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출 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년 6월 주 관 기 관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연 구 책 임 자 : 한기형(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공 동 연 구 원 : 박헌호(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Similar documents
untitled


<BBFDC8B0BCD3BFA120BCFBBDACB4C220B9AEC8ADB0FCB1A428C6EDC1FDBABB292E687770>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원이며 경제 정책의 중심이었다. 토지가 재산의 시작이라 할 수 있기에 제한된 땅의 크기를 가지고 백성들에게 어느 정도 나누어 줄지, 국가는 얼마를 가져서 재정을 충당할지, 또 관료들은 얼마를 줄 것인지에 대해 왕조마다 중요한 사항이었다. 정도전의 토지개혁은 그런 의미에

??

data_ hwp

<C1B6BBE7BFACB1B85F D30385F5BC3D6C1BEBAB8B0EDBCAD2D D2DBCDBC4A1BFF5B9DABBE72DBCF6C1A4BABB2E687770>

2004

글로벌한류격주보고서 42호_.indd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Contents I II Project Overview 상황분석 및 여건진단 II-1 문화재청 정책 및 사업 분석 II-2 II-3 문화재청 정책 커뮤니케이션 분석 문화재청 일반인식 분석 III 조직분석 및 사례 연구 III-1 문화재청 홍보 조직 및 예산 분석 III

여름호01~57_최종

< BBE7BEF7BAB8B0ED5F DC7E2C8C420B0E8C8B920BCF6C1A E687770>

순 서 Ⅰ. 2015년 경제운용 평가 1 Ⅱ. 향후 경제여건 3 Ⅲ. 2016년 경제정책 기본방향 9 Ⅳ. 2016년 경제정책 과제 정상 성장궤도 복귀를 위한 경제활력 강화 10 (1) 적극적 신축적 거시정책 (2) 내수 수출 회복 (3) 선제적 리스크 관리

(자료)2016학년도 수시모집 전형별 면접질문(의예과포함)(최종 ).hwp

<B0F8BFB9B9AEC8ADBBEABEF720C0AFC5EB20C8B0BCBAC8ADB8A620C0A7C7D120BFDCB1B920BBE7B7CA20C1B6BBE720BFACB1B828C0CCBFF8C5C2292E687770>

이명박정부 국정백서

untitled

2 국어 영역(A 형). 다음 대화에서 석기 에게 해 줄 말로 적절한 것은? 세워 역도 꿈나무들을 체계적으로 키우는 일을 할 예정 입니다. 주석 : 석기야, 너 오늘따라 기분이 좋아 보인다. 무슨 좋은 일 있니? 석기 : 응, 드디어 내일 어머니께서 스마트폰 사라고 돈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 C7D0B3E2B5B520B9FDC7D0C0FBBCBABDC3C7E820C3DFB8AEB3EDC1F528C8A6BCF6C7FC292E687770>

제1부(1장~3장)11~47ok :9 PM 페이지12 문화비전의 수립목적과 성격 문화비전의 수립배경과 목적 1 비전은 함께 도달하고자 하는 미래의 설계도 비전이란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 함께 도달하고자 하는 미래의 상이다. 개인적 차원의 바 람이나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0429bodo.hwp


최우석.hwp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untitled

E1-정답및풀이(1~24)ok

cls46-06(심우영).hwp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목 차 Ⅰ. 2013년 성과 및 평가 1 Ⅱ. 2014년 정책 환경과 비전 3 Ⅲ. 201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6 1. 국민 문화체감 확대 6 2. 인문 전통의 재발견 문화기반 핵심 서비스산업 육성 문화가치의 확산 33 Ⅳ. 세부 추진 일정 및

< B1B9B8B3C1DFBED3B5B5BCADB0FC20BFACBAB C3D6C1BEBABB292E687770>

목차/contents 2

< DC1A4BAB8C8AD20BBE7C8B8BFA1BCADC0C720C0CEB1C728C3D6C1BE292E687770>

untitled

< FC0E5BCBCBFB52E687770>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81호_편집본-5( )[1].hwp

조재욱D)-63-88

공연영상

¨è ¿¬Â÷º¸°í¼Ł³»Áö-1 PDF

국경의 비전 작업 년대 들어 직면하게 된 국경의 새로운 비전을 모색하기 위 KDI의 노력들 김 주 훈* Main Research Publications 2011 비전과 과: 열린 세상, 유연 경 경사회여건 변와 재정의 역할 재벌개혁의 정책과와 방향 북경 발전

문화관광부

연구진 연구책임 연 구 원 김운수 /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 이명화 / 교통물류연구실 초빙연구원

Microsoft Word - RRBNNBQZHZUY.doc

*논총기획(1~104)

발행인

제 출 문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연구용역사업 공공갈등의 정치화 경로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박 성 완 II

<30305F312E20B8F1C2F720312C325FBCF6C1A42E687770>

<C1A4C3A D B9AEC8ADBBEABEF720C7D8BFDCC1F8C3E220C1F6BFF8C1A4C3A520BFACB1B82028C3A4C1F6BFB5292E687770>

봄호 언론 내지 1~89

<3035C0CEB9AEC1A4C3A5BFACB1B8C3D1BCAD E687770>

<C3D6C1BEBAB8B0EDBCAD5F F2E485750>

2016-국가봄-6-정은숙( ).hwp

개정판 서문 Prologue 21세기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후배들에게 드립니다 1부 인생의 목표로써 CEO라는 비전을 확고히 하자 2부 인생의 비전을 장기 전략으로 구체화하라 1장 미래 경영환경 이해하기 20p 4장 장기 실행 전략 수립하기 108p 1) 미래 환경분석이

<BCBCB0E8C1A4C4A120C6C4C0CFB8F0C0BD2833C2F7292E687770>

한국외국어대학교 세계와 만나는 가장 빠른 길 한국외대는 진리( 眞 理 ), 평화( 平 和 ), 창조( 創 造 )의 창학 정신을 바탕으로 국가와 세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인재를 선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주적 탐구인 합리적 사고 폭넓은 지식 정심대

QYQABILIGOUI.hwp

요 약

요 약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수립 이후 60년 만에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으로 비약적인 성 장을 이루었다. 정부수립 2년 만에 북한의 전격 남침으로 전 국토가 초토화되었고, 휴 전 이후에도 안보에 대한 위협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은 불리한 여건에 좌절하

불국사

<C3D6C1BEC3E2B7C25FB3F3BCF6BBEAB0E1B0FA5F313432C2F72E687770>

<C0FAC0DBB1C7B4DCC3BCBFACC7D5C8B85F BFACC2F7BAB8B0EDBCAD5FB8E9C1F62CB3BBC1F62E687770>

¿À¸®ÄÞ40

<C3D6C1BEC6EDC1FD2DBEC6BDC3BEC6B9AEC8ADC1DFBDC9B5B5BDC3B9E9BCAD E687770>

<3332C8A32DC6EDC1FDC1DF2E687770>

□ 과제선정기준

afoco백서-내지.indd

Transcription: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제 출 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년 6월 주 관 기 관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연 구 책 임 자 : 한기형(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공 동 연 구 원 : 박헌호(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교수) 김동택(서강대 국제한국학과 교수) 권기영(북경대 예술학원 박사과정) 류준필(인하대 한국학연구소 교수) 이정훈(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혜령(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황호덕(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연 구 보 조 원 : 한진일(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연구원) 보 조 원 : 강부원(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자 료 협 력 : 조현성(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차 례> Ⅰ. 머리말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가. 연구 배경 1 나. 연구 목적 및 내용 3 2. 한류 현황과 문제점 4 가. 한류의 현황 4 나. 한류에 대한 인식 9 다. 지속 가능한 한류를 저해하는 문제들 10 3. 외국의 문화콘텐츠 진흥정책 13 가. 주요 국가의 문화산업정책 14 나. K-Culture, 한류의 발전에 주는 함의 29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3 1. 개념 설정 33 가. 한류의 개념 33 나. K-Culture의 개념과 구성요인 37 다. K-Culture의 문화생태계 45 2. 한류 진흥의 비전과 방향 47 가. 한류 진흥의 의의 47 나. 한류 진흥의 비전과 기대효과 48 다.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50 3. 한류 진흥의 전략 53 가. 전략 수립의 방향 53 나. 한류역량의 구성요소 54 다. 한류 진흥 4대 전략 55 라. 4대 전략과 K-Culture 63 마. 4대 전략에 따른 핵심과제 도출 65 - i -

Ⅲ. 한류 진흥을 위한 정책과제 69 1. K-Prototype : 원형 탐사 71 가. 문화원형 발굴 및 활용도 제고 72 나. 한국형 스토리 개발과 확산 75 2. K-Human Resource : 인재 육성 81 가. 창의적 전통문화 인력 양성 82 나. 세계적 예술가 양성체계 구축 85 다. 문화교류 전문가 양성 87 라. 글로벌 한류인재 양성 89 3. K-Brand : 명품 콘텐츠 개발 94 가. K-Musical 제작 및 유통 지원 94 나. 명품공연 및 축제 개발 98 다. 명품 전통문화의 현대화 101 4. K-Convergence : 융 복합 콘텐츠 개발 107 가. 전통문화 융합콘텐츠 개발 107 나. 관광 연계 프로그램 확산 113 다. 스마트 문화예술 창조 117 5. K-System : 한류 기반 구축 121 가. 전통문화 창작 및 향유 기회 확대 121 나. 콘텐츠 창작공간 조성 및 재원 확대 129 다. 스토리텔링 역량 강화 132 라. 네트워크 구축 및 연구활동 지원 135 6. K-Ecosystem : 선순환 문화생태계 조성 140 가. 기초장르 지원을 통한 다양성 확보 141 나. 공정거래환경 조성 144 다. 저작권 보호 강화 147 7. K-Exchange : 쌍방향 문화교류 추진 148 가. 인력교류 및 공동제작 활성화 150 나. 재외 문화공관의 역할 강화 154 다. 아시아 문화교류 강화 158 - ii -

라. 문화 ODA 강화 161 마. 국제행사의 적극 활용 165 8. K-Global Market :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167 가. 전통문화의 글로벌화 168 나. 문화예술 장르별 해외진출 지원 171 다. 콘텐츠 해외진출 지원체계 구축 176 라. 한류와 제조업의 공존 발전 180 Ⅳ. 맺음말 183 참고문헌 195 - iii -

<표 차 례> <표 3-1> 한류 진흥을 위한 주요과제들 9 6 <표 3-2> K-Prototype : 원형 탐사 주요과제 2 7 <표 3-3> 문화원형 발굴 및 활용도 제고 단위사업 2 7 <표 3-4> 테마별 명품 유전자 발굴 37 <표 3-5> 한국형 스토리 개발과 확산 단위사업 5 7 <표 3-6> K-Human Resource : 인재 육성 주요과제 1 8 <표 3-7> 창의적 전통문화 인력 양성 단위사업 2 8 <표 3-8> 세계적 예술가 양성체계 구축 단위사업 6 8 <표 3-9> 문화교류 전문가 양성 단위사업 7 8 <표 3-10> 글로벌 한류 인재 양성 단위사업 0 9 <표 3-11> K-Brand : 명품 콘텐츠 개발 주요과제 4 9 <표 3-12> K-Musical 제작 및 유통지원 단위사업 5 9 <표 3-13> 명품공연 및 축제 개발 단위사업 8 9 <표 3-14> 명품 전통문화의 현대화 단위사업 102 <표 3-15> K-Convergence : 융복합 콘텐츠 개발 주요과제 70 1 <표 3-16> 전통문화 융합콘텐츠 개발 단위사업 108 <표 3-17> 관광 연계 프로그램 확산 단위사업 14 <표 3-18> 스마트 문화예술 창조 단위사업 17 <표 3-19> K-System : 한류 기반 구축 주요과제 12 1 <표 3-20> 전통문화 창작 및 향유 기회 확대 단위사업 122 <표 3-21> 콘텐츠 창작공간 조성 및 재원 확대 단위사업 129 <표 3-22> 스토리텔링 역량 강화 단위사업 13 <표 3-23> 네트워크 구축 및 연구활동 지원 단위사업 135 <표 3-24> K-Ecosystem : 선순환 문화생태계 조성 주요과제 141 <표 3-25> 기초 장르 지원을 통한 다양성 확보 단위사업 141 <표 3-26> 공정거래환경 조성 단위사업 14 <표 3-27> 저작권 보호 강화 단위사업 147 <표 3-28> K-Exchange : 쌍방향 문화교류 추진 주요과제 94 1 <표 3-29> 인적 교류 및 공동제작 활성화 단위사업 150 - iv -

<표 3-30> 재외 문화공관의 역할 강화 단위사업 154 <표 3-31> 아시아 문화교류 강화 단위사업 159 <표 3-32> 문화 ODA 강화 단위사업 162 <표 3-33> 국제행사의 적극 활용 단위사업 16 <표 3-34> K-Global Market :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주요과제 168 <표 3-35> 전통문화 글로벌화 단위사업 169 <표 3-36> 문화예술 장르별 해외 진출 지원 단위사업 172 <표 3-37> 콘텐츠 해외진출 지원체계 구축 단위사업 177 <표 3-38> 한류와 제조업의 공존 발전 단위사업 180 <표 4-1> 한류 진흥의 정책과제 목록 184 - v -

<그 림 차 례> [그림 2-1] 한류의 진화 과정 33 [그림 2-2] K-Culture의 구성요인 83 [그림 2-3] K-Culture, 한류, 한국문화의 관계 93 [그림 2-4] K-Culture와 전통문화 04 [그림 2-5] K-Culture와 문화예술 14 [그림 2-6] 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 34 [그림 2-7] K-Culture의 문화생태계 64 [그림 2-8] 한류 진흥의 비전 방향 전략 94 [그림 2-9] 한류 역량의 구성요소 5 [그림 2-10] 한류 진흥의 4대 전략 76 [그림 2-11] 한류 진흥의 전략과 핵심과제 86 [그림 4-1] 한류 진흥을 위한 향후 과제 192 [그림 4-2] 한류 진흥을 위한 고려 사항 193 - vi -

