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의우울, 불안, ADHD, 충동성 년대 초 만건에서 년 만건으로 그리고 구조 및 구급활동은 년대 초 건에서 만건 이상으로 배나 증가하였다 그렇지만 이에 비해 현장소방인력은 년 월 현재 법정인력인 명에 비해 명이나 부족한 실태이며 노후화된 소방장비 등으로 각종 위험

Similar documents
012임수진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Lumbar spine


ORIGINAL ARTICLE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5;26(3): pissn X / eissn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

서론 34 2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歯5-2-13(전미희외).PDF

DBPIA-NURIMEDIA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04_이근원_21~27.hwp

DBPIA-NURIMEDIA

歯1.PDF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DBPIA-NURIMEDIA

139~144 ¿À°ø¾àħ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Rheu-suppl hwp


???? 1

03-서연옥.hwp

DBPIA-NURIMEDIA

1..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30342E20B1E8C7F6BFEC2C20B1E8C8A3C1D82C20B9DABFB5C8B82E687770>

<31372DB9DABAB4C8A32E687770>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untitled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52D3428C3D6C1BE292E687770>

레이아웃 1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12이문규

14.531~539(08-037).f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35BFCFBCBA2E687770>

ATC _03df9a6d e0a-1fea63a4d9fe.hwp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DBPIA-NURIMEDIA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

大学4年生の正社員内定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Kbcs002.hwp

아동기에주의력결핍과잉행동증상을경험한성인의정신병리와기질성격요인 Psychopathology, Temperament, and Character Factors of Adults with Childhoo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Symptom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DBPIA-NURIMEDIA

Kinematic analysis of success strategy of YANG Hak Seon technique Joo-Ho Song 1, Jong-Hoon Park 2, & Jin-Sun Kim 3 * 1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09구자용(489~500)

:,,,. (,, ), (,,,, ),,. 559 ( 205, 203, 151; 132, 427).,,,.,.,,,,.,,,,..,. :,, ( )

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Kang & Lee, 2001). 이에 대한 결과로 1990 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만성신부전환자의 혈액투석경험 (Shin, 1997), 신장이식 체험(Lee, 1998) 과 만성질환자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Ko, 1999)등 만성질환

methods.hwp



00표지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다문화 가정의 부모

433대지05박창용

???춍??숏

?

1. 연구대상 연구방법 2. 측정도구 3. 명상법소개및연구절차 492

<313120B9DABFB5B1B8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서론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A 617

Jkcs022(89-113).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5BB0F8B0F8BFECC6ED5D20C3D6C1BEBAB8B0EDBCAD5F BFCF292E687770>

09권오설_ok.hwp

歯14.양돈규.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30372EC0CCC0AFC1F8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NCS : G * The Analy

03이경미(237~248)ok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Transcription:

