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DBPIA-NURIMEDIA

내지4월최종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자료)2016학년도 수시모집 전형별 면접질문(의예과포함)(최종 ).hwp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untitle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0429bodo.hwp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ls46-06(심우영).hwp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11¹ÚÇý·É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12¾ÈÇö°æ 1-155T304®¶ó

진보적 효과 라고 불렀다. 3) 그렇다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조-중-동 이라는 용어는 무엇을 의미하고 상징 하는가? 많은 이들이 이 세 신문을 보수신문 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른바 한-경 과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 조-중-동 이라는 호명이 무엇을 근거

<36C8A3B3EDB9AE5B31305B315D2E323020BCF6C1A45D2E687770>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01노영재(1-26)ok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cfe_e-지식_16-28.hwp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5B335DC0B0BBF3C8BF2835B1B35FC0FAC0DAC3D6C1BEBCF6C1A4292E687770>

<C1A634C2F720BAB8B0EDBCAD20C1BEC6ED20BDC3BBE720C5E4C5A920C7C1B7CEB1D7B7A5C0C720BEF0BEEE20BBE7BFEB20BDC7C5C220C1A1B0CB20C1A6C3E22E687770>

<C0C7B7CAC0C720BBE7C8B8C0FB20B1E2B4C9B0FA20BAAFC8AD5FC0CCC7F6BCDB2E687770>

DBPIA-NURIMEDIA

<B1E2C8A3C7D0C8B8C1F620BED5B4EB28C6EDC1FD292E687770>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일본만화의 폭력성과 우리 청소년 / 청소년위원회 청소년 보호단 매체환경팀 편집. -- 서울:청소년위원회, 2005 p. ; cm. -- (청소년 ; ) ISNB :기타 KDC

등대3강(이남수) - 옆집 엄마 한마디에 무너지지 마세요.hwp

DBPIA-NURIMEDIA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도비라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11민락초신문4호


영남학17합본.hwp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640..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652

歯 조선일보.PDF

조선독립동맹 ⑴ 결성 중국 화북지방에서 94년 7 월, 사회주의 계열인 김두봉, 무정 등이 결성하였고,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를 조선의용군으로 개편하여 요문구, 백초평, 화순 등지에서 일본군과 격전을 벌였다. ⑵ 건국강령 전 국민의 보통선거에 의한 민주공

<BFACBCBCC0C7BBE7C7D E687770>

<C1DFB1DE2842C7FC292E687770>

untitled

¼½½´¾ó¸®Æ¼-³»Áö

???? 1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DBPIA-NURIMEDIA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07ÃÖ°æÈñ

