 경우는 금속판 고정술이 더 선호된다.17) 관절 내 골절(Intra-articular fractures) 정복 후에도 단축되는 경향이 있다. 비관혈적 정복술과 경피 적 핀고정술 또는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판 또는 지연 나사못 1. 망치 수지(mallet finger) 및 Jersey 수지 (lag screw) 고정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방법 사이에 서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거의 없다(Fig. 5).15) 다만 지연 나사 골성 망치 수지는 신전 부목(extension splint) 또는 보조기 등의 보존적 치료로도 골 유합 및 신전기능의 회복이 가능하 다. 손상 후 발생하는 신전 기능 손실과 변형 그리고 외상 후 관절염으로 이어지는 관절 내 부정유합을 피하기 위해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골절편이 관절면의 1/3 이상 침범하였거나 관절의 아탈구가 동반되었을 때 수술적 치 료의 적응증이 된다.18)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골편에 직접 적 핀 고정보다는 신전 제한 핀고정술(extension block pinning)이 흔히 쓰이고 있으며 일부 저자들은 관혈적 정복 후 나사못이나 금속판 고정술을 소개하기도 하였다(Fig. 6).18) 망치 수지와 비슷하게 장측에서 심수지굴건의 견열로 발생 한 원위지골의 관절 내 골절을 Jersey 수지라고 한다. 일반적으 로 수술적 치료가 이루어지며, 수상 후 2주 이내에 굴곡 건이 부착되어 있는 골편의 고정뿐만 아니라 suture-over-button 술기를 이용한 건 봉합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Fig. 7).19) Fig. 5. Radiographs showing a ring finger metacarpal spiral fracture treated with a lag screw fixation. () Preoperative radiograph. () Postoperative radiograph. 64 Fig. 6. () Preoperative radiograph showing a bony mallet finger injury. () C-arm images performing extension block pinning.
Hand Fractures Seokwon Yang and Jong-Pil Kim Fig. 7. Radiographs and intraoperative photographs after the suture-over-button technique in a Jersey finger injury. 2. 근위지관절 골절-탈구(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시행하며 골절을 고정 시 측부 인대를 분리하지 않고 골절을 충분히 노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 시 K-강선이나 금속 fracture dislocation) 판이 자주 사용되나 무두 압박 나사못이나 지연 나사못 등을 근위지관절의 골절-탈구는 대부분 불안정 형태로 나타나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생역학적으로는 고정 방법에 며,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관절 강직과 외상 후 관절염으로 따른 안정성에 차이는 없다.24) 하지만 나사못을 사용하는 경 진행하게 된다. 최근 생체역학 연구에 따르면 근위지관절의 우는 골편이 작기 때문에 잘못 삽입된 나사못의 경우 되돌이 배측 골절-탈구에서 장측 관절면이 40% 이상 침범된 경우에 킬 수 없고 작은 골편에 구멍을 크게 뚫게 되면 무혈성 괴사 20) 불안정의 가능성이 높다. 2 mm 이상의 전위를 동반한 관 절 내 골절과 아탈구 또는 탈구가 관찰되는 불안정한 경우에 를 유발하여 결국은 불유합이나 관절염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방법의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Fig. 9). 수부외과의 대부분은 수술적 치료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21) 4. 무지의 골절(thumb fractures) 골편의 크기, 분쇄 정도, 급성 또는 만성 등에 따라서 수술 적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나 신전 제한 핀 고정술, 관혈 1) 무지 지골 골절(thumb phalangeal fracture) 적 정복과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 정적 또는 동적 외고정 손에서 무지는 주로 굴신 운동을 하는 나머지 손가락과는 10) 술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만성인 경우에는 신전 제한 핀고 달리 대립, 내외전, 굴신 운동 등 복잡한 운동을 하고 기능적 정술 및 연부조직(수장판) 관절성형술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으로도 다른 손가락에 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있다(Fig. 8). 반-갈고리뼈 관절성형술은 급성과 만성 손상 모 무지가 손상 시 다른 손가락으로 기능을 보상하거나 대체하 두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공여부의 부작용이 거의 없고 70도 기가 어렵다. 하지만 무지의 관절 운동 범위가 넓어 무지 골절 이상의 능동적 관절운동을 회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후 부정유합으로 발생하는 기하학적 변형은 어느 정도 허용 10,22,23) 기술적으로 쉽지 않고 학습 곡선이 길다. 될 수 있다.2) 무지의 단순 지골 골절은 다른 수지의 지골 골절과 비슷하 3. 과골절(condylar fractures of the phalanges) 게 치료할 수 있다. 