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01.hwp

Similar documents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학년 범위 담당 이름 1-2 중간대비 고 1 공통범위 중세국어한글창제의원리 / 세종어제훈민정음 국어과최강미녀 전혜진선생님 1. 국어의뿌리와줄기 < 대표문제 > 국어사의시대구분

1수준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01_본문(2012년).hwp

ㅓ. 如業字中聲ㅓ는業 ( ) 자가운뎃소리와같다. ㅛ. 如欲字中聲ㅛ는欲 ( 욕 ) 자가운뎃소리와같다. ㅑ. 如穰字中聲ㅑ는穰 ( ) 자가운뎃소리와같다. ㅠ. 如戌字中聲ㅠ는戌 ( ) 자가운뎃소리와같다. ㅕ. 如彆字中聲ㅕ는彆 ( ) 자가운뎃소리와같다. 終聲復用初聲. 종성은초성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Vowel ㅏ [a] ㅜ [u] ㅑ [ja] ㅠ [ju] ㅓ [ ] ㅡ [i] ㅕ [j ] ㅣ [i] ㅗ [o] ㅐ [æ] ㅛ [jo] ㅒ [jæ] ㅔ [e] ㅞ [we] ㅖ [je] ㅟ [wi] ㅘ [wa] ㅢ [ij] ㅝ [w ] ㅚ [we] ㅙ [wæ] Begin

Microsoft PowerPoint - kandroid_for_HI-CNU.ppt

The Korean Alphabet:

DBPIA-NURIMEDIA

방송통신표준 KCS.KO 제정일 : 2011 년 6 월 27 일 전화기한글문자자판배열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eul) on Telephones) 방송통신위원회

국어1권표지

<355F B1B9BEEEC0C720BAAFC3B55FB9AEC1A6C5EBC7D52E687770>

슬라이드 1

1446년의 훈민정음은 문자 디자인의 출발점이었다. 처음부터 한글은 활 자로 태어났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란 활자[type]로 글을 쓰는 행 위다[graphy]. 붓으로 고급하게 글을 쓴다는 것과 활자로 글쓰기는 그 의미가 다르다. 구텐베르크나 세종은 고


Ruby 프로그래밍 한글 로마자화

TutorialOnHowToUseTheKoreanRomanizationAndWordDivision(BasicGuide)_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zb 8) 자음을 zb 9) zb 10) 다음 zb 11) zb 12) zb 13) zb 14) ( 2013 년 1 학기기말고사대비 4-2. 우리말의음운체계 (01)_ 비상 ( 김 )1 2 혀의높낮이 행복했던나 3 혀의최고점의위치 4 발음할때장애의유무 5 발음할때입술의

훈민정음은어떻게사용되었나? 훈민정음이창제된직후에는훈민정음을사용하는사람이별로없었다. 양반들은천하다고훈민정음쓰기를거부했고농민들은농사짓느라바빠서글을익힐겨를이없었다. 이런현실을알게된나라에서는훈민정음을널리보급하기위해관리들부터훈민정음을쓰도록했다. 하급관리들을뽑을때훈민정음으로시험을

Microsoft Word - KSR2012A179.doc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Ruby 프로그래밍 5 한글 자소 처리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C3BBB0A2BEF0BEEEC0E7C8B0C7D0C8B85F30332E535FC0DAC0BDC1F6B0A2B0CBBBE728B1E8C1F8BCF7292E687770>

신라어


Microsoft Word - transliteration.docx

피동 ( 被動 (1 피동과능동 - 피동 : 남의행동을입어서당하는동작을나타냄. 도둑이경찰에게잡히었다. - 능동 : 제힘으로행하는동작을나타냄. 경찰이도둑을잡았다. (2 피동문되기 1 파생적피동 (-이-, -히-, -리-, -기- - 타동사어근 + 접사 ( 능동문주어 부사어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처용가 ( 고대국어 ) < 처용가 > 핵심노트 1. 갈래 : 8 구체향가 2. 성격 : 주술적, by 체념, 관용 축사 ( 逐邪 ) 의노래 3. 주제 : 아내를범한귀신을쫓아냄, 혹은아내의부정을체념함, 축신 ( 逐神 - 귀신을쫓음 ) 4. 의의 1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日本近代學硏究 第 輯. 2 1, 1 2 (Cook, 1991)., (, 1977, 1982, 1999)., (word-formation). ( 宮島達夫, 1986) (2010), 66% 70%... Brown(2007),. Gu & Johnson(1996). 1),.,

Jkafm093.hwp

한글 무형문화재 지정 방안 연구보고서(최종본).hwp

Q. < 보기 > 는사이시옷표기조건에관한학습활동지의일부이다. 학습한결과를 정리한것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 보기 > 1 개-+살구 구성은 1단계를만족시키지못하므로 개살구 라고쓴다. 2 총무+과 구성은 2단계를만족시키지못하므로 총무과 라고쓴다. 3 만두+국 구성은 1, 2

S U M M A C U M L A U D E J U N I O R 중학국어문법연습을소개합니다. 2 문법을벌써공부해야하는가? 국어의문법은변하지않고,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중학교시기에배우는문법개념들이고등학교시기에배우는개념들과이어지고, 이는수능

<3630C1FD28BCF6C1A4292E687770>

훈민정음_참고문헌_증보개정판_김슬옹2009.hwp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한국어의형태소분석 최호철 ( 고려대 ) 1. 언어 언어 ( 言語 ) 는소리와뜻이결합된것이므로음성만있는것이라면그것은언어가아닌 허언 ( 虛言 ) 이나헛소리라할수있고뜻만있는것이라면그것역시언어가아닌묵언 ( 默 言 ) 이나생각또는마음이라할수있을것이다. 1) 소리만있다면? 허언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C0A7B7C9B0F82E687770>

HANGUL Principles ( 한글소리발음원리 ) Lee, HoonJae 이훈재 ( 李焄宰 ) Division of Computer Information Engineering, Dongseo University, Busan, Korea hjle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Module 1 PAGE Lesson 1 Sound & Script 1 Lesson 2 Greeting & Introduction 75 Lesson 3 Describe Your Surroundings 145 Lesson 4 The Family 212 Lesson 5 P

컴퓨터에서텍스트를표현하는방식및문자코드 1. bit 와 byte 컴퓨터속에서모든데이터와명령은 2진수로표상된다. 컴퓨터의저장장치 (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RAM) 에기록 ( 저장 ) 될수있는것은 2진수뿐이며, CPU도 2진수의연산만을사용한다. 0 또는 1( 즉 on

Microsoft Word - Korean_solt1_module1_lesson1.doc

제 2 장발음의기초개념 - 9 -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101年度高年級聖誕節英語闖關遊戲活動計畫

< FC7D0C8B832C2F7BCF6C1A45FBCADBFEFB4EB20C3B6C7D0BBE7BBF E687770>

#1. 문법공부를위한필수! 기본용어 음운체계 1. 모음 : 음절 ( 소리마디 ) 을이룰수있는독립적인소리 하늘 땅 사람 [ 天地人 ] 삼재로기본 3 글자를만들고, 가획하여다른글자를만듦 1 단모음 : 소리내는중에입술모양이나혀의위치가고정되어달라지지않는모음 혀의최고점의위치앞

96-03.hwp

<4D F736F F D D B27BA6E6A6D2BBCDA8EEABD72DBEC7BEA7A558AAA9AAC02E646F63>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2) 음성 고기 는 ㄱ, ㅗ, ㄱ, ㅣ 의네음운이모여서이루어진단어이다. 그런데두 ㄱ 이발음되는모습을살펴보면, 혀와입천장을이용하여공기의흐름을막았다가터뜨려낸다는공통점이있지만, 첫 ㄱ 과는달리둘째번 ㄱ 은목청을떨어울려낸다는차이점이있다. 이처럼, 구체적인소리하나하나를가리켜음성

제1장 권규호의 공무원 국어 제2장 제3장 제4장 음운론 1 음운과 음성 1. 음운의 개념과 종류 (1) 음성과 음운 ① 음성 : 의사소통을 위해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나오는 물리적 말소리 음성이란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소리를 말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휘파람 소리

Microsoft Word - 論文上傳最終版本(有書名頁但無頁碼)_ docx

16세기 한국어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Imagine

<BEF0BEEEC3BBB0A25FC6EDC1FDBABB28C3D6C1BE5F E687770>

# 문법적 _ 사고 [Final_ 꿀개념 ] 시험장에서도흔들리지않는바르고큰실력

2014_한글리플렛_A4_1001.indd

70 diklasifikan berdasarkan perubahan letak dan perubahan cara pelafalan kemudian dianalisis penyebabnya. Berikut adalah variasi cara ucap konsonan ya

<BABBB9AE2E687770>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3035B1E8BFECC7FC2E687770>

<3120B1E8B1D9BFEC2D31C2F7C6EDC1FD DB1B3C1A4BFCFB7E E292E687770>

공개특허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공개특허공보 (A) (51) Int. Cl. 7 G06F 17/22 (21) 출원번호 (22) 출원일자 1999년09월01일 (71) 출원인한국과학기술원윤덕용 (

Booklet Design: Maia Kennedy Second Edition and Recorded Program 2016 Simon & Schuster, Inc. Reading Booklet 2016 Simon & Schuster, Inc. Pimsleur is a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zb 3) zb 4) zb5) 글 zb 6) zb 7) 의 니 불: 휘기픈 남 매아니 : 뮐 곶: 됴코여름하 니 : 미기픈므른 래아니그츨 : 내히이러바 래가 - 용비어천가 권 제1 세종 29 년(1447) (B) 世 솅宗 종御 ᄀ엉製 졩訓 훈民 민正 졍音 나 랏: 말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7탄

ETRI-0739.hwp

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 음절끝소리규칙 1. 음절끝소리규칙 ( 외우기 - 가느다란물방울 ) - 음절의끝소리 ( 받침 ) 가발음될때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ㅇ ) 7자음만으로발음되는것. 그이외의받침은모두이 7 자음중하나로바뀌어발음된다. 예 ) 영어


567 돌한글날기념 누구나알아야할한글이야기 10+9

ISSN (Online) Commun Sci Disord 2016;21(4): Original Article Consonant Frequency and Phonological

歷史通識-眺望中國

<Hit The Sheep> -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선별 4탄 (고퀄해설)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 FBAD2B1B3C7D0BAB837302E687770>

2 / 27 목차 A MQ-1000 키패드 (RiVO k) B 키패드 기본 설명 및 버튼 이름 C iphone 설정 (VoiceOver, 언어, 키보드) D Bluetooth 페어링 E Bluetooth 연결 F iphone 설정 (빠른 탐색 상태) G 입력언어 동기화

567 돌한글날기념 누구나알아야할한글이야기 10+9

문항지양식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¼øâÁö¿ª°úÇÐÀÚ¿ø

Transcription:

人文科學 제 96 집 2012 년 9 월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Ⅰ. 머리말 글자 [ 文字 ] 는말 [ 言語 ] 을눈으로볼수있게만든기호 ( 記號 ) 의한가지인데, 말의뜻을드러내보이는뜻글자 [ 表意文字 ] 와말의소리 [signifiant] 를드러내보이는소리글자 [ 表音文字 ] 의두가지가있다. 뜻글자는말의낱덩이 [ 單位 ] 가운데낱말의뜻 [signifié] 을드러내는낱말글자 [ 單語文字 ] 가있고, 소리글자는말소리의낱덩이가운데음운 ( 음소와운소 ) 을표기하는음운글자 [ 音韻文字 ] 와음절을표기하는음절글자 [ 音節文字 ] 가있는데, 음운글자는다시음소를표기하는글자와운소를표기하는글자로나누어진다. 그런데 훈민정음 ( 訓民正音 ) 은창제당시의우리말의음절짜임새 [ 音節構造 ] 와음운체계 ( 音韻體系 ) 를정밀하게분석한결과를바탕으로하여만든소리글자이다. 낱낱의글자는음소 ( 音素 ) 를적는글자와운소 ( 韻素 ) 를적는글자로되어있지만, 이것들을한데모아, 음절을낱덩이로하여적게만 * 이논문은 2010 년도정부재원 ( 교육과학기술부학술연구조성사업비 ) 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연구된것이다.(NRF-2010-361-A00018). 초고는제 2 회연세대인문학연구원국제심포지움 동아시아의구전전통과문자문화 (2011.5.27.) 에서발표한것인데, 이것을일부수정한것이다.

