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I. 한국부자현황 5 1. 한국부자규모변화 6 2. 보유자산및자산축적방법변화 부자에대한인식변화 15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금융환경변화에대한인식 자산유형별포트폴리오와인식 자산포트폴리오의변화와전망 28 I

Similar documents

Contents I. 한국부자현황 3 1. 한국부자의규모 4 2. 자산형성과정과보유자산의구조 8 3. 부자에대한인식과목표자산 11 II. 자산투자행태와전망 자산유형별포트폴리오현황 자산포트폴리오의변화와전망 자산관리관심사와투자의향 24 4.

성인지통계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별지2) 이자율 조견표 ( ).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1-3.hwp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II. 기존선행연구


목차 < 요약 > Ⅰ. 국내은행 1 1. 대출태도 1 2. 신용위험 3 3. 대출수요 5 Ⅱ. 비은행금융기관 7 1. 대출태도 7 2. 신용위험 8 3. 대출수요 8 < 붙임 > 2015 년 1/4 분기금융기관대출행태서베이실시개요

MRIO (25..,..).hwp

Ⅱ. 의주택현황 1. 주택재고 1. 주택재고 1.1. 주택유형별재고 주택유형의구분주택유형은단독주택과공동주택으로구분된다. 단독주택은독립된주거의형태를갖춘일반단독주택과, 여러가구가살수있도록구성된다가구주택으로나눌수있다. 다가구주택은 3개층이하, 연면적 6m2이하, 19세대이하

<40C1B6BBE7BFF9BAB85F35BFF9C8A328C3D6C1BE292E687770>

hwp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허윤경 연구원엄근용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 제 7 호 ) 대구경북개발연구원 )sh 이이임성최최용호 *. 서론. 지역경제와지역금융의관계고찰 1. 청소년여가공간의개념및특성 2. 지역경제발전과지역금융과의관계. 수도권의경제력집중과지역경제의현황 1. 수도권의경제력집중과지역경제의침체 2. 자금의수도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Microsoft PowerPoint 산업전망_통장전부_v9.pptx

32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이슈분석 주가리레이팅가능성진단 I. 이슈분석 : 주가리레이팅가능성진단 요 약 - 1 -


목 차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1 2. 조사내용및방법 2 3. 조사기간 2 4. 조사자 2 5. 기대효과 2 Ⅱ. P2P 대출일반현황 3 1. P2P 대출의개념 3 2. P2P 대출의성장배경 7 3. P2P 대출의장점과위험 8 4. P2P 대출산업최근동향


자산관리서비스선진화방안(인쇄).hwp

<BACEB5BFBBEABDC3C0E520B1B8C1B6B8F0C7FC20BFACB1B D E687770>

GGWF Report는사회복지분야의주요현안에관하여정책의방향설정과실현에도움을주고자, 연구 조사를통한정책제안이나아이디어를제시하고자작성된자료입니다. 본보고서는경기복지재단의공식적인입장과다를수있습니다. 본보고서의내용과관련한의견이나문의사항이있으시면아래로연락주시기바랍니다. Tel

_1.hwp

현안과 과제_주택시장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_ hwp

목차 Ⅰ Ⅱ (2013)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2007

2007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OMPANY OVERVIEW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1,2,3,

목 차 1 3

Microsoft Word _선거 채권시황.doc


_KiRi_Weekly_제324호(최종).hwp

1. 12 년 5 월부동산시장소비심리지수 12년 5월 부동산시장소비심리지수 는전월보다소폭하락 5월 부동산시장소비심리지수 ( 주택 + 토지 ) 는 로전월 (110.5) 대비 1.0p 하락 주택시장소비심리지수 (111.7) 와토지시장소비심리지수 (88.9) 모두

(15-26 호 ) : 글로벌연기금의자산배분전략변화 글로벌연기금의자산현황 자산배분전략변화의특징 주요연기금사례

09³»Áö

고령화리뷰 22호 취합_편집.hwp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 , 홍준표연구위원 ( ,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제 2 호 노인가구의추세와특징 노인가구분포 전체노인가구의비율은 24 년이후꾸준히증가추세 - 7 차조사 (24 년 ) 17.5% 에서 1.4 배증가하여 15 차조사 (212 년 ) 24.2% 로상승

<4D F736F F D FBAEDB7A2B7CF5FBFACB1DDC6DDB5E5BAF1B1B3B0F8BDC32E646F63>

( 십억달러 ) Ginnie Mae MBS Fannie Mae MBS Freddie Mac MBS '9.1 '9.3 '9.5 '9.7 '9.9 '9.11 ' Case/Shiiler 2 대도시

<B1E2BEF7B1DDC0B6B8AEBAE C20C1A634C8A3292E687770>

<4D F736F F D FBAEDB7A2B7CF5FBFACB1DDC6DDB5E5BAF1B1B3B0F8BDC32E646F63>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Korean Wealth Report 수석연구원 김지현 02) 수석연구원 이수영 02)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3-2. 텔레콤 시장재편 전망

hwp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금융선진화를위한비전및 정책과제 ( 요약 ) 한국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보험연구원

5. 각 모델포트폴리오간 차이에 관한 사항 (1) 구분기준 : 포트폴리오 위험도에 따라 초고위험,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초저위험으로 구분 (2) 운용방식의 차이 : 모델포트폴리오 별 투자전략을 기초로 변동성 및 수익률을 고려하여 운용 (3) 모델포트폴리오 별 투자

내지2도작업

Microsoft Word docx

연구위원 도철환 02) 연구위원 정희수 02) 연구원 강전은 02) 연구원 한승준 0

改正稅法 企劃財政部

1362È£ 1¸é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Template

확정급여형3차

2002report hwp

2. 경기도사회통합부문의 OECD 내위상 q 경기도는사회복지수준과성평등수준이 OECD 34 개국중에서거의최하위수준 경기도는 인당복지비용 위 대비사회복지지출비중 위 경기도는성평등지표에서여성고용률 위 여성취업자비중 위 여성의경제활동참가율 위 q 경기도는건강증진수준은비교적양

Microsoft Word - 2 ISA_오재영

<B3B2C0E7C7F62E687770>

Ⅳ. 가구구조 1. 가구구조의변화 1. 가구구조의변화 1.3 자치구가구수분포 1.1 가구수의변화 평균가구원수가가장큰구는양천구로 2.93 명, 가장작은구는관악구로 2.34 명 2010 년의가구수는 350 만가구로 1980 년보다 그림 4-1 과의가구규모의증가율 (1980

Microsoft Word - KIS Weekly 279È£.doc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untitled


<4D F736F F D FBAEDB7A2B7CF5FBFACB1DDC6DDB5E5BAF1B1B3B0F8BDC32E646F63>

슬라이드 1

`18 년 10 월주택담보대출액은전월대비 2.3 조원증가한 조원기록 `18 년 11 월주택담보대출금리는전월대비 3% p 하락한 3.28% 기록 `18 년 11 월주택담보대출연체율은 0.19% 로전월 (0.19% ) 동일, 가계신용대출연체율은 0.51% 로전월


< B3E220C1F6BFAABCD2B5E62028C0E1C1A42920BAB8B5B5C0DAB7E12E687770>

시장분석 2 I 2016 년하반기주택시장전망공인중개사설문조사결과 < 그림 1> 주택매매가격및거래량전망 20.1% 55.1% 24.8% 매매가격전망매매거래량전망 2.2% 0.4% 0.3% 4.2% 4.9% 7.3% 33.3% 35.8% 32.8% 31.0% 40.8% 4

±³º¸¸®¾óÄÚ-¾Ö´º¾ó

생명보험가구가입률 (%) ( 증감 ) 전체생명보험가구가입률 (1.7%p 하락 ) 민영생명보험가구가입률 (1.2%p 하락 ) 1-2. 가구소득및학력이높을수록민영생명보험가입률높아 가구소득및학력

Microsoft PowerPoint H16_채권시장 전망_200부.pptx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2015년 귀속 세액공제증명서류 : 기본(지출처별)내역 [ 보험, 장애인전용보험] 계약자 인적사항 보험(장애인전용보험)납입내역 종류 상 호 보험종류 사업자번호 증권번호 주피보험자 종피보험자1 종피보험자2 종피보험자3 납입금액 계 메리츠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 (무) 메리츠

연구진 연구책임조승헌지역경제연구실연구위원 본연구결과는연구진의견해로서 인천광역시의정책과는다를수있습니다.

유진 SmartLeverage 사모증권 1 호 ( 주식혼합 - 파 신규 유가증권 선물 2,105 8,166-6,062 장내 누계 유가증권 선물 2, ,109 장내 가격 ,

Transcription:

2016 한국富者보고서 Korea Wealth Report 2016

Contents I. 한국부자현황 5 1. 한국부자규모변화 6 2. 보유자산및자산축적방법변화 12 3. 부자에대한인식변화 15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17 1. 금융환경변화에대한인식 18 2. 자산유형별포트폴리오와인식 22 3. 자산포트폴리오의변화와전망 28 III. 투자에대한인식과자산관리 33 1. 투자성향과금융지식 34 2. 자산관리관심사와금융니즈 39 IV. 미래준비와자산이전 45 1. 은퇴및노후준비 46 2. 상속및증여 50 발행인 윤종규 편집인 조경엽 발행처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서울특별시영등포구여의공원로 115 세우빌딩 ) 연구자 안용신 (indreams2@kbfg.com), 서정주 (jungju.seo@kbfg.com), 김예구 (yeigoo.kim@kbfg.com) 발행일 2016년 6월 00일 편집 인쇄 신우씨앤피 (T. 02-2267-4112) 본제작물은 KB 금융지주가저작권을보유하고있습니다. KB 금융지주의승인없이본책자의내용일부또는전부를다른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 한국부자, 5 년간의변화 ] 한국부자수및보유금융자산 금융자산규모별부자수증가율 21.1 만명 (0.41%) 200 억원이상부자 0.5 천명 12.7% 0.8 천명 14.2 만명 (0.28%) 318 조원 (13.8%) 476 조원 (15.3%) 2011년 2015년 2011년 2015년 0.41% 의한국부자가가계총금융자산의 15.3% 보유 50 억원미만부자 135 천명 10.2% 199 천명 금융자산 200 억원이상 초고자산가 의높은성장세 지역별부자수분포 (%) [ 서울시 ] 47.9 47.7 서울경기 18.7 20.3 42.4 천명 (62.2%) 2011 년 강남 3 구 25.7 천명 (37.8%) 8.3 7.0 대전 대구 부산 1.9 4.3 2.3 4.7 51.7 천명 (63.3%) 2015 년 강남 3 구 30.3 천명 (36.7%) 2011 년 2015 년 서울 부산및강남 3 구부자수비중하락등지역적쏠림현상약화 현재자산축적방법 (%) 부자 의최소자산기준인식 38.8 2011 2014 2016 45.8 100 억원 70 억원 28.4 13.7 26.3 21.0 사업체운영상속 / 증여부동산투자 자수성가형및상속형부자의부상과부동산투자에의한부의축적감소 2012 년 2016 년 부자 로인식되기위해필요한최소자산의기준이낮아지는모습

총자산구성비의변화 부동산자산증가자 - 감소자차이 (%) (%p) 금융자산 부동산자산 60 서울경기 / 인천지방 43.6 35.6 2012 2013 2014 2015 2016 51.4 59.5 40 20 0-20 2012 2013 2014 2015 2016-40 부동산자산비중의감소와금융자산비중의지속적증가추세 지방부동산의높은성장세및서울 / 지방부동산경기의차별화축소 유망부동산투자분야 투자성향 (%) (%) 2013 2016 안전성향위험중립적극성향 28.5 25.5 25.4 63.8 52.0 13.3 6.8 13.8 10.0 35.8 27.0 9.2 12.3 상가 토지 / 임야 아파트 0.0 실버타운 2013 2014 2015 2016 주거환경변화에따른대응및실버타운등새로운트렌드에대한관심 안전위주의투자성향감소및적정위험 / 수익추구 ( 위험중립 ) 성향증가 투자시고려사항 (%) 상속 / 증여대상 배우자 비중 2013 2016 (%. 복수응답 ) 83.9 39.0 32.3 34.4 35.0 72.8 72.7 25.8 17.3 65.0 65.1 안전성수익성세금혜택 투자의사결정시, 절세여부 가안전성 / 수익성만큼중요한문제로부각 2012 2013 2014 2015 2016 상속및증여대상으로 배우자 의가족내영향력강화추세

힌국富者보고서 는 2011 년부터매년금융자산 ( 예적금, 보험, 채권및각종금융투자상품에예치된자산의합 ) 10 억원이상보유한개인을대상으로자산운용행태및인식등을파악하기위해진행된설문조사를근거로하여작성되었습니다. 2016 한국富者보고서 는 KB 경영연구소주관으로시장조사전문회사를통해전국의금융자산 5 억원이상보유자 600 명에대한조사를수행하고 한국부자 에해당하는금융자산 10 억원이상응답자 400 명을중심으로분석하였습니다.( 조사기간 : 2016 년 3~4 월 ) 2016 년한국富者보고서 제 1 장 한국부자현황 은금융자산통계 ( 한국은행 ), 가구자산분포 ( 통계청 ), 개인소득분포및금융소득종합과세통계 ( 국세청 ), KB 국민은행개인별예치자산분포등을이용한 KB 경영연구소의추정모형을통해추정된부자현황입니다. 본보고서에제시된 2016 한국고자산가투자행태조사 는시장조사기관 나이스알앤씨 의자료조사를통해이루어졌으며, 보고서세부내용은 KB 금융그룹의공식견해가아님을밝혀둡니다.

