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큐-표지

Similar documents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6±Ç¸ñÂ÷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untitle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최우석.hwp

E1-정답및풀이(1~24)ok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cls46-06(심우영).hwp

0429bodo.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untitled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11민락초신문4호


<312E B3E2B5B520BBE7C8B8BAB9C1F6B0FC20BFEEBFB5B0FCB7C320BEF7B9ABC3B3B8AE20BEC8B3BB28B0E1C0E7BABB292DC6EDC1FD2E687770>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652

歯 조선일보.PDF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C1DFB1DE2842C7FC292E687770>

소설이면서 소설이 아닌 것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 1

xviii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에 연계되기 때문이라는 응답 이 학생 61.7%, 학부모 73.2%로 가장 많았고,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는 학생의 경우 사교육 때문이라는 응답이 26.9%,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 hwp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 D28BCF6C1A4292E687770>

160215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hwp

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

<C1DFB0B3BBE7B9FD3128B9FDB7C92C20B0B3C1A4B9DDBFB5292E687770>

ad hwp

3. 은하 1 우리 은하 위 : 나선형 옆 : 볼록한 원반형 태양은 은하핵으로부터 3만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 2 은하의 분류 규칙적인 모양의 유무 타원은하, 나선은하와 타원은하 나선팔의 유무 타원은하와 나선 은하 막대 모양 구조의 유무 정상나선은하와 막대나선은하 4.

근대문화재분과 제4차 회의록(공개)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개

교육실습 소감문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1

Публикация22-1

¼þ·Ê¹®-5Àå¼öÁ¤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109

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4D F736F F D20332ECAEEF0E5E9F1EAE8E920FFE7FBEA2D31>

歯 동아일보(2-1).PDF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4D F736F F D20C7C1B7CEBDC3B5F92D325FB3EBBEEE5F>

<33352D2D31342DC0CCB0E6C0DA2E687770>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1) 음운 체계상의 특징 음운이란 언어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즉 의미분화 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인데, 일반적으로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과 음장 (소리의 길이), 성조(소리의 높낮이) 등의 비분절음들이 있다. 금산방언에서는 중앙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DBPIA-NURIMEDIA

1-1Çؼ³

내지4월최종

주지스님의 이 달의 법문 성철 큰스님 기념관 불사를 회향하면서 20여 년 전 성철 큰스님 사리탑을 건립하려고 중국 석굴답사 연구팀을 따라 중국 불교성지를 탐방하였습 니다. 대동의 운강석굴, 용문석굴, 공의석굴, 맥적산석 굴, 대족석굴, 티벳 라싸의 포탈라궁과 주변의 큰

15강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106월 평가원] 1)심청이 수궁에 머물 적에 옥황상제의 명이니 거행이 오죽 하랴. 2) 사해 용왕이 다 각기 시녀를 보내어 아침저녁으로 문 안하고, 번갈아 당번을 서서 문안하고 호위하며, 금수능라 비

2 국어 영역(A 형). 다음 대화에서 석기 에게 해 줄 말로 적절한 것은? 세워 역도 꿈나무들을 체계적으로 키우는 일을 할 예정 입니다. 주석 : 석기야, 너 오늘따라 기분이 좋아 보인다. 무슨 좋은 일 있니? 석기 : 응, 드디어 내일 어머니께서 스마트폰 사라고 돈

Microsoft Word - 青野論文_李_.doc

No Title

<B3EBB5BFB0FCB0E8B9FD20B1B9C8B820B0E8B7F920C0C7BEC828C3D6C1BE29A4BB2E687770>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부벽루 이색 핵심정리+핵심문제.hwp

입장

PSAT¿¹Á¦Áý ȨÆäÀÌÁö °Ô½Ã (¼öÁ¤_200210) .hwp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C3D6BFECBCF6BBF328BFEBB0ADB5BF29202D20C3D6C1BE2E687770>

Transcription:

Historical experiences of Agricultural development in Far Eastern Gnatovskaya Elena Nikolaevna (The Primorsky Agricultural State Academy, Russia) Исторический опыт аграрного развит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Гнатовская Елена Николаевна Кандидат исторических наук, профессор ПГСХА Взгляд на историю становления аграрной экономики 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освоен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рисует захватывающую масштабную картину с яркими, иногда противоречивыми, а порой и трагическими эпизодами. При этом он демонстрирует общность многих социокультурных процессов в АТР. В нашем докладе мы будем опираться на научные факты и авторитетные мнения отечественных исследователей. Итак, когда же появилось земледелие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Еще в 60-е годы XX века авторитетнейшим сибирским археологом А.П.Окладниковым было высказано предположение о появлении земледелия на юге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не позднее III тысячелетия до н.э., однако остатки культурных растений были обнаружены только недавно, в начале 2000-х годов. Находки зёрен культурного проса и периллы датируются примерно 5000 л.н. Оказалось, что на месте современного поселка Кроуновка Уссурийского округа обнаружены следы первых земледельцев! По агроклиматическим показателям эти земли являлись на тот момент лучшими! Археологи относят Кроуновское поселение к Зайсановской культурной традиции, имевшей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и в сопредельных районах Маньчжурии. 111