6 人文科學 第 96 輯 든, 표음성 ( 表音性 ) 이아주뛰어난글자이다. 따라서당시의우리말은물론, 얼마간변통 ( 變通 ) 을하면, 중국말, 만주말, 몽고말, 일본말, 산스크리트말 ( 梵語 ) 까지다표기할수있었다. 그러나아무리표음성이뛰어난글자라고하더라도, 어떤말이든지, 그말소리를완벽하게적을수는없다. 말의낱덩이인형태소나낱말따위의꼴 [ 形式 ] 은음운으로되어있다. 그런데공시적 ( 共時的 ) 으로형태소들이서로결합하여낱말을만들거나, 낱말이결합하여좀더큰말의낱덩이를만들경우, 그형태소나낱말의본디꼴이바뀌게되는경우가흔히있는데, 이처럼그본디꼴이일정한다른꼴로바뀌는과정을음운과정 ( 音韻過程, phonological process) 이라고한다. 이것은거의모든언어에나타나는현상인데, 우리말에는 닮음 [ 同化 ], 없앰 [ 脫落 ], 덧남 [ 添加 ], 줄임 [ 縮約 ] 등과같은것들이있다. 이가운데덧남과줄임의경우는표기상의문제를일으키는경우가있다. 우리말의경우, 두자립형태소가결합하여합성어를만들거나, 두낱말이결합하여이은말 [ 連語 ] 따위를만들경우, 그사이에사잇소리가덧나는경우가있는데, 이것을어떻게표기할것인지는결코쉬운일이아니다. 이것은훈민정음창제이후지금까지줄곧문제가되어왔다. 그리고 /nui-ʌ/( 누이-어, 臥 ) 가 /nɥʌ/ 로축약되거나, /sy-ʌ/( 쉬- 어, 休 ) 가 /sɥʌ/ 로축약될경우, 이것을어떻게표기할것인지도문제가된다. 또한형태소안에서일어난것이기는하지만, /iʌŋ/( 이엉, 蓋草 ) 이 /iɯŋ/ 으로바뀐뒤에, 다시 /jɯ:ŋ/ 으로축약될경우도마찬가지이다. 이와같이소리글자는처음부터말소리를적는데일정한한계가있다. 그리고음소글자는원칙적으로한음소에대하여한글자가일대일 ( 一對一 ) 로대응할때가장이상적인것이된다. 그러나일정한글자가반드시일정한음소에대응하지않는경우는얼마든지있다. 이와같은사실은, 통시적 ( 通時的 ) 으로어떤음소가변화를겪게될경우, 그것에대응하던글자의본디소리값 [ 音價 ] 이달라지거나, 아니면바뀐소리를달리표기해야할경우, 그리고공시적인음운과정에나타나는어떠한음운현상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7 을표기에반영해야할경우등에서확인된다, 이른바 ㅐ, ㅔ, ㅚ, ㅟ 와 된시옷 또는 된비읍, 그리고 사이시옷 과같은경우가여기에해당한다. ㅐ, ㅔ, ㅚ, ㅟ 는그소리값이 /aj, ʌj, oj, uj/ 에서 /ɛ, e, ø(we), y(wi)/ 로바뀌어, 음소와글자가일대일로대응하지않는경우이고, 휘 ( 번역소학 10:35ㄴ ) 의 ㅅ 과 그 을감동 샤 ( 어제내훈 2: 96) 의 ㅅ, 그리고 그 이 가지라 ( 어제내훈 1:63ㄱ ) 의 ㅂ 따위는 16 세기이후예사소리 [ 平音 ] 또는닿소리떼 [ 子音群 ] 가된소리로바뀌어, 음소와글자가일대일로대응하지않는경우인데, 이때 ㅅ 과 ㅂ 은각각 /s/ 와 /t/ 에대응하지않는다. 그리고 미 친 : 사 티묏 : 고 래 수 머 : 겨 샤 ( 석보상절 6:4ㄴ ) 의 묏: 고 래 의사잇소리를적은 ㅅ ( 사잇시옷 ) 은음소 /s/ 에대응하지않는다. 이와같은문제는어떤말을적는특정한글자로다른말을적거나, 다른말을적은글자를그글자로옮겨적는경우에도생긴다. 따라서훈민정음으로중국말이나만주말따위의말을전사 ( 轉寫 ) 하거나, 중국말이나만주말따위를적은한자 ( 漢字 ) 를훈민정음으로전자 ( 轉字 ) 할경우에도생긴다. 이것은해당언어의음운체계나음절짜임새가다르기때문에생기는당연한현상이기도하다. 이논문에서는훈민정음으로한자음 ( 漢字音 ) 을표기할경우에생기는여러가지문제들을살펴보려고한다. 편의상한국한자음표기와중국한자음표기로나누어살펴볼것인데, 특히한자음의종성 ( 終聲 ) 또는운미 ( 韻尾 ) 표기와관련있는것들을위주로살필것이다. 곧 지섭(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의 -ø 운미표기, 해섭( 蟹攝 ) 의 -j 운미표기, 진섭( 臻攝 ), 산섭 ( 山攝 ) 의 -t 입성( 入聲 ) 운미표기, 효섭( 效攝 ), 유섭 ( 流攝 ) 의 -w 운미표기, 탕섭( 宕攝 ) 의입성 ( 入聲 ) 가운데약운 ( 藥韻 ) 표기, 통섭( 通攝 ), 강섭 ( 江攝 ), 경섭 ( 梗攝 ), 증섭 ( 曾攝 ), 심섭 ( 深攝 ), 함섭 ( 咸攝 ) 따위의입성표기, 지섭( 止攝 ) 의속음 ( 俗音 ) 가운데치음 ( 齒音 ) 성모 ( 聲母 ) 를가진글자들의한자음표기등과관련한문제들이그것이다.

8 人文科學 第 96 輯 이것들을표기하는데는훈민정음가운데 ㅇ, ㆆ, ㅱ, ㅸ, ㅿ 따위가주로쓰였다. 이글자들의문자 ( 文字 ) 로서의기능이논의의주요대상이될것이다. 이것을위하여 훈민정음 ( 訓民正音 ) ( 해례본 ), 동국정운 ( 東國正韻 ), 월인천강지곡 ( 月印千江之曲 ), 육조법보단경언해 ( 六祖法寶壇經諺解 ), 홍무정운역훈 ( 洪武正韻譯訓 ) 따위의한자음표기, 석보상절 ( 釋譜詳節 ) 과 월인석보 ( 月印釋譜 ) 에서확인할수있는 다라니 ( 陀羅尼 ) 의한자음표기, 그리고당시의중국어백화 ( 白話 ) 를적은 번역박통사 ( 飜譯朴通事 ) 등의한자음표기들을살펴볼것이다. 이러한문제와관련하여, 사성통고범례( 四聲通攷凡例 ) 와 노걸대박통사범례( 老乞大朴通事凡例 ) 는좋은자료가된다. 따라서이것들도자세하게검토할것이다. Ⅱ. 훈민정음의한국한자음표기 1) 15세기의한국한자음을표기하고있는문헌자료에는 훈민정음 ( 해례본,1446), 동국정운 (1448), 석보상절 (1447), 훈민정음 ( 언해본,1459), 월인천강지곡 (1447), 육조법보단경언해 (1496), 시식권공 ( 施食勸供 ) (1496), 구급간이방언해 ( 救急簡易方諺解 ) (1489) 등이있다. 이장에서는이문헌들에서확인할수있는한국한자음표기의특징과그와관련한문제들을살펴볼것이다. 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따위와해섭 ( 蟹攝 ) 의이른바종성 ( 終聲 ) 자리에서의 ㅇ 표기, 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의종성자리에서의 ㅱ 표기, 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 ( 入聲 ) 표기, 이른바 이영보래 ( 以影補來 ) 의 ㅭ 표기, 그리고사잇소리표기등을살펴볼것이다. 그리고지섭 ( 止攝 ), 해섭 ( 蟹攝 ), 유섭 ( 流攝 ) 따위로끝나는한자말에토씨 [ 助詞 ] 및잡음씨 [ 指定詞 ] 의줄기가이어날때, 그변이형태 ( 變異形態 ) 의표기등을차례로살펴볼것이다. 이것을위하여 용 1) 이와관련해서는임용기 (2011.2.19) 를참고할것.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9 비어천가 ( 龍飛御天歌 ) (1447) 도참고할것이다. 1. 훈민정음 ( 해례본 ) 의한자음표기 훈민정음 ( 해례본 ) 에서확인할수있는한자음표기예로는 君군, 快쾌, 虯뀨, 業 ( 초성해 ), 呑, 卽즉, 侵침 ( 중성해 ), 卽즉, 洪, 彆볃, 君군, 業, 覃땀 ( 종성해 ) 따위가있다. 그리고 합자해 ( 合字解 ) 의 終聲在初中之下 如君字ㄴ在구下 業字ㅂ在 下之類 에서확인할수있는 君군, 業 이더있다. (1) ㄱ. 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 如牙音君字初聲是ㄱ ㄱ與 而爲군 快字是ㅋ ㅋ與ㅙ而爲쾌 虯字初聲是ㄲ ㄲ與ㅠ而爲뀨 業字初聲是ㆁ ㆁ與 而爲 之類 舌之斗呑覃那 脣之彆漂步彌 齒之卽侵慈戌邪 喉之挹虛洪欲 半舌半齒之閭穰 皆倣此 ( 初聲解 ) ㄴ.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如呑字中聲是 居ㅌㄴ之間而爲 卽字中聲是ㅡ ㅡ居ㅈㄱ之間而爲즉 侵字中聲是ㅣ ㅣ居ㅊㅁ之間而爲침之類 洪覃君業欲穰戌彆皆倣此 ( 中聲解 ) ㄷ. 終聲者 承初中而成字韻 如卽字終聲是ㄱ ㄱ居즈終而爲즉 洪字終聲是ㆁ ㆁ居 終而爲 之類 舌脣齒喉皆同... ㄷ如볃爲彆 ㄴ如군爲君 ㅂ如 爲業 ㅁ與땀爲覃 ㅅ如諺語 옷爲衣 ㄹ如諺語 : 실爲絲之類... 且半舌之ㄹ 當用於諺 而不可用於文 如入聲之彆字 終聲當用ㄷ 而俗習讀爲ㄹ 盖ㄷ變而爲輕也 若用ㄹ爲彆之終 則其聲舒緩 不爲入也 ( 終聲解 ) ㄹ.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 如君字ㄱ在ㅜ上 業字ㆁ在ㅓ左之類 中聲則圓者橫者在初聲之下 ㅡㅗㅛㅜㅠ是也 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 如呑字在ㅌ下 卽字ㅡ在ㅈ下 侵字ㅣ在ㅊ右之類 終聲在初中之下 如君字ㄴ在구下 業字ㅂ在 下之類 ( 合字解 ) (1) 에서확인할수있는한자음가운데중복되는것을제외한 快쾌, 虯

10 人文科學 第 96 輯 뀨, 洪, 君군, 呑, 覃땀, 侵침, 卽즉, 彆볃, 業 등이검토의대상이된다. 훈민정음 ( 해례본 ) 에는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에속하는 那( 果攝 ), 步 ( 遇攝 ), 彌 ( 止攝 ), 慈 ( 止攝 ), 邪 ( 假攝 ), 虛 ( 遇攝 ), 閭 ( 遇攝 ) 따위의한자음표기예는나타나지않는다. 해섭 ( 蟹攝 ) 에속하는 快 는 쾌 로표기되어있다. 이것은 동국정운 한자음표기 쾡 와는다르다. 곧종성의자리에 ㅇ 을표기에반영하지않은것이다. 유섭 ( 流攝 ) 에속하는 虯 는 뀨 로표기되어있는데, 이것역시 동국정운 한자음표기 와다르다. 곧종성의자리에 ㅱ 을표기에반영하지않은것이다. 산섭 ( 山攝 ) 의입성에속하는 彆 은 볃 으로표기되어있는데, 이것은중국한자음을표기한것이다. 훈민정음 ( 해례본 ) 에는현실한자음이나 동국정운 의한자음을구체적으로표기한예가없다. 그러나 彆 자 ( 字 ) 의현실한자음의종성은 ㄹ 로표기해야한다는것은지적하고있다. 곧 (1ㄷ) 에서 且半舌之ㄹ當用於諺而不可用於文如入聲之彆字終聲當用ㄷ而俗習讀爲ㄹ盖ㄷ變而爲輕也若用ㄹ爲彆之終則其聲舒緩不爲入也 라고한것이그것이다. 따라서 彆 의한국한자음은 별 이라적어야한다. 그리고사잇소리표기는 ㅅ 을쓰도록규정하고있다. 합자해 에서 文與諺雜用則有因字音而補以中終聲字如孔子ㅣ魯ㅅ : 사 之類 라고한것이그것이다. 2. 동국정운 의한자음표기 동국정운 의경우, 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과해섭 ( 蟹攝 ) 에속하는한자음은이른바종성자리에반드시 ㅇ 을표기한다. 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의한자음도이른바종성자리에반드시 ㅱ 을표기한다. 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은그종성자리에 ㅭ 을표기한다.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11 (2) ㄱ. 那낭 (6:20 ㄱ ), 步 뽕 (6:13 ㄴ ), 彌밍 (5:10 ㄴ ), 慈 (5:2 ㄱ ), 邪썅 (6:25 ㄴ ), 虛헝 (6:40 ㄱ ), 閭령 (6:43 ㄴ ) ㄴ. 快 쾡 (5:36 ㄱ ) ㄷ. 虯 (4:35 ㄱ ), 斗 : (4:29 ㄴ ), 漂 (4:20 ㄴ ) ㄹ. 彆 (3:17 ㄱ ), 戌 (3:8 ㄱ ) 석보상절 과 훈민정음 ( 언해본 ) 은 동국정운 한자음표기를따르고있다. 따라서 석보상절 의경우, 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과해섭 ( 蟹攝 ) 에속하는한자음의종성자리의 ㅇ 표기, 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한자음의종성자리의 ㅱ 표기, 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종성자리의 ㅭ 표기따위는 동국정운 의경우와같다. 예를들면, 子:, 四, 自, 理 : 링, 時씽, 羅랑, 下 :, 座 쫭, 果 : 광, 在, 來, 內 뇡, 太 탱, 解 :, 世 솅, 道:,, 修, 後 :, 實, 弗, 節 따위와표기한것이그것이다. 다만 동국정운 에는나타나지않는우리말의사잇소리표기는 ㅅ 으로일관하고있다. 2) 훈민정음 ( 언해본 ) 의경우, -ø 운미를가진 那, 步, 彌, 慈, 邪, 虛, 閭 는 낭, 뽕, 밍,, 썅, 헝, 령 와같이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하고있다. -j 운미를가진 快 도, 쾡 에서확인할수있듯이, 종성의자리에 ㅇ 을표기하고있다. -w 운미를가진 虯, 斗, 漂 도,, :, 에서확인할수있듯이, 종성자리에 ㅱ 을표기하고있다. -t 운미를가진 彆, 戌 은, 과같이, 종성자리에 ㅭ 을표기하고있다. 그러나사잇소리표기는한자음의경우, 그종성이불청불탁인경우에는반드시그것에대응하는전청의글자로표기하고있는데, ㄱ, ㄷ, ㅂ, ㅸ, ㆆ 따위가그것이다. 그러나우리말의사잇소리표기는 ㅅ 으로일관한다. 3. 월인천강지곡 의한자음표기 2) 예외로는 栴젼檀딴香 ㄱ ( 석보상절 6:38 ㄱ ) 이있다.

