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2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이 중국에서 시행되지는 않았지만 경위력( 經 緯 曆 ) 은 인덕( 麟 德 ) 2년 이후 에 시행된 이순풍( 李 淳 風, )의 인덕력( 麟 德 曆 ) 에 인용되었고 구집 력 은 대연력( 大 衍 曆 ) 에 영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392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이 중국에서 시행되지는 않았지만 경위력( 經 緯 曆 ) 은 인덕( 麟 德 ) 2년 이후 에 시행된 이순풍( 李 淳 風, 620-670)의 인덕력( 麟 德 曆 ) 에 인용되었고 구집 력 은 대연력( 大 衍 曆 ) 에 영"

Transcription

1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이은희 (연세대학교 천문대) 한영호 (건국대학교) 강민정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 머리말 AD 1세기 경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기 시작하면서 1) 많은 포교자들이 인도와 중앙아시아로부터 중국을 방문함에 따라 서방 문화도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육조( 六 朝, ) 시대 이후 불교가 점차 융성해지면서 많은 불교 경 전들이 한역( 漢 譯 )되었고, 이와 함께 점성술이 가미된 불교 천문학이 중국에 소개되었다. 특히 중국의 불교가 절정에 달했던 당대( 唐 代 )에는 상당수의 중 국인들과 인도 승려들이 상호 방문하게 되었다. 2) 그들 중에는 승려들과는 별 도로 당나라 천문대의 일원으로 활발하게 일했던 인도의 천문학자들이 꽤 있 었다. 이들 가운데 구담실달( 瞿 曇 悉 達, Gautama Siddhanta, )과 그의 아버지 구담라( 瞿 曇 羅 ) 그리고 그의 아들 구담선( 瞿 曇 譔 )은 모두 당나라 천 문대 대장인 태사령( 太 史 令 )을 역임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3) 구담라는 황제의 명을 받아 경위력( 經 緯 曆 ) 과 광택력( 光 宅 曆 ) 을 만들었고 구담실달은 인 도의 천문서를 중국어로 번역한 구집력( 九 執 曆 ) 을 편찬하였다. 4) 비록 이들 투고 2014년 4월 14일. 심사 및 게재 확정 2014년 11월 3일. * 이 논문은 2009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 된 연구이다(KRF A-H0001). 1) 불교가 중국에 처음으로 전래된 것은 後 漢 明 帝 永 平 10년(AD 67)으로 알려졌다. 2) 藪 內 淸 著, 兪 景 老 譯, 中 國 의 天 文 學 ( 電 波 科 學 社, 1985), 쪽. 3) 구담실달은 唐 代 의 천문학자로 그의 선조 때 天 竺 國 에서 중국으로 이거했다. 睿 宗 景 雲 3년(712), 태사령 직에 있는 동안 北 魏 때 만든 鐵 渾 儀 의 복원에 참여하였다. 開 元 6년 (718)에는 玄 宗 의 명에 따라 천축의 九 執 曆 을 번역하고 당시의 인도 천문학을 소개 하였다. 또한 開 元 占 經 을 수정 편집하고 중국의 上 古 中 古 시대의 여러 천문 자료 를 보존했다. 葉 叔 華 主 編, 簡 明 天 文 學 辭 典, ( 上 海 : 辭 書 出 版 社, 1984), 599쪽.

2 392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이 중국에서 시행되지는 않았지만 경위력( 經 緯 曆 ) 은 인덕( 麟 德 ) 2년 이후 에 시행된 이순풍( 李 淳 風, )의 인덕력( 麟 德 曆 ) 에 인용되었고 구집 력 은 대연력( 大 衍 曆 ) 에 영향을 주었다고 전한다. 5) 그러나 당대에는 이미 불교뿐만 아니라 조로아스터교와 마니교 그리고 경 교( 景 敎 ) 등의 다양한 종교가 들어와 있었으며 장안( 長 安 )을 비롯해 여러 도 시에 들어온 이민자들의 문화가 중국의 문화와 섞여 융화되고 있었다. 즉 당 에서는 종교와 예술 그리고 과학과 의학 등 여러 분야에 활발한 동서 교류 가 있었고 바빌로니아와 그리스, 그리고 페르시아와 인도 등에서 기원한 옛 천문학과 점성술 등이 중국의 전통 천문학과 점성술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동서 교류는 당나라 이후로도 계속되어 송( 宋 )과 원( 元 )을 거쳐 명( 明 )과 청( 淸 )으로 이어졌으며, 이 글의 주제인 사여( 四 餘 ) 역시 여러 경전과 문헌 속에서 그러한 자취를 찾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사여와 관련된 옛 자료들을 정리해 보고 이들을 통해 서방 천문학의 중국 전래와 함께 사여가 중국에 어떻게 도입되고 수용 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역법에 실린 사여의 천문상수 와 계산법으로부터 사여의 천문학적 의미와 내용을 분석해 보고, 사여가 한 역된 경전들을 통하여 중국에 전래된 후 훗날 정식으로 역법에 도입되기까 지 어떠한 과정과 변화를 거쳤는지, 그리고 중국의 천문학과 점성술에 어떠 한 영향을 미쳤는지 등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2. 사여( 四 餘 )의 천문학적 의미와 해석 중국 고대 역법에서 사여 또는 사여성( 四 餘 星 )이란 해와 달의 운행 및 일월 식 계산과 관련된 4개의 가상 천체를 말한다. 천구 상에서 순행( 順 行 )을 하는 자기( 紫 氣 )와 월패( 月 孛 ) 그리고 역행을 하는 나후( 羅 睺 )와 계도( 計 都 )를 일 컫는 말로서, 달이 백도( 白 道 ) 상에서 황도( 黃 道 )의 남과 북을 넘나드는 운행 과 관련이 있다. 즉 실제로 존재하는 별이 아니라 궤도상에서 규칙적인 주기 4) 藪 內 淸, 中 國 의 天 文 學, 쪽. 5) 新 唐 書 ( 文 淵 閣 四 庫 全 書 第 272 冊, 臺 北 : 商 務 印 書 館, 1983) 卷 27 上 曆 志, 351, 365 쪽(이하 文 淵 閣 四 庫 全 書 에 수록된 책들의 출판사와 출판년도는 같으므로 생략한다).

3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393 변화를 보이는 특정한 위치를 별(또는 행성)로 본 것이다. 따라서 보이지 않 는 별이라는 의미로 사암성( 四 暗 星 ), 사은성( 四 隱 星 ) 또는 사은요( 四 隱 曜 )로 도 불렀다. 고금율력고( 古 今 律 曆 考 ) 에 따르면 사여는 천축( 天 竺 )으로부터 전래된 바라문술( 婆 羅 門 術 ) 로, 일월오성( 日 月 五 星 )의 칠요( 七 曜 )와 함께 11 요( 曜 )라고도 불렀으며, 그 빛과 형상이 없고 균일한 행도로 움직여 빠르고 느림이 없다고 하였다. 6) 그리고 이러한 11요의 계산은 바라문( 婆 羅 門, Brahman)의 술사( 術 士 )였던 이필건( 李 弼 乾 )의 십일성행력( 十 一 星 行 曆 ) 으 로부터 시작되며 당대에 전해진 불교 경전에서 행해졌다고 하였다. 그러나 전해 내려오는 여러 경전과 문헌들에 따르면 당대보다 훨씬 이전 부터 불교를 비롯한 여러 서방 종교들이 중국에 전래되었고, 이들과 함께 다 양한 기원의 외래 천문학도 중국에 소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후와 계 도를 포함하는 구요( 九 曜 )가 전래되었으며 뒤이어 자기와 월패까지 포함하 는 11요에 대한 지식이 전해졌다. 즉 사여는 중국 고유 역법에서 다루던 추 보( 推 步 )의 대상이 아니었으며 불교 경전과 함께 중국에 소개되면서 소력 ( 小 曆 )이라 부르던 민간력( 民 間 曆 )에서 사용되었고 복술가( 卜 術 家 )들이 하 는 추산의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 7) 후에 당과 송을 거치면서 민간력에서만 다루던 사여가 공식적으로 역법에 나타난 첫 사례는 원의 수시력( 授 時 曆 )이다. 8) 금( 金 )의 중수대명력( 重 修 大 明 曆 ) 9) 에 사여를 추보하는 법이 있었다고 하나, 원나라 초 역법을 만들 때 이미 그 맥이 끊겼다고 전한다. 10) 수시력에 이어 대통력( 大 統 曆 )과 칠정산 6)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 文 淵 閣 四 庫 全 書 第 787 冊 ) 卷 64, 681쪽. 四 餘 의 운행은 황백 교점 이나 달의 원지점과 같이 천구 상의 특정한 위치가 일정한 주기로 이동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위치는 해와 달이나 행성처럼 궤도 운동을 하는 천체가 아니므로 빛과 모 양이 없고, 빠르고 느린 운동 즉 盈 縮 운동이나 遲 疾 운동이 없다고 한 것이다. 7)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681쪽. 당시 나라에서 정식으로 반포한 역법은 大 曆, 민간에서 행해지는 역법은 小 曆 또는 民 曆 이라 하였다. 8) 사여의 천문 상수가 高 麗 史 曆 志 의 말미와 규장각본으로 전하는 授 時 曆 立 成 에 기재된 사실이 알려지기 전까지 사여를 공식적으로 채용한 역법은 대통력으로 알려져 있었다. 李 銀 姬 景 氷, 朝 鮮 奎 章 閣 本 的 授 時 曆 立 成, 中 國 科 技 史 料 第 19 卷 2 期 (1998), 73-77쪽. 9) 1137년 楊 級 이 편찬한 大 明 曆 에 다시 보수를 가하여 새로 만든 금나라의 역법으로서, 1180년 趙 知 微 에 의해 편찬되었다. 중수대명력 은 대명력 과 日 法 이 같고 조지미의 역 을 중수대명력 이라고 하는 사실로부터 양급의 역을 보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1281년 수 시력이 시행되기 전까지 元 에서 사용되었으며 수시력의 편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4 394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내편( 七 政 算 內 篇 ) 이 사여를 추보의 항목에 포함시켰고, 이슬람 역법인 회 회력( 回 回 曆 )과 이에 근거한 칠정산외편( 七 政 算 外 篇 ) 이 사여 중 나후와 계도를 달의 위치와 일월식 계산에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역법과 경전에 기록된 사여의 천문상수와 용어들을 분석해 보면 사여가 인도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의 또 다른 지역을 거쳐 중국에 전해졌으며, 전래된 경로에 따라 나후와 계도의 의미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 절에는 사여를 공식적으로 역법에 도입한 수시력과 이를 이어 받은 대통력과 칠정산내편 에 기재된 천문상수로부터 사여의 천문학적 의 미와 그 유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여 중 회회력과 칠정산외편 에 실린 나후와 계도가 수시력과 그를 따르는 역법들에 실린 것들과 정반대의 의미 를 가짐에 따라, 중국에 전래된 경전과 역법들을 조사하여 사여가 어떠한 경 로와 과정을 거쳐 중국에 전래되었으며, 각각의 경우 어떠한 의미의 변천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1) 사여의 의미 1 자기( 紫 氣 ) 자기는 28년을 주기로 하늘을 일주( 一 周 )하는 가상 천체이다. 칠정산내편 에 따르면 자기는 하루에 3분 57초 1429씩 운행하여 일, 즉 28년 만에 하늘을 한 바퀴 운행한다. 그러나 다른 여성( 餘 星 )들과 달리 자기는 아 직 그 천문학적 의미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고금율력고 에서 자기의 추보는 윤법( 閏 法 )에서 비롯되며 28년에 10개의 윤달을 둘 때 자기가 하늘을 한 바퀴 돈다 고 설명하고 있 다. 11) 이 기록에 따라 자기의 주적( 周 積 ; 즉 주천주기)인 28년의 일수와 윤 달의 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10) 黃 一 農, 淸 前 期 對 四 餘 定 義 及 其 存 廢 的 爭 執, 社 會 天 文 學 史 十 講 ( 上 海 : 復 旦 大 學 出 版 社, 2004), 205쪽; 李 亮 呂 凌 峰 石 云 里, 從 交 食 算 法 的 差 異 看 大 統 曆 的 編 成 與 使 用, 中 國 科 技 史 雜 誌 第 31 卷 4 號 (2010), 101쪽. 현재 金 史 와 조선의 규장각본으 로 전하는 중수대명력 에는 사여의 추보 항목이 모두 빠져있다. 이은희, 칠정산내편 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41-42쪽. 11)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卷 28, 327쪽. 步 紫 氣, 起 於 閏 法, 二 十 八 年 十 閏 而 氣 行 一 周 天.

5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일 = 일 = ( 일) 28 + ( 일) 일 = (12삭망월 28) + 10삭망월 일 위의 식은 28년 동안 10개의 윤달을 두면 자기의 주적일수가 9.594일 남는다 는 것을 보여준다. 12) 이는 고금율력고 의 설명과 거의 부합한다고 할 수 있 으나 10개의 윤달을 두고도 10일 가까운 날짜가 남으므로 과연 고금율력고 의 설명이 정확한 것인지는 의문이다. 훗날 시헌력( 時 憲 曆 )에서는 사여 중 유 독 자기만을 빼버리는 일이 생기는데, 그 이유가 자기의 천문학적 의미를 찾 지 못했던 까닭으로 알려져 그 실체적 의미가 무엇인지 더욱 의문이 든다. 2 월패( 月 孛 ) 문자적으로 패( 孛 ) 는 혜성을 의미하나, 여기서 월패는 달이 가장 느리게 움 직이는 곳 즉, 백도의 원지점( 遠 地 點 )을 뜻한다. 칠정산내편 에는 월패가 하루에 11분 30초 1361의 속도로 운행하여 천구 상을 일주하는데 년이 걸리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달의 원지점 또는 근지점( 近 地 點 )의 순행 주기와 일치한다. 중국은 2세기경에 처음으로 달의 운동이 가장 빨라 지는 곳, 즉 근지점이 거의 9년의 주기로 동쪽으로 이동하는 사실을 발견하 였다. 13) 그러나 월패가 유래된 지역에서는 월패의 패 가 원지점을 의미하듯 이 주기를 원지점의 이동으로 발견한 듯하다. 왜냐하면 달의 위치와 속도를 계산하는 기점이 중국과 서역의 역법이 각각 다르며 그 차이가 바로 근지점 과 원지점에 있기 때문이다. 즉 중국 역법에서는 근지점이 달의 위치와 운동 의 계산 기점이지만, 서역의 역법에서는 달의 원지점이 계산의 기점이다. 여 기서 원지점 또는 근지점이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 즉 순행하는 물리적인 이 유는 달이 태양과 일직선상에 있게 되는 삭( 朔 )과 망( 望 )에서, 달의 공전궤 12) 중국에서 章 法 으로 알려진 19년 7윤법은 춘추시대인 기원전 589년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법은 19년에 7개의 윤달을 두어 235삭망월이 되면 19태양년과 235삭망월 의 길이가 거의 같게 되는 주기(19태양년과 235삭망월의 차가 0.1일 이하)이다. 藪 內 淸, 中 國 の 天 文 曆 法 ( 東 京 : 平 凡 社, 1963), 쪽 참조. 따라서 13세기에 제작된 수시력에서 28년에 10개의 윤달을 두면 10일 가까운 차가 나는 자기를 치윤과 연결지 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13) 藪 內 淸, 中 國 の 天 文 曆 法, 310쪽 참조.

6 396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도를 장축 방향으로 늘어나게 하는 태양의 차등중력 효과로 인해 궤도 상의 장축선이 회전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14) 3 나후( 羅 睺 )와 계도( 計 都 ) 나후와 계도는 산스크리트어의 Rahu와 Ketu를 음역한 말이다. 일식과 월식 이 황백 교점인 나후와 계도 근처에서 일어나므로 인도에서는 이 두 지점에 식( 食 )을 일으키는 신( 神 )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천수( 天 首 )라고도 부르 던 나후에 식두신( 食 頭 神 )이, 그리고 지미( 地 尾 )라고도 부르던 계도에는 식 미신( 食 尾 神 )이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15) 나후와 계도에 대한 이러한 사 상은 중국에 불교가 전해지면서 불교 천문학과 함께 여러 경전을 통하여 전 해졌다. 그리고 황제의 명으로 인도의 천문서를 번역한 구집력 이 편찬되 면서 중국에 정식으로 소개되었다. 16) 구집력 은 당나라 때 천문대 대장을 지냈던 인도의 천문학자 구담실달이 번역한 것으로서, 여기서 구집( 九 執 ) 이 란 산스크리트어인 nava-graha의 대역( 對 譯 )으로 알려졌다. 17) 수시력과 이를 따르는 대통력, 그리고 칠정산내편 (이하 수시력 계열 이라 칭함)에 따르면 이 두 요( 曜 ) 중, 나후는 달이 황도 남쪽에서 북쪽으로 운행할 때 황도와 만나는 승교점( 昇 交 點 )이고, 계도는 이와 반대로 달이 황도 북쪽에 서 남쪽으로 운행할 때 만나는 강교점( 降 交 點 )이다. 이들 역법에서 나후와 계 도는 각각 중교점( 中 交 點 )과 정교점( 正 交 點 )에 해당한다. 18) 그러나 중국에 들 어와 사용된 나후와 계도의 의미는 한 가지가 아니었다. 구집력에서는 나후가 승교점이고 계도가 강교점이었지만 송나라 심괄( 沈 括, )의 몽계필 담( 夢 溪 筆 談 ) 에서는 나후를 강교점, 계도를 승교점으로 기록하고 있다. 19) 그 리고 회회력과 이를 따르는 칠정산외편 도 나후를 강교점, 계도를 승교점으 로 계산하고 있다. 20) 그러므로 의미에 따른 유래를 살펴본다면 수시력 계통의 14) M. Zeilik and E. P. Smith, Introducto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Philadelphia: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987), pp 참조. 15) 藪 內 淸, 中 國 의 天 文 學, 112쪽 참조. 16) 新 唐 書 卷 28 下 曆 志, 423쪽. 17) 산스크리트어에서 nava는 九 를, graha는 曜 또는 執 을 뜻하여 이를 九 執 이라 대 역하였다. 18) 수시력 계열의 역법에서는 황도와 백도의 교점 중 강교점이 正 交 이며 승교점이 中 交 이다. 그리고 정교인 강교점이 교점월의 기점이다. 19) 沈 括, 夢 溪 筆 談 ( 文 淵 閣 四 庫 全 書 第 862 冊 ) 卷 7 象 數, 748쪽.

