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8, No. 7 (Dec. 2018), pp.563~56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7.563 ISSN 1738-2424(Print) ISSN 2287-6723(Online) www.kosham.or.kr 하천방재 UAV 와음향측심기를활용한저수지의 3 차원지형정보분석 Analysis of 3D Topographic Information on Reservoir Using UAV and Echo Sounder 송봉근 * 오주연 ** 김성삼 *** 이태욱 **** 박경훈 ***** Song, Bonggeun *, Oh, Ju Yeon **, Kim, Seong Sam ***, Lee, Tae Wook ****, Park, Kyung Hu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3D geoinformation of a reservoir using a UAV and an echo sounder for effectively monitoring drought conditions in the reservoir. Water surface boundaries were analyzed using RGB imagery obtained by the UAV. Depth information was collected with the echo sounder, which was adapted for unmanned boats in this study. The obtained 3D geo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The maximum depth of the reservoir was determined as 3.2 m. The reservoir bed inform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precision of unmanned boat operation; therefore, improvement in unmanned boat operation is required to accurately analyze the 3D geoinformation of a reservoir. Key words : UAV, Echo Sounder, Reservoir Bed, Geoinformation, GIS 요 지 본연구는저수지의가뭄현상의효율적인모니터링을위해 UAV 및음향측심기를활용하여저수지의 3 차원지형정보를분석하였다. UAV 영상정보취득을통해저수지수면경계분석하였고, 무인보트에탑재된음향측심기에서취득된수심정보를획득하였다. 그리고공간내삽기법을통해 3 차원지형정보를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저수지의수심은최고 3.2 m 로나타났다. 저수지의하상은무인보트운용의정밀성에따라결과값의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보다정밀한저수지의 3 차원지형정보를분석하기위해서는무인보트의자동항법기능추가등운용방법에서개선이필요할것으로보인다. 핵심용어 : 무인기, 음향측심기, 저수지하상, 지형정보, 지리정보시스템 1. 서론 최근몇년간국내에서는여름철마른장마의영향으로인해가뭄현상이빈번히발생하고있어농경지의농업용수부족등많은피해가생기고있다. 기후변화에대한정부간패털 (Intergovern- mental panel for climate change, IPCC) 5 차평가보고서에따르면, 미래기후는폭염, 가뭄, 홍수, 한파등극한기후현상이빈번하게일어날것이며, 이는국가적인위험에빠뜨릴수있다고보고하고있어 (IPCC, 2014) 정부차원에서가뭄현상을예방하고대응하기위한노력이필요하다. 이러한측면에서행정안전부, 환경부, 국토교통부등정부행정기관에서는 2018 년가뭄종합대책 을발표하였고, 신속하고체계적인가뭄대응을위해관계부처간공동의노력을추진하고있다. * 교신저자,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재난원인조사실책임연구원 (Tel: +82-52-928-8274, Fax: +82-52-928-8299, E-mail: pureguy55@gmail.com) Corresponding Author, Member, Principal Researcher, Disaster Scientific Investigation Divi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재난원인조사실연구원 (E-mail: ojy413@korea.kr) Member, Researcher, Disaster Scientific Investigation Divi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재난원인조사실시설연구사 (E-mail: sskim73@korea.kr) Member, Researcher, Disaster Scientific Investigation Divi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정회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재난원인조사실연구원 (E-mail: ziz999@koera.kr) Member, Researcher, Disaster Scientific Investigation Divi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정회원, 창원대학교토목환경화공융합공학부교수 (E-mail: landpkh@changwon.ac.kr) Member, Professor,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Chemic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563
