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중국의경기회복에따른건설기계및설비투자수요확대, 아세안신흥국생산인프라및 SOC 투자확대등의요인으로전년대비 5.3% 증가가예상된다. ( 소재산업군 ) 국제유가상승에따른수출단가상승및글로벌수요호조세불구하고, 전년실적호조에따른기저효과로전년대비 5.0% 증가가예상된다. 은신
|
|
- 강희 궉
- 6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2018 년산업전망 년주력산업부문별전망과정책적시사점 < 산업연구원 > 년주력산업부문별전망 (1) 수출은 IT산업군, 소재산업군중심으로 4.0% 의증가전망 11대주력산업의수출은 IT 경기개선과신흥국경기호전에따른신흥국수입수요증가세가유지되면서증가지속이예상된다. 그러나보호무역정책기조가지속되고, 향후유가상승지속여부가불투명해증가세는다소둔화될것으로전망되며, 11대주력산업중조선, 가전을제외한모든산업에서증가세가예상된다. ( 기계산업군 ) 조선은선박인도물량이크게줄면서큰폭의감소가예상되는반면, 자동차와일반기계는소폭의증가에그쳐전년대비 7.1% 하락할전망이다. 자동차는중동, 러시아, 중남미등신흥국가의경기회복으로수요증가가예상되며, 국내업체의현지생산증가로부품수출도증가세전환되고, 수출단가상승지속으로전년대비 4.4% 증가가예상된다. 조선은상선인도물량의지속적감소, 고가생산설비해양플랜트의통관완료등부정적요인으로전년대비약 39.8% 큰폭의감소가예상된다. 일반기계는최대수출국인미국, 자동차 (11.6) 조선 (4.1) 일반기계 (8.3) (5.4) 석유화학 (8.1) -0.5 섬유 (2.3) 가전정보통신 (1.4) 기기 (5.5) (4.7) (19.9) (0.8) 주 1) 달러표시가격기준, ( ) 은 2018 년총수출대비점유율전망 2) 자동차는자동차부품포함 (MTI 741, 742), 일반기계는사무기기 (MTI 714) 와광학기기 (715) 제외기준 < 그림 1> 2018 년주요산업별수출증가율전망 172
2 유럽, 중국의경기회복에따른건설기계및설비투자수요확대, 아세안신흥국생산인프라및 SOC 투자확대등의요인으로전년대비 5.3% 증가가예상된다. ( 소재산업군 ) 국제유가상승에따른수출단가상승및글로벌수요호조세불구하고, 전년실적호조에따른기저효과로전년대비 5.0% 증가가예상된다. 은신흥국중심의수요의안정적증가, 국제가격안정세유지, 고급기능성강판의수출비중상승 에따른수출구조개선등으로전년대비 1.7% 증가가예상된다. 석유화학은글로벌경기호조및유가상승에따른수출단가상승세지속, 아세안국가로의수출규모확대에힘입어전년대비 8.3% 증가할전망이다. 섬유는글로벌경기의안정적성장에따른선진권의의류소비회복세및봉제생산국의의류수출증가에따른한국산섬유소재수요확대로전년대비 1.8% 증가세전환이예상된다. 증감률 (%) 상 하 연간 수출증감주요요인 호조 석유화학 일반기계 D 램단가안정세, 낸드플래시단가상승세지속 - 글로벌시장수요증가및공급부족현상지속 - 글로벌경기호조세유지 - 아세안시장수입수요증가 - 수출단가상승세유지 - 최대수출국미국, 유럽, 중국의건설기계및설비투자확대 - 인도, 베트남등신흥국 SOC 투자확대 - 주력수출시장으로부상한아세안, 중동등수출확대지속 - 소재가공무역수출지속증가 - 수출품목다변화 양호 자동차 정보통신기기 중남미, 중동등신흥시장경기회복 - 신흥시장국내업체들의현지생산증가로부품수출증가 - 수출단가상승지속 - 프리미엄신제품출시확대 - SSD, 제품고급화에따른핵심부품중심수출개선 - 고사양화등수출단가상승추이 - OLED 수출호조 - 중국 LCD 패널 8 세대이상생산라인가동확대, 삼성 /LG 의중국패널공장생산확대로수출확대제약 섬유 중국등신흥국수출시장수요회복, 글로벌경기안정적성장에따른섬유수요확대 부진 ( 감소세전환 ) 조선 신흥국중심의수요의안정적증가 - 국제가격안정세유지 - 고급기능성강판의수출확대 - 고가생산설비해양플랜트통관완료등상선인도물량의지속적감소 - 수주잔량감소로선박건조물량대폭감소 부진가전 국내업체의베트남, 미국등해외생산확대 - 한국산가전부품수요감소 - 수출단가하락압력 - OLED TV 등신제품수출확대로수출감소세둔화 < 표 1> 2018 년 11 대주력산업의수출전망주요요인
3 수출증기율 화학 (26.1, 22.9) 6.0 일반기계 4.0 자동차 통신기기 2.0 섬유 조선 (-31.8, 39.8) 가전 생산증가율 < 그림 2> 2018 년주요산업별수출및생산증가율전망 (IT산업군) IT 제품의고도화와 IT 부품의수요산업확대등 IT산업전반적인업황개선요인으로전년대비 13.9% 증가가예상된다. 는 D램단가가안정세를보이는추세이나, 수요는지속확장되는반면, 공급확장은제한적으로공급자주도형생산량조절을통한경쟁력우위로수출호조세는지속되어전년대비 22.9% 의높은증가가예상된다. 의수출실적이단일품목으로사상처음으로 1,200억달러에달해최대의실적을기록할것으로전망되면서수출비중및무역의존도는지속적으로상승할전망이다. 2018년수출을제외하면우리의총수출은전년대비 1.8% 감소세로전환될전망이며, 의수출비중은 2017년 17.0% 에서 2018년 19.9% 로상승할전망이다. 는 OLED의높은수출증가에도불구하고국내기업의 LCD 출하량감소, 중국기업들의 8세대이상생산라인가동확대, 국내업체의중국패널공장생산확대등수출제약으로전년대비 2.1% 증가가예상된다. 정보통신기기는전년실적부진에따른기저효과와프리미엄신제품출시확대, SSD 및제품고급화에따른핵심부품중심수출개선등으로전년대비 3.2% 의증가세로전환된다. 가전은 OLED TV, UHD TV와 IoT 가전등의초프리미엄신제품의해외수요증가가예상되나, 수출단가하락과해외생산확대의부정적요인이우세하여전년대비 9.8% 감소할전망이다. 는주력수출시장으로부상한아세안, 중동등신흥시장의유지류및조미김등주력제품의수요확대, 원자재 1차가공제품수출증대등에힘입어전년대비 4.7% 증가할전망이다. (2) 생산은수출및내수동반증가로조선,, 를제외한부문에서확대예상된다. 2018년 11대주력산업생산은신흥시장수요가늘어나수출증가가예상되고, 신규공장가동및기존설비증설로생산량이증가하는가성장을견인할전망이다. 174
4 자동차 조선 일반 기계 섬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 통신기기 주 : 자동차는완성차, 조선은건조량, 은재, 석유화학은 3 대유도품기준이고, 여타업종은금액기준 < 그림 3> 2018 년주요산업별생산증가율전망 ( 기계산업군 ) 자동차는내수및수출이소폭상승할것으로예상되나일부업체의임금협상장기화, 비정규직정규직화문제등노사관계의부정적문제가생산에부정적영향을미쳐전년대비 0.5% 증가전망이다. 조선은 2016년수주절벽의현실화로건조량이크게줄어전년대비약 31.8% 큰폭감소가예상된다. 일반기계는, 등주요수요기업들의설비투자확대기조와정부의적극적인첨단산업육성정책에따른내수투자수요증대와수출의동반확대에힘입어전년대비 2.9% 증가가예상된다. ( 소재산업군 ) 은수출증가에도불구하고, 건설투자부진에따른봉형강류생산부진과판재류및강관의생산위축이지속되어전년대비 1.8% 소폭감소가예상된다. 석유화학은국내생산설비의증설및가동률상승으로상반기에다소증가할것이나, 하반기산업용전기요금인상및금호타이어구조개편에따른국산합성고무및부품소재의공급감소로연간 0.5% 횡보가이어질것이다. 섬유는내수및수출이늘어나증가세회복이예상되나, 내수에서수입점유율이높고, 해외생산확대등의영향으로전년대비 1.4% 증가가전망된다. (IT산업군) 가전은내수회복세에따른 OLED TV, IoT 가전, 프리미엄제품생산증가및글로벌스포츠이벤트개최로인한수출감소폭둔화로 0.9% 증가세가전환될전망이다. 정보통신기기는기저효과와수출및내수회복등으로전년대비 2.3% 증가할전망이며, 프리미엄스마트폰과노트북 PC 신제품교체수요증가, 수출용스마트폰핵심부품및 SSD 수요확대가생산증가를견인한다. 는 OLED 출하량급증에도불구하고 LCD 구조조정에따른출하량감소, 수출위축, 세트제품의성장둔화등이복합적으로생산에부정적인영향을주어전년대비 1.5% 감소가예상된다. 는전방산업의급격한수요확대, 삼성 ( 신공장가동 ) 및 SK 하이닉스 ( 증설 ) 의생산량증가, 미세공정확대와수율향상으로인한생산증가실현등에힘입어 26.1% 높은증가가예상된다. 는수출확대, 신정부의내수진작을위한정책이추진에따른가계의소득증대, 신제품출시, 소비자대응설비투자확대등으로전년대비 0.6% 증가가예상된다. (3) 내수는을제외한대부분의산업에서증가주력산업내수는 4차산업혁명으로부상하고있는 IT