Ⅰ. 머리말 Ⅰ. 머리말 1. 연구 배경 및 목적 가. 연구 배경 1) 한류 확산(한류 3.0)에 따른 새로운 정책 수립 요구 한류는 아시아에서 세계로, 한국 드라마, 대중가요 중심에서 한국음식, 한 국어, 한국 전통문화 등으로 확산되었음 21세기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문화의 가치(소프트파워)가 부상하고 있 음 한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국가브랜드 제고, 한국의 문화적 위상 강화 등 신( 新 )성장 동력 중 하나임 21세기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따라 한류에 대한 확장된 이해와 새 로운 접근 방법 모색의 필요성 대두 2) 한류의 정책의 체계화 한류문화진흥단 의 발족과 함께 문화체육관광부는 <전통문화의 창조적 발전 전략>(2012. 1.), <세계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문화예술 발전 전략- 문화예술(K-Arts)을 통한 한류의 명품화->(2012. 2.), <대한민국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2012. 4.)(이하 <2012년 한류 진흥 3대 방 안>)을 발표하였음 1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2012년 한류 진흥 3대 방안>은 한류 3.0의 지속 가능성의 동력을 대중 문화만이 아닌 한국의 전통문화, 문화예술 등을 포함한 K-Culture 전 반으로 규정하여, 보다 다원적인 문화와 공정한 문화산업의 생태계 기반 을 마련하기 위한 제안임 <2012년 한류 진흥 3대 방안>에서 제시된 과제들을 포괄하여 종합적이 고 미래지향적인 정책방안 제시가 필요함 한류를 중심으로 분야별 정책을 포괄하는 종합적, 미래 지향적인 문화정책의 체계화 3) 반한류 혐한류 극복을 위한 대응정책 수립 반한류 혐한류 현상은 한류의 일방향적 성격, 문화의 다원성과 상호공존 적 생태계를 잠식하는 경제주의, 자문화 우월주의에 대한 경고로 받아들 일 필요가 있음 한류에 있어 정부의 역할 재정립, 쌍방향적인 문화 교류 및 문화 다원성 을 확충하는 생태계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 수립이 요청됨 한류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한류를 세계 문명사적 차원에서 한류의 가치 재인식이 필요함 4) 전통문화 창신( 創 新 )을 통한 한류의 고급화 친환경 녹색성장을 위한 산업자원이자 대중문화의 창조적 자원인 전통 문화의 재발견과 창신( 創 新 )은 한류 3.0시대의 한류의 고품격화 전략 수 2

Ⅰ. 머리말 립에 있어 필수적임 전통문화는 한국의 오랜 역사적 문화적 아이덴티티를 환기시킴으로써, 국 가브랜드 형성에 기여함 전통문화는 세계인에게 한국의 깊은 문화적 매력을 각인시킬 수 있 는 동력으로, 한류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그 재발견과 창신( 創 新 )이 요구됨 나. 연구 목적 및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한류 진흥 3대 방안>을 기반으로, 한류 진흥 정책의 비전과 방향을 설정하고,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과 심화를 위한 정 책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음 보고서의 구성에 따라 한류 3.0 시대의 한류 진흥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음 Ⅰ장에서는 한류의 현황과 지속 가능한 한류를 저해하는 문제점을 진 단하고, 외국의 유사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전제를 마련함 Ⅱ장에서는 한류 3.0 시대의 정책적 대상이자 방향을 K-Culture로 정 의하여, 한류와 K-Culture의 관계를 정립하고, 한류 진흥의 비전 방 향 전략을 제시함 Ⅲ장에서는 한류 진흥을 위한 주요한 과제와 사업들을 제시함 3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2. 한류 현황과 문제점 가. 한류의 현황 아시아에서 세계로 : 한류 1) 는 중국과 일본 등을 위시하여 태국, 인도네 시아,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에서부터 현재 유럽과 남미 등지에까지 확 산되고 있음 대중문화에서 K-Culture로 : 한류에 의해 드라마, K-Pop 이외의 한국문 화(K-Culture) 경험이 늘어나면서, 한류는 한국의 대중문화는 물론 한국 음식, 한국어, 한국의 전통문화, 한국의 순수예술 등 한국문화 전반에 대 한 세계인의 경험과 관심을 뜻하는 의미로 이행되고 있음 TV에서 인터넷으로 : 한류의 확산 확대 과정은 TV, 비디오, 음반에서 인터넷, SNS 등 새로운 매체로의 변화에 적응하여, 그 유통 및 향유 매 체 또한 확산 확대되었음 경제적 파급효과 : 한류의 확산과 확대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낳아 관광 식품 등 직접적 연관 산업 이외에도 IT 자동차 의류 등 제조업 전반 의 동반 성장을 견인하고, 취업 유발 효과를 낳음 국가브랜드 상승 : 능동적인 세계 소비자들에 의해 형성된 자연 발생적 인 현상인 한류는 한강의 기적 보다 한국의 국가 인지도 및 국가 이미 지, 소비재 선호도를 단번에 비약시키는 매력(attractiveness)의 요소로 작 용해 왔음 1) 최근 영미권에는 Hallyu라는 표제를 단 저작물들이 출간되고 있음. Hallyu: Influenc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and Beyond(Do Kyun Kim and Min-Sun Kim, SNUPRESS, 2011), Virtual Hallyu: Korean Cinema of the Global Era (Kyung Hyun Kim,DUKE Univ.Press, 2011) East Asian Pop Culture: Analysing the Korean Wave (Huat, Chua Beng (EDT), Iwabuchi, Koichi (EDT). Univ of Washington Pr, 2008),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creen Tourism Experience: The Case Study of Asian Audience's Responses to Hallyu and Korean TV Dramas (Sangkyun Kim,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2012) 4

Ⅰ. 머리말 [자 료 1] 한 류 현 황 을 보 여 주 는 지 표 들 한류 진출 분포도 자료 : KOTRA, <문화한류에서 경제한류로의 도약을 위한 글로벌 한류 동향 및 활용 전 략>, 2011. 6. 한류 진출 분포도는 방송, 영화, 음악, 애니매이션 캐릭터 등 분야별 한 류의 인지 정도, 한류를 이용한 상품의 판매 정도에 따른 것임 5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한국문화 (종합) 진출 정도에 따른 국가 구분 자료 : 지식경제부 국가브랜드위원회 KOTRA, <문화한류를 통한 국가브랜드맵 2011>, 2012. 최근 1년 동안 한국 전통문화 및 한류(드라마, 영화, K-Pop) 중에 최소 한 한 번 이상의 경험이 있는 외국인 비중은 55.3%로 나타남 문화유형별 외국인들의 경험률은 영화가 가장 높았고(39.7%), 다음으로 드라마(37.2%), 전통문화(33.1%), K-Pop(30.3%) 순으로 조사됨 한류 드라마 소비경로(좌), K-Pop소비경로 (우)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 2012. 4. 6

Ⅰ. 머리말 <겨울연가>(2003) 등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한류 1.0 시대부터 한류를 받아들인 한류 성숙 성장 지역은 TV 및 케이블이 주요 유통매체 한류 2.0을 선도한 K-Pop을 통해 한류를 인지 도입한 지역은 인터넷 이용이 대다수임 한류는 세계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해왔음 한류와 비( 非 )한류 국가군의 소비재 수출증가율 비교(2005-2010) 한 류 국 가 군 이 란 (234%) 이 라 크 (7,716%) 페 루 (320%) 비 ( 非 )한 류 국 가 군 UAE(17%) 인 도 ( 43%) 과 테 말 라 ( 39%)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세계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문화예술 발전 전략>, 2012. 2011년 외래관광객 증가 종 합 추 이 대 표 사 례 11년 980만 명, 전 년 대 비 11.3% 증 가 일 본 관 광 객 305만 명 329만 명 중 국 관 광 객 134만 명 222만 명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세계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문화예술 발전 전략>, 2012. 7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한류의 매출증대 효과 자료 : 대한상공회의소, <한류의 경제효과와 우리기업의 활용실태 조사>, 2012. 3. 한류의 매출증대 효과에 대해 응답기업의 51.9%가 한류 덕에 매출이 늘었다 고 응답함 한류의 매출 증대효과는 문화(86.7%), 관광(85.7%), 유통(75.0%) 등 서 비스업종에서 높게 나타남 제조업에서는 식품(45.2%), 전자(43.3%), 화장품(35.5%), 자동차(28.1%), 의류(23.3%) 순으로 나타남 8

Ⅰ. 머리말 한류의 고용유발 효과 자료 : 대한상공회의소, <한류의 경제효과와 우리기업의 활용실태 조사>, 2012. 3. 한류의 취업 유발 효과는 2010년 이미 6만 5천명 이상으로 나타남 관광이 25,642명으로 가장 높아 전체의 49.7%를 차지하며, 그 다음 은 게임(13,574명)으로 26.3%를 차지함 나. 한류에 대한 인식 새로운 성장 동력 : 1990년대 이후 국제정치의 권력 작용에 있어 문화를 주축에 두는 소프트파워론 2) 의 대두, 영국의 크리에이티브 브리 튼 (Creative Britain) 3) 과 같은 신경제 성장의 원천으로 창조산업 육성정 2) Joseph S. Nye, Soft Power :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cy, NY : PublicAffairs, 2004 3) 1997년 본격적으로 추진됨. 영국 정부는 2012년 런던올림픽을 앞둔 2008년 영국을 더욱 혁 9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책 등의 모델에 힘입어, 한류는 경제성장과 국가 위상 제고를 위한 새로 운 전략적 토대로 인식되고 있음 서구 중심을 극복하는 새로운 기회 : 한류는 오직 서구를 통해서만 자신 의 존재를 확립해온 비서구인들이 대중문화의 공유를 통해 대안적 의식 을 형성하는 새로운 기회임 4) 새로운 초국적 국민문화의 출현 : 한류, 특히 K-Pop은 국지적으로 생산 하되, 글로벌하게 소비하라는 신자유시대의 산업 성장 슬로건에 따라 생 산된 초국적인 국민문화 로 인식되고 있음 5) 다. 지속 가능한 한류를 저해하는 문제들 1) 지나친 경제주의 한류를 문화와 경제의 성공적인 선순환 사례로 발전시켜야 하지만, 경제 적 파급효과와 국가브랜드 제고의 측면에서 접근된 한류에 대한 시각은 오히려 성급한 콘텐츠 생산이나 진출에 매몰될 우려가 있음 혐한류 반한류 현상은 한류가 문화를 이용한 경제 패권주의로, 상대 국 가의 문화에 대한 침해로 간주되어 나타나는 현상임 이는 한류를 바라보는 국내 여론의 일방향적 성격, 문화의 다원성과 상호 공존적 생태계를 잠식하는 자국 중심의 경제주의에 대한 경고로 받아들 일 필요가 있음 신적이고 창조적인 경제로 발전시키기 위해 2008년 2월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 창조산업 육성에 관한 중장기 전략을 발표함. Creative Britain : New Talents for the New Economy(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2008) 4) 강내희, 신자유주의와 한류-동아시아에서의 한국 대중문화의 문화횡단과 민주주의, 신자유 주의 시대 한국문화와 코뮌주의, 문화과학사, 2008. 5) 이동연, 케이팝(K-Pop) : 신자유주의 시대 초국적 국민문화의 아이콘, 내일을 여는 역사, 2011 10

Ⅰ. 머리말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에만 매혹되어 그것만을 한류의 지속 가능성을 기대하는 근거로 삼는다면, 한류에 대한 철학적이고 역사적 사유에 기반 한 종합적 사유의 가능성을 차단시켜 한류의 의미와 가치를 축소 고갈 시키게 될 것임 한류가 드라마, K-Pop, 한국문화의 세계적 확산, 즉 전 세계인들의 향유 와 체험을 의미하는 만큼 우리 국민들에게는 여전히 대형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나 한류 스타와 관계된 일로만 인지되는 상황 한류는 문화적으로 소외된 계층이나 영리적인 면이 약한 예술 영역의 종 사자들에게는 문화적 경제적 소외감을 절감하게 하는 현상으로 작용할 수 있음 2) 문화적 우월주의 한류를 한국의 문화적 자긍심, 국가 위상의 고양 근거로 내세우고 있음 한류가 국민들에게 선사한 문화적 자긍심은 부인할 수 없지만, 그 자긍심 을 뒷받침할 만한 문화환경과 문화적 소양을 키울 수 있는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는지는 의문임 문화적 우월주의는 한 문화의 전파요인을 단지 자국 문화 내적인 것에서 만 찾는 것임 이것은 한류가 혼성적 대중문화의 글로벌한 소비 현상이자 타문화에 대 한 편견 없이 우호적으로 받아들인 아시아인과 세계인의 호응으로 만들 어진 문화적 현상임을 인식하지 못한 것임 한류를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은 여러 현지에서 그 일방적 성격이 지적되 고, 외교적 긴장까지 낳고 있는 현실임을 지각해야 함 11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3) 정책적 방향의 모호성 한류에 대한 정책적 개입의 방향은 경제적 파급효과나 국가브랜드 제고 차원에 머물고 있음 일본이나 중국 등 한류 성숙지역에서는 한류를 국가 프로젝트로 인식하 여 거기에 대응하여 다른 나라 국민들의 국가주의를 자극하여 반한류 혐한류 현상을 낳고 있음 한류의 민간 주도성, 그리고 한류 관련 기업의 영세성과 인력의 비정규성 을 고려하여 한류, 특히 한류 관련 문화산업에 대한 정부 개입의 방향성 이 고려되어야 함 한류가 궁극적으로 한국문화 와 한국인 에 근거를 두고 있지만 대한민국 국민의 삶에 한류를 내재화 하는 문제가 고민되지 않고 있음 부처별 영역 고수, 경쟁적 접근 등으로 한류에 대한 정책 목표의 거시성 과 장기성이 부족함 [자 료 2] 한 류 의 이 면 에 대 한 언 론 보 도 정부의 한류 정책, 전시효과에 집착 말고 차라리 해외문화원의 정규직 인력 늘려야 정부는 입만 열면 '지원'을 외친다. 그것 역시 장기적 효과보다는 지금의 한류바람 에 편승한 전시효과에 집착하고 있다. 3년 사이에 해외문화원을 2배로 늘렸지만 책임 감을 가지고 일할 정규직 인력은 1명으로 줄여 기본업무조차 어렵게 만들어 놓았다. (이대현 논설위원, 출처 : 한류를 또다시 망치려는 사람들, 한국일보, 2012. 4.10) 한류가 오히려 문화 예술계의 사회적 양극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켜 음반 음원시장을 아이돌과 대형기획사가 독식하는 상황에서 공중파를 타지 못한 12