7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397 역법들은 구집력의 의미대로 나후를 승교점, 계도를 강교점으로 하고 있으며 후대의 역법인 청나라의 시헌력도 이를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중국에 인 도의 천문학뿐만 아니라 계산 방법과 유래가 다른 천문학이 전래되었으며 적 어도 송나라 이전부터 이미 두 가지가 함께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말 하자면 의미가 다른 나후와 계도가 서로 다른 시대에 서로 다른 경로로 중국에 들어왔으며 그 결과 중국에 서로 다른 나후와 계도의 계산법이 전해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뒤의 3절에서 사여가 기재된 경전과 역법서 들의 조사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나후와 계도는 천구 상에서 약 18.6년의 주기를 갖고 역행( 逆 行 ), 즉 서쪽으로 이동하는데 이는 곧 황백 교점이 이동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이 이동은 해와 달이 지구 적도면의 위와 아래를 움직이기 때문에 생기는 회전 능률이 주기적인 변화를 일으켜 나타난 결과이다. 21) 이로 인해 지구의 자전 축이 흔들리는 현상, 즉 장동(nutation) 현상이 일어나며 황백 교점이 이동하 게 된다. 이러한 장동 현상은 장기적으로 지구 축의 기울기 변화, 즉 황도 경 사각(obliquity) 변화의 직접적 요인이 된다. 대통력과 칠정산내편 에 실린 나후와 계도는 하루에 분씩 운행하며 일(약 18.6년) 만에 황도를 한 바퀴 돈다. 22) 즉 황백 교점이 약 18.6년의 주기로 황도를 한 바퀴 도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2) 사여의 천문상수와 해석 사여는 백도 상에서 운행하는 달의 위치 및 일월식 계산과 깊은 관련이 있 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중국에서 사여가 공식적으로 역법 에 나타난 것은 원의 수시력이었으며 이어서 명의 대통력과 조선의 칠정산 내편 이 이를 따랐다. 그러므로 이 절에서는 이들 역법에 실린 사여의 상수 들을 이용하여 사여가 가지는 각각의 천문학적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우선 분석에 앞서 대통력과 칠정산내편 에 실린 사여의 천문상수들을 수 시력입성( 授 時 曆 立 成 ) 에 기재된 값들과 비교해 보면 약간의 차이가 발견되 20) 유경로 등 역주, 칠정산외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쪽. 21) Zeilik and Smith, Introducto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p ) 분은 나후와 계도의 日 行 分 값으로 하루 동안 운행하는 度 數 를 分 으로 나타 낸 값이다. 수시력 계열의 역법에서 1 日 = 10,000 分, 1 度 = 100 分 이다.

8 398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는데 이 차이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 이유는 바로 수시력과 대통력 사이에 있었던 천문상수의 개정 때, 응수( 應 數 ) 23) 뿐만 아니라 사여의 천문상 수 개정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고려사 ( 高 麗 史 ) 역지( 曆 志 ) 의 말미에 전하는 수시력입성 과 규장각본( 奎 章 閣 本, 1444년 간행)으로 전하는 왕순( 王 恂 )의 수시력입성 에 실린 사여의 천문상 수 비교로부터 확인된다. 원사( 元 史 ) 에 실린 수시력경( 授 時 曆 經 ) 에는 사여의 천문상수를 포함 하고 있는 수시력입성 이 빠져 있어 그동안 사여를 처음으로 다룬 역법이 대통력으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조선에서 간행된 고려사 역지 의 수시 력입성 과 왕순의 수시력입성 을 살펴보면, 수시력에서 이미 사여를 사암 성 으로 다루고 있었고, 후에 제작된 대통력이나 칠정산내편 과는 다소 다 른 천문상수를 사용하였음이 드러난다. 고려사 에 수록된 수시력입성 의 여러 응수가 원사본 수시력경 에 실린 값들과 다른 것은 그동안 대통력에 서 행해진 것으로 알려진 응수의 개정이 이미 원나라 때 이루어졌음을 시사 하는데, 이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24) 즉 원사 에 전하는 수시력의 응수 값들은 1281년 수시력이 제정된 이후에도 관측된 결과와 오차를 줄이기 위 해 여러 차례 부분적인 개정 과정이 있었으며, 그 중에 사여의 천문상수 개 정도 포함된 것으로 추측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수시력 계통의 역법들에 기재된 사여의 천문상수들을 분석해 보 면, 계산에 사용된 천문상수가 수시력의 체계와 일치하지 않는 점이 발견된 다. 즉 사여를 수시력에 도입하면서 천문상수를 수시력의 체계로 통일시키지 않은 것이다. 사여의 계산에 사용된 주천도( 周 天 度 )가 바로 그것이며, 역산에 서 가장 기본이 되는 상수인 주천도가 수시력 내에서 약간의 차를 보이는 것 이 드러난다. 다음은 사여의 계산에 사용된 주천도를 유도해 본 결과이다. 23) 應 數 란 曆 元 에 준하는 천문 상수로, 역원이 알려져 있지 않을 때 응수를 참고로 하면 역원을 계산할 수 있다. 응수에는 해와 달의 위치와 관련된 氣 應 閏 應 轉 應 交 應 周 應 의 다섯 應 과 오행성의 위치와 관련된 合 應 과 曆 應 을 합쳐 모두 7 應 이 있다. 24) 한영호 이은희, 麗 末 鮮 初 本 國 曆 완성의 道 程, 東 方 學 志 제155집 (2011), 쪽 참조. 응수의 조정과 개정 시기에 관련된 기록은 明 史 曆 志 와 明 史 稿 曆 志 그리고 魏 文 魁 의 曆 測 과 邢 雲 路 의 古 今 律 曆 考 등에 전한다. 李 亮 呂 凌 峰 石 云 里, 從 交 食 算 法 的 差 異 看 大 統 曆 的 編 成 與 使 用, 쪽.

9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399 주적(=주천일수) 도율(=도행일수) = 주천도 자기: 일 (28일/도) = 도 월패: 일 ( 일/도) = 도 나계: 일 ( 일/도) = 도 위의 계산에서 주적( 周 積 )은 사여가 하늘을 한 바퀴 도는 주천일수( 周 天 日 數 )이며 도율( 度 率 )은 사여가 1도 움직이는 데 걸리는 일수이다. 따라서 이들 의 관계를 이용하면 사여의 계산에 사용된 주천도수( 周 天 度 數 ), 즉 항성도수 가 유도된다. 위의 결과는 사여의 계산에 사용한 주천도가 도임을 보여준다. 이 값은 수시력 계열 역법의 주천도, 즉 도와 다른 값이다. 한 역법에서 정한 천문상수는 그 역법의 어느 계산에나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야 하는데 수시력 계열의 역법들은 일월오성의 계산에는 도를 주천 도로 사용한 반면, 사여의 계산에는 도를 사용하였다. 25) 이는 수시 력의 제작자들이 연원이 다른 사여를 항목에 추가하면서 해당 천문상수도 수 시력의 체계로 통일시켜야 하는 점을 간과한 결과로 보인다. 26) 한편 사여가 달의 운행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여의 천문상수 중 월패와 나계( 羅 計 ) 27) 의 하루당 이동속도를 나타내는 일행분( 日 行 分 ) 28) 값들을 분석해 보았다. 월패는 달의 원지점을 나타내고 나계는 황 백 교점을 나타내므로 이들의 일행분 값은 곧 근점월과 교점월의 기점이 되 는 근지점(또는 원지점)과 교점의 하루당 이동 속도를 나타낸다. 이 때 근지 점과 황백 교점은 별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므로 29) 그림 1 에서 보듯이 근 25) 이에 대해 명대의 형운로는 대통력에 실린 사여의 周 積 (주천일수)이 주천도를 로 계산한 결과보다 작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대통력에 실린 사여의 주적이 正 法 이 아니라고 지적하였다.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卷 58, 647쪽 참조. 26) 사여는 원래 중국 역법에서는 다루지 않던 추보 항목이다. 수시력이 외래 역법의 영향 을 받아 새로 도입한 사여의 추산 방법은 도를 주천도로 하는 역법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느 역법에서 유래한 것인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27) 나후와 계도의 이동 각속도는 같으므로 일행분 값을 논할 때, 나후와 계도를 함께 묶 어 나계로 칭한다. 28) 日 行 分 이란 사여가 하루 동안 운행하는 도수를 分 으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즉, 주천도 일행분 주천일수 29) 교점과 근지점은 별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므로 이동된 다음의 교점과 근지점은 다음 교점월과 근점월의 새로운 기점이 된다. 그러므로 교점과 근지점은 이동하지만 교점월

10 400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지점과 황백 교점이 어느 순간 기수( 箕 宿 ) 초도( 初 度 )에 있는 별과 함께 있 었다고 가정하면, 다음 교점은 기수 초도에 대해 항성월과 교점월의 차만큼 역행한 위치에, 그리고 다음 근지점은 기수 초도에 대해 항성월과 근점월의 차만큼 순행한 위치에 오게 된다. 그림 1. 교점과 근지점의 이동 그러므로 근지점과 교점이 하루당 이동하는 각도, 즉 일행분은 1항성월 동 안 달이 별에 대해 하루 동안 이동하는 평균 행도와, 근점월과 교점월 동안 각각 달이 별에 대해 하루 동안 이동하는 평균 행도와의 차로 나타낼 수 있 다. 30) 이에 대한 계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1) V항 V근 = 360 /1항성월 360 /1근점월 = 360 / 일 360 / 일 = /일 /일 = /일 = 度 /일 과 근점월의 주기는 항상 일정하다. 30) 항성월은 달이 어느 별을 기준으로 하여 다시 그 별의 위치까지 올 때의 시간을 말한 다. 백도 상에서 달은 부등운동에 따라 그 속도가 변화하나 항성월의 기점은 변하지 않으며 항성월의 주기 또한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근점월과 교점월은 그 주기는 변하 지 않으나 그 기점이 되는 근지점과 교점은 항성월의 기점인 별에 대해 이동(순행 또 는 역행)하므로 근지점과 교점은 항성월의 기점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된다. 31) 사여성의 계산에 사용된 주천도(즉, 도)는 중국 度 이므로, 현재의 360 법과 각도 비 1:1.0146으로부터, 현재 값들과 중국 度 로 환산한 값들을 구별하기 위해 각각 와 度 로 표시하였다.

11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01 V항 V교 = 360 /1항성월 360 /1교점월 = 360 / 일 360 / 일 = /일 /일 = /일 = 度 /일 다음은 위와 같이 유도된 값들이 역법에 제시된 사여의 천문상수들과 어떠 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각 상수들을 표 1 과 같이 정리하였 다. 수시력입성 에는 지후책( 至 後 策 )이나 주적과 같은 상수가 제시되지 않았 으며, 대통력과 칠정산내편 은 역원( 曆 元 )과 관계된 지후책을 제외하고는 다 른 상수 값들이 모두 같다. 32) 그리고 대통력과 칠정산내편 그리고 수시력 입성 에 공통적으로 기재된 상수는 일행분임이 나타난다. 따라서 표 1 에는 대통력과 칠정산내편 에 실린 일행분 값을 일행분(1), 그리고 수시력입성 에 실린 일행분 값을 일행분(2)로 구분하여 그 밖의 상수 값들과 비교해 보았다. 표 1. 사여성의 천문상수 사여 자기( 紫 氣 ) 월패( 月 孛 ) 나후( 羅 睺 ) 계도( 計 都 ) 주 적 반주적 도 율 일행분(1) 일행분(2) 일 일 28일 분 분 일 일 일 분 분 일 일 일 분 5.37 분 일 일 일 분 5.37 분 위의 표 1 에 기재된 천문상수 중, 주적( 周 積 )은 바로 주천일수를 나타낸 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이 주천일수를 주천도로 나누면 사여가 1도당 움직이 는 데 걸리는 일수 즉 도율( 度 率 ) 33) 이 되며, 이 일수를 연( 年 ) 단위로 환산하 면 사여가 천구를 한 바퀴 도는 햇수가 된다. 또한 1도당 움직이는 데 걸리는 일수를 도에 대해 나누어 주면 사여가 하루당 움직이는 일행분( 日 行 分 )을 얻 는다. 자기의 천문학적 의미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진 바 없으므로 월패 32) 지후책은 元 冬 至 직전 사여의 동지점 통과일로부터 원동지까지의 日 分 을 말한다. 그 리고 주적은 사여가 하늘을 한 바퀴 도는 주천일수를 말한다. 주적 주천일수 33) 도율 주천도

12 402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와 나계의 일행분 값을 앞서 구한 근점월과 교점월이 항성월과 하루당 벌어 지는 각속도 차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로 환산해 비교하면 표 2 와 같다. 표 2. 월패와 나계의 일행분 값 비교 현대계산 값 수시력 대통력, 칠정산내편 월패( 月 孛 ) 나계( 羅 計 ) /일 /일 /일 /일 /일 /일 위의 표에는 월패와 나계의 일행분 값을 현대 값과 비교하기 위해 역법에 기재된 값을 모두 360 법으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비교 결과 월패와 나계 의 일행분 값은 현대의 계산 결과와 각각 소수점 4째 자리까지 일치함을 보 인다. 그리고 근소한 차이지만 수정된 대통력과 칠정산내편 의 상수 값이 수시력보다 현대의 계산 결과에 더 가까운 것이 확인된다. 이와 함께 월패와 나계가 역법에 채용된 천문학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브라운(Ernest W. Brown)의 월행표(Tables of the Motion of the Moon, 1919) 에 나오는 달의 위치 계산식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34) 이 식들을 보면 표 2 에 제시된 월패와 나계의 일행분 값이 달의 근지점 경도와 승교 점의 황경 계산에 사용된 일차항의 값들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옛 역법은 근사식을 사용하였으므로 위 식에서 일차항 이하의 값들을 고려 하지 않는다면 사여의 일행분 값은 일월식 추보를 위한 달의 위치 계산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달의 근지점 경도 (π) = 달의 승교점 황경 (Ω) = 원기(epoch): 1900년 1월 0일 0시 (JD 0 = 일) T : 원기 이후의 율리우스 세기 수( 世 紀 數 ) d : 원기 이후의 일수 34) 이은성, 曆 法 의 原 理 分 析 (정음사, 1985), 286쪽.

13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03 그러나 실제 수시력 계통의 역법을 조사해 보면 사여가 매일 어느 궁( 宮 ), 어느 별자리 宿 에 위치하는지, 그리고 각 궁과 별자리에 들어가는 시각이 언제인지 등을 추보하고 있을 뿐, 사여를 직접 일월식 계산에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는 그 목적이 일월식 계산이 아니라 시간에 따른 사여의 위치 계산 에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달의 위치와 운동 계산에서도 수시력 계 통의 역법은 원지점이 아닌 근지점과, 그리고 승교점이 아닌 강교점 正 交 이 계산의 기점이라는 것을 고려해 보면, 중국 역법에 실린 사여의 추보는 일월식 계산보다는 사여가 천구 상에 머무는 위치로 길흉을 점치는 점성학 적 추산에 그 목적이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반면 회회력과 칠정산외편 에서는 원지점이 달의 운동 계산에 사용되고 있고 승교점인 계도가 교점과 달과의 거리를 계산하는 기점이 되고 있다. 35) 이는 곧 회회력에서는 월패에 해당하는 원지점과 황백 교점인 나후와 계도가 일월식 계산과 직접 관련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회회력은 그리스 천문 학에서 기원한 것이므로 순수 천문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월패 및 나후와 계 도의 원형은 결국 그리스 천문학에서 기원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3. 사여의 중국 전래로 본 동서 천문학의 교류 중국에서 사여는 일월오성의 칠요 와 함께 나후와 계도를 포함하는 구요, 그리고 자기와 월패까지 포함하는 11요 사상으로 이어지며 흡수되었다. 칠 요의 기원은 일곱 번째 날을 신성시하는 바빌로니아인과 유대교도 사이의 종교적 관습과, 이집트에서 발생한 일월오성의 칠요에 바탕을 둔 점성( 占 星 ) 상의 행성일( 行 星 日 )이 결합해서 생겨난 것이라 한다. 이 칠요가 점차 동방 으로 전해지면서 이란의 마니교가 영향을 받았고 그 후 5세기경에는 인도로 전래되어 밀교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경유로 중국에 전래된 칠요는 중 앙아시아로부터 전래된 마니교와 인도로부터 전래된 밀교에 의한 것 두 가 지가 있었다고 한다. 36) 한편 이와 관련된 유물들이 돈황( 敦 煌 )의 막고굴( 莫 高 窟 )에서 발견된 바 있 35) 유경로 등 역주, 칠정산외편, , , 쪽. 36) 藪 內 淸, 中 國 의 天 文 學, 105쪽 참조.

