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3: 59-64 (2012) 학술논문 WCDMA 휴대전화전자파에의한심호흡계영향 권민경 1,2 최재림 1,3 최준열 1,2 장경환 1,3 김성권 1,3 김덕원 1,2,3 1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의학공학교실, 2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의과학과, 3 연세대학교생체공학협동과정 Cardio-Pulmonary Effects of RF Fields Emitted from WCDMA Mobile Phones M. K. Kwon 1,2, J. L. Choi 1,3, J. Y. Choi 1,2, K. H. Jang 1,3, S. K. Kim 1,3 and D. W. Kim 1,2,3 1 Department of Medic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 Brain Korea 21 Project for Med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3 Graduate Program in Biomedic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Received January 25, 2012. Accepted April 13, 2012) Abstract: With rapid increasing usage of smart phones, social concerns have arisen about the possible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emitted from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 mobile phones on human health. The number of people with self-reported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ehs) who complain of various subjective symptoms such as headache, insomnia etc. has also recently increased.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EHS results from physiological or other origins. In this double-blinded study, we investigated physiological changes such as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heart rate variability with real and sham exposures for 15 EHS and 17 non-ehs persons using a module inside a dummy phon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WCDMA module with average power of 24 dbm at 1950 MHz with the specific absorption rate of 1.57 W/kg using a headphone for 32 min. As a conclusion, WCDMA RF exposure did not have any effects on the physiological variables in either group. 59 Key words: Smart phones, EHS, WCDMA, Physiological effects, Double-blinded I. 서론 방송통신위원회에따르면 2011년 3월 23일을기준으로스마트폰가입자가천만명을넘어섰으며, 최근 2천만명을돌파했다고한다. 또한스마트폰가입자중 20-30대가입자비율이 60% 이상을차지하고있다고한다 [1]. 이처럼스마트폰사용이급증하면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휴대폰전자파의인체영향에관한관심또한고조되고있다. 이와더불어두통, 피로, 불면증등심리적, 신경생리학적증상을호소하는전자파과민증후군 (EHS: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이증가하고있 Corresponding Author : 김덕원서울특별시서대문구연세로 50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의학공학교실 E-mail: kdw@yuhs.ac 본연구는 2010 년정부 ( 교육과학기술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기초연구사업지원을받아수행된것임 (2010-0022374). 다 [2]. 국외의경우인구대비전자파과민증후군은스웨덴 1.5%, 미국캘리포니아주는 3.2% 로보고되었다 [3-4]. 그러나현재까지는의학적으로확실한원인규명이되지않고있어치료하는데어려움이있다. 