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원문연구 42(2018.4.),200-214 ISSN 1226-5926 (print), ISSN 2586-2480 (online) DOI: https://doi.org/10.28977/jbtr.2018.4.42.200 https://dbpiaone.com/bskorea/index.do t < 서평 >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James A. Maxey and Ernst R. Wendland, eds.,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6, Eugene: Cascade Books, 2012) 1) 유지운 * 1. 들어가는말 성서는그리스어와히브리어등의고전어로기록되어있기때문에시대마다그내용을자신의시대에맞는표현으로번역하여소개하는일이필요하다. 그래서어떻게하면더욱정확하고명확하고미적감각이포함되도록성서를번역할수있을지에대해자연스럽게질문하게된다. 그런데우리나라를포함한많은국가와사회에서기독교신자와비신자를막론하고성서를 경험 하는깊이와빈도가점점얕아지고줄어들고있는현실이다. 그주요원인으로시대가워낙빠르게변화하고사람들의가치관과생활습성이끊임없이바뀌고있는것을지목할수있을것같다. 이러한현실에서성서의내용과가치가현대인들에게보다친숙하고의미있게전달되도록하는일의중요성은더욱커진다고할수있다. 이런점에서성서번역의주제를신선한방식으로접근하고있는한권의책을소개하고자한다. 본서평에서는이책에관한기본정보, 책안에수록된 8편의논문에대한요약, 그리고이책이주는성서번역과관련한통찰력있는제안들과이에따른향후과제에대해살펴볼것이다. * Lutheran School of Theology at Chicago 에서신약학으로박사학위를받음. 현재서울고척교회부목사 / 명지대학교객원교수. jwyoo0115@gmail.com.
< 서평 >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 유지운 201 2. 책에관한기본정보제임스맥시 (James A. Maxey) 와에른스트벤트랜드 (Ernst R. Wendland) 가편집한이책은 성서퍼포먼스비평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시리즈를구성하고있는책들중하나로특별히 성서번역 의주제를다루고있다. 목차를비롯한서론적성격의내용들 (i-xii) 외에총 216쪽에해당하는분량으로각기저자가다른논문 8편이수록되어있다. Mark As Story의저자인성서학자데이비드로즈 (David M. Rhoads) 가편집을주도하고있는 성서퍼포먼스비평시리즈 는 2009년부터 2018년현재까지 15권이출판되었고, 이책은그중여섯번째책으로 2012년에출판되었다. 편집저자인맥시는미국성서공회 (American Bible Society) 의 나이다연구소 (Nida Institute) 에속한번역훈련및수업개발팀의선임관리자이며, 저널 Translation의편집장으로있다. 맥시는그의박사논문지도교수였던데이비드로즈를통해 성서퍼포먼스비평 을접하게되었고, 아프리카선교사역에서의성서번역경험과아프리카구연문화체험을접목시키며현대성서번역이나아가야할방향성을신선하게제시하고있는전문번역가이다. 또다른편집저자인에른스트벤트랜드는잠비아에위치한루사카루터란신학교 (Lusaka Lutheran Seminary) 에서강의하고있는세계성서공회연합회 (United Bible Societies) 의은퇴번역자문위원이다. 은퇴후에도스텔렌보스 (Stellenbosch) 대학에서객원교수로섬기고있다. 벤트랜드역시아프리카지역의구연문화를배경으로오랫동안성서해석, 번역, 성서전승의전달매체및과정등에대해연구한성서학자이자전문번역가이다. 이책의책임편집자인두사람은각각첫논문과일곱번째논문의저자이기도하다. 8 편의논문들은모두 성서퍼포먼스비평 이가정하고있는주후 1 세기 의뚜렷한 구연 ( 口演 ) 문화 (oral performance culture) 의전제하에성서번 역의주제를각기조금씩다른관점에서접근하고있다. 1) 종합적으로볼때 1) 구연 ( 口演 ) 으로표현되는 퍼포먼스 라는용어의사용에대해간단하게라도설명이필요할것같다. 기본적으로성서본문이선포되고이야기로전달되었던것을 퍼포먼스 라는용어로통합하여표현한것으로이해할수있다. 고대의 구연 은상당히표현력이풍부한성격을띠었고, 청중과의상호작용이매우역동적이었다는연구결과들에기초하여 퍼포먼스 라는용어를채택하고있다 ( 이책의 3 쪽 ). 고대구연문화의다양한성격과구연의다양한시나리오와관련하여서는휘트니샤이너 (Whitney Shiner) 의연구서를참고하면좋다. Whitney T. Shiner, Proclaiming the Gospel: First-Century Performance of Mark (Harrisburg, PA: Trinity Press International, 2003).
