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D6C1BE2E687770>

Similar documents
02À±¼ø¿Á

433대지05박창용

44-3대지.02이광률c

03이경미(237~248)ok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16황상일(235~246)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아태연구(송석원) hwp

01À̽ÂÈ£A9-832š

10¿ÀÁ¤ÁØ

DBPIA-NURIMEDIA

03-ÀÌÁ¦Çö

04±èºÎ¼º

DBPIA-NURIMEDIA

09È«¼®¿µ 5~152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1325FB1E8B0E6BCBA2E687770>

Lumbar spine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03-서연옥.hwp

hwp

歯kjmh2004v13n1.PDF


( )탐스런해설OK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03Ȳ»óÀÏ

¼Ò³ª¹«Àç¼±-³»Áö1~41

<C7D1B9CEC1B7BEEEB9AEC7D 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01이정훈(113~127)ok

<BABBB9AE2E687770>

04_이근원_21~27.hwp

DBPIA-NURIMEDIA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BFACBCBCC0C7BBE7C7D E687770>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대학중점연구소 심포지엄기초과학연구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untitled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95~118 학술 탄소은행제의가정용전력수요절감효과 분석 1) 2) 3) * ** *** 95

44-3대지.08류주현c


#Ȳ¿ë¼®

<30352DB1E2C8B9C6AFC1FD2028C8ABB1E2C7F D3636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지표조사-김해 진례 산본 685외 2-본문.hwp

... 수시연구 국가물류비산정및추이분석 Korean Macroeconomic Logistics Costs in 권혁구ㆍ서상범...

세종대 요람

부문별 에너지원 수요의 변동특성 및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04김호걸(39~50)ok

10(3)-09.fm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12È«±â¼±¿Ü339~370

45-3대지.6송성대


untitled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06류주현(67~79)ok

<30322DBDC5B8EDC1F72E687770>

DBPIA-NURIMEDIA

012임수진

ÇѸ¶´ç 32P


민속지_이건욱T 최종

목차 ⅰ ⅱ ⅱ ⅳ i

DBPIA-NURIMEDIA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À±½Â¿í Ãâ·Â

<BCBCC1BEB4EB BFE4B6F72E706466>

11+12¿ùÈ£-ÃÖÁ¾

45-51 ¹Ú¼ø¸¸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안테나/한지해(001~025)

<3136C1FD31C8A35FC3D6BCBAC8A3BFDC5F706466BAAFC8AFBFE4C3BB2E687770>

a16.PDF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Dec.; 27(12),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09구자용(489~500)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2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30(3),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 D303628B0ADB9CEBCAE29B4DCBAB82E666D>

139~144 ¿À°ø¾àħ

30이지은.hwp

02이용배(239~253)ok

Transcription:

지질학회지제 권제 호 년 월 경기도하남시풍산동및신장동일대제 4 기퇴적층에대한화분분석을통하여최후빙기최성기 (21,580 yr BP) 이후고기후와고식생변화를복원하였다. 이지역은크게최종빙기와후기후빙기동안기후변화와식생형태가존재함을알수있었다. 최종빙기 (21,580~14,930 yr BP) 동안에는아고산형침엽수림이잘발달한것으로보아한랭, 건조한기후였음을알수있었다. 그러나이시기동안강우량은수차례변화가있었던것으로추정되었다. 특히, 19,200~17,710 yr BP 동안에는강우량이뚜렷하게증가하였음이담수조류를통하여인지되었다. 전이시기인 17,710~16,800 yr BP 에는온난화로침엽 - 낙엽활엽수혼합림이전 ( ) 시기의아고산형침엽수림을대체하였다. 최후빙기최성기 (21,580~19,200 yr BP) 동안에는하성퇴적환경이발달하였다. 이후최종빙기후반 (16,800~14,930 yr BP) 에는계곡간습지환경으로변하였음이수서식물과담수조류를통하여확인되었다. 본연구지역에서 14,930~4,440 yr BP 까지결층이인지되었다. 또한결층의존재는화분군집의뚜렷한변화에서도인지할수있었다. 후기후빙기 (4,440~3,300 yr BP) 에는온대, 습윤한기후조건하에서침엽 - 낙엽활엽수혼합림이번성하였다. 또한이시기동안다양한수서식물과담수조류가산출됨으로써습지가발달하였음을알수있었다. 주요어 : 화분, 식생변화, 고기후, 후기제 4 기, 하남 ABSTRACT: Palynological study of the Hanam fluvial area, Gyeonggi Province, reflects the changes in climate and vegetation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LGM). The pollen assemblages are composed of last glacial and postglacial forest types in this study. Sub-alpine coniferous forest consisting mainly of spruce and pine together with xerophytic herbs indicates cold and dry climatic conditions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21,580~14,930 yr BP). However it is assumed that rainfall in this area has been changed throughout the time. Especially from 19,200 yr BP to 17,710 yr BP, an apparent increase in rainfall can be indicated by sudden appearance of colonial green algae, Pediastrum. Between 17,710 yr BP and 16,800 yr BP, a transition period in term of climate, mixed conifers-deciduous broadleaved tree forest replace the former sub-alpine coniferous forest caused by warming. Aquatics, riparian and freshwater algae reflect that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have been changed from fluvial to swamp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Hiatus between 14,930 and 4,440 yr BP was recognized by radiocarbon date as well as pollen assemblages. During late postglacial (4,440~3,300 yr BP), mixed conifers-deciduous broadleaved tree forest flourished under temperate, wet climate conditions. Also depositional environment is considered to have been swamp indicated by various aquatics, riparian (ex. alder) and freshwater algae. Key words: Pollen, vegetation dynamic, paleoclimate, Late Quaternary, Hanam (Sangheon Yi, Ju-Yong Kim, Dong-Yoon Yang, Jeong Chan Kim, Wook-Hyun Nahm and Hyun-Soo Yun,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Gwahang-no 92, Yuseong-gu, Daejeon 302-350, Korea)

