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6;55(3): Print ISSN Online ISSN 2289-

Similar documents
Lumbar spine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012임수진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hwp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A 617

139~144 ¿À°ø¾àħ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1..

00약제부봄호c03逞풚

김범수

( )Jkstro011.hwp

12이문규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歯1.PDF

DBPIA-NURIMEDIA

황지웅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 1

DBPIA-NURIMEDIA

ISSN 일산병원학술지 2018;17(1):71-75 전기경련치료 (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표준진료지침개발및적용 분당제생병원정신건강의학과 1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정신건강의학과 2 이선구 1, 이정석 2 Developme

(

( )Kju269.hwp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èÇ¥³â

16(1)-3(국문)(p.40-45).fm


歯5-2-13(전미희외).PDF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 B3E220C7CFB9DDB1E220BFACB1B8BAB8B0EDBCAD20C1A636B1C72E687770>

<30372EC0CCC0AFC1F82E687770>

<31372DB9DABAB4C8A32E687770>

서론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04조남훈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

16_이주용_155~163.hwp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16(2)-7(p ).fm

DBPIA-NURIMEDIA

- 증 례

44-4대지.07이영희532~

untitled

레이아웃 1




untitled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DBPIA-NURIMEDIA

노영남

433대지05박창용

석사논문.PDF

Kaes025.hwp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03이경미(237~248)ok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03-서연옥.hwp

untitled

Rheu-suppl hwp


(01)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DBPIA-NURIMEDIA


09구자용(489~50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 (, 2011)..,,, (, 2009)., (, 2000;, 1993;,,, 1994;, 1995), () 65, 4 51, (,, ). 33, 4 30, (, 201

DBPIA-NURIMEDIA


(conversion disorder),, (,,, 2000;,, 1996;, 2002; Kozlowska, Scher, & Williams, 2011; Uijen & Bischoff, 2011). (,, 1996;,, 2001;, 2004; Ruddy & House,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ÀÇÇа�ÁÂc00Ì»óÀÏ˘

590호(01-11)

<BFACB1B85F D30335FB0E6C1A6C0DAC0AFB1B8BFAA2E687770>

< FB5B5BAF1B6F32C20B8F1C2F D34292E687770>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04_이근원_21~27.hwp

DBPIA-NURIMEDIA

The Window of Multiple Sclerosis

Jkcs022(89-113).hwp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Transcription:

