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Similar documents
Kaes025.hwp

Kbcs002.hwp

암센터뉴스레터1

Kaes017.hwp

Jkafm093.hwp

Jkbcs016(92-97).hwp

Endocrinol Metab 25(4): , December 2010 DOI: /EnM REVIEW 대한갑상선학회갑상선결절및암진료권고안개정안 이가희 1 박영주 2 궁성수 3 김정한 4 나동규 5 류진숙 6 박소연 7 박

untitled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Jkbcs032.hwp

<4D F736F F F696E74202D E554248BFACBCF65FB0A9BBF3BCB15FC0CEBCE2BFEB2E BC8A3C8AF20B8F0B5E55D>

8(1)-07(15-19).fm

Lumbar spine

untitled

???춍??숏

Jkbcs030(10)( ).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hwp


°ø±â¾Ð±â±â

<30312EC6AFC1FD30332DB1E8BFF8B9E82E687770>

김범수

<30322EBFC0BCF6BFB52E687770>

( )Kaes031.hwp

Jkbcs042.hwp

Jksvs019(8-15).hwp

405_416 의학강좌-강호철

A 617

Kjhps016( ).hwp

untitled

( )Jkstro011.hwp

황지웅

?

(

지원연구분야 ( 코드 ) LC0202 과제번호 창의과제프로그램공개가능여부과제성격 ( 기초, 응용, 개발 ) 응용실용화대상여부실용화공개 ( 공개, 비공개 ) ( 국문 ) 연구과제명 과제책임자 세부과제 ( 영문 ) 구분 소속위암연구과직위책임연구원

Kaes010.hwp

레이아웃 1

139~144 ¿À°ø¾àħ

05.Kaes001.hwp

내시경 conference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31332DC3D6BCBAC8F12DC6EDC1FD2DBDBD2E687770>

Investment Proposal

슬라이드 1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012임수진

( )Kaes008.hwp

<4D F736F F F696E74202D20B9AEC0E7C8C65FB3BBB0FABFACBCF6B0ADC1C25FB0A9BBF3BCB1C8A3B8A3B8F3C4A1B7E15FB9AEC0E7C8C6205BC0D0B1E220C0F

untitled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èÇ¥³â

(11+12.).pdf


( )Kju225.hwp

( )Kjhps043.hwp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6.Kaes013( ).hwp

( )Kaes037.hwp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30312EC6AFC1FD30322DB0ADC8A3C3B62E687770>

SPCP.PDF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49-54)Kjhps004.hwp

ok.

( )Kju269.hwp

The Korean Journal of Pathology 2007; 41: 갑상선에서독립적으로발생한유두암종및수질암종 - 3 예보고 - 유창영 정찬권 권혁상 1 김성헌 2 김민식 3 김승남 4 이교영 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병원병리학교실 1 내과학교실, 2 진단방

°ûÁø¿µ

untitled

untitled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001-학회지소개(영)

- 2 -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Jkss hwp

대한초음파의학회지 2011;30(3) 전산화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은지금까지는갑상선암환자의수술전평가에있어서관례적으로시행되는검사는아니었으나, 최근몇몇연구에서수술전초음파와 CT가초음파단독시행보다뛰어난진단율을보였다 [10, 11]. CT에서갑

untitled

( ) Jkra076.hwp

사용자 설명서 SERVO DRIVE (FARA-CSD,CSDP-XX)

A 001~A 036

( )Jksc057.hwp

<C1A63534C8B820BCBCB9CCB3AA2DC6EDC1FD2E687770>

공용심폐소생술00

< FC1F8B9E6B1B3C0B02E687770>

닥터큐3.indd

나하나로 5호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이상협, 김현열 liver and lung metastasis of breast-acc 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scans. Breast-ACC is needed a tailored treatment Key words: bre


16(1)-3(국문)(p.40-45).fm

목원 한국화- 북경전을 준비하며 지난해부터 시작 된 한국의 목원대학교 한국화 전공의 해외미술체험은 제자와 스승의 동행 속에서 미술가로 성장하는 학생들의 지식에 샘을 채워주는 장학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의 우수한 창작인력 양성을 위해, 배움을 서로 나누는 스승들의

노영남

(Microsoft PowerPoint - YRTEDIXSFUFE.ppt [\310\243\310\257 \270\360\265\345])

갑상선초음파급여화관련안내 갑상선영상의학회보험위원회 10월 1일부터초음파검사 (= 진단초음파 ) 와초음파유도조직검사 (= 유도초음파 ) 의급여가확대시행됩니다. 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에서는회원님들이진료에적용하실수있는안내를아래와같이작성하여회람합니다. 향후초음파급여관련추가개정소식

Original Article pissn / eissn J Korean Soc Radiol 2013;69(4): CT Detection of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

Transcription: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지상 강좌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1,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2,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3, 국립암센터 4, 대림성모병원 영상의학과 5, 방사선보건연구원 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7, 영상의학과 8, 외과 9,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10, 외과 1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12, 진단병리과 13,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 14,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15, 외과 16, 진단방사선과 17, 원자력병원 내과 18, 을지의과대학교 내과 19,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20,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21,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22,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23 김원배 15 김태용 15 권혁상 문원진 1 이재복 2 최영식 3 김석기 4 김선욱 4 정기욱 4 백정환 5 김병일 6 박도준 7 나동규 8 최준호 9 정재훈 10 정혜승 10 김정한 11 남기현 12 장항석 12 정웅윤 12 홍순원 13 홍석준 16 이정현 17 이가희 18 조영석 19 강호철 20 송민호 21 박진우 22 윤종호 23 강성준 14 이광우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Thyroid Cancer Won Bae Kim 15, Tae Yong Kim 15, Hyuk Sang Kwon, Won-Jin Moon 1, Jae Bok Lee 2, Young Sik Choi 3, Seok Ki Kim 4, Sun Wook Kim 4, Ki-wook Chung 4, Jung Hwan Baek 5, Byung Il Kim 6, Do Joon Park 7, Dong Gyu Na 8, Jun Ho Choe 9, Jae Hoon Chung 10, Hye Seung Jung 10, Jeong Han Kim 11, Kee Hyun Nam 12, Hang-Seok Chang 12, Woong Youn Chung 12, Soon Won Hong 13, Suck Joon Hong 16, Jeong Hyun Lee 17, Ka Hee Yi 18, Young Suk Jo 19, Ho-Cheol Kang 20, Minho Shong 21, Jin Woo Park 22, Jong Ho Yoon 23, Seong Joon Kang 14, Kwang Woo L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epartment of Radiology 1,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Surgery 2,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3,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National Cancer Center 4 ; Department of Radiology 5, Daerim St. Mary's Hospital Radiation Health Research Institute 6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7, Radiology 8, and Surgery 9,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10 and Surgery 11,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Surgery 12 and Pathology 13,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Surgery 14,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15, Surgery 16, and Radiology 17,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18,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19, School of Medicine, Eulji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20,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21,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Surgery 22,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epartment of Surgery 23,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1) 권고안들 간에도 상충되는 내용이 있고, 아직 임상적으로나 보건의료학적 관점에서 논란이 되는 사항들이 많이 있다. 예 갑상선결절은 매우 흔하며, 그 임상적 중요성은 결절의 일부(5~10%)가 갑상선암이라는 사실에 근거한다. 최근 10 년간 갑상선결절 및 갑상선분화암의 진단과 치료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으며, 갑상선결절 또는 갑상선암의 치료 권 고안들이 여러 차례 발표된 바 있었다. 그러나 발표된 치료 * 본 권고안은 대한내분비외과학회와 대한내분비학회 갑상선분 과회 각각의 회장 2인(강성준, 이광우) 공동 책임으로 작성되었 습니다. 를 들면, 갑상선결절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비용- 효율적인 접근법은 무엇인지, 또는 크기가 작은 갑상선분화 암 환자에서 수술의 범위, 갑상선절제술 후 방사성요오드 치 료의 적응증, 적절한 갑상선호르몬의 억제치료는 무엇인지 등이다. 대한내분비학회 갑상선분과회에서는 갑상선결절 및 갑상 선암 환자의 진료에 종사하는 여러 분야의 의사들에게 진료 - 157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Table 1.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권고안의 권고수준 권고수준 정 의 1 강력히 권고함: 권고한 행위를 하였을 때 중요한 건강상의 이득 또는 손실이 있다는 충분하고도 객관적인 근거가 있는 경우 2 권고함: 권고한 행위를 하였을 때 중요한 건강상의 이득 또는 손실이 있다는 근거가 있지만, 근거가 확실하지 않 아 일상적으로 행하라고 권고하기 어렵거나 근거가 간접적인 경우 3 권고함: 전문가의 의견(expert opinion)에 따라 권고하는 사항 4 권고 보류: 권고한 행위를 하였을 때 중요한 건강상의 이득 또는 손실이 있다는 근거가 없거나 이견이 많아서, 해당 행위를 하는 것에 대해 찬성도 반대도 하지 않음 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본 진료 권고안을 제정하 였다. 본 권고안은 갑상선결절 및 갑상선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 논란이 많은 부분들에 중점을 둔 현재 시점에서의 권고안이며, 진료의 표준(standard of medical care)은 아니 라는 점을 강조해 둔다. 본 진료 권고안은 국내 주요 의료기관들에서 갑상선질환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대한내분비학회 회원인 내과 전문의, 갑상선 수술을 담당하고 있는 대한내분비외과학회 회원인 외과 전문의, 대한핵의학회가 추천한 핵의학과 전문의 등으 로 구성된 실무진(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지침 제정위원회, 이하 위원회 )에 의해 초안이 만들어 졌다. 초안은 최근에 발표된 미국 갑상선학회의 권고안을[1] 기초로 일부의 내용 은 NCCN 권고안(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 Thyroid carcinoma, version 1, 2005 http://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 PDF/thyroid.pdf)을 따랐다. 위원회에서 작성한 초안을 2회 의 공청회에서 발표하고 의견을 수렴하였고, 그 후 대한내분 비학회, 대한내분비외과학회, 대한핵의학회 중견 회원들에게 열람을 의뢰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또한, 대한신경두경부 영상의학회 갑상선 연구회, 대한병리학회 내분비병리 동호 회, 및 대한세포병리학회로부터 자문을 구하였다. 수정된 권 고안을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내분비학회 회 원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진료 권고안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 갑상 선결절의 진단 및 치료, 2) 갑상선분화암의 초기 치료, 3) 갑 상선분화암의 장기 치료 및 추적, 4) 기타 갑상선암이며 각 부문 별로 중요한 권고 사항들은 항목별로 기술하였으며 각 권고 사항에 대한 권고수준은 Table 1과 같다. 갑상선결절 갑상선결절은 촉진 혹은 초음파검사로 주변의 정상 갑상선 조직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병변이다. 그러나 촉진되는 결절성 병변이 반드시 방사선학적 이상소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 으며[2], 이러한 병변은 갑상선결절의 정의에 맞지 않는다. 촉 진되지 않지만 초음파 혹은 다른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발견 되는 결절을 우연히 발견된 결절 혹은 우연종 이라 한다. 촉진되지 않는 결절도 같은 크기의 촉진되는 결절과 동등한 악성의 위험이 있다[3]. 일반적으로 크기가 1 cm 보다 큰 결 절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암의 위험이 있으므로 검사를 시 행한다. 그러나 초음파검사 소견상 악성을 시사하는 경우, 두 경부에 방사선조사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갑상선암의 가족력 이 있는 경우 등의 고위험군에서는 1 cm 이하의 결절에서도 검사가 필요하다. 다음과 같은 초음파 소견 중 어느 하나에만 해당하여도 악성일 가능성이 높다[4~8]: 1) 앞뒤가 긴 모양 (taller than wide), 2) 침상(spiculated) 혹은 불규칙한 경계, 3) 현저한 저에코 고형 결절, 미세 및 거대 석회화. 1. 임상적 혹은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결절의 적절 한 검사법 갑상선결절이 발견되면 갑상선과 주위 경부 림프절에 관심 을 둔 면밀한 병력청취 및 신체검사를 시행한다(Fig. 1: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갑상선결절을 가진 환자의 평가 알고리듬). 두경부 방사선조사, 골수 이식을 위한 전신 방사선조사[9], 갑 상선암의 가족력, 14세 이전 체르노빌의 방사선 낙진 노출 [10], 급격한 크기 증가 및 쉰 목소리는 암을 시사하는 병력 들이다. 성대 마비, 동측 경부 림프절 종대, 결절이 주위 조직 에 고정되어 있음은 암을 시사하는 신체검진 소견들이다. 2.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필요한 혈액검사 및 영상 진단법 1) TSH와 영상진단법 갑상선결절이 발견되면 혈청 TSH를 포함한 갑상선기능 검사를 시행한다. TSH가 정상 이하이면 결절이 열결절, 온 결절 혹은 냉결절인지를 알기 위해 갑상선스캔을 시행한다. 열결절은 악성의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세포 학적 검사를 생략할 수 있다. 만일 갑상선저하증이 있는 경 우라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갑상선결절의 초기 검사에 TSH를 포함한 갑상선기능 검사를 시행한다. [권고수준 3] 혈청 TSH 농도가 낮지 않다면 갑상선스캔을 생략하고 갑 상선초음파를 시행할 수 있다. 갑상선초음파를 통해 촉진되 - 158 -