Подчеркнем, что в древности и средневековье миграции населения были обычным явлением на обширной территории юга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Маньчжурии и Кореи. В частности, наша родина - юг Приморья был своеобразным мостом в постоянно движущемся мире племен и культур. Эту мысль ярко иллюстрирует средневековая история племен мохэ, проживавших в III-VIII вв. на территории Приморья, Маньчжурии и Приамурья. Они образовали первое государство тунгусо-маньчжурских народов - Бохайское государство (698 926 гг.) Оно включало Маньчжурию, Приморье и Северную Корею. Главной столицей, начиная с середины VIII века, была Верхняя Столица, остатки которой находятся в провинции Хэйлунцзян, КНР. Местонахождение многих бохайских областей до сих пор вызывают споры среди ученых, однако не вызывает сомнений то, что на юге Приморья находилась бохайская область Шуайбинь, названная так по древнему названию реки Раздольной (Субинь Шуайбинь Сюйпинь Суйфэнь Суйфун) ныне Краскинское городище. Хозяйственная деятельность бохайцев включала в себя земледелие и животноводство: выращивали просо, пшеницу, ячмень, рис, гречиху, сою; разводили свиней и собак, которых употребляли в пищу, крупный рогатый скот, а также лошадей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целей и армии. Бохайские города и поселения в Приморье располагались, как правило, на плодородных землях с очень высоким агроклиматическим потенциалом в долинах рек. Еще одним крупным средневековым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 образованием, унаследовавшим материальную культуру бохайцев была Чжурчжэньская империя (1115-1234) гг. В период своего расцвета Чжурчжэньская империя занимала всю Маньчжурию, южную часть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России, часть северного Китая и северной Кореи. «Цзинь» стала обладателем огромного технико-экономического потенциала. Основным видом хозяйствования у чжурчжэней также было земледелие. Они выращивали просо, пшеницу, бобовые культуры. Землю пахали на быках, используя железный плуг с 112

лемехом, а также применяли мотыги и лопаты, пользовались ступами и ручными мельницами. Чжурчжэни Приморья занимались скотоводством разводили крупный рогатый скот и лошадей. На территории Приморья находилась цзиньская губерния Сюйпинь (Субинь) с центром в районе современного г. Уссурийска. Она включала в себя три городища, укрепленные высокими валами. Два из них (Южно-Уссурийское и Западно-Уссурийское) находились на равнине, в черте современного города и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разрушены. Третье (Краснояровское городище), имеющее наибольшую протяженность городских стен, занимает высокий отрог горного плато на правом берегу р. Раздольная, в трех километрах к югу от Уссурийска. Таким образом, эти государства были своего рода синтезом культур, как проживавших на данной территории этносов, а также более цивилизованных народов, например, таких как китайский. Именно это во многом определило их уникальность и неповторимость. Судьба этих народов оказалась сложной и противоречивой. На первом месте для русского человека и государства в XVII веке стал вопрос о поиске удобных для хлебопашества земель. Именно эти обстоятельства оказались наиболее привлекательными для дальнейшего продвижения землепроходцев на Амур в XVII веке. Чего стоит только такое заключение Василия Пояркова: Те землицы людны и хлебны и собольны, и всякого зверя много, и хлеба родится много, а те реки рыбны, и государевым ратным людям в той землице хлебной скудости ни в чем не будет. Ценой огромных усилий, сотни русских землепроходцев, среди которых наиболее выдающимися были Василий Поярков и Ерофей Хабаров подготовили хозяйственное освоение этих территорий и включение их в состав России. О внимании рус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к процессам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свидетельствует приезд в 1653 г. в даурские земли посланника царя Алексея Михайловича дворянина Д.И. Зиновьева по сути с воеводскими полномочиями. До прихода русских эта 113