Part I 한국부자현황 2015년말기준한국부자 ( 금융자산 10억원이상인개인 ) 는약 21만1천명으로 2014년에비해 15.9% 증가한것으로추정되며 2014년의전년대비증가율 8.7% 에비해높은수준이다. 이는지난해상반기글로벌유동성확대로인한주식시장의상승, 경기부양에의한내수회복, 주택경기개선등이부자수증가에크게영향을미친것으로볼수있다. 한국부자규모및금융자산은 2011년 14.2만명, 318조원에서 2015년 21.1 만명, 476조원으로부자수및자산규모가평균적으로매년약 10% 씩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한국부자의 44.7% 가서울에집중되어있으나, 서울이차지하는비중이매년낮아지고있고서울내에서강남3구의비중도하락세를보이고있어지역적쏠림현상이점차약해지는것으로분석된다. 한국부자는금융자산에비해부동산비중이높은자산구조를가지고있으나, 2012년이후부동산자산비중의하락세와금융자산비중의상승세가지속되고최근더욱두드러진것으로파악된다. 1. 한국부자규모변화 2. 보유자산및자산축적방법변화 3. 부자에대한인식변화

I. 한국부자현황 01 한국부자규모변화 2015년말기준한국부자는약 21만1천명으로전년대비 15.9% 증가했으며, 2011년이후매년약 10% 씩증가하고있다. 본보고서에서 한국부자 라함은 금융자산 1) 을 10억원이상보유한개인 을의미하며이전연구 2) 를참조하여 2015년부자현황과최근 5년간의한국부자의규모변화에대해살펴보고자한다. 부자 ( 富者 ) 또는 고자산가 에대한절대적기준은없지만, 세계적으로볼때 미화 1백만달러이상의투자자산을보유한개인 을고자산가라정의하고이들의자산과투자행태등에대해살펴보는것이일반적이다. 한국부자의자산운용행태와인식등을파악하기위해 2016 한국고자산가투자행태조사 를실시하였으며부자규모는 개인금융자산로렌츠곡선 3) 을통해추정되었다. 2015년말기준한국부자 ( 금융자산 10억원이상인개인 ) 는약 21만1천명으로추정된다.[ 그림1] 이는 2014년의 18만2천명에비해약 15.9% 증가한규모로 2014년부자수의전년대비증가율 8.7% 에비해크게높아진수준이다. 이들한국부자가보유하고있는금융자산은약 476조원 (1인당평균 22억6천만원 ) 으로추정되며 2014년 406조원에비해 17.3% 증가하였으며, 이는전체국민의상위 0.41% 가가계총금융자산의 15.3% 를보유하고있음을의미한다.[ 그림2] 낮은예금금리로인한단기대기성자금의증가와수익형금융상품으로의투자증가, 작년하반기이후주가하락에의한저가매수주식자금유입, 내수경기회복, 시중유동성확대등이부자수및금융자산증가에영향을미친것으로볼수있다. 6 1) 예적금, 보험, 주식, 채권및각종금융투자상품에예치된자산의합을의미하며, 거주및투자용부동산, 수집품및기타의실물자산은제외 2) 한국富者연구 : 자산형성과투자행태, 라이프스타일 (2011.7), 2012 한국富者보고서 (2012.7), 2013 한국富者보고서 (2013.6), 2014 한국富者보고서 (2014.7), 2015 한국富者보고서 (2015.6) 3) 금융자산통계 ( 한국은행 ), 가구자산분포 ( 통계청 ), 개인소득분포및금융소득종합과세통계 ( 국세청 ), KB 국민은행개인별예치자산분포등을이용한 KB 경영연구소의추정모형

[ 그림1] 한국부자수 [ 그림2] 한국부자의금융자산 ( 단위 : 천명 ) ( 단위 : 조원 ) 211 476 142 163 167 182 318 366 369 406 2011 2012 2013 2014 2015 2011 2012 2013 2014 2015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의한국부자규모변화에대해살펴보면 2011년부자수는 14.2만명으로전체국민의 0.28% 수준에서 2015년 21.1만명, 0.41% 수준으로약 1.5배증가하였으며, 전체금융자산중부자의금융자산비율도 2011년 13.8%(318조원 ) 에서 2015년 15.3%(476조원 ) 로증가하였다.[ 그림3] 최근 5년간의연평균증가율 (CAGR) 을살펴보면부자수는 10.3%, 금융자산은 10.6% 로매년약 10% 의꾸준한증가율을보인것으로나타났다. 2011년이후부자수의증가세는구간별로다소차이가있는데 200~300 억원을보유한부자수가연평균 14.1% 증가하며가장큰폭의증가세를보인반면, 10~30억원미만을보유한부자는상대적으로낮은증가율을보였다.[ 그림4] 2006~2010년 5년간금융자산 30~50억원을보유한부자수가연평균 23.7% 로가장큰폭의증가세를보이고 200억원이상을보유한부자가상대적으로낮은증가율을보인것과비교했을때과거 5년에비해최근 5년동안금융자산 200억원이상 초고자산가 의증가가두드러진것으로분석된다. 7

I. 한국부자현황 [ 그림3] 부자수및금융자산비중 [ 그림4] 금융자산수준별부자수증가 ( 단위 : %) ( 단위 : %) 전체금융자산대비부자금융자산비중 2011년 ~2015년연평균증가율 (CAGR) 전체인구대비부자수비중 13.8 14.8 14.0 14.3 15.3 10.1 11.2 13.0 11.3 14.1 11.1 0.28 0.32 0.33 0.35 0.41 2011 2012 2013 2014 2015 10~30 억원 30~50 억원 50~100 억원 100~200 200~300 300억원억원억원이상 한국부자의수를지역별로살펴보면, 서울이약 9 만 4 천명으로전국부 한국부자는지역적으로서울 44.7%, 경기 20.3%, 부산 7.0% 순으로집중되어있으나, 2011년이후서울및부산지역비중은감소하고있다. 자수의 44.7% 를차지하며, 다음으로경기 4만3천명 (20.3%), 부산 1만5천명 (7.0%) 순으로나타났다.[ 그림5] 각지역의인구대비부자수비율은서울이 0.94% 로전국에서가장높았으며, 부산 0.42%, 대구 0.40%, 경기 0.34%, 제주 0.32% 순으로높게나타났다. [ 그림5] 전국지역별부자수 ( 단위 : 천명 ) 8

한편, 한국부자의지역분포에서최근 5년간눈에띄는점은모든지역에서부자의수가증가하는가운데서울의비중은 2011년 47.9% 에서 2015년 44.7% 로, 부산은 2011년 8.3% 에서 2015년 7.0% 로지속적인감소세를보이는반면, 대부분의지역비중은증가하고있다는것이다. 특히경기도의비중이 2011년 18.7% 에서 2015년 20.3% 로가장큰폭으로상승하였으며, 대구, 대전, 광주, 전남, 경북등지역에서도소폭의상승세를보이고있다. 이러한경향은서울, 부산의인구감소와수도권 / 지방간경제차별화로인한현상으로해석된다.[ 그림6] 47.9 44.7 [ 그림 6] 한국부자수의지역별비중변화 2011 2015 ( 단위 : %) 4.3 4.7 3.3 3.5 2.8 2.8 2.0 2.3 1.9 2.3 1.7 2.0 1.4 1.7 1.6 1.7 1.6 1.6 1.3 1.6 1.2 1.4 1.3 1.3 0.9 1.0 8.3 7.0 18.7 20.3 서울경기부산대구경남인천경북대전광주전남충남전북울산강원충북제주 서울및수도권을좀더자세히살펴보면, 서울내에서는강남3구 (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 가약 3.4만명으로서울부자수의 36.7% 를차지하고있으며, 다음으로양천구, 동작구, 영등포구순으로분석되었다.[ 그림7] 경기도의세부지역별부자수는성남시가약 8천명으로가장많고, 다음으로용인시, 고양시, 수원시순이었다.[ 그림8] 강남3구에서울부자의 36.7% 가집중되어있으나, 지역적쏠림은점차약해지는추세에있다. 9

I. 한국부자현황 [ 그림7] 서울구 ( 區 ) 별부자수 [ 그림8] 경기도시 ( 市 ) 별부자수 ( 단위 : 천명 ) ( 단위 : 천명 ) 14.1 강남 기타 10.2 7.6 성남 기타 강서 32.4 3.4 3.5 3.6 마포 용산 3.8 광진 서울 94.1 3.9 4.0 4.9 영등포동작 11.2 9.1 양천 송파 서초 김포광명 안산 남양주 1.0 1.1 1.2 1.7 안양 2.2 3.1 부천 경기도 42.7 3.4 수원 5.0 5.9 고양 용인 최근 5년간부자수는서울모든구 ( 區 ) 및경기도모든시 ( 市 ) 에서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으나강남3구비중이 2011년 37.8% 에서 2015년 36.7% 로하락하였고, 경기도부자수에서성남시, 용인시, 고양시의비중도같은기간 44.8% 에서 43.6% 로하락하여지역적쏠림현상이지속적으로약해지고있는것으로분석된다. 서울구 ( 區 ) 별부자수비중을자세히살펴보면, 강남구부자수비중이 2011년대비 2015년 -0.9%p의가장큰폭으로감소하였으며같은기간종로구 -0.6%p, 용산구 -0.5%p 순으로감소하였다.[ 그림9] 2011년대비 2015년부자수비중이증가한구 ( 區 ) 는동작구, 구로구, 마포구순으로강남3구를제외한나머지구에서는부동산개발, 주거이동등에의해부자수가꾸준히변화하면서구별격차도점차해소되고있는것으로분석된다. 경기도의경우, 성남시의부자수비중이 2011년 19.2% 에서 2015년 17.9% 로 -1.3%p 감소하여경기도내에서가장큰폭으로감소하였으며, 남양주시및수원시의부자수비중이각각 0.9%p, 0.7%p 증가하였다. 10

15.9 15.0 [ 그림9] 서울부자수의구별비중변화 (2015년기준상위 12개 ) 2011 2015 12.311.9 9.6 9.7 ( 단위 : %) 5.7 5.2 3.8 4.3 4.2 4.1 3.8 4.0 4.3 3.8 3.4 3.8 3.4 3.6 3.2 3.4 3.0 3.3 강남구서초구송파구양천구동작구영등포구광진구용산구마포구강서구성북구강동구 6대광역시중부산은해운대구의부자수가가장많으며, 대구수성구의경우광역시구단위에서는부자수가가장많은지역으로분석되었다. 그외인천연수구, 대전유성구, 광주서구, 울산남구등이해당광역시내에서상대적으로부자가많은것으로분석된다.[ 표1] [ 표1] 6대광역시구 ( 區 ) 별부자수 ( 단위 : 천명 )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 해운대 3.1 수성 3.9 연수 1.5 유성 2.0 서 1.2 남 1.8 남 1.4 달서 2.6 부평 1.1 서 1.5 북 1.2 중 0.7 부산진 1.4 북 1.2 남동 1.0 중 0.8 남 0.8 기타 0.8 동래 1.3 동 0.7 서 0.9 기타 0.6 기타 1.0 기타 7.3 기타 1.5 기타 1.4 계 14.6 계 9.9 계 5.9 계 4.8 계 4.2 계 3.3 이러한한국부자들에대한연구의일환으로 2016 한국고자산가투자행태조사 4) 를시행하고다양한자료를수집하였다. 이후로는조사자료를기반으로한국부자의자산구조와투자행태, 각종인식과전망등에대해자세히살펴보도록하겠다. 4) KB 경영연구소주관, 시장조사전문회사나이스알앤씨 를통해전국의금융자산 5 억원이상보유자 600 명에대한조사를수행했으며, 본보고서에서는 한국부자 에해당하는금융자산 10 억원이상응답자 400 명을중심으로분석함 ( 조사기간 : 2016 년 3~4 월 ) 11

I. 한국부자현황 02 보유자산및자산축적방법변화 한국부자의총자산구성비는부동산자산 51.4%, 금융자산 43.6%, 기타자산 5.0% 로부동산비중이다소높은구조를보이고있으나, 부동산자산비중은점차낮아지는추세이다. 금융자산 10억원이상보유한한국부자들의총자산은어떻게구성되어있는지, 이러한자산구조는최근몇년간어떠한변화를보이고있는지알아보자. 한국부자의보유자산 5) 구성비 6) 는부동산자산 ( 주택, 건물, 상가, 토지등 ) 51.4%, 금융자산 43.6%, 기타자산 ( 예술품, 회원권등 ) 5.0% 인것으로나타났으며부동산비중이다소높은자산구조를보이고있다. 하지만국내가계의평균자산구성은금융자산비중이 26.5% 7), 거주주택을포함한부동산자산비중이 68.2% 에달할만큼부동산에치우친구조를가지고있어일반가구의자산구조에비해서는금융자산비중이월등히높은수준임을알수있다.[ 그림10] 부자의부동산자산비중은감소하고금융자산비중이증가하는추세는 2012년이후지속되고있으며, 이러한경향이더욱뚜렷해진것으로볼수있다.[ 그림11] 이러한금융자산비중의증가세는과거에비해낮아진부동산투자수익률, 보험 / 연금등의장기금융자산의증가추세등으로인해당분간지속될것으로예상된다. [ 그림10] 한국부자의총자산구성비 [ 그림11] 자산구성비의변화추세 ( 단위 : %) ( 단위 : %) 금융자산부동산자산기타자산 금융자산비중 부동산자산비중 5.0 59.5 56.9 55.7 52.4 51.4 43.6 51.4 35.6 37.8 39.2 43.1 43.6 2012 2013 2014 2015 2016 12 5) 조사에응답한한국부자 400 명의보유자산은중앙값기준으로약 43 억원 6) 총자산중부동산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의비중은각개인의부문별자산비중을산출한후이에대한중앙값을기준으로산출 7) 통계청 2015 년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따르면, 국내가계의평균자산은 34,246 만원이며, 금융자산 9,087 만원 (26.5%), 부동산자산 23,345 만원 (68.2%), 기타실물자산 1,815 만원 (5.3%) 으로구성

