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명찬 이승호 1. 서론 삶의질향상과환경에대한관심이높아짐에따라, 쾌적함에영향을미치는습도도기온과함께체감온도, 건조주의보등과같은생활지수로일상생활에서중요한이슈가되고있다. 도시에서는도시화로인해기온이상승하고강수량은증가하지만, 상대습도는감소한다 (Landsberg, 1981).

Similar documents
03이경미(237~248)ok

433대지05박창용

01À̽ÂÈ£A9-832š

02ÇãÀÎÇý ~26š

09구자용(489~500)

09È«¼®¿µ 5~152s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46-2대지.3박병익

45-4대지.2허인혜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ë Áö¸®ÇÐȸÁö-¼Û°æ¾ðOK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35~55 학술 전력시장가격에대한역사적요인분해 * 35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DBPIA-NURIMEDIA

04김호걸(39~50)ok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2, September 2018 : pp. 1~29 정책 용도별특성을고려한도시가스수요함수의 추정 :, ARDL,,, C4, Q4-1 -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03-서연옥.hwp

DBPIA-NURIMEDIA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02Á¶ÇýÁø

①국문지리학회지-주성재-OK

01이정훈(113~127)ok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04±èºÎ¼º

012임수진

DBPIA-NURIMEDIA

<313120B9DABFB5B1B82E687770>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4, Number 2, September 2015 : pp. 99~126 산유국의재생에너지정책결정요인분석 1) 99

433대지04강철성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09이훈열ok(163-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서론 34 2

DBPIA-NURIMEDIA

,......

src.hwp

.. (Jane Jacobs)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 (William Whyte) 1969 Street Life Project ,. 2.,.. (microclimate) (thermal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hwp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02À±¼ø¿Á

13장문현(541~556)ok

Á¶´öÈñ_0304_final.hwp

Development of culture technic for practical cultivation under structure in Gastrodia elate Blume

최근 년 년 장마경향 지역별장마시종일변화 지역 평년값 ( 년 ) 최근5년 ( ) 평균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전국 (+3.1%) 중부

공휴일 전력 수요에 관한 산업별 분석

년AQM보고서_Capss2Smoke-자체.hwp

05서찬양(521~529)ok


206.fm

통계연구 (2010), 제 15 권제 2 호, 한국의일상생활에서남녀의수면시간과관련요인탐색 은기수 1) 차승은 2) 요약 수면은생물학적현상으로하루 24시간의일상생활중단위활동으로는가장많은시간을차지하는활동가운데하나이다. 그러나현대사회가 24/7 사회로진전되고개인


<C3D6C1BE2DBDC4C7B0C0AFC5EBC7D0C8B8C1F D32C8A3292E687770>

50-5대지05장후은.indd

untitled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9, Number 2, September 2010 : pp. 1~18 가격비대칭성검정모형민감도분석 1

DBPIA-NURIMEDIA

44-3대지.02이광률c

02¿ÀÇö¹Ì(5~493s

DBPIA-NURIMEDIA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Vol.259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 C6AFC1FD28C3E0B1B8292E687770>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20최영은( )ok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Research subject change trend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ies : Network text analysis of the last 20 years * The obj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NCS : G * The Analy

DBPIA-NURIMEDIA

歯14.양돈규.hwp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Ȳ¿ë¼®

<B9DFC0FCBFACB1B8BFF820C1A63135C8A32DC3D6C1BEC6C4C0CF2E687770>


Kinematic analysis of success strategy of YANG Hak Seon technique Joo-Ho Song 1, Jong-Hoon Park 2, & Jin-Sun Kim 3 * 1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

한국 출산력의 저하 요인에 관한 연구

< B3E2BFF8BAB828C8AFB0E629312E687770>


44-4대지.07이영희532~

44-3대지.08류주현c

°í¼®ÁÖ Ãâ·Â

09권오설_ok.hwp

DBPIA-NURIMEDIA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44-6대지.08김정희-5

13.12 ①초점

Transcription:

대한지리학회지제48권제1호 2013(19~36)? 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에관한연구 고명찬 * 이승호 ** A Study on the Change of Humidity by City Size in South Korea Myungchan Ko* Seungho Lee** 요약 : 이연구에서는지난 58년 (1954~2011 년 ) 동안의관측자료를보유한 14개기상관측소의일평균상대습도, 일평균수증기압을분석하여도시규모별습도변화를파악하였다. 연평균상대습도는분석기간동안지속적으로감소하는경향이며, 도시에서비도시보다감소하는경향이뚜렷하다. 계절별로는봄철과겨울철에상대습도가감소하는경향이뚜렷하고, 여름철에는변화율이작다. 연평균수증기압은변화경향이뚜렷하지않고, 도시규모에의한변화율차이가명확하지않다. 상대습도와평균기온사이에는음의관계가있으며, 도시규모에따른상대습도차이가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상대습도와수증기압사이에는양의관계가있지만, 도시규모에따른수증기압의차이가뚜렷하지않다. 한국에서상대습도가감소하는경향은도시화에의한기온상승경향과상당히일치하지만, 수증기압의변화는뚜렷하지않다. 주요어 : 도시규모, 상대습도, 수증기압, 평균기온 Abstract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humidity by city size in South Korea. Using daily mean relative humidity and water vapor pressure during the period of 1954~2011 for 14 weather stations in South Korea, the change of humidity by city size was analyzed. The change of relative humidity had a continuous decreasing trend for the period of 1954~2011. The decreasing trend in large city was bigger than these of rural one. The seasonal relative humidity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spring and winter. The change of water vapor pressure was rarely changed significance of the results by city size. It was not shown the result to constant trend by city siz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lative humidity and mean temperature. And change of relative humidity was correlated with city size. Moreover, there was not correlation between relative humidity and water vapor pressure by city size. The decreasing trend of relative humidity was similar to increasing trend of temperature by urbanization. However, there was not shown significant result of water vapor pressure. Key Words : city size, relative humidity, water vapor pressure, mean temperature 이논문은 2010년도정부재원 ( 교육과학기술부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 ) 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연구되었음 (NRF-2010-330-B00278). * 건국대학교대학원석사과정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Geography, Konkuk University), hahorae@naver.com ** 건국대학교지리학과 기후연구소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Climate Research Institute, Konkuk University), leesh@konkuk.ac.kr - 19 -