- 김원배 외 30인: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 Fig. 1.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갑상선결절을 가진 환자의 평가 알고리듬. 는 이상소견이 정말 결절인지, 결절이 50% 이상의 낭성변화 를 가졌는지, 그리고 결절의 위치가 갑상선의 후방에 존재하 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뒤의 두 가지 특성이 있는 결절의 경우 촉진으로 시행한 미세침흡인세포검사(fine needle aspiration & cytology, FNAC)의 정확성이 떨어진 다[11,12]. 갑상선초음파를 시행하면 촉진되는 주 결절 이외 에 크기 및 외견상 FNAC를 필요로 하는 추가적인 결절을 발견할 수도 있다[2,13,14]. 혈청 TSH 농도가 증가되어 있 는 경우에도 FNAC를 시행해야 하는데 이는 하시모토 갑상 선염에 이환된 갑상선과 정상 갑상선에서 발생하는 갑상선 암의 빈도가 비슷하기 때문이다[15].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갑상선결절이 의심되는 모든 환 자에서 갑상선초음파 시행을 고려한다. [권고수준2] 2) 기타 혈액검사법: 혈청 갑상선글로불린(thyroglobulin, Tg) 농도 측정: 대부 분의 갑상선질환에서 혈청 Tg 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갑상선암의 진단에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낮다[16]. 갑상선결절의 초기 검사에 일상적인 혈청 Tg 농도 측 정은 필요하지 않다. [권고수준 1] 혈청 칼시토닌 농도 측정: 칼시토닌의 이용에 관해서는 몇 개의 전향적인 비무작위 연구들이 있으며[17~19] 선별검 사로 일상적 칼시토닌 농도를 측정할 경우 조기에 C 세포 증식증과 갑상선수질암을 진단할 수 있어 전반적인 생존율 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민감도, 특이도, 검사 수행법과 비용 효율성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 다. 기저 혈청 칼시토닌 농도가 100 pg/ml 이상이라면 갑상 선수질암의 가능성은 높다[20]. 일상적 혈청 칼시토닌 측정여부는 의사의 판단에 맡 긴다. [권고수준 4] 3.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있어 미세침흡인세포검 사의 역할 FNAC는 갑상선결절을 진단하는데 가장 정확하고, 가장 비용-효율적인 방법이다. 전통적으로 FNAC의 결과는 비진 단적, 악성, 미결정, 양성 세포소견과 같은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비진단적 세포소견은 정립된 적절성의 기준[21]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로 초음파 유도하 FNAC를 다시 시행 해야 한다[22]. 어떤 결절들(특히 낭성결절인 경우)은 반복 적인 검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비진단적 세포소견을 보이며 수술 시 비로소 악성결절로 확인될 수 있다[23,24]. 갑상선결절의 평가에 있어 FNAC는 가장 좋은 검사 법이다. [권고수준 1] - 159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1) 비진단적 결과(Nondiagnostic aspirates) 반복적인 FNAC에도 비진단적인 낭성 결절은 주의 깊은 추적관찰 혹은 수술적 절제를 필요로 한다. 특히 세포학적으로 비진단적인 결절이 고형결절이라면 수술 을 더욱 적극적으로 고려한다. [권고수준 1] 2) 악성(Aspirates suggesting malignancy) 세포학적 결과가 악성인 경우 수술을 권고한다[25]. [권고수준 1] 3) 미결정(Indeterminate) 종종 의심스러운(suspicious), 여포병변(follicular lesion), 여포종양(follicular neoplasm) 으로 보고되는 미결정 세포 소견은 전체 FNAC의 15~30%를 차지한다. 성별, 결절 크기 와 같은 임상소견[26] 및 비정형성과 같은 세포학적 특징[27] 이 미결정 세포소견 결과에서 진단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악성을 예측하는데 그 가치는 낮은 편이다. 미결정 세포소견 결절에서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분자 표지자들이 연구되었지만[28,29] 그 결과가 불충분하여 어느 것 하나도 권고되지 않는다. 미결정 세포소견을 보이는 결절에 대한 진단적 정확 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특정 분자 표지자를 이용하는 것 은 현재로서는 권고를 보류한다. [권고수준 4] 세포학적 판독이 미결정 세포소견인 경우(종종 의심스 러운, 여포병변 혹은 여포종양으로 명명되는) 방사성요오 드 스캔의 시행을 고려할 수 있다. 여포종양이 의심되거 나 결절과 일치하는 기능성 결절이 관찰되지 않는다면 엽절제술 혹은 갑상선전절제술을 고려한다. [권고수준 2] 만일 세포학적 판독이 갑상선유두암 의심 이나 혹은 Hurthle세포종양 인 경우 갑상선스캔은 필요하지 않으 며, 엽절제술 혹은 갑상선전절제술을 시행한다[30]. [권 고수준 1] 4) 양성 세포학적으로 양성인 경우 즉각적인 추가 검사 및 일 상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권고수준 1] 5) 다결절성 갑상선종 다결절성 갑상선종 환자의 악성 위험도는 단일 결절 환자 와 동일하다[2,5]. 결절들을 확인하기 위해 갑상선초음파를 시행한다. 만약 주결절 혹은 가장 큰 결절에서만 FNAC를 시행한다면 갑상선암을 간과할 수 있다[2]. 결절의 크기보다 초음파 소견으로 악성의 가능성이 높은 결절을 찾는 게 보 다 진단 효율이 우월하다[5,31]. 2개 이상의 결절이 관찰되는 경우 초음파 소견상 악 성의 가능성이 높은 결절에서 우선적으로 FNAC를 시행 할 수 있다. [권고수준 2] 초음파 소견상 악성이 의심되는 결절이 없고 초음파 소견이 유사한 융합성 결절들이 다수 관찰된다면 악성의 가능성은 낮으며 가장 큰 결절에서만 FNAC를 시행해도 무방하다. [권고수준 3] 혈청 TSH 농도가 낮은 경우 자동능을 가진 결절이 존재할 수 있다. 갑상선스캔을 시행해야 하며, 각 결절들 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초음파와 직접 비교해야 한 다. 온결절 혹은 냉결절에 대해서 FNAC를 고려해야 하 며, 그 중 초음파상 의심스러운 소견이 있는 결절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권고수준 2] 4. 갑상선결절 환자의 장기 추적관찰에 좋은 방법 FNAC는 약 5% 정도의 무시할 수 없는 위음성률을 보이 므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32,33]. 양성 결절은 크기가 감소 할 수 있지만 서서히 크는 경우가 더 흔하다[34]. 결절의 크 기 증가는 그 자체로 악성을 시사하지는 않지만 반복적인 FNAC의 적응증이다. 초기 양성 결과를 보였던 갑상선결절 의 추적 관찰에 대한 최근 일련의 연구결과들은 초음파유도 FNAC (0.6%) 보다[35] 촉진으로 시행한 FNAC가 위음성 률(1~3%)이 더 높았다[35~37]. FNAC 결과 양성으로 판독 된 306명의 환자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FNAC를 시행한 연구에서는 매우 드물게 3명의 환자에서 결국 악성으로 진 단되었다고 보고하였다[37]. 초음파에 비해 촉진으로 결절의 크기 변화를 판단하는 것이 부정확하기 때문에[14] 임상적 으로 의미 있는 크기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갑상선초음파를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결절의 성장을 정의 하는 기준이나 재생검의 필요를 시사하는 결절 크기 증가의 역치에 대한 일치된 의견은 없다. 몇몇 연구자들은 결절 용 적의 15% 이상 증가를 주장하지만 결절의 평균 직경의 변 화를 측정할 것을 권하는 연구자도 있다[34,38]. 결절의 직 경이 최소 두 측정 장소 이상에서 2 mm 이상 증가되면서 20% 증가되는 것을 결절 성장의 정의로 이용하는 것은 타 당하다. 반복 FNAC에서 양성인 경우 위음성률은 낮다[39]. 쉽게 촉진되는 갑상선결절은 초음파 추적검사 없이 6~12개월 간격으로 촉진을 통하여 임상적인 추적관찰을 할 수 있다. 이외의 다른 결절들은 처음 FNAC 6~12개월 이후 초음파검사가 필요하며, 만약 결절 크기에 변화가 없 으면 추적관찰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권고수준 2] - 160 -