12 人文科學 第 96 輯 월인천강지곡 의경우, -ø 운미를가진한자음의종성자리에 ㅇ 을표기에반영하지않았는데, 예를들면, 步 뽀, 慈, 那나, 彌미 따위가그것이다. -j 운미를가진한자음의종성자리에도 ㅇ 을표기에반영하지않았는데, 快 를 쾌 로표기한것이그것이다. -w 운미를가진한자음의종성자리에는 ㅱ 을표기에반영하였는데, 後 를 : 로표기한것이그것이다. -t 운미를가진한자음은그종성자리에 ㅭ 을표기에반영하였는데, 佛 을 이라고표기한것이그것이다. 사잇소리표기는 ㅅ 으로일관하고있다. (3) ㄱ. 那나 ( 上 :30 ㄴ ), 步 뽀 ( 上 :8 ㄱ ), 彌미 ( 上 :54 ㄱ ), 慈 ( 上 :8 ㄴ ) ㄴ. 快 쾌 ( 上 :45 ㄴ ), 界 개 ( 上 :8 ㄴ ) ㄷ. 受 : ( 上 :8 ㄴ ), 妙, 敎 ( 上 :30 ㄴ ), 道 : ( 上 :45 ㄴ ), 流 ( 上 :17 ㄴ ), 後 : ( 上 :2 ㄴ ) ㄹ. 佛 ( 上 :2 ㄴ ), 七 ( 上 :8 ㄱ ), 月, 八, 日 ( 上 :7 ㄴ ) 4. 육조법보단경언해 등의한자음표기 당시의현실한자음을표기하고있는 육조법보단경언해 (1496) 등에서는, -ø 운미, -j 운미, -w 운미등을전혀표기에반영하지않았다. -ø 운미는종성표기에반영할필요가없고 3), -j 운미와 -w 운미는이미중성에반영 ( 反映 ) 되어있었기때문에, 종성표기에그것을반영할필요가없었던것이다. 4) -t 운미를가진 彆, 戌 따위는현실한자음에서이 3) 훈민정음 종성해 에서이와같은사실을확인할수있다. 곧 且ㅇ聲淡而虛不必用於終而中聲可得成音也 라한것이그것이다. 이것은 (14 ㄱ, ㄴ ) 에서다시확인할수있다. 4) 快 쾌 는당시의현실한자음 [kʰaj] 를표기한것이고, 虯규 는 [kju] 를표기한것이다. 그런데 快 의중국중고음 ( 中古音 ) 은 溪夬合二去蟹 인데, 그재구음은 [*kʻwæi] 이고 ( 漢字古音手冊 2010:207), 虯 의중고음은 羣幽開四平流 인데, 그재구음은 [*ɡiəu] 이다 ( 漢字古音手冊 2010:289). 그런데이한자음들을대조하면, 다음과같은사실을확인할수있다. 곧 快 쾌 의중성은 [waj] 인데, 여기에는이미운미 -j 가반영되어있고, 虯규 의중성은 [ju] 인데, 여기에는이미운미 -w 가 [u] 로반영되어있다.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13 미 별, 술 따위로바뀌었으므로, 바뀐대로표기하였다. (4) ㄱ. 那나 ( 육조법보단경언해 中 :75 ㄱ ), 步 : 보 ( 육조법보단경언해 上 :14 ㄱ ), 彌미 ( 육조법보단경언해 序 :7 ㄱ ), 慈 ( 육조법보단경언해 中 :42 ㄱ ), 邪샤 ( 신증유합 下 :2 ㄴ ), 虛허 ( 육조법보단경언해 中 :30 ㄴ ), 閭려 ( 훈몽자회 中 :5 ㄱ ) ㄴ. 快 쾌 ( 진언권공 12 ㄴ ) ㄷ. 虯규 ( 화동정음통석운고 下 :31, 尤 27 上平聲 ), 斗 두 ( 훈몽자회 中 :6 ㄴ ), 漂표 ( 신증유합 下 :54 ㄴ ) ㄹ. 彆별 ( 삼운성휘 下 :54), 戌 슐 ( 육조법보단경언해 略序 :1 ㄴ ) 5. 용비어천가 의한자음읽기 용비어천가 에는한자음이표기되어있지않다. 그러나사잇소리표기나, 한자말뒤에토씨나잡음씨의줄기가이어날때, 토씨나잡음씨의줄기의변이형태를근거로하여, 해당한자음을어떻게읽었는지를확인할수있다.( 임용기 2011.2. 참고 ) (5) ㄱ. 임자씨 - ㅣ ( 임자자리토씨 ) 周國大王이豳谷애사 샤帝業을여르시니우리始祖ㅣ慶興에사 샤王業을여르시니 ( 권제 1, 2 ㄱ, 제 3 장 ) 一夫ㅣ流毒 我后를기드리 玄黃筐篚로길헤 라 니狂夫ㅣ肆虐 義旗를기드리 簞食壺漿 로길헤 라 니 ( 권제 2, 1 ㄱ, 제 10 장 ) 五年을改過몯 야虐政이날로더을 倒伐之日에先考ㆆ 몯일우시니 나래讒訴 드러凶謀ㅣ날로더을 勸進之日에平生ㄱ 몯일우시니 ( 권제 2, 15 ㄴ, 제 12 장 ) 聖孫이一怒 시니六百年天下ㅣ洛陽애올 니 다聖子ㅣ三讓이시나五百年나라히漢陽애올 니 다 ( 권제 3, 12 ㄴ, 제 14 장 ) 揚子江南 리샤使者 보내신 七大之王 뉘마 리 가公州ㅣ江南 저 샤子孫 치신 구변지국이사 디리 가 ( 권제 3, 14 ㄱ, 제 15 장 ) ㄴ. 임자씨 - ㅣ ( 잡음씨의줄기 )

14 人文科學 第 96 輯 奉天討罪실 四方諸侯ㅣ몯더니聖化ㅣ오라샤西夷 모 니唱義班師ㅣ실 千里人民이몯더니聖化ㅣ기프샤北狄이 모 니 ( 권제 1, 14 ㄴ, 제 9 장 ) ㄷ. 임자씨 - / 를 ( 부림자리토씨 ) 太子 하 히 샤兄ㄱ 디일어시 聖孫 내시니 다世子 하 히 샤帝命이 리어시 聖子 내시니 다 ( 권제 1, 13 ㄱㄴ, 제 8 장 ) 虞芮質成 로方國이해모 나至德이실 獨夫受ㄹ섬기시니威化振旅 시 로輿望이다몯 나至忠이실 中興主를셰시니 ( 권제 2, 1 ㄴ, 제 11 장 ) 宮女로놀라샤미宮監 다시언마 問罪江都 느치리 가官妓로노 샤미官吏의다시언마 肇基朔方 뵈이시니 다 ( 권제 3, 18 ㄴ, 제 17 장 ) 驪山後徒 일 샤지 로도라오 제열희 하 히달애시니셔븘使者 리샤바 건너 제二百戶 어느뉘請 니 ( 권제 4, 1 ㄱ, 제 18 장 ) 四海 년글주리여 매 업거늘얼우시고 노기시니三韓 주리여바 래 업거늘녀토시고 노기시니 ( 권제 4, 6 ㄴ, 제 20 장 ) 千世우희미리定 샨漢水北에累仁開國 샤卜年이 업스시니聖神이니 샤도敬天勤民 샤 더욱구드시리 다님금하아 쇼셔洛水예山行가이셔하나빌미드니 가 ( 권제 10, 52 ㄴ, 제 125 장 ) 예를들면, (5ㄱ) 의 先考ㆆ 의 ㆆ 은사잇소리를표기한것인데, 이것은 考 의한자음을 [ko] 라고읽고, 공 라고표기할경우에만가능한표기이다. 考 는효섭 ( 效攝 ) 에속하는데 5), 홍무정운역훈 에서는 :, 육조법보단경언해 에서는 : 고, 동국정운 에서는 : 라고적고있다. 따라서 훈민정음 ( 언해본 ) 의사잇소리표기에따르면, 이것은 先考ㅸ 으로표기되어야한다. 그리고 (5ㄱ) 의 始祖ㅣ, 一夫ㅣ 와 (5ㄴ) 의 奉天討 5) 考 의중국중고음 ( 中古音 ) 은다음과같다. ( 廣 ) 苦浩切, 溪晧開一上效 (kʻɑu) ( 漢字古音手冊 2010:241)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15 罪실, 唱義班師ㅣ실, 그리고 (5ㄷ) 의 太子, 獨夫受ㄹ 따위는종성이없을경우에쓰이는변이형태들이다. Ⅲ. 훈민정음의중국한자음표기 중국한자음을표기하고있는문헌자료에는 홍무정운역훈, 석보상절 과 월인석보 의다라니 ( 陀羅尼 ) 한자음표기, 그리고당시의중국어백화 ( 白話 ) 를표기한 번역박통사 등이있다. 이장에서는이문헌자료에서확인할수있는중국한자음표기의특징과그와관련한문제들을살펴볼것이다. 그리고 사성통고범례 와 노걸대박통사범례 도아울러살펴볼것이다. 한국한자음의경우와마찬가지로, 특히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과해섭 ( 蟹攝 ) 의운미 ( 韻尾 ) 표기, 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 ( 入聲 ) 표기, 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의운미표기등을살펴볼것이다, 그리고중국한자음표기에서만확인되는탕섭 ( 宕攝 ) 의입성가운데약운 ( 藥韻 ) 표기와지섭 ( 止攝 ) 의속음 ( 俗音 ) 가운데치음 ( 齒音 ) 성모 ( 聲母 ) 를가진글자들의운미표기, 그리고통섭 ( 通攝 ), 강섭 ( 江攝 ), 탕섭 ( 宕攝 ), 경섭 ( 梗攝 ), 증섭 ( 曾攝 ), 심섭 ( 深攝 ), 함섭 ( 咸攝 ) 따위의입성표기등을살펴볼것이다. 1. 홍무정운역훈 의한자음표기 홍무정운역훈 한자음표기의특징은 홍무정운역훈 의평성, 상성, 거성각각의 22개운 ( 韻 ) 과입성 10개운 ( 韻 ) 의한자음표기를확인한결과에바탕을둔것이다. 그런데 홍무정운역훈 의한자음표기는정음 ( 正音 ) 과속음 ( 俗音 ) 이다른경우가상당수있으므로 6), 아래에서는정음표기 6) 정음 ( 正音 ) 과속음 ( 俗音 ) 의개념은 사성통고범례 와 노걸대박통사범례 에서확인할

16 人文科學 第 96 輯 를중심으로하여살피되, 속음표기와정음표기가다를경우에는그것에대해서도자세하게언급할것이다. 먼저평성, 상성, 거성의표기부터살펴보기로한다. (6) 은 홍무정운역훈 의거성부분만한데모아, 다시정리한것인데, 구체적인예는이것을중심으로들것이다. 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은운미가 -ø 인데, 이것은표기에반영하지않는다. 따라서 동국정운 과같이한자음의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6ㄴ, ㄷ, ㄹ ) 이그것이다. 다만, 지섭 ( 止攝 ) 의한자음가운데속음 ( 俗音 ) 의경우, 치두음 ( 齒頭音 ) 과정치음 ( 正齒音 ) 은종성의자리에 ㅿ 을표기한다. 구체적인예는 (6ㄱ) 에서확인할수있다. 해섭 ( 蟹攝 ) 의운미 ( 韻尾 ) 는 -j 인데, 이것은이미운복과함께중성표기에반영되어있으므로, 동국정운 과같이, 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할필요가없다. (6ㅁ) 이그것이다. 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의운미는 -w 인데, 이것은반드시표기에반영된다. 그까닭은 ㅱ 이운미 -w 을표기하기때문이다. (6ㅇ, ㅈ ) 에서그것을확인할수있다. 이것은 동국정운 의 ㅱ 과는그기능이전혀다르다. 곧 홍무정운역훈 의 ㅱ 은음운론적인기능이있지만, 동국정운 의 ㅱ 은그렇지않다. 그밖에통섭 ( 通攝 ), 진섭 ( 臻攝 ), 산섭 ( 山攝 ), 탕섭 ( 宕攝 ), 경섭 ( 梗攝 ), 심섭 ( 深攝 ), 함섭 ( 咸攝 ) 의평성, 상성, 거성은 ㆁ, ㄴ, ㅁ 따위로표기되는데, 이것은 동국정운 의경우와다를것이없다. (6ㅂ, ㅅ, ㅊ, ㅋ, ㅌ, ㅍ, ㅎ ) 에서 수있다. ㄱ. 以圖韻諸書及今中國人所用定其字音又以中國時音所廣用而不合圖韻者逐字書俗音於反切之下 ( 四聲通攷凡例 ) ㄴ. 凡字有正音而又有俗音者故通攷先著正音於上次著俗音於下今見漢人之呼以一字而或從俗音或從正音或一字之呼有兩三俗音而通攷所不錄者多焉今之反譯書正音於右書俗音於左俗音ㅣ之有兩三呼者則或書一音於前又書一音於後而兩存之大抵天地生人自有聲音五方殊習人人不同鮮有能一之者故切韻指南云吳楚傷於輕浮燕薊失於重濁秦隴去聲爲入梁益平聲似去江東河北取韻尤遠欲知何者爲正聲五方之人皆能通解者斯爲正音也今按本國通攷槩以正音爲本而俗音之或著或否者盖多有之學者毋爲拘泥焉 ( 老乞大朴通事凡例 )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17 그것을확인할수있다. (6) 洪武正韻譯訓 去聲ㄱ. 止攝, 寘韻 ( 照 ) 寘支義切俗音 下同 ( 精 ) 恣俗音 下同資四切 ( 穿 ) 翅昌智切俗音 下同 ( 禪 ) 侍時吏切俗音 下同 ( 日 ) 二而至切俗音 下同 ( 心 ) 四息漬切俗音 下同 ( 從 ) 自疾二切俗音 下同 ( 牀 ) 治直意切俗音 下同 ( 審 ) 試式至切俗音 下同 ( 淸 ) 次七四切俗音 下同 ( 群 ) 끼芰奇寄切 ( 幇 ) 비閉必弊切 ( 滂 ) 피譬匹智切 ( 非 ) 費芳未切 ( 曉 ) 히戱許意切 ( 影 ) 意於戱切 ( 曉 ) 히戱許意切 ( 喩 ) 이異以智切ㄴ. 遇攝, 御韻, 暮韻 ) ( 疑 ) 御魚據切 ( 明 ) 무暮莫故切ㄷ. 果攝, 箇韻 ( 見 ) 거箇古荷切韻內諸字中聲若直讀以ㅓ則不合於時音特以口不變而讀如ㅓㅡ之間其聲近於ㅗㅝ之字亦同 ( 疑 ) 餓五箇切俗音 어下同ㄹ. 假攝, 禡韻, 蔗韻 ( 明 ) 마禡莫駕切 ( 疑 ) 訝五駕切俗音 야下同 ( 照 ) 蔗之夜切

