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Word - 990921박철현.doc



Similar documents
장석정 (, ) I. 1),. 2) 1),.. 2). C. Wright, God s People in God s Land: Family, Land, and Property i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 Eerdmans Publishing

DBPIA-NURIMEDIA


íŁœêµŁìšŸ 목íı„ퟗ쉤욗 ê°’ìŁ‹íŁœ íŁŸë‡Ÿë‰Ÿ 욟 샓엱슒 촋쀒욗 ë‚fl 엤굒 ífl—뀋잗과 ê·¸ 쀆ìı©

Microsoft Word - Jeong_Korean.doc

엔코위논문조귀삼

00시작(1-5)

4-01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114 2, 115,,?,,,, (Distinctiveness of Humanity),, (eternity),,, 1),,, (, 1998), 344 (David Brower) 6 8, 4, 11 2/3, 2?, 2) ) 4) 5), 6) 2) John He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BDC5C7D0B0FA20BCB1B1B C1FD2E687770>

<B1B3C8B8BBE7C8B8BBE7BEF75F3236C8A35FBABBB9AE5F33C2F72E687770>

한반도-동남아해양교류-해양대콜로키움[1].hwp

ePapyrus PDF Document

08-심상길( )

<BEEEB9AEB7D5C3D C8A320C7D5BABB2839BFF93330C0CFBCF6C1A4BABB292E687770>

00½ÃÀÛ 5š

2 ㆍ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20輯 1 號 ) 와 팀스피리트 훈련 재개문제 로 모든 합의가 무산되었다. 이후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 북ㆍ미회담이 자리 잡게 되었고, 미국이 주요 행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북핵문제는 우여곡절 끝에 1994년 10월 북미

2008º½È£1

7-2.hwp

<C0FCC8C4BCD2BCB3B0FAC7E3B9ABC1D6C0C7C0FBB9CCC0C7BDC42DBABBB9AE2E687770>

< BBF3B9DDB1E228C6EDC1FD292E687770>

<3031C8ABB5E6C7A52E687770>

United Methodist Women: The Bible and Human Sexuality - Leader's Guide - Korean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DBPIA-NURIMEDIA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A Life History Rese

이에 이렇게 되었나니 주께서 그들에게 일러 이르시되, 일어나 내게로 나아와서 너희 손을 내 옆구리에 넣어 보고, 또 내 손과 내 발의 못 자국을 만져 보아 내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요, 온 땅의 하나님이며, 세상의 죄를 위하여 죽임을 당하였음을 알지어다. 그들이 이를 행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

88. (wasf) , ( ) ( ). ( ) ; (wasf). (description). 3,,, Michael V. Fox, The Cairo Love Songs, JAOS 100 (1980): 1

킹제임스 성경의 역사

Main Title

JSRT ( ) ( ) ( ) (K. Barth) (Christological). (Christomonism).. (Christological-centric theology).. 1. (Calvin).., (reality), (realities). cf.,, ( :,

의정연구_36호_0828.hwp

최승락(강의안).hwp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 2 - <위기의 한반도> 한 반도는 몇 가지 측면에서 그 어느 때보다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 그 첫째는 이슬람이 계획적으로 한반도( 韓 半 島 ) 안으로 교묘하게 침투해서 기독교 를 위협하는 동시에 테러세력으로 나타나 분쟁을 일으키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북한의 위

제2부_콜로키움_발표문집.hwp

<B1E8BCF6C1A4BEC6BDC3BEC620BFA9BCBAC0C720B1B9C1A6B0E1C8A5BFA120B4EBC7D120B9CCB5F0BEEE20B4E3B7D02E687770>

untitled

권두 칼럼 쁜 활동과 끊임없이 따라다니는 질투와 감시의 눈길을 피해 스도의 부활을 목격했기 때문이었다. 다시 사신 그리스도를 예수께서 이 집에 오시면 언제나 정성이 가득 담긴 음식을 그들이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 보았는데 도무지 아니라고 대접받고 휴식을 취했던 것으로

서 평 복음주의 발흥: 에드워즈, 휫필드, 웨슬리의 시대 마크 놀 지음 한성진 옮김, 2012년 기독교문서선교회(CLC) 복음주의, 특히 영미권의 복음주의 역사에 관심이 많 은 사람들에게 희소식이 될 만한 책이다. 마크 놀(Mark A. Noll)의 복음주의 발흥: 에

Coherence Relations in the Book of Jeremiah 30-33

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제2권 제1호 또 내용적으로 중대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개인은 흡사 어항 속의 금붕어 와 같은 신세로 전락할 운명에 처해있다. 현대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의 사적 영역이 얼마나 침해되고 있는지 는 양 비디오 사건 과 같은 연예인들의 사

歯'97(88).PDF

GMI_2010_10월호_pdf용.indd

歯M PDF


212 52,.,. 1),. (2007), (2009), (2010 ), Buzássyová, K.(1999), Bauer, L.(2001:36), Štekauer, P.(2001, 2002), Fernández-Domínguez(2009:88-91) (parole),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과목설명본세미나는구약성경의책을선택하여설교적측면들을이끌어내어강해설교를준비하는일에초점을지닌다. 이세미나는모델을제공하여학생들이연구와설교준비의효과적인평생훈련을확립하기위한목적을가진다. 주해부분은대개구약성서전공교수에의해, 그리고강해설교부분은설교학교수에의해가르쳐진다. 본과목은다른구

歯FFF01379.PDF

< FC3D6C1BE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남북한교과서에서나타난 민족정체성

.....hwp

. TV,,,, (Entertainment-Education Program),,,,,. (contents) (storytelling), (narrative), ( ).,,, (, 2005).. (Berger, 1997)., (, 2006; Jameson, 2000; R

차 례... 박영목 **.,... * **.,., ,,,.,,

정도와 발화 행동 사이의 관계는 자연화된 인식론의 탐구 주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콰인의 이러한 설명은 여전히 의문을 남긴다. 그것은 과학자들이 산술과 논리를 아예 의심의 범위 밖 에 두는 이유일 것이다. 여기서는 단순히 정도의 차이가 아닌, 원리적인 차이가 작동하고

봄호.PDF

Microsoft Word - NEW08_prof. Ma

석사논문연구계획서


<3539C1FD5FC0FCC3BC2E687770>

<33C2F DC5D8BDBAC6AEBEF0BEEEC7D02D3339C1FD2E687770>

<30312DC8ABBDC2C7E52E687770>

498 石 堂 論 叢 50집 이야기의 담론에서 발생하기에 독자의 삶에 깊이 관여한다. 인간은 본 능적으로 재현의 욕구가 있다. 재현된 형상화를 재형상화하면서 독자 는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이해한다. 그렇게 삶의 뜻을 다시 풀 어보고 행동을 통해 자기 삶을 새롭게

최종ok-1-4.hwp

<B5B5BCADB0FCB0FA20C0CEB9B02DBFB9BCFA2E707562>

< D5BC6EDC1FD5D20C1A634C2F720BFA9BCBAC7F6BEC820C6F7B7B320C0DAB7E1C1FD2E687770>

안동교회 90년사(pdf).PDF

04±èºÎ¼º

01노영재(1-26)ok

2013년 합격수기발표_0206_1.hwp


음악철학이해\(이기정\)

지방자치시대의 정책갈등 분석

<28C3D6C1BE2939BFF931C0CFB1B9B0A1BEC8BAB8C0FCB7ABC0DAB7E1C1FD2E687770>

선초 정재연구\(수정 및 첨가\)


<B0FCC1D6C7D1BFB5B4EBBFAABACEB7CF2E687770>

_KF_Bulletin webcopy

johosu.hwp

<BEE7BFB5B1D52E687770>

歯01러일전쟁과쉬프.PDF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1

< F35C2F7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한국교양교육학회/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주최 2015 추계전국학술대회 프로그램 주제 교양교육의 : 당면과제와 전망 일시 : 2015년 11월 20일(금) 14:00~19:00, 21일(토) 09:00~17:00 장소 : 경남대학교 1공학관(공과대학 6층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04_인덱스_ _먹1도

,,,,,, ),,, (Euripides) 2),, (Seneca, LA) 3), 1) )

03-이경희.hwp

(JH)

288 經, 35 卷 4 그러나 정작 CRM은 사용되는 상황이나 CRM을 보는 관점에 따라 그 의미가 분분 한 것이 실상이다. 예를 들면, 영업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CRM을 하나의 영업전략으 로 정의하고 있는 반면, 캠페인 관리를 하는 사람은 CRM을 좀더 개인화되고

<C7A5C1F620BEE7BDC4>

<C3D6C1BEBCF6C1A42DC1A4BDC5B9AEC8AD C8A32E687770>

±¹Åä11-Ç¥Áö

Transcription:

I.서론 24:12-40:38 은 크게 두 개의 스토리(story)로 구성되어 있다. 문서설적인 분석에 따르 면 대략 24:15b-18a;25:1-31:18a;35-40는 성막의 건설과 완성에 대한 이야기로 거의 만 장일치로 P로 간주되고, 24:12-15a,18b;31:18b-34:35(34:29-35는 논란의 여지가 있음)는 황금 송아지 이야기로 보통 JE로 간주된다. 현대의 역사비평학적인 관점에서 이 두 이야기는 확연히 독립된 두 개의 문헌단위로 간 주된다(Holzinger:107 등). 그리고 이러한 견해는 가장 최근에 나온 주석들 중의 하나이고, 정경적인 형태의 본문의 해설에 전념하고 있는 Houtman의 출애굽기 주석에도 반영되어 있 다(Houtman:291-2):I 1 24:12-18 는 출 25-40 장의 서론이다.출 25-40 장은 장막 성소의 건설에 대한 야웨 의 지시 및 그 지시의 수행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데 이 양자 간의 연결은 야웨와 이스라엘 간의 관계의 단절 및 회복을 말해 주고 있는 이야기인 출 32-34 장에 의해 끊겨져 있다.장 막 성소에 대한 본문은 문맥을 파괴하지 않고도 쉽게 제거되어질 수 있다(번역 필자). 그러나 우리가 이러한 역사비평학적인 결론을 수용한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정경적인 형 태의 본문(the text as it stands in its canonical form)이 현재 취하고 있는 모습을 제대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해야 할 일이 남아 있다는 생각을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왜냐하 면 대략적으로 현재의 본문은 24:12-18(황금 송아지/성막) 25-31 성막 32-34 황금 송아지(33:7-11, 회막 ) 35-40 성막 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오경의 최종편집자가 자기 앞에 놓인 상이한 두 문 서의 조합방법으로 택할 수 있는 가장 자연스러운 형태는 아니다. 이러한 구조는 이러한 구 조를 설정한 사람의 의도에 궁금증을 갖게 만든다. 또한 문서설적인 분석을 공고히 한 가장 중요한 학자인 wellhallsen 은 성막 이야기와 황금 송아지 이야기 사이에 어떤 연결점이 있 1 I 24:12-18 is de inieiding tot Ex.25-40,dat een bescmijving geefi van de instmcties van JHWH met betrekking tot de bollw van het tentheiligdom(ex.25-31)en de llitvoeiing daarvan(ex.35-4o), ondeibroken door Ex.32-34, het relaas over Israëls breuk met JHWH en over het herstel van de band met hem. De gedeeherl over het tentheiiigdom Iaten zich gemakelijk uit de tekst lichten, zonder dat de sangnhang damnder lijdt

음을 포착한 바가 있는데 그는 성막 이야기의 핵심인 법궤와 2 황금 송아지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은 오경의 최종적인 편집자가 이 두 제의기구를 서로 대비시 키기 위한 의도에서 나온 것이라고 생각했다(Wellhausen 1889:95). 이러한 요소들은 본문이 단순한 우연의 산물이 아니라 어떤 의도를 갖고 이러한 식으로 배열되지 않았는가 하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 하지만 이러한 독법이 20세기 오경 학계에서 최근까지도 중심적인 독법 아님에 틀림없다. 3 또한 최근에 와서 정경적인 본문에 치중하는 연방법론들이 점점 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성막 이야기와 황 금 송 아지 이야기를 같이 읽는 것은 연구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는 듯 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본문이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지만 여전히 학자들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하고 있는 이 특정 본문 상의 두 이야기의 상호관계에 대해서 연구해보고자 한다. II.역사적 개관 비평학 이전의 성경 연구자들은 당연히 양 이야기를 하나의 연결된 이야기로 연결해서 읽었다.그러나 이 경우 33:7-I1의 회막 에 대한 문단이 문제였다. 성막은 35-40장에 가서 야 만들어지는데 이미 33:7-11에 회막이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을 크게 두 가지가 제시되었다. 첫 번째는 오경의 에피소드들이 연대기적인 순서로 배열된 것이 아니라고 보고 원래의 연대기적인 순서를 재구성하는 것이 다.이 해결책을 따르는 주석가들은 황금 송아지 사건이 성막의 건설보다 먼저 일어났다는 설을 따르거나 그 반대의 설을 따랐다. 4 큰 두 번째 해결책은 회막 과 성막을 상이한 두 개의 개체로 보는 것이다.이 설을 따르는 주석가들은 이 회막을 모세의 장막으로 5 보거 나 그냥 성막이 지어지기까지 그 기능을 대신한 일시적 장막(Moberly:64)으로 보거나 두 개의 상이한 성막이 존재했다는 설을 제시했다. 이것들 중 마지막 해결책은 역사비평학의 등장과 함께 자료비평적으로 다시 각색되었다. 33:7-11의 회막 이야기는 민 11;12;신 31장의 회막에 대한 기록과 더불어 E자료에 속하 고 25-3I 35-40 의 성막 은 P자료에 속하는 것으로서 양자는 서로 전혀 다른 전승에 속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졌다. 6 2 벨하우젠은 법궤를 너무 높이 평가했기 때문에 이 것 없이는 성막이 의미 가 없다고 주장했다.물론 법궤의 중요성이 간과될 수는 없지만 그의 진술은 여전히 너무 지나치다고 볼 수 밖에 없다. 3 Rendtorff 는 벨하우젠은 정경적인 본문을 갖고 작업을 한 반면 후학들은 역사비평학적 으로 분리된 본문을 가지고 작업을 했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4 Leibowitz2:471-8K Calvin 1950:369, passim 5 LXX은 7절의 을להא 라고 번역 함으로 이런 해석을 반영하고 있다. 6 이에 대한 가장 상세한 연구는 Haran:260-75 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표준적인 학술용

이러한 비평학적 해결은 연대기적인 문제는 해소하였다. 그러나 그와 더불어 황금 송아 지 이야기와 성막 이야기 사이의 고리도 끊어졌다.비평학자들은 본문의 난제를 해결함으로 써 이 문제가 불러 일으켰던 양 이야기 사이의 관계의 문제도 간과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는 양 이야기를 함께 읽는 것은 현대의 구약 비평학에서 잃어버린 기술 (a lost art)이 되어 버렸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정경적 접근방법을 제시한 차일즈는 오경의 최종 적인 본문상의 성막 이야기와 황금 송아지 이야기의 배열이 의도적임 을 지적함으로써 시각전환의 필요성을 역 설했다. 그는 양 이야기의 경계선에 놓여 있는 31:18과 34:29-35 7 는 제사장적 편집자(the Priestly redactor)가 양자를 의도적으로 연결시키려고 한 것을 보여주며, 32-34장이 성막 이야기 한 가운데 위치한 것 역시 우연이 아니며, 34:29-35의 원래의 옛 전승이 35-40장 의 성막 이야기와의 연결을 위해 의도적으로 제사장적 편집작업(the Priestly redaction)에 의해 각색되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또한 그는 25-31장의 성막의 성막과 32장의 황금 송 아지 이야기 사이에 현저한 유사성(a remarkable paralielism)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비록 차일즈는 더 이상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키지는 않았지만 출애 굽기 내에서 현재 하고 있는 역할이 무엇인가 하는 맥락에서(구약의 정경 적 맥락에서) 성막을 이해하고자 하 는 이런 시도가 가진 진정한 힘을 느끼기 위해서는 성막 이야기에 대한[정경비평학적인] 주 해를 성막을 오직 그 역사적인 역할에 비추어서만 이해하려는 작금의 여러 해석 방법들과 비교해 보아야만 한다 (Childs:543)는 지적은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 귀 기울일만한 가치가 있다. 70년대 이후 정경비평과 기타 공시적 연구방법(synchronic approach)들 의 등장과 더불 어 우리는 황금 송아지 이야기와 성막 이야기를 함께 읽으려는 노력들이 점증하는 것을 발 견하게 된다.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본문의 모습 그대로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Hurowitz1983-1984;;S따na1991:215-20;1996;Josipovici:90-107;FIetheirn:266-67,280-81;Newing1981,1993에게서 볼 수 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Hurowitz의 연구이다. 성경 사전들도 거의 예외 없이 이 설을 따르고 있다. 고대의 유대교적 전통 속에서 이 난점 을 두 개의 성격이 다른 장막 성소가 있었다는 설로 해결하려고 한 시도들에 대해서는 Knohl1997;MiIgrom1990:368-67 등을 보라. 7 자료비평학자들은 이 두 문단,그 중에도 특히 34:29-35 의 자료분석에 큰 어려움을 나타 낸다.왜냐하면 이 두 문단은 옛 문서의 속성과 P 문서의 속성 을 공유하고 있으며 특히 후 자의 본문의 경우는 이 두 개의 문서 전승이 서 로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뒤섞여서 나타나 고 있다.34:29-35 에 대한 학자들 의 다양한 자료비평적 분석의 결과에 대한 좋은 정리는 Gonnan:141 n.2-3을 보라.위에서 차일즈도 지적한 바와 같이 이 문단은 황금 송아지 이야기의 요소와 성막 이야기의 요소를 함께 담고 있기 때문에 이 문단 전체를 P 에 귀속시키는 것 은 황금 송아지 이야기의 결론을 박탈하는 결과를 가져 온다. 이런 점에 있어서는 오경의 최종 편집자인 HoImess School(Holiness Code 를 만들어낸 집단)이 황금 송아지 이야기(JE)와 성막 이야기(P)를 함께 연결시키기 위해 31:18 34:29-35등을 삽입시켰다는 설도 같은 약점을 갖고 있다.

