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8오강진

Similar documents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DBPIA-NURIMEDIA

1..

hwp


04_이근원_21~27.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歯1.PDF

012임수진

DBPIA-NURIMEDIA

Àå¾Ö¿Í°í¿ë ³»Áö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Can032.hwp

12이문규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 C6AFC1FD28B1C7C7F5C1DF292E687770>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139~144 ¿À°ø¾àħ

03-ÀÌÁ¦Çö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Research Subject


서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1-16 DOI: * A Study on Good School

00내지1번2번

Æ÷Àå½Ã¼³94š

00표지

Lumbar spine


00 표지.indd

274 한국문화 73

DBPIA-NURIMEDIA

.,,,,,,.,,,,.,,,,,, (, 2011)..,,, (, 2009)., (, 2000;, 1993;,,, 1994;, 1995), () 65, 4 51, (,, ). 33, 4 30, (, 20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313120B9DABFB5B1B8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레이아웃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í¼®ÁÖ Ãâ·Â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Ç°�°úÁúº´6-2È£

<BABBB9AE2E687770>

공급 에는 3권역 내에 준공된 프라임 오피스가 없었다. 4분기에는 3개동의 프라임 오피스가 신규로 준공 될 예정이다.(사옥1개동, 임대용 오피스 2개동) 수요와 공실률 2014년 10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2014년 경제성장률 예측치는 3.5%로 지

( )Kjhps043.hwp

ePapyrus PDF Document

ÀÌÁÖÈñ.hwp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γ

<31382D322D3420BDC5B1D4C8AF5FB3EDB9AE28C3D6C1BEBABB292E687770>

00약제부봄호c03逞풚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C0CEBCE2BFEB5FBFACB1B85F D32322D3528BAAFBCF6C1A4295F FBCF6C1A4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레이아웃 1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02À±¼ø¿Á

±³º¸¸®¾óÄÚ

03이경미(237~248)ok

DBPIA-NURIMEDIA

10(3)-09.fm


44-4대지.07이영희532~

DBPIA-NURIMEDIA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DBPIA-NURIMEDIA

A 617

173*243-³»Áö-1Æí-ÃÖÁ¾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Ç°�°úÁúº´5-44È£ÃÖÁ¾

Jkcs022(89-113).hwp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Output file

정진명 남재원 떠오르고 있다. 배달앱서비스는 소비자가 배달 앱서비스를 이용하여 배달음식점을 찾고 음식 을 주문하며, 대금을 결제까지 할 수 있는 서비 스를 말한다. 배달앱서비스는 간편한 음식 주문 과 바로결제 서비스를 바탕으로 전 연령층에서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반면,




석사논문.PDF

433대지05박창용

Transcription:

대한응급의학회지제 22 권제 3 호 Volume 22, Number 3, June, 2011 원 저 국내감압병치료를위한고압챔버현황기초조사 해군해양의료원 오강진 최성우 박준식 이승욱 A Study on Hyperbaric Chambers for Treating Decompression Sickness in the Republic of Korea Kang-Jin Oh, Ph.D., Seong-Woo Choi, M.D., Ph.D., Jun-Sik Park, Seng-Uk Lee Purpos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underwater activity, the number of people at risk for decompression sickness has greatly increased. However, an organized medical system for emergency treatment, evacuation, and hyperbaric oxygen therapy of decompression sicknes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We collected information about domestic hyperbaric chambers available for treating decompression sickness. Methods: We identified 95 hyperbaric chambers in hospitals, hydrospace construction corporations, military, maritime police, 119 rescue services, and other organizations through a telephone survey. We visited the 95 chambers and collected information about location, operating institutes, chamber specifications, and operational status. Twenty-four oxygen capsul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of inadequate working pressure. Results: Seventy-one hyperbaric chambers available for hyperbaric oxygen therapy were identified among 59 organizations. The hyperbaric chambers were distributed evenly along coastal lines; that is, 21 on the east coast, 26 on the west coast, 21 on the southern coast, and three on Jeju Island. Thirty-eight chambers with maximal working pressure of 5 atm could be used for severe decompression sickness and arterial gas embolism treatment. Twenty-nine 책임저자 : 최성우강원도동해시송정동 604-20-13호 1함대의무대 Tel: 033) 539-6700 E-mail: schoi71@chol.com 접수일 : 2011년 3월 21일, 1차교정일 : 2011년 4월 5일게재승인일 : 2011년 4월 20일 연구비수혜 : 국방부군진의학연구비 ( 09 년 ) 원저 253 chambers had a seating capacity equal to-or more than three patients. Twenty-eight chambers had two or more compartments; thus, they could handle complex medical situations. Thirty-eight chambers with medical locks were useful for severe decompression sickness treatment. Conclusion: A sufficient number of domestic hyperbaric chambers available for treating decompression sickness were distributed evenly along the coastal lines. However, potential barriers need to be overcome to establish an efficient decompression sickness treatment system. Key Words: Diving, Decompression Sickness, Hyperbaric oxygenation therapy Maritime Medical Center, Republic of Korea Navy, Jinhae, Korea 서 최근국내에서는각종해양레저스포츠또는수중산업활동의증가로인해잠수활동인구가증가하는추세이다. 각종조사자료에의하면국내에서활동하고있는잠수인구는수중공사등산업잠수종사자약 1,040 1,380명, 수산물채취등수산업과관련된어업잠수종사자약 1,180 1,900명, 해양레져스포츠를즐기는스쿠버다이버약 250,000명으로추정하고있다 1-3). 수중에서의잠수활동은각종안전사고의위험을동반하고있으며특히수심에서압력에노출된후감압절차를제대로준수하지않을경우감압병발생위험이매우높다. 감압병은인체가고기압환경에서고압기체를흡입하다저기압환경으로변화될때체내에용해되어있던불활성기체가적절하게배출되지못하고기포를형성하여인체조직이나혈관에영향을주거나혈액순환을방해함으로서발생하는다양한증상을의미한다 4). 잠수활동인구에서최근 1 년간감압병증상경험실태를조사한결과, 산업잠수사는 19.6%, 스쿠버다이버는 18.0%, 수산물채취어업잠수사는 65.1 84.7% 으로다양한수준의증상경험률을나타내고 론