고명찬 이승호 1. 서론 삶의질향상과환경에대한관심이높아짐에따라, 쾌적함에영향을미치는습도도기온과함께체감온도, 건조주의보등과같은생활지수로일상생활에서중요한이슈가되고있다. 도시에서는도시화로인해기온이상승하고강수량은증가하지만, 상대습도는감소한다 (Landsberg, 1981). 상대습도는인간생활에영향을미칠수있지만, 도시-비도시간의차이가작으며 (Chandler, 1967), 기온에의해크게좌우된다 (Arnfield, 2005; Sherwood et al., 2010). 전구평균기온은 1906~2005년사이에 0.74 ± 0.18 상승하였다 (Trenberth et al, 200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2009) 은서울과인천, 강릉, 대구, 목포, 부산의기온상승률이 1.7 /100년으로전구평균기온상승률보다 2배이상높고, 그중 20~30% 는도시화에의한것으로평가하였다. 도시화에의한기온상승은도시에서상대습도의감소경향으로이어질수있으며, 도시와비도시간상대습도변화율의차이를가져올수있다. 이와같은전지구적인기온상승추세로전지구적기온변화는관측자료와모델링에의해많은연구가이루어져왔지만, 상대습도변화는부족한공간자료와불균질한시계열자료로인해다양한자료를이용하여연구를진행하였다 (Hulme et al., 1992; Elliott, 1995; Wang et al., 2002; Dai, 2006). Hulme et al.(1992) 은기상관측자료와함께라디오존데자료를활용하여전지구적상대습도변화를분석하였으며, 아프리카에서사막화등에의한건조경향이뚜렷하다고하였다. Elliott(1995) 과 Wang et al.(2002) 은기상관측자료, 라디오존데자료, 위성자료등을활용하여, 장기간전지구적인상대습도변화를분석하기위한방법을고찰하였다. Dai(2006) 은 Parallel Climate Model(PCM) 으로전지구적인상대습도변화를분석하여, 전지구적인상대습도변화가 0.6% 이내에서작다고하였다. 상대습도와관련된연구는주로도시화가진행됨에따라나타나는도시와비도시의상대습도차이 와관련하여진행되었다 (Adebayo, 1991; Jauregui and Tejeda, 1997; Holmer and Eliasson, 1999; Unger, 1999; Deosthali, 2000; Unkašević et al., 2001; Mayer et al., 2003; Kuttler et al., 2007; Liu et al., 2009). Adebayo(1991) 는나이지리아이바단을대상으로도시화에의한시기별상대습도변화를분석하여, 도시에서주변지역보다상대습도의감소율이크다고하였다. Jauregui and Tejeda(1997) 는멕시코의멕시코시티에서도시와비도시의시기별비습변화를분석하여, 높은기온에의한증발로비도시보다도시에서비습이높다고하였다. Holmer and Eliasson(1999) 와 Deosthali(2000) 는각각스웨덴예테보리와인도푸네를대상으로도시화에의한열섬이도시와주변지역의수증기압차이를가져온다고하였다. Unger(1999) 는헝가리의세게드를대상으로도시와주변비도시의상대습도차이와시기별변화패턴을분석하고, 주변의수증기공급원, 기온등이상대습도변화에영향을미치는지파악하였다. Unkašević et al.(2001) 와 Mayer et al.(2003) 는각각세르비아벨그라드와독일뮌헨을사례로하여열섬강도와상대습도와의상관관계를분석하여, 도시규모별로차이가있다고하였다. Kuttler et al.(2007) 은독일의크레펠트를대상으로도시와주변비도시의수증기압차이를분석하여, 시기별수증기압변화패턴을파악하였다. Liu et al.(2009) 는중국베이징을대상으로도시화에따른상대습도변화를연구하여상대습도가도시화의영향으로감소함을보였다. 한국에서는주로대도시를대상으로도시화에의한상대습도의변화경향이분석되었다 (Choi, 1988; Um et al., 1997; Yoon, 200; Um et al., 2007; Seo et al., 2010, Park et al., 2012). Choi(1988) 는서울, 대구, 부산등의한국주요도시를대상으로상대습도의시기별변화를분석하고, 상대습도와인구밀도, 자동차수등의도시화지표, 기온, 강수량등의기상관측자료등과의상관관계를파악하였다. Um et al.(1997, 2007) 은각각서울과인천, 수원그리고부산과밀양을대상으로도시와주변지역의장기간상대습도변화를분석하여, 상대습도의감소경향과도시화에의한영향을파악하였다. Yoon(2001) 은토지피복현황 - 20 -

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에관한연구 과도시녹지를대상으로상대습도와의관련성을정량적으로파악하여, 토지피복현황및수림의계층구조에따라상대습도변화에많은영향을미친다고하였다. Seo et al.(2010) 은서울, 대구, 부산의기온과상대습도를분석하여기온변화가상대습도의변화보다먼저나타나며, 이로부터상대습도의변화가뚜렷하다고하였다. Park et al.(2012) 은부산과목포를비교하여, 도시와비도시의상대습도변화를분석하고도시화효과에대하여고찰하였다. 한국을대상으로진행된연구에서는주로도시에서상대습도변화를분석하였지만, 사용된관측지점수가적어도시 비도시간상대습도변화의차이를설명하기어렵고, 상대습도의변화가실제수증기량의변화로나타나는지파악하기힘든한계가있다. 한국은급격한도시화로인해도시와비도시간기후특성이다를수있다. 따라서이러한특성을고려하여도시규모별습도의변화를분석할필요가있다. 따라서이연구에서는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를분석하여습도의시기별변화를파악하였다. 또한도시효과에의한기온상승이도시규모별로상대습도에미친영향을분석하고상대습도의변화가수증기량의변화에서도나타나는지규명하고자하였다. 2. 연구자료및방법 이연구에이용된자료는기상청에서제공하는일평균기온, 일평균상대습도, 일평균수증기압이다. 분석기간은한국전쟁이후로결측일이포함되지않는 1954~2011 년의 58년간이다. 분석에이용된기상관측지점은서울, 인천, 부산, 대구, 광주, 울산, 목포, 강릉, 여수, 제주, 포항, 전주, 추풍령, 울릉도등 14개지점이다 (Figure 1). 상대습도는수치표현이간단하고이해가쉽기때문에습도분석에일반적으로사용되지만, 기온의영향을받으므로도시기후연구에서는절대적인수증기량을나타내는수증기압도사용된다 (Adebayo, Figure 1. Weather stations. 분석지점 1991). 이연구에서도습도변화를파악하기위하여상대습도와수증기압의변화를동시에분석하였다. Lee and Heo(2011) 의결과를사용하여도시규모별습도의변화경향을분석하였다. 1) 58년동안분석이가능한관측지점중대도시는 6개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울산 ), 중소도시는 6개 ( 포항, 전주, 목포, 제주, 강릉, 여수 ), 비도시는 2개 ( 추풍령, 울릉도 ) 지점이다. 습도의시기별변화를분석하기위하여 14개지점의도시규모별상대습도의시계열분석을하였다. 상대습도는연변동이크기때문에시계열분석을위하여 7년이동평균하였다. 시계열분석은연평균, 월평균그리고계절평균상대습도를대상으로분석하였다. 상대습도변화경향의추세는회귀분석을사용하여분석하였다. 평년값은 30년평균값으로사용하여야하지만이연구에서분석기간이 58년이므로 1982 년을기준으로그이전을전반기 (1954~1982년 ), 그 - 21 -