- 김원배 외 30인: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 촉진 혹은 초음파 소견상 결절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가급적이면 촉진을 통한 FNAC보다는 초음파유도 FNAC 를 다시 시행하는 것이 좋다. [권고수준 2] 5. 양성 갑상선결절에서 약물치료의 역할 많은 무작위 연구와 3개의 메타분석의 결과에서 얻어진 증거들은 경계범위의 저요오드 섭취지역의 경우 혈청 TSH 농도를 정상 이하로 억제시키는 갑상선호르몬 치료가 결절 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요오드 섭취 가 충분한 인구군에서 얻어진 결과는 설득력이 낮다[40~42]. 모든 양성 갑상선결절에 대한 일상적인 억제치료는 권고하지 않는다. [권고수준 1] 결절의 크기가 증가되어 반복 시행한 세포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경우에는 증상이나 임상적 염려에 근거하여 지속적인 추적관찰 혹은 수술적 개입을 고려할 수 있다. [권고수준 3] 하지만 이러한 환자군에서 갑상선호르몬 억제치료에 대한 자료는 없다. [권고수준 4] 6. 소아나 임신부의 갑상선결절 1) 소아의 갑상선결절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는 갑상선결절이 적다. 미국 남서부 의 11세부터 18세 사이 5,000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는 1,000명당 20명에서 촉지되는 갑상선결절이 발생하 였고, 매년 1,000명당 7명의 발생률을 보고하였다[43]. 소아 갑상선결절에서 갑상선암의 빈도는 한 연구에 의하면 15~20% 정도로 성인에 비해 높음을 보고하였으나[44~46], 다른 연구자들은 성인과 비슷하다고 하였다[47,48]. FNAC 는 소아기 갑상선결절의 진단에 있어 민감하고 특이적이다 [44,46,47]. 소아에서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결절에 대한 진단 및 치료적인 접근은 성인에서와 같다(임상검사, 혈청 TSH, 초음파, FNAC). [권고수준 1] 2) 임산부에서의 갑상선결절 임산부에서 발견되는 갑상선결절의 악성 가능성이 비임 산부에 비하여 높은 지는 명확하지 않다[49]. 갑상선스캔이 금기라는 것을 제외하면 결절의 검사법은 비임신 때와 같다. 정상 갑상선기능 혹은 갑상선기능저하증을 가진 임산 부의 갑상선결절을 대상으로 FNAC를 시행한다. 임신초 기(first trimester)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혈청 TSH 농도 가 감소된 임산부에서는 결절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갑상선스캔이 가능해지는 출산 이후로 FNAC를 미룰 수 있다[권고수준 1] FNAC 결과가 악성에 합당한 경우 수술이 권고된다. 그 러나 수술을 임신 중 혹은 분만 후 언제 시행해야 하는지는 일치된 의견이 없다. 유산 등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는 임신 24주 이전에 시행해야 한다[50]. 그러나 임신 중 발 견된 갑상선암이 같은 연령대의 비임신 여성의 갑상선암에 비해 더 공격적으로 행동하지는 않는다[51,52]. 갑상선분화 암이 발견된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 결과에 의 하면 임신 중 혹은 분만 후에 수술을 시행한 경우 재발이나 생존율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다[52]. 더욱, 또 다른 후향적 연구 결과는 갑상선암 진단 이후 1년 이내의 치료지연은 환 자의 결과에 악영향이 없음을 시사하였다[53]. 임신초기에 진단된 갑상선암은 초음파 추적관찰이 필 요하며, 임신 24주까지 의미있는 성장(위의 정의)을 보 이는 경우 수술을 시행한다. 그러나 임신중기까지 결절 크기의 변화가 없거나, 임신후기에 처음 갑상선암이 진 단된 경우라면 수술을 분만 후에 시행할 수 있다. [권고 수준 3] 갑상선분화암의 초기치료 1. 갑상선분화암의 초기치료 목적 (1) 원발종양의 제거와 피막 및 경부 림프절 등에 전이된 병소를 제거함. 완전한 수술적 절제는 치료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54~56]. (2) 질병 및 치료와 연관된 이환율의 최소화[57,58]. (3) 정확한 병기결정[59,60]. (4) 수술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용이하게 함[61]. (5) 재발에 대한 적절한 장기적 관리[62]. (6) 재발과 전이의 최소화[62~65]. 2. 진단적 영상검사와 검사실 검사를 통한 수술 전 병기결정 1) 경부 영상검사 표준 병리학적 기법을 이용하였을 때, 수술을 시행한 갑 상선분화암(특히 갑상선유두암) 환자의 20~50%에서 경부 림프절전이가 발견된다[66~70]. 20~31%의 환자에서 수술 전 초음파로 의심스러운 경부 림프절 병변이 발견되며, 그런 경우에는 수술 범위가 변할 수 있다[71,72]. 초음파검사가 검사자에 의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CT, MRI, PET 스캔의 민감도가 알려져 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필요에 따라 초 음파 외의 다른 영상기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73,74]. 악성 세포소견으로 갑상선절제술을 시행받을 모든 환 자에게 반대쪽 엽과 경부 림프절 검색을 위한 수술 전 경부 초음파를 고려한다. [권고수준 2] - 161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2) 혈청 Tg 농도 측정 수술 전의 혈청 Tg 농도의 측정이 환자의 치료나 치료결 과에 영향을 준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수술 전의 일상적인 혈청 Tg 농도 측정은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는다. [권고수준 2] 3. 갑상선분화암에 대한 적절한 수술 갑상선 수술의 목적은 비진단적이거나 미결정 세포소견 을 보이는 경우의 확진, 갑상선암의 제거, 병기결정, 방사성 요오드 치료의 준비이다. 갑상선암의 수술은 갑상선엽절제 술(lobectomy), 갑상선근전절제술(near total thyroidectomy, 반회후두신경이 cricothyroid 근육으로 들어가는 부위에 약 1 g의 갑상선조직만을 남기고 눈에 보이는 모든 갑상선을 제거하는 것), 그리고 갑상선전절제술(total thyroidectomy, 육안적으로 보이는 모든 갑상선조직을 제거하는 것)의 세 가지에 한정되어야 한다. 1) 비진단적이거나 갑상선유두암 또는 여포종양이 의 심되는 세포소견을 보이는 경우, 위험인자들을 고려 한 수술방법의 선택 미결정 세포검사 소견( 의심스러운, 여포종양, Hurthle 세포종양 )를 보이는 갑상선 단일결절에서 암의 위험도는 약 20%이다[75~77]. 반복된 세포검사에서 진단이 안되는 비진단적 세포검사를 보이는 결절의 암 위험도는 알려져 있 지 않지만 약 5~10%로 추정된다[23]. 미결정 세포소견을 보이는 단일결절이 있고, 보다 제 한적인 수술을 원하는 환자에게는 처음에는 갑상선엽절 제술이 추천된다. [권고수준 3] 세포검사에서 명확한 비정형(atypia) 또는 갑상선유 두암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이는 4 cm 이상의 큰 결절을 가지거나, 갑상선암의 가족력이 있거나, 방사선조사의 과 거력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암의 위험도가 증가하므로 갑 상선전절제술을 적용할 수 있다[26,78,79]. 양쪽 엽에 갑 상선결절이 있거나, 혹은 반대편 엽의 재수술의 가능성을 피하고자 처음부터 양쪽 완전한 제거를 원하는 환자들 역시 갑상선전절제술을 적용할 수 있다. [권고수준 1] 려할 수 있다[54,60,61,80,81]. 대부분의 갑상선암 환자들에서는 처음 수술로 갑상 선전절제술이나 갑상선근전절제술이 추천된다. 그러나, 단일병소이고 크기가 작으며, 갑상선 내에 국한되어 있 고, 주변 경부 림프절전이가 없는 저위험군 갑상선유두 암 환자에서는 갑상선엽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 [권고 수준 2] 3) 림프절절제술 진단 당시 주변 림프절전이가 있는 경우가 갑상선유두암 에서는 20~90%이지만, 많은 경우에서 육안적으로 이상이 없어 보인다[82]. 그 외 다른 조직형은 그보다 적은 비율을 차지한다[66,83]. 림프절전이가 명백한 경우 양쪽 중앙 림프 절절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림프절부위 재발의 위험 도를 낮춘다[82,84]. 이러한 중앙부위 절제술은 합병증을 증 가시킬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야 한다[85~88]. 림프절전이가 명백한 경우에는 중앙 림프절절제술을 시행해야 한다. 림프절전이가 명백하지 않더라도 갑상선 유두암이나 Hurthle암이 의심되는 환자들에서는 예방적 중앙(level VI) 림프절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 [권고수 준 2] 측경부(level II-IV)와 후삼각(level V)의 림프절들은 갑상선암, 특히 갑상선유두암과 Hurthle세포암과 많이 연 관되어 있다[66,89]. 임상적으로나 수술 전 초음파에서, 혹 은 수술 중에 확인되는 이들 부위의 림프절전이가 있는 환 자들에서는 수술적 림프절절제가 암 재발률을 낮출 수 있 고,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83,90,91]. 제한 적이긴 하지만 기능적인 광범위 구역절제가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선택적인 절제(berry picking)보 다 선호된다[56,92~94]. 측경부 림프절절제술은 임상적으로나 방사선검사에서 발견되어 세포검사로 확인된 전이성 경부 림프절전이가 있는 환자들, 특히 원발암의 분화도가 나쁘거나, 림프절 크기, 개수 등을 고려했을 때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실패 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고려한다. [권고수준 2] 2) 세포검사에서 암이 진단적인 경우의 수술 갑상선 원발암의 크기가 큰 경우, 반대편 엽에 갑상선결 절이 있을 때, 갑상선 주위나 다른 부위로의 전이, 경부에 방사선조사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들, 1세대 내에 갑상선분 화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갑상선전절제술 혹은 갑상선 근전절제술이 권장된다. 환자가 45세 이상인 경우 재발이 보다 흔하므로 갑상선전절제술 혹은 갑상선근전절제술을 고 4) 잔존갑상선절제술(Completion Thyroidectomy) 잔존갑상선절제술은 갑상선엽절제술 후에 암의 진단이 확실해진 경우에 필요하다. 대부분의 연구에 의하면 갑상선 유두암에서 먼저 절제한 갑상선 엽에 다발성 병변이 있는 경우, 단일 병변에 비해 반대쪽 갑상선에 암이 있을 가능성 이 더 높다[95~97]. 2단계 갑상선수술(갑상선엽절제술 후에 잔존갑상선절제술)의 수술 위험도는 갑상선전절제술이나 갑 - 162 -

- 김원배 외 30인: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 상선근전절제술과 비슷하다[98,99]. 잔존갑상선절제술은 처음 수술 전 갑상선분화암으로 진단되었다면 갑상선전절제술이나 갑상선근전절제술이 추 천되었을 모든 환자들에게 고려한다. 크기가 작고, 갑상선 내에 국한되고, 림프절전이가 없고, 저위험군인 환자들을 제외한 모든 환자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권고수준 2] 잔존하는 갑상선조직에 대한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잔 존갑상선절제술의 대안으로 여겨져 왔으나[100] 이러한 방법이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결 론적으로,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잔존갑상선절제술의 대 안으로 추천하지는 않는다. [권고수준 2] 4. 수술 후 병기결정 1) 수술 후 병기결정의 역할 (1) 갑상선분화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2) 방사성요 오드 치료나 TSH 억제와 같은 수술 후 치료방침을 결정하 고, (3) 수술 후 추적의 빈도와 강도를 결정하고, (4)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수술 후 병기 결정이 필요하다. 2) AJCC/UICC TNM 병기 ptnm에 근거한 AJCC/UICC 병기분류의 적용이 갑상선 암을 비롯한 모든 암에 권장하고 있다[59,101](Table 2, 3). 갑상선암에서는 AJCC/UICC 병기가 몇몇 추가적인 독립 적 예후인자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환자는 잘못 분 류될 가능성이 있다. 보다 정확하게 위험인자를 이용하여 예 후에 따라 환자군을 나누기 위해 CAEORTC, AGES, AMES, U of C, MACIS, OSU, MSKCC, NTCTCS 등, 수 많은 분류 시스템이 개발되었다[59,102~106]. 예후인자들 중 가장 강력한 것으로는 원격전이 여부, 환자의 연령, 종양 의 국소 진행 정도 등이다. 각각의 분류는 저위험군에 속하 는 대부분의 환자(70~85%)를 구별하게 해주며, 이로써 이 들에게 덜 강력한 추적관찰 및 치료를 시행할 수 있게 한다. T1 T2 T3 T4a T4b TX N0 N1a N1b NX M0 M1 MX Table 2. 갑상선암의 AJCC 지침(6판)에 따른 TNM 정의 T staging 원발종양 크기가 2 cm 이하 원발종양 크기가 2 cm보다 크거나 4 cm 이하 원발종양 크기가 4 cm보다 크거나 현미경적 갑상선외 침입(주변 근육 및 연부조직)이 있는 경우 원발종양의 크기에 상관없이 피하 연부 조직, 후두, 기관, 식도 또는 반회후두신경 침범 시 Prevertebral fascia를 침범하거나 경동맥/종격동 혈관을 둘러싸고 있는 경우 원발 종양의 크기를 모르지만 갑상선외 침범이 없을 때 N staging 림프절전이가 없는 경우 Level VI 림프절침범(기관전, 기관주위, 전후두/Delphian 림프절) 일측성, 양측성, 반대편 경부 림프절 혹은 상종격동 림프절침범 수술 당시 림프절전이를 평가하지 않은 경우 M staging 원격전이가 없는 경우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원격전이 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 Table 3. 갑상선유두암 또는 갑상선여포암의 병기 45세 미만 Stage I Any T Any N M0 Stage II Any T Any N M1 45세 이상 Stage I T1 N0 M0 Stage II T2 N0 M0 Stage III T3 N0 M0 T1-T3 N1a M0 Stage IVA T4a N0, N1a M0 T1-T4a N1b M0 Stage IVB T4b Any N M0 Stage IVC Any T Any N M1-163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질병의 사망률 예측과 암등록에 대한 필요성 때문에 AJCC/UICC 병기 분류는 모든 갑상선분화암 환자에게 권장한다. 수술 후 임상적, 병리적 병기결정은 예후의 예 측과 추후 치료방침의 결정을 위해서도 유용하다. [권고 수준 2] 5. 갑상선절제술 후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 거술 갑상선절제술 후 방사성요오드 투여로 잔여갑상선조직을 제거하는 목적은 잔여갑상선조직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국소적 재발의 위험을 줄이고 장기적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54,55]. 그러나 사망률이 낮은 저위험군의 갑상선 유두암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관찰하지 못하였다는 보고도 있다[60,107~111].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거술은 다음의 환자에게 권장한다. [권고수준 2] 1) III, IV 병기 환자 2) 45세 이하인모든 II 병기 환자와 45세 이상인 대부 분의 II 병기 환자 3) 일부의 I 병기 환자(병소가 여러 개이거나 림프절전 이가 있는 경우, 갑상선 밖의 조직이나 혈관으로 침 범한 경우, 예후가 나쁜 조직형일 경우) 1) 방사성요오드 투여 전에 갑상선호르몬을 중단하는 방법 방사성요오드 투여로 잔여갑상선을 제거할 때, 전신스캔 및 혈청 Tg 농도를 측정을 이용한 추후의 경과 관찰 등에는 TSH 자극이 필요하다. 후향적 연구에 의하면 혈청 TSH 농 도가 30 mu/l 이상일 경우 종양의 방사성요오드 섭취가 증 가함이 관찰되었다[112]. 이에 반해, 외인성 TSH를 1회 주 사할 경우에는 TSH 농도가 5,182 mu/l 사이일 때 갑상선 세포에 대한 최대 자극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113,114]. 내인 성 TSH 농도는 1) levothyroxine (LT 4)을 levotriiodothyronine (LT 3)로 변경하여 24주간 지속한 후 2주간 LT 3를 중단하거 나, 또는 2) 3주간 LT 4를 중단하여 증가할 수 있다[114~123]. 방사성요오드 치료나 전신스캔을 시행하기로 되어있 는 환자는 최소한 3주간 LT 4를 중단하거나 2~4주간 LT 3 로 변경한 후 LT 3를 2주간 중단한 후 TSH 농도를 측정 해야 적절한 검사/치료 시기(TSH 30 mu/l 이상)를 결 정할 수 있다. [권고수준 2] 2)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 전신스캔 촬영 방사성요오드 전신스캔은 요오드를 섭취하는 갑상선조직 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전신스캔에서 잔여 정상 갑상선조직의 양이 많을 때에는 대부분의 요오드가 정 상 갑상선조직에 의해 섭취되기 때문에, 국소 림프절, 상부 종격동 등의 국소적 갑상선암이나 원격전이된 갑상선암을 놓칠 수 있으며 이는 검사의 민감도를 감소시킨다[124]. 게 다가 I-131에 의한 갑상선암의 기절효과(stunning) 때문에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 전신스캔을 시행하지 않는 경향이 증 가하고 있다[125]. I-123과 I-131 사이의 비교연구에서 이들 의 종양 발견에 대한 효과는 매우 비슷함이 밝혀져 있지만, 적절한 I-123의 용량과 투여 이후 전신스캔 촬영의 시간 간 격은 알려져 있지 않다[126]. 게다가 I-123은 고가이고, 일 반적으로 구하기 어려우며 반감기가 짧아서(T 1/2 = 13시간) 다루기 어렵다[127].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 전신스캔이나 갑상선 부위 섭 취율의 측정은 수술기록이나 경부 초음파로 잔여 갑상선 의 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을 때, 검사 결과로 인해 치료 방침이나 방사성요오드 치료 용량이 달라질 때에는 유용할 수 있다. 검사를 시행할 경우에는 2 mci (74 MBq) 전후의 저용량의 I-131 이나 I-123를 사용한다. [권고수준 3] 3)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거술에서 I-131의 투여 용량 방사성요오드를 이용한 성공적인 잔여갑상선제거는 일반 적으로 진단적 전신스캔에서 육안으로 방사능을 확인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한다. 30~100 mci의 I-131은 대체로 비슷 한 성공률을 보인다[128~131]. 성공적인 잔여갑상선 제거에 필요한 최소 용량(30-100 mci, 1.1-3.7 GBq)(특히 저위험군의 환자에서는)이 선 택될 수 있다. [권고수준 2] 현미경적 잔여병소가 의심되거나 확인되었을 경우, 혹은 예후가 나쁜 조직형일 경우(예를 들어 키큰세포 변 이종, 원주형세포 변이종, 섬형) 고용량(100-200 mci, 3.7-7.4 GBq)이 적절할 수 있다. [권고수준 3] 4) 방사성요오드 투여와 재조합 인간 갑상선자극호르몬 (Thyrogen TM )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거술에서 재조합 인간 갑상선 자극호르몬(recombinant human thyrotropin, rhtsh)의 사 용에 대한 경험은 그다지 많지 않다. 갑상선기능저하 상태를 견디지 못하거나 내인성 TSH를 충분히 생성할 수 없는 일 부 환자에서 rhtsh로 성공적인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시행 한 보고가 있다[132,133]. - 164 -