기후변화는육상생태계의변화혹은전이에영향을주는중요한요인이다 후기제 기동안발생한수차례의기후변화는당시의육상지표환경자체뿐만아니라육상식물의변이에도막대한영향을주었다 그리하여과거육상지표환경과생태계의변화를재현하고자기후변화의시기 범위및주기성을정밀하게규명하려는연구가활발히진행중이다 동북아시아는동아시아몬순의영향권이속해있다 한반도는서태평양과경계한유라시아대륙의동단부에위치하고있으며 계절에따라대륙성및해양성기후의영향을함께받는지역으로과거의다양한기후변화를기록하고있다 따라서고기후변화연구를위해서는아주중요한지리적위치에놓여있다고볼수있다 육상지표에분포하는습지는영양물질이가장풍부하고생산성이높은생태계이며 다양한생태적기능을제공해주는것으로알려져있다 따라서습지의발달과정과주변의식생을규명하면고기후변화를복원할수있다 이러한장점때문에최근에한국에서는육상지표환경변화를연구하기위해고산습지 내륙습지및연안습지의퇴적물을대상으로다양한연구가진행중이다 예 윤순옥 조화룡 윤순옥 최기룡 김주용외 김주용외 이상헌외 연구지역인경기도하남지역은한강하류역에해당하며이지역일대에분포하는습지는범람성내륙습지로분류될수있다 본연구는연대자료를수반한화분군집조성변화를이용하여하남지역의과거습지의발달사및식생변위를복원하는것이며 또한한반도중서부지역의고기후변화를규명하는것이목적이다 본지역은행정구역상경기도하남시풍산동과신장동일대로한강변에위치하며한강의하중도 인미사섬의맞은편에위치한다 그림 연구지역의위치는 이며고 도는 이다 동쪽창우동방향으로는덕풍천이 서쪽강동구방향으로는망월천이흐르고있다 한강은미사동북쪽으로흐르고있으며팔당협곡에의해제한된하도가협곡부를벗어나면서하폭이증가한다 김종연 김주용 풍산지역일대와팔당협곡유출부 에만들어진미사섬의지형은약 내외의고도를가진하안단구로분류될수있다 권혁재 본지역의지질은선캠브리아기의경기변성암복합체와제 기의충적층등으로구성된다 변성암복합체는화강암질편마암 호상편마암과각섬석편암등으로이루어져있다 화강암질편마암은동부일원에분포하며 대체로풍화정도가심하다 지역에따라풍화에강한암반들이잔존하여비교적신선한암상이산정상부에분포되기도한다 이편마암에는전반적으로미약한편리구조가발달하며 염기성광물밀집부 가원형이나타원형에가까운형태로자주발달한다 이런밀집부가풍화및침식작용등으로인하여빠져나간부분은외견상공동에가까운형태로잔존되기도한다 호상편마암은중부일대에발달하며편마암류중가장넓은분포를이룬다 이편마암은석영장석류의우백질부와유색광물류의우흑질부가뚜렷한호층구조를이루며평행하게발달한다 각섬석편암은서부일원에서소규모로분포한다 이암은암회색을띠며국부적으로 와 등의엽리방향을이루기도하나대부분엽리구조의발달은미약한편이다 그리고짙은회색을띠는장석변정이반자형또는타형을이루며수 크기로발달되기도한다 충적층은자갈 모래및점토등으로구성된다 이층은북부에발달하는한강의남측하안부를따라길게 그리고전술한변성암류사이에소계곡부를따라다소넓게분포한다 탄소동위원소연대측정자료에의하면불교란시추 의퇴적시기는과거약 부터약 까지인것으로나타났다 표 또한 에서 동안무퇴적된결층이고도 사이에존재하는것으로

