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4306/jknpa.2018.57.3.266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3):266-273 Print ISSN 1015-4817 Online ISSN 2289-0963 www.jknpa.org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환아들의인지행동적특성과정량뇌파와의관계 : 후향적단면연구 삼성서울병원정신건강의학과, 1 성균관대학교의과대학정신건강의학교실, 2 생각과느낌의원, 3 위례해솔정신건강의학과의원 4 오수환 1 정유숙 1,2 윤희준 3 이동익 1 김병욱 1,2 박정아 1 이서지 4 이빛나 1 Association between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Findings and Cognitive-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Soohwan Oh, MD 1, Yoo Sook Joung, MD, PhD 1,2, Hee Joon Yoon, MD 3, Dong Ik Lee, MD 1, Byung Wook Kim, MD 1,2, Jung Ah Park, MA 1, Suzie Lee, MD 4, and Bitna Lee, BS 1 1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2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3 Seoul Emotion Cognition Institute, Seoul, Korea 4 Wirye Haesol Psychiatric Clinic, Seoul, Korea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wave form in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and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4th edition (K-WISC-IV), Korean version of the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K-ARS), and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in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Method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children aged 8 to 13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November 2011 to March 2017. A total of 57 ADHD children were selected by a medical chart review. Their QEEG findings and psychological test results, including K-WISC-IV, K-CBCL, and K-ARS (n=42), were collected. The QEEG was analyzed by the ranges of Hz: delta (1 4 Hz), theta (4 8 Hz), alpha (8 12 Hz), and beta (12 25 Hz) and transformed to the z-scored relative pow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Received July 18, 2018 Revised August 1, 2018 Accepted August 9, 2018 Address for correspondence Yoo Sook Joung,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81 Irwon-ro, Gangnam-gu, Seoul 06351, Korea Tel +82-2-3410-3589 Fax +82-2-3410-0050 E-mail yschoung@skku.edu Results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cores of K-WIS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onto-central alpha. The hyperactivity/impulsivity scores of K-A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heta/beta ratio. Among the items of K-CBCL, social immatur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lta and theta,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pha. Social compe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delta and theta,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pha.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ting state QEEG results of children with ADHD may reflect their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 working memory/executive function, hyperactivity/impulsivity, and social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3):266-273 KEY WORDS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Cognitive characteristic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ociality Korean version of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4th edition Korean version of ADHD Rating Scale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266 Copyright 2018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ADHD 환아들의인지행동적특성과정량뇌파와의관계 S Oh, et al. 