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28BCF6BDC320323031352D31332920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2830312E3036292E687770>"

Transcription

1 수시과제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연구책임자 : 최 윤 선 (본원선임연구위원) : 남 승 연 (본원연구위원) 연 구 지 원 : 이 상 아 (본원위촉연구원) 연 구 기 간 : ~

2

3 발 간 사 여성 일자리는 사회 내 여성과 남성간의 차이를 좁히고 개개인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중요 한 부분입니다. 이에 정부는 가장 중요한 화두이자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지역별일자리 정책 강화와 지역 일자리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 니다. 또한 최근 정부는 성별 고용 격차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성평등 정책의 일환으로 여성고용정 책을 강도 높게 추진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고용유지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자리 정책이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됨에 따라 여성일자리 정책과 사업도 지역 일자리 정책과의 통합과 조율이 반드시 수반되어야만 합니다. 특히, 경기 도는 서울을 중심에 두고 31개 시군이 에워싸고 있으며, 도시형, 도농복합형, 농촌형이 모두 존 재하는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어, 여성 일자리 정책 역시 이와 같은 지역적 특성을 고 려하지 않고서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이에 우리 연구원에서는 2014년 일자리전략센터를 설치하고,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습니다. 그 결과로 2014년에는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2,120 개소)와 여성근로자 조사(2.059명)를 실시하였으며, 2015년 상반기에는 경기도 미취업여성 조 사(2,000명)를 마쳤습니다. 특히, 본 조사들은 31개 시군의 표본을 설계하여 지역별 다양한 분 석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지역 단위의 여성 일자리 통계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본보고서는 5개 권역별 조사 자료뿐 아니라 지역 여성고용현황이나 지역의 일자리 사업, 여성 직업교육훈련 현황 등의 자료를 토대로 지역별 정책 시사점과 과제를 제시함과 동시에 경기도 차원에서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을 위해 고려할만한 전략적 과제를 제안하였습니다. 이는 지역 별 여성 일자리 창출과 취업지원을 위한 정책과 사업을 발굴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4 본 연구보고서가 발간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먼저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 원회 전문위원이신 김포대학교의 우경 교수님, 신한대학교의 장인봉 교수님, 여주대학교의 김경 섭 교수님, 한국지역경제연구원의 김봉원 박사님, 성결대학교의 정태욱 교수님의 자문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또한 여성일자리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주신 경기도 여성인력개발센터장님과 여 성새일센터장님들을 비롯한 사업담당자 분과 관련 자료를 제공해주신 여성가족과의 안치권 여성 일자리팀장님을 비롯한 공무원 여러분께도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 보고서를 꼼꼼히 읽고 귀중한 의견을 주신 세분의 평가위원님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원내 일자리전략센터 를 맡아 많은 일들을 추진하면서도 방대한 양의 연구를 잘 마무리 해 준 연구책임자 최윤선 선임연구위원과 공동연구자로 참여한 남승연 연구위원에게 진 심으로 감사드리며, 이상아 위촉연구원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아무쪼록 본 연구결과가 경기도 31개 시군에 여성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2015년 12월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원장

5 Abstract Strategies for Women Employment Policies in Different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Choi, Yoon sun Nam, seung yeon Gyeonggi Province is large and involves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It consists of various units of labor market areas. Hence, the results of women employment policies and projects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each institution in charge. Accordingly, this study divides the administrative units of Gyeonggi Province into five areas in reference to the districts of Gyeonggi Provi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mmittee which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regarding regional employment policies including proficiency policies. Surveys conducted in 2014 and 2015 among business entities, women workers, and the unemployed were then reanalyzed according to each area to examine the policy demands, regional environments, and policy bases for women employ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mprehensive basis for regional employment projects and vocational training courses necessary to implement Gyeonggi Province women employment policies in line with the central government s direction for women employment policies. The suggested strateg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chieving the goals of women employment policies specially designed for Gyeonggi Province, and more specifically, each area of it.

6 To achieve the goals of women employment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among areas of it,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to be taken into account comprehensively over Gyeonggi Province: 1) expansion and efficiency of women employment service institution operation; 2) oper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or women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demands for new recruit training programs; 3) more job creations of job and family life compatibility in Gyeonggi Province; 4)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career discontinuity; and 5) establishment of governance for regional employment policies and projects. The structure was designed for completeness and harmony among the five areas. As for the data for each si/gun unit, accuracy is not secured because there is no official survey available on regional policy demands, and thus this data is simply for reference. Keywords: women employment policy, regional employment policy, women employment, governance for employment policies

7 연구요약

8

9 연구요약 1. 연구개요 양성평등법 제정에 따라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한 여성고용정책은 양성평등한 일자리 확 대와 성차별 개선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와 관련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경 기도의 경우 지역별 편차가 크고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에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와 같은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 사업 추진 전략이 요구됨.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여성일자리정책 관련 수요 분석에 기초하여 지역의 여성 일자리 정책과 사업 추진 시 필요한 지역별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음. 이와 함께 2014년과 2015 년에 수집한 기초 데이터를 지역의 여성일자리 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재분석하여 제공하는데 2차 목적이 있음. 다만 통계자료의 분석과 향후 지역고용정책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해 경기도인적자원위 원회가 경기도를 지역적으로 구분하고 있는 5개 권역을 여성일자리 정책환경 분석 단위로 하였음. 또한 자료 활용에 대한 편의를 위해 각 권역별 일반환경, 여성경제활동현황, 여성 일자리정책기반, 사업체, 여성취업자, 여성미취업자 정책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정책시사 점을 제시하였음. <그림 1>은 위와 같은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절차와 주요 방법을 요약적으로 제시한 것임. - iii -

10 <그림 1> 주요 연구방법과 자료수집방법 행정 및 통계 자료 분석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통계조사자료 재분석 경기도내 31개 시 군 2015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분석 통계청 자료 분석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자료 분석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2014년 자료 재분석 경기도 여성취업자 근로실태조사 2014년 자료 재분석 경기도 여성취업욕구조사 2015년 자료 재분석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 새일센터장 간담회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 - 각 5개 권역(북서부, 북동부, 동부, 남부, 중부) 전문위원 참여 권역별 새일센터장 간담회 - 1차 간담회 : 북부 6개 기관 - 2차 간담회 : 동남부 6개 기관 - 3차 간담회 : 중부 6개 기관 2.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필요성 본 연구에서는 각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에 앞서 우리나라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의 특수성과 지역일자리 정책 강화에 따라 여성일자리 정책도 특수성과 지역성을 동시에 고 려한 전략적 접근이이 요구된다는 점을 논의하였음. (여성일자리 정책 특수성) 여성일자리 특수성은 1) 국가적인 차원에서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국가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안으로 여성고용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2) 성별 고용 격 차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성평등 정책의 일환으로 여성고용정책을 강도 높게 추진할 필요성 이 있으며, 3) 특히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고용유지 지원 정책을 강화하되, 4) 다양한 법과 제도 및 정책이 현장에 착근되어야만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5) 특수성에 기초한 여성일자리 정책이더라도 지역 일자리 정책과의 통합과 조율이 반드시 수반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음. - iv -

11 (지역일자리정책 강화) 따라서 현재 정부가 고용정책의 주요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일 자리 정책 강화 추세와 경기도의 지역 일자리 정책 및 사업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본 연구 에서는 지역일자리 주요 정책으로 지역별 일자리 목표 공시제와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 그 리고 지역별 인적자원원회를 중심으로 한 지역산업맞춤형 인력양성체계를 살펴보았으며, 경 기도 일반 특성과 여성고용현황, 경기도 신규인력 양성 수급 분석과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체계 및 사업현황 등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을 검토하였음. 이러한 분석에 기초 하여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논의 구조를 다음 <그림 2>과 같이 제시하고, 권역별 정책 시사점과 경기도 차원의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음. <그림 2> 지역별 여성일자리 추진 전략 논의 구조 3.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가. 북서부권역 :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 1)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 v -

12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북서부권역에는 각 시군별로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고양시는 여성근로자복지센터와 여성인력개발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고용서비스는 이용자의 접근성 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행정구역 중심에서 벗어나 이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한 협력적 연계 서 비스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북서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 훈련과정은 총 34개 과정으로 사무회계 과정이 총 19개 과정으로 50% 이상을 차지함. 특히 사무, 회계 관련 과정은 인력 공급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숙련부족 비율이 높기 때문에 기 업이 요구하는 숙련 수준과 그에 맞는 과정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음. (여성경제활동상태) 북서부권역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44.9%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 음. 북서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408,943명이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 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이 60.3%에 달함. 2) 북서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미취업 여성 중 49.5%의 미취업 여성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 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5년 신규 새일센터 사업 지정을 받은 김포(56.4%)와 파 주(62.5%)의 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높게 나타남. 직업훈련기관 중 공공훈련기관(41.8%)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여성교육훈련기관(27.7%)으로 나타남. 상대적으로 김포 시 미취업여성의 경우 여성직업교육훈련 기관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 식(3.9점)하고 있었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13.5%였으며, 그 중 46.4%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북서부권역 사업체 중 25.3%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인력난을 겪는 이유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 때문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은 16.4%였고, 지역별로는 고 양시에 비해 김포시나 파주시 사업체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럼에도 불 - vi -

13 구하고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2.7%로 매우 낮은 수준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과 장기근속여부에 주안점을 두고 있 다는 응답비율이 높았으며,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29.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 났음.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1.3%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6.9%)과 구인구직 알선(17.6%)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협력 희망 비율 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37.5%) > 구인구직 알선(35.4%) > 기업 환경개선금 지원사업(30.2%)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 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 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5.9%로 나타났으나, 시간제 채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8.3%,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14.9%에 불과함. 뿐만 아니라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 한다는 응답 비율이 41.8%였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56.3%에 달하고 있어, 사업체에 취업한 여성 근로자 중 거의 과반수는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 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 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나. 북동부 : 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1)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북동부권에는 총 7개 시군이 포함되어 있음. 7개 시 군 중 의정부 시, 포천시, 남양주시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여성근로자복지센터 1개소, 고용센터 1개소, 고용+센터 2개소가 위치하고 있음. 현재 북동부 지역 중 연천, 양주, 동두천 지역에 - vii -

14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이 부재한 상황임. 따라서 양주 북단에 새일센터 유치를 통해 동두천과 연천지역을 포괄하면서 섬유산업과 관련한 여성 일자리 수요와 지역 여성에 대한 고용서비 스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북동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 훈련과정은 총 29개 과정으로 분야별로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음. 상대적으로 교육연구 (8개)와 직업상담(6개) 과정이 14개 과정으로 48.3%를 차지함. 필요인원을 축소조정한 분 야인 이 미용 숙박 분야 5개 과정, 섬유 및 의복과정 1개 과정이 운영된 것으로 나타남. (여성경제활동상태) 북동부권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44.9%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인 연천군의 고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남. 북동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423,035명이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은 66.1%에 달함. 2) 북동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미취업 여성 중 42.8%는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남양주시 미취업여성의 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61.4%로 매우 높게 나타남. 직업훈련기관 중 공공훈련기관(53.0%)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여성교육훈련기 관(31.3%)으로 나타남. 취 창업을 위한 정책 요구 조사 결과, 취 창업 관련 정보제공 (52.4%)과 취업처 및 인턴제 소개(20.4%), 직업 교육훈련(13.4%) 순으로 나타남. 여성교육 훈련기관을 이용 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65.8%로 나타나고 있음. 특히 포천시(81.0%)와 남양주시(82.2%) 미취업여성의 이용 의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새일센터 설치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유추됨. (취업여성 정책수요)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 식(3.8점)하고 있었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0.9%였으며, 그 중 49.0%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북동부권 사업체 중 22.9%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북동부권의 경우 - viii -

15 관리직, 기술직, 사무직에 대한 인력난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그 외의 직종에 대해 서는 20% 안팎의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음. 인력난을 겪는 이유 중 사업장 위 치나 교통 문제 때문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은 17.5%였으며, 지역별로는 양주시와 포천시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 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7.9%로 낮은 편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6.0%)과 장기근속여부(21.1%)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 율이 높았으며, 북동부권역의 경우 20대 후반(18.5%) 여성인력 채용 비율보다 30대 초반 (22.2%)과 40대 초반(23.6%)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이에 비해 40대 후 반 여성 비율은 7.6%로 크게 감소하고 있음.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7.3%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9.2%)과 구인구직 알선(30.0%)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협력 희망 비율 은 기업환경개선금지원사업(40.7%) >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37.8%) > 구인구직 알선(34.5%)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 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41.0%로 나타났으나, 시간제 채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9.1%,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22.5%에 불과함. 뿐만 아니라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 한다는 응답 비율이 47.4%였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69.2%에 달하고 있어, 사업체 취업한 여성 근로자 중 거의 70%가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 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가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 ix -

16 다. 동부권역 :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양평군, 가평군, 이천시, 여주시 1)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동부권역에는 7개 시군 중 2개 시군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1개의 여성인력개발센터, 3개 지역에 고용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동부권역은 아직까지 고용 + 센터가 설치되지는 않은 상태임. 동부권역은 사실상 가평과 양평, 여주와 이천, 그리고 성남, 하남, 광주권의 노동권이 존재함. 가평과 양평지역은 농촌지역으로 향후 농촌형 새일 센터를 유치하여 동부권 구직 여성의 고용서비스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동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훈 련과정은 총 20개 과정이 운영되었으며, 사무회계 과정이 4개, 이미용 숙박과정이 4개 과 정, 직업상담과정 3개 과정, 그 외의 분야에는 1,2개 과정이 운영되었음. (여성경제활동상태) 동부권역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50.3%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음. 동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425,295명이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이 61.2%에 달함. 2) 동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미취업 여성 중 38.3%는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이는 타 권역에 비해서는 낮은 비율임. 그런데 지역별로는 양평군, 가평군, 여주시 등과 같은 농촌지역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높게 나타남. 또한 동부 권역의 경 우 직업훈련기관 중 여성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선호가 40.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 공훈련기관(28.4%)로 나타남. 상대적으로 광주시와 이천시의 여성교육훈련기관 선호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 식(3.8점)하고 있었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6.7%로 나타났으며 타 - x -

17 권역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냄.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 중 63.6%는 이직 전직을 예 정하고 있어, 특히 동부권역의 경우 이들 이직 전직 지원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위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동부권역 사업체 중 23.6%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특히 성남시의 경 우 전문직(43.6%)과 기술직(35.9%)의 인력난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됨. 인력난의 원인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라는 응답 비율은 18.7%로 나타 났음.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4.0%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6.3%)과 장기근속여부 (17.3%)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율이 높았으며,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3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7.5%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 원교육 특강지원(35.1%)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인구직 알선(18.5%)로 나타났 고, 향후 협력 희망 비율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41.2%) > 기업환 경개선금 지원사업(39.6%) > 구인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32.1%)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 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1.4%로 타 권역에 비해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음. 그런데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한 다는 응답 비율이 51.4%로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선호를 나타냈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 가 있다는 응답도 70.4%에 달하고 있어 상당수의 취업 여성이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 하여 고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 용률 제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 xi -

18 라. 남부권역 : 용인시,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평택시, 안성시 1) 남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남부권역에는 6개 시군 중 4개 시군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2개의 여성인력개발센터, 1개의 여성근로자복지센터, 3개 지역에 고용센터와 1개의 고용+ 센터가 위치함. 화성과 용인의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이 수원과 접해 있어 남부권역은 수원을 중심으로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이 밀집된 형태임. 따라서 화성과 평택의 사업단지가 밀집되 어 있는 남부 지역과 평택과 안성 경계 지역의 사업체와 여성구직자를 위한 고용서비스는 다소 부족한 상황임. 향후 이들 지역의 새일센터 유치를 통해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남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훈 련과정은 총 43개 과정이 운영되었으며, 교육연구와 상담과정이 18개 과정으로 41.9%를 차 지함. 그 외에 사무회계 과정이 8개, 보건의료 7개 과정 등이 운영되었음. (여성경제활동상태) 남부권역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46.8%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음. 남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790,752명으로 북동부나 북서부권역의 2배 수준임. 그런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이 67.0%에 달하고 있어 장기 경력단절 여성 비율이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수준임. 직장을 그만 둔 이유는 개인, 가족 관련 이유라는 응답이 60.7%에 달함. 2) 남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사업체 취업희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남부권의 경우 동부권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임금 수준에 대한 고려(28.2%)와 함께 일 가정 양립 가능 한 근무 여건(24.7%)과 안정적인 일자리(24.9%)에 대한 고려 비율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냄. 미취업 여성 중 38.9%의 미취업 여성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남. 상대적으로 안성시(59.3%), 화성시(47.2%), 수원시(46.5%)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 xii -

19 이 높게 나타남. 또한 남부 권역의 경우 직업훈련기관 중 공공훈련기관에 대한 선호가 4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선호는 35.1%로 나타남. 상대적 으로 평택시(68.8%), 용인시(49.0%), 오산시(44.4%)의 여성교육훈련기관 선호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남. 취 창업을 위한 정책 요구 조사 결과, 취 창업 관련 정보제공(44.7%)에 대한 요구가 높았 으며, 그 다음으로 취업할 곳과 인턴제 소개(26.1%), 직업교육훈련(16.4%) 순으로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 식(3.8점)하고 있었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18.2%로 나타났음.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 중 56.0%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 이직 전직 지원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위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남부권 사업체 중 25.3%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생산직 인력난을 겪 고 있다는 응답이 51.2%로 매우 높게 나타남. 그 밖에는 기술직(28.9%) > 단순노무직 (24.0%) > 전문직(22.3%) 순으로 나타남. 특히 화성, 평택 지역의 생산직 구직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인력난의 원인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라는 응답 비율이 23.1%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화성시의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러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 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1.7%로 매우 낮은 수준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7.3%)과 장기근속여부(17.8%)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 율이 높았으며,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40.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무 직 여성인력 활용 비율이 46.9%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음. 남부권 사업체는 타 지역에 비해 남성 대비 여성 직원의 경쟁력을 다소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냄.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3.7%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 원교육 특강지원(33.0%)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인구직 알선(20.1%)로 나타났 으나, 향후 협력 희망 비율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37.9%) > 기업 환경개선금 지원사업(33.5%) >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9.3%)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 xiii -

20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 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0.7%로 타 권역에 비해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음. 시간제 채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7.5%,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13.8%에 불과함. 그런데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 이면 시간단축을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이 56.1%로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선호를 나타냈으 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67.2%에 달하고 있어 상당수의 취업 여성이 일 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 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 인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마. 중부권역 : 의왕시, 군포시, 안양시, 과천시, 시흥시, 안산시, 광명시, 부천시 1) 중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중부권역에는 6개 시 중 5개시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4개 의 여성인력개발센터, 2개의 여성근로자복지센터, 5개의 고용센터가 위치함. 중부지역의 경 우 시흥과 안양에 새일센터가 각각 2개씩 있음. 시흥의 경우 도일 행정지역 내 있으나 지역 차가 있어 중복성이 낮지만, 안양의 경우 2개의 새일센터가 인접해 있어 구직자와 구인처의 중복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음. 따라서 새일센터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 중복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여성인력개발센터는 현재 새일센터가 부재한 과천, 의왕, 군포 지역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이들 지역의 여성 구직자와 구인처를 포괄하여 사업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중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훈 - xiv -

21 련과정은 총 140개 과정이 운영되었으며, 2014년 대비 인력양성 규모를 상향 조정한 사무, 회계과정이 58개 과정으로 41.4%를 차지함. 그러나 인력양성 규모를 하향 조정한 이미용, 숙박, 음식 과정이 30개 과정 운영되었으며, 전년도와 비슷한 규모인 교육, 연구, 상담은 31개 과정이 운영됨. (여성경제활동상태) 중부권역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46.8%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음. 중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2015년 상반기 기준 808,403명으로 5개 권역 중 가장 큰 규모 며, 남부권역과 비슷한 규모임. 그런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 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은 58.0%로 남부권에 비해서는 10%p 낮은 수준임. 직장을 그만 둔 이 유는 개인, 가족관련 이유라는 응답이 58.3%에 달함. 2) 중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사업체 취업희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사회적 경제기업 취 창 업 희망 비율이 23.9%로 나타남. 중부권의 경우 구직 시 임금 수준을 중시한다는 비율이 3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일 가정 양립 가능한 근무 여건(28.5%)과 안정 적인 일자리(18.4%)에 대한 고려 순으로 나타남. 45.9%의 미취업 여성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상대적으로 광명(56.9%), 부천(54.5%), 시흥(54.8%), 안산(50.9%)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높게 나타남. 또한 중부 권역의 경우 직업훈련기관 중 여성직업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선호가 4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공훈련기관(33.6%)으로 나타남. 취 창업을 위한 정책 요구 조사 결과, 취 창업 관련 정보제공(47.5%)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그 다 음으로 취업할 곳과 인턴제 소개(22.5%), 직업교육훈련(16.5%) 순으로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취업여성들의 일자리 만족도는 3.57점으로 경기도 평균(3.59점) 수준 을 나타냄. 상대적으로 과천시 여성 취업자의 만족도가 3.1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의 왕시는 3.75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xv -

22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식(3.8점)하고 있었 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1.6%로 나타났으며,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 답자 중 65.2%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 이직 전직 지원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위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중부권역 사업체 중 22.6%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생산직 인력난을 겪고 있다는 응답이 43.0%로 매우 높게 나타남. 그 밖에는 기술직(31.6%) > 단순노무직 (24.0%)과 전문직(20.9%) 순으로 나타남. 인력난의 원인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라는 응답 비율은 7.6%로 타 권역에 비해 낮은 응답 비율을 나타냄. 그러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1.9%로 매우 낮은 수준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5.3%)과 장기근속여부(21.0%)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 율이 높음.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30.0%로 가장 높았으며, 사무직 여성인력 활 용 비율이 46.9%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음. 중부권역 사업체는 남성과 여성 직원의 경 쟁력을 비슷한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52.9%로 타 권역에 비해 인지도가 높 았으며, 협력 경험은 구인구직 알선(29.2%)과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4.6%) 비율이 높 게 나타남. 향후 협력 희망 비율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34.7%) >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30.0%) >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8.9%) 순으로 나타남. 따 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1.4%로 나타났음. 시간제 채 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8.1%,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13.7%에 불과함. 그런데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이 47.6%로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선호를 나타냈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 - xvi -

23 다는 응답도 64.2%에 달하고 있어 상당수의 취업 여성이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 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가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4.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가. 여성 고용서비스 확충 및 효율화 전략 경기도는 향후 2018년까지 도내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총 30개소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경기도 차원에서는 새일센터의 추가 확충이 필요한 지역과 권역별 효율화 전략 을 제시하면 다음의 <표 1> 과 같음. <표 1> 권역별 고용서비스기관 운영 전략 구분 새일센터 확충 전략 효율화 전략 북서부 - 신규새일센터 역량 제고/직업훈련과정 계열화 북동부 양주(동두천접경) 동부 양평(농촌형/가평접경) 남부 안성(평택접경) 중부 - 안양창조(경력개발형특화집중) 안양새일(의왕, 군포, 과천 서비스 강화)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연계 강화) 구직자 입장에서는 접근성과 자신이 원하 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이용하게 됨. 따라서 권역 내 여성인력개발 기관 간 직업교육 훈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공유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직업교육훈련 과정에 대한 분야별 계열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xvii -

24 나. 지역 신규양성훈련 수요를 고려한 직업훈련과정 운영 전략 경기도는 경력단절 여성 취업 지원을 위해 새일센터 사업 추진과 함께 도 특화사업을 통해 중앙정부 사업의 효과를 배가하고 여성들의 수요에 부흥할 수 있는 특화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본 절에서는 지역의 특성, 특히 수요를 고려한 사업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음. 권역별로 현재 운영 중인 2015년 현재 여성인력개발기관에 운영 된 새일센터 직업훈련과정, 경기도 고학력, 고숙련과정, 시군특화직업훈련과정, 지역맞춤형 직업훈련과정을 분야별로 2015년 양성과정 수요 증가, 유지, 축소 별로 분석해보면, 다음의 <표 2>와 같음. 본 연구 에서는 권역별로 분야별로 어떤 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지를 각 사업단위에서 확인하고 향후 직업교육과정을 기획 운영 시 참조 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나, 향후 권역별 여성 직업훈련과정을 다양화하고, 특히 동일 분야라도 숙련 불일치 분야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 후 여성이 경쟁력을 갖춘 분야의 산업 및 기업 수요에 맞춤형 직업교육훈련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음. <표 2> 업종별 권역별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단위: 과정, %) 과정분류 (조정) 전체 북서부 북동부 동부 남부 중부 전체 261 (100.0) 사무회계관리( +) 94 (36.1) *직업상담, 교육, 연구( ) 70 (26.8) 사회복지( +) 10 (3.8) *보건의료( ) 9 (3.4) 영업판매( +) 1 (0.4) 이미용숙박음식 ( -) 42 (16.1) *문화예술디자인방송( ) 12 (4.6) 섬유 및 의복 ( -) 4 (1.5) 창업 12 (4.6) 기타 7 (2.7) 주. ( +) : 상향, ( -) 하향, ( ) 유지, * 공급초과이나 숙련인력 불일치 분야 - xviii -

25 다. 일 가정 양립형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전략 경기도는 여성일자리 관련 주요 공약 사업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를 위한 특화사업을 추 진 중에 있음. 특히 기업의 인식제고와 여성을 고려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를 위한 여성고 용우수기업 선정사업과 컨설팅 사업 등을 추진 중에 있어 이와 관련한 전략을 제안하였음. (일 가정양립형 일자리 확대) 정책수요 분석을 통해 확인된 미취업여성 정책 요구는 임금 과 고용안정성을 갖춘 일자리와 함께 일 가정 양립형 일자리 창출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 타남. 그러나 기업은 인력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과 같은 방식의 인력 운영을 계속하 고 있는 상황임. 따라서 현재 경기도가 민선 6기 여성일자리 특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를 위한 기업지원 사업과 여성고용서비스기관 역량제고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함. 무엇보다 기업의 인식제고를 위한 사업을 확대하고 우수 사례 발 굴과 우수 사례 확산을 위한 전략적 노력이 요구됨. 라. 경력단절 예방 지원 사업 추진 전략 여성 고용률 제고를 위한 정책이 재취업지원에서 여성의 경력개발과 고용유지 지원으로 그 중심이 이동하고 있음. 본 절에서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경기도에서 여성의 고용유지를 위 한 정책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음. (경력유지 및 경력개발형 전직지원 서비스 지원) 취업여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재직 여 성 중 약 10%는 3년 이내 이직 및 전직 의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됨. 그러나 기혼 여성 취업 자는 상시적으로 일 가정 양립에 따른 시간 부족으로 인해 재직 기간 중 경력개발이나 전 직을 위한 사전 준비가 쉽지 않고, 사직 후 이직을 준비하게 될 경우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 이 경력단절에 이르게 되거나, 경력단절 기간이 장기화되는 경향을 보임. 따라서 여성의 경 력단절 예방을 위한 전직지원 사업과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새일센터 사후관리 사업이 나 여성 근로자복지센터에서 추진 할 수 있도록 경기도 차원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음. - xix -

26 (전환형 시간제 활성화 지원) 취업여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 용이 안정된 여성 취업자의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음. 그러나 기업은 신 규 일자리 창출은 물론 정부가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환형 시간제 사업 참여가 저조한 상황임. 따라서 경기도가 2016년부터 추진 할 예정인 컨설팅 지원 사업을 통 해 여성고용 촉진을 위한 전환형 시간제 도입 확대를 지원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확산 할 필요가 있음. 마. 여성 일자리 정책 및 사업 추진 거버넌스 구축 전략 시군별 일자리 목표 공시제 등 지역 중심의 일자리 창출 정책과 사업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 는 상황임. 그 과정에서 기존에 여성정책 주무부서 중심으로 추진되던 여성일자리 사업이 일자리 정책 추진 주무 부서로 이관되는 경우가 생기고 있음. 특히 중앙정부와 경기도 차원 에서 확대하고 있는 고용과 복지를 연계한 고용+센터가 확대되면서 신규 새일센터를 유치 하는 시군이 생기고 있어, 시군별 여성일자리 사업 추진 체계와 지역 일자리 거버넌스의 여 성일자리 관련 기관의 참여 유형에 차이가 발생되고 있음. 따라서 각 지역별 여성일자리 추 진 체계와 연계 방식을 파악하여 사업이 지역 특화 일자리 창출 사업과의 연계 속에서 추진 될 수 있도록 지원 할 필요가 있음. - xx -

27 목 차 제 1장 서론 1. 연구배경 3 2. 연구목적 및 내용 4 3. 연구방법 및 절차 7 제 2장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논의의 배경 1. 여성 일자리 정책의 특수성 지역 일자리정책 강화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논의 구조 53 제 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북서부권역 일반 현황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북서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수요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122 제 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북동부권역 일반 현황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북동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i -

28 제 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동부권역 일반 현황 동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동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271 제 6장 남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남부권역 일반현황 남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남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남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346 제 7장 중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중부권역 일반 현황 중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중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중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423 제 8장 결론 1.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향후 과제 434 참고문헌 ii -

29 표 목 차 <표 1-1> 각조사별 시군 응답자 수 9 <표 1-2> 전문위원 간담회를 위한 사전 질문 내용 10 <표 1-3> 새일센터장 간담회 면접을 위한 사전 질문 내용 10 <표 2-1> 지역 고용 정책의 신구 패러다임 19 <표 2-2> 지역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 사업 선정 현황 23 <표 2-3> 경기도 도시계획 현황(2014) 28 <표 2-4> 경기도 철도 및 전철 현황(2013) 28 <표 2-5> 경기도 도로 현황(2013) 28 <표 2-6> 경기도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29 <표 2-7> 경기도 연령별 인구 증감률 30 <표 2-8> 경기도 외국인 현황 31 <표 2-9> 경기도 GRDP 전망 32 <표 2-10> 경기도 여성노동시장 규모 35 <표 2-11> 경기도 취업자 수와 고용률 39 <표 2-12> 경기도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39 <표 2-13> 경기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41 <표 2-14> 경기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42 <표 2-15>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44 <표 2-16> 경기도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45 <표 2-17> 양성훈련 수요 공급과 미충원사유별 직종분포 47 <표 2-18> 양성훈련 필요인원 48 <표 2-19> 경기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52 <표 3-1> 북서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60 <표 3-2> 북서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61 <표 3-3> 북서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62 <표 3-4> 북서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63 - iii -

30 <표 3-5> 북서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65 <표 3-6>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66 <표 3-7> 북서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67 <표 3-8> 북서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68 <표 3-9> 북서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68 <표 3-10> 북서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69 <표 3-11>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69 <표 3-12> 북서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71 <표 3-13>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71 <표 3-14> 북서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72 <표 3-15> 북서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73 <표 3-16>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74 <표 3-17> 북서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74 <표 3-18> 북서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75 <표 3-19> 북서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76 <표 3-20> 북서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77 <표 3-21> 북서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77 <표 3-22>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79 <표 3-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79 <표 3-24> 북서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80 <표 3-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81 <표 3-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82 <표 3-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83 <표 3-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84 <표 3-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85 <표 3-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85 <표 3-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86 <표 3-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87 <표 3-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88 - iv -

31 <표 3-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89 <표 3-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90 <표 3-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91 <표 3-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92 <표 3-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93 <표 3-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94 <표 3-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95 <표 3-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95 <표 3-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96 <표 3-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97 <표 3-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97 <표 3-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98 <표 3-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99 <표 3-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100 <표 3-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101 <표 3-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102 <표 3-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103 <표 3-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104 <표 3-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105 <표 3-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106 <표 3-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107 <표 3-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08 <표 3-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08 <표 3-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109 <표 3-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시 중시하는 점 110 <표 3-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10 <표 3-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111 <표 3-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12 <표 3-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v -

32 <표 3-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113 <표 3-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113 <표 3-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114 <표 3-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115 <표 3-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116 <표 3-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117 <표 3-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118 <표 3-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118 <표 3-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119 <표 3-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120 <표 3-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121 <표 3-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121 <표 4-1> 북동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130 <표 4-2> 북동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131 <표 4-3> 북동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132 <표 4-4> 북동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133 <표 4-5> 북동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136 <표 4-6>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137 <표 4-7> 북동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138 <표 4-8> 북동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141 <표 4-9> 북동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141 <표 4-10> 북동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141 <표 4-11>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142 <표 4-12> 북동부권 시군별 인력채용현황(2015) 143 <표 4-13>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144 <표 4-14> 북동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145 <표 4-15> 북동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146 <표 4-16>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vi -

33 <표 4-17> 북동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147 <표 4-18> 북동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148 <표 4-19> 북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149 <표 4-20> 북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150 <표 4-21> 북동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150 <표 4-22>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152 <표 4-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152 <표 4-24> 북동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153 <표 4-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154 <표 4-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155 <표 4-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156 <표 4-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157 <표 4-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158 <표 4-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158 <표 4-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159 <표 4-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160 <표 4-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161 <표 4-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162 <표 4-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163 <표 4-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165 <표 4-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166 <표 4-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167 <표 4-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167 <표 4-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168 <표 4-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168 <표 4-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169 <표 4-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170 <표 4-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171 <표 4-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vii -

34 <표 4-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173 <표 4-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174 <표 4-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175 <표 4-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176 <표 4-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177 <표 4-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178 <표 4-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179 <표 4-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180 <표 4-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182 <표 4-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82 <표 4-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82 <표 4-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184 <표 4-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84 <표 4-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84 <표 4-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186 <표 4-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86 <표 4-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86 <표 4-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187 <표 4-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187 <표 4-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188 <표 4-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189 <표 4-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190 <표 4-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191 <표 4-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192 <표 4-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192 <표 4-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193 <표 4-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194 <표 4-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195 <표 4-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viii -

35 <표 5-1> 동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204 <표 5-2> 동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205 <표 5-3> 동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206 <표 5-4> 동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207 <표 5-5> 동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210 <표 5-6> 동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211 <표 5-7> 동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212 <표 5-8> 동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214 <표 5-9> 동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215 <표 5-10> 동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216 <표 5-11>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217 <표 5-12> 동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218 <표 5-13> 동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219 <표 5-14> 동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 (2015년 상반기) 220 <표 5-15> 동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221 <표 5-16> 동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221 <표 5-17> 동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222 <표 5-18> 동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223 <표 5-19> 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224 <표 5-20> 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225 <표 5-21> 동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225 <표 5-22>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227 <표 5-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227 <표 5-24> 동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228 <표 5-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229 <표 5-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230 <표 5-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231 <표 5-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232 <표 5-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ix -

36 <표 5-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233 <표 5-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234 <표 5-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235 <표 5-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236 <표 5-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237 <표 5-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238 <표 5-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240 <표 5-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241 <표 5-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242 <표 5-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242 <표 5-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243 <표 5-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243 <표 5-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244 <표 5-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245 <표 5-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246 <표 5-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247 <표 5-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248 <표 5-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249 <표 5-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250 <표 5-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251 <표 5-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252 <표 5-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253 <표 5-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254 <표 5-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255 <표 5-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257 <표 5-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257 <표 5-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257 <표 5-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259 <표 5-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x -

37 <표 5-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259 <표 5-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260 <표 5-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261 <표 5-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261 <표 5-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262 <표 5-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262 <표 5-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263 <표 5-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264 <표 5-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265 <표 5-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266 <표 5-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267 <표 5-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267 <표 5-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268 <표 5-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269 <표 5-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270 <표 5-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270 <표 6-1> 남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280 <표 6-2> 남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281 <표 6-3> 남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283 <표 6-4> 남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283 <표 6-5> 남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286 <표 6-6> 남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288 <표 6-7> 남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288 <표 6-8> 남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290 <표 6-9> 남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291 <표 6-10> 남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291 <표 6-11>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292 <표 6-12> 남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xi -

38 <표 6-13> 남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294 <표 6-14> 남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295 <표 6-15> 남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296 <표 6-16> 남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296 <표 6-17> 남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297 <표 6-18> 남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298 <표 6-19> 남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299 <표 6-20> 남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300 <표 6-21> 남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300 <표 6-22> 남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302 <표 6-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302 <표 6-24> 남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303 <표 6-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304 <표 6-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305 <표 6-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306 <표 6-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307 <표 6-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308 <표 6-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308 <표 6-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309 <표 6-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310 <표 6-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311 <표 6-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312 <표 6-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313 <표 6-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315 <표 6-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316 <표 6-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317 <표 6-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317 <표 6-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318 <표 6-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xii -

39 <표 6-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319 <표 6-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320 <표 6-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321 <표 6-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322 <표 6-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323 <표 6-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324 <표 6-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325 <표 6-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326 <표 6-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327 <표 6-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328 <표 6-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329 <표 6-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330 <표 6-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332 <표 6-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332 <표 6-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332 <표 6-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334 <표 6-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334 <표 6-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334 <표 6-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336 <표 6-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336 <표 6-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336 <표 6-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337 <표 6-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337 <표 6-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338 <표 6-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339 <표 6-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340 <표 6-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341 <표 6-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342 <표 6-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xiii -

40 <표 6-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343 <표 6-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344 <표 6-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345 <표 6-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345 <표 7-1> 중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354 <표 7-2> 중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355 <표 7-3> 중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357 <표 7-4> 중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357 <표 7-5> 중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360 <표 7-6> 중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361 <표 7-7> 중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362 <표 7-8> 중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364 <표 7-9> 중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365 <표 7-10> 중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365 <표 7-11>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366 <표 7-12> 중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370 <표 7-13> 중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371 <표 7-14> 중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372 <표 7-15> 중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373 <표 7-16> 중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373 <표 7-17> 중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374 <표 7-18> 중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375 <표 7-19> 중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376 <표 7-20> 중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377 <표 7-21> 중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377 <표 7-22> 중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379 <표 7-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379 <표 7-24> 중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xiv -

41 <표 7-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381 <표 7-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382 <표 7-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383 <표 7-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384 <표 7-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385 <표 7-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385 <표 7-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386 <표 7-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387 <표 7-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388 <표 7-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389 <표 7-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390 <표 7-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392 <표 7-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393 <표 7-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394 <표 7-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394 <표 7-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395 <표 7-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395 <표 7-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396 <표 7-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397 <표 7-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398 <표 7-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399 <표 7-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400 <표 7-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1순위) 401 <표 7-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402 <표 7-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403 <표 7-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404 <표 7-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405 <표 7-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406 <표 7-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xv -

42 <표 7-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409 <표 7-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409 <표 7-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409 <표 7-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411 <표 7-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411 <표 7-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411 <표 7-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413 <표 7-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413 <표 7-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413 <표 7-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414 <표 7-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414 <표 7-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415 <표 7-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416 <표 7-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417 <표 7-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418 <표 7-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419 <표 7-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419 <표 7-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420 <표 7-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421 <표 7-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422 <표 7-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422 <표 8-1> 권역별 고용서비스기관 운영 전략 430 <표 8-2> 업종별 권역별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xvi -

43 그 림 목 차 <그림 1-1> 경기도 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5개 권역 구분 5 <그림 1-2> 주요 연구방법과 자료수집방법 11 <그림 2-1>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 사업 흐름 24 <그림 2-2>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구조 25 <그림 2-3> 경기도 행정구역 27 <그림 2-4> 경기도 주민등록인구 추이 29 <그림 2-5> 경기도 인구 피라미드(2014) 30 <그림 2-6> 시도별 순 이동인구(2014) 31 <그림 2-7> 경기도 실질지역내총생산 추이( ) 32 <그림 2-8> 경기도 잠재 성장률 추정 33 <그림 2-9> 경기도 산업구조 추이( ) 34 <그림 2-10> 경기도 사업체수와 성별 종사자수 추이( ) 34 <그림 2-11> 경기도 여성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증감 36 <그림 2-12> 경기도 결혼 유무별 경제활동인구(2015) 36 <그림 2-13> 경기도 성별 비경제활동인구 추이 37 <그림 2-14> 경기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5) 37 <그림 2-15> 경기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 37 <그림 2-16> 경기도 취업,미취업여성 규모 38 <그림 2-17> 경기도 여성 취업자 특성(2014년 하반기) 40 <그림 2-18> 경기도 성별 취업자 종사자상 지위(2014 하반기) 42 <그림 2-19>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 특성(2014년 하반기) 43 <그림 2-20>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44 <그림 2-21> 경기도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46 <그림 2-22> 경기도 일자리정책 추진 체계 49 <그림 2-23> 지역별 여성일자리 추진 전략 논의 구조 55 - xvii -

44 <그림 3-1> 북서부권 59 <그림 3-2> 북서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61 <그림 3-3> 북서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2014) 62 <그림 3-4> 북서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64 <그림 3-5> 북서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65 <그림 3-6>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69 <그림 3-7>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72 <그림 3-8> 북서부권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73 <그림 3-9> 북서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74 <그림 3-10> 북서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76 <그림 3-11>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78 <그림 3-12>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79 <그림 3-13> 북서부권20세이상54세이하여성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하반기) 80 <그림 3-14> 북서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81 <그림 3-15> 북서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82 <그림 3-16> 북서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83 <그림 3-17> 북서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84 <그림 3-18> 북서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85 <그림 3-19> 북서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86 <그림 3-20> 북서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87 <그림 3-21> 북서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88 <그림 3-22> 북서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89 <그림 3-23> 북서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90 <그림 3-24> 북서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90 <그림 3-25> 북서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91 <그림 3-26> 북서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92 <그림 3-27> 북서부권 일을 하는 이유 93 <그림 3-28> 북서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94 <그림 3-29> 북서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94 - xviii -

45 <그림 3-30> 북서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95 <그림 3-31> 북서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96 <그림 3-32> 북서부권 인력난 여부 97 <그림 3-33> 북서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98 <그림 3-34> 북서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99 <그림 3-35> 북서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99 <그림 3-36> 북서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100 <그림 3-37> 북서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101 <그림 3-38> 북서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102 <그림 3-39> 북서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103 <그림 3-40> 북서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104 <그림 3-41> 북서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105 <그림 3-42> 북서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사업체 107 <그림 3-43> 북서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109 <그림 3-44> 북서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111 <그림 3-45>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113 <그림 3-46>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114 <그림 3-47>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115 <그림 3-48> 북서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116 <그림 3-49> 북서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116 <그림 3-50> 북서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117 <그림 3-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118 <그림 3-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119 <그림 3-53> 북서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120 <그림 3-54> 북서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120 <그림 3-55> 북서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121 <그림 4-1> 북동부권 129 <그림 4-2> 북동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xix -

46 <그림 4-3> 북동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 (2014) 132 <그림 4-4> 북동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135 <그림 4-5> 북동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136 <그림 4-6>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142 <그림 4-7>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144 <그림 4-8> 북동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145 <그림 4-9> 북동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147 <그림 4-10> 북동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149 <그림 4-11>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151 <그림 4-12>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152 <그림 4-13> 북동부권20세이상54세이하여성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하반기) 153 <그림 4-14> 북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154 <그림 4-15> 북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155 <그림 4-16> 북동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156 <그림 4-17> 북동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157 <그림 4-18> 북동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158 <그림 4-19> 북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159 <그림 4-20> 북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160 <그림 4-21> 북동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161 <그림 4-22> 북동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162 <그림 4-23> 북동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163 <그림 4-24> 북동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164 <그림 4-25> 북동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164 <그림 4-26> 북동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165 <그림 4-27> 북동부권 일을 하는 이유 166 <그림 4-28> 북동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167 <그림 4-29> 북동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168 <그림 4-30> 북동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169 <그림 4-31> 북동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xx -

47 <그림 4-32> 북동부권 인력난 여부 171 <그림 4-33> 북동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171 <그림 4-34> 북동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172 <그림 4-35> 북동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173 <그림 4-36> 북동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174 <그림 4-37> 북동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175 <그림 4-38> 북동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176 <그림 4-39> 북동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177 <그림 4-40> 북동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178 <그림 4-41> 북동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180 <그림 4-42> 북동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181 <그림 4-43> 북동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183 <그림 4-44> 북동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185 <그림 4-45>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187 <그림 4-46>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188 <그림 4-47>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189 <그림 4-48> 북동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190 <그림 4-49> 북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190 <그림 4-50> 북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191 <그림 4-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192 <그림 4-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193 <그림 4-53> 북동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194 <그림 4-54> 북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194 <그림 4-55> 북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195 <그림 5-1> 동부권 203 <그림 5-2> 동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205 <그림 5-3> 동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2014) 206 <그림 5-4> 동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xxi -

