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129C1A4C1F8BEC62E687770>



Similar documents
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 hwp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개

3-2.hwp

652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세종대 요람

시안

기사스크랩 (160504).hwp

산림병해충 방제규정 4. 신문 방송의 보도내용 등 제6 조( 조사지역) 제5 조에 따른 발생조사는 다음 각 호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한다. 1. 특정지역 : 명승지 유적지 관광지 공원 유원지 및 고속국도 일반국도 철로변 등 경관보호구역 2. 주요지역 : 병해충별 선단

김기중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인터넷 내용심의의 위헌 여부.hwp


V28.

내지4월최종

*5£00̽ÅÈ�

지속가능경영보고서도큐_전체

194

µðÇÃÇ¥Áö±¤°í´Ü¸é

00.앞부분2

래를 북한에서 영화의 주제곡으로 사용했다든지, 남한의 반체제세력이 애창한다 든지 등등 여타의 이유를 들어 그 가요의 기념곡 지정을 반대한다는 것은 더 이상 용인될 수 없는 반민주적인 행동이 될 것이다. 동시에 그 노래가 두 가지 필요조 건을 충족시키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유한표지F

<BCBCC1BEB4EB BFE4B6F72E706466>

00표지

> 1. 법 제34조제1항제3호에 따른 노인전문병원 2. 국민건강보험법 제4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요양기관(약국을 제외한다) 3. 삭제< > 4. 의료급여법 제2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의료급여기관 제9조 (건강진단) 영 제20조제1항의 규

<313120B9DABFB5B1B82E687770>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DBPIA-NURIMEDIA

국제무역론-02장

<C1BEC7D52DC7D1B1E6C6EDC1FD2E687770>

±¹Á¦ÆòÈŁ4±Ç1È£-ÃÖÁ¾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6±Ç¸ñÂ÷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ls46-06(심우영).hwp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untitled

0429bodo.hwp

최우석.hwp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4) 이 이 6) 위 (가) 나는 소백산맥을 바라보다 문득 신라의 삼국 통 일을 못마땅해하던 당신의 말이 생각났습니다. 하나가 되는 것은 더 커지는 것이라는 당신의 말을 생각하면, 대동강 이북의 땅을 당나라에 내주기로 하고 이룩한 통 일은 더 작아진 것이라는 점에서,

< FB9AEC3A2B0FA5FC3A5C0DA2E687770>

< B3E220C0CCBDB4C6E4C0CCC6DB2DB9E8B0E6C8AD28C3D6C1BEBCF6C1A4BABB E687770>

V i s i o n o f M e d i c i n e 인류의 건강과 행복을 향한 서울대학교병원의 비전 Winter / VOL view 1 / 왕규창 시간에 대한 단상( 斷 想 ) interview 3 / 김혜선

주류-비주류 프레임으로 본 19대 대선구도 예측 좌클릭-우클릭 논쟁 넘어 새로운 대선방정식 필요 단일대상 프레임의 넘어 듀얼 프레임 필요 본 보고서는 <데일리한국>에 기고한 2017 대선, 좌클릭-우클릭 논쟁 넘어 새로운 듀얼 전략 필요 의 원본 보고서이다(2015년

µðÇÃÇ¥Áö±¤°í´Ü¸é

ISSUE PAPER(Vol.2, No.3)

자유민주주의의 공간

음악부속물

음악부속물

음악부속물


<BED6C7C3BCD2BDBA5F4B5350BBFDBBEABCBA31C0E5312D32302E70312E504446>

ㅍㅍㅍㅍ통계지식과 경제적 상상의 구축

,......

한국현대치의학의발전 년논문, 증례보고, 종설및학술강연회연제를중심으로 Development of modern dentistry in Korea 저자저널명발행기관 NDSL URL 신유석 ; 신재의大韓齒科醫師協會誌 = The journal of the Ko

*캐릭부속물

<30322DBDC5B8EDC1F72E687770>

<31342DC0CCBFEBBDC42E687770>

서울대 뉴스레터 1018


06 ƯÁý


16회말하기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공동기획전 달력, 시간의 자취 contents 주최 기간 장소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2014년 11월 21일~2015년 2월 28일 실학박물관 총괄 김시업 실학박물관장 기 량 국립민속박물관 전시운영과장 발간사 04 전시기획 정성희 실학박물관

340 法 學 硏 究 第 16 輯 第 2 號 < 국문초록 >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상설특별검사제를 도입하기 위한 논의가 국회에서 진행 중이 다. 여당과 야당은 박근혜 대통령 공약인 상설특별검사제도를 2013년 상반기 중에 도입 하기로 합의했다. 상설특검은 고위공직자비리

<3036C0CCBCB1BFEC2E687770>

만화부속물

만화부속물

기업은행현황-표지-5도

歯3-한국.PDF

_01

Microsoft Word _5002_14524.doc

Transcription:

한국경제학보 제22권 제3호 The Korean Journal of Economics Vol. 22, No. 3 (Autumn 2015)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정 진 아* 요 약 이 글에서는 해방 20년 한국 경제학계의 동향 속에서 연세대학교 상경대 학의 경제학 교육을 살펴보았다. 해방후 연희전문학교 상과는 연희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과, 상학과 체제로 전환되었다. 연희대학교 상경대학에서 는 고전학파, 역사학파, 신고전파, 케인즈경제학과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졌고, 한국의 경제현실과 국제경제 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6.25전쟁이 체제전의 성격을 띰 으로써 많은 경제학자들이 월북, 납북 또는 사상적 이유로 대학을 떠났고, 교수진의 공백이 심각했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모교 출신 인재를 영입 함으로써 교수진의 공백을 메꾸었고, 학생들은 상경연우회의 연구조사활동 과 연구발표회를 통해 수업내용의 결손을 보완해나갔다. 연세대학교 상경대 학은 1950년대 후반 상경대학 재편을 단행하면서 자기정체성을 분명히 정 립하였다. 경제학과의 방향을 종래의 이론 중심에서 기업경영과 정책수립에 필요한 실천이론을 발전시키는 쪽으로 전환하고, 기업경영 실무를 집중적으 로 연구할 상학과와 경영학과를 상경대학의 틀 속에서 함께 발전시키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워싱턴대학프로젝트를 통해 미 국의 경영학 이론과 사례연구 중심의 커리큘럼, 토론식 교수법 등의 신사 조를 전면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기업경영의 실무적 기반을 쌓고자 경영학과 와 한국의 경제이론과 경제정책을 실증적,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 시함으로써 한국적 실천경제학 을 추구한 경제학과의 양대 학풍으로 정립되 었다. 주제분류 : B030106 핵심 주제어 :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 교육, 상경연우회, 워싱턴대학 프로젝트 1)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 e-mail: jina@konkuk.ac.kr

452 정 진 아 Ⅰ. 머리말 해방된 조선의 일차적인 과제는 자주적인 통일민족국가의 건설이었다. 그 것은 일제의 식민지 지배구조를 청산하고, 자립적인 경제 운영의 활로를 모 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것이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조선학술원, 민 족문화연구소, 조선경제연구회, 조선사회과학연구소 등 조선경제를 연구하 고자 하는 학술단체들이 속속 창설되었고, 1) 경제 연구의 산실로서 대학을 재건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활발하였다. 그러나 미소 군정의 실시와 민족통일전선의 붕괴, 뒤이은 좌우 정치세력 의 대립은 학술단체의 활동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했다. 일부 회원들이 정치 무대의 전면에 나서면서 학술단체 또한 좌우대립의 격랑에 휘말린 것이다. 결국 이들 학술단체는 더 이상 안정적인 연구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지속하지 못하고 활동이 중단되었다. 따라서 연구와 교육활동을 통해 신국가를 건설 을 뒷받침하고자 하는 경제학자들의 주요 활동무대는 대학으로 집중될 수밖 에 없었다. 일제시기 조선총독부는 조선교육령 을 반포하여 조선의 교육을 忠 良 한 제국 신민을 양성하기 위한 보통교육과 실업교육 전문교육으로 한정했다. 경성제국대학을 제외한 대학교육은 허용하지 않았다. 2) 경성제국대학 법문 학부와 경성고등상업학교에 경제학 강의가 다수 개설되었으나, 두 학교의 경제학 교육은 식민지 경영의 충성스러운 조력자를 양성하는 데 초점이 맞 추어져 있었다. 사립학교는 전문학교로 전락하여 실무 능력을 전수하는 상 과 만을 개설할 수 있을 뿐이었다. 3) 그마저도 1944년 5월 연희전문학교가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로, 보성전 문학교가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로 개편되고, 학생들마저 학도병으로 혹은 노무인력으로 동원되면서 경제학 교육은 파행을 면치 못하였다. 경제이론 및 경제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경제 실무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신국가 건설이라는 시대의 요구에 발맞추어 해방된 국가의 동량을 양성할 수 있는 1) 崔 虎 鎭 (1956), 經 濟 商 學, 大 韓 民 國 建 國 十 年 誌, 大 韓 民 國 建 國 十 年 誌 刊 行 會 ; 방기중(1992),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참조. 2) 정재철(1985), 일제의 대한국 식민지 교육 정책사, 일지사 ; 윤종혁(2008), 근 대 이후 한국과 일본의 학제 변천 과정 비교 연구, 한국학술정보 참조. 3) 李 基 俊 (1988), 敎 育 韓 國 經 濟 學 發 達 史, 一 潮 閣, 142-172.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53 고등교육 기관의 창설이 시급했다. 그동안 한국 경제학계의 동향에 관한 연구는 세 가지 방향에서 진행되었 다. 첫째는 학술사 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당시의 시대상황과 연결된 경제 학계의 학문적, 실천적 문제의식과 지형도를 보여주고자 한 연구이다. 4) 둘 째는 사상사 연구방법론을 통해 경제학자 개인의 학문과 사상을 치밀하게 분석한 연구이다. 5) 셋째는 학교사 의 서술방식을 토대로 하여 교수진의 학 문적 경향성과 학교의 학풍을 개관한 연구이다. 6) 한국 근현대 학술사, 사 상사를 체계화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진행된 위의 연구성과를 통해서 우리는 한말, 일제시기 경제학계의 동향과 판도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일제시기를 다루었으므로 해방후 경제학계의 지형 변화라는 역동적인 과정을 이해할 수 없었다. 해방후를 다룬 연구라고 하더라도 주로 교수진과 커리큘럼의 변화 를 개관하였기 때문에 남북 분단과 미국의 영향력 속에서 재편되어간 경제 학계의 변화가 갖는 체제적인 의미를 분석하지 못하였다. 또한 대학의 실질 적인 주역이었던 교수와 학생 주체들의 활동도 다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해방후 한국 경제학계의 동향 속에서 연세대학교 상 경대학의 경제학 교육을 고찰하되, 남북 분단과 전쟁이 대학에 미친 영향을 4) 李 基 俊 (1983), 敎 育 韓 國 經 濟 學 發 達 史, 一 潮 閣 ; 홍성찬(1994), 일제하 연전 상 과의 경제학풍과 경제연구회 사건, 연세경제연구 창간호 ; 李 秀 日 (1997), 1920~30 年 代 韓 國 의 經 濟 學 風 과 經 濟 硏 究 의 動 向 - 延 專 商 科 및 普 專 商 科 를 중 심으로, 연세경제연구 제4권 제2호. 5) 李 秀 日 (1992), 日 帝 强 占 解 放 期 印 貞 植 의 經 濟 思 想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방기중(1992),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1930 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 경제사상, 역사비평사 ; 洪 性 讚 (1993), 일제하 李 順 鐸 의 농업론과 해방직후 立 法 議 院 의 토지개혁법안, 經 濟 理 論 과 韓 國 經 濟, 박영사 ; 방기중(1996), 일제하 이 훈구의 농업론과 경제자립사상, 역사문제연구 창간호 ; 윤기중(1998), 백남운 의 학문세계와 사상, 한국현대사연구 창간호 ; 李 秀 日 (2000), 1920 年 代 中 後 半 유석 조병옥의 민족운동과 현실인식, 實 學 思 想 硏 究 제15 16합집 ; 吳 鎭 錫 (2001), 일제하 미군정기 韓 昇 寅 의 政 治 活 動 과 經 濟 認 識, 연세경제연구 제8권 제1호 ; 홍성찬(2011), 최호진의 경제사 연구와 저술의 사회사 : 1940~60년대, 동방학지 제154집 ; 吳 鎭 錫 (2014), 해방 전후 崔 虎 鎭 의 학문세계와 학술활동, 한국경제학보 제21권 제2호. 6) 보성전문학교의 법학 경상학교육과 한국의 근대화 연구위원회 편(1986), 近 代 西 歐 學 問 의 受 容 과 普 專, 고려대학교 ; 윤기중(1989), 경제 경영학의 학문적 전통, 계간연세 진리 자유 가을호 ; 김균 이헌창(2005), 한국경제학의 발달과 고려대 학교, 고려대학교 출판부 ; 김학은(2015),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백년사 Ⅰ-한국 의 근대경제학 1915~1956,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454 정 진 아 살펴보고 대학 주체들의 문제의식과 활동을 통해 연세 경제학이 건설되어간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해방후 종합대학의 설립과 연희대학교 상경대학의 건설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상경 대학의 커리큘럼과 학제가 자리 잡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Ⅲ 장에서는 6 25전쟁으로 인한 인적 손실과 대학 재건 과정을 살펴볼 것이 다. 이 과정에서 전쟁이라는 미증유의 재난이 대학사회에 미친 영향과 더불 어 전후 대학의 인적, 학문적 판도 변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Ⅳ장에서는 1950년대 후반 상경대학의 개편과 학문적 특성화 방향을 살 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서 현재 연세대학의 상경대학이 어떠한 문제의식과 제도적인 재편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학제와 내용을 갖추어갔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제시기와 비교할 때 해방후의 대학은 학제, 커리큘럼과 교육내용, 교수 진, 학사 운영 등에서 총체적인 변화를 겪었다. 이는 한편으로는 새로운 국 가건설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합할 수 있도록 대학교육의 내용을 변화시켜 가고자 했던 정부와 대학 측의 요구에 따른 것이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교 육 원조를 통해 미국식 교육을 한국에 이식하고자 했던 미국의 의도가 개입 된 것이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학내에 남아 있던 일제와 독재의 잔재를 청산하고 학내 민주주의를 실현하며, 연구와 교육의 내실화를 이루고자 했 던 교수 및 학생들의 요구가 결합된 것이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대학 주체 들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해방후 경제학계의 동향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 경제학계의 지형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Ⅱ. 해방후 종합대학 설립과 상경대학의 건설 1. 해방후 상경대학 체제의 정립 일제의 조선교육령 에 의해 경성제국대학을 제외한 각 사립학교들은 종합 대학으로 발전하지 못한 채 전문학교 체제로 정립되었다. 일제 말기에 이르 면 그마저도 왜곡과 파행을 거듭했다. 특히 연희전문학교의 희생이 컸다. 일제시기 경제학 연구와 교육의 산실로서 반일 반관학의 학풍을 견지하면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55 서 한국적 경제학을 추구 7) 했던 연희전문학교 상과는 1938년 경제연구회 사건과 동우회사건, 흥업구락부사건으로 백남운, 이순탁, 노동규, 정광현, 최순주, 홍승국 등 민족주의적 성향을 가진 교수들과 학생들이 학교를 떠나 야 했다. 1941년 12월 7일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일제는 연희전문학교의 미국 영국계 교수와 미국 유학파 교수를 학교에서 쫒아냈다. 1942년 8월에는 연 희전문학교의 재산을 적산으로 몰수하였으며, 일본어 일본사 일본경제 교 육을 강화하는 등 급속한 일본화를 단행했다. 8) 1944년 5월에는 경성공업 경영전문학교로 개편하면서 공업경영과 만 남기고 상과를 비롯한 모든 학과 를 폐지함으로써 경제학 교육은커녕 상학 교육도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게 다가 학도병 징집과 학생 노무동원으로 인해 수업조차 제대로 진행될 수 없 었다. 9) 해방 직후인 1945년 9월 연희전문학교와 보성전문학교의 관련자들은 일 본인 교장으로부터 학교를 접수하는 한편, 대학준비위원회를 꾸려 미군정에 종합대학 설립인가를 신청하였다. 10) 1946년 10월에는 연희전문학교, 보 성전문학교, 이화여자전문학교가 잇달아 문교부의 대학 설립인가를 받아 연 희대학교 11) 와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로 발족하였고, 경성대학은 국립 서울대학교설치안 에 의해 국립서울대학교로 재발족하였다. 일제시기의 전 문학교들이 속속 종합대학으로 재건되면서 각 대학은 종합대학의 면모에 걸 맞게 단과대학 체제를 정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초기의 대학은 혼란 그 자체였다. 일제시기 중학교 이상은 모두 7) 申 泰 煥 (1982), 大 學 과 國 家, 亞 細 亞 文 化 社, 119. 8) 李 基 俊 (1988), 敎 育 韓 國 經 濟 學 發 達 史, 一 潮 閣, 144-145. 9) 1943년에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한 이기을은 1944년 1월 반강제로 학도병으로 출정 하였다고 술회하였다. 1944년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에 입학한 송기철은 1943년 입학생은 거의 모두가 학도병으로 징집되었고, 1944년 입학생들도 1945년 봄부터 노무동원을 당해 부평의 인천조병창에서 소총 생산을 하다가 해방을 맞았다고 회고 하였다[ 李 氣 乙 (1999), 島 雲 자서전, 博 英 社, 190-197 ; 宋 基 撤 (2004), 日 帝 下 挫 折 된 삶, 保 景 文 化 社, 196, 210-212]. 10)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1985), 연세대학교백년사 1-연세통사(상), 334-335 ; 고려대학교90년지편찬위원회 편(1995), 高 麗 大 學 校 九 十 年 誌 : 1905~ 1995, 高 麗 大 學 校, 261. 11) 연희전문학교는 1946년 4년제 종합대학 연희대학교로 미군정 문교부의 승인을 받 았고, 1957년 세브란스의과대학과 연희대학의 합동과정을 거쳐 지금의 교명인 연세 대학교로 새로운 출발을 하였다. 필자는 학교명의 변화에 따라 본문에서도 1946년 부터 1957년까지는 연희대학교, 1958년부터는 연세대학교로 명명하고자 한다.

