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안 및 콘택트렌즈 학회지 2015년 제 14 권 제 2 호 Ann Optom Contact Lens 2015;14(2):65-69 ISSN 2384-0919 (Print) ISSN 2384-0927 (Online) Review Article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근시 진행 억제 효과 및 안정성 Efficacy and Stability of Orthokeratology Lenses for Myopia Control 양순원 나경선 김현승 Soonwon Yang, MD, Kyung-Sun Na, MD, PhD, Hyun Seung Kim, MD, PhD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여의도성모병원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Yeouido St. Mary 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Orthokeratology have been effective and safe alternative method as temporary, predictable, and reversible correction of myopia. The improvement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is attained by flattening of the central corneal curvature using a reverse-geometry lens. With the development of a gas-permeable lens material, application of lenses during sleep became possible. Changes in uncorrected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curvature have been firmly established for orthokeratology by many investigators. The effect of stabilization of myopia acceleration by orthokeratology lens is unclear. Recently, the effect of stabilization of myopia acceleration by orthokeratology lens is reported by clinical trials. The mechanism by which orthokeratology lenses prevent myopia is not clear, however, possible hypothesis is reported including induction of peripheral myopic defocus, or spherical aberration to reduce accomodation. Further longer-term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continue to be accrual of the effect of orthokeratology lens wear on myopia progression and to clarify the factors in myopic development, such as genetics and environment, in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children. Ann Optom Contact Lens 2015;14(2):65-69 Key Words: Myopia, Orthokeratology 서 론 근시는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굴절 오류를 일으킬 수 있 는 가장 큰 원인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1 미국에서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근시의 비 율이 1971-1972년에 12세부터 54세에 있어서 25%의 빈도 Received: 2015. 6. 4. Revised: 2015. 6. 9. Accepted: 2015. 6. 9.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yung-Sun Na,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Yeouido St. Mary 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10 63-ro, Yeongdeungpo-gu, Seoul 150-713, Korea Tel: 82-2-3779-1052, Fax: 82-2-761-6869 E-mail: drna@catholic.ac.kr * This study was funded b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s (H13C0370000). The funding organization had no role in the design or conduct of this research. 를 가졌던 것에 비해 1999-2004년에는 41.6%로 증가한 것 으로 보고되었으며, 2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19세 한국 남성 중 96.5% 3 및 중국의 대학생들 중 95.5% 4 가 근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 나이 에 근시가 발병할 경우 이는 고도근시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황반 변성, 망막박리, 맥락막 신생혈관, 백 내장 및 녹내장 등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과 연결되게 된다. 5 이러한 이유로 어린이들에게서 근시의 진행을 늦추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Walline et al 6 은 아트 로핀 점안, 티몰롤 용액 점안 등의 약물을 이용한 방법 및 다초점 렌즈, 경성 또는 연성의 콘택트렌즈 착용 등의 방법 들을 대상으로 그 효과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고, 이들 중 저농도의 아트로핀 점안(0.01%)이 가장 효과적으로 근시를 억제시킨다고 보고하였다. 6 하지만 이러한 약물을 이용한 치료는 환자들에게 빛에 대한 민감성 증가 및 시력 흐려짐 Copyright c 2015, The Korean Optometry Society &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is an Open Access Journal. All articles ar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65