화분분석에 의한 경기도 하남지역의 최후 빙기 최성기 이후 고환경 변화 연구 675 Fig. 1. Landsat imagery and shaded relief map of the study area with core site (UD2-1), Hanam, Gyeonggi Province..

Table 1. Radiocarbon dates from Hanam profile, Gyeonggi Province. Sample No. Laboratory No. Elevation (m) Material 14C age 13C ( ) UD2-1-1-18 SNU06-321 20.787 Sediment bulk 3820±60-28.71 UD2-1-1-41 SNU06-322 20.557 Sediment bulk 4440±50-28.87 UD2-1-1-52 SNU06-323 20.447 Sediment bulk 15,100±70-27.38 UD2-1-2-13 SNU06-324 20.037 Sediment bulk 16,070±120-30.19 UD2-1-2-44 SNU06-325 19.727 Sediment bulk 16,440±60-30.41 UD2-1-3-06 SNU06-326 19.307 Sediment bulk 15,550±120-28.66 UD2-1-3-28 SNU06-327 19.087 Sediment bulk 14,500±80-30.84 UD2-1-3-65 SNU06-328 18.717 Sediment bulk 17,050±60-23.04 UD2-1-4-34 SNU06-329 18.227 Sediment bulk 17,040±60-23.31 UD2-1-5-27 SNU06-330 17.497 Sediment bulk 20,000±60-22.91 UD2-1-5-54 SNU06-331 17.227 Sediment bulk 21,580±200-26.93 인지되었다 의시료는주로검정색혹은회색의유기물함유층 실트층및이질층으로구성되었다 퇴적층들은괴상또는엽리가잘발달된퇴적구조를보여주고있다 그림 각퇴적층들은시대에따라 의퇴적률변화를보여주고있다 그림 화분분석을위해 간격으로총 개의부시료 를채취한후 의실내실험방법을통해화분을추출하였다 먼저 의건조된시료에서석회질물질을제거하기위해염산 농도 반응처리를하였고 남아있는규질물질을분해제거하기위해 농도의불산반응처리를하였다 두과정에의해분해되어남은유 무기잔류물은 망사의나일론체를이용하여습식체질을하였다 체위에남아있는잔류물을염화아연비중액 으로비중처리하여유기잔류물만분리하였다 농축된식물질유기물중 불필요한섬유질이나부식물질을제거하여화분을농집시키기위해 농도의수산화칼륨액으로반응처리를하였다 최종추출물인화분은현미경관찰을위해박편을제작하여광학현미경에서 배확대하여관찰하였다 화분의동정은장남기 임영득 과장남기 의사진도감을 참고하였다 동정된화분은 을이용하여백분비로변환하였으며 를 이용하여화분산출표를작성하였다 또한 화석분대설정은동일 프로그램의 기법을이용하였다 전체적으로목본화분 초본화분 및포자 들이시료에따라상대적인산출량의변화를보여주고있으며동정된화분 포자는아래와같다 그림 목본화분 주목과 개비자나무과 측백나무과 엽소나무속 엽소나무속 가문비나무속 솔송나무속 오리나무속 자작나무속 밤나무속 서 어나무속 소귀나무속 감탕나무속 목련속 가래나무속 중국굴피나무속 참나무속 버드나무속 피나무속 느릅나무속 느티나무속 초본화분 쑥속 누린내풀속 쑥갓속 메밀속 죄손이풀속 나리속 씀바귀속 꿩의밥속 털동자꽃속 들깨속 여뀌속 보풀속 국화 방방이속 꿩의다리속 쑥부저이속 구름떡속 체꽃속 괴불나 무속 갈퀴나무속 매자기속 옥잠화 속 수련속 연꽃속 가래 속 마름속 부들속 물봉선화속 명아주과 사초과 벼과 옥수수속 물억새속 포자 고비속

Fig. 2. General Lithologic description with age of the Core UD2-1.