그의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양 이야기 사이의 유사성을 지적함으로써 두 이야기의 연관성을 지적한 것이고 두 번째 부분은 고대근동의 비교문헌적 연구를 통해서 다른 문화 속에서도 성소를 지으라는 명령과 실 행 사이에 죄의 이야기가 들 어 있는 것을 지적했다. 그의 지적들이 상당한 설득력이 있음에도 호응을 얻지 못한 것은 그의 글이 현대 히브리어로 쓰여 졌으며,전혀 번역되어 소개되지 않았다는 점에 기인하는 듯 하다.또한 황 금 송아지 이야기의 통일성에 대해서 중요한 연구를 한 Moberly 역시 비 록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양 이야기에 함께 나타나는 주제에 대해서 많은 통찰들을 제공해 주었다. 또한 최근의 편집비평적인 접근방법을 띤 학자들 역시 양 이야기 사 이의 연결성에 대해 서 좋은 통찰들을 제공해주었는데, Kearney; BIum:333-34; Knohl 1995:60-67; McBride 등을 들 수 있다. 양 이야기를 함께 읽는 것에 대해서 이처럼 통찰력 있는 연구들이 증가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이러한 연구들이 양 이야기의 주 제들이나 특정 요소 흑은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연결점들만을 단편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음을 보게 된다.따라서 본 연 구는 단순히 구조적인 연결성이나 황금 송아지와 성막 간의 유사성 혹은 대조성을 넘어서서 오경의 내재적 저자(me impiied author) 8 가 현재의 본문에서와 같이 양 이야기를 연결시켜 배열할 때 사용한 기법과 그러한 기법의 사용 목적이 무언인가 하는 것에 대해서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방법론을 찾아보고,또 그 방법론을 우리 의 본문에 적용시켜 보고자 한다. III.방법론 필자가 출 24:12-40:38의 두 이야기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크게 의존하고 있는 연구는 Tom shepherd가 마가의 샌드위치 기법에 의한 이야기 (MaIkan Sanddwich stories)을 가지고 쓴 박사논문 및 이와 관련된 이후의 그의 article들이다(shepheid 1991a;1991b;1993;1995). 특히 필자가 본 연구의 기초로 삼고 있는 것은 그의 1995년 article 인 The Narrative Function of Markan Intercalation. NTS 41(1995):522-40이다. 샌드위치 기법에 의한 이야기 또는 intercalation 은 마가복음에 주로 사용된 독특한 양 식의 문학기법을 지칭하는 용어이다.이 기법에 따르면 하 나의 이야기(바깥 이야기:outer story)가 중간에 다른 이야기에 의해서 중단되었다가 이 두 번째의 이야기(안 이야기:inner story)가 종결을 맺은 다음에야 첫 번째의 이야기가 다시 중단된 부분부터 시작해서 끝을 맺게 된다. 8 이 용어는 필자가 방법론으로 사용하는 서사비평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서 실제 독자 (the re떠author)와 구분되는 것이다.내재적 저자는 독자가 네러티브 속에서 재구성해내는 인 물이다.이에 대해서는 Cham1an:147-51;Martin 153-56 등을 보라.이러한 내재된 저자의 개념이 유용한 것은 첫 번째, 보물섬 과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의 실제 저자는 로버트 루이스 스 티븐슨이지만 이 양 소설의 내재된 저자는 결코 동일하지 않다는 점, 둘째로 실제 저자의 관점과 내재된 저자의 관점이 다를 수 있다는 점, 셋째로 내재된 저자의 개념은 실제 저자 가 없이 오랫동안 발전되어 온 이야기들도 서사비평적 관점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는 점 등을 들 수 있다(포웰: 27-28)

최근의 마가복음 학자들에 따르면 이 intercaiation은 여섯 번 정도 마가복음에 나타난다 (Shepherd1995:522;0yen:949): 1.3:20-35: vv. 20-21(22-30)31-35. 2.5:21-43: vv.21-24(25-34)35-43. 3.6:7-31: 9 vv. 7-13(14-29)30-31. 4.11:12-25:12-14(15-19)20-25. 10 5.14:1-11:1-2(3-9)10-11. 6.14:53-72:53(54)55-65(66-72). 11 I. 서사비평 그가 이러한 intercalations 를 연구하기 위해 택한 방법은 신약의 서사(narrative) 본문 들을 연구하기 위해 발전된 서사비평 (narrative criticism)을 연구방법으로 삼고 있다. 그 에 따르면 기존의 역사비평학적인 시각들은 심지어 편집비평마저도 근본적으로 최종적인 형 태의 본문 자체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본문의 배후 즉 그 본문을 형성한 사람과 그 시대 배경이나 활용자료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본문의 통일성을 다루는 데 부 적절하다고 지적한다. 12 그가 인용하고 있는 Josipovici는 이러한 독법에 대해서 이런 식으 로 평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독법]은 좋은 독자라면 누구나 다 알고 있듯이 독서의 죽음 을 가져온다. 왜냐하면 내가 어떤 책을 읽을 때 이 책의 내용은 이것이다 라 고 규정한 내용만을 그 책의 내용으로 받아들이는 한 결코 그 책은 나를 내 자신 속에서 끌어낼 수가 없기 때문이다(emphasis mine). 13 But this leads, as all good readers know, to the death of reading; for a book wiil never draw me out of myself ifi only accept as belong to it what 9 혹은 6:7-32(Shepherd 1995:522) 10 이 intercalation의 범위의 문제는 다소 복잡하다.Edwards는 개인적인 대담 에서 Hengel 이 막 11 장에 double sandwich 가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한 적이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성전(1-11),무 화과 나무(12-14),성전(15-19),무화과 나무(20-21)(Edwards l989:207 n.39).그리고 Tate는 이보다 훨 씬 더 복잡한 intercalation을 제시한다.그의 분석에 따르면 11:12-25 는 11:15-33 은 두 개의 intercalation 이 서로 엇물린 모양을 띠고 있고,이 엇물린 두 개의 intercala- tion은 11:1-1l(12- I5)27-34 에서 다시 한 차원 더 큰 단위의 inteicaiation을 이 룬다.그러나 intercalation 의 범위 를 확정짓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연 이 intercalation 이 어떻게 작용하느냐 설명하는데 있다.이들의 연구는 바로 이 점이 결여되어 있다. 11 다른 본문들이 A-B-A 의 형태를 띠고 있는 반면에 이 본문은 A-B-A -B 의 형태를 띠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라.그러나 이러한 형태상의 사소한 차이에 도 불구하고 아래에서 다루게 될 inteicalation의 기능에는 차이가 없다 12 같은 이유에서 역사비평학이 MaIkan intercalation를 연구하는 데 부적절하다는 점은 Edwards:194-195도 지적한 바 있다 13 독자들이 이 인용문의 한국어 번역문의 의미를 쉽게 포착할 수 있도록 풀어서 해석한 점을 양해하기 바란다. 대신 원저자의 영어 원문을 함께 실었다.

I have already decreed should be there(emphasis mine)(josipovici:14-15). 14 본문의 표면에 나타나 있는 이러한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본문 을 다른 것을 들여다 보기 위한 창문으로 보는 방법이 아니라 본문 자체를 있는 그대로 보는 거울 같은 방법이 펼요하다. 역사비평학과 비교해서 서사비평은 근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른 전 제들을 갖고 출발한다(포웰 30-34): 1. 텍스트의 완결된 형태에 초점을 맞춘다. 2. 전체적인 통일성을 강조한다 3.본문 자체를 최종적인 것으로 본다. 역사비평학과 서사비평은 창 문과 거울로 비견된 다. 다시 말해서 역사비평학은 본문이 지향하는 어떤 다른 것을 보기 위해서 본문을 연구하 는 반면에 서사비평은 본 문의 시학적인 기능을 대상으로 해서 연구를 한다. 4.말-행동 이론의 의사소통 모형에 근거를 두고 있다(특히 Roman Jakobson의 모형). 이 모형에 따르면 모든 의사소통행위는 발신자, 메시지, 수신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문학작품의 경우는 발신자, 저자, 메시지는 본문, 수신자는 독자로 이루어져 있다. 저자 본문 독자 반면에 역사비평학은 발전론적인 모델에 근거하여 연구된다. 역사적인 사건 구전전승 초기의 기록된 자료들 텍스트 이러한 도식화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문학비평은 수평적인 차원 을 다루는 반면에 역사비평은 수직차원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 때문에 서사비평은 본문 자체에 나타나 있는 표면적인 현상을 다루고자 하는 마가복음의 intercalation에 대한 연구나 출애굽기의 비슷한 특성의 본문에는 더 적절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4 Shepherd 1993:34에서 전재( 轉 載 ).

2.Intercalation에 대한 연구 마가복음서의 intercalation에 대한 가장 중요한 연구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Tom shepherd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 이전의 다른 학자들이 intercalation의 존재나 역할에 대해서 언급한 경우들이 없지는 않지만 그들의 관찰은 특정본문에 국한되어 있거나 비록 intercalation의 목적이나 기능에 대해서 나름대로 정확한 통찰을 한 경우도 아주 짧은 언급 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15 그러나 shepherd의 박사논문(1991a)은 서사비평에 근거 해서 이 특정 주제를 가장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그리고 그의 이 박사논문의 연구결과 는 1995 년의 article 에 더욱 정제되고 설득적인 모습으로 재기술되었다. 그에 따르면 intercalation은 두 가지 측면에서 기능을 한다. 첫 번째는 discourse 차원 에서의 기능으로서 intercalation이 어떻게 효과를 창출하느냐 하는지 그 방법을 다룬다. 16 두 번째는 이러한 기법이 만들어내는 결과가 무엇인지 즉, 이것이 이야기에 담긴 메시지에 미치는 효과가 무엇인지를 다룬다. 다시 말하자면 방법으로서의 intercalation 의 기능은 본 문의 discourse 차원에서 작용을 하고 효과로서의 기능은 story 차원에서 작용을 한다. (1)방법으로서의 intercalation의 기능(discourse 차원) Discourse 차원에서 복음서 기자는 intercalation 의 기능은 두 가지 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자가 양 이야기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 하고 있는 기법이다. 이 첫 번 째 기법은 등장인물의 분리 초점화, 비초점화(focalization/defocalization), 갭 오프닝 (gap-opening)이다. 그리고 두 번째 기법은 시간적 연결 등장인물들 간의 상호연관성, 갭-오프닝과 클로우징 혹은 플롯상의 연결이다. 17 본 논문에서는 위 intercalation list의 마지막 항목인 막 14:53-72를 예로 들어서 간략 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이 본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5 intercalation 에 대해서 의견을 피력한 학자들에 대한 bibliography 및 언급 들에 대해서 는 van 0yen의 놀라울 정도로 연구를 참고하라.취급한 학자들의 수에 있어서는 럴 광범위하 지만 중요한 학자들에 대한 더 상세한 논의는 Shepherd 1991a:4-31 에서 발견된다.Edwmds:193-96도 간략한 연구사를 서술 하고 있다.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최근의 서사비평적인 intercaiation 연구가 등장하기 전까지 역사비평학적인 관점에서의 intercalation 에 대한 평가는 극 단적으로 안 좋았다는 점이다.특히 Trocme 의 평가는 극단적이다. 판결은 났다.마가복음 저자는 그 어느 문학사에서도 언급할 가치가 없는 서툰 문펼 가였다 (재e For.rnarion qfrae GOJPeL4ccordingro Mar*[1975]:72)(EdwaIds:194에 서 전재). 16 story와 discourse의 구분에 대해서는 Chatman19-27을 보라. 17 모든 intercalated stories들과 관련하여 이러한 기법들을 상세하게 논의한 것을 보려면 shepherd의 박사논문 및 소논문들을 참고하기 바란다.