- 검안 및 콘택트렌즈 학회지 2015년 제 14 권 제 2 호 -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환자들이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약물도 아니어서 비실용적인 측면이 있다. 각막 굴절 교정술(orthokeratology)은 각막 상피 모양을 변화시켜서 치 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수 고안된 역기하 렌즈를 통 해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각막 중심부는 편평하게 하고, 주변부는 가파르게 만들며 또한 나이 어린 층에서 안 축장 길이의 증가 속도를 늦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치 료 시행 후, 만일 치료가 마음에 들지 않을 시 언제든지 렌 즈 사용을 하지 않으면, 원래 각막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7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정의와 발달 과정 각막 굴절 교정술은 Wesley and Jessen이 1950년에 경성 콘택트렌즈를 사용한 환자들에게서 각막 모양 변화를 통해 상이 흐리게 보이는 현상을 보고 처음으로 그 개념을 인지 하게 되었다. 8 이후 1960년도에 Jessen이 경성 플라스틱을 사용한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처음으로 고안하였으나, 산 소 투과가 되지 않고, 너무 딱딱한 탓에 불편감이 있어 임 상적으로 널리 이용되지는 못하였다. 9 하지만 1970년대 말, 경성 RGP렌즈가 개발되면서 콘택트렌즈의 산소 투과성이 증가하였고 이는 사용감 개선 및 안정성 증가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근시 교정에 있어서 크게 효과를 보 이지 못해 이후 침체기를 겪다가, 10 1989년에 Richard Wlodyga가 처음으로 역기하 렌즈를 고안하면서, 근시 교정 폭이 -1 디옵터에서 -1.7 디옵터까지 넓어지고, 렌즈의 교정 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이 단축되게 되었다. 11 1998년 Contex 에서 산소투과도 높은 매일 착용 역기하렌즈로 FDA 인증 을 받은 후, 2002년에는 Paragon Visual Science에서 밤사 이 착용하는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로 FDA 인증을 받아 이 후 임상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2013년 발표된 바 에 따르면,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는 경성 RGP렌즈 시장의 약 1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10배 이상의 성 장률을 보이고 있다. 12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근시 억제 기전 정상 각막은 가운데는 가파르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편 평해져서 빛이 들어왔을 때 가운데 쪽은 황반 앞쪽에 초점 을 맺고, 망막의 가장자리 쪽은 망막 뒤쪽에 상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원시 디포커스(hyperopic defocus) 현상이라고 한다. 역기하 렌즈는 중심부 기저 굴곡부가 주 변부 굴곡부보다 훨씬 더 편평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이 를 통해 중심부 각막을 편평하게 만들어 빛이 망막 앞쪽이 아닌 표면에 초점을 맺을 수 있게 해준다. 또 역기하 렌즈 는 중심부 각막에는 밀어주는 양압이, 주변부 각막에는 당 기는 음압이 작용하여, 각막 상피 세포가 주변부의 가운데 방향(mid periphery)으로 재분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 2가지 힘이 각막을 더욱 더 편평한 모양으로 만들게 된 다. 13,14 또한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통해 주변부 망막에 생기는 원시 디포커스 현상을 해소하여 안축장의 길이 증가 속도 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Smith et al 15 은 원숭 이들을 두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는데, 한 군에서는 황 반 주변을 레이저로 태우고 주변부 망막은 손상없이 두고, 나머지 한 군에서는 주변부 망막을 레이저로 태우고 황반 주변은 손상 없이 두고 그 경과를 관찰하였다. 이때 안축장 길이 성장이 주변부 망막을 태운 군에서만 관찰되었고, 황반 을 태운 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15 이는 Benavente-Pérez et al 16 이 명주원숭이로 시행한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데, 한 군에는 주변부 망막에 원시 디포커스를 줄 수 있는 이중초점 렌즈를 주고, 나머지 한 군에는 주변부 망막에 근 시 디포커스를 줄 수 있는 이중초점 렌즈를 준 후에 안축장 길이를 보았다. 이때 주변부 망막에 원시 디포커스를 준 경 우는 근시 디포커스를 준 경우보다 안축장 길이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6 즉, 근시를 안경이나 기존의 콘택트 렌즈로 교정할 경우 주변부 망막에서의 빛은 원시 디포커스 가 되고, 이것이 축성근시를 진행시키는 원인으로 생각되는 데,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사용하면 image shell을 주변부 망막의 가운데방향(mid periphery)으로 이동시켜 원시 디포 커스가 생기지 않으므로 안축장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근시 억제에 대한 연구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효과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연구 가 선행되어 왔다. 예전에 시행되었던 연구들에서는 교정 효과가 크지 않고, 감염의 위험이 있어 오랫동안 그 효과 유무를 두고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17 하지만 역기하렌즈 가 발명되고, 산소투과도가 개선되는 등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서 다양한 디자인의 연구들이 시행되었다. Cho et al 18 은 2005년도에 Longitudinal Orthokeratology Research in Children (LORIC)의 이름으로 홍콩의 어린이 들을 대상으로 2년간의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7-12세의 어린이 35명을 대상으로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사용한 후 안축장의 길이, 유리체강 깊이 및 굴절 오류의 변화를 관찰 하였다. Edwards et al 19 이 시행했던 연구에서 단초점 안경 을 착용하였던 아이들의 자료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66