도수 정복 후 인접 관절을 신전시킨 후 전 체적으로 외전하여 무지 나선상 부목(thumb spica spint)으로 수지골에서 과골절의 특징은 골편이 작고 측부 인대가 골 고정한다.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였을 때는 도수 정복 후 경피 편에 부착이 되어 있다는 점이다. 전위를 동반한 경우 수술을 적 핀 고정술이나 관혈적 정복술과 내고정술로 치료할 수 있 65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31, No. 2, pril 2018 C Fig. 8. Volar plate reconstruction in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fracture dislocation. () Preoperative radiographs. () Illustration showing the surgical procedures of a volar plate reconstruction. (C) Intraoperative radiograph and photograph. Fig. 9. Radiographs showing a proximal phalanx condylar fracture of the little finger treated with headless cannulated screws. () Preoperative radiograph. () Postoperative radiograph. 고 관절경을 이용하여 정복을 시도하여 고정술을 시행할 수 골편을 절제하고 인대만 부착하는 것도 무방하다. 만약 관절 있다(Fig. 10). 관절내 골절의 경우 측부인대 손상을 포함하게 면 손상이 커서 중수지 관절이 외상성 관절염으로 진행될 시 되며, 이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척측 측부인 관절고정술도 고려할 수 있다(Fig. 11).2) 대 손상이 동반된 경우라면 불안정으로 집기 동작(pinch)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 손상 부위를 고정해 줄 2) 무지의 중수골 골절(thumb metacarpal fractures) 필요가 있다. 하지만 골편이 작고 정복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무지 중수골 기저부 골절은 일반적으로 골절-탈구 형태라 66
Hand Fractures Seokwon Yang and Jong-Pil Kim 할 수 있으며 크게는 ennett형과 Rolando형 골절 형태로 나 C Fig. 10. Radiographs and arthroscopic images after arthroscopic-assisted reduction and pinning in the thumb proximal phalanx base fracture. () Preoperative radiograph. () rticular surface reduction with arthroscope. (C) Postoperative radiograph. Fig. 11. Radiographs showing thumb metacarpophalangeal joint arthrodesis due to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 Preoperative radiograph. () Postoperative radiograph. (abductor pollicis longus)에 의해 전방 전위된다. 눌 수 있다. ennett형 골절은 중수골의 척측 기저부에서 견 도수 정복 후 부목고정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관절내 골절 열되어 발생하며, Rolando형 골절은 중수골의 기저부가 Y 또 인 경우 수술적 치료가 더 추천된다. 수술 시 변형을 일으키 는 T 형태의 관절내 골절된 형태로 ennett형보다는 예후가 는 반대 방향으로 견인과 외전력을 주어 정복을 시도하며 비 좋지 않다. 중수골 기저부에는 장무지외전근(abductor pol- 관혈적 정복술 및 경피적 K-wire 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 유 licis longus)의 건이 중수골의 요측에 붙고, 심부 전방 사선인 용하다.2,25) 도수 정복으로 정복이 불가능한 경우 관혈적 정 대(deep anterior oblique ligament)가 척측 측부에 붙어 있어 복술이 적응이 된다.26) 관절경을 이용하여 기저부의 정복을 골절 시 관절 주위 근의 힘 방향에 따라 독특한 형태의 변형 시행하여 정확한 관절면을 맞추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27) 이 발생한다. 즉 원위 골편이 단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 Rolando형 골절은 매우 불안정한 골절로 대부분 수술적 치 brevis)과 단무지굴근(flexor pollicis brevis) 및 무지 내전근 료를 하며 분쇄 골절이 심한 경우에 정복이 쉽지 않아 외고정 (adductor pollicis)에 의해 굴곡 및 내전되고, 장무지외전근 술이 도움이 될 수 있다.28) 67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31, No. 2, pril 2018 C Fig. 12. () Photographs of a patient who had post-traumatic stiffness in his ring finger after surgery for a proximal phalangeal fracture. () Tenolysis of the flexor tendon was performed. (C) Tenotomy of the lumbrical tendon was done to resolve the lumbrical plus finger. 68 Fig. 13. () Radiographs and photographs of a 54-year-old male who had malunion of his right little finger. () He could make a full fist after a corrective osteotomy had been performed.