48 <그림 5-5> 동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210 <그림 5-6>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217 <그림 5-7> 동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219 <그림 5-8> 동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220 <그림 5-9> 동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222 <그림 5-10> 동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224 <그림 5-11>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226 <그림 5-12>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227 <그림 5-13> 동부권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228 <그림 5-14> 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229 <그림 5-15> 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230 <그림 5-16> 동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231 <그림 5-17> 동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232 <그림 5-18> 동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233 <그림 5-19> 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234 <그림 5-20> 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235 <그림 5-21> 동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236 <그림 5-22> 동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237 <그림 5-23> 동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238 <그림 5-24> 동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239 <그림 5-25> 동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239 <그림 5-26> 동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240 <그림 5-27> 동부권 일을 하는 이유 241 <그림 5-28> 동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242 <그림 5-29> 동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243 <그림 5-30> 동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244 <그림 5-31> 동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245 <그림 5-32> 동부권 인력난 여부 246 <그림 5-33> 동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xxii -

49 <그림 5-34> 동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247 <그림 5-35> 동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248 <그림 5-36> 동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249 <그림 5-37> 동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250 <그림 5-38> 동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251 <그림 5-39> 동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252 <그림 5-40> 동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253 <그림 5-41> 동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255 <그림 5-42> 동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256 <그림 5-43> 동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258 <그림 5-44> 동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260 <그림 5-45>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262 <그림 5-46>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263 <그림 5-47>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264 <그림 5-48> 동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265 <그림 5-49> 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265 <그림 5-50> 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266 <그림 5-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267 <그림 5-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268 <그림 5-53> 동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269 <그림 5-54> 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269 <그림 5-55> 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270 <그림 6-1> 남부권 279 <그림 6-2> 남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282 <그림 6-3> 남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 (2014) 282 <그림 6-4> 남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286 <그림 6-5> 남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287 <그림 6-6>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xxiii -

50 <그림 6-7> 남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294 <그림 6-8> 남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295 <그림 6-9> 남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297 <그림 6-10> 남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299 <그림 6-11> 남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301 <그림 6-12> 남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302 <그림 6-13> 남부권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303 <그림 6-14> 남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304 <그림 6-15> 남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305 <그림 6-16> 남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306 <그림 6-17> 남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307 <그림 6-18> 남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308 <그림 6-19> 남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309 <그림 6-20> 남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310 <그림 6-21> 남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311 <그림 6-22> 남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312 <그림 6-23> 남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313 <그림 6-24> 남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314 <그림 6-25> 남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314 <그림 6-26> 남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315 <그림 6-27> 남부권 일을 하는 이유 316 <그림 6-28> 남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317 <그림 6-29> 남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318 <그림 6-30> 남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319 <그림 6-31> 남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320 <그림 6-32> 남부권 인력난 여부 321 <그림 6-33> 남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321 <그림 6-34> 남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322 <그림 6-35> 남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xxiv -

51 <그림 6-36> 남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324 <그림 6-37> 남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325 <그림 6-38> 남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326 <그림 6-39> 남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327 <그림 6-40> 남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328 <그림 6-41> 남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330 <그림 6-42> 남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331 <그림 6-43> 남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333 <그림 6-44> 남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335 <그림 6-45>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337 <그림 6-46>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338 <그림 6-47>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339 <그림 6-48> 남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340 <그림 6-49> 남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340 <그림 6-50> 남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341 <그림 6-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342 <그림 6-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343 <그림 6-53> 남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344 <그림 6-54> 남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344 <그림 6-55> 남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345 <그림 7-1> 중부권 353 <그림 7-2> 중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356 <그림 7-3> 중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 (2014) 356 <그림 7-4> 중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359 <그림 7-5> 중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360 <그림 7-6>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366 <그림 7-7> 중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371 <그림 7-8> 중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xxv -

52 <그림 7-9> 중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374 <그림 7-10> 중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376 <그림 7-11> 중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378 <그림 7-12> 중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379 <그림 7-13> 중부권20세이상54세이하여성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380 <그림 7-14> 중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381 <그림 7-15> 중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382 <그림 7-16> 중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383 <그림 7-17> 중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384 <그림 7-18> 중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385 <그림 7-19> 중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386 <그림 7-20> 중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387 <그림 7-21> 중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388 <그림 7-22> 중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389 <그림 7-23> 중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390 <그림 7-24> 중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391 <그림 7-25> 중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391 <그림 7-26> 중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392 <그림 7-27> 중부권 일을 하는 이유 393 <그림 7-28> 중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394 <그림 7-29> 중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395 <그림 7-30> 중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396 <그림 7-31> 중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397 <그림 7-32> 중부권 인력난 여부 398 <그림 7-33> 중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398 <그림 7-34> 중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399 <그림 7-35> 중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400 <그림 7-36> 중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401 <그림 7-37> 중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xxvi -

53 <그림 7-38> 중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403 <그림 7-39> 중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404 <그림 7-40> 중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405 <그림 7-41> 중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407 <그림 7-42> 중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408 <그림 7-43> 중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410 <그림 7-44> 중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412 <그림 7-45>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414 <그림 7-46>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415 <그림 7-47>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416 <그림 7-48> 중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417 <그림 7-49> 중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417 <그림 7-50> 중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418 <그림 7-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419 <그림 7-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420 <그림 7-53> 중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421 <그림 7-54> 중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421 <그림 7-55> 중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xxvii -

54

55 제 1 장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및 내용 3. 연구방법 및 절차

56

57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2006년 7월 여성발전기본법 이 제정된 이래 19년 만인 2015년 7월에 양성평등기본 법 으로 전면 개정 되었음. 기존의 발전론적 접근에서 벗어나 여성정책의 목표가 양성평 등 실현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여성경제활동의 경우에도 여성 고용 증가만이 아니라 남녀 간 격차를 해소하는 것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있음. 지난 7월 1일 시행일에 맞춰 발표된 제1 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에서는 양성평등한 일자리 확대, 일자리에서의 성차별 개 선 등 남녀 간의 격차를 줄이고 여성에 대한 구조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담았고, 남성근로자의 육아휴직 활성화 등 여성뿐 아니라 남성의 참여를 강조하여 젠더관계 자체를 바꾸려는 정책과제를 포함하고 있음. 위와 같은 여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인력개발, 일자리 창출, 노동시장 이행 등의 정책 영역 전반의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한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정책을 그 자체로 담 보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현재 추진되고 있는 여성고용관련 정책 및 사업과 지역의 정책 수요 분석에 기초해 새로운 지역 과제를 발굴할 필요가 있음. 여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2008년 6월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법 이 제 정된 이후 제1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10~2014)이 수립되었고, 지 난 2014년 12월에 제2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안)(2015~2019)이 마련 되었음. 그러나 2008년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법 시행 이후 노동시장의 변화, 경력단절여성의 현실과 정책요구, 정책 환경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관련 법 전 반에 대한 검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특히 이러한 문제제기는 여성의 생애주기별, 하위 정책대상별 경력단절 예방 및 재취업을 지원할 정책서비스 개발과 전달, 통합적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따른 것임. 이와 관련해 김영옥 외(2014)가 법률 개정안을 제안하였음. 이 제안에는 법명을 경력단절 예방과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으로 수정하고 법 적인 위상 정립과 경력단절 예방, 통합지원체계 구축과 관련한 내용에 대한 보완이 포함되 어 있음. 2014년 12월에 수립된 제2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안)에는 제1차 계획에서는 강조되지 않았던 경력단절예방과 청년여성에 대한 정책과 사업이 포함되 3

5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는 등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정책 범위와 주요 방향에 대한 변화된 인식과 문제의식 이 반영되어 있음. 경기도는 여성 일자리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2015년부터 경기도 특화사업과 정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정책이 여성의 고용 확대와 고용 유지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업 지원 정책과 고용서비스 역량 제고를 위한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경기도는 2014년과 2015년에 걸쳐 여성고용 정책 추진 방향과 정책 수요 분석 을 위한 대규모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음. 이와 관련해 본원 일자리전략센터에서는 시간선택 제 일자리 수요조사와 함께 사업체 여성인력 수요조사(2,059개)와 여성 취업자 근로실태 조 사(2,120명)를 실시하였으며, 2015년 상반기에는 취업의사가 있는 경기도 25세 이상 59세 미만 미취업 여성 조사(2,000명)를 실시하였음. 경기도의 특성상 지역별 편차가 매우 크고 산업 특성도 상이함. 따라서 지역에서 여성 일자 리 사업을 수행하는 현장 전문가와 지역 일자리정책 담당자가 지역의 정책 요구를 분석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음.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성고용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하여 현재 추진되고 있는 여성고용관련 사업을 지역 단위에서 점검하고, 향후 새롭게 추진하거나 강화해야 하는 경기도 차원의 사업 영역을 도출할 필요가 있음. 2. 연구목적 및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여성일자리정책 관련 수요 분석에 기초하여 지역의 여성 일자리 정책과 여성고용서비스기관의 사업 방향 및 신규 사업 추진 시 정책 방향과 추진 방안을 마 련하는데 고려할 필요가 있는 정책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음. 이와 함께 2014년과 2015 년에 수집한 기초 데이터를 지역의 여성일자리 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재분석하여 제공하는데 2차 목적이 있음. 4

59 제1장 서 론 가. 연구의 범위 : 지역별 분석 단위 설정 본 연구는 앞서 연구 목적에서 밝힌 바와 같이 여성일자리 정책과 사업이 지역적 특성과 정 책 요구에 기반하여 추진될 수 있도록 정책 환경 및 여성경제활동 현황, 그리고 정책요구를 분석 제시하고자 함. 위와 같은 목적을 염두에 두고 사업체, 여성근로자, 미취업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특히 31 개 시군을 모두 포함하여 표본을 설정하되, 10개의 노동 권역별로 학력 및 연령별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노동 권역의 경우 사례수가 매우 적 어, 통계 분석에 어려움이 있음. 통상 경기도는 남부와 북부로 나누는 방식은 노동권역으로 구분하기에는 너무 큰 범위고, 남부 또는 북부로 나누어 분석하고 정책을 추진할 경우 각종 인프라가 남부권에 집중되어 있는 등 지역적 불균등 현상 등이 나타남. 따라서 경기도 인적자원위원개발위원회에서는 전 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경기도 31개 시군을 경기도 산업구조, 지역 노동시장권, 행정구역, 고용센터의 관할지역과 지역행복생활권 등 5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5개 권역으로 설정하였음. <그림 1-1> 경기도 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5개 권역 구분 5

6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본 연구에서도 지역을 위와 같이 5개 권역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조사 자료 분석 시 타 당성을 높이고, 한편으로 경기도 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상시 인력 수요조사와 인력양성 수 급 계획 등의 자료 활용 및 향후 권역별 인적자원위원회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의 일자리 창 출 정책과 여성일자리 창출 정책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동일한 지역 구분을 차용하여 분석하고자 함. 나. 연구의 범위 : 지역여성고용전략 논의 구조 본 연구는 5개 권역별로 일반 환경, 여성고용현황,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기반, 권역 내 사 업체, 미취업여성, 취업여성 정책 요구분석을 통해 권역 내 여성일자리 사업 추진 기관이 사업을 기획 운영 할 때 사전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도록 구성하였음. 따라서 권 역 내 각 시군단위 자료 제시와 관련해서는 통계적 의의나 차이보다는 현실적으로 참조할만 한 자료가 없다는 점에서 통계적 한계를 안고 있음에도 일괄적으로 비율로 제시하였음. 제 3장부터 제 7장까지 각 장별로 소결을 두어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을 향후 사업 기획 및 운영 시 중점을 주고 추진해야 방향에 대한 정책 시사점 중심으로 요약 정리하여 제시하였음. 새일센터장 간담회나 권역별 인적자위원회 자문을 참조하여 해당 권역을 중심 으로 보고서를 참조할 가능성이 높고, 그에 따른 요구를 참조하여 권역별 차이가 크지 않은 부분에 대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각 장별로 일부 반복하여 기술하였음. 그러나 각 권역별로 추진하기 보다는 경기도가 도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거 나 조정이 요구되는 여성일자리 관련 정책에 대해서는 제 8장에서 제시하였음. 다. 연구의 내용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범위와 내용은 다음과 같음. 제2장에서는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을 실시하였음. - 경기도의 지리적, 인구학적 특성과 산업 특성 분석 6

61 제1장 서 론 - 여성 고용 정책 환경 분석 - 경기도 여성고용 현황 - 경기도 일자리사업 현황 제3장부터 제7장까지는 각 장별로 권역별 여성일자리 추진전략을 제시하였음. 분석 주제 영 역별 구성을 하지 않은 이유는 각 권역별로 본 보고서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 각 장의 주요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 인구지리학적 특성 및 산업 특성 분석, 일자리정책 및 교 육훈련사업 현황, 인력채용 및 훈련 수요 현황 - 권역별 여성경제활동 현황 : 여성경제활동 상태, 여성취업자 특성 및 미취업자 현황 -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수요 분석 : 미취업여성 취업 욕구 및 정책 요구, 여성 취업자 근 로실태 및 정책요구,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와 정책 요구 -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및 과제 제안 제8장에서는 경기도 제2장과 각 권역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이 경기도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 할 뿐만 아니라 지역별 균형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 를 위한 경기도 차원의 과제를 제안하였음. 3. 연구방법 및 절차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통계분석 및 2014년과 2015년에 실시 한 미취업여성, 취업여성, 사업체 조사 결과를 재분석하였으며, 권역별 인적자원위원회 전 문가 간담회 및 여성일자리 사업기관인 새일센터장 간담회를 실시하였음. 행정자료 및 통계자료 분석 - 경기도내 31개 시 군 2015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분석 - 통계청 주민등록인구조사 2015년 자료 분석 7

6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 통계청 도시계획현황 2014년 자료 분석 - 통계청 지역계정 2013년 자료 분석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2013년 자료 분석 -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각분기별 자료 분석 -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15년 경기 지역 정기 인력 및 훈련 수급조사 자료분석 미취업 여성 조사, 여성 취업자 조사, 사업체 조사자료 재분석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2014년 자료 재분석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 여성취업자 근로실태조사 2014년 자료 재분석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 여성취업욕구조사 2015년 자료 재분석 - 각 조사별 시군 응답자수는 다음<표 1-1>과 같음. 8

63 제1장 서 론 <표 1-1> 각조사별 시군 응답자 수 시 군 경기도 사업체조사 여성 취업자 여성 미취업자 경기도 2,120 2,059 2,000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남부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용인시 평택시 안성시 중부 안양시 과천시 의왕시 군포시 부천시 광명시 안산시 시흥시 (단위: 명) 9

6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 실시 - 경기도는 지역의 고용 및 인적자원개발 사업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구성하였음. 따라서 각 권역별 분과위원회 전문위원을 경기 경영자 총연합회의 추천을 받아 진행하였음. -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 실시 이전에 논의할 내용을 반 구조화된 설 문 형태로 사전 배포하였음. 간담회를 위한 사전 질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의 <표 1-2>와 같음. 1.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기능과 역할 - 당초 기대하는 역할과 기능 - 현재 운영방식과 성과 <표 1-2> 전문위원 간담회를 위한 사전 질문 내용 사전 질문 내용 2.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와 여성일자리 관련 기관 간 연계 수준과 향후 협력 가능성 3. 지역 내 여성일자리 창출과 기업맞춤형 교육훈련수행을 위한 협력 방안 새일센터장 간담회 - 새일센터장 간담회는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를 모두 종료한 후 간담 회 내용을 고려하여 북부, 동남부, 중부로 나누어 총 3차례 실시하였음. - 새일센터장 간담회 이전에 논의할 내용을 반 구조화된 설문 형태로 사전 배포하였음. 새일 센터장 간담회를 위한 사전 질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의 <표 1-3>과 같음. <표 1-3> 새일센터장 간담회 면접을 위한 사전 질문 내용 사전 질문 내용 1. 권역별 조사 자료 제시와 향후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의견 2.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 추진 시 지역 내 주요 협력 기관과 협력 내용 3. 추진과제 제시 영역 구분에 대한 의견 - 미취업여성취업지원 - 취업여성의 고용유지와 경력개발 - 고용이행지원 서비스 강화 방안 4. 5개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및 사업 운영을 위한 거점 기관 지정 운영에 대한 의견 10

65 제1장 서 론 <그림 1-2>는 연구 절차와 주요 방법을 요약적으로 제시한 것임. <그림 1-2> 주요 연구방법과 자료수집방법 행정 및 통계 자료 분석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통계조사자료 재분석 경기도내 31개 시 군 2015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분석 통계청 자료 분석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자료 분석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2014년 자료 재분석 경기도 여성취업자 근로실태조사 2014년 자료 재분석 경기도 여성취업욕구조사 2015년 자료 재분석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 - 각 5개 권역(북서부, 북동부, 동부, 남부, 중부) 전문위원 참여 새일센터장 간담회 새일센터장 간담회 - 1차 간담회 : 북부 6개 기관 - 2차 간담회 : 동남부 6개 기관 - 3차 간담회 : 중부 6개 기관 11

66

67 제 2 장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논의의 배경 1. 여성 일자리정책의 특수성 2. 지역 일자리 정책 강화 3.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4.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논의 구조

68

69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1. 여성 일자리 정책의 특수성 가. 국가의 지속가능성 악화 : 확대를 통한 지속가능성 확보 우리나라는 고용이 없는 성장이 고착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한편으로 전 세계 에서 저출산 고령화 추세가 가장 빠르게 진전되는 상황임. 이러한 추세에서 국가 경쟁력 악화와 양질의 노동력 부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여성 고용률 제고 를 중요한 대안으로 인식하고 있음. 즉 정부는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을 여성고용으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판단은 OECD의 제안 등에서도 제시되고 있음. 2014년 OECD는 한국 경제보고서에서 거시경제 정책에 대한 평가와 조언, 창조경제 촉진, 그리고 사회통합과 삶 의 질 제고에 대한 권고 사항을 제시하였음. 사회통합과 삶의 질 제고와 관련된 권고로 우 선 노인빈곤 감축과 연금제도 개선에 대한 제안을 하였으며, 그 밖에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이중 노동구조 개선과 가계 부채 증가 억제를 제안하였고, 끝으로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창 출과 보육의 질 개선 등을 통해 여성의 고용률 제고를 권고하고 있음. 위와 같은 국제기구의 권고는 여성인력 활성화를 통한 노동력 규모의 증가와 이를 통한 GDP를 기대하기 때문이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성별 고용률 격차가 가장 큰 국가이기 때 문에 상대적으로 여성 고용률 증가에 따른 GDP 증가 규모가 더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나. 여성 고용의 양과 질의 문제 : 성별고용격차 해소 2013년 기준 OECD 고용통계에 의하면, 한국의 여성고용률은 35개 OECD 국가 중 17위로 평균 수준이나, 성별 고용률 격차는 31번째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남성의 임금이 여 성에 비해 36.6%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임금격차가 가장 낮은 뉴질랜드(5.6%) 와 스페인(6.1%)의 6배에 달하는 것이며, OECD 평균인 15.3%의 2배를 넘는 수준임. 이와 같이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남녀 간 임금 격차가 가장 큰 나라로 지난 10여 년간 개선 15

7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되지 않고 있음(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5) 그런데 2010년과 2015년의 1분기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정한나, ), 20 대 여성 고용률은 높지만 30대는 오히려 고용률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30대 기혼자의 고용 률 격차는 2010년 상반기 45.5%p에서 2015년 상반기 47.8%로 증가되었음. 위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정규교육과정에서는 이미 여성들이 남성을 능가하 는 성취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나, 고용시장에 진입을 하면서는 여성 이라는 이유로 받게 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차별과 일 가정 양립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여성 들은 결혼, 출산, 자녀 양육 및 교육을 계기로 경력을 단절하게 됨. 그 결과 고용시장에서의 성별 격차는 개선되지 않고 있기 때문임. 또한 연령별 성별 직종차이 분석 결과에 따르면(정한나, ), 여성은 남성에 비해 낮은 숙련도를 요구하는 직종 및 낮은 급여 수준의 직종에 분포된 비율이 높게 나타남. 특히 20 대에 비해 30대 여성의 전문가 종사자 비율 하락과 40대 여성의 서비스 종사자 및 판매 종 사자 비율 상승은 경력단절로 인한 여성의 경력 손실에 따른 것으로 판단됨. 다. 여성고용정책 기조 변화 : 고용유지 지원 강화 따라서 비취업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재취업지원과 함께 결혼 및 자녀양육기인 30대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정책의 활성화가 요구됨. 정부 역시 이와 같은 문제인식에 기초하여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정책 접근을 강조하고 있음.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 고 용률 제고를 위해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등과 같은 모성보호제도의 실효성 확보와 양육수당 및 보육비 지원 등과 같은 보육제도 확충, 그리고 여성의 고용유지와 일 가정 양 립 일자리의 대안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충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16

71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라. 여성 고용관련 정책의 실효성 미흡 : 현장점검과 개선안 도출 강화 위와 같은 정책 방향에 따라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법과 제도가 빠르게 도입되고 있 으나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임. 2013년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육아 휴직급여 지급의 경우 전체 지급 금액의 45.1%, 육아휴직 등 장려금 활용의 경우 73.8%가 300인 이상 사업체에 지원된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여성근로자 중 41.8%가 10인 미만 사 업장에서 종사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모성보호제도를 통해 경력단절을 예방해야 할 여성근로자가 집중 되어 있는 소규모 사업체 여성 근로자에게는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함. 또한 정부는 신규일자리 창출뿐 아니라 고용유지 차원에서도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정책 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정부가 2011년 시간서택제 일자리 지원 사업을 시작한 이래 2011년 497개소 사업장에 2,669명의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승인 하였으며, 2014년에는 그 규모가 확대되어 4,517개소 18,997명을 승인함에 따라 승인기업은 9배, 승인 인원은 7배 이상 증 가하였음. 그러나 2014년 인건비 지원 인원은 5,615명으로 승인 인원 대비 실제 일자리 창 출로 이어진 것은 30%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따라서 정책방향과 그에 따른 제도나 정책 시행뿐 아니라 이들 제도와 정책이 실효성 있게 집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과 모니터링을 통해 현장 중심의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반 영하여 개선하는 노력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됨. 마. 여성 고용정책과 주류 고용정책의 공조미흡 : 지역중심의 여성고용문제 해결 또한 여성고용관련 정책의 실효성 문제는 고용정책과 여성고용정책의 조정과 통합의 문제와 도 관련이 있음. 정책의 실효성 문제는 어떤 정책이나 제도가 현장에 도입되는 과정에서 발 생되는 문제임. 그런데 여성정책은 중앙이나 지방이나 주류 일자리 정책과의 차별성에 대한 문제 제기와 통합에 대한 도전에 직면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상황임.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경우 성별 고용 격차가 매우 크고 개선도 더딘 상황임. 따라서 사회정책 그 어떤 분야보다도 여성고용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지속적이고 17

7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강력한 추진이 필요한 상황임.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서 관계법의 제정을 통해 여성고용 정책과 사업 추진의 근거를 마련 하고, 우리나라 여성경제활동의 양상과 특성을 반영한 원스톱고용서비스인 여성새로일하기 센터를 설치 운영하고 있음. 그러나 한편으로 기존의 고용노동부의 고용센터와 최근에서 고 용과 복지 연계를 강화한 고용플러스 센터가 지역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경기도의 경 우엔 시군별 일자리센터 운영과 각 주민센터의 직업상담사 배치를 통해 고용서비스 체계를 촘촘히 구축하고 있음. 그러나 각각의 고용서비스 체계가 만들어진 것은 그 취지와 맥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알선 을 중심으로 한 고용서비스 틀에서 보자면, 위의 고용서비스 기관들은 주관 기관이 다르고 기능은 유사해 보인다는 점에서 늘 통합관리나 기능의 중복성 문제에 직면하게 됨. 위와 같은 양상은 고용서비스 뿐만 아니라 직업교육훈련프로그램 및 구직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이나 사례관리사업 운영에 있어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남. 지역의 여성고용관련 정책과 사업추진에 있어서 불안정성을 야기함. 예를 들면 정책 추진체계상의 혼란이나 중복 성에 대한 비판으로 인한 통폐합이나 예산 산감의 문제 등이 야기되는 데, 그 과정에서 여 성정책은 정책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통합의 우선 대상이 되거나 전체적인 총 사업 규모면 에서 소규모 사업으로 분류되어 기존 주류 정책 안에 통합될 위험에 노출되고 있음. 2. 지역 일자리정책 강화 가. 지역고용정책 강화 배경 고용 문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문제임. 특히 전 지구적인 세계 화 추세는 고용관련 문제를 더욱 복잡하고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만들고 있음. OECD는 이미 약 30년 전부터 지역경제 고용개발(LEED: Local Economic and Employment Development) 프로그램을 통해 OECD 회원국 정부와 지역사회가 고용문제에 유연한 대응 18

73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을 할 수 있도록 지역(장소) 관점에서 고용과 관련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도와주 고, 우수한 사례를 발굴하기 위한 역할을 해오고 있음. 지역 고용전략이 중요한 이유는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고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어서 국가단위의 전국적으로 두루 적용되는 접근방식은 효과가 적다는 것과 무엇보다 장소에 기 반한 지역관점을 포함한 상황이 중요하다는 점 때문임. 즉 지역 고용 전략의 중요성이 강조 되는 것은 결국 일자리 창출과 고용문제 해결은 지역적 환경과 가용할 수 있는 자원에 따라 그 방법과 전략이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임(John Atherton, 2015). OECD는 위와 같은 맥락에서 지역 즉, 공간-장소(place-based policies) 의 개념을 중시 하고 있음(한국노동연구원, 2014). 기존의 지역고용정책은 무엇보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 역 간 불균형에 대응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뒤처진 지역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행정단위 중심 의 정부보조금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하는 방식이었음. 이에 비해 OECD에서 새롭게 강조하 는 공간-장소 중심의 지역고용 정책은 행정단위 중심이 아닌 기능적인 단위의 지역적 의미 를 가지며, 지역 내 잠재성장가능성을 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데 집중하고, 특히 중앙 정부 중심의 보조금 등을 지원하는 방식이 아닌 각기 다른 수준의 정부가 함께 하고, 산업정책과 노동시장특성, 사회적 자본, 네트워크 등을 모두 고려하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을 강조하 고 있음(<표 2-1> 참조). <표 2-1> 지역 고용 정책의 신구 패러다임 구분 과거 패러다임 새로운 패러다임 목적 뒤처지는 지역의 지리적 약점의 일시적 보상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해 보든 지역에서 활용지 않는 잠재력의 이용 조정 단위 행정 단위 기능적인 경제 지역 전략 분야별(sectoral) 접근 개발 계획의 통합 수단 보조금과 정부보조 인성자본과 경성자본의 혼합(자본스톡, 노동시장, 기업환경, 사회적 자본, 네트워크) 행위자 중앙정부 각각 다른 수준의 정부 자료 : OECD(2009). <재인용,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지역고용전략 Ⅰ, p. 12> 19

7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위와 같은 관점에서 노동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문제 정의와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구성하고, 이러한 대응 방안이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관심이 모아지고 있음. 즉 고용 및 실업 패턴의 지역별 다양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해법은 지역의 지역 의 잠재적 일자리 수요 발굴 과 같이 지역 내에서 만들어 질 수 있고, 정부 노동시장정책들 이 조정되는 곳도 지역으로, 지역에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행위자들이 동원되고 협력하 는 공간이기 때문임. 위와 같은 관점은 행정단위별 지역고용정책의 중요성과 함께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을 야기 함. 전병유(2014)는 고용을 전략으로 보는 것에 대한 의미와 맥락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 음. - 첫째, 고용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어떤 방식으로 연계하고 우 선 순위를 부여하여 체계화할 것인가를 고려한다는 의미 - 둘째, 고용을 노동시장 차원에서 한정해 보는 것이 아니라 산업이나 교육, 복지 등과의 상 호 연관성 속에서 파악하는 것을 의미 - 셋째, 고용 문제와 관련해 사용주와 피고용인의 관계를 넘어서 더 폭넓은 이해관계자들의 이해를 조정하는 거버넌스 문제를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의미 따라서 지역고용전략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고용관련 정책들이 지역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하는 점과 기존 사업들과의 연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가, 그리고 지역의 잠재가능성을 이끌어내고 사업간 이해관계자간 협의 조정이 가능한 거버 넌스가 얼마나 실질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를 점검하는 것임. 나. 지역일자리 활성화 정책 현황 우리 정부는 지난 10년 동안 지역고용정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 와 관련한 민관협력의 거버넌스 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협의체들을 설치 운영해왔음. 본 절 에서는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와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 그리고 지역인적자원개발협의회 20

75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을 정리하고자 함. 1)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정부는 2010년 7월에 국가고용전략 2020을 발표하면서 지역 기업 주도 일자리 창출 을 첫 번째 과제로 제시하였음, 이는 고용정책을 지역 중심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 으로 특히 지역 고용활성화의 주요 전략으로 지역 주민 참여와 역할 확대를 위해 지역일자 리 목표 공시제 사업을 본격화하기 시작하였음. 지역 일자리 목표 공시제는 고용정책법 제9조에 의거하여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역 주민들에 게 자신의 임기 중 추진할 일자리 목표 및 대책을 제시하는 것임. 여기서 일자리 목표란 고용률 증가, 취업자 수 증가 등의 통계치와 일자리 대책의 각 사업별 목표를 제시 하는 것이며, 일자리 대책이란 지역고용협의회, 지역 노 사 정 협의체 등 해당지역 내의 고용 관련 기구와 협의하여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일자리 사업을 발굴하는 것 을 의 미함. 정부는 2012년부터 매년 추진 실적으로 확인 공표하고, 개선 보완점에 대해 컨설팅을 제 공하며,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 을 개최하여 우수 자치단체를 선정 포상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경기도는 2014년 일자리 대상을 수상한 바 있음. 2)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은 2006년부터 시작된 사업으로 지역의 고용창출 및 인적자원 개발 을 위해 지자체가 지역의 고용 관련 비영리 법인(단체)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을 제안 하면 고용창출 등에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되는 사업을 선정하여 사업비를 보조하는 사업 임. 고용노동부의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은 지역고용정책 중 가장 먼저 시작된 사업으로, 앞서 제시한 일자지 목표 공시제에 앞서 시작된 사업임. 그러나 일자리 문제가 가장 중요한 국가 적, 지역적 정책 대상이 되면서 민선 자치단체장의 핵심 사업이 되었음. 민선자치단체장은 21

7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공시제를 통해 지역 일자리 창출과 관련한 명시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받 게 되면서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은 지역 일자리 정책 활성화의 핵심적인 정책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음. 정부가 제시한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의 목적은 1) 지역 특성에 맞는 고용창출 및 직업능 력 개발을 통해 지역 간 노동시장 불균형 해소, 2) 지역고용 관련 다양한 기관의 참여를 통 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여 고용관련 지역의 현안 문제를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해결토록 지원, 3) 지역산업 등과 연계된 지역 특화형 고용정책 토대 마련, 4) 지역차원의 고용사업 토대가 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 구성과 지역노동시장정보체계 기반 구축의 4가지임.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 사업의 목표는 지역고용정책 목표로 대체해도 문제가 없을 정도로 지역고용정책 추진의 주요 목표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 이러한 사업 목표에 따라 지역에서 는 중앙정부 단위의 사업이 아닌 지역의 일자리 창출 여력을 파악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수 행할 수 있는 협력단위를 구성하고, 효과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당 면 과제임. 따라서 지역은 해매다 기존 사업의 연속 추진 여부, 그리고 새로운 사업 발굴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은 특화사업, 연구사업, 포럼사업 및 이들 중 둘 이상이 결합된 패키지사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2014년 기준 경기도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 사업 선정 현황을 살펴보면, 총 77건(15.6%) 9,761백만원(12.7%) 규모의 사업이 추진되었음(<표 2-2> 참조). 22

77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표 2-2> 지역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 사업 선정 현황 (단위 : 건, 백만원) 지역 총계 특화 패키지 포럼 컨설팅 연구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총계 , , , , ,752 서울 77 6, , 부산 27 4, , 대구 42 6, , 인천 38 5, , 광주 28 5, , 대전 19 2, , 울산 세종 경기 77 9, , 강원 34 3, , 충북 23 2, , 충남 32 3, , 전북 26 4, , 전남 37 7, , 경북 52 8, , 경남 33 4, , 제주 자료 : 2015년 고용노동백서(2015.7) 고용노동부는 향후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과 관련해 수행기관 중심의 개별사업 지원에 서 지자체의 지역고용정책 반영된 프로젝트 단위 지원 사업지원, 그리고 인력양성사업 위주 에서 신규고용창출, 고용환경개선사업 등으로 사업형태를 다양화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 다는 점을 밝히고 있음(고용노동부, 2015). 이미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를 실시하고 있는 경기도 대다수의 시군에서는 고용노동부의 지역일자리 창출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고, 이를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지역 특화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업 방향 전환은 지역 일자리 정책과 사업 전략 마련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됨. 3)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 사업은 기존 직업능력개발사업인 실업자 훈련 사업이 공급 23

7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자 중심으로 운영되어 기업과 산업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성과가 미흡하다 는 비판에 따라 추진되었음. 정부는 국가인적자원컨소시엄 사업 중 지역공동훈련 유형을 적용하여 2012년 부산, 인천, 광주, 충남 등 4개 지역의 시범사업을 거쳐 2013년부터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 계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한국산업인력공단(2015.7)의 사업 소개 자료에 따르면,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는 지역과 산업 수요를 반영하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 및 기술력 향상을 지원하는 인력양성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음. 이와 관련한 추진체계는 다음의 <그림 2-1>와 같음. <그림 2-1>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 사업 흐름 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2014.7)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는 위 <그림 2-1>에서 보듯이 지역 내 기업 및 사업주단체 등산업계 중심의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운영방식과 사업을 주도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 위원회가 지역 기업의 인력수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교육훈련을 실시하고 기업이 채 용하는 지역별 산업 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와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갖춤으로써 지역 의 산업과 중소기업의 인력난과 필요한 숙련인력을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지역 플랫폼을 구 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24

79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위와 같은 지역 맞춤형 일자리 정책 방향과 방식은 지역 고용정책의 중요성 및 국제적인 정 책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나, 2013년부터 시작하여 2014년에서야 본격적으로 추진 되고 있어 아직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별 협의체나 지역 일자리 관련 협의체 운영경험과 기반이 취약한 상황임. 전병유(2014)는 현재 시작단계에 있는 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통한 지역 일자리 체계는 노동자대표 단체들의 협력과 참여 부분이 빠져 있고, 숙련형성에 관한 사회적 대화, 협의, 합의 체계라고 보기 어려우며, 교육기관의 참여가 약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고, 산업별 인적자원위원회와의 역할 배분의 문제, 그리 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 의미에 대한 명료화와 이에 기반한 사업 구체화 등의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 경기도는 2013년 말 중앙정부의 정책 기조에 맞춰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구성하였으 며, 위원회는 기존의 경기도 노사민정협의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3조 노사민정협의 회 기능(지역 일자리 창출 및 인적자원개발 등 지역노동시장 활성화에 관한 사항)에 근거하 여 노사민정협의회 산하 특별위원회로 설치되었음. - 경기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은 기존에 노사민정 협력사업 사무국을 맡고 있던 경기 경영자통협회에 두고 있음. - (구성) 구성은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경기경총 회장, 수원상의 회장, 경기도 부지 사 등 4인의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되고 있음. 또한 산업별 협의체와 분과별(일자리창출, 협력적 노사관계, 인적자원개발)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또한 2015년부터는 경기도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5개 권역별 분과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고 있음. <그림 2-2>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구조 자료 : 강순희(2015.3), 경기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운영사례를 통해 본 이슈와 과제. 이슈분석(The HRD Review). 25

8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 (기능) 지역단위 인력 및 훈련 수요 조사(정기적 수요조사, 상시적 수요조사) 실시, 지역 내 교육훈련공급 및 수급 매칭 분석과 활용, 지역 산업 맞춤형 교육훈련기관 선정, 인력 양성 및 취업지원, 산업별 협의체 및 교육훈련기관과의 협의체 구성을 통한 협의와 조정, 교육훈련센터의 교육훈련 질 관리, 지원 및 취업지원 강화 등임. - (권역별 분과위원회 구성 및 운영) 경기도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5개 권역을 설 정하고 권역별 위원회를 구성하였음. 권역별 분과위원회는 각 31개 시군구 일자리 정책 관련 과장, 대표 고용노동지청 과장, 산업인력공단지사 센터장, 주요 산업별 협의체 간부, 지역상의 중간 간부급으로 구성하였으며, 권역별로 9명에서부터 16명까지 다양함. 권역별 분과위위회의 기능 역시 인력에 대한 상시 수요 및 공급을 조사, 권역별 거점 우수 교육훈 련센터 및 추가 교육훈련과정을 제공할 기관을 발굴하고, 지역 일자리 현안 및 인력양성 과 관련한 상시 논의하여 그 결과를 지역 본위원회와 경기도, 그리고 고용노동부 등에 건 의하는 역할임. 또한 실질적인 기능 확보를 위해 상임위원에 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해 당 권역에 대한 이해와 고용노동부 정책과 사업 경험이 있는 전문가(교수, 연구원)를 배치 하였음 1). 1) 권역별 분과위원회 구성은 2015년에 구성되었음. 전문위원 자문회의 결과 2015년에는 시범사업 기간으로 위원회를 구성하긴 하였으나, 충분한 기능과 활성화까지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지역 일자리 문제를 논의 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한 것에 대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향후 정부의 지역 일자리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권역별 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이 확대 될 가능성이 있음. 26

81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3.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가. 경기도 일반 특성 1) 경기도 인구지리학적 특성 경기도는 서울이 위치적으로 양분하고 있으며, 서울과 함께 수도권 경제권역으로 분류되고 있음. 경기도 면적은 10,172km2 (경기남부 5,906km2, 경기북부 4,265km2)임. - 경기남부와 북부지역은 아래<그림 2-3>과 같이 공간적 괴리와 함께 경기 북부지역은 군 사시설보호구역, 동부지역은 상수원 보호구역, 서울인근지역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 어 경기남부지역과의 산업발전정도와 사업체수 등 커다란 편차가 있음(경기도 일자리 대 책, 2015). <그림 2-3> 경기도 행정구역 27

8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경기도는 전체 면적의 32.9%가 도시지역이며 개발제한구역은 11.6%로 나타남. 도시지역 중 주거 지역(16.3%), 상업지역(1.8%), 공업지역(3.6%), 녹지지역(77.9%), 미지정지역(0.4%)로 나타남. - 경기남부지역의 경우 전체 면적 중 40.5%가 도시지역인 반면 북부지역의 전체 면적 중 3.6%가 도시지역으로 나타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음. <표 2-3> 경기도 도시계획 현황(2014) (단위: km2, %) 구분 도시 지역 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미지정지역 경기도 3,348(100) 545(16.3) 61(1.8) 120(3.6) 2608(77.9) 13(0.4) 북부지역 954(100) 154(16.1) 15(1.5) 16(1.6) 763(79.9) 7(0.8) 남부지역 2,394(100) 392(16.4) 46(1.9) 105(4.4) 1,846(77.1) 6(0.2) 개발제한 구역 1,175 (11.6) 502 (11.8) 674 (11.4) 자료: 통계청(2014), 주민등록인구 경기도의 철도 인프라는 214km로 나타났고 전체 경기도 역수는 221개 승객 수는 566,681명 으로 나타나 경기도내 많은 수가 철도와 전철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로면적은 km2이며 행정구역 대비 도로면적은 3.87%로 나타나 접근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 시 군청 소재지에서 서울역까지 도달시간은 평균 자동차로 78.6분, 대중교통으로는 96.5분인 것으로 나타났음. <표 2-4> 경기도 철도 및 전철 현황(2013) (단위: 개소, 천명, 개) 역수 승차인원 구분 노선수 전체 철도 지하철 전철 전체 철도 지하철 전철 경기도 ,681 15, , 자료: 경기연구원(2015), 경기북부지역 규제와 지원제도 개선방안 <표 2-5> 경기도 도로 현황(2013) (단위: km2, %, 분) 구분 도로면적 도로율 서울도심(서울역) 도달시간 자동차 대중교통 경기도 자료: 경기연구원(2015), 경기북부지역 규제와 지원제도 개선방안 28

83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경기도 총 인구는 2014년 기준 12,357,830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4.07%를 차지하 고 있으며 남성 6,219,813명 여성 6,138,017명으로 경기도 전체인구 중 여성은 49.7%로 나타남. <표 2-6> 경기도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단위 : 명, %) 계 남자 여자 여성비율 경기도 12,357,830 6,219,813 6,138, % 자료: 통계청(2014), 주민등록인구 경기도 인구는 지속해서 상승해왔으며 남성인구의 증가 추세와 맞물려 여성인구 역시 지속 해서 증가해 왔음을 알 수 있음. <그림 2-4> 경기도 주민등록인구 추이 (단위 : 천명) 자료: 통계청(각 년도), 주민등록인구 연령별 인구 증감률을 살펴보면 중 장년 인구의 증가가 확연히 드러나는데 50-59세 인구 증가율은 2010년 9.48%p 증가 이후 꾸준히 작년대비 상승하고 있음. 또한 40-49세는 2014년 기준 작년대비 1.27%가 증가하였고, 60세 이상 역시 5.46%p 증가하였음 세 인구는 지속적인 감소율을 보이다가 2013년 이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반면 세 인구는 감소 추세로 2014년 기준 작년대비 1.88%p 감소하였음. 29

8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2-7> 경기도 연령별 인구 증감률 (단위 : %)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4세 이하 세 세 세 세 세 세이상 자료: 통계청(2005~2014), 주민등록인구 연앙인구 경기도 성별 연령별 인구 분포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40-49세가 1,132,536명으로 가장 많았고 남성의 경우 역시 40-49세가 1,170,831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세 의 경우 남성이 835,647명인 것 반해 여성이 772,723명으로 나타났음. 전반적으로 연령별 성별 인구 차이는 크게 보이지 않았음. <그림 2-5> 경기도 인구 피라미드(2014) (단위 : 명) 자료: 통계청(각 년도), 주민등록인구 30

85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시도별 순 이동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인구 유입이 줄어든 가운데 경기도의 경우 전국에서 가장 많이 인구가 유입이 있음을 알 수 있음. 이는 서울시의 집값 상승과 여타 지역의 인구 가 수도권에 집중됨에 따라 나타난 현상으로 보임. <그림 2-6> 시도별 순 이동인구(2014) (단위 : 천명) 주: 순 이동은 총 전입에서 총 전출을 뺀 값을 의미함. 자료: 통계청(각 년도), 주민등록인구 최근 5년간 경기도 외국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9년 대비 2014년은 52.1% 증가율 을 보였고, 한국 국적취득자는 2009년 대비 2014년 112.9%나 증가하였음. 남성의 증가율 보다 여성의 증가율이 약 14.0% 크다는 점과 경기도 외국인 인구 중 여성 인구가 42.1%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여성 외국인 유입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임. <표 2-8> 경기도 외국인 현황 (단위 : 명, %) 구분 증가율 ( ) 한국국적 소계 276, , , , , , 경기도 미 취득자 여자 113, , , , , , 한국국적 소계 21,554 28,871 33,633 38,175 41,523 45, 취득자 여자 16,723 22,745 26,674 30,222 32,841 35, 자료: 통계청(2009~2014), 지자체별 외국인주민 현황 31