- 양순원 외 :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근시 진행 억제 효과 및 안정성 - -0.25 디옵터부터 -4.50 디옵터 범위 내 근시를 가지고 있으 며, 2.00 디옵터 범위 내 난시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을 대상 으로 하였고, 2년 동안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막 굴절교정학 렌즈를 사용한 군에서는 평균 구면 굴절 오차 감소량(덜 근시화 되는)은 2.09 ± 1.34 디옵터였다. 이는 대 조군의 1.20 ± 0.61 디옵터에 비해 더 큰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안축장의 길이 증가량은 각막굴절교정학 렌즈 사용군에서는 0.29 ± 0.27 mm, 대조군에서는 0.54 ± 0.27 mm 였으며, 유리체강 깊이 증가량 역시 렌즈 사용군 에서는 0.23 ± 0.25 mm, 대조군에서는 0.48 ± 0.26 mm로 각각 각막굴절교정학 렌즈 사용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절반가량의 증가량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통계 학적으로 유의하였다. 18 본 연구를 통해 각막굴절교정학 렌 즈를 사용해서 -4.5 디옵터에 이르는 근시에서도 교정효과 를 볼 수 있으며, 근시 진행 속도 역시 늦출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Walline et al 20 은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안전성 및 효과 에 대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9년에 Corneal Reshaping and Yearly Observation of Nearsightedness (CRAYON) 연 구를 통해 연성 콘택트 렌즈 사용군을 대조군으로 삼아 각 막굴절교정학 렌즈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2년간의 추적관 찰 후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사용한 군에서 안축장의 연 간 길이 증가가 0.16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대조군보 다 적었으며(p=0.0004), 유리체강 깊이의 연간 증가 역시 0.10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대조군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6). 20 이는 2005년도에 Cho et al 18 이 발표한 LORIC 연구와 동일한 결과이며,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사용으로 안축장 길이 성장 억제가 가능하며, 근시를 억제 시킬 수 있는 좋은 치료 수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2011년도에 Kakita et al 21 은 105명의 어린이를 대상 으로 각막 굴절 교정학 렌즈를 착용한 군과 안경을 착용한 군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졌다. Cho et al 18 이 2005년 시행했 던 연구의 제한점이었던 대조군을 다른 연구 자료를 이용 한 점과 안축장의 길이를 A-scan으로 측정한 점을 보완하 여, IOL Master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2년간의 경 과 관찰 후, 렌즈 착용군에서는 안축장의 길이 증가가 0.39 ± 0.27 mm였고, 안경 착용군에서는 0.61 ± 0.24 mm였고 이 둘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01). 이 연 구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우안 -10.0 디옵터, 좌안 -8.75 디옵 터인 어린이가 포함되었다는 점이다. 2년간의 추적 후에 비 록 굴절값이 정시를 이루지는 못했으나, 우안은 -10.0에서 -4.0으로, 좌안은 -8.75에서 -2.0으로 떨어졌으며, logmar 나안 시력 역시 우안 1.398에서 0.523으로, 좌안 1.222에서 0.155로 나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 이 결과를 볼 때, 고도근시안에서도 주변부망막의 원시 디포커스를 줄여주 면 안축장 길이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다. 또 2012년도에 Hiraoka et al 22 이 발표한 연구에서는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3년, 5년간 장기간 임상 경과를 관찰하였고, 5년 후 렌즈 착용 군에서는 안축장 길이 증가가 0.99 ± 0.47 mm 였고, 안경 착용 군에서는 1.41 ± 0.68 mm 였다. 경과 관찰 3년까지는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으나(p=0.0385), 5년째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p=0.8633). 22 2012년도에 Cho and Cheung 23 에 의해 Retardation of Myopia in Orthokeratology (ROMIO) 이름으로 2년간의 첫 무작위 비교 연구가 시행되었는데,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착용한 아이들이 안경을 착용한 아이들보다 안축장 길이 증가가 약 43%만 이루어졌다고 발표하였고(p=0.001), 또한 7-8세에 해당하는 아이들에게서 안축장 길이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7세경의 아이들이 굴절 교정술 렌즈로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후, Charm and Cho 24 는 2013년도에 무작위 비교 연구 를 통해 고도근시안을 가진 8-11세 어린이들 중 partial reduction각막굴절교정학 렌즈 착용군이 안경착용군에 비해 안축장 길이 증가가 63% 더 느리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 고, 같은 년도에 Chen et al 25 은 1.25 디옵터 이상 3.50 디옵 터 이하의 난시를 가진 고도 난시 환아를 대상으로 난시 교 정용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착용한 후 임상경과를 관찰하 였고, 안경착용을 한 대조군에 비해 안축장 길이 증가 속도 가 52% 