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서 론 제 1 장 서 론 1.1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2000년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Ocean Korea21) 수립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해양산업에 27개 정책과제 및 140여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 1) 을 세워놓고 세계일 류 해양강국 건설을 위해 다방면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해양문화 창달 및 해양사상 고취를 위한 다양한 정책의 추진과 더불어 연안통합관리시대의 출범을 선언하였으며,해운,항만,수산 및 조선산업 등 전통적인 해양산업 강국으로서 경쟁력 을 갖추고 새로운 해양산업 창출을 위해서 2010년 세계박람회 유치계획 확정,해양한국발전 프로그램(KoreaSeaGrantProgram :KSGP)의 도입 및 해양수산벤처산업 육성정책 등을 펼 치고 있다.이와 함께 해양환경의 보호,해양자원 실용화를 위한 첨단 해양과학기술의 육성 및 해양자원개발 중장기 실천계획의 수립 등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2) 1994년 11월 16일 UN해양법협약 발효와 1996년 8월 8일 배타적경제수역법이 시행됨으로 써 해양경찰의 관할해역은 기존 영해중심에서 배타적경제수역(EEZ,Exclusive Economic Zone)가지 확대되었다.따라서 광역해역에서 해양주권확보와 해양자원보호가 우선과제가 되 었고,1999년 1월 22일 한일어업협정 체결 및 2001년 6월 30일 한중어업협정이 발효되면서 한중일 3개국 간의 해양자원 선점과 주권해역 확장을 위한 국제 해양경쟁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해외 선진국 또한 변화된 해양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해양정책을 수립하여 관련 세력을 확충하기에 이르렀다. 3) <그림 1.1> 해양정책 변화요인에 대응한 각국의 해양전략 특히,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외국어선의 불법조업 및 소형기선저인망에 의한 무분별한 남획 등은 어자원 고갈로 이어져 우리나라의 연근해 어선들이 다획을 목적으로 원해까지 조업을 1)김성진(해양수산부장관),<기고>해양 한국호 출항 10년,2006.8.8,내일신문,기사 재구성 2)해양수산부,OK21,2002 3) 해양경찰청, 해경백서, 2007-1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나가는 등 해상치안 및 수색구조 활동범위는 광역화 되어가고 있다. 또한,국가경제규모 확대로 해상물동량이 증가 4) 하고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및 주5일 근무 제 정착에 따라 개인 여가시간 및 활동영역이 다양화되면서 해양레저를 즐기는 해양관광객 과 해상교통 이용객이 급격하게 증가 5) 하고 있다.따라서 과거 해양수산인 등을 중심으로 한 해양경찰의 치안수요는 해양을 찾는 레저관광객 등 일반 국민들까지 확대되어 바다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들의 대규모 인명사고 또는 재산피해를 수반하는 대형 재난사고에 대한 안전관리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해양경찰청에서는 수상레저활동의 안전과 질서를 확보하고 수상레저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상레저안전법을 1999년 2월에 제정하였다.하지만 체계적인 안전관리체계 의 확립과 최근 수상레저 인구증가에 의한 제도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6),수상레저 조종 면허 갱신시 갱신기간 조정,음주측정 관련사항,매년 수상레저안전관리계획을 수립 시행 조항 신설,수상레저안전업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강화 및 수상레저기구 영업행위에 관한 사항 등을 주요 내용으로 수상레저안전법을 2008년 3월 개정하여 안전관리업무를 강화해 오 고 있다. 그러나 수상레저 안전사고는 법제화만으로 완벽히 차단하기 힘든 실정으로 2000년 이후 발생한 선박 해양사고 149건 중 57%인 85건이 수상레저 기구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해양 레저 인구는 2003년도 기준으로 2백39만여명이며 2010년에는 6백36만여명으로 급증할 것으 로 전망하고 있다.수상레저안전법 개정으로 동력레저기구 등록제의 시행과 함께 모터보트, 수상오토바이,고무보트 및 요트 등 수상레저 기구도 2000년 이후 매년 23%씩 늘어나 2005 년 현재 1만2천대 이상이 국내에 보급되어 있다 7) 고 하며,민간단체인 한국보트클럽 통계자 료에 의하면 수상레저안전법과 더불어 보트 등록제도가 시행되면서 수상레저안전 동력기구 조종면허 소지자가 4만명에 달하고 있으며,동록된 보트도 3천여척에 이른다고 한다. 해양수산부의 2007년도 해양사고 방지대책 보고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해양사고는 1997년 840건에서 2006년 657건으로 연평균 2.2%의 감소율을 보이고 있는 바,해양사고를 피해경중에 따라 중대 8),일반 9),경미사고 10) 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중대 사고는 지난 10년 간 연평균 3.4% 감소 추세이나,경미사고는 03년까지 7년간 연평균 7.2%씩 감소하다가 04년 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사고 발생건수는 5년간 연평균 642건이며,그에 따른 인명피해는 5년간 연평균 290명 으로 원인별로 보면 충돌(29%),기관손상(21%),좌초(10%)순으로 발생하였으며,선박종류별 해양사고는 어선(68%),화물선(13.6%),예부선(7.9%)순으로 발생하였고,최근에는 여객선 11), 유조선 12) 사고가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2002년 6억3천 5백만톤에 불과하던 것이 2006년 8억 3백만톤으로 4년만에 26%나 증가,해경백서(2007) 5)해양관광객 2003년과 2005년에 걸쳐 1억명시대를 맞이함.해경백서(2007) 6)정종석,연안역 수상레저활동 안전사고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전기학술대회 논문집,2006 7)한대광,<해양레저 안전사각>,인천일보,2005.8.9 8)중대사고:인명피해와 선체손상을 수반하는 충돌,침몰,전복,화재,폭발 등 사고 9)일반사고:인명피해는 없으나 선체손상을 수반하는 좌초,추진기손상,접촉 등 사고 10)경미사고:인명피해 및 선체손상이 없는 기관손상,운항저해 등 사고 11)여객선 사고는 06년에 5년간 평균치 보다 21%(14척 17척)증가,2007년 해양사고 방지대책,해양수산부 12)유조선 사고는 06년에 5년간 평균치 보다 59%(27척 43척)증가,2007년 해양사고 방지대책,해양수산부 - 2 -
제 1 장 서 론 <그림 1.2> 최근 10년간 해양사고 현황( 97~ 06) 해역별로는 영해내 2,151건(67%),국외 585건(18%),항만수역 471건(15%)순으로 발생하였 으며,영해사고는 남해 913건,서해 818건,동해 420건 순으로 발생하였다.남해 및 서해는 좁은 수로와 항로주변에 양식어장 등이 산재해 있고 선박통항량이 많기 때문에 발생 건수가 동해에 비하며 많으며,항만수역사고는 부산 87건,인천 59건,장항 군산 50건,울산 포항 93건 및 통영만 47건 순으로 발생하였는 데,항만수역 중 교통안전특정해역이 설정된 부산, 인천,울산,포항과 간만의 차가 심한 군산항 등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다. <그림 1.3> 최근 5년간 해양사고 발생현황(2002~2006) 본 연구는 해 내수면에서의 수상안전을 위한 법 제도 현황과 수색구조 업무 및 현 구조장 비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21세기 해양경쟁 시대의 해양중심세력으로 해양경찰청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수색구조업무 및 연안구조정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으 로 안전사고 발생시 대처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3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1.2 연구절차 및 내용 본 연구목적은 기존 해상에서의 안전관리업무 뿐만 아니라 수상레저인구 증가로 인한 안 전관리 필요성 증대로 해양경찰청의 내수면 13) 에서의 안전사고에 따른 수색구조업무 확대를 위한 방안제시와 기존 수색구조업무를 위해 도입운영중인 연안구조정에 대한 개선발전방안 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따라서 해 내수면의 지형 및 지리적 특성,타 기관의 내수면에서의 수색구조에 관한 연구 보고서,내수면 관련 안전관리업무 법 제도의 현황,내수면에서의 수색구조업무 해외 사례조 사 및 효과적인 연안 수색구조 정책 등을 살펴보았고 향후 해양안전을 위한 수색구조 임무 발전방안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체계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그림 1.4> 연구를 위한 절차체계 기초조사로는 과거 해양안전을 위한 정책연구 보고서 및 해양경찰청 정책 자료와 타 기관 의 내수면에 관련된 수색구조업무에 관련된 문헌과 법 제도의 현황조사를 수행하였다.이와 더불어 선진외국의 해외사례도 조사 분석함으로써 정책 추진과 법 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아울러 수색구조 임무 수행을 위한 효과적인 연안구조정 도입방안과 개선발전방안을 제시하 였다. 또한,향후 해양경찰청에서 연안구조정 도입업무를 위하여 연안구조정 신규 도입시 기종선 정을 위한 적합성 평가방법과 연안구조정 도입 표준구매규격서를 제시하여 연안구조정 도입 시 업무에 활용토록 하였다. 13) "내수면"이란 하천, 댐, 호수, 늪, 저수지, 그 밖에 인공으로 조성된 담수나 기수(기수)의 수류 또는 수면을 말한다, 수상레저안전법제2조제7호 - 4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2.1 우리나라 해 내수면에서의 수상안전에 관한 환경분석 2.1.1 지역별 지리적 특성 가. 개요 우리나라는 위치적으로 아시아대륙 동북단의 반도로서 중국,러시아,일본과 접하는 동북 아 교류의 요충지이자 환태평양 진출의 거점으로서 길이가 약 1,000km에 달하는 반도와 3,200여개의 도서로 구성되어 있으며,총면적은 22.1만km2,남한은 총면적의 45%인 9.9만km2이 다.또한 간석지를 포함한 대륙붕은 약 50만km2(남한은 34.5만km2)로 국토면적의 2배가 넘으며 이중 약 80%가 서해안에 분포한다. 지형은 국토의 65.7%가 산지이고 척량산맥이 동쪽에 치우쳐 동쪽은 급경사,서쪽은 완경사 이며 농경지는 대부분 침식평야로 이루어져 있다.하천은 구배가 급하고 계절에 따른 수량변 화가 커서 용수의 안정적 공급이 어렵고 홍수위험이 상존하며,해양의 경우 동해안은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단조로우나,서 남해안은 수심이 얕고 복잡하며 근해에는 많은 섬들이 있다. 해면의 넓이를 보면 영해(12해리)는 71천km2로 국토의 72%에 해당되며,경제수역(200해리) 은 447천km2로 국토의 4.5배나 되고,대륙붕은 345천km2로 국토의 3.5배에 달하고 있다. <그림 2.1> 우리나라 현황 자료:국토해양부,제4차국토종합개발계획(2004) - 5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표 2.1> 주요국별 육지면적 대비 해안선 길이 비교 국가명 육지면적(천 km²) 해안선 길이(km) 비율(천 km²당,%) 한국 99 11,542 116.6 일본 380 33,057 86.9 뉴질랜드 270 15,134 56.0 영국 240 12,429 51.8 북한 122 4,068 33.3 인도네시아 1,900 54,716 23.3 캐나다 9,980 90,908 9.1 미국 9,360 56,700 6.1 자료 :해양수산행정자료집(1999.5),해양수산부 중생대의 지각운동과 신생대의 동쪽의 융기에 의해 대부분 형성된 우리나라의 하천은 황 해와 남해로 흘러가고 황해로 흐르는 하천은 유로가 길며 유량이 많고 유속은 느리며,동해 로 흐르는 하천은 유속은 빠르지만 유로가 짧고 유량은 적다. 우리나라의 기후가 여름철에 많은 비가 내리기고 유역면적이 좁아 최소유량에 대한 최대 유량의 비율인 하상계수가 매우 크며,대부분의 하천이 곡류하천을 이루고 있으며 그 결과 평야지대를 흐르는 곡류하천에서 홍수가 빈번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찍부터 제방공사와 직강( 直 江 )공사로 범람을 방지하고 있다. <그림 2.2> 월별 강우유출현황 연안지역 하천은 조수간만의 차로 인해 밀물 때 바닷물이 강으로 역류해 들어오는 감조( 感 潮 )하천이 대부분이다.이 하천은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경사가 완만한 서해안과 남해안에 특히 발달하는데 여름철의 홍수와 바다의 밀물과 만나 범람하게 되면 염분의 물이 넘쳐 주 변 농작물에 염해를 일으킨다. 또한,산지 및 산림지대의 지질상태가 대부분 화강암과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피복토가 얇 고 수분의 함유능력이 작아서 수목의 생장에 부적당하므로 풍화,침식 등으로 산사태를 유발 하거나,하천유사량( 河 川 流 砂 量 )을 증가시켜 하천 통수능력( 通 水 能 力 )을 저하시키면서 급격한 유출을 초래하여 하천주위의 홍수피해를 자주 발생시킨다. 