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01(김봉채).fm

Similar documents
44(3)-16.fm

<30372E31362D323028BDC5C7F6C5C32DB9CCB1B970626D292E666D>

10(3)-06(021).fm

29(4)-07(김봉채).fm

한1009.recover.fm

DBPIA-NURIMEDIA

(최준우).fm

국706.fm

국705.fm

44(5)-03.fm

국9409.f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ø±â¾Ð±â±â

43(5)-11.fm

06국305.fm

44(2)-11.fm

03 장태헌.hwp

Microsoft Word - KSR2012A172.doc

44(5)-10.f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44(2)-08.fm

10(3)-02(013).f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Dec.; 27(12),

06국306.fm

43(4)-06.f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Oct.; 27(10),

16(3)-08.fm

<C5F0B0E82D313132C8A328C0DBBEF7BFEB292E687770>

44(4)-06.fm

???? 1

45(3)-07(박석주).fm

<B8F1C2F72E687770>

44-4대지.07이영희532~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l.; 27(7),

Microsoft Word - KSR2012A038.doc

반론 ( ).hwp

국9209.fm

untitled

국707.fm

Microsoft Word - KSR2012A103.doc

43(4)-08.fm

03-서연옥.hwp

Coriolis.hwp

< C6AFC1FD28B1C7C7F5C1DF292E687770>

요약문 1 요 약 문 1. 과 제 명 :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연구 2. 연구기간 : ~ 연 구 자 : 연구책임자 장 재 길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정 광 재 (연구원) 4. 연구목적 및 필요성

Microsoft Word - KSR2013A291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歯2350h.PDF

44(2)-02.fm

Microsoft Word - KSR2012A009.doc

121_중등RPM-1상_01해(01~10)o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Sep.; 30(9),

국816.f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Sep.; 26(10),

03이경미(237~248)ok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82-01.fm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08김현휘_ok.hwp

( )국11110.fm

09È«¼®¿µ 5~152s

< C6AFC1FD28C3E0B1B8292E687770>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Regular Paper) 21 1,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ISSN 228

국906.fm

44(2)-06.fm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45(1)-05.fm

Microsoft Word _kor.doc

10(3)-10.fm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대학중점연구소 심포지엄기초과학연구소

44(1)-13.fm


VP3145-P1495.ep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4D F736F F F696E74202D20454D49A3AF454D43BAEDB7CEBCC52EBBEABEF7BFEBC6F7C7D428BBEFC8ADC0FCC0DA >

Microsoft Word - KSR2016S168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í¼®ÁÖ Ãâ·Â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43(6)-07.fm

국9308.f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Microsoft Word - KSR2013A32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Feb.; 28(2),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6, Jun Rate). STAP(Space-Time Adaptive Processing)., -

Microsoft Word - KSR2012A132.doc

0406½É¹Ì¾Èâ35È£º»¹®

Æ÷Àå82š

DIB-100_K(90x120)

국8411.fm

08원재호( )

Microsoft PowerPoint - ICCAD_Analog_lec01.ppt [호환 모드]

DBPIA-NURIMEDIA

사용자 설명서 SERVO DRIVE (FARA-CSD,CSDP-XX)


< DC1A4C3A5B5BFC7E22E666D>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1-1Çؼ³

Transcription: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2, No. 3, pp. 142 146, August 2007 [Note] {z{o Žn} œo ~ f~p d * mn p m n Characteristics of Snapping Shrimp Sound Observed in the Korean Coast of the Yellow Sea BONG-CHAE KIM, BYOUNG-NAM KIM, CHANG-WOONG SHIN, CHEOLSOO KIM AND BOK KYOUNG CHOI*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Ansan, 425-600, Korea 2001 5ol lkp e k 20 mp ll 10e 13e v 3e k t pp m. r pp r tpp v rp l. 1~20 khzp tž ll r tpp p t p l n r l. p tpp lk t p l v rp m p t pp tpp opp q m. l l sl p l tpp q o pop r l e np pp re mp, p ll } v kp n p e e el r p p tpp nl p l pp q p pl. Ambient noise was measured for 3 hours on May, 2001 at a site of 20 m water depth in the Korean coast of the Yellow Sea. During the measurement, the strong underwater sound assuming by marine life was continually observed. The spectrum level of this sound was very high compared to that of underwater ambient noise over the frequency range from 1 to 20 khz. Therefore, this underwater sound can continually affect the ambient noise level. In this study, the source of the underwater sound was investigated. The snapping shrimp was estimated as reliable source. It was confirmed through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described in previously literatures. It was also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snapping shrimp sound measur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eywords: Snapping Shrimp Sound, Cavitation Bubble, Ambient Noise, Biological Sound h kl t p p, n,, n, t pl p n p ˆ. ok e p n, t p p eˆ pop p l l p pp tn oppp r. ep p } p n k t l v Ž p pl p p p n q ˆ ˆ (Uric, 1983)., t n m nl p pp lkl nn n pp e e ee p p l p k r p (, 1995; Loye and Proudfoot, 1946). 2001 5o 24p lkl t pp p 3e k pp r tp(underwater sound)p *Corresponding author: bkchoi@kordi.re.kr l. p tpp p d(impulse) ˆ r lp, t p l n m p tl., t pp l pl p tpp opp r n p r l. lkl t pl q m p p np pp k r p., l r t pp Ž tž p l llv n pl l s (Loye and Proudfoot, 1946; Everest et al., 1948; Urick, 1984) e e s l llv l m p lkl tpp pop q m. ml }o qmm ~o ep k 20 mp lkl t pp r o Fig. 1 p p p t~p (Bruel & Kjaer, Hydrophone 8101) e 5 mm 15 ml o e. p ~p e t pp s l p 142

