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R ISSN / Audiol Speech Res 2017;13(4): / RESEARCH PAPER The Study on the Hearing Status

Similar documents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서론 34 2

012임수진

590호(01-11)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KISEP Reviews Korean J Audiol 6(1):9-13, 2002 TEOAE 를이용한신생아청각선별검사의의의 문성균 1 박홍준 2 박기현 1 Significance of Newborn Hearing Screening Program Using TEOAE S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1..

Lumbar spine

Jkafm093.hwp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 )Kju269.hwp

<5B31362E30332E31315D20C5EBC7D5B0C7B0ADC1F5C1F8BBE7BEF720BEC8B3BB2DB1DDBFAC2E687770>

Jkbcs016(92-97).hwp

04_이근원_21~27.hwp

A 617

(Microsoft PowerPoint - S13-3_\261\350\273\363\307\366 [\310\243\310\257 \270\360\265\345])

03이경미(237~248)ok

歯5-2-13(전미희외).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DBPIA-NURIMEDIA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Kbcs002.hwp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6;59(12): 하는 반면 등 소음 자체를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지 측정하는 것도 임상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용소음레벨 은 목표 이야기 와 배경 화자 잡음 을 들려주어 청취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hw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DBPIA-NURIMEDIA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Regular Paper) 21 1,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ISSN 228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Rheu-suppl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00약제부봄호c03逞풚

ASR ISSN / Audiol Speech Res 2016;12(3): / RESEARCH PAPER Critical Bandwidths of a Basic

(01) hwp

hwp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歯1.PDF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γ

서론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

Microsoft Word doc

<4D F736F F F696E74202D20B9E8B0E6BCD2C0BDC0BDC7E2BAB8C1A4>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 1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09È«¼®¿µ 5~152s

<31342EBCBAC7FDBFB52E687770>

김범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DBPIA-NURIMEDIA

<5BBEF0BEEE33332D335D20312EB1E8B4EBC0CD2E687770>

139~144 ¿À°ø¾àħ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 )Jkstro011.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3034C0D3BBF3C3E1B0E8C7D0BCFABCBCB9CCB3AA2E687770>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Microsoft Word doc


Jkcs022(89-113).hwp

ASR ISSN / Audiol Speech Res 2017;13(4): / RESEARCH PAPER Korean Speech Dynamic Range Acco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보건사회연구-25일수정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황지웅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03-서연옥.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Transcription:

ISSN 1738-9399 / Audiol Speech Res 2017;13(4):278-286 / https://doi.org/10.21848/asr.2017.13.4.278 RESEARCH PAPER The Study on the Hearing Status of Adult in Their 20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Value Mi Sook Lee 1, Yong Gyu Seo 2, Yeon Jin Lee 3, Da Hae Jeong 4, Mi Ni Jo 5, Joo Hyung Kim 6, Seung Wan Lee 7 1 Jeeum Auditory Rehabilitation Center, Daegu, Korea 2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 Audiology, Kaya University, Gimhae, Korea 3 O s Hearing Aids, Seoul, Korea 4 Asianstar, Seoul, Korea 5 Soree Ear Clinic, Seoul, Korea 6 Starkeykorea, Seoul, Korea 7 Department of Speech Pathology & Audiology Graduate School, Chuncheon, Korea 체질량지수 (BMI) 에따른 20대성인의청력상태에대한연구이미숙 1 서용규 2 이연진 3 정다혜 4 조민이 5 김주형 6 이승완 7 지음청각언어연구소 1, 가야대학교언어치료청각학과 2, 오창준난청연구소 3, 아시안스타 4, 소리귀클리닉 5, 스타키코리아 6, 한림대학교일반대학원언어병리청각학과 7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nd hearing loss is unclear. But childhood obesity, defined as body mass index (BMI) 95%, is a significant health problem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disorders, and in adults it has been found to be a risk factor for hearing loss. Thus i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loss and BMI in a 20s young adults. Methods: A total of 49 participants, including 27 females and 20 males aged 21-25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BMI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In all subjects, pure-tone and speech audiometry, acoustic immittance and otoacoustic emission [OAE; spontaneous otoacoustic emission (SOAE),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 (TEOAE),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 (DPOA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of hearing threshold in underweigh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group. Regarding the hearing threshold, the low frequency pure tone average thresho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underweight and overweight group. The incidences of SOAEs were 66.7% in normal group, 37.4% in underweight group and 11.1% in overweight group. Between BMI and OAE overweight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TEOAE amplitude. Amplitude of DPOA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normal, underweight and overweigh BMI group at frequency of 4,000 Hz. Conclusion: We demonstrate for the first time that underweight and overweight in adult in their 20s is associated with higher hearing thresholds in low-frequency. And parameters of OAE, such as amplitude of TEOAE, DPOAE at 4,000 Hz was considered as good indicators for monitoring cochlear function of underweight and overweight BMI group. Key Words:0 Body mass index, Overweight, Underweight, Hearing status, Otoacoustic emissions. Received: September 6, 2017 / Revised: October 4, 2017 / Accepted: October 12, 2017 Correspondence: Mi Sook Lee, Jeeum Auditory Rehabilitation Center, 292-2 Daemyeong-ro, Nam-gu, Daegu 42449, Korea Tel: +82-53-471-8011 / Fax: +82-53-471-8013 / E-mail: zangmisook@hanmail.net INTRODUCTION 비만이란 라틴어 에서 유래한 것으로 어원은 먹어치웠다 걸신들린 듯 먹었다 의 에서 유래된 것으로 섭취한 에너지량에 비해 소모된 에너지량이 적어 잉여 에너지가 발생하게 되고 이 상태가 오래 계속되어 나타난 영양장애로 볼 수 있다 비만은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촉 진제가 될 뿐 아니라 심장병 간질환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증을 증가시킨다 또한 체중이 뼈와 관절에 부담을 주게 되어 골격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비만으로 인한 질병은 공적 건강보험의 재정 악화와 의료비 부담 증가에 부딪히게 되어 국가의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 에 따르면 비만으로 인해 한 해 동안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직접적 278 Copyright 2017 Korean Academy of Audiology