202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200-214 8편의논문모두 성서퍼포먼스비평 과그에따른성서번역의주제에관해직간접적인연결을보여준다는점에서편집목적에기여하고있다. 이논문들이신선하게접근하고있는성서번역의이슈는새로이등장하고있는성서학의경향과밀접하게관련되고있다. 이전세기를지배하다시피했던역사비평학 (historical criticism) 에기초한성서학에서는본문에대한정확하고객관적인본래적의미를밝혀내는일에집중하면서그결과가성서번역에잘반영되도록하는데에주로관심했었다. 그러나포스트모더니즘이만연하게된 20세기후반과 21세기에접어들면서성서학에도다양한관점들과방법론들이등장하게되었다. 그리하여저자나본문으로부터하나의정확하고객관적인의도를파악하려는노력외에도독자나청중의반응에관심을갖게되면서성서본문이그들에게끼치게되는영향력의다양한측면을무시할수없게되었다. 이러한점에서새롭게등장하고있는 성서퍼포먼스비평 은기존의성서번역관행에새로운통찰력을제공하고그에합당한결실을이끌어낼수있는잠재력을보유하고있다는것이시리즈편집자와이책의편집자들의공통적견해라고생각된다. 분명한것은번역역시하나의해석이며, 따라서성서학의변화와발전이성서번역에영향을미칠수밖에없다는점이다. 3. 여덟편의논문에대한요약과정리 제임스맥시의글은 성서퍼포먼스비평 의발전과성서번역의관계를논한다. 전자는고대이스라엘과초기교회의사회-문화적배경을뚜렷한구연 ( 口演 ) 문화로다시상상해볼것을제안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의하면 구연 은사전적으로이렇게정의되고있다 : 1. 동화, 야담, 만담따위를여러사람앞에서말로써재미있게이야기함 ; 2. 문서에의하지않고입으로사연을말함. 2) 맥시의주장은고대의구연과관련한다양한시나리오들을구성해보고그것들을성서전승을새롭게해석하는수단으로삼아야할당위가있다는것이다. 그리고성서번역에서음성분석을통해열리는해석의측면을고려할것을제안하고있다. 이런점에서그는뚜렷한구연문화배경을진지하게고려할때, 기존의성서번역이극적인전환혹은도전에직면하게될수있음을주장한다. 즉, 음성분석의해석적측면과함께 2) 국립국어원, 구연,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018. 1. 24.).
< 서평 >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 유지운 203 그것을뛰어넘어구연의특성들 움직임의역학, 몸짓, 공간학등 의해석적측면이성서번역과밀접하게관련된다는것이다. 인쇄문화에서익숙했던성서번역의개념은성서본문의다양한영향력을담기에는상당히좁은의미의번역개념임을지적한다. 그렇기때문에비인쇄문화적개념이라할수있는구연의특성들이해석에미치는영향을고려한새로운개념의 성서번역 이나올필요가있다는것이다. 맥시는 성서퍼포먼스비평 이단순히성서학에추가적조정을요구하고있다고보는차원을넘어성서학에있어서일종의 패러다임의전환 이란점을상기시킨다 (7쪽). 번역전문학자로서맥시는자신의 성서퍼포먼스비평 에대한접근은오늘날성서본문들에대한번역이어떠해야할것인가하는문제에초점을두고있다고밝히고있다 (8쪽). 즉, 성서퍼포먼스비평 이현대와고대의구연들이어떤방식으로든연결점을갖도록현대의구연들을산출해내는데에특별히유용함을기술한다. 맥시에따르면, 성서퍼포먼스비평은기록된것이중심이고가장권위적이라는오랜주장에대해도전장을내밀고있다 (8쪽). 그것은또한성서본문의 유동성 을강조하고있는데, 이와관련하여맥시는구약성서학자데이비드카 (David Carr) 의연구서를주요기반으로삼고있는것으로보인다. 3) 이외에도맥시는 성서퍼포먼스비평 이 기억 (memory) 에높은가치를두고있고, 특별히 사회적기억 혹은 집합적기억 과관련이깊다는점을지적하면서공동체의정체성형성이라는이슈에좋은통찰력을제공한다는것을강조한다 (9쪽). 마지막으로그는 성서퍼포먼스비평 이갖는본질적요소인 다방면에걸친특성 이성서번역에공헌한다고주장한다. 