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 2009년 제13권 2호: 209-234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김소형* 조동성** 본 연구에서는 환경경영전략에 대한 구분을 통하여 기업에게 생태환경문제의 개선을 요구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해관계자집단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이해관계자집단의 의미와 기업환경에 대해 생태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환경친화기업의 인증을 받은 183개 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로One-way ANOVA와 함께 Post hoc (Bonferroni test)테스트를 통하여 연구 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은 아직 그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환경경영 전략을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 여 환경경영과 이해관계자를 연결시켜 각 환경전략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도를 파악하 여 한국기업과 외국기업들에게 각기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이해관계자 중요성의 차이를 밝혔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의 검증결과, 같은 환경 인증을 받은 기업들 사이에 서도 환경 전략의 수준 차이에 따라 실제로 인지하는 이해관계자의 중요도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은 정부차원의 환경규제보다도 다른 중요한 이해관계 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적극적인 환경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환경경영, 환경전략, 이해관계자 * 제1저자 ** 제2저자 사사: 산림청이 지원하는 기후변화 대응 산림정책 연구개발사업단 (연구과제번호: S210909L010110) 의 연구비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210 ECO 2009년 제13권 2호 1. 서론 2005년 교토의정서 발표 이후, 본격적인 온실가스 규제와 같은 환경적 규제 사회가 도래했으며, 환경과 관련된 국제기구의 규제, 각국 정부규제, 무역장벽 강 화 등 규제환경의 제도의 변화뿐 아니라 소비자 인식변화로 인한 시장 환경 및 환 경기술개발 압력 등 환경에 대한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 업들은 과거와 달리 재무적인 성과 이외의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 응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기업의 환경적 규제는 도구적 차원에서 환경경영의 시도로써 미래에 있을 더 강한 규제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게 하였다(Newton and Harte, 1997; Porter and vander Linde, 1995).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소비자의 환경품질에 대한 요구가 증 가함에 따라 기업은 환경문제에 대해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 으며, 환경활동도 한층 강화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들(Roberts and Bacon 1997, Minton and Rose 1997, Brown and Wahlers, 1998)은 환경친화적 또는 생태의식적 소비행동을 하는 소비자 집단이 존재하며 그들의 행동은 환경에 대한 관심과 지식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환경에 대한 관심이 환경의식적 소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이종호 외, 2000). 환경경영은 크게 규제 준수 정도, 법적 요구 수준에 대응하는 정도, 그리고 다른 다양한 규제를 넘어 환경전략을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기업전략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Schot and Fisher, 1993) 환경경영을 기업전략의 이슈로 본다면 변화하는 환경규제에 대한 관련 이해관계자의 기대의 일치 정도를 만족시키는 수 단으로 환경대처방안을 하나의 전략이라 볼 수 있다(Garrod, 1997). 이렇게 기업 에 대한 환경적인 요구는 기업이 야기시킨 환경문제와 직접 관계되어있다기 보다 도 간접적으로 환경적 이해관계를 갖는 이해관계자집단(stakeholder)의 문제제기 또는 대응을 통해 일어난다. 따라서 이해관계자 집단을 통한 사회적인 요구, 법,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11 정치적 규제나 조정 그리고 시장의 변화는 기업의 직접적인 행위에 대한 선행요 소로 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경경영에 있어서 이 같은 환경적 이해 관계자 지향적 접근은 중요한 전략적 개념이 된다(남상민, 2003). 본 연구에서는 환경경영 전략에 대한 유형구분을 통하여 기업에게 환경전략 의 수립을 요구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해관계자집단을 파악함으로써 이해관 계자집단의 의미와 환경전략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환경경영전략 의 재분류를 통해 관련 이해관계자 중요도의 차이를 살펴보겠다. 본 연구를 통 해 기업은 지속경영을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관심을 수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경영활동에 있어 관련 이해관계자의 고려를 체화시켜, 재무적 그리고 비 재무적 경영성과로 연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존의 환경전략 분류의 기준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조사대상이 외국기업에 한정되어 그 분류를 한국 기 업에 적용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 략의 큰 줄기가 되는 자원준거이론에 따라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환경경영 전략의 분류를 새로이 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해관계자집단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이해관계자집단의 의미와 기업의 환경경영전략 수립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2. 기존연구 1) 기존 환경경영전략 개념과 유형 환경경영에 대한 현실적 필요성이나 시대적 당위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공감 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아직까지 환경경영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절 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념 정의가 분명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 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제시한 환경경영에 대한 견해는 대체로 다 음의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기업의 환경성과개선을 위한 구체적 기능이나 방법을 중심으로 한 좁은 의미의 환경경영이며(Wolters, 1995) 다른 하 나는 환경문제가 전반적 기업 활동과 연계된다는 점에서 기업의 환경측면을 경
