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 속에 나타난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 2004. 8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한 지 하
동화 속에 나타난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 지도교수 송 효 섭 이 論 文 을 敎 育 學 碩 士 學 位 論 文 으로 提 出 함 2004년 7월 西 江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국어교육 專 攻 한 지 하
ABSTRACT A Study on Modern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A Legendary Literature of 'A Woodcutter and A Heavenly Maiden' of Nursery Tale Han Ji-ha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s of a legendary literature of 'A Woodcutter and A Heavenly Maiden' upon Korean nursery tale by three literary works, that is, Chung Jin-chae's 'Pungranaki', Kang So-cheon's 'A Mermaid' and Yang Kyeong-jin's 'Even woodcutter takes winged clothes', to investigate plots, characters and expressional technique, etc. The paper investigated literary work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a legendary literature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a nursery tale of the descriptive literature, and put emphasis upon changes of legendary literature accepted by creative nursery tale. The plot of 'A Woodcutter and A Heavenly Maiden' was made depending upon functions of each character to make a series of story, such as a lack, favors, settlement of the lack, a taboo and its violation, the result of a taboo, an attempt to escape from the lack and coping with trials, etc in order. On the other hand, Chung Jin-chae's
'Pungranaki' made a series of story, such as the lack and its settlement, a taboo, favors, a taboo violation and results of a taboo, etc in order. At 'Pungranaki', a heavenly maiden selected a taboo itself to be left on the earth and to settle a shortage of conditions. The plot of Kang So-cheon's 'Mermaid' made a series of story, such as a lack, favors and its settlement, a taboo, results of a taboo, an attempt to escape from the lack and coping with trials, etc. A woodcutter of legendary literature was under the situation of lack from the beginning, while the heros and the heroines of 'Mermaid' suddenly faced the conditions of lack one day. Problems of absence of family could not be solved completely. Yang Kyeong-jin's 'Even woodcutter takes winged clothes' made story by the eyes of a deer called Maerok who was an assistant of legendary litera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ooden Cow, characters had a series of functions such as a lack, favors, settlement of a lack and results, etc. 'Even woodcutter takes winged clothes' rewrote a variety of ends of each section of legendary literature to occupy the efforts of a deer called Maerok to settle the woodcutter's lack. Characters were as follows: The woodcutter of 'A Woodcutter and a Heavenly Maiden' attempted to escape to settle her 'lack' and overcame a variety of trials and difficulties to be free from the situation of lack. The legendary literature said typical look of an old story of 'God blessed with a good man' by quoting the woodcutter. The heavenly maiden, a character living in the Heavens, helped the woodcutter on the earth to settle the woodcutter's lack. A deer as well as a mouse, assistants of 'A Woodcutter and a Heavenly Maid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he woodcutter. Being assistants, both characters helped the woodcutter on the earth to get married to the heavenly maiden on the Heavens to make the story richer. In Chung Jin-chae's 'Pungranaki', the heavenly maiden loved the earth very much despite her life in the
Heavens and had a lot of affection. The heavenly maiden of 'Pungranaki' selected the life on the earth by herself to have more love than that of 'A Woodcutter and A Maiden' had. In Kang So-cheon's 'Mermaid', the hero, 'I', had firm will and made great efforts to switch the 'mermaid' to a lady, which was rare in legendary literature. In Yang Kyeong-jin's 'Even woodcutter takes winged clothes', the deer that was an assistant of legendary literature became an important character. The woodcutter, an important character of legendary literature, disclosed his personality through the eyes of deer 'Maerok'. In the literary work, the writer clearly cognized that children were the objects of nursery tale, and created characters. Other assistants and opposing characters of legendary literature did not make appearance, and the heavenly maiden was shortly commented, so that the story was focused on the deer. Being an oral literature, 'A Woodcutter and A Heavenly Maiden' told a story when a speaker paid attention to a listener. The literary work had a repetition to let a listener to be easy to understand and to tell a story verbally in front of listeners in response to listeners' response, which was a unique technique of only oral literature. The three volumes of nursery tales, a documentary literature, considere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overall literary work enough to meet children's requirements and had a variety of expressional techniques depending upon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intention. Researchers could conduct studies on transformation of legendary literature that was repeated as an oral literature and was reproduced to accumulate and reorganize the contents of stories for a long time to let a lot of persons know it. The author thinks that legendary literature had various influence upon a lot of nursery tales, a documentary literature, so far.
차 례 ABSTRACT Ⅰ. 서 론 1.1 연구 목적 및 문제 제기 1 1.2 선행 연구 검토와 연구 방향 2 Ⅱ. 설화와 동화의 상호 관계 2.1 구술문학으로서의 설화 12 2.2 기술문학으로서의 동화 22 2.3 구술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 31 Ⅲ. <나무꾼과 선녀> 설화 분석 3.1 플롯(plot) 분석 36 3.2 인물 분석 44 3.3 표현기법 분석 52 Ⅳ. 창작동화 분석 4.1 정진채의 <풍란아기> 작품 분석 4.1.1 플롯(plot) 분석 58 4.1.2 인물 분석 62
4.1.3 표현기법 분석 66 4.2 강소천의 <인어> 작품 분석 4.2.1 플롯(plot) 분석 69 4.2.2 인물 분석 73 4.2.3 표현기법 분석 75 4.3 양경진의 <나무꾼도 날개옷을 입는다> 작품 분석 4.3.1 플롯(plot) 분석 77 4.3.2 인물 분석 82 4.3.3 표현기법 분석 85 Ⅴ. 결 론 88 참고 문헌 95 국문 초록 99
Ⅰ. 서 론 1.1 연구 목적 및 문제 제기 어린이의 심리적 성숙을 돕는 한 단계로서, 문학 작품의 역할은 크다. 그 중에서 어린이들이 접하는 동화는 성장하는 어린이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린이들은 공감하는 동화를 읽으면서 동화 속의 주인공의 입장과 자신의 입장을 동일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동화는 인생을 살아가는 여러 모형을 어린이들에게 제시해 주는 교육매체가 된다. 어린이들은 동화를 통 하여 인간이 왜 사는지, 왜 그렇게 행동해야만 되는지 등을 스스로 깨닫고 판단을 하게 된다. 따라서 무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어린이들에게, 자 신과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해주고, 바른 가치관과 신념, 세계관 등 을 제시해주는 동화는 필요하기에, 어린이의 심리적 성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우수한 동화를 많이 감상시켜야 할 것이다. 동화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래동화와 개인이 창작하여 지은 창작 동화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전래동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 야기들 중에서 처음부터 어린이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지만, 어린이 와 어른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이야기도 많다. 전래동화는 예로부터 전해오는, 동심을 바탕으로 하여 꾸며진, 일정한 구조를 가진 이야기다. 그 이야기 속에는 민간의 신앙, 충 효 우애 신의 등 의 윤리, 민족의식, 민중들의 생활의 멋과 지혜, 꿈과 소망, 웃음과 재치, 해학과 풍자 등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야기 속에서 어린이들은 상상력과 함께 언어 능력을 기를 수 있고, 한국인다운 삶의 방식과 한국적 인 정서와 가치관을 가질 수 있다. 또, 어린이들은 재미와 교훈을 느끼며, - 1 -
인간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고,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도 꾀할 수 있다. 1) 창작동화는 지은이가 있어 새롭게 창조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새롭게 창작된 이야기라고 할지라도 완전한 무( 無 )에서 작품을 지을 수는 없다. 기존에 내려오던 ꡐ이야기ꡑ라는 일정한 토대 위에 작가의 창조적 상상력 이 더해져 새로운 이야기가 생겨난다. 전해 오는 무수한 이야기들은 오늘 날ꡐ설화ꡑ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입에서 입으로 떠다니던 여러 설화들이 새로운 동화를 창조할 수 있는 뼈대가 되어 오늘의 많은 창작동화를 만들 었다. 거슬러 올라가면 창작동화의 근원이 되는 많은 설화들이 존재하기에 창작동화는 활발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예로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왔던 설화와 현재 어린이들이 즐겨 읽는 창 작 동화의 영향관계를 밝히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라 생각했기 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수많은 설화 중에서 아이들의 이야기에 영향을 준 설화를 조사하여, 설화와 연관 있는 창작동화를 찾아보았다. 그 중에 어릴 때부터 접하여 어린이들에게 친숙한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채택하 여 설화가 현대 동화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화 속에 나타난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에 대해 분석하려 한다. 설화가 동화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 구체적 인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1.2 선행 연구 검토와 연구 방향 기록문학은 구술문학을 모태로 하여 형성되어 발전해 왔으므로 구술문학 은 기록문학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구술문학인 설화가 기록문 1) 최운식 김기창,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p.1 참고. - 2 -