M Lee et al. 인 사회적 부담은 조 달러로 전 세계 의 에 이른다고 하였다 소득 교육 생활 여건의 향상은 건강과 수명 증가에 기여해 왔지만 신체활동 감소 에너지 섭취 증가 잘못된 식습관 등은 비만 인구를 급속히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는 개국 세 이상 성인 만 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성 와 여성 가 비만으로 조사됐으며 전체 성인 비만율은 로 년 전 세계 인구를 기준으로 억 만 명이 비만으로 조사됐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년에는 성인 남성의 여성의 가 비만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였는데 이는 남녀 성인 명 중 명꼴로 비만이 되는 셈이다 국제 비만 대책본부 에 의하면 전 세계 비만 인구는 년 현재 약 억 만 명으로 추계됐는데 이는 년 대비 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비만의 사회적 문제를 제기하였다 비만은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및 사회적 건강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데 비만한 사람은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제 형 당뇨병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대사증후군 담낭 질환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 등 만성질환에 잘 걸리며 각종 암과 관절 질환의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을 높일 뿐 아니라 남녀 모두에서 모든 종류의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과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모두 높인다 산하 국제 암 연구소 에서 비만과 대장 직장암 폐경 후 유방암 자궁내막암 신장암 식도선암의 연관성을 보고하고 있으며 년 신규 암 환자 중 남자의 약 만 명 그리고 여자의 약 만 명 는 비만에 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과체중에 의한 암 발생 기여 위험도는 남자 여자 로 추계되었다 특히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년 현재 전체 인구에서 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년에는 로 노인 인구 수는 현재의 배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에서 비만 및 과체중으로 인한 여러 가지 만성질환의 이환율 증가는 신체적 장애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초적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기능 제한으로 청력손실을 꼽을 수 있다 즉 청력저하는 자연적 노령화 과정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과체중의 결합은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더 침해받게 하고 그로 인한 사회적 보조 및 가족의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아동 청소년 비만 또한 지난 년 사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학령기 아동의 약 가 비만 또는 과체중으로 추정 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 실시한 학령기 아동 건강행태조사에서 가 과체중이고 가 비만이며 많은 유럽 국가의 경우 가 과체중이고 가 비만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도 아동 및 청소년 비만이 성인 비만보다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로 남학생 비율이 로 여학생 보다 높았다 은 세에서 세 사이 청소년 명의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비만 청소년의 경우 내유모 세포의 문제로 인하여 편측성의 감각 신경성 난청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저주파 음역대 이하 에서 난청 발생률이 이상으로 나타나고 은 세의 과체중 또는 비만 아동에서 미도의 양이 청력손실을 보고하였다 이렇듯 아동 청소년 비만이 주목받는 이유는 아동 청소년기 비만이 성인 비만으로 이어질 확률이 에 이르고 이들에서는 대사이상의 소견을 보여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이 높고 심혈관 위험인자와 청력손실 간의 유의한 관련성을 보고하고 있어 건강 위험인자가 성인기로 이행하게 되면 개개인의 질환은 물론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력기관의 기능은 혈액 운반 신경학적 영향 등 종합적인 작용으로 복잡하게 조절되고 있음에 따라 고지질증 흡연 등과 청력손실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졌으며 그 원인으로 귀의 혈액순환에 장애를 일으켜 영구적인 청력손실을 야기한다고 주장하였다 은 비만이 청력손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소음이나 이독성 약물 흡연 등 청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정한 상태에서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저주파수와 고주파수 전 영역에서 청력장애의 위험을 증가시켜 청력손실은 흡연량과 체질량지수 와 비례했다고 규정하였다 은 여성 만 명에 대해 년까지 년간 와 청력손실과의 관계를 추적조사한 결과 체질량지수가 의 비만인 경우 체질량지수 미만인 경우보다 청력 손상을 경험한 경우가 정도 더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이후 와 청력손실 간의 관계를 입증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은 경도 이상의 난청 비율이 과체중 그룹에서 비만인 그룹에서 고도비만 그룹에서 로 나타났고 과체중 그룹에서 배 높다고 하였다 이렇듯 비만이 청력저하의 위험인자라면 청력 상태에 대한 면밀한 연구는 청력저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단지 순음청력검사를 통해 청력 상태를 보고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상체중 과체중 그리고 저체중 그룹으로 279