212 ECO 2009년 제13권 2호 영전략 차원에서 해석하고 접근하려는 보다 넓은 의미의 환경경영이다(Steger, 1997). 두 가지의 견해를 종합해 보면 새로운 기업경영 패러다임으로서의 환경경 영은 기업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환경성과를 개선함으로써 경제적 성과와 환경 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일련의 경영활동 이란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 로 받아 들일 수 있다(김오우, 신혜영, 2004). 기업의 환경경영 전략에 관한 연구는 환경경영전략 유형에 관한 연구와 경 영전략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진다. 그러나 환경경영에 관한 연구는 아 직 보편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 전략유형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데 이 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전략유형이 달라지기 때문이며, 아직까지 이 분야에 대 한 연구가 부족한 데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김종대, 연병모, 2005). 환경적 이 슈에 관련하여 초기모델은 Caroll(1979)와 Wartick & Cochrane(1985)가 구분한 2개의 초기 모델에서 시작되었다. 그 후, Hunt&Auster(1990)와 Winsemusis& Guntram(1992)의 연구에서 기업경영에서 환경이 우선과제로 인식되고 상위단 계로 갈수록 환경경영을 위한 장기적 비전이 제시되는 단계적 전략분류가 이루 어진다고 하였다. 그 후, 본격적으로 경영전략에 환경요인을 통합하려는 시도 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Roome, 1992)1 나아가 환경요인이 기업 전략에 하나 로 통합하려는 움직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Sstegger, 1993). 1995년, Hart는 처 음으로 자원준거이론에 근거하여 환경전략을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오염물질 처리단계 (End-of-pipe), 오염예방단계 (pollution prevention or total quality management), 생산관리단계 (product stewardship), 지속발전단계 (sustainable development)의 네 가지 단계로 분류가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인 오염물질 처 리단계는 한정된 자원으로 환경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단계이 다. 둘째로 오염예방단계는 법적 규제 아래에 있는 오염 수준을 더 낮추기 위한 1 김종대, 연병모 (2005), LG 화학의 환경경영전략 및 시스템에 관한 사례연구 재 인용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13 <표 1>환경경영전략유형 정리 년도 연구자 환경경영전략 유형 구분 1979 Caroll 소극적 / 방어적/ 수용적/ 선도적 1985 Wartick & Cochrane 소극적 / 방어적/ 수용적/ 선도적 1990 Hunt & Auster 초보자형 / 소방수형 / 관심 있는 시민형/ 실용주의자 형/ 전향적 기업형 1992 Winsemusis& Guntram 소극형/ 수동형 / 건설형/ 전향형 1992 Roome 무조치/ 규제준수/ 부분적 전략적통합/ 전략적통합 1993 Stegger 무관심형/ 방어형/ 공격형/ 전향형 1995 Hart 오염물질 처리단계 / 오염예방단계 / 생산관리단계 /자 극발전단계 1995 Christie 규제순응형/ 능동형/ 상생형 1995 김종대 규제회피/. 환경규제저항&적응 /환경문제수용/ 환경개 선/통합적 환경전략 2003 Kristel Buysse & Alain 소극적/ 규제예방형 /적극적(리더십전략) Verbeke 계속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생산관리단계는 부정적인 환경적 부담을 전체 제품 수명주기에 고려해서 최소화하는 작업이다. 마지막으로 지속적 발전단계는 청정 기술의 발전을 통해 회사의 성장과 관련된 환경적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단계로 이 단계는 관련 주주들과의 지속적인 비전의 공유가 필요하며 보다 강력한 도덕 적 책임감과 리더십을 요구한다. Kristel Buysse 와 Alain Verbeke (2003)는 Hart 의 네 가지 분류를 보완하여 환경경영의 유형을 소극적, 규제예방형, 적극적 세 가 지로 나누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첫 번째 전략은 소극적 전략(Reactive Strategy)이다. 이 전략은 가장 소극적이고 정적인 대처전략으로 기업들은 정부 규제에 가장 중요성을 두고 거의 일상적인 새 규제에 응답하는 수준에 머무른다. 두 번째 전략은 규제예방 전략으로 정부규제에 맞추어 자원을 배분하는 전략으 로 사후처리전략 보다는 발전했으나 기업은 여전히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 러나 첫 번째 단계인 소극적 전략(Reactive Strategy)보다는 더욱 민감하고 정교
214 ECO 2009년 제13권 2호 하게 규제에 대처하는 전략으로 정부규제에 대처에 따라 기업의 자원이 재분배되 고 재정렬 되는 전략이다. 세 번째 전략은 적극적(리더십)전략으로 보다 선도적인 역할로 환경경영을 인지하고 환경규제에는 큰 중요성을 두지 않으며 환경경영을 수행하는 자체를 경쟁우위에 도달하는 방법이라 생각하는 기업들로 구성되었다. 이상에서 정리한 환경경영의 유형을 정리해 보면 다음 <표 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략 분야에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자원준거이론을 기준 으로 환경경영전략을 분류한 Hart(1995)의 이론을 보완, 발전시킨 Kristel Buysse 와 Alain Verbeke(2003)의 환경경영 분류기준을 근거로 하여 한국기업의 환경경 영 전략을 재 분류하고 분류한 전략들 간에 이해관계자 중요도 차이에 대해 가 설검정 하기로 한다. Kristel Buysse 와 Alain Verbeke(2003)의 분류 기준을 재 분류의 분류 근거로 삼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Kristel Buysse와 Alain Verbeke (2003)은 Hart의 분류를 발전시켰는데 이는 자원준거이론를 근거 기준으로 삼아 경영학의 전략 분야와 환경을 연관시킨 논문이기 때문에 의의가 크다. 경영전략 의 자원준거이론은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능력에 따라서 경쟁우위의 원천이 생겨 나고 핵심역량이나 능력의 개발과 축적을 통해 경쟁우위가 유지된다는 전략분야 의 핵심 이론이다(Barney, 1991). 따라서 경영학적 관점에서 한정된 자원으로 환 경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분류를 시도하여 환경경영 분류 기준 의 기초적인 이론의 틀을 제공한 Hart의 분류와 이를 발전시킨 Kristel Buysse 와 Alain Verbeke(2003)의 분류기준을 통해 이해관계자 관련 기업전략 분류를 시도 해 보기로 했다. 환경부의 환경친화기업 인증을 받은 183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세부내용을 5 점 척도로 설문하였다. 환경친화인증 기업들은 오염물질의 저감, 자원 및 에너지 의 절감, 제품의 환경성 개선, 기타 환경보호활동의 수행을 검증 받아 이에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사업장으로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기업을 말한다. 이 기업들은 경영층의 환경경영 의지, 환경관리체계 구축현황, 환경사고 대응체계 구축현황, 사업장의 환경, 안전관리 현황, 환경관련 법규 및 환경사고 발생현황 등을 보고하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15 고 있다. 환경친화기업들은 국내 소재 기업뿐만 아니라 해외에 현지법인 및 합작 법인을 둔 국내 모기업을 포함하며 크게 전자, 화학, 제지산업을 포함한 제조업 으로 자료는 지역 사업장 별로 구분되어 있다. 환경친화기업이 사업장 단위로 되 어 있는 이유는 단위 사업장이 산재해 있거나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 단위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여 효율적인 환경관리 및 환경개선이 이루어 질 수 있 기 때문이며, 이에 사업장을 대상으로 환경친화기업 지정을 하므로 같은 계열사 기업이라도 지역별 사업장의 결과가 다르면 다른 개체로 간주하였다. 설문 응답 자는 선정 기업의 환경부서 실무자 또는 중간관리자 이상의 담당 임직원에게 질 문하였다. 