5 호조 증감률 (%) 상 하 연간 가전 내수증감주요요인 - IoT, Big Data, Cloud 등수요신규산업확대 - Data Center 등기업용수요, 스마트폰의고사양화및가전의고용량화등개인용수요동시증가 - 경기회복, 최저임금인상, 일자리창출정책등에따른소비심리개선 - 고효율가전, IoT 가전기기, 의류건조기등신제품수요증가및판매가격상승 정보통신기기 신규스마트폰, PC 교체수요확대 - 인공지능음성인식및가상증강현실신규서비스확산 - 단통법일몰이후스마트폰유통구조변화및단말기자급제추진여부는내수변동요인으로작용 양호 일반기계 섬유 석유화학 자동차 로봇, 스마트공장등첨단산업육성정책에따른관련투자수요증가 -, 등주요산업의설비투자확대지속 - 최저임금인상, 일자리창출정책등고용및소득개선에따른의류의민간소비증가 - 의류용섬유소재및산업용섬유내수확대 - 올림픽및월드컵등이벤트기대감, TV 의대형화추세, OLED 스마트폰보급확대등긍정적 - TV 및스마트폰, PC 등수요산업의성숙화로성장제약 - 건설산업경기부진불구민간소비회복 - 자동차, 섬유, 정보통신기기등수요산업의업황호전 - 복지예산증대, 최저임금인상등정부정책과주가상승에따른소비심리개선 - 폭스바겐의국내시장판매재개 - 다양한금융상품출시는내수에긍정적 - 정부주도의소득주도성장기조 - 평창올림픽등이벤트개최 - 소비자의선호를만족시킬수있는신제품출시 부진 조선, 가전, 자동차등수요산업의생산활동위축혹은횡보로제조업부문수요정체혹은감소 - 건설투자위축에따른건설용수요둔화 < 표 2> 2018 년주력산업의내수변화주요요인 신기술의수요가늘면서 IT산업을중심으로증가예상된다. ( 기계산업군 ) 복지예산증대, 최저임금인상등정부정책과주가상승에따른소비심리개선, 폭스바겐의국내시장판매재개, 다양한금융상품출시등이내수에긍정적영향을미쳐전년대비 1.0% 소폭증가가예상된다. 특히일반기계는스마트공장보급확산에따른관련투자와, 등의설비투자확대로 전년대비 3.7% 증가가예상된다. ( 소재산업군 ) 은조선용중후판수요부진이계속되는가운데, 자동차의국내생산정체등수요산업의생산활동위축혹은횡보로제조업부문수요정체혹은감소, 건설투자위축에따른건설용수요둔화효과로전년대비 2.6% 감소할전망이다. 석유화학은건설산업경기부진불구민간소비회복, 자동차, 섬유, 정보통신기기등수요산업의업황소폭개선으로전년 176
6 자동차 조선 일반 기계 섬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 통신기기 주 : 자동차는완성차, 조선은건조량, 은재, 석유화학은 3 대유도품기준이고, 여타업종은금액기준 < 그림 4> 2018 년주요산업별내수증가율전망 대비 2.0% 증가가예상된다. 섬유는최저임금인상, 일자리창출정책등고용및소득개선에따른의류의민간소비가증가하고, 의류용섬유소재및산업용섬유내수확대, 중저가수입증대등으로전년대비 2.5% 소폭증가가예상된다. (IT산업군) 가전은경기회복, 최저임금인상, 일자리창출정책등에따른소비심리개선, 고효율가전, IoT 가전기기, 의류건조기등신제품수요증가및판매가격상승등으로전년대비 8.0% 로높은증가세예상된다. 정보통신기기는신규스마트폰, PC 교체수요확대, 인공지능음성인식및가상증강현실신규서비스확산등에힘입어전년대비 4.3% 증가세가지속될것이나, 단통법일몰이후스마트폰유통구조변화및단말기자급제추진여부는내수변동의요인으로작용한다. 는올림픽및월드컵등이벤트기대감, TV 의대형화추세, OLED 스마트폰보급확대등긍정적영향이예상되는가운데 TV 및스마트폰, PC 등수요산업의성숙화로성장제약요인이상존하여전년대비 2.2% 소폭증가가예상된다. 는 IoT, Big Data, Cloud 등수요신규산업확대, Data Center 등 기업용수요, 스마트폰의고사양화및가전의고용량화등개인용수요동시증가로전년대비 17.7% 의높은증가가예상된다. 는정부주도의소득주도성장기조, 평창올림픽등이벤트개최, 소비자의선호를만족시킬수있는신제품출시등이기대되면서전년대비 0.3% 소폭증가가예상된다. (4) 수입은민간소비회복, 수입단가상승, 역수입증가등으로 4.7% 증가 11대주력산업의수입은내수가다소회복되면서, 조선을제외한모든산업에서증가세를보이며, 전년대비 4.7% 증가가예상된다. ( 기계산업군 ) 자동차는수입차증가에따른 AS 부품과안전 편의관련첨단기능구현수입부품수요확대, 판매중지된폭스바겐판매재개, 수입차의가격인하와다양한신모델출시등으로전년대비 8.2% 증가가예상된다. 조선은대중국벌크선수입의증가기조유지가예상되나해외의존비율이높았던해양기자재, 일부조선기자재수요가줄면서전년대비 13.9% 감소가예상된다. 일반기계는, 등일반기계수
7 자동차 조선 일반 기계 주 : 1) 달러표시가격기준 2) 자동차는자동차부품포함 (MTI 741, 742), 일반기계는사무기기 (MTI 714) 와광학기기 (715) 제외기준 석유 섬유 가전 정보통신 디스 화학 기기 플레이 < 그림 5> 2018 년주요산업별수입증가율전망 요기업들의설비투자확대가수입증가를견인하면서전년대비 5.8% 증가가예상된다. ( 소재산업군 ) 은수요산업과의연관성을높이고, 내수를국내공급으로대체하려는노력에힘입어전년대비 1.4% 감소가예상된다. 석유화학은국제유가의상승에따른수입단가상승세가유지, 중국산범용제품수입증가로전년대비 0.8% 소폭증가가예상된다. 섬유는해외생산의류의역수입지속확대, 국내생산업체들의채산성개선을위한중저가섬유소재수입확대로전년대비 6.9% 증가가예상된다. (IT산업군) 가전은중저가제품선호가늘어나고, 중국기업의국내진출확대및해외생산제품의역수입증 가등으로전년대비 12.1% 증가가예상된다. 정보통신기기는외산신규스마트폰, 노트북 PC, 컴퓨터부품, 완제품의역수입이지속증가하고, 국내 AI 서비스, 클라우드및빅데이터시장확대에따른서버용 SSD 수입증가로전년대비 5.7% 증가가예상된다. 는국내생산의구조조정추진의영향을받아중국, 베트남등해외공장으로부터의역수입증가로전년대비 9.9% 증가가예상된다. 는 IoT, Big Data, AI, 자율주행자동차등신규산업에서국내제작이어려운시스템수요증가로전년대비 5.6% 증가가예상된다. 는주요원자재의국제가격안정화와맥주, 고급유가공품등고급기호식품에대한수입수요증가로전년대비 2.1% 증가가예상된다. 178
년주요여건변화와산업별영향 글로벌경기회복및 4 차산업혁명진전으로수출여건이개선되나, 중국발공급과잉및보호무역주의지속 글로벌경기회복에힘입어 2018년에는석유화학을제외한대부분의산업이수요침체에서벗어날것으로예상 신흥국뿐만아니라선진권의안정적성장세가예상되면서우리주력산업에
4 차산업혁명시대를주도하는 KIET 산업정책리포트 산업경제이슈 제 40 호 2017-40 2017.12.6. 2018 년 11 대주력산업전망 2018 년 11 대주력산업의수출은중심의 IT 산업수출호조지속과신흥시장경기회복세유지등으로전년동기비 4.0% 증가전망 그러나보호무역정책기조및글로벌공급과잉지속등으로증가세는다소둔화될것으로전망 2018 년 11 대주력산업의생산은수출증가세가유지되고,
년하반기주요여건변화와산업별영향 IT 산업, 신흥시장을중심으로글로벌수요회복예상되나, 중국산업성장에따른공급과잉과보호무역주의강화지속 4차산업혁명을주도하는 AI, IoT, 빅데이터등주요기술이부상하고그대응을위한연구개발이진행되면서 IT산업을중심으로글로벌수요가증가하고
4 차산업혁명시대를주도하는 KIET 산업정책리포트 산업경제이슈 제 26 호 2017-26 2017.7.3. 2017 년하반기 12 대주력산업전망 하반기 12 대주력산업의수출은 IT 경기개선과신흥국경기호전에따른신흥시장수입수요증가세유지등으로전년동기비 9.9% 증가전망 그러나보호무역정책기조가지속되고향후유가상승지속여부가불투명해상반기에비해증 가세는다소둔화될것으로전망
2018 년하반기 12 대주력산업전망 년하반기주요여건변화와산업별영향 2018년하반기에는유가상승이예상되는가운데, 글로벌경기회복세지속으로수출여건이개선되는반면, 중국발공급과잉, 보호무역주의기조에의한부정적영향도지속될전망이다. 유가상승이지속될경우자동차, 일반기계,
( 특집 ) 2018 년하반기 12 대주력산업전망 요 약 2018년하반기 12대주력산업의수출은중심의 IT산업수출호조지속과신흥시장경기회복세등에힘입어증가세를유지하나, 보호무역정책기조, 글로벌공급과잉지속, 해외생산확대, 글로벌경쟁심화등으로증가세는다소둔화하여전년동기비 3.2% 증가가예상된다. 12대주력산업의하반기생산은수출증가세가유지되고, 설비투자및민간소비증가에힘입어상반기의부진이다소완화될전망이다.