18 人文科學 第 96 輯 ㅁ. 蟹攝, 霽韻, 泰韻, 隊韻 ( 精 ) 霽子計切俗音 韻中諸字中聲並同 ( 透 ) 태泰他蓋切韻內中聲ㅏ音諸字其聲稍深宜讀以ㅏ之間唯脣音正齒音直以ㅏ呼之韻中諸字中聲同 ( 定 ) 뛰隊杜對切ㅂ. 臻攝, 震韻 ( 照 ) 震之刃切ㅅ. 山攝, 翰韻, 諫韻, 霰韻 ( 匣 ) 翰侯幹切 ( 見 ) 건榦古汗切俗音 간下同 ( 曉 ) 헌漢虛汗切 ( 見 ) 갼諫居晏切韻內中聲ㅏ音諸字其聲稍深宜讀以ㅏ之間唯脣音正齒音以ㅏ讀之 ( 疑 ) 鴈魚澗切俗音 얀下同 ( 非 ) 販方諫切俗音 下同 ( 奉 ) 飯符諫切俗音 ( 心 ) 霰先見切 ( 喩 ) 연硯倪甸切... 彦同上切古韻ㆁ母下至讞字同ㅇ. 效攝, 嘯韻, 效韻 ( 心 ) 嘯蘇弔切韻內諸字中聲若直讀以ㅕ則不合時音特以口不變故讀如ㅕㅡ之間俗音 下同 ( 端 ) 弔多嘯 ( 匣 ) 效胡孝切 ( 疑 ) 樂魚敎切俗音 ( 疑 ) 傲魚到切俗音 下同ㅈ. 流攝, 宥韻 ( 喩 ) 宥爰救切 ( 曉 ) 齅許救切 ( 溪 ) 糗丘救切 ( 疑 ) 偶五豆切俗音 ㅊ. 通攝, 送韻 ( 精 ) 縱足用切俗音 下同 ( 照 ) 衆之仲切俗音 下同 ( 牀 ) 仲直衆切俗音 下同

( 邪 ) 頌似用切俗音 下同 ( 從 ) 從才仲切俗音 ( 群 ) 共渠用切俗音 ( 溪 ) 恐欺用切俗音 下同 ( 見 ) 供居用切俗音 下同 ( 穿 ) 憃丑用切俗音 下同ㅋ. 宕攝, 漾韻 ( 喩 ) 漾餘亮切 ( 照 ) 壯側况切俗音 ( 穿 ) 創楚浪切속음 下同 ( 曉 ) 況虛放切俗音 下至貺字同 ( 照 ) 撞陟降切俗音 下同 ( 審 ) 淙色降切俗音 下同 ( 穿 ) 䚎丑降切俗音 下同ㅌ. 梗攝, 敬韻 ( 見 ) 敬居慶切 ( 審 ) 生所敬切俗音 下同 ( 見 ) 更居孟切俗音 又音 ( 幇 ) 榜比孟切俗音 下同 ( 明 ) 孟莫更切俗音 下同 ( 喩 ) 詠爲命切俗音 下同 ( 照 ) 諍側迸切俗音 下同 ( 影 ) 瑩縈定切俗音 ( 端 ) 嶝丁鄧切俗音 下同 ( 定 ) 鄧唐亘切俗音 下同 ( 幇 ) 堋逋鄧切俗音 下同 ( 從 ) 贈昨亘切俗音 ( 見 ) 亙居鄧切俗音 又音 下同 ( 來 ) 稜魯鄧切俗音 下同 ( 淸 ) 蹭七鄧切俗音 下同 ( 日 ) 認而證切俗音 ㅍ. 深攝, 沁韻 ( 淸 ) 沁七鴆切 ( 疑 ) 吟宜禁切俗音 인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19

20 人文科學 第 96 輯 ㅎ. 咸攝, 勘韻, 豔韻 ( 溪 ) 캄勘苦緝切韻內中聲ㅏ音諸字其聲稍深宜以ㅏ之間讀之唯脣音正齒音以ㅏ呼之俗音 칸韻中諸字終聲同 ( 喩 ) 염豔以贍切俗音 연韻內諸字終聲同 ( 疑 ) 釅魚欠切俗音 연下同 홍무정운역훈 의입성표기의특징은다음과같다. 곧정음 ( 正音 ) 의경우, 통섭 ( 通攝 ) 의악운 ( 屋韻 ), 탕섭 ( 宕攝 ) 의약운 ( 藥韻 ) 과맥운 ( 陌韻 ) 등의운미 -k 는 ㄱ 으로표기되는데, (7ㄱ, ㄹ, ㅁ ) 에서확인할수있다. 진섭 ( 臻攝 ) 의질운 ( 質韻 ), 산섭 ( 山攝 ) 의갈운 ( 曷韻 ), 할운 ( 轄韻 ), 설운 ( 屑韻 ) 등의운미 -t 는 ㄷ 으로표기되는데, (7ㄴ, ㄷ ) 에서확인할수있다. 심섭 ( 深攝 ) 의집운 ( 緝韻 ) 과합운 ( 合韻 ), 함섭 ( 咸攝 ) 의엽운 ( 葉韻 ) 등의운미 -p 는 ㅂ 으로표기되는데, (7ㅂ, ㅅ ) 에서확인할수있다. 그러나속음 ( 俗音 ) 의경우는그렇지않다. 곧탕섭 ( 宕攝 ) 의약운 ( 藥韻 ) 을제외하고는모두 ㆆ 으로표기된다. 그리고탕섭 ( 宕攝 ) 의약운 ( 藥韻 ) 은 ㅸ 으로표기되는데, (7ㄹ) 이그것이다. 약운 ( 藥韻 ) 만 ㅸ 으로표기한것은다른입성운 ( 入聲韻 ) 과는달리그운미가 -w 로바뀌었기때문이다. 그러나 (7ㄹ) 의계모 ( 溪母 ) 의 却 은그속음이 인데, 이것은예외에속한다. (7) 洪武正韻譯訓 入聲ㄱ. 通攝, 屋韻 ( 影 ) 屋烏谷切俗音 韻內諸字終聲同 ( 心 ) 夙蘇玉切俗音 下同 ( 精 ) 蹙子六切俗音 下同 ( 審 ) 叔式竹切俗音 下同 ( 穿 ) 柷昌六切俗音 下同 ( 牀 ) 逐直六切俗音 下同 ( 精 ) 足縱玉切俗音 下同ㄴ. 臻攝, 質韻 ( 照 ) 質職日切俗音 韻內諸字終聲同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21 ( 審 ) 率朔律切俗音 下同 ( 疑 ) 仡魚乞切俗音 下同 ( 並 ) 뿓孛蒲沒切俗音 下同 ( 疑 ) 兀玉忽切俗音 下同ㄷ. 山攝, 曷韻, 轄韻, 屑韻 ( 匣 ) 曷何葛切俗音 韻內諸字終聲同 ( 匣 ) 轄胡八切俗音 韻內諸字終聲同 ( 疑 ) 蘖牙八切俗音 下同 ( 心 ) 薩桑轄切韻內中聲ㅏ音諸字其聲稍深宜ㅏ之間讀之唯脣音正齒音以ㅏ之 ( 奉 ) 伐房滑切俗音 下同 ( 非 ) 髮方伐切俗音 下同 ( 心 ) 屑先結切俗音 韻內諸字終聲同ㄹ. 宕攝, 藥韻 ( 喩 ) 약藥弋灼切俗音 韻內諸字終聲同 ( 奉 ) 縛符約切韻內中聲ㅏ音諸字其聲稍深宜ㅏ之間讀之唯脣音正齒音以ㅏ讀之 ( 審 ) 朔色角切俗音 下同 ( 溪 ) 캭却乞約切俗音 下同 ( 穿 ) 娖側角切俗音 下同ㅁ. 宕攝, 陌韻 ( 明 ) 믝陌莫白切俗音 韻內諸字終聲同 ( 曉 ) 흭赫呼格切俗音 ( 喩 ) 읙額卾格切俗音 下同 ( 並 ) 삑闢毗亦切俗音 ( 喩 ) 익逆宐戟切俗音 下同 ( 疑 ) 域越逼切俗音 下同ㅂ. 深攝, 緝韻, 合韻 ( 淸 ) 緝七入切俗音 韻內諸字終聲同 ( 日 ) 入日執切俗音 ( 匣 ) 合胡閤切韻內中聲ㅏ音諸字其聲稍深宜ㅏ之間讀之唯脣音正齒音以ㅏ讀之俗音 韻內諸字終聲同ㅅ. 咸攝, 葉韻 ( 喩 ) 엽葉弋涉切俗音 韻中諸字終聲同

22 人文科學 第 96 輯 2. 석보상절 과 월인석보 의다라니 ( 陀羅尼 ) 한자음표기 석보상절 의다라니한자음표기 석보상절 의다라니는권21의여섯부분에서확인할수있는데 7), 이가운데권21의 23ㄱ-24ㄱ부분을들어보이면, 다음과같다. (8) 安爾 : 曼爾 : 摩禰뭥 : 녱摩摩禰뭥뭥 : 녱旨隸 : 롕遮黎第 롕 똉賒咩 명賒履多瑋 : 롕덩 : 羶帝 뎽目帝 묵 뎽目多履 묵덩 : 롕娑履 : 롕阿瑋娑履 : : 롕桑履 : 롕娑履 : 롕叉裔 잉阿叉裔 잉阿耆膩 낑 녱羶帝 뎽賒履 : 롕陀羅尼떵렁녱阿盧伽婆娑簸蔗毗叉膩 룽 꺙뿽 붱 삥 녱禰毗剃 : 녱삥 톙阿便哆邏禰履剃 뼌 뒁 렁 : 녱 : 롕 톙阿亶哆波隸輸地 : 던뒁붱 롕 띵歐究隸 롕牟究隸 롕阿羅隸 렁 롕波羅隸붱렁 롕首迦差 : 걍 : 阿三磨三履 뭥 : 롕佛陀毗吉利袠帝 떵삥 긷 롕 떧 뎽達磨波利差帝 딷뭥붱 롕 뎽僧伽涅瞿沙禰 꺙 녇 뀽 : 녱婆舍婆舍輸地뿽 뿽 띵曼哆邏 뒁 렁曼哆邏叉夜多 뒁 렁 영덩郵樓哆 뒁郵樓哆憍舍略 뒁 : 량惡叉邏 렁惡叉冶多冶 : 영덩 : 영阿婆盧 뿽룽阿摩若那多夜 뭥 : 넝덩 영 ( 권 21:23 ㄱ -24 ㄱ ) 월인석보 의다라니한자음표기 월인석보 의다라니는권10, 권19, 권21 따위에서확인할수있는데 8), 이가운데권10:72ㄴ-74ㄱ부분을들어보이면, 다음과같다. 7) 석보상절 의다라니는권 21 의 23 ㄱ -24 ㄱ. 25 ㄴ -26 ㄱ, 26 ㄴ, 27 ㄴ, 29 ㄱ - ㄴ, 55 ㄴ -56 ㄴ 따위에서확인할수있다. 8) 월인석보 의다라니는권 10 의 72 ㄴ -74 ㄱ, 88 ㄴ -91 ㄴ. 92 ㄴ -93 ㄱ, 93 ㄱ, 93 ㄴ, 94 ㄱ - ㄴ, 94 ㄴ, 95 ㄴ, 96 ㄱ, 96 ㄴ, 97 ㄱ, 97 ㄱ - ㄴ, 98 ㄱ, 98 ㄴ, 103 ㄴ -104 ㄱ, 105 ㄴ, 106 ㄴ -107 ㄴ, 107 ㄴ -108 ㄱ, 108 ㄱ -109 ㄱ, 113 ㄴ -116 ㄴ, 권 19 의 50 ㄴ (?)-52 ㄴ (?), 54 ㄱ (?)- ㄴ, 56 ㄴ -57 ㄱ, 58 ㄴ (?)-59 ㄱ (?), 109 ㄱ -110 ㄴ, 권 21 의 70 ㄱ -73 ㄱ 따위에서확인할수있다.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23 (9) 怛緻咃 타其呪字口傍作者轉舌讀之注引字引聲讀之陁떠引囉尼陁러니떠引囉尼러니一優多 더引囉尼러니二引三 引波囉帝붜러 디諸呪帝皆丁利反師郗 攄利反三毗闍耶跋囒那삐 여 류나引薩底夜波羅帝若 : 디 여 붜러 디 女賀反四波囉呵若那跋帝붜러허 나 디五優多波 다붜引達尼 니六毗那삐나引喝膩 니七阿 引毗屣삐 引遮膩 니八阿陛毗 : 삐삐引耶여引呵邏허 : 러九輸婆 뿨引跋帝 디十頞耆 市尸反摩哆뭐 : 더十一黑 + 兮咥 히顯利反十二宮婆羅 뿨러引十三鞞咥삐 히香利反引婆呵뿨허十四摩羅吉梨舍뭐러 리 引達那 나引波唅十五輸 輸律反陁떠引耶摩여뭐引伽尼梨呵迦達摩多꺄니리허갸 뭐더十六輸 輸律反陁떠引盧迦루갸十七毗帝寐囉何囉闍婆獨佉賒摩耶삐 디 믜러 러 뿨 큐 뭐나去聲十八薩婆佛陁婆盧歌那 뿨 떠뿨루거나去聲十九波羅闍若붜러 引闍那 나引鞞醯莎삐히 引呵허 ( 권 10:72 ㄴ -74 ㄱ ) 이제 석보상절 권21과 월인석보 권10의 72ㄴ-74ㄱ, 88ㄴ-91ㄴ에서확인할수있는다라니의한자음표기예를비교하면, 다음과같다. 비교가가능한것만간추린것인데, 앞엣것이 석보상절 권21의것이고, 뒤의것이 월인석보 권10의것이다. (10) ㄱ. 祇낑 / 끼, 迦걍 / 갸, 伽꺙 / 꺄, 底 : 딩 /: 디, 地 띵 / 띠, 多덩 / 더, 陀 ( 陁 ) 떵 / 떠, 䭾떵 / 떠, 那넝 / 나, 波붱 / 붜, 婆뿽 / 뿨, 毗삥 / 삐, 摩뭥 / 뭐, 娑, /, 遮 /, 莎 /, 賒 /, 輸 /, ( 輸律反 ), 舍 /, 訶헝 / 허, 醯힝 / 히, 羅렁 / 러, 邏 렁 /: 러, 盧룽 / 루, 若 : /, 阿 /, 哆 뒁 /: 더, 帝 뎽 / 디, 提똉 / 띠, 띠, 膩 녱 / 니, 尼녱 / 니, 泥녱 / 니, 利 롕 / 리, 旨 : /:, 緻 /. ㄴ. 求 /, 兜 /, 浮 /, ㄷ. 吉 긷 /, 達 딷 /, 佛 뿓 /, 薩 /, 頞 /, 석보상절 다라니의한자음표기에서는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따위의 -ø 운미를가진것들은그종성자리에모두 ㅇ 을표기한다. 해섭 ( 蟹攝 ) 의운미 -j 를가진것들도그종성자리에모두