분류 기준으로는 크게 기업의 환경경영 투자 정도, 선도적 환경경영의 정도, 환경경영 시스템과 절차, 환경경영의 성과, 이해관계자의 인지 수준 정도에 관련 한 10개 항목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분류 기준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환경경영의 투자 정도에 관한 설문에서는 환경관련 투자액수와 종업원 교육, 환경관련 조직역량에 대해 질의하였다. 해당기업의 현재 환경투자지출의 정도와 향후 10년 이내의 환경투자지출 증가 정도는 각각 환경관련 투자지출액과 증가 비율로 측정하였으며, 그 근거는 환경친화기업들이 보고하도록 되어 있는 환경성 평가 및 개선계획서에 기록된 환경투자계획에 따르도록 하였다. 환경경영 관련, 종업원의 교육 및 투자 정도는 환경성 평가 및 개선 계획서의 환경보전 관련 활 동 및 환경경영 지원현황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담당자가 생각하 는 환경경영에 관련한 조직역량의 수준을 초보자 수준에서 글로벌 리더의 수준 까지 5점 척도로 질의하였다. 선도적 환경경영의 내용을 실천하고 있는가에 관한 질문에서는 환경경영에 대한 계획, 전략이 문서화 된 정도와 회사 내, 외부에 환경에 관련된 보고가 얼마 나 잘 이루어 지고 있는지를 질의 하였다. 환경경영에 대한 계획의 문서화 정도와 보고는 각 기업의 환경보고서에 기록된 환경개선계획, 환경친화적 제품설계, 환경 적 재료 사용계획을 참고 하도록 하였다. 설문대상 기업들이 제조업이므로 제품
216 ECO 2009년 제13권 2호 수명주기의 각 과정에 따른 환경전략(방침)을 가지고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제조 업의 경우에는 전과정에 대한 환경성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공정흐름 및 원,부재료 사용에서부터 단위물질 별 물질수지표를 참고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밖에 경영진 평가에 환경적 성과의 내용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도 살펴 보았다. 환경경영의 시스템 항목에서는 환경적 이슈에 대한 통합이 이루어 지고 있는 지, 환경 관련 전담조직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전략적 계획수립에 있 어 임원진들이 환경적인 활동에 어느 정도 참여하는지를 물었다. 마지막으로 환 경경영 성과에 관한 질문에서는 회사 내 과업 중 환경과 관련된 과업이 어느 정 도 인지, 환경전략을 도입함에 따라 회사의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 향을 끼쳤는지를 질의하였다. 재무적인 성과의 경우에는 환경관련 프로젝트 도입 에 관련한 성과향상 정도 또는 오염물질 배출 원단위분석과 투입배출물질에 대 한 물질수지표를 참고하여 실무담당자가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비 재무적인 성과 에 관해서는 환경오염물질 배출저감 현황 및 오염물질 개선현황, 기업이미지 개선 정도, 환경사고 및 민원 발생현황 감소 정도를 참고하여 담당자가 응답하도록 하 였다. 환경친화기업의 인증을 받은 총183개의 기업 중 42개의 기업자료를 수집하 였고 중요도 점수(적극성)에 따라 군집분석(SPSS의 Qucik cluster analysis)의 방 법을 사용하여 전략을 분류했다. 군집분석은 변수들이 어느 정도 일정한 패턴을 갖고 군집화 될 수 있다는 유사성(Similartity)를 기준으로 이를 수치속성의 거리 를 통해 통합한다. 각 대상은 측정하는 변수에 따라 n차원 상의 공간에 각 위치 를 차지하므로 유클리디안 거리 (Squared Euclidean distance)측정 방법을 사용 한다. 각 항목별 점수의 분포에서 유사성에 따라 가장 높은 점수 부근에서 밀집 하는 기업들을 선도적 대처기업으로, 가장 낮은 점수 분포에서 밀집하는 기업들 을 소극적 대처기업으로 구분하고, 중간 점수 분포에서 밀집하는 기업들을 규제 민감형 대처기업으로 구분하여 3가지 전략으로 최종 분류하였다. 항목별 점수에 따른 분류 결과는 소극적 대처기업 15개, 담당자가 생각하는 적극적 대처기업 15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17 <표 2> 환경전략의 분류 평가항목 환경경영의 투자정도 소극적대처기업 규제민감형 대처기업 선도적대처기업 ANOVA F 환경투자지출정도 2.47 2.67 3.75 5.538 환경투자지출 증가정도 2.80 3.73 4.42 33.995 종업원교육 및 투자 2.67 3.73 4.58 28.298 조직역량 3.13 4.27 4.58 23.431 환경경영활동내용 문서화된 계획이나 전략 2.73 3.40 4.00 11.363 제품수명주기 3.60 4.60 4.92 21.270 내부환경보고 3.47 4.47 4.75 14.044 외부환경보고 2.80 4.07 4.67 34.921 경영진평가내용 3.13 4.00 4.67 34.921 환경경영시스템과 절차 환경경영 이슈통합 3.13 4.07 4.75 16.659 환경경영 전담조직 2.87 3.93 4.83 41.334 임원진의 참여 2.87 3.47 4.25 18.139 기업 수 15 15 12 개, 선도적 대처기업 12개로 분류되었다. K.Buysse and Verbeke(2003)에서 소극 적 대처기업, 규제예방형 기업, 적극적 기업을 본 연구에서는 소극적 대처기업, 규 제민감형 기업, 선도적 대처기업으로 명명하였다. 소극적 대처기업은 환경전략에 사후대처적인 방법으로 환경규제에 상대적으로 수동적인 대처를 하는 기업을 의 미한다. 이 기업들은 환경방침이 정해지면 그대로 따르며, 환경 규제가 변경된 후 순응적인 전략을 취한다고 할 수 있다. Kristel Buysse와 Alain Verbeke(2003)의 연구에서와 같이 이 전략에서는 제도적인 제약으로 환경경영을 수행하고 환경비 용도 크다. 규제민감형 대처기업은 소극적 대처기업들 보다는 적극적이지만 환경 규제를 충족시키는 정도에 머무르며, 규제 수준까지만 대처함으로 변화하는 규
218 ECO 2009년 제13권 2호 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업들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도적 대처기업은 규제수준을 넘어 경쟁우위로 가기 위한 노력을 하는 기업군이라 할 수 있다. 이 기업들은 이미 규제수준을 충족했음에도 불구하고 규제수준을 넘어서는 새로 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가장 적극적인 전략 그룹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다 음 <표 2>는 분류결과의 내용이다. 환경친화인증을 이미 획득한 기업군들을 대상으로 조사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사업장)별 대처 수준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후 반응적으로 규제에 대처하거나 규제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기업(사업장)들이 30개로 많은 부 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환경친화인증 기업들조차 규제에 높은 중요성을 두 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이 분류는 아직 보편적인 분류가 확정된 바 없고 한 국 기업의 특성에 맞는 연구가 진행된 바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한국기업의 환경경영 에 따른 분류가 필요한 작업이라 하겠다. 그리고 나아가 분류한 환경친 화인증을 획득한 환경경영기업 간에도 수준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기로 하겠다. 그리고 이 분류를 토대로 각 수준별 전략 그룹들이 이해관계자의 중요도를 부여 할 때,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기로 한다. 2) 환경경영과 이해관계자 기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직접적으로 생태학적 환경보호 관점에서 발생하 거나 간접적으로 이해관계를 갖는 이해관계자집단의 문제제기 또는 대응을 통해 이루어 진다(남상민, 2003). 즉, 이해관계자 집단의 사회적인 요구나 법, 정치적 규 제나 조정 그리고 시장에서의 변화를 통해 직접적인 행위에 대한 중요한 요구로 전이 될 때, 경영활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적 관점으로 변할 수 있다. 남상민(2003)은 그의 연구에서 사회적 요구로 인해 경영활동에 결정적인 영 향을 미칠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경영에 있어 이해관계자집단 지향적 접근은 중 요한 개념이며 환경경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집단의 효 율적인 관리가 시발점이 된다고 하였다. 