Anxiety and Mood Vol 13, No 2 / pissn 2586-0151 / eissn 2586-0046 https://doi.org/10.24986/anxmod.2017.13.2.93 ORIGINAL ARTICLE 소방관의우울, 불안, ADHD, 충동성 단국대학교의과대학정신건강의학교실, 1 안성시정신보건센터, 2 단국대학교공공인재대학심리학과, 3 단국대학교공공인재대학해병대군사학과, 4 단국대학교의과대학응급의학교실 5 신재권 1. 김지선 2. 임명호 2,3. 이재원 1. 김경민 1. 이표규 4. 오성범 5. 양영애 2. 백기청 1 Depression, Anxiety, ADHD, and Impulsivity with Fire Officers Jae Kwon Shin, MD 1, Ji Sun Kim, BA 2, Myung Ho Lim, MD 2,3, Jae Won Lee, MD 1, Kyoung Min Kim, MD 1, Pyo Kyu Lee, PhD 2, Seong Beom Oh, MD 5, Young Ae Yang, BA 2 and Ki Chung Paik, MD 1 Department of Psychiaty 1,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Anseongsi Mental Health Center 2, Anseong, Department of Psychology, 3 College of Public Service, Dankook University, Cheonan, Department of Marine Corps 4, College of Public Service, Dankook University, Cheona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5,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exhaustion, ADHD, self-esteem, impulsivity, suicidal tendencies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fire officers in Korea. Methods :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from September 2016 to December 2016. A set of questionnaires was provided to a total of 113 fire officers and 284 other participants as a comparison group. All subjects were evaluated using the Beck s Depression Inventory, Beck s Anxiety Inventory, Malach Burnout Inventory, Korean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ales, Rosenberg s Self-esteem Inventory, Baratt s Impulsivity Scale, Beck s Scale of Suicide Ideation, and Quality of Life Scale. Furthermore, the odds ratio of depression, anxiety, exhaustion, ADHD, self-esteem, impulsivity, suicidal tendency and quality of life were evaluated the fire officer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fire officers were more likely to show depression, anxiety, exhaustion, ADHD, low self-esteem and higher impulsivity. Als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ire officer group and depression, ADHD and impulsivity was confirm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 Timely and effectiv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impulsivity, as well as depression is required for fire officers. (Anxiety and Mood 2017;13(2):93-99) KEY WORDS : Fire officers Depression Anxiety Exhaustion ADHD Self-esteem Impulsivity Suicide idea Quality of life. 서 론 소방기본법 消防基本法 에 따르면 소방관은 화재를 예 방 경계하거나 진압하고 화재 재난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 황에서의 구조 구급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 신체 및 Received : June 26, 2017 / Revised : September 5, 2017 Accepted : October 13, 2017 Address for correspondence Myung Ho Lim, M.D., Department of Psychology, College of Social Science, Dankook University, 201 Manghyang-ro, Dongnam-gu, Cheonan 31116, Korea Tel : +82-41-550-3263, Fax : +82-41-559-7852 E-mail : paperose@dku.edu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 및 질서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 을 기본업무로 하고 있다 이러한 소방업무는 주로 재난 및 사고예방 진압 구조 구급 등의 활동 외에도 예방업무 진압업무 구급업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소방 활동은 년대 초반까지는 주로 화재예방과 진압업무에 국한되었으나 최근에는 생활안전 특수재난 의료상담 국제 구조 활동 등 활동범위가 다양하게 확장되었다 또한 소방 활동의 양에 있어서도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화재진압건수는 년대 초에 만 건에서 년 만 건으로 배 급증하였으며 구조구급신고 건수는 Anxiety and Mood Volume 13, No 2 October, 2017 93