254 / 대한응급의학회지 : 제 22 권제 3 호 2011 있다 1,2,5,6). 그러나재가압챔버를이용하여치료를받은경험이있는환자는산업잠수사의경우 16.7%, 스쿠버다이버는 5.8% 이며, 어업잠수사 31.2 58.4% 에불과해감압병증상을경험한상당수가적절한치료를받지않은것으로추정할수있다 1,2,5,6). 감압병은신체의여러부위에영향을미칠수있으며, 신경계, 호흡기계및순환기계등을침범한경우에는빠른시간내에처치를하지않으면생명을위협하거나심각한후유증을남기는응급질환이다. 감압병의결정적인치료법은재가압이며고압산소챔버를이용한재가압산소치료가가장좋은치료방법으로알려져있다. 따라서감압병진단이내려지거나의심되는경우에는최대한빠른시간내에환자를치료할수있는재가압챔버로이송해야한다 7,8). 그러나불행히도국내에는재가압챔버를갖춘인가된감압병치료시설과관련의료인력이극소수에불과하다. 현재일부종합병원에서일인용고압산소치료기를운영하고있고, 일부잠수기수산업협동조합 ( 이하잠수기조합 ) 및수중공사업체등에서도소규모의고압챔버를운영하고있다고알려져있으나, 이들고압챔버들이감압병치료에사용가능한재가압챔버의역할을수행할수있는지에대한공식적인통계자료는없는실정이다. 또한잠수관련질환이발생하였을경우응급처치및후송을실시하기위한응급의료체계조차확립되지않아잠수관련질환에대한국가적인대처가매우미흡한상태이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현재국내에서운영중인고압챔버의현황을조사하고, 감압병치료와관련한이들챔버의운용능력을파악하는것을목표로하였다. 그리고챔버에지역적인개념을연계하여향후국내감압병환자의후송및응급의료체계구축을위한기초자료를제시하고자하였다. 대상과방법먼저우리나라에서고압챔버를운영하고있는기관및업체를파악하기위해 2009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1개월동안전화확인작업을실시하였다. 대상은 2009. 6. 31일현재대한병원협회및대한한방병원협회에등록된총 2,363개의병원급이상의료기관전체와대한전문건설업협회의수중공사업협의회에등록된 403개수중공사업체, 챔버를운영하는일부잠수기조합, 그리고산업잠수관련교육기관및스쿠버다이빙업체, 해군, 공군, 해경, 중앙119소방대등이었다. 각기관및업체의담당자를대상으로전화확인한결과전국적으로총 95기의고압챔버를보유및운영중인것으로파악하였다. 전화통화로확인된고압챔버 95기를대상으로 2009년 8월부터 9월까지 2개월동안조사자가직접현장을방문하여확인작업을실시하였다. 챔버운영담당자를대상으로기입식조사지를이용하여일반현황, 챔버제원, 운영현황에관한정보를수집하였다. 일반현황은챔버운영기관의소재지, 의료 / 비의료기관여부, 응급의료기관지정여부등의정보를포함하였다. 챔버제원은챔버도입연도, 운영압력, 가압및호흡기체, 내부수용인원, 격실형태, 고정형태, 통신장치및내부감시장치등에관한내용이었다. 운영현황은주요이용현황, 운영자, 운영자자격관련교육유무, 치료표적용등을포함하였다. 현장조사를통해감압병치료가가능한챔버운영압력이 2 atm 이상인고압챔버는 71기로조사되었고, 운영압력이 0.28 atm(=4 psi) 이하의산소캡슐형치료기 24기는감압병치료에활용할수없으므로제외하였다. 결과우리나라에서는 59개기관에서총 71기의감압병치료에활용가능한고압챔버를보유하고있었다. 보유기관별현황은전국 29개병원 ( 군병원포함 ) 에서 38기, 수중공사업체 7기, 군 16기, 해경 1기, 중앙119구조대 1기, 잠수기조합 3기, 산업잠수전문교육기관 3기, 그리고스쿠버다이빙업체에서 2기를운영하고있었다 (Table 1). 