территория не входила в состав какого-либо государства, что значительно упрощало процесс колонизации. Первые пашни стали засеваться вокруг Албазина. А с начала 80-х годов население Албазинского уезда полностью обеспечивало себя хлебом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земледелия и даже продавало в Нерчинск. Однако в крае происходило в сложнейших условиях противостояния интересов России и Цинской империи. Таким образом, ХVII век в российской истории ознаменован величайшими открытиями русских людей, коренным образом преобразивших исторические и географические представления о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Несмотря на потерю в результате Нерчинского договора 1689 г. разработанных земель, вскоре основным земледельческим районом становится Забайкалье. Правительство всячески поощряло земледелие в новых районах, понимая целесообразность обеспечения населения продовольствием на местах. Регулируя землеустройство и землепользование в дальневосточных территориях, правительство, таким образом, через ряд льгот привлекало крестьян к их аграрному освоению. Культивировались основные земледельческие виды растений: озимая и яровая рожь, ячмень, гречиха овес, конопля. На приусадебных участках выращивали овощи. Шаг за шагом русские крестьяне своим трудом создавали аграрные оазисы там, где никогда раньше не проживали земледельческие племена. Аграрное освоение не только способствовало решению проблемы продовольствия и развития производительных сил региона, но и свидетельствовало о закреплении его за Россией. 50-е гг. XIX это время вторичного открытия и освоения амурских берегов русскими людьми. Возвращенный по Айгуньскому договору (1858г.) 114

Приамурский край был разделен на две области: Амурскую и Приморскую. После подписания Пекинского договора (1860г.), началось активное освоение и так называемого «Уссурийского края». Этот процесс оказался сложным и длительным. Он требовал колоссальных средств, которыми русское правительство не располагало. Первыми переселенцами на территории юга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были военные и казаки. Казачеству отводилась двойная роль: на них возлагалась хозяйственное освоение новых земель и их защита. Самым массовым во II половине XIX века было крестьянское переселение. Этот процесс стимулировался отменой крепостного права, крестьянским малоземельем в центре страны, большими площадями свободных земель и угодий на юге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отсутствием здесь помещичьего землевладения. В 1861 г. российское правительство встало на путь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поощрения переселения в Амурскую и Приморскую области: согласно обнародованному 26 марта закону эти территории были объявлены открытыми для заселения крестьянами. Переселенцам отводился в бесплатное пользование участок земли до 100 десятин (109 га) на каждое семейство, они навсегда освобождались от подушной подати и на 10 лет от рекрутской повинности; за плату (3 руб. за десятину) поселенцы могли дополнительно приобретать землю в частную собственность; в крае была введена беспошлинная торговля (режим портофранко) и т.д. Эти меры усилили миграционную подвиж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страны, способствовали притоку на дальневосточную окраину крестьян, казаков, рабочих, предприимчивых людей всех сословий. Значительные успехи в переселении были достигнуты в Амурской области, куда устремилась подавляющая масса переселенцев и где осваивались плодородные земли Амурско-Зейской равнины. Уже к 1869 году Амурская область сделалась житницей всего 115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края и не только полностью обеспечивала себя хлебом и овощами, но и имела большие излишки. На территории Приморья удельный вес и численность крестьян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в конце XIX в. были меньшими, чем в Амурской области, но и здесь размах переселения был велик. С 1 января 1901г. вместо 100-десятинного семейного надела переселенцы получали на каждую душу мужского пола бесплатно не свыше 15 десятин земли, при этом сохранялось право неограниченной покупки земли по очень низкой стоимости (3 рубля за десятину). Все это привело к тому, что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е крестьянство стало собственником значительных земельных угодий. Ведущей отраслью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в Приамурье и Приморье было земледелие: здесь выращивались пшеница (озимая и яровая), рожь, овес, гречиха, картофель, просовые, бобовые, подсолнечник, кукуруза, сахарная свекла, конопля, лен, табак и пр., с конца XIX века развиваются огородничество, садоводство, бахчеводство. Быстрее других росли посевы высокотоварных культур пшеницы и овса: к 1916 г. они занимали около 80% посевных площадей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и. В конце XIX века появились хозяйства, применявшие паровую систему земледелия, с трехи четырехпольным севооборотом; все более широкое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получили плуги, жатки, молотилки, веялки, сенокосилки и другие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е машины и орудия, за счет активного притока мигрантов быстро формировался рынок труда. Несмотря на рост валовых сборов зерна и картофеля в целом Приморская область к концу XIX века не обеспечивала себя продовольствием. Его ввозили из европейской России, Маньчжурии, Северной Америки. Кроме земледелия развивалось животноводство, разводили, главным образом, крупный рогатый скот, лошадей, свиней. Зародилось пантовое оленеводство, развивалось также птицеводство и пчеловодство. 116

