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1B1C733C8A32DC5EBC7D52DC3D6C1BE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3131B1C733C8A32DC5EBC7D52DC3D6C1BE2E687770>"

Transcription

1

2 編 輯 委 員 위원장 : 조우현(숭실대학교 교수) 위 원 : 강경종(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강상진(연세대학교 교수) 김대일(서울대학교 교수) 김미숙(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김상진(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김안국(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배진한(충남대학교 교수) 신동균(한양대학교 교수) 오호영(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이수경(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정일환(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홍성우(전남대학교 교수) 간 사 : 윤형한(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이 學 術 誌 에 發 表 되는 論 文 의 내용은 執 筆 者 의 의견이며 韓 國 職 業 能 力 開 發 院 의 공식적 견해와는 無 關 함) 連 絡 事 務 室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2동 15-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획조정실 기획팀 전화:(02) 팩스:(02) 홈페이지:

3 目 次 비경제활동-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전재식) 1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최문경 이기엽) 23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하향취업 행태 (이찬영) 49 인적자원의 개발 및 관리와 기업성과 (이경희 정진화) 71 전략적 인사관리에서의 근로자 태도의 매개효과 (오계택 윤양배) 97 기업의 공식적 멘토링에서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 규명 (장정훈) 127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온라인 과제가치가 만족도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주영주 김소나 김수미) 151 중소기업에서의 학습지향성, 학습행동, 조직환경 및 학습성과의 인과관계 (김강호 나승일) 171 진로교육에 대한 고교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임 언) 193 E-learning의 정서적 반응 및 학습성과가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오영 임효창 김세종) 219 이러닝(E-learning) 사이트 특성이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노미진 이원빈 정경수) 237 사회적 관계특성이 군 조종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질의 조절효과 (최인옥 이진규 노명화) 263 기업 내 임금분산의 선행요인 및 효과: 성과급의 임금분산 효과 및 임금분산의 의식과 태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구자숙 한 준 박찬웅) 285

4

5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1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3), , pp. 1~22 c 韓 國 職 業 能 力 開 發 院 비경제활동-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1)2) 전 재 식** 본 논문은 비경제활동인구의 직업훈련 참여 여부 및 참여 정도가 이들의 취업능 력 제고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지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 도 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비경제활동인구의 직업훈련 참여 여부는 취업에 다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단되는 가운데 참여 정도 또한 취업확률에 긍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훈련 참여 정도의 임금효과는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근거로 비경제활동인구 대상 직업훈련정책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비경제활동인구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 개발, 대상별 직업훈련 내 용의 세분화, 직업훈련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수요 중심형으로의 프로그램 내실화 등을 제언하고 있다. - 주제어: 비경제활동인구, 훈련 참여, 취업확률, 임금효과 투고일: 2008년 10월 30일, 심사일: 11월 13일, 게재확정일: 12월 16일 * 본 논문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08년 기본연구인 평생직업능력개발체제 혁신(Ⅰ): 직업 능력개발정책과 고용정책과의 연계 강화 중 일부 내용을 논문 형식으로 수정ㆍ보완한 것이 다. 유익한 논평을 해 주신 익명의 두 심사자들께 감사를 드리며, 본 연구에 남아 있을 수 있 는 오류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필자에게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jjs@krivet.re.kr)

6 2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Ⅰ. 문제의 제기 우리나라의 인력 관련 연구는 주로 노동력 활용에 관심이 모아져 왔고, 경제활동에 참 가하지 않는 그룹인 비경제활동인구에 대해서는 분석의 의의가 그다지 인정되지 않아 왔 다. 이는 실업대책은 실업으로 인한 인적자본 낭비 문제의 해결이라는 확고한 근거를 지 니지만, 비경제활동인구의 노동력 증가정책은 실업대책만큼 명확한 추진 근거를 제시하 기 어려웠기 때문이다(윤희숙, 2005). 특히 이들이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정책적으로 배려해야 할 필요와 명분이 분명하지 않다. 더구나 비경제활동인구 의 문제에 대한 정책적 해법은 고용보다는 주로 복지차원에서 접근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노동력(labor force) 1) 자체가 감소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처방으로써 비경제활동인구의 노동력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비경제 활동인구의 노동력화에 관심을 가져야 할 가장 큰 이유는 고령화 등으로 인한 노동력 감 소에 대한 대응뿐만 아니라 근로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이유로 노동시장에 진입 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사회ㆍ경제적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위해서다. 김가율 (2006)은 근로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노동시장 외부자로 머물러 있게 되 면, 개인적 차원에서는 소득상실뿐 아니라 사회ㆍ심리적 복지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사회적 차원에서 이러한 현상이 만연하면 사회적 통합을 저해하고 생산인 구의 유휴화로 경제적 손실이 초래되며 나아가 공공부조와 같은 복지 지출을 유발하여 국가의 재정을 압박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고 하였다. 국제적으로도 비경 제활동인구에 머무르는 인구 비중을 경제의 비활동성(inactivity)으로 규정하고 이를 감 소시키는 것을 중요한 정책목표로 제시하기 시작하였다(OECD, 2003b). 2) 향후 비경 제활동인구의 노동력화에 대한 정책적 중요성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견된다. 그러면 이들에게 (적어도 단순한 일자리라도) 일자리 제공에 대한 보장도 없이 막연한 기대감만으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유인할 수 있을 것인가?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 1) 노동력이란 근로자 수 근로시간 수 로 표시된다. 2) OECD(2003b)는 조기퇴직이나 높은 비경활인구율을 방지하고, 취약계층의 노동시장 참여 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회원국의 중요한 사회정책의 하나로 설정하고 있다.

7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3 어 노동시장에서 퇴장한 (그러나 노동시장에 진입하기를 희망하는) 비경제활동인구들에 게 취업능력을 제고시켜 줌으로써 이들이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해 주는 노동정책 이야말로 사회ㆍ경제ㆍ복지 측면에서 효율적일 것이며, 또한 정책의 중요한 목표가 될 것이다. 문제는 그 방법이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본 논문은 비경제활동인구의 직업훈련 참여 여부 및 강도(집중도)가 이들의 취업능력 제고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가를 추정하여, 비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진입과정에 서 직업훈련이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해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경제활동인구의 규모 및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유형별로 어떠한 구조를 갖고 있고, 인적 특성은 어떠한지 등을 분석한다. 또한 비경제활동상태-고용상태 간 이행과정 에 있어서 어떠한 특성을 지닌 사람들이 취업상태로 가고 있는지 등을 패널데이터로 연 결하여 동학적 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비경제활동인구의 이행과정에 있어서 훈련참여시 간, 훈련참여기간, 훈련비용을 대리변수로 하여 직업훈련 참여 및 강도(집중도)가 취업 및 임금에 어느 정도 효과를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추정한다. 셋째, 상기 실증분석 결과 를 토대로 직업훈련이 비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참여, 구체적으로 취업능력 제고를 위 해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정책적 제언을 도출한다. Ⅱ. 비경제활동인구의 규모 및 구조 1. 비경제활동인구의 유형별 규모 비경제활동인구 규모는 최근 들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07년 현재 14,954 천 명에 이른다. 3) <표 1>은 2007년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학력별로 구분하여 각 인적 속성에 대해 절대 수치와 비중을 제시한 것이다. 먼저,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2배가 량 많으며, 연령별로는 15~29세 청년층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30~54세의 중장년층, 3) 이에 따라 (비경제활동인구/생산가능인구) 100 으로 계산되는 비활동성비율(inactivity ratio)은 2004년 38.0%에서 2005년 38.1%, 2007년 38.3%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8 4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65세 이상 고령층, 55~64세의 중고령층 등의 순서였다. 그러나 연령계층을 성별로 세 분화하여 보면, 각기 다른 형태가 나타나게 됨을 볼 수 있다. 즉, 남성은 청년층이 가장 높은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절대 수에 있어서도 중장년층ㆍ중고령층ㆍ고 령층을 모두 합한 규모보다 많은 반면에, 여성은 오히려 청년층의 비중이 30~54세의 중장년층보다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경우 졸업 후 노동시장에 진입하였다가 30 대에 접어들면서 육아 및 가사 등의 이유로 노동시장을 퇴장함으로써 경력단절이 발생하 는 것을 알 수 있다. 남녀 모두 학력이 낮을수록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표 1> 비경제활동인구의 인적 속성(2007년 기준) 성별 남자 여자 학력별 연령별 (단위: 천 명, %) 전체 15~29세 30~54세 55~64세 65세 이상 전 체 4,961(33.2) 2,611(17.5) 705(4.7) 511(3.4) 1,133(7.6) 중졸 이하 2,424(16.2) 1,280(8.6) 198(1.3) 255(1.7) 691(4.6) 고 졸 1,875(12.5) 1,139(7.6) 302(2.0) 167(1.1) 267(1.8) 대졸 이상 661(4.4) 192(1.3) 205(1.4) 88(0.6) 176(1.2) 전 체 9,993(66.8) 2,714(18.1) 3,873(25.9) 1,192(8.0) 2,214(14.8) 중졸 이하 4,723(31.6) 1,164(7.8) 711(4.8) 835(5.6) 2,013(13.5) 고 졸 3,551(23.7) 1,111(7.4) 2,001(13.4) 277(1.9) 163(1.1) 대졸 이상 1,719(11.5) 439(2.9) 1,162(7.8) 80(0.5) 38(0.3) 주: 1) 구직기간(job searching period) 4주 기준임. 2) ( )안의 수치는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에 대한 각각의 비중임. 자료: 통계청(2007).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2. 비경제활동인구의 동학적 구조 변화 그러면 어떠한 경로를 통해 비경제활동 상태에 머무는 것일까? 한 번 비경제활동 상태 에 머물게 되면 계속해서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것일까? 이하에서는 경제활동상태의 변화에 대해 동학(dynamic)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과거(t-1기) 대비 현재(t기) 경제활동상태 변화에 대한 추이 및 현황 분석을 수행한다.

9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5 먼저 <표 2>는 경제활동상태 변화에 대한 총괄을 보여 준다. 기준기간으로서 2007년 1월에 비해 2007년 12월의 11개월 동안 어떠한 경제활동상태의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 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패널로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 실업, 비경제활동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변화가 없는 경우는 전체의 83%이며, 나머지 17%는 지난 11개월 동안 경제활동상태가 변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중 취업 상태에서 비경제활동상태로의 변화는 6.5%, 반대로 비경제활동상태에서 취업상태로의 변화는 7.3%에 이른다. <표 2> 경제활동상태의 동학 변화(2007년 1월 2007년 12월) 4) (단위: 천 명, %) t t-1 취 업(Et) 실 업(Ut) 비경활(Nt) 취 업(Et-1) 20,213(49.9) 365(0.9) 2,617(6.5) 실 업(Ut-1) 452(1.1) 96(0.2) 254(0.6) 비경활(Nt-1) 2,966(7.3) 227(0.6) 13,330(32.9) 주: 1) 패널 연결과정에서 (각주 4)의 요인에 의해서 결측치가 16,542천 명이 발생함. 이를 다른 조건이 동일할 경우 결측치에 해당하는 인력들도 상기의 비중과 동일한 특성을 지 닌다는 강한 가정을 적용하여 결측치에 대해 각각의 비중만큼 가중치를 주어 각 셀에 더 함. 2) ( )안의 수치는 전체에 대해 각각의 비중을 나타냄. 자료: 통계청(2007).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2007년을 기준 시점으로 계속적으로 비경제활동상태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에 대한 성 별, 연령별, 학력별 인적 속성을 각각 알아보면, <표 3>에서 나타나듯이 전체 인원 중 약 2/3가 여성이고 나머지 1/3은 남성인 가운데, 그 중 중졸 이하 학력을 가진 여성 고령자 는 전체 중 16.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고졸 학력을 가진 중장년층 여성이 12.6%였다. 또한 학력별로는 남녀를 불문하고 저학력일수록 비경제활동상태로 계속해 서 잔존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남성은 15~29세 연령층에서, 여성의 경우는 30~54세 연령층에서 비경제활동 상태에 계속해서 머무는 비중이 높았다. 4) 경제활동인구조사의 표본 규모는 총 32,000만 가구다. 이때 응답자의 응답부담 완화와 표본 의 노후화 현상 및 전면 표본개편에 따른 신구 계열 괴리 현상 감소를 위해 약 900가구를 매월 교체하는 연동표본 교체방식을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 기간으로 하고 있는 200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11개월 기간 동안 전체 표본 중 30.9%에 해당하는 9,900가구의 표본이 교체되었다.

10 6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표 3> [비경제활동상태 비경제활동상태]에 대한 인적 구성(2007년 12월 기준) 성별 연령별 학력별 중졸 이하 고졸 대졸 이상 전체 (단위: %) 15~29세 ~54세 남자 55~64세 세 이상 전체 ~29세 ~54세 여자 55~64세 세 이상 전체 전체 주: 전체에 대한 각각의 비중임. 자료: 통계청(2007).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표 3>은 각 계층에 대한 구성비를 감안하지 않은 경우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 인적 구성에 해당하는 비경제활동인구를 전체로 하여 각각이 차지하는 비중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제시한다. 성별로는 <표 3>과 마찬가지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나 그 차이는 줄어들었으며, 학력별로는 남녀 모두 학력이 낮을수록 비경제활동상태에 계속해 서 머무는 경우가 높았다. 연령별로는 남녀 모두 15~29세 연령층을 제외하고는 연령이 높을수록 그 비중이 커지는 방향을 보인 가운데 남성의 경우는 15~29세 연령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1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7 <표 4> 전체 비경제활동인구 중 [비경제활동상태 비경제활동상태]의 구성(2007년 12월 기준) (단위: %) 성별 연령별 학력별 중졸 이하 고졸 대졸 이상 전체 15~29세 ~54세 남자 55~64세 세 이상 전체 ~29세 ~54세 여자 55~64세 세 이상 전체 전체 주: 각 구성인원 전체를 기준으로 한 각각의 비중임. 자료: 통계청(2007).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이하에서는 경제활동상태의 변화에 따른 구조를 분석한다. <표 2> 중 본 연구의 내용 에 집중하기 위해 비경제활동상태 취업상태 간 이행자에 한정하여 인적 속성 및 노동 시장 구조를 분석한다. 다음의 [그림 1]에서 [그림 3]까지는 비경제활동상태 취업상태 간 이행자들을 성 별, 연령별, 학력별 인적 속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다. 먼저, [그림 1]을 보면 여성 이 남성보다 1.6배 높은 가운데 남녀 모두 경제활동상태의 이동 비중이 같음을 알 수 있 었다. 또한 [그림 2]의 연령별로 이동 분석 결과, 먼저 취업 상태에서 비경제활동상태로 의 이동은 연령이 낮을수록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비경제활동상태에 서 취업상태로의 이동은 30~54세 중장년층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15~29세 청 년층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림 3]의 학력별 이동결과를 보면, 학력이 낮을수록 취업 상태에서 비경제활동상태로의 이동이 크게 나타난 반면, 비경제활동상태에서 취업상태로 의 이동은 고졸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중졸 이하, 대졸 이상의 순서였다.

12 8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그림 1] 성별 경제활동상태 변화 비중(2007년 12월 기준) <취업상태 비경제활동상태> <비경제활동상태 취업상태> [그림 2]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상태 변화 비중(2007년 12월 기준) <취업상태 비경제활동상태> <비경제활동상태 취업상태> [그림 3] 학력수준별 경제활동상태 변화 비중(2007년 12월 기준) <취업상태 비경제활동상태> <비경제활동상태 취업상태>

13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9 Ⅲ. 비경제활동인구 대상 직업훈련의 효과 1. 추정모형 설정 및 변수 설명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이슈는 두 가지다. 첫째는 직업훈련의 강도(집 중도)가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는가?, 둘째는 직업훈련의 강도 (집중도)가 비경제활동인구의 임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는가? 다. 이를 위해 종속변수 에 취업 및 미취업 5) 유무(취업=1, 미취업=0)를 가변수(dummy variable)로 하고,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통제변수들과 훈련시간 및 훈련기간, 훈련소요비용 등 훈련강도 (집중도)를 나타내는 대리변수(proxy variable)를 설명변수로 하여 로짓모형(logit model)으로 취업효과를 추정한다. 6) 또한 종속변수에 임금수준을(연간 급여 기준) 놓고 상기 설명변수를 이용하여 임금효과를 추정한다. 7) 이 때 임금수준은 실태조사에서 얻은 월 평균 급여를 연간 급여로 전환하여 로그형태로 변환한 후 사용한다. 다만, 자료의 한계로 본 논문에서는 직업훈련 참여 여부 에 대한 취업효과 및 임금효과 를 추정하지는 못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비경제활동인구 모두를 대상 으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random sampling)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 5) 미취업상태는 실업상태와 비경제활동상태를 포함한다. 이는 직업훈련 참여자들은 노동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참여하였을 것이라고 감안한다면, 비경제활동상태도 중장기적으로는 실업상태와 같을 것이라는 전제하에서다. 6) 추정모형인 로짓모형의 추정식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7) 추정모형 Mincerian Earnings Function 단, ~ 여기서 Wi는 비경제활동인구 취업 자들의 임금수준, VETi는 이들의 직능사업 참여 여부, 기간 등, Xi는 individual ability variable임.