소방관의우울, 불안, ADHD, 충동성 년대 초 만건에서 년 만건으로 그리고 구조 및 구급활동은 년대 초 건에서 만건 이상으로 배나 증가하였다 그렇지만 이에 비해 현장소방인력은 년 월 현재 법정인력인 명에 비해 명이나 부족한 실태이며 노후화된 소방장비 등으로 각종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소방공무원의 재해보상제도 및 처우가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직무자의 과도한 업무 및 지속적 직무 스트레스의 노출은 우울 불안 소진 충동성 등의 여러 가지 정신적 문제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이 직무 불만족을 해소시키지 못하고 누적하게 되면 심한 좌절감 무력감 상실감 등을 느끼는 되는 소진증후군 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소진은 여러 가지 정신과적 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등 은 명의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소방관이 소진 증후군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연관성이 있었으며 그 외에도 신체상처 신체상태 연령 작업경험 등이 소방관의 소진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은 소방공무원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연관성을 보고하였으며 등 은 현장직 소방공무원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우울증상의 유병율이 이고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등이 우울증상과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는 전북지역 소방공무원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우울증상 유병율이 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으며 은 일 지역 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우울군이 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은 일지역 소방공무원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불안이 높은 군이 자살 사고가 높고 삶의 질이 떨어진다고 보고하였고 등 은 불안 장애 환자에서 자살 위험이 일반인 보다 높다고 하였다 과 은 소방관에서 우울증상과 가 동반되었음을 보고하였고 도 소방관에서 우울증상과 가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은 경기도 소방공무원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 우울증상 직무스트레스 증상을 갖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등 은 소방대원에서 높은 소진과 낮은 자존감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국외연구에서 등 은 명의 일지역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 의 증상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등 은 소방공무원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로 인하여 삶의 질이 떨어진다고 보고하였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소방관과 일반 대조군 사이에서 대표적인 내현화 증상인 우울증상의 심각도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매우 적었으며 또한 대표적인 외현화 증상인 충동성 혹은 개인자존감의 연관성에 대해 함께 보고한 국내 연구는 아직 없었다 소방관은 직무특성 상 고도의 주의력을 요하는 직업이므로 의 특성인 부주의 산만함뿐만 아니라 충동성이 소방관의 업무수행 및 효과적인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팀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소방관이 일반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울 불안 소진 자살사고 등의 정서적 증상뿐만 아니라 충동성 등의 행동증상 그리고 자존감 삶의 질의 정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년 월부터 년 월까지 인구 만명 정도의 안성시 지역에 현장근무를 수행하는 소방관 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에게는 본 연구의 취지에 대해서 설문지를 통하여 설명을 하였으며 사전 동의를 받은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일괄적으로 소방서를 통해서 배포되었으며 수거된 설문지는 총 명이었고 이중에서 남성 명 여성 명이었다 남성에 비해 여성의 수가 매우 적어서 통계결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에 소방관 남성만을 대상군으로 선정하였다 대조군은 같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과 직장인 군인 등의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학교 직장 군대 등을 방문하여 일괄적으로 설문평가를 시행하였다 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이중에서 최종 명의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소방관의 주요업무는 재난 진압 및 구조 구급 행정으로 구분하였으며 과거에 진압과 구급경험이 없었던 소방관은 없었고 평균 근무기간은 년이었다 연구방법역학질문지대상군의 기본 설문 문항으로 성별 연령 등에 관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Beck 우울척도 (Beck s Depression Inventory, BDI) 벡 우울척도는 에 의해 성인의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울증의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신체적 증상 영역을 포함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증상을 척도가 94 Anxiety and Mood Volume 13, No 2 October, 2017

신재권등 아니라 증상의 정도를 표현하는 구체적인 문장에 응답케 함으로써 응답자들이 자신의 심리상태를 수량화하는데서 겪는 혼란을 줄일 수 있다 자기보고식 척도로 각 문항마다 점으로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된다 와 은 벡 우울척도를 국내 표준화하였으며 점 이상을 경한 우울상태 점 이상을 중한 우울상태 점 이상을 심한 우울 상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판 척도는 의 내적 일치도 α 를 보였다 벡불안척도 (Beck s Anxiety Inventory, BAI) 임상적으로 불안감을 측정하는데 쓰이는 유용한 평가도구로서 등 이 개발하였다 임상적인 불안 및 정신과 환자의 불안을 판별하는데 유용하며 정신장애가 없는 정상적인 성인에서도 불안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불안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영역을 포함하는 총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런 일이 전혀 없다는 점 조금 느꼈다는 점 상당히 느꼈다는 점 심하게 느꼈다는 점으로 평가하게 되어 있으며 점수의 범위는 점이다 육성필 등 은 불안 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였으며 불안 척도점수의 경우에서는 점의 경우 불안 상태 점의 경우 심한 불안상태 점 이상은 극심한 불안상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 α 는 를 보였다 소진척도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소진은 등이 개발한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정서적 소진 비인간화 성취감 저하 - 의 개념을 평가한다 한국에서 등 이 번역하였으며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전혀 그렇지 않다 점 에서 매우 그렇다 점 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 - α 는 이었다 한국판성인 ADHD 평가척도 (Korean Adult ADHD Scales, K-AADHDS) 의 진단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와 에 의해 개발된 행동 평가 척도이다 환자군과 대조군을 변별하는 변별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입증 되었고 문항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의 세 가지 하위 유형 주의력 결핍 우세형 과잉행동 충동 우세형 복합형 을 구별하는 데 효율적이다 각 문항은 점에서 점까지 점수를 채점하며 점 이상의 점수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홀수 문항은 부주의를 평가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짝수 문항은 과 잉행동 및 충동성을 평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 의해 국내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점 이상일 경우 로 선별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보여준 내적 일치도 α 는 이었다 로젠버그자아존중감척도 (Rosenberg s Self-Esteem Inventory, RSI) 로젠버그 자아존중감 척도는 개인의 자기존중정도와 자아승인 양상을 측정하는 검사로 총체적인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도구로 알려져 있다 년 미국의 가 고안하였으며 국내에서는 등 이 번안하였다 모두 문항으로 자기보고 형식으로 긍정적 자아존중감 문항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에서 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의 범위는 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 - α 는 이다 바렛충동성척도 (Barratt Impulsiveness Scale II, BIS) 이 무계획 충동성 운동 충동성 인지 충동성의 성격 특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국내에서 가 충동성 검사Ⅱ 판의 문항을 표준화하였다 이 검사는 인지충동성 예 복잡한 일을 생각하려고 하며 곧 싫증이 난다 을 측정하는 문항 운동충동성 예 한군데 오랫동안 앉아 있기가 힘들다 을 측정하는 문항 무계획충동성 예 한 가지 일이 채 끝나기도 전에 또 다른 일을 착수한다 을 측정하는 문항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 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점 에서 항상 그렇다 점 까지 득점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충동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 α 는 이었다 벡자살사고척도 (Beck s Scale of Suicide Ideation, BSI) 는 등 이 성인과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의 심각성을 측정하고 탐지하기 위하여 개발한 문항의 자기보고식 설문지이다 는 자살생각과 계획의 강도 기간 및 구체성을 측정한다 이 척도는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반 구조화된 면접형식으로 제작된 자살생각척도를 등이 자기보고형식으로 수정한 것이다 국내에서 과 는 대학생 명을 대상으로 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 α 는 이었다 삶의만족도척도 (Quality of Life Scale, QLS) 전반적인 삶에 대해 만족하는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 Anxiety and Mood Volume 13, No 2 October, 2017 95