После поражения в русско-японской войне обострилась пробл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альневосточных территорий России, в пределы российского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усилился приток иммигрантов из Китая, Кореи, Японии. При быстром росте численности населения Маньчжурии, Дальний Восток России оставался малонаселенным. На эту проблему обратили внимание как местные администраторы, как например, 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 Приамурского края П.Ф.Унтербергер, так и глава Российского правительства П.А.Столыпин. В 1909 г. Петр Аркадьевич Столыпин формирует Комитет по переселению на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в который были включены на уровне министров или их заместителей представители 12 министерств и ведомств и разрабатывает широкомасштабную программу освоен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включая строительство Амурской ж.д. Правительство приложило немало усилий для расширения колонизационного земельного фонда.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Совет Министров в 1907г. разрешил Приамурскому 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у водворять переселенцев в Амурской и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ях не только на казенных, но и на свободных землях так называемого отвода Духовского землях, принадлежащих казачьими войскам Амурскому и Уссурийскому. Всего было отведено почти 6 млн. десятин для населения в более чем 300 тысяч человек! Программа предоставляла переселенцам различные льготы: право переезда за казенный счет, безвозвратная ссуда от 100 до 200 рублей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района переселения,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е землеустроительные работы. В местах переселения были созданы школы и фельдшерские пункты, построены шоссейные дороги. Несмотря на имеющиеся недостатки (местный бюрократизм, формальное отношение к нуждам переселенцев, недостаточное финансирование), переселенческая политика Столыпина имела прогрессивное значение. За 1900-1916 гг. в Приморскую область прибыло более 200 тыс. человек. Сельское население 117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увеличилось на 239%.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получил прибавление населения в 6 раз превосходившее величину, обеспечиваемую естественным приростом. Это было самым крупным преобразованием, осуществленным Россией в XX веке, беспрецедентное по масштабам переселение крестьян из Европейской части страны на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В 90-е годы XIX века стремительный подъем экономик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спровоцированный строительством Уссурийской ж.д. обусловил приток китайского и корей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которое стало источником дешевой рабочей силы. Надо подчеркнуть, что русские власти вплоть до 1910 года лояльно относились к проникновению в край иностранных мигрантов и даже приветствовали их переселение в целях увеличения численности населения. Появление мигрантов было связано с голодом, наводнениями, усиливающейся эксплуатацией в Китае и Корее. Значительная часть китайских земледельцев в Уссурийском крае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и, занималась огородничеством. Выращиваемые огородные культуры (капуста, картофель, помидоры, огурцы, лук, чеснок и др.) китайцы сбывали русскому населению. Наибольший спрос на свежие овощи был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и на Никольском (ныне Уссурийском) участке. Всего в 80-е годы XIX века между с. Никольским и Владивостоком располагалось 118 китайских земледельческих хозяйств, в которых работало 493 китайских овощевода. Выращиваемые китайцами овощи были хорошего качества. Другим направлением китайского земледелия на русском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было промышленно-сырьевое. Китайские земледельцы занимались выращиванием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пшеницы, ячменя, гаоляна, чумизы, кукурузы и мака. Они арендовали землю у русских казаков и крестьян по сравнительно высокой цене. По разным оценкам, в Уссурийском крае могло находиться около 20 тыс. китайцев, занимавшихся земледелием. 118

В отличие от китайцев, большая часть корейских иммигрантов, прибывших до 1884г., получила российское подданство (более 12 тысяч человек), и почти за всеми из них были закреплены земли в 15 десятин на семью. Корейцы прирожденные земледельцы, их желание работать на земле было столь велико, что они даже с плохих участков умудрялись снимать приличный урожай! В результате цены на овощи в северных районах Приамурья заметно снизились. Взаимовлияние нескольких земледельческих культур было полезным для местной экономики. Русское хозяйство частично начинало применять приемы «корейской» земледельческой культуры прополку, введение в севооборот отдельных технических культур, особенно масличных бобов, рентабельные культуры и растения, восстанавливающие плодородие почвы. Наплыв китайцев и корейцев на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особенно после русско-японской войны, и недостаточный контроль за их деятельностью со стороны русской администрации, привел к необходимости принятия 21 июня 1910 г. закона, по которому с 1 января 1911 г. запрещалась сдача подрядов на казенные работы иностранцам, наем иностранных рабочих, в результате чего удельный вес иностранцев (подавляющее большинство которых составляли китайцы и корейцы) снизился. Таким образом, проблема заселения Амурской и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ей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была решена так, что позволила нашим ближайшим соседям, китайцам и корейцам улучить свое благосостояние за счет активного участия в хозяйственном освоении края. Краткий экскурс в историю позволяет сделать вывод о трех волнах земледельческого освоен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в период средневековья, в XVII и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XIX начале XX вв. Именно третий этап открыл путь для развития капитализма в деревне на востоке России. Несмотря на экстенсивный в целом характер аграрного развития России, именно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опережал Европейскую Россию и Западную Сибирь по насыщенности земледелия машинами и по масштабам применения наемного труда! 119

