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회지제21 권, 제2 호, 2010년 6월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 21, No. 2, 242-251, June, 2010 낙동강유역주민들의간흡충감염에영향을주는 개인요인및지역요인분석 황성호 1 2 3 4 5 박재용 한창현 송연이 박경순 경북대학교대학원보건학과박사과정 1, 교수 2, 경산1대학병원의료행정과교수 3, 충청대학간호학과조교수 4, 문경대학간호학과교수 5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of Clonorchiasis Infection among the Inhabitants in the Nakdong Riverside Area Hwang, Seong Ho 1 Park, Jae Yong 2 Han, Chang Hyun 3 Song, Yeon Yi 4 Park, Kyung Soon 5 1 Doctoral Student, 2 Professor, Depa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 Professor, Department of Hospital & Health Care Administration Gyeongsan 1st College, 4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ungCheong University, 5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MunKyung Colleg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of C. sinensis infection among the residents in vicinity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infection status of fishes in the stream with C. sinensis maetacercaria. Methods: Selected five regions of the Nakdong River and collected freshwater fishes from the stream to examine their metacercarial infections; and studied the status and causes of C. sinensis infection in 552 residents living within 5 kilometers from the river. Results: Among the 552 residents studied, 13.8% were infected with C. sinensis, and among 379 freshwater fishes of 20 species collected from the five regions, 41 fishes of 8 species were infected with C. sinensis metacercaria.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human C. sinensis infection and transition to chronic liver ions, we need to develop and apply good programs such as continuous health education, personal hygiene improvement, active medical treatment for those infected with C. sinensis, and residents voluntarily stop of eating freshwater fishes in the raw state. Key Words: Clonorchis sinensis, Clonorchiasis, River 1. 연구의필요성 서 론 간흡충증(Clonorchiasis) 은간흡충피낭유충제2 중간숙 주에감염된참붕어, 붕어, 잉어, 모래무지, 몰개, 중고기와 같은물고기를생식하거나간흡충피낭유충이불충분하게 조리된어육과함께섭취되어이루어지는인수공통질환이 다. 섭취된피낭유충은십이지장에서탈낭하고간내 2차담 관에서발육, 성장하여 1개월이면산란하며성충의평균생 존기간은약 20~25 년으로, 소수가기생하는경우에는별 증상이나타나지않으나다수가기생하면간비대, 복수, 황 달, 빈혈등을일으키고때로는기생성간경변증을일으키 는수도있으며전신쇠약으로사망할수도있다. 또한장기 간감염시담관염, 담석증, 췌장염및담관암종으로발전하 여치명적일수있다 (Cho, Chu, Rim, & Hwang, 2002). 주요어 : 간흡충, 간흡충증, 강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Hwang, Sung Ho, Primary Health Practitioner, Yangseo Primary Health Care Post, 570-1 Yangseo-ri, Dain-myeon, Uiseong 769-973, Korea. Tel: 82-54-861-4386, Fax: 82-54-861-4368, E-mail: djjy1@hanmail.net - 본연구에서간흡충감염과관련된내용은질병관리본부학술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한결과임 ( 과제번호: 2008-E00409-00). - The parts of this study related to C. sinensis were supported by a grant of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enter and Prevention (Serial Number: 2008-E00409-00). 투고일 2010년 4월 24 일 / 수정일 2010년 6월 21 일 / 게재확정일 2010년 6월 22일 242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낙동강유역주민들의간흡충감염에영향을주는개인요인및지역요인분석 간흡충은민물고기를생식하는식습관이있는한국을포 함한중국, 대만, 일본등극동아시아에널리퍼져있으며 (Moller, Heseltine, & Vainio, 1995) 오늘날우리나라에서 가장중요한연충(helminth) 으로자리잡았다. 