서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이하 는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주로 세 이전의 아동기 초기에 발병하고 만성 경과를 밟으며 가정 학교 사회 등의 여러 기능영역에 지장을 초래하는 신경발달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일반인구 중 가 로 보고되는 등 유병률이 높은 아동기 정신건강 질환이다 의 유전력 은 약 로 가 뇌의 생물학적 질환이라는 인식하에 여러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생물학적 기전 과 신경생물학적 표지 인자 - 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의 신경생물학적 지표로는 뇌파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환아에서 보이는 정량 뇌파의 특징은 전두부 및 중앙부에서 측정되는 세타파 의 증가와 베타파 의 감소이다 와 은 메타분석 연구에서 정량 뇌파의 세타 베타비 이하 를 이용해 환아를 정상군으로 구분해낸다고 주장하였고 이후 시행한 환자 대조군 연구 에서 이 민감도 특이도 로 환아를 정상군으로부터 구분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등 은 자신들이 시행한 메타분석을 근거로 기존 연구의 효과 크기가 과대 측정 되었고 은 진단에 신뢰로운 지표가 되기 어렵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등 은 의 집단 내 이질성 으로 인해 여러 가지 아형 으로 뇌파가 분류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이질성은 기존 연구의 상반된 결과를 잘 설명한다 베타파 나 알파파 의 활성이 증가한 아형의 존재는 의 진단적 표지인자 로서의 가치를 희석하며 세타파가 활성이 증가한 아형이 정신자극제 - 의 투약 과 뉴로피드백 에 치료 반응이 좋다는 연구들은 이 예후 표지 인자 - 로서 활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또한 정량 뇌파의 패턴 혹은 아형에 따라 증상의 정도와 인지 행동적 특징이 상이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정량 뇌파에서 나타나는 신경생리학적 상태에 대한 보다 풍부한 해석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임상에서 정량 뇌파 소견을 가지고 개별 환아의 증상의 정도와 인지적 문제 행동 양상을 해석하는 것은 어려우며 보다 다양한 관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아동을 대상으로 임상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 이하 이하 및 이하 각 항목과 환아에서 측정한 정량 뇌파 소견과의 연관성을 탐구하여 정량 뇌파의 해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 년 월부터 년 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가 진단된 세에서 세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검토 를 통해 이루어졌다 발달장애 및 뇌 신경계 질환 정신증이나 정신증이 동반된 기분장애가 있거나 심각한 의학적 질환이 있는 경우는 배제하였다 본 연구는 삼성서울병원 임상연구윤리위원회 의 승인 을 받았다 진단평가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명이 아동과 주 양육자와 면담을 통해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판 및 제 판 - 이하 의 기준에 맞추어 를 진단하였다 심리학자가 시행한 을 통해 진단을 재차 확인하였고 동반된 정신과 질환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지능, ADHD 증상평가, 행동특성평가지능은 한국판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 판 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증상의 심각도는 를 확인하였다 는 총 개 문항 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총점 점의 범위에서 아동의 부주의 과잉행동 및 충동성의 정도를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증상이 심각함을 의미한다 국내에는 년에 부모용과 교사용이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용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행동특성은 을 확인하였다 은 크게 사회능력 척도와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로 구성된다 사회능력 척도는 친구나 또래와 어울리는 정도 부모와의 관계 등을 평가하는 사회성 척도와 교과목 수행 정도 학업 수행상의 문제 여부 등을 평가 www.jknpa.org 267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3):266-273 하는 학업 수행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적응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는 위축 신체 증상 우울 불안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문제 비행 공격성의 개 척도와 점수를 영역별로 산출한 내재화 문제 척도 외현화 문제 척도 총 문제행동 척도를 포함하여 총 개의 척도로 구성되는데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행동이 심각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가 대상인 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 는 이다 정량뇌파의측정과분석정량 뇌파는 채널 디지털 뇌파 장비 로 측정되었다 국제 법에 맞춘 전극 위치에 개의 채널을 부착하였고 모든 전극은 귀를 기준 전극 으로 하였다 각 전극은 은도금 컵 전극을 사용하였고 임피던스는 Ω 이하로 유지했다 환아들은 방음이 잘 되어 있는 조용한 방에서 편안하게 앉아 눈은 감되 각성상태를 유지할 것을 요청받았다 약 분간 뇌파를 측정하였고 년 이상 경력의 숙련된 임상병리사가 인위 결과 를 제외한 안정된 뇌파를 선택하였다 측정된 뇌파를 정량 뇌파 분석 도구인 뉴로가이드 에 입력하여 분석하였다 뇌파를 프리에 변환 을 통해 디지털화하여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의 주파수 영역별 파워 스펙트럼 을 구하였고 절대 파워 를 기반으로 각 주파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통해 상대 파워 를 산출하였다 뉴로가이드는 출생 개월부터 세까지의 명의 정상인의 폐안 뇌파와 