그에따르면, 성서퍼포먼스비평 은단순히한언어에서다른언어로의본문번역에관심하기보다성서본문의 구연 그자체가이미번역이라는점에더욱관심을기울인다 (14쪽). 즉 번역 은소리, 침묵, 몸짓, 그리고청중과의상호작용등을통해성서본문을구연하는중에발생하기도한다고본다. 번역전문가로서맥시는다음과같이흥미진진한질문을던지고있다 : 성서번역의기초중의기초는정확성, 미적요소, 그리고명확성인데, 이러한것들이구연컨텍스트를상정할때에는어떻게이해되고적용되어야할것인가? (14쪽) 두번째글은 성서퍼포먼스비평 시리즈의총편집자인데이비드로즈 의 구연을위한번역의예술 이라는제목의논문이다. 로즈는번역이단순 3) David M. Carr, Writing on the Tablet of the Heart: Origins of Scripture and Literature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04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200-214 한기계적작업이아니라는기본인식에더하여번역과정의최종결과물이 구연 으로산출된다고하는 번역 의새로운개념을제시하고있다. 이렇게될때번역은이전과는확연히다른형태와차원의예술적가치를담지하게된다. 성서번역의경우성서본문이갖는구연문화의배경을충분히고려하면서이를최대한반영한번역문을산출해낸다음그것을현대적감각에맞도록조율하여최종번역문을만드는것이로즈가설명하는소위 소통모델 (communication model) 로불리는번역방식이라고할수있다. 로즈는여기서한걸음더나아가 참여모델 (engagement model) 이라는새로운번역의장을함께제시하고있다 (24-25쪽). 즉, 구연 을위한번역작업의모든과정과그것의최종산물인 구연 자체가일종의 번역 이된다는것이다. 이것은성서번역에있어서새로운인식의전환을환기시키는대목이아닐수없다. 이 참여모델 은청중을향한번역이갖는잠재적인수사적충격을심도있게고려하기때문에현대적인언어표현을보다자유롭게구사하게되고, 지역문화와세계관등에대한적절한정보도번역에포함되도록한다. 성서번역의최종산물이비디오드라마나그림을담은소설이나혹은만화책의형태로나타나는것도일종의현대적 참여모델 의예들로볼수있다. 4) 그런데이러한다양한미디어번역산출물들에는여전히어떤한종류의인쇄된번역문이중심에위치하게되는것을볼수있다. 5) 로즈에따르면, 기존의인쇄된번역문산출을위한번역작업을넘어서려는새로운움직임들중에서도 구연 을위한성서번역으로의전환은근본적인패러다임의전환을대표한다 (25쪽). 로즈는신약성서를 구연문학 (performance literature) 으로인식한다. 이런점에서 성서퍼포먼스비평 은성서본문이갖는구연적인본질을회복시키려는노력의일환으로볼수있다. 신약성서에포함된복음서와편지등이거의사실상표현력이풍부한공개적인읽기혹은구연의형태로집합적청중들에게경험되었다고 4) 성서퍼포먼스비평 시리즈제 1 권에수록된신약성서학자로버트파울러 (Robert M. Fowler) 의새로운시대의 전자미디어성서 에관한글을참조할수있다. Robert M. Fowler, Why Everything We Know About the Bible Is Wrong: Lessons from the Media History of the Bible, Holly E. Hearon and Philip Ruge-Jones, eds., The Bible in Ancient and Modern Media: Story and Performance,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1 (Eugene, OR: Cascade Books, 2009), 3-18, 특히 14-18. 5) 필립노스 (Philip A. Noss) 는이책안의자신의글에서 CCC 에서제작한 예수영화 가누가복음에대한한번역문을기초로하고있는것의예를들면서, 기존의다양한미디어를이용한새로운번역시도들과로즈와맥시가주장하는 구연 을위한번역의차이점이문서로된번역문에중점을두느냐와번역의산물로서 구연 자체에중점을두느냐에있다고정확하게지적한다 (116 쪽 ).