학의 소재로서 어떻게 수용되고 활용되어 왔는가에 관심을 모았다. 구술문 학의 여러 장르 중에서도 특히 설화는 고소설과 고전시가를 비롯한 기록문 학의 여러 장르의 형성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쳐 왔으므로, 둘의 관계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그 동안 학계에서는 구술문학과 기록문학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 및 개별 작품에 대한 비교 고찰이 있었다. 2) 여기서는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용하면서 구술문학 인 설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록문학인 동화가 어떻게 수용하고 변용하였는 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설화이다. 설화가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었다는 사실은 이 설화가 인류의 보편적인 심성과 닿 아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각국에 전승된 설화는 그 문화에 맞게 연행되면 서 다양한 변이양상을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이 이야기가 <선녀와 나무꾼>, <노루와 나무꾼>, <사슴을 구 해 준 총각>, <은혜 갚은 쥐>, <쥐에게 은혜 베풀어 옥황상제 사위가 된 이야기>, <금강산 선녀설화>, <선녀의 깃옷>, <수탉의 유래>, <닭이 높은 데서 우는 유래>, <뻐꾸기의 유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지며 전국에 걸쳐 널리 전파 전승되어 왔다. 3) 이렇게 설화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지며 전파되어 왔지만, 설화에서는 ꡐ나무꾼ꡑ과 ꡐ선녀ꡑ가 이야기의 주동적인 역할을 하므로, 본고에서는 이 설화를 <나무꾼과 선녀> 설화로 부르고자 한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초기 연구는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전 세계적 인 분포를 보이는 ꡐ백조소녀ꡑ의 유형의 하나로 파악하고 비교 고찰하는 측면이다. 4) 연구자들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2) 최운식, 한국설화연구, 집문당, 1991, p.106에서 재인용. 3) 전서희,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 전남대 석사학위 논문, 1997. p.1. 4) 손진태, 백조소녀전설, 한국민족설화의 연구,을유문화사, 1947. - 3 -
있음을 주목하여,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원형을 설정하여 이 설화의 전 파 경로를 파악하고 있다. 손진태 5) 는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에서 <백조소녀전설( 白 鳥 少 女 傳 說 )> 을 논하면서 한국, 중국, 몽고, 시베리아 자료를 비교 고찰하였다. 선녀가 승천할 때 천정을 뚫고 나가는 것을 몽고자료와 비교하여 한국자료를 몽고 계통의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것은 몽고계통의 설화가 한국에 전파된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최초의 전파론적 접근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6) 성기열 7) 은 한일 민담을 비교 고찰하면서 북방의 <조녀( 鳥 女 )> 이야기가 중국에 들어와 도교의 영향을 받아 <선녀( 仙 女 )>로 변이하여 가지고 한국 에 들어온 것이 다시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전파경로를 설명하고 있다. 1939년 조선민족 제 3호에 발표된 임석재의 조선의 이류교혼담 8) 최상수, 백조처녀 전설, 한국민족전설의 연구,성문각, 1985. 권영철, 금강산선녀 설화 연구, 효성여대 연구논문집 제1집, 효성여 자대학, 1969. 성기열, 민담 <선녀와 나무꾼>의 한 일 비교,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 8, 인하대, 인문과학연구소, 1982. 5) 손진태, 백조소녀전설,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7, pp.193-198. 6) 손진태는 "전( 全 ) 세계적( 世 界 的 )으로 유사( 類 似 )한 형식( 型 式 )으로 광포( 廣 布 )되어 있는 설화( 說 話 )에는 홍수전설( 洪 水 傳 說 )과 상술( 上 述 )한 페르세우 스 전설( 傳 說 ) 서양학자( 西 洋 學 者 )의 소위 큐피드 사이케 (Cupid and Psyche)설화( 說 話 ) 등등( 等 等 ) 외( 外 )에 유명한 백조소녀전설( 白 鳥 少 女 傳 說 )이 있다. 조녀전설( 鳥 女 傳 說 )이라고도 할 수 있고 일본( 日 本 )서는 우의전설( 羽 依 傳 說 )이라고 한다. 서양학자( 西 洋 學 者 )들은 이것을 조녀전설( 鳥 女 傳 說 ) (Swan maiden tales)이라고 한다." 라고 하면서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소개 하였고, 다른 나라의 자료와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하였다.(손진태, 앞의 책, p.193.) 7) 성기열, 한일민담의 비교연구 - 변이양상을 중심으로, 일조각, 1978. 8)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대한 최초의 관심은 1939년 조선민속 제3호 에 발 표된 임석재의 <조선의 이류교혼담( 異 類 交 婚 譚 )>에서 비롯되는데, ꡐ신과 인간 - 4 -
이후 ꡒ이류교혼담( 異 類 交 婚 譚 )ꡓ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인간과 비인간적 인 것과의 교혼을 주지로 하는 ꡐ이류교혼ꡑ설화를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 어,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개괄적으로 다룬 논문들이 있다. 9) 라인정 10) 또한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ꡐ이류교혼ꡑ의 양상으로 보았 다. 라인정은 이물교구설화( 異 物 交 媾 說 話 )에 대하여 그 유형 분류로부터 그 전승 양상 및 작품의 실상과 전승 집단의 의식까지 고찰하였다. 그는 이물교구설화의 유형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서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ꡐ배우 취득형ꡑ으로 보았다. 또한 이물교구 설화에서 보이는 변신 과 금기를 살펴보면서 <나무꾼과 선녀설화> 류에서는 제3의 존재에게서 제 시되는 금기가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ꡐ보이지 마라ꡑ, ꡐ주지 마라ꡑ의 금기는 이물인 선녀에게서 제시되는 것이 아닌, 제3의 존재로 원조자인 사 슴(노루)에게서 제시된 것으로 보았다. 이런 금기는 당연히 파기되므로, 파기된 금기의 결과로 주인공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전승자들이 긴 장하고 흥분하게 되면서 금기가 흥미의 측면에서 기능하고 있음을 검토하 였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작품 자체의 의미구조 11) 로 분석한 연구가 있다. 의 교혼ꡑ 양상의 하나로 <나무꾼과 선녀>란 제목 아래 이 설화의 줄거리가 소 개되었다. 임석재, 조선의 이류교혼담, 조선민속 제3호, 조선민속학회, 1939, pp.178-192. 9)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ꡐ이류교혼ꡑ담과 관련하여 설화를 개괄적으로 다룬 논문은 다음과 같다. 이석래, 이류교혼설화 - 설화문학의 방법, 문리대학보 제11권 제1호,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1963. 소재영, 이류교구고, 국어국문학 42-43호, 국어국문학회, 1968. 김기창, 이류교혼설화의 연구,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84. 10) 라인정, 이물교구설화연구, 충남대 박사학위논문, 1999. 11)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작품 자체 의미구조를 분석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최운식,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고찰, 청람어문학 제1집, 한국교원대, 1988, - 5 -
김기창 12) 은 이 설화의 유형구조를 정리하고, 구성상의 특징, 교혼 대상 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설화의 내용단락을 정리 하여 <결여>, <위기>, <방법의 강구>, <위기의 제가>, <결여의 제거>란 단 락소를 추출하고, 이것을 <방법의 강구>를 중심으로 하여 상호 변용, 대응 하는 반전구조로 파악하였다. 금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논의한 연구도 있다. 이윤경 13) 은 설화에 수용된 금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설화 속 에서 남녀 주인공인 ꡐ나무꾼ꡑ과 ꡐ선녀ꡑ의 결합과 분리가 의미 있는 요 소로 작용함을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설화 작품의 하위유형 분류를 토대로 금기 모티프의 문학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유형구조를 추출하였다. 또한 구조분석을 통해서 금기 모티프와 다른 모티프의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는 데, <나무꾼과 선녀>형은 금기 모티프가 과정적 완결성을 지니고 설화 속 에서 실현되어 삽화 차원으로까지 확장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윤경은 금기 모티프가 설화에 수용되어 설화의 문학적 감흥과 깊은 관련을 맺고 설화 속에 수용되었기 때문에, 설화의 향유자들은 금기 모티프에 상당한 매력을 느끼고 지속적으로 전승시켰다고 여겼다. 장장식 14) 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금기설화의 한 양상으로 보고 단락 구성에 따른 유형구조를 정리하였다. 그는 금기의 갈등구조와 통과제의적 의미를 고찰하여 금기의 의미와 기능을 밝히고,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나타난 갈등이 갖는 구조를 그레마스 체계와 관련시켜 도식으로 나타내었 pp.68-71. 김기창, 이류교혼설화의 연구,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84. 장장식, 설화의 금기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984. 12) 김기창, 앞의 논문, pp.66-69. 13) 이윤경, 금기 모티프 수용 설화 연구 - <나무꾼과 선녀>, <구렁덩덩신선 비>, <우렁색시>형을 중심으로, 성신여대 석사학위 논문, 1998. 14) 장장식, 설화의 금기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984. - 6 -
다. <나무꾼과 선녀>의 유형구조를 그레마스의 체계를 도식에 적용하면서 선녀를 대립자의 위치에 놓았으며, ꡒ고난 - 의외의 행운ꡓ의 대립적 발전 으로 파악하였다. 이지영 15) 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남녀가 결합과 분리를 반복하면서 남성이 주로 재결합을 위해 혼사시련을 겪는 결혼시련담으로 보고, 그 특 징을 규명하였다. <나무꾼과 선녀> 형 민담에서 금기는 천상적 존재와 지 상적 존재의 결합을 위한 형률로서 주어진 것이며, 금기의 준수와 위반의 여부는 결혼의 지속과 분리, 즉 비극적 결말과 행복한 결말을 결정하는 요 건이 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본 설화에 나타나는 금기의 양상을 6개 항 목으로 나누어 정리한 결과 금기는 분리예징으로 기능한다고 하였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여러 변이형을 바탕으로 설화의 구조를 연구한 논문도 있다. 전신재 16) 는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우리나라에서 전승되고 있는 여러 가지 유형 중에서 어느 유형인가를 밝혀내고, 그 유형이 남북 분단 이후 어떻게 변모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천상세계와 지상세계를 대립적인 관계로 설정해 놓고 천상세계의 선녀와 지상세계의 나무꾼의 만남과 헤어짐의 반복으로 이야기를 진행시키면서 다양한 유형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았다. 여러 가지 유형 중에서 나무꾼의 하강과 죽음 으로 끝나는 유형을 완결형으로 보고, 이것을 대표적인 유형으로 보면서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사랑을 강조하였다. 또한 배원룡 17) 은 우리나라에서 조사 보고된 90여 편과 저자 자신이 직접 채록한 50여 편을 합친 140여 화( 話 )의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대상으로 15) 이지영, 한국결혼시련담 연구, 서울대 대학원 국문학연구회, 1987. 16) 전신재, <나무꾼과 선녀>의 변이 양상, 강원대 강원문화연구소, 강원 문화연구18, 1999. 17) 배원룡, 나무꾼 선녀 설화의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 논문, 1991. - 7 -