자산구성비는보유자특성에따라다소차이를보이는데, 총자산의규모가클수록부동산비중이높은반면금융자산비중이상대적으로낮은형태를보인다. 지역적으로는지방에비해서울및수도권, 특히강남3구부자에게서부동산자산비중이상대적으로높음을알수있고, 연령별로는 40대이하에비해 50대이상층에서부동산자산비중이높게나타난다.[ 그림12] 48.6 [ 그림12] 자산규모, 지역, 연령별자산구조비교 ( 단위 : %) 금융자산비중 부동산자산비중 총자산규모별 거주지역별 연령별 54.5 60.7 59.2 54.0 52.7 49.4 46.9 51.5 53.4 45.9 40.7 36.4 35.9 44.8 40.5 43.4 47.9 43.6 41.6 50 억원미만 50~100 억원 100 억원이상 강남 3 구서울 _ 기타경기, 인천 지방 40 대이하 50 대 60 대이상 과거자산증식의중요한수단이었던부동산투자나세대간부의이전등을활용하여현재부자는어떻게자산을축적했으며어떻게변화하고있는지살펴보자. 현재자산을축적한가장주된 (1순위) 방법은 사업체운영 (38.8%) 이며, 부모의증여 / 상속 (26.3%), 부동산투자 (21.0%) 등이큰영향을미친것으로조사되었다. 2011년조사결과와비교해보면 사업체운영 및 부모의증여 / 상속 에의한현재자산형성은지속적으로증가하는반면, 부동산투자 에의한자산축적은 2011년 45.8% 에서 2016년 21.0% 로감소하였다.[ 그림 13] 이는과거에비해부동산투자를통한높은수익률을기대하기어려워짐에따라사업체운영및확대등을통한부의축적이활발해지고있음을시사한다. 한편, 총자산규모가증가할수록자산축적의가장주된 (1순위) 방법으로부모의증여 / 상속 인비중이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총자산 100억원미만부자의경우, 현재자산형성의가장주된수단이 사업체운영 인반면, 총 부자들의가장주된자산축적방법은 사업체운영, 부모의증여 / 상속, 부동산투자 순이나, 총자산규모가클수록 부모의증여 / 상속 비중이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13

I. 한국부자현황 자산 100 억원이상부자는 부모의증여 / 상속 이현재자산형성에가장큰영 향을미친것으로조사되었으며, 이는자산이많을수록자녀세대로의부 ( 富 ) 이전이더욱뚜렷하게나타나는것으로해석된다.[ 그림 14] [ 그림13] 현재자산축적방법변화 [ 그림14] 총자산규모별자산축적방법 ( 단위 : %, 1순위기준 ) ( 단위 : %, 2016년 1순위기준 ) 28.4 38.8 사업체운영 13.7 26.3 부모의증여 / 상속 45.8 부동산투자 21.0 3.9 2011 2014 2016 급여 7.5 6.2 5.0 2.0 1.5 금융직접투자 금융간접투자 사업체운영부동산투자부모의증여 / 상속 43.2 39.0 34.0 40.0 33.1 23.4 24.3 32.5 14.9 22.3 18.6 17.5 30억원미만 30~50억원 50~100억원 100억원이상 14

부자에대한인식변화 03 금융자산 10억원이상의한국부자의 부자 에대한인식은어떻게변화하였을까? 2016년조사응답자중본인이부자라고생각하는비율은 35.3% 로 2012년 32.0% 에비해다소증가하였다.[ 그림15] 전체응답의중앙값을한국부자의 부자의기준 으로간주해볼때, 일반인의기준에서는여전히높은수치이지만한국부자의부의기준은 2012년총자산 100억원에서 2016년 70억원으로낮아져한국부자들의부에대한기대수준은점차낮아지는것으로해석된다. 이는부자의최소기준을 100억원이상으로생각하는응답은 2016년 41.3% 수준으로여전히높긴하나 2012년 68.8% 에비하면크게낮아진것에서도확인할수있다.[ 그림16] 금융자산 10억원이상의한국부자중 65% 는본인이부자라고생각하지않고있으며, 한국부자중 41% 는최소 100억원이상의자산을가져야부자라고생각하고있다. [ 그림15] 본인이부자라는인식 [ 그림16] 부자이기위한최소자산인식 ( 단위 : %) ( 단위 : %) Q> 본인이부자라고생각하십니까? 3.0 15.3 16.3 8.0 300억원이상 13.5 18.3 30.3 150~300억원 68.0 64.8 NO 40.0 30.3 100~150억원 37.8 50~ 100억원 32.0 YES 35.3 21.8 24.5 21.0 50억원미만 9.5 10.8 2012 2016 2012 2014 2016 과거에비해낮아진부자들의부에대한기준은향후목표로하는자산규모의변화에서도파악할수있는데향후 100억원이상의자산을목표로하는경우는 2012년 53.5% 로가장많았으나, 2016년 32.8% 로감소하였으며 30~50억원, 50~100억원을목표로하는비중은점차증가 53.5 34.3 [ 그림17] 향후목표자산규모 ( 단위 : %) 39.5 40.3 32.8 46.3 16.0 18.0 10.8 1.5 4.3 3.0 2012 2014 2016 100 억원이상 50~100 억원 30~50 억원 30 억원미만 15

I. 한국부자현황 하고있다.[ 그림 17] 한국부자중과반수가넘는 58% 는자녀세대는본인만큼살기는어려울것이며, 73% 는자녀세대는자수성가하기힘들어졌다고인식하고있다. 한국부자들의부에대한기준의변화는현재본인세대의부의규모뿐만아니라자녀세대의부에대한인식에도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자녀세대는나만큼살기어려울것이라고응답한비율은과반수가넘는약 58% 로총자산규모가높을수록 매우그렇다 고인식한비율이높은것으로조사되었다. 또한자녀세대는자수성가하기매우힘들어졌다고인식한비율은 20% 로나타났으며 약간그렇다 고인식하는경우까지포함하면 73% 이상의한국부자들은물려받은재산없이자녀스스로의힘으로는부자가되기힘들것이라는인식을가진것으로볼수있다.[ 그림18] [ 그림 18] 자녀세대의부에대한인식 Q> 내자녀들은나만큼잘살기어려울것임 Q> 자녀세대는자수성가하기힘들어졌음 ( 단위 : %) 11.3 47.0 30.0 11.8 전체 6.3 20.5 53.0 20.0 10.6 52.1 23.4 13.8 총자산 10~30 억원 5.3 13.8 59.6 21.3 그렇지않다 10.1 48.6 31.1 10.1 총자산 30~50 억원 6.1 22.3 50.7 20.3 보통 / 반반이다 약간그렇다 12.7 44.1 29.7 13.6 총자산 50~100 억원 8.5 17.8 52.5 21.2 매우그렇다 12.5 37.5 42.5 7.5 총자산 100 억원이상 2.5 37.5 47.5 12.5 16

Part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한국부자는경제상황과관련하여기준금리인하를통한경기활성화에대해상반된기대를가지고있으며한국경제는복지보다성장이중요하다고인식하고있다. 하지만저성장 저금리의추세가지속심화됨에따라장기불황에빠질가능성에대해우려하고있으며이에따라원하는투자수익률을얻기가과거에비해점차어려워질것으로인식하는것으로나타났다. 국내부동산경기에대해서도긍정적인인식보다부정적인식이많은것으로조사되어앞으로부동산투자를통해과거와같은높은수익을거두기는어려울것으로보고있다. 한국부자의부동산자산중평균 54% 는투자용부동산이차지하고있으며, 자산이많을수록빌딩및상가에대한투자선호도가증가하는경향을보인다. 금융자산중에는현금과예적금이 42% 를차지하며, 보험 19%, 주식및펀드등이약 30% 에이르는것으로나타났다. 자산이많을수록현금 / 예적금비중이감소하고신탁 /ELS 등의간접투자상품과채권에대한투자비중이높아지는경향을보인다. 앞으로의포트폴리오운용에서투자용부동산에대한증가의향이가장높게나타났으나투자 / 저축성보험에대한증가의향도크게증가하였다. 또한지난해에비해해외펀드나해외주식보다국내주식에대한수익률기대가높아졌으며, 수익과위험을모두고려할경우가장선호하는투자대상은여전히국내부동산을 1순위로인식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1. 금융환경변화에대한인식 2. 자산유형별포트폴리오와인식 3. 자산포트폴리오의변화와전망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01 금융환경변화에대한인식 한국부자의자산포트폴리오및투자행태를자세히살펴보기에앞서, 최근의경제상황이나투자환경등에대해한국의부자들은어떠한인식을가지고있는지먼저알아보자. 경기활성화를위한기준금리인하효과에대해서는긍정적인인식이다소높은편이지만 매우그렇다 는비율이 2015년 3.3% 에서 10.1% 로증가하고, 그렇지않다 비율도 2015년 6.5% 에서 11.6% 로증가하면서기준금리인하로인한경기활성화에대해서는상반된견해들이있는것으로보인다. 또한한국경제에있어복지보다성장이중요하다고응답한비율이 67.3% 이며총자산이높을수록복지보다는성장을중요하게인식하는비율이높아지는것으로나타났다.[ 그림19] [ 그림 19] 국내금리및성장에대한인식 Q> 기준금리인하는경기활성화에도움될것 Q> 향후방향은복지보다성장이중요함 ( 단위 : %) 10.1 43.7 34.6 11.6 전체 6.3 26.5 61.5 5.8 8.8 38.5 42.9 9.9 총자산 10~30 억원 5.3 26.6 63.8 4.3 그렇지않다 12.2 34.7 37.4 15.6 총자산 30~50 억원 6.1 29.7 60.1 4.1 보통 / 반반이다약간그렇다 7.6 55.9 28.0 8.5 총자산 50~100 억원 7.6 25.4 60.2 6.8 매우그렇다 12.5 52.5 25.0 10.0 총자산 100 억원이상 5.0 17.5 65.0 12.5 국제경제의저성장 저금리환경이더욱심화될것이라는인식이많으며장기불황가능성에대한우려도높게나타났다. 한국부자들은복지보다성장이중요하다고생각하고있지만국내경제환경의저성장 저금리흐름에대해서는향후에도이러한추세가유지되고심화될것이라는우려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전체조사응답자의 30.3% 는저성장 저금리의심화가능성이매우높다고인식하고있었으며, 약간그렇다 고인식하는경우까지포함하면약 90% 의한국부자들은저성장 저금리가심화될것이라는인식을가진것으로볼수있다. 이는 2015년조사결과보다약 8%p 증가한것으로저성장 저금리심화에대한인식은점차확 18