황해 연안에서 관측된 딱총새우 음의 특성 Fig. 2. Fig. 1. 143 황해 연안에서 채집된 딱총새우. 해수중 소음 측정 개략도. 향 측정용 증폭기(Bruel & Kjaer, Measuring Amplifier Type 2636) 를 통하여 40 db 증폭된 후 주파수 20 khz까지 녹음이 가능한 카 세트 테잎 레코더(SONY, PC208Ax)를 사용하여 녹음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중 청음기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수신감 도 (receiving sensitivity)가 거의 일정한 무지향성으로서 주파수 1 Hz ~120 khz의 대역에서 평탄한 주파수 특성(±3 db이내)을 갖고 있으며, 음향 측정용 증폭기는 주파수 2 Hz ~ 200 khz의 대역에서 평탄한 주파수 특성(±0.5 db)을 갖고 있다. 그리고, 카세트 테잎 레코더는 8 채널 테잎 레코더로서 2 채널만을 사용한 본 실험의 경우, 주파수 DC~20 khz 대역에서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갖고 있다. 녹음된 수중배경소음은 실험실에서 카세트 테잎 레코더로부터 다시 재생되는 동안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기(AND, AD-3525 FFT analyzer)를 이용하여 생물음으로 추정되는 임펄스 형태의 수중음 만을 선택하여 파형과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주 파수 스펙트럼은 50 Hz ~ 20 khz 대역에서 50 Hz 간격으로 얻어 졌다. 황해 연안에서 수중배경소음 녹음시 지속적인 선박소음이 관 측되었으므로 생물음으로 추정되는 수중음은 항상 선박소음과 혼 합되어 나타날 수 있다. 선박소음 자체가 수중배경소음이므로 측정 된 수중음으로부터 선박소음 성분을 모두 제거하는 것은 사실상 불 가능하다. 따라서, 선박소음의 영향을 조금이라도 배제하고자 본 연 구에서는 배경소음 파형과 확연히 구분되는 매우 강한 임펄스 형 태의 수중음만을 선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수중청음기의 수신감 도, 음향 측정용 증폭기의 증폭도(gain) 및 스펙트럼분석의 주파수 간격을 고려하여 보정된 값이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되었다. 실험실 조건에서 측정된 딱총새우 음의 측정 및 분석 방법 Fig. 3. 실험실 조건에서 딱총새우 음을 측정하기위한 실험 장치도. 총새우가 황해 및 남해연안에 독립적으로 분포하기 보다는 혼합 되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해 연 안에서 측정된 강한 임펄스 형태의 수중음이 딱총새우에 의한 음 임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에서 채집한 딱총새우 음을 실험실 조건 에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딱총새우의 채집상의 어려움 때문에 실험은 홈발딱총새우로 추정되는 1종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Fig. 2는 현장에서 채집된 총 길이 35 mm의 딱총새우 사진을 나타낸다. Fig. 3은 딱총새우 음의 측정을 위한 실험장치도를 나 타낸다. 딱총새우는 바닷물로 채워진 아주 얇은 비닐봉지에 들어 있었으며, 이 비닐봉지는 크기가 3.5 2.56 2.07 m 인 무반향 수조 내의 수심 0.7 m 깊이에 위치하였다. 딱총새우 음을 측정하기 위 해 수중청음기(B&K 8103)는 비닐봉지로부터 0.5 m 거리에서 수 조내의 수심 1 m의 깊이에 위치하였다. 수중청음로부터 수신된 딱 총새우 음은 음향신호 증폭기(B&K 2635)를 통하여 증폭된후 디 지털 오실로스코프(LeCroy LT342)에 저장되어 파형과 주파수 스 펙트럼이 분석되었다. 주파수 스펙트럼은 1~100 khz 대역에서 1 khz 간격으로 얻어졌다. 3 결과 및 고찰 한반도에서 딱총새우는 황해 및 남해연안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 지역에서 서식하는 딱총새우는 큰손딱총새우, 수심 5 m와 15 m에 위치한 수중 청음기로부터 수신된 수중음 홈발딱총새우와 긴발딱총새우로 총 3종이 알려져 있다. 각각의 딱 신호의 예를 Fig. 4에 나타내었다. 두 수심 모두에서 수중배경소

