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Pediatr Dent 35(3) 2008 제 1 형신경섬유종증환아의구강내병소의치험례 권순연 김태완 김영진 김현정 남순현 경북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국문초록 신경섬유종증은상염색체우성유전성질환으로, 17번염색체의장완에위치한종양억제유전자의변성에

Similar docum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2) 2010 치은에발생한신경섬유종의외과적치험례 박승효 이난영 이상호 조선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소아치과학교실 제1형신경섬유종증은약 3000명당 1명꼴로발생되며상염색체우성유전질환이다. 피부의카페오레반점및다발성신경섬유종과

김범수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8(2) 2001 Burkitt 림프종환아의증례보고 홍현진 최병재 이제호 윤정훈 * 손흥규 연세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구강병리학교실 * 국문초록 Burkitt림프종은중앙아프리카지역의어린이악골에서흔하게나타나는악성종양으로림프조직으로부터발생되며매우빠

Kaes017.hwp

권유진

세라뉴스-2011내지도큐

(49-54)Kjhps004.hwp

J Korean Acad Pediatr Dent 38(3) 2011 법랑모세포섬유종에의한하악제 1 대구치의맹출지연 정정화 김영진 김현정 남순현 경북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소아치과학교실 국문초록법랑모세포섬유종은드문진성의혼합성양성종양으로 20세이하의비교적어린연령층의하악후방부에

Jkbcs016(92-97).hwp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1) 2010 법랑모세포섬유종에의한하악제 1 대구치의맹출장애 김승혜 송제선 * 손흥규 * 최형준 * 이제호 * 연세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 소아치과학교실및구강과학연구소 국문초록매복이란맹출로상에물리적장애물이있거

±è¹ÎÁö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Microsoft PowerPoint - 발표자료(KSSiS 2016)

상악측절치(dh)

A 617

untitled

7.ƯÁýb71ÎÀ¯È« š

레이아웃 1

Kjhps016( ).hwp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8(4) 2011 소아에서발생한치성기원구개농양의치험례 류재량 김영진 김현정 남순현 경북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소아치과학교실 국문초록구강내대부분의감염은치성기원으로치성감염은초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8(4) 2011 하악우측측절치에발생한선양치성종양 박미선 박호원 서현우 이주현 강릉원주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및구강과학연구소 국문초록선양치성종양 (adenomatoi

J Korean Acad Pediatr Dent 38(3) 2011 단골성섬유성이형성증환아에서나타난맹출지연 민수영 이제호 김성오 최병재 최형준 김승혜 송제선 연세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및구강과학연구소 국문초록섬유성이형성증은골격계통의국소화된양성발육장애로서해면골내에서섬유

03-ÀÌÁ¦Çö

012임수진

J Korean Acad Pediatr Dent 38(1) 2011 Ⅱ. 증례 보고 환아는 2001년 6월생으로 2009년 7월 6일 하악 좌, 우측 유 중절치의 만기잔존을 주소로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형외과에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로 의뢰되어 본원에 내원하였다.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3) 2009 쇄골두개이형성증환아의구강내증상과치료전략 박희숙 김영진 김현정 남순현 경북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국문초록 쇄골두개이형성증 (Cleidocranial Dysplasia) 은안면, 두개골, 쇄골의비정상적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Jkbcs030(10)( ).hwp

노영남

( )Jkstro011.hwp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1) 2009 FR-Ⅱ 를이용한 Ⅱ 급부정교합의치험례 박은경 최영철 김광철 박재홍 최성철 경희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국문초록 Functional regulator라고불리는 Fränkel appliance는악안면발

Kaes025.hwp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38BFF93238C0CF28B1DDBFE4C0CF2920BFB9BBF3B9E8B4E72E786C7378>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1) 2014 ISSN (print) ISSN (online) Nevoid Basal Cell Ca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4) 2008 출생시발생한특발성치은섬유종증 이효설 최형준 최병재 손흥규 이제호 연세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및구강과학연구소 국문초록 치은섬유종증 (Gingival fibromaotsis) 은치은조직의섬유성증식을나타내

KISEP Abstract 안면신경초종의치료경험 전영명 박기현 이진석 전상훈 The Management of Facial Nerve Schwannoma Young-Myoung Chun, M.D., Keehyun Park, M.D., Jin-Suk Le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4(4) 2007 매복된상악전치의교정적치료 : 증례보고 김해리 오소희 김영희 한림대학교성심병원소아치과 국문초록 상악전치의매복은제3대구치, 상악견치, 상하악제2소구치에비해서드물지만, 정중과잉치, 외상, 치근만곡등의치근형성의변이가높은빈도로나타나기때문에다