개안 뇌파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상대 파워를 뉴로가이드가 제공하는 나이 성별로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에 대입해 얻은 표준정규분포 상의 값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통계분석표본수가 이상으로 중심극한정리에 의거 정규성을 가정하여 모수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의 총점 및 하위 항목의 점수와 각 주파수의 상대 파워 값 간의 상관관계분석 을 시행하였으며 점수와 각 주파수의 상대 파워 값 간의 편상관분석 을 나이와 지능을 보정하여 시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 인 경우로 하였고 모든 통계 분석은 로 수행하였다 인구통계학적결과 결 과 후향적 의무기록 검토 결과 총 명 남자 명 여자 명 의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ADHD (n=57) Items Mean±SD n (%) Male 48 (84.2) Female 9 (15.8) Age of years 10.04±1.63 ADHD diagnosis Combined 39 (68.4) Inattentive 11 (19.3) Hyperactive/impulsive 0 (0) NOS 7 (12.3) Comorbidity 0 36 (63.1) 1 16 (28.0) 2 or more 5 (8.9) K-WICS-IV (n=57) FSIQ 91.35±14.91 VCI 96.07±16.87 PRI 98.40±13.47 WMI 94.18±13.53 PSI 83.14±14.91 K-ARS (n=42) Total score 23.69±8.46 Inattention 14.67±4.72 Hyperactivity/impulsivity 9.02±4.93 K-CBCL (n=57) Total problems 66.81±10.80 Internalizing problems 60.54±11.31 Externalizing problems 64.09±11.65 Anxious/depressed 61.61±9.22 Withdrawn/depressed 59.89±8.56 Somatic complaints 57.61±7.108 Social immaturity 65.61±9.57 Thought problems 63.46±8.07 Attention problems 68.61±9.18 Delinquent behavior 61.32±6.97 Aggressive behavior 64.00±10.34 Other problems 61.72±7.66 Social competence 40.07±9.03 Academic functioning 46.19±9.57 ADHD :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NOS : Not otherwise specified, SD : Standard deviation, K-WICS-VI :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4th edition, K-ARS : Korean version of the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K-CBCL :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 List, FSIQ : Full Scale Intelligence Quotient, VCI : Verbal Comprehension Index, PRI : Perceptual Reasoning Index, WMI : Working Memory Index, PSI : Processing Speed Index 268
ADHD 환아들의인지행동적특성과정량뇌파와의관계 S Oh, et al. 환아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평균 나이는 ± 세로 아형은 복합형이 명 으로 가장 많았고 공병 이 없는 환아가 명 으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아들의 평균 지능은 ± 이었으며 의 평균은 ± 점 의 총 문제점수의 평균은 ± 점이었다 는 일부 환아의 기록이 없어 명의 결과만이 수집되었다 표 복합형 주의력결핍 우세형 - 의 각 아형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뇌파 결과 지능 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지능과정량뇌파의상관분석정량 뇌파 분석에는 개 전극에서 측정되어 뉴로가이드로 분석된 상대 파워 값을 이용하였다 전체 지능은 정량 뇌파의 각 주파수 및 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순차 연결 소검사는 전두부와 중앙부에서 알파파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 K-ARS와정량뇌파의상관분석 총점은 과 의 개의 전극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주의 점수는 정량 뇌파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과잉행동 충동성 점수는 후부두를 제외한 전 영역에 걸쳐 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표 K-CBCL과정량뇌파의상관분석 의 총점은 정량 뇌파와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중 사회적 미성숙 척도가 두정부에서 델타파 및 세타파 < 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Table 2.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K-WISC-IV, K-ARS sub-scales and z-scored relative power in 19 cortical regions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WISC (n=57) K-ARS (n=42) LN Total score Inattention Hyperactivity/impulsivity Alpha TBR Theta Beta TBR Theta Beta TBR Theta Beta FP1 0.291* 0.194 0.146 0.159 0.029 0.023 0.004 0.306* 0.229 0.277 FP2 0.297* 0.233 0.177 0.186 0.069 0.047 0.040 0.333* 0.259 0.282 F7 0.336* 0.293 0.205 0.284 0.171 0.164 0.136 0.339* 0.195 0.358* F8 0.300* 0.289 0.194 0.267 0.158 0.110 0.137 0.345* 0.227 0.327* F3 0.370 0.269 0.205 0.216 