연구에서 이해관계자는 기업에게 그들의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19 요구를 주장할 뿐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와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광범 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구집단을 말한다. 이해관계자라는 용어는 1708년 옥스퍼드 사전에서 어떤 일에 관계를 가진 사람 으로 조직의 생존을 위해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집단으로 협의의 의미 로 이해되었다. 그 후, 기업의 경영전략 분야에서 Freeman(1984)이 이해관계자를 기업의 경영 목표 달성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 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조직 또는 집단 으로 광의의 의미에서 정의하며 기업에 영향을 주는 집단이 기업에 영향을 받는 집단과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후에 기업으로부터 영 향만을 받는 집단의 경우에도 이해관계자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이 생겨났다. 기업의 경영활동은 여러 형태의 사회적 집단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 문에 이해관계자의 행위는 전반적 기업활동영역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 다. 즉, 기업에 대한 이해의 영역과 함께 이해관계자집단이 갖는 힘은 중요 요인으 로 작용하며 이와 같은 이해관계자집단이 갖는 힘은 결국 특정 결과와 사안에 대 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해관계자집단의 능력이 된다. 이에 따라 이해관계자 집 단을 구분해보면 기업에게 중요한 이해관계자 집단은 국가, 노동자, 소비자, 경쟁 업체, 사회, 자본제공자, 공급업자 등으로 파악된다(남상민, 2003). 이와 같은 이 해관계자 지향적 접근은 기업과 환경의 제도적 분류와 파악에 상응한다고도 할 수 있다(Sauter-Sachs, S, 1992). 이러한 이해관계자집단은 기업과의 관계와 그들 이 가진 잠재적인 영향력의 관점에서 구분되며 따라서 기업은 이해관계자의 영향 력을 배제할 수 없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집단을 고려하기 시작하였다. 경영전략 적 관점에서 효과적인 이해관계자 관리 및 대응을 위해 이해관계자를 직접, 간접 의 기준으로 또는 핵심, 부가적, 또는 1차, 2차 등의 기준에 의해서 이해관계자를 목록화하고 분류하여 왔는데 상황에 따른 영향잠재력과 협력관계에 따른 전략적 이해관계자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Savage et al.,1991). 1 최대한의 협력관계 구축과 영향 및 잠재력이 낮은 이해관계자 (공급업체 및 종 업원 등) 2 협력관계도 낮고 잠재력도 낮은 이해관계자 (경쟁업체 및 지역주민
220 ECO 2009년 제13권 2호 등)3 협력관계는 낮으나 높은 영향 및 잠재력을 가지는 이해관계자 (언론 및 미 디어) 4 일반적인 협력적 관계를 갖으며, 매우 높은 영향 및 잠재력을 보유한 이 해관계자 집단(주주 및 투자자, 고객 등 포함)으로 이해관계자 유형을 구분하였 다. 구분된 4그룹의 이해관계자 집단이 그들의 이해와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서 선택할 수 있는 전략을 다시 4가지로 제시된다. 첫째는 최대한의 협력과 낮은 잠 재력을 갖는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수용전략으로 이해관계자들을 기업의 의사결정에 참여시켜 높은 협력 및 협조관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이다. 둘째는 감 시전략으로 협력관계도 낮고 잠재력도 낮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다. 해당 이해관계자 집단은 기업에게 그들의 행위를 최소경비로 관찰 할 수 있도록 해준 다. 셋째는 협력관계는 낮으나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방어전략이다. 기업에 대한 의존성을 대결이나 분쟁의 토대를 축소시켜 사전 에 예방하는 전략형태이다. 넷째는 협력전략으로 일반적인 협력관계를 갖고 높은 영향 및 잠재력을 보유한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높은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 려는 전략이다. 이와 같은 전략은 이해관계자 집단의 예측되는 행동과 영향력 및 이의 행사시도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대비를 유지하기 위해 각 이해관계자를 예 측하고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이기훈, 2005, 2006).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전략의 수립 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적인 개발 을 위해 구조적 변환을 요구하고 있다(Huntchinsonm, 1992; Shrivastava & Hart, 1995). 기업은 이제 이해관계자의 관점에서 기업목표를 장기적이고 환경지향적인 관점에서 설정해야 하며, 경영전략의사결정에 환경문제를 고려해야 하며, 자원 및 능력을 지속적인 전략의 지원을 위해 자원을 재배열 해야 한다. 또한 조직구조와 시스템을 환경친화적인 방향으로 구조화시키고 전략경영의사결정 프로세스에 주 요 외부이해관계자집단의 적극적인 참여를 필수화시키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기업의 성과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으로 바람직한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사회적, 환경적 관점에서 내부조직을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21 특히,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환경경영과 이해관계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라 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들의 환경압력에 대한 의사결정은 단순한 상황적응이 아 니라 기업 조직 내 관련 당사자들의 가치지향을 포함한 전략적 문제로 관련당사 자들이 참여하는 정치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환경전략 영향요인 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이해관계자의 환경압력에 대한 기업의 의사결정은 환경관 련 외부압력에 반응하여 기업내부의 유기적 상호과정과 연계한 의사결정을 통해 기업의 환경전략이 결정됨을 강조하고 있다(김종대, 연병모, 2005). 이해관계자 고 려에 따라 기업의 환경전략에 관한 의사결정이 내려질 수 있으며 이에 기업들이 각 이해관계자 집단을 어느 정도 고려하고 어느 이해관계자에게 가장 중요성을 부여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특히, 앞서 환경경영 전략의 적극성에 따라 분류 한 세가지 환경경영 의 수준에 따라 각 이해관계자집단의 중요성의 차이를 살펴 보기로 한다. 3. 가설설정 이상의 환경경영전략 유형 분류를 살펴 볼 때, 환경경영전략은 단일 전략으로 기업마다 일괄적으로 세워질 수 없으며, 연구자들은 각기 다른 기준을 사용해 환 경전략을 구분함을 알 수 있다. 앞서 경영학의 전략분야의 핵심이론인 자원준거 이론을 분류기준으로 한 K.Buysse and Verbeke(2003)에 따라 소극적 대처전략, 규제민감형 대처전략, 선도적 대처전략의 세 가지 유형으로 환경전략을 분류했 다. 소극적 대처전략을 취하는 기업들은 법규나 제도가 정해지면 사후 대처적으 로 따르므로 규제변화에 민감하지 않으며 가장 적극적인 전략을 취하는 기업들 은 이미 규제요건을 넘는 수준으로 대처함으로 규제에 민감하지 않다(K.Buysse and Verbeke, 2003). 그리고 두 번째 전략집단인 규제민감형 전략을 취하는 기업 들은 규제에 따른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성을 두고 법과 규제의 변화에 민감하 게 반응하는 것을 보았다.