http://dx.doi.org/10.4306/jknpa.2016.55.3.202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6;55(3):202-208 Print ISSN 1015-4817 Online ISSN 2289-0963 www.jknpa.org 국내일대학병원에서시행된전기경련요법의현황과효과및안전성 울산대학교의과대학서울아산병원정신건강의학과 주성우 정하은 전명욱 주연호 김창윤 이중선 Effectiveness and Safety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Sung Woo Joo, MD, Ha Eun Jeong, MD, Myong-Wuk Chon, MD, Yeon Ho Joo, MD, PhD, Chang Yoon Kim, MD, PhD, and Jung Sun Lee,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ObjectivesZZ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practice and effectiveness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e pattern, effectiveness, and safety of ECT. MethodsZZThis chart review study includ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180 patients treated with ECT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3 at the Asan Medical Center. Symptomatic improvement was assessed using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scale. Treatment response was defined as CGI improvement scale score of 2 or less. Re-hospitalization was used as an indicator of recurrence. Safety was assessed by spontaneous reports from patients. Received May 17, 2016 Revised July 14, 2016 Accepted July 19, 2016 Address for correspondence Jung Sun Lee,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422 Fax +82-2-3010-3410 E-mail js_lee@amc.seoul.kr ResultsZZOne hundred and eighty patients underwent 1539 sessions of modified ECT. Their most frequent diagnosis was major depressive disorder (n=74, 41.1%).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ECT was poor response to medication (n=177, 75.3%). Treatment response rate was 66.9% in acute phase group and 63.8% in the patients with poor response to medication. The recurrence rate at six months after the end of the course was 29.6%. Memory impairment or amnesia was the most common adverse effect. ConclusionZZThere was a remarkable improvement following ECT in patients who responded poorly to medications, and most adverse effects were tolerable and temporar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ECT could be a useful treatment opt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6;55(3):202-208 KEY WORDSZZ Electroconvulsive therapy Effectiveness Survey Safety. 서론 이하 는 년 - 와 에 의해 처음으로 고안된 치료 방법이다 년대 중반 와 을 이용하여 마취하에 를 시행하면서 이전보다 안전하게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정신증상과 기분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덜 침습적인 약물치료가 개발되고 나서 의 사용 빈도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일부 환자의 경우 약물치료에도 증상 호전이 없거나 부작용으로 약을 복용할 수 없는 등의 약물치료의 한계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조울병 우울삽화에서 장기간 항우울제 를 투약함에도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가 있으며 항우울제 투약 후 조증삽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조울병 우울삽화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조현병 환자 중 약 는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의 환자에서 부분적 반응은 있으나 양성증상이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킨다는 결과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여러 연구에서 가 약물치료 저항성 환자 또는 부작용으로 약물을 사용할 수 없는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고 보고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마취하에 를 시행하고 있어 골절 등 시행 초기에 발생했던 많은 부작용들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기억상실을 비롯한 후 발생되는 인지기능 저하 202 Copyright 2016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전기경련요법의현황및효과 SW Joo, et al. 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후 발생되는 기억상실은 일시적이어서 대부분의 환자는 시간이 지나면 회복하지만 일부 환자는 회복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된다고 한다 기존 보다 부작용이 적은 경두개자기자극과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이 개발되었으나 주요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경두개자기자극의 치료 효과가 보다 부족하였으며 최근 시행된 메타분석에서도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이 확실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없었다 는 중요한 치료 수단이지만 우울증 치료 가이드라인에서 가 일차 치료 방법으로 권고되고 있지 않으며 가이드라인마다 다른 권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게다가 다양한 치료 적응증을 갖고 있어 동질적인 자료를 충분히 모아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렇게 약물치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된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적응증으로 시행되다 보니 피험자 모집이 어렵고 이에 따라 대규모 무작위 배정 연구를 시행하기 어렵다 최근 스페인 벨기에 등 다른 나라에서는 시행 현황을 조사하였으나 국내에서는 이런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년도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설문 연구가 있었지만 에 대한 전문의들의 견해를 파악하는 연구로 시행 현황 및 효과와 부작용을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 단일 대학병원에서 년간 를 시행받은 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한 연구가 있었으나 의 치료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서만 조사되었고 의 적응 이유나 