< 서평 >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 유지운 205 보고있다. 따라서신약성서의내용이이러한구연의형태로공동체에게경험될때에역동적이고감동적이고참여적인사건이청중들사이에공유되었을것을상정한다. 신약성서사본들에나타나는대문자들은띄어쓰기가되어있지않고, 마침표나악센트표시가결여되어있는데이것들이신약성서가 구연문학 이라는것을한편으로강력히시사해준다고보고있다. 마치음악의음표들이실제음악연주를항상내포하고있듯이, 사본들에나타난띄어쓰기없는대문자들의연속은일종의음표와같은기호역할을했다는것이다. 즉, 구연자에게어떻게표현해야할것인지를제시하는역할을했고, 따라서그안에 구연 을내포하고있다는것이다 (27쪽). 성서본문들에는구연의잔여흔적들이남아있다고보는데대표적인것이 지문 ( 地文 ) (stage direction) 이다. 성서본문의각문장을어떻게표현해야할지에대해동작, 표정, 어조등을제시하는희곡의지문역할을하는흔적들이가득하다는것이다 (29-30쪽). 로즈에따르면동작이나표정이나어조등은특히청중들과의상호작용속에서성서본문의의미를좌우할수있는중요한기능을갖게된다. 따라서로즈에의하면구연이라고하는일종의 번역 은청중공동체에게영향을주고그들의사고와삶에변화와변형을가져다줄수있으며특정한종류의정체성을갖도록해줄수있게된다 (30쪽). 끝으로로즈는성서번역을향한두종류의새로운접근을소개하고있다. 하나는에른스트벤트랜드의연구서이고, 다른하나는제임스맥시의연구서이다. 6) 전자는다양한종류의 지문 에대한분석의의미를번역에적용하는접근법을보여주고있고 (34-36쪽), 후자는구연자체가번역이라는로즈의입장과거의일치하는접근법을소개하고있다 (36-38쪽). 번역물의한형태로서의 구연 을이해하게될때, 어떠한두개의구연도결코완벽히일치할수없다는점에서번역의다양성을상정하게될수밖에없다. 이런점에서맥시의앞논문에서제기되었던 번역의윤리성 문제가중요하게대두될수있다. 7) 로즈는구연을위한번역작업이나또는구연자가경험하게되는구연중에일어나게되는 번역작업 이야말로성서본문을 6) Ernst R. Wendland, Finding and Translating the Oral-Aural Elements in Written Language: The Case of the New Testament Epistles (Lewiston, NY: Edwin Mellen Press, 2008); James A. Maxey, From Orality to Orality: A New Paradigm for Contextual Translation of the Bible,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2 (Eugene, OR: Cascade Books, 2009). 7) 성서퍼포먼스비평과관련한 구연 혹은 번역 의해석학적윤리성의문제에관하여는활발한논의가진행중이다 ( 이책의 6 쪽 ). 내러티브비평과관련한해석학적윤리성의문제를심도있게다룬글이좋은참고가될수있다. 이에관하여는참조, David M. Rhoads, Reading Mark: Engaging the Gospel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2004), 202-219.
206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200-214 이해하는데에가장도움이되는수단이된다는것을강조한다. 이책의다른논문제공자들은성서본문의구연문화배경에대한이해를공유하면서, 특정성서본문을중심으로성서번역의주제에각각접근하고있다. 댄내셀크비스트 (Dan Nässelqvist) 는요한복음의서문 (prologue) 을다루면서기존의역사비평적분석을넘어서는음성적요소에대한분석을제시한다. 마거릿리 (Margaret E. Lee) 와버나드스콧 (Bernard B. Scott) 의 신약성서에대한음성지도 (sound mapping of the New Testament) 라는 방법론 을취하면서요한복음서문을대상으로 구연을위한성서번역 을수행하고있다. 8) 그는고대구연을상정한성서본문번역에서음성분석이필히수반되어야함을강조함과동시에이를통해획득된음성분석의결과가현대구연을위한번역에어떻게효과적으로연결될수있겠는가하는점의중요성을지적한다. 라우런스드프리스 (Lourens de Vries) 는성서를비롯하여오랜기간에걸쳐문화적으로중요한전승으로판명된다른본문들이순전히배타적으로구전배경 (oral context) 만을갖고있다는인식에대해비판적이다. 고대문서들에나타나는구전적요소들은그당시소통미디어의정황을고려할때, 구전적요소들과문자적요소들이복잡하게상호작용을한것으로보아야함을강조한다. 이와관련하여그는몇가지성서번역물을성격에따라분류하여조사한다. 17세기네덜란드의성서번역과 20세기뉴기니아의공동체를위한성서번역, 그리고부버와로젠바이크에의한독일어구약성서번역을비교-조사하면서, 구전적요소들과문자적요소들의복잡한상호작용의문제를지적하고, 성서번역에있어서고대기록문화를철저하게배제하는고대구전문화에대한배타적이고순진한접근을경계한다. 필립노스 (Philip A. Noss) 는 표의음 (ideophone) 9) 과 구연 그리고성서번역의관계성에중점을두어논한다. 그는 20세기후반에들어성서번역의방법이언어학적이론중심에서소통이론중심으로전환되었다고보고, 전반적인성서학의질문도역사비평에서독자반응비평으로옮겨감에따라성서번역이성서의사용과성서에의참여를강조하기시작했다고본다 (99-100쪽). 그바야 (Gbaya) 민담들에나타나는 표의음 을조사하면서그 8) Margaret E. Lee and Bernard B. Scott, Sound Mapping the New Testament (Salem, OR: Polebridge Press, 2009). 9) 표의음 (ideophone) 은공개적읽기나구연에서단어나어구의음성적반복이공동체구성원들에게있어서특정한의미를갖도록해주는소리를말한다.