극동 농업발전의 역사적 실험 엘레냐 니콜라예브나 그나토프스카야 (역사학 박사, 프리모르스카야 국립 농업아카데미 교수) 극동지역 농경제 형성사 및 농업 개간사를 들여다 보면, 명료하고 때로는 모순되고,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개략적 상황을 흥미진진하게 들여다 볼 수 있다. 동시에,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우리의 논문은 학문적 사실 및 권위 있는 자국 연구진의 견해에 기초할 것이다. 그렇다면, 극동에서 농경을 시작한 시기는 대체 언제인가? 1960 년대 당시, 권위있는 시베리아 고고학자인 아클라드니코프의 추측에 따르면, 극동지역 남부에서의 농경발생시기는 기원전 3000 년 이전이다. 한편 식물을 재배한 흔적은 최근인 2000 년대 초반에서야 발견되었다. 수수 및 자소 등 곡물화석은 대략 5000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우수리스크 管 區 내 크로우노프카 부락 자리에서 최초 농부들의 흔적을 발견한 것이 확인되었다. 농업과 관련한 기후 지표에 따르면 당시 이 지역의 토양은 아주 비옥했다고 한다. 고고학자들은 크로우노프카 지역을 만주와 인접한 지역으로 확산된 자이산(Zaysan)의 문화적 전통과 관계있다고 본다. 강조컨대, 이주는 고대 및 중세에 극동 남부 및 만주, 한국의 넓은 지역에서 일상적인 현상이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러시아의 프리모르야 남쪽은 끊임없이 이동이 일어나는 이 지역에서 제 종족 및 문명의 가교가 되어주었다. 이러한 생각은 3 세기부터 8 세기까지 프리모르예, 만주, 쁘리아무르 지역에 살았던 중세 민족 말갈?의 역사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들은 퉁구스-만주 민족의 첫번째 정부인 120

발해왕국(698-926)을 건설했다. 발해는 만주, 쁘리모르예, 북한을 포괄하는 왕국으로, 8 세기 중엽부터 중경이 주요수도였으며, 그 유적이 중국의 헤이룽장성에 남아있다. 발해 영역의 많은 부분이 현재까지도 학자들 간에 논란이 일고 있지만, 프리모르예 남부의, 라즈돌나 강의 옛 이름을 딴 슈아이빈(수빈, 슈아이빈, 쑤이핀, 수이펜, 수이푼. 현재 크라스킨스코예 유적지)이 발해의 영토였음에는 이견이 없다. 발해인의 경제활동은 농업과 축산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수, 밀, 보리, 쌀, 메밀, 콩을 재배하고, 돼지, 식용 개, 황소 및 교통수단 및 군용으로 말을 사육했다. 프리모르예의 발해 도시 및 거주지는 농경에 있어 잠재력이 매우 높은 강가 계곡의 비옥한 토지에 산재해(분포되어) 있었다. 강력한 중세 국가가 하나 더 있었으니, 발해인들의 물질문명을 계승한 금나라(1115~1234)였다. 번영기에 금 제국은 만주 전역과 러시아 극동지방의 남부지역 및 중국 북부, 한국 북부를 차지했다. <청>은 거대한 기술-경제적 잠재력을 소유하게 되었다. 기본 산업형태는 마찬가지로 농업이었으며 수수, 밀, 콩 등의 작물을 재배했다. 쟁기가 달린 철제 보습으로 우경을 했으며 가래와 보습 또한 사용했고, 절구와 손맷돌을 썼다. 프리모르예 지역의 말갈인은 목축에 종사해 황소와 말을 길렀다. 프리모르예 영내에 청나라 슈이핀(수빈) 현 소재지가 위치했으며 그 중심지는 현재의 우수리스크市 지역이었다. 슈이핀에는 높은 토성으로 둘러싸인 도시 유적이 셋 있었다. 그 중에 둘(유즈노우수리스코예 및 자파드노우수리스코예)은 현재 도시의 경계지역인 평야에 위치해 있으며 지금은 허물어졌다. 나머지 하나(크라스노야로프스코예 유적지)는 우수리스크로부터 남쪽으로 3 키로 떨어진 라즈돌나야 강 오른편 기슭 지맥의 고원에 위치해, 훨씬 긴 도시 성벽에 둘러싸여 있었다. 위 국가들은 말하자면 독특한 문화융합체로 해당 지역에 여러 민족이 살아왔으며 예를 들어 중국인 같은 보다 문명화된 민족도 살아왔다. 즉 이러한 사실이 여러 121