14) 14)주성재,양지창,방재형 국토구축 전략 연구,국토연구원,2000-6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우리나라 기후특성 15) 은 지리적으로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여 봄,여름,가을,겨울 의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겨울에는 한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며,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가장자리에 들어 무더운 날씨를 보이는 한편,봄 과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다. 기온을 보면 중부산간지방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 평균 10 16 이며,가장 무더운 달인 8월은 23 27,5월은 16 19,10월은 11 19,가장 추운 달인 1월은 -6 7 이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1200mm로 세계평균 970mm에 비하면 비교적 많은 편이 며 지형이 복잡하여 지역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크다.남쪽으로 내려갈수록 강수량이 많고 북쪽으로 올라 갈수록 강수량이 적으며,청천강 중상류,한강 중상류,남해안일대,제주도,울 릉도는 연 강수량이 1400mm이상의 다우지이며,개마고원,대동강 하류,낙동강 중상류의 경 북내륙지방은 연 강수량이 1000mm내외의 소우지에 속한다. 한편 우리나라는 해마다 강수량의 차이가 크며 계절에 따른 강수량의 차이도 크다.여름철 은 연 강수량의 50%이상이 집중하여 생활에 큰 불편을 주며,겨울철의 강수량은 연 강수량 의 10%내외로 비교적 적으나 일부지역에서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린다.장마철 이나 태풍이 지나는 경우 집중호우도 발생하여 홍수나 산사태 등 많은 피해를 주기도 한다. 중부지방은 1100 1400mm,남부지방은 1000 1800mm이며,경북지역은 1000 1200mm, 경남해안 일부 지역은 1800mm,제주도지방은 1450 1850mm이다. 바람은 일반적으로 겨울에는 북서풍,여름에는 남서풍이 강하며,계절에 따른 풍계가 뚜렷 이 나타난다.9월과 10월은 바람이 비교적 약하나,해안지방에는 해륙풍의 영향이 뚜렷하다. 습도는 7월과 8월이 높아서 전국적으로 80%정도이고,9월과 10월은 70%내외이다. 장마는 6월 중순 후반에 제주도 지방으로부터 시작하여 6월 하순 초반에 점차 중부지방에 이르게 되며,장마기간은 대략 30일 정도이다.태풍은 북태평양 서부에서 연중 28개 정도가 발생하며,이중 2 3개가 우리나라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그림 2.3> 우리나라 계절별 강우량 집중률 자료:htp://www.land.go.kr/land/land_0401.jsp국토해양부 국토포탈 홈페이지 15)htp:/www.land.go.kr/land/land_0401.jsp국토해양부 국토포탈 홈페이지 - 7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나. 해역별 지형ᆞ지리적특성 16) 해양수산부 한국의 해양문화(2002)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해역을 해양생태환경과 해 양문화권 등을 기준으로 5개 해역권으로 분류하였다. <표 2.2> 해역의 분류 권역 분류 대상지역 1권역 서남해역 전남ㆍ전북 해역 2권역 제주해역 제주 해역 3권역 동남해역 경남ㆍ부산, 울산, 경북 해역 4권역 서해해역 경기, 서울, 인천, 충청 해역 5권역 동해해역 강원 해역 또한 국토해양부 연안통합관리 정책방향에 의한 권역별 분류를 보면 서해중부-I권역,서 해중부-I권역,서해남부-I권역,서해남부-I권역,남해서부 권역,남해중부 권역,남해동부 권역,동해남부 권역,동해중부 권역,제주 권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림 2..4> 연안통합관리 정책방향에 의한 권역별 분류 따라서,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해역별 지형ㆍ지리적 특성 및 기상특성에 대하여 한국의 해양문화 보고서 내용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여 작성하였다. 16) 나승만 외(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한국의 해양문화, 해양수산부, 2002 보고서 내용을 재구성 - 추진기간 : 2001. 12. 26.~2002. 11. 25. (11개월) - 주관기관 :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 협동기관 : 우리민속문화연구소, 한국해양대 해양문화연구소 - 협약기관 :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강릉대 인문학연구소, 한남대 박물관,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부경대 해양 문화연구소,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 8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1)서남해역 한반도 서남해역은 섬과 연안을 포함하여 약 26,669km2에 이르고,전국의 65.6%에 달하는 총 2,078개의 도서가 분포하고 있으며,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갯벌면적이 전국의 48.8% 를 차지하는 광활한 갯벌로 이루어져 있다. 거의 전 해역이 수심 20m 이내의 천해( 淺 海 )이고,천혜수산양식 적지가 약 10만km2나 되며, 약 380여 개의 어로작업 및 선박의 대피기지 항구가 산재해 있는 해역으로,남해서부의 해남 을 포함한 화원반도 및 서해남부의 나주군도 목포 무안 일대를 비롯하여,그 위로 군산 서 부지역이 해당된다. 황해남부 해역은 평균수심이 44m로 내륙강하천의 퇴적토사와 황하의 토사퇴적이 많으며, 대부분 겹섬으로 간사지가 비교적 발달되어 있다.그리고 남해서부 해역은 평균수심 100m의 침하지로 화산성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고,내륙연안수의 영향을 받아 퇴적 간사지와 모래 층이 발달해 있다. 한반도 서남해역은 크고 작은 만과 반도가 잘 형성되어 있다.줄포만,함평만,영암만,도 암만,부성만,순천만,여수만 등 작은 만이 많다.그리고 만과 만 사이에는 변산반도,무안반 도,화원반도,해남반도,고흥반도,여수반도 등이 있다.뿐만 아니라 연안에는 광양항 여수 항 완도항 목포항 군산항 등과 같은 양항( 良 港 )이 발달되어 있다. <표 2.3> 서남해역의 일반적인 현황 구 분 전국해역 서남해역 비율(%) 해안선 연장(km) 11,542 6910 59.9 총수(개) 3,170 2,078 65.6 유 인 도 491 306 62.3 도서 무 인 도 2,679 1,772 66.1 면 적(km2) 1,827 1,265 69.2 인 구(인) 255,487 161,970 63.4 세 대 수 80,181 52,117 65.0 영 해(km2) 70,671 개 펄(km2) 2,393 1,167.7 48.8 경제수역(km2) 447 국토의 4.5배 대 륙 붕(km2) 345 국토의 3.5배 서남해역의 지형은 후빙기이래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형성되었다.즉 소백산맥과 노령산 맥이 해안으로 연속되면서 다도해( 多 島 海 )를 이루고 있어,드나듦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과 크고 작은 만( 灣 )과 반도( 半 島 )로 구성되어 있다.또 고생대 이전의 암석이 많아 해안침식이 심하고 사빈의 발달이 빈약한 반면,해저가 천해로 이루어져 있어서 간석지가 매우 넓게 분 포하고 있다.서해의 경우,외해( 外 海 )의 북서쪽으로 열려 있는 만과 육지부에서 반도처럼 바 다로 돌출해 있는 곳에 사빈이 발달하였고,북서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사빈의 배후에 해안사 구가 형성되어 있다.또 육지와 가까운 일부 섬은 바다에서 밀려온 모래나 연안의 기반암이 - 9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침식하면서 생성된 육계도가 관찰된다.반면에 남해는 남서방향으로 열린 곳에 사빈이 발달 하여 해수욕장이 설치되어 있다. 서남해역의 해저지형은 육지 근접지역에 염하구를 형성하고,바다 쪽으로 갈수록 보다 수 심이 깊어지면서 연안해역과 대륙붕이 발달되어 있고,이 표층에 갯벌 모래 자갈로 구성된 퇴적물이 형성되어 있다.또 서남해역은 수십이 얕고 완만하여 전 해역이 대륙붕으로 이루어 져 있고,평균 수심은 서해는 50m 미만,남해는 100m 이하이다. 따라서 서남해역 해안은 수심이 얕고 조차가 커서 썰물때 넓은 갯벌지대를 드러내 보인다. 또 대 소 하천이 유입하는 곳에 간석지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게 되는데,이 간석지들은 퇴적 물의 입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모래질로 되어 있는 sand flat이고,다른 하나는 실트나 점토로 구성된 mud flat유 형으로 나뉜다.모래질 간석지는 배수가 잘되고 단단하여 썰물 때 자동차가 다닐 수 있을 정 도로 단단하지만,점토질로 된 간석지는 점성이 높아서 사람의 발목보다 더 깊게 빠지는 것 이 보통이다. 서남해역의 하천은 서해쪽에 만경강 동진강 신평천 원평천 고부천 해창천 유유천 갈곡천 주진천 구암천 와탄천 불갑천 영산강 탐진강 득량천 순천천 등이 있다.이들 하천은 노령산맥 또는 소백산맥에서 발원하여 평야지대를 흘러 서해와 남해로 유입한다. 이 하천의 하류는 하상의 평균경사가 극히 완만하고 조차가 비교적 커서 서 남해로 유입 할 때 조석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따라서 썰물 때 하천 양안에 넓은 간석지가 드러나고,하 구 일대는 큰 갯골이 형성되었다. 해남에서 목포에 이르는 해역은 리아스식 해안과 크고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물길 이 매우 복잡하다.또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역으로 조류의 흐름이 불규칙하다.해류 역 시 북동진하던 쿠로시오의 한 갈래가 다도해의 섬들에 걸려서 물길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다. 2)제주해역 제주도는 대한민국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한국,중국,일본 등 극동지역의 중앙부에 자리잡고 있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으로,동중국해를 사이에 두고 동쪽으로는 일본의 큐슈지방, 서쪽으로는 중국본토와 대하고 있으며,북쪽으로는 남해를 사이에 두고 한반도와 마주보고 있다. 제주도는 북위 33 11 27 에서 33 33 50 에 걸쳐 위치하며,제주해협을 사이에 두고 목 포와는 154km,부산과는 304km 떨어져 있다.또한 동경 126 08 27 에서 126 58 50 에 걸쳐 위치하는 제주도의 형상은 북동동-남서서 방향으로 가로놓은 타원형으로 남북간의 거 리가 31km,동서간의 거리가 73km이다.제주도의 총면적은 1,845.88km2(`98.12.31.기준)로 남한전체 면적 99,500.82km2의 1.85%를 차지하는데 이는 제주도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작은 행 정구역도로서,가장 넓은 경상북도의 1/10에 해당되는 면적이다. 현재 제주도내 어항 수는 도서낙도의 12개 소규모 어항을 포함하여 총 100개로 제1,3종 어항 6개,제2종 어항 18개,소규모어항이 76개이다.현재 제주도내에는 무역항인 제주항과 서귀포항을 비롯하여 연안항으로는 한림항,성산포항,화순항이 있다.또 이와는 별도로 제1 종 어항으로서는 도두,애월,모슬포,위미,김녕항 등이 있으며,제2종 어항으로서 조천,세 화,우도,표선,대포,사계,가파,차귀,추자항 등이 있다. - 10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제주도의 양식어업은 지형상 내만이 없고 외해에 접해 있을 뿐만 아니라 태풍,계절풍의 영향 등과 해안 지형의 입지적 여건으로 인해 과거에는 발달하지 못하였으나 1980년대에 들 어서부터 조금씩 활기를 띠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어류 양식에 적합한 지하해수를 활용하는 육상양식어업과 종묘생산업 중심으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양식어업의 대부분은 주로 육 상수조식,가두리식,축제식 등으로 2001년 현재 278개소에서 실시되고 있다.거기에는 어류 양식이 245개소로 그 중 넙치양식이 237개소로서 가장 많고 그 외에 수조식 전복양식과 같 은 패류 및 기타 양식 등이 실시되고 있다. 제주도 암석해안의 총길이는 229.7km로 제주도 전체 해안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며,동 서부해안에는 일반적으로 비고가 큰 구릉지나 산지의 출현이 적으며,바다 쪽으로 완만한 경 사를 지닌 평탄한 해안경관을 보이고 있다. 제주도의 주변에는 8개의 유인도와 55개의 무인도가 분포되어 있고,대부분 제주도의 연안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제주도 본섬의 화산활동과 연계되어 있다. 해양수산부 내부자료에 의하며 2002년 3월 31일 현재 국내 항로표지 총괄현황을 살펴보면 제주도의 경우 국가가 관리하는 국유 항로표지는 102개,민간부문에서 관리하는 항로표지가 28개이며,광파표지에는 유인등대가 4곳,무인등대가 69개소가 된다. 형상표지는 1개소이며,음파표지는 4개소,전파표지는 4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3)동남해역 동남해역은 한반도의 동남에 위치한 경상도지역의 해역을 의미한다.이 해역의 일부는 동 해안에 속하고 다른 일부는 남해안에 속한다.동해안은 그 해안선이 단조롭고 조석간만( 潮 汐 干 滿 )의 차가 적을 뿐 아니라 갯벌이 거의 없다.이에 비해 남해안은 그 해안선이 복잡하고 육지와 인접한 크고 작은 섬들이 많다. 동해안의 해안선은 태백산맥이 따라 남으로 뻗쳐 있어 영일만과 울산만을 제외하면 비교 적 단조로운 해안선을 보이고 도서가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해안 쪽에는 해식애( 海 蝕 崖 )와 사빈이 형성되어 있어 좋은 해수욕장이 많다.