222 ECO 2009년 제13권 2호 환경친화인증을 받고 환경경영을 시행하고 있는 한국기업들 가운데에도 환경 전략을 단순한 규제나 제도에 대응하는 것이라 생각하는 전략기업군이 존재했 고 소극적 대저전략 이라 하였다. 가장 소극적인 대처전략을 따르는 기업들은 법 규나 제도가 정해지면 사후 대처적으로 따르므로 규제변경에 민감하지 않았다 (K. Buysse and Verbeke, 2003). 또한 이 전략기업군은 환경비용에 민감하고 최 소한의 규제만을 지키려 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다 적극적으로 법과 규제의 변화 를 주시하고 규제수준을 뛰어 넘는 한단계 높은 차원의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은 규제민감형 대처전략기업으로 구분하였다. 이 전략그룹들은 법과 규제의 변화를 항상 주시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환경문제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환경보호의 목표와 환경보존의 책임감을 갖는 기업은 규제차원을 훨씬 뛰어 넘어 환경규제나 최소한의 법의 수준에 상관없는 높은 차원의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들을 선도적 대처전략 기업군으로 분류하였다. 선도적 대처전략의 기업들은 규제수준을 충분 히 넘어서는 전략을 구사하므로 규제에는 규제민감형 대처전략의 기업들 보다 민 감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즉, 환경 규제와 관련해서는 소극적 대처전략 기업 군들은 사후대처적인 전략으로 규제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선도적 대처전략 기업 군들도 이미 규제수준을 훨씬 뛰어 넘으르모 규제에 민감하지 않으며 규제민감 형 대처전략 기업들이 규제에 가장 늪은 중요성을 부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H1. 규제민감형 대처 기업들은 선도적 대처수준이나 소극적 대처수준의 기 업들 보다 환경규제압력관련 이해관계자들에게 더 높은 중요성을 부여 할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이해관계자의 환경압력에 대한 기업의 의사결정은 환경관련 외 부압력에 반응하여 기업내부의 유기적 상호과정과 연계한 의사결정을 통해 기 업의 환경전략이 결정됨을 강조하고 있다(김종대, 연병모, 2005). 문헌연구의 내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23 용을 종합해 볼 때, 환경전략은 이해관계자 집단과 긴밀한 관계로 환경전략유형 에 따라 각 이해관계자집단에게 부여하는 중요도가 다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남상민의 연구에 따르면 기업에게 중요한 이해관계자 집단은 국가, 노동자, 소비 자, 경쟁업체, 사회, 자본제공자, 공급업자 등으로 파악된 바 있다. 또 다른 연구 에서는 경쟁기업, 정부규제, 압력단체, 고객, 공급업자, 종업원, 유통업자 등의 이 해관계자가 환경경영전략의 중요 영향요인이라 하였으며(Hussain, 1999) Hart와 Shrivastava(1995)는 환경경영전략의 요인으로 정부규제, 사회적 책임압력, 시장 압력, 환경관련규범, 조직구조 및 시스템 등을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앞의 전략 분류에서도 보았듯이 기업의 전략 수준은 서로 상이하였고 그에 따른 기업의 이 해관계자 중요도 고려도 전략에 따라 다를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다. 특히, 세 전 략 집단 중에서도 선도적 대처전략을 취하는 기업들이 가장 적극적이고 활발한 환경경영을 시도하므로 세 전략 집단 중에서도 가장 광범위한 이해관계자집단을 고려하고 보다 높은 중요성을 부여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 은 가설이 도출되었다. H2. 선도적 대처수준의 기업들이 소극적 대처수준의 기업과 규제민감형 대처전략의 기업들보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더 높은 중요성을 부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각 대처수준에 따른 전략그룹간의 성과 차이를 검토해 볼 수 있 다. 대처 전략에 따라 성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며 성과차이 면에서도 선도적 대처수준의 기업이 소극적 대처수준의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들과 적극적 대처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들 보다 재무적 또는 비재무적인 성과가 좋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 가설은 재무적, 또는 비재무적 성과에 대해 다음 과 같은 가설을 도출할 수 있다.
224 ECO 2009년 제13권 2호 H3. 선도적 대처수준의 기업은 규제민감형 대처전략의 기업과 소극적 대처 수준의 기업과 비교해 재무적/ 비재무적인 성과가 더 좋을 것이다. 4.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 방법을 선택하였다. 설문대상은 환경부에서 환경친화기업의 인증을 받은 183개 기업(사업장)을 대상으로 했으며 회수한 설문 지는 총 183부 중, 43부로 회수율은 23.6%며, 분류 기준으로는 크게 기업의 환경 경영 투자 정도, 선도적 환경경영의 정도, 환경경영 시스템과 절차, 환경경영의 성 과, 이해관계자의 인지 수준 정도에 관련한 10개 항목을 기준으로 하였다. 환경친 화기업의 인증은 기업 스스로가 환경성을 평가하고 개선계획을 실행하도록 하여 사업장의 자율적 환경관리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사전 심사 후 등 록된다. 환경친화기업의 지정기준은 1차 서류심사의 단계와 2차 현장실사로 이루 어져 있는데 서류심사에서는 환경관리체계 구축 정도, 사업장 환경관리 등 환경 관리 일반현황에 대한 사전심사를 거처 100점 만점 중 80점 이상을 획득한 기업 을 우선적으로 선발하며 2차 현장실사 단계에서는 6인 내지 10인의 위원으로 심 사단을 파견해 환경성 평가의 충실성, 분야별 환경관리 및 환경개선현황, 환경개 선계획에 대한 현지 실사 및 평가를 통해 일정 점수 이상 획득한 기업에 대하여 환경부에서 환경친화기업 인증 주는 방식으로 인증을 부여한다. 따라서 사전 심 사를 거친 기업들이므로 인증을 받은 기업들은 환경관리체계가 어느 정도 구축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인증 후 매 1년마다 환경개선 이행상황 및 오염물질을 채취, 검사하여 지정 계속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환경친화기업들은 중소기업과 해외 법인을 포함한 제조업으로 산업 별 제한 은 없기 때문에 통계 분석 시에 기업 규모와 산업을 제한하기로 했다.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25 2)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집단 간의 차이를 보기 위해 SPSS에서 One-way ANOVA 방법을 이용하였다. ANOVA는 종속변수의 개별평균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차이를 검증 하고 MANOVA는 상호상관이 가정되는 여러 종속변수들의 선형조합에 의한 평균 벡터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ANOVA는 앞서 분류한 환경경영의 세 가지 유형이 각 이해관계자의 중요성 과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해관 계자의 중요성, 다시 말해 이해관계자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ANOVA가 적합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5. 결과 각 전략에 따라 이해관계자에 대해 중요성을 인지하는 정도는 차이를 보였 다. 이에 대해 각 이해관계자의 중요성과 ANOVA-F값을 <표 3>에 정리하였다. 높 은 F값은 기업 사이에 이해관계자 중요성의 차이가 큰 것을 의미한다. 표의 숫자 는 설문지의 측정값 평균을 의미하고 괄호 안의 값은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소극적 대처전략을 취하는 기업들은 국내소비자를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 로 들었고, 규제민감형 대처기업들은 국제협약과 지방공공단체를, 선도적 대처전 략을 취하는 기업들은 국외소비자. 국내외공급자, 환경단체, 언론, 정부를 모두 중 요한 이해관계자로 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규제민감형 대처전략의 기업 들이 선도적 대처수준이나 소극적 대처수준의 기업들보다 규제압력 관련 이해관 계자들에게 더 높은 중요성을 둘 것이란 가설 1은 지지되지 않았다. F값으로 볼 때, 세 집단의 차이는 유의했지만, 선도적 대처전략 집단이 여전히 규제관련 이해 관계자에게 가장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유의수준.01을 기 준으로 평가했을 때 이다. 규제관련 이해관계자들에게 가장 높은 중요성을 두는 전략집단은 선도적 대처전략집단이었다. 요인점수는 선도적 대처전략, 적극적 대