감소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장 최근에 시행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2015년도에 Sun et al 26 이 앞선 7개의 연구 결과들을 메타 분석하여,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착용한 군에서 근시 진 행이 약 45% 감소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어떤 연구에서도 심각한 합병증 사례는 없었다고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동 기 아이들에 있어서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는 근시 진행을 늦출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에 대한 임상연구는 소아연령을 대 상으로 하기 때문에 조작이 쉽지 않고, 근시의 진행에 영향 을 미치는 직, 간접적인 요인들이 많이 존재하므로, 각막굴 절교정학 렌즈만의 효과를 알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Swarbrick et al 27 은 무작위 contralateral eye cross-over 연구에 대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한쪽 눈에 일반 rigid gas permeable (RGP) 렌즈를, 나머지 한 눈에는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끼워준 후 6개월간 경과 관찰하였 고(Phase 1), 이후 약 2주간 렌즈 착용 없이 근시 퇴행 시킨 후, 양안에 렌즈를 바꿔 착용한 후 새로운 기저치를 설정한 67
- 검안 및 콘택트렌즈 학회지 2015년 제 14 권 제 2 호 - 후 또 다시 6개월을 관찰하였다(Phase 2). 그 결과 Phase 1 에서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착용한 군에서 첫 3개월째 안 축장의 길이가 기저치에 비해 0.04 ± 0.08 mm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고(p=0.021), 6개월 지나고 2주 후, 근시 퇴행 시 킨 후엔 0.01 ± 0.08 mm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 일반 RGP 렌즈를 착용한 군에서는 기저치와 비교하였 을 때 6개월째 안축장의 길이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1). Phase 2에서는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착용한 군에서 첫 3개월째 안축장의 길이가 기저치에 비해 0.05 ± 0.07 mm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6개월이 지나고 2주 후, 근시 퇴행 시킨 후엔 기저치와 0.00 ± 0.11 mm 차 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둘 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에 반해 일반 RGP렌즈를 착용한 군에서는 6개월 지나고 2주 후 근시퇴행 시킨 후 기 저치에 비해 0.10 ± 0.12 mm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27 이 연구는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새로운 디자 인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증명하였다는 것에서 그 의의 가 있겠고, 또 각막굴절교정학 렌즈 착용 후 첫 3개월동안 안축장의 길이가 감소했다는 점을 밝히며, 이것이 중심 각 막이 렌즈로 인해 얇아진 영향 때문이거나 단기간 근시 디 포커스 자극을 받을 경우 생길 수 있는 맥락막의 두께 증가 가능성 때문일 수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Hiraoka et al 28 은 2015년도에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착용한 아이들을 대상 으로 각막 고위수차를 분석하여 착용 전과 착용하고 1년 후 수차 변화를 살펴보았고, 코마 수차가 안축장 길이 변화 와 가장 큰 연관성이 있었음을 밝히며 각막굴절교정학 렌 즈 착용이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주변부 망막의 원시 디포커스 외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음에 대해 주장하 였다. 결 론 현재 다수의 연구를 통해 볼 때, 각막굴절교정학 렌즈 사 용은 근시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한 명확한 해답은 아직 없다. 첫째 각막굴절교정학 렌즈를 치료 시작 후 언제 까지 사용했을 때 리바운드 현상 없이 그 치료 효과를 유지 할 수 있는지, 둘째 안축장 길이 성장을 억제하는 정확한 기전이 무엇인지, 마지막으로 셋째 근시 조절을 위해 어떠 한 연령대의 아이들에게서 얼마 정도의 기간 동안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 등 아직 해결되지 못한 문제가 남아 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위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S 1) Foster PJ, Jiang Y. Epidemiology of myopia. Eye (Lond) 2014;28:202-8. 2) Vitale S, Sperduto RD, Ferris FL 3rd. Increased prevalence of myopia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1971-1972 and 1999-2004. Arch Ophthalmol 2009;127:1632-9. 3) Jung SK, Lee JH, Kakizaki H, Jee D. Prevalence of myopia and its association with body stature and educational level in 19-year-old male conscripts in seoul, South Kore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2;53:5579-83. 4) Sun J, Zhou J, Zhao P, et al. High prevalence of myopia and high myopia in 5060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Shanghai.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2;53:7504-9. 5) Morgan IG, Ohno-Matsui K, Saw SM. Myopia. Lancet 2012;379: 1739-48. 