456 정 진 아 일본어로만 수업했기 때문에 교수와 학생들 모두 한국어로 수업하는데 어려 움을 겪었다. 한국어 교재가 없어 일본인이 쓴 교재를 한글로 베껴서 쓰는 등 강의와 수업 내용도 부실했다. 전문적인 역량을 가진 교수진은 크게 부 족했고, 학생들은 일제 말기의 수업 단절로 인해 전공에 대한 애착을 갖지 못하고 타 대학으로 혹은 인기 있는 학과로 학교와 전공의 대이동을 감행했 다. 12) 해방후 대학은 이러한 혼란과 어려움 속에 재건되어야만 했다. 1945년 11월 6일 개강한 연희전문학교는 초기에는 문학부, 이학부, 신 학부, 정경학부 체제로 개편되어, 정경학부 산하에 외교과, 정치과와 더불 어 경제학과와 상학과가 배치되었다. 13) 경제학과와 상학과는 이후에도 몇 번의 기구 재편 과정을 거쳤다. 문학원의 정경학부로 배치되었다가 접수위 원회와 미국인 선교사들의 최종 검토 과정을 거쳐 1946년에는 상학원 산하 로 재배치되었으며, 1950년 상학원이 다시 상경대학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상경대학 산하의 경제학과, 상학과로 정착하였다. 14) 고려대학교에서는 경상대학 산하에 경제학과와 상학과가 설치되었다가 이후 경제학과는 정경대학으로, 상학과와 경영학과는 상과대학으로 분리되 었다. 서울대학교에는 상과대학 산하에 경제학과와 상학과가 설치되었으나, 사회과학대학이 설립되면서 경제학과를 사회과학대학에 편입시켰다. 15) 다 소의 혼란과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연희대학교는 1946년부터 상학원 아래 경 제학과와 상학과가 설치되고, 1950년 조기에 상경대학 체제로 정립되었다. 12) 宋 基 撤 (2004), 高 麗 大 學 校 와 나, 保 景 文 化 社, 4-6, 10-11. 서울대학교로의 대 이동은 서울대학교 측이 관련 전문학교들을 통합하면서 부족한 정원을 보충하기 위 해 타 학교로부터 우수한 학생을 적극적으로 편입시키는 정책을 취하면서 발생하였 다. 서울대학교는 타 대학의 전문부 2학년 졸업자에게는 1학년, 전문부 3학년 졸업 자에게는 2학년, 타 대학 2학년 및 전문학교 4학년 수료자에게는 3학년으로 편입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다[서울대학교40년사편찬위원회(1986), 서울대학교40년사, 서울대학교, 30]. 당시 고려대학교에 재학했던 송기철은 과 동료들 다수가 서울대 학교 정치학과로 빠져나갔고, 서울대학교 사범대와 수의대로 가기도 했으며, 일제 때부터 계속 고려대학교에 잔류한 純 種 학생들 중에서도 법률학과, 정치학과, 국문 학과, 영문학과로 과를 옮긴 동료들이 있었다고 회고하였다[ 宋 基 撤 (2004), 같은 책, 5-6, 10-11]. 13)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1985), 연세대학교백년사 1-연세통사(상), 339. 14) 연희대학교 학칙 (1946)(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 연세창립80주년기념사업회 (1969), 연세대학교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484. 15) 김균 이덕재(2005), 고려대학교 시절의 경제학술활동, 한국 경제학의 발달과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출판부, 124-126 ; 서울대학교50년사편찬위원회 편 (1996), 서울대학교 50년사 : 1946~1996, 서울대학교.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57 학교별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것은 경제이론과 경제정책을 다루는 경제 학과 실물경제를 다루는 상학과 경영학을 사회과학과 경영학의 영역으로 분 리 발전시킬 것이냐, 아니면 상경대학에서 함께 발전시킬 것이냐 하는 발 전 전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연희대학교는 일제시기부터 경제학 연구와 경제 실무교육의 전통이 강했던 연전 상과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상 경대학에 경제학과와 상학과를 함께 배치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상경대학 체제의 정립은 이후 연세대학교의 경제학 교육이 이론과 정책, 실물경제를 종합적으로 다루면서 체계적으로 발전해가는 바탕이 되었다. 학과가 정비됨에 따라 연희대학교는 학생 선발을 서둘렀다. 예과 최초의 입학시험은 1946년 7월 3일에 시행되었다. 시험과목은 국어, 국사, 영어, 경제원론, 서양사였고, 합격 예정자 157명 중 정경학부 학생이 입학생의 53.5%인 84명이었다. 이는 정치와 경제에 대한 일반대중들의 뜨거운 관심 과 현실참여 의지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16) 다른 대학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재연되었다. 17) 종합대학 체제로 정비하고 신입생을 선발하였지만, 전문부 학생들을 어떻 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있었다. 일제시기 전문학교 상과는 3년제였 다. 18) 종합대학의 4년제로 통폐합을 하고자 했지만, 가정형편 등의 문제로 인해 전문부를 선호하는 학생이 많아서 일방적으로 전문부를 폐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과도적인 조치가 필요했다. 연희대학교는 먼저 전문부로 입학한 학생은 졸업을 보장하되, 전문부의 신입생은 뽑지 않기로 결정함으로써 전문부가 조만간 폐지될 것임을 공식화 하였다. 그리고 예과를 설치하고, 전문학교 졸업예정자 중 종합대학으로 진 급을 희망하는 학생을 예과 2학년에 수용하여 본과 진입을 유도했다. 19) 예 과 2학년에 편입하기 위해서는 편입시험을 통과해야 했기 때문에 아예 1학 년으로 편입하는 학생도 있었고, 학병에 징병되었던 학생들의 경우에는 학 교 측이 학생들의 학병 경력을 인정하여 3학년 진급을 허가해주기도 하였 16) 연세창립80주년기념사업회(1969), 연세대학교사, 연세대학교출판부, 475. 17) 서울대학교40년사편찬위원회(1986), 서울대학교40년사: 1946-1986, 34. 18) 延 禧 專 門 學 校 一 覽 ( 昭 和 十 五 年 度 ) (1940), 18-22 참조. 19) 고려대학교는 전문학교를 졸업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제1전문부로, 종합대학 학부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을 제2전문부로 편재하고, 제2전문부 2년을 수료한 학생 에게 학부 1학년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다[ 宋 基 撤 (2004), 高 麗 大 學 校 와 나, 保 景 文 化 社, 2)].