00)14-1목차1~3

J Korean Acad Pediatr Dent 38(4) 2011 측절치의이소맹출이관찰되었으며해당부위와관계가있는선행유치에는치아우식증및치근단병변소견이관찰되지않았다 (Fig. 1). 선행유치인상악좌측유측절치및유견치를발거하였고공간유지장치를장착하였다. 5개월의정기검진후해당부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3) 2005 유중절치의만기잔존과상악좌측중절치의매복을보이고있었으며치근은미완성상태였다 (Fig. 1, 2). - 치료및결과 : 상악좌측유중절치의발치후일단경과관찰하였다. 6개월후에자발적으로맹출하지않아외과적노출후 Ling

01. 본문(283-).hwp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3) 2008 비정상맹출로와치근만곡을지닌매복상악영구전치의자가치아이식치험례 이예리 최성철 * 박재홍 * 김광철 * 경희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 구강생물학연구소 국문초록 매복치의치료는그발생원인, 치아의발육단계,

Jkbcs032.hwp

Jksvs019(8-15).hwp

J Korean Acad Pediatr Dent 39(1) 하악전치부에발생한치근낭종의치험례 김선하 최성철 박재홍 김광철 경희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국문초록치근낭은가장흔한치성기원

139~144 ¿À°ø¾àħ

Trd022.hwp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ÀÓÇÁ¶õÆ®27_2ȸ¹«Æ÷ÇÔ

( )Jksc057.hwp

Lumbar spine

16(2)-7(p ).fm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16_이주용_155~163.hwp

연하곤란

12이문규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6(1) 2009 Sturge-Weber Syndrome 환아의치험례 신혜성 양규호 최남기 김선미 전남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소아치과학교실및치의학연구소및 2 단계 BK21 국문초록 Sturge-Weber Syndrome은드문선천성질환으로안면의삼차신경분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2) 2008 혼합치열기의 miniscrew 를이용한교정치료 임수민 양연미 김재곤 백병주 이용훈 신정근 전북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및구강생체과학연구소 국문초록 교정치료시고정원은항상염두에두면서치료를진행해야하는중요한요소이다. 전통적인고정원을이용한치

암센터뉴스레터1

황지웅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3) 2005 변위매복된상악중절치의맹출유도 강근영 양규호 최남기 김선미 전남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및치의학연구소 국문초록 매복치아란어떤원인에의하여구강점막이나악골내에서치아의맹출이중지된상태를말하며, 악궁내의어떠한치아도

<4D F736F F F696E74202D20C1F7C0E5C7D7B9AEB1E2C7FC20C8AFBEC6BFA1BCAD20B5BFB9DDC7CFB4C220C0CCBAD0C3B4C3DFC1F52E707074>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1):47-51 / pissn / eissn

진행된 구강암의 광범위 절제 후 이중 유리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2예 Fig. 1. Case 1. Composite resection included oral tongue, floor of mouth and mandible. Fig. 2. Case 1. Schematic

Jkss hwp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2) 2014 ISSN (print) ISSN (online) Basal Cell Nevus Sy

Korean J Otolaryngol 40 1, January 1997 신마취하에 종양을 적출하였다. 경부의 절개는 양측에 증 례 서 접근하기 위하여 Apron 피판을 올린후 우측 흉쇄 유돌근과 흉골설골근사이의 근막을 흉쇄유돌근의 전 연을 따라 절개하자 피낭형성이 잘

의료기기품목별시장환경분석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보건환경대학원 의공학전공 김수연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2(3) 2005 변위된미맹출상악견치의교정치험례 임혜정 최남기 김선미 양규호 전남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및치의학연구소 국문초록 상악견치는가장긴치근을가지며저작기능과함께하악의측방운동을유도하고심미적으로도치열궁의구각부위에위치하여교합관계의조화와대칭을유지하는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4) 2008 기저세포모반증후군환아의증례보고 허수경 최남기 김선미 양규호 전남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소아치과학교실및치의학연구소및 2 단계 BK21 국문초록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은상염색체우성으로유전하며외배엽성과중배엽성기관과장기에이환된다. 기저세포모반증후군

16(1)-3(국문)(p.40-45).fm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9(2) 2012 Type III 치내치를동반한상악측절치에이환된치근단병소의근관치료 김기림 이제호 김성오 송제선 최병재 김승혜 최형준 연세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국문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4(4) 2007 shape으로견치간폭경이좁아져있었다. 파노라마상에서한개의상악중절치결손이관찰되며치근단방사선사진에서상악간봉합정중앙에상악중절치가위치하는것이관찰되었다. 측두방사선사진분석결과상악은정상범위에있었으나하악은약간과성장양상을보였다 (Fig. 1).