The Study on the Hearing Status of Adult in Their 20s according to the BMI Value 분류하여 순음청력검사 를 비롯한 어음청력검사 뇌간유발반응검사 를 통해 이들의 청력 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순음청력검사로는 찾을 수 없지만 와우 기능의 민감한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이음향방사검사 를 실시해 와우 기능에 의미 있는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연구대상 연구 대상은 설문지를 통해 과거 이과적 질환의 병력과 흡연을 보고하지 않은 고막 운동성 계측도상 정상적인 을 보이는 세 평균 ± 세 대학생 남 명 여 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장은 본인이 직접 기록하도록 하였고 체중은 동일한 체중계로 측정하였다 체중과 신장으로부터 체질량지수 를 계산한 후 체중의 상태를 평가하는 가장 보편적 기준의 하나인 아시아 태평양의 비만기준법을 사용하여 저체중 < 그룹 정상체중 < 과체중 < 총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남녀 대학생들은 연구방법과 실험절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참여 동의서에 서명한 후 실험에 임하였다 연구 대상에 대한 정보는 과 같다 검사장비이음향방사검사 는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순음청력검사는 청력검사기를 이용해 실시하였고 임피던스 검사는 이미턴스 분석기 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뇌간유발반응검사는 를 사용하였다 검사진행순음청력검사는 방음실에서 를 이용하여 의 주파수를 양 귀에서 검사하였으며 평균 순음기도 청력역치를 분법 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주파수 청력을 평균한 값을 저주파수 영역 평균 청력 으로 주파수 청력을 평균한 값을 고주파수 영역 평균 청력 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뇌간유발반응검사에 사용된 자극은 와 의 으로 에서 의 대역통과필터 가 사용되었고 전체 자극의 지속 시간은 로 희박상 조건에서 검사하였다 이때 간격의 수정 상승법을 이용하여 역치를 측정하였다 이음향방사검사는 일과성 유발이음향방사 자발이음향방사 변조이음향방사 는 을 측정하였다 는 평균 의 강도로 계산하였으며 자극 지속음을 가진 클릭 신호는 의 을 가진 으로 분석하였다 는 검사 측 귀의 음향 자극 은 평균 ± 의 비선형 클릭음 으로 음의 지속 시간은 μ 자극 빈도는 초당 회 평균 가산은 회로 설정하였다 는 평균 가산을 최대 회로 하였고 의 진폭 은 소음 기준선 보다 - 높을 때 자동으로 측정은 중단되게 설정하였다 모든 피검자를 방음실 내 침대에 눕게 한 후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였으며 검사 중에는 말을 하지 않고 최대한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한 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체질량지수에 따라 세 그룹의 각 주파수별 기 Table 1. The average of the subjects classification by the BMI standard (n = 47) Age (years) Height (cm) Weight (kg) BMI Normal group (n = 17) Male 22.13 ± 4.0 174.23 ± 6.2 68.93 ± 7.8 20.46 ± 1.03 Female 20.93 ± 2.3 160.71 ± 5.4 52.90 ± 6.9 Underweight group (n = 15) Male 22.24 ± 5.3 172.06 ± 5.3 54.28 ± 4.7 17.45 ± 0.54 Female 21.02 ± 1.8 163.63 ± 7.3 46.64 ± 3.9 Overweight group (n = 15) Male 21.08 ± 2.3 173.66 ± 5.5 82.30 ± 7.3 25.78 ± 2.95 Female 20.21 ± 1.9 161.49 ± 8.7 62.76 ± 8.1 BMI: body mass index 280