가뭄에대한신속하고체계적인대응을위해서는무엇보다가뭄현황에대한정밀한진단이요구된다. 이를위해현재농어촌공사및각지자체에서는수위계측기를설치하여저수율과저수량등에대한모니터링을실시하고있다. 그러나수위계측기에의한방법은수위를실시간으로모니터링하는데효과적일수있으나, 퇴적물의변화와그에따른저수량의영향을파악하는데어려움이있다. 또한, 모든저수지에계측기를설치하기에는비용과관리인력이요구된다. 이러한단점을보완하기위해최근수심측량장비에의한 3 차원지형정보를분석하는연구들이두드러지고있다. 관련연구들을살펴보면, Seo et al. (2002) 은저수지용량결정을위한내용적측량의기법을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와음향측심기의조합에의해 3 차원적위치데이터를취득할수있는방법을적용함으로서기존측량자료와의비교및정확도향상방법에대해연구하였다. Park et al. (2003) 은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 Real-Time kinematic (RTK) GPS, Echo sounder 조합해석에의해하구, 하상모니터링시효율성을높이기위한연구를수행하였다. Lee et al. (2005) 은 RTK-GPS 와 Echo Sounder 를이용하여경주지역저수지에대해내용적과 3D 모델링으로시각화하였고, 과거자료와비교하여효율성을분석하였다. Lee and Kim (2007) 은 GPS 와음향측심관측데이터의합성및변환프로그램을작성하여하상의 3 차원좌표를생성하고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데이터베이스를효율적으로구축할수있는 3 차원하상측량시스템을구현하였다. Kang and Han (2012) 은고 저주파음향측심기와 GPS 를탑재한무인탐사선을이용하여저수지의하상데이터를획득하였고, 수치표면모형및수치표고모형을생성하여퇴적물을모니터링하였다. Park and Park (2012) 는 GPS 와 Echo Sounder 의조합을통해준설전 후하상의공간정보를획득하고, 하천의준설량을산정하였다. 이상과같은선행연구의공통점은보트에위치정보를취득할수있는 GPS 센서와수심을측정할수있는음향측심기를동시에탑재하여하상정보를측량하고 3 차원지형정보를구현하고있다. 또한, 이러한정보를바탕으로하천및저수지의수위및퇴적물모니터링을실시하고있어가뭄현상을대비하고위한다양한방법론을적용하고있다. 하지만음향측심기의경우, 보트의운용방법과유용성에대한부분이중요한데, 수심이낮고식생이분포하고있는하천및저수지의가장자리에는보트가쉽게접근하기어려워정확한수심정보를취득할수없다는문제점이있다. 이러한관점에서저수량과수위의정확한정보취득을위해서는보다진보된기술과방법론이필요하다. 따라서본연구는선행연구의문제점인저수지가장자리부분의정확한수심측정및지형정보구축을위한방법론을연구하고자하였으며, 기존의선행연구에서적용된 GPS 및음향측심기가탑재된무인보트와무인항공기 (Unnamed aircraft vehicle, UAV) 의영상정보를활용하여저수지의 3 차원정보를구축하는연구를진행하였다. 2. 연구대상지및방법 2.1 연구과정본연구는 Fig. 1 과같은과정으로수행하였다. 먼저 UAV 를이용하여광학영상을촬영하였고, 정사영상제작을통해저수지수면경계를추출하였다. 다음으로무인보트의음향측심기를활용하여저수지의수심을측정한후, 수면경계와합쳐공간분석을통해 3 차원지형정보를분석하였다. Fig. 1. Study Process 2.2 연구대상지본연구는경주시율동에위치한하염불지를대상으로연구를수행하였다 (Fig. 2). 하염불지는율동주변에위치하는대규모농경지의급수를위해조성된농업용수용저수지로서매년발생되고있는가뭄현상으로인해저수지의담수 Fig. 2. Study Site 56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 18 권 7 호 2018 년 12 월
율이 낮아 여름철 용수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2017 년의 경우 하염불지의 담수율이 38%로 매우 낮아 임시 양수장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등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극심 한 지역이다(Gukje News, 2015). 하지만 하염불지는 농어촌 공사나 경주시에서 수위계측을 통해 관리하는 저수지가 아니기 때문에 저수율 또는 수위 변화 등 가뭄현상을 파악하 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가뭄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저수지 수위 및 저수량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역이다. 2.3 UAV 영상 취득 및 수면경계 추출 UAV 영상은 BEVA 社에서 제작한 Firefly UAV에 광학카 메라(Sony 社)를 탑재하여 취득하였다. Firefly UAV는 회전 익 및 고정익 모드를 병행하는 기체로서 이착륙 시에는 회전익 모드로 전환되어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비행 시에 는 고정익 모드로 변경되어 수평비행으로 영상을 취득하게 된다(Fig. 3). 