2011년 5월 31일세계보건기구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산하국제암연구소는휴대전화와암발생관계를다룬 10건의연구결과를종합분석한결과, 휴대전화전자파가암을유발할가능성이있는 (possible) 2B 등급 으로휴대전화전자파를분류하였다 [5]. 국내의경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휴대폰에대한연구가수행되었으며, Nam 등은휴대폰전자파가청소년의교감신경에영향을미칠수있음을보고하였고 [6], 또한 2009년 Nam 등은일반인과전자파과민증후군을대상으로휴대폰전자파에의한인체영향에연구를한바있다 [7]. 이처럼 CDMA 휴대폰전자파에대한국내자원자연구는진행되었으나, WCDMA 방식전자파의인
WCDMA 휴대전화전자파에의한심호흡계영향 - 권민경 최재림 최준열 장경환 김성권 김덕원 체영향에대한자원자연구는거의없는실정이다. 따라서 WCDMA 전자파인체영향에대한객관적인자원자연구를통하여전자파노출시생리학적변수에미치는영향에대해알아보고자한다. II. 본론 60 1. 실험장치 실험실주변환경에서 ELF(extremely low frequency) 대역의 3 축전자기장측정기 EHP50C(Narda-STS, Italy) 를사용하여측정한주변전기장및자기장세기는각각 1.8 ± 0.0 V/m 와 0.02 ± 0.01 ut 이었다. 또한전자파측정기 SRM3000(Narda GmbH, Germany) 로마이크로웨이브 (MW: Microwave) 대역인 1920-1980 MHz 를측정한결과 0.06 V/m의전기장이측정되어주변전자파세기가미약함을확인하였다. EHP50C의해상도는전기장및자기장에서각각 0.1 V/m, 0.01 ut이며, SRM3000은 0.01 mv/m이다. 시판되고있는스마트폰대신, MW를방출하는 Qualcomm chip(baseband: MSM6290, RF: RTR6285, Power Management: PM6658) 이내장된 WCDMA 모듈을사용하였다. 송신주파수는 1950 MHz이며, E5515C Wireless Communications Test set(agilent, Santa Clara, USA) 을이용하여평균출력세기를측정한결과 24 dbm이일정하게출력되었다. 휴대폰모사방법으로는시중에판매되고있는스마트폰안의메탈부분및부품을모두제거하여그림 1과같이 dummy 폰을만들었다. 모듈을 dummy 폰에삽입후 [8], 그림 2. WCDMA 모듈의왼쪽부위의 SAR 분포도 Fig. 2. SAR distribution of the WCDMA module in the left side DASY4 measurement system(speag, Switzerland) 을이용하여 SAR 1g (specific absorption rate) 을측정하였다. 모의인체팬텀은 Twin SAM(specific anthropomorphic mannequin) 을사용하였으며, 1950 MHz에서인체조직과유사하게밀도는 1000 kg/m 3, 도전율은 1.41 S/m, 비유전율은 39.7이었다 [9]. 모의인체팬텀에대한휴대폰의시험위치로는접촉 (cheek) 과경사 (tilt) 위치로규정하고있다 [10]. Twin SAM 의왼쪽과오른쪽의접촉위치에서 SAR 1g 을측정한결과왼쪽에서의 SAR 1g 수치가높았고, 분포도는그림 2와같았다. 안테나의위치가 ERP(ear reference point) 지점으로부터 67.5 mm 떨어진지점에서 SAR 1g 값이 1.57 W/kg으로측정되었으며, 이는전자파인체보호기준인 1.6 W/kg 에근접하였다 [9-10]. ERP 지점에서의전기장값은 6.9 V/ m이었으며, power drift는 0.001 db로측정되었다. 따라서피험자왼쪽뺨의접촉위치에서실험을진행하였다. 모듈은 5 m USB 케이블을통해서노트북 (X-Note R500, LG electronics, Korea) 에연결되어작동하고, 케이블과노트북사이에 USB 타입의전류계를연결하였다 ( 그림 3). 노트북을통해모듈을제어하고전류값을확인함으로서작동상태를체크하였다. 모듈과연결된노트북을외부에서원격 그림 1. Dummy 폰의옆면과앞면 ( 단위 : mm) Fig. 1. The side and front sides of the dummy phone(unit: mm) 그림 3. 실험시스템및블록다이어그램 Fig. 3. Exposure system and block diagram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3: 59-64 (2012) 제어함으로서, 피험자와피검자모두모듈의작동상태를알수없는이중맹검법을만족시켜실험의 bias를최소화하였다. 2. 생리학적변수측정 WCDMA 전자파인체영향을평가하기위해서심호흡계변수인심전도, 호흡을측정하였으며, 전자파노출시모듈의발열로인한노출인지여부를확인하기위하여모듈과접촉된얼굴피부온도를측정하였다. 심전도와호흡은 PolyG-I(Laxtha, Korea) 를사용하여 512 Hz 샘플링주파수로측정하였으며, 소프트웨어인 Telescan 0.9(Laxtha) 와 Complexity(Laxtha) 를사용하여데이터저장및분석을하였다. 얼굴피부온도변화는 MP100(Biopac, USA) 을이용하여 1Hz 샘플링주파수로측정하였고, AcqKnowledge 3.73(Biopac) 을이용하여데이터저장및분석하였다. 