- 김원배 외 30인: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거술을 위하여 LT 4 중단 이나 rhtsh 자극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권고수준 2] 5) 방사성요오드 투여 전 저요오드 식이 방사성요오드 투여 전에 방사능 효과의 증강을 위하여 저 요오드 식이(하루 50 g 미만)가 권장되어 왔다[134~136]. 저요오드식이의 적절한 기간에 대한 연구보고는 국가별로 다르며 이는 식이를 통한 요오드 섭취량이 국가별로 다른데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과 같은 식이를 통한 요오드섭 취량이 높은 국가에서는 2주 이상이 권장되기도 한다[137~139]. 요오드의 섭취원으로서 식이 이외에 약물에 포함된 요오드 도 있다. 약물에 의한 요오드 섭취가 치료의 방해가 되지 않 도록 미리 점검하는 것이 권장된다. 저요오드 식이를 적절히 수행했는지는 파악하기가 힘들고, 요오드를 포함한 약물은 다양하여 사전 점검에서 누락될 수도 있으므로 방사성요오 드 치료 전 소변 요오드 배설량을 측정함으로써 체내 요오 드량이 치료에 충분할 만큼 감소되었는지 판단하여 치료 일 정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136].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거술 준비를 위해 1~2주 의 저요오드식이가 추천된다. [권고수준 3] 작용으로는 불현성 갑상선중독증, 허혈성 심질환의 악화, 심방세동 위험의 증가, 폐경 후 골다공증 위험 증가 등이 있다[145]. 고위험군의 갑상선암 환자는 처음부터 혈청 TSH 농 도를 0.10 mu/l 미만으로 유지하여야 하는 반면, 저위 험군 환자는 혈청 TSH 농도를 0.10-0.50 mu/l 사이에 유지하는 것을 권장한다. [권고수준 2] 7. 추가적인 외부 방사선조사나 항암제치료 1) 외부 방사선조사 외부 방사선조사는 국소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절제가 불 가능한 병소의 증상완화 치료 등에 가끔 사용된다[146]. 그 러나 외부 방사선조사가 적절한 수술과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경부에서의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 하지 않다. 외부 방사선조사는 수술할 당시 육안적으로 갑상선 밖으로 병소가 진행되어 미세병소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은 45세 이상의 환자, 추가적인 수술이나 방사성요오 드 치료로 잘 낫지 않을 것 같은 육안으로 보이는 잔여 병소가 있는 환자에게 고려한다. [권고수준 2] 6)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전신스캔의 촬영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전신스캔은 원격전이의 진단을 위 하여 전형적으로 방사성요오드를 투여하고 1주 내외에 시행 된다. 새로운 비정상적 요오드 섭취는 경부, 폐, 종격동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었고, 이러한 새로운 병변은 약 10%의 환자에서 병기에 또는 9~15%에서 치료 방침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되었다[140~142]. 방사성요오드 투여 후에는 치료 후 전신스캔이 권장 된다. 촬영 시기의 결정에 대해 발표된 근거자료는 부족 하지만, 일반적으로 투여 후 2~8일 사이에 시행하고 있 다. [권고수준 2] 6. TSH 억제치료의 역할 갑상선분화암은 세포막에 TSH 수용체를 가지고 있고, TSH 자극에 반응하여 세포성장이 증가한다. 생리적 용량 이상의 고용량의 갑상선호르몬제(LT 4)를 투여하여 TSH 분 비를 억제하여 갑상선암의 재발률을 감소시킨다[64,143]. 1) 적절한 초기 TSH 억제치료 후향적 연구들에 의하면 TSH가 0.1 mu/l 미만일 경우 고위험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지만[144], 저위험군에서는 TSH 억제치료의 확립된 이득이 없다. TSH 억제치료의 부 2) 항암제치료 갑상선분화암의 치료에 추가적인 항암제 사용을 정당화 하는 자료는 없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일부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경우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갑상선분화암 환자에서 추가적인 항암제의 일상적 사 용에 대한 역할은 없다. [권고수준 1] 갑상선분화암의 장기 치료 및 추적 1. 장기 치료 및 추적의 목표 및 의의 장기 추적의 주 목적은 질병이 일단 완치된 환자에게서 재발여부를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다. 잔여 혹은 재발 병소 를 갖고 있는 환자에게는 완치를, 또는 장래의 이환율이나 사망률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치료하며, 그것이 불가능한 경 우에는 종양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보조적 인 치료를 한다. 1) 잔여 병소의 존재나 재발의 위험에 따른 환자의 분류 (저위험군, 중간위험군, 고위험군) AJCC/UICC 병기 분류는 사망을 예측하는 분류이므로 추적 검사의 강도를 판단하는 용도에 사용하기는 부적절하 며, 재발 위험도에 따른 환자의 분류는 다음과 같은 분류 기 - 165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준에 따른다. - 저위험군: 국소 또는 원격전이가 없고, 수술로 육안적 병소가 모두 제거되었으며,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이 없고, 나쁜 예후를 갖는 조직형(키큰세포 변이종, 원주형세포 변이 종, 섬형)이 아니며,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거술 이후에 시행한 첫 번째 치료 후 전신스캔에서 갑상선 부위(thyroid bed) 외에는 섭취가 없는 경우로 정의한다[147~149]. - 중간위험군: 수술 후 병리조직검사에서 갑상선 주위 연 조직으로 현미경적 침윤 소견이 있거나, 원발 종양이 나쁜 예후를 갖는 조직형이거나, 혈관 침범 소견이 있는 경우이 다[150~152]. - 고위험군: 종양이 육안적으로 주위 조직을 침범하였거 나,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였거나,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또는 첫번 째 치료 후 전신스캔에서 갑상선 부위 이외 의 섭취가 있는 경우이다[153,154]. 2) 갑상선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적절한 추적 검사 방법 갑상선전절제술 또는 갑상선근전절제술과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 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잔여 병소 없음 의 정의는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를 칭한다. 즉, 1) 임상적으로 종양이 발견되지 않고, 2) 진단 영상에서 종 양이 발견되지 않으며(첫 번째 치료 후 전신스캔 또는 최근 의 진단적 전신스캔에서 갑상선 부위 이외의 섭취가 없거나 경부 초음파검사에서 음성), 3) 항Tg 항체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한 혈청 Tg 농도가 TSH 억제 상태와 TSH 자극 상태 모두에서 측정되지 않는 경우이다 2. 갑상선분화암의 추적에서 혈청 Tg 농도 측정의 의의 혈청 Tg 농도의 측정은 갑상선전절제술과 방사성요오드 를 이용해 잔여 갑상선을 제거한 경우 잔여 갑상선암을 발 견하는데 있어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다. 특히 갑상선호르 몬 투여 중지 후 또는 rhtsh 투여 후 측정한 혈청 Tg 농도 는 잔여 갑상선암 발견에 있어 가장 예민한 검사법이다 [155]. 종양이 작을 때에는 TSH가 억제된 상태에서 혈청 Tg 농도를 측정하면 잔여 병소를 찾아내지 못할 수 있다[147]. 반면에 TSH를 자극한 경우에도 혈청에 항Tg 항체가 있거 나, 드물지만 종양 세포에서 Tg를 생산하거나 분비하는 능 력이 떨어진 경우 상당한 양의 종양이 있어도 혈청 Tg 농도 측정으로 종양을 발견해내지 못할 수 있다[156]. 갑상선전절제술 또는 갑상선근전절제술과 방사성요오드 를 이용한 잔여 갑상선제거를 시행받은 저위험군 환자(실제 수술 환자의 85%에 해당)의 초기 추적검사는 주로 갑상선 호르몬 투여 중(TSH-억제)의 혈청 Tg 농도 측정과 경부 초 음파검사로 하며, TSH-억제 Tg 농도가 음성인 경우에는 TSH-자극 Tg 농도를 측정한다[147]. 일반적으로 rhtsh 자극 후의 혈청 Tg 농도가 2 ng/ml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면 잔여 병소를 가진 환자를 예민 하게 찾아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6-191]. 그러나 같은 시료로 측정을 하여도 Tg 측정치가 실험실마다 다르므 로[157] Tg 기준치는 기관 또는 실험실마다 다를 수 있다. 항Tg 항체는 갑상선암 환자의 25%에서[158], 일반인의 10%에서[159] 발견되며, 면역계수측정법을 이용한 Tg 측정 시 Tg 농도를 실제보다 낮게 측정한다[160]. 경부 림프절에 작은 전이 병소만 있거나 분화도가 낮은 갑상선암의 경우 혈청 Tg의 진단 예민도는 떨어진다[154, 161]. TSH-억제 또는 -자극 모든 경우에 혈청 Tg 농도가 지 속적으로 증가하면 임상적으로 유의한 병소의 출현을 암시 한다 [162,163]. 갑상선전절제술 또는 갑상선근전절제술과 방사성요오 드를 이용한 잔여 갑상선 제거를 시행 받은 갑상선분화 암 환자의 추적에서 혈청 Tg 농도를 6~12개월 간격으로 측정한다(가능하면 같은 실험실에서 같은 측정법으로). Tg 농도를 측정할 때마다 Tg 항체를 동시에 정량적 방 법으로 측정한다. [권고수준 1] 갑상선근전절제술 미만의 수술을 받았거나, 갑상선전 절제술을 받았으나 방사성요오드를 이용한 잔여갑상선 제거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의 추적에 있어서도 주기적인 혈청 Tg 농도 측정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잔여 및 재발 병소를 암시하는 Tg 기준치는 알려져 있지 않 으나, TSH-억제 또는 TSH-자극 Tg 농도가 2 ng/ml 이 상이면서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우 재발을 암시 할 수 있다. [권고수준 3] 방사성요오드를 이용한 잔여 갑상선 제거술을 시행받 은 저위험군'의 갑상선분화암 환자에서 치료 6개월 후 시행한 TSH-억제 Tg 농도 및 경부 초음파검사가 음성 인 경우, 잔여 갑상선 제거 후 12개월 되는 시점에 TSH- 자극 Tg 농도를 측정한다. TSH-자극 Tg 농도가 음성인 경우 추후 자극 검사의 시행이 필요한지, 또는 어느 시 점에 시행해야 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권고수준 1] 3. 갑상선분화암환자의 추적에서 진단적 전신 방 사성요오드 스캔 및 초음파검사 1) 진단적 전신 방사성요오드 스캔 진단적 전신스캔을 환자의 추적에 이용할 때 두 가지 고려 사항이 있는데, 기절효과(stunning)에 의한 위음성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 정확도가 낮다는 점이다. 진단 스캔은 정상 갑상 선조직이 없거나 거의 없어야 진단 검사로 유용하다. 간혹 진 단 스캔에서 발견되지 않던 병소가 치료 목적의 고용량 I-131 투여 후 촬영한 전신스캔에서 발견할 수 있다[164~167]. - 166 -