대되고있으며총자산이많은부자에게서상대적으로더욱높게나타나고있다. 이러한저성장 저금리심화에대한우려는장기불황가능성에대한우려로이어지고있는데응답자의과반수가넘는 62.8% 가장기불황에빠질가능성이높다고인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그림20] [ 그림 20] 국내경기및장기불황에대한인식 ( 단위 : %) Q> 앞으로저금리 저성장은더욱심화될것 Q> 장기불황에빠질가능성이높음 30.3 59.3 9.3 전체 4.3 32.8 49.2 13.6 29.8 61.7 6.4 총자산 10~30 억원 4.4 40.0 45.6 10.0 그렇지않다 31.8 29.7 58.8 55.9 9.5 12.7 총자산 30~50 억원 총자산 50~100 억원 3.4 5.9 33.8 21.2 55.9 49.3 13.5 16.9 보통 / 반반이다약간그렇다매우그렇다 27.5 65.0 5.0 총자산 100 억원이상 2.5 47.5 37.5 12.5 또한투자수익률에대한기대도지속적으로낮아져한국부자의 93% 가과거에비해원하는투자수익률을얻기어려워졌다고응답했으며이는 2015 년응답자에비해 6%p 증가한수치이다. 또한응답자중 65% 는 새로운투자보다유동성확보가중요하다 고인식하고있으며총자산이많은부자일수록이러한인식이강하게나타나고있다. 주택경기활성화및코스피의 4년만의최고치경신등으로부동산시장과주식시장에서긍정적기대감이커지기도했으나, 미국의금리인상, 중국의경기둔화등국내외경제이슈에따라경기전망의변동성도여전히높아이러한인식은당분간지속될것으로보인 과거에비해원하는투자수익률을얻기어렵다고인식하며, 새로운투자보다유동성확보의중요성에대해크게인식하고있다. 다.[ 그림 21] 19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 그림21] 투자수익률및유동성확보에대한인식 ( 단위 : %) Q> 과거에비해원하는투자수익률얻기어려움 Q> 지금은특정금융상품투자보다유동성확보가중요 36.3 56.3 6.8 전체 4.3 30.4 52.5 12.8 29.8 59.6 9.6 총자산 10~30 억원 4.3 25.5 54.3 16.0 그렇지않다 45.3 50.0 4.1 총자산 30~50 억원 4.1 31.3 53.7 10.9 보통 / 반반이다약간그렇다 29.7 59.3 10.2 총자산 50~100 억원 4.2 33.9 51.7 10.2 매우그렇다 37.5 62.5 0.0 총자산 100억원이상 5.1 28.2 46.2 20.5 경제상황에대한우려는앞으로의국내부동산경기와관련해서부정적인식이긍정적인식보다다소높아진것에서도나타난다. 응답자중절반이넘는 60.3% 의응답자가앞으로의부동산경기가지금과비슷한수준일것이라고인식하고있으나, 나빠질것이라고보는비율 (21.0%) 이좋아질것이라고보는비율 (18.8%) 보다높게나타났다. 서울과수도권에서는긍정적인식 (24.7%) 이부정적인식 (11.0%) 보다많았으나, 지방이거나금융자산 30억원미만부자에게부동산경기가나빠질것이라는인식이높게나타나지역에따라, 자산규모에따라부동산경기에대한견해가크게다른경향을보였다.[ 그림22] 하지만부동산경기를부정적으로보는응답자내에서도부동산을처분하겠다는응답은 4% 에그쳤으며, 25% 는전 / 월세형태로의전환이나타고수익부동산에투자하려는계획을가지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전체 1.0 0.3 18.5 60.3 20.0 [ 그림 22] 향후국내부동산경기에대한전망 매우나빠짐조금나빠짐지금과비슷조금좋아짐매우좋아짐 거주지역별 24.3 64.3 10.0 서울 / 수도권 1.0 48.0 50.0 지방 12.8 17.6 40.4 43.6 30 억원미만 ( 단위 : %) 총자산규모별 68.9 13.5 10.2 30~50 억원 24.6 64.4 50~100 억원 17.5 62.5 17.5 100 억원이상 20

앞으로의부동산경기에대한인 식이다소부정적인것과같이부동 산투자수익률에대해서도기대수 준이높지않은것으로분석된다. 전체응답자의 67% 가 앞으로부동 산투자를통해높은수익을거두기 는어렵다 는데에동의하고있어, 그렇지않다는응답률 6.3% 와큰 차이를보였다.[ 그림 23] 이러한경향 은거주지역이나총자산수준에따라서도큰차이를보이지않고유사하게 나타난다. 부동산투자의실제및기대수익률수준, 금융상품등여러투자 대상과비교한부동산투자수익률기대등에대해서는 2 장 2 절의 자산유형 별포트폴리오와인식 및 2 장 3 절의 자산포트폴리오의변화와전망 에서자 세히살펴보도록하겠다. [ 그림23] 향후부동산투자수익률인식 ( 단위 : %) 장기적으로부동산 Q> 앞으로부동산투자를통해높은수익을투자를통해높은거두기는어려울것이다수익을거두기는 6.3 어렵다는인식이 18.8 부정높아지고있다. 26.5 보통 48.3 약간긍정 매우긍정 21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02 자산유형별포트폴리오와인식 1장 2절 보유자산및자산축적방법변화 에서이미한국부자의총자산은부동산자산 51.4%, 금융자산 43.6%, 기타자산 5.0% 로구성되어있음을살펴보았으며앞으로는실제한국부자들의부동산자산과금융자산은세부적으로어떻게구성되어있는지살펴보자. 한국부자의부동산자산중 54% 는투자용부동산이며, 자산이많을수록빌딩 / 상가에대한투자선호도가특히높은것으로나타난다. 먼저한국부자의부동산자산은 거주용주택 / 아파트 / 오피스텔 이 45.8% 였으며, 거주용외 빌딩 / 상가 (23.2%), 투자용주택 / 아파트 / 오피스텔 (20.1%), 토지 (10.9%) 등투자용부동산의비중이 54.2% 를차지하고있다. 한편, 지난해와마찬가지로자산규모가큰부자일수록전체부동산자산중투자용부동산비중이높게나타나는데, 총자산 50억원미만의경우 47.5%, 50~100 억원의경우 61.9%, 100억원이상의경우 72.1% 가투자용부동산인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자산이많을수록 빌딩 / 상가 에대한투자비중이급격히증가하고있어, 초고자산가를중심으로 빌딩 / 상가 에대한투자선호도가매우 높음을알수있다.[ 그림 24] 전체 [ 그림 24] 부동산자산포트폴리오및총자산규모별비교 총자산규모별 ( 단위 : %) 빌딩 / 상가 토지 23.2 10.9 20.1 투자용주택 / 아파트 / 오피스텔 45.8 거주용주택 / 아파트 / 오피스텔 10.7 10.3 13.3 18.2 27.6 토지 18.5 40.5 빌딩 / 상가 24.0 18.4 투자용주택 / 아파트 / 오피스텔 52.5 38.1 27.9 거주용주택 / 아파트 / 오피스텔 50억원미만 50~100 억원 100억원이상 한국부자중 81.5% 가토지이외의투자용부동산을보유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는데, 이는지난해조사결과 93.8% 에비해낮아진수준으로 거주용주택 / 아파트 / 오피스텔 등의거주용부동산과금융자산을기반으로 금융자산 10억원이상 의범주안에처음진입한부자가많은것으로해석된다. 가장대표적인투자대상부동산은 상가 (55.2%) 로나타나지난해조사와큰 22

차이를보이지않았으며, 다음으로 아파트 (40.5%), 오피스텔 (26.1%) 순으 로높은투자율을보이고있다.[ 그림25] 서울및수도권부자와지방부자를비교해보면, 아파트투자율은각각 40.7% 와 40.0% 로유사한수준이지만, 오피스텔투자율은지방 9.4% 로서울및수도권 32.0% 에비해크게못미치는수준으로나타났다. [ 그림25] 투자용부동산보유자의투자부동산종류 ( 단위 : %, 중복선택 ) 55.2 40.5 한국부자의대표적인투자대상부동산은상가, 아파트, 오피스텔순으로향후기대하는유망투자처도비슷한수준이며, 오피스텔에대한기대가상대적으로높아졌다. 26.1 16.9 3.7 3.4 3.1 0.6 상가 아파트 오피스텔 단독 / 연립 주택 전원주택 오피스빌딩 도시형 생활주택 실버타운 향후국내부동산에투자한다고가정할경우, 가장유망할것으로예상하는투자처는상가 (25.5%), 오피스텔 (15.3%), 아파트 (13.8%) 순으로나타났으며지난해조사결과와비교해보면 8) 오피스텔에대한투자기대가상대적으로높아진것으로파악된다. 또한토지, 실버타운에대한기대가높아진반면, 단독 / 연립주택, 아파트등에대한투자기대는다소낮아진것으로파악된다. 이러한기대는주거용오피스텔의등장과수요자의관심증가, 주택매매가격의상승세, 수익형 / 도심권부동산투자선호및고령화에따른실버타운에대한관심등이영향을미친것으로이해할수있다.[ 그림26] 8) 2015 년조사, 유망부동산투자처 (1 순위, 1+2 순위 ): 상가 (25.8%, 46.8%), 아파트 (15.8%, 26.0%), 오피스텔 (14.3%, 25.0%), 토지 (10.0%, 21.0%), 오피스빌딩 (8.0%, 18.3%), 실버타운 (7.8%, 18.0%), 단독 / 연립주택 (6.0%, 14.8%), 전원주택 (5.3%, 14.3%) 등 23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 그림 26] 향후국내부동산투자시유망분야 1 순위 1+2 순위 ( 단위 : %) 25.5 15.3 32.3 13.8 22.0 13.3 27.5 10.0 24.0 7.5 15.0 5.3 11.3 3.8 12.5 3.0 8.3 2.8 7.3 40.0 상가 오피스텔 아파트 토지 / 임야 실버타운 오피스빌딩 전원주택 분양형호텔 단독 / 연립주택 부동산펀드 한편, 현재보유하고있는투자용부동산의연평균수익률은 8.5% 로지난해조사결과 5.9% 에비해상승한것으로조사되었다. 향후기대수익률도평균 14.1% 로지난해의 9.8% 에비해 4.3%p 상승하면서투자용부동산수익에대해기대수준이높아진것으로나타났으며이는지속되는전세가격의상승세, 월세전환증가, 부동산경기회복등의영향으로해석된다. 강남 3 구부자의기대수익률은 15.7%, 기타서울지역 15.2%, 경기및인천 15.0%, 지방 10.5% 로투자용부동산의기대수익률은서울및수도권과지방이다소차이를보이는것으로조사되었다. 또한, 투자용주택 ( 아파트, 오피스텔등포함 ) 을임대하고있는경우전세에대한선호도는크게낮아진반면월세에대한선호도는더욱증가하였다. 현재전세형태를활용하는경우, 향후월세로의전환의향이 2014년 75.9% 에서 2015년 76.8%, 2016년 89.8% 로지속적으로높아지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표2] [ 표 2] 투자용주택에대한전세 월세활용현황 현재의임대형태 전세임대자의월세전환의향 전세월세전월세모두없음보통있음 2015 년 11.7% 41.7% 46.6% 4.5% 18.7% 76.8% 2016 년 6.8% 42.8% 50.5% 4.7% 5.5% 89.8% 24

다음으로한국부자의금융자산포트폴리오는세부적으로어떻게구성되어있는지살펴보자. 한국부자가보유하고있는금융자산중에는현금및예적금이 41.7% 로가장높은비중을차지하고투자 / 저축성보험 (18.5%), 주식 (17.2%), 펀드 (11.9%) 순으로나타났다. 총자산수준에따라다소차이를보이는데, 총자산이많을수록예적금비중이감소하는대신신탁 /ELS, 채권등에대한투자비중이증가하는경향을보인다. 이러한경향은예적금과같은안전금융자산에일정금액을투자한후, 나머지여유자금은투자수익을높일수있는금융자산에투자하는행태로이해할수있다.[ 그림27] 금융자산의평균 41.7% 는현금및예적금이차지하고있으며, 총자산이많을수록예적금비중이감소하고신탁 /ELS, 채권등의투자비중이높아진다. 펀드 주식 채권 11.9 17.2 5.6 5.1 투자 / 저축성보험 전체 신탁 /ELS 등 18.5 [ 그림 27] 금융자산포트폴리오및총자산규모별비교 41.7 현금및예적금 3.8 4.2 12.0 15.9 19.7 44.5 50 억원미만 총자산규모별 6.9 8.3 7.0 9.8 11.5 12.6 19.6 16.9 18.6 15.8 38.2 35.1 50~100 억원 100 억원이상 ( 단위 : %) 신탁 /ELS 등채권펀드주식투자 / 저축성보험현금및예적금 금융상품중예적금과투자 / 저축성보험은보유율이각각 97.5%, 94.0% 에이를정도로대부분의한국부자가보유하고있으며, 다음으로펀드 71.3%, 주식 68.3% 순으로보유율이높게나타났다. 예적금과보험이외의투자상품은연령, 총자산규모등에따라다소차이를보이는데, 연령대가낮을수록상대적으로펀드및주식보유율이높게나타나며, 연령이높을수록채권과신탁 /ELS/ETF 보유율이높아지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총자산이많을수록대부분의투자상품의보유율이크게증가하는경향도나타난다.[ 그림28] 지난해조사결과 9) 와비교해보면한국부자는투자 / 저축성보험등의장기안전자 9) 2015 년조사 : 현금및예적금 (47.2%), 주식 (16.0%), 펀드 (14.5%), 투자 / 저축성보험 (14.4%), 신탁 /ELS 등 (3.4%) 25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산비중을확대하고채권, 신탁 /ELS 등중위험 중수익금융상품가입을통 해금융환경및경제상황변화에맞게지속적인자산포트폴리오조정을하 고있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71.3 68.3 연령별 35.8 27.5 펀드 주식 채권 신탁 / ELS/ETF [ 그림 28] 주요금융투자상품보유자비율 40대이하 50대 60대이상전체 총자산규모별 펀드 주식 채권 신탁 / ELS/ETF ( 단위 : %) 50억원미만 50~100억원 100억원이상 한국부자들의 71.3% 가펀드를보유하고있는가운데, 국내주식형펀드보유율이 47.3% 로가장높고, 이어서국내혼합형 37.8%, 해외주식형 29.8%, 해외혼합형 14.5% 순으로높게나타났다. 지난해 10) 에비해펀드보유율자체는낮아졌으나전반적으로채권형보다주식형, 해외형보다국내형선호도가지난해와비슷하게높은것으로조사되었다.[ 그림29] 금융자산에대한연평균기대수익률은 7.6% 인반면실제수익률은 4.2% 수준이며, 주식, 신탁 /ELS, 보험등의실제수익률은지난해보다증가하였다. 한국부자들은금융자산포트폴리오변화에따라어느정도의수익률을기대하고있는지, 지난 1년간실제수익률은어떠했는지알아보자. 먼저, 금융자산전체에대해기대하는연평균수익률은 7.6% 수준이지만지난 1년간의실제수익률은 4.2% 수준으로 3.4%p의차이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세부투자처별로비교해보면, 펀드와주식은예금 / 신탁 / 보험에비해기대수익률과실제수익률이높은수준이지만기대와실제간의 Gap 또한크게나타났다. 주식, 신탁 /ELS, 투자 / 저축성보험등은지난해 11) 와비교하여실제수익률이증가하면서포트폴리오조정을통한분산투자가적절했음을확인할수있다.[ 그림30] 26 10) 2015 년조사 : 펀드보유율 76.3%, 국내주식형펀드보유율 59.5%, 해외주식형 33.3%, 국내혼합형 27.5% 등 11) 2015 년조사 : 실제수익률금융상품전체 3.52%, 주식, 4.08%, 신탁 /ELS 등 3.82%, 투자 / 저축성보험 3.53% 등