53절 예수 이야기 서론 54절 베드로 이야기 서론(바깥 이야기) 56-65절 예수 이야기(안 이야기) 66-72 베드로 이야기(바깥 이야기) 우선 양 이야기를 분리시키는 요소들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첫 번째 요소는 양 이야기의 주요 등장인물들이 서로 철저하게 분리되어 각각 한 이 이야기에만 등장한다. 우리의 예에 서 베드로는 바깥 이야기에서만 등장하며, 예수는 오직 안 이야기에서만 등장인물로서의 기 능을 한다. 양이야기의 분리성을 보여주는 두 번째 기법은 초점화, 비초점화 (focalization/defocaiization)이다. 이 용어는 이야기의 등장인물들이 장면의 시작 부분에 공간적 시간적으로 한 장소에 모였다가 그 장면의 끝 부분에 흩어지는 것을 가리킨다. 18 l 바 깥 이야기는 대제사장의 집 뜰에서 일어나는 이 야기이고,안 이야기는 건물 안에서 일어나 는 이야기이다. 이처럼 두 개의 이야기가 서로 다른 장소에서 일어나는 것은 이 이야기가 서로 다른 장면이라는 느낌을 강화시켜주며 양 이야기의 분리성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해 준다. 분리를 위한 세 번째 기법은 갭 오프닝 (gap-opening)이다. 19 I9 안 이야 기가 시작 부 분에 이를 때 바깥 이야기는 완전한 종결을 짓지 않으며,안 이 야기가 계속 진행되는 동안 이 겁은 열려 있다.이처럼 열린 채로 남겨져 있는 갭(gap)은 안 이야기가 계속되는 동안 독 자들에게 바깥 이야기가 아직 종결 되지 않았음을 알려주며 또한 양 이야기의 분리성을 유 지시켜 준다.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점은 이 생은 다른 차원에서는 또한 양 이야기를 연결시 켜주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이제는 양 이야기를 연결시키는 요소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자. 첫 번째, 양 이야기는 시간 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모든 intercalated stories에서 시간은 바깥 이야기 에서 시작해서 안 이야기를 통해 단선적으로 계속 흐르며 다시 바깥 이야기로 계속 흘러간 다. 그러나 때로는 안 이야기와 바깥 이야기가 거의 동시적으로 일어난 이야기들일 가능성 이 큰 경우도 있다. 막 14:53-72 의 경우 예수가 심문받는 장면과 베드로가 추궁을 당하는 장 면은 동시동작적일 가능성이 높다. 20 두 번째, 양 이야기를 연결시켜주는 또 하나의 큰 특정은 양 이야기의 등장인물들 간의 18 이 초점화/비초점화와 장면의 시작 및 종결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F따1k:1-25,99-132를 보라. 19 intercalation을 사용함으로써 네레이터는 자신이 샘을 만들어내고 채우는 것의 역동성 을 잘 알고 있음을 보여준다 (Fowler:144). 20 Shepherd 1991a:267-310는 원래 이 두 장면을 동시동작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다 른 intercalation들의 경우처럼 시간의 일직선 상 위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그 에 대한 Oyen: 965-973의 비판이 더 설득력이 있다.

상호관련성이다. 막 14:53-72의 두 주요 등장인물인 예수 그리스도와 베드로는 서로 상응 성과 대조성을 갖는다. 안 이야기에서 예수는 거짓 증인들과 대제사장에 의해서 고발을 당 할 때,바깥 이야기에서는 베드로가 노예 소녀와 곁에 선 사람들에 의해서 고발을 당한다.안 이야기의 경 우 고발의 내용은 예수와 성전의 관계 및 예수의 메시야성에 대한 건이며, 바 깥 이야기에서 고발의 내용은 예수와 베드로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안 이 야기에서 예수는 자신의 메시야됨에 대해서 진실한 고백을 하는 반면 바깥 이야기의 베드로는 자신의 주를 세 번 부인한다. 안 이야기에서 예수는 자신 의 진실한 고백 때문에 예언해보라! 라는 말 과 함께 얻어맞게 된다. 그 때 바깥 이야기에서 베드로는 당장의 고난은 피했지만 예수가 미리 한 예언을 성취한다. 베드로는 자신이 예수의 말대로 세 번 예수를 부인했음을 알고 슬 피 운다. 이처럼 intercalation 에서는 양 이야기의 대조적인 등장인물이 비슷한 행동을 하거나 또는 양 이야기의 두 등장인물이 서로 대조적인 행동을 한다. 세 번째, 양 이야기는 갭-오프닝과 갭-클로우징이나 플롯 상의 연결은 양 이야기의 연 결성을 보여준다. 우리의 예에서는 두 가지 캡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바깥 이야기의 첫 번째 부분 마지막에서 베드로는 대제사장 집의 뜰에서 마당에 피워놓은 불에 몸을 덮히려고 사람들 사이에 끼여 앉게 되는데 불빛에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는 위험에 노출됨으로 베드로 의 운명이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점에 있어서 샘이 열린다.안 이야기의 경우는 끝 부 분에 가서 예수는 선지자 노릇 하라! 는 말과 함께 누군가에게 얻어 맞는다. 이렇게 됨으로 예 수가 과연 그럴 능력이 있는가?하는 문제에 대해서 갭(gap)이 열린다. 이 두 캠은 바깥 이 야기가 재개되면서 함께 해결된다. 베드로는 정체가 들통나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진정한 정체를 부인함으로써 예수의 예언을 이루게 된다. (2)효과로서의 intercalation의 기능(story 차원) shepherd가 제시하는 intercalation 의 story 차원에서의 기능은 irony의 창출이다. 21 IntercaIation의 양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 중 예수를 제외한 나머지 인물들은 병행되고 있는 이야기에서 일어나는 일을 전혀 알지 못한다. 우리의 예의 안 이야기의 등장인물들은 예수를 때리면서 선지자 노릇 하라! 했을 때 그 말과 행동이 전체 intercalation 차원에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 한다. 또한 베드로도 자신의 정체에 대해서 부인할 때 그것이 실제로 무슨 의미가 있는지를 알지 못한 채 자신의 예고된 배반의 성취만을 슬퍼한다. 그러나 사실은 이 두 이야기를 가 로 지르면서 이루어지는 것은 예수가 바깥 이야기의 베드로의 일을 통해서 안 이야기의 사 람들의 요구대로 선지자 노룻 을 했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이러한 irony를 통해서 우리가 21 마가복음의 아이러니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폭 넓게 진척되어 있다. 마가복음의 아이러니에 대한 연구의 간략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개관은 0yen:972-74를 보라.

얻을 수 있는 것이 두 가지 가 있는데, 첫 번째는 이처럼 등장인물들은 실제 일어나는 일의 모든 것의 의미를 깨닫지 못한 채로 행동을 하지만 중요한 점은 이들의 이러한 아이러니한 행동이 사실은 하나님의 계획과 의도를 성취해나간다는 점이다. shepherd가 지적하는 두 번째 점은 intercalation 들이 모두 예수의 identity 에 대해서 말한다는 점이다. IV.출애굽기 24:I2-40:38을 Intercalation으로 읽기 지금까지 우리는 마가복음의 intercaiation에 대한 Shepherd의 연구를 살펴보았는데 이 제 이 단락에서는 이 소논문의 핵심인 출애굽기 24:12-40:38을 intercalation으로 읽기를 다루고자 한다. 이 paper 는 일종의 reverse engineering paper 이므로 Shepherd의 연구 를 그대로 우리의 출애굽기 본문에 적용시켜 보고자 한다. 아래에서 우리는 우선 24:12-40:38 의 구조를 면밀히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intercalation의 discourse 차원과 story 차원에서의 기능을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I.출애굽기 24:I2-40:38의 구조 이 paper 의 서두에서도 살펴 보았듯이 출 24:12-40:38 은 마가복음의 intercalation과 같은 구조를 띠고 있다. 출 24:12-18 서론 출 25-31 장 성막 이야기(바깥 이야기) 출 32-34 황금 송아지 이야기(안 이야기) 출 35-40장 성막 이야기(바깥 이야기) 이러한 현재의 본문의 배열 모양은 우리로 하여금 이 것을 마가복음의 intercaiation의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자극을 준다. 그러나 우리가 이 본문을 좀 더 상세히 살필 때 우리 는 구조가 상대 적으로 규모가 작은 마가복음의 intercalation 들에 비해서 훨씬 더 정교하 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22 22 어쩌면 이러한 보다 세밀하게 짜여진 구도는 이 출애굽기 본문이 문자적- 시각적 (literal-visuai)인 독자들을 위하여 의도된 것이 아니라 구두적-청각적(oral-aural)청중을 위하여 의도된 것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출 35-40 장이 현대의 독자들에게 상 당히 거슬리게 출 25-31장의 내용을 거의 문자적으로 다시 반복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해 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지금까지는 비교문학적으로 고대 근동의 비슷한 다른 문헌들도 이 와 같은 양상을 띤다든가(Cassuto:453;Hrowitz 1985:21-30), 백성들의 열심을 나타내는 표현방식 (Durham:473-75; Fretheim:313-14)인 것으로 이해를 했지만 25-31 장이 32-34 장이라는 짧지 않은 내용에 의해 중단되었다가 다시 이어질 때 청각적 인지에 의존하는 청중들을 고려했을 가능 성도 크다.