14 10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한 후, 그 결과를 이용하여 직업훈련 참여자와 미참여자 간 취업여부 및 임금효과를 추정 하는 실험적 방법(experimental method)을 사용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비경제활동 인구에 대한 접근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경제활동인구의 직업훈련 참여율도 극히 낮아 직업훈련 참여 비경제활동인구에 대해 통계적으로 신뢰성 있고 유의할 만한 조사규모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다(만약 가능하다 하더라도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직업훈련 참여 집단(treatment group)과 동일한 인적 속성들을 지닌 직업훈련 비 참여 집단(comparison group)을 구성한 후, 두 집단 모두에 대해 조사하여 훈련참여의 성과지표들을 조사한 후 추정하는 준실험적 방법(quasi-experimental method)도 비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표본틀을 구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워 도입하기 불가능하다. 따라 서 직업훈련 참여 여부 에 대한 취업효과 및 임금효과에 대해서는 상기의 두 가지 이슈에 대해 각각 직업훈련 강도(집중도)를 추정하는 과정과 실태조사 결과를 기초로 예단하는 수준에서 그치도록 한다. 한편, 설명변수 중 통제변수(control variable)로서 성, 연령, 학력, 혼인상태, 가구 주 여부, 직업훈련 참여 후 얻은 직장의 계속근로 여부, 이전 직장 유무, 사업체 규모, 산 업, 직업 등을 사용한다. 학력은 중졸 이하, 고졸, 전문대졸, 대졸 이상 등 4개로 구분하 여 고졸을 기준으로 더미변수로 처리하였다. 또한 취업의 특성을 모형에 반영하기 위해 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대분류 기준으로 총 7개(농림어업 및 광업 제외)로 구분하여 제조업을 기준으로 더미 변수화 하였으며, 직업은 표준직업분류상 대분류 기준으로 총 9 개로 더미변수로 처리하였다. 사업체규모는 1~4인, 5~9인, 10~99인, 100~299인, 300인 이상 등 5개로 구분한 후 300인 이상 대기업을 기준으로 더미변수로 처리하였다. 2. 분석 자료 본 절의 실증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를 통한 취업능력 제고 현황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 다. 8) 본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 HRD-net DB상 실업자 훈련(신 규 및 전직실업자 훈련) 이수자를 표본틀(sample frame)로 성별과 연령별로 계층화하여 표본추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직업능력개발훈련 신청 전 1개월 기준으로 경제활동상태가 어떠하였는지 를 질문하여 비경제활동상태라고 답한 500명을 최종적으로 조사한 것이다. 8) 본 실태조사는 2008년 8월 25일부터 9월 10일까지 전화조사( 및 Fax 조사 병행) 를 실시하였다.

15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11 <표 5> 조사대상자의 인적 속성 성별 연령별 학력별 혼인상태 가구 내 지위 경제수준 주: 1) 학력별의 경우 5명이 무응답함. 2) 비중은 전체 응답자 기준임. 구분 조사규모 비중 전체 남 자 여 자 ~29세 ~39세 ~49세 대 이상 중졸 이하 고 졸 전문대/기능대졸 대졸 이상 미 혼 기 혼 가 구 주 배 우 자 자 녀 형제ㆍ자매 하 층 중 하 층 중 층 중 상 층 상 층 (단위: 명, %) <표 5>는 상기의 절차에 의해 최종적으로 조사 완료한 응답자들의 인적 속성을 보여 준다. 성별로는 전체 응답자 중 45.2%는 남성이고, 54.8%는 여성 응답자다. 연령별로 는 20대가 46.0%의 비중으로서 가장 많은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으며, 30대는 33.2%, 40대는 14.4%, 50대 이상은 6.4%다. 학력별로는 고졸이 44.8%로서 가장 높은 비중 을 차지하였고, 대졸 이상 29.3%, 전문대졸(기능대졸 포함) 22.0%이며, 중졸 이하는 3.8%의 구성비다. 혼인상태별로는 미혼이 과반수인 50.8%고 기혼은 49.2%의 구성비 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구 내 지위에서는 가구주가 29.0%, 비가구주가 71.0%인 가운 데 비가구주 중 자녀, 배우자의 구성이 높았다. 경제수준에 있어서는 본인이 느끼기에

16 12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어느 정도 라고 질문한 사항에 대해 응답자 중 63.2%에 해당하는 316명이 중하층 이하 라고 응답한 반면, 중상층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경제활동인구는 3.2%에 그쳤다. 특히, 본인의 경제수준이 하층에 속한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중은 30.4%에 이르는 반면에 상 층이라고 응답한 자들은 없었다. 따라서 이들이 느끼는 경제적 격차는 매우 크게 존재하 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분석에 앞서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 후 비경제활동이었던 사람들의 경제활동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림 4]에서 보 듯이 직업능력개발사업(이 중 신규 및 전직실업자훈련 참여자)에 참여한 비경제활동인구 중 55.6%에 이르는 사람들이 참여 후 취업하였으며, 나머지 44.4%는 미취업상태에 머 문 가운데 이 중 27.0%는 참여 전후로 계속해서 비경제활동상태에 남아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인적 속성별로는 취업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참여 효과를 판단한다고 가정할 경우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다른 연령계층보 다 취업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더욱 세분하여 보면, 남성 30대의 경우가 가장 높은 취업 비중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남성 20대, 여성 20대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에 취업 비중이 가장 낮은 계층은 30대 여성인 가운데 여성의 경우 20대를 제외하고 는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 후 취업한 경우의 비중이 절반을 넘지 못했으며, 오히려 계속 해서 비경제활동 상태로 머무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림 4] 인적속성별 직업훈련 참여 후 경제활동상태 변화 (단위: %) 참여 전 직업능력 참여 후 비경활 개발사업 취업 실업 비경활 전체 500명 남자 20대 131명 남자 30대 56명 남자 40대 21명 남자 50대 이상 18명 여자 20대 99명 여자 30대 110명 여자 40대 51명 여자 50대 이상 14명

17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추정 결과 가. 직업훈련의 취업 효과 <표 6>은 상기의 절차에 따라 직업훈련 강도(집중도)의 취업효과를 이항로짓모형 (binomial logit model)으로 추정한 결과다. 즉, 과거에 비경제활동상태였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구직등록을 하고 받은 직업훈련에 있어서 훈련기간 및 훈련시간, 그리고 훈련 비용 수준이 취업 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먼저 <모형 1>은 총 직업훈련 참여시간의 많고 적음이 이들의 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추 정 결과며 계수 값은 크지 않지만 유의한 수준에서 훈련시간이 취업에 정(+)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2>는 훈련기간이 취업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한 결과다. 이 에 따르면 <모형 1>과 마찬가지로 계수 값이 정(+)의 효과가 나타남을 보고하고 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훈련비용의 많고 적음의 차이는 취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 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즉, <모형 3>은 훈련비용이 취업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한 것인데, 이에 따르면 계수 값이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음(-)의 결과를 보고하고 있었다. <표 6> 직업훈련 강도의 취업효과: 로짓분석 구분 모형 1 모형 2 모형 3 상수 2.065(1.526) 2.579(1.527)* 4.299(2.139)** 성별더미(남자=1, 여자=0) (0.107)*** (0.106)** (0.148)* 연령 (0.079) (0.078) (0.115) 연령제곱 0.001(0.001) 0.001(0.001) 0.001(0.002) 학력더미(고졸더미 기준) ㆍ중졸 이하 0.287(0.268) 0.288(0.266) (0.394)* ㆍ전문대졸 (0.124) (0.124) (0.163) ㆍ대졸 이상 (0.116)* (0.116)* (0.160) 혼인상태(기혼=1, 미혼=0) 0.357(0.144)*** 0.372(0.143)*** 0.319(0.179)** 가구주 여부 (0.127)** (0.130)*** (0.17)* 이전직장 경험 유무 0.060(0.111) 0.065(0.110) (0.168) 훈련시간 0.001(0.0004)* 훈련기간 0.002(0.003) 훈련비용 (0.004) LR N(표본수) 주: ( )안의 수치는 표준오차며, *는 10%, **는 5%, ***는 1% 신뢰수준에서 유의함.

18 14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이 밖에 여타 설명변수와 취업 여부와의 관계를 보면, 성별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이, 혼인 상태의 경우 미혼보다 기혼인 경우가, 또한 가구주 여부의 경우 가구주가 비가구주 인 경우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취업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전직장 경험 및 학력, 연령 등은 계수 값이 유의하지 않게 추정되고 있다. 그러면 비경제활동인구 대상 직업훈련 강도(집중도)의 취업효과는 인적 특성과는 상관 없이 동일한 특성을 가질 것인가? 윤희숙(2005), 김가율(2006)은 비경제활동인구를 일컬어 내부 구성원들 간의 인적 속성 및 노동시장 행태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이질적 집단들로 이루어진 집합체라고 하였는데, 이는 정책 제언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이 다. 즉, 비경제활동인구들의 직업능력개발을 통한 취업능력 제고 정책이 모든 계층을 막 론하고 동일해도 되는가, 아니면 남성 및 여성, 청년층 등 비경제활동인구의 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소위 목표 집단별 정책을 입안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중요한 함의를 주기 때문 이다. <표 7>에서 <표 9>까지는 인적 속성별로 직업훈련 강도(집중도)의 취업효과를 추정한 결과이다. 보고의 간결성을 위해 다른 설명변수들의 추정치는 제시하지 않고 직업훈련 강도 변수의 추정 결과만을 보고한다. 먼저 <표 7>을 보면, 남성 비경제활동인구의 경우 계수 값이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결과를 보여 훈련시간을 보다 증가시킬수록 취업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모형 1>). 그러나 훈련기간을 증가시키거나 이들 에게 훈련비용을 더욱 많이 지원하더라도 훈련의 취업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모형 2> 및 <모형 3>). 특히 훈련비용의 경우는 증가시킬수록 유의하지는 않지 만 오히려 취업의 확률을 낮추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7> 직업훈련 강도의 취업효과(남자): 로짓분석 구분 모형 1 모형 2 모형 3 훈련시간 (0.0006)* 훈련기간 (0.005) 훈련비용 (0.006) LR N(표본 수) 주: 1) ( )안의 수치는 표준오차며, *는 10%, **는 5%, ***는 1% 신뢰수준에서 유의함. 2) 기타 추정에 사용된 설명변수는 <표 6>과 동일하게 상수항을 포함하여, 연령 및 연령의 제곱, 학력 더미, 혼인상태, 가구주 여부, 이전직장 경험 유무 등이 포함됨.

19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15 여성 비경제활동인구의 경우, 직업훈련 참여 시 훈련시간 및 기간의 취업효과에 있어 서는 계수 값의 절대 크기 및 유의성에서 남성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즉, 훈련시간은 늘어날수록 유의한 수준에서 취업확률도 높아지고 있으나, 훈련기간의 다소 정도는 취업확률에 유의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훈련비용의 경우는 남성과 달리 유의한 수준에서 취업여부에 정(+)의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표 8> 직업훈련 강도의 취업효과(여자): 로짓분석 구분 모형 1 모형 2 모형 3 훈련시간 0.001(0.0005)* 훈련기간 0.002(0.004) 훈련비용 0.012(0.008)* LR N(표본 수) 주: 1) ( )안의 수치는 표준오차며, *는 10%, **는 5%, ***는 1% 신뢰수준에서 유의함. 2) 기타 추정에 사용된 설명변수는 <표 6>과 동일하게 상수항을 포함하여, 연령 및 연령의 제곱, 학력 더미, 혼인상태, 가구주 여부, 이전직장 경험 유무 등이 포함됨. 한편,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의 직업훈련 강도(집중도)의 취업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9>에 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성별의 경우는 물론이거나 전체를 대상으 로 한 추정결과와 계수 값의 크기 및 표준오차의 값도 매우 유사하였다. 또한 훈련비용의 많고 적음이 취업확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여성과 같이 오히려 음(-)의 결과를 보 이고 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표 9> 직업훈련 강도의 취업효과(20~29세 청년층): 로짓분석 구분 모형 1 모형 2 모형 3 훈련시간 0.001(0.0005)* 훈련기간 0.001(0.004) 훈련비용 (0.005) LR N(표본 수) 주: 1) ( )안의 수치는 표준오차며, *는 10%, **는 5%, ***는 1% 신뢰수준에서 유의함. 2) 기타 추정에 사용된 설명변수는 <표 6>과 동일하게 상수항을 포함하여, 성 더미, 학력 더미, 혼인상태, 가구주 여부, 이전직장 경험 유무 등이 포함됨.

20 16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나. 직업훈련의 임금 효과 <표 10>은 직업훈련 강도(집중도)의 임금효과를 최소자승법(OLS)으로 추정한 결과다. 직업훈련 참여(또는 이수) 후 취업한 자들을 대상으로 훈련기간 및 훈련시간, 그리고 훈련비 용 수준이 각기 임금수준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미쳤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결론부터 말하 자면 훈련시간, 훈련기간, 훈련비용 등으로 측정한 직업훈련의 강도(집중도)는 취업 시 임금 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모형 1> 및 <모형 2>의 경우 훈련시간 및 훈련기간은 유의하 지 않지만 오히려 추정치가 음(-)의 추정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훈련비용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도(<모형 3>) 추정치는 정(+)의 부호를 보이고는 있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표 10> 직업훈련 강도의 임금효과 구분 모형 1 모형 2 모형 3 상수 6.965(0.315)*** 6.974(0.316)*** 7.012(0.519)*** 성별더미(남자=1, 여자=0) 0.337(0.047)*** 0.336(0.047)*** 0.435(0.079)*** 연령 0.018(0.017) 0.018(0.017) 0.012(0.030) 연령제곱 0.000(0.000) 0.000(0.000) 0.000(0.000) 학력더미(고졸더미 기준) ㆍ중졸 이하 (0.132)* (0.132)* (0.152) ㆍ전문대졸 0.053(0.052) 0.053(0.052) 0.109(0.076) ㆍ대졸 이상 0.083(0.048)* 0.083(0.048)* 0.154(0.078)** 직훈참여 후 계속적인 취업 유무 0.004(0.042) 0.005(0.042) 0.000(0.063) 이전직장 경험 유무 0.088(0.046)* 0.088(0.046)* 0.096(0.078) 혼인상태(기혼=1, 미혼=0) (0.060)* (0.060) (0.088) 가구주 여부 0.156(0.047)*** 0.155(0.047)*** 0.094(0.075) 사업체규모 더미(300인 이상 기준) ㆍ1~4인 (0.088)* (0.088)** (0.142)** ㆍ5~9인 (0.090) (0.090) (0.140) ㆍ10~99인 (0.085) (0.085) (0.139) ㆍ100~299인 (0.098) (0.098) (0.153) 직업 더미(사무직 기준) ㆍ고위임직원 및 전문가 0.053(0.127) 0.053(0.127) (0.164) ㆍ기술공 및 준전문가 0.024(0.064) 0.023(0.064) (0.102) ㆍ서비스판매종사자 (0.057) (0.057) (0.092) ㆍ기능 및 단순노무자 (0.057) (0.057) (0.080)* 산업 더미(제조업 기준) ㆍ전기, 가스, 수도업 (0.186) (0.186) (0.256) ㆍ건설업 0.130(0.078)* 0.131(0.078)* 0.259(0.113)** ㆍ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0.081) (0.081) (0.103) ㆍ운수, 창고, 통신업 0.079(0.081) 0.081(0.081) 0.136(0.120) ㆍ금융, 보험, 부동산업 0.435(0.161)*** 0.435(0.161)*** 0.309(0.256) ㆍ기타 서비스업 (0.053) (0.053) (0.081) 훈련시간 (0.0001) 훈련기간 (0.001) 훈련비용 (0.001) Adj-R N(표본수) 주: ( )안의 수치는 표준오차며, *는 10%, **는 5%, ***는 1% 신뢰수준에서 유의함.