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 hwp

아태연구(송석원) hwp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아산서평모임 1회 모임〕

DBPIA-NURIMEDIA

<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 D28BCF6C1A4292E687770>

160215

Transcription: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1)2) 주창윤 **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중반 불어 닥친 댄스 열풍과 관련된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과정을 밝히는 데 있다. 대중은 댄스를 자유, 민주주의, 현대, 문화(교양) 의 표현으로 정당화했다. 댄스 열풍으로 적지 않은 사회적 사건들이 발생하자 지배 담론은 여성의 정조, 여성의 성윤리, 가정의 유지라는 시각에서 여성 만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다. 전후파 여성으로 불린 자유부인, 양공주, 일부 여대생과 전쟁미망인들은 전 통과 윤리를 파괴하는 대표적 집단으로 규정되었다. 지배 담론은 전후파 여성을 타자화하면서 이상적 어 머니의 담론을 만들어냈다. 이것은 1950년대 중반 젠더 관계에 대한 가부장의 위기의식을 반영하는 것이 었다.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은 전통의 소환 혹은 도의운동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국가권력은 미국 식 자유주의 제도와 가치를 흡수하면서도 국가통합과 민족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전통을 소환했다. 따라서 1950년대 댄스 열풍은 근대성과 전통성이 융합된 한국 국민국가 형성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 며, 전후 급격한 사회변동에서 나타나는 심성체계와 사회 전 분야에서 심대한 영향을 미쳤던 미국의 충격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문화현상이었다. key〻words:댄스 열풍, 1950년대 대중문화, 전통의 재창조, 자유부인, 전후파 여성, 아메리카니즘 * 이 논문은 2008학년도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았음. ** joo@swu.ac.kr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78 1. 문제의 제기 1950년대 중반 한국 사회를 휩쓸었던 열풍 중의 하나는 댄스였다. 물론 일제 강점기 동 안에도 특정 직업군(기생, 바걸 등), 일부 모던 걸과 모던 보이들은 댄스를 즐겼다. 해방 공간 에서도 미군과 상류계층은 댄스홀에 출입했다. 그러나 댄스는 대중적으로 유행하지 않았고, 특정 계층과 특정 지역에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반면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은 중간 계층 (middle class)을 중심으로 확산된 전국적 현상이었다. 1950년대 중반 불어 닥친 댄스 열풍은 단순히 한 때의 유행이거나 아메리카니즘의 한 표현 (김하태, 1959b, 67쪽)으로 평가할 수만은 없다. 그것은 전후( 戰 後 ) 한국 사회의 외적ㆍ 내적 변화들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난 문화현상이기 때문이다. 외적으로 보면 1950년 대 중반 한국 사회는 냉전체제의 한 축으로 자유진영에 편입되었고, 미국은 정치, 경제, 문화 영역에 걸쳐서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내적으로는 전쟁의 결과로 개인주의적 경향, 약화된 공동체 의식, 국가에 대한 불신, 인구변동과 인구이동에 따른 가족의 변화, 전통윤리의 해체 등 사회의식의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댄스 열풍은 문화적ㆍ사회적 논쟁거리를 양산했다. 댄스 열풍을 다룬 소설 ꡔ자유부인ꡕ 을 놓고 문화의 적 이거나 중공군 50만 명에 해당하는 적 (황산덕, 1954)이라는 비판에서 영화 <자유부인>에서 보여준 초유의 관객 동원까지, 그리고 박인수 사건으로 전후 성윤리 가 쟁점이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논란들은 피상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댄스 열풍은 전 후 급격히 변화된 젠더의 재구성 문제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전후 남성의 공백을 여성 이 메워가는 과정에서 댄스에 빠지고 개방된 성의식을 가진 여성군상을 의미하는 자유부인 의 등장은 가부장의 위기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국식 자유주의 제도와 가치를 흡수하면서 근대 국민국가를 만들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 국가통합과 민족정체성 확보를 추구해야 했던 국가권력은 댄스 열풍에 침묵할 수만은 없었다. 따라서 댄스 열풍은 재건윤 리로서 전통을 소환 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 연구는 1950년대 대중문화 현상 중에서 댄스 열풍에 주목해서 세 가지 연구문제를 탐 구할 것이다. 첫째, 전후 사회변동의 맥락 속에서 댄스는 어떻게 유행하게 되었으며 댄스와 관련된 일상적 풍경은 어떠했는가. 둘째, 댄스는 젠더 재구성 과정에서 어떻게 개입되어 있 는가. 남녀와 세대를 넘어 유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여성의 윤리문제만 쟁점화되었는가. 셋째, 1950년대 근대성과 전통성 접합의 장으로서 댄스는 어떻게 전통의 소환과 관계되는 가. 따라서 이 연구는 1950년대 중반 대중이 어떻게 댄스하는 것을 스스로 정당화하려 했으 며, 반면 지배 권력은 어떻게 보수적 민족주의를 강화하고자 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79 2. 전후 심성체계의 변화와 1950년대 대중문화 논의 1) 전후 사회변동과 심성체계의 변화 전후 한국사회는 세계사적으로 미ㆍ소 양 대국을 축으로 하는 냉전체제 아래서 분단이 고착화되었다. 국내적으로는 이승만의 민주독재 (대의제 형식은 유지되었다는 점에서)가 가속화되면서 반공주의가 지배 이데올로기로 자리 잡았다. 한국전쟁은 전체 사회구조를 뿌 리 채 흔들었으며, 대중들의 심성체계(mentality) 1) 에도 커다란 변화를 초래했다. 전후 한국 사회는 도시화가 전개되면서 개방적 사회로 변화했다. 전통 사회에서 유지되 었던 문화 공동체나 가족 공동체는 전후 조금씩 해체되면서 개별화 혹은 개인주의적 성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국전쟁을 치르는 과정에서 한국과 미국 간 유대관계가 절정을 이루면 서 미국은 한국의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1950년대 초반 이후 한국 사회는 왜곡된 대의 민주주의 를 경험했다. 민주주의 정치가 시도되었다는 것은 자유에 대 한 새로운 경험이기도 했다. 전후 한국 경제구조는 지주계급의 몰락과 자본가 계급의 성장, 서비스 업종의 팽창, 소비 재 중심의 공업구조, 경제성장보다는 경제안정을 우선시 하는 미국의 원조정책, 국가역할의 확대, 농지개혁을 통한 신분제의 해체 등으로 특징지어진다(이대근, 1987; 장상환, 1999). 한 국전쟁은 대규모 인구변화와 인구이동을 초래했다. 한국전쟁으로 남한에서만 대략 13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것은 인구 피라미드에서 젊은이들의 죽음으로 움푹 팬 홈(classes creuses) 으로 나타났다. 피해가 극심했던 서울 경기 지역의 경우 20 24세 인구(24,437명)가 15 19세 인구(57,452명)의 절반이 되는 기현상을 보였다. 성비 불균형이 두드러졌는데 서 울의 경우 20 24세 남성인구는 15 19세 남성인구의 26%밖에 되지 않았다. 서울 이외 다 른 지역도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성비 불균형은 피할 수 없었다(이홍탁, 1992). 젊은 남성 의 희생이 컸고, 50만 명이 넘는 (전쟁)미망인이 생겨났다. 2) 전쟁으로 인한 대규모 인구이동은 도시지역 인구 증가를 초래했다. 피난민들이 대체로 도시지역에서 거주지를 찾았기 때문이었다. 전후 도시집중은 공업화가 아니라 피난이 동인 이었다. 한국사회 도시화율은 1949년 17.3%, 1950년 18.4%, 1955년 24.5%, 1960년 28.0%로 계속 증가했다(정성호, 1999, 27쪽). 인구이동은 사회적 유동성이나 사회변동 과정을 촉진시 켰다. 전상인(2001)은 한국전쟁이 초래한 심리적 변화를 이중성 속에서 찾는다. 도시화가 증가 1) 강명구(2007)는 심성체계를 가치관이나 태도를 넘어서서 한 사회의 밑바닥을 구성하는 문화적 토대로 정의한 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정서의 구조(structures of feeling) 는 특정 세대에 공유되는 가치가 드러나는 경험들인 반면, 심성체계는 특정 세대를 넘어서며 보다 장기 지속적이고 무의식적인 집단정신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심 성체계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집단적 (무)의식들이 전후 1950년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1960년대 이후에도 한국사회의 의식을 규정하는 토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2) 1958년 보건사회부에서 집계한 바에 의하면 전국 미망인 총수는 505,300명이었다. 이 중에서 군경 미망인이 약 6만 명이고, 44만 명이 일반 미망인이다(여원 편집부, 1959a, 160쪽). 대다수는 전쟁미망인들이었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80 되면서 개방적 사회 로 변모하지만, 전쟁의 극한 상황에서 외지인을 신뢰하지 않으면서 가 족 이기주의나 연고주의가 증가하는 폐쇄적 사회관계 를 갖게 되었다. 전쟁 상황에서 국가 의 중요성 을 느꼈지만 동시에 전쟁에서 경험했듯이 국가에 대한 불신 도 증대했다. 전쟁으 로 인해서 이데올로기 공동체는 강화 되었지만, 문화적 공동체는 약화 되었다. 또한 우리 민족은 스스로 지켜야 한다는 민족 자주성은 강화 되었지만, 동시에 미국에 대한 경제적ㆍ 심리적 의존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개인적 수준에서 본다면, 누구나 같은 처지에 살면서 국가나 사회제도에 대한 불 신으로 생존을 위해 물질적인 것, 개인적인 것을 중시하는 심성체계가 나타났다. 이것은 개 인적 자유의 과잉 으로 표출되었다. 1950년대 중반 자유는 국가 지배 이데올로기로서, 그리 고 개인적 가치로서 구조화되었다. 이승만 정권에서 자유는 민주주의 체제 와 동일시되고 억압적 공산주의 에 대립되는 것으로 체제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이념이었다. 정치적 자유 는 자유 민주주의 체제의 수호를 의미했고, 반공주의로 강화되었다. 그러나 개인들에게 자 유는 국가나 이데올로기, 전통적 가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의미했다. 