중단 사유 등에 대해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단점이 있다 이 외에도 증례 보고로 두개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를 시행한 증례와 클로자핀을 투약 중인 조현병 환자에게 후 음성증상이 호전된 증례를 보고한 연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를 시행받은 다양한 환자들의 임상적 정보를 수집하여 진단 적응증 중단 사유 등 시행 현황을 파악하고 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나이 성별 등 인구학적 정보 전 입원치료 횟수 적응증 중단 사유 전후 증상의 중등도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본 연구는 서울아산병원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변수정의단일 시행을 단일 세션 으로 정의하였다 코스에 대한 정의는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의 는 세션 간격이 일 이내인 경우 연속적이라고 간주하여 이 세션들을 합쳐서 하나의 코스로 정의하였다 재발 방지 목적의 코스는 급성기 증상이 호전된 후 혹은 관해 상태에 도달한 뒤 재발 방지를 위해 주 개월 간격으로 시행한 세션들로 정의하였다 의무기록에 환자의 투약 순응도가 낮음 으로 기록된 경우 전 투약 순응도가 좋지 않다고 정의하였다 전 약물치료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발병 이후 전까지 처방 된 약물 정보를 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한 뒤 항정신병약물 항우울제 항불안제 기분안정제로 나누어 각각 범주마다 몇 종류의 약물이 처방되었는지 조사하였다 진단및적응증진단은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 에 따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이루어졌다 진단이 다수인 경우 를 시행하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되는 질환을 주 진단으로 정하였다 의무기록에 기록된 를 시행한 치료적 근거를 적응증으로 간주하였다 의무기록에 를 시행하게 된 사유가 타해 위험성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 적응증을 공격성이라 하였고 자살사고 및 자살행동인 경우 자살위험성이라 하였다 이전 급성기 증상 악화 시 후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 경우 이전 에 대한 반응이 있었던 경우라고 하였다 한 가지 이상의 적응증이 있는 경우 시행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중복 선택하였다 치료효과및부작용치료 효과는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연구자가 이하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단일 코스에서 마지막 세션 후 일 뒤 평가했을 때 - 이하 가 이하인 경우 치료 반응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치료 시작 이후 의무기록상 가 이하라고 기록된 시점 혹은 연구자가 의무기록을 검토하였을 때 이에 준한 임상적 호전이 된 시점을 최초 치료 반응을 보인 시점으로 정의하였다 최초 치료 반응을 보인 시점이 번째 세션 이전에서 나타난 경우 초기 치료 반응이 나타난 것으로 정의하였다 후 재발 시점은 재입원 혹은 임상가로부터 입원에 대한 권유를 받은 시점으로 정의하였다 부작용은 임상의의 평가 또는 환자의 자발적인 보고가 있 www.jknpa.org 203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6;55(3):202-208 는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장기적인 기억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해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 코스의 마지막 세션 후 개월 시점에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기억력 저하가 지속되는지 확인하였다 ECT 과정본 병원의 치료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가 시행되었다 모든 환자에게 를 사용하여 양측 측두부자극 - 를 시행하였다 첫 번째 세션 의 자극 매개변수 는 나이 및 성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값 을 이용하였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등의 마취유도물질로 마취를 하고 난 뒤 을 사용하여 근육을 이완시켰다 이후 정해진 매개변수 에 따라 전기 자극을 주었다 경련 지속시간은 띠 방법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의 경우 주 회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재발 방지 목적인 경우는 임상가의 판단에 따라 환자마다 개별적인 치료 계획을 세워 시행하였다 시행 전 경련 지속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벤조다이아제핀 및 항경련제 등의 약물은 최대한 감량하였으며 이외의 약물은 유지하였다 통계학적분석 를 이용하여 진단에 따른 치료 반 응률을 비교하였다 사후 개별 진단 간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를 반복 시행한 뒤 방법을 이용하여 다중비교 교정을 하였다 최초 치료 반응이 나타난 세션 수가 진단에 따라 다른지는 를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이후 개별 진단 간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를 반복 시행하였으며 - 방법을 이용하여 다중비교 교정을 하였다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의 후 재발률은 후 치료 반응이 있었던 코스를 대상으로 재발 방지 목적의 결과를 제외한 뒤 생존분석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고 진단 간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법을 이용하였다 초기 치료 반응 여부와 최종 치료 반응 여부 간 연관성 검증을 위해 회 이상의 세션이 시행된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의 코스를 대상으로 를 시행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수준은 양측 < 를 적용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을 이용하였다 결과 인구학적및임상적특성 표 총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세션의 결과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으로 코스 세션 가 시행되었으며 재발 방지 목적으로 코스 Table 1.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Characteristic Total, n=180 Age, mean (SD) 45.9 (16.2) Age at onset, mean (SD) 35.5 (15.2) Sex, female, n (%) 119 (66.1) Number of previous hospitalizations, median (interquartile range) 2.0 (4.0) Number of drugs prescribed before ECT*, mean (SD) Antipsychotics 2.0 (1.6) Antidepressant 2.2 (1.8) Mood stabilizer 0.6 (0.9) Anxiolytics 2.4 (1.7) Poor drug compliance*, n (%) 16 (11.0) Diagnosis, n (%) Major depressive disorder 74 (41.1) Bipolar disorder 38 (21.1) Schizophrenia 31 (17.2) Schizoaffective disorder 16 (8.9) Psychotic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9 (5.0) Others 12 (6.7) * : Excluded 34 patients medical records in which information on prescription could not be obtained. SD : Standard deviation 204