자동차 (12.8) 조선 (6.1) 일반기계 (8.4) (5.6) (7.5) 정유 (
2017 년 12 대주력산업전망 - 엔지니어링소프트웨어의활용을중심으로 ( 제 1 회 ) < 산업연구원 > 글싣는순서 1. 2017년 12대주력산업전망 2. 시사점 2017년 12대주력산업전망의특징은글로벌경쟁심화에따른수출단가하락이예상되고, 중국업체들의경쟁력강화에따른경쟁관계가심화되고, 중국산업구조변화에따른대중수출감소가전망된다. 또한, IT산업을중심으로신기술기반제품수출이증가할것으로보인다.
년하반기주요여건변화와산업별영향 하반기글로벌경기회복세지속으로수출여건개선반면, 중국발공급과잉, 보호무역주의기조에의한부정적영향지속 ( 유가상승 ) 유가상승시자동차, 일반기계, 정유, 석유화학산업에서경기회복및소득증대에편승한수요확대로수출증대가기대 자동차및일반기계는
4 차산업혁명시대를주도하는 KIET 산업정책리포트 산업경제이슈 제 55 호 2018-15 2018.7.5. 2018 년하반기 12 대주력산업전망 2018 년하반기 12 대주력산업의수출은중심의 IT 산업수출호조지속과신흥시장경기회복세유지등으로전년동기비 3.2% 증가전망 그러나보호무역정책기조, 글로벌공급과잉지속, 해외생산확대, 글로벌경쟁심화등으로 증가세는다소둔화될것으로전망
( 특집 ) 년하반기주요여건변화와산업별영향 2017 년하반기에는정보통신기기를제외한대부분의산업이글로벌수요침체에 서벗어날것으로예상된다. 4 차산업혁명을주도하는 AI, IoT, 빅데이터등주요기 술이부상하고대응을위한연구개발이진행되면서 IT 산업을중심으로글로벌수요
KIET 2017 년하반기산업전망 요 약 하반기 12 대주력산업의수출은 IT 경기개선과신흥국경기호전에따른신흥국수입수요증가세가유 지되면서증가가예상되나보호무역정책기조가지속되고향후유가상승지속여부가불투명해상반 기에비해증가세는다소둔화될것으로전망된다. 생산은신흥시장수요가늘어나수출증가가예상 되면서대부분의산업에서소폭이나마증가할것으로예상되며높은수출증가율에도불구하고수출 단가상승요인이큰소재산업의생산증가는소폭에그칠것으로예상된다.
양호 감소세전환 감소폭둔화 감소폭확대 업종 증가율 (%) 15하 16하 디스 일반 철강 정보통신기기 석유 하반기수출증감주요요인 OLED 수요급증경쟁업체의공급차질전년실적부진
2016 년하반기주력산업전망 (2 회 ) < 산업연구원 > 2. 2016년하반기 12대주력산업전망 (1) 수출 : 조선반도체등부진지속, 디스일반증가세전환주력산업의하반기수출은상반기에이어감소세가지속될전망이나하락폭은둔화될전망이다. 주요산업대부분이주력수출시장인신흥시장의수요부진, 중국업체의경쟁력상승등요인으로수출 감소세가지속될전망이나, 전년동기실적부진에따른기저효과로하락세는둔화된다.
전년대비특징 호조 (5% 이상 ) 개선 호전 둔화 업종 증가율 (%) 가전 석유화학 일반기계 자동차 섬유 철강 정보통
2015 년 12 대주력산업전망 < 산업연구원 > 1. 12대산업수출 :, 등모든업종 ( 정유제외 ) 이증가하며, 금년과비슷한증가율미국등세계경기회복으로정유외에모든업종의수출이확대되면서 3.4% 증가하나, 정유는공급과잉, 주요수출처수요위축으로감소한다. 부진했던가증가세로전환되는등 IT 업종 (4.5%) 이비IT 업종 (2.3%) 보다높은성장세와약간 의상저하고흐름을보일전망이다.
1. 2015년 산업 전망 종합과 특징 수출은 금년과 비슷한 3%대 성장, 내수 생산은 증가세 둔화 12대 주력산업은 미국 등 선진권 중심의 회복세, 부품수요 증대 등에 힘입어 수출은 금년(3.2%)보다 약간 높은 성장(3.4%), 생산과 내수도 금년대비 소폭 증가 전
산업경제정보 제 603 호 ( 2 0 1 4-2 8 ) 2015년 주요 산업 전망 2014.11.27 요 약 2015년 12대 주력산업은 미국 등 선진권 중심의 회복세, 부품수요 증대 등에 힘입어 수출은 금년(3.2%)보다 약간 높은 성장(3.4%), 생산과 내수는 금년대비 증가세 둔화 예상 내년 수출도 IT제조업(4.5%)이 음식료 정유를 포함한 비IT제조업(2.3%)보다
2019 년 13 대주력산업전망 년주요여건변화와산업별영향 2019 년에는세계경제의제한적성장, 중국성장세둔화, 보호무역주의등부정적 영향이지속될전망이다. 세계경제의제한적성장이예상되는가운데, 대부분의주 력산업에서수출의부정적영향이예상되는반면, 정보통신기기, 는수
( 특집 ) 2019 년 13 대주력산업전망 요 약 2019 년 13 대주력산업의수출은선진권의경기둔화, 개도권의성장정체, 보호무역주의강화, 국제유 가횡보에따른수출단가상승폭제한, 가격인하등부정적요인이지속될것으로예상되면서 전년보다증가폭이다소둔화하여 3.6% 증가할것으로예상된다. 2019 년생산은수출둔화및국내경 기부진에따른내수위축이주력산업의성장을제약하여전반적으로전년대비부진할전망이다.
e-KIET 년 주력산업 전망-2.indd
산업경제정보 제 623 호 (2015-20) 2016 년 12 대주력산업전망 2015.11.27 요약 2016년주력산업수출은중국저성장세, 단가약세등의영향에도불구하고, 선진국경기회복, 신제품출시확대, 올림픽특수등에힘입어소폭증가세로전환 (- 9.4% 0.4%) 한편, 한 중주력산업간경쟁심화, 엔저 저유가장기화, 해외생산확대지속, 산업구조조정, 한 중 FTA 발효등은변수로작용할전망
e-KIET 629-산업전망.indd
산업경제정보 제 629 호 (2016-05) 2016 년하반기 12 대주력산업전망 2016.6.23 요약 2016년 12대주력산업의하반기수출은상반기에이어감소세가지속될전망이나감소폭은둔화될전망 주요산업대부분이주력수출시장인신흥시장수요부진, 중국업체경쟁력상승등의요인으로수출감소세지속이전망되나전년동기실적부진에따른기저효과로감소세둔화 글로벌수요증가가예상되는디스플레이, 기계,
( 수출현황 ) 품목별실적및특징 반도체 수요 서버및스마트폰등 증가지속등 으로 개월연속 억불대기록및 개월연속수출증가세 디스플레이 액정표시장치 패널경쟁심화속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수요확대에힘입어 개월만에증가전환 휴대폰 프리미엄스마트폰수출호조등으로 개월 연속수출증가 컴퓨터
보도자료 http://www.motie.go.kr 2018년 8월 17일 ( 금 ) 조간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8.16.( 목 ) 오전 11시이후보도가능 ) 산업통상자원부전자전기과배포일시 2018. 8. 16.( 목 ) 담당부서산업통상자원부전자부품과 담당과장 이진광과장 (044-203-4340) 박영삼과장 (044-203-4270)
< 목차 > < 요약 > i Ⅰ. 거시경제전망 1 1. 국내실물경제동향 1 2. 대외여건전망 년국내경제전망 11 Ⅱ. 11 대주력산업전망 년동향 년주요여건변화와영향 년주력산업부문별전망 41 4
보도자료 본자료는 11 월 28 일 ( 화 ) 조간 부터보도해주시기바랍니다. 통신사및온라인은 일 월 시이후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문의 [ 거시 ] 산업통계분석본부민성환연구위원 (044) 287-3127 [ 산업 ] 산업경쟁력연구본부이임자연구위원 (044) 287-3108 2018 년경제 산업전망 2017. 11 < 목차 > < 요약 > i Ⅰ. 거시경제전망 1
< 목차 > < 요약 > i Ⅰ. 거시경제전망 1 1. 국내실물경제동향 1 2. 대외여건전망 년국내경제전망 11 Ⅱ. 11 대주력산업전망 년동향 년주요여건변화와영향 년주력산업부문별전망 41 4
보도자료 본자료는 11 월 28 일 ( 화 ) 조간 부터보도해주시기바랍니다. 통신사및온라인은 일 월 시이후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문의 [ 거시 ] 산업통계분석본부민성환연구위원 (044) 287-3127 [ 산업 ] 산업경쟁력연구본부이임자연구위원 (044) 287-3108 2018 년경제 산업전망 2017. 11 < 목차 > < 요약 > i Ⅰ. 거시경제전망 1
570_산업전망ok.indd
산업경제정보 제 570 호 ( 2 0 1 3-2 3 ) 2013.11.28 2014 년산업전망 요약 2014년 10대주력산업의수출은미국, EU와개도권경기가회복되는가운데, 주력산업의경쟁력강화를바탕으로 2013년보다높은 5.1% 증가세전망 기계산업군이크게개선 (5.4%) 되고, IT제조업군은호조지속되는가운데기저효과로증가율이둔화 (5.9%), 소재산업군수출은소폭개선
년 12 대주력산업전망특징 선진권및개도권소폭성장으로교역량증가예상 2017년세계실물경기는선진권과개도권의성장률이소폭높아지고원자재가격회복으로세계교역이다소개선될것으로예상되나대외여건불확실성도높아 12대주력산업에부담으로작용예상 과거방어막역할을하던중국등신흥시장의저성장
산업경제정보 제 638 호 (2016-14) 2017 년 12 대주력산업전망 2016.11.28 요약 2017년 12대주력산업의수출은원자재가격회복으로신흥국경기가개선되고유가상승이예상되면서증가세로전환전망 그러나보호무역정책이강화되고교역비중이높은중국경기성장의소폭증가가예상되어상승폭은제한적일것으로전망 12 대주력산업중자동차, 조선, 가전을제외한모든산업에서증가세가예상 2017년
비상업목적으로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할경우내용의출처를명시하면자유롭게인용할수있으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경제연구실 : 주원이사대우 ( ,