자유의 과잉은 전후 심각한 가치체계의 혼돈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전쟁이 길어지자 민중은 전쟁의 허무, 생활 터전을 잃은 절망과 불안 속에서 사회윤리는 급 속하게 퇴폐의 경향을 나타냈으며 사치풍조가 늘어 갔다. 환락가는 부어라 마셔라 먹자판에 돌아 버렸다. 시민들 옷차림은 화려해져 갔다 전후에도 민중의 불안은 여전했다. 어떤 일 을 꾸미는 데도 장기적이 못 되고 단기적인 안목에 흘렀다. 치부나 성공을 위해 부정을 서슴 지 않는 불성실이 노골화하고 사회윤리는 개판 으로 부패하여 전후 혼란스러운 사회를 배경으로 춤바람이 불며 이성은 흐려졌다. 춤바람은 서양적인 생활풍속이 수입되면서 일으 키는 풍파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 ꡔ동아연감ꡕ, 1975, 40 41쪽, 동아일보사) 한국전쟁은 사람들의 생활윤리나 가치체계를 급격히 변화시켰다. 전쟁은 우리에게 내 일은 없다 는 허무감을 심어주었다. 누구도 내일이 보장되리라는 약속이 없는 시대에 자기 중심적 성향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3) 물질적인 것에 대한 집착, 현재적 즐거움의 추구는 1950년대 중반 지배적 심성체계로 자리 잡으면서 전통적 질서나 가치체계는 해체되기 시작 했다. 3) 댄스 열풍과 더불어 한국전쟁 이후 비로도 치마 의 유행은 이와 같은 심성체계의 변화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박 완서(1991, 109쪽)는 전후 비로도 치마 유행과 관련해서 이 나이까지 살아오면 숱한 유행의 변천을 목격하기도 하고 따라 하기도 했지만 비로도 치마처럼 무분별하고 광적인 유행은 처음 보았고, 또 우스꽝스럽기도 하고 전 무후무한 유행이 아니었을까 싶다 고 기억한다. 비로도는 색상은 매혹적이지만 실용성이 없는 옷감이었다. 한 번 자리에 앉았다 일어서면 엉덩이가 단박 번들번들해지고, 접었던 자리도 일단 주름이 지면 잘 펴지지 않으며 다림질을 잘못하면 아주 못 입게 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전후 복구과정에서 전혀 실용성은 없었지만, 그 화려 함은 광적인 유행을 낳았고, 현재에 집착하는 자기중심적 성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81 2) 1950년대 대중문화 연구 논의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대중)문화연구들은 1920 1930년대 일제 강점기 기간에 형성된 근대성 논의나 1970년대 청년문화나 소비대중문화 논의들에 비해서 제한적이다. 특 히 1950년대 대중문화 연구는 최근에 들어 조금씩 활기를 띠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어 왔다. 첫째, 1950년대 미국 대중문화가 다양한 대중 매체(잡지, 영화, 음악 등)에 어떻게 표상되 어 있는가가 분석되었다(강소연, 2006; 김세령, 2006; 이선미, 2006; 이영미, 1995). 강소연 (2006)은 당시 여성지들은 선망의 대상 으로서 미국 여배우의 외적 이미지 좇기와 선진의식 을 겸비한 정숙하고 교양있는 미국 여성이라는 이미지가 여성 잡지들에서 나타났다고 분석 한다. 김세령(2006)은 기독교 신문ㆍ잡지들은 은혜를 베푼 고마운 나라로서 미국, 한국의 위 기를 타개할 수 있는 청교도적인 경건함과 풍요로움을 가진 선망의 대상으로 미국을 표현했 다고 주장한다. 이선미(2006)는 1950년대 한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미국영화는 주로 대도시 문화체험의 중심에 있었으며, 도시경험과 근대경험의 대표적 문화현상이었다고 말한다. 따 라서 개인적 자유나 합리성이 반공주의의 명분 하에 약화되었던 1950년대에 다양한 개인의 욕망이나 주체의식 구성은 미국영화를 통해서 당대 개인들에게 중요하게 취급될 수밖에 없 었다는 것이다. 이영미(1995)는 1950년대 대중음악에서 미국에 대한 엑조티시즘(exoticism) 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분석한다. <샌프란시스코>(1952), <아메리카 차이나타운> (1953), <아리조나 카우보이>(1955), <럭키 모닝>(1956) 등 미국을 상상하는 풍경묘사가 남발되는 노래들이 속출했다. 이들 노래는 현실감 없이 단순히 미국에 대한 동경 심리를 보 여주었다. 둘째, 냉전과 미국의 영향이라는 맥락에서 대중문화 생산의 제도적 측면을 다루었다(강 명구ㆍ백미숙ㆍ최이숙, 2007; 이성민ㆍ강명구, 2007; 허은, 2003). 이들 연구들은 미국에 대 한 단순한 표상의 문제를 넘어서서 미디어 제도와 냉전 이데올로기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강명구ㆍ백미숙ㆍ최이숙(2007)은 냉전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1950 년대 중반 미국의 전 지구적 통신과 방송 네트워크 구축, RCA의 방송사업 진출, 주한미공보 원(USIS)의 적극적 지원으로 한국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사인 HLKZ가 출범할 수 있었다고 분석한다. 이성민ㆍ강명구(2007)도 같은 맥락에서 한국기독교연합회의 반공주의(냉전)와 주한미공보원의 자유주의 이데올로기 구축이 기독교 방송의 출범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고 밝히고 있다. 허은(2003)은 냉전의 역사적 조건 아래에서 주한미공보원이 교육교환, 지방 문화원 지원, 전시회, 영화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미국의 제도와 가치를 전파해왔다는 점을 논의한다. 셋째, 위의 두 연구경향이 미국을 중심으로 1950년대 대중문화 현상을 분석한 반면 전 통론 의 부상이 어떻게 여성문제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여성주의 시각에서 분석한 연구들도 주목할 만하다(김금녀, 2000; 김은경, 2006; 윤선자, 2005; 이상록, 2001; 이정희, 2005). 이들 연구자들은 1950년대 미국 대중문화에 대한 대항담론으로 전통론이 급부상하는 과정에서 국가와 가부장의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여성을 타자화했는가를 분석했다. 예를 들어, 가부장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82 적 권력은 전후 윤리 타락의 책임을 전후파 여성(자유부인, 양공주, 댄스홀에 다니는 여대생 이나 전쟁미망인 등)으로 규정했다는 것이다. 김은경(2006)은 자유부인과 양공주가 가부장 제를 위협하는 집단으로 인식되었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여성에 대한 성 통제를 기반으로 유지되는 가부장제에서 자유부인은 통제범위를 넘었으며, 혈통주의 가부장 사회에서 미군 성매매 여성과 혼혈아는 민족적ㆍ가부장적 수치와 위기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1950년대 대중문화는 냉전, 미국의 영향, 이식성, 근대 국민국가 건설과정이라는 거시적 수준과 전후 급격한 사회변동 속에서 형성된 심성체계들(혹은 정서의 구조들)-자유의 과 잉, 개인주의적 경향, 약화된 공동체 의식, 미국과 미국문화에 대한 동경 등-사이에서 형성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두 가지 수준에서 극명하게 1950년대 대중의 정서를 담아내 고 있는 것은 댄스 열풍이었다. 3. 연구방법 이 연구의 분석대상 기간은 전후부터 1959년 사이다. 댄스 열풍은 1950년대 중후반에 대 표적인 문화현상이었는데 5ㆍ16 군사쿠데타 직후부터 수그러지기 시작했다. 4) 이 연구는 1950년대 댄스 열풍을 파악하기 위해서 당시 신문, 잡지, 소설, 영화 등의 자료들을 종합적으 로 활용했다. 첫째, 신문자료로 ꡔ동아일보ꡕ와 ꡔ조선일보ꡕ에서 댄스 관련 기사를 수집했다. ꡔ동아일보ꡕ는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통해서 35건, ꡔ조선일보ꡕ는 조선닷컴(chosun.com) PDF 파일 검색을 통해서 78건의 댄스 관련 기사를 수집했다. ꡔ조선일보ꡕ 기사 45건과 ꡔ동아 일보ꡕ 기사 19건은 댄스 단속, 허가, 재허가, 댄스홀 폐쇄 등과 같은 사건기사들이었다. 신문 기사로 국가가 어떻게 댄스홀의 허가, 폐쇄, 재허가, 부분허가 등에 개입했고, 댄스 열풍을 바라보는 언론의 시각과 댄스 관련된 박인수 사건(1955), 정치숙 사건(1955), 최필원 사건 (1956), 김석구 사건(1956), 안순애 사건(1959) 등 당대 맥락을 파악했다. 두 신문기사만 가지고 당시 댄스에 대한 대중적 반응이나 풍경을 밝혀내기 어려웠다. 따 라서 ꡔ신태양ꡕ과 ꡔ여원ꡕ에 실려 있는 댄스 관련 자료들을 모두 수집했다. ꡔ신태양ꡕ은 1952 년 8월 창간되어 1961년 6월 종간되었는데, 대표적인 대중오락잡지였고, ꡔ여원ꡕ은 1955년 10월 창간된 여성 대중오락잡지였다. ꡔ신태양ꡕ과 ꡔ여원ꡕ은 각각 12건과 13건 특집, 르포 기 사 등을 싣고 있었다. 두 잡지의 경우 대부분 기사들은 심층취재 형식을 취하는 흥밋거리 르 포 기사들이어서 당시 댄스 풍경(댄스홀 내에서 벌어지는 일들, 미군대상 댄스홀, 허가된 공 식 댄스홀, 비밀 댄스홀, 댄스홀에 가는 사람들의 유형 등)을 부분적으로 읽어낼 수 있었다. 4) 5 16 군사쿠데타 주체들은 노동 지고( 至 高 ) 의 금욕적 이데올로기를 추동했는데 댄스 를 이전보다 강력하게 단속했다. 댄스광 처벌에 대해서 당시 여론은 긍정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1963, 292쪽)에 기술에 따르면, 댄스에 열광하는 사람들의 처벌에 대해 국민들은 썩 잘한다 가 73.5%, 대체로 잘한 다 가 17.1%로서 국민의 90.6%가 찬성하고 나머지 6.4%는 좀 지나치게 처벌했다 는 의견을 표시했다.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83 셋째, 소설 ꡔ자유부인ꡕ(1954)과 영화 <자유부인>(1956)도 자료로 일부 활용되었다. 소 설 ꡔ자유부인ꡕ은 1954년 1월 1일부터 ꡔ서울신문ꡕ에 연재되어 그해 4월 출간하자마다 단기 간에 7 8만 부가 매진되었다(이임자, 1992, 151쪽). 스카라 극장에서 개봉된 영화 <자유부 인> 역시 28일간 상영에 13만 명 관객동원이라는 흥행 기록을 세웠다. 비록 소설과 영화 자 유부인 은 작가의 허구적 상상물이지만 1950년대 중반을 잘 반영하는 텍스트이기도 하다. 정비석(1974)은 ꡔ자유부인ꡕ을 쓸 당시를 회고하면서 만일 어느 사회학자가 있어서, 우리나 라 사회의 변천사를 연구하려 한다면 이 소설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전후의 혼 란기, 그 시대를 살아간 인간들의 생활과 의식이 적어도 거기에는 솔직히 나타나 있기 때문 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물론 작가의 서술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ꡔ자유부인ꡕ에서는 유행하는 언어들(자유, 민주주의, 교양, 문화인, 교양인, 현대)과 소설의 배경이 되는 1953년 에서 1954년 봄 사이 정치(국회의원 선거), 사회쟁점(한글간소화 문제), 비로도 치마에서 나 일론 의상으로 바뀌는 과정, 계( 契 ) 모임, 유행했던 쇼트 컷 헤어스타일, 나일론 장갑 등 당대 풍경을 잘 묘사한다. 이 점은 영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영화의 촬영지가 되었던 댄스홀인 LCI 모습이나 댄스홀 정경 등은 영화 <자유부인>이 아니면 현재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 연구의 자료는 일관된 체계나 과학적 절차에 의한 것이 아니라 1950년대 중후반 댄스 와 관련된 신문기사, 대중잡지 르포 기사, 소설 등에서 선택적으로 수집된 것이다. 