M Lee et al. 도순음 청력역치와 저주파수 영역 평균 청력 고주파수 영역 평균 청력역치를 독립표준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 발현 비율 및 강도는 백분율로 나타냈으며 주파수별 변조이음향방사의 진폭은 독립표준 검정으로 프로그램 에서 유의 수준 이하에서 분석하였다 RESULTS 순음청력검사의결과 세 그룹에서의 주파수별 순음청력검사 역치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으로 주파수가 커질수록 역치 값은 작아지 Threshold (db HL) 20 15 10 5 0 Normal weight Underweight Overweight 250 500 1,000 2,000 4,000 8,000 Frequency (Hz) Figure 1. Mean threshold per frequency in pure tone audiogram. 는 양상을 보였으며 의 모든 주파수대역에서 기도순음 청력역치 값은 평균 이내에 있었으며 분법으로 계산한 평균 역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과체중 그룹에서 낮고 저체중 그룹에서 높은 역치를 나타냈다 정상 체중 그룹과 비교해 저체중 그룹과 과체중 그룹의 경우 주파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에서는 유의하게 높았다 p < 저주파수 와 고주파수 로 나누어 세 그룹의 역치를 비교한 결과 저주파수 영역과 고주파수 영역 평균 청력에서 정상체중 과체중 저체중 그룹 순으로 역치가 높았다 또한 모든 그룹에서 저주파수 영역의 역치가 고주파수 영역의 역치에 비해 높았다 p < 세 그룹의 주파수별 좌우 역치 비교 결과 과체중 그룹의 경우 분법으로 계산한 오른쪽 귀의 역치는 ± 왼쪽 귀는 ± 로 오른쪽 귀의 역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p < 정상체중 그룹과 저체중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음향방사 (OAE) 검사결과일과성음유발이음향방사 (TEOAE) 는 재현율 과 반응 강도 - 로 분석하였으며 의 반응 강도 는 재현성 은 이상을 양성으로 재현성과 반응 강도 모두에서 양성이면 로 판정하였 Table 2. Mean puretone threshold by frequency in 3 group Frequency (Hz) Normal group (mean ± SD) Underweight group (mean ± SD) Overweight group (mean ± SD) p-value 250 7.5 ± 5.2 7.5 ± 3.5 7.0 ± 5.0 0.320 500 5.5 ± 5.8 7.0 ± 2.8 5.5 ± 4.3 0.423 1,000 5.0 ± 4.4 9.0 ± 1.4 5.5 ± 2.1 0.335 2,000 3.5 ± 4.8 4.5 ± 1.0 5.0 ± 1.4 0.020* 4,000 3.0 ± 3.0 3.5 ± 1.4 4.0 ± 3.5 0.000** 8,000 1.5 ± 4.9 2.5 ± 0.7 4.0 ± 3.2 0.003* p-value 0.035* 0.028* 0.032* *p < 0.05, **p < 0.01. SD: standard deviation Table 3. Mean threshold and SD for low-and high-frequency in 3 group Frequency (Hz) Mean Puretone threshold Normal group Underweight group Overweight group p-value PTA-low Mean 6.50 7.25 6.75 0.052* SD 4.03 4.35 5.06 PTA-high Mean 3.87 4.75 4.63 0.010* SD 2.73 2.95 1.79 p-value 0.000** 0.001* 0.000** *p < 0.05, **p < 0.01. PTA-low : low frequency pure tone average, PTA-high : high frequency pure tone average, SD: standard deviation 281

The Study on the Hearing Status of Adult in Their 20s according to the BMI Value 다 세 그룹 전체 인원 명 귀를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귀에서 가 나타나지 않아 총 귀 에서 발현율을 보였으며 각 그룹의 발현 비율은 와 같다 세 그룹의 재현율은 정상체중 그룹은 ± 저체중 그룹 ± 과체중 그룹 ± 로 과체중 그룹에서 낮게 나타났다 p < 또한 세 그룹 모두 좌측에 비해 우측의 재현율 및 강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자발이음향방사 (SOAE) 는 자발이음향방사가 한 개라도 나타나면 개수와 주파수 강도로 분석하였는데 정상체중 그룹의 경우 총 명 중 명에서 발현되어 의 발현율을 보였으며 저체중 그룹은 과체중 그룹은 로 과체중 그룹에서 발현율이 낮았다 발현 주파수 범위는 사이에서 측정되었으며 가장 많이 관찰된 주파수 영역은 부근이었다 여자 피검자의 발현 비율은 로 남자 피검자 에 비해 높았으며 오른쪽 귀에서 발현 비율이 더 높았다 Frequency (Hz) 8,000 4,000 2,000 1,000* 1,000 Right ear Left ear 변조이음향방사 (DPOAE) 는 제시되는 순음의 강도를 일정하게 하고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으로 분석하였으며 주파수에 따른 평균 진폭은 과 같다 는 각 에서 강도를 분석해 본 결과 내의 반응 진폭을 보였으며 세 그룹을 비교한 결과 정 500 250 0 5 10 15 Threshold (db) Figure 2. Air-conduction threshold level by side in group with BMI 23.0 kg/m 2 BMI < 25.0 kg/m 2. *retest. BMI: body mass index. Table 4. Positive rate of response amplitude of TEOAE in 3 group Positive (%) Negative (%) Total Normal group 17 (100.0) 0 (0.0) 17 Underweight group 12 (80.0) 3 (20.0) 15 Overweight group 11 (73.3) 4 (26.7) 15 Positive rate: wave reproducibility of TEOAE > 70%, amplitude response > 5 db. TEOAE: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 Table 5. Amplitude of response of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 in 3 group Normal group Underweight group Overweight group p-value Amplitude of response (%) 96.6 ± 3.8 95.8 ± 3.4 92.2 ± 2.4 0.035* Response (db) 13.6 ± 6.6 13.3 ± 7.2 12.2 ± 4.4 0.038* *p < 0.05 Table 6. Positive rate of response amplitude and presence of spontaneous otoacoustic emission in 3 group Presence (%) Peak (N) Frequency (Hz) Amplitude (db SPL) Normal group 66.7 3.1 ± 0.8 1,068 ± 0.9 7.2 ± 5.7 Underweight group 37.4 2.6 ± 1.1 1,362 ± 1.2 8.1 ± 6.9 Overweight group 11.1 3.7 ± 1.9 1,434 ± 1.4 8.6 ± 7.1 Table 7. Mean amplitude of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 in 3 group Frequency (Hz) Normal group Underweight group Overweight group Rt (db/spl) Lt (db/spl) Rt (db/spl) Lt (db/spl) Rt (db/spl) Lt (db/spl) 500 12.0 ± 3.8 12.5 ± 6.5 7.4 ± 5.1 10.6 ± 8.4 11.8 ± 3.3 10.3 ± 1.6 1,000 19.2 ± 8.7 20.2 ± 7.5 20.7 ± 5.8 22.5 ± 9.8 19.5 ± 3.0 18.8 ± 2.6 2,000 20.0 ± 9.1 21.1 ± 9.9 22.0 ± 9.9 22.9 ± 8.8 18.4 ± 5.9 21.8 ± 7.5 3,000 18.1 ± 6.1 19.2 ± 9.3 20.0 ± 8.8 20.3 ± 9.2 17.4 ± 5.2 19.4 ± 5.3 4,000 20.7 ± 9.3 21.6 ± 8.2 19.3 ± 7.5 20.8 ± 7.0 17.9 ± 4.9 21.3 ± 4.9 6,000 19.2 ± 6.3 20.6 ± 5.1 18.4 ± 10.2 20.0 ± 9.2 16.5 ± 8.6 20.3 ± 6.0 8,000 17.6 ± 4.4 19.2 ± 3.1 17.7 ± 8.2 19.5 ± 12.1 18.7 ± 8.0 21.9 ± 6.8 Mean ± SD 18.6 ± 6.4 18.7 ± 8.5 18.1 ± 5.3 SD: standard deviation 282