고명찬 이승호 이후를후반기 (1983~2011년 ) 로구분하여상대습도변화경향을분석하였다. 도시규모에따른상대습도차이를분석하기위하여각관측지점별변화율을도시규모별로평균하였다. 상대습도변화율의분포를파악하기위하여기간별평균변화율의분포도를작성하였다. Jung et al.(2002) 과 Choi et al.(2008) 는한반도에서계절별로강수특성이뚜렷하고기온상승경향이다르다고하였다. 따라서상대습도의계절별변화에서는어떻게나타나는지파악하기위하여, 기후연구에서일반적으로사용하는봄 (3, 4, 5월 ), 여름 (6, 7, 8월 ), 가을 (9, 10, 11월 ), 겨울 (12, 1, 2월 ) 로구분하여분석하였다. 수증기압은대기중의수증기량을의미하므로수증기압을사용하여도시규모별로수증기량의변화를파악하였다. 상대습도의변화가수증기압에서도같은변화경향으로나타나는지파악하기위하여, 상대습도분석과같은방법으로수증기압변화를분석하였다. 즉상대습도의변화와실제수증기량의변화가같은변화경향을보이는지분석하였다. 분석기간동안 14개관측지점의일평균상대습도를분석하여전체상대습도의 10퍼센타일과 90퍼센타일을기준으로습윤일과건조일변화를분석하였다. SDARDEX와 ETCCDI 지수등에서극한사상을분석하는데사용하며, 장기간의평균을고려한변동임계치인 10번째퍼센타일과 90번째퍼센타일을기 준으로상대습도의극한사상에적용하였다. 습윤일은일평균상대습도 90퍼센타일초과, 건조일은일평균상대습도 10퍼센타일이하인날을기준으로하여도시규모에따른상대습도의변화강도를파악하였다. 도시화에의한기온상승이상대습도에도영향을미치는가를파악하기위하여기온과상대습도의상관관계를분석하였다. 즉기온을독립변수로상대습도를종속변수로분석하였다. 기온상승에따른상대습도의변화가실제수증기량의변화에서도나타나는지분석하기위하여수증기압과상대습도의상관관계를분석하였다. 3. 결과 1) 연평균상대습도의변화 분석기간동안도시규모별연평균상대습도의차이가있다. 즉, 대도시 67.5%, 중소도시 68.8%, 비도시 71.4% 로도시규모가클수록상대습도는낮다. 전반기인 1954~1982년기간의연평균상대습도는대도시 69.7%, 중소도시 70.6%, 비도시 71.8% 이다. 후반기인 1983~2011년기간의연평균상대습도는대 Table 1. The changes of annual relative humidity by city size and period. 도시규모와기간별연평균상대습도변화 class periods first half-period (A) second half-period (B) B-A large city medium and small city rural average(%) 69.7 65.3-4.4 rate of the change (%/year) -0.06* -0.27** -0.21 average(%) 70.6 67.0-3.6 rate of the change (%/year) 0.02-0.16** -0.18 average(%) 71.8 71.1-0.7 rate of the change (%/year) -0.01-0.15** -0.14 * α=0.05 significant, ** α=0.01 significant. - 22 -

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에관한연구 도시 65.3%, 중소도시 67.0%, 비도시 71.1% 이다. 이와같이두기간사이에도시규모가클수록연평균상대습도의감소폭이크다. 즉전반기와후반기연평균상대습도의차이는대도시 -4.4%, 중소도시 -3.6% 인데반해비도시에서는 -0.7% 이다 (Table 1). 전지구적인기온상승과함께지역규모의기온상승도상대습도변화에영향을미칠수있다. Figure 2 는분석지점의연평균상대습도 7년이동평균을나타낸것이다. 그림에서볼수있듯이도시규모별로연평균상대습도의변화차이가뚜렷하다. 분석기간초기인 1950~60년대에는도시규모별연평균상대습도차이가적었으나후반기로갈수록차이가커지고있다. 초반기 10년 (1954~1963년) 동안의대도시와비도시의상대습도차이는 1.1% 이지만후반기 10년 (2002~2011 년 ) 의그차이는 6.5% 이다. 즉최근의도시와비도시사이의상대습도차이가더커졌다. 대도시의경우 1970년대중반까지상대습도의변화경향이뚜렷하지않지만, 그후감소경향이뚜렷하다. 1961년정부가경제개발을추진하면서부터도시화는급속하게전개되어, 1970년대대도시에집중된인구가전체인구의 77.7% 에이를정도로도시화가가속화되었으며 (Cho, 2003), 70년대이후도시화율의뚜렷한상승은상대습도의감소경향이 1970년대이후뚜렷한것과관련있는것으로판단된다. 중소도시의경우 1960년대중반까지는증가경향이지만, 1970년대중반이후대도시와같이감소경향이다. 비도시에서는증가와감소경향이반복되며, 도시에 서 1980년대이후감소경향이뚜렷한것과달리증가한후 1990년대중반부터감소하는경향이다. 연평균상대습도변화율도도시규모별로차이가명확하였으며, 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도시규모가클수록감소율이커서대도시 -0.16%/ 년, 중소도시 -0.11%/ 년, 비도시 -0.04%/ 년순이다. Table 1에서보듯전반기에비해후반기에연평균상대습도감소율이크며, 대도시에서이경향이뚜렷하였다. 즉, 전반기에비해후반기에도시의영향이큰것이라판단된다. Figure 3은관측지점별로연평균상대습도의변화율을나타낸것이다. 대체로도시규모가클수록상대습도변화율의감소경향이뚜렷하다. 이어서관측지점별로보면, 14개분석지점에서모두상대습도가감소하였다. 서울, 강릉, 울산, 포항, 전주, 인천, 대 Figure 2. The changes of annual relative humidity by city size. 도시규모별연평균상대습도변화 Figure 3. The rate of the change (%/year) of annual relative humidity in South Korea. Solid triangles represent trends significant at the 5% level. 연평균상대습도변화율 - 23 -