Fig. 3. Lithology with age-depth curve showing the sedimentation rate of the Core UD2-1. Age date with an asterisk is extrapolated by age-depth curve. 석송속 담수조류 지역화분대는 를이용하여설정하였고 각화분대의군집특성은하부로부터순차적으로기술하였다 화분이름뒤괄호는평균산출값을나타낸다 제 화분대 고도 초본류인사초과 가우점으로산출되며목본화분인주목과 개비자나무과 측백나무과와 엽소나무속도풍부하게산출된다 소귀나무속은양호하게산출되다가상부로가면서감소한다 자작나무속과느릅나무속 느티나무속도산출비는낮지만지속적으로산출된다 초본화분의벼과와쑥속은꾸준히양호하게산출된다 그외에참나무속 서어나무속등도저조하지만지속적으로산출된다 대부분의초본류들은산출비가아주낮지만연 속적으로산출된다 제 화분대 고도 전체화분대중에서초본화분의산출비가가장높게나타나는것이특징이다 사초과 는변함없이우점으로산출되며벼과와쑥속의산출비는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난다 소귀나무속의산출은급증하다가상부로가면서감소한다 주목과 개비자나무과 측백나무과 가문비나무속및 엽소나무속등은본화분대에서가장저조하게산출된다 전체적으로초본화분의산출은제 화분대산출양상과비슷하다 제 화분대 고도 사초과는변함없이우점 으로산출된다 목본화분인주목과 개비자나무과 측백나무과 가문비나무속 엽소나무속 자작나무속과느릅나무속 느티나무속의산출은전 화분대보다증가한다 초본화분의벼과 매자기속및쑥속등은상부로가면서감소한다 그외에초본류의산출양상은전 화분대와아주유사하다

Fig. 4. Pollen diagram with pollen zones of Core UD2-1. Freshwater algae are shown as individual counts. T-C-C, Taxaceae-Cephalotexaceae-Cupressaceae. Age date with an asterisk is extrapolated by age-depth curve shown in Fig. 3. 화분분석에 의한 경기도 하남지역의 최후 빙기 최성기 이후 고환경 변화 연구 679

제 화분대 고도 초본화분인사초과 가꾸준히우점으로산출된다 가문비나무속은전체화분대중에서가장풍부하게산출되는것이특징이다 주목과 개비자나무과 측백나무과 엽소나무속 자작나무속 느릅나무속 느티나무속등은제 화분대보다산출비가증가하는것으로나타난다 초분화분의벼과와쑥속은제 화분대보다산출이약간감소한다 본화분대의하부구간 고도 은재동된구간으로화분의산출특성은기술하지않았다 제 화분대 고도 