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114-121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 16, No. 2, 2004;114-121 http://www.esasang.com 少陽人姙娠惡阻 환자를 荊防瀉白散으로치료한치험례 * 이상민배영춘유관석주종천서은희 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사상체질과 * 대구한의대학교포항한방병원사상체질과 Abstract A Case of Hyperemesis Gravidarum Healed by Soyangin Hyungbangsabaek-san. Lee Sang-Min Bae Young-Chun Yoo Gwan-Seok Joo Jong-Cheon Seo Eun-Hee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 *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ohang Oriental Hospital of Daegu Hanny Univ. 1. Objectives Hyperemesis Gravidarum is one of common symptoms clinically and caused by pregnancy. This is defined as vomiting sufficiently pernicious to produce weight loss, dehydration, acid-base imbalance. In severe case, it also leads to neurologic abnormality including confusion, gate disturbance, nystagmus. We have tried researching effect of herbal medicines, Soyangin Hyungbangsabaek-san. 2. Methods To heal the Hyperemesis Gravidarum, we used Soyangin Hyungbangsabaek-san. 3. Results Hyperemesis Gravidarum of a Soyangin patient was treated with a herb-medicine, and change of her subjective symptom & general condition was managed. 4. Conclusions The constitutional treatment with herb-medicine (Soyangin Hyungbangsabaek-san) was efficacious against Hyperemesis Gravidarum. Further study on management of this disease is needed. Key Words : Hyperemesis Gravidarum, Soyangin, Hyungbangsabaek-san. * 1) 姙娠惡阻는임신 I. 緖論 4-6 주경부터시작하여, 임신 14-16 주까지나타날수있고, 예전에는조기임신중독증으로분류하기도하였다. 임신오저는탈수, 전해질불균형, 심한경우케톤뇨증, 3kg이상의체중감소, 단백질, 칼로리의결핍을초래하는오심과 접수일 2004년 7월 6 일; 승인일 2004년 8월 10일 교신저자 : 주종천광주광역시남구주월동 543-8 원광대광주한방병원사상체질과 Tel : +82-62-670-6528, Fax : +82-62-670-6767 E-mail : aromaman@orgio.net 구토로특징지어지며, 적절한수액및전해질그리고영양공급이필요하다. 만약진단이늦어지거나치료가잘못된다면심각한신경학적이상이오게된다. 영양제및 Vitamin 등을복용하고보조치료법을사용하여치료하기도하나, 심한경우재차임신을꺼리는경우도있고, 심할경우에는임신중절을생각할정도로심각한경우도있다. 韓醫學에서姙娠惡阻는婦人科질환에서상견되는질환으로유의한치료효과가입증된바가많았으나四象人처방으로姙娠惡阻에의접근은희귀한바, 이에저자는四象人荊防瀉白散을투여하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114 121 Ⅱ. 證例 1. 환자 : 이, 27세 여자 2. 주소증 1) 惡心 2) 嘔吐 3) 食慾減退 4) 疲勞感 5) 頭痛 6) 鼻出血 7) 聲嘶(失音) 8) 夜間煩躁 9) 口苦 및 口臭(자각증상) 10) 집중 장애 11) 체중감소 12) 간헐적 盜汗 Table 1. Vital Sign. 