- 김원배 외 30인: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 방사성요오드로 잔여 갑상선조직 제거를 시행한 경우 첫 번째 치료 후 전신스캔을 시행한 경우 저위험군 환 자에서는 TSH-자극 상태의 Tg와 경부 초음파검사가 음 성이라면 추적 관찰 중에 진단적 전신스캔을 일상적으로 시행할 필요는 없다. [권고수준 1] 방사성요오드로 잔여 갑상선조직 제거를 시행한 중 간위험군' 또는 고위험군' 환자에서는 6~12개월 후에 시행하는 진단적 전신스캔이 유용할 수 있다. 이 때 진 단적 전신스캔은 저용량의 I-131 또는 I-123을 이용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권고수준 3] 임상적으로 갑상선암이 발견되지 않고, 재발의 가능 성이 낮은 저위험군에서는 TSH 농도를 0.3~2 mu/l 사 이로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권고수준 3] 5. 전이 병소를 가진 갑상선분화암 환자의 치료 전이 병소에 대한 치료방법은 국소 병변의 수술적 제거, 방사성요오드 치료, 외부 방사선조사, 주의깊은 추적관찰(안 정적이고 무증상인 경우), 시험적 항암치료 순으로 선호된 다. 일부 환자에서 고주파제거술[173], 알코올 주입술[174], 항암색전술[175] 등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2) 경부 초음파검사 경부 초음파검사는 갑상선분화암 환자에서 경부 전이를 발견하는데 매우 예민한 검사이며[168], TSH-자극 상태의 Tg가 음성인 환자에서도 전이 병소를 발견할 수 있다[161]. 수술 후에는 갑상선부위와 중앙, 외측 경부 림프절 구 획을 평가하기 위해 경부 초음파검사를 수술 후 6개월과 12개월에 시행하며, 이후 환자의 재발 위험성과 Tg 수 준에 따라 최소 3~5년 동안 매년 시행할 수 있다. [권고 수준 2] 4. 갑상선분화암의 장기 추적에서 갑상선호르몬 억제치료 최근의 여러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갑상선호르몬 억제치 료를 시행한 경우 주요유해사례의 발생이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169]. LT4에 의한 TSH 억제의 적절한 수준은 아 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한 연구에서 TSH 농도가 1 mu/l 이상일 때보다 지속적으로 0.05 mu/l 이하로 억제되어 있 을 경우 무병생존기간이 더 길었으며, 다변량 분석에서 TSH 억제 정도가 재발의 독립적 예측 인자였다[170]. 또 다른 대 규모 연구에서는 병기, 환자의 연령, 방사성요오드 치료여부 가 각각 질환의 진행을 독립적으로 예측하는 인자로 밝혀졌 고 TSH 억제 정도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171]. 세 번째 연구에서는 LT 4 치료 동안 TSH를 0.5 mu/l 미만으로 억제하는 경우보다 정상범위로 유지하였을 때 평균 Tg 농도 가 더 높았으나 이러한 현상은 국소 또는 원격 재발이 있는 경우에만 관찰되었다[172]. 갑상선암 잔여 병소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혈청 TSH 농도는 특별한 금기사항이 없는 한 계속 0.1 mu/l 미만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권고수준 2] 임상적으로 갑상선암이 발견되지 않으나, 재발의 가 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에서는 수술 후 5~10년 동안 혈청 TSH 농도를 0.1~0.5 mu/l 사이로 유지할 것을 권고한 다. [권고수준 3] 1) 국소 전이의 수술적 치료 수술은 원격전이가 없는 환자에서 국소 재발의(예를 들어 경부 림프절 또는 경부의 연부 조직 종양) 우선적인 치료법 이다. 단기간의 추적 결과를 보면 수술적 치료로 약 1/3-1/2 의 환자가 완치된다[176]. 촉진되지 않는 림프절도 초음파나 다른 영상 진단법으로 확인되면 수술적 절제를 고려해야 한 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적 림프절전이는 영상검사에서 나타 나는 것보다 더 광범위하기 때문에, 선택적인 림프절절제나 알코올 주입 치료보다는 중요 구조물들을 보존하면서 잔여 및 재발 병변이 있는 구획을 완전 절제하는 수술(예를 들어 일측 중앙 림프절절제술, 기능적 광범위 구역 절제술)이 더 선호된다[177~179]. 경부에 국한된 잔여 및 재발 병변은 중요 구조물을 보존하면서 침범된 편측 경부 혹은 중앙부분의 림프절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을 고려한다. [권고수준 2] 2) 호흡기-소화기 침범 병변의 수술적 치료 상부 호흡기-소화기를 침범한 종양은 일반적으로 수술과 함께 추가적인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시행하고 추가적으로 외부 방사선조사를 고려한다[180,181]. 환자의 예후는 기능 은 보존하면서 확인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는데, 기관 혹은 식도의 표면에 있는 종양을 제거하 는 것부터 침범이 깊을 경우 기관 절제와 문합[182~184] 혹 은 식도인두절제술 등의 적극적인 수술기법까지 다양하다.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기관 스텐트나 기관절 개술 등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이저 치료는 기 도폐색이나 기도출혈을 치료하거나, 근치적 혹은 고식적 치 료를 위한 예비단계로 이용될 수 있다[181]. 상부 호흡기-소화기를 침범한 종양은 기술적으로 가 능하다면, 병소를 제거하는 수술과 더불어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시행하고 추가적으로 외부 방사선조사를 고려한 다. [권고수준 2] - 167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3) 국소 혹은 원격전이 병소에 대한 방사성요오드 치료 병소가 크거나 초음파, CT 스캔 혹은 MRI와 같은 해부 학적 영상에서 수술로 절제 가능한 병소가 있는 경우 수술 을 하게 되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진단스캔에서 국소 림프 절전이가 발견되면 일반적으로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이용된 다. 국소 림프절전이 또는 소화기-호흡기 침윤 병소의 수술 적 제거 후에도 잔여 병소가 있거나 의심되는 경우 수술 후 부가적으로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한다. 많은 환자에서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효과가 입증되었으 나 최적의 용량에 대하여는 아직 논란이 있다[185]. 방사성 요오드 치료에는 3가지 방법이 있는데, 1) 경험적인 고정 용 량을 투여하는 방법, 2) 혈액과 체내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상한치에 의해 결정하는 방법, 3) 그리고 정량적 종양 방사 선량측정에 의한 방법[186] 등이다. 용량결정에서 방사선량 측정법은 제한된 경우에 사용하는데 원격전이가 있거나 신 부전 혹은 rhtsh 자극을 이용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사 용한다. 국소 혹은 원격전이 병소의 치료를 위한 방사성요오 드 치료 투여량 결정에서 경험적 고용량과 선량측정을 통한 고용량 결정 중 어느 것이 더 우월한지에 대한 권 고안은 아직 없다. [권고수준 3] 방사성요오드 치료 결과에서 갑상선호르몬 중단치료와 rhtsh 매개치료를 비교한 무작위 시험은 아직까지 없다. 많 은 증례 보고나 비무작위 시험 연구들에서 rhtsh 투여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하면 일부의 환자에서 질환의 안정화 또는 호전이 있음이 알려졌다 방사성요오드 치료 시 전이 병소가 있는 모든 환자에 게 rhtsh 매개치료를 권하기에는 아직까지 결과가 불충 분하다. [권고수준 3] rhtsh 매개 방사성요오드치료는 갑상선호르몬 중단 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기저 질환을 악화시켜 위 험을 초래할 수 있는 환자, 혈청 TSH의 농도를 올릴 수 없는 뇌하수체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 혹은 치료가 지 연될 경우 심각한 결과를 야기할 우려가 있는 환자 등 일부 선별된 환자에게 적응이 될 수 있다. [권고수준 3] 4) 폐 전이의 치료 폐 전이의 치료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들로는 전 이 병소의 크기, 방사성요오드의 섭취 정도 그리고 이전의 방사성요오드 치료에 대한 반응, 전이 병소의 안정성 등이 다. 폐 섬유화가 의심되면 주기적인 폐기능 검사와 협진을 통하여 자문을 구하여야 한다. 폐 섬유화는 방사성요오드로 전이 병소를 치료하는데 제한이 된다. 폐 미세전이(pulmonary micrometastasis)는 방사성요 오드 치료에 반응하여 완전 관해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응이 있는 한 6~12개월마다 계속 치료해야 한다 [187~189]. [권고수준 1] 폐 미세전이 치료를 위해 투여하는 방사성요오드 투 여량은 경험적으로(100~300 mci) 투여하거나 혹은 전 신에 잔류하는 방사선량이 48시간에 80 mci 그리고 적 색골수에 200 cgy로 제한되도록 방사선량측정에 의해 평가하여 투여할 수 있다. [권고수준 3] 방사성요오드를 섭취하는 대결절 폐전이(macronodular pulmonary metastasis)의 경우 방사성요오드로 치료하여 야 하며, 객관적인 효과(병변의 크기 감소, Tg 감소)가 있다면 반복해서 치료하여야 한다. 그러나 완전 관해는 흔하지 않으며 생존율 또한 낮다. 방사성요오드 용량은 경험적(100~300 mci)으로 하거나 48시간에 체내 축적 량이 80 mci가 되거나 적골수에 200 cgy 이하로 축적 되도록 측정하여 투여한다. [권고수준 2] 방사성요오드를 섭취하지 않는 폐 전이 병변은 많은 경우에 천천히 자라므로 TSH억제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만 시행하면서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 서는 흉곽 내 병소(예를 들어 기관 내 종괴에 의한 폐색 이나 출혈)에 대한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전이 병소 절제, 기관 내 레이저 치료, 또는 보존적 외부 방사선 치 료를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흉막이나 심막의 삼출액의 배액 등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런 환자들은 새로이 시도 되는 치료법의 임상시험에 의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 다. [권고수준 3] 5) 골 전이의 치료 골 전이 환자의 치료 결정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은 병적인 골절의 위험성(특히 무게를 많이 받는 구 조에서), 척추 병변에 대한 신경학적인 손상의 위험성, 통증 의 유무, 방사성요오드 섭취 여부, 방사성요오드를 이용한 골반 전이 치료 시 방사능에 의한 골수억제 가능성 등이다. 증상을 유발하는 단일 골 전이 병변에 대한 완전 절 제는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특히 45 세 미만인 경우)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190,191]. [권고수준 2] 방사성요오드를 섭취하는 골 전이에 대한 방사성요오 드 치료는 생존율을 증가시키므로 치료에 포함하여야 한 다[190,192]. 방사성요오드 용량은 경험적(150~300 mci) 으로 하거나 선량을 측정하여 용량을 계산하여 투여한 다[193]. [권고수준 2] - 168 -