목본화분과초본화분의총량역전되는것이가장큰특징이다 목본화분이우점 으로산출되며 초본화분이 그리고포자가 를차지한다 우점종으로는목본화분의참나무속 과오리나무속 이다 초본화분의벼과와사초과도비교적양호하게산출된다 그외에목본화분의 엽소나무속 과주목과 개비자나무과 측백나무과및초본화분의쑥속을위주로하는다양한초본화분들이산출된다 우점종인참나무속과오리나무속은상부로가면서산출이감소하지만벼과는점차적으로증가한다 화분조성은크게최종빙기 와후빙기 의식생군락으로나뉘어진다 최종빙기의화분조성은일반적으로아고산 성침엽수와한랭온대성 낙엽활엽수가주요수종으로구성되었으며후빙기의화분조성은한랭온대성낙엽활엽수만을주요수종으로하고있다 그림 최종빙기동안에는다양한초본류가번성하였고교목은다양성이낮은것으로보아전체적으로한랭 건조한기후조건을반영하는식생이분포하였음을나타낸다 침엽수림 퇴적지주변의산악 구릉지에는소나무 주목 측백나무와가문비나무등을주요수종으로하는침엽수림이잘발달하였다 이와함께한랭한기후조건을선호하는자작나무와온대성참나무 느릅나무 느티나무들도같이서식하였다 저지대에는쑥과벼과등의풀들이잘번성하였음을알수있다 이시기는최후빙기최성기 에해당하는시기로현재의해수면보다약 하강으로인하여황해지역은모두지표로노출되었다 박용안 또한완만한지형의구배로그당시황해지역은풀들만서식하는스텝 같은넓은초원지대였던것으로알려졌다 그러나오늘날하남지역의지형에서도알수있듯이풍산지역의주변은산악 구릉지가발달한지역이다 그림 따라서본연구지역은 동안황해와서해안조간대지역에서발달하였던완전한초원지대와는다르게주변에침엽수림이발달하고저지에는초원으로피복된식생형태를가지고있었던것으로해석된다 침엽 낙엽활엽수혼합림 이시기동안참나무속과사귀나무속같은낙엽활엽수와소나무속등이주변의산악 구릉지에서주요수종 하는혼합림이잘발달하였다 동안번성하였던아고산성침엽수림은소규모로축소되었고이자리에는참나무속과사귀나무속같은낙엽활엽수로교체되었던것으로서생각된다 저지대에풀의조성에는큰변화가없으나 쑥속과벼과등이서식범위가더확장되었던것으로보인다 따라서이시기는 동안한랭 건조하였던기후조건이약해지는전이시기하에서혼합림이번성하였던것으로추정된다 침엽수림 산악 구릉지역에소나무속 가문비나무속과주목과 개비자나무과 측백나무과를주요수종으로하는아고산성침엽수림이다시번성하면서확장하였다 한랭온대성자작나무속역시침엽수림지에서같이서식하였다 참나무속과느릅나무속 느티나무속등도소수의군락형태로서식한것으로판단된다 저지대에는사초과가주로서식하였으며 그외에다양한종류의풀들이피복하였던것으로여겨진다 오늘날한반도에서가문비나무속과자작나무속은중위도의고산지대의한랭한지역에주로서식교목이다 이창복 이우철임양재 따라서본침엽수림시기의기후조건은한랭 건조한기후였던것으로판단된다 침엽 낙엽활엽수혼합림 산악 구릉지에는참나무속과소나무속이주종이며 서어나무속 소귀나무