[ 그림29] 펀드종류별보유율 [ 그림30] 금융투자기대및실제수익률 ( 단위 : %) ( 단위 : %, %p) 국내주식형국내주식 / 채권혼합형해외주식형해외주식 / 채권혼합형국내채권형국내부동산형커머더티형해외부동산형해외채권형 14.5 11.0 7.5 4.5 3.0 1.5 29.8 37.8 47.3 기대수익률 (A) 실제수익률 (B) GAP(A-B) 11.3 7.6 3.4 4.0 1.6 8.8 5.1 5.5 7.4 2.3 6.8 2.9 4.2 2.4 3.7 5.8 5.1 4.0 금융전체예적금 펀드 주식 신탁 / ELS 등 투자 / 저축성보험 27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03 자산포트폴리오의변화와전망 지금까지한국부자의경제환경변화에대한인식과세부적인포트폴리오, 부동산과금융자산에대한수익률인식등에대해살펴보았다. 글로벌자산관리시장은미국의금리인상가능성, 중국성장률의둔화, 국제유가하락등국내외경제환경의변동성이확대됨에따라끊임없이변화하고있으며국내자산관리시장도글로벌금융시장의영향과함께저금리지속, 부동산시장및주식시장의변동성확대, 내수회복지연등으로변화가지속되고있다. 금융시장의변동에따라한국부자들의투자와자산관리에어떠한변화가있었으며, 향후어떠한방향으로변화를예상하고있는지살펴보자. 지난 1년간금융자산이감소한부자보다증가한부자가많았으며, 앞으로도금융자산에대한투자를증가시키겠다는의향이높게나타났다. 먼저전체적인금융자산의변화를살펴보면, 지난 1년간금융자산이증가한부자의비율 (46.5%) 이감소한부자의비율 (15.0%) 보다 31.5%p 높은것으로나타났다. 앞으로금융자산에대한투자를증가시키겠다는부자비율도 (35.8%) 도감소시키겠다는비율 (6.8%) 에비해 29.0%p 높아, 금융투자에대한긍정적의향이상대적으로높음을알수있다. 하지만, 향후금융자산비중을유지하겠다는비율이 57.5% 로지난해조사 (57.8%) 와비슷한수준으로금융투자에대한기대가확신으로이어지지못한것으로해석된다. 금융자산변화의경험과의향을연령별로살펴보면, 지난 1년간 60대이상부자의금융 자산증가비율이 60대미만부자에비해서높은것으로조사되었는데이는 60대이상부자들의자산보유율변화분석결과, 빌딩 / 상가등의일부투자용부동산의처분, CMA/MMF/MMT 등단기대기성자금및신탁자산의증가로인한것으로해석된다. 향후 1년간은 40대이하의젊은부자들이금융자산축적에대한의지가더욱큰것으로나타났다.[ 그림31] 28

지난 1 년간변화 [ 그림 31] 금융자산의변화및향후의향 향후 1 년간의향 ( 단위 : %, %p) 70 60 50 40 30 20 10 0 70 60 증가 50 36.6 31.5 33.0 유지 35.7 40 29.0 29.5 25.3 감소 30 23.2 증가-감소 20 10 0 전체 40대이하 50대 60대이상전체 40대이하 50대 60대이상 지난 1년간금융자산이증가한부자 ( 전체의 46.5%) 의 67.2% 는기존투자에서의수익증가가금융자산증가의주된이유인반면, 32.8% 는금융부문에대한투자규모자체를늘린것으로나타났으며연령이높고총자산규모가클수록투자규모를늘린비율이높아진것으로조사되었다. 한편, 금융자산이감소한부자 ( 전체의 15.0%) 의경우 41.7% 가투자액을인위적으로줄인것으로나타났으며, 연령이낮고자산이적을수록자발적으로투자규모를감소시킨비율이높아진것으로나타났다.[ 그림32] 이는연령이낮고자산이적을수록보유자산에대해적극적으로포트폴리오조정을고려하는것으로해석된다. 금융자산증가자 [ 그림 32] 금융자산증가및감소이유 금융자산감소자 ( 단위 : %) 기존투자의수익증가 67.2 73.1 65.6 64.3 기존투자의수익감소 58.3 50.0 68.8 83.3 투자액늘림 32.8 26.9 34.4 35.7 투자액줄임 41.7 50.0 31.3 16.7 전체 40 대이하 50 대 60 대이상 전체 50 억원미만 50~100 억원미만 100 억원이상 29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향후부동산투자와관련해서는현재의상태를유지하겠다는비율이높은가운데, 증가의향자비율이전년보다상승하며부동산투자심리가다소개선된것으로해석된다. 다음으로부동산자산의변화에대해살펴보면전체적으로부동산자산이증가한부자의비율 (53.3%) 이감소한부자의비율 (5.5%) 보다 47.8%p 높았으며지난 1년간큰변화없이유지된경우가 41.3% 로, 지난해조사 12) 에비해부동산자산증가자비율이높아진것으로보였다. 특히지방의경우서울및수도권에비해부동산자산증가자비율이높고, 감소자비율과의차이도 58.0%p로서울및수도권에비해높은수준이었다. 향후부동산투자의향에서도증가나감소의향보다는현상태를유지하겠다는비율이압도적으로높은가운데, 지난해조사 13) 에비해증가의향자비율이높고감소의향자비율 (2.5%) 이낮아부동산투자심리가다소개선된것으로해석된다.[ 그림33] 부동산자산이증가한부자 (78.9%) 와감소한부자 (72.7%) 는부동산구입이나처분이아니라보유부동산가치의상승과하락에따라자산규모가변한것으로나타나투자대상부동산의종류나지역에따라한국부자의부동산자산투자성과에차이가있는것으로볼수있다. 70 60 50 40 30 20 10 0 [ 그림33] 부동산자산의변화및향후의향 ( 단위 : %, %p) 지난 1년간변화향후 1년간의향 70 58.0 60 47.8 49.0 증가 50 41.0 35.0 37.3 유지 37.0 40 30.0 감소 30 증가-감소 20 10 0 전체서울경기, 인천지방전체서울경기, 인천지방 앞에서살펴본포트폴리오변화와전망에대해금융및부동산, 기타자산을세부적으로구분해보면, 투자용부동산 및 투자 / 저축성보험 에대한증가의향이가장눈에띈다. 지난 1년간투자용부동산이증가한부자의비율은감소한부자의비율보다 43.8%p 높았으며, 앞으로의포트폴리오운용에 30 12) 2015 년조사 : 지난 1 년간부동산자산증가비율 37.3%, 유지 52.8%, 감소 10.0% 13) 2015 년조사 : 향후 1 년간부동산자산증가의향자비율 33.5%, 감소의향자비율 2.5%

서도투자용부동산을증가시키겠다는비율이 38.0% 로가장높게나타났다. 이러한증가의향은지난해조사 ( 투자용부동산증가의향 38.0%, 감소의향 2.5%) 와비슷한수준으로부동산경기회복에대한기대감과저금리에따른예적금기대수익률하락이투자심리에지속적인영향을주고있는것으로해석된다. 펀드, 주식과같은리스크성금융자산은지난 1년간증가한비율과감소한비율이모두높은편으로나타나는데, 향후의향에서는감소의향이낮은수준인반면증가의향은비교적높은수준을유지하고있어최근주식시장의회복에따른기대감이반영된것으로보인다. 한편으로저금리에도불구하고현금및수시입출식자금과예적금증가의향이각 24.0%, 32.5% 로지난해조사 14) 에비해더욱증가하였고보험에대한증가의향이 36.8% 로지난해조사결과 22.8% 에비해크게증가하면서안전자산위주의금융투자를기반으로새로운투자기회를모색하고자하는의향이지속되고있음을알수있다.[ 그림34] 앞으로의투자증가의향이높은투자대상은 투자용부동산 과 투자 / 저축성보험 인것으로나타났다. 예적금및보험에대한투자증가의향이높은것으로나타나안전자산위주의금융투자를기반으로새로운투자기회를모색하는것으로분석된다. [ 그림34] 세부포트폴리오변화및향후의향지난 1년간변화증가감소향후 1년간의향 ( 단위 : %, %p) 42.3 37.8 28.0 20.3 18.8 9.0 8.0 10.8 14.3 19.8 7.0 14.8 3.5 3.3 +17.3 +23.5 +0.5 +2 +4 +38.8 +4.8 현금, 수시입출식자금예적금펀드채권주식투자 / 저축성보험신탁 /ELS 등간접투자 +18.3 +24.8 +15 +9.3 +9.5 +35.3 +8 5.8 7.8 4.3 1.3 5.0 1.5 1.5 24.0 19.3 10.5 14.5 9.5 32.5 36.8 47.8 32.3 2.5 4.0 +29.8 +43.8 거주용부동산투자용부동산 +23.5 +35.8 2.5 2.3 26.0 38.0 29.3 8.3 7.3 4.0 3.0 4.5 +4.3 +4.3 +24.8 회원권예술품금, 보석등 +3.8 +13.3 +29.3 2.5 0.5 1.5 6.3 13.8 30.8 증가비율 - 감소비율 14) 2015 년조사 : 현금및수시입출식자금증가의향 18.3%, 예적금증가의향 26.0% 31

II. 투자포트폴리오현황및전망 수익과위험을모두고려했을때가장유망할것으로보는투자대상은국내부동산, 국내주식순으로나타났다. 한국부자들이가장수익률이높은투자처로인식하고있는분야는 국내부동산 (32.5%), 국내주식 (18.8%) 및 금등의실물 (10.0%) 순으로나타났다. 지난해조사에비해국내부동산과국내주식을꼽은비율이각각 8.3%p, 7.5%p 증가한반면, 해외펀드및해외주식을꼽은비율은각각 5.0%p, 3.3%p 하락하면서국내부동산및주식에대한투자기대가커지고글로벌주식시장에대한우려가높아졌음을알수있다. 이러한결과는지난해결과와상반된것으로글로벌및국내경제상황에따라부자들이민감하게반응하고있는것으로해석된다. 한편, 수익률과손실위험등을함께고려했을때국내부동산이나국내주식등에대한투자선호도는수익률전망과비슷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해외부동산및해외펀드에대한선호도는수익률전망에비해낮은경향을보이는반면, 예적금및보험에대한선호도는수익률기대에비해높은것으로나타나기대수익률이다소낮더라도안정적이거나평소 잘알고있는투자대상을선호하는현상으로해석할수있다.[ 그림 35] [ 그림35] 수익률및수익 / 위험등종합고려시가장선호하는투자대상 ( 단위 : %, 1순위기준 ) 32.5 37.5 수익률유망투자대상 18.8 18.5 종합고려시투자대상 4.5 8.3 7.5 10.0 7.5 5.8 4.3 5.0 1.5 4.5 4.3 8.8 3.5 7.5 1.5 2.3 2.8 1.5 0.5 1.5 국내부동산 국내주식 투자 / 저축성보험 금등의실물 국내펀드 해외주식 원화예 / 적금 해외부동산 해외펀드 채권신탁 / ELS 등 외화예 / 적금 32

Part III 투자에대한인식과자산관리 금융상품및투자관련지식수준이높다고인식하는한국부자의비율은전년대비 16.5%p 감소, 본인의금융이해력수준에대한자신감이크게낮아진모습을보였는데, 이는저금리 저성장의고착화및자본시장변동성확대라는외부환경의불안정성이심리적영향을미친것으로보인다. 자산관리서비스와관련하여금융상품 / 시장에대한정보뿐아니라부동산투자정보및자산포트폴리오설계 / 조정에대한관심도가증가하는경향을보여, 금융상품뿐만아니라부동산자산을포함한전체포트폴리오를통합적으로설계, 관리하고자하는니즈가커지고있음을알수있다. 또한금융자산규모가클수록포트폴리오설계, 환테크및해외투자, 금 / 예술품등실물투자등새로운투자안발굴및전문적자산관리에대한관심이증가하는모습을보였다. 투자의사결정시 절세와세금혜택 을수익성및안전성보다중요하게고려하는부자의비중이전년대비 16%p 증가, 절세에대한고민을반영하고있다. 또한가장유망한해외투자처였던중국에대한우려가확산되면서해외직접투자의향이하락하였으며, 해외투자선호국가로중국의응답비중이전년대비무려 23.6%p 감소하는모습을보였다. 1. 투자성향과금융지식 2. 자산관리관심사와금융니즈