비행속도는 대략 시속 50~60 km이고, 비행시간 은 최대 45분까지 가능하다. 비행고도는 10~1,000 m까지 비행이 가능하다. Firefly UAV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Table 1과 같다(http://www.birdseyeview.aero). Fig. 3. Firefly UAV 이용하여 정사영상으로 및 수치표면모델(Digital surface models, DSM)을 제작하였다(Fig. 4). Fig. 4. Ortho Image Cartography 2.4 수심정보 취득 수심정보의 취득은 0.5 MHz 타입의 음향측심기(Echosounder)와 1 MHz와 3 MHz의 변환기가 각각 장착된 M9 ADCP 센서(SonTek 社)를 무인보트에 장착하여 수행하였다 (Fig. 5). 음향측심법의 원리는 연속된 초음파를 수면 아래로 발사하여 하상에서 반사된 초음파가 다시 같은 경로로 발사 점에 되돌아오는 원리는 이용하는 것이다. 음향측심기를 장착한 무인보트는 GPS 장치와 엔진, 배터 리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실시간 동적관측법(Real time kinematic)에 의해 무인보트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또한 선체 내부의 자세제어 센서가 장착되어 pitch, roll 변화 에 따른 데이터 보정작업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무인보트의 운용 시기는 UAV 촬영이 진행된 2018년 4월 28일에 동시에 수행하였다. 운용방법은 저수지의 가장 자리를 먼저 운용한 뒤 저수지 내부를 측량횡단 간격 약 10 m로 운용하였다. 운용시간은 약 90분 정도이다(Fig. 5). Table 1. The Specification of Firefly UAV Division Contents Flying speed 50~60 km/h Weight 4.1 kg (included camera and battery) Flying time 45 min Weather condition wind speed under 10 m/s Elevation 10~1,000 m (standard: 150 m) Resolution 1~25 cm 영상취득은 2018년 4월 28일에 오전 10시에 진행하였다. 운용방법은 우선 저수지 및 주변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 하여 약 20정 정도의 비행시간을 고려하여 비행경로를 설정 하였다. 취득된 UAV 영상은 Pix4D Mapper 소프트웨어를 Fig. 5. R2V2 Operation 2.5 3차원 지형정보 분석 저수지 3차원 지형정보는 UAV 영상에서 분석된 수면경 UAV와 음향측심기를 활용한 저수지의 3차원 지형정보 분석 565
계와 무인보트 수심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rcGIS 10.2 프로그램에서 수면경계의 선(line)형 정보를 1 m 간격의 점(point)형태로 변형한 후, UAV DSM의 고도 정보를 Zonal statistics 기능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그리고 무인보트 출발 지점의 수심과 동일한 지점에 위치한 수면경계 지점의 높이 와의 차이를 산출하여 수면경계의 고도 값을 보정하였고, 수면경계와 수면정보를 Union 기능을 이용하여 합쳤다. 합쳐 진 정보는 공간내삽기법 중 하나인 Inverse distance weighted (IDW) tool을 이용하여 저수지의 하상단면을 분석하였다. IDW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지점 사이의 값은 공통된 위치요인 으로 인하여 유사성을 갖고,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 록 이러한 유사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는 원리이다 (Lee et al., 2011). IDW 분석시 공간해상도는 1 m 1 m로 설정하였다. 3. 연구결과 있다 보니 UAV에서 DSM 정보가 원활하게 취득되었다. Fig. 7. DSM Derived from UAV (unit: m) 3.1 영상정보 취득 및 수면경계 추출 결과 Fig. 6은 UAV 촬영영상을 정사영상으로 제작한 후, 벡터 라이징을 통해 수면경계를 추출한 결과이다. 정사영상의 공간해상도는 0.3 cm 0.3 cm으로 촬영되었다. 하염불지 저수지의 둘레길이는 1,019.5 m, 면적은 49,980.5 m2로 나타 났다. R2V2 Start point Fig. 8. Results Constructing Information of Elevation in Water Surface Boundary (unit: m) Fig. 6. RGB Image and Water Surface Boundary DSM을 분석한 결과는 Fig. 7과 같다. 고도 분포는 약 77~85 m 사이로 나타났다. 저수지 내부지역은 수심이 깊고 탁도가 높아 정확한 고도정보가 취득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저수지의 가장자리에서 약 1 m 이내의 경우는 고도정보가 취득된 것으로 나타났다. Fig. 8은 정사영상을 통해 분석된 저수지 수면경계에 DSM 고도정보를 입력한 결과이다. R2V2 운용 시작지점의 고도와 차이는 최대 1.2 m인 것으로 나타났고, 북쪽 방향에 위치한 수면경계부분이었다. 