8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2) 경기도 경제 동향 및 산업특성 경기도 GRDP는 (1995~2012년) 평균 8.3%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 왔고, 2010년도에 들어 성장률이 하강하긴 하였지만 2014년 4.8% 성장하여 성장률이 상승하고 있는 추세임. <그림 2-7> 경기도 실질지역내총생산 추이( ) (단위: 조원, %) 주: GRDP성장률은 실질GRDP(2005년 시장가격기준)의 전년 대비 증가율임. 자료: 최윤선, 김영혜, 심혜인(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p.27에서 재인용 <표 2-9> 경기도 GRDP 전망 (단위 : %, %p) 구분 전국GDP 경기도 GRDP 전국GDP 경기도 GRDP 증가율 증가율 증가 기여도 증가율 증가율 증가 기여도 GDP/GRDP 민간소비 설비투자 건설투자 수출 주: GRDP 증가기여도는 각 지출항목의 2005년 가격 증감액이 GRDP 증감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증가기여율)을 각 연도 GRDP 증가율에 곱하여 산출하였으며 수출 데플레이터는 전국수출단가지수 사용 자료: 경기연구원(2014), 민선6기를 준비하는 경기도의 과제와 발전전략 p.9에서 재인용 한국은행 경기지역 경제동향 9월호에 따르면 경기도 제조업 생산 및 수출은 전월의 증가에 서 감소로 전환되었고 건설투자는 전월대비 증가폭이 축소되었으나 설비투자는 증가폭 확 대된 것으로 나타남. 또한 소비는 메르스의 영향에서 회복됨에 따라 대형소매점 판매를 중 심으로 증가로 전환되었음. 32

87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 이는 경기도 경제성장은 지속되고 있지만 건설투자나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 는 것을 알 수 있음. 경기도의 잠재 성장률 추정 에 따르면 향후 경기도 잠재성장률이 매년 급속히 하락될 것 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향후 경기도 잠재성장률 하락은 취업자 수의 감소, 노동시간 감소 등에 따른 노동투입량의 감소와 투자위축에 따른 자본량의 감소에 의해 발생할 것으로 예측 하고 있음. 따라서 경기도 경제성장률 제고를 위해 노동공급 특히,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인한 노동공 급 인력의 감소를 상쇄하기 위해 여성 고용률 증대를 통한 양적 증대가 요구됨. 또한 경제 시스템이 제조업, 서비스업의 생산성 변화에 민감하게 대비하기 위한 지역 중견 중소기업 의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음. <그림 2-8> 경기도 잠재 성장률 추정 (단위: 조원, %) 주: 취업자의 경우 취업자 수 증가율임. 자료: 유영성, 유병학, 민병길, 천영석(2014), 경기도 잠재성장률 추정 경기도 산업구조 전망 (2014)에 따르면 서비스업의 생산비중은 2020년 62.3%까지 증 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 역시 36.5%의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임. 특히, 동 보고서에서 부가가치 생산구조를 예측한 결과 2020년 서비스업의 비중은 56.9%로, 제 조업은 42.3%로 전망되어 지역경제의 서비스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의 역할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음(최윤선 외 2014). 33

8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2-9> 경기도 산업구조 추이( ) 주: 구성 비율이 낮은 광업은 그림에서 생략함.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보험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기타서비스업의 12개 대분류 업종을 포함함. 자료: 최윤선, 김영혜, 심혜인(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p.22에서 재인용 경기도의 사업체는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으며 여성종사자수 역시 증가하고 있음. 특히 여 성종사자는 2006년 약 126만 명에서 2012년 약 167만 명으로 1.33배 증가하여 남성 종사 자(1.28배)에 비해 증가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그림 2-10> 경기도 사업체수와 성별 종사자수 추이( ) (단위: 천 명, 천 개소) 자료: 최윤선, 김영혜, 심혜인(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p.25에서 재인용 34

89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나. 경기도 여성경제활동 현황 1) 여성경제활동상태 경기도 여성노동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2015년 상반기 기준 여성생산가능 인구는 5,202천명으로 전체 생산가능인구의 50.4%를 차지함. 2015년 상반기 기준 여성 경제활동 인구는 2,728천명으로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41.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작년 동분기 대비 경기도 여성 생산가능 인구는 1.68%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인구는 3.29% 증가하여 앞으로 여성 노동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표 2-10> 경기도 여성노동시장 규모 (단위 : 천명) 시점 생산가능 인구 경제활동인구 전체 여성 전체 여성 /2 9,953 5,031 6,155 2, /2 10,031 5,068 6,300 2, /2 10,126 5,116 6,461 2, /2 10,206 5,153 6,518 2, /2 10,316 5,202 6,631 2,728 자료: 통계청(각 분기), 지역별 고용조사 2015년도 상반기(전년도 동분기 대비) 경기도 여성의 경제활동인구의 증감은 연령대별로 차 이가 있었음. 특히. 30대를 제외하고 전 연령대에 경제활동인구는 증가하였는데 15-29세 증가폭이 9.2%p로 가장 높았음. 반면 30-39세의 경제활동인구는 4.0%p 감소한 것으로 나 타났음. 이는 여성의 결혼, 출산, 육아시기와 맞물리면서 노동시장 이탈하는 비율이 증가하 고 있음을 보여줌. - 결혼 유무별 여성 경제활동인구 비율을 살펴보면 미혼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44.6%를 여 성이 차지하는 한편 기혼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40.0%가 여성으로 나타나 앞서 언급한 대 로 여성의 결혼, 출산, 육아시기가 노동시장 이탈의 원인임을 알 수 있음. 35

9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2-11> 경기도 여성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증감 (단위: %p) 자료: 통계청(각 분기), 지역별 고용조사 <그림 2-12> 경기도 결혼 유무별 경제활동인구(2015) 자료: 통계청(2015), 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2015년 상반기 경기도 비경제활동인구 중 여성비율은 67.2%로 나타났고, 전년도 동분기 대 비 변화가 없었음. 이는 노동시장 이탈이후 경력단절이 계속 지속되는 답보 상태의 여성들 이 변동이 없음을 보여줌. 또한 여전히 남성에 비해 과반수이상의 여성이 비경제활동하고 있음을 보여줌. - 경기도 여성비경제활동 인구의 활동 상태를 살펴보면 육아, 가사가 1,639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재학, 진학준비(463천명), 연로(200천명), 기타(125천명), 취업준비(49 천명 순으로 나타남. 36

91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그림 2-13> 경기도 성별 비경제활동인구 추이 (단위: 천명) 자료: 통계청(각 분기), 지역별 고용조사 <그림 2-14> 경기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5) (단위: 천명) 자료: 통계청(2015), 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2015년 상반기 여성 실업자는 132천명으로 전년도 동분기 대비 18.9%p 증가한 것으로 나 타남. 또한 성별에 따른 실업자 수 차이는 없었음. <그림 2-15> 경기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 (단위: 천명) 자료: 통계청(각 분기), 지역별 고용조사 37

9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경기도 여성취업자와 여성미취업자의 현황을 분석하기에 앞서 통계청 개념을 기준으로 경기 도 여성 취업자와 여성 미취업자를 정의하면 아래와 같음. - 통계청에서는 조사대상 기간(1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을 한 사람을 취업 자로 분류하고 있음. - 미취업자의 경우 노동시장에서의 유휴인력을 기준으로 현재 활동을 하고 있지 않지만 취 업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의미하며, 이는 통계청 기준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를 의미함. 위의 근거를 토대로 경기도 여성취업자와 미취업자의 규모는 다음<그림2-16>과 같음 년 상반기 기준 경기도 여성 취업자는 2,569천명으로 나타났고, 여성 미취업자는 2,607천명으로 나타남. <그림 2-16> 경기도 취업,미취업여성 규모 자료: 통계청(2015), 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38

93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2) 경기도 여성 취업자 특성 경기도 여성 취업자는 2,596천명으로 전체 경기도 취업자 중 40.8%을 차지함. 이는 2014 상반기 이후 계속 유지되고 있음. 고용률은 작년 동분기 대비 0.4%p 감소하였음. <표 2-11> 경기도 취업자 수와 고용률 (단위: 천명, %) 구분 경기도 취업자수 경기도 고용률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전체 남성 여성 /2 5,953 3,581 2, /2 6,141 3,659 2, /2 6,208 3,677 2, /2 6,330 3,746 2, /2 6,367 3,771 2, 자료: 통계청(2015), 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경기도 여성취업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혼인상태는 유배우가 62.2%로 가장 많이 분 포하였고, 다음 순으로 미혼(24.5%), 이혼(7.3%), 사별(6.0%)순으로 나타남. 학력의 경우 고졸이 42.2%가 가장 많았고, 다음 순으로 대졸이상(41.0%), 중졸(9.0%), 초졸 이하(7.8%) 순으로 나타남.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취업자중 고졸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 났는데 이는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 <표 2-12> 경기도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구분 전체 남성 여성 혼인상태 학력 미혼 유배우 사별 이혼 초졸 이하 중졸 고졸 대졸 이상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39

9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2-17> 경기도 여성 취업자 특성(2014년 하반기) <혼인상태별> <학력별>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경기도 여성 취업자 종사 산업을 살펴보면 제조업에 397,334명으로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 었으며 다음으로 도소매업(376,466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319,982명), 교육서 비스업(309,403명), 숙박 및 음식점업(301,877명),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 업(163,091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146,346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 스업(96,133명), 금융 및 보험업(90,390명), 농업,임업 및 어업(69,312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62,885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48,823명), 부동산업 및 임대업(47,148명), 건설업(45,657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44,519명), 운수업(40,167명),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는 자가 소비 생산활동(18,589명), 하수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업(2,401명),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1,777명), 국제 및 외국기관(1,355명)등 순으로 나타남. - 여성취업자 종사 비율이 높은 산업은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는 자가 소비 생산활동을 제외하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79.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 으로 교육서비스업(68.5%), 숙박 및 음식점업(61.9%),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53.7%), 금융 및 보험업(51.6%),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43.9%), 도소매업(42.6%) 등 순으로 나타났음. 40

95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표 2-13> 경기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산업분류별 2014 (단위: 명, %) 남성 여성 여성비율 전산업 3,745,732 2,583, 농업, 임업 및 어업 119,597 69, 광업 제조업 848, ,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11,425 1, 하수 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19,073 2, 건설업 443,248 45, 도매 및 소매업 507, , 운수업 315,796 40, 숙박 및 음식점업 185, ,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166,432 48, 금융 및 보험업 84,845 90, 부동산업 및 임대업 87,647 4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228,649 96,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186,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04,407 62, 교육 서비스업 142,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81,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66,996 4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140, ,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 활동 , 국제 및 외국기관 4,789 1,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41

9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2014년 하반기 종사상 지위별 여성취업자 비율을 살펴보면 무급가족종사자가 여성근로자비 율이 87.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임시근로자(57.8%), 일용근로자(41.0%), 상용근로자 (37.0%),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28.1%),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24.4%)순으로 나타났 음. 이는 여성취업자가 남성취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종사상 지위에 있음을 보여 줌. <그림 2-18> 경기도 성별 취업자 종사자상 지위(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경기도 2014 하반기 여성 취업자의 월평균 임금은 165.0만원으로 남성에 비해 117.3만원이 나 적게 나타났음. 반면 근무시간은 5.5시간 여성이 적게 일하는 것으로 나타나 근무시간차 이에 비해 임금 차이격차는 큰 것으로 나타남. 평균 연령은 여성취업자가 42.8세, 남성취업 자가 44.1세 나타남. <표 2-14> 경기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 하반기) 구분 전체 남성 여성 평균연령(세) 월 평균임금(만원) 총 근로시간(시간)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42

97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3)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 특성 앞서 경기도 미취업여성 규모 추정을 바탕으로 2014년 하반기 경기도 미취업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20-29세(26.3%), 학력별로는 고졸 (37.1%)이, 그리고 혼인상태별로는 유배우자(57.1%)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음. - 여성 미취업자는 60세를 제외하고 20대가 26.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17.7%), 40 대(14.5%), 50대(13.6%) 순임. - 학력별로는 여성의 경우 고졸이 37.1%로 가장 높으며 대졸 이상(25.6%), 초졸 이하 (20.0%), 중졸(17.2%) 순으로 나타남. - 혼인상태별로는 유배우가 57.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미혼(25.4%), 사별(14.5%), 이 혼(3.0%)순으로 나타남. 이는 출산, 양육, 가사 등으로 인해 여성이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타의적으로 이탈했음을 보여주는 것임. 또한 학업 또는 취업준비 등으로 20대의 미취업자가 많은 것으로 보임. <그림 2-19>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 특성(2014년 하반기) <연령별> <학력별> <혼인상태별>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43

9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2014년 하반기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에 직업을 갖고 있었던 경우가 74.1%, 없었던 경우가 25.9%으로 나타남. 전직경험이 있는 미취업자 중 일을 그만 둔지 1년 미만 미취업 자 비율은 12.5%, 1년 이상은 61.6%로 나타남. 과거 직업 경험 및 일을 그만둔 시기를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의 연령별로 살펴보면 앞서 언 급한 20대와 30대의 미취업자 차이의 특성을 분명히 알 수 있는데 우선 일을 한 적이 없는 경우가 20대 미취업자는 67.6%인 반면 30대 미취업자는 4.7%, 40대 미취업자는 4.9%, 50대 미취업자는 5.3%로 나타남. - 일을 그만 둔지 1년 이상이 비율은 30대가 22.4%, 40대가 17.6%, 50대가 16.2%로 나타 나 30대 미취업자의 경우 출산, 양육, 가사 등으로 인해 노동시장 이탈 후 경력단절이 고 착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림 2-20>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표 2-15>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구분 전체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1년 미만 년 이상 과거직업 없었음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44

99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2014년 하반기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 중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 둔 사유를 살펴보면 개인 가족 관련된 사유가 58.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육아(8.3%), 작업여건 불만족(7.8%),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6.5%), 가사(6.0%), 일 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경영악화(4.8%), 직장의 휴업, 폐업(2.5%), 명예 조기퇴직, 정리 해고(2.5%), 정년퇴직 연로(1.8%), 기타(0.7%), 심신장애(0.5%) 순으로 나타났음. - 미취업자의 성별에 따라 직장을 그만둔 사유의 분포가 차이가 있었음. 육아나 가사와 같은 사유는 여성비율이 각각 99.7%, 97.7%로 여성이 절대 다수를 차지했음. 개인, 가족관련 사유에서 결혼이나 출산을 포함한다면 직장 경험이 있는 미취업여성의 대다수가 결혼, 출 산, 육아, 가사등과 같은 사유로 일을 그만둔 것으로 볼 수 있음. 반면 남성의 경우 작업 여건의 불만족, 임시 또는 계절적일의 완료, 직장의 휴업, 폐업과 같은 사유로 일을 그만 둔 것을 알 수 있음. <표 2-16> 경기도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구분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전체 개인, 가족 관련 사유 육아 가사 심신장애 정년퇴직, 연로 작업여건(시간,보수 등) 불만족 직장의 휴업, 폐업 명예, 조기퇴직, 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경영 악화 기타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주: 지역별고용조사에서 만 55세 이상은 직장을 그만둔 사유나 과거 직장에 대해 묻고 있지 않음. 따라서 20~54세 이 하 연령대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에 대해서만 분석함. 45

10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2-21> 경기도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 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다. 경기도 신규인력 양성 수급 분석 2) <표 2-17>은 강순희 외(2014)에서는 경기도 신규 양성훈련 필요인원을 산정하기 위해 고용 노동부 사업체실태조사 자료와 2014년 경기도 지역 인력수요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제안된 내용임. - 공급초과 수치가 낮거나 수요초과이면서 미충원사유가 숙련부족의 비율이 많은 직종은 영 업 및 판매관련직, 전기전자 관련직, 기계관련직(0.28배), 사회복지 및 종교관련직, 경영 회계 사무 관련직 : 양성훈련 인원을 증가시킴. - 공급초과 수치가 높으면서 미충원사유가 숙련부족 비율이 높은 직종은 보건의료 등 9개 직종 : 양성훈련 인원을 기존대로 유지하면서 훈련의 내용을 산업수요에 맞추도록 함. - 양성훈련수요가 공급보다 초과하면서 미충원사유가 기피직종이거나 낮은 임금인 비율이 많은 경비 및 청소관련직외 1개 직종은 양성훈련 인원은 기존대로 유지한 채 근로조건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우선임. - 양성훈련공급 초과수치가 높으며 미충원사유가 기피직종이거나 낮은 임금의 비율이 많은 2) 본 절의 내용은 고용노동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14년 지역별 인력 및 훈련수요조사(경기 지역 직업능력개발 종합계획 시범 연구) 의 제3장 경기도 직업훈련 수요와 공급 분석 내용(pp.85-92) 중 발췌하여 제시한 것임. 46

101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화학관련직 등 7개 직종에 대해서는 양성훈련 필요인원을 축소함. 구분 공급초과 수치가 높음 공급초과 수치가 낮음 수요초과 미충원사유 숙련부족 미충원 사유 기피직종, 낮은임금 <표 2-17> 양성훈련 수요 공급과 미충원사유별 직종분포 - 보건 의료 관련직( ) - 교육 및 자연과학 사회과학연구 관련직( ) - 건설관련직( ) - 문화 예술 디자인방송관련직( ) - 미용 숙박 여행 오락 스포츠 관련직( ) - 금융 보험관련직( ) - 법률 경찰 소방교도관련직( ) - 정보통신관련직( ) - 관리직( ) - 화학관련직(0.03배)( ) - 농림어업 관련직(0.19배)( ) 자료: 강순희 외( ), 2014 지역별 인력 및 훈련 수요조사 p. 90. 주: 는 양성훈련 규모 증가, 는 현행 규모유지, 는 감소 - 전기전자 관련직( ) - 기계관련직(0.28배)( ) - 사회복지 및 종교관련직( ) - 경영 회계 사무 관련직( ) - 환경 인쇄 목재 가구 공예 및 생산단순직( ) - 재료관련직( ) - 음식서비스관련직( ) - 식품가공관련직( ) - 섬유 및 의복관련직( ) -영업 및 판매관련직( ) - 경비 및 청소관련직( ) - 운전 및 운송관련직( ) <표 2-18>은 위와 같은 분석에 기초하여 신규 양성 직업훈련 필요인원을 직종별로 산정한 것임. 필요인원 산정은 신규수요와 조정수요로 분리하여 제시하고 있음. 신규수요는 기존에 직업훈련과정으로 공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숙련 부족으로 미충원이 발생한 인원에 대한 신규 양성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양성훈련을 실시해야 할 인원이며, 조정 수요는 양성훈 련 수요 중 공급과 비교하여 수요를 조정한 것임(이순희 외, 2014). 이와 같은 분석에 기초 하여 2015년도에 훈련계획을 점진적(±5%)으로 조정할 것을 제안함. - 공급 초과 수치가 낮거나 수요 초과이면서 미충원 사유가 숙련부족의 비율이 높은 직종(영 업 및 판매관련직, 전기전자 관련직, 기계관련직, 사회복지 및 종교관련직, 경영 회계 사 무 관련직)은 훈련 실시 인원을 5% 확대 - 미충원 사유가 기피직종이거나 낮은 임금의 비율이 높은 직종인데 공급이 초과된 직종(화 학관련직, 농림어업 관련직, 환경 인쇄 목재 가구 공예 및 생산단순직, 재료관련직, 음식 서비스관련직, 식품가공관련직, 섬유 및 의복관련직)은 훈련 실시 인원을 5% 축소 - 공급 초과 수치가 높으면서 미충원 사유가 숙련부족 비율이 높은 직종(보건의료 등 9개 직 종)과 수요가 초과되었으나 미충원 사유가 기피직종이거나 낮은 임금인 비율이 높은 직종 47

10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경비 및 청소관련직 외 1개)의 경우에는 현행대로 유지 년 양성훈련 공급규모를 이와 같이 하여 조정한 조정수요에다 숙련부족 미충원 인원 으로 산정한 신규수요를 합치면 양성훈련 필요인원은 29,701명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이 는 2014년에 비하여 14.3% 증가한 것임. KECO <표 2-18> 양성훈련 필요인원 필요인원 (A+B) 신규수요 (A) 양성훈련 필요인원 조정수요 (B) 2014년 양성훈련 공급(C) 조정율 전체 29,701 3,566 26,135 25, 관리직 경영 회계 사무 관련직 7, ,841 +5% 03. 금융 보험 관련직 교육 및 자연과학 사회과학연구 관련직 법률, 경찰, 소방, 교도 관련직 보건 의료 관련직 1, ,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 08. 문화, 예술디자인 방송 관련직 2, , 운전 및 운송 관련직 영업 및 판매 관련직 % 11. 경비 및 청소 관련직 미용 숙박 여행 오락 스포츠 관련직 2, , 음식서비스 관련직 3, ,578-5% 14. 건설 관련직 2, , 기계 관련직 2, ,816 +5% 16. 재료 관련직 1, % 17. 화학 관련직 섬유 및 의복 관련직 % 19. 전기전자 관련직 % 20. 정보통신 관련직 1, , 식품가공 관련직 1, ,121-5% 22. 환경 인쇄 목재 가구 공예 및 생산 단순직 % 23. 농림어업 관련직 % 자료: 강순희 외( ), 2014 지역별 인력 및 훈련 수요조사 p. 90. (단위 : %, 명) 48

103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라. 경기도 일자리 정책 추진 체계 및 사업 현황 1) 일자리 정책 추진 체계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추진은 <그림 2-22>와 같이 경제실에서 총괄하되, 관련 부서가 모 두 연계된 방식으로 추진됨. 여성일자리 정책은 여성정책국의 여성일자리팀을 통해 이루어 짐. 여성일자리가 사회적일자리 영역에 포함되어 있고, 도 여성일자리 관련 사업소도 그 영 역 안에 포함되어 제시되어 있으나 관련 부서로 이해하는 것이 합당한 것으로 판단됨. 경기도 일자리 정책 총괄 기획 운영은 경기도 경제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단위 정책 과 사업은 일자리정책 총괄 영역에 포함된 부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따라서 각각 의 추진 부서가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되, 사업성과는 경기도 경제실을 통해 총괄 수합되고 있음. 이러한 구조 역시 지역 일자리 목표 공시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그림 2-22> 경기도 일자리정책 추진 체계 자료: 2015년 경기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49

10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은 여성가족과 여성 일자리팀에서 총괄하고 있으며, 1팀장 3팀원으 로 구성되어 있음. 2) 2015 경기도 여성일자리 사업 현황 3) 가) 시간선택제 여성 일자리 확산 기반 강화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로 일 가정 양립 기반 조성 : 200백만원 (신규사업) - 여성이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30개소) : 150백만원 - 기업체 경제단체 등 유관기관 간 네트워킹, 경기여성 잡페어 : 50백만원 양질의 시간선택제 여성 일자리 3,000개 창출(고용노동부 협업) - (경기도) 시간선택제 인식 개선 및 교육훈련, 상담 및 채용지원 - (고용노동부) 승인사업장 채용정보 제공, 인건비 및 컨설팅 지원 나) 경력단절 여성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새일사업) 경력단절 여성 One-Stop 취 창업 종합서비스 제공 : 5,059백만원 - 새일여성인턴제 및 취업설계사 운영, 사후관리서비스 등을 통한 경력단절여성의 취 창업 지원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상담 - 교육 - 취업 - 사후관리 서비스 강화 여성교육훈련기관 지원을 통한 경력개발 및 단절 예방 : 436백만원 - 여성인력개발센터 직업교육훈련, 직무능력향상교육, 취업정보 제공 - 여성근로자복지센터 직무보수향상교육, 모성보호 등 권익 증진 상담사업, 한부모 여성근 로자 일 가정 양립 지원사업 등 다) 지역특성을 반영한 기업 맞춤형 여성 일자리 추진 도내 36개 여성인력개발기관의 숙련된 인프라 활용 - 지역수요 분석, 정책 연구, 중앙과의 협업통한 정책 구상 성공적 안착 3) 2015년 여성가족국 도 업무보고 자료 참조 50

105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중 장년 여성 취업지원 등 신규 여성일자리 4,900개 창출 : 900백만원 - 중 장년 여성의 취업욕구에 맞는 생계형 취업알선 4,000명 - 경력단절여성 디딤돌(훈련형 사업공동체) 취업지원 400명 - 고숙련 고학력 재취업 구직여성 심화과정 지원 500명 3) 여성고용서비스 기관 현황 2015년 12월 기준 경기도 내 고용서비스 기관들을 여성대상 고용서비스 제공기관 중심으로 분류하면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 여성근로자복지센터, 고용센터 및 고용 복지플러스 센터로 볼 수 있음. 경기도내 여성새로일하기센터는 광역 포함 25개소가 운영 중임. 주요사업으로 구인 구직 상담, 취업알선 및 연계, 인턴십 지원과 취업자 및 채용 기업 대상 사후관리 서비스 제공, 인 력수요 맞춤형 일자리 발굴 및 교육과정 개방 운영, 구직자 경력관리 및 구인업체 발굴 등과 같은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경력단절 여성을 서비스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음. 경기도내 여성인력개발센터는 8개소가 운영 중임. 주요사업으로 고용노동부 내일배움카드 제(실업자, 재직자), 취업성공패키지, 지역맞춤형일자리 창출지원사업과 지자체지원사업, 유료 직업능력개발, 직무능력향상과정들을 운영하며, 직업 상담과 취업알선, 취창업지원사업, 사회문 화교육, 복지사업, 기타 강좌를 제공하고 있음. 서비스 주요 대상자는 전업주부, 중 고령층 여 성, 여성가장, 차상위계층등 임. 경기도 내 여성근로자복지센터는 경기도내 5개소가 운영 중임. 주요사업으로 여성근로자 노 동권 상담, 모성권 상담, 여성노동인권 상담과 같은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고 일 가 정 양립 지원 부모, 자녀교육이나 지역자원 연계 및 문화 복지사업, 직무능력 향상교육, 여 성근로자 리더십 향상 교육, 여성 근로자 역량강화 교육, 중장년 여성 재취업 및 경제공동 체 지원사업 등을 제공하고 있음. 서비스 주요 대상자가 여성 근로자인 점에서 앞서 살펴본 여성새로일하기센터와 여성인력개발센터와 차이가 있음. 경기도내 여성관련 고용서비스 기관 현황은 아래 <표 2-19>와 같음. 51

10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2-19> 경기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단위: 개소) 구분 지역 새일센터명(원소속) 여성인력개발센터 여성근로자복지센터 광역 수원시 의정부시 경기 광역새일센터(경기도여성비전센터) 북부광역새일센터(경기도북부여성비전센터) 북서부(3) 4개소 파주시 파주새일센터(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양시(2개) 고양새일센터(고양여성인력개발센터) 고양여성인력개발센터 고양여성근로자복지센터 김포시 김포새일센터(김포시 여성가족과) 북동부(7) 4개소 의정부시 의정부시 포천시 경기북부새일센터(경기도북부여성비전센터) 의정부새일센터(의정부YWCA) 포천새일센터((사)가족보건복지협회) 의정부여성근로자복지센터 남양주시 남양주새일센터(남양주 YWCA) 동부(7) 2개소 성남시 성남새일센터(성남여성인력개발센터) 성남여성인력개발센터 이천시 이천새일센터(이천시 여성가족과) 용인시 경기새일센터(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 용인시 용인대새일센터(용인대학교) 남부(6) 6개소 화성시 수원시 수원시 화성새일센터(화성시 여성비전센터) 팔달새일센터(수원시 가족여성회관) 영통새일센터(수원여성인력개발센터) 수원여성인력개발센터 수원여성근로자복지센터 평택시 평택새일센터(평택시 여성회관) 안양시 안양새일센터(안양여성인력개발센터) 안양시 안양창조산업새일센터(안양창조산업진흥원 ) 안양여성인력개발센터 중부(8) 7개소 시흥시 시흥새일센터(시흥여성인력개발센터) 시흥여성인력개발센터 시흥시 시흥새일센터(산단형)(시흥시 경제정책과) 안산시 안산새일센터(안산여성인력개발센터) 안산여성인력개발센터 안산여성근로자복지센터 광명시 광명새일센터(광명시 일자리정책과) 자료: 경기도내부자료 부천시 부천새일센터(부천여성인력개발센터) 부천여성인력개발센터 부천여성근로자복지센터 52

107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4.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논의 구조 우선 본 장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일자리 정책은 저출산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동력 공급 차원에서 추진되는 국면이 있음. 그러나 그간의 다양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성 고 용률 및 성별 임금 격차 등이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음. 정부는 우리나라 여성고용의 가장 뚜렷한 특징인 3,40대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인데, 이제까지의 재취업지원 정책에 더불어 고 용유지를 위한 정책이 강화되지 않고서는 이러한 현상이 개선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여성의 경력단절예방 정책을 강화하고 있음. 또한 경력단절 예방을 모성보호제도 강화 및 보육정책 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정책 실효성 확보와 일 가정 양립이 가능한 근로 환경을 구축하 는 것에도 포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성별을 넘어 장시간 근로 개선과 일 가정 양 립이 가능한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한 노력을 확대하고 있음. 결국 모든 정책의 성패는 정 책 현장에서의 실효성에 따른다는 점에서 정책 실효성 확보 문제는 구체적인 지역 고용 정 책 현실 속에서 추진될 수밖에 없음을 논의하였음. 또한 일자리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모두에 게 가장 핵심적인 사안이 되고 있음. 특히 일자리 정책 추진에 있어서 장소를 기반으로 한 지역 일자리 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음. 이는 일자리는 결국 장소를 중심으 로 한 지역 안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임. 따라서 일자리 정책은 지역의 일자리 창출 가능성과 수요 분석, 그리고 잠재 가능성에 대한 분석에 기초한 현장 중심의 정책 추진이 요구되고 있음. 이러한 정책 기조는 전 세계적인 추세이며, 이와 관련해 OECD에서는 지역 일자리 정 책 추진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전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 우리나라 역시 일자리 정책을 지역 단위에서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을 강구해오 고 있음. 이와 관련해 대표적인 정책이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와 고용노동부 지역맞춤형 일자리사업, 그리고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중심 으로 한 지역 산업 맞춤형 양성 체계 구축임. 현재 경기도 역시 지역인적원개발위원회를 구 성하고 지역별 인력 수요 조사와 고용노동부 시범 연구로 지역별 인력 및 훈련수요 조사 에 근거한 경기 지역 직업능력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한 바 있음. 뿐만 아니라 경기도를 5개 53

10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노동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 전문위원 위촉과 위원회을 구성함으로써 5개 권역별 분과 위원회를 시범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있음. 그러나 자문회의 결과 여성인력개발기관이나 여 성일자리 사업 추진 단위에서 위원회에 참여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상황임. 따라서 여성일자리 정책은 여성일자리 정책의 특수성에 기반한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추진하되,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 특히 지역별 일자리 정책과의 연계 속에서 여성일자리 정 책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됨. 경기도는 서울을 가운데 두고 남부와 북부의 행정체계를 가지고 있음. 경기 남부와 북부간 지역적, 경제적 편차가 큰 편임. 경기도에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4.7%를 차지하고 있으 며, 지방과 서울에서 인구 유입이 계속 되고 있음. 경기도는 서울을 제외한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 및 고용환경이 양호한 편이지만 잠재성장률이 계속하여 하락할 것으로 추 정되고 있음. 따라서 여성인력 활용과 산업구조 재편 등을 통한 경제성장률 제고가 필요함. 경기도 여성고용률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노동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음. 그런데 우리나라 여성경제활동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경력단절 현상이 계속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30대 인구 비율이 축소되고 있으나, 인구 축소 규모에 비해 30대 여성 고용 감소폭은 더욱 커지고 있음. 따라서 경기도 거주 고학력 30대 여성에 대한 고용유지와 취업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2015년 상반기 기준 미취업여성 인구는 2,607천명으로 추정됨. 특히 30대 이 상 미취업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이 75%를 상회하고 있는데, 경력단절 기간이 길어질수록 경력 손실이 커지고 재취업의 질도 현격히 낮아진다는 점에서 고용유지정책과 경력단절 초 기에 전직 지원이나 재취업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과 사업이 요구됨. 특히 구체적인 사업은 정책대상별 정책수요 분석에 기초하여 기획될 필요가 있음.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은 경기도의 지리적 특성상 경기도내 다양한 노동권이 형성되 어 있으나, 향후 지역일자리 정책 추진체계를 고려하여 권역별 분석이 요구됨. 권역별 단위 로 정책을 추진하는 경우에도 여성고용 현황과 미취업여성 분포 및 특성,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등에 차이가 있음. 따라서 국가 및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은 지역별로 동 일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지역별 차이에 따라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은 상이하게 접근 54

109 제2장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논의의 배경 할 필요가 있음.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은 동일하나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에 따른 접근 방법은 달리 해야 할 필요가 있음. <그림 2-23>은 지역별 여성일자리 추진 전략 도출을 위한 논의 구조임. <그림 2-23> 지역별 여성일자리 추진 전략 논의 구조 본 연구의 1차적인 목적은 각 지역에서 여성일자리 정책과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참조하거 나 분석할 필요가 있는 기초 자료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음. 따라서 제 3장부터 제 7장 까지는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및 정책대상별 정책 요구분석 자료를 제 시하였음. 55

110

111 제 3 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북서부권역 일반 현황 2.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3. 북서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4.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수요분석 5.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112

113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북서부권역 일반 현황 가. 인구지리학적 특성 1) 교통 및 지리적 특성 북서부권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성과 서울의 중간지점에 위치하 고 있으며 북서부권 면적은 1,217km2(고양시 268km2, 김포시 276km2, 파주시 672km2)임. - 북서부 지역은 현재 경기북부지역에서 가장 개발이 활발한 지역이며 일산, 김포 등 신도시 와 연계된 지속적인 택지 조성으로 광역 신 주거벨트를 형성하고 있음(경기개발연구원 2014). - 특히 개성공단 조성, 경의선 제2외곽 순환도로 계획 등 인프라가 확충되고 있으며, 출판문 화단지, 파주 LCD 단지 등의 입지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음. 또한 수도권 최대 규모의 신도시인 JDS지구, 김포 한강시네폴리스등 산업기반을 확보하고 있음. 하지만 지리적 특성상 군사시설보호규제 등 접경지역으로 타 지역에 상대적으로 개발이 어 렵고, 지역생활권 중심기능이 미약하고 기성시가지와 신시가지의 연계성이 미흡함. <그림 3-1> 북서부권 59

11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서부권역은 전체면적의 30%가 도시지역이며, 도시지역 중 주거지역(70.7km2), 상업지역 (9.4km2), 공업지역(12.3km2), 녹지지역(273.9km2), 미지정지역(7.0km2)으로 나타남. - 고양시의 경우 도시지역 중 녹지지역으로 제외하고 주거지역이 35.1km2로 가장 많은 비중 을 차지하였고 공업지역은 0.1km2에 불과하였음. 반면 북서부권 중 가장 넓은 상업지역을 보임. - 김포시의 경우 주거지역이 19.0km2를 차지하고 있으며 녹지지역은 76.3km2에 달함. - 파주시는 북서부권역 지역 중 가장 많은 공업지역을 가지고 있으며 그 면적이 7.6km2에 달 함. <표 3-1> 북서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단위: km2) 구분 도시 지역 전체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미지정지역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자료: 통계청(2014) 도시계획현황 현재 운정역, 백마역, 백석역, 삼송역 환승센터를 계획 중에 있으며, 자유로와 제2자유로. 서울 외곽순환도로, 통일로 파주-고양구간의 완공으로 보다 권역 내 지역 간 지리적 연계 활발해질 것으로 보임. - 고양시는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자유로, 인천 국제공항 고속도로 등에 접해 있고, KTX, 지하철3호선, 경의선이 서울과 연결되어 있으며 GTX가 예정되어 있어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철도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음. - 김포시는 도로는 서울외곽순환도로와 국도 39호, 48호, 국지도 78호, 84호, 지방도 355 호, 356호 등이 있으며, 이들 도로는 서울, 인천, 부천 등 주변 도시와 연결되어 있음. 철 도는 5호선, 9호선이 지나감. - 파주시는 통일로와 자유로, 경의선 철도가 맞물리고 자유로와 국도37호선 외곽 순환 도로 가 연결되어 있음. 60

115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2) 인구학적 특성 북서부권 총인구는 2014년 기준 1,757,812명으로 경기도 인구의 약 14.2%를 차지하고 있 으며 남성은 875,624명 여성 882,188명으로 여성비율은 50.2%로 나타남. <표 3-2> 북서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단위 : 명, %)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북서부 1,757, , , 고양시 1,006, , , 김포시 411, , , 파주시 340, , , 자료: 통계청(2014), 주민등록인구 북서부권 인구는 경기도 추세와 흡사하게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 여성인구 가 남성인구를 앞지르고 있음. <그림 3-2> 북서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단위 : 천명) 자료: 통계청(각 년도), 주민등록인구 61

11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서부권 2014년 시군별 순 이동인구를 보면 김포시가 25.6천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가 유 입되었고 다음으로 고양시(11.8천명), 파주시(7.6천명) 순으로 나타남. <그림 3-3> 북서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 (2014) (단위 : 천명) 주: 순 이동은 총 전입에서 총 전출을 뺀 값을 의미함. 자료: 통계청(각 년도), 주민등록인구 북서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를 살펴보면 고양시의 경우 40-49세 여성 인구가 가장 많 은 것으로 나타났고 김포시의 경우 14세이하, 30-39세,40-49세 여성인구가 골고루 많이 포진되어 있었음. 파주시의 경우 40-49세, 60세 이상 여성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표 3-3> 북서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단위 : 천명)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구분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14세 이하 세 세 세 세 세 세이상 자료: 통계청(2014), 주민등록인구 연앙인구 62

117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나. 경제동향 및 산업특성 1) 경제동향 북서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를 살펴보면 고양시가 14,604,936백만원으로 지역내 총생산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다음으로 파주시(10,927,622백만원), 김포시 (5,875,598백만원)순으로 나타남. 지역내 총생산을 인구수에 따라 1인당 생산액으로 산정했을 때 파주시가 1인당 생산액이 28,392천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표 3-4> 북서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단위 : 백만원, 천원, %)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GRDP(백만원) 14,604,936 5,875,598 10,927,622 1인당 생산액(천원) 15,189 21,675 28,392 경기도내 구성비 자료: 통계청(2012),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 고양시는 2015년 산.학.연.관이 협력하여 중소기업 제품개발, 생산, 마케팅으로 연계된 맞 춤형 기업지원 G-패밀리클러스터 사업을 진행하고, 또한 업체 간 교류 활성화 및 교육 컨 설팅을 통한 입주기업 매출 증대를 지원하기 위한 기업 입주지원센터 운영하여 기업 유치 확장에 힘쓰고 있음. 또한 현재 킨텍스. 일산 MBC 드림센터를 활용한 방송영상분야 사업을 전략 발전시키고 있음. 김포시는 김포한강신도시 개발로 인한 도시화로 서울과 인접한 고촌읍에는 경인 아라뱃길, 김포여객터미널, 물류단지 등 조성으로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현대백화점과 같은 대형점포 유치를 통해 서비스업의 확대되고 있음. 파주시는 첨단 LCD 산업단지인 LG 디스플레이 및 협력단지와 출판도시가 있음. 파주는 경 기도에서 GRDP 상위 10개 도시로서 7월중 신설법인은 114개가 증가되었고 부도법인은 0 개로 나타나 신생기업이 확대되고 있음. 63

11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2) 산업구조 북서부권 산업구조는 경기도 전체 산업구조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음 다만 북서부 시군 간 차이가 있었음. 고양시의 경우 서비스업이 전체 산업의 89.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7.9%), 건설업(2.9%)순으로 나타남. 고양시는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사업체수가 이 595개소로 서비스업 사업체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김포시의 경우 서비스업이 전체 산업의 6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 (31.7%), 건설업(2.5%)순으로 나타남. 제조업 사업체 수는 6,924개소로 파주시나 고양시에 비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파주시는 서비스업이 전체 산업의 79.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17.4%), 건설 업(2.6%)순으로 나타남. 파주시의 경우 사업체 수는 적지만 종사자 규모가 큰 사업체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3-4> 북서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주: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보험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기타서비스 업의 12개 대분류 업종을 포함함. 자료: 통계청(2013), 전국사업체조사 재분석 64

119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서부권 총 사업체수는 100,416개소로 나타났으며 종사자수는 520,598명으로 나타났음. 그중 여성 종사자는 219,725명으로 나타남. 시군별로 여성종사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고양 시로 나타났으며 다음 파주시(56,627명), 김포시(40,673명)순으로 나타남. - 고양시 총 사업체수는 55,348개소로 나타났으며 종사자수는 257,754명으로 나타났음. 그 중 여성 종사자는 122,425명으로 나타남. - 김포시 총 사업체수는 21,840개소로 나타났으며 종사자수는 116,627명으로 나타났음. 그 중 여성 종사자는 40,673명으로 나타남. - 파주시 총 사업체수는 23,231개소로 나타났으며 종사자수는 146,217명으로 나타났음. 그 중 여성종사자는 56,627명으로 나타남. <표 3-5> 북서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단위 : 개소, 명) 구분 사업체수 총 종사자수 종사자 성별 남성 여성 북서부권 100, , , ,725 고양시 55, , , ,425 김포시 21, ,627 75,954 40,673 파주시 23, ,217 89,590 56,627 자료: 통계청(2013), 전국사업체조사 재분석 <그림 3-5> 북서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자료: 통계청(2013), 전국사업체조사 재분석 65

12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2.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가. 고용서비스 기관 현황 고양시에는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 고양여성근로 자복지센터와 고용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 고양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의 경우 일반형과 경력형 2가지 형태가 운영 중에 있으며 모기관 인 여성인력개발센터 함께 운영 중에 있음. - 고양고용센터의 경우 관할지역이 고양시 덕양구, 일산동구, 일산서구를 관장하고 있음. 김포시에는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가 김포시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으 며, 고용복지플러스센터가 운영되고 있어 여성새로일하기센터와 고용센터가 하나의 센터에 입주해서 운영되고 있음. 파주시 역시 김포시와 유사한 형태이지만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는 서 영대학교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여성새로일하기센터와 고용센터가 하나의 센터에서 입 주되어 운영되고 있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로 운영되고 있음. <표 3-6>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시군명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 여성근로자복지센터 고용센터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고용복지플러스센터)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나. 일자리 정책 및 사업 현황 북서부권 일자리 정책은 고용노동부 지역고용정보 네트워크 공시현황에 게시된 종합계획을 토대로 분석하였음. 정부부문을 중심으로 직접일자리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창업지원을 각 시군별로 분석하였음. 66

121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서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창출은 다음과 같음. <표 3-7> 북서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고양시 출산 및 장기휴직자 대체인력 결혼이주여성 인턴제 박물관 및 미술관 지원사업 고양시 임기제 공무원 채용 아이돌봄 지원사업 생활체육 지도자 지원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지원 다문화가족정착 및 자녀양육 지원 의료관광 통역비 지원 일자리센터 상담사 인건비 지역아동센터 운영 지원 다문화 의료코디네이터 활동지원 프로시니어 인건비 아동복지교사 문화관광해설사 운영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드림스타트 운영 및 멘토강사 지원 찾아가는 자전거 수리센터 운영 마을기업 육성 공공 청소년시설 위탁운영 일자리 자전거 안전교육 운영 공공근로 사업 가정보육교사제도운영 치과 스켈링 및 진료사업 대학생 직장체험 아이러브맘 카페 운영 국가암 검진사업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 육성지원 식품 및 공중위생 감시단 활동 건강생활실천사업 의료급여 사례관리 사업 초등돌봄 교실 운영지원 치매관리 사업 자활근로사업 경기 행복학습관(원당마을) 강사 산림정화 감시원 채용 가사간병 서비스 지원 사업 동주민센터 원어민 영어교실 강사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 사업 통합사례관리사 지원 동주민센터 생활과학교실 강사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 지원사업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문해교육 강사일자리 창출 난임부부지원사업 노인일자리지원사업 지역평생교육활성화사업 생명사랑 프로젝트 전담인력 배치 노인일자리수행기관 전담인력 민간검침활동 지원비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 증진사업 장애인일반형일자리(구:행정도우미) 시민정보화교육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지원 장애인복지일자리 자활근로사업 난임부부지원사업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 무료 경로식당 취사원 고용 노인 불소 도포 스케일링 사업 중증장애인활동지원 사업 산림보호감시원 치과 진료 사업 장애인 생활도우미 사업 산불전문 예방 진화대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 사업 난임부부 지원사업 산림예찰 방제단 건강생활실천사업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 사업 장기결원 대체인력 채용 국가 암 조기검진 사업 평생교육사 기간제 근로자 채용운영 시민정보화 교육 금연클리닉 운영 (금연상담사) 성인장애인 평생학습 프로그램 강사 자활근로사업 건강생활 실천사업 찾아가는평생학습 '온누리강좌'강사 경로식당 취사원 지원 사업 국가 암 조기검진 사업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사업 치과 진료 사업 주민정보화 교육 조림사업 농가도우미 지원사업 자활근로사업 산림서비스도우미(명상숲코디네이터) 낙농헬퍼지원사업 무료 경로식당 일자리 산림서비스도우미(도시녹지관리원) 숲가꾸기 사업 산불감시원 고용 아동복지시설 운영지원 (요보호아동 그룹홈운영지원) 의료관광콜센터 코디네이터 인건비 출산 및 휴직에 따른 장기 결원자 대체인력 사업 출산 및 장기휴직자 대체인력 운영 김포시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지원 실버인력뱅크 지원 자활근로사업비 스마토피아센터 CCTV 모니터링용역 노인일거리 마련사업 아이돌보미 사업(보조) 노인돌보미바우처 시니어 클럽운영 그룹홈 지원 노인돌봄기본서비스 365 어르신 돌봄센터 운영 드림스타트마을 사업추진 67