< 서평 >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 유지운 207 것들의사용효과를 구연 셋팅속에서평가하는것의적합성과중요성을강조한다. 이런점에서성서번역에있어서 표의음 의다양한기능을번역에효과적으로적용하는일은로즈가제시했던번역의두모델중에서 소통모델 은물론이고, 그것을넘어서 참여모델 과도관련이깊다. 구연 이야말로이참여모델을대표한다고볼수있기때문에노스는 구연 속에서 표의음 의다양한효과를평가해볼것을제시하고있다. 재닛매튜 (Jeanette Matthews) 는하박국본문안에이미단단하게박혀있는 구연적특성 들을재현시킴으로써이것들에대한집중이어떻게본문에대해새로운관점을제공할수있는지를보여주고자한다 (119쪽). 선지서인하박국본문자체가 구연 의특성을짙게보유하고있음을지적하면서궁극적으로 구연을위한성서번역 의한사례를제시하고있다. 그녀는먼저사전적의미에충실한문자적번역으로시작하고, 다음으로하박국본문안에서구연과관련된주제들을선택적으로다룬다. 하박국본문의내용이구연자에게 체화 되는것의중요성을지적하고, 어떠한구연도고정되지않는 과정 에있는번역임을인지한다. 끝으로하박국에서많이등장하는 단한번밖에사용되지않은말 / 어구 (hapax legomenon) 에주목하면서, 번역으로서의구연이그때그때청중이나상황에따라독특한방식으로재연될수있음을보여주는예로써하박국안의 하팍스레고메논 사용을제시한다 (133쪽). 에른스트벤트랜드는신약성서유다서에대한언어학적담화분석을제공하면서유다서안의다양한 반복 과 표어 (catchword) 의기능, 그리고교차대조혹은병행기법의사용등에주목한다. 유다서가갖는히브리적성격을고려할때, 고전적인그레코-로만수사학적비평방법을적용하는것의한계점을지적하기도한다 (143-147쪽). 벤트랜드의담화분석에따르면유다서에는두종류의소통목적이드러나는데하나는경건치못한적대자들에대한혹평과경고이고, 동시에다른하나는성도들로하여금거짓교사들을거부하고거룩한믿음에진실하게남아있으라는권면이다. 특별히교차대조기법을통해보게될때 3절에나타났던편지의 핵심호소 가 20-21절에서보다정교한모습으로다시나타나고있음을보인다. 벤트랜드는유다서본문의 음성전경 (soundscape) 에대한분석이전반적인편지의내용이나수사적효과혹은긴급함과적절함을보여주는데에기여할수있음을강조한다. 질칼릭 (Jill Karlik) 은기니아-비소의언어, 만자쿠 (Manjaku) 에대한사례연구를통해번역과 구연 의관계성을논한다. 학문적관심에서멀리떨
208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200-214 어져있던서아프리카설교들에나타나는해석적활동을살펴보면서, 성서의내용을해석자가중재하게되는사례연구를보여준다. 칼릭은인쇄된성서번역이부족하거나결여되었을때, 사람들이성서의내용을접할수있는주요방식은 구전해석자 를통하거나성서본문에대한 구연 이었을것이라고본다. 이러한연관성을포착하면서칼릭은 성서퍼포먼스비평 에서 구연자 의중요성은아무리강조해도지나치지않다는것을지적한다. 4. 성서번역과관련한통찰력있는제안들과향후과제들 이시점에서이책의제목,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를다시한번상기해보면좋을것같다. 책제목이시사해주는것처럼이책에수록된 8편의논문들은음성적요소와 구연 에관심을집중하면서성서번역의이슈를다루고있다. 또한부제에서짐작할수있듯이성서번역은성서학의발전과함께서로영향을주고받으며발전하게됨을알수있다. 이책은 성서퍼포먼스비평 이라는성서학안에서새로이등장하고있는방법론을다각도로소개하면서실제적인성서번역의사례들과연결하고있다. 10) 전체적으로조망해볼때성서번역과관련하여신선한제안들과통찰을이책으로부터얻게되는데, 이러한통찰력들과그에따른향후과제들을다음과같이기술해보고자한다. 