14 404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는데 그들 가운데 매 7일마다 밀( 密 ) 자가 기록된 칠요역일( 七 曜 曆 日 )이 주 목받았다. 이는 1908년 프랑스의 동양학자 펠리오(Paul Pelliot, )가 막고굴의 제 17석굴에서 발견한 것으로 여기서 밀 이란 일요일에 해당하는 날로 소그디아나(Sogdiana)어인 mir의 음역( 音 譯 )으로 밝혀졌다. 37) 이로부터 이 역서가 일요( 日 曜 )를 신성시하던 마니교와 관련된 것이며, 중국에 마니교 를 전한 것은 중앙아시아의 소그드인(Sogdian)이라고 생각되었다. 38) 그러나 그 후 돈황에서 발견된 여러 고문헌들의 연구와 해석이 이어지면서 소그드인 들은 중국에 마니교뿐만 아니라 경교의 전파자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 사실이 드러났다. 39) 천문학적으로 그러한 증거는 강거( 康 居 ), 즉 소그디아나에서 유 래한 것으로 알려진 도리율사경( 都 利 聿 斯 經 ) 과 율사사문경( 聿 斯 四 門 經 ), 그리고 사문경( 四 門 經 ) 등의 경전에서 나타났다. 40) 다음의 표 3 은 중국에 전래된 사여의 유래를 찾기 위해 사여가 기재된 경전들과 역법서들을 조사한 결과이다. 표 3. 사여( 四 餘 )가 기재된 경전( 經 典 )과 역법서( 曆 法 書 )42) 사여 내용 문헌( 文 獻 ) 저자 or 역자 년( 年 ) 羅 睺, 彗 星 마등가경( 摩 登 伽 經 ) 축율염( 竺 律 炎 ) 지겸( 支 謙 ) 230 사두간경( 舍 頭 諫 經 ) 축법호( 竺 法 護 ) 揭 邏 虎, 鷄 睹 불설대공작주왕경 ( 佛 說 大 孔 雀 咒 王 經 ) 阿 修 구집력( 九 執 曆 ) 羅 睺, 彗 星 대비로자나성불경소 ( 大 毗 盧 遮 那 成 佛 經 疏 ) 의정( 義 淨 ) 705 구담실달 ( 瞿 曇 悉 達 ) 718 일행( 一 行 ) ) 藪 內 淸, 中 國 의 天 文 學, 112쪽 참조. mir는 소그디니아어로 태양을 나타낸다. 38) 야노 미치오, 전용훈 옮김, 밀교 점성술과 수요경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 46쪽. 39) Chen Huaiyu, The Connection between Jingjiao and Buddhist Texts in Late Tang China, in Roman Malek and Peter L. Hofrichter, eds., The Church of the East in China and Central Asia (Sankt Augustin: Institut Monumenta Serica, 2006), pp ; 구범회, 예수, 당태종을 사로잡다 (나눔사, 2012), 쪽. 40) 新 唐 書 ( 文 淵 閣 四 庫 全 書 第 273 冊 ) 卷 59 藝 文 志, 94쪽. 都 利 聿 斯 經 二 卷 : 貞 元 中, 都 利 術 士 李 彌 乾 傳 自 西 天 竺, 有 璩 公 者 譯 其 文.

15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05 사여 내용 문헌( 文 獻 ) 저자 or 역자 년( 年 ) 羅 睺, 計 都 羅 睺, 彗 星 羅 睺, 計 都 羅 睺, 彗 星 羅 睺, 計 都 紫 氣, 月 孛 羅 睺, 計 都 紫 氣, 月 孛 羅 睺, 計 都 紫 氣, 月 孛 羅 睺, 計 都 紫 氣, 月 孛 羅 睺, 計 都 범천화라구요 ( 梵 天 火 羅 九 曜 ) 북두칠성호마법 ( 北 斗 七 星 護 摩 法 ) 불모대공작명왕경 ( 佛 母 大 孔 雀 明 王 經 ) 치성광소재길상다라니경 ( 熾 盛 光 消 災 吉 祥 陀 羅 尼 經 ) 일행( 一 行 )? 일행( 一 行 )? 불공( 不 空 )? 불공( 不 空 )? 사문경( 四 門 經 ) 경정( 景 淨 ) 783(?) 도리율사경 ( 都 利 聿 斯 經 ) 십일성행력 ( 十 一 星 行 曆 ) 율사사문경 ( 聿 斯 四 門 經 ) 칠요양재결 ( 七 曜 攘 災 決 ) 이미건( 李 彌 乾 ) 거공( 璩 公 ) 이필건( 李 弼 乾 ) 진보( 陳 輔 )? 금구타( 金 俱 吒 ) 8세기 말 (역원;806) 羅 睺, 計 都 부천력( 符 天 曆 ) 조사위( 曹 士 蔿 ) (역원;806) 羅 睺, 計 都 흠천력( 欽 天 曆 ) 왕박( 王 朴 ) 956 羅 睺, 計 都 紫 氣, 月 孛 羅 睺, 計 都 紫 氣, 月 孛 41) 수시력( 授 時 曆 ) 곽수경( 郭 守 敬 ) 등 1281 대통력( 大 統 曆 ) 羅 睺, 計 都 회회력( 回 回 曆 ) 羅 睺, 計 都 紫 氣, 月 孛 칠정산내편( 七 政 算 內 篇 ) 羅 睺, 計 都 칠정산외편( 七 政 算 外 篇 ) 羅 睺, 計 都 月 孛 시헌력( 時 憲 曆 ) 유기( 劉 基 ) 원통( 元 統 ) 마사역흑 ( 馬 沙 亦 黑 ) 이순지( 李 純 之 ) 김담( 金 淡 ) 이순지( 李 純 之 ) 김담( 金 淡 ) Adam Schall I. Kögler

16 406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앞의 표에는 육조시대 삼국( 三 國 )의 오( 吳 )나라에서 번역된 마등가경 으 로부터 청나라 말기의 시헌력에 이르기까지 사여와 관련된 자료들이 소개되 어 있다. 이 자료들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첫째는 나후와 계도가 언급되고 있는 마등가경 으로부터 칠요양재결( 七 曜 攘 災 決 ) 까지의 불교 경전이고, 둘째는 사여가 다루어지고 있는 사문경 과 도리율사경 등 11 요 관련 경전이며, 셋째는 나후와 계도 또는 사여 모두를 전하고 있는 역법 서들이다. 따라서 이들 사이의 특징을 위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1) 마등가경 에서 칠요양재결 까지의 불교경전 마등가경 은 중국에 전해진 불교 경전 중, 나후가 처음으로 보이는 경전으 로 두 종류의 한역이 이루어졌다. 하나는 오( 吳 )나라 황룡( 黃 龍 ) 2년(AD 230)에 인도 출신의 학승 축율염( 竺 律 炎 )과 지겸( 支 謙 )이 불교 경전 Matanga-sutra를 번역한 마등가경 이고, 다른 하나는 서진( 西 晋, ) 시대 돈황의 축법호( 竺 法 護 )가 번역한 사두간태자이십팔수경( 舍 頭 諫 太 子 二 十 八 宿 經 ) 이다. 42) 이들은 불교 경전을 통해 최초로 중국에 전해진 인도 점성술서로서 본래 밀교 경전은 아니지만 점성술적 내용 때문에 대정대장경 ( 大 正 大 藏 經 )의 밀교부 에 들어가 있다고 한다. 43) 그런데 마등가경 에 실린 다음의 내용을 보면 7요와 함께 나후와 계도라 는 명칭 대신 나후와 혜성이 보인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44) 41) Kwan-yu Chen, Chi Wah Chan and Eun-Hee Lee, Introdution of Si-yu to China, Kwan-yu Chen and Xiaochun Sun, eds., Frontiers of Oriental Astronomy (Beijing: China Science & Technology Press, 2006), pp 에 실린 표를 수정 보완하여 새로 작성하였다. 사여의 한자 표기가 달라도 한글 표기는 같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구분을 위해 모두 원문 표기를 따랐다. 그리고 조사된 문헌의 편찬년도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西 晋 시대 또는 貞 元 연간 등으로 기재된 경우는 그 기간 전체를 표시하였다. 42) 별칭 또는 약칭으로 舍 頭 諫 經, 太 子 二 十 八 宿 經, 二 十 八 宿 經, 虎 耳 經 등이 있다. 43) 야노 미치오, 밀교 점성술과 수요경, 39쪽. 44) 竺 律 炎, 支 謙 譯, 摩 登 伽 經 卷 上 ( 大 正 新 修 大 藏 經 21 冊, 東 京 : 大 正 一 切 經 刊 行 會, 1934), 405쪽(이하 大 正 新 修 大 藏 經 책들의 출판사와 출판년도는 같으므로 생략한 다). 今 當 爲 汝 復 說 七 曜. 日 月 熒 惑 歲 星 鎭 星 太 白 辰 星, 是 名 爲 七. 羅 睺 彗 星 通 則 爲 九. 如 是 等 名. 占 星 等 事, 汝 宜 應 當 深 諦 觀 察. ; 餘 欣, 敦 惶 文 獻 與 圖 上 中 的

17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07 이제 너를 위해 다시 칠요( 七 曜 )를 일러 주겠노니, 일( 日 ) 월( 月 ) 형혹( 熒 惑 ) 세 성( 歲 星 ) 진성( 鎭 星 ) 태백( 太 白 ) 진성( 辰 星 )이 칠요의 명칭이다. 나후( 羅 睺 ) 혜성( 彗 星 )까지 합하면 아홉이 된다. 이들 명칭과 점성( 占 星 ) 등의 일을 너는 깊이 알고 살펴야 한다. 위신( 餘 欣 )은 위 문장에서 나후는 음역( 音 譯 )을 채용하였고 계도는 의역( 義 譯 )을 채용하여 혜성( 彗 星 )으로 번역하며 나후와 같이 들었으니, 만약 제명 ( 題 名 ) 연대를 믿을 수 있다면 이 개념은 삼국 시기에 이미 중국에 전래되었 다 고 하였다. 그리고 계도라는 이름이 정식으로 출현한 것은 상대적으로 시기가 늦으며 개원( 開 元, ), 천보( 天 寶, ) 연간에 중국에 밀 교가 대거 들어온 것과 관련이 있을 것 이라고 하였다. 45) 마등가경 이후 계도를 혜성으로 의역한 예로는 불공( 不 空, )의 치성광대위덕소재 길상다라니경( 熾 盛 光 大 威 德 消 災 吉 祥 陀 羅 尼 經 ) 이 있다. 46) 그리고 밀교( 密 敎 ) 승려인 일행( 一 行, )의 북두칠성호마법( 北 斗 七 星 護 摩 法 ) 에서 도 계도( 計 都 )는 바로 번역하면 기( 旗 )인데, 기는 혜성( 彗 星 )을 이른다 고 하였으니 계도를 혜성으로 보는 관습이 당대까지 이어진 것 같다. 47) 이들 외에 의정( 義 淨, )이 번역한 불설대공작주왕경( 佛 說 大 孔 雀 咒 王 經 ) 하권에는 일월오성의 칠요와 함께 게라호( 揭 邏 虎 )와 계도( 鷄 睹 )라 는 이름이 등장한다. 48) 이는 나후( 羅 睺 )와 계도( 計 都 )를 말하는 것으로서 鷄 睹 (jidu) 와 計 都 (jidu) 의 중국어 발음이 같은 것으로 보아 Rahu와 Ketu 가 음역되면서 다르게 한역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칠요양재결 에 전하는 계도는 또 다른 의미를 지니는데, 칠요양재결 에 실린 다음의 내용은 나후 羅 睺 計 都 釋 證, 敦 惶 學 輯 刊 ( 蘭 州 : 蘭 州 大 學 出 版, 2011), 106쪽. 45) 餘 欣, 敦 惶 文 獻 與 圖 上 中 的 羅 睺 計 都 釋 證, 107쪽. 46) 不 空 譯, 熾 盛 光 大 成 德 消 災 吉 祥 陀 羅 尼 經 ( 大 正 新 修 大 藏 經 19 冊 ), 337쪽. 若 有 國 王 及 諸 大 臣 所 居 之 處 及 諸 國 界, 或 被 五 星 陵 逼, 羅 睺 彗 孛 妖 星, 照 臨 所 屬 本 命 宮 宿 及 諸 星 位. ; 鈕 衛 星, 唐 宋 之 際 道 敎 十 一 曜 星 神 崇 拜 的 起 源 和 流 行, 世 界 宗 敎 硏 究 第 1 期 ( 北 京 : 中 國 社 會 科 學 出 版 社, 2012), 86-87쪽. 47) 一 行, 北 斗 七 星 護 摩 法 ( 大 正 新 修 大 藏 經 21 冊 ), 457쪽. 計 都 者, 翻 爲 旗 也. 旗 者, 彗 星 也 ; 鈕 衛 星, 唐 宋 之 際 道 敎 十 一 曜 星 神 崇 拜 的 起 源 和 流 行, 87쪽. 48) 義 淨 譯, 佛 說 大 孔 雀 咒 王 經 ( 大 正 新 修 大 藏 經 19 冊 ) 卷 下, 474쪽. 阿 難 陀, 汝 當 憶 識 有 九 種 執 持 天 神 名 號, 此 諸 天 神 于 二 十 八 宿 巡 行 之 時, 能 令 晝 夜 時 有 增 减, 亦 令 世 間 豊 儉 苦 樂 預 表 其 相. 其 名 曰 : 阿 侄 底 蘇 摩 苾 栗 訶 颯 鉢 底 束 羯 攞 珊 尼 折 攞 鴦 迦 迦 部 陀, 揭 邏 虎 鷄 睹 ; 鈕 衛 星, 唐 宋 之 際 道 敎 十 一 曜 星 神 崇 拜 的 起 源 和 流 行, 86쪽.