잠수작업이주로이루어지고있는해안별로나누면동해안에 21기, 서해안 26기, 남해안 21기, 제주해안에 3기등전국해안별로균등하게분포하고있었으며 (Table 1), 세부적인위 Table 1. Distribution of hyperbaric chambers by operating units and location, N (%) East coast West coast Southern coast Jeju coast Total Medical institute* 11 (52.4) 21 (80.8) 03 (14.3) 3 (100.0) 38 (053.5) Hydrospace construction Corporation 02 (09.5) 03 (11.5) 02 (09.5) - 07 (09.9)0 Military, Maritime Police, 119 Rescue Service 03 (14.3) 01 (03.8) 14 (66.7) - 18 (025.3) Others 05 (23.8) 01 (03.8) 02 (09.5) - 08 (011.3) Total 21 (29.6) 26 (36.6) 21 (29.6) 3 (04.2)0 71 (100.0) * : Including Military Hospitals : Federation of Diving & Fisheries Co-operatives, Educational Institutes of Industrial Diving, and SCUBA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Diving Shops

오강진외 : 국내감압병치료를위한고압챔버현황기초조사 / 255 치는 Fig. 1 에표시하였다. 챔버도입시기를이용하여분류하면 2000 년이후도입 되어운영하고있는챔버가총 40 기 (56.4%) 이었고 1989 년이전에도입되어 20년이상사용하고있는챔버도 14 기 (19.7%) 가있었다. 최대운영압력이 2~4 atm의범위로경증감압병치료에 Fig. 1. Detailed location of hyperbaric chambers.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hyperbaric chambers by location, N (%) East Coast West Coast Southern Coast Jeju Coast Total Max. working pressure (atm) 2-4 10 (47.6) 20 (76.9) 02 (09.5) 1 (33.3) 33 (046.5) 5-0 11 (52.4) 06 (23.1) 19 (90.5) 2 (66.7) 38 (053.5) Patient seating capacity (person) 1-2 14 (66.7) 20 (76.9) 07 (33.3) 1 (33.3) 42 (059.1) 3-4 05 (23.8) 04 (15.4) 04 (19.0) 1 (33.3) 14 (019.7) 5-0 02 (09.5) 02 (07.7) 10 (47.6) 1 (33.3) 15 (021.2) Type of compartment Single 14 (66.7) 20 (76.9) 08 (38.1) 1 (33.3) 43 (060.6) Double 06 (28.6) 06 (23.1) 10 (47.6) 2 (66.7) 24 (033.8) Multiple 01 (04.8) 03 (14.3) 04 (05.6)0 Medical lock Yes 10 (47.6) 06 (23.1) 20 (95.2) 2 (66.7) 38 (053.5) No 11 (52.4) 20 (76.9) 01 (04.8) 1 (33.3) 33 (046.5) Fixing form Fixed 04 (19.0) 02 (07.7) 11 (52.4) 2 (66.7) 19 (026.8) Mobile 14 (66.7) 20 (76.9) 07 (33.3) 1 (33.3) 42 (059.1) Container 03 (14.3) 04 (15.4) 03 (14.3) - 10 (014.1) Total 21 (29.6) 26 (36.6) 21 (29.6) 3 (04.2) 71 (100.0)