고명찬 이승호 구, 제주, 광주, 추풍령, 부산의연평균상대습도는유의수준 α=0.05에서유의하게감소하였으며, 여수와목포, 울릉도는감소경향이지만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Figure 3). 대도시인대구 (-0.203%/ 년 ) 와울산 (-0.202%/ 년 ) 에서감소경향이뚜렷하다. 전주 (-0.192%/ 년 ) 와서울 (-0.180%/ 년 ), 강릉 (-0.178%/ 년 ) 도상대습도의감소율이크다. 이에반하여비도시인추풍령의감소율은 -0.078%/ 년에불과하다. 연평균상대습도의감소경향은대체로지리적위치보다도시규모에따라차이가있다. 그러나부산은대도시임에도변화율이작았다. 이러한원인을 Kim et al.(2001) 은해풍의빈도가증가함에따라거대한수역으로부터습기가지속적으로공급되기때문으로평가하였다. 2) 시기별상대습도의변화 Lee and Heo(2011) 에의하면한국의기온은여름철보다겨울철에상승경향이뚜렷하다. 기온뿐만아니라계절별강수량차이가뚜렷한한국에서상대습도도계절별로변화경향을파악할필요가있다. 봄철상대습도는도시규모에관계없이 1970년대중반까지는뚜렷한변화가없었지만, 이후감소경향이며특히 1980년대이후감소경향이뚜렷하다. 이는연평균상대습도의변화경향과비슷하다. 비도시에서는 1980년대초반부터 1990년대중반까지상승경향이나, 이후급격하게감소하는경향이다 (Figure 4). 분석기간동안봄철상대습도변화율은대도시 -0.19%/ 년, 중소도시 -0.16%/ 년, 비도시 -0.07%/ 년순으로대도시에서더크며, 통계적으로유의하다. 여름철평균상대습도는대도시와중소도시에서완만한감소경향이나비도시에서는 1970년대중반까지상승경향이고이후로감소경향이뚜렷하다. 1980년대중반까지다시상승경향이다가 2000 년대초반급격한감소경향이다 (Figure 4). 분석기간동안여름철평균상대습도는변화율은대도시에서 -0.11%/ 년, 중소도시에서 -0.04%/ 년으로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하는경향이고, 비도시에서 Figure 4. The changes of seasonal relative humidity by city size. 도시규모별계절평균상대습도변화 - 24 -

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에관한연구 -0.02%/ 년으로증가하는경향이지만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가을철평균상대습도는 1970년대초반까지증가경향이지만이후로는감소경향이다. 비도시에서는증가와감소경향이반복되며 1990년대중반이후뚜렷하게감소하였다 (Figure 4). 분석기간동안가을철평균상대습도변화율은대도시 -0.13%/ 년, 중소도시 -0.10%/ 년, 비도시 -0.05%/ 년이며, 비도시에서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겨울철평균상대습도는 1970년대초까지증가경향이며이후감소경향이다. 도시에서 1990년대초부터감소경향이뚜렷하며비도시에서는 1990년대중반부터감소경향이다 (Figure 4). 분석기간동안겨울철평균상대습도변화율은대도시 -0.18%/ 년, 중소도시 -0.11%/ 년, 비도시 -0.06%/ 년으로통계적으로유의한결과이다. 계절평균상대습도변화율은건조한시기인봄철과겨울철에뚜렷하지만습도가높은여름철에는변화율이낮다. 이러한경향은 Jung et al.(2002) 과 Choi et al.(2008) 의연구에서한반도기온상승이봄철과겨울철에우세하며, 여름철에약하다고한것과일치하는결과이다. 즉기온상승폭이큰시기에상대습도가더낮아진것은기온상승으로상대습도값이낮아진것이라할수있다. 여름철에는집중되는강수로인해도시규모별상대습도변화율의차이가뚜렷하지않은것으로판단된다. 상대습도값이가장높은 7월에는도시규모에따른상대습도차이가크지않지만최소값이나타나는 1월에는도시규모별상대습도차이가컸다. 월평균상대습도가낮은시기인 1월에는대도시와비도시간의상대습도차이가 7.4% 이지만상대습도가높은 7 월에는 2.7% 이다. Choi et al.(2008) 의연구에서한반도겨울철평균기온상승률이여름철평균기온상승률보다뚜렷하며, 도시규모별차이를 Chung and Yoon(1999) 는도시가비도시보다평균기온상승률이두배이상크다고한것과관련있는것으로분석하였다. 즉겨울철평균기온상승률은도시규모에따라차이가크며, 이러한차이가겨울철에도시규모별상대습도차이를크게하는것으로판단된다. Figure 5. The changes of monthly relative humidity by city size. 도시규모별월평균상대습도변화율 (a: 대도시, b: 중소도시, c: 비도시 ) Figure 5 에서보면, 월평균상대습도변화율은장 마가끝나는 9 월부터감소경향이우세하며, 4 월에 감소율이가장크다. 5 월부터 8 월까지감소폭이점 차줄었다. 비도시에서는뚜렷하지않지만 8, 9, 10 월에증가경향이다. 월평균상대습도감소율이가 장큰 4 월과가장작은 8 월을분석하면, 4 월에대도시 -0.26%/ 년, 중소도시 -0.23%/ 년, 비도시 -0.14%/ 년으로감소하는경향이뚜렷하며, 통계적으로유 의하다. 반면 8 월에대도시 -0.08%/ 년, 중소도시 -0.06%/ 년으로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하는경 향이지만, 비도시는 8 월에 0.01%/ 년으로통계적으로 유의하게증가하는경향이다. 즉감소경향이뚜렷한 - 25 -

고명찬 이승호 Figure 6. The rate of the change (%/year) of monthly relative humidity in South Korea (a)april, (b)august. 4 월 (a) 과 8 월 (b) 의월평균상대습도변화율 4월에는도시규모별감소율차이가크지만, 감소율이작은 8월에는도시규모별그차이가작다. 4월에감소율이가장큰것은, Kwon(2004) 의연구에서와같이봄이되면일조량이증가하면서토양의수분이증발하기시작하지만, 강수량은많지않기때문에지표에서흡수된태양에너지가기온을상승시키고, 이에따라상대습도가낮아지는것으로판단된다. 상대습도감소율이가장큰 4월의평균상대습도변화율을관측지점별로보면, 울릉도를제외한전지점에서유의수준 α=0.05에서유의하게감소하였다 (Figure 6a). 특히대구 (-0.338%/ 년 ), 전주 (-0.332%/ 년 ), 울산 (-0.331%/ 년 ) 에서감소경향이뚜렷하다. 반면목포 (-0.106%/ 년 ) 와여수 (-0.164%/ 년 ) 에서는감소율이낮다.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2009) 은내륙지점이해안에인접한지점보다기온상승률이상대적으로높다고하였으며, 이러한경향이상대습도변화율분포에나타난것으로판단된다. 상대습도감소율이가장작은 8월평균상대습도변화율은목포, 여수, 울릉도를제외한전지점에서감소경향이다 (Figure 6b). 목포, 여수, 울릉도에서는증가경향이지만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강릉과울산의변화율이 -0.132%/ 년으로뚜렷하게감소하였다. 월평균상대습도는전반적으로감소경향이뚜렷하지만, 1973~2011 년문경의 8월평균상대습도변화율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증가하는경향이다. 문경에서상대습도가증가하는경향은평균기온의하 - 26 -