226 ECO 2009년 제13권 2호 <표 3> 이해관계자 유형 별 중요도 차이 이해관계자 유형 외부 1차이해관계자 소극적대처전략 규제민감형 대처전략 선도적대처전략 ANOVA F 국내소비자 3.60(0.737) 4.2(0.862) 4.63(0.389) 10.081* 국외소비자 3.20(0.676) 4.07(0.799) 5.00(0.000) 27.524* 국내공급자 3.27(0.704) 3.87(0.834) 5.00(0.000) 23.762* 국외공급자 3.27(0.594) 4.20(0.561) 4.92(0.289) 35.263* 2차 이해관계자 국외경쟁자 3.93(0.704) 4.20(0.676) 4.92(0.289) 9.204* 국내경쟁자 3.47(0.516) 3.93(0.799) 4.75(0.452) 14.489* 국제협약 3.47(0.516) 4.33(0.671) 4.67(0.492) 17.735* 환경단체 3.53(0.640) 3.93(0.799) 4.92(0.289) 16.521* 언론 3.53(0.640) 3.93(0.799) 4.92(0.289) 16.521* 내부 1차 이해관계자 종업원 3.33(0.617) 4.07(0.594) 4.83(0.389) 24.581* 주주 3.13(0.640) 3.60(0.910) 4.42(0.669) 9.713* 금융기관 3.40(0.507) 4.00(0.756) 4.75(0.452) 17.106* 규제관련 이해관계자 정부 3.80(0.775) 4.13(0.743) 4.92(0.289) 9.800* 지방공공단체 3.80(0.676)) 4.47(0.640) 4.75(0.452) 8.938* (*P<0.01) 처전략, 소극적 대처전략의 순으로 나타났다. 규제민감형 대처전략 기업들이 규 제관련 이해관계자들에게 가장 큰 중요성을 두지 않은 결론은 Kristel Buysse와 Alain Verseke (2003)의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이다. 이는 설문대상을 한국기업만 으로 한정한 점, 그리고 한국에서도 환경경영을 시행하는 기업들로 구성된 환경 친화기업인증을 받은 기업에만 설문이 한정된 점에 기인하여 선행연구와 차이가 발생하였다고 생각된다.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27 한국기업의 환경경영의 단계는 출발선 상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때문에 환경 경영을 시작하는 기업들은 소극적이든 규제대처전략의 기업이든 더 나아가 선도 적인 역할을 하는 기업집단 모두가 규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한 규제관련 이해관계자에게 모두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또한 여전히, 규제수준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환경경영을 구사하 는 선도적 대처전략을 취하는 기업들이라도 규제에 민감하게 대처하고 이와 더불 어 환경경영의 역량을 키워 이를 경쟁우위로 가져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선도적 대처수준의 기업들이 소극적 대처수준의 기업들과 적극적 대 처수준의 기업들보다 환경규제압력 관련 이해관계자들에게 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아니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선도적 대처수준의 기업들이 이해관계자들에게 가장 높은 중요성을 둘 것이 라는 가설2는 지지되었다. 선도적 대처전략을 취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모든 이해 관계자를 다른 대처수준의 전략 기업들 보다 더 큰 중요성을 부여하였고 F값을 볼 때,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이해관계자들도 많았다. 특히, 외부1차 이해관계자 인 국외소비자, 국내공급자에서 가장 큰 F값을 보여 전략기업 간의 차이를 보였 고 2차 이해관계자들 가운데에선 환경단체, 내부 1차이해관계자에선 종업원, 주 주 규제적 이해관계자에선 정부 지방공공단체에서 중요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선도적 대처수준의 기업이 규제민감형 대처수준의 기업과 소 극적 대처수준의 기업보다 이해관계자에게 더 큰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가설 3역시 지지되었다. <표4>를 보면 선도적 대처기업은 과업 내용에서부터 소극적 대처기업과 규제민감형 대처기업과 달리 환경과 관련한 과업이 많으며 재 무적 성과, 비재무적 성과도 높음을 알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환경과업의 차이와 재무적 성과의 차이와 비교해 볼 때 특 히, 비 재무적 성과 부분에서 훨씬 선도적 대처기업이 가장 큰 성과차이를 보인
228 ECO 2009년 제13권 2호 <표 4> 환경경영 전략유형 별 성과 차이 소극적대처기업 규제민감형 대처기업 선도적대처기업 ANOVA F 환경과업 3.53(0.516) 4.07(0.704) 4.50(0.522) 9.037* 재무적 성과 3.73(0.799) 4.33(0.617) 4.67(0.492) 7.068* 비재무적 성과 3.47(0.743) 4.27(0.799) 5.00(0.000) 189.497* 다는 것이다. 비재무적 성과는 ANOVA값이 매우 크게 나타나 환경경영에 소극적 으로 대처하는 기업들과 적극적, 선도적 대처기업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 다. 비 재무적 성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성과이나 직원들의 만족, 몰입도, 회사 이 미지 개선 등 기업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원이라 할 수 있겠다. 소 비자 인식변화로 인한 시장 환경 및 환경기술개발 압력 등 환경에 대한 변화도 빠 르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들은 과거와 달리 재무적인 성과뿐만 아 니라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경경영을 실행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6. 시사점 본 논문의 시사점은 크게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아직 그 분류가 명확 하지 않은 환경경영 전략을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는 것이다. 