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도 대한전자공학회 학회상 및 해동상 후보자 추천 사단법인 대한전자공학회에서는 매년 전자 정보 통신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 전자공학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분에게 학회상 및 해동상을 아래와 같이 시상하고 있습니다. 해동상은 대덕전자(주) 김정식 회장께서 우리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2016년도 대한전자공학회 학회상 및 해동상 후보자 추천 사단법인 대한전자공학회에서는 매년 전자 정보 통신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 전자공학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분에게 학회상 및 해동상을 아래와 같이 시상하고 있습니다. 해동상은 대덕전자(주) 김정식 회장께서 우리"

Transcription

1 ISSN 제43권 4호 2016 년 4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3. no.4 5G 이동통신동향 : 서비스, 표준화, 유망기술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시프트 5G 이동통신표준화및주파수동향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Massive Connectivity 제공기술 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위한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연구동향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2 2016년도 대한전자공학회 학회상 및 해동상 후보자 추천 사단법인 대한전자공학회에서는 매년 전자 정보 통신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 전자공학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분에게 학회상 및 해동상을 아래와 같이 시상하고 있습니다. 해동상은 대덕전자(주) 김정식 회장께서 우리나라 전자공학 분야의 학문 발전과 기술 발전을 위하여 크게 업적을 쌓은 분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해동과학문화재단을 설립함으로써 제정되었습니다. 금년에도 회원 여러 분께서 훌륭하신 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시상부문 시상부문 학회상 인원 시상자격 시상내용 대한전자공학대상 1명 전자.정보.통신 및 그 관련 분야에 탁월한 업적이 있는 자 상패 및 부상 (2,000만원) 기술혁신상 1명 전자공학 기술발전에 현저한 업적을 이룩한 자 또는 기업의 기술혁신에 기여한 자 상패 및 부상 논문상 (TC, SD,CI,SP, SC,IE) 6명 우수한 논문을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지 및 해외 저명 학술지에 발표한 자로서 6개 Society (TC,SD,CI,SP,SC,IE)별 각 1인(*) 상패 및 부상 인원 시상자격 시상내용 학술상 1명 전자.정보.통신 및 관련 분야 학술 활동에 탁월한 업적이 있는 자(**) 상패 및 부상 (2,000만원) 기술상 1명 최근 5년간 특허 및 신기술 개발 실적에 탁월한 업적을 이루어 전자.정보.통신 분야의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한 자 상패 및 부상 (2,000만원) 젊은공학인상 1명 40세이하로서 전자.정보.통신 및 관련분야의 학술활동 또는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한 자 상패 및 부상 (1,000만원) 시상부문 해동상 国內唯一의 日本 工学. 産業 技術情報図書館 日本 工学 全分野의 技術書籍, 産業界 定期刊行物, 日本 企業 技術報告書, 日本 政府 白書, 日本 産業.工業 新聞 등을 소장하고 있는 일본 공학.산업기술 전문 도서관 * 최근 5년간 전자공학회 논문지에 3편 이상의 저널 논문이 포함되어야함. ** 최근 5년간 3편 이상의 전자공학회 논문이 포함되어야함. 해동 학술상 수상자는 차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기조연설자로 초청됨. 2. 추천권자 가. 소속기관장 (연구소, 대학, 기업체, 행정기관 등) 나. 개인(본인 포함) * 단, 대한전자공학대상은 소속기관장의 추천에 한함. 3. 제출서류 본 도서관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5동에 위치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바랍니다. 문의처 (담당:진수민) . smin@snu.ac.kr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 610호(대한전자공학회 해동자료실)에서도 소장도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전자공학회43-4표지.indd 2 . ieie@theieie.org 제출서류 작성양식은 학회 홈페이지( 참조하기 바람. 4. 서류 또는 이메일 접수 가. 접수마감 : 2016년 7월 19일(화) 나. 접 수 처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역삼동 635-4)과학기술회관 신관 907호 대한전자공학회 사무국 이안순 부장 ( (내선 6번), ieie@theieie.org) 5. 수상자 발표 및 시상 가. 발표 : 2016년 11월 초순 나. 시상 : - 학회상 : 2016년 11월 26일(토) 정기총회(장소 : 추후공지) - 해동상 : 2016년 12월 9일(금) 송년회(장소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오후 2:06:01

3

4

5

6

7

8

9

10 미국특허 Top 20 업체들은어떤자료를인용하나요? IEEE is cited over 3x more often than the nearest competition Source: 1790 Analytics LLC Based on number of references to papers/sta ndards/conferences from 독보적인특허인용율을자랑하는 IEEE 와 IP 가만든 IQ Plus, 이제전세계특허를보다스마트하게분석해보세요 Authorized Dealer in Korea TEL ( 代 )

11 Contents 제 43 권 4 호 (2016 년 4 월 ) 학회소식 12 학회소식 / 편집부 14 학회일지 15 특집편집기 / 김재현, 정방철 특집 : 5G 이동통신동향 : 서비스, 표준화, 유망기술 16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시프트 (Paradigm Shift in 5G Services) / 이호원, 유희정 26 5G 이동통신표준화및주파수동향 / 오충근 학회지 4 월호표지 (vol 43. No 4) 35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 김동규, 노광석, 이상림, 이호재, 정재훈, 김병훈 회지편집위원회 위원장황인철 ( 강원대학교교수 ) 위원김동규 ( 한양대학교교수 ) 김문철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수찬 ( 한경대학교교수 ) 김시호 ( 연세대학교교수 ) 김영진 ( 한국항공대학교교수 ) 김재현 ( 아주대학교교수 ) 김정태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김현 ( 부천대학교교수 ) 남기창 ( 동국대학교교수 ) 박승영 ( 강원대학교교수 ) 백동현 ( 중앙대학교교수 ) 송민규 ( 동국대학교교수 ) 신종원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유명식 ( 숭실대학교교수 ) 이병근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이승호 ( 한밭대학교교수 ) 이용구 ( 한림성심대학교교수 ) 이희덕 ( 충남대학교교수 ) 인치호 ( 세명대학교교수 ) 전병태 ( 한경대학교교수 ) 조제광 (LG 전자책임연구원 ) 진훈 ( 경기대학교교수 ) 채관엽 ( 삼성전자수석연구원 ) 한완옥 ( 여주대학교교수 ) 사무국편집담당변은정과장 ( 내선 3) TEL : (02) ( 대 ) FAX : (02) 학회홈페이지 46 Massive Connectivity 제공기술 / 오성민, 신재승, 이창희, 박옥선 54 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위한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연구동향 / 김종현, 김광순 60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 김효일, 양현종, 이경한, 정방철, 주창희 71 논문지논문목차 73 박사학위논문 74 신간안내 정보교차로 75 국내외학술행사안내 / 편집부 85 특별회원사, 단체회원

12 The Magazine of the IEIE 2016 년도임원및각위원회위원 회 장 구용서 ( 단국대학교교수 ) - 총괄 수석부회장홍대식 ( 연세대학교교수 ) - 총괄 고 문 구원모 ( 전자신문사대표이사 ) 김기남 ( 삼성전자 ( 주 ) 사장 ) 박청원 ( 전자부품연구원원장 ) 백만기 ( 김 & 장법률사무소변리사 ) 양웅철 ( 현대자동차 부회장 ) 이상훈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 이재욱 ( 노키아티엠씨명예회장 ) 이희국 ( LG 상근고문 ) 천경준 ( 씨젠회장 ) 감 사 이필중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정교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부 회 장 박홍준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 회원, 지부, 표준화 백준기 ( 중앙대학교교수 ) - 하계, 영문논문편집, 회지편집, 국제협력 안승권 (LG 전자 사장 ) - 산학연 임혜숙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 사업, 추계, 재무 최천원 ( 단국대학교교수 ) - 기획, 국문논문편집, 교육 / 홍보 소사이어티회장 안현식 ( 동명대학교교수 ) - 컴퓨터소사이어티 오승록 ( 단국대학교교수 ) - 시스템및제어소사이어티 원영진 ( 부천대학교교수 ) - 산업전자소사이어티 이재진 ( 숭실대학교교수 ) - 통신소사이어티 전영현 ( 삼성전자 사장 ) - 반도체소사이어티 조남익 ( 서울대학교교수 ) -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산업체부회장 김창용 ( 삼성전자 DMC연구소장 ) 박성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 협동부회장김기호 ( 삼성전자 부사장 ) 김달수 ( 티엘아이대표이사 ) 김부균 ( 숭실대학교교수 ) 김상태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단장 ) 김수원 ( 고려대학교교수 ) 김종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소장 ) 김철동 ( 세원텔레텍대표이사 ) 남상엽 ( 국제대학교교수 ) 박찬구 (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파워세미텍대표이사 ) 박형무 ( 동국대학교교수 ) 서승우 ( 서울대학교교수 ) - 사업 성하경 ( 전자부품연구원선임연구본부장 ) 송문섭 (( 유 ) 엠세븐시스템대표이사 ) 유현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박사 ) 유회준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윤기방 ( 인천대학교교수 ) 이상홍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센터장 ) 이상회 ( 동서울대학교교수 ) 이승훈 ( 서강대학교교수 ) 이윤종 ( 동부하이텍부사장 ) 이재훈 ( 유정시스템 사장 ) 장태규 ( 중앙대학교교수 ) 전성호 ( 솔루엠대표이사 ) 정 준 ( 쏠리드대표이사 ) 정은승 ( 삼성전자 부사장 ) 정진용 ( 인하대학교교수 ) 정항근 ( 전북대학교교수 ) 조상복 ( 울산대학교교수 ) 최승원 ( 한양대학교교수 ) 한대근 ( 실리콘웍스대표이사 ) 허 염 ( 실리콘마이터스대표이사 ) 허 영 ( 한국전기연구원본부장 ) 호요성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상임이사 공준진 ( 삼성전자 마스터 ) - 국제협력 김선욱 ( 고려대학교교수 ) - 학술 ( 하계 ) 김종옥 ( 고려대학교교수 ) - 회원 / 정보화 박종일 ( 한양대학교교수 ) - 사업 백광현 ( 중앙대학교교수 ) - 총무 범진욱 ( 서강대학교교수 ) - 사업 심동규 ( 광운대학교교수 ) - SPC 엄낙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소장 ) - 산학연 유창동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 사업 윤일구 ( 연세대학교교수 ) - 교육 / 홍보 이충용 ( 연세대학교교수 ) - 재무 이혁재 ( 서울대학교교수 ) - 논문편집 이흥노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 기획 최중호 ( 서울시립대학교교수 ) - 학술 ( 추계 ) 홍용택 ( 서울대학교교수 ) - 표준화 황인철 ( 강원대학교교수 ) - 회지편집 산업체이사고요환 ( 매그나칩반도체전무 ) 김보은 ( 라온텍사장 ) 김진선 (SK이노베이션전무 ) 김태진 ( 더즈텍사장 ) 김현수 ( 삼성전자 상무 ) 민경오 (LG 전자 부사장 ) 박동일 ( 현대자동차 전무 ) 손광준 ( 산업통상자원부 PD) 송창현 ( 네이버 CTO) 오의열 (LG 디스플레이 연구위원 ) 윤영권 ( 삼성전자 마스터 ) 정원영 ( 다우인큐브전무 ) 정한욱 ( MOS 강남대표이사 ) 조영민 ( 스카이크로스코리아사장 ) 조재문 ( 삼성전자 전무 ) 차종범 ( 구미전자정보기술원원장 ) 최승종 (LG 전자 전무 ) 최정아 ( 삼성전자 전무 ) 최진성 (Sk텔레콤전무 ) 함철희 ( 삼성전자 마스터 ) 홍국태 (LG 전자 연구위원 ) 이 사 강문식 ( 강릉원주대학교교수 ) - 학술 ( 하계 ) 공배선 ( 성균관대학교교수 ) - ICCE 권기원 ( 성균관대학교교수 ) - 국제협력 권종기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 사업 권혁인 ( 중앙대학교교수 ) - 총무 김대환 ( 국민대학교교수 ) - 표준화 김동규 ( 한양대학교교수 ) - 회지편집 김동식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 사업

13 김문철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 회지편집 김성호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실장 ) - 학술 ( 하계 ) 김승천 ( 한성대학교교수 ) - 기획 김용석 ( 성균관대학교교수 ) - 학술 ( 추계 ) 김용신 ( 고려대학교교수 ) - 총무 김원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 표준화 김창익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 사업 노원우 ( 연세대학교교수 ) - 논문편집 노태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 학술 ( 하계 ) 동성수 ( 용인송담대학교교수 ) - 회원 / 정보화 문 용 ( 숭실대학교교수 ) - 논문편집 민경식 ( 국민대학교교수 ) - 학술 ( 추계 ) 박현창 ( 동국대학교교수 ) - 사업 변영재 ( 울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 학술 ( 추계 ) 성해경 ( 한양여자대학교교수 ) - 교육 / 홍보 송민규 ( 동국대학교교수 ) - 회지편집 송상헌 ( 중앙대학교교수 ) - 기획 송용호 ( 한양대학교교수 ) - 학술 ( 추계 ) 심정연 ( 강남대학교교수 ) - 총무 예종철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 논문편집 유윤섭 ( 한경대학교교수 ) - 회원 / 정보화 윤석현 ( 단국대학교교수 ) - 기획 이광엽 ( 서경대학교교수 ) - 산학연 / 학술 ( 추계 ) 이병근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 회지편집 이병선 ( 김포대학교교수 ) - 교육 / 홍보 이상근 ( 중앙대학교교수 ) - SPC 이성수 ( 숭실대학교교수 ) - 기획 이승호 ( 한밭대학교교수 ) - 회지편집 이용식 ( 연세대학교교수 ) - 교육 / 홍보 이윤식 ( 울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 교육 / 홍보 이찬호 ( 숭실대학교교수 ) - 산학연 이한호 ( 인하대학교교수 ) - 국제협력 이호진 ( 숭실대학교교수 ) - 표준화 인치호 ( 세명대학교교수 ) - 논문편집 임기택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 ) - 사업 정영모 ( 한성대학교교수 ) - 논문편집 정의영 ( 연세대학교교수 ) - ICCE 조성현 ( 한양대학교교수 ) - 국제협력 조성환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 ICCE 최강선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 학술 ( 하계 )/ SPC 최병호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 ) - 산학연 최수용 ( 연세대학교교수 ) - 재무 최용수 ( 성결대학교교수 ) - 논문편집 한재호 ( 고려대학교교수 ) - 회원 / 정보화 한종기 ( 세종대학교교수 ) - 학술 ( 추계 ) 한태희 ( 성균관대학교교수 ) - 교육 / 홍보 허재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실장 ) - ICCE 현경숙 ( 세종대학교교수 ) - 논문편집 협동이사 강석형 ( 울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 교육 / 홍보 고윤호 ( 충남대학교교수 ) - 산학연 권호열 ( 강원대학교교수 ) - 학술 ( 하계 ) 김 짐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선임연구원 ) - 사업 김 현 ( 부천대학교교수 ) - 회지 김남용 ( 강원대학교교수 ) - 회원 김동순 ( 전자부품연구원박사 ) - 학술 ( 하계 ) 김소영 ( 성균관대학교교수 ) - 학술 ( 추계 ) 김승구 ( 충북대학교교수 ) - 회원 / 정보화 김영진 ( 한국항공대학교교수 ) - 회지 김영희 ( 창원대학교교수 ) - 회원 김윤희 ( 경희대학교교수 ) - 재무 김준모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 사업 김지훈 ( 서울과학기술대학교교수 ) - 학술 ( 추계 ) 김창수 ( 고려대학교교수 ) - SPC 김태원 ( 상지영서대학교교수 ) - 기획 남대경 ( 전자부품연구원선임연구원 ) - 사업 노정진 ( 한양대학교교수 ) - 회원 / 정보화 류수정 ( 삼성전자 ( 주 ) 상무 ) - 국제협력 박기찬 ( 건국대학교교수 ) - 표준화 박승영 ( 강원대학교교수 ) - 회지 박재형 ( 전남대학교교수 ) - 회원 박주현 ( 픽셀플러스실장 ) - 산학연 박준희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 기획 박천수 ( 세종대학교교수 ) - 회원 / 정보화 변대석 ( 삼성전자 ( 주 ) 마스터 ) - 국제협력 변철우 ( 원광대학교교수 ) - 회원 서진수 ( 강릉원주대학교교수 ) - 사업 서춘원 ( 김포대학교교수 ) - 사업 선우경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 교육 / 홍보 송병철 ( 인하대학교교수 ) - 학술 ( 하계 ) 신종원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 기획 안길초 ( 서강대학교교수 ) - 사업 연규봉 ( 자동차부품연구원팀장 ) - 표준화 유경식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 학술 ( 하계 ) 이가원 ( 충남대학교교수 ) - 논문 이강윤 ( 성균관대학교교수 ) - 학술 ( 추계 ) 이기성 ( 고려대학교교수 ) - ICEIC 이문구 ( 김포대학교교수 ) - 회원 / 정보화 이민영 ( 반도체산업협회본부장 ) - 산학연 이석필 ( 상명대학교교수 ) - 교육 / 홍보 이용구 ( 한림성심대학교교수 ) - 논문 이창우 ( 가톨릭대학교교수 ) - 기획 이채은 ( 인하대학교교수 ) - 논문 장길진 ( 경북대학교교수 ) - 사업 장익준 ( 경희대학교교수 ) - 논문 전문구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 기획 전병태 ( 한경대학교교수 ) - 회지 전준표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책임연구원 ) - 학술 ( 추계 ) 정용규 ( 을지대학교교수 ) - 기획 정윤호 ( 한국항공대학교교수 ) - 논문 조명진 ( 네이버박사 ) - 학술 ( 하계 ) 조수현 ( 홍익대학교교수 ) - 총무 최병덕 ( 한양대학교교수 ) - 표준화 최윤경 ( 삼성전자 ( 주 ) 마스터 ) - 총무 한영선 ( 경일대학교교수 ) - 학술 ( 하계 ) 한완옥 ( 여주대학교교수 ) - 회지 지부장명단 강원지부 임해진 ( 강원대학교교수 ) 광주 전남지부 이배호 ( 전남대학교교수 ) 대구 경북지부 박정일 ( 영남대학교교수 ) 대전 충남지부 이희덕 ( 충남대학교교수 ) 부산 경남 울산지부 이장명 ( 부산대학교교수 ) 전북지부 조경주 ( 원광대학교교수 ) 제주지부 강민제 ( 제주대학교교수 ) 충북지부 최영규 ( 한국교통대학교교수 ) 호서지부 장은영 ( 공주대학교교수 ) 일본지부 백인천 (AIZU대학교교수 ) 미국지부 최명준 ( 텔레다인박사 )

14 The Magazine of the IEIE 자문위원회 위원회명단 위 원 장 박진옥 ( 명예회장 ) 부위원장 김영권 ( 명예회장 ) 위 원 고성제 ( 고려대학교교수 ) 김덕진 ( 명예회장 ) 김도현 ( 명예회장 ) 김성대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수중 ( 명예회장 ) 김재희 ( 연세대학교교수 ) 김정식 ( 대덕전자회장 ) 나정웅 ( 명예회장 ) 문영식 ( 한양대학교교수 ) 박규태 ( 명예회장 ) 박성한 ( 명예회장 ) 박항구 ( 소암시스텔회장 ) 변증남 ( 명예회장 ) 서정욱 ( 명예회장 ) 성굉모 ( 서울대학교명예교수 ) 윤종용 ( 삼성전자비상임고문 ) 이문기 ( 명예회장 ) 이상설 ( 명예회장 ) 이재홍 ( 서울대학교교수 ) 이진구 ( 동국대학교석좌교수 ) 이충웅 ( 명예회장 ) 이태원 ( 명예회장 ) 임제탁 ( 명예회장 ) 전국진 ( 서울대학교교수 ) 전홍태 ( 중앙대학교교수 ) 정정화 ( 한양대학교석좌교수 ) 홍승홍 ( 명예회장 ) 기획위원회 위 원 장 이흥노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위 원 김승천 ( 한성대학교교수 ) 김태원 ( 상지영서대학교교수 ) 박인규 ( 인하대학교교수 ) 박준희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박현창 ( 동국대학교교수 ) 송상헌 ( 중앙대학교교수 ) 신종원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윤석현 ( 단국대학교교수 ) 이병선 ( 김포대학교교수 ) 이성수 ( 숭실대학교교수 ) 이창우 ( 가톨릭대학교교수 ) 정용규 ( 을지대학교교수 ) 최준원 ( 한양대학교교수 ) 학술연구위원회 위 원 장 김선욱 ( 고려대학교교수 ) - 하계 최중호 ( 서울시립대학교교수 ) - 추계 위 원 강문식 ( 강릉원주대학교교수 ) 구형일 ( 아주대학교교수 ) 권호열 ( 강원대학교교수 ) 김경연 ( 제주대학교교수 ) 김동순 ( 전자부품연구원박사 ) 김성호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실장 ) 김영로 ( 명지전문대학교수 ) 김용권 ( 건양대학교교수 ) 김용신 ( 고려대학교교수 ) 김종옥 ( 고려대학교교수 ) 김철우 ( 고려대학교교수 ) 노원우 ( 연세대학교교수 ) 노태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실장 ) 박상윤 ( 명지대학교교수 ) 박재홍 ( 서울대학교교수 ) 변영재 ( 울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서성규 ( 고려대학교교수 ) 송병철 ( 인하대학교교수 ) 유경식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윤일구 ( 연세대학교교수 ) 이병근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이용구 ( 한림성심대학교교수 ) 이채은 ( 인하대학교교수 ) 이흥노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정승원 ( 동국대학교교수 ) 제민규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조명진 ( 네이버박사 ) 최강선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한영선 ( 경일대학교교수 ) 한영선 ( 경일대학교교수 ) 한완옥 ( 여주대학교교수 ) 황인철 ( 강원대학교교수 ) 논문편집위원회 위 원 장 이혁재 ( 서울대학교교수 ) 위 원 김경기 ( 대구대학교교수 ) 김지훈 ( 서울과학기술대학교교수 ) 김진성 ( 선문대학교교수 ) 노원우 ( 연세대학교교수 ) 노태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성해경 ( 한양여자대학교교수 ) 유명식 ( 숭실대학교교수 ) 윤석현 ( 단국대학교교수 ) 이상근 ( 중앙대학교교수 ) 이수열 ( 경희대학교교수 ) 이용구 ( 한림성심대학교교수 ) 이재성 ( 교통대학교교수 ) 이채은 ( 인하대학교교수 ) 장익준 ( 경희대학교교수 ) 정윤호 ( 한국항공대학교교수 ) 최용수 ( 성결대학교교수 ) 한태희 ( 성균관대학교교수 ) 홍민철 ( 숭실대학교교수 ) 국제협력위원회 위 원 장 공준진 ( 삼성전자마스터 ) 위 원 권기원 ( 성균관대학교교수 ) 김 훈 (Synopsys Korea 이사 ) 김준모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남병규 ( 충남대학교교수 ) 류수정 ( 삼성전자상무 ) 류현석 ( 삼성전자마스터 ) 박성정 ( 건국대학교교수 ) 변대석 ( 삼성전자마스터 ) 신원용 ( 단국대학교교수 ) 유경동 (SK하이닉스상무 ) 이영주 ( 광운대학교교수 ) 이한호 ( 인하대학교교수 ) 장익준 ( 경희대학교교수 ) 정재웅 (Atto Research CEO) 정진섭 (Innowireless SVP) 조상연 ( 삼성전자상무 ) 조성현 ( 한양대학교교수 ) 최우영 ( 연세대학교교수 ) 산학연협동위원회 위원장엄낙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소장 ) 위원고윤호 ( 충남대학교교수 ) 김현 ( 부천대학교교수 ) 김수환 ( 서울대학교교수 ) 남병규 ( 충남대학교교수 ) 박주현 ( 픽셀플러스실장 ) 방극준 ( 인덕대학교교수 ) 이광엽 ( 서경대학교교수 ) 이민영 ( 한국반도체산업협회본부장 ) 이정석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이창석 ( 한밭대학교교수 ) 이한호 ( 인하대학교교수 ) 제민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교수 ) 차철웅 ( 전자부품연구원책임연구원 ) 최병호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 ) 한태희 ( 성균관대학교교수 )

15 회원관리위원회 위 원 장 김종옥 ( 고려대학교교수 ) 위 원 권구락 ( 조선대학교교수 ) 김승구 ( 충북대학교교수 ) 김용신 ( 고려대학교교수 ) 김창수 ( 고려대학교교수 ) 박천수 ( 세종대학교교수 ) 유윤섭 ( 한경대학교교수 ) 최강선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한재호 ( 고려대학교교수 ) 회지편집위원회 위 원 장 황인철 ( 강원대학교교수 ) 위 원 김동규 ( 한양대학교교수 ) 김문철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수찬 ( 한경대학교교수 ) 김시호 ( 연세대학교교수 ) 김영진 ( 한국항공대학교교수 ) 김재현 ( 아주대학교교수 ) 김정태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김 현 ( 부천대학교교수 ) 남기창 ( 동국대학교교수 ) 박승영 ( 강원대학교교수 ) 백동현 ( 중앙대학교교수 ) 송민규 ( 동국대학교교수 ) 신종원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유명식 ( 숭실대학교교수 ) 이병근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이승호 ( 한밭대학교교수 ) 이용구 ( 한림성심대학교교수 ) 이희덕 ( 충남대학교교수 ) 인치호 ( 세명대학교교수 ) 전병태 ( 한경대학교교수 ) 조제광 (LG 전자책임연구원 ) 진 훈 ( 경기대학교교수 ) 채관엽 ( 삼성전자수석연구원 ) 한완옥 ( 여주대학교교수 ) 사업위원회 위 원 장 박종일 ( 한양대학교교수 ) 범진욱 ( 서강대학교교수 ) 유창동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위 원 고균병 ( 한국교통대학교교수 ) 고중혁 ( 중앙대학교교수 ) 권종기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권혁인 ( 중앙대학교교수 ) 김 짐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선임연구원 ) 김동식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김용신 ( 고려대학교교수 ) 김종선 ( 홍익대학교교수 ) 김종옥 ( 고려대학교교수 ) 김준모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창익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형탁 ( 홍익대학교교수 ) 남대경 ( 전자부품연구원팀장 ) 노원우 ( 연세대학교교수 ) 노정진 ( 한양대학교교수 ) 노태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문현욱 ( 동원대학교교수 ) 민경식 ( 국민대학교교수 ) 박강령 ( 동국대학교교수 ) 박정욱 ( 연세대학교교수 ) 박현창 ( 동국대학교교수 ) 서인식 ( 라이트웍스대표이사 ) 서진수 ( 강릉원주대학교교수 ) 서춘원 ( 김포대학교교수 ) 송용호 ( 한양대학교교수 ) 신현출 ( 숭실대학교교수 ) 심동규 ( 광운대학교교수 ) 안길초 ( 서강대학교교수 ) 윤일구 ( 연세대학교교수 ) 윤재철 ( 삼성전자수석 ) 이용식 ( 연세대학교교수 ) 임기택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 ) 장길진 ( 경북대학교교수 ) 조면균 ( 세명대학교교수 ) 조제광 (LG 전자박사 ) 최병호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 ) 최수용 ( 연세대학교교수 ) 최윤경 ( 삼성전자마스터 ) 최중호 ( 서울시립대학교교수 ) 최진호 (LG 전자수석연구원 ) 홍민철 ( 숭실대학교교수 ) 교육홍보위원회 위 원 장 윤일구 ( 연세대학교교수 ) 부위원장 이석필 ( 상명대학교교수 ) 위 원 김정구 ( 부산대학교교수 ) 김준태 ( 건국대학교교수 ) 류시복 ( 자동차부품연구원책임연구원 ) 이동훈 ( 삼성전자수석연구원 ) 이용식 ( 연세대학교교수 ) 이종호 ( 서울대학교교수 ) 임기택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 ) 장길진 ( 경북대학교교수 ) 장준혁 ( 한양대학교교수 ) 허 준 ( 고려대학교교수 ) 표준화위원회 위 원 장 홍용택 ( 서울대학교교수 ) 위 원 김원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구정래 ( 한국심사자격인증원팀장 ) 권기원 ( 성균관대학교교수 ) 김대환 ( 국민대학교교수 ) 김동규 ( 한양대학교교수 ) 김병철 ( 한양대학교교수 ) 김시호 ( 연세대학교교수 ) 김옥수 ( 인피니언코리아이사 ) 김종훈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두영호 ( 현대오트론책임연구원 ) 박기찬 ( 건국대학교교수 ) 박주현 ( 픽셀플러스실장 ) 신성호 ( 한국기술표준원연구관 ) 연규봉 ( 자동차부품연구원팀장 ) 윤대원 ( 법무법인다래이사 ) 이민영 ( 한국반도체산업협회본부장 ) 이상근 ( 성균관대학교교수 ) 이상미 (IITP 팀장 ) 이상준 ( 수원과학대학교수 ) 이서호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과장 ) 이종묵 (SOL 대표 ) 이호진 ( 숭실대학교교수 ) 장미혜 ( 연세대학교교수 ) 정교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좌성훈 ( 서울과학기술대학교교수 ) 차철웅 ( 전자부품연구원책임연구원 ) 최병덕 ( 한양대학교교수 ) 한태수 ( 국가기술표준원 / 표준협회표준코디 ) 정보화위원회 위 원 장 김종옥 ( 고려대학교교수 ) 위 원 권구락 ( 조선대학교교수 ) 김승구 ( 충북대학교교수 ) 김용신 ( 고려대학교교수 ) 김창수 ( 고려대학교교수 ) 박천수 ( 세종대학교교수 ) 유윤섭 ( 한경대학교교수 ) 최강선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한재호 ( 고려대학교교수 )

16 The Magazine of the IEIE 지부담당위원회 위 원 장 박홍준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위 원 강민제 ( 제주대학교교수 ) 박정일 ( 영남대학교교수 ) 백인천 (AIZU대학교교수 ) 이장명 ( 부산대학교교수 ) 이희덕 ( 충남대학교교수 ) 임해진 ( 강원대학교교수 ) 장은영 ( 공주대학교교수 ) 조경주 ( 원광대학교교수 ) 최명준 ( 텔레다인박사 ) 최영규 ( 한국교통대학교교수 ) 최조천 ( 목포해양대학교교수 ) 선거관리위원회 위 원 장 이진구 ( 동국대학교석좌교수 ) 위 원 김선욱 ( 고려대학교교수 ) 김종옥 ( 고려대학교교수 ) 백광현 ( 중앙대학교교수 ) 심정연 ( 강남대학교교수 ) 이충용 ( 연세대학교교수 ) 이흥노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포상위원회 위 원 장 전국진 ( 서울대학교교수 ) 위 원 김선욱 ( 고려대학교교수 ) 백광현 ( 중앙대학교교수 ) 유창동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이충용 ( 연세대학교교수 ) 이혁재 ( 서울대학교교수 ) 홍대식 ( 연세대학교교수 ) 재정위원회 위 원 장 구용서 ( 단국대학교교수 ) 위 원 고성제 ( 고려대학교교수 ) 백준기 ( 중앙대학교교수 ) 이충용 ( 연세대학교교수 ) 이필중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전국진 ( 서울대학교교수 ) 정 준 ( 쏠리드대표이사 ) 한대근 ( 실리콘웍스대표이사 ) 홍대식 ( 연세대학교교수 ) 인사위원회 위 원 장 구용서 ( 단국대학교교수 ) 위 원 박종일 ( 한양대학교교수 ) 백광현 ( 중앙대학교교수 ) 이충용 ( 연세대학교교수 ) 임혜숙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홍대식 ( 연세대학교교수 ) SPC 위원회 위 원 장 심동규 ( 광운대학교교수 ) 자문위원 구용서 ( 단국대학교교수 ) 김선욱 ( 고려대학교교수 ) 박종일 ( 한양대학교교수 ) 백준기 ( 중앙대학교교수 ) 이혁재 ( 서울대학교교수 ) 전병우 ( 성균관대학교교수 ) 조남익 ( 서울대학교교수 ) 조민호 ( 고려대학교교수 ) 홍대식 ( 연세대학교교수 ) 위 원 김창수 ( 고려대학교교수 ) 박철수 ( 광운대학교교수 ) 이기성 ( 고려대학교교수 ) 이상근 ( 중앙대학교교수 ) 이채은 ( 인하대학교교수 ) 정승원 ( 동국대학교교수 ) 최강선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한영선 ( 경일대학교교수 ) 황인철 ( 강원대학교교수 ) JSTS 위원회 위 원 장 Hoi-Jun Yoo (KAIST) 부위원장 Dim-Lee Kwong (Institute of Microelectronics) 위 원 Akira Matsuzawa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Byeong-Gyu Nam (Chungnam National Univ.) Byung-Gook Park (Seoul National Univ.) Cary Y. Yang (Santa Clara Univ.) Chang sik Yoo (Hanyang Univ.) Chennupati Jagadish (Australian National Univ.) Deog-Kyoon Jeong (Seoul National Univ.) Dong S. Ha (Virginia Tech) Eun Sok Kim (USC) Gianaurelio Cuniberti (Dresden Univ. of Technology) Hi-Deok Lee (Chungnam Univ.) Hong June Park (POSTECH) Hyoung sub Kim (Sungkyunkwan Univ.) Hyun-Kyu Yu (ETRI) Jamal Deen (McMaster University, Canada) Jin wook Burm (Sogang Univ.) Jong-Uk Bu (Sen Plus) Jun young Park (UX Factory) Kofi Makinwa (Delft Univ. of Technology) Meyya Meyyappan (NASA Ames Research Center) Min-kyu Song (Dongguk Univ.) Moon-Ho Jo (POSTECH) Nobby Kobayashi (UC Santa Cruz) Paul D. Franzon (North Carolina State Univ.) Rino Choi (Inha Univ.) Sang-Hun Song (Chung-Ang Univ.) Sang-Sik Park (Sejong Iniv.) Seung-Hoon Lee (Sogang Univ.) Shen-Iuan Liu (National Taiwan Univ.) Shi ho Kim (Yonsei Univ.) Stephen A. Campbell (Univ. of Minnesota) Sung Woo Hwang (Korea Univ.) Tadahiro Kuroda (Keio Univ.) Tae-Song Kim (KIST) Tsu-Jae King Liu (UC Berkeley) Vojin G. Oklobdzija (Univ. of Texas at Dallas) Weileun Fang (National Tsing Hua Univ.) Woo geun Rhee (Tsinghua Univ.) Yang-Kyu Choi (KAIST) Yogesh B. Gianchandani (Univ. of Michigan, Ann Arbor) Yong-Bin Kim (Northeastern Univ.) Yuhua Cheng (Peking Univ.)

17 Society 명단 통신소사이어티 회 장 이재진 ( 숭실대학교교수 ) 부 회 장 김재현 ( 아주대학교교수 ) - 사업 이흥노 ( 광주과기원교수 ) - 학술 유명식 ( 숭실대학교교수 ) - 재무 / 편집 감 사 방성일 ( 단국대학교교수 ) 이호경 ( 홍익대학교교수 ) 협동부회장 김병남 ( 에이스테크놀로지연구소장 ) 김연은 ( 브르던대표이사 ) 김영한 ( 숭실대학교교수 ) 김용석 ( 답스대표이사 ) 김인경 (LG 전자상무 ) 류승문 ( 카서대표이사 ) 박용석 ( LICT 대표이사 ) 방승찬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부장 ) 연철흠 (LGT 상무 ) 오정근 ( ATNS 대표이사 ) 이승호 ( 하이게인부사장 ) 정진섭 ( 이노와이어리스부사장 ) 이재훈 ( 유정시스템 대표이사 ) 정현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부장 ) 이 사 김선용 ( 건국대학교교수 ) 김성훈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박사 ) 김정호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김진영 ( 광운대학교교수 ) 노윤섭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박사 ) 서철헌 ( 숭실대학교교수 ) 성원진 ( 서강대학교교수 ) 신요안 ( 숭실대학교교수 ) 윤석현 ( 단국대학교교수 ) 윤종호 ( 한국항공대학교교수 ) 이인규 ( 고려대학교교수 ) 이재훈 ( 동국대학교교수 ) 이종창 ( 홍익대학교교수 ) 임종태 ( 홍익대학교교수 ) 장병수 (KT 상무 ) 조인호 ( 에이스테크놀로지박사 ) 최진식 ( 한양대학교교수 ) 허 준 ( 고려대학교교수 ) 허서원 ( 홍익대학교교수 ) 연구회위원장 윤석현 ( 단국대학교교수 ) - 통신연구회 유태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박사 ) - 스위칭및라우팅연구회 조춘식 ( 한국항공대학교교수 ) - 마이크로파및전파전파연구회 이철기 ( 아주대학교교수 ) - ITS 연구회 정교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 정보보안시스템연구회 김강욱 ( 경북대학교교수 ) - 군사전자연구회 - 방송ㆍ통신융합기술연구회 박광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부장 ) - 무선 PAN/BAN연구회 김봉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소장 ) - 미래네트워크연구회 간 사 신오순 ( 숭실대학교교수 ) 김광순 ( 연세대학교교수 ) 반도체소사이어티 회 장 전영현 ( 삼성전자사장 ) 자문위원 권오경 ( 한양대학교교수 ) 선우명훈 ( 아주대학교교수 ) 신윤승 ( 삼성전자고문 ) 신현철 ( 한양대학교교수 ) 우남성 ( 삼성전자사장 ) 임형규 (SK하이닉스부회장 ) 감 사 정진균 ( 전북대학교교수 ) 최준림 ( 경북대학교교수 ) 수석부회장 조중휘 ( 인천대학교교수 ) 연구담당부회장 조경순 ( 한국외국어대학교교수 ) 사업담당부회장 김진상 ( 경희대학교교수 ) 학술담당부회장 범진욱 ( 서강대학교교수 ) 총무이사 공준진 ( 삼성전자마스터 ) 김동규 ( 한양대학교교수 ) 박종선 ( 고려대학교교수 ) 이한호 ( 인하대학교교수 ) 편집이사 이희덕 ( 충남대학교교수 ) 인치호 ( 세명대학교교수 ) 한태희 ( 성균관대학교교수 ) 학술이사 강진구 ( 인하대학교교수 ) 김영환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김재석 ( 연세대학교교수 ) 노정진 ( 한양대학교교수 ) 박성정 ( 건국대학교교수 ) 박홍준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송민규 ( 동국대학교교수 ) 이혁재 ( 서울대학교교수 ) 정연모 ( 경희대학교교수 ) 정진용 ( 인하대학교교수 ) 정항근 ( 전북대학교교수 ) 최우영 ( 연세대학교교수 ) 사업이사 강성호 ( 연세대학교교수 ) 강태원 ( 넥셀사장 ) 공배선 ( 성균관대학교교수 ) 권기원 ( 성균관대학교교수 ) 김경기 ( 대구대학교교수 ) 김달수 (TLI 대표이사 ) 김동현 (ICTK 사장 ) 김보은 ( 라온텍사장 ) 김소영 ( 성균관대학교교수 ) 김시호 ( 연세대학교교수 ) 김준석 (ADT 사장 ) 김철우 ( 고려대학교교수 ) 김한기 ( 코아로직사장 ) 손보익 (LG 전자전무 ) 송태훈 ( 휴인스사장 ) 신용석 ( 케이던스코리아사장 ) 안흥식 (Xilinx Korea 지사장 ) 양영인 ( 멘토사장 ) 유경동 (SK하이닉스상무 ) 윤광섭 ( 인하대학교교수 ) 이도영 ( 옵토레인대표 ) 이윤종 ( 동부하이텍상무 ) 이종열 (FCI 부사장 ) 정해수 (Synopsys 사장 ) 정희범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본부장 ) 조대형 ( 스위스로잔연방공대총장수석보좌관 ) 조상복 ( 울산대학교교수 ) 조태제 ( 삼성전자마스터 ) 최승종 (LG 전자전무 ) 최윤경 ( 삼성전자마스터 ) 최종찬 ( 전자부품연구원본부장 ) 황규철 ( 삼성전자상무 ) 재무이사 김희석 ( 청주대학교교수 ) 임신일 ( 서경대학교교수 ) 회원이사 이광엽 ( 서경대학교교수 ) 최기영 ( 서울대학교교수 ) 연구회위원장 차호영 ( 홍익대학교교수 ) - 반도체. 재료부품연구회 오민철 ( 부산대학교교수 ) - 광파및양자전자공학연구회 이찬호 ( 숭실대학교교수 ) - SoC설계연구회 신현철 ( 광운대학교교수 ) - RF집적회로연구회 정원영 ( 다우인큐브상무 ) - PCB&Package연구회 간 사 김형탁 ( 홍익대학교교수 ) 문 용 ( 숭실대학교교수 ) 전경구 ( 인천대학교교수 ) 어영선 ( 한양대학교교수 ) 이성수 ( 숭실대학교교수 ) 백광현 ( 중앙대학교교수 ) 차호영 ( 홍익대학교교수 )