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에관한연구 Table 2. The changes of annual water vapor pressure by city size and period. 도시규모와기간별연평균수증기압변화 class periods first half-period (A) second half-period (B) B-A large city medium and small city rural average(hpa) 12.4 12.4 0 rate of the change (hpa/year) 0.003-0.019-0.022 average(hpa) 13.0 12.9 0.1 rate of the change (hpa/year) 0.011-0.005-0.016 average(hpa) 11.9 12.0 0.1 rate of the change (hpa/year) 0.006-0.014-0.020 *α=0.05significant,**α=0.01significant. 강과여름철극한기온지수의감소및겨울철극한기온지수의증가 (Lee and Heo, 2011) 와관련이있을것으로생각된다. 3) 연평균수증기압의변화상대습도의감소경향은도시규모별로차이가있다. 이러한차이가실제수증기량변화에서도동일한지파악하기위하여수증기압의시계열분석을하였다. 분석기간동안도시규모별연평균수증기압을보면대도시는 12.4hPa, 중소도시는 12.9hPa, 비도시는 11.9hPa 로도시규모에따른차이가명확하지않다. 전반기 (1954~1982년) 의연평균수증기압은대도시 12.5hPa, 중소도시 13.0hPa, 비도시 11.9hPa 이다. 후반기 (1983~2011 년 ) 연평균수증기압은대도시 12.3hPa, 중소도시 12.9hPa, 비도시 12.0hPa이다. 즉전반기에비하여후반기에약간감소하였으나, 비도시에서는 0.1hPa 증가하였다 (Table 2). 연평균수증기압은대도시보다중소도시에서크며, 도시규모와뚜렷한연관성이나타나지않는다. Figure 7은 14개지점연평균수증기압의 7년이동평균을나타낸것이다. 대도시와중소도시에서는감소경향이지만비도시에서는증가와감소경향이반 복된다. 연평균수증기압은도시규모에따라차이 가뚜렷하지않았다. 초반기 (1954~1963 년 ) 10 년동 안의대도시와비도시의수증기압차이는 0.7hPa 이 지만후반기 (2002~2011 년 ) 10 년의그차이는 0.4hPa 으로감소하였다. 대도시의경우 1960 년대초까지증 가경향이나, 이후전반적으로감소경향이우세하 다. 중소도시에서는 1970 년대초까지증가경향이지 만이후감소경향이다. 비도시에서는도시와다른경 향이다. 비도시에서는증가와감소경향이반복되며, 1980 년대중반부터 1990 년대중반까지증가경향이 Figure 7. The changes of annual water vapor pressure by city size. 도시규모별연평균수증기압변화 - 27 -

고명찬 이승호 는것으로보아도시규모에의한영향보다는지리적위치에따른영향을더크게받는다고판단된다. 연평균수증기압변화율을관측지점별로보면, 분석지점중울릉도, 여수, 포항, 목포, 인천, 부산에서증가경향이지만, 울릉도 (0.008hPa/ 년 ) 에서만유의수준 α=0.05 에서유의하게증가하였다. 반면, 광주, 서울, 대구, 제주, 추풍령, 울산, 강릉, 전주는감소경향이며, 전주, 강릉, 울산에서각각 -0.016hPa/ 년, -0.013hPa/ 년, -0.013hPa/ 년으로유의수준 α=0.05 에서유의하게감소하였다 (Figure 8). 4) 시기별수증기압의변화 Figure 8. The rate of the change (%/year) of annual water vapor pressure in South Korea. Solid triangles represent trends significant at the 5% level. 연평균수증기압변화율 우세하지만이후감소경향이뚜렷하다. 연평균수증기압변화율은도시규모별로차이 가있지만, 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1954~2011 년기간의변화율은도시규모가클수록크고대도시 (-0.004hPa/ 년 ), 중소도시 (-0.002hPa/ 년 ) 에서는감 소경향이나비도시 (0.002hPa/ 년 ) 에서는증가경향 이다. Table 2 에서보듯전반기에는수증기압이증가 경향이지만후반기에감소경향이다. 그러나도시규 모에따른차이가명확하지않고, 통계적으로유의하 지않았다. Figure 8 은관측지점의연평균수증기압의변화율 을나타낸것이다. 대체로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 록수증기압의감소경향이우세하다. 또한, 유의하 지는않지만증가경향이해안지점에서주로나타나 수증기압의변화를계절별로보면, 봄철에가장큰감소경향을보였으며, 도시가비도시보다뚜렷하다. 봄철대도시와중소도시에서는분석기간동안감소하는경향이지만, 비도시에서는 1990년중반까지증가하며이후감소하는경향이다. 분석기간동안봄철평균수증기압변화율은대도시에서 -0.009hPa/ 년이고, 중소도시에서 -0.010hPa/ 년, 비도시에서 -0.002hPa/ 년으로도시규모에따른차이가명확하지않으며, 비도시에서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겨울철평균수증기압은대도시에서는감소경향이고, 중소도시와비도시에서는증가경향이다. 도시와비도시에서모두증가경향과감소경향이반복되지만, 1990년대초부터 2000년대말까지감소경향이우세하다. 겨울철평균수증기압은도시규모에따른뚜렷한특징은없다. 분석기간동안겨울철평균수증기압변화율은도시규모별로각각 -0.001hPa/ 년, 0.001hPa/ 년, 0.003hPa/ 년으로변화경향이명확하지않으며, 결과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봄철과겨울철평균수증기압은남부지방에위치한제주, 목포, 부산, 광주, 전주등의지점에서높고, 중부지방에위치한서울, 인천, 추풍령등의지점에서낮다. 계절별수증기압은도시규모에의한영향보다지리적위치에의한영향을크게받는것으로판단된다. Cho and Lee(2011) 는봄철영서지방의고온건조한상태를초래하는오호츠크해고기압의출현일수가증가한다고하였으며, 이는봄철중부지방과남부 - 28 -