연구자는 1950년대 중ㆍ후반 댄스와 관련된 사건과 풍경들을 보여주는 역사적 스크랩 을 수집해서 재구성했다. 그러나 기본적 자료의 부족은 연구자의 노력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제약이었 다. 당시 댄스홀에 출입했던 사람들의 계층, 연령, 성 등과 관련된 객관적 자료나 통계가 결 여되어 있고 대중적인 흥미를 자아내는 잡지 르포나 재구성된 허구물이 일부 자료로 활용되 었다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대부분 기사나 르포를 쓴 사람들이 남성이었을 것 으로 고려된다는 점도 한계이다. 당대 댄스 열풍이라는 현실과 미디어에 나타난 담론 사이 에 괴리는 연구방법에서 이 연구가 갖는 근본적 한계이다. 4.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과 댄스홀 풍경 1)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한국 사회에서 서양 댄스는 재즈와 함께 1930년 전후에 유입되기 시작했다. 5) 미국의 경 우, 재즈는 1918년에서 1929년 사이 유행을 했는데, 한국에서 재즈와 댄스는 이보다 약간 늦 5) 박진규(2002)는 고종 때 서양 댄스가 소개되었다고 말한다. 고종이 아관파천으로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렀을 때, 러시아 공사 부인으로부터 처음 왈츠를 배웠다고 한다. 그러나 대중이 댄스에 접근하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 전후이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84 게 카페를 중심으로 퍼졌다. 1920년대 미국에서 젊은 세대들에게 유행했던 댄스는 쉬미(Shimmy), 찰스톤(Charleston), 폭스트롯(Fox-trot)이었다(Hanson, 1999, p. 90). 6) 1930년대 초반 한국에서 유행했던 댄스는 찰스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7) 1930년 11월 20일 ꡔ 朝 鮮 日 報 ꡕ 1931년이 오면(2) 에서는 그 사람 촬스톤을 곳잘 추던걸? 이 흔들기 좋아하는 남녀들은 1931년에는 집도 잘 흔들리는 용수철 우헤 짓고 용수철로 가구를 만들고서 촬스톤 바람에 흔들다가 시들 모양 이들의 눈에는 굼주린 헐벗고 떠는 사람이 보일 때도 촬스톤을 추는 것으로만 알게로군 이라고 적 고 있다. 찰스톤을 잘 춘다는 것은 이성에게 매력적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염상섭(1930)이 春 鶯 舞 는 고전적이오. 찰스톤은 현대적이다 라고 쓰고 있는 것을 보면, 찰스톤은 가장 현 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을 가능성이 높다. 1930년대 미국에서 쉬미는 시들해진 반면 찰스 톤은 폭발적으로 유행했기 때문이다. 찰스톤은 당시 최첨단 유행 댄스였다. 1930년대 일제 는 국가비상시 라는 명목으로 댄스홀을 정식으로 허락하지 않았다. 1930년대 초반 댄스홀 은 금지되었지만 댄스는 특정 계층(모던 걸, 모던 보이 등)을 중심으로 카페에서 퍼져나갔다. 댄스가 합법적으로 인정된 것은 해방 이후다. 미군정 기간 동안 댄스는 미군과 특정 상류 층을 중심으로 (사교) 댄스파티 형식으로 도입되었다. 미군 장교와 한국 상류층 여성들이 드 나들었던 낙랑클럽(1946)은 해방 후 사교 댄스가 유행하는 출발점을 제공했다. 낙랑클럽 회 원이었던 전숙희(2005)는 낙랑클럽과 미군들이 댄스파티를 유행시켰다고 기억한다. 1930년 대는 댄스홀 자체가 불법이었기 때문에 댄스가 폐쇄적으로 이루어진 반면, 해방 이후에는 댄스가 공개적으로 일반 대중으로 퍼지기 시작했다. 1930년대 댄스는 찰스턴이었지만, 미군 정기 유행하기 시작했던 댄스는 폭스트롯(Fox-trot) 중에서 템포가 느린 슬로우 폭스(Slow Fox) 혹은 슬로우 트롯(Slow Trot)이었고 이후 왈츠, 탱고, 블루스, 지르박, 차차차, 맘보 등이 퍼져나갔다. 解 放 과 더부러 높이 부르짖으며 찾은 것은 自 由 요 自 由 中 에 가장 好 氣 心 으로 欲 求 되는 것 에 땐스라는 것이 있다. 양갈보는 勿 論 有 閑 매담 家 庭 婦 人 接 待 婦 할 것 없이 一 部 輕 率 한 사 나이들이 즐겨하는 땐스에 無 限 한 호기심을 느낄뿐더러 個 中 에는 生 活 必 需 條 件 에까지 이 를 討 算 하고 있는 類 가 있는가 하면 純 眞 한 女 學 生 ( 表 面 純 眞 한 체 하는 -)들까지 땐스 敎 習 所 에 放 課 後 면 가방을 내동댕이치는 놀랄 事 實 을 본다. ( 朴 首 山, 1949년, 196쪽) 댄스는 해방과 더불어 급속히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1949년에 가정주부, 접 6) 쉬미는 탑댄스와 유사하게 상반신을 흔들면서 추는 춤인데 남녀 단둘이 춤을 추기보다는 여러 사람들이 함께 모 여서 함께 추었고, 찰스톤은 재즈 댄스로 1923년 흑인 스타들이 브로드웨이 <Running Wild> 공연을 통해서 유 행했는데 빠른 템포로 추는 춤이다. 폭스트롯은 템포에 따라서 여러 유형이 있는데 템포가 느린 Slow Fox, 혹은 Slow Trot은 오늘날 사교 댄스로 불리는 것 중의 하나다. 7) 미국에서 1920년대 초반 쉬미가 유행했다가 1923 1926년 사이 찰스톤이 대유행했다. 찰스톤은 개인, 커플, 집 단이 함께 출 수 있는 춤이며 재즈 음악의 유행과 분리될 수 없다. 찰스톤은 불건전하다는 이유로 고등학교와 대 학에서 금지되기도 했지만, 젊은이들은 찰스톤 콘테스트에 적극 참여하면서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Drwone & Huber, 2004, p. 227).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85 대부, 매춘부, 여학생까지 댄스를 배우기 시작한 것을 보면 댄스의 전파 속도는 매우 빨랐다 고 볼 수 있다. 박수산(1949)이 [댄스를 배우려는] 女 學 生 이란 高 等 中 學 校 以 上 女 大 學 生 을 말하는 것 으로 정의한 것을 보면, 댄스는 10대 후반으로까지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댄스는 한국전쟁 중에도 유행했다. 놀랍게도 낙동강 전투가 한창 진행되었던 1950년 8월에도 부산에서 댄스홀은 성행했다. 김두한은 광복동에 있는 늘봄 댄스홀 앞에 고급 세 단과 군 고급장교 지프들이 즐비하게 늘어져 있었고, 불과 100여 리 전방에서는 전투가 치열 해 젊은 청년들이 쓰러져가고 있는데, 전쟁에 아랑곳하지 않는 특권층들은 여자들과 함께 일대 육체의 향연 을 즐기고 있었다고 말한다(강준만, 2004년 106쪽, 재인용). 댄스홀 단속은 한국전쟁 중에도 수시로 이루어졌다. 댄스홀이 유엔군을 환영한다는 명목 하에 늘어나자 경 찰은 대대적으로 단속했다(ꡔ 東 亞 日 報 ꡕ, 1950년 11월 7일). 전후에도 댄스홀이 확대되자 1954년 8월 경찰은 서울 광화문 신문회관 에 있는 댄스홀 만 존속시켜 외국인만 출입가능하게 하고, 전국 모든 댄스홀을 폐쇄시켰다(ꡔ 東 亞 日 報 ꡕ, 1954년 8월 16일). 이와 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댄스홀과 비밀 댄스교습소는 불법적으로 성 행했고, 빠에서 댄스를 금지하자 대중들은 카바레로 몰려들었다. 특히 카바레는 내국인에게 도 출입이 허용되자 성황을 이루었다. 그러자 경찰은 시내 5개 카바레(모감보, 三 一 俱 樂 部, 뉴쓰맨스클럽, 유니온, 무랑루쥬)만 한국인의 출입을 허용했다(ꡔ 朝 鮮 日 報 ꡕ, 1956년 1월 14 일). 1950년대 중반 대중들은 카바레나 무허가 비밀 댄스홀에서 댄스를 즐겼다. 1955년 ꡔ 東 亞 日 報 ꡕ는 당시 댄스 열풍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해방 전에도 ꡔ땐스ꡕ란 사교 춤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오늘날 ꡔ땐스ꡕ 유행병은 놀 라운 전파력을 가지고 사회 각개각층을 풍미하고 ꡔ땐스ꡕ에 미쳐 ꡔ정조ꡕ를 헌신짝 모양 내던 지는 신여성, 가정이나 사회적 지위마자 내동갱이 치는 남녀가 수없이 연달아 나오고 있으 니 ꡔ트롯트ꡕ, ꡔ부루-스ꡕ, ꡔ탱고ꡕ, ꡔ질바ꡕ, ꡔ삼보ꡕ, ꡔ맘보ꡕ 대도시 각처에 있는 ꡔ비밀교 습소ꡕ에서 관리, 학생, 늦바람난 실업가의 마낫님, 다방 ꡔ레지ꡕ, 양가집 규수, 젓메기 아이 를 데리고 셋방살이 하는 자전거포 주인의 부인에 이르기까지 ꡔ땐스 왕국 ㆍ코리아ꡕ의 면목을 발휘하기에 이르렀으니. (ꡔ 東 亞 日 報 ꡕ, 1955년 8월 24일) 1950년대 댄스 열풍은 상류층에서부터 하류층에 이르기까지 일부 10대 후반에서 60대 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었다. 8) 당시 사회가 댄스 열풍을 겪은 것은 사실이지만 ꡔ 東 亞 日 報 ꡕ, ꡔ 朝 鮮 日 報 ꡕ, ꡔ신태양ꡕ, ꡔ여원ꡕ 등과 같은 신문과 잡지들의 보도처럼, 댄스 열풍은 세대와 계 층을 초월했다고 보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댄스 열풍은 중간 계층 이상이 주도했을 가능 성이 높다. 1950년대 중반 댄스 홀 입장료는 500환 정도였는데, ꡔ서울신문ꡕ 1954년 6월 18일 자에 따르면 1954년 쌀 한 말 값은 250환이었다. 댄스홀에 한번 출입하려면 쌀 두 말 값을 지 8) 1950년대 중후반 ꡔ 東 亞 日 報 ꡕ와 ꡔ 朝 鮮 日 報 ꡕ에 나와 있는 댄스홀 단속이나 댄스 관련 사건들은 얼마나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댄스에 열광했는지를 보여준다. 불법 댄스홀 단속에 걸린 사람들은 고위 공직자, 교수, 저명인 사 아내, 여대생, 다방 마담, 미용사 등으로 직업 역시 매우 다양했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86 불해야 하는데 하류 계층이나 10대 후반 등이 자주 댄스홀에 가기는 어려웠을 것이기 때문 이다. 노지승(2008)은 영화 <자유부인>의 주 관객층이 서구 영화를 주로 보아온 도시의 교 육받은 중간 계층 이상이었다고 지적한다. 물론 영화 <자유부인>의 주요 관객과 실제 댄스 를 즐긴 사람들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당시 경제적 여건과 미국문화의 주요 수용 계층을 고려하면 중간 계층 이상이 댄스 열풍을 주도했고, 일부 하류층이나 일부 10대 후반, 20대 초반 젊은이들이 댄스를 즐겼다고 판단할 수 있다. 댄스는 지르박, 블루스, 탱고, 트롯 등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댄스들은 미국이나 영국 의 댄스와는 약간 달랐다. 한국 댄스들은 서양의 사교댄스와는 달리 단시일 내에 간단하게 배울 수 있도록 개량된 것이었다. 2) 1950년대 댄스홀 풍경 1950년대 댄스는 세 가지 장소-미군부대 내 댄스홀( 特 殊 댄스홀), 댄스홀, 무허가 비밀 댄스홀(댄스교습소)-에서 행해졌다. 물론 1950년대 중후반에는 가정집이나 요리집에서도 개별 모임을 통해서 댄스를 배우거나 즐겼다. 미군 댄스파티는 낙랑클럽에서 시작되었지만, 미군 고급장교들뿐만 아니라 일반 사병들 도 한국 여성과 함께 댄스파티를 즐겼다. 정부에서도 유엔군(사실상 미군) 장병들의 노고를 다소나마 위안한다는 취지에서 유엔군 전용 댄스홀을 인정하고, 유엔군의 일을 돕는 일부 한국인들이 유엔군 장병을 초청해서 댄스홀에 가는 경우 별다른 출입을 막지 않았다. 그러 나 이와 같은 정부의 취지와 달리 미군 부대 내에서 열린 댄스파티는 매춘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미군부대 댄스홀은 特 殊 댄스홀 이라고 불렸다. 특수 댄스홀은 양공주들만 들어가는 곳이 아니라 가정주부, 처녀들도 출입했다. 미군부 대에서 댄스파티가 열리는 공고가 나오면 미군부대와 연결되어 있는 오야 마담 이 20 30 명 정도 한국 여성을 동원한다. 오야 마담 은 가정주부나 미혼 여성들을 동원하고 미군부대 로부터 보수를 받는다. 