면에서 두 국가의 독창성과 특수성을 형성하였다. 위 제민족의 운명은 복잡하고 모순되었다. 무엇보다도 17 세기 러시아인과 러시아 정부에 있어, 문제는 농업에 적합한 토지를 찾아내는 것이었다. 즉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개척자들이 미지의 땅을 찾아 멀리까지 나아가는 것이 더욱 매력적이게 만들었다. 바실리 빠야르코프에는 단지 다음과 같은 결론만이 중요할 뿐이었다. 그곳의 땅은 인구가 많고 풍요로우며 모피도 풍부하고 각종 짐승과 먹을 것도 많다. 강에는 물고기가 많고 황제의 군인들이 그곳에서 식량부족에 처할 일은 절대 없을 것이다. 많은 노력을 들이며 그 유명한 바실리 파야르코프와 예로페이 하바로프를 포함한 수많은 러시아 탐험가들이 이 지대의 개간 및 러시아로 편입-복속시킬 준비를 했다. 러시아 정부의 극동에서의 식민화 과정에 대한 관심은,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황제가 군사전권대행으로 파견한 귀족인 지노브예프가 1653 년 다우르 지방(내몽고 소수민족 거주지)에 도착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러시아인들이 오기 전에 이 지역은 어느 국가에도 속해있지 않아 식민화과정은 매우 간단했다. 처음으로 경작해 파종을 하게 된 곳은 알바지나 근방이었다. 1680 년대 초반부터 알바진스키 군 인근 주민들은 식량을 자급하고 네르친스크에 내다팔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지역 내 농업 확산은 러시아와 청의 이해 대립이라는 복잡한 여건 아래 진행되었다. 이리하여 러시아 역사에서 17 세기는 러시아인의 위대한 발견으로 기념되며,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에 대한 역사적 지리적 관념을 근본적으로 바꾸게 된다. 1689 년 네르친스크 조약의 결과로 개간한 땅의 일부를 상실했음에도 곧 바이칼호 너머의 자바이칼예가 중요한 농업지대가 된다. 정부는 여러 방법으로 새로운 지역에서의 농업을 장려하였고, 지역별 식량자급를 통해 거주민을 확보하는 것이 합리적임을 인식하였다. 극동 지역의 경지정리 및 토지이용을 규제하는 가운데, 정부는 의무의 면제를 통해 농민들이 농지를 개간토록 유도하였다. 가을파종 및 봄파종 호밀, 보리, 모밀귀리, 삼 등의 주요 농작물을 경작토록 하였다. 텃밭에는 122

채소를 길렀다. 러시아 농부들은, 일찍이 농경민족이 산 적이 없는 극동지역에 농업 오아시스를 차근차근 자신의 힘으로 만들어나갔다. 농지 개간은 단지 식량 문제 및 지역 생산력 증진 문제의 해결을 촉진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를 위한 확실한 문제 해결방법을 보여주었다. 1850 년대는 또다른 발견의 시기로, 러시아인들이 아무르 강변을 개간한 시기이기도 하다. 아이훈 조약(1859 년)으로 돌려받은 프리아무르스키 지역은 아무르스카야, 프리모르스카야 두 州로 나뉘게 된다. 북경조약 조인(1860 년) 이후 이른바 <우수리스카야 지역>의 개간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개간 과정은 복잡하고 장기화되었다. 개간과정에서 대규모 자금을 필요로 하였는데, 러시아 정부는 이를 갖지 못하였다. 극동지방 남부 지역의 첫 이주자는 군인들과 카작인들이었다. 카작인들에게는 이중 역할이 주어졌는데, 새로운 토지의 농지 개간 및 그 방어의 의무를 졌다. 19 세기 후반 농민 이주가 가장 큰 규모로 이루어졌다. 농노제 폐지와 러시아 중심부의 경작지 부족, 극동 남부의 광대한 유휴지와 장원제 농업이 없는 농장으로 인해 이주가 촉진되었다. 러시아 정부는 1861 년 국가차원에서 아무르스카야 州 및 프리아무르스카야 州 로의 이주를 장려하기 시작했다. 3 월 26 일자로 공포한 법령에 따라 이 지역을 농민 이주에 개방함을 선언했다. 이주민들에게 가구당 109 헥타르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토지가 분배되었으며 10 년간 계속해서 인두세 납부 및 병역의무를 면제했다. 또한 이주민들은 1.09 헥타르당 3 루블을 지불하면 사유재산으로서 토지를 완전히 획득할 수 있었다. 이 지역에는 (터키-프랑스 식의)면세교역 및 기타 여러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여러 조치가 러시아 국민들의 이주 추세를 뒷받침했고, 농민, 카작인, 노동자 및 모든 계층의 모험가들의 극동 변방으로의 유입을 촉진시켰다. 이주로 인해 아무르스카야 州에서 눈에 띄는 성공을 거두었는데, 이주민의 압도적 다수가 몰려들어 아무르스코-제이스카야 평야의 비옥한 토지를 개간했다. 아무르스카야 州는 1869 년경에 이미 모든 극동 지방의 곡창이 되었으며 빵과 채소를 완전히 자급자족하고도 많은 양이 남아돌았다. 19 세기 말엽 프리모르예 123