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에관한연구 지방의수증기압의차이를가져올수있다. Lee and Chun(2003) 은겨울철시베리아고기압에의한북서계절풍이해수와상층공기간의온도차로인한바다효과와노령산맥을만나기류가강제상승함으로호남지방의대설이발생하며, 이는호남지방의겨울철평균수증기압이중부지방에비해높은값을가지는원인이될수있다. 계절별평균수증기압은여름철에최대값이다. 대도시에서수증기압은전반기에비하여후반기에감소하는경향이우세하다. 반면중소도시와비도시에서는점차증가하는경향이다. 여름철평균수증기압은도시에서증가와감소경향이반복되다가 2000년대말부터다시증가하는경향이다. 분석기간동안여름철평균수증기압변화율은도시규모별로각각 -0.006hPa/ 년, -0.001hPa/ 년, 0.000hPa/ 년으로뚜렷하지않으며, 결과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가을철평균수증기압은도시와비도시에서모두증가경향이며, 증가경향은도시보다비도시에서뚜렷하다. 분석기간동안전반적으로증가경향이지만 1970년대초부터 1990년대중반까지는감소경향이다. 비도시에서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초에증가경향이뚜렷하다. 가을철평균수증기압변화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분석기간동안가을철평균수증기압변화율이대도시에서 0.003hPa/ 년, 중소도시에서 0.003hPa/ 년, 비도시에서 0.009hPa/ 년으로비도시에서가장뚜렷하지만, 결과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다. 월평균수증기압의변화도도시규모별차이가뚜렷하지않다. 월평균수증기압이낮은시기인 1월에는대도시와비도시간의수증기압차이가 -0.3hPa 이지만, 수증기압이높은 8월에는 1.2hPa이다. 수증기압의최대값이나타나는 8월에는도시에서비도시보다수증기압이높지만최소값이나타나는 1월에는비도시에서수증기압이높다. Figure 9에서보면, 월별수증기압변화율이증가와감소하는경향이반복된다. 6월, 9월, 10월에증가경향이우세하고, 4월과 7월에감소경향이뚜렷하다. 도시와비도시에서모두 4월에감소하는경향이뚜렷하며, 대도시 -0.020hPa/ 년, 중소도시 -0.021hPa/ 년, 비도시 -0.010hPa/ 년이다. 대도시 와중소도시에서만통계적으로유의하다. 반면증가 하는경향은대도시와비도시에서 10 월, 중소도시에 서는 6 월에뚜렷하다. 10 월에대도시에서 0.007hPa/ 년, 비도시 0.016hPa/ 년이고, 중소도시에서는 6 월에 0.010hPa/ 년으로비도시에서증가경향이우세하다. 증가하는경향은비도시에서만통계적으로유의하 다. Figure 9. The changes of monthly water vapor pressure by city size. 도시규모별월평균수증기압변화율 (a: 대도시, b: 중소도시, c: 비도시 ) 수증기압감소율이가장큰 4 월평균수증기압변 화율을관측지점별로보면, 울릉도를제외한전지 점에서감소하였다. 강릉, 서울, 추풍령, 대구, 전주, 울산, 광주, 제주에서는유의수준 α=0.05 에서유의 - 29 -

고명찬 이승호 Figure 10. The rate of the change (%/year) of monthly water vapor pressure on April in South Korea. Solid triangles represent trends significant at the 5% level. 4 월평균수증기압변화율 하게 4 월평균수증기압이감소하였다 (Figure 10). 특 히전주 (-0.042hPa/ 년 ), 대구 (-0.029hPa/ 년 ), 울산 (-0.028hPa/ 년 ) 에서감소경향이뚜렷하다. 해안에 위치한포항, 부산, 여수, 목포, 인천, 울릉도등의수 증기압변화율이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은반면, 감 소경향이뚜렷한내륙지점에서는통계적으로유의 하다. 연평균수증기압분석에서와같이, 해안에위 치한지점에서는수증기의지속적인공급으로인해 수증기압의변화가크지않은것으로판단된다. 5) 습윤일과건조일의변화 한국에서기온상승과함께상대습도는대부분기 상관측지점에서감소하는경향이다. 특히최근에감 소경향이뚜렷하다. 도시규모에따라실제습한날 Figure 11. The changes of annual humid day(a) and dry day(b) by city size. 도시규모별연평균습윤일 (a) 과건조일 (b) 의변화 과건조한날의변화차이를파악하기위하여습윤일 과건조일의변화를분석하였다. Figure 11 은연평균습윤일과건조일변화를 7 년 이동평균하여나타낸것이다. 습윤일은대도시에서 1980 년대초부터 1980 년대말까지증가경향이지만, 분석기간전체적으로보면감소경향이뚜렷하다. 중 소도시는 1970 년대초까지증가경향이지만, 그후 감소경향이뚜렷하다. 비도시는증가와감소경향이 반복된다. 비도시의습윤일은 1970 년대초까지증가 경향이지만, 1980 년대초까지는감소경향이다. 다시 1990 년대초까지급격한증가경향이며, 그후감소 경향이다. 이와같이습윤일은대도시에서뚜렷하게 감소하여도시규모에따른차이가작아졌다. 건조일은대도시에서 1980 년대초까지뚜렷한경 향성이보이지않지만, 그후증가경향이뚜렷하다. 중소도시에서는 1970 년대초까지건조일이감소하 - 30 -

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에관한연구 Table 3. The changes of humid day and dry day by city size and period. 도시규모와기간별습윤일과건조일의변화 class periods first half-period (A) second half-period (B) B-A humid day (%) dry day (%) large city 11.9** 8.1-3.8 medium and small city 11.7 8.3-3.4 rural 10.6 9.4-1.2 large city 5.6** 14.4** 8.8 medium and small city 5.7 14.2** 8.5 rural 8.9 11.3** 2.4 * α=0.05 significant, ** α=0.01 significant. 는경향이고, 그후증가경향이뚜렷하다. 비도시에서는증가와감소경향이반복된다. 1970년대중반까지감소경향이지만, 1980년대초까지는급격한증가경향을보인다. 다시 1990년대중반까지감소경향이고, 그후급격한증가경향이다. 이상에서볼수있듯이분석지점에서연평균습윤일은전반적으로감소하며, 건조일은증가하는경향이다. 또한습윤일의감소율보다건조일의증가율이크며이는건조한봄철과겨울철에상대습도가뚜렷하게감소하고있음을보여준다. 도시규모가클수록습윤일의감소율과건조일의증가율이크기때문에도시규모에따른건조경향을잘보여준다고할수있다. 전반기와후반기연중습윤일비율의차이는대도시 -3.8%, 중소도시 -3.4%, 비도시 -1.2% 이고, 건조일의비율차이는대도시 8.8%, 중소도시 8.5%, 비도시 2.4% 이다. 대도시와중소도시에서습윤일의감소와건조일의증가가뚜렷하며, 습윤일이감소하는경향보다건조일이증가하는경향이우세하였다 (Table 3). 즉습도의감소하는경향은습윤한여름철보다건조한봄철과겨울철에뚜렷하다고판단된다. 도시규모에따른건조율의차이는도시화에따른기온상승과지표면피복차이에의한것이라고볼수있다 (Yoon, 2001). 도시화에의한기온상승은포화수증기압차이를가져오므로상대습도가감소할수있다. Landsbergs(1981) 는아스팔트등으로포장된도시의불투수층은강수가하수도를통해하천으로빠 르게흘러가도록유도하며, 이는증발산량의감소로상대습도의감소에영향을끼친다고하였다. 4. 토의및고찰 한국의도시규모별상대습도변화는기온상승경향과비슷한추세로변한다. 즉, 도시규모가클수록상대습도의감소경향이뚜렷하다. 그러나도시규모에따른수증기압의변화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없다. 한국의기온상승이상대습도감소경향에직접적으로영향을미치는지파악하고, 상대습도의감소경향이실제수증기량에서도나타나는지파악하기위하여평균기온과상대습도, 수증기압과상대습도의상관관계를분석하였다. 도시규모별로기온상승에따른상대습도변화특성을분석하기위하여평균기온을독립변수로, 상대습도를종속변수로회귀분석을하였다. Figure 12 는평균기온 (x) 과상대습도 (y) 의관계를도시규모별로나타낸것이다. 대도시에서두변수사이의식은 y= -2.774x+104.050 으로, 기온이 1 상승할때상대습도는약 2.8% 감소한다. 이식의결정계수 (r 2 ) 는 0.401 으로 40.1% 의설명력을보인다. 대도시에서상대습도와평균기온사이의상관계수 (r) 는 -0.633으로비교적높은음의관계가있다. 중소도시에서는기온이 1 상승할때상대습도는약 2.0% 감소하며결 - 31 -