오야 마담 은 양공주에게 보수 일부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지불할 필요가 없는 가정주부를 선호한다. 양공주는 미군과 댄스와 매춘으로 약 20달러를 받는다. 미군부대 트럭 한두 대가 10명 정도씩 동원된 여성을 싣고 댄스홀로 데리고 갔다가 댄스파 티가 끝나면 시내로 데려다 준다. 댄스홀에서 양공주는 대체로 맥주를 마시고, 가정주부들 은 주스나 사이다를 마시면서 댄스파티를 한다. 미군부대 댄스홀 근처 초소에는 입장하지 못한 수십 명의 여성들이 출입을 요구하는데 생활고에 시달린 사람들이다. 파티가 끝나고 미군과 여성들의 개별적 거래(매춘)는 두 사람의 협의 하에 이루어진다(박동일, 1954). 특수 댄스홀에 출입하는 여성들은 양공주보다 가정주부가 많았다. 대부분 가정주부는 특별한 보 수를 받지 않고 이방인에 대한 호기심과 댄스에 대한 관심으로 동원되었지만 일부는 생계를 위해서 출입했다. 중상류층은 주로 공인된 댄스홀에 출입했다. 1956년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허가한 댄스 홀은 뉴그랜드, 東 和, 天 一, 컨티넨탈, 長 安, 國 一 館, 松 竹 등 총 7개였다(ꡔ 朝 鮮 日 報 ꡕ, 1956년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87 <그림 1> 1950년대 중반 댄스홀 정경: 영화 <자유부인>(1956) 4월 10일). 그러나 1957년 무렵에는 서울 시내에 모감보, 三 一 俱 樂 部, 뉴스맨 俱 樂 部, 東 和 홀, 무랑루즈, 컨티넨탈, 카아네기, 코멜, 松 林, 파라다이스, LCI, 旅 情, 黃 金 馬 車, 國 一 館, 天 一, 新 星, 후로리다 등 20여 개의 공인 댄스홀과 카바레들이 있었다. 공인 댄스홀이나 카바레 는 직업적인 사교 댄서가 있고 술도 팔았다(윤선자, 2005, 228쪽). 소설과 영화 자유부인 은 당시 댄스홀을 묘사하고 있다. 소설 ꡔ자유부인ꡕ에서 오선영이 옆집 사는 대학생 신춘호와 함께 간 곳은 당시 대표적인 댄스홀 중의 하나였던 LCI(해군장교 구락부)였다. 정비석은 30평이 훨씬 넘은 듯 넓디넓은 홀에서 호화스럽게 차려입은 칠 팔 십 명의 남녀들이 춤을 추고, 천장에는 휘황차게 비치는 오색 전등이 있는 것으로 LCI를 그려낸 다(정비석, 1954/1985, 193쪽). 영화 <자유부인>에서 보여주는 댄스홀도 정비석의 묘사와 비슷하다. 댄스홀에 온 사람들은 앉은 테이블마다 맥주 두 병씩 놓여 있고, 다양한 종류의 댄 스를 추었다. 10명 정도 밴드가 음악을 연주하고, 사람들이 쉬는 사이 댄스홀에서 고용한 직 업 댄서가 춤을 추었다. 댄스 장르는 트롯, 부르스, 왈츠, 탱고에서 원스텝, 투스텝, 쓰리스텝, 폴카, 맘보, 지르박 등으로 확대되었다. 댄스홀에서 사진을 찍지 않는 것은 불문율이었다. 댄스홀은 저녁 6시 30 분부터 문을 열고 밤(통행금지시간은 11시) 10시 45분에 닫는다. 손님들은 7시경부터 출입 한다. 1950년대 중후반이 되면, 댄스홀에는 바텐더가 있어서 칵테일(혼합주)을 팔기도 하고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88 안주로 과자, 명태포, 건포도, 감자튀김 등이 나왔다. 규모가 큰 댄스홀은 십수 명의 댄서들 을 고용했는데, 대기실에 있다가 손님이 지명하면 함께 춤을 춘다. 댄서 값은 1급 댄스홀의 경우 5,000환, 2급 댄스홀의 경우 시간제로 시간당 1,200환이다. 댄스홀에서는 종료하기 전 1분 동안 라이트 오프 가 있었는데 키스 타임 으로 불렸다(여원 편집부, 1959b, 202 207쪽). 무허가 비밀댄스홀은 댄스교습소를 겸하는데 1955년 서울에만 [추측] 130여 개소가 있 었다(신태양 편집부, 1956, 131쪽). 오후에는 비밀 댄스교습을 하고 저녁에는 댄스홀로 사용 되는데 종로, 을지로, 충무로 주변에 있는 적산가옥이 주요한 장소였다. 서민층 가정주부나 여학생들이 주요 고객으로 낮에 춤을 배우고 추는 것을 당시 속어로 알바이트 라고 불렀다. 입장료는 300환 정도로 몇 시간 댄스를 즐길 수 있었다(장경학, 1956, 146쪽). 무허가 댄스홀 에서는 파트너를 동반하기보다는 남녀가 따로 입장하여 춤을 배우거나 추었다. 이 밖에도 가정집이나 요리집에서 방을 빌려 댄스파티를 즐기는 것이 유행하기도 했다. 댄스홀 입장료는 1950년대 초반 3백 환에서 중반 5백 환, 후반에는 일천 환 정도였다. 특 히 댄스 시즌으로 불린 연말연초의 경우 입장료는 폭등했는데 크리스마스이브 入 場 料 가 男 女 한 雙 에 일만 환(ꡔ 朝 鮮 日 報 ꡕ, 1955년 12월 25일) 을 할 정도로 비쌌다. 1950년대 중후반 한번 댄스홀에 가면 대략 5천 환에서 일만 환(입장료, 술값, 일부 고용 댄서비 포함) 정도 지 불해야 했고, 1955년 당시 댄스교습소 한 달 교습비는 약 8천 환에서 1만 2천 환 정도였다(대 략 직장인 평균 임금의 1/4 비용). 1950년대 중반 젊은 세대나 기성세대가 여가나 데이트를 할 수 있는 곳은 요리집(중국 집), 영화관, 댄스홀이었다.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공인된 댄스홀에 출입하고,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비밀댄스홀을 이용했으며, 미군 댄스홀의 경우, 댄스를 좋아해서 공 짜로 춤을 추고 미군을 만나고자 하는 여성들이나 경제적 이유로 매춘을 통해서 돈을 벌었 던 양공주와 일부 가정주부가 출입했다. 1950년대 중반 댄스 광풍은 여러 가지 문화적ㆍ사회적 쟁점들을 만들어냈다. 소설과 영 화 자유부인 을 놓고 문화의 적 내지 선정성과 전통윤리 논란이 있었다. 특히 1955년 박인 수 사건은 적지 않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면서 전후 윤리와 전통의 문제는 사회적 쟁점이 되었다. 5. 전후파 여성(혹은 아프레 걸)에서 어머니 로 댄스 열풍이 1950년대 중반 한국 사회를 휩쓸면서 적지 않은 사건들이 발생했다. 1955년 7월 댄스홀에서 만난 20여 명의 여자들과 성관계를 맺은 박인수 사건, 9) 1955년 9월 댄스에 9) 박인수는 1955년 7월 22일 1심에서 혼인을 빙자한 간음협의에 대해서는 무죄, 공문서 부정행사협의에 대해서는 벌금 2만 환의 유죄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10월 14일 2심에서는 징역 1년이 구형되었다. 판사는 피고가 동거하면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89 빠져 자살한 당시 의과대학 여대생 정치숙(22세) 사건, 1956년 남편이 댄스홀에 자주 출입하 자 자신도 댄스홀에 다니다가 세 자녀와 함께 음독한 최필원(32세) 사건, 1956년 남편이 실 직한 이후 미용원에 취직한 아내가 댄스로 가정에 무관심하자 비관해 자살한 남편 김석구 (39세) 사건, 1959년 차관 부인이 20세 연하 댄스 교사와 사랑을 한 안순애(53세) 사건, 그리 고 일부 전쟁미망인들이 댄스에 빠지는 등 댄스는 타락과 가정을 파괴하는 사회악으로 규정 되었다. 댄스와 관련된 사건들이 빈번하게 발생하자 지배 담론은 남녀가 아니라 여성만을 세 가 지 수준에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다. 첫째는 여성의 정조문제(처녀의 순결성)였다. 박인수 사건은 20여 명이라는 숫자와 그 대부분이 여대생이라는 점에서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미혼여성의 순결문제가 세인의 관심거리였다. 박인수는 자신과 성관계를 맺은 여성들 중에 서 한 명만이 처녀였다고 법정에서 진술하면서 미혼여성의 정조문제는 더욱 부각되었다. 박 인수 사건을 둘러싼 논쟁은 정상적인 성과 비정상적인 성의 구분에 있었다. 1심 공판의 판결 문은 정숙한 여성의 성과 정숙하지 않은 여성의 성을 구분했고, 법은 정숙한 여성의 성만을 보호한다고 밝혔다. 이런 구분은 여성을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별하는 것이며 혼전순결을 강 조하는 사회풍토를 강화시켰다(이임하, 2004, 282쪽). 둘째는 기혼 여성의 성윤리 문제였다. 자유부인 은 가정을 돌보지 않고 댄스와 허영에 빠지고 개방적 성의식을 가진 여인군상을 뜻했다. 당시 전통을 파괴하는 대표적인 집단은 자유부인과 양공주였다. 댄스홀에 다니는 자유부인은 미군 상대 성매매 여성인 양공주와는 전혀 다른 집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윤리를 파괴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수준에서 규정되 었다. 셋째는 가정의 문제였다. 이것은 기혼여성과 전쟁미망인에게 관련되어 있었다. 자유부 인이 댄스홀에 가서 모르는 남자와 춤을 춘다는 것은 가정의 파괴로 규정되었다. 더욱이 50 만 명이 넘는 전쟁 미망인들은 별다른 사회적 도움 없이 혼자 가정을 책임져야 할 위치에 놓 여 있었다. ꡔ합동연감ꡕ(1959)은 (전쟁미망인) 이들은 30세 전후로서 다방, 미장원, 요리점 등의 영업에 진출했다. 남편이 없다는 점에서 사교계에 자유롭게 진출했다. 여성의 사교계 진출, 양풍( 洋 風 ) 유입은 가정을 경시하고, 허영과 향락에 빠지는 자유부인을 다량으로 산출 했다 고 진단했다. 박인수 사건과 더불어 실직운전사 김석구 사건은 세인의 주목을 받았다. 지프 운전사였 던 김 씨는 실직한 이후 아내가 6남매를 돌보지 않고 춤에 빠지자 수면제를 복용하고 자살했 다. 이 사건은 같은 해 발생했던 최필원 사건(댄스에 빠진 부인이 세 자녀와 함께 음독해 자 살한 사건)보다 크게 보도되었다. 아들 딸 六 남매의 어머니인 중년부인이 실직 중의 남편을 위로하기는커녕 ꡔ지금 생활은 내 이상에 맞지 않는다ꡕ고 입버릇처럼 내뿜으며 어려운 살림도 돌보지 않고 여름이면 ꡔ하이힐ꡕ 에 ꡔ파라솔ꡕ 겨울이면 ꡔ비로도ꡕ 치마저고리에 양단 두루마기를 뭄에 휘감고 떠돌아다니는 서 아이까지 있는 상황에서 수많은 미혼여성과 성관계를 가졌다는 것에 대한 사회윤리적 책임이 크다고 판결했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90 바람에 이를 비관한 남편은 마침내 자식 六 남매를 남기고 음독자살하고만 가정 비극이 있다 (부인) 임씨는 항시 화려한 몸차림에 검은 화장을 하고 ꡔ딴쓰ꡕ니 ꡔ드라이브ꡕ 등 외마디 영 어를 자랑하기를 좋아했었다고 하는데 김씨의 자살을 보고 동네 사람들은 모두가 그의 부인 임씨를 원망하고 비난하고 있다. (ꡔ 東 亞 日 報 ꡕ, 1956년 1월 19일) 김석구 사건이 최필원 사건보다 더 주목받은 이유는 아내의 사치로 인해서 남편이 자살 했다는 점일 것이다. 최필원 사건의 발단은 댄스 바람난 남편이었고, 이로 인해서 아내와 세 자녀가 죽었지만 남편에 대한 비난은 제기되지 않았다. 반면 운전사였던 김 씨가 자살한 사 건의 경우 동네 사람들의 말을 빌어 가정을 돌보지 않고 댄스와 사치에 빠진 부인 임 씨를 비 난했다. ꡔ여원ꡕ(1956년 4월)은 남편의 실직으로 미용사가 된 아내에 대해서 여성으로서 허 영의 발원지인 미장원이라는 데에 발을 들여 놓았고 화려한 의복과 현란한 장신구는 대개 생명으로 고히 간직해야만 될 절개와의 교환물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무엇 때문에 남편과 많은 어린 것들을 버리고 오래 집을 나가 있었으며 또 몸이야 깨끗이 가졌거나 않았거 나 간에(나절로, 1956, 141 143쪽) 라는 식의 추측으로 이 사건을 기술했다. 여성이 직업을 가진 것이 문제( 미용사라는 직업을 선택한 것이 불행을 예약했고 )이며, 미장원은 허영의 발 원지고 화려한 의상은 절개와 교환물이며 집을 나갔기에 몸이 더렵혀졌다는 것이다. 두 사건은 댄스를 보는 가부장적 시각의 극단을 보여주었다. 최필원 씨는 남편이 원인을 제공했고 자녀까지 죽음에 이르게 했지만 자살을 선택함으로써 가부장제에서 용서가 된 것 이고, 운전사 부인 임씨는 댄스에 빠져 가정을 돌보지 않았으며 (죄 없는) 남편을 죽음으로 몰고 갔기 때문에 용서받을 수 없었던 것이다. 1950년대 중반 댄스홀에 다니면서 타락한 성윤리를 보여주는 여성 집단을 전후파( 戰 後 派 ) 여성 혹은 아프레 걸(Apres-girl) 이라고도 불렀다. 