속 중국굴피나무속및그외에여러종의교목등이서식하였던혼합림이발달하였다 저지대에는사초과 벼과 쑥속등다양한풀등이서식하였던것으로추정되며 호습윤성인오리나무속 수련속 여뀌속 마름속 부들속 가래속 연꽃속등이습지혹은하천가같은습윤지역에서식하였던것으로판단된다 이들식생군락은오늘날한반도의식생도 에서냉온대식생형과잘대비됨으로당시기후는신빙하기 와대비되는온대였음을알수있다 본연구에서산출된화분군집은한강하류역에위치한일산 윤순옥 과청계천 의화분군집과대체적으로잘대비된다 그림 이들연구는당시의한랭 건조화된기후조건으로소나무속이증가하고초본류가우점하였다고보고하였다 한반도중서부지역의식생은후빙기 홀로세 이후 에들어서면서많은변화를겪었다 즉기후의온난화와황해의해수면상승은인접지역에습윤조건의변화를야기시켰다 그결과지표에서식하는식생도직접적인영향을받았던것으로나타났다 예를들면과거약 에접어들면서약 까지온난화와습윤한기후조건은오리나무속과참나무속을번성시켰다 이런식생형태는약 까지지속되었으며그이후오리나무속은급감하는식생형을보여준다 최기룡 윤순옥 이상헌외 본연구의최상부구간에서도이와매우유사한식생형을보여줌으로써기존의화분자료와잘일치하는것을알수있었다 하성퇴적환경사초과 벼과 및쑥속같은풀등이주요구성원이며그외에다양한풀들로구성된초지가발달한하성퇴적환경이었다 주요구성원들은오늘날주로건조한지역에번성하는풀들이다 이창복 침엽수를제외한활엽수교목들이희박한것은이들이서식하기에는기후조건이매우열악하였음을나타낸다 또한담수조류가아주적은양이지만간헐적으로산출되는것은저지에소규모의하천이나웅덩이등이분포하고있었음을알수있다 따라서연구지역을포함한저지의범람성하성퇴적지에는호건조성풀들이왕성하게피복하였고주변의구릉지에는침엽수림이잘발 달하였던것으로간주된다 그러나제 화분대 의시기에접어들면서호건조성침엽수의감소와낙엽활엽수 예 참나무속 소귀나무속 의증가가인지되었다 또한담수조류인 과 가급증하였다 그림 녹조류인 은 주로유속이낮은소규모냇가혹은호수 웅덩이와습지등지에서서식하며외부로부터유입되는영양 에지배를받는것으로알려졌다 퇴적물에함유된 의산출변화는주변유역 내에침식변화에밀접하게연관되어있다 따라서이시기에 과 의 급증은유역내의활발한침식으로퇴적지에영양분의공급이증가한결과이다 침식의증가에는여러요인이있지만본연구지역에서는아마도강우량의증가에따른주변침식지로부터퇴적물공급이증가하였기때문인것으로생각된다 전체적으로한랭하고건조하였지만 이시기에강우량은다소높았던것으로생각된다 이런해석은퇴적구조에서도잘반영되는데 퇴적체대부분의구간에서오목한 퇴적구조를보여주고있다 그림 이런퇴적구조는항상조용한퇴적환경이라기보다는시간에따른물에너지의변화가발생하였음을나타낸다 이시기는 에해당되며전지구적으로오늘날보다기온이약 내외낮은한랭 건조한기후였지만습윤도는지역에따라차이가있는것으로알려졌다 결과적으로본연구지역의기후는 의기후와비교적잘일치하지만강우조건은지역적인조건에더영향을받은것으로해석된다 배후습지습윤지역에서서식하는풀들이풍부하지는않지만일정한간격으로산출과무산출을반복한다 오늘날지리 생태학적으로부들 마름 여뀌 가래및수련등의수서식물들은강가 냇가혹은습지같은습윤지역에서서식하는식물들이다 이창복 이우철 임양재 본구간에서이들수서식물들이일정한시간적간격으로출현하며또한상부구간으로가면서산출이증가한다 그림 이런현상은퇴적환경에서습윤의변화가있었음을시사한다 즉 습지형성초기에는습윤과건조가반복되다가상부구간으로가면서완전히습지로되