고명찬 이승호 Figure 12. Correlations of annual relative humidity and mean temperature by city size. 도시규모별연평균상대습도와평균기온의관계 (a: 대도시, b: 중소도시, c: 비도시 ) Figure 13. Correlations of annual relative humidity and water vapor pressure by city size. 도시규모별연평균상대습도와수증기압의관계 (a: 대도시, b: 중소도시, c: 비도시 ) 정계수 (r 2 ) 는 0.201으로 20.1% 의설명력을보인다. 중소도시에서상대습도와평균기온의상관계수 (r) 는 -0.448 이다. 도시규모가클수록평균기온과상대습도의상관계수가큰것은도시규모에따른기온상승의차이가상대습도감소경향에직접적으로반영되는것으로판단된다. 대구를대상으로한연구 (Lee and Hong, 2007) 에서기온분포는도심에서최고기온을보이고주변으로갈수록낮아졌으며, 상대습도는도심의광범위한지역에서낮은영역이형성되며, 주변으로갈수록증가한다고밝힌바있다. 이와같이상대습도는평균기온이높은도시에서가장낮으며, 평균기온이낮은비도시에서높다. 이는상대습도와기온이직접적인상관관계가있음을보여준다. 비도시에서의낮 - 32 -

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에관한연구 은설명력과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은결과는상대습도가기온뿐만아니라도시와다른지표면의피복상태, 수증기배출원등의영향이작용하는것으로보인다. 도시규모별수증기압의변화에따른상대습도변화특성을파악하기위하여, 수증기압을독립변수로상대습도를종속변수로회귀분석을시행하였다. Figure 13은수증기압과상대습도사이의관계를도시규모별로나타낸것이다. 대도시에서수증기압이 1hPa 증가할때상대습도는약 2.7% 증가하며, 상관계수 (r) 는 0.355이다. 중소도시에서는수증기압이 1hPa 증가할때상대습도는약 2.5% 증가하며, 상관계수 (r) 는 0.456 이다. 비도시에서는수증기압이 1hPa 증가할때상대습도는약 2.4% 증가한다. 결정계수 (r 2 ) 는 0.265 으로 26.5% 의설명력을가지며, 상관계수 (r) 는 0.514 이다. 상대습도와수증기압의회귀분석결과두요소사이에설명력은낮다. 도시규모가클수록높은상관관계를가지는기온과상대습도분석결과와는다르게수증기압과상대습도의상관관계는도시규모가작을수록높은설명력과상관관계를보인다. 이는실제수증기량의변화는상대습도와는다르게도시규모에따라상관관계가명확하지않다는것을의미한다. 기온상승은도시화영향이클수록뚜렷하며, 습도의감소경향에도영향을미친다. 도시규모를결정하는인구와극한기온지수의관계는 Lee and Heo(2011) 은인구와극한기온지수의변화사이에관련성이있으며, 이는기온상승에도시화영향이반영되고있다고하였다. 이를통해도시규모를결정하는인구의차이가기온상승차이를가져오며, 상대습도의감소경향과관련성이있음을유추할수있다. 또한도시와비도시간지표면피복차이도도시규모별습도차이를야기한다. 도시의지표면은대부분아스팔트나콘크리트로덮여있으나비도시에서는토양으로덮여있다. 도시의지표면피복상태는강수현상에의한물을흡수하지못하고그대로하수도로흘려보내기때문에오랜시간지표에남아대기에수증기를공급하지못한다. 반면, 비도시에서의토양으로덮인피복은강수에의한물을흡수하여대기중으 로수증기를공급한다. 이러한차이는도시보다비도시에서습도의감소경향이뚜렷하지않은원인이될수있다. 이는지표면피복과습도와의관련성을파악한결과저습역은포장면및나지주변에서, 고습역은수림지및수면주변에서형성된다는연구결과 (Yoon, 2001) 와관련지어볼수있다. 5. 요약및결론 이연구에서는한국의도시규모별상대습도의변화를분석하고기온상승에따른상대습도의변화가실제수증기량의변화에서도나타나는지규명하고자하였다. 이를위하여도시규모별상대습도와수증기압의시기별변화와평균기온과상대습도, 수증기압과상대습도의관계를분석하여다음과같은결과를얻었다. 한국에서연평균상대습도변화는전반적으로감소경향이며, 도시규모가클수록감소경향이뚜렷하다. 또한연평균상대습도의감소경향은전반기보다도시화가급속히진행된후반기에뚜렷하다. 계절별로는봄과겨울철에상대습도의감소경향이뚜렷하고, 여름철에는변화율이작다. 연평균수증기압은도시규모에의한차이가명확하지않으며, 도시에서는감소경향이우세하지만, 비도시에서는증가와감소경향이반복되며전반적으로증가하는경향이다. 수증기압은도시규모보다관측지점이위치한지리적조건에따라영향을받는다. 해안에위치한지점보다내륙에위치한지점에서감소경향이우세하다. 도시규모가클수록평균기온과상대습도의상관관계가높다. 상대습도와수증기압의상관관계는도시규모에따라명확하지않다. 이는도시규모에따른기온상승차이는상대습도의감소경향에직접적인영향을미치지만, 상대습도의감소경향이실제수증기량을의미하는수증기압의감소와는관련성이적다고할수있다. 이상의결과를통하여한국에서상대습도변화는 - 33 -