가정으로부터 해방된 가정 해방파 와 육체로부터 해방된 육체 해방파 를 전후파 여성의 전형으로 분류되었다. 전후파 여성 혹은 아프레 걸이라고 불렸던 이들은 전통을 말살시키고 사회도덕과 윤리기강을 해치는 존 재였다. 아푸레 의 여성들은 보다 직접적이고 보다 관능적으로 현실을 향유하려든다. 그 결과로 외 부적인 사치, 유행에의 추종, 육( 肉 )의 개방, 생활의 구속과 책임 으로부터의 도피 그러므 로 아푸레 여성들은 하나의 부롯치 유행하는 의상( 衣 裳 )이 필요했고, 평범한 아내 나 착 한 어머니 가 되기보다는, 인기있는 사교계의 스타 가 되길 원하는 것이다. 그것은 역설적 인 향락이다. 자포의 웃음으로써 무엇으로도 지울 수 없는 전쟁의 상흔( 傷 痕 )을 위로해 보 려는. (이어령, 1957, 181쪽) 아프레 걸은 허영과 사치를 일삼으며 정조 관념이 없는 여성을 일컫는 말로 쓰였는데 주 로 여대생, 미군 상대 성매매 여성, 댄스홀에 출입하는 부인, 가정에 무관심하고 매춘이나 사 교계에 진출한 전쟁미망인 등이다. 1950년대 전통과 윤리를 파괴하는 대표적인 집단은 남성 이 아니라 여성이었으며, 그 여성도 타자화된 전후파 여성 이었다.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91 전후 한국사회에서 국가권력이나 지배 권력은 전후파 여성(혹은 아프레 걸)으로부터 어 머니(혹은 아내)의 회복을 요구했다. 이것은 모성을 통해서 국가/민족/가정을 유지한다는 모성 민족주의 (이정희, 2005)라고 볼 수 있다. 정부는 1955년 8월 30일 국무회의에서 5월 8 일을 모성애( 母 性 愛 )에 대한 덕을 널리 찬양하기 위해 어머니날로 제정했다(ꡔ 東 亞 日 報 ꡕ, 1955년 8월 31일). 어머니날은 일제 강점기 동안부터 5월 둘째 일요일로 정해져 있었지만, 정부가 정식 국가기념일로 확정한 것이다. 1956년 어머니날에는 정부가 일주일을 기념행사 주간으로 정해서 전쟁미망인과 모범 어머니를 표창하고 위로했다. 이화여자대학교는 신사임당 탄생 451주년을 기념해서 우리나라 ꡔ 女 性 의 象 徵 ꡕ으로서 그의 생일을 기념하는 동시에 ꡔ 婦 德 의 振 興 ꡕ을 아울러 꾀하자는 의미(ꡔ 東 亞 日 報 ꡕ, 1955년 12월 10일) 에서 유품전시 및 강연회를 열고, ꡔ 朝 鮮 日 報 ꡕ(1955년 12월 12일)는 7단 기사로 신사임당 탄생 451주년을 기념해서 永 遠 한 善 美 의 母 性 이라는 기사를 실었다. 또한 (폐병 환자에게 사람의 살을 먹이면 낫는다는 말 그대로) 자신의 허벅다리 살을 베어 폐병 걸린 남 편에게 먹인 열녀 담론들이 쏟아져 나왔으며, 열녀와 효부 표창은 1950년대 내내 지속적으 로 행해졌다. 댄스 열풍과 관련해서 지배담론이 전후파 여성으로 타자화시켰다는 것은 1950년대 젠 더 관계의 재구성에 대한 가부장-국가의 위기의식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가 부장-국가의 위기 속에서 변하지 말아야 할 주재소는 여성 으로 담론화했기 때문이다. 이 것은 한국전쟁이 가족에게 치명적 손상을 가했기 때문에 정당화되기도 했다. 가족 구성원의 결손과 이산가족이 늘어나면서 가족의 보호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함으로써 가족윤리 와 도덕이 혼란스러워졌기 때문이다. 더욱이 여성의 사회진출이 확대되면서 가족문화도 변 화되었다. 전쟁으로 인한 생활난으로 여성 스스로 자신과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경우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박종화(1959)는 해방 14년 동안에 가장 놀랄만한 변화로 여성의 역할증 대를 꼽고 있다. 여성은 상권( 商 權 ), 교육권, 문화예술권에서 지배권을 잡았다는 것이다. 비 록 박종화의 주장은 과장된 점이 있지만, 전후 여성의 권력이 증대된 것만은 명백하다. 이 과 정에서 지배담론이 여성과 가정의 문제로 형성되었다는 사실은 젠더 재구성 과정에서 가부 장의 위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지배 담론은 바로 1950년대 중반 어머니를 자 유부인이나 양공주와 대립적으로 위치지우는 것이며, 국가와 지배 권력은 여성의 지향점을 신사임당과 같은 이상적 어머니 로 설정하고, 희생과 인내로서 어머니의 위치를 요구한 것 이다. 6. 댄스, 근대성과 전통성 접합의 장 1950년대 중반 한국사회는 근대성과 전통성이 융합된 한국의 근대성이 형성되는 시기 였다. 댄스는 이 과정을 반영하는 문화현상이었다. 이승만 정권이 전후 냉전의 이데올로기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92 를 강화하면서 새로운 국민국가 만들기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미국은 결정적인 조건으로 작 용했다. 전후 복구사업은 미국의 원조경제에 크게 의존하였으며, 문화적으로는 미국의 충격 이라고 불릴 만큼 1950년대 한국문화 형성에 미국이 끼친 영향력은 지대했다. 새로운 국민 국가를 건설해야 하는 이승만 정권의 입장에서 보면 미국에 의존하는 근대성을 추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경제적 근대화를 위한 비경제적 조건 (강인철, 1999)의 활용이 중요했다. 비 경제적 조건들은 시민종교(civic religion)의 형태들-개천철, 민족성지로서 효창공원과 남산 만들기, 국립공원, 현충일 등-로 표출되었다. 근대성과 전통성이 융합된 한국적 근대경험 이 1950년대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반 한국사회는 미국문화를 체험하고 서구적 근대를 지향하는 과정에서 전 통의 소환 혹은 도의( 道 義 )운동 이 국가권력에 의해서 제기되었다. 이승만은 담화를 통해 서 삼강오륜의 중요성을 제기했다. 근래 우리나라 사람들이 서양제도를 많이 모방하고 있나니 우리 유교의 풍화( 風 化 )를 받 아 삼강오륜( 三 綱 五 倫 )의 지도를 폐하고는 우리가 크게 위태할 것이니 소위 서양문화를 받 는다는 사람들이 자유 동등의 행위만 보아 모방하고 실상 그 사람들의 덕의 상 도의 있는 것 을 배우지 못하고 지낸다면 우리가 조금 잘못하면 여지없는 타락의 정도에 빠질 염려가 있 으므로. (ꡔ 朝 鮮 日 報 ꡕ, 1954년 10월 3일) 이승만은 서구문화 모방에 따른 삼강오륜의 위기를 주장했다. 삼강오륜의 강조는 곧바 로 도의운동으로 확대되었다. 도의운동은 거시적 측면에서 근대화를 위한 비경제적 조건의 확대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다. 1950년대 도의운동은 홍익인간, 충, 효, 가족윤리 등 민족주 의를 기반으로 정부 차원에서 유도되었다. 이런 도의운동은 민주주의와 서구 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조되었는데, 서구 민주주의와 다른 전통적 순풍양속의 기반 위에서 도의운 동이 전개되었다. 1950년대 중반 패륜 사건들과 댄스 열풍은 이와 같은 정치적 맥락 속에서 도의운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았다. 1950년대 중반 당시로서 매우 충격적인 패륜 사건으로 아들이 아버지를 살해하는 사건 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아버지가 아들을 처벌해 달라고 고소하기도 했다. 1954년 6월 1일 아버지가 아들을 공갈, 폭행, 재물파괴, 주거침입 등으로 검찰에 고소한 사건, 6월 2일 친 부타살 사건, 6월 4일 친부독살 미수사건, 8월 14일 이영민 씨 살해사건(아들이 친구들과 공모해 자신의 집에서 도둑질을 하다가 친구 한 명이 총으로 이영민 씨를 살해한 사건) 등이 연속적으로 발생했다. 그 밖에도 아들이 아버지에게 칼부림을 하거나 남편이 아내에게 도끼 를 휘두른 사건 등이 터지기도 했다. 이와 같은 사건들에 대해서 최근 우리 사회에는 天 人 이 더불어 怒 해야 할 慘 事 가 연속해서 사회를 어지럽게 하고 있다 잃어버린 倫 理 를 어디 서 찾아야 할 것인가?(이강현, 1954, 52쪽) 라고 개탄하면서 전후 몰락한 윤리문제가 심각하 게 제기되었다. 패륜 사건들이 개별적으로 발생해서 사회적 충격을 불러 일으켰다면, 댄스 열풍은 보다 일상적 수준에서 광범위하게 가치체계의 변화를 반영했다. 댄스 유행은 자유, 민주주의, 문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93 화생활, 현대 등과 밀접히 관계되지만 동시에 아메리카니즘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왜냐 하면 미국적인 것은 현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유영익(2006)은 1950년대 중반 한국인이 미국에 대해 문화적 해바라기 현상 을 보여주었다고 지적한다. 미국은 한국의 비 참한 일상과 대비되어 물질적으로 풍요로울 뿐만 아니라 세련되고 자유로우면서 이상적 세 계로 인식되기도 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서 엑조티시즘(exoticism)으로 나타났다. 한국전쟁 이후 처참한 현실은 미국에 대한 동경으로 나타나면서 관념화되었다. 이런 정서는 퇴폐와 절망에 근거하며 현실도피의 정서로 표출되었다. 대중은 댄스를 민주주의와 자유의 표현으로 정당화했다.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내내 민주주의와 자유는 최고의 유행어였다. 10) 소설 ꡔ자유부인ꡕ에서 나오는 인물들의 대화를 통 해서 당시 대중들이 어떻게 댄스를 정당화하고자 했는지 추론할 수 있다. 댄스야말로 민주 혁명의 제일보라고 볼 수 있으니까요, 이것만은 무슨 일이 있더라도 꼭 배 워야 합니다. (ꡔ자유부인ꡕ(1954/1985) 1권 81쪽) 문화인은 댄스만은 알아야 한다우. 오 마담도 춤만은 꼭 배워요! (ꡔ자유부인ꡕ(1954/1985) 1권, 141쪽) 정비석이 소설에서 댄스야말로 민주 혁명의 제일보 라고 말한 것은 과장된 표현이겠지 만, 소설 내에서 민주 혁명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그 의미는 거대한 민주주의 혁명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 자유를 추구하는 것 이었다. ꡔ신태양ꡕ 1956년 1월호 특집 땐스는 禁 止 되어야 할 것인가 에서는 600여 명 여론조사 를 기술했다. 댄스에 대한 일반의 관심을 보면, 문화적 오락이나 사교상의 에치켙으로 받아 들일만한 사회적인 태세와 정신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전시 하에서 생활을 더한층 검 소하게 해야 한다, 박인수와 같은 족속이 대부분임으로 사회악의 온상이 되는 땐스는 단 호 축출해야 한다, 국민생활 수준이 땐스를 즐길만한 수준에 미달한다 등 반대의견이 높 았다. 11) 반면 찬성 쪽에 있는 사람들은 댄스는 교양을 높이기 위한 것 이며, 문화인이 갖 추어야 할 소양이고, 건전한 오락( 娛 樂 )으로 또는 활발하고 명랑한 생활의욕을 촉진하는 정신적인 휴양을 위해서 필요하며, 알맞은 실내운동으로나 그 밖에 생활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취미로서 생활에 중요하다는 것이다. 600여 명의 조사결과에 대한 구체적 수치가 제시되지 않아서 명확히 기술하기 어렵지만, 당시 분위기는 댄스 열풍에 대해서 비판적 경향이 높았던 것 같다. 대중들의 분위기는 댄스 는 전후 사회적 맥락에 적합한 여가는 아니지만, 자신은 그래도 댄스를 즐기고 싶어하는 이 10) ꡔ자유부인ꡕ에서 자유 라는 어휘는 대략 70회, 민주주의 는 80회 가량 등장한다. 11) ꡔ신태양ꡕ에서는 600여 명 조사결과의 빈도수를 기록해 놓지 않았다. 땐스는 禁 止 되어야 할 것인가? 의 특집 은 댄스 금지 이유와 댄스 찬성 이유를 별도의 문항으로 질문했기 때문인 듯하다. 