- 김원배 외 30인: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 전이성 골 병소가, 급성 종창이 될 경우 통증이나 골 절,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 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외부 방사선 치료나 TSH 자극 에 의한 종양의 종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당류코르티코 이드 투여 병행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194]. [권 고수준 3] 수술적 제거가 불가능하며 통증을 유발하는 병소에 대해서는 방사성요오드, 외부 방사선 치료, 동맥 색전 술[175,195], 고주파 열치료[196], 주기적인 pamidronate 또는 zolendronate 주사[197], strontium-89나 samarium-153 와 같은 radiopharmaceuticals 투여[198] 등 여러 방법을 개별 혹은 병용 치료로 사용한다. 이 중 많은 방법들이 암에서 골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 으므로, 갑상선암에서 사용되었다는 보고가 없더라도 사 용을 고려할 수 있다. [권고수준 3] 증상이 없고, 방사성요오드에 반응이 없으며, 인접 부 위에 중요한 구조물이 없는 안정적인 전이성 골 병소에 대하여는 치료를 권할 만한 근거가 없다. [권고수준 4] 험성보다 높을 경우에 사용하여야 한다. 완전히 안전한 방사 성요오드 용량이란 것은 없으며 또한 꼭 필요한 경우에는 최대 허용 용량 또한 없다. 그러나 단일치료 용량이나 농축 용량이 높을수록 부작용이 흔하다. 일시적 미각 상실감이나 미감의 변화 혹은 타액선의 손상을 막기 위해 amifostine이나 수분 공급, 신 사탕, 콜린성 약물 등을 추천하기도 하는데[201], 효과가 있는 지는 분명하지 않다.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신 사탕을 방사성요오드 투여 24시간 후에 주는 것보다 치료 1시 간 내에 주는 것이 타액선의 손상을 증가시킨다고 하였 다[203]. 입안 건조나 치아 우식 등과 같은 만성 타액선 합병증에 대해서는 콜린성 약물이 타액선의 흐름을 증가 시킨다[201]. [권고수준 4] 구강 건조증 환자들은 치아 우식증의 위험성이 있으 므로 치과 의사에게 의뢰한다. [권고수준 3] 누비관협착에 의하여 누액 유출이 막혔을 경우 눈물 흘림이 심하며 감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술적 교정을 고려한다. [권고수준 2] 6) 뇌 전이의 치료 뇌 전이는 주로 고령의 환자에서 발견 당시부터 진행암인 경우가 흔하며 예후가 나쁘다[199]. 수술적 절제와 외부 방 사선 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다[199,200]. 방사성요오드 치료 의 효용성을 입증하는 자료는 거의 없다. 중추신경계 전이 병소의 완전 절제는 생존율을 의미 있게 향상시키므로 방사성요오드 섭취 여부와 상관없이 고려된다. [권고수준 2] 수술적 절제가 어려운 중추신경계 병변은 외부 방사 선 치료를 고려한다. 간혹 주변 뇌조직에 대한 방사능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 radiosurgery와 같은 병소 표적 치료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다발성 전이 시 뇌와 척추 전 체에 대한 방사선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권고수준 3] 만약 중추 신경계 전이가 방사성요오드를 섭취한다면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다. 방사성요오드 치 료를 고려한다면 우선 외부 방사선 치료를 하고 방사성요 오드 치료 시 TSH에 의한 종양 크기의 증가나 방사성요오 드 치료에 따른 염증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류 코르티 코이드 투여를 병용하는 것이 필요하다[194]. [권고수준 3] 7)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합병증에 대한 치료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충분히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되나 이 역시 농축량과 관련하여 타액선 손상, 누비관 폐색[201], 그리고 이차성 종양[202] 등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이 동반 된다. 따라서 방사성요오드 치료에 의한 이득이 잠재적인 위 8) 방사성요오드 치료에 의한 이차성 악성 종양 및 백 혈병 장기 추적을 통한 연구에서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은 갑 상선암 생존자들에서 일부 암(골 및 연조직암, 대장암, 타액 선암, 백혈병) 발생의 상대 위험도는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도의 증가는 치료용량과 밀접한 연관이 있 다[202]. 갑상선암이 있는 여자 환자의 경우 유방암의 위험 성이 증가하는 것처럼 보이는데[204], 이 결과가 선별 검사 의 오류 때문인지 방사성요오드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요인 들 때문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집중적인 암 검진에 대한 이점이 없으므로 모든 갑상 선암 환자들에게는 일반인의 경우와 같은 권고에 따라 연령에 맞는 암 스크리닝을 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권 고수준 3] 9) 방사성요오드 치료에 따른 기타 골수질환의 위험성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투여된 용량이 골수에서 200 cgy 미만이면 백혈구나 혈소판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다고 알려 져 있다[205]. 지속적인 경한 백혈구나 혈소판의 감소는 여 러 번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게 흔하다. 골수에 대한 방사선의 영향은 신기능을 포함한 여러 요인들의 영향 을 받는다. 치료 용량의 방사성요오드를 투여 받는 환자들에서는 전혈구검사(CBC), 혈소판 수, 신기능에 대한 기저 검사 시행을 고려해야 한다. [권고수준 3] - 169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10. 생식선 기능과 수유 중인 여성에 대한 방사성 요오드의 영향 생식선의 조직들은 혈액이나 소변, 대변 등에 의해 방사 성요오드의 방사능에 노출된다. 갑상선암으로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은 폐경 이전의 여자들 중 20~27%에서 일시적인 무월경/희발월경이 4~10개월간 지속되기도 한다. 비록 소규 모 연구이기는 하지만 장기간의 불임, 유산, 선천성 태아 기 형 등이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은 여자 환자들에서 증가하 지 않았다는 보고도 있다[206,207]. 한 대규모 후향적 연구 에서는 유산율의 증가 때문에 임신은 치료 후 1년 뒤로 연 기하여야 한다고 하였다[208]. 남자에 있어서 방사성요오드 치료는 일시적인 정자 수의 감소와 FSH 수치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209,210]. 영구적인 남성 불임은 단일 방사성요오드 치료와는 무관하며 이론적 으로 여러 번 시행으로 인한 손상의 축적 시 발생한다. 축적 용량이 400 mci 이상인 남자 환자는 정자은행에 정자를 보 관할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211]. 생식선에 대한 방사선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방사성요오드 투여 직후 수분의 공 급과 방광을 비우기 위해 자주 소변을 보는 것이 좋고, 변비 를 피하는 것이 좋다[212].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는 여자는 치료 후 6~12개월 동안 임신을 피해야 한다. [권고수준 2] 방사성요오드는 수유 중인 산모에게는 투여해서는 안 된다. 임상적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방사성요오드 치 료는 최소 수유를 6~8주 정도 끊은 후 하여야 한다. 도 파민성 약물이 유방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 겠지만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주의가 필요하다. [권고수준 2] 11. 혈청 Tg 양성 환자의 치료 1) 경험적 방사성요오드 치료 TSH-억제 Tg 치가 양성이거나 TSH-자극 Tg치가 2 ng/ml 이상인 경우 두경부와 흉부의 전이 병소에 대한 검 사가 권장되는데 대개 경부 초음파검사와 5~7 mm의 thin-cut helical CT가 적절하다. 그러나 수개월 내에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예정되어 있으면 CT 검사 시 조영제 성분중 의 요오드가 향후 방사성요오드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하여야 한다. 수술적으로 제거가 가능한 병소가 영상진단에 서 발견되지 않으면 1) 병소의 발견 또는 2) 수술적으로 제 거가 불가능한 병소에 대한 치료목적으로 100~200 mci의 방사성요오드를 이용한 경험적 치료를 고려한다. 이러한 방 법으로 약 50%에서 잔여 병소를 찿아낼 수 있었으며 일부 에서는 치료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167,213]. 일부에서는 혈청 Tg 농도가 경험적 치료 후 감소되었다는 보고가 있으 나[214,215] 아직까지 이러한 경우 생존율도 향상되었다는 증거는 없다[216,217]. 반면에 일부에서는 특정 치료 없이도 혈청 Tg의 수치가 감소하기도 하였다[215]. 혈청 Tg 농도가 어느 이상이 되면 경험적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하여야 하는지 결정하기는 어려운데 그 이유는 1) 매 우 다양한 Tg 측정법(경험적 치료가 도움이 된다는 보고에 서 사용된 측정법을 포함하여)이 있으며 2) Tg 수치는 측정 법과 TSH 자극 정도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이다. 최근의 보고에서는 주로 LT 4 중단 후 Tg 수치가 10 ng/ml 이상이 거나 이에 상응하는 rhtsh로 자극 하였을 때 5 ng/ml 이상 인 경우를 주로 치료 대상으로 삼았다[165,213,215,217,218]. 또한 Tg 수치가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는 경우에도 치료를 고려하여야 하나 치료를 고려하여야 하는 변화의 정 도에 대하여서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163]. 다른 영상 진단법으로 종양을 찾지 못하였으나 혈청 Tg의 수치가 상승하였거나 상승하는 양상인 경우에 100~200 mci 의 방사성요오드를 이용한 경험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권고수준 3] 경험적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에 수술적 제거가 불가 능한 잔여종양이 발견되며 객관적으로 뚜렷한 종양의 감 소가 관찰되면 종양이 사라지거나 종양이 더 이상 방사 성요오드에 반응하지 않을 때까지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반복하여야 한다. 방사성요오드의 반복치료로 인한 위험 성과 장기적으로 불확실한 이익을 적절히 고려하여 균형 을 맞추어야 한다. [권고수준 3] 2) 혈청 Tg 양성이며 경험적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전 신 스캔 음성인 환자 100~200 mci 의 방사성요오드를 이용한 경험적 치 료 후 촬영한 전신스캔에서 잔여 병소가 발견되지 않으 면 FDG-PET 촬영을 고려하는데, 특히 TSH-억제 Tg 의 수치가 10~20 ng/ml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 시행한 다[219,220]. [권고수준 2] 이 경우 LT 4 중단을 이용한 내인성 TSH나 rhtsh를 이 용한 자극 및 CT 융합 영상을 이용하여 FDG-PET 스캔의 예민도와 특이도를 높을 수 있다. 방사성요오드 전신 스캔 음성이나 혈청 Tg 양성이 며, 수술로 제거가 불가능하나 FDG-PET 사진에서 구 조적으로 뚜렷하게 보이는 전이 병소는 갑상선호르몬 억제치료, 외부 방사선치료, 항암약물치료, 고주파 절제, 항암제색전술 등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질환이 안정적 인 경우에는 경과 관찰만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는 진행 중인 임상시험에의 참여를 고려할 수 있 다. [권고수준 3] - 170 -