해안단구( 海 岸 段 丘 )도 구릉지가 해안까지 임박해 있는 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장기갑에서 방어진에 이르는 해안에 전형적으로 발달해 있고,포항 이북지역에도 용한 병곡 등지에 모식적 17) ( 模 式 的 )으로 발달해 있다. 남해안지대는 소위 한산산맥 남쪽 해안지대다.한산산맥이란 진해시의 웅산에서 사천시의 와룡 산에 이르는 낮은 분수령으로 북쪽의 낙동강 유역분지와 남쪽의 남해안지대를 구분 짓고 있다.이 남해안 지대는 하천다운 하천도 없으며 따라서 충적평야의 발달도 불량하고 낮은 기복의 구릉지로 일관된다.해안선은 굴곡이 아주 심하고,다대만 부산만 진해만 마산만 고성만 사천만 곤양 만 광포만 등 깊은 만입( 灣 入 )이 형성되어 있고 해역에는 영도 가덕도 미륵도 창선도 거제 도 한산도 사량도 남해도 한산도 등 크고 작은 많은 섬들이 분포되어 있다. 남해안의 해안선은 굴곡이 심하고 섬들이 많아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고,동해안 은 지반이 융기하고 태백산맥이 해안선을 따라 뻗어있기 때문에 단조로운 연안이나,사빈( 沙 濱 )이 탁월하게 발달되어 있어 해수욕장이 연안을 따라 곳곳에 개설되어 있다. 17) 국어사전에 의하면 표준이 되는 전형적인 형식 이라고 함. - 11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4)서해해역 한반도 서해안은 침강 또는 해수면 상승작용에 의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해안선은 출입이 매우 심하고 복잡하게 발달되어 굴곡도가 매우 크다.전체가 대조차 환경을 가졌으며,해안 지형의 경사가 아주 완만하다. 경기도 해역은 수심은 대체로 낮으나 풍도 주변이 가장 깊어 30~45m가 되는 비교적 넓은 해저층이 있다.또한 조석간만의 차이에 의해서 형성된 갯벌이 매우 발달되어 있으며,복잡 한 해안선에 의해 형성된 크고 작은 만( 灣 )이 발달하였다. 서해해역의 경기만 18) 은 다도해를 이루고 있으며,201개의 유 무인도가 존재한다.도서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100개로 가장 많고,경기도 화성시가 41개로 두 번째로 많으나 유인도 는 두 개에 불과하고 면적도 작아,규모면에서는 27개의 도서를 가지고 있는 인천광역시의 강화군이 두 번째가 된다.경기만의 해안선 연장의 비중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의 비중이 가 장 크다.경기만은 하나의 바다에 가깝고,해안선이 만입된 부분에는 작은 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그 크기는 약 4,000km2에 달한다.남쪽에서부터 분양만,남양만,군자만,강화만 등 경 기만의 부속 만들이 있다. 충청해역도 심한 리아스식해안(riascoast)이며,장항에서 아산만 사이에 이르는 여러 섬들 과 크고 작은 만으로 이루어져 침수해안의 특색을 나타낸다.전라북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금강을 중심으로 군산 이남의 전라북도 해안은 새만금간척지 및 곰소만을 제외하면 북북동 방향의 직선해안을 나타내고 있으며,급경사의 암반이 노출된 해안이 대부분이다.그러나,충 청해역은 해안선이 길고 불규칙한 해안으로 천수만과 가로림만이 발달해 있다.특히,경기도 와 경계인 아산만은 한반도에서 내륙으로 가장 깊숙이 발달하고 있다. 대표적인 만으로는 아산만,가로림만,천수만,비인만,모산만,장구만 등이다.이들 만들은 후빙기의 해수면상승에 의한 해진( 海 進 )에 의해 침수되어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특히,태안 반도 일대의 여러 만은 천수만에서와 같이 해진 이전에 구조선방향을 따라 차별침식에 의해 형성된 곡들이 침수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태안반도에는 남북방향의 소반도와 만들이 많이 발달되어 있다.특히 충청해역은 침식 단구 퇴적 등으로 생성된 지형들이 많이 나타 나는데,해안침식지형 구조로 충청해역의 전 해안을 따라서 파랑의 침식을 직접 받는 지역 에는 헤드랜드ㆍ전면의 중심에는 해식애(seaclif)와 파식대(shoreplatform)가 나타난다. 조차가 큰 해안에 나타나는 간석지는 조류의 운반물질이 쌓여 이루어지는 해안퇴적지형의 하나로 충청해역에 발달한 간석지의 대표적 특성은 간석지의 기저면이 아주 완만한 파식대 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간석지의 퇴적물질은 장소마다 조성이 다르나,점토,실트,모래 등 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해안 지역은 많은 섬과 해안선이 발달한 곳으로 해안에 인접한 내륙의 지형은 지역적으 로 돌출해 있는 암반으로 구성된 곳도 있지만,대부분 지역에서는 완만한 경사의 구릉들이 발달해 있으며,폭이 넓은 충적평야와 연결되고 있다.이 지역은 조석간만의 차이가 남해나 동해와 비교하여 월등히 크다. 18) 한강 하구와 그 앞 바다에는 수많은 섬들이 흩어져 있으며, 그 섬들을 황해도,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 도의 리아스식 해안이 에워싸 커다란 만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만을 경기만이라 한다. - 12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5)동해해역 동해해역은 서해안이나 남해안과 다르게 해안선이 단조롭고 섬이 적다.그러나 동해해역의 해안선은 해안단구의 발달,석호 및 사빈해안의 발달 등으로 동해해역만의 독특한 생태와 경 관을 형성하고 있으며,지형적으로 동해해역 해안선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대체적으로 강 릉 안인을 기점으로 강원북부해안과 강원남부해안으로 뚜렷하게 구별된다. 동해해역에는 사람이 살수 있는 유인섬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소규모의 암초성 섬들이 해안선에 근접하여 나타나고 있다.도서발달이 미약한 이유는 태백산맥의 특징에서 그 원인 을 찾을 수 있는데 서울에서 대관령 꼭대기까지는 직선거리로 약 200km인데 비해 대관령에 서 동해까지는 20km로 경사비율이 10대 1'로 급경사를 이루며 해안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며, 해안선에서 7km 안쪽의 해면수심이 평균 1,000m에 이르는 동해안의 일반적 해저지형과 연결 되어 있다.이로 인해 강원연안에는 대륙붕의 발달이 없으며 섬 발달도 미약한 것이다. 동해해역에 나타나는 도서는 강원통계연감에 총 32개로,이중 북부 연안인 고성군에 19개 가 위치하고 있어서 북쪽에 치우쳐 많이 나타나고 있다.도서 1개당의 평균면적은 8,811m2 (=0.08km2)로 매우 작은 규모의 섬들이며 일부를 제외하고는 도엽상에 명칭이 기재되지 않는 암초들이 많다.이들 도서 및 암초는 대부분 화강암을 기반암으로 하며 해면 저층까지 연결 되어 있다. 동해는 한반도 동해안에서 급격하게 깊어진다.해안으로부터 7km 거리에서 바다의 깊이는 1,000m에 달하며,함경북도 해안에서는 3km 거리에서 2,000m로 깊어지는 곳도 있다.이곳의 기울기는 35 나 돼 거의 절벽에 가깝다.지질학적으로 현재 태백산맥은 1,500m까지 솟아나고 동해 바닥은 3,000m까지 가라앉아 있다.동해는 평균수심 1,700m의 깊은 해분을 이루고 있 으며 대륙붕 발달이 미약하다.반면,동해 중앙부에는 얕은 해저 언덕인 대화퇴(뱅크)가 발달 하였다. 지형적으로 삼척시의 근덕에서 동해시의 묵호에 이르는 지역을 제외하면,강원남부해역은 수직에 가까운 대규모의 해식애가 연속적으로 발달하는 전형적인 암석해안이라 할 수 있다. 이 해안에는 고도를 달리하는 3단의 해안단구가 발달하고 있어 이 해안이 제4기 후반 간헐 적인 융기 운동의 결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대표적인 곳은 강릉시 금진에서 안인에 이르는 정동진 일대로 이곳의 해안단구는 한반도 해안에서 관찰할 수 있는 가장 전형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강원북부해역은 고도 20~30m의 구릉과 산등성이들이 완만하게 동해로 몰입하면서 소규모 의 헤드랜드를 형성하고 있으며,헤드랜드와 해드랜드 사이에는 중사( 中 砂 )및 조사( 粗 砂 )로 구성된 넓고 긴 사빈해안이 연속적으로 발달한다.이들 사빈해안은 태백산맥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유로가 짧은 급한 구배의 소하천 하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배후에 는 고도 5m 전후의 1~3열의 비치리즈 또는 비치리즈를 핵으로 하여 형성된 해안사구가 자 리 잡고 있고,비치리즈 또는 해안사구의 배후에는 곳에 따라 크고 작은 석호가 분포한다. 동해해역의 주를 이루는 사빈해안은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토사물질과 해안침식 등으로 풍부해진 퇴적물질들이 파랑에너지와 조류방향 및 조석차 등의 영향을 받아 퇴적되면서 사 빈해안 혹은 해안사구가 발달하게 된다. - 13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동해해역의 사빈과 사구는 하천하구를 중심으로 발달한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이들은 안정 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그러나 하천이 토사를 계속 공급하나 그 양이 파랑과 연안류의 활동에 비하여 많지 않기 때문에 국지적으로 사빈이 바다 쪽으로 전진하는 곳도 있으나 대체로 현재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다만 최근에 토사준설과 방파제 등 연안구조물 의 무분별한 설치로 침식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에 현재 남아 있는 자연호수로서 석호 (lagoon)는 동해안의 강원 연안에만 10곳이 있다.이들 석호는 특히 강릉 안인을 기점으로 북쪽 연안에만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은 지사 학적으로 신생대 제4기의 대표적 지형의 하나로 해수면의 상승과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에 걸쳐 6000년 4000년경에 형성된 자연 기수호수이다. 구분 경포호 향호 매호 청초호 영랑호 송지호 화진포호 유역면적(km2) 호수면적(m2) 평균수심(m) (최고수심) 유역인구(명) 토지 이용 (%) 2.2 (54.1) 855,000 (896,000) 1.4 (1.0) 3,332 (3,332) <표 2.4> 동해해역의 석호현황 7.9 (8.06) 346,000 (345,000) 3.0 (2.69) 1,149 (1,081) 8.3 (9.56) 155,000 (118,000) 1.3 (2.24) 508 (301) 24.8 (25.63) 1,531,000 (1,362,000) 3.0 (5.0) 62,468 (65,258) 8 (8.23) 956,000 (1,045,000) 2.0 (8.52) 3,042 (3,091) 3.1 (5.4) 584,000 (495,000) 2.0 (5.0) 218 (218) 13.7 (19.94) 2,068,000 (2,310,000) 2.5 (4.62) 1,591 (1,739) 농경지 31.4 23.2 19.8 19.6 12.5 15.4 20.6 임 야 68.0 53.5 79.4 62.9 41.7 62.6 54.5 기 타 0.6 23.3 0.8 17.5 45.8 22.0 24.9 *위 자료는 원주지방환경관리청 (1997,2002)의 자료를 토대로 한 것이며,괄호 안의 수치는 1997년의 자료임.토지이용 분야에서 유역면적의 계산은 1997년의 자료를 토대로 한 것임. 강원도 해안선의 총길이는 212.3km에 달하며,북위 37 17 ~ 38 10,동경 128 21 에 위치한다.또한 남서해안과는 달리 조석차가 0.3~0.4m에 불과하며 조간대의 폭이 좁고,해 저 경사가 심하여 수심이 깊다.백두대간의 급한 경사가 바다로 치달리는 형상이다. - 14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다. 기타 지형ᆞ지리적 현황 1)해저지형 동해의 해저지형은 해저면의 기복이 심하며,평균 수심이 1,600m로 대륙붕,대륙사면,심 해저 평원 등이 발달되어 있으며,서해는 평균수심이 약 44m의 천해로서 대륙붕과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고,남해의 경우 평균수심 약 100m 정도로 비교적 넓고 경사가 완만한 대륙 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2)전국도서 현황 19) <그림 2.5> 해저지형의 구조 우리나라 도서는 2004년말 현재 3,170개이고,그중 유인도서는 491개,무인도서 2,679개로 되어 있다. <표 2.5> 전국 도서 분포현황 (단위:km2,명,개) 광역시 도 도서부 유인도서 해안선 연장(km2) 계 유인도서 무인도서 가구수 인구수 개 소 면적(km2) 개소 면적(km2) 개소 면적(km2) (가구) (명) 인천광역시 880.3 154 647.02 42 640.91 112 6.11 33,046 94,172 경기도 303.57 65 44.57 11 43.74 54 0.83 2,768 7,215 충청남도 1,204.60 261 163.01 37 150.48 224 12.54 6,867 20,262 전라북도 301.7 109 37.95 26 35.31 83 2.64 1,985 6,468 전라남도 5,554.90 1,966 1,836.49 278 1,790.55 1,688 45.92 78,071 219,542 경상남도 2,173.64 428 930.05 82 918.21 346 11.84 99,673 313,551 부산광역시 313.92 41 37.9 3 34.58 38 3.32 59,701 192,183 울산광역시 135.83 4 0.04 - - 4 0.04 - - 경상북도 428 47 73.73 4 73.6 43 0.13 3,840 10,426 강원도 318.1 32 0.26 - - 32 0.26 - - 제주도 419.95 63 15.45 8 13.8 55 1.65 2,232 5,982 계 12,034.51 3,170 3,786.47 491 3,701.18 2,679 85.28 288,183 869,801 자료 :행정자치부 2001한국의 도서현황,국립해양조사원 조사결과(2004) 19)htp:/www.coast.kr/portal/html/stat/stat_main.asp국토해양부 연안포탈 홈페이지 내용 재구성 - 15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유인도서의 경우 각 해안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2.6> 동 서 남해안의 유인도서 현황 및 특성 구분 유인도 현황 자원적 특성 환경적 특성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 - 섬의 수: 3개 - 면적: 72.8km2 - 인구: 9,191명 - 섬의 수: 120개 - 면적: 1,03.6km2 - 인구: 141,473명 - 섬의 수: 363개 - 면적: 2,804,4km2 - 인구: 725,276명 - 어촌의 주거와 음식 등의 해양문화 - 해저지형은 한반도 쪽에 접한 해 - 한 난류 교차로 좋은 어장 형성 저가 복잡하고, 급경사를 이루어 - 삼척, 울진의 해식애, 동해 남부의 해안 대륙붕의 면적은 극히 좁음. 