진료일 8w+1d 12w+4d 17w+3d 22w+6d Blood Pressure 100/60 90/50 90/55 90/55 (mmhg) Pulse 74 77 78 79 (회/분) Body 36.3 36.7 36.8 36.5 Temperature( ) 2) 체중변화 Table 2. Change of Body weight. 진료일 임신전 8w+1d 12w+4d 17w+3d 22w+6d Body 51 49 51.5 54 weight(kg) 53 Body weight(kg) 여 少陽人 임신부의 姙娠惡阻에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55 54 53 52 51 50 49 48 47 46 임신 전 8w+1d 12w+4d 17w+3d 3. 산과력 : 0-0-0-0 4. 월경력 최종월경 시작일 2004년 1월 4일, 주기 32±1일 로 규칙적이었으며 지속기간은 5일, 생리량은 보 통이었고, 생리통은 없었다. 5. 과거력 및 가족력 부친 고혈압 및 TIA 병력 있음 6. 현병력 임신 6주 3일경부터 식욕감퇴 및 피로감이 발생 하였고, 임신 7주 1일 HCG검사 상 양성반응을 보였 다. 7주 5일경부터 오심증상 및 구토가 시작되었으 며, 8주 1일 양방산부인과 초진하여 초음파 검사 상 임신진단을 받았다. 8주 6일 경부터는 증상이 악화 되어 매번 경구섭취 시 마다 嘔吐 증상 발하였고, 극도의 피로감 및 집중장애, 두통, 鼻出血, 聲嘶(失 音), 夜間煩躁로 인한 入眠障碍, 口苦 및 口臭증상 호소하였다. 체중은 임신 전에 비하여 4kg 감소하였 으며 별다른 수액처치나 타병원 치료는 하지 않고 11주 1일 초진 래원하여 외래치료 하였다. 7. 초진 소견 1) 생체활력징후 115 22w+6d 진료일 Fig.1 Change of Body weight. 3) 이학적 소견(8w+1d): ① hematology 3 WBC : 6.9 10 / 12 RBC : 4.33 10 / Hb : 13.3 g/dl Hct : 39.6 % 3 Plt : 211 10 / ② chemistry ALT : 16.0 IU/L AST : 17.0 IU/L Glucose : 90.0 mg/dl ③ urinalysis Glucose : Negative Leukocyte : Negative Protein : Negative Nitrite : Negative Billirubin : Negative Blood : Negative ④ immunoserology HBsAg(RPHA) : Negative HBsAb(RPHA) : Positive
116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114 121 4) 초음파 검사 소견 : Fig.5a Echo view of 22w+6(head). Fig.2 Echo view of 8w+1d. Fig.3 Echo view of 12w+4. Fig.5b Echo view of 22w+6(Abdomen). 5) 태아 심박동변화 Table 3. Change of Fetal Heart rate. 진료일 Heart rate(회/분) 8. 체질진단 Fig.4a Echo view of 17w+3. Fig.4b Echo view of 17w+3(Abdomen & Head). 8w+1d 12w+4d 17w+3d 22w+6d 177 174 W. N. L W. N. L 1) 四診소견 體格 : 165cm/ 53kg(임신 전) 印象 : 이마가 넓고 그다지 돌출되어있지 않으 나 중앙부의 기운이 강함, 눈빛과 턱선이 예 리하고 예민한 인상. 코는 약간 높은 편임. 皮膚 : 微軟滑 汗出 : 평소 땀을 많이 흘리지는 않음. 嗜好食 : 과일. 嫌食 : 맵고 짠 음식, 튀기거나 조린 음식. 顔色 : 비교적 밝은 편이나 觀部주위로 붉은 기 운이 있음. 性格 : 직설적이며 약간 급하다. 감정표현이 빠 르고 솔직하게 드러나는 편.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114 121 音聲 : 높은 톤에 크고 곧게 퍼지는 편. 舌 : 舌紅苔白薄 약간의 齒痕이 있음. 脈 : 浮澁 微數 小便 : 긴장 시 頻數 大便 : 1-2회/1일 便秘 경향성 있으나 몸 상태에 따라 변화가 많음 2) QSCCⅡ상 : 少陽人 소 태 소 태 양 양 음 음 인 인 인 인 Fig.6 Result of QSCCⅡ. 3) 體質診斷 素症, 體形氣像, 容貌詞氣, 性質材幹 등을 참고 하여 상기와 같은 소견으로 少陽人으로 진단함 9. 