M Lee et al. 상체중 그룹의 경우 ± 저체중 그룹은 ± 과체중 그룹은 ± 로 과체중 그룹 의 진폭이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주파수별로 분석해 보았을 때 세 그룹 모두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비해 에서 반응 진폭이 낮았으며 그 값은 정상체중 그룹 은 ± 저체중 그룹 ± 과체중 그룹 ± 로 저체중 그룹에서 유의하게 낮은 반 응 진폭을 보였다 p < 순음청력검사의 고주파수 의 주파수 대역에서 저체중 과체중 그룹의 역치가 유의하 게 높아 이들 주파수 대역과 변조이음향방사의 주파 수 대역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저체중 및 과체중 그룹에서 정상 체중 그룹에 비해 진폭이 유의하게 낮았다 p < 뇌간유발반응 (ABR) 검사결과 세 그룹의 평균역치의 경우 정상체중 그룹 저체중 그룹 과체중 그룹 로 과체중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 > DISCUSSIONS 순음청력검사의 결과 모든 그룹의 대상자들은 전대역의 주파수에서 평균 이내의 역치를 보였 다 이들의 청력도 유형상 주파수가 커질수록 역치는 낮았으며 평균역치는 정상체중 그룹은 ± 저체중 그룹의 경우 ± 과체중 그룹의 경우 ± 로 저체중 그룹에서 유의하게 역치가 높았다 또한 각 그룹별 남 녀 간 평균역치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특히 과체중 그 룹의 경우 오른쪽 귀의 역치는 ± 왼쪽 귀는 ± 로 오른쪽 귀의 역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 났으나 p < 정상체중 그룹과 저체중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대해 세 이상의 여성 명을 대상으 Table 8. Mean amplitude of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 in 4,000 Hz Mean DP amplitude (db/spl) Number p-value Normal group 21.2 ± 8.0 17 Underweight group 20.1 ± 13.1 15 0.016* Overweight group 19.2 ± 10.8 15 *p < 0.05 로 비만과 청력손실의 관계를 연구한 에 의하면 왼쪽 귀는 의미 있는 반응이 보이지 않았으나 오른쪽 귀는 정상체중의 경우 ± 비만 여성은 ± 로 비만 여성에서 특히 고주파수에서 유의하게 역치가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과체중 그룹에서 우측위의 역치가 높게 나타나 위의 연구를 지지하나 오히려 고주파수에서 유의하게 역치가 낮았는데 연구의 평균 역치값보다 정도 낮았다 이에 대해 나이에 따른 청력손실 가설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보통 청력의 감소는 대부터 시작되지만 회화 영역에 청력감소가 생겨 실제로 잘 안 들리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대 이후부터이며 대 정도면 더욱 현저해진다 본 연구는 의 정상청력인 세 범위의 피검자만을 대상으로 연구했고 위의 저자는 세부터 대까지 연령 범위가 조금 더 다양하고 대 대 대상자들이 상당히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남녀별 청력 상태를 연구한 은 성별에 따른 청력도 유형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성별에 따른 유의한 결과는 보이지 않았다 주파수별 특성은 를 저주파수로 이상을 고주파수로 나누어 분석한 평균청력역치는 세 그룹 모두 고주파수에 비해 저주파수에서 그리고 저체중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평균청력 차이는 정도였다 비만과 관련하여 청력 상태를 연구한 대부분은 고주파수 청력손실을 보고하였고 이들은 청각계의 노화는 이상의 고주파수에서 나타난다는 특징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은 소음이나 이독성 약물 흡연 등 청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저주파수와 고주파수 영역 모두에서 청력장애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하였으나 은 비만에 의해 중간주파수와 고주파수 영역의 청력손실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와 비슷한 연령대의 세 청소년 명을 대상으로 청력검사를 실시한 은 비만 청소년의 경우 이하 저주파수 난청률이 로 정상체중 보다 배가량 높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과체중 그룹에서 저주파수 영역의 역치가 고주파수 영역의 역치에 비해 높았다 은 한국인 만 명을 대상으로 몸무게와 Table 9. Mean threshol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in 3 group Site Normal group Underweight group Overweight group p-value Threshold (dbnhl) Rt 42.2 ± 7.5 42.5 ± 11.9 48.3 ± 10.4 0.068 Lt 42.5 ± 6.4 45.0 ± 14.7 42.0 ± 17.3 0.129 *p < 0.05. Rt: right, Lt: left 283