전기경련요법의현황및효과 SW Joo, et al. 세션 가 시행되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세 표준편차 였으며 가 여성이었다 전 입원 횟수의 중위수와 사분위 수 범위는 회와 회였다 전 투약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명의 환자들은 발병 후 전까지 항정신병약물 평균 종류 표준편차 항우울제 종류 표준편차 기분안정제 종류 표준편차 항 불안제 종류 표준편차 를 처방받았다 이 중 명 은 시행 전 투약 순응도가 좋지 않았다 진단 은 주요우울장애가 명 으로 가장 많았고 조울병 명 조현병 명 조현정동장애 명 기 타 정신병 명 이었다 그 밖의 진단으로는 파킨슨병에 의한 정신장애 명 강박장애 명 파킨슨병 명 망상장애 명 뇌염 Table 2.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phase group n=239 Characteristic Total ECT sessions, mean (SD) 6.1 (2.6) Indications*, n (%) Poor response to medications 177 (75.3) Previous response to ECT 60 (25.5) Impulsivity 49 (20.9) Suicidal 45 (19.1) Catatonia 29 (12.3) Not eating or drinking 19 (8.1) Reason to discontinue ECT*, n (%) Recovery 182 (77.4) No more therapeutic benefit 25 (10.6) Withdrawal of consent 15 (6.4) Adverse effects 13 (5.5) * : Excluded four acute phase courses of which medical records did not include data about treatment indication and reason to discontinue ECT. SD : Standard deviation, ECT : Electroconvulsive therapy 명 식이장애 명 이었다 세션 중 자극 매개변수 가 기록되어 있는 세션들의 자극 매개변수 들의 평균 값은 전하 표준편차 파폭 표준편차 진동수 표준편차 자극 지속시간 초 표준편차 전류 표준편차 였으며 경련 지속시간의 평균은 초 표준편차 였다 치료적응증과중단사유 표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의 코스의 평균 세션 수는 회 표준편차 였으며 재발 방지 목적의 코스의 평균 세션 수는 회 표준편차 였다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 코스 중 적응증에 대한 기록이 있는 코스를 대상으로 치료 적응증의 종류 및 빈도를 조사한 결과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가 건 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전 에 반응이 있었던 경우 건 공격성 건 자살위험성 건 긴장증 건 투약 및 식이 거부 건 이었다 중단 사유가 기록되어 있는 코스를 대상으로 중단 사유를 조사한 결과 증상 호전이 건 으로 가장 많았으며 추가적인 증상 호전 없음 건 동의 철회 건 부작용 건 이었다 부작용으로 중단하게 된 건 모두 섬망으로 인한 중단이었다 치료효과 표 치료 효과에 대한 기록이 있는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 코스 중 코스 에서 치료 반응이 있었으며 평균 회 표준편차 시행 후 최초 치료 반응이 나타났다 Table 3. The number of session with the initial treatment response and treatment response rate of acute phase group n=236 The number of session with the initial treatment response*, Mean (SD) Treatment response rate (%) Total 2.6 (1.7) 66.9 Diagnosis Major depressive disorder (n=96) 2.3 (1.2) 66.7 Bipolar depression (n=43) 2.2 (1.3) 83.7 Bipolar manic (n=9) 2.4 (1.0) 100.0 Schizophrenia (n=40) 3.7 (2.6) 57.5 Schizoaffective disorder (n=23) 2.6 (1.3) 73.9 Psychotic disorder, NOS (n=11) 3.0 (1.6) 36.4 * : Comparisons among diagnoses were conducted by Kruskal-Wallis test and post-hoc analyses by Mann-Whitney test in the courses with treatment response : schizophrenia >major depressive disorder (p=0.001), bipolar depression (p=0.002), : Treatment response was defined as Clinical Global Impression global improvement scale score of 2 or less. Comparisons among diagnoses were assessed by Pearson chi-square test (χ 2 =16.830, p=0.005) and