소방관의우울, 불안, ADHD, 충동성 등 이 개발하고 와 가 번안한 총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문항의 예는 나는 나의 삶에 만족한다 등이다 각 문항은 점 매우 아니다 에서 점 매우 그렇다 까지 점 척도 상에 평정한다 가능한 삶의 만족도 점수의 범위는 점 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 α 는 이었다 분석방법자료는 한글판 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통계분석에는 양 군 간의 연령 비교는 를 이용하였고 우울척도 불안척도 소진척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충동성 척도 자살사고척도 삶의 질 척도 등의 점수 분석에는 연령을 고려한 를 사용하였다 또한 - 을 이용하여 각각의 요인들에 대한 상대 위험도를 알아보았다 을 위하여 사용한 위험군의 기준설정은 우울척도 불안척도 소진척도 척도 충동성 척도 자살사고척도는 각각의 척도점수에서 상위 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위험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척 도 삶의 질 척도는 하위 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위험군으로 설정하였다 각각 값이 미만인 경우를 유의성이 있음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최종 연구대상으로 소방관 남성 명이었으며 대조군은 같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남성 명이었다 소방관군의 평균 연령은 ± 세였고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 세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 소방관군에서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소방관군에서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방관군에서 총점은 ± 점이었 Table 1.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fire officers group and comparison group Fire officers group (n=113) Comparison group (n=284) t or χ 2 value p value Agea 39.93±8.91 21.29±4.17 798.18 <0.001 Sex (N,%) Male 113 (100%) 282 (100%) These data represent mean±sd, by independent t-test,a significant p value<0.05 Table 2. Scores of depression, anxiety, exhaustion, ADHD, self-esteem, impulsivity, suicide idea, quality of life scales of fire officers group and comparison group Rating Scale Fire officers group (n=113) Comparison group (n=284) F p value BDI 24.47±5.28 2.71±4.01 1964.90 <0.001 BAI 3.85±5.42 2.08±3.04 16.94 <0.001 MBI 47.12±18.20 40.93±15.03 12.08 0.001 K-AADHS 3.57±5.18 4.79±4.48 5.54 0.019 Inattention 2.07±2.84 2.63±2.60 3.54 0.061 Hyperactivity 1.50±2.65 2.16±2.44 5.73 0.017 RSI 31.99±5.27 34.48±3.67 28.63 <0.001 BIS 50.96±5.95 43.35±9.46 62.73 <0.001 Cognitive 14.31±1.95 12.19±2.71 56.87 <0.001 Motion 17.04±4.04 14.11±4.33 37.80 <0.001 Unplanned 19.61±2.29 17.05±4.16 38.04 <0.001 BSI 1.77±3.76 1.43±3.47 0.76 0.385 QLS 24.46±6.42 25.44±6.13 2.00 0.159 These data represent mean±sd, ANCOVA adjusted for age by general linear model, significant p value<0.05, BDI : Beck Depression Inventory, BAI : Beck Anxiety Inventory, MBI : Maslach Burnout Inventory, K-AADHDS : Korean Adult ADHD Scale, RSI : Rosenberg Self-esteem Inventory, BIS : Barratt Impulsivity Scale, BSI : Beck s scale of Suicide Ideation, QLS : Quality of Life Scale 96 Anxiety and Mood Volume 13, No 2 October, 2017