24 人文科學 第 96 輯 ㅇ 을표기한다. (10ㄱ) 에서확인할수있다. 그리고효섭 ( 效攝 ) 이나유섭 ( 流攝 ) 의운미 -w 는 ㅱ 으로표기한다. (10ㄴ) 이그것이다. 그리고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운미 -t 는 ㄷ 으로표기한다. (10ㄷ) 에서확인할수있다. 석보상절 다라니의한자음표기는 홍문정운역훈 의정음표기와같지만, (10ㄱ) 은예외다. 월인석보 다라니의한자음표기에서는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따위의 -ø 운미를가진것들은그종성자리에모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해섭 ( 蟹攝 ) 의운미 -j 를가진것들도그종성자리에모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10ㄱ) 에서확인할수있다. 그리고효섭 ( 效攝 ) 이나유섭 ( 流攝 ) 의운미 -w 는 ㅱ 으로표기한다. 이것은 석보상절 과마찬가지이다. (10ㄴ) 에서확인할수있다. 그리고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운미 -t 는 ㆆ 으로표기한다. 이것은 월인석보 다라니의한자음표기는 홍문정운역훈 의속음표기와같다. (10ㄷ) 에서확인할수있다. 3. 번역박통사 ( 상 ) (1517 이전 ) 의한자음표기 번역박통사 ( 상 ) 의한자음표기예를들어보이면, 다음과같다. 이부분은권상 ( 卷上 ) 의 1ㄱ-3ㄱ 에서따온것이다. (11) 當 / 今긴 / 긴 聖 / 主 : 쥬 / 쥬 洪 /: 福 / 齊 ( )/: 치天텬 / 텬 風 / 調 /: 雨 : 유 / 유順 / 슌 國 ( )/: 귀 (: 궈 ) 泰 태 / 태民민 /: 민安 / 안 又 / 逢 /: 着 /: 죠這 / 져春 / 츈二 / 三 / 산月 /: 好 : / 時 /: 節 / 져 休 / 蹉 / 초過 궈 / 고了 : / 好 : / 時 /: 光 / 人 /: 生 / 一 / 이世 / 시 草 / 生 / 一 / 이秋 / 咱 /: 자們 믄 / 믄幾 기 / 기箇 거 / 거好 : / 弟 띠 / 디兄 / 去 큐 / 큐那 나 / 니有 : / 名 / 的 / 디花화 / 화園 /: 裏 : 리 / 리 做 / 주一 / 이箇 거 / 거賞 : / 花화 / 화筵연 /: 연席 /: 시 咱 /: 자們 믄 / 믄消 /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25 愁 /: 解 : 계 / 계悶 믄 / 믄如 /: 何 / 衆 / 중弟 띠 / 디兄 / 們 믄 / 믄 商 / 量 /: 了 : / 咱 /: 자們 믄 / 믄三 / 산十 / 시箇 거 / 거人 /: 各 / 거人 /: 出 / 쥬一 / 이百 /: 버箇 거 / 거銅 /: 錢 /: 쳔 共 / 通 / 三 / 산千 / 쳔箇 거 / 거銅 /: 錢 /: 쳔 勾 / 使 / 用 / 了 : / 着 /: 죠張 / 三 / 산買 : 매 / 매羊 /: 去 큐 / 큐 買 : 매 / 매二 / 十 / 시箇 거 / 거好 : / 肥 /: 羊 /: 休 / 買 : 매 / 매毋 : 무 / 무的 / 디 都두 / 두要 / 羯 / 겨的 / 디 又 / 買 : 매 / 매一 / 이隻 / 지好 : / 肥 /: 牛 /: 買 : 매 / 매五 : / 우十 / 시斤긴 / 긴猪 / 쥬肉 / 着 /: 죠李 : 리 / 리四 / 買 : 매 / 매果 : 궈 / 고子 : / 拖토 / 토爐루 /: 루隨 /: 취食 / 시去 큐 / 큐 酒 : / 수 리京 / 강城 /: 槽 /: 房 /: 雖 / 쉬然 /: 多더 / 도 街걔 / 계市 / 酒 : / 打 : 다 / 다將 / 來래 / 레怎 : / 麽마 /: 마喫 / 치 咱 /: 자們 믄 / 믄問 / 那 나 / 나光 / 祿 / 루寺 / 裏리 / 리 討 : / 南난 /: 난方 / 來래 /: 레的 / 디蜜 / 미林린 /: 린擒낀 /: 킨燒 / 酒 : / 一 / 이桶 : / 長 /: 春 / 츈酒 : / 一 / 이桶 : / 苦 : 쿠 /: 쿠酒 : / 一 / 이桶 : / 豆 투 (?)/ 투 (?) 酒 : / 一 / 이桶 : / 又 / 內 뉘 /: 뉘府 : / 管 : 권 /: 권酒 : / 的 / 디官귄 / 권人 / 們믄 / 믄造 / 的 / 디好 : /: 酒 : / 討 : / 丁 / 시來래 /: 레甁 /: 如 /: 何 /: 허 可 : 커 / 커知 / 지道 : / 好 : / 着 /: 죠誰 /: 쉬去 큐 / 큐討 : / 光 / 祿 / 루寺 / 裏 : 리 / 리 着 /: 죠姓 / 李 : 리 / 리的 / 디館 : 권 / 권夫 / 討 : / 去 큐 / 큐 內 뉘 / 뉘府 : / 裏 : 리 / 리 着 /: 죠姓 / 崔 / 취的 / 디外 왜 / 왜郞 /: 討 : / 去 큐 / 큐 討 : / 酒 / 的 / 디都두 / 두廻 /: 휘來래 /: 레了 : / 勘 칸 / 칸合 /: 허有 : / 了 : / 不 / 부曾 / 討 : / 將 / 來래 /: 레了 : / 我 : 어 / 오到 / 那 나 / 나衙야 /: 야門 믄 /: 믄裏 : 리 / 리 堂 /: 上 / 官권 / 권說 / 了 : / (11) 의한자음표기가운데, 왼쪽것은 사성통고 의속음을적은것이고, 오른쪽것은 16세기초의중국현실음을적은것이다. 번역박통사 ( 상 ) 의경우, 왼쪽것이정음이되고, 오른쪽것이속음이된다. 번역박통사 ( 상 ) 의정음과속음의운미 ( 韻尾 ) 의표기차이는 (12) 와같

26 人文科學 第 96 輯 다. 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의운미표기 (12ㄷ, ㄹ ), 통섭 ( 通攝 ), 진섭 ( 臻攝 ), 산섭 ( 山攝 ), 탕섭 ( 宕攝 ), 경섭 ( 梗攝 ), 심섭 ( 深攝 ), 함섭 ( 咸攝 ) 따위의입성표기 (12ㅁ, ㅂ, ㅅ ), 지섭 ( 止攝 ) 치음 ( 齒音 ) 글자의운미표기 (12ㅊ) 등에서표기상의차이를보인다. 탕섭 ( 宕攝 ) 의약운 ( 藥韻 ) 표기 (12ㅈ) 는다른입성표기와또다르다. 着 의정음표기 와속음표기 : 죠 에서확인할수있다. 그밖의것은정음과속음표기가같다. (12ㄱ, ㄴ, ㅋ ) 이그것이다. (12) ㄱ. 弟 띠 / 디, 那 나 / 니, 做 / 주, 猪 / 쥬, 主 : / 쥬, 五 : / 우, 這 / 져, 何 /: 허, 蹉 / 초, 多더 / 도, 我 : 어 / 오, 果 : 궈 / 고, 過 궈 / 고, 肥 /:. ㄴ. 齊 ( )/: 치, 雖 / 쉬, 隨 /: 취, 誰 /: 쉬, 廻 /: 휘, 來래 /: 레. ㄷ. 到 /, 討 : /, 道 : /, 調 /:, 草 /, 造 /, 槽 /:, 消 /, 燒 /, 要 /, 好 : /, 了 : /. ㄹ. 勾 /, 愁 /:, 牛 /:, 酒 : /, 秋 /, 休 /, 又 /, 有 : /. ㅁ. 國 /: 귀, 各 / 거, 的 / 디, 百 /: 버, 福 /, 隻 / 지, 喫 / 치, 席 /: 시, 食 / 시, 祿 / 루, 肉 /, * 丁 / 시. ㅂ. 羯 / 겨, 咱 /: 자, 節 / 져, 出 / 쥬, 說 /, 不 / 부, 蜜 / 미, 一 / 이, 月 /:. ㅅ. 十 / 시, 合 /: 허. ㅈ. 着 /: 죠. ㅊ. 寺 /, 子 : /, 四 /, 使 /, 市 /, 時 /:, 知 / 지, 世 / 시, 二 /. ㅋ. 怎 : /, 擒낀 /: 킨, 問 /, 千 / 쳔, 錢 /: 쳔, 錢 /: 쳔, 春 / 츈, 順 / 슌, 三 / 산, 安 / 안, 曾 /, 生 /, 甁 /:, 城 /:, 堂 /:, 房 /:, 張 /, 商 /, 賞 : /, 上 /, 共 /, 銅 /:, 衆 / 중. 逢 /:, 洪 /:. Ⅳ.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의특징과그와관련한문제 1.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특징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27 위에서살펴본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특징을문헌별로요약하면, 다음과같다. 훈민정음 ( 해례본 ) 은한자음표기의구체적인예를보여주는최초의문헌이다. 그러나이것은그뒤의한자음표기문헌의어느것과도같지않다. 예를들면해섭 ( 解攝 ) 에속하는 快 를 쾌 라고적고있는데, 이것은 동국정운 의 쾡 와는다르다. 오히려 월인천강지곡 의 쾌, 진언권공 의 쾌, 홍무정운역훈 의 쾌 와같다. 훈민정음 ( 해례본 ) 에는방점이표기되어있지않은것이다를뿐이다. 그리고유섭 ( 流攝 ) 에속하는 虯 는 뀨 라고적고있는데, 이것은 동국정운 의, 홍무정운역훈 의 와도다르다. 당시 虯 의현실한자음은 * 규 로추정되는데, 이와도다르다. 산섭 ( 山攝 ) 의설운 ( 屑韻 ) 에속하는 彆 은 볃 이라고적고있는데, 동국정운 의 볋 과는다르다. 오히려방점을제외하면, 홍무정운역훈 의 볃 과같다. 그밖에 洪, 君군, 呑, 覃땀, 侵침, 卽즉, 業 따위는 동국정운 과같다. 홍무정운역훈 에서는 洪, 君균, 呑툰, 覃땀, 侵, 卽, 業 따위로적고있다. 그리고해섭 ( 解攝 ) 의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하지않을뿐만아니라, 유섭 ( 流攝 ) 의종성자리에도 ㅱ 을표기하지않는다. 동국정운 에서는지섭, 우섭, 과섭, 가섭, 해섭에속하는것들은모두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한다. 효섭과유섭의종성자리에는 ㅱ 을표기한다. 그리고진섭과산섭의입성종성은 을표기한다. 석보상절 과 훈민정음 ( 언해본 ) 도이와같다. 월인천강지곡 에서는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해섭 ( 蟹攝 ) 따위에속하는것들은모두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그러나효섭 ( 效攝 ) 이나유섭 ( 流攝 ) 의종성자리에는반드시 ㅱ 을표기한다. 그리고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종성은 을표기한다. 육조법보단경언해, 시식권공ㆍ삼단시식문언해, 구급간이방언해 등은이른바현실한자음을반영하고있는것들인데, 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해섭 ( 蟹攝 ) 에속하는것들은모두종성자리에