투여처방 荊防瀉白散은 東醫壽世保元辛丑版 에 준하 여 구성되었으며 2첩 1일분으로 전탕 추출하여 1 일 2회복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사용된 荊 防瀉白散의 처방내용과 1첩 분량은 다음과 같다. Table 4. Prescription of Hyungbangsabaek-san. Herbal name 生地黃 茯苓 澤瀉 知母 石膏 荊芥 防風 Scientific Name Rehmanniae Radix Hoelen Alismatis Rhizoma Anemarrhenae Rhizoma Gypsm Fibrosum Schizonepetae Herba Ledebouriellae Radix total amount 10. 임상경과 및 치료 : Weight(g) 12.0 8.0 8.0 4.0 4.0 4.0 4.0 44.0 1) 11w+2d 荊防瀉白散 1일2회 복용. 환자는 모든 구강섭식 후에 호소하였던 자각적 인 口苦, 口臭증상 및 불쾌감이 복약 직후마다 사 라짐. 2) 11w+3d 117 聲嘶증상 개선 보였고, 惡心증상의 경미한 호전 있음. 3) 11w+4d 嘔吐횟수가 전일에 비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 며, 惡心과 口苦, 口腔不快感의 감소로 섭식이 편 해짐. 그러나 여전히 食慾不振과 피로감 호소하였 으며, 간헐적 鼻出血 역시 변화 없었다. 夜間 煩躁 感은 경미하게 편해졌다 함. 4) 12w+4d 嘔吐횟수가 1회/1일로 호전되었으며, 전반적인 증상의 호전반응을 보여 섭식량이 증가하기 시작 하였다. 聲嘶증상은 간헐적으로 나타나며, 夜間 煩 躁증상 개선되어 정상적인 수면이 가능하게 되었 고, 鼻出血 및 頭痛증상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변비경향성 띄었던 배변습관이 1회/1일, 규칙적으 로 변화하였으며 배변량 다소 증가하였다. 피로감 과 食慾不振 여전함. 5) 13w+4d 食慾不振 및 惡心의 호전 있었으나, 야식으로 통닭 먹은 후 소화기 증상이 악화되어, 惡心, 嘔吐 및 鼻出血 있었음. 6)15w+2d 惡心증상은 50%정도 감소하였으며 구토증상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식욕부진은 지속되나 섭 식이 용이해졌고, 비출혈 횟수 및 출혈량도 감소하 였다. 聲嘶증상은 정오이후 2시간 정도만 지속되 었고, 夜間 煩躁증상은 없었다. 7) 19w+7d 조식섭취량이 과다하여 오전 중 惡心과 嘔吐증 상 있었으나, 전반적인 主訴證의 호전을 보였다. 피로감은 다소 감소하였으며, 頭痛과 夜間煩躁, 口 苦 및 口臭증상은 보이지 않음. 8) 22w+6d 惡心 嘔吐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가벼운 식욕부 진과 피로감, 간헐적 성시증상 및 비출혈만 보임. 11. 판단기준 1) 주소증인 惡心의 정도는 가장 severe할 때를 score 10으로 하고 증상이 없는 상태를 score 0으로 하여 0부터 10까지의 수로 평가하였다. 2) 기타 증상(食慾不進, 疲勞感, 頭痛, 夜間煩躁, 口苦 및 口臭)에 대한 평가를 위해 그 정도를 다음 과 같이 평가하였다.
118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114-121 이상민외 Table 5. Change of Symptoms. Symptom 6w+4d 7w+4d 8w+4d 9w+4d 10w+4 11w+4 12w+4 13w+4 14w+4 15w+4 18w+7 19w+7 22w+6 d d d d d d d d d Nausea 6 7 9 10 10 8 7 8.5 6 5 3 7 0 Vomiting ( 회/day) 2 3 4 5 5 3 1 2 1 0 0 1 0 Poor appetite ++ ++ +++ +++ +++ +++ +++ ++ ++ ++ ++ ++ + Fatigue + ++ +++ +++ +++ +++ +++ +++ +++ +++ ++ + ++ Headache - - + +++ +++ ++ ++ + ++ ++ + - - Epistaxis 0 0.3 0.7 1.7 2.5 2.4 2.1 1.1 0.7 0.4 0.4 0.3 0.3~ Hoarse voice - - + ++ + + + ++ + + ++ ± ± 夜間煩躁 ++ +++ +++ +++ ++ ++ + + + - - - - 口苦및口臭 ( 자각증상 ) - ± ++ +++ ++ + + ++ + + + - - 12 10 Nausea Score 8 6 4 2 0 Vomiting Poor appetite Oral cavity discomfort 6w+4d 8w+4d 10w+4d 12w+4d 14w+4d 18w+7d 22w+6d 진료일 Fig.7 Change of Symptoms. severe : +++, moderate : ++, mild : +, trace : ±, elimination : - 3) 鼻出血은전일주일동안의평균횟수로평가하였다.