256 / 대한응급의학회지 : 제 22 권제 3 호 2011 사용가능한챔버는 33기 (46.5%) 로모두의료기관에서운영하고있었다 (Table 2). 이들챔버들은남해안의통영세계로병원을제외하고는모두 100% 산소만을가압기체로사용하고있었다. 5 atm 이상의압력으로가압하여중증감압병및동맥혈기체색전증등을치료할수있는챔버는 38기 (53.5%) 로남해안 19기, 동해안 11기, 서해안 6기, 그리고제주해안 2기순으로분포하고있었다 (Table 2). 5 atm 이상의가압챔버는일부병원 ( 해양의료원, 항공우주의료원,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 과병원이외의기관전체에서운영하고있었다. 또한 5 atm 이상가압챔버는압축공기와 100% 산소를둘다사용가능하며, 압축공기로가압하고호흡용 BIBS 마스크를이용하여산소를호흡함으로써치료중산소중독을예방할수있도록설계되어있었다. 환자치료시 1회가용한챔버내수용능력은 1~2명이 42기 (59.1%) 이었으며, 이중의료기관에서운영하고있는챔버는 33기로모두 1인용이었다. 3명이상수용할수있는챔버는 29기 (40.9%) 였으며동해안 7기, 서해안 6 기, 남해안 14기, 그리고제주해안에 2기가분포하였다 (Table 2). 환자를수용하는챔버의격실형태로는하나의몸체에격실이하나로구성되어있는단격실챔버가 43기 (60.6%) 로가장많았다. 하나의몸체에두개의격실로구성된이중격실챔버는 24기 (33.8%), 그리고둘이상의몸체를상호출입할수있는통로로연결한다격실챔버는 4기 (5.6%) 로조사되었다 (Table 2). 이중격실챔버는복잡한의학적상황에서인원이동이가능하며, 다격실챔버는동시에다른치료테이블을운용할수있도록설계되어있어 상황에따라구분하여사용할수있으며이들이중격실및다격실챔버는모두인원 3명이상을수용할수있었다. 메디컬락 (medical lock) 은챔버운영중소형물건, 음식, 음료, 의약품및의료기자재등을급하게들여보내거나불필요해서내보내야할때사용하는데중증감압병치료에중요한역할을한다. 이러한메디컬락이설치되어있는챔버는 38기 (53.5%) 로대부분 5 atm 이상가압할수있는챔버에부착되어있었다 (Table 2). 의료기관에서사용중인 100% 산소로가압하는단격실챔버에는메디컬락이없었다. 챔버의고정형태에따라분류하면이동형이 42기 (59.1%), 고정형이 29기 (40.9%) 를차지했다 (Table 2). 병원에서는주로소형이면서설치장소를임의로변경하기용이한이동형챔버를운영하고있었다 (33기). 수중공사업체에서는이동형보다규모가크지만컨테이너에설치되어잠수현장으로이동배치가용이한컨테이너형챔버를보유하고있었다. 군 경에서는고정형과이동형각 8기를, 잠수기조합에서는 3기모두고정형을운영하고있었다. 조사한모든챔버에서챔버내부와의의사소통을위한전원통신장치를구비하고있었으며투명한창문이있어내부를확인할수있도록설계되어있었다. 일부챔버에서는무전원음력통신장치와내부감시카메라를보유하고있었다. 챔버를운영용도에따라구분하면의료기관의경우일산화탄소중독치료 (38기중 21기 ) 및기타질환 ( 화상, 피부이식, 관절수술등 ) 에대한보조치료로고압산소요법을행하는경우가가장많았으며 (38기중 33기 ) 일부만이감압병치료에이용하고있었다 (Table 3). 수중공사업체에서보유중인챔버는모두표면감압용으로사용하면서응급환 Table 3. Usage and operator of hyperbaric chambers by operating units Operating units Military, Hydrospace Medical Institute Maritime Police, Others Construction Co. 119 Rescue Service Usage (duplicate possible) CO Poisoning 21 - - - 21 Auxiliary HBOT* 33 - - - 33 Decompression sickness 11 7 18 8 44 Surface decompression - 7 18 3 28 Education/training 02-02 5 09 Saturation diving - - 03-03 Operator Physician 13 (34.2) - - - 13 (018.3) Nurse 14 (36.8) - - - 14 (019.7) Exclusive Operator 11 (29.0) 3 (42.9) 09 (50.0) 3 (37.5) 26 (036.6) Others - 4 (57.1) 09 (50.0) 5 (62.5) 18 (025.4) Total 38 (53.5) 7 (09.9) 18 (25.3) 8 (11.3) 71 (100.0) *: Auxiliary Hyperbaric Oxygenation Therapy Total