- 김원배 외 30인: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 방사성요오드 전신 스캔 음성이나 혈청 Tg 양성이며, 구조적으로 뚜렷하게 보이는 전이병소가 없는 경우 주기 적인 영상검사와 혈청 Tg 측정으로 경과관찰을 한다. 만 약 Tg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검사간격을 줄이는 것이 좋 다. 이 경우 FDG-PET를 언제 실시하며 얼마나 자주 실 시하는 것이 좋은 지는 아직 명확치 않다. [권고수준 3] 12. 전이 병소에 대한 외부 방사선치료의 역할 외부 방사선조사는 수술적 제거가 불가능한 경부 잔 여 종양, 통증을 동반한 골전이, 그리고 골절, 신경학적 이상, 또는 압박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 부위에 전 이가 있고 수술적 제거가 어려운 경우(예: 척추전이, 중 추신경계전이, 일부 종격동 또는 subcarinal 림프절전이, 골반전이)[186,221]에 고려된다. [권고수준 2] 13. 전이병소에 대한 항암약물치료의 역할 진행된 방사성요오드치료에 반응이 없는 갑상선분화암에 대한 항암약물치료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적절한 용량 의 doxorubicin (3주 간격의 60~75 mg/m 2 ) 단독치료는 40%의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 수 있다[222~224]. 그러나 대 부분 부분 관해 또는 안정 병변(stable disease) 정도의 반응 이며 효과의 지속 여부는 불확실하다. 대부분의 복합 항암약 물치료가 doxorubicin 단독치료에 비하여 효과가 더 뛰어나 다는 증거는 없고 독성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25]. 일부 전문가들은 역형성 갑상선암에서의 제한적인 결과들을 바탕으로 doxorubicin이나 paclitaxel 각각의 단독치료나 이 둘의 복합치료를 추천하기도 한다[226]. 최근에 갑상선호르 몬 투여 중단이나 rhtsh 주사로 TSH를 자극한 후 carboplatinum과 epirubicin의 복합치료에 대한 보고가 있었 는데 완전 및 부분 관해가 37%에서 관찰되었다. 하지만 아 직 일반적으로 사용을 고려하기 전에 재검증이 필요한 상황 이다[227]. 항암화학약물치료는 방사성요오드 치료에 반응이 없는 진행성 갑상선암의 경우에 중등도의 효과를 지닌다. 진행 성 갑상선암 환자의 경우 임상시험의 참여를 고려하여야 한다. 만약 임상시험이 적용되기 어려운 상황이거나 환자 가 표준적인 항암약물치료를 원하는 경우 doxorubicin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doxorubicin과 다른 약물과의 병합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권고수준 3] 갑상선수질암 1. 자연사 및 병인 갑상선수질암은 칼시토닌을 분비하는 갑상선 여포곁세포 혹은 C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인데, 80%는 산발성으로, 나 머지 20%는 MEN 2A, MEN2B 또는 가족성 갑상선수질암 같은 유전성 암 증후군의 일원으로 발생한다. 산발성 갑상선수질암은 특징적으로 40~50대에 발현되며 여성이 약간 많다. 진단 시 약 50%의 환자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가 발견되며 약 15%에서 상부위장관 압박 또는 침범 증상이 동반되고[228] 5~10%에서는 폐나 뼈로의 원격전이 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갑상선분화암에 비해 예 후가 나쁘다. 칼시토닌 외에도 호르몬 기능이 있는 펩티드 (ACTH나 calcitonin-gene related peptide)를 종종 분비하여 환자에게 설사, 쿠싱 증후군, 안면 홍조 등을 일으킬 수 있 다. 가족성 갑상선수질암은 대개 20대에 발현이 되고 성별에 따른 빈도의 차이는 없다. 가족성 갑상선수질암의 경우 갈색 세포종이나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이 동시에 혹은 이후에 발현 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항상 고려하여야 한다[229]. 2. 진단과 병기판정 산발성 갑상선수질암은 보통 단독 결절의 FNAC에서 보 이는 특징적인 세포 모양이나 칼시토닌에 대한 면역화학염 색 또는 혈청 칼시토닌의 상승으로 의심할 수 있다. 그러나, 갑상선결절 환자에서 갑상선수질암을 선별하기 위해 일상적 으로 칼시토닌을 측정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부에서는 비용 때문에 혈청 칼시토닌 농도의 일상측 정을 권고하지 않는 반면[18,230~232], 산발성 갑상선수질 암의 진단을 위해서는 혈청 칼시토닌 농도의 측정이 비용대 비 효과적이므로 갑상선수질암 진단의 민감도를 높이기 위 한 중요한 검사로 권고되는 경우도 있다[18,231,233]. 또한, 수술 전 칼시토닌의 상승정도는 암의 크기, 림프절과 원격전 이 여부와 수술 후 칼시토닌 정상화와 관련되어 있다는 주 장도 있다[234]. 갑상선수질암 환자를 수술하기 전에 혈청 종양 표지자검 사(칼시토닌과 CEA)와 유전성암증후군을 배제하기 위한 검 사, 즉, 갈색세포종(MEN2A 및 2B)과 부갑상선기능항진증 (MEN 2A)에 대한 생화학적 선별검사 및 생식세포(germline) RET 원발암유전자(protooncogene) 돌연변이 선별검사 등을 시행하여야 한다. 또한, 성대의 운동성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국소 림프절전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경부 초음파검사 를 시행하여야 하나 유전자 선별검사로 진단된 젊은 환자에 서는 림프절전이의 빈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초음파를 권고 하지는 않는다. 수술 전 검사에는 혈청 표지자(칼시토닌, CEA) 측정 과 갈색세포종(MEN 2A & 2B)과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을 진단하기 위한 생화학적 선별검사 및 RET 원발암유 전자 돌연변이 선별검사 등이 포함된다. [권고수준 2] - 171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성대 운동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권고수준 3] 유전성 갑상선갑상선수질암 환자의 친족뿐만 아니라, 임상적으로 산발성으로 생각되는 갑상선수질암으로 새 로 진단받은 모든 사람에게 RET 원발암유전자 돌연변 이에 대한 선별검사를 고려해야 된다. 변이의 상대적 빈 도에 근거하여 엑손 11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엑손 10, 16, 13, 14, 15번에 대한 변이 분석을 시행한다. [권 고수준 2] 병기 결정: AJCC (6판)의 TNM 체계 (Table 2)에 의거해 암의 크기, 갑상선외 침범의 유무, 국부의 림프절전이와 원 격전이 유무에 따라 병기를 결정한다[235]. 갑상선을 벗어나 지 않는 2 cm 이하의 갑상선수질암은 I기, 림프절 및 원격 전이가 없는 갑상선에 국한된 2 cm보다 크고 4 cm 이하의 병변은 II기로 분류한다. Level 6 림프절전이가 있거나 현미 경적 갑상선외 침윤이 있거나 원발종양의 크기가 4 cm보다 큰 경우는 III기에 해당하고, 갑상선 주변 연부조직까지 육 안적 침범이 있거나 level 6를 벗어난 림프절전이가 있거나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는 IV기로 분류한다(Table 4). 3. 수술방법과 시기 명백하게 산발성 갑상선수질암으로 생각되는 환자라도 수술 전에 부갑상선기능항진증과 갈색세포종에 대한 생화학 적 선별검사 및 RET 원발암유전자 변이검사로 MEN 2의 가능성을 반드시 배제해야만 한다. 갑상선수질암은 양측성 질환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모든 환자에서 갑상선전절제 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한다[228]. 유전성 질환을 가진 환자는 5세까지는 갑상선전절제술을 받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코돈 883, 918, 922번 RET 변이가 있는 MEN 2B 환자는 1세까지 또는 진단 시 갑상선전절제 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반면 코돈 768, 790, 791, 804번 RET 변이가 있는 경우에는 다른 RET 변이에 비해 갑상선 수질암의 치명률이 낮으므로 칼슘 유발 칼시토닌 검사가 비 정상화되는 때까지 수술을 연기할 수 있다[236]. 또한, 코돈 768, 790, 791번 RET 유전자 변이를 가진 소아에서는 갑상 선수질암의 발현 시점이 늦기 때문에 10세까지 갑상선전절 제술을 연기할 수도 있다[229]. 양측 중앙 림프절(level VI) 절제술은 조직학적으로 증명 된 모든 갑상선수질암 환자 및 MEN 2B 환자에게 권고되 며, 예방적 갑상선전절제술을 시행하는 MEN 2A 환자에서 는 칼슘자극 칼시토닌 검사에 이상이 있거나 초음파상 갑상 선 또는 림프절 이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고려할 수 있다. 갑 상선수질암과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이 동시에 진단된 MEN 2A 환자에서 다발성 부갑상선증식증이 있는 경우 한 개의 부갑상선을 자가이식하거나, 절제된 부갑상선조직을 냉동보 존하여 의인성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을 때 이식할 수 있 도록 준비한다. 수술 후 갑상선호르몬 보충치료는 필요하나 C세포는 갑 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가 없기 때문에 갑상선자극호르몬 억 제는 권고되지 않는다. 모든 갑상선수질암 즉, 산발성과 가족성 질환 모두에 서 갑상선전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고려한다. [권고수 준 2] 유전성 질환을 가진 소아는 5세까지 갑상선전절제술 을 받아야 한다. 이 중, 코돈 768, 790, 791 번 RET 유 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경우는 갑상선수질암 발생 시점이 늦기 때문에 10세까지 갑상선절제술 시행을 연기할 수 있다. [권고수준 2] 수술 후 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치료는 시행하지 않는 다. [권고수준 1] 4. 보조적 방사선 치료의 역할 갑상선수질암에서 주위조직으로 침범이 있거나 광범위한 국소림프절전이가 있는 경우 외부 방사선조사 치료로 무병 생존율을 약간 증가시켰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 체계적으 로 연구된 적은 없다. 그러나 T4a 병변을 가진 환자 또는 분 화암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증이 있거나 진행하는 골 전이를 경감시키기 위해 시행할 수 있다. Table 4. 갑상선수질암의 병기 Stage I T1 N0 M0 Stage II T2 N0 M0 Stage III T3 N0 M0 T1-T3 N1a M0 Stage IVA T4a N0, N1a M0 T1-T4a N1b M0 Stage IVB T4b Any N M0 Stage IVC Any T Any N M1-172 -

- 김원배 외 30인: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 통증이 있거나 진행하는 골전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권고수준 2] 5. 수술 후 잔존암의 평가 및 추적관찰 수술 후 잔존암의 평가를 위한 기본 검사는 수술 2~3개 월 후 혈청 칼시토닌과 CEA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칼시 토닌 기저치가 측정한계 미만이면 칼슘에 의한 자극검사를 고려할 수 있으나[237] 기저치는 정상이고 칼슘자극 칼시토 닌치만 증가되어 있는 경우의 임상적 의미는 아직 불확실하 다. 자극 후에도 칼시토닌 농도가 측정되지 않는다면 매년 혈청 표지자 측정 및 정기적인 영상학적 진단을 시행하고 추가로 칼시토닌 자극 검사를 고려할 수 있다. MEN 2A, 2B의 경우에는 매년 갈색세포종이나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 대한 선별검사를 시행하여야 하지만, 일부 RET 변이(즉, 코돈768, 790, V804M, 891번)의 경우에는 자주 하지 않아도 된다. 혈청 표지자의 기저치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잔존 또는 전이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영상진단법이 필요하지만, 특별하게 권고할만한 충분한 증 거가 있는 것은 없다. 잔존 또는 전이 병변의 위치 확인에 실패하였을 경우 매년 혈청 종양 표지자 측정 및 상부 종격 동, 양측 중심구획 그리고 양측 경부를 확인하는 고해상도 경부초음파를 포함하는 영상 검사를 반복 시행한다. 기저 칼 시토닌 농도가 1,000 pg/ml 이상이고 경부 및 상부 종격동 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원격전이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간에 전이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혈청 종양 표지 자가 증가하는 환자는 더 자주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야 하며, 임상연구 외에는 비정상적인 표지자만으로 치료적 중 재를 권고하지는 않는다. 수술 후 잔존암의 평가를 위해 혈청 칼시토닌과 CEA 농도를 측정한다. [권고수준 2] 혈청 칼시토닌 농도가 높은 경우 경부에 잔존하는 절 제가능한 병변이나 원격전이의 존재를 찾기 위한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권고수준 3] 6. 재발 또는 잔존 병변에 대한 치료 원격전이 없이 국소 재발이 확인된 경우 수술적 제거가 원칙이나 수술이 불가능하다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다. 원 격전이가 있는 경우 국소 질환은 제거를 하거나, 선택적으로 방사선치료를 고려하며, 증상을 일으키는 원격전이는 수술 적 제거, 방사선 치료, 고주파치료, 화학색전치료 또는 다른 국소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치료는 증상이 없는 원격전이를 가진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으나, 보존적인 관 찰도 용인될 수 있다. 원격전이 없이 국소 재발이 확인된 경우 수술적 제거 가 권고된다. 만약 수술이 불가능하다면 방사선 치료가 권고된다. [권고수준 3] 갑상선역형성암(미분화암) 1. 자연사 및 병인 갑상선역형성암은 가장 공격적인 미분화암으로 질병 특 이 사망률이 100%에 이른다. 진단 시 평균연령은 약 65세 로 갑상선분화암에 비해 높고, 10% 미만의 환자에서만 50 세 이전에 발생하며 환자의 60~70%가 여성이다[238]. 약 50%의 환자는 선행 또는 공존하는 갑상선분화암을 가지고 있으며, 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소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탈분화 과정을 거쳐 분화암으로부터 발생한다고 알 려져 있으나, 역형성 변이를 유발하는 기전이나 악화인자는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239,240]. 갑상선역형성암 환자의 15~50%는 진단 시 이미 광범위 한 주위조직 침윤이나 원격전이를 동반하는데, 원격전이의 90%는 폐와 흉막 전이이며, 5~15%는 골전이, 5%는 뇌전이 를 동반한다[241,242]. 드물게 피부, 간, 신장, 췌장, 심장과 부신에 전이되기도 한다[243]. 2. 진단과 병기판정 모든 갑상선역형성암은 IV기(A, B, C; Table 5)로 분류 하며 T4a는 종양이 갑상선 내에 국한되어 수술적 제거가 가 능한 경우, T4b는 갑상선밖으로 종양이 퍼지고 수술적 제거 가 불가능한 경우이다. 갑상선역형성암은 미세침흡인세포검사 또는 조직생검으 로 수술 전에 확진할 수 있다. 갑상선 주변의 주요 구조물 (혈관, 기도, 식도 등)의 침범 정도는 경부 및 종격동의 전산 화단층촬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폐로의 원격전이는 대개 폐 결절의 형태로 나타나므로 흉부 X선촬영으로 진단이 가능 하다. 골전이는 대부분 골용해의 형태로 나타난다. 갑상선 종양의 정확한 범위와 주요 혈관, 상기도 또는 상부위장관의 침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부 및 종 격동의 전산화단층촬영이 필요하다[244]. [권고수준 2] 3. 치료 갑상선역형성암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다. 때문에 모든 환자가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된다. 진단 시점으로부터 중앙 생존기간이 3~7개월이고, 1년, 5년 생존율이 각각 25% 와 5%이다. 환자의 50%가 상기도폐쇄로 인한 질식으로, 나 머지 환자들은 국소 또는 전이 병소나 치료의 합병증으로 사망한다. 진단 시 종양이 경부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 평균 생존기간이 8개월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3개월이다[245]. - 173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나쁜 예후인자들은 고령, 남성, 주증상이 호흡곤란인 경우이 다[242,246]. 종양이 크기가 작고 갑상선에만 국한되어 있어 쉽게 제거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종양 전적출술을 포함한 갑상선 전절제술이 생존을 증가시키지 못한다[245,247,248]. 마찬가 지로, 통상적 용량의 방사선치료도 생존을 증가시키지 못한 다. 환자의 40% 정도가 초기에는 방사선치료에 반응이 있으 나 대부분 국소재발을 한다. 단일항암약물치료도 원격전이 가 있는 환자의 20%에서 반응을 유도하나 질병을 조절하거 나 생존을 증가 시키지 못한다. 방사선 민감제로 doxorubicin 을 투여하면서 동시에 시행하는 과다분할 방사선치료가 국 소 반응률을 80% 정도까지 증가시키며 중앙생존기간을 1년 으로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249]. 그러나 고용량의 다른 항암제를 추가한 병합치료가 원격전이를 조절하거나 생존율 을 증가시켰다는 보고는 없다. Paclitaxel이 새로 진단된 환 자에게 사용되고 있으며 일부 고식적인 치료효과가 있을 것 으로 보인다[250]. 일단 조직학적으로 갑상선역형성암으로 진단이 되면 전체 환자의 50%가 경부에서 발생한 제어할 수 없는 병변으로 사망하므로 국소 절제의 가능성을 판정해 야 한다[248]. 경부 전산화단층촬영과 흉부 X선 검사를 시행하여 절제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면 갑상선전절제술 또는 아전절제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완전 절제가 불가능한 종양을 가진 환자의 경우에는 예방적 기관절개술을 포함 하여 기도를 보호하는 것이 우선이다. [권고수준 2] 수술의 시행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환자는 복합치료를 받아야 한다. 비록 항암제와 병용하여 시행한 과다분할 방사선치료가 일부 효과를 보였지만 심각한 독성이 관찰 되었으며 지속적인 관해를 이루기도 어렵다. 현재까지 특정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근거가 없으므로 특정한 항암 제 사용은 권고를 보류한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나 화학 치료 외에 임상시험 단계의 다른 치료방법도 고려의 대 상이 된다. [권고수준 2] Table 5. 갑상선역형성암의 병기 Stage IVA T4a Any N M0 Stage IVB T4b Any N M0 Stage IVC Any T Any N M1 참 고 문 헌 1. Cooper DS, Doherty GM, Haugen BR, Kloos RT, Lee SL, Mandel SJ, Mazzaferri EL, McIver B, Sherman SI, Tuttle RM: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yroid 16:109-142, 2006 2. Marqusee E, Benson CB, Frates MC, Doubilet PM, Larsen PR, Cibas ES, Mandel SJ: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in the management of nodular thyroid disease. Ann Intern Med 133:696-700, 2000 3. Hagag P, Strauss S, Weiss M: Role of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in evaluation of nonpalpable thyroid nodules. Thyroid 8: 989-995, 1998 4. Frates MC, Benson CB, Charboneau JW, Cibas ES, Clark OH, Coleman BG, Cronan JJ, Doubilet PM, Evans DB, Goellner JR, Hay ID, Hertzberg BS, Intenzo CM, Jeffrey RB, Langer JE, Larsen PR, Mandel SJ, Middleton WD, Reading CC, Sherman SI, Tessler FN: Management of thyroid nodules detected at US: Society of Radiologists in Ultrasound consensus conference statement. Radiology 237:794-800, 2005 5. Papini E, Guglielmi R, Bianchini A, Crescenzi A, Taccogna S, Nardi F, Panunzi C, Rinaldi R, Toscano V, Pacella CM: Risk of malignancy in nonpalpable thyroid nodules: predictive value of ultrasound and color-doppler features. J Clin Endocrinol Metab 87: 1941-1946, 2002 6. Wienke JR, Chong WK, Fielding JR, Zou KH, Mittelstaedt CA: Sonographic features of benign thyroid nodules: interobserver reliability and overlap with malignancy. J Ultrasound Med 22:1027-1031, 2003 7. Kim EK, Park CS, Chung WY, Oh KK, Kim DI, Lee JT, Yoo HS: New sonographic criteria for recommending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of nonpalpable solid nodules of the thyroid. AJR Am J Roentgenol 178:687-691, 2002 8. Moon WJ, Lee JH, Jung SL, Na DG, Baek JH, Lee YH, Kim J, Kim HJ, Kim YS: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nodules: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Ultrasound Med Biol 32;5S:120-120, 2006 9. Curtis RE, Rowlings PA, Deeg HJ, Shriner DA, Socie G, Travis LB, Horowitz MM, Witherspoon RP, Hoover RN, Sobocinski KA, Fraumeni JF, Jr., Boice JD, Jr.: Solid cancers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N Engl J Med 336:897-904, 1997 10. Pacini F, Vorontsova T, Demidchik EP, Molinaro E, Agate L, Romei C, Shavrova E, Cherstvoy ED, - 174 -