신재권등 고 대조군에서는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방관군에서 부주의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는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과잉행동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는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소방관군에서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 인지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인지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 운동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운동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또한 소방관군에서 무계획성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무계획성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소방관군에서 총점은 ± 점이었고 대조군에서 총점은 ± 점으로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방관군과 대조군간의 에서 소방관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증상에 대한 상대 위험도가 배 -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소방관군은 대조군에 비해 증상에 대한 상대 위험도가 배 로 나타났으며 충동성 증상에 대한 상대위험도는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찰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군이 대조군에 비해 우울 증상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방관에서 우울증상 유병율이 라고 보고한 의 연구와 소방관에서 우울 증상의 유병율이 라고 보고한 등 의 연구결과와 부합한다 또한 소방공무원 중 가 우울 위험군으로 보고한 의 연구와도 부합한다 본 연구에서도 소방관군에서 불안증상이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는 소방관에서 를 포함한 불안장애 혹은 불안 증상의 유병율이 높았다는 여러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한편 소방관에서 불안이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나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우울과 불안의 높은 상관으로 나타난 결과일 수 있을 것이다 그간의 소방관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우울 외에 불안 소진 등 다른 여러 가지 정서적 문제에 대해서는 함께 평가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여러 정서적 문제 외에도 충동성 등의 행동문제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증상들이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군에서 와는 부적 연관성 충동성과는 정적 연관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국내외에서 선행연구가 없었으며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연관성을 보고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소방관의 주의력은 대조군에 비해서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충동성은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관에서 나타나는 충동성이 소방관의 직업활동 이후에 나타난 것인지 아니면 충동성이 높거나 성향이 낮은 성인이 소방관 직업을 선호하게 된 것인지는 본연구가 횡단적 연구이므로 알 수 없다 다만 우울 불안증상과 같이 정서적인 어려움뿐만 아니라 충동성이 높은 소방관의 특성이 직업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와 관심이 함께 필요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결과에서는 소방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존감 및 높은 소진이 나타났으나 회귀분석에 Table 3. Parameter estimates for logistic model of the fire officer group and comparison group Variables Parameter stimate Standard error Chi-square p Value Odds ratio BDI -0.63 0.16 16.57 0.000 1.88 (1.39-2.56) BAI 0.25 0.20 1.61 0.205 0.78 (0.53-1.15) MBI -0.04 0.05 0.64 0.424 1.04 (0.95-1.13) K-AADHS 0.60 0.27 4.82 0.028 0.55 (0.32-0.94) RSI -0.17 0.10 2.84 0.092 1.18 (0.97-1.44) BIS -0.32 0.11 8.06 0.005 1.38 (1.10-1.72) BSI -0.13 0.17 0.64 0.425 1.14 (0.82-1.58) Age -0.01 0.080 0.003 0.954 1.01 (0.86-1.17) BDI : Beck Depression Inventory, BAI : Beck Anxiety Inventory, MBI : Maslach Burnout Inventory, KAAADHS : Korean Adjult ADHD Scale, RSI : Rosenberg Self-esteem Inventory, BIS : Barratt Impulsivity Scale, BSI : Beck s scale of Suicide Ideation, QOL : Quality of Life Scale Anxiety and Mood Volume 13, No 2 October, 2017 97