12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김포시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장애인 복지일자리 지원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 장애인 주민센터 도우미지원 수행기관 전담인력 인건비 지원 독거노인 응급안전 돌보미 운영 장애아동 재활치료 바우처사업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운영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언어발달지원 바우처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산림병해충예찰방제단 중증장애인 활동지원 가정보육교사제도 운영 도시녹지관리원 공공근로사업 사회적기업지원 하천 불법행위 감시원 운영 지역공동체사업 마을기업 가축방역 순회요원 인건비 산림바이오매스 사회적기업지원센터 운영 벼 병해충 방제 산불전문진화대 김포일자리센터운영 양묘장 운영 공원시설관리원 파주시 노인사회활동지원 공공근로 장애인활동지원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북서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은 다음과 같음. <표 3-8> 북서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 사업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 일자리센터 취업프로그램 운영 지역맞춤형일자리사업 일자리센터 취업지원 교육 새일센터 직업교육 훈련 평생기술교육과정 자활근로취업설계교육 고학력 고숙련 심화과정(직업교육훈련)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운영 결혼이민자 맞춤형 취업지원 농업인전문교육 고양벤처 농업대학 운영 교육문화회관프로그램운영 로컬푸드 축산가공 농업인 교육 및 컨설팅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북서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는 다음과 같음. <표 3-9> 북서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효율적인 일자리센터 운영사업 평생학습센터 취업설계 및 상담 일자리센터 운영 자활지원 일자리지원센터 운영사업 김포일자리센터 취업지원프로그램운영 채용행사 개최 취업성공패키지 사업 결혼이민자 맞춤형 취업지원 경력단절여성취업지원 여성인력개발센터 취업지원 해외 판로개척 및 박람회 지원 등 지역자활센터운영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지원 실버인력뱅크운영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68

123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서부권 시군별 창업지원은 다음과 같음. <표 3-10> 북서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항공대 및 동국대 창업보육센터 운영지원 창업보육센터 운영비 지원 소자본 창업교육 마케팅 예비여성 창업자 육성지원 소상공인 특례보증 농산물 가공 창업지원 사업 농산물 가공 전문가 및 벤처창업 육성 교육 식품가공 전문가 육성교육 및 브랜드 상품 육성사업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다. 여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수요 1) 여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분야별 운영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음. <그림 3-6>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단위: 개, 명) 과정분류 사업명 과정명 목표인원 시 군 사무 회계 관리 <표 3-11>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새일직훈 전산세무회계사무원 22 고양시 MICE산업 특화 서비스인력양성과정 I 22 고양시 MICE산업 특화 서비스인력양성과정 II 22 고양시 산업단지 맞춤형 기업회계와 경리실무과정 22 김포시 중소기업 경리전문 인력 양성 과정 22 파주시 샵마스터 양성과정 22 파주시 69

12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과정분류 사업명 과정명 목표인원 시 군 경기도 특화 (고학력고숙련) ERP(회계,인사)정보관리사과정 20 고양시 시군예산사업 고양시 특화 MICE아카데미 54 고양시 컴퓨터활용능력2급자격증 51 고양시 컴퓨터활용능력2급자격증 9 고양시 내일 배움카드제 파워포인트실무&ITQ엑셀자격증 69 고양시 재직자과정 OA기초부터마스터하기 17 고양시 전산회계1급 61 고양시 전산세무2급 51 고양시 내일 배움카드제 실업자과정 ITQ자격증대비(OA마스터) 55 고양시 컴퓨터활용능력2급자격증 9 고양시 전산회계와 세무실무 15 고양시 전산세무 2급 자격증반 31 고양시 전산회계 1급 자격증반 42 고양시 전문직업큐레이터 20 고양시 취업지원전문가 20 고양시 경기도특화 (고학력고숙련) 고용노동부 직업큐레이터 42 고양시 지역맞춤형 사업 직업상담 내일 배움카드제 직업상담사2급1차 자격증반 28 고양시 재직자과정 직업상담사2급2차 자격증반 40 고양시 내일 배움카드제 직업상담사2급(1차)-필기 5 고양시 실업자과정 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반 62 고양시 새일직훈 도시텃밭전문가(그린핑거) 22 고양시 교육연구 내일 배움카드제 재직자과정 힐링원예지도사 37 고양시 사회복지 새일직훈 특수아동보조원양성과정 22 고양시 새일직훈 웹영상디자인전문가 과정 22 고양시 문화 경기도특화 예술 (고학력고숙련) 영화CG제작자양성과정 20 고양시 디자인 포토샵활용(GTQ자격증반) 25 고양시 내일 배움카드제 방송 광고출판편집(인디자인) 9 고양시 재직자과정 아크릴페인팅 5 고양시 창업 기타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 새일직훈 고용노동부 지역맞춤형 사업 내일 배움카드제 재직자과정 내일 배움카드제 재직자과정 국내오픈마켓창업과정 22 고양시 인터넷 쇼핑몰 제작.운영 22 김포시 E-비즈니스창업과정 40 고양시 나만의온라인&모바일쇼핑몰DIY 12 고양시 쇼핑몰제작 4 고양시 돈버는오픈마켓 9 고양시 화훼장식기능사 21 고양시 70

125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2) 직업교육훈련예상 수요현황 북서부권역 지역사업맞춤형 재직자 훈련 필요인원은 22,503명으로 나타났고, 실업자를 위 한 양성훈련예상수요는 498명으로 나타남. 이는 각 시군별 표본에 가중치를 넣은 값으로 추정된 값임. <표 3-12> 북서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단위 : 명) 구분 양성훈련 예상수요 향상훈련 필요인원 북서부 ,503 고양시 252 8,328 김포시 118 6,704 파주시 128 7,471 자료: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2015), 경기도 지역 정기 인력 및 훈련 수급조사 3. 북서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가. 여성 경제활동 상태 북서부권 2015년 상반기 기준 여성 생산 가능인구는 748.9천명으로 전체 생산가능인구의 51.1%를 차지함. 여성경제활동인구는 348.7천명으로 나타났음. -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을 살펴보면 파주시가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고양 시(46.4%), 김포시(45.9%)순으로 나타남. 파주시의 경우 여성 경제활동인구수는 고양시 보다 적지만 생산 가능인구 대비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이 북서부권 중 가장 많은 것 을 알 수 있음. <표 3-13>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단위 : 천명) 구분 생산가능 인구 경제활동인구 전체 여성 전체 여성 북서부 1,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71

12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3-7>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북서부권 비경제활동인구는 598.4천명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여성인구는 400.2천명으로 나 타났음. - 북서부권 시군별로는 고양시 여성 비경제활동인구는 235.2천명으로 나타났고, 김포시는 76.1천명, 파주시는 88.9천명으로 나타남. 북서부권 여성 비경제활동 인구의 활동 상태를 살펴보면 가사가 69.5%로 가장 많았고, 육 아(17.4%), 연로(9.4%)등 순으로 나타나 북서부권 여성 비경제활동인구의 대다수가 육아나 가사 등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못한 것으로 보임. <표 3-14> 북서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구분 비 경제활동인구 전체 여성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단위 : 천명) 72

127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그림 3-8> 북서부권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나. 여성 취업자 특성 북서부권 여성 취업자는 339.6천명으로 전체 북서부권 취업자 중 40.3%를 차지함. 북서부 권 여성 고용률은 45.3%로 남성과 24.3%p 격차를 보임. - 시군별로 살펴보면 성별 고용률 격차가 가장 적은 곳은 고양시로 23.5%p의 격차를 보인 반면 김포시는 고용률 격차가 28.0%p로 권역 내 가장 큰 격차를 보임. <표 3-15> 북서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단위: 천명, %) 구분 취업자수 고용률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전체 남성 여성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을 살펴보면 15-29세에서는 고양시(45.1%), 30-49세는 파주시 (59.4%), 50-64세 역시 파주시(56.6%), 65세 이상은 김포시(17.9%)가 가장 높은 고용률 을 보였음. 73

12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16>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구분 전체 15-29세 30-49세 50-64세 65세 이상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북서부권 여성 취업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혼인상태는 유배우가 61.9%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다음 순으로 미혼(25.7%), 이혼(6.8%), 사별(5.6%)순으로 나타남. 학력의 경 우 대졸이상이 46.5%가 가장 많았고, 다음 순으로 고졸(41.3%), 중졸(7.1%), 초졸 이하 (5.2%)순으로 나타남. <표 3-17> 북서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구분 구분 전체 남성 여성 미혼 혼인상태 유배우 사별 이혼 초졸 이하 학력 중졸 고졸 대졸 이상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북서부권 시군별 거주지 외 전체 통근 취업자 수를 살펴보면 고양시가 218.1천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김포시(65.4천명), 파주시(58.4천명)순으로 나타남. <그림 3-9> 북서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단위: 천명)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74

129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취업자 종사산업을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에 남성에 비해 많은 여성이 종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모두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서비 스업에 여성종사자가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표 3-18> 북서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산업분류별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농업, 임업 및 어업 제조업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하수 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75

13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서부권 종사상 지위별 여성 취업자 비율을 살펴보면 여성 무급종사자 비율이 85.7%로 가 장 높았고, 다음으로 임시근로자(57.7%), 일용근로자(37.8%), 상용근로자(36.1%), 고용원 이 없는 자영업자(29.4%),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25.9%)순으로 나타났음. - 권역 내 시군별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고양시가 임시근로자 여성비율이 61.0%로 상대적 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김포시와 파주시의 경우 농업이 발달되어 있는 특성상 무급가 족종사자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임. <그림 3-10> 북서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표 3-19> 북서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종사상 지위별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무급종사자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76

131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서부권 여성 취업자 월평균 임금은 168.5만원으로 나타났고 남성에 비해 118만원이나 적 은 것으로 나타남. 여성 취업자의 총 근로시간은 41.3시간으로 남성에 비해 5.1시간 적은 것으로 나타남. 근로시간의 격차는 크지 않지만 임금격차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음. 이 는 종사상지위나 산업과 연관성이 있다고 사료됨. - 시군별로 남성과 여성간 임금 차이가 가장 큰 격차를 보인 곳은 고양시로 118.0만원이나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남. 반면 파주시는 남녀 임금격차가 90만원 그 쳤음. <표 3-20> 북서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단위: 시간, 만원) 구분 총 근로시간 월 평균 임금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다. 여성 미취업자 특성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는 408,943명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여성 비율은 67.1%에 달함. <표 3-21> 북서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단위: 명, %)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북서부 609, , , 고양시 361, , , 김포시 111,503 34,110 77, 파주시 136,638 45,003 91, 주: 권 시군별 미취업자수는 제2장 미취업 규모추정과 같은 정의에 의해 추출되었음.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77

13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앞서 북서부권 미취업여성 규모 추정을 바탕으로 북서부권 미취업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 보면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20-29세(25.0%), 학력별로는 고졸(35.9%)이, 그 리고 혼인상태별로는 유배우자(57.8%)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음. - 여성 미취업자는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20대가 25.0%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 (17.5%), 40대(16.0%), 50대(13.5%) 순임. - 학력별로는 여성의 경우 고졸이 35.9%로 가장 높으며 대졸 이상(30.4%), 초졸 이하 (18.5%), 중졸(15.2%) 순으로 나타남. - 혼인상태별로는 유배우가 57.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미혼(25.1%), 사별(14.3%), 이 혼(2.7%)순으로 나타남. 시군별로는 고양시는 대졸, 미혼 미취업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김포시는 30대가 상대 적으로 높았으며, 파주시의 경우 60대 이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3-11>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연령별> <학력별> <혼인상태별>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78

133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3-22>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구분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20대 대 연령 40대 대 대 이상 초졸 이하 학력 중졸 고졸 대졸 이상 미혼 혼인상태 유배우 사별 이혼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에 직업을 갖고 있었던 경우가 72.0%, 없었던 경우가 28.0%으로 나타남. 전직경험이 있는 미취업자 중 일을 그만 둔지 1년 미만 미취업자 비율 은 11.7%, 1년 이상은 60.3%로 나타남. <그림 3-12>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표 3-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구분 1년 미만 1년 이상 없었음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79

13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 중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 둔 사유를 살펴보 면 개인, 가족 관련된 사유가 61.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육아(7.7%), 작업여건 불만족 (7.7%)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3> 북서부권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표 3-24> 북서부권 시군별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구분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개인, 가족 관련 사유 육아 가사 심신장애 정년퇴직, 연로 작업여건(시간,보수 등) 불만족 직장의 휴업, 폐업 명예, 조기퇴직, 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경영 악화 기타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주: 지역별고용조사에서 만 55세 이상은 직장을 그만둔 사유나 과거 직장에 대해 묻고 있지 않음. 따라서 20~54세 이 하 연령대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에 대해서만 분석함. 80

135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4.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수요분석 가. 미취업여성 취업욕구 및 정책요구 1) 일자리 형태별 취업욕구 북서부권 미취업여성의 일자리 형태별 취업희망 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사업체 취 업희망자가 78.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사회적 경제기업 취 창업(32.3%), 창업(31.2%), 프리랜서 입직(20.7%)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4> 북서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구분 사업체 취업 창업 프리랜서 사회적 기업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취업) 있음(창업) 없음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81

13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서부권 미취업 여성의 취업형태별 희망 소득은 창업이 월 평균 365.3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업체 취업의 경우 희망 소득 180.3만원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수 용 가능한 소득은 143.3만원으로 나타남. <그림 3-15> 북서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단위: 만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취업 창업 프리랜서 사회적 기업 (단위: 만원) 구분 희망소득 수용가능 최저 소득 희망소득 희망소득 희망소득 수용가능 최저 소득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82

137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2) 구직활동 북서부권의 미취업여성들이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1순위 결과 중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은 나타내는 요인은 임금 또는 수입(34.4%)과 근무여건(33.3%)으로 나타남. <그림 3-16> 북서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임금 또는 수입 가정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근무여건 안정적인 일자리 출퇴근 편의 장래 발전 가능성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 직업의 사회적 위신 사회보험 가입 보장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83

13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서권역의 미취업여성들이 기업이 여성인력을 채용 할 때 중요시 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요 인에 대한 1순위 결과 나이(28.4%)와 업무경력(26.3%)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림 3-17> 북서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결혼여부 양육 아동 유무 장기근무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84

139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3) 직업교육훈련 욕구 북서부권 미취업여성 중 49.5%는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직업교육 훈련을 받는 목적은 (재)취업을 위해서라는 응답 비율이 58.2%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림 3-18> 북서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있음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창업을 위해 (재) 취업을 위해 자격증 취득을 위해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85

14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서부권 미취업 여성들의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은 취업연계가능성이라는 응답이 39,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강사 및 교육내용 전문성(22.7%), 자격증 취득 가능성 (14.9%)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9> 북서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직업 교육기관 인지도 강사 및 교육내용 전문성 저렴한 교육비 취업 연계 가능성 자격증 취득 가능성 프로그램 운영 시간대 교육 기관과 집과의 거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86

141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서부권 미취업 여성들이 직업교육훈련과정 선택 시 선호하는 훈련기관은 공공훈련기관이 41.8%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여성교육훈련기관(27.7%), 대학 또는 전문대학 부설기관 (17.0%) 순으로 나타남. <그림 3-20> 북서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공공 훈련기관 대학 또는 전문대학 부설기관 여성교육 훈련기관 복지 및 문화시설 사설 학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향후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에 대한 북서부권 미취업 여성들의 1순위 응답 결과 경영, 회계, 사무관련 분야(17.7%), 교육 및 연구(15.6%), 문화, 예술, 디자인, 방송 (13.5%), 음식서비스(10.6%) 등의 순으로 나타남. 87

14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3-21> 북서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경영, 회계, 사무 금융, 보험 교육 및 연구 보건, 의료 사회복지 및 종교 문화, 예술, 디자인, 방송 영업 및 판매 미용, 숙박, 여행, 오락, 스포츠 음식 서비스 섬유 및 의복 정보통신 식품가공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88

143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4) 정책요구 취업 또는 창업을 위해 직업 교육훈련 및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부터 가장 받고 싶은 서비스에 대한 북서부권 미취업 여성들의 응답 결과 취업 창업 관련 주요 업무에 대 한 구체적 정보가 40.0%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취업처와 인턴제 소개(26.3%), 직업교육훈 련(19.3%) 순으로 나타남. <그림 3-22> 북서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취업 창업 관련 주요 업무에 대한 구체적 정보 직업교육 훈련 취업할 곳과 인턴제 소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상담지원 직업의식 등 태도와 자질 교육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북서부권 미취업여성 중 취업지원관련 기관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58.6%로 나타남. 89

14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3-23> 북서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있음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나. 여성 취업자 인식 및 정책요구 1) 직장생활 관련 인식 북서부권의 여성 취업자의 근로 만족도는 평균 3.66점임. 지역별로는 상대적으로 파주시 여 성 취업자의 만족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3-24> 북서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단위: 점) 주: 5점 척도(1 매우 불만족, 2 대체로 불만족, 3 보통, 4 대체로 만족, 5 매우 만족)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90

145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서부권 취업 여성의 업무스트레스 인식과 관련해 업무량 과다(3.1점)와 워킹맘에 대한 이 해부족(3.0점)을 제외하면 모두 3점 이하를 나타남. <그림 3-25> 북서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단위: 점) 주: 5점 척도(1 전혀 받지 않음, 2 별로 받지 않음, 3 보통임, 4 약간 받음, 5 매우 받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3-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단위: 점)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업무량 과다 출퇴근 문제 직장 내 성차별 직원과 관계 어려움 근무 환경 열악 고용 불안정 문제 (워킹맘만 해당)워킹맘에 대한 이해 부족 장시간 근무 주: 5점 척도(1 전혀 받지 않음, 2 별로 받지 않음, 3 보통임, 4 약간 받음, 5 매우 받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91

14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업무역량과 관련된 항목에 대해 남성 직원 대비 여성 자신의 경쟁력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질문한 결과, 북서부권 취업 여성들은 모든 항목에 대해 3점 이상을 나타내고 있어, 동일 직무에 종사하는 남성에 비해 자신이 경쟁력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책임감 (3.6점)과 성실성(3.6점), 직업기초능력(3.5점)과 근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3.5점)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3-26> 북서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단위: 점)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3-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단위: 점)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조직 내 친화력 업무 성과 직무 능력 자기개발 노력 성실성 책임감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 근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 공동체 의식 감정관리 능력 일과 가정의 조화와 관리 직업기초 능력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92

147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2) 고용유지 관련 인식 현재 일을 하는 이유에 대한 북서부권 취업 여성들의 1순위 응답 결과는 생활비마련을 위해 서라는 응답이 64.4%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자기계발 또는 지식이나 기술 활용 을 위해서(13.5%),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서(11.1%) 순으로 나타남. <그림 3-27> 북서부권 일을 하는 이유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3-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생활비 마련을 위해서 배우자 또는 다른 가족의 소득이 없어서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서 본인의 학비 또는 용돈을 벌기 위해서 자기계발 또는 지식이나 기술 활용을 위해서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고용 유지에 대한 북서부권 취업 여성들 인식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직업)을 지속하겠다 는 응답(3.9점)과 돈을 벌 필요가 없어도 일(직업)을 할 생각이라는 응답(3.7점) 모두 3점 이상으로 나타남. 93

14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3-28> 북서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단위: 점) 주: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3-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단위: 점)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돈을 벌 필요가 없어도 일(직업) 가지고 싶음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직업) 지속 주: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북서부권 취업 여성 중 3년 이내 사직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3.5%임. 이들 중 이직 이나 전직, 또는 창업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냥 쉴 예정이라는 응답이 46.4%로 나타 남. <그림 3-29> 북서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94

149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3-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있음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3-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쉴 예정이다 이직 전직을 할 것이다 창업을 할 것이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3) 정책요구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한 북서부권 취업여성들의 1순의 응답 결과 는 유연근무제 도입과 확대라는 응답이 2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조직문화 조성(19.2%), 연령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 (18.3%), 장시간 근로문화 개선(12.5%), 성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9.6%) 등의 순으로 나 타났음. <그림 3-30> 북서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95

15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연령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 성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 장시간 근로 문화 개선 유연 근무제 도입과 확대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 사용가능 조직문화 조성 시간 선택제 일자리 확대 직장,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 방과후 초등 돌봄 서비스 확충 경력개발 프로그램 지원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중 활성화 되어야 할 제도에 대한 북서부권 취 업여성의 1순위 응답결과는 출산전후휴가(21.2%), 육아휴직제(18.8%), 정시퇴근제(14.9%), 선택적 근로시간제(14.4%), 탄력적 근로시간제(13.9%)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런데 1순위와 2순위 복수응답처리 결과를 보면, 육아휴직제가 38.5%로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나타냈으 며, 다음으로 선택적 근로시간제(33.2%)와 탄력적 근로시간제(31.7%)에 대한 요구가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3-31> 북서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96

151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3-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출산 전후휴가 육아 휴직제 정규직 시간선택 근로 전환제 활성화 선택적 근로 시간제 탄력적 근로 시간제 원격 및 재택 근무제 정시 퇴근제 직원 가족대상 프로그램 지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다. 사업체 여성 일자리 수요 및 정책 요구 1) 사업체 인력난 현황과 인식 북서부권의 조사대상 사업체 중에서 인력부족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체는 25.3% 로 나타남. <그림 3-32> 북서부권 인력난 여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예 아니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97

15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북서부권 사업체에게 인력난을 격고 있는 직종을 질문한 결과 생산직이 37.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직(24.7%)과 단순노무직(24.7%), 전문직 (23.3%) 순으로 나타남. 경기도 전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비스직의 인력난이 다소 높은 것 (10.6%p)으로 나타남. <그림 3-33> 북서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관리직 (관리자) 전문직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기술직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사무직 (사무 종사자) 영업직 (판매 종사자) 서비스직 (서비스 종사자) 생산직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 노무직 (단순 노무 종사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앞서 인력난을 겪고 있는 북서부권 사업체가 인식하는 인력난 원인에 대한 1순위 응답결과 인력난을 겪는 가장 주된 이유는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의 문제(41.1%)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힘든 일을 기피하는 사회적 풍토(26.0%)와 사업장 위치나 교통문제 등 근로환경의 문제(16.4%)라고 응답한 비율도 높게 나타남. 98

153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그림 3-34> 북서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 문제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 등 회사 규모가 작아서 열악한 근로환경 힘든 일을 기피하는 사회적 풍토 불규칙 적인 업무 (프로젝트 수주 등)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해당 사업체에게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방법 1순위를 질문한 결과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을 개선한다는 응답이 47.9%로 가장 많았으며, 외국인 근로자 활용 (19.2%), 기존근로자의 근무시간 연장(11.0%) 등이 높게 나옴. <그림 3-35> 북서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99

15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 개선 기존 근로자의 근무시간 연장 파견 및 용역 근로자 활용 외국인 근로자 활용 다른 회사에 하청을 줌 생산설비 자동화 또는 사무 자동화 시간 선택제 일자리 사업 참여 특별한 방법이 없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 여성인력활용과 여성인력에 대한 인식 여성인력을 고용하는 주된 이유에 대한 북서부권 사업체의 1순위 응답 결과, 61.5%는 직무 의 특성상 여성인력이 더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20.5%는 성별과 무관한 능력 위주의 고용 때문이라고 응답하였음. 그 밖에는 단순 반복적인 업무가 많아서(11.1%), 주로 여성들이 지원을 많이 하기 때문에(4.5%) 순으로 나타났음. 1순위와 2순위 복수응답 처리 결과도 1순위 응답과 동일한 응답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여성들이 지원을 많이 하 기 때문이라는 항목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남. <그림 3-36> 북서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00

155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3-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직무의 특성상 여성 인력이 더 적합하기 때문에 성별과 무관한 능력 위주의 고용을 하기 때문에 단순 반복적 보조업무가 많아서 상대적 낮은 인건비로 채용이 가능해서 주로 여성 지원이 많기 때문에 기타 무응답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경력단절 여성 채용 경험이 있는 북서부권 사업체 대상 채용 이유에 대한 1순위 응답 결과, 특별한 구분 없이 채용한 것(42.4%)이라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 종 성격상 경력단절 여성에게 적합한 일자리라서(25.0%), 적합한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서 (14.1%), 경력단절 여성 인력의 업무 능력이 뛰어나서(9.8%), 단순 반복적 보조 업무가 많 아서(7.6%)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3-37> 북서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01

15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직종 성격상 경력단절 여성에 적합한 일자리라서 적합한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서 단순 반복적 보조 업무가 많아서 특별한 구분 없이 채용한 것임 일반적으로 남성에 비해 인건비가 낮아서 경력단절 여성 인력의 업무 능력이 뛰어나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을 두는 사안에 대한 북서부권 사업체의 1순위 응답결과 업무경력 이라는 응답이 52.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장기근속가능 여부(17.7%)로 나타남. 특히 1순위와 2순위 종합순위결과 상대적으로 장기근속 여부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이 증가 된 것으로 나타남. <그림 3-38> 북서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02

157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3-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장기근속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주로 채용하는 여성인력의 연령대에 대한 북서부권 사업체의 응답 결과, 20대 후반을 주로 채용한다는 응답이 29.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30대 초반 19.8%, 30대 후반 14.6%, 40대 초반 12.8%, 40대 후반과 50대 초반은 각각 7.6%순으로 나타남. 연령이 높아질수록 비율이 낮아지고 있으나, 특히 40대의 경우 40대 초반과 40대 후반에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 따라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가능성은 40대 후반부터 상대적으로 더 감소하는 것 으로 유추할 수 있음. <그림 3-39> 북서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03

15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여성인력이 주로 활용되는 직종에 대한 북서부권 사업체 1순위 응답 결과, 사무직에 주로 활용한다는 응답이 43.8%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서비스직(12.5%), 관리 직(11.5%), 생산직(10.8%), 전문직(10.1%) 순으로 나타났음. 1순위와 2순위 복수응답 처리 결과도 1순위 응답과 동일한 응답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성 인력이 주로 사무직에 활 용된다는 추가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남. <그림 3-40> 북서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04

159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3-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관리직(관리자) 전문직(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기술직(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사무직(사무 종사자) 영업직(판매 종사자) 서비스직(서비스 종사자) 생산직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 노무직 (단순 노무 종사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업무역량과 관련된 각각의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남성 직원 대비 여성 직원의 경쟁력을 질문하였음. 3점 이상 5점에 가까울수록 동일 직무에 종사하는 경우 남성에 비해 여성 종사 자의 경쟁력을 높게 평가하는 것임.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남성에 비해 성실성(3.38점)과 직업기초능력(3.32점)을 남성 직원 대비 가장 경쟁력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 로 근무시간 중 업무몰입도(3.25점), 조직 친화력(3.21점), 감정관리능력(3.13점) 등의 순으 로 나타났음. 이에 비해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2.74점)에 대해서만 남성에 비해 다소 낮 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3-41> 북서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단위: 점)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05

16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조직내 친화력 업적과 성과 직무능력 자기개발 노력 성실성 책임감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 근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 공동체 의식 감정관리 능력 일과 가정의 조화와 관리 직업 기초능력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단위: 점) 3) 여성 수요 집중 직종별 채용 희망 조건 조사 대상 사업체 중 사무직종이 있는 북서부권 사업체를 대상으로 사무직 여성 인력 채용 조건과 관련해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그림 3-42> 참조). - 사무직 여성 인력 채용 가능 연령대는 25-29세(62.2%)와 30-34세(56.9%)의 응답 비율 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35-39세(32.9%), 25세 미만(20.4%) 순으로 나타남. - 사무직 여성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은 업무경력(64.9%)인 것으로 나타 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장기근속 여부(18.2%)인 것으로 나타남. - 사무직 여성 월 지급 가능 급여로 과반수(52.4%)의 기업이 150~199만원이라고 응답했으 며, 그 다음으로 37.8%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함. 106

161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그림 3-42> 북서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사업체 <채용가능연령대>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점> <월지급 가능급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07

16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결혼여부 장기근속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100 ~ 149만원 ~ 199만원 ~ 249만원 ~ 299만원 만원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조사 대상 사업체 중 서비스직종이 있는 북서부권 사업체를 대상으로 서비스직 여성 인력 채용 조건과 관련해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그림 3-43> 참조). - 서비스직 여성 인력 채용 가능 연령대는 25세부터 54세까지 대략적으로 40% 안팎으로 비 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50대 초반까지도 32.5%로 경기도 평균에 비해 연령에 대 한 수용 가능성이 높게 나타남. - 서비스직 여성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은 앞서 사무직과 마찬가지로 업무 경력(48.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용모, 인상(19.3%), 태도(12.0%), 장기 근속 여부(9.6%)순인 것으로 나타남. - 서비스직 여성 월 지급 가능 급여로 51.8%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35.3%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함. 108

163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그림 3-43> 북서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채용가능연령대>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점> <월지급 가능급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09

16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시 중시하는 점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나이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장기근속 가능여부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100 만원 미만 ~ 149만원 ~ 199만원 ~ 249만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생산직이 있는 북서부권 사업체를 대상으로 생산직 여성 인력 채용 조건과 관련해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그림 3-44> 참조). - 생산직 여성 인력 채용 가능 연령대는 35-39세(57.6%)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40-44세(45.8%), 30-34세(43.2%), 45-49세(25.4%), 25-29세(24.6%)등 순으로 나타 나, 30대를 선호하나 40대까지를 채용 가능한 연령대로 인식하고 있음. - 생산직 여성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은 업무경력(38.1%)과 장기근속 여 부(38.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태도(9.3%)등 순인 것으로 나타났음. - 생산직 여성 월 지급 가능 급여에 대해서는 45.8%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 했으며, 그 다음으로 44.1%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함. 110

165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그림 3-44> 북서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채용가능연령대>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점> <월지급 가능급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11

16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나이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장기근속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100 만원 미만 ~ 149만원 ~ 199만원 ~ 249만원 ~ 299만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4)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 및 이용현황과 협력희망 여부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에 대한 북서부권 사업체의 응답 결과, 알고 있다는 응답이 41.3%로 나타났음.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의 경우 인터넷이나 홈페이지(39.5%)와 여성 인력개발기관의 직접적인 홍보를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37.0%)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관공서 안내(10.1%), 홍보지, 현수막 등의 지면광고(7.6%), 주변사람들의 소개와 안내(4.6%), 신문, 방송매체(2.5%) 순으로 나타남. 112

167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그림 3-45>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알지 못함 알고 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홍보지, 현수막 등의 지면광고 여성 인력개발 기관의 홍보 (전화 또는 방문) 인터넷, 홈페이지 주변 사람들의 소개, 안내 관공서 (주민 센터, 일자리 센터, 복지관 등) 안내 신문, 방송매체를 통해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13

16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여성인력개발기관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를 대상으로 사업별로 협력 경험 여부를 질 문한 결과,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사업(26.9%)과 구인신청 및 구직여성 추천(17.6%)이 라는 응답이 높은 비율을 차지함. <그림 3-46>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구인 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 기업체 재직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새일인턴 지원사업 여직원대상 교육 및 멘토링, 간담회 여성친화기업 컨설팅 여성 채용 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14

169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에 대한 북서부권 사업체의 응답 결과, 채용장려금 등 정부정책에 대한 정보제공(37.5%), 구인신청 및 구직여성추천(35.4%),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30.2%), 새일인턴지원사업(24.7%), 기업체 재직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23.3%),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2.6%)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3-47>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구인 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 기업체 재직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새일 인턴 지원사업 여직원대상 교육 및 멘토링, 간담회 여성친화기업 컨설팅 여성 채용 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15

17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라. 시간제 일자리 인식 및 정책 요구 1) 미취업여성의 시간제 취업욕구 북서부권에 사업체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이 선호하는 근로 형태는 전일제 근로가 54.3%, 시간제 근로가 35.9%, 상관없음 9.9%로 나타남. <그림 3-48> 북서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3-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전일제 근로 시간제 근로 상관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시간제 근로를 희망하거나 무관하다고 응답한 경우, 시간단축제와 요일제 중 선호하는 형태 를 질문한 결과 시간 단축형에 대한 선호가 76.5%로 높게 나타남. <그림 3-49> 북서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16

171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3-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요일제 시간 단축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시간제 일자리를 희망하거나 무관하다고 응답한 구직 여성들에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 었거나 겪게 될 것으로 생각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질문한 결과,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구인정보 부족(33.3%)과 원하는 시간대 일자리 부족(29.4%)이라는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 남. 타 권역에 비해 출퇴근 교통수단의 문제(15.7%)라는 응답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 남. 1순위와 2순위를 종합한 결과도 1순위 응답과 비슷한 응답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나, 원 하는 시간대 일자리 부족(60.8%) 문제에 대한 응답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즉 구직자 입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의 시간제 일자리 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3-50> 북서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17

17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3-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구인정보 부족 출퇴근 교통수단 문제 시간제 일자리의 고용 불안정 문제 원하는 시간대 일자리 부족 원하는 직종의 일자리 부족 취업 후 전일제 근로자와 차별 문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 여성근로자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 요구 북서부권 여성 근로자들의 시간선택제 관련 전환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2가지 형태의 질문 을 하였음. 우선 동일한 직무와 근로조건이 보장될 경우, 근로 시간을 일일 2시간 줄여주는 것과 근로시간 일일 2시간에 해당되는 임금을 인상하는 것 중에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를 질 문하였음. 조사 결과 시간단축을 선호하는 경우가 41.8%와 임금인상 선호 58.2%로 나타남. <그림 3-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3-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근로시간을 2시간 줄여주는 것을 선호 근로시간 2시간에 해당되는 임금을 인상해주는 것을 선호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다음으로 동일한 업무를 지속하되, 시간당 임금 수준과 근로조건이 동일할 경우 정규직 시 118

173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간선택제로의 전환의사를 질문하였음. 북서부권역 여성 근로자의 응답 결과 전환하지 않겠 다는 비율이 전체 응답자 중 43.8%였으며,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56.3%에 달했음. 전 환할 경우 요일제 전환의사는 전체 응답자 중 33.7%였으며, 시간단축제 전환의사는 22.6% 로 나타났음. <그림 3-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3-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전환할 의사가 없음 현재 주5일 근로에서 주3일 근로 형태로 전환할 의사가 있음 현재 일일 8시간 에서 일일 6시간 근로 형태로 전환의사 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3) 사업체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 가능성 향후 2년 이내에 시간제 근로자를 채용할 계획에 대해 질문한 결과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업체가 52.1%로 과반수를 넘었으며,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39.6%이고, 계획이 있 다고 응답한 사업체는 8.3%에 불과함. 119

17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3-53> 북서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채용계획 없음 아직 잘 모르겠음 (시간제 채용 경험 없음) ~4인 ~9인 ~29인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고용노동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정책을 이용하여 시간선택제 직원을 채용할 의향이 있 는지 조사한 결과, 없음이 51.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잘 모르겠음(33.7%), 있음 (14.9%) 순으로 응답함. <그림 3-54> 북서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20

175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3-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있음 없음 잘 모르겠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시간선택제 직원을 채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인건비 지원 을 받아 시간선택제로 직원을 채용하고자 하는 주된 이유를 물어본 결과, 채용지원금을 활 용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라고 답한 비율이 48.8%로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다음으 로 전일제 부족인력 충원으로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서(32.6%)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 았음. <그림 3-55> 북서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3-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구분 북서부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인건비를 절감하고자(채용지원금 활용) 인력난을 해소하고자(전일제 부족인력 충원) 피크타임의 업무를 분산하고자 장시간 근로문제를 해결하고자 우수한 여성인력 확보를 위해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21

17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5.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가.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일반환경) 북서부권역의 고양, 파주, 김포는 경기 북부 지역 중 인구 유입과 발전 가능성이 높은 시군임. 고양시는 킨텍스와 방송영상 사업 분야 등 서비스업 비중이 매우 높고, 김포 시는 아라뱃길 등을 중심으로 물류 단지가 들어서고 있으며, 파주시는 출판단지와 대규모 아울렛과 연계된 관광 분야 일자리 확대가 기대됨.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북서부권역에는 각 시군별로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고양시는 여성근로자복지센터와 여성인력개발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김포와 파주의 새일센터는 2015 년에 지정을 받았으며, 2015년 12월 현재 고용+ 센터에 함께 입주된 형태임. 지역별로는 파주의 경우 고용+형 새일센터로 파주시 북단에 위치하고 있어, 파주시 남부권 여성 구직자 들은 고양시 서비스 체계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이미 기반이 확고 한 고양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김포와 파주 새일센터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전략 이 필요함. 특히 고용서비스는 이용자의 접근성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행정구역 중심에서 벗 어나 이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한 협력적 연계 서비스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북서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 훈련과정은 총 34개 과정으로 이 중 사무회계 과정이 총 19개 과정으로 50% 이상을 차지 함. 사무, 회계 관련 과정과 사회복지 분야는 2014년 대비 2015년 양성훈련 필요 인원을 상 향조정하였음(<표 2-18> 참조). 특히 사무, 회계 관련 과정은 인력 공급이 부족할 뿐만 아 니라 숙련부족 비율이 높기 때문에 기업이 요구하는 숙련 수준과 그에 맞는 과정으로 운영 할 필요가 있음. (여성경제활동상태) 북서부권역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46.6%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 음. 북서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408,943명이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 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은 60.3%에 달하고, 직장을 그만 둔 이유로는 개인, 가족관 122

177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련 이유라는 응답이 61.5%에 달함. 나. 북서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사업체 취업희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사 회적 경제기업 취 창업 희망 비율(32.3%)이 높게 나타남. 미취업 여성의 경우 구직 시 임 금 수준에 대한 고려(34.4%)와 함께 일 가정 양립 가능한 근무 여건(33.3%)에 대한 고려 비율이 높게 나타남. 미취업 여성 중 49.5%의 미취업 여성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2015년 신규 새일센터 사업 지정을 받은 김포(56.4%)와 파주(62.5%)의 교육훈련 참 여 의향이 높게 나타남. 직업훈련기관 중 공공훈련기관(41.8%)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여성교육훈련기관(27.7%)으로 나타남. 상대적으로 김포시 미취업여성의 경우 여 성직업교육훈련 기관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남. 취 창업을 위한 정책 요구 조사 결과, 취 창업 관련 정보제공(40.0%)과 취업처 및 인턴제 소개(26.3%), 직업 교육훈련(19.3%) 순으로 나타남. 여성교육훈련기관을 이용 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58.6%로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취업여성들의 일자리 만족도는 3.66점으로 경기도 평균 3.59점 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냄. 상대적으로 파주시 여성취업자 만족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나, 3.59점 으로 경기도 평균 수준임. 업무량과 워킹맘에 대한 이해 부족에 대한 스트레스가 보통 수준 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는 3점 이하를 나타냄. 남성 직원 대비 여성 자신의 경쟁력을 비 슷하거나 다소 높게 인식함.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식(3.9점)하고 있었 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13.5%였으며, 그 중 46.4%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향후 경력단절예방과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와 관련해서는 모성보호제 123

17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도 관련 요구와 다양한 유연근로제도 활성화 요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남. 한편으 로 정시 퇴근에 대한 요구도 14.9%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일 가정 양립과 일과 삶의 조화 를 위한 근로문화 개선과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한 사업과 캠페인은 지속적으로 추진될 필요 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사업체 정책 수요) 북서부권역 사업체 중 25.3%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인력난을 겪는 직종으로 생산직(37.0%) > 서비스직, 단순노무직(24.7%) > 전문직(23.3%) > 기술직 (16.4%) 순으로 나타남. 인력난을 겪는 이유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 때문이라고 인식 하는 비율은 16.4%였으며, 지역별로는 고양시에 비해 김포시나 파주시 사업체의 응답 비율 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2.7%로 매우 낮은 수준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과 장기근속여부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율이 높았으며,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29.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사무직 여성인 력 활용 비율이 43.8%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음. 특히 북서부권역 사업체는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을 제외하면 모든 항목에서 여성 직원이 더 우수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음. 다만 기업의 요구를 고려하여 구직여성에 대한 기업 맞춤형 정보 제공 노력이 요구됨.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1.3%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6.9%)과 구인구직 알선(17.6%)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협력 희망 비율 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37.5%) > 구인구직 알선(35.4%) > 기업 환경개선금 지원사업(30.2%)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 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 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5.9%로 나타났으나, 시간제 채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8.3%,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14.9%에 불과함. 뿐만 아니라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 한다는 응답 비율이 41.8%였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56.3%에 달하고 124

179 제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있어, 사업체에 취업한 여성 근로자 중 거의 과반수는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 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 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다. 향후 추진 과제 고용서비스 기관 간 협력 강화 : 여성고용 서비스 효율화 전략 - 고양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김포시와 파주시 새일센터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수요 자의 접근성과 센터별 특화과정에 대해 기초한 상시 협력체계 구축 접근성을 고려할 때 파주출판 단지 관련 사업은 고양시에서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참여자는 행정 구역 경계 없이 함께 모집 여성인력개발센터나 설치운영 역사가 긴 새일센터를 거점(멘토기관)으로 하여 직업훈련과정 분야의 계 열성을 고려한 직업교육훈련과정 기획 운영 기관 간 협력과 연계를 위한 권역 내 새일센터 팀장급 상시 간담회 개최 경력개발형 새일센터 특성화 강화 경기도 여성 창업지원을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 유치 : 창업 지원 강화 - 다른 권역에 비해 창업 희망 비율이 32.3%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경기도 민선 6기가 확충하고자 하는 여성 전용 코워킹 스페이스 사업인 꿈마루 사업 유치를 통해 여성 창업 지원 강화할 필요가 있음. 접근성과 창업지원 인프라를 고려하여 고양시에 여성전용 코워킹스페이스 유치 온라인 창업과 콘텐츠 관련 창업 활성화 지원 (공통) 여성 취업자 대상 고용유지 지원 사업 강화 : 전직 지원 강화 - 다른 권역에 비해 여성인력에 대한 사무직 활용비율이 높고, 남성 직원 대비 여성인력의 경쟁력을 다른 권역에 비해 높게 평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경력단절 위험이 내포되어 있 125

18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어, 이들을 위한 경력개발과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고양시 여성근로자복지센터를 고용유지 지원 사업의 거점기관으로 지정 향후 경기도 차원의 프로그램개발 및 지원 사업 우선 추진 등 (공통) 시간선택제 일자리 발굴 및 고용서비스 강화 : 시간선택제 일자리 발굴단 운영 - 미취업여성과 취업여성 모두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요구가 높기 때문에 수요처 발굴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대한 이해와 구인처 정보 구축 시,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인식 및 향후 발굴 가능성 등과 관련한 정보를 기입하고, 구직여성 정보 구축 시에도 시간 선택제 일자리 선호 및 희망 근로 시간대 등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여 향후 고용 서비스 제 공 시 활용가능 하도록 함. 초기 상담 시트 작성 시 관련 정보 기입 경기도 특화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사업과의 협력 체계 강화 126

181 제 4 장 북동부권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북동부권 일반 현황 2.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3. 북동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4.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수요분석 5.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182

183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북동부권역 일반 현황 가. 인구지리학적 특성 1) 교통 및 지리적 특성 북동부권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로 구성되어 있 으며 북동부권 면적은 2,481km2(의정부시 81km2, 양주시 310km2, 동두천시 95km2, 포천시 826 km2, 연천군 675km2, 남양주시 458km2, 구리시 33km2)임. - 북동부권 지역은 교통축을 따라 선형의 시가지가 남북개발 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신규택 지개발지역도 기존 시가지와 연계된 신시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있음(경기개발연구원, 2014). 특히, 북동부권역은 성장 동력이 될 만한 사업기반이 부족하며 광역기반시설이 미 비하고 개발 규제, 산악지형 조건 등으로 인한 시가지 분절과 도농형 도시구조로 통합도 시성장에 제약이 있는 상황임. - 최근 경기북부지역개발 활성화로 철도 등 광역 교통망 개선 및 미군부지 이전 등으로 개발 잠재력이 증대되고 있으며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공동주택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 고 있는 상황임. <그림 4-1> 북서부권 129