었다는것을알수있다 그러나전 시기와는달리담수조류의산출이매우낮거나없다 전술한바와같이담수조류는서식지의영양정도에따라산출에영향을받는다 본구간에서는호건조성풀들과한랭교목들이비교적양호하게산출되는것으로보아건조한기후였음을알수있다 따라서담수조류들은주변유역으로부터충분한영양공급을받지못해이들이서식하기에매우불리한환경이었을것이다 이런결과는퇴적학적인자료에서도잘나타난다 일부구간에서는실트질점토의엽리구조를보 여주며또한일부구간에서는모래층이협재하기도한다 그림 이는습지에서습윤도와물에너지의변화를나타낸다 결과적으로화분산출양상과퇴적상의결과가비교적잘일치하는것을알수있다 배후습지 습윤지역에서서식하는수목 풀및담수조류가풍부하게산출된다 이미언급한바와같이오리나무와부들 마름 여뀌 가래및수련등의수서식물들은습윤지역에서서식하는식물들이다 또한연못과웅덩이혹은유속이아주낮은냇가나하천등지에서주로서식하는다 Fig. 5. Changes in climate and vegetation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and correlation with previous palynological studies.

양한종류의담수조류 정영호 등도비교적양호하게산출된다 오늘날하남지역의지형에서도알수있듯이풍산지역의주변은산악 구릉지가발달한지역이다 그림 따라서이런식물들과담수조류등이함께산출되는것은당시의퇴적환경이계곡간의소택지성습윤지역으로유기물의유입이잘되는곳이었음을잘대변해준다 또한이시기동안의퇴적층은유기물이다량으로함유한괴상의유기질층으로이루어져있다 그림 이런퇴적양상은퇴적환경이안정된조건하에서주변으로부터다량의유기물이유입되어집적된결과물이다 따라서화분과퇴적물에의한해석은서로잘일치한다 경기도하남시풍산동지역에서시추된불교란시추코아 에대한화분분석을수행한결과최후빙기최성기 이후크게최종빙기와후기후빙기의기후변화와식생형태를재현할수있었다 최종빙기 동안에는주로한랭한기후조건으로인하여아고산형침엽수림이번성하였다 그러나최종빙기동안에강우량은수차례변화가있었던것으로추정되었다 특히 동안에는강우량이뚜렷하게증가하였음이담수조류를통하여인지되었다 최종빙기내전이시기 동안에는약간의기후온난화에의해침엽 낙엽활엽수혼합림이번성하였다 동안에하성퇴적환경이었던것이최종빙기후반 으로오면서계곡간습지환경으로변하였음이수서식물과담수조류를통하여알수있었다 본연구지역은 로부터 까지무퇴적구간으로결층이존재하는것으로인지되었다 결층의존재는화분군집의뚜렷한변화에서도인지할수있었다 신빙하기 와대비되는후기후빙기 에는온대 습윤한기후조건하에서침엽 낙엽활엽수혼합림이번성하였다 이시기의퇴적환경은다양한수서식물과담수조류가산출되는것으로보아습지가발달하였던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는한국지질자원연구원기본사업인 한반도단주기 돌발지구환경변화과거복원및미래예측기반구축 과제의일환으로수행되었다 본논문의심사과정에서많은조언과건설적인비판을통해논문의질적향상에많은도움을주신윤순옥교수님과정철환박사님께깊은감사를드린다 영상자료편집에도움을준김민석 쯔쿠바대학 씨에게감사한다 권혁재, 1984, 한강하류의충적지형. 고려대학교사범대학사대논집, 9, 79-113. 김종연, 김주용, 2005, 하남시일대한강하류하천퇴적층의연구 1: 퇴적층의특징에대한고찰. 한국지형학회지, 12, 43-54. 김주용, 유환수, 고영구, 김미선, 강석범, 정철환, 2000, 전남신안군임자도토탄층에서산출된현세포자 화분군이지시하는고환경, 한국고생물학회지, 16, 93-98. 김주용, 양동윤, 봉필윤, 이융조, 박지훈, 2001, 청원옥사소로리유적지일대유기질니층의화분분석에의한식생변사에관한연구. 한국제 4 기학회지, 15, 75-84. 박용안, 1992, 한국서해 ( 황해 ) 의제 4 기후기및홀로세 ( 현세 ) 의해수면변동과기후. 한국제 4 기학회지, 6, 13-22. 윤순옥, 1997, 화분분석을중심으로본일산지역의홀로세환경변화와고지리복원. 대한지리학회지, 32, 15-30. 윤순옥, 조화룡, 1996, 제 4 기후기영양분지의자연환경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1, 447-468. 이병주, 김유봉, 이승렬, 김정찬, 강필종, 최현일, 진명식, 1999, 1 : 250,000 서울 - 남천점지질도폭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KR-99(S)-1, 64 p. 이상헌, 남승일, 장세원, 장진호, 2004, 한국서해현제조수환경퇴적체의화분기록과고환경연구. 지질학회지, 40, 213-225. 이상헌, 류은영, 김주용, 남욱현, 양동윤, 신숙정, 2005, 경기도일산이산포지역의후기홀로세고환경변화연구 : 화분과규조분석. 지질학회지, 41, 295-322. 이상헌, 류은영, 김주용, 남욱현, 양동윤, 신숙정, 2007, 군산시내흥동유적지에서산출된후기플라이스토세의유기질미화석과고환경. 한국고생물학회지, 23, 187-203.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출판부, 412 p.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 p. 장남기, 임영득, 1979, 한국화분도감 : 한국식물의화분형태에관한연구. 서울대학교출판사, 62 p + 137 pl. 장남기, 1986, 한국동식물도감 : 제 29 권식물편 ( 화분류 ). 문교부, 899 p. 정영호, 1968, 한국국동식물도감 : 제 9 권식물편 ( 담수조류 ). 문교부, 573 p.