한국건강관 리협회와질병관리본부가 1971년제 1차조사를시작으로 5~7년주기로현재까지총 7차례의전국장내기생충감염 실태를파악한결과, 토양매개성연충은감염률이급속히 감소하여거의문제가되고있지않을정도가되었지만간 흡충감염률은 1.4~4.6% 사이로큰변화가없는실정이며 2004년조사에서는감염률은 2.9%, 양성자수가 135만여명 으로추정되어간흡충증관리에가장중점을두어야한다고 밝혔다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2005). 간흡충감염은민물고기를제 2 중간숙주로하는감염경 로의특성상하천을중심으로감염률이높게나타나는경 향이있다. 하천유역과강변주민에대한간흡충감염실태 연구에서전남보성강유역주민의간흡충란양성률이 7.1% 로조사되었고(Soh, Lee, & Min, 1976), 전국의하천 변 6Km 내거주민 13,373명의간흡충란양성률은 21.5% 로 조사되었으며강별로는낙동강 40.2%, 영산강 30.8%, 섬진 강 17.3%, 한강 15.7%, 탐진강 15.9%, 금강 12.0%, 만경강 8.0% 순으로우리나라의주요강유역을중심으로높은감 염률이유지되고있다 (Seo, Lee, Cho, Choi, & Hong, 1981; Song, Lee, & Rim, 1983). 낙동강유역의감염률은예천지 역 26.5% ( 본류 34.7%, 지류 21.8%), 상주지역 27.2%( 본류 54.8%, 지류 6.3%) 로조사되었고김해지방의감염률은강 변지역 40.7%, 내륙지역 45.3% (Lee et al., 1994), 낙동강 하구밀양지역거주민의감염률은 8.2% (Back, Kim, Gwak, & Jung, 1997) 로, 낙동강지류인남강유역에위치한 경상남도함양군주민의감염률은 16% 로조사되었다(Kim, Ock, Kim, & Yeo, 2002). 낙동강유역은과거에비해점차 감염률이감소하는경향을보이고있으나여전히전국적 으로감염률이가장높은지역중의하나로주민들의건강 상의위험이지속적으로우려되는상황이므로간흡충감 염예방과관리를위해서는추가적인연구가필요한실정 이다. 유행지에서흡충류의유행도를알아보는직접적인방법 으로는종숙주( 인체및보유숙주) 에서의성충감염률및 감염량을파악하는것이고간접적인방법으로는중간숙주 에서의유충감염상을파악하는것이다(Sohn, 2002). 따라 서민물고기의간흡충피낭유충감염률및감염밀도는인간 의간흡충감염정도를객관적으로나타내는중요한역학적 지표가된다. 간흡충제 2중간숙주로는 60여종의담수어가 알려져있으나우리나라에있어서는대부분이잉어과 (Family Cyprinidae ) 에속하는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납지리 (Acheilognathus limbata), 중고기(Sarcocheilichthys sinensis),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긴몰개(Gnatho- pogon coreanus), 돌고기(Puntungi herzi) 등 36종의담수 어가보고되었으며이중에서특히참붕어가가장빈번하 게감염되어간흡충의중간숙주로서가장적합한종으로 알려졌다 (Kim et al., 2008). 간흡충감염에관한선행연구는인체의간흡충감염실태 와물고기의간흡충피낭유충기생상태를주제로각각조 사되었지만이두가지지표를동시에조사하고관련성을 연구한사례는거의없다. 따라서저자는간흡충감염률이 높은낙동강유역주민의간흡충감염률에영향을미치는 요인들을분석하여효과적인간흡충증관리방안마련을위 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본연구를시도하였다. 2. 연구목적 낙동강유역주민들의간흡충감염에영향을미치는요 인과서식물고기의간흡충피낭유충기생상태의관련성을 분석하여향후, 과학적이고체계적인간흡충증관리와학 술적연구를위한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하며이를위한 구체적목표는다음과같다. 대상자의일반적특성, 건강행태, 민물고기식습관에 따른간흡충란양성률을조사한다. 서식물고기의간흡충피낭유충감염률과감염밀도를 지역별, 어종별로조사한다. 간흡충란양성률과물고기의피낭유충감염률과의관 련성을분석한다. 1. 조사지역및조사대상 연구방법 이연구는 2008년 12월 16일부터 2009년 6월 16일까지 질병관리본부의의뢰를받아한국농촌간호학회가실시한 학술연구용역사업 5대강유역간흡충고위험군의표본 실태조사및관리프로그램개발에서저자가참여한낙동 Vol. 21, No. 2, 2010 243
황성호 박재용 한창현등 강지역의조사자료를용역주관부서와용역시행단체로 부터자료이용에관한동의를얻어활용하였고추가로해 당지역에서식하는물고기를직접채집하여간흡충피낭유 충기생상태를검사한자료를바탕으로하였다. 조사지역은낙동강상류지역에위치한신성보건진료소 ( 안동시풍천면), 양서보건진료소( 의성군다인면), 오룡, 율곡보건진료소( 문경시영순면), 중류지역에위치한도흥 보건진료소( 성주군선남면), 고봉보건진료소( 달성군구지 면) 5개면 6개보건진료소관할지역이었으며조사대상은 조사지역주민중에서낙동강본류에서 5 km 이내에거주 하는주민으로한정하였다. 2. 조사및검사방법 1) 간흡충감염실태조사 간흡충감염실태를조사하기위해서 2008년 12월 16일 부터 2009년 1월 10일까지기생충검사에동의한주민의대 변을수집하였고수집한대변은해당보건진료소에서질병 관리본부로직접발송하여 2009년 1월 5일부터 2월 9일까 지질병관리본부말라리아기생충팀에서포르말린-에테르 원심침전법으로대변충란검사를실시하였다. 였다. 이중, 설문에응한주민은 571 명, 대변기생충검사를 실시한주민은 578명이었으나설문과대변검사를모두마 친주민은 552 명(95.5%) 으로이들을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3) 간흡충피낭유충기생상태검사 5 개조사지역에주로서식하고있는민물고기의간흡충 피낭유충기생상태검사를위해서물고기의활동이왕성한 2009년 8월 30일부터 10월 25일까지지역별로하루씩투망 으로물고기를채집하여경상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기생 충학교실로냉장운반하였다. 