심전도의경우오른팔, 왼팔, 오른다리에 Ag-AgCl 전극 (3M, USA) 을부착하여측정하였으며측정된심전도에서심박수와심박변이도 (HRV: heart rate variability) 를획득하였다. 자율신경계의기능을평가하기위해서심박변이도의전력스펙트럼을이용한주파수영역분석방법을이용하였다. 심박변이도의전력스펙트럼은 0.04 Hz 이하의 VLF (very low frequency) 성분, 0.04~0.15 Hz 대역의 LF (low frequency) 성분, 0.15~0.4 Hz 대역의 HF(high frequency) 성분으로구성되어있다. 일반적으로자율신경활동의균형을나타내는지표로서 LF/HF가사용되고있어본연구에서도이를이용했으며, LF/HF 증가시교감신경의활성증가를의미한다 [11]. 호흡변화는상복부에호흡벨트 (Laxtha) 를부착하여호흡에의해변화하는복부단면적으로부터인덕턴스의변화를감지하는방법 (RIP: respiratory inductance plethysmography) 을이용하였다. 모듈동작시모듈과접촉되는얼굴피부온도가비동작시보다유의하게증가하여, 피험자가모듈의동작상태를인지하는경우맹검법에위반된다. 따라서얼굴에닿는 dummy 폰표면에 3 mm 두께목재재질의합판을부착하여단열처리하였다. 단열처리를검증하기위해모듈액정과볼사이에피부온도센서 (TSD202B, Biopac) 를부착하고, 온도측정모듈 (SKT100C, Biopac) 을사용하여피부온도를측정하였다. 3. 자원자실험실험에앞서 EHS 군을객관적으로선별하는것은 Schröttner 등의연구에서도언급되었듯이매우중요하다 [12]. 이에본연구는 Eltiti 등이개발한설문지를활용하였다 [2,3,6,7,13]. 설문지는총 80문항으로크게기본정보 (9문항 ), 전자파노출시느끼는증상 (57문항: 식은땀, 집중하기 표 1. EHS 와일반인선별조건 Table 1. Determination of EHS and non-ehs EHS 일반인 A. 전자파민감여부 O X B. 증상 26 점이상 26 점미만 C. 증상유발요인 스마트폰 X D. 과거질환보유여부 X X A, B, C, D 모두만족시 EHS 및일반인으로판별 표 2. 각그룹의기본정보 ( 평균 ± 표준편차 ) Table 2. Demographics of each group(mean ± standard deviation). EHS 일반인 p-value 피험자수 15 17 - 남 : 여 7:8 7:10 0.476 나이 030.5 ± 8.0 028.0 ± 5.3 0.694 신장 (cm) 167.5 ± 7.3 168.5 ± 8.1 0.613 몸무게 (kg) 062.5 ± 10.6 061.8 ± 10.7 0.925 BMI(kg/m 2 ) 022.2 ± 2.7 021.6 ± 2.3 0.808 비흡연 : 흡연 13:2 15:2 0.376 컴퓨터사용시간 (hr/day) 004.4 ± 3.1 005.4 ± 3.5 0.193 TV 시청시간 (hr/day) 001.5 ± 1.3 001.7 ± 1.3 0.985 휴대폰사용기간 (year) 010.7 ± 3.5 010.3 ± 2.6 0.779 어려움, 편두통, 피로감등 ), 증상유발요인 (9문항: 컴퓨터, 휴대전화, 텔레비전등 ), 전자파민감여부등주관식질문 (3 문항 ), 과거질병여부및건강관련질문 (2문항) 으로구성되어있다. EHS 군은설문지를바탕으로전자파민감여부, 증상, 증상유발요인, 과거질환보유여부등 4가지선별조건을가지며, 이를모두만족하였을때 EHS 군으로판별하게된다 ( 표 1). 전자파노출시겪는 57가지의증상에대해 5점척도 (0: 전혀없다 ~4: 아주많이있다 ) 로평가하여최대 228점중 26점이상이되면 EHS 군의증상선별조건을만족하게된다. 선별조건을만족한 EHS 자원자는 16명, 일반인은 19명이었으나, 각그룹당 1명씩실험도중움직임및졸음으로인하여피험자에서제외되었다. 또한일반인자원자중심박변이도데이터범위가표준편차의 2배를벗어난 outlier 피험자 1명을제외시켰다. 따라서 EHS 군 (30.5 ± 8.0세 ) 15 명, 건강한일반인군 (28.0 ± 5.3세 ) 17명을대상으로실험하였다. 설문지증상의합계점수는 EHS 군이 59.1 ± 39.9 점, 일반인군이 9.7 ± 8.1점이었다. EHS 군과일반인군은표 2와같이남녀비율, 나이, 신장, 몸무게, 체질량지수 (BMI: body mass index), 흡연율, 컴 61
WCDMA 휴대전화전자파에의한심호흡계영향 - 권민경 최재림 최준열 장경환 김성권 김덕원 62 퓨터사용시간, TV시청시간, 휴대폰사용기간등기본정보의차이가없었다 (P > 0.05). 남녀비율과흡연율은 Fisher's exact test를사용하였으며, 나머지기본정보의경우 Mannwhitney U test를사용하였다. 본연구는세브란스병원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승인 ( 승인번호 : 1-2010-0030) 을받아진행하였다. 자원자모집을통해선정된피험자에게실험전실험내용에대해설명을하였으며피험자의동의를얻었다. 피험자에게실험당일 24 시간전부터카페인섭취, 흡연, 음주, 운동등을자제하도록주지시켰으며, 잠을충분히자도록하는등실험전주의사항을사전에통보하여실험외적인혼란요인을최소화하였다. 