Ⅰ. 머리말 뮤지션은 아무리 실력이 있어도 살아남을 수 없다. 오죽하면 우리가 톱밴드 출전을 고민하겠나. (경연의) 중간단계까지 버티면 지금보단 낫겠다 싶은 것 이라고 털어놓았 다. (고구려밴드 리더 이길영 씨, 출처 : 화려한 한류 뒤 나는 배곯는 가수다, 서 울신문, 2012.3.17.) 고등교육을 받고 고급문화를 향유하는 중산층 이상에게는 한국의 전통 문화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칠레에서 고등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고급문화를 향유하는 중산층 이상이어서 한국 의 전통문화와 영화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알리는 게 더 효과적 (칠레, 민원정 칠 레 UC 大 교수 출처 : 한국학 한류를 이끄는 학자들3, 동아일보, 2012.3.28.) Korea를 떼어내고도 멀리 나갈 수 있는지 아시아와 그 너머의 세계로 나아가려는 한국 예술가들의 열정적인 움직임과 그 매 력의 확산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Korea Wave로부터 Korea를 떼어내고 한국인들의 재능과 모습, 호소력이 실제로 얼마나 멀리 나갈 수 있는지를 지켜봐라! (Maxwel Coll, Korea is killing its own Wave : Government initiatives and nationalistic observers threaten the movement's inherent allure CNNGO, 2011.11.18) 3. 외국의 문화콘텐츠 진흥정책 6) 경제와 문화가 하나의 고리로 묶이는 브랜드화 시대를 외국에서는 어떻 게 준비 대처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 세계 문화의 선진국들은 문화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산업의 진흥 에 정부 및 민간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음 6) 한류 진흥과 유사한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나, 유사한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세 계 시장을 겨냥한 문화콘텐츠산업 진흥정책으로 한정하였음 13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창조산업은 기존 전통적인 문화산업 외에도 디자인, 미술, 감각 산업 등 다양한 예술 분야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 창의성은 정보, 지식과 더불어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자산이 자, 한 나라의 경제적 성장을 이끄는 주요 원동력으로 간주 영국은 1990년대 창의라는 개념을 문화정책에 도입하여 개인의 창조력 과 지적재산권에 대한 개발을 통해 잠재적인 자산과 취업기회를 창조 하고 총체적인 생활환경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는 활동을 수행 일본은 2010년 6월에 발표된 산업구조비전 및 신성장전략 에서 문화 산업 및 쿨재팬 을 향후 전략산업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적극 지원하고 있음 중국은 1990년대부터 문화사업과 문화산업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였으며, 2000년 이후 전통문화적 요소와 현대화된 국제적인 유행문화를 합리적 으로 조화시키는 정책기조를 유지하고 있음 가. 주요 국가의 문화산업정책 1) 영국의 창조산업 가)창조산업 육성정책의 역사 영국 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2001)는 창조산업에 대해 개인의 창의 성, 기술, 재능 등을 이용해 지적재산권을 설정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부와 고용을 창출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산업'으로 정의 이러한 정책적 관점에서의 정의는 광고, 방송, 출판 등 전통적인 문화 산업 외에 문화적 창의성을 확장하여 건설, 제조업, 미디어 등 타 산업 분야와 접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14

Ⅰ. 머리말 영국의 창조산업의 범위는 광고, 건축, 미술품 골동품, 공예, 디자인, 패션, 영화 비디오 사진, 출판, 소프트웨어 컴퓨터게임, 음악 시각 공연예술, 텔레비전 라디오 등 13개의 다양한 산업을 포함하고 있음 특히 핵심 창의분야(Core Creative Fields)는 작가, 화가, 작곡가, 댄서 등에 의한 순수 창작 콘텐츠가 생산된다면, 음악, TV, 출판, 게임, 영 화와 같은 문화산업(Cultural Industries)은 보다 상업화에 초점이 맞춰 져 있음 창조산업은 창의성과 지적재산권을 강조하는 반면, 문화산업은 문화의 산업활동을 중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1997년 : 토니 블레어 정부의 Creative Britain 비전 제시 지식경제사회로의 세계 재편 천명 속에서 창조산업을 미래 전략산업으 로 지정 2000년 : 디지털콘텐츠실천계획(Digital Contents Action Plan) 수립 디지털콘텐츠산업이 GDP의 10% 수준으로 성장하도록 육성하고 관련 일자리 100만개 이상 창출을 목표로 함 2005년 : 1999년 발표된 비전인 디지털이 풍부한 영국 을 토대로 새로 운 비전인 디지털 전략(Connecting the UK : the Digital Strategy) 을 발표 영국을 세계 창조산업을 선도하는 허브로 만들고자 창조경제 육성계획 (Creative Economy Program) 을 추진 2008년 : 창조적인 영국 : 새로운 경제를 위한 새로운 재능(Creative Britain : New Talents for the New Economy) 프로그램의 추진 총 8개 부문 26개 과제를 설정해 영국의 콘텐츠산업과 관련한 인재육 성 정책을 제시함 2009년 1월 : 문화미디어스포츠부(이하 DCMS)는 산업적 능동주의 15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industrial activism)하에 디지털 브리튼(Digital Britain) 이라는 정부 핵 심전략 보고서 발표 디지털 브리튼 은 영국 국민 모두에게 디지털 산업경제에 접근할 수 있는 보편적 접근권을 보장하고, 디지털화로 발생하는 이익과 장점들을 공평하게 활용함에 따라 영국을 세계 디지털 지식경제의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영국 정부는 위와 같은 정책을 통해 영국의 디지털 경쟁력 확보를 위 한 거시적이면서도 실현 가능한 정책적 의지를 보여주고 있음 2011년 12월 : DCMS는 Creative Europe Programme(창조적 유럽 프로 그램)을 제안함 이 프로그램은 2014 2020년까지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유럽 문화 및 언어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 부문과 창조산업 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 로 함 새로운 금융기관을 통해 문화 부문과 창조산업 부문의 중소기업에 대 출을 지원 초국가적 정책 협조를 지원하면서 Cultural Contact Points와 Media Desks를 통해 펀딩에 대한 정보 및 조언을 제공함 또한 미디어 부분에 있어 시청각 부문과 문화부문의 비즈니스 및 기술 역량강화와 함께 초국가적 제품 및 이벤트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임 나)창조산업 육성정책의 특성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문화 발전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개입의 추세에 따라, 영국은 소극적 방임정책에서 적극적 창조산업정책으로 전환함 영국은 일찍부터 창조산업의 경제적 성장 가능성을 감지하고 관련 산 업을 국가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여 이를 창조산업 으로 16

Ⅰ. 머리말 재정의하고 집중적으로 육성 1980년대 대처 정부는 창조산업 육성을 국가 정책과제로 정하고 규제 완화와 시장 개방정책 추진(1983년에 영화쿼터제도 폐지)하였으며 토 니 블레어 정부는 창조산업 클러스터 구축 정책을 추진 영국정부는 정부가 직접 나서기보다는 실질적인 공적 지원 업무를 다 양한 민간위원회에 위임하여 진행하는 간접 지원을 주로 했으며 산업 발전이나 일자리 창출은 국가가 시장 개입을 해야 한다는 산업적 능동 주의(industrial activism) 관점에서 창조산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추진 함 영국정부는 전통적인 팔길이 원칙 에서 탈피하여 창조산업 육성을 적극 적으로 추진함 특히 2008년 4월 창조적 영국 : 새로운 경제를 위한 새로운 재능 을 중심으로 여러 정부기관과 관련 단체들이 중장기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8개 부문 26개 정책과제를 제시함 8개 부문으로서 1 창조교육 실시, 2 일자리로의 재능 전환, 3 연구 및 혁신 지원, 4 자금 및 성장 지원, 5 지적재산 장려 및 보호, 6 창조 클러스터 지원, 7 글로벌 창조 허브 구축, 8 전략 업데이트 과 제를 추진함 창조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각 지방조직, 비정부공공기관, 민간단체 등 과의 협력 네트워킹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주요 정책과제 사례 - 재능 발견 프로그램(Find Your Talent) - 재능 경로 제도(Talent Pathway Scheme) - 혁신적 창조학습 장소 - 창조기술 장려를 위한 아카데믹 허브 17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 견습생 제도(Apprenticeship) - 기술전략위원회(TSB)의 R&D 프로그램 및 기술이전네트워크 구축 - 국립과학기술예술기금(NESTA)의 창조적 혁신가 성장 프로그램 (Creative Innovators Growth) - 잉글랜드예술위원회(ACE)와 지역개발청(RDA)의 중소기업에 대한 벤 처캐피털 제공 - 디지털 영국 추진전략(Digital Britain Strategy) - 지역창조경제 전략 프레임 워크 파일럿 프로그램 구축 - 영국영화위원회(UKFC) 잉글랜드예술위원회(ACE) 인문과학연구위원 회(AHRC)의 혼합 미디어센터(Mixed Media Centre) 설립 - 세계 창조기업 컨퍼런스 개최 등을 추진 새로운 산업 원동력으로써 콘텐츠산업 육성은 곧 영국을 창조산업 분야의 강력한 리더로 만들었으며, 이에 상응하는 성과를 달성함 2008년 영국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창조산업 분야가 영국 경제에 미 치는 영향은 59.1십억 파운드 혹은 총부가가치의 5.6%를 차지(유럽 평 균의 2배 이상임) 콘텐츠산업의 수출액은 2008년 17.3십억 파운드로 전체 수출액의 4.1% 를 차지함(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2010년 영국 기업 가운데 182,100개(8.7%)의 기업이 창조산업 관련 기업이었으며, 성장률은 다른 섹터에 비해 2배 이상에 달하고 2010년 총 고용인원은 2천 3백만 명으로 전체 고용인구 중 7.8%를 차지함 다)창조산업 진흥정책의 함의 국가적 특성을 고려한 창조산업 육성 영국의 창조산업은 1970년대 제조업 공동화에 따른 경제위기를 극복할 18

Ⅰ. 머리말 대안으로 1980년대 대처 정부가 창조산업을 위한 성장발판을 마련하여 1997년 블레어 정부(문화미디어체육부) 때부터 창조산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음 영국의 창조산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강점인 제조업(규모의 경 제성, 시스템의 경제성)의 특징과 금융, 광고, 법률, 컨설팅, 디자인, 문화 오락 등 생산자서비스업(범위의 경제성, 속도의 경제성)의 특징에 창의성 을 결합하여 산업 내, 산업 간 시너지 효과를 유발하는 것이 타당 창조산업만 육성하는 것이 아닌 창의환경 조성이 필요함 한국형 창조산업은 다양한 형태의 창의성이 뿌리를 내리고, 번성할 수 있는 광범위한 창의적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예술, 미디어, 관광, 여가 등 문화정책에 입각한 창의 산업화 정책이 요 구됨 콘텐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창작활동 활성화 기반 조성 창조산업 육성정책은 창조산업의 근원이 되는 지식과 창의성을 담보하 기 위한 대중의 문화접근성 제고, 문화다양성 확보를 위한 공적 역할을 강조함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의 경우 한국문화의 다원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 양한 한국적 소재의 발굴과 더불어 일반 대중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 여 향유할 수 있는 공간 마련이 필요함 2) 일본의 콘텐츠산업 가)콘텐츠산업 육성정책의 역사 일본은 2000년대에 들어서 정부 정책으로써 콘텐츠산업이 본격적으로 다 루어지기 시작함 19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2001년 1월 22일 모리( 森 ) 전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일본 정부의 IT 기본정책을 담은 e-japan 전략 발표 전국민이 IT의 메리트를 향유할 수 있는 사회 경제구조개혁추진과 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가 실현된 사회 여유와 풍요로움을 실감할 수 있는 국민생활과 풍부한 개성으로 활력 이 넘치는 사회 실현 지구차원의 고도정보통신네트워크 사회의 실현을 지향한 국제공헌 2001년 12월 7일 문화예술 분야의 진흥정책에 관한 근거법이라 할 수 있는 문화예술진흥기본법 이 제정되면서 콘텐츠 분야의 제작, 상영, 지원 등 필요한 시책을 강구할 수 있는 진흥정책의 토대가 마련됨 문화예술진흥기본법은 일본의 문화예술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서 문화예술을 진흥시킴에 있어서 항상 지역적 특성 을 고려 하고 이에 상응하는 시책을 만들도록 도모 2003년 3월 제정된 지적재산기본법에 따라 지적재산의 창조 보호 및 활 용에 관한 시책을 추진하기 위해 지적재산전략본부가 설치되면서, e-japanⅡ(2003.07~2005.12) 전략 발표 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1 기존 콘텐츠 자산의 온라인 이용 촉진, 2 콘텐츠 유통 수단으로서 인터넷 관련 제도의 정비, 3 콘텐츠 제작기반 의 강화, 4 일본판 바이돌 (the Bayh-Dole Act) 제도의 도입, 5 정 부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과 일반 이용의 확대가 제시됨 2004년 콘텐츠 촉진법이라 불리는 콘텐츠진흥법-콘텐츠의 창조, 보호 및 활용의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과 함께, 경제산업성은 신산업창조전 략 수립 2010년까지 새로운 콘텐츠산업을 창출함으로써 일본 브랜드 확립, 브 로드밴드를 활용한 시장형성을 촉진하고자 하였음 20