소방관의우울, 불안, ADHD, 충동성 서는 이러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소방관이 소진 증후군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한 등 의 선행연구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 등 은 연령 직급 경력이 증가하면 높은 소진과 낮은 자존감을 나타내며 소진과 자존감이 연관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여러 변인들과의 연관성으로 인하여 자존감 및 소진증상의 유의성이 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자살사고와 삶의 질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은 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불안증상이 높은 소방관이 높은 자살 사고 낮은 삶의 질과 연관성을 나타내었음을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군에서 불안증상이 높은 군을 따로 분류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해 선행연구결과와 비교를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소진과 불안 충동성 자살사고와의 연관성을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함께 살펴보았는데 우울 충동성에서는 정적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에서는 부적 연관성이 나타났다 이는 소방관의 소진에는 불안 등의 정서적 위험요인 외에도 충동성 등의 행동증상이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재적 노력이 함께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로 평가방법이 자기보고식 설문지이기 때문에 대상군의 인지적 능력 차이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분석 시에 사회경제적 상태 혹은 교육연한 등을 통제요인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었으나 이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수집하지 못했다 대조군을 청년층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양군 간에 연령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상군의 수가 적어서 학력이나 직무연한 등의 요인에 따른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지 못하였다 또한 다수의 임상척도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분이상의 평가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임상척도들의 내적 일치도는 모두 이상을 나타내었다 둘째로 횡단연구이므로 양군 간의 인과관계를 제시할 수 없었으며 우울 불안 소진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과의 연관성만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본 연구는 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소방관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의 자료를 얻은 지역은 각각 인구 만 정도의 농촌 도시로서 인구가 점차 감소하며 노인인구가 많은 농촌 지역이었으며 이는 대도시의 특징을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의 개인적 역학특성과 직급 업무 종류 및 강도 등의 근무여건에 대한 상세한 평가를 시행하지 못하였다 또한 현장 근무직 소방관으로 한정하였으나 대상자의 수가 적어 현재 재난 구조 및 진압 구급 행정의 직무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평가하지 못했다 와 은 소방대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경험이 낮은 성취감 업무의 적성 건강상태 학력 부서이동 희망 주당 출동횟수 업무 부담감 등에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등 은 구급대원에 대한 연구에서 연령 결혼상태 자격증 월 소득 경력 직급에 따라 소진에 연관성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이 우울 불안 혹은 소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므로 이러한 다양한 교란변인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성 연령 지역분포 근무여건 등을 고려하여 보다 잘 구조화된 대조군 연구와 한계점들을 보완한 연구들이 향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격무를 수행하는 소방관에서 우울 충동성 등의 정신증상에 대한 취약성에 대해 좀 더 주의가 필요하며 이러한 증상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와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소방관은 과도한 업무 및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우울 불안 소진 등의 여러 가지 정신적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방관의 우울 불안 소진뿐만 아니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년 월부터 월까지 안성시에 거주하는 소방관 남성 명을 대상으로 설문평가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같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인 남성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군에서 벡 우울척도 벡 불안척도 소진척도 한국형 성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척도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 바렛 충동성척도 자살사고 척도 삶의 질 척도 등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소방관에서 여러 가지 외현적 내재적 증상에 대한 상대적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소방관군은 우울 불안 소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 자존감 충동성 등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회귀분석에서는 우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충동성에서 유의한 를 나타내었다 소방관은 우울 등의 정서적 위험요인 외에도 충동성 등의 행동적 위험요인이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재적 노력이 함께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 소방관 우울 불안 소진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 REFERENCES 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of Republic of Korea. FRA- 98 Anxiety and Mood Volume 13, No 2 October, 2017