post-hoc analyses by Pearson chi-square test : Bipolar depression (p=0.001), Bipolar manic (p=0.003) >Psychotic disorder, NOS. SD : Standard deviation, NOS : Not otherwise specified www.jknpa.org 205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6;55(3):202-208 특히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어 를 시행한 코스 중 코스 에서 치료 반응이 있었으며 평균 회 표준편차 후 최초 치료 반응이 나타났다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 코스에서 진단에 따른 치료 반응률은 주요우울장애 조울병 우울삽화 조울병 조증삽화 조현병 조현정동장애 기타 정신병 로 진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χ 조울병 우울삽화 χ 와 조울병 조증삽화 χ 가 기타 정신병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최초 치료 반응이 나타난 세션 수도 진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χ 조현병이 주요우울장애 조울병 우울삽화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 종료 후에도 모든 환자는 약물치료를 받고 있었다 종료 후 약물치료 중인 환자의 재발률은 종료 개월 후 년 후 에서 재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림 진단에 따른 재발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χ 초기치료반응과치료효과초기 치료 반응 여부와 최종 치료 반응 여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연관성을 보였다 χ < 초기 치료 반응이 있었던 환자 중 에서 최종 치료 반응이 있었으며 초기 치료 반응이 없었던 환자 중 에서만 최종 치료 반응이 나타났다 부작용총 세션 중 부작용에 대한 정보가 없는 세션을 제외한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부작용 종류 및 빈도를 조사하였다 가장 많은 부작용은 기억력 저하 건 이었고 두통 건 섬망 건 어지럼증 건 요통 건 부정맥 건 구역감 건 설 교창 건 구토 건 연하 곤란 건 이었다 후 발생된 부정맥은 도 방실 차단 건 심실조기수축 건 심실 이단맥 건이었으며 모두 일시적이었다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 코스 종료 후 건 에서 기억력 저하가 있었으며 그중 개월 뒤 부작용이 지속된 경우는 건 개월 뒤 건 개월 뒤 건 이었다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 고찰 본 연구에서 를 받은 환자의 주요 진단과 적응증은 각각 주요우울장애 약물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였다 전체적인 치료 반응률은 였고 약물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는 였다 초기 치료 반응과 최종 치료 반응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종료 후 개월 시점에서 재발률은 였다 후 가장 많이 호소하는 부작용은 기억력 저하였다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 후 기억력 저하가 발생했던 환자 중 만 개월까지 기억력 저하를 호소했다 본 연구에서 가 가장 많이 시행된 환자의 진단은 주요우울장애였다 스웨덴과 영국에서 시행된 연구에서도 본 연구 결과와 같이 주요우울장애가 각 로 가장 많이 가 시행된 진단으로 조사되었다 년도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는 조현병이 가장 많이 가 시행된 진단으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연구마다 다른 것은 연구 참여 환자들의 진단 분포가 병원별 지역별 혹은 국가별로 다른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01.0 01.0 0.8 0.8 0.6 0.6 A 0.4 0.2 0.0 Psychotic disorder, NOS n=4 0.0 0 10 20 30 40 50 0 10 20 30 40 50 Time, wk Fig. 1. Kaplan-Meier curves showing proportion of acute phase group who had a response to ECT, without continuation or maintenance ECT (n=145) : (A) whole group, (B) according to diagnosis. NOS : Not otherwise specified, ECT : Electroconvulsive therapy B 0.4 0.2 Major depressive disorder n=63 Bipolar depression n=31 Bipolar manic n=9 Schizophrenia n=21 Schizoaffective disorder n=17 Time, wk 206