( 소수첫째자리까지유효함 ) 12. 태아검사소견 1 회/1 개월시행된정밀초음파검사결과頭腹部및大腿骨長발육은평균이상으로양호하였고, 내부장기및口脣, 手足지, 척추, 늑골형성상태이상없었으며, 17w+3d 시행한기형아검사 Triple Marker(ms-AFP, ms-ue3, ms-hcg) 결과모두정상범위로보고되었다. Ⅲ. 考察및結果 姙娠惡阻는임신 20주이전에시작된심한구토로체중감소와수분, 전해질, 산-염기균형에이상을초래하는심각한상황으로정의된다 1). 임신초기의경미한오심구토의빈도는 45% 에서 90% 까지로다양하게보고되고있으며 2) 임신오저의빈도는 1000 명당 0.5명에서 10명으로보고되고있다 3). 또한지속적인구토, 5% 이상의체중감소, 탈수, 심한케톤뇨증으로정의되고, 임신 8주에서 12주에높은빈도를보이며일내변동이있으며 Morning
sickness로 불리기도 할 만큼 아침에 더욱 심하다4). 임신오저의 기왕력, 다태임신, 짧은 임신간격, 임 신 실패의 기왕력, 초산부, 젊은 연령, 비만, 흡연 등과 연관이 있으며, 인종이나 피부색, 사회경제적 인 상태 등과는 연관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4). 임신 오저는 암환자가 항암제 치료 시에 겪는 오심과 강도와 특징이 비슷하며 환자의 가족과 사회생활, 5) 직업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임신오저의 원인은 아직 명백하지는 않지만 다 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우선 임신 중 저하된 위장관 운동, chemorecepter trigger zone(ctz) 등과 관련된 위장관계의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 6) 고, 다음으로 여러 호르몬대사산물과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다. 기태임신이나 다태임신에서 임신 오저의 빈도가 높고, HCG치가 제일 높을 때에 빈 도가 높다는 등의 HCG와의 연관성에 대한 보고가 7) 있으나 어떠한 관계가 없다는 보고도 있고, 임신 초기에 HCG가 갑상선을 자극하는데, 이러한 자극 정도와 구토와의 연관관계가 있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8). 마지막으로 일차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정 신적인 요소로서, 전환장애 EH는 신체화 장애로 보는 경우이다. 지나친 스트레스, 부적절한 성관계 후의 임신, 적절한 의사소통의 결핍등과 관계가 있 9) 다. 치료는 우선 수분, 전해질 교정, 산염기 교정 을 위해 적절한 수액과 전해질을 비경구적으로 공 급하고, 부가적으로 진토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metoclopramide와 meclizine, phenothiazine (promethazine, prochlorperazine), andomsetron 등이 있고, corticosteroid가 성공적인 치료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 외에도 비교연 구는 없지만 여러 가지 지지적 정신치료도 도움이 10-11) 된다고 한다. 한의학에서 姙娠惡阻는 隋代의 巢氏諸病源侯 12) 論 에 최초로 수록되었으며 부인과 임상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어 있는 질병으로 齊13)에 의하면 임신으로 인하여 母體에 발병되므로 胎前病의 범 주에 귀속된다 하였고, 異名으로는 姙娠嘔吐14), 阻 15) 15) 12,15,16) 15) 病, 病兒, 惡食, 惡孕 등이 있고, 惡阻의 정의는 李등의 惡心阻其飮食也 에서 유래되었다. 12,13,17) 원인으로 巢등 은 經血旣閉하면 水漬於臟 하여 臟氣不宣通하므로 氣逆한 것 이라 하였고, 吳 12,17) 등 은 受胎 후에 胞門閉塞하여 臟氣內阻되어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114 121 119 挾胎氣上逆于胃 라 하였으며, 黃15)은 孕後胎元初 凝하면 經血不瀉하여 血聚養胎하므로 胞宮內實하 여 衝氣上逆하므로 委悉和降하여 발생한다 하였 다. 치료법에 대하여, 朱19)는 惡阻從痰治 라 하여 20) 二陳湯을 多用하였으며, 程 은 理脾化痰하고 升 17) 淸降濁하여 位記를 安定시키라 하였고, 吳 는 18) 藥治를 하되 胃弱爲主로 하라 하였으며, 黃 은 調氣和中하고 和胃降逆하며, 止嘔安胎하라 하였 21) 16,21,22) 16,20,22) 고, 半夏伏苓湯, 二陳湯, 六君子湯,人 22) 21, 22) 21) 蔘橘皮湯, 異功散, 保生湯, 乾薑人參半夏丸 15) 등의 약제가 다양하게 응용되었다. 