The Study on the Hearing Status of Adult in Their 20s according to the BMI Value 청력손실과의 관계를 연구했는데 저체중 그룹의 에서 경도의 난청을 보였으며 정상 그룹과 비교 시 저체중은 배 청력손실 발생률이 높다고 하였다 이들의 연구에서 주목할 것은 저체중 그룹에서의 청력손실에 대한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 순음청력역치의 경우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저체중 그룹에서 역치가 약간 높았으며 이음향방사검사에서 자발이음향방사의 출현율은 과체중 그룹보다 높았으나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유발이음향방사와 변조이음향방사 진폭의 경우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낮았다 특히 변조이음향방사의 진폭은 세 그룹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미국의 경우 비만 > 뿐만 아니라 저체중 < 도 정상체중에 비해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나 이들에서 청력 실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신체 이미지 왜곡으로 인한 무리한 다이어트 영양 섭취의 중요성에 대한 간과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저체중 여성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과체중 및 비만인뿐만 아니라 저체중 대상자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오른쪽 귀의 역치가 왼쪽 귀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과체중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대해 는 일반 남자 인구 집단에서의 청력역치에 대한 역학적 연구에서 주파수대에서 평균 청력역치는 좌측 귀가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좌측 귀가 소음에 대한 감수성이 높기 때문이라는 의견이나 좌우측 귀의 청력역치의 비대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이질환 사격 및 편중된 소음 노출 청력기계의 안정성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경우를 제외한 일상적인 소음 노출에 의한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경우 전화 통화 등 주로 사용하는 귀로 오른쪽 귀를 꼽았고 이에 따라 오른쪽 귀의 역치가 높은 이유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즉 오른쪽 귀는 수리적 능력에 관여하는 좌뇌의 지배를 받으며 말이나 숫자 등이 잘 들린다 따라서 실제 대화를 할 때 오른쪽 귀를 더 사용하는 이유가 된다 이에 따라 오른쪽 귀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역치 상승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나 이는 추후 더 많은 대상자를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음향방사검사의 결과 특히 비만은 혈관을 수축시켜 고혈압을 유발하므로 달팽이관에 공급되는 혈액의 흐름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청력손실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즉 내이의 혈류가 어떤 질환이나 장애로 인해 혈관이 수축되거나 막히면 유모세포로의 산소 공급이 감소함으로써 청력손실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순음청력검사로 확진되지 않는 경우 난청의 감별진단 및 유모세포와 관련하여 와우 기능의 민감한 변화를 추적하는 데 이음향방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연구에 근거해 그리고 를 시행하였다 의 출현 비율은 정상체중 그룹 저체중 그룹 과체중 그룹 순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주파수 및 의 의 개수 진폭의 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여자 피검자의 발현 비율은 로 남자 피검자 에 비해 높았으며 오른쪽 귀에서 출현 비율이 더 높았다 는 정상청력일지라도 최소 에서 최고 의 출현율 을 우리나라의 경우 은 정상청력군에서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청군에서는 전혀 발현되지 않아 임상의 지표로 난청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저체중 및 과체중이나 정상청력인 피검자들임에도 출현율이 정상체중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비정상적인 와우 상태로 결론 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그 이유로는 자발이음향방사 출현율은 정상청력일지라도 연구자마다 다르다는 점 그리고 높은 진폭의 자발이음향방사는 와우의 병적 상태를 의미하나 본 저체중 및 과체중 그룹 대상자들은 진폭 높이 및 출현 주파수는 정상인 그룹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과성음유발이음향반사의 경우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청인은 나타나지 않지만 정상청각 기능의 경우 발현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세 그룹 모든 피검자의 경우 정상청력임에도 불구하고 정상체중 그룹은 명의 피검자 모두 나타나 출현율을 보였으나 저체중 및 과체중 그룹의 경우 약 정도 출현율을 보였다 특히 저체중 그룹과 과체중 그룹에서 청력역치가 높은 저주파수 대역의 경우 일과성음유발이음향반사의 진폭 또한 높지 않았는데 이는 정상적인 주파수에서는 광대역 주파수 방사 범위 가 높게 나타나므로 청력손실이 있는 주파수에서 진폭이 감소한 연구를 지지해주고 있다 은 와 관련하여 콜레스테롤이 높은 그룹에서 가 나타나지 않았고 콜레스테롤과 진폭은 양의 상관관계 를 보인다고 하였다 이는 가 증가할수록 혈액성상 수치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고 결국 유모세포로 유입되는 혈류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는 진폭이 높을수록 좋은 기능을 의미한다면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음 및 약물중독 등 청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추적 외에 초기 유모세포의 손상에 직접적으로 유해하게 작용하여 청력손실로 유도할지도 모를 비만도에 따른 유해성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관찰 및 추적할 수 있을 수 있다 는 와우의 외유모세포의 상태를 가장 잘 볼 수 있으며 미로성 과 후미로성 을 감별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 특히 소음에 노출된 근로자의 변조이음향방사의 감소는 청력손실의 잠재성을 가질 수 있고 소음에 의해 와우의 미세한 기능부전에서 보일 수 있는 변조이음향방사의 손 284