그러나 이 잡지의 대중적 성 격과 기사성격은 댄스가 무시할 수 없는 현실인데 왜 금지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기 때문으로 빈 도수를 적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94 중적 정서를 지녔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대중은 스스로 댄스를 하는 자신을 문화 인이나 현대인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문화인이 된다는 것은 교양을 갖고 있다는 것이며, 봉건적이거나 야만적인 것과 대비되 었다. 동시에 문화인은 현대적인 것을 추구하는 사람이었다. 댄스를 할 줄 모르면 시대에 뒤 떨어진 사람으로 취급되었다. 이즈음에 와서는 소위 文 化 人 들은 젊은이고 늙은이고 男 子 고 女 子 고 간에 ꡔ땐스ꡕ를 할 줄 모르면 時 代 에 뒤 떨어진 양 取 扱 을 하게끔 되었으니 ꡔ땐스ꡕ 와 文 化 는 아마도 뗄 수 없는 密 接 한 關 係 가 있는지 모를 일이다(ꡔ 朝 鮮 日 報 ꡕ, 1956년 12월 21일). 댄스를 못하면 비문화적이며 봉건적인 사람으로 취급되었다. 또한 댄스홀에 다니 는 것으로 現 代 人 이 되고 尖 端 을 걷는다(김하태, 1956b, 67쪽) 라고 대중들은 자위했다. 그 러나 대중의 정당화 이면에는 전후 형성된 심성체계의 변화를 반영한다. 전후 명분과 예의 를 중시하는 종전의 가치관이 약화되고, 생존을 위해 실용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을 중시하 는 가치관이 형성되었으며, 누구도 내일을 보장해주지 않는 전쟁을 겪으면서 현재 중심의 성향과 개인주의적 가치는 두드러졌으며 미국의 문화적 충격은 확대되었다. 1950년대 중반 일반 대중은 개인주의적 자유, 물질주의, 미국에 대한 동경, 봉건적 가치 의 거부 등이 일상생활 속에 내면화되었다. 이것은 개인적 수준에서 현대(근대) 의 추구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가주의적 입장에서 보면 한국사회 위기의 원인도 바로 현대 였다. 왜냐 하면 일반 대중이 갈구하는 현대에 대한 추구는 전후 국가재건 과정에서 국민형성과 국가통 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전후 국가권력은 서구의 근대화를 국가발전 의 경로로 인정하더라도 전통 의 소환을 통해서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했다. 일반 대중이 의식 속에서 정당화하고자 했던 현대의 추구 와 권력이 국가통합을 위해서 소 환된 전통 은 서로 대립할 수밖에 없었다. 道 義 生 活 이 땅에 떨어졌다고 외치는 소리는 유행어 모양으로 우리 귀를 스치고 지나간다 道 義 가 땅에 떨어져 자식이 어버이를 총살하고 정숙한 부인이 子 女 를 버리고 땐스홀에서 亂 舞 하고 학생이 선생을 구타하고 사기와 모략은 處 世 術 이 되고 자살은 뉴쓰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리고 말았다. (김하태, 1959a, 18쪽) 겸후하게 지켜오던 부덕이 무너지고 집안 살림살이를 천직으로 알던 여성들이 집을 비 우고 야비한 취미와 일시적 향락에 정기를 잃고 땐스홀이나 다방 출입을 일과로 삼으며(최 이순, 1956, 26쪽), 댄스에 발광하여 탕아들과 여관에 가는 여대생(이건호, 1957, 136쪽) 등으로 도의와 윤리는 땅에 떨어졌다는 비판이 수도 없이 이어졌다. 1950년대 도의운동은 국가권력과 지배적 도덕담론 사이 매개 관계 속에서 진행되었다. 국가권력은 전후 윤리적 혼란을 딛고 새로운 국가재건을 통해서 국민국가를 형성을 추진해 야 했고, 지배적 도덕담론은 전후 형성된 가치관의 혼란과 사회윤리 붕괴를 심각하게 우려 했기 때문이다. 국가권력의 욕망과 도덕담론이 1950년대 중반에 접합됨으로써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다만 도덕담론이 도의 추락의 대표적 사례로 댄스 열풍과 패륜 사건에 주목했 다면, 국가권력은 직접적으로 특정 사건에 주목하기보다는 거시적으로 전후 형성된 미국화,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95 풍속의 변화, 윤리의식의 혼란을 강조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950년대 중ㆍ후반 이후 국 가권력은 전통윤리와 도의를 강화해야 한다는 도덕담론을 구체화하고 제도화했다. 도의 주 간이 설정되고 일련의 윤리 강령 운동이 전개되었다. 문교부 장관 백낙준에 의해 일제시대 도의 교육 이 부활되었다. 그의 도의 교육은 1955년 제1차 교육과정을 제정하면서 더욱 구 체화되었다. 그것은 반공교육과 함께 생활 속에서 윤리를 터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 다. 1954년의 사도강령에 이어 1958년의 교원윤리 강령과 같은 각종 윤리강령이 발표되었 고, 윤리와 도덕을 강조하는 국민의식 개조운동이 전개되었다(김경일, 2003, 204 205쪽). 1950년대 댄스는 단순한 서양 춤추기가 아니었다. 이것은 1950년대 근대성과 전통성이 융합된 한국 국민국가 형성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전후 인구이동과 인구변화 속에서 여성의 역할 증대와 가부장의 위기, 전후 급격한 사회변동에서 나타나는 심성체계, 사회 전 분야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던 미국의 충격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현상이었다. 다 만 일반 대중은 댄스를 현대 를 지향하는 욕망의 표현으로 정당화한 반면, 국가권력과 도덕 담론은 전통의 소환과 도의운동을 통해서 국가재건과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했다. 7. 결론 1950년대 중반 한국사회는 소용돌이의 중심에 서 있었다. 한국전쟁은 전후 사회를 혼란 과 모순 속으로 빠뜨렸다. 대중은 전쟁 상황에서 국가의 중요성을 체감했지만 전쟁과정에서 경험했듯이 국가는 불신의 대상이었고, 민족자주성이나 이데올로기 공동체는 강화되었지 만 아메리카니즘이 휩쓸고 가족과 문화공동체는 약화되었다. 전후 강화되었던 시민종교 가 냉전의 역사적 조건 하에서 반공주의와 민족주의라는 거 시적 이데올로기의 작동 기제였다면 전통의 소환이나 도의운동은 일상생활이나 가정윤리 등과 관련된 미시적 이데올로기의의 하나였다. 따라서 오직 댄스 열풍과 패륜 사건들 때문 에 전통의 소환이 이루어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1950년대 한국사회는 반공주의, 민족주의, 가부장적 가치들이 서로 접합되어 새로운 국민국가와 전통윤리를 만들어갔기 때 문이다. 최장집(1994, 107쪽)은 근대적 변화들은 전통적 요소의 형식을 통해서, 그리고 그 외피를 빌려 전통과 근대(현대)가 접합되어 나타나며, 그러한 재전통화의 현상이 근대적 변 화를 억제하거나 근대화의 경로를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면서 전통적 요소가 근대적 변화의 과정에서 강하게 표출되고 이를 강하게 규정하면 할수록 그 내용은 보수적 근대화의 성격을 띠게 되지 않을 수 없었다 고 말한다. 도의운동이나 전통의 소환은 보수적 근대화의 한 표현이었다. 1950년대 다양한 대중문화는 거시적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구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기존 양식과 새로운 양식이 함께 나타났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중음악은 기존양 식인 트로트의 재생산과 미국식 대중가요로 양분되었고, 영화의 경우 단순히 말할 수는 없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96 지만 당시 최고의 흥행(16일 동안 18만 명)을 기록한 <춘향전>(1955)과 <자유부인>(1956) 의 성공은 나름대로 기존과 현대라는 상징성을 지닌다. 고전소설의 재생산과 인기있는 대중 소설의 재생산이 동시에 최고의 흥행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전통과 현대의 단절과 이어짐이 함께 대중의 정서에 파고들었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은 유행이 특정 세대나 계층에 따라 차별화되기보다 통합적으로 전개되었 다는 것이다. 비록 댄스가 중간 계층 이상을 중심으로 유행했지만 일부 10대 후반이나 장년 또는 노년층 그리고 일부 하층들도 함께 즐겼다. 이런 점에서 1950년대 댄스 열풍은 독특한 현상이었다. 12) 댄스는 대중음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세대별로 선호하는 음악 과 댄스의 유형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댄스는 육체의 해방과 연결되기 때문에 정 신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기성세대가 아니라 젊은 세대로부터 유행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1950년대 중반 10대 후반에서 60세 이상 노인까지도 하층에서 상층까지도 유사한 장르의 댄 스를 즐겼다. 1950년대 중반 대중음악은 장르별ㆍ세대별로 차별화되어 유행하지 않았고 육 체의 해방은 1950년대 한국사회에서 젊은 세대만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어쩌면 전후 냉전의 역사적 조건 속에서 강요된 반공이나 민족주의가 대중의 개인적 자 유와 합리성을 억압했고, 대중은 이로부터 댄스를 통해서 개인적 자유와 섹슈얼리티의 욕망 을 표출했다. 왜냐하면 해방 이후부터 겪었던 자유의 과잉과 전쟁과정에서 겪었던 국가와 이데올로기에 대한 불신 사이에서 댄스는 개인적 욕망을 분출하는 하나의 탈출구였는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덕담론과 국가권력이 댄스에 대해서 비판적 담론을 쏟아냈지만, 이것들이 대중들의 개인적 자유와 욕망을 제어하지는 못했다. 수없는 도덕담론들은 대중의 일상적 정서를 지배하지 못한 채 담론의 영역에서만 머물러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중이 열 망했던 근대에 대한 추구와 권력이 추진했던 전통의 재창조 사이에서 대중의 욕망이 압도했 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강명구 (2007). 시민문화와 발전주의 망탈리테. 모방푸 외. ꡔ시장-국경을 넘나드는 정보와 경제ꡕ. 서울: 한울. 강명구ㆍ백미숙ㆍ최이숙 (2007). 문화적 냉전 과 한국 최초의 텔레비전 HLKZ. ꡔ한국언론학보ꡕ, 51권 5호, 5 33. 12) 댄스 열풍은 다른 유행과 유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좀 더 탐구해야 할 문제지만) 1950년대 대중문화 는 세대별로 아직 차별화되지 않았던 것 같다. ꡔ신태양ꡕ(1958년 4월)에서 실시한 流 行 의 檢 討 라는 좌담을 보 면, 당시 유행은 무차별적이었다. 예를 들어, 유행하면 먼저 생각나는 것이 여성들의 머리 스타일인데, 재작년 [1956년을 말함]부턴가 그 오드리 헵반 의 헤어스타일 이 굉장히 유행됐지요. 젊은 층은 물론이고 中 年 을 넘 어서 老 年 期 에 이른 夫 人 네들까지 머리를 짧게 자르고, 또 여성의 입술 주변에 흑점을 칠하는 것, 마릴린 몬로 스타일의 걸음걸이 등 유행은 나이를 초월해 있었다.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97 강소연 (2006). 1950년대 여성잡지에 표상된 미국문화와 여성담론. 상허학회 (편). ꡔ1950년대 미디 어와 미국표상ꡕ. 서울: 깊은샘. 강인철 (1999). 한국전쟁과 사회의식 및 문화의 변화. 정성호 외. ꡔ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ꡕ. 