21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17 그러면 왜 직업훈련 강도(집중도)의 임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일까? 비록 실 업자 대상 실증분석이지만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는 없다 는 기존 선행 연구들(유경준ㆍ이 철인, 2008; 채창균ㆍ김미란, 2004; 황광훈, 2008)에서 주장하고 있는 논리를 본 추 정결과에 대한 원인으로 대입해도 무방할 것이다. 즉, 비경제활동인구들이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일차적인 목적은 취업(또는 창업)을 위한 것이지 보다 좋은 근로조건을 위한 것임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금수준과 상관없이 일자리가 있으면 바로 취업할 성 향이 클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직업훈련 강도(집중도)가 취업에 주는 효과에 대한 분석처럼 임금효과 에 있어서도 비경제활동인구 내부 구성원들의 인적 속성에 따라 각기 다른 패턴이 보이 지 않을까? <표 11>부터 <표 13>까지는 남성 및 여성, 그리고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를 대상으로 임금효과를 각기 추정한 결과다. 먼저 남성 비경제활동인구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 강도의 임금효과를 실증분석한 <표 11>을 보면, 훈련시간(<모형 1>) 및 훈련기 간(<모형 2>) 모두 추정치가 유의한 수준에서 음(-)의 결과를 보여 직업훈련 참여량이 길면 길수록 임금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즉, 남자의 경우 훈련 중이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일자리가 제공되면 중도에 훈련참여를 그만두고 취업하려는 성향이 높 기 때문이며, 이는 훈련을 최종까지 받는 사람일수록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노동시장 에서의 경쟁력은 떨어질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표 11> 직업훈련 강도의 임금효과(남자) 구분 모형 1 모형 2 모형 3 훈련시간 (0.0001)* 훈련기간 (0.001)** 훈련비용 (0.002) Adj-R N(표본 수) 주: 1) ( )안의 수치는 표준오차며, *는 10%, **는 5%, ***는 1% 신뢰수준에서 유의함. 2) 기타 추정에 사용된 설명변수는 <표 10>과 동일하게 상수항을 포함하여, 연령 및 연령 의 제곱, 학력 더미, 혼인상태, 가구주 여부, 직업훈련 참여 후 취업한 직장의 계속성 여부, 이전직장 경험 유무, 사업체 규모 더미, 직업 더미, 산업 더미 등이 포함됨. 이에 반해 여성의 경우 직업훈련의 강도(집중도)가 임금에 미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표 13>에서 보듯이 상기 3개 변수에 대한 추정치 모두 정(+)의 부호

22 18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를 보이고는 있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표 12> 직업훈련 강도의 임금효과(여자) 구분 모형 1 모형 2 모형 3 훈련시간 (0.0001) 훈련기간 (0.001) 훈련비용 (0.0019) Adj-R N(표본 수) 주: 1) ( )안의 수치는 표준오차며, *는 10%, **는 5%, ***는 1% 신뢰수준에서 유의함. 2) 기타 추정에 사용된 설명변수는 <표 10>과 동일하게 상수항을 포함하여, 연령 및 연령 의 제곱, 학력 더미, 혼인상태, 가구주 여부, 직업훈련 참여 후 취업한 직장의 계속성 여 부, 이전직장 경험 유무, 사업체 규모 더미, 직업 더미, 산업 더미 등이 포함됨. 한편, 20~29세 청년층의 경우는 훈련시간 및 훈련기간에 대한 추정치는 비록 유의하 지 않지만 음(-)의 부호를 보이고 있으며, 훈련비용의 많고 적음에 따른 임금효과 또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3> 직업훈련 강도의 임금효과(20~29세 청년층) 구분 모형 1 모형 2 모형 3 훈련시간 ( ) 훈련기간 (0.0006) 훈련비용 (0.002) Adj-R N(표본 수) 주: 1) ( )안의 수치는 표준오차며, *는 10%, **는 5%, ***는 1% 신뢰수준에서 유의함. 2) 기타 추정에 사용된 설명변수는 <표 10>과 동일하게 상수항을 포함하여, 성별 더미, 학 력 더미, 혼인상태, 가구주 여부, 직업훈련 참여 후 취업한 직장의 계속성 여부, 이전직 장 경험 유무, 사업체 규모 더미, 직업 더미, 산업 더미 등이 포함됨.

23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19 Ⅳ. 결론 직업훈련의 강도(집중도)가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 및 임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추 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의 참여 여부는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 에 다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단되는 가운데 9) 참여 시 직업훈련의 강도(집중 도)는 취업확률에 소폭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모든 강도(집중도)가 긍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결과는 인적 속성에 상관없이 남성, 여성, 청년층 등 모 두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직업훈련 강도(집중도)의 임금효과는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훈련시간과 훈련기간의 장단 및 훈련비용의 고저 모두 임금에 효과를 주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취업효과와는 달리 임금에 미치는 효과는 인적 속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즉, 남성의 경우는 오히려 직업훈련 강도(집중도)가 높을수록 임금에 미 치는 효과는 부(-)의 결과를 보이는 반면에 여성 및 청년층의 경우는 결과가 유의하지 않 았다. 이상의 추정결과에 기초하여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능력 제고를 위한 직업능력개발 방 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정책 제언을 한다. 정책의 기본 방향은 비경제활동인구들을 어떻 게 하면 노동시장으로 유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와 더 불어 정책 대상 범주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노동시장에 진입할 의 사가 전혀 없는 순수 비경제활동인구와 자발적/비자발적 사유로 노동시장에서 퇴장한 구 직단념자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를 노동시장 측면에서의 정책 대상에 포함시키기란 어 려울 것이고, 또한 정책의 효과성도 장담 못할 것이다. 따라서 정책적 충격이 가해지면 노동시장에 나올 유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람들로 대상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첫째, 비경제활동상태에 있는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한 직업능력개발정책이 마련되어 9) 직업훈련 강도(집중도)의 취업효과에 대한 추정결과를 통한 예단에 앞서 [그림 4]에서 보듯 이 비경제활동상태였던 사람들이 직업훈련(정확하게는 실업자훈련)에 참여한 후 과반수인 55.6%에 이르는 사람들이 취업했다는 결과에서도 알 수 있다. 또한 직업훈련 참여의 취업 도움 여부에서도 5점 척도 기준으로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자들의 비중이 70.4%이며, 평균 3.94점에 이르고 있다.

24 20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야 할 것이다. 실상 우리나라에는 이들만을 대상으로 한 직업능력개발정책은 전무한 실 정이다. 기존 정책은 이들을 구직등록을 통한 실업자 상태로 전환시킨 후 정책대상 제도 권에 포함시키지만,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 간 차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실업자 특성과 다른 비경제활동인구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반영한 면밀한 정책의 수립 및 집 행이 어렵다. 노동력이 감소하는 현 시점에서 경제가 탄력을 얻기 위해서는 여전히 일하 고 싶어도 여러 가지 이유로 일을 하지 않는 (혹은 못하는) 인력에 대해서 정부가 정책적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직업훈련의 내용이 대상별로 세분화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 직업훈련의 내용을 보면, 집단별로 구분된 정책이 수립, 집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너무 획일적이다. 추정 결 과에서 계층에 따라 직업훈련 참여 여부 및 직업훈련 강도(집중도)의 효과가 다르게 나 타나는 것은 비경제활동인구의 학력수준, 나이 등 인적 특성을 고려함이 없이 전체 틀에 서 같은 내용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비경제활동인구 대상 직업훈련은 기간을 늘리기보다는 훈련시간 및 훈련내용의 내실화를 통한 직업훈련의 집중도를 높여 야 할 것이다. 셋째, 직업훈련 수요자(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한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요청된 다. 물론 직업훈련은 훈련대상과 훈련방법, 훈련주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지만, 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직업훈련 프로그램들은 직업에 필요한, 즉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술 및 기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수요 중심형 으로 내실화 함이 필요하다. 기업이 필요로 하 는 직무가 훈련내용에 반영되지 못하면 그 기술은 가치가 없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결국 은 훈련을 받은 사람들의 취업 및 임금 등 근로조건의 악화로 바로 이어질 수 있다. 추정 결과에서도 살펴보았듯이 훈련 강도(집중도)가 임금에 미치는 효과가 거의 없음은 물론 이거니와 일부 특정 계층에 따라 취업확률도 높여 주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여전히 직업 훈련이 기업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채 이루어지고, 또한 훈련 내용도 양호하지 않아 취업을 오히려 어렵게 하는 훈련의 잠금효과(lock-in-effect) (채창균ㆍ김미란, 2004)가 존재하여 직업훈련의 취업효과가 사실상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5 비경제활동 -고용 이행에 있어서 직업훈련 참여 효과 21 참 고 문 헌 김가율(2006). 비고용인구의 노동력상태 이행역동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취업ㆍ실업 ㆍ경계노동력ㆍ순수비경활상태로의 이행을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제6권 제1호, 1~37쪽, 한국노동연구원. 유경준ㆍ이철인(2008). 실업자 직업훈련의 효과 추정, 노동경제논집, 제31권 제1호, 59~103쪽, 한국노동경제학회. 윤희숙(2005). 한계노동력 경제활동참가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 제27권 제2 호, 155~203쪽, 한국개발연구원. 채창균ㆍ김미란(2004). 실업자 직업훈련 참여자의 취업 및 고용효과 분석,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통계청(2007).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황광훈(2008). 실업자 직업훈련 참여자의 특성과 훈련 성과 결정요인: HRD-net 자료를 중심으로, e-고용이슈, 제18호, 1~14쪽, 한국고용정보원. OECD(2003a). The Source of Economic Growth in OECD Countries. (2003b). Employment Outlook.

26 22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abstract Effect of Job Training Program Attendance on Inactivity-Employment Transition Jae-Sik, Jun This paper attempts to estimate of employablilty effect on job training attendance and job training concentration for non labor force, and then suggest to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employment policies. I find that attendance concentration of job training for non labor force affected positive effect to employability, but not affected positive effect to wage. To gain effective results of employment policy for non labor force, I argue that design policies reflecting human resources characteristics, enrichment of job training program, developing demand-oriented program, departmentalizing target group, and connecting other policies. Keyword: Non labor force, Inactivity, Job training attendance, Employment effect, Wage effect

27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23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3), , pp. 23~48 c 韓 國 職 業 能 力 開 發 院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10)11)12) 최 문 경** 이 기 엽***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교 졸업생들을 모집단으로 확률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표 집된 대규모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첫 직장으로 진입하는 과 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일반적으 로 인적자본으로 거론되는 변수들, 그리고 기회구조를 나타내는 변수들 모두 첫 직 장으로의 탈출 확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중 요한 것은 이러한 변수들이 모두 통제되었을 때, 구직과정에 관한 변수들이 첫 직 장 진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즉,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좀 더 빨리 구직을 시작하고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직장을 알아보는 것은 첫 직장을 얻는 데 유의하게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며, 특히 좋은 직장의 경우에는 공식적인 방법을 사용해 구직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주제어: 대졸자취업, 청년노동시장, 구직방법, 구직과정, 사건사 분석 투고일: 2008년 7월 30일, 심사일: 11월 12일, 게재확정일: 12월 16일 * 이 논문을 세심히 읽고 유익한 논평을 해 주신 논평자분들께 깊이 감사 드린다. **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mkchoi@kookmin.ac.kr), 교신저자 ***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kylee@hongik.ac.kr)

28 24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Ⅰ. 문제의 제기 몇 년 전부터 청년실업이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 다.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우리 경제의 구조개편 과정이 진행 중이며, 이에 우리 사회 전 체의 실업률이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청년실업 률은 다른 연령의 실업률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 또한 사실이다. 예를 들어, 2005년의 경우, 15세에서 29세까지의 실업률은 전체 실업률 3.4%의 두 배가 넘는 7.4%였다. 더 욱이 청년층의 경우, 현실적으로 실업과 비경제활동상태의 구분이 무의미해(김안국, 2003; 안주엽 홍서연, 2002; 이병희, 2003) 청년층의 실제 실업률은 이보다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곧 노동시장으로 진출해야 하는 대학생들의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쳐 점 차 더 많은 대학생들이 대학에서의 교과과정을 취업과 연계시키는 경향을 보임은 물론, 대학에서의 교과목 공부 이외에도 취업을 위한 준비를 별도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되고 있다. 예를 들어, 1998년 이후 입학생들의 경우 1995~1996년 입학생에 비해 전공을 선택하는 이유로 진로나 취업전망을 중요시하는 비율이 증가했음은 물론, 복수전 공과 부전공을 택하는 학생들의 비율도 크게 증가하였다(장원섭, 2004). 또한 전체 대 학생의 과반수 정도가 어학이나 자격증 등을 위한 시험 준비를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학원에 다니는 학생들의 비율도 학년이 올라가면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김태기 외, 2005). 한편 이렇게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사교육이 일반화되면서, 대학생 들의 사교육 참여 여부와 비용에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영향을 미치고 있어 결과적 으로 계층의 재생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민혜리, 2003). 하지만 과연 대학생들이 대학 재학기간 동안 취득하는 이러한 인적자본들이 노동시장에 서의 성공을 가져오는 데 실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관한 우리의 이해는 매우 제한 적이다. 현재까지 대학졸업자들이 첫 직장으로 진입하는 데 있어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 을 미치는가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그나마 대부분의 경 우도 제한된 표본만을 검토하고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하지 않은 현실이기 때문

29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25 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대학교 졸업생들을 모집단으로 확률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표집된 대규모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첫 직장으로 진입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어지는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관심 주제인 학교에서 노동세계로의 이행 과정에 관해 그 동안 이루어진 기존 연구들을 검토한다. 3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분석에 사용된 자료와 분석방법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4장에서는 분석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5장에서는 분석결과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는 정책적 함의와 문제점을 기술하며 논문을 맺고 있다. Ⅱ. 학교에서 일의 세계로의 전환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일의 세계로의 이행 과정을 검토하는 연구들은 그러한 전환과정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대략 세 가지를 주목하고 있다. 첫째는 노동공급 측면을 중시 하는 입장으로, 학교에서 일의 세계로의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가를 결정하는 것 은 개인의 기술과 능력, 그리고 일에 대한 태도 등 개별적 요인이라는 입장이다. 둘째는 노동수요 측면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일정한 특성을 지닌 개인들이 진입하는 노동시장은 열려 있는 개방체계이기보다는 성, 연령, 학력, 지역 등에 준해 구조적으로 분절된 체계 를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분절된 노동시장 중 어떤 곳으로 진입이 이루어지는가 에 따라 개인의 특성들이 전환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마지막으로는 노동의 공급과 수요를 연계시켜 주는 과정에 주목하는 입장으로, 노동시장 에서의 성공을 결정하는 데는 노동공급자의 개인적 특성과 구조화된 노동시장의 제 측면 을 측정하는 변수들뿐 아니라 그러한 두 측면의 요인들이 서로 마주하게 되는 계기를 제 공하는 구직과정과 관련된 요인들(예를 들어, 구직 방법, 사회적 관계망 등)이 중요한 역 할을 한다는 입장이다(장원섭, 2006). 이러한 개략적 시각에 기초해 그 동안 우리 사회에서 대학교 졸업자들의 첫 직장 진입 에 관해 이루어진 실증적 연구들을 검토해 보자. 먼저 대기업 취업을 대학 졸업자들의 성 공적인 첫 직장 진입으로 간주할 수 있다면, 남성, 명문대 여부, 영어 학점, 학점, 이공계