단구, 해안선을 따라 사빈과 사구발달 - 평균 수심 1,530m로 깊은 바다 - 강원도 연안의 석호와 철새도래지 임. 유인도의 수가 매우 적음. - 우리나라 전체 개펄의 약 83%인 1,980km2가 분포 - 해수욕장을 비롯해 도서, 방파제 등 해앙형 관광자원이 풍부함 - 낙엽활엽수림 등의 난대성 특수식물 서식함 - 해상국립공원: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한려해상 국립공원 - 양식업, 천일제염, 소규모 만 분포함 - 해수욕장과 온천, 골프장, 사찰, 고인 돌, 공룡화석지 등 분포 - 조석간만의 차가 크며, 표면 수 온은 기상의 영향을 심하게 받음. - 겨울철 2 8, 여름철은 25 정 도임. 얕은 바다로 조기 황돔 갈치 등 저인망의 좋은 어장임 - 리아스식 해안, 연중 온화한 기 후, 다도해라 불릴 정도로 많은 섬들이 집중적으로 분포, 인근 도 서들이 밀집해 있어 연계발전에 최상의 조건을 가짐 자료: 가고 싶은 섬 시범사업 기본계획(안)연구보고서,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6.보고서 내용 참조 다음은 면적별 유인도 현황과 도서의 교통수단 현황이다. <표 2.7> 면적별 유인도 현황 면적규모 섬의 수(개) 구성비(%) 계 491 100 0.1km2 미만 77 15.7 0.1~1km2 미만 217 44.2 1~5km2 미만 124 25.3 5~15km2 미만 41 8.4 15~30km2 미만 14 2.9 30~50km2 미만 15 3.1 50km2 미만 3 0.6 <표 2.8> 우리나라 섬의 교통수단현황 구분 여객선 차도선 도선 어선보유(척) 부산광역시 0 0 165 806 인천광역시 50 124 68 1,291 경기도 8 0 4 290 충남 13 32 8 2,106 전북 32 0 0 1,536 전남 20 457 465 21,268 경북 4 0 5 330 경남 75 105 69 9,756 제주 6 12 3 394 합계 390 730 787 37,777-16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3)해안선 구조 해안선은 바다와 육지의 경계이다.우리나라는 육지와 도서를 합한 해안선의 총 연장길이 가 약 12,000km 20) 나 되며,산지와 구릉지 또는 농경지로 경사가 완만하고 해수영향이 적은 부분이 약 74%를 차지하고,모래해변이 약 4.5%,암반 또는 암벽이 약 7.5% 그리고 인공해 안이 약 14%를 차지하고 있다.이중 인공해안은 간척 및 매립지역의 방조제,항만과 어향 관련 호안 또는 방파제,석축 등 인공적 구조물로 이루어진 해안선으로서,해안역의 평균 경 사가 낮은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되어 있다 21). 해안선 형태의 특징으로서는 퇴적 지반의 침강작용에 의해 생성된 리아스식 해안이 서해 안과 남해안에 발달하였으며,돌출부와 작고 큰 만입부로 인한 굴곡형태가 매우 복잡하다. 리아스식 해안은 톱니 모양으로 굴곡이 심한 해안,대표적인 침수 해안으로,기복이 많은 장년기 산지의 연변이 지반 침하,단층 운동,해면 상승 등에 의해 밑으로 침수하면 산봉우 리는 섬으로,산줄기는 반도로,산기슭은 곶으로,골짜기는 만입을 이루어 들쭉날쭉한 해안을 형성한다.이 중 남해안은 주로 화산암 지각의 융기로 인하여 생성된 해안으로서 암반 해안 선의 많은 섬들이 산재되어 있다. 동해안은 산지가 해안선 가까이 발달하고 있어 해안선이 거의 직선적으로 단순하고 모래 로 구성된 해변과 바위절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표 2.9> 지방자치단체별 해안선현황 (단위 :km) 광역시ㆍ도 총 계 육지부 도서부 인천광역시 983.07 349.63 633.44 경기도 251.93 212.94 38.99 충청남도 1051.69 735.91 315.78 전라북도 470.06 225.43 244.63 전라남도 5611.75 2105.98 3505.77 경상남도 2173.64 1425.17 748.47 부산광역시 313.92 223.87 90.05 울산광역시 135.83 131.94 3.89 경상북도 428 321.37 106.63 강원도 318.1 286.03 32.07 제주도 419.95 308.32 111.63 합 계 12,157.94 6,326.59 5,831.35 자료 :국립해양조사원 (2006) 20) 국립해양조사원, 2006 21)htp:/seis.scienceal.com/book_file/ke29/ke029-161.htm,한국과학문화재단 과학콘텐츠진흥센터 - 17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표 2.10> 지방자치단체별 해안지형 현황 (단위:개) 광역시 도 모래해안 해식애 파식대 헤드랜드 시스텍 해안사구 사주 육계도 자갈해안 인천광역시 1 23 6 13 - - - - - 경기도 3 18 2 5 - - - - - 충청남도 77 121 4 25 3 5 8 4 - 전라북도 20 38 36 12 1 3 2 - - 전라남도 183 867 81 115 216 4 13 27 101 경상남도 70 682 67 66 56-2 2 84 부산광역시 9 10 30-2 - - - 2 울산광역시 7 6 32 - - 1 1-6 경상북도 77 34 99 1 48 17 14-35 강원도 77 24 95 6 15 15 30 8 11 제주도 - - - - - - - - - 자료 :해양수산부(2003)/국립해양조사원 (2004) 4)조석현황 조석이란 달과 태양 등 지구주위 천체의 주기적인 상호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지구표면 해 수면의 주기적인 승강운동을 말한다.이 조석 간만의 시각,조위 및 조차는 지역에 따라 크 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실제로 우리나라 동해안의 묵호에서는 조차가 0.2m 밖에 안 되 지만 남해안의 여수에서는 3m이고 서해안의 인천에서는 8m나 된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반일주조 22) 가 우세한 혼합조로서 일조부등(1일 2회의 고조와 저조가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나타내는 현상)이 매우 적으며,일반적으로 1일 2회조가 나타난다. 반일주조의 대조차는 서해안 남부에서 약 3m로 북쪽으로 올라감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목 포외해에서 4m,군산 대천에서 6m,덕적도의 7m,그리고 아산 인천에서 8m가 된다.굴곡 이 심한 내만에서는 조석파가 증폭되어 증가된 조차를 보인다. 동해의 조석은 대한해협을 통해 일본연안쪽으로 진행되어 우리나라의 동해남부 해안을 끼 고 진행하기 때문에 조차는 동해남부로부터 동해안을 따라 점차 감소하며,대조차는 제주도 에서 약 2m,부산에서 1.2m 내외이고,울산의 0.6m 동해항 부근에서는 0.3m 미만으로 작다. 동해남부에서는 반일주조가 우세한 혼합조로서 일조부등이 상당히 있으며,동해항 부근에 서는 일주조가 우세하여 일조부등이 더욱 심하여져 1일 1회조가 되는 수가 있다. 남해안에서의 반일주조는 부산에서 서쪽으로 진행하며,대조차는 점점 증가하여 충무에서 2.4m,삼천포에서 2.8m 그리고 여수와 완도에서 3m를 나타낸다.남해안의 조석은 반일주조 22)하루에 두차례 만조와 간조가 일어나는 조석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조석의 형태 중에서 하루에 두차례 만조 가 일어나는 경우로 약 12시간 25분의 주기를 보이는 조석 유형을 말한다.따라서 반일주조를 보이는 바다에 서는 24시간 50분에 두 차례의 만조와 간조가 나타나게 된다.두산백과사전 - 18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가 우세하여 1일 2회조를 나타낸다.이러한 해면의 승강운동인 조석은 수면의 변화와 진행에 따라 해수의 흐름을 야기시키며,발생된 조류는 창조류(밀물)와 낙조류(썰물)의 형태로 지역 에 따라 왕복 또는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조차가 큰 서해안의 경우 반일주조의 최강유속은 서해남부에서 약 80cm/s,경기만에서 약 100cm/sec이상을 나타내며,특히 진도수도 및 목포연안에서는 약 400 500cm/s의 최강유 속을 나타낸다.이에 반해 조차가 작은 동해안의 조류는 20 30cm/sec에 불과하고,창조류는 남향하며 낙조류는 북향한다. 울진 근해에서는 대조기 최강유속이 약 90cm/sec,부산에서는 약 75cm/sec에 달한다.남 해안의 다도해 협수로에서는 왕복성 조류로서,창조류는 서향이고 낙조류는 동류하고,최강 유속은 대조시 약 100 300cm/sec에 달한다.이러한 조류는 연안가까이에서 해저지형과 해 안선 배치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크기와 방향이 현저하게 변화한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1952년 8월 목포에서의 조석관측을 시작으로 2007년 현재 37개 조위 관측소 23) 가 운영되고 있다. <표 2.11> 일반적인 물때의 표현방법 구 분 동 해 남 해 서 해 면 적 1,007,600km² 75,400km² 404,000km² 용 적 1,698,300km³ 7630km³ 17,620km³ 평균수심 1684m 101m 44m 최 심 부 4049m 227m 103m 수온범위 1~27 5~26 2~28 조석(대조차) 동해 0.2m 부산 1.2m 인천 8.1m 23)동해안 : 6개소(속초, 묵호, 울릉도, 후포, 포항, 울산) 남해안 : 14개소(부산, 가덕도, 마산, 통영, 여수, 고흥, 거문도, 완도, 제주, 서귀포, 성산포, 모슬포, 추자도, 거제도) 서해안 : 16개소 (목포, 대흑산도, 영광, 위도, 장항, 군산외항, 보령, 안흥, 대산, 평택, 안산, 인천, 진도강화 대교, 한강하구(전류리), 어청도, 대청도) - 19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5)파랑과 폭풍해일 24) 파랑은 일반적으로 원해에서 해면에 작용하는 바람에 의한 마찰력으로부터 발생되어 천해 로 전파된다.따라서 연근해의 파랑특성은 연결되어 있는 원해에서의 기상조건과 밀접한 관 계가 있다. <그림 2.6> 연안해역에서의 각종 외력과 이에 의한 연안 현상들 우리나라 연근해역에서 파랑을 일으키는 탁월풍은 주로 겨울철의 대륙성 고기압계와 여름 철 대륙성 저기압계에 의해 발생한다.따라서 각 해상에 발달되는 파랑계는 계절성 탁월풍 25) 의 크기와 방향에 의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이러한 파랑의 통계처리는 파랑기후의 분석 으로 요약되어,각 해역마다 파랑의 통계특성인 출현빈도별 파고와 파향으로 제시된다. 계절적 파랑 특성은 현저하게 다르며,특정 해역에서 나타나는 파랑기후별 유의파(파랑자 료를 크기 순서로 나열했을 때,상위 1/3파)의 정보는 그 지역의 설계파를 추산하여 연안시 설물의 천단고 결정과 구조물의 내압 결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행성의 정기적 운동관계에 의해 발생되는 해면의 승강운동과 이에 의한 해수의 흐름인 천 문 조석과 조류는 매우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나,해양의 기상상태의 예측은 어려운 실정 이며,폭풍의 내습시 동반하는 바람과 저기압에 의해 해면은 예상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며, 해수의 흐름과 파랑의 크기도 엄청나게 커서 연안해안선 또는 시설물에 막대한 손해를 입히 기도 한다.이러한 이상기상의 통과시 발생하는 이상파랑은 동해안의 경우 11 3월에 걸쳐 발생하는 동해선풍에 의해 나타나며,제주도와 서해안의 경우 11 4월에 걸쳐 북서계절풍에 의한 것이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폭풍해일은 기압저하에 의한 수면 상승과 바람에 의한 해면의 유동으로 발생하며 우리나 라 폭풍해일 발생 빈도를 보면 동해에서 서해로 갈수록 높고 서해에는 겨울철에 많이 발생 하고 남해에는 태풍이 많이 오는 여름과 가을에 많이 발생한다. 24)htp:/web.kma.go.kr/edu/young/oce/seas/damage/seas_04.html기상청 해상기상교실 25) 일정 기간의 바람을 평균해 볼 때 특정 풍향의 출현빈도가 높은 바람. 우세풍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를 예 로 들면 여름에는 남동 계절풍, 겨울에서는 북서계절풍이 된다. - 20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우리나라의 경우,고조시의 폭풍해일의 높이는 동해안에서 30 70cm,남해안에서 40 90cm,그리고 서해안에서 85 110cm이며,주로 7,8,9월에 태풍 또는 온대성저기압이 통과 할 때 발생하고 있다. <그림 2.7> 폭풍해일 발생원인 6)갯벌(개펄)현황 26) 갯벌의 사전적 의미는 고조시에는 잠기고 저조시에는 드러나는 연안의 평탄한 지역 을 말한다.즉 갯벌이란 조류로 운반되어 온 미세한 흙들이 파도가 잔잔한 해안에 오랫동안 쌓 여 생기는 평탄한 지형을 말하는 것이다.다시 말해 갯벌은 주로 조류에 의해 운반되는 퇴적 물이 쌓여 이루어지는 해안 퇴적 지형이다. <그림 2.8> 연안지형의 구분 26) http://www.tidalflat.go.kr/ 국토해양부 갯벌정보시스템 내용 재구성 - 21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한반도의 서해안과 남해안의 해안선은 복잡할 뿐 아니라 크고 작은 많은 만들이 있고,한 강,금강,만경강,동진강,영산강,섬진강,낙동강 등 큰 강들의 하구가 있다.