18-10( 통권 785 호 ) 2018. 03. 09 관세전쟁발수출절벽대응을위한내외수균형전략 - 최근경제동향과경기판단 (2018 년 1 분기 ) 비상업목적으로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할경우내용의출처를명시하면자유롭게인용할수있으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경제연구실 : 주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13대 목 216 년 2 월 주력목의 수출 증감 요인 ㅇ 전년 2 월은 고가 해양플랜트가 다수 포함되었으나, 금년 2 월은 상선 위주 수출로 수출 감소 선박류 (-46.%) ㅇ (선가지수) 7 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 13 년 발주량 증가로 단 상승, 하지만 14 년
216.3.4 Economist 문정희 3777-892 mjhsilon@kbsec.co.kr 2월 수출, 일평균 수출액 회복과 수출물량 증가는 긍정적 2월 수출총액은 364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2.2% 감소, 시장 예상치 16.6% 감소 전망은 상회 2월 일평균 수출액은 18.2억 달러로 1월에 록한 16.3억 달러 대비 1.9억 달러 개선 저가, 공업제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Quarterly Briefing Vol. 2017- 분기 -02 (2017.4.) 해외경제연구소 2017 년 1 분기수출실적평가 및 2 분기전망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산업별 기업규모별수출업황평가지수추이 (%) : 수출선행지수추이 1 2 2.. 3 - ㅇ 4 . 5 6 . 1 ( ) 7 1 (). 1 8 1 ( ) 1 () 9 1 () < 참고
정보통신기술 수지는 억불흑자를기록하여국내산업 무역수지흑자 억불 달성에이바지했다 정보통신기술 수입은전년동월대비 증가한 억불로 품목별로는반도체 억불 휴대폰 억불 부분품포함 억불 등은증가한반면 디스플레이패널 억불 컴퓨터및주변기기 억불 등수입은감소했다 지역별로는일본억불 중남미
보도자료 http://www.motie.go.kr 2014 년 9 월 12 일 ( 금 ) 조간 ( 온라인 9. 11. 11:00) 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전자전기과과장강혁기 (044-203-4340), 장미연사무관 (4342) 산업통상자원부전자부품과과장김정화 (044-203-4270), 김영대주무관 (4276) 미래창조과학부중소기업지원팀팀장강도성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 , 홍준표연구위원 ( ,
16-52( 통권 725 호 ) 2016.12.26 2017 년한국경제수정전망 - 정치리스크의경제리스크화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홍준표연구위원 (2072-6214, jphong@hri.co.kr)
Global Market Report Global Market Report 2017 년 1 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 1 -
Global Market Report 17-123 Global Market Report 2017 년 1 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 1 - C O N T E N T S 목 차 1. 2017 년 1 분기수출전망개관 / 2 2. 2017 년 1 분기지역별수출전망 / 2 3. 2017 년 1 분기품목별수출전망 / 3 4. 보조지수평가 / 5 [ 부록 ] KOTRA
<40C1B6BBE7BFF9BAB85F35BFF9C8A328C3D6C1BE292E687770>
최근 미국 경제동향 및 향후 통화정책 전망 최근 미국 경제동향 및 향후 통화정책 전망 목 차 Ⅰ. 검토 배경 Ⅱ. 최근 미국의 경제지표 Ⅲ. 미국 통화정책 전망에 대한 시장 평가 Ⅳ. 향후 전망 및 시사점 Ⅰ 검토 배경 미국 경제지표 부진 15년도 들어 미국 주요 경제지표 실적은 혼조세 시현 - 14년도 경기회복을 견인한 소비 및 제조업 관련 지표 실적은 전반적으로
2015 년산업전망 년동향 (1) 반도체, 철강, 조선주도로 3% 대수출증가 12대주력산업 1) 수출은디스플레이와가전, 정유에서부진했으나, 반도체, 철강, 조선이이끌고통신기기와일반기계가뒷받침하면서 3.2% 증가한것으로추정된다. IT산업은디스플레이부진으로
( 특집 ) 2015 년산업전망 요 약 2015년 12대주력산업은미국등선진권중심의회복세, 부품수요증대등에힘입어, 수출은금년 (3.2%) 보다다소높은 3.4% 성장하고생산과내수는금년에비해증가세가둔화될것으로보인다. 내년에도 IT제조업 (4.5%) 의수출이음식료와정유를포함한비IT제조업 (2.3%) 보다높은성장세와약간의상저하고흐름을보일것으로예상된다. 업종별수출에서는수출비중이높은조선과반도체가
제조업주요지표, 유의한둔화추이 지난 2017년 4분기이후제조업생산이크게둔화되고, 올들어서도감소세를거듭하는등부진한모습 (< 그림 1> 참조 ) 제조업생산은지난해 10월에감소세로전환되면서연말까지 3개월연속감소세를보인이후, 올 1월에일시증가세를보이다 2~3월에다시감소세를보이
4 차산업혁명시대를주도하는 KIET 산업정책리포트 산업경제이슈 제 52 호 2018-12 2018.6.18. 주력업종동향을통해본제조업경기진단 2017년 4분기이후국내제조업주요지표들의둔화추이가지속되면서최근제조업경기의침체전환여부를둘러싼논란이대두 생산과출하, 수출등이모두유의한둔화추이를보이고있으며, 특히재고-출하순환도는전형적인경기부진국면을시사 요약 업종별로는최근의생산부진이일시적요인에기인하는경우도있고,
1. 실물경기동향과대외여건전망 자료 : 한국은행. 4 1. 실물경기동향과대외여건전망 자료 : 통계청. 5 1. 실물경기동향과대외여건전망 단위 : 억달러, % 2012 2013 연간 4/4 연간 1/4 2/4 3/4 4/4 10 월 11 월 12 월 수출 5,479 (-1.3) 1,398 (-0.4) 5,597 (2.2) 1,353 (0.4) 1,412 (0.7)
< 목차 > < 요약 > i I. 거시경제전망 1 1. 국내경기상황판단 1 2. 대외여건전망 년국내경제전망 12 II. 주요산업전망 년상반기동향 년하반기전망 29
엠바고본자료는 6 월 23 일 ( 목 ) 조간 부터보도해주시기바랍니다. ( 통신사및온라인은 22 일 ( 수 ) 오전 11 시이후 ) 내용문의 [ 거시 ] 강두용선임연구위원 (044) 287-3205 [ 산업 ] 조철선임연구위원 (044) 287-3046 2016 년하반기경제 산업전망 2016. 6 < 목차 > < 요약 > i I. 거시경제전망 1 1. 국내경기상황판단
<37BFF920B1E2BEF7B0E6B1E2C1B6BBE720B0E1B0FA2E687770>
27 년 7 월기업경기조사 27 년 7 월동향과 8 월전망 27. 7 경제통계국통계조사팀 차 례 < 요약 > I. 27 년 7 월기업경기동향 1 II. 27 년 8 월기업경기전망 9 < 부록 > 1. 조사개요 15 2. 통계편 16 < 요약 > * 2,929 개업체 ( 응답 2,495 개업체 ) 를대상으로 27 년 7 월 16 일 ~ 7 월 24 일중조사 1.
(수출부진 요인별) 대외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수출물량까지 감소 (-5.3%), 단가 하락세 지속(-14.0%) * 2015.1~12월 수출물량 증가율 : 1.9%, 수출단가 증가율 : -9.7% - (일시적 요인) 전년 1월 대비 통관일수
2016.2.18. VOL.3 동향분석실 문 병 기 수석연구원 류 승 민 수석연구원 강 내 영 연구원 02-6000-5185, bkmun@kita.net 02-6000-5156, ecoholic@kita.net 02-6000-5259, nykang@kita.net 최근 수출부진 원인 분석 및 향후 전망 부록 : 대중국 수출기업 대상 모니터링 결과 금년 1월
월산업동향집계결과 ( 종합 ) 가동률은큰폭으로상승업 3 월국가산업단지가동률은 4.7%p 상승한 1분기는소폭의감소세를기록 1분기국가산업단지는소폭의감소세를기록했다. 특히 82.4% 를기록했다. 당월가동률은지난달최대수출 작년하반기부터유가하락의지속으로제품가격이하락
국가산업단지 March 215 한국산업단지공단관할 PRODUCTION 생산 13.4% 46 조 7,46 억원 OPERATION RATIO 가동률 4.7%p EXPORT 수출 1.8% 182 억 5,4 만달러 82.4% 3 215. 3 월산업동향집계결과 ( 종합 ) 가동률은큰폭으로상승업 3 월국가산업단지가동률은 4.7%p 상승한 1분기는소폭의감소세를기록 1분기국가산업단지는소폭의감소세를기록했다.