실험실로운반된물고기를각개체별로길이및무게를 계측하고절구로마쇄한다음인공소화액(pepsin-HCl 용 액) 으로 36oC 배양기에서약 2 시간동안소화시켰다. 소화 된내용물을채 (1 1 mm mesh) 로거른후침전시키고상 층액을버렸으며상층액이맑아질때까지생리식염수를보 충해주면서이조작을반복하였다. 상층액이맑아졌을때 입체해부현미경하에서간흡충피낭유충을분리수집하여 감염률및감염밀도를파악하였다. 3. 자료분석 2) 설문조사 설문조사는 2008년 12월 16일부터 2009년 1월 10일까지 대변충란검사를희망한대상자에게채변통을배부하기전 설문방법에대해사전교육을받은조사자와응답자가면 대면면접방식으로실시하였다. 설문지는농촌간호학회 소속된간호학박사 3인의지도를받아일반적특성 5 개문항, 국민건강영양조사제4 기건강설문조사표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를참조한흡연, 음 주 8 개문항, Park (2006) 과 Joo 등(2005) 의연구를참조한 민물고기섭취특성등에관한내용 13 문항, 총 26개문항으 로구성하였다. 그러나본연구에서는일반적특성 5개문 항과선행연구에서간흡충감염에유의한변수로밝혀진 건강행태 3 개문항( 흡연, 음주), 민물고기섭취특성 2개문 항, 총 10개문항을의학박사 1인과간호학박사 2인에게내 용타당성을검토를받은후선별하여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에게는헬싱키선언에근거하여연구의목적 과방법, 절차, 설문의목적과내용, 검사를통해예견되는 이익과문제점등에대해자세히설명한후검사및설문조 사참가동의서를받고설문과대변기생충검사를실시하 본연구를위해수집된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 을이용하여통계처리하였고분석내용은다음과같다. 대 상자의일반적특성, 건강행태, 민물고기섭취유무에따른 간흡충감염률은빈도분석을하였고통계적검정은 x 2 test 를실시하였으며, 간흡충란양성자의지역별 EPG는성별에 따라평균과표준편차를구하였고통계적검정은 t-test를실 시하였으며, 서식어류의간흡충피낭유충감염률은빈도분 석을실시하였다. 그리고지역주민의간흡충감염률과서식 어류의간흡충피낭유충감염률과의관계는피어슨상관계 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로검정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일반적특성및간흡충란양성률 5 개조사지역에서설문조사와대변기생충검사를모두 마친전체대상자는 552 명이었다. 성별로는남자 253명 (45.8%), 여자 299 명(54.2%), 연령별로는 65세미만 237명 24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낙동강유역주민들의간흡충감염에영향을주는개인요인및지역요인분석 (42.9%), 65세이상 315 명(57.1%), 거주기간은 10년미만 15 명(2.7%), 10년이상 537 명(97.3), 직업은농업 482명 (87.3%), 기타 70 명(12.7%), 거주지역은안동지역 94명 (17.0%), 의성지역 121 명(21.9%), 문경지역 118 명(21.4%), 성주지역 90 명(16.3%), 달성지역 129 명(23.4%) 의분포로 나타났다. 대변충란검사결과조사대상자 552명중 76명이간흡충 에감염되어 13.8% 의간흡충란양성률을보였다. 성별감 염률은남자 19.8%, 여자 8.7% 로유의한차이를보였고 (p<.01) 연령별로는 65세이상 13.3%, 65세미만 14.3% 로 65 세미만의양성률이다소높았다. 대상자의거주기간은 10년이상이 537 명, 10년미만이 15명으로주민대다수가 10년이상거주한토착민이었고 10년이상거주자의양성 률은 13.4%, 10년미만은 26.7% 였다. 직업은농업종사자가 482 명, 농업외기타직업종사자 가 70명으로대부분농업에종사하였고양성률은농업종사 자가 13.5%, 기타직업종사자가 15.7% 로나타났다. 여자 그룹은기타직업종사자의양성률이 16.0%, 농업종사자 의감염률 7.2% 에비해상대적으로매우높았고통계적으 로도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5). 전체응답자의거주지역별양성률은안동시풍천면이 24.5% 로가장높았고의성군다인면 19.0%, 문경시영순면 16.1%, 달성군구지면 6.2%, 성주군선남면 3.3% 순으로 유의한차이가있었으며 (p<.01) 남자, 여자그룹에서도각 각유의한차이를보였다 (p<.05). 담배는피운적없다고응답한대상자의양성률은 9.2%, 피운다고응답한대상자의양성률은 19.3%, 피우다끊 었다응답한대상자의양성률은 이가있었다 (p<.01). 22.7% 였으며유의한차 음주는음주경험이있다고응답한대상자의양성률이 16.7% 로음주경험이없다고응답한대상자의양성률 8.7% 에비유유의하게높았으며(p<.05), 음주경험자의 음주횟수가주 2회이상이라고응답한주민의양성률 22.3% 도주 2회미만이라고응답한주민의양성률 12.9% 에비해유의하게높았다 (p<.05). 조리한민물고기를먹는다고응답한대상자의양성률은 14.3% 로먹지않는다고응답한대상자의양성률 10.5% 에 비해다소높았으나유의한차이는없었다. 그러나민물고 기생식경험이있는응답자의양성률 15.1% 는생식경험이 없는응답자의양성률.05) (Table 1). 9.3% 에비해유의하게높았다(p< 대변 1g 당간흡충충란수(EPG) 를통해간흡충감염자의 감염강도를비교했을때지역별 EPG (M±SD) 는안동시풍 천면, 362.9±1,242.2 개, 문경시영순면 85.8± 166.5 개, 의 성군다인면 48.8±44.3 개, 달성군구지면 20.4±12.4 개, 성주군선남면 5.7±2.5개순이었으나전체대상자와성별 에따른지역별간흡충란양성자의 EPG는유의한차이가 없었다. 최대치는안동시풍천면 6,000개문경시영순면 720 개, 의성군다인면 154 개, 달성군구지면 48 개, 성주군 선남면 8 개였다. 그러나중위수는의성군다인면 33 개, 문 경시영순면 27 개, 안동시풍천면 24 개, 달성군구지면 17 개, 성주군선남면 6 개의순이었다(Table 2). 2. 채집어류의간흡충피낭유충감염률 5개조사지역에서채집한어종및어류수는안동지역 11 종 56 마리, 의성지역 9종 81 마리, 문경지역 15종 108 마리, 성주지역 12종 71 마리, 달성지역 5종 63마리로총 20종 379 마리였다. 