지역의 농민의 비중 및 그 수는 아무르스카야 州보다 적었지만 그 이주규모는 대단했다. 1901 년 1 월 1 일부터 가족당 109 헥타르를 분배하는 대신, 이주민들은 남성 일인당 16.35 헥타르의 토지를 무료로 지급받았으며, 동시에 매우 낮은 가격(1.09 헥타르당 3 루블)에 토지를 무제한으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니게 되었다. 이 모든 것으로 인해 극동 농민층은 상당히 비옥한 땅을 소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프리아무르예 및 프리모르예의 주요 농업 분야는 농사였으며, 이 지역에서는 추파소맥 및 춘파소맥, 호밀, 귀리, 모밀, 감자, 수수류 및 콩류, 해바라기, 옥수수, 사탕무우, 삼, 아마, 담배 등등을 재배했고, 19 세기 말엽부터 야채재배, 야채과수원, 참외재배가 발달했다. 밀과 귀리 등, 상품성이 높은 작물의 종자를 무엇보다도 많이 키웠으며, 1916 년경에는 프리모르스카야 州 파종면적의 80% 가까이를 차지하게 된다. 19 세기 말엽에 휴전법을 이용한 농업이 소개되어, 3-4 차례 윤작을 했다. 무엇보다도 쟁기, 수확기, 탈곡기, 키, 풀 베는 기계 및 기타 농업용 기계 및 농기구가 널리 확산되었고, 활발한 이민자 유입으로 인해 노동시장이 빠르게 형성되었다. 곡물 및 감자 총수확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프리아무르스카야 州는 19 세기 말엽까지 식량을 자급하지 못했다. 유럽 러시아 및 만주, 북아메리카로부터 식량이 수입되었다. 농사뿐만아니라 축산도 발전하였으며 주로 황소, 말, 돼지가 사육되었다. 녹용을 목적으로 하는 사슴사육이 생겨났고 양금 및 양봉 역시 발달했다. 러일전쟁 패배 이후 러시아 극동지역의 국경관리 및 보안이 허술해진 사이 러시아령 극동 지방으로 중국, 한국, 일본으로부터의 유민 유입이 늘어나게 된다. 만주 인구의 빠른 증가로 극동 러시아는 인구밀도가 적은 채로 있었다. 각지의 행정관료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예를 들자면, 운테베르게르 프리아무르스크 지방총독과 러시아 수상인 스톨릐핀이 그랬다. 1909 년 표트르 아르카드예비치 스톨릐핀은 12 개 부처 및 관청의 장관 내지 차관 그리고 관청 청장이 참여하는 극동이주위원회를 만들어 아무르 철도 건설을 포함하는 대규모 극동 이주 계획을 세우도록 하였다. 정부는 식민지 토지자금 확대에 적지 않은 124