18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동부권 전체 면적의 24.1%가 도시지역임. 도시지역 중 주거지역(96.3km2), 상업지역(6.7 km2), 공업지역(7.9km2), 녹지지역(489.4km2), 미지정지역(0.4km2)으로 나타남. - 의정부, 양주, 동두천시의 경우 미군 공여지가 상당수 있어 공간적, 기능적 제약으로 공업 지역이나 상업지역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음. - 남양주시의 경우 산악지형과 도농복합형태의 시로 녹지지역이 도시지역의 많은 부분을 차 지하고 있으며 최근 택지개발로 주택이 주거지역이 많은 것으로 보임. - 그밖에 연천군, 구리시, 포천시는 적은 인구밀도를 지니며 여타지역에 비해 상업지역과 공 업지역의 발전이 미비함. <표 4-1> 북동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단위: km2) 구분 도시 지역 전체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미지정지역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자료: 통계청(2014), 도시계획현황 교통체계로 경원선을 통한 철도교통과 국도 3호선이 있으나 제2외곽순환도로, 국지도 39호 선이 계획되어 있으나 전체적으로 고속도로, 지역간도로 등 광역연계교통이 미비함. - 의정부시의 경우 수도권전철 1호선과 서울도시철도 7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여타 수도권지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편임. 동두천시의 경우 전철역사는 지행역, 동두천 중앙역, 보산역, 동두천역, 소요산역 등 5개 전철역이 운행 중에 있음. - 포천, 구리시는 구리-포천 민자 고속도로와 서울~춘천 간 민자 고속도로와 연계되는 수 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개통이 예상됨. - 남양주시는 경춘선(6개역)과 중앙선(6개역)이 지나고 있고 향후 진접선(4호선) 및 별내선 (8호선) 연장 계획이 진행 중임. 130

185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2) 인구학적 특성 북동부권 총인구는 2014년 기준 1,755,016명으로 경기도 인구의 14.2%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 880,826명 여성 874,190명으로 여성비율은 49.8%로 나타남. 면적대비 인구밀도는 낮은 편임. <표 4-2> 북동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단위 : 명, %)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북동부 1,755, , , 의정부시 431, , , 양주시 202, ,688 99, 동두천시 97,595 48,789 48, 포천시 155,798 81,502 74, 연천군 45,363 23,475 21, 남양주시 636, , , 구리시 186,820 93,217 93, 자료: 통계청(2014), 주민등록인구 북동부권 인구는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 선을 보이기보다는 원만한 추세로 인구가 급 증하고 있지는 않고 비슷한 추세로 지속되고 있음을 알수 있음. <그림 4-2> 북동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단위 : 천명) 자료: 통계청(각 년도), 주민등록인구 131

18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동부권 2014년 순 이동 인구를 보면 양주시, 남양주시는 각각 2.2천명, 15천명으로 인구 가 유입된 반면 동두천시(0.1천명), 포천시(0.8천명), 연천군(0.3천명), 구리시(3.6천명)이 빠져나간 것을 알 수 있음. 양주와 남양주시의 경우 최근 택지 개발을 통한 대규모 주거지 역이 형성됨에 따라 유입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음. <그림 4-3> 북동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2014) (단위 : 천명) 주: 순 이동은 총 전입에서 총 전출을 뺀 값을 의미함. 자료: 통계청(각 년도), 주민등록인구 북동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40-49세 인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의 경우 60세 이상 여성인구가 여성 인구중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반면 의정부시, 남양주시, 구리시의 경우 상대적으로 30대, 40대 여성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표 4-3> 북동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단위 : 천명) 구분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14세 이하 세 세 세 세 세 세이상 자료: 통계청(2014), 주민등록인구 연앙인구 132

187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나. 경제동향 및 산업특성 1) 경제동향 북동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를 살펴보면 의정부시가 6,096,771백만원으로 권역 내 총생산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다음으로 남양주시(5,766,444백만원), 양주시 (3,893,859백만원), 포천시(3,796,606백만원), 구리시(3,187,913백만원), 동두천시(1,386,383), 연천군(890,593백만원) 순으로 나타남. 지역내 총생산을 인구수에 따라 1인당 생산액으로 산정했을 때 포천시가 24,166천원으로 가장 1인당 생산액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4-4> 북동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단위 : 백만원, 천원, %) GRDP(백만원) 1인당 생산액(천원) 경기도내 구성비 의정부시 6,096,771 14, 양주시 3,893,859 19, 동두천시 1,386,383 14, 포천시 3,796,606 24, 연천군 890,593 19, 남양주시 5,766,444 9, 구리시 3,187,913 16, 자료: 통계청(2012),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 의정부시는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이 제정됨에 따 라 8개 지역 중 5개 지역은 월 반환되어 경기북부광역행정타운, 공원, 교육, 각 종 공공시설, 레포츠시설, 을지대학교 의정부 캠퍼스 및 부속병원 조성 등의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나머지 3개 지역은 2016년 이후 반환이 예정되고 있어 북부지역의 핵심 행정 타운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음. 양주시는 산업단지 조성사업 총 10개소 2,462,415m2에 대하여 추진 중이며, 2014년 현재 7개소의 일반산업단지 1,110,058m2가 조성 완료되어 6개소는 분양이 완료되었고 홍죽산업 단지는 분양 중에 있음. 운암산업단지는 2012년부터 조성 중에 있어 향후 북부지역의 신성 장 복합 산업단지로서의 발전이 큰 상황임. 133

18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두천시는 반환 공여지를 활용한 Science park, 리조트, 소요산관광지를 거점으로 박찬호 야 구공원, 생태마을, 산악리조트 조성 등 자연환경을 이용한 관광사업 활성화 도모 하고 있음. 포천시는 최근 개발 중인 민자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대형마트 등의 유통 시설업체의 입지 조 건을 유리하게 하여 물류자원발굴과 서비스시설 유치에 힘쓰고 있음. 연천군은 군사시설보호법에 의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시설보호구역은 총 km2 로서 총면적의 98%를 차지하고 있어, 군부대 동의 없이는 자택 수리조차 못하는 제한보호 구역은 군전체면적의 64%에 달해 소규모사업에서 대규모 개발 사업 추진이 어려운 상태에 처해 있음 남양주시는 경춘선과 중앙선이 지나고 있고, 진접선 및 별내선 연장이 진행 중에 있어 추후 서울과 경기북부를 잇는 거점이 될 수 있음. 구리시는 군사시설보호구역, 문화재구역, 개발제한구역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개발 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 갈매보금자리지구 등 주거시설이 확대됨에 따라 인구의 유 입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임. 2) 산업구조 북동권역의 산업구조는 경기도 전체 산업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서비스업이 가장 많은 비중 을 차지하고, 제조업, 건설업 순으로 나타났으나 다만 북동부권 내 시군 간 산업구조의 차 이가 있었음. 의정부시의 경우 서비스업이 전체 산업의 9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 (5.2%), 건설업(2.8%)순으로 나타남. 의정부시는 서비스업 중 도매 및 소매업이 6,206개, 숙박 및 음식점 업이 4,762개로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양주시는 서비스업이 전체 73.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제조업(23.5%), 건설업(3.0%)순으 로 나타남. 양주시의 제조업은 3,448개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업의 도매 및 소매업 다음으로 높 은 사업체수를 보임. 134

189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동두천시는 서비스업이 전체 90.7%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제조업(6.3%), 건설업(2.9%)순으 로 나타남. 동두천시의 서비스업중 도매 및 소매업이 1,513개소로 가장 많은 사업체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제조업보다 약 5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남. 포천시는 서비스업이 전체 67.7%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다음으로 제조업(29.8%), 건설업 (2.4%)순으로 나타났음. 포천시 제조업 사업체수는 4,743개소로 북동부권 내의 시군 중 가 장 많은 제조업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연천군은 서비스업이 85.9%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다음으로 제조업(8.0%), 건설업(5.7%) 순으로 나타났음. 연천군은 북동부권 중 가장 적은 사업체 수를 가지고 있는 지역인 반면 농업, 임엄, 어업 사업체가 12개소로 북동부권 중 2번째로 많고 농업, 임업, 어업종사자수 가 211명으로 북동부권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남양주시는 서비스업이 83.4%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다음으로 제조업(13.8%), 건설업 (2.7%)순으로 나타났음. 북동부권 중 도매 및 소매업 사업체 수가 6,840개소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구리시는 전체 산업 중 91.9%가 서비스업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제조업(5.0%), 건설업 (2.9%)로 나타남. <그림 4-4> 북동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주: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보험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기타서비스 업의 12개 대분류 업종을 포함함. 자료: 통계청(2013), 전국사업체조사 재분석 135

19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동부권 총 사업체수는 107,471개소로 나타났으며 종사자수는 475,832명으로 나타났음. 그중 여성 종사자는 213,393명으로 나타남. 시군별로 여성종사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남양 주시로 57,252명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의정부(55,577명), 포천시(28,142명), 구리시 (27,641명), 양주시(26,515명)등 순으로 나타남. 북동부권 업종별 여성종사자 비율을 살펴보면 서비스업의 경우 전반적으로 여성종사자 비율이 전체 종사자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정부시의 경우 제조업 여성 종사자 비율이 동두천시의 경우 농림어업 여성종사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음. <표 4-5> 북동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구분 사업체수 총 종사자수 (단위 : 개소, 명) 종사자 성별 남성 여성 북동부 107, , , ,393 의정부시 24, ,862 51,285 55,577 양주시 14,652 71,406 44,891 26,515 동두천시 5,987 25,500 12,710 12,790 포천시 15,939 78,612 50,470 28,142 연천군 3,559 13,009 7,533 5,476 남양주시 30, ,405 68,153 57,252 구리시 12,677 55,038 27,397 27,641 자료: 통계청(2013), 전국사업체조사 재분석 <그림 4-5> 북동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자료: 통계청(2013), 전국사업체조사 재분석 136

191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2.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가. 고용서비스 기관 현황 의정부시에는 여성고용서비스기관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근로자복지센터, 고용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의정부시에는 직영으로 운영되는 경기북부 광역 여성새로일하기센터와 의 정부 YWCA의 위탁 운영되는 의정부 여성새로일하기센터가 있으며 유형은 일반형임. 의정 부 고용센터의 경우 관할지역이 양주시, 의정부시, 포천시를 관장하고 있음. 동두천시에는 고용센터의 경우 고용복지플러스센터로 운영 중에 있으며 관할지역은 동두천 시, 철원군, 연천군으로 현재 여성새로일하기센터가 같이 운영되지 않고 있음. 남양주시에는 여성고용서비스기관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고용복지 플러스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 남양주 여성새로일하기센터는 YWCA에서 위탁 운영되는 남양주 여성새로일하기센터가 있으며 현재 남양주 고용복지플러스센터가 운영되고 있어 하나의 장소에 고용센터와 함께 입주해서 운영되고 있음. - 남양주 고용센터 관할지역은 남양주시(가운동,도농동,별내동,별내면,수석동,와부읍,조안 면,지금동 제외)을 관장하고 있음. 구리시에는 고용센터가 위치해 있으며 구리시, 남양주 시 일부지역(가운동,도농동,별내동,별내면,수석동,와부읍,조안면,지금동)을 관장하고 있 음. <표 4-6>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권역 북동부권 시군명 여성새로일하기 여성인력개발 여성근로자복지 센터 센터 센터 고용센터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고용복지플러스센터) 구리시 137

19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나. 일자리 정책 및 사업 현황 북동부권 일자리 정책은 고용노동부 지역고용정보 네트워크 공시현황에 게시된 종합계획을 토대로 분석하였음. 정부부문을 중심으로 직접일자리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창업지원을 각 시군별로 분석하였음. <표 4-7> 북동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의정부시 사회적기업육성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취약지방역소독사업 마을기업육성 요보호아동홈그룹형태보호 말라리아위험지역방역사업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아동복지시설운영 민원접수및상담 공공근로일자리사업 아동복지시설아동학습활동지원 암조기검진사업 저소득층자활근로사업 입양기관운영 예방접종사업 가사간병방문도우미사업 여성근로자복지센터운영 예방접종등록센터운영 지역자활센터지원 여성자원활동센터운영 난임부부지원사업 종합사회복지관종사자지원 가정폭력상담소운영 영양플러스사업 노숙인종합지원센터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운영 금연클리닉운영사업 노숙인일시보호소운영 성매매피해상담소운영 대사증후군관리사업 의정부노인종합복지관운영종사자지원 장애인성폭력상담소운영 구강보건사업 송산실버문화센터운영종사자지원 아이돌보미사업지원 취약계층건강사례관리(2015년부터) 신곡실버문화센터운영종사자지원 지역아동센터운영지원 치매관리사업(2015년부터) 재가노인복지시설종사자지원 아동복지교사지원(사회적일자리) 만성질환관리사업(2015년부터)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저소득층아동학습도우미 생활체육지도자배치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미혼모자시설운영 직동및곤제축구장민간위탁관리 노인일자리(자살예방센터)사업 건강가정지원센터운영지원 환경개선부담금내검보조원채용 노인일자리(시니어클럽)사업 다문화가족지원센터운영지원 생태계교란야생식물제거 노인일자리사업 드림스타트센터운영 공원유지관리인부사역 장애인주간보호시설운영종사자지원 경력단절여성취업지원 산림병해충예찰,방재단운영 장애인단기보호시설운영종사자지원 보육시설종사자인건비지원 산림병해충방제원인부사역 공동생활가정(YMCA)운영종사자지원 0세아전용시설운영 숲길조사관리원인부사역 장애인복지일자리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운영 산불감시원사역 장애인일반형일자리행정도우미지원 청소년상담복지센터운영 산불전문예방진화대운영 중증장애인활동지원 청소년쉼터운영지원 산지정화감시원사역 초화식재지유지관리인부사역 청소년수련시설지도사배치지원 지역사회복지협의체운영 도시녹지관리원사역 의정부시혁신교육지구사업 자원회수시설안정적운영관리 불법주,정차CCTV단속보조원채용 도로명주소시설물조사 재활용품선별및관리 138

193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의정부시 개별공시지가토지특성조사 민원안내도우미채용 사회복지통합서비스전문요원채용 출산대체인력채용 지역농업기술정보화사업 공중화장실관리 직장보육시설(의돌이어린이집)운영 야생화육묘및식물원관리 하천공원화구역청소관리 새마을이동도서관 농업기술센터교육관운영지원 어린이독서문화활성화 대학생아르바이트실시 공공도서관연장개관사업 개별주택가격조사 자원봉사센터운영 책읽는도시의정부추진 사업체통계조사원채용 자원봉사코디네이터 과학도서관자료실운영 과학영농시설운영지원 상수도시설물제초작업 정보도서관연중확대개관 도로변제초작업 기부식품등제공사업 사회복지사채용 경기도민생활및의식조사 조사원채용 14년(비순응결핵환자관리), 15년(보건소등결핵환자관리) 장애인공동생활가정(장애인부모회) 운영종사자지원 의정부시장애인종합복지관 운영종사자지원 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시설 안정적운영관리 생활폐기물수집,운반처리 직장운동경기부(빙상,사이클팀) 청소대행사업 합숙소운영 행복로기간제근로자청소관리 양주시 육아휴직대체사업 지역사회복지협의체운영 체험관광농원 조성 중요기록물DB구측 장애인일자리창출 농촌지도사업운영지원 사업체 조사 및 양주시사회조사 자활근로사업 관광농업육성운영지원 청소년공부방지원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유용미생물 이용 새기술 보급 청소년지도사배치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 친환경 미생물 배양실 운영 청소년동반자(상담센터) 결혼이민자 통번역 서비스 지역농업기술보급 정보화 학교밖 청소년지원 아동복지 교사 지원 선도농가 강소농 모델화 평생학습기능강화 드림스타트 마을 사업추진 마을정화개선사업 직장운동경기부 육성지원 정부지원국공립법인교직원인건비 RFID기반 음식물쓰레기종량제 사업 지역단위어르신 생활체육지도자운영 산불감시 및 보상 나무은행유지관리 장애인 생활체육 산불방지대책 학교숲코디네이터 지도자 운영 산림병해충 예찰단 운영 도시녹지관리원 문화재 관리 및 주변정리 산림재해 모니터링 홍죽산업단지 유지관리원 시립합창단 및 교향악단 운영 숲가꾸기 사업 사서업무 보조 및 도서관 운영 문화관광해설사 산림서비스 수목원코디네이터 공공도서관 야간연장 운영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전담관리원 낙농헬퍼요원육성사업 문화강좌 강사 일자리 지원 청사유지관리(조경) 임도관리원 운영 도로 및 도로 주변 등 청소관리 정보화마을 운영지원 둘레길조성사업 통합건강증진사업추진인력고용 농지이용관리 기간제 근로 환경개선부담금 시설물조사 예방접종사업 공공근로사업 생태계 교란야생식물퇴치사업 노인돌봄사업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난임부부 지원 무한돌봄센터운영 사회적기업 육성 농가도우미 농촌체험 마을사무장 지원 일자리센터컨설턴트 농업기계 대여은행 설치 및 운영 목화공원조성 및 관리 마을기업 육성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139

19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두천시 개별공시지가 조사산정사업 장애인일자리사업 경기도 사회조사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장애아동가족지원사업 인구주택총조사사업 자활근로사업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운영사업 사업체조사 공공근로사업 산불방지대책 추진사업 보산동관광특구 관리사업 자원봉사코디네이터 지원사업 공공산림가꾸기사업 지역아동센터 운영사업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산림병충해 예찰방제사업 노인일자리 지원사업 감염병 및 말라리아 예방관리사업 임도 및 MTB코스관리사업 노인돌보미바우처사업 여성취업지원서비스 운영사업 산림서비스도우미사업 CCTV관제센터 운영 시립도서관 자료실 개관시간 연장사업 결혼이민자 통번역지원사업 장애인복지관 확대 및 장애인일자리확충 시민정보화사업 포천시 건강보건 및 복지지원사업 도서관운영사업 아동양육지원사업 공공근로 및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문화체육지원사업 청소년지원사업 교통 및 도로관리사업 사회적경제 지원사업 취약계층 일자리지원사업 농업지원사업 산림 및 공원화사업 하천 및 환경정화사업 연천군 정보화마을 프로그램관리자 육성지원 로하스파크 관리 및 숙박시설 운영 산불방지대책(산불감시원) 사업 저소득층자활근로자사업 산림병해충예찰방제단 국토공원화사업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공공산림 가꾸기사업 도시공원관리원 실버인력뱅크지원사업 산불방지대책(전문예방진화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사업 장애인일반형일자리사업 산촌생태마을운영매니저 은빛독서나눔이 일자리사업 장애인복지일자리사업 산림재해모니터링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장애아동가족지원사업 숲 해설가 사업 공공근로사업 장애인활동지원사업 숲길체험지도사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문화관광해설사육성사업 임도관리원 운영 과학영농시설 운영 선사체험마을 운영 국화와 함께하는 요상한 호박세상 생태계 교란야생식물 퇴치사업 물놀이 안전관리계도요원 운영 남양주시 공공근로 공원화사업 아동 청소년지원 사회적경제 하천정화 여성 문화 취약계층일자리 산림사업 방역사업 구리시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자활근로사업 장애인복지일자리사업 공공근로사업 노인일자리사업 복지연계여성일자리사업 행정일자리사업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140

195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동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은 다음과 같음. <표 4-8> 북동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평생학습 시민사회 교육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사업 섬유봉제분야 맞춤형인력양성 직업교육 훈련운영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취업지원 맞춤형 교육 정보화 교육 일자리센터 취업교육 문화관광 일자리센터 여성 교육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프로그램 해설사교육 운영 취업지원 도농여성교육 및 그린대학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지역맞춤형 일자리사업 여성새로일하 기센터 운영 농업전문 인력양성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예비사회적 여성교육훈련 취업지원 채용박람회 재직자과정 기업인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운영 개최 양성교육 바이오농업인 대학 운영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북동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는 다음과 같음. 연천군은 특별한 고용서비스가 없음. <표 4-9> 북동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 포천시 남양주 구리시 취업지원센터 일자리센터 일자리센터 일자리센터 일자리센터 현장중심일자리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센터운영 경력단절 여성새로일하기 맞춤형 취업박람회 개최 채용박람회 여성취업지원 센터 취업박람회 개최 결혼이민자 찾아가는 이동 노인복지관 등 취업지원 상담실운영 노인취업지원 채용박람회 개최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북동부권 시군별 창업지원은 다음과 같음. 포천시와 연천군은 특별한 창원지원은 없음. <표 4-10> 북동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창업보육센터 지원 소상공인 창업지원 사회적기업사업 창업보육센터 지원 사회적기업 육성 1인창조기업 시니어비즈플라자 섬유특화 창업보육센터지원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마을기업 육성 141

19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다. 여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수요 1) 여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분야별 운영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음. <그림 4-6>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단위: 개, 명) 과정분류 사업명 과정명 목표인원 시 군 컴퓨터(ITQ)활용전문가 22 의정부시 사무 중소기업회계전문가과정 22 포천시 회계 새일직훈 관리 무역사무원 24 의정부시 유통서비스실무원 22 의정부시 직업상담 교육연구 <표 4-11>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새일직훈 경기도 특화 (고학력고숙련) 새일직훈 직업상담사 과정 22 포천시 전직지원컨설턴트 24 동두천시 직업큐레이터 20 남양주시 직업상담사 20 남양주시 직업큐레이터 20 의정부시 직업큐레이터 20 포천시 창의수학 영재지도사 22 의정부시 생태체험 심리지도사 22 포천시 어린이영어 지도사 과정 22 남양주시 재활용공예 지도자 과정 22 남양주시 DIY 북스토리텔러 과정 22 의정부시 큐브수학 창의 지도사 과정 22 의정부시 142

197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과정분류 사업명 과정명 목표인원 시 군 경기도 특화 바리스타강사 20 남양주시 (고학력고숙련) 보드마스터과정 17 남양주시 사회복지 이미용 숙박 음식 문화 예술 디자인 새일직훈 경기도 특화 (고학력고숙련) 새일직훈 고용노동부 지역맞춤형 사업 노인생활지도원 과정 25 남양주시 유아교육 실무자 과정 25 남양주시 사회복지행정사무원 20 포천시 행복한 소통요리사쿡앤톡(결혼이민여성) 20 의정부시 한식조리사과정 22 포천시 헤어 실무자 과정 22 남양주시 한식조리사과정 20 포천시 헤어디자이너 19 남양주시 새일직훈 웹 디자인 실무자 과정 25 남양주시 경기도 특화 (고학력고숙련) 패션매니저 20 의정부시 섬유 및 새일직훈 섬유전문인력양성과정 20 포천시 의복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 2) 직업교육훈련예상 수요현황 북동부권 지역사업맞춤형 재직자 훈련 필요인원은 21,9153명으로 나타났고, 실업자를 위한 양성훈련예상수요는 308명으로 나타남. <표 4-12> 북동부권 시군별 인력채용현황(2015) (단위 : 명) 구분 양성훈련 예상수요 향상훈련 필요인원 북동부 ,915 의정부시 63 2,597 양주시 28 3,917 동두천시 16 1,306 포천시 82 6,432 연천군 남양주시 46 6,698 구리시 자료: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2015), 경기도 지역 정기 인력 및 훈련 수급조사 143

19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3. 북동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가. 여성 경제활동 상태 북동부권 2015년 상반기 기준 여성 생산 가능인구는 738.1천명으로 전체 생산가능인구의 50.8%를 차지함. 그중 여성경제활동인구는 331.5천명으로 나타났음. -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을 살펴보면 연천군이 48.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리 시(46.4%), 남양주시(45.7%), 포천시(45.6%), 의정부시(43.6%), 동두천시(43.3%), 양주 시(43.2%) 순으로 나타남. <표 4-13>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단위 : 천명) 구분 생산가능 인구 경제활동인구 전체 여성 전체 여성 북동부 1,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그림 4-7>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144

199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동부권 비경제활동인구는 614.8천명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여성인구는 406.6천명으로 나타났음. - 북동부권 시군별로는 남양주시 여성 비경제활동인구는 144.5천명으로 나타났고, 연천군은 9.6천명으로 나타나 권역 안에서도 인구규모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북동부권 여성 비경제활동 인구의 활동 상태를 살펴보면 가사가 70.9%로 가장 많았고, 육 아(16.5%), 연로(10.1%)등 순으로 나타나 북동권 여성 비경제활동인구의 대다수가 육아나 가사 등의 사유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 <표 4-14> 북동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시점 비 경제활동인구 전체 여성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단위 : 천명)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그림 4-8> 북동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145

20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나. 여성 취업자 특성 북동부권 여성 취업자는 318.3천명으로 전체 북동부권 취업자 중 39.6%를 차지함. 북동부 권 여성 고용률은 43.1%로 남성과 24.9%p 격차를 보임. - 시군별로 살펴보면 성별 고용격차가 가장 적은 곳은 연천군으로 20.4%p의 격차를 보인 반면 양주시는 고용률 격차가 28.1%p로 권역 내 가장 큰 격차를 보임. <표 4-15> 북동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단위: 천명, %) 구분 취업자수 고용률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전체 남성 여성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을 살펴보면 15-29세에서는 의정부시(44.0%), 30-49세는 연천 군(65.3%), 50-64세 역시 연천군(63.6%), 65세 이상은 연천군(28.4%)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용률을 보였음. <표 4-16>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구분 전체 15-29세 30-49세 50-64세 65세이상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146

201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동부권 여성 취업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혼인상태는 유배우가 63.0%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다음 순으로 미혼(23.4%), 이혼(7.6%), 사별(6.0%)순으로 나타남. 학력의 경 우 고졸이상이 44.2%가 가장 많았고, 다음 순으로 대졸이상(37.5%), 중졸(10.6%), 초졸 이 하(7.7%)순으로 나타남. <표 4-17> 북동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혼인상태 구분 전체 남성 여성 미혼 유배우 사별 이혼 초졸 이하 중졸 학력 고졸 대졸 이상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북동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를 살펴보면 남양주시가 141.1천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 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의정부시(99.4천명), 구리시(52.7천명)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4-9> 북동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단위: 천명)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취업자 종사산업을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교육서비 스업, 금융 및 보험업, 숙박 및 음식점에 여성 종사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147

20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 양주시, 의정부시, 포천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 났고, 연천군은 금융 및 보험업이, 동두천시, 남양주시, 구리시는 교육 서비스업이, 포천 시는 숙박 및 음식점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4-18> 북동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산업분류별 (단위: 명, %)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농업, 임업 및 어업 제조업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하수 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 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국제 및 외국기관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148

203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동부권 종사상 지위별 여성 취업자 비율을 살펴보면 무급종사자 중 여성이 87.9%로 무급 종사자 중 대다수는 여성임을 알 수 있음. 다음으로 임시근로자(57.1%), 상용근로자 (36.6%), 일용근로자(34.7%),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22.4%),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21.5%)순으로 나타났음. - 권역 내 시군별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의정부시 여성 상용근로자 비율이 37.1%로 상대적 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여성 임시근로자 비율도 61.0%로 의정부시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양주시의 경우 여성 일용근로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그림 4-10> 북동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종사상 지위별 <표 4-19> 북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 구리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무급종사자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149

20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동부권 여성 취업자 월평균 임금은 155.2만원으로 나타났고 남성에 비해 90.2만원 적은 것으로 나타남. 여성 취업자의 총 근로시간은 42.2시간으로 남성에 비해 5.1시간 적은 것으 로 나타남. - 시군별로 남성과 여성간 임금 차이가 가장 큰 격차를 보인 곳은 구리시로 107.2만원이나 여성 이 남성에 비해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남. 반면 포천시는 남녀 임금격차가 64.5천원 그쳤음. <표 4-20> 북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단위: 시간, 만원) 구분 총 근로시간 월 평균 임금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다. 여성 미취업자 현황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는 423,035명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그중 여성비율은 65.9%에 달함. <표 4-21> 북동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단위: 명, %) 구분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북동부 642, , , 의정부시 165,925 57, , 양주시 71,767 23,610 48, 동두천시 37,764 13,954 23, 포천시 55,378 20,879 34, 연천군 16,014 5,994 10, 남양주시 227,050 74, , 구리시 68,261 22,755 45, 주: 권역 시군별 미취업자수는 제2장 미취업 규모추정과 같은 정의에 의해 추출되었음.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150

205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앞서 북동부권 미취업여성 규모 추정을 바탕으로 북동부권 미취업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 보면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20-29세(22.6%), 학력별로는 고졸(38.4%)이, 그 리고 혼인상태별로는 유배우자(58.7%)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음. - 여성 미취업자는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20대가 22.6%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 (16.0%), 50대(15.0%), 40대(14.9%) 순임. - 학력별로는 여성의 경우 고졸이 38.4%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초졸 이하(24.6%), 대졸 이상(19.3%), 중졸(17.7%) 순으로 나타남. - 혼인상태별로는 유배우가 58.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미혼(22.1%), 사별(15.7%), 이 혼(3.5%) 순으로 나타남. 시군별 미취업 여성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의정부시, 동두천시는 50대, 고졸이 양주시 는 30대, 유배우가 포천시는 50대 초졸이 연천군은 60세 이상, 초졸이 남양주는 20대, 미 혼이, 구리시는 20대, 대졸이상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4-11>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연령별> <학력별> <혼인상태별>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151

20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22>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구분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20대 대 연령 40대 대 대 이상 초졸 이하 학력 중졸 고졸 대졸 이상 미혼 혼인상태 유배우 사별 이혼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 직업을 갖고 있었던 경우가 79.7%, 없었던 경우가 20.3% 로 나타남. 전직경험이 있는 미취업자 중 일을 그만 둔지 1년 미만 미취업자 비율은 13.6%, 1년 이상은 60.3%로 나타남. <그림 4-12>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표 4-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구분 1년 미만 1년 이상 없었음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152

207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중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 둔 사유를 살펴보 면 개인, 가족 관련된 사유가 58.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사(10.3%), 작업여건 불만 족(8.3%)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4-13> 북동부권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표 4-24> 북동부권 시군별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구분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개인, 가족 관련 사유 육아 가사 심신장애 정년퇴직, 연로 작업여건(시간,보수 등) 불만족 직장의 휴업, 폐업 명예, 조기퇴직, 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경영 악화 기타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주: 지역별고용조사에서 만 55세 이상은 직장을 그만둔 사유나 과거 직장에 대해 묻고 있지 않음. 따라서 20~54세 이 하 연령대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에 대해서만 분석함. 153

20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4.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가. 미취업여성 취업욕구 및 정책요구 1) 일자리 형태별 취업욕구 북동부권 미취업여성의 일자리 형태별 취업희망 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사업체 취 업희망자가 7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창업(30.9%), 사회적 경제기업 취 창업(19.3%), 프리랜서 입직(10.8%) 순으로 나타남. <그림 4-14> 북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사업체 취업 창업 프리랜서 입직 사회적 경제기업 취창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구분 사업체 취업 창업 프리랜서 사회적 기업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취업) 있음(창업) 없음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54

209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동부권 미취업 여성의 취업형태별 희망 소득은 창업이 월 평균 304.3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업체 취업의 경우 희망 소득 177.9만원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수 용 가능한 소득은 141.3만원으로 나타남. <그림 4-15> 북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단위: 만원) 수용 가능소득 사업체 취업 창업 프리랜서 사회적 경제 취창업 수용 가능소득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구분 희망소득 취업 창업 프리랜서 사회적 기업 수용가능 최저 소득 희망소득 희망소득 희망소득 (단위: 만원) 수용가능 최저 소득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55

21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2) 구직활동 북동부권의 미취업여성들이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1순위 결과 중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은 나타내는 요인은 임금 또는 수입(33.5%)과 가정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근무여건 (32.7%)으로 나타남. <그림 4-16> 북동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임금 또는 수입 가정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근무여건 안정적인 일자리 출퇴근 편의 장래 발전 가능성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56

211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동부권의 미취업여성들이 기업이 여성인력을 채용 할 때 중요시 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요 인에 대한 1순위 결과 나이(36.4%)와 업무경력(22.3%)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 러나 1순위와 2순위 종합결과는 업무경력(52.0%)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림 4-17> 북동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결혼여부 양육 아동 유무 장기근무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57

21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3) 직업교육훈련 욕구 북동부권 미취업여성 중 42.8%는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직업교육 훈련을 받는 목적은 취업을 위해서라는 응답 비율이 57.4%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림 4-18> 북동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있음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창업을 위해 (재) 취업을 위해 자격증 취득을 위해 기타 주: 동두천시와 연천군은 직업훈련 참여의향이 있는 응답자가 없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58

213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동부권 미취업 여성들의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은 강사 및 교육내용 전문성이라 는 응답이 39.1%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취업연계가능성(31.3%), 직업교육기관 인지도 (9.6%), 자격증 취득 가능성(7.0%)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4-19> 북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직업 교육기관 인지도 강사 및 교육내용 전문성 저렴한 교육비 취업 연계 가능성 자격증 취득 가능성 프로그램 운영 시간대 교육 기관과 집과의 거리 주: 동두천시와 연천군은 직업훈련 참여의향이 있는 응답자가 없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59

21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동부권 미취업 여성들이 직업교육훈련과정 선택 시 선호하는 훈련기관은 공공훈련기관이 53.0%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여성교육훈련기관(31.3%), 대학 또는 전문대학 부설기관 (9.6%) 순으로 나타남. <그림 4-20> 북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공공 훈련기관 대학 또는 전문대학 부설기관 여성교육 훈련기관 복지 및 문화시설 사설 학원 주: 동두천시와 연천군은 직업훈련 참여의향이 있는 응답자가 없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60

215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향후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에 대한 북동부권 미취업 여성들의 1순위 응답 결과 경영, 회계, 사무(16.5%), 사회복지 및 종교(15.7%), 음식 및 서비스(12.2%), 보건, 의료(10.4%), 교육 및 연구(9.6%)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4-21> 북동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경영, 회계, 사무 금융, 보험 교육 및 연구 보건, 의료 사회복지 및 종교 문화, 예술, 디자인, 방송 영업 및 판매 경비 및 청소 미용, 숙박, 여행, 오락, 스포츠 음식 서비스 섬유 및 의복 정보통신 관련 식품가공 관련 온라인 창업 과정 주: 동두천시와 연천군은 직업훈련 참여의향이 있는 응답자가 없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61

21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4) 정책요구 취업 또는 창업을 위해 직업 교육훈련 및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부터 가장 받고 싶은 서비스에 대한 북동부권 미취업 여성들의 응답 결과 취업 창업 관련 주요 업무에 대 한 구체적 정보가 52.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취업처와 인턴제 소개(20.4%), 직업교육훈 련(13.4%), 자신감 향상을 위한 상담지원(8.9%) 순으로 나타남. <그림 4-22> 북동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취업 창업 관련 주요 업무에 대한 구체적 정보 직업교육 훈련 취업할 곳과 인턴제 소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상담지원 직업의식 등 태도와 자질 교육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62

217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북동부권 미취업여성 중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65.8%로 다른 지역에 비해서 높은 참여 의향을 나타냄. <그림 4-23> 북동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있음 65.8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있음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나. 여성 취업자 인식 및 정책요구 1) 직장생활 관련 인식 북동부권 여성 취업자의 근로 만족도는 평균 3.50점임. 지역별로는 상대적으로 양주시 와 남양주시 여성 취업자의 만족도가 북동부권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반면, 동두천시 는 3.0점으로 권역 내 지역 중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음. 163

21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4-24> 북동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단위: 점) 북동부 평균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주: 5점 척도(1 매우 불만족, 2 대체로 불만족, 3 보통, 4 대체로 만족, 5 매우 만족)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북동부권 취업 여성 중 3점 이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항목은 워킹맘에 대 한 이해 부족(3.3점)과 업무량 과다(3.2점)로 나타남. <그림 4-25> 북동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단위: 점) 주: 5점 척도(1 전혀 받지 않음, 2 별로 받지 않음, 3 보통임, 4 약간 받음, 5 매우 받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164

219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4-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단위: 점)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업무량 과다 출퇴근 문제 직장 내 성차별 직원과 관계 어려움 근무 환경 열악 고용 불안정 문제 (워킹맘만 해당)워킹맘에 대한 이해 부족 장시간 근무 주: 5점 척도(1 전혀 받지 않음, 2 별로 받지 않음, 3 보통임, 4 약간 받음, 5 매우 받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업무역량과 관련된 항목에 대해 남성 직원 대비 여성 자신의 경쟁력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질문한 결과, 북동부권 취업 여성들은 모든 항목에 대해 3점 이상을 나타내고 있어, 동일 직무에 종사하는 남성에 비해 자신이 경쟁력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책임감 (3.6점)과 성실성(3.6점), 직업기초능력(3.5점)과 근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3.5점)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4-26> 북동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단위: 점) 조직내 친화력 업무 성과 직무 능력 자기개발 노력 성실성 책임감 초과근무및출장수용력 근무시간중업무몰입도 공동체 의식 감정관리 능력 일과 가정의 조화와 관리 직업기초능력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165

22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단위: 점)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조직 내 친화력 업무 성과 직무 능력 자기개발 노력 성실성 책임감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 근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 공동체 의식 감정관리 능력 일과 가정의 조화 와 관리 직업기초 능력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 고용유지 관련 인식 현재 일을 하는 이유에 대한 북동부권 취업 여성들의 1순위 응답 결과는 생활비마련을 위해 서라는 응답이 59.8%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자기계발 또는 지식이나 기술 활용 을 위해서(13.7%),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서(15.0%)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4-27> 북동부권 일을 하는 이유 생활비 마련을 배우자또는다른 자녀의 교육비 본인의학비또는 1순위 자기계발 또는 종합 기타 위해서 가족의 소득이 마련을 위해서 용돈을벌기위해서 지식이나 기술 없어서 활용을 위해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166

221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4-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생활비 마련을 위해서 배우자 또는 다른 가족의 소득이 없어서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서 본인의 학비 또는 용돈을 벌기 위해서 자기계발 또는 지식이나 기술 활용을 위해서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고용 유지에 대한 북동부권 취업 여성들 인식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직업)을 지속하겠다 는 응답(3.8점)과 돈을 벌 필요가 없어도 일(직업)을 할 생각이라는 응답(3.6점) 모두 3점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어 향후에도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4-28> 북동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단위: 점) 돈을 벌 필요가 없어도 일(직업) 가지고 싶음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직업) 지속 주: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4-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단위: 점)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돈을 벌 필요가 없어도 일(직업) 가지고 싶음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직업) 지속 주: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167

22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북동부권 취업 여성 중 3년 이내 사직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9%임. 이들 중 이직 이나 전직, 또는 창업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냥 쉴 예정이라는 응답이 36.7%로 나타남. <그림 4-29> 북동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있음 20.9 없음 쉴 예정이다 이직 전직을 할 것이다 창업을 할 것이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4-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있음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4-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쉴 예정이다 이직 전직을 할 것이다 창업을 할 것이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168

223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3) 정책요구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한 북동부권 취업여성들의 1순위 응답 결과 유연근무제 도입과 확대라는 응답이 23.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연령차별을 없 애기 위한 노력(18.4%),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조직문화 조성(14.1%), 장시간 근로문화 개선(13.2%),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11.5%), 성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 (8.1%)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4-30> 북동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순위 종합 연령 차별을 성차별을 장시간 근로 23.9 유연 근무제 출산휴가, 11.5 시간 선택제 직장, 국공립 방과후 초등 경력개발 기타 없애기 위한 없애기 위한 문화 개선 도입과 확대 육아휴직 등을 일자리 확대 보육시설 확충 돌봄 서비스 프로그램 지원 노력 노력 사용할수있는 확충 조직문화 조성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4-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연령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 성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 장시간 근로 문화 개선 유연 근무제 도입과 확대 출산휴가, 육아휴직등 사용가능 조직문화 조성 시간 선택제 일자리 확대 직장,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 방과후 초등 돌봄 서비스 확충 경력개발 프로그램 지원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169

22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중 활성화 되어야 할 제도에 대한 북동부권 취 업여성의 1순위 응답결과는 선택적 근로시간제(24.8%), 출산전후휴가(19.2%), 정규직 시간 선택제 활성화(15.8%), 정시퇴근제(15.0%), 육아휴직제(12.0%), 탄력적 근로시간제(10.3%)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런데 1순위와 2순위 복수응답처리 결과를 보면, 선택적 근로시간제 (44.4%)와 정시 퇴근제(31.2%)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4-31> 북동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출산 육아 휴직제 정규직 선택적 근로 탄력적 근로 원격 및 재택 1순위 정시 퇴근제 종합 직원 전후휴가 시간선택 시간제 시간제 근무제 가족대상 근로 전환제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4-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출산 전후휴가 육아 휴직제 정규직 시간선택 근로 전환제 활성화 선택적 근로 시간제 탄력적 근로 시간제 원격 및 재택 근무제 정시 퇴근제 직원 가족대상 프로그램 지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170

225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다. 사업체 여성 일자리 수요 및 정책 요구 1) 사업체 인력난 현황과 인식 북동부권의 조사대상 사업체 중에서 인력부족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체는 22.9% 로 나타남. <그림 4-32> 북동부권 인력난 여부 있음 22.9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예 아니오 주: 동두천시와 연천군은 인력난이 없다고 대답하였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북동부권 사업체의 주요 직종은 생산직이 27.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직(22.2%)과 서비스직(22.2%), 단순노무직(20.6%), 영업직(19.0%) 순으 로 나타남. <그림 4-33> 북동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관리직 전문직 기술직 사무직 영업직 서비스직 생산직 단순노무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71

22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관리직 (관리자) 전문직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기술직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사무직 (사무 종사자) 영업직 (판매 종사자) 서비스직 (서비스 종사자) 생산직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 노무직 (단순 노무 종사자) 주: 동두천시와 연천군은 인력난이 없다고 대답하였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앞서 인력난을 겪고 있는 북동부권 사업체가 인식하는 인력난 원인에 대한 1순위 응답결과 인력난을 겪는 가장 주된 이유는 힘든 일을 기피하는 사회적 풍토(38.1%)와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의 문제(31.7%)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사업장 위치나 교통문제 등 근 로환경의 문제(17.5%)라고 응답한 비율도 높게 나타남. <그림 4-34> 북동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임금, 근로시간 사업장 위치나 회사 규모가 열악한 근로환경 힘든 일을 1순위 종합 불규칙 적인 기타 등 근로조건 교통 문제 등 작아서 기피하는 사회적 업무(프로젝트 문제 풍토 수주 등)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72

227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4-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 문제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 등 회사 규모가 작아서 열악한 근로환경 힘든 일을 기피하는 사회적 풍토 불규칙 적인 업무 (프로젝트 수주 등) 기타 주: 동두천시와 연천군은 인력난이 없다고 대답하였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해당 사업체에게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방법 1순위를 질문한 결과,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을 개선한다는 응답이 34.9%로 가장 많았으며, 기존근로자의 근무시 간 연장(14.3%), 외국인 근로자 활용(12.7%), 파견 및 용역 근로자 활용(11.1%) 등이 높은 비율을 나타냄. <그림 4-35> 북동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73

22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 개선 기존 근로자의 근무시간 연장 파견 및 용역 근로자 활용 외국인 근로자 활용 다른 회사에 하청을 줌 생산설비 자동화 또는 사무 자동화 시간 선택제 일자리 사업 참여 특별한 방법이 없다 주: 동두천시와 연천군은 인력난이 없다고 대답하였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 여성인력활용과 여성인력에 대한 인식 여성인력을 고용하는 주된 이유에 대한 북동부권 사업체의 1순위 응답 결과, 62.9%는 직무 의 특성상 여성인력이 더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성별과 무관한 능 력 위주의 고용 때문(17.5%), 단순 반복적인 업무가 많아서(13.1%)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4-36> 북동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순위 종합 직무의 특성상 여성 성별과 무관한 능력 13.1 단순 반복적 상대적 낮은 주로 여성들이 기타 0.4 무응답 인력이 더 적합하기 위주의 고용을 하기 보조업무가 많아서 인건비로 채용이 지원을 많이 하기 때문에 때문에 가능해서 때문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74