안동, 의성, 문경, 성주, 달성, 5개지역에서채집한어류 의평균길이는각각 10.4 cm, 10.4 cm, 9.9 cm. 11.3 cm, 9.9 cm이었고평균무게는각각 20.8 g, 17.3 g, 24.0 g, 24.6 g, 14.5 g 이었다. 피낭유충에감염된어종과어류수는전체적으로돌고 기, 끄리, 몰개, 참중고기, 피라미, 참마자, 누치, 모래무지 8 종 41마리였고지역별로는안동지역이 4개어종 15 마리, 의 성지역은 5개어종 14 마리, 문경지역은 2개어종 5 마리, 성 주지역은 2개어종 5 마리, 달성지역은 1개어종 2마리가각 각감염되었다. 간흡충피낭유충의어종별감염률은안동지역에서참중 고기(100%), 돌고기(87.5%), 몰개(85.7%) 순이었고의성 지역은돌고기(80.0%), 몰개(46.7%), 누치(20.0%), 문경지 역은돌고기(37.5%), 피라미(10.0%), 성주지역은참중고 기(100%), 모래무지(26.7%) 의순이며, 달성지역은몰개한 종에서만 28.6% 의감염률을보였다. 간흡충피낭유충에감염된어류의피낭유충의수를어체 별평균치로감염정도를비교했을때안동지역에서는돌 고기 245.6 개, 참중고기 98 개, 몰개 16 개, 끄리 1개였고의 성지역은돌고기 2.3 개, 피라미 2 개, 몰개 1.9 개, 참마자 1 개, 누치 1 개, 문경지역은피라미 1.5 개, 돌고기 1 개, 성주지 역은참중고기 4.0 개, 모래무지 1.8 개, 달성지역은몰개 1.5 개로조사되었다 (Table 3). Vol. 21, No. 2, 2010 245
황성호 박재용 한창현등 Table 1. Egg Positive Rates of C. sinensi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ge (year) <65 65 Duration of residence (year) <10 10 Occupation Farmers Others Locality Andong-si Pungcheon-myeon Ui seong-gun Dain-myeon Munkyung-si Youngsoon-myeon Seonju-gun Yongheong-myeon Dalseong-gun Guji-myeon Smoking No Yes Give up smoking Alcohol drinking No Yes Frequence of alcohol drinking 2 times/week <2 times/week Eating cooked freshwater fishes Yes No Experience of eating raw freshwater fishes No Yes Male Female Total No. n (%) No. n (%) No. n (%) 115 138 7 246 233 20 45 47 64 46 51 54 110 89 34 219 121 98 231 22 25 228 21 (18.3) 29 (21.0) 2 (28.6) 48 (19.5) 47 (20.2) 3 (15.0) 15 (33.3)* 11 (23.4) 16 (25.0) 3 (6.5) 5 (9.8) 7 (13.0) 23 (20.9) 20 (22.5) 5 (14.7) 45 (20.5) 28 (23.1) 17 (17.3) 47 (20.3) 3 (13.6) 3 (12.0) 47 (20.6) 122 177 8 291 249 50 49 74 54 44 78 282 9 8 153 146 27 119 245 54 104 195 13 (10.7) 13 (7.3) 2 (25.0) 24 (8.2) 18 (7.2)* 8 (16.0) 8 (16.3)* 12 (16.2) 3 (5.6) 0 (0.0) 3 (3.8) 24 (8.5) 0 (0.0) 2 (25.0) 10 (6.5) 16 (11.0) 5 (18.5) 11 (9.2) 21 (8.6) 5 (9.3) 9 (8.7) 17 (8.7) 237 315 15 537 482 70 94 121 118 90 129 336 119 97 187 365 148 217 476 76 129 423 34 (14.3) 42 (13.3) 4 (26.7) 72 (13.4) 65 (13.5) 11 (15.7) 23 (24.5)** 23 (19.0) 19 (16.1) 3 (3.3) 8 (6.2) 31 (9.2)** 23 (19.3) 22 (22.7) 15 (8.7)* 61 (16.7) 33 (22.3)* 28 (12.9) 68 (14.3) 8 (10.5) 12 (9.3)* 64 (15.1) Total 253 50 (19.8) 299 26 (8.7) 552 76 (13.8)** Egg positive rates (No. positive/no. examined 100) * p<.05, ** p<.01 Table 2. EPG Counts of C. sinensis by the Localities EPG Locality Male Female Total Maximum Median M±SD M±SD M±SD Andong-si Pungcheon-myeon 138.6±214.1 783.5±2109.0 362.9±1,242.2 6,000 24 Uiseong-gun Dain-myeon 53.9±46.4 44.2±41.9 48.8±44.3 154 33 Munkyung-si Youngsoon-myeon 94.5±180.5 39.3±39.3 85.8±166.5 720 27 Seongju-gun Seonnam-myeon 5.7±2.5 0.0±0.0 5.7±2.5 8 6 Dalseong-gun Guji-myeon 16.6±7.1 26.7±18.5 20.4±12.4 48 17 Total 85.7±159.7 269.1±1,169.9 148.4±693.2 6,000 24 24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낙동강유역주민들의간흡충감염에영향을주는개인요인및지역요인분석 채집된어류중문헌고찰을통해서간흡충피낭유충제 2 중간숙주로알려진어류는문경지역 88 마리, 의성지역 81 마리, 달성지역 63 마리, 성주지역 58 마리, 안동지역 49마 리였으며지역별어류의간흡충피낭유충감염률은안동 지역이 30.6% 로가장높았고의성지역이 17.3%, 성주지역 이 8.6%, 문경지역이 5.7%, 달성지역이 3.2% 로가장낮았 다 (Table 4). 