18 The Magazine of the IEIE 컴퓨터소사이어티 회 장 안현식 ( 동명대학교교수 ) 명예회장 김형중 ( 고려대학교교수 ) 박인정 ( 단국대학교교수 ) 박춘명 ( 한국교통대학교교수 ) 신인철 ( 단국대학교교수 ) 안병구 ( 홍익대학교교수 ) 이규대 ( 공주대학교교수 ) 임기욱 ( 선문대학교교수 ) 허 영 ( 한국전기연구원본부장 ) 홍유식 ( 상지대학교교수 ) 자문위원 이강현 ( 조선대학교교수 ) 정교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감 사 남상엽 ( 국제대학교교수 ) 심정연 ( 강남대학교교수 ) 부 회 장 강문식 ( 강릉원주대학교교수 ) 김도현 ( 제주대학교교수 ) 김승천 ( 한성대학교교수 ) 조민호 ( 고려대학교교수 ) 협동부회장 권호열 ( 강원대학교교수 ) 김영학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본부장 ) 김천식 ( 세종대학교교수 ) 임병민 ( Agerigna Co.,Ltd 회장 ) 정용규 ( 을지대학교교수 ) 조병순 ( 시엔시인스트루먼트사장 ) 총무이사 박수현 ( 국민대학교교수 ) 최용수 ( 성결대학교교수 ) 재무이사 김진홍 ( 한성대학교교수 ) 이기영 ( 을지대학교교수 ) 홍보이사 황인정 ( 명지병원책임 ) 편집이사 강병권 ( 순천향대학교교수 ) 기장근 ( 공주대학교교수 ) 변영재 ( 울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윤은준 ( 경일대학교교수 ) 이석환 ( 동명대학교교수 ) 진성아 ( 성결대학교교수 ) 진 훈 ( 경기대학교교수 ) 학술이사 강상욱 ( 상명대학교교수 ) 김선욱 ( 고려대학교교수 ) 성해경 ( 한양여자대학교교수 ) 손경락 ( 한국해양대학교교수 ) 우운택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이문구 ( 김포대학교교수 ) 이민호 ( 경북대학교교수 ) 이성로 ( 목포대학교교수 ) 이찬수 ( 영남대학교교수 ) 허 준 ( 경민대학교교수 ) 사업이사 김종윤 ( 경동대학교교수 ) 김홍균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박세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전문연구위원 ) 박승창 ( 유오씨사장 ) 전병태 ( 한경대학교교수 ) 산학이사 김대휘 ( 경봉대표이사 ) 김성길 ( K4M 이사 ) 김종국 ( 이로젠대표 ) 노소영 ( 월송출판대표이사 ) 서봉상 ( 올포랜드이사 ) 송치봉 ( 웨이버스이사 ) 오승훈 (LG C&S 과장 ) 유성철 (LG 히다찌산학협력팀장 ) 논문편집위원장 최용수 ( 성결대학교교수 ) 연구회위원장 윤은준 ( 경일대학교교수 ) - 융합컴퓨팅연구회 이민호 ( 경북대학교교수 ) - 인공지능 / 신경망 / 퍼지연구회 강문식 ( 강릉원주대학교교수 ) - 멀티미디어연구회 진 훈 ( 경기대학교교수 ) - 유비쿼터스시스템연구회 김도현 ( 제주대학교교수 ) - M2M/IoT 연구회 신호처리소사이어티 회 장 조남익 ( 서울대학교교수 ) 자문위원 김홍국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이영렬 ( 세종대학교교수 ) 홍민철 ( 숭실대학교교수 ) 전병우 ( 성균관대학교교수 ) 감 사 김원하 ( 경희대학교교수 ) 최해철 ( 한밭대학교교수 ) 부 회 장 김문철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창익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박종일 ( 한양대학교교수 ) 심동규 ( 광운대학교교수 ) 협동부회장 강동욱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CP) 김진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그룹장 ) 백준기 ( 중앙대학교교수 ) 변혜란 ( 연세대학교교수 ) 신원호 (LG 전자상무 ) 양인환 (TI Korea 이사 ) 오은미 ( 삼성전자마스터 ) 이병욱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지인호 ( 홍익대학교교수 ) 최병호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 ) 이 사 강현수 ( 충북대학교교수 ) 권기룡 ( 부경대학교교수 ) 김남수 ( 서울대학교교수 ) 김정태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김해광 ( 세종대학교교수 ) 박구만 ( 서울과학기술대학교교수 ) 박인규 ( 인하대학교교수 ) 서정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선임연구원 ) 신지태 ( 성균관대학교교수 ) 엄일규 ( 부산대학교교수 ) 유양모 ( 서강대학교교수 ) 이상근 ( 중앙대학교교수 ) 이상윤 ( 연세대학교교수 ) 임재열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장길진 ( 울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장준혁 ( 한양대학교교수 ) 한종기 ( 세종대학교교수 ) 협동이사 강상원 ( 한양대학교교수 ) 강제원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구형일 ( 아주대학교교수 ) 권구락 ( 조선대학교교수 ) 김기백 ( 숭실대학교교수 ) 김기백 ( 숭실대학교교수 ) 김상효 ( 성균관대학교교수 ) 김용환 ( 전자부품연구원선임연구원 ) 김응규 ( 한밭대학교교수 ) 김재곤 ( 한국항공대학교교수 ) 김창수 ( 고려대학교교수 ) 박상윤 ( 명지대학교교수 ) 박현진 ( 성균관대학교교수 ) 박호종 ( 광운대학교교수 ) 서영호 ( 광운대학교교수 ) 신재섭 ( 픽스트리대표이사 ) 신종원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양현종 ( 울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이기승 ( 건국대학교교수 ) 이종설 ( 전자부품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창우 ( 카톨릭대학교교수 ) 임재윤 ( 제주대학교교수 ) 장세진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 ) 최강선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최승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교수 ) 최준원 ( 한양대학교교수 ) 홍성훈 ( 전남대학교교수 ) 연구회위원장 김무영 ( 세종대학교교수 ) - 음향및신호처리연구회 송병철 ( 인하대학교교수 ) - 영상신호처리연구회 이찬수 ( 영남대학교교수 ) - 영상이해연구회 예종철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 바이오영상신호처리연구회 총무간사 허용석 ( 아주대학교교수 ) 시스템및제어소사이어티 회 장 오승록 ( 단국대학교교수 ) 부 회 장 정길도 ( 전북대학교교수 ) 김영철 ( 군산대학교교수 ) 이경중 ( 연세대학교교수 ) 유정봉 ( 공주대학교교수 ) 주영복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자문위원 박종국 ( 경희대학교교수 ) 서일홍 ( 한양대학교교수 ) 김덕원 ( 연세대학교교수 ) 김희식 ( 서울시립대학교교수 ) 허경무 ( 단국대학교교수 ) 오창현 ( 고려대학교교수 ) 오상록 ( 한국과학기술연구원분원장 )

19 감 사 김영진 ( 생산기술연구원박사 ) 남기창 ( 연세대학교교수 ) 총무이사 권종원 ( 한국산업기술시험원박사 ) 김용태 ( 한경대학교교수 ) 재무이사 최영진 ( 한양대학교교수 ) 김준식 (KIST 박사 ) 학술이사 서성규 ( 고려대학교교수 ) 김용권 ( 건양대학교교수 ) 박재흥 ( 서울대학교교수 ) 편집이사 남기창 ( 연세대학교교수 ) 이수열 ( 경희대학교교수 ) 김시호 ( 연세대학교교수 ) 기획이사 최현택 ( 한국해양과학기술원박사 ) 이덕진 ( 군산대학교교수 ) 김수찬 ( 한경대학교교수 ) 사업이사 이석재 ( 대구보건대학교교수 ) 고낙용 ( 조선대학교교수 ) 양연모 ( 금오공과대학교교수 ) 산학연이사 조영조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박사 ) 강대희 ( 유도 박사 ) 홍보이사 김호철 ( 을지대학교교수 ) 박재병 ( 전북대학교교수 ) 여희주 ( 대진대학교교수 ) 회원이사 이학성 ( 세종대학교교수 ) 변영재 ( 울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문정호 ( 강릉원주대학교교수 ) 연구회위원장 한수희 (POSTECH 교수 ) - 제어계측연구회 이성준 ( 한양대학교교수 ) - 회로및시스템연구회 남기창 ( 동국대학교교수 ) - 의용전자및생체공학연구회 김규식 ( 서울시립대학교교수 ) - 전력전자연구회 조영조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박사 ) - 지능로봇연구회 전순용 ( 동양대학교교수 ) - 국방정보및제어연구회 - 자동차전자연구회 오창현 ( 고려대학교교수 ) - 의료영상시스템연구회 권종원 ( 한국산업기술시험원선임연구원 ) - 스마트팩토리연구회 산업전자소사이어티 회 장 원영진 ( 부천대학교교수 ) 명예회장 강창수 ( 유한대학교교수 ) 남상엽 ( 국제대학교교수 ) 윤기방 ( 인천대학교교수 ) 이상회 ( 동서울대학교교수 ) 이원석 ( 동양미래대학교교수 ) 자문위원 김용민 ( 충청대학교교수 ) 김종부 ( 인덕대학교교수 ) 윤한오 ( 동국대학교교수 ) 이상준 ( 수원과학대학교교수 ) 최영일 ( 조선이공대학교총장 ) 부 회 장 김동식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김태원 ( 상지영서대학교교수 ) 동성수 ( 용인송담대학교교수 ) 서춘원 ( 김포대학교교수 ) 이병선 ( 김포대학교교수 ) 이용구 ( 한림성심대학교교수 ) 한완옥 ( 여주대학교교수 ) 감 사 김영선 ( 대림대학교교수 ) 조도현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협동부회장 강현웅 ( 핸즈온테크놀로지대표 ) 곽은식 ( 경봉부사장 ) 김대휘 ( 한국정보기술대표 ) 김영주 ( 훼스텍상무 ) 김응연 ( 인터그래택대표 ) 김정석 (ODA 테크롤로지대표 ) 김종인 (LG 엔시스본부장 ) 김진선 ( 청파이엠티대표 ) 김창일 ( 아이지대표 ) 김태형 ( 하이버스대표 ) 남승우 ( 상학당대표 ) 박용후 ( 이디대표 ) 박현찬 ( 나인플러스EDA 대표 ) 성재용 ( 오픈링크시스템대표 ) 송광헌 ( 복두전자대표 ) 이영준 ( 비츠로시스본부장 ) 장 철 (LG 히타찌본부장 ) 진수춘 ( 한백전자대표 ) 한성준 ( 아이티센부사장 ) 이 사 강민구 ( 경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강희훈 ( 여주대학교교수 ) 고정환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곽칠성 ( 재능대학교교수 ) 구자일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권오복 ( 국제대학교교수 ) 권오상 ( 경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김 현 ( 부천대학교교수 ) 김남섭 ( 서일대학교교수 ) 김덕수 ( 동양미래대학교교수 ) 김덕영 ( 부천대학교교수 ) 김상범 ( 폴리텍인천교수 ) 김영로 ( 명지전문대학교수 ) 김영우 ( 두원공과대학교교수 ) 김영준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김윤석 ( 상지영서대학교교수 ) 김은원 ( 대림대학교교수 ) 김태용 ( 구미대학교교수 ) 문현욱 ( 동원대학교교수 ) 박성욱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박종우 ( 재능대학교교수 ) 박진홍 ( 혜전대학교교수 ) 반기종 ( 부천대학교교수 ) 방경호 ( 명지전문대학교수 ) 방극준 ( 인덕대학교교수 ) 배효관 ( 동원대학교교수 ) 백승철 ( 우송정보대학교교수 ) 변상준 ( 대덕대학교교수 ) 서병석 ( 상지영서대학교교수 ) 성해경 ( 한양여자대학교교수 ) 성홍석 ( 부천대학교교수 ) 손병희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송도선 ( 우송정보대학교교수 ) 송정태 ( 동서울대학교교수 ) 신진섭 ( 경민대학교교수 ) 신철기 ( 부천대학교교수 ) 심완보 ( 충청대학교교수 ) 안성수 ( 명지전문대학교수 ) 안태원 ( 동양미래대학교교수 ) 엄우용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오태명 ( 명지전문대학교수 ) 용승림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우찬일 ( 서일대학교교수 ) 윤중현 ( 조선이공대학교교수 ) 이 철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이규희 ( 상지영서대학교교수 ) 이동영 ( 명지전문대학교수 ) 이명문 ( 수원과학대학교교수 ) 이상철 ( 재능대학교교수 ) 이승우 ( 동원대학교교수 ) 이시현 ( 동서울대학교교수 ) 이정석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이종근 ( 부천대학교교수 ) 이종성 ( 부천대학교교수 ) 이종용 ( 광운대학교교수 ) 이종하 ( 전주비전대학교교수 ) 이태동 ( 국제대학교교수 ) 장기동 ( 동양미래대학교교수 ) 장성석 ( 영진전문대학교수 ) 전종원 ( 상지영서대학교교수 ) 정환익 ( 경복대학교교수 ) 조경식 ( 국제대학교교수 ) 주진화 ( 오산대학교교수 ) 최선정 ( 국제대학교교수 ) 최의선 ( 폴리텍아산교수 ) 최현식 ( 충북보건과학대학교교수 ) 허윤석 ( 충청대학교교수 ) 황수철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협동이사 강현석 ( 로보웰코리아대표 ) 고강일 ( 핸즈온테크놀로지부장 ) 김민준 ( 베리타스부장 ) 김세종 (SJ정보통신부사장 ) 김순식 ( 청파이엠티이사 ) 김연길 ( 대보정보통신본부장 ) 김태웅 ( 윕스부장 ) 박정민 ( 오므론과장 ) 서봉상 ( 올포랜드이사 ) 송치봉 ( 웨이버스이사 ) 신우현 ( 경봉상무 ) 양영규 ( 아이지상무 ) 오승훈 (LG-CNS 과장 ) 오재곤 ( 세인부사장 ) 원우연 ( 이디부장 ) 유성철 (LG 히다찌산학팀장 ) 유제욱 ( 한빛아카데미부장 ) 이성대 ( 비츠로시스이사 ) 이요한 ( 유성SDS 대표 ) 이재준 ( 한백전자부장 ) 이진우 ( 글로벌이링크대표 ) 이현성 ( 한국마케팅대표 ) 장대현 ( 지에스비텍상무 ) 조규남 ( 로봇신문사대표 ) 조병영 ( 태진인포텍전무 ) 조한일 ( 투데이게이트이사 ) 한상우 ( 인터그래택팀장 )

20 The Magazine of the IEIE 제 20 대평의원명단 강문식 ( 강릉원주대학교교수 ) 강민제 ( 제주대학교교수 ) 강성호 ( 연세대학교교수 ) 강의성 ( 순천대학교교수 ) 강진구 ( 인하대학교교수 ) 강창수 ( 유한대학교교수 ) 강 훈 ( 중앙대학교교수 ) 고균병 ( 한국교통대학교교수 ) 고성제 ( 고려대학교교수 ) 고요환 (SK하이닉스고문 ) 공배선 ( 성균관대학교교수 ) 공준진 ( 삼성전자마스터 ) 곽우영 ( 현대자동차그룹부사장 ) 구경헌 ( 인천대학교교수 ) 구용서 ( 단국대학교교수 ) 구원모 ( 전자신문사대표이사 ) 구자일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권기룡 ( 부경대학교교수 ) 권순철 (KT ENS 대표이사 ) 권오경 ( 한양대학교교수 ) 권오현 ( 삼성전자부회장 ) 권종기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권종원 ( 한국산업기술시험원선임연구원 ) 권혁인 ( 중앙대학교교수 ) 권호열 ( 강원대학교교수 ) 김경수 ( 만도사장 ) 김경연 ( 제주대학교교수 ) 김경원 ( 전자부품연구원원장 ) 김기호 ( 삼성전자부사장 ) 김달수 (TLI 대표이사 ) 김대환 ( 국민대학교교수 ) 김덕진 ( 고려대학교명예교수 ) 김도현 ( 국민대학교명예교수 ) 김도현 ( 제주대학교교수 ) 김동규 ( 한양대학교교수 ) 김동순 ( 전자부품연구원박사 ) 김동식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김문철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보은 ( 라온텍사장 ) 김봉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김부균 ( 숭실대학교교수 ) 김상태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단장 ) 김선용 ( 건국대학교교수 ) 김선욱 ( 고려대학교교수 ) 김성대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소영 ( 성균관대학교교수 ) 김수원 ( 고려대학교교수 ) 김수중 ( 경북대학교명예교수 ) 김수찬 ( 한경대학교교수 ) 김수환 ( 서울대학교교수 ) 김승천 ( 한성대학교교수 ) 김시원 ( 삼성전자부장 ) 김시호 ( 연세대학교교수 ) 김영권 (( 전 ) 몽골후레정보통신대학교총장 ) 김영선 ( 대림대학교교수 ) 김영철 ( 군산대학교교수 ) 김영환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김용민 ( 충청대학교교수 ) 김용석 ( 성균관대학교교수 ) 김용신 ( 고려대학교교수 ) 김원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김은원 ( 대림대학교교수 ) 김재석 ( 연세대학교교수 ) 김재하 ( 서울대학교교수 ) 김재현 ( 아주대학교교수 ) 김재희 ( 연세대학교교수 ) 김정식 ( 대덕전자회장 ) 김정태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김정호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김종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소장 ) 김종옥 ( 고려대학교교수 ) 김주신 ( 만도사장 ) 김준모 (KAIST 교수 ) 김진선 (SK컨티넨탈이모션대표이사 ) 김진영 ( 광운대학교교수 ) 김창수 ( 고려대학교교수 ) 김창용 ( 삼성전자부사장 ) 김창익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창현 ( 삼성전기부사장 ) 김철동 ( 세원텔레텍대표이사 ) 김태욱 ( 연세대학교교수 ) 김태원 ( 상지영서대학교교수 ) 김태진 ( 더즈텍사장 ) 김태찬 ( 고려대학교박사 ) 김 현 ( 부천대학교교수 ) 김홍국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김화종 ( 강원대학교교수 ) 김회린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김 훈 ( 인천대학교교수 ) 김희석 ( 청주대학교교수 ) 김희식 ( 서울시립대학교교수 ) 나정웅 ( 한국과학기술원명예교수 ) 남기창 ( 연세대학교교수 ) 남상엽 ( 국제대학교교수 ) 남상욱 ( 서울대학교교수 ) 노용만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노원우 ( 연세대학교교수 ) 노정진 ( 한양대학교교수 ) 노태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동성수 ( 용인송담대학교교수 ) 류수정 ( 삼성종합기술원마스터 ) 문영식 ( 한양대학교교수 ) 민경식 ( 국민대학교교수 ) 민경오 (LG 전자전무 ) 박광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부장 ) 박규태 ( 연세대학교명예교수 ) 박래홍 ( 서강대학교교수 ) 박민식 ( 전주비전대학교교수 ) 박병국 ( 서울대학교교수 ) 박병하 ( 삼성전자전무 ) 박성욱 (SK하이닉스대표이사 ) 박성한 ( 한양대학교명예교수 ) 박인규 ( 인하대학교교수 ) 박정일 ( 영남대학교교수 ) 박종일 ( 한양대학교교수 ) 박진옥 ( 육군사관학교명예교수 ) 박찬구 (LS파워세미텍대표이사 ) 박찬용 (LG 전자수석연구원 ) 박춘명 ( 한국교통대학교교수 ) 박항구 ( 소암시스텔회장 ) 박현욱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박현창 ( 동국대학교교수 ) 박형무 ( 동국대학교교수 ) 박홍준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방극준 ( 인덕대학교교수 ) 방성일 ( 단국대학교교수 ) 백광현 ( 중앙대학교교수 ) 백만기 ( 김 & 장법률사무소변리사 ) 백준기 ( 중앙대학교교수 ) 백흥기 ( 전북대학교교수 ) 범진욱 ( 서강대학교교수 ) 변대석 ( 삼성전자마스터 ) 변증남 ( 한국과학기술원명예교수 ) 서경학 ( 한국연구재단단장 ) 서승우 ( 서울대학교교수 ) 서정욱 (( 전 ) 과학기술부장관 ) 서철헌 ( 숭실대학교교수 ) 서춘원 ( 김포대학교교수 ) 선우명훈 ( 아주대학교교수 ) 성굉모 ( 서울대학교명예교수 ) 성해경 ( 한양여자대학교교수 ) 송문섭 ( 엠세븐시스템사장 ) 송민규 ( 동국대학교교수 ) 송병철 ( 인하대학교교수 ) 송상헌 ( 중앙대학교교수 ) 송창현 ( 네이버이사 ) 신오순 ( 숭실대학교교수 ) 신요안 ( 숭실대학교교수 ) 신종균 ( 삼성전자사장 ) 신현철 ( 광운대학교교수 ) 심동규 ( 광운대학교교수 ) 심정연 ( 강남대학교교수 ) 안기현 ( 한국반도체산업협회상무 ) 안길초 ( 서강대학교교수 ) 안병구 ( 홍익대학교교수 ) 안승권 (LG 전자사장 ) 안태원 ( 동양미래대학교교수 ) 안현식 ( 동명대학교교수 ) 양우석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부장 ) 양웅철 ( 현대자동차그룹부회장 ) 엄낙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소장 ) 엄일규 ( 부산대학교교수 ) 여상덕 (LG 디스플레이부사장 ) 연규봉 ( 자동차부품연구원팀장 ) 오상록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책임연구원 ) 오승록 ( 단국대학교교수 ) 오은미 ( 삼성전자마스터 ) 오창현 ( 고려대학교교수 ) 원영진 ( 부천대학교교수 ) 원치선 ( 동국대학교교수 ) 유명식 ( 숭실대학교교수 ) 유제훈 ( 한국전자통신연구원팀장 ) 유창동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유창식 ( 한양대학교교수 )

21 유철우 ( 명지대학교교수 ) 유현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유회준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유흥균 ( 충북대학교교수 ) 윤광섭 ( 인하대학교교수 ) 윤기방 ( 인천대학교교수 ) 윤석현 ( 단국대학교교수 ) 윤성로 ( 서울대학교교수 ) 윤영권 ( 삼성전자마스터 ) 윤은준 ( 경일대학교교수 ) 윤일구 ( 연세대학교교수 ) 윤종용 ( 삼성전자비상임고문 ) 이강윤 ( 성균관대학교교수 ) 이강현 ( 조선대학교교수 ) 이광엽 ( 서경대학교교수 ) 이규대 ( 공주대학교교수 ) 이기영 ( 을지대학교교수 ) 이문구 ( 김포대학교교수 ) 이문기 (( 전 ) 연세대학교교수 ) 이민호 ( 경북대학교교수 ) 이배호 ( 전남대학교교수 ) 이병선 ( 김포대학교교수 ) 이상근 ( 중앙대학교교수 ) 이상설 ( 한양대학교명예교수 ) 이상윤 ( 연세대학교교수 ) 이상홍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센터장 ) 이상회 ( 동서울대학교교수 ) 이석희 (SK하이닉스전무 ) 이성수 ( 숭실대학교교수 ) 이성준 ( 한양대학교교수 ) 이승훈 ( 서강대학교교수 ) 이영렬 ( 세종대학교교수 ) 이용구 ( 한림성심대학교교수 ) 이용식 ( 연세대학교교수 ) 이용환 ( 서울대학교교수 ) 이원석 ( 동양미래대학교교수 ) 이윤식 ( 울산과학기술대학교교수 ) 이윤우 ( 삼성전자상임고문 ) 이장명 ( 부산대학교교수 ) 이재성 ( 고려대학교교수 ) 이재진 ( 숭실대학교교수 ) 이재홍 ( 서울대학교교수 ) 이재훈 ( 유정시스템사장 ) 이재훈 ( 동국대학교교수 ) 이정수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이진구 ( 동국대학교석좌교수 ) 이찬수 ( 영남대학교교수 ) 이찬호 ( 숭실대학교교수 ) 이천희 (( 전 ) 청주대학교교수 ) 이충용 ( 연세대학교교수 ) 이충웅 ( 서울대학교명예교수 ) 이태원 ( 고려대학교명예교수 ) 이필중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이한호 ( 인하대학교교수 ) 이혁재 ( 서울대학교교수 ) 이형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전문위원 ) 이호경 ( 홍익대학교교수 ) 이흥노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이희국 (LG 기술협의회사장 ) 이희덕 ( 충남대학교교수 ) 인치호 ( 세명대학교교수 ) 임병민 ( Agerigna Co.,Ltd 회장 ) 임신일 ( 서경대학교교수 ) 임익헌 ( 전력연구원처장 ) 임재열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임제탁 ( 한양대학교명예교수 ) 임차식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 임해진 ( 강원대학교교수 ) 임형규 (SK텔레콤부회장 ) 임혜숙 ( 이화여자대학교교수 ) 장만호 ( 이노피아테크대표이사 ) 장은영 ( 공주대학교교수 ) 장태규 ( 중앙대학교교수 ) 전경훈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전국진 ( 서울대학교교수 ) 전병우 ( 성균관대학교교수 ) 전병태 ( 한경대학교교수 ) 전성호 ( 삼성전기부사장 ) 전순용 ( 동양대학교교수 ) 전영현 ( 삼성전자사장 ) 전홍태 ( 중앙대학교교수 ) 정교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정길도 ( 전북대학교교수 ) 정승원 ( 동국대학교교수 ) 정영모 ( 한성대학교교수 ) 정용규 ( 을지대학교교수 ) 정원영 ( 다우인큐브전무 ) 정의영 ( 연세대학교교수 ) 정정화 ( 한양대학교석좌교수 ) 정종문 ( 연세대학교교수 ) 정 준 ( 쏠리드대표이사 ) 정진섭 ( 이노와이어리스부사장 ) 정진용 ( 인하대학교교수 ) 정한욱 (ITS 대표이사 ) 정항근 ( 전북대학교교수 ) 조경순 ( 한국외국어대학교교수 ) 조경주 ( 원광대학교교수 ) 조남익 ( 서울대학교교수 ) 조도현 ( 인하공업전문대학교수 ) 조민호 ( 고려대학교교수 ) 조상복 ( 울산대학교교수 ) 조성현 ( 한양대학교교수 ) 조영조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조의식 ( 가천대학교교수 ) 조재문 ( 삼성전자전무 ) 조중휘 ( 인천대학교교수 ) 주영복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진성아 ( 성결대학교교수 ) 진수춘 ( 한백전자대표이사 ) 진 훈 ( 경기대학교교수 ) 천경준 ( 씨젠회장 ) 최강선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최기영 ( 서울대학교교수 ) 최병호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 ) 최성현 ( 서울대학교교수 ) 최수용 ( 연세대학교교수 ) 최승원 ( 한양대학교교수 ) 최승종 (LG 전자전무 ) 최영규 ( 한국교통대학교교수 ) 최용수 ( 성결대학교교수 ) 최우영 ( 연세대학교교수 ) 최정아 ( 삼성전자전무 ) 최종찬 ( 전자부품연구원본부장 ) 최준림 ( 경북대학교교수 ) 최중호 ( 서울시립대학교교수 ) 최진성 (SK텔레콤전무 ) 최진식 ( 한양대학교교수 ) 최천원 ( 단국대학교교수 ) 최해철 ( 한밭대학교교수 ) 한대근 ( 실리콘웍스대표이사 ) 한동석 ( 경북대학교교수 ) 함철희 ( 삼성전자마스터 ) 허경무 ( 단국대학교교수 ) 허비또 (LG 유플러스상무 ) 허 염 ( 실리콘마이터스사장 ) 허 영 ( 한국전기연구원본부장 ) 허 준 ( 고려대학교교수 ) 호요성 ( 광주과학기술원교수 ) 홍국태 (LG 전자연구위원 ) 홍기상 ( 포항공과대학교교수 ) 홍대식 ( 연세대학교교수 ) 홍민철 ( 숭실대학교교수 ) 홍성철 ( 한국과학기술원교수 ) 홍승홍 ( 인하대학교명예교수 ) 홍용택 ( 서울대학교교수 ) 홍유식 ( 상지대학교교수 ) 황승구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소장 ) 황인철 ( 강원대학교교수 ) 사무국직원명단 송기원국장 - 업무총괄, 기획, 자문, 산학연, 선거이안순부장 - 국내학술대회, 총무, 포상, 임원관련, 컴퓨터 ( 소 ) 배지영차장 - 국문논문, JSTS, 시스템및제어 ( 소 ) 배기동차장 - 사업, 표준화, 용역, 반도체 ( 소 ) 변은정과장 - 재무 ( 본회 / 소사이어티 / 연구회 ), 학회지, 산업전자 ( 소 ) 김천일과장 - 정보화, 교육 / 홍보, 회원, 홈페이지, 통신 ( 소 ) 김윤주서기 - 국제학술대회, SPC, 국제협력, 신호처리 ( 소 )

22 제 2차상임이사회제2차상임이사회가 3월 11일 ( 금 ) 오후 5시학회회의실에서개최되었다. 이번회의결과는다음과같다. 1. 성원보고 - 15명이참석하여성원되었음 3. 소사이어티보고 4. 심의사항 - 신규개인회원및특별회원사 3개기업체가입승인 - ABEEK의경진대회학회명칭후원에관한사항 5. 기타 2. 위원회보고 - 총무 : 2월중특별회원사방문 (SK텔레콤, ETRI), 70년사편찬위원회회의개최및지부협동이사추천보고 - 회원 : 회원현황보고 - SPC : 3월 SCOPUS 신청예정보고, 리뷰페이퍼강화및논문투고독려요청 - 논문편집 : 국문논문접수및진행현황보고 - 회지편집 : 2016년도특집현황, 회지발간현황보고및특집기사예정보고 - 재무 : 재무현황보고 - 기획 : 2016년사업계획보고및다음이사회에서자세한사항논의필요 - 학술 : 하계학술대회운영계획및많은논문확보필요성보고 - 국제협력 : ITC-CSCC 2016, ICCE-Asia 2016, ICEIC 2017 국제학술대회개최지최종확정보고 - 사업 : 2016년도사업계획보고및 1차기술강좌개최보고및 3월행사개최안내 - 교육홍보 : 2016년도사업계획보고 - 정보화 : 학회자료전자문서화작업및회원연구DB 구축보고 - 표준화 : 국가기술표준원 COSD 기관지정추진보고 제 1차자문위원회개최우리학회자문위원회 ( 위원장 : 박진옥명예회장 ) 가 3월 25일 ( 금 ) 오전 10시 30분서울팔래스호텔서궁에서 21명이참석한가운데개최되었다. 이번회의에서는그동안학회활동을보고하고학회발전방안에대한다양한의견을나누었으며, 자문위원회회의종료후에는서울 IT 포럼이개최되었다. 제 1차자문위원회 266 _ The Magazine of the IEIE 12

23 News 자동차자율주행워크샵사업위원회 ( 위원장 : 박종일교수 ( 한양대 ), 범진욱교수 ( 서강대 ), 유창동교수 (KAIST)) 에서는 3월 30일 ( 수 ) 자동차자율주행워크샵 을과학기술회관중회의실에서개최하였다. 이번워크샵은자율주행시스템전반에관련된소개로부터시작하여, LiDar, Radar, 비전센서를이용한자율주행환경인식, 차량자차측위기술, 주행상황판단및지역경로생성기술, 모션제어기술, 자율주행용정밀지도기술, 구동시스템기술, 산업체의개발현황등을소개하였으며, 실제개발시스템의동영상시연등을통하여현재자동차자율주행기술의현황, 자율주행에관련되어필요한기술을전자공학및관련분야전공자가이해할수있는기초에서출발하여적용기술을소개를통해자율주행의미래를쉽게이해할수있도록강좌를개최하였다. 신규회원가입현황 (2016 년 3 월 9 일 년 4 월 7 일 ) 정회원기재홍 ( 연세대학교 ), 김기현 ( 세종대학교 ), 김태훈 ( 동의과학대학교 ), 나승욱 ( 영진전문대학 ), 박덕우 ( 서울시립대학교 ), 심재윤 ( 광운대학교 ), 아닐 ( 제주대학교 ), 원서연 ( 서울시립대학교 ), 이철 ( 부경대학교 ), 정연수 ( 슈어소프트테크 ), 정해균 (SK주식회사), 지정근 ( 유경제어 ( 주 )) 평생회원 백승일 ( 한국소비자원 ) 이상 12 명 이상 1 명 학생회원권기원 ( 성균관대학교 ), 권지용 ( 연세대학교 ), 김민섭 ( 연세대학교 ), 박상환 ( 충북대학교 ), 서예원 ( 한국교통대학교 ), 신현준 ( 부산대학교 ), 윤성재 ( 성균관대학교 ), 윤성하 ( 서울시립대학교 ), 이지혜 ( 전남대학교 ), 이호상 ( 부산대학교 ), 전병환 ( 연세대학교 ), 정장원 ( 숭실대학교 ), 조민지 ( 한국과학기술원 ), 조영민 ( 한국과학기술원 ), 진자훈 ( 성균관대학교 ), 최우원 ( 아주대학교 ) 이상 16명 자동차자율주행워크샵 - 구용서학회장개회사 13 전자공학회지 _ 267

24 학회일지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2016년 3월 18일 ~ 2016년 4월 17일 1. 회의개최 회의명칭일시장소주요안건 제 2 차하계종합학술대회조직위원회의 3.18 (7:30) JW 메리어트호텔 2 층 The Cafe - 하계기조강연및특별세션, 튜토리얼구성논의외 ISOCC 2016 운영위원회의 3.25 (17:00) 학회회의실 - Keynote Speech 섭외및후원업체논의외 제 1 차포상위원회의 3.28 (17:00) 학회회의실 - 학회연간포상일정논의 70 년사편찬위원회제 2 차회의 3.29 (17:00) 학회회의실 - 70 년사편찬작업중간점검 IEIE/IEEE Joint Award 1 차심사위원회의 3.31 (7:30) 더팔래스호텔 2 층다봉 - 위원상견례및일정논의 시스템및제어소사이어티이사회의 4.1 (17:00) 학회회의실 정보및제어심포지움논문모집및행사준비논의외 제 2 차선거관리위원회의 4.5 (17:00) 학회회의실 - 제 21 대직선평의원예비후보자선정 ICCE-Asia 차조직위원회의 4.11 (7:30) JW 메리어트호텔 2 층 The Cafe - 학술대회일정준비및진행사항논의외 제 3 차하계종합학술대회조직위원회의 4.15 (7:30) JW 메리어트호텔 2 층 The Cafe - 하계전체프로그램및세부진행사항논의등 IEIE/IEEE Joint Award 2 차심사위원회의 4.15 (7:30) 더팔래스호텔 2 층다봉 - 후보자심사및수상자선정 제 1 차논문편집위원회의 4.15 (15:30) 학회회의실 - 논문모집, 심사기간단축방안논의및 SCOUPS 등재방안논의 2. 행사개최 행사명칭일시장소주관 자동차자율주행워크샵 3.30 과학기술회관중회의실사업위원회 차세대반도체소자워크샵 4.15 한국반도체산업협회반도체소사이어티 268 _ The Magazine of the IEIE 14

25 특 집 편 집 기 5G 이동통신동향 : 서비스, 표준화, 유망기술 김재현편집위원 ( 아주대학교 ) 정방철편집위원 ( 충남대학교 ) 최근 5G 이동통신에대한관심이뜨겁다. 4G 까지의이동통신시스템은사용자가가지고있는단말기 ( 핸드폰, 스마트폰등 ) 에음성, 데이터, 동영상등의멀티미디어서비스를높은데이터전송율로제공하는것을목표로개발되었다. 그러나 5G 이동통신시스템은사용자의단말기뿐아니라차량, 센서, 가전제품등의다양한사물에다양한서비스를제공하는것을포함한다. 특히, 5G 이동통신서비스는크게 3 가지의축을중심으로분류되는데, 초고속데이터서비스 (Enhanced Mobile Broadband), 극다중사물통신서비스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고신뢰 / 저지연통신서비스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가바로 3 가지축이다. 본특집호에서는 5G 이동통신에서예상되는서비스동향, 5G 이동통신시스템의표준화및주파수동향, 5G 이동통신시스템용핵심기술들에관하여학계, 산업계, 연구계의탁월한전문가들이논문을작성하였다. 첫째,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시프트 ( 이호원, 유희정 )" 논문에서는 ITU-R, 3GPP, NGMN 등의 5G 이동통신관련단체들에서제시하고있는 5G 이동통신서비스의최신연구동향에관하여살펴본다. 또한, 저자들은사용자관점에서 5G 이동통신서비스를 5 가지 ( 몰입형, 지능형, 편재형, 자율형, 공공형 ) 로분류하고분류된각서비스의제공을위한네트워크요구사항도제시하였다. 둘째, "5G 이동통신표준화및주파수동향 ( 오충근 )" 논문에서는 ITU 에서제시하고있는 5G 이동통신의정의와비전, 시스템요구사항등에관하여요약하고 ITU 가제시하고있는 5G 이동통신표준화일정및동향에관하여살펴본다. 특히, 저자는 5G 이동통신의실질적표준이될 3GPP 의 5G 관련표준화동향을 ITU 의표준화동향과함께종합적으로제시하고있다. 마지막으로 6GHz 이상대역을포함한 5G 이동통신에서사용될것으로예상되는후보주파수동향에관하여제시하였다. 셋째,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 김동규등 )"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서비스의첫번째축인초고속데이터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유망기술로서전이중방식통신용자기간섭제거기술개발동향에관하여제시하였다. 특히, 저자들은자기간섭신호의효과적인제거를위해필요한기술을전파영역, 아날로그회로영역, 디지털신호처리영역으로구별하여요약하였고전세계적으로개발되어시연되고있는전이중방식통신플랫폼개발현황도요약하였다. 넷째, "Massive Connectivity 제공기술 ( 오성민등 )"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서비스의두번째축인극다중사물통신서비스제공을위한유망기술로서극다중연결제공기술을제시하였다. 특히, 저자들은극다중연결과관련되어 3GPP LTE 시스템을기반으로제시되고있는기술을중심으로요약하였다. 또한, 저자들은극다중연결제공을위한요소기술로서적응적랜덤액세스자원조절기법과시그널링오버헤드절감기술도제시하였다. 다섯째, " 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위한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연구동향 ( 김종현등 )" 논문에서는통신오류를매우낮은확률로낮추면서매우짧은지연시간을요구하는서비스들의기술적요구사항을분석하였다. 특히, 저자들은이두가지요구사항을동시에만족시키기위하여 5G 이동통신에서고려되고있는비직교 / 비동기웨이브폼기술과다중접속및무선자원관리기술에대한연구동향을요약하였다. 여섯째, "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 김효일등 )"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서비스의마지막축인고신뢰 / 저지연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 5G 유무선네트워크유망기술을제시하였다. 특히, 저자들은기존의 5G 용저지연연구들이주로무선구간을중심으로수행된반면사용자에체감서비스품질을위해서는무선구간뿐아니라유선구간에서의지연성능개선기술이필요함을제시하였다. 저자들은 5G 유무선통합네트워크의지연요소를통합적으로분석하고각지연요소별성능을개선하기위한유망기술들도제시하였다. 바쁜일정중에본특집호의짜임새있는구성을위하여완성도있는논문을집필해준저자들에게감사드리며, 본특집호가독자들이 5G 이동통신의전체적인흐름을파악하고관련전문가들에게통찰력을제공하여우리나라가 5G 이동통신강국으로도약하는데기여할수있기를기원한다. 15 전자공학회지 _ 269

26 특집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시프트 (Paradigm Shift in 5G Services)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 시프트 (Paradigm Shift in 5G Services) Ⅰ. 서론 최근들어스마트폰을비롯한모바일디바이스들의급속한확산과함께모바일트래픽에대한수요도또한폭발적인속도로증가하고있다 [1-2]. 향후,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모바일서비 이호원한경대학교전기전자제어공학과유희정영남대학교정보통신공학과 스및 3D/UHD급모바일실감영상서비스등의폭발적인성장이예상되고있기때문에모바일트래픽양의급속한성장과함께모바일디바이스 ( 센서, 엑추에이터, 웨어러블디바이스등 ) 들의보급또한엄청난속도로증가할것으로예상되고있다 [3-5]. 5G의머신기반통신을기반으로하는사물인터넷기술은교통, 물류, 의료, 자동차, 조선등의타산업과의융합을통하여보다급속하게발전하고이에따라모바일트래픽양과모바일디바이스의개수는매우빠른속도로증가하게될것이다. 게다가, 이동통신기술의빠른발전으로인하여고속의데이터서비스를제공받을수있는커버리지가매우빠른속도로증가하고있기때문에, 사용자들은대부분의생활공간에서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보다손쉽게사용할수있게되었다. 이에따라, 개인컴퓨터 (Personal Computer (PC)) 중심의시대에서모바일클라우드컴퓨팅중심의시대로매우빠른속도변화되고있다 [6-7]. 이밖에도, 이동통신기술의발전에따라사용자들의보다실감나는서비스, 보다편리한서비스, 보다지능적인서비스에대한수요가점점늘어나고있다. 이러한수요의증가에따라증강현실 / 가상현실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서비스, 3D/ 홀로그램 (Hologram) 서비스, 다시점인터랙티브미디어 (Multi-view Interactive Media) 서비스등과같은다양한모바일융합미디어서비스들뿐만아니라, 빅데이터기반데이터분석, 처리, 정보가시화, 추세 270 _ The Magazine of the IEIE 16

27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시프트 (Paradigm Shift in 5G Services) 분석및미래예측서비스들또한빠른속도로발전하고있다 [8-10]. 본고에서는, IMT-2020, 3GPP SMARTER (Study on new services and MARkets Technology EnableR), NGMN(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등에서제시하고있는 5G 이동통신서비스의최신연구동향에대해살펴본다. 기존의서비스분류들이기술적관점에서서비스를분류하였다면, 본고에서는 5G 이동통신서비스시나리오들을기술적관점이아닌실사용자관점에서의 5가지특성에따라분류함으로써새로운관점에서 5G 에맞는새로운서비스패러다임을제시하고자한다. 또한, 각각의분류및사용예 (use case) 들에대하여 5G 네트워크요구사항들에대해서도살펴보도록한다. < 그림 1> IMT-2020 의다양한서비스시나리오들과이에대한 3 가지기준에따른분류 [11] Ⅱ. 기존연구 1. IMT-2020 by ITU-R ITU-R Working Party(WP) 5D에서는 5G를 IMT- 2020으로정의하고비전문서작업을통해서다양한 5G 이동통신서비스의사용예들 < 그림 2> IMT-2020의 5G 서비스군및중요 KPI [11] 이한점으로데이더전송속도와관련된 KPI들이여러개로나누어져있는것을확인할수 을제시하였다 [11]. 또한, 제안한있다 (peak data rate (bps), area 5G 이동통신서비스시나리오들을사용예들을 < 그림 1> 에서와같기술적관점이아닌실사용자관점에서의 traffic capacity (bps/km 2 ), user 이 Enhance Mobile Broadband (embb),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mt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특성에따라분류함으로써새로운관점에서 5G에맞는새로운서비스패러다임을제시하고자한다. experienced data rate (bps), spectrum efficiency (bps/hz)). 더나아가, 4G까지의이동통신서비스와는달리 IMT-2020에서는 Communications (ullc) 이렇게 3개의큰카테고리로분류하였다. [11] 에서는 < 그림 2> 에서와같이, 서비스분류카테고리별로중요한 key performance indicator latency, connection density 등도기존에중요시여겨져왔었던데이터전송속도와같이 5G 서비스의성공적인지원을위한매우중요한 KPI로고려되고있다. (KPI) 들을선정하고, 중요도에따라 High, Medium, Low로나누어표현하였다. 이렇게서비스들을각각의특성에맡게구별하기위해서 ITU-R에서는 peak data rate, area traffic capacity, network energy efficiency, connection density, latency, mobility, spectrum efficiency, user experienced data rate와같이총 8개의 KPI들을제시하였다. 각각의서비스카테고리별 KPI의중요도는 < 그림 2> 에서확인할수있다. 특 2. SMARTER by 3GPP 3GPP에서 5G 서비스도출및요구사항정리를위해서진행한연구과제가바로 SMARTER이다. SMARTER 에서는다양한 5G 서비스를도출하고이들을비슷한카테고리별로그룹핑하는것을목표로한 phase 1과, 이런그룹에대한요구사항들정리하는 phase 2로구성되어있다. 현재까지초신뢰성통신 (ultra-reliable 17 전자공학회지 _ 271