첫째, 이책은성서번역에있어서객관적이고정확하며고정된번역을 추구하는것에의문을제기하고도전한다. 즉번역의다양성에대하여열 린자세를취한다. 이것은단순히번역의문제가아니라성서학방법론에 있어서역사비평의독점적위치로부터독자 / 청중반응비평으로무게중심 이분산되어옮겨가는 20 세기후반과 21 세기의광범위한포스트모던적경 향과관련된다고볼수있다. 객관적 이고 옳은 오직하나의번역을중시 하는입장은그것을제외한다른많은해석적타당성과가능성을배제시킬 수있다. 그것으로인해성서본문의포괄적이고도현실적합성높은다양 한의미의차원을본의아니게훼손할수있다는점을주목할필요가있다. 둘째로이책은성서번역이그자체로일종의성서해석이라는관점을 10) 성서퍼포먼스비평 과관련한논문, 전자미디어자료, 참고문헌자료등더많은유익한정보를위해서는다음의웹사이트를이용하면좋다. http://www.biblicalperformancecriticism.org (2018. 1. 24.).
< 서평 >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 유지운 209 새삼일깨워준다. 즉, 성서번역은단순히한언어에서다른언어로의기계적이고자동적인 옮김 이아니라는것이다. 이것은성서번역자체가이미예술적가치를담고있다는것을상기시켜준다. 다만, 역사비평학에거의전적으로의존하는성서번역의예술성과독자 / 청중반응비평등과함께새로이등장하는 성서퍼포먼스비평 을수용하는성서번역의예술성은상당히다른성격을가질수있음을이해할필요가있다. 한편, 성서번역이일종의성서해석이라는관점을진지하게받아들이게될때, 해석의윤리성에대한고찰과검토의필요성이대두된다. 따라서 성서퍼포먼스비평 의해석적윤리성의문제에대한활발한논의가요구된다. 셋째로이책은 성서퍼포먼스비평 을수용하는입장에서고대이스라엘과초기교회가갖는뚜렷한구연문화적배경을심도있게고려하는성서번역을제시하고있다. 이것은맥시가지적하듯이크게두가지형태를띠게된다. 하나는고대의성서본문구연에대한적합성높은성서번역을추구하는것이다. 이책에포함된재닛매튜의하박국성서번역논문에서는일단 문자적 정확성을높이는성서번역으로시작했던것을이와관련된예로들수있다. 또한벤트랜드의유다서성서번역논문에서는다양한 지문 (stage directions) 에대한 성서퍼포먼스비평 적이해를통해고대구연문화이해에충실하게성서번역을수행한것을예로들수있다. 이러한번역작업들이고대의성서본문구연에대해충실하려는번역노력의산물이라면, 또하나의성서번역형태는현대의성서본문구연을위한성서번역을추구하는것이다. 전자로부터얻은결실들이현대적구연상황에충분히스며들도록하면서현대의사회-문화적상황이나세계관에적합한표현들을찾는노력이추가로필요하다. 이것은로즈가제시했던번역의한유형인 소통모델 과기본적인연관성을갖는다고볼수있다. 그리고유사한맥락에서고대구연에대한음성분석을현대구연에어떻게효과적으로연결시킬것인가의이슈를다룬, 이책안의논문공헌자인댄내셀크비스트의지적을떠올리게된다. 넷째로이책은번역의 다양성 을적극적으로포용해야한다는입장을이전과는전혀새로운각도에서제시하고있다. 기존의번역개념에서는활자화된번역문을산출하는것이번역의 목표 였다면, 성서퍼포먼스비평 과관련한새로운번역개념에서는번역과정을거쳐산출된 구연 그자체가일종의 번역문 의위치에설수있다고하는신선한제안이다. 이렇게볼때, 구연 들가운데아무리유사한두개의구연도완전히동일한구연은상상하기어렵다는것을인식할수있다. 다양한 구연 의타당성, 즉
