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건주의란 무엇인가? 245 Erforschung des Pietismus)는 이제까지의 경건주의 연구를 비판하면 서 철저한 문헌작업을 거쳐 경건주의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엄밀하 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기초 위에서 경건주의가 지닌 현재적인 의미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입장이 이 위원회의 창립멤버인 오스카 쇵엔(Oskar Schöngen)의 다음과 같은 말에 잘 드러난다: 우 리는 경건주의를 정당하게 다루어야 할뿐만 아니라 경건주의 자체 가 오늘날에도 생동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 경건주의에 대한 학문적인 노작들을 출판할 뿐만 아니라 경건 주의 대부들의 저작들을 학문적으로 이론의 여지가 없는 전집으로 편찬하는 것을 우리의 과제로 삼는다. 8) 쇵엔은 여기에서 이제까지의 경건주의에 대한 논의가 철저한 역사적이고 문헌학적인 검증 없이 선입견과 통속적인 차원에서 논 의되고 평가되었음을 지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건주의는 역사 적인 한 사건으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현재적인 의미가 아직도 유효함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경건주의가 오늘날에도 여전 히 갖고 있는 생동적인 의미는 17세기와 18세기 전반기에 개혁운동 으로서 등장했던 역사적인 경건주의 를 곧바로 오늘날 반복하는 데서 살아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가졌던 시대적인 개혁성과 창 조성을 오늘날의 상황 속에서 재해석하고 창조적으로 우리 시대의 과제와 연관시키는 데 있다고 본다. II. 경건의 개념과 경건주의 1. 경건(敬虔)의 개념 경건이란 말은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 8) O. Schöngen, Pietismus und moderne Welt, AGP 12, 1974, p 7. 사이버 문화와 사이보그 시대 > 245
εὐσέβεια εὐσέβεια σέβειν σέβεσϑαι εὐσεβής εὐσ έβεια εὐσεβείγ εὐλαβείσθαι εὐλάβεια εὐλαβής σεμνός σεμνότης πίστις ϕοβούμενοι τόν θεόν
1) 성화 ( 聖化 ) 와그리스도인의완전을추구
2) 교의학 (Dogmatik) 중심에서성서와실천신학중심으로
3) 성령의체험과생명력을통한교회의갱신
4) 사회정치적개혁운동
264 대학과 선교 제4집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과 소망의 표현이다. 이러한 종교적 이상주 의 는 현실 속에서 더욱 적극적인 실천으로 나아가게 한다. 3) 기독교 신앙의 원천은 하나님의 계시와 인간의 체험의 집적 (集積)으로서의 성서이다. 경건주의자들이 신조나 교리나 논쟁적인 교의학으로부터 성서를 신앙과 신학의 근거로 삼은 것은 오늘날에 도 여전히 유효하다. 기독교는 무엇보다도 말씀 의 종교이다. 생동 적인 사건으로서의 하나님의 말씀을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교리로 다 담아 낼 수가 없다. 성서를 단순한 죽은 문자로 읽는 것이 아니 라 배후에 역사하는 성령의 역사가 읽는 자의 마음과 조응(照應)할 때, 성서는 단순한 역사적인 사실의 보고가 아니라 실존적인 의미 를 갖게 되는 것이다. 프랑케가 시도했던 역사적-성령론적인 해석 (Die historistorisch-pneumatische Exegese)은 계몽주의 이후 분열되 었던 성서해석의 양극단을 통전시키는 유효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후에 극단적인 경건주의자들이 성서문자주의(Biblzismus)를 고수 하고 성서가 지니는 이야기로서의 성격을 약화시킴으로 성서해석 의 협소화를 초래하였다. 4) 경건주의자들은 현상유지(status quo)에 안주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통치)이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나라 를 지향하는 목적 론적인 지향(status ad quem)을 지녔다. 따라서 경건주의자들은 본 질상 기존질서에 저항적이고 변혁적이었다. 그들은 신앙과 실천을 분리하지 않았다. 정치신학자 도로테 죌레가 경건주의를 해방신학 과 연결시키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이론이 실천보다 우위라는 것은 기본적인 희랍적인 이해인데 해 방신학의 패러다임은 실천과 신학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수립하 고 있다 이론은 우리와 함께 있고 사물들을 규명하며 무엇이 실 제로 문제인지 성찰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결정적인 것은 신앙으로 사는 것이고 신앙의 실천이다 이점에서 우리는 해방신.. 사이버 문화와 사이보그 시대 > 264.