28 이호원, 유희정 < 그림 4> NGMN 의 5G 서비스군및대표예 [13] < 그림 3> SMARTER의서비스그룹 [12] communications) 부터우선권, 서비스품질, 정책제어 (Priority, QoS and Policy Control) 까지총 74개의서비스들을정의하고있다 [12]. 이들서비스는사용자가직접느낄수있는서비스도있지만, 그렇지않고, 기술적인분류에따른서비스들도포함되어있다. 그리고, 이런많은서비스를특성에따라서 < 그림 3> 과같이아래의 5가지그룹으로분류하였다. 각그룹의예를다음과같다.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서비스예시 : Mobile Broadband, UHD/ Hologram, High-mobility, Virtual Presence Critical Communications (CriC) 서비스예시 : Interactive Game/Sports, Industrial Control, Drone/Robot/Vehicle, Emergency Massive Internet of Things (MIoT) 서비스예시 : Subway/Stadium Service, ehealth, Wearables, Inventory Control Network Operation (NEO) 서비스예시 : Network Slicing, Routing, Migration and Interworking, Energy Saving Enhancement of Vehicle-to-Everything (ev2x) 서비스예시 : Autonomous Driving 또한, SMARTER에서는각그룹별로전송률, 지연, 신뢰성, 통신효율 ( 커버리지향상, 효과적지원할당및시 그널링등 ), 트래픽밀도, 연결밀도, 이동성, 측위정확성측면에서의요구사항을정리하고있다. 3. NGMN NGMN은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alliance를지칭하는것으로전세계의네트워크사업자들이중심이되어 5G의서비스시나리오를정의하고, 각사나리오별기술요구사항및 KPI를도출하는등의 5G를위한준비작업을진행하는연합체라할수있다. 본고에서는 2015년 2월에발표된 NGMN의 5G 백서를중심으로 5G 서비스및요구사항에대해서간략히살펴보고자한다 [13]. < 그림 4> 에서보는바와같이, 인구과밀지역에서의광대역접속서비스, 어디에서는 50Mbps의전송률보장하는서비스, 고속이동단말서비스, 초다중접속 < 표 1> 인구과밀지역광대역접속서비스를위한요구사항및 KPI 요구사항요구치 (KPI) 비고 사용자가느끼는전송률 ( 셀가장자리포함 ) 종단간지연이동성단말동작시간 하향링크 :300Mbps 상향링크 :50Mbps 10ms 0-100km/h 3일이상 언제어디서나클라우드서비스, 비디오및기타디지털시비스를복합적으로지원함. 연결밀도 연결 /km 대 /km 2 이고, 이들중에서 10% 가연결된다는 전체단말밀도는 가정임. 트래픽밀도 하향링크 :750Gbps/km 2 상향링크 :125Gbps/km 2 ( 연결밀도 ) ( 사용자가느끼는전송률 ) 272 _ The Magazine of the IEIE 18

29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시프트 (Paradigm Shift in 5G Services) < 그림 5> 사용자관점에서의 5 가지특성에따른 5G 이동통신서비스시나리오분류 3.1. 몰입형 5G 서비스 < 그림 6> 가상현실서비스예 가상현실 / 증강현실 (Virtual Reality/ IoT 서비스, 초저지연서비스, 공공안전및재난통신서비스, 고신뢰통신서비스, 광대역방송서비스로 5G 서비스를분류한다. 그리고, 서비스군에해당하는서비스카테고리를정리하고, 이를제공하기위한요구사항을도출하였다. 주요요구사항으 Augmented Reality) 가상현실이란어떤특정한환경이나상황을컴퓨터로만들어서, 그것을사용하는사람이마치실제주변상황 / 환경과상호작용을하고있는것처럼만들어주는인간- 컴퓨터사이의인터페이스를의미 로사용자가느끼는데이터전송한다. 또한, 증강현실이란실제환 5G 시대에서사용자들이경험하게될률 (user experienced data rate), 다양한서비스시나리오들을크게 5개의경에가상사물이나정보를합성 종단간지연 (E2E latency), 이동성 (mobility), 단말의동작시간 (device autonomy), 연결밀도 (connection density), 트래픽밀 기준 ( 몰입형 5G 서비스, 지능형 5G 서비스, 편재형 5G 서비스, 자율형 5G 서비스, 공공형 5G 서비스 ) 에따라분류한다. 하여원래의환경에존재하는사물처럼보이도록하는인간-컴퓨터사이의인터페이스를의미한다. < 그림 6> 에서와같이가상현실 / 증 도 (traffic density) 등을다룬다. 예를들어, 과밀지역에서의광대역접속서비스를위한요구사항은 < 표 1> 과같이정의한다. 나머지 5G 서비스에대한요구사항들도 [13] 에포함되어있다. 강현실기술을기반으로실제현장과동일한수준의현장재현을통하여사용자가있는장소어디에서도공연현장과거의동일한수준의공연을관람할수있다. 또한, 같은공연을현장에서관람하고있는사람과다른장소에서 관람하고있는사람간의실시간통신및인터랙션도가능 Ⅲ. 5G 서비스로드맵 2022 하다. 5G 사용자에게실시간가상현실 / 증강현실서비스 를제공하기위해서는먼저화질과시야각개선등의문 본고에서는, 5G 시대에서사용자들이경험하게될다양한서비스시나리오들을 < 그림 5> 과같이크게 5개의기준 ( 몰입형 5G 서비스 (Immersiveness), 지능형 5G 서비스 (Intelligence), 편재형 5G 서비스 (Omnipresence), 제를해결하여야한다. 화질과시야각의문제를모두해결하기위해서는 4G의최대전송속도와지연시간으로는한계가있다. 따라서전송속도와지연이향상된 5G 모바일서비스기술의개발이필수적이다. 자율형 5G 서비스 (Autonomy), 공공형 5G 서비스 (Publicness)) 에따라분류한다. 또한, 5개의서비스군내의주요사용예들에대한네트워크요구사항에대해서도살펴보도록한다 대용량콘텐츠스트리밍 (Massive Contents Streaming) 방송, 영화뿐만아니라인터넷및개인미디어등의다 19 전자공학회지 _ 273

30 이호원, 유희정 3.2. 지능형 5G 서비스 < 그림 7> 대용량콘텐츠스트리밍예양한영역에서오디오와비디오중심의멀티미디어콘텐츠보급및수요가급속도로확대되고있다. 사실감과현장감을제공하는실감미디어에대한소비자요구증가와더불어디스플레이기술의급속한발전으로인하여고화질의실감콘텐츠를원하는사용자들의수요가증가하고있기때문에 5G에서는 Full HD 해상도의 4배에해당하는 4K UHD (3,840 2,160), 16배에해당하는 8K UHD(7,680 4,320) 등의초고용량영상콘텐츠스트리밍서비스가보편화될전망이다. 또한, < 그림 7> 에서와같이 5G 에서는사용자에게영상의깊이감과입체감을제공해줄수있는다시점인터랙티브 3D 서비스가가능할것으로예상된다. 다시점비디오는똑같은 3차원장면을여러시점에서다수의카메라로촬영한것을의미한다. 즉, 여러시점에서한장면을획득하고, 이를이용하여사용자에게원하는시점의영상을제공해야한다. 하지만, 카메라수만큼의영상이존재하기때문에데이터의양이매우많아서이를효과적으로저장하고전송하기위한기술과저지연네트워크의개발이필수적이다 사용자중심컴퓨팅 (User-Centric Computing) < 그림 8> 에서와같이, 사용자중심컴퓨팅서비스를위해서, 다양한센서등을통해서수집된빅데이터정보를기반으로전문상담사, 심리학자, 철학자, 사회학자등의노하우를서비스하는모바일라이프코칭 (Mobile life-coaching) 서비스의제공이가능하다. 다시말해서, 모바일사용자의경험과전문가의지식을융합 / 가공하여사용자맞춤형지식서비스의제공이가능하다. 이러한사용자맞춤형정보의적시성보장을위하여모바일엣지컴퓨팅기술이빅데이터처리기술과함께적용가능하다. 그래서 5G에서는네트워크지연문제와네트워크구성에있어서의비용효율성문제를함께해결해야하고, 이를위해서모바일엣지컴퓨팅기술등의개발이필수적이다 밀집공간서비스 (Crowded Area Services) 제약된공간에많은단말들이밀집되어있는지역을밀집공간이라고하고, 이를위한 5G 서비스를밀집공간서비스라한다. 단위면적당사용자수가아주많고, 이들이대용량멀티미디어콘텐츠를업로드하거나스트리밍서비스를제공받아단위면적당트랙픽볼륨도상당히높은경우에해당된다. 예를들어, < 그림 9> 에서와같이, 종합경기장, 대형전시장, 도심의밀집거리가이에속한다. 이런공간에많은사용자들이다양한종류의단말을소지하고있으며, 이들은비슷한경기또는홍보콘텐츠 (UHD, VR/AR, 인터랙티브 3D, 홀로그램등 ) 를서로다 < 그림 8> 사용자중심컴퓨팅예 < 그림 9> 밀집공간서비스예 274 _ The Magazine of the IEIE 20

31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시프트 (Paradigm Shift in 5G Services) 른시간에수신하는경우가있는데, 이는각사용자가보는각도나시점이다르기때문에일반적인방송서비스와는성격이다르다. 스몰셀및모바일엣지컴퓨팅개념을도입한 5G 네트워크에서는비용효율적서비스가가능할것이다. 그리고대용량 UHD, 3D 콘텐츠가주요데이터가되고, 이들이동시다발적으로생겨나기때문에높은전송률의 5G 네트워크가필수적이다. 동시접속가능한지원단말수의증대도필요하다 편재형 5G 서비스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5G 시대에서는 4G 때와는다른특성을갖는다양한형태의단말들이등장할것이다. 더이상사람들이들고다니는스마트폰에국한되지않고, 한사람이여러개의웨어러블단말을휴대할것이며, 주변생활공간에있는다양한기기또는센서들이통신기능이있어서서로정보를교환할것이고, 그연결의수가기하급수적으로증가할것이다. 시간과공간을포함한다양한차원의막대한양의빅데이터들은수집, 저장, 처리, 관리되며이를필요로하는적재적소에서활용될것이다. < 그림 10> 에서와같이, 이런사물인터넷의적용범위에따라서, 스마트개인, 스마트빌딩, 스마트시티형태로확장될것이다. 사물인터넷을위해서는폭발적으로증가한동시접속의수를수용할수있어야한다. 그리고응용시나리오따라서는고신뢰및저지연네트워크기술이필요할수있다. 센서네트워크관점에서의에너지및비용효율성도고려되어야하다 자율형 5G 서비스 스마트교통 (Smart Transportation) 스마트교통이란자동차, 버스지하철, 철도, 항공등의다양한교통수단의운영효율성을극대화한보다편리하고안전한교통체계를의미한다. 본고에서는, < 그림 11> 에서와같이, 5G와교통시스템의융합을통해새로운부가가치의창출이가능한자율주행자동차, 플래투닝 ( 자동군집주행, Platooning of vehicles), 트래픽안전기술 (Traffic safety), 트래픽제어기술 (Traffic control) 을고려한다. 일반적으로사람의탑승유무에상관없이센서및인공지능기술을이용하여차량이스스로인식, 판단, 명령을하는시스템을자율주행시스템이라고하며, 상위명령에따른무인제어 / 주행이가능한동시에주어진환경에서임무수행이가능한자동차플랫폼을무인차량플랫폼라고한다. 무인주행자동차가주변환경을파악하고판단하기위해적어도 1 Gbps의정보를처리해야하는데 1 km 2 당수천대이상의자동차가 < 그림 10> 5G 기반스마트 IoT 개인 / 빌딩 / 시티예 < 그림 11> 5G 기반스마트교통서비스예 21 전자공학회지 _ 275

32 이호원, 유희정 동시다발적으로정보를송수신하기위해서는현재의기술로는지원이불가능하다. 또한, 차량간통신및차량과인프라간의통신에서교통안전서비스제공을위하여 5G에서는현재무선통신기술에서제공이불가능한극단적으로짧은무선통신지연 (Ultra low latency) 및높은신뢰성 (High reliability) 을필요로한다. 그리고단말의고속이동성역시고려되어야한다 드론 (Drone) 드론의통신기술한계가 5G 기술을통하여극복될경우, < 그림 12> 에서와같이, 군사, 재난모니터링, 구조물관리, 스마트교통, 재난구조활동, 물류배송등그응용분야가무궁무진할것이다. 드론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는드론에서촬영한영상및수집데이터전송을위한데이터링크와드론의제어를위한제어링크로구분하고, 이둘을모두포함한다. 그리고여러대의드론들이군집비행을하여공조하는협력드론네트워크도고려할수있다. 드론을제어하는컨트롤데이터및제어상태를알려주는데이터는저지연이보장되어야하며신뢰성이높아야한다. 또한, 드론의운영시간을향상시키기위해서에너지효율이높은 5G 전송기술및네트워크기술이필요하다, 드론들사이의메쉬네트워크에서정보수집단말에가장가까이에있는드론은자신의수집데이터뿐만아니라, 메쉬네트워크내에수집정보들을정보수집단말에전달해야하기때문에높은전송률도요구된다. < 그림 13> 원격수술서비스예로봇응용분야확대에따른원격조작 (Teleoperation) 및스마트산업자동화 (Smart industrialization) 에서의 5G의역할이증대되고있다. 구체적으로로봇으로부터받은영상및센싱데이터를수신하고이를바탕으로인간또는제어장치에의해서결정된엑추에이터제어정보를다시로봇으로전송하는물리시스템이 5G 서비스의한형태가될것이다. 원격조작의대표적인예로, < 그림 13> 에서와같이, 의료시설이취약한지방의환자를종합병원에있는의사가수술하는원격수술, 방사능지역및매몰지역과같이사람이직접갈수없는곳을로봇이가는원격탐지및원격작업등이있다. 이를위해서는센싱정보수집에서제어정보전달과정까지의지연을최소화할필요가있다. 로봇주변영상 ( 고화질 3D 또는홀로그램 ) 과같은센싱데이터를위한초고속전송기술역시필요하다. 그리고이와같은시나리오에서로봇의오동작은치명적인영향을끼칠수있기때문에고신뢰도의 5G 네트워크가요구된다 로봇 (Robot) 3.5. 공공형 5G 서비스 < 그림 12> 5G 기반드론제어서비스예 재난재해감시 (Disaster Monitoring) 산, 바다나방사능위험지역, 화산지역등은다수의센서를통하여재난상황을모니터링하고, 이를공공안전망과연동시켜재난상황에서피해를최소화하고빠른대응이가능하도록하는재난재해감시도 5G의중요한서비스중에하나일것이다. 5G 네트워크에서는센서네트워크의요구사항들, 즉동시접속단말수와커버리지 ( 단일링크커버리지와다중홉중계를이용한커버리 276 _ The Magazine of the IEIE 22

33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시프트 (Paradigm Shift in 5G Services) < 그림 14> 통신인프라가파괴된상황에서의 5G 기반재난재해감시및공공안전서비스예 지모두포함 ) 증대그리고에너지효율을동시필요하다. 있는최소한의통신서비스가요구된다. 또한, 도심곳곳에설치된 CCTV 등을연결하여도심안전을항상감시할수있고, 경찰및소방시설과의연계를통한즉각적인조치가가능하다. 이를위해서, 단말간직접중계 (Relay) 기능이나단말방송 (Broadcasting) 기능등이탑재된 PS-enabled (Public Safety-enabled) 단말서비스를제공할수있어야한다. 공공안전망및군작전망의경우, 네트워크의높은보안성및신뢰성이중요한요구사항이되며, PS-enabled 단말등의경우, 동작시간을고려한에너지효율성역시중요하다. < 그림 14> 에서와같이재난재해시통신인프라가파괴 될수있는상황이충분히발생할수있기때문ㅇ에, 이를위한안정적이고신뢰성있는망구 응급서비스 (Emergency Services) 응급상황이발생하였을경우에 성이필요하고, 5G 재난감시네트워크를통해서전달되는정보는높은신뢰성을갖고전송되어야한다. 5G 서비스실현을위한네트워크요구사항은 초고속전송률, 다수접속, 고신뢰도, 초저지연, 고속이동성, 는구급차내의환자상황데이터를바로병원으로전달하고, 이를바탕으로즉각적인원격진료등의조치 또한, 네트워크구축및유지에있 에너지효율성, 비용효율성 7가지로를가능하게하여응급상황에대한요약될수있다. 어서비용효율성도요구된다. 대처능력을향상시키는서비스를 제공한다. 산악지역사고, 및바다 사설보안 / 공공안전 (Private Security/ Public Safety) 재난상황에서빠르게이동기지국및무선백본네트워크를통하여빠른네트워크복구가가능하고, 복구된 에서선상사고의경우가그예가될것이다. 응급상황이발생한곳의의료정보의전달과이를바탕으로한응급원격진료및수술에대한정보가전달되어야하므로네트워크의고신뢰성및저지연성이보장되어야한다. 네트워크를통하여재난지역구조활동을원활하게할 수있어야한다. 재난으로통신인프라가붕괴된상황에서인프라없이단말들끼리단말간네트워크를구성할수 G 서비스실현을위한네트워크요구사항 3.1~3.5 장에서살펴본 5가지의 5G 서비스분류에따 < 표 2> 5G 서비스분류에따른네트워크요구사항 AR/VR: 증강현실 / 가상현실 (Augmented Reality / Virtual Reality), MCS: 대용량콘텐츠스트리밍 (Massive Contents Streaming), UCC: 사용자중심컴퓨팅 (User-Centric Computing), CA: 밀접공간 (Crowded Area), IoT: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ST: 스마트교통 (Smart Transportation), DM: 재난재해감시 (Disaster Monitoring), PS/PS: 사설보안 / 공공안전 (Private Security/ Public Safety), ES: 응급서비스 (Emergency Service) 몰입형 5G 지능형 5G 편재형 5G 자율형 5G 공공형 5G AR/VR MCS UCC CA lot ST 드론로봇 DM PS/PS ES 초고속전송률 High High High Medium Medium 다수접속 Low High Medium 고신뢰도 Low High High High High High High 초저지연 High Medium High Medium High High High High High 고속이동성 High Medium Medium 에너지효율성 High Medium High High Low 비용효율성 High High High Low 23 전자공학회지 _ 277

34 이호원, 유희정 른다양한서비스들에서요구되는네트워크요구사항을정리하면 < 표 2> 와같다. < 표 2> 에서는 5G 네트워크요구사항의중요도에따라제 1 요구사항 (High), 제 2 요구사항 (Medium), 제 3 요구사항 (Low) 으로세분화하였다. 5G 서비스실현을위한네트워크요구사항은 초고속전송률 (Ultra High Data Rate), 다수접속 (Massive Connectivity), 고신뢰도 (High Reliability), 초저지연 (Ultra Low Latency), 고속이동성 (High Mobility), 에너지효율성 (High Energy Efficiency), 비용효율성 (Cost Effectiveness) 이렇게 7가지로요약될수있다 [1]. Ⅳ. 결론 본고에서는 5G 이동통신서비스관련동향조사를바탕으로, 5G 이동통신서비스시나리오들을몰입형 (Immersive), 지능형 (Intelligent), 편재형 (Omnipresent), 자율형 (Autonomous), 공공형 (Public) 서비스로분류하였다. 그리고, 서비스분류에서의대표서비스시나리오들에대해서도기술하였다. 또한, 각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서필요한 5G 네트워크의요구사항들에대해서도살펴보았다. 이와같은서비스분류및요구사항정의를통하여, 5G 단말 / 네트워크 / 서비스기술개발을위해서필요한기술의방향성과그방향에서추구하고자하는것들을미리확인해볼수있었다. [3] The Internet of Things: An Overview, Internet Society, Oct [4] Internet of Things, Cisco, 2013 [5] J. Gubbi et al., Internet of Things (IoT): A vision, architectural elements, and future directions, Elsevier Future Generation Computer Systems, pp , Feb [6] 6 Big Internet Trends to Watch for in 2012, Forbes, Dec, 2011 [7] The Mobile Economy, GSMA, 2016 [8] ICT R&D 중장기전략 ( ), 미래창조과학부, 2013 [9] 미래기술분석을통한 ICT 및융합기술전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3 [10] Big Data in the Cloud: Converging Technologies, Intel IT Center, Apr [11] Recommendation ITU-R M , IMT Vision - 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Sep [12] 3GPP TR , Feasibility Study on New Services and Markets Technology Enablers, Nov [13]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5G White Paper, Feb 감사 본고는미래창조과학부와 5G 포럼에서작성한 5G 서비스로드맵 2022 의내용을바탕으로작성한것이며, 해당문서의작성에참여해주신 5G 서비스로드맵 2022 TFT 구성원들께감사의말씀을드립니다. 참고문헌 [1] 5G New Wave Towards Future Societies In The 2020S, 5G Forum( Mar [2] VNI Global Mobile Data Traffic Forecast , Cisco, _ The Magazine of the IEIE 24

35 5G 서비스에서의패러다임시프트 (Paradigm Shift in 5G Services) 이호원 2003 년 2 월 KAIST 전자전산학과 ( 학사 ) 2009 년 8 월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 박사 ) 2009 년 6 월 ~2012 년 2 월 KAIST IT 융합연구소지식융합팀팀장 2012 년 3 월 ~2016 년 3 월한경대학교전기전자제어공학과조교수 2016 년 4 월 ~ 현재한경대학교전기전자제어공학과부교수 < 관심분야 > 무선통신 / 네트워크, 사용자클러스터링, 무선컴퓨팅네트워크 유희정 1999 년 2 월고려대학교전파공학과 ( 학사 ) 2001 년 2 월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 석사 ) 2011 년 2 월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 박사 ) 2001 년 2 월 ~2012 년 8 월 ETRI 선임연구원 2012 년 9 월 ~ 현재영남대학교정보통신공학과조교수 < 관심분야 > 통신신호처리, 통계적신호처리 25 전자공학회지 _ 279

36 특집 5G 이동통신표준화및주파수동향 5G 이동통신표준화및 주파수동향 Ⅰ. 머리말 LTE 서비스보급률이 70% 를넘어선우리나라와 50% 를넘어선일본정도를제외하면아직 4G 이동통신시스템의세계적인확산은아직초기단계라고볼수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전세계이동통신산업계가 5G 준비에경쟁적으로뛰어들고있는데, 이는초기에기술리더십을놓치면다시추월하기가쉽지않다는과거경험에따른것일것이다. 우리나라정부는 미래이동통신산업발전전략 을수립하여추진중이며 2018년평창동계올림픽에서 5G 시범서비스와 2020년세계최초 5G 상용서비스를제공한다는계획이다 [1]. 중국과일본도각각 2020년도쿄올림픽과 2022년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 5G 서비스계획을밝히고있고, 이런아시아권의활동에자극을받은북미등도앞다투어 5G 시연과연계한이벤트를기획하고있다. 이렇듯전세계의화두가된 5G 관련하여이미 2012년부터 ITU- 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adio, 국제전기통신연합전파통신총국 ) WP5D(Working Party 5D, 이동통신작업반 ) 에 오충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표준화본부선임연구원 < 그림 1> ITU 의이동통신세대별표준화 280 _ The Magazine of the IEIE 26

37 5G 이동통신표준화및주파수동향 서표준화가시작되었다. ITU-R WP5D는우리에게친숙한 3G( 공식용어 : IMT-2000)/4G( 공식용어 : IMT- Advanced) 의이동통신국제표준을제정 승인한단체이다. < 그림 1> 에서보듯이 3G 표준은 2000년 M.1457 권고서로공식승인되었고, 4G 표준은 2003년 4G 비전을완성하고 9년이라는개발기간을거쳐 2012년 M.2012 권고서로승인되었다. 5G 표준또한 4G 개발과정과비슷하게진행될예정이며, 2015년 ITU가발표한 5G 비전에따라올해부터 3GPP 등사실표준화단체가 5G 후보기술및규격을본격개발할것이다. 본고에서는 ITU와 3GPP의 5G 표준화동향및전망을정리하고, 5G 기술 (6GHz 이상 IMT 기술등 ) 과관련된주파수논의현황을서술하였다. Ⅱ. 5G 이동통신표준화동향 G 정의 ( 개념 ) 및비전 5G는 5세대이동통신의줄임말로공식용어는아니고시장에서통용되는단어이다. 미국과같이기술중립을표방하는국가들은세대개념으로이동통신을구분하는것에난색을표하고있으나 2G, 3G, 4G 뿐만아니라 5G 또한이미대중에게익숙한용어가되었다. ITU에서부르는 5G에대한공식용어는 IMT-2020으로 2015년 10 월말 ITU 전파통신총회에서결의 56-2 [2] 를개정하면서승인되었고, IMT-2020 표준화를진행하는원칙과절차또한결의 65 [3] 로신규제정되었다. ITU의 5G 비전권고 (M.2083, 15.9월제정 ) [4] 에따르면 5G는신규무선접속기술뿐만아니라 4G 진화기술중에서도 5G 성능을만족한다면 5G 범주로포함될수있기때문에, 5G는기존이동통신성능이향상된진화기술과새로운주파수기술 / 무선접속기술이공존하는개념이된다. 즉 5G는 LTE 진화기술과신규무선접속기술 (New Radio Access Technology(RAT)) 을모두포함하고, 기존 6GHz 이하저주파대역및 6GHz 이상고주파대역에서모두사용가능한표준이다. 5G 개념이이렇게된뒷 5G 는 5 세대이동통신의줄임말로공식용어는아니고시장에서통용되는단어이다. 미국과같이기술중립을표방하는국가들은세대개념으로이동통신을구분하는것에난색을표하고있으나 2G, 3G, 4G 뿐만아니라 5G 또한이미대중에게익숙한용어가되었다. 5G 비전문서본문내수치 5G 비전그림 최대전송속도 10~20Gbps 이용자체감전송률 100Mbps~1Gbps 주파수효율성 4G대비 3~5배 고속이동성 500 km/h 전송지연 1 ms 최대기기연결수 10 6 /km 2 에너지효율성 4G대비 100배 면적당데이터처리용량 10 Mbps/m 2 < 그림 2> 5G 비전핵심성능사항 (Key Capabilities) 배경중하나는, 우리나라의경우 LTE 전국망이구축되어있지만유럽, 중국등은아직도심밀집소규모지역에국한되어있어, 망사업자들이새로운 5G 표준이 2020년나온다는소식을접하면더이상 4G 시스템에투자를하지않고 2020년까지기다렸다가바로 5G로갈수있기때문이다. 이런우려를잠식시키고자 5G는 4G의진화기술도 5G 성능을만족한다면 5G 범주에포함시킬수 < 그림 3> 5G 비전의 3 대 Usage Scenario 와 8 개 Key Capabilities 간관계도 27 전자공학회지 _ 281

38 오충근 있다고명시해둠으로서망사업자및제조사의우려를불 식시킨것이다. 본비전권고는 < 그림 2> 와같이 8대핵심성능및 3대 Usage Scenario 등을정의하고있다. 5G 핵심성능목 표값중최대전송률, 체감전송률, 주파수효율성에대한 논의는의견대립으로막판까지난항을겪었다. 최대전 송률및체감전송률의목표값으로우리나라는보다큰 값을명시하고자하는반면중국및일부회사 ( 오렌지, 노 키아등 ) 는보수적인값을선호한것이다. 또한우리나라는향후광대역폭을통해최대전송률을구현하도록 3배주파수효율성을지지하는반면중국은주파수효율향상을통해최대전송률구현이가능하도록 5배를주장했다. 결국치열한논의끝에제22차 WP5D 회의 ( 15.6월) 에서 5G 핵심성능목표값을 5G Spider-web diagram 상에는최대전송률 20Gbps, 체감전송률 100Mbps, 주파수효율성 4G 대비 3배향상으로하고 < 그림 4> ITU가제시한 5G 표준화일정 6GHz) 를개발하였다. 이렇게개발된문서들을기반으로 15.11월개최된 WRC-15에서우리나라는신규연구의제를제안하였고, 그결과 6GHz이상후보주파수연구대역 11개를결정하여 WRC-19에서 IMT 주파수로의분배 (identification) 을검토키로했다. 5G 이동통신주파수관련된사항은 3장에세부적으로기술하였다. 이제올해 (2016년) 부터는 5G 비전권고본문에는사용환경등비전에기반하여규격개발등의향후 5G기술은기존시장의경계를조건에따라값의범위를주어합의넘어서사물통신 (IoT, M2M), 재난통신 5G 기술표준화가본격착수된다. 하였다. < 그림 3> 은 5G 비전에서제시하고있는 Usage scenario로서 Enhanced Mobile Broadband( 이하 embb), (PPDR), 차량통신 (V2X) 등산업간융합분야까지확장하여사회의기반인프라로서사용될것이다. 2017년까지는 5G 기술성능요구사항, 평가방법및기준에대한상세가이드라인이제공될예정이며, 이것을근거로 2017년 10월부터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 이하 URLL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 이하 mmtc) 의 3가지를제시하고있다. 본사항의의미는이미전세계 4G 이동통신시장이 LTE 기술로수렴되어있는상황에서, 향후 5G 기술은기존시장의경계를넘어서사물통신 (IoT, M2M), 재난통신 (PPDR), 차량통신 (V2X) 등산업간융합분야까지확장하여사회의기반인프라로서사용될것이라는메시지를담고있다. ITU는외부기관으로부터 5G 후보기술제안을받기시작할것이다. 접수된후보기술에대하여평가와함께그결과를바탕으로한합의 / 조정과정을거치게된다. 이과정을마친후최종적으로 2020년에 ITU는 5G 국제표준을승인할것으로예상된다. 주지하듯이 ITU가실질적인 5G 규격들을직접개발하지는않는다. 미래이동통신을위한주파수, 비전및성능요구사항등의큰그림 ( 프레임워크 ) 을제공하고그기 반하에산업체 ( 인더스트리 ) 를회원으로두고있는표준 G 표준화일정 < 그림 4> 는 ITU가정한 5G 표준화일정이다. 앞서설명한바와같이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ITU 5G 비전권고, 5G 명칭 / 표준화절차등을결정하였고, 미래기술동향보고서 (Future Technology Trends) 와 6GHz 이상대역의 IMT 활용가능성보고서 (IMT Feasibility above 화단체인 3GPP와같은곳에서세부적인규격을개발하여 ITU로제안하는것이다. 3GPP는한국 (TTA), 미국 (ATIS), 유럽 (ETSI), 중국 (CCSA), 일본 (ARIB, TTC), 인도 (TSDSI) 의표준화단체가기관회원인데기관회원들이보유한인더스트리 ( 산업체 ) 회원은전세계의주요이동통신제조사, 통신사로약 400개가넘는다. 즉, 400여개 282 _ The Magazine of the IEIE 28

39 5G 이동통신표준화및주파수동향 - 7차 ( 20.8월) : 5G 후보기술평가결과보고서공지 - 8차 ( 20.12월) : 5G 무선접속기술표준승인및 1차개정절차일정알림 < 그림 5> 5G 표준화를위한 ITU 의외부단체회람일정 G 기술성능요구사항, 평가방법논의현황 ITU가 2017년말에후보기술제안접수를시작하기이전 IMT-2020 기술성능요구사항, 평가방법론, 후보기술제출양식등의보고서개발을완료해야한다. 16.2월 업체가합의하여만들고지역및국가표준화기구에서채택한세부규격은실질적인측면에 23차 WP5D 회의에서본사항에대한논의가시작되어간략히현황을공유코자한다. 서 de-facto 국제표준이되고있다 5G 기술성능요구사항보고서개 ITU에서는 2016년부터 5G 비전에기반는의미이다. 3GPP에의해개발된하여 5G 기술표준화에본격착수한다. 발관련해서는이번에한 중 일 세부규격은 ITU가정한비전, 평가기준에따라만들었기때문에공식 2017년까지 5G 기술성능요구사항, 평가방법및기준에대한상세 공동기고한문서구조를토대로하여작업문서초안을작성하였다. 우 가이드라인이제공될예정이며, 2017년국제표준이되며, 이는자연스럽게리나라는우선 5G 비전에서명시한 10월부터외부기관으로부터 ITU에참여하는개발도상국가로확 8가지핵심성능사항을본 5G 기술 5G 후보기술제안을받기시작할 산되는선순환구조를갖게된다. 이런시스템으로운영되기때문 것이다. 접수된후보기술에대하여평가 / 합의 / 조정과정을마친후최종적으로 성능요구사항에넣어두자고하여반영이되었고, 그외중국, 일본, 에, 5G 표준개발시 ITU와 3GPP 2020년에 5G 국제표준을승인할것으로 NGMN, 퀄컴, 노키아, 삼성, 인텔, 예상된다. 등외부표준화단체간의상호협에릭슨등이각각제안한추가요구 력 / 소통이매우중요하다. 이를위해 ITU-R WP5D는회의가끝날때마다주요사항들에대해공지코자외부표준개발단체에회람문서 (Circular letter) 를송부한다. 16.2월 23차 WP5D 회의가중국북 사항들은일단작업문서에모두취합해두었다. 요구사항항목별상세논의및포함여부는다음회의부터본격논의키로하였으며, 현재본작업문서에취합된 26가지요구사항항목은다음과같다. 경에서있었는데, < 그림 5> 와같은회람문서발송일정을 수립하였다. 2020년까지총 8번의회람문서가발송될예정이며각차수별주요내용은다음과같다. - (5G 비전 ) K1~K8 : peak data rate, user experienced data rate, user plane latency, mobility, connection density, (network energy - 1차 ( 16.3월) : 5G(IMT-2020) 기술표준화착수및 ITU 관련웹페이지공지 - 2 차 ( 16.8월) : IMT-2020 추진배경및표준화절차공지 - 3차 ( 17.3월) : 5G 기술성능요구사항공지 - 4차 ( 17.8월) : 5G 평가방법론및후보기술제안양식공지 - 5차 ( 19.8월) : 5G 후보기술접수결과알림 - 6차 ( 20.3월) : 5G 후보기술평가결과알림 efficiency, device energy efficiency), spectrum efficiency, Area traffic capacity - ( 그외제안사항 ) O1~O18 : spectrum flexibility, bandwidth flexibility, reliability, operational lifetime, bandwidth, support for wide range of service, mobility interruption time, peak spectral efficiency, 5th percentile user spectrum efficiency, 50%-tile of user data rate, 50th percentile user spectrum efficiency, control 29 전자공학회지 _ 283

40 오충근 plane latency, latency for infrequent small packets, coverage, group handover capability, inter-system handover, signalling overhead, VoIP Capacity < 표 1> 3GPP의단계별 5G 표준화추진일정 3GPP 릴리스 개발일정 주요내용 Release 년 3월 ~ 2017년 6월 5G Study Item Release 년 6월 ~ 2018년 9월 1단계 5G 규격개발 Release 년 9월 ~ 2019년 12월 2단계 5G 규격완성 참고로프랑스가자국에서벌어진테러의여파때문인지회의시 5G 기술성능요구사항에개인정보보호사항을포함하자고제안하였으나, 이동통신무선접속기술표준화를담당하는 WP5D 소관이아니라는대다수국가 / 산업체들의의견에따라포함하지않았다. 5G 평가방법론보고서의경우, 5G 기술성능요구사항이어느정도완료가되어야각항목별평가방법을논의할수있기때문에 23차 WP5D 회의에서는성능평가환경과주요환경모델 ( 채널모델, 트래픽모델, 에너지모델등 ) 들을우선논의하였다. 기존 4G(IMT-Advanced) 와동일한평가기법 ( 실험, 분석, 조사 / 검토기반평가방법 ) 을 IMT-2020에도동일하게적용키로하였고, 성능평가를위한실험환경도 IMT-Advanced에서사용했던 3가지환경 ( 실내핫스팟환경, 도심셀룰러환경, 시외마크로-셀룰러환경 ) 을재사용키로합의하였다. 다만신규로제안된도심마크로-셀룰러환경과고속기차환경의경우다음 24차회의에서재논의키로하였다. 평가시, 기존 IMT-Advanced와이번 IMT-2020의가장큰차이는 MBB 경우만고려하여 4G 기술을평가하면되었으나, 5G는 embb, URLLC, mmtc의세가지시나라오별여러가지환경에서기술평가를해야한다는점이다. 5G 기술성능요구사항보고서는 17년 3월, 5G 평가방법론보고서는 17년 8월에완성될예정이다 GPP의 IMT-2020 표준화동향및일정실질적으로 5G 기술규격을개발할 3GPP의동향또한매우중요하여본절에기술코자한다. 2015년 9월 3GPP는자체 5G 워크숍논의를통해 ITU의 5G 비전및표준화일정을고려하여, < 표 1> 과같이단계별접근방식 (Phased Approach) 으로 5G 규격을개발키로하였다. 즉, IMT-2020 전까지 3개 releases 작업을추진하는데각 release는 15개월의기간으로추진하고 1단계로 < 그림 6> 3GPP 세부추진일정 ( 안 ) 및 ITU 제안 Release 15에 2020년상용화계획을반영한규격발간을목표로하고있다. Release 15 이후에도단계별표준화전략을계획하고있는데 < 그림 6> 과같이 Phase 1에서는 2018년까지시장요구사항에따른긴급한사항의표준화를추진하고, Phase 2에서는 2019년까지모든요구사항및유즈케이스에대한완료와함께 ITU로 IMT 기술제출완료를목표로하고있다. Phase 1에서개발되는신규무선접속기술은 Phase 2와상위호환성 (forward compatibility: 이번제정될표준기술이이후에제정될표준기술과도호환성이있어야함 ) 을보장하도록한것이새로운특징이다. 3GPP의표준화에있어가장큰쟁점은 Phase 1에어떤시나리오의 5G 규격을우선적으로개발할것인가이다. 물론 embb, mmtc, URLLC 모든시나리오가 Phase 1에들어가면좋겠지만, 3GPP의업무로드상시장에서긴급하게요구하는기술에대해서선차적으로표준화를해야할것이다. 16.3월스웨덴에서개최된 71차 3GPP 기술총회에서는 Phase 0라고볼수있는 Rel. 14 5G 연구아이템선정작업을진행하였다. 많은논란이있었으나우선현 Rel. 14 단계에서는우선순위를정하지않고 embb, mmtc, URLLC를모두포함한시나리오및요구사항을만족시키는단일 framework 개발을목표로연구를추진키로하였다. Rel. 14의 5G 연구는모든시나리오에대해추진을하지만, 5G 규격개발작업에대 284 _ The Magazine of the IEIE 30

41 5G 이동통신표준화및주파수동향 한우선순위는 Rel. 15 착수시점에치열하게전개될것으로예상된다. 인지도를얻기위함이다. IMT 주파수지정은주파수뿐아니라시장측면에서도중요한데해당주파수가국제적 으로 IMT 사용가능성이있다는신호를보냄으로써각국 Ⅲ. 5G 이동통신주파수동향 의주파수용도결정시국제적인로밍을도모할수있고 산업체로하여금규모의경제를통한장비가격의인하를 이동통신개념정립과상용화시점간에상당한차이 유도할수있는것이다. 가생기는가장큰이유는물론기술개발, 시스템을구 현하는데적절한시간이필요하기때문이지만또다른하나는서비스를제공할주파수확보라고할수있다. 국제적으로 IMT 주파수로지정되었다하더라도기존업무회수또는재배치등을통해이동통신이사용할수있는환경을조성하는데에는시간이걸리 G(IMT-2020) 주파수개념앞서설명한바와같이 5G는기존이동통신성능이향상된진화기술과새로운주파수기술 / 무선접속기술이공존하는개념이될것이다. 그리고엄밀히말하면 4G용주파수, 5G용주파수이렇게따로 기때문이다. 따라서 5세대이동통신을논의하기위해서는 5세대의개념뿐아니라주파수문제도미리검토해야한다. ITU는이미 5세대이동통신을위한주파수관련논의 이동통신개념정립과상용화시점간에차이가생기는이유중하나가서비스를제공할주파수확보이기때문에주파수관련사항도미리검토해야한다. 구분할수는없다. 기존 3G/4G에서사용한 1.8GHz, 800~900MHz 대역도 5G 성능을만족하는신규기술을사용한다면 5G 주파수라고말할수있을것이다. 다만이번 5G 도진행중인데, 본장에서는그내용을다루고자한다. 비전에서제시하는핵심성능을지원하기위해서초광대 역폭확보가용이한 6GHz 이상높은주파수대역이유용 3-1. 국제적인이동통신 (IMT) 주파수의의미전파를사용하는기기들의증대와복잡한주파수사용 할것으로보이기때문에통상 5G 주파수를 6GHz 이상의높은주파수대역으로말하고있는것이다. 은국내외적으로잠재적전파간섭을유발할수있다. 그 래서 ITU는전파규칙의주파수분배표를통해주파수대역별로사용할수있는업무들을규정하고있는데, 전파규칙은 3~4년마다열리는세계전파통신회의 (WRC,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 에서개정된다. 각국은주파수분배의범위내에서자국환경에맞추어유연하게용도를지정하여사용할수있어일일이용도별주파수를전파규칙주파수분배표에규정하지않는다. IMT 또한이동업무의여러용도중하나이기때문에주파수분배표에반드시 IMT 주파수를명시할필요는없다. 실제로일부국가는주파수분배표에 IMT 용도로지정되지않은 1.4GHz 대역에서 IMT 서비스를사용한바있다. 그러나국제분배상의용도지정이독점적인사용을의미하거나해당용도의서비스를지정주파수외의대역에서사용하는것을제한하는것이아님에도불구하고 WRC를통해 IMT 주파수를지정하려는이유는국제적인 GHz 이상 5G 주파수논의경과국내에서최초로 6GHz 이상주파수대역에서 IMT 용주파수를발굴하자는논의는한국ITU연구위원회 ( WP5D 연구반을통해시작되었고국제적으로도우리나라제안을기점으로논의가시작되었다. 2012년 ITU가 WRC-15에서 IMT 추가주파수를확보하기위한의제 (1.1) 를채택함에따라우리나라는 6GHz 이하대역에서선호하는 IMT 후보대역을도출하고이를 2012년 7월 ITU-R WP5D 회의에기고하였다. 동시에 6GHz 이하에서충분한대역폭을가진 IMT 주파수확보가어려운점을고려하여 IMT 후보주파수대역에 6GHz 이상대역도포함하자는제안을함께제출하였다. 이에대해다른국가들은향후 6GHz 이상주파수활용가능성에대해서는공감하나 WRC-15 에서다루기에는시기상조라는반대에부딪힘에따라 31 전자공학회지 _ 285

42 오충근 WRC-15 의제로논의하지않기로하는대신에현재기 술개발추진동향을고려할때차기 WRC 의제로추진하 기로의견이모아졌다. 비록, ITU-R WP 5D는 2013년 7월회의에서 WRC- 15는 6GHz 이상 IMT 후보대역을다루지않기로결정하 였지만 IMT 서비스가 6GHz 이상대역에서도구현될수 있다는기술적타당성연구는계속추진하기로하였다. 본보고서작업은우리나라뿐만아니라중국, 캐나다, 삼 성전자, 인텔, 에릭슨, 노키아, KDDI, 화웨이, 알카텔- < 그림 7> 5G 주파수연구일정 루슨트등많은국가 / 산업체에서개발현황및실험결과 를제공하며적극참여하였다. 6~100GHz 주파수대역에서의 IMT 활용가능성에대한보고서 (M.2376) 를개발하였다. 본보고서는고주파전파특성에관련하여경로손실, 대기손실, 채널모델링에대한내용과고주파채널특성과관련하여커버리지와링크버짓, 이동성, 대역폭을설명하고있다. 그리고주요대역으로 28GHz, 38GHz, 60GHz, 70GHz등의내용을담고있으며실현가능한기술로서 Array antenna, Beam Tracking, CMOS의내용과함께주요주파수대역실험결과, GHz, GHz, GHz, GHz, GHz, GHz, 66-76GHz, 81-86GHz등총 11개대역을선정하였다. 이들후보대역중전파규칙상현재이동업무가분배되어있지않은 GHz, GHz, GHz에대해서는 WRC-19에서이동업무분배결정이필요하다고의제결의에명시하였다. 일본및아프리카등일부국가들이제안했던 20GHz이하대역에대해서는대부분의국가들이기존지상업무이용이많아 IMT 주파수확보가어려움을표시함에따라지지 Deployment 시나리오 / 구조에대한내용을담고있다. 보고서의결 6-100GHz 고주파대역은다양한실현기술들과의접목을통해물리적환경을 를얻지못했다. 한편미주국가및우리나라, 일본, 스웨덴, 핀란드등 론부분에는 6-100GHz고주파역시극복할수있어기존 6GHz 이하대역과이지지했던 27.5~29.5GHz대역은마찬가지로 IMT용으로활용가능하므로다양한실현기술들과의접목을통위성진영의강한반대에부딪쳐최 embb 등의 5G 비전실현을위해서는 해물리적환경을극복할수있어기존 IMT 대역과마찬가지로 IMT 6GHz 이상주파수사용이필수적이다. 종적으로후보대역에포함되지못하였다. IMT 후보대역들에대해운 용으로활용가능하므로 5G 비전실현을위해서는 6GHz이상주파수사용이필수적이며, 규모의경제를위해전세계적으로사용될수있는공통적인주파수선정이필요하다는결론을제시하고있다. 이렇게개발된문서가세력을결집할수있는근원이되 용중인다른업무들과공유연구를수행하기위해 ITU-R SG 5 내에신규담당그룹 (Task Group 5/1) 이구성되었으며, 공유연구결과를토대로 WRC-19에서각국의이해관계수렴을거쳐합의가이루어지는후보대역에한하여전파규칙에 IMT 주파수로서용도지정될것이다. 어아태지역을비롯하여유럽, 미주, 러시아, 아프리카및 아랍지역국가들이 2015년 11월에개최된세계전파통신회의 (WRC-15) 에 6GHz 이상대역에서 IMT 국제주파수를확보하기위한 WRC-19 의제를제출하였다. 이들제안을토대로 WRC-15는 24.25~86GHz에서 5G 주파수지정을위한 WRC-19 의제 (1.13) 를채택하고후보대역으로서 GHz GHz, GHz, G 주파수연구일정및계획 < 그림 7> 은 WRC-15에의해결정된차기 5G 의제 1.13과관련하여주파수대역확보를위해필요한업무를도식화한것이다. 6GHz이상대역의전파간섭모델에대한결정과 WRC-19 의제 1.13의 11개후보대역에대한공유연구가선행되어야하며스펙트럼소요량 (Spectrum 286 _ The Magazine of the IEIE 32