23) 임신오저에 대한 최근의 실험적 연구로서 權 은 保生湯이 姙娠惡阻에 유의성이 있는 효능이 있 24) 다고 하였으며, 임상보고로는 杜 가 重症惡阻에 伏龍肝加味方이 유효하다 하였고, 陳25)은 養陰增液 26) 27) 法을 응용함에 효과가 있음을, 裴 와 王 은 각각 桂枝湯 및 加味小柴胡湯의 치험례를 보고하였다. 28) 李濟馬 는 東醫壽世保元草本卷 의 少陰 人藥方 에서 姙娠惡阻에 관하여 四物湯 治脾元 損傷本方加蘇葉陳皮名曰安胎飮治孕婦病加小茴香 川楝子五靈脂治裏急疝氣當歸川芎白芍藥砂仁各一 錢, 川當湯 治孕婦産前産後病當歸三錢川芎二錢 29) 라 하였고, 洪 은 砂仁性溫養胃進食止痛安胎通 經破滯, 艾葉溫平敺邪逐鬼漏血安胎心疼卽愈, 益母草甘女科爲主産後胎前生新祛瘀, 皂角辛鹹 利竅關卒中風痹頭痛寬消痰止嗽除脹滿去勞貼腫墮 胎難, 水銀性寒治疥殺蟲斷絶胎孕催生立通, 蘆 根甘寒淸胃熱時行熱疫大煩渴止霍亂及小便多孕婦 心煩更可治 로 몇 가지 약재에 관하여 말하였으나, 특별히 少陽人의 姙娠惡阻에 대해 언급한 기록은 없었다. 少陽人 荊防瀉白散은 醫學入門 의 瀉白散을 기원으로 傷寒論 의 白虎湯과 五笭散에 石膏 知母 伏苓 澤瀉에 羌活 獨活 荊芥 防風 등을 첨가 하여 少陽人 頭痛 膀胱痛 煩躁한 少陽證과 身熱 頭痛 泄瀉 亡陰證을 다스리는 처방으로30) 張仲景 曰少陽之爲病口苦咽乾目眩 眩而口苦舌乾者屬少陽 口苦耳聾胸滿者少陽傷風證也 口苦咽乾目眩耳聾胸 脇滿或往來寒熱而嘔屬少陽忌吐下宜小柴胡湯和之 論曰此證不當用小柴胡湯當用荊防敗毒散荊防導赤 散荊防瀉白散 라 하였고, 凡少陽人有身熱頭痛則
120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114-121 이상민외 已非輕證而兼有泄瀉則危險證也必用荊防瀉白散日二三服又連日服身熱頭痛淸淨然後可免危險 31) 라하였으니少陽人亡陰의治方으로鼻頭痛, 傷寒太陽證에심할때, 半表半裏症, 嘈雜噯氣, 鬱嗽, 痰鬱, 水積, 積聚를치료하며, 浮腫, 氣脹, 黃疸 ( 熱 ), 尿血, 濕痰, 酒痰, 小便不利, 脇痛, 惡阻, 子淋등을다스린다 30). 본증례의환자는 2004 년 2월 20 일경발생한惡心, 嘔吐, 식욕감퇴및피로감, 집중장애, 두통, 비출혈, 聲嘶 ( 失音 ), 夜間煩躁로인한입면장애, 口苦및口臭증상을호소하여 2004 년 3월 15일외래치료시작하였다. 당시惡心, 口苦, 자각적인口臭증상으로구강섭식에어려움호소하였고, 夜間煩躁로수면곤란하였으며, 피로감, 무기력, 집중력장애등으로일상생활영위가곤란하였다. 四診및體形氣像, 容貌詞氣, 性質材幹, 四象體質分類檢査 (QSCC Ⅱ) 에근거하여少陽人으로진단하였으며, 少陽人裏病중脾陰淸氣가胃中熱氣를이기지못하므로腎局에도달하지못하고오히려精氣인脾陰淸氣가胃中熱氣에의해밀려나因滯膠固되어熱이나면서乾嘔, 頭痛, 身熱, 口燥, 口渴, 嘈雜, 不得眠한다고보고, 腎局의精氣를더하여膏海를補益하는처방인荊防瀉白散을, 래원한다음날부터투여하였다. 그리고임신금기를고려하여특별한針灸治療는시행하지않았다. 투약직후부터자각증상이던口苦口臭는개선되기시작하였고, 聲嘶증상도익일인 11w+3d 부터호전반응보였다. 惡心증상과嘔吐증상역시정도와횟수를고려할때 11w+4d 에각각 20%, 30% 의호전이있어섭식불편감이호전되었으며, 12w+4d 부터는소화기증상이전반적으로호전되었고야간번조감도감소하여일상생활에안정을찾기시작하였으나피로감과식욕부진은여전하였다. 간헐적으로과다섭식으로인한오심과구토증상이있었으나, 4주간의투약치료후전반적증상이소실되었으며, 피로감및식욕부진은경미하게남아있었다. 이상의본증례를통하여少陽人姙娠惡阻환자에荊防瀉白散을투여하여양호한효과를거두었기에보고하는바이다. 그러나, 이전姙娠惡阻에의사상의학적접근이부족한바, 차후증례의축적을통한통계적유의성에관한검증이있어야할것으로사료된다. Ⅳ. 參考文獻 1. Hod M, Orvieto R, Kaplan B, Friedman S, Ovadia J. hyperemisis gravidarum. A review. J Reprod Med 1994;39:605-612. 2. Boyce RA. Enternal nutrition in hypremesis gravudarum. J Am Diet Assoc 1992;92:733-736 3. Walters WAW. The management of nausea and vomiting during pregnancy. Med J Aust 1987;147:290-291. 4. Samsoie AJ, Samsoie G, Velinder GM.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A constribution to it's epidemiology. Sweden Gynecol Obstet Invest 1983;16:221-229. 