<BCB6C0AFC6D0BCC7BBEABEF720B5BFC7E22834BAD0B1E229C3D6C1BE2E687770>
2017 년섬유산업실적및 2018 년전망 산업연구원 1. 2017 년실적 (1) 내수 : 소비위축및국내생산감소에따른부진지속 ㅇ 2017년내수는의류소비가크게개선되지못하면서의류용섬유소재수요도크게위축된가운데, 내수가수입확대로충당되는비중이높아지면서내수와국내생산간선순환구조가점차약화 - 상반기연초명절과신학기특수, 하반기폭염과경기불확실성에따른소비심리위축에도불구하고 9월
목차 요약 거시경제전망 국내경기상황판단 대외여건전망 년국내경제전망 대주력산업전망 년동향 년 대주력산업전망특징 년 대주력산업전망 시사점
보도자료 본자료는 월 일 월 조간부터보도해주시기바랍니다 통신사및온라인은 일 일 오전 시이후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문의 거시 강두용선임연구위원 산업 조철선임연구위원 년경제 산업전망 목차 요약 거시경제전망 국내경기상황판단 대외여건전망 년국내경제전망 대주력산업전망 년동향 년 대주력산업전망특징 년 대주력산업전망 시사점 요약 I. 거시경제전망 현경기판단 수출부진지속 내수는건설투자주도로완만한성장
e-KIET 628-거시경제 전망-3.indd
산업경제정보 제 62 호 (216-4) 216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216.6.23 요 약 216년 국내경제는 하반기에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나, 설비투자가 감소세로 돌아 서고 구조조정 여파 등이 민간소비 증가를 제약하면서 전년과 비슷한 연간 2.6% 내 외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전기비로는 상 하반기 비슷한 성장을 보이겠으나, 전년 패턴의 기저효과로
C H A P T E R 5 대외거래 01 수출입총괄 02 수출 03 수입 04 무역수지
2015 경기도경제리뷰 C H A P T E R 5 대외거래 01 수출입총괄 02 수출 03 수입 04 무역수지 01 수출입총괄 Chapter 5 대외거래 2015 년수출 1,060 억달러, 수입 1,027 억달러, 무역수지 32.5 억달러 2015년수출액은전년대비 5.1% 감소한 1,060억달러, 수입액은전년대비 2.0% 감소한 1,027억달러, 무역수지는
2014 년 07 호한국철강협회조사통상실 Tel : 월간철강산업동향
2014 년 07 호한국철강협회조사통상실 Tel : 02-559-3584 월간철강산업동향 Contents SUMMARY 3 I. 경제동향 4 - 경기종합지수, 제조업생산활동, 생산자재고 II. 수요산업 5 - 건설, 자동차, 조선 III. 철강산업 6 - 조강생산 ( 세계 / 국내 ) 6 - 철강재품목별동향 ( 수급현황및수입점유비 ) 철강재계 / 중후판 7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16 년대중수출평가 대중수출동향 2. 대중수출둔화원인 Ⅱ. 17 년대중수출여건 경기요인 : 산업및소비수요 2. 수출구조요인 : 글로벌수입수요, GVC 변화 3. 환경 제도요인 : 통상환경,
KOCHI 자료 17-001 2016 년對中수출평가와 2017 년전망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16 년대중수출평가 1 8 1. 대중수출동향 2. 대중수출둔화원인 Ⅱ. 17 년대중수출여건 13 15 19 1. 경기요인 : 산업및소비수요 2. 수출구조요인 : 글로벌수입수요, GVC 변화 3. 환경 제도요인 : 통상환경, 원자재, 환율 Ⅲ.
삼성전자 (005930)
HI Economy 앞으로는구경제수출모멘텀이다 18/2/1 출발이좋다, 1 월수출서프라이즈 2.1 일발표된 1 월국내수출액은 492.1 억달러로 Bloomberg 예상치 (+21.5%) 를상 회한전년동월대비 22.2% 증가. 전년대비조업일수증가 (2.5 일 ), 글로벌경기회 복세, 원자재가격상승등이이번수출서프라이즈의요인으로작용 13대주력수출품목중 9개의수출품목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8%) 반도체 (7.0%) 기계류 (9.6%) 등은증가한 반면승용차 ( 14.6%) 의약품 ( 5.5%) 등은감소 ( 소비재 ) 승용차 ( 14.6%) 소고기 ( 3.1%) 등은감소했으나, 의류 (16.4%) 가전제품 (20.7%
보도일자 7. 15.( 토 ) 09:00 이후보도 배포일자 2017. 7. 14.( 금 ) 담당부서통관지원국통관기획과 담당과장김윤식 (042-481-7845) 담당자 윤동주사무관 (042-481-7845) 전우진주무관 (042-481-7848) 2017 년 6 월수출입현황 ( 확정치 ) 수출 514 억달러, 수입 406 억달러로무역흑자 108 억달러 - 12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24.2%) 반도체 (11.9%) 승용차 (52.1%)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9.1%) 의약품 ( 6.2%) 등은감소 ( 소비재 ) 사료 ( 7.3%) 소고기 ( 2.4%) 등은감소했으나, 승용차 (52.1%) 의류 (5.8%)
보도일자 8. 15.( 화 ) 09:00 이후보도 배포일자 2017. 8. 15.( 화 ) 담당부서통관지원국통관기획과 담당과장김윤식 (042-481-7845) 담당자 윤동주사무관 (042-481-7845) 전우진주무관 (042-481-7848) 2017 년 7 월수출입현황 ( 확정치 ) 수출 488 억달러, 수입 386 억달러로무역흑자 103 억달러 - 12
최근전북지역의수출부진현황및시사점 한국은행전북본부
2015 년 6 월 4 일전북 2015-32 호 이자료는 6 월 5 일조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6 월 4 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최근전북지역의수출부진현황및시사점 자세한내용은붙임참조 : 1.. 문의처 : 전북본부기획조사팀과장박의성, 조사역채민석 Tel : 250-4084 Fax : 250-4095 E-mail
<BAEAB8AEC7C D3037C8A32834BFF93138C0CF292E687770>
16-07 발행일 2016 년 4 월 14 일 Ⅰ 발행인권태신 Ⅰ 발행처한국경제연구원 Ⅰ 주소서울시영등포구여의대로 24 FKI 타워 45 층 Ⅰ 전화 3771-0060Ⅰ 팩스 785-0270~3 10 대수출품목의존도국제비교와시사점 변양규 한국경제연구원연구위원 (econbyun@keri.org) 20 15 년우리나라수출은전년대비 8.0% 감소 한 5,268 억달러를기록하였다.
컴퓨터및주변기기는 의기술우위와컴퓨터와서버의 채용비율증가로 개월연속수출증가 디스플레이패널은해외생산확대와중소형패널단가하락으로수출감소 지역별 유럽연합 수출은감소하고 중국등아시아권및미국은증가했다 수출상위 위지역이자국내업체의주요생산거점인중국 아세안 은휴대폰부 분품 반도체등부품을
보도자료 http://www.motie.go.kr 2015 년 7월 10일 ( 금 ) 조간 ( 온라인 7. 9 11:00) 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전자전기과과장강혁기 (044-203-4340), 장미연사무관 (4349) 산업통상자원부전자부품과과장김정화 (044-203-4270), 한비룡주무관 (4276) 미래창조과학부정보통신정책과과장김광수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30.3%) 반도체 (8.4%) 승용차 (44.3%) 는증가, 석탄 ( 2.0%) 정밀기기 ( 1.9%) 는감소 ( 소비재 : 18.0% 증가 ) 승용차 (44.3%) 가전제품 (22.1%) 등은증가, 사료 ( 3.1
보도일시배포즉시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배포일자 2018. 3. 15.( 목 ) 담당부서관세청통관기획과 담당과장이종욱 (042-481-7810) 담당자 김용익사무관 (042-481-7845) 전우진주무관 (042-481-7848) 2018 년 2 월월간수출입현황 ( 확정치 ) 올해 2 월무역수지 73 개월연속흑자달성 18.2 월수출 449 억달러, 수입 416
e-KIET 622-거시전망-3.indd
산업경제정보 제 622 호 (21519) 216년 거시경제 전망 215.11.27 요 약 216년 국내경제는 수출 부진이 완화되고 저유가, 저금리에 힘입어 내수가 완만한 증가를 이어가면서 연간 3% 내외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금년보다 성장률이 높아지나, 세계경제의 완만한 성장세, 국내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수출과 내수 모두 큰 폭의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Microsoft Word _Type2_산업_화학.doc
2011 년 10 월 6 일산업분석 3Q 실적 Preview: 전반적인실적감소 화학 Overweight ( 유지 ) 석유화학, 정유 Analyst 백영찬 02-2003-2968 yc.baek@hdsrc.com 석유화학 : 3분기실적은직전분기대비감소 RA 김동건 02-2003-2907 dongkun.kim@hdsrc.com 리서치센터트위터 @QnA_Research
차례 < 요약 > i Ⅰ. 거시경제전망 1 1. 국내실물경제동향 1 2. 대외여건전망 년국내경제전망 11 < 참고 1> 설비투자부진의원인과향후변수 19 < 참고 2> 최근의수출동향및특징 31 Ⅱ. 13 대주력산업전망 년동향
보도자료 본자료는 11 월 27 일 ( 화 ) 조간부터보도해주시기바랍니다. 통신사및온라인은 일 월 시이후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문의 [ 거시 ] 산업통계분석본부민성환연구위원 (044) 287-3127 [ 산업 ] 산업경쟁력연구본부이임자연구위원 (044) 287-3108 2019 년경제 산업전망 2018. 11. 차례 < 요약 > i Ⅰ. 거시경제전망 1 1.
214. 4월산업동향집계결과 ( 종합 ) 2.2% 3.9% 가동률은하락세로전환 4월국가산업단지가동률은 1.1%p 하락한 81.3% 를기록했다. 당월가동률은전월에증산을목적으로한계획생산과집중생산등으로가동률이큰폭으로상승했던기저효과로인해하락한것으로분석된다. 생산 수출 신제품,
국가산업단지 April 214 PRODUCTION 생산 5.4% 2.2% 한국산업단지공단관할 4 EXPORT 수출 3.9% 8.8% OPERATION RATIO 가동률.2%p 1.1%p 214. 4월산업동향집계결과 ( 종합 ) 2.2% 3.9% 가동률은하락세로전환 4월국가산업단지가동률은 1.1%p 하락한 81.3% 를기록했다. 당월가동률은전월에증산을목적으로한계획생산과집중생산등으로가동률이큰폭으로상승했던기저효과로인해하락한것으로분석된다.