229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4-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직무의 특성상 여성 인력이 더 적합하기 때문에 성별과 무관한 능력 위주의 고용을 하기 때문에 단순 반복적 보조업무가 많아서 상대적 낮은 인건비로 채용이 가능해서 주로 여성 지원이 많기 때문에 기타 무응답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경력단절 여성 채용 경험이 있는 북동부권 사업체 대상 채용 이유에 대한 1순위 응답 결과 특별한 구분 없이 채용한 것(40.2%)이라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 종 성격상 경력단절 여성에게 적합한 일자리라서(18.9%), 단순 반복적 보조 업무가 많아서 (18.1%), 적합한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서(11.8%), 경력단절 여성 인력의 업무 능력이 뛰어 나서(8.7%) 등의 순으로 나타남. 1순위와 2순위의 종합순위 결과 1순위와 동일한 패턴을 나 타내고 있으나, 단순 반복적 보조 업무가 많아서이라는 항목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림 4-37> 북동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75

23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직종 성격상 경력단절 여성에 적합한 일자리라서 적합한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서 단순 반복적 보조 업무가 많아서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 특별한 구분 없이 채용한 것임 일반적으로 남성에 비해 인건비가 낮아서 경력단절 여성 인력의 업무 능력이 뛰어나서 정부 지원금 (인건비 보조)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을 두는 사안에 대한 북동부권 사업체의 1순위 응답결과 업무경력 이라는 응답이 56.0%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장기근속가능 여부(21.1%)로 나 타남. 특히 1순위와 2순위 종합순위 결과 상대적으로 장기근속 여부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 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 <그림 4-38> 북동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76

231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4-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영유아, 초등자녀 유무 장기근속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주로 채용하는 여성인력의 연령대에 대한 북동부권 사업체의 응답 결과, 40대 초반과 30대 초반이 각각 23.6%와 22.2%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20대 후반(18.5%), 30대 초반 (14.2%), 40대 후반(7.6%) 등의 순으로 나타남. 20대 후반부터 40대 초반 연령대 채용 비 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북동부권 역시 40대의 경우 40대 초반과 40대 후반에 큰 차이 를 나타내고 있음. 따라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가능성은 40대 후반부터 상대적으로 크 게 감소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음. <그림 4-39> 북동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세 미만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77

23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여성인력이 주로 활용되는 직종에 대한 북동부권 사업체 1순위 응답 결과, 사무직에 주로 활용한다는 응답이 40.0%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생산직(17.5%), 서비스 직(11.6%), 관리직(9.5%)와 전문직(9.5%), 단순노무직(7.3%) 순으로 나타남. 1순위와 2순 위 복수응답 처리 결과도 1순위 응답과 동일한 응답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성 인력이 주로 사무직에 활용된다는 추가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남. <그림 4-40> 북동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순위 종합 관리직 전문직 기술직 사무직 영업직 서비스직 생산직 단순노무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78

233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4-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관리직(관리자) 전문직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기술직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사무직 (사무 종사자) 영업직 (판매 종사자) 서비스직 (서비스 종사자) 생산직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 노무직 (단순 노무 종사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업무역량과 관련된 각각의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남성 직원 대비 여성 직원의 경쟁력을 질문하였음. 3점 이상 5점에 가까울수록 동일 직무에 종사하는 경우 남성에 비해 여성 종사 자의 경쟁력을 높게 평가하는 것임.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남성에 비해 성실성(3.26점)과 직업기초능력(3.23점)을 남성 직원 대비 가장 경쟁력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 로 근무시간 중 업무몰입도(3.20점), 조직 친화력(3.15점), 직무능력(3.07점)과 감정관리능 력(3.07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이에 비해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2.68점)을 비롯하여 자기개발노력, 업적 및 성과, 공동체 의식에 대해서는 3점 이하를 나타내고 있어 상대적으 로 남성에 비해 다소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179

23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4-41> 북동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단위: 점)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단위: 점)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조직내 친화력 업적과 성과 직무능력 자기개발 노력 성실성 책임감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 근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 공동체 의식 감정관리 능력 일과 가정의 조화와 관리 직업 기초능력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0

235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3) 여성 수요 집중 직종별 채용 희망 조건 조사 대상 사업체 중 사무직종이 있는 북동부권 사업체를 대상으로 사무직 여성 인력 채용 조건과 관련해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그림 4-42> 참조). - 사무직 여성 인력 채용 가능 연령대는 30대 초반(51.8%)와 20대 후반(50.4%)의 응답 비 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30대 후반(32.8%), 40대 초반(22.6%)등 순으로 나타남. - 사무직 여성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은 업무경력(68.1%)인 것으로 나타 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장기근속 여부(19.5%)인 것으로 나타남. - 사무직 여성 월 지급 가능 급여로 90%가 넘는 기업이 만원이라고 응답함. <그림 4-42> 북동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채용가능연령대>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점> <월지급 가능급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1

23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결혼여부 양육아동 유무 장기근속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100 만원 미만 ~ 149만원 ~ 199만원 ~ 249만원 ~ 299만원 만원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2

237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조사 대상 사업체 중 서비스직종이 있는 북동부권 사업체를 대상으로 서비스직 여성 인력 채용 조건과 관련해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그림 4-43> 참조). - 서비스직 여성 인력 채용 가능 연령대는 20대 후반부터 40대 후반까지 대략적으로 35% 안팎의 응답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30대 후반 연령은 50대 초반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 내고 있음. 또한 상대적으로 서비스직의 여성 채용에 대해서는 연령에 따른 편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오히려 20대 초반 여성인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것으로 유추됨. - 서비스직 여성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은 앞서 사무직과 마찬가지로 업무 경력(51.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장기근속가능여부(19.2%)와 자격증 소 지(12.8%), 태도(9.0%)순인 것으로 나타남. - 서비스직 여성 월 지급 가능 급여로 43.6%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만원(26.9%), 100만원 미만(17.9%) 순으로 나타남. <그림 4-43> 북동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채용가능연령대> (단위:%)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점> <월지급 가능급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3

23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장기근속 가능여부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100 만원 미만 ~ 149만원 ~ 199만원 ~ 249만원 ~ 299만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4

239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생산직이 있는 북동부권 사업체를 대상으로 생산직 여성 인력 채용 조건과 관련해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그림 4-44> 참조). - 생산직 여성 인력 채용 가능 연령대는 40대 초반(49.1%)과 30대 후반(46.4%)에 대한 응 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30대 초반(35.7%), 40대 후반(22.3%)과 20대 후반 (21.4%)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생산직 여성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장기근속 여부(40.2%)와 업무경력 (36.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태도(7.1%)순인 것으로 나타났음. - 생산직 여성 월 지급 가능 급여에 대해서는 50.0%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 했으며, 그 다음으로 34.8%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함. <그림 4-44> 북동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채용가능연령대>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점> <월지급 가능급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5

24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양육아동 유무 장기근속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100 만원 미만 ~ 149만원 ~ 199만원 ~ 249만원 ~ 299만원 만원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6

241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4)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 및 이용현황과 협력희망 여부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에 대한 북동부권 사업체의 응답 결과, 알고 있다는 응답이 47.3%로 나타났음.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의 경우 여성인력개발기관의 직접적인 홍보 를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이 37.7%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터넷이나 홈페이지 (26.2%), 관공서 안내(13.8%), 홍보지, 현수막 등의 지면광고(12.3%), 신문, 방송매체 (5.4%), 주변사람들의 소개와 안내(4.6%)순으로 나타남. <그림 4-45>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알지못함 알고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홍보지, 현수막 등의 지면광고 여성 인력개발 기관의 홍보 인터넷, 홈페이지 주변 사람들의 소개, 안내 관공서 안내 신문, 방송매체를 통해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7

24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여성인력개발기관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를 대상으로 사업별로 협력 경험 여부를 질 문한 결과, 구인신청 및 구직여성 추천(30.0%)과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사업(29.2%) 이라는 응답이 높은 비율을 차지함. <그림 4-46>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구인 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 기업체 재직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새일인턴 지원사업 여직원대상 교육 및 멘토링, 간담회 여성친화기업 컨설팅 여성 채용 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구인 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 기업체 재직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새일인턴 지원사업 여직원대상 교육 및 멘토링, 간담회 여성친화기업 컨설팅 여성 채용 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8

243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에 대한 북동부권 사업체의 응답 결과, 기업환경개 선금지원사업(40.7%), 채용장려금 등 정부정책에 대한 정보제공(37.8%), 구인신청 및 구직 여성추천(34.5%), 새일인턴지원사업(30.2%)로 30% 이상의 기업이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 남. 그 밖에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5.8%)과 기업체 재직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25.1%)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4-47>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구인 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 기업체 재직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새일 인턴 지원사업 여직원대상 교육 및 멘토링, 간담회 여성친화기업 컨설팅 여성 채용 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89

24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라. 시간제 일자리 인식 및 정책 요구 1) 미취업여성의 시간제 취업욕구 북동부권에 사업체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이 선호하는 근로 형태는 전일제 근로가 55.2%, 시간제 근로가 41.0%, 상관없음 3.8%로 나타남. <그림 4-48> 북동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전일제 55.2% 무관 3.8% 시간제 41.0% 시간제 근로 형태 희망(무관 포함) 44.8%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4-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전일제 근로 시간제 근로 상관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시간제 근로를 희망하거나 무관하다고 응답한 경우, 시간단축제와 요일제 중 선호하는 형태 를 질문한 결과 시간단축형에 대한 선호가 84.0%로 높게 나타남. <그림 4-49> 북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요일제 16.0 시간 단축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90

245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4-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요일제 시간 단축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시간제 일자리를 희망하거나 무관하다고 응답한 구직 여성들에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 었거나 겪게 될 것으로 생각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질문한 결과, 원하는 시간대 일자리 부족(47.9%)과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구인정보 부족(26.6%)이라는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 남. 그 밖에 시간제 일자리의 고용 불안정 문제(13.8%)라는 응답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1순위와 2순위를 종합한 결과도 1순위 응답과 비슷한 응답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나,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구인정보 부족(54.3%) 문제에 대한 응답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4-50> 북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191

24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4-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구인정보 부족 출퇴근 교통수단 문제 시간제 일자리의 고용 불안정 문제 원하는 시간대 일자리 부족 원하는 직종의 일자리 부족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 여성근로자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 요구 북동부권 여성 근로자들의 시간선택제 관련 전환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2가지 형태의 질문 을 하였음. 우선 동일한 직무와 근로조건이 보장될 경우, 근로 시간을 일일 2시간 줄여주는 것과 근로시간 일일 2시간에 해당되는 임금을 인상하는 것 중에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를 질 문하였음. 조사 결과 시간단축을 선호하는 경우가 47.7%, 임금인상 선호 52.6%로 거의 비 슷한 분포를 나타냄. <그림 4-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시간단축 선호 월평균급여 194.3만원 임금인상 선호 월평균급여 183.8만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4-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근로시간을 2시간 줄여주는 것을 선호 근로시간 2시간에 해당되는 임금을 인상해주는 것을 선호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192

247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다음으로 동일한 업무를 지속하되, 시간당 임금 수준과 근로조건이 동일할 경우 정규직 시 간선택제로의 전환의사를 질문하였음. 북동부권 여성 근로자의 응답 결과 전환하지 않겠다 는 비율이 전체 응답자 중 30.8%였으며,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69.2%에 달했음. 전환 할 경우 요일제 전환의사는 전체 응답자 중 47.0%였으며, 시간단축제 전환의사는 22.2%로 나타남. <그림 4-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전환의사 없음 30.8 전환의사 있음 69.2 요일제 47.0 시간 단축형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4-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전환할 의사가 없음 현재 주5일 근로에서 주3일 근로 형태로 전환할 의사가 있음 현재 일일 8시간 에서 일일 6시간 근로 형태로 전환의사 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3) 사업체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 가능성 향후 2년 이내에 시간제 근로자를 채용할 계획에 대해 질문한 결과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업체가 54.5%로 과반수를 넘었으며,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36.4%이고, 계획이 있 다고 응답한 사업체는 9.1%에 불과함. 193

24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그림 4-53> 북동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없음 54.5 있음 9.1 모르겠음(시간제 채용 경험 없음) ~4인 5~9인 10~29인 30~49인 50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채용계획 없음 아직 잘 모르겠음 (시간제 채용 경험 없음) ~4인 ~9인 ~29인 ~49인 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고용노동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정책을 이용하여 시간선택제 직원을 채용할 의향이 있 는지 조사한 결과, 없음이 42.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잘 모르겠음(35.3%), 있음 (22.5%) 순으로 응답함. <그림 4-54> 북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있음 없음 잘 모르겠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94

249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4-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있음 없음 잘 모르겠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시간선택제 직원을 채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인건비 지원 을 받아 시간선택제로 직원을 채용하고자 하는 주된 이유를 물어본 결과, 채용지원금을 활 용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라고 답한 비율이 53.2%로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다음으 로 전일제 부족인력 충원으로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서(17.7%), 피크타임의 업무를 분산하 고자(12.9%), 우수한 여성인력 확보를 위해(11.3%) 순으로 나타남. <그림 4-55> 북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4-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구분 북동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인건비를 절감하고자 (채용지원금 활용) 인력난을 해소하고자 (전일제 부족인력 충원) 피크타임의 업무를 분산하고자 장시간 근로문제를 해결하고자 우수한 여성인력 확보를 위해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195

25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5.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가.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일반환경) 북동부권역의 7개 시군은 노동시장권으로 보면, 의정부권의 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포천시가 포함되고, 남양주권의 남양주, 구리로 나뉘며, 연천군은 군단위 지역이 면서 의정부권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임. 양주시와 포천시는 제조업 비중이 높은 반면 기타 지역은 서비스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현재는 5개 권역 중 상대적으로 산 업 기반이 다소 취약하나, 경기도가 추진하고 있는 경기 북부 활성화 전략 등에 따라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경기도가 추진하는 사업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기 회 요인을 활용하는 전략이 요구됨.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북동부권에는 총 7개 시군이 포함되어 있음. 7개 시 군 중 의정부 시, 포천시, 남양주시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여성근로자복지센터 1개소, 고용센터 1개소, 고용+센터 2개소가 위치하고 있음. 현재 북동부 지역 중 연천, 양주, 동두천 지역에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이 부재한 상황임. 따라서 양주 북단에 새일센터 유치를 통해 동두천과 연천지역을 포괄하면서 섬유산업과 관련한 여성 일자리 수요와 지역 여성에 대한 고용서비 스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북동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 훈련과정은 총 29개 과정으로 분야별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음. 교육연구(8개)와 직업상 담(6개) 과정은 14개 과정으로 48.3%를 차지함. 2015년 경기도 양성훈련 필요 인원 분석에 기초해보면, 이들 분야는 전년대비 필요 인원 수준을 동 수준으로 조정한 분야임(<표 2-18> 참조). 그에 비해 필요인원을 축소조정한 분야인 이 미용 숙박 분야는 5개 과정, 섬 유 및 의복과정은 1개 과정이 운영된 것으로 나타남. (여성경제활동상태) 북동부권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44.9%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인 연천군의 고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남. 북동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423,035명이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은 66.1%에 달하고, 직장 196

251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을 그만 둔 이유로는 개인, 가족관련 이유라는 응답이 58.8%에 달함. 나. 북동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사업체 취업희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북동부권 미취업 여성의 경우 구직 시 임금 수준에 대한 고려(33.5%)와 함께 일 가정 양립 가능한 근무 여건 (32.7%)에 대한 고려 비율이 높게 나타남. 미취업 여성 중 42.8%는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양주시 미취업여성의 교육훈련 참여 의향은 61.4%로 매우 높게 나타남. 직업훈련기관 중 공공훈련 기관(53.0%)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여성교육훈련기관(31.3%)으로 나타남. 취 창업을 위한 정책 요구 조사 결과, 취 창업 관련 정보제공(52.4%)과 취업처 및 인턴제 소개(20.4%), 직업 교육훈련(13.4%) 순으로 나타남. 여성교육훈련기관을 이용 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65.8%로 나타나고 있음. 특히 포천시(81.0%)와 남양주시(82.2%) 미취업여 성의 이용 의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새일센터 설치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유추됨. (취업여성 정책수요) 취업여성들의 일자리 만족도는 3.50점으로 경기도 평균 3.59점 보다 다소 낮은 수준임. 상대적으로 양주시(4.0점)와 남양주시(3.63점) 취업여성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며, 동두천시는 3.0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냄. 업무량(3.2점)과 워킹 맘에 대한 이해 부족(3.3점)에 대한 스트레스가 보통 수준을 다소 상회하고 있으나, 그 외에 는 3점 이하를 나타냄. 남성 직원 대비 여성 자신의 경쟁력을 비슷하거나 다소 높게 인식함.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식(3.8점)하고 있었 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0.9%였으며, 그 중 49.0%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향후 경력단절예방과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와 관련해서는 모성보호제 도 관련 요구와 다양한 유연근로제도 활성화 요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남. 한편으 로 정시 퇴근에 대한 요구도 15.0%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일 가정 양립과 일과 삶의 조화 197

25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를 위한 근로문화 개선과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한 사업과 캠페인은 지속적으로 추진될 필요 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사업체 정책 수요) 북동부권 사업체 중 22.9%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북동부권의 경우 관리직, 기술직, 사무직에 대한 인력난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그 외의 직종에 대해 서는 20% 안팎의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음. 인력난을 겪는 이유 중 사업장 위 치나 교통 문제 때문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은 17.5%였으며, 지역별로는 양주시와 포천시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 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7.9%로 낮은 편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6.0%)과 장기근속여부(21.1%)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 율이 높았으며, 북동부권의 경우 20대 후반(18.5%) 여성인력 채용 비율보다 30대 초반 (22.2%)과 40대 초반(23.6%)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이에 비해 40대 후 반 여성 비율은 7.6%로 크게 감소하고 있음. 사무직 여성인력 활용 비율이 40.0%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생산직(17.5%) 순으로 나타남. 특히 북동부권 사업체는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 자기개발 노력 등이 남성 직원에 비해 다소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음.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7.3%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9.2%)과 구인구직 알선(30.0%)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협력 희망 비율 은 기업환경개선금지원사업(40.7%) >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37.8%) > 구인구직 알선(34.5%)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 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41.0%로 나타났으나, 시간제 채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9.1%,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22.5%에 불과함. 뿐만 아니라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 한다는 응답 비율이 47.4%였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69.2%에 달하고 있어, 사업체에 취업한 여성 근로자 중 70%가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하고 198

253 제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용이 보 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고와 경 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다. 향후 추진 과제 고용서비스 기관 확충 전략 및 특화 산업 연계 강화 : 새일센터 추가 유치 - 현재 북동부권 중 연천, 양주, 동두천 지역에 고용서비스 기관이 부재한 상황임. 특히 양 주와 동두천 지역은 향후 경기도가 전략적으로 경기 북부지역 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어, 이들 사업과 연계한 여성고용 확대 전략 수립이 요구됨. 고용서비스 기관이 부족한 양주와 동두천 지역을 고려하여 섬유 산업과 관광산업 기반의 새일센터 유치 경기도 투자 사업 연계형 지역맞춤형 여성고용 확대 전략 추진 : 전통적인 사양산업 인력양 성 사업 지양 - 다른 권역에 비해 창업 희망 비율이 32.3%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경기도 민선 6기가 확충하고자 하는 여성 전용 코워킹 스페이스 사업인 꿈마루 사업 유치를 통해 여성 창업 지원 강화 공동훈련센터와 연계한 지역 연계형 여성일자리 사업 추진 강화 이미용 숙박 분야의 공급 초과 훈련 과정 지양 경기도 전역을 기준으로 보면, 섬유 및 의복과정의 훈련수요 감소가 필요하나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지역 특화과정으로 추진 가능함. 단, 특정 기업과 연계한 틈새 수요나 숙련요구 맞춤형 과정 운영 (공통) 여성 취업자 대상 고용유지 지원 사업 강화 : 취업여성 대상 직업 만족도 제고를 위 한 사업 강화 - 다른 권역에 비해 취업 여성들의 일자리 만족도가 낮은 편임. 따라서 이들을 위한 특화 사 업 개발이 요구됨. 특히 만족도가 낮은 이유를 분석하여, 기업의 환경개선 또는 여성 근로 199

25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자의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지원 사업 추진 등이 요구됨. 의정부시 여성근로자복지센터를 고용유지 지원 사업의 거점기관으로 지정하여 양주나 동두천 등의 여성 근로자를 위한 찾아가는 서비스 강화 경기북부 새일센터와 포천 새일센터의 환경개선 지원 사업을 미지정 지역 사업체까지 확대하여 추진 (공통) 시간선택제 일자리 발굴 및 고용서비스 강화 : 시간선택제 일자리 발굴단 운영 - 미취업여성과 취업여성 모두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요구가 높기 때문에 수요처 발굴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대한 이해와 구인처 정보 구축 시,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인식 및 향후 발굴 가능성 등과 관련한 정보를 기입하고, 구직여성 정보 구축 시에도 시간 선택제 일자리 선호 및 희망 근로 시간대 등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여 향후 고용 서비스 제 공 시 활용가능 하도록 함. 초기 상담 시트 작성 시 관련 정보 기입 경기도 특화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사업과의 협력 체계 강화 200

255 제 5 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동부권역 일반 현황 2.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사업 기반 3. 동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4.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수요분석 5.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256

257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동부권역 일반 현황 가. 인구지리학적 특성 1) 교통 및 지리적 특성 동부권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부 권 면적 3,456km2(하남시 93km2, 가평군 843km2, 양평군 877km2, 성남시 141km2, 광주시 430 km2, 이천시 461km2, 여주시 608km2)임. - 동부권 지역은 강원도와 접점을 이루고 있으며 북한강, 남한강 및 하천 등이 생활권을 분 리하여 공간적인 단절을 이루고 있음(경기개발연구원, 2014). - 특히, 넓은 면적임에도 자연보전권역, 상수도보호구역, 팔당상수원 수질보전특별대책지 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등 각종 규제로 인해 산업단지나 계획적 공업지역이 미비한 실정임. - 최근 동부권역의 보전된 자연환경과 수변환경을 활용하여 자연경관과 조화된 환경 친화적 도시로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임. <그림 5-1> 동부권 동부권 전체 면적의 18.7%가 도시지역임. 도시지역 중 주거지역(70.8km2), 상업지역(8.2km2), 공업지역(6.2km2), 녹지지역(562.3km2), 미지정지역(0.9km2)으로 나타남. - 이천시와 여주시는 도농복합형태의 시로 녹지지역이 도시지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 203

25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으며 이천시의 경우 동부권역에서 가장 공업지역 면적이 넓은 것으로 나타남. - 하남시, 성남시, 광주시의 경우 동부권 대표적인 주거도시로써 주거지역이 도시지역의 많 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보금자리주택(미사, 감일, 감북) 및 위례신도시 등 대규 모 국책사업으로 주거지역의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임. - 가평군, 양평군의 경우 농촌지역으로 사업지역 및 주거지역의 비중이 크지 않고, 전체면적 중 도시지역의 차지하는 비중도 낮은 편임. <표 5-1> 동부 권역 도시계획 현황(2014) (단위: km2) 구분 도시 지역 전체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미지정지역 동 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자료: 통계청(2014) 도시계획현황 앞서 언급한대로 동부권역은 권역 내 시 군간 재정 격차나 교통시설 격차가 큰 편임. 역세 권을 이용한 지역특성에 맞는 개발이 필요한 실정임. - 하남시의 경우 지하철5호선 확정으로 2018년까지 서울 강동구 강일역 ~ 검단산역 개통, 고속도로 및 제2경부고속도로 개통 예정중이며, 올림픽도로 이용으로 광역 간 교통이 원 할 한 편임. - 성남시의 경우 경부 고속도로와 외곽순환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2개의 수도권 고속 도로가 핵심 교통이며 이밖에 분당선과 신분당선 지하철 3, 8호선이 있어 광역간의 이동 이 원활한 편임. 여주시의 경우 성남~여주간 복선전철건설사업 추진을 진행 중 임. - 이천시의 경우 영동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교차하며, 서울~충주간 국도 3호선, 수 원~여주 간 국도 42호선, 평택-삼척간 국도 38호선이 통과하고 있음. 가평군의 경우 경 춘선이 있고, 양평군의 경우 중앙선이 있음. 204

259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2) 인구학적 특성 동부권 총인구는 2014년 기준 1,904,354명으로 경기도 인구의 15.4%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 959,251명, 여성 945,103명으로 여성비율은 49.6%로 나타남. 면적대비 인구밀도는 시군간의 차이가 있음. 성남시의 경우 인구밀도가 높은 반면 가평군의 경우 면적대비 인구 밀도는 낮은 편임. <표 5-2> 동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단위 : 명, %) 전체 남자 여자 여성비율 동 부 1,904, , , 하남시 148,896 75,864 73, 가평군 61,213 31,370 29, 양평군 105,379 53,245 52, 성남시 974, , , 광주시 298, , , 이천시 205, , , 여주시 110,386 55,745 54, 자료: 통계청(2014), 주민등록인구 동부권역의 주민등록인구 추이는 원만한 추세를 보이며 급격하게 급증하거나 감소하는 추세 가 아닌 일정수준이 유지되고 있음. <그림 5-2> 동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단위 : 천명) 자료: 통계청(각 년도), 주민등록인구 205

26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2014년 순 이동 인구를 보면 광주시 10.1천명, 하남시 3.3천명, 양평군 2천명, 여주 시 1천명, 가평군 0.3천명이 순 유입된 반면, 성남시 10.2천명, 이천시 1.6천명이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남. <그림 5-3> 동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2014) (단위 : 천명) 주: 순 이동은 총 전입에서 총 전출을 뺀 값을 의미함. 자료: 통계청(각 년도), 주민등록인구 동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를 살펴보면 하남시, 성남시의 경우 30대, 40대 인구가 많은 반면 가평군, 양평군, 여주시는 50대 이상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여성의 경우 동부권역의 전반적인 특성상 중장년 여성이 20,30대 여성에 비해 많 은 것으로 나타남. <표 5-3> 동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단위 : 천명)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구분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14세 이하 세 세 세 세 세 세이상 자료: 통계청(2014), 주민등록인구 연앙인구 206

261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나. 경제동향 및 산업특성 1) 경제동향 동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를 살펴보면 성남시가 22,587,893백만원으로 권역 내 총 생산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다음으로 이천시(8,110,479백만원), 광주시 (5,189,925백만원), 하남시(2,887,084백만원), 여주시(2,341,044백만원), 양평군 (1,479,708백만원), 가평군(1,335,443백만원) 순으로 나타남. 지역내 총생산을 인구수에 따라 1인당 생산액으로 산정했을 때 이천시가 39,780천원으로 가장 1인당 생산액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5-4> 동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단위 : 백만원, 천원, %) GRDP(백만원) 1인당 생산액(천원) 경기도내 구성비 하남시 2,887,084 19, 가평군 1,335,443 22, 양평군 1,479,708 14, 성남시 22,587,893 23, 광주시 5,189,925 19, 이천시 8,110,479 39, 여주시 2,341,044 21, 자료: 통계청(2012),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 하남시는 미사 감일 위례 택지개발지구가 주거 상업용지로 변경되고 검단산, 남한산성, 미사리조정경기장 등 풍부한 자연환경으로 친숙형 여가활동 및 문화산업의 발전가능성 내 재 되어 있음. 가평군은 중첩된 규제로 대규모 공업단지의 발달은 어려우나 수려한 자연자원을 바탕으로 한 관광산업 발달되어 있어 향후 수도권 인접이라는 지리적 이점과 맞물려 레져휴양산업으 로 발전이 기대됨. 양평군은 수도권 인근 농촌지역이라는 측면에서 친환경농업, 생태관광자원을 활용한 대안관 광사업이 발전될 수 있음. 207

26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성남시는 동부권 중 산업단지가 많은 지역으로 교통의 발달과 문화 교육 정보 R&D 연구소 및 판교 테크노 밸리 등 지식기반 사업 인프라 구축되어 있어 게임, 콘텐츠, 모바일등 지식 산업이 발전되어 있음. 또한 성남산업단지는 벤처기업육성촉진기구로 지정된 후 아파트형공 장으로 변모하고 있고, 분당구 일반상업 지구에는 다수의 민간 벤처빌딩 외에 SK텔레콤연 구소 삼성연구소 포스데이타 등의 대기업을 비롯해 GNG 네트웍스 IDC 센터 전자부품 연구원 등이 자리 잡고 있으며, 야탑동에 분당 테크노파크가, 정자동에 분당벤처타운이 조 성되어 있음. 광주시는 소규모공장이 난립되어 있는 실정이지만 광주내의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을 도움 으로써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음. 이천시는 SK하이닉스 반도체를 비롯한 900여개의 기업체가 입지해 있으며, 쌀 도자기 온천 관련 산업이 고루 분포한 도농복합도시로, 최근 교통의 발달과 함께 400여개의 물류회사 입지 및 대규모 물류단지개발로 물류 유통분야 산업의 확대 가속화를 하고 있음. 여주시는 공연과 놀이 먹거리가 함께하는 문화관광을 활성화 하고 여주의 지역적 특성을 활 용한 6차 산업을 육성하여 농축특산물의 브랜드화를 도모하고 있음. 2) 산업구조 동부권역의 산업구조는 농업을 제외하면 경기도 전체 산업구조와 흡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 고 서비스 영역이 높지만 동부권역에 농림어업 사업체 수는 이천시(25개소), 여주시(13개 소), 가평군(4개소), 양평군(11개소)로 지역주민의 상당수가 농림어업에 종사하며 상대적으 로 산업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반면, 성남의 경우 산업단지가 집중되어 있고 하남 시의 경우 주택단지가 밀집 되어 있는 경향이 있어 권역 내 산업격차가 큰 특징을 지님. 하남시는 서비스업이 84.1%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제조업(11.6%), 건설업(4.3%)순으로 나 타났음. 서비스업 중에서는 도매 및 소매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타 지역에 비 해 부동산업 및 임대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208

263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가평군은 서비스업이 91.2%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제조업(4.5%), 건설업(4.2%)순으로 나 타남. 서비스업 중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양평군은 서비스업(90.2%), 건설업(5.2%), 제조업(4.4%)순으로 나타났으며 건설업이 제조 업에 비해 많은 사업체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성남시는 서비스업(89.9%), 제조업(6.8%), 건설업(3.2%)순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업 중 도 매 소매업이 14,450개소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성남시는 제조업체수가 3,934개소로 광주시 다음으로 많은 반면 교육 서비스업은 권 역내에서 가장 많은 사업체수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나 주거와 생산, 소비가 지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도시라고 볼 수 있음. 광주시는 서비스업(71.9%), 제조업(24.7%), 건설업(3.3%)순으로 나타났으며 동부권 내 제 조업체수가 5,320개소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서비스업 중에서는 도소매업이 4,797개 소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이천시는 서비스업(86.4%), 제조업(10.0%), 건설업(3.4%)순으로 나타났으며 운수업 사업 체수가 산업단지를 지닌 성남과 광주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천시 서비 스업 중 도매 및 소매업이 3,353개소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여주시는 서비스업(85.0%), 제조업(11.2%), 건설업(3.5%)순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업 중 도소매업이 1,804개소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5-4> 동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자료: 통계청(2013), 전국사업체조사 재분석 209

26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총 사업체수는 125,019개소로 나타났으며 종사자수는 721,116명으로 나타났음. 그 중 여성 종사자는 299,847명으로 나타남. 시군별로 여성종사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성남시 로 162,189명으로 나타남 동부권 업종별 여성종사자 비율을 살펴보면 서비스업의 경우 동부권역내 시군 모두 여성종 사자의 비중이 45% 안 밖인 것으로 나타났고, 가평군의 경우 여성 제조업 종사자 비율은 46.3%로 나타났음. 이는 전체 종사자 수가 많지 않고 여성과 남성의 종사자 수 차이가 크 지 않기 때문으로 보여 짐. <표 5-5> 동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단위 : 개소, 명) 사업체수 총 종사자수 종사자 성별 남성 여성 동 부 125, , , ,847 하남시 10,960 54,305 33,768 20,537 가평군 5,890 22,244 11,714 10,530 양평군 6,725 24,675 13,255 11,420 성남시 57, , , ,189 광주시 21, ,290 68,016 37,274 이천시 14,377 96,128 54,548 41,580 여주시 7,633 36,548 20,231 16,317 자료: 통계청(2013), 전국사업체조사 재분석 <그림 5-5> 동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자료: 통계청(2013), 전국사업체조사 재분석 210

265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2. 동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가. 고용서비스 기관 현황 성남시에는 성남 YWCA의 위탁 운영되는 여성고용서비스기관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 인력개발센터가 있으며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하고 있음. 고용센터의 경우 성남시 분당구, 수정구, 중원구를 관할하고 있음. 이천시에는 이천시 여성가족과가 직영으로 운영하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가 위치하고 있으 며, 여주시와 이천시를 관할하는 고용센터가 이천시 창전동에 위치하고 있음. 광주시에는 광주시, 양평군, 하남시를 관할하는 고용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동부권역은 성 남시, 이천시에만 여성고용서비스기관이 위치하고 있어 그 밖의 지역에서 고용서비스 접근 성은 떨어지는 편임. <표 5-6> 동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권역 동부권 시군명 여성새로일하기 센터 여성인력개발 센터 여성근로자복지 센터 고용센터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나. 일자리 정책 및 사업 현황 동부권 일자리 정책은 고용노동부 지역고용정보 네트워크 공시현황에 게시된 종합계획을 토 대로 분석하였음. 정부부문을 중심으로 직접일자리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창 업지원을 각 시군별로 분석하였음. 동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창출은 다음과 같음. 211

26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5-7> 동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하남시 생활체육지도자 지원 아동복지교사 지원 저소득 자활사업 소비자상담원 지원 하천로 정비원 노일일자리사업 전통시장 매니저지원 산불감시원 독거노인가사도우미 공공근로사업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장애인 일자리사업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등산로정비사업 어린이집 취사부 지원 사회적기업 일자리창출 하남위례길 안전요원 보육교사 대체지원 산림정화보호단속원 산림병해충예찰방제 가평군 자활근로사업 인건비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산림정화사업 요보호아동 그룹홈형태 보호 산림예찰방제단 산림서비스 지원사업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도서관연장개관보조인부임 저소득층아동 학습도우미 지원 경력단절여성 취업설계사 운영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지원 농가도우미 지원 노인일자리 지원(공익형) 산불감시 및 진화(자체) 경기은빛독서나눔이 일자리사업 일반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인건비)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공공근로사업 공공산림가꾸기 문화관광해설사 운영 사랑의 발마사지 사업 호명호수공원 시설관리 농촌체험마을사무장채용지원 자라섬 시설 관리 향토유적주변환경 정비 정보화마을 프로그램관리자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사업 재활용선별작업 육성지원(5개마을) 양평군 (취약계층) 자활근로사업 생태계교란야생식물제거 정보화마을 프로그램 관리자 육성 사회적기업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 체험지도사 지원사업 어르신 전담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노인일자리사업 농가도우미 지원 문화관광해설사 노인일자리전담인력 지역공동체일자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방과후돌봄서비스(아동복지교사파견) 공공근로사업 상수원보호구역 관리 가사간병방문도우미서비스 마을기업 육성사업 노인일자리공중화장실관리사업 배수펌프장 제초작업 여름철 물놀이 안전관리사업 자연휴식지관리 사회복지통합서비스 전문요원 지원 산지정화관리 산사태현장예방단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지원 도로변제초 숲가꾸기사업 자전거길 제초인부 대학생아르바이트 유급산불감시원 물래길 제초작업 희망의숲 제초작업 산림병해충방제단 산림서비스 도우미 통합건강증진사업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장애인일자리사업 (행정도우미,복지일자리) 농촌체험마을 사무장 채용 지원사업 청소취약지역쓰레기수거 (클린양평지킴이) 성남시 저소득보훈회원무한감동 일자리 프리마켓 운영 자원봉사코디네이터지원사업 자활근로사업 마을기업 육성사업 생활체육지도자활동지원 장애인 복지일자리사업 노숙인 자활지원사업 생활체육어르신전담지도자활동지원 장애인 위탁일자리 아이돌보미지원사업 보건소방문관리건강관리사업 장애인 일반형 일자리 다문화가족방문교육지원사업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운영지원 장애인 복지일자리 직무지도원 파견 결혼이민자통번역서비스사업 공공도서관개관시간연장 노인 일자리사업 다문화가족자녀언어발달지원사업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노인 일거리사업 경기은빛독서나눔이일자리사업 독거노인응급안전돌봄사업 어르신소일거리사업 공공근로 학교 밖 청소년 지원 212

267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성남시 초등학교내 학습준비센터 설치및지원 실버환경 지킴이(중원) 산불방지대책(산불전문예방진화대) 지역공동체 일자리 초등학교방과후돌봄교실지원사업 판교박물관 해설사 초등학교저학년학습도우미 확대운영 환경지킴이 청소봉사단(수정) 저소득아동 학습도우미지원 환경지킴이 청소봉사단(분당) 영재교육원 운영 지원사업 저소득아동 학습도우미지원(수정) 사회적기업 사업 개발비 지원 영어체험센터운영 저소득아동 학습도우미지원(중원) 저소득아동 학습도우미지원(분당) 수목원코디네이터 청소년쉼터 야간근무자 배치지원 형편이어려운중고생을위한과외교사 공공 청소년시설 청소년지도사 다문화가족자녀이중언어가족환경조성사업 지원사업 배치사업 학습증진을위한 진학주치의제 운영사업 사회적기업 일자리창출및 전문인력지원사업 성남중국어체험센터개관에 따른 운영 광주시 중증장애인 활동 보조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지역아동센터 지원 도서정리인부임 시립광지원농악단 어린이집 교직원 인건비 가로청소원 장애인공동생활가정지원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상담사 개인운영 장애인생활시설 지원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문화관광해설사 육성 남종면 지역일자리사업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사업 산모신생아도우미지원사업 노인일거리마련사업 자활근로사업(지역자활센터) 장애인 일자리사업(일반형) 공사립 박물관,미술관지원사업 아동복지교사 지원 아이돌봄 지원사업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일반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단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청소년 동반자프로그램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노인돌봄종합서비스 휴직자 대체인력 인건비 경로당 전담인력 지원 공공산림가꾸기 수청호유도선 지원 공공근로사업 결혼이민자 보호시설 지원 농가도우미지원 사회적기업 일자리창출사업 통합건강증진사업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지원 자활근로사업(읍면동) 초등돌봄교실 불법광고물 정비사업 요보호아동 그룹홈 지원 마을기업 육성사업 장애인 일자리사업(직무지도원) 성폭력상담소 지원인력 현충탑 및 공적비 보호인부임 독거노인 응급안전 돌보미 지원 경로당관리 인부임 산림재해모니터링 지속가능 산림자원 조성 작은 도서관 지원업무 장애인복지 도우미 산림자원조사단 행위자불명 불법투기 쓰레기 처리 치아홈메우기사업 장애인복지일자리사업(참여형) 문화재 상시보존관리사업 난임부부지원사업 인건비 결혼이민자 맞춤형취업지원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 노인돌봄단기 가사서비스 중국어강사 지원 광남생활체육공원내풀깍기사업 용역 독감접종 직장운동경기부 지원 건강가정지원센터 서비스 인력사업 결혼이민자통번역서비스 지원 공원 전기안전관리대행 시민친수공간 정비사업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관리)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수행기관 전담인력 배치 정보화마을 프로그램관리자 육성사업 경안천습지생태공원 오수처리시설 위탁관리 이천시 사회적기업일자리창출사업 요보호아동그룹홈 운영 농가도우미지원사업 마을기업 육성 노인일자리사업 산림병해충예찰단 공공근로사업 장애인복지일자리사업 숲길체험지도사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장애인일반형일자리사업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정보화마을프로그램관리자 육성 장애인활동지원 공공산림가꾸기 가사간병방문도우미 장애인생활도우미사업 보건소방문건강관리 213

26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이천시 저소득층자활사업 정부지원 보육시설 종사자 인건비 정신보건센터운영 자원봉사코디네이터지원 아이돌봄서비스 확대 산모신생아도우미지원사업 지역사회서비스투자 공공도서관개관시간연장(2개소)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노인돌봄서비스(기본+종합) 문화관광해설사 육성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사업 도농교류활성화(농촌체험마을사무장) 꽃식재 및 녹지관리 프로시니어 일자리사업 방과후돌봄서비스(지역아동센터) 산불유급감시원 공원 및 공중화장실 관리 성폭력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지원 요보호아동그룹홈 운영 여주시 자활기반조성사업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물놀이 사고예방사업 공공근로사업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농촌테마공원 유지 및 관리 사업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사업 유해야생동물피해 방지사업 사회적기업 취약계층일자리사업 장애인복지일자리사업 통계조사 및 관리 사업 노인일자리사업 황학산 수목원 운영 농촌체험휴양마을 지원 노인돌봄사업 축산도우미 지원 장애인 바우처 사업 산불예방전문진화대 및 산불감시원 재활용 선별장 운영 및 관리 사업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동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은 다음과 같음. <표 5-8> 동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하남시 시민정보화교육 중소기업 교육포럼 가평군 와인스쿨 양평군 농촌체험마을 혁신역량강화교육 계층별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경력단절여성등 전문 자격증반 공공 인재양성반 운영 성남시 성남시직업능력개발센터운영 모바일게임 컨텐츠 제작 및 게임QA전문가 양성 모바일콘텐츠디자이너양성및 웹&앱기반쇼핑몰 창업 건설기능훈련 광주시 취업프로그램 운영 장애인직업재활 직무교육프로그램 운영 이천시 일자리센터 취업프로그램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직업교육훈련프로그램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 지역아동센터종사자 역량강화교육 취업프로그램 친환경농업대학 농업농촌 6차산업 전문가 양성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 운영 ICT/게임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인력 양성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새일) 고학력/고숙련심화교육 광주클린 농업인대학 운영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취업 훈련 근로자종합복지관 직무향상교육 214

269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여주군 지역맞춤형 일자리사업 강소농모델육성 및 기초영농기술 및 품목별단기교육 전문기술교육 여주실버인력뱅크 청년뉴딜사업 고령자 직업훈련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21c농업인대학운영 여성농업인 베이비부머 직업훈련 자활대상자 직업훈련 여성 직업훈련 청년 직업훈련 동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는 다음과 같음. <표 5-9> 동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하남시 계층별 취업교육 채용박람회 개최 취업상담서비스 노인취업지원상담 취업대비학생 진로상담(스트레스카운셀링연계) 가평군 일자리 센터 운영 카네이션하우스 사업 구인구직 박람회 등 행사 운영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 본 협의체 구성 양평군 일자리센터 운영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취업설계사 자립지원직업상담사(일을 통한 빈곤탈출 상담 지원) 공공일자리 가이드북, 리플렛제작 성남시 노인취업알선센터운영 구인구직자 만남의 날 성남일자리센터 구인구직상담 프로시니어 일자리발굴단 일자리 현장상담실 운영 여성인력개발센터 운영 취업박람회 취업설계사 운영 중 장년취업지원사업 결혼이주여성 인턴 사업 경력단절여성 디딤돌취업지원사업 광주시 일자리지원센터 운영 맞춤형 채용행사 개최 여성취업지원서비스 전담상담사 배치 자활장려금 실버인력뱅크 지원 이천시 일자리센터 운영 (채용박람회 포함)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신설 운영 여주시 여주일자리센터 (사)대한노인회 노인취업지원센터 지역자활센터 찾아가는 일자리발굴단 여성회관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215