전기경련요법의현황및효과 SW Joo, et al. 본 연구에서 명의 파킨슨병을 진단받은 환자를 포함하였다 그중 명은 우울증상 호전을 위해 명은 정신증상 호전을 위해 나머지 명은 파킨슨병에 의한 운동증상 호전을 위해 를 받았다 파킨슨병에서 비교적 흔하게 우울증상 및 정신증상이 동반되나 부작용의 발생 및 효과의 부족 등의 이유로 약물치료만으로는 증상 조절에 한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 는 파킨슨병의 우울증상 및 정신증상뿐만 아니라 운동증상도 호전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 치료 적응증 중 가장 많은 빈도로 확인된 것은 약물치료에 저항성을 보이는 경우 였다 그 밖에 높은 자살 위험도 및 높은 공격성 등 응급한 증상 완화가 필요한 경우도 각각 로 가 응급한 증상 조절을 위해서도 활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남부 런던에서 시행된 현황 조사 결과도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양상으로 를 시행하는 가장 흔한 적응증은 약물치료에 대한 저항성이었다 의 치료 반응률은 급성기 증상 완화 목적으로 시행한 경우는 약물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 코스 는 였다 클로자핀을 복용 중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의하면 클로자핀만을 복용한 군에서는 한 명도 증상 호전이 없었으나 클로자핀과 더불어 를 시행받은 경우에는 절반에서 증상 호전이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가 약물치료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약물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하지 못하고 의무기록에 의거하여 조사를 했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임상에서 장기간 약물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 를 시행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후 재발에 대한 다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후 유지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 개월 시점 재발률은 이상이었으며 후 약물치료를 시행한 경우는 였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 치료 후 모든 환자들이 약물치료를 지속하고 있었으며 개월 시점 재발률이 로 다른 연구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 초기 치료 반응 여부와 최종 치료 반응 여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다른 연구에 의하면 회 후 관해에 도달한 환자는 였으며 그중 는 후 주 이내 최초 치료 반응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최종 치료 반응이 나타난 환자 중 에서 초기 치료 반응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의 빠른 치료 효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는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빠른 효과로 인해 응급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치료 방법으로 추천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의 높은 치료 반응률과 더불어 빠 른 치료 효과를 다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후 가장 흔한 부작용은 기억력 저하로 에서 발생하였다 다른 연구에서 후 전향적 기억 상실과 후향적 기억상실을 호소한 환자는 각 였 다 본 연구 및 다른 연구에서도 후 기억력 저하가 가 장 흔한 부작용이었지만 기억력 저하는 대부분 일시적으로 영구적인 저하는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도 급성기 증상 완 화 목적 코스 종료 시 기억력 저하를 호소한 경우 종료 후 개월 시점에서 건 에서만 기억력 저하가 지속되었 다 기억력 저하 이외 본 연구에서 두통 어지럼증 부정맥 구 역감 등의 부작용이 있었지만 일시적이었고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시행 전 문진 및 진찰 검 사를 시행하여 안전한 치료를 시행해야 함은 당연하지만 기 존의 안전성에 대한 많은 우려와는 달리 는 비교적 안전 한 치료법이었다 본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여러 임상가에 의해 작성된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후향 적 연구이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에 대한 임상가의 평가가 일 치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가 의무기록 에 정확히 기록되지 못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둘째 실제 발생된 부작용보다 적게 측정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면담을 통해 얻어진 정보가 아 닌 환자의 자발적인 보고를 바탕으로 부작용 여부를 조사하 였다 셋째 치료 효과 분석에 있어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나이 중 투약 중인 약물 등의 요인 을 고려할 수 없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는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었 으며 약물치료에도 증상 호전이 없던 경우에도 비교적 좋은 치료 효과를 보였다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고 대부분의 부작 용도 후유증 없이 호전되어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심단어 전기경련요법 효과 현황 안정성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1) Accornero F. An eyewitness account of the discovery of electroshock. Convuls Ther 1988;4:40-49. 2) Bini L. Professor Bini s notes on the first electro-shock experiment. Convuls Ther 1995;11:260-261. 3) Lambe S, Mogg A, Eranti S, Pluck G, Hastilow S, McLoughlin DM. www.jknpa.org 207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6;55(3):202-208 Trends in use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South London from 1949 to 2006. J ECT 2014;30:309-314. 