이 지역은 식생이 다소 밀집되어 있어 무인보트의 접근이 어려운 곳이다. 또한, 식생이 밀집되어 56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8권 7호 2018년 12월 3.2 수심측정 결과 무인보트에 탑재된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저수지 수심 을 측정한 결과는 Fig. 9와 같다. 총 4,338개 지점에서 수심이 측정되었고, 최대 깊이는 3.22 m로 확인되었다. 저수지 수면 경계 부근은 이격거리를 약 1 m 이내로 근접하게 무인보트를 운용하였다. 다만 수생식물 서식지역의 경우 운용이 불가하 여 수면 경계와 거리가 약 10 m 이내로 차이가 컸다. 무인보트 운용 시 측량횡단 간격을 약 10 m로 운용하고자 했으나, 직접 조종기에 의한 운용을 실시하다 보니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 수생식물의 서식 등으로 인해 운용 간격이 커 수심이 측정되 지 않아 하상단면 분석 결과가 실제 수심과 오차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무인보트의 운용에 대한 문제점은 향후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사료된다.
것에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나 수심 측정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심의 깊이와 수질, 탁도 등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는 수심 측정에 대한 UAV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항공 LiDAR의 적용 등 보다 추가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9. Measurement Points of Depth by R2V2 (unit: m) 3.3 3차원 지형정보 분석결과 Fig. 10은 수면경계와 수심측정 자료를 활용하여 공간내 삽기법을 통해 저수지의 3차원 지형정보를 분석한 결과이다. 수생식물이 서식하는 지역의 수심은 약 1.5 m 이하로 비교적 수심이 얕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수지 내부는 대부분 수심 이 2 m 이상으로 나타났다. (a) A to B (b) C to D Fig. 11. Profile Analysis of Reservoir Bed and DSM 4. 결 론 Fig. 10. Measurement Points of Depth by R2V2 (unit: m) Fig. 11은 A B, C D 방향으로 저수지 하상단면과 UAV DSM을 비교한 결과이다. A에서 약 40 m 떨어진 지역은 하상단면의 수심과 DSM의 수심의 차이가 1 m 이내로 크지 않았다. 하지만 그 외 B 방향으로 갈수록 하상단면의 수심과 DSM의 수심의 차이가 크거나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C D 방향에서는 수심의 차이가 맞지 않았다. 따라서 수심이 얇은 일부 지역에 대해서는 UAV DSM 및 음향측심기의 수심정보가 차이가 적었으나, 나머지 지역 에서는 일정한 특성 및 경향이 없었고 오차도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UAV DSM 정보가 수면경계를 추출하는 본 연구는 저수지의 가뭄현상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모니 터링하기 위해 저수지의 지형정보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GPS 및 음향측심기가 탑재된 무인보트와 UAV 영상정보를 활용하 여 3차원 지형정보를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음향측심기를 활용한 수심정보 취득과 UAV 영상을 활용한 수면경계 추출, 그리고 이를 통합한 3차원 지형정보 구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저수지의 3차원 지형정보를 분석한 결과, 일부 수심이 얕은 지역의 경우에는 UAV의 DSM 정보가 원활하게 취득되 어 음향측심기의 수심정보와의 차이가 약 1 m 이내로 크지 않았다. 하지만 저수지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UAV DSM와 음향측심기의 수심정보 간의 일정한 특성을 보이지 않았으 며, 오차도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UAV 정보는 저수지의 경계를 추출할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나, 수심을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AV와 음향측심기를 활용한 저수지의 3차원 지형정보 분석 567