< DC6F7C4BFBDBA3537C8A32E687770>
ISSN 2093-3118 Vol.12 No.57 4/4 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 (EBSI) 조사 2013년 9월심혜정연구원오세환수석연구원 통계청승인통계제36005호 조사개요 조사기간 : 2013. 9. 3 ~ 9. 13 (9 일간 ) 조사대상 : 2012년도수출실적 50만달러이상인한국무역협회회원사 조사지역 : 전국광역자치단체 조사방법 : 온라인, 팩스, 전화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3%) 반도체 (17.8%) 기계류 (11.7%)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3.2%) 승용차 ( 10.2%) 등은감소 ( 소비재 ) 의류 ( 1.8%) 승용차 ( 10.2%) 등은감소했으나, 조제식품 (11.9%) 가전 (9.9
보도일자배포즉시보도해주시기바랍니다. 배포일자 2017. 9. 15.( 금 ) 담당부서통관지원국통관기획과 담당과장김윤식 (042-481-7845) 담당자 윤동주사무관 (042-481-7845) 전우진주무관 (042-481-7848) 2017 년 8 월수출입현황 ( 확정치 ) 수출 471 억달러, 수입 405 억달러로무역흑자 66 억달러 - 12 년 2 월이후무역수지
<3335C8A32DC6EDC1FDC1DF2E687770>
ISSN 2093-3118 2016 년 35 호 2016 년 4/4 분기수출산업경기전망 (EBSI) 조사 2016년 10월동향분석실김건우연구원 통계청승인통계제36005호 조사개요 조사기간 : 2016. 9. 19 ~ 9.23 (5 일간 ) 조사대상 : 2015년도수출실적 50만달러이상인한국무역협회회원사 2,000개사 조사지역 : 전국광역자치단체 조사방법 :
CONTENTS [ 요약 ] ⅰ I. 연구배경 01 II. 수출회복진단 02 Ⅲ. 종합평가및시사점 08 보고서내용문의처동향분석실강내영연구원 ( , 문병기수석연구원 ( ,
ISSN 2093-3118 2017 년 20 호 2017 년한국수출회복과 지속가능성진단 2017. 5 강내영연구원문병기수석연구원 CONTENTS [ 요약 ] ⅰ I. 연구배경 01 II. 수출회복진단 02 Ⅲ. 종합평가및시사점 08 보고서내용문의처동향분석실강내영연구원 ( 02-6000-5259, nykang87@kita.net) 문병기수석연구원 ( 02-6000-5185,
< 요약 > Ⅰ. 18년 3분기수출실적평가 3분기수출전년동기대비 1.7%, 전분기대비 1.3% 증가 3분기수출액은전분기 (1,517억달러 ) 대비 1.3%, 전년동기 (1,511억달러 ) 대비 1.7% 증가한 1,536억달러로, 16년 4분기이후 8분기연속전년동기대비증
2018 QUARTERLY REPORT VOL.2018-3 분기 (2018.11) 2018 년 3 분기 수출실적평가 I. 18 년 3 분기수출실적평가 II. 18 년 4 분기수출전망 III. 수출기업애로사항 4 분기전망 작성선임연구원김윤지 (3779-6677) yzkim@koreaxim.go.kr 조사역홍성준 (6255-5709) sj_hong@koreaxim.go.kr
(연합뉴스) 마이더스
106 Midas 2011 06 브라질은 2014년 월드컵과 2016년 올림픽 개최, 고속철도 건설, 2007년 발견된 대형 심해유전 개발에 대비한 사회간접자본 확충 움직임이 활발하다. 리오데자네이로에 건설 중인 월드컵 경기장. EPA_ 연합뉴스 수요 파급효과가 큰 SOC 시설 확충 움직임이 활발해 우 입 쿼터 할당 등의 수입 규제 강화에도 적극적이다. 리
제목
금융시장 216 년국내외금융시장및주요산업전망 디스플레이 OLED TV 가한국의미래다 Analyst 소현철 2-3772-1594 johnsoh@shinhan.com 1 금융시장 216 년국내외금융시장및주요산업전망 Contents I. Review & Preview II. 216년전망 : 2분기 LCD 업황반등 III. 중장기전망 : OLED TV 대중화 IV.
1 제14장 선진형 공정거래제도의 구축
삼성경제연구소 1 제14장 선진형 공정거래제도의 구축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제15장 금융제도 및 금융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Issue Br ief ing Vol. 2013-E01 (2013.07.22)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1 1. 1 2. 2 3. 6 4. 7 II. 8 1. 8 2. 10 3. IT 15 4. 17 5. 20 6. 21 : (3779-6685) (3779-6679) (3779-5327) (3779-6677) (3779-6680)
Microsoft Word _Type2_기업_LG디스플레이.doc
211 년 1 월 24 일기업분석 BUY ( 유지 ) LG 디스플레이 (3422) 긍정적시각으로접근할때 김동원 김경민 1분기선제적비중확대필요 적정주가, 원 주가상승률 1개월 3개월 개월 2 분기부터본격적실적개선 세트재고소진은연착륙의신호 결산기말 12/8A 12/9A 12/1P 12/11F 12/12F 1분기선제적비중확대필요 그림 1> LGD 주가상승촉매 1
월산업동향집계결과 ( 종합 ) 가동률은상승업 6 월국가산업단지가동률은 2.3%p 상승한 올해상반기키워드는유가와환율올상반기국가산업단지에가장큰영향을미친이슈는 82.3% 를기록했다. 당월가동률은지난달잇따른연휴로 바로유가하락과엔 유로화의약세였다. 특히나유가의 조업
국가산업단지 June 215 한국산업단지공단관할 PRODUCTION 생산 5.% 46 조 4,16 억원 OPERATION RATIO 가동률 EXPORT 수출 8.3% 176 억 6 만달러 2.3%p 82.8% 6 215. 6 월산업동향집계결과 ( 종합 ) 가동률은상승업 6 월국가산업단지가동률은 2.3%p 상승한 올해상반기키워드는유가와환율올상반기국가산업단지에가장큰영향을미친이슈는
<B4EBC7D1C0FCB1E2C7F9C8B85F C0FCB1E2BFACB0A82E687770>
제 3 장산업용전자기기 717 제 3 장 산업용전자기기 1. 개황 전자 IT산업수출은우리나라전체수출의 30.4% 를차지하는핵심산업이다. 2014 년전자 IT산업은세계경제성장률하향, 환율하락, 신흥국공세등대외여건악화에도불구하고, 수출은전년대비 2.6% 증가한 1,739억달러를기록하며사상최대수출실적및무역수지흑자달성에기여하였다. 특히, 국내업체의미세공정 /3D 낸드등기술우위를바탕으로세계적인경쟁력을확보하고있는반도체수출은
한편상위 3 대국가에대한수출비중은 2010 년이후꾸준히상승 상위 3 개국의비중은 2010 년 37.8% 에서금년 1~8 월 44.7% 로 6.9%p 증가한반면일본, EU 의 수출비중은감소세를보이며올해각각 4.8%, 9.3% 를차지 우리나라의국가별수출 ( 억달러, 전년동
2016.10.5. No.29 동향분석실심혜정연구원 02-6000-5159, hshim@kita.net 우리나라수출 Top3 국가의수출비중변화 우리나라상위 3대수출국의비중을살펴보면 2010년이후미국, 베트남에대한수출비중은상승세인반면중국의비중은하락세를보이고있다. 중국은내수부진에따른수입수요둔화와중국의대세계수출부진으로대중수출이감소세를보이며수출비중이정체된것으로분석되었다.