그리고 해안은 경사가 완만하며 조차가 매우 크다.이러한 해안환경은 갯벌이 생성될 천혜의 자연 조건을 갖춘 셈이다.일반적으로 갯벌은 강과 하천 등에서 유입되는 토사와 해안에서 해수에 의해 침식된 물질 등이 퇴적되어 형성되는데 파도의 영향이 크지 않고 상대적으로 조석의 영향이 큰 곳에 나타난다.조차는 남해안은 2.5m에서 4m 정도이지만 서해안은 남쪽이 4m정도이고 북쪽으로 갈수록 차차 커져 인천 부근에서는 9.3m에 달한다.따라서 서해안에 대규모의 갯 벌과 염습지들이 발달할 수 있었다.이러한 갯벌들의 역사는 채 만년도 되지 않은 것으로 홀 로세 동안 생성되었다. 해양수산부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서남해안에서 분포하는 갯벌은 국토 면적의 약 2.5%에 해당된다.서해안에는 전체 갯벌 면적의 약 83%인 1,980km2가 분포되어 있으며,나머 지는 남해안에 산재되어 분포하고 있다. (1)우리나라 갯벌 현황 27) 우리나라의 갯벌은 서 남해에 분포하고 있으며,전체면적이 2,550.2km2로 국토면적대비 2.5%를 차지하고,서해연안에 전체의 83%,남해연안에 17%가 분포하며,전라남도 해역이 전 체면적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표 2.12> 우리나라 갯벌의 분포 현황 구분 면적(km2) 비율(%) 비고 합계 2,550.20 100 경기(인천) 914.9 36 충남 367.3 14 전북 132 5 전남 1,017.40 40 서해안 : 2,107.7km2 (전체의 83%) 남해안 : 442.5km2 (전체의 17%) 경남(부산) 118.6 5 자료 :2007해양수산통계연보 '98년 당시에 제외되었던 제주도,새만금,남양만 지역의 갯벌현황 제외하였음 28) 27) 2007 해양수산통계연보 및 해양수산부, 갯벌생태계조사 및 지속가능한 이용방안연구, 2003 28) 1998년 미측정지역인 제주 24.1km2, 새만금방조제안쪽 236.9km2, 남양만안쪽 58.0km2 및 한강하구 접경지역 18.3km2은 합계대상에서 제외. 1998년의 2,393km2에 비해 수치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이는 당초 항공사진을 토 대로 산정한 것을 전자해도와 GIS를 활용한 발전된 측량기술에 기인한 것임. - 22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2)갯벌의 분류 기준 갯벌 29) 은 조차,지형,에너지 물질공급 그리고 퇴적물분포에 의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조차에 의한 분류 갯벌 또는 조간대의 모체를 이루고 있는 갯벌퇴적물은 주로 조수나 파랑의 흐름에 의한 입자의 이동,침식 및 퇴적 등의 퇴적작용이 반복되어 형성된 것이다. 갯벌이 속하는 연안퇴적환경에서의 퇴적작용은 퇴적물의 공급량,파도,조류,연안류의 세 기,기후,해수면의 변화 및 지구조 운동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연안의 퇴적작용과 지형은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으므로 연안 퇴적환경을 대조차(조차 >4m),중조차(조차,2-4m)및 소조차(조차 <2m)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대조차 지역의 연안은 넓게 발달한 갯벌(조간대)환경이 특징적이며 우리나라 서해안이 좋은 예라 할 수 있다.조차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서해안의 대부분은 대조차 환경,남해안 은 중조차 환경이며 동해안은 소조차 환경에 속한다. 조차는 매일 일정하지 않고 지구와 달,태양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변한다.또한 하루에 2회의 만조와 간조가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하루에 발생하는 2회의 조차도 서로 다르므 로 조차에 의한 분류시에 적용되는 조차의 정의를 내려야 할 필요가 있다.일반적으로 국제 적으로 인용되는 자료는 조차에 의해 분류할 때에 조차에 대해 명백히 정의를 내리지 않고 있으나 갯벌이라는 공간이 해수에 의해 영향을 받아 육상생태계와 명백히 다른 생태계를 이 루고 있다는 점에서 해수의 영향 하에 들어가는 공간을 모두 갯벌이라고 한다는 점에서 조 차의 정의를 생각할 수 있다.1달에 한 두번 조수의 영향을 받으며,육상생태계와 경계부를 이루고 있는 최상부 갯벌이나 염습지 생태계도 육상생태계와 명백하게 구분이 되므로 조차 에 의한 분류시에 적용되는 조차는 대조차와 소조차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평균조차가 아니 라 대조시 조차의 평균값인 평균대조승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갯벌의 분류에 적용되는 조차는 평균대조승이 적합하다. <그림 2.9> 우리나라 주변의 조석 29) 우리나라의 갯벌(자연생태 특성), 해양수산부, 2005년도 보고서 자료를 재구성 - 23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2 지형에 의한 분류 갯벌은 황해나 북해처럼 대륙붕해로 이루어진 매우 완만한 해역의 연안이나 강의 하구나 만처럼 쐐기형을 이루고 있어 조수가 해안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얕아지거나 좁아져서 조수의 영향이 증가하는 지형에서 잘 발달한다.지구조적인 운동에 의해 형성된 대규모의 지형을 제 외하고는 대부분의 소규모 연안지형은 강,파랑 또는 빙하의 영향에 의해 변형된 것에 제4기 해수면의 상승에 의한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그러므로 지형의 특성에 의해 갯벌은 개방형, 하구형,폐쇄형(만입형)및 반폐쇄형 갯벌로 분류될 수 있다. 개방형 갯벌은 북해나 미국 동부해안에서 연안사주(barierisland)에 의해 보호되는 안쪽에 발달하는 전형적인 갯벌과 비교하여 한국의 서남해안처럼 연안사주의 존재 없이 외해를 향 하여 열린 상태로 발달하는 갯벌을 지칭하는 것이다. 서해안에서는 주로 연안이나 섬의 서쪽과 북쪽에 분포하는 갯벌에서 이러한 형태를 보이 고 있다.개방형 갯벌은 조류의 영향은 물론 파랑의 영향도 매우 강하게 받음으로 최상부에 조수해빈이 빈번하게 발달하거나 모래갯벌이 매우 우세하게 발달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서해안에 형성되어 있는 대부분의 해수욕장이 개방형 갯벌에 해당된다.이들 모래갯벌은 여 름철에는 일부가 펄질 갯벌을 이루고 있으나 겨울철에는 대부분의 펄질 갯벌이 침식되고 사 질갯벌로 변하는 계절변화를 보이고 있다. 서해안에서는 대부분 해안선이 단조롭거나 직선형태를 갖는 해안지형을 보이고 경사도가 비교적 높은 해안을 이루고 있다.남해안에서는 주로 남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갯벌이 개방 형 갯벌에 해당되며,남해안의 해수욕장 또는 경사도가 높은 암벽에 바로 붙어 형성되어 있 는 좁은 역질,사질 및 펄질 갯벌이 개방형 갯벌이다. 하구형 갯벌은 비교적 규모가 큰 하천이 유입하는 연안에 형성된 갯벌을 말하며 한강하구 인 강화도 남단에 대규모로 발달한 갯벌,새만금하구에 발달한 갯벌이 대표적이며,아산만과 남양만 사이에 아직 하구형 갯벌의 형태를 일부 포함하고 있는 사주섬,금강하구의 사주섬, 도암만 내측,여자만의 벌교와 순천의 작은 하구갯벌,광양만의 섬진강 하구의 일부,낙동강 하구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발달한다. 하구갯벌은 특성상 하구를 향하여 길게 발달하며 갯벌로 노출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하구 입구에 사주섬을 형성하고 있는 형태를 갖는다.한강 하구에서는 한강이 매우 큰 하천이며,퇴적물의 공급량도 매우 많은 이유 때문인지 매우 광범위하게 하구형 갯벌이 거의 외해에까지도 발달하고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폐쇄형 갯벌은 만입형 갯벌로도 불리우는 것으로서 만의 입구가 좁아서 파랑으로부터 보 호를 받는 만의 내측에 발달하는 갯벌로 대부분 펄질 갯벌이 우세하게 발달한다.함평만의 동측,탄도만의 동측,가로림만의 동측 등 겨울철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 수 있는 만의 형태 및 방향에 따라 만의 일부에서는 모래갯벌이 상당히 넓게 발달하기도 한다. 반폐쇄형은 만의 입구가 넓어서 만의 입구쪽에서는 파랑의 영향이 강하나 만의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상대적으로 파랑에 비해 조류의 영향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는 만의 입구에서 만의 안쪽으로 점차 세립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갯벌을 전형적인 반페쇄형 갯벌로 정의할 수 있으며 곰소만이나 가로림만 갯벌이 전형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 24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그러나 퇴적물의 특성으로 보거나 지형적인 특성으로 볼 때에 서해안의 섬에서는 지형적 으로 파랑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섬의 동쪽 해안에 발달하는 갯벌은 모두 반폐쇄형 갯벌 로 분류할 수 있으며,남해안의 다도해 및 연안에 분포하는 갯벌에서 남쪽의 외해로부터 들 어오는 파랑의 영향이 감소하는 북쪽 갯벌이 반폐쇄형으로 분류된다.이것은 부분적으로 파 랑을 막아주어 상대적으로 조류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갯벌로서 만에 형성된 특징과 유 사하기 때문이다. 특히 남해안의 육지와 섬 사이 또는 섬과 섬 사이에 분포하는 갯벌들은 모두 이러한 특성 을 가지고 있으므로 반폐쇄형 갯벌로 분류될 수 있다. 3 에너지/물질공급에 의한 분류 연안환경의 분류방법은 학문적 성격이나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다.분류의 기준을 수심, 염분,광투과 심도,해류,지형,퇴적물의 종류 중 어떠한 것에 두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해양지질학적 관점에서는 퇴(축)적되고 보존되는 퇴적물의 관점에서 다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최근 널리 인정되는 것으로서 강,파도,조수의 3가지 중요한 물리적 작용의 영향정도와 시 간적 개념 및 해수면 변화를 종합하여 제시된 분류법이 제시되었다. <그림 2.10> 연안퇴적환경의 분류표 자료 :우리나라의 갯벌(자연생태 특성),해양수산부,2005 최근에 호주정부는 이 분류법에 근거하여 파랑,조류 및 강의 영향정도를 계량화하여 호주 의 전 해안을 분류를 시도하여 연안관리정책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4 퇴적물 분포에 의한 분류 퇴적물 분포 또는 퇴적상에 의한 분류는 갯벌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의 분포양상과 퇴적구 조의 우세성을 판단하여 갯벌을 펄갯벌,혼성갯벌 및 모래갯벌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모래갯벌은 바닥이 주로 모래질로 형성되어 있다.유기물 함량은 1,2% 정도로 적은 편이 고 미사와 점토 성분이 차지하는 이질(진흙성분)함량의 비율도 대체로 4%를 넘지 않는다. 펄갯벌은 모래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이하에 불과하나 반대로 펄 함량은 90% 이상에 달하는 갯벌로 표층 퇴적물의 평균 입자의 지름은 0.031밀리미터에 이른다.이곳에서는 개펄 의 깊이가 깊은 곳은 수 미터나 되고 함수량( 含 水 量 )도 높아 걸을 때 보통 허벅지까지 빠지 - 25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기도 하며,개흙질이 많은 '펄갯벌'은 흐름이 완만한 내만이나 강 하구의 후미진 곳에 형성된 다.펄갯벌은 경사가 더 완만한 편으로 벌판의 폭도 넓어 어떤 곳에는 5km가 넘는다.펄갯 벌에는 수로가 많은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모래펄갯벌은 혼성갯벌이라고도 하는데 모래와 펄이 각각 90% 미만으로 섞여 있는 퇴적물 로 구성된 갯벌이다.펄이 더 많으면 모래펄 갯벌,모래가 더 많으면 펄모래 갯벌로 구분할 수도 있다.그러나 지역에 따라서 또는 같은 지역이라 할지라도 부분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다를 수 있고,주변 해안선의 형태에 따라서 좌우측으로 모래와 펄의 비율이 각기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갯벌은 위치에 따라 해변갯벌과 하구역 갯벌로 나뉘는데,하구역 갯벌은 육지로부터 공급되는 담수와 바다로부터 유입되는 해수가 혼합되는 반폐쇄 지역으로 상당한 양의 물질 이 이곳에 모여 쌓였다가 유출되며,우리나라에서 유입 하천이 있는 곳이면 볼 수 있다. 하구역 갯벌은 강물이 하구를 거쳐 바다에 이르는 과정에서 바닷물과 섞여 일정한 염분 구배를 나타내며,많은 유기물이 집중되고 탁도가 높고,여름철 홍수기에는 많은 양의 담수 가 일시적으로 바다로 유입되기 때문에 홍수기를 전후하여 하구역의 퇴적 환경에 극적인 변 화를 연출하기도 한다. 갯벌은 지형,조류로,조수의 세기,파랑의 세기 및 방향,퇴적물 공급지의 종류와 거리 등 의 요인에 의해 다양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들 구성성분에 의한 갯벌의 종류는 한지역의 갯벌이라 하더라도 계절적 변화를 보인다.또한 한 갯벌에 펄갯벌,혼성갯벌과 모래갯벌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도 있지 만 이 셋 중의 하나 또는 두 종류의 갯벌이 우세하게 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갯벌 퇴적물 중에 간혹 역도 포함되고 있으나 이들은 주로 조수로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조수로의 이동에 의해 잔류하는 역들이 전형적인 갯벌퇴적물에 협재한다.