하여, 유형 분류 및 유형별 전승 양상, 구조 분석과 의미, 현대적 수용과 변형 등을 종합으로 고찰하였다. 이 논문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결말 구조를 중심으로 <선녀승천형>, <나무꾼 승천형>, <나무꾼 천상시련극복 형>, <나무꾼 지상회귀형>, <나무꾼 시신 승천형>, <나무꾼과 선녀 동반하 강형>의 여섯 가지로 나누어서 각각의 의미를 밝혔다. <나무꾼과 선녀> 설 화의 여섯 가지 유형을 중심으로 전승양상을 살폈으며, 각각의 단락소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단락소의 연쇄나 탈락에 따라 구조의 변이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 구조와 의미를 매우 치밀하게 파악하였다. 최운식 18) 은 전승양상을 기본형과 변이형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성을 논하 고 이 설화의 구조를 고난과 의외의 행운이 대립적으로 반복 교체되는 순 환구조로 파악하고, 그 의미를 고난 극복과 운명론, 신성혼과 금기, 보조 자의 역할과 보은 사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외에 황경숙 19) 은 ꡐ나무꾼 지상회귀담ꡑ을 중심으로 심리학적 접근을 꾀했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유형 중에서 ꡐ나무꾼 지상회귀담ꡑ의 구 조분석을 통해 이 설화가 한 남성이 성인으로 성숙해가는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통과의례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임을 보여준다고 하였다. 또한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대한 연구로 분석심리학적 고찰을 통해서 설화의 여주인공인 선녀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한 연구 20) 와 한국 설화의 조력자 연구를 고찰하는 자리에서 이 설화의 동물 조력자 ꡐ사슴ꡑ의 성격 을 밝힌 연구 21), 한국 설화문학의 공간 연구의 일환으로 이 설화의 공간 18) 최운식,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고찰, 청람어문학 제1집, 한국교원 대 국어교육학과, 1988, pp.68-71. 19) 황경숙,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심리학적 시론( 試 論 ), -나무꾼 지상회귀 담을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32, 1995. 20) 이부영, 분석심리학과 민담, 민담학개론 일조각, 1982. 21) 박은실, 한국 설화에 나타난 조력자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1. - 8 -
적 성격을 규명한 연구 22) 가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보면,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설화의 원형 탐 색을 통한 전파 경로와 유형 파악, 이류교혼담에 대한 연구, 개별 요소에 대한 의미와 구조 파악, 금기 모티프와 관련한 연구, 설화의 변이형 연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들이 진행되어서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대한 이 해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업적을 통해서 볼 때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다루어지거나 설화 전반을 대상으로 한 종 합적인 분석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설화의 가장 본질적인 특성인 구술 문학으로서의 설화와 동화라는 기록문학과 관련된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연구 논문은 그다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나 무꾼과 선녀> 설화에 대한 작품 연구는 읽는 주체가 ꡐ어린이ꡑ라는 대상 을 고려하여 설화를 분석한 논문들이 주를 이룬다. 어린이와 관련한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대한 선행연구 연구는 다음과 같다. 정상숙 23) 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교재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나 무꾼과 선녀>설화의 이야기 교재본의 문제점과 원인을 분석하여, 교재본 구성 방법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서사적 의미를 바탕으로 이 이야기가 교재화 될만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한 후 각 유형 중 교재화 하기에 적합한 유형으로 ꡐ나무꾼 승천형ꡑ과 ꡐ나무꾼 지 상 회귀형ꡑ, ꡐ나무꾼 천상시련 극복형ꡑ을 선정하였다. 정상숙은 구술언 어의 문자화와 세부 내용의 첨삭을 통해 교재본을 만드는 방법을 보여 주 22) 이수자, 한국 설화문학의 공간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1. 박현국, 한국공간설화연구, 국학자료원, 1995. 23) 정상숙, <나무꾼과 선녀>형 옛이야기의 교재화 연구,진주교대 석사학위 논문, 2002. - 9 -
면서, 옛이야기 교재를 구성할 때에는 옛이야기의 원형을 깨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고쳐야 하며 지나치게 고쳐서 원래의 모습을 훼손하는 것은 지양 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현 24) 은 대표적이며 전형적인 전래동화를 객관적 방식으로 표본 모집 을 하고 분류한 후 그 결과 드러나는 경향성 및 소분류별 해당동화의 특징 을 정신분석학적 방법론으로 심층 분석을 하였다. 부부관계를 다른 동화, 형제 관계를 다룬 동화 등을 분류한 후 정신분석적 접근법으로 각기 관계 의 특성이 의미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그 중에서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부부관계를 다루고 있는 동화로 보았 으며, 총각이 색시를 얻고, 결혼을 하는 과정의 고난과 모험을 담고 있는 동화라고 하였다. 또한 <나무꾼과 선녀>는 나무꾼이 선녀와 늙은 어머니라 는 두 명의 여자를 상대하며 이를 통해 모자관계의 질적 변화와 정신발달 과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지호 25) 는 옛이야기를 욕망의 이야기로 파악하였다. 현실 세계에서는 욕망 촉발이 욕망 충족으로 이이어지기도 하고 욕망 좌절로 끝맺기도 하지 만, 이것이 허구 세계로 옮겨지게 되면, 욕망의 제로섬 게임을 위한 문제 설정과 문제 해결이라는 이야기 틀로 짜여지게 된다고 하였다. 옛이야기는 성 돈 힘에 대한 모든 욕망을 긍정하기에 욕망 충족을 위한 모든 방법까지 정당화하며, 옛이야기의 주인공은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만 있다면 그 어떠한 행위도 마다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나무꾼과 선녀> 이야기 도 나무꾼이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날개옷을 돌려주지 않고 선녀와 24) 하지현, 한국전래동화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 정신분석 제13권 제1 호, 중앙문화사, 2002. 25) 이지호, 옛이야기 다시 보기, 초등우리교육 3월호, 우리교육, 2002, p.122. - 10 -
결혼하며, 나무꾼과 같이 살던 선녀는 아이를 셋이나 낳고도 날개옷을 손 에 넣자 하늘로 날아가 버리는 행위를 함으로써 ꡐ나무꾼ꡑ과 ꡐ선녀ꡑ도 자신이 갈망하는 욕망을 성취하기 위한 인물로 욕망과 연결지어 보았다. 구술문학인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동화뿐만 아니라 기록문학의 여러 장르에 영향을 주었다. 개작된 시, 소설 26) 과 같은 문학 장르에서도 많은 연구 성과를 축적하고 있다. 이것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가 다양하게 우 리 문화 속에 녹아들어 오랫동안 전해 내려 올 수 있는 구술문학으로서의 장점과 가치가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설화는 구술되어 내려오는 동안 전승자의 의식에 영향을 주며, 문학 작 품에도 훌륭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어린이들을 주된 향유층으로 하는 전 래동화는 교육성이 높아서 어린이의 성격 형성이나 가치관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에게 미친 설화의 영향을 고려하여, 현대 동화 속에 나타난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에 대해 분석하려 한 다. 본고에서는 동화 작품으로는 <나무꾼과 선녀> 설화가 작품을 형성하는 데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정진채의 <풍란아기>, 강소천의 <인어>, 양경진의 <나무꾼도 날개옷을 입는다 를 선정하였다. 이 세 작품 을 통해 <나무꾼과 선녀> 설화가 우리 동화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구술 문학으로서의 설화와 기술문학으로서의 동화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 26) <나무꾼과 선녀>를 각 장르별로 수용한 현대문학 작품들의 개략적인 예를 들 면 다음과 같다. - 시 : 배원룡, 선녀에게 부치는 편지, 선화 제12호, 1988. - 소설 : 조해일, 우요일, 조해일 소설집, 1977. 심상대의 나무꾼의 뜻, ꡔ묵호를 아는가.ꡕ, 민음사, 1990. 김지원의 나무꾼과 선녀, 한국문학 1 2월 합병호, 1992. 윤영수의 하늘여자, 문학사상 12월호, 1997. - 11 -
면서, 창작동화에 수용되어 나타난 설화의 변이 모습에 주목하고자 한다. Ⅱ. 설화와 동화의 상호 관계 2.1 구술문학으로서의 설화 우리에게 전승되는 것 중에는 옛이야기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옛이야기는 말 그대로 옛날부터 전해오는 이야기이고 옛날부터 전해 온 것을 전승이라 고 한다면, 몸짓이나 물건으로 전해 온 것도 있으며, 그 가운데서 말로 전 해 온 것이 말전승이다. 말전승에는 옛말(속담), 이야기, 노랫말, 놀이말 들이 있는데, 이 가운데 문학으로서 가장 온전한 틀을 갖춘 것이 이야기이 다. 27) ꡐ이야기ꡑ의 문학인 구술문학은 ꡐ말로 된 문학ꡑ을 의미하고, 이것은 ꡐ글로 된 문학ꡑ인 기록문학과 구별된다. 구술문학인 설화문학은 문자 이 전에 말로 형성되어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었다. 따라서 구술문학인 설화의 역사는 글로 된 문학보다 훨씬 앞섰다. 인류의 역사가 시작되면서부터 노 래는 불려졌고, 불려진 노래는 민간에서 민요로 전승되었으며, 이야기는 말로 전승되었고, 전승된 이야기는 설화로 불리어 신화, 전설, 민담으로 계승되었다. 문학은 구술문학이든 기록문학이든 간에 언어예술이라는 점에서는 동일 하다. 구술문학이 글로 전해지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글로 전 27) 정상숙, <나무꾼과 선녀>형 옛이야기의 교재화 연구, 진주교대 석사학위 논문, 2002. p.6 참고. - 12 -
해진 기록문학보다 그 중요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언어는 원래 말로 서 존재하지, 글로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말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글이 라는 수단이 생겨났어도, 글은 어디까지나 말을 보조하는 구실을 하는 데 그친다. 글이 없는 말은 있어도 말이 없는 글은 있을 수 없다. 구술문학의 역사는 기록문학의 역사보다 훨씬 길며, 구술문학을 바탕으로 하여 기록문 학이 시작되었다. 기록문학이 시작된 후에도 전혀 기록을 필요로 하지 않 는 구술문학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으나, 창작이나 전달이 전혀 말과는 관 계없이 글로만 이루어진 기록문학 작품은 상상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록문 학이 아무리 발전하고 풍부해진다고 해도 문학을 기록문학으로만 한정할 수는 없기에 구술문학은 여전히 문학으로서 우리 곁에 남아 있다. 이 장에서는 설화가 구술문학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플롯, 인물, 표현기 법 면에서 기록문학과 다른 특징을 찾아보기로 하겠다. 2.1.1 플롯(plot) 전통적인 설화의 전달에 있어서 전달되어야 할 내용은 필연적으로 사건 의 윤곽, 플롯(plot)이다. 플롯은 모든 의미에 있어서 이야기 뼈대의 명료 화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을 하나의 행동의 모방인 문학작품의 핵심 으로 보았다. 28) 설화에서의 플롯은 첫째,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변형된 이야기 자체도 각각 독특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설화는 구술되기에, 그대로의 전달은 어렵다. 구술자는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외워 옮기는 것이 아 니라 이야기의 근본 뼈대인 플롯만을 유지한 채, 여기에 살이 보태어져 전 28) 로버트 쇼울즈 로버트 켈록, 설화의 전통, 김병욱 편, 최선규 역, 현 대 소설의 이론, 대방출판사, 1984, p.27. - 13 -
달하게 된다. 이것은 설화가 말로 존재하고, 말로 전달되며, 말로 전승되 기에 일어날 수 있는 특징이다. 설화는 말로 전승되기에 시간에 따라 달리 표현되며, 일회성을 가진다. 설화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대면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만 전달이 가능하며 대량전달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말로 전승된다는 것은 말로 들은 것을 기억하여 다시 말로 나타낸다는 뜻 이기에 구술문학에서는 그대로의 보존은 있을 수 없고 전승이 가능할 뿐이 다. 설화를 전할 때 구연자는 다양한 표정과 몸짓을 곁들이며 구체적인 상황 을 통해 말로 표현한다. 이와 같이 어떤 상황 속에서 음성적 변화 표정 몸 짓 등을 사용하여 문학 작품을 말로 나타내는 것을 구연(oral presentation)이라고 한다면, 구술문학인 설화는 구연( 口 演 )되는 문학이 다. 물론 기록 문학도 구연될 수 있으나, 이것은 절대적인 조건이 아니 다. 29) 설화를 구술할 때에는 다양한 구연방식이 행해진다. 상황에 맞추어 음성 도 다양하게 변하고, 이야기의 내용에 따라 얼굴의 표정과 몸짓도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따라서 설화를 구술할 때에는 일상적으로 우리가 하는 말과는 차이가 있으며, 구술되는 상황에 따라 전달방식이 다 양해질 수밖에 없다. 설화에서의 구연은 앞사람에게 물려받은 그대로의 전달은 아니다. 구연 은 들어서 기억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인데, 모든 것이 똑같을 수는 없다. 구연자의 기억에 따라 또는 구연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용될 수 있 다. 이 때, 구연자는 내용을 첨가하기도 하고, 삭제하기도 하면서 변형을 가하게 된다. 이것이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든,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든 간 에 설화는 구연되면서 자연히 변형을 가하게 된다. 이것은 단순한 변형이 29) 장덕순 외,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81, p.3. - 14 -