기사스크랩 (160317).hwp
서울신문 / 2016.03.15(화) 출연연들 여성 인력 유출 막아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근무하는 임모(31)씨는 지난 1월 출산휴가에 들어가면서 자동으로 육아휴 직까지 갈 수 있게 됐다. 연구원이 지난해 7월부터 정부출연연구소 최초로 자동육아휴직제도를 운영 하고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임씨는 출산휴가가 끝나더라도 눈치보지 않고 육아휴직까지 쓸 수 있게
I. 수출사상최대실적불구, 내수는상대적으로부진 국내경제는수출이사상최대를기록하는등경기회복세를견인하고있으나, 소비회복세가강하지못하고건설 부동산경기는점차둔화 Ÿ 9월수출이전년대비 35.0% 늘어견조한회복흐름을지속 글로벌경기및 IT수요증가로수출이호조세를보이는가운데, 조업일수증
국내경제브리프 건설투자증가세 2018 년부터본격둔화예상 우리금융경영연구소경제연구실 2017. 10. 17. 국내경제는수출이사상최대를기록하는등경기회복세를견인하고있으나, 소비회복세가강하지못하고건설 부동산경기는점차둔화향후건설투자추이가내수경기판단에중요포인트가되고있는가운데, 2016년이후건설투자선행지표가감소세를지속하고, 지난해급증했던건설투자증가세가올해들어둔화되기시작분석결과,
차 례 Ⅰ. 검토배경 1 Ⅱ. 부문별평가 4 1. 소득 4 2. 고용 연관효과 ( 고용제외 ) 경기 21 Ⅲ. 정책과제 27
IT 중심성장과정책과제 이원기 * 김제현 ** 이유나 *** 조사국동향분석팀 * 동향분석팀차장 (Tel : 02-759-4220, e-mail : wklee@bok.or.kr) ** 동향분석팀과장 (Tel : 02-759-4219, e-mail : jehkim@bok.or.kr) *** 동향분석팀조사역 (Tel : 02-759-4169, e-mail : ws3700@bok.or.kr)
<3335C8A35FC6EDC1FDC1DF28C1DFB0A3BFA120B0FDC8A320BAFCC1F6B4C2B0C520C8AEC0CE292E687770>
ISSN 2093-3118 2018년 35호 2018년 4/4분기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 (EBSI) 2018 년 9월동향분석실 이진형연구원 CONTENTS [ 요약] ⅰ I. 2018년 4/4분기수출경기전망 01 II. 항목별 EBSI 05 Ⅲ. 품목별 EBSI 06 부록 :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개요및용어정의 15 보고서내용문의처동향분석실이진형연구원
< BBF3B9DDB1E2204B444920C0FCB8C12E687770>
최근우리나라수출급락세의특징및요인분석 연구위원이시욱연구위원이한규 1. 문제의제기 최근우리나라수출은세계적경제위기의영향으로작년 11월이후연속적으로감소세 ( 전년동월대비 ) 를유지선진국과개도국경기의동반하락세가심화된작년 4/4분기에는수출증가율이현저히둔화되기시작하여 11월이후에는감소세로전환 최근우리나라수출증가율추이 ( 통관기준 ) 1 8 6 4 2-2 -4-6 ( 전년동기대비,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2009.11. 3.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283-7722 / mykim@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Ⅳ. 고용없는성장지속과대응방안 16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요약문. 2005 5,..,..,..,
+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그림 3 지역 및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수요 증가율 그림 4 최종 에너지 소비량 중 에너지원별 점유율 시장 전망에서 세계 GDP 성장률은 연평균 3.4% 인 증가를 선도하겠지만 이후에는 인도가 지배적인 역할 구는 0.9% 증
Special Issues 특집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1 개황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매년 세계 에너지시장에 대한 중장기 전망을 발표해 오고 있다. 2014년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은 분석기간을 2040년까지 확대해 장기 전망과 분석을 수행했고 에너지소비와 수급측면의 종합적인 동향과 석유 천연 가스 석탄 전력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등의
부산지역 주요 제조업종 2015년 동향 및 2016년 전망 조사보고서.hwp
경 제 조 사 보 고 서 2015. 12 부산지역 주요 제조업종 2015년 동향 및 2016년 전망 조사 요 약 2015년 매출액은 17조4,115억원으로 전년대비 0.1% 증가 년중 실물경기 침체, 메르스 여파 등으로 매출부진을 겪어오다 하반기 소비진작책에다 기업의 신제품 개발과 해외마케팅 강화 등 자구노력에 힘입어 상반기 부진을 만회한 것으로 나타남 -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Global Market Report 17-039 Global Market Report 태국자동차산업글로벌밸류체인 (GVC) 진출방안 방콕무역관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13 3.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16 1. 개관
untitled
Page 1. Summary Chemical / Energy Weekly 3, / /!!! 26 3 2 Analyst 377-3564 1kyuwon1@naver.com Chemical / Energy Weekly 26 3 2 [1] 1 : 2 : (WTI) 2.% 1.%.% -1.% -2.% -3.% -4.% -3.9% Source : Bloomberg '632
214. 7월산업동향집계결과 ( 종합 ) 가동률은상승세지속 생산 2.6% 4.4% 수출 7월국가산업단지가동률은.1%p 상승한 81.2% 를기록했다. 당월가동률은하계휴가에도불구하고, 전월부터시작된대형업체들의설비보수가순차적으로완료됨에따라생산이정상화되고, 선박생산의확대로상승
국가산업단지 July 214 PRODUCTION 생산 2.6%.3% 한국산업단지공단관할 7 EXPORT 수출 OPERATION RATIO 가동률 4.4% 2.9%.1%p.9%p 214. 7월산업동향집계결과 ( 종합 ) 가동률은상승세지속 생산 2.6% 4.4% 수출 7월국가산업단지가동률은.1%p 상승한 81.2% 를기록했다. 당월가동률은하계휴가에도불구하고, 전월부터시작된대형업체들의설비보수가순차적으로완료됨에따라생산이정상화되고,
Microsoft Word - ICT Zoom
* 최근 ICT 수출및수출기업현황분석 I. 최근 ICT 수출실적분석 1. 최근 ICT 수출은반도체, 디스플레이등주력품목중심으로크게증가 ICT 수출은지난 11 월이후 8 개월연속전년동월대비두자릿수증가를기록중이며, 특히반도체는 7 월누적기준 53.2% 증가, 디스플레이는 12.9% 증가하는등주력품목이 ICT 수출을주도 ICT 수출증가율 (%): (2016.11.)3.2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2016.07.08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괄 ( 경제연구실장 ) : 주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경제연구실 / 동향분석팀 : : 조규림선임연구원 (2072-6240,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54.1%) 기계류 (20.2%) 의류 (42.6%) 는증가, 제조용장비 ( 0.2%) 철광 ( 2.0%) 은감소 ( 소비재 : 34.9% 증가 ) 의류 (42.6%) 승용차 (8.2%) 담배 (98.8%) 등은증가,
보도일자 배포즉시보도해주시기바랍니다. 배포일자 2018. 11. 15.( 목 ) 담당부서 관세청통관기획과 담당과장 이종욱 (042-481-7810) 담당자 김용익사무관 (042-481-7845) 전우진주무관 (042-481-7848) 2018 년 10 월월간수출입현황 ( 확정치 ) 월간역대 2 위수출액, 6 개월연속수출 500 억달러돌파, 최단기간수출 5,000
지역별로는최대수출국인중국 홍콩포함 억달러 에서역대최고수출액을기록했으며 베트남 억달러 미국 억달러 등주요국에서증가 년도정보통신기술 수출입수지는 억달러흑자로 전체수출입수지흑자 억달러 에기여 - 2 -
http://www.motie.go.kr 보도자료 2018년 1월 17일 ( 수 ) 조간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1.16.( 화 ) 오전 11시이후보도가능 ) 산업통상자원부전자전기과배포일시 2018. 1. 16.( 화 ) 담당부서산업통상자원부전자부품과 담당과장 이진광과장 (044-203-4340) 박영삼과장 (044-203-4270)
Contents 03 총괄 04 통계로보는 Economic 프리즘 경기종합지수 09 충남경제뉴스 14 부록 발 행 인 편집위원장 편집위원 집 필 진 발 행 처 주 소 연 락 처 팩 스
1. 통계로보는 Economic 프리즘 2018 2018 월간 2. 경기종합지수 3. 충남경제뉴스 4. 부록 ISSN 2093 0844 Chungnam Economic Trends November 2017. 11 2018 년우리나라경제 & 산업별전망은? 주요기관별 2018 경제성장률전망 3.0% 2017 2.9% 2018 2.9% 2017 2.8% 2018
<312E B3E BFF C1D6BFE4C7B0B8F1B5BFC7E2C1B6BBE75F2E687770>
59 1. ICT 기업경기조사 (BSI) 1. ICT 기업경기조사 (BSI) 1.1 ICT 종합경기 ( 경기판단 ) 18 년 2 월 ICT 분야의종합경기실적 BSI 는 으로전월대비악화된것으로나타났으며, 3 월전망 BSI 는 로 2 월실적 BSI 와비교하여개선될것으로전망됨 BSI 가기준치인 인경우긍정적인응답업체수와부정적인응답업체수가같음을의미하며, 초과인경우에는긍정응답업체수가
<4D F736F F D20B9DDB5B5C3BC5F34BFF920BBF3B9DDBFF D20B0EDC1A4B0A12E646F63>
Industry Brief Analyst 이세철 (6309-4523) seicheol.lee@meritz.co.kr 2013. 04. 15 반도체 Overweight 4 월상반월 DRAM 고정가 8.5% 상승 Top Picks 삼성전자 (005930) Buy, TP 1,970,000 원 SK 하이닉스 (000660) Buy, TP 36,000 원 결론 - PC
작성 선임연구원양종서 ( ) 선임연구원강정화 ( ) 선임연구원김윤지 ( ) 선임연구원성동원 (3779
Issue Report Vol. 2018-issue-01 (2018. 2.) 2018 년경제 산업전망 국내외경제전망 가 세계경제전망 나 국내경제전망 주요산업별수출전망 가 해외건설 인프라 나 조선해양 다 주력수출산업 라 신성장산업 본보고서내용은연구진의견해로 한국수출입은행의공식입장과는무관합니다 작성 선임연구원양종서 (3779-6679) flydon@koreaexim.go.kr