18 408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와 계도에 대한 이해가 당시 어떠했는지를 알려준다. 49) 나후알라사( 羅 睺 遏 囉 師 )는 황번( 黃 幡 )이라고도 하고 식신두( 食 神 頭 )라고도 하고 복( 複 )이라고도 하고 태양수( 太 陽 首 )라고도 하는데, 항상 숨어서 운행하 여 드러나지 않는다. 일월( 日 月 )을 만나면 식( 食 )이 일어나니, 삭망( 朔 望 )에 만 나면 반드시 식이 일어난다. 일월과 마주볼 때도 식이 일어난다. 늘 하늘을 역행( 逆 行 )하며 운행에 지질( 遲 疾 )이 없다. 19일에 1도를 운행하여 1개월이면 1과 6/10도를 운행하며, 1년이면 19와 1/3도를 운행한다. 계도알라사( 計 都 遏 囉 師 )는 표미( 豹 尾 )라고도 하고 식신미( 食 神 尾 )라고도 하 고 월발력( 月 勃 力 )이라고도 하고 태음수( 太 陰 首 )라고도 하는데, 항상 숨어서 운행하여 드러나지 않는다. 사람의 본궁( 本 宮 )에 이르면 재앙이 있는데, 혹 은 복불통( 隱 覆 不 通 )하면 재앙이 가장 크다. 늘 하늘을 순행( 順 行 )하며 운행에 지 질이 없다. 9 日 에 1도를 운행하여 1개월에 3과 4/10도를 운행한다. 9개월에 1 차( 次 )를 운행하여 1년이면 40과 7/10도을 운행하고 9년에 1주천하되 6과 3/10 도의 차이가 발생하니, 도합 62년에 7주천하되 3과 4/10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위의 내용을 보면 나후를 식신두( 食 神 頭 ) 또는 태양수( 太 陽 首 )라고 하고 계도를 식신미( 食 神 尾 ) 또는 태음수( 太 陰 首 )라고 하면서도 계도를 다시 원 지점을 뜻하는 월패의 운행 도수(62년에 7주천 = 년/1주천)로 논하 고 있다. 야노 미치오( 矢 野 道 雄 )에 따르면 칠요양재결 에 나오는 계도가 달의 원지점이라는 사실을 가장 먼저 지적한 사람은 야부우치 키요시( 藪 內 淸 )이다. 50) 이러한 지적에 따라 야노도 브라운 공식을 이용하여 칠요양재 결 에 나오는 계도가 달의 원지점임을 재확인하였다. 그 후 뉴웨이싱( 鈕 衛 星 )은 칠요양재결 에 나오는 위의 내용과 함께 나후와 계도의 역표( 曆 表 ) 를 분석하여 나후와 계도의 천문학적 본래 의미가 나후는 백도의 승교점이 고, 계도는 백도의 원지점 이라고 고정하였다. 51) 그러나 계도가 진정 원지점을 뜻하는 것이라면 같은 문장 안에서 나후의 49) 金 俱 吒, 七 曜 攘 災 決 ( 大 正 新 修 大 藏 經 21 冊 ) 卷 中, 446쪽; 鈕 衛 星, 唐 宋 之 際 道 敎 十 一 曜 星 神 崇 拜 的 起 源 和 流 行, 87쪽. 50) Yano Michio, The Ch i-yao jang-tsai-chüeh and Its Ephemerides, Centaurus 29:1 (1986), pp ) Niu Weixing, An Inquiry into the Astronomical Meaning of Rahu and Ketu, Chinese Astronomy and Astrophysics 19:2 (1995), pp

19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09 식신두에 대응하는 식신미가 계도로 언급되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식신두 와 식신미는 식을 일으키는 신의 머리와 꼬리라는 뜻으로 이들이 함께 나오 면 이는 당연히 황도와 백도의 교점을 뜻하는 승교점과 강교점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위의 문장은 칠요양재결 을 찬한 금구타( 金 俱 吒 )가 나후의 뜻과 운행에 대해서는 제대로 이해한 반면 계도에 대해서는 월패와 혼동하고 있음 을 나타낸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계도의 앞과 뒤의 의미가 다른 경우는 범천 화라구요( 梵 天 火 羅 九 曜 ) 도 마찬가지라는 주장이 나왔다. 칠요양재결 에 나오는 계도가 달의 원지점임을 재확인하였던 뉴웨이싱은 범천화라구요 에 나오는 나후와 계도의 28수 위치를 분석한 후, 범천화라구요 에 나오는 계 도 역시 달의 원지점임을 밝혔다. 52) 칠요양재결 보다 훨씬 앞서 편찬된 범 천화라구요 역시 계도가 달의 원지점을 나타내고 있었다면 당시 불전에서 월패 대신 계도라는 명칭을 써서 달의 원지점을 논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범천화라구요 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인도가 아닌 서양 점성술 에 기원한 것이라는 삼합( 三 合, trine)이라는 용어가 여러 번 등장한다. 53) 삼 합은 황도 상을 운행하는 행성의 위치 관계에서 황도를 3등분한 곳, 즉 행성 이 120 간격의 위치에 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범천화라구요 나 칠요양재 결 모두 인도의 점성술뿐만 아니라 이미 페르시아나 그리스 기원의 서양 점 성술이 접목되었음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칠요양재결 의 점재양지법( 占 災 攘 之 法 ) 에서 칠요에 대한 양재법( 攘 災 法 )을 논하는 오행의 순서가 중국의 오행 순서와 같다는 지적은 54) 바로 칠요양재결 이 이미 인도와 서양의 점 성술뿐만 아니라 중국적 요소도 가미된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 3 에서도 보이듯이 한역된 불경들에는 나후와 계도만 보일 뿐, 자기와 월패가 보이지 않는다. 그런 가운데 칠요양재결 과 범천화라구요 는 나후 와 계도를 논하면서도 월패의 운행도수로 계도를 논하고 있다. 월패는 칠요 양재결 이 편찬되기 백여 년 전 이미 이순풍으로부터 추보가 시작됐다는 기 록이 있으니 이는 월패의 지식이 훗날 불교경전에 흡수된 경우로 보인다. 55) 52) 鈕 衛 星, 梵 天 火 羅 九 曜 考 釋 及 其 撰 寫 年 代 和 作 者 問 題 探 討, 自 然 科 學 史 硏 究 第 24 卷 第 4 期 (2005), 쪽. 53) 一 行, 梵 天 火 羅 九 曜 ( 大 正 新 修 大 藏 經 21 冊 ), 459쪽. 羅 睺 食 神 星, 明 曰 : 唵 囉 戶 曩 阿 素 ( 三 合 ) 囉 邏 惹 野 塞 麻 舍 睹 野 曩 ( 名 位 ) 扇 底 伽 哩 莎 婆 訶 ; 鈕 衛 星, 梵 天 火 羅 九 曜 考 釋, 321쪽. 54) 야노 미치오, 밀교 점성술과 수요경, 176쪽.

20 410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그러나 앞서 살펴보았듯이 칠요양재결 과 범천화라구요 의 편찬자들은 계 도와 월패를 혼동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유추된다. 아마도 월패의 패 가 문자적으로는 혜성을 뜻하므로 마등가경 이후 혜성으로 여겨 왔던 계도를 월패로 잘못 연관시킨 결과가 아닌가 생각 된다. 56) 그리고 나후와 함께 이은요( 二 隱 曜 ) 중의 하나였던 계도는 은요( 隱 曜, 보이지 않는 별 또는 행성)라는 문자적 의미에도 불구하고 보이는 천체인 혜성으로 의역하고 있었으니 이 또한 계도의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본다면 나후와 계도를 전하고 있는 불교 경전 사이에도 그것들 의 의미에 대해 서로 다른 이해와 해석이 있었으며 이들을 경전에 전한 저자 들조차 나후와 계도에 대한 이해가 완전하지 않았던 사실을 돌아볼 수 있다. 2) 사문경 과 도리율사경 등의 11요( 曜 ) 관련 경전 앞서 표 3 에 조사된 사문경 과 도리율사경 그리고 율사사문경 과 십일성행력 은 모두 같은 원본의 이역본( 異 譯 本 )으로 보인다. 현재 원본과 번역본이 모두 전하지 않는 관계로 이들의 해석에 대한 논쟁은 아직 뜨겁다. 이들 중 도리율사경 이 정관 7년(865) 당에서 귀국한 일본의 승려 슈에이 ( 宗 叡 )가 칠요양재결 과 함께 일본에 가져온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역시 기록에만 전할 뿐 현재 전하지 않는다. 57) 그러나 다행히 1908년 돈황에서 발견된 문헌 중의 하나인 존경( 尊 經 ) 에 경정( 景 淨, Adam)이 번역한 경전 의 목록 가운데 사문경 이 보인다. 58) 이에 따라 이들과 관련된 기록들을 55)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卷 64, 682쪽. 自 李 淳 風 有 推 月 孛 法. 淳 風 步 月 孛, 六 十 二 日 行 七 度, 六 十 二 年 而 七 周 天. 56)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卷 64, 682쪽. 月 孛 는 彗 星 의 等 屬 이니, 빛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은 혜성이고, 빛이 사방으로 발산되는 것은 孛 이다. 孛 星 은 봄가을에 자주 출현하는 데, 大 辰 에 나타나기도 하고 北 斗 에 들어가기도 한다. 孛 星 이 나타나면 반드시 凶 하니, 星 占 家 들은 이를 淫 氣 라고 한다. 孛 가 있는 곳 중에 그 운행이 가장 느린 곳은 달의 운행이 느린 곳과 그 위치가 같다. 57) 야노 미치오, 밀교 점성술과 수요경, 167쪽. 58) 尊 經 ( 大 正 新 修 大 藏 經 54 冊 ) 卷 中, 敬 禮 常 明 皇 樂 經, 宣 元 至 本 經, 志 玄 安 樂 經, 天 寶 藏 經, 四 門 經, 啓 眞 經, 摩 薩 吉 斯 經, 慈 利 波 經, 烏 沙 那 經. ( 謹 案 諸 經 目 錄, 大 秦 本 敎 經 都 五 百 卅 部, 並 是 貝 葉 梵 音. 唐 太 宗 皇 帝 貞 觀 九 年, 西 域 太 德 僧 阿 羅 本 屆 于 中 夏, 並 奏 上 本 音, 房 玄 齡 魏 徵 宣 譯 奏 言. 後 召 本 敎 大 德 僧 景 淨, 譯 得 已 上 卅 部 卷. 餘 大 數 具 在 貝 皮 夾, 猶 未 翻 譯.)

21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11 찾아 표 4 에 정리하여 보았다. 표 4. 도리율사경( 都 利 聿 斯 經 ) 과 11요( 曜 ) 관련 기록 문헌 新 唐 書 藝 文 志 宋 史 藝 文 志 吳 萊, 淵 穎 集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내용 도리율사경( 都 利 聿 斯 經 ) 2권: 정원( 貞 元 ) 연간 도리( 都 利 )의 술사 이미건( 李 彌 乾 )이 서천축으로부터 전했으며 거공( 璩 公 )이 그 글을 번역하였다. 59) 진보( 陳 輔 ) 가 번역한 율사사문경( 聿 斯 四 門 經 ) 1권. 도리율기사( 都 利 聿 期 斯 ) 1권 율사사문경( 聿 斯 四 門 經 ) 1권 율사가( 聿 斯 歌 ) 1권 율사은경( 聿 斯 隱 經 ) 3권 관자명주안수목도리율사결( 關 子 明 注 安 脩 睦 都 利 聿 斯 訣 ) 1권 정원 초에 이필건이 또 십일성행력 을 추보했고, 후에 종남산 사 람 포해( 鮑 該 )와 조사위( 曹 士 蔿 )에게 전수했다. 세상에서 익히는 성 력( 星 曆 )의 소위 11성이란 일 월 오성 사여가 그것이다. 지 금 그 설은 모두 도리율사경 에 뿌리를 두고 있다. 도리는 도뢰( 都 賴 )이다. 서역 강거성이 도뢰수 윗부분에 있으니 지금 전하는 율 사경 은 바라문의 술법이고, 이필건은 사실 바라문 술사이다. 60) 칠정 외에 또 사은요인 자기 월패 라후 계도가 있다. 성가 ( 星 家 )들은 그것을 가지고 운명을 점치는데, 이들을 사여라고 한 다. 칠정까지 합하여 11요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서역 천축 에서 서로 전출( 傳 出 )했으니 대개 서역 강거성의 도뢰율사경 이라는 것은 곧 바라문의 술법인 것이다. 당나라 정원 연간 ( ) 초에 바라문의 준사( 俊 士 ) 이필건이 십일성행력 을 추 보하기 시작했다. 61) 59) 新 唐 書 卷 59 藝 文 志 曆 算 類. 都 利 聿 斯 經 二 卷 : 貞 元 中, 都 利 術 士 李 彌 乾 傳 自 西 天 竺, 有 璩 公 者 譯 其 文. 60) 吳 萊, 淵 穎 集 卷 12 王 氏 範 圍 要 訣 後 序. 貞 元 初, 李 弼 乾 又 推 十 一 星 行 曆, 後 傳 終 南 山 人 鮑 該 曹 士 蔿, 世 肄 之 星 曆 所 謂 十 一 星 者, 日 月 五 星 四 餘 是 也. 今 其 說 一 本 之 都 利 聿 斯 經. 都 利 蓋 都 賴 也. 西 域 康 居 城, 當 都 賴 水 上, 則 今 所 謂 聿 斯 經 者, 婆 羅 門 術 也, 李 弼 乾 實 婆 羅 門 伎 士. 61)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卷 64 曆 議 四 餘. 七 政 之 外 有 四 隱 曜, 紫 氣 月 孛 羅 睺 計 都, 星 家 以 之 占 命, 謂 之 四 餘, 共 七 政 爲 十 一 曜 是 也, 相 傳 出 於 西 域 天 竺 梵, 蓋 西 域 康 居 城 都 賴 聿 斯 經, 卽 波 羅 門 術 至 唐 貞 元 初, 李 弼 乾 乃 婆 羅 門 俊 士, 始 推 十 一 星 行 曆.

22 412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표 4 에 실린 글들은 신당서( 新 唐 書 ) 와 송사( 宋 史 ) 그리고 원대 오 래( 吳 萊, )의 연영집( 淵 穎 集 ) 과 명대 형운로( 邢 雲 路 )의 고금율 력고 에 전하는 글들이다. 이들은 전하는 내용들이 같거나 비슷한 내용들이 대부분이므로 다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도리율사경 은 정원( 貞 元, ) 연간 초에 도리( 都 利 )의 술사 이미건이 서천축으로부터 전한 것이다. 도리( 都 利, douli)는 도뢰( 都 賴, doulai)이며 서 역의 강거성은 도뢰수 상에 있다. 따라서 도리율사경 과 도뢰율사경 은 같 은 문헌의 다른 표기라 할 수 있다. 2) 이미건이 전한 도리율사경 은 거공( 璩 公 )이 번역하였으며, 진보( 陳 輔 )가 번역한 율사사문경 1권이 있다. 3) 연영집 에서 정원 초년에 이필건이 십일성행력 을 추보하였다 고 한 것 은 도리율사경 을 따른 것을 말하며, 이 글은 형운로가 편찬한 고금율력 고 에 인용되었다. 연영집 에 보이는 이필건은 신당서 에서 언급한 이미 건과 동일 인물이며 고금율력고 에 기록된 이필건은 연영집 의 글을 인 용한 것이다. 그리고 필( 弼, bi)과 미( 彌, mi)는 음이 다르므로 음역할 때 달 리 한역되었다기보다 자형( 字 形 )이 유사하기 때문에 과거 어느 때인가 자 형의 혼동으로 전사( 傳 寫 )할 때 바뀐 것 같다. 4) 이필건(또는 이미건)이 추보했던 십일성행력은 훗날 포해와 조사위에게 전수 되었으며 이는 모두 도리율사경 에 뿌리를 둔 것이다. 도리율사경 은 바라 문 술법에 따른 저서이며 이필건(또는 이미건)은 바라문의 술사이다. 위의 사서( 史 書 )에 전하는 내용들은 실제보다 훨씬 후에 기록된 것들이다. 이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신당서 도 기재된 시기가 년간 으로 알려졌으니 정원 연간 보다 약 250년 후의 일이다. 그리고 연영집 은 정 원 연간보다 약 500년 후의 기록이며 고금율력고 는 또한 연영집 의 내용을 인용한 것이다. 그런데 당시와 가장 가까운 기록이라 할 수 있는 존경 이 1908년 돈황에서 발굴된 것이다. 존경 에는 사문경 의 번역자가 다름 아닌 경교 최고 지도자 중의 한 사람인 경정으로 기록되어 있어 아주 중요한 실마리 를 제공하고 있다. 경정은 당나라 건중( 建 中 ) 2년(781)에 세워진 대진경교유 행중국비( 大 秦 景 敎 流 行 中 國 碑, 이하 경교비) 의 비문을 쓴 승려로도 유명하다. 이 경교비는 중국에 경교의 교리를 소개하고 경교가 중국에 전래되는 과정을 기록한 유물이다. 신당서 에는 도리율사경 이 전해진 시기가 정원 연간이며

23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13 당시 거공이 도리율사경 을 번역한 것으로 나온다. 이때는 경정이 활발히 활 동하던 시기와 거의 일치하며 도리율사경 을 번역한 거공이 경정이라는 견해 도 있다. 62) 그러므로 존경 에 나오는 사문경 을 도리율사경 또는 율사사 문경 과 관련지어 보아도 무리가 없어 보인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서는 펠리오가 돈황에서 취득한 여러 고문헌 가운데 경 교 문헌으로 입증된 선원지본경( 宣 元 至 本 經 ) 의 고증을 주목할 필요가 있 다. 63) 여러 사람의 고증과 해석에 따르면 선원지본경 은 경교 선교사들이 중국의 경교도들을 위해 엮은 것으로 경정이 직접 주석하여 쓴 것이다. 64) 이 문헌에서 경정은 기독교의 교리를 보다 빠르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불경의 형 식을 모방해 썼으며 불교 도교 유교 및 마니교의 개념과 어휘를 사용해 기 본 교리를 탄력적으로 해석하였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외에도 선원 지본경 과 함께 발견된 경교 문헌들 가운데 경교 찬송가로 알려진 경교삼위 몽도찬( 景 敎 三 威 蒙 度 讚 ) 과 메시아경으로 알려진 서청미시소경( 序 聽 迷 詩 所 經 ) 그리고 일신론( 一 神 論 ) 과 존경 등도 불교와 도교 등의 용어들을 사용하여 한역된 사실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65) 따라서 이 러한 분석은 사문경 과 율사경 등의 경전이 후대에 경교가 아닌 불교 경 전 또는 바라문술로 오인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해 주는 것이다. 한편 일본의 이시다 미키노스케( 石 田 幹 之 助 )는 헤이안 시대의 수요감문( 宿 曜 勘 文 ) 에 나오는 율사경 의 이름이 경교 승려 경정이 당에 바친 경전의 목 록 가운데 보인다고 지적하면서, 율사경 이 인도에 기원을 두고 있고 서역을 경유하여 중국에 들어왔다고 하였다. 그러나 야부우치 키요시는 수요감문 에 인용되어 있는 율사경 의 문장을 검토한 후 이들이 인도 점성술보다는 그리 스계 점성술에 기초한다는 점을 간파하였다. 66) 그러면서 그는 사문경 이라는 책 이름이 4권으로 되어 있는 프톨레마이오스의 테트라비블로스(Tetrabiblos) 62) Kwan-yu Chen, Chi Wah Chan and Eun-Hee Lee, Introdution of Si-yu to China, pp ) 1908년 펠리오가 돈황에서 취득한 경교 문헌으로는 선원지본경 외에 景 敎 三 威 蒙 度 讚, 序 聽 迷 詩 所 經, 志 玄 安 樂 經, 一 神 論 등이 있다. 64) 구범회, 예수, 당태종을 사로잡다, 쪽. 65) Chen Huaiyu, The Connection between Jingjiao and Buddhist Texts in Late Tang China, pp 한역에 사용된 불교와 도교의 용어에는 玄 風 (Holy Spirit), 天 尊 (God Father), 大 德 (Bishop), 寺 (Temple), 僧 (Pastor) 등이 있다. 66) 야노 미치오, 밀교 점성술과 수요경, 168쪽.