서울: 백산서당. 강준만 (2004). ꡔ한국현대사 산책: 6ㆍ25 전쟁에서 4ㆍ19 전야까지 1950년대 편 1ꡕ. 서울: 인물과 사 상사. 김경일 (2003). 1950년대 일생생활과 근대성, 전통. ꡔ한국의 근대와 근대성ꡕ. 서울: 백산서당. 김금녀 (2000). 섹슈얼리티의 전통성과 근대성에 관한 연구. ꡔ 言 論 論 集 ꡕ, 25권, 164 182. 김세령 (2006). 1950년대 기독교 신문ㆍ잡지의 미국 담론 연구. 상허학회 (편). ꡔ1950년대 미디어와 미국표상ꡕ. 서울: 깊은샘. 김은경 (2006). 한국 전쟁 후 재건윤리로서의 전통론 과 여성. ꡔ아시아여성연구ꡕ, 45권 2호, 7 48. 김진송 (1999). ꡔ서울에 딴스홀을 許 하라-현대성의 형성ꡕ. 서울: 현실문화연구. 김하태 (1959a). 인간 내부세계의 파괴와 기성윤리. ꡔ사상계ꡕ, 4월호, 16 23. 김하태 (1959b). 韓 國 에 있어서의 아메리카니즘. ꡔ사상계ꡕ, 7월호, 65 73. 나절로 (1956). 주부허영의 비극. ꡔ여원ꡕ, 4월호, 141 143. 노지승 (2008). < 自 由 夫 人 >의 남성 독자와 여성 관객 자유부인. ꡔ한국현대문학회 2008년 제3차 전 국학술발표대회 자료집ꡕ, 213 231. 동아일보사 (1975). ꡔ동아연감ꡕ. 박동일 (1954). 特 殊 땐스ㆍ홀 探 査 記. ꡔ신태양ꡕ, 10월호, 60 69. 박수산 (1949). 거리의 情 報 室. ꡔ신천지ꡕ, 8월호, 194 197. 박완서 (1991). 1950년대- 미제문화 와 비로도 가 판치는 거리. ꡔ역사비평ꡕ, 13호, 106 112. 박종화 (1959). 解 放 后 의 韓 國 女 性. ꡔ여원ꡕ, 8월호, 73 76. 박진규 (2002). ꡔ한국 사교춤의 변형발전에 관한 연구ꡕ.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신태양 편집부 (1956). 秘 密 땐스홀의 生 理. ꡔ신태양ꡕ, 1월호, 130 131. 신태양 편집부 (1958). 流 行 의 檢 討. ꡔ신태양ꡕ, 4월호, 224 232. 엄효섭 (1955). 한국사회 10년사. ꡔ사상계ꡕ, 10월호. 여원 편집부 (1959a). 未 亡 人 들의 형편과 動 向. ꡔ여원ꡕ, 6월호, 160 163. 여원 편집부 (1959b). 妖 花 亂 舞 하는 땐스홀. ꡔ여원ꡕ, 10월호, 202 207. 염상섭 (1930). 現 代 美 人 觀, 文 學 과 美 人. ꡔ삼천리ꡕ, 4월호, 44 45. 유수경 (1989). ꡔ 韓 國 女 性 洋 裝 의 變 遷 에 관한 연구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유영익 (2006). 거시적으로 본 1950년대의 역사-남한의 변화를 중심으로. 박지향ㆍ김철ㆍ김일영 ㆍ이영훈 (엮음). ꡔ해방 전후사의 재인식ꡕ. 서울: 책세상. 윤선자 (2005). 1950년대(1953 1961) 사교댄스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도의( 道 義 )운동. ꡔ한국민족운 동사연구ꡕ, 45권, 223 254. 이강현 (1954). 沒 落 하는 倫 理 問 題 의 綜 合 的 檢 討. ꡔ신태양ꡕ, 10월호, 52 54. 이건호 (1957). 新 世 代 論 -우리의 희망은 亦 是 新 世 代 에 있다. ꡔ신태양ꡕ, 12월호, 38 44. 이대근 (1987). ꡔ한국전쟁과 1950년대 자본축적ꡕ. 서울: 까치. 이상록 (2001). 위험한 여성, 전쟁 미망인 의 타락을 막아라. ꡔ20세기 여성 사건사ꡕ. 여성연구모임 길밖세상. 서울: 여성신문사. 이선미 (2006). 미국 을 소비하는 대도시와 미국영화: 1950년대 한국의 미국영화 상영과 관람의 의 미. 상허학회 (편). ꡔ1950년대 미디어와 미국표상ꡕ. 서울: 깊은샘.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298 이성민ㆍ강명구 (2007). 기독교방송의 초기 성격에 관한 연구 1954 1960: 냉전시기 라디오 방송환 경과 선교방송의 성격변화를 중심으로. ꡔ한국방송학보ꡕ, 21권 6호, 407 454. 이어령 (1957). 사랑 喪 失 에의 抗 辯. ꡔ여원ꡕ, 7월호, 180 182. 이영미 (1995). 가요로 본 해방 50년. ꡔ역사비평ꡕ, 29호, 249 255. 이임자 (1992). ꡔ베스트셀러의 要 因 에 관한 연구: 韓 國 出 版 100년의 베스트셀러를 중심으로ꡕ. 중앙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임하 (2004). ꡔ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ꡕ. 서울: 서해문집. 이정희 (2005). 전후의 성담론 연구. ꡔ담론 201ꡕ, 8권 2호, 193 244. 이홍탁 (1992). 한국전쟁과 출산력 수준의 변화. 한국사회학회 (편). ꡔ한국전쟁과 한국사회변동ꡕ. 서울: 풀빛. 장경학 (1956). 땐쓰 是 非 - 大 衆 娛 樂 으로 育 成 시켜야 한다!. ꡔ신태양ꡕ, 4월호, 144 148. 장상환 (1999). 한국전쟁과 경제구조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ꡔ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 화ꡕ. 서울: 백산서당. 전상인 (2001). ꡔ고개 숙인 수정주의ꡕ. 서울: 전통과 현대. 전숙희 (2005). 낙랑클럽이 한국을 알렸어요. KBS 광복 60주년 특별 프로젝트팀. ꡔ8ㆍ15의 기억: 해 방 공간의 풍경, 40인의 역사체험ꡕ. 서울: 한길사. 정비석 (1954/1985). ꡔ자유부인 1ꡕ. 서울: 고려원. 정비석 (1954/1985). ꡔ자유부인 2ꡕ. 서울: 고려원. 정성호 (1999). 한국전쟁과 인구사회학적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ꡔ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ꡕ. 서울: 백산서당. 최이순 (1956). 女 性 과 家 庭. ꡔ 綠 苑 ꡕ, 창간호, 31 36. 최장집 (1994). 국민국가 형성과 근대화의 문제. ꡔ한국사ꡕ, 17권, 서울: 한길사. 한국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 (1963). ꡔ한국군사혁명사 제1집ꡕ(상). 서울: 한국군사혁명편찬위원회. 허 은 (2003). 1950년대 주한 미공보원 (USIS)의 역할과 문화전파 지향. ꡔ 韓 國 史 學 報 ꡕ, 15호, 227 259. 현영건 (1956). 퇴색해 가는 육체를 기다리면서. ꡔ여원ꡕ, 1월호, 224 229. 황산덕 (1954. 3. 14). 다시 자유부인 작가에게-항의에 대한 답변. ꡔ서울신문ꡕ. Drwone, K., & Huber, p. (2004). American Popular Culture Through History: The 1920s. Westport: Greenwood Press. Hanson, E. (1999). A Cultur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Decade the 1920s. San Diego: Lucent Books. 무허가 댄스홀 市 警 서 嚴 重 團 束. (1950. 11. 7). ꡔ 東 亞 日 報 ꡕ. 全 國 땐스홀 閉 鎖 令. (1950. 11. 7). ꡔ 東 亞 日 報 ꡕ. 全 國 땐스홀에 閉 鎖 令! (1954. 8. 16). ꡔ 東 亞 日 報 ꡕ. 解 放 十 年 의 特 産 物 自 由 旋 風. (1955. 8. 16). ꡔ 東 亞 日 報 ꡕ. 解 放 十 年 의 特 産 物 땐쓰. (1955. 8. 24). ꡔ 東 亞 日 報 ꡕ. 五 月 八 日 로 正 式 決 定 어머니의 날 國 務 會 議 서. (1955. 8. 31). ꡔ 東 亞 日 報 ꡕ. 遺 品 展 示 등 師 任 堂 申 氏 의 四 五 一 生 辰 記 念. (1955. 12. 10). ꡔ 東 亞 日 報 ꡕ. 아내는 奢 侈 에 눈어둡고. (1956. 1. 19). ꡔ 東 亞 日 報 ꡕ.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299 1931년이 오면 2. (1930. 11. 20). ꡔ 東 亞 日 報 ꡕ. 우리나라는 東 方 禮 義 之 國 三 綱 五 倫 를 지켜 儒 敎 를 發 展. (1954. 10. 3). ꡔ 東 亞 日 報 ꡕ. 永 遠 한 善 美 의 母 性. (1955. 12. 12). ꡔ 東 亞 日 報 ꡕ. 불티난 땐스홀 入 場 券. (1955. 12. 25). ꡔ 東 亞 日 報 ꡕ. 違 法 行 爲 黙 認 하는 것 市 警, 캬바레 의 땐스 開 放. (1956. 1. 14). ꡔ 東 亞 日 報 ꡕ. 땐스홀 等 1 許 可 具 申. (1956. 4. 10). ꡔ 東 亞 日 報 ꡕ. 땐스 유행과 浮 虛 風. (1956. 12. 21). ꡔ 東 亞 日 報 ꡕ. 최초 투고일 2008년 11월 25일 게재 확정일 2009년 3월 14일 논문 수정일 2009년 3월 24일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2호(2009년 4월) 430 The Social Meaning of Dance Fever in the mid 1950s : The Reconstruction of Gender and the Invitation of Tradition Chang-Yun Joo Associate Professor, Dept. of Communication & Media, Seoul Women 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gender is reconstructed and tradition is invited in the context of the dance fever in the mid 1950s. Mass tried to justify social dance as the expression of freedom, modern, and democracy while dominant discourses and national power defined social dance as a social vice which destroyed standards and morals at three perspectives; feminine chastity, sexuality and family morals. Dominant discourses criticised only women who were called as free women, some war widows and foreigners prostitutes. These women were considered as the major group which brought about moral corruption in post Korean War. Dominant discourses invited traditional family morals and ideal mother.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crisis of patriarchy. On the other hand, national power attempted to use traditional ethics for building of a new nation after Korean War. Although national power followed the model of democracy and modernization of the States, it negatively recognized the reception of Western popular culture. As a result, dance fever in the 1950s was socio-cultural phenomenon which was constituted in the influence of Americanization, rapid changes of mentalities, and individualism after Korean War. Key〻words:dance fever, popular culture in the 1950s, invention of tradition, free women, Americ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