24시간주기의생체리듬변화와잔류효과등을고려하여이틀간동일시간대에가상과실제노출중하루에한조건만진행하였다. 실험중피험자는앉은자세로실험에임하였으며, 혼란요인의영향을최소화하기위해구두설문중에만말을할수있도록하였다. 실험실온도및습도등이피험자에게미치는영향을최소화하였으며, 매실험마다온도 (24.3 ± 0.9 o C) 와습도 (41.2 ± 2.4%) 를측정하여쾌적한상태로유지시켰다. 4. 실험과정실험과정은그림 4와같으며, 총 64분간진행되었다. 생체신호는 64분간연속측정하였으나각 5분으로이루어진 4개구간 (Stage 1: 노출전, Stage 2: 노출후 11분, Stgae 3: 노출후 27분, Stage 4: 노출종료후 11분 ) 의데이터만분석에사용되었다. 노출조건은 Matlab R2008a(Mathworks, Natick, USA) 를이용하여가상노출과실제노출을무작위로배정하였고, 1:1 비율로프로그램화하였다. 노출제어는실험시작후 16분부터 48분사이 32분간외부에서원격제어로진행되었으며, 이틀에걸쳐첫날에실제노출, 둘째날에는가상노출로또는이와반대로진행되었다. 생체신호의경우, EHS와일반인각군에서 2-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사용하여전자파노출여부 ( 가상및실제노출 ) 와시간 (stage) 에따른심박수, 호흡수, 심박변이도, 피부온도의변화를살펴보았다. 유의한차이가있는경우, Bonferroni 방법을이용하여사후분석하였다. 분석소프트웨어는 SPSS 18.0(SPSS Inc, USA) 을사용하였으며, p = 0.05 유의수준으로검정하였다. 또한노출에따른차이를살펴보기위해서 2-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사용하여그룹 ( 일반인과 EHS) 과시간 (stage) 에따른심박수, 호흡수, 심박변이도를살펴보았다. III. 결과 모든생리학적변수에서전자파노출여부와시간과의교호작용 (p > 0.05) 은없었다. EHS 군의경우심박수 (p = 0.992, p = 0.880), 호흡수 (p = 0.992, p = 0.880), 심박변이도 (p = 0.112, p = 0.186) 모두노출여부와시간에따른유의한차이가없었다. 일반인군의경우에도심박수 (p = 0.091, p = 0.344), 호흡수 (p = 0.091, p = 0.344) 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심박변이도는노출여부에따른유의한차이는없었으나 (p = 0.508), 노출시간에따라유의한차이 (p = 0.000) 를보였다 ( 그림 5). 5. 분석방법및통계처리심박수와호흡수, 피부온도는 5분으로구성된 4개측정구간의분당평균을구하였다. 심박변이도의경우최소측정시간이 5분이므로 5분동안의데이터를사용하였다 [2,7]. 또한개인별편차가크기때문에 Stage 1을 100% 로하여상대비율로환산하여 Stage 2, 3, 4를분석하였다. 그림 5. EHS 군과일반인군에서의노출여부와 stage 에따른심박변이도 (HRV) 변화 Fig. 5. HRV changes of the real and sham exposures and stages for the EHS and non-ehs groups 그림 4. 실험과정 Fig. 4. Experimental procedure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3: 59-64 (2012) 표 3. 일반인군심박변이도의 Bonferroni 사후분석결과 Table 3. Bonferroni post hoc test of the HRV in the non-ehs group 일반인 Session Stage p-value Session Stage p-value 가상노출 (Sham) 1-2 0.006 1-2 1.000 1-3 0.025 1-3 0.046 1-4 0.000 실제 1-4 0.965 노출 2-3 1.000 (Real) 2-3 0.645 2-4 1.000 2-4 1.000 3-4 0.767 3-4 1.000 표 4. EHS 군과일반인군에서의얼굴피부온도의 Bonferroni 사후분석결과 Table 4. Bonferroni post hoc test of the facial skin temperature in each group EHS Session Stage p-value Session Stage p-value 가상노출 (Sham) 1-2 0.000 1-2 0.001 1-3 0.000 1-3 0.000 1-4 0.000 실제 1-4 0.000 노출 2-3 0.516 (Real) 2-3 0.332 2-4 0.055 2-4 0.070 3-4 1.000 3-4 1.000 일반인 Session Stage p-value Session Stage p-value 가상노출 (Sham) 1-2 0.121 1-2 0.002 1-3 0.002 1-3 0.000 1-4 0.000 실제 1-4 0.000 노출 2-3 0.934 (Real) 2-3 0.849 2-4 0.247 2-4 1.000 3-4 1.000 3-4 1.000 그림 6. EHS 군과일반인군에서의노출여부와 stage 에따른얼굴피부온도 Fig. 6. Facial skin temperature of the real and sham exposures and stages for the EHS and non-ehs groups 일반인군에서노출시간에따른심박변이도의차이를검정하기위해서 Bonferroni 사후분석을실시한결과는표 3 과같다. 