0.125 0.070 0.105 0.342* 0.286 0.270 F4 0.335* 0.284 0.255 0.207 0.136 0.129 0.076 0.358* 0.314* 0.283 Fz 0.357 0.327* 0.257 0.252 0.174 0.100 0.150 0.395 0.345* 0.290 T3 0.287* 0.046 0.063 0.020 0.007 0.001 0.004 0.073 0.108 0.039 T4 0.236 0.062 0.146 0.011 0.026 0.065 0.091 0.131 0.188 0.069 C3 0.311* 0.282 0.252 0.254 0.185 0.132 0.186 0.308* 0.306* 0.257 C4 0.247 0.220 0.194 0.199 0.141 0.103 0.139 0.243 0.235 0.208 Cz 0.275* 0.279 0.200 0.249 0.152 0.064 0.159 0.333* 0.283 0.275 T5 0.196 0.301 0.211 0.274 0.145 0.033 0.190 0.377* 0.330* 0.289 T6 0.197 0.323* 0.321* 0.229 0.191 0.180 0.136 0.371* 0.378* 0.262 P3 0.236 0.253 0.177 0.213 0.131 0.069 0.130 0.310* 0.238 0.241 P4 0.188 0.277 0.278 0.180 0.207 0.184 0.150 0.278 0.302 0.165 Pz 0.103 0.231 0.153 0.222 0.187 0.156 0.150 0.218 0.113 0.238 O1 0.176 0.216 0.196 0.139 0.129 0.133 0.067 0.247 0.208 0.174 O2 0.131 0.144 0.165 0.064 0.087 0.091 0.036 0.164 0.195 0.076 Statistical significant in analysis of Pearson s correlation. * : p<0.05, : p<0.01. K-WICS-VI :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4th edition, K-ARS : Korean version of the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LN : Letter-number sequencing, TBR : Theta/beta ratio www.jknpa.org 269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3):266-273 미성숙 척도 점수는 전두부 중앙부 두정부에서 알파파와 유 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미성 숙 척도 점수는 델타파와 세타파의 증가 및 알파파의 감소 와 관련이 있었고 이러한 현상은 두정부 에서 두 드러졌다 사회능력 척도에서는 사회성 척도 점수가 개의 전극에서 델타파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 였으며 개의 전극 에서 세타파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사회성 척도 점수는 알파 Table 3. Age and intelligence adjusted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K-CBCL sub-scales and z-scored relative power in 19 cortical regions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n=57) K-CBCL Social immaturity Social competence Delta Theta Alpha Delta Theta Alpha FP1 0.231 0.039 0.236 0.290* 0.105 0.212 FP2 0.250 0.059 0.302* 0.271* 0.159 0.237 F7 0.181 0.102 0.266 0.258 0.151 0.265 F8 0.142 0.278 0.251 0.217 0.293* 0.231 F3 0.214 0.126 0.253 0.234 0.246 0.151 F4 0.194 0.153 0.288* 0.233 0.275* 0.205 Fz 0.241 0.140 0.266 0.283* 0.227 0.179 T3 0.002 0.011 0.361 0.044 0.077 0.334* T4 0.107 0.174 0.271* 0.008 0.110 0.370 C3 0.237 0.151 0.256 0.283* 0.274* 0.297* C4 0.113 0.175 0.191 0.233 0.223 0.229 Cz 0.261 0.237 0.315* 0.341* 0.278* 0.325* T5 0.129 0.190 0.236 0.240 0.284* 0.280* T6 0.204 0.245 0.267 0.385 0.344* 0.353 P3 0.270* 0.301* 0.325* 0.228 0.175 0.202 P4 0.270* 0.426 0.395 0.277* 0.282* 0.283* Pz 0.251 0.277* 0.300* 0.213 0.160 0.191 O1 0.188 0.230 0.199 0.386 0.330* 0.312* O2 0.145 0.193 0.210 0.312* 0.322* 0.312* Statistical significant in analysis of Partial correlation. * : p<0.05, : p<0.01. Social immaturity : A problem scale of K-CBCL 6-18,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Functioning : competence scales of K-CBCL 6-18, K-CBCL :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파와 개 전극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사회성 척도 점수는 델타파 및 세타파의 감소와 알파파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고 이러한 현상은 중앙부 측두부 및 두정부 후두부 에서 두드러졌다 표 고찰 본 연구에서는 세 이상 세 이하의 로 진단된 환아에서 심리검사를 통해 얻은 지능 임상 증상 행동 양상의 세부항목을 정량 뇌파 결과와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를 탐구하였다 먼저 와 정량 뇌파와의 상관분석에서는 순차 연결 소검사가 전두부와 중앙부 에서 알파파의 증가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알파파나 베타파 등의 속파가 증가된 환아는 서파가 증가된 환아에 비해 작업기억 과제를 잘하였고 인지조절 능력이 잘 보존됨을 보고하였다 또한 알파파가 증가한 아형은 세타파의 증가 소견을 보이는 아형보다는 전두엽 기능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순차 