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텔레매틱스 국내외 서비스 동향 및 시장동향 김용관 (주)이너큐브 과장 텔레매틱스는 IT산업과 굴뚝 산업이 공동으로 만드는 차세대 - 텔레매틱스 특집 순서 - 성장산업이다. 자동차ㆍ이동통신단말기ㆍPCㆍAVㆍ이동통신 서비스ㆍ통신장비 회사 등을 비롯하여 콘텐츠 제공업체 등이 국내외 서비스 동향 및 시장동향 함께 참여하기 때문이다. 이번 특집 칼럼에서는 세계 장비 및 텔레매틱스 단말 플랫폼 기술 서비스 시장이 오는 2005년에 270억 달러규모로 성장할 정도 텔레매틱스 무선 액세스 기술 로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텔레매틱스의 표준화 GIS/LBS/교통정보 관련 기술 및 기술ㆍ시장 동향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편집자주). 텔레매틱스 서비스 네트워크 접속 기술 개요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게 됐다. 빠르게 진행되는 변 화에 적극 대응하고 나선 것이다. 지금까지 텔레매틱 최근 자동차 산업계와 IT 산업계의 차세대 유망 사 스 서비스를 주도해 온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목표는 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텔레매틱스에 대한 국내외 서비 GM의 온스타(OnStar) 를 제외하면 서비스 자체를 스 동향 및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한 수익창출보다는 점차 고객관계관리(CRM)와 브 랜드 이미지 강화로 초점이 이동하고 있다. 해외 텔레매틱스 서비스 시장동향 또한 해외 텔레매틱스 산업시장은 자동차 업체에 의 해 주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 최근의 해외 텔레매틱스 시장은 거센 변화를 맞고 국의 GM OnStar 서비스로 GM은 96년 Safety 기능 있다. 자동차가 달리는 것 이외에 더 많은 서비스를 제 에 주안점을 둔 서비스를 선보이며 세계적인 텔레매틱 공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 것은 90년대 이후 텔레매 스 열기를 이끌어낸 바 있다. GM 이외에도 포드, 다임 틱스 개념이 등장하면서부터다. 자동차가 단순한 운송 러크라이슬러, 도요타 및 닛산 등 세계 유수의 자동차 수단 또는 이동수단이라는 개념을 넘어 생활공간이라 회사들이 미국, 유럽, 일본 등지에서 텔레매틱스 서비 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따라 더욱 다 스를 시행중에 있다. 양한 수요와 기술이 텔레매틱스 개념을 진화시키고 있 이들 자동차 회사의 텔레매틱스는 현재 자동차 회사 다. 텔레매틱스 업계도 이제는 90년대식 발상으로는 에서 자체적으로 센터를 구축해 서비스를 하는 방식과 78 TTA저널 [제89호]
79
80
81
82
83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