43 5G 이동통신표준화및주파수동향 needs) 과관련한예측연구를통하여향후 2020년이후 5G 서비스에얼마의소요대역폭이필요할지를도출해야한다. 전파간섭모델에의한공유연구결과와스펙트럼소요량예측값은 WRC-19에서 5G 후보주파수대역을 의 5G 시연서비스의성공은 6GHz 이상 5G 기술에대한성공으로평가받을수있고, 해당 5G 시연주파수대역을전세계적으로 5G로도입할수있는기폭제가될것이다. 결정하기위한기초자료로사용될예정이므로상당히중 요하다. 이미 11개후보주파수대역중에서는위성, 천 Ⅳ. 맺음말 문 / 과학, 방송등타서비스가사용되고있는경우가있 어공유연구결과가긍정적이지않을경우 WRC-19에서추가 IMT 주파수대역확보는쉽지않기때문이다. 공유연구를위해서는 6GHz이상이동환경에서적용가능한전파간섭모델개발이필수적이다. 전파간섭모델을개발하는그룹은 ITU-R SG3이다. 유효한전파간섭모델이 2017년 3월이내에개발되어야만공유연구의주책임그룹인 SG5 산하 TG5/1에서업무를시작할수있다. 현재 SG3는관련논의활성화를위해서신그룹을구성하여전파모델완성을위해노력하고 5G 이동통신은단순히새로운무선접속기술의개발과새로운시스템도입관점에서보기보다는이동통신이인간생활에미치는영향과그에따른새로운서비스수요, 다양한서비스수요를충족시키기위한기술개발의관점에서보아야할것이다. 이미 4G를통해빠른데이터속도를경험한사용자들은보다빠르고대용량의멀티미디어서비스이용을원함에따라광대역폭확보가용이한 6GHz 이상주파수대역이 5G의핵심기술이될수있다. 또한 5G는기존시장들간 있으며 WP5D와 SG3간의연락문 (liaison) 을통해서관련업무를정 5G 이동통신은단순히새로운무선접속기술의개발과새로운시스템도입 의경계를허물고사물통신, 차량통신, 재난통신등으로확장하여사회 관점에서보기보다는이동통신이인간리해나가고있다. 의기본인프라로서사용될것이다. 생활에미치는영향과그에따른새로운사실상 WRC-19 의제 1.13을주사용자입장에서는 5G를통해언제서비스수요, 다양한서비스수요를충족 도한국가는우리나라이기때문에, 우리나라의주파수전략은향후본의제의성공에매우중요하며본사 시키기위한기술개발의관점에서보아야할것이다. 어디서나환경의제약없이저지연 / 초광대역서비스를제공받을수있는것이다. 항의리더로서역할을할수밖에없다. 우리나라는기존 28GHz의주파수를 5G 기술이구현가능한최우선순위대역으로지지하였으나, 아쉽게도이대역은위성진영의반대로 WRC-19 후보대역에서제외되었다. 그러나미국의경우, 16.2월 WP5D 회의에서 GHz, GHz, GHz 및 64-71GHz( 비면허용 ) 대역을 5G 상용주파수로고려하고있다고다시밝힘으로써 28GHz 대역을지지에동참하는국가들개별적으로 5G 기술로상용화할가능성을남겨둔것이다. 즉, 예전일본이 1.4GHz 대역을 ITU의국제분배없이 IMT로사용하다가여러국가를동참하게하여시장의힘으로이번 WRC-15에서 IMT로분배받았는데, 이사례가 28GHz 대역에도적용될가능성이있는것이다. 이런측면에서우리나라가계획하고있는 18.2월평창동계올림픽에서 지금까지 5G 표준화 / 주파수현황에대해서술하였고, 우리나라의미래 ICT 신성장동력인 5G의 2020년성공적인표준화를위한대응방안으로다음몇가지를제시하며글을마친다. 첫째, ITU의 5G 성능요구사항항목 / 수치및평가방법표준화에적극대응하여야한다. 4세대이동통신과는달리 5G 비전권고는 3대시나리오를제시하였고시나리오별별로다양한평가방법과기준이적용될것이다. 그러므로국내선호 5G 서비스에적용가능한성능항목및요구사항값을선도반영할수있도록해야한다. 둘째, 3GPP Rel.14~16의 5G 후보기술규격작업에적극참여및대응을하여야한다. 앞서밝힌바와같이 5G 국제표준의가장강력한후보는 3GPP 신규무선접속기술또는진화기술이다. 3GPP를통하여관련된특허기 33 전자공학회지 _ 287

44 오충근 술반영, 표준에의한서비스선도를이루어내는것이가장빠른시장창출의원동력이다. 이동통신표준화프레임워크및생태계에서아무리좋은기술이라할지라도영향력있는표준에반영되지못하는기술은사장될수밖에없다. 연구개발에의해경쟁력있는기술이창출되었다면이를업체간협력, 기관참가자의지원을통하여관련기술이 ITU에제안될최종규격에반영될수있도록최선을다하여야한다. 셋째, 우리가원하는주파수대역을 2019년에확보할수있도록 WRC-19 결정을위한사전기초자료로사용될주파수공유대역연구를주도해야한다. 즉, WRC-19 의제 1.13 후보대역들의기존운용또는운용계획인업무들과공유연구를위한 6GHz 이상주파수대역에대한전파간섭모델 / 채널모델및 IMT 시스템특성연구를수행해야한다. 넷째, 5G 후보기술평가를위한조직구성및평가수행이필요하다. ITU는직접평가를수행하지않고외부평가그룹에등록을요구하여그그룹이평가한결과를근간으로서면평가를진행한다. 따라서산학연이모두참여하는 5G 평가를위한 TTA 표준화위원회를구성하고 ITU에평가그룹으로등록하여야한다. 이를통해 ITU에등록한 TTA 표준화위원회및개발평가툴을사용하여제안된후보기술에대한평가를수행하고그결과보고서를 ITU에제출하여후보기술의적합성논의시우선권을확보함으로써우리나라에서개발된기술이국제표준에반영될수있도록최선을다하여야한다.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 pub/r-res-r.65) [4] Recommendation ITU-R M , IMT Vision - 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 ) [5] 김대중, 5G 이동통신표준화현황및전망, TTA 저널 ( ) [6] 김경미, 6GHz 이상 5G(IMT-2020) 주파수동향, TTA 저널 ( ) 오충근 2003 년 2 월아주대학교전자공학학사 2005 년 2 월광주과학기술원정보통신공학석사 2008 년 8 월광주과학기술원정보통신공학박사 2008 년 7 월 ~2010 년 5 월 LIG 넥스원선임연구원 2010 년 6 월 ~ 현재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표준화본부선임연구원 < 관심분야 > 5G & 전파 / 이동통신표준화 이원고는 2016년도정부 ( 미래창조과학부 ) 의재원으로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지원을받아수행됨 (No. R ) 참고문헌 [1]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실현을위한미래이동통신산업전략 (2014.1) [2] ITU-R Resolution 56-2 (2015), Naming for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 [3] ITU-R Resolution 65 (2015), Principles for the process of future 288 _ The Magazine of the IEIE 34

45 특집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I. 서론 김동규 LG 전자차세대표준연구소노광석 LG 전자차세대표준연구소이상림 LG 전자차세대표준연구소이호재 LG 전자차세대표준연구소 스마트폰, 태블릿등과같은고성능모바일장치의사용자증가로인해모바일데이터트래픽은기하급수적으로증가하여 < 그림 1> 에서와같이 2015년의 5.3EB (Monthly ExaBytes) 에서 2021년에는 51EB (Monthly ExaBytes) 로약 10배가량증가될것으로전망되고있다. 따라서, 이러한요구를충족시키기위해차세대 5G 무선통신시스템은기존 4G 무선통신시스템대비 1000배의용량증가를목표로제한된주파수자원하에서고효율의데이터전송을위한방향으로진화하고있다. 5G 무선통신의핵심적인목표중하나는주파수이용효율을증가시켜모바일데이터트래픽의폭증을효과적으로처리하는것이다. 주파수이용효율을증가시키기위한다양한기술중전이중통신기술 (In-band Full-duplex, IBFD) 은최근각광받고있는기술중하나이다 [2,3]. 정재훈기존통신시스템과같이주파 LG 전자차세대표준연구소수 / 시간으로나누어상 하향전송을수행하는반이중 (Half-duplex, HD) 전송기법과는다르게 IBFD전송기법은동일시간, 동일주파수대역에서상 하향전송을수행함 김병훈 LG 전자차세대표준연구소 으로써 < 그림 2> 에서와같이주파수이용효율을 HD 대비이상적으로는 2배증가시킬수있다. 35 전자공학회지 _ 289

46 김동규, 노광석, 이상림, 이호재, 정재훈, 김병훈 < 그림 1> Ericsson 모바일데이터트래픽전망 [1] < 그림 2> IBFD 와 HD 의전송용량비교 [3] 뿐만아니라주파수이용효율의증가를포함하여 는의미는도청자의입장에서두노드가전송하는신호의합을수신한다는것이다. 이는서로의신호가간섭이되어도청자가신호의복호화를수행하는데어려울수있다. 에드혹네트워크에서의전송프로토콜효율증가 : 기존에드혹네트워크에서는중앙컨트롤러의부재로인해 Hidden Node 문제가발생할수있으며, 이를해결하기위해모든노들이통신전에간섭을막기위한 Handshaking 절차를거침으로써전송효율이떨어진다. 하지만 IBFD 능력으로인해송신과동시에주변노드의전송여부측정이가능하기때문에전송효율이증가할수있다. 주파수이용자유도증가 : 상 하향비대칭데이터트래픽환경에서기존통신시스템의고정된상 하향전송비율로인한주파수이용효율저하의단점을 IBFD전송을통해주파수이용자유도를증가시킬수있다. 하지만상기나열한장점들에도불구하고 IBFD 전송으로인한자기간섭 (Self-interference, SI) 신호로인 IBFD 를사용함으로써얻을수있는장점들을나열하면아래와같이정리할수있다 [2]. 전송용량의 2배증가 : IBFD 전송을통해시간및주파수자원을송수신에모두이용하기때문에기존 HD 전송대비이상적인조건에 한영향때문에아직까지는널리사용되지못하고있다. 상대노드로부터전송되는데이터신호에비해같은노드로부터의자기간섭신호는전파되는거리가대단히짧기때문에신호의세기가더강할수밖에없다. 일예로, 기지국의셀외각에위 서링크의전송용량을 2배증치한단말로부터의상향신호가주파수이용효율을증가시키기위한가시킬수있다. 다양한기술중전이중통신기술 110dB 의신호감쇄를겪는다고하 피드백지연의감소 : 데이터전송시에도피드백신호 ( 제어정보, 채널정보, 자원할당정 (In-band Full-duplex, IBFD) 은최근각광받고있는기술중하나이다. 면단말의송신신호를 23dBm 으로가정할때 =-87dBm 의낮은전력으로수신된다. 반면에기지 보, 재전송요청 (ACK/NACK) 정보등 ) 를수신할수있기때문에피드백을기반으로하는무선통신시스템의지연을줄일수있다. 전송지연의감소 : 중계기와같은장비에서동일주파수에서송신과수신을동시에수행하기때문에중계시발생하는전송지연을줄일수있다. 네트워크보안성증가 : 서로간의통신을수행하는두노드가 IBFD능력으로인해동시에송신이가능하다 국의송신전력이 30dBm 이고송신안테나와수신안테나간의차폐가 15dB일때수신안테나로의자기간섭신호와수신신호의차이는 (-87)=102dB이다. 그러므로 IBFD의동작을위해서는효과적인자기간섭신호제거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Self-IC) 기법이필수적이다. 자기간섭신호뿐만아니라 IBFD 에서발생하는단점들을나열하면아래와같이정리할수있다 [2]. 290 _ The Magazine of the IEIE 36

47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Ⅱ. IBFD 기본구조및 SI 신호 자기간섭 : 동일주파수밴드에서동시에송신과수 신을수행함으로써매우강한세기의자기간섭신호 가수신기로유입된다. 자기간섭의왜곡 : 실제통신환경에서는소자 본장에서는 IBFD 기본구조와 SI 신호의형태에대해살펴본다. 들모두왜곡을가지고있으며, 특히송신파워앰 프 (Power Amplifier, PA) 의왜곡으로인한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가추가로발생하기때문에이를효과적으로추정하고제거하는것이필요하다. 단말간간섭 : 기존인접셀의단말간간섭신호의개수증가뿐만아니라기존에는발생할지않았던동일셀내의단말간간섭신호도추가된다. 비용및복잡도증가 : 자기간섭제거를위해서는전파영역과아날로그회로영역에서 Self-IC가가능하도록추가적인소자가필요하기때문에추가비용이증가할수있다. 뿐만아니라자기간섭채널추정및디지털영역에서의 Self-IC를위한신호처리로인해복잡도역시증가한다 IBFD 의기본구조 IBFD 전송기술을사용하기위해서는송신과수신을동시에수행해야한다. 이를위해송신 RF Chain 과수신 RF Chain 을안테나연결하는방식에따라크게안테나공유방식과안테나분리방식으로나뉠수있다. 안테나를공유하는방식은수신신호와송신신호를분리하기위한회로가필요하다. 기존 FDD 기반통신시스템에서는 Duplexer와같은필터링기법을통해안테나공유방식에서수신신호와송신신호의구분이가능하였다. 하지만 IBFD 에서는동일주파수밴드에서동시에송신과수신이이루어져야하기때문에기존 Duplexer 소자로는수신신호와송신신호의구분이불가능하다. 그러므로안테나공유방식의 IBFD 에서는다른타입의 Duplexer 가필요하다. IBFD 전송방식은과거에도무선중계기시스템에서전파영역과디지털영역에서의 Self-IC 기술을바탕으로상용화하였으나, 단말과같은소 < 그림 3(a)> 는 3개의입출력포트를가진 Circulator 를사용하여안테나공유방식의 IBFD 를구성하는방법을보여주고있다. 이미 Radar 시 형장치에적용하기어려운기술로분류되어왔다. 최근무선통신시스템이고효율을기반으로하는대용량전송으로진화 스템에서는 Circulator소자를사용하여송신 RF Chain 에서의수 하지만최근무선통신시스템이하면서, IBFD 방식은소형셀과같은신 RF Chain으로송신신호가직환경에서효과적으로구현이가능하다는고효율을기반으로하는대용량전접흘러들어가지못하게제한하최근연구결과들에따라미국과유럽등 송으로진화하면서, IBFD 방식은유효수신신호대비간섭신호의크기가상대적으로작은소형셀과같 에서 IBFD 송수신기개발및사업화에적극적으로나서고있는추세이다. 는장비로사용되어왔다. 그러므로 Circulator의이러한특징을활용하여안테나공유방식의 IBFD 시스 은환경에서효과적으로구현이가능하다는최근연구결과들에따라미국과유럽등에서IBFD 송수신기개발및사업화에적극적으로나서고있는추세이다. 본고에서는 IBFD 송수신기개발의최근자기간섭제거기술을소개하고정리하였으며, 자기간섭제거기술검증을위한데모의동향에대해살펴본다. 템에적용하였을때에송신신호가수신 RF Chain으로흘러들어가는것을제한할수있다. 하지만, 이상적인환경과는다르게상용 Circulator 는 Port 1에서 Port 3으로의차폐효과가 15dB~20dB로제한된다. 또다른방법은안테나분리방식의 IBFD 이다. 이는 < 그림 3(b)> 와같이송신안테나와수신안테나를물리적 으로분리하여수신 RF Chain 으로수신될수있는자기 간섭의양을전파의감쇄특성을이용하여줄여줄수있 37 전자공학회지 _ 291

48 김동규, 노광석, 이상림, 이호재, 정재훈, 김병훈 < 표 1> 노드타입별자기간섭신호제거요구조건 (BW =20MHz) [3] Node Type P t,max NF NL(BW) R Self-IC Macro enb 46dBm 142dB Pico enb 30dBm 5dB -96dBm 126dB Small enb 23dBm 119dB Cellular UE 23dBm 9dB -92dBm 115dB < 그림 3> 안테나공유방식과안테나분리방식의 IBFD 구조 [2] 는방법이다. 즉, 송신안테나와수신안테나의물리적이격과함께안테나의구성및안테나간의배치를달리하여자기간섭신호의감쇄이득을얻을수있다. 하지만, 단말과같은공간적제약이있는환경에서는사용하기힘들뿐만아니라기존다중안테나로얻을수있는공간자원에서의 Degree of Freedom (DoF) 의하락으로인한단 점이존재한다 자기간섭신호 IBFD는태생적으로송신신호가수신신호로들어오는자기간섭신호를가지고있다. 이 SI 신호는 < 그림 3> 과같이 Direct SI 신호와 Reflected SI 신호로구분될수있다. Direct SI 신호는 < 그림 3(a)> 와같이송신신호가 Circulator의포트로부터흘러나온신호또는 < 그림 3(b)> 와같이송신신호의 Line-of-sight (LOS) 성분이수신 RF Chain 에수신되는신호이다. 한편, Reflected SI 신호는송신신호가빌딩, 나무등과같은물체에의해반사된 Non-line-of-sight (NLOS) 신호들의합으로구성될수있다. 특히, Direct SI는송신안테나와수신안테나의짧은거리로인해수신신호대비수십dB 큰전력으로수신된다. 따라서, IBFD의구동을위해서는효과적으로자기간섭신호를제거할수있는기법을개발하는것이필수적이다. 다음장에서는자기간섭신호의분석결과및이를제거하기위한다양한기법에대해살펴본다. Ⅲ. 자기간섭제거기술동향 자기간섭신호의제거기술은크게전파영역 (Antenna Domain) 과아날로그회로영역 (RF Domain), < 그림 4> 각영역별자기간섭제거요구조건 (Small enb, BW =20MHz) 디지털영역 (Digital Domain) 으로구분되어연구되고있다. 본장에서는자기간섭제거의요구조건과각영역에서의자기간섭제거기술에대해살펴본다 자기간섭제거의요구조건 IBFD의동작을위해서는자기간섭신호를효과적으로제거하는것이필요하다. 본절에서는각노드타입별자기간섭제거의요구조건을살펴보겠다. < 표 1> 은노드타입별자기간섭신호제거요구조건을예로들어나타낸것이다. 각노드타입별송신전력 (P t,max ) 과잡음피겨 (NF) 가다르기때문에자기간섭제거의요구조건이다를수밖에없다. 각노드의주파수대역폭에따른잡음레벨은 NL(BW)=-174dBm/ Hz+10log 10 (BW)+NF 와같다. 여기서 BW 는대역폭을나타낸다. 이를기반으로송신전력과각노드의잡음레벨의차이에의해제거돼야하는자기간섭신호의요구조건이며수식은 R Self-IC = P t,max -NL(BW) 와같다. 또한, 높은전력의자기간섭신호가수신 RF chain 에수신되면저잡음증폭기 (Low-noise Amplifier, LNA),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와같은소자에서오류가발생하게하게되며, 이를방지하기위해 LNA 와 292 _ The Magazine of the IEIE 38

49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ADC 의가동영역이내로자기간섭신호가수신될수있도록전파영역과아날로그회로영역에서의자기간섭제거를수행해야한다. 따라서수신 RF chain 로의자기간섭수신이전에제거해야할자기간섭신호의세기가결정될수있다. < 그림 4> 는 14 bits ADC를사용하였을때의 Small enb 에서의각영역별자기간섭제거요구조건을나타낸것이다. 즉, 수신 RF Chain 의 ADC소자가 IBFD 시스템에서오류없이동작하기위해서는전파및아날로그회로영역에서 57dB 이상의자기간섭제거가필수적임을알수있다. 사용하여송신 RF Chain 과수신 RF Chain 의분리효과를얻을수있다. 안테나분리방식 IBFD 에서는송신안테나와수신안테나사이의거리를증가시키거나수신안테나위치로널 (Null) 이발생할수있도록추가송신안테나를배치하거나수신안테나와송신안테나사이에전파흡수물질 (RF Absorptive Shielding) 을설치함으로써경로손실의효과를증가시킬수있다. 비록경로손실을이용한전파영역 Self-IC 기술은효과적이지만디바이스의 Formfactor ( 예를들어, 단말과같은소형디바이스 ) 등에의해제약을받게된다. 이에교차편파는송신안테나와수신 안테나의분리효과를증가시킬수있는방법중하나이 3.2. 전파영역 Self-IC 기술무선전파영역의 Self-IC 기술의목적은자기간섭신호의전력을수신 RF Chain으로수신되기전에줄이기위해송신 RF Chain 과수신 RF Chain 을전기전자적으로분리시키는것이다. 전파영역에 다. 예를들어송신안테나는수직편파를사용하고수신안테나는수평편파를사용하게된다면자기간섭을효과적으로제거할수있다. 이와비슷하게방향성안테나의널방향에서로의안테나를설치하게되면자기간섭을효과적으로제거가능하다. 상 서의 Self-IC 기술을사용함으로써얻을수있는가장우선적인이득은수신 RF Chain으로수신되는자기 자기간섭신호의제거기술은크게전파영역 (Antenna Domain) 과아날로그회로영역 (RF Domain), 디지털영역 기소개한분리안테나기반전파영역 Self-IC 기술을그림으로나타내면 < 그림 5> 와같다. 간섭신호의전력변동을줄여줌으 (Digital Domain) 으로구분되어연구되고뿐만아니라주변의물체로인있다. 로써큰전력으로수신되었을때수해발생하는자기간섭의다중경 신장비에서생길수있는문제를줄여줄수있다는것이다. 안테나분리방식 IBFD 에서는무선채널의경로손실 (Path-loss), 교차편파 (Crosspolarization), 방향성안테나 (Directional Antenna) 를사용하여, 안테나공유방식 IBFD 에서는 Circulator 를 로페이딩 (Multi-path Fading) 채널성분은채널추정을통해제거가능하다. 일예로, 다중안테나기반의송신빔포밍 (Beamforming) 기법은자기간섭의채널정보를활용하여수신안테나방향으로의방사패턴을추정하여제거하는전파영역 Self-IC 기 술이다. 하지만상기소개한전파영역에서의 Self-IC 기술은 자기간섭신호뿐만아니라수신되어야할신호역시감 쇄시킨다는단점이있다. 따라서이를보완하고자아날 로그회로영역과디지털영역에서의 Self-IC기법이개 발되었다. < 그림 5> 분리안테나기반전파영역 Self-IC 기술 [19] 3.3. 아날로그회로영역 Self-IC 기술아날로그회로영역의 Self-IC 기술의목적은 ADC 이전에수신 RF Chain의아날로그회로에서자기간섭신 39 전자공학회지 _ 293

50 김동규, 노광석, 이상림, 이호재, 정재훈, 김병훈 호를상쇄하는것이다. 보다자세히는송신안테나전단에서일부분기된 RF 기준 (Reference) 신호를이득, 지연, 위상을조절하여 Self-IC 이득이최대가되도록자기간섭신호를재생하고이신호를수신신호로부터차감함으로써자기간섭신호를제거하는것이다. 상기방법이외의방법은디지털영역에서의송신신호를이용하여이득, 지연, 위상을디지털화하여조절한이후아날로그도메인으로변환하여자기간섭신호를재생하고이신호를수신신호로부터차감함으로써자기간섭신호를제거하는것이다. 아날로그회로영역에서Self-IC 기술의주요목적은수신된자기간섭신호의전력변동을줄여줌으로써수신 RF Chain 내부의소자 ( 예를들어, LNA, ADC 등 ) 에서발생할수있는오류로인한신호왜곡없이자기간섭신호를효과적으로제거할수있도록, ADC의동적범위 (Dynamic Range) 이내로자기간섭신호의크기를줄이는것이다. < 그림 4> 에서의예와같이만약 14bits의 ADC를사용한경우, 부호마진 (2bits) 을고려한 12bits ADC의동작범위인 72dB로부터최대전력대평균전력비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의마진 (10dB) 을고려하여 62dB 이내로자기간섭신호가수신되어야한다. < 표 1> 의 Small enb 를예로들어설명하면잡음레벨 -96dBm을고려하면 119dB의 Self-IC 성능이필요하며, 전파영역및아날로그회로영역에서의제거요구량인 62dB 기준으로는최소 57dB의자기간섭제거성능이필요하게된다. 아날로그회로영역 Self-IC는대역폭에따라달라지게된다. 협대역에서의 (Direct and/or Reflected) 자기간섭채널은송신안테나와수신안테나간채널의단일이득과단일지연으로모델링이가능하다. 그러므로협대역에서동작하는 IBFD 의경우에는아날로그회로영역의 Self-IC를위해서는단일지연과단일이득만으로자기간섭신호의재생및제거가가능하다. 반면광대역에서의아날로그회로영역 Self-IC는협대역에서의아날로그회로영역 Self-IC와는다르다. 우선 Direct자기간섭채널은광대역에서도주파수비선택적특성을가지고있기때문에상기설명한단일지연과 < 그림 6> IBFD 양방향통신시스템및무선중계기에서의자기간섭신호모델링 [4] 단일이득만으로모델링이가능하다. 하지만 Reflected 자기간섭채널은다중경로페이딩으로인해광대역에서주파수선택적특성을가진다. 그러므로광대역에서동작하는 IFBD의경우에는송신신호를여러개분기한이후아날로그회로영역에서조절함으로써아날로그필터의효과를내야지만자기간섭신호의제거가가능하다 디지털영역 Self-IC 기술디지털영역 Self-IC 기술은 Self-IC 의마지막단계로써전파영역과아날로그회로영역의 Self-IC 에서완벽하게제거되지못한잔류자기간섭신호를 ADC이후에신호처리기법을활용하여제거하는것에목표를두고있다. 이때수신된자기간섭신호는송신 RF Chain 의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이전과수신 RF chain의 ADC이후의시스템의비선형특성, 채널특성, 전파영역과아날로그회로영역에서의자기간섭채널특성을모두포함하고있기때문에이를이산시간 (Discrete-time) 시스템으로정확하게모델링하여잔여자기간섭신호를재연하는것이중요하다. < 그림 6> 은양방향 IBFD에서의잔여자기간섭신호의이산시간시스템모델링이다. 여기서 ηh와 ρh는전파영역과아날로그회로영역의간섭제거효과를포함한수신신호와자기간섭신호의유효채널 (Effective Channel) 을모델링한것이다. 여기서 x와 x+c는각각송신하고자하는신호와시스템의비선형특성 (c) 이더 294 _ The Magazine of the IEIE 40

51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해진실제송신된신호이고, u, y, e 는각각수신된신 디지털영역에서의 Self-IC 기법을개발하였으며최대 호, ADC를통과한출력신호, ADC시의양자화잡음과비선형성으로인한오차를의미한다. Self-IC 구동방법은상기측정된채널신호, 시스템의비선형특성 (c) 잡음신호 (n) 및오차 (e) 가수학적으로더해진최종수신신호로부터기준신호인 x가되도록하는적응필터를설계하는것이다. 뿐만아니라디지털영역에서의 Self-IC 기술의중점이슈는최종수신신호로부터왜곡된비선형자기간섭신호성분을효과적으로추정하고억제하면서상기적응필터계수의수렴속도및정확도를높이는데있다. 뿐만아니라디지털영역에서자기간섭신호를정확하게재연함에있어서시스템의비선형특성을모델링하는것이매우중요하다. 상기모델링은 110dB의자기간섭제거성능을얻었다 [8]. 뿐만아니라 [8] 의기법을 3x3의다중안테나로확장하여최대 103dB 의자기간섭제거성능을얻었다 [9]. 하지만안테나공유방식의 IBFD는 Circulator 기반으로동작해야하기때문에전파영역의 Self-IC 의성능제약으로인해아날로그회로영역및디지털영역에서의부담이크게작용할뿐만아니라코일로구성되어있는 Circulator의방식으로인해소형단말로의적용이어려울수있다. 이와는별개로안테나분리방식 IBFD 시스템에서의 Self-IC의통합기술검증역시 WARP 또는 Software Defined Radio (SDR) Platform을활용하여수행되었다 [11-17, 19, 21]. 초기에는전파영역의 Self-IC 검증을위해활용되었는데 [10-11]. 그이후전파 시스템의비선형특성을선형형태 이러한전이중통신을위한자기 영역뿐만아니라아날로그회로영 로모델링하였으나실제통신환경간섭제거기술의성능을검증하기위해역및디지털영역 Self-IC 의통합 In-Band 전이중시스템의플랫폼구축이에서는 PA의왜곡으로인해고차항검증을통해 95dB 의자기간섭제필수적이며, 많은대학및회사에서의 IMD성분이비선형의형태로발기술개발과플랫폼개발을활발히진행거성능을얻었다 [19]. 생하게된다. 이러한비선형은고차의다항식형태로모델링이가능하 하고있다. 최근 SDR 장비의성능개선으로인해좀더자유도높은 SDR 플랫폼 다. 따라서, 다항식모델의각차수별변수값을추정함으로써비선형성을고려한디지털영역에서의 Self-IC이가능하다. 을활용하여 Self-IC의통합기술검증을시도하였다 [20-. 3GPP LTE 시스템모델기반에서의 IBFD 구현을위해 Dual-polarized 안테나를활용한전파영역의 Self- IC 와 FPGA 를활용한디지털영역에서의 Self-IC 를 Ⅳ. IBFD 플랫폼개발현황및동향 통해 85dB의자기간섭제거성능을얻었다 [20]. 뿐만아 니라 [20] 을기반으로 2x2 다중안테나를위해 Rat Race 상기소개한전파영역, 아날로그회로영역, 디지털영역 Self-IC 기술의다양한조합을통해자기간섭신호의현저한감쇄가가능하다. 이러한 Self-IC기술의성능을검증하기위해 IBFD 시스템의플랫폼구축이필수적이며, 많은대학및회사에서기술개발과플랫폼개발을활 Coupler 를활용한전파영역의 Self-IC 와적응적아날로그회로영역의 Self-IC를통해최대 110dB의자기간섭제거성능을안정적으로얻으며, 2015년 12월미국 San Diego 에서개최된 IEEE GLOBECOM 2015에서공개시연을수행하였다 [21]. 발히진행하고있다. < 표 2> 는각대학및업체의플랫폼 개발동향을정리한것이다. Ⅴ. 결론 우선 Stanford University 에서는안테나공유방 식 IBFD 시스템에서의 Self-IC의통합기술검증을 Wireless Open-Access Research Platform (WARP) 를활용하여수행하였다 [6-9]. Wi-Fi 시스템에서비선형 IBFD 통신시스템은기존 HD 시스템대비최대 2배의주파수효율이득이있지만시스템의동작특성에의해발생되는매우큰자기간섭신호로인해성능이제약되 41 전자공학회지 _ 295

52 김동규, 노광석, 이상림, 이호재, 정재훈, 김병훈 Ref. Band BW App. Equipment Antenna Type [6] 915MHz 30MHz ISM Band [7] 2.45GHz 10MHz [8] 2.4GHz 80MHz/ 20MHz ac [9] 2.4GHz 20MHz n [10] 2.6GHz 200MHz All App. Circulator/Vector Network Analyzer (VNA) Circulator/Spectrum Analyzer Circulator/ WARP Platform/ Rohde & Schwarz Equipment Circulator/ WARP Platform VNA Agilent E8383A Circularly Polarized Patch Num. of Ant. (Tx, Rx) Ant. Configuration Cancellation Performance Antenna Analog Digital Total (1,1) Shared None 40dB None 40dB Omni-directional (1,1) Shared None 70dB None 70dB Off-the-shelf (1,1) Shared None 62dB/ 72dB 48dB/ 38dB 110dB Off-the-shelf (3,3) Shared None 70dB 33dB 103dB Directional Dual-polarized Patch (2,2) Separated 51dB None None 51dB [11] 5GHz 10MHz WiMAX WARP Platform Dual-polarized (1,2) Separated 55dB None None 55dB [12] 2.4 GHz 625 khz Bluetooth/ Wi-Fi WARP Platform [13] 2.4GHz 10MHz n WARP Platform [14] 2.4GHz 40MHz WARP Platform [15] 2.4GHz 10MHz n WARP Platform < 표 2> 자기간섭제거기술의동향및성능요약 Typical Wi-Fi Antenna(RE07U-SM) 3dBi Desktop Omni-directional 7dBi Desktop Omni-directional 7dBi Desktop Omni-directional (1,1) Separated 45dB 35dB 80dB (1,1) Separated None 45dB 28dB 73dB (1,1) Separated 44dB 30dB 74dB (1,1) Separated 57dB 24dB None 81dB [16] 2.48GHz 5MHz SDR Platform Omni-directional (2,1) Separated 30dB 20dB 10dB 60dB [17] 2.4GHz 20MHz WARP Platform 7dBi Desktop Omni-directional (2,1) Separated 65dB 20dB 85dB [18] 370MHz 100kHz Relay PENTEK board Omni-directional (7,3) Separated None None 60dB 60dB [19] 2.4GHz 20MHz WARP Platform Dual-polarized 90 BW Panel (1,1) Separated 72dB 23dB 95dB [20] 2.52GHz 10MHz 3GPP LTE SDR Platform Dual-polarized (1,1) Separated 42dB None 43dB 85dB [21] 2.52GHz 20MHz 3GPP LTE Rat Race Coupler/ SDR Platform Omni-directional (2,2) Separated 45dB 25dB 40dB 110dB [22] 60GHz 1GHz ad VNA Agilent E8257D Dual-polarized Patch (1,1) Separated 36dB 24dB None 70dB 는단점이있다. 따라서본고에서는 IBFD의동작을위해서자기간섭신호를효과적으로제거할수있는기술을전파영역, 아날로그회로영역, 디지털영역으로나누어분석하고기술검증을위한플랫폼개발현황및동향을소개하였다. 현재미국과유럽소재의대학과기업이 IBFD 기술개발및상업화에적극적으로참여하고있으며, IBFD 플랫폼개발과글로벌시연에도앞서나가고있다. 국내역시대학과기업의연계를바탕으로 IBFD 관련연구및플랫폼개발을주도하고있는데, 송수신기핵심구현기술을 바탕으로응용시스템솔루션기술개발에도적극적으로나서야할것이다. 또한가까운미래에도래할 5G 글로벌표준화의주도와함께향후상용제품의국산화및글로벌 IBFD 부품시장선점을위해노력해야할것이다. 참고문헌 [1] Ericson Mobility Reports, Nov [Online] Available: [2] D. Kim, H. Lee, and D. Hong, A Survey of In-band Fullduplex Transmi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Y and MAC 296 _ The Magazine of the IEIE 42

53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Layers, IEEE Commun. Surveys Tuts., vol. 17, no. 4, pp , Fourthquater, [3] D. Kim, K. Noh, H. Ko, J. Chung, Key Elements to Enable In-band Full-duplex Transmission for 5G Wireless Systems, in Proc. ITC-CSCC, pp. 1-2, [4] A. Sabharwal, P. Schniter, D. Guo, D. W. Bliss, S. Rangarajan, and R. Wichman, In-band Full-duplex Wireles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EEE J. Sel. Areas Commun., vol. 32, no. 9, pp , [5] DUPLO Deliverable D2.1, Design and Measurement Report for RF and Antenna Solution for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Online] Available: deliverables. [6] M. E. Knox, Single antenna full duplex communications using a common carrier, in Proc. IEEE 13th Annual Wireless and Microwave Technology Conference (WAMICON), pp. 1-5, [7] N. Phungamngern, P. Uthansakul, and M. Uthansakul, Digital and RF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single-channel full-duplex transceiver using a single antenna, in Proc.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Engineering/Electronics, Computer,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ECTI-CON), pp. 1-5, [8] D. Bharadia, E. McMilin, and S. Katti, Full Duplex Radios, in Proc. ACM SIGCOMM 2013, pp. 1-12, [9] D. Bharadia and S. Katti, Full duplex MIMO radios, in Proc. 11th USENIX Symposium on Networked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NSDI), pp , [10] K. Haneda, E. Kahra, S. Wyne, C. Icheln, and P. Vainikainen, Measurement of loop-back interference channels for outdoor-to-indoor fullduplex radio relays, in Proc. 4th European Conference on Antennas and Propagation, pp. 1-5, [11] M. A. Khojastepour, K. Sundaresan, S. Rangarajan, X. Zhang, and S. Barghi, The case for antenna cancellation for scalable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in Proc. the 10th ACM Workshop on Hot Topics in Networks, pp. 1-6, [12] M. Duarte and A. Sabharwal,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Off-the-Shelf radios: Feasibility and first results, in Proc. 44th Asilomar Conference on Signals, Systems and Computers, pp , [13] M. Jain, J. I. Choi, T. Kim, D. Bharadia, S. Seth, K. Srinivasan, P. Levis, S. Katti, and P. Sinha, Practical, real-time, full duplex wireless, in Proc. 17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nd networking, pp , [14] M. Duarte, C. Dick, and A. Sabharwal, Experiment-driven characterization of full-duplex wireless systems, IEEE Trans. Wireless Commun., vol. 11, no. 12, pp , [15] A. Sahai, G. Patel, and A. Sabharwal, Pushing the limits of full-duplex: Design and real-time implementation, CoRR, 2011, abs/ [16] J. I. Choi, M. Jain, K. Srinivasan, P. Levis, and S. Katti, Achieving single channel, full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in Proc. 16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nd networking, pp. 1-12, [17] M. Duarte, A. Sabharwal, V. Aggarwal, R. Jana, K. K. Ramakrishnan, C. W. Rice, and N. K. Shankaranarayanan,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a full-duplex multi-antenna system for WiFi networks, IEEE Trans. Veh. Technol., vol. 63, no. 3, pp , [18] D. Bliss, P. Parker, and A. Margetts,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improved wireless network performance, in Proc. IEEE/SP 14th Workshop on Statistical Signal Processing, pp , [19] E. Everett, A. Sahai, and A. Sabharwal, Passive selfinterference suppression for full-duplex infrastructure nodes, IEEE Trans. Wireless Commun., vol. 13, no. 2, pp , [20] M. Chung, M. S. Sim, J. Kim, D. K. Kim and C. b. Chae, "Prototyping real-time full duplex radios," IEEE Commun. Mag., vol. 53, no. 9, pp , Sep [21] D. Kim, K. Noh, J. Chung, B. Min, C. b. Chae, Demonstration of Real-time MIMO Full-duplex Radio with Adap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in Proc. IEEE Globecom, Dec. 2015, 43 전자공학회지 _ 297

54 김동규, 노광석, 이상림, 이호재, 정재훈, 김병훈 [Online] Available: program/industry-program/demonstrations#lge. [22] T. Dinc, A. Chakrabarti and H. Krishnaswamy, A 60 GHz CMOS Full-Duplex Transceiver and Link with Polarization- Based Antenna and RF Cancellation, IEEE Journal of Solid- State Circuits, Early Access Article, 김동규 2006 년 2 월건국대학교공학사 ( 전자공학 ) 2008 년 2 월연세대학교공학석사 ( 전자공학 ) 2013 년 8 월연세대학교공학박사 ( 전자공학 ) 2013 년 9 월 ~2014 년 8 월연세대학교 BK21Plus BEST 사업단박사후연구원 2014 년 8 월 ~ 현재 LG 전자, 선임연구원 < 관심분야 > 5G 무선통신, LTE/LTE-Advanced 이상림 2005 년 8 월고려대학교공학사 ( 전기전자전파공학 ) 2007 년 8 월고려대학교공학석사 ( 전파공학 ) 2013 년 8 월고려대학교공학박사 ( 전기전자전파공학 ) 2007 년 8 월 ~2010 년 2 월삼성전자연구원 2013 년 9 월 ~2014 년 7 월고려대학교 BK21Plus 정보기술사업단연구교수 2014 년 8 월 ~ 현재 LG 전자, 책임연구원 < 관심분야 > communication theory,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optimization theory, asymptotic random matrix theory 이호재 2008 년 8 월경희대학교공학사 ( 전자공학 ) 2015 년 2 월연세대학교공학박사 ( 전자공학 ) 2015 년 2 월 ~ 현재 LG 전자, 선임연구원 < 관심분야 > LTE/LTE-A, 5G New Radio Access Technology 노광석 2004 년 2 월건국대학교공학사 ( 전자공학 ) 2006 년 2 월건국대학교공학석사 ( 전자공학 ) 2013 년 2 월고려대학교공학박사 ( 전자공학 ) 2006 년 2 월 ~2007 년 5 월삼성전자연구원 2013 년 4 월 ~ 현재 LG 전자, 선임연구원 < 관심분야 > 5G 무선통신, LTE/LTE-Advanced 298 _ The Magazine of the IEIE 44

55 Effe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In-band Full-duplex 정재훈 1997 년 2 월연세대학교공학사 ( 전자공학 ) 1999 년 2 월 KAIST 공학석사 ( 전기및전자공학 ) 2005 년 8 월 KAIST 공학박사 ( 전기및전자공학 ) 2003 년 8 월 ~2004 년 9 월미국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Guest Researcher 2005 년 9 월 ~2006 년 4 월데이콤중앙연구소선임연구원 2006 년 4 월 ~ 현재 LG 전자, 수석연구원 < 관심분야 > 5G 무선통신, LTE/LTE-Advanced 김병훈 1994 년 2 월서울대학교공학사 ( 전자공학 ) 1996 년 2 월서울대학교공학석사 ( 전자공학 ) 2000 년 8 월서울대학교공학박사 ( 전기전자컴퓨터공학 ) 2000 년 8 월 ~2003 년 3 월 GCT Semiconductor, Staff Engineer 2003 년 8 월 ~2008 년 3 월 Qualcomm, Senior Staff Engineer/Manager 2008 년 3 월 ~ 현재 LG 전자, 상무 / 연구위원 < 관심분야 > 5G 무선통신, LTE/LTE-Advanced 45 전자공학회지 _ 299