조사지역에따른대상자의간흡충란양성률과물고기의 피낭유충감염률은중류에비해서상류가높은경향을보 였고간흡충란양성률과물고기의피낭유충감염률에대한 상관분석결과상관계수는 0.795 로높은양(+) 의상관관계 를나타냈으며 Figure 1 과같이도식화되었다. 논 의 간흡충증은감염경로의특성상하천을중심으로고도유 행지가형성되어있다. 즉제 1 중간숙주인쇠우렁이와제 2 중간숙주인민물고기가서식할수있는하천으로간흡충에 감염된사람이나동물의대변이흘러들어와충란이생활 할수있는환경이갖추어져야한다. Table 3. Infection Status of C. sinensis Metacercaria of Fish Inhabit by the Locality Locality Andong Uiseong Munkyung Seongju Dalseong Species of fish (Korean) Pungtungia herzi ( 돌고기) Opsariichthys uncirostris ( 끄리)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 몰개)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 참중고기) Subtotal Zacco platypus ( 피라미)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 몰개) Hemibarbus longirostris ( 참마자) Hemibarbus labeo ( 누치) Pungtungia herzi ( 돌고기) Subtotal Zacco platypus ( 피라미) Pungtungia herzi ( 돌고기) Subtotal Pseudogobio esocinus ( 모래무지)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 참중고기) Subtotal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 몰개) Subtotal No. of fish examined 8 8 7 1 24 15 15 15 5 5 55 20 8 28 15 1 16 7 7 No. of fish infected (%) 7 (87.5) 1 (12.5) 6 (85.7) 1 (100.0) 15 (62.5) 1 (6.7) 7 (46.7) 1 (6.7) 1 (20.0) 4 (80.0) 14 (25.5) 2 (10.0) 3 (37.5) 5 (17.9) 4 (26.7) 1 (100.0) 5 (31.3) 2 (28.6) 2 (28.6) Total 130 41 (31.5) No. of metacercariae detected Total Range Mean 1,719 1 96 98 2 13 1 1 9 3 3 7 4 40~687 1~1 2~77 98~98 2~2 1~4 1~1 1~1 1~4 1~2 1~1 1~4 4~4 245.6 1.0 16.0 98.0 2.0 1.9 1.0 1.0 2.3 1.5 1.0 1.8 4.0 3 1~2 1.5 Table 4. Egg Positive Rates of C. sinensis in Residents and Infection Rates of C. sinensis Metacercaria among Fish Inhabit by the Locality Locality Egg positive rates of C. sinensis (%) Infection rate of C. sinensis metacercaria No. of fish examined No. of fish infected (%) Andong 24.5 49 15 (30.6) Uiseong 19.0 81 14 (17.3) Munkyeong 16.1 88 5 (5.7) Seongju 3.3 58 5 (8.6) Dalseong 6.2 63 2 (3.2) Examined species are limited to freshwater fishes that are known as 2nd intermediate hosts of C. sinensis. Vol. 21, No. 2, 2010 247
황성호 박재용 한창현등 Figure 1. The correlation by egg positive rate of C. sinensis in residents and fish infection rate of C. sinensis metacercaria in the stream. 경북지역의간흡충감염실태에관한연구에서 Shin (1964) 은경북 6 개시 군 24,252명의감염률을 27.7% 로 Choi, Ahn, Choy와 Kim (1976) 은같은지역 11,710명의감 염률을 19.6% 로, Lee, Ahn 과 Joo (1996) 는경북 4 개시 군 2,542명의감염률을 5.9% 로, Joo, Chung, Kim 과 Kang (1997) 은경북 20 개시 군 11,181명의감염률을 7.7% 로, Kang (1997) 은영천지역주민 1,463명의감염률을 5.6% 로 보고하였다. 낙동강유역의간흡충감염률은 Seo 등(1981) 은낙동강 유역지역주민 4,684명의감염률을 40.2% 로, Hyun과 Joo (1994) 는낙동강상류지역 9 개시 군주민 1,555명의감염 률을 19.4% 로, Lee 등(1994) 은예천과상주지역주민 1,331 명의감염률을 18.0%, 김해지역주민 336명의감염률을 42.0% 로보고하였다. 낙동강중 상류 5개지역을대상으로한본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 552명의간흡충란양성률이 13.8% 로나타나 과거연구에비해서감염률이다소낮아진경향은있지만 아직까지전국평균값을훨씬상회하고있음을알수있었 다. 5 개지역별양성률은안동시풍천면, 의성군다인면, 문 경시영순면, 달성군구지면, 성주군선남면순으로낙동강 상류에위치한안동, 의성, 문경지역주민의간흡충감염률 이중류에위치한성주와달성지역주민에비해크게높았 는데이와같은이유는강의상류에비해서중류의오염이 더심각함으로써민물고기의서식환경이부적합하여물고 기를포획하기어렵다는점과, 상류지역강물은아직까지 깨끗하다믿고아무거부감없이민물고기를생식하는주 민이많다는것이 (Lee et al., 1994) 중요한요인으로생각 된다. 