Hand Fractures Seokwon Yang and Jong-Pil Kim 합병증 (Complications) ORCID 수부골절후합병증으로관절강직, 부정유합, 불유합, 감염등이있으며이중관절강직은비교적흔하며치료가쉽지않다. 29) 따라서우선적으로골절치료후강직을예방하는것에중점을두고치료계획을세워야하며, 골절의안정성과적절한통증관리를기반으로한조기관절운동이이루어져야한다. del Piñal 등 14) 은분쇄골절을포함한모든골절환자에서골수내강고정후곧바로인접한수지를 buddy-taping 하여능동적및수동적관절운동을시행하였고이로써관절강직을예방하였다고하였다. 적절한치료에도수지강직이일어난경우에는건박리, 금속물제거술또는관절박리까지고려할수있다 (Fig. 12). 수지강직과마찬가지로창상감염이적지않게발생할수있으며증상이동반된부정유합또는불유합이발생했을경우에는절골교정술및골이식술이필요하다 (Fig. 13). 결론 손은크기가작고복잡한주위연부조직과정밀하고복잡한기능으로골절손상시치료가매우까다롭다. 수부골절치료는관절골절의해부학적정복과관절주위인대등의주위연부조직치료에중점을두어기능적회복을도모하는것이중요하며아울러수술시최소침습적으로계획하여수술후감염이나강직등의부작용을최소화하려는노력이필요하다. 요약 수부골절은상지골절중원위요골골절다음으로흔한골절이며, 수부외과임상경험에서수부손상을가진다양한환자들을접할수있다. 하지만수부골절의치료시수부의복잡한기능과뼈, 연부조직등손상의크기가작아치료가쉽지않고합병증이잘발생할수있다. 본종설은수부골절의발생기전및진단을포함한치료원칙및최신지견에대해다루고자하였다. 지골및중수골등여러형태의수부골절에서합병증을감소시키기위하여수술후조기관절운동이중요하며, 이를위해최소침습적으로수술하는방법들에대해주목하였다. 색인단어 : 수부골절, 지골, 중수골, 합병증 양석원, http://orcid.org/0000-0003-0483-4259 김종필, http://orcid.org/0000-0002-1913-9163 References 1. Karl JW, Olson PR, Rosenwasser MP: The epidemiology of upper extremity fractures in the United States, 2009. J Orthop Trauma, 29: e242-e244, 2015. 2. Day CS, Stern PJ: Fractures of metacarpals and phalanges. In: Green DP, Wolfe SW, Hotchkiss RN, Pederson WC, Kozin SH ed. Green s operative hand surgery. 6th ed. Philadelphia,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 239, 241, 2011. 3. Henry M: Hand fractures and dislocations. In: Court-rown CM, Heckman JD, McQueen MM, Ricci WM, Tornetta P III, McKee MD ed. Rockwood and Green s fractures in adults. 8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 710, 2015. 4. Stanton JS, Dias JJ, urke FD: Fractures of the tubular bones of the hand. J Hand Surg Eur Vol, 32: 626-636, 2007. 5. en-motz O, Sammer DM: Practical management of metacarpal fractures. Plast Reconstr Surg, 136: 370e-379e, 2015. 6. Gaheer RS, Ferdinand RD: Fracture dislocation of carpometacarpal joints: a missed injury. Orthopedics, 34: 399, 2011. 7. Tuncer S, ksu N, Dilek H, Ozkan T, Hamzaoglu : Fractures of the fingers missed or misdiagnosed on poorly positioned or poorly taken radiographs: a retrospective study. J Trauma, 71: 649-655, 2011. 8. Cheah E, Yao J: Hand fractures: indications, the tried and true and new inovations. J Hand Surg m, 41: 712-722, 2016. 9. Marjoua Y, Eberlin KR, Mudgal CS: Multiple displaced metacarpal fractures. J Hand Surg m, 40: 1869-1870, 2015. 10. Gonzalez RM, Hammert WC: Dorsal fracture-dislocations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J Hand Surg m, 40: 2453-2455, 2015. 11. Paksima N, Johnson J, rown, Cohn M: Percutaneous pinning of middle phalangeal neck fractures: surgical technique. J Hand Surg m, 37: 1913-1916, 2012. 12. iz C, Iacobellis C: Comparison of percutaneous intramedullary Kirschner wire and interfragmentary screw fixation of displaced extra-articular metacarpal fractures. cta iomed, 85: 252-264, 2014. 