28 人文科學 第 96 輯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종성자리에도 ㅱ 을표기하지않는다. 그리고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종성자리에는 ㄹ 을표기한다. 홍무정운역훈 에서는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따위의 -ø 운미는모두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해섭 ( 蟹攝 ) 의운미 -j 는 쾌 ( 快 ) 와같이이미중성 ( 二字中聲之相合 ) 9) 속에녹아들어가있으므로, 따로운미를표기할필요가없다. 그리고효섭 ( 效攝 ) 이나유섭 ( 流攝 ) 의운미 -w 는 ㅱ 으로표기한다. 그리고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운미 -t 는 ㄷ 으로표기한다. 그밖의입성운미, 곧 -k 은 ㄱ, -p 은 ㅂ 등으로표기한다. 10) 석보상절 다라니의한자음표기에서는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따위의 -ø 운미를가진것들은그종성자리에모두 ㅇ 을표기한다. 해섭 ( 蟹攝 ) 의운미 -j 를가진것들도그종성자리에모두 ㅇ 을표기한다. 그리고효섭 ( 效攝 ) 이나유섭 ( 流攝 ) 의운미 -w 는 ㅱ 으로표기한다. 그리고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운미 -t 는 ㄷ 으로표기한다 9) 二字中聲之相合 의중성에는 따위가있다.( 훈민정음 중성해참고 ) 10) 이제까지살펴본 육조법보단경언해 와 동국정운, 그리고 홍무정운역훈 등의종성및운미표기의차이를정리하면, 다음과같다.( 임용기 2011.2. 참고 ) ᄋ 표기 ᇢ 표기 ᇙ 표기 사잇소리표기 훈민정음 ( 해례본 ) * 볃爲彆, * 별 ᄉ 동국정운 ᇙ * 석보상절 ᇙ ᄉ, 栴젼檀딴香 ᆨ 월인천강지곡 ᇙ ᄉ 훈민정음 ( 언해본 ) ᇙ ᆨ,ᆮ,ᆸ,ᄫ,ᅙ.ᄉ 용비어천가 * 先考 ᅙ ᆨ,ᆮ,ᅀ,ᄉ,* 先考 ᅙ 육조법보단경언해 ᆯ ᄉ 홍무정운역훈 ᆮ * 석보상절 의다라니표기는 동국정운 과같다. 그러나 월인석보 의다라니는 월인천강지곡 과같으나, 입성운미 -t 는 ㆆ 으로표기한다. 번역박통사 ( 상 ) 의한자음표기는이와아주다르다.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29 월인석보 다라니의한자음표기에서는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따위의 -ø 운미를가진것들은그종성자리에모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해섭 ( 蟹攝 ) 의운미 -j 를가진것들도그종성자리에모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그리고효섭 ( 效攝 ) 이나유섭 ( 流攝 ) 의운미 -w 는 ㅱ 으로표기한다. 그리고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운미 -t 는 ㆆ 으로표기한다 번역박통사 ( 상 ) 의한자음표기에서는정음과속음을구분하는데, 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따위의 -ø 운미를가진것들은정음이나속음모두그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해섭 ( 蟹攝 ) 의운미 -j 를가진것들도정음이나속음모두그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 그리고효섭 ( 效攝 ) 이나유섭 ( 流攝 ) 의운미 -w 는정음은 ㅱ 으로표기하고, 속음은 ㅱ 대신 ㅗ 나 ㅜ 를표기한다. 그리고입성운미 -k, -t, -p 는정음은모두 ㆆ 으로표기하는데, 속음에서는아무것도표기하지않는다. 그러나탕섭 ( 宕攝 ) 의약운 ( 藥韻 ) 운미 -k 은정음은 ㅸ 으로표기하고, 속음에서는아무것도표기하지않는다. 그리고지운 ( 止韻 ) 의치음 ( 齒音 ) 글자들은정음은그종성자리에 ㅿ 을표기하지만, 속음은그것을표기하지않는다. 2.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문제 음절의인식과표기의문제 훈민정음 ( 해례본 ) 편찬자들의음절짜임새와그것을구성하고있는초성과종성의동질성을분명히인식하고있었는데, 그것은 제자해 의다음부분에서확인된다. (13) ㄱ. 以初聲對中聲而言之 陰陽 天道也 剛柔 地道也 中聲者 一深一淺一闔一闢 是則陰陽分而五行之氣具焉 天之用也 初聲者 或虛或

30 人文科學 第 96 輯 ㄴ. 實或颺或滯或重若輕 是則剛柔著而五行之質成焉 地之功也 中聲以深淺闔闢唱之於前 初聲以五音淸濁和之於後 而爲初亦爲終 亦可見萬物初生於地 復歸於地也 ( 制字解 ) 以初中終合成之字言之 亦有動靜互根陰陽交變之義焉 動者 天也 靜者 地也 兼乎動靜者 人也 盖五行在天則神之運也 在地則質之成也 在人則仁禮信義智神之運也 肝心脾肺腎質之成也 初聲有發動之義 天之事也 終聲有止定之義 地之事也 中聲承初之生 接終之成 人之事也 盖字韻之要 在於中聲 初終合而成音 亦猶天地生成萬物 而其財成輔相則必賴乎人也 終聲之復用初聲者 以其動而陽者乾也 靜而陰者亦乾也 乾實分陰陽而無不君宰也 一元之氣 周流不窮 四時之運 循環無端 故貞而復元 冬而復春 初聲之復爲終 終聲之復爲初 亦此義也 ( 制字解 ) (13ㄱ) 에서는다음과같은사실을확인할수있다. 곧말소리에는초성과중성이있는데, 중성이 심천합벽 ( 深淺闔闢 ) 으로앞에서부르면 ( 唱 ), 초성이 오음청탁 ( 五音淸濁 ) 으로뒤에서화답 ( 和答 ) 하여, 처음 ( 初 ) 도되고, 끝 ( 終 ) 도된다는것이다. 이것은음절짜임새와초종성의동질성에대한인식이다. 곧음절은 심천합벽 ( 深淺闔闢 ) 의자질을가지고있는중성이중심이되어이루어지는데, 여기에 오음청탁 ( 五音淸濁 ) 의자질을가지고있는초성이그앞과뒤에결합하여이루어진다는것이다. 여기에 亦可見萬物初生於地復歸於地也 이라고한것은초성 ( 初 ) 으로시작한음절이다시초성 ( 終 ) 으로끝난다는음절구성의원리를, 만물이땅에서나서땅으로돌아간다는만물의생성소멸의이치에비유한것이다. 이러한사고 ( 思考 ) 는 (13ㄴ) 에서더욱구체화되는데, 盖字韻之要在於中聲初終合而成音 이라고한것과 終聲之復用初聲者以其動而陽者乾也靜而陰者亦乾也乾實分陰陽而無不君宰也 라고한것이그것이다. 곧음절 [ 字韻 ] 에서가장중요한것은중성인데, 여기에초성과종성이결합하여, 음절을이룬다는것이다. 그리고음절의종성에초성을다시쓰는것은그것이모두같은성질의소리이기때문이라는것이다.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31 이와같은음절짜임새에대한인식은음절을표기하는데에도그대로이어진다. 곧한음절은반드시초성, 중성, 종성이합해야이루어지므로, 음절을적는글자도역시반드시초ㆍ중ㆍ종성을갖추어야한다는것이다. 훈민정음 본문의 凡字必合而成音 이라한것이바로그것이다. 특히 동국정운 의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해섭 ( 蟹攝 ) 따위의종성자리의 ㅇ 표기와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의종성자리의 ㅱ 표기는이와같은사고 ( 思考 ) 에서비롯된것이라할수있다. 그러나종성이 淡而虛 한소리일경우에는그것을반드시종성글자를받쳐쓸필요가없다. 훈민정음 ( 해례본 ) 종성해 에서그것을확인할수있다. (14ㄱ) 이그것이다. 사성통고범례 에서는그것을좀더구체적으로설명하고있는데, (14ㄴ) 이그것이다. 곧한자음 ( 漢字音 ) 은반드시종성이있으므로, 평성의 支, 齊, 魚, 模, 皆, 灰 등의글자는마땅히후음의 ㅇ 으로종성을삼아야한다는것이다. 그러나이제그렇게하지않은것은아음, 설음, 순음의종성이명백한것만큼분명하지못해서, 비록 ㅇ 을보태지않더라도, 저절로음절을이룰수있기때문인데, 상성, 거성의운 ( 韻 ) 도마찬가지라는것이다. 이것은바로지섭 ( 止攝 ) 과해섭 ( 蟹攝 ) 따위의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하지않는다는것이다. 따라서 훈민정음 ( 해례본 ) 과 홍무정운역훈 에서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해섭 ( 蟹攝 ) 따위의종성자리에 ㅇ 을표기하지않은것은바로여기에그뿌리가있음을알수있다. (14) ㄱ. 且ㅇ聲淡而虛 不必用於終 而中聲可得成音也 ( 終聲解 ) ㄴ. 凡字音必有終聲如平聲支齊魚模皆灰等韻之字當以喉音ㅇ爲終聲而今不爾者以其非如牙舌脣終之爲明白且雖不以ㅇ補之而自成音爾上去諸韻同 ( 四聲通攷凡例 )

32 人文科學 第 96 輯 한자음의종성및운미표기와관련한문제 2.1) 한자음종성목록한자음의종성목록에관해서는 훈민정음 ( 해례본 ) 종성해 에서확인할수있다. (15) 가그것이다. 곧한자음의종성에는느린것 [ 緩 ] 과급한것 [ 急 ] 한것의두가지가있는데, 느린종성에는 불청불탁 ( 不淸不濁 ) 이맞고, 급한종성에는 전청 ( 全淸 ), 차청 ( 次淸 ), 전탁 ( 全濁 ) 이맞는다는것이다. 따라서한자음의종성표기에쓸수있는글자에는입성종성표기에쓸수있는 ㄱ, ㄷ, ㅂ, 평성, 상성, 거성등의종성표기에쓸수있는 ㆁ, ㄴ, ㅁ, ㅇ, ㄹ 등이있고, 그밖에 ㅅ 과완급 ( 緩急 ) 으로대립되는 ㅿ 과, ㅇ 과완급으로대립되는 ㆆ 이있다. 이것들은모두한자음의종성표기에쓰였다. (15) 聲有緩急之殊 故平上去其終聲不類入聲之促急 不淸不濁之字 其聲不厲 故用於終則宜於平上去 全淸次淸全濁之字 其聲爲厲 故用於終則宜於入 所以ㆁㄴㅁㅇㄹㅿ六字爲平上去聲之終 而餘皆爲入聲之終也 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 如 곶爲梨花 의갗爲狐皮 而ㅅ字可以通用 故只用ㅅ字 且ㅇ聲淡而虛 不必用於終 而中聲可得成音也 ㄷ如볃爲彆 ㄴ如군爲君 ㅂ如 爲業 ㅁ與땀爲覃 ㅅ如諺語 옷爲衣 ㄹ如諺語 : 실爲絲之類 五音之緩急 亦各自爲對 如牙之ㆁ與ㄱ爲對 而ㆁ促呼則變爲ㄱ而急 ㄱ舒出則變爲ㆁ而緩 舌之ㄴㄷ 脣之ㅁㅂ 齒之ㅿㅅ 喉之ㅇㆆ 其緩急相對 亦猶是也 且半舌之ㄹ 當用於諺 而不可用於文 如入聲之彆字 終聲當用ㄷ 而俗習讀爲ㄹ 盖ㄷ變而爲輕也 若用ㄹ爲彆之終 則其聲舒緩 不爲入也 ( 終聲解 ) 2.2) ㅇ 표기와관련한문제이것은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및해섭 ( 蟹攝 ) 의운미표기와관련있는문제인데, 이것은이미 (14) 에서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다시언급할필요가없다.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33 2.3) ㅱ 표기와관련한문제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의운미표기와관련한문제는 노걸대박통사범례 에서확인할수있다. (16) 이그것이다. 곧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에속하는 蕭, 爻, 尤 운 ( 韻 ) 의평상거성은모두 ㅱ 으로종성을삼는다는것이다. 중국한자음의경우, 蕭, 爻, 尤 운 ( 韻 ) 의종성자리에 ㅱ 을표기하는것은당연하다. 그까닭은 ㅱ 이운미 -w 를드러내주기때문이다. 그러나한국한자음의경우는그렇지않다. 왜냐하면한국한자음의경우, 운미 -w 는이미중성에포함되어있으므로, 그것을표기할필요가없다. 따라서 동국정운 의 虯 와 홍무정운역훈 의 虯 의 ㅱ 은글자의꼴은같으나, 문자로서의기능은전혀다르다. 그리고 蕭, 爻, 尤 의운미 ㅱ 를속음에서는 ㅗ, ㅜ 로적고있는데, ( 調 ) 를, ( 愁 ) 를, ( 着 ) 를 죠 또는 라고표기한것이그것이다. 이렇게다르게적는까닭은 ㅱ 의소리값이본래는 ㅗ, ㅜ 가아닌데, 그것을속음에서 ㅗ, ㅜ 와같이발음하기때문이다. (16) 에서그것을확인할수있다. (16) 蒙古韻內蕭爻尤等平上去三聲各韻及藥韻皆用ㅱ爲終聲故通攷亦從蒙韻於蕭爻尤等平上去三聲各韻以ㅱ爲終聲而唯藥韻則以ㅸ爲終聲俗呼藥韻諸字槩與蕭爻同韻則蒙韻制字亦不差謬而通攷以ㅸ爲終聲者殊不可曉也今之反譯調 爲 愁 爲 着 爲죠 作 爲조 者ㅱ本非ㅜㅗㅸ本非ㅗㅛ之聲而蕭爻韻之ㅱ呼如ㅜ尤韻之ㅱ呼如ㅜ藥韻之ㅸ呼如ㅗㅛ故以ㅱㅸ爲終聲字今亦各依本韻之呼飜爲ㅗㅛㅗ而書之以便初學之習焉 ( 老乞大朴通事凡例 ) 2.4) ㆆ 표기와관련한문제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입성표기와관련한문제는 훈민정음 ( 해례본 ) 종성해, 동국정운 서 ( 序 ), 노걸대박통사범례 등에서확인할수있다. 산섭 ( 山攝 ) 의입성운 ( 入聲韻 ) 인 彆 의당시현실한자음은 질 이다. 그런데이것은입성이될수없으므로, 동국정운 에서는 로교정하였