대상자에대한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행태, 민물고기 생식여부와태도등에따른간흡충감염률은남자가여자 에비해서유의하게높았고흡연경험과음주경험그리고 민물고기생식경험이있는대상자의간흡충감염률도유 의하게높게나타나서 Lee (2008) 와 Joo 등(2005) 의연구 와같은결과를보였다. 흡연경험자의감염률이높은것은 간흡충감염률이높은남자의흡연경험률 78.7% 가여자의 흡연경험률이 5.7% 에비해월등히높았기때문이며, 음주 경험자의경우는음주시강변에서쉽게구할수있는민물 생선회를안주로먹은것이큰원인이된것으로생각된다. 한편, 민물고기생식경험이없는대상자의감염률이 9.3% 로나타난것은간흡충의다양한감염경로가있음을 시사한다. 즉간흡충의인체감염은민물생선을날로먹는 것뿐만아니라민물건어물이나젓갈, 오염된칼이나도마, 그릇, 비위생적인민물고기취급, 피낭유충에오염된물등 을통해가능하다는사실을뒷받침해주고있다 (Lee, 2008). 본연구에서전체간흡충란양성자의감염강도 EPG (egg per gram) 는평균 148.4개였고지역별 EPG는낙동강 상류지역에위치한안동시풍천면, 문경시영순면, 의성군 다인면이중류에위치한달성군구지면, 성주군선남면에 비해상대적으로높았고지역별간흡충란양성률분포와 비슷한경향을보였다. 낙동강유역주민에대한간흡충 EPG에대한선행연구에 서 Seo 등(1981) 은 2,520 로, Chung, Kim, Lee와 Choi (1991) 는 3,249 로, Lee 등(1994) 은예천군 4,458, 상주시 2,928 로, Lee 등(1996) 은 1,208로보고하여본연구에서조 사된 EPG 가과거에비해매우낮아졌음을볼수있었다. 이 러한차이는 1964년기생충박멸협회가조직된이후기생 충구제를위한범국가적노력과함께개인의간흡충예방 실천, 감염자의약물치료그리고강물의생태계파괴로인 한간흡충생활사단절이원인으로생각된다. 간흡충제2 중간숙주인간흡충피낭유충감염상조사는 인체및보유숙주에서의성충감염률조사와제 1 중간숙주 에서의유충감염률조사와함께어느한지역에분포하는 248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낙동강유역주민들의간흡충감염에영향을주는개인요인및지역요인분석 기생충의유행도를추정해볼수있는지표로사용되며간 흡충역학에관여하는환경요소즉, 충란을함유한인분의 물오염정도, 패류숙주의유충감염정도등을대략알수 있고나아가사람들이즐겨먹는어종에대한인체감염의 잠재력을미루어짐작할수있다(Sohn, 2002). 따라서본 연구에서는물고기의간흡충피낭유충검사를통해서지역 별로간흡충생활사에필요한수중환경을예측하고지역 주민의간흡충란양성률과물고기간흡충피낭유충기생정 도를객관적으로비교하고자하였다. 5 개조사지역의지리적위치는낙동강상류에위치한안 동시풍천면, 의성군다인면, 문경시영순면은전형적인농 업지역으로오염물질의유입이적은곳이지만중류에위치 한성주군선남면은김천시를지나온감천이합류되고구 미지역에서발생한생활하수가유입되어흐르는지역이며 달성군구지면은대구광역시를통과한금호강이합류되고 달성군의공단지역에서발생한하수가유입되는지역으로 상류에비해오염물질의유입이많은곳이다. 이번조사에서물고기에감염된간흡충피낭유충수는총 8개어종 41마리에서 1,960개가검출되어어체당평균 47.8 개였고안동지역에서채집된어류에서는돌고기 245.6 개, 참중고기 98 개, 몰개 16 개, 끄리 1 개였다. 그러나안동지역 을제외한 4개지역에의피낭유충수는어종별로평균 1 4 개에불과하여안동지역어류의피낭유충수가타지역에 비해서훨씬높은것으로조사되었다. 5 개조사지역중안동지역에서채집된어류의감염강도 가타지역에비해특별히높은것은종숙주( 사람, 동물) 에 서배출된간흡충란이지속적으로강으로유입되고있으며 중간숙주( 쇠우렁이, 민물고기) 를비롯한역학에필요한환 경적조건이특별하게잘갖추어진지역으로간흡충의생활 사가잘유지되고있기때문(Sohn, 2002) 이라고판단되지 만추가적인역학조사를통해서이를검정할필요가있다. 어종별감염률을조사한 Joo 등(1997) 의연구에서는경 북지역에서채집된어류 25종의어종별감염률이참마자 7.1%, 몰개 13.8%, 참붕어 30.0%, 돌고기 2.8%, 납지리 14.3%, 모래무지 10.5%, 두우쟁이 10.5% 로조사되었고경 북영천지역을조사한 Kang (1997) 의연구에서는 5과 19종 의어종별감염률이칼납자루 100%, 납자루 78.8%, 점줄종 개 100%, 몰개 100%, 참마자 100%, 모래무지 81.4%, 참붕 어 80.4%, 돌고기 100%, 중고기 100%, 참몰개 96.1%, 꺽지 12.5% 순이었고형산강유역을조사한 Lee 등(1996) 의연 구에서는 19종의어류에서몰개 88.9%, 참붕어 13.3%, 꺽 지 6.7% 순이었다. 가장최근에조사된 Back (2009) 의연 구에서는경상북도내 3개강에서채집한어류의어종별감 염률은몰개 82.6%, 모래무지 70.8%, 참붕어, 참몰개 50.0%, 납자루 33.3%, 기름종개 25.0% 등의순이라고하였 으나본연구에서는돌고기 66.7%, 몰개 51.7%, 피라미 8.6%, 참중고기 100%, 끄리 12.5%, 참마자 6.7%, 누치 20.0% 순으로감염어종과감염률에서큰차이를보여일반 적으로채집시기와장소에따라서식하는어류가다양하 게분포하며, 감염어종과감염률에도큰차이가있는것으 로조사되었다. 문헌고찰을통해서간흡충피낭유충제 2 중간숙주로밝 혀진어류를대상으로지역별피낭유충감염률을조사한 결과, 안동지역, 의성지역, 성주지역, 문경지역, 달성지역 의순으로중류보다상류의감염률이높은경향을보였는 데이는상류에비해중류의수중환경이제 1 중간숙주인 쇠우렁이와제 2 중간숙주가운데가장많은어종이속해있 는잉어과어류가서식하기에적절하지못하기때문이라고 생각되지만쇠우렁이의서식밀도와서식어종에대한추 가적인조사와확인이필요하다. 지역별어류의간흡충피낭유충감염률과지역주민의간 흡충란양성률은상류로갈수록모두높은경향을보였고상 관계수가 0.795로분석되어매우높은양의상관관계가있 는것으로나타났다. 이결과는강의중류는종숙주에서배 출된간흡충란의유입이상류에서부터누적되어이지역에 서식하는물고기의간흡충피낭유충감염률이상류에비해 상대적으로높고이를생식한지역주민의간흡충란양성률 또한높을것이라는일반적인예측과반대의결과였다. 낙동강중 상류유역에거주하는주민의평균간흡충란 양성률은 13.8% 로아직까지심각한수준이며, 상류로갈수 록주민의간흡충란양성률이높은경향이있고, 서식하는 물고기의간흡충피낭유충감염률또한높은것으로조사 되었다. 따라서강유역에거주하는주민들에대한하는인 간흡충감염예방을위한간호중재프로그램의적용과함 께감염자에대한집중인관리가관리가필요하며, 특히상 류지역주민에대한간흡충예방을위한교육과관리의중 요성이더욱강조된다. 결론및제언 본연구는간흡충고도유행지로알려진낙동강유역에 거주하는주민들의간흡충감염률과그지역에서식하는 Vol. 21, No. 2, 2010 249