30 26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열 출신 여부, 그리고 취업강좌 이수 등이 대학 졸업생들의 성공적인 첫 직장 진입에 긍 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김미란, 2005; 임천순 양병무, 2006; 정태 영 이기엽, 2005). 다음으로 청년층(15~30세) 일반에 관해 이루어진 일부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보면(박성준, 2005; 이병희, 2003; 안주엽 홍서연, 2002; 채창균, 2003), 청년들의 성공적인 첫 직장 진입에 재학 중 근로경험(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이 일관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첫 직장 진입이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여성이 남성보다 첫 직장으로의 진입이 빠르다는 결과는 첫 직장 진입 시의 종착지 특성이 좀 더 세분화되면 다른 결과를 보여 준다. 예를 들어, 비정규직을 포함해 모든 일을 검토하면 여성의 첫 직장 진입이 남성보다 빠르지만, 단지 정규직만으로 제한 해 첫 직장 진입을 살펴보면 남성의 진입이 여성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장지 연 호정화, 2001). 한편 구직과정과 관련하여 2000년 한국노동패널자료 중 15 30세의 인구를 대상으 로 실업에서의 탈출 확률을 검토한 박성준(2005)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구직과정에서 공식적 구직활동(공공, 민간 직업안정기관과 학교)은 탈출 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 만, 비공식 구직활동(연고 및 가족, 친지의 소개)은 실업으로부터의 탈출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Ⅲ. 자료 및 분석 방법 1. 자료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이다. 자료의 모집단은 2004년 8월과 2005년 2월 전문대, 교육대학, 그리고 4년제 대학 졸업자, 502,764명이며, 표본은 모집단의 5%에 해당하는 25,281명이다. 자료수집에 사용된 표본추출방법은 층화표본추출방법으로, 층화에 사용된 변수는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 는 대학 유형으로, 전문대학, 4년제 대학, 그리고 교육대 대학의 3개 층으로 구성된다. 둘째, 대학 소재 지역을 16개 시, 도에서 5개 지역으로 권역화 하여 이를 5개의 층(서울

31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27 권, 경기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으로 구성한다. 셋째, 대학졸업자의 성별에 따라 2 개의 층을 구성한다(남성, 여성). 마지막으로 고려된 변수는 전공계열로, 이는 7개의 층 으로 구성된다(인문, 사회, 교육, 자연, 공학, 의약, 예체능). 이상 네 개의 층화 변수를 조합하면 총 210개의 층이 산출된다( ). 이렇게 210개의 층을 구성한 후 각 층 에 해당하는 표본을 표본프레임으로부터 무작위 추출하였다. 이 때 사용된 표본프레임은 한국교육개발원의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이다. 설문조사는 2006년 9월에서 12월 사이에 실시되었으며, 설문조사 내용은 현재 경제 활동상태, 첫 직장관련 사항, 졸업 후 현재까지 경제활동상태, 졸업 학교 생활, 재학 중 일자리 경험, 졸업 전후 취업준비, 앞으로의 진로, 그리고 개인의 인적사항 및 가계 배경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표본 25,281명 중 4년제 대학 졸업생(n=15,910, 약 63%)만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는 전문대학 졸업생, 교육대학 졸업생, 그리고 일반대학 졸업생들이 졸업 후 진입하는 노동시장이 상이할 것이기에, 이러한 집단들을 함께 분석하면 일반대 학 졸업자들의 첫 직장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가 제대로 검토되지 않을 것 이라 판단되기 때문이다. 4년제 대학 졸업생 15,910명 중 졸업 후 현재까지 학업을 지 속하고 있는 사람(n=1,181), 그리고 졸업 후 현재까지의 취업상황을 검토하는 데 필요 한 정보가 일부 누락된 표본을 제외하고 분석에 포함된 표본 수는 13,778명이다. 그런데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대학 졸업 시점에서 첫 직장까지의 이행 기간을 분석하 고 있는데, 대학 졸업자들의 31.4%(n=4,326)가 졸업시점 이전에 첫 직장을 다니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 3,165명의 첫 직장 시작 시기는 졸업 전 6개월 이 내이며, 1,161명은 졸업 전 7개월에서 48개월 이전에 첫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이에 본 분석에서는 졸업 48개월에서 7개월 이전에 첫 직장을 시작한 1,161명은 분석에서 제외 하고, 졸업 6개월 이전에 첫 직장을 시작한 3,165명의 경우에는 졸업시점에 첫 직장을 시작한 것으로 계산해 분석에 포함시켰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된 표본 수는 12,617명이다. 2.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대학 졸업 시점에서 첫 직장까지의 이행 기간을 분석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사용된 분석 방법은 사건사 방법(event history analysis)이다. 우

32 28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리의 관심사인 졸업 후 첫 직장 생활을 시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파악하기 위해서 우리는 회귀분석은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조사 시점에 취업에 성 공을 하지 못한 사람이 존재하고, 이러한 사람에게는 첫 직장을 잡을 때까지 걸리는 시 간이 무한대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관측 시점에 첫 직장을 시작한 경험이 없는 우측절단(right-censored)된 표본이 있는 경우에 우리는 해저드 모형(hazard model)을 사용하여야 한다. 해저드 모형에서는 종속변수로 해저드 함수를 사용한다. 예 를 들어, 사건의 발생시점을 나타내는 확률변수를 T라고 하면, 해저드 함수 h(t)는 어떤 사건이 시점 t까지 발생하지 않았다는 조건하에서 이 사건이 시점 t에 발생할 확률, 즉 조건부 순간 탈출확률을 말한다. lim 본 연구에서의 해저드 함수는 직장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다가 어떤 시점에서 첫 직장 을 시작하게 될 확률을 말한다. 따라서 첫 직장을 시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것은 각 시점에서 직장을 잡을 확률이 크다는 것, 즉 해저드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러한 해저드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라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는 분 포를 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Cox의 비례해저드 회귀모형(proportional hazard model)에서는 시간에 따른 사건발생 확률에 대하여 특정의 분포를 가정하지 않 고도 각 독립변수가 해저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례 해저드 모형을 사용하기로 한다. 사건발생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벡터를 X, 회 귀계수를 β라고 하자. 비례해저드 회귀모형에서 관측 시점 t에서의 해저드는 다음과 같 이 표현된다. 위 식에서 는 독립변수의 영향을 제외한 t기에서의 기본 해저드(baseline hazard)를 나타낸다. 기본 해저드는 독립변수의 값이 0(X=0)일 때, 시점 t에 사건이 처음 일어날 조건부확률을 의미한다. 위 식의 비례해저드 회귀모형에서는 매 시점의 해 저드 수준은 기본 해저드에 의해서 결정되며, 독립변수(X)는 단순히 시점(t)에 관계없이

33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29 기본해저드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비례해저드 회귀모형을 사용하 면, 기본해저드의 분포에 대한 함수를 가정하지 않고서도, 각 독립변수가 해저드에 미치 는 영향력의 방향과 유의성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모형에서 종속변수는 첫 직장을 시작할 확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회귀계수 의 부호가 (+)라는 것은 독립변수가 증가함에 따라 첫 직장을 잡을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회귀계수의 부호가 (-)라는 것은 독립변수가 증가함에 따라 첫 직장을 잡 을 확률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독립변수의 영향력은 관찰시점(t)에 관계없 이 일정하다(Yamaguchi, 1991). Ⅳ. 분석 결과 1. 일반 대학 졸업자들의 특성 첫 직장 생활을 시작할 확률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 변수들을 기술적인 차원에서 검 토해 본 결과가 다음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먼저 <표 1>에 포함된 변수들 중 설문지 의 문항에서부터 몇 단계의 변환과정을 거쳐 구성된 몇몇 변수들의 구성 과정을 간략하 게 살펴보자. 먼저, 본 연구에서는 첫 직장을 첫 직장 과 좋은 첫 직장 으로 분리해 검토하고 있다. 첫 직장 이란 모든 종류의 일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에서의 직장을 지칭한다(즉 수입 이 없는 무급가족종사자, 아르바이트 및 파트타임 근무 등을 모두 포함). 다음으로 좋은 첫 직장 이란 일자리에 관한 네 개의 설문 문항을 조합해 보다 안정적인 임금근로자만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의 직장으로 첫 직장을 제한한 결과이다. 여기에 사용된 설문 문항 은 다음의 네 문항이다. 첫째는, 첫 직장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였습니까? 이다. 여기 에 제시된 응답문항은, 하루 종일 일하는 일반 직장과 시간단위로 일하는 파트타임이나 아르바이트의 두 문항이다. 둘째는 종사상 지위에 관한 질문으로, 여기에 제시된 응답 문항은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종업원을 둔 고용주, 종업원이 없는 자영업자, 그리고 무급가족종사자의 6개 항목이다. 세 번째 설문문항은 첫 직장에서의 근로형태에 관한

34 30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표 1> 대학졸업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변수 기술통계량 첫 직장 (분포, %) 첫 직장까지의 기간 (평균 개월 수) 좋은 첫 직장 (분포, %) 좋은 첫 직장까지의 기간 (평균 개월 수) 학교 등급 1등급 (1-10) 14.2 (분포, %) 2등급 (11-32) 3등급 (33+) 학점 최상위권 0.4 (분포, %)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최하위권 전공계열 인문, 사회, 교육 46.9 (분포, %) 공학, 자연, 의약 예체능 자격증 (분포, %) 49.5 자격증 수 0 (분포, %) 어학연수 (분포, %) 16.6 복수 전공 (분포, %) 22.9 직업훈련 (분포, %) 16.3 아르바이트 (분포, %) 72.8 가구소득 1백만 원 이하 5.7 (분포, %) 1~2백만 원 2~3백만 원 3~4백만 원 4~5백만 원 5~10백만 원 10백만 원 이상 성 여자 45.4 (분포, %) 남자 54.6 지역 서울 30.8 (분포, %) 수도권 비수도권 졸업 전 구직 기간 (평균 개월 수) 4.5 구직 방법 없다 38.5 (분포, %) 공식 비공식 직접 접촉 구직방법 다양성 (분포, %) 없다 한 방법 두 방법 주: 가구소득 10백만 원 이상의 경우, 대표값을 15백만 원으로 처리하였음

35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31 것으로, 여기에 제시된 응답항목은, 정규직 일반사원, 인턴사원, 공공근로, 파견근로, 프 리랜서, 사내하청근로, 그리고 시간제근로의 7개 항목이다. 마지막으로 사용된 설문문항 은 근로계약 여부와 그 기간에 관한 것으로( 첫 직장에서 근로계약기간이 별도로 정해져 있었습니까? 정해져 있었다면 언제까지였습니까?), 이에 제시된 응답 항목은, 정해져 있지 않았다, 1개월~1년 미만, 1년 이상, 1개월 미만 혹은 고정된 사업장 없이 며칠 또 는 몇 주간씩 일했음이라는 네 개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 네 개의 설문문항에 대 한 응답을 사용하여 구성한 좋은 첫 직장 이란 하루 종일 일하는 일반 직장, 상용직, 정 규직 일반사원 또는 인턴사원, 그리고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거나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이라는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일자리이다. 다음으로 학교 등급이라는 변수는 출신대학에 관한 정보를 2006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 자료에 준해 범주화 자료로 변환시켜 구성한 것이다. 실제 분석에서는 대학들 을 범주화 시킨 뒤 이를 이용해 다시 서열변수를 구성하는 방식으로도 사용해 보았을 뿐 아니라 범주형 자료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달리 변수를 구성해 분 석에 포함시켜 보았다. 모델의 설명력과 간결성 측면에서 평가할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대학 등급 변수는 자료에 포함된 153개의 대학을 3개의 범주로 나눈 것이다(1위 에서 10위에 해당하는 대학이 1등급, 11위에서 32위에 해당하는 대학이 2등급, 그리고 그 외의 대학이 3등급). 단 이때 본교, 분교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모든 분교는 3등급 으로 분류하였다. 자격증이라는 변수는 자격증 취득 시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학교 졸업 당시, 즉 응답자가 노동시장에 진입하던 시점, 응답자가 가지고 있던 자격증만을 재분류하여 분석 에 포함시켰다. 다음으로 가구소득(월평균)의 경우, 원자료에서 가구소득은 1에서 7의 값을 지니며, 각 값에는 일정 범위가 표기되어 있다(예를 들어, 3 4백만 원 미만). 본 연구에서는 각 값에 해당하는 금액의 중앙값을 구해 1), 이를 가구소득의 값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이라는 변수는 원자료에는 출신 대학 소재지에 따라 서울권, 경기권, 충 청권, 경상권, 전라권으로 분류되어 있다. 기존의 다른 문헌들(안주엽 홍서연, 2002; 채창균, 2003)에서 지역변수를 처리한 방법에 준해 본 연구에서도 지역변수는 서울/ 수 1) 이 중 원자료에서 7로 표기되어 있는 집단의 경우(3.7%), 원자료의 응답은 1,000만 원 이 상 으로 주어져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임의로 최대값을 2,000만 원으로 정한 후 중앙값을 1,500만 원으로 규정하였다.

36 32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도권(경기)/ 비수도권(충청, 전라, 경상) 의 세 범주로 재구성해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졸업 전 구직기간이란, 졸업을 전후하여 일자리를 찾아보기 시작한 최초의 시점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원자료에는 연과 월로 표기되어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분 석에서는 졸업 이전부터 졸업 시점까지 구직활동을 한 기간(개월 수)을 구성하였다. 실 제 분석에서는 이렇게 구성된 졸업 전 구직기간 이라는 변수 이외에 구직 활동 유무 라는 변수도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는 졸업 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응답자들을 단순 히 0의 구직기간을 가지는 것으로 처리해 구직활동을 한 응답자들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보다는 구직활동을 한 집단과 하지 않은 집단을 일차적으로 비교한 후, 구직기간의 효 과를 추가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각 변수의 영향력을 추정하는 데 있어 보다 정확한 측정 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구직방법과 구직방법 다양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원 설문지에는 졸업 전 구직 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구직 방법에 관한 질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되었던 주된 방 법을 1순위, 2순위로 묻고 있다. 이에 관한 응답 항목으로는 10개의 항목이 나열되어 있 다. 구직 방법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 준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10개의 응답항목을 3 개의 범주로 재구성하였다. 첫째는 공식적 방법(학교 취업정보실, 공공 직업안내소, 사설 직업안내소/ 워크넷 등 인터넷을 통해/ 신문, TV 등 광고를 통해/ 직업 및 취업박람회를 통해), 둘째는 비공식적 방법(가족, 친지를 통해/ 교수님을 통해/ 친구, 선배 등 지인을 통해), 그리고 셋째는 직접 접촉(일하고 싶은 곳을 직접 찾아다니면서)이다. 이후 분석에서는 구직방법에 관한 정보를 두 가지 방법으로 검토해 보았다. 첫째, 가장 주된 구직방법으로 표기된 1순위 구직방법을 위의 세 가지 범주에 준해 재구성하였다( 구 직 방법 ). 둘째, 구직 방법 1순위와 2순위에 있는 정보들을 위의 세 범주에 준해 조정한 뒤, 이를 이용해 구직방법 다양성 변수를 구성하였다. 먼저 1순위와 2순위로 사용된 구 직방법이 위의 세 범주 중 같은 범주에 속하는가 하는 기준에 의해 응답자는 0에서 2 중 한 값을 부여 받게 된다(0은 졸업 전 구직을 하지 않은 사람이며, 1은 졸업 전 1순위와 2순위로 사용된 구직방법 둘이 모두 같은 범주에 속하는 경우이며, 2는 1순위와 2순위 로 사용된 구직방법이 다른 범주에 속하는 경우이다). 이 후의 분석에서 이는 다시 두 개 의 더미변수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첫 번째 더미변수의 경우는 아무런 구직방법을 이용 하지 않은 사람(즉 구직을 하지 않은 사람)과 한 가지 구직방법을 이용하여 구직활동을 한 사람을 비교하는 더미변수이며, 두 번째 더미변수의 경우에는 아무런 구직방법을 이 용하지 않은 사람(즉 구직을 하지 않은 사람)과 두 가지 구직방법을 동원해 구직을 한 사