34 人文科學 第 96 輯 다. 이것을 이영보래 ( 以影補來 ) 라고한다. 곧 ㆆ ( 影母 ) 로써 ㄹ ( 來母 ) 를보충하여, 입성으로되돌린다는것이다. 따라서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입성운에 ᇙ 을표기한것은 동국정운 에서비롯한다. 그러나이경우 ㆆ 이구체적인소리값 [ 音價 ] 을가진것은아니다. 以影補來 란다만 ㄹ 에 ㆆ 을더하여입성을만드는것이니, 이경우의 ㆆ 은일종의기호, 곧입성을만드는기호로서의기능만가진다고할수있다. (17ㄱ, ㄴ ) 에서그것을확인할수있다. 중국한자음의경우는사정이이와다르다. 彆 의 홍무정운역훈 정음 ( 正音 ) 표기는 이고, 속음 ( 俗音 ) 표기는 인데, 이것은입성운미 -t 가 -ʔ 으로바뀐것을표기에반영한것이아니다. 당시중국북방음 ( 北方音 ) 의입성운 ( 入聲韻 ) 은이미 -k, -t, -p 가구별되지않았다. (17ㄷ) 에서 입성운의종성은지금의남음 ( 南音 ) 은너무분명한것이흠이고, 북음 ( 北音 ) 은너무느슨한것이문제다. 몽고운략 ( 蒙古韻略 ) 또한북음을따르기때문에, 종성을쓰지않는다. 황공소 ( 黃公紹 ) 의 고금운회 ( 古今韻會 ) 에서, 입성의경우, 마치질운 ( 質韻 ) 의 䫻, 卒 등의글자를옥운 ( 屋韻 ) 의 掬 자모( 字母 ) 에귀속시키고, 합운 ( 合韻 ) 의 閤, 榼 등의글자를갈운 ( 葛韻 ) 의 葛 자모에귀속시키는따위와같이, 아음, 설음, 순음을뒤섞어구별하지않는데, 이또한종성을쓰지않는다. 라고한데서확인할수있다. 따라서속음의입성운에 ㆆ 을표기한것은그것이본래입성운이었음을드러내기위한일종의기호로쓰인것이라할수있다. (17ㄷ) 의 또지금의속음은비록종성을쓰지않지만, 평성, 상성, 거성의느즈러지는 [ 緩弛 ] 데까지는이르지않게하였다. 그러므로속음의종성은여러운에후음의전청 ㆆ 을썼다. 라고한부분에서그것을확인할수있다. (17) ㄱ. 且半舌之ㄹ 當用於諺 而不可用於文 如入聲之彆字 終聲當用ㄷ 而俗習讀爲ㄹ 盖ㄷ變而爲輕也 若用ㄹ爲彆之終 則其聲舒緩 不爲入也 ( 終聲解 ) ㄴ. 語音則四聲甚明字音則上去無別質勿諸韻宜端母爲終聲而俗用來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35 母其聲徐緩不宜入聲此四聲之變也... 又於質勿諸韻以影補來因俗歸正舊習譌謬至是而悉革矣 ( 東國正韻 序 ) ㄷ. 入聲諸韻終聲今南音傷於太白北音流於緩弛蒙古韻亦因北音故不用終聲黃公紹韻會入聲如以質韻䫻卒等字屬屋韻掬字母以合韻閤榼等字屬葛韻葛字母之類牙舌脣之音混而不別是亦不用終聲也平上去入四聲雖有淸濁緩急之異而其有終聲則固未嘗不同況入聲之所以爲入聲者以其牙舌脣之全淸爲終聲而促急也其尤不可不用終聲也明矣本韻之作倂同析異而入聲諸韻牙舌脣終聲皆別而不雜今以ㄱㄷㅂ爲終聲然直呼以ㄱㄷㅂ則又似所謂南音但微用而急終之不至太白可也且今俗音雖不用終聲而不至如平上去之緩弛故俗音終聲於諸韻用喉音全淸藥韻用脣輕全淸以別之 ( 四聲通攷凡例 ) 2.5) ㅸ 표기와관련한문제탕섭 ( 宕攝 ) 의약운 ( 藥韻 ) 표기와관련한문제는 노걸대박통사범례 에서확인할수있다. 곧약운 ( 藥韻 ) 의종성을 ㅸ 으로표기한것은약운 ( 藥韻 ) 에속하는글자들의속음종성이이미효섭 ( 效攝 ) 에속하는 蕭, 爻 운 ( 韻 ) 과같기때문이라는것이다. 그리고 着 의 를 죠 또는 라고표기한것은 ㅸ 은본래 ㅗ, ㅛ 가아닌데, 藥 韻의 ㅸ 을 ㅗ, ㅛ 와같이발음하기때문에그렇게표기한것이라는것이다. 이것은어느정도운미의현실을표기에반영한것이라고할수있다. 2.6) ㅿ 표기와관련한문제지섭 ( 止攝 ) 의치음 ( 齒音 ) 성모 ( 聲母 ) 를가진한자음표기문제와관련해서는 노걸대박통사범례 의 支紙寘三韻內齒音字 조 ( 條 ) 에서확인할수있다. 곧 사성통고 ( 四聲通攷 ) 의 자( 貲 ) 자( 字 ) 의음 ( 音 ) 은 즈 인데, 주 ( 註 ) 에서이르기를속음 ( 俗音 ) 을 이라하였다. 운 ( 韻 ) 안의치음 ( 齒音 ) 의여러글자들은입 ( 口 ) 과혀 ( 舌 ) 가바뀌지않으므로, ㅿ 으로종성 ( 終聲 ) 을삼는다. 그런뒤라야그묘함을다할수있다. 11) 라고한것이그것이다.

36 人文科學 第 96 輯 (18) 支紙寘三韻內齒音字通攷貲字音즈註云俗音 韻內齒音諸字口舌不變故以ㅿ爲終聲然後可盡其妙今按齒音諸字若從通攷加ㅿ爲字則恐初學難於作音故今之反譯皆去ㅿ聲而又恐其直從去ㅿ之聲則必不合於時音今書正音加ㅿ之字於右庶使學者必從正音用ㅿ作聲然後可合於時音矣通攷凡例云ㅡ則ㅡ之間今見漢俗於齒音著ㅡ諸字例皆長於用爲聲故今之反譯亦皆用作字然亦要叅用ㅡ之間讀之庶合時音矣 ( 老乞大朴通事凡例 ) 위에서항목별로살핀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관련문제를정리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세종이창제한훈민정음은우리말은물론, 현실한자음과그것을교정한 동국정운 한자음, 그리고 홍무정운역훈 따위에서확인되는중국한자음등을표기하는데쓰였다. 그런데훈민정음낱낱의글자들은, 경우에따라또는표기대상에따라, 그것의문자로서의기능을달리경우가있다. 이를테면, 유섭 ( 流攝 ) 에속하는 虯 의 동국정운 표기는 이고, 홍무정운역훈 표기는 인데, 동일한한자의음을표기한두문헌에서의, ㅱ 의문자로서의기능은서로다르다. 곧 의 ㅱ 은음운론적인기능이전혀없다. 곧소리값 ( 音價 ) 도없고, 따라서종성으로서의기능도하지않는다. 운미 -w 가이미중성 ( 中聲 ) ㅠ 에녹아들어가있기때문이다. 이와같은사실은효섭 ( 效攝 ) 이나유섭 ( 流攝 ) 으로끝나는한자말뒤에토씨나잡음씨의줄기가이어날때, 그자리에실현되는변이형태 ( 變異形態 ) 의꼴로도확인할수있다. 곧그자리에는토씨의변이형태인 ㅣ, 를, 는 따위와잡음씨의줄기의변이형태인 ㅣ 가실현되기때문이다. 이경우 ㅣ 는독립적인음절을이루지못하고, 앞음절의중성 11) 이것은 노걸대박통사범례 의 支紙寘三韻內齒音字 조 ( 條 ) 에서따온것이다. 通攷貲字音즈註云俗音 韻內齒音諸字口舌不變故以ㅿ爲終聲然後可盡其妙今按齒音諸字若從通攷加ㅿ爲字則恐初學難於作音故今之反譯皆去ㅿ聲而又恐其直從去ㅿ之聲則必不合於時音今書正音加ㅿ之字於右庶使學者必從正音用ㅿ作聲然後可合於時音矣通攷凡例云ㅡ則ㅡ之間今見漢俗於齒音著ㅡ諸字例皆長於用爲聲故今之反譯亦皆用作字然亦要叅用ㅡ之間讀之庶合時音矣.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37 과결합하여, 새로운한음절을이룬다. 다시말하면, 앞음절의중성과결합하여, 내림의두겹홀소리 ( 下向二重母音 ) 나세겹홀소리 ( 下向三重母音 ) 가되어, 새로운음절을만들거나, 음절의유형을바꾸기도한다. (19) 에서그것을확인할수있다. (19) 三삼十 씹二 相 八 十 씹種 : 好 : ㅣ 더시니 ( 석보상절 6:17 ㄴ ) 穆 목王 열찻 己 : 긩丑 : ㅣ라 ( 석보상절 6:41 ㄴ ) 頃 : 은온畝 : ㅣ니 畝 : ㅣ二 百 마 步 뽕ㅣ라 ( 석보상절 6:25 ㄴ ) 號 給 급孤공獨 똑이라 더라 ( 석보상절 6:13 ㄱ ) 敎 授 는 쳐심길씨라 ( 석보상절 6:46 ㄴ ) 네가짓受 : 苦 : 콩 生 과老 : 와病 과死 : 왜라 ( 석보상절 6:4 ㄱ ) 그러므로이경우의 ㅱ 은다른기능을가질수밖에없는데, 이것은해당한자음이 ㅱ 으로표기되는경우, 이것은본래 -w 운미를가진효섭 ( 效攝 ) 이나유섭 ( 流攝 ) 의글자라는사실을드러내주거나, 아니면한음절을적는글자는초중종성을갖추어야하는데, 그것을글자의꼴로확인시키기위한하나의표지 ( 標識 ) 로서의기능을한다고할수있다. 그러나 홍무정운역훈 의 의 ㅱ 은 의 ㅱ 과는전혀다르다. 이경우의 ㅱ 은중국한자음의운미 -w 에대응한다. 따라서이것은음운론적인기능을가진다. 따라서이경우의 ㅱ 은음절의종성을표기한것이아니라, 중국한자음의운미를표기한것이라해야한다. 우리는이와비슷한사실을이미 ㄲ, ㄸ, ㅃ, ㅆ, ㅉ, ㆅ 등각자병서 ( 各字並書 ) 에서확인한적이있다. 곧이것은우리말을표기할때와중국한자음을표기할때는그소리값이분명히다르다. 또지섭 ( 止攝 ) 에속하는 慈 의 동국정운 표기 와해섭 ( 蟹攝 ) 에속하는 快 의 동국정운 표기 쾡 의 ㅇ 도이와흡사하다. 곧이경우의 ㅇ 도음운론적인기능이전혀없다. 이것역시종성의자리에 ㅇ 이