24 414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시사했다. 더 나아가 야노 미치오는 도리율사( 都 利 律 斯 ) 가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름이며 시리아나 팔라비어는 모음을 표시하지 않으 므로 프톨레마이오스(Ptolemaios)는 P-T-L-M-Y-V-S로 되는 게 보통인데, 어두 의 P는 쉽게 탈락하며 중간의 M마저 어떤 이유로 떨어져 나가면 T( 都 ) L( 利 ) YV( 聿 ) S( 斯 )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67) 즉 도리율사사문경( 都 利 聿 斯 四 門 經 ) 을 프톨레마이오스의 테트라비블로스 라고 생각하였다. 그의 이러한 견해는 현재 여러 사람들에 의해 사실인 것처럼 인용되고 있다. 그러나 야노의 주장은 너무나 비약된 추측이라 할 수 있다. 우선 사서에 전 하는 내용을 가지고 반박해 보면, 정사( 正 史 )인 신당서 에 도리율사경 2권 은 도리( 都 利 )의 술사인 이미건이 전한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연영집 에는 도리( 都 利 )가 도뢰( 都 賴 )이고 서역의 강거성은 도뢰수 상에 있다 고 하였다. 그러므로 도리가 지명인 것은 분명한 사실로 보인다. 또한 사서에 나오는 강 거는 소그디아나이며 중국에 경교를 전파한 사람들이 중앙아시아의 소그드인 들이라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으므로 소그디아나에서 전해진 사문경 이 경교 경전의 목록에 보인다 해서 이상한 일은 아니라 생각한다. 전하는 기 록에 의하면 강국( 康 國 ) 또는 강거( 康 居 )로 알려진 소그디아나는 예로부터 두 강 시르다리아(Syr Darya)와 아무다리아(Amu Darya) 사이에 놓여있었다. 강 거성이 도뢰수 상에 있다고 한 사서의 기록은 바로 이 두 강 사이에 놓인 강 거의 위치를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도리( 都 利, douli)나 도뢰( 都 賴, doulai)가 어떤 용어의 음역이라면, 차라리 두 강의 이름 뒤에 똑같이 나오는 Darya의 음역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실제와 더 가까운 해석일 듯싶다. 그러므 로 Ptolemaios 의 어두 P와 중간의 M이 떨어져 나가는 가정까지 하며 도리와 연결시키려는 주장이 과연 옳은지는 생각해 볼 일이다. 이와 같이 본다면 중국에는 한역된 불교 경전들이 보급되면서 칠요와 더불 어 구요가 전해졌으며, 이어서 경교 승려들이 번역한 경교 경전에 의해 구요 에 자기와 월패까지 포함하는 11요 계산이 전해진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 나 세월이 흐르고 나라의 흥망성쇠가 이어지면서 경교 경전이 천축에서 전해 진 바라문술로 잘못 알려지고, 불교와 경교 등 여러 종교를 통해 들어온 서방 천문학과 점성술이 긴 기간에 걸쳐 중국의 천문학 및 점성술과 섞여 흡수되 67) 야노 미치오, 밀교 점성술과 수요경, 쪽.

25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15 면서 원래의 의미가 퇴색되고 중국화하는 과정이 있었던 것이 나타난다. 3) 사여가 기재된 역법서 중국에서 나후와 계도가 처음으로 역법에 실린 것은 718년 황제의 명으로 편찬된 구집력 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실제 구집력 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후가 아수( 阿 修 )로 번역되고 있음이 발견된다. 68) 추아수장( 推 阿 修 章 ): 예전에는 풍( 風 )으로 번역하기도 하고 식신( 蝕 神 )으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범어( 梵 語 )로 태양은 나후라고 부르니, 석전( 釋 典 ) 에서 말한 나후 아수왕( 羅 睺 阿 修 王 ) 이 곧 이 신령( 臣 靈 )이다. 위와 같이 아수를 추보하는 장( 章 )에는 아수가 예전에는 식신( 食 神 )으로 번 역하기도 하였고, 산스크리트어로 태양은 나후라 부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즉 나후를 아수라고 칭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제까지 알려진 바 와 다르게 구집력 에는 계도나 계도에 상응되는 용어가 보이지 않는다. 이 에 대해 신법산서( 新 法 算 書 ) 에는 나후 계도의 이름이 구집력 에서 나 온 듯하다 는 기록이 있는데 이를 보고 후대의 학자들이 구집력 에 나후와 계도가 실려 있다고 해석한 것이 아닌가 한다. 69) 알려진 바와 같이 구집력 은 불교 승려가 아닌 인도 출신의 역법가가 직 접 인도의 천문서를 번역한 것이다. 해와 달의 운행과 일월식의 추산 방법 등이 실려 있고 계산에는 삼각함수를 사용하는 등 인도의 역법 및 천문 지 식들이 구체적으로 실려 있다. 그리고 아수의 운행주기가 6,794일이며, 아울 러 역( 曆 )이 시작될 때 아수의 위치가 5상( 相 ) 24도 40분 이라는 기록이 있 어 이 값으로부터 아수, 즉 나후가 승교점이었음을 알 수 있다. 70) 68) 唐 開 元 占 經 ( 文 淵 閣 四 庫 全 書 第 807 冊 ) 卷 104, 938쪽. 推 阿 修 章 : 承 前 或 譯 爲 風, 或 譯 爲 蝕 神, 梵 之 日, 呼 爲 羅 睺. 釋 典 所 云 羅 睺 阿 修 王, 卽 此 臣 靈 也. 69) 新 法 算 書 ( 文 淵 閣 四 庫 全 書 第 788 冊 ) 卷 30, 538쪽. 若 羅 㬋 計 都 之 名, 非 古 曆 所 有, 疑 出 于 九 執. 唐 人 再 用 九 執 曆, 僧 一 行 寫 之 而 未 盡, 陳 玄 景 爭 之 而 不 得, 獨 兩 交 猶 仍 其 譯 言 耳. 아마도 신법산서 에서 九 執 을 九 曜 로 보면서 나후와 계도를 하나의 연관된 현상으로 보고 같이 언급한 것이 아닌가도 추측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70) 구집력 은 황경이 0 인 춘분부터 새해가 시작된다. 1 相 이 30 度 이므로, 춘분점부터 아

26 416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그 후 도리율사경 에 뿌리를 둔 십일성행력의 나후와 계도는, 범천화라 구요 에 나오는 율사경 에 이르기를 하는 내용을 근거로 승교점과 강교 점으로 해석되고 있다. 71) 이러한 해석은 좀 더 검증이 요구되는데 이를 이 어받은 것으로 알려진 조사위의 부천력 역시 이 해석을 받아들여 나후와 계 도가 승교점과 강교점일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부천력이 칠요양재결 과 같이 나후와 계도의 계산기점이 원화( 元 和 ) 원년(806)이라는 점에 따라 야노 미치오는 부천력의 나후와 계도의 계산표가 칠요양재결 과 크게 다르 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72)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좀 더 구체적인 자료 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 후 오대( 五 代 )의 왕박( 王 朴 )이 흠천력을 만들어 나후와 계도를 식신( 食 神 )의 머리와 꼬리로 삼았다. 부천력과 흠천력 은 모두 관력( 官 曆 )이 아닌 민간에서 행해지는 소력이었다. 73) 한편 송대 심괄의 몽계필담 에는 회회력에서와 같이 나후와 계도를 강 교점과 승교점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그동안 알려졌던 나후 계도와는 또 다른 것이었다. 유래된 경위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원에서 이슬람의 회 회력을 받아들이기 이전 이미 알마게스트(Almagest) 에 기초한 이슬람 역 법 지식이 송나라 때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해석이 가능한 것은 건 륭( 建 隆 ) 2년(961) 송나라 태조( 太 祖, 재위 )가 이슬람 천문학자였던 마의택( 馬 依 澤, )의 뛰어남을 보고 사천대( 司 天 臺 ) 관원으로 임명 했다고 전하며, 또한 중국 안휘성( 安 徽 省 ) 회녕현( 懷 寧 縣 )에 전해 내려오는 회녕마씨종보( 懷 寧 馬 氏 宗 普 ) 에 송나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왕처 눌( 王 處 訥 )이 마의택과 함께 응천력( 應 天 曆 )을 제작하였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74) 응천력은 중국의 역법 중 서양의 요일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수가 있는 곳까지의 각거리인 5 相 24 度 40 分 을 계산하면 대략 도가 나온다. 71) 율사경 에 凡 人 은 오직 칠요가 있는 줄만 알고 暗 은 모른다 고 하였으니, 虛 星 으 로 나후 계도라고 부른다. 이 별은 隱 位 에 있으면 드러나지 않고, 일월을 만나면 食 이 일어나므로 食 神 이라고 부른다. 계도는 식신의 꼬리로, 豹 尾 라고 부른다. 鈕 衛 星, 唐 宋 之 際 道 敎 十 一 曜 星 神 崇 拜 的 起 源 和 流 行, 91-92쪽. 72)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卷 64, 681쪽. 至 唐 貞 元 初, 李 弼 乾 乃 婆 羅 門 俊 士, 始 推 十 一 星 行 曆. 鮑 該 曹 士 蔿 皆 業 之. 士 蔿 又 作 羅 計 二 隱 曜 立 成, 曆 起 元 和 元 年. ; Yano Michio, The Ch i-yao jang-tsai-chüeh and Its Ephemerides, p ) 왕박은 이미 나후와 계도가 그저 계산의 편리를 위해 가상해 낸 것에 불과한 것이지, 진짜로 9개의 천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鈕 衛 星, 唐 宋 之 際 道 敎 十 一 曜 星 神 崇 拜 的 起 源 和 流 行, 88쪽 참조.

27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17 역법으로 알려졌다. 이는 분명히 서양의 천문학적 요소가 중국 역법에 가미 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당시 상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진다면 이슬람 역법이 송나라 역법에 미친 영향 및 상호 관계에 대해서 도 자세히 알려질 것으로 본다. 그러나 사여 모두가 공식적으로 역법에 나타난 것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원의 수시력이다. 그 후 명의 대통력과 조선의 칠정산내편 이 수시력을 따 라 사여를 추보하였으나 수시력과 대통력이 과연 어느 역법 또는 어느 문헌 을 참고한 것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훗날 아담 샬(Johann Adam Schall von Bell 湯 若 望, )은 사여 중 자기가 가지는 천문학적 의 미에 강한 문제를 제기하고 시헌력에서 자기를 제외시켜 버렸다, 이에 따라 시헌력에서는 자기를 제외한 나머지 여성( 餘 星 )만을 다루었다. 4. 맺는말 지금까지 역법에 기재된 사여의 천문상수와 계산법으로부터 사여가 가지는 천문학적 의미와 내용들을 분석해 보고 마등가경 으로부터 시헌력에 이르 기까지 중국에서 한역된 경전들과 역법들에 전하는 사여에 대해 알아보았 다. 이상 살펴본 바에 의하면 불교 경전에 전하는 나후와 계도는 역법에 전 하는 내용들과 달리 길흉을 점치고 재앙을 물리치는 내용들이 대부분이며, 같은 불교 경전 사이에도 나후와 계도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와 해석이 있 었다. 그리고 한역된 불교 경전들 가운데 나후와 계도가 언급된 것은 마등 가경 을 제외하면 모두 밀교 경전들이었으며, 밀교 경전들에서는 구요( 九 曜 ) 외의 용어가 보이지 않았다. 예컨대 범천화라구요 와 칠요양재결 에 서는 계도가 원지점을 뜻하는 월패를 의미하면서도 월패라는 용어가 쓰이지 않았다. 이는 분명 사여에 포함된 월패의 지식이 불경 안에 흡수된 것을 의 미하는데, 그럼에도 계도의 이름으로 월패를 논하면서까지 구요로 한정시켰 던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그러나 불교 경전들과 달리 도교 경전들에는 11요가 다루어지고 있었 74) 宋 史 ( 文 淵 閣 四 庫 全 書 第 281 冊 ) 卷 68 律 曆 志, 쪽. 建 隆 二 年 五 月, 以 其 曆 推 驗 稍 疏, 乃 詔 司 天 少 監 王 處 訥 等 別 造 曆 法. 四 年 四 月, 新 法 成, 賜 號 應 天 曆.

28 418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다. 75) 그리고 십일성행력의 추보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도리율사경 이 경교 경전일 가능성이 제시됨에 따라 경교 경전 역시 11요를 다룬 것으로 짐작된다. 그런데 이순풍이 월패의 추보를 시작한 것이 도리율사경 이 전 해지기 훨씬 이전이므로 십일성행력의 추보가 과연 도리율사경 에서 시작 되었는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76) 왜냐하면 이순풍의 생몰년( )이 도리율사경 이 전해진 정원 연간보다도 백여 년 전 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리율사경 이 전해지기 훨씬 이전에 이미 11요에 대한 지식이 중국에 전해졌다는 것일까? 이러한 의문에 대해 도리율사경 의 뿌리로 보이는 사문경 이 돈황에서 발견된 경교 경전의 목록에 보이며, 이를 경교 승려인 경정이 번역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새로운 추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경정이 기록한 경교비에 따 르면 대진국( 大 秦 國 )의 아라본( 阿 羅 本 ) 일행이 중국을 방문하여 황제의 인 정을 받고 선교를 시작한 때가 635년이었다. 이는 도리율사경 이 전해지기 약 150년 전의 일이다. 수당시대에는 이미 인도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전 래된 불교와 조로아스터교 그리고 마니교와 경교 등의 종교가 서로 공존하 고 있었다. 그런데 경교에 대한 포교가 중국에서 정식으로 인정됨에 따라 훨 씬 더 많은 경교도들이 중국을 왕래했을 것이며 이 과정에 바빌로니아와 페 르시아 그리고 그리스 천문학과 점성술에 기원한 여러 지식이 중국에 전래 되었을 것으로 본다. 그렇다면 이 시기에 이미 월패의 지식이 중국에 전해졌 을 가능성이 충분하며, 이순풍도 월패를 추보할 수 있는 시대적 배경 하에 있었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마등가경 으로부터 등장하는 나후를 시작으로 각 밀교 경전들에 보이는 나후와 계도, 그리고 나후와 계도의 음역과 의역( 義 譯 ) 훈차( 訓 借 ) 사이에 보이는 차이를 비롯해 계도 뒤에 숨은 월패의 출현 등은, 과거 오랫동안 인 도뿐만 아니라 페르시아나 그리스에서 기원한 천문학과 점성술이 불경 속에 흡수되고 변형된 과정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반면, 중국의 공식적인 역법에 전하는 사여는 경전에 전하는 것과 달리 75) 11요가 보이는 도교 경전으로는 원시천존설십일요대소재신주경( 元 始 天 尊 說 十 一 曜 大 消 災 神 咒 經 ), 상청십일대요등의( 上 淸 十 一 大 曜 燈 儀 ) 등이 있다. 鈕 衛 星, 唐 宋 之 際 道 敎 十 一 曜 星 神 崇 拜 的 起 源 和 流 行, 85쪽. 76) 邢 雲 路, 古 今 律 曆 考 卷 64, 682쪽.