37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33 람을 비교하는 더미변수이다. 이상 변수 구성 과정을 염두에 두고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들의 일반적인 특성들을 검 토해 보자. 졸업 후 22개월에서 28개월의 시간이 지난 조사 시점에, 응답자 중 92%는 그 동안 첫 직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첫 직장의 개념을 좀 더 구체화시켜 좋 은 첫 직장 으로 제한하면 그러한 비율은 64%로 줄어든다. 한편 첫 직장까지의 이행 기 간을 살펴보면, 첫 직장이 좋은 직장으로 제한되었을 때의 이행 기간이 9개월 정도인데 비해, 모든 일자리를 다 포함하는 개념으로서의 첫 직장의 경우에는 11개월로 이행 기간 이 더 길어진다. 이는 보다 안정된 일자리로 진입하는 졸업생들의 경우에 취직이 보다 일 찍 이루어지며, 시간이 지연되면 취직이 늦어지고 있는 응답자들이 본인들의 기준에 맞 지 않는 직장이더라도 진입하는 것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학교등급에 관해 살펴보면, 1등급 대학에 해당하는 졸업생들이 14%, 2등급 대학에 해당하는 졸업생들이 23% 정도이며, 나머지는 3등급에 속하는 대학의 졸업생들이다. 학 점은 설문지의 질문 형태가 객관적인 사실보다는 주관적인 인식을 측정하고 있는 관계로 ( 졸업학점은 어느 등급에 해당합니까? ), 중위권과 상위권에 다소 몰린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계열 변수는 7개의 값을 3개의 범주로 재구성해 보면, 문과계열과 이과계열이 각 각 45% 정도이며 예체능계열이 10% 정도이다. 졸업시점에 거의 반 정도(49.5%)의 학 생들이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3개 이상의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던 학생의 비율도 거의 10% 정도나 된다. 17% 정도의 학생이 재학 중 어학연수를 다녀온 경험이 있으며, 23% 정도는 대학 재학 중 복수전공, 부전공, 또는 연계전공을 하였다. 또한 16%의 학 생이 직업훈련 3) 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비율은 73%에 달한다. 한 편 가구소득의 분포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의 경우에는 서울이 31%, 수도권이 18%, 그리고 비수도권이 52% 정도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평균적으로 대학 졸업생들은 졸업 이전 4 5개월 정도부터 구직을 시작하는 것으로 2) 또는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의 채용 관행에 따른 결과로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봄과 가을의 특정시기에 이루어지는 공채는 일반적으로 정규직 중심의 채용이며, 본 연구에서 지 칭하는 좋은 첫 직장 의 대다수가 정규직일 것으로 추정되는 바, 이러한 취업의 다수가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해석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3) 본 자료에서 사용된 직업훈련의 개념은 매우 포괄적인 것으로, 취업, 창업, 또는 업무능력향 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으로, 직장연수, 학원수강, 통신강좌, 그리고 교양강좌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38 34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보이며, 그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직 방법은 공식적인 방법이다. 구직방법의 다 양성에 관해 검토해 보면 공식적, 비공식적, 그리고 직접 접촉 등의 방법 중 하나만의 방 법을 사용하는 집단이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집단보다는 더 일반적인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2. 첫 직장으로의 이행 그러면 이러한 변수들은 첫 직장 진입을 결정하는 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첫 직장을 모든 일자리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규정하고, 첫 직장으로의 탈출 확 률을 비례해저드 모형을 사용해 추정한 결과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표 2> 첫 직장으로의 이행 변수 모형 Ⅰ 모형 Ⅱ 모형 Ⅲ 모형 Ⅳ 학교등급 1등급 2등급.11(.04)** -.03(.03).13(.04)** -.04(.03).13(.04)** -.03(.03).13(.04)** -.03(.03) 학점.07(.01)**.07(.01)**.08(.01)**.08(.01)** 전공 인문, 사회, 교육 예체능 -.22(.02)**.07(.04) -.21(.02)**.08(.04)* -.21(.02)**.08(.04)* -.21(.02)**.08(.04)* 자격증 수.02(.01)**.02(.01)*.02(.01)**.02(.01)** 어학연수.17(.03)**.15(.03)**.15(.03)**.15(.03)** 복수전공.03(.02).02(.02).03(.02).03(.02) 직업훈련.11(.02)**.08(.02)**.08(.03)**.08(.03)** 아르바이트.07(.02)**.03(.02).04(.02)*.04(.02)* 지역 서울 수도권.08(.03)**.07(.03)**.06(.03)*.06(.03)*.07(.03)*.06(.03)*.07(.03)*.06(.03)* 성.15(.02)**.13(.02)**.15(.02)**.15(.02)** 가구소득.03(.003)**.03(.003)**.03(.003)**.03(.003)** 구직 활동 유무 졸업 전 구직기간 구직방법 구직방법 다양성 공식적 비공식적 직접접촉 한 방법 두 방법.14(.02)**.03(.002)**.25(.02)**.22(.05)**.15(.10).27(.02)**.22(.02)** -2*LogLikelihood Wald Chi-Square ** ** ** ** N 12,557 12,522 12,519 12,543 주: 1) 괄호 안의 숫자는 표준오차임. 2) 유의수준 **: <.01, *: <.05를 의미함.

39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35 <표 2>에는 첫 직장으로의 이행과정에 관한 네 개의 모델이 제시되어 있다. 첫 번째는 인적자본 수준을 측정하는 개인 변수들과 기회구조의 정도를 측정하는 변수들을 포함하 는 기본 모델이며, 나머지 모델들은 이 기본 모델에 구직과정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변 수를 각각 하나씩 추가한 것이다. 구직과정에 관한 세 변수들이 이렇게 순차적으로 추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이 세 변수에서 모두 졸업 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4,829명 (38.3%)이 0의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 변수들이 동시에 모델에 포함되게 되면 다 중공선성의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먼저 모델 Ⅰ을 보면, 대학교 등급의 효과는 단지 1등급에 해당하는 학교에서만 관찰 된다. 1등급에 속하는 대학교 졸업생들은 3등급에 속하는 대학의 졸업생들보다 첫 직장 을 가질 확률이 높지만, 반면 2등급 대학 졸업자들과 3등급 대학 졸업자들 사이에는 별 차이가 관찰되지 않는다. 즉 노동시장 진입에 있어 학벌효과는 소수의 일류대 의 경우에 한해 관찰되고 있다. 그 외 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대다수의 변수들이 첫 직장을 얻는 데 있어 매우 강한 설명력을 보여 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학점, 자격증의 수 4), 어학연수, 직 업 훈련, 그리고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는 모두 첫 직장 진입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문 사회 교육 계열 졸업생은 타 계열 졸업생들보다 취직에 있어 불 리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구 소득 또한 첫 직장 진입에 유의하게 긍정 적인 영향을 보여 주고 있다. 반면 복수전공의 경우에는 첫 직장을 얻는 데 별 도움이 되 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회구조에 관한 변수들의 영향을 살펴보면, 비수도권의 졸 업생들에 비해 서울과 수도권 학생들의 취업이 보다 용이하며 5) 남성이 여성보다 취직에 유리하다 6). 4) 자격증과 관련해서는 자격증 유무와 자격증의 수를 각각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격증의 유무보다는 자격증 수를 포함한 모델의 적합성 정도가 높아 논문에는 자격증 수를 분석한 모델들을 포함시켰다. 5) 추가적으로 준거집단을 다르게 설정한 후 서울과 수도권 졸업생들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토해 본 결과, 서울과 수도권 졸업생들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6) 한 논평자는 남녀의 차이가 단순히 하나의 더미변수 이상의 의미로 분석될 필요가 있음을 지 적하였다. 이러한 지적의 타당성을 인정해 본 연구에서는 남녀 각각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 으며, 그 결과가 <부표 1~4>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를 보면, 남녀 대졸자들 간에 일정 한 차이가 관찰되고 있다. 특히 그러한 차이는 일반적인 첫 직장의 모델에서 두드러지게 나 타나고 있어, 이 경우 여자들에게서는 학교의 등급, 학점, 자격증 및 지역 변수의 효과가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좋은 첫 직장 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가 상대적으 로 많이 사라지고 있기는 하지만, 지역변수의 경우 여전히 남녀 간에 차이가 관찰되고 있다.

40 36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다음으로 이러한 기본 변수들에 구직과정에 관한 변수들을 추가한 다른 모델들을 살펴 보자. 구직과정에 관한 세 변수들은 모두 첫 취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 어, 졸업 전 구직을 하지 않았던 사람보다는 구직활동을 하였던 사람, 또한 구직을 먼저 시작한 사람일수록, 그리고 공식적이거나 비공식적인 구직 방법을 사용해 구직을 한 사 람일수록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첫 직장 취직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7). 그런 데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통계치들을 사용해 이러한 구직과정에 관한 변수들의 영향 력 정도를 비교해 보면, 이 세 변수 중 구직기간의 영향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졸업생들의 개별적 특성과 기회구조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볼 때, 구직을 먼저 시작할수록 첫 직장을 얻을 확률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 졸 업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장원섭(1997)의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는 구직을 위한 노력은 노동시장에서의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 즉 좀 더 빨리 시작하 고, 더욱 활발하게 구직을 하면 좋은 일자리를 얻을 가능성은 그 만큼 커지게 된다 고 결 론짓고 있다. 한편 구직과정에 관한 변수들을 추가한 모델들과 기본 모델을 비교해 보면 한 가지 흥 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아르바이트 경험에 관한 변수의 역할과 관련된 것으 로,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는 모델 Ⅰ과 다른 모델들에서 다르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즉 기본 모델에서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는 첫 직장을 얻는 데 매우 중요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여기에 구직기간에 관한 변수가 포함 되게 되면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의 효과는 사라진다. 한편 구직기간 대신 구직 방법, 그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남녀 대졸자들이 속하게 되는 노동시장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은 청년층 또는 대졸자들만을 대상으로 성별 노동시장의 차이를 검토 한 기존 연구들이 전혀 없어 본 분석 결과를 심도 있게 검토하기에는 기초자료가 부족한 현 실이다. 차후에 청년증 또는 대졸자들이 속한 노동시장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가 좀 더 축 적되면 그와 관련해 본 분석결과를 좀 더 심도 있게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 7) 한편 구직방법의 다양성과 관련해서는 구직을 하지 않았던 사람에 비해 구직활동을 한 사람 이 취업확률이 높기는 하지만,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한 사람과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 사람 간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이후에 보고되고 있는 좋은 첫 직장으로의 취업의 경우에는,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한 사람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 사람보 다 취업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준거집단을 두 가지 방법으로 하여 한 방법과 두 방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 이러한 결과는 다소 의외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 한 논평자는 이와 관련하여 모델에 내생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즉 한 가지 방법만으로 취직을 시도하다 그것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순차적으로 다른 방법을 사용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구직방법의 다양성과 관련해서는 한 가지 방법이 두 가지 방법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41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37 리고 구직방법의 다양성에 관한 변수가 포함되게 되면,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는 다시 첫 직장을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영향의 효과는 구직방법 및 구직방법 다양성의 변수를 제외하는 모델에서 나타나는 아르바이트의 효과 에 비하면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왜 나타나고 있는 것일까? 이는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가 첫 직장을 얻 는 데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관한 이해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기존의 몇몇 연구들(이병 희, 2003; 안주엽 홍서연, 2002; 채창균, 2003)은 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 가 첫 직장 진입에 매우 강한 양의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일관되게 발견했는데, 문제는 과연 이러한 효과가 왜 존재하는가 하는 점이다. 우리가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학 생들의 아르바이트 활동은 그다지 많은 기술이나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 노동에 가까운 일이 대다수인데, 그런데도 왜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는 첫 직장 진입에 영향을 미 치는 것일까? 이에 제기되었던 추측은, 비록 대다수의 대학생들이 아르바이트를 통해 단 순노동에 종사해 그들의 아르바이트 경험이 첫 직장을 구하는 데 있어 일의 내용 측면에 서는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대학생들이 아르바이트를 통해 보다 일찍 노동 시장의 현실에 대해 눈을 뜨게 되고, 이로 인해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노동시장 진입을 먼저 준비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집단은 아르바이트를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구직기간이 길어지며, 그러한 구직기간의 효과가 첫 직장 취득에서의 높은 성공률로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구직기간이 포함되면 아르바이트 효과가 사라지고, 구직기간이 제외되면 아르바이트 효과가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본 분석결과에 의하면, 구직기간에 관한 정보가 없었던 연구들에서 가설로 제시되었던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 구직기간, 그리고 첫 직장 취득의 관계는 경험적으로 설득력이 있는 설명인 것으로 보 인다. 3. 좋은 첫 직장으로의 이행 다음으로는 첫 직장의 범위를 축소해, 좋은 첫 직장 에 취직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우리 의 설명변수들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검토해 보자. 다음의 <표 3>은 첫 직장의 범위 를 좋은 첫 직장으로 제한했을 때의 첫 직장으로의 이행에 관한 모델들을 보여 주고 있는 데, 앞서 <표 2>에서와 마찬가지로 <표 3>에서는 기본모델과 이에 구직과정에 관한 변수 들이 순차적으로 추가되는 세 모델이 각각 제시되어 있다. 앞서 <표 2>에서의 모델들을

42 38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비교할 때와 마찬가지로, <표 3>에서의 모델 Ⅰ과 모델 Ⅱ, Ⅲ, Ⅳ는 아르바이트 경험 여 부에 관한 변수 이외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는 좋 은 첫 직장으로의 이행에서도 앞서 <표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 <표 3> 좋은 첫 직장으로의 이행 변수 모형 Ⅰ 모형 Ⅱ 모형 Ⅲ 모형 Ⅳ 학교등급 1등급 2등급.19(.04)**.00(.03).21(.04)**.00(.03).22(.04)**.01(.03).21(.04)**.00(.03) 학점.11(.02)**.11(.02)**.13(.02)**.12(.02)** 전공 인문, 사회, 교육 예체능 -.29(.02)** -.28(.05)** -.28(.02)** -.27(.05)** -.28(.02)** -.26(.05)** -.28(.02)** -.26(.05)** 자격증 수.04(.01)**.04(.01)**.04(.01)**.04(.01)** 어학연수.27(.03)**.23(.03)**.23(.03)**.23(.03)** 복수전공.02(.03).01(.03).02(.03).01(.02) 직업훈련.16(.03)**.12(.03)**.11(.03)**.11(.03)** 아르바이트.09(.03)**.04(.03).06(.03)*.05(.03)* 지역 서울 수도권.13(.03)**.14(.03)**.11(.03)**.13(.03)**.11(.03)**.13(.03)**.12(.03)**.13(.03)** 성.35(.02)**.33(.02)**.35(.02)**.35(.02)** 가구소득.04(.003)**.04(.004)**.04(.004)**.04(.003)** 구직 활동 유무 졸업 전 구직기간 구직방법 구직방법 다양성 공식적 비공식적 직접접촉 한 방법 두 방법.21(.03)**.03(.002)**.36(.02)**.20(.06)**.12(.13).38(.03)**.28(.03)** -2*LogLikelihood Wald Chi-Square ** ** ** ** N 12,557 12,522 12,519 12,543 주: 1) 괄호 안의 숫자는 표준오차임. 2) 유의수준 **: <.01, *: <.05를 의미함. 다음으로는 <표 2>와 <표 3>을 비교해 보자. 첫 직장을 포괄적으로 규정할 때와 좋은 직장으로 제한해서 검토하면 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변수들의 영향력은 어떻게 변화하는 가? 먼저 전공계열에 관한 변수가 <표 2>와 <표 3>에서 매우 다르게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 직장을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경우, 전공계열별 취업은 자연, 이공, 의학, 그

43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39 리고 예체능계가 비슷한 반면에 인문, 사회, 교육계열은 그보다 낮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에 첫 직장을 좋은 직장으로 제한하면, 예체능계열 졸업생들의 취직률은 인문, 사회, 교 육 계열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예체능 계열 출신 대학생들의 취직이 비공식적 사교육부문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 아닌가 생각 된다. 다음으로 <표 2>와 <표 3>을 비교해 보면, 구직방법의 영향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 직장으로의 이행의 경우, 구직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구직을 했을 경우, 그 방법이 공식적인 것이었는지, 비공식적이었는지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좋은 첫 직장으로의 이행의 경우, 공식적 방법을 사용해 구직을 한 것이 구직을 하지 않은 것에 비해 가지는 영향력의 크기는 비공식적 방법을 사용해 구직 을 한 것이 가지는 효과에 비해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좋은 직장으로의 이 행 경우에 보다 효과적인 구직 방법은 공식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좋은 직장일수록 공식적 방법을 통해 채용을 결정하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생 각된다. 한편 이러한 결과는 구직과정에 관한 다른 연구들에서의 결과와 부합되는 것으 로, 예를 들어,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구직방법을 검토한 이병훈(2002)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어떠한 구직 방법을 사용하는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학 력이며, 학력이 높을수록 공식적인 구직 방법을 사용한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자료 ( 아시아 사람들의 직장생활에 관한 조사 )를 분석한 김성훈(2003)의 연구에서도 취업시 장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는 취업자 범주가 구직과정에서 사회연결망을 덜 활용하며, 전 반적으로 자원이 많을수록 공식적 방법을 사용한다고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표 2>와 <표 3>을 비교해 보면, <표 3>에서 모델에 포함된 변수들의 영향 력이 전반적으로 <표 2>에서의 경우 보다 훨씬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학교 등급, 학점, 전공계열, 자격증, 어학연수, 직업훈련, 아르바이트 경험, 가구소득, 그 리고 지역 및 성 등 모델에 포함된 모든 변수들이 <표 3>에서는 <표 2>에서보다 더 커다 란 영향력을 보여 주고 있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표 3>에 포함된 모델들의 설명력은 <표 2>에 포함된 모델들의 설명력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과 정을 통해 관찰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첫 직장을 보다 안정적인 일자리로 제한했을 경우, 그러한 일자리로의 취직은 포괄적인 일자리로의 취직에 비해 보다 공식적인 경로 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모델이 포함하지 못한 외생변수들의 영향 력이 첫 직장으로의 이행에 관한 모델과 좋은 첫 직장으로의 이행에 관한 모델을 비교하