458 정 진 아 다. 20) 이러한 조치를 통해 연희대학교에서는 1949년 졸업생을 끝으로 전 문부가 폐지되었고, 1950년 5월 10일에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제1회 졸업 생이 배출되었다. 21) 2. 교수진 확충과 조선경제 교육을 위한 교과목 설치 해방후 연희대학교에서는 이순탁이 복귀하여 상학원 건설과 경제학과, 상 학과의 교수진 구성을 진두지휘하였다. 22) 이순탁은 연전 상과의 경제학풍 을 만든 인물로, 일찍이 연전 상과 과장으로 재직하며 다양한 학문적 경향 을 가진 인물들을 등용함으로써 학문적 다양성이 공존하는 분위기를 만들었 다. 그가 주도한 연전 상과의 학풍은 반일, 반관학의 관점을 견지하면서 자 본주의와 사회주의 학문관이 공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23) 1938년 발생한 경제연구회 사건으로 교수직을 떠나야 했지만 연전 상과에 미친 그 의 영향력은 대단하였다. 학교 측의 신임도 두터워 교수직을 그만둔 이후에 도 세브란스 경리과장으로 재직하였다. 이러한 그가 해방후 복직하여 상과 재건에 앞장서게 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24) 연희대학교 교수진은 일제말기에 사직하였다가 복직한 이순탁 장희창 박효삼 신태환 육지수 윤만중 최순주 김성현 고승제와 이순탁에 의 해 새로이 합류한 최인갑 최문환 조기준 송종극 박준채로 구성되었 다. 25) 일제 말에 반일 반관학의 학풍을 완전히 거세당하고 상과마저 폐지 20) 李 氣 乙 (1999), 島 雲 자서전, 博 英 社, 245. 21)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1985), 연세대학교백년사 1-연세통사(상), 348-356. 22) 趙 璣 濬 (1976), 經 濟 學, 韓 國 現 代 文 化 史 大 系 Ⅱ- 學 術 思 想 宗 敎 史, 高 麗 大 學 校 民 族 文 化 硏 究 所, 295. 23) 1920~30년대 연전의 학풍과 경제연구의 동향에 대해서는 李 秀 日 (1997), 192 0~30 年 代 韓 國 의 經 濟 學 風 과 經 濟 硏 究 의 動 向 - 延 專 商 科 및 普 專 商 科 를 중심으 로, 연세경제연구 제4권 제2호를 참조할 것. 24) 이순탁은 경제연구회 사건으로 인해 1938년 강제 사직 당하였다. 경제연구회 사건 에 대해서는 홍성찬(1994), 일제하 연전 상과의 경제학풍과 경제연구회 사건, 연세경제연구 창간호, 이순탁의 활동과 생애에 대해서는 洪 性 讚 (1997), 曉 亭 李 順 鐸 의 生 涯 와 思 想, 연세경제연구 제Ⅳ권 제2호를 참조할 것. 25) 李 基 俊 (1988), 敎 育 韓 國 經 濟 學 發 達 史, 一 潮 閣, 256-258 ; 김학은(2015), 연 세대학교 상경대학 백년사 Ⅰ-한국의 근대경제학 1915~1956, 연세대학교 대학 출판문화원, 84. 해방후 연희대학교(1957년 이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교수진의 이력에 관해서는 성태윤(2015), 1950년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학풍, 해방후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59 당하는 수난을 당했던 연희대학교는 해방후 일제 말기의 교수진을 복귀시키 고, 일본 사립대학 출신들을 영입하면서 자유로운 연구와 교육을 위한 기반 을 강화하였다. 26) <표 1> 1946년 2월 20일 현재 상학과, 경제학과 교수 명단(The faculty list of the Department of Commercial Science and the Department of Economics currently as of February 20, 1946) 구분 이름 담당과목 구분 이름 담당과목 전임 이순탁 경제학 전임 고승제 상업학 전임 장희창 상업학 전임 육지수 경제지리 전임 박효삼 상업학 전임 김성현 상업학 전임 신태환 경제학, 상업학 전임 송종극 상업학 전임 최인갑 상업학, 경제학 겸임 최순주 상업학 전임 최문환 법학, 경제학 겸임 박준채 상업학 전임 조기준 경제학, 노어 자료: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1985), 연세대학교백년사 1-연세통사(상), 341. 교원 조직표에서 재정리. Source: Compilation Committee for 100 Years History of Yonsei University (1985), 100 Years History of Yonsei University 1 Yonsei History (I), 341. Reorganized from the faculty organization chart. 연희대학교 상학원은 교수진을 정비하는 한편, 1946년 하반기에는 교과 목 개발에 들어갔다. 가장 큰 변화는 경제학과의 신설에 따른 교과목 설치 였다. 일제 말기의 커리큘럼과 달리 27) 경제학 이론과 농업, 상업, 공업 등 분야별 정책론뿐 아니라 조선사회사와 조선경제사, 조선경제론 등 조선사회 를 이해하기 위한 과목들과 세계경제사정이 개설된 것이 특징이었다. 이는 해방후 조선경제 연구와 교육에 대한 교수들의 관심과 의욕을 반영한 것이 었다. 연세학풍의 전개와 신학문 개척, 혜안, 3장에 소개되어 있다. 26) 최인갑은 일본대, 최문환과 박준채는 와세다대, 조기준은 상지대, 송종극은 릿교대 출신이었다. 27) 1941년 연전 상과의 수업과목은 일본학, 국사, 성서, 국어, 영어, 지나어, 상업통 론, 경영경제학, 상업사, 상업지리, 상품학, 은행 及 금융, 화폐 及 외국위체론, 보 험론, 상업부기, 은행부기, 회계학, 상업실천, 상업수학, 商 用 文, 주산, 경제원론, 재정학, 상업정책, 통계학, 법률학(상법, 민법)이었고, 선택과목은 독일어, 영어경제 서강독, 시장론, 교통론, 회계감사, 원가계산, 협동조합론, 신탁론, 취인소론, 창고 론, 경제학사, 경제사, 동아경제사, 농업정책, 상업정책, 경기변동론, 일본산업론, 법률학(헌법, 조선행정법, 商 事 관계법령)이었다[ 延 禧 專 門 學 校 一 覽 ( 昭 和 十 六 年 度 ) (1941), 18-22].

460 정 진 아 경제학과 상학으로 학과는 분리되었지만, 연구가 축적되지 않은 상태였으 므로 교수진의 전공은 명확히 분리되지 않았고, 상업학을 가르치는 교수가 경제학도 가르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일제시기와 달리 해방후에는 경제학 과 상학을 전공한 조선의 인재들이 대거 교수진으로 확충되어 조선사회사, 조선경제사, 조선경제론, 세계경제사정 등의 교과목을 개발하고 자신의 역 량을 펼치기 시작했다. 비로소 일제 식민지 상황에서 제대로 연구하지 못했 던 조선의 경제현실과 국제경제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강의할 수 있는 환 경이 마련된 것이다. <표 2> 1946년 연희대학교 상학과와 경제학과의 교과목 편성(The curriculums of the Department of Commercial Science and the Department of Economics of Yonhee University in 1946) 상학과 경제학과 호수 교과목명 학점 호수 교과목명 학점 201 상업개론 6 101 경제원론 6 202 상업수학 3 201 경영경제 6 203 부기 6 202 경제지리 6 204 상법 6 203 사회학개론 6 205 무역론 6 301 경제정책총론 3 301 상업사 6 302 금융론 6 302 회계학 6 303 국제경제론 6 303 철도론 3 304 통계학 6 304 상업정책 6 305 경제사 6 305 시장론 6 306 사회보험 3 306 보험론 6 307 농업정책 6 307 화폐론 6 401 조선경제론 6 308 원가계산 3 402 세계경제사정 3 401 상품학 6 403 재정학 6 402 회계감사 6 404 조선경제사 6 403 경기론 6 405 경제학사 6 404 무역실천 3 406 조선사회사 6 405 해운론 3 407 공업정책 6 501 사회학 특수강의 6 자료: 연세대학교 학칙 (1946.8),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30-33. 주: 100호대는 1학년, 200호대는 2학년, 300호대는 3학년, 400호대는 4학년 과목이고, 500호대는 특수강의이다. Source: Yonsei University Regulations (August 1946), Yonsei University Museum, 30-33. Note: Regulations No. 100~199 are for freshmen s courses, 200~299 for sophomores, 300~399 for juniors, 400~499 for seniors, and 500~599 are for special courses.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61 그러나 위와 같은 교육 내용을 담보할 수 있는 교수진을 안정적으로 유지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1946년 국립서울대학설치안 이 발표되고 이를 반대하여 경성대학 법문학부 교수진이 총사퇴함에 따라 육지수와 고승 제, 최문환, 조기준이 연이어 서울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최인갑도 사직 하였고, 신태환은 학교 측과의 갈등으로 동국대학으로 이직하였다. 게다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상학원의 인사와 교무, 행정 전반을 진두지휘 했던 이순탁이 초대 기획처장으로, 연전 출신으로서 일제 말기부터 학교를 지켜왔던 장희창이 초대 재무부 차관으로, 상업실무를 가르쳤던 최순주가 1949년 조선은행 총재로 부임하면서 교수진에 심각한 공백이 생기기 시작 하였다. 또한 1948년 남에는 대한민국이, 북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 되면서 남북의 사상지형도 극히 협소해졌다. 해방후 경제학자들은 고전파, 역사학파, 오스트리아학파, 신고전파, 맑스주의학파의 경제학을 폭넓게 연 구하고 강의하였다. 그러나 1948년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질서유지를 명목 으로 사상통제정책을 한층 강화하였다. 반공이라는 國 是 를 엄수할 것을 강 요하였고, 일체의 좌익적 언행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1949년 4월에는 학도 호국단을 결성하여 사상적 획일화를 기도했다. 28) 남에서는 맑스주의 경제 학을, 북에서는 자유주의 경제학을 자유롭게 논할 수 없는 상황에 봉착한 것이다. 학문의 분단이었다. Ⅲ. 6 25전쟁으로 인한 인적 손실과 대학 재건 1. 전쟁으로 인한 인적 손실과 모교 출신 교수진의 충원 6 25전쟁은 한국 경제학계에 상상할 수 없이 큰 인적 손실을 가져왔다. 교수진 중 일부가 사망, 월북, 혹은 납북되었고, 2년에 걸친 피난 시절 동 안 다수의 학자들이 생활고를 이유로 군, 기업, 실업계로 전직하였다. 일부 28) 홍성찬(2011), 최호진의 경제사 연구와 저술의 사회사: 1940~60년대, 東 方 學 志 제154집, 317-321 ; 서울 大 學 校 二 十 年 史 編 纂 委 員 會 (1966), 서울 大 學 校 二 十 年 史, 서울대학교, 67.

462 정 진 아 교수들은 사상적인 이유로 인해 강제로 학교를 떠나야만 했다. 29) 문교부는 서울 점령 90일 동안 서울에 잔류하였던 교수들을 대상으로 부역 혐의를 심사하도록 지시했고, 이로 인해 연희대학교에서는 교수진의 33%에 달하 는 28명의 교수가 학교를 그만두었다. 30) 자유주의적인 학풍으로 인해 해방 후 연희대학교에는 다양한 학문적 경향성을 가진 학자들이 활동하였으나 전 쟁으로 인한 사상정화 작업으로 인해 궤멸적인 타격을 입은 것이다. 이렇듯 전쟁은 멸종에 가까운 감소, 고율의 인원 손실을 안긴 비극이자, 31) 분단과 냉전을 단기간에 체제내화하게 된 계기였다. 전쟁 후 피난지인 부산에서 다시 학교를 열었지만, 전쟁 전부터 교수진 공백의 문제를 안고 있던 연희대학교 상경대학은 9 28수복 후 교수명단에 이름을 올렸던 박효삼, 김두희, 윤만중, 서정갑이 모두 사직하면서 32) 심각 한 교수 기근에 빠졌다. 우선 문과대학의 조의설이 임시로 상경대학장을 맡 고, 총장 서리를 맡고 있던 김윤경이 최호진 등 학계의 중진들에게 도움을 청하여 다수의 강사들로 교수진을 꾸렸다. 33) 중앙대학교의 최호진과 서울 대학교의 김준보, 산업은행 조사부의 황병준 안림, 재무부의 이한빈, 전매 청의 장하정, 금융조합연합회의 박동규, 미군정 상무부장을 지낸 한승인 등 이 강사진으로 합류했다. 그러나 겸직교수 혹은 별도의 직업을 가진 강사진들로는 수업의 내실을 기할 수가 없었다. 전쟁기에는 이미 교수들의 다른 대학 겸직 문제가 심각 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었다. 3~4개 대학의 교수를 겸직하는 경우가 비 29) 김윤경은 9.28수복 후 학교에 다시 모인 교수가 전쟁 전 86명(교수 17, 부교수 20, 조교수 14, 전임강사 4, 시간강사 31)의 40%인 35명에 불과했다고 언급했다 [ 金 允 經, 6.25 事 變 과 우리 延 喜 大 學 校, 延 喜 春 秋 제1권 제4 5호, 1953년 10 월 1일자]. 30) 문교부의 지시로 각 대학마다 위원회가 구성되어 잔류파 교수와 학생들의 부역 혐의 를 심사하였다. 이 내용에 대해서는 서울대학교40년사편찬위원회(1986), 서울대 학교40년사, 서울대학교, 52-54가 자세하다. 31) 安 東 赫 (1984), 學 術 院 과 나-30년 회고, 學 術 院 30 年 史 ; 安 東 赫 (1986), 學 術 院 波 動 에 즈음하여, 繼 像 : 安 東 赫 先 生 八 旬 紀 念 文 集 [김용섭(2005), 남북학술원 과 과학원의 발달, 지식산업사, 68에서 재인용]. 32) 김두희와 서정갑은 서울대학교로 전직하였고, 박효삼과 윤만중의 사직 이유는 분명 하지 않다. 33) 최호진(2000), 일제말 전시하에서의 학문편력과 해방 후 경제학과 창설, 학문의 길 인생의 길, 역사비평사, 80쪽. 당시의 교강사 명단은 <부록 1> 참조. 1952년에 는 김상겸과 김척도가 교수로, 김준보와 김규삼이 전임강사로 부임하였고, 1953년 에는 김준보와 이정환이 교수로, 오일홍이 전임강사로 발령을 받았다.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63 일비재했고, 잦은 휴강과 준비 부족 등 수업 질의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 가 높았다. 1952년 5월 26일 개최된 전국총학장회의에서 이 문제가 주요 안건으로 상정되었으나, 전국 총학장들은 교수의 생활난과 인적 자원의 부 족이라는 상황을 고려해서 2개 대학까지는 대학교수의 전임 겸직을 허용하 기로 결정하였다. 34) 연희대학교는 연희전문학교 상과 출신을 교수진으로 확보하는 한편, 모교 의 대학원 졸업생을 전격적으로 임용함으로써 교수진의 공백을 메우고자 하 였다. 이미 연희대학교는 교수들의 잦은 이직으로 교수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학교에 애정을 가지고 장기적으 로 재직할 수 있는 동문 인력을 자체적으로 양성해서 교수진으로 채용하기 로 방침을 정하고, 1950년 6월 대학원을 개설한 바 있었다. 35) 이러한 방침에 따라 연희전문학교 1939년도 졸업생 김상겸, 김규삼, 송 태영과 36) 대학원 1회, 2회 졸업생인 오윤복, 이기을, 정종진, 임익순, 이 종하가 모교에 자리를 잡았다. 37) 이들 중 대다수는 이후에도 계속 모교에 남아 연구 활동과 후진 양성에 매진하였다. 연희대학교가 교수 충원 과정에 서 의도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연구와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인적 기반 이 마련된 것이다. 한편, 연희대학교는 1953년부터 상학사로 통일되었던 학위를 상학사와 경제학사로 구분하여 수여하고, 38) 1954년부터는 교과목의 개편 작업에 들 어갔다. 개편의 방향은 건전한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기초교 육을 철저히 하고 영어교육을 강화하되, 사회가 요구하는 실무능력을 가진 인재 양성을 위해 3학년부터 상학과 경제학과의 전공 교육에 집중할 수 있 도록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1, 2학년 때는 전공에 관계없이 기초교양을 충 실이 이수하도록 하였고 3, 4학년에는 전공과목이 집중 배치되었다. 34) 大 學 敎 育 의 質 的 向 上 圖 謀, 全 國 總 學 長 會 議 에서 決 定, 延 喜 타임스 속간 제1호, 1952년 7월 9일자. 35) 백낙준(1995), 회고록, 백낙준전집 9-회고록 종강록, 연세대학교출판부, 115. 36) 이들은 일제에 의해 파행을 겪기 전 연전 상과에서 이순탁 백남운 노동규 최순 주 임병혁 등에게 제대로 된 경제학 교육을 받은 마지막 세대이다. 37) 1954년 3월 20일 졸업한 1회 졸업생 12명 중 11명이 연희대학교에 교수진으로 남았다. 연희대학교 출신으로 대학을 재건한다는 학교 측의 구상이 실현된 셈이다. 38) 학사보고서 4285년도 (4286.4.18), 연희대학교 교무처(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52.