00)13-3목차1~3

72 순천향의과학 : 제14권 2호 2008 Fig.1. Key components of the rehabilitatio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the rheumatic diseases. The ICF provides a good frame

DBPIA-NURIMEDIA

Lateral override 과두하골절에서내시경을이용한관혈적정복술및내고정의결과 Ⅱ. 연구대상및방법 2006 년 12 월부터 2010 년 8 월까지연세대학교치과대학병원에내원하여하악골의과두하골절로진단되어관혈적정복술을시행받은환자 25 명중술전에근심골편이 lateral ov

歯1.PDF

04조남훈

J Korean Acad Pediatr Dent 43(1) 2016 ISSN (print) ISSN (online) Evaluation of the Dev


DBPIA-NURIMEDIA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2) 2008 하악중절치에발생한치내치 이정진 최병재 이제호 최형준 손흥규 김성오 연세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구강과학연구소 국문초록 치내치 (dens invaginatus) 는형태분화기에비정상적인치아발생이원인으로경조직이석회화되기전에법랑질상피가함

DBPIA-NURIMEDIA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9;42:232-6 경미로접근법으로제거한거대소뇌교각종양 4 예 박찬민 황보철 신종헌 손수준 Four Cases of Large Cerebellopontine Angle Tumors Remove

Digital Abutment

소아이비인후과_1부4300?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pissn / eissn

Kjtcs324( ).hwp

J Korean Acad Pediatr Dent 39(1) 심부매복정중과잉치수술시마취방법선택 민수영 * 송제선 이제호 최형준 손흥규 김성오 연세대학교치과대학 * 소아치과학교실, 소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8(4) 2011 자가이식을이용한매복견치의치험례 : 증례보고 고윤식 김지연 박기태 성균관대학교의과대학삼성서울병원치과진료부소아치과 국문초록상악견치의매복은소아치과의사가흔히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2) 2008 Horseshoe Appliance 를이용한 Ⅲ 급부정교합의치험례 홍한영 박재홍 * 최영철 * 김광철 * 경희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 구강생물학연구소 국문초록 성장기아동의치열은대부분혼합치열로,