56 특집 Massive Connectivity 제공기술 Massive Connectivity 제공기술 Ⅰ. 서론 오성민한국전자통신연구원모바일단말제어연구실신재승한국전자통신연구원모바일단말제어연구실이창희한국전자통신연구원무선네트워크연구실박옥선한국전자통신연구원무선네트워크연구실 최근차세대이동통신기술로서 5G 이동통신시스템에대한논의및연구가활발히진행되고있다. 특히, 국제전기통신연합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에서 2015년도에 5G 이동통신시스템에대한 8 대핵심성능지표와 3 대서비스시나리오를제시하면서, 5G 시스템에대한연구가가속화되고있다 [1]. ITU에서제시한 3 대서비스시나리오중하나가대규모머신타입통신이다. 즉, 향후 5G 시스템을통해 10 6 개 /km 2 의초다수디바이스연결을제공함으로써사용자들에게스마트시티나스마트홈 / 빌딩서비스와같은미래서비스를제공하는것이 ITU에서그리는 5G 비전중하나이다. 하지만, 현재셀룰러통신시스템으로는대규모연결을제공하는데다음과같은문제점들이발생할수있다. 초다수디바이스동시접속수용의한계 : [2] 에의하면, 스마트미터서비스를위한디바이스들이셀당 3만 5천개정도있을수있으며해당디바이스들은시간동기를맞추기위해 10 초동안동시다발적으로네트워크에접속을시도할수있다. [2] 에서제시한성능분석결과에의하면, 3 만개디바이스가 10초동안베타분포로접속할경우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는접속충돌확률이대략 48 % 까지증가하고접속성공확률이대략 30% 까지감소한다. 이러한문제점을해결하기위해 3GPP LTE 시스템의랜덤액세스에대한연구가필요하다. 시그널링절차의비효율성 : 3GPP LTE 시스템에서는데이터송수신을위해디바이스와네트워크간연결이선행되어야한다. 하지만, 초다수디바이스대부분이간헐적으로작은크기의데이터 300 _ The Magazine of the IEIE 46

57 Massive Connectivity 제공기술 를전송하는유형이기때문에, 기존 3GPP LTE 시스템의시그널링절차는심각한시그널링오버헤드를초래할수있다. 이와더불어, 최근협대역을통해초저가의머신타입디바이스를수용하는방안에대한관심이크게증가하고있다. 그이유는협대역통신을통해디바이스의가 하는절차를의미한다. [2] 에서제시한바와같이, 초다수디바이스가임의의시간동안동시접속시접속충돌확률이급증할수있다. 이러한문제점을해결하기위한방안으로랜덤액세스자원증대방안과랜덤액세스제어방안을고려할수있다. 격을감소시킬수있을뿐만아니라비교적낮은송신전 력으로더넓은커버리지를확보할수있기때문이다. 3GPP에서는 Release 10과 11에서의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에대한표준화논의를시작으로 Release 13에서 emtc (enhanced MTC) 와 NB-IoT (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에대한표준화를진행하고있다. 이러한, 협대역기반머신타입디바이스도대규모연결을위해고려해야할디바이스유형이기때문에, 본논문에서관련표준내 1.1 랜덤액세스자원증대방안랜덤액세스자원증대방안관련연구로는 [3] 에서제안한코드워드기반액세스기술과 [4] 에서제안한공간그룹기반랜덤액세스기술들이있다. 코드워드기반액세스기술은 3GPP LTE 시스템에정의된랜덤액세스프리앰블의특징을이용한기술이다 [3]. 여기서, 랜덤액세스프리앰블은 Zadoff-Chu 시퀀스를기반으로생성되며, 이를통해기지 용을다루고자한다. 특히, 본논문에서는최근많은관심을받고있는 ITU에서제시한 5G의 3대서비스시나리오중하나가대규모머신타입 국에서는하나이상의서로다른랜덤액세스프리앰블이전송될경우 NB-IoT에대한주요특징에초점통신이다. 향후 5G 시스템을통해초다수에도해당랜덤액세스프리앰블이디바이스연결을제공함으로써사용자들을맞추어기술한다. 전송되었음을인식할수있다. 코드에게스마트시티나스마트홈 / 빌딩 본논문에서는 2장에서앞서기술한셀룰러통신시스템에서의대 서비스등을제공할것이다. 워드기반액세스기술은이러한랜덤액세스프리앰블의특징을이용 규모연결제공에대한문제점들에대한기존연구동향과 NB-IoT에대한주요특징들을기술한다. 또한, 3장에서셀룰러통신시스템에서대규모연결을제공하기위해필요한기술들에대해기술한다. 하여랜덤액세스프리앰블그룹을하나의코드워드처럼활용한다. 예를들어, 랜덤액세스프리앰블 5개를하나의그룹으로설정하고단말 1에게 을할당하고단말 2에게 을할당한다. 여기서, 의의미는단말 1이 Ⅱ. 기존연구동향 랜덤액세스프리앰블그룹내인덱스 0와 4 번째프리앰 블을전송함을의미한다. 단말 1과 2가전송할경우기지 본장에서는앞서기술한문제점들에관한기존연구동향과 NB-IoT 주요특징에대해기술한다. 국에서는 이수신된다. 이에기지국에서는단말들의코드워드를수신한코드워드에 AND 연산함으로써전 송한단말을검출할수있다. ( 단말 1인경우, AND 1. 랜덤액세스자원증대및제어 3GPP LTE 시스템에서는휴지 (idle) 상태단말들이데이터전송을위해랜덤액세스절차를수행하여야한다. 여기서, 랜덤액세스절차는단말이미리주어진랜덤액세스자원중하나의자원을랜덤하게선택하여기지국으로전송하고기지국에서는이에대한응답메시지를전송 = 01010) 본기술의장점은랜덤액세스프리앰블 5개를이용하는경우, 기존 3GPP LTE 시스템에서는검출가능한디바이스수가 5개인데반해본기술로인해 2 5 개만큼의디바이스검출이가능할수있다. 하지만, 전송하지않는디바이스도마치코드워드를전송했던것처럼기지국이인식할수있는문제점이발생할수있다. 47 전자공학회지 _ 301

58 오성민, 신재승, 이창희, 박옥선 공간그룹기반랜덤액세스기술역시랜덤액세스프 EAB (Extended Access Barring) 와같은기술들을정의 리앰블의특징을이용하여랜덤액세스자원을증대시키는기술이다 [4]. 랜덤액세스프리앰블생성원리는다음과같다. 하나의루트인덱스에대해하나의 cyclic shift 시퀀스를생성하고해당 cyclic shift 시퀀스를전체시퀀스길이만큼반복적으로쉬프트시키면서배치한다. 즉, 랜덤액세스프리앰블수는전체시퀀스길이를 cyclic shift 시퀀스길이로나눈값과동일하다. 또한, cyclic shift 시퀀스길이는셀전송범위와비례하는특징이있다. 이에 [4] 에서는전체셀을기지국으로부터도넛모양으로지역을구분하고, 해당지역 하고있다. ACB는단말들의접속을확률적으로제어하는방안이다. 기지국은 AC (Access Class) barring factor라는파라미터를단말들에게브로드캐스팅한다. 단말들은기지국에접속하기이전에 [0, 1] 구간에서하나의값을랜덤하게선택하고, 선택된값이 AC barring factor보다낮으면기지국에접속을시도한다. 이러한이유로, AC barring factor 값을혼잡정도혹은트래픽부하에따라조절하는방안들이연구된바있다. 예를들어, 피코셀이배치된환경에서셀간협력을통해 별로다른루트인덱스를할당하여랜덤액세스프리앰블을생성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휴지 (idle) 상태단말들이데이터전송을위해랜덤 AC barring factor를조절하는셀간협력 ACB 방안 [5] 과기지국에서 이러한경우, 지역별범위가기존액세스절차를수행하여야한다. 성공한랜덤액세스프리앰블의비초다수디바이스가임의의시간동안셀반경보다매우짧아지기때문에율을기반으로혼잡도를추정하는동시접속시접속충돌확률이급증할 전체셀내랜덤액세스프리앰블수가크게증대되는효과가있다. 수있다. 동적액세스제어방안 [6] 들이대표적이다. 하지만, 도심지역과같이셀반경이짧은경우에는루트인덱스가충분치않을수있고 cyclic shift 시퀀스길이도크게줄일수없기때문에랜덤액세스자원증대이득이미비할수있다. EAB는비트맵형식을기반으로직접적으로 AC들의액세스를제어하는기술이다. 비트별로하나의 AC를매핑시키고, 기지국이임의의 AC의액세스를제어하기위해해당비트를체크하여브로드캐스팅하면해당 AC에속해 있는단말들은셀로액세스하지않는다. 1.2 랜덤액세스제어방안 3GPP에서는네트워크가혼잡한상황인경우단말들의액세스를제어하기위해 ACB (Access Class Barring) 와 이외에도단말들의 ID를기반으로접속서브프레임을미리계산하여분산접속하는방안과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서버가단말들을폴링하는방안 등이제안된바있다. < 그림 1> 3GPP LTE 제어연결및베어러설정과정 2. 시그널링오버헤드절감 3GPP LTE 시스템에서휴지상태의단말들은데이터를전송하기위해 < 그림 1> 과같이복잡한절차를수행하여야한다. 여기서, 단말과네트워크간제어연결및데이터전송베어러설정등을이유로다수의메시지들이전송되며, 상향링크로전송되는제어메시지들의크기의총합은대략 200 바이트정도된다. 하지만, 대부분의머신타입디바이스들은수십에서수백바이트의데이터를간헐적으로상향링크를통해전송하기때문에기존셀룰러시스템의동작절차는매우비 302 _ The Magazine of the IEIE 48

59 Massive Connectivity 제공기술 효율적이다. 이에, 3GPP 에서는작은크기의데이터를전송하기 3. NB-IoT 주요특징 3GPP에서논의중인 NB-IoT는상향링크와하향링크 위해간소화된절차들을논의한바있다 [7]. 특히, 현재 3GPP NB(Narrow Band)-IoT (Internet-of-Things) 워킹그룹에서는시그널링오버헤드절감을위해 [7] 에서제시된방안중다음과같은두가지방안들을채택하였다 [8]. 제어평면솔루션 : 본방안은무선자원제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설정과정중무선자원제어연결설정완료메시지에데이터를포함하여전송한다. 이를통해, 무선자원제어연결설정과정중데이터를전송할수있기때문에시그널링오버헤드를감소시킬수있다. 사용자평면솔루션 : 본방안은단말이휴지상태가되어도단말및네트워크노드에서제어연결및베어러설정정보를그대로저장하여데이터전송시재사용한다. 즉, 단말이연결상태에서휴지상태로전환시기지국에서연결보류 모두 180 khz의주파수대역을사용하며, 다음과같은세가지동작모드를지원가능하다. Stand-alone operation: 하나이상의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주파수캐리어를이용하는모드 Guard-band operation: LTE 가드밴드를이용하는모드 In-band operation: LTE 주파수대역내자원블록을이용하는모드이와더불어, 현재까지논의된 NB-IoT의주요특징들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하향링크 :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으로동작하고, 모든동작모드에대해 15 khz 서브캐리어간격을지원한다. 상향링크 : 단일톤과멀티톤 (suspend) 메시지를단말에게전송이가능하다. 단일톤인대부분의머신타입디바이스들은전송한다. 이를통해, 해당단수십에서수백바이트의데이터를경우 3.75 khz와 15 khz 서 말과네트워크노드에서는휴지상태에서도해당단말에대한제어연결및베어러설정정보를저장한다. 이후, 해당 간헐적으로상향링크를통해전송하기때문에기존셀룰러시스템의동작절차는매우비효율적이다. 브캐리어간격에대한두가지 numerology들이설정가능하고, 멀티톤인경우 15 khz 서브캐리어간격이지원된다. 단말이데이터전송시연결재개 (resume) 요청메시지를기지국으로전송한다. 이를통해, 단말과네트워크노드에서는저장했던제어연결및베어러정보들을활성화한다. 본방안을통해기존시그널링절차를간소화할수있다. 하지만, 앞서기술한제어평면및사용자평면솔루션들은데이터전송을위해랜덤액세스절차를선행하여야하고, 제어메시지들을전송해야하는오버헤드가존재한다. 이러한이유로인해, ITU에서제시한 10 6 개 / km 2 의초다수디바이스를협대역을통해수용하기위해서는시그널링오버헤드최소화에대한추가적인연구가필요하다. 홈 / 빌딩내지하실과같이통신환경이좋지않은경우를고려하여, 커버리지레벨별반복전송횟수를달리적용하는방안이채택되었다. In-band operation인경우, 기존 LTE 시스템과의충돌을감소시키기위해 LTE 시스템의제어채널및신호영역은최대한회피하여설정하는방안을적용한다. 이외에도, 3GPP에서는 NB-IoT를지원하기위해물리계층의채널들을기존 LTE와다르게정의하고있으며, 디바이스복잡도및배터리소모를감소시키기위해시스템정보전송방식, 휴지상태 DRX (Discontinuous Receiving), 재전송방식등이간소화되거나변경되었다. 49 전자공학회지 _ 303

60 오성민, 신재승, 이창희, 박옥선 < 그림 2> 적응적랜덤액세스자원조절기법개념도 Ⅲ. Massive Connectivity 제공을위한요소기술 본장에서는기존연구들을토대로대규모연결을제공 하기위해추가적으로필요한기술들에대해기술한다. 1. 적응적랜덤액세스자원조절기법 초다수디바이스들의액세스량은서비스유형에따라 트워크에서액세스디바이스수를추정한다. 기지국은추정한디바이스수를기반으로최적의랜덤액세스자원을할당한다. 여기서, 랜덤액세스자원수는최대할당가능한자원수를넘지못하고, 랜덤액세스충돌확률은타겟충돌확률보다작아야한다. 이러한, 조건들을만족시키면서랜덤액세스자원수를최소화하기위한수식은수식 (1) 과같이정의할수있다. 다양할수있다. 즉, 어느순간에는다수의디바이스들이기지국으로액세스를시도하기도하 최적의랜덤액세스자원수인 n을도출할수있다. 본논문에서는 [2] 에서제시한시 지만, 어느순간에는기지국에액세뮬레이션환경을기반으로적응적적응적랜덤액세스자원조절기법은스를시도하는디바이스가소수에랜덤액세스자원조절기법에관기지국에서임의단위의랜덤액세스 불과할수도있다. 적응적랜덤액세스자원조절기법은단말이시도하 자원중성공한자원수, 충돌이발생한자원수, 혹은 idle 자원수를이용하여 한성능을 < 표 1> 과같이분석하였다. < 표 1> 에서의시뮬레이션결 는랜덤액세스가이처럼산발적특현재네트워크에서액세스디바이스과는셀내 3 만개의디바이스가수를추정한다. 성을갖는다는부분에초점을맞춰 10 초동안베타분포로액세스하 랜덤액세스자원을적응적으로조절할수있는기술이며, 그개념도는 < 그림 2> 와같다. 적응적랜덤액세스자원조절기법은우선기지국에서임의의단위의랜덤액세스자원중성공한자원수, 충돌이발생한자원수, 혹은 idle 자원수를이용하여현재네 는환경에서도출되었다. 여기서, 접속성공률은전체접속시도중랜덤액세스절차를성공적으로완료한시도에대한비율을의미하며, 접속충돌률은전체랜덤액세스수중충돌이발생한액세스수의비율을나타낸다. 또한, 랜덤액세스자원수는시스 템파라미터이기때문에순간적으로변경하기어렵다. 이 < 표 1> 적응적랜덤액세스자원조절기법시뮬레이션결과 에 < 표 1> 에서와같이적응적변경주기를추가적으로고 적응적변경주기 320 ms 640 ms 려하였다. 시뮬레이션결과에의하면, 적응적랜덤액세 타겟충돌확률 스자원조절기법을통해접속충돌률을 21 % 이하로감접속성공률 (%) 100% 99.90% 98.30% 100% 97.60% 93.60% 소시킬수있고, 접속성공률이 93 % 이상으로향상될수접속충돌률 (%) 6.90% 11.60% 19.00% 7.30% 13.60% 21.50% 있음을분석할수있다. 평균랜덤액세스자원수 (1) 여기서, n은랜덤액세스자원수이고, N max 는최대할당가능한랜덤액세스자원수이며, p c 는랜덤액세스충돌확률이다. 또한, λ는랜덤액세스디바이스수이고, δ th 는타겟충돌확률이다. 수식 (1) 에서 N max 와 δ th 는시스템파라미터로값이주어지기때문에, 앞서기술한랜덤액세스디바이스수추정기법에의해 λ를계산하여 304 _ The Magazine of the IEIE 50

61 Massive Connectivity 제공기술 < 그림 3> 3-step 데이터전송기술 (Enhanced RSP) 2. 시그널링오버헤드절감 본논문에서는 [8] 에서제시한방안중제어평면솔 루션을기존간소화된시그널링절차 (Conventional Reduced Signaling Procedure: Conventional RSP) 로정의한다. 기존방안에대한시그널링오버헤드를추가적으로감소시키기위해 3-step 데이터전송방안 (Enhanced RSP) 을고려한다. 3-step 데이터전송방안에서는 < 그림 3> 과같이단말이휴지상태에서작은크기의데이터를전송할경우랜덤액세스응답메시지를수신하고바로데이터를전송한다. 이를위해, 랜덤액세스프리앰블중일부를작은크기의데이터전송을위해할당하고, 기지국에서해당랜덤액세스프리앰블이감지되면작은크기의데이터가세번째단계에서전송됨을인식할수있다. [9] 에서는데이터전송을위한시그널링절차를최소화하기위해데이터를직접전송하는방안 (Simple Direct Data Transmission: Simple DDT) 을제안한바있다. 본방안은상향링크자원요청과정없이직접데이터를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로전송하는방안이다. 이러한경우시그널링오버헤드를최소화할수있지만, 데이터를랜덤하게전송하기때문에충돌에의해전송성공률이급격하게저하될수있는문제점이있다. 이러한문제점을해결하기위해, 본연구에서는하이브리드데이터전송기술 (Hybrid Access) 을고려한다. 본방안은데이터직접전송방안의충돌확률을감소시키기위해, 데이터직접전송에서충돌이발생하여재전송시 < 그림 4> 와같이 3-step 데이터전송방안을통해데이터를전송한다. 이를통해, 초기데이터직접전송단말들만 3-step 데이터전송방안과하이브리드데이터전송기술은대략 20,000 개단말을 100% 수용할수있다. 즉, 한정된자원으로 100 % 수용가능한단말의수를기존방식대비 122% 증가시킬수있다. < 그림 4> 하이브리드데이터전송기술 (Hybrid Access) 경쟁하기때문에데이터직접전송방안보다충돌확률을크게감소시킬수있다. 즉, 초기데이터직접전송에서충돌이발생한단말들은랜덤액세스프리앰블을전송하기때문에데이터직접전송과경쟁을하지않게된다. 앞서기술한방안들에대한성능분석을위해시스템파라미터를 < 표 2> 와같이정의하였고, [10] 에서제시한수학적모델을참조하여성능을분석하였다. 성능분석을위해셀내모든디바이스들이 10 초동안균등분포로데이터전송을시도한다고가정하였으며, 데이터패킷의크기는 20 바이트로가정하였다. < 그림 5> 는전체디바이스수대비수용가능한디바이스수의비율 (%) 을나타낸다. 여기서, 수용가능한디바이스수는성공적으로데이터를전송할수있는디바이스의수를의미한다. 성능분석결과에의하면, 기존 3GPP LTE 시스템 (Baseline < 표 2> 시그널링오버헤드성능분석시스템파라미터 시스템파라미터 수치 시스템대역폭 1.4 MHz Backoff Indicator 0 msec 랜덤액세스프리앰블수 64 최대재전송횟수 3 서브프레임내데이터직접전송을위한기본단위당무선블록수 2 무선블록 라디오프레임당데이터직접전송기본단위수 3 MCS (Modulation & Coding Scheme) QPSK 1/2 물리계층제어오버헤드 25% LTE 시스템의상향링크시그널링오버헤드 220 바이트 Conventional RSP의상향링크시그널링오버헤드 38 바이트 데이터직접전송과 Enhanced RSP 상향링크오버헤드 2 바이트 51 전자공학회지 _ 305

62 오성민, 신재승, 이창희, 박옥선 Ⅴ. Acknowledgement 본논문은 2015년도정부 ( 미래창조과학부 ) 의재원으로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입니다. (No. R , 초연결스마트모바일서비스를위한 5G 이동통신핵심기술개발 ) < 그림 5> 전체디바이스수대비수용가능한디바이스의비율 Scheme) 은시그널링오버헤드로인해 10 초동안데이터를전송하는디바이스의수가대략 3,000 개정도일때까지만 100% 수용하는것을분석할수있다. 또한, 데이터직접전송방안은대략 9,000 개정도의디바이스를 100 % 수용할수있는반면, 기존간소화시그널링절차는대략 15,000 개정도의단말을 100 % 수용할수있는것을분석할수있다. 여기서, 데이터직접전송방안이기존간소화시그널링절차보다더욱성능이저하된이유는데이터직접전송의충돌확률이급격하게증가하기때문이다. 본연구에서추가적으로고려한 3-step 데이터전송방안과하이브리드데이터전송기술은대략 20,000 개단말을 100% 수용할수있는것을분석할수있다. 즉, 제안한방식들로인해한정된자원으로 100 % 수용가능한단말의수를데이터직접전송방안대비 122%, 기존간소화시그널링절차대비 33 % 정도향상시킬수있음을분석할수있다. Ⅳ. 결론 본논문에서는대규모연결제공을위한기존관련연구동향과추가적으로필요한기술에대해기술하였다. 하지만, 본논문에서는 3GPP LTE 시스템을기반으로설계한방안들에대해서만기술하였다. 최근대규모연결제공에관한미래원천기술연구로새로운다중접속기술, 압축센싱기반접속및데이터전송기술, 다중안테나기반 Grant-free 데이터전송기술등과같은새로운기술들이연구되고있다. 참고문헌 [1] ITU-R WP 5D,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5G Mobile Communications, Feb [2] 3GPP TR v11.0.0, Study on RAN Improvements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s, Sept [3] METIS, Proposed Solutions for New Radio Access, Deliverable D2.4, [4] H. S. Jang et al., Spatial Group Based Random Access for M2M Communications, IEEE Commun. Letters, vol. 18, no. 6, Jun [5] S. -Y. Lien et al., Cooperative Access Class Barring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IEEE Trans. Wireless Commun., vol. 11, no. 1, Jan [6] J. -P, Cheng et al., Prioritized Random Access with Dynamic Access Barring for RAN Overload in 3GPP LTE-A Networks, in Proc. IEEE GLOBECOM [7] 3GPP TR v12.0.0, Study on Machine-Type Communications (MTC) and other Mobile Data Applications Communications Enhancements, Dec [8] Mediatec Inc. (NB-IoT Session Chair), Report of the LTE Break Session (NB-IoT), 3GPP TSG-RAN WG2 Meeting #92, R , Nov [9] S. Andreev et al., Efficient Small Data Acces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in LTE, in Proc. IEEE ICC [10] Y. -J. Choi et al, Multichannel random access in ofdma wireless networks,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IEEE Journal on, vol. 24, pp , March _ The Magazine of the IEIE 52

63 Massive Connectivity 제공기술 오성민 이창희 2004 년 2 월아주대학교전자공학부졸업 2006 년 2 월아주대학교전자공학과석사 2011 년 8 월아주대학교전자공학과박사 2011 년 9 월 ~ 현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선임연구원 < 관심분야 > 5G 이동통신시스템, Massive IoT, 단말간직접통신시스템 2011 년 2 월고려대학교전기전자전파공학부졸업 2013 년 2 월고려대학교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석사 2013 년 3 월 ~ 현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연구원 < 관심분야 > 5G 이동통신시스템, multi-user MIMO, 단말간직접통신시스템 신재승 2007 년 5 월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컴퓨터공학과박사 1993 년 2 월 ~ 현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관심분야 > M2M, D2D, 소형셀, 5 세대이동통신시스템, 이동통신프로토콜, Resource Scheduling 박옥선 1996 년 2 월전남대학교전자공학과졸업 1999 년 2 월전남대학교전자공학과석사 2014 년 8 월충남대학교정보통신공학과박사 1999 년 3 월 ~ 현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 관심분야 > 5G 이동통신시스템, MTC/IoT 무선전송방식 53 전자공학회지 _ 307

64 특집 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위한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연구동향 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위한 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 연구동향 Ⅰ. 서론 김종현연세대학교전기전자공학과김광순연세대학교전기전자공학과 현재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표준으로연구개발중인 5G (IMT- 2020) 에서는이전의 4G (IMT-Avanced) 와달리기술발전에따른새로운사용시나리오를전망하고그에맞는서비스에따라필요한핵심성능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를나누어정의하고있다. ITU-R에따르면 5G에서정의하고있는 8개의핵심성능지표는 < 그림 1> 에나타난것과같으며 [1], 4G 대비다양한성능지표에서의성능향상을목표로하고있다. 이렇게정초고신뢰저지연통신은 5G의다른사용의된핵심성능지표는시나리오와는다르게빠른시간에정보세가지대표적사용시전송을반드시처리해야하는 (missioncritical) 서비스특성을가지고있다. 나리오인향상된광대역이동통신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대규모사물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그리고초고신뢰저지연통신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UR/LL) 에따라 < 그림 2> 와같이분류할수있다 [1]. 초고신뢰저지연통신 (UR/LL) 은 5G의다른사용시나리오와는다르게빠른시간에정보전송을반드시처리해야하는 (missioncritical) 서비스특성을가지고있다. 단한번의통신오류발생으로도큰손해가발생하고실시간으로시스템이동작해야하기때문에초고신뢰성과저지연성을동시에만족시켜야한다. 따라서여러통신계층에서의통합적기술혁신을필요로하고공공서비스및산업분야에서높은기술적가치를갖는다. 진행중인표준에서요구하는초고신뢰저지연통신 (UR/LL) 의핵 308 _ The Magazine of the IEIE 54

65 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위한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연구동향 본연구에서는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달성하기위한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에대하여논의한다. 2장에서는초고신뢰저지연통신에해당하는서비스들을두가지서비스범주에따라구분하고각각에따른서비스의기술지원환경을분석한다. 3장에서는도출된두가지서비스범주에대한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에서의기술요구사항을도출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위한물리계층기술의연구방향을제시한다. < 그림 1> IMT-2020 과 IMT-Advanced 의 KPI 비교 Ⅱ. 초고신뢰저지연서비스분석 < 그림 2> 5G 사용시나리오 embb, mmtc, UR/LL 분류 1. 초고신뢰저지연저용량 (UR/LL/LT) 서비스초고신뢰저지연저용량서비스에서는주로카메라, GPS 또는레이더등의멀티미디어센서가사건을감지함으로써주트래픽이발생한다. 간헐적이고산발적인중저용량의영상정보나기기간위치정보가상향링크로전송된다. 5G에서예상되는미래서비스들이여러문헌에소개되고있으며 [3]-[5], 이가운데초고신뢰저지연저용량서비스에해당되는것을 < 그림 3> 의센싱정보만으로는순간적인돌발상황이발생하는것에대한대처가불가능하다. 따라서이동통신을통해주변교통상황으로부터정보를받아야하며, 이를위해각자율자동차의상황정보 심성능지표는 1ms 이내의무선구간지연시간내에초고신뢰성을가지고정보를전송해야하며최대시속 500km의이동성을지원해야한 를필요시마다 5-10ms의제어시간안에실시간으로업데이트해야하고안전성을위해고신뢰성을만족시켜야한다 [3]. 다. 이에대해본연구에서는초고신뢰저지연시나리오에해당되는서비스들을분석하여데이터용량에따라최대 10Mbps 급의전송용량까지를산발적으로전송해 초고신뢰저지연 ( 저용량 ) 통신을요구하는대표적인서비스는자율주행자동차, 드론연결성, 재난응급통신, 협업로봇등이다. 드론의원격조종을위해서는조종신호와드론으로부터의영상정보를주고받기위한무선이동통신기술이필요하다. 영상전송까지포함하였을때에는 10Mbps의데 야하는초고신뢰저지연저용량서비스 (ultra-relaible low-latency low-throughput, UR/LL/LT) 와최대 100Mbps 급의전송용량까지를지속적으로전송해야하는초고신뢰저지연고용량서비스 (ultra-relaible lowlatency high throughput, UR/LL/HT) 의두가지서비스카테고리로다시분류하였고그에따른기술요구사항을도출하였다 [2]. 이터전송속도가요구된다. 빠른속도의움직임을제어하기위해저지연성과이동성을동시에만족시켜야하며원격조종에오류가없도록고신뢰성이요구된다 [4]. 재해및재난상황에서생존자가구조신호를보내는재난응급통신 (lifeline communication) 에도초고신뢰저지연통신이사용될수있다. 생존자의위치정보와건강상태에대한고신뢰통신이이루어져야하고낮은지연시간 55 전자공학회지 _ 309

66 김종현, 김광순 < 그림 3> UR/LL/LT 서비스사례분석 < 그림 4> UR/LL/HT 서비스사례분석 으로응급상황에서의실시간대처가가능해야한다 [4]. 작은규모의생산공장에서는협업로봇 (collaborative 2 초고신뢰저지연고용량 (UR/LL/HT) 서비스초고신뢰저지연고용량서비스에해당하는사용사례 robots) 을이용하여노동자들의작 에서는상대적으로제한된공간안 업생산성과만족도및안전성을효에위치한여러단말에서기기간또초고신뢰저지연 ( 고용량 ) 통신을요구하는율적으로개선시킬수있다. 웨어대표적인서비스는원격의료수술, 는인프라를통한저지연고용량통 러블기기 (wearable devices) 와 3 차원스캐너등의공정관련센서와기술적으로결합될수있으며제어시스템의안정적인실시간동작을 실시간패쇄루프기계통신, 3차원증강현실, 3차원영상기반상호작용서비스등이다. 신을통해분산정보처리및제어, 그리고분산최적화가이루어진다. 여기서멀티미디어센서는각단말로부터관측되는최대 100Mbps 급 위해통신지연시간 1ms 이내의저지연통신이필요하다 [5]. 의고해상도영상정보를수집하며, 이를인프라또는단말에서지속적으로공유하고, 이를통한실시간분산제 310 _ The Magazine of the IEIE 56

67 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위한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연구동향 어및최적화를수행한다. [5]-[7] 에있는 5G 서비스미래기술가운데초고신뢰저지연고용량서비스에해당하 이터전송과상호작용을위한저지연성및고신뢰성을모두만족시킬수있어야한다 [7]. 는것을 < 그림 4> 에정리하였다. 원격의료수술 (tele-surgery) 은일반병원이나지역 Ⅲ. 서비스별기술요구사항도출 에서만나기어려운특정분야의수술전문의가공간상의 제약없이환자를치료하는것을가능하게한다. 이경우수술담당의사가수술기기를정교하게동작시키기위해서는통신과정에서 5-10ms 의지연시간조건을만족시켜야하며, 수술기기로부터의실시간고해상도영상정보와진행중인수술에필요한의료정보등다양한종류의 100Mbps 급고용량데이터가 % 의높은신뢰도로실시간으로제공되어야한다 [6]. 실시간폐쇄루프사물통신 (real-time closed loop MTC) 은큰규모의자동화공장에 1. UR/LL/LT 서비스의기술요구사항초고신뢰저지연저용량서비스의기술지원환경은 < 그림 5> 에요약되어있다. 시간축과주파수축으로통신자원을나누어생각할수있는데, 하향링크는각수신단에서하향링크동기를획득한상황에서각통신자원이직교하지만, 상향링크는간헐적으로저용량데이터를전송해야하는특성상수신단기준으로송신동기화를수행하기어렵다. 이에따라수신단에서는전파전달시간에의한시간동기오차와도플러효 서무결점생산및생산성최적화를위한실시간제어시스템에사용된다. 미래형공장 (factory of the 초고신뢰저지연통신의제공을위하여상향링크에서는시간지연없이다수의공간분할이나다이버시티를제공할수 과에의한주파수동기오차가발생한다. 따라서상향링크에서는동기오차에의해발생하는비직교성 있는물리계층다중접속기술및신호처리 future, FoF) 은공장단독으로독을효율적으로극복하기위한웨이기술과고신뢰성을제공하기위한자원립된시스템이아니라생산부터소브폼기술이필요하다. 또한단말할당및전력제어기술을함께고려하는 비까지의거대한가치사슬 (value chain) 에연결된다. 초고신뢰저지 것이필요하다. 에서상향링크웨이브폼을구현하기위해고려해야할사항으로, 첨 연통신은이를가능하게하기위한필수기술이다. 공장안에서수십 m/s 이상의이동성을가질수있는기계및로봇간의실시간기계학습을통한공장최적화를수행하 두전력대평균전력비 (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 가있다. 첨두전력대평균전력비가높으면단말의전력증폭기의복잡도및전력소모가증가하기때 고이에따라동작을제어하기위해고해상도의영상정보 를포함하는데이터를지속적으로공유할필요가있다 [5]. 3차원증강현실어플리케이션 (3D augmented reality app) 에서는사용자가보고있는실제환경에가상의 3차 원영상정보를혼합하여보여줌으로써증강현실서비스 를제공한다. 사용자가증강현실을이질감없이느낄수 있도록지속적인트래픽특성을가지며저지연성이만족 되어야하고, 동시에 3차원영상의품질을위해서고신뢰 성과고용량데이터전송속도조건을만족시켜야한다 [7]. 또한, 3차원영상기반상호작용 (3D video-driven interaction) 서비스는사용자에게실시간 3차원영상정 보를제공하면서동시에그에기반을둔상호작용을가능 하게한다. 실시간영상정보를전송하기위한고용량데 < 그림 5> UR/LL/LT 서비스기술지원환경 57 전자공학회지 _ 311

68 김종현, 김광순 문이다. LTE의 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와비교하여주파수효율이떨어지지않으면서도낮은첨두전력대평균전력비를가지는웨이브폼기술이필요하다. 또한, 다수의단말에대한연결성 (connectivity) 를제공하기위해비직교다중접속방식과이를저복잡도로수신하기위하여압축센싱 (compressive sensing) 을통한저복잡도동기화및동시수신방식을활용할수도있다. 다중접속방식에대해서는초고신뢰저지연저용량서비스의산발적이고간헐적인상향링크특성에따라트래픽발생시상향링크전송허가없이전송할수있는비허가다중접속 (grant-free multiple access) 을제공해야하며, 또한채널사운딩이나피드백지연없이도초고신뢰성을제공할수있어야한다. 이를위해서는효율적으로시간지연없이다수의공간분할이나다이버시티를제공할수있는물리계층다중접속기술및신호처리기술과고신뢰성을제공하기위한자원할당및전력제어기술을함께고려하는것이필요하다. 2 UR/LL/HT 서비스의기술요구사항초고신뢰저지연고용량서비스의기술지원환경은 < 그림 6> 에요약되어있다. 2장에서본바와같이이서비스에해당하는사용사례에서는각단말에서분산정보처리및제어또는분산최적화를수행하기위해상호간 < 그림 6> UR/LL/HT 서비스기술지원환경 정보를어느정도대칭적으로교환하게된다. 또한, 이러한정보는지속적발생특성을갖는고용량의영상정보를중심으로한다. 따라서초고신뢰저지연고용량서비스에서의특징적인트래픽특성은각단말별로상향링크와하향링크의데이터전송이지속적이고대칭적으로이루어지게되며, 이러한트래픽특성을활용하면서도주파수효율을극대화하기위해서는각사용자마다채널환경및이동성에알맞은웨이브폼을사용해야하고, 각각의서로다른웨이브폼들이간섭의영향없이공존할수있으면서도저지연특성을만족할수있도록웨이브폼에사용한필터의지연시간을최소화해야한다. 또한고용량의트래픽을초고신뢰저지연특성을만족하면서도효율적으로제공하기위해서는이동성을지원하면서도사용자별실시간채널에적합하고간섭과페이딩을극복할수있도록시간, 주파수, 공간의 3차원웨이브폼을제공해야하며, 제한된무선자원내에서의초고신뢰특성을만족하고주파수효율을최적화하기위해서는 3차원웨이브폼기술과결합된무선자원할당및전력제어기술이필요하다. Ⅳ. 향후연구방향 본논문은미래 5G의서비스시나리오가운데하나인초고신뢰저지연서비스를트래픽특성과서비스기술자원환경에따라 2가지의서비스카테고리로나누어제시하였으며, 각카테고리별로서비스사례를분석하고기술지원환경으로부터기술요구사항을도출하였고이를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관점에서논의하였다. 추후보다자세한요구사항의도출이필요하며이를통해웨이브폼, 다중접속및무선자원관리기술간의통합적인개발이이루어져야한다. 노키아에서는셀룰러환경에서 % (10-5 ) 의초고신뢰통신구현가능성에관한연구를진행중이며 [8], 에릭슨에서는공장자동화를위한 1ms 종단간지연시간조건과 % (10-9 ) 초고신뢰성을위한배치전략및컨트롤채널설계에대한연구를진행하고있다 [9-10]. 연세대학교에서는서울대학교및고려대학교와함께미래부및 IITP의지원을받아사물인터넷환경에서촉감통 312 _ The Magazine of the IEIE 58

69 초고신뢰저지연통신을위한웨이브폼및다중접속방식연구동향 신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초저지연고효율무선접속기술의원천기술확보를위한연구를수행중이다. Ⅴ. ACKNOWLEDGMENT 본연구는미래창조과학부및정보통신기술연구진흥센터의정보통신방송연구개발사업의일환으로수행하였음. [B IoT환경에서촉감통신서비스실현을위한차세대초저지연 / 고효율무선접속기술연구 ]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in Factory Automation." Proceedings of the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15), San Diego, C.A., U.S.A., DEC, [10] Ashraf, S. A., Lindqvist, F., Baldemair, R., & Lindoff, B., "Control Channel Design Trade-Offs for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System." Proceedings of the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15), San Diego, C.A., U.S.A., DEC, 참고문헌 [1] ITU-R, "IMT Vision - 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Recommendation ITU-R M , September, [2] 김종현, 이진녕, 이광훈, 최경준, 김광순, Waveform and Multiple Access Techniques for Low-Latency Ultra-Reliable Communications", 제26회통신정보합동학술대회논문집, 2016 년 4월. [3] 5G-PPP, 5G-PPP White Paper on Automotive Vertical Sector, October, [4] NGMN, 5G Use Cases, Deployment Scenarios and Framework of Requirements, RAN 5G Workshop - The Start of Something, Phoenix, AZ, U.S.A., September 19, [5] 5G-PPP, 5G-PPP White Paper on Factories-of-the-Future Vertical Sector, October, [6] 5G-PPP, 5G-PPP White Paper on e-health Vertical Sector, October, [7] P. Sharma, "Augmented Reality: Its Applications and Use of Wireless Technologies", Int. J Inf. Comput. Technol., vol. 4, no. 3, pp , [8] Pocovi, G., Soret, B., Lauridsen, M., Pedersen, K. I., & Mogensen, P., "Signal Quality Outage Analysis for Ultra- Reliable Communications in Cellular Networks." Proceedings of the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15), San Diego, C.A., U.S.A., DEC, [9] Brahmi, N., Yilmaz, O. N., Helmersson, K. W., Ashraf, S. A., & Torsner, J., "Deployment Strategies for Ultra-Reliable 김종현 2016 년 2 월연세대학교전기전자공학과학사 2016 년 3 월연세대학교전기전자공학과통합과정 2013 년 8 월 ~2014 년 3 월퀄컴씨디엠에이테크날러지코리아모뎀 SW < 관심분야 > 웨이브폼, 다중접속방식 김광순 1994 년 2 월한국과학기술원학사 1996 년 2 월한국과학기술원석사 1999 년 2 월한국과학기술원박사 1999 년 3 월 ~2000 년 3 월 Dept. ECE, UC San Diego, 박사후연구원 2000 년 4 월 ~2004 년 2 월한국전자통신연구원선임연구원 2004 년 3 월 ~2009 년 2 월연세대학교전기전자공학과조교수 2009 년 3 월 ~2015 년 2 월연세대학교전기전자공학과부교수 2015 년 3 월 ~ 현재연세대학교전기전자공학과교수 < 관심분야 > 통신이론, 변복조방식, 다중접속방식, 다중사용자 / 다중셀다중안테나시스템, 이종셀룰러네트워크최적화 59 전자공학회지 _ 313

70 특집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 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Ⅰ. 서론 김효일 UNIST 양현종 UNIST 이경한 UNIST 최근 ITU-R은 5G 이동통신으로더욱알려진 IMT-2020의서비스비전을제시하였다 [1]. 5G 이동통신서비스는크게높은전송속도와높은전송효율을요구하는서비스, 높은연결밀도를요구하는서비스, 고신뢰및저지연을요구하는서비스로분류되고있다. 이러한비전을기반으로 3GPP Service and System Aspects (SA) 에서는 5G에서예상되는서비스시나리오와요구사항을활발히검토중이다 [2]. 특히, 저지연서비스와관련된주제는실시간통신및촉감인터넷이라불리는실감형서비스로서차량및로봇의원격제어, 교통및비행체의실시간제어, 원격헬스케어등이실제적인사용예로제시되고있다 [3]. 유럽을중심으로차세대저지연네트워크에대한연구가진행되고있다. 특히 2014년발표된 IMT-2020에서는 5G 통신네트워크의기술적목표를다음과같이제안하고있다 [4]. 1~10Gbps 평균전송속도 1ms 종단간지연시간 10~100배많은단말기지원 90% 줄어든네트워크에너지소모량 정방철 충남대학교 주창희 UNIST 본기고에서는 1ms 지연시간요구조건은기존의 4G 무선네트워크구조로는달성이불가능하며, 새로운형태의무선접속네트워크가필요함을보인다. 독일의 TU Dresden 대학에서는촉감인터넷 (Tactile Internet) 314 _ The Magazine of the IEIE 60