황성호 박재용 한창현등 어류의간흡충피낭유충의기생상태를조사하고두요인 간의관련성을분석하여효과적인간흡충관리방안마련 을위한기초자료로제공하고자실시되었다. 낙동강중 상류 5개지역에거주하는주민 552명을대 상으로간흡충란양성률을파악하고이들지역에서식하는 어류 20종 379마리를채집하여간흡충피낭유충기생상태 를조사하여다음과같은결론을얻었다. 조사대상자의간흡충란양성률은 13.8% 로매우높았고 남성과흡연경험자, 음주경험자그리고상류지역주민의 양성률이유의하게높았으며간흡충란양성자의지역별감 염강도 EPG (egg per gram) 는안동지역, 문경지역, 의성지 역, 달성지역, 성주지역순으로지역별충란양성률과비슷 한패턴을보였다. 5개조사지역에서채집한어류 20종 379마리중에서 8종 41 마리에서간흡충피낭유충에감염되었고문헌고찰을통 해서간흡충피낭유충제 2 중간숙주라고밝혀진어류 339 마리를대상으로한감염률은평균 12.1% 였으며지역별감 염률은안동지역, 의성지역, 성주지역, 문경지역, 달성지 역의순으로상류에서의감염률이중류보다높았다. 조사지역주민의간흡충란양성률과서식물고기의피낭 유충감염률은높은상관관계를보여낙동강상류지역주 민의간흡충란양성률과서식어류의피낭유충감염률이 하류지역에비해서모두높은경향을보였다. 이상의연구결과를통해낙동강유역주민들의간흡충란 양성률은매우높은수준을유지하고있으며서식하고있 는많은수의어류에도간흡충피낭유충이기생하고있어 이지역에서잡은어류를생식하거나부주의하게다루면 간흡충에감염될위험성이매우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따라서, 주민들의간흡충신규감염과감염자들이만성간 질환으로이행되는것을막기위해서는지속적인보건교 육, 개인위생개선을통한예방, 감염자에대한적극적인치 료와함께주민들이자발적으로민물고기의생식습관을바 꿀수있는간호중재프로그램의개발과적용이필요하다. 또한강변지역주민의간흡충감염률과서식어류의간흡 충피낭유충기생상태에대해서추가적인역학조사와지속 적인모니터링이요구되며특히, 상류지역주민들의간흡 충치료와예방을위한보건기관의적극적개입이필요한 것으로사료된다. 본연구를진행하면서미비한점을토대 로하여다음과같은제언을하고자한다. 첫째, 낙동강중 상류에한정된조사대상지역을하류까 지확대하여추가조사해볼것을제언한다. 둘째, 간흡충피낭유충검사를위한어류채집시기를서 식하는전체어종의특성이반영될수있도록계절별로나 누어조사해볼것을제언한다. 셋째, 어류의간흡충피낭유충의기생상태와주민의간 흡충감염률의관계를정확히규명하기위해서하천의오 염도를추가조사하여보정 분석해볼것을제언한다. REFERENCES Back, S. H., Kim, J. H., Gwak, T. D., & Jung, S. P. (1997). The Infection pattern of clonorchis sinensis in some region of Nackdong river lower basin.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8(7), 696-705. Back, E. H. (2009). Recent patterns of infections with diagnotic Laval trematodes from freshwater fishes in tree rivers, Kyungbuk provi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Cho, Y. J., Chu, J. P., Rim, H. J., & Hwang, S. K. (2002). Viability of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 according to the Foodprocessing meth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 34(4), 242-247. Choi, D. W., Ahn, D. H., Choy, C. H., & Kim, S. S. (1976). clonorchis sinensis in Kyungpook Procince, Korea (Changing pattern of clonrchis sinensis infection among inhabitants).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14(2), 117-122. Chung, D. I., Kim, Y. I., Lee, K. R., & Choi, D. W. (1991). Epidemiological studies of ttrematodes in Youngyang county, Kyungpook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9(4), 325-338. Hyun, M. C., & Joo, C. Y. (1994). Epidemiological studies of clonorchis sinensis in the upper stream areas of Naktong river. The Keimyung Medical Journal, 13(1), 22-46. Joo, C. Y., Chung, M. S., Kim, S. J., & Kang, C. M. (1997). Changing patterns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in Kyongbuk.