- 김원배 외 30인: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 Ivashkevitch Y, Kuchinskaya E, Schlumberger M, Ronga G, Filesi M, Pinchera A: Post-Chernobyl thyroid carcinoma in Belarus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arison with naturally occurring thyroid carcinoma in Italy and France. J Clin Endocrinol Metab 82:3563-3569, 1997 11. Hall TL, Layfield LJ, Philippe A, Rosenthal DL: Sources of diagnostic error in fine needle aspiration of the thyroid. Cancer 63:718-725, 1989 12. Alexander EK, Heering JP, Benson CB, Frates MC, Doubilet PM, Cibas ES, Marqusee E: Assessment of nondiagnostic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s of thyroid nodules. J Clin Endocrinol Metab 87:4924-4927, 2002 13. Brander A, Viikinkoski P, Tuuhea J, Voutilainen L, Kivisaari L: Clinical versus ultrasound examination of the thyroid gland in common clinical practice. J Clin Ultrasound 20:37-42, 1992 14. Tan GH, Gharib H, Reading CC: Solitary thyroid nodule. Comparison between palpation and ultrasonography. Arch Intern Med 155:2418-2423, 1995 15. Yokozawa T, Miyauchi A, Kuma K, Sugawara M: Accurate and simple method of diagnosing thyroid nodules the modified technique of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Thyroid 5:141-145, 1995 16. Pacini F, Pinchera A, Giani C, Grasso L, Doveri F, Baschieri L: Serum thyroglobulin in thyroid carcinoma and other thyroid disorders. J Endocrinol Invest 3:283-292, 1980 17. Hahm JR, Lee MS, Min YK, Lee MK, Kim KW, Nam SJ, Yang JH, Chung JH: Routine measurement of serum calcitonin is useful for early detection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in patients with nodular thyroid diseases. Thyroid 11:73-80, 2001 18. Niccoli P, Wion-Barbot N, Caron P, Henry JF, de MC, Saint Andre JP, Bigorgne JC, Modigliani E, Conte-Devolx B: Interest of routine measurement of serum calcitonin:study in a large series of thyroidectomized patients. The French Medullary Study Group. J Clin Endocrinol Metab 82:338-341, 1997 19. Elisei R, Bottici V, Luchetti F, Di CG, Romei C, Grasso L, Miccoli P, Iacconi P, Basolo F, Pinchera A, Pacini F: Impact of routine measurement of serum calcitonin on the diagnosis and outcome of medullary thyroid cancer: experience in 10,864 patients with nodular thyroid disorders. J Clin Endocrinol Metab 89:163-168, 2004 20. Gagel RF, Hoff AO, Cote GJ: Medullary thyroid carcinoma 967-988, 2005 21. Mandel SJ: A 64-year-old woman with a thyroid nodule. JAMA 292:2632-2642, 2004 22. Braga M, Cavalcanti TC, Collaco LM, Graf H: Efficacy of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in the diagnosis of complex thyroid nodules. J Clin Endocrinol Metab 86:4089-4091, 2001 23. de los Santos ET, Keyhani-Rofagha S, Cunningham JJ, Mazzaferri EL: Cystic thyroid nodules. The dilemma of malignant lesions. Arch Intern Med 150: 1422-1427, 1990 24. Yeh MW, Demircan O, Ituarte P, Clark OH: False-negative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results delay treatment and adversely affect outcome in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Thyroid 14:207-215, 2004 25. Gharib H, Goellner JR, Johnson DA: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the thyroid. A 12-year experience with 11,000 biopsies. Clin Lab Med 13:699-709, 1993 26. Tuttle RM, Lemar H, Burch HB: Clin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hyroid malignancy in patients with follicular neoplasia by fine-needle aspiration. Thyroid 8:377-383, 1998 27. Kelman AS, Rathan A, Leibowitz J, Burstein DE, Haber RS: Thyroid cytology and the risk of malignancy in thyroid nodules: importance of nuclear atypia in indeterminate specimens. Thyroid 11: 271-277, 2001 28. Haugen BR, Woodmansee WW, McDermott MT: Towards improving the utility of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for the diagnosis of thyroid tumours. Clin Endocrinol (Oxf) 56:281-290, 2002 29. Segev DL, Clark DP, Zeiger MA, Umbricht C: Beyond the suspicious thyroid fine needle aspirate. A review. Acta Cytol 47:709-722, 2003 30. Tyler DS, Winchester DJ, Caraway NP, Hickey RC, Evans DB: Indeterminate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of the thyroid: identification of subgroups at high risk for invasive carcinoma. Surgery 116: 1054-1060, 1994 31. Leenhardt L, Hejblum G, Franc B, Fediaevsky LD, - 175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2007 Delbot T, Le GD, Menegaux F, Guillausseau C, Hoang C, Turpin G, Aurengo A: Indications and limits of ultrasound-guided cytology in the management of nonpalpable thyroid nodules. J Clin Endocrinol Metab 84:24-28, 1999 32. Carmeci C, Jeffrey RB, McDougall IR, Nowels KW, Weigel RJ: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of thyroid masses. Thyroid 8:283-289, 1998 33. Ylagan LR, Farkas T, Dehner LP: Fine needle aspiration of the thyroid: a cytohistologic correlation and study of discrepant cases. Thyroid 14:35-41, 2004 34. Alexander EK, Hurwitz S, Heering JP, Benson CB, Frates MC, Doubilet PM, Cibas ES, Larsen PR, Marqusee E: Natural history of benign solid and cystic thyroid nodules. Ann Intern Med 138:315-318, 2003 35. Danese D, Sciacchitano S, Farsetti A, Andreoli M, Pontecorvi A: Diagnostic accuracy of conventional versus sonography-guide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of thyroid nodules. Thyroid 8:15-21, 1998 36. Erdogan MF, Kamel N, Aras D, Akdogan A, Baskal N, Erdogan G: Value of re-aspirations in benign nodular thyroid disease. Thyroid 8:1087-1090, 1998 37. Orlandi A, Puscar A, Capriata E, Fideleff H: Repeated fine-needle aspiration of the thyroid in benign nodular thyroid disease: critical evaluation of long-term follow-up. Thyroid 15:274-278, 2005 38. Papini E, Petrucci L, Guglielmi R, Panunzi C, Rinaldi R, Bacci V, Crescenzi A, Nardi F, Fabbrini R, Pacella CM: Long-term changes in nodular goiter: a 5-year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of levothyroxine suppressive therapy for benign cold thyroid nodules. J Clin Endocrinol Metab 83:780-783, 1998 39. Brander AE, Viikinkoski VP, Nickels JI, Kivisaari LM: Importance of thyroid abnormalities detected at US screening: a 5-year follow-up. Radiology 215: 801-806, 2000 40. Zelmanovitz F, Genro S, Gross JL: Suppressive therapy with levothyroxine for solitary thyroid nodules: a double-blind controlled clinical study and cumulative meta-analyses. J Clin Endocrinol Metab 83:3881-3885, 1998 41. Castro MR, Caraballo PJ, Morris JC: Effectiveness of thyroid hormone suppressive therapy in benign solitary thyroid nodules: a meta-analysis. J Clin Endocrinol Metab 87:4154-4159, 2002 42. Wemeau JL, Caron P, Schvartz C, Schlienger JL, Orgiazzi J, Cousty C, Vlaeminck-Guillem V: Effects of thyroid-stimulating hormone suppression with levothyroxine in reducing the volume of solitary thyroid nodules and improving extranodular nonpalpable change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by the French Thyroid Research Group. J Clin Endocrinol Metab 87:4928-4934, 2002 43. Rallison ML, Dobyns BM, Keating FR, Jr., Rall JE, Tyler FH: Thyroid nodularity in children. JAMA 233:1069-1072, 1975 44. Hung W: Solitary thyroid nodules in 93 children and adolescents. a 35-years experience. Horm Res 52: 15-18, 1999 45. Raab SS, Silverman JF, Elsheikh TM, Thomas PA, Wakely PE: Pediatric thyroid nodules: disease demographics and clinical management as determined by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Pediatrics 95: 46-49, 1995 46. Corrias A, Einaudi S, Chiorboli E, Weber G, Crino A, Andreo M, Cesaretti G, de SL, Messina MF, Segni M, Cicchetti M, Vigone M, Pasquino AM, Spera S, de LF, Mussa GC, Bona G: Accuracy of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of thyroid nodules in detecting malignancy in childhood: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clinical, laboratory, and imaging approaches. J Clin Endocrinol Metab 86:4644-4648, 2001 47. Gharib H, Zimmerman D, Goellner JR, Bridley SM, LeBlanc SM: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use i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ediatric thyroid diseases. Endocr Pract 1:9-13, 1995 48. Arda IS, Yildirim S, Demirhan B, Firat S: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of thyroid nodules. Arch Dis Child 85:313-317, 2001 49. Tan GH, Gharib H, Goellner JR, van Heerden JA, Bahn RS: Management of thyroid nodules in pregnancy. Arch Intern Med 156:2317-2320, 1996 50. Mestman JH, Goodwin TM, Montoro MM: Thyroid disorders of pregnancy.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4:41-71, 1995 51. Herzon FS, Morris DM, Segal MN, Rauch G, Parnell T: Coexistent thyroid cancer and pregnanc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20:1191-1193, 1994-1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