출 24:12-18 발단( 發 端 :prologue) 출 25:1-31:17 성막 이야기 (31:12-17)안식일 규례 (31:18)중첩부분 출 32:1-33:6 황금 송아지 이야기 (33:7-11)회막 출 33:12-34:35 황금 송아지 이야기 (34:29-35)중첩부분 (35:1-3)안식일 규례 출 35-40 성막 이야기 (출 40:34-4O) 발문( 跋 文 :epilogue) 23 이 구조에서 우선 눈에 현저하게 띠는 것은 출 31:12-I7 과 35:1-3 의 안식일 규례이 다. 이 규례의 문단은 성막 이야기 속에 속하는 것이 확실하기는 하지만 황금 송아지 이 야기의 앞과 뒤에 위치함으로써 황금 송아지 이야기를 담는 그릇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자명하다. 두 번째는 31:18 과 34:29-35 이다. 이 두 문단 역시 황금 송아지 이야기와 성막 이야 기의 요소를 모두 갖춤으로서 24 양 이야기 사이에 다리를 놓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Sarna1991:202,220-21). 23 이것을 교차배열법(Chiasm)으로 보려는 학자들(Newing; McBride)도 있다. 교차배열법이 나름대로 매력적이기도 하고 또 지난 몇 십년 동안 교차배열 법은 학자들의 관심을 가장 많 이 끈 관심사들 중의 하나이기도 했지만 이제 우리는 이러한 교차대조법에 대한 지나친 관 심에서 어느 정도 우리의 시야를 넓힐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교차대조법은 여러 가지 한 계점을 갖고 있다. 우선 연구자들은 자신이 다루고 있는 본문의 메시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제시한 교차대조법적 구조가 결정적이라는 주장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러한 구조가 고대나 현대의 독자들의 인지능력 (competence)을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 둘째, 학자들마다 특정 본문에 대해서 제시한 교차대조법적 구조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셋째, 이러한 교차대조법적 구 조가 주변 문맥 혹은 각 책의 전체적인 구조와 어떤 유기적인 관계 를 갖고 있는지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넷째, 성경의 책들이 쓰여졌던 시기의 그 책들의 대 상은 구두적-청취적 독자층은 청중(oral-aural reader or listener)인데 반하여,교차대조법은 시각적- 독서적(visual-literate)이다. 다섯째, 현대의 학자 들은 교차대조법을 discourse 의 차원에서 다루 는 것이 아니라 story 차원에서 다룬다. 시각적인 대칭에 대한 관심은 실제의 성경의 독자들 이나 청중들이 경험하는 바와 같이 직선적인 효과에 관심을 두고 이해되어져야 한다. 이러 한 비판들 중 I-3번에 대해서는 Kugel 1981:99-104; Schultz:188, 그리고 4-5번에 대해서는 Fowler:151 이하; Kelber:134 n.48(fowiei:152 n. 55에 언급되어 있음)을 참고하라. 우리의 본문과 관련하여 우리가 덧붙일 수 있는 몇 가지 비판이 더 있다. 첫째, 우리의 본문과 같은 경우 각 문단은 교차배열법의 경우처럼 한정된 쌍과의 연결성만 갖고 있는 것 이 아니라 구조 내의 여러 문단과 복합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교 차배열법의 경우에는 중앙에 핵심적인 내용이 놓이게 되어 있지만 우리의 본문의 경우는 성 막과 황금 송아지가 서로 교호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24 자료비평적으로 말하자면 이 두 문단은 JE 와 P 의 요소를 모두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양 이야기를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요소는 황금 송아지 이야기 한 가운데에 위치한 33:7-11의 회막 이야기이다. 25 이 회막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이 단락이 주변 문맥과는 달리 singulative를 쓰고 있는 것이 아니라 iterative를 사용함으 로 해서 주변 문맥과의 시간 적인 연결을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26 이렇게 함으로 해서 회 막 이야기는 연 대기적인 연관성과는 상관없이 주변의 본문들,특히 황금 송아지에 대해 여 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황금 송아지 이야기 한 가운데에 위치 해서 황금 송 아지에 대한 신학적 해석27을 해주며, 33:5-6에서 하나님께서 이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황금 송아지 이야기 한 가운데에 위치 해서 황금 송아지에 대한 신학적 해 석을 27 해주며 33:5-6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이 단장품 을 제하면 내가 너희에게 어떻 게 할 일을 알겠노라 고 하셨는데 이것의 결과에 대한 기술을 늦춤으로서 suspense를 증가 시키는 효과를 한다. 또한 이 단락에 나오는 백성들의 하나님을 찾고(7절 여호와를 앙모하 는 자는 다 진 바깥 회막으로 나아가며 ), 경외하는 태도(8-10 절)는 이후의 본문에서 이스 라엘이 용서받을 수 있을 것에 대한 기대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Childs:589-93). 특히 뒷 문맥과 관련해서 중요한 것은 11절의 모세가 여호와와 친구처럼 대면하여 이야기한다는 주제이다. 이것은 모세와 하나님 간의 특별한 관계를 말해주는 것으로서 33:12-I7에서 모 세가 결정적으로 중보기도에 성공하는 단서가 된다. 그러나 이 회막 이야기가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은 주변의 성막 이야기를 토대로 할 때만 가능하다. 성막의 원래 위치가 이스라엘의 가운데이며, 하나님께서 그 곳 회막 문 에서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을 만나시리라고 하신 말씀(25:8;29:42-46)이 없을 때, 다시 말해서 성막과 회막을 서로 다른 것으로 읽을 때 33:7-11 의 회막은 현재의 우리가 갖고 있는 형태의 본문이 창출해내는 강렬한 신학성을 상실해버린다. 이처럼 이 33:7-11 은 황 금 송아지 이야기와 성막 이야기에 모두 관련이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다른 본문들과 함께 양 이야기를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본문과 관련하여 한 가지 더 해 결하고 넘어가야 할 의문점이 있는데, 그것은 이 본문으로 인해 우리가 24:12-40:38 전체 를 double intercalation으로 이해해야 되지 않느냐 하는 점이다. 우선 이 본문은 그 내용 상 회막과 성막이 최소한 최종적인 본문에서 하나로 간주되어 있으며, 황금 송아지 이야기 25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단락에 대한 거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회막이 성막과 전혀 별개의 것이라고 본다.이 문제에 대한 비평학적인 견해의 종합은 Sllh:20-25 를 보라.중요한 것은 이 성막과 회막의 전승사적 역사가 어찌 되었든지 최종적인 형태의 본문에서는 이 양 자는 통합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이다.childs:530-37 Sllh. 그러므로 서사비평적인 시각에서 이 본문을 다루는 본 paper 역시 성막과 회막을 구분하지 않는다 26 Genette:118-19의 general itiration 이라는 개념을 참고하라. 이 기법을 통해서 저자는 시 간적인 주변 맥락으로부터 벗어나서 외적인 시기(an external period)를 보는 창의 역할을 한다. 27 칼빈은 이 회막이 원래의 자리인 진 안이 아닌 진 밖에 설치된 것은 하나님과 이스 라엘의 이혼의 상정 으로 마치 깨진 돌판이 하는 것과 역할 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Calvin:369).childs:589-93 등도 이러한 해석에 동조한다.

중간에 위치해서 A-B-A 의 형태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이 다. 또한 이 본문은 33:5-6에서 하나님께서 내가 너희에게 어떻게 할 일을 알겠노라 고 하신 직후에 등장하여 통상적인 intercalation 의 경우처럼 gap- opening의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면에 이 회막 이야기는 iterative 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황금 송아지와 시간적 인 연결이 없이 paratactic한 관계에 있으며 초점화, 비초점화가 일어나지 않는 점, 자체 안 에 gap-opening과 closing이 없는 점, 상호 대조적인 등장인물들 간의 유사 혹은 대조적 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점, gap- opening과 closing 및 플롯 상의 연결성을 찾을 수 없다는 점 등이 이것을 intercaiation으로 보는 데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 문단은 double intercalation 보다 단지 31:18;34:29-35 및 안식일 규례 문단들처럼 양 이야기의 연결요소로서 작용한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물론 이 단순한 연결고리가 되는 본문들보 다는 신학적, 내용적으로 훨씬 더 중요하기는 하지만 말이다. 이처럼 우리는 출 24:12-40:38이 구조적으로 양 이야기를 연결시키려는 의도를 드러내 고 있음을 살펴 보았다. 이러한 구조가 보여주듯이 양 이야 기는 결코 두 개의 완전히 독립 된 이야기로서 Houtman의 생각처럼 어느 하나를 들어내도 전혀 무방한 그런 관계는 아님 을 알 수 있다. 2.출애굽기 24:I2-40:38을 intercalation으로 읽기 앞에서 우리는 출애굽기 24:12-40:38 의 본문 안에서 양 이야기가 구 조적으로 연관성 이 있으며 서로의 이야기를 의식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잠깐 살펴 보았다. 이러한 구조는 우리로 하여금 이 본문을 마가복음의 intercalation 의 시각에서 살펴 보도록 고무시켜 준다. 아래에서 우리는 Shepherd 의 연구를 따라서 우리의 본문을 discourse 차원에서 양 이야 기를 분리시키면서 연결시키는 기법을 살펴보고 나서 story 차원에서 내재적 저자가 얻어내 고자 하는 결과적인 효과가 무엇인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1)Discousre차원에서 본 출 24:I2-40:38의 intercalation의 기능:방법 - 양 이야기를 분리시키는 요소 (i)양 이야기의 중심적인 등장 인물의 분리 마가복음의 경우에 양 이야기를 분리시키는 첫 번째 기법은 양 이야기의 등장인물을 분 리시키는 것이었다. 출애굽기의 본문의 경우는 이러한 등장인물 상의 분리는 일어나지 않는 데 그 주된 이유는 내용 때문인 것으로 보 인다. 성막 이야기는 출 25-31에서는 하나님과 모세가 등장하며 하나님께서 성막의 건설에 대해서 상세한 지침을 주시는 것이 그 내용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 때문에 당연히 35-40 장에서는 모세와 이스라엘 회중이 등장인물로 나 와서 하나님의 명령대로 성막을 건설하는 내용이 나올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성막 이야기 의 양 부분에는 황금 송아지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다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마가복음과는 달리 등장인물 사이의 분리는 일어나지 않지만 대신에 두 이야기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성막과 황금 송아지 간에 철저한 분리가 이루어진다. 28 황금 송아지 이야기는 성막의 건설에 대한 내용을 전혀 반영하고 있지 않으며 35-40장의 성막 이야기 역시 황금 송아지 때문에 야기된 모든 법석을 전혀 반영하고 있지 않다. 29 (ii)초점화, 비초점화 마가복음의 intercalation에서는 양 이야기에서 예수를 제외한 다른 등장인물들이 서로 다른 장소에 모인다(focaIization).그러나 앞에서 제시한 내용상의 이유로 해서 출애굽기의 우리의 본문은 아래의 도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소와 등장인물적인 측면에서의 초 점화, 비초점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본문 인물 장소 24:12-18 하나님/모세/백성 하나님-모세 만남 모세-백성 헤어짐 산 아래/산 위 25-31 하나님-모세 산 위 32-34 32:1-6 백성 산 아래 32:7-14 하나님-모세 산 위 30 32:15-29 모세-백성 산 아래 32:30-35 산 아래 33:1-6 모호 산 아래 33:7-11 산 아래 33:12-23 하나님-모세 산 아래 34:1-28 하나님-모세 산 위 이 section에 산위의 장소 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아 니지만 역시 산 아래가 중 심 장소라고 할 수 있다. 28 intercaiation의 기법 중 등장인물과 관련된 요소는 모두 출애굽기에서는 성막과 황금 송 아지에 관련되어진다. 29 MobeIly:109-10은 황금 송아지 이야기와 35-40장간의 연결성을 지적하면서 특히 이스라 엘 백성들이 35-40장에서 성막 재료를 헌납할 때 보여주는 열심은 출 32-34장에서 하나님께 서 보여주신 자비에 대한 이스라엘의 마음으로부터 나온 반응이라는 생각을 제시했다. 물론 우리가 정경비평적으로 이 본문을 읽을 때 이러한 생각이 완전히 개연성이 없는 아니지만 35-40장의 본문이 철저하게 32-34장을 배제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더욱 강하다.