<C6F7C4BFBDBA203536C8A320C6EDC1FD2E687770>
ISSN 2093-3118 2018년 56호 2019년 1/4분기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 (EBSI) 2018 년 12월동향분석실 이진형연구원 CONTENTS [ 요약] ⅰ I. 2019년 1/4분기수출경기전망 01 II. 항목별 EBSI 05 Ⅲ. 품목별 EBSI 06 부록 :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개요및용어정의 15 보고서내용문의처동향분석실이진형연구원
2. '18 년수출주요특징 * 역대수출액 ( 억달러 ) : (2 위 ) 5,737( 17 년 ), (3 위 ) 5,727( 14 년 ), (4 위 ) 5,596( 13 년 ) * 역대최단기간이자최초 10 월중수출 5,000 억달러旣돌파 (10.29 일 ) * 주요국수출
보도자료 2019 년 1월 1일 ( 화 ) 11:00 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배포일시 2019. 1. 1.( 화 ) 담당부서수출입과 http://www.motie.go.kr 2018 년수출입실적및평가 수출 6,055 억달러 (5.5%), 수입 5,350 억달러 (11.8%) - 2018 년무역액은 1 조 1,405 억달러로사상최대실적 - 담당과장조익노과장
- i - - ii - - iii - - iv - - v - 1 2 3 4 5 매출액 ( 십억 $) 500 증가율 (%) 50% 해외매출 450 해외매출증가율 400 40% 350 30% 300 20% 250 200 10% 150 0% 100 50-10% 0-2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배포일시 담당과장 보도자료 2016년 8월 12 일( 금) 조간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8.11( 목) 오전 11 시이후보도가능) ( 수) 담당부서 김종주과장 ( ) 안세진과장 (
배포일시 담당과장 보도자료 2016년 8월 12 일( 금) 조간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8.11( 목) 오전 11 시이후보도가능) 2016. 8. 10. ( 수) 담당부서 김종주과장 (044-203-4340) 안세진과장 (044-203-4270) 서성일과장 (02-2110-2960) 담당자 http://www.motie.go.kr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2. 특징및평가
보도자료 http://www.motie.go.kr 2018 년 6 월수출입동향 2018 년 7 월 1 일 ( 일 ) 11:00 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배포일시 2018. 7. 1.( 일 ) 담당부서수출입과 담당과장이원희과장 (044-203-4040) 담당자 정민규사무관 (044-203-4041) 홍석민사무관 (044-203-4042) 이나영주무관 (044-203-4047)
중소기업해외진출지원정책효율화방안 최종보고서 한남대학교산학협력단
중소기업해외진출지원정책효율화방안 최종보고서 2012. 7 한남대학교산학협력단 I. 서론 - 3 - - 4 - - 5 - - 6 - - 7 - 1) 본연구에서는해외진출과글로벌화의개념을혼용하기로한다. 자료에따라서는해외진출은해외직접투자만을의미하는것으로쓰이기도하지만넓은의미에서의해외진출은대체로글로벌화와그맥락을같이한다고할수있을것이다. - 8 - 2) 2010 년말현재전세계에
Layout 1
September 2013 국가산업단지 한국산업단지공단 관할 production [생산] 전년 동월대비 9 1.2% 3.6% Export [수출] 4.5% 전년 동월대비 7.7% 月 operation ratio [가동률] 0.7%p 82.0% 전년 동월대비 1.9%p 생산은감소, 수출은증가세 2013 년 9 월국가산업단지생산은 1.2% 감소, 수출은 4.5%
MRIO (25..,..).hwp
공공투자사업의지역경제파급효과추정을위한 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구축및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제 Ⅰ 장문제의제기 1 제Ⅱ장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분석의추이및문제점 7 제Ⅲ장 MRIO 모형구축을위한방법론검토 17 제Ⅳ장 KDI MRIO 모형의구조및특성 37 제Ⅴ장 KDI MRIO 모형의세부구축방법 60 제Ⅵ장 KDI MRIO 모형의추정및결과 120 제Ⅶ장
이승훈의경제脈 한국 11 월수출, 3 개월만에증가전환 : 8 월과는다르다 산업통상자원부에따르면한국 11월수출은전년대비 2.7% 늘어나며, 3개월만에증가전환하였다. 조업일수로조정한일평균수출은전년대비 1.6% 줄어들면서 1월 (-1.%) 에비해감소폭이확대되었다. 그러나,
216. 12. 2 한국수출회복, 지속가능성높다 경제분석 Economist 이승훈 2. 698-6619 seunghoon.lee@meritz.co.kr 한국 11월수출, 전년대비 +2.7% 로 3개월만에증가전환 : 회복국면진입 이번회복의지속가능성이높은이유 3가지 1. 원자재가격상승과이에따른한국수출단가상승 2. 자원수출국과중국의수요회복 3. 산업용 IT제품의구조적수요신장
<3134303730312DC6F7C4BFBDBA3239C8A320C6EDC1FDC1DF2E687770>
ISSN 2093-3118 Vol.13 No.29 수출산업경기전망(EBSI)조사 7월 심혜정 연구원 통계청 승인 통계 제36005호 조사개요 조사기간 : 2014. 6. 3 ~ 6. 19 (15일간) 조사대상 : 2013년도 수출실적 50만 달러 이상인 한국무역협회 회원사 2000개사 조사지역 : 전국 광역 자치단체 조사방법 : 온라인, 팩스, 전화 설문회수
2018년전기산업전망 (1) 세계전기산업전망세계경기의회복세로글로벌수입수요확대국가유가상승으로신흥국중심으로중동및남미자원부국인프라투자확대예상된다. 미국, 유럽등선진국의통화긴축기조대중국교역여건악화로인한어려움이있으나신흥국중심으로발전 송배전수요는꾸준하게증가하고, 제품개발에서도전통
2018 년전기산업동향및전망 < 한국전기산업진흥회 > 2018년국내생산규모는증가한조원전망 2017년수출분야기저효과와설비투자개선효과 세계경기및내수회복국면으로신재생에너지생산수요증가 건설투자경기의급랭및수출의리스크등경제심리의비관론등다양한리스크존재 2018년수출은 3.5% 증가한 129.5억불전망 세계경기의회복세로글로벌수입수요확대국가유가상승으로신흥국중심으로중동및남미자원부국인프라투자확대
차례 Ⅰ. 실물경제총괄 3 1. 해외경제 3 (1) 주요국동향 3 (2) 국제금융. 유가 4 2. 중국산업동향 4 3. 국내실물경제 7 (1) 생산, 소비, 투자 7 (2) 고용 8 (3) 물가 9 (4) 금융. 외환 10 (5) 수출입 11 < 이슈 > 2017년거시
2016 ISSN 2092-8661 www.kiet.re.kr 12 NO.87 KIET I N D U S T R Y B R I E F 산업동향 브리프 2017년 거시경제 전망 실물경제 총괄 해외경제 중국 산업동향 국내 실물경제 산업별 동향 제조업 서비스산업 03 03 04 07 15 15 34 2017년 12대 주력산업 전망 차례 Ⅰ. 실물경제총괄 3 1.
2. 특징및평가
보도자료 http://www.motie.go.kr 2018 년 4 월수출입동향 2018 년 5 월 1 일 ( 화 ) 11:00 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배포일시 2018. 5. 1.( 화 ) 담당부서수출입과 담당과장이원희과장 (044-203-4040) 담당자 정민규사무관 (044-203-4041) 홍석민사무관 (044-203-4042) 이나영주무관 (044-203-4047)
2007
Eugene Research 산업분석 217.. 3 노경탁 Analyst 의 짜릿한전기전자 9 월 TV 판매동향 : OLED TV 판매량급증 전기전자 /IT 부품노경탁 Tel. 2)368-6647 / kyoungkt@eugenefn.com Overweight( 유지 ) Recommendations LG 전자 (6657) 투자의견 : BUY( 유지 ) 목표주가
2019 년산업전망 Ⅰ. 산업총관 2018년제조업산업활동부진 국내제조업은반도체를제외하고는내수와수출이모두감소하며부진 년제조업생산지수증가율 (%, 전년동기대비 ) : 1분기 2.8, 2분기 0.5, 3분기 2.2 반도체제외시 1분기 3.0, 2분기 1.8, 3분
2019 년산업전망 산업기술리서치센터김시언연구위원외 Ⅰ. 산업총관 Ⅱ. 주요산업별전망 2019년국내산업은제조업산업활동의일부개선이예상되나전반적으로회복이지연되는가운데, 대규모구조조정이진행되었던조선, 해운산업의부진은지속될것으로전망된다. 전통주력산업의경우일반기계, 석유화학, 철강은수요둔화로인해생산이소폭증가에그칠것으로전망되고, 자동차는내수및수출의동반부진으로생산의감소가예상된다.
<C1B6BBE7BFF9BAB835BFF9C8A35F E687770>
130 금융 경제이슈 2011 년수정경제전망 목 차 I. 최근국내경제동향 II. 경제전망의기본전제 III. 2011 년경제전망 IV. 평가 Ⅰ. 최근국내경제동향 2010년국내경제는연간 6.2% 성장 2010년의 6% 대성장은 2009년의 0.3% 성장에따른기저효과와내수및수출의동반호조에기인 - 2009년도상반기마이너스성장으로상고하저의성장세시현 농업및건설업이부진하였으나내수및수출수요확대에힘입어제조업이국내경제성장을견인
Microsoft Word - ★삼성전자 3Q12 Conference Call Summary.doc
삼성전자 (005930) 삼성전자 3Q12 Conference Call Summary 최성제 / 3773-9045 1. 손익계산서(연결기준) (단위: 조원) 2Q12 QoQ 3Q11 YoY 매출액 52.18 47.60 10% 41.27 26% 반도체 8.72 8.60 1% 9.48-8% 메모리 5.22 5.42-4% 5.50-5% DP 8.46 8.25 3%
<C6F7C4BFBDBA3336C8A32DC6EDC1FDC1DF2E687770>
ISSN 2093-3118 Vol.14 No.36 2015년 4/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EBSI)조사 2015년 9월 동향분석실 강내영 연구원 통계청승인통계제36005호 조사개요 조사기간 : 2015. 9. 7 ~ 9. 17 (10 일간 ) 조사대상 : 2014년도수출실적 50만달러이상인한국무역협회회원사 1,756개사 조사지역 : 전국광역자치단체 조사방법 :
목차 [ 요약 ] Ⅰ 년수출입동향및평가 1 Ⅱ 년무역 통상환경전망 15 Ⅲ 년수출입전망 24 Ⅳ. 품목별수출동향및전망 26 보고서내용문의처문병기수석연구원심혜정연구원 ( , (
ISSN 2093-3118 Vol.14 No.46 2015 년수출입평가및 2016 년전망 2015 년 11 월 국제무역연구원 목차 Ⅰ. 2015년수출입동향및평가 Ⅱ. 2016년무역 통상환경전망 Ⅲ. 2016년수출입전망 Ⅳ. 품목별수출동향및전망 목차 [ 요약 ] Ⅰ. 2015 년수출입동향및평가 1 Ⅱ. 2016 년무역 통상환경전망 15 Ⅲ. 2016 년수출입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