4) Fink M. What was learned: studies by the consortium for research in ECT (CORE) 1997-2011. Acta Psychiatr Scand 2014;129:417-426. 5) Goldberg JF, Truman CJ. Antidepressant-induced mania: an overview of current controversies. Bipolar Disord 2003;5:407-420. 6) Price LH, Tyrka AR. Adjunctive antidepressant treatment for bipolar depression. N Engl J Med 2007;357:614; author reply 615-616. 7) Hasan A, Falkai P, Wobrock T, Lieberman J, Glenthoj B, Gattaz WF, et al.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Biological Psychiatry (WFSBP) Guidelines for Biological Treatment of Schizophrenia, part 1: update 2012 on the acute treatment of schizophrenia and the management of treatment resistance. World J Biol Psychiatry 2012;13:318-378. 8) Kellner CH, Greenberg RM, Murrough JW, Bryson EO, Briggs MC, Pasculli RM. ECT in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Am J Psychiatry 2012;169:1238-1244. 9) Pompili M, Lester D, Dominici G, Longo L, Marconi G, Forte A, et al. Indications for electroconvulsive treatment in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Schizophr Res 2013;146:1-9. 10) Leiknes KA, Jarosh-von Schweder L, Høie B. Contemporary use and practice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worldwide. Brain Behav 2012;2:283-344. 11) Vamos M. The cognitive side effects of modern ECT: patient experience or objective measurement? J ECT 2008;24:18-24. 12) Prudic J. Strategies to minimize cognitive side effects with ECT: aspects of ECT technique. J ECT 2008;24:46-51. 13) Sadock BJ, Sadock VA, Ruiz P. Kaplan & Sadock s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s/clinical psychiatry. 11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2014. 14) Eranti S, Mogg A, Pluck G, Landau S, Purvis R, Brown RG,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6-month follow-up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and electroconvulsive therapy for severe depression. Am J Psychiatry 2007;164:73-81. 15) Meron D, Hedger N, Garner M, Baldwin D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efficacy and tolerability. Neurosci Biobehav Rev 2015;57:46-62. 1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he practice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recommendations for treatment, training, and privileging: a task force report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n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2001. 17) Royal Australian and New Zealand College of Psychiatrist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eam for Depression. Australian and New Zeal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ustralian and New Zealand J Psychiatry 2004;38:389-407. 18) Seo JS, Song HR, Lee HB, Park YM, Hong JW, Kim W, et al. The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depressive disorder: second revision. J Affect Disord 2014;167:312-321. 19) Vera I, Sanz-Fuentenebro J, Urretavizcaya M, Verdura E, Soria V, Martínez-Amorós E, et al. Electroconvulsive therapy practice in Spain: a national survey. J ECT 2016;32:55-61. 20) Sienaert P, Falconieri T, Obbels J, van den Ameele H, Bouckaert F. Improving practice in electroconvulsive therapy: a nationwide survey in Belgium. J ECT 2016;32:29-32. 21) Nordanskog P, Hultén M, Landén M, Lundberg J, von Knorring L, Nordenskjöld A.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Sweden 2013: Data From the National Quality Register for ECT. J ECT 2015;31:263-267. 22) Martin BA, Delva NJ, Graf P, Gosselin C, Enns MW, Gilron I, et al. Delivery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Canada: a first national survey report on usage, treatment practice, and facilities. J ECT 2015; 31:119-124. 