464 정 진 아 <표 3> 1956년 1학기 상학과, 경제학과 강의 과목 일람표(The course catalog of the Department of Commercial Science and the Department of Economics for the 1st semester in 1956) 1 학 년 2, 3, 4 학 년 과목종별 과목명 학점 계열 교수명 필수교양 국어 3 공통 박태홍, 유창돈 영어강독 3 이군철, 배동호 현대영어 3 Mr. Elrod 종교 3 이상호 사회과학 3 한태수 필수전공 경제원론 3 이정환 필수교양 현대영어 3 공통 홍승국 필수전공 통계학 3 공통2,3 김준보 경제사 3 공통 오일홍 경영경제 3 공통 이기을 회계학 3 공통 조익순 재정학총론 3 공통 임익순 한국경제사 3 공통 최호진 상업통론 3 상2 김상겸 부기학 3 상2 김규삼 금융론 3 상3 오일홍 원가계산 3 상4 이기을 무역론 3 상4 김신찬 경제학사 3 경4 김척도 동태경제 3 경4 임익순 선택전공 기업형태론 3 공통 정종진 상업수학 3 상2 조익순 공업부기 3 상3 김규삼 교통론 3 상4 김규삼 동양경제사 3 경3 정종진 근대경제학 3 경3 김척도 협동조합론 3 경4 박동규 경제사상사 3 경4 정종진 사회정책 3 경4 김척도 자료: 학사보고서 4288년도 (4289.4.24), 연희대학교 교무처(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21-24. Source: Academic Report of Year 4288 (April 24, 4289), Yonhee University Office of Academic Affairs (Yonsei University Museum), 21-24. 1956년부터는 공통 과목과 전공필수 및 전공선택 과목을 나누어 학생들 이 체계적으로 학업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과목을 3학점으로 정비 하였다. 1955년도 2학기에는 61과목까지 급증하였던 교과목 수를 33과목 으로 대폭 줄였다. 전쟁 때 교수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남설되었던 특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65 수강의와 시간강사 제도를 줄이고, 기초과목을 중심으로 교과목을 알차게 편성함으로써 전임교수의 책임성과 집중성을 높여 수업의 내실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조치였다. 39) 2. 상경연우회의 활동을 통한 교육 보전 전쟁기인 1952년 12월 6일에 이관희, 이영수, 최한형, 전석두, 안상국, 황영석 등 상경대학 학생들은 경제학 및 상학에 관한 이론과 일반현상을 연 구하고, 회원 상호 간의 인격도야와 친목을 도모하며, 외국 경제학도와 학 술교류를 하기 위해 商 經 硏 友 會 를 창립하였다. 40) 상경연우회는 창립목적에 서도 명확히 드러나듯이, 1926년 창립하여 경제이론과 실제 문제의 토의, 실천, 친목도모 를 목적으로 12년 동안 활발하게 활동했던 經 濟 硏 究 會 의 전 통을 계승한 학생들의 연구단체였다. 이후 상경연우회의 활동은 연구와 조 사보고, 강연회, 잡지 발간 등에 집중되었다. 상경연우회는 학생생계동태조사와 방학 중 농촌실태조사, 기업체에 대한 경영분석 등을 진행하는 한편, 1953년 11월부터는 연구부 산하에 C, I, P, T의 4개 연구반을 두어 상학과 회계학, 경영학, 이론경제학과 경제사, 경제정책 연구를 진행하였다. 41) C반은 상학연구 및 실무연습을, I반은 외 국 문헌의 연구 및 번역을, P반은 경제정책 연구 및 통계조사를, T반은 경 제이론 연구 및 토론을 각각 담당하였다. 각 연구반의 연구활동과 발표, 외국 문헌에 대한 번역작업은 經 濟 學 叢 의 연구논문과 번역, 서평 등으로 외화되었다. 42) 특히 번역과 서평은 서구의 최신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안내하는 길잡이 역할을 충실히 함으로써, 43) 39) 學 制 改 編 에 關 하여- 申 敎 務 處 長 談 話 發 表, 연희춘추 제1권 제9호, 1953.12.1 참조. 40) 彙 報, 經 濟 學 叢 창간호, 1953.6.1, 46. 41) 經 濟 學 叢 각 호의 彙 報 참조. 휘보는 1959년 제8권 제1호를 끝으로 더 이상 게 재되지 않아 그 이후 상경연우회의 구체적인 활동상을 파악할 수는 없다. 42) 상경연우회는 1953년 6월 經 濟 學 叢 창간호를 발행하여 1965년 제16호까지 발 행하였으며, 1960년부터 1964년까지는 사상, 학술, 문예 등 종합지의 형식과 내용 을 갖춘 硏 友 제1호~제4호를 발행하였다. 1962년 상경연우회와 상경대학 학생 회가 통합한 후 1966년부터 지금까지는 상경대학 교지인 商 經 論 叢 이 발행되고 있다. 43) 연세대학교 총장을 지낸 송자는 유학 가서 언어가 서툴렀을 때 經 濟 學 叢 의 서평이 수업을 따라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술회하였다[송자(1997), 한 가지라도

466 정 진 아 학생들이 서구의 최신 이론과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국경제에 대한 문제의 식을 심화시켜가는 데 기여하였다. 각 연구반은 1956년 이후 연구부가 경 제학 상학 경영학 산업경제학 연구부로 분화되는 조직적 토대가 되었다. <표 4> 상경연우회 주최 특별강연회(Special lecture hosted by Yonsei Club of Commerce and Economics) 일시 연제 연사 직위 1952.12.10 현하 한국의 금융사정에 관하여 具 鎔 書 전 한국은행 총재 1953. 2.28 改 貨 조치 후에 오는 문제 崔 虎 鎭 동국대 교수 1953. 6. 5 케인즈 경제이론의 소묘* 44) 李 廷 煥 연세대 교수 1953.11.27 중앙은행 제도 宋 仁 相 한국은행 부총재 1954. 5. 1 경제재건과 산업은행의 기능 具 鎔 書 산업은행 총재 1954.10.19 농촌재건과 곡가문제 朱 碩 均 대한수리조합연합회장 1954.11. 1 구미순방의 소감 趙 義 卨 전 상경대학장 1954.11.22 경제학의 연구방향과 미국경제학의 동태 申 泰 煥 한국경제학회 회장 1955. 5.12 농민의 활로 裵 敏 洙 금융조합연합회 회장 1955. 6. 6 고전파경제학과 Smith* 鄭 鍾 鎭 전임강사 Keynes의 생애와 그 학설* 吳 潤 福 전임강사 1955.11. 7 현대자본주의사회와 증권시장 金 孝 錄 고려대 상과대학장 1956. 6. 5 고전파경제학과 Keynes 경제학* 趙 東 弼 고려대 교수 1956. 6.26 서독경영학 동태 尹 炳 旭 고려대 교수 1956.10.23 IMF회의 참석 귀환보고 강연회 申 秉 鉉 한국은행 조사부장 1956.11.22 제2회 국제경제학자총회 참석귀환보고 陸 芝 修 서울대 교수 1957. 4.11 국제부흥개발은행과 한국경제 宋 仁 相 한국은행부총재 1957. 5. 4 농업과 경제발전에 대하여 F. M, Ojala 유엔아시아극동경제위원회 농업부장 1957. 5. 8 서독경제의 현상과 그 전망 李 冕 錫 한국은행 1957. 6.12 한국경제와 케인즈경제* 成 昌 煥 고려대 교수 1957. 7. 1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전망 趙 東 弼 고려대 교수 1957.10. 4 사회주의논쟁 朴 喜 範 서울대 교수 1957.10. 8 구미 각국의 경제사학계 동향 趙 璣 濬 고려대 교수 1958. 5. 3 현대경제학 申 泰 煥 서울대 법과대학장 1958. 6. 5 한국 농업의 특성 趙 東 弼 고려대교수 1958. 6.27 경제정책과 계획경제 柳 鎭 舜 서울대 교수 1958.11.12 Marketing Gilliland 워싱턴대학 파견 교수 1959. 4.30 Adam Smith 경제이론의 현대적 의의 崔 文 煥 서울대 교수 1959. 6.20 한국경제자립의 제 문제점 黃 炳 俊 산업개발위원회 위원 1959. 7. 4 경제계획과 실제 安 霖 산업개발위원회 위원 1959.10. 7 한국경제발전의 제 문제 Dr. Andrew USOM중앙지구경제조정관 자료: 經 濟 學 叢 각 호, 휘보 에서 재정리. Source: Issues of The Economic Review, Reorganized from Bulletin. 똑 부러지면 되는 거요: 송자 前 연세대총장의 툭 터놓고 하는 이야기, 중앙일보사]. 44) 연세대학교에서는 1953, 1955~1957년 6월 케인즈기념제를 개최하고 특별강연회 를 열었다.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67 연구 및 학술 활동이 본 궤도에 오른 1955년 10월 22일, 상경연우회는 경제안정과 산업부흥 을 주제로 전국 경제학도들을 대상으로 한 토론회를 개최할 것을 학교 측에 건의하였다. 연구학술 활동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실천 활동으로 활동 반경을 넓히고자 한 것이었다. 그러나 학교 측은 시기 상조를 이유로 학생들의 건의를 폐기하였다. 일제시기 경제연구회 사건 45) 으로 인해 교수진과 학생들의 대거 구속과 구속 학생의 사망이라는 일대 파 란을 겪은 바 있는 연희대학교 측으로서는 학생들의 실천 활동에 조심스러 운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었던 것 같다. 토론회가 무산된 이후에도 상경연우회의 특별강연회와 연구반의 연구발 표회는 꾸준히 진행되었다. 주제는 통화개혁, 농촌재건, 경제자립과 같은 현안에서부터 고전파 경제학과 케인즈 경제학, 구미 경제학과 경영학의 동 태, 증권시장과 은행의 기능 등 학생들의 경제 현실에 대한 안목을 넓히고 학술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내용들로 기획되었다. 상경연우회의 활 동은 교수와 학생들이 연구와 학술활동을 매개로 결합하면서 1950년대 전 쟁으로 인해 생긴 연구와 수업의 차질을 내용적으로 보완해가는 중요한 역 할을 하였다. Ⅳ. 1950년대 후반 상경대학의 재편과 학문적 특성화 1. 상경대학 개편안과 워싱턴대학프로젝트 1955년 7월 상경대학 교수진은 현 교육제도와 내용을 검토하는 한편, 학 과와 연구소 설치를 포함한 교육과정 개편안을 준비하였다. 산업행정학과 와 기업경영학과 의 신설 구상이 그것이었다. 46) 산업행정과는 경제학과 법 률행정을 병행 교수함으로써 사회경제 현상을 파악 분석하여 경제이론을 국 가행정면에 완전히 반영시킬 수 있는 능력을 교수함 을 목적으로 교과목에 경제이론, 상학, 법률행정을 각 1/3씩 배정하였고, 기업경영학과는 경제이 45) 각주 17)의 논문 참조. 46) 增 科 및 硏 究 所 設 置 에 關 한 商 經 大 學 敎 授 會 議 錄 (1955.7.2), 연희대학교 상경 대학 교수회 관련철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468 정 진 아 론과 경영실무를 교수함으로써 국가산업경제와 기업경영에 있어서 경영경제 의 학리를 경영실무능력으로서 완전히 실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교수함 을 목적으로 경영경제학과 상학을 각각 40%씩 배정하고, 나머지 20%는 법학과 행정학 등을 배정하였다. 1954년 전후재건사업이 본격화되면서 한국의 관계와 재계, 학계 모두 전 후재건을 위한 정책적 방안 마련과 기업의 경영합리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 하고 있었다. 47) 이에 상경대학 교수진은 상학과와 경제학과의 학문적 체계 를 유지하면서도, 사회가 요구하는 실무인재 양성을 위해 산업행정학과 와 기업경영학과 를 신설하여 병행 발전시키고자 한 것이다. <표 5> 산업행정학과 와 기업경영학과 교과목 편성 구상(Curriculum organization plans of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Administration and the Department of Corporate Management) 산업행정 학과 기업경영 학과 전공 필수 전공 선택 전공 필수 전공 선택 경제원론, 통계학, 재정학, 사회정책 공업정책 농업정책 중 택일, 경제정책, 회계학, 회폐금융론, 원가계산 경제수학(3) 국민소득론, 근대경제학, 계획경제, 추계학, 미국경제, 한국경제론, 협동조합론, 국제경제론, 케인즈경제학, 경제부흥론, 수산경제학(3), 경제통계학, 경제지리, 기업론, 시장론, 교통론, 보험론, 창고론, 회계감사, 국제금융론, 상업정책, 부기원리, 헌법, 민법, 상법, 행정법, 경제학연습(4), 영어경제학, 법학통론(3), 정치학, 국제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노동법, 세법 경제원론, 경제사, 경제정책, 재정학, 경영학총론, 화폐금융론, 회계학, 원가계산, 영어경영학, 재무관리, 부기원리 사회정책, 경영분석(3), 회계감사(3), 세무회계(3), 시장론, 보험론(3), 경제지리, 헌법, 정치학(3), 노동법(3), 노무관리(3), 경영학연습(4), 기업론, 은행부기, 공업부기, 계산연습, 상업수학(3), 경영감사(3), 경영내부감사(3), 무역실천(3), 상품학, 기업집중론(3), 기업구조론(3), 경영계산(3) 자료: 증과 및 연구소 설치에 관한 상경대학 교수회의록 (1955.7.2), 연희대학교 상경대학 교수회 관련철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주: 괄호안의 숫자는 이수 학점을 의미한다. 특정하지 않은 과목은 모두 이수학점이 6학점이 다. Source: The Faculty Meeting Minutes of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n the Expansion of Departments and the Installation of Research Institute (July 2, 1955), Files related to faculty meetings of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hee University(Yonsei University Museum). Note:The number in the parentheses means the number of credits. The courses without the number are 6 credit courses. 47) 정진아(2007), 6 25전쟁 후 이승만 정권의 경제재건론, 한국근현대사연구 제 42집 ; 洪 起 玄 (1998), 한국의 경제학 50년, 考 試 界 제43권 제10호, 93-94.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69 특히 산업행정학과에서는 한국경제론, 케인즈 경제학, 경제부흥론 등 최 신의 경제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경제와 정책에 대한 안목을 기를 수 있도 록 하였고, 기업경영학과에서는 경제학과 상학의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경영 실무 관련 교과를 강화하여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집중 육성하고자 하 였다. 상경대학 산하에 산업연구소도 발족하여 경제 현안을 집중적으로 연 구할 수 있는 연구기지를 만들고자 하였다. 상경대학 교수들의 교육과정 개편안은 교육부장관 백낙준이 미국 정부 및 워싱턴대학 측과 교섭하여 워싱턴대학프로젝트 를 전격적으로 성사시킴으로 써 워싱턴대학프로젝트와 직결되었다. 일제시기 상업 실무교육에 치중했던 공립학교와 달리 기독교 학교인 연전 상과는 미국 유학파 출신 교수들에 의 해 상학교육에 미국 경영학의 형식과 내용을 접목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 다. 48) 이에 미 국무부는 연세대학교가 경영학 원조에 적합하다는 결정을 내리고 원조사업을 추진한 것이다. 49) 1950년대 학계의 새로운 풍조는 미국 유학파들이 급부상하면서 미국 단 기연수 및 미국 유학이 급증하였고, 미국식 학제가 전면적으로 도입되기 시 작했다는 점이었다. 기독교 학교인 연세대학교에서는 일제시기에도 미국유 학파가 교수진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였지만, 일제시기까지만 해도 미국 유학파를 무식하고 실력 없는 사람들 이라고 무시하는 풍조가 만연하였 다. 50) 일본 유학파가 득세하던 시절이었고, 그중 제국대학 출신들은 사회 각 분야의 중심에 서 있었다. 그러나 미국이 남한을 점령하고, 미군정이 현실권력으로 등장함에 따라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미군정이 실시되고 미국 유학파들이 관계, 학계에서 48) 金 奎 三 (1967), 自 主 發 展 을 向 한 韓 國 經 濟 學 의 人 脈, 産 業 과 經 營 제2권 제1호, 1967, 798-799. 49) 교육부장관 백낙준은 1954년 서울대학교에 집중된 미국의 교육원조프로그램이 유 수 사립대학에도 제공될 수 있도록 미국정부를 설득하였고, 1955년 7월 한국정부 와 OEC는 ICA기술원조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 경영학 원 조를 제공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결정은 미국의 담당대학이 지정되지 않아 지연되고 있다가 1957년 말 백낙준이 워싱턴대학 측을 접촉하고, 워싱턴대학 측이 한국을 방 문한 후 지원을 결정함으로써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 (1985), 연세대학교백년사 1-연세통사(상), 606-608]. 50) 申 泰 煥 (1982), 大 學 과 國 家, 亞 細 亞 文 化 社, 221 ; 나기호(1982), 비바람 몰아 쳐도, 양서각, 131 ; 백낙준(1995), 회고록, 백낙준전집 9-회고록 종강록, 연 세대학교출판부, 14.