라기보다는 새로운 창작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구연된 하나하나의 작품을 각편( 各 編 version)이라 한다면, 모든 각편은 반드시 서로 다르다. 모든 각편이 서로 다른 이유 중에서 구연자의 개성적 차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30) 설화는 구연자에 의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구연 자체는 개별 성을 지니는 것만은 아니다. 구연자는 구연함으로써 다른 사람으로부터 들 은 바를 자신이 새롭게 창작해서 자신 나름대로 다시 연행하여 다른 새로 운 구연자에게 넘겨준다. 이 같은 행위는 후대까지 되풀이되어 전승된다. 구연자 개개인의 창작이 개별성을 지니지만, 전에 구연되었던 내용과 완전 히 별개의 성격을 갖지는 않는다. 기본적인 토대 위에 새로운 개작이 이어 지게 되는 것이다. 기본적인 토대가 있는 것은 공동의 변하지 않는 근본 뼈대가 있다는 말이다. 근본 뼈대는 좀처럼 변하지 않으며, 이것은 공동적 인 창작으로 누적되기도 한다. 모든 각편들은 서로 다르지만, 서로 다른 구연자들의 각편들 사이에 공통점이 또한 존재한다. 공통점은 이미 공동작 으로 굳어진 부분이기에 설화는 공동작의 성격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구술문학, 특히 서사문학에서 잘 나타나는 현상인데, 한 유형 (type)이 지니고 있는 유형구조 같은 것은 그 유형에 속하는 모든 각편에 반드시 동일하게 나타나는 공동적인 부분이다. 31) 이야기를 기록하지 않고 전승할 수 있는 것은 기억할 수 있는 일정한 뼈 대가 있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하는 화자는 다시 누군가에게 이야기를 할 때 들은 이야기를 모두 암기해서 그대로 이야기하지 않는다. 화자는 핵심 이 되는 구조만을 기억하여, 화자 나름의 수식을 보태어 이야기를 만든다. 30) 조동일, 서사민요연구,계명대학출판부, 1970, 장덕순, 위의 책에서 재인 용, p.15. 31) 장덕순 외, 위의 책, p.5. - 15 -
화자의 기억력에 따라, 혹은 화자의 관심과 세계관에 따라 각 이야기는 변 화하게 되나 이야기의 뼈대는 변하지 않는다. 이 변하지 않는 뼈대가 바로 플롯이 되는 것이다. 이야기를 창작하면서 플롯을 의식하지 않는다면, 그 의미의 생산은 충실히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32) 구술된 설화는 가장 핵심이 되는 플롯에 화자 나름대로의 내용의 첨가와 삭제가 이루어져 서 전승하게 된다. 따라서 설화는 단순한 구조와 표현으로 구술되기에 적 합한 형태를 지닌다. 33) 이 점은 기록문학과의 큰 차이를 지니게 된다. 설 화는 구술되어 전해지기에 전달 상태는 항상 변할 수 있다. 구연 상황에 따라 구연할 수 있는 기회는 제한 없이 무수하며, 분위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용하여 구연자는 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설화는 구연자에 따라서, 구연 상황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할 수 있기에 가변성이 크다. 구술문학 텍스트는 텍스트가 실현될 때마다 새로운 의의를 창출해낸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개별적인 각편의 의의를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 만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의미가 어떻게 실현되는가를 밝혀내는 32) E. Dipple, Plot, 문우상 역, 플롯, 서울대출판부, 1984, pp.32-53. 33) 월터 J. 옹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일차적인 구술문화에서는 잘 생각해서 말로 표현한 사고를 기억해 두고 그 것을 재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바로 말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억하기 쉬운 형태(pattern)에 입각하여 사고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즉 이러 한 사고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따라야만 했다. 강렬하게 리드미컬하고 균형 잡 힌 패턴이거나, 반복이나 대구이거나, 두운과 유운( 類 韻 )이나, 형용구와 그 외 의 정형구적인 표현이나, 표준화된 주제적 배경, 집회, 식사, 결투, 영웅의 조 력자 등)이거나, 누구나가 끊임없이 듣기 때문에 힘 안 들이고 생각해내고 그 자체도 기억하기 쉽고 생각해내기 쉽게 패턴화된 격언이나, 혹은 그 밖의 기억 을 돕는 형식에 따라야만 했다. 진지한 사고는 기억 체계와 밀접하게 교직되어 있다. 월터 J. 옹, 이기우 임명진 옮김,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 사, 2000, pp.55-57. - 16 -
것이 보다 중요한 일이다. 34) 둘째, 설화의 플롯은 단순성을 지니며, 보편성을 지닌다. 구연되고, 여 러 사람들에게 연행되기에, 구술문학의 형식이나 내용은 단순하다. 구술문 학은 기록문학에 비해서 사건 전개가 단순하고 인물의 특징이 뚜렷하여 단 순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구술문학은 말로 된 문학이기에 단순할 수밖에 없다. 단순하지 않고서는 기억되거나 창작되기도 어렵고, 또한 듣고 이해 하기 어렵다. 공동작의 비중이 높다는 사실 또한 단순성을 초래하게 된다. 많은 구연자와 창작자들의 공통적인 요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은 단 순하기 마련이다. 설화는 많은 구연자와 창작자들이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기 위해서는 보편성을 지니게 된다. 설화는 작가가 전문적으로 창작해서 소수의 독자만 향유하는 문학이 아니다. 누구나 작가나 향유자가 될 수 있 고, 또한 누구나 그 연행에 참여할 수 있는 설화는, 대다수 사람들이 공유 하고 있는 문학이기에 사람들의 생활 및 가치관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보편 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2.1.2 인물 이야기를 구연할 때에 말하는 이는 듣는 사람이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 도록 실감나게 구술한다. 이야기를 듣는 사람은 이야기 속 인물들이 실제 존재하여 행동하는 것처럼 여기며, 마치 이웃에서 일어난 일을 듣는 것처 럼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설화 속에 나오는 인물은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전형적인 인물들이 등장한다. 전형이란 ꡒ독자에게 친밀한 미지( 未 知 )의 인물로서, 독자에게 생소하지 않고 가장 인간적인 불변의 인 34) 심우장, 구비문학과 텍스트과학,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과 인접학 문, 박이정, 2002, p.44. - 17 -
정이라는 보편적인 경향과 특징적인 개성을 갖춘 특별한 개인인 것ꡓ 35) 이 다. 물론 설화 속 인물들은 현실에 존재하는 인물들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우리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평범한 인물들도 나오지만, 인물의 성격을 좀 더 극대화하여 아주 착하기만 인물, 이와 대립하여 악으로만 뭉쳐진 인 물뿐만 아니라 이야기라는 상상의 공간을 빌려서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다 양한 인물까지 등장한다. 인물이란 용어는 ꡒ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사람이 나 인격ꡓ을 말한다. 인물은 반드시 인간의 표상일 필요가 없지만, 어떤 점에서는 거의 변함없이 인간을 닮아 있다. 36) 그렇기에 상상의 세계 속에 서 존재하는 그런 인물일지라도 설화 속에서는 실제로 존재하고, 또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진다. 설화에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고 들을 수 있 는 것들이 녹아들었기 때문에 별 거리낌 없이 이야기 안에 다양한 인물들 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할머니에게 들었던 ꡐ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ꡑ 의 이야기, 어머니에게 들었던 ꡐ쥐가 사람으로 변신한 이야기ꡑ, 그리고 저녁 밤 삼삼오오 동네 사람들이 모여 주고받던 ꡐ도깨비 이야기ꡑ등이 구 술되면서 첨가와 삭제의 과정을 거쳐 설화 안에서 다양하게 존재한다. 인물은 일정한 시간과 공간의 상황 속에서 사고하고 행동하며, 그러한 인물을 설정한 작가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밝혀주는 확실한 증거 제공자이 기도 하다. 인간 삶의 본질을 재해석하거나 당위적 가치문제를 다양하게 제기하려는 작가의 문학적 의도는 대부분 작중인물을 통해서 명시되거나 암시되는데, 특히 그것은 인물이 처한 구체적 현실상황(사건)속에서의 문 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37) 설화에서 볼 수 있는 ꡐ착한 인물ꡑ과 ꡐ 35) 조미숙, 현대소설의 인물묘사방법론, 박이정, 1996, p.14에서 재인용. 36) 조셉 칠더즈 게리 헨치 엮음, 황종연 옮김, 현대 문학 문화 비평 용어 사 전, 문학동네, 2000, p.105. 37) 임경순, 인물 형상화 양상을 통한 소설교육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5, p.7. - 18 -
악한 인물ꡑ그리고, 우리 ꡐ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인물들ꡑ이나 ꡐ상상 의 인물들ꡑ의 모습은 우리 삶의 모습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ꡐ착한 인물 ꡑ과 ꡐ악한 인물ꡑ의 대립은 대개 ꡐ착한 인물ꡑ의 승리로 끝나며, 설화 속 인물들은 일상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문제들을 풀어나간다. 설화 속 인 물의 여러 모습을 통해서 현실에서의 가치관과 지향 의식이 고스란히 보인 다. 2.1.3 표현기법 이야기가 존재한다는 것은 이야기를 하는 사람과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 필수 조건으로 존재한다는 뜻이다. 물론, 혼자서 이야기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는 특수한 상황이다. 왜냐하면 계속해서 몇 시간이고 듣는 사람 없 이 혼잣말을 지껄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물론 길에서 혼자 서 몇 시간이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그는 특정한 사람이 아니더 라도 다수의 불특정한 사람을 대상으로 삼아 이야기하고 있을 뿐이다. 또 한 혼잣말을 하더라도, 그 대상은 역시 자기 자신한테 향하는 것으로, 듣 는 사람과 말하는 사람이 일치되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야기라 는 말 속에는 근본적으로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을 내포되어 있다. 이야기되는, 다시 말해 말로 표현되는 구술문학이 듣는 문학이라면, 글 로 쓰여진 기록문학은 읽는 문학이다. 따라서 듣는 문학과 읽는 문학은 표 현 방법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구술문학인 설화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직접 대면하는 상황에서 표현되기에, 이야기 자체에 구술성이 잠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어와 문학에 대한 연구는 이 같은 구술의 성격을 소홀히 해왔다. 씌어진 텍스트에만 집중을 하여, 말로 표현된 텍스트에는 주의를 소홀히 해왔다. - 19 -
구술성과 기록성의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한 채, 사람들은 구술의 성격에 입각해서 만들어진 작품을 쓰기에 의해서 만들어진 작품의 한 변종이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진지한 학문적 관심을 쏟을 만한 것으로서 보지 않게 되 었다. 순수한 구술적 전통이나 일차적인 구술성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 의미 를 충분히 파악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쓰기는 우리로 하여금 ꡐ말ꡑ을 사 물과 동일하게 생각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말이라는 것을 말의 애 독자(decoders)에게 신호하는 가시적인 표시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주 말해지는 구전 이야기라 하더라도 실제로 말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는 말할 수 있는 누군가의 속에 잠재해 있을 따름이다. 38) 잠재되어 있는 말이 문 자로 텍스트 안으로 들어 왔을 때 씌어진 ꡐ말ꡑ을 볼 수 있다. 쓴다는 것은 ꡐ이차적으로 양식화된 체계(secondary modeling system)ꡑ 39) 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체계는 말이라고 하는 선행하는 1차적인 체계에 의 존한 것이기 때문이다. 구술적인 표현은 전적으로 쓰기에 의지하지 않더라 도 존재할 수 있다. 사실 대부분의 경우 구술적인 표현은 쓰기와는 무관하 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쓰기는 말이 존재하지 않고서는 표현이 불가능 한 것이다. 이렇게 구술문학과 기록문학의 특성을 비교해 볼 때, 설화의 표현도 구 술성을 가진다. 설화는 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앞에 두고 전하기에 화자는 청자를 의식하는 기법을 보이게 된다. 듣는 이가 이해하기 쉽도록 단어나 표현에 반복성을 보이며, 말하는 이는 듣는 이를 고려하여 문장을 흥미 있 게 구성하여 말하는 것이 특징이다. 38) 월터 J. 옹, 이기우 임명진 옮김,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2000, pp.18-22 참조. 39) 월터 J. 옹, 위의 책, p.18. - 20 -