퇴적물 분포에 의 한 분류는 실제로 갯벌의 구성물질만으로 분류를 하는 것이 아니라 갯벌의 물질들을 운반 퇴적시키는 에너지를 반영하도록 분류가 되어야 하므로 퇴적구조까지를 반영하여야 한다. <표 2.13> 우리나라 중요 갯벌현황-다른 분류법을 적용한 분류표 주요갯벌 갯벌분류 조차에 의한 분류 지형에 의한 분류 에너지/ 물질공급 에 의한 분류 퇴적물 특성에 의한 분류 강화 장봉 가로림 새만금 함평만 탄도만 증도 압해도 도암만 여자만 강진망 종달리 대조차 대조차 대조차 대조차 대조차 대조차 대조차 대조차 중조차 중조차 중조차 중조차 개방형 하구형 삼각주 조수 우세 염하구형 펄/혼성 모래 갯벌 개방형 하구형 조수 우세 염하구형 펄/혼성 모래 갯벌 반 폐쇄형 조수 평원 펄/혼성 모래 갯벌 하구형 폐쇄형 폐쇄형 폐쇄형 개방형 반폐쇄형 조수 우세 염하구형 펄/혼성 모래 갯벌 조수 평원 펄/혼성 모래 갯벌 조수 평원 펄/혼성 모래 갯벌 조수 평원 펄 혼성 조수 평원 펄/혼성 모래 갯벌 폐쇄형 하구형 조수 우세 염하구형 펄/혼성 반 폐쇄형 조수 평원 펄/혼성 모래 갯벌 폐쇄형 개방형 조수 평원 펄/혼성 모래 갯벌 개방형 갯벌 모래 자료 :우리나라의 갯벌(자연생태 특성),해양수산부,2005-26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3)행정구역별 갯벌현황 30) 행정구역별로는 경기도와 인천이 36%,충남 14%,전북 5%,전남 40%,경남과 부산,제주 5%로 경기와 인천 그리고 전남 지방이 우리나라 갯벌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표 2.14> 행정구역별 갯벌현황 (단위 : km2) 행정구역(시 도) 구역(시 군) 갯벌면적 합계 비고 총 계 2,550.2 중구 등 202.7 인천 강화군 234.6 737.1 옹진군 299.8 '98년 인천 경기지역 갯벌면적 평택시 18.7 :838.5km2 안산시 64.6 경기 177.8 화성시 68.7 김포시 25.8 보령시 44.5 서산시 65.3 충남 서천군 68.8 '98년 충남지역의 갯벌면적 367.3 홍성군 13.3 :304.2km2 태안군 143.6 당진군 31.8 전북 군산시 30.9 '98년 전북지역의 갯벌면적 고창군 70.9 132.0 :113.6km2 부안군 30.2 목포시 5.7 여수시 40.4 순천시 26.4 광양시 15.7 고흥군 81.6 보성군 37.3 '98년 전남 서해지역의 갯벌면적 전남 장흥군 25.0 :723.8km2 1,017.40 강진군 2.9 '98년 전남 남해지역의 갯벌면적 해남군 64.4 무안군 146.5 :330.3km2 영광군 130.1 완도군 64.8 진도군 31.8 신안군 344.8 마산시 4.7 진해시 1.3 통영시 8.7 경남(부산) 사천시 28.3 '98년 경남 부산지역의 갯벌면적 거제시 6.6 118.6 :82.6km2 고성군 9.5 남해군 20.5 하동군 11.8 부산 27.2 자료 :2007해양수산통계연보 30) http://www.tidalflat.go.kr/ 국토해양부 갯벌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발췌 - 27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1 인천 경기도 갯벌 우리나라 갯벌의 35%를 차지하며,한강하구와 인접하지 않은 해변이나 내만에도 널리 갯 벌이 발달되어 있다. 한강은 하류에서 임진강,예성강과 합쳐져 서해로 나아간다.한강 하구 일대에는 조석간만 의 차가 최고 9m이상으로 크고 드넓은 갯벌이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특히 강 화도,영종도,시화호 주변의 갯벌은 철새 도래지로도 유명하다.저어새,노랑부리백로,검은 머리갈매기,장다리물떼새 등 희귀조류들이 이 갯벌을 찾는다.한강하구 갯벌은 접경지역에 위치한 관계로 비교적 보전이 잘 되어 있다.황해도 남단갯벌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하구 갯 벌 가운데 가장 클 것으로 생각된다.영종도,삼목도,용유도 사이에 놓여 있었던 갯벌은 인 천 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매립으로 사라져 버렸으며,김포 갯벌은 쓰레기 매립장으로 조성되 어 이미 매립되어 버렸다.인천 중심부와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인천 송도 (또는 척전)갯벌 과 인천 남쪽에는 시흥 갯벌,시화 갯벌,화옹지구 갯벌,남양 갯벌 등이 있다. 시흥 갯벌 등 여러 갯벌에는 아직 염전 또는 폐염전이 남아있으며,특히 시흥갯벌은 염생 식물과 염전이 갯벌 자연의 아름다움을 한껏 나타내는 곳으로 이름 나있다.현재 인천시는 이 주변 갯벌을 생태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인천의 송도 갯벌은 한때 우리나 라에서 조개류가 가장 많이 생산되던 곳으로 유명하였으나,이제는 신도시 개발을 위한 매립 이 진행되었다. <그림 2.11> 경기 인천 갯벌분포도 그림출처 :htp:/www.etaean.net/태안 사이버갯벌생태공원 - 28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2 충청남도 갯벌 아산만에서 시작해 천수만을 거쳐 장항으로 이어지는 충청남도 갯벌은 전체의 14%를 차지 하며,하구갯벌보다는 해안선이 복잡한 내만형 갯벌들이 많다. 이중 아산만 갯벌은 아산방조제,삽교방조제로 막혀진 두 곳이 대표적인 갯벌이었으나,70 년대 중반에 완공된 아산방조제와 삽교방조제로 막혀져 지금은 농토나 산업단지 개발용지로 전환되었으며,일부만이 남아있다. 태안반도의 북쪽에 위치한 가로림만내에는 80km2라는 비교적 넓은 갯벌이 발달돼 있는데, 굴양식장,바지락 양식장이다.이곳은 만의 입구가 좁고 조차가 7m나 된다. 태안반도의 가장 서쪽 돌출부에도 소원,소근,안홍갯벌 등 몇몇 소규모 갯벌이 있으며 비 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이다. 보령,서천지역은 해안을 따라 갯벌이 고르게 발달하여 있으며,비인만에서 장항항 부근까 지 비교적 넓은 갯벌이 해안을 따라 조성되어 있고 군산,장항 외측해역의 유부도,개야도 주변에 비교적 넓게 독립된 갯벌이 분포되어 있으며,내측의 소규모 갯벌은 금강댐의 영향으 로 갯벌 및 사주의 이동이 나타난다. 금강하구에 위치한 장항과 서천 주변 갯벌은 내만이 아닌 곳에 위치한 대형 모래갯벌이지 만 현재 간척,매립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림 2.12> 충청남도 갯벌분포도 그림출처 :htp:/www.etaean.net/태안 사이버갯벌생태공원 - 29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3 전라북도 갯벌 군산에서 김제,부안까지 약 1백km에 이르는 해안을 따라 펼쳐진 갯벌로 전체 갯벌의 5%를 차 지하며,금강 만경강 동진강 등 큰 강의 하구가 있어 전형적인 하구 갯벌들이 발달되어 있다. 금강하구로부터 군산 앞바다의 오식도를 거쳐 수라,거전,계화로 연결되는 이 갯벌은 총 면 적이 약 2백km2에 달하며,군산,김제,부안에 이르는 갯벌은 전체가 바지락 양식장이다. 만경강과 동진강이 이 갯벌과 연결되어 있으나 여름 홍수 때를 제외하면 담수의 유입은 매우 적은 편이다.하지만 이곳은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구와 고군산군도를 연결하여 새만금 간척공사 31) 가 진행 중이다. 만경강 하구의 경창이나 동진강 하구 우마,광할리에 가면 갯벌이 비록 2 3km밖에 안되지 만 전형적인 뻘 갯벌이다. 곰소만(줄포만)은 변산반도 아래에 깊게 패여진 내만으로 채석강으로 경관이 수려한 곳이 기도 하며,갯벌의 넓이는 약 80km2이르는 뻘로 된 지역이다. <그림 2.13> 전라북도 갯벌분포도 그림출처 :htp://www.etaean.net/태안 사이버갯벌생태공원 31) 새만금 간척공사가 넓이 4백km2에 제방 길이 40km에 달한다. - 30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4 전라남도 갯벌 전남 영광에서 무안,함평,목포를 거처 해남에 이르는 전라남도의 해안은 굴곡이 심하고 섬도 많으며,지형상 서해와 남해를 포함하고 있으며,해남군 해남각을 기준으로 서해안과 남해안을 구분한다. 전라남도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갯벌을 가지고 있으며,면적이 1,054km2로 전국의 44%을 차 지하고 있다. 전라남도의 서해 지역은 서해안에서 가장 복잡한 해안을 형성하는 다도해역으로서 진도를 비롯하여 크고 작은 만들과 섬들이 산재하여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이 해역에는 임 자도,증도,자은도,암태도,안좌도,압해도,비금도,도초도,하의도,상태도,하조도 등 크고 작은 섬들과 만이 있으며,이들 주위에는 넓은 갯벌이 분포되어 있다. 전라남도 남해 지역은 육지근처의 작은 만들과 크고 작은 섬들이 산재하여 비교적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으며,전라남도 남해를 행정구역(시,군,구)별로 구분하면 해남군 해남각 동 측을 포함한 완도군,강진군,고흥군,여천군 지역으로 구분한다.해남군과 강진군은 육지해 안을 따라 갯벌이 분포되어 있고,완도 북측과 인접한 해남군 육지해안에는 비교적 넓은 갯 벌이 분포되어 있다.또한 고금도,조약도,신지도 등 주변의 섬에도 크고 작은 갯벌이 분포 되어 있다. 소안 청산지구,나로도지구,금오도지구,거문 백도지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 되어 있고 완도지구,고금지구,득량만지구,여자만지구,여호지구,강산지구는 수산자원보전 지구로 지정되어 있다. 목포 북쪽의 영광군,무안군,신안군의 해안과 섬 주위에는 넓은 갯벌이 분포되어 있으며, 목포항 내측의 영산강을 비롯하여 해남군 화원반도 주변의 해남강과 영암,금호지구에 방조 제를,내측에는 영암호와 해남호가 조성되어 있다. 고흥반도의 득량만과 여자만의 내측에는 비교적 넓은 갯벌이 있으며,여천군에는 광양 제 철소 및 광양항 개발에 의한 간척,매립으로 여천국각산업단지 및 율촌지방산업단지가 조성 되어 있다. - 31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그림 2.14> 전라남도(서해) 갯벌분포도 <그림 2.15> 전라남도(남해) 갯벌분포도 그림출처 :htp://www.etaean.net/태안 사이버갯벌생태공원 - 32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5 경남 부산 갯벌의 분포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 갯벌의 면적은 우리나라 갯벌면적의 약 5%인 118.6km2가 분포되어 있으며,지난 1998년 조사자료인 82.6km2 보다 늘어난 것은 1998년 자료는 75,000분의 1축적 해도를 디지털면적 계산기로 작성한 것이고,2005년 자료는 보다 정밀한 전자해도를 활용하 여 작성함으로써 면적이 다소 늘어났다. 갯벌의 특징은 서해안에 비하여 조석간만의 차가 작고 조류 및 해류의 영향으로 갯벌이 발달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기 때문에 그다지 많은 갯벌이 분포되어 있지는 않으나,비교적 해안의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해안으로 대 소규모의 만들이 형성되어 있어 소규모의 갯벌이 산재되어 있다.바다와 인접한 낙동강 하구언에는 퇴적물이 쌓여 비교적 규모가 큰 갯벌이 분포되어 있었으나 도시와 공업단지 개발로 대부분 유실되었고,현재 낙동강하구언(을숙도) 는 겨울 철새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그림 2.16> 경상남도 갯벌분포도 그림출처 :htp:/www.etaean.net/태안 사이버갯벌생태공원 자연갯벌에는 대개 갯벌 주변부의 염습지와 육지의 하천과 연계되는 갯골이 있으며,갯골 은 갯벌에서 물줄기가 흘러내려 가는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양경찰서별 갯골현황은 해양경 찰청 블루가드 홈페이지 32) 에 가면 자세한 내용이 나와 있다. 갯골 32) http://blueguard.kcg.go.kr/web_blueguard/bg_tidalflat/tidalflat_define01.aspx - 33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2.1.2 해역별 기상환경 특성 우리나라의 해양 기상관측은 기상청,수산청 그리고 해운항만청 등에서 각각 그 목적에 따 라 관측되고 있다.기상청은 정지기상위성(GMS)과 극궤도위성(NOAA)을 이용하여 해수표면 온도와 안개 등을 관측하며 전세계적으로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많은 선박들에 의해 관측된 자료들이 전세계 기상통신망에 의해 수집되고 분석되어져 실황분석과 예보에 활용하고 있으 며,기상청 소속 해안기상대에서는 파고를 포함한 해상의 기상상태를 관측하며 36개의 섬(10 개소는 등대관측소)과 41개소의 해안 AWS관측소에서 기상관측을 실시하여 34개소의 등대관 측소에서 매 3시간마다 기상 및 목측파고를 관측하여 실시간 수집하고 있다. <그림 2.17> 대기와 해양의 분류 해상 사고의 대부분이 폭풍우나 안개,착빙과 같은 해상 악기상에 의해 발생하기에 선박의 안전 운항에 있어서 해상 기상은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또한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지난 100년간 10~20cm)이 상승하면서 초강력 태풍,국지성 해일,게릴라성 농무 등 비예측성,이상기후성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재난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순간적으로 강한 바람이 부는 돌풍은 기상전선 주변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특히 겨울 철에 한랭 전선에 수반되는 돌풍이 많은데 순간 풍속이 40m/s이상인 강풍이 수분 간격으 로 2-3회 불기에 소형 선박은 주의해야 한다. <그림 2.18> 동해안 국지성 해일피해 현황(2006년 10월) 자료 :해경백서(2007) - 34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가. 일반 현황 1)수온 전 세계 바닷물의 평균 수온은 약 3.5 이며 그 중 75%가 0 ~6,그리고 50% 해수는 약 1.3 ~3.8 의 수온 범위에 있다.