Korean Association for Disability and Oral Health 6(2) 2010 증 례 Axenfeld-Rieger 증후군과연관된치과적이상 김기림 이두영 김승혜 이상휘 * 최병재 이제호 연세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Transcription: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3) 2008 제 1 형신경섬유종증환아의구강내병소의치험례 권순연 김태완 김영진 김현정 남순현 경북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국문초록 신경섬유종증은상염색체우성유전성질환으로, 17번염색체의장완에위치한종양억제유전자의변성에의해발생한다. 이는두가지형이있으며신경섬유종의발생은제1형신경섬유종증의임상적진단기준중하나이다. 신경섬유종증의임상적증상으로는피부병소, 골변형, 중추신경계의종양등이있으며환자의 25% 가구강내신경섬유종을보인다. 악골내신경섬유종은드물며방사선학적으로하악공, 하악관, 이공을포함하고단방성으로잘경계된방사선투과성으로나타난다. 신경섬유종은하나또는그이상의병소에서신경육종으로전이된다는점에서임상적으로중요하며현재특이한치료법은없으나, 외과적절제술이좋은치료법으로여겨지고있다본증례는제1형신경섬유종증진단을받은환아로, 구강내신경섬유종의외과적절제후양호한결과를보여이를보고하는바이다. 주요어 : 제 1 형신경섬유종증, 신경섬유종 Ⅰ. 서론신경섬유종증은상염색체우성으로유전되며비정상적인피부착색과피하소결절을동반하는비교적드문질환으로 1849 년 Smith가처음으로기술하였고 1882년 von Recklinghausen에의해명명되었다 1). 이는두가지형으로분류되고그중제 1형신경섬유종증은 1:2500~1:3000의유병율을보인다 2). 제1형의임상적판단기준중신경섬유종은약절반가량이두경부에발생하며구강내에발생하는경우는비교적드문것으로알려져있다 3-5). 또한이질환이심한경우에는신경계, 골격계, 혈관계, 내분비계등에도침범되어다양한증상을나타내며선천성질환뿐만아니라중추신경계및신체타부위의종양이이질환에동반되는예도보고되고있다 1). 임상적으로가장중요한것은하나또는그이상의신경섬유종에서신경육종으로전이된다는것이며, 현재특이한치료법은없으나외과적절제술이좋은치료법으로여겨지고있다 6,7). 본증례는제1형신경섬유종증을진단받은만 11세의환아로, 구강내신경섬유종의발견으로병소의외과적절제후재발없이양호한결과를보여이를보고하는바이다. Ⅱ. 증례환아는만 11세의남자어린이로, 영구치의결손및구강검진을위해개인치과병원에서의뢰되어본원에내원하였다. 구강내임상소견으로, 하악좌측제1대구치의맹출지연및상방치은에약간의종창이관찰되었으나촉진시통증은없었고누공형성및배농도없었다 (Fig. 1). 방사선학적소견에서하악좌, 우측제2소구치의결손및좌측하악공의확대와하방으로의전위, 하악관의확대, 하악좌측제1대구치의매복이관찰되었다 (Fig. 2). 환아의가족력은없었고, 의학적병력으로는피부과에서발목부위에돌출된피부병소로진료받은적이있었으나정확한 교신저자 : 남순현 대구광역시중구동인동 2 가 101 번지 / 경북대학교병원소아치과학교실 / Tel: 053-420-5964 / E-mail: dent-ksy@hanmail.net 원고접수일 : 2008 년 3 월 7 일 / 원고최종수정일 : 2008 년 5 월 28 일 / 원고채택일 : 2008 년 6 월 10 일 556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3) 2008 Fig. 1. Initial intraoral view. Fig. 2. Initial radiographic view. Fig. 3. Extraoral view (crowe's sign). Fig. 4. Extraoral view (neurofibroma on the Rt. antegonial fossa). Fig. 5. Histopathologic view ( 20, 100). 병명을 모르는 상태였기 때문에 본원 피부과로 의뢰되었다. 의 었다(Fig. 3, 4). 뢰 결과, 환아의 피부에 전반적으로 다양한 크기와 날카로운 외 구강내 병소의 치료를 위해 우선 하악 좌측 제1대구치 상방 형의 반점인 cafe -au-lait spots, 겨드랑이나 서혜부의 주근깨 병소의 완전 절개 생검을 통해 외과적인 노출 후 맹출양상을 관 인 crowe's sign, 부드러운 표면의 종양으로 사지에 돌출되어 찰하기로 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에서 경계가 잘 지워진 진피 종 있는 신경섬유종을 근거하여 제1형의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되 양으로, 가늘고 파상인 교원섬유가 여러방향으로 엉성하게 배 557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3) 2008 Fig. 6. Surgical removal of mass under general anesthesia. Fig. 7. Intraoral view (1 year and 4 months after operation). Fig. 8. Panoramic view (1 year and 4 months after operation). 열된 사이사이에 수많은 난원형 혹은 방추상의 핵이 흩어져 있 1:3,000의 유병율을 보이고 약 50%에서 가족력 없이 자발적 었다. 또한 가끔씩 점액성 변형을 보이는 기질에 난원형의 핵들 인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이 질환은 성별이나 인종에서 유 이 묻혀있는 양상을 보여 신경섬유종으로 진단되었다(Fig. 5). 병율의 차이는 없다2). 5개월 경과후 하악 좌측 제1대구치의 맹출이 관찰되지 않아 외 Crowe & Schull8)에 의하면 신경섬유종증의 진단은 어린이 과적 재노출을 계획하였으나 환아가 내원하지 않았다. 2년후 에 있어서 가족력에 무관하며, 직경 1.5cm을 초과한 6개 이상 재내원시 구강 검진 결과, 하악 좌측 제1대구치의 맹출은 여전 의 cafe --au-lait spots가 있는 경우라 하였다. 또한 색소성 반 히 관찰되지 않았고 발열 및 농의 배출이 있었다. 이는 신경섬 점들은 조직학적으로 외피의 기저 및 수지상 세포들내의 유종의 재발이 원인으로 여겨져 구강악안면외과에 의뢰하여 전 melanin의 침착이 증가된 특징을 보이나 이 반점 자체가 환자 신마취하에 병소의 완전 절제 및 하악 좌측 제1,2대구치의 발 에게 위험을 주진 않는다고 하였다. 