기존 논문에 서 여러 가지 유형으로 정리되어 있던 분류 체계를 문헌연구를 통해 가장 보편적 으로 많은 기업들에게 적용 될 수 있는 방향으로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소극적 대처전략, 규제민감형 대처전략, 선도적 대처전략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둘째는 환경경영과 이해관계자를 연결시켜 각 환경전략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 도를 파악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 언급했듯이 같은 환경 인증을 받 은 기업들이지만 환경 전략의 수준 차이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고 실제로 인지하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29 는 이해관계자의 중요도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만일, 환경 인증을 받지 않 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면 더 큰 차이를 보것이라 예상된다. 셋째 는 한국 고유의 기업 특성으로 인해 외국 기업들과의 이해관계자 중요성의 차이 를 밝힌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문과 달리 규제민감형 대처수준의 기업이 항상 규제 차원의 이해관계자에게 가장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이 아님을 발견하였 다. 이는 한국의 특성이 반영된 점을 가장 큰 이유로 들 수 있다. 환경경영에 시작 단계인 한국 기업들은 대처수준과는 별도로 모두 규제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큰 한계점도 존재한다. 첫째는 샘플 수가 너무 작 아 본 연구를 일반화 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 점은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 여 보완되어야 할 점이라 생각된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환경친화기업의 인증 을 받은 기업들의 범위에서 나아가 특정 산업 군의 일반 대상기업들을 대상으로 더 넓은 범위의 설문조사를 통해 보다 일반화 시키고 전략간 차이 분석과 이해관 계자 중요도를 구분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은 정부차원의 환경규제보다도 다른 중요한 이 해관계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적극적인 환경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Neu, Warsame, and Pedwell, 1998). 또한 소극적 대처전략이나 적극적 대처전 략을 취하는 기업들도 각 기업의 자원과 여건에 맞게 전략을 세우는 것 또한 중 요하지만 환경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비재무적 성과 또한 중요 시 하는 선도적 대처전략 방안 전략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해 본다.
230 ECO 2009년 제13권 2호 참고문헌 김오우 신혜영. 2004. 환경경영에 따른 지속가능발전 효용의 고찰. 한국경영교육학회. 36: 287-302. 김종대. 1999. 한국기업의 환경정보 공시실태분석. 산업과 경영. 12(1): 163-182. 김종대 이의훈. 2003. 환경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정책제안을 위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5: 259-273. 김종대 연병모. 2005. LG화학의 환경경영전략 및 시스템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경영학회지. 18(4) : 1807-1833. 김종대 조문기. 2006. 기업의 환경경영활동에 대한 주식시장의 평가. 대한경영학회지. 19(6): 2485-2512. 남상민. 2003. 기업, 환경 그리고 이해관계자 집단: 기업관점에서 이해관계자집단에 대한 생태적, 전 략적 접근을 위한 토대, 전략, 영향을 중심으로. 한독경상학회. 27: 81-108. 이기훈. 2005. 지속가능성 경영과 기업가치 평가. 박영사.. 2006.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전략적 이해관계자 관리전략. 한국항공경영학회. 4(2): 97-113. 이종호 노정구 김인숙. 2000. 환경의식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 구. 29(2): 171-195. 칼 폴라니 지음. 홍기빈 옮김. 2009. 거대한 전환 (원제: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도서출판 길. Barney, J.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99-120. Brown, J.D., and R.G. Wahlers. 1998. Environmentally Concerned Consume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Spring: 39-46. Clarkson, M. 1998. The Corporation and it s Stakeholders: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Christie et al., H. Rolfe, and R. Legard. 1995. Cleaner Production on Industry. Policy Studies Institute. Davis, K. and Frederick, W. 1984. Business and Society: Corporate Strategy, Policy, Ethics.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s. Freeman, R.E., 1984. Strategic Management : A stakeholder Approach.. Pitman Books.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31 Hunt, C. and E. Auster. 1990. Proa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Avoiding the Toxic Trap Sloan Management Review 31(2):7-18. Hussain, S. 1999. The Ethics of Going Green :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ebate.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8(4): 203-210. Hutchison, C. 1992. Corporate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Long Range Planning 25(4): 9-12. Roome, N. 1992. Develop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ies: Linking Quality and the Environment.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1(1):11-24. Steger, U. 1993. The Greening of the Board Room : How German Companies are deal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Environmental Strategies for Industry: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Research Needs and Policy Implications. Washington, D.C. Island Press. 147-166. Shrivastava, P. and S. L. Hart. 1995. Creating Sustainable Corporations.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4(2): 154-165. Garrod B. 1997. Business strategies, globalization and environment in Globalization and Environment. OECD: Paris: 269-314. Minton, A.P. and R.I. Rose. 1997.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cern on Environmental Friendly Consumer Behavio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0: 37-48. Newton T, Harte G. 1997. Green business technicist kitsch.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4(1):75-98. Porter ME, van der Linde C. 1995. Toward a new conception of the environmentcompetitive relationship.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9(4) :97-118. Vandermerwe, S. and M.D. Oliff. 1990. Customers Drives Corporations Green. Long Range Planning 23(4): 10-16. Winsemius, P. and U.Guntram. 1992. Respon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llenge. Business Horizons 35(2)March-April: 12-20. (2009년 10월 22일 접수, 2009년 12월 7일 게재확정 )