가상노출의 Stage 1-2, 1-3, 1-4 구간에서유의한차이 (p < 0.05) 가있었으며, 실제노출구간에서는 Stage 1-3 구간에서만유의한차이 (p = 0.046) 가있었으나, 가상노출구간 1-3에서도유의한차이를보였으므로이는노출에의한것이아니라시간에따른원인으로사료된다. 실제및가상노출시얼굴피부온도측정결과는그림 6 과같다. EHS 군과일반인군모두전자파노출여부 (p = 0.730, p = 0.313) 에따른유의한차이는없었으나, 노출시간 (p = 0.000, p = 0.002) 에따라유의한차이가있었다. 얼굴피부온도변화를시간에따라사후분석한결과는표 4 와같다. 얼굴피부온도는노출시간에따라점진적으로증가하였으며, EHS군실제노출의 stage 1-2에서최대 0.049 o C/ min로증가하였다. 그러나실험에참여한피험자모두가상및실제노출구간에서뜨거운느낌을호소하지않았으며, WCDMA 모듈의과열로인한동작여부를인지하지못했다. IV. 고찰및결론 EHS 군의경우 WCDMA 전자파노출에의해심박수, 호흡수, 심박변이도모두노출여부및노출시간에따라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일반인군의경우에는심박변이도에서노출시간에따라유의한차이를보였다. 그러나실제노출뿐아니라가상노출인경우에도유의한차이를보이고있어, 노출여부에상관없이시간에따라교감신경이활성화된것으로사료된다. 2009년, Nam 등은 CDMA 전자파노출시일반인과 EHS 군의인체영향을분석한결과심박수, 호흡수는노출여부및시간에따라유의한차이가없었으나, 심박변이도의경우에는노출시간에따라유의한차이가있다고발표하여본연구와일치된결과를보였다 [7]. Hjortskov 등은정신적스트레스가심박변이도를증가시킨다고보고하였다 [14]. 실험전휴식시간까지포함하여총 1시간반에가까운시간동안피험자는앉은상태로있게되며, 동잡음을최소화하기위해움직임을제한받게되어스트레스로작용한것으로보인다. 또한 2011년, Kim 등은 60 Hz 전자기장노출시일반인군과 EHS 군을대상으로연구한결과심박수및호흡수모두유의한변화가없었으나, EHS 군의경우노출여부와상관없이노출시간에따라유의한차이를보였다고보고하였다 [2]. 이처럼낯선실험환경과장시간의실험시간이일반인군에게스트레스로작용하여노출여부에상관없이시간에따라증가한것으로사료된다. 63
WCDMA 휴대전화전자파에의한심호흡계영향 - 권민경 최재림 최준열 장경환 김성권 김덕원 64 전자파노출시모듈의발열로인하여피험자가동작상태를인지할수있기때문에모듈과접촉되는얼굴피부온도변화를모니터링하였다. 피부온도의경우 EHS, 일반인군모두시간에따라유의한차이를보였고, 이는 Nam 등이 CDMA 휴대폰전자파노출시노출여부와시간에따른피부온도가유의한차이가없었다는보고와상반된결과이다 [7]. 그러나본연구에서의피부온도변화구간은 30-36 o C 이며, 최대약 0.049 o C/min로변화하였다. Jones 등은피부온도가 neutral zone인 30-36 o C 구간에서약 0.5 o C/min 로천천히온도가증감한다면피험자는피부온도가 5-6 o C 변화하더라도인지하지못한다고하였다 [15]. 이를뒷받침하는사실은실험에참여한피험자모두가상및실제노출구간에서뜨거운느낌을호소하지않았으며, 피험자는모듈의동작상태를인지하지못했다. 따라서단열이잘되었던것으로사료되며, 피험자들은모듈의발열로인한전자파노출여부를인지하지못하였을것으로판단된다. 본연구에서는 WCDMA 전자파과민증후군및일반인을대상으로전자파노출에따른생리학적변화를살펴보았다. 원격제어를통해이중맹검법으로행해졌으며, 설문지를활용하여객관적인 EHS 군선별이이루어졌다. 실험결과 WCDMA 전자파노출로인한생리학적변화에유의한차이는없었으며, 심박변이도의경우에는시간에따른유의한차이가있었으나전자파노출이아닌시간에따른정신적스트레스가원인으로보인다. 추후생리학적변화와함께동시에자각증상및인지여부등의다원적연구를실시하여더욱더객관적인연구를수행할계획이다. 참고문헌 [1]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p05030000 &dc=k05030000&boardid=1042&cp=5&boardseq=30991 [2] D.W. Kim, J.L. Choi, K.C. Nam, D.I. Yang, and M.K. Kwon, Origins of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to 60 Hz Magnetic Fields: A Provocation Study, Bioelectromagnetics, 2011(accepted). [3] L. Hillert, N. Berglind, B.B. Arnetz, and T. Bellander, Prevalence of Self-Reported Hypersensitivity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in a Population-Based Questionnaire Survey, Scand. J. Work Environ. Health, vol. 28, no. 1, pp. 33-41, 