거를 시행하였다(Fig. 6). 술후 1년 4개월 째 모습에서 양호한 구강내 증상의 빈도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관찰 시에 상태의 치은과 병소 내에 균일하게 방사선 불투과성이 증가되 72~92%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구강내 신경섬유종은 혀 어 양호한 치유 양상을 보이고 있어 재발의 증거는 찾아볼 수 의 버섯유두의 확대로 가장 흔하게 관찰되고 대설증의 원인이 없었다(Fig. 7, 8). 된다9-12). 악골내의 신경섬유종은 매우 드물지만 발생한다면 하 악에서 호발하며 이때의 신경섬유종을 중심성 신경섬유종 이 Ⅲ. 총괄 및 고찰 라 한다. 이는 마비나 통증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하악의 종창 으로 감지해야 하므로 많은 주의를 요구한다13,14). 또한 인접 치 von Reckinghausen's neurofibromatosis라고 알려져 있는 아의 맹출 지연, 전위와 같은 해부학적 구조물의 변형으로 낭 제1형 신경섬유종증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으로 1:2,500~ 종, 치성/비치성 종양들과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방사선학적 소 558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3) 2008 견으로하악공의확대와하방으로의전위 (23%), 하악관의확대 (29%) 와가지치기 (24%), 하악지의비박과함몰, 골밀도의증가, 하악각의감소, 하악하연의구조적변화, 관골돌기와과두의저형성등이관찰된다 9,11,12,15,16). 그리고증가된방사선투과상을보이며경계가분명한경우가많다 5,6,17). 제1형신경섬유종증의가장무서운합병증은신경육종으로, 약 5% 에서나타난다. 모든신경육종의절반정도가제1형신경섬유종증환자에게서발생하고, 육종으로의악성변화는더크고확산적이며사지나몸통에서발생하지만구강내에선드물다 9,18,19). 소아환자의경우정확한진단이중요하다. 이는 3~30% 에서신경육종, 갈색세포종, 백혈병, 횡문근육종, Wilms's tumor, 중심신경계의종양등과같은합병증이발생할수있기때문이다 9,10,16). 확실한치료법은없으나, 외과적절제술이좋은치료법으로여겨지고있으며, 방사선치료는효과가없는것으로보고되어있다 4,6,17,20,21). Wise 22) 에의하면 10세이전에수술시 60%, 10 세이후에수술시 30% 의재발율을보여절제수술에서환자의나이가영향을미친다고하였다. 본증례의경우, 초진시신경섬유종, cafe --au-lait spots 등의피부병소로의학적병력이있음을의심하였고피부과의뢰결과제1형신경섬유종증으로진단되었다. 또한하악좌측제1 대구치의맹출지연으로외과적노출술을위해완전생검을시행한결과, 제1대구치의맹출지연의원인은상방의병소로악골내에발생한신경섬유종임을진단할수있었다. 생검 2년후생검시조직의불완전한제거로인해병소의재발이관찰되었고이와더불어발열과농양이형성되어전신마취하에병소의완전절제와하악좌측제1, 2대구치의발거가시행되었다. 술후 1년 4개월째수술부위는균일한방사선불투과성이증가하여양호한골치유양상을보이고있으나, 재발및악성변화에대한지속적이고주기적관찰이필요하고추후에전반적인교정치료및보철치료가필요하리라사료된다. Ⅳ. 요약영구치결손및맹출지연을주소로경북대학교치과병원소아치과에의뢰되어내원한환자에대해피부병소에대한피부과의진단및구강내의임상검사, 방사선사진검사, 조직학적검사를실시하였다. 이를통해제 1형신경섬유종증으로진단되었고, 환아의악골내병소를신경섬유종으로진단할수있었다. 생검후불완전한제거로인한병소의재발로구강악안면외과에의뢰하여전신마취하에병소의외과적절제술을시행하였으며술후 1년 4개월간주기적인관찰을시행한결과재발없는양호한치유를보였다. 참고문헌 1. 장이성, 정효숙, 최천식 : 신경섬유종증치험 3례. 대한신경외과학회지, 18:1088-1092, 1989. 2. Reinhard EF, Manfred Giese, Rainer Schmelzle, et al. : Jaw malformations plus displacement and numerical aberration of teeth in neurofibromatosis type 1: a descriptive analysis of 48 patients based on panoramic radiographs and oral findings. J Cranio- Macillofac Surg, 31:1-9, 2003. 3. Loutfy WG, Ryan DE, Toohill RJ, et al. : Trigeminal Nerve Neurofibroma. J Oral Maxillofac Surg, 48:650-654, 1990. 4. Skouteris CA : Solitary Neurofibroma of the Maxilla. J Oral Maxillofac Surg, 46:701-705, 1988. 5. Polak M, Polak G, Brocherious C, et al. : Solitary Neurofibroma of the Mandible. J Oral Maxiloofac Surg, 47:65, 1989. 6. Cundy RL, Matukas VJ : Solitary Intarosseous Neurofibroma of the Mandible. Arch Otolaryng, 96:81-83, 1972. 7. Brasfield RD, Gupta TK : Von Recklinghausen's Disease. CA Cancer J Clin, 21:174-183, 1971. 8. Crowe FW, Schull WJ : Diagnostic Importance of Cafe-au-lait Spots in Neurofibromatosis. AMA Arch Intern Med, 91:758-766, 1953. 9. Neville WB, Hann J, Narang R, et al. : Oral neurofibromas associated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Oral Surg Med Oral Pathol, 72:456-461, 1991. 