71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Ⅱ. 5G 네트워크지연요소 < 그림 1> 5G 네트워크지연요소 5G 이동통신네트워크는사용자가직접단말에연결하는무선접속 (access) 단과, 다수의사용자들을효과적으로연결하기위한유선코어망으로구분된다. 사용자가체감하게되는종단간의지연요소는 < 그림 1> 에서와같이각네트워크요소별로나눌수있다. 사용자에서무선네트워크에진입하기위한접근 을목표로 5GNOW (5th Generation Non-Orthogonal Waveforms for Asynchronous Signaling Project) 프로젝트를주도하여지연시간성능및주파수효율성을극대화를꾀하고있다. 이를위해비동기식무선접속기술을 5G의핵심기술로판단하고표준화를위한연구가진행중이다 [5-8]. 또한 Ericsson 및유럽의회사들을중심으로 METIS (Mobil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Enablers for Twenty-Twenty (2020) information Society) 프로젝트가발족되었으며 6개의연구주제에대해표준화 (access) 지연 하나의무선채널을통해양방항전송을지원하기위한 Duplexing 지연 자원효율성을높이기위해다수의플로우들이자원을공유함으로써발생하는멀티플렉싱 (multiplexing) 및큐잉 (queueing) 지연 데이터를유무선채널위에싣기위한전송 (transmission) 지연 신호를물리적으로전달하기위한전달 (propagation) 지연 를위한선행연구를진행하였다. 이들연구주제중에서 Ultra Reliable Communication 분야에서지연시간에대한신뢰성 (Reliability) 성능지표를정의하고, 다양한프로토콜및알고리즘에 실제사용자에게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종단간으로제공하기위해서는기지국과단말간의데이터전송지연을 네트워크지연요소들중에서전달지연과 duplexing 지연은, 물리적인제약으로인해더이상줄일수없거나양방항채널할당을통해 줄이는기술만으로는충분하지않다. 대해논의하고있다. 최근이들프쉽게해결할수있다. 따라서본기기지국과유선망의인터페이스, 그리고로젝트들은 5GNOW2 및 METIS 고에서는두요소들을제외하고, 무유선망내에서의저지연전송을통해 II [9] 프로젝트로확장되어지속적인연구가이루어지고있다. 그러나실제사용자에게초저지 데이터를서비스사용자까지의전달할수있는통합네트워크구조가필요하다. 선접근지연, 멀티플렉싱및큐잉지연, 그리고전송지연에대하여연구개발현황과앞으로의발전방 연실감형서비스를종단간으로제공하기위해서는기지국과단말간의데이터전송지연을줄이는기술만으로는 향을살펴본다. 5G 초저지연네트워크의전반적인조망을위해위의요소들을역순으로살펴보고자한다. 충분하지않다. 기지국과유선망의인터페이스, 그리고 유선망내에서의저지연전송을통해데이터를서비스사용자까지의전달할수있는통합네트워크구조가필요하다. 따라서5GNOW와 METIS 등에서주도하는 5G 이동통신기술과함께, 유무선을동시에고려하는초저지연네트워크기술의개발이필요하다. 1. 전송지연유선네트워크의데이터의전송은 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을사용한광네트워크를통해이루어진다. 따라서 DWDM의전송지연에대해먼저분석할필요가있다. 광네트워크는크게광케 이블, 광신호를송수신하는 Transponder, Dispersion 61 전자공학회지 _ 315

72 김효일, 양현종, 이경한, 정방철, 주창희 compensation modeul (DCM), 신호증폭기 (amplifier) 등으로구성되어있다 [10]. DWDM에서전송지연을가져오는요소들중가장중요한요소는광케이블의길이가있다. 일반적으로광케이블에서빛은공기중에서보다느리게전파되며, 광케이블의 refraction 특성에따라조금씩다른값을가진다. Single mode fiber에서일반적으로 1km의거리를전송하기위해빛이전달되는속도는 4.9us이며, 이보다약 31% 빠른속도로전달이가능한 Hollow Core Fiber (HCF) 도있으나, 신호감쇄 (attenuation) 특성이좋지않음이알려져있다. 광케이블내에서신호의파장에따라서신호의전달속도가다르며, 이로인하여 Chromatic Dispersion (CD) 가발생한다. CD를보상하기위해 Dispersion Compensation Module (DCM) 을사용한다. DCM 방법은크게 Dispersion Compensating Fiber (DCF) DCM, Non-Zero Dispersion Shifted Fibers (NZ-DSFs) DCM, Fiber Bragg Grating 를통해 4~30ns의지연시간을달성하였다 [11]. 네트워크인터페이스에서는프레임을전송하기위한전송지연시간이요구된다. 전기신호와광신호의전환은프레임이모두버퍼에전달된후에발생한다. 따라서프레임의크기와전송속도에의해서, 크기 / 전송속도의형태로정해지며, 작은크기의프레임일수록더욱작은지연시간을가진다. 그밖에추가적인지연시간으로광신호-전기신호-광신호 (OEO) 전환에약 100us의지연시간이필요하며, FEC를위해서 15~150us, 그외의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e.g., QPSK 모듈에이션 ) 에약 1us의추가지연시간이요구된다. 따라서저지연성능을위해서는광네트워크내에서 OEO 전환, FEC, DSP의과정을거치지않는것이도움이된다. 이해를돕기위해 160 km 길이의 10 Gbps 광메트로네트워크에서 64 byte의프레임을보내는경우를고려하자. 송신단과수신단에서각각 Transponder를거치고, 네트워크내부에서두번의광증폭 (FBG) DCM이있으며, DCF DCM 우리나라의서울-부산간거리약 325 km 기와한번의 DCM을거친다고했 은신호전송에추가로 15~25% 의에서크기가 500~1000 byte인을때, DCF DCM과 EDFA를사용일반적인 IP 패킷의왕복전송을고려했을지연시간이추가로소요되며, NZ- 할경우, 총 1ms 정도의지연시간때, 패킷의최대전송지연의하향 DSF DCM은약 5% 의지연시간이경계값 (low bound) 은약 5~7.5ms에이걸리며, FBG DCM과 Raman 추가된다. FBG DCM을사용할경우에는 ( 케이블길리에상관없이 ) 이를것으로예상된다. amplifier를사용할경우약 ms의지연시간이걸린다. 5~50 ns의지연시간만이추가로요구된다. Optical 신호증폭기는 Erbium doped fiber amplifier (EDFA) 가널리사용되며, 내부적으로약 30m의 Erbium doped fiber를통해서신호를증폭시킨다. 30m의추가길이로인하여약 147ns의지연시간이추가된다. 최근에는 Stimulated Raman Scattering 기법을활용한 Raman amplifier가개발되었으며, Raman amplifier를사용할경우, 추가적인지연시간없이신호를증폭할수 우리나라의서울-부산직선거리는약 325 km이며, 광신호의왕복을고려했을때 1000km의거리가최대전송거리일것으로예상된다. 또한일반적인 IP 패킷이전송된다고가정하면, 프레임의크기는약 500~1000 byte로증가하여네트워크인터페이스의전송시간이 10~20배증가한다. 이들을고려했을때, 사용자종단간지연시간의최대값의하향경계값 (low bound) 은약 5~7.5ms에이를것으로예상된다. 있다. Transponder는전기신호와광신호의전환을담당하며, 일반적으로 5~10us의지연시간이요구된다. 최근에는 FEC (Forward Error Correction) 이나 in-band management channel 기능이없는 light-weight 설계 2. 멀리플렉싱및큐잉지연 5G 무선엑세스망과유선옵티컬네트워크에서의지연시간혁신노력과함께, 초저지연인터넷을실현하기위해풀어야할다양한숙제들이남아있다. 예를들 316 _ The Magazine of the IEIE 62

73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 그림 2> 인터넷스위치들이가지는단순한큐구조 는패킷의양은물리적으로주어진큐의크기를넘어가지않는범위내에서조절되어야한다. 입력되는패킷양에대한이러한제어는인터넷의말단에서이루어지며, NUM (Network Utility Maximization) 이라불리는최적화 면 1) DPI (Deep Packet Inspection),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과금, 방화벽등에서추가적으로발생하는패킷연산지연시간, 2) 서버및단말의운영체제가발생시키는 NIC (Network Interface Card) 과네트워킹어플리케이션간의 Context switching 및버퍼링지연시간, 3) 유선과무선네트워크를연결하는게이트웨이에서발생하는자원미스매치를해결하기위한큐잉지연시간, 4) 인터넷의전송률을끌어올리기위해, 모든스위치에서기본적으로발생시키는패킷멀티플렉싱을위한큐잉지연시간등에대한해결책이필요하다. SDN 기반컴퓨팅및운영체제구조혁신을통해해결할수있을것으로기대되는 1), 2) 문제를통해다양하게연구되어왔으며, 혼잡제어라는개념을통해전송계층에서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로써구현되어왔다. 중요한부분은큐에쌓여있는패킷의숫자를 0가되지않게말단에서제어하는것이쉽지않다는것이다. 기존단말의트래픽제어기법들은효율성만을고려하여큐에많은수의패킷을쌓는기법을선택했으며, 이를통해손쉽게최대전송률을달성하는대신, 보장할수없는패킷처리시간이라는반대급부를얻게되었다. 이는패킷의전송에있어서지연시간을 보장 하는것이불가능함을의미한다. 그러나패킷이지나는인터넷경 와달리 3), 4) 는네트워크분야의오랜딜레마인패킷큐잉에의한 실감형서비스를위한저지연트래픽과 Best Effort 서비스로대변되는지연 로상에존재하는모든스위치들의큐의크기를일정값이하로제한되 전송률 vs. 지연시간 문제와관련허용트래픽들에대해적절히대응하는도록제어할수있다면, 이정보를새로운네트워크구조를개발함으로써, 이깊고, 그만큼해결하기쉽지않활용하여지연시간을보장하는것저지연을보장하면서높은전송률을다. 또한, 그문제의심각성도앞서달성하는네트워크를상용화할수있을이가능할것으로예상된다. 최근 다뤘던유선네트워크에서의물리적인지연요소에비해훨씬심각하 것으로예상된다. 의연구들은패킷왕복지연시간정보가단말에서스위치에큐잉된패 다. 일례로울산에서서울까지의왕복지연시간은광케이블또는구리선에서의신호전파시간인 20만 km/s를고려할때 5ms 내외여야하나, 실제로관측되는지연시간은 15~30ms 로, 물리적지연시간의수배에서최대수십배에달하는지연시간이큐잉에의해발생하며, 이는인터넷상에서유무선네트워크를막론하고관찰되고있다. 패킷큐잉으로인한지연시간의문제는 < 그림 2> 의예를통해손쉽게이해될수있다. 다수의패킷이다양한입력인터페이스를통해유입되는스위치는특정한출력인터페이스에대해아래와같이패킷을누적시키는큐구조를가진다. 큐구조가가지는전송률을극대화하기위해서는해당큐에머무는패킷의수가 0이되지않도록입력되는패킷의양을적절히조절해야한다. 또한, 입력되 킷을파악하기위해사용될수있다는사실이데이터센터네트워크에서입증되고있다 [14]. 통제된데이터센터네트워크를확장하여인터넷에적용하기위해서는훨씬더복잡하고많은요소들이고려되어야할것으로예상된다. 스위치의큐잉정보와함께중요한것은어떤종류의제어를단말에서수행해야하는가이다. 이에대한답은명확하지않지만, ECN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과같이네트워크에서도움을받는기법이최근관심을받고있다. ECN은혼잡상황을겪는패킷에대한, 스위치로부터의매우단순한 bit marking 기법으로인터넷말단에존재하는단말이인터넷내부에존재하는스위치들과대화할수있는통로를제공한다. 최근의혼잡제어기법들은패킷들에표시된 ECN bit 들을보다지능적으로이해하는알고리즘을도입함으로써말단으로 63 전자공학회지 _ 317

74 김효일, 양현종, 이경한, 정방철, 주창희 부터의제어효율이크게높아질수있다는것을보이고 있다 [15]. 이러한과정을통해인터넷을통과하는패킷들의지연 시간이예측가능하더라도, 실제저지연인터넷을실현하 여상용화하기위해서는, 앞서언급한전송률로표시되는 네트워크의효율성과, 요구되는지연시간간의상관관계 에대한대응이중요하다. 즉, 저지연을요구하는트래픽 에대해지연시간을보장하는것과동시에, 저지연이요 구되지않는트래픽을수용함으로써전송률의극대화를 < 그림 3> Idle-to-Connect 평균지연시간분석 [16] 달성할수있는방안이요구된다. 실감형서비스를위한 저지연트래픽과 Best Effort 서비스로대변되는지연허용트래픽들에대해적절히대응하는새로운네트워크구조를개발함으로써, 저지연을보장하면서높은전송률을달성하는네트워크를상용화할수있을것으로예상된다. 이를위해저지연트래픽의진입허용을제어하기위한단말 / 스위치간협업구조, 각스위치 정에서의평균적으로측정되는지연시간을보여준다 [16]. Idle-to-Connect 과정에서는단말이 Idle 상태에서경쟁을통해 RACH (Random Access CHannel) 에접속하여초기등록및인증을위한절차를거친후에, 코어네트워크 MME (Mobility Management Entirty) 와의정보교환이필요하기때문에평균지 에서의패킷큐잉구조에있어서하드웨어와소프트웨어의재설계가 무선접속지연시간을단축하기위하여 GFDM 등의새로운 Waveform 기술, 연시간이 60ms 정도걸리는것으로알려져있다. 필요하다. 일반적으로이러한네트서브프레임설계기술, 상향링크에서단말이 Connected 상태돌입이스케쥴링허가없이데이터를전송하는워크재설계요구가인터넷전체에후에도송수신하는신호가일정시 Grant-Free Access 기술등이 서받아들여지기힘들다는것은잘알려진사실이나, Tele-presence 고려되고있다. 간동안발생하지않으면휴면모드인 Dormant로전환되게된다. < 그 실현에따른수많은고부가가치서비스의등장에대한기대가가능한 5G 이동통신네트워크에서는현실적인어려움을극복하고상용화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림 4> 는단말이 Dormant에있으면서네트워크와동기가유지되고있을때, 데이터를보내기위해자원할당을받고초기상향링크데이터를전송하는데까지소요되는평 균지연시간을분석한결과이다. RACH의경쟁이없음에 3. 무선접근지연무선접근 (access) 지연은사용자단말에서발생한데이터를기지국에전달하기위해소요되는시간을의미한다. LTE 프로토콜은초기접속및자원할당등에있어서사용자확인, 과금, 사용자등록등세션연결을담당하는제어부분 (Control Plane) 과데이터를전송하는사용자부분 (User Plane) 으로크게나눌수있다. IMT-A 는 4G 이동통신을위해제어부분 100ms, 사용자부분 10ms의최대지연시간을요구조건으로제안하고있다. < 그림 3> 은단말이초기 Idle 상태에서네트워크에연결되는 Connected 상태까지의프로토콜진행과각과 도불구하고자원할당을위한핸드쉐이킹과최소 1ms의슬롯단위로인하여, 10ms내외의지연시간이소모되는것을알수있다. 이러한결과는현재의 LTE 슬롯구조와프레임구조를가지는무선접속방식으로는 5G에서요구하는종단간 1ms를만족시킬수없다는것을보여준다. 또한 < 그림 3> 에서알수있듯이, 사용자인증및코어네트워크와의정보교환절차를제외하더라도, 프레임및슬롯구조로인하여자원을할당하는과정에서 10ms 내외의시간이소요된다. 5G 이동통신시스템에서제공하기위하여고려되고있 318 _ The Magazine of the IEIE 64

75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 그림 5> OFDM 과 GFDM 의전력스펙트럼밀도비교 [18] (a) Dormant-to-Active 전송과정 (b) 평균지연시간분석 < 그림 4> Dormant-to-Active 상향링크평균지연시간분석 [17] 는무선기술들은크게웨이브폼 (waveform) 기술, 서브프레임설계기술, 상향링크데이터전송기술로나뉠수있다. 먼저웨이브폼기술의경우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에서는다양한주파수대역과서비스시나리오를하나의무선접속기술로수용하는것을지향하고있어 OFDM 웨이브폼을기본으로사용하되서로다른주파수대역과서비스시나리오에따라 numerology 를다양하게변화시키는것이고려되고있다. 그러나최근제안되고있는 Universal Filtered Multi- Carrier (UFMC),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등의새로운웨이브폼이사용될가능성도있다. GFDM은비직교무선접속방식으로기본적으로사용자간전송동기가없다는가정하에 band-pass 필터등으로다른사용자의스펙트럼을제거한다 [8]. 따라서 OOBE (out-of-band emission) 로인한간섭이성능저하를결정하는중요한요소가된다. < 그림 5> 은기존의 OFDM과 GFDM의전력스펙트럼밀도를나타낸다. 파라미터 M은 GFDM 방식에서 subsymbol의개수를나타내는값으로, M이증가하면수신기계산복잡도가증가하지만 OOBE 가줄어들어비동기사용자간간섭이낮아지는효과가있다. 기존의 OFDM은동기시스템에서는 OOBE가주파수효율성성능에무관하기때문에높은주파수효율성을보여주나, 비동기환경에서는 OOBE가사용자간간섭을결정하기때문에 GFDM이주파수효율성측면에서우수한것을보여준다. 서브프레임설계기술은저지연서비스에적합한구조로프레임을구성하는기술로서가장기본적인설계철학은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라불리우는데이터전송의기본단위를줄이는것이다. 서브프레임의길이가줄어들면스케줄링, 전송, ACK/NACK 등의절차의기본시간단위가줄어들어지연시간을줄이는효과가있다. 추가로고려되고있는저지연서비스용서브프레임설계기술은 Self-Contained TDD 서브프레임기술이다. 이기술은하나의서브프레임안에하향링크와상향링크를모두포함하여전송된데이터에대한 ACK/ NACK를동일한서브프레임내에서전송할수있도록하여지연시간을줄이는기술이다. 이외에도다양한서브프레인구조가저지연서비스를위하여제안되고있다. 마지막으로상향링크데이터전송기술은기존의 LTE 시스템이스케줄링에기반하여상향링크데이터를전송하는것과달리저지연서비스트래픽을상향링크데이터전송에대한허가없이전송하는이른바 Grant- Free Access가고려되고있다. 이와비슷한개념으로경쟁기반 PUSCH (Contention-Bas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CB-PUSCH) 도 3GPP 표준에서고려되고있다 [19]. 또한저지연서비스를위한상향링크데이터전송기술로서기존랜덤액세스기술을개선하여활용 65 전자공학회지 _ 319

76 김효일, 양현종, 이경한, 정방철, 주창희 하는다양한시도들이제시되고있다. Expedited Forwarding (EF) 으로나뉘며, 이중 EF가 가장높은수준의지연시간보장을제공한다. Ⅲ. 종단간 Quality of Service 종단간 delay 측면의 QoS 보장이라는관점에서는상 기두기법간에분명한장단점이존재한다. IntServ는 종단간지연시간을보장하기위해서는서로이질적인무선접속단과유선코어망을상호연결하는노력이요구된다. 본섹션에서는 Quality of Service (QoS) 지원을목표로제안된기존의지연시간보장방법들을살펴본다. 자원선점을통한안정적서비스가가능하지만, 각라우터별로 IntServ 관련상태들을별도관리하여야하므로인터넷이라는대규모네트워크에서는 Scalability 문제가발생하고, 리소스선점으로인해다수의저지연플로우들 이멀티플렉싱되는환경에서는자원활용률이현저히떨 1. 유선망의 QoS: IntServ vs. DiffServ 인터넷에서의 QoS provisioning은크게 IntServ와 DiffServ 두가지 QoS 기법으로나뉜다. IntServ는종단간세션을서비스하는모든인터넷라우터에서리소스를할당및예약함으로써 QoS를보장하는기법이다. 이와달리 DiffServ는서비스요구사항별로트래픽의클래스를정의하고각클래스별로차별화된 QoS를보장하는기 어지게된다. 반면, DiffServ는기존 IP 패킷구조를활용하여간접적인 QoS 보장이가능하고복잡도를줄일수있다는장점이있으나, 클래스별 QoS 보장만을지원하므로각플로우별로세밀한지연시간요구조건은보장하기에어렵다는단점이있다. 5G 네트워크규모에서초저지연서비스를실현하기위해서는, 두기법의장점을결합한새로운형태의저지연 QoS 아키텍쳐가요구된다. 법이다. IntServ는 fine-grained QoS를제공하는데,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기반종단간시그널링및 RSPEC 기반 QoS 요구 2. 무선망의 QoS: WLAN 및 LTE 사례무선에서의 QoS 보장은가장보급률이높은 IEEE WLAN과 3GPP LTE를중 스펙명시로구성된다 [20]. RSVP는종단간플로우 path 상에위치한라우터들간에 PATH 및 RESV 메 종단간지연시간을보장하기위해서는서로이질적인무선접속단과유선코어망을상호연결하는노력이요구된다. 심으로소개한다. WLAN 에서는 IEEE e 표준을통하여 QoS를제공하고 시지를주고받는과정을통해해당기존의단말-스위치간프로토콜을확장있다 [22]. 해당표준에서는 QoS의하여, 유무선라우터간에도자원관리및플로우의 QoS 보장을위해필요한우선순위에따라 AC_BK, AC_ QoS 보장상황을유기적으로연동할 리소스를선점하게되며, RSPEC은 QoS 요구정도에따라 Best Effort, Controlled Load, Guaranteed 중 수있는새로운유무선 orchestration 방식을개발하는것이필요하다. BE, AC_VI, AC_VO 의네가지 Access Category (AC) 를정의하고, 각 AC 별로 Traffic Category 하나를명시하게된다. 특히, Guaranteed로명시된트래픽들은보장된지연시간을넘지않도록요구된다. DiffServ는시그널링의복잡도로인한 Scalability 이슈가있는 IntServ의단점을극복할대안으로제시되었으며, IP 헤더의 Differentiated Services (DS) 필드를통해최대 64가지의 QoS 클래스를정의한후각라우터가패킷별클래스에맞는차별화된서비스보장을할수있도록하는기법이다 [21]. QoS 요구정도에따라 Default, Class-selector, Assured Forwarding (AF), Identification (TCID) 우선순위를두가지씩할당하였다. 또한, AC 별로별도의 MAC (Medium Access Control) 파라메터를설정함으로써 AC간차별화된 QoS 서비스가가능하다. LTE 에서는 bearer 단위로 QoS를제공하는데, bearer 는 UE 및 enb 간 radio bearer, UE 및 P-GW 간 ESPS bearer 등과같이 LTE 망의구간별로정의하거나, default bearer, dedicated bearer 등과같이 QoS 보장특성에따라정의된다 [23]. UE가 LTE 망에처음접 320 _ The Magazine of the IEIE 66

77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 그림 6> 유무선 orchestration을위한피드백구조속시에는 default bearer가할당되지만, 저지연을요구하는서비스를 UE가시작하는경우이에맞는 dedicated ESPS bearer 가생성된다. 이렇게생성된 bearer는 8가지 QoS class identifier (QCI) 중하나를부여받게되는데, 각 QCI 별로지연시간과 Packet Error Rate (PER) 두가지의 QoS 지표가차별화되어정의되어있다. 예를들어, Real-time Gaming 과같은저지연서비스의경우최대 30ms의지연시간보장을명시하였다. 이러한 WLAN과 LTE의 QoS 보장기법들은종단간초저지연보장을위하여사용되기에는아직여러가지한계를노출하고있다. 먼저, IEEE e 같은경우네가지의 AC만을정의하였고실제동작은 MAC (Medium Access Control) 에따라서달라진다. 따라서임의의지연시간을유발할수있는현재의 IEEE 에서는지연시간을효과적으로제한하기가힘들다. 한편, LTE의 QCI 별지연시간요구는 radio bearer 에만국한되며, LTE 코어에서 20ms의추가적지연시간이발생하므로종단간초저지연을지원하기에는아직갈길이멀다하겠다. 3. 유무선간 QoS 매핑및 orchestration 앞서살펴본바와같이유선과무선네트워크는각기다른방식으로 QoS를보장하려는시도를해왔다. 그러나, 다가올 5G 네트워크는폭발적인모바일트래픽증가와더불어유선인터넷망과 last-mile 무선네트워크가유기적으로결합된형태가될것이므로, 종단간 10ms 와같은초저지연요구조건을보장하기위해서는유무선간 QoS 보장기법이유기적으로연동되어야한다. 기존연구에서는 IntServ의 RSVP 프로토콜을 IEEE e 와연동하여유무선간정합을시도하였으며 [24], DiffServ와 IEEE e를연동하기위해 DSCP에 서정의된클래스각각을 TCID 값으로매핑하고 AC 별 service queue에할당하는매핑기법도제안하였다 [25]. 이러한시도에도불구하고, 여전히유선및무선각각의구간에서는종전의 QoS 보장방식에의거한서비스를제공하게되므로, 기존의기술적한계를뛰어넘지못하는문제를안고있다. 게다가, 무선자원은주파수, 시간, 안테나등의다차원리소스블록으로구분되고할당되는데반해유선자원은시간단위의스케줄링에만의존하기때문에, 유무선간자원관리의불균형현상을해결하기가어렵다. 예를들어, 무선구간은 MIMO, OFDMA 등의최신기법을동원하여다수의유저들을지원할수있는반면, 유선구간에서는 last-mile 무선유저들의폭발적트래픽생성량을제한할수있는효과적인방법이부재하다. 이러한문제를해결하기위해서는기존의단말-스위치간프로토콜을확장하여, 유무선라우터간에도자원관리및 QoS 보장상황을유기적으로연동할수있는새로운유무선 orchestration 방식을개발하는것이필요하다. 이를실현하기위해서는 < 그림 6> 과같이, enb 와 AP와같은무선단라우터들이유선라우터의스케줄링기법과함께피드백을교환하며자원관리방식을진화시키는것이필요하다. Ⅳ. 맺음말및향후연구방향 데이터와청각, 시각적신호의전달을넘어촉각등공감각적인 Tele-presence가가능한실감형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서, 초저지연트래픽의 QoS를만족시킬네트워크의개발이요구된다. 이러한서비스의보편적인활용을위해서는자원의효율성을담보함으로써, 시장에서의서비스경쟁력또한반드시확보해야한다. 본기고에서는 5G 네트워크의다양한지연요소들을중심으로저지연서비스를위한기술동향살펴보았으며, 이를통해실감형저지연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서는현재의 LTE 시스템의혁신과함께, 패러다임전환을통한유선네트워크구조의변혁, 그리고유무선통합자원관리를위한피드백시스템의필요성을확인하였다. 67 전자공학회지 _ 321

78 김효일, 양현종, 이경한, 정방철, 주창희 Ⅴ.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IITP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P) (No. B , Research on Near-Zero Latency Network for 5G Immersive Service). 참고문헌 [1] Rec. ITU-R M , IMT vision - 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Sept [2] E. Guttman, Progress and content of SA1 5G study item, 3GPP RAN 5G Workshop, RWS , Sept [3] 3GPP TR, Feasibility study on new services and markets technology enablers, v1.1.0, Nov [4] IMT-2020 (5G) Promotion Group. IMT Vision towards 2020 and Beyond, [5] 5GNOW, 5G cellular communications scenarios and system requirements, D2.1, [6] 5GNOW, 5G waveform candidate selection, D3.1, [7] 5GNOW, Consistent 5G radio access architecture concepts, D2.2, [8] G. Wunder, P. Jung, M. Kasparick, T. Wild, F. Schaich, Y, Chen, S. ten Brink, I. Gaspar, N. Michailow, A. Festag, L. Mendes, N. Cassiau, D. Ktenas, M. Dryjanski, S. Pietrzyk, B. Eged, P. Vago, F. Wiedmann, 5GNOW: Non-orthogonal asynchronous waveforms for future mobile application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2, no. 2, pp , Feb [9] 5GPPP and METIS II, 5G RAN architecture and functional design, Whitepaper, Mar [10] V. Bobrovs, S. Spolitis, and G. Ivanovs, Latency Causes and Reduction in Optical Metro Networks, SPIE 9008, Dec [11] BTI Systems claims 20-ns transit time for low latency transponder, Lightwave online magazine, June [12] J. Gettys and K. Nichols, Bufferbloat: Dark buffers in the Internet, Communications of the ACM 9(11):57-65, [13] H. Jiang, Y. Wang, K. Lee, and I. Rhee, Tackling Bufferbloat in 3G/4G Networks, in ACM SIGCOMM IMC, [14] M. Alizadeh, A. Greenberg, D. A. Maltz, J. Padhye, P. Patel, B. Prabhakar, S. Sengupta, and M. Sridharan, Data center TCP (DCTCP), In ACM SIGCOMM, [15] R. Mittal, V. T. Lam, N. Dukkipati, E. Blem, H. Wassel, M. Ghobadi, A. Vahdat, Y. Wang, D. Wetherall, D. Zats, TIMELY: RTT-based Congestion Control for the Datacenter, ACM SIGCOMM, [16] Z. Savic, LTE design and deployment strategieis, Cisco [17] D. Singhal, M. Kunapareddy, and V. Chetlapalli, LTE- Advanced: latency analysis for IMT-A evaluation, Tech Mahindra Whitepaper, [18] W. Park and H. J. Yang, On spectral efficiency of asynchronous GFDMA and SC-FDMA in frequency selective channels, in Proc.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May [19] Ericsson et al., 3GPP TR V0.5.0, 3GPP RAN2 #92, R , Nov [20] Cisco,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DocWiki. docwiki.cisco.com/wiki/resource_ Reservation_Protocol [21] Cisco, DiffServ - The Scalable End-to-End Quality of Service Model, White Paper, August [22] IEEE Std , Part 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March [23] N.A. Ali, A.M. Taha, and H.S. Hassanein, Quality of Service in 3GPP R12 LTE-Advanced, IEEE Commun. Mag., vol.51, no.8, pp , August [24] L. Zhang and S. Zeadally, Enabling End-to-End QoS over Hybrid Wired-Wireless Networks,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s, vol.38, no.2, pp , July [25] S. Park, et al., Collaborative QoS Architecture between DiffServ and e Wireless LAN, in Proc. IEEE VTC-Spring, _ The Magazine of the IEIE 68

79 초저지연실감형서비스를위한 5G 네트워크기술동향 김효일 이경한 1999 년 2 월서울대학교전기공학부학사 2005 년 4 월 Univ. of Michigan, EE: Systems 석사 2010 년 12 월 Univ. of Michigan, EE: Systems 박사 2010 년 12 월 ~2011 년 7 월 IBM T.J. Watson Research Center 박사후연구원 2011 년 8 월 ~2015 년 8 월울산과학기술원조교수 2015 년 9 월 ~ 현재울산과학기술원부교수 < 관심분야 > 무선및모바일네트워크, 5G 네트워크, 무선인지통신, LTE-U 2002 년 2 월 KAIST EE 학사 2004 년 2 월 KAIST EE 석사 ( 지도교수 : 정송 ) 2009 년 8 월 KAIST EE 박사 ( 지도교수 : 정송 ) 2010 년 4 월 ~2011 년 8 월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Post Doc. (CS) 2011 년 9 월 ~2012 년 7 월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Senior Research Scholar (CS) 2012 년 8 월 ~ 현재 UNIST, School of ECE (CS Track), 조교수 < 관심분야 > 모바일컴퓨팅, 저지연인터넷, 데이터센터네트워크, VR/ AR 네트워크 양현종 2000 년 3 월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학사 2004 년 3 월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석사 2010 년 8 월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박사 2010 년 8 월 2011 년 8 월한국해양연구원연수연구원 2011 년 10 월 ~2012 년 10 월 Stanford University 박사후과정 2012 년 10 월 ~2013 년 8 월 Broadcom Staff II Systems Engineer 2013 년 9 월 ~ 현재울산과학기술원조교수 < 관심분야 > 무선액세스, 무선통신 PHY 알고리즘및이론 정방철 2002 년 2 월아주대학교전자공학부학사 2004 년 8 월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석사 2008 년 2 월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박사 2008 년 1 월 ~2009 년 8 월 KAIST IT 융합연구소연수연구원 2009 년 9 월 ~2010 년 2 월 KAIST IT 융합연구소연구교수 2010 년 3 월 ~2014 년 2 월국립경상대학교조교수 2014 년 3 월 ~2015 년 8 월국립경상대학교부교수 2015 년 9 월 ~ 현재국립충남대학교부교수 < 관심분야 > 5G 이동통신, 통계적신호처리, 정보이론 69 전자공학회지 _ 323

80 김효일, 양현종, 이경한, 정방철, 주창희 주창희 1998 년 3 월서울대학교전기공학부학사 2000 년 3 월서울대학교전기공학부석사 2005 년 3 월서울대학교전기공학부박사 2005 년 9 월 ~2007 년 6 월퍼듀대학교박사후과정 2007 년 7 월 ~2010 년 2 월오하이오주립대학교 Research Scientist 2010 년 3 월 ~2011 년 8 월한국기술교육대학교조교수 2011 년 9 월 ~ 현재울산과학기술원부교수 < 관심분야 > 유무선네트워크, 5G 네트워크, Internet of Things 324 _ The Magazine of the IEIE 70

81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논문지논문목차 전자공학회논문지제 53 권 4 호발행 통신분야 [ 통신 ] 사물인터넷헬스케어서비스를위한 onem2m 기반 ISO/IEEE DIM 전송구조설계및구현 김현수, 천승만, 정윤석, 박종태 철도환경에서 ZigBee 수신기를위한효율적인채널추정기법 이진구, 김대현, 김재훈, 김영록 무선수동형센서망을위한 Slotted ALOHA 기반의기본적인 MAC 방식 최천원, 서희원 [ 스위칭및라우팅 ] 철도차량용하이브리드네트워크토폴로지최적화연구 김정태, 윤지훈 [SoC 설계 ] 멀티플렉서트리합성이통합된 FPGA 매핑 김교선 반도체분야 1.4 Gbps 비이진 LDPC 코드복호기를위한 Fully-Parallel 아키텍처 최인준, 김지훈 소면적 32-bit 2/3 단파이프라인프로세서설계 이광민, 박성경 버스프로토콜호환가능한네트워크 - 온 - 칩에서의분리된주소 / 데이터네트워크설계 정승아, 이재훈, 김상헌, 이재성, 한태희 컴퓨터분야 [ 유비쿼터스시스템 ] 하드웨어왜곡과불완전한채널상태정보가물리계층보안에미치는영향 심규성, 도트리뉴, 안병구 71 전자공학회지 _ 325

82 논문지논문목차 모바일애드혹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RF 에너지하베스팅기반라우팅프로토콜 심규현, 안병구 신호처리분야 [ 영상신호처리 ] 방사선영상디텍터에서필터링된이득지도를사용한불균일이득잡음의보정 김동식 VP9 디코더에대한행렬기반의정수형역변환구조 이태희, 황태호, 김병수, 김동순 시스템및제어분야 [ 제어계측 ] 접지그리드설계를위한전기저항단층촬영법에기반한지표의 3 차원저항률분포추정 캄밤파티아닐쿠마, 김경연 이동표적을위한이동창함수기반추적알고리즘 배진호, 이종현, 전형구 [ 회로및시스템 ] Current Modulator 를이용하여유효커패시턴스를크게하는위상고정루프 김혜진, 최영식 [ 의용전자및생체공학 ] EMG 신호기반 Artificial Neural Network 을이용한사용자인식 김상호, 류재환, 이병현, 김덕환 [ 지능로봇 ] 운전자체중이동을이용한전방향전동보드의제어 최용준, 류정래 [ 신호처리및시스템 ] 스테레오비젼기반의능동형물체추적시스템 고정환 산업전자분야 326 _ The Magazine of the IEIE 72

83 박사학위논문초록 이수현 Su-Hyun Lee 학위논문제목 KEY WORD 국문 : 블록기반의새로운적분영상에관한연구 영문 : Research on a New Method of Implementing Integral Image Based on Block Structure Integral Image, Image Processing, Image Recognition, Embedded Hardware 학위취득광운대학교취득년월 2015 년 8 월 지도교수 정용진 < 국문요약 > 적분영상은픽셀값을기준좌표로부터순차적으로누적하여만든영상으로특정사각영역내의픽셀의합을빠르게연산하기위해여사용된다. 하지만적분영상은연산의효율성을가지는반면입력영상의몇배에달하는메모리를소모하는단점을가지고있다. 적분영상은영상이커질수록 word length가점점커지는특징을가지고있으며, 이것은고해상도영상으로갈수록큰문제점이된다. 본논문에서는높은메모리감소율을가지는블록기반의새로운적분영상을제안한다. 제안한적분영상은 2 2 크기의블록구조적분영상을기본구조로하여, 메모리감소율을높이기위해 n n 블록구조적분영상으로확장되었다. 블록구조적분영상은입력영상데이터를재사용함으로써높은메모리감소율을가지지만적분영상데이터를분할하여저장하기때문에적분영상데이터를복원하기위해서추가적인연산을요구한다. 블록의크기가커질수록적분영상데이터복원을위한추가연산은늘어나고데이터저장에필요한메모리크기는줄어드는특징을가진다. 블록구조적분영상은기존의연구인 modulo 연산을이용한방법과함께사용이가능하다. modulo 연산을적용한방법은추가적인연산을필요로하지않으므로, 사각영역의크기가고정적인경우에대하여두가지방법을함께사용할경우보다높은메모리감소율을가질수있다. 본논문에서제안하는블록구조적분영상은데이터를분할하여저장하고입력영상데이터를재활용함으로써메모리의크기를감소시킬수있는방법이다. 분할된데이터를복원하기위해추가적인연산을사용하지만하드웨어구조나특정알고리즘에서는추가적인연산의단점을상쇄시킬수있음을확인하였다. 블록구조적분영상은 bit 입력영상에서 2 2, 4 4, 8 8 블록크기에서 42.9%, 69.7%, 84.4% 의메모리감소율을가진다. 73 전자공학회지 _ 327

84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제목 : 정보통신기술은 5 년후이렇게변한다. IT Road Map 2015 년도판저자 : 노무라종합연구소기반솔루션기획부펴낸곳 : 동양경제신보사출판일 : 2015 년 1 월 1 일크기, 페이지수 : 21cm, 238p 서평 노무라종합연구소 (NRI) 에서는최신 IT ( 정보기술 ) 의동향을계속적으로조사한결과를출판과강연활동등을통하여폭넓게사회에정보발신을하고있는데, 이책은그성과를서적으로정리한것으로이번이 10번째가된다. 2013년의 IT업계는빅데이터, 스마트 디바이스의활용이커다란주목을모으고있었는데, 2014년은거기에추가되어 IoT (Internet of Thing/ 사물인터넷 ) 와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머신과같은기술이화제가되었다. 인터넷의발전에따라, 소셜미디어나스마트폰등의많은소비자용의기술이 IT세계를견인하여왔다. 최근수년의 IT업계에있어무엇보다도큰기술트렌드가된빅데이터도, 소셜미디어분석등의마케팅을목적으로한소비자의행동분석등에이용되고있고, 산업분야에서의활용은그다지진행되지않았다. 그러나 IoT의출현에따라, 이러한흐름에도변화가보이기시작했다. 네트워크에접속되는여러가지기기나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얻어지는데이터를분석하는것에의해, 지금까지제품위주의비즈니스를해왔던제조업등이서비스분야의비즈니스에진출하기시작했다. GE의 Industrial 인터넷으로대표되는산업계의이러한움직임은, 향후의 IT 활용의방향과사회에커다란영향을미칠것으로생각된다. 이책은 IT를비즈니스로활용하는기업의경영자나기획부문이나실제 IT개발과운용에관계되는사람들에게향후의 IT 활용의나침반으로사용될수있도록되어있다. 제 1장 5년후의 IT Road Map IT 로드맵의개요의소개와함께, 전작의간단한요약과함께서비스 이노베이션시대를향한 IT 진화의특징에대한해설 제 2 장 5 년후의중요기술 5 년후까지비즈니스사회에넓게보급되어여러가지영향을줄것으로생각되는 IT 로서 O2O (Online to Offline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SDx (Software-Defined Anything) 등의 5 가지기술영역에대해서기술했다. 특히 O2O 웨어러블 디바이스 에관해서는, User 기업과 NRI 가공동으로실시한실증실험의결과등도포함하여선진기술의활용사례를소개하고, 또한컬럼으로 스마트머신 암호통화 에관련한토픽을소개 제 3 장 복합적 IT 활용에의한신서비스의가능성 이용장르를설정한 IT 활용에관한테마를다루고, 구체적으로빅데이터의트렌드와도관련이깊은 IoT 와 마케팅 솔루션 의 2 가지중요기술에대해소개 제 4 장 현재의 IT 트렌드를안다 정보기술맵 과 기업정보시스템과 IT 키워드에관한조사 의결과와, 빅데이터 에관계하는앙케이트결과를소개. 현재및장래의 IT 동향에대한이해에도움이되기를기대한다. 서평작성자 : 이원규, 해동일본정보기술센터총괄처장. 328 _ The Magazine of the IEIE 74

85 The Magazine of the IEIE 정보교차로 국 내외에서개최되는각종학술대회 / 전시회를소개합니다. 게재를희망하시는분은간략한학술대회정보를이메일로보내주시면게재하겠습니다. 연락처 : edit@theieie.org 2016 년 5 월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IEEE Radar Conference (RadarConf16) Loews Hotel, Philadelphia, PA, USA IEEE/PE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position (T&D) Dallas Convention Center, Dallas, TX, USA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FID (RFID) Orange County Convention Center, Orlando, FL, USA 2016.ieee-rfid.or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ystems and Informatics (ICCSI) InterContinental Hotel, Taif, KSA, Saudi Arabia 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Next-Generation Electronics (ISNE) TBD. Hsinchu, Taiwan yunhwu@ess.nthu.edu.tw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ICEIT) Movempick Hotel, Tangiers, Morocco IEEE Wireless Power Transfer Conference (WPTC) Universidade de Aveiro, Portugal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CIST) Nian Zhang University of the District of Columbia icist.dlut.edu.cn/meeting/index_ en.asp?id= IEEE International Frequency Control Symposium (IFCS) The Roosevelt New Orleans, LA, USA 2016.org th Iranian Conference on Electrical Engineering (ICEE) Eng. School,Zand Blvd, Shiraz, Iran icee2016.shirazu.ac.ir IEEE Symposium on Technologies for Homeland Security (HST) Westin Hotel, MA, USA International Siberian Conference on Control and Communications (SIBCON) Ilya A. Ivanov, Moscow, Russia sibcon.hse.ru/en/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dern Circuits and Systems Technologies (MOCAST) Aristotle University Research Dissemination Center, Thessaloniki, Greece mocast.physics.auth.gr IEEE-IAS/PCA Cement Industry Technical Conference Gaylord Texan, Dallas, TX, USA IEEE Rural Electric Power Conference (REPC) Westin, Westminster, CO, USA ieeerepc.org/ IEEE Canadian Conference o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CCECE) Vancouver Marriott Pinnacle Downtown Hotel, BC, Canada ccece2016.ieee.ca IEEE International Memory Workshop (IMW) Paris Marriott Rive Gauche Hotel & Conference Center, Paris, France IEEE 83rd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 Spring) TBD, Nanjing, China ieeevtc.org/vtc2016spring/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ICRA) Stockholm Waterfront Congress Centre, Stockholm, Sweden th IEEE/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uster, Cloud and Grid Computing (CCGrid) Cartagena, Colombia aji@anl.gov IEEE 3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Engineering (ICDE) Aalto University School of Business, Helsinki, Finland 75 전자공학회지 _ 329