III. 투자에대한인식과자산관리 01 투자성향과금융지식 2008년금융위기를겪은미국의젊은세대 ( 밀레니얼세대 ) 들이대공황의기억이각인된그들의할아버지세대 ( 전후세대 ) 와유사한보수적투자성향을보인다는조사결과 15) 는흥미롭다. 실제로미국젊은세대의현금 ( 입출식예금등 ) 보유비중은 41% 로이전세대의 23% 를크게상회하며, 젊을수록위험자산투자에적극적이라는상식과벗어나는행동을나타냈다. 이는부모세대가평생동안모은부동산및금융자산의가치가일순간에사라지는모습을목격한압도적경험이금융위기후 8년이지난지금도자녀세대의투자성향에영향을미치고있음을잘보여주고있다. 저금리 저성장환경의고착화및자본시장변동성확대의이중고속에서적정위험을부담해안정적수익을확보하려는위험중립형성향이 2014년조사대비크게증가한모습을유지했다. 한국부자의투자성향은기본적으로안정적투자를추구하는성향 ( 안정형 + 안정추구형 ) 이 52.1% 로, 위험을감수하며높은수익을추구하는성향 ( 공격투자형 + 적극투자형 ) 12.3% 대비크게높은모습을보이고있다. 하지만전년과마찬가지로일정수준의위험과그에따른수익을추구하는위험중립형성향이 35.8% 로 2014년조사대비크게증가한모습을유지했다.[ 그림36] 이러한위험중립형투자성향의강세는저금리 저성장환경의고착화및자본시장변동성확대라는二重苦속에서적정위험을부담함으로써안정적수익을확보하려는 중위험 중수익 트렌드를반영하고있는것으로보인다. 2015년에펀드시장에서채권및채권혼합형펀드투자가강세를나타낸것도안전성과수익성을동시에추구하는 중위험 중수익 투자성향을잘보여주고있다. 또한안정적투자성향 ( 안정형 + 안정추구형 ) 의비중이 2013년 63.9% 에서 2016년 52.1% 로하락하는모습을보여, 안전자산투자의낮은수익성에점차한계를느끼고있음을확인할수있는데, 앞으로저금리 저성장은더욱심화될것 이라고응답한비율 (89.5%) 이전년대비 8%p, 과거대비원하는투자수익률을거두기어려워졌다 고응답한비율 (92.5%) 은전년대비 6%p 상승하는모습을보였다. 일반적으로보유자산규모가클수록위험감내능력 (Ability to take risk) 이증가하는데, 한국부자의경우에도금융자산보유액이클수록안정적투자성향이감소하고위험중립및적극투자성향의비중이증가하는모습을보였 34 15) The conflicted investor (UBS, 2016. 1Q)

다.[ 그림 37] 연령별로는 60 대이상의안정적투자성향비중이 59.2% 로 40 대이 하대비 17.2%p 높게나타나는등, 연령이높아질수록안정적투자성향이증 가하는모습을보였다. [ 그림36] 투자성향 [ 그림37] 금융자산규모별투자성향 ( 단위 : %) ( 단위 : %) 14.0 8.5 10.8 17.0 11.3 7.8 43.5 45.5 41.3 20.3 36.3 35.8 21.3 9.8 11.5 1.0 0.0 0.8 2014 2015 2016 안정형안정추구형위험중립형적극투자형공격투자형 47.5 43.2 31.3 37.5 35.4 29.5 20.3 5.0 1.0 9.8 0.3 3.1 금융자산 5~10 억원 금융자산 10~50 억원 금융자산 50 억원이상 안정형안정추구형위험중립형적극투자형공격투자형 투자성향은실제투자행동에도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는데, 적극적투자성향 ( 적극투자형 + 공격투자형 ) 을가진부자의주식 / 펀드 / 파생상품등직 / 간접투자비중은 40.3% 로안정적투자성향의부자대비 9.7%p 높은반면, 예적금및보험상품의투자비중은투자성향이안정적일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였다.[ 그림38] 수익률, 손실위험등고려시선호하는투자상품에대한응답에서도적극적투자성향의부자중국내 / 해외주식을가장선호하는비율은 26.5% 로안정적투자성향부자 (17.3%) 를크게상회한반면, 투자 / 저축성보험의경우에는안정적투자성향의부자가 10.6% 로적극적투자성향 (4.1%) 보다높았다. 투자상품기대수익률또한투자성향별로차이를보였는데, 안정적투자성향보유자의주식및펀드에대한기대수익률평균은각각 10.1%, 8.3% 로적극적투자성향보유자의 13.6%, 9.6% 대비낮았다.[ 그림39] 투자 / 저축성보험의경우에는안정적및적극적투자성향보유자의기대수익률간차이가없었는데, 이는보험상품의속성상당장의고수익보다는장래를위한안정된수익원으로서기대하기때문으로해석된다. 적극적투자성향을가진부자의직 / 간접투자비중은안정적투자성향의부자대비 9.7%p 높은반면, 예적금및보험상품의투자비중은투자성향이안정적일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여, 투자성향은실제투자행동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보인다. 35

III. 투자에대한인식과자산관리 [ 그림38] 투자성향별금융자산비중 [ 그림39] 투자성향별기대수익률 ( 단위 : %) ( 단위 : %) 3.8 3.8 4.8 채권 6.4 19.7 16.8 신탁 /ELS 등 13.6 안정적투자성향적극적투자성향 15.7 14.4 10.8 11.6 15.0 22.3 투자 / 저축성보험 펀드 10.1 9.6 8.3 7.8 7.0 6.8 6.4 45.8 39.1 주식 현금및예적금 안정적투자성향 적극적투자성향 주식 펀드 신탁 /ELS 등 저축성보험 투자부동산 금융이해력은 합리적인금융의사결정과각개인의금융복지를위해필요한금융상황의인식, 금융지식, 지식의활용방법, 태도와행동의결합 16) 으로, 단순지식에그치지않고주어진금융상황과문제점을인식하고이를해결하기위해필요한합리적태도와행동을취하는능력을의미한다. 금융연구원의최근분석 17) 에따르면, 한국의금융이해력수준은 OECD 국가평균에미치지못하며금융이해력수준이낮을수록더많은가계부채와부채상환독촉위험에노출되는등금융이해력강화는개인및국가의경제적성장에매우중요한요소이다. 자신의금융상품및투자관련지식수준이 높다 고인식하는한국부자의 자신의금융상품및투자관련지식수준이 높다 고인식하는한국부자의비율은전년대비 16.5%p 감소, 본인의금융이해력수준에대한자신감이크게낮아진모습을보였다. 비율은전년대비 16.5%p 감소한 58.0% 로, 본인의금융이해력수준에대한자신감이크게낮아진모습을보였다. 금융자산이 50억원이상보유자중자신의금융지식수준이높다고응답한비율은 73.4% 로 50억원미만보유자의 55.1% 를크게상회하는등, 금융자산규모가클수록금융지식수준이높다고인식하는경향을확인할수있다.[ 그림40] 또한금융이해력에대한인식은투자성향과도높은관련성을가지는데, 본인의금융지식수준이낮다고인식하는부자의 76.2% 가자신이안정 / 안정추구형투자성향을가지고있다고응답한반면, 금융지식이높다고생각한부 36 16) www.oecd.org 17) 금융교육국가전략의추진을위한개선과제와방안 ( 한국금융연구원, 2015. 10)

자의경우안정 / 안정추구형투자성향이라고응답한비율은 34.5% 로낮았다. 하지만적극 / 공격투자형투자성향의비율은금융지식수준이높다고인식한부자 (17.2%) 가금융지식수준이낮다고인식한부자 (5.4%) 대비 3배이상높게나타났다.[ 그림41] 자신의금융지식이높다고응답한부자의경우주식 / 펀드 / 채권등직 / 간접투자의비중이 42.9% 로금융지식이낮다고응답한부자대비 7.4%p 높은반면, 현금 / 수시입출금, 예적금및보험상품의투자비중은금융지식수준이낮다고인식할수록증가하는것으로나타나금융지식수준이실제투자행동에도영향을미치는모습을보였다. [ 그림40] 금융지식수준인식 [ 그림41] 금융지식수준과투자성향 ( 단위 : %) ( 단위 : %) 높다 58.0 낮다 42.0 전체평균 [ 금융자산규모별 ] 55.1 44.9 50 억원미만 73.4 26.6 50 억원이상 17.3 58.9 18.5 4.8 금융지식낮다 6.0 28.4 48.3 16.4 금융지식높다 안정형안정추구형위험중립형적극투자형공격투자형 본인의금융지식수준에대한인식과실제금융지식을비교해본결과, 둘사이에는매우높은상관관계를보였다.[ 표3] 예를들어, 자신의금융지식이높은수준이라고인식하는부자가 ELS( 주식연계증권 ) 와 ETF( 상장지수펀드 ) 의차이를 ( 대충또는정확히 ) 알고있다. 고응답한비율은 78.4% 로, 금융지식수준이낮다고인식하는부자의 48.2% 대비크게높았다. 또한금융지식이높은수준이라고인식하는부자중 소득세계산시소득공제와세액공제의차이를 ( 대충또는정확히 ) 알고있다. 고응답한비율은 90.1% 로금융지식수준이낮다고인식하는부자대비 18.7%p 더높았다. 실제금융지식수준은보유금융자산규모에따라서도차이를보였는데, 37

III. 투자에대한인식과자산관리 모든금융지식평가문항에서보유금융자산이클수록실제금융지식수준이높은경향을나타냈다. 금융자산 10억원이상부자들은 최근 1년간예금금리수준 을평균적으로가장잘아는반면, 금융자산 5~10억부자들은 대출조기상환시수수료부담여부 에대한지식수준이높았으며, 공통적으로 ELS( 주식연계증권 ) 와 ETF( 상장지수펀드 ) 의차이 에대한지식수준이가장낮았다. 또한, 성년자녀에게 5천만원까지증여가능 에대한지식수준 (91.8%) 이 이자계산시단리 / 복리차이 에대한지식수준 (90.0%) 보다높다는것이흥미롭다. [ 표 3] 금융관련지식평가 ( 다음내용을대충 + 정확히알고있다 응답률 ) 금융관련지식평가항목 금융자산 5~10 억원 금융자산 10~50 억원 금융자산 50 억원이상 이자계산시단리 / 복리차이 85.5% 88.7% 96.9% 대출조기상환시수수료부담여부 89.0% 88.7% 93.8% ELS( 주식연계증권 )/ETF( 상장지수펀드 ) 차이 49.5% 65.2% 68.8% 성년자녀 5천만원까지세금없이증여가능 86.0% 91.1% 95.3% 펀드투자시판매수수료 / 판매보수차이 71.5% 76.5% 82.8% 소득세계산시소득공제 / 세액공제차이 76.0% 80.7% 90.6% 최근 1년간예금금리수준 88.0% 92.3% 98.4% 38

자산관리관심사와금융니즈 02 특정자산에편중된투자를할경우수익률의변동성이크기때문에, 자산포트폴리오를통합적으로관리하는것이매우중요하다. 예를들어미국기업주식의 1996~2000년간평균수익률은 19.2% 로자산군 (asset class) 18) 중가장높았으나, 2001~2005년에는 2.0% 로물가상승률보다낮았다.[ 그림42] 주택가격 ( 미국 ) 의경우에는 2001~2005년동안 10.6% 의평균수익률을기록했으나, 서브프라임모기지 (subprime mortgage) 사태 19) 가포함된 2006~2010년동안에는마이너스수익률을나타냈으며, 80년대초반 10% 에달했던예금상품의투자수익률은 2000년대들어물가상승률을지속적으로하회하고있다. 이처럼특정자산군에편중된투자나예금위주의안전한투자만으로는적정수익을확보하기어렵다는인식이확산됨에따라, 보유자산규모에관계없이체계적자산관리에대한니즈가증대하고있다. 실제로금융자산 10억원이상한국부자중금융기관에서제공하는자산관리및 PB서비스가필요하지않다고응답한비율은 10.5% 에불과했으며, 금융자산 50억원이상부자의경우자산관리가필요하다고응답한비중이 93.8% 에달하는등보유금융자산이클수록필요성인식정도가상승하는경향을보였다.[ 그림43] 또한금융자산 10억원이상부자중자산관리및 PB서비스를이용해본경험이있는응답자는약 67% 로높은반면, 금융자산 5~10억원보유자의서비스이용경험자비중은 23.0% 에불과, 자산관리에대한니즈대비서비스이용률이낮은수준을나타냈다. 특정자산군에편중된투자나예금위주의안전한투자만으로는적정수익을확보하기어렵다는인식이확산됨에따라, 보유자산규모에관계없이체계적자산관리에대한니즈가증대하고있다. 18) 미국기준, 국내주식 (S&P500)/ 해외주식 (MCSI EAFE)/ 예금 (3 개월미국 T-Bill 금리 )/ 채권 (10 년미국채 )/ 주택가격 (S&P Case-Shiller 주택가격지수 )/ 커머더티 (Reuters-CRB CCI) 19) 신용도낮은저소득층대상주택담보대출로, 2007 년금리인상과함께급격히부실화 39