6) Walline JJ, Lindsley K, Vedula SS, et al. Interventions to slow progression of myopia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12):CD004916. 7) Koffler BH, Sears JJ. Myopia control in children through refractive therapy gas permeable contact lenses: is it for real? Am J Ophthalmol 2013;156:1076-81.e1. 8) Wesley N, Jessen G. Advanced techniques in contact lens fitting, 2nd ed. Chicago, IL: Contact Lens Publishing Company, 1960;1-67. 9) Jessen GN. Orthofocus techniques. Conctacta 1962;6:200-4. 10) Binder PS, May CH, Grant SC. An evaluation of orthokeratology. Ophthalmology 1980;87:729-44. 11) Mountford J, Ruston D, Trusit D. Orthokerat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 Ann Arbor, MI: Butterwoth-Heinemann Medical, 2004; 1-320. 12) Efron N, Morgan PB, Woods CA;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Survey Consortium. International survey of rigid contact lens fitting. Optom Vis Sci 2013;90:113-8. 13) Soni PS, Nguyen TT, Bonanno JA. Overnight orthokeratology: visual and corneal changes. Eye Contact Lens 2003;29:137-45. 14) Swarbrick HA, Wong G, O'Leary DJ. Corneal response to orthokeratology. Optom Vis Sci 1998;75:791-9. 15) Smith EL 3rd, Kee CS, Ramamirtham R, et al. Peripheral vision can influence eye growth and refractive development in infant monkey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5;46:3965-72. 16) Benavente-Pérez A, Nour A, Troilo D. Axial eye growth and refractive error development can be modified by exposing the peripheral retina to relative myopic or hyperopic defocu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4;55:6765-73. 17) Lui WO, Edwards MH. Orthokeratology in low myopia. Part 1: efficacy and predictability. Cont Lens Anterior Eye 2000;23:77-89. 18) Cho P, Cheung SW, Edwards M. The longitudinal orthokeratology research in children (LORIC) in Hong Kong: a pilot study on refractive changes and myopic control. Curr Eye Res 2005;30:71-80. 19) Edwards MH, Li RW, Lam CS, et al. The Hong Kong progressive lens myopia control study: study design and main finding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2;43:2852-8. 20) Walline JJ, Jones LA, Sinnott LT. Corneal reshaping and myopia progression. Br J Ophthalmol 2009;93:1181-5. 21) Kakita T, Hiraoka T, Oshika T. Influence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on axial elongation in childhood myopia. Invest Ophthalmol 68
- 양순원 외 :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근시 진행 억제 효과 및 안정성 - Vis Sci 2011;52:2170-4. 22) Hiraoka T, Kakita T, Okamoto F, et al. Long-term effect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on axial length elongation in childhood myopia: a 5-year follow-up stud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2;53: 3913-9. 23) Cho P, Cheung SW. Retardation of myopia in Orthokeratology (ROMIO) study: a 2-year randomized clinical tri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2;53:7077-85. 24) Charm J, Cho P. High myopia-partial reduction ortho-k: a 2-year randomized study. Optom Vis Sci 2013;90:530-9. 25) Chen C, Cheung SW, Cho P. Myopia control using toric orthokeratology (TO-SEE stud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3;54:6510-7. 26) Sun Y, Xu F, Zhang T, et al. Orthokeratology to control myopia progression: a meta-analysis. PLoS One 2015;10:e0124535. 27) Swarbrick HA, Alharbi A, Watt K, et al. Myopia control during orthokeratology lens wear in children using a novel study design. Ophthalmology 2015;122:620-30. 28) Hiraoka T, Kakita T, Okamoto F, Oshika T. Influence of ocular wavefront aberrations on axial length elongation in myopic children treated with overnight orthokeratology. Ophthalmology 2015;122:93-100.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