34:29-35 산 아래 중심장 성막 31 35-40 모세-백성 산 아래 (40:34-38) 하나님/모세/백성 성막 그러나 대신 성막 및 황금 송아지와 관련하여 볼 때에는 나름대로 초점화/비초점화가 나 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우선 25-31 장에서 하나님과 모세는 성막에 대한 지침을 위해 산 위 에서 만났다가 끝에 가서 흩어진다. 그리고 35-40장에서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산 아래 서 성막 건설을 위 해서 만나서 일을 한다. 비록 이들이 흩어지는 이야기는 없지 만 40:36-38 의 itemtive가 비초점화의 구실을 한다. 32 황금 송아지 이야기는 흥미롭게도 32:1-6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 의 문제를 먼저 다 루고 이 죄에 대해서 하나님과 모세가 대화를 하는 이야기를 먼저 다룸으로서 모세와 이스 라엘 백성들 간의 초점화를 연기시키며 극적 긴장을 고조시킨다.또한 위의 도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세가 산 위에서 하나님과 만나는 장면도 여러 번 등장한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끝(34:29-35)은 성막 이야기의 경우와 같이 iterative(34-35 절)를 통한 비초점화 를 통해서 종결된다. 이렇게 볼 때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이 드러난다. 25-31 장의 성막 이야기는 산 위, 32-34장의 황금 송아지 이야기는 산 아래 가 중심무대가 되며, 마지막의 35-35장은 산 아 래 가 중심 무대인데, 결국 산 위 라는 장소와 산 아래 라는 장소가 결국 산 아래 에서 하나로 융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양 장소의 융합을 시켜주는 것은 34:29-35 이다. 모세는 두 번째 돌판 을 들고 마지막으로 산을 내려옴으로써 산 위 라는 장소는 더 이상 존재의 미를 상실한다. 대신 모세는 34-35절에서 여호와 앞, 즉 성막 안으로 들어감으로 써 성막이 위치한 산 아래 가 산 위 의 자리를 대신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35-40 장의 산 아래 는 사실은 25-31 장의 하나님의 장소인 산 30 FocaIiation 의 지연. 이것은 suspense 를 증가시킴. 백성의 죄가 성막의 건설에 어떤 영 향을 가져다 줄 것인가. 31 바로 이 문단에 의해서 산 위와 산 아래는 하나로 융합된다. 32 IteIative 가 비초점화의 구실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Funk:5-11 장의 해당항 목들을 보라 (그의 책의 index 참조).역사비평학자들은 대체적으로 이 본문이 후대에 삽입된 것으로 보는 데 그 이유는 이스라엘 백성들은 민수기 10:11-12에 가서야 시내산을 떠나게 되기 때문이라 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이 본문의 평행 본문인 민 9:15-23 이 더 originai 하다고 생각한다 (Milgrom 1991: 61,139). 하지만 이 출애굽기 본문이 더 originai 하다는 견해도 없지는 않다 (Renalld:103-7). 서사비평적으로 볼 때 우리의 본문에서 이 40:36-38 을 삭제하는 것은 서사 자 체를 파괴시킨다.

위 에 대립되는 인간의 장소인 산 아래 와 같은 의미가 아니라 변화된 의미 즉, 하나님의 장소인 산 위 의 연장 혹은 산 위 와 산 아래 의 융합으로서의 산 아래 이다. 33 이처럼 장소 개념의 변화란 관점에서 볼 때에는 성막 이야기와 황금 송아지 이야기는 나름대로 장 소에 있어서의 초점화/비초점화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iii)캠 오프닝 Intercalation 의 양 이야기를 구분시키는 세 번째 요소는 갭-오프닝이다. 안 이야기의 도입 부분에서 우리는 바깥 이야기의 첫 부분이 종결되지 않은 채로 열려 있는 것을 본다. 하나님은 당신께서 이스라엘과 함께 하시는 것의 상정으로서 성막을 지을 것을 명령하셨으 며, 그 성막의 가장 중요 한 곳에 위치할 돌판도 역시 주어졌지만 과연 성막은 지어지고,돌 판은 그 속에 안치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질문이 남겨진 채로 황금 송아지 이야기가 시작 된다. 황금 송아지 이야기 역시 중간에 회막 이야기에 의해서 중단되는데, 그 때 역시 겁이 열 린 채로 남겨진다. 33:5 에서 하나님은 너희는 목이 곧은 백성인즉 내가 순식간이라도 너희 중에 행하면 너희를 진멸하리니 너희는 단장품을 제하라.그리하면 내가 너희에게 어떻게 할 일을 알겠노라 고 말씀 하시고,그 말씀을 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은 단장품을 제한다(33:6). 그리고는 회막 이야기가 시작하는데 이 것은 하나님께서 과연 너희에게 어떻게 할 것인지 의 문제를 열어놓은 채로 남겨둔다. 양 이야기를 연결시키는 요소 위에서 살펴본 이러한 양 이야기의 분리 요소들에도 불구하고 이 두 가지 이야기를 연결 시켜주는 요소들이 우리의 intercalation 속에 들어 있는데, 이 것들은 각각 시간적인 연결 둥장인물 간의 상호연관성,양 이야기의 갭-오프닝과 갭-클로우정이나 플롯 상의 연결성 등 이다. (i)시간적인 연결 양 이야기를 연결시켜주는 첫 번째 요소는 시간적인 흐름이다. 이 시 간의 흐름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돌판 이다. 24:12-18에서 하나님은 모세 에게 율법이 새겨진 돌판을 받 33 집 밖 과 집 안 등 대조적인 두 장소 사이의 상정적인 의미의 대조성에 대해서는 미 케 발, 서사란 무엇인가?(서울:문예출판사,1999):84-92를 보라. 우리의 본문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점은..대립 관계가 확고하게 고정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두 가지의 의 미가 합쳐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변화,발전될 수 있다 (88)라는 점이다. 34:29-35가 장소성에 대해서 작용하고 있는 점은 바로 이 점이다.

으러 올라오라고 명령하시고,모세는 그 명령을 따라서 산으로 올라간다. 25-31 장의 하나님 의 긴 명령 속에서 모세가 받을 이 돌판은 미래형 동사와 더불어 나타난다(25:16,21 내가 네게 줄 ). 여호와께서 시내산 위에서 모세에게 이르시기를 마치신 때에 이 돌판은 모세 에게 주어진다. 32:15-20에서 모세는 황금 송아지 사건을 보고 이 돌판을 깨뜨린다. 34장에 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죄를 최종적으로 용서하셨을 때 돌판은 다시 주어진다. 마지막으 로 성막이 완성되었을 때 이 돌판은 증거궤 속에 넣어져 성막 안에 안치된다. 34 34 (ii)등장인물들간의 상호 연관성 위에서 우리는 양 이야기의 중심적인 요소인 황금 송아지와 성막이 서로 아무런 접점이 없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본문 속에는 이 양자 사이에 여러 가지 유사점들과 대비점들을 심어 놓았다. 우선 양 이야기가 서로를 비추는 거울처럼 읽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황금 송아지와 성막 간에는 상당히 많은 유사성이 존재한다. 35 첫 번 째 유사성은 구조적인 유사성이다.양 이야기 모두 백성들이 지도자에게로 모이며(32:1;35:I),황금 송아지(32:1) 혹은 성막(25-31;35:10-I9)을 만들라는 명령이 주어진다. 그리고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가 모아지고(황금 송아지 32:2-3;성막 35:4-9,20-29;36:2-7),실제 제작이 이루어진다(황금 송아지 32:4; 성 막 36:8-40:33). 36 이런 구조적인 유사성과 더불어 양자간에는 많은 언어적 상응성이 나타난다. 첫째, 양자 는 모두 출애굽과 연관되어 있다. 황금 송아지를 만들었을 때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것이 자 신들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신이라고 외친다(32:4). 반면 성막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목적이 바로 그들과 함께 하시기 위함임을 나타내 주는 상징물 이다(29:45-46). 둘째, 양자는 모두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친 물건을 가지고 만들어진다. 아 론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너희 아내와 자녀의 귀의 금고리를 빼어 내게로 가져 오라 (32:2) 고 명령하며,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귀에서 금고리를 빼어 아론에게로 가져[온다] (33:3). 이와 비슷하게 모세는 너희의 소유 중에서...가져다가 여호와께 드릴지니 (35:5)라고 말하 며,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져[다가]여호와께[드린다] (35:21,22,24,25,26,29;36:3,5,6). 특 히 32:2-3과 35:22의 귀고리 는 양자 간의 유사성을 현저하게 드러내 준다. 셋째, 황금 34 물론 역사비평학은 P와 Dtr 사이에 돌판과 관련하여 용어 상의 차이가 있음을 간파하 였다. 그러나 용어상의 차이를 지적해서 이 용어들이 서로 다른 용어가 왜 채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설명을 못하였다. 35 Hurowitz:53-55.이 글에서는 Hurowitz 가 지적한 점들을 위주로 하여 설명을 한다. Otto:83-87 역시 비슷한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36 Hurowitz 는 제작이 마쳐졌을 때 축하행사가 치루어졌다(32:6;레 8-9 장; 민 7장)는 점을 덧붙인다.그러나 일단 회막의 축하행사에 대한 내용이 분명히 오경의 implied author 의 저작 안에 있음에는 틀림없지만 우리가 다루고 있는 복합 내러티브의 영역을 벗어난다.