Ⅰ. 머리말 2005년 7월 일본 경제산업성은 세계경쟁력의 기준이 품질에서 품격으로 바뀌었다는 판단 하에 <신일본양식의 확립에 대하여>라는 보고서 발표 국가의 격을 제품의 격으로 삼는 전략을 기업체들에게 제안하였고 이 에 호응하는 86개 기업과 단체, 개인이 주축이 되어 신일본양식협의회 를 2006년 1월에 발족함(KIDP, 2006) 2007년 5월, 일본 내각부는 기술에서 사회제도에 이르는 폭넓은 혁신을 일으키기 위한 장기전략 지침의 최종보고서인 Innovation 25 발표 이 전략은 규제 완화 및 신진 연구자에 대한 투자확대 등을 통해 우수 한 기술이 점차 창출되는 사회로 정착될 수 있는 환경형성을 목표로 함 2009년, 일본의 지적재산전략본부는 제3기 지식재산전략 을 통해 혁신의 촉진, 경제의 세계화 대응, 콘텐츠산업의 진흥과 일본의 브랜드 가치 확 산, 지식재산권의 안정성 및 예측성 확보, 이용자 요구에 대응이라는 각 각의 관점에서 일본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고 5대 기본방침을 정함 제3기 지식재산전략 하에 2010년, 지적재산본부가 발표한 지적재산 추진계획 2010 은 콘텐츠 강화를 핵심으로 하는 성장 전략의 추진 을 핵심과제로 밝힘 2011년에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결된 글로벌시장에서 향후 10년 20년 뒤 일본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대비한 성장 동력의 기반이 되는 4대 지 적이노베이션 중점전략 중심의 지적재산추진계획 2011 을 발표함 2010년 6월, 일본 정부는 강한 경제 재건을 위한 신성장전략 을 각의 결정했고 이 전략을 통해 7개의 향후 중점 육성분야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21개 항목의 국가 전략 프로젝트 가 설정됨(KOTRA, 2010) 지적재산 표준화 전략과 Cool Japan 해외전개 를 통해 전략분야에서 일 본 경쟁력강화와 아시아 시장에서 콘텐츠 수익 1조엔 실현을 목표로 함 21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나)콘텐츠산업 육성정책의 특성 일본의 콘텐츠산업이 국가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콘텐츠산업은 그 잠재력과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신성장전략 등에 있어서, 일본의 주요한 성장분야로써 인식하고 있음 문화산업 입국( 立 國 ), 21세기 선도산업(Leading industry)으로 언급, 이 러한 용어에서는 문화산업이 그 자체로, 장래의 일본경제를 견인할 가능 성이 있고, 또한 소프트파워(soft power)로서, 일본 산업 전체의 해외 전 개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인식함 일본 특유의 문화를 반영한 독자적인 형태와 역할분담에 의해 문화정책 을 추진하면서, 총무성, 경제산업성, 문부과학성 등 다양한 부처와 연계하 여, 콘텐츠 정책을 단순한 산업정책 차원이 아닌 문화 사회정책 나아가 국가 이미지 제고 차원에서 다루고 있음 일본의 콘텐츠산업에 대한 전략적 육성은 Brand Japan과 Cool Japan에 서 알 수 있듯이 콘텐츠산업 자체의 경제적 중요성과 함께 콘텐츠산업의 외부효과를 극대화하는 데에 초점이 놓여 있음 일본 경제산업성은 Cool Japan이라는 통일적이고 장기적인 콘셉트로 콘텐츠활성화 정책 추진을 위해 2010년 6월 Cool Japan실[ 室 ]을 신설 하고, 일본의 전략산업 분야인 문화산업(창조산업 : 디자인, 애니메이 션, 패션, 영화 등)의 해외진출 추진, 국내외 배급, 인재육성 등의 종합 적 정책의 기획 입안 및 추진 - 일본인의 미의식과 뛰어난 문화적 전통은 최근 쿨재팬 으로 불리우며, 구체적인 쿨재팬의 대상은 패션, 콘텐츠, 식( 食 ), 지역, 관광 등임 - 각 지역에 묻혀있는 쿨재팬 을 발굴 프로듀스하고 해외 각국에 발신 함으로써 인기를 높이는 선순환 사이클을 확립하고 쿨재팬 추진을 통 해 동일본대지진으로 영향을 받은 일본 브랜드의 회복을 위한 새로운 시책임 22

Ⅰ. 머리말 Brand Japan은 일본이 국제 경쟁에서 확보한 비교우위를 일본의 소프 트파워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전략임 - Brand Japan 구축을 위해 일본이 경쟁우위를 갖고 있는 산업(콘텐츠, 유통, 택배), 기술(나노테크, 모바일, 환경, 로봇), 인재 분야(탤런트, 스포츠 스타, 예술가, 과학자), 자산(지적자산, 예술작품), 전통(축제, 스모, 유도), 문화(일식, 기모노, 차도, 한자문화)를 유기적으로 연계할 방침을 세움 위와 같이 일본 정부의 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이념 목표의 정립은, 콘텐츠산업의 활성화가 국내 콘텐츠산업의 규모 확대라는 단순한 산업적 논리를 넘어서 근본적인 철학을 바탕으로 전개된다는 점에서 한국의 콘 텐츠 활성화 방안과는 다름 한편 일본 정부의 콘텐츠 정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 입안이 이루어 지면서 정책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있음 일본은 2000년대 이후 정부 부처의 변화가 없어 기존의 정책을 연계하여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고 있음 일본 정부는 매우 구체적으로 콘텐츠산업의 미래 목표를 제시함 경제산업성은 2020년까지 일본 콘텐츠산업의 달성할 목표는 콘텐츠산 업은 15조 엔 규모에서 20조 엔으로, 해외 수출액은 현재의 0.7조 엔 에서 2.3조 엔까지 확대하고, 더불어 콘텐츠 관련 산업의 고용 인력도 31만 명에서 36만 명으로 5만 명 증가시킬 계획을 밝힘 일본의 콘텐츠산업 진흥정책은 기존 민간영역 중심의 자율적 정책방향에 서 최근에 접어들면서 적극적인 정부지원과 개입의 형태로 그 방향이 선 회되고 있음 이와 같은 정책방향의 선회는 기존 아시아 및 세계시장에서 경제적 발 전을 바탕으로 문화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최근 세계 경 제위기와 일본 내부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정부의 적극적 개입과 지원 23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이 이루어지고 있음 일본은 지적 재산 이란 보다 거시적 카테고리에 콘텐츠 를 두고 있으며 지적재산추진계획 을 매년 수립 발표하고 이를 통해 정책 및 지원사업의 체계적인 관리를 실현하고 있음 특히 일본의 다양한 매력을 세계에 알리고 진출시키는 '쿨재팬 전략'이 새 롭게 일본정부의 지적재산 추진전략의 4대전략의 축으로 편입 동일본대지진 복구대책 차원에서 지적재산 전략이 적극적으로 대응하 고 있음 쿨재팬전략은 콘텐츠산업 영역만이 아니라 비콘텐츠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산품( 産 品 ), 식( 食 ), 전통문화, 디자인 등을 해외 진출 전략의 테 두리에 포함시켜 유기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3) 중국의 문화산업 가)문화산업 육성정책의 역사 문화체제 개혁을 통한 시장주체 배양 2003년 국무원이 발표한 105호 문건 재정세수, 투융자, 자산관리, 공상관리, 가격, 수입배분, 사회보장, 인원분류, 법인등기 등의 규정을 통해 문화산업 관련 기업 배양 정책 추진 2005년 12월 국무원의 문화체제개혁 심화에 관한 약간의 의견 문화산업 발전 방향 선도 : 2009년 국무원의 문화산업진흥계획 문화산업 진흥의 원칙, 목표, 중점 임무 등을 명시 8대 중점 임무 - 중점 문화산업 발전 24

Ⅰ. 머리말 - 중대 프로젝트 선도전략 실시 - 핵심 문화기업 육성 - 문화산업단지 건설 추진 - 문화소비 확대 - 현대 문화시장체계 건설 - 새로운 문화경영방식 발전 - 대외 문화무역 확대 문화산업에 대한 중점 지원정책 실시 국무원의 문화사업발전 지원에 관한 몇 가지 경제정책에 관한 통지 (2000) : 재정지원 정책 문화기업 발전을 위한 약간의 세수문제에 관한 통지 (2009) 문화산업의 진흥과 발전을 위한 금융지원에 관한 지도의견 (2010) - 참여부서 : 중앙선전부, 중국인민은행, 재정부, 문화부, 광전총국, 신문 출판총서, 은행업감독관리위원회, 증권감독관리위원회, 보험감독관리위 원회 - 문화산업 특성에 적합한 여신상품 개발 및 다양한 금융서비스 개선 문화산업 영역으로의 진입 확대 정책 비국유 자본의 문화산업 영역 진입 확대 추진 WTO 가입에 근거하여 문화영역에 대한 외자진입 규범화 문화영역에 대한 자본진입 규제 완화 및 민영문화기업 성장 촉진 신흥문화산업 발전 독려 정책 하이테크 기술을 활용한 문화산업 경쟁력 강화 문화업종 갱신 추진 인터넷문화서비스업과 동만산업 발전 중점 추진 25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문화상품 및 서비스 해외수출 진흥정책 수출형 주요 문화기업 육성 해외 진출 증대 프로젝트 실시 동만게임, 전자출판물 등 신흥 문화산업의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중국 정부가 문화산업의 발전과 관련한 진흥계획을 비롯한 일련의 정책 을 계속하여 제정 반포하는 가장 큰 목적은 계획경제 아래서 고착된 문 화체제를 전면적으로 혁신하여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문화체제를 구축하여 문화산업을 발전시키겠다는 것임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문화사업 단위의 시장경영 체제로의 전환 공공성, 공익성 문화사업의 지속적 확대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쟁력 있는 문화산업의 선도기업 집중 육성 개방과 경쟁을 근간으로 하는 현대식 시장경제 체제의 문화시장 육성 문화행정 관리체제의 혁신과 국제 경쟁력 강화 나)중국문화 해외 진출 진흥정책 2003년 12월 5일 후진타오 전국 선전 사상 공작회의 연설 대외 문화산업을 발전시켜 적극적으로 국제 문화경쟁에 참여할 것 2003년 12월 6일 리창춘 연설 중국 문화산품의 수출을 지원, 독려하여 대외 문화교류의 문화브랜드를 형 성하고 중국 문화산품의 국제 문화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것 2005년, 문화부와 재정부는 국산 음상제품 수출을 위한 전문 기금 설립 26

Ⅰ. 머리말 2005년, 국무원과 신문출판총서는 중국 도서 해외 확대 계획 발표 도서출판을 통해 각국의 독자에게 중국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바르게 하고, 중국 출판기업의 수출을 통하여 중화 우수문화를 전파하며, 중국 문화 소프트파워를 제고시키고자 함 공자학원(Confucius Institute) 확대 정책 2007년 4월 9일, 공자학원 총본부가 북경에서 성립 2004년 11월 21일, 세계 최초의 공자학원이 한국 서울에서 현판식 2010년 10월 기준으로 세계 96개국과 지역에 322개의 공자학원과 369 개의 공자학당 건립 중국내 61개 고등교육기관이 공자학원과 합작 TV공자학원 : 2008년 12월 18일 미국에 방송 시작 미국 SCOLA 위성교육TV망을 통해 24시간 방송 2007년, 상무부, 외교부, 문화부, 광전총국, 신문출판총서, 국무원 신문판 등 6개 부처가 연합으로 문화산품과 서비스 수출지도 목록 발표 서문 중화전통문화의 우수성을 발휘하고 문화기업이 국제경쟁에 참여하 여 그 경쟁력을 향상하고 우리나라 문화제품과 서비스 수출을 리드하도 록 권장 지원하기 위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상무부, 외교부, 문화부, 광전 총국, 신문출판총서, 국무원 신문판공실 등 부처는 공동으로 문화산품과 서비스 수출지도 목록 을 제정하며 아울러 여기에 대한 해석과 조정을 책임진다 27종류 문화산품과 서비스의 국제시장 진출 지원 국가 문화수출 중점 기업 표준 확정 2009년, 문화부와 중국수출입은행간 문화수출 중점기업, 중점 프로젝트 지원과 배양에 관한 합작 협의 체결 27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중국수출입은행은 향후 5년간 문화기업에 RMB200억 이상의 외환신용 대출자금 제공 상무부, 문화부, 광전총국, 신문출판총서, 중국수출입은행의 금융으로 문 화수출을 지원하기 위한 지도의견 商 服 貿 發 (2009) 191호 발표 중국-동남아연맹 문화산업 포럼 추진 동남아국가연맹(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10개국과 매 년 포럼 개최 2005년 중국-동남아연맹 문화합작 양해각서 체결 2006년 난닝선언 발표 2008년 중국-동남아연맹 문화산업 상호계획 체결 다)문화산업 해외 진출 진흥정책의 특성 중국 내 문화산업은 이미 전체 경제성장에 있어 새로운 이슈로 부상되었 으며, 경제구조 및 촉진을 위한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음 그러나 중국의 문화산업 자원은 행정구역, 행정부서 간의 분배와 배치에 의해 이루어져 왔으며, 이는 중국문화산업 발전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 중국의 문화산업 진흥정책의 특징은 대부분의 문화산업 정책이 규제보다 는 지원을 위한 정책임 자국의 문화산업을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대단히 신중한 개방정책을 점진 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모든 정책의 입안과 실행을 추진 최근 중국의 문화산업 진흥정책은 전반적인 문화체제를 개혁하여 주로 문화사업 단위나 국영 문화기업을 단계적으로 기업식 시장경영 체제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동시에 공공성 공익성 문화사업을 28

Ⅰ. 머리말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을 강조하고 있음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쟁력 있는 문화산업의 선도 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 건전한 시장경제 체제의 조속한 정착과 문화행정 관리체제의 혁신 을 통한 문화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중국정부의 중국 내 문화산업과 관련하여 선택과 집중의 개혁 노력은 지 속될 것으로 보이며 풍부한 문화자원과 기술 도입을 바탕으로 한 엄청난 잠재력을 보이며 성장할 것으로 예상 해외 진출 진흥정책의 함의 중화전통문화의 우수성 발휘 와 문화기업의 국제경쟁 참여 라는 국가 문화수출 중점 기업 표준을 통해 관련 정책을 수행하고 있음 공자학원 확대 정책, 중국-동남아연맹 문화산업 포럼 등을 추진하여 대외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기조로 하고 있음 나. K-Culture, 한류의 발전에 주는 함의 전세계적으로 1990년대 중반이후 문화자산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면서 문 화산업의 성장으로 컬처노믹스(Culturenomics)가 부상하였음 문화 선진국들은 문화가 창의 원천이자 국가 도시 성장의 인프라로 인 식하고 문화를 국가 발전의 키워드로 삼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이러한 기반하에서 영국, 일본, 중국의 문화산업, 창조산업에 대한 지원 및 진흥책은 국내 문화 및 문화산업의 진흥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 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던지고 있음 영국, 일본, 중국의 문화정책 사례는 각각 격조 있는 영국문화와 영국상 품, 매력적인 일본문화와 일본상품, 전통과 포용력을 갖춘 중화문화와 미 래 중국의 가치 등을 역설하는 문화전략이자, 서비스 중심으로 이동하는 29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경제 상황에 대한 대응임 영국의 창조산업에 대한 국가의 역할은 문화산업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접근이 대단히 신중하고, 구체적인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음 창조산업의 문화정책에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은 사회적 경제적 효과 에 입각한 문화정책임 영국의 창조산업 인프라 확대는 예술적 우수성을 담보함으로써 예술과 창작이라는 문화적 산물이 사회나 경제에 공헌하도록 하는 전략을 수행 일본의 문화콘텐츠산업 진흥정책은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창조 국가건설을 목표로 일본 소프트파워를 높여 국가브랜드 구축을 총괄할 수 있도록 상 위 진흥체계 구성, 지적재산기본법 제정, DMC 등 국가지원 하에 연구개 발을 활성화하는 정책임 중국의 경우 대외 개방을 통한 선진자본 및 기술의 유입과 문화콘텐츠의 국제화 추진, 자국 내수시장을 겨냥한 독자적인 문화콘텐츠의 제작 보 급, 미래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시장 전점을 위한 국가 차원의 산업육성지 원을 문화콘텐츠산업 진흥정책의 방향으로 정립 중국이 문화산업 진흥정책의 핵심에는 중국의 취약한 분야가 다름 아 닌 소프트파워 즉 문화적 리드십의 부재라는 인식에서 출발 일상적 삶의 질을 개선하는 살아 있는 K-Culture 와 국제경제 환경에서 의 사업 및 브랜드로 기능하는 한류, 나아가 한국의 국가적 생존과 세계 문화에의 참여 및 평화적 공생에 기여하는 한국문화 사이의 체계적 관계 수립이 필요함 K-Culture의 역량 강화는 자원, 콘텐츠, 인프라, 국제환경의 안정적 조 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한국인의 문화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산업적 기초에 의거하지 않을 때 문화 창조 역시 위기에 놓일 수 있음 을 보여주는 영국 문화정책의 상황, 일본 문화정책의 복잡성과 둔중한 대응 속도, 중국 문화정책의 중화주의에 대한 위화감 등을 참고하여 한 30