27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시군별 창업지원은 다음과 같음. <표 5-10> 동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하남시 소상공인 특례보증사업 사회적기업육성사업 가평군 관광두레 창업지원 사업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마을기업 육성사업 양평군 창업 및 경영개선 교육 중소기업 소상공인 특례보증 및 상담센터 운영 사회적기업, 마을기업교육 G-패밀리, 디자인 사업 성남시 중소기업육성자금 융자지원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중소기업 품질공정 지원 콘텐츠코리아 랩 병원협력형 전주기 기술개발 지원 마케팅 클러스터 사업화 지원 창업보육센터운영 수출현지화전략정보제공 클러스터 우수과제사업화 지원 친구기업 수요 맞춤형지원 중소기업 애로 전문가자문 지원 혁신기업 동반성장 지원 기관연계협력사업 중소기업 지원 사업 설명회 개최 병원협력형바이오사업화지원 클러스터 우수과제 기획 지원 성남특허지원센터운영(KETI) 병원협력형 의료용품개발 지원 게임콘텐츠 제작 지원 해외 전시 성남관 등 운영 성남산업뉴스 콘텐츠 제작 중소기업 제품 방송홍보지원 중소기업 제품전시홍보관 운영 맞춤형 기업진단 시스템 운영 TV홈쇼핑 방송판매 지원 국내유망전시회참가지원 성남 벤처넷 관리 및 운영 게임콘텐츠 기업 국제 수출 상담회 콘텐츠기업특별금융지원 SW융합 특화지원센터 구축기획 해외유통망 협력 시장개척 지원 투자유치 설명회 판교테크노밸리 거점 운영 유관기관 협력 수출 지원 성남벤처펀드 4호 운영 소공인 특화지원센터 운영 중소기업 맞춤형 판로개척 지원 엔젤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해외 전시회 개별참가 지원 혁신형 창업기업 교류 활성화 비즈니스센터운영 성남창업경연대회 개최 성남미디어지원센터 시설장비 운영 및 지원 식품기업 자가품질 검사비용지원(전담기관)기관) 성남모바일앱센터 사업지원(가천대학교) 유관기관 협력 창업 중소기업 특별자금 지원 외부기관 협력 R&D 인프라 활용지원 찾아가는 중소기업 제품 전시판매장 운영 전임상 및 임상시험 지원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판교테크노밸리 융합선도기업 협의체 운영 메디바이오 기업 제품 개발 및 제품 상용화를 위한 (전)임상 시험 지원 섬유기업 KC 마크 시험 수수료 지원(KOTITI시험연구원) 외부기관 공동매칭 채용 연계 교육지원 지역기반 제조업 시제품 3D 입체 프린팅 제작 지원 성남미디어지원센터 시설장비 운영 및 지원 식품기업 자가품질 검사비용지원(전담기관)기관) 성남모바일앱센터 사업지원(가천대학교) 유관기관 협력 창업 중소기업 특별자금 지원 식품기업 현장인력 양성교육지원 (한국식품정보원) 인터넷 오픈마켓 콘텐츠 제작 및 입점지원 성남 스마트창작터운영(중소기업청) 지역기반 제조업 공동생산 및 판매지원 글로벌게임허브센터 운영(문화부, 경기도) 메디 바이오 우수제품디자인 개발 지원 모바일게임센터 운영(문화부, 경기도) 맞춤형 기업지원사업 운영 (기업과 친구맺기) 특성화 창업센터 공동운영(중소기업청) 216

271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광주시 여성문화센터 창업교육과정 중소기업 특례보증 소상공인 특례보증 소상공인창업 및 경영개선 교육 이천시 창업보육센터 운영 여주시 사회적기업육성사업 마을기업육성사업 귀농귀촌활성화사업 향토산업육성사업 후계농업경영인육성 자료: 고용노동부(2015), 각 시군 2015년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세부계획 다. 여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수요 1) 여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분야별 운영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음. <그림 5-6>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단위: 개, 명) 과정분류 사업명 과정명 목표인원 시군명 세무회계사무원 양성과정 22 성남시 새일직훈 사무 멀티사무원과정 24 이천시 회계 회계기초부터전산회계1급 20 성남시 내일 배움카드제 관리 한글 10일 완성하기 5 성남시 재직자과정 인사노무급여관리실무 7 성남시 직업 상담 <표 5-11>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새일직훈 직업상담사과정 24 이천시 경기도 특화 (고학력고숙련) 직업큐레이터 20 성남시 217

27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과정분류 사업명 과정명 목표인원 시군명 내일 배움카드제 실업자과정 직업상담사2급 15 성남시 새일직훈 방과후지도사 양성과정 22 성남시 교육 경기도 특화 연구 기초학습튜터 20 성남시 (고학력고숙련) 사회 경기도 특화 복지 (고학력고숙련) 보육행정사무원 20 성남시 보건의료 경기도 특화 (고학력고숙련) 의료행정코디네이터 20 성남시 새일직훈 한식조리기능사과정 24 이천시 새일직훈 호텔객실관리사 과정 15 이천시 내일 배움카드제 이미용 숙박 음식 재직자과정 양식조리사 11 성남시 내일 배움카드제 재직자과정 까페브런치전문반 11 성남시 문화 예술 새일직훈 웹 콘텐츠 설계,제작자 양성과정 20 성남시 디자인 고용노동부 방송 지역맞춤형 사업 모바일콘텐츠디자이너양성과정 15 성남시 창업 고용노동부 지역맞춤형 사업 웹&앱기반쇼핑몰창업과정 20 성남시 기타 새일직훈 도자기공예기능사 과정 24 이천시 시군예산사업 정리수납심화과정 9 성남시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 2) 직업교육훈련예상 수요현황 동부권 지역사업맞춤형 재직자 훈련 필요인원은 29,045명으로 나타났고, 실업자를 위한 양 성훈련예상수요는 767명으로 나타남. <표 5-12> 동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단위 : 명) 양성훈련 예상수요 향상훈련 필요인원 동 부 ,045 하남시 13 1,817 양평군 성남시 ,572 광주시 180 6,037 이천시 125 2,469 여주시 21 3,259 주: 가평군의 경우 사례수가 적어 표집조사 하지 못함. 자료: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2015), 경기도 지역 정기 인력 및 훈련 수급조사 218

273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3. 동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가. 여성 경제활동 상태 동부권역 2015년 상반기 기준 여성 생산 가능인구는 811.6천명으로 전체 생산가능인구의 50.4%를 차지함. 그중 여성경제활동인구는 408.1천명으로 나타났음. -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을 살펴보면 가평군이 54.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이천 시(53.3%), 성남시(51.1%), 하남시(48.4%), 광주시(48.3%), 양평군(47.8%), 여주시 (45.5%) 순으로 나타남. <표 5-13> 동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단위 : 천명) 시점 생산가능 인구 경제활동인구 전체 여성 전체 여성 동 부 1,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그림 5-7> 동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자료: 통계청(각 분기), 지역별 고용조사 219

27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비경제활동인구는 611.7천명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여성인구는 403.4천명으로 나 타났음. - 동부권 시군별로는 성남시 여성 비경제활동인구는 207.0천명으로 나타났고, 가평군은 11.4천명으로 나타나 권역 안에서도 인구규모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동부권 여성 비경제활동 인구 활동상태를 살펴보면 가사가 69.0%로 가장 많았고, 육아 (15.0%), 연로(12.3%)등 순으로 나타나 동부권 여성 비경제활동인구의 대다수가 육아나 가 사에 놓여 있음을 보여줌. <표 5-14> 동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구분 비 경제활동인구 전체 여성 동 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단위 : 천명) <그림 5-8> 동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220

275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나. 여성 취업자 특성 동부권역 여성 취업자는 391.6천명으로 전체 동부권 취업자 중 40.8%를 차지함. 동부권역 여성 고용률은 48.3%로 남성과 23.1%p 격차를 보임. - 시군별로 살펴보면 성별 고용격차가 가장 적은 곳은 가평군으로 20.3%p의 격차를 보인 반면 여주시는 고용률 격차가 28.9%p로 권역 내 가장 큰 격차를 보임. <표 5-15> 동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단위: 천명, %) 구분 취업자수 고용률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전체 남성 여성 동 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자료: 통계청(2015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을 살펴보면 15-29세에서는 성남시(50.3%), 30-49세는 이천시 (65.5%), 50-64세와 65세 이상은 가평군(각각68.5%, 33.2%)이 상대적으로 고용률을 보 였음. <표 5-16> 동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구분 전체 15-29세 30-49세 50-64세 65세이상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자료: 통계청(2015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221

27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여성 취업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혼인상태는 유배우가 62.9%로 가장 많이 분 포하였고, 다음 순으로 미혼(25.2%), 이혼(6.6%), 사별(5.3%)순으로 나타남. 학력의 경우 대졸이상이 40.1%로 가장 많았고, 다음 순으로 고졸(39.1%), 중졸(11.0%), 초졸 이하 (9.8%)순으로 나타남. <표 5-17> 동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구분 전체 남성 여성 미혼 혼인상태 유배우 사별 이혼 초졸 이하 학력 중졸 고졸 대졸 이상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단위: 명, %) 동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를 살펴보면 성남시가 219.9천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 타났고 다음으로 광주시(58.5천명), 하남시(40.5천명)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5-9> 동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단위: 천명) 자료: 통계청(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동부권 시군별 여성 취업자 종사산업을 살펴보면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여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시군별로는 성남시를 제외한 동부권 시군에서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여성이 비 222

277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남시는 교육서비스업에서 여성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 로 나타남. 산업분류별 <표 5-18> 동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농업, 임업 및 어업 제조업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하수 폐기물처리, 원료재생및환경복원업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 활동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223

27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종사상 지위별 여성 취업자 비율을 살펴보면 무급종사자 중 여성이 89.6%로 무급종 사자 중 대다수는 여성임을 알 수 있음. 다음으로 임시근로자(57.2%), 상용근로자(37.9%), 일용근로자(36.1%),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22.4%),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21.0%)순으 로 나타났음. - 권역 내 시군별로 살펴보면 가평군은 상용근로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광주시는 임 시근로자가 하남시는 일용근로자, 무급종사자가 성남시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권역 내 시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성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5-10> 동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종사상 지위별 <표 5-19> 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무급종사자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224

279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동부권 여성 취업자 월평균 임금은 182.5만원으로 나타났고 남성에 비해 111.2만원 적게 받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여성 취업자의 총 근로시간은 42.4시간으로 남성에 비해 4.8시간 적은 것으로 나타남. - 시군별로 남성과 여성 간 임금차이가 가장 큰 격차를 보인 곳은 성남시로 130만원이나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남. 반면 여주시는 남녀 임금격차가 66.0만원 그쳤음. <표 5-20> 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단위: 시간, 만원) 구분 총 근로시간 월 평균 임금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동 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다. 여성 미취업자 현황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는 425,295명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그중 여성비율은 65.9%에 달함. <표 5-21> 동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단위: 명, %) 구분 전체 남성 여성 여성비율 동 부 645, , , 하남시 50,830 16,772 34, 가평군 18,106 6,748 11, 양평군 36,181 13,251 22, 성남시 343, , , 광주시 96,678 32,347 64, 이천시 60,206 20,125 40, 여주시 39,988 12,581 27, 주: 권역 시군별 미취업자수는 제2장 미취업 규모추정과 같은 정의에 의해 추출되었음. 자료: 통계청(2015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225

28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미취업여성 규모 추정을 바탕으로 동부권 미취업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령 별로는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20-29세(23.4%), 학력별로는 고졸(34.1%)이, 그리고 혼인 상태별로는 유배우자(59.0%)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음. - 여성 미취업자는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20대가 23.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 (16.0%), 50대(15.4%), 40대(13.5%) 순임. - 학력별로는 여성의 경우 고졸이 34.1%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대졸이상(26.6%), 초졸 이하(21.8%), 중졸(17.5%) 순으로 나타남. - 혼인상태별로는 유배우가 59.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미혼(22.6%), 사별(15.6%), 이 혼(2.7%) 순으로 나타남. 시군별 미취업 여성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하남시는 고졸, 유배우이 가평군은 60세 이 상 초졸 이상이 양평군은 50대가 성남시는 20대, 대졸이 광주시는 고졸, 유배우가 이천시 는 20대, 초졸이하 여주시는 초졸이하가 권역내 여타 시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 <그림 5-11>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연령별> <학력별> <혼인상태별>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226

281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22>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구분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20대 대 연령 40대 대 세 이상 초졸 이하 학력 중졸 고졸 대졸 이상 미혼 혼인상태 유배우 사별 이혼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 직업을 갖고 있었던 경우가 73.9%, 없었던 경우가 26.1%로 나타남. 전직경험이 있는 미취업자 중 일을 그만 둔지 1년 미만 미취업자 비율은 13.7%, 1 년 이상은 61.2%로 나타남. <그림 5-12> 동부 권역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표 5-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구분 1년 미만 1년 이상 없었음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227

28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중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 둔 사유를 살펴보면 개인, 가족 관련된 사유가 50.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작업여건 불만족(8.4%), 육아와 가사(각각7.2%)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5-13> 동부권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표 5-24> 동부권 시군별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구분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개인, 가족 관련 사유 육아 가사 심신장애 정년퇴직, 연로 작업여건(시간,보수 등) 불만족 직장의 휴업, 폐업 명예, 조기퇴직, 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경영 악화 기타 자료: 통계청(201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주: 지역별고용조사에서 만 55세 이상은 직장을 그만둔 사유나 과거 직장에 대해 묻고 있지 않음. 따라서 20~54세 이 하 연령대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에 대해서만 분석함. 228

283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3.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가. 미취업여성 취업욕구 및 정책요구 1) 일자리 형태별 취업욕구 동부권 미취업여성의 일자리 형태별 취업희망 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사업체 취업 희망자가 7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창업(30.4%), 사회적 경제기업 취 창 업(23.8%), 프리랜서 입직(7.9%) 순으로 나타남. <그림 5-14> 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사업체 취업 창업 프리랜서 입직 사회적 경제기업 취창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구분 사업체 취업 창업 프리랜서 사회적 기업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취업) 있음(창업) 없음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29

28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미취업 여성의 취업형태별 희망 소득은 창업이 월 평균 287.6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사업체 취업의 경우 희망 소득 186.5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수용 가능한 소득은 149.3만원으로 나타남. <그림 5-15> 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단위: 만원) 수용 가능소득 사업체 취업 창업 프리랜서 사회적 경제 취창업 수용 가능소득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구분 희망소득 취업 창업 프리랜서 사회적 기업 수용가능 최저 소득 희망소득 희망소득 희망소득 (단위: 만원) 수용가능 최저 소득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30

285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2) 구직활동 동부권역의 미취업여성들이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1순위 결과 중 높은 응답 비율은 나타내는 요인은 가정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근무여건(27.1%), 안정적인 일자리(26.7%), 임 금 또는 수입(26.4%)로 나타남. 이러한 결과는 다른 지역에 비해 고용안정성과 가정생활유 지를 위한 일가정 양립형 일자리에 대한 구직 여성들의 요구가 높은 특징을 나타냄. 1순위 와 2순위 종합 결과에서는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32.0%)과 안정적인 일자리(48.5%)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림 5-16> 동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임금 또는 수입 가정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근무여건 안정적인 일자리 출퇴근 편의 장래 발전 가능성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 직업의 사회적 위신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31

28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역의 미취업여성들이 기업이 여성인력을 채용 할 때 중요시 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요 인에 대한 1순위 결과 업무경력(27.4%)과 나이(23.8%), 장기근속가능성여부(13.2%)라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1순위와 2순위 종합결과 장기근속가능여부(31.4%)와 업무경력 (44.6%)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림 5-17> 동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결혼여부 양육 아동 유무 장기근무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32

287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3) 직업교육훈련 욕구 동부권 미취업여성 중 38.3%는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직업교육훈 련을 받는 목적은 (재)취업을 위해서라는 응답 비율이 49.1%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림 5-18> 동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있음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창업을 위해 (재) 취업을 위해 자격증 취득을 위해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33

28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미취업 여성들의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은 취업연계가능성(38.8%)과 강사 및 교육내용 전문성(34.5%)이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자격증 취 득가능성(12.9%)으로 나타남. <그림 5-19> 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직업 교육기관 인지도 강사 및 교육내용 전문성 저렴한 교육비 취업 연계 가능성 자격증 취득 가능성 프로그램 운영 시간대 교육 기관과 집과의 거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34

289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동부권 미취업 여성들이 직업교육훈련과정 선택 시 선호하는 훈련기관은 여성교육 훈련기관 이 40.5%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공공훈련기관이 28.4.%로 나타남. 다른 권역에 비해 여 성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 그 밖에 복지 및 문화시설(12.9%), 대학 또 는 전문대학 부설기관(11.2%) 순으로 나타남. 1순위와 2순위 종합결과, 복지 및 문화시설 (46.6%)과 대학 또는 전문대학 부설기관(35.3%)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림 5-20> 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공공 훈련기관 대학 또는 전문대학 부설기관 여성교육 훈련기관 복지 및 문화시설 사설 학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35

29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향후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에 대한 동부권 미취업 여성들의 1순위 응답 결과 교육 및 연구(19.8%), 사회복지 및 종교(14.7%), 음식서비스(12.9%), 정보통신 (11.2%)과 경영, 회계, 사무(11.2%) 등의 순으로 나타남. 상대적으로 교육 및 연구 분야에 대한 참여 의향이 높게 나타남. <그림 5-21> 동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경영, 회계, 사무 금융, 보험 교육 및 연구 보건, 의료 사회복지 및 종교 문화, 예술, 디자인, 방송 영업 및 판매 경비 및 청소 미용, 숙박, 여행, 오락, 스포츠 음식 서비스 섬유 및 의복 정보통신 식품가공 온라인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36

291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4) 정책요구 취업 또는 창업을 위해 직업 교육훈련 및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부터 가장 받고 싶은 서비스에 대한 동부권 미취업 여성들의 응답 결과 취업 창업 관련 주요 업무에 대한 구체적 정보가 51.5%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취업처와 인턴제 소개(19.1%), 자신감 향상을 위한 상담지원(13.2%), 직업교육훈련(9.6%) 순으로 나타남. <그림 5-22> 동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취업 창업 관련 주요 업무에 대한 구체적 정보 직업교육 훈련 취업할 곳과 인턴제 소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상담지원 직업의식 등 태도와 자질 교육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37

29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동부권 미취업여성 중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45.5% 로 나타남. <그림 5-23> 동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있음 45.5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있음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나. 여성 취업자 인식 및 정책요구 1) 직장생활 관련 인식 동부권역의 여성 취업자의 근로 만족도는 평균 3.57점임. 지역별로는 상대적으로 광주시 여 성 취업자의 만족도가 동부권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반면, 가평군은 3.0점으로 권 역 내 지역 중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음. 238

293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그림 5-24> 동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단위: 점) 동부 평균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군 주: 5점 척도(1 매우 불만족, 2 대체로 불만족, 3 보통, 4 대체로 만족, 5 매우 만족)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동부권 취업 여성 중 3점 이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항목은 업무량 과다 (3.2점)인 것으로 나타남. <그림 5-25> 동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단위: 점) 주: 5점 척도(1 전혀 받지 않음, 2 별로 받지 않음, 3 보통임, 4 약간 받음, 5 매우 받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39

29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5-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단위: 점)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업무량 과다 출퇴근 문제 직장 내 성차별 직원과 관계 어려움 근무 환경 열악 고용 불안정 문제 (워킹맘만 해당) 워킹맘에 대한 이해 부족 장시간 근무 주: 5점 척도(1 전혀 받지 않음, 2 별로 받지 않음, 3 보통임, 4 약간 받음, 5 매우 받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업무역량과 관련된 항목에 대해 남성 직원 대비 여성 자신의 경쟁력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질문한 결과, 동부권 취업 여성들은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2.9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 대해 3점 이상을 나타내고 있어, 동일 직무에 종사하는 남성에 비해 자신이 경쟁력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직업기초능력(3.6점)과 책임감(3.5점) 및 성실성(3.5점), 근 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3.4점)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5-26> 동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단위: 점) 조직내 친화력 업무 성과 직무 능력 자기개발 노력 성실성 책임감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 근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 공동체 의식 감정관리 능력 일과 가정의 조화와 관리 직업기초능력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40

295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단위: 점)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조직 내 친화력 업무 성과 직무 능력 자기개발 노력 성실성 책임감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 근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 공동체 의식 감정관리 능력 일과 가정의 조화와 관리 직업기초 능력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 고용유지 관련 인식 현재 일을 하는 이유에 대한 동부권 취업 여성들의 1순위 응답 결과는 생활비마련을 위해서 라는 응답이 64.4%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자기계발 또는 지식이나 기술 활용을 위해서(18.2%),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서(9.7%) 순으로 나타남. <그림 5-27> 동부권 일을 하는 이유 생활비 마련을 배우자 또는 다른 자녀의 교육비 본인의 학비 또는 1순위 자기계발 또는 종합 기타 위해서 가족의 소득이 마련을 위해서 용돈을 벌기 위해서 지식이나 기술 없어서 활용을 위해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41

29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5-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생활비 마련을 위해서 배우자 또는 다른 가족의 소득이 없어서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서 본인의 학비 또는 용돈을 벌기 위해서 자기계발 또는 지식이나 기술 활용을 위해서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고용 유지에 대한 동부권 취업 여성들 인식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직업)을 지속하겠다는 응답(3.8점)과 돈을 벌 필요가 없어도 일(직업)을 할 생각이라는 응답(3.7점) 모두 3점 이상 으로 나타나고 있어 향후에도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5-28> 동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단위: 점) 돈을 벌 필요가 없어도 일(직업) 가지고 싶음 3.8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직업) 지속 주: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5-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단위: 점)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돈을 벌 필요가 없어도 일(직업) 가지고 싶음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직업) 지속 주: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42

297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동부권 취업 여성 중 3년 이내 사직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6.7%임. 이들 중 이직이 나 전직, 또는 창업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냥 쉴 예정이라는 응답은 27.3%로 다른 권역에 비해 이직과 전직을 위한 사직 의향이 높은 반면, 그냥 쉴 예정이라는 응답 비율은 상대적 으로 낮게 나타남. <그림 5-29> 동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있음 26.7 없음 쉴예정이다 이직 전직을 할 것이다 창업을 할 것이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5-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있음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5-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쉴 예정이다 이직 전직을 할 것이다 창업을 할 것이다 주: 양평군은 3년이내 퇴사하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없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43

29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3) 정책요구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한 동부권 취업여성들의 1순위 응답 결과는 유연근무제 도입과 확대(23.1%)와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조직문화 조성 (21.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연령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15.8%), 장시 간 근로문화 개선(13.4%)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5-30> 동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5-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연령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 성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 장시간 근로 문화 개선 유연 근무제 도입과 확대 출산휴가, 육아휴직등 사용가능 조직문화 조성 시간 선택제 일자리 확대 직장,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 방과후 초등 돌봄 서비스 확충 경력개발 프로그램 지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44

299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중 활성화 되어야 할 제도에 대한 동부권 취업 여성의 1순위 응답결과는 출산전후휴가(24.3%)와 육아휴직제(20.6%) 등 모성보호제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시퇴근제(20.2%)와 선택적근로시간제(15.8%)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5-31> 동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출산 육아 휴직제 정규직 선택적 근로 탄력적 근로 1순위 원격및재택 정시 퇴근제 종합 직원 전후휴가 시간선택 시간제 시간제 근무제 가족대상 근로 전환제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5-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출산 전후휴가 육아 휴직제 정규직 시간선택 근로 전환제 활성화 선택적 근로 시간제 탄력적 근로 시간제 원격 및 재택 근무제 정시 퇴근제 직원 가족대상 프로그램 지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45

30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다. 사업체 여성 일자리 수요 및 정책 요구 1) 사업체 인력난 현황과 인식 동부권역의 조사대상 사업체 중에서 인력부족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체는 23.6% 로 나타남. <그림 5-32> 동부권 인력난 여부 있음 23.6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예 아니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동부권 사업체의 주요 직종은 전문직(28.0%), 생산직 (28.0%), 단순노무직(26.7%), 기술직(24.0%), 영업직(18.7%)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5-33> 동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관리직 전문직 기술직 사무직 영업직 서비스직 생산직 단순노무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46

301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관리직 (관리자) 전문직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기술직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사무직 (사무 종사자) 영업직 (판매 종사자) 서비스직 (서비스 종사자) 생산직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 노무직 (단순 노무 종사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앞서 인력난을 겪고 있는 동부권 사업체가 인식하는 인력난 원인에 대한 1순위 응답결과 인 력난을 겪는 가장 주된 이유는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37.3%)과 힘든 일을 기피하는 사회적 풍토(20.0%) 등을 주요 이유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밖에 사업장 위치나 교통문제 등 근로환경의 문제(18.7%), 회사 규모가 작아서(12.0%), 불규칙적인 업무(9.3%) 순으로 나타남. <그림 5-34> 동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임금, 근로시간 사업장 위치나 회사 규모가 열악한 근로환경 힘든 일을 1순위 종합 불규칙 적인 기타 등 근로조건 교통 문제 등 작아서 기피하는 사회적 업무(프로젝트 문제 풍토 수주 등)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47

30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5-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 문제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 등 회사 규모가 작아서 열악한 근로환경 힘든 일을 기피하는 사회적 풍토 불규칙 적인 업무 (프로젝트 수주 등)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해당 사업체에게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방법 1순위를 질문한 결과,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을 개선한다는 응답이 37.3%로 가장 많았으며, 기존근로자의 근무시 간 연장(22.7%), 파견 및 용역 근로자 활용(10.7%), 외국인 근로자 활용(8.0%) 등의 순으 로 나타남. <그림 5-35> 동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48

303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 개선 기존 근로자의 근무시간 연장 파견 및 용역 근로자 활용 외국인 근로자 활용 다른 회사에 하청을 줌 생산설비 자동화 또는 사무 자동화 시간 선택제 일자리 사업 참여 기타 특별한 방법이 없다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 여성인력활용과 여성인력에 대한 인식 여성인력을 고용하는 주된 이유에 대한 동부권 사업체의 1순위 응답 결과, 59.7%는 직무의 특성상 여성인력이 더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성별과 무관한 능력 위주의 고용 때문(27.7%), 단순 반복적인 업무가 많아서(6.0%)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5-36> 동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순위 종합 직무의 특성상 여성 성별과 무관한 능력 단순 반복적 상대적 낮은 주로 여성들이 기타 무응답 인력이 더 적합하기 위주의 고용을 하기 보조업무가 많아서 인건비로 채용이 지원을 많이 하기 때문에 때문에 가능해서 때문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49

30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5-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직무의 특성상 여성 인력이 더 적합하기 때문에 성별과 무관한 능력 위주의 고용을 하기 때문에 단순 반복적 보조업무가 많아서 상대적 낮은 인건비로 채용이 가능해서 주로 여성 지원이 많기 때문에 기타 무응답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경력단절 여성 채용 경험이 있는 동부권 사업체 대상 채용 이유에 대한 1순위 응답 결과, 특별한 구분 없이 채용한 것(51.9%)이라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 종 성격상 경력단절 여성에게 적합한 일자리라서(12.4%), 적합한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서 (12.4%), 단순 반복적 보조 업무가 많아서(12.4%), 경력단절 여성 인력의 업무 능력이 뛰어 나서(8.5%) 등의 순으로 나타남. 1순위와 2순위의 종합순위 결과 1순위와 동일한 패턴을 나 타내고 있으나, 경력단절여성 인력의 업무 능력이 뛰어나서라는 항목에 대한 추가 응답 비 율이 다소 높게 나타남. <그림 5-37> 동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50

305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직종 성격상 경력단절 여성에 적합한 일자리라서 적합한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서 단순 반복적 보조 업무가 많아서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 특별한 구분 없이 채용한 것임 일반적으로 남성에 비해 인건비가 낮아서 경력단절 여성 인력의 업무 능력이 뛰어나서 정부 지원금 (인건비 보조)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을 두는 사안에 대한 동부권 사업체의 1순위 응답결과 업무경력이 라는 응답이 56.3%으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장기근속가능 여부(17.3%)로 나 타남. 특히 1순위와 2순위 종합순위결과 상대적으로 장기근속 여부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 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 <그림 5-38> 동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51

30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5-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결혼여부 장기근속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주로 채용하는 여성인력의 연령대에 대한 동부권 사업체의 응답 결과, 20대 후반이 39.0% 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30대 초반(23.3%), 30대 후반(10.7%), 40대 초반(9.1%) 등 연령 이 높아질수록 채용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다른 권역에 비해 20대 후반 연령대 채용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다른 권역의 경우 40대 초반은 오히려 30대 초반에 비해 채용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나, 동부권은 유독 매우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상대적으로 경력단절 여성들의 취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그림 5-39> 동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세 미만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52

307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여성인력이 주로 활용되는 직종에 대한 동부권 사업체 1순위 응답 결과, 사무직에 주로 활 용한다는 응답이 41.8%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관리직(18.2%), 생산직 (12.3%), 전문직(7.2%), 서비스직(6.0%)과 기술직(6.0%)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5-40> 동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순위 종합 관리직 전문직 기술직 사무직 영업직 서비스직 생산직 단순노무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53

30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5-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관리직(관리자) 전문직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기술직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사무직 (사무 종사자) 영업직 (판매 종사자) 서비스직 (서비스 종사자) 생산직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 노무직 (단순 노무 종사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업무역량과 관련된 각각의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남성 직원 대비 여성 직원의 경쟁력을 질문하였음. 3점 이상 5점에 가까울수록 동일 직무에 종사하는 경우 남성에 비해 여성 종사 자의 경쟁력을 높게 평가하는 것임.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다른 권역에 비해 3점 이상으로 남성에 비해 경쟁력을 높게 인식하는 항목이 직업기초능력(3.18점), 성실성(3.10점), 근무시 작 중 업무 몰입도(3.02점)에 불과함. 타 지역의 경우에 비해 항목별 평균 점수가 낮게 나타 나고 있어 직무중심 재교육 기회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254

309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그림 5-41> 동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단위: 점)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단위: 점)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조직내 친화력 업적과 성과 직무능력 자기개발 노력 성실성 책임감 초과근무 및 출장 수용력 근무시간 중 업무 몰입도 공동체 의식 감정관리 능력 일과 가정의 조화와 관리 직업 기초능력 주: 5점 척도(1 매우 부족함, 2 약간 부족함, 3 비슷함, 4 약간 뛰어남, 5 매우 뛰어남)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55

31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3) 여성 수요 집중 직종별 채용 희망 조건 조사 대상 사업체 중 사무직종이 있는 동부권 사업체를 대상으로 사무직 여성 인력 채용 조 건과 관련해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그림 5-42> 참조). - 사무직 여성 인력 채용 가능 연령대는 20대 후반이 71.0%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 로 30대 초반(48.4%), 30대 후반(24.6%) 순이며, 특히 다른 지역에 비해 40대 초반에 대 한 채용 가능성은 매우 낮게 나타남. - 사무직 여성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은 업무경력(63.7%)인 것으로 나타 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장기근속 여부(20.6%)인 것으로 나타남. - 사무직 여성 월 지급 가능 급여로 만원이 5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 로 만원(23.8%), 만원(19.8%)순으로 나타남. <그림 5-42> 동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채용가능연령대>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점> <월지급 가능급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56

311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결혼여부 양육아동 유무 장기근속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100 만원 미만 ~ 149만원 ~ 199만원 ~ 249만원 ~ 299만원 만원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57

31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조사 대상 사업체 중 서비스직종이 있는 동부권 사업체를 대상으로 서비스직 여성 인력 채 용 조건과 관련해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그림 5-43>참조). - 서비스직 여성 인력 채용 가능 연령대는 20대 후반이 5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 후에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아짐. 서비스직의 경우 일정한 연령대에는 비슷한 채용 가능 성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여주는데 반해 동부권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채용 가능성을 낮 게 보는 현상이 뚜렷한 특성을 나타냄. - 서비스직 여성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은 앞서 사무직과 마찬가지로 업무 경력(50.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장기근속가능여부(19.4%)로 나타남. - 서비스직 여성 월 지급 가능 급여로 56.5%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만원(19.4%) 순으로 나타남. <그림 5-43> 동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채용가능연령대>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점> <월지급 가능급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58

313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구분 동부 하남시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주: 가평군은 응답 사업체는 서비스직 채용 관련 문항에 응답하지 않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구분 동부 하남시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결혼여부 양육아동 유무 장기근속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구분 동부 하남시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100 만원 미만 ~ 149만원 ~ 199만원 ~ 249만원 ~ 299만원 만원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59

31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생산직이 있는 동부권역 사업체를 대상으로 생산직 여성 인력 채용 조건과 관련해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그림 5-44> 참조). - 생산직 여성 인력 채용 가능 연령대는 30대 초반이 50.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20대 후반부터 40대 초반까지는 40% 안팎에 비교적 높은 채용 가능성을 나타냄. - 생산직 여성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장기근속 여부(41.7%)와 업무경력 (35.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태도(10.0%)순인 것으로 나타났음. - 생산직 여성 월 지급 가능 급여에 대해서는 40.8%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 했으며, 그 다음으로 39.2%의 사업체가 만원이라고 응답함. <그림 5-44> 동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채용가능연령대> <채용시 가장 중시하는 점> <월지급 가능급여>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60

315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25세 미만 ~29세 ~34세 ~39세 ~44세 ~49세 ~54세 ~59세 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나이 학력 업무경력 자격증 소지 결혼여부 양육아동 유무 장기근속 가능여부 집과의 거리 용모, 인상 태도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100 만원 미만 ~ 149만원 ~ 199만원 ~ 249만원 ~ 299만원 만원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61

31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4)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 및 이용현황과 협력희망 여부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에 대한 동부권 사업체의 응답 결과, 알고 있다는 응답이 47.5% 로 나타났음.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의 경우 여성인력개발기관의 직접적인 홍보를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이 36.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터넷이나 홈페이지(32.5%), 관공서 안내(9.9%), 신문, 방송매체(8.6%), 홍보지, 현수막 등의 지면광고(6.6%), 주변사람 들의 소개와 안내(6.0%)순으로 나타남. <그림 5-45>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알지 못함 알고 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홍보지, 현수막 등의 지면광고 여성 인력개발 기관의 홍보 인터넷, 홈페이지 주변 사람들의 소개, 안내 관공서 안내 신문, 방송매체를 통해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62

317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여성인력개발기관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를 대상으로 사업별로 협력 경험 여부를 질 문한 결과,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사업(35.1%) 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구인신청 및 구직여성 추천(18.5%)과 새일인턴 지원사업(12.6%)로 나타남. <그림 5-46>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구인 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 기업체 재직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새일인턴 지원사업 여직원대상 교육 및 멘토링, 간담회 여성친화기업 컨설팅 여성 채용 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63

31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에 대한 동부권 사업체의 응답 결과, 채용장려금 등 정부정책에 대한 정보제공(41.2%)과 기업환경개선금지원사업(39.6%)에 대한 응답 비율 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구인신청 및 구직여성추천(32.1%),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 원(31.1%)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5-47>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구인 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 기업체 재직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 새일 인턴 지원사업 여직원대상 교육 및 멘토링, 간담회 여성친화기업 컨설팅 여성 채용 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 기타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64

319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라. 시간제 일자리 인식 및 정책 요구 1) 미취업여성의 시간제 취업욕구 동부권역에 사업체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이 선호하는 근로 형태는 전일제 근로가 63.7%, 시간제 근로가 31.4%, 상관없음 4.9%로 나타남. <그림 5-48> 동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전일제 63.7% 무관 4.9% 시간제 31.4% 시간제 근로 형태 희망(무관 포함) 36.3%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표 5-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전일제 근로 시간제 근로 상관 없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시간제 근로를 희망하거나 무관하다고 응답한 경우, 시간단축제와 요일제 중 선호하는 형태 를 질문한 결과 시간단축형에 대한 선호가 70.4%로 높게 나타남. <그림 5-49> 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요일제 29.6 시간 단축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65

320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5-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요일제 시간 단축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시간제 일자리를 희망하거나 무관하다고 응답한 구직 여성들에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 었거나 겪게 될 것으로 생각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질문한 결과,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구인정보 부족(33.3%)이라는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 밖에 원하는 시간대 일자리 부족 (23.5%), 시간제 일자리의 고용 불안정 문제(19.8%), 원하는 직종의 일자리 부족(13.6%) 등의 순으로 나타남. 1순위와 2순위를 종합한 결과도 1순위 응답과 비슷한 응답패턴을 나타 내고 있으나, 원하는 시간대 일자리 부족(48.1%) 문제에 대한 추가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5-50> 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66

321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표 5-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구인정보 부족 출퇴근 교통수단 문제 시간제 일자리의 고용 불안정 문제 원하는 시간대 일자리 부족 원하는 직종의 일자리 부족 취업 후 전일제 근로자와 차별 문제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5), 경기도 미취업여성 취업욕구조사 재분석 2) 여성근로자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 요구 동부권 여성 근로자들의 시간선택제 관련 전환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2가지 형태의 질문을 하였음. 우선 동일한 직무와 근로조건이 보장될 경우, 근로 시간을 일일 2시간 줄여주는 것 과 근로시간 일일 2시간에 해당되는 임금을 인상하는 것 중에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를 질문 하였음. 조사 결과 시간단축을 선호하는 경우가 51.4%, 임금인상 선호 48.6%로 거의 비슷 한 분포를 나타냄. <그림 5-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시간단축 선호 월평균급여 236.7만원 임금인상 선호 월평균급여 208.6만원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5-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근로시간을 2시간 줄여주는 것을 선호 근로시간 2시간에 해당되는 임금을 인상해주는 것을 선호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267

322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다음으로 동일한 업무를 지속하되, 시간당 임금 수준과 근로조건이 동일할 경우 정규직 시 간선택제로의 전환의사를 질문하였음. 동부권 여성 근로자의 응답 결과 전환하지 않겠다는 비율이 전체 응답자 중 29.6%였으며,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70.4%에 달했음. 전환할 경우 요일제 전환의사는 전체 응답자 중 38.1%였으며, 시간단축제 전환의사는 32.4%로 나 타남. <그림 5-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전환의사 없음 전환의사 있음 요일제 38.1 시간 단축형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표 5-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전환할 의사가 없음 현재 주5일 근로에서 주3일 근로 형태로 전환할 의사가 있음 현재 일일 8시간 에서 일일 6시간 근로 형태로 전환의사 있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여성근로자 실태조사 재분석 3) 사업체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 가능성 향후 2년 이내에 시간제 근로자를 채용할 계획에 대해 질문한 결과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업체가 50.9%로 과반수를 넘었으며,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39.6%이고, 계획이 있 다고 응답한 사업체는 9.4%에 불과함. 268

323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그림 5-53> 동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없음 50.9 있음 9.4 모르겠음(시간제 채용 경험 없음) ~4인 5~9인 10~29인 30~49인 50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채용계획 없음 아직 잘 모르겠음 ~4인 ~9인 ~29인 ~49인 인 이상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고용노동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정책을 이용하여 시간선택제 직원을 채용할 의향이 있 는지 조사한 결과, 없음이 42.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잘 모르겠음(46.9%), 있음 (10.4%) 순으로 응답함. <그림 5-54> 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있음 없음 잘 모르겠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69

324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표 5-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구분 동부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있음 없음 잘 모르겠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시간선택제 직원을 채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인건비 지원 을 받아 시간선택제로 직원을 채용하고자 하는 주된 이유를 물어본 결과, 채용지원금을 활 용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라고 답한 비율이 36.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일제 부족인력 충원으로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서(24.2%), 장시간 근로문제를 해결하고자(15.2%)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5-55> 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표 5-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구분 동부 하남시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여주시 인건비를 절감하고자 (채용지원금 활용) 인력난을 해소하고자 (전일제 부족인력 충원) 피크타임의 업무를 분산하고자 장시간 근로문제를 해결하고자 우수한 여성인력 확보를 위해 주: 가평군과 양평군은 창출이유를 응답하지 않았음. 자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4),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재분석 270

325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5.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가.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일반환경) 동부권역의 7개 시군은 노동시장권으로 보면, 가평과 양평군 단위 지역과 이천 권의 이천, 여주, 성남권에 성남, 광주가 포함되며, 하남시는 남양주권에 가깝지만, 동부권 역에서는 성남권에 가까운 지역임. 특히 성남시는 그 자체로 경기도의 중심 도시이며, 최근 들어 판교테크노밸리 등을 중심으로 한 지식산업과 유수기업이 위치하고 있어 다양한 일자 리 창출 기회 요인이 있음. 접근성 차원에서 최근 인구 유입이 늘고 있는 광주와 하남 지역 의 여성구직자 수요를 고려한 접근이 요구됨. 그 외에 가평군와 양평군 지역은 경기도의 대 표적인 농촌지역으로 이들 지역의 특성에 부합되는 여성고용확대 전략이 요구됨.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동부권역에는 7개 시군 중 2개 시군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1개의 여성인력개발센터, 3개 지역에 고용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동부권역은 아직까지 고용 + 센터가 설치되지는 않은 상태임. 동부권역은 사실상 가평과 양평, 여주와 이천, 그리고 성남, 하남, 광주권의 노동권이 존재함. 가평과 양평지역은 농촌지역으로 향후 농촌형 새일 센터를 유치하여 동부권 구직 여성의 고용서비스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동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훈 련과정은 총 21개 과정이 운영되었으며, 사무회계 과정이 5개, 이미용 숙박 음식과정이 4개 과정, 직업상담과정 3개 과정, 그 외의 분야에는 1~2개 과정이 운영되었음. (여성경제활동상태) 동부권역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50.3%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음. 동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425,295명이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은 61.2%에 달하고, 직장을 그만 둔 이유로는 개인, 가족관련 이유 라는 응답이 50.6%에 달함. 271

326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나. 동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사업체 취업희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창업(30.4%), 사회적 경제기업 취 창업 희망 비율(23.8%) 순으로 나타남. 동부권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 해 안정적인 일자리(26.7%)에 대한 고려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임금 수준에 대한 고려 (26.4%)와 함께 일 가정 양립 가능한 근무 여건(27.1%)에 대한 고려 비율이 비슷한 수준 을 나타냄. 미취업 여성 중 38.3%는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타 권역에 비해서는 낮은 비율임. 그런데 지역별로는 양평군, 가평군, 여주시 등과 같은 농촌 지역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높게 나타남. 또한 동부 권역의 경우 직업훈련기관 중 여 성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선호가 40.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공훈련기관(28.4%)로 나타남. 상대적으로 광주시와 이천시의 여성교육훈련기관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취 창업을 위한 정책 요구 조사 결과, 취 창업 관련 정보제공(51.5%)에 대한 요구가 높았 으며, 타 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상담지원에 대한 요구가 13.2%로 높 게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취업여성들의 일자리 만족도는 3.57점으로 경기도 평균(3.59점) 수준 임. 상대적으로 광주시 취업 여성의 만족도가 3.8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평군(3.0점)과 하남시(3.29점)으로 다소 낮게 나타남. 업무량(3.2점)과 워킹맘(3.0점)에 대한 이해 부족에 대한 스트레스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는 3점 이하를 나타냄. 남성 직원 대비 여성 자신의 경쟁력을 비슷하거나 다소 높게 인식함.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식(3.8점)하고 있었 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6.7%로 나타났으며 타 권역에 비해 높은 비 율을 나타냄.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 중 63.6%가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특히 동 부권역의 경우 이들 이직 전직 지원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위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향후 경력단절예방과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와 관련해서는 모성보호제 272

327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도 관련 요구와 다양한 유연근로제도 활성화 요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남. 한편으 로 정시 퇴근에 대한 요구도 20.2%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일 가정 양립과 일과 삶의 조 화를 위한 근로문화 개선과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한 사업과 캠페인은 지속적으로 추진될 필 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사업체 정책 수요) 동부권 사업체 중 23.6%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생산직(28.0%)과 전 문직(28.0%) > 단순노무직(26.7%) > 기술직(24.0%)이 비슷한 수준의 인력난을 겪는 것으 로 나타남. 특히 성남시의 경우 전문직(43.6%)과 기술직(35.9%)의 인력난이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됨. 인력난의 원인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라 는 응답 비율은 18.7%로 나타났음.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 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4.0%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6.3%)과 장기근속여부(17.3%)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 율이 높았음.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3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무직 여성인력 활용 비율이 41.8%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음. 특히 동부권 사업체는 타 지역 에 비해 남성에 비해 여성직원의 경쟁력을 다소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남.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7.5%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 원교육 특강지원(35.1%)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인구직 알선(18.5%)로 나타났 고, 향후 협력 희망 비율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41.2%) > 기업환 경개선금 지원사업(39.6%) > 구인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32.1%)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 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1.4%로 타 권역에 비해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음. 그런데 시간제 채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9.4%,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 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10.4%에 불과함. 그런데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 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이 51.4%로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선호를 나 273