44 40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자면 전자의 경우에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그러한 외생변수들 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사라진 좋은 첫 직장으로의 이행에 관한 모델에서는 분석에 포함 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이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V. 결론 및 함의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확률표본 자료를 사용해 4년제 대학 졸업생들의 첫 직장 진입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들을 졸업생들의 개별적 인적 자원의 수준과 특성을 측정하는 변수들, 노동시장의 수요 측면을 측정하는 변수들, 그리고 공급과 수요가 연계되는 구직과정에 관한 변수들로 구분해, 이러한 요인 들이 대학 졸업생들의 첫 직장으로의 탈출 확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추정해 보았 다. 분석 결과를 보면, 일반적으로 인적자본으로 거론되는 변수들(대학 등급, 자격증, 학 점, 전공, 어학연수, 직업훈련, 그리고 가구소득), 그리고 기회구조를 나타내는 변수들 (지역, 성) 모두 첫 직장으로의 탈출 확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수들이 모두 통제되었을 때, 구직과정에 관한 변수들이 첫 직장 진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즉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좀 더 빨리 구직을 시작하고, 공식적이거나 비공식적인 방법을 통해 직장을 알아보는 것은 첫 직장을 얻는 데 유의하게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며, 특히 좋은 직장의 경우에는 공식적인 방법을 사용해 구직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앞서 기술되었던 바와 같이 대학 졸업자들의 실업 문제가 나날이 가시화되고, 이에 따라 대학 재학생들의 취업준비가 날로 심화되고 있다. 하지만 대학생 개개인이 취업을 위해 개별적인 수준에서의 자질을 높이기 위한 노 력이 중요한 만큼 학생들과 노동시장의 수요를 연결시켜 효과적인 구직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 또한 대학 졸업생들의 성공적인 노동시장 진입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나 좋은 일자리로 첫 직장을 한정할 경우, 공식적 방법을 이용한 구 직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준해 생각해 본다면, 대학졸업자들과 노

45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41 동수요자들 사이의 연계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일련의 제도적 조치 들은 대졸자들의 취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현재 노 동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워크넷 서비스 또는 지역별로 운영하고 있는 고용지원센터 등의 공공 정보망을 확충하고 홍보해 보다 널리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 또는 대학교의 취업 지원 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제도적 조치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앞서 기존 문헌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기술되었던 바와 같이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전환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대략적으로 세 부류이다. 이 중 하나가 공급과 수요 를 연계시키는 과정인데,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사회적 관계망 이다. 사회적 관계망이란 개인적 관계망은 물론 제도적 관계망도 포함한다. 국가, 지역사 회, 그리고 학교 등이 제공할 수 있는 이러한 제도적 관계망의 강화는 대졸자들의 첫 직 장으로의 진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한편 이 중 대학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좀 더 세심한 접근이 필요한 듯하다. 전 국 8개 대학의 대학생들을 조사한 김태기 외(2005)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은 취업에 대한 걱정은 높지만, 현실적으로 대학을 통해 진로 및 취업을 위한 지 도가 잘 이루어지지는 않는다고 느끼고 있다고 한다. 이는 현실적으로 우리의 대학이 제 공하는 진로지도란 기업 등 외부에서 대학에 채용공고나 구인요청이 들어오면 이를 학생 들에게 전달하는 수준에서의 지도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대 학들이 제도적 관계망을 통해, 또는 굳이 제도화된 관계망이 아니라 하더라도 보다 전문 적인 취업 지도 과정을 통해 재학생들의 구직 과정을 좀더 적극적으로 살펴야 한다는 주 장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이러한 주장은 많은 경우 대학의 근본적 기능이 무엇 인가를 둘러싼 본질적인 논쟁 8) 을 불러일으키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아마도 이 를 둘러싼 논쟁에서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가가 우선적으로 결정되어야만 대학이 그러한 기능을 담당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와 관련해 합의점을 찾아가 는 과정은 쉽지만은 않은 과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8) 교육과 일의 세계의 관계에 관해 상반되는 두 입장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는 대응론적 시각으로, 이는 교육의 사회적 효율성을 강조, 학교 교육이 일의 세계에서 요구하 는 바를 그대로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두 번째는 상대적 자율성론 시각 으로, 이는 학교의 일터에 대한 상대적 자율성을 주장하며,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이 기술을 갖춘 노동자로 성장하게 돕는 것이 아니라,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 라고 보는 입장이다(장원섭, 2006).

46 42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第 3 號 <부표 1> 첫 직장으로의 이행 (남자) 학교등급 변수 모형 Ⅰ 모형 Ⅱ 모형 Ⅲ 모형 Ⅳ 1등급 2등급.18(.05)**.01(.03).19(.05)**.01(.03).19(.05)**.02(.03).19(.05)**.01(.03) 학점.10(.02)**.10(.02)**.11(.02)**.10(.02)** 전공 인문, 사회, 교육 예체능 -.26(.03)**.13(.06)* -.25(.02)**.14(.06)* -.25(.03)**.15(.06)* -.25(.03)**.15(.06)* 자격증 수.03(.01)*.03(.01)*.03(.01)*.03(.01)* 어학연수.21(.03)**.19(.03)**.19(.03)**.19(.03)** 복수전공.09(.04)*.08(.04)*.09(.03).09(.03) 직업훈련.09(.03)**.06(.03).06(.04).06(.03) 아르바이트.06(.03)*.02(.03).04(.03).04(.03) 지역 서울 수도권.10(.04)**.10(.03)**.09(.04)*.09(.03)**.10(.04)*.09(.03)**.10(.04)*.09(.03)** 가구소득.03(.004)**.03(.004)**.03(.004)**.03(.004)** 구직 활동 유무 졸업 전 구직기간 구직방법 구직방법 다양성 공식적 비공식적 직접접촉 한 방법 두 방법.09(.03)**.03(.002)**.22(.03)**.15(.06)*.19(.13).24(.03)**.18(.03)** -2*LogLikelihood Wald Chi-Square ** ** ** ** N 6,858 6,837 6,838 6,850 주: 1) 괄호 안의 숫자는 표준오차임. 2) 유의수준 **: <.01, *: <.05를 의미함.

47 대학졸업에서 첫 직장까지 43 <부표 2> 좋은 첫 직장으로의 이행 (남자) 학교등급 변수 모형 Ⅰ 모형 Ⅱ 모형 Ⅲ 모형 Ⅳ 1등급 2등급.19(.06)**.04(.04).21(.06)**.04(.04).22(.06)**.05(.04).20(.06)**.03(.04) 학점.14(.02)**.14(.02)**.16(.02)**.15(.02)** 전공 인문, 사회, 교육 예체능 -.30(.03)** -.25(.08)** -.29(.03)** -.23(.08)** -.29(.03)** -.21(.08)** -.29(.03)** -.21(.08)** 자격증 수.04(.01)**.03(.01)*.04(.01)**.04(.01)** 어학연수.31(.04)**.28(.04)**.27(.04)**.27(.04)** 복수전공.05(.04).04(.04).05(.04).05(.04) 직업훈련.11(.04)**.07(.04).06(.04).06(.04) 아르바이트.09(.03)**.03(.03).05(.03).05(.03) 지역 서울 수도권.18(.05)**.16(.04)**.15(.05)**.15(.04)**.16(.05)**.15(.04)**.17(.05)**.15(.04)** 가구소득.04(.004)**.04(.004)**.04(.004)**.04(.005)** 구직 활동 유무 졸업 전 구직기간 구직방법 구직방법 다양성 공식적 비공식적 직접접촉 한 방법 두 방법.21(.03)**.03(.003)**.36(.03)**.18(.07)*.19(.16).40(.03)**.25(.04)** -2*LogLikelihood Wald Chi-Square ** ** ** ** N 6,858 6,837 6,838 6,850 주: 1) 괄호 안의 숫자는 표준오차임. 2) 유의수준 **: <.01, *: <.05를 의미함.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 요약 i ii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II) 요약 iii iv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II) 요약 v vi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II) 요약 vii 제1장 서 론 1 2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Ⅱ) 제1장 서 론 3 4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Ⅱ) 제1장 서 론 5 6 비정규근로의

More information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ISS 2092-7117 (2012-37) 발행일 : 2012. 09. 14 남녀의 경활동 특성별 가사노동시간의 차이 기혼 남녀 20~49세 연령층에서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남성의 약 8배에 달하며, 취업자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 차이는 평일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의 약 6배에 달하 지만, 일요일에는 여성이 남성의 3배로 감소 기혼여성의 경우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More information

2003report250-12.hwp

2003report250-12.hwp 지상파 방송의 여성인력 현황 및 전문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Ⅰ....,.,....... .. Ⅱ. :...... Ⅲ.,,. ..,.,.... 9 1 1.. /.,. PD,,,,, / 7.93%. 1%... 5.28% 10.08%. 3.79%(KBS MBC), 2.38 %(KBS MBC) 1%...,. 10. 15. ( ) ( ), ( ) ( )..

More information

ºñÁ¤±ÔħÇغ¸°í¼�.hwp

ºñÁ¤±ÔħÇغ¸°í¼�.hwp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전기,가스,수도업 광업 운송,창고,통신업 기타공공 및 개인서비스업 제조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및 사업서비스업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수리업 건설업 음식숙박업 농림어업 비정규직비율 퇴직금지급이행률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II.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경력단절경험 경력단절무경험 표본수 1,079 1,781 근로자수 ( 명 ) 173 223 시간당실질임금 ( 로그시간당 2005 년만원 ) -0.511-0.238 경력기간 ( 년 ) 9.945

More information

hwp

hwp 여성의직업선택과고용구조 요약 ⅰ ⅱ 여성의직업선택과고용구조 요약 ⅲ ⅳ 여성의직업선택과고용구조 요약 ⅴ ⅵ 여성의직업선택과고용구조 요약 ⅶ ⅷ 여성의직업선택과고용구조 요약 ⅸ ⅹ 여성의직업선택과고용구조 요약 ⅹⅰ ⅹⅱ 여성의직업선택과고용구조 요약 ⅹⅲ 제 1 장서론 1 2 여성의직업선택과고용구조 제 1 장서론 3 가정에만전념해야결혼전까지만출산전까지만자녀양육기이후재취업남편경제력이충분치않을때만평생직업가져야기타

More information

<C0CEB1C7C0A7C3D6C1BEBAB8B0EDBCAD28BCF6C1A4BABB30333139292E687770>

<C0CEB1C7C0A7C3D6C1BEBAB8B0EDBCAD28BCF6C1A4BABB30333139292E687770> 79.6 79.8 72.9 71.9 39.9 41.0 37.6 39.1 광공업 공공서비스업 민간서비스업 농림어업건설업 소속업체기준 일하는곳기준 53.0 52.5 자료:경제활동인구조사부가조사 남자 여자 24.8 23.5 28.7 23.8 10.9 12.7 10.4 9.7 3.1 4.1 비정규직 임시근로 장기임시근로 계약근로 시간제근로 특수고용형태 325 308

More information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청년실업의원인과대책 2004. 3 한국경영자총협회 < 표 1 > 한국노동시장관련주요지표의변화추이 ( 단위 : 천명, %) 1982 1987 1992 1997 1999 2003 경제활동인구 15,032 16,873 19,499 21,782 21,666 22,916 경제활동참가율 58.6 58.3 60.9 61.4 60.6 61.4 취업자 14,379 16,354

More information

<33BFF9B0EDBFEBB5BFC7E22E687770>

<33BFF9B0EDBFEBB5BFC7E22E687770> http://kostat.go.kr 2010. 4. 14( 수 ) 8:00 부터사용하시기바랍니다. 보도자료 배포일시 2010. 4. 14( 수 ) 8:00 담당부서 사회통계국고용통계과 담당자과장 : 은순현 (042.481.2264) 사무관 : 정동욱 (042.481.2265) 2010 년 3 월 고용동향 자료이용시유의사항 1. 통계표에수록된자료는십단위에서반올림되었으므로전체수치와

More information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대상자의속성 -. 연간가수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평균 ( 만원 ) 전 국,........,. 지 역 도 시 지 역 서 울 특 별 시 개 광 역 시 도 시 읍 면 지 역,,.,.,.,.,. 가주연령 세 이 하 - 세 - 세 - 세 - 세 - 세 - 세 세 이 상,.,.,.,.,.,.,.,. 가주직업 의회의원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02-759-5548, E-mail : kwpark@bok.or.kr)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장 ( 전화 : 02-759-5438, E-mail :

More information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2013 년도연구용역보고서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 2013. 12.-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정진호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2013. 12.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More information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목차 2018 년 8 월근로형태별부가조사결과 ( 요약 ) * 60 세미만비정규직근로자는전년동월대비 9 만명감소, 60 세이상은 12 만 6 천명증가 < 비정규직근로자규모및비중 > < 근로형태별규모 > < 성별규모 > < 연령계층별규모 > < 산업별규모 >

More information

2006

2006 20대 총선 결과 관련 여론조사 2016. 5. 차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4 2. 주요 조사 내용 4 3. 조사 설계 5 4. 응답자 특성 6 제2장. 요약 1. 노동개혁, 고용 문제 해결 도움 정도 8 2. 노동개혁 추진, 지지후보 및 정당 결정 영향 정도 9 3. 지지후보, 정당 선택 시 가장 도움을 받은 매체 9 4. KBS MBC 등 공영방송

More information

수도권과비수도권근로자의임금격차에영향을미치는 집적경제의미시적메커니즘에관한실증연구 I. 서론

수도권과비수도권근로자의임금격차에영향을미치는 집적경제의미시적메커니즘에관한실증연구 I. 서론 수도권과비수도권근로자의임금격차에영향을미치는 집적경제의미시적메커니즘에관한실증연구 I. 서론 Ⅱ. 선행연구고찰 집적경제메커니즘의유형공유메커니즘매칭메커니즘학습메커니즘 내용기업이군집을형성하여분리불가능한생산요소, 중간재공급자, 노동력풀등을공유하는과정에서집적경제발생한지역에기업과노동력이군집을이뤄기업과노동력사이의매칭이촉진됨에따라집적경제발생군집이형성되면사람들사이의교류가촉진되어지식이확산되고새로운지식이창출됨에따라집적경제발생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미래성장연구1호 편집_0308.hwp

미래성장연구1호 편집_0308.hwp 111 인구구조의 변화와 고령노동 : 현황과 과제* 이철희 ** 이 글을 통해 필자는 인구고령화가 노동시장에 어떠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가 에 대해서 살펴보고,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경제활동 현황 및 전망에 대해 검토한 뒤,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동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고령인력의 고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정책적인 과제가 해결되어야 하는가를

More information

한국정책학회학회보

한국정책학회학회보 한국정책학회보제 22 권 2 호 (2013.6): 181~206 정부신뢰에대한연구 - 대통령에대한신뢰와정부정책에대한평가비교를중심으로 * - 주제어 : 민주화이후정부신뢰, 대통령신뢰, 정부정책만족도 Ⅰ. 서론 182 한국정책학회보제 22 권 2 호 (2013.6) 정부신뢰에대한연구 183 Ⅱ Ⅲ Ⅳ Ⅴ Ⅱ. 정부신뢰에대한이론적논의 184 한국정책학회보제 22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150805.hwp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150805.hwp 15-27호 2015.08.05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 국민의 절반 동참시 1조 3,100억원의 내수 진작 효과 기대 Executive Summary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개 요 정부는 지난 4일 국무회의에서 침체된 국민의 사기 진작과 내수 활성화를 목적으로 오는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이에 최근

More information

20061011022_1.hwp

20061011022_1.hwp 조사 보고서 주40시간 근무제 도입 성과와 과제 실태조사 2006. 9 내 용 목 차 Ⅰ. 조사개요 1. 조사 목적 1 2. 조사의 기본설계 1 Ⅱ. 조사결과 1. 주40시간제 도입 이후의 경영성과 3 1-1. 주40시간제 도입 성과가 좋았던 이유 4 1-2. 주40시간제 도입 성과가 좋지 않았던 이유 4 2. 주40시간제 도입 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More information

2002report220-10.hwp

2002report220-10.hwp 2002 연구보고서 220-10 대학평생교육원의 운영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발 간 사 연구요약 Ⅰ. 연구목적 Ⅱ. 대학평생교육원의 변화 및 외국의 성인지적 접근 Ⅲ. 대학평생교육원의 성 분석틀 Ⅳ. 국내 대학평생교육원 현황 및 프로그램 분석 Ⅴ.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대학평생교육원의 성인지적 운영을 위한 정책 및 전략 목

More information

º»ÀÛ¾÷-1

º»ÀÛ¾÷-1 Contents 10 http://www.homeplus.co.kr 11 http://www.homeplus.co.kr 12 http://www.homeplus.co.kr 13 http://www.homeplus.co.kr Interview 14 http://www.homeplus.co.kr Interview 15 http://www.homeplus.co.kr

More information

KEEP 패널 브리프 가하고 있음. 장기 연체로 법적 조치를 받은 학생은 2009년 649명(채무액 37억 원)에서 2012년 1,785명(110억 원)으로 3배 가량 늘어났으며, 2013년 에는 3,742명(채무액 256억 원)으로 2012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함.