470 정 진 아 중용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일본 유학파들은 갑자기 자신들이 잃어버 린 세대(Lost Generation) 가 된 것 같은 상실감을 느꼈고, 51) 이러한 상 실감은 1950년대 이후 학자들의 미국 연수와 유학 붐을 일으킨 중요한 계 기가 되었다. 52) 학자들의 미국 유학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한 것은 미국의 교육원조 프로그 램이었다. 미국 정부는 후진국의 지식인들에게 미국 연수와 유학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국가에 미국의 제도와 문화를 이식하고자 하였다. 특히 아시아의 반공보루로서 사회주의 북한과 대결하고 있는 한국은 미국에게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지역이었다. 그러나 식민지 경험으로 인해 일본의 영향 을 많이 받았고, 민족주의적인 색채가 강한 한국은 자연스럽게 미국의 제도 와 문화가 뿌리내리기가 어려운 지역이었다. 이에 미국은 1950년대에서 1960년대 초까지 집중적으로 교육원조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미국의 제도와 문화를 한국에 직접 이식시키고자 하였다. 53) 대학에 대한 미국의 원조에는 ICA자금에 의한 기술원조 프로그램과 미 국무성 자금에 의한 스미스먼트(Smithmundt) 프로그램이 있었다. 54) 미 국무성의 스미스먼트 프로그램이 시찰과 연수, 유학 등 개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면 ICA자금에 의한 원조 프로그램은 단과대학의 신설과 재편 등 대 학의 구조개혁을 포함하는 전면적이고, 적극적인 교육원조 프로그램이었다. 서울대학교와 경북대학교, 해양대학교 등 국립대학에서 시작된 미국의 교육 원조는 점차 사립대학으로 확장되었고, 그 대표적인 사례가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시행된 워싱턴대학프로젝트였다. 51) 申 泰 煥 (1982), 大 學 과 國 家, 亞 細 亞 文 化 社, 123 221 참조. 52) 문교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1953~1973년의 20년간 해외유학생 총수에서 미국 이 점하는 비율은 약 90%였다. 일본은 1%에도 미치지 못했고, 유학생 수 2위를 점했던 서독의 비율도 3.3%에 불과했다. 미국은 유학의 독점지역이나 마찬가지였 다[ 李 圭 煥 (1983), 韓 國 敎 育 發 展 에 미친 外 國 의 影 響, 亞 細 亞 硏 究 제69호, 47]. 53) 미국의 교육원조는 시설원조와 기술원조로 대별되는데, 기술원조는 주로 교육인력 의 훈련, 즉 교수, 교사, 관료, 기업인 등에 대한 해외연수와 해외유학, 미국의 파견 단 지원을 목적으로 하였다. 54) 이진이(1988), 1950년대 미국의 대한 교육원조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 육학과 석사학위논문, 34-57. 비록 단기연수였지만 스미스먼트 프로그램으로 미국 경력이 생긴 교수들은 미국 출신과 동등한 대접을 받았다. 그리고 연수과정에서 생 긴 미국 교수들과의 교분을 바탕으로 국제학술교류를 하고, 해당 학교의 동창회장으 로 활동하는 등 미국 경력을 십분 활용하였다[ 申 泰 煥 (1982), 大 學 과 國 家, 亞 細 亞 文 化 社, 221-226 참조].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71 ICA기술원조에 의한 워싱턴대학프로젝트는 1958년 2월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워싱턴대학 사이에 3년간의 계약이 체결되면서 본격화되었 다. 55) 워싱턴대학프로젝트에서는 교수의 교환, 경영학 교육을 위한 시설 및 도서의 확충, 56) 실업계와 대학의 상호 관계 개선, 실업계 경영자층의 재 훈련, 경영학 교과서 재편성, 교수방법의 개선 지도, Case 자료의 수집 등 7가지를 중요 사업으로 설정하였지만, 핵심은 경영학과의 신설과 재계 최고 경영자층의 훈련이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연세대학교에서는 미국 경영학 교육제도를 참작하여 상경대학에 경영학과를 신설 하고, 상경대학의 공통 필수 기본과목에 기존 교과목 외에 배급론, 인사관리론, 생산관리론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기로 하였다. 57) 프로젝트의 초기단계부터 상경대학의 재편을 염두에 두고 있음 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이로써 1946년부터 유지되던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의 경제학과, 상학과 체제는 1958년 12월 10일 경제학과, 상학과, 경영학 과의 삼분 체제로 변화하였다. 58) 경영학과가 신설되면서 이정환 이기을 정종진(1차), 김규삼 이길현 임익순(2차), 이종하 이규원 송자(3차), 김상겸 송태영 이제민(4차)이 순차적으로 도미하여 미국 경영학 연구방법과 교육방식을 시찰하고 돌아왔 다. 59) 1959년부터 1961년까지는 길리랜드(Chorse E. Gililand), 앤드 루스(Andrus)와 에모리(Emory), 맨하드(Manhart), 신들러(J. S. Schindler), 왈쉬(Walsh Jr.) 교수 등이 연세대학교에 파견되어 시장조 사, 기업재무, 판매관리, 광고, 마케팅세미나 등의 강의를 담당하는 한편, 55)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1985), 연세대학교백년사 1-연세통사(상), 1985, 589-596 ; 고려대학교90년지편찬위원회 편(1995), 高 麗 大 學 校 九 十 年 誌 : 190 5~1995, 高 麗 大 學 校, 341-342 ; 상경대학 개편계획안 (1958), 연세대학교 상 경대학 관련철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참조. 56) 워싱턴대학프로젝트 추진과 함께 워싱턴대학은 1,700여권의 장서와 환등기, 영사 기, 오버헤드프로젝터, 타자기, 계산기, 각종 등사용기를 연세대학교에 기증하였다. 57) 상경대학 개편계획안 (1958),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관련철)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58) 1968년에 상학과가 경영학과로 통합되면서 상경대학의 경제학과, 경영학과 양분체 제가 오랫동안 유지되다가 2003년 경영대학이 신설되면서 상경대학의 경제학과와 경영대학의 경영학과로 분리되었다. 59) 李 廷 煥 (2000), 逸 松 李 廷 煥 回 顧 錄 : 象 牙 塔 과 公 職 과 그리고 企 業 의 언저리에 서, 92-93 97 ; 李 氣 乙 (1999), 島 雲 자서전, 博 英 社, 326-328 ; 金 奎 三 (1967), 自 主 發 展 을 向 한 韓 國 經 濟 學 의 人 脈, 産 業 과 經 營 제2권 제1호, 1967, 800 참조.