신재권등 MEWORK ACT ON FIRE-FIGHTING SERVICES Act No. 9094 (Dec. 6, 2008) Retrieved Jun 26, 2017 https://http://elaw.klri.re.kr/ kor_service/lawview.do?hseq=33386&lang=eng). 2. Lee CW. Review of necessity of national transition of fire officers in Korea. Debate on the improvement of fire fighting organization for national security. Debate forum 2014.08.20. 3. Press Release of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Comprehensive measures to strengthen fire fighting capacity. 2016.01.28. 4. Freudenberger HJ, Richelson G. Burnout. New York:Bantam Books; 1980. 5. Katsavouni F, Bebetsos E, Malliou P, Beneka A.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PTSD symptoms and injuries in firefighters. Occup Med 2016;66:32-37. 6. Jung HC.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Drinking on Depression in Fire Service Officers [dissertation]. Suwon: Ajou university;2017. 7. Kim TW, Kim KS, Ahn YS.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ield Firefighters. Ann Occup Environ Med 2010;22: 378-387. 8. Yang CM. Job str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firefighters in a province [dissertation]. Iksan: Wonkwang University;2015. 9. Jung YK. The effect of the experiences of injury and accident and job stress on depression in the municipal firefighters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2007. 10. Ryu SH. The Association among Suicidal Ideation, Anxiet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Firefighters. Korean J Psychopharmacol 2014;25:29-35. 11. Khan A, Leventhal RM, Khan S, Brown WA. Suicide risk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a meta-analysis of the FDA database. J Affect Disord 2002;68:183-190. 12. Jo SD, Park JB.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Firefighters. J Korean Soc Hazard Mitigat 2013;13:219-224. 13. Choi EM. The 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 Firefighters [dissertation]. Suwon: Ajou University; 2014. 14. Shin YS. A Study o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Job Stress, Depression of the Fire Fighters-Focused on Fire Fighters of the Gyeonggi-Do-. J Korean Soc Hazard Mitigat 2015;15:233-239. 15. Kim JH, UM DC, Kim EA.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Burn-out, and Self-esteem of 119 Rescue workers. J Korea Acad-Indust Cooperation Soc 2010;11:4433-4400. 16. Palmer CG. Wildland Firefighter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Proceedings of the Second Conference on the Human Dimensions of Wildland Fire, San Antonio, Texas;2011. 17. Yoon MS, Kim SH.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between the Relationship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Firefighters. Korea Acad Mental Health Soc Work 2014;42:5-34. 18.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61-571. 19.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0:98-113. 20. Beck AT, Epstein N, Brown G, Steer RA.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 Consult Clin Psychol 1988;56:893-897. 21. Yook SP, Kim ZS.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Korean J Clin Psychol 1997;16:185-197. 22. Kang JH, Kim CW. Evaluating Applicability of Maslach exhaustion Inventory among University Hospitals Nurses. Korean J Adjult Nurs 2012;24:31-37. 23. Murphy K, Barkley R. Preliminary normative data on DSM-IV criteria for adults. The ADHD Report 1995;3:6-7. 24. Kim EJ. The validation of Korean Adult ADHD Scale. Korean J Clin Psychol 2003;22:897-911. 25. Lee YH, The Relations between attributional style, life events, event attribution, hopelessness and depression [dissertation]. Seoul: Seoul university;2003. 26. Barratt ES, White R. Impulsiveness and anxiety related to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nd attitudes. J Med Educ 1969;44:604-607. 27. Lee HS. Impulsivity test. Seoul: Korean guidance;1992. 28. Beck AT, Steer RA, Ranieri WE(1988). Scale for Suicide Ideation: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self-report version. J Clin Psychology 1988;44:499-505. 29. Lee HS, Kwon JH. Validation for the be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wi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lin Psychol 2009;28: 1155-1172. 30.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 Psychologist 2000;55:34-43. 31. Jo MH, Cha KH. National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Seoul: Jipmoondang;1998. 32. Lee IS, Choi ES. A Study on the burnout of firefighters. Korean J Emerg Med Serv 2000;4:47-55. Anxiety and Mood Volume 13, No 2 October, 2017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