13. Hiatt SV, egonia MT, Thiagarajan G, Hutchison RL: iomechanical comparison of 2 methods of intramedullary K-wire fixation of transverse metacarpal shaft fractures. J Hand Surg m, 40: 1586-1590, 2015. 14. del Piñal F, Moraleda E, Rúas JS, de Piero GH, Cerezal L: Minimally invasive fixation of fractures of the phalanges and meta- 69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31, No. 2, pril 2018 carpals with intramedullary cannulated headless compression screws. J Hand Surg m, 40: 692-700, 2015. 15. Nuland K, Charette R, Rodner CM: Operative treatment of unstable long oblique proximal phalanx fractures. J Hand Surg m, 41: 120-121, 2016. 16. Zelken J, Hayes G, Parks G, l Muhit, Means KR Jr: Two versus 3 lag screws for fixation of long oblique proximal phalanx fractures of the fingers: a cadaver study. J Hand Surg m, 40: 1124-1129, 2015. 17. Nicklin S, Ingram S, Gianoutsos MP, Walsh WR: In vitro comparison of lagged and nonlagged screw fixation of metacarpal fractures in cadavers. J Hand Surg m, 33: 1732-1736, 2008. 18. Wada T, Oda T: Mallet fingers with bone avulsion and DIP joint subluxation. J Hand Surg Eur Vol, 40: 8-15, 2015. 19. Tuttle HG, Olvey SP, Stern PJ: Tendon avulsion injuries of the distal phalanx. Clin Orthop Relat Res, 445: 157-168, 2006. 20. Tyser R, Tsai M, Parks G, Means KR Jr: Stability of acute dorsal fracture dislocations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a biomechanical study. J Hand Surg m, 39: 13-18, 2014. 21. Janssen SJ, Molleman J, Guitton TG, Ring D: What middle phalanx base fracture characteristics are most reliable and useful for surgical decision-making? Clin Orthop Relat Res, 473: 3943-3950, 2015. 22. Frueh FS, Calcagni M, Lindenblatt N: The hemi-hamate autograft arthroplasty in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recon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J Hand Surg Eur Vol, 40: 24-32, 2015. 23. Kiral, Erken HY, kmaz I, Yildirim C, Erler K: Pins and rubber band traction for treatment of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in the hand. J Hand Surg m, 39: 696-705, 2014. 24. Sirota M, Parks G, Higgins JP, Means KR Jr: Stability of fixation of proximal phalanx unicondylar fractures of the hand: a biomechanical cadaver study. J Hand Surg m, 38: 77-81, 2013. 25. Livesley PJ: The conservative management of ennett s fracturedislocation: a 26-year follow-up. J Hand Surg r, 15: 291-294, 1990. 26. Zhang X, Shao X, Zhang Z, Wen S, Sun J, Wang : Treatment of a ennett fracture using tension band wiring. J Hand Surg m, 37: 427-433, 2012. 27. Culp RW, Johnson JW: rthroscopically assisted percutaneous fixation of ennett fractures. J Hand Surg m, 35: 137-140, 2010. 28. Marsland D, Sanghrajka P, Goldie : Static monolateral external fixation for the Rolando fracture: a simple solution for a complex fracture. nn R Coll Surg Engl, 94: 112-115, 2012. 29. Meals C, Meals R: Hand fractures: a review of current treatment strategies. J Hand Surg m, 38: 1021-1031; quiz 1031, 2013.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