연결 검사가 측정하는 것이 작업기억과 집행기능인 것을 고려하면 전두엽의 알파파가 증가한 환아들은 전두엽 기능이 비교적 더 활성화되어 작업기억이나 집행기능이 필요한 작업을 더 잘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의 다른 작업기억 소검사와 알파파와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순차 연결 소검사가 작업기억 검사 중 난이도가 높은 작업기억 검사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알파파의 활성 증가가 일반적인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수행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을 정도로 영향이 미미하였으나 인지적인 자원이 많이 투입되는 어려운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결과는 작업 기억과 같이 전체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지 기능보다는 다른 작업기억 소검사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순차 연결 검사에서 사용되는 보다 세부적으로 한정된 인지 기능이 전두엽 알파파의 증가와 연관될 가능성도 생각해보게 한다 지각추론 소검사 중 토막짜기 소검사의 점수와 전두엽 알파파와의 상관은 양적 상관의 경향성을 보였는데 순차 연결 소검사와 토막짜기 소검사 모두 전두엽의 조직화 능력과 관련이 되어 있다는 점은 흥미로운 점이다 어떠한 인지적 270
ADHD 환아들의인지행동적특성과정량뇌파와의관계 S Oh, et al. 기능이 전두엽 알파파의 증가와 연관 있을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에서 보다 세밀한 인지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추가적으로 논의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와 정량 뇌파와의 상관분석에서는 의 총점은 와 전극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 증상이 심해질수록 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으며 중앙부 전극의 만을 이용하여 각각 와 의 민감도로 환자를 구분해냈다는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결과를 지지한다 의 과잉행동 충동성 점수와 전두부 중앙두정부 측두부 전극에서 과의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고 전두부는 주로 베타파의 감소가 중앙두정부와 측두부는 주로 세타파의 증가가 이러한 상관관계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세타파의 활성은 피질의 성숙 지연 을 시사하고 베타파의 활성은 각성 및 집중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의 증가는 뇌의 피질 성숙 지연과 각성 저하를 반영하며 이러한 뇌의 문제로 인해 과잉행동 충동성의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과 정량 뇌파와의 상관분석에서는 사회적 미성숙 척도 점수가 델타파 및 세타파의 증가와 알파파의 감소와 관계가 있고 사회성 척도 점수가 델타파 및 세타파의 감소와 알파파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델타파 및 세타파의 증가는 발달지연 을 시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세타파의 증가는 증상의 심각도 특히 본 연구에는 과잉행동과 충동성과 연관이 있었다 따라서 휴지기 - 에 델타파 및 세타파가 증가하고 알파파가 감소한 환아는 상대적으로 사회적 적응이 떨어질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파파가 증가한 환아일수록 사회성이 좋을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알파파가 증가한 아형에서 로 측정된 문제행동 증후군 점수가 높다는 등 의 연구 결과와 의 주의집중 공격행동 불안 우울 점수가 높은 의 환아에서 알파파의 증가 및 델타파의 감소를 관찰했다는 등 의 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는 다소 상반되는 듯 보인다 그러나 등 의 연구는 뇌파에 따른 아형 간의 특징을 비교했다는 점 등 의 연구에서 - 을 보이지 않은 환아군에서는 알파파가 증가한 뇌파 패턴이 보이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기존 연구들이 환자군 전체의 경향성을 보여준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정 아형의 특징과 전체적인 경향은 다를 수 있다고 생각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과도한 알파파 활성에 대한 해석이 아닌 전체 집단의 경향성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본 연구의 강점은 연구 대상자 전원이 처음 진단된 환아로 약물치료가 시작되기 전 측정된 심리검사와 뇌파 정보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투약에 따른 뇌파의 변화를 배제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아동의 뇌파 연구는 연령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초등학교 연령으로 한정하였고 연령에 따른 를 사용하여 발달에 따른 뇌파 변화를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로 정상 대조군 없이 환아들로만 분석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확인된 뇌파의 특성이 환아에 국한된 특징인지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로 환아에서 인지 기능 및 증상평가를 위해 널리 시행되는 연속수행검사 가 결과에 포함되지 못했다 연속수행검사 결과가 수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검사를 시행한 환아가 적어 최종 분석에서 제외된 것은 아쉽다 셋째로 은 부모가 환아의 행동을 관찰하여 평가한 것으로 사회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환아 교사 임상가 등의 다른 평정자에 의한 평가지표가 부족하였다 추후 연구에서 환아에게 실시하는 설문이나 임상가가 실시하는 평가도구 