말하는 이는 듣는 사람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말을 듣기 편하게 배열한 다. 또한 바로 앞에서 구연하기에 청중이 즉각적으로 반응하며, 청중의 반 응에 대응하여 화자가 이야기를 바꿔가며 전달하는 표현은 설화가 갖는 구 술문학의 독특한 기법이다. 설화의 시점은 대부분 고정되어 있다. ꡒ시점ꡓ이란 말에는 두 가지 의 미가 나타나 있다. 첫 번째의 것은 하나의 ꡒ객관적ꡓ 위치, 어떤 외부 현 실에 대한 주체의 관계를 가리키며, 두 번째의 것은 그 현실에 대한 주 관적 반응이나 평가를 가리킨다. 40) 설화에서 구술하는 이는 등장인물의 마음 속을 세밀히 표현하지 않고 바깥에 나타나는 표정이나 동작, 대화로 설화를 서술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으로 등장인물의 마 음을 추측하여 말한다. 등장인물이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 또한 구술자의 경험에 의해 사물과 세계를 바라보고 구술하게 된다. 설화를 듣는 청자 또 한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이야기를 듣고 판단한다. 설화의 문장은 사건 중심으로 쓰여 진다. 자세한 상황묘사는 듣는 이의 상상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원형에서 멀어지게 한다. 따라서 설화는 장면의 묘사 없이 사건을 중심으로 단순하고 소박한 구성을 갖게 된다. 또 한 상황묘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구연자에 따라 다양한 어휘를 구사하여, 현장에 맞는 알맞은 몸짓을 구연하게 된다. 내용에 알맞은 동작이나 제스 쳐는 설화 구연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며, 듣는 사람을 집중하게 하고, 내용에 빠져들게 하는 실감나는 요소로써 구술 현장에서는 필수적인 것이 다. 구술하는 사람에 따라서 내용의 전개와 어휘, 그리고 문장이 달라진 다. 같은 이야기라도 누가 이야기했느냐에 따라 내용 각편이 차이를 갖게 40) 여기서 시점의 의미하는 바는 첫 번째는 ꡒ무엇인가가 관찰되거나 고찰되는 위치 : 입각점ꡓ, 두 번째는 ꡒ사물을 바라보는 방식 : 태도ꡓ를 뜻한다. 수 잔 스나이더 랜서, 김형민 옮김, 시점의 시학, 좋은날, 1998, p.20. - 21 -
된다. 이런 구술자의 ꡐ독특한 어휘 선택ꡑ을 어법이라 한다. 어법을 분석 하는 목적은 작품 속에서 이루어진 어휘의 선택을 인지하고, 가능한 한 그 선택이 행하여진 이유를 추론하는 데에 있다. 41) 설화에서 구연의 현장은 같은 플롯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누가, 언제, 어디에서, 누구에게 하 느냐에 따라 어휘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달리 말하면, 구술자는 현장 상 황에 따라 알맞은 어휘를 선택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설화에서는 실 감나는 문장과 어휘 표현을 엿볼 수 있다. 2.2 기술문학으로서의 동화 동화는 시 소설 희곡 등과 같은 일반 문학의 양식이 형태에 따라 구분되 는 것과는 달리 향유하고 수용하는 대상에 따라 생겨난 장르라고 할 수 있 다. 동화라는 용어가 1921년 고경상, 배위층, 오천석의 동화집에서 시 작 42) 되었다면 우리나라에서 동화의 역사는 그다지 길지 않다. 동화의 개 념에 대하여는 여러 학자 43) 들의 정의가 있다. 동화는 어린이들의 귀를 솔 깃하게 할만한 이야기, 어린이들의 마음을 끄는 이야기, 재미있으면서도 쓸모 41) 박덕은, 한국 현대소설의 이론과 적용, 새문사, 1989, p.129. 42) 최인학, 한국설화론, 형설출판사, 1982, p.91. 43) 방정환은 ꡒ동화의 동( 童 )은 아동의 동이요, 화( 話 )는 설화이니, 동화( 童 話 ) 라는 것은 아동의 설화, 또는 아동을 위한 설화이다.ꡓ라고 하였고, 구인환은 ꡒ동화는 동심을 바탕으로 하여 흥미롭게 산문으로 쓰여진 아동문학의 형태ꡓ 라 하였다. 박종구는 ꡒ리얼리즘과 팬터지의 세계를 통일성 있는 형태로 형상 화한 것ꡓ이라고 하였으며, 이재철은 ꡒ동화는 옛이야기나 민화 중에서 안데르 센과 그림을 고향으로 하는 상징적인 문화 형식으로서, 개개의 인물조형과 디 테일의 진실보다도 소박하게 요약된 미적표현 가운데서 인간 일반의 보편적 진 실을 보다 중요시하는 것으로 시에 가까운 산문문학ꡓ이라고 하였다. 최운식 김 기창은 ꡒ동화란 어린이들을 위주로 한 서정적이거나 환상적인 이야기로서 시 에 가까운 산문문학ꡓ이라고 하였다. - 22 -
있는 이야기 44) 이다. 동화는 그 바탕이 어린이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며 어 린이들이 공감하고, 어린이들의 삶을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 동화의 뿌리는 옛이야기에 닿아 있다. 이 명제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 다. 아직 글자가 대중화되어 있지 않았던 때, 어린이들이 향유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산문문학은 구술되어 전승되는 옛이야기였다. 글자가 대중화되면서 옛 이야기는 글자로 기록되기 시작했고, 이것이 동화의 뿌리가 되었다. 45) 구술되어 내려오던 이야기인 설화 중의 일부는 아이들에게 전해주는 전래동 화라는 명칭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할머니에게서 어머니에게, 어머니에서 자 녀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던 이야기들이 동화의 근원이 된 것이다. 그러기에 동화는 어린이와 동심을 향유하려는 어른을 위한 문학으로 그 근 원은 원시 시대의 설화 문학이다. 46) 그러므로 동화는 옛날부터 전해져 내 려온 이야기들, 즉 전승 설화들이 시대에 따라 어린이를 주요 대상으로 하 여 발전해왔다. 옛날부터 전해오는 이야기 중에는 신화 전설 민담 등의 민간 설화가 있는 데, 이들 설화 중에서 동심을 그 바탕으로 하여 꾸며진, 일정한 구조를 가 지고 47), 도덕적, 교육적, 심리학적으로도 어린이에게 적당할 때, 동화로 전승되어 내려 온 것이다. 즉 전래동화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설화를 의 미하는 것이다. 48) 전래동화는 특성상 보존과 전달 상태가 가변적이다. 한 유형의 이야기일 지라도 전승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심지어 동일 전승자가 같 44) 서정오, 한 영 아동문학 학술대회 발표문 : 옛이야기, 어떻게 이어받을 것 인가, 인문연구40, 41권,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p.1. 45) 서정오, 위의 논문, p.2 참고. 46) 김기동, 국문학 개론, 진명문화사, 1978. 47) 최운식 김기창, 전래동화 교육론, 1988, p.18. 48) 박재형, 제주 전래동화 연구 : 제주 설화의 수용양상을 중심으로, 제주 대 석사학위논문, 1998, p.1. - 23 -
은 얘기를 하더라도 시간과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구연될 때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문자로 기록될 때도 마찬가지 이다. 기록자가 어느 장소에서 어떤 사람의 구연을 채록했느냐에 따라 달 라지며, 채록한 작품을 가지고 전래동화로 다시 만들었을 때에는 텍스트로 삼은 설화가 어떤 것이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동일한 전래 동화도 부분적으로 변용되어 씌어지기도 한다. 동화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어린이의 발달 단계에 맞는 수 준으로 나타나야 한다. 따라서 동화에는 어린이만이 갖고 있는 세계가 표 현되어 있으며, 어린이의 속성이 배어 있다. 그리고 어린이가 동화를 읽으 면서 느낄 수 있는 여러 감정과 간접적 경험들은,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들 의 정서적 측면과 인성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크기에 동화는 어린이 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다른 성인 문학과 구분할 수 있다. 동화가 지향하는 것은 민담, 신화, 전설 같은 설화 종류의 재구성이 아 니라 인간 보편의 진실을 구현하려는 데 있다. 그러므로 동화 속에는 우주 의 삼라만상을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동심을 바탕으로, 아동이나 성인은 물론 동식물 등 삼라만상이 구체적으로 생활하는 모습을 그려 보이게 된 다. 49) 일정한 틀거리만 가지고 구술되어 내려오던 설화들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래 동화로 분화되고, 전래동화는 어른에서 어린이에게로, 입에서 입으로 전하던 것이 점차 글 안으로 들어가면서 성인 문학과 구분되는 동 화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어린이는 어른의 축소판이 아니다. 어린이들은 어른과는 다른 특징을 가 지고 있다. 어린이는 아직 성숙하지 못하였지만, 인간의 원초적인 심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순수하고, 꾸밈이 없다. 49) 박상재, 한국 창작동화의 환상성 연구, 집문당, 1998, p.20에서 재인용. - 24 -
따라서 동화는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해서 발달 단계에 맞게 전달의 실효 성을 깊이 인식해야 하고, 어린이의 연령이나 수용 능력에 따라 소재 선택 과 제재 및 표현 양식도 고려해야 한다. 언어 순화라는 교육적 효과를 고 려하여 유아기 문학이나 아동기문학 등의 여러 단계를 감안해 글로 표현해 야 한다. 그리고 가치관 형성의 문제로서 사회 규범이나 생활 습관 또는 학습의 효과까지도 작품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50) 동화는 어린이의 정서와 특성을 바탕으로 해서 이루어진 이야기이기에, 작품의 소재와 문학적 기능 등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 문학에 비 하여 다른 특징을 갖는다. 플롯, 인물, 표현 기법에서 기술문학으로서의 동화가 갖는 특징을 좀 더 살펴보기로 하겠다. 2.2.1 플롯 예로부터 내려온 동화에는 권선징악( 勸 善 懲 惡 )을 주된 주제로 삼거나 초 현실적 세계를 다룬 작품들이 많다. 순진무구한 어린이 세계를 배경으로 해서 드넓은 인간의 삶을 파악하고 관찰하여 그것을 동화 속에서 그대로 보여준다. 동화는 아동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고려하여 가치 있다고 생각하 는 것을 주제로 삼는다. 물론 그것이 가치가 있는 것이냐, 아니냐에 대해 서는 어른의 인식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어디까지나 아동의 독자적인 인 식에 맞추어 규정되어야 한다. 51) 동화는 주제가 글 표면에 전면적으로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 줄거리를 50) 임원재, 아동문학 교육론, 신원문화사, 2000, pp.45-46. 51) 석용원, 아동문학원론, 학연사, 1987, p.37. - 25 -
단순하게 하여 표현한다. 단순한 줄거리는 읽는 이, 즉 어린이들로 하여금 주제를 명확하게 인식하게 한다. 이야기 줄거리의 단순함, 문장의 투명함이 동화의 본질이고, 이 본질이 옛이야기에서 얻어진 것이라면, 옛이야기에서 나타난 이런 본질은 또 어떻 게 연유된 것일까. 그것은 어린이들은 복잡하고 불분명한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어린이들은 왜 복잡하고 불분명한 것을 싫어하는가? 어린이의 심리가 단순하고 정직하기 때문이다. 진리는 단순하고 명확하며 어린이들 은 본래 진리 속에 살고 있는 것이다. 52) 사회가 복잡해지기 시작하면서 인간 세계의 다양한 모습들이 동화 속에 점차 나타나기 시작했다. 구술되던 동화가 기록되면서 권선징악적 교훈들 로 채워진 전래 동화의 단순한 주제들만으로는 어린이들의 욕구를 채울 수 없게 된다. 어린이의 특성은 그대로 간직하고 있지만, 복잡한 현대 문명 세계에 걸맞은 주제들이 동화 속에서 점차 모습을 보이게 된다. 또한 같은 주제라도 시대에 따라 어린이들은 동화를 읽으면서 재해석을 하게 된다. 열린 해석 가능성은 어린이 문학작품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아이 들이 자유롭게 상상하고, 그 속에서 밝게 커 갈 수 있는 교훈을 담은 주제 가 동화의 중심을 이루게 된다. 고난을 이겨내고 잘 사는 이야기, 난관을 딛고 목적을 이루는 이야기, 시련을 이기고는 뜻하던 것을 손에 넣는 이야 기 등이 이야기의 기본 틀이 된다. 대체로 이같이 말하면 동화 줄거리의 특색이 잡힌다. 그것을 간단하게 ꡐ투쟁과 승리ꡑ, ꡐ과제와 해결ꡑ, ꡐ찾 음과 얻음ꡑ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동화 줄거리의 핵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거기에다 ꡐ기대와 성취ꡑ를 추가할 수도 있다. 53) 동화는 작가의 의도에 의해서 만들어진 작품이다. 작가에 따라 어린이들 52) 이오덕, 어린이를 지키는 문학, 백산서당, 1984, p.27. 53) 김열규, 어머니, 동화는 이렇게 읽어 주세요, 춘추사, 1993, p.49. - 26 -
에게 나타내고 싶은 주제가 다양하며, 이런 다양한 주제를 표현함에 있어 플롯의 구성도 좀 더 짜임새 있게 전개된다. 하나의 스토리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첫째로 그 스토리의 표현에 알맞은 여러 가지 소재( 素 材 )가 선택되어야 하며, 다음에 그 선택된 소재가 주제 에 의해서 조정되고, 유기적인 인과관계를 적당하게 유지하며 논리적인 계 열( 系 列 ) 속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기능이 플롯(plot)이다. 54) 작가에 의 해서 의도적으로 선택된 제재는 논리적으로 재배치되며, 전체를 구성하기 위해 부분들이 적절한 배치를 이루게 된다. 동화의 플롯의 구조에는 논리 적인 의도가 존재하며, 플롯은 사건의 단순한 나열이 아닌 인과관계를 지 닌 사건의 연속체이다. 따라서 기록문학인 동화의 플롯은 작가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서 정교하게 짜여지며, 구술문학인 설화와는 달리 한 번 정 해진 플롯은 변하지 않으며 고정된 성격을 지닌다. 어린이들은 동화 속에서 현실을 인식하기도 하고, 또한 현실을 뛰어넘는 상상의 이야기들을 별 무리 없이 받아들이기에 동화 속에서는 현실의 공간 과 상상의 초현실 공간이 모두 허용된다. 또한 가르침 속에서도 흥미를 느 낄 수 있는 다양한 제재들이 동화 속에 들어와 플롯에 의해 정교하게 꾸며 짐으로써 어린이의 정서적 발달을 도모하게 된다. 2.2.2 인물 동화 속에 나오는 인물들은 전형적이다. 착한 사람은 끝까지 착하고 그 로 인해 복을 받으며, 욕심 많은 사람은 끝까지 그 욕심을 견지하다가 화 를 당한다.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인간 본연의 심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 들이 동화 속에서는 좀 더 극대화된 성격을 가지고 나타난다. 54) 석용원, 위의 책, p.39. - 27 -