10. Sigillo R, Rivera H, Nikitakis NG, et al. : Neurofibromatosis type 1: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the orofacial manifestations in 6 pediatric patients. Paediatr Dent, 24:575-580, 2002. 11. Jacquemin C, Bosley TM, Liu D, et al. : Reasessment of sphenoid dysplasia associated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AJNR, 23:644-648, 2002. 12. Rittersma J, Ten Kate LP, Westerink P : Neurofibromatosis with mandibular deformities. Oral Surg Med Oral Pathol, 33:718-727, 1972. 13. Linda Lee, Yat-Hang Yan, Michael J Pharoah, et al. : Radiographic features of the mandible in neurofibromatosis. Surg Oral Med Pathol Oral Radiol Endod, 81:361-367, 1996. 14. J Philip sapp, Lewis R Eversole, George P Wycocki : 최신구강악안면병리학. 295-297,, 1997. 559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3) 2008 15. Jackson IT, Carbonnel A, Potparic Z, et al. : Orbitotemporal neurofibromatosis: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Plast Reconstr Surg, 92:1-11, 1993. 16. Wright B, Jackson J : Neural tumors of the oral cavity. Oral Surg, 9:509-522, 1980. 17. 김규식외 : 상악골에발생한골내신경섬유종의치험례. 대한구강외과학회지, 10:1-8, 1984. 18. Muraki Y, Tateishi A, Tominaga K, et al. :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ur in the maxilla associated with Von Recklinghausen's disease. Oral Dis, 5:250-252, 1999. 19. Toriumi DM, Atiyah RA, Murad T : Extracranial neurogenic tumour of the head and neck. Otorhinolaryngol Clin North Am, 19:609-617, 1986. 20. Scafer WG, Hine MK, Levy BM : Oral pathology 4th ed, WB Saunders, p206, 1983. 21. 장세홍외 : 이부에발생한신경섬유종.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11:81-86, 1989. 22. Wise JB, Patel SG, Shah JP: Management issues in massive pediatric facial plexiform neurofibroma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Head Neck, 24:207-211, 2002. 560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3) 2008 Abstract ORAL MANIFESTATIONS OF NEUROFIBROMATOSIS TYPE 1: CASE REPORT Sun-Yeon Gwon, Tae-Wan Kim, Soon-Hyeun Nam, Hyun-Jung Kim, Young-Jin Kim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Neurofibromatosis is an autosomal dominant disorder caused by a mutation of a tumor supressor gene on the long arm of chromosome 17. There are two types of neurofibromatosis, and development of neurofibroma is one of clinical diagnostic criteria for neurofibromatosis. The clinical signs of neurofibromatosis include as skin lesions, bone deformities, and tumors involving central nervous system. About 25% of neurofibromatosis involves oral neurofibroma. Radiographically, oral neurofibroma is well-defined unilocular radiolucency, which involves mandibular canal, mandibular foramen and mental foramen. When a lesion is small and approachable, complete resection, including 1cm of marginal connective tissue, is feasible. However, there are studies reporting that the recurrence rate after surgical resection is high and frequent recurrence may even increase the risk of malignant transformation. This case reports a patient with neurofibromatosis type I, accompanying oral neurofibroma, who shows a favorable result after surgical resection of the oral lesion. Key words : Neurofibromatosis Type 1, Neurofibroma 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