29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19 정확하고 체계적인 내용들이었음이 드러난다. 아직 천문학적 의미가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자기를 제외하고는 사여 각각의 천문학적 의미가 모두 밝혀 졌고 이들이 전하는 사여의 운행 도수 또한 현대적 계산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소수점 이하 4째 자리까지 일치하는 정확한 값임이 확인된다. 그러나 수 시력 계통의 중국 역법과 회회력 계통의 이슬람 역법에 전하는 나후와 계도 가 서로 정반대의 의미를 지니며 계산법도 전혀 다르다는 사실이 드러나면 서 그동안 인도와 중앙아시아에서 전래된 천문학과는 또 다른 계통의 천문 학이 중국에 유입된 것을 알 수 있다. 그 다른 계통이란, 몽골제국을 통해 수 입된 이슬람 최고의 역법으로 그리스 천문학의 원형을 더욱 가까이 접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 때 몽골제국의 유럽 원정으로 인해 동서 문화의 교류는 절정에 이르렀 다. 세조( 世 祖 ) 쿠빌라이(Khubilai 忽 必 烈 )는 동생 훌레구(Hulagu 旭 列 兀 )가 세운 일한국( 一 汗 國 )으로부터 천문학자들을 초빙하고 원에 회회천문대( 回 回 天 文 臺 )를 설치하였다. 77) 그리고 일한국의 마라가(Maragha) 천문대로부터 이슬람 천문의기들을 수입하고 중국의 천문학자들을 마라가에 파견하기도 하였다. 쿠빌라이의 이러한 정책은 중국과 이슬람 사이의 천문학 교류와 발 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후 명에서는 원의 천문기구들을 인수하고 많은 무슬림 천문학자들을 남경으로 불러들였을 뿐만 아니라 서역 문자로 기록된 대량의 천문역법서들 을 남경으로 운반했다. 홍무 15년(1382), 주원장은 이 서적들을 번역하라고 명했고, 그 결과 명역천문서( 明 譯 天 文 書 ) 와 회회력법 이 편찬되었다. 이 어서 위도태양통경( 緯 度 太 陽 通 經 ) 78) 이 편찬되어 춘분을 연초( 年 初 )로 하 는 회회력을, 동지를 연초로 하는 중국 역법 체계로 쓸 수 있게 하였으며 이 로써 중국과 이슬람 역법을 회통( 會 通 )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79) 북송 무 77) 쿠빌라이는 상도( 上 都, 현 내몽고자치구 소재)와 대도( 大 都, 현 베이징)에 대량의 서역 관측기기들을 갖춘 천문대을 건립하였다. 이 회회천문대는 서역의 관측기기들뿐만 아 니라 서역 문자로 된 대량의 천문역산 서적들이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78) 緯 度 太 陽 通 經 는 현재 중국에는 전하지 않는 회회력 관련서적이다. 세종 때(1444 년) 甲 寅 字 로 새로 간행되었으며 규장각 본으로 전한다. 내용은 이슬람 역법의 태양 계산 부분에서 춘분을 연초로 삼던 것을, 어떻게 동지를 연초로 할 것인 가에 관한 것 이다. 이 책의 저자 元 統 은 명나라 때 이슬람 역법을 받아들이게 되는 구체적인 과정 을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이슬람 역법사 연구에 새롭고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자료 라 할 수 있다.

30 420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4) 렵에 들어온 이슬람의 천문학은 원나라에 이르러 그 절정에 이르렀다 할 수 있으나, 이슬람 천문학에 대한 중국인 스스로의 이해와 도입은 명나라에 와 서야 가능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당나라 이전부터 중국에 전해져 왔으나 수시력에 와서야 공 식적으로 관력에 등장한 사여의 지식이 훗날 조선의 칠정산내편 으로 이어 졌고, 이슬람 역법을 통해 중국에 전해진 나후와 계도의 지식이 한역된 회 회력법 을 통해 칠정산외편 에 실리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즉 조선에서 편 찬된 칠정산외편 과 그 안에 실린 나후와 계도의 지식은, 이미 송과 원을 거쳐 중국에 전해졌으나 명나라에 와서야 중국인들에게 알려지게 된 이슬람 의 지식이 다시 조선에 유입된 것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칠정산외편 과 관련하여 집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칠정산내편 의 서문에 기록된 다음의 내용이다. 회회력법 을 구하여 이순지( 李 純 之 )와 김담( 金 淡 )에게 살펴 바로잡게 하였더 니, 중국의 역관( 曆 官 )들에게 오류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를 다시 고쳐 외 편( 外 篇 ) 을 만들었다. 80) 위의 서문에는 간단하게 중국 역관들의 오류를 고쳐서 외편 을 만들었다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근년의 연구에 따르면 이 오류는 회회력법 의 역원과 관계된 중대한 오류였다. 81) 계산의 기점인 역원이 틀리면 당연히 다른 모든 계산 값들은 틀리게 된다. 이때 이순지와 김담은 일월오성과 사여의 계도까 지, 관련된 수치의 보정을 통하여 역원과 관계된 문제를 해결하였다. 82) 즉 79) 石 云 里 魏 發, 元 統 緯 度 太 陽 通 經 的 發 見 : 兼 論 貝 林 回 回 曆 的 原 刻 本, 中 國 科 技 史 雜 誌 30 卷 1 號 (2009), 31-45쪽. 80) 世 宗 實 錄 卷 156:1, 七 政 算 序. 又 得 回 回 曆 法, 命 李 純 之 金 淡 考 校 之. 乃 知 中 原 曆 官 有 差 謬 者, 而 更 加 潤 正 爲 外 篇. 81) 한역된 회회력법 에서, 회력의 역원과 洪 武 甲 子 年 (1384) 사이의 적년(786년)을 회력 의 태음년이 아닌 태양년으로 계산함에 따라 역원을 唐 武 德 壬 午 年 (622)이 아닌 隋 開 皇 己 未 年 (599)으로 취하는 오류가 생겼다. Yunli Shi,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Chinese-Islamic Astronomical Tables, Archive for History of Exact Sciences 57:1 (2003), pp 참조. 82) 칠정산외편 은 수의 개황 기미년(599)을 역원으로 하되 당의 무덕 임오년(622)과의 차이(25년)를 보정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31 사여( 四 餘 )의 중국 전래와 동서 천문학의 교류 421 태양의 위치뿐만 아니라 교점부터 달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기점인 계도까 지 보정 값을 통해 한양에서의 일월식 계산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정묘년 (1447년) 일월식의 경우 칠정산내편 은 관측자의 위치가 북경일 때 오차가 적게 나타난 반면 83) 칠정산외편 은 관측자의 위치가 한양일 때 훨씬 더 정 확한 값을 나타낸다. 84) 이는 칠정산외편 이 한양의 위치에 맞는 경도 보정 을 한 증거로 보인다. 85) 그러나 이처럼 회회력을 도입한 조선에서는 일월식의 추보까지 정확하게 예보하고 있었던 반면, 정작 중국에서는 번역 과정에서 생긴 오류조차 무엇 인지 이해하지 못한 채 회회력의 추보에 애를 먹는 아이러니가 발생했다. 86) 위도태양통경 의 저자인 원통( 元 統 ) 자신도 회회력의 음력과 양력이 서로 다른 원년을 갖는지 몰랐으며 음력과 양력 간의 환산 방법도 정확히 몰랐 다. 87) 훗날 중국의 역관들이 언제 그리고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88) 다만 칠정산외편 의 편찬과 관련하여 일어난 이러한 아 이러니는 우리가 자랑할 만한 역사적 사실임이 틀림없다. 83) 이는 칠정산내편 에서 한양이 아닌 북경을 기준으로 한 氣 應 값을 사용한 결과이다. 84) 이은희 한영호, 조선 초 간행의 교식가령( 交 食 假 令 ) 연구, 한국과학사학회지 제 34권 제1호 (2012), 62-64쪽. 85) 칠정산외편 의 태음행도 보정 값은 태음입성에 맞는 값보다 14 이 작으며 이 차이는 한양과 남경의 경도차에 따르는 달의 황경증가분을 보정하는 데 필요한 값과 거의 일 치한다고 보았다. 김동빈, 칠정산외편의 일식과 일출입 계산의 전산화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쪽. 86) 회회력이 번역되기 이전 원과 명에서는 회회천문대의 관원들이 원어로 된 문헌에 기 초해 그들끼리 回 曆 에 따른 추보를 하였다. 따라서 한족 천문대의 관원들은 그들의 계 산 방법을 알지 못했다. 87) 위도태양통경 에서는 회력의 양력 원년인 개황 기미년(599) 만 언급했을 뿐 음력의 원 년인 무덕 임오년(622) 은 소개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람들로 하여금 이 두 가지가 모두 개황 기미년이라고 오해하게 했다. 심지어 원통 자신도 회력의 음력과 양력이 서로 다른 원년을 갖는지 몰랐다. 石 云 里 魏 發, 元 統 緯 度 太 陽 通 經 的 發 見, 39-42쪽. 88) 아마도 훗날, 중국의 역관들을 회회천문대에 파견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32 Transmission of Siyu 四 餘 into China and the Astronomical Exchang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LEE Eun-Hee (Yonsei University Observatory) HAHN Young-Ho (Konkuk University) KANG Min-Jeong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bstract. The siyu 四 餘 is an astronomical term designating the four invisible celestial bodies, Rahu (luohou 羅 睺 ), Ketu (jidu 計 都 ), Yuebo 月 孛, and Ziqi 紫 氣. The siyu was known to be related with the sun s and moon s motions, and the solar and lunar eclipses. Astrologically, it was called the four hidden luminaries (si yinyao 四 隱 曜 ) or the eleven luminaries (shiyi yao 十 一 曜 ) together with the seven luminaries (qiyao 七 曜 ) of the sun, the moon and the five planets. In China, the siyu never played a major role in the official Chinese calendars, but it was widely embraced by the populace in association with astrology. From the Later Han period, the siyu was introduced to China from India and Central Asia, along with such Western religions as Buddhism, Manichaeism, and Nestorianism. They travelled to China across different countries and cultures in different periods. Consequently, several different versions of siyu, having different meanings and origins, were transmitted to China.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moreover, their names and meanings underwent considerable change, and mixed with the Western and Chinese elements. This paper examines the complicated process of how the siyu was introduced to China, how its meaning was subsequently changed, and finally how it influenced Chinese astronomy and astrology. Key words. siyu, Rahu, Ketu, Yuebo, Ziqi, solar and lunar eclipses, four hidden luminaries, Buddhism, Nestorianism, astronomy, astrology.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小兒藥證直訣 의 五臟辨證에 대한 小考 - 病證과 處方을 중심으로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ㆍ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2*1)2)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The Theory of Five Organs in Soayakjeungjikgyeol(小兒藥證直訣) 1 Dept. of Oriental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528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528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정지용의 시어 조찰한 의 의미 변화 연구 배호남 *1) 차례 Ⅰ. 머리말 Ⅱ. 종교적 순수성의 정신세계 : 勝 利 者 金 안드레아 의 경우 Ⅲ. 차가운 겨울밤의 정신세계 : 溫 井 과 長 壽 山 1 의 경우 Ⅳ. 명징한 여름 낮의 정신세계 : 白 鹿 潭 의 경우 Ⅴ. 맺음말 국문초록 본 논문은 정지용 연구의 새로운 지평으로 개별 작품에서 보다 더 미시적으로

More information

03¹ü¼±±Ô

03¹ü¼±±Ô Relevancy between Aliases of Eight Provinces and Topographical Feat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Seon-Gyu Beom* Abstract : In Korea, aside from their official administrative names, aliases of each province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1 19 Jun 2004 ISSN 1225 505X 1) * * 1 ( ) 2) 3) 4) * 1) ( ) 3 2) 7 1 3) 2 1 13 1 ( 24 ) 2004 6 5) ( ) ( ) 2 1 ( ) 2 3 2 4) ( ) 6 7 5) - 2003 23 144-166 2 2 1) 6)

More information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29)韓 相 吉 ** 차 례 Ⅰ. 머리말 1. 불자필람 의 구성 Ⅱ. 석문의범의 간행 배경 2. 석문의범 의 구성과 내용 1. 조선후기 의례집의 성행 Ⅳ. 근대불교 대중화와 석문의범 2. 근대불교 개혁론과 의례 Ⅲ. 석문의범의 체재와 내용 간행의 의미 Ⅴ. 맺음말 한글요약 釋門儀範 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종 의례서와 의식집을

More information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공동기획전 달력, 시간의 자취 contents 주최 기간 장소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2014년 11월 21일~2015년 2월 28일 실학박물관 총괄 김시업 실학박물관장 기 량 국립민속박물관 전시운영과장 발간사 04 전시기획 정성희 실학박물관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공동기획전 달력, 시간의 자취 contents 주최 기간 장소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2014년 11월 21일~2015년 2월 28일 실학박물관 총괄 김시업 실학박물관장 기 량 국립민속박물관 전시운영과장 발간사 04 전시기획 정성희 실학박물관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공동기획전 달력, 시간의 자취 contents 주최 기간 장소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2014년 11월 21일~2015년 2월 28일 실학박물관 총괄 김시업 실학박물관장 기 량 국립민속박물관 전시운영과장 발간사 04 전시기획 정성희 실학박물관 학예연구사 최순권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최혜화 국립민속박물관 연구원 1부. 하늘의 기록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권3호(최종)_100531.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권3호(최종)_100531.hwp 鄭澣1 趙學俊1* 世明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醫史學敎室1 A Study on the Life, Work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Gogobong(高鼓峰)'s medicine Jung Han1 Jo Hak-jun1* 1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 Medical History, Semyung University

More information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4. _ Culture of Korea: In the Present and the Past,.. _ Korean History and the Method of Psychoanalysis.,,. _ Politics and Ideas in Modern days Korea.,. _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International

More information

歯M991101.PDF

歯M991101.PDF 2 0 0 0 2000 12 2 0 0 0 2000 12 ( ) ( ) ( ) < >. 1 1. 1 2. 5. 6 1. 7 1.1. 7 1.2. 9 1.3. 10 2. 17 3. 25 3.1. 25 3.2. 29 3.3. 29. 31 1. 31 1.1. ( ) 32 1.2. ( ) 38 1.3. ( ) 40 1.4. ( ) 42 2. 43 3. 69 4. 74.

More information

139~144 ¿À°ø¾àħ

139~144 ¿À°ø¾àħ 2 139 DOI : 10.3831/KPI.2010.13.2.139 2 Received : 10. 04. 08 Revised : 10. 04. 26 Two Case Report on Wrist Ganglion Treated with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Accepted : 10. 05. 04 Key Words: Wrist Ganglion,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근대 이후 이순신 인물 서사 변화 과정의 의미 연구 45) * 김경남 차 례 Ⅰ. 서론 Ⅱ. 근대 계몽기 이순신 서사와 뺷유년필독뺸 Ⅲ. 일제 강점기 실기(實記)와 뺷문예독본뺸의 이순신 Ⅳ. 광복 이후의 이순신 서사 Ⅴ. 결론 국문초록 이 연구는 근대이후 교재에 나타난 이순신상을 중심으로, 영웅 서사가 어떻게 변화하 는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More information

<B7CEC4C3B8AEC6BCC0CEB9AEC7D0322832303039B3E23130BFF9292E687770>

<B7CEC4C3B8AEC6BCC0CEB9AEC7D0322832303039B3E23130BFF9292E687770> 로컬리티 인문학 2, 2009. 10, 257~285쪽 좌절된 세계화와 로컬리티 - 1960년대 한국영화와 재외한인 양 인 실* 50) 국문초록 세계화 로컬리티는 특정장소나 경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와 시대에 따 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개념이다. 1960년대 한국영화는 유례없는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다. 그 중 가장 특이할 만한 사실은 미국과 일본의 영화계에서

More information

<C3D6C1BEBFCFB7E12D30372E3032C0DBBEF72DB1B9BEC7BFF820B3EDB9AEC1FD20C1A63139C1FD28C0FCC3BC292E687770>

<C3D6C1BEBFCFB7E12D30372E3032C0DBBEF72DB1B9BEC7BFF820B3EDB9AEC1FD20C1A63139C1FD28C0FCC3BC292E687770> 한국음악의 세계화 전략 한국음악의 세계화 전략 - 일본의 경우 - 야마모토 하나코( 山 本 華 子 ) 1) 국문초록 일본에서는 1965년 한일국교 정상화 이후, 여러 가지 형태로 한국음악이 소개되 어 왔다. 더욱이 국교정상화 40주년을 맞이한 2005년은 한 일 우정의 해 2005 로 지정되어 전통음악 세계에서는 민간차원의 공연이 증가하면서 한일 교류연주회

More information

63 19 2 1989 90 2013 3 4 2 54 15 2002 p 19; 1 2008 pp 32 37; 2013 p 23 3 2001 ㆍ 2002 2009 新 興 寺 大 光 殿 2010 2013 2013 4 大 光 殿 壁 畵 考 察 193 1992 ; : 2006

63 19 2 1989 90 2013 3 4 2 54 15 2002 p 19; 1 2008 pp 32 37; 2013 p 23 3 2001 ㆍ 2002 2009 新 興 寺 大 光 殿 2010 2013 2013 4 大 光 殿 壁 畵 考 察 193 1992 ; : 2006 DOI http:ddoi org 10 14380 AHF 2015 41 113 新 興 寺 佛 殿 莊 嚴 壁 畵 考 I. 머리말 朴 銀 卿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규슈대학 문학박사 불교회화사 15 3 3 1 1 * 2013 NRF 2013S1A5A2A03045496 ** : 26 2014; 高 麗 佛 畵 : 本 地 畵 幅 奉 安 問 題 美 術

More information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4(2):203~211(2014) 203 초등학교 교과서 에너지 단원의 탐구활동과 시각자료 기능 분석 사례 연구 신명경 권경필 *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nergy related inquiry activity and visual materials in elementary textbook.