III. 투자에대한인식과자산관리 [ 그림42] 자산군별연수익률 (5년평균, 미국 ) [ 그림43] 자산관리서비스필요성 ( 단위 : %) ( 단위 : %) 25 20 26.0 12.5 6.3 15 10 5 0-5 -10-15 물가지수 국내주식 해외주식 예금 채권 주택가격 커머더티 81-85 86-90 91-95 96-00 01-05 06-10 11-15 43.0 31.0 금융자산 5~10 억원 29.8 57.7 금융자산 10~50 억원 93.8 금융자산 50 억원이상 불필요 보통 필요 복수응답에서부동산투자정보및자산포트폴리오설계 / 조정에대한관심이증가하는경향을보여, 금융상품뿐아니라부동산을포함한전체포트폴리오를통합적으로설계, 관리하고자하는니즈가커짐을알수있다. 한국부자의자산관리최대관심사 (1순위) 는 금융상품및금융시장정보 로 33.3% 의부자가이에대해가장관심이있다고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부동산투자정보 (29.5%), 자산포트폴리오설계 / 조정 (11.5%) 등을꼽았다.[ 그림44] 특히복수응답 (1+2+3순위) 에서 부동산투자정보 및 자산포트폴리오설계 / 조정 에대한관심도가크게증가하는경향을보여, 금융상품뿐만아니라부동산자산을포함한전체포트폴리오를통합적으로설계, 관리하고자하는니즈가강해지고있음을시사하고있다. 보유금융자산규모에따라서도차이를나타냈는데, 금융자산규모가클수록포트폴리오설계, 환테크및해외투자, 금 / 예술품등실물투자등새로운투자안발굴및전문적자산관리에대한관심이증가하는모습을보였다. 40

[ 그림 44] 자산관리관심사 ( 단위 : %) 전체 금융자산규모별 (1+2 순위기준 ) 68.0 69.0 1+2+3순위 1순위 26.0 25.3 22.0 27.5 41.3 29.5 33.3 4.3 0.5 9.5 1.0 6.3 1.0 5.0 5.5 6.3 6.5 11.5 가업승계상담법률상담상속 / 증여상담환테크 / 해외투자세무상담은퇴 / 노후설계금 / 예술품등실물투자포트폴리오설계 / 조정부동산투자정보금융상품 / 금융시장정보 2 3 7 3 3 1 4 2 12 15 17 12 14 11 25 12 8 14 15 17 22 29 31 5~10억원 10~50억원 50억원이상 55 53 52 53 51 56 한국부자중투자의사결정시 절세와세금혜택 을안전성이나수익성보다중요하게고려한다고응답한비율은 35.0% 로이는전년대비 16%p 증가한수치이다.[ 그림45] 또한현재의세금부과율은과도한수준이라고생각하는비중이 65% 로높고, 세금이재무적으로부담이된다고응답한비율도 59% 로절반을상회하는등절세문제는자산관리에있어한국부자의큰고민거리중하나로인식되고있다. 특히금융자산 50억원이상보유자중세금이과도하다고생각하는비중은 79.7% 로금융자산 10~50억원보유자의 62.2% 대비높아, 금융자산보유규모가클수록세금에대한고민이커지는경향을보였다. 세금부담을줄이기위해한국부자가취한행동으로가장높은비중을차지한것은 보험등절세금융상품가입 (52.8%) 이었으며, 세무사와상담 투자의사결정시 절세와세금혜택 을가장중요하게고려한다고응답한비율이 35.0% 로, 안전성이나수익성을앞서는것으로조사되었다. 41

III. 투자에대한인식과자산관리 (40.8%), 금융기관에서세무관련상담 (30.3%) 의순이었다.[ 그림46] 절세에대한관심이높아졌음에도불구하고, 아무런행동도취하지않았다고응답한비율은 17.0% 로전년대비오히려증가, 절세니즈가실제행동으로연결되지못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다. 보유금융자산이클수록절세금융상품가입이나금융기관 / 세무사등전문가의활용비중이높은반면, 주변지인및인터넷검색등의응답비중은감소하며, 아무런행동을취하지않은비중역시금융자산 50억원이상부자는 7.8% 로, 금융자산 5~10억원보유자의 30.0% 에비해크게낮았다. 세금부담을낮추기위해절세금융상품에가입했다고응답한부자의경우, 연금저축 / 개인형퇴직계좌 (IRP)/ 주택청약종합저축등 소득 / 세액공제금융상품 의이용률이 56.4% 로가장높았으며, 비과세상품인 장기저축성보험 (55.9%), 투자수익이비과세되는 국내주식 / 주식형펀드 (36.5%), 즉시연금보험 (20.4%) 순으로가입률이높았다. 2016년출시된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및 비과세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를활용하는비중은각각 12.8%, 8.1% 수준으로나타났다. [ 그림45] 투자의사결정시고려사항 [ 그림46] 금융자산규모별절세행동 ( 단위 : %) ( 단위 : %) 7.8 투자시기 6.3 / 운용기간 18.8 21.9 행동하지않음 7.0 13.7 절세정보검색절세및 30.0 27.7 45.3 세금혜택 11.5 지인을통한정보 35.0 25.0 27.4 25.8 금융기관에서상담수익성 57.8 20.0 37.5 세무사와상담 26.0 금융상품가입 40.0 52.4 54.7 32.3 안전성 금융자산 5~10 억원 금융자산 10~50 억원 금융자산 50 억원이상 세계경제의성장을주도하던중국의 2015 년경제성장률이 6.9% 까지하락 하며 25 년만에최저치를기록하는등가장유망한해외투자처였던중국에 대한우려가확산되었고, 이는중국증시폭락및홍콩 H 지수연계 ELS 손실 42

등으로이어졌다. 한국부자중해외직접투자의향을가진비율은 28.0% 로, 전년대비 4.3%p 하락하여해외투자에대한우려감증대를반영하고있다.[ 그림47] 하지만금융자산 50억원이상부자중해외직접투자의향자는 45.3% 로금융자산 5~10a억원보유자대비 27.8%p 높게나타나는등금융자산이클수록해외직접투자의향이높아지는경향을보이며, 지역적으로는서울및수도권부자의투자의향 (29.3%) 이지방부자 (24.0%) 보다높았다. 해외투자선호국가로는중국이 33.0% 로여전히가장높았으나, 전년대비무려 23.6%p 하락해시장의부정적인식을반영하고있으며, 신흥국중고성장을지속하고있는인도 / 베트남및경기회복세의미국에대한선호도는전년대비상승했다. 신흥국증시의불안정성심화로인해해외직접투자방법으로주식을선호하는비중은 25.9% 로전년 (42.6%) 대비크게하락한반면, 지속적인감소추세를보이던부동산선호도는 45.4% 로전년대비 18.5%p의높은증가율을나타냈다. 가장유망한해외투자처였던중국의경기침체에대한우려와함께, 해외직접투자의향을가진부자의비중이전년대비하락했다. 투자의향있음 보통 해외투자의향 28.0 22.3 } [ 그림47] 해외직접투자의향및선호국가해외투자시투자대상선호국가 33.0 16.1 16.1 ( 단위 : %) 투자의향별로없음 전혀없음 42.8 7.0 중국 인도 베트남 7.1 5.4 4.5 3.6 2.7 2.7 1.8 1.8 1.8 미국홍콩멕시코호주캐나다뉴질랜드스위스브라질러시아 43

Part IV 미래준비와자산이전 부자가구의은퇴후월평균생활비 (715만원) 는근로소득없이도충분히마련할수있는규모임을감안할때한국부자에게있어노후준비란현재보유중인자산가치의성장및관리를통해어떻게안정적현금흐름을지속적으로창출할것인가의문제라고할수있다. 이는한국부자의경우은퇴 / 노후준비의가장큰걸림돌로보유자산의가치하락및관리실패이슈를상대적으로높게응답한반면, 일반인은소비지출증가및노후자산의안정성관련이슈에높은응답률을보인점에서도확인할수있다. 한국부자의은퇴준비방법으로부동산의활용비중이전년대비 10%p 감소한반면, 예적금및연금상품등다른투자대안들의활용비중은증가, 부동산투자만으로는노후에필요한적정수익을확보하기어렵다는인식이커지면서다른금융자산의활용증대를통해분산투자의효과를높이려는의도로보인다. 배우자및손자녀를상속및증여대상으로생각하는비율이전년대비크게상승, 가족내배우자의영향력강화및 단군이래부모세대보다가난한첫번째세대 라는젊은세대에대한부의이전필요성증대의영향으로해석할수있다. 상속및증여수단으로 현금및이에상응하는금융상품 의활용비중이 2013년조사이후지속적으로증가하는추세를보여, 부동산과금융자산의균형을유지해보다적합한자산포트폴리오를구성하려는노력을보였다. 1. 은퇴및노후준비 2. 상속및증여

IV. 미래준비와자산이전 01 은퇴및노후준비 현재 50대는노후준비를평균 41세에시작한반면 40대는 35세, 30대는 31 세에시작하는것으로나타나는등 20), 은퇴및노후준비의중요성에대한인식확산과함께그준비시기가점차빨라지고있다. 하지만본인이원하는정도의노후준비가가능하다고생각하는비중은 30% 에도미치지못해, 노후준비에대한자신감은여전히낮은수준이다. 관련연구 21) 에따르면, 노후를계획적으로준비하는사람들은 은퇴 라는단어에대해 자유 / 기회 / 행복 등의긍정적단어들을떠올리는비율이상대적으로높은반면, 노후준비를시작하지못한응답자들은 은퇴 에대해 두려움 / 지루함 / 외로움 등의부정적단어를더많이연상했다. 이처럼은퇴 / 노후에대한체계적준비는경제적혜택뿐아니라정신적프리미엄까지제공한다는점에서매우중요하다. 아직은퇴하지않은부자의은퇴예상시점은평균 68.0세로비은퇴일반가구의예상은퇴연령인 66.2세보다높았고, 이미은퇴한부자는 63.1세에은퇴한것으로나타나은퇴한일반가구의실제은퇴연령인 61.3세를상회했다. 22) 이러한차이는부자의경우본인사업체를운영하거나전문직종사자가많아자신이은퇴시점을선택할수있다는직업적특성이큰영향을미친것으로보인다. 실제로사업체를운영중인부자의은퇴예상시점은 68.6세, 임대업종사자는 69.4세로, 전문직종사자 66.8세, 공직자 / 경영관리직 65.9세와차이 한국부자들의절반이상이 건강한삶의유지 를은퇴후삶에서가장중요하게생각하고있으며, 보유자산의유지및관리, 여가및취미생활 의순으로나타났다. 를나타냈다. 한국부자들의절반이상이은퇴후삶에서가장중요하게생각하는요소로 건강한삶 을꼽았으며, 보유자산의유지및관리, 여가및취미생활 의순으로나타났다.[ 그림48] 금융자산이클수록 건강한삶의유지 및 일에서탈피해여가 / 취미생활을즐기는것 의응답비중이상대 [ 그림48] 은퇴후삶에서가장중요한것 ( 단위 : %) 가족과의시간경제활동지속 0.8 존엄한죽음 4.0 3.8 5.3 자산의후대이전 6.8 여가 / 취미생활 8.0 21.3 보유자산유지 / 관리 사회공헌활동 건강한삶의유지 50.3 46 20) 보험개발원 (2015. 10, 30 대 ~50 대은퇴준비가구주 1,275 명대상조사 ) 21) 한국인의은퇴보고서 (HSBC Future of Retirement Research 중한국조사결과기초 ) 22) 일반가구의은퇴연령은 2015 년가계금융 복지조사 ( 통계청 ) 참고

적으로높았으며, 특히금융자산 50억원이상부자중은퇴후여가 / 취미생활이가장중요하다고응답한비중은 15.6% 로 50억원미만보유자의 6.5% 대비크게높았다. 은퇴후원하는여가 / 취미활동에대해서는 여행 (85.0%), 각종친목모임 (58.3%), 스포츠및야외활동 (53.3%) 의순이었으며, 금융자산이많을수록여행및스포츠 / 문화예술활동등적극적외부활동의선호도가높은반면, 금융자산이적을수록전원생활및종교활동등을선호한다는응답비중이상대적으로높았다. 은퇴후여가생활과관련하여미국의코미디작가 Gene Perret은 은퇴란어떤압박 (pressure) 도, 어떤스트레스 (stress) 도, 어떤고민 (headache) 도없는상태를말한다 -당신이골프만치지않는다면. 이라는재미있는말을남겼다. 한국부자는은퇴후 적정한삶을유지하기위해 필요한생활비를월평균약 715 만원 23) ( 연 8,580 만원, 가구기준 ) 으로생각하고있다. 이는한국부자의현재 월평균소비지출액 24) 의약 76% 정도에해당하는금액이나, 아직은퇴하지않은 일반가구의은퇴후월평균적정생활비 226 만원 25) 에비해서는약 3.2 배높은 수준이다. 보유금융자산및총자산이증가할수록은퇴후필요생활비가증가 하는경향을보여상식에부합하며, 연간가구소득 3 억원이상부자 ( 월평균 880 만원 ) 와 1 억 5 천만원미만부자 ( 월평균 536 만원 ) 는은퇴후필요생활비에서큰 차이를보이는등소득과도높은양 (+) 의상관관계를나타냈다. 한편, 소득규모및구성의측면 에서일반가구와부자가구는명확 한차이를보이는데, 부자가구의연 소득평균은 2 억 6 천만원 ( 중앙값 2 억원 ) 으로일반가구의연소득평균 4,767 만원 ( 중앙값 3,970 만원 ) 26) 을 크게상회했다. 또한일반가구는급 여및사업소득을포함한 근로소득 [ 그림 49] 가구별소득구성비교 6.4 7.7 4.0 89.6 일반가구 33.8 58.5 부자가구 ( 단위 : %) 기타소득재산소득근로소득 은퇴후적정생활비는월평균 715만원으로한국부자의현재월평균소비지출액의약 76% 수준이나, 일반가구의은퇴후월평균생활비예상에비해서는약 3.2배높다. 23) 소비지출액중앙값 6백만원 24) 세금등비소비지출및부채상환비용등제외 25) 2015 한국비은퇴가구의노후준비실태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2015. 12) 26) 2015년가계금융 복지조사 ( 통계청 ) 47