오강진외 : 국내감압병치료를위한고압챔버현황기초조사 / 257 자발생시즉각적인처치를할수있는설비를갖추고있었으며, 일부챔버에서는실제치료경험이있었다 (Table 3). 잠수기조합에서운영하는충남보령, 전남여수, 경남거제장목의고압챔버도마찬가지로표면감압과감압병치료를겸하여연간 200일이상을운영하고있었다. 해 / 공군, 해경, 및중앙119구조대챔버역시표면감압과응급감압병환자치료에주로사용되었으며, 일부챔버는포화잠수및교육훈련의특수목적으로사용되었다 (Table 3). 챔버작동자의경우전담기사를운영하는경우가가장많았고 (36.6%) 그다음이간호사 (19.7%), 의사 (18.3%) 등의순이었다 (Table 3). 의료기관의경우 36.8% 에서간호사가, 34.2% 에서의사가, 그리고 29.0% 에서전담기사가챔버를작동하고있었다 (Table 3). 수중공사업체에서는전담기사 (42.9%) 를두거나잠수작업자가직접작동하도록 (57.1%) 하고있었다 (Table 3). 잠수기조합은모두전담기사를고용하여운영하고있었다. 챔버작동자의챔버운영관련교육정도는의료기관의경우챔버를납품한제작사로부터챔버운영교육을받았거나제작사에서제공한운영교범을참고로챔버를운영하고있는경우가대부분이었으며, 일부의료기관의경우고압산소요법치료기준을마련하여치료부위및대상에따라챔버를운영하고있었다. 수중공사업체의챔버운영자는대부분군복무중잠수관련부대근무경험자로군에서챔버운영교육을받았으며, 챔버운영에필요한자료들을참고하고있었다. 고압챔버를운영하고있는 29개병원중 23개병원 (79.3%) 이응급의료기관으로지정되어기능을수행하고있었다. 이들중권역응급의료센터에해당하는병원이 7 개, 전문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터 9개, 지역응급의료기관 5개, 그리고응급실운영기관이 1개이었다. 응급의료기관지정병원의고압챔버중동해안의부산고신대복음병원과제주해안의서귀포의료원등각각 1기챔버를제외하고는모두운영압력및사용기체의제한으로인해경증감압병치료에만이용할수있었다. 고찰우리나라에서감압병치료에활용할수있는가압능력 2 atm 이상의고압챔버는총 71기로조사되었으며해안별로는동해안 21기, 서해안 26기, 남해안 21기, 그리고제주해안 3기등으로실제많은수의챔버가해안별로골고루분포하여운영중에있었다. 이는최근국내해양레저스포츠인구의급격한증가와산업및어업잠수에서감압규정이제대로지켜지지않아감압병발생위험이높은현실을고려한다면매우다행한일이라할수있다. 본연구에서조사했던고압챔버숫자는과거에 Kim 등 1) 이조사했던 4기와 Sakong 등 2) 이조사했던 8기와는많은 차이를나타냈는데이는감압병치료에활용가능한모든종류의고압챔버를광범위하게조사하였기때문이다. 즉실제로현재는감압병치료에사용되고있지않은민간병원의고압산소치료챔버와군 경의고압챔버를모두포함하였다. 반면과거에시행했던조사에서는민간에서실제로감압병치료를실시하고있는치료시설에국한했다 1,2). 또한본연구에서는소속잠수사의수중작업안전을위해자체적으로운영하여공개되지않은수중공사업체와스쿠버다이빙관련업체의고압챔버도포함하였다. 조사된챔버의 56.4%(40기 ) 가 2000년이후에도입되는등고압챔버의개체수가최근에급격히증가한것도과거조사와차이를보이는이유중의하나이다. 이러한챔버의증가는과거에잠수사가감압병에이환되면자가인내하거나민간요법으로치료할수밖에없었던관행에서탈피하여수중작업에대한안전의식이고취되었음을반영하고있으며산업안전보건법에서설정한 고기압작업에관한기준 의강화도중요한역할을한것으로추정한다. 감압병환자가증상발현후재가압시설까지도착하는데소요되는시간은환자의예후를결정하는매우중요한요인으로이를위해서는고압챔버시설로의접근성이보장되어야한다 9). 군 경및 119구조대에서특수목적으로운영하는챔버들을제외하고비교적빠른시간내에환자를이송할수있는민간챔버는동해안 18기, 서해안 25기, 남해안 7기, 그리고제주해안 3기등 53기로전국해안에골고루분포하는양상이었다. 특히이들챔버중동맥혈기체색전증및중증감압병을치료할수있는챔버도동해안 8기, 서해안5기, 남해안5기, 제주도2기등총20기로편중되지않게분포하고있었다. 이들고압챔버들의용이한지리적접근성은감압병발생시신속한재가압치료를보장할수있어그의의가매우크다고할수있다. 다수의감압병환자가발생시한번에처리할수있는능력을지닌 3인이상수용가능한고압챔버는동해안 7기, 서해안 6기, 남해안 14기, 및제주해안 2기로전국해안에골고루분포하고있었다. 3인이상수용가능한챔버는대부분이중격실또는다격실로구성되어있어상태에따라다른치료표를적용해야하는환자들을한꺼번에처리하거나또는치료간인원이동을가능하게하였다. 이들 3인이상고압챔버의상당수에서메디컬락을보유하고있어감압병환자치료를용이하게하였다. 본연구는감압병치료가가능한고압챔버현황에대한기초조사이며국내감압병치료체계를구축하기위해서는해결해야할과제들이아직산적해있는실정이다. 먼저재가압치료가가능한고압챔버라고할지라도실제로운영기관에서감압병환자에대한치료가가능하지않은경우가다수이다. 즉, 민간병원에서운영하는 100% 산소로가압하는 1인용챔버의경우대부분용도가일산화탄소중독치료및피부이식, 관절수술그리고화상치료등의보조적고압

