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ion of bcl-2 and Apoptosis and Its Relationship to Clinico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in Breast Cancer - A Study with Long Term Follow-up correlated with the survival rate.(journal of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4;7:92-97) Key Words: Apoptosis, Bcl-2, Breast cancer, Prognosis :, Bcl-2,, Ju Han Lee, Eun-Sook Lee 1, and Chul Hwan Kim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 Center for Breast Cancer, National Cancer Center, Gyeonggi-do, Korea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rognostic roles of bcl-2 and apoptosi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fter long term follow-up,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known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Methods: 88 primary breast cancers were selected between March 1988 and February 1994. These cases were clinically followed up over 10 years (median follow-up 139 months).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bcl-2 protein and apoptosis were studied, and the findings compared to the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such as estrogen receptor (ER), progesterone receptor (PR) and clinical stage. Results: The bcl-2 protein was identified in 42 (47.7%) cases. The bcl-2 express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large tumor sizes, well differentiated tumors, and ER expression.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seen between the apoptosis index and the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The expression of bcl-2 and apoptosi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survival rate. The clinical stage and status of lymph node metastases were correlated with the survival rate, but no other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were correlated. Conclusion: Long term follow-up for breast cancer patient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bcl-2 and apoptosis was not
이주한 외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한 유방암에서 세포자멸사(apoptosis)와 bcl-2 단백질 발현과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 9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방암에서 bcl-2발현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유방암에서 bcl2의 발현은 에스트로겐 수용체(ER) 발현에 영향을 받으 며,(11) p53 유전자에 의해 하향 조절되어 유방암에서 발 현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Bcl-2의 발현 은 ER의 발현과 잘 연관이 되어 유방암에서 bcl-2의 발현 은 종양의 분화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bcl-2발현 과 예후 인자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bcl-2발현이 잘 될수록 액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와 연관이 잘 된다는 보고가 있 는가 하면,(14) 림프절 전이 여부나 다른 예후 인자들과의 상관 관계가 없다는 보고도 있어,(11,15) 유방암에서 bcl-2 가 어떤 의미를 갖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은 상 태이다. 특히 bcl-2및 세포자멸사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이 대 부분 추적기간이 짧고 임상 병기와 같은 다른 예후 인자 들과의 관계를 통해 비교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실제 로 장기 추적을 통해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과 bcl-2 단백 및 세포자멸사 발현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 구는 거의 진행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장 기 추적 관찰을 통하여 bcl-2단백과 세포자멸사 발현이 생 존율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 대상 1988년 3월부터 1994년 2월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침윤성 관암종으로 진단 받고 유방절제술이 시행된 예 중 에서 적출된 종양 조직의 양이 bcl-2 단백 및 세포자멸사 (apoptosis) 검색에 충분한 양의 조직을 얻을 수 있으며 10 년 이상 경과를 추적할 수 있었던 88예를 대상으로 하였 다. 유방암 환자들의 연령, 종양의 크기, 에스트로겐(ER)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발현 여부, 임상 병기 등 기 존의 임상병리학적 예후 인자들에 대한 기록은 임상기록 자료를 이용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 검사 Bcl-2 단백과 세포자멸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은 조직표본을 부착시킨 슬라이드를 구연산 완충액에서 700 wave 마이크로파로 5분간 2회 전처치하고 일차 항체로 bcl-2 단백(Oncogene Science, U.S.A.) 및 Apotag (Oncogene Science, U.S.A.)을 1 20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여 통상적인 avidin-biotin complex (ABC) 방법을 이용하여 면역조직 염 색을 시행하였다. 면역 조직 화학 염색 결과의 판독은 유 방암 세포의 세포질에 전혀 염색되지 않은 경우를 음성으 로, 그리고 유방암세포의 5% 이상에서 세포질에 과립상 또는 미만성으로 염색된 경우를 양성으로 판독하였다(Fig. 2 1). 세포자멸사의 경우, 단위 면적당(mm ) 양성 반응을 보 이는 세포의 수를 세어 세포자멸사 지수(apoptosis index)를 산출하였다(Fig. 1). 3) 통계학적 분석 통계 처리는 Windows용 한글 SPSS version 10.0프로그 램(SPSS Korea Inc., 한국)을 이용하여, 임상병리학적 인자 들과 bcl-2 단백 발현 및 apoptosis와의 관계 분석은 Chisquare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고, 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bcl-2 단백 발현 및 apoptosis 발현 차이는 Kaplan-Meyer test와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값이 0.05 이 하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A Fig. 1.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bcl-2 (A: 100) and apoptosis (B: 100).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