232 ECO 2009년 제13권 2호 <첨부 환경친화기업 회원list> 경기서울지역(30개사) 인천지역(14개사) 경북지역(22개사) 1 한국동서발전(주) 일산복합화력발전소 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주) 1 (주)두산주류BG 경산공장 2 삼성전자(주) 수원사업장 2 지엠대우오토앤센테크놀로지(주)부평공장 2 삼성전자(주) 구미2사업장 3 삼성전자(주) 기흥사업장 3 한국중부발전(주) 인천화력발전본부 3 삼성전자(주) 구미1사업장 4 (주)아모레퍼시픽 스킨케어사업장 4 동부제철(주) 인천공장 4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구미1공장 5 삼성전기(주) 수원사업장 5 한국서부발전(주) 서인천발전본부 5 LG전자(주) TV모니터 사업장 6 삼성에버랜드(주) 6 한국남부발전(주) 신인천복합화력본부 6 LG마이크론(주) 본사 7 LG전자(주) 평택공장 7 씨제이제일제당(주) 인천2공장 7 LG마이크론(주) 1공장 8 한라공조(주) 평택공장 8 씨제이제일제당(주) 인천1공장 8 유한킴벌리(주) 김천공장 9 (주)만도 평택공장 9 씨제이라이온(주) 9 삼성코닝정밀유리(주) 10 유한킴벌리(주) 군포공장 10 앤프라니(주) 인천공장 10 (주)실크론 구미1공장 11 한국가스공사 평택생산기지 11 한국가스공사 인천생산기지 11 엘아이지넥스원(주) 구미공장 12 아시아나항공(주) 12 씨제이제일제당(주) 신선 인천공장 12 LG Didplay(주) (구미1공장) 13 한국중부발전(주) 서울화력발전소 13 아시아나항공(주) 항공기정비 지원시설 13 제일모직(주) 구미사업장 14 (주)호텔신라 14 GS 파워(주) 부천사업소 14 삼성데스코(주) 대구점 15 (주)대한항공 15 도레이새한(주) 16 SH공사(노원열병합발전소) 원주권역(16개사) 16 LS전선(주) 구미공장 17 한국남동발전(주) 분당복합화력발전소 1 (주)두산주류BG 강릉공장 17 LS전선(주) 안동공장 18 GS Power(주) 안양열병합발전소 2 (주)한독약품 음성공장 18 LG Didplay(주) (구미 2,3공장) 19 기아자동차(주) 소하리공장 3 (주)만도 원주공장 19 LG전자(주) PDP 2사업장 20 기아자동차(주) 화성공장 4 한국동서발전(주) 동해화력발전처 20 인탑스(주) 21 (주)에스아이플렉스 5 한국남동발전(주) 영동화력발전처 21 동양종합식품(주) 22 오비맥주(주) 이천공장 6 (주)국숙당 횡성공장 22 LG Didplay(주) 4,5,6공장 23 디아지오코리아(주) 24 (주)복천식품 25 (주)한국야쿠르트 이천공장 26 씨제이제일제당(주) 이천1공장 27 (주)하이닉스반도체 이천공장 28 (주)하이닉스 엔지니어링 29 (주)진로 이천공장 30 (주)실트론 이천공장 전북지역 (12개사) 1 전주페이퍼 2 테크팩솔루션 군산공장 3 두산주류BG 군산공장 4 휴비스 전주공장 5 LG화학 익산공장 6 LG생명과학 익산공장 7 한솔케미칼 전주공장 8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 군산공장 9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10 셰플러코리아(유) 전주공장 11 만도 익산공장 12 동우화인켐
환경경영 전략유형에 따른 이해관계자 중요성 및 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233 경남지역(35개사) 1 씨제이제일제당(주) 부산공장 2 삼성전기(주) 부산사업장 3 LG전자(주) 창원1공장 4 STX 엔진(주) 5 삼성테크윈(주) 제1사업장 6 볼보그룹코리아(주) 7 LG전자(주) 창원2공장 8 한화석유화학(주) 울산1공장 9 한화석유화학(주) 울산2공장 10 (주)삼양사 울산공장 11 현대자동차(주) 울산공장 12 삼성BP화학(주) 13 삼성SDI(주) 부산사업장 14 (주)LG화학 울산공장 15 (주)LG생활건강 울산공장 16 (주)헥시온코리아 17 (주)LG생명과학 온산공장 18 (주)LG생명건강 온산공장 19 엠도흐멘코리아(주) 20 한국바스프(주) 울산유화공장 21 한국바스프(주) 울산유화2공장 22 한국바스프(주) 울산 화성공장 23 삼성석유화학(주) 울산사업장 24 셰플러코리아(유) 창원1,2공장 25 한국동서발전(주) 울산화력본부 26 삼성정밀화학(주) 27 금호석유화학(주)울산고무공장 28 (주)풍산 온산공장 29 한국남부발전(주) 부산복합화력본부 30 태림농산 31 금호석유화학(주)울산수지공장 32 효성(주) 용연2공장 33 효성(주) 용연1공장 34 삼성테크윈(주) 제2사업장 35 서울우유협동조합 거창공장 충청지역 (37개사) 광주/전남/제주지역 (27개사) 1 아모레퍼시픽 매스뷰티 사업장 1 LG화학 엔씨씨옥소알콜공장(여수NCC공장) 2 유한킴벌리 대전공장 2 금호피앤비화학 제2공장 3 한라공조 대전공장 3 한국바스프 여수공장 4 한화 대전공장 4 삼성광주전자 광주제1공장 5 한솔제지 대전공장 5 삼성광주전자 광주제2공장 6 로옴코리아 대전공장 6 한화 여수공장 7 한화 보은공장 7 LG화학 여수공장 8 LG화학 청주공장 8 금호폴리켐 여수공장 9 LG생활건강 청주공장 9 한국남동발전 여수화력발전처 10 한화L&C 부강1,2공장 10 LG화학 나주공장 11 LG전자 청주공장 11 금호석유화학 여수공장 12 LG마이크론 청주공장 12 한국동서발전 호남화력발전처 13 대한펄프 청주공장 13 LG MMA 여수공장 14 LS산전 청주공장 14 한화석유화학 여수1공장 15 전주페이퍼 15 제일모직 여수사업장 16 삼성전자 온양사업장 16 기아자동차 광주1공장 17 삼성전기 대전사업장 17 금호미쓰이화학 여수공장 18 한솔제지 장항공장 18 LG화학엔씨씨 옥소알콜공장(옥소알콜공장) 19 한국서부발전 태안발전본부 19 LG화학 아크릴레이트공장 20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20 남해화학 여수공장 21 LS산전 천안공장 21 한국남부발전(주)하동화력본부 22 삼성SDI 천안사업장 22 LG화학 SM공장 23 한국야쿠르트 논산공장 23 LG화학 VCM공장 24 삼성전자 천안사업장 24 대림산업 여수공장 25 동부제철 아산만공장 25 휴켐스 여수공장 26 한국동서발전 당진발전본부 26 코카콜라음료 광주공장 27 한진P&C 공주공장 27 한국중부발전 제주화력발전처 28 삼성토탈 29 삼성석유화학 서산사업장 30 하이닉스반도체 청주사업장 31 매그나칩반도체(유) 32 애경산업 대전공장 33 LG화학 오창테크노파크 34 한국중부발전 보령화력본부 35 한국중부발전 서천화력발전소 36 삼성전자 탕정사업장 37 스템코
234 ECO 2009년 제13권 2호 김소형 ladky1390@hanmail.net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동 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윤리경영, 환경경영 등이 주요 관심사이다. 조동성 dscho@snu.ac.kr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 학교 교수로 재직 중에 있으며 경영전략, 국제경영, 경영혁신, 디자인경영, 기업의 사회책임활동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을 담당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