KEEP 패널 브리프 가하고 있음. 장기 연체로 법적 조치를 받은 학생은 2009년 649명(채무액 37억 원)에서 2012년 1,785명(110억 원)으로 3배 가량 늘어났으며, 2013년 에는 3,742명(채무액 256억 원)으로 2012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함. 패널 브리프 대졸자 학자금 대출 상환 부담과 취업 선호 손희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I. 들어가며 학자금 대출 제도는 학생들이 대학(원) 재학 기간 중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학비 부담을 줄여주는 정부의 학자금 지원 정책임 1). - 소득 계층 간 고등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고 사회 양극화를 완화시 켜 형평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가짐. 표 1. 학자금

More information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93.4 91.3 직판 8.7 6.1 은행 0.2 1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93.4 91.3 직판 8.7 6.1 은행 0.2 1 Ⅱ.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 분석 1.손해보험 채널별 활용 가.조사 목적 개인별 손해보험 가입자들의 채널 선택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판매채널의 효율성 제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함. 나.조사 결과 및 시사점 2010년 손해보험 가입자 대부분(92.6%)이 보험설계사 및 대리점 등을 통한 대면채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대면채널은 2007년 88.3%로

More information

CC......-.........hwp

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텔레비전의 폭력행위는 어떠한 상황적 맥락에서 묘사되는가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낳는다. 본 연구는 텔레비전 만화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통해 각 인 물의 반사회적 행위 및 친사회적 행위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고 이를 둘러싼 맥락요인들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조사하였다. 맥락요인은 반사회적 행위 뿐 아니라 친사회적

More information

II. 기존선행연구

II. 기존선행연구 수익용부동산의임대수익영향요인에관한연구 I. 서론 II. 기존선행연구 Ⅲ. 실증분석모형및자료 yit = a + b xit + ui + eit yit = ( a + ui ) + b xit + eit α α cov( it, i ) 0 x u = cov( x, ) 0 it u i ¹ H : cov( x, u ) = 0 0 H : cov( x, u ) ¹ 0 1 it

More information

<322EC6AFC1FD315F32303135B3E220B3EBB5BFBDC3C0E5C6F2B0A1B9D732303136B3E220C0FCB8C15FB5BFC7E2BAD0BCAEC6C02E687770>

<322EC6AFC1FD315F32303135B3E220B3EBB5BFBDC3C0E5C6F2B0A1B9D732303136B3E220C0FCB8C15FB5BFC7E2BAD0BCAEC6C02E687770> 월간 노동리뷰 2015년 12월호 pp.7~30 한 국 노 동 연 구 원 2015년 노동시장 평가와 2016년 고용전망 2015년 노동시장 평가와 2016년 고용전망 동향분석팀 김 철 식** ㅡ Ⅰ. 2015년 노동시장 개관 2015년 월 평균 취업자 수는 전년동기대비 326천 명 증가하여 2014년(월 평 균) 증가분(554천 명)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을

More information

09³»Áö

09³»Áö CONTENTS 06 10 11 14 21 26 32 37 43 47 53 60 임금피크제 소개 1. 임금피크제 개요 2. 임금피크제 유형 3. 임금피크제 도입절차 Ⅰ 1 6 7 3) 임금피크제 도입효과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① 중고령층의 고용안정성 증대 연공급 임금체계 하에서 연봉과 공헌도의 상관관계 생산성 하락에 맞추어 임금을 조정함으로써 기업은 해고의

More information

special_issues(제95호).hwp

special_issues(제95호).hwp 2013. 05. 15 (제95호) 호) 탄소성적표지 인증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행태 분석(2009 2012년) 1. 서론 - 목 차 -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결론 및 제언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탄소경영실 홍 은 아 pylon99@keiti.re.kr 1. 서론 21세기 지구촌의 최대 화두는 기후변화다.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 변화는

More information

CR2006-41.hwp

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

<BFA9BCBAC0C720C1F7BEF7B4C9B7C220B0B3B9DFB0FA20C3EBBEF7C1F6BFF820C1A4C3A5B0FAC1A62E687770>

<BFA9BCBAC0C720C1F7BEF7B4C9B7C220B0B3B9DFB0FA20C3EBBEF7C1F6BFF820C1A4C3A5B0FAC1A62E687770> 연령계층별 경제활동 참가율 추이 (여자) 참가율 (%) 80 70 60 50 40 30 20 18-19 20-21 22-24 25-29 30-34 35-39 40-44 45-49 50-54 55-59 60-64 65+ 연 령 1990 2005 남 자 단 위 : 천 명 9 0 0 0 7 6 9 6 7 0 0 0 5 9 8 1 5 1 0 3 5 0 0 0 3

More information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예 ) 일정수준임금이하또는이상의근로자를기준으로저 ( 최저 ) 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또는고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등을산출하는경우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예 ) 일정수준임금이하또는이상의근로자를기준으로저 ( 최저 ) 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또는고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등을산출하는경우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예 ) 일정수준임금이하또는이상의근로자를기준으로저 ( 최저 ) 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또는고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등을산출하는경우 목차 2016 년 8 월근로형태별부가조사결과 ( 요약 ) * 60 세미만비정규직근로자는전년동월대비 2 만 2 천명증가, 60 세이상은 15 만 1 천명증가 < 비정규직근로자규모및비중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vii 요 약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를 겪으며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 동은 정책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정책은 기존의 정책 방향과 내용을 유지 변화시키면서 정책을 계승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 변화 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집단과 조직, 그리고 우리의 일상에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차원에서

More information

이슈분석 최근 고용추이와 2016년 고용전망 박진희*, 이시균** <요 약> 201년 1~6세 핵심 연령계층의 고용률은 여성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사정이 나아져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취업자 증가는 천 명 증가하여 전년에 비해 둔화되었다. 최근 취

이슈분석 최근 고용추이와 2016년 고용전망 박진희*, 이시균** <요 약> 201년 1~6세 핵심 연령계층의 고용률은 여성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사정이 나아져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취업자 증가는 천 명 증가하여 전년에 비해 둔화되었다. 최근 취 이슈분석 최근 고용추이와 2016년 고용전망 Employment Issue 이슈분석 최근 고용추이와 2016년 고용전망 박진희*, 이시균** 201년 1~6세 핵심 연령계층의 고용률은 여성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사정이 나아져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취업자 증가는 천 명 증가하여 전년에 비해 둔화되었다. 최근 취업자 증가의 둔화는

More information

ad-200400012.hwp

ad-200400012.hwp 제17대 총선과 남녀유권자의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여성후보 출마 선거구 조사를 중심으로 - 2004. 7 여 성 부 제17대 총선과 남녀유권자의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여성후보 출마 선거구 조사를 중심으로 - 2004. 7 여 성 부 연구요약 표 주제 및 연도별 여성유권자 연구 현황 표 출마한 여성후보 인지시기 투표후보여성

More information

임정연 이영민 1) 주저자, 숙명여자대학교인력개발정책학박사과정, 2) 교신저자, 숙명여자대학교여성 HRD 대학원부교수,

임정연 이영민 1) 주저자, 숙명여자대학교인력개발정책학박사과정,   2) 교신저자, 숙명여자대학교여성 HRD 대학원부교수, 임정연 이영민 1) 주저자, 숙명여자대학교인력개발정책학박사과정, E-mail: jungyon82@naver.com 2) 교신저자, 숙명여자대학교여성 HRD 대학원부교수, E-mail: ymlee@sookmyung.ac.kr 규모 재직근로자대상교육훈련실시 ( 개소,%) 1 인당평균집체훈련시간 1 인당평균집체훈련비용 ( 천원 ) 전체수강료시설비기타비용 전체

More information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GM작물실용화사업단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GM작물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김욱 박사 1. 조사목적 GM 작물 관련 인식조사는 사회과학자들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GM 작물 관련 인식 추이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탐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2. 조사설계 2.1.

More information

- ii - - iii -

- ii - - iii - - i - - ii - - iii - - iv - - 1 - - 2 - - 3 - - 4 - - 5 - 9.0 8.0 7.0 6.0 5.0 초졸이하 중졸고졸 전문대졸대학교졸이상 60.0 4.0 3.0 50.0 2.0 1.0 40.0 30.0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0.0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More information

<355FC0CCBDB4BAD0BCAE5FBCBAC0E7B9CE2835292E687770>

<355FC0CCBDB4BAD0BCAE5FBCBAC0E7B9CE2835292E687770> 월간 이슈분석 노동리뷰 2011년 11월호 pp.76~96 c 한국노동연구원 20대 고용률 변화 분석 성 재 민* 1) Ⅰ. 머리말 청년실업 문제와 청년 일자리의 질은 1998년 경제위기 이후 꾸준히 우리나라에서 중요 한 정책 의제로 자리잡아 왔다. 이로 인해 올해도 어김없이 청년백수와 니트족 문제가 언론을 장식하는 한편에서는 2011년 6월에 20대 후반

More information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미혼으로 1 인가구에거주하는여성 1) 2011 경제활동인구조사는통계청에서실시하는조사로서울지역은표본조사구약 4,140 가구 ( 약 9 천여명정도 ) 내에상주하는자로서, 매월 15 일현재만 15 세이상인자를대상으로조사하며, 매월 15 일이포함된 1 주간 ( 일요일 ~ 토요일 ) 을조사대상주간으로하며,

More information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여 48.6% 남 51.4% 40대 10.7% 50대 이 상 6.0% 10대 0.9% 20대 34.5% 30대 47.9% 초등졸 이하 대학원생 이 0.6% 중졸 이하 상 0.7% 2.7% 고졸 이하 34.2% 대졸 이하 61.9% 직장 1.9% e-mail 주소 2.8% 핸드폰 번호 8.2% 전화번호 4.5% 학교 0.9% 주소 2.0% 기타 0.4% 이름

More information

04 Çмú_±â¼ú±â»ç

04 Çмú_±â¼ú±â»ç 42 s p x f p (x) f (x) VOL. 46 NO. 12 2013. 12 43 p j (x) r j n c f max f min v max, j j c j (x) j f (x) v j (x) f (x) v(x) f d (x) f (x) f (x) v(x) v(x) r f 44 r f X(x) Y (x) (x, y) (x, y) f (x, y) VOL.

More information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apartment price are

More information

»êÇÐ-150È£

»êÇÐ-150È£ Korea Sanhak Foundation News VOL. 150 * 2011. 12. 30 논단 이슈별 CSR 활동이 기업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국가별 및 산업별 비교분석 최 지 호 전남대 경영학부 교수 Ⅰ. 서론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및 가설 개발 2. 1. 호혜성의 원리에 기초한 기업의 사회적 투자에 대한 소

More information

..1,2,3,4-........

..1,2,3,4-........ 2011 Spring Vol.09 Contents 2011 Spring Vol.09 Issue 04 06 09 12 15 16 Story Cafe 18 Special Theme Theme 01 Theme 02 Theme 03 24 26 28 32 36 38 40 41 42 44 48 49 50 Issue 04 05 2011 SPRING NEWS Issue

More information

....pdf..

....pdf.. Korea Shipping Association 조합 뉴비전 선포 다음은 뉴비전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 조합은 올해로 창립 46주년을 맞았습니다. 조합은 2004년 이전까 지는 조합운영지침을 마련하여 목표 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왔습니 다만 지난 2005년부터 조합원을 행복하게 하는 가치창출로 해운의 미래를 열어 가자 라는 미션아래 BEST

More information

대졸 신입사원의 조기퇴사 실태와 원인: 기업 인적자원관리(HRM)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대졸 신입사원의 조기퇴사 실태와 원인: 기업 인적자원관리(HRM)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대졸 신입사원의 조기퇴사 실태와 원인: 기업 인적자원관리(HRM)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237 職 業 能 力 開 發 硏 究 第 11 卷 (2), 2008. 8, pp. 237~260 c 韓 國 職 業 能 力 開 發 院 대졸 신입사원의 조기퇴사 실태와 원인: 기업 인적자원관리(HRM)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8)9) 엄 동 욱** 최근 고학력자의 취업난이 심각한

More information

<C1A4C3A5B8AEC6F7C6AE20323039C8A3202D20BCF6C1A4322E687770>

<C1A4C3A5B8AEC6F7C6AE20323039C8A3202D20BCF6C1A4322E687770>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209 2016. 3. 14 일하는 서울 노인의 특성과 정책방향 요약 3 Ⅰ. Ⅱ. Ⅲ. 노후준비 부족으로 일해야 하는 노인 증가 서울에서 일하는 노인의 특성 서울시 정책제언 4 7 19 윤민석 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 02-2149-1016 msyoon@si.re.kr 요약 고령화가 심화되고 조기퇴직 등으로 노후준비가 부족해지면서, 생계문제로

More information

2011년 제 9회 최우수상.hwp

2011년 제 9회 최우수상.hwp 1) 고려대학교교육학과석사과정 (nayoung725@yahoo.co.kr) 2) 고려대학교교육학과박사과정 (seo2jin@hanmail.net) 3) 고려대학교교육학과석사과정 (premier110@hanmail.net) 성별지역계열학업진행여부 총사례수 일주일평균아르바이트시간 ( 시간 ) 남 1510 8.9 여 1457 8.4 동지역 2573 8.5

More information

152*220

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

본연구결과는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에대한고용노동부의학술연구용역사업에의한것임 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 연구기관 / 한국노동연구원 2017. 3. 고용노동부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More information

³»Áö_10-6

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

- 89 -

- 89 - - 89 - - 90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97 - - 98 - - 99 - 있다 장정임 ( 2009). Toylor 와 Betz(1983) 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와 및 등이 개발 (career 와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단축형 은 미래계획수립 문제해결과 같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More information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V a lu e n C F = t 1 (1 r ) t t = + n : 평 가 자 산 의 수 명 C F t : t 기 의 현 금 흐 름 r: 할 인 율 또 는 자 본 환 원 율 은 행 1. 대 부 금 5. 대 부 금 상 환 E S O P 2. 주 식 매 입 3. 주 식 4. E S O P 기 여 금 기 업 주인으로 쌍방향의 투명

More information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8. 생활과생명보험 8-1. 생활불안의유무 생활불안의유무 ( 단위 : 가구수, %) 예 아니오 연간가구소득 가구연령 가 구 직 업 자가여부 택 형 태 가구최종학력 전 체 (2000) 926 1074 100.0% 46.3 53.7 1,200만원 미만 (110) 49 61 1,200-2,400만원 미만 (317) 185 132 2,400-3,600만원미만 (350)