등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넷째로 모든 연구 참여자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였다 본원에서는 초진 시 가 의심되는 환아를 대상으로 를 시행하는데 시행 이후 수집 과정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점수가 확인된 명의 환아 집단과 확인되지 않은 명의 환아 집단간에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뇌파 지능 점수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고 충분히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판단하여 수집된 정보만을 바탕으로 뇌파와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다섯째로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뇌파에 따른 아형 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아형 분류에 따른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본 연구를 해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아동에서 작업기억과 집행기능의 인지 기능 과잉행동과 충동성의 의 핵심증상 사회성 저하와 사회적 미성숙 등의 행동문제가 신경생리학적 지표인 정량 뇌파 결과와 연관성이 있다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저자들이 시행한 기존 문헌 조사에 근거하면 사회성과 뇌파와의 연관성은 처음 제기되는 것으로 향후 뇌파를 통해 사회성에 대한 예측이 기능해진다면 학교에서의 부적응과 같은 장애 예후 판단에 큰 도움일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집행기능 저하 과잉행동 및 충동성 사회성 부족이 두드러지는 환아 혹은 그 반대 양상의 환아에서 정량 뇌파를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향후 보다 정확한 예후 예측을 위해서는 정상 대조군과의 비교와 함께 투약 및 치료에 따른 임상 양상과 사회적 미성숙 및 사회적 적응 능력의 변화를 www.jknpa.org 271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8;57(3):266-273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정량 뇌파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영역으로 환아에서 세타파의 증가 및 의 증가를 진단의 보 조적 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서 환아들의 다양한 뇌파 소견에 대해 개별적인 해석을 하는 것은 아직 과학적 근거 가 충분하지 않다 정량 뇌파 소견에 여러 가지 임상적 의미 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 론 환아에서 보이는 다양한 정량 뇌파를 해석하기에 는 어려움이 많다 정량 뇌파는 환아의 임상 양상 및 행동특성과 관련이 있고 의 전형적인 뇌파 소견을 보 이지 않더라도 환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작 업기억 및 집행기능은 전두엽의 알파파 증가와 연관이 있었 고 과잉행동 충동성은 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으며 사 회성 부족은 델타파 세타파의 증가 알파파의 감소와 연관 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뇌파에 따른 아형을 분류 한 기존 연구와는 차이가 있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중심단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량 뇌파 인지적 특성 행동적 특성 사회성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제 판 평정척도 아동 행동 평가척도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2) Polanczyk G, de Lima MS, Horta BL, Biederman J, Rohde LA. The worldwide prevalence of ADH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Am J Psychiatry 2007;164:942-948. 3) Thapar A, Cooper M.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Lancet 2016;387:1240-1250. 4) Barry RJ, Clarke AR, Johnstone SJ. A review of electrophysiology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Clin Neurophysiol 2003;114:171-183. 5) Snyder SM, Hall JR. A meta-analysis of quantitative EEG power associated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Clin Neurophysiol 2006;23:440-455. 6) Snyder SM, Quintana H, Sexson SB, Knott P, Haque AF, Reynolds DA. Blinded, multi-center validation of EEG and rating scales in identifying ADHD within a clinical sample. Psychiatry Res 2008;159:346-358. 7) Arns M, Conners CK, Kraemer HC. A decade of EEG Theta/Beta ratio research in ADHD: a meta-analysis. J Atten Disord 2013;17:374-383. 8) Clarke AR, Barry RJ, McCarthy R, Selikowitz M. EEG-defined subtypes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lin Neurophysiol 2001;112:2098-2105. 9) Lenartowicz A, Loo SK. Use of EEG to diagnose ADHD. Curr Psychiatry Rep 2014;16:498. 10) Loo SK, Makeig S. Clinical utility of EEG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research update. Neurotherapeutics 2012;9:569-587. 