More information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 제 13권 제 2호 2006년 11월 30일 pp.81~103 일본에서의 한국학연구 - 회고와 전망 宋 錫 源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Ⅰ. 머리말 Ⅱ. 1945년 이전의 한국연구 Ⅲ. 1945년 이후의 한국연구 < 목 차 >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Key words(중심용어): 한국학(Korean studies), 식민지지배(colonial

More information

433대지05박창용

433대지05박창용 Recent Changes in Summer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ver South Korea Changyong Park* JaYeon Moon** Eun-Jeong Cha*** Won-Tae Yun**** Youngeun Choi***** 1958 2007 6 9 6 9 10 10 10 10 10 Abstract This

More information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1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하우봉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Ⅰ. 머리말 브루스 배튼(Bruce Batten)의 정의에 따르면 전근대의 국경에는 국경선으로 이루어진 boundary가 있고, 공간으로 이루어진 frontier란 개념이 있다. 전자 는 구심적이며 내와 외를 격리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후자는 원심적이며

More information

04최원석(53-72)ok

04최원석(53-72)ok Mt. Taishan Discourses in China and Taishan Culture in Korea* Choi, Won Suk Abstract : This paper studied on Mt. Taishan discourses in China and Taishan culture in Korea. I searched for the effects of

More information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제1장 정책의 혁신과 확산, 그리고 변형 중국 대학생촌관( 村 官 )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Policy Innovation, Diffusion and Transformation The case of the College-graduate as Village Official Plan in China 유은하 한신대학교 유라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1990년대

More information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181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 조명근 고려대학교 BK21+ 한국사학 미래인재 양성사업단 연구교수 Ⅰ. 머리말 근대 국민국가는 대내적으로는 특정하게 구획된 영토에 대한 배타적 지배와 대외적 자주성을 본질로 하는데, 그

More information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2832303037292E687770>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2832303037292E687770> 국악원논문집 제31집 111~144쪽 2015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16) 한국 초전불교와 서역 불교문화를 통하여 윤소희*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월명사가 부르지 못했던 성범(聲梵) 의 실체를 찾아서 실크로드와 중국 그리고 한국의 초전불교의 면면 을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중국 초기불교 시기에 서역에서 온 유랑승들이 많았고, 이들은 범어범패로

More information

<C3CA3520B0FAC7D0B1B3BBE7BFEB202E687770>

<C3CA3520B0FAC7D0B1B3BBE7BFEB202E687770> 1. 만화경 만들기 59 2. 물 속에서의 마술 71 3. 비누 탐험 84 4. 꽃보다 아름다운 결정 97 5. 거꾸로 올라가는 물 110 6. 내가 만든 기압계 123 7. 저녁 노을은 맑은 날씨? 136 8. 못생겨도 나는 꽃! 150 9. 단풍잎 색깔 추리 162 10. 고마워요! 지렁이 174 1. 날아라 열기구 188 2. 나 누구게? 198 3.

More information

歯_892-906_ 2001년도 회원사명단.doc

歯_892-906_ 2001년도 회원사명단.doc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Polymer Science

More information

Rheu-suppl hwp

Rheu-suppl hwp Objective: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Korean medical and public health, and nursing academy articles on disease-specific and domain-specific quality of life, and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the universally

More information

386-390.hwp

386-390.hwp 386 HANYANG MEDICAL REVIEWS Vol. 29 No. 4, 2009 우리나라 미숙아의 통계와 의료비용 Statistics and Medical Cost of Preterm in Korea 윤혜선 을지대학교 노원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Hye Sun Yoon, M.D., Ph.D., Department of Pediatrics, Nowon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한국 대중가요의 의미 연결망 *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용학 ** 39) 1. 서론 2. 대중가요와 시대상 3. 연구 방법: 의미 연결망 분석 4. 자료 및 분석 절차 4-1. 자료 4-2. 분석 절차 5. 의미 연결망 5-1. 핵심어의 빈도 및 분포 분석 5-2. 의미 연결망 중앙성 5-3. 의미 연결망 구조 6. 맺는말 국문요약

More information

서울대 뉴스레터 1018

서울대 뉴스레터 1018 Contents 01 국제학술회의 베를린자유대학과 공동 학술 세미나 개최 -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과 학술교류 협약 체결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과 베를린 자유대학의 공동세미나 참석자들 지난 5월 5일 통일평화연구원은 독일에서 베를린 자유 서울대와 베를린자유대는 지난 3월 베를린자유대 부총 대학과 공동세미나를 개최하였다. 공동세미나에서 통일평화 장 일행이 서울대를

More information

<BACFC7D1B3F3BEF7B5BFC7E22D3133B1C733C8A3504446BFEB2E687770>

<BACFC7D1B3F3BEF7B5BFC7E22D3133B1C733C8A3504446BFEB2E687770> 북한의 주요 농업 관련 법령 해설 1) 이번 호와 다음 호에서는 북한의 주요 농업 관련 법령을 소개하려 한다. 북한의 협동농장은 농업협동조합기준규약초안 과 농장법 에 잘 규정되어 있다. 북한 사회주의 농업정책은 사회 주의농촌문제 테제 2), 농업법, 산림법 등을 통해 엿볼 수 있다. 국가계획과 농업부문의 관 계, 농산물의 공급에 관해서는 인민경제계획법, 사회주의상업법,

More information

1 9 2 0 3 1 1912 1923 1922 1913 1913 192 4 0 00 40 0 00 300 3 0 00 191 20 58 1920 1922 29 1923 222 2 2 68 6 9

1 9 2 0 3 1 1912 1923 1922 1913 1913 192 4 0 00 40 0 00 300 3 0 00 191 20 58 1920 1922 29 1923 222 2 2 68 6 9 (1920~1945 ) 1 9 2 0 3 1 1912 1923 1922 1913 1913 192 4 0 00 40 0 00 300 3 0 00 191 20 58 1920 1922 29 1923 222 2 2 68 6 9 1918 4 1930 1933 1 932 70 8 0 1938 1923 3 1 3 1 1923 3 1920 1926 1930 3 70 71

More information

해당하는 논문이 있었다. 즉 이런 분류 방식이 중복출판 분류에 충분히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거 분류한 것보다 조금 더 자세히 나누어서 어디에 해당하는지 쉽게 찾을 수 있는 방안이다. 사례를 보고 찾는다면 더욱 쉽게 해당하는 범주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해당하는 논문이 있었다. 즉 이런 분류 방식이 중복출판 분류에 충분히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거 분류한 것보다 조금 더 자세히 나누어서 어디에 해당하는지 쉽게 찾을 수 있는 방안이다. 사례를 보고 찾는다면 더욱 쉽게 해당하는 범주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제7장 고찰 Discussion 중복출판의 사례를 정리한 논문은 매우 많으나 중복출판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한 작업은 많지 않다. von Elm 등[7]은 중복출판의 유형을 체계적 분석을 통하여 6가지로 나눈 것이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이번 작업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이 짝을 지을 수 있다. Table 7-1. Comparison between von

More information

µµÅ¥¸àÆ®1

µµÅ¥¸àÆ®1 ISSN 1976-4294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013 56 Vol. 15 No. 3 2013 Vol.15 No.3 www.kodipa.or.kr 04 07 17 28 37 48 56 64 72 83 96 101 Contents 108 119 124 126 129 134 136 171 195 206 220 222 227

More information

¾Ë±â½¬¿îÀ±¸®°æ¿µc03ÖÁ¾š

¾Ë±â½¬¿îÀ±¸®°æ¿µc03ÖÁ¾š &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5 56 57 58 59 60 61 62 63

More information

차 례... 박영목 **.,... * **.,., ,,,.,,

차 례... 박영목 **.,... * **.,., ,,,.,, 차 례... 박영목 **.,... * 2010. **.,.,.... 1980.,,,.,,. 1980.. .... (Bereiter Scardamalia, 1987).. Hayes Flower(1980),,,..,,.....,,,... Hayes Flower 1980, Hayes 1996, Kellogg 1996, Hayes 2012. Hayes Flower

More information

7 1 ( 12 ) 1998. 1913 ( 1912 ) 4. 3) 1916 3 1918 4 1919. ( ) 1 3 1, 3 1. 1.. 1919 1920. 4) ( ), ( ),. 5) 1924 4 ( ) 1. 1925 1. 2). ( ). 6). ( ). ( ).

7 1 ( 12 ) 1998. 1913 ( 1912 ) 4. 3) 1916 3 1918 4 1919. ( ) 1 3 1, 3 1. 1.. 1919 1920. 4) ( ), ( ),. 5) 1924 4 ( ) 1. 1925 1. 2). ( ). 6). ( ). ( ). 7 1 ( 12 ) : 1-11, 1998 K orean J M ed H ist 7 : 1-11, 1998 ISSN 1225-505X * **.,.., 1960.... 1) ( ) 1896 3 2 ( ) ( ) ( ) ( ) 2. 1), 14 1909 1,. 14 17 1913. 2)..,. ( ) ( ),. * 1998 (1998. 5. 7). ** 1).

More information

<31322DB1E8C7D0C0E72E687770>

<31322DB1E8C7D0C0E72E687770> 인문논총 제66집 (2011), pp. 357 381 이지의 노자 도 개념에 대한 이해 이지의 노자 도 개념에 대한 이해 김 학 재 (고려대학교 철학과) 1. 들어가며 주지하듯 이지( 李 贄, 1527 1602, 號 는 卓 吾 )는 명대의 대표적인 삼교 합일론자( 三 敎 合 一 論 ) 중 하나이다. 그는 유교, 불교, 도교(도가)가 결국 은 귀결점이 동일하다는

More information

£01¤Áø¼®

£01¤Áø¼® 1904 7 17 Ernest Thomas Bethell) 1910 8 30 1945 11 10 1929 1938 4 45 2003 119 1941 30 1942 10 368 433 90 130 1938 27 1942 40 1939 1940 8 120 1938 3 10 1 3 60 100 4 1 25 100 4 29 31 6 30 121 3 11 10 46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총력전 시기 재조선 일본인의 내선일체 정책에 대한 협력 우치다 쥰(Uchida, Jun) 스탠퍼드대 역사학과 교수 I. 서론 최근 들어 한국과 일본에서는 총동원체제기( 總 動 員 体 制 期 : 1937~45년) 의 일본 식민지주의와 조선 민중의 일상 생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 다. 1) 본 논문에서는 총력전체제 하에서의 재조선 일본인( 在 朝 日 本

More information

잡았다. 임진왜란으로 권위가 실추되었던 선조는 명군의 존재를 구세 주 이자 王權을 지켜주는 보호자 로 인식했다. 선조는 그 같은 인 식을 바탕으로 扈聖功臣들을 높이 평가하고 宣武功臣들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려고 했다. 이제 명에 대한 숭 앙과 충성은

잡았다. 임진왜란으로 권위가 실추되었던 선조는 명군의 존재를 구세 주 이자 王權을 지켜주는 보호자 로 인식했다. 선조는 그 같은 인 식을 바탕으로 扈聖功臣들을 높이 평가하고 宣武功臣들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려고 했다. 이제 명에 대한 숭 앙과 충성은 朝中關係의 관점에서 본 仁祖反正의 역사적 의미 83)한 Ⅰ. Ⅱ. Ⅲ. Ⅳ. Ⅴ. Ⅵ. 명 기* 머리말 仁祖反正 발생에 드리운 明의 그림자 扈聖功臣 후예 들의 정권 장악으로서의 仁祖反正 仁祖反正에 대한 明의 이중적 인식과 대응 仁祖反正 승인을 통해 明이 얻은 것 맺음말 인조반정은 明淸交替가 진행되고 있던 동아시아 정세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More information

통합 창원시의 해양관광 현황과 개선방안

통합 창원시의 해양관광 현황과 개선방안 해양비즈니스 제 33 호 (2016. 4.) 167 해양비즈니스 제 33 호 (2016 年 4 月 ) 논문 접수일 : 2016. 04. 10. The Journal of Maritime Business, Vol. 33, April 2016. 논문 심사일 : 2016. 04. 12. 게재 확정일 : 2016. 04. 23. 對 북 및 對 러 경제제재 조치가 환동해권

More informati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Adaptability Factors for Senior Dementia Patients Care Giver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Welfare Graduate University Full-time Lecturer

More information

<BCBCC1BEB4EB BFE4B6F72E706466>

<BCBCC1BEB4EB BFE4B6F72E706466> 세종대학교요람 Sejong University 2017 2017 Sejong University 4 SEJONG UNIVERSITY www.sejong.ac.kr 5 2017 Sejong University 8 SEJONG UNIVERSITY 10 SEJONG UNIVERSITY www.sejong.ac.kr 11 12 SEJONG UNIVERSITY www.sejong.ac.kr

More information

<BFACBCBCC0C7BBE7C7D02831302031203139292E687770>

<BFACBCBCC0C7BBE7C7D02831302031203139292E687770> 延 世 醫 史 學 제12권 제2호: 29-40, 2009년 12월 Yonsei J Med Hist 12(2): 29-40, 2009 특집논문 3 한국사회의 낙태에 대한 인식변화 이 현 숙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 들어가며 1998년 내가 나이 마흔에 예기치 않은 임신을 하게 되었을 때, 내 주변 사람들은 모두 들 너무나도 쉽게 나에게 임신중절을 권하였다.

More information

01이정훈(113~127)ok

01이정훈(113~127)ok The Role of Historical Relativity in International Exchange of Culture and Tourism at the Regional Level: A Case of Gyeonggi and Shandong Province Jung-hoon Lee** Kyung-Eun Choi*** Eun-Ja Lee****,.,,.,,.,,.,.,.,,,

More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2018 Oct.; 29(10), 799 804. http://dx.doi.org/10.5515/kjkiees.2018.29.10.799 ISSN 1226-3133 (Print) ISSN 2288-226X (Online) Method

More information

2

2 OSAKA CITY UNIVERSITY 2 880 889 90 928 949 2006 205 3 http://www.bus.osaka-cu.ac.jp 4 http://www.econ.osaka-cu.ac.jp 5 http://www.law.osaka-cu.ac.jp 6 http://www.lit.osaka-cu.ac.jp 7 http://www.sci.osaka-cu.ac.jp

More information

chr97-07ParkGS.hwp

chr97-07ParkGS.hwp 1) 淸 代 廣 東 行 商 怡 和 行 伍 秉 鑒 (1769-1843)의 활동과 그 위상 * - 英 國 東 印 度 會 社 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朴 基 水 ( 成 均 館 大 ) Ⅰ. 머리말 Ⅱ. 怡 和 行 의 성장과 總 商 伍 秉 鑒 Ⅲ. 행상집단 내 怡 和 行 의 위상 Ⅳ. 동인도회사의 銀 行 으로서 怡 和 行 Ⅴ. 맺음말 Ⅰ. 머리말 청대 해외무역의 특권을

More information

세종대 요람

세종대 요람 Sejong University 2016 2016 Sejong University 4 SEJONG UNIVERSITY www.sejong.ac.kr 5 8 SEJONG UNIVERSITY 2016 Sejong University 10 SEJONG UNIVERSITY www.sejong.ac.kr 11 12 SEJONG UNIVERSITY www.sejong.ac.kr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기본과제 2008-01 아웃바운드 관광정책에 관한 한 중 공동 연구 A Joint Study on Outbound Tourism Policy Between Korea and China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총괄:김향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연구책임:유지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책임:김현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中 國 社 會

More information

<3230313320BBE7C2FBC0BDBDC420C1A4B1E2C7D0BCFA20BDC9C6F7C1F6BEF65FC0E7B1B32E687770>

<3230313320BBE7C2FBC0BDBDC420C1A4B1E2C7D0BCFA20BDC9C6F7C1F6BEF65FC0E7B1B32E687770> 속표지(출판사에 따름) 순서 13:00 ~ 13:30 인사말 한국 사찰음식의 문화관광적 활용방안 개회 정산스님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장) 13:30 ~ 14:00 주 제 1 발제 / 토론 종교음식의 이론적 조망 주영하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류제동 연구교수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원) 14:00 ~ 14:30 주 제 2 발제 / 토론

More information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한국학연구 56(2016.3.30), pp.33-6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세종시의 지역 정체성과 세종의 인문정신 * 1)이기대 ** 국문초록 세종시의 상황은 세종이 왕이 되면서 겪어야 했던 과정과 닮아 있다. 왕이 되리라 예상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세종은 왕이 되었고 어려움을 극복해 갔다. 세종시도 갑작스럽게 행정도시로 계획되었고 준비의 시간 또한 짧았지만,

More information

03이경미(237~248)ok

03이경미(237~248)ok The recent (2001-2010) changes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related to normals (1971-2000) in Korea* Kyoungmi Lee** Hee-Jeong Baek*** ChunHo Cho**** Won-Tae Kwon*****. 61 (1971~2000) 10 (2001~2010).