32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타냈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70.4%에 달하고 있어 상당수의 취업 여성 이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 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 을 것인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다. 향후 추진 과제 고용서비스 기관 확충 : 가평 및 양주 지역의 농촌형 새일센터 유치 - 현재 북부권역 가평과 양평 지역에서는 새일센터가 부재한 상황임. 경기도에는 농촌지역 이 분포되어 있음에도 불굴하고 농촌형 새일센터는 부재한 상황임. 특히 가평과 양주 지 역은 농촌형으로 관광과 농촌 여성일자리 중심의 특화 사업 영역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특히 미취업여성 조사 결과 농촌지역 미취업 여성들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높게 나타 나고 있어, 상대적으로 직업교육훈련기관이 부족한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됨. 교통이 편리해진 양평지역을 거점으로 한 양평, 가평의 농촌형 새일센터 유치 (공통) 여성 취업자 대상 고용유지 지원 사업 강화 : 전직 지원 강화 - 다른 권역에 비해 취업 여성 중 이직 및 전직을 위한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남. 따라서 취업 여성들의 경력유지와 관련된 요구 파악과 함께 이들을 위한 경력개발 과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향후 경기도 차원의 프로그램개발 및 지원 사업 우선 추진 등 (공통) 시간선택제 일자리 발굴 및 고용서비스 강화 : 시간선택제 일자리 발굴단 운영 - 미취업여성과 취업여성 모두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요구가 높기 때문에 수요처 발굴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274

329 제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대한 이해와 구인처 정보 구축 시,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인식과 향후 발굴 가능성 등과 관련한 정보를 기입하고, 구직여성 정보 구축 시에도 시간 선택제 일자리 선호 및 희망 근로 시간대 등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여 향후 고용 서비스 제 공 시 활용가능 하도록 함. 초기 상담 시트 작성 시 관련 정보 기입 경기도 특화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사업과의 협력 체계 강화 275

330

331 제 6 장 남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남부권역 일반 현황 2. 남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3. 남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4. 남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수요분석 5.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332

333 제6장 남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남부권역 일반현황 가. 인구지리학적 특성 1) 교통 및 지리적 특성 남부권역은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용인시, 평택시, 안성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부권 면 적은 2,455km2(수원시 121km2, 오산시 42km2, 화성시 689km2, 용인시 591km2, 평택시 457km2, 안성시 553km2)임. - 남부권 지역은 서울인접지역인 경기 중부지역과 동부지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부권 내 대도시인 수원을 중심으로 권역 내부간의 이동이 자유로운 편임. - 그러나 도시개발과 관련해 지속적인 택지개발 및 신도시개발정책 추진으로 기성시가지 및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시설 노후화에 대한 대응 전략이 부족한 편임(경기개발연구원, 2014). - 최근 남부권역이 지닌 고급인적자원을 활용한 성장추진과 함께 기존의 택지개발지구중심 의 도시개발에서 벗어나 기존시가지와 연계한 대중교통 중심 정비를 구축하고자 하고 있 음. <그림 6-1> 남부권 279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문화향수실태조사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2006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Korea Culture & Tourism Policy Institute 서문 우리나라 국민들이 문화와 예술을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즐기고 있는지를 객관적으 로 파악하기 위하여, 1988년부터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Content Ⅰ. 기본방향 1. 목 적 3 2. 적용범위 3 Ⅱ. 사회복지관 운영 1. 사회복지관의 정의 7 2. 사회복지관의 목표 7 3. 사회복지관의 연혁 7 4. 사회복지관 운영의 기본원칙 8 Ⅲ. 사회복지관 사업 1. 가족복지사업 15 2. 지역사회보호사업 16 3. 지역사회조직사업 18 4. 교육 문화사업 19 5. 자활사업 20 6. 재가복지봉사서비스

More information

13Åë°è¹é¼Ł

13Åë°è¹é¼Ł 이면은빈공간입니다. National Statistics White Paper 2012 National Statistics White Paper ii _ STATISTICS KOREA 2012 _ iii 2012 National Statistics White Paper 1 26 2 27 3 28 4 29 5 30 6 31 7 32 8 33 9 34 10 35

More information

iOS ÇÁ·Î±×·¡¹Ö 1205.PDF

iOS ÇÁ·Î±×·¡¹Ö 1205.PDF iphone ios 5 DEVELOPMENT ESSENTIALS Copyright 2011 Korean Translation Copyright 2011 by J-Pub. co. The Korean edition is published by arrangement with Neil Smyth through Agency-One, Seoul. i iphone ios

More information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어업 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2년도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2. 10.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연구책임자 오경석 연 구 원 이한숙 김사강 김민정 류성환 윤명희 정정훈 연구보조원 최상일 이 보고서는 연구용역수행기관의 결과물로서, 국가인권위원회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연구요약 이 연구는 연근해

More information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i ii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iii iv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v vi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vii viii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ix x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xi xii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xiii xiv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More information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29303831302E687770>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29303831302E687770> 동아시아역내 일본자동차산업의 아웃소싱 시장 분석을 통한 국내자동차부품기업의 진출방안 연구 2008. 8. 29.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연구 참여자 책임연구자: 김도훈(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일본기업연구센터 연구위원) 연 구 자: 오재훤(메이지대학 국제일본학부 준교수) 연 구 자: 김봉길(도야마대학 경제학부 교수) 연 구 자: 정성춘(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일본팀장) 연

More information

°æÁ¦Àü¸Á-µ¼º¸.PDF

°æÁ¦Àü¸Á-µ¼º¸.PDF www.keri.org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xii xiii xiv xv 3 4 5 6 7 8 9 10 11 12 13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7 48 49 50 51 52 53

More information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제 출 문 교육과학기술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0년 12월 일 주관연구기관명:단국대학교 연구기간:2010. 7. 19-2010. 12. 18 주관연구책임자:송 동 섭 참여연구원 공동연구원:이 동 규 이 창 세 한 창 근 연 구 조 원:심 재 우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More information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한 중 일 대중문화 교류의 현황 및 증진 방안 연구 동북아 문화공동체 특별연구위원회 구 분 성 명 소 속 및 직 위 위 원 장 김 광 억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 김 우 상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 준 식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전 영 평 대구대 도시행정학과 교수 위 원 정 진 곤 한양대 교육학과 교수 정 하 미 한양대 일본언어

More information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2012 연구보고서-23 공공부문 시간제근무와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 활용과의 연계방안 연구책임자 : 문미경(본원 선임연구위원) 공동연구자 : 김복태(본원 연구위원) 금창호(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미연(본원 위촉연구원) 발 간 사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의 여러 형태 중 최근 공공부문에서 가장 관심을 보이 고 있는 시간제 근무에 초점을 맞추어, 육아휴직

More information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38 10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2008.9.25,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2003.3.14,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38 10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2008.9.25,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2003.3.14,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01 노동법 법원으로서의 노동관행 15 - 대판 2002.4.23, 2000다50701 [퇴직금] (한국전력공사 사례) 02 노동법과 신의성실의 원칙 17 - 대판 1994.9.30, 94다9092 [고용관계존재확인등] (대한조선공사 사례) 03 퇴직금 청구권 사전 포기 약정의 효력 19 - 대판 1998.3.27, 97다49732 [퇴직금] (아시아나 항공

More information

<C1A4C3A5BFACB1B82031312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C1A4C3A5BFACB1B82031312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제 출 문 보건복지부장관 귀 하 이 보고서를 정신질환자의 편견 해소 및 인식 개선을 위한 대상별 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서울여자간호대학 산학협력단 연 구 책 임 자 김 경 희 연 구 원 김 계 하 문 용 훈 염 형 국 오 영 아 윤 희 상 이 명 수 홍 선 미 연 구 보 조 원 임 주 리 보 조 원 이 난 희 요

More information

xviii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에 연계되기 때문이라는 응답 이 학생 61.7%, 학부모 73.2%로 가장 많았고,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는 학생의 경우 사교육 때문이라는 응답이 26.9%,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

xviii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에 연계되기 때문이라는 응답 이 학생 61.7%, 학부모 73.2%로 가장 많았고,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는 학생의 경우 사교육 때문이라는 응답이 26.9%,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 xvii 요 약 1. 수요자 설문조사 분석 가. 설문지 제작 및 조사 방법 설문 영역: 수능강의 이용 현황, 수능강의 평가, 수능 교재, 사교육 이용 등 조사 대상: 일반고, 자율고, 외국어고 학생 및 그의 학부모 각각 6,480명 표본 추출 방법 : 층화표집(지역 규모별 108개교 표집 후 학생 무선표집) 조사 방법 : 설문지 조사 응답률 : 학생 96.5%(6,250명),

More information

<28323129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20545220323031342D373929202D20C6EDC1FD2035B1B32E687770>

<28323129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20545220323031342D373929202D20C6EDC1FD2035B1B32E687770> 기술보고 TR 2014-79 북한 교육정책 동향 분석 및 서지 정보 구축 연구책임자 _ 김 정 원 (한국교육개발원 ) 공동연구자 _ 김 김 한 강 지 은 승 구 수 (한국교육개발원) 주 (한국교육개발원) 대 (한국교육개발원) 섭 (한국교육개발원) 연 구 조 원 _ 이 병 희 (한국교육개발원) 머리말 최근 통일에 대한 논의가 어느 때보다 활발합니다. 그에 따라

More information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KCSC 2015-003 방송심의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시청자참여심의제 도입 가능성을 중심으로 2015. 12. 이 보고서는 2015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정책 연구개발 사업의 연구결과로서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자의 견해이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공식 입장은 아닙니다. 방송심의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시청자참여심의제 도입 가능성을 중심으로 - 연 구 진 연구수행기관

More information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에 대한 최종보고 서로 제출합니다. 2005. 12. 16 (사)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회장 박양호 수탁연구기관 : (사)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컨설팅혁신정책연구원 총괄연구책임자 : 경영학 박사 김태근(정책분과위원장) 연 구 자 : 경제학 박사 김윤종 통계학 박사 김용철 경제학 박사 변종석

More information

1111111111.PDF

1111111111.PDF 표지와 같은 면지 19대 총선평가 학술회의 일 시: 2012년 4월 25일(수) 13:30 18:00 장 소: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 (국회도서관 421호), 제1세미나실 (427호) 주 최: 국회입법조사처/한국정당학회 전체일정표 대회의실 제1세미나실 1:30 ~ 1:50 pm 개회식 1:50 ~ 3:50 pm 1패널 19대 총선평가와 전망 3:50 ~ 4:00

More information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xv - - xvi - - xvii - - xviii - - xix - - xx - - xxi - - xxii - - xxiii - - xxiv - - 3 - - 4 -

More information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XV - - XVI - - XVII - - XVIII - - XIX - - XX - - XXI - - XXII - - XXIII - - 1 - - - - 3 - - - -

More information

INDUS-8.HWP

INDUS-8.HWP 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More information

- i - - ii - - i - - ii -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More information

CONTENTS.HWP

CONTENTS.HWP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More information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7. 1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7. 1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최종보고서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방안 연구 2007. 12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7. 1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More information

세계 비지니스 정보

세계 비지니스 정보 - i - ii - iii - iv - v - vi - vii - viii - ix - 1 - 2 - 3 - - - - - - - - - - 4 - - - - - - 5 - - - - - - - - - - - 6 - - - - - - - - - 7 - - - - 8 - 9 - 10 - - - - - - - - - - - - 11 - - - 12 - 13 -

More information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발간등록번호 국가청소년 www.youth.go.kr 청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 연구 (교육 분야) 책임연구원 : 임천순 (세종대학교 교수) 공동연구원 : 채재은 (경원대학교 부교수) 우명숙 (한양대학교 초빙교수) 국 가 청 소 년 위 원 회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More information

직업편-1(16일)

직업편-1(16일) 2012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발간사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는 개인에게 변화하는 직업세계를 바로 이해하고 고용능력을 함양하는 평생학습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평생직장시대에서 일생 직업을 5-6번 전환하는 평생직업시대 로의 패러다임 변화는 지속적인 진로개발(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의 우선적 책무성이 개인에게

More information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 외국인의 취업 및 사회생활 사본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 외국인의 취업 및 사회생활 사본 2011 발 간 등 록 번 호 11-1270000-000682-01 간접투자 이민제도의 해외사례 및 정책적 시사점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강동관 (IOM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이완수 (IOM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 한태희 (IOM이민정책연구원) 황진영 (한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정강옥 (한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임응순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2011.

More information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2005. 12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이 정책연구는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인적자원개발 정책연구비 지원에 의 한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2005. 12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이 정책연구는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인적자원개발 정책연구비 지원에 의 한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연 구 기 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2005. 12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More information

0

0 Kr 0 i 1 http://downloadcenter.nikonimglib.com/ 2 A 0 ii D A 0 iii 0 0 0 0 0 iv A http://downloadcenter.nikonimglib.com/ http://downloadcenter.nikonimglib.com/ v vi i i vii P S A M M viii ix R i i x D

More information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xv - - xvi - - xvii - - xviii - - xix - - xx - - xxi - - xxii - - xxiii - - xxiv - - xxv - - I

More information

학위논문홍승아.hwp

학위논문홍승아.hwp 印 印 印 - iv - - v - - vi - - vii - - viii - -1- -2- -3- -4- -5- -6- - -7- vii - - -8- viii - -9- 1) --10- x - --11- xi - --12- xii - -13- -14- -15- -16- -17- -18- -19- -20- --21- xxi - -22- - -23- xxiii

More information

2016년이렇게달라집니다_ 전체 최종 1223.indd

2016년이렇게달라집니다_ 전체 최종 1223.indd Contents 2016 ii iii Contents 2016 iv v Contents 2016 vi vii Contents 2016 viii ix Contents 2016 x xi Contents 2016 xii xiii Contents 2016 xiv xv Contents 2016 xvi xvii Contents 2016 3 xviii xix Contents

More information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작성기준일 : 2013년 12월 19일 문 의 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조사통계부 Tel:031-728-7108 Fax:031-728-7143 머 리말 우리나라 등록장애인 수는 2012년 12월 말 현재 251만 1천명으로, 2000년 12월 말 95만 8천명에서 약 162% 증가하였습니다. 장애인 인구가 이처럼 급격히 증가함에 따 라 장애인 정책에

More information

<BAD2B9FDBAB9C1A620BAB8B0EDBCAD5FC5EBC7D55F76657230345FB9DFB0A3BBE7C6F7C7D45F33C2F720B1B3C1A428B1D7B8B22020C3DFC3E2292E687770>

<BAD2B9FDBAB9C1A620BAB8B0EDBCAD5FC5EBC7D55F76657230345FB9DFB0A3BBE7C6F7C7D45F33C2F720B1B3C1A428B1D7B8B22020C3DFC3E2292E687770> 2014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 nnual eport on Copyright rotection 2014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 nnual eport on Copyright rotection 발간사 올해 초 안방극장을 휘어잡은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는 독특한 소재와 한류스타의 완벽한 연기로 대한민국을 넘어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에 다시금 한류 열풍을 불러일으켰습

More information

<32303131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32303131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2011년 2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2011. 09 요 약 ⅰ Ⅱ. 2011년 2분기 콘텐츠업체 실태조사 분석 Ⅰ. 2011년 2분기 콘텐츠산업 추이 분석 1. 산업생산 변화 추이 3 1.1. 콘텐츠산업생산지수 변화 추이 3 1.2. 콘텐츠업체(상장사) 매출액 변화 추이 9 1.3. 콘텐츠업체(상장사) 영업이익 변화 추이20 2. 투자변화 추이 24

More information

CONTENTS C U B A I C U B A 8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Part IX 9 C U B A 10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Part IX 11 C U B

More information

<BBE7B8B3B4EBC7D0B0A8BBE7B9E9BCAD28C1F8C2A5C3D6C1BE293039313232392E687770>

<BBE7B8B3B4EBC7D0B0A8BBE7B9E9BCAD28C1F8C2A5C3D6C1BE293039313232392E687770> 2008 사 립 대 학 감 사 백 서 2009. 11. 들어가는 말 2008년도 새 정부 출범 이후 구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가 하나의 부처로 통합하여 교육과학기술부로 힘차게 출범하였습니다. 그동안 교육과학기술부는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등 자율화 다양화된 교육체제 구축과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등 교육복지 기반 확충으로 교육만족 두배, 사교육비 절감

More information

<28C3D6C1BEC0CEBCE2BFEB29BCADBFEFBDC3B0F8B0F8C5F5C0DABBE7BEF7B0FCB8AEC7D5B8AEC8ADB9E6BEC82E687770>

<28C3D6C1BEC0CEBCE2BFEB29BCADBFEFBDC3B0F8B0F8C5F5C0DABBE7BEF7B0FCB8AEC7D5B8AEC8ADB9E6BEC82E687770> 서울시 공공투자사업관리 합리화 방안 -투자심사 및 민간투자사업 제도를 중심으로- Improvement on Management of Public Investment Projects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 서울시정개발연구원 SEOUL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진 연구책임 연 구 원 이 세 구 창의시정연구본부

More information

<BCF6BDC3323030392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BCF6BDC3323030392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 수시연구 2009-18.. 고속도로 휴게타운 도입구상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Service Town at the Expressway Service Area... 권영인 임재경 이창운... 서 문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함께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지방 지역의 인구감소와 경기의 침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다각 적인

More information

00-1표지

00-1표지 summary _I II_ summary _III 1 1 2 2 5 5 5 8 10 12 13 14 18 24 28 29 29 33 41 45 45 45 45 47 IV_ contents 48 48 48 49 50 51 52 55 60 60 61 62 63 63 64 64 65 65 65 69 69 69 74 76 76 77 78 _V 78 79 79 81

More information

歯1.PDF

歯1.PDF 200176 .,.,.,. 5... 1/2. /. / 2. . 293.33 (54.32%), 65.54(12.13%), / 53.80(9.96%), 25.60(4.74%), 5.22(0.97%). / 3 S (1997)14.59% (1971) 10%, (1977).5%~11.5%, (1986)

More information

*BA_00

*BA_00 Published by Ji&Son Inc. Printed in Korea Copyright 2010 by Ji&Son Inc. Authorized translation of the English edition of Beautiful Architecture 2009 O Reilly Media, Inc. This Translation is published and

More information

<BCADBFEFBDC3BFA9BCBAB0A1C1B7C0E7B4DC5FBCADBFEFBDC320B0F8B5BFC0B0BEC6C1F6BFF8BBE7BEF7C0C720C1F6BCD3B0A1B4C9BCBA20B9E6BEC8BFACB1B828BCF6C1A431323330292E687770>

<BCADBFEFBDC3BFA9BCBAB0A1C1B7C0E7B4DC5FBCADBFEFBDC320B0F8B5BFC0B0BEC6C1F6BFF8BBE7BEF7C0C720C1F6BCD3B0A1B4C9BCBA20B9E6BEC8BFACB1B828BCF6C1A431323330292E687770> 2015 정책연구-15 서울시 공동육아지원사업의 지속가능성 방안연구 책임연구원 : 조막래(서울시여성가족재단 가족정책실 연구위원) 위촉연구원 : 김한별(서울시여성가족재단 가족정책실)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발 간 사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라는 인디언 격언이 있습니다. 십수년전에는 골목마다 아이들의 북적이는

More information

경제통상 내지.PS

경제통상 내지.PS CONTENTS I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II 38 39 40 41 42 43 III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IV 62 63 64 65 66 67 68 69 V

More information

°æÁ¦Åë»ó³»Áö.PDF

°æÁ¦Åë»ó³»Áö.PDF CONTENTS I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II 38 39 40 41 42 43 III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IV 62 63 64 65 66 67 68 69 V

More information

국립국어원 20010-00-00 발간등록번호 00-000000-000000-00 국어정책 통계 조사 및 통계 연보 작성 연구책임자 이순영 제 출 문 국립국어원장 귀하 국어정책 통계 조사 및 통계 연보 작성 에 관하여 귀 원과 체결한 연 구 용역 계약에 의하여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2010년 12월 2일 연구책임자: 이순영(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More information

우루과이 내지-1

우루과이 내지-1 U R U G U A Y U r u g u a y 1. 2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3 U r u g u a y 2. 4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5 U r u g u a

More information

013년도 전주ᆞ완주 탄소산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최종 사업목표 및 내용 탄소 관련산업동향과 국가정책에 부응하여 탄소산업 중심의 테마형 집적화단지(Carbon Valley) 조성을 위한 탄소기업 유치 및 육성, 산업기반의 구축 등에 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

More information

<3230313420B9AEC8ADBFB9BCFA20C6AEB7BBB5E520BAD0BCAE20B9D720C0FCB8C128B1E8C7FDC0CE292E687770>

<3230313420B9AEC8ADBFB9BCFA20C6AEB7BBB5E520BAD0BCAE20B9D720C0FCB8C128B1E8C7FDC0CE292E687770> 연구책임 김 혜 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조사담당 JnP (장앤파트너스그룹) 연구보조 김 연 희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석사) 권 해 정 (Aix-Marseille3대학교 문화경영학과 석사) 최 희 승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석사) 심 상 미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학과 석사) 서 문 2010년부터 지속되어온 연구시리즈의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ISBN 89-90077-98-2 93300 2005 UNDP 워크샵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성 인지적 문화정책을 찾아서 주 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한국동남아연구소 후 원: 문화관광부 과학기술부 UNDP 2005 UNDP 워크샵 :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성 인지적 문화정책을 찾아서 연구진 연구책임자: 류정아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문화정책팀장) 공동연구자: 김민정

More information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201 3.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219 4.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201 3.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219 4.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목 차 제1장 과업의 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3 2. 과업의 성격 5 3. 과업의 범위 6 4. 과업수행체계 7 제2장 지역현황분석 1. 지역 일반현황 분석 11 2. 관광환경 분석 25 3. 이미지조사 분석 45 4. 이해관계자 의견조사 분석 54 제3장 사업환경분석 1. 국내 외 관광여건분석 69 2. 관련계획 및 법규 검토 78 3. 국내 외

More information

유니 앞부속

유니 앞부속 Published by Ji&Son Inc. Printed in Korea. Unityによる3Dゲ-ム : iphone/android/webで ゲ-ムプログラミング (JAPAN ISBN 978-4873115061) Authorized translation from the Japanese language edition of Unityによる3Dゲ- ム. 2011 the

More information

National Food & Nutrition Statistics 2011: based on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Ⅱ)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N=33,745, 단위 : g) (N=33,745, 단위 : g) (N=33,745,

More information

[96_RE11]LMOs(......).HWP

[96_RE11]LMOs(......).HWP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More information

<32303132B3E220C7CFB9DDB1E2BACEC5CD20C0CCB7B8B0D420B4DEB6F3C1FDB4CFB4D928706466292E687770>

<32303132B3E220C7CFB9DDB1E2BACEC5CD20C0CCB7B8B0D420B4DEB6F3C1FDB4CFB4D928706466292E687770> 법령 개정 등이 필요한 제도개선 사항은 사정에 따라 시행일자 등의 변경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목 록 i 목 록 분야별 달라지는 주요 제도 1. 세 제 3 1세대 1주택 비과세 보유기간 요건 단축 /3 일시적 2주택자의 대체취득기간 연장 /4 부가가치세 과세 전환 /5 면세유 공급대상 농업기계 확대 /6 국세-관세 간 과세가격 조정제도 신설/7 비거주자 외국법인에

More information

´ë±â-ÃÑ°ýº¸°í¼Ł.PDF

´ë±â-ÃÑ°ýº¸°í¼Ł.PDF 통일시대를 향한 한반도 개발협력 핵심 프로젝트 선정 및 실천과제 Major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integrated Korean peninsula - 총괄보고서 - 이상준, 김천규, 이백진, 이건민, 배은지, 김흠 임강택, 장형수, 김경술, 나희승, 김의준 연구진 연구책임 이상준 선임연구위원 김천규 연구위원 이백진 연구위원 이건민

More information

전통 소싸움산업 육성을 위한 도세감면 타당성 연구 2015. 7. 30. 연구책임 : 김필헌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위원 공동연구 : 이상훈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위원 연 구 진 : 사명철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원 Ⅰ. 서론 m 경북도는 소싸움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반영하여 레저세를 감 면해 주고 있음. 경륜, 경정, 경마 및 전통 소싸움경기에

More information

<C3BBB3E2B9AEC1A6BFA1B4EBC7D120B9AEC8ADC1A4C3A5C0FBC1A2B1D9C0BB20C0A7C7D1B1E2C3CABFACB1B82DC3D6C1BE2E687770>

<C3BBB3E2B9AEC1A6BFA1B4EBC7D120B9AEC8ADC1A4C3A5C0FBC1A2B1D9C0BB20C0A7C7D1B1E2C3CABFACB1B82DC3D6C1BE2E687770> 연구책임 박영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공동연구 박소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박진수 (대학내일20대연구소 소장) 연구참여 이수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위촉연구원) 연구자문 강승진 (춘천시문화재단 정책기획팀장) 김선기 (고함20 편집장) 노정태 (청년논객) 서민정 (청년허브 센터장) 송혜윤 (대학내일20대연구소 책임연구원) 오찬호 (서강대사회발전연구소

More information

<C8DEB0A1C0CCBFEB20BDC7C5C2C1B6BBE720B9D720C8DEB0A1B9AEC8AD20B0B3BCB12DC6EDC1FD2E687770>

<C8DEB0A1C0CCBFEB20BDC7C5C2C1B6BBE720B9D720C8DEB0A1B9AEC8AD20B0B3BCB12DC6EDC1FD2E687770> 연구책임 이 성 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보조 김 수 아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 석사) 서 문 우리나라는 국토에 매장되어 있는 천연자원은 물론 축적기술의 부족으 로 인하여 근로자의 근면과 성실을 통한 노동집약적 압축 성장을 추진한 역사가 있습니다. 보다 발전된 미래 청사진의 실현을 위해서 국민 모두가 쉬지 않고 일한 결과, 대한민국은 자동차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정책연구 2006-04 기술혁신지원제도의 효과분석과 개선방안 신태영 송종국 안두현 이우성 정승일 송치웅 손수정 김현호 허현회 한기인 머리말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국가경제발전 및 성장 잠재력의 확충을 위 한 주요 동인으로서 기업의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는 기업 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시행해 오고 있다. 과학기술부가

More information

- iii - - i - - ii - - iii - 국문요약 종합병원남자간호사가지각하는조직공정성 사회정체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관계 - iv - - v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α α α α - 15 - α α α α α α

More information

P14-07.hwp

P14-07.hwp 정책연구 2014-07 바이오 분야 규제형성과정 개선방안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in Biotechnology Regulatory Processes 이명화 신은정 양승우 류이현 권보경 연 구 진 연구책임자 연구참여자 이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신은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양승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류이현

More information

... 수시연구 2011-16.. 평창동계올림픽수송체계구축을위한 핵심쟁점및대응방안 Transport Countermeasure Strategies for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문영준외 5 인... 서문 원장 김경철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xi 요약 xii xiii xiv xv xvi xvii xviii

More information

i ii iii iv v vi vii viii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XXXXXXXX 22 24 25 26 27 28 29 30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More information

2008 다문화가족의중장기전망및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및사회ㆍ경제적효과분석을중심으로 ㆍ ㆍ 2009

2008 다문화가족의중장기전망및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및사회ㆍ경제적효과분석을중심으로 ㆍ ㆍ 2009 2008 다문화가족의중장기전망및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및사회ㆍ경제적효과분석을중심으로 ㆍ ㆍ 2009 . 다문화가족의중장기전망및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및사회ㆍ경제적효과분석을중심으로 ㆍ ㆍ 2009 10 A Study of the Medium- to Long-term Prospects and Measures of Multicultural Family

More information

<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B4EBBFF5203230303520BFB5BEF7BAB8B0EDBCAD2E646F63>

<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B4EBBFF5203230303520BFB5BEF7BAB8B0EDBCAD2E646F63> 第 46 期 定 期 柱 主 總 會 日 時 : 2006. 5. 26 午 前 11 時 場 所 : 大 熊 本 社 講 堂 株 式 會 社 大 熊 회 순 Ⅰ. 개회선언 Ⅱ. 국민의례 Ⅲ. 출석주주 및 출석주식수 보고 Ⅳ. 의장인사 Ⅴ. 회의의 목적사항 1. 보고사항 감사의 감사보고 영업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2. 의결사항 제1호 의안 : 제4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More information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 산재보험사후관리실태및개선방안 - 한국노동연구원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More information

À̶õ°³È²³»Áö.PDF

À̶õ°³È²³»Áö.PDF Islamic Republic of Iran I I S L A M I C R E P U B L I C O F I R A N 10 Part I 11 I S L A M I C R E P U B L I C O F I R A N 12 Part I 13 I S L A M I C R E P U B L I C O F I R A N 14 II I S L A M I C R

More information

<C7D0B1B3C7F5BDC520BBE7B7CAB9DFB1BCB0FA20C8AEBBEAC0BB20C0A7C7D120B3D7C6AEBFF720B1B8C3E0B9E6BEC8BFACB1B828323030362D30362C20C0CEBCE2BABB292E687770>

<C7D0B1B3C7F5BDC520BBE7B7CAB9DFB1BCB0FA20C8AEBBEAC0BB20C0A7C7D120B3D7C6AEBFF720B1B8C3E0B9E6BEC8BFACB1B828323030362D30362C20C0CEBCE2BABB292E687770> 정책연구 2005-06 학교혁신 사례 발굴과 확산을 위한 네트웍 구축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서근원 대통령 자문 교육혁신위원회 학교혁신 사례 발굴과 확산을 위한 네트웍 구축 방안 연구 2005 년 12 월 20 일 연구진 연구책임자 : 서근원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강사 ) 공동연구자 : 서길원 ( 경기도 남한산초등학교 교사 ) 안순억 ( 경기도 남한산초등학교

More information

제 출 문 노동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노동부 수탁연구과제 문화 예술산업 근로실태 조사 및 근로 자 보호방안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9.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 기 성

제 출 문 노동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노동부 수탁연구과제 문화 예술산업 근로실태 조사 및 근로 자 보호방안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9.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 기 성 이 과제는 2009년 노동부의 정책연구용역사업의 일환으로 연구되었음 문화 예술산업 근로실태조사 및 근로자 보호방안 -최종보고서 - 2009.10. 연구기관 :한국노동연구원 노 동 부 제 출 문 노동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노동부 수탁연구과제 문화 예술산업 근로실태 조사 및 근로 자 보호방안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9.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

More information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2011 어르신 생활문화전승프로그램 柯 亭 里 義 兵 마을 백년터울 더듬어 가정리 길을 걷는다 주관 춘천문화원 후원 한국문화원 연합회 문화체육관광부 -차 례- 제1장 구술 자료의 가치 1. 역사적 측면 2. 문화적 측면 3. 미래 삶의 터전 제2장 지명으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제3장 구술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1. 의암제를 준비하는 사람 류연창 2. 고흥 류

More information

2012회계연도 고용노동부 소관 결 산 검 토 보 고 서 세 입 세 출 결 산 일 반 회 계 농 어 촌 구 조 개 선 특 별 회 계 에 너 지 및 자 원 사 업 특 별 회 계 광 역 지 역 발 전 특 별 회 계 혁 신 도 시 건 설 특 별 회 계 기 금 결 산 고 용 보 험 기 금 산 업 재 해 보 상 보 험 및 예 방 기 금 임 금 채 권 보 장 기 금 장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KIPA 연구보고서 2014-21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형 생활안전 관리방안 연구 최호진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최호진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연승준 박사(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참여자 임인선 연구원 연구운영실무협의회 위원(가나다순) 김성연 과장(국민안전처) 박상현 박사(한국정보화진흥원) 유지연 교수(상명대) 임상규 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출처를 밝히지 않고

More information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정지범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김태현 부연구위원(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참여자 임인선 연구원 안승현 위촉연구원 연구운영실무협의회 위원(가나다순) 김현주 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이재열 교수(서울대) 황호숙 사무관(통계청) 출처를 밝히지 않고 이 보고서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정지범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김태현 부연구위원(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참여자 임인선 연구원 안승현 위촉연구원 연구운영실무협의회 위원(가나다순) 김현주 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이재열 교수(서울대) 황호숙 사무관(통계청) 출처를 밝히지 않고 이 보고서 KIPA 연구보고서 2014-20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국가 통계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정지범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정지범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김태현 부연구위원(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참여자 임인선 연구원 안승현 위촉연구원 연구운영실무협의회 위원(가나다순) 김현주 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이재열 교수(서울대) 황호숙 사무관(통계청) 출처를 밝히지 않고

More information

<C0CEBCE2BFEB5FBFACB1B85F323031342D32322D3528BAAFBCF6C1A4295F3135303431355FBCF6C1A42E687770>

<C0CEBCE2BFEB5FBFACB1B85F323031342D32322D3528BAAFBCF6C1A4295F3135303431355FBCF6C1A42E687770> 연구보고서 2014-22-5 동아시아 국가의 다문화가족 현황 및 정책 비교연구 변수정 조성호 이상림 서희정 정준호 이윤석 책임연구자 변수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주요저서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욕구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공저) 공동연구진 조성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서희정

More information

99-18.hwp

99-18.hwp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xv - - xvi - - xvii - - xviii - - xix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 31 - - 32 - - 33 -

More information

인니 내지-00-5

인니 내지-00-5 인니 내지-00-5 2016.5.10 12:49 AM 페이지3 mac2 I. I N D N E S I A 12 Part I 13 I N D N E S I A 14 Part I 15 I N D N E S I A 16 Part I 17 인니 내지-00-5 2016.5.10 12:49 AM 페이지19 mac2 II. 정치 1. 국가이념및정치정세개관

More information

<5BBFACB1B8BAB8B0ED20525220323031342D32375D20B5A5C0CCC5CD20B1E2B9DD20B1B3C0B0C1A4C3A520BAD0BCAE20BFACB1B828A5B229C1F6B9E6B4EBC7D0C0C720B1B3C0B0BDC7C5C220B9D720BCBAB0FA20BAD0BCAE5FB9DABCBAC8A320312E392D2833B1B3292E687770>

<5BBFACB1B8BAB8B0ED20525220323031342D32375D20B5A5C0CCC5CD20B1E2B9DD20B1B3C0B0C1A4C3A520BAD0BCAE20BFACB1B828A5B229C1F6B9E6B4EBC7D0C0C720B1B3C0B0BDC7C5C220B9D720BCBAB0FA20BAD0BCAE5FB9DABCBAC8A320312E392D2833B1B3292E687770> 연구보고 RR 2014-27 데이터 기반 교육정책 분석 연구(Ⅲ) : 지방대학의 교육실태 및 성과 분석 연구책임자 _ 박 성 호 (한국교육개발원) 공동연구자 _ 강 영 혜 (한국교육개발원) 임 후 남 (한국교육개발원) 이 정 미 (한국교육개발원) 엄 문 영 (한국교육개발원) 김 본 영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조원_백 수 현 (한국교육개발원) 서 은 경 (한국교육개발원)

More information

도큐-표지

도큐-표지 Historical experiences of Agricultural development in Far Eastern Gnatovskaya Elena Nikolaevna (The Primorsky Agricultural State Academy, Russia) Исторический опыт аграрного развит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More information

2010회계연도 결산시정요구사항 조치결과 분석

2010회계연도 결산시정요구사항 조치결과 분석 결산분석시리즈 1 2010회계연도 결산시정요구사항 조치결과 분석 총 괄I 김춘순 예산분석실장 기획 조정I 박인화 예산분석심의관 서세욱 산업예산분석과장 김경호 경제예산분석과장 문종열 사회예산분석과장 정문종 행정예산분석과장 정영진 법안비용추계1과장 박선춘 법안비용추계2과장 작 성I 전용수, 배아형, 김효진, 표승연, 변재연, 한정수 산업예산분석과 예산분석관 최철민,

More information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폐기물관리 규제개선 방안연구 에 관한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연구기관 한국산업폐기물처리공제조합 연구책임자 연 구 원 연구보조원 이 남 웅 황 연 석 은 정 환 백 인 근 성 낙 근 오 형 조 부이사장 상근이사 기술팀장 법률팀장 기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폐기물관리 규제개선 방안연구 에 관한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연구기관 한국산업폐기물처리공제조합 연구책임자 연 구 원 연구보조원 이 남 웅 황 연 석 은 정 환 백 인 근 성 낙 근 오 형 조 부이사장 상근이사 기술팀장 법률팀장 기 최종보고서 폐기물관리 규제개선방안 연구 ( 업계 건의사항 및 질의사례 중심) 2006. 9 환 경 부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폐기물관리 규제개선 방안연구 에 관한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연구기관 한국산업폐기물처리공제조합 연구책임자 연 구 원 연구보조원 이 남 웅 황 연 석 은 정 환 백 인 근 성 낙 근 오 형 조 부이사장 상근이사 기술팀장

More information

<313320205BB0E6C1A65DB0F8B0B32DC1F6BDC4C0E7BBEAC0CEB7C220BCF6B1DEC0FCB8C120BFACB1B85FC0CCC1D6BFAC28C3D6C1BE292E687770>

<313320205BB0E6C1A65DB0F8B0B32DC1F6BDC4C0E7BBEAC0CEB7C220BCF6B1DEC0FCB8C120BFACB1B85FC0CCC1D6BFAC28C3D6C1BE292E687770> 인프라 기초연구과제 최종보고서 지식재산 동향 및 미래전망 Intellectual Property Trends and Prospects - 지식재산인력 수급전망 연구 - 2013. 12 제 출 문 특허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인프라사업의 기초연구활성화 연구과제 중, 지식재산 동향 및 미래전망 - 지식재산인력 수급전망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3년

More information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노동운동사 정 호 기 농민운동 1 목 차 제1장 연구 배경과 방법 07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의 검토 3. 연구 대상의 특성과 변화 4.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07 10 12 16 제2장 이승만 정부 시대의 노동조합운동 19 1. 이승만 정부의 노동정책과 대한노총 1) 노동 관련 법률들의 제정과 광주

More information

0429bodo.hwp

0429bodo.hwp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명단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이 명단은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의 후손 또는 연고자로부터 이의신청을 받기 위해 작성 되었습니다. 이 인물정보를 무단 복사하여 유포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 파하는일체의행위는법에저촉될수있습니다. 주요 훈포상 약어 1. 병합기념장 2. 대정대례기념장 3. 소화대례기념장

More information

E1-정답및풀이(1~24)ok

E1-정답및풀이(1~24)ok 초등 2 학년 1주 2 2주 7 3주 12 4주 17 부록` 국어 능력 인증 시험 22 1주 1. 느낌을 말해요 1 ⑴ ᄂ ⑵ ᄀ 1 8~13쪽 듣기 말하기/쓰기 1 ` 2 ` 3 참고 ` 4 5 5 5 ` 6 4 ` 7 참고 ` 8 일기 ` 9 5 10 1 11, 3 [1~3] 들려줄 내용 옛날 옛날, 깊은 산골짜기에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 이

More information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권2 동경잡기 東京雜記 동경잡기 173 권2 불우 佛宇 영묘사(靈妙寺) 부(府)의 서쪽 5리(里)에 있다. 당 나라 정관(貞觀) 6년(632) 에 신라의 선덕왕(善德王)이 창건하였다. 불전(佛殿)은 3층인데 체제가 특이하다. 속설에 절터는 본래 큰 연못이었는데, 두두리(豆豆里) 사람들이 하룻밤 만에 메 우고 드디어 이 불전을 세웠다. 고 전한다. 지금은

More information

38--18--최우석.hwp

38--18--최우석.hwp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 崔 宇 錫 1) 1. 序 文 2.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3. 結 語 1. 序 文 沈 德 潛 (1673-1769)의 字 는 確 士 이고 號 는 歸 愚 이다. 江 南 長 洲 (현재의 江 蘇 省 蘇 州 ) 사람으로 淸 代 聖 祖, 世 宗, 高 宗 삼대를 모두 거쳤다. 특히 시를 몹 시 좋아한

More information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해제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이 자료는 한말의 개화파 관료, 김윤식 金 允 植 (1835~1922)이 충청도 면천 沔 川 에 유배하면서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전문 傳 聞 한 것을 일일이 기록한 일기책 이다. 수록한 부분은 속음청사 續 陰 晴 史 의 권 7로 내제 內 題 가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로 되어 있는 부분 가운데 계사년 癸 巳 年

More information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1. 재미있는 글자 단원의 구성 의도 이 단원은 도비와 깨비가 길을 잃고 헤매다 글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글자 공부를 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자칫 지겨울 수 있는 쓰기 공부를 다양한 놀이 위주의 활동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고 활동할 수 있게 하였다. 각 단계의 학습을 마칠 때마다 도깨비 연필을

More information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과 임제 신해진(전남대) 1. 머리말 세조의 왕위찬탈과 단종복위 과정에서의 사육신을 소재로 한 작품은 남효온( 南 孝 溫 )의 (1492년 직전?), 임제( 林 悌 )의 (1576?), 김수민( 金 壽 民 )의 (1757) 등이 있다. 1) 첫 작품은 집전( 集

More information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동경잡기東京雜記 권1 진한기辰韓紀 경상도는 본래 진한(辰韓)의 땅인데, 뒤에 신라(新羅)의 소유가 되었다. 여지승 람(輿地勝覽) 에 나온다. 진한은 마한(馬韓)의 동쪽에 있다. 스스로 말하기를, 망 명한 진(秦)나라 사람이 난리를 피하여 한(韓)으로 들어오니 한이 동쪽 경계를 분할 하여 주었으므로 성책(城栅)을 세웠다. 하였다. 그 언어가 진나라 사람과 비슷하다.

More information

조선왕조 능 원 묘 기본 사료집 -부록 : 능 원 묘의 현대적 명칭표기 기준안 차 례 서 장 : 조선왕실의 능 원 묘 제도 11 제 1부 능 원 묘 기본 사료 Ⅰ. 능호( 陵 號 ) 및 묘호( 廟 號 )를 결정한 유래 1. 건원릉( 健 元 陵 ) 21 2. 정릉( 貞 陵 ) 22 3. 헌릉( 獻 陵 )

More information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 음운 [ㄱ] [국], [박], [부억], [안팍] 받침의 발음 [ㄷ] [곧], [믿], [낟], [빋], [옫], [갇따], [히읃] [ㅂ] [숩], [입], [무릅] [ㄴ],[ㄹ],[ㅁ],[ㅇ] [간], [말], [섬], [공] 찾아보기. 음절 끝소리 규칙 (p. 6) [ㄱ] [넉], [목], [삭] [ㄴ] [안따], [안꼬] [ㄹ] [외골], [할꼬]

More information

<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조 례 익산시 조례 제1220호 익산시 주민감사 청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 익산시 조례 제1221호 익산시 제안제도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 3 익산시 조례 제1222호 익산시 시채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 12 익산시 조례 제1223호 익산시 시세 감면 조례 전부개정조례 13 익산시 조례 제1224호 익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 19 익산시 조례 제1225호 익산시

More information

cls46-06(심우영).hwp

cls46-06(심우영).hwp 蘇 州 원림의 景 名 연구 * 用 典 한 경명을 중심으로 1)심우영 ** 목 차 Ⅰ. 서론 Ⅱ. 기존의 경명 命 名 法 Ⅲ. 귀납적 결과에 따른 경명 분류 1. 신화전설 역사고사 2. 文 辭, 詩 句 Ⅳ. 결론 Ⅰ. 서론 景 名 이란 景 觀 題 名 (경관에 붙인 이름) 의 준말로, 볼만한 경치 지구와 경치 지 점 그리고 경치 지구 내 세워진 인공물에 붙여진

More information

6±Ç¸ñÂ÷

6±Ç¸ñÂ÷ 6 6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과천심상소학교 졸업증서(문헌번호 03-004) 일제강점기 과천초등학교의 유일한 한국인 교장이었던 맹준섭임을 알 수 있다.

More information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우리 시의 향기 사랑하는 일과 닭고기를 씹는 일 최승자, 유 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강사/문학평론가 한 숟갈의 밥, 한 방울의 눈물로 무엇을 채울 것인가, 밥을 눈물에 말아먹는다 한들. 그대가 아무리 나를 사랑한다 해도 혹은 내가 아무리 그대를 사랑한다 해도 나는 오늘의 닭고기를 씹어야 하고 나는 오늘의 눈물을 삼켜야 한다.

More information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80 < 관용 표현 인지도> 남 여 70 60 50 40 30 20 10 0 1 2 3 4 5 6 70 < 관용 표현 사용 정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4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5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6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70 < 속담 인지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1 2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