More information

베이비붐세대의근로생애와은퇴과정연구

베이비붐세대의근로생애와은퇴과정연구 베이비붐세대의근로생애와은퇴과정연구 요약 ⅰ ⅱ 베이비붐세대의근로생애와은퇴과정연구 요약 ⅲ ⅳ 베이비붐세대의근로생애와은퇴과정연구 요약 ⅴ ⅵ 베이비붐세대의근로생애와은퇴과정연구 요약 ⅶ ⅷ 베이비붐세대의근로생애와은퇴과정연구 제 1 장서론 1 2 베이비붐세대 1955 년부터 1963 년기간 (47~55 세 ) 중에태어난베이비붐세대는 2010 년현재약

More information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1)

....(......)(1) Finance Lecture Note Series 창업설계(캡스톤디자인)(1) 제1강. 강의소개 조 승 모1 영남대학교 경제금융학부 2015학년도 2학기 Copyright 2015 Cho, Seung Mo 1 영남대학교 상경대학 경제금융학부 조교수; (우) 712-749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영남대학교 상경관 224호; choseungmo@yu.ac.kr;

More information

성인지통계

성인지통계 2015 광주 성인지 통계 브리프 - 안전 및 환경 Safety and Environment - 광주여성 사회안전에 대한 불안감 2012년 46.8% 2014년 59.1% 전반적 사회안전도 는 여성과 남성 모두 전국 최하위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 - 2014년 광주여성의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범죄위험 으로부터 불안하 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76.2%로

More information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11-8140242-000001-08 2013-927 2013 182 2013 182 Contents 02 16 08 10 12 18 53 25 32 63 Summer 2 0 1 3 68 40 51 57 65 72 81 90 97 103 109 94 116 123 130 140 144 148 118 154 158 163 1 2 3 4 5 8 SUMMER

More information

exp

exp exp exp exp exp exp exp exp exp exp exp exp log 第 卷 第 號 39 4 2011 4 투영법을 이용한 터빈 블레이드의 크리프 특성 분석 329 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결정계수값인 값 을 비교하였으며 크리프 시험 결과를 곡선 접합 한 결과와 비선형 최소자승법으로 예측한 결과 사 이 결정계수간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였고

More information

hwp

hwp 2005. 12 80.0 70.0 60.0 농림어업 광공업 사회간접자본및서비스업 50.0 40.0 30.0 20.0 10.0 0.0 1973 1975 1977 1979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9.0 8.0 실업률 7.0 6.0 5.0 4.0 전체남자여자

More information

<C1A4C3A55F323030352D33385FC0C7B7E1B1E2BBE7C0CEB7C25FBFE4BEE0B9AE2E687770>

<C1A4C3A55F323030352D33385FC0C7B7E1B1E2BBE7C0CEB7C25FBFE4BEE0B9AE2E687770> 정책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0405-PO00-0707-0001) 의료기사인력 수급방안에 관한 연구 The Present Condition of Supply and Demand for Medical Technicians and Management Policy Implications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 오 영 호 보 건 복 지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어렵다. 1997년우리나라 50대그룹 (586개기업 ) 에근무하는 110,096 명의과장급이상관리 - 1 - - 2 - - 3 - 행정및경영관리자 (02) 중에서경영관리자에해당되는부문이라고할수있다. 경영관리자는더세부적으로는기업고위임원 (021), 생산부서관리자 (022), 기타부서관리자 (023) 등으로세분류할수있다 (< 참고-1> 참조 ). 임원-부장-과장

More information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A1-1998-0031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이자료를연구및저작에이용, 참고및인용할경우에는 KOSSDA의자료인용표준서식에준하여자료의출처를반드시명시하여야합니다. 자료출처는자료명이최초로언급되는부분이나참고문헌목록에명시할수있습니다. 자료를이용, 참고, 인용할경우표준서식김상욱. 2005. 한국종합사회조사,

More information

<325FC6AFC1FD2D345FB9FDC1A4B1D9B7CEBDC3B0A320B4DCC3E0B0FA20C0CFC0DAB8AE20B8B8C1B7B5B528BFC0BCB1C1A4292E687770>

<325FC6AFC1FD2D345FB9FDC1A4B1D9B7CEBDC3B0A320B4DCC3E0B0FA20C0CFC0DAB8AE20B8B8C1B7B5B528BFC0BCB1C1A4292E687770> 일과 행복 특집 법정근로시간 단축과 생활만족도 * 오 선 정** 1) Ⅰ. 머리말 2015년 발표된 OECD 통계에 따르면, 2013년 한국 근로자의 연간 근무시간은 2,163시간으로, OECD 회원국 34개 중 멕시코를 제외하고는 연간 근로시간(전체 근로자 기준)이 가장 길다. 1) 한국의 연간 근로시간은 1위를 차지한 멕시코의 2,237시간과 큰 차이가

More information

DocHdl2OnPREPRESStmpTarget

DocHdl2OnPREPRESStmpTarget 자르는 선 5 월 월말 성취도 평가 국어 2쪽 사회 5쪽 과학 7쪽 자르는 선 학년 5 13 4 47 1 5 2 3 7 2 810 8 1113 11 9 12 10 3 13 14 141 1720 17 15 18 19 1 4 20 5 1 2 7 3 8 4 5 9 10 5 월말 성취도평가 11 다음 보기 에서 1 다음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찾아 쓰시오. 각 나라마다

More information

서울 노동시장구조와 동향

서울 노동시장구조와 동향 동향과 이슈 2015-1 통계로 본 서울의 노동 : 산업구조, 고용구조, 취약노동자 구조 2015. 5 [인포그래픽스: 통계로 보는 서울의 노동] - i - 목차 [인포그래픽스: 통계로 보는 서울의 노동] ⅰ [해설과 요약] ⅴ Ⅰ. 서울의 산업구조 1 1. 서울의 지역총생산 1 2. 사업체와 종사자 3 3. 사업체 규모와 기업체 규모 5 Ⅱ. 서울의 고용구조

More information

Jkafm093.hwp

Jkafm093.hwp 가정의학회지 2004;25:721-739 비만은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당뇨병에 각각 위험요인이고 다양한 내과적, 심리적 장애와 연관이 있는 질병이다. 체중감소는 비만한 사람들에 있어 이런 위험을 감소시키고 이들 병발 질환을 호전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을 호전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지지하는 연구들은

More information

연구보고서 2009-05 일반화선형모형 (GLM) 을이용한 자동차보험요율상대도산출방법연구 Ⅰ. 요율상대도산출시일반화선형모형활용방법 1. 일반화선형모형 2 연구보고서 2009-05 2. 일반화선형모형의자동차보험요율산출에적용방법 요약 3 4 연구보고서 2009-05 Ⅱ. 일반화선형모형을이용한실증분석 1. 모형적용기준 < > = 요약 5 2. 통계자료및통계모형

More information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al Eam 5//(토) :-5: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4 ( ) (a) ( )4 8 8 (b) d이 성립한다. d C C log log (c) 이다. 양변에 적분을 취하면 log C (d) 라 하자. 그러면 d 4이다. 9 9 4 / si (e) cos si

More information

0.筌≪럩??袁ⓓ?紐껋젾001-011-3筌

0.筌≪럩??袁ⓓ?紐껋젾001-011-3筌 3 4 5 6 7 8 9 10 11 Chapter 1 13 14 1 2 15 1 2 1 2 3 16 1 2 3 17 1 2 3 4 18 2 3 1 19 20 1 2 21 크리에이터 인터뷰 놀이 투어 놀이 투어 민혜영(1기, 직장인) 내가 살고 있는 사회에 가치가 있는 일을 해 보고 싶 어 다니던 직장을 나왔다. 사회적인 문제를 좀 더 깊숙이 고민하고, 해결책도

More information

숙련기술인의경제적 사회적지위 분석을위한측정지표개발

숙련기술인의경제적 사회적지위 분석을위한측정지표개발 2013-06 숙련기술인의경제적 사회적지위 분석을위한측정지표개발 2013. 11 . 2013. 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1 1. 1 2. 3 II. 5 1. 5 1.1 5 1.2. 7 1.3. 8 2. 10 III. 20 1. 20 1.1. 20 1.2.

More information

두 번째는 근로능력 빈곤층 으로 근로연계복지라는 정책의 참여자를 선정하는 기 준이 되는 기준으로서 연구별로 목적에 맞게 조작적 정의가 사용된다. 세 번째는 경활빈곤층 또는 취업빈곤층 으로 특정 조사 시점에서 일하거나 구직활동 중 인 빈곤층을 의미한다. 네 번째는 6개월

두 번째는 근로능력 빈곤층 으로 근로연계복지라는 정책의 참여자를 선정하는 기 준이 되는 기준으로서 연구별로 목적에 맞게 조작적 정의가 사용된다. 세 번째는 경활빈곤층 또는 취업빈곤층 으로 특정 조사 시점에서 일하거나 구직활동 중 인 빈곤층을 의미한다. 네 번째는 6개월 열심히 일해도 가난한 근로빈곤층 2015. 6. 22 송민정_새사연 연구원 smj@saesayon.org 근로와 빈곤이란 단어는 언뜻 보면 서로 반대를 향하고 있다고 여기기 쉽다. 빈곤이라 는 단어를 접했을 때 보통은 가구 내에 일자리가 있는 사람이 없거나 신체부자유한 구 성원이 있는 가구를 떠올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지런하게 일을 하거나, 그러고자 노력

More information

[최종보고서]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지역정책 발전방향.hwp

[최종보고서]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지역정책 발전방향.hwp 2015 < > . 2015 12 참여연구진 : ( ) : ( ) 목차 제 Ⅰ 장연구의개요 1 제 Ⅱ 장고령화의의미와원인 6 제 Ⅲ 장고령화사회가경제에미치는영향 11 제 Ⅳ 장고령화사회정책 24 제 Ⅴ 장고령화사회에대응전략 35 제 Ⅵ 장결론 43 Ⅰ. 1.. 25 65 32.4%, 72 65. (aging).,,. UN 65 7%, 14%, 20%, 80%

More information

입장

입장 [입장] 20대 총선 여성 비정규직 청년정책 평가 여성 정책 평가: 다시 봐도 변함없다 (p.2-p.4) 비정규직 정책 평가: 사이비에 속지 말자 (p.5-p.7) 청년 일자리 정책 평가: 취업준비생과 노동자의 분열로 미래를 논할 순 없다 (p.8-p.11) 2016년 4월 8일 [여성 정책 평가] 다시 봐도 변함없다 이번 20대 총선 만큼 정책 없고, 담론

More information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 피터드러커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허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Doing Better Problem Solving Doing Different Opportunity ! Drucker,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1999! Drucker,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hwp

hwp 2004. 12 µ µ µ ˆ ˆ ˆ ˆ ˆ ˆ ˆ ˆ ˆ ˆ 0.34 0.32 0.30 0.28 0.26 0.24 0.22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전체근로자전체취업근로자자영업자 40000

More information

01-S&T GPS 10대트렌드

01-S&T GPS 10대트렌드 2007 http://www. S&T 2007 Network of Wisdom Issue Analysis 040 041 042 043 044 045 046 047 048 049 050 051 052 053 054 055 056 057 058 059 060 061 062 063 064 065 066 067 068 069 070 071 072 073 074 075

More information

중소기업인력양성사업이 고용에미치는영향분석 고용노동부 16 중소기업인력양성사업이고용에미치는영향분석 요약 17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소상공인대학창업학교 담당부처 법적근거 사업목적 대상 시작년도 담당부처 법적근거 사업목적 대상 고용노동부인적자원개발과 고용보험법제 조및동법시행령제 조 국가기간 전략산업인력수요부족 증대직종인력양성 세이상의실업자등

More information

<C0FCB8C1C3D6C1BE30372D303528BBF3B9DDB1E2292E687770>

<C0FCB8C1C3D6C1BE30372D303528BBF3B9DDB1E2292E687770> 최근의실업률하락및고용률정체요인분석 1. 문제의제기 연구위원유경준 최근실업률이하락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고용률은정체되고있음. 2007년 1/4분기실업률은 3.6%( 계절조정 3.2%) 로전년동기의 3.9%( 계절조정 3.6%) 에비하여 0.3%p 하락 실업률의이러한추이는올해의성장률이지난해에비하여낮게전망됨에따라실업률이높아질것이라는예상과는반대의모습반면 1/4분기고용률은전년동기

More information

행정학석사학위논문 사회에대한공정성인식도가 행복에미치는영향 서울시주민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정영아

행정학석사학위논문 사회에대한공정성인식도가 행복에미치는영향 서울시주민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정영아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2. 4. 1. 업무에 활용 가능한 플러그인 QGIS의 큰 들을 찾 아서 특징 설치 마 폰 은 스 트 그 8 하 이 업무에 필요한 기능 메뉴 TM f K 플러그인 호출 와 TM f K < 림 > TM f K 종항 그 중에서 그 설치 듯 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많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 림 > 다. 에서 어플을 다운받아 S or 8, 9 의 S or OREA

More information

(完)산업교육연구 제25호.hwp

(完)산업교육연구 제25호.hwp 산업교육연구제 25 호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2012, 9 월호, pp.1-16 이영민 요약 -------------------------------------------------------------------- --------------------------------------------------------------------

More information

2016 학년도대학별논술고사일정 대학명 논술고사시행일 가톨릭대 [ 일반 ] 10 월 11 일 ( 일 ) / [ 의예 ] 11 월 15 일 ( 일 ) 건국대 [ 인문 ] 10 월 9 일 ( 금 ) / [ 자연 ] 10 월 10 일 ( 토 ) 경기대 10 월 18 일 (

2016 학년도대학별논술고사일정 대학명 논술고사시행일 가톨릭대 [ 일반 ] 10 월 11 일 ( 일 ) / [ 의예 ] 11 월 15 일 ( 일 ) 건국대 [ 인문 ] 10 월 9 일 ( 금 ) / [ 자연 ] 10 월 10 일 ( 토 ) 경기대 10 월 18 일 ( 2016 학년도대학별논술고사일정 논술고사시행일 가톨릭대 [ 일반 ] 10 월 11 일 ( 일 ) / [ 의예 ] 11 월 15 일 ( 일 ) 건국대 [ 인문 ] 10 월 9 일 ( 금 ) / [ 자연 ] 10 월 10 일 ( 토 ) 경기대 10 월 18 일 ( 일 ) 경북대 11 월 21 일 ( 토 ) 경희대 [ 자연 1, 인문, 예체능 ] 11 월 14(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2ÀåÀÛ¾÷

2ÀåÀÛ¾÷ 02 102 103 104 105 혁신 17과 1/17 특히 05. 1부터 수준 높은 자료의 제공과 공유를 위해 국내 학회지 원문 데이 >> 교육정보마당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05. 8. 1 현재) 구 분 서지정보 원문내용 기사색인 내 용 단행본, 연속 간행물 종 수 50만종 교육정책연구보고서, 실 국발행자료 5,000여종 교육 과정 자료 3,000여종

More information

목차

목차 조사설계 MBC- 한국경제공동여론조사결과통계표 조사대상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조사규모 1,001 명 ( 주의 : 통계보정으로 1,000 표본으로분석하였으며, 보도시에는조사실사례수 1,001 명으로기재해야함 ) 2017. 01. 26.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 Point 조사방법 유선전화면접 49% + 무선전화면접 51% : CATI(Computer

More information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b) 조사연구 주제어 패널조사 횡단면가중치 종단면가중치 선형혼합모형 일반화선형혼 합모형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2009.11. 3.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283-7722 / mykim@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Ⅳ. 고용없는성장지속과대응방안 16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요약문. 2005 5,..,..,..,

More information

기본소득문답2

기본소득문답2 응답하라! 기본소득 응답하라! 기본소득 06 Q.01 07 Q.02 08 Q.03 09 Q.04 10 Q.05 11 Q.06 12 Q.07 13 Q.08 14 Q.09 응답하라! 기본소득 contents 16 Q.10 18 Q.11 19 Q.12 20 Q.13 22 Q.14 23 Q.15 24 Q.16 Q.01 기본소득의 개념을 쉽게 설명해주세요. 06 응답하라

More information

05 ƯÁý

05 ƯÁý Special Issue 04 / 46 VOL. 46 NO. 4 2013. 4 47 Special Issue 04 / 48 VOL. 46 NO. 4 2013. 4 49 S pecial Issue 04 / IHP 7단계 연구사업 구분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연최대 강우량 침수면적 인명피해 재산피해 그림 4. 시군구별 연 최대 강우량과

More information