472 정 진 아 한국인 교수를 개별적으로 지도하였다. 60) 미국인 교수의 수업에는 한국인 교수가 1명씩 배치되어 통역을 담당하였 고, 미국인 교수가 귀국한 후에는 통역을 담당했던 교수가 그 과목을 이어 받아 통역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을 학생들에게 강의하였다. 61) 미국의 경영 학 연구방법과 토론식 교수법을 이식하는 방식이었다. 62) 워싱턴대학팀은 경영학 이론과 실무교육을 학계뿐 아니라 재계로까지 확 장하고자 하였다. 이에 1958년부터 온양에서 워싱턴대학 연세대학교 고 려대학교가 주최하고, 정부와 주한경제협조처(USOM)가 후원하는 경영실 무연구회 가 매년 개최되었다. 63) 경영실무연구회 에서는 한국에는 생소한 분야였던 인사관리, 생산관리, 기업회계, 재무분석 등 경영학 이론과 경영 관리 실무를 최고경영자층에게 강의하였다. 64) 주최측은 최고경영자층을 대 60)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1985), 연세대학교백년사 1-연세통사(상), 606-608 ; 김기영(2005), 연세대학교 경영학의 90년 : 실사구시( 實 事 求 是 )의 학맥, 연세경영연구 제42권 제2호, 268-269 참조. 실업계의 현안과 직결된 문제를 연 구하기 위해 1959년 산업경영연구소가 신설되었는데 미국인 파견교수 중 로빈슨 (Robinson)과 라이덴바흐(Reidenbach)가 연세대학교의 황일청, 고려대학교의 김 행권과 함께 한국 가죽산업에 대한 연구 1958~1959 를 진행하면서 밝힌 연구의 제1 목적 또한 두 대학교 (연세대, 고려대)의 교수진들에게 산업실태 및 경영 조사 연구방법론을 가르치기 위함이었다( A Study of the Leather Industry of Korea for the Years 1958 and 1959, Prepared by J. George Robinson, Richard C. Reidenbach, Wang Il Cheng, Kim Haeng Kwon, Seoul Korea, May 1960). 61) 나기호(1982), 비바람 몰아쳐도, 양서각, 198-199. 통역과정에서 전수된 내용 은 교재편찬으로도 이어졌다. 이기을 교수가 1960년 번역한 미국의 기업금융: 재 무관리의 기본과제 는 워싱턴대학 도튼(Chal. A. Dauten)교수의 Business Finance: The Fundamentals of Financial Managemnet 제2판을 번역한 것 으로서, 이 책은 연세대학교에서 강의했던 길리랜드 교수가 수업시간에 사용한 교재 였으며, 이기을 교수는 길리랜드 교수의 수업 통역을 담당했다[성태윤(2015), 1950년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학풍, 해방후 연세학풍의 전개와 신학문 개척, 혜안, 4장 2절 참조]. 62) 김규삼은 한국의 경영학 도입과정을 성찰하면서 초기에는 미국의 경영학을 무차별 하게 그대로 받아들였지만, 이후에는 우리 풍토에 맞는 우리의 경영학 으로 소화하 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金 奎 三 (1967), 自 主 發 展 을 向 한 韓 國 經 濟 學 의 人 脈, 産 業 과 經 營 제2권 제1호, 1967, 802 808)]. 63) 경영실무연구회 는 1958년, 1959년, 1961년의 제3회까지는 워싱턴대학과 연세대 학교, 고려대학교의 3자가 주최가 되어 개최하였으나, 1962년과 1963년에는 워싱턴 대학과 연세대학교가 주최하였으며, 워싱턴대학팀이 철수한 후에는 연세대학교 단독 으로 1970년대까지 개최하였다( 溫 陽 에서 開 催 經 營 實 務 硏 究 委, 東 亞 日 報 1958 년 7월 15일자 ; 經 營 實 務 硏 究 會 3 個 大 學 敎 授 參 加, 東 亞 日 報 1961년 7월 4일 자 ; 經 營 實 務 硏 究 延 世 워싱턴 大 共 同 으로, 京 鄕 新 聞 1963년 6월 19일자 ; 經 營 實 務 硏 究 會 開 催 溫 陽 서 9 日 부터, 每 日 經 濟 1967년 6월 30일자 참조).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73 상으로 한 강의를 통해 조속한 시일 내에 한국 기업가들이 현대적인 경영 방식 을 도입함으로써 전후의 자본주의 질서와 자유경쟁체제에 부합하는 새 로운 기업문화 가 창출되기를 기대하였다. 65) 경영실무연구회는 재계에 미 국식 경영학 이론과 기법이 도입된 직접적인 계기였다. 2. 학생들의 건의안 수용과 한국적 경제학의 추구 상경대학의 개편안이 추진되는 가운데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학생들 또한 상경대학의 쇄신을 위한 집단행동을 시작하였다. 학생들의 문제의식은 1959년 2월 26일 상경대학 졸업예정자 50여 명과 총장, 문과대학장, 학생 처장, 상경대학 교수들이 참석한 공개좌담회 자리에서 배종완 유일수 정 익주 이희경 외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졸업예정자 22명이 백낙준 총장에게 연서로 제출한 건의문 을 통해서 엿볼 수 있다. 66) 이 건의문에서 학생들이 시정을 건의한 것은 첫째, 교수 중심의 고답적 인 교육방식, 둘째, 교강사들의 일방적인 교과목 편성과 시간 배정, 셋째, 교과목의 다양성 부족이었다. 특히 학생들은 강사들의 편의를 위주로 강의 시간을 배정하고 시간표 작성 후에 담당교수가 변경되거나 교과목이 폐지 되는 관행을 문제 삼았고, 교과목의 다양성이 부족하여 전공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교육내용과 형식의 내실화, 충실화를 촉구한 것이 었다. 외래 시간강사들의 수업 부실과 일방적인 강의진행은 전쟁 때부터 지적되 어온 고질적인 문제였다. 연희대학교는 1954년 4월 학제개편을 단행하면서 64) 강의는 경영실무연구회에 맞추어 파견된 워싱턴대학의 교수와 한국에 파견 나와 있 는 워싱턴대학 교수,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들이 진행했다. 미국인 교수가 강의하면 한국인 교수는 미국인 교수의 강의를 통역하는 한편, 한국의 특수 문제에 대한 강의를 담당했다. 처음에는 미국식 사례연구를 한국인들에게 소개하는 방식이었으나, 1960년대 중반부터는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의가 진행되었다 [ 金 奎 三 (1967), 自 主 發 展 을 向 한 韓 國 經 濟 學 의 人 脈, 産 業 과 經 營 제2권 제1 호, 1967, 800 ; 나기호(1992), 비바람 몰아쳐도, 양서각, 197-198]. 65) 現 代 的 인 技 術 導 入 緊 要, 企 業 經 營 硏 會 서 원 氏 演 說, 경향신문 1958년 7월 5일 자. 66) 배종완 유일수 정익주 이희경 외 상경대학졸업생예정자 일동(1959), 建 議 文, 연희대학교 상경대학 교수회 관련철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 商 經 大 學 서 學 校 當 局 에 建 議 文 - 總 長 敎 授 들과의 意 見 交 換 자리에서, 연세춘추 제2권 제160호, 1959년 4월 6일자.

474 정 진 아 교수와 학생들의 연계를 강화하고, 다수의 시간강사제를 폐지하며, 학생 중 심의 교수법을 개발할 것을 주창한 바 있었다. 67) 1955년 5월 학도호국단 지도위원과 학생대표 간의 학생 생활 발전을 위한 간담회에서는 토막 강의 를 방지하고, 노트정리식 강의가 아닌 토론식 강의를 지향할 것을 교수들에 게 진언할 것을 결의한 바도 있었다. 68) 그러나 여전히 문제는 시정되지 않 았다. 학생들은 세 방향에서 대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교수진을 안정화하고 교 과목을 확충하여 수업의 내실을 기할 것을 요구하였다. 구체적인 요구사항 으로는 무책임한 외래강사제 를 재고하고 교수의 연구생활을 보장할 것, 강 의 담당에 신중을 기하고 강의내용을 충실화할 것, 교과목을 늘여서 학생들 의 선택 여지를 부여하고 교양과목을 재편성할 것, 수업 초반에 강의계획을 공표하고 충실히 이행할 것, 졸업반 교육에서는 현실적인 측면을 참작할 것 등이었다. 다음으로는 학업분위기 조성을 위해 시험제도를 엄격하게 시행하고 학점 미달자를 엄중 처단할 것, 등록 후 과목별 담당교수를 공지하고 확정할 것, 휴강과 결강을 없애도록 하고 가급적 예고할 것, 강의시간표 작성에 있어서 학생 위주로 편성할 것 등이었다. 마지막으로는 상경대학 학관과 상경실무 교육시설을 확충하고, 간이도서실 및 휴게실을 설치하여 면학분위기를 조성 해줄 것을 요구하였다. 학생들은 교수 질의 저하와 강의내용의 불충실로 인 해 학업 의욕이 저하되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학교 측은 표면적으로는 학사운영과 교육과정 쇄신에 대한 학생들의 건 의문 을 수용하지 않았지만, 69) 이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큐슈대학 경제 학 박사이자 학계의 중진인 최호진, 일리노이대학 경제학 박사이며 킹스대 학 교수를 역임한 박기혁 등을 경제학과 교수로 영입하여 교수진의 강화를 꾀하는 한편, 교강사의 이중직책을 금지하고, 70) 외래강사에 대한 수업의존 67) 學 制 改 編 에 關 하여- 申 敎 務 處 長 談 話 發 表, 연희춘추 제1권 제9호, 1953년 12월 1일자. 68) 敎 授 方 法 改 良 校 服 着 用, 學 護 指 導 委 員 과 學 生 代 表 懇 談 會, 연희춘추 제1권 제 48호, 1955년 6월 1일자. 69) 건의문을 제출한 학생들은 교수들에게 낙인이 찍혀서 대학원 진학도 어려웠다고 한 다(2014년 10월 1일 최호진 교수 탄신 100주년 기념강좌 참석자 談 ). 70) 한국은행조사부 직원이자 연세대학교 전임강사였던 이기을은 1959년 미국에서 귀 국하니, 이중직에 대한 물의가 일기 시작했다고 회고했다. 이에 이기을은 1959년 2 월 19일 한국은행 기획조사과를 사직하고, 연세대학교의 전업교수로 신변을 정리하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75 도를 낮추고자 노력하였다. 경영학과가 신설되어 경제학과 교수들이 경영학 과로 대거 자리를 옮기면서 경제학과 교수진을 보강할 필요성이 있었고, 상 경대학 개편안에서 표방한 실천경제학 을 주도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교수진 의 확보가 절실했기 때문이었다. 실천경제학 은 1950년대 말 상경대학 개편과정에서 교수들이 고민해온 경제학과의 성격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경영학과를 신설하고 커리큘럼에 대한 전면적인 조정을 단행하면서 상경대학 교수들은 과연 경제학과의 성격 이 이론경제학 을 중심으로 해야 하는지, 실천경제학 을 중심으로 해야 하 는지 치열하게 고민하였다. 더불어 경제학과를 문리과대학에 편재할 것인 가, 상경대학에 잔류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신중하게 검토하였 다. 71) 고민의 결과 상경대학 교수들은 경제학과가 종래의 이론 추구 중심에서 기업경영과 정책수립에 필요한 실천이론을 발전시키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 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론 응용과 정책수립에 대한 실천이론을 발전시킬 경제학과를 기업경영을 집중적으로 연구할 상학과 경영학과와 더 불어 상경대학의 틀 속에서 병행, 발전시키기로 결정하였다. <표 6> 1965년 상학과 학정표(The academic calendar of the Department of Commercial Science in 1965 2 3 4 전공필수 화폐금융론, 회계학원리ⅠⅡ(송태영), 통계학, 상학원강ⅠⅡ 전공선택 경제사, 고급통계학, 경제지리, 가격론, 타자ⅠⅡ(나민수) 중급회계(송태영), 원가계산(김규삼), 기업금융론(이기을), 재무관리(이기을), 전공필수 상학원강ⅠⅡ 전공선택 재정학, 투자론, 경영분석(김충극), 보험론(한동호), 상법대의, 민법대의 전공필수 전공선택 상학연습ⅠⅡ(송태영) 회계감사(김규삼), 회계학연습, 재무관리연습, 한국경제론, 상학원강ⅠⅡ, 상업통신 자료: 연세대학교 요람 1965, 153-154. Source: Yonsei University Bulletin 1965, 153-154. 였다[ 李 氣 乙 (1999), 島 雲 자서전, 博 英 社, 298-299]. 71) 김상겸, 정세에 따른 연구분야의 재검토와 지향할 경영학의 사명, 연세춘추 제2 권 제154호, 1959년 1월 15일자 ; 상경대학의 새로운 전망-상경대학 제공, 연 세춘추 제2권 제160호, 1959년 4월 6일자 ; 정종진, 상경대학에 있어서 經 濟 學 科 의 位 置 와 方 向, 연세춘추 제2권 제161호, 1959년 4월 13일자 참조.