송아지와 성막이 완성되고 난 다음에 아론과 모세는 각각 만들어진 것을 본다(32:5;39:43). 마지막으로 황금 송아지와 성막 이야기 모두 qul과 관련되어 있다. 35:1에서는 모세가 백성 들을 모으며, 32:1에서는 백성들이 아론에게 모인다. 특히 32:1의 모이다 (nqhl l)는 P의 용어로서 백성들이 반역을 위해 모이는 것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용어(민 16:3;20:2)인데 32:1에 사용되었다. 성막과 황금 송아지 사이의 이러한 비슷한 점들은 양자간의 다음과 같은 대비점들을 더 욱 충격적으로 만든다. 첫째, 성막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하나님께 드려지기 위해서 만들 어진 것이지만 황금 송아지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스스로 자신들을 위해서 만든 것이다: 내 가 그들 중에 거할 성소를 그들을 시켜 나를 위하여 짓되 (출 25:8); 우리를 인도할 신을 우리를 위하여 만들라 (32:1). 두번째, 성막은 하나님께서 주신 식양(tabn t) 37 (출 25:9) 을 따라서 장시간 동안 공을 들여서 만든 것이지만 황금 송아지는 임의적으로 순식간에 만 들어졌다(출 32:4). 세번째, 양자가 모두 돌판과 연결되어 있기는 하지만 성막의 경우는 돌 판을 보관하기 위한 것(출 25:I6)이지만 황금 송아지는 그 돌판이 파괴되는 원인이 된다 (32:15-2O). (iii)갭과 플롯의 연결 마지막으로 양 이야기를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특성은 샘과 플롯상의 연결이다.우선 성 막 이야기는 하나님께서 과연 성막을 통해서 이스라엘과 함께 할 수 있는가 라는 문제를 열 어놓는다.또한 안 이야기는 33:7-11 의 회 막 이야기에 들어가기 전에 앞서 이스라엘이 부패한 백성임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회개하면 과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함께 하시겠는 가? 라는 문제를 열어 놓는다. 이 양 이야기는 각각 자체 내에서 그 답을 찾는다. 바깥 이야 기의 갭은 35-40장에서 성막이 지어지고, 여호와의 영광이 성막에 임함으로써 닫혀진다. 그리고 안의 이야기 역시 하나님께서 함께 가시기로 약속을 하시고, 새 돌판을 주심으로써 닫혀진다(33:7-34:28). 양 이야기가 이처럼 그 자체로 gap-opening 과 closing을 하기는 하지만 양 이야기는 32:1-6 이라는 하나의 점을 중심으로 서로 얽혀든다. 성막 이야기에서 하나님은 그들은 내가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로서 그들 중에 거하려고 그들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38 낸 줄 을 알리라. 나는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니라 (29:46). 여기에서 언급된 이 세 가지 요소는 37 이 단어에 대한 연구는 V.Hurowitz, I have Built you an Exalted House: Temple Building in the Bible in Light of Mesopotamina and Northwest Semitic Writings(JSOTS 115;Sheffield:SheffieId Academic Press,1992):168-170을 보라. 38 여기에서 인도하다 란 동사는 yasa 의 hiphii 형이고, 32-34 에서는 alah 의 hiphil형이다. 황금 송아지 이야기에서 출 29:46과 비슷한 어구를 사용하면서 도 다른 동사를 사용한 것은 이 이야기의 중심 주제가 가나안 땅으로 올라가는 것에 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33:1,15). Cf. Wijngaards.

전부 황금 송아지 이야기에 반영된다. 우선 이스라엘은 완성된 황금 송아지를 보고 이스라 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로다 라고 외친다. 이것을 통해서 이 스라엘은 출애굽의 주체를 다른 신으로 바꾸어버린다. 또한 나는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니 라 는 말씀에 반하여 황금 송아지를 너희 신 이라고 부름으로써 양자의 언약적 소유 관계 를 깨뜨린다. 하나님의 소유 관계에 대한 이러한 부인은 하나님께서 급기야 이스라엘을 내 백성 이 아닌 네 백 성 이라고 부르시는 원인이 된다(32:7). 그리고 하나님은 이스라엘 가 운데 거하시기는 커녕 전혀 함께 하실 수 없는 분이며, 또한 위험한 분이 된다(33:3,5). 이러한 연결점을 통해서 양 이야기는 자체의 gap-opening과 closing을 넘어서서 상호 간에 crossover가 일어나게 되며 둘이 하나로 융합되어 하나님의 함께 하심의 속성은 무 엇인가 하는 문제로 발전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비록 하나님은 성막을 통하여서 함께 하 시고자 하지만 부패한 목이 곧은 백성 과는 함께 하실 수 없다는 것이 된다. 그러나 이 함께 하심이란 주제와 관련하여 양 이야기는 또 한 가지 중요한 플롯상의 동 일성을 띤다. 양 이야기는 모두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바깥의 성막 이야기는 마지막의 40:34-38 이 보여주듯이 하나님과의 계속적인 행군이 다.또한 황금 송아지 이야기 역시 이스라엘 백성들의 우리를 인도할 신을.-.만들라 (32:1)는 요구나 32:34;33:1-3,12-17;34:9 등에서 볼 수 있는 바 와 같이 시내산을 넘어서서 가나 안 땅에 이르는 것이 목적이다. 성막은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었다.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서 이스라엘에게 계시를 하시고 계명을 주셨듯이 성막 역시 하나님 께서 모세를 통해서 이스라엘에게 계속 계시를 하시는 수단(25:22;29:42-43)이면서도 시내 산 이란 장소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었다.그러나 이 것은 안 이야기와 맞물려 들어가면서 이스라엘의 죄로 인하여 하나님께서 성막으로 함께 하시는 것의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왜냐 하면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성막 이야기의 시간적인 연장선 상에 서 있는 황금 송아지 이야 기는 과연 이스라엘이 계속해서 하나님과 함께 할 것인가?의 문제를 가지고 씨름을 하기 때 문이다. 황금 송아지 이야기 안에서는 이 문제는 하나님께서 내가 친히 가 리라 (33:14)라고 약 속해주시고,언약관계의 회복을 상정하는 돌판을 모세가 다시 받아가지고 내려옴으로써 해결 된다(34:29). 또한 성막을 통한 하나님의 함께 하섬의 문제는 24:16-17에서 시내산에 내렸 던 여호와의 영광 이 40:34-35에 내림으로써 해결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황금 송아지 이야기와 성막 이야기의 경계선에 나타나는 34:29-35 인데 이 단락은 양 이야기 사이의 이러한 플롯의 종결을을 연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우선 29절에서 모세가 증거의 두 판 39 을 받아 가지고 내려옴으로써 황금 송아지 이야기의 39 이 용어의 사용은 독자들을 31:18 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거기에서 모세는 증거의 두 판을 가지고 내려왔지만 그 돌판은 깨어질 운명의 것이었다. 그러나 이 번에는 이 두 돌 판은 원래의 계획대로 성막에 안치된다(40:20)