38 人文科學 第 96 輯 표기되어있는경우, 그글자가지섭 ( 止攝 ) 이나해섭 ( 蟹攝 ) 에속한다는사실을드러내주거나, 한음절을적는글자는반드시초중종성을갖추어야한다는사실을드러내줄뿐이다. (20) 에서그것을확인할수있다. (20) 羅랑睺 羅랑ㅣ得 득道 : 야도라가 ( 석보상절 6:1 ㄴ ) 穆 목王 여슷찻 乙 酉 : 융ㅣ라 ( 석보상절 6:1 ㄱ ) 穆 목王 여듧찻 丁 亥 : 라 ( 석보상절 6:40 ㄱ ) 耶양輸슝陁땅羅랑 달애야 ( 석보상절 6:1 ㄴ ) 아랫恩 惠 니저 리샤길 사 과 티녀기시니 ( 석보상절 6:4 ㄴ ) 네가짓受 : 苦 : 콩 生 과老 : 와病 과死 : 왜라 ( 석보상절 6:4 ㄱ ) 세德 득은法 법身신과般반若 : 와解 : 脫 왜라 ( 석보상절 6:29 ㄱ ) 진섭 ( 臻攝 ) 이나산섭 ( 山攝 ) 의입성 ( 入聲 ) 을표기하는 의 ㆆ 도이와비슷하다. 예를들면, -t 운미를가진 彆, 戌 따위는 홍무정운역훈 에는 볃, 따위로표기되어있지만, 동국정운 에는, 이라표기되어있다. 이경우 ᇙ 의 ㆆ 은음운론적인기능이전혀없다. 이것역시종성의자리에 ᇙ 이라표기되어있는글자는그것이입성에속하는글자라는사실을드러내줄뿐이다. (21) 에서그와같은사실을확인할수있다. (21) 세德 득은法 법身신과般반若 : 와解 : 脫 왜라 ( 석보상절 6:29 ㄱ ) 못과곳과果 : 광實 왜다 초잇더니 ( 석보상절 6:31 ㄴ ) 須達이와舍 샹利 링弗 왜精 舍 샹 짓더니 ( 석보상절 6:35 ㄱ ) 나모와곳과果 : 광實 와 祇낑陁땅 뒷논거시니 ( 석보상절 6:40 ㄱ ) 舍 샹利 링弗 옷聰총明 고神씬足 죡이가 니 ( 석보상절 6:22 ㄴ ) 그리고중국한자음표기에서도위와같은사실을확인할수있다. 곧 (10ㄱ) 의 祇낑/ 끼, 地 띵 / 띠, 波붱 / 붜, 遮 /, 訶헝 / 허, 羅렁 / 러, 若 : / 따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39 위에서확인할수있는 석보상절 ( 권21) 다라니의한자음표기에쓰인 ㅇ 은 동국정운 의지섭 ( 止攝 ) 과해섭 ( 蟹攝 ) 따위의한자음표기에서확인되는 ㅇ 과마찬가지이다. (12ㅊ) 의 寺 /, 子 : /, 四 /, 使 /, 市 /, 時 /:, 知 / 지, 世 / 시, 二 / 의정음표기에서확인할수있는 寺, 子 :, 四, 使, 市, 時, 知, 世, 二 의 ㅿ 도그소리값이무엇인지를밝히기는어렵다. 노걸대박통사범례 에서 通攷貲字音즈註云俗音 韻內齒音諸字口舌不變故以ㅿ爲終聲然後可盡其妙... 今書正音加ㅿ之字於右庶使學者必從正音用ㅿ作聲然後可合於時音矣 라고한것은일정한소리값을드러낸것이아니라, 정음과달라진속음의특징을드러내는한방법이라보는것이좋을것이다. 입성표기의 ㆆ 과탕섭 ( 宕攝 ) 의약운 ( 藥韻 ) 표기에쓰이는 ㅸ 은입성운 ( 入聲韻 ) 을표기하기위한것이기는하지만, 반드시일정한운미에대응한다고할수는없을것같다. 언어사실은이미입성이없어져서, 본래입성이아닌다른것들과구별이되지않기때문이다. 따라서 ㆆ 은이미없어진입성운미를가진글자들과본래다른운미를가진것을구별하기위한기호에지나지않는다. 따라서이것은음운론적인기능이없다. 약운 ( 藥韻 ) 표기에쓰인 ㅸ 역시 -k 가 -w 로바뀐것을표기하기위한것이기는하지만, ㅸ 본래의소리값과는상당한거리가있다. 따라서이것또한일정한소리값에대응하는음운론적인기능을가진것이라고보기는어려울것같다. Ⅴ. 맺음말 이제우리는후기중세국어시기의문헌자료곧 훈민정음 ( 해례본 ), 동국정운, 석보상절, 훈민정음 ( 언해본 ), 월인천강지곡, 용비어천

40 人文科學 第 96 輯 가, 육조법보단경언해, 시식권공 (1496), 구급간이방언해, 홍무정운역훈, 석보상절 다라니와 월인석보 다라니의한자음표기, 번역박통사 ( 상 ), 사성통고범례, 노걸대박통사범례 등에서확인할수있는한국의현실한자음과교정한자음, 그리고중국한자음의정음 ( 正音 ) 과속음 ( 俗音 ) 등을표기하고있는훈민정음의문자론적인기능을여러가지면에서자세히검토하였는데, 그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훈민정음은우리말의음운체계와음절짜임새에바탕을두고만든음운글자이면서, 음절을낱덩이로하여우리말을적는소리글자인데, 이것을가지고한자음을표기한경우, 한국한자음의종성이나중국한자음의운미를표기할자리에나타나는몇몇글자는그본래의음운론적인기능과는다른문자로서의기능을갖는경우가있다. 이와같은사실은특히한국의현실한자음을교정한 동국정운 한자음표기와중국한자음의다라니, 또는속음표기에서확인할수있다. ㅇ 은본래욕모 ( 欲母 ) 또는유모 ( 喩母 ) 를적는글자인데, -ø 운미( 韻尾 ) 를가진지섭 ( 止攝 ), 우섭 ( 遇攝 ), 과섭 ( 果攝 ), 가섭 ( 假攝 ) 따위의한자음을표기할때, 그종성자리에이것을표기하기도하는데, 이경우의 ㅇ 은음운적인기능을갖지않는다. 곧이자리에서는소리값 [ 音價 ] 이없다. 한국한자음표기와중국한자음표기모두에서확인된다. 그리고 -j 운미를가진해섭 ( 蟹攝 ) 의한자음을표기할때도, 그종성자리에 ㅇ 를표기하는데, 이경우역시 ㅇ 은음운적인기능을갖지않는다. 동국정운 의한자음표기와 석보상절 의다라니표기가그것이다. ㅱ 은본래미모 ( 微母 ) 를적는글자인데, 운미 -w 를가진효섭 ( 效攝 ) 과유섭 ( 流攝 ) 의교정 ( 矯正 ) 한한국한자음을표기할때, 그종성자리에이글자를표기하기도하는데, 이경우에도 ㅱ 은음운적인기능을갖지않는다. 동국정운 과 월인천강지곡 의표기가그것이다. 그러나중국한자음표기에서는일정한소릿값 [ 音價 ] 이있다. ㆆ 은본래읍모 ( 挹母 ) 또는영모 ( 影母 ) 를적는글자인데, 운미 -t 를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41 가진진섭 ( 臻攝 ) 과산섭 ( 山攝 ) 의한국한자음을표기할때, 그종성자리에 ㄹ 과함께쓰인다. 이른바 이영보래 ( 以影補來 ) 라고하는 이그것이다. 그리고중국한자음의속음 ( 俗音 ) 표기에서는입성운미 -k, -t, -p 를모두 ㆆ 으로표기한다. 그러나이것또한본래의음운론적인기능과는다르다.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홍무정운역훈, 석보상절 과 월인석보 의다라니표기, 번역박통사 ( 상 ) 따위에서확인된다. ㅸ 은본래비모 ( 非母 ) 를적는글자인데, 운미 -k 를가진탕섭 ( 湯攝 ) 의속음 ( 俗音 ) 약운 ( 藥韻 ) 을표기할때, 그종성자리에 ㅸ 을표기하는데, 이경우의 ㅸ 은그소리값이 f 가아니다. 아마도입성 -k 가느즈러져서 ( 弛緩 ) -w 에가깝게된것을표기한것이라고할수있지만, 이것도본래의소리값과는거리가있다. 홍무정운역훈 과 번역박통사 ( 상 ) 에서확인할수있다. ㅿ 은본래양모 ( 穰母 ) 또는일모 ( 日母 ) 를적는글자인데, 지섭 ( 止攝 ) 의치음 ( 齒音 ) 글자를표기하는데, 그종성자리에 ㅿ 이쓰인다. 이또한그본래의소리값인 z 또는 ɲ 과는다를뿐만아니라, 굳이소리값을드러내기위하여쓰인것도아니다. 노걸대박통사범례 자체의설명도그렇게분명하지않을뿐만아니라, 더더욱종성이나운미의소리값을설명한것이라고할수도없다. 홍무정운역훈 과 번역박통사 ( 상 ) 에서확인할수있다. 주제어 후기중세국어시기 ( 後期中世國語時期 ), 훈민정음 ( 訓民正音 ), 한자음표기 ( 漢字音表記 ), 교정한자음 ( 矯正漢字音 ), 중국한자음 ( 中國漢字音 ). [ 참고문헌 ] 최현배, 고친한글갈, 서울 : 정음사, 1961. 안병희, 世語의한글資料에대한綜合的인考察, 奎章閣 3, 서울대학교도서관,

42 人文科學 第 96 輯 1979. 홍윤표, 국어사자료목록 ( 디스켇 ), (2010).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100 대한글문화유산정비사업 (2004 년결과보고서 ), 2004 최영애, 중국어음운학, 서울 : 통나무, 2000. 허웅, 국어음운학 - 우리말소리의오늘ㆍ어제 -, 서울 : 샘문화사, 1985. 임용기, 세종및집현전학자들의음운이론과훈민정음, 한국어학 41, 한국어학회, 2008. 임용기, 초성, 중성, 종성의자질과훈민정음, 국어학 57, 국어학회, 2010. 임용기, 후기중세국어문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문제, 동아시아시대의한국어ㆍ한국문화연구의동향과전망 ( 제 2 회한 일한국언어문화국제학술회의발표요지 ), 연세대국어국문학과 BK 사업단ㆍ동경외국어대학, 2011.2. 伊藤英人, 조선시대近世中國語 飜譯 에대한고찰및그전망, 동아시아시대의한국어ㆍ한국문화연구의동향과전망 ( 제 2 회한 일한국언어문화국제학술회의발표요지 ), 연세대국어국문학과 BK 사업단ㆍ동경외국어대학, 2011.2. 郭錫良編著, 漢字古音手冊 ( 增訂本 ), 北京 : 商務印書館, 2010. 訓民正音 ( 影印本, 한글의起源 수록 ), 서울 : 通文館, 1957. 龍飛御天歌 ( 影印本, 奎章閣叢書第四ㆍ第五 ), 京城 : 京城帝國大學法文學部, 1938. 釋譜詳節 ( 第 6) ( 影印本, 國立中央圖書館所藏本 ) 釋譜詳節 ( 第 21) ( 複寫本, 湖巖美術館所藏本 ) 月印千江之曲 ( 上 ) ( 影印本, 國語學 第 1 輯 ), 서울 : 通文館, 1962. 月印釋譜 ( 권 1 ㆍ 2) ( 影印本, 國學資料第 1 輯 ), 서울 : 西江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1972. 月印釋譜 ( 권 9 ㆍ 10) ( 影印本, 國故叢刊第六 ), 서울 : 延禧大學校東方學硏究所, 1956. 月印釋譜 ( 권 19) ( 複寫本, 伽倻大學校博物館所藏本 ) 月印釋譜 ( 권 21) ( 影印本 ), 서울 : 弘文閣, 1983. 六祖法鞴壇經諺解 ( 上 ) ( 影印本 ), 서울 : 弘文閣, 1979. 六祖法鞴壇經諺解 ( 中 ) ( 影印本 ), 인천 : 仁荷大學校出版部, 1976. 六祖法鞴壇經諺解 ( 下 ) ( 影印本 ), 서울 : 弘文閣, 2000. 眞言勸供ㆍ三壇施食文諺解 ( 國學資料叢書第 2 輯 ), 서울 : 明知大學出版部, 1978. 救急簡易方諺解 ( 卷之一ㆍ二 ) ( 東洋學叢書第 9 輯 ), 서울 : 檀國大學校出版部, 1982. 飜譯老乞大 ( 上 ) 影印本 ), 서울 : 中央大學校出版局, 1972. 飜譯老乞大 ( 下 ) ( 影印本 ), 인천 : 仁荷大學校出版部, 1975.

훈민정음의한자음표기와관련한몇가지문제 43 飜譯朴通事 ( 上 ) ( 複寫本, 國會圖書館所藏本 ) 飜譯朴通事 ( 上 ) ( 影印本, 國語國文學資料集第 4 輯 ), 대구 : 慶北大學校大學院國語國文學硏究室 1959. 訓蒙字會 ( 影印本, 東洋學叢書第 1 輯 ), 서울 : 檀國大學校出版部, 1971. 新增類合 ( 東洋學叢書第 2 輯 ), 서울 : 檀國大學校出版部, 1972. 大學諺解ㆍ中庸諺解 ( 影印本, 退溪學硏究叢書第 2 輯 ), 서울 : 博而精出版社, 1994. 東國正韻 ( 影印本 ), 서울 : 建國大學校出版部, 1973. 洪武正韻譯訓 ( 高麗大學校影印叢書第 2 輯 ), 서울 : 高麗大學校出版部, 1974. 新校正切宋本廣韻 ( 林尹校訂 ), 臺北 : 黎明文化事業股份有限公司. 2005. 四聲通解 ( 複寫本, 嶺南大學校中央圖書館所藏本 ) 四聲通解 ( 訓鍊都監字本, 縮刷影印本 ), 서울 : 大提閣, 1974. 華東正音通釋韻考 ( 筆者所藏本 ). 三韻聲彙 ( 筆者所藏本 ). 字典釋要 ( 筆者所藏本 )., 京城 : 匯東書館, 1909. 新字典 (5 판, 筆者所藏本 ), 京城 : 新文館, 1928.

44 人文科學 第 96 輯 Some Problems with Korean Representations of Chinese Characters in Hunminjeongeum Hunminjeongeum is a system of phonetic symbols that reflects the initial, medial and final sounds of Korean syllable structures of the time when it was invented, and it was written syllable by syllable. This writing system varied its function depending on what pronunciations it purported to represent, especially when Chinese characters were concerned. Examples include the revised representations of Chinese characters in Tong kukjeongun, the representations of Chinese pronunciations in Hongmujeongunyeokhun, and the mantric (tarani) representations in Seokbosangjeol and Weolinseokbo, in which a letter that appears as a final sound or at a rhyme-end position ㅇ, ㅱ, ㆆ, ㅸ or ㅿ to name a few functions as a constant writing unit, irrespective of its original sound value. Key words the Ages of the later Middle Korean, Hunminjeongeum, Korean representations of Chinese characters, revised Korean representations of Chinese characters, the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논문접수일 : 2012.06.28 / 논문심사일 : 2012.08.21 / 게재확정일 : 2012.09.07 [ 저자연락처 ] limyk@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