5. O'Brian B, Nabers. Nausea and vomiting during pregnancy: effects on the quality of women's life. Birth 1992;19:138-43. 6. Devitt NF. Hyperemesis gravidarum; a case report suggesting new concepts and research needs. Fam Pract Res J 1991;11:279-82. 7. Soules MR, Hughes CL, Garcia JA. Livengood CH, Prystowsky MR, Alexander E 3rd. Nausea and vomiting of pregnancy: role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e and 17-hydroxyprogesteron. Obstet Gynecol 1980;55:696-700. 8. Goodwin TH, Montoro M, Mestman JH. Transient hyperthiroidism and hyperemesis gravidarum: clinical aspect. Am J Obstet Gynecol 1992;167:648-52. 9. Hod M, Orvieto R, Kaplan B, Friedman S, Ovadia J, Hyperemesis gravidarum: a review. J Reprod Med 1994;39:605-12. 10. Safari HR, Alsulyman OM, Gheman RB. Experience with oral methylprednisolone in treatment in the treatment hyperemesis gravidarum. Am J Obstet Gynecol 1998;178:1054-8. 11. Tayler R. Successful management of hyperemesis gravidarum using steroid theraphy. The Quarterly jounal of medicine 1996;89:103-7. 12..., 1981; 巢元方巢氏諸病源侯論照人出版社 41:5. 13...,. 1983; 齊仲甫女科百問上海古籍書店上海下 :10-11.
14. 北京中醫醫院. 劉奉五婦人科經驗. 人民衛生出 版社, 北京, 1984;15-17,168. 15. 西山英雄. 女性と韓方. 創元社, 大阪, 1975: 251-253. 16. 李梴.. 醫學入門. 東方書店, 壹北, 1957:447-450. 17. 吳謙. 醫宗金鑑. 人民衛生出版社, 北京, 1980: 1183, 1190, 1191. 18. 黃繩武. 中國醫學百科全書(中醫婦科學). 上海科 學技術出版社, 上海, 1983:21-22. 19. 方廣. 丹溪心法附餘. 大星文化社, 서울, 1982: 723-728. 20. 程國彭. 醫學心悟. 大方出版社, 壹北, 1978:241. 21. 王璐玉. 張氏醫通. 自由出版社, 壹北, 1975; 上:403-404, 407-408. 22. 張介賓. 景岳全書. 壹聯國風出版社, 壹北, 1980:651-654. 23. 權赫蘭. 保生湯이 姙娠惡阻에 미치는 영향. 경 희대 大學院, 서울, 1987. 24. 杜順福. 重症惡阻治驗. 上海中醫藥雜誌, 上海,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2):114 121 121 1985;11:9. 25. 陳慧儂. 陽陰增液法治療惡阻重症45例. 中醫雜 誌, 北京, 1986;12:5. 26. 裴永淸. 桂枝湯治姙娠惡阻. 新中醫, 廣州, 1984;4:12, 21. 27. 王春生. 小柴胡湯治療姙娠惡阻. 中醫雜誌, 北 京, 1986;5:27. 28. 朴性植.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集文堂, 서 울, 2003;326-327, 329. 29. 洪淳用. 東武詩調. 大韓漢醫學會報 通卷 第11 號 第二卷 第四號 1964;5. 30.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四象醫學. 集文 堂, 서울, 2004:392. 444, 449, 451, 459, 461-467, 474, 479, 481, 483, 498, 505, 508. 31. 권견혁 편저. 국역東醫壽世保元. 서울, 1999:452, 472, 491-492. 32. 申弘一. 東醫壽世保元註解. 대성의학사, 서울, 2000:919-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