M Lee et al. 실은 순음청력검사상에서 나타나는 소음성 난청의 경향을 보임에 따라 제시되는 순음의 강도를 일정하게 하고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으로 의 주파수 대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그룹에서 발현되어 정상청력인에서 는 이상 발현된다 는 연구를 뒷받침했고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우측 귀의 진폭이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세 그룹 모두 이상의 주파수대역에 비해 에서 반응 진폭이 낮았다 p < 이는 소음은 변조이음향방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피검자 자체 내에서 발생하는 생리적인 소음뿐만 아니라 배경소음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저주파수 진폭 반응이 낮게 측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은 변조이음향방사는 선별검사에서 정상청력과 비정상청력을 정확히 확인하는 데 있어서 고주파수에서는 높은 정확성을 보이지만 저주파수에서는 청력 상태의 예측이 떨어질 수 있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각 그룹에서 변조이음향방사의 평균 진폭값 정상체중 그룹은 ± 과체중 그룹은 ± 저체중 그룹은 ± 로 나타나 저체중 그룹에서 유의하게 낮은 p < 반응 진폭을 보였다 특히 가 의 자극음에 의한 변조이음향방사 진폭만을 이용해 에서 난청의 정도를 감별할 수 있는 변조이음향방사 진폭의 감별 기준점을 제시했으므로 이를 근거로 순음청력검사의 주파수대역 에서 변조이음향방사의 진폭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상체중 그룹의 경우 ± 저체중 그룹 ± 과체중 그룹은 ± 을 보여 진폭 반응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인 것은 이들이 정상의 청력 상태를 보였으므로 순음청력검사로는 검출되지 않지만 이음향방사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인지 와우의 상태를 반영하는가에 대한 의문은 있으나 그럴지라도 미세한 변화에도 민감한 변조이음향방사의 특성을 보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더 많은 피검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비만에 의한 와우의 이상 유무를 조기에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과체중 대상자들의 청력손실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는 도출하지 못했으나 이음향방사검사를 통해 청력역치는 정상 범위일지라도 저체중 및 과체중인 대 성인에서 와 의 진폭이 낮았다는 결과는 도출하였다 일반적으로 이음향방사는 진폭의 변화를 통해 와우 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한다고 할 때 본 연구결과를 활용해 향후 더 많은 대상자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특히 대 대학생들의 경우 식사가 불규칙하고 잦은 음주 및 흡연율을 보이면서도 마른 체형에 대한 지나친 관심과 체중 조절은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전반적인 청력 실태를 파악하 기 위한 과정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건강에 대한 인식 개 선 및 청력보존 프로그램 등 건강한 노년을 맞이하는 프로그램 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경우 적은 수의 인원을 대 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연령에 따라 더 많은 인원을 대상으 로 저체중 및 과체중 비만 이 청력저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향적인 추적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중심단어 0:0 체질량지수 과체중 저체중 청력 상태 이음향방사 REFERENCES Avan, P. & Bonfils, P. (1993). Frequency specificity of human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Audiology, 32(1), 12-26. Bainbridge, K. E., Hoffman, H. J., & Cowie, C. C. (2011). Risk factors for hearing impairment among U.S. adults with diabete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4. Diabetes Care, 34(7), 1540-1545. Burniat, W., Cole, T. J., Lissau, I., & Poskitt, E. M. E. (2002).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Causes and Consequences, Prevention and Management. (pp. 3-27, 221-23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ang, S. O., Jung, H. W., Jang, Y. J., Kim, C. D., Park, H. J., & Kim, C. S. (1997). Spontaneous otoacoustic emissions in the subjects with tinnitus and/or sensorineural hearing los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1(1), 76-79. Curhan, S. G., Eavey, R., Wang, M., & Stampfer, G. C. (2013).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hearing loss in women.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6(12), 1142.e1-8. Dąbrowski, M., Mielnik-Niedzielska, G., & Nowakowski, A. (2013). Impact of different modifiable factors on hearing function in type 1 and type 2 diabetic subjects. A preliminary study. Annals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4), 773 778. Ezzati, M. & Danaei, G.; Global Burden of Metabolic Risk Factors of Chronic Diseases Collaborating Group. (2014). High serum cholesterol: a missed risk factor for chronic kidney disease mortality--authors reply. The Lancet. Diabetes and Endocrinology, 2(8), 614. Flegal, K. M., Graubard, B., Williamson, D. F., & Gail, M. H. (2007). Causespecific excess deaths associated with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JAMA, 298(17), 2028-2037. Fransen, E., Topsakal, V., Hendrickx, J. J., Van Laer, L., Huyghe, J. R., Van Eyken, E., et al. (2008). Occupational noise, smoking, and a high body mass index are risk factors for age-related hearing impairment and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is protective: a European populationbased multicenter study.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in Otolaryngology, 9(3), 264-276; discussion 261-263. Guralnik, J. M. (1999). The impact of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s on health in old ag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7(8), 1029-1031. Hwang, J. H., Hsu, C. J., Yu, W. H., Liu, T. C., & Yang, W. S. (2013). Diet-induced obesity exacerbates auditory degeneration via hypoxia, inflammation, and apoptosis signaling pathways in CD/1 mice. PLoS One, 8(4), e60730. Hwang, J. H., Wu, C. C., Hsu, C. J., Liu, T. C., & Yang, W. S. (2009). Association of central obesity with the severity and audiometric configurations of age-related hearing impairment. Obesity (Silver Spring, Md.), 17(9), 1796-180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Retrieved from http://www. iarc.fr [cited 2014, October 29].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2010, August 24). STRATEGIC PLAN 285