본연구는기존선행연구의문제로지적되었던저수지가장자리부분의정밀한수심정보취득및 3 차원지형정보를구현하기위해음향측심기와 UAV 영상정보를동시에활용하였다는점에서학술적의의를가지고있다고판단된다. 또한, 연구의결과물은정확한수위및저수량산출과퇴적물을모니터링하는데유용하게활용할수있어가뭄대응을위해효과적인자료라사료된다. 하지만연구결과에있어, UAV 영상은정밀한수면경계추출은가능하였으나, 무인보트가접근하기어려운저수지가장자리의수심정보를취득하는것에는한계점을보였다. 이는추가적인기술력을적용하여보완해야할점으로판단된다. 또한, 저수지의수심을측정하기위해음향측심기를활용한경우정밀한지형정보구현을위해서는일정한측량횡단간격에의한무인보트의운용및정보취득과보다조밀한간격의측정이필요하다. 본연구에서는인위적인조작에의해무인보트를운용하여간격이불규칙하였고, 정밀한정보를취득하지못한점이한계로남았다. 이러한점은무인자동항법기능을추가적으로탑재하여보완할필요가있을것으로사료된다. 향후에는본연구에서문제점으로지적되었던부분을보완하여보다정밀한저수지의 3 차원지형정보를구축할예정이며, 이를통해가뭄문제해결을위한다양한방안을제시할것이다. 또한최근위성영상등을활용한다양한가뭄진단연구가각광받고있다. 이에가뭄현상을지속적으로모니터링하고대응방안을마련할수있도록위성영상등다양한기술력을적용한연구를이어갈계획이다. 감사의글 본연구는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업무지원기술개발 (NDMI- 기본 -2018-08) 과 2018 년도정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 (No.2016R1A2B4015460) 의연구비지원에의해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f climate change). (2014). Impacts, adaption, and vulnerability: Summary for policy makers. pp. 27-30. Kang, Y.M., and Han, S,H. (2012). The study of reservoir sediments monitoring system using auto-navigation echo sounding. Proceedings of 38th Annual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2688-2691. Lee, J.D., and Kim, H.H. (2007). Combination of GPS, echo sounder and GIS for constructing 3D riverbed survey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7, No. 11, pp. 232-238. Lee, J.O., Park, U.Y., Yang, Y.B., and Kim, Y.S. (2005). 3D modelling shape embodiment and efficiency analysis of reservoir that using RTK-GPS and 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13, No. 1, pp. 11-17. Lee, T.S., Song, B.G., Han, C.B., and Park, K.H. (2011). Analysis of the GIS-based water cycle system for effective rainwater management of Gyeongsangnam-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4, No. 2, pp. 82-95. Park, S.H., and Park, J.K. (2012). Evaluation of river dredging by GPS/ES combination: The case of Nakdong river area.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Vol. 14, No. 1, pp. 95-103. Park, U.Y., Kim, C.Y., and Kim, Y.B. (2003). Estuary riverbed monitoring combined by GPS and echo soun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3, No. 4D, pp. 577-589. Seo, J.H., Seo, D.J., and Lee, J.C. (2002) Calculation of reservoir capacity by combination of GPS and echo soun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10, No. 1, pp. 27-35. Gukje News. (2017). Choi Gyeongju mayor, Inspection of agricultural water at drought site (May 25, 2017). Retrieved from http://www.gukjenews.com/news/arti cleview.html?idxno=716333 Birdseyeview Homepage. Retrieved from http://www.birdse yeview.aero Received September 10, 2018 Revised September 11, 2018 Accepted October 8, 2018 56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 18 권 7 호 2018 년 12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