동화에서는 선과 악의 대립이 비교적 뚜렷하다. 따라서 선한 사람과 악 한 사이의 구별은 시작부터 뚜렷하다. 선한 사람과 대립되는 악한 사람이 등장하고, 선한 사람이 곤경에 처하다가 결국 악한 사람을 이기고 만다는 주제에 따라 전형적인 선과 악을 대표하는 인물들이 등장하여 사건을 이끌 어 나간다. 이때, 악역의 역할은, 주인공의 좋은 점을 확연히 부각시키고, 주인공과 더불어 이야기를 흥미롭게 이끌며, 긴장을 주며 극적 요소를 만 들어 내고, 작중 메시지를 갈고 다듬는 데에 기여한다. 동화에서는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기적이 일어난다. 그러나 이런 기 적은 적어도 공짜로 주어지지 않는다. 당연한 보상으로서 주어진다. 인품 의 선량함, 불의를 보고 나서는 용기, 고난을 견뎌 내는 인내심이 끝내 기 적을 움트게 한다. 동화 속에서 주인공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많은 고 난과 시련을 겪게 된다. 이것을 따로 동화론에서는 ꡐ주인공 자질 검사ꡑ 또는 ꡐ자질 시험ꡑ이라고들 부르고 있다. 그가 얼마나 착한가, 그가 어느 정도로 의에 바치는 용기를 갖추고 있는가, 그리고 어느 만큼의 지능을 향 유하고 있는가, 또한 그가 얼마나 큰 삶의 부담이나 고통을 참아내는 인내 심을 갖추고 있는가 등등, 주인공을 통해 고난과 시련을 이겨 내도록 요구 하는 장면이 동화에 있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혹은 이 부분을 아주 줄여서 ꡐ시험과 통과ꡑ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동화 주인공이 과제를 일단 성취하 거나 문제를 해결하거나 아니면 대상물을 얻어 낸 뒤에 그들은 또 다른 새 로운 시련이나 고통에 마주치게 되는 것이며 55), 이러한 고통은 주인공이 이겨내는 과정이 사건의 핵심이 된다. 따라서 동화 속에서의 주인공은 시 련과 고통을 이겨 낼 수 있는 자질을 갖고 있으며, 그와 반대되는 인물과 맞서 대립을 해소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동화에서는 성인 문학과는 달리 현실 세계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55) 김열규, 앞의 책, p.50 참고. - 28 -
인물들이 등장한다. 선녀, 도깨비 등을 비롯하여 동물들이 주된 인물로 등 장한다. 이 인물들은 비록 현실에는 없지만, 현실의 인물처럼 말하고 행동 하면서 어린이들의 꿈을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 동화가 기록되면서 천편일 률적인 인물의 유형에서 어린이들의 다양한 꿈을 담은 다양한 인물들이 등 장하고, 현실 세계와 밀접한 인물 군상이 동화 속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 다. 이것은 성인 문학과 구분되는 어린이 문학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특징 이다. 어린이 문학에서는 현실 세계를 바탕으로 하는 지극히 현실적인 인 물이 등장하기도 하고, 어린이들의 다양한 꿈과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세 계를 구현하기 위해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도 그에 걸맞게 다양한 유 형들이 나오기도 한다. 2.2.3 표현기법 동화는 그 대상이 어린이기에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어렵다. 동화에 쓰이는 언어는 전달력이 풍부한 쉬운 말이어야 한다. ꡐ쉬운 말ꡑ이란 단순히 추상적으로 언어체계에 있어서 명석해야 한 다는 뜻만이 아니라, 독자인 아동 생활에 밀착한 언어여야 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어학적으로 쉽고 단순하고 명확하다는 것 이상으로 아동의 생 활어가 아니면 안 된다. 56) 따라서 동화에는 미성숙한 어린이들이 읽기에 비교적 편한 짤막한 문장들로 이루어진다. 동화는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기도 하지만, 때에 따라 인물과 정경을 자세히 묘사한다. 묘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어린이들의 어휘력과 독 해력 등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알맞은 문장으로 서술한다. 동화에서는 대립과 반복의 형식이 주를 이룬다. 대립은 인물이나 상황을 56) 석용원, 아동문학원론, 학연사, 1987, p.42. - 29 -
창조할 때 흔히 쓰인다. 대립에는 선과 악의 대립이 있다. 힘과 꾀의 대 립, 아름다움과 추함의 대립이 동화 속에서는 흔하게 존재하며, 이런 대립 이 이야기를 이끄는 중심이 된다. 대립된 인물이 등장하며, 이런 인물에 의한 사건의 전개는 대립된 관계를 해소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간다. 또한 동화에서는 반복이 일어난다. 반복은 비슷한 내용을 되풀이하는 것 으로 자세한 묘사나 서술을 생략하고서도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강조의 수 단이다. 발달단계가 낮은 유아용 동화나 저학년을 대상으로 쓴 동화일수록 반복의 현상은 두드러진다. 이것은 어린이들이 이야기를 쉽게 기억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동화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동화에서는 배경과 시점이 다양하다. 어린이 세계에서는 현실의 공간 뿐 아니라 상상의 배경까지 모두 존재하며, 어린이들은 그 공간 안에서 자유 롭게 상상의 날개를 펼친다. 또한 작가가 사물과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사건을 바라보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동화에서는 다양 한 시선으로 작가의 의도에 맞게 표출된다. 동화의 일반적인 특징은 작중 시간의 진행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된다는 점이다. 그래야만 이야기의 기억과 이해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57) 또한 동 화는 그 최종 ꡐ이야기 가치ꡑ를 향해서 곧장 바르게 직진하는 형식으로 이야기를 풀어 놓는다. ꡐ이야기 가치ꡑ란 주인공이 마지막으로 성취하는 것, 얻어 내는 것 등을 말한다. 소설처럼 미리 복선을 깐다거나 혹은 이야 기가 반전한다거나 아니면 줄거리가 엎치락거린다거나 하는 일은 동화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그래서 이야기로 풀어 놓기 쉽고 또 한두 번 들어서 기 억하기 좋게 되어 있는 것 58) 이 동화의 특징임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57) 최운식 김기창 공저,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3, p.39-43 참고. 58) 김열규, 앞의 책, 1993,p.31. - 30 -
현대에 이를수록 다양한 사건들이 교차하며, 표현기법이나 구성에 상당한 비중을 두는 동화들도 많이 있다. 설화는 구연자에 의하여 구술되는 구술문학이고, 동화는 작가에 의하여 엮어지는 기록문학이라는 차이점이 있지만, 양자의 본질은 모두 ꡒ이야기 성ꡓ을 근본으로 한다는 점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따라서 동화는 작 가에 따라서 구술되는 설화에서 소재를 취하기는 하나 글로 지어져 읽히기 때문에 서술방법에 있어서는 기록문학의 특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 따 라서 동화는 구술되던 설화의 불합리적인 전개 방법을 지양하고, 짜임새 있는 구성을 갖게 된다. 구술문학이 설화가 이야기 전개의 일관성의 유지 라던가 짜임새 있는 구성을 갖추기 보다는 화자가 말하고 싶은 신기한 일 들을 직설적으로 표현하는 59) 반면에, 기록문학인 동화는 이상하거나 어색 하게 진행되는 사건을 가능한 한 논리적으로 만들고 합리화시켜 어린이들 을 납득시키려고 노력한다. 2.3 구술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 구술된 것을 글로 정착시킨 텍스트와 처음부터 글로 쓴 텍스트는 비록 서로 유사해 보인다 하더라도 분명한 차이를 드러낸다. 그것은 바로 시학 의 문제와 직결된 것이다. 시학은 문학을 문학이게끔 하는 요소가 무엇인 가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구술문학에는 기술문학과 다른 시학이 있다. 여기서의 변별성은 구술성 과 기술성의 대립에서 찾아진다. 이러한 대립은 서구 철학에서 말중심주의 와 글중심주의의 대립으로 나타난다. 이는 또 청각적인 것과 시각적인 것 58) 주명희, 민담의 동화적 변용, 한성어문학 제12호,한성대 출판부, 1983, pp.60-70 참고. - 31 -
의 대립이기도 하다. 말이 글보다 먼저 생겼지만, 글이 만들어졌다고 해서 글이 말을 완전히 대체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글이 생기면서 말을 보완하 고 수정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60)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설화와 글로 전해진 동화와는 플롯, 인물, 표현기 법 면에서 여러 차이점을 지닌다. 몇 세기 전만 하더라도, 글을 읽을 줄 모르는 사람들은 입에서 입으로 떠돌던 이야기들을 기억해 두었다가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해 주었고, 그들 은 또다시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해 주었다. 글로 씌어진 텍스트 없이 머리 로만 기억해야 했다는 사실은 이야기들이 기억할만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야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특징들은 글로 씌어진 텍스트에서도 살아남 는다. 61) 전해들은 이야기를 다시 전하기 위해서 이야기는 말하는 이가 기억하기 쉬운 구조를 지닌다. 또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해하기 쉬운 내용 에 복잡하지 않은 플롯을 지녀야 한다. 이렇게 입에서 입으로 떠돌던 이야기의 기본적인 구조들은 구연자들로 하여금 세부 묘사가 덧붙여져 다양한 이야기 중 하나를 창조한다. 창조된 이야기들은 여기저기 곳곳을 다니면서 다시 더하고 빠진 상태로 현대에까 지 이어져 왔고, 문자로 정착되어 글로 지어진다. 구술문학 텍스트는 일회성을 갖는다. 현장에서 단 한번 구연되는데, 현 장이란 늘 변하는 것이므로, 텍스트도 늘 가변적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 면, 이러한 가변성 속에서 발화자는 그때그때 그 맥락에 맞는 기법을 통해 텍스트를 구연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발화자가 그 현장을 어떻게 인식하 는가 하는 점이다. 62) 같은 사람이 같은 이야기를 하더라도 이야기가 똑같 60) 송효섭, 구술문학과 기호학, 구비문학연구 13집, 2001, pp.8-10. 61) 페리노들먼, 김서정 옮김,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2, 시공사, 2001, pp.474-475. 62) 송효섭, 구술문학과 기호학, 구비문학연구 13집, 2001, p.11. - 32 -
을 수는 없다. 기억력의 차이도 있지만, 말하는 상황에 따라 말하는 내용 의 차이는 존재한다. 구술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일회적이다. 한 번 입에서 나온 이야기는 허공 속으로 사라져버린다. 물론 듣는 사람의 기억에 존재 하겠지만, 모든 것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는 없다. 따라서 구술하는 자는 들은 이야기를 완벽하게 되풀이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기본 틀만 갖춘 채 약간의 차이를 가지게 된다. 예전에는 귀로 듣는 것과 눈으로 보고 읽는 것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책에 쓰여진 얘기는 단지 입으로 얘기할 것을 그대로(조금은 문어체( 文 語 體 )로 바꿔서) 문자로 고정시켜 놓았다는 것뿐이었다. 우리 아동문학의 초 창기에 활동했던 방정환이 훌륭한 동화구연가( 口 演 家 )였다는 것, 그리고 옛이야기를 글자로 옮겨 써서 책으로 만들어 내는 일을 하였다는 것은 결 코 우연한 일이 아니다. 63) 같은 이야기라 할지라도 구술문학인 설화가 현장에서 구술하기 쉽도록 기억하기 쉽게 가장 기본 뼈대만 유지한 채 다양한 플롯을 만들어 왔다면, 기록 문학인 동화는 이야기된 설화를 말하는 것처럼 적어놓았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글 속에 들어와서는 작가의식과 시대정신에 따라 구체화되 면서 좀 더 다양하고 복잡한 전개가 펼쳐진다. 설화는 사건 중심으로 단순하게 이야기를 진행하여 풍경묘사나 인물묘사 가 거의 없는데 비해, 동화는 풍경에 대한 묘사나 인물의 묘사가 많고, 사 건도 설화에 비해 복잡한 편이다. 설화가 이러한 특성을 갖는 것은 설화가 기록문학인 동화와는 달리 말로 존재하고, 말로 전달되고, 말로 전승되는 구술문학이기 때문이다. 인물에 대한 묘사만이 아니라 인물의 성격도 다양해진다. 설화에서는 천 편일률적인 인간상의 모습을 보이던 것들이 동화에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63) 이오덕, 어린이를 지키는 문학, 백산서당, 1984, p.10. - 33 -
다양한 양상을 띠어 상상의 인물들, 현실의 인물들이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가게 된다. 동화 속에서 세밀해진 묘사로 인물들은 작품 속에 서 구체성을 띠어 어린이들이 실제로 살아 있는 인물로 여기게끔 인물의 성격이 더 명확해진다. 구술문학 연구가 기록문학 연구에 대해 갖는 의의는, 창조자와 수용자 사이에 존재하는 문학작품의 의미를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생생하게 밝혀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구술문학 연구의 의미를 밝히기 위 해서 이야기하는 사람은 ꡐ누구ꡑ이고, ꡐ누구에게ꡑ이야기를 하며, ꡐ어 떤 이야기ꡑ를 하고, ꡐ왜ꡑ 이야기를 하며, ꡐ어떻게 이야기 하는가?ꡑ라 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64) 한 편의 이야기가 전해지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은 이야기를 하는 사람과 또한 그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다. 이야기는 이렇게 화자와 청중이 자리를 함께 하면서부터 시작되기에, 우리는 이때 그 화자와 청자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이야기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이 야기를 하는 사람과 그것을 듣는 사람이 누구인가에 따라 이야기 전달 상 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말 해 주며, 이야기를 듣는 사람과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상황에 따라 입장이 바뀔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 누구인가에 따라 같은 이야 기도 다르게 전할 수 있다.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 어린이일 때에는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의 수준과 흥미에 맞게 이야기를 전하는 것은 당연한 일 이다. 어린이의 이해 수준에 맞추어 어린이들이 흥미 있어 하며, 그 다음 에 무엇이 올 것인가 기대치를 부여하며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이야기는 전승되고 변형되어 왔으며, 이것이 전래동화로 전해지게 된 것이다. 64) 이인경, 화자의 개성과 설화의 변이 : 금산군 진산면 여성화자 최순애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2, p.18. - 34 -