210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200-214 다양한 번역 의타당성이인정되고오히려널리장려될필요가있다는것이다. 이것은로즈가제시한두가지번역의형태중 참여모델 에해당하는번역형태라고볼수있다. 고대에서나현대에서나구연의현장에서청중의참여가일어나게되고거기에서경험하게되는사건이구연에영향을미치게된다. 성서본문에대한번역문이중심자리를차지하는기존의여타 소통모델 혹은 참여모델 과달리 구연을위한성서번역 에서는 구연 자체가그중심에위치하게된다는것이다. 고대에서나현대에서모두, 인쇄된 번역문 은 구연 의보조역할을하게된다는것이다. 로즈는이것을성서번역에있어서일종의패러다임의전환이라고부르고, 성서퍼포먼스비평 이성서학전반에가져오고있는패러다임의전환과의연장선에서다루고있다. 다섯째로구연으로표현되는 성서번역 은성서를접하고경험하는개인과공동체의정체성형성에영향을줄수있다는점을일깨워준다. 고대의구연이각신앙공동체의정체성형성에기여했을것이라는생각은성서를구성하고있는각책들의독특한성격들을더욱부각시켜주는효과가있다. 예를들어마가복음을지속적인 구연 을통해들으며경험했던마가공동체는그들의독특한정체성을형성해가게되었을것이라는점이다. 로즈와맥시에따르면현대의구연에이와같은맥락이전달될수있도록함으로써고대의신앙공동체가경험했던정체성형성을현대의신앙공동체에서도경험할수있도록번역작업을할수있다는것이다. 이렇게함으로써번역은단순한기계적번역의차원에머물지않고, 현실신앙공동체와개인의신앙적 / 윤리적정체성형성에기여하는신선한목적을갖게된다. 끝으로이러한성서번역을향한새로운통찰력들을제공하는이책이가져다주는향후과제들을크게두가지로제시하고자한다. 우선, 성서학을비롯한신학전반의흐름과발전이성서번역과생산적인대화를할수있는여건을확보하는것이중요해보인다. 이를위해성서학자들과전문번역가들이함께논의할수있는기회를많이갖는것이바람직할것같다. 한걸음더나아가 구연 을위한성서번역을상정할때에는성서학자들과전문 스토리텔러 (storyteller) 들 의대화와논의의장이필요할것같다. 다른하나는성서번역의해석적윤리성에관한것이다. 구연 자체가일종의 번역문 의자리에올수있다고하는파격적인제안에는신뢰할만한 구연 에대한해석적윤리성의이슈가수반되어야한다. 성서본문이갖는기본적인의미의틀을손상시키지않으면서도현대청중들에게효과적으로
< 서평 >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 유지운 211 전달력을갖는표현들을겸비한좋은 구연 을새로운의미의 번역 으로 이해하고적용할수있다면, 성서퍼포먼스비평 시리즈의한권인이책 의편집자들의의도가성과를내는것으로볼수있을것이다. 이상에서언급한성서번역과관련한신선한통찰력과그에따른향후과제들에대한인식제공을이책의 강점 이라고할수있겠다. 추가로언급할만한유익한점은다음과같다. 이책의각논문들에수록된참고문헌목록은 성서퍼포먼스비평, 구연문화, 성서번역 등에관한주요연구서들을수록하고있어서성서학자들과전문번역가들에게유용하리라생각된다. 다만, 이러한참고문헌목록을책후반부에한꺼번에주제항목별로묶어서간단한설명을덧붙여제공하였더라면더욱좋지않았을까생각해본다. 그리고이책은고대이스라엘과초기기독교회의배경으로 구연문화 를강조하고있지만, 고대 기록문화 를전적으로배제하고구전문화와기록문화를이분화시켜온학문적경향들을경계하고있다는점에서도바람직한점을찾을수있다. 반면에아쉬운점도있다. 성서안의책들의다양성과광범위성을고려할때어쩔수없어보이지만, 성서퍼포먼스비평 과 성서번역 이라는공통적관심사를제외하면 8편의논문이서로연결되는부분이약하기때문에산만하고집중력이떨어지게되는 약점 이있다. 책앞부분에수록된맥시와로즈의두논문을통해 성서퍼포먼스비평 과 성서번역 에대한포괄적이해를하면서다른논문저자들이제공하는여러종류의사례연구들을취사선택하며읽으면유익하리라생각된다. 5. 나가는말 이책은성서번역에관심있는성서학자들과전문번역가들에게새로운통찰력과과제를함께던져주는책이다. 한편, 기존의번역개념으로부터파격적인전환을제안하고있기때문에성서학자들에게조차낯설게느껴질수도있을것같다. 하지만, 다음세대를향한성서의지속적인영향력증진이라는대의를생각하며비판적으로수용한다면, 오늘날많은국가와사회에서성서번역을위한노력과헌신에신선한활력을불어넣어줄잠재력을이책에서발견할수도있으리라기대한다.