More information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1, March 2014, pp.134~151. Copyright 20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정지연 a 明 珍 素 也

More information

2 1896 2 26 ( ) 2 7-20 2) 1897 1898 ( )3) 6 1902 8 1904 10 10 (19 05-1914 ) ( ) ( ) 4) 1915 ( ) ( ) 1917 2) 3) 4) 285

2 1896 2 26 ( ) 2 7-20 2) 1897 1898 ( )3) 6 1902 8 1904 10 10 (19 05-1914 ) ( ) ( ) 4) 1915 ( ) ( ) 1917 2) 3) 4) 285 13 2 ( 25 ) 2004 12 Korean J Med Hist 13 284 296 Dec 2004 ISSN 1225 505X 1) * ** ** 1 1920 1930 40 ( 1896-1973) 80 * ** 1) 2003 284 2 1896 2 26 ( ) 2 7-20 2) 1897 1898 ( )3) 6 1902 8 1904 10 10 (19 05-1914

More information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ISSN 1738-365X DOI:10.16958/drsr.2015.13.2.105 분쟁해결연구 2015; 13(2) Dispute Resolution Studies Review 2015, Vol.13, No.2:105~135 이라크 추가파병(2003~2004년) 결정과정의 분석: 대통령과 국회, 시민사회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4)장 훈** 국내에서 여러

More information

일반도서.xlsx_y74GTb7KFFkD0AmyWGod

일반도서.xlsx_y74GTb7KFFkD0AmyWGod 1 001.3 2014-27 5 질병, 영원한 추상성 지은이: 최은주 은행나무 2014 EM243941 일반자료실1(1층) 대출가능 2 001.3 2014-43 나는 누구인가 :인문학 최고의 공부 강신주 3 001.3 2014-54 4 001.3 2014-55 5 001.3 2014-57 6 001.3 2014-58 인문학은 자유다 :삶의 가장자리에서 만난

More information

<30352DB1E2C8B9C6AFC1FD2028C8ABB1E2C7F6292036302D36362E687770>

<30352DB1E2C8B9C6AFC1FD2028C8ABB1E2C7F6292036302D36362E687770>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 기술의 현황 홍 기 현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표면기술 연구본부 3D Nano-micro Printing Technology Kihyon Hong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Gyeongnam 642-831, Korea Abstract: 최근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나노

More information

12권2호내지합침

12권2호내지합침 14 OPTICAL SCIENCE AND TECHNOLOGY April 2008 15 16 OPTICAL SCIENCE AND TECHNOLOGY April 2008 17 18 OPTICAL SCIENCE AND TECHNOLOGY April 2008 19 20 OPTICAL SCIENCE AND TECHNOLOGY April 2008 21 22 OPTICAL

More information

<B9DABCBCC1A45FBCB1B9CCBCF6C1A42E687770>

<B9DABCBCC1A45FBCB1B9CCBCF6C1A42E687770> 연구논문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제4권 제1호: 3- 지방자치단체장에 의한 부패의 통제 방안: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한 시론적 연구 박세정 *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장에 의한 비리는 선진사회에 비해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단체장의 10%가 임기 중 비리와 연루되어 자리를 물러나는 경우는 세계적으로 매 우 이례적인 현상이고, 국가의 품격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More information

12È«±â¼±¿Ü339~370

12È«±â¼±¿Ü339~370 http://www.kbc.go.kr/ k Si 2 i= 1 Abstract A Study on Establishment of Fair Trade Order in Terrestrial Broadcasting Ki - Sun Hong (Professor,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63-81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6.3.201612.63 * The Grounds and Consequ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ust Formation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Jeong_Korean.doc

Microsoft Word - Jeong_Korean.doc è Bizot, François. 2003. The Gate. London: Vintage. Chandler, David. 2000. A History of Cambodia, 3rd Edition. Boulder: Westview Press. Coedès, George. 1968. Angkor: An Introduction. Translated

More information

<C5F0B0E82D313132C8A328C0DBBEF7BFEB292E687770>

<C5F0B0E82D313132C8A328C0DBBEF7BFEB292E687770> 2012년 7월 17일 발행 통권 제112호 112 발행인:李圭衡/편집인:金尙勳/주간:金泰詢/발행처:社)退溪學釜山硏究院 (우614-743) 釜山市釜山鎭區田浦洞608-1 819-8587/F.817-4013 出處가 분명한 공직사회 인간이 가지는 인성은 그 특성이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판단 한 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므로 어떤 관점과 측면에서 논하느냐에

More information

4번.hwp

4번.hwp Journal of International Culture, Vol.9-1 International Cultural Institute, 2016, 55~63 浅 析 影 响 韩 中 翻 译 的 因 素 A Brief Analysis on Factors that Affects Korean-Chinese Translation 韩 菁 (Han, Jing) 1) < 目

More information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정도전의 유교국가론과 ꡔ周禮ꡕ* 52)부 남 철** 차 례 Ⅰ. Ⅱ. Ⅲ. Ⅳ. Ⅴ. 서론 유교국가의 정신 仁과 정치의 公共性 총재정치 육전체제 결론 국문초록 이 논문은 유교국가 조선의 정치이념과 통치 구조 형성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三峯 鄭道傳이 ꡔ周禮ꡕ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ꡔ주례ꡕ는 유학자들이 이상적인

More information

UXJQXAAOAIYR.hwp

UXJQXAAOAIYR.hwp 永 樂 帝 의 北 京 遷 都 와 그 意 義 * 全 淳 東 ( 忠 北 大 ) Ⅰ. 序 言 Ⅱ. 明 初 國 都 에 대한 논의 Ⅲ. 北 京 遷 都 를 위한 準 備 와 諸 方 策 1. 皇 太 子 朱 標 西 安 派 遣 2. 北 京 에 대한 永 樂 帝 의 關 心 3. 北 京 建 設 의 提 案 4. 北 京 强 化 를 위한 努 力 Ⅳ. 遷 都 를 위한 重 臣 會 議 와 北

More information

A Study on Married Female Immigrants Life Style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Terms of Preparing Their Old Age in Chungcheongnam-do Department of Gerontology, Hoseo University Doctoral Student : Hi Ran

More information

위더스2011

위더스2011 WELDING TECHNOLOGY Contents Advanced Welding Solution Provider 02 03 SIGMA Galaxy 04 05 SIGMA Galaxy 06 07 SIGMA 2 08 09 SIGMA 2 10 11 Omega MIG-A Twist 12 13 PI - TIG & MMA 14 15 PI - TIG & MMA 16 17

More information

하늘미션-4호

하늘미션-4호 제4호 북한, 아시아, 세계선교의 전초기지 구원의 문으로 들어와 섬김의 문으로 나서는 교회 만인에게 그리스도인의 복음을! 가든지 아니면 보내든지 (Go or Send)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한 우리는 세상에 보냄 받은 주님의 제자들입니다. 보내는 선교사가 있을때 가는 선교사가 있는 것입니다. 기도와 물질로 적극 협력하여 세계 선교의 주역으로 쓰임받는 예수의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서강대학교 아루페관 5층 입학처 SOGANG UNIVERSITY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5(신수동 1번지) SOGANG UNIVERSITY SOGANG PRIDE http://admission.sogang.ac.kr 입학팀 서강대학교 2015학년도 입시안내 Tel. 02)705-8621 Fax. 02)705-8620 입학사정관실 Tel. 02)705-7908

More information

ÀλçÀÌÆ®3È£

ÀλçÀÌÆ®3È£ http://policy.kasi.re.kr KASI INSIGHT 2013년 - 제3호 천문우주과학이 인류 사회에 기여한 주요 성과와 창조경제를 위한 역할 가능성 및 투자의 타당성 2013. 5 정 책 전 략 실 Contents 04 07 09 25 32 33 04 _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_ 05

More information

<392EC0E5BAB4BFC12D32362D3228C3D6C1BE292E687770>

<392EC0E5BAB4BFC12D32362D3228C3D6C1BE292E687770> 中 東 硏 究 2007년 제26권 2호, 277-298 나-카 분쟁과 아제르-아르메니아 평화과정* 1) 장 병 옥 ** 차 례 Ⅰ. 서 론 Ⅱ. 나-카 분쟁의 초기정황 Ⅲ. 나-카 분쟁의 전개과정 Ⅳ.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평화과정 Ⅴ. 결 론 Nagorno-Karabah Conflict and Azerbaijan-Armenia Peace

More information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1 의사학 제24권 제1호(통권 제49호) 2015년 4월 Korean J Med Hist 24 ː1-34 Apr 2015 c대한의사학회 http://dx.doi.org/10.13081/kjmh.2015.24.1 pissn 1225-505X, eissn 2093-5609 간호부 이정숙의 독립운동 김숙영* 1. 서론 2. 본론 1) 출생에서 정신여학교 수학시절까지

More information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교육발전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2014. Vol. 30, No. 1, pp. 89~110 융합인재교육(STEAM)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 효과 연구: 인포그래픽 동영상 만들기를 중심으로 강인애 1), 이재경 2), 남미진 3) 요 약 본 연구는 융합인재(STEAM)교육으로 구안된 인포그래픽(infographic) 영상

More information

<313120B9DABFB5B1B82E687770>

<313120B9DABFB5B1B82E687770> 한국민족문화 40, 2011. 7, 347~388쪽 1)중화학공업화선언과 1973년 공업교육제도 변화* 2)박 영 구** 1. 머리말 2. 1973년, 중화학공업화선언과 과학기술인력의 부족 3. 1973년 전반기의 교육제도 개편과 정비 1) 계획과 개편 2) 기술교육 개선안과 인력개발 시책 4. 1973년 후반기의 개편과 정비 5. 정비된 정규교육제도의 특징

More information

<30342DB3EBBBF3C8A334382D315FBFACB1B8BCD220BCF6C1A42E687770>

<30342DB3EBBBF3C8A334382D315FBFACB1B8BCD220BCF6C1A42E687770> 한국학연구 48(2014.3.30), pp.99-13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10 20년대 조선어 가정용 백과사전의 출판과 그 내용 - 강의영( 姜 義 永 )의 가뎡보감 류를 중심으로 - 1)노상호 * 국문초록 본고에서 필자는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출판된 가정용 백과사전을 분석여 20세기 초반에 조선인 여성들이 읽고 소비던 지식의 내용과 특징을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http://www.wonjeon.org http://dx.doi.org/10.14369/skmc.2013.26.4.267 熱入血室證에 대한 小考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 2 *117) A Study on the Pattern of 'Heat Entering The Blood Chamber' 1, Baik 1

More information

1_수시-최종-면지화보 복사.ps, page Normalize

1_수시-최종-면지화보 복사.ps, page Normalize Discoveryof New Possibilities Researchfor Innovation and Practical Use ExcellenceThrough Hard Work and Creativity Ambitionto Change the World Moving Forward Into the Future 배움이 다시 가르침이 되기까지 우리는 멈추지 않을

More information

,126,865 43% (, 2015).,.....,..,.,,,,,, (AMA) Lazer(1963)..,. 1977, (1992)

,126,865 43% (, 2015).,.....,..,.,,,,,, (AMA) Lazer(1963)..,. 1977, (1992) , -,,,.,,,. 6.. (LIRUIYAO),, E-mail : ruiyao24@hotmail.com :,, 26 E-mail : taehee@khu.ac.kr 2014 1400 180 6.. 2014 6,126,865 43% (, 2015).,.....,..,.,,,,,,. 1963 (AMA) Lazer(1963)..,. 1977, 1990. (1992)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金 台 俊 의 學 術 硏 究 와 國 故 整 理 作 業 *1) - 朝 鮮 漢 文 學 史 서술을 중심으로 崔 英 成 ** ` Ⅰ. 머리말 Ⅱ. 天 台 山 人 의 생애 개관 Ⅲ. 天 台 山 人 의 학문 역정 Ⅳ. 조선한문학사 의 위치 Ⅴ. 조선한문학사 의 방법론과 한계 요 약 1930년대 국문학자, 문학사가( 文 學 史 家 )로 활약했던, 전설적인 인물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20 36 June 2004 ISSN 1225 505X * 1 1886 ( ) 1) 1905 * 1) 20 2) 1910 1926 1910 1926 1930 40 2 1899 1907 3) 4) 1908 1909 ( ) ( ) ( 2) 1995 1998 3) 1997 p 376 4) 1956

More information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 25 133162 ( ) I 21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beration (New York: Orbis Books,

More information

¨è ¿¬Â÷º¸°í¼Ł³»Áö-1 PDF

¨è ¿¬Â÷º¸°í¼Ł³»Áö-1 PDF Annual Report 2008 KERI ANNUAL REPORT 2008 KERI ANNUAL REPORT 2008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 2 3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KERI CONTENTS CONTENTS K

More information

HWP Document

HWP Document 중국현대사의 再 構 成 과 동아시아적 시각 : 한국으로부터의 發 信 白 永 瑞 ( 延 世 大 學 ) 1. 周 邊 의 시각이란 무엇인가? 21세기 동아시아 學 의 새로운 방향 모색 이란 커다란 主 題 를 앞에 놓고 어떤 발표를 해야 할지 고민했다. 그러다가 지난 연말에 참여한 동아시아 소장학자들의 공동연구 프로젝트 주변에서 본 20세기 중국 1) 에서 발표한

More information

retrieved the bones of the corpse, placed the bones in containers called Ossuaries, and then buried the containers for preservation. The Sogdians deco

retrieved the bones of the corpse, placed the bones in containers called Ossuaries, and then buried the containers for preservation. The Sogdians deco Hyunkuk PARK A Study of Ossuaries Focusing on Sogdian Funeral tools ソグド (Soghd) 人 の 葬 礼 道 具 の 考 察 オクスアリ (Ossuaries) を 中 心 に 朴 炫 国 개 요 Abstract 11 retrieved the bones of the corpse, placed the bones in

More information

03-ÀÌÁ¦Çö

03-ÀÌÁ¦Çö 25 3 (2004 9 ) J Korean Oriental Med 2004;25(3):20-31 1), 2), 3) 1) 2) 3) Grope for a Summary Program about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TK)etc. Discussed in WIPO Hwan-Soo

More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 ROAD & TRANSPORTATION ASSOCIATION JOURNAL OF OF THE THE KOREA ROAD & TRANSPORTATION ASSOCIATION JOURNAL OF OF THE THE KOREA ROAD & TRANSPORTATION ASSOCIATION JOURNAL OF OF THE THE

More information

00내지1번2번

00내지1번2번 www.keit.re.kr 2011. 11 Technology Level Evaluation ABSTRACT The Technology Level Evaluation assesses the current level of industrial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Korea and identifies areas that are underdeveloped

More information

영상문화27호 (보람편집)_수정 (4).hwp

영상문화27호 (보람편집)_수정 (4).hwp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발레뤼스(Ballet Russe)에 나타난 종합예술적 특질: 를 중심으로 심정민 / 동덕여자대학교 [국문초록] 세르게이 디아길레프가 1909년 창단한 발레뤼스(Ballet Russe)는 러시 아발레단이란 뜻의 불어명칭으로 발레뤼스의 주요한 예술적 추구는 무용 을 중심으로 문학, 음악, 미술, 패션 등

More information

목원 한국화- 북경전을 준비하며 지난해부터 시작 된 한국의 목원대학교 한국화 전공의 해외미술체험은 제자와 스승의 동행 속에서 미술가로 성장하는 학생들의 지식에 샘을 채워주는 장학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의 우수한 창작인력 양성을 위해, 배움을 서로 나누는 스승들의

목원 한국화- 북경전을 준비하며 지난해부터 시작 된 한국의 목원대학교 한국화 전공의 해외미술체험은 제자와 스승의 동행 속에서 미술가로 성장하는 학생들의 지식에 샘을 채워주는 장학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의 우수한 창작인력 양성을 위해, 배움을 서로 나누는 스승들의 K o r e a n P a i n t i n g F i n e A r t s D e p t. A r t C o l l e g e M o k w o n U n i v e r s i t y 목원대학교 미술대학 한국화전공 우수창작인력양성 특성화장학생-제2차 해외미술체험 陌生的眼神看 展ː 望 목 원 한 국 화 -Beijing을 걷다- Korean Painting

More information

<303220B0EDC7F5C1D82CC0AFBFACBBF32E687770>

<303220B0EDC7F5C1D82CC0AFBFACBBF32E687770> 敎 育 問 題 硏 究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011.11. 제41집 pp. 27-59. 1) 의식화 개념의 한국적 해석 논의 고혁준 (서울대학교) * ㆍ유성상 (한국외국어대학교) ** < 요 약 > 한국 사회에서 민중 교육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의식화 는 좌경 이념을 주입시키는 교화 라는 왜곡된 의미로 고착되어

More information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 i - - i - - ii - - iii - - iv - χ - v - - vi - - 1 - - 2 - - 3 - - 4 - 그림 1. 연구대상자선정도표 - 5 - - 6 - - 7 - - 8 - 그림 2. 연구의틀 χ - 9 - - 10 - - 11 -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The e-business Studies Volume 17, Number 6, December, 30, 2016:237~251 Received: 2016/11/20, Accepted: 2016/12/24 Revised: 2016/12/21, Published: 2016/12/30 [ABSTRACT] 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More information

2010희망애뉴얼

2010희망애뉴얼 ANNUAL REPORT 2010 ANNUAL REPORT 2010 1 2 4 14 18 23 71 74 80 98 108 1 2 3 The History of Hope Institute 2005 ~ 2011. 3 2005 08.08 09.05 10.05 11.04 12.01 12.21 2006 01.09 01.19 02.09 02.25 03.06 03.23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95 일반논문 해항도시 부산과 인천의 음식문화 변동 분석 이종수* 1) Ⅰ. 서론 Ⅱ. 해항도시 음식문화의 정체성과 변동 Ⅲ. 부산과 인천의 음식문화 변동 분석 Ⅳ. 부산과 인천의 음식문화 변동과 대응과제 Ⅴ. 결론 Ⅰ. 서 론 본 고는 해항도시 1) 지역 음식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일 까, 왜 그런 특성을 띄게 됐나, 어떤 요인에 의해 변화가 야기되었고,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