Ⅰ. 머리말 류문화 진흥 방안을 수립해야 함 한류의 안정적 이행을 위해 선제적이고도 과감한 예산상의 배려가 있어 야 하며, 각국의 문화정책 사례에서 나타난 약점들을 거울삼아 1 지나친 경제주의 2 문화적 우월주의 3 정책적 방향의 모호성을 극복해 나가야 함 한류의 진흥 방향은 인간본위, 법고창신, 세계교린 의 틀에서 방향을 잡아 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실천적 목표는 국가브랜드 제고, 한 류 경제 효과 증대, 삶의 질 향상 이 되어야 함 한국의 전통문화, 현대예술,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진흥정책의 활성 화는 다양한 관련 조직 간 기능과 역할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진흥 업무 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임 K-Culture의 역량 강화는 국내외의 급속한 변화 가운데 전통문화, 현 대예술, 문화산업을 통해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고 인간상호간에 연대 감을 창출하며, 문화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모든 국민이 진정으 로 여유로움과 풍요로움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한국의 문화적 역량에 기반한 한류의 안정적 이행을 위해서는 문화산 업 진흥정책에 있어서 패러다임적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사업의 개발과 더불어 과감한 예산 투여가 이루어져야 함 31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1. 개념 설정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2012년 한류 진흥 3대 방안>에서는 한국문화, 한류, K-Culture 등의 개념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 한류 진흥을 위한 방향설정을 위해서는 이 같은 개념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음 가. 한류의 개념 1) 한류의 확산과 원인 가)한류의 확산과정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시한 한류의 진화과정을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음 [그 림 2-1] 한 류 의 진 화 과 정 33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한 한류 1.0 시대 한국문화의 전통성과 특유의 정서가 아시아인들을 중심으로 세계인들 에게 알려지고 호응을 얻기 시작한 시기 K-Pop을 필두로 하는 한류 2.0 시대 한국문화의 전통성보다는 세계 대중문화 일반의 문법에 조응하면서 자 기만의 새로움을 선사하여 서구를 포함한 다양한 문명권에 한류가 소 개되고 수용되기 시작한 시기 다양한 장르, 영역으로 한류가 확산되는 한류 3.0 시대 문학, 게임, 뮤지컬, 관광, 한식 등 다양한 장르와 영역에서 한국이 산출 한 문화적 산물 로서 한류가 인식되고 세계적 차원에서 수용되는 시기 한류의 발흥과 확산과정의 함의 한국문화에 고유하게 내재한 특성과 정서가 세계인들의 문화적 호응을 얻기 시작한 것이 한류임 그것은 가까운 문명권인 아시아인들을 출발점으로 하여 점차 세계 보 편 문명적 차원으로 확산되는 추세임 한류 확산의 단계별 특성 한류 1.0 : 한국 전통문화에 내재한 속성(K-Drama)에 대한 호응 한류 2.0 : 세계 보편적 대중문화의 형식(K-Pop)으로의 확산 한류 3.0 : 한국문화의 고유한 측면과 세계 대중문화의 보편적인 측면 이 공존하는 형태로 발전하는 방향 나)한류 확산의 원동력 한류 확산의 원동력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명이 존재해 왔으나 무엇보다 34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실제 현실에 기초한 분석이 요구됨 한류의 확산은 한국문화의 다양한 특성 중 다음과 같은 측면과 조응하는 것으로 판단됨 개방성 원시부족국가 단계의 북방문화(철기문명이나 샤머니즘 등)로부터 중국 을 통한 한자, 불교, 유교의 수용, 그리고 근대의 서구문명(기독교와 근 대화 등)에 이르기까지 세계 보편문명에 대한 합리적 수용성으로 표현 됨 한반도는 육상과 해상으로 이어졌던 실크로드의 종착지이자 출발지로서 고대 로부터 다양한 문명이 소통되던 역사적 지역임 한국문화는 예로부터 다양한 선진문명을 수용하는데 적극적이었던 바, 이러 한 성향은 한국문화가 한반도의 지정학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세계사의 흐름 에 뒤처지지 않고 세계문명과 호흡하는 문화적 개방성으로 구현된 바 있음 한류가 한국문화의 고유성(전통문화, K-Drama 등)과 함께 세계 대중문화의 보편적 형식(K-Pop 등)으로도 호응을 얻는 것은 이러한 문화적 개방성의 발 현으로 이해될 수 있음 고유성 외부문화의 수용이 단지 모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인 발전과 보존의 방식으로 작용하여 한반도 고유의 문화를 꽃피우는 한편, 해당 문화의 원형을 가장 적절하게 유지하는 방식으로도 표현됨 유교나 불교의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나라가 한국이지만 또한 동시 에 한글의 창제에서 보듯이 한국은 선진문명을 자기화하여 새로운 문명적 패러다임을 창출하는 데에도 뛰어난 역량을 선보였음 한류가 호응을 얻은 주요한 요인 중 하나는 한국이 서구문명의 단순한 수용 자나 전달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 고유의 문화적 성격을 내포하면서 그것을 세계인이 소통할 수 있는 형식으로 제시했기 때문임 35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한류 초기의 드라마 <대장금>, <겨울연가> 등으로부터 최근 신경숙의 <엄마 를 부탁해>의 호응에서 보듯이 한류의 원동력 중 하나는 한국문화의 고유성 을 세련된 형식을 통해 드러냈을 때 얻어지는 것임 공존성 다양한 기원과 역사적 경위를 지녔던 외부문화가 한국에 수용되면서 한국적 방식으로 내재화되고 포용되는 한편 평화적으로 공존하여 문화 다양성을 높이고 상호 발전하는 것으로 표현됨 현재의 한국은 세계 고등종교가 대다수 활동하고 많은 신도수를 자랑하면서 도 종교내전이 일어나지 않는 거의 유일한 국가이며, 서구적 생활패턴에 샤 머니즘적 길흉예측과 유교적 일상생활과 기독 불교적 생사관 이 공존하는 거의 유일한 국가임 다양한 문명이 개방적으로 수용되면서도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한국문화의 특 색은 서로 다른 역사적 배경과 경험을 지닌 세계인들에게 한류가 문화적 패 권의식 없이 수용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전략으로 기능할 수 있음 요컨대 드라마 <대장금>이나 뮤지컬 <명성황후>가 국적성이 뚜렷하지 않은 K-Pop이나 <난타>공연과 나란히 공존하는 것은 문화적 토양에서 한류의 확 산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음 2) 한류의 재정의 한류의 재정의 : 문화수용의 개방성과 고유성, 공존성을 특색으로 하는 한국문화 중 특정한 부문이 세계화 시대를 맞아 세계인의 공감과 호응을 이끌어낸 문화적 현상 한류 2.0 시대까지는 이 같은 문화적 현상 이 대중문화로 표현됨 한류 3.0 시대에서는 문화적 현상 이 대중문화를 넘어서 문화일반으로 확대되는 것을 추구함 36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나. K-Culture의 개념과 구성요인 1) K-Culture의 정의 문화체육관광부는 <2012년 한류 진흥 3대 방안>을 발표하였음 <전통문화의 창조적 발전 전략>(2012.1.) <세계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문화예술 발전 전략 : 문화예술(K-Arts)을 통한 한류의 명품화>(2012.2.) <대한민국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2012.4.) 한국문화의 고유성으로서의 전통문화, 현대의 지배적 보편문화인 순수 예술 로서의 문화예술, 문화상품으로 매매 가능한 콘텐츠 분야로 구분한 것으로 이해됨 현존하는 문화는 다음과 같은 존재방식으로 구성됨 시간의 차원에서 전통문화와 현대문화 공간의 차원에서 고유문화와 외국문화 향유방식의 차원에서 대중문화와 문화예술(순수예술) K-Culture 내부의 세 부문은 문화의 이러한 존재방식과 연관하여 이해되 어야 함 즉 한국문화의 고유성으로서의 전통문화, 보편적 개방성으로서의 문화예술, 그리고 대중적 향유 방식으로서의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음 37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그 림 2-2] K-Culture의 구 성 요 인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이 세 가지를 통합하는 한편 한국문화 일반과의 차별화를 위해 K-Culture 라는 표현으로 이들을 통칭하고자 함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K-Cultur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 K-Culture란 문화체육관광부가 2012년 발표한 전통문화, 현대예술, 문화 콘텐츠 진흥방안에 관한 보고서에 기반하여, 한류 3.0 시대에 주력해야 할 세 가지 중점과제를 총칭하는 범주적 용어로 지칭하고자 함 K-Culture는 한류를 지향하는 전통문화, 문화예술, 문화콘텐츠를 의미하 기 때문에 한류(세계인의 공감과 호응을 이끌어낸 문화적 현상)의 하위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음 또한 최근 경제 한류, IT 한류 등과 같이 문화영역을 뛰어넘는 용어들이 38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생성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K-Culture는 한류의 하위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음 반면에 한류는 한국문화 일반(광의의 한국문화)의 하위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음 따라서 K-Culture, 한류, 한국문화의 포함관계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음 [그 림 2-3] K-Culture, 한 류, 한 국 문 화 의 관 계 2) K-Culture : 부문별 관계 <2012년 한류 진흥 3대 방안>에서는 분류 기준, 개념, 범주, 상호관계 등 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음 3대 방안에서는 전통문화 vs 현대문화, 대중문화 vs 고급문화, 상업예 술 vs 순수예술 등 다양한 기준이 적용되고 있음 또한 콘텐츠 전통문화 문화예술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고, 함의가 중 39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복되기도 함 따라서 K-Culture를 구성하는 제반 요소들의 의미, 그리고 상호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 K-Culture 내부의 세 부문(전통문화, 현대 문화예술, 콘텐츠)은 현존하는 문화(contemporary culture)의 정책적 분류로 한정해서 이해해야 하며, 실제의 문화현상과 문화생산은 셋 사이를 뛰어넘고 횡단하는 종합적 과 정임 K-Culture 내부의 세 부문은 서로가 서로에 대해 문화자원인 동시에 문 화콘텐츠(생산물)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것들이 유기 적 관계를 갖도록 조장하는 것이 정책적 목표가 되어야 함 가)전통문화와 현대문화 전통문화(traditional culture)를 현대문화(modern culture)와 구분하는 기 준은 시간임 전통문화와 현대문화는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관계를 이룸 40 [그 림 2-4] K-Culture와 전 통 문 화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망각된 전통문화(A) : 현재적 의미가 크지 않은, 복원의 대상으로서 전 통문화 협의의 전통문화(B) : 현대문화(C)의 맥락에서 인지 가능한 전통문화 광의의 전통문화 : 망각된 전통문화(A) + 협의의 전통문화(B) 문화는 순수예술(문화예술)과 대중문화를 포괄하는데, 이 같은 구분의 기 준은 향유 및 활동방식임 [그 림 2-5] K-Culture와 문 화 예 술 전통문화 역시 시간적 개념이기 때문에 향유와 활동방식에 따라 대중문 화와 순수예술로 구분할 수 있음 따라서 전통문화의 현대화는 콘텐츠화 과정에서 현대의 문화예술이 될 수도 있고, 대중문화가 될 수도 있음 41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나)문화콘텐츠와 문화자원 문화콘텐츠는 문화적 자원을 활용하여 여기에 인력과 기술이 투입됨으로 써 생산되는 문화적 생산물 일반을 의미함 문화콘텐츠는 향유 방식에 따라 대중문화 상품과 문화예술 창작품으로 구분할 수 있음 K-Pop, 한국드라마, 한국영화, 게임처럼 대중문화 상품 소설, 무용, 발레처럼 문화예술 창작품 - 문화예술 창작품은 전통문화, 현대문화예술을 모두 포괄함 - 예를 들어 전통무용, 발레는 하나의 문화콘텐츠임 문화자원은 인력과 기술력이 결합되어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원천을 의 미함 문화자원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첫째, 대중문화 상품과 문화예술 창작품의 원천(인력과 기술력이 결합 되기 이전[ 以 前 ]을 의미함) - 예를 들어 영화의 창작 원천으로서의 옛이야기, 디자인의 창작 원천으 로서의 전통문양 등이 문화자원임 둘째, 자체적으로 문화콘텐츠(전통문화, 문화예술)이지만 새로운 문화콘 텐츠로도 활용되는 것을 의미함 - 전통문화와 현대문화예술은 보는 각도에 따라 문화콘텐츠이며, 동시에 문화자원임 - 예를 들어 드라마의 원천으로서의 소설(전통문화, 현대소설)은 그 자체 가 문화콘텐츠(소설)이지만, 동시에 최종 상품(드라마)의 문화자원임 문화콘텐츠와 문화자원의 관계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음 42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그 림 2-6] 문 화 자 원 과 문 화 콘 텐 츠 문화생산 과정에서 인력과 기술의 위상 인력은 문화콘텐츠 생산되는 동시에 콘텐츠 생산기술의 개발이라는 측 면에서 기술을 포괄하는 이중적 의미를 지님 인력은 문화자원으로서의 인력 과 기술로서의 인력 으로 이분화하여, 전자는 문화자원의 영역으로 후자는 콘텐츠 생산의 영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 기술은 인력에 종속되는 요소이자 자원을 콘텐츠화하는 도구적 역할을 하므로 문화콘텐츠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음 43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다)K-Culture로서의 전통문화 K-Culture 관점에서 전통문화는 문화자원으로 활용되는, 문화콘텐츠화가 가능한 문화를 의미함 전통문화의 분류 망각의 전통문화 - 부재( 不 在 )의 전통문화 - 현존 방식을 구현하지 못해 사라졌거나 인지되기 어려움 - 사례 : 사료와 기억 보존의 전통문화 - 일상적 연관은 희박하나 보존 의 형식으로 인지 가능한 방식으로 지 속되는 문화 - 사례 : 유 무형 문화재(고궁, 박물관 유물 등) 일상의 전통문화 - 현재의 일상적 삶과 생활 속에 지속되고 있는 오래된 삶의 방식 - 의식주 등 일상생활에 존재하는 전통문화 - 사례 : 김치, 온돌, 제사 등 전통문화와 K-Culture 망각의 전통문화 전통문화의 복원 체험적 대상화(콘텐츠화) 보존의 전통문화 전통문화의 체험적 대상화(콘텐츠화) 일상의 전통문화 전통문화의 체험적 대상화(콘텐츠화) 이러한 분류법은 전통문화 부문의 세부과제들을 재구성할 가능성을 열어 주며, 각 단위에서 다음 단위로의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방법론적 논리를 제시할 수 있음 44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여기에 첨부되어야 할 것이 창조로서의 전통문화 개념임 망각 보존 일상 의 전통문화는 모두 창조의 자원으로 전환 가능한 바 세 부과제의 창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적 판단이 요구됨 다. K-Culture의 문화생태계 앞에서 문화자원+문화콘텐츠 를 중심으로 문화적 생산물이 생산되는 과 정에 근거해서 관련 개념들과의 관계를 정리하였음 여기서는 생산과정뿐만 아니라 유통 및 소비 과정을 포함하는 문화의 생 산-유통-소비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보다 확장된 개념인 문화생태계 의 이해가 필요함 문화생태계 문화의 영역에서 생태계적 구조와 특성을 보이며 작용하는 메커니즘 일반을 지칭함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류 3.0 시대에 문화적 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 비의 과정을 통해 발현되는 문화적 현상 및 그러한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물적 기초(생태 환경)를 총괄하여 부르는 용어임 K-Culture의 문화생태계는 생산+유통+소비 의 복합적 구성체임 K-Culture의 문화생태계는 한국 내부의 환경을 기반으로 하지만, 한류의 글로벌한 특성상 국외 문화생태계라는 외부 환경과의 관계가 핵심적 요 소로 내재화되어 있음 한류 3.0 시대의 K-Culture란 문화생태계의 구조적 진화를 의미함. 이때 진화란 곧 지속 과 확산 의 동시적 구현을 뜻함 지속 의 문화생태계적 함의는 재생산 체계의 안정적 지속을, 확산 의 문화생태계적 함의는 안정적 재생산 구조 속에서 문화생태계의 내포(국 45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내)와 외연(국외)의 확장임 지속과 확산은 상호원인으로 작용하는 분리불가분의 관계임 문화생태계 구조의 생산 유통 소비 과정은 자연생태계와 마찬가지로 에너지 생성의 원천이자 에너지 순환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인 생태 환경이 중요한 구성요소임 문화생태계의 환경적 요소는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음 하나는 문화의 생산 유통 소비의 선순환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긍정 적 에너지원으로서의 인프라임 다른 하나는 자연생태계의 먹이사슬과 유사하면서도 구분되는 공존 상생의 건강한 문화생태계의 지속 확산과 관련된 제반 환경임 46 [그 림 2-7] K-Culture의 문 화 생 태 계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2. 한류 진흥의 비전과 방향 가. 한류 진흥의 의의 1) 한류 현상의 세계적 의미 한류는 IT기술의 발달로 국경과 시간의 장벽이 사라진 세계화 시대의 현 상임 군사 경제적 패권 국가들에 의해 점유돼 오던 문화영역의 일방성이 무 너지면서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 중인 한류는 새로운 문화적 전범의 하나임 후발 근대화 국가인 한국이 문화적 개방성 고유성 공존성을 특색으로 하는 자신의 문화적 저력을 기반으로 하여, 고유문화를 보존하면서도 보 편문명을 수용하는 방식을 창조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문명 간 대 화법을 창출한 사례로 이해되어야 함 2) 한류 현상의 국내적 의의 이런 맥락에서 한류는 한국인 자신이 한국문화의 특징을 재인식하게 만 든 계기이자 다른 문화와의 대화를 통해 발견된 자신의 모습임 무정형적 한국문화의 원천을 현대문화적 관점에서 새롭게 발견하게 만드 는 인식틀 이기도 함 아울러 이러한 발견과 소통의 과정 자체가 다른 국가에게 그들만의 ~류 를 창출할 수 있는 과정과 범례로서의 이중적 의미를 지닐 수 있음 한류란 한국이 나 즉 자기 자신을 스스로 발견하는 동시에 타인(외국)에게 자기발견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범례라는 차원에서의 문명사적 의미 부여가 47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필요함 3) 한류 3.0 단계의 한류 = 한국문화 재인식의 방향 기존 한류는 대중문화 중심의 콘텐츠 차원에 집중돼 있음 한류 3.0으로의 비약은, 이를 전통문화와 현대예술 방면으로 확대하여 한 국문화의 개방성 고유성 공존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자 하 는 것임 요컨대, 한국인 자신은 물론이고 외국인 혹은 세계의 입장에서도 한국문화 를 인지할 수 있는 패러다임 으로서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전환되어 야 함 나. 한류 진흥의 비전과 기대효과 1) 한류 3.0의 비전 세계와 공감하고 소통하는 문화한국 한류는 후발근대화 국가로서의 한국이 세계문명의 발전과 호혜공존을 가 능케 하는 새로운 대화법을 창출한 사례임 한류 확장의 원동력인 문화적 개방성 고유성 공존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세계인과 함께 한류를 즐기고 느끼고, 한류를 통해 소통하는 것을 지향함 한류의 발전이 한국 자신만의 문화 발전이나 수출경쟁력 강화, 국가브 랜드의 제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와 유사한 역사적 경험을 소유 한 국가들에게 자신들만의 ~류 를 창출할 수 있는 사례가 되고 보편 48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문명과의 소통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기능해야 함을 의미함 반한류 혐한류의 기운이 높아지는 현실에서 한류의 진흥이 지향하는 비전을 세계문명의 차원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일부 왜곡된 한국문화의 우월주의나 폐쇄성의 가능성을 차단함 동아시아 경제 발전의 모델 로서의 한국이 이제는 동아시아 문화 발전 의 모델 로 자리 잡을 뿐만 아니라 21세기가 요구하는 문화다양성과 선도성의 중심으로 부상하여 새로운 문명사적 흐름을 주도하려는 의지 를 나타냄 [그 림 2-8] 한 류 진 흥 의 비 전 방 향 전 략 2) 한류 3.0의 기대효과 한류 진흥에 따른 기대효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음 49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첫째, 국가브랜드 제고에 기여함 이는 한국에 대한 인지도의 상승과 함께 국가이미지의 긍정성을 강화하여 문화한국으로서의 선도성과 평화공존에의 욕구를 실체화하는 의미를 지님 둘째, 경제 활성화에 기여함 수출, 내수, 일자리 창출에서 한류의 경제성은 이미 입증된 바 있으며, 향후 한류산업의 고도화를 통해 경제적 가치가 증대될 것임 셋째, 한국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 한류의 의미는 궁극적으로 한국과 한국인 자신에게로 귀결되어야 하며, 그것 은 삶의 질 제고로 구체화될 것임 다.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한류 진흥은 K-Culture 문화생태계 구조의 지속과 확산을 목적으로 함 3대 방향은 원칙적으로 K-Culture의 문화생태계 구조를 바탕으로 삼아 도출되어야 함 1) 인간본위 : 사람을 위한 한류 인력은 문화자원을 창조적으로 발굴하는 역량이자 동시에 콘텐츠화 기술 개발을 통해 창의적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이중의 역할을 담당함 한류 3.0 시대 K-Culture 진흥의 기본 방향은 사람=인적 자원 에 초점 을 맞추어야 함 궁극적으로 K-Culture의 문화적 소비 주체가 생산 주체로 진화함으로써 자생적 확산의 구조를 창출하기 위해서도, 문화적 주체로서의 인간 에 기본 방향성을 두어야 함 50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한류 진흥의 추진방향은 인간을 중심에 두는 인간본위의 방향으로, 이는 가치로서의 휴머니즘은 물론 주체로서의 사람을 중시하는 이중적 의미를 지님 한류가 제시하는 가치로서의 휴머니즘은 공감하고 소통하는 문화한국 이 라는 비전의 구체적인 실천방향이자 영혼 없는 발전 을 추구해온 근대문 명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서 한류의 가치를 제시하고 극대화하려는 문 제의식의 소산임 아울러 한류 진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류콘텐츠 개발 주체들의 복지 와 역량 강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한 편, 향유자인 세계 시민들에게 한류가 어떠한 즐거움과 의미를 선사할지 를 중점적으로 고민하려는 중점 방향이기도 함 2) 법고창신 :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한류 K-Culture 문화생태계에서 환경 적응력의 증대야말로 한류 3.0 시대의 가장 큰 과제라 할 수 있음 한류의 성공은 결국 국내 문화생태계 뿐만 아니라 국외 문화생태계 속에 서도 증식 가능하는 생태적 종( 種 )으로서의 문화콘텐츠 생산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종( 種 ) 다양성의 환경 조성이 필수적임 종( 種 ) 다양성은 결국 문화콘텐츠 생산에 활용되는 문화적 자원의 다양화 다원화와 직접 연결되는 과제임 특히 국외 문화생태계의 종( 種 )들과 구별되는 특색을 구비하기 위해서, 전통문화를 문화자원으로 적극 개발 활용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 해야 함 한류 진흥의 추진방향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계승하되 법고창신 의 정신 으로 재창조하는 계승과 창조의 변증법 속에서 이루어져야 함 51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법고창신 은 전통문화의 현대적 계승과 재창조의 방법론으로 숙고됨 한류의 한국적 특색을 주류화하고 또한 그것을 현대적 가치 방법 형식 으로 재탄생시켜 세계시민이 창조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전환시키려는 방법론적 고민의 산물임 한류 3.0 시대의 주요한 터전이자 방법론적 저수지인 전통문화를 진흥시 키기 위해서는 법고창신 의 정신에 입각한 전략과 구체적인 정책들을 창 안하고 혁신할 필요가 있음 3) 세계교린 : 세계와 함께하는 한류 한류라는 문화 현상은 기본적으로 현대 문화가 글로벌한 환경 속에서 향 유된다는 시대적 산물이며, 한류 3.0 시대의 K-Culture는 이에 대해 더 자각적인 인식을 갖추어야 함 K-Culture의 문화생태계에 서식하는 문화적 종( 種 )들은 기본적으로 국외 의 문화생태계에서의 서식 유통을 기본전제로 함 K-Culture의 향유 주체는 내국인 외국인의 구분이 이미 모호해지고 있음 한류 3.0 단계의 K-Culture에서 법고창신 의 내적 자기 인식은 선린우호 세계교린의 상호 소통과 선순환적 연계를 뚜렷이 해야 함 한류 진흥의 추진방향은 세계의 모든 국가, 시민들과 함께 문화 다양성과 문화 평등성의 가치를 공유하며 한국문화의 역동성을 세계인과 함께 나 누고 문화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가치를 재천명하는 세계교린의 정신 속 에서 구현되어야 함 세계교린 은 한류의 세계화를 지향하는 한편 소통과 화합의 전령사로서 한국문화의 특성을 세계적인 차원에서 확산하려는 방향성의 산물임 아울러 세계교린 은 반한류 혐한류가 제기되는 현실에서 세계인의 보편 52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적 감수성에 호소하는 창조전략으로서 한류의 지속성과 가치를 보장하고 지속시켜주는 방향으로 기능하여야 함 3. 