고명찬 이승호 전지구적인기온상승과함께지역규모의기온상승 영향을받는것을확인할수있다. 상대습도는도시 의규모가클수록감소경향이명확할뿐만아니라일 반적인도시기온의변화경향과상당히일치한다. 이 는상대습도의변화가전지구적인기온상승의영향 뿐만아니라도시효과의영향도크게받고있음을보 여주는것이다. 그러나실제수증기량을나타내는수 증기압의변화는상대습도의변화와는다르게명확 하지않다. 기온상승과함께상대습도의변화는농수 산물보관 저장업, 과학연구분야, 미용산업그뿐 만아니라산불등의재해에도영향을미칠수있으 며 (Ahn et al., 2009; Lee et al., 2009; Lee et al, 2011), 이와관련된피해를방지하기위해서최근감소경향 이뚜렷한도시규모별상대습도에대한대비가필요 할것이다. 또한추후도시규모뿐만아니라해양과의 거리등지리적위치와주 야간일변화에의한상대 습도의변화차이등에대하여연구할필요가있다. 주 1) 여기서도시규모는도농통합이전시점에서각관측지점 을포함하는행정단위의 2010 년인구센서스를기준으로 인구 100 만이상을대도시, 100 만미만의도시를중소도 시, 5 만이하를비도시로구분하였다. 참고문헌 Adebayo, Y., 1991, Day-time effects of urbanization on relative humidity and vapour pressure in a tropical city,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43(1-2), 18-30. Ahn, D., Han, S., Kim, K., and Choi, Y., 2009, Experimental analysis for variation of pressure difference on flooding in PEM fuel cell at cathode channel outlet,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20(5), 390-396 (in Korean). Arnfield, A. J., 2005, Micro- and mesoclimatology,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9(3), 426-437. Chandler, T., 1967, Absolute and relative humidities in town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48, 394-399. Cho, M., 2003, Trend and prospect of urbanization in Korea: Reflections on Korean cities, Economy and Society, 60, 10-39 (in Korean). Cho and Lee, 2011, A study o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variations of Okhotsk High: focused o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6(1), 36-49 (in Korean). Choi, G., Kwon, W. T., Boo, K. O., and Cha, Y. M., 2008, Recent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3(5), 681-700. Choi, S., 1988, A study on relative humidity in major cities of Korea, Jangan Geography, 3(1), 78-99 (in Korean). Chung, Y. S. and Yoon, M. B., 1999, Recent climate change and related factors observed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5(3), 309-318. Dai, A., 2006, Recent climatology, variability, and trends in global surface humidity, Journal of Climate, 19, 3589-3606. Deosthali, V., 2000, Impact of rapid urban growth on heat and moisture islands in Pune City, India, Atmospheric Environment, 34, 2745-2754. Elliott, W. P., 1995, On detecting long-term changes in atmospheric moisture, Climatic Change, 31, 349-367. Holmer, B. and Eliasson, I., 1999, Urban-rural vapour pressure differences and their role in the development of urban heat isl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19, 989-1009. Hulme, M., Marsh, R., and Jones, P. D., 1992, Global changes in a humidity index between 1931-60 and 1961-90, Climate Research, 2, 1-22. Jauregui, E. and Tejeda, A., 1997, Urban-rural humidity contrasts in Mexico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17, 187-196. - 34 -

한국의도시규모별습도변화에관한연구 Jung, H. S., Cho, T., Oh, J. H., and Lim, G. H., 2002, Recent trend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2, 1327-1337. Kim, J. B., Kang, S. M., Doe, G. Y., and Lee, H. S., 2001, A study on climate in Busan area, Proceedings on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conferences, 1, 271-276 (in Korean). Kuttler, W., Weber, S., and Schonnefeld, J., 2007, Urban/ rural atmospheric water vapour pressure differences and urban moisture excess in Krefeld,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7, 2005-2015. Kwon, W.-T., 2004, Climate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Seoul (in Korean). Landsberg, H., 1981, The Urban Climate. Geophysical Series, Academic Press, London. Lee, J.-M., Lim, S.-W., Cho, S.-H., Choi, S.-G., Heo, H.- J., and Lee, S.-C.,., 2009, Effect of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green tea powd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1), 83-88 (in Korean). Lee, K.-G. and Hong, W.-H., The study on the heat island and cool island according to trend toward higher temperature in urban - case study of Taegu metropolitian city-, 2007,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8), 219-228 (in Korean). Lee, S. and Chun, J.-H., 2003, The distribution of snowfall by Siberian High in the Honam region-empha- empha- sized on the Westward region of the Noryung mountain ranges-,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38(2), 173-183 (in Korean). Lee, S. and Heo, I., 2011, Impacts of urbanization on changes of extreme everts of air temperature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6(3), 257-276 (in Korean). Lee, S.-Y., Park, H.-S., Kim, Y.-W., Yun, H.-Y., and Kim, J.-K., 2011, The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forest fire characteristics and weather phase in Jeollanam-do region,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5(4), 29-35 (in Korean). Liu, W., You, H., and Dou, J., 2009, Urban-rural humidity and temperature differences in the Beijing area,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96, 201-207. Mayer, H., Matzarakis, A., and Iziomom, M. G., 2003,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moisture conditions within the urban canopy layer,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76, 165-179. NIMR(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09,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2,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resent and future: Focused on research performance b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Seoul ( 국립기상연구소, 2009, 기후변화이해하기 2: 한 반도기후변화 : 현재와미래 : 국립기상연구소연 구성과를중심으로, 기상연구소, 서울 ). Park, M.-H., Lee, J.-S., Ahn, J.-S., Shu, Y.-S., Han, I.- S., and Kim, H.-D., 2012, Study on the climate change and the urbanization effect in Bu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4), 401-409 (in Korean). Seo, Y.-W., Lee, S.-S., and Ha, K.-J., 2010, Changes i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ree major cities in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5(3), 175-188. Sherwood, S. C., Ingram, W., Tsushima, Y., Satoh, M., Roberts, M., Vidale, P. L., and O`Gorman, P. A., 2010, Relative humidity changes in a warmer climat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5, D09104. Trenberth, K. E., Jones, P. D., Ambenje, P., Bojariu, R., Easterling, D., Klein Tank, A., Parker, D., Rahimzadeh, F., Renwick, J. A., Rusticucci, M., Soden, B., and zhai, P., 2007, Observations: Surface and atmospheric climate change. In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1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Solomon, S., Qin, D., Manning, M., Chen, Z., Marquis, M., Averyt, K. B., Tignor, M., and Miller, H. 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Um, H.-H., Ha, K.-J., and Lee, S.-S., 2007, Evaluation - 35 -

고명찬 이승호 of the urban effect of long-term relative humidity and the separation of temperature and water vapor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7(11), 1531-1542. Um, H.-H., Ha, K.-J., and Moon, S.-E., 1997, The urban effect on the change of relative humidity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3(1), 127-135 (in Korean). Unkašević, M., Jovanović, O., and Popović, T., 2001, Urban-suburb/rural vapour pressure and relative humidity differences at fixed hours over the area of Belgrade city,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68, 67-73. Wang, H., Cole, L., Carlson, D. J., Miller, E. R. Beierle, K., Paukkunen, A., and Laine, T. K., 2002, Corrections of humidity measurement errors from the Vaisala RS80 radiosonde Application to TOGA COARE data, Journal of Atmosphere and Oceanic Technology, 19, 981-1002. Yoon, Y., 2001, Comparison study of air temperature by green condition and relative humidity,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15(3), 111-118 (in Korean). 교신 : 이승호, 건국대학교지리학과 기후연구소교수 ( 이메일 : leesh@konkuk.ac.kr, 전화 : 02-450-3380) Correspondence: Seungho Le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Climate Research Institute, Konkuk University (e-mail: leesh@konkuk.ac.kr, phone: 02-450-3380) 최초투고일 2013. 1. 30 수정일 2013. 2. 16 최종접수일 2013. 2. 21-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