86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th Signal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Application Conference (SIU) Dedeman Zonguldak, Turkey siu2016.beun.edu.tr/ IEEE Symposium on Product Compliance Engineering (ISPCE) Hyatt Regency Orange County, CA, USA psessymposium.org th Annual SEMI Advanc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nference (ASMC) Saratoga Springs City Center, NY, USA Asia-Pacific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APEMC) Shenzhen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SHENZHEN, China IEEE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ing, Electronic and Automation Control Conference (ITNEC) Chongqing River Romance Hotel, Chongqing, China th Wireless and Optical Communication Conference (WOCC) lifornia Garden Hotel, Chengdu, China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ircuits and Systems (ISCAS) Sheraton center Montreal, QC, Canada iscas2016.org IEEE/MTT-S International Microwave Symposium - MTT 2016 Moscone Center, San Francisco, CA, USA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SP) The Fairmont Hotel, San Jose, CA, USA locasto@cpsc.ucalgary.ca IEEE Symposium on Radiation Measurements and Applications (SORMA West) Clark Kerr Campus at UC Berkeley, CA, USA JTChew@lbl.gov IEEE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Symposium (RFIC) scone Convention Center, San Francisco, CA, USA rfic-ieee.org/ IEEE 8th International Power Electronics and Motion Control Conference (IPEMC ECCE Asia) Platinum Hanjue Hotel, Hefei, China IEEE PES Substations Committee Annual Meeting (SUBS) Westin Peachtree Plaza, Atlanta, GA, USA ewh.ieee.org/cmte/substations/ scm0/2016atl/basefile.htm IC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Kuala Lumpur Convention Center, Malaysia g.weisman@comsoc.org IEEE International Parallel and Distributed Processing Symposium (IPDPS) Hyatt Regency Chicago, IL, USA IEEE Women in Engineering International Leadership Conference (WIE ILC) San Jose Marriott, San Jose, CA, USA ieee-wie-ilc.org IEEE International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Technology Conference (I2MTC) Taipei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Taipei, Taiwan imtc2016.ieee-ims.or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Science and Application (ICIMSA) TBD, Korea (South) icatse.org/icimsa/ IC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Workshops (ICC) Kuala Lumpur Convention Centre, Malaysia hafizal.mohamad@mimos.my IEEE International Interconnect Technology Conference / Advanced Metallization Conference (IITC/AMC) DoubleTree Hotel, San Jose, CA, USA IEEE European Test Symposium (ETS) Movenpick hotel, Amsterdam, Netherlands ets16.nl/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oICT) Telkom University, Bandung, Indone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Communication Control and Computing Technologies (ICACCCT) SYED AMMAL ENGINEERING COLLEGE, RAMANATHAPURAM, India icaccct16.syedengg.ac.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System Innovation (ICASI) TBD, Okinawa, Japan 2016.icasi.asia/ th ARFTG Microwave Measurement Conference (ARFTG) Parc 55 Wyndham San Francisco - Union Square,, CA, USA Chinese Control and Decision Conference (CCDC) TBD, Yinchuan, China European Navigation Conference (ENC) Finlandia Hall, Helsinki, Finland sarang.thombre@fgi.fi rd Saint Petersbur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grated Navigation Systems (ICINS) Concern CSRI Elektropribor, Saint Petersburg, Russia _ The Magazine of the IEIE 76

87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th International Convent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lectronics and Microelectronics (MIPRO) Grand Hotel Adriatic Convention Centre, Opatija, Croatia th IEEE Intersociety Conference on Thermal and Thermomechanical Phenomena in Electronic Systems (ITherm) Cosmopolitan Hotel, Las Vegas, NV, USA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yber Conflict (CyCon) Swissotel Tallinn, Estonia ccdcoe.org/cycon/sites/default/files/ CyCon_2016_CFP.pdf 2016 년 6 월 IEEE Transportation Electrification Conference and Expo, Asia-Pacific (ITEC Asia-Pacific) BEXCO, Busan, Korea (South) 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nd Automation (ICCA) Nepal uav.ece.nus.edu.sg/~icca16/ nd ACM/EDAC/IEEE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DAC) Hilton Austin, TX, USA 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Software and Networks (ICCSN) Peking University Convention Center, Beijing, China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wave and Millimeter Wave Technology (ICMMT) TBD, Beijing, China IEEE 11th Conference on Industrial Electronics and Applications (ICIEA) Swan Lake Hotel, Hefei, China IEEE 43rd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VSC) Oregon Convention Center, Portland, OR, USA IEEE-NPSS Real Time Conference (RT) TBD, Padova, Italy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European Energy Market (EEM) Faculty of Engineering of University of Porto, Portugal IEEE Tech Industry Summit on IoT Challenges-An Engagement to Benefit Industry Santa Clara Convention Center, Santa Clara, CA, USA s.russ@ieee.org IEEE NetSoft Conference and Workshops The-K Hotel, Seoul, Korea (South) sites.ieee.org/netsof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manned Aircraft Systems (ICUAS) Key Bridge Marriott, Arlington, VA, USA IEEE 2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dustrial Electronics (ISIE) Santa Clara Convention Center, Santa Clara, CA, USA s.russ@ieee.org Conference on Advances in Signal Processing (CASP) Cummins College of Engineering for Women, Pune, India IEEE 40th Annual Computer Software and Applications Conference (COMPSAC) Sheraton Atlanta, Atlanta, GA, USA th Mediterranean Conference on Embedded Computing (MECO) Hotel Princess, Bar, Montenegro embeddedcomputing.me/en/mec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gnal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SPCOM) National Science Seminar Complex, Bangalore, India ece.iisc.ernet.in/~spcom/2016/index.html 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Power Semiconductor Devices and IC's (ISPSD) Zofin Palace, Prague, Czech Republi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ybercrime and Computer Forensic (ICCCF) Harbour Centre, Vancouver, BC, Canada th World Congress on Intelligent Control and Automation (WCICA) Grand Link Hotel Guilin, Guilin, China wcica2016.or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trics (ICB) IEEE Symposium on VLSI Technology Halmstad University, Halmstad, Sweden Hilton Hawaiian Village, Honolulu, HI, USA icb2016.hh.se/ Petroleum and Chemical Industry Conference Europe (PCIC Europe) Sheraton Berlin Grand Hotel Esplanada, Berlin, Germany IEE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arable and Implantable Body Sensor Networks (BSN) Mission Bay Conference Center, San Francisco, CA, USA 77 전자공학회지 _ 331

88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th Iberian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 (CISTI) Hotel Gloria Palace San Agustin, Las Palmas, Spain IEEE Symposium on VLSI Circuits IEEE Biennial Congress of Argentina (ARGENCON) Hilton Hawaiian Village, Honolulu, HI, USA Univ. Tecnológica Nacional - Fac. Reg. Buenos Aires, Argentina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 and Emergency Communication (ICEIEC) China Hall of Science and Technology, Beijing, China ACM/IEEE 43rd Annual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 Architecture (ISCA) TBD, Seoul, Korea (South) gabriel.loh@amd.com IEEE Intelligent Vehicles Symposium (IV) IEEE Electrical Insulation Conference (EIC) IEEE Pulp, Paper & Forest Industries Conference (PPFI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lasma Science (ICOPS) Power Systems Computation Conference (PSCC) Lindholmen Conference Center, Gotenburg, Sweden Hilton Bonaventure, Montréal, QC, Canada The Westin Austin at the Domain, Austin, TX, USA Banff Conference Centre, Banff, AB, Canada Porto Antico Congress Centre, Genoa, Italy iv2016.org/ sites.ieee.org/eic/ tsui@ece.ualberta.ca IEEE 2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Based Medical Systems (CBMS) Queen's University Belfast, Ireland th Mediterranean Conference on Control and Automation (MED) Divani Caravel Hotel, Athens, Greec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ower Electronics, Electrical Drives, Automation and Motion (SPEEDAM) Centro Congressi di Anacapri, Anacapri, Italy USNC-URSI Radio Science Meeting (Joint with AP-S Symposium) TBD, PR, USA tyo@optics.arizona.edu IEEE Transportation Electrification Conference and Expo (ITEC) Adoba Hotel Dearborn, MI, USA IEEE Statistical Signal Processing Workshop (SSP) Es Baluard, Palma de Mallorca, Spain joaquin.miguez@uc3m.es Compound Semiconductor Week (CSW) [Includes 2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ium Phosphide & Related Materials (IPRM) & 4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ound Semiconductors (ISCS)] Toyama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er, Toyama, Japan 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Robotics and Biomechatronics (BioRob)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albertocruz.org/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Propagation & USNC/URSI National Radio Science Meeting El Conquistador Hotel and Resort, Fajardo, PR, USA European Conference on Networks and Communications (EuCNC) TBD, Athens, Greece pdemest@unipi.gr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Washington Convention Center, Seattle, WA, USA International Conference Laser Optics (LO) Holiday Inn Moskovskye Vorota, St. Petersburg, Russia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Engineering/ Electronics, Computer,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ECTI-CON) The Empress Hotel, Chiang Mai, Thailand IEEE PES PowerAfrica Avani Falls Resort, Zambia sites.ieee.org/powerafrica th IFAC Symposium on Intelligent Autonomous Vehicles (IAV) Messe Leipzig, Leipzig, Germany iav2016.inf.h-brs.de 2016 년 7 월 European Control Conference (EC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electrics (ICD) Aalborg Congress & Culture Center, Aalborg, Denmark Faculty of Education, Montpellier, France icd-2016.org 332 _ The Magazine of the IEIE 78

89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st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OECC) /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otonics in Switching (PS) TOKI MESSE Niigata Convention Center, Niigata, Japan IEE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Intelligent Control and Energy Systems (ICPEICES) Delhi Technological University, Delhi, India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 Consumer and Control (IS3C) Paradise Resort Hotel, Xi an, China is3c2016.ncuteecs.org/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Fusion (FUSION) Kongresshaus Stadthalle Heidelberg, Heidelberg, Germany rd International Workshop on Active-Matrix Flatpanel Displays and Devices (AM-FPD) Ryukoku University Avanti Kyoto Hall, Kyoto, Japan IEEE International Power Modulator and High Voltage Conference (IPMHVC) TBD, San Francisco, CA, USA mkemp@slac.stanford.edu American Control Conference (ACC) Boston Marriott Copley Place, Boston, MA, USA acc2016.a2c2.org/index.html 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cience and Control Engineering (ICISCE) Beijing, China IGARSS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China National Convention Center, Beijing, China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ISIT) TBD, Barcelona Spain IEEE Sensor Array and Multichannel Signal Processing Workshop (SAM) PCU-Rio, Brazil delamare.cetuc.puc-rio.br/sam2016/index. html Conference on Precision Electromagnetic Measurements (CPEM 2016) Westin Hotel, Ottawa, ON, Canada 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 Technology and Applied Electromagnetics (ANTEM) Intercontinental Montréal, QC, Canada antem.ee.umanitoba.ca IEEE Nuclear & Space Radiation Effects Conference (NSREC 2016) Oregon Convention Center/Double Tree Portland, OR, USA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and Expo (ICME) The Westin Seattle Hotel, Seattle, WA, USA sun@ee.washington.edu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dio, Language and Image Processing (ICALIP) Shanghai Marriott Hotel Parkview, Shanghai, China th European Conference on Magnetic Sensors and Actuators (EMSA) Centro Congressi Torino incontra, Torino, Italy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Intelligent Mechatronics (AIM) The Banff Centre, Banff, AB, Canada jordan.berg@ttu.edu 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 and Software Engineering (JCSSE) Pullman Khon Kaen Raja Orchid Hotel, Khon Kaen, Thailand jcsse2016.cs.kku.ac.th International Multidisciplinary Conference on Computer and Energy Science (SpliTech) University of Split, FESB, Split, Croatia splitech2016.fesb.hr SAI Computing Conference (SAI) United Kingdom IEEE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ICT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TIAR) Easwari Engineering College, Chennai, India IEEE Power 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PESGM) Boston, MA, USA ptraynor@epri.com IEE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Informatics (INDIN) Congress Palace of Futuroscope, Poitiers, France TBA IEEE 2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Physical and Failure Analysis of Integrated Circuits (IPFA) MBS, Singapore ieee_ipfa@singnet.com.sg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o-geoinformatics (Agrogeoinformatics) Tianjin Polytechnic University, Tianjin, China 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munication Systems, Networks 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CSNDSP) Faculty of Electrical Engineering, CTU in Prague, Czech Republic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on Advanced Materials and Processes for RF and THz Applications (IMWS-AMP) TBD, Chengdu, China 79 전자공학회지 _ 333

90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Systems and Networks (ComNet) Mar Baselios College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Thiruvananthapuram, India viceprincipal@mbcet.org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strumentation & Measurement, Computer, Communication and Control (IMCCC) JinGu Hotel, Harbin, China 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and Theoretical Computing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atcct) SJB INSTITUTE OF TECHNOLOGY, Bangalore, India icatcct.org/ 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Communication, Electrical, Electronics, Devices and Signal Processing (CCEEDS) ADITYA ENGINEERING COLLEGE, Kakinada, India IEEE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Neural Networks (IJCNN) Vancouver Convention Centre, BC, Canada h.abbass@adfa.edu.au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 EMC 2016 The Shaw Centre, Ottawa, ON, Canada qiubo.ye@crc.gc.ca IEEE Congress on Evolutionary Computation (CEC) Vancouver Convention Centre,, BC, Canada IEEE National Aerospace and Electronics Conference (NAECON) and Ohio Innovation Summit (OIS) River Campus-University of Dayton,, OH, USA IEEE World Congress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WCCI) Vancouver Convention Centre, BC, Canada IEEE 5th Asia-Pacific Conference on Antennas and Propagation (APCAP) TBD, Kaohsiung, Taiwan apcap2016.org IEEE/CI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in China (ICCC) TBD, Chengdu, China IEEE Future Leaders Forum (FLF) World Automation Congress (WAC) 2016 년 8 월 Tulane University, New Orleans, LA, USA Wyndham Grand Rio Mar Beach Resort & Spa, Rio Grande, PR, USA c.rubenstein@ieee.org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 and Networks (ICCCN) Marriott Waikoloa Beach Resort, Waikoloa, HI, USA icccn.org/icccn IEEE XXIII International Congress on Electronics,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ing (INTERCON) Universidad de Piura, Piura, Peru avid.roman-gonzalez@ieee.org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 Devices and Solid-State Circuits (EDSSC) The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chatronics and Automation Shangri-La Hotel, Harbin, China 2016.ieee-icma.or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Communication Control and automation (ICCUBEA) Pimpri Chinchwad College of Engineering Pune, Pune, India IEEE Chinese Guidance, Navigation and Control Conference (CGNCC) Zhongshan Hotel, Nanjing, China cgncc.buaa.edu.cn/ URSI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Theory (EMTS) Aalto University, Espoo, Finland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and Advanced Systems (ICIAS) Kuala Lumpur Convention Centre (KLCC), Malaysia Resilience Week (RWS) Chicago Naperville Hilton, Naperville, IL, USA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Packaging Technology (ICEPT) TBD, Wuhan, China IEEE Magnetic Recording Conference (TMRC)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 USA jinshan.li@wdc.com 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EMBC) Contemporary, Orlando, FL, USA embc.embs.org/ IEEE/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Social Networks Analysis and Mining (ASONAM) UC Davis, CA, USA asonam.cpsc.ucalgary.ca/2016/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Robots and Ambient Intelligence (URAI) Sofitel at Renmin Square, Xian, China _ The Magazine of the IEIE 80

91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EICT) Jin Gu Hotel, Harbin, China IEEE Hot Chips 28 Symposium (HCS) Flint Center, Cupertino, CA, USA URSI Asia-Pacific Radio Science Conference (URSI AP-RASC) 63 Convention Center, Seoul, Korea (Sou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CASE) Worthington Renaissance Fort Worth Hotel, Fort Worth, TX, USA Joint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Applications of Ferroelectrics, European Conference on Application of Polar Dielectrics, and Piezoelectric Force Microscopy Workshop (ISAF/ ECAPD/PFM) Karo5 Technische Universität Darmstadt, Darmstadt, Germany webber@ceramics.tu-darmstadt.de IEE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notechnology (IEEE-NANO) Sendai Intenational Center, Sendai, Japan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 & Education (ICCSE) Nagoya University, Nagoya, Japan ieee-iccse.org/2016.html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ail Transportation (ICIRT) Birmingham Centre for Railway Research and Education, Birmingham, United Kingdom ieee-icirt.com IEEE Trustcom/BigDataSE/I SPA Tianjin University, Tianjin, China adnet.tju.edu.cn/trustcom2016/index IEE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oup IV Photonics (GFP) Grand Kempinski Hotel Shanghai, Shanghai, China m.figueroa@ieee.org Joint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 Computing and Intelligent Systems (SCIS) and 1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Intelligent Systems (ISIS) Hokkai-Gakuen University, Sapporo, Japan scis2016.j-soft.org/ nd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APCC) Yogyakarta, Indonesia apcc2016.org/ 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 and Service Science (ICSESS) China Hall of Science and Technology, Beijing, China 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RO-MA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NY, USA 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thods and Models in Automation and Robotics (MMAR) Amber Baltic Hotel, Miedzyzdroje, Poland th European Signal Processing Conference (EUSIPCO) Hotel Hilton Budapest, Budapest, Hungary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eld Programmable Logic and Applications (FPL) E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Switzerland fpl2016.org/ th Symposium on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Design (SBCCI) Federal University of Minas Gerais (UFMG), Belo Horizonte, Brazil UKACC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CONTROL) Riddel Hall, Belfast, United Kingdom 년 9 월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xt Generation Intelligent Systems (ICNGIS) Rajiv Gandhi Institute of Technology(RIT), Kottayam, India IEE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umer Electronics - Berlin (ICCE-Berlin) Messe Berlin GmbH, Berlin, Germany Portl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PICMET) Waikiki Beach Marriott Resort and Spa, Honolulu, HI, USA XX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ICEM) SwissTech Convention Center, Ecublens, Switzerland IEEE 27th Annual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sonal, Indoor,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PIMRC) Valencia Conference Centre, Valencia, Spain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 EMC EUROPE Wroclaw University of Technology, Wroclaw, Poland th European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and Applications (EPE'16 ECCE Europe) Karlsruhe Trade Fair Center / Messe Karlsruhe, Rheinstetten, Germany 81 전자공학회지 _ 335

92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Computing & Communications (ICACC) Rajagiri School of Engineering & Technology, Cochin, India acc-rajagiri.org/acc2016/index.asp IEE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Technologies and Factory Automation (ETFA) Mövenpick Hotel Berlin, Berlin, Germany (not active yet) th IEEE International System-on-Chip Conference (SOCC) Seattle, WA, USA IEEE Power & Energy Society Innovative Smart Grid Technologies Conference (ISGT) Radisson Blu Minneapolis Downtown, MN, USA sites.ieee.org/isgt-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ICCP)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Taipei, Taiwan iccp-hsic2016.cgu.edu.tw/iccp-hsic2016/ Electronics Goes Green (EGG) Dahlem Cube Seminaris Hotel Berlin, Germany electronicsgoesgreen.org/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liability, Infocom Technologies and Optimization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CRITO) Amity University Uttar Pradesh, Noida, India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Higher Education and Training (ITHET) Bogazici University, Istanbul, Turke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ic Control and Dynamic Optimization Techniques (ICACDOT) Inter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une, India icacdot2016.isquareit.edu.in Computing in Cardiology Conference (CinC) Vancouver Marriott Pinnacle Downtown, Vancouver, BC, Canada Federated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Systems (FedCSIS) Gdansk University of Technology, Gdansk, Pol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rallel Architecture and Compilation Techniques (PACT) Ayal Zaks, Los Alamitos CA USA pactconf.org/ th Electrical Overstress/Electrostatic Discharge Symposium (EOS/ESD) Hyatt Regency, Garden Grove, CA, USA th EUROSIM Congress on Modelling and Simulation (EUROSIM ) The Oulu City Theatre, Oulu, Finland eurosim2016.automaatioseura.fi/ IEEE AUTOTESTCON Disneyland Hotel, Anaheim, CA, USA IEEE PES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nsmission & Distribution Construction, Operation & Live-Line Maintenance (ESMO) Greater Columbus Convention Center, Columbus, OH, USA IEEE 24th International Requirements Engineering Conference (RE) Beijing Friendship Hotel, Beijing, China Command Systems for Space Applications (TTC) ESA - ESTEC, Noordwijk, Netherlands congrexprojects.com/2016-events/16a05/ home International Semiconductor Laser Conference (ISLC) Kobe Meriken Park Oriental Hotel, KOBE, Japan islc2016.org/ IEE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lf-Adaptive and Self-Organizing Systems (SASO) University of Augsburg, Germany saso2016.informatik.uni-augsburg.de/ index.html IEE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Optoelectronics and Lasers (CAOL) I.I. Mechnikov Odessa National University, Odessa, Ukraine IEEE 1st International Workshops on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of Self* Systems (FAS*W) University of Augsburg, Germany iccac2016.se.rit.edu/workshops.html IEEE High Performance Extreme Computing Conference (HPEC) Westin Hotel, Waltham, MA, USA th Electronic System-Integration Technology Conference (ESTC) World Trade Center, Grenoble, Franc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s in Education (SIIE) University of Salamanca, Spain siie2016.adie.es IEE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health Networking, Applications and Services (Healthcom) BMW World, Munich, Germany 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Friendly Energies and Applications (EFEA) Hotel Metropol Palace, Belgrade, Serbia soe.northumbria.ac.uk/efea rd National Foundat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mputer Science (NICS) The University of Danang, Danang City, Vietnam nafosted-nics.org/ 336 _ The Magazine of the IEIE 82

93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Acoustic Signal Enhancement (IWAENC) Tang Dynasty West Market Hotel, Xi'an, China th International Congress on Advanced Electromagnetic Materials in Microwaves and Optics (METAMATERIALS) MINOA PALACE RESORT & SPA, Chania, Greece congress2016.metamorphose-vi.org IEEE N3XT Austin Galvanize, Austin, TX, USA ieee-n3xt.org 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scharges and Electrical Insulation in Vacuum (ISDEIV) Xi an Jiaotong-Liverpool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er, Suzhou, China isdeiv2016.xjtu.edu.cn IEEE Energy Conversion Congress and Exposition (ECCE) North American Power Symposium (NAPS) IEEE 84th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Fall) IEEE International Ultrasonics Symposium (IUS) th EAPPC/BEAMS/MEGAGAUSS OCEANS 16 MTS/IEEE Monterey Milwaukee Convention Center, Milwaukee, WI, USA Denver Marriott Tech Center, Denver, CO, USA Hotel Bonaventure Montréal, QC, Canada Convention Center Vinci, Tours, France Estoril Congress Centre, Lisbon, Portugal Monterey Conference Center, CA, USA go.du.edu/naps sites.ieee.org/ius-2016/ eappc-beams2016.org oceans16mtsieeemonterey.org IEEE Petroleum and Chemical Industry Technical Conference (PCIC 2016) Marriott Center City Philadelphia, PA, USA IEEE Multi-Conference on Systems and Control (MSC) TBD, Buenos Aires, Argentina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igh Voltage Engineering and Application (ICHVE) Chengdu, China 추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magnetics in Advanced Applications (ICEAA) Cairns Convention Centre, Queensland, Australia IEEE 37th Sarnoff Symposium IEEE Conference on Control Applications (CCA)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NJ, USA NH Hotel City and Tower, Buenos Aires, Argentina sites.ieee.org/sarnoff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ISMAR) Fiesta Americana Merida, Yucatan, Mexico DGON Intertial Sensors and Systems (ISS) 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 Germany iss.ite.kit.edu IEEE-SA Ethernet & Automotive Technology Day (E&IP@ATD) TBD, Paris, France International Symposium 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SWCS) Poznan University of Technology, Lecturing and Conference Center 2 Piotrowo Street Poznań, Poland IEEE 37th International Electronics Manufacturing Technology (IEMT) G-HotelGeorgetown, Penang, Malaysia ewh.ieee.org/r10/malaysia/cpmt/home/ iemt/2016/iemt2016.html th Annual Conference of the Society of Instrument and Control Engineers of Japan (SICE) Tsukuba International Congress Center, Tsukuba, Japa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FID Technology and Applications (RFID-TA) Marriott Hotel Shunde, Foshan, China 2016.ieee-rfid-ta.org/ IEEE Conference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Games (CIG) El Greco Resort, Greece cig16.image.ece.ntua.gr/ IEEE PES Transmission &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position -Latin America (PES T&D-LA) Best Western Plus Gran Hotel Morelia, Morelia, Mexic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Computing, Communications and Informatics (ICACCI) LNM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Jaipur, India icacci-conference.org/ SAI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IntelliSys) United Kingdom iconference.com/intellisys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Telecommunications and Computer Networks (SoftCOM) TBD, Split, Croatia marjan.fesb.hr/softcom/ 전자공학회지 _ 337

94 일자학술대회명개최장소홈페이지 / 연락처 Medical Technologies National Congress (TIPTEKNO) Dedeman Gaziantep Hotel & Convention Center, Gaziantep, Turkey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T Convergence and Security (ICITCS) TBD, Bangkok, Thailand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twork Infrastructure and Digital Content (IC-NIDC) Friendship Hotel, Beijing, China caai.cn/conference/nidc2016/index.htm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search i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Networks (ICRCICN) RCC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Kolkata, India 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ightning Protection (ICLP) Centro de Congressos do Estoril, Portugal clp2016.org/ IEEE International Power Electronics and Motion Control Conference (PEMC) Festival and Congress Centre, Varna, Bulgaria IEEE/AIAA 35th Digital Avionics Systems Conference (DASC) Hyatt Regency Sacramento, CA, USA 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rared, Millimeter, and Terahertz waves (IRMMW-THz)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Copenhagen, Denmar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CMD) Empark Grand Hotel, Xi'an, China cmd2016.xjtu.edu.cn European Conference on Silicon Carbide & Related Materials (ECSCRM) PORTO CARRAS, Neos Marmaras, Greece ecscrm2016.org/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ICIP) Phoenix Convention Center, AZ, USA 2016.ieeeicip.org 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on Implantation Technology (IIT) Shangri-La's Far Eastern Plaza Hotel Tainan, Taiwan iit2016.web2.ncku.edu.tw IEEE Central America and Panama Student Conference (CONESCAPAN) Radisson Hotel and Suites, Guatemala conescapan.ieee.org.gt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System Technology (POWERCON) Novotel Northbeach, Wollongong, Australia soetanto@uow.edu.au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umer Electronics (ISCE) Sao Paulo, Brazil IEEE Students Technology Symposium (TechSym)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haragpur, India ewh.ieee.org/sb/kharagpur/iitkgp/ TechSym _ The Magazine of the IEIE 84

95 The Magazine of the IEIE 특별회원사및후원사명단 회원명 대표자 주소 전화 홈페이지 AP 위성통신 류장수 서울시금천구가산디지털2로 98 2동 9층 CJ시스텍 오재균 FCI 한상우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로 255번길 35( 삼평동 ) 실리콘파크 B동 7층 I&C테크놀로지 박창일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로 255번길 24 아이앤씨빌딩 KT 황창규 경기도성남시분당구정자동 LDT 정재천 충남천안시서북구한들1로 WE빌딩 LG전자 구본준 서울시영등포구여의도동 LIG 넥스원 이효구 서울시서초구강남대로 369( 서초동, 나라빌딩 ) RadioPulse 권태휘 경기도성남시분당구대왕판교로 660 유스페이스1A 1106호 ( 삼평동 ) SK Telecom 장동현 서울특별시중구을지로65( 을지로2가 ) SK T-타워 SK 하이닉스 박성욱 경기도이천시부발읍아미리산 국제종합측기 박재욱 서울특별시강남구강남대로 354 ( 역삼동 831, 혜천빌딩 10F, 12F) 나노종합기술원 이재영 대전광역시유성구대학로 291 ( 구성동, 한국과학기술원 ) 네이버 ( 주 ) 김상헌 경기도성남시분당구불정로 6 ( 정자동그린팩토리 ) 넥서스칩스 Douglas M. Lee 서울시강남구역삼동 넥스트칩 김경수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로 323 벤처포럼빌딩 ( 주 ) 넥스파시스템 이상준 서울특별시성동구자동차시장1길 누리미디어 최순일 서울시영등포구선유로 63, 4층 ( 문래동 6가 ) 다우인큐브 이예구 경기도용인시수지구디지털벨리로 81 ( 죽전동디지털스퀘어 2층 ) 대구테크노파크 송인섭 대구시달서구대천동 대덕G.D.S 이희준 경기도안산시단원구산단로 63( 원시동 ) 대덕전자 김영재 경기도시흥시소망공원로 335 ( 정왕동 ) 대성전기 이철우 경기도안산시단원구산단로 31 ( 원시동, 8-27블럭 ) ( 재 ) 대전테크노파크 권선택 대전시유성구테크노9로 35 대전테크노파크 ( 주 ) 더즈텍 김태진 경기도안양시동안구학의로 292 금강펜테리움IT타워 A동 1061호 덴소풍성전자 김경섭 경남창원시성산구외동 동부하이텍 최창식 경기도부천시원미구수도로 동아일렉콤 손성호 경기도용인시처인구양지면남곡로 동운아나텍 김동철 서울시서초구서초동 아리랑타워 9층 라온텍 김보은 경기도성남시분당구황새울로360번길 42, 18층 ( 서현동 AK플라자 ) 만도 성일모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로 255번길 문화방송 안광한 서울시마포구성암로 삼성전자 권오현 서울시서초구서초2동 삼성전자빌딩 삼화콘덴서 황호진 경기도용인시처인구남사면경기동로 227 ( 남사면북리 124) 서연전자 조명수 경기도안산시단원구신원로 세미솔루션 이정원 경기도용인시기흥구영덕동 1029 흥덕U타워지식산업센터 20층 2005호 세원텔레텍 김철동 경기도안양시만안구전파로44번길 ( 주 ) 스카이크로스코리아 조영민 경기수원시영통구영통동 디지털엠파이어빌딩 C동 801호 ( 주 ) 시솔 이우규 서울시강서구공항대로 61길 29 서울신기술센터 A동 202호 실리콘마이터스 허염 경기도성남시분당구대왕판교로 660 유스페이스-1 A동 8층 실리콘웍스 한대근 대전시유성구탑립동 ( 주 ) 쏠리드 정준, 이승희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역로 220 쏠리드스페이스 아나패스 이경호 서울시구로구구로동 신세계아이앤씨디지털센타 7층 전자공학회지 _ 339

96 회원명 대표자 주소 전화 홈페이지 아바고테크놀로지스 전성민 서울시서초구양재동 아이닉스 황정현 수원시영동구덕영대로 1556번길 16, C동 1004호 ( 영통동, 디지털엠파이어 ) ( 주 ) 아이에이 김동진 서울송파구송파대로 22길 5-23 ( 문정동 ) 안리쓰코퍼레이션 ( 주 ) 토루와키나가 경기도성남시분당구삼평동 681번지 H스퀘어 N동 5층 502호 ( 주 ) 알파스캔디스플레이 류영렬 서울특별시강서구허준로 217 가양테크노타운 202호 에디텍 정영교 경기도성남시분당구삼평동 621번지판교이노벨리 B동 1003호 에스넷시스템 박효대 서울특별시강남구선릉로 514 ( 삼성동 ) 성원빌딩 10층 에스엘 이충곤 경북경산시진량읍신상리 엠텍비젼 이성민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로 255번길 58 6층 601호 오픈링크시스템 성재용 광주광역시서구치평로 112 정연하이빌 402호 유라코퍼레이션 엄병윤 경기도성남시분당구삼평동 유텔 김호동 경기도군포시당정동 ( 주 ) 이노피아테크 장만호 경기도상남시중원구갈마치로 215 A동 405호 주식회사이디 박용후 경기도성남시중원구상대원동 ( 둔촌대로457번길 14) 전자부품연구원 박청원 경기도성남시분당구새나리로 25 ( 야탑동 ) 주식회사제이엔티이엔지 최승훈 경기도성남시중원구사기막골로 148, 701호 ( 상대원동, 중앙이노테크 ) ( 주 ) 제퍼로직 정종척 서울강남구역삼1동 아주빌딩 1801호 ( 주 ) 지에스인스트루먼트 고재목 인천시남구길파로71번길 70 ( 주안동 ) 지엠테스트 고상현 충남천안시서북구직산읍군서1길 19( 군서리 134) 충북테크노파크 남창현 충북청주시청원구오창읍연구단지로 케이던스코리아 ( 유 ) 제임스해댓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로 344 엠텍IT타워 9층 (main office)/2층 ( 주 ) 코아리버 배종홍 서울시송파구가락본동 78번지 IT벤처타워서관 11층 콘티넨탈오토모티브시스템선우현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역로 220 솔리드스페이스빌딩 클레어픽셀 정헌준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로 242 판교디지털센터 A동 301호 텔레칩스 이장규 서울특별시송파구올림픽로35다길 42 ( 신천동, 루터빌딩 19층 ~23층 ) ( 주 ) 티에이치엔 채석 대구시달서구갈산동 티엘아이 김달수 경기도성남시중원구양현로 405번길 12 티엘아이빌딩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김귀남 경기도부천시원미구도당동 한국멘토그래픽스 ( 유 ) 양영인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역로 192번길 12 ( 삼평동 ) 판교미래에셋센터 7층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김승렬 서울강남구역삼로 542, 신사SNG빌딩2층 한국인터넷진흥원 백기승 서울시송파구중대로 135 ( 가락동 ) IT벤처타워 한국전기연구원 박경엽 경상남도창원시성산구불모산로10번길 12 ( 성주동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상훈 대전광역시유성구가정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임차식 경기도성남시분당구분당로 한라비스테온공조 박용환 대전시대덕구신일동 한백전자 진수춘 대전광역시유성구대학로 76번안길 한화탈레스 장시권 서울시중구청계천로 86 ( 장교동 ) 한화비딩 (19,20층) 핸즈온테크놀러지 강현웅 서울특별시강서구양천로 583, 에이동 호 ( 염창동, 우림블루나인 ) 현대로템 김승탁 경기도의왕시철도박물관로 현대모비스 정명철 서울시강남구역삼1동 서울인터내셔널타워 현대엠엔소프트 차인규 서울시용산구원효로74 현대차사옥 9층 현대오트론 김재범 경기도성남시분당구판교로 344 엠텍 IT 타워 현대자동차그룹 양웅철 경기도화성시장덕동 현대케피코 박정국 경기도군포시고산로 휴먼칩스 손민희 서울시송파구가락본동 10 신도빌딩 휴인스 송태훈 경기도성남시분당구대왕판교로 670 비 히로세코리아 이상엽 경기시흥시정왕동희망공원로 _ The Magazine of the IEIE 86

97 The Magazine of the IEIE 단체회원명단 회원명 주소 전화 홈페이지 가톨릭대중앙도서관 경기부천시원미구역곡2동산 가톨릭상지대학도서관 경북안동시율세동 강릉대도서관 강원강릉시지변동산1 강원관광대도서관 강원태백시황지동 강원대도서관 강원춘천시효자2동 경동대도서관 강원고성군토성면봉포리산 경주대도서관 경북경주시효현동산 건국대도서관 서울성동구모진동 건양대중앙도서관 충남논산시내동산 경기대중앙도서관 경기수원시팔달구이의동산 경기공업대도서관 경기시흥시정왕동시화공단3가 경남대중앙도서관 경남마산시월영동 경도대도서관 경북예천군예천읍청복리 경북대도서관 대구북구산격동 경북대전자공학과 대구북구산격동 경운대벽강중앙도서관 경북구미시산동면인덕리 경일대도서관 경북경산군하양읍부호리 경산대도서관 경북경산시점촌동산75 경상대도서관 경남진주시가좌동 경성대도서관 부산남구대연동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경기용인시기흥구서천동1번지 고려대과학도서관 서울성북구안암동5가1번지 고려대서창캠퍼스도서관 충남연기군조치원읍서창동208 고속도로정보통신공단 경기용인기흥읍공세리 공군사관학교도서관 충북청원군남일면쌍수리사서함 공군전투발전단무기체계실 충남논산군두마면부남리사서함 호 , 5281 공주대도서관 충남공주시신관동 광명하안도서관 경기광명시하안2동 광운대도서관 서울노원구월계동 ~2 국민대성곡도서관 서울성북구정릉동 김포대학도서관 경기김포시월곶면포내리산 국방대학교도서관 서울은평구수색동 국방제9125부대 서울중앙우체국사서함932호 국방품질관리연구소정보관리실 서울청량리우체국사서함 276호 국방과학연구소서울자료실 서울송파구송파우체국사서함132호 방위사업청 서울용산구용산2가동7번지 극동대학교도서관 충북음성군감곡면왕장리산 금강대학교도서관 충남논산시상월면대명리 LG정밀 ( 주 ) 제2공장자료실 경기오산시가수동 (318) LG정보통신 ( 주 ) 자료실 경북구미시공단동 전자공학회지 _ 341

전자공학회지 2014.2월호 시안최종2:레이아웃 1 14. 02. 20 오?? 5:18 페이지 1 ISSN 1016-9288 제41권 2호 2014년 2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제 4 1 권 제 2 호 ( 2 0 1 4 년 2 월 ) 융 합 영 상 진 단 vol.41. no.2 융합영상진단 및 영상유도 치료 기술 동향 융합영상진단 및

More information

전자공학회지 2014.1월호 시안최종:레이아웃 1 14. 01. 21 오?? 3:24 페이지 1 ISSN 1016-9288 제41권 1호 2014년 1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제 4 1 권 vol.41. no.1 제 1 호 ( 2 0 1 4 년 1 월 ) 자 동 차 자동차 전자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현황 및 시사점 차량/운전자 협력 자율주행

More information

2016년도 대한전자공학회 학회상 및 해동상 후보자 추천 사단법인 대한전자공학회에서는 매년 전자 정보 통신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 전자공학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분에게 학회상 및 해동상을 아래와 같이 시상하고 있습니다. 해동상은 대덕전자(주) 김정식 회장께서 우리

2016년도 대한전자공학회 학회상 및 해동상 후보자 추천 사단법인 대한전자공학회에서는 매년 전자 정보 통신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 전자공학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분에게 학회상 및 해동상을 아래와 같이 시상하고 있습니다. 해동상은 대덕전자(주) 김정식 회장께서 우리 ISSN 1016-9288 제43권 6호 2016년 6월호 제 4 3 권 제 6 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3. no.6 ( ) 2 0 1 6 년 6 월 스 마 트 공 장 동 향 및 이 슈 스마트 공장 동향 및 이슈 스마트공장 기술 동향 및 R&D로드맵 스마트 공장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 스마트공장 표준화 동향과 시스템 구조

More information

098-103감사인사

098-103감사인사 감사인 소식 ❶ 감 사 원 2016년 고위감사공무원 등 임명장 수여 승 김주성, 한상준, 고현정, 김창우, 이태훈, 신영은, 진 2015. 11. 1. 한민주, 이덕영, 김호준, 이철재, 함유진, 정진화, 부감사관 김현태, 한승목, 윤일기, 정용현 유희연, 이은정 2016. 1. 18. 일반직고위감사공무원 IT감사단장 이남구 방송통신주사 이유리 일반직고위감사공무원

More information

제 호 소속 : 을지대학교 성명 : 임현성 귀하를본학회재무이사로위촉합니다.

제 호 소속 : 을지대학교 성명 : 임현성 귀하를본학회재무이사로위촉합니다. 제 2015-9 호 소속 : 동신대학교 성명 : 유근창 귀하를본학회총무이사로위촉합니다. 제 2015-10 호 소속 : 을지대학교 성명 : 임현성 귀하를본학회재무이사로위촉합니다. 제 2015-11 호 소속 : 대전보건대학교 성명 : 백승선 귀하를본학회사업이사로위촉합니다. 제 2015-12 호 소속 :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성명 : 신장철 귀하를본학회법제이사로위촉합니다.

More information

0904-6부 tta부록

0904-6부 tta부록 1988 6부 Appendix 부록 2008 우리 경제가 이처럼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를 꼽으라고 한다면 단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현재의 대한민국은 세계 IT시장의 변화를 이끌어가는 명실상부한 경쟁력을 자랑하고 있다. 연표 정보통신표준 제 개정 현황 임원 부서장 표준 제 개정 및 폐지 절차 이사회

More information

1111

1111 4 분당판 20권 21호 2014년 5월 25일 생명순활동상활 생명순활동상황 생명순 보고는 토요일 오전까지 마쳐주십시오. 보고자 : 김연호 목사 010-9251-5245 보고 : 각 교구 조장님께서 교구 사역자에게 보고해 주세요. 분당판 20권 21호 2014년 5월 25일 생명순활동상황 전도실적은 전도 한 분이 소속한 교구의 생명순에 전도한 인원수를 추가합니다.

More information

학술대회준비위원 회장 : 이윤식 ( 인천대 ) 수석부회장 : 송광용 ( 서울교대 ) 부회장 : 박영숙 ( 한국교육개발원 ) 박은혜 ( 이화여대 ) 신현기 ( 단국대 ) 신현석 ( 고려대 ) 이윤경 ( 서원대 ) 이일용 ( 중앙대 ) 정정진 ( 강남대 ) 조동섭 ( 경인

학술대회준비위원 회장 : 이윤식 ( 인천대 ) 수석부회장 : 송광용 ( 서울교대 ) 부회장 : 박영숙 ( 한국교육개발원 ) 박은혜 ( 이화여대 ) 신현기 ( 단국대 ) 신현석 ( 고려대 ) 이윤경 ( 서원대 ) 이일용 ( 중앙대 ) 정정진 ( 강남대 ) 조동섭 ( 경인 2009 년제 56 차교원교육학술대회 교원성과상여금제도의 진단및개선방향 일시 : 2009 년 12 월 4 일 [ 금 ] 13:00-17:10 장소 : 서울교육대학교전산관 1 층 후원 :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준비위원 회장 : 이윤식 ( 인천대 ) 수석부회장 : 송광용 ( 서울교대 ) 부회장 : 박영숙 ( 한국교육개발원 ) 박은혜 ( 이화여대

More information

2016 학년도대학별논술고사일정 대학명 논술고사시행일 가톨릭대 [ 일반 ] 10 월 11 일 ( 일 ) / [ 의예 ] 11 월 15 일 ( 일 ) 건국대 [ 인문 ] 10 월 9 일 ( 금 ) / [ 자연 ] 10 월 10 일 ( 토 ) 경기대 10 월 18 일 (

2016 학년도대학별논술고사일정 대학명 논술고사시행일 가톨릭대 [ 일반 ] 10 월 11 일 ( 일 ) / [ 의예 ] 11 월 15 일 ( 일 ) 건국대 [ 인문 ] 10 월 9 일 ( 금 ) / [ 자연 ] 10 월 10 일 ( 토 ) 경기대 10 월 18 일 ( 2016 학년도대학별논술고사일정 논술고사시행일 가톨릭대 [ 일반 ] 10 월 11 일 ( 일 ) / [ 의예 ] 11 월 15 일 ( 일 ) 건국대 [ 인문 ] 10 월 9 일 ( 금 ) / [ 자연 ] 10 월 10 일 ( 토 ) 경기대 10 월 18 일 ( 일 ) 경북대 11 월 21 일 ( 토 ) 경희대 [ 자연 1, 인문, 예체능 ] 11 월 14(

More information

ÈûÂù100102

ÈûÂù100102 www.himchanhospital.com 2010 01+02 www.himchanhospital.com Contents Himchan People 02 04 07 08 10 12 14 15 16 17 18 Himchan network 19 20 22 Special Theme 04 + 05 06 + 07 } 08 + 09 I n t e r v i e w 10

More information

41-4....