이런 전래동화가 정착되면서 기록 문학인 동화에 와서는 설화와 다른 표 현기법을 지니게 된다. 동화에는 어린이들의 흥미에 맞는 소재(개성 있는 주인공이나 배경, 사건)와 그들의 이해수준에 맞는 단순하고 어렵지 않은 어휘, 자연스러운 문체, 플롯의 단선적인 진행, 극적 긴장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짧은 분량, 주의를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선명한 대조와 강렬한 심상, 반복되는 이야기 형식 등 65) 을 갖추게 됨은 당연한 일이다. 구술되던 설화가 기록문학인 동화로 들어 와서는 어린이에 맞는 동화로 써 요구되는 요건인 흥미로운 소재, 권선징악적인 주제, 이해하기 쉬운 어 휘의 플롯의 단선적 진행, 긴장감을 유지하면서 줄거리 기억이 용이할 정 도의 짧은 분량, 주의를 집중하도록 하는 선명한 대조와 반복, 그리고 권 선징악적 주제, 행복한 결말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이야기 의 형식과 주제면 모두에서 가장 전형적인 동화의 모습으로 전해지게 된 다. 따라서, 그 때 그때 연행 상황에 따라 이야기가 바뀌어 전해지게 되고, 이야기를 전하는 사람에 따라 약간의 변형이 생긴 각편이 존재하여 구술되 던 설화가 동화로 점차 변모를 갖게 된다. 설화가 구술되면서 다양한 변이 양상을 거쳐 여러 모습으로 오늘날까지 전승하여, 동화라는 새로운 형식으 로 탈바꿈 해온 것을 찾아 그 양상을 찾는 일만으로도 가치 있는 작업이 다. 구술문학인 <나무꾼과 선녀> 설화가 기록문학인 동화에 어떤 영향을 주 었고,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설화와 동화의 영향관계와 차이점을 플롯 (plot), 인물, 표현기법 면에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65) 이인경, 화자의 개성과 설화의 변이 : 금산군 진산면 여성화자 최순애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2, p.28. - 35 -
Ⅲ. <나무꾼과 선녀> 설화 분석 3.1 플롯(plot) 분석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아름다운 금강산을 배경으로 하여, 초자연적 신 성( 神 聖 ) 존재인 선녀와 가난하고 순박한 나무꾼이 하늘과 땅을 오르내리 며 사랑을 나눈다는 이야기이다. 이 설화는 백조 처녀(Swan maiden) 란 이름으로 호주를 제외한 전 세계에 걸쳐서 폭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나무꾼과 선녀>, <선녀와 나무꾼>, <선녀와 수탉이 된 총 각>, <사슴을 구해준 총각>, <노루와 나무꾼>, <수탉의 유래>, <뻐꾸기의 유래>, <은혜갚은 쥐>, <쥐에게 은혜 베풀어 옥황상제 사위 된 이야기> 등 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지며, 전국에 걸쳐서 널리 전승되고 있다. 지금까지 조사 보고된 각종 설화집류에 140여 편이 수록되었으며, 이 설 화는 각편에 따라 나무꾼이 두레박을 타고 하늘에 올라가 처자를 만나 잘 살았다는 행복한 결말을 보이는 것과 하늘에 올라갔던 나무꾼이 지상에 두 고 온 어머니 또는 친척이 보고 싶어 다시 지상에 내려왔다가 선녀가 내린 금기를 깨뜨려 재승천하지 못하고 죽어서 수탉이 되었다는 비극적 결말을 보이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서 엄청난 변이를 보이고 있 다. 66) 이렇게 한 편의 설화가 다양한 변이를 보이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다 양한 연행의 과정을 거쳐 온 구술문학이기 때문이다. 한 편의 설화가 어떠 한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많은 각편들의 유형은 어떠하며, 각편 들에 전해지는 전승자의 의식 또한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 66) 배원룡,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 집문당, 1993, pp.13-14. - 36 -
이지만, 본고의 주요한 목적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가 현대의 동화에 어 떤 모습으로 어떻게 수용되고, 변형을 가져왔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검토해보 고, 그 중에서 하나의 유형을 선택하여 동화와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하겠 다. 본고에서는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여러 유형 중에서 ꡐ나무꾼 천상 시련 극복형ꡑ에 대해서 논의하려 한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동화에서는 <나무꾼과 선녀>의 유형 중에 ꡐ나무꾼 천상 시련 극복형ꡑ이 가장 유사한 관련을 가진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내용을 살피기 위해 남녀 주인공의 공간 이동 및 시련 극복 양상을 중심으로 단락을 정리하여 순차적 구조에 의한 사건 전개 과정을 단락 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나무꾼의 지상 생활 : 나무꾼이 사슴(노루) 구해주고 사슴으로부터 보은을 받았다. 2) 선녀의 지상 하강 : 날개옷이 없어 못 올라간 천상의 선녀가 지상에 서 나무꾼과 결혼하였다. 3) 선녀의 승천 : 옷을 주지 말라는 사슴(노루)의 금기를 나무꾼이 어기 어 선녀는 자녀를 데리고 하늘나라로 올라갔다. 4) 나무꾼의 승천 : 나무꾼은 사슴(노루)의 도움을 받아 하늘나라로 올 라갔다. 5) 나무꾼의 천상 시련 극복 : 하늘나라에서 온갖 시련을 극복하고 처자 와 함께 행복하게 살았다. 6) 나무꾼의 지상 회귀 : 나무꾼은 지상의 가족이 그리워 천마를 타고 하강하였다가 말에서 떨어져 죽거나, 죽어서 수탉으로 환생하였다. 6 ) 나무꾼과 선녀의 동반 하강 : 나무꾼과 선녀가 동반 하강하였다. 7) 나무꾼의 시신 승천 : 선녀는 아들을 시켜 나무꾼 시신을 하늘로 옮 - 37 -
겨 장사지냈다. 여기서 단락 1)은 공간 이동이 나타나지 않은 기점 상황으로서 나무꾼 의 지상 생활 을 나타낸 단락이고, 단락 2) 7)는 남녀 주인공 선녀와 나 무꾼의 공간 이동 및 시련 극복 양상이 나타나는 단락들이다. 이러한 단락 들은 설화의 각편에 따라 결합되어 다양한 유형 67) 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의 특징은 선녀가 하늘에 올라가는 유형인 ꡐ선녀 승천형 ꡑ에 나무꾼과 선녀가 하늘과 땅으로 공간 이동을 하고, 시련을 극복하는 단락이 하나씩 덧붙으면서 새로운 유형을 이룬다는 점이다. <나무꾼과 선 녀> 설화에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의 파생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다 양한 변인들이 생겨났을 것으로 추측된다. 선행 연구의 성과를 검토해 보면, 대략 ꡐ선녀 승천ꡑ, ꡐ나무꾼 승천 ꡑ, ꡐ시련극복ꡑ, ꡐ지상 회귀ꡑ의 네 가지 유형으로 귀결된다. 68) 여러 화자에 의해서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지역에서 같은 뼈대를 가지고 있는 이 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1) 나무꾼이 외롭게 살고 있다가 쫓기는 사슴(노루)을 구해 주고, 그 대 가로 선녀와 결혼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 2) 나무꾼은 사슴(노루)의 말대로 목욕하러 내려 온 선녀의 옷을 숨겨 선녀와 결혼하여 행복하게 산다. 3) 나무꾼은 선녀의 날개옷을 아이 몇을 낳을 때까지 돌려주지 말라는 67)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선녀 승천형, 나무꾼 승천형, 나무꾼 천상 시 련 극복형, 나무꾼 지상 회귀형, 나무꾼과 선녀 동반 하강형, 나무꾼 시 신 승천형 등 다양하게 변이되어 전한다. 68) 우현주, <선녀와 나무꾼> 설화의 욕망층위와 그 교육적 의미, 건국대 석 사학위논문, 2003, p.11. - 38 -
사슴(노루)의 금기를 어기고 선녀에게 옷을 보여주자, 선녀는 아이들을 데 리고 승천한다. 1), 2), 3)의 내용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기본 틀거리가 되는 내용 이다. 약간의 첨삭은 있을지언정 기본 토대는 변하지 않는다. 각편들은 다 양한 변이형들을 두고 있어 결말이 다른 유형을 보이기는 하나, 그것이 오 히려 설화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여 기록문학으로서의 변이과정을 다양하게 하는 효과를 거둔다. <나무꾼과 선녀>설화는 나무꾼과 선녀가 하늘과 땅의 공간을 이동함에 따라 그들의 신상에 변화가 일어나고, 그 신분상의 변화에 따르는 여러 사 건들이 설화를 풍부하게 만든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행복 추구란 인 간의 공동 심성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각인의 다양한 의식을 여러 유형으로 수렴하여, 오늘날에도 생성 변화해 가는 유기체적인 구술 문학으로서 문학 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69)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나무꾼과 선녀> 설화 중에서 ꡐ나무꾼 천상 시 련 극복형ꡑ인 설화 70) 를 중심으로 행위 단락을 중심으로 나누어 보면 다 음과 같다. 1) 가난한 나무꾼이 홀애비 신세로 산 속에서 외롭게 산다. 2) 나무꾼은 부뚜막에서 발견한 생쥐 한 마리에게 조밥을 주어 같이 살 69) 배원룡, 앞의 책, pp.48-160 참고. 70)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한국구비문학대계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 국구비문학대계1-4, 정화인쇄문화사, 1981.)중 [남양주군 와부읍 설화 22]를 기본 자료로 채택하였다. 구술되던 설화의 모습을 오늘날에는 기록된 문학 형 식으로 볼 수밖에 없지만, 위 자료가 구술적인 면모를 그나마 잃지 않고 유지 된 자료라 판단하기에 <나무꾼과 선녀>의 기본 자료로 선정하였다. - 39 -
다가, 죽은 생쥐를 잘 묻어 묘를 써 주었다. 3) 나무꾼은 포수에게 쫓기는 노루를 구해 주고, 그 대가로 노루가 선녀 와 결혼할 수 있는 방도를 알려주어 선녀와 결혼한다. 4) 나무꾼은 자식을 셋 낳기 전에는 선녀에게 옷을 보여주지 말라고 했 던 노루의 말을 어기고 선녀에게 숨겼던 옷을 보여준다. 5) 선녀는 아이들을 데리고 승천한다. 6) 나무꾼은 노루의 도움으로 두레박을 타고 승천하여 선녀와 아이들을 다시 만난다. 7) 나무꾼은 선녀와 쥐의 도움으로 천상에서 여러 가지 시련을 극복하고 처자와 함께 행복하게 산다. 이야기를 끌어가는 인물의 기능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결핍 2) 은혜 3) 결핍해소 4) 금기와 금기 위반 5) 금기의 결과 6) 결핍에서 탈출 시도 7) 시련 극복 ꡐ나무꾼 천상 극복형ꡑ설화는 나무꾼 승천형 설화의 기본 구조에다 가 천상에서의 여러 가지의 시련을 극복하여 주인공이 행복한 결말을 얻는 구조를 더하여 이루진 설화이다. 이 설화는 가난한 나무꾼이 우연하게 행 한 착한 행위와 그에 대한 보은( 報 恩 )으로 결핍이 해소되지만, 설화 속 나 - 40 -
무꾼이 행복한 결혼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제공한 금기를 위반 하여 시련을 극복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전에 깊은 산중에서 홀애비가 화전이나 일구구 먹구 땔나무나 해 때구 이렇게 사는데, 이렇게 총각으루 지내기를 갖다고 멫 십 년 지내구 보니깐두 루, 좀 하연한 생각두 많이 나죠.( 한국구비문학대계1-4, p.707) <나무꾼과 선녀>설화에서의 나무꾼은 ꡐ가난ꡑ과 ꡐ가족이 없는ꡑ부재상 황에 놓인다. 하지만, 나무꾼은 두 가지 결핍 상태에 처하지만, 이 중에서 ꡐ가족이 없는ꡑ외로운 상태로 지내는 가족의 부재만이 두드러질 뿐이다. ꡒ부재(absentation)ꡓ는 필수적 기능(그것은 항상 일어난다)이다. 그리고 이 ꡒ부재ꡓ는 주인공이 집을 떠나거나, 그의 가족이 그를 버리거나 그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거나 할 때 발생한다. 그런데 이런 경우에는 주인공 의 시점에서 본다면 ꡒ부재 는 발생한 것이다. 71) 나무꾼은 깊은 산중에 서 홀애비로 사는 외로운 존재이다. 이런 나무꾼이 장가를 못 간 것은 그 의 빈천한 처지 때문이므로 이 둘은 분리되기 어려울 만큼 중요한 결핍이 다. 그러나 노루의 보은 내용은 한결같이 ꡐ결연ꡑ에 초점이 맞혀져 있고 나무꾼 자신도 가난을 벗어나려는 생각보다는 ꡐ결연ꡑ에 대한 소망만을 피력하고 있다. 따라서 나무꾼의 최대 결핍 요소는 ꡐ결연ꡑ에 있다 72) 고 할 수 있다. 부모 없고, 시집 올 여자 없고, 그래서 산 속에서 외로이 지내는 처량한 홀애비 신세인 나무꾼에게 가족의 존재는 갖추어져야 할 제일 첫 번째의 71) 에릭 S. 라브킨, 공간형식과 플롯, 김병욱 편, 최선규 역, 현대 소설의 이론, 대방출판사, 1984, p.230. 72) 우현주, <선녀와 나무꾼> 설화의 욕망층위와 그 교육적 의미, 건국대 교 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3, pp.19-20 참고. - 41 -