144 }Ë Ëe}oË ~ Ë Fig. 4. t~p e p e. (a) e 5 m, (b) e 15 m. pp v o tp e e v e ll p p. e ll pm p tpp porp eˆ pop sq v kkp v p v ˆ tp e p q o pop t~p p r l n r m. Fig. 5p p tp e n p l ˆ Ž p e l n n p d ˆp Ž p ˆ p k p. Fig. 5p (a)m (b)l p e l ˆ Ž p r p ~p l vr e tp e dp p k 1.5 ms m. p e l ˆ Ž l e tp e p ~p l e vr e e ˆ. p p o e pp e e p r l tp e p k. e 5 ml e e p n ee p k 6.7 ms pž ~p v e p k 3.3 ms pžp k 5 m l. p p ~p p e q p. e 15 ml e p n ee p k 17.7 ms pž ~p l e p k 8.8 ms pžp k 13 m Fig. 5. r p t~p l vr e p e ( e )m p l e vr e p e ( e )p Ž. (a) e 5 m, (b) 15 m. l. p p ~p p e k 2 mp m pv, ~p p e 15 mp o l rp p p p p. Fig. 5p ~p l e e p Ž l v p o p p (-) k (+)p ˆ po p k (pressure release) p qn l p e o p r l e p p (Blackstock, 2000). tp e p tž p kk o e Ž l tž d p Fig. 6l ˆ l. Fig. 6l tp e p d p tž p Žk o t p v n 16 Pap p e p 25 l ˆ p. pp d p v p n v ˆ e lp l 25 p e l ˆ p. Fig. 6l tp e tž 500 Hz ~ 20 khz ll t p l 22 dbp l p p, tž 3 khz t l ˆ p k p. pp tž d p tp e mr r nl l p rp llv p k, d e t pp v o tp e p m p ˆ p. p m p tž 1 khz ~ 20 khz ll ˆ

lkl n pp 145 Fig. 7. e e s l r np p Ž. Fig. 6. v p 16 Pap p p e (v p e )m p( p e )p 25 tž d. (a) 5 m, (b) 15 m. p k p. lkl Fig. 6 p tž d p ˆ r p q lkl e p np. p n s l eˆ pp tž d p k p p pv ~rp d p p n o (Loye and Proudfoot, 1946; Everest et al., 1948; Urick, 1984)., Loyem Proudfoot(1946) Everest (1948) l p r np tž d p e l r m p n q p pp, lkl tpp opp np p n pp re l tl. Fig. 7p sl r r rp n pp Ž p ˆ. Fig. 5l p tp Ž o n p d ˆ ˆ p k p. l n pp opp o e p Versluis (2000)l p l p lr. l n pp v p nvpp p l 3.5 mm p p (cavitation) l p m. p p l l Fig. 7l 0.3 msp e o l ˆ v p n v p šl p pp v p pp, 0.6 ms o l v p l Fig. 8. e e s l r np pp tž d. p p p. Fig. 8p r rp n p Ž p tž d p lt. Fig. 8l m p n pp 1 ~ 100 khz p l tž p d p lt, 2 ~ 20 khzp tž ll d p n ˆ p k p. p p Fig. 6l ˆ tpp d m o m., p lkl p d ˆ r tpp ll nl p l ppp k p. m 2001 5o 24p ep 20 mp lkl np p p r t p e 3e k r l e m. lkl t pp tnopp pp p n n m. Ž p l p (-)p o p v 1.5 ms pp p d ˆp Ž

146 }Ë Ëe}oË ~ Ë p ˆ l. tž d p 500 Hz ~ 20 khz ll t p l 22 dbp l p ˆ lp tž 3kHz t l ˆ., e e l ql }v m kp n pp r l e ˆm tž d p n o p k plp, n pp Ž pl. l l lkl p d ˆ t pp opp vll nl p l pp p m. l p lkl rl n pp d m s(speciese) eˆ pp p s p n pp p t p p r r l p l q. y },, o, 1995. lk ll t q pp p. kl o l. Blackstock, D. T., 2000. Fundamentals of Physical Acoustics (JOHN WILEY & SONS), Chap. 3. Everest, F. A., R. W. Young and M.W. Johnson, 1948.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Noise Produced by Snapping Shrimp. J. Acoust. Soc. Am., 20(2): 137 142. Loye, D. P. and D. A. Proudfoot, 1946. Underwater Noise Due to Marine Life. J. Acoust. Soc. Am., 18(2): 446 449. Urick, R. J., 1983. Principles of Underwater Sound (McGraw-Hill), Chap. 7. Urick, R. J., 1984. Ambient Noise in the Sea (Peninsula Publishing), Chap. 7. Versluis, M., B. Schmitz, A. Heydt and D. Lohse, 2000. How Snapping Shrimp Snap: Through Cavitating Bubbles. Science, 289: 2114 2020. 2006 9o 19p o r 2007 6o 5p r }ˆ voo: p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