2002. [4] P. Levallois, R. Neutra, G. Lee, and L. Hristova, Study of self-reported hypersensitivity to electromagnetic fields in California, Environ. Health Perspect., vol. 110, no. 4, pp. 619-623, 2002. [5] R. Baan, Y. Grosse, B. Lauby-Secretan, F.El. Ghissassi, V. Bouvard, L. Benbrahim-Tallaa, N. Guha, F. Islami, L. Galichet and K. Straif, Carcinogenicity of radiog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Lancet Oncol., vol 12, no. 7, pp. 624-626, 2011. [6] K.C. Nam, S.W. Kim, S.C. Kim, D.W. Kim, Effects of RF exposure of teenagers and adults by CDMA cellular phones, Bioelectromagnetics, vol. 27, pp. 509-514, 2006. [7] K.C. Nam, J.H. Lee, H.W. Noh, E.J. Cha, N.H. Kim, D.W. Kim, Hypersensitivity to RF Fields Emitted From CDMA Cellular Phones: A Provocation Study, Bioelectromagnetics, vol. 30, pp. 641-650, 2009. [8] M. Unterlechner, C. Sauter, G. Schmid, J. Zeitlhofer, No effect of an UMTS mobile phone like electromagnetic field of 1.97 GHz on human attention and reaction time, Bioelectromagnetics, vol. 29, pp. 145-153, 2008. [9]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Determining the Peak Spatial-Average Specific Absorption Rate(SAR) in the Human Head From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Measurement Techniques, IEEE Standard 1528-2003, 2003. [10] CENELEC, EN 50361, Basic standard for the measurement of Specific Absorption Rate related to human exposure to electromanetic fields from mobile phones(300 MHz-3 Hz), 2001. [11] B. Pomeranzm, R.J. Macaulay, M.A. Caudill, I. Kutz, D. Adam, D. Gordon, K.M. Kilborn, A.C. Narger, D.C. Shannon, R.J. Cohen, and H. Benson, Assessment of autonomic function in humans by heart rate spectral analysis, Am. J. Physiol., vol. 248, no. 1, pp. H151-H153, 1985. [12] J. Schröttner, N. Leitgeb, and L. Hillert, Investigation of electric current perception thresholds of different EHS groups, Bioelectromagnetics, vol. 28, no. 3, pp. 208-213, 2007. [13] S. Eltiti, D. Wallace, K. Zougkou, R. Russo, S. Joseph, P. Rasor, and E. Fox,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questionnaire, Bioelectromagnetics, vol. 28, no. 2, pp. 137-151, 2007. [14] N. Hjortskov, D. Rissen, A.K. Blangsted, N. Fallentin, U. Lundberg, and K. SØgaard, The effect of mental stress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blood pressure during computer work, Eur. J. Appl. Physiol., vol. 92, no. 1, pp. 84-89, 2004. [15] L.A. Jones, and M. Berris, The psychophysics of temperature perception and thermal-interface design, IEEE, pp. 137-142,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