조건이다. 우연히 찾아온 생쥐 한 마리에게 애정을 느낄 정도로 나무꾼은 가족의 품이 그리운 인물이다. 그러자 하루는 그 조밥이나마 여끓일래니깐 생쥐새끼가 부뚜막에 왔다 갔 다 허거덩. 그래 인제 그거를, 애 니 너두 그래두 인생이라구 나한테 그래두 온 거 보니깐 나한테 뭘 읃어 먹으러 온 거 겉은데 그래 인제 그걸 한 숫갈- 조밥을 한 숫갈 주니까 참 먹구, 아 이겟이 몇해 자라구 보니깐 두루 뭐 엄청나게 쥐가 컸죠. 그래 인제 그게 정이 들어가주 구선 으레 아주 한 이불 속에서 자다시필 허구 이러는데, 하루는 땔나물 갔 다 오믄 바깥에꺼정 마중을 나와요, 이 쥐가. [청중:쥐가?] 네, 그래 나와서 이걸 참 거식허는- 그 그렇게 순 허다 어 어떡하다 이놈을 밟어서 그만 죽 었구려. 이제 땔나무 한 잔뜩 질머진 데다 그래 밟어 죽었으니 죽었으니 깐, 그래두 이걸 내가 내 생각을 해두 이거 좋은 데다 갖다 묻어 줘야겠 다. 가만히 올라 가다, 이 산을 쥐를 지게에다 짊어지구 올라가다 보니 깐두루, 질번드르르 금잔디가 깔린, 기가 맥힌 거기다 떡 모일 써 줬다 이거 야. ( 한국구비문학대계1-4, p.707) 외로운 홀애비에게 마중까지 나올 정도로 애정을 표시한 쥐에게 나무꾼 은 지극한 정성을 다 보인다. 어떡하다 생쥐를 밟아 죽이기는 했지만, ꡐ 질번드르르 금잔디가 깔린ꡑ곳에도 묘를 써 주고 정성을 다 해 생쥐를 묻 어 주는 나무꾼은 깊은 산중에서 홀애비로 지내는 외로운 생활을 지내면서 도 동물에게까지 애정을 쏟는 정이 많은 인물이다. 쥐가 죽은 뒤, 또 다시 외로운 생활을 지내게 된 나무꾼에게 가족을 얻 을 방법을 알려준 것은 나무꾼이 포수에게서 구해 준 노루이다. 노루는 나 무꾼에게 목욕하러 온 선녀를 아내로 삼는 방법을 알려 준다. 노루에게서 방법을 들은 나무꾼은 목욕하러 온 선녀의 옷을 몰래 훔치고 하늘나라에 - 42 -
올라가지 못한 선녀를 자신의 아내로 삼아 가족의 부재 상황을 극복한다. 하지만, 설화에는 항상 금기 사항이 존재한다. 얻은 대가를 유지하기 위 해서 지켜야 할 금기가 존재하는 것이다. 승천형에서건 하강형에서건 <나 무꾼과 선녀>설화에서 나무꾼이 금기를 위반하는 원인은 방심에서이다. 아내와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금기는 아내를 너무 믿어 방심함으로써 깨지 게 된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나타난 금기는 아이를 셋 낳을 때까지 날개옷을 절대 내주지 말라는 것이다. 이것은 결혼생활이 파탄에 이르지 않고 유지 되기 위해서는 아이를 셋 낳는 동안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이 금 기 사항은 천상의 세계에 속하는 선녀와 지상의 세계에 속하는 나무꾼이 결혼을 해서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 지켜야하는 시간인 것이다. 하지만, 나무꾼이 아내를 믿고 방심하여 날개옷을 준 사이에 선녀는 뒤 도 돌아보지 않고 두 아이를 데리고 하늘나라로 올라간다. 나무꾼이 지켜 야 할 금기를 위반한 결과는 가족의 부재 사항이라는 결핍이다. 다시 노루의 도움으로 나무꾼은 두레박을 타고 천상으로 올라간다. 쥐와 선녀의 도움으로 천상에서 시련을 극복하여 행복을 갖게 된다. 인간적인 삶을 살아가는 가난하고 비천한 신분의 총각이 천상적( 天 上 的 ) 존재인 구원자(선녀)와 결혼하고 집을 갖게 되는 것은 모든 것이 결여된 상태를 초월하여 사회적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지는 욕구를 달성한다는 의미 가 들어 있다. 총각이 하늘로 올라간다는 것이 바로 신분 상승욕의 성취를 말하는 것이다. 천상에 올라가서도 아내와 살기 위해서는 방해자인 천인 ( 天 人 )과 여러 가지 대결을 벌이게 된다. 그때마다 총각은 그의 구원자인 아내의 도움을 받아야만 버텨낼 수 있었다. 73) 73) 임영옥, 변신 모티프의 현대적 의미 : 면담과 현대 소설의 연계성을 중심 으로, 서강대 석사학위논문, 2000, p.39. - 43 -
이 설화는 ꡐ결핍 은혜 결핍해소 금기와 금기 위반 금기의 결과 결핍에서 탈출 시도 시련 극복 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결핍, 해소와 금기와 위반,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는 나무꾼 천상 시련 극복형 설화이다. 3.2 인물 분석 3.2.1 나무꾼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결핍 은혜 결핍해소 금기와 금기 위 반 금기의 결과 결핍에서 탈출 시도 시련 극복 의 구조를 갖추 고 있다. 나무꾼은 자신의 ꡐ결핍ꡑ을 해소하기 위해 ꡐ탈출 시도ꡑ를 하 게 된다. 자신의 처지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시련과 고난을 극 복해야 결핍을 해소할 수 있다. 주인공에게는 자신이 처한 결핍을 극복할 의외의 기회가 찾아온다. 그래 서 고난이 있으면, 예기치 않은 행운으로 이전보다 더 행복해지게 되고, 또 모든 것을 일시에 잃는 고난이 닥치면, 다시 행운을 얻어 더 큰 행복을 맞게 되는 반복구조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실적 어려움이 쉽게 극복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반복이며, 이러한 고난이 ꡐ행운ꡑ으로 해결되는 것은 그만큼 사람의 일이 사람의 힘으로 온전히 인식하고 제어하 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74) 그리고 그런 행운을 얻는 것은 나무꾼의 품성 덕분이다. 나무꾼의 행운은 우연히 길을 가다가 횡재한 경우가 아니 라 나무꾼의 착한 성품과 그동안의 착한 삶에 대한 보상차원이다. 그렇다 74)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새문사, 1980, pp.135-136. - 44 -
면 이 설화는 현실의 고난을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것임을 인식하는 사람 들의 생각이 반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성실하고 바른 품성의 사람이 복 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투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75) 부뚜막에 들어 온 조그마한 생쥐 한 마리에게 조밥을 주고, 포수에게 쫓 기는 노루를 숨겨 주는 착한 성품이 나무꾼에게 결핍된 요소를 충족시키 고, 고난을 당했을 때 해결할 수 있는 보은의 덕을 얻게 된다. 먼저 나무꾼의 처지를 살펴보면, 나무꾼은 ꡐ화전이나 일구구 먹구 땔 나무나 해 때ꡑ는 ꡐ깊은 산중에서 홀애비ꡑ로 지내는 외로운 신세이다. 여기에서 한 가지 확인할 것은 나무꾼에게 결핍의 요소는 ꡐ가정ꡑ과 ꡐ 부( 富 )ꡑ, 두 가지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무꾼은 가난한 자신의 처지를 비 관하기보다는 ꡐ가정ꡑ을 갖지 못하는 것을 더욱 한탄하고 있다. 자신의 가난 때문에 ꡐ가정ꡑ을 갖지 못한 것이지만, 나무꾼은 가난이 문제가 아 니라 ꡐ가정ꡑ 그 자체가 문제시된다. 나무꾼에게 결핍된 요소가 두 가지 이기는 하지만, 나무꾼의 결핍 중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ꡐ가정ꡑ의 결핍 문제이다. 76) 천성적으로 마음씨가 착한 나무꾼은 나무하던 도중에 포수에게 쫓기는 짐승 77) 을 숨겨 목숨을 구해준다. 이러한 나무꾼의 신분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 계기는 물론 ꡐ노루ꡑ와의 만남이다. 그러나 나무꾼이 노루를 만났어 75) 우현주, <선녀와 나무꾼> 설화의 욕망층위와 그 교육적 의미, 건국대 석 사학위 논문, 2003, p.18. 76) 우현주, 위의 논문, p.32. 77)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주로 등장하는 동물은 사슴과 노루이다. 이것은 두 동물의 외형상의 유사점 때문에 전승자들이 혼동해서 생긴 변이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본텍스트인 한국구비문학대계1-4 에 수록된 [남양주군 와부읍 설화 22](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1-4, 정화인쇄문화사, 1981.) 에 나와 있는 대로 ꡐ노루ꡑ로 통일해서 언급하도록 하겠다. - 45 -
도, 노루를 꼭 구해주라는 법은 없다. 일반적으로 생각해 보아도, 가난한 처지의 나무꾼으로서는 ꡐ노루 이란 그 자체로 엄청난 행운일 수 있는 것 이다. 그런 행운을 포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더 큰 행운을 잡을 수 있게 된 것이지만, 만약 나무꾼이 보통 사람들과 같은 사고방식을 가졌다면, 분명 포수에게 쫓기는 노루를 못 본 척 했거나, 오히려 자신의 어려운 살 림에 노루를 보태려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나무꾼에게 의외의 행운이 오 게 되는 계기는 사실 나무꾼의 성실한 삶과 착한 심성 때문이다. 나무꾼은 혼자 먹기에도 부족한 식량을 ꡐ쥐ꡑ와 나눠 먹으며, 포수에게 쫓기는 ꡐ노루ꡑ의 부탁을 선선히 도와주는 사람이다. 그 결과 나무꾼은 자신이 베푼 은혜로 인해 복을 받아 꿈에도 볼 수 없었던 천상의 선녀와 결연하게 된다. 그런데 나무꾼은 자신에게 굴러들어온 복을 지킬 만큼 영악하거나 영리 하지 못한 어수룩한 인물이다. 결국 노루의 당부도 잊고 선녀의 애원에 못 이겨 선녀의 옷을 내 준 것이다. 사실 나무꾼의 어리석음도 선녀를 믿고 의지한 결과다. 그러나 함께 사는 내내 옷을 달라고 하는 선녀의 마음을 짐작조차 하지 못한 사실은 결국 나무꾼의 무르고 착한 심성과 어수룩한 면을 동시에 보여준다. 그런데 이런 어리석은 행동을 해서 자신의 복을 차 버린 나무꾼에게 행운은 계속 된다. 이런 행운은 나무꾼이 지상에서 보여 준 선행의 결과로 ꡐ착한 사람이 복을 받는ꡑ옛이야기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3.2.2 선녀 나무꾼은 노루가 말한 대로 목욕하러 나온 선녀의 옷을 숨겨 결국 선녀 를 아내로 삼는다. 나무꾼은 선녀가 아이 둘이나 낳았으니 선녀도 이제 하 - 46 -
늘에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날개옷을 선녀에게 보여준다. 그러 나 날개옷을 받자마자 돌변하는 선녀의 태도나 옷을 달라고 매번 성화를 하는 선녀를 보면, 선녀가 과연 나무꾼처럼 결혼 생활에 만족해했을까 하 는 의문이 생긴다. 선녀는 아이 둘을 낳을 동안 함께 산 남편이면서도 날 개옷을 보자마자 남편 몰래 아이들을 데리고 하늘에 간다. 선녀가 남편 때 문에 하늘에 올라가는 것을 주저하거나 망설이는 이본( 異 本 )은 한 편도 없 다. 이를 볼 때, 선녀가 나무꾼과 살면서 나무꾼처럼 지상 생활에서 만족 한 삶을 살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언제나 선녀는 자신의 고향인 ꡐ 하늘ꡑ로 돌아가기만을 꿈꾸었다는 사실도 아울러 알게 된다. 여보 이젠 내가 갈 갈래야 갈 수두 없구 꼼짝달싹 못해. 그러니깐 이마 큼 자식을 나줬 나놨는데 내가 인제 어딜 가겠수? 이마큼 만당 겉은 개와집 이서 우리가 둘이 인젠 살믄 그걸루 끝나는 건데 내가 어딜 가느냐? 구. 인제 그 때 옷을 달래는 거야. 그래 가주구 그 독주를 대구 이늠을 그냥 그저 그래 그래 그래. 이 정도루쯤 됐단 말야. 거기에 호강해 인제 뭣허니깐두루, 인제야 설영 니가 가렴? 그때 줬다 그거지. 그 주구나니깐두루 이늠이 독줄 잔뜩 먹구 난 뒤에 잠을 자구 깨 보니깐 이 바우 꼭대기두 없네, 이런 제기 아무 것두 없구 허사야. 그 벌써 앨 양쪽에다 겨드랑에 끼구선 올라갔다 이거야.( 한 국구비문학대계1-4, p.709) 선녀가 지상에서 살면서 갖는 소원은 ꡐ날개옷ꡑ을 보는 것이다. 그 소 원이 성취되자마자 남편인 나무꾼을 버리고 천상으로 올라간다. 하지만, 올라갈 때에는 자신의 아이를 양팔에 안고 주저하지 않고 하늘로 올라간 다. 지상에서의 선녀는 남편에 대한 사랑을 보이지 않는다. 하늘로 올라가 는 출구를 잃어버린 선녀는 오로지 날개옷을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지 - 47 -
상에서의 삶을 누린 것이다. 그러나, 천상으로 올라가면서 아이들만은 데 리고 간 것을 볼 때, 선녀의 모성애를 엿볼 수 있다. 졸지에 자신의 가족을 잃어버린 나무꾼은 다시 노루의 도움을 받아 하늘 로 올라간다. 그 날 참 두레박이 내려와 물을 좍 올려가는 판에 두레박을 내려 좍 올 라가는 판인데, 타구서 이늠이 올라갔단 말야. 이 민간인이 왔다구, 그냥 거 기서 그냥 큰 사우 둘째 사우 뭐 이것들이 괄세를 허구 말이지, 장인 장모가 괄세를 허구 헹편 없단 말야. 그래, 저기 너의 처 보구 싶은 데루 한 번 가 봐. 저 저. 이렇게 일러줘서 가니깐두루, 으쩌자구 여길 올러 왔수? 뭘 허러 쫓어 왔냐? 이거야, 응.( 한국구비문학대계1-4, p.710) 하늘나라에 올라간 나무꾼은 자기와 구별되는 천상 존재인 선녀와의 결 혼을 인정받기 위해 여러 가지 시험을 통과해야 했다. 그런데 그에게 부과 된 과제들은 평범한 인간인 그로서는 전혀 해결할 수 없는 과제들이었다. 이런 어려움에 처한 나무꾼을 도와 준 것은 다름 아닌 선녀이다. ꡐ숨바꼭 질 시합ꡑ과 ꡐ금화살 찾기ꡑ시험을 나무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 준 것은 선녀로서, 선녀는 자신을 찾으러 온 나무꾼에게 부부로서의 애정을 보여준다. 선녀는 천상의 존재이면서 주인공인 나무꾼을 도와주면서 나무 꾼의 결핍을 해소시켜주는 중요한 인물이다. 3.2.3 조력자 나무꾼과 선녀의 혼사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나무꾼이 천상의 존재를 얻 - 48 -
을 수 있는 그 무언가가 있어야 하는데 나무꾼은 이러한 징표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지 못한다. 따라서 나무꾼과 선녀 사이에 중개자의 개 입이 필요하게 되고, 그 기능을 노루, 쥐 등의 보조자가 수행하게 된다. 작품 속에서 보조 인물들은 주요 인물들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 한다. 주요 인물에 대한 그들의 태도는 중요하며, 주요 인물들과의 닮은 점과 차이점은 주요 인물의 가장 중요한 특성을 규정해 주는데 도움을 준 다. 78) 먼저 노루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노루(사슴)는 깊은 산 속에서 사는 동물로 선량하고 신령한 모습을 지녔 으며, 크고 예쁜 뿔은 영약(E 藥 )으로 일컬어지고 한다. 또, 신성의 세계 라 할 수 있는 깊은 산 속에서 살고 있어 예부터 신성스런 존재로 여겨 왔 다. 그래서 이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등장할 수 있었을 것이다. 79) 노루는 깊은 산 속에 살고 있으므로 산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알 수 있고, 매일 산 으로 나무를 하러오는 나무꾼과는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다. 이러한 사정 에서 사냥꾼에게 쫓기다가 목숨을 구한 노루가 그에게 보은하기 위해 보조 자로 등장한 것이다. 한국의 민간신앙에서는 자연물, 동 식물 중 영속성( 永 續 性 )과 특이성( 特 異 性 )을 가진 것을 신성시하거나 신으로 생각하여 이들을 제의( 祭 儀 )의 대 상으로 삼기도 하고, 때리거나 훼손하여서는 안된다고 하는 금기가 행하여 지기도 한다. 80) 영속성과 특이성을 가진 존재를 신성시하는 민간의식에서 본다면 신성의 세계라 할 수 있는 산 속에서 살고 있고, 단아한 모습에 신 비스런 뿔을 가진 노루(사슴) 역시 신성스런 존재가 된다. 이러한 시점에 서 사냥꾼에게 쫓기다가 목숨을 구한 노루가 그에게 보은( 報 恩 )하기 위해 78) 박덕은, 한국 현대소설의 이론과 적용, 새문사, 1989, p.57. 79) 최운식 김기창 공저, 전래동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3, p.172. 80)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p.185. - 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