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35(3), 155-164. Joo, Y. H., Oh, J. K., Kong, H. J., Shon, W. M., Kim, J. I., Jung, K. Y., et al. (2005). Epidemiologic study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in a rural area of Kyongsangnam-do,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38(4), 425-430. Kang, S. B. (1997). Changing patterns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in Yeongcheon, Kyungpook province,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Taegu. Kim, B. J., Ock, M. S., Kim, I. S., & Yeo, U. B. (2002). Infection status of clonorchis sinensis in residents of Hamyang- 25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낙동강유역주민들의간흡충감염에영향을주는개인요인및지역요인분석 gun, Gyeongsangnam-do,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40(4), 191-193. Kim, E. M., Kim, J. L., Choi, S. Y., Kim, J. W., Choi, M. H., Bae, Y. M., et al. (2008). Infection status of freshwater fish with metacercaria of clonorchis sinensi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146(4), 247-25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Ⅳ-2.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2005). Prevalence of Intestinal Parasitic Infection in Korea-The 7th Report. Seoul: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Lee, G. S. (2008). Prevalence of clonorchiasi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inhabitants in Okcheon-gu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Daejeon. Lee, J. S., Lee, W. J., Kho, W. G., Kim, D. S., In, T. S., Choi, K. S., et al. (1994). Transition of endemicity of clonorchiasis in main riverside areas in Korea.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31 (1), 172-192. Lee, S. H., Ahn, S. H., & Joo, C. Y. (1996). Epidemiological studies of clonorchis sinensis in the coastal areas of Kyungpook, Korea. The Keimyung Medical Journal, 15 (4), 303-326. Moller, H., Heseltine, E., & Vainio, H. (1995). Working group peport on schistosomes, liver flukes and Helicobacter pylori. Korea Journal of Cancer, 60(5), 587-589. Park, M, D.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clonorchis sinensis control intervention at a sumjin riverside area (1999-2004).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Seo, B. S., Lee, S. H., Cho, S. Y., Chai, J. Y., & Hong, S. T. (1981). An epidemiologic study on clonorchiasis and metagonimiasis in riverside area in Koer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19(2), 137-150. Shin, D. S. (1964). Epidemiological studies of clonorchis sinensis prevailed in the people of Kyungpook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1), 1-13 Shon, W. M. (2002). Infection status with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in pseudorasbora parva from a tributary rtream of Nacktongang (River) in Pusan. Journal of Experimental & Biomedical Sciences, 8(1), 7-11. Soh, C. T., Lee, K. T., & Min, D. Y. (1976). Prevalences of clonorchiasis and metagonimiasis along rivers in Jenra- Nam-Do. Korea.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7 (1), 3-16. Song, I. C., Lee, J. S., & Rim, H. J. (1983). Epidemiological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in Korea. Korea University Medical Journal, 20(1), 165-190. Vol. 21, No. 2, 2010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