476 정 진 아 <표 7> 1965년 경제학과 학정표(The academic calendar of the Department of Economics in 1965) 2 3 4 경제사개설(오일홍), 화폐론(오창준), 금융론, 회계학원리ⅠⅡ, 전공필수 통계학(이규화), 고급통계학 전공선택 경영학개론, 공업경제학(한당욱), 마아케팅, 경제지리학(나기호), 국민소득론, 경제학원강ⅠⅡ(나민수), 근대경제사(오일홍), 타자ⅠⅡ, 제2외국어원강ⅠⅡ 전공필수 재정학(김대준), 가격론(한기춘), 경제학원강ⅠⅡ(나민수) 전공선택 농업경제학(박기혁), 중급회계, 투자론, 경제학연습, 상품학, 재정정책, 농업정책, 경제정책(김상겸), 국제경제학(이제민), 경제계획(김상겸), 보험론, 상법대의(박원선), 민법대의(이근식), 제2외국어원강ⅠⅡ, 계산기ⅠⅡ 전공필수 경제학사ⅠⅡ(박기혁) 전공선택 관리경제학, 중소기업론, 무역실천, 경기변동론, 현대경제학, 한국경제사(오일홍), 경제학원강ⅠⅡ(오일홍, 박기혁), 사회보장론, 협동조합론(나민수), 한국경제론, 노동경제학, 사회정책, 외환론(이제민), 상업통신, 경제발전론, 실업영어ⅠⅡ, 경제학연습ⅠⅡ, 비교제도론, 인사관리, 생산관리 자료: 연세대학교 요람 1965, 156-158. Source: Yonsei University Bulletin 1965, 156-158. <표 8> 1965년 경영학과 학정표(The academic calendar of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1965) 2 3 4 경영학원론ⅠⅡ(이기을), 화폐론, 통계학개설, 마아케팅(유붕로), 전공필수 경영학원강ⅠⅡ(윤석범) 전공선택 경제사, 추계통계학, 경제지리학, 가격론, 제2외국어원강ⅠⅡ 전공필수 전공선택 배급관리(이종하), 인사관리(정종진), 생산론, 생산관리, 경영학원강ⅠⅡ(윤석범) 재정학, 상품학(유붕로), 판매관리(이종하), 계산기ⅠⅡ, 상법대의, 민법대의, 제2외국어원강ⅠⅡ 전공필수 경영정책, 관리경제학(이제민), 경기예측(임익순), 경영학연습ⅠⅡ 전공선택 공기업론, 중소기업론, 외환론, 경영조사(유붕로), 소매경영론, 무역론(김권태), 무역실천(한동호), 광고론(유붕로), 무역경영론, 인간관계, 산업관계론, 한국경제론, 경영학원강ⅠⅡ, 실업영어ⅠⅡ 자료: 연세대학교 요람 1965, 166-167. Source: Yonsei University Bulletin 1965, 166-167. 주목할 만한 현상은 교수진의 강화와 교강사의 이중직책 금지, 외래강사 제 축소 등의 조치가 취해진 후, 경제학과를 중심으로 교과목이 확충되어 학생들의 선택폭이 넓어지고, 강사진을 연구자 중심으로 편성함으로써 수업 이 내실 있게 준비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또한 실천경제학 의 관점에서 대학원생에 대한 연구지도가 강화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77 <표 9> 1960~1965년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목록(The list of master s theses at the Department of Economics in 1960~1965) 논문 제출일시 논문제목 이름 지도 교수 1960. 3. 2 Sir William Petty의 價 値 論 考 察 李 涍 言 최호진 韓 國 農 業 協 同 組 合 의 現 實 分 析 나민수 김준보 후진국 경제발전과 중소공업의 구조분석 오창준 이정환 1961. 2.28 構 造 論 的 動 態 經 濟 理 論 의 考 察 : F.A.Hayk의 理 論 을 中 心 으로 집단안전 보장체제가 후진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中 間 層 增 大 를 爲 한 序 說 論 的 考 察 鄭 翊 周 이정환 한당욱 이정환 장찬섭 최호진 1961.12.27 後 進 國 ( 韓 國 ) 經 濟 開 發 計 劃 과 重 点 的 投 資 方 向 : 特 히 韓 國 經 濟 開 發 計 劃 의 始 初 段 階 에 즈음하여 金 重 鉉 이정환 1963. 3.25 韓 國 經 濟 成 長 과 農 業 生 産 力 에 關 해서 李 盛 道 최호진 交 易 條 件 의 長 期 趨 勢 分 析 : 1870-1950 吳 壽 賢 오일홍 後 進 國 ( 韓 國 ) 的 立 場 에서의 經 濟 哲 學 理 論 考 察 吳 鍾 錫 최호진 後 進 國 經 濟 開 發 과 政 府 의 役 割 : 우리나라 經 濟 開 發 計 劃 에 對 한 考 察 을 中 心 으로 柳 京 子 최호진 農 産 物 價 格 安 定 을 爲 한 流 通 構 造 改 善 : 韓 國 米 價 를 中 心 으로 趙 樂 敎 박기혁 中 小 企 業 成 長 과 金 融 問 題 分 析 : 韓 國 中 小 企 業 의 借 入 能 力 과 申 龍 鶴 오일홍 危 險 性 을 中 心 으로 中 共 第 一 次 五 個 年 計 劃 의 分 析 과 批 判 方 燦 榮 오일홍 經 濟 開 發 과 財 政 投 資 閔 泰 亨 최호진 農 村 開 發 案 에 關 한 硏 究 金 東 奎 최호진 1964. 2.20 資 本 市 場 과 經 濟 發 展 : 韓 國 珠 式 市 場 의 現 實 分 析 과 育 成 을 爲 한 政 策 硏 究 申 建 熙 최호진 韓 國 의 所 得 分 布 蔡 汶 奎 최호진 1964. 9.30 賃 金 決 定 理 論 硏 究 : 限 界 生 産 力 說 을 中 心 으로 하여 尹 錫 範 최호진 韓 國 勞 動 生 命 表 作 成 을 爲 한 첫 段 階 로서의 韓 國 簡 易 生 命 表 金 日 炫 최호진 作 成 試 案 1965. 2.22 韓 國 農 業 構 造 改 善 에 關 한 硏 究 : 經 濟 發 展 과 關 聯 하여 金 碩 熙 박기혁 韓 國 經 濟 의 開 發 을 爲 한 模 型 桂 明 善 최호진 韓 國 失 業 問 題 와 國 土 建 設 事 業 金 滉 㟘 최호진 利 子 率 理 論 과 金 利 政 策 金 知 煜 오일홍 1965.10.15 經 濟 成 長 과 技 術 要 因 에 關 한 一 硏 究 : 經 濟 成 長 의 誘 發 要 因 으로서의 敎 育 및 硏 究 開 發 에 對 하여 辛 容 輝 최호진 자료: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에 소장되어 있는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참조. Source: Master s theses from the Department of Economics of the Yonsei University kept in the Yonsei University Library. 대학원 졸업생이 배출되기 시작한 1954년부터 1965년까지 상경대학 석사 졸업생은 경제학 38명, 상학 7명, 경영학 18명 등 총 63명이었다. 72) 72) 1965년까지 박사학위 졸업자는 배출되지 않았다.

478 정 진 아 석사 졸업생의 수는 1950년대의 13명에서 1960년대 46명으로 크게 늘었 고, 이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경제학 25명, 상학 3명, 경영학 18명으로 경 제학과가 많았다. 내용적으로 보면 경제학과 석사학위 논문은 페티의 가치 론과 하이예크의 동태경제이론, 한계생산력설을 중심으로 임금결정이론을 분석한 세 논문 73) 을 제외하면, 한국의 경제현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것 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한국의 경제성장과 경제개발을 주제로 한 논문이 다 수였다. 경제학과 대학원생의 연구지도는 최호진 김준보 이정환 박기혁 오일 홍 교수가 담당하였다. 1960년대 초 이정환 김준보 교수가 사임함에 따라 1960년대에는 최호진 박기혁 오일홍 교수가 대학원생들의 연구지도를 전담하였다. 특히 25명 중 14명을 지도한 것으로 보아 대학원생 연구지도 의 중심에 최호진 교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최호진 교수는 일제시기 근대조선경제사 로 명성이 높았던 인물로서 전 쟁기에 한국경제학회를 창립하였고, 많은 인재들을 중앙대학교 강사진으로 불러 학계 등용의 길을 열어준 보스 기질의 은사 74) 이자 명실상부한 학계 의 중진이었다. 그의 연구와 저술활동은 일반 경제사와 조선시대부터 해방 후에 이르는 한국경제사 전반을 아우르고 있어 75) 한국의 실천경제학을 이 론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적임자였던 셈이다. 최호진 교수를 중심으로 박기혁, 오일홍 교수가 전담해서 지도한 1960년 대 초 대학원생들의 석사학위 논문 주제를 살펴보면, 후진국 경제이론, 농 촌개발, 중간층 증대론, 국토개발사업, 실업문제와 경제개발계획 등 한국경 제의 현안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후진국의 경제이론을 다룬 논문들은 역사학파와 케인즈주의, 자유주 의사상과 마르크스주의사상, 로스토우 및 후진국개발이론을 비판적으로 검 토하였다. 이론이란 시대적 요구와 조건에 의해 탄생한 것이므로 시사점을 73) 李 涍 言 (1960), Sir William Petty의 價 値 論 考 察,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 위논문 ; 鄭 翊 周 (1961), 構 造 論 的 動 態 經 濟 理 論 의 考 察 : F.A.Hayk의 理 論 을 中 心 으로,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 尹 錫 範 (1964), 賃 金 決 定 理 論 硏 究 : 限 界 生 産 力 說 을 中 心 으로 하여,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74) 宋 基 撤 (2004), 高 麗 大 學 校 와 나, 保 景 文 化 社, 55. 75) 최호진의 경제사 연구내용과 저술활동에 대해서는 홍성찬(2011), 최호진의 경제사 연구와 저술의 사회사: 1940~60년대, 東 方 學 志 제154집 ; 吳 鎭 錫 (2014), 해 방 전후 崔 虎 鎭 의 학문세계와 학술활동, 한국경제학보 제21권 제2호 참조.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79 얻을 뿐 그 어느 것도 한국 사회에 직접 수입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한국 사회에 맞는 이론과 정책을 개발할 것을 주장하였다. 76) 다음으로 농업과 농촌개발을 다루는 논문들에서는 농업을 살리기 위해서 는 다각영농을 통해 농산물을 상품화하고 농민 소득을 증대하여 농민을 자 립시키는 한편,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농촌산업을 기업화하는 방향 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농업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그것이 쉽지 않으므로 농민을 협동화하여 자립적인 생활체로 만들고, 농업 협동조합이 관제적인 성격에서 벗어나 정책적인 지원과 배려를 아끼지 않음 으로써 農 工 竝 進, 國 利 民 福 을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77) 중간층 증대론을 다룬 논문에서는 중간층 증대를 위해선 경제성장이 되어 야 하고, 경제성장이 되기 위해서는 자본축적이 되어야 하며, 원시적 자본 축적 단계에서는 빈익빈부익부가 당연하다는 논리가 팽배한 현실을 지적하 였다. 그러나 복지국가론이 대두하면서 빈익빈부익부 담론이 약화되고 있음 을 논하며, 경제성장과 복지국가의 양립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하고 있 다. 78) 중소기업 문제를 다룬 논문에서는 자본과 기술이 부족하고 실업문제가 심 각한 한국현실에서 노동집약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기업과 공존시킴으로써, 양자의 상호보완적인 발전을 유도하고 고용효과를 높일 것 을 주문하였다. 79) 국토건설사업을 다룬 논문에서는 공업화의 기반이 되는 산업간접자본의 형성과 대량 실업자를 흡수할 수 있는 국토건설사업이 반드시 필요함을 역 설하면서, 현금 살포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병역 미필자의 동원 방안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80) 76) 吳 種 錫 (1962), 후진국(한국)적 입장에서의 경제철학이론 고찰, 연세대학교 경제 학과 석사학위논문. 77) 나민수(1960), 韓 國 農 業 協 同 組 合 의 現 實 分 析,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李 盛 道, 韓 國 經 濟 成 長 과 農 業 生 産 力 에 關 해서",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 趙 樂 敎 (1962), 農 産 物 價 格 安 定 을 爲 한 流 通 構 造 改 善 - 韓 國 米 價 를 中 心 으로, 연 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 金 東 奎 (1963). 農 村 開 發 案 에 關 한 硏 究 - 韓 國 地 域 社 會 開 發 事 業 을 中 心 으로,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78) 장찬섭(1961), 中 間 層 增 大 를 爲 한 序 說 論 的 考 察,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 위논문. 79) 오창준(1960), 후진국 경제발전과 중소기업의 구조분석,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 사학위논문. 80) 金 滉 㟘 (1965), 韓 國 失 業 問 題 와 國 土 建 設 事 業,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