212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200-214 < 주제어 >(Keywords) 성서번역, 성서퍼포먼스비평, 참여모델, 구연, 정체성형성. Bible translation,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engagement model, performance, identity formation. ( 투고일자 : 2018 년 1 월 30 일, 심사일자 : 2018 년 3 월 12 일, 게재확정일자 : 2018 년 3 월 23 일 ) < 참고문헌 >(References) Carr, David M., Writing on the Tablet of the Heart: Origins of Scripture and Literature,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Fowler, Robert M., Why Everything We Know About the Bible Is Wrong?: Lessons from the Media History of the Bible, Holly E. Hearon and Philip Ruge-Jones, eds., The Bible in Ancient and Modern Media: Story and Performance, Eugene, OR: Cascade Books, 2009, 3-18. Lee, Margaret E. and Scott, Bernard B., Sound Mapping the New Testament, Salem, OR: Polebridge Press, 2009. Maxey, James A., From Orality to Orality: A New Paradigm for Contextual Translation of the Bible,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2, Eugene, OR: Cascade Books, 2009. Rhoads, David M., Reading Mark: Engaging the Gospel,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2004. Shiner, Whitney T., Proclaiming the Gospel: First-Century Performance of Mark, Harrisburg, PA: Trinity Press International, 2003. Wendland, Ernst R., Finding and Translating the Oral-Aural Elements in Written Language: The Case of the New Testament Epistles, Lewiston, NY: Edwin Mellen Press, 2008.
< 서평 >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 유지운 213 <Abstract> Book Review -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James A. Maxey and Ernst R. Wendland, eds.,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6, Eugene: Cascade Books, 2012) Ji-Woon Yoo (MyongJi University) This collection of essays is edited by James A. Maxey and Ernst R. Wendland, both of whom are translation specialists with a particular experience of African oral performance culture. This book is also one of the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series, edited by David M. Rhoads, emeritus professor of the New Testament at Lutheran School of Theology at Chicago. In this book, Vol. 6 of the series, co-editors provide their own articles alongside the other six contributors, many of whom have had a life experience of oral (performance) culture. First two articles written by Maxey and Rhoads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in relation to Bible translation. The other six essays seem to function as case-studies that apply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to a specific Bible text or emphasize a fresh aspect of Bible translation based on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This book review mainly points out fresh insights of Bible translation that this collection of essays provide. First, Bible translation does not seek only one right and objective meaning. Rather it seeks multivalent and legitimate meanings, considering various responses from the audience, not just so-called the intended meaning by the author. Second, this book intensifies our understanding that translation itself is an interpretation. Bible translation does not mean mechanical transliteration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language. The article contributors in this book recognize that the oral performances of the Bible as Bible translation can have artistic value. Third, there are two types of Bible translation as oral performance. One is a translation of the ancient performances of the Bible and the other is a translation for the contemporary oral performances of the Bible. Although both translations are important as they are, it seems more significant how they can be related to
214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200-214 each other and how the contemporary performances can make rhetorical impact effectively on the audience. Fourth, the notion that oral performance of the Bible can be called a Bible translation belongs to Rhoads engagement model of Bible translation. Although almost all existing translations tend to center on a written translation document whatever the versions are, Rhoads engagement model of Bible translation regards oral performances as central, not a written document. Fifth, oral performances as Bible translation contribute to forming a particular identity of the hearing community. In this way, a fresh goal of Bible translation, i. e. Christian identity formation can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