258 / 대한응급의학회지 : 제 22 권제 3 호 2011 산소요법에국한되어있으며감압병치료경험이전무하여현상태로서는감압병치료에사용하기가불가하다는점이다. 또한감압병치료는장시간소요되는반면건강보험수가가미약하여동기유발도되지않고있는실정이다. 또다른문제점으로의료기관에서사용하고있는챔버를제외한다른챔버들은식약청에치료용챔버로등록되지않아원칙적으로감압병치료에사용할수없다는점이다. 본연구에서조사된대부분의챔버들이식약청에서제시한고압산소챔버의기준을충족하고있는지세부적인검토가필요하겠지만치료용으로활용하기위해서는법적절차에따라등록이필요한상태이다. 비의료기관에서운영하는챔버들의경우또다른고려사항으로챔버를운영하고있는기관고유의목적이있어과연감압병환자치료체계에참여할수있는지여부가미지수이다. 예를들어수중공사업체는우선적으로소속산업잠수사들의안전을위해챔버를대기하고있어야하며챔버를운영하지않는시간대라고하더라도다른감압병환자를수용하여치료할수있을지는의문시된다. 감압병환자발생시현장에서적절한조치부터재가압챔버시설까지환자를이송하는일련의과정을안내해주는응급의료정보체계역시보완해야한다. 중앙 119 종합상황실및 12곳의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가운영중에있지만감압병에대한전문지식은물론이고감압병을치료해본경험있는병원이거의없어정보안내역할을수행하는데한계가있다. 또한잠수질환발생시길잡이역할을하는 Divers Alert Network (DAN) 한국지사가조직되어있으나그기능은아직미약한실정이다. 재가압시설의설치 유지가쉽지않은민간의료기관의현실을고려할때, 감압병치료에는공공의료의역할이증대되어야한다. 현재지방자치단체와연계하여챔버를지역보건소에설치하여운영하고있는충남보령잠수기조합이나지방자치단체주관으로챔버를구매하여의료기관에서운영하는제주및서귀포의료원등은좋은모델이라고할수있다. 잠수작업이활발하게이루어지는해안지역에서지방자치단체와의료기관이협력하여재가압시설을운영한다면수중활동인구의안전을확보하는데많은도움이될것이다. 결론본연구에서는국내감압병환자후송및치료와응급의료체계구축을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하여고압챔버의운용현황을파악하였다. 감압병치료에활용할수있는가압능력 2 atm 이상의고압챔버는 59개기관에서총 71 기를보유하고있었고, 이들챔버들은전국해안에고루분포하고있었다. 또한이들챔버들중중증감압병치료에이용할수있는 5 atm 이상의가압챔버, 한번에여러명을 동시에치료하는다인용챔버및다격실챔버, 그리고메디컬락보유챔버등의기능이우수한챔버들도전국해안에균등하게분포하고있었다. 위고압챔버들은감압병환자치료를위한적합한성능을보유하고있으나실제환자치료에활용하기위해서는문제점들이있었다. 즉병원에서운영하는상당수챔버의경우감압병치료경험이없었으며, 비의료시설에서운영중인고압챔버는치료용챔버로등록되지않은상태였다. 더욱이감압병환자발생시현장에서조치부터적절한챔버시설까지안내해주는응급의료정보체계도매우미흡한실정이었다. 본연구에서조사한챔버현황을바탕으로향후감압병치료체계구축에활용할수있도록챔버를정비하고, 인력교육및응급의료정보체계구축등미비점들을보완해나가야할것이다. 참고문헌 01. Kim BG, Choi BS, Kim EA, Lee JO. The investigation for the number of the professional divers and the condition of their health related to diving practices in Korea. Incheon: KOSH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2005. p13, p35, p53,p68. 02. Sakong J, Yoon SK, Lee KS, Hwang TY, Lee SW. Incidence, prevalence, and prevention of diving related desease of diving fisherman and breath-hold divers in Korea. Seoul: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2006. p27, pp115-6, p142, p151. 03. Chung CH. A study on diving safety procedures based on the reports of diving casualties [dissertation]. Busan: Korea Maritime University; 2004. p86. 04. Kindwall EP, Whelan HT. Hyperbaric medicine practice. 2nd ed. Flagstaff: Best publishing company; 2002. pp434-41. 05. Oh KJ. Experience rate and related factors for the symptoms of decompression sickness in recreational scuba divers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3. pp23-30, p35. 06. Sakong J. Diving patterns and diving related disease of diving fishermen in Korea. Korean J Prev Med 1998;31: 139-56. 07. US Navy. US Navy Diving manual. 6th ed.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8. pp853-65. 08. Ocean & underwater medical research institute. Diving Medicine. 3rd ed. Jinhae: Naval printing office; 2009. pp268-71. 09. Edmonds C, Lowry C, Pennefather J, Walker R. Diving and subaquatic medicine. 4th ed. London: Arnold publishers; 2002. pp15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