최기룡, 1997, 한반도후빙기식생변천사. 자연보존, 100, 28-33. 최기룡, 2001, 무제치늪의화분분석연구, 한국제 4 기학회지, 15, 13-20. An, Z., Porter, S.C., Kutzbach, J.E., Wu, X., Wang, S., Liu, X., Li, X. and Zhou, W., 2000, Asynchronous Holocene optimum of the East Asian monsoon. Quaternary Science Reviews, 19, 743-762. Bragg, O.M. and Tallis, J.H., 2001, The sensitivity of peat-covered upland landscpes. Catena 42, 345-360. Grimm, E., 1987, CONISS: A FORTRAN 77 program for stratigraphically constrained cluster analysis by the method of incremental sum of squares, Computer Geoscience, 13, 1335. Grimm, E., 1991, TILIAGRAPH v1.25 (computer software) Illinois State Museum, Research and Collections Center, Springfield, IL, USA. Grimm, E., 1993, TILIA v2.0 (computer software) Illinois State Museum, Research and Collections Center, Springfield, IL, USA. Karlén, W., 1988, Scandinavian glacial and climatic fluctuations during the Holocene. Quaternaary Science Reviews, 7, 199-210. Kim, J.Y., Yang, D.Y., Nahm, W.H., Yi, S., Kim, J.C., Hong, S.S., Yun, H.S., Lee, J.Y., Kim, J.K., Oh, K.C., and Choi, D.W., 2008, Last Glacial and Holocene fluvial wetland sedimentary stratigraphy: comparison between Soro-ri and Jangheung-ri archeological sites,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176-177, 135-142. Liu, J., Yu, G. and Chen, X., 2002, Palaeoclimate simulation of 21 ka for the Tibetan Plateau and Eastern Asia. Climate Dynamics, 19, 575-583. Lowe, J.J. and Walker, M.J.C., 1997, Reconstructing Quaternary Environments (2nd Edition). Longman, 446 p. Mitsch, W.J. and Gosselink, J.G., 2000, Wetlands (3r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920 p. Moore, P.D., Webb, J.A. and Collinson, M.E., 1991, Pollen Analysis (2nd. Edi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216 p. Nahm, W.H., Kim, J.K., Yang, D.Y., Kim, J.Y., Yi, S. and Yu, K.M., 2006, Holocene palesols of the Upo wetland, Korea: Their implications for wetland formation. Quaternary International, 144, 53-60. Nahm, W.H., Kim, J.C., Bong, P.Y., Kim, J.Y., Yang, D.Y., and Yu, K.M., 2008,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Yeongsan Estuary, Southwestern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176-177, 13-24. Van Geel, B., 1976, Fossil spores of Zygnemataceae in ditches of a prehistoric settlement in Hoogkarspel (The Netherlands).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22, 337-344. Van Geel, B., 1978, A palaeoecological study of Holocene peat bog sections in Germany and Netherlands.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25, 1-120. Van Geel, B., 2001, Non-pollen palynomorphs. In: J.P. Smol, H.J.B. Birks and W.M. Last (eds.), Tracking environmental change using lake sediments: Volume 3: Terrestrial, Algal, and Siliceous Indicators.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99-119, Dordrecht, The Netherlands. Wang, K., Wang, Y., Jiang, H. Z, hang, Y. and Zhang, Y., 1997, The sporo-pollen and algal assemblages in the sediments of the Yellow Sea. China Ocean Press, 189 p.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Wang, K., Sun, Y., Zhang, Y., Jiang, H. and Zhang, Y., 1997, The sporo-pollen and algal assemblages in the sediments of the East China Sea. China Ocean Press, 76 p. Wu, Z. (Ed.), 1980, Vegetation of China. Science Press, Beijing, 1144 p. (in Chinese). Yang, D.Y., Kim, J.Y., Nahm, W.H., Ryu, E., Yi, S., Kim, J.C., Lee, J.Y. and Kim, J.K., 2008, Holocene wetland environmental change based on major element concentrations and organic contents from the Cheollipo coast,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176-177, 143-155. Yasuda, Y., Kitagawa, H., Nakagawa, T., 2000, The earliest record of major anthropogenic deforestation in the Ghab Valley, northwest Syria: a palynological study. Quaternary International, 73-74, 127-136. Yi, M., Kim, J-M., Kim, J-W. and Oh, J-H., 1996, Holocene pollen records of vegetation history and inferred climatic changes in a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Journal of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12, 105-14. Yi, S., 1997, Zygnematacean zygospores and other freshwater algae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the Yellow Sea Basin, southwest coast of Korea. Cretaceous Research, 18, 515-544. Yi, S., Kim, J.Y., Yang, D.Y., Oh, K.C. and Hong, S.S., 2008, Mid- and Late-Holocene palynofloral and environmental change of Korean central region. Quaternary International, 176-177, 112-1120. Yim, Y.J.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5, 269-278. Yu, G., Chen, X., Ni, J., Cheddadi, R., Guiot, J., Han, H., Harrison, S.P., Huang, C., Ke, M., Kong, Z., Li, S., Li, W., Liew, P., Liu, G., Liu, J., Liu, Q., Liu, K.B., Prentice, I.C., Qui, W., Ren, G., Song, C., Sugita, S., Sun, X., Tang, L., Van Campo, E., Xia, Y., Xu, Q., Yan, S., Yang, X., Zhao, J. and Zheng, Z. 2000, Palaeovegetation of China: a pollen data-based synthesis for the mid-holocene and last glacial maximum. Journal of Biogeography, 27, 635-664. 투고일 년 월 일심사일 년 월 일심사완료일 년 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