480 정 진 아 한편, 당시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는 실업문제였다. 중점투자를 다 룬 논문에서는 경제개발을 위해서 비료, 시멘트, 철강 등의 기간산업과 전 력, 석탄 등의 에너지 산업에 중점투자를 하되, 군수품 공장과 연계하여 고 용문제 해결까지를 염두에 둘 것을 제안하였다. 81) 경제개발(계획)을 직접 다룬 논문에서는 자본시장 육성과 인적자원 공급 전략에 의거한 종합적인 계획의 추진과 정부의 선도적인 역할을 논하면서 도, 경제적인 요소뿐 아니라 비경제적인 요소, 즉 정치 사회 문화적인 측 면과의 결합문제를 중요하게 언급하였다. 정부의 계획이 국민의 뜻과 만날 때 경제개발이 국민의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것이야말로 정부와 경 제학의 역할이라는 것이다. 82) 요컨대 1960년대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 논문의 주된 내용은 한 국의 상황에 맞는 경제개발이론을 확립하고, 공업뿐 아니라 농업, 대기업 뿐 아니라 중소기업이 병행 발전할 수 있는 경제개발을 추진하자는 주장이 었다. 그리고 경제개발이 경제 규모의 성장이라는 외형적인 성과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실업문제의 해소와 국민의 자립화, 더 나아가서는 복지국가의 실현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렇듯 경제학과는 교수진의 연구와 지도 방향에 따라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경제현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83) 한국적 경제학 을 추구해가고 있 었다. 문. 81) 金 重 鉉 (1961), 後 進 國 ( 韓 國 ) 經 濟 開 發 計 劃 과 重 点 的 投 資 方 向 : 特 히 韓 國 經 濟 開 發 計 劃 의 始 初 段 階 에 즈음하여",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참조. 82) 閔 泰 亨 (1962), 經 濟 開 發 과 財 政 投 資,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 柳 京 子, 後 進 國 經 濟 開 發 과 政 府 의 役 割 : 우리나라 經 濟 開 發 計 劃 에 對 한 考 察 을 中 心 으 로,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 金 東 奎 (1963). 農 村 開 發 案 에 關 한 硏 究 - 韓 國 地 域 社 會 開 發 事 業 을 中 心 으로,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 申 建 熙 (1964), 資 本 市 場 과 經 濟 發 展 - 韓 國 株 式 市 場 의 現 實 分 析 과 育 成 을 爲 한 政 策 硏 究,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 辛 容 輝 (1965), 經 濟 成 長 과 技 術 要 因 에 關 한 一 硏 究 : 經 濟 成 長 의 誘 發 要 因 으로서의 敎 育 및 硏 究 開 發 에 對 하여", 연세대학교 경 제학과 석사학위논문 참조. 83) 오진석은 최호진이 방대한 사료 위에서 치밀한 실증작업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 으며, 이러한 자신의 연구를 디딤돌로 하여 새로운 학문으로 발전하는 길을 앞장서 서 열어주고자 노력했다고 서술하였다[ 吳 鎭 錫 (2014), 해방 전후 崔 虎 鎭 의 학문세 계와 학술활동, 한국경제학보 제21권 제2호, 158-160].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81 Ⅴ. 맺음말 지금까지 해방 20년 한국 경제학계의 동향과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 제학 교육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해방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이 시대 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는 노력을 대학, 한국 정부와 미국, 교수와 학생들 의 역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그들의 요구가 어떻게 제도화되며 다시 그 제 도가 어떻게 학문의 내용과 형식을 규정하는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자 하였다.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해방후에는 경제이론 및 경제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경제 실무능력 을 배양함으로써 새로운 국가건설이라는 시대의 요구에 발맞추어 해방된 국 가의 동량을 양성할 수 있는 경제 관련 학과의 창설이 시급했다. 일제시기 의 전문학교들이 대거 종합대학으로 재건되면서 연희전문학과 상과는 상학 원 산하의 경제학과, 상학과 체제로 정비되었다. 3년제의 전문학교가 4년제 의 종합대학 시스템으로 전환하면서 발생한 학제상의 충돌은 전문부 상과 졸업생을 예과에 편입하여 본과 진입을 유도함으로써 해결하였다. 이로써 1950년대부터는 종합대학의 상경대학 체제 안에서 경제학과와 상학과가 성 장, 발전할 수 있는 제도적인 기반이 마련되었다. 일제말 파시즘체제 하에서 반일 반관학의 학풍을 거세당했던 연희대학 교에는 해방후 일제말기의 교수진이 복귀하고, 일본 사립대학에서 훈련받은 인재들이 교수진으로 확충되었다. 이들은 고전학파, 역사학파, 신고전파, 케 인즈경제학과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이론적 탐색을 하 는 한편, 조선사회사, 조선경제사, 조선경제론, 세계경제사정 등 일제 식민 지 상황에서 제대로 연구하지 못했던 한국의 경제현실과 국제경제를 본격적 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948년 남북에 분단정부가 수립되어 사상통제정책이 강화되고, 6 25전쟁이 체제전의 성격을 띰으로써 많은 경제학자들이 월북 또는 납북 되었을 뿐 아니라 사상적인 이유로 대학을 떠나면서 대학의 사상적 지형이 극히 협소화되었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전쟁으로 인한 인적 손실을 메 우기 위해 대학원을 설립하고 모교 출신 인재를 영입함으로써 교수진의 공 백을 메웠고, 교수와 학생들은 상경연우회의 연구조사활동과 연구발표회를 통해 수업 내용의 결손을 보완해나갔다.

482 정 진 아 전후재건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경제재건을 위한 정책수립과 기업경영에 필요한 인재양성이 요구되자, 교수진은 산업행정학과와 기업경영학과, 산업 연구소를 신설함으로써 전후재건사업에 적극 부응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 력은 워싱턴대학프로젝트로 이어졌다. 워싱턴대학프로젝트를 통해 경영학과 가 신설되었고, 재계 최고경영자층을 대상으로 한 경영실무교육도 진행되었 다. 워싱턴대학프로젝트는 상학과의 교육 방향이 이론 중심에서 실무 중심 으로 전환하는 결정적인 계기이자, 미국의 경영학 이론과 사례연구방법론, 토론식 교수법이 이식됨으로써 학계의 미국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계기가 되 었다. 한편, 1959년 초 상경대학 졸업예정자들의 건의문 으로 표출된 학생들 의 쇄신 요구를 학교 측이 수용하여 교수진이 확충되고 강사진 정비가 이루 어지면서 경제학과를 중심으로 수업에 대한 안정화, 내실화가 진행되는 한 편으로 대학원생에 대한 연구지도가 강화되었다. 경제학과는 실증적인 연구 를 토대로 원조경제 이후 한국경제의 자립과 경제부흥을 위한 이론적, 실천 적 탐색을 시도하였다. 즉, 한국의 경제현실에 대한 주체적인 분석을 시도 함으로써 한국적 경제학을 추구해간 것이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1950년대 말 상경대학 개편을 단행하면서 자기 정체성을 분명히 정립하였다. 경제학과를 종래의 이론 추구 중심에서 기업 경영과 정책수립에 필요한 실천이론을 발전시키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이론 응용과 정책수립에 대한 실천이론을 발전시킬 경제학과와 기업경영을 집중적으로 연구할 상학과 경영학과를 상경대학의 틀 속에서 병행, 발전시 키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미국의 경영학 이론과 사례연구 중심의 커리 큘럼, 토론식 교수법 등의 신사조를 전면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기업경영의 이론적, 실무적 기반을 쌓고자 한 경영학과와 1960년대부터 한국의 경제문 제를 실증적,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적 실천경제 학 을 추구한 경제학과의 양대 학풍으로 정립되었다. 이 글에서는 해방 20년 한국 경제학계의 동향 속에서 연세대학교 상경대 학의 경제학 교육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이 주체들 의 어떠한 문제의식과 정책적인 개입, 제도적인 재편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수진의 문제의식과 학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83 술활동, 그들이 구축해간 학풍에 대해서는 천착하지 못하였다. 이 작업이 이루어져야만 한국학술사, 한국지성사의 전체상 속에서 연세대학교 상경대 학이 갖는 위상과 역할이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현재 필자의 연구역량을 뛰어넘는 방대한 작업이므로 차후의 연구과제로 삼고자 한다. 투고 일자: 2015. 11. 1. 심사 및 수정 일자: 2015. 11. 19. 게재 확정 일자: 2015. 11. 19. 참고문헌 <자료> 經 濟 學 叢, 창간호~제12권 제1호(1953.6~1964.5). Issues of The Economic Review, First Issue ~ 12-1 (1953.6~1964.5). 東 亞 日 報, 京 鄕 新 聞, 延 喜 타임스, 연희춘추, 연세춘추. The Dong-A ILBO, The Kyunghyang Shinmun, The Yonhee Times, The Yonhee Chunchu, The Yonsei Chunchu. 延 禧 專 門 學 校 一 覽 ( 昭 和 十 五 年 度 )(1940). Yonhee College catalog (1940). 延 禧 專 門 學 校 一 覽 ( 昭 和 十 六 年 度 )(1941). Yonhee College catalog (1941). 延 禧 大 學 校 學 則 (1946). Yonhee University Regulations (1946). 학사보고서 4285년도 (4286.4.18), 연희대학교 교무처. Academic Report of Year 4285 (April 18, 4286), Yonhee University Office of Academic Affairs. 학사보고서 4286년도 (4286.10.5), 연희대학교 교무처. Academic Report of Year 4286 (October 5, 4286), Yonhee University Office of Academic Affairs. 학사보고서 4287년도 (4288.4.14), 연희대학교 교무처. Academic Report of Year 4287 (April 14, 4288), Yonhee University Office of Academic Affairs. 학사보고서 4288년도 (4289.4.24), 연희대학교 교무처. Academic Report of Year 4288 (April 24, 4289), Yonhee University Office of Academic Affairs.

484 정 진 아 연세대학교 요람 1961. Yonsei University Bulletin 1961. 연세대학교 요람 1964. Yonsei University Bulletin 1964. 연세대학교 요람 1965. Yonsei University Bulletin 1965. 增 科 및 硏 究 所 設 置 에 關 한 商 經 大 學 敎 授 會 議 錄 (1955.7.2), 연희대학교 상경 대학 교수회 관련철. The Faculty Meeting Minutes of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n the Expansion of Departments and the Installation of Research Institute (July 2, 1955), Files related to faculty meetings of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hee University. 상경대학 개편계획안 (1958),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관련철. Renovation Plan for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1958), Files related to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s of Yonsei University. 배종완 유일수 정익주 이희경 외 상경대학졸업생예정자 일동(1959), 건의 문, 연희대학교 상경대학 교수회 관련철. Bae, J., Yoo, I. Jeong, I., Lee, H., and Others (1959), A Proposal, Files related to faculty meetings of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hee University. <논저> 고려대학교90년지편찬위원회 편 (1995), 高 麗 大 學 校 九 十 年 誌 : 1905~1995, 高 麗 大 學 校. Compilation Committee for the 90 Years Anniversary Collection of Korea University (1995), 90 Years Anniversary Collection of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University (written in Korean). 金 度 演 (1968), 나의 人 生 白 書, 康 友 出 版 社. Kim, D. (1968), The White Paper of My Life, Seoul: Kangwoo Publishing (written in Korean). 金 奎 三 (1967), 自 主 發 展 을 向 한 韓 國 經 濟 學 의 人 脈, 産 業 과 經 營 제2권 제1 호, 1967. Kim, K. (1967), The Human Network of Korean Economics for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485 Independent Development, YONSEI BUSINESS REVIEW, 2-1 (written in Korean). 김 균 이헌창 (2005), 한국경제학의 발달과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출판부. Kim, G., and Lee, H. (2005), The Development of Korean Economics and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University Press (written in Korean). 김기영 (2005), 연세대학교 경영학의 90년: 실사구시( 實 事 求 是 )의 학맥, 연세 경영연구 제42권 제2호. Kim, K. (2005), Ninety Year History of Yonsei School of Business: The Academic Genealogy of Silsagusi (practical learning from realities), YONSEI BUSINESS REVIEW, 42-2 (written in Korean). 김용섭 (2005), 남북학술원과 과학원의 발달, 지식산업사. Kim, Y. (2005), Development of Academies and Institutes of Science in South and North Korea, Seoul: Jisiksanupsa (written in Korean). 김학은 (2015),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백년사 Ⅰ-한국의 근대경제학 1915~ 1956,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Kim, H. (2015), 100 Years History of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I Korean Modern Economics 1915~1956,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written in Korean). 나기호 (1982), 비바람 몰아쳐도, 양서각. Lah, K. (1982), Through the Storms, Seoul: Yangseogak (written in Korean). 방기중 (1992),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1930 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 제사상, 역사비평사. Pang, K. (1992),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Thoughts: A Study on Paik Nam Woon s Scholarship and His Political Economic Thought in 1930 s and 1940 s, Seoul: Yeoksabipyeongsa (written in Korean). 백낙준 (1995), 회고록, 백낙준전집 9-회고록 종강록, 연세대학교출판부. George Paik (1995), Memoirs, George Paik s Collection 9 Memoirs Records off the Last Lectures,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written in Korean).

486 정 진 아 서울 大 學 校 二 十 年 史 編 纂 委 員 會 (1966), 서울 大 學 校 二 十 年 史, 서울대학교. Compilation Committee for 20 Years Histo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66), 20 Years Histo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written in Korean). 서울대학교40년사편찬위원회 (1986), 서울대학교40년사, 서울대학교. Compilation Committee for 40 Years Histo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6), 40 Years Histo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written in Korean) 성태윤 (2015), 1950년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학풍, 해방후 연세학풍의 전개 와 신학문 개척, 혜안. Sung T. (2015), The Academic Traditions of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in the 1950s, The Development of Yonsei Academic Traditions and Pioneering of New Sciences after the Liberation, Seoul: Hyean (written in Korean). 宋 基 撤 (2004), 高 麗 大 學 校 와 나, 保 景 文 化 社. Song, G. (2004), Korea University and I, Seoul: Bokyungmunwhasa (written in Korean). 宋 基 撤 (2004), 日 帝 下 挫 折 된 삶, 保 景 文 化 社. Song, G. (2004), Frustrated Life under Japanese Imperialism, Seoul: Bokyungmunwhasa (written in Korean). 송 자 (1997), 한 가지라도 똑 부러지면 되는 거요: 송자 前 연세대총장의 툭 터 놓고 하는 이야기, 중앙일보사. Song, J. (1997), Be Bright at Least for One Thing: Open Talk with Song Ja, the Former President of Yonsei University, Seoul: JoongangIlbo (written in Korean). 申 泰 煥 (1982), 大 學 과 國 家, 亞 細 亞 文 化 社. Shin, T. (1982), University and State, Seoul: Asiamunwhasa (written in Korean).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 (1985), 연세대학교백년사 1-연세통사(상), 연세 대학교. Compilation Committee for the 100 Years History of Yonsei University (1985), 100 Years History of Yonsei University 1-Yons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