11) Clarke AR, Barry RJ, McCarthy R, Selikowitz M. Excess beta activity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 atypical electrophysiological group. Psychiatry Res 2001;103:205-218. 12) Robbie JC, Clarke AR, Barry RJ, Dupuy FE, McCarthy R, Selikowitz M. Coherence in children with AD/HD and excess alpha power in their EEG. Clin Neurophysiol 2016;127:2161-2166. 13) Clarke AR, Barry RJ, McCarthy R, Selikowitz M, Croft RJ. EEG differences between good and poor responders to methylphenidate in boys with the inattentive type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lin Neurophysiol 2002;113:1191-1198. 14) Arns M, Gunkelman J, Breteler M, Spronk D. EEG phenotypes predict treatment outcome to stimulants in children with ADHD. J Integr Neurosci 2008;7:421-438. 15) Monastra VJ, Monastra DM, George S. The effects of stimulant therapy, EEG biofeedback, and parenting style on the primary symptom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ppl Psychophysiol Biofeedback 2002;27:231-249. 16) Arns M, Drinkenburg W, Leon Kenemans J. The effects of QEEG-informed neurofeedback in ADHD: an open-label pilot study. Appl Psychophysiol Biofeedback 2012;37:171-180. 17) Arns M, Gordon E. Quantitative EEG (QEEG) in psychiatry: diagnostic or prognostic use? Clin Neurophysiol 2014;125:1504-1506. 18) Hermens DF, Soei EX, Clarke SD, Kohn MR, Gordon E, Williams LM. Resting EEG theta activity predicts cognitive performance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 Neurol 2005;32:248-256. 19) Loo SK, McGough JJ, McCracken JT, Smalley SL. Parsing heterogeneity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using EEG-based subgroups.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18;59:223-231. 20) McGough JJ, McCracken JT, Cho AL, Castelo E, Sturm A, Cowen J, et al. A potential electroencephalography and cognitive biosignature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dysregulation profil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3;52:1173-1182. 2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00. 22) So YK, Noh JS, Kim YS, Ko SG, Koh 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283-289. 23) Kim MY, Lee J, Kim YA, Ha EH, Oh KJ. Secular changes in behavior problems of Korean youths based on the Korean-CBCL and -YSR. Kor J Psychol: Gen 2015;34:769-793. 24) Thatcher RW, Walker RA, Biver CJ, North DN, Curtin R. Quantitative EEG normative databases: validation and clinical correlation. J Neurother 2003;7:87-121. 25) Murtagh A, Hurley AL, Kinsella A, Corvin A, Donohoe G, Gill M, et al. The Letter-Number Sequencing Test and its association with potential to work among people with psychotic illness. Eur Psychiatry 2010; 25:101-104. 26) Snyder SM, Rugino TA, Hornig M, Stein MA. Integration of an EEG biomarker with a clinician s ADHD evaluation. Brain Behav 2015;5: e00330. 27) Widagdo MM, Pierson JM, Helme RD. Age-related changes in qeeg during cognitive tasks. Int J Neurosci 1998;95:63-75. 28) Nazari MA, Wallois F, Aarabi A, Berquin P. Dynamic changes in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during continuous performance test 272
ADHD 환아들의인지행동적특성과정량뇌파와의관계 S Oh, et al.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t J Psychophysiol 2011;81:230-236. 29) Roh SC, Park EJ, Park YC, Yoon SK, Kang JG, Kim DW, et al.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reflects inattention, visual error responses, and reaction times in male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 2015;13:180-187. www.jknpa.org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