우리나라 동 남 서해안의 연안에서 관측된 연평균 수온은 동해안이 8.6 ~15.9 이며,남해안은 15.7 ~18.8,서해안은 10.9 ~14.9 를 나타낸다 33). <그림 2.19> 우리나라 해안의 수온현황 수심이 깊어질수록 온도가 감소해서 해수층은 다음과 같은 3개 층으로 나뉜다.태양복사에 너지를 흡수해서 따뜻해진 표층해수는 바람과 냉각에 의해 혼합이 일어나 수온이 균일한 혼 합층을 만들게 된다.혼합층 아래 부분에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온도가 급히 감소하는 수 온약층이 존재하고 그 아래에는 수온 변화가 거의 없는 저온의 수온 분포를 가진 심해층이 위치하게 된다. 34) <그림 2.20> 해수층의 구분 수온의 수직변화가 극도에 달하는 수온약층 (Thermocline)은 표층 난수의 대류권과 심층 냉수의 성층권 사이의 전이층으로서 해수중의 물리적 작용 등의 영향을 받으며,수중음의 전 파나 물의 투명도 등에 큰 영향을 준다.이러한 수온약층은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는 강 하고 얕게,겨울철에는 약하고 깊게 나타난다. 33) http://www.nori.go.kr/study/cssp_temp.asp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해양상식에서 발췌 34) http://web.kma.go.kr/edu/young/oce/seap/w_temper/seap_01.html 기상청 홈페이지 해상기상교실에서 발췌 - 35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일반적으로 동해안은 남쪽으로부터 북상하는 난류와 북쪽으로부터 남하하는 한류가 상호 작용한다.여름철에는 25 이상의 수온분포를 나타내고 겨울철에는 대부분 10 이하로 낮 아진다.또 수심이 깊어 300m 이심의 깊은 층에는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10 미만의 차가 운 냉수가 분포한다.특히 5월경부터 9월에 이르는 여름철에는 동해안 연안을 중심으로 연안 냉수대 35) 가 발생하며,더운 공기 아래에 냉수대가 발생하므로 안개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서해안은 수심이 얕고 조류가 빠르며 간만의 차가 심하다.남쪽에서 황해난류가 북상해서 여름철에는 수온이 25 28 까지 상승하나 겨울철에는 대부분 8 이하로 하강한다.난류가 북상하는 여름철에는 연안역에 조경이 형성되고 수온약층도 발달한다.특히 서해중앙부에는 연중 10 이하의 고유냉수가 존재하고 연안역에는 육수의 영향으로 연안수가 발달한다. 남해안의 경우 연안측은 겨울철 수온이 10 이하로 하강하지만 외양역은 14 이상의 고수온이 연 중 분포하므로 대부분의 난류성 어종이 이곳에서 겨울을 보낸다.남해안에서는 연안수가 발달하고,동 해로부터 확장하는 냉수의 영향과 각종 하천수의 유입,빠른 조류 등이 영향을 미친다. 36) <표 2.15> 연안 권역별 수온현황 (단위 : ) 권 역 구분 연평균 2월 5월 8월 11월 서해중부1 저층 13.4 1.9 11.9 24 15.6 표층 13.6 1.9 12.3 24.6 15.7 서해중부2 저층 13.9 3.2 11.4 24.9 16 표층 14.1 3.3 11.7 25.1 16.1 서해남부1 저층 15 3 14.3 27.6 15.2 표층 15.2 3 14.6 28.2 15 서해남부2 저층 14.7 4.9 14.3 24 15.4 표층 15.3 5.1 14.8 25.7 15.6 남해서부 저층 15 7.4 15.4 22.9 14.2 표층 15.4 7.5 15.7 24.1 14.2 남해중부 저층 14.5 8.3 14.8 21.2 13.6 표층 15.7 8.5 15.7 25.1 13.6 남해동부 저층 15.1 11.5 15 19 15.1 표층 16 11.8 16 21.1 15.3 동해남부 저층 13.6 10.3 10.8 19.5 13.9 표층 15.5 10.8 15.9 21.2 14.2 동해중부 저층 10.9 7.9 8.7 16.3 10.7 표층 13.9 9.5 12.3 21.3 12.5 제주권역 저층 17.6 14.1 15.3 22.1 19 표층 18.5 14.3 16.2 24.2 19.1 자료:국립수산과학원,2002,해양환경조사자료 /국립해양조사원(2004) 35) 여름철에 남풍계열의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어올 경우 동해연안 저층의 냉수가 표층으로 용승하여 주변해역 의 표면수온보다 5 이상 낮은 수온대를 형성하는 현상으로, 여름철 냉수대는 동해연안의 깊은 곳에 10 이 하의 냉수가 존재하는 것이 정상 해황이지만 남서풍, 남동 계절풍이 며칠 이상 지속적으로 불게되면 연안쪽 표층의 더운물이 외해측으로 밀려가고 아래층에 있던 냉수가 표층으로 올라오기 때문에 생기는 자연 현상으 로, 냉수대 출현은 바람의 방향과 세기 그리고 바람이 지속되는 시간 및 연안의 형태, 중층의 냉수괴 발달정 도에 따라 달라지며, 하계 동해연안 냉수는 기장, 울산, 감포, 울진, 속초연안 등에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며, 주로 6월말에 시작하여 일시적으로 소멸과 발생을 반복하면서 8월말경에는 거의 소멸하게 됨. 36) http://web.kma.go.kr/edu/young/ind/spec/spec_01.html 기상청 전문가컬럼, 국립수산과학원 박종화연구관 - 36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2)우리나라 주변의 기단 37) 우리나라는 중위도의 대륙 동안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각 계절마다 서로 다른 성격의 기단의 영향을 강력하게 받는데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에는 크게 다음과 같다. 시베리아 기단은 한랭 건조한 대륙성 기단으로 겨울철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이와 관련이 있는 기후 현상으로는 3한 4온,북서 계절풍,꽃샘추위 등이 있다. 오호츠크해 기단은 한랭 습윤한 해양기단으로서 봄철에 영향을 미친다.우리나라의 북동쪽 으로부터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태백산맥을 넘어오면서 푄현상을 일으킨다.이 바람을 영서 지방에서는 높새바람이라 하는데 이는 북동풍을 지칭하는 것이며,고온 건조하여 모내기 시 기의 벼농사에 많은 피해를 끼친다. 북태평양 기단은 고온다습한 해양성 기단으로서 우리나라 한여름의 무더위 현상을 일으킨다. 이 기단은 또한 한랭 습윤한 기단인 오호츠크해 기단과 만나면서 장마전선을 형성한다.북태 평양 기단의 영향을 강력하게 받는 동안에는 무더위가 지속되어 생활에 많은 불편을 주지만, 벼와 같이 생활에 필수적인 농작물의 재배에는 반드시 필요한 기후 조건을 제공하여 준다. 양쯔강 기단은 봄과 가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으로서 중국에서 우리나라 쪽으 로 편서풍을 따라서 이동한다.봄철의 황사현상은 중국의 황토고원지대의 토양이 이 기단을 따라 우리나라에 불어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최근에는 중국의 벼멸구와 같은 해충은 물론, 오염물질이 함께 우리나라로 유입되어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적도기단은 우리가 태풍이라 부르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강한 바람과 비를 동반하여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그림 2.21> 우리나라 주변의 기단 37) http://web.kma.go.kr/edu/young/oce/atm/wind/atm_01.html 기상청 해양기상교실 - 37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3)해무 안개는 지면이나 해면에 인접한 층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는 현상이며 시정이 1km 이하이면 안개,1km 이상이면 박무라 한다. 대기의 냉각에 의해 형성되는 안개로는 복사안개,이류안개,활승안개 등이 있고,수증기 첨가에 의해 형성되는 안개로는 증기안개,전선안개 등이 있다.특히 해상에서 발생하는 안 개를 해무라 하는데,해상에서 일어나는 악기상들 중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기상현상 중 하 나이며,바다안개(marinefog)와 연안안개(coastalfog)로 구분한다 38). 우리나라 전 연안 해역에서는 주로 5-8월 동안 안개가 많이 끼는데 주로 6월에 발생빈도가 높다.특히 해상 대기 속의 작은 염분입자들이 응결핵 역할을 하여 100%가 아닌 불포화상태 에서도 응결이 일어나 안개가 발생한다.넓은 바다에서는 상대습도가 80%만 되더라도 쉽게 안개가 발생하고 연안 해역에서는 대기 중에 육지 공기의 성질도 갖고 있어 85% 정도의 상 대습도에서 안개가 발생한다 39). 우리나라에서 해무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전형 적인 기압배치는 전선 및 저기압형(온난전 선 전면,한랭전선 후면,정체전선)과 고기압형(온난 이류형,한랭 이류형)으로 나누어진다. 허기영(2004)은 연안지역에 안개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종관 기압계를 12가지로 분류하였다. 남부지방 정체전선 :제주도-남부지방에 걸친 장마전선 중부지방 정체전선 :중부-중부 이북에 걸친 장마전선 온난전선 전면 :주로 서해상에 저기압이 위치하는 경우 남부지방 저기압 통과 중부지방 저기압 통과 한랭전선 후면 :저기압 통과 후 동해상에 저기압이 위치할 때 한반도 북쪽 저기압 통과 :만주 지방으로 전선이나 저기압이 통과하는 경우 동중국해 고기압 중심 :종종 한반도 북동쪽에 저기압 기압골 또는 동해상에 저기 압이 동반되기도 함 서해 고기압 중심 :종종 한반도 북쪽의 저기압이 통과하거나 북동쪽에 저기압 또는 기압골을 동반함 북태평양 고기압 확장 :한반도 남동쪽에 중심을 두고 확장한 형태 동해 고기압 중심 :종종 한반도 북쪽에 저기압을 동반하거나 장마전선과 함께 나타남 동서고압대 :서해와 동해에 고기압 중심이 위치하여 한반도 전역이 고기압 세력에 들어있거나 동해에 중심을 둔 고기압이 서해까지 확장한 형태 38) 허기영 하경자, 한반도 연안 안개의 발생과 연관된 종관 기압계 분류, 부산대 대기과학과, 2004. 39) http://web.kma.go.kr/edu/young/oce/atm/wind/atm_01.html 기상청 해양기상교실 - 38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1)서해 해양과 대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류안개가 대부분이며,3개 바다 중 가장 많이 발생하며,발생 시기는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장마철인 6월과 7월에 집중된다. 평균 지속 시간은 10-150시간으로 남해와 동해보다 길다. (2)남해 주로 여름 몬순의 남서풍에 동반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찬 해수면 위로 유입되어 발생 하는 이류 안개이나 증기 안개와 해안에서 발생한 복사 안개도 있다. 발생 시기는 5월에서 7월 사이로 지속 시간은 7-8시간정도이다. (3)동해 주로 저기압에 동반된 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전선 안개로 발생 시기는 6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이 때 발생한 안개의 지속시간이 가장 길다.지속 시간은 1-3시간정도로 울릉도를 비롯한 동해 중부에서 많이 발생한다. 4)태풍 한 해에 3개 정도의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며,태풍내습의 최다 월은 8월,7월,9월 의 순이고,7월,8월,9월 석달 동안에 내습한 태풍 수는 전체의 91%이며,아주 드물게 6월, 10월에도 내습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의 태풍예보는 선진국과 같이 예보모델에 의한 수치예보 자료와 통계에 의한 예 보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한반도에 접근하는 태풍은 진로변화가 심한 북위 25 30 부 근의 전향점을 거쳐 북상하기 때문에 태풍진로와 장시간 예보는 더욱 어려워진다. <표 2.16>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 수(1904~2007)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합계 연평균 횟수 - - - - 2 20 92 121 80 8 - - 323 3.1 <표 2.17> 태풍통과시 일최다강수량 순위 (1904-2004년) 순위 태풍번호 태 풍 명 지 명 일 최다강수량 (mm) 발생일자 1 214 RUSA 강 릉 870.5 2002. 8.31 2 8118 AGNES 장 흥 547.4 1981. 9. 2 3 9809 YANNI 포 항 516.4 1998. 9.30 4 9112 GLADYS 부 산 439 1991. 8.23 5 314 MAEMI 남 해 410 2003. 9.12 6 7214 BETTY 해 남 407.5 1972. 8.20 7 7119 OLIVE 삼 척 390.8 1971. 8. 5 8 9907 OLGA 동두천 377.5 1999. 8. 1 9 9507 JANIS 보 령 361.5 1995. 8.25 10 9307 ROBYN 대관령 349 1993. 