IV. 미래준비와자산이전 의비중이 89.6% 로매우높고부동산 이자 배당소득을포함한 재산소득 의비중은 4.0% 에불과한반면, 부자가구는 재산소득 비중이 33.8% 로높았다.[ 그림49] 또한총자산 100억원이상부자의 재산소득 비중은 44% 로총자산 50억원미만부자의 30% 를크게상회하는등보유자산의규모가클수록재산소득의비중이증가하는모습을나타내는데, 이는풍부한실물및금융자산을통해다양한원천의소득창출이가능함을잘보여주고있다. 부자가구의은퇴후생활비는근로소득없이도충분히마련할수있는규모임을감안할때, 한국부자에게있어노후준비란현재보유중인자산가치의성장및관리를통해어떻게안정적인현금흐름을창출할것인가의문제이다. 부자가구의연평균소득 2억6천만원중 근로소득 을제외한 재산소득 및 기타소득 의합 (41.5%) 이연 1억1천만원수준임을고려할때부자가구의은퇴후월평균생활비 (715만원) 는근로소득없이도충분히마련할수있는규모이다. 결국한국부자에게있어노후준비란현재보유중인자산가치의성장및관리를통해어떻게안정적현금흐름을지속적으로창출할것인가의문제라고할수있다. 이러한관점은은퇴및노후준비의핵심장애요인에대한일반인 27) 과의비교를통해서도확인할수있다. 한국부자는은퇴및노후준비의가장큰걸림돌로 저금리로인한이자소득감소, 투자및사업실패 등보유자산의가치하락및관리실패이슈를상대적으로높게응답한반면, 일반인은 물가상승에따른생활비부족, 국민연금보장기능약화, 과도한자녀양육비 / 교육비, 과도한주택자금 등소비지출증가및노후자산의안정성관련이슈에상대적으로높은응답률을나타냈다.[ 그림50] 25 20 [ 그림 50] 은퇴및노후준비의핵심장애요인 부자 ( 단위 : %) 일반 15 10 5 0 저금리로이자소득감소 본인투자및사업실패 자녀결혼 / 사업자금지원 빨라진정년퇴직 과도한자녀양육및교육비 노후준비인식및정보부족 물가상승및생활비부족 국민연금보장기능약화 과도한주택자금 48 27) 2015 한국비은퇴가구의노후준비실태, 한국고자산가설문조사연령분포반영

한국부자의경제적은퇴준비방법은일반인 28) 과큰차이를보이는데, 일반인은공적연금을통한노후준비율이약 64% 로다른준비방법대비압도적으로높은반면, 부자의경우부동산및예적금 / 보험, 직 / 간접투자등투자자산을다양하게활용하여은퇴를준비하는것으로나타났다.[ 그림51] 연금상품의활용측면에서는일반인의경우기본적생활보장을위한공적연금및퇴직연금에대한의존도가높은반면, 한국부자는여유있는생활보장을위한사적연금의비중이더높았다. 또한금융자산 50억원이상부자의부동산및직접투자활용비중 (1순위기준 ) 은각각 46.9%, 14.1% 로, 50억원미만부자의 41.7%, 6.3% 를상회하여보다적극적인투자방식을통해은퇴자산을준비하는모습을보였다. 한국부자의은퇴준비방법의눈에띄는변화는부동산의활용비중이 1 순위기준으로전년대비 10%p 감소한반면, 예적금및연금상품등다른투자대안들의활용비중은증가하는모습을보인점이다. 이는부동산투자만으로는노후에필요한적정수익을확보하기어렵다는인식이커지면서, 다른금융자산의활용증대를통해분산투자의효과를높이려는의도로해석가능하다. 하지만은퇴후자산관리방법선호도는부동산 (53.5%), 예적금 (17.0%), 사적연금 (11.5%) 의순으로나타나, 은퇴후안정적현금흐름창출수단으로써부동산에대한선호가여전히높음을확인할수있다. 부자 69.8 42.5 76.8 26.8 49.8 45.0 24.0 1+2+3순위 1순위 [ 그림51] 경제적은퇴준비방법 ( 단위 : %) 일반 부동산 10.2 5.2 예적금및보험 42.0 17.7 21.9 10.3 사적연금 9.0 2.1 10.0 직 / 간접투자 0.6 81.3 공적연금 10.0 63.6 3.5 12.6 퇴직금 / 퇴직연금 0.5 3.9 한국부자의은퇴준비방법으로부동산의활용비중이전년대비감소한반면, 예적금및연금상품등다른투자대안들의활용비중은증가, 부동산투자만으로는노후에필요한수익을확보하기어렵다는인식이커지면서다른금융자산을통해분산투자의효과를높이려는의도로보인다. 28) 2015 년사회조사 ( 통계청 ), 19 세이상가구주기준 49

IV. 미래준비와자산이전 02 상속및증여 자산 10억달러이상의초고자산가 (Billionaires) 29) 들은 3번의위기의순간에직면하게되는데, 이는 경제위기, 규제및세금문제, 그리고 다음세대로의부의이전 이라고한다. 특히 2014년기준 1,300명이상의초고자산가 ( 보유자산 5.4조달러 ) 중약 2/3가 60세이상으로상속및증여를고민해야할시점이되었다는점에서 다음세대로의부의이전 이시급한문제로부상하고있다. 하지만당대에처음부를일군자수성가형 (self-made) 과비교해여러세대에거쳐부를이어온상속형 (multi-generational) 초고자산가의재산비중이 1995년 57% 에서 2014년 34% 까지감소한것에서알수있듯이부를장기간유지하는것은매우어려운일이며, 따라서현명한부의이전의중 배우자및손자녀를상속및증여대상으로생각하는비율이전년대비크게상승, 가족내배우자의영향력강화및 단군이래부모세대보다가난한첫번째세대 라는젊은세대에대한부의이전필요성증대의영향으로해석할수있다. 요성도점차커지고있다. 한국부자중보유자산을 자녀 에 게상속및증여하겠다고응답한비 율이 90.4% 로가장높았으며. 배우 자 83.9%, 손자녀 26.1%, 형제 / 자 매 13.0% 의순으로나타났다.[ 그림 52] 사후법에서정한방식에따라 상속하겠다 는응답비중은 8.7% 에 불과해사전에상속및증여대상자 를스스로결정하려는의향이높음 [ 그림52] 상속및증여대상 ( 단위 : %, 복수응답 ) 90.6 89.7 83.2 87.2 을알수있다. 자녀를상속 / 증여대상으로생각하는응답자는평균적으로재 산의절반정도를자녀에게상속할의향이있으며, 배우자및손자녀의경우 에는각각재산의 46%, 20% 수준으로나타났다. 배우자를상속및증여대상 으로생각하는비율은전년대비 11.2%p 상승하는등 2013 년조사 30) 이후꾸 준히증가하는모습을보이고있는데, 전세계자산 10 억달러이상초고자산 상속비율 23.0 금융자산 50 억원미만 금융자산 50 억원이상 41.0 12.6 15.4 자녀 배우자 손자녀 형제 / 자매 49.6 45.7 19.9 16.0 가중여성비중이빠르게늘어나는것처럼 (1995 년 22 명 2014 년 145 명 ) 31) 가족내배우자의영향력이강화되는추세에부합한다. 또한손자녀를상속 / 50 29) UBS/PWC Billionaires Report 2015, 미국 / 독일 / 중국 / 일본등주요 14 개국대상 30) 배우자상속대상비중 (2013 년 65.1%, 2014 년 72.8%, 2015 년 72.7%) 31) UBS/PWC Billionaires Report 2015, 미국 / 독일 / 중국 / 일본등주요 14 개국대상

증여대상으로생각하는비율도전년대비 10.6%p 증가, 단군이래부모세대보다가난한첫번째세대 라는젊은세대에대한부의이전필요성증대의영향으로해석할수있다. 자산규모별로보면, 금융자산 50억원이상부자는손자녀와형제 / 자매를상속 / 증여대상으로보는경우가 50억원미만부자에비해증가하는경향을보였다. 상속및증여에대한인식과관련하여, 아직생각해본적이없다 는응답이 42.5% 에달해, 상속 / 증여에대한준비가충분하지못함으로확인할수있다.[ 그림53] 이는미국부자중아직상속 / 증여계획에대해전문가와상의해본경험이없다고응답한비율이 26.5% 에불과하다는점 32) 과비교할때높은수준이다. 상속및증여에대해 아직생각해보지못했다 는응답비중은서울및수도권보다는지방부자가높았으며, 보유금융자산규모가적은그룹이많은그룹대비높게나타났다. 상속및증여에대해고민해본부자중 64.0% 가 자산의일부는사전증여하고일부는사후상속하겠다 고응답해대다수가상속과증여를함께고려하고있으며, 전부사후상속하겠다 (23.5%) 와 전부사전증여하겠다 (9.6%) 는응답은상대적으로낮게나타났다. 전부사후상속 대비 자산의일부증여및전부증여 비중이 3배이상높다는점 에서사후가아닌자녀가필요로하는시점에일정부분의재산을나누어주려는인식이여전히높음을알수있으며, 이러한경향은금융자산이클수록강화되는모습을보였다. 상속및증여자산유형은 부동산 의활용의향이 85.2% 로전년대비 3.6%p 감소, 은퇴및노후준비방법과마찬가지로부동산의장기적투자매력도에대한의구심이상속및증여자산의선택에도영향을미친것으로나타났다.[ 그림54] 또한 현금및이에상응하는금융상품 의활용비중은 2013년조사의 66.9% 이후지속적으로증가하는추세를보여, 부동산과금융자산의균형을유지해보다적합한자산포트폴리오를구성하려는노력을보였다. 보험 의활용의향은전년대비다소감소한반면, 부동산신탁, 재산신탁 등의활용의향은크게증가했다. 영미권에서는 금수저를물고태어난아이 를 트러 상속및증여수단으로 현금및금융상품 의활용비중이 2013년조사이후지속적으로증가하는추세를보여, 부동산과금융자산의균형을유지해보다적합한자산포트폴리오를구성하려는노력을보였다. 32) The Affluent Investor (Vanguard, 2014), 부자는순자산 100 만달러이상보유자 51

IV. 미래준비와자산이전 스트베이비 (Trust Baby) 라고부를정도로신탁을통한부의이전이일상화되어있다. 국내에서도 2011년신탁법개정과함께금전신탁등투자수단으로만활용되던신탁이유언대용신탁 33) 과같이상속등의민사영역에서도가능해짐에따라상속및증여수단으로서신탁의활용비중이점차확대될것으로예상된다. [ 그림53] 상속및증여방식 [ 그림54] 상속및증여자산유형 ( 단위 : %) ( 단위 : %, 복수응답 ) 아직생각해보지않음 42.5 자산일부는증여로, 일부는상속으로 36.8 88.8 85.2 80.9 80.4 2015 2016 27.3 18.7 14.3 11.8 13.5 6.6 9.210.4 사회환원 자산전부를증여로 1.7 5.5 13.5 자산전부를상속으로 부동산현금 / 주식 / 펀드 보험 사업체경영권 재산신탁 부동산신탁 상속 / 증여준비의애로사항으로 가족간의합의에대한불만 응답이 관련규제변동에따른대응 보다높았으며, 지난해상속관련분쟁이빠르게증가하고있다는사실이이를잘반영하고있다. 상속및증여계획준비시가장 큰애로사항은 상속 / 증여관련지 식부족 (53.5%, 1+2 순위기준 ) 으로 나타나, 이와관련된전문적서비스 에대한니즈가확대되고있음을확 인할수있다.[ 그림 55] 상속세 / 증여세 납부부담 및 적절한방법부재 도 높은응답률을보였으며, 금융자산 규모별로는금융자산이많은부자의 경우 상속 / 증여관련지식부족 및 [ 그림55] 상속및증여준비시애로사항 ( 단위 : 1+2순위, %) 상속 / 증여관련지식부족 상속세 / 증여세납부부담 상속 / 증여를위한적절한방법부재 가족간의합의에대한불만 규제변동에따른대응 어려운점없음 2.6 9.4 15.4 18.3 41.0 37.2 33.3 37.7 상속세 / 증여세납부부담 을가장큰애로사항으로꼽은비율이높은반면, 35.1 46.2 59.0 52.4 금융자산 50억원이상금융자산 10~50억원 52 33) 위탁자가사망이후에자신이원하는대로수익자를순차적으로지정할수있는신탁

금융자산이낮은부자는 가족간의합의에대한불만 및 규제변동에따른대응 등이상대적으로높았다. 한국부자의경우 가족간의합의에대한불만 응답이 관련규제변동에따른대응 보다높았으며, 지난해상속재산분할소송이 1,000건을넘어서는등상속관련분쟁이빠르게증가하고있다는사실이이를잘반영하고있다. 53

서울특별시영등포구국제금융로 8 길 26 02-2073-7114 본제작물은 KB 금융그룹이저작권을보유하고있습니다. KB 금융그룹의승인없이본책자의내용일부또는전부를다른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