The Study on the Hearing Status of Adult in Their 20s according to the BMI Value FOR IOTF Draft. World Obesity. Retrieved from https://www.worldobesity.org/iotfmediaarchive/. Janssen, I., Katzmarzyk, P. T., Boyce, W. F., King, M. A., & Pickett, W. (2004). Overweight and obesity in Canadian adolescen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dietary habits and physical activity patterns.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5(5), 360-367. Kannan, P. M. & Lipscomb, D. M. (1974). Letter: Bilateral hearing asymmetry in a large populatio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55(5), 1092-1094. Kemp, D. T., Bray, P., Alexander, L., & Brown, A. M. (1986). Acoustic emission cochleography--practical aspects. Scandinavian audiology. Supplementum, 25, 71-95. Kim, J. S., Yeh, M. H., Chun, B. Y., Woo, K. H., Kang, Y. S., Kim, K. Y., et al. (1998). Effect of cigareet smoking on air-conduction hearing threshold level in adult me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1(2), 285-292. Kim, S. H., Won, Y. S., Kim, M. G., Baek, Y. J., Oh, I. H., & Yeo, S. G. (2016).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hearing loss. Acta Oto-Laryngologica, 136(10), 1046-1050. Kurian, R. A., Thomas, C. J., Mathew, A., & Velusamy, S. (2015). The association of obesity and blood pressure in children studying in schools in a rural area. Journal of Medical Science and Clinical Research, 3(1), 3657-3663. Lalwani, A. K., Katz, K., Liu, Y. H., Kim, S., & Weitzman, M. (2013). Obesity is associated with sensorineural hearing loss in adolescents. The Laryngoscope, 123(12), 3178-3184. Lee, J. S., Kim, B. G., Kim, Y. B., Park, I. S., & Oh, S. Y. (2005). Comparison of hearing threshold levels and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by history of military service. Korean Journal of Audiology, 9(1), 56-64. Lonsbury-Martin, B. L., Whitehead, M. L., & Martin, G. K. (1991). Clinical applications of otoacoustic emission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4, 964-981. Musiek, F. E. & Baran, J. A.(1997).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Hit and false-positive rates in normal-hearing and hearing-impaired subjects. The American Journal of Otology, 18, 454-461. Oh, S. Y. & Lee, W. C. (2003). The predictive study for hearing loss using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 in mild noise-induced hearing lo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5(3), 290-298. Park, S. W., Lee, D. W., Park, J. W., Ryoo, S. B., Shin, R., & Jeong, S. Y. (2016). Impact of body mass index on overall survival after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2(2), 91-96. Probst, R. (1990). Otoacoustic emissions: An overview. In Pfaltz, C. R. New Aspects of Cochlear Mechanics and Inner Ear Pathophysiology (pp. 10-91). Basel: Karger. Robinette, M. S. (1986). Clinical observation with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with adults. Seminars in Hearing, 13, 23-36. Siegelaub, A. B., Friedman, G. D., Adour, K., & Seltzer, C. C. (1974). Hearing loss in adults: Relation to age, sex, exposure to loud noise, and cigarette smoking.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29(2), 107-109. Statistics Korea. (2015, April 20). The Population Censuses in Korea, 2015 (Complete Enumeration Survey). Statistics Korea. Retrieved from http://kostat. go.kr/portal/korea/kor_nw/2/9/1/index.board?bmode=read&aseq= 356061. Üçler, R., Turan, M., Garça, F., Acar, İ., Atmaca, M., & Çankaya, H. (2016). The association of obesity with hearing thresholds in women aged 18-40 years. Endocrine, 52(1), 46-53. Valckx, S. D., De Pauw, I., De Neubourg, D., Inion, I., Berth, M., Fransen, E., et al. (2012). BMI-related metabolic composition of the follicular fluid of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reatment and the consequences for oocyte and embryo quality. Human reproduction (Oxford, England), 27(12), 3531-3539. Vorona, R. D., Winn, M. P., Babineau, T. W., Eng, B. P., Feldman, H. R., & Ware, J. C. (2005).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in a primary care population report less sleep than patients with a normal body mass index.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5(1), 25-30. Whitaker, R. C., Wright, J. A., Pepe, M. S., Seidel, K. D., & Dietz, W. H. (1997). Predicting obesity in young adulthood from childhood and parental obesit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7(13), 869-873.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