한류 진흥의 전략 가. 전략 수립의 방향 한류의 확대를 지향하는 전략적 개념으로서 K-Culture는 전통문화, 문화 예술(K-Arts), 콘텐츠산업을 포괄하는 개념임 한류의 지속적 발전을 염두에 둘 때, K-Culture는 한류 3.0 시대의 전 략적 개념으로 보아야 하며, 이후에는 그 시대의 과제를 반영한 새로운 전략 개념이 도출되어야 함 K-Culture의 구성요소를 전통문화, 문화예술, 콘텐츠산업으로 보면 한류 의 발전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한계에 봉착하게 됨 첫째, 이러한 이해 방식은 한류의 발전을 단순히 영역의 확대, 즉 대중 문화 위주의 한류가 전통문화, 문화예술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이 해하면 각 영역간의 복합적 연계성과 이를 통한 한류의 질적 발전이라 는 측면을 간과하게 됨 둘째, 전통문화, 문화예술, 콘텐츠산업은 각자 고유한 특성과 생산 매커 니즘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해방식은 K-Culture의 진흥을 영역간의 물리적 결합으로 한정하게 됨 K-Culture의 진흥, 즉 전통문화, 문화예술, 콘텐츠산업이 각각 발전하면 서 동시에 한류의 총체적 발전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K-Culture 역량의 구성요소를 새롭게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접근방법은 K-Culture의 진흥이란 K-Culture의 무엇을 어떻게 진흥시켜야 하는가의 근본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임 53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K-Culture의 발전을 가능케 하는 힘(핵심 역량)은 어디에 있으며, 그것 의 지속 발전은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점을 구체화함으로써 K-Culture 진흥 전략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려는 시도임 나. 한류역량의 구성요소 한류 3.0 시대의 핵심역량, 즉 K-Culture의 역량을 구성하는 요소는 전 통문화, 문화예술, 콘텐츠산업 분야를 전반적으로 포괄하면서 동시에 각 각의 특성 및 상호간의 연계성을 통하여 한류의 질적 발전을 추동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되어야 함 전통문화, 문화예술, 콘텐츠산업 분야를 전반적으로 포괄하는 역량은 곧 한 사회의 총체적인 문화 역량이라 할 수 있음 한류의 질적 발전이란 한류의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해 인간다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며, 한류 역량의 구성요소 역시 이러한 목표 실현과 관계된 것이어야 함 이러한 관점에서 한류의 역량을 구성하는 요소는 1 자원, 2 콘텐츠, 3 인프라, 4 국제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음 한류역량의 구성요소는 상호간 복합적인 연계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류역량의 구성요소는 각자 자신의 발전을 위해 다른 요소의 발전을 필연적으로 요구하게 되며, 또한 다른 요소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개입 하게 됨 한류역량 구성요소의 특징에 기반한 한류 3.0 시대의 진흥전략은 지난 10 여 년간 한류 경험에서 확인된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한류의 지속 적 발전을 위해서는 국내외적으로 드러난 문제점 해결에 보다 주목해야 한 다는 입장에서 수립되어야 함 54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그 림 2-9] 한 류 역 량 의 구 성 요 소 다. 한류 진흥 4대 전략 1) 창의적인 자원 개발 21세기 지식기반사회, 문화기반사회로의 전환과 더불어 창의성이 지속 발 전의 핵심 동력으로 부각되고 있음 영국은 이미 1998년 Creative Britain을, 미국은 2000년 Creative America를 발표한 바 있음 그밖에 다른 나라들도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창의적인 국가를 만들기 위한 청사진들을 속속 발표해 왔음 선진국들은 이미 지식정보사회를 넘어 창조적 계급과 창조산업이 경제 55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를 이끌어 가는 창의적 문화기반 경제로 진입하고 있음 성장의 핵심축이 지식과 정보 에서 창의성 으로 전환 창의성 개념의 확장 국가 발전 동력으로서의 창의성은 예술이나 과학의 전유물이 아니라 상상가능한 모든 영역에서의 문제제기와 문제풀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폭넓게 정의될 필요가 있음. 창의성은 다르게 보고 다르게 생각하는 태 도이자 능력임(문화관광부, <창의한국>, 2004. 28쪽) 집단 창의력(Collective Creativity) : 사람들은 창의성을 신비한 혼자만 의 행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또 그들은 창조적 생산물을 하나의 단순한 아이디어로 줄여 생각한다 영화 제작이나 다른 많은 복잡 한 상품개발에 있어서 창의성이란, 수없이 많은 문제들을 풀기 위해 다 양한 분야의 수많은 사람들이 효과적으로 함께 일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 Ed Catmull, <Pixar의 집단 창의력 양성 방법> 7) 한류역량의 핵심이자 근원은 창의적인 인재에 있으며, 한 국가가 보유한 가장 위대한 자원 역시 창의적인 국민임 한류의 지속 발전, 더 나아가 국가의 지속 발전 여부는 창의적 국민이 지 속적으로 배양되고 있는가에 달려있음 한류의 경험을 반추해 볼 때, 한류성공의 핵심 요인은 창의적 인재에 있으며, 이것은 향후에도 한류 지속 발전의 핵심 역량이 될 것임 따라서 어떠한 인재를 어떻게 배양하느냐의 문제가 한류 진흥의 핵심적 과제 가 될 것임 창의성은 자유로운 환경 속에서 스스로 기르는 것임 문화는 창의성을 길러주는 인큐베이터임 7) Ed Catmull, How Pixar Fosters Collective Creativity, Harvard Business Review, September 2008, p4. 56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문화가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문화 자체가 창의적 과정의 산물이자 영적, 지적, 정서적, 신체적 활동의 최고 결정체로서 가장 직 접적으로 창의성을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임 장구한 예술의 역사는 우리에게 무수한 사례들을 보여줌 우리는 최고의 권위를 가졌던 어떠한 예술도 새로운 시대가 요청하는 도전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결국 박제화된 전통이 되어버리며, 전통의 계승 발전과 새로운 표현양식의 창조는 새로운 도전을 민감하게 받아 들이고 기존의 표현양식이 갖는 한계를 넘어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는 실험을 마다하지 않았던 예술가들의 혁신에 의해 가능했다는 것을 보아왔음 따라서 창의적인 자원의 배양은 기타 한류역량 구성요소, 즉 콘텐츠, 인 프라, 국제환경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반대로 직접적인 영향 을 주기도 함 창의성의 관점에서 자원을 바라본다는 것은 민족주의적 소재주의를 넘어 서려는 시도임 한류가 다양한 국가와 민족에게 수용될 수 있었던 요인은 한국적 소 재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적 창의성 에 있음 세계 모든 국가와 민족의 문화유산을 소재로 활용하는 미국의 헐리우 드 콘텐츠가 사실상 가장 미국적이라는 역설 <뮬란>과 <쿵푸팬더>는 중국 콘텐츠가 아니라 미국 콘텐츠로 볼 수 있음 창의적인 자원 배양의 토대는 한국적 인문가치에 있음 전통문화는 우리 민족의 창의성이 집약된 산물이나 전통문화 자체가 창의성을 대신하지는 않음 오늘날 전통문화가 우리에게 다시 중요한 이유는 무엇보다 현재, 그리 고 미래의 가치와 관련되기 때문이며, 우리가 전통문화를 통해 발굴하 57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고자 하는 것은 소재가 아니라 전통문화를 관통하는 창의적 가치임 한류의 발전 가능성은 서구 자본주의적 문화에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 하는 이른바 아시아적 인문가치의 발견과 창조에 있으며, 이것이 바로 한류의 원형이자 한류 콘텐츠의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자임 한국적 인문가치에 기반한 창의성의 관점으로 세계 모든 문화유산에 다가가 는 개방적, 능동적 자세야말로 창의적 자원 배양의 요체임 2) 융합형 콘텐츠 개발 디지털기술의 발달에 따라 콘텐츠, 네트워크, 단말기, 사업자, 서비스 등 모든 부문에서 융합 현상이 전개 콘텐츠의 융합 :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방송과 같이 콘텐츠 제작과 유통에 있어 융합형 등장 네트워크(망)의 융합 :방송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 통신망을 통한 방 송 서비스의 제공 형태 서비스 융합 : 방송과 통신의 특성을 모두 가진 서비스 출현 사업자 융합 : 통신 및 방송사업자가 다른 영역에 진출 단말기의 융합 : 단말기에 방송과 통신 서비스가 수렴 최근 IT산업의 스마트화 3D화 다채널화로 집약되는 패러다임 변화는 콘텐츠산업에 새로운 도약 기회를 부여함 3D화[ 化 ] : 콘텐츠산업의 생산-유통-기기 업체 모두가 실사수준의 3D 콘텐츠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 중에 있음 스마트화[ 化 ] : 아이폰으로 촉발된 스마트 혁명은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와 개방형 마켓(앱스토어)의 동반성장과 함께 콘텐츠의 스마 트 서비스화 촉진 58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N-스크린화[ 化 ] : 스마트폰의 성장, 스마트TV의 개발, 클라우드 컴퓨 팅 본격화 등 통신환경이 급속히 변하면서 콘텐츠서비스를 끊김 없이 볼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 활성화 전망 최근 차세대 콘텐츠의 개념은 단순한 미디어와 콘텐츠의 융합에서 벗어 나, 제조업, 서비스업,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미디어 등 기획부터 소비에 이르는 전 가치사슬에 참여하는 콘텐츠 생태계와 관련이 있는 분야로, 창 조적 행위와 관련된 모든 연관 산업의 영역까지 확장되고 있음 문화유산, 생활양식, 창의적 아이디어, 가치관 등 문화적 요소들이 콘텐 츠로 재구성, 유통되면서 다양한 기기와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융합되 어 고부가가치를 갖는 상품으로 전환됨 콘텐츠산업에 대한 융합화가 지속될수록 향후 콘텐츠 영역의 변화가 다 양하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됨 산업분야 측면에서는 영화, 방송,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기존 콘 텐츠 간 결합과 타산업과의 결합으로 관광, 가상현실, 컴퓨터그래픽, 테 마파크, 양방향 콘텐츠, 모바일 콘텐츠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형태 측면에서는 음성, 문자,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등의 문화콘텐츠 가 향후 기술혁신으로 파일 형태의 디지털콘텐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등으로 다양화 될 전망임 유통 측면에서는 향후 방송, 통신, 출판, 공연, 전시 등의 문화콘텐츠가 방송통신 융합으로 새로운 매체인 WiBro, IPTV 등에 탑재되어 콘텐츠 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CT(Culture Technology) 기반의 콘텐츠 기획 및 개발 역량 강화 디지털 융합과 장르간 융합 등 기술 변화는 가속화되고 있으나 콘텐츠 기술, 콘텐츠 기획, 경영전략 등에 있어 이를 뒷받침 할 전문화된 역량 이 부족함 콘텐츠 관련 업체들이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핵심기술 개발 보급을 59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통해 국제경쟁력 있는 고품질의 콘텐츠 개발이 요청됨 콘텐츠 관련 기술의 첨단화 고도화를 통해 콘텐츠산업이 중장기적으 로 성장해 갈 수 있는 안정적 여건 조성이 필요함 콘텐츠 융합 시대에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창의 력과 인문학적인 사고임 애플사가 인문학 기반의 콘텐츠와 과학기술 기반의 하드웨어를 접목한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개발하여 시장경쟁력의 우위를 점유했던 것은 좋 은 모범사례임 매체와 환경, 인프라의 변화에도 콘텐츠는 본질적으로 문화적 상품특성 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상품의 경쟁력은 여전히 창의력과 기획력에 의 존하고 있음 예술장르 간 융합, 문화와 기술의 융합, 전통과 현대의 융합, 문화와 관광 의 융합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융합을 통한 콘텐츠의 창조적 개발은 콘 텐츠산업의 특징이자 경쟁력의 핵심이라 할 수 있음 SNS를 기반으로 폭발적으로 확산된 K-Pop의 사례에서 보듯이, 융합 콘텐츠의 활용을 통해 문화정체성과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브랜드의 창출이 갈수록 중요해 질 것으로 보임 3) 선진형 인프라 구축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한류를 육성하고, 이러한 한류 진흥이 경제성장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함 인프라는 창의적 자원, 융합형 콘텐츠, 친한류 국제환경의 생태계를 가 능케 하는 기반임 60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국내외 문화예술에 대한 다양한 층차의 참여는 창의적 자원배양과 융 합형 콘텐츠 개발의 자양분이 될 것이며, 선진형 법 제도 환경은 공정 하고 상생하는 문화생태계를 보장해 줄 수 있을 것임 수용자를 위한 쉽고, 재미있고, 품격 있는 공공서비스 시스템 구축 국내 문화관광 유적지 및 문화예술 시설에 대한 선진형 서비스 시스템 구축 지속 가능한 한류는 끊임없는 자기 혁신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 한류는 고정된 결과물이 아니라 부단한 혁신의 과정으로 정체성을 확 립할 때 지속 가능함 한류 혁신의 과정에는 한류 자원, 콘텐츠, 공공인프라, 산업생태계 등 전반에 걸친 비판의식과 개선의 노력, 가치의 재발견과 창조, 다양한 계층 및 문화와의 소통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함 지속 가능한 한류는 대중성과 고급성의 융합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 그동안 한류는 상업적 목적을 위주로 한 대중성 확대를 중심으로 진행 되어 왔고, 이러한 경향은 한류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끊임없는 위기의 식을 생산했음 반한류 혐한류 논리는 표면적으로 보수적 민족주의의 성향을 농후하 게 보이고 있지만, 이면에는 한류의 문화적 가치를 인정할 수 없다는 가치평가가 내재해 있음 지속 가능한 한류는 한류의 이론화, 담론화를 통해 국내외 지식인 계층의 관 심을 유도하고, 이러한 논의를 혁신과 발전의 동력으로 삼을 때 실현될 수 있음 21세기 동아시아의 중요한 문화현상의 하나로 한류에 대한 연구가 해외 에서도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시점에서 한류에 대한 담론을 적극적 으로 선도함으로써 한류연구를 세계 문화연구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음 61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콘텐츠산업을 구성하는 산업사슬 각 영역에서 공정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한류 콘텐츠의 질적 제고 및 다양화 모색 우리나라 콘텐츠산업 환경은 플랫폼 사업자의 힘의 우위가 지속 되면 서 불공정거래 관행 고착 등 대-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체계가 부족함 <콘텐츠산업진흥계획>(2011) 애플,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은 콘텐츠와 서비스, 기기를 연계 또는 제 휴하는 전략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4) 친한류 국제환경 조성 세계화와 자유무역환경에 따른 문화다양성 및 정체성 보호의 중요성이 갈수록 증대됨 자유무역과 비교우위의 시장논리가 문화예술 분야에도 침투함으로써 민족과 국가, 종족의 문화정체성 및 다양성 상실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 음 공존과 상생에 기반한 국제적 문화소통은 문화적 차이에 대한 편견을 불식시키고 타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세계 문화다양성 확보는 물론 국내 문화예술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음 교류의 편중성과 일방향성을 지양하고 교류지역의 다변화와 쌍방향성 교 류를 통한 한류 확대의 토대를 마련해야 함 그동안 문화예술 교류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 으며 한류의 거점이자 확산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아시아, 남미, 중동 지역과의 교류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경향이 있음 문화교류의 방식 또한 우리 문화의 일방적 소개와 홍보에 치중하였고, 외국 문화의 국내 소개도 선진국의 일부 장르에 편중되었을 뿐 아니라 방어적 입장에서 소극적 태도로 수용했던 것이 사실임 62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세계시장에서의 경제력 규모에 걸맞는 문화적 위상 제고를 위해 기존 의 일방적인 진출방식에서 탈피하여 타국 문화에 대한 개방과 적극적 인 수용자세를 고려한 균형적인 문화교류 방식으로의 접근이 필요함 한류의 일방적 진출에 대한 현지의 반발과 혐한류 반한류 등의 정서 를 고려하여 동남아시아 등 개도국 문화를 포함한 다양한 국적과 장르 의 문화를 소개함으로써 국내 문화다양성 및 창의성 증진에 기여하도 록 해야 함 국제교류 활동에 진취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해외 문화예술에 대한 전문지 식과 최신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문화예술의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음 국가 중심의 교류를 탈피하여 예술가, 예술단체 및 기업 등의 민간역량이 중심이 되는 문화예술 교류 및 인적 네크워크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우리 문화예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높이는 계기로 삼음 해외시장 진출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 해외시장 진출 역량 강화 및 해외진출 네트워크 구축을 토대로 효과적 인 해외진출 전략 추진이 필요함 콘텐츠업계와 제조업의 상생전략 추진을 통해 한류의 안정화 및 지속 발전을 도모함 라. 4대 전략과 K-Culture 1) 전통문화 전통문화를 자원 의 영역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자원-콘텐츠-인프라-생 태계 속에서 복합적으로 연계된 실체로 간주함 그간 전통문화는 한류 콘텐츠의 원천이자 관련 산업의 자원으로, 특히 국 63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가브랜드(정체성과 이미지)와 관련되어 이해되어 왔으며, 정부의 사업 역 시 주로 문화원형 디지털화 및 DB화에 치중함으로써 콘텐츠 활용도 제고 가 미흡하였음 전통문화에 대한 소재주의적 접근을 지양하고, 가치지향적 접근을 통해 전통과 현대의 융합, 문화와 기술의 융합, 국내문화와 국외문화의 융합,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의 융합, 복지와 발전의 융합, 문화 관광 체육의 융합을 가능하게 함 한류는 세계적 보편성과 선진성을 체현함으로써 지속 발전의 동력을 확보 할 수 있음 영혼 없는 발전 으로 묘사되는 서구적 현대화에 대한 미래지향적 대안모색 이라는 측면에서 전통문화에 접근할 때 세계적 보편성과 선진성을 체현할 수 있음 K-Culture의 관점에서 전통문화의 발전에 방향성과 원칙을 제공함으로써 한류뿐만 아니라 전통문화 자체의 지속 발전을 추구함 2) 문화예술 한류의 핵심 경쟁력이 다양성 과 창의성 여부에 있으며, 이러한 다양성과 창의성을 배양하는 인큐베이터로서 문화예술(K-Arts)의 발전을 지원함 문화예술(K-Arts)의 창의성이 전통문화, 외래문화, 대중문화, 그리고 첨단 기술과의 개방적, 다각적 융합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관점 을 견지함 한류의 확산과 발전이 대중화만이 아니라 명품화(고급화)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며, 이를 위해 문화예술(K-Arts)의 한류화와 한류 의 명품화를 지향함 오늘날 예술 경향의 다변화는 순수예술과 문화산업이라는 이분법적 사 64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고에서 벗어나 예술의 산업화 를 추구해야 할 시점임 예술의 산업화는 상품화를 통한 경제 가치 추구가 아니라 예술의 창작, 유통, 소비 단계의 합리화와 체계화, 즉 예술구조의 산업화를 통한 예 술의 자생력 확보가 목표임 3) 문화콘텐츠 한류의 진흥에 있어 콘텐츠산업의 선진화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함 산업생태계의 선진화가 지향하는 바는 공생 발전 모델임. 즉 창작-제 작-서비스-소비자의 공생 발전, 전통문화-순수예술-대중문화의 공생 발전, 국내산업과 해외산업의 공생 발전 모델 등을 지향함 기술선진화는 차세대 융합형 선도기술 개발, 종합적 정보관리시스템, 국제적 기술협력시스템 등으로 표현됨 유통선진화는 스마트기반 유통망 구축, 해외 지역별 분야별 유통네트 워크 구축, 종합적 한류콘텐츠 거래소 등으로 표현됨 서비스선진화는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한류 서비스 및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 개발, 해외 현지의 한류 공공 서비스 등으로 표현됨 행정선진화는 거버넌스 체계의 내실화, 블루오션 전략 개발, 공정경쟁 환경 조성 등으로 표현됨 마. 4대 전략에 따른 핵심과제 도출 1) 자원 : 창의적인 자원 배양 한류원형 탐사 65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K-Culture의 원형탐구와 확산과 관련된 과제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이를 한국형 스토리로 접목 인재 육성 한류의 장기지속을 그 근원에서 떠받칠 수 있는 전문 인력, 미래 인재 의 육성 창의적 전통문화 인재, 세계적 예술가 양성, 문화교류 및 글로벌 전문 가 양성 2) 콘텐츠 : 명품 융합형 콘텐츠 개발 명품 콘텐츠 개발 전통문화에 기반한 명품콘텐츠 개발과 관련된 과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 축제 개발 융 복합 콘텐츠 개발 전통문화 문화예술 문화콘텐츠가 상호 연계된 융합형 콘텐츠 개발 문화와 테크놀로지가 선순환하는 스마트 코리아, 아트 코리아 의 실천 3) 인프라 : 선진형 인프라 구축 한류 기반 구축 전통문화 문화예술의 창작과 향유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한류의 지속과 심화를 위한 지적 토대 확보 네트워킹 선순환 문화생태계 조성 문화예술 대중문화의 개별 장르의 동반성장 66