종결의 역할을 하게 된 점은 앞에서 지적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모세가 산에서 내려올 때 하나님과 대면한 것으로 인해 빛나는 얼굴을 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40 학자들은 이 모 세의 빛나는 얼굴이 24:16-17 에서 시내산에 임했던 하나님의 영광을 상징적으로 나타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이미 LXX 이 빛나다 란 히브리어 단어를 영광 ( )이란 헬라어 단어에서 파생된 라는 동사를 사용 해서 번역한 것 속에 반영되어 있다. 34-35절은 흥미롭게도 모세가 이 빛나는 얼굴을 가지 고 여호와 앞 에 들어갈 때까지는 수건을 덮고 있다가 들어가서 하나님과 함께 말씀을 나 눌 때에는 벗어놓고, 다시 나와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할 때는 수건을 덮었다는 이야기가 interative를 써서 언급한다. 여기에서 모세가 여호와 앞에 들 어가서 란 표현은 모세가 성막 안으로 들어갔다는 표현이다(참고,Haran:26). 그러므로 이 구절은 모세가 시내산에 마지막 올라갔다 내려오면서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인 여호와의 영광을 빛 나는 얼굴을 통해 날라가지고 성막으로 들어감으로써 40:34-35에서 성막이 완성된 후 여 호와의 영광이 성막에 내리는 것을 예변적으로 표현해준다. 41 출 19장부터 지금까지 모세가 하나님의 계시를 받기 위해 빈번히 수직적으로 이동하던 것이 성막의 건설과 더불어 수평적 인 이동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렇게 34:29-35 는 모세가 돌판을 들고 산을 내려오는 단회 적(singuIative)사건을 반복적(iterative) 사건과 연계시킴으로써 황금 송아지 이야기와 성막 이야기를 연결시켜줄 뿐만 아니라 이 양 이야기를 성막을 통한 하나님의 계속적인 인도라는 최종적인 종합적 결론 (40:36-38)과 연결시켜 준다. (2)ston차원에서 본 출 24:12-40:38의 intercalation의 기능:효과 shepherd 는 마가복음의 intercalation의 story상의 효과가 아이러니의 창출이라고 주장 했다. 우리의 출애굽기의 intercaiation도 아이러니의 효과를 내고 있다. 이스라엘은 모세가 늦게 오는 것을 자신들 가운데 함께 하셔서 자신들을 인도하실 신의 부재로 이해했음이 분 명하다. 그래서 그들은 우리를 인도할 신을 우리를 위하여 만들라 (32:1)고 아론에게 요구 했는데, 사실은 앞의 25-31장에서 하나님은 성막 건설을 위해서 아주 상세하고 세밀한 지 시를 무려 사십일 밤낮에 걸쳐서 모세에게 전달해주셨다는 점이다. 하나님께서는 이렇게 이 스라엘과 함께 하는 일에 열심이신데, 이스라엘은 그 하나님 대신 다른 신을 만들어내고 말 았던 것이다. 그리고 결국 이들의 이러한 행동 때문에 하나님은 이스라엘과 함께 하시려던 40 여기에 사용된 빛나다 란 동사는 qaran인데, Aquila 역본이나 라틴어 불가타 역본(the Vulgate)은 이 단어가 뿔 이란 의미를 가진 명사 qeren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아서 모세의 얼 굴에 뿔이 달리게 된 것처럼 번역했다. 이러한 전통은 중세시대의 미술에서 자주 나타나며, 특히 미켈란젤로의 모세상이 이 점에 있어서 유명하다. 41 수건은 시내산의 구름이나 지성소의 구름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계획을 거두시고자 하시는 결과를 가져 온다. 그러나 intercalation은 또한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인 성막의 이야기와 하나님의 부재를 초래하는 원인인 황금 송아지의 이야기를 상호대비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하나님의 임재하 심의 성격은 과연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던진다. 황금 송아지 이야기는 하나님은 부패한 목이 곧은 백성 과는 함께 하실 수 없다는 것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가 된다. V.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마가복음의 intercalation 에 대한 Tom Shepherd 의 연 구에 주로 근 거해서 우리의 본문을 살펴 보았다.우리의 본문 역시 그가 제 시한 방법론을 통해서 볼 때 성막과 황금 송아지라는 두 개의 별로 연관성 이 없어 보이는 이야기를 함께 효과적으로 읽 어낼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필자는 이 shepherd 의 통찰이 보통 학자들에 의해서 interpoiation 으로 간주되어 오던 창 38장의 유다와 다말 이야기 같은 본문을 주변의 요셉 이야기등과 함께 읽는데도 유용하 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본문 역시 Shepherd 가 말했던 intercalation 의 많 은 기능적 요소들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호세아-고벨의 이야기(호 1-3 장)나 다윗과 맛세바 이야기(삼 하 1l:1-12:25)퉁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42 참고문헌 목록 미케 발 1999 서사란 무엇인가(서울: 문예출판사) 마크 알렌 포웰 42 마지막의 이 두 본문은 Edwards:199-203에 의해서 간략한 분석이 제시되 어 있으므로 참고하기를 바란다.그러나 Edwards의 intercalation에 대한 통찰 은 Shepherd의 것보다 훨씬 더 빈약하므로 후자의 시각에 따라 재조명할 펼 요가 있을 것이다.

1993 서사비평이란 무엇인가?: 성경이야기 연구. 이종록 역 (서울: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교육부) What is Narrative Criticism? (Augusburg Fortress, 1990). Blum, Erhard 1990 Studien zur Komposition des Pentateuch. BZAW 189. (Berlin: Walter de Gruyter). Calvin, John 1950 Commentaries on the Four Last Books of Moses Arranged in the Form of a Harmony Vol. 3 (Grand Rapids: Eerdmans, 1950). (Org., 1556) Cassuto, Umberto 1967 A Commentary on the Book of Exodus. Trans. by Israel Abrahams (Jerusalem: the Magness Press, the Hebrew University). Chatman, Seymour 1978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Childs, Brevard S. 1974 The Book of Exodus: A Critical, Theological Commentary. (Louisville: The Westminster Press).

Clayton, Jay and Eric Rothstein 1991 Figures in the Corpus: Theories of Influence and Intertextuality, in Jay Clayton and Eric Rothstein (eds.), Influence and Intertextuality in Literary History (Madison, 1991). Durham, John I. 1987 Exodus: Word Biblical Commentary. Waco: Word Books. Edwards, James R. 1989 Markan Sandwiches: The Significance of Interpolations in Markan Narratives. NT 31: 193-216. Fowler, Robert 1991 Exodus. Interpretation (Louisville: John Knox Press). Funk, Robert W. 1988 The Poetics of Biblical Narrative (Sonoma, CA: Polebridge Press) Gorman, Frank H. Jr. 1990 The Ideology of Ritual: Space, Time and Status in the Priestly Theology. JSOTS 91 (Sheffield: JSOT Press).

Gunneweg, A. H. J. 1990 Das Gesetz und die Propheten: Eine Auslegung von Ex 33,7-11; Num11,4-28; Dtn31,14f.; 34,10. ZAW 102:169-80. Haran, Menahem 1985 Temples and Temple-service in Ancient Israel: An Inquiry into Biblical Cult Phenomena and the Historical Setting of the Priestly School.(Winona Lake: Eisenbrauns). Holzinger, H. 1900 Exodus. Vol. 2 KHAT. (Tübingen: J. C. B. Mohr). Hurowitz, Victor(Avigdor) 1983-84 The Golden Calf and the Tabernacle. (Hebrew). Shnaton 7-8: 51-59. 1985 The Priestly Account of Building the Tabernacle. JAOS 105: 21-30. Josipovici, Gabriel 1988 The Book of God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Knohl, Israel 1995 The Sanctuary of Silence.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7 Two Aspects of the Tent of Meeting.. In Mordechai Cogan, Barry L. Eichler, Jeffrey H. Tigay (eds.), Tehillah le-moshe: Biblical and Judaic Studies in Honor of Moshe Greenberg (Winona Lake: Eisenbrauns): 73-79. Kugel, J. 1981 On the Bible and Literary Criticism. Prooftexts 1: 99-104. Kearney, Peter 1977 Creation and Liturgy: The P Redaction of Ex 25-40. ZAW 89: 375-389. Leibowitz, Nehama 1983 Studies in Shemot: Exodus. 2 vols. (Jerusalem: The World Zionist Organization). McBride, S. Dean, Jr. 1995 Perspective and Content in the Study of Pentateuchal Legislation. In James Luther Mays, David L. Petersen, and Kent Harold Richards (eds.), Old Testament Interpret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Essays in Honour of Gene M. Tucker. (Edinburge: T&T Clark): 47-59. Martin, Wallace 1986 Recent Theories of Narrativ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Milgrom, Jacob

1990 Numbers. The JPS Torah Commentary. (Philadelphia: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1 Leviticus 1-16: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AB 3. New York: Doubleday). Moberly, R. W. L. 1983 At the Mountain of God: Story and Theology in Exodus 32-34. JSOTS 22. (Sheffield: JSOT Press). Newing, Edward George 1981 A Rhetorical & Theological Analysis of the Hexateuch. SEAJT 22 (1981): 1-15. 1993 Up and Down In and Out: Moses on Mount Sinai. The Literary Unity of Exodus 32-34. ABR 41 (1993): 18-34. Otto, Eckart 1996 Die nachpriesterschriftliche Pentateuchredaktion im Buch Exodus, in Marc Vervenne (ed.), Studies in the Book of Exodus: Redaction-Reception-Interpretation BETL 126 (Leuven: University Press). Oyen, Geert van 1992 Intercalation and Irony in the Gospel of Mark, The Four Gospels 1992: Festschrift Frans Neirynck vol. 3 (Leuven: University): 949-74.

Renaud, Bernard 1992 La Formation de Ex 19-40: Quelques Points de Repe re. In Le Pentateuque: débats et recherches. XIVe Congres de l ACFEB, ANGERS (1991). Publié sous la direction de Pierre Handebert. LECTIO DIVINA 151 (Paris: le editions du CERF, 1992): 101-133. Rentorff, Rolf 1993 The Paradigm is Changing: Hopes and Fears. BI 1: 34-53. Sarna, Nahum M. 1991 Exodus. The JPS Torah Commentary (Philadelphia: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6 Exploring Exodus: The Origins of Biblical Israel (New York: Schocken Books). Shepherd, Tom 1991a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Markan Intercalation as Illustrated in a Narrative Analysis of Six Passages (Diss., Andrews University). 1991b Intercalation in Mark and the Synoptic Problem. SBL 1991 Seminar Papers. 1993 Markan Sandwich Stories: Narration, Definition, and Function. Andrews University Seminary Doctoral Dissertation Series 18 (Berrien Springs, MI: Andrew University Press). 1995 The Narrative Function of Markan Intercalation. NTS 41: 522-40. Sommer, Benjamin D.

1996 Exegesis, Allusion and Intertextuality in the Hebrew Bible: A Response to Lyle Eslinger. VT 46: 479-489. Suh, Myung Soo 1998 The Tabernacle in the Narrative History from the Exodus to the Conquest. (Ph.D. diss., Sheffield University). Wevers, John William 1990 Notes on the Greek Text of Exodus. SCS 30 (Atlanta: Scholars Press). Wellhausen, J. 1889 Die Composition des Hexateuchs und der Historischen Buecher des Alten Testaments. 2nd ed with Nachträgen (Berlin: Georg Reimer). Wijngaards, J. and : A Twofold Approach to the Exodus. Intertextuality는 여기에서 다루지 않음 Intertextuality에 관하여 Thomas Hatina

1999 Intertextuality and Historical Criticism in New Testament Studies: Is There a Relationship? BI 7: 28-35. 역사비평학자들이 allusion이나 influence의 개념을 최근의 인기있는 용어 인 intertextuality로 재포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사실은 역사비평학과 intertextuality는 서로 상극임. Tanner, Beth LaNeel 1998 Reading Between the Lines: The Book of Psalms and Intertextuality. (Ph.D. diss., Princeton Seminary). Intertextuality가 학자들을 난감하게 하는 한 가지 이유는 intertextuality의 리더들이 같은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는 점 때문인데, 이 논문은 그 리더 들의 개별적인 이론들을 분석해 놓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