노력을 기울였다. 장관위원회는 1907 년 극동지역에서 프리아무르스카야 총독으로 하여금, 아무르스카야 州와 프리아므르스카야 州의 국유지뿐만 아니라 두호브스키 토지수용과정을 통해 자유지로 탈바꿈한 아무르스크 및 우수리스크의 카작군대 소유지에 이주민들을 정착시키는 것을 허용했다. 모두 합쳐 거의 654 만 헥타르가 30 만이 넘는 주민들에게 분배되었다. 이 계획으로 이주민들에게는 국가로부터 이주비를 지원받을 권리 및 이주지역에 따라 100 루블에서 200 루블까지의 영구융자, 사전 경지정리 작업 제공 등의 다양한 혜택이 주어졌다. 이주지역에는 학교와 보건소가 지어지고 포장도로가 깔렸다. 계획의 결함(지방-중앙의 관료주의, 이주민들의 요구에 대한 형식적인 대응, 부족한 재정)에도 불구하고, 스톨릐핀의 이주정책은 진일보한 것이었다. 1900 년~1916 년에 프리모르스카야 州로 20 만명이 넘게 몰려들었다. 극동지역 농업인구는 239% 증가했으며 자연적 인구증가 수의 6 배가 넘는 인구가 유입되었다. 이는 러시아가 20 세기에 성취한 가장 큰 변화로서, 규모 면에서 전례가 없는, 유럽 러시아에서 극동으로의 농민 이주였다. 우수리스크 철도 건설로 1890 년대에 극동지역 경제가 급속히 발전해 중국인과 한국인 유입의 원인이 되었고, 이들은 저렴한 노동력의 원천이 되었다. 러시아 정권은 1910 년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에 외국인 이주자들이 유입되는 것에 호의적이었으며 인구 증가 목적에서 외국인들의 이주를 환영하기까지 했다. 이민현상은 한국 및 중국에서의 기아, 홍수, 날로 심해지는 착취 등과 관련이 있었다. 프리모르스카야 州 우수리스크 지역의 중국계 농민들의 상당수는 채소재배에 종사했다. 중국인들은 채소류 작물(양배추, 감자, 토마토, 오이, 파, 마늘 등등)을 재배해 러시아 주민들에게 내다팔았다. 신선한 채소에 대한 수요가 블라디보스톡과 니콜스키(오늘날 우수리스크) 지역에서 점점 더 늘어났다. 1880 년대 니콜스키와 블라디보스톡 사이에 모두 118 개의 중국인 농장이 자리잡아 493 명의 채소재배업자가 일했다. 중국인이 재배한 채소는 품질이 높았다. 125

중국 농부들이 극동 러시아에서 종사한 또 다른 분야는 산업원료생산이었다. 중국계 농민들은 곡식류(밀, 보리, 수수, 수수류, 옥수수, 양귀비)를 재배했다. 중국계 농민들은 비교적 비싼 가격에 카작인과 러시아 농민들로부터 토지를 임대했다. 여러 의견에 따르면 우수리스크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중국인들은 2 만명에 달하기도 하였다. 중국인과는 달리 1884 년까지 이주해온 한국계 이주민의 대부분은(12000 명 넘게) 러시아국적을 취득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가족당 16.35 헥타르의 토지를 확배했다. 한국인들은 타고난 농사꾼으로 토지에서 일하고자 하는 그들의 열망은 대단해 토질이 낮은 땅에서조차도 머리를 짜내 상당한 수확을 거두었다. 그 결과, 프리아무르 내 남부 지방의 채소가격이 상당히 하락했다. 몇몇 농작물의 상호작용은 지역경제에 유용하게 작용했다. 러시아의 농업은 부분적으로 한국식 농사기술(제초, 공예농산물별 분리 윤작, 특히 강낭콩, 토양의 비옥도를 복구해주는 채산성있는 작물 및 식물)을 도입해 적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특히 러일전쟁 이후 한국인과 중국인의 극동지역 유입 및 이들의 활동에 대한 러시아 행정청 측의 관리 부족으로, 1911 년 1 월 1 일부터 외국인들에게 국가적 공사의 청부계약 교부 및 외국인 노동력의 고용을 금지하는 1910 년 6 월 21 일자 법령 도입이 불가피해졌고, 그 결과 (중국인과 한국인들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던) 외국인들의 비중이 낮아졌다. 그리하여 극동지역의 아무르스카야 州 및 프리모르스카야 州는 러시아의 가장 가까운 이웃인 한국인들과 중국인들이 지역 농업의 개간에의 활발한 참여를 통해 스스로의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역사를 간략히 둘러봄으로써 극동 지역의 농업 개간에 있어 중세시기, 17 세기, 19 세기후반부터 20 세기 초반에 이르는 세 단계에 관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세 번째 단계에서 러시아 동부지역 농촌에서 자본주의가 발전할 수 있는 길이 열린 126

것이다. 러시아 농업발전이 전반적으로 조잡했음에도 불구하고 극동지역은 기계를 이용한 농업내용의 충실성 및 임노동의 사용 규모면에서 유럽 러시아와 서부 시베리아를 추월했던 것이다.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