41-4.... ISSN 1016-9288 제41권 4호 2014년 4월호 제 4 1 권 제 4 호 ( ) 2 0 1 4 년 4 월 차 세 대 컴 퓨 팅 보 안 기 술 The Magazine of the IEIE 차세대 컴퓨팅 보안기술 vol.41. no.4 새롭게 진화하는 위협의 패러다임 - 지능형 지속 위협(APT) 인터넷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 프로그램 대응전략 차세대

More information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오늘날 자동차와 도로는 ICT 기술과 융합되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는 ICT 기술과 접목되어 스마트 자동차로 변화하며 안전하고 편리하며 CO 2 방출을 줄이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경에는 자율 주행 서비스가 도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로도 ICT 기술과 접목되어 스마트 도로로 변화하며 안전하고 편리하며 연료

More information

그림 2. 5G 연구 단체 현황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고품질 멀 티미디어 서비스의 본격화, IoT 서 비스 확산 등의 변화로 인해 기하 급수적인 무선 데이터 트래픽 발생 및 스마트 기기가 폭발적으로 증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

그림 2. 5G 연구 단체 현황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고품질 멀 티미디어 서비스의 본격화, IoT 서 비스 확산 등의 변화로 인해 기하 급수적인 무선 데이터 트래픽 발생 및 스마트 기기가 폭발적으로 증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 이동통신기술 5G 이동통신기술 발전방향 새롭게 펼쳐질 미래의 이동통신 세상, 무엇이 달라지는가? 김문홍, 박종한, 나민수, 조성호 SK Telecom 5G Tech Lab 요 약 본고에서는 다가올 미래 5G 이동 통신의 기술 동향, 핵심 기술 및 네트워크 구조변화에 대해서 알아본다. Ⅰ. 서 론 46 과거 2G부터 3G까지의 이동통신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 및

More information

2017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7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7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6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7년도 회비는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납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2017년도

2017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7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7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6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7년도 회비는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납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2017년도 ISSN 1016-9288 제44권 1호 2017 년 1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1 반도체산업의두번째도약 지능형 SoC 와그응용 나노공정시대의아날로그반도체기술 융합기술시대에서반도체의역할 Fabless 산업과반도체산업의도약 반도체설계교육센터 (IDEC) 와반도체산업 www.theieie.org 2017년도 임원 및

More information

감사회보 5월

감사회보 5월 contents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동정 및 안내 상장회사감사회 제173차 조찬강연 개최 상장회사감사회 제174차 조찬강연 개최 및 참가 안내 100년 기업을 위한 기업조직의 역 량과 경영리더의 역할의 중요성 등 장수기업의 변화경영을 오랫동안 연구해 온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More information

08학술프로그램

08학술프로그램 www.kafle.or.kr Foreign Language Teachers Expertise 01 01 02 03 04 05 06 07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8년 겨울학술대회 학술대회 관련 문의 좌장: 이강국 (대학원 309호) 13:30~14:00 명사구 내 형용사의 위치와 의미 유은정 이상현 곽재용 14:00~14:30 스페인어 문자체계의 발달과정 연구

More information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2017. 6. 22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구위원송대성박사前 ) 세종연구소소장방효복예 ) 중장前 ) 국방대학교총장남성욱박사고려대행정전문대학원장이원우박사前

More information

제 10 회전국보치아선수권대회 Individual BC1 Pool A Standing Seed No Name Team Game Won Lost PF PA Avg Pts Rank 유원종 여수동백원 이유진 모자이크

제 10 회전국보치아선수권대회 Individual BC1 Pool A Standing Seed No Name Team Game Won Lost PF PA Avg Pts Rank 유원종 여수동백원 이유진 모자이크 Individual BC1 Pool A Standing 1 101 유원종 여수동백원 3 1 1 8 8 0 2 114 이유진 모자이크 3 1 1 4 2 0.666666667 3 115 박상호 경남부치소 3 1 1 5 6-0.333333333 4 128 권오찬 충남보치아연맹 3 1 1 5 6-0.333333333 Individual BC1 Pool A Game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4권 5호 2017 년 5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5 IoT 보안기술의동향및위협 IoT 보안이슈및국내외보안기술개발동향 IoT 융합보안의동향분석및보안강화방안 IoT 용보안기능내장칩과현황소개 IoT 및센서기반자동채점운전면허시험개선프로그램개발과현장적용방안 산업용사물인터넷 (IIoT) 시장전망과기술동향

More information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국내 유비쿼터스 사업추진 현황 본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 780-0204 FAX: 782-1266 E-mail: minbp@fkii.org lhj280@fkii.org 목 차 - 3 - 표/그림 목차 - 4 - - 1 - - 2 - - 3 - - 4 - 1) 유비쿼터스 컴퓨팅프론티어사업단 조위덕 단장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5권 6호 2018 년 6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5. no.6 4 차산업혁명과스마트제조기술및서비스동향 스마트공장표준화필요성및국내 외표준화동향 Industry 4.0을위한가변재구성제조시스템 (RMS4.0) 스마트공장정책및산업동향 스마트팩토리공급산업육성을위한테스트베드구축사례연구 스마트팩토리를위한가변재구성유연생산기술

More information

필수연구자료들의가치를높여줄최상의플랫폼을소개합니다. 검색, 문제해결, 의사결정지원분석기능까지모두갖춘만능솔루션 Authorized Dealer in Korea http://www.kitis.co.kr TEL. 02-3474-5290( 代 ) Contents 제 43 권 8 호 (2016 년 8 월 ) 대한전자공학회 70 년사 12 대한민국광복 71 년, 대한전자공학회

More information

2019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9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8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9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연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및 이

2019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9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8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9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연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및 이 ISSN 1016-9288 제45권 12호 2018 년 12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5. no.12 스마트웨어러블기기에대한기술동향및전망 스마트웨어러블기기의 IEC 국제표준화동향 스마트웨어러블기기를위한전기변색기술동향 스마트의류시장현황및기술이슈 E-textiles 표준화동향 스마트웨어러블기기를위한형태가변형디스플레이기술동향및전망

More information

2018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8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7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8년도 회비는 2017년 12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납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2018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

2018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8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7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8년도 회비는 2017년 12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납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2018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 ISSN 1016-9288 제44권 12호 2017 년 12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12 고령친화산업기술개발동향 고령친화산업시장현황및전망 사례중심의고령친화제품기술동향 고령사회시대중재적간호를위한지능형욕창방지매트리스 고령자의보행을위한고령친화용품의개발 고령친화형가정식대체식품동향 www.theieie.org 2018년도

More information

수의대소식지5호(10)

수의대소식지5호(10)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Newsletter September 2014 No. 5 Tel. 02-880-1231 http://vet.snu.ac.kr CONTENTS 1 7 17 2 9 3 10 No. 5, 2014. 9 2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More information

1842È£-º»¹®

1842È£-º»¹® 제1842호 2007. 4. 23 사랑받은 50년! 정성으로 보답하겠습니다 가톨릭중앙의료원 개원기념식 거행 (의료원/성모/강남성모/의정부성모병원) 가톨릭중앙의료원 개원기념식 2007년 5월 3일 (목) 10:30 ~, 가톨릭의과학연구원 2층 대강당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개원71주년 기념식 2007년 5월 3일(목) 7:50~, 성모병원(여의도) 본관 4층 강당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4권 10호 2017 년 10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10 미래유망기술표준및시험인증동향 유망시험인증서비스전략로드맵 대용량에너지저장장치안전성시험 국내주요정보보호의무제도동향 가상현실표준화현황사용자이용을중심으로 항공분야극한전자기환경극복기술시험평가기술동향 www.theieie.org Contents

More information

ISSN 제44권 6호 2017 년 6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6 고효율디지털신호처리용 VLSI 설계기술 에너지효율적인이미지프로세서를위한 Approximate Computing 고효율디지털신호처리를위한근사

ISSN 제44권 6호 2017 년 6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6 고효율디지털신호처리용 VLSI 설계기술 에너지효율적인이미지프로세서를위한 Approximate Computing 고효율디지털신호처리를위한근사 ISSN 1016-9288 제44권 6호 2017 년 6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6 고효율디지털신호처리용 VLSI 설계기술 에너지효율적인이미지프로세서를위한 Approximate Computing 고효율디지털신호처리를위한근사곱셈기설계 저전력디지털신호처리가속기설계기술 CORDIC 을이용한저면적, 저전력신호처리 VLSI

More information

ISSN 제43권 9호 2016 년 9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3. no.9 로봇산업과에듀케이션 중소로봇기업의시장개척방안과지원정책 로봇융합부품산업및기술동향 부천로봇산업육성과성과분석 교육용로봇의현황과미래 의공학교육을위

ISSN 제43권 9호 2016 년 9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3. no.9 로봇산업과에듀케이션 중소로봇기업의시장개척방안과지원정책 로봇융합부품산업및기술동향 부천로봇산업육성과성과분석 교육용로봇의현황과미래 의공학교육을위 ISSN 1016-9288 제43권 9호 2016 년 9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3. no.9 로봇산업과에듀케이션 중소로봇기업의시장개척방안과지원정책 로봇융합부품산업및기술동향 부천로봇산업육성과성과분석 교육용로봇의현황과미래 의공학교육을위한 LEGO Mindstorms EV3 연구 www.theieie.org Together,

More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2016 Jun.; 276), 504511. http://dx.doi.org/10.5515/kjkiees.2016.27.6.504 ISSN 1226-3133 Print)ISSN 2288-226X Online) Near-Field

More information

01....-1

01....-1 ISSN 1016-9288 제41권 7호 2014년 7월호 제 4 1 권 제 7 호 ( ) 2 0 1 4 년 7 월 E M P 영 향 과 필 터 개 발 동 향 The Magazine of the IEIE EMP 영향과 필터 개발동향 vol.41. no.7 전자부품에 미치는 고에너지 전자기파의 영향 전도성 전자파 해석 연구 동향 분석 HEMP 필터 개발 동향

More information

The Magazine of the IEIE 2015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5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5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4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5년도 회비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납부하도

The Magazine of the IEIE 2015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5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5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4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5년도 회비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납부하도 제 4 2 권 제 1 호 ( ) 2 0 1 5 년 1 월 도체소ISSN 1016-9288 제42권 1호 The Magazine of the IEIE 반도체소자제조기술동향 GaN(Gallium Nitride) 기반전력소자제작기술개발현황 고출력 LED 조명개발및기술개발동향 OLED 기술개발및공정기술동향과시장전망 CMOS Image Sensor(CIS) 제작기술동향

More information

전자공학회지.11월호_레이아웃 1 16. 11. 22 오전 10:47 페이지 2 ISSN 1016-9288 제43권 11호 2016년 11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제 4 3 권 제 11 호 vol.43. no.11 ( 2 0 1 6 년 11 월 머신 러닝 기반 머신 비젼 최신 기술 동향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머신 비젼 기술 최근 응용

More information

Untitled-1

Untitled-1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3 장애인영역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1 202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2 3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3 204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4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5 2 3 4 5 6 7

More information

RR hwp

RR hwp 국가 e- 러닝품질관리센터운영을위한 e- 러닝품질관리가이드라인 연구책임자 연구협력관 도움을주신분들 김선태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김재현 ( 부산교육연구정보원 ) 김태민 ( 인천교육과학연구원 ) 김홍래 ( 춘천교육대학교 ) 문수영 ( 크레듀 ) 박상섭 ( 경남교육과학연구원 ) 박치동 ( 서울시교육청 ) 서유경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서준호 ( 한국교원연수원

More information

°ÇÃà8¿ùÈ£Ãâ·Â

°ÇÃà8¿ùÈ£Ãâ·Â 2010 FIFA WORLD CUP SOUTH AFRICA 2 I I 3 4 I I 5 6 I I 7 8 I I 9 10 I NEWS 2010년 7월 10일(토) 지난 6월 21일 발표된 '제23회 광주광 역시 미술대전' 심사결과 건축 부문의 44점 출품 작품 중, 대상에 김아름, 김 지인, 한강우 팀이 출품한 The line : Time passage 이

More information

CS.hwp

CS.hwp 보고서 2019-11 2019. 1. 3 CS(065770) IT H/W < 작성기관 : 한국기업데이터 > 보고서 ( 요약 ) 보고서 ( 전문 ) 기업현황산업분석기술분석주요이슈및전망 CS(065770) IT H/W 이 보고서는 자본시장 혁신을 위한 코스닥시장 활성화 방안 의 일환으로 코스닥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확충을 위해,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의 후원을

More information

04 특집

04 특집 특집 도서관문화 Vol.51 NO.5(2010.5) 시작하는 말 18 특집 :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란? 19 도서관문화 Vol.51 NO.5(2010.5) 20 특집 :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변모하다 21 도서관문화 Vol.51 NO.5(2010.5) 소셜 네트워크와 도서관을 결합시키다

More information

전기공학과 3 대표학생 11 전기장인 정찬호 전기공학과 3 구성원 전기공학과 3 구성원 전기공학과 3 구성원 정보통신공학과 4 대표학생 12 GAG(Get And

전기공학과 3 대표학생 11 전기장인 정찬호 전기공학과 3 구성원 전기공학과 3 구성원 전기공학과 3 구성원 정보통신공학과 4 대표학생 12 GAG(Get And 2017 학년도 IT 융합학습동아리 2 차선정자명단 번호 팀명 지도교수 번호 학번 학과 학년 비고 지원금액 ( 원 ) 1 20164047 전기공학과 2 대표학생 2 20164043 전기공학과 2 구성원 1 오합지졸 김기찬 3 20161435 전기공학과 2 구성원 4 20161464 전기공학과 2 구성원 5 20161466 전기공학과 2 구성원 6 20141935

More information

41-5....

41-5.... ISSN 1016-9288 제41권 5호 2014년 5월호 제 4 1 권 제 5 호 ( ) 2 0 1 4 년 5 월 SSD (Solid State Drive)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1. no.5 SSD (Solid State Drive) SSD (Solid State Drive)를 이루는 기술과 미래 SSD의 등장에 따른 OS의

More information

41-9....

41-9.... ISSN 1016-9288 제41권 9호 2014년 9월호 제 4 1 권 제 9 호 ( ) 2 0 1 4 년 9 월 첨 단 전 자 시 스 템 의 산 업 기 술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1. no.9 첨단 전자시스템의 산업기술 R&D 전략 최신의료기기 기술 및 산업동향 시스템반도체 현황 및 경쟁력 분석 통합모듈형항공전자(IMA) 기술동향

More information

国內唯一 日本工学. 産業技術情報図書館

国內唯一 日本工学. 産業技術情報図書館 ISSN 1016-9288 제 42 권 5 호 2015 년 5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2. no.5 차세대멀티미디어서비스를위한기술 실감형원격영상회의를위한시선맞춤기술 Computer Vision 연구자가 Deep Learning 의시대를사는법 실감형컨텐츠를위한무선접속기술 랜덤워크를이용한영상멀티미디어데이터의중요도검출연구 사이버물리멀티미디어시스템활용서비스와통신기술분석

More information

세션 Tutorial 1 강연 시간 5/11(수) 09:30-11:30 주 제 5G System: Vision & Enabling Technologies 성 명 강충구 소속기관명 고려대학교 부서/학과명 전기전자공학부 직 위 교수 5G 이동통신의 응용 분야에 따른 기술

세션 Tutorial 1 강연 시간 5/11(수) 09:30-11:30 주 제 5G System: Vision & Enabling Technologies 성 명 강충구 소속기관명 고려대학교 부서/학과명 전기전자공학부 직 위 교수 5G 이동통신의 응용 분야에 따른 기술 세션 초청강연 강연 시간 5/11(수) 11:50-12:30 세션 초청강연 주 제 제4차 산업혁명과 소프트파워 성 명 윤종록 소속기관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서/학과명 직 위 원장 1~3차 산업혁명에서는 노동력이 중요했으나,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는 창의력! 4차 산업혁명은 창의력과 소프트파워가 결합된 새로운 시대로 최근 의 산업계 변화는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More information

¿øÀü¼¼»ó-20È£c03ÖÁ¾š

¿øÀü¼¼»ó-20È£c03ÖÁ¾š 아름다운 사람들의 소중한 이야기- 원전세상 원전세상은 원전가족과 함께하는 건강 환경 종합지입니다. 성공노하우 대리점 탐방 원전가족한마당 또 하나의 가족 스파젠 제품리뷰 활성산소 2005 년 총권 20호 www.onejon.co.kr Contents 05 11 26 34 4 onejon world 2005 5 6 onejon world 2005 7 8 onejon

More information

2018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8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8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7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8년도 회비는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납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2018년도

2018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8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8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7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8년도 회비는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납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2018년도 ISSN 1016-9288 제45권 1호 2018 년 1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5. no.1 AI( 인공지능 ) 반도체 머신러닝가속기연구동향 효율적메모리관리를통한모바일 CNN 가속기의최적화 에너지고효율인공지능하드웨어 인공지능하드웨어설계및최적화기술 뉴로모픽컴퓨팅기술 인공지능반도체 NM500 www.theieie.org 2018년도

More information

Cont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FIP 13 FIP

Cont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FIP 13 FIP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13 : (IoT), 4.0,,,,,, CEO. 13 : 2016 3 29 ( ) ~ 11 1 ( ) : 310 Cont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FIP

More inform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13 : (IoT), 4.0,,,,,, CEO. 13 : ( ) ~ 11 1 ( ) : 310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13 : (IoT), 4.0,,,,,, CEO. 13 : ( ) ~ 11 1 ( ) : 310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13 : (IoT), 4.0,,,,,, CEO. 13 : 2016 3 29 ( ) ~ 11 1 ( ) : 310 Cont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FIP

More information

国內唯一 日本工学. 産業技術情報図書館

国內唯一 日本工学. 産業技術情報図書館 ISSN 1016-9288 제 42 권 11 호 2015 년 11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의료영상과응용방안 vol.42. no.11 레디오믹 (Radiomic) 분석과암의료영상 의료초음파영역 : 해부학적영상그이상 의료용내시경의이해와응용 CT 의원리와임상적용 영상유전학 (Imaging genetics) 을통한질병분석 www.theieie.org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4권 7호 2017 년 7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7 최신무선통신기술및표준화동향 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위치측위기술및표준화동향 IMT-2020 5G 서비스용후보대역결정을위한공유연구동향 802.11P 기반차량간통신환경에서도플러효과극복을위한고성능채널추정방법에관한연구동향 RF 무선전력전송기술과관련무선통신연구동향

More information

::: Korea Handball Federation ::: [ 대학핸드볼리그 ( 대학부 ) ] Match Team Statistics :50 원광대체육관 Referees : Technical o

::: Korea Handball Federation ::: [ 대학핸드볼리그 ( 대학부 ) ] Match Team Statistics :50 원광대체육관 Referees : Technical o 2019. 05. 18 ::: Korea Handball Federation ::: [ 대학핸드볼리그 ( 대학부 ) ] Team Statistics 2019. 05. 18 15:50 원광대체육관 Referees : Technical officer : MVP : - 원광대학교 조선대학교 22 7 : 12 15 : 12 24 원광대학교 Player Shots Offence

More information

대회명 : 제 8 회전라남도땅끝배전국보치아선수권대회 장 소 : 경기장 - 동백체육관 일시 : ~ 4. 9

대회명 : 제 8 회전라남도땅끝배전국보치아선수권대회 장 소 : 경기장 - 동백체육관 일시 : ~ 4. 9 대회명 : 장 소 : 경기장 - 동백체육관 일시 : 2017. 4. 7 ~ 4. 9 Event Total Entry Pool Number Advance Number in a pool Point Qualifier KO Position Individual BC1 - - - - - Individual BC2 - - - - - Individual BC3 43 14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3권 10호 2016 년 10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3. no.10 압축센싱을활용한통신및레이더신호처리 압축센싱기술을적용한초광대역수신기개발동향 압축센싱과광대역레이더신호획득기술 실리콘공정기술기반초고속압축센싱용수신기의집적화구현연구 데이터플로우기법이적용된 OMP 알고리즘의 HDL 구형 탐색레이더에서의압축센싱기술기반

More informatio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5G 융합서비스와 Vertical Industries 박용완교수 영남대학교 5G Forum 생태계위원장 2016. 11. 15 Contents 5G Forum 5G & Services-10 5G Forum 생태계위원회 -29 5G Forum 5G Forum 4 Global Leadership and Promotion in 5G Mobile Communications

More information

173

173 방송기자저널 한국방송기자클럽 발행인 엄효섭 편집인 김벽수 월간 발행처 2013 8August 1990년 6월 20일 창간 서울시 양천구 목1동 923-5 방송회관 12층 T. 02) 782-0002,1881 F. 02) 761-8283 www.kbjc.net 제173호 Contents 02 방송이슈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초청 토론회 한국방송대상

More information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2010.1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2010.1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READY-TO-WEAR Fashionbiz 2010.1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2010.1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READY-TO-WEAR Fashionbiz 2010.1 1 2 3 4 5 6 7 8 9 9 2010.1 Fashionbiz

More information

서울서베이국제컨퍼런스 Seoul Survey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Quality of life in Mega City and Happiness of Seoul 메가시티의삶의질과행복서울

서울서베이국제컨퍼런스 Seoul Survey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Quality of life in Mega City and Happiness of Seoul 메가시티의삶의질과행복서울 서울서베이국제컨퍼런스 Seoul Survey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Quality of life in Mega City and Happiness of Seoul 메가시티의삶의질과행복서울 서울서베이국제컨퍼런스 Seoul Survey International Conference 일 시 2014년 3월 6일 ( 목 ) 14:00-17:20

More information

Optical Society of Korea Winter Meeting 2018 분과별특별심포지엄 2DMaterialPhotonics ~1500 KAIST 김영덕 ( 경희대 ) 이지은 ( 아주대 ) 김종환 ( 포항공대 ) 2DMaterialPhoton

Optical Society of Korea Winter Meeting 2018 분과별특별심포지엄 2DMaterialPhotonics ~1500 KAIST 김영덕 ( 경희대 ) 이지은 ( 아주대 ) 김종환 ( 포항공대 ) 2DMaterialPhoton 2018 한국광학회동계학술발표회하이라이트 총회초청강연 (Plenary Presentations) 2018280900~1125February8Thursday0900~1125 StephenFantone OSA2018VicePresident OpticalEngineeringand ProblemSolvingin CommercialApplications Sang-IlSeok

More information

The Magazine of the IEIE 2016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6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6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5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6년도 회비는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납부하도

The Magazine of the IEIE 2016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6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6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5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6년도 회비는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납부하도 전자공학회지 2016.1월호_최종파일_레이아웃 1 16. 01. 25 오후 3:47 페이지 1 ISSN 1016-9288 제43권 1호 2016년 1월호 제 4 3 권 제 1 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3. no.1 ( 2 0 1 6 년 1 월 IoT를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기술 (Semiconductor Technologies

More information

???춍??숏

???춍??숏 Suseong gu Council Daegu Metropolitan City www.suseongcouncil.daegu.kr Contents SUSEONG GU COUNCIL DAEGU METROPOLITAN CITY 10 www.suseongcouncil.daegu.kr 11 SUSEONG GU COUNCIL DAEGU METROPOLITAN CITY

More information

197

197 방송기자저널 한국방송기자클럽 발행인 양영철 편집인 박노흥 월간 발행처 2015 8August 1990년 6월 20일 창간 서울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목동) 방송회관12층 TEL. 02) 782-0002,1881 FAX. 02) 761-8283 www.kbjc.net 제197호 Contents 02~03 방송이슈 한국방송대상 작품상 33편 개인상 24인 선정

More information

전자전기계열 기계조선자동차계열 기계공학과 산업정보디자인계열 스마트융합계열 D 전기기기 서은성 A PLC및실습 (시간) 정호성 E 전기기기 서은성 F 전기기기 서은성 D 교류회로 김원욱 A PLC기초및실습 임창수 A 프레스금형 이병철 A JAVA및실습 (시간) 강익태 E

전자전기계열 기계조선자동차계열 기계공학과 산업정보디자인계열 스마트융합계열 D 전기기기 서은성 A PLC및실습 (시간) 정호성 E 전기기기 서은성 F 전기기기 서은성 D 교류회로 김원욱 A PLC기초및실습 임창수 A 프레스금형 이병철 A JAVA및실습 (시간) 강익태 E 전자전기계열 기계조선자동차계열 기계공학과 산업정보디자인계열 스마트융합계열 B PLC (시간) 이기태 A 열전달 김상윤 A 산업디자인 (시간) 최병오 B 전기기기실험 정대성 D 전기기기실험 정대성 B 열전달 김상윤 E 전기기기실험 정대성 C 열전달 김상윤 F 전기기기실험 정대성 D 기계요소설계 이동호 E 기계요소설계 이동호 F 기계요소설계 이동호 A 영어회화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4권 9호 2017 년 9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9 로봇산업의발달 지능형로봇산업산업동향과정책방향 원격조종로봇의주행을위한 3차원반구가시화시스템 뱀로봇하늘을날다 지능형 AGV 시스템을위한로드맵및원격제어기술개발사례 Make-Fail-Play 청소년들의창의성을깨우는 WRO www.theieie.org

More information

분과별특별심포지엄 2DMaterialPhotonics KAIST ~1500 2DMaterialPhotonics 김종환 ( 포항공대 ) 김영덕 ( 경희대 ) 이지은 ( 아주대 ) OpticalStudiesofSpin/ValleyStatesinTransi

분과별특별심포지엄 2DMaterialPhotonics KAIST ~1500 2DMaterialPhotonics 김종환 ( 포항공대 ) 김영덕 ( 경희대 ) 이지은 ( 아주대 ) OpticalStudiesofSpin/ValleyStatesinTransi 2018 한국광학회동계학술발표회하이라이트 총회초청강연 (Plenary Presentations) 2018280900~1125February8Thursday0900~1125 StephenFantone OSA2018VicePresident OpticalEngineeringand ProblemSolvingin CommercialApplications Tae-HoonYoon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5권 10호 2018 년 10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5. no.10 가상현실 (VR) 을위한통신기술 무선 VR 서비스를위한통신네트워크시스템고선명영상지원초저지연무선 VR 전송기술무선 VR 플랫폼기술동향과전망무선 VR을위한무선랜표준기술분석가상현실 VR 오디오 VR 콘텐츠어지럼증의유발요인에대한이해와저감방안

More information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2015 학년도 논술 가이드북 K Y U N G H E E U N I V E R S I T Y 2015 학년도수시모집논술우수자전형 1. 전형일정 논술고사 구분 일정 원서접수 2014. 9. 11( 목 ) 10:00 ~ 15( 월 ) 17:00 고사장확인 2014. 11. 12( 수 ) 전형일 2014. 11. 15( 토 ) ~ 16( 일 ) 합격자발표 2014.

More information

È޴ϵåA4±â¼Û

È޴ϵåA4±â¼Û July 2006 Vol. 01 CONTENTS 02 Special Them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eautiful Huneed People 03 04 Special Destiny Interesting Story 05 06 Huneed News Huneed

More information

1362È£ 1¸é

1362È£ 1¸é www.ex-police.or.kr 2 3 4 5 6 7 시도 경우회 소식 2008年 4月 10日 木曜日 제1362호 전국 지역회 총회 일제 개최 전남영광 경우회 경북구미 경우회 서울양천 경우회 경남마산중부 경우회 경북예천 경우회 서울동대문 경우회 충남연기 경우회 충남예산 경우회 충남홍성 경우회 대전둔산 경우회 충북제천 경우회 서울수서 경우회 부산 참전경찰회(부산진)

More information

2018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8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7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8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연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및 이

2018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8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7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8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연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및 이 ISSN 1016-9288 제45권 3호 2018 년 3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5. no.3 최신의료진단기술및동향 생체전기물성기반암진단및치료효과모니터링연구 스펙트럼전산화단층촬영의적용및최신동향 흉부디지털단층영상합성시스템소개및최근연구동향 핵의학 PET/CT 의임상적용 헬스케어웨어러블디바이스의기술및시장동향 www.theieie.org

More information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세미나자료집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2007.12.27(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워크숍일정표 시간주제사회 10:00-10:20 등록 10:20-10:30 개회사축사 : 신인철과장 ( 교육인적자원부폭력대책팀 ) 10:30-11:10 기조강연 : 학교성교육과교사의역할

More information

이석빈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2 권기원 김동윤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2 권기원 최윤호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2 권기원

이석빈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2 권기원 김동윤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2 권기원 최윤호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2 권기원 학번 이름 전공 학년 상담교수 2006312985 곽정헌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4 공배선 2007310678 정연우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4 공배선 2007310952 이충의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4 공배선 2007311111 강민주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 (317304) 4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5권 5호 2018 년 5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5. no.5 수중 IoT(UIoT:Underwater Internet of Things) 수중통신개요 수중기지국기반수중음파통신기술과활용분야 수중음파통신기술과동향 수중무선광통신기술동향 수중극저주파 (Extremely Low Frequency)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논문 10-35-03-03 한국통신학회논문지 '10-03 Vol. 35 No. 3 원활한 채널 변경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IPTV 채널 관리 알고리즘 준회원 주 현 철*, 정회원 송 황 준* Effective IPTV Channel Control Algorithm Supporting Smooth Channel Zapping HyunChul Joo* Associate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5권 9호 2018 년 9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5. no.9 4 차산업혁명시대의로봇산업 4차산업혁명과로봇산업 소프트로보틱스와피킹기술 4차산업혁명시대의소셜로봇현황과미래전망 드론용구동모듈의기술동향 상지절단자를위한재활보조장치의국내외제품현황및연구동향 www.theieie.org Contents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외국인환자유치사업활성화및안전성확보방안행사개요 주최 : 보건복지부 주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상 : 유치기관, 지자체, 외국인환자유치사업관심있는모든분 일정 ( 총 3시간 ) 일시장소대상지역 6.13( 수 ) 14:00 17:00 건양대병원암센터 5 층대강당대전 ( 충청 전라 ) 설명회 ( 4 회 ) 6.14( 목 ) 14:00 17:00 부산국제신문사 4 층중강당부산

More information

- 2 -

- 2 - II. 국제전파관리기구및관계법령 - 2 - 표2.1 ITU 운영진(2007~2010) - 3 - 표2.2 ITU 연혁 연도 1865(01 차PP) 주요내용 International Telegraph Convention 체결(Paris) ITU(International Telegraph Union) 설립 -Telegraph Regulations의최초발효 1868(02

More information

?

? 2015. MAY VOL. 123 IBK Economic Research Institute CONTENTS 2015. May vol.123 M MANAGEMENT LOUNGE 022 024 026 028 E ECONOMY LOUNGE 030 034 036 038 C CEO LOUNGE 044 042 046 BUSINESS MANUAL 014 016 020 B

More information

07변성우_ok.hwp

07변성우_ok.hwp 2 : (Regular Paper) 19 5, 2014 9 (JBE Vol. 19, No. 5, September 2014) http://dx.doi.org/10.5909/jbe.2014.19.5.631 ISSN 2287-9137 (Online) ISSN 1226-7953 (Print) a), a), b) Metadata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More information

<362D C3D6BFEBBCBA29B0D4B8B1B6F3C0FC20BEE7BBF3C0C720BAAFC8ADB0FAC1A420B0EDC2FB2E687770>

<362D C3D6BFEBBCBA29B0D4B8B1B6F3C0FC20BEE7BBF3C0C720BAAFC8ADB0FAC1A420B0EDC2FB2E687770>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More information

직접비에비례하여간접비가발생하지않는비목의일부를제외하거나 상한을설정하여산정한수정직접비에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 비율을곱한금액 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비율에 이하의조정비율을적용하여 산정한조정간접비비율을직접비에곱한금액 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비율에직접비규모별차별적인조정비율을 적용하

직접비에비례하여간접비가발생하지않는비목의일부를제외하거나 상한을설정하여산정한수정직접비에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 비율을곱한금액 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비율에 이하의조정비율을적용하여 산정한조정간접비비율을직접비에곱한금액 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비율에직접비규모별차별적인조정비율을 적용하 국가연구개발사업기관별간접비계상기준 안 미래창조과학부고시제 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관리등에관한규정 제 조제 항에따라중앙 행정기관의장이지급하는연구개발비중간접비에대한계상기준을다음과같이고시합니다 년 월 일 미래창조과학부장관 국가연구개발사업기관별간접비계상기준 제 조 목적 이기준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관리등에관한규정 제 조 제 항에따른간접비중동규정제 조제 항에따라중앙행정기관의

More information

<B8B6B1D4C7CF2DBAD0BEDFB0CBC5E4BFCF2DB1B3C1A4BFCFB7E128C0CCC8ADBFB5292DC0DBBCBAC0DAB0CBC1F5BFCF2DB8D3B8AEB8BB2DB3BBBACEB0CBC1F52E687770>

<B8B6B1D4C7CF2DBAD0BEDFB0CBC5E4BFCF2DB1B3C1A4BFCFB7E128C0CCC8ADBFB5292DC0DBBCBAC0DAB0CBC1F5BFCF2DB8D3B8AEB8BB2DB3BBBACEB0CBC1F52E687770> 가정용 지능로봇의 기술동향 머리말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기술의 특징 4 제3장 가정용 로봇 산업 및 기술수요 전망 14 4장 가정용 로봇의 기술동향 27 5장 주요국의 가정용 로봇의 기술정책 분석 61 6장 국제표준화와 특허출원 동향 80 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86 참고문헌 92 표 목차 그림 목차 제1장 서 론 1. 기술동향분석의 목적 및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4권 8호 2017 년 8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8 딥러닝을포함한인간행동인식최신기술동향 비디오기반행동인식연구동향 지능형자동차를위한야간보행자검출기술 의미론적연관성분석을위한영상정합동향 최근표정인식기술동향 무인비행체임베디드조난자탐지시스템 MPEG-I 표준과 360 도비디오콘텐츠생성 컴퓨터비전및영상처리를위한컬러시스템의이해

More information

< C7D0B3E2B5B C0B6C7D520C7D0BDC0B5BFBEC6B8AE2031C2F720BCB1C1A4C0DA20B8EDB4DC2E786C7378>

< C7D0B3E2B5B C0B6C7D520C7D0BDC0B5BFBEC6B8AE2031C2F720BCB1C1A4C0DA20B8EDB4DC2E786C7378> 2018 학년도 IT 융합학습동아리 1 차선정자명단 순번 팀명 지도교수 번호 학번 학과 학년 구분 지원금액 비고 1 20141935 컴퓨터공학과 4 대표학생 1 하드스플로잇 이현빈 2 20131689 컴퓨터공학과 4 구성원 3 20141901 컴퓨터공학과 4 구성원 4 20141928 컴퓨터공학과 3 구성원 5 20121509 전기공학과 4 대표학생 2 취목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사회복지용 지능로봇 기술동향 머 리 말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기술의 특징 3 제3장 사회복지용 지능 로봇산업의 기술 수요 전망 11 제4장 사회복지용 지능 로봇의 기술 동향 32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03 참고문헌 109 표 목차 그림 목차 제1장 서 론 1. 목적 및 필요성 2. 분석내용 및 범위 제2장 기술의 특징 1. 지능형 로봇기술의

More information

0-학기기말고사시간표 (/) A 강민수 A0 공업수학 강민수 A 임창수 A0 PLC기초및실습 임창수 SW전공 B 정호성 I0 JavaScript실습 (시간) 정호성 A 김휘동 A0 사출금형 김휘동 B 김원욱 A0 공업수학 강민수 B 김동근 A0 PLC기초및실습 임창수

0-학기기말고사시간표 (/) A 강민수 A0 공업수학 강민수 A 임창수 A0 PLC기초및실습 임창수 SW전공 B 정호성 I0 JavaScript실습 (시간) 정호성 A 김휘동 A0 사출금형 김휘동 B 김원욱 A0 공업수학 강민수 B 김동근 A0 PLC기초및실습 임창수 0-학기기말고사시간표 (/) A 노기준 A0 의사소통능력 노기준 A 하종근 A0 설계제도응용 김종겸 A 최병오 S0 산업디자인기초 (시간) 최병오 SW전공 A 강돈형 I0 대인관계와직업윤리 강돈형 A 정대성 A0 전기기기실험 정대성 A 김종겸 A0 기계제도 김종겸 B 김성진 A0 의사소통능력 노기준 B 이상규 A0 설계제도응용 김종겸 EV전공 B 홍종탁 A0

More information

소식지수정본-1

소식지수정본-1 2010. 7 통권2호 2 CONTENTS Korea Oceanographic & Hydrographic Association 2010. 7 2010년 한마음 워크숍 개최 원장님께서 손수 명찰을 달아주시면서 직원들과 더욱 친숙하게~~ 워크숍 시작! 친근하고 정감있는 말씀으로 직원들과 소통하며 격려하여 주시는 원장님... 제12차 SNPWG 회의에 참석 _ 전자항해서지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4권 11호 2017 년 11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4. no.11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그리고응용시스템 멀티미디어분석을위한기계학습 딥러닝을이용한객체분류및검출기술 뉴로닉 (NeuronlC) 새로운서비스와메모리아키텍처의변화 고성능 BCI(Brain

More information

2018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8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7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8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연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및 이

2018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8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7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8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연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및 이 ISSN 1016-9288 제45권 2호 2018 년 2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5. no.2 차세대동영상압축기술 JVET 차세대비디오부호화표준화동향 차세대비디오부호화의블록분할구조 차세대비디오부호화를위한 JVET 인트라예측기술 FVC 기술소개 - JVET Inter Prediction MPEG-FVC 의딥러닝응용비디오압축기술

More information

대회명 : 제 8 회전라남도땅끝배전국보치아선수권대회 장 소 : 경기장 - 동백체육관 일시 : ~ 4. 9

대회명 : 제 8 회전라남도땅끝배전국보치아선수권대회 장 소 : 경기장 - 동백체육관 일시 : ~ 4. 9 대회명 : 장 소 : 경기장 - 동백체육관 일시 : 2017. 4. 7 ~ 4. 9 Event Total Entry Pool Number Advance Number in a pool Point Qualifier KO Position Individual BC1 - - - - - Individual BC2 - - - - - Individual BC3 43 14

More information

,, RFID,. ITU-R [7], IoT (Internet of Thing), (ultra reliable) (low latency). IoT ( ) , [1]., [8] 10 IoT.,. Ofcom [10] IoT/M2M, (utilities),,

,, RFID,. ITU-R [7], IoT (Internet of Thing), (ultra reliable) (low latency). IoT ( ) , [1]., [8] 10 IoT.,. Ofcom [10] IoT/M2M, (ut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2016 Jul.; 27(7), 588598. http://dx.doi.org/10.5515/kjkiees.2016.27.7.588 ISSN 1226-3133 (Print)ISSN 2288-226X (Online) A Promoting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KOREA SOONGSIL CYBER UNIVERSITY http://www.kcu.ac KOREA SOONGSIL CYBER UNIVERSITY CONTENTS 04 05 06 08 09 33 Educational Philosophy & Vision 01 02 03 04 01 03 05 02 04 06 4 / 5 MESSAGE FROM THE PRESIDENT

More information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2016. 3 GPS 2020 본과업은대학발전 TASK FORCE 팀에 의하여연구되었습니다. 2016. 3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Ⅰ 1. 8 2. 8 3. 12 4. 13 5. 14 6. 16 7. 17 Ⅱ 1. 20 2. 21 3. 24 4. 25 Ⅲ 1. 28 2. 29

More information

2015 국민대학교 자체평가보고서

2015 국민대학교 자체평가보고서 2015 국민대학교 자체평가보고서 1 2015 국민대학교 자체평가보고서 국민대학교 개황 대학 현황 우리 대학은 민족 수난기에 조국의 광복운동을 이끌어 온 애국자 해공 신익희 선생을 비롯한 상해 임시정부 요인들이 건국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설립한 해방 후 최초의 사립대학이다. 금년으로 개교 65주년을 맞이한 우리 대학교는 해공 선생의 건학이념과 성곡 선생의

More information

<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B1E2C8B9BDC3B8AEC1EE2DB1E8B1A4BCAE>

<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B1E2C8B9BDC3B8AEC1EE2DB1E8B1A4BCAE> 기획시리즈 기획시리즈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의 국내외 시장 및 정책 동향 이현지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연구원 lea5447@hanyang.ac.kr 김광석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겸임교수 1. 사물인터넷의 정의와 중요성 2. 사물인터넷의 국내 시장 및 정책 동향 3. 세계 주요국의 사물인터넷 시장 및 정책 동향 4. 정책 및 시사점 1. 사물인터넷의 정의와

More information

Layout 1

Layout 1 맞맞맞맞맞맞맞 :Layout 1 2014-07-17 맞맞 11:09 Page 1 맞춤형고용 복지전달체계해외사례연구 Ⅰ 연구보고서 2013-08 http://hrd.koreatech.ac.kr 맞춤형고용 복지전달체계해외사례연구 Ⅰ 김주일편저 지은이 김주일 ( 한국기술교육대학교부교수, HRD 연구센터장 ) 정재훈 ( 서울여자대학교교수 ) Sven E. O. Hort(

More information

2015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5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4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5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속히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년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2015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5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4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5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속히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년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전자공학회지 2015.2월호 _레이아웃 1 15. 02. 13 오후 2:56 페이지 1 ISSN 1016-9288 제42권 2호 2015년 2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제 4 2 권 제 2 호 ( 2 0 1 5 년 2 월 ) 바이오 신호 측정 및 처리 国內唯一의 日本 工学. 産業 技術情報図書館 vol.42. no.2 바이오 신호 측정

More information

ISSN 1016-9288 제45권 8호 2018 년 8 월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5. no.8 AR/VR 을위한비전기술및 Deep Learning 최신동향 딥러닝을이용한영상기반 3차원얼굴복원기법의기술동향 시선추적기술의소개 360 도영상을이용한 AR/VR 콘텐츠생성 저용량프로세서를위한딥러닝레이어압축기법과응용 의미적분할을위한약지도기계학습

More information

<BFA1B3CAC1F62C20C8AFB0E62CB0C7BCB320BAD0BEDFC0C720B9CCB7A1C0AFB8C1B1E2BCFABCB1C1A42E687770>

<BFA1B3CAC1F62C20C8AFB0E62CB0C7BCB320BAD0BEDFC0C720B9CCB7A1C0AFB8C1B1E2BCFABCB1C1A42E687770> 머 리 말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포럼의 진행방법 9 제3장 제1차 토론회 13 제4장 제2차 토론회 45 제5장 제3차 토론회 71 제6장 결 론 81 참고문헌 85 표 목차 제1장 서 론 1. 포럼의 목적 2. 포럼의 내용 및 범위 제2장 포럼의 진행방법 1. 포럼의 진행방법 2. 포럼 참여 전문연구위원 제3장 제 1 차 토론회 1.

More information

Shot Distribution 무안초등학교 Players Goals / Shots 2 정준성 3 이동율 4 임도윤 5 이동주 7 최원준 1 / 1 0 / 0 0 / 0 0 / 0 0 / 0 1 / 3 1 / 2 0 / 0 0 / 1 0 / 0 0 / 0 1 / 3 1

Shot Distribution 무안초등학교 Players Goals / Shots 2 정준성 3 이동율 4 임도윤 5 이동주 7 최원준 1 / 1 0 / 0 0 / 0 0 / 0 0 / 0 1 / 3 1 / 2 0 / 0 0 / 1 0 / 0 0 / 0 1 / 3 1 Team Statistics 무안초등학교 Players Shots Offence Deffence Punishments RB No. Name G/S % 6m Wing 9m 7m FB BT AS TF BD BS ST YC 2Min RC DR Running 1 박승호 0 / 0 00:00 2 정준성 0 / 0 00:00 3 이동율 1 / 1 100.0% 1 / 1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PROGRAM 시간내용 09:30~10:00 등록 10:00~10:10 개회사권태신 ( 한국경제연구원원장 ) 10:10~10:20 기조연설복거일 ( 작가 ) 10:20~10:50 [30 ] 발제 가파른최저임금인상 : 고용재앙 박기성 ( 성신여자대학교경제학과교수 ) 종합토론 10:50~12:00 [70 ] 사회현진권 ( 자유경제원원장 ) 토론김이석 ( 시장경제제도연구소소장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