경건주의란 무엇인가? 265 학이 세기 정통주의 교회체제에 대항하여 일어났던 한 운동으 로서의 초기 경건주의와 얼마나 유사한지 알게 된다 경건의 연 습 과 경건의 실천 과 같은 용어는 이 미 화란의 경건주의자 보에티우스에게서 나타난다 거의 모든 경 건주의적인 운동을 통하여 학문적인 신학에 대한 치열한 비판이 있었고 라틴어보다는 모국어가 선호되었으며 학자들에게도 각 성이 요구되었고 철학은 거부되었다 17. (exercitia pietatis) (praxis pietatis).,,, 42). 마지막으로, 막스 베버(Max Weber)는 청교도주의와 마찬가지로 경 건주의가 지니고 있던 세계내적 금욕 (Innerweltliche Askese)의 윤 리가 인간의 노동을 합리적으로 규율하고 부의 쾌락적인 탐닉과 남용을 억제함으로써 초기 자본주의의 성립에 기여하였다고 보았 다. 오늘날 세속적 낭비 (헬무트 골비처)에 의해 유지되는 물질만 능의 자본주의적인 체제와 이로 인한 심각한 생태계의 위기 앞에 서 경건주의의 세계내적인 금욕과 절제의 윤리는 생태학적인 금욕 과 절제 의 윤리로 재해석되고 실천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고 본다. 42) Dorothee Sölle, Gott Denken: Einführung in die Theologie; 서광선 옮 김, 현대신학의 패러다임, 한국신학연구소, 2000, 105-106쪽. 물론 여기 에서 경건주의의 기원에 관한 죌레의 이해는 많은 논의를 필요로 한다. 자세한 논의는 졸고, 독일 경건주의의 기원 - 그 연구사와 쟁점, 기독 교 사상논단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사이버 1999), 300-316쪽을 참고하라. 문화와 사이보그 시대 > 265
266 대학과 선교 제4집 참고문헌 Aland, Kurt, Kirchengeschichtliche Entwürfe, Gütersloh, 1960., Bibel und Bibeltext bei August Hermann Francke und Johann Albrecht Bengel, in: Ders. (Hg.), Pietismus und Bibel, Witten, 1970. Battles, F. L., The Piety of John Calvin; 이형기 역, 칼빈의 경건, 서 울: 크리스챤 다이제 스트, 1998. Berger, Peter L., The Desecularization of the World: Resurgent Religion and World Politics; 김덕영, 송재룡 옮김, 세속화냐? 탈 세속화냐? 종교의 부흥과 세계정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Francke, A. H., Peschke, Erhard(Hg.), Werke in Auswahl, Berlin, 1968. Grözinger, Albrecht, Das Heilige in der Erlebnisgesellschaft: Eine protestantische Deutung, Waltrop, 1996. Hinrichs, Carl, Der hallische Pietismus als politische-soziale Reformbewegung des 18. Jahrhunderts, in: M. Greschat(Hg.), Zur neueren Pietismusforschung, Darmstadt, 1977., Preußentum und Pietismus: Der Pietismus in Brandenburg-Preußen als religiös -soziale Reformbewegung, Göttingen, 1971. Hirsch, Emanuel, Geschichte der neuern evangelischen Theologie, Band 2, Gütersloh, 1951. Lehmann, Hartmut, Der Pietismus im Alten Reich, in: HZ 214, 1972. Lodewigs, Siegfried, Der Pietismus im Spiegel seiner theologischen Kritiker, Unveröffentliche Dissertation, Göttingen, 1972. Otto, Rudolf, Das Heilige, 길희성 옮김, 聖스러움의 意味, 왜관: 분 도출판사, 1995. Peschke, Erhard, August Hermann Francke und die Bibel; Studien zur Entwicklung seiner Hermeneutik, in: Kurt Aland(Hg.), Pietismus und Bibel, AGP 9, Witten, 1970. Schulze, Gerhard, Die Erlebnisgesellschaft. Kultursoziologie der 사이버 문화와 사이보그 시대 >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