23) Kim KT, Yoon DJ, Shin YH, Bahn GH, Yum TH. A view of Korean psychiatrists about electroconvulsive therap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1;40:1072-1089. 24) Choi YM, Jung SW, Kim YT, Kim HC. Clinical effectiveness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a university hospital setting.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330-337. 25) Park S, Lee MK. Successful electroconvulsive therapy and improvement of negative symptoms in refractory schizophrenia with clozapine-induced seizures: a case report. Psychiatr Danub 2014;26:360-362. 26) Roh J, Kang MH, Kim CE, Lee JS, Bae JN. Electroconvulsive therapy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 patient with a permanent skull defect: a case report. Asia Pac Psychiatry 2014;6:454-457. 27) Sackeim H, Decina P, Prohovnik I, Malitz S. Seizure threshold in electroconvulsive therapy. Effects of sex, age, electrode placement, and number of treatments. Arch Gen Psychiatry 1987;44:355-360. 28) Beale MD. Stimulus dosing methods in electroconvulsive therapy. Psychiatr Ann 1998;28:510-512. 29) Frukacz A, Mitchell P. Fitting the treatment to the patient: recent advances in the practice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Aust N Z J Psychiatry 1995;29:484-491. 30) Chanpattana W, Kramer BA, Kunigiri G, Gangadhar BN, Kitphati R, Andrade C. A survey of the practice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Asia. J ECT 2010;26:5-10. 31) Connolly BS, Lang A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Parkinson disease: a review. JAMA 2014;311:1670-1683. 32) Ueda S, Koyama K, Okubo Y. Marked improvement of psychotic symptoms after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Parkinson disease. J ECT 2010;26:111-115. 33) Usui C, Hatta K, Doi N, Kubo S, Kamigaichi R, Nakanishi A, et al. Improvements in both psychosis and motor signs in Parkinson s disease, and changes i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fter electroconvulsive therapy.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1; 35:1704-1708. 34) Berg JE. Electroconvulsive treatment of a patient with Parkinson s disease and moderate depression. Ment Illn 2011;3:e3. 35) Cumper SK, Ahle GM, Liebman LS, Kellner CH. 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in Parkinson s disease: ECS and dopamine enhancement. J ECT 2014;30:122-124. 36) Muralidharan K, Thimmaiah R, Chakraborty V, Jain S. Bifrontal ECT for drug-induced psychosis in Parkinson s disease. Indian J Psychiatry 2011;53:156-158. 37) Petrides G, Malur C, Braga RJ, Bailine SH, Schooler NR, Malhotra AK, et al. Electroconvulsive therapy augmentation in clozapine-resistant schizophrenia: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Am J Psychiatry 2015;172:52-58. 38) Sackeim HA, Haskett RF, Mulsant BH, Thase ME, Mann JJ, Pettinati HM, et al. Continuation pharmacotherapy in the prevention of relapse following electroconvulsive therap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1;285:1299-1307. 39) Kellner CH, Knapp RG, Petrides G, Rummans TA, Husain MM, Rasmussen K, et al. Continuation electroconvulsive therapy vs pharmacotherapy for relapse prevention in major depression: a multisite study from the Consortium for Research in Electroconvulsive Therapy (CORE). Arch Gen Psychiatry 2006;63:1337-1344. 40) Husain MM, Rush AJ, Fink M, Knapp R, Petrides G, Rummans T, et al. Speed of response and remission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acute 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a Consortium for Research in ECT (CORE) report. J Clin Psychiatry 2004;65:485-491. 41) Brodaty H, Berle D, Hickie I, Mason C. Side effects of ECT are mainly depressive phenomena and are independent of age. J Affect Disord 2001;66:237-245.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