Ⅱ. 한류 3.0 시대 : 한류 진흥의 방향 설정 문화콘텐츠업계의 투명성 강화 및 저작권 보호 4) 국제환경 : 친한류 국제환경 조성 쌍방향 문화교류 세계인과 함께하는 문화교류의 추진 인적교류, 공동제작, 아시아 문화교류, 문화 ODA의 활성화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문화콘텐츠의 해외진출 지원체계 구축 문화콘텐츠와 제조업 서비스업의 공생 발전을 위한 지원 [그 림 2-10] 한 류 진 흥 의 4대 전 략 67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그 림 2-11] 한 류 진 흥 의 전 략 과 핵 심 과 제 68

Ⅲ. 한류 진흥을 위한 정책과제 Ⅲ. 한류 진흥을 위한 정책과제 한류 진흥의 방향과 전략을 토대로 추출한 8개 핵심과제의 주요 내용과 하위과제, 사업들을 제시함 <표 3-1> 한 류 진 흥 을 위 한 주 요 과 제 들 핵 심 과 제 중 점 과 제 세 부 과 제 원 형 탐 사 K-Prototype 인 재 육 성 K-Human Resource 명 품 콘 텐 츠 개 발 K-Brand 융 복 합 콘 텐 츠 개 발 K-Convergence 문 화 원 형 발 굴 및 활 용 도 제 고 한 국 형 스 토 리 개 발 과 확 산 창 의 적 전 통 문 화 인 력 양 성 세 계 적 예 술 인 양 성 체 계 구 축 문 화 교 류 전 문 가 양 성 글 로 벌 한 류 인 재 양 성 K-Musical 제 작 및 유 통 지 원 명 품 공 연 및 축 제 개 발 명 품 전 통 문 화 의 현 대 화 전 통 문 화 융 합 콘 텐 츠 개 발 명 품 유 전 자 발 굴 및 확 산 전 통 문 화 원 형 복 원 스 토 리 창 조 원 천 발 굴 한 국 형 스 토 리 확 산 한 국 고 전 의 외 국 어 번 역 활 성 화 창 의 교 육 실 용 교 육 강 화 한 류 아 카 데 미 운 영 한 국 예 술 영 재 학 교 설 립 국 립 발 레 학 교 운 영 미 술 공 연 예 술 분 야 기 획 인 력 양 성 콘 텐 츠 글 로 벌 마 켓 전 문 가 양 성 한 류 오 피 니 언 리 더 양 성 재 외 거 주 한 국 인 의 한 류 역 량 강 화 창 작 뮤 지 컬 지 원 확 대 전 통 문 화 소 재 창 작 뮤 지 컬 개 발 대 표 공 연 축 제 개 발 아 리 랑 의 세 계 화 고 품 격 한 국 형 디 자 인 적 용 한 국 형 생 활 문 화 보 급 확 대 테 마 형 체 험 공 간 조 성 문 화 유 산 의 관 광 자 원 화 전 통 예 술 의 현 대 화 디 지 털 전 통 문 화 서 비 스 69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핵 심 과 제 중 점 과 제 세 부 과 제 한 류 기 반 구 축 K-System 선 순 환 문 화 생 태 계 조 성 K-Ecosystem 쌍 방 향 문 화 교 류 추 진 K-Exchange 70 관 광 연 계 프 로 그 램 확 산 스 마 트 문 화 예 술 창 조 전 통 문 화 창 작 및 향 유 기 회 확 대 콘 텐 츠 창 작 공 간 조 성 및 재 원 확 대 스 토 리 텔 링 역 량 강 화 네 트 워 크 구 축 및 연 구 활 동 지 원 기 초 장 르 지 원 을 통 한 다 양 성 확 보 공 정 거 래 환 경 조 성 저 작 권 보 호 강 화 인 력 교 류 및 공 동 제 작 활 성 화 재 외 문 화 공 관 의 역 할 강 화 아 시 아 문 화 교 류 강 화 한 류 를 활 용 한 관 광 이 미 지 창 출 한 류 체 험 관 광 확 대 디 지 털 한 류 기 반 조 성 문 화 예 술 의 첨 단 화 융 복 합 프 로 젝 트 지 원 확 대 제 작 및 유 통 인 프 라 구 축 법 제 도 개 선 전 통 문 화 향 유 의 접 근 성 제 고 소 외 계 층 의 전 통 문 화 체 험 확 대 K-Pop 공 연 기 반 구 축 영 상 산 업 제 작 인 프 라 구 축 펀 드 확 대 및 다 양 화 스 토 리 창 조 원 조 성 스 토 리 마 켓 활 성 화 한 류 네 트 워 크 구 축 한 류 연 구 및 번 역 지 원 한 류 콘 텐 츠 의 기 초 장 르 지 원 만 화 애 니 메 이 션 지 원 대 중 문 화 예 술 계 의 투 명 성 제 고 공 정 거 래 확 산 을 위 한 제 도 개 선 콘 텐 츠 유 통 구 조 합 리 화 문 화 지 킴 이 사 회 적 기 업 지 원 한 류 저 작 권 보 호 무 형 문 화 유 산 보 호 인 적 교 류 활 성 화 공 동 제 작 협 력 강 화 재 외 문 화 공 관 협 력 체 계 구 축 및 확 충 재 외 문 화 공 관 기 능 강 화 아 시 아 문 화 교 류 의 확 대 아 시 아 문 화 전 당 프 로 그 램 개 발