8.10-39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표 2.18> 연월별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발생현황 월 연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년합계 1971 1 1 3 4 2 8 5(2) 6(1) 4 2 36(3) 1972 1 1 3 6(2) 5(1) 5(1) 5 3 2 31(4) 1973 7(2) 5(1) 2 4 3 21(3) 1974 1 1 1 1 4 4(2) 5(1) 5(1) 4 4 2 32(4) 1975 1 2(1) 4(1) 5 5 3 1 21(2) 1976 1 1 2 2 2 4(3) 4(2) 5(1) 1 1 2 25(6) 1977 1 1 3 3(1) 5(1) 5 1 2 21(2) 1978 1 1 3(1) 4 8(2) 5(1) 4 4 30(4) 1979 1 1 1 2 4 2(2) 6 3 2 2 24(2) 1980 1 4 1 4(1) 2(1) 6(1) 4 1 1 24(3) 1981 1 2 3(2) 4(1) 8 4(2) 2 3 2 29(5) 1982 3 1 3 3 5(3) 5(1) 3 1 1 25(4) 1983 1 3 5 2(1) 5 5 2 23(1) 1984 2 5(1) 5(1) 4(1) 7 3 1 27(3) 1985 2 1 3(1) 1 8(3) 5 4(1) 1 2 27(5) 1986 1 1 2 2(1) 3 5(1) 3(1) 5 4 3 29(3) 1987 1 1 2 4(2) 4(1) 6 2 2 1 23(3) 1988 1 1 3 2 8 8 5 2 1 31(0) 1989 1 1 2 2(1) 7(1) 5 6 4 3 1 32(2) 1990 1 1 1 3(1) 4(1) 6 4(2) 4 4 1 29(4) 1991 2 1 1 1 4(1) 5(2) 6(2) 3 6 29(5) 1992 1 1 2 4 8(1) 5(1) 7 3 31(2) 1993 1 1 4(2) 7(1) 5(1) 5 2 3 28(5) 1994 1 1 2 7(2) 9(2) 8 6(1) 2 36(5) 1995 1 1 2(1) 6(1) 5(1) 6 1 1 23(3) 1996 1 1 2 5(1) 6(1) 6 2 2 1 26(2) 1997 2 3 3(1) 4(1) 6(2) 4(1) 3 2 1 28(5) 1998 1 3 5(1) 2(1) 3 2 16(2) 1999 2 1 4(1) 6(2) 6(2) 2 1 22(5) 2000 2 5(2) 6(2) 5(1) 2 2 1 23(5) 2001 1 2 5 6(1) 5 3 1 3 26(1) 2002 1 1 3 5(3) 6(1) 4 2 2 1 26(4) 2003 1 1 2(1) 2(1) 2 5(1) 3(1) 3 2 21(4) 2004 1 2(1) 5(1) 2 8(3) 3 3 3 2 29(5) 2005 1 1 1 1 5 5(1) 5 2 2 23(1) 2006 1 1 3(1) 7(1) 3(1) 4 2 2 23(3) 2007 1 1 3(2) 4 5(1) 6 4 24(3) 30년평균 0.5 0.1 0.4 0.8 1 1.7 4 5.5 5 3.9 2.5 1.3 26.7 1971-2000 -0.3-0.9-1.2-0.9-0.1-3.4 10년평균 0.1 0.2 0.3 0.8 0.9 1.1 4 6.2 5.5 3.8 2.2 1.1 26.2 1991-2000 -0.1-1.1-1.4-1 -0.2-3.8 ()안의 숫자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수임. - 40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5)우리나라 근해의 해류 우리나라 주변의 해역은 중위도에 위치하여 남쪽에서 올라온 난류와 북쪽에서 내려온 한 류가 만나는 곳이다. <그림 2.22> 우리나라 근해의 해류 (1)동해해역에서 해류의 현황 및 특성 동해의 해수는 대한해협,쓰가루해협,소야해협 및 타타르해협을 통해 동중국해,북태평양, 오호츠크해와 해수 및 물질교환이 이루어지며,대한해협을 통해 쿠로시오의 지류인 대마난류 수(TshushimaWarm CurentWater)가 동해로 유입되면서 열과 염분을 수송하며 대마난류 수의 대부분은 쓰가루해협을 통해 북태평양으로 유출되며 일부는 소야해협을 통해 오호츠크 해로 유출되며 일부는 동해에서 재순환된다.동해내에서 한국 동부연안을 따라서는 대양의 아열대 및 아한대 순환의 서안경계류에 해당하는 동한난류(EastKorean Warm Curent)와 북한한류(North Korea Cold Curent)가 존재하며,동해 북부해역에서는 심층수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외에도 동해에는 난수성 와류,해류의 사행 등 중규모 해양현상을 보 이고 있다. (2)남해해역에서 해류의 현황 및 특성 남해 해역은 북태평양의 서부를 따라 북상하는 쿠로시오(Kushoshio)해류의 지류인 대마 난류(TsushimaCurent)에 의해 크게 지배된다.이 대마난류는 쿠로시오로부터 분기된 후 대 륙사면을 따라 동중국해로 확장하는 중국 대륙연안수와 혼합되면서 제주도 남쪽과 제주해협 을 통해 남해안을 따라 흐르다가 대한해협을 통해 동해로 유입되는 해수를 일컫는다.남해에 서 대마난류수는 동계에 고온고염의 특성을 보이지만,하계에는 동중국해의 저염수의 영향으 로 표층에는 고온저염수가 나타나고,저층에는 고온고염수가 분포한다.이 대마난류수와 보 - 41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다 저온저염인 남해 연안수가 연중 존재한다. 쿠로시오 주류로부터 대마난류의 분지가 시작되는 곳은 28 30 ~29 30 N,127 30 부 근이며 쿠로시오가 동중국해 대륙사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시작하는 부근이다.이곳에서 파생 된 난류는 동중국해 대륙붕상의 수괴의 영향을 받으며 북동류하면서 대마도에 의해 양분되 어 동해로 유입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그러나 대마난류는 쿠로시오에 비해 유속 도 약하고 두께도 얇고 폭도 좁으며 유로의 굴곡이 심하기 때문에 해석이 곤란하다.특히 남 해에서는 조류의 영향이 해류보다 강하기 때문에 해수유동 구조가 복잡하다. (3)서해해역에서 해류의 현황 및 특성 서해에 영향을 미치는 해류로서는 쿠로시오의 제1지류가 제주도의 서방을 지나 서해 중앙 에 달하는 것이 있으나 그 세력은 매우 미약하며,중국 요동지방에서 중국대륙을 따라 남하 하는 연안류가 있으나 이 또한 미약하다.따라서 서해의 해류는 대체로 미약하며,해류보다 조류의 영향이 크다.Pang,I.C.과 K.H.Hyun(1998)의 자료에 의하면 서해의 해류는 여름철 에는 제주도 서부에서 한반도 방향으로 북상하다 중부지역에서 유턴하여 중국해안선을 따라 남하하며,겨울철에는 서해중부를 따라 북상한 흐름이 한국해안을 따라 남하한다. 6)바람 40) 바람은 그 규모에 따라 부는 종류가 다르다.대규모(2,000 km이상)로는 계절풍,고기압과 저기압 주변의 바람 등이 있으며,중규모(2~2,000 km)의 바람은 태풍,해륙풍,산곡풍이 있 고,미규모(2km미만)의 바람은 토네이도와 돌풍 등이 있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지구 상에 나타나는 열적 불균형과 지구의 회전,지표와의 마찰 때문에 생기며,저기압 내에서는 주위보다 기압이 낮아 바람이 중심으로 불어 들어오고,고기압 내 에서는 주위보다 기압이 높으므로 중심에서 밖으로 불어나간다. 태풍은 적도 부근이 극지방보다 태양열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지구상의 열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저위도 지방의 공기가 따뜻한 바다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고위도로 이 동하는 기상 현상이다.태풍은 그 크기와 강도에 따라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한다. 토네이도는 지표면으로부터 모래먼지나 지상 물체의 파편,수면으로부터의 물방울 등을 강 하게 말아 올리는 강력한 소용돌이를 말한다.지구상의 바람 중에서 가장 강하다.육지에서 발생하는 것을 토네이도,해상에서 발생하는 것을 용오름으로 구분한다.용오름은 용이 마치 하늘로 올라가는 듯한 형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안에서 가끔 발생한다.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놓고 볼 때 고기압과 저기압의 위치에 따라 바람 부는 방향이 달라진다. 40) 기상청, 깅풍과 풍랑, 2004. 12. 발간자료 재구성 - 42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표 2.19> 기압배치에 따른 발견되는 현상 기압유형 동고서저형 남고북저형 북고남저형 서고동저형 현상 남동~남서풍이 분다. 저기압이 접근하면 날씨가 나빠지면서 바람이 강하게 분다. 남서풍이 불어 기온은 상승한다. 서해상에서 동해상으로 이동하면서 바다 물결이 높아진다. 남동~남서풍이 불며 돌풍이 불 수 있다. 맑은 후 구름이 많아진다. 남서풍이 불면 기온이 상승한다. 주로 북동풍이 강하게 분다. 구름이 조금 끼지만 영동 지방은 강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기온은 낮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바람은 기압 정도에 따라 다소 강하게 분다. 겨울철, 늦가을, 초봄에 나타나는 기압배치다. 서~북서풍이 강하게 분다. 서해상에서 발생한 눈구름의 영향으로 서해안에 눈이 내린다. 기온은 하강할 수 있다. 서해상의 바다 물결이 높아진다. 바람에 대한 특보는 강풍과 풍랑,해일의 발생이 예상될 때 재해 예방 지원을 위해 수시로 기상정보 또는 기상속보를 발표한다.또한 강풍과 풍랑,해일의 발생이 특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에는 각각 그에 따른 주의보와 경보를 발표한다. <표 2.20> 강풍 풍랑 해일 특보 기준 명 칭 주 의 보 경 보 강 풍 풍 랑 육상에서 풍속 14m/s 이상 또는 순간풍 속 20m/s 이상이 예상될 때. 다만, 산지는 풍속이 17m/s 이상 또는 순 간풍속 25m/s 이상이 예상될 때. 해상에서 풍속 14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3m를 초과할 것 으로 예상될 때. 육상에서 풍속 21m/s 이상 또는 순간풍 속 26m/s 이상이 예상될 때. 다만, 산지는 풍속이 24m/s 이상 또는 순 간풍속 30m/s 이상이 예상될 때. 해상에서 풍속 21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5m를 초과할 것 으로 예상될 때. 해 일 폭 풍 지 진 천문조, 폭풍 저기압 등의 복합적인 영 향으로 해수면이 상승하여 발효 기준값 이상이 예상될 때. 다만, 발효 기준값은 지역별로 별도 지정 대규모 해저지진에 의한 해일의 발생이 우려될 때. 천문조, 폭풍 저기압 등의 복합적인 영 향으로 해수면이 상승하여 발효 기준값 이상이 예상될 때. 다만, 발효 기준값은 지역별로 별도 지정 대규모 해저지진에 의한 해일의 발생하여 해안지대의 잠수가 예상될 때. 최대풍속 13.9m/s이상의 바람을 폭풍이라고 한다.우리나라는 주로 해안이나 산간 지방 에서 폭풍 현상이 나타나며 일부 내륙 지방에서는 거의 폭풍이 불지 않는 곳도 있다. - 43 -
연안(해 내수면)에서 효과적인 수색구조 방안에 관한 연구 연평균 평년(1971~2000년)폭풍일수는 다음과 같다. <표 2.21> 연평균 평년(1971~2000년) 폭풍일수 (단위 :일) 월 지역 1 2 3 4 5 6 7 8 9 10 11 12 서 울 0 0.1 0.1 0.2 0 - - 0-0.1-0.1 춘 천 0.1 0 0 0.1 - - - - - - 0 0.1 대관령 2.6 1.9 1.8 2.4 1.8 0.7 1.0 0.3 0.3 1.2 2.2 3.3 강 릉 0.2 0.2 0.3 0.6 0.2 0.1 - - - 0.2 0.2 0.2 청 주 - 0.1 0.2 0.2 0.1 0.1 0.1 0.2 - - 0.1 0 대 전 0 0 0.1 0.2 - - 0 0.1 0 0 0.1 0.1 전 주 - - 0 - - - - 0.1 0-0 - 군 산 3.0 3.1 3.5 2.6 1.0 0.3 0.5 0.7 1.1 1.9 3.3 3.8 광 주 0.1 0.1 0.1 0.2 0.1-0.2 0.2 0.1 0.1 0.1 - 목 포 3.5 3.1 2.9 2.5 1.2 1.0 1.0 1.3 1.0 1.7 3.4 4.3 대 구 0.5 0.2 0.2 0.5 0.1-0.2 0.1 0 0.3 0.1 0.3 부 산 1.4 1.4 1.3 1.7 0.8 1.3 1.9 1.4 0.7 0.7 1.2 1.5 울릉도 2.1 2.1 3.2 3.8 3.1 1.2 2.0 1.9 1.6 2.2 1.7 2.8 제 주 2.4 1.7 1.4 1.7 0.6 0.3 0.4 0.7 0.5 0.6 1.4 2.8 고 산 14.4 12.2 9.1 5.8 2.8 1.7 1.2 2.8 2.6 5.6 9.3 12.7 1904년~2004년까지 일최대풍속이 가장 강했던 지역은 고산으로 51.1m/s였으며,흑산도 47.4m/s,울릉도 45.0m/s,서울은 25.0m/s를 기록하였다. <표 2.22> 우리나라 일최대풍속 최고 순위 순 위 일 최 대 풍속(m/s) 발생일 지 점 발생원인 1 51.1 2003. 9. 12. 고 산 태풍(매미) 2 47.4 2000. 8. 31. 흑산도 태풍(쁘라삐룬) 3 45.0 1954. 9. 14. 울릉도 태풍(준) 4 43.7 2002. 8. 31. 고 산 태풍(루사) 5 43.3 1952. 3. 19. 울릉도 저기압 - 44 -
제 2 장 연안에서의 효과적인 수색구조방안 <표 2.23> 주요 도시별 일최대풍속 극값 지역 일최대풍속 극값 (m/s) 나타난 날 서 울 25.0 1954. 4. 19. 춘 천 22.8 1976. 1. 22. 대관령 28.3 1990. 4. 8. 강 릉 36.7 1958. 1. 15. 청 주 23.3 1972. 7. 26. 대 전 20.0 1970. 8. 30. 전 주 19.0 1945. 8. 3. 군 산 31.7 1980. 10. 25. 광 주 26.3 1945. 8. 3. 목 포 42.4 1904. 8. 18. 대 구 25.3 1959. 9. 17. 부 산 35.0 1904. 8. 20. 울릉도 45.0 1954. 9. 14. 제 주 39.5 2003. 9. 12. 고 산 51.1 2003. 9. 12. 우리나라 최근 10년간(1994~2003)의 기상재해 현황을 보면,평균 연간 사망 실종 1,288명,이 재민 217,019명,재산피해액 12조 9,988억 2,400만 원,복구비 등 재산손실액은 약 2조 원 정도 다.이 가운데 폭풍 폭풍우(설)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전체 재해의 6~7% 정도를 차지한다. <표 2.24> 최근 10년간(1994~2003) 바람 총 피해현황 구 분 폭풍 폭풍우(설) 피해 자연재해 전체 피해 사망 실종 (명) 99 1,367 이재민 (명) 16,705 266,373 건물 (백만원) 1,890 344,951 선박 (백만원) 5,535 68,385 농경지 (백만원) 252 1,014,438 877,091 17,174,679 공공시설 (백만원) 30,956 12,479,060 기타 (백만원) 975,806 3,405,191 자료 :2003년 재해연보,중앙재해대책본부,피해액은 2003년도 환산 가격 기준임. -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