Ⅲ. 한류 진흥을 위한 정책과제 핵 심 과 제 중 점 과 제 세 부 과 제 글 로 벌 시 장 진 출 지 원 K-Global Market 문 화 ODA 강 화 국 제 행 사 의 적 극 활 용 전 통 문 화 의 글 로 벌 화 문 화 예 술 장 르 별 해 외 진 출 지 원 콘 텐 츠 해 외 진 출 지 원 체 계 구 축 한 류 와 제 조 업 의 공 존 발 전 문 화 예 술 및 문 화 유 산 분 야 문 화 산 업 분 야 체 육 분 야 관 광 분 야 계 기 성 문 화 행 사 활 성 화 문 화 교 류 계 획 수 립 국 제 적 홍 보 강 화 대 기 업 플 랫 폼 활 용 해 외 판 로 개 척 지 원 대 표 작 가 브 랜 드 화 작 가 (작 품 ) 소 개 홍 보 강 화 수 요 자 현 장 중 심 의 지 원 체 계 구 축 한 류 진 출 채 널 의 다 양 화 공 존 발 전 기 반 구 축 동 반 성 장 모 델 개 발 1. K-Prototype : 원형 탐사 8) 한국문화의 보편성과 세계성을 장기적으로 이끌어 나갈 문화원형 및 문 화원천을 탐구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대중화와 세계화의 기반을 마련함 전통문화에 내재한 문화원형의 발굴사업과 활용도 제고 문화원형을 한국형 스토리 로 재창조 8) Ⅲ에서 제시한 과제(사업)들은 <2012년 한류 진흥 3대 방안>를 토대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 위사업 수준에서 기술된 내용은 세 가지 보고서와 동일한 경우가 많음 71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표 3-2> K-Prototype : 원 형 탐 사 주 요 과 제 중 점 과 제 문 화 원 형 발 굴 및 활 용 도 제 고 세 부 과 제 명 품 유 전 자 발 굴 및 확 산 전 통 문 화 원 형 복 원 스 토 리 창 조 원 천 발 굴 한 국 형 스 토 리 개 발 과 확 산 한 국 형 스 토 리 확 산 한 국 고 전 의 외 국 어 번 역 활 성 화 가. 문화원형 발굴 및 활용도 제고 한국문화의 고유성과 보편성의 결합체인 한류의 지속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통에 내재한 명품 유전자 발굴 인문학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류 콘텐츠와 연결될 수 있는 한국형 유전자 발굴 문화원형 및 명품 유전자를 대중화하여 한류 콘텐츠로 적극 활용 <표 3-3> 문 화 원 형 발 굴 및 활 용 도 제 고 단 위 사 업 세 부 과 제 명 품 유 전 자 발 굴 및 확 산 전 통 문 화 원 형 복 원 단 위 사 업 한 국 문 화 유 전 자 발 굴 및 확 산 문 화 원 형 DB 활 용 도 제 고 전 통 문 양 DB 구 축 전 통 예 술 원 형 복 원 및 재 현 72

Ⅲ. 한류 진흥을 위한 정책과제 1) 명품유전자 발굴 및 확산 가)한국문화 유전자 발굴 및 확산 한국문화의 명품 인자들을 선별하여 개발함으로써 전통과 현대적 가치의 조화 전통문화와 문화유산에서 한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한국문화 DNA 를 발굴 K-Pop 등 현재의 한류에서 전통문화적 요인을 찾아내는 작업 병행 인문학계(역사, 문학, 철학)와 문화예술계의 전문가 및 일반국민을 대상으 로 조사 실시 키워드 및 테마별로 명품유전자를 발굴하여 활용도 제고 <표 3-4> 테 마 별 명 품 유 전 자 발 굴 구 분 전 통 문 화 한 국 의 얼 한 국 의 멋 한 국 의 맛 한 국 의 흥 한 국 의 정 한 국 의 인 물 선 비, 종 교 문 화 등 전 통 문 양, 건 축, 한 복 등 전 통 음 식, 전 통 주 등 전 통 연 희, 국 악 등 두 레, 품 앗 이 등 공 동 체 문 화 백 